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4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15

Part 2. 문화행정

◐ 들어가며 ◑

<語 錄 >

• “한국의 위기의 본질은 단순히 경제 문제가 아니다. 세계에 내세울 한국적 이미지의 상
품이 없는 문화의 위기로 보아야 한다.” <기 소르망, 프랑스 문화비평가/경제학자>

• “21세기의 국가위상은 문화의 힘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중략] 문화는 어린이들의 마


음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까지 바꿔 버린다. 멀티미디어를 통해 세계가 하나로 묶이
는 21세기에는 그 영향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문화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무한전쟁
은 이미 시작됐다. 각국은 이제 그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앨빈 토플러>

• “아! 새로운 세계가 눈앞에 펼쳤도다. 위력의 시대가 가고 道義의 시대가 왔도다. 과거
한 세기내 갈고 닦아 키우고 기른 人道的 정신이 이제 막 새 문명의 밝아오는 빛을 인
류 역사에 비추기 시작하였도다. [중략] 우리의 본디부터 지녀온 권리를 지켜 온전히
하여 생명의 왕성한 번영을 실컷 누릴 것이며, 우리의 풍부한 독창력을 발휘하여 봄기
운 가득한 천지에 순수하고 빛나는 민족문화를 맺게 할 것이로다.” <3.1 독립선언서에
서>

•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중략]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
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중략]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않고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
원이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 나라에서 우리 나
라로 말미암아서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김구,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에서>

• “우리는 민족문화의 세계화에 힘을 쏟아야 합니다. 또한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담겨 있


는 높은 문화적 가치를 계승 발전시켜야 합니다. 문화산업은 21세기 기간산업입니다.
관광산업, 영상산업, 문화적 특산품 등 무한한 성장이 기다리고 있는 富의 寶庫입니다.”
<김대중, “제15대 대통령 취임사”에서>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16

0-1. Questions
• 문화는 왜 중요한가? 문화예술을 보호/발전시켜야 하는 이유? 문화예술의 가치?
• 문화예술활동의 성격? 수요와 공급?
•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개입의 근거?
• 문화행정의 목적? 범위? 종류? 수단?

0-2. 문화행정

- 국가가 공권력에 의거하여 문화와 관련된 공공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 문화의 생산, 유통, 소비 등 문화와 관련된 제반 활동에 대한 정부의 개입

0-3. 문화행정(문화/예술에 대한 정부개입)의 전제

(1) 전제1: “문화/예술은 그 자체로 좋은 것이다.”

(2) 전제2: “문화/예술 부문의 민간실패가 발생할 수도 있다.”


→ 민간부문에 방임해두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예술이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3) 전제3: “정부가 개입하면 문화/예술의 민간실패를 방지 혹은 교정할 수 있다.”

(4) 전제4: “문화/예술의 보호·발전 위해서는 민간부문보다 정부개입이 더 효과적·효율적이다.”

※ Part 2에서는 전제 1과 전제 2에 국한시켜 논의한다.


전제 3과 4에 대한 논의는 마지막 파트에서 다루기로 한다.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17

(1) 문화의 가치와 인간의 행복

1> 문화의 가치(기능)

(1) 본원적 가치: 인간의 본능적 욕구의 하나인 ‘정신적 쾌락/즐거움’ 제공

• 오감과 두뇌의 쾌감
• 심리적 즐거움, 만족감, 감동 by providing ‘아름다움’(美)
→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으로서의 특징
※ “정신적 욕구 혹은 자기실현의 욕구 충족” (이케가미 준, 황현탁 역, 문화경제학, p.142)
[생각해보기]
쾌감의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
 즐거움, 쾌감, 美는 주관적인 가치판단(좋고싫음)의 문제. ※ Fact Vs. Value
 계량적 측정·비교가 곤란하기 때문에 문화·예술을 둘러싼 논란은 피하기 어렵다.

(Q1) 문화예술작품간의 차이와 우열?


• 감동, 쾌감의 종류에도 우열이 있는가? 단지 다르다는 것 뿐인가?
Ex) 고급예술 vs. 대중예술
• 정부는 과연 어떤 종류의 문화예술을 보호해야 하는가? 우선순위는? 왜 그런가?
Ex) 성악 vs. 뽕짝, 회화 vs. 만화, 발레 vs. 힙합, 오페라 vs. 마당극

(Q2) 좋은 문화와 나쁜 문화?


• 바람직한(보호해야 할) 가치와 바람직하지 않은(보호할 필요없는) 가치의 구별 가능?
• 그 기준은? 누가 결정?
Ex) 예술 vs. 외설(‘즐거운 사라’, ‘천국의 신화’, ‘거짓말’, ‘젖소부인’), 엽기문화

(Q3) 문화(가치)상대주의의 한계는?


• 극단적 가치상대주의의 귀결은?
• 절대적 가치의 인정할 수 있는가? 있다면 무엇?
• 최소한의 사회적 합의 가능한가?
Ex) 자유, 인권, 생명존중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18

(2) 부가적 가치 (김문환, 문화경제론 49; 이케가미 준, 문화경제학 239-240, 헤일브런 & 그레이, 문화예술경제학, 160-67 참조)

: 사회적 가치, 집단적 편익(collective benefits), 외부편익(positive externalities, 긍정적 외부성)


→ 심리적 기쁨이라는 개인적 차원의 가치를 넘어서 사회적 차원에서 기여하는 외부적 가치
광 긍 양
1. 위상가치(위 가치, prestige value): 국가적 자 심, 국위 선
 문화적 매력은 그 국가, 도시, 지역의 매력을 증대시킨다.
 뛰어난 문화예술은 그 나라의 얼굴/자랑이고 세계사회에서 그 국민 전체의 위상을 높인다.

Ex) 괴테, 번스타인, 모차르트, 안데르센, 정경화, 조수미, 피카소, 백남준, 요요마,
Bruce Lee, 톨스토이, 차이코프스키, 앙드레김, 스모, 스시, 구로자와 ...
Cf) 태국의 매춘/맛사지, 한국의 기생관광, 일본의 섹스산업 & 나가노 동계올림픽

2. 선 가치(option value)
 지 금 당장 소비되지 않아도 보존해 두고 필요한 때에 필요한 사람이 감상할 수 있다.
증 q
3. 유 가치(be uest value)
 다음 세대에 훌륭한 문화예술을 유산으로 전수하는 데에서 생기는 가치
 문화예술은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의 역사와 연결되어 전통을 계승하는 역할을 한다.


4. 교 가치(education value)
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창조성, 수용력, 심미력 등을 배양할 수 있다.
 문화예술은 사람들의 마음을 순화시킴으로써 사회의 안정과 질서유지에 도움을 준다.
 문화는 새로운 발상의 원천 → 사회 제분야에서 창조적 활동에 큰 자극을 준다.


5. 산 가치 → ※ '문화산업‘ 다룰 때 더 자세히 논의한다.
 문화예술활동 자체가 막대한 부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산업
Ex) 미국 경우, GNP에서 문화예술부문의 비중은 6%인 3,150억 달러 (1998)

6. 국가간 가교 역할
 문화는 그매력이 국경을 초월하여 교류되며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마음에 감동을 준다.
 문화교류는 국제적인 상호이해의 망을 넓혀주는 가교의 역할을 한다.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19

7. 유발효과(spillover e ect) ff
 문화예술활동을 둘러싼 주 변 비즈니스에도 상당한 경제적 편익이 발생한다.
Ex) 영화제, 대형콘서트 → 숙박업, 식당, 교통, 관광업...
(99 부산국제영화제 파급효과: 250억원, 98 금산 인삼문화관광축제 생산파급효과: 309억원)

Ex) 영화제작 → 영화관 건설, 영상기기 및 매체 제조, 학원, 비디오 제조 및 대여, 관광명소...
Ex) 대중음악 → 악기 및 음향기기 제조·판매, 카세트/CD 제조·판매, 음악학원, 의상디자인,
화장/헤어디자인, 성형수술, 잡지, 서점, 뮤직비디오, 사진, 공연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 문화의 효과: 문화적 효과, 경제적 효과, 사회적 효과 >
구분 효과 내용
문화자본 증가 - 자기표현과 향유기회 증가
- 문화자본 증가
문화적 정체성 강화 - 국가, 민족, 지역의 역사 보존
효과 - 국가적, 지역적, 개인적 측면에서 정체성 형성 및 자부심 제고
문화적 가치관 - 다양성ㆍ관용ㆍ자유로운 표현과 같은 긍적적인 공동체 규범 확산
확산 및 -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제고
다양성 제고 - 문화적 다양성 제고
소득 증대 - 문화 분야 매출 증가
- 문화행사 방문객의 지역시설 및 서비스 이용 증가
고용 창출 - 고용 창출
경제적 마케팅 강화 - 국가, 지역, 기업의 이미지와 위상 제고
효과 투자 촉진 - 투자자에게 국가, 지역, 기업의 매력도 증가
성장잠재력 - 창조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창조적 환경 조성
제고 - 경제부흥의 가능성이 더 높아짐
사회적 비용 - 결근률 감소를 통한 생산성 제고
감소 -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
건강 증진 -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측면에서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인적 자본 - 창의성 향상
제고 - 소통 능력 향상 및 타인에 대한 포용력 제고
(교육 효과) - 기술 향상
사회적 사회적 자본 - 사회적 네트워크 확대
효과 및 사회응집력 - 상호간 또는 타인에 대한 신뢰 증가
제고 - 성, 연령, 계층, 민족, 장애 등에 따른 불평등과 사회적 배제 감소
범죄 예방 - 반사회적 행동 및 범죄 예방
환경 개선 -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 낙후지역 환경 개선
※ 출처: 양현미, 문화의 사회적 가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p.103-4.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0

[참고]
< 예술의 효과 >

※ 출처: Joshua Guetzkow (2002), How the Arts Impact Communities: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n arts impact studies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양현미, 문화의 사회
적 가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p.101. 재인용)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1

2> 행복 개념의 재정립

1. 인간의 행복
 복지 개념의 확대: 최소한도의 물 적인 질 삶의 조건 + 정신적 만족

2. ‘국가의총체적인 발전’ 개념으로 이해: “삶의 질” (이종인, p.14)


→ 단순한 경제적 조건의 개선 넘어서서 사회문화적 측면 수용
→ 경제와 문화의 균형을 통해 참다운 인간적 삶 가능해짐
UN 인권선언 제27조 1항
3. 문화에 대한 인간(개인)의 권리: 1948
→ “모든 사람은 공동사회의 문화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다.”
→ 인간 존엄성의 일부로서 공동사회의 문화유산과 문화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인정
4. “문화는 인간의 삶에 즐거움을 주고, 인생에 의미를 찾게 하는 원천이다. 이것은 인간이 인
간답게 살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본질적인 것으로, 문화는 생활이나 사회에서 단순한 장식품
이 아니다.” (이케가미 준, 문화경제학, 237)

복 디 약 돈은 행복의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것”


5. “행 연구의 결론을 한마 로 요 하면,
 행복은 개인의 주관적 태도이지만 주위 환경, 즉 국가와 사회가 지대한 영향을 미침
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를 기점으로 다르게 나타남
- 1만 달러까지는 소득이 행복 제고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1만 달러가 넘어서면 소득 외에도 사회적 유대나 개인적 선택의 자유 같은
비물질적 가치의 비중이 높아짐
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이상의 사회에서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 (양현미, 2007, p.28)

※ 결론: 문화는 사회·개인에 있어서 굳이 없어도 되는 사치나 풍요의 장식물 아니며, 인간


의 행복과 인간다운 삶을 위해 꼭 필요하다. 인간에게 행복추구권이 있다는 것은
곧 문화에 대한 천부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국민의 행복과 복
지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는 마땅히 최선을 다해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지원을 해
줄 의무가 있다. (문화에 대한 권리 = 정부의 책임)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2

(2) 문화경제학: 문화영역의 수요와 공급

1> 문화․예술 영역에 대한 경제학적 고려가 타당한 근거


• 사람들의 다수(예술품 생산자 및 중개업자)가 예술영역에 종사함으로써 생활부양을 한다.
• 예술에 대한 지출은 항상 자금이 충분치 못한 다른 투자목표들과 경쟁한다.(자원 제약)
• 예술은 시장에서 상품화되어 다른 상품들처럼 수요와 공급 원리의 지배를 받는다.
 예술 상품의 판매: 예술인이 예술에 의존에 살아가려면 작품을 경쟁에 의거해 팔아야 한다.
 예술 상품의 구입: 구매자가 값을 치러야 예술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얻는다.

※ 문화의 경제적 특성? 시장(민간)실패?

2> 문화 수요(Demand)

1. 소비자 개인의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의 가치(value)

• 정신적 욕구 만족: 예술작품을 소유하고 즐김으로써 미적인 것에 대한 기쁨, 향유,


긴장완화와 같은 정신적 만족과 감동을 제공받는다.
• 사회적 욕구 만족: 사회적 위신과 지위를 높일 수 있다.
• 투자 가치: 소장품의 미래 가치 상승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확보할 수 있다.

2. 문화/예술상품의 특성

① 공공재(public goods): 소비의 비경합성 & 소비의 비배제성 (소병희, 173)


② 가치재(merit goods): 정책결정자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적 편익/가치가 크고 모든 사람들에
게 필요한 좋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시민)들이 문화예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
기 때문에 그 소비가 최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③ 경험재(experience goods): 직접 소비하기 전에는 정확한 품질평가 불가능


④ 사치품: 높은 가격탄력성 (소득수준의 적은 변화 → 문화상품수요의 큰 변화)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3

3. 문화 수요의 특성
※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 = f ( 수입, 정보, 여가시간, 교육수준, 환경 )
① Abraham Maslow의 욕구단계설
 생리적 → 안전 → 애정 → 긍지․존경 → 자아실현

 욕구단계설 시각에서 보면, 문화·예술에 대한 정신적/자아실현적 욕구는 대개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경제적 조건이 충족되고 시간적 여유가 생기고 나서야 발동된다.

② 문화상품은 경험재(experience goods)의 성격을 갖는다


 정보의 비대칭: 생산자에 비해 소비자가 갖는 정보 매우 부족
→ 소비자가 직접 경험하기 전에는 품질에 대해 제대로 분별하기 어렵다.
③ 문화예술에 대한 기호(taste), 선호(preference), 효용(utility)은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가꾸어진다.
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는 천부적이고 자연스러운 인간 본능이다. 그러나 문화예술로부터 정
신적 쾌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후천적으로 ‘감성’이 개발되어 있어야 한다.

 어렸을 때부터 어떠한 문화환경에서 자랐는가, 어떠한 내용의 교육을 받았는가에 의해 개인


의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기호/선호는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감상의 기회가 많거나 훈련되
지 않은 경우 감동(정신적 쾌락)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Ex: 클래식음악 vs. 힙합)

④ 비반복성
 반복소비 → 한계효용 급속히 감소 읽 영화관람)
(Ex: 음악감상, 소설 기,

⑤ 유동성 or 변덕성
 고소득층의 문화상품 수요 크지만 그 수요의 구성내용은 비반복성 때문에 항상 변화
 상이한 문화상품 유형 사이의 변덕 (Ex: 영화, 박물관, 독서 or 음악회?)
 동시에 동일 상품유형 안에서도 변덕 (Ex: 어떤 장르의 음악?)
※ 예외: 매니아, 오타쿠
⑥ 다양성
들 양
 사람 의 다 한 기호·개성을 반 영
 교육, 소득수준 및 여가시간 증가 → 양
더 다 한 문화예술상품 수요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4

3> 문화 공급(Supply)

1. 문화/예술의 생산
• 생산동기: 예술가의 내적인 필연성. 개인의 예술적 영감, 기질 및 신념.
• (Q) 문화예술생산자는 소비자에 대해 둔감한가?
→ (A) 예술가의 생계유지와 작품재생산을 위해서는 수요자에게 판매되어야 한다.
∴ 문화예술의 생산·공급양식은 소비자의 수요조건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문화예술상품 공급의 특성
※ 기본전제:
수요의 유동성은 생산의 수 성 위 익 협 → 생산자는 위 부 험 담 줄이는 방향으로 반응
① 전문화 vs. 다양성:
Ex) 신문(저널,방송)편집의 경우
 특수시장을 겨냥한 전문화된 신문: 수요 안정, 예측 가능한 경우
 타 매체와 경쟁하는 신문은 다양화 추구: 주요 일간지들 수퍼마켓처럼 다양한 섹션구비
→ 다양화는 위험부담에 대처하기 위한 표준적 방식: 수요 안정화 목적.

일반 소비자
← 소비자분포
매니아 매니아
I I I I 
정치 X X' Y' Y 경제
기사 기사
(정치전문지) (종합일간지) (경제전문지)

영 쉬 액션+ 맨스 취 협+코메디)
Ex) 화: ‘ 리’( 로 ), ‘ 권’(무
록곡
Ex) 음반 수 양 장
의 구성: 다 한 르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5

② 스타 시스템
 소비자들을 간접적으로 특정 상품 범주에 묶어두는 방법: 수요 변덕을 안정시키기 위함
 소비자들이 특정 스타에 대한 감정적 애착 가지면 수요예측 용이하며 안정적.
→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에 접하기 위해 별로 좋아하지 않아도 특정상품 소비해야.
③ 승자독식(winner-take-all) 시스템: '수퍼스타의 경제학‘
 소수의 수퍼스타들이 문화예술시장의 대부분 독식. (비록 재능의 차이는 별로 없다고 해도)

 스타예능인의 대체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Ex) 클론

④ 상품의 原型(prototype)
 한 가지 상품이 성공하면 그 상품은 다른 영화, 음반, 책 등 여타 상품생산을 위한 모델
혹은 프로토타입이 됨. → 스타제도와 마찬가지로 공급의 위험부담 줄이기 위한 것.
 선구자 vs. 아류

Pioneer Herd
Risk High Low
Profit High Low
(Q) 표절 vs. 창조적 모방 ? Ex) 서태지 ‘Come back home’ 재
vs. 이 수

⑤ 끼워팔기: 유동적 수요 안정화 목적. 문화상품 공급의 위험부담 감소.


Ex)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 인기없는 영화

⑥ ‘옛것과 새것’의 문제
 연극, 발레, 음악 등 實演 예술형식의 경우 현대작품보다 과거에 생산된 작품을 접하기가
더 용이하다. (반면에 회화, 조각, 건축 등은 처음 돌파구는 어렵지만 현대적 표현양식이
훨씬 많은 관객 끈다.)
 과거의 것이 현대작품을 압도하는 이유
⑴ 實演예술 경우 최소한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당수의 관객 필요. 그러나 회화, 건축은
한 사람의 고객이라도 충분한 흥미만 있다면 성공 보장.
⑵ 무용, 연극, 음악 경우 새로운 현대적 제작물에 대한 관객의 선호 확인·예측 곤란.
→ 과거의 것은 어느 정도 평판이 나있다. 수요 및 위험부담이 어느 정도인지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 보다 안전한 공급이 가능하다.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6

⑦ 샘플 정보 제공
 경험재의 속성상 발생하는 정보의 비대칭 해소시키기 위한 생산자측의 전략

 소비자에게 문화상품 관련 핵심 정보의 일부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유도

Ex) 맛보기, 광고, Demo, 티저 동영상, 영화 예고편, 게임 베타버전, Shareware...

⑧ Local vs. Global


 교육, 소득, 수입 증가 → 수요 다양화 → 공급 다양화 필요
→ 한 지역의 상징, 신화, 영상, 메시지 등 문화의 ‘지방’(local) 저장고만으로는 점증하는
수요 감당 한계. 따라서 보다 큰 문화 저장고를 건드려 모든 문화 소스가 동시에
사용되도록 시도하는 일이 불가피.
→ 문화의 국제화·세계화
 국제문화교류 활성화 추세 Ex) 일본 대중문화 개방

⑨ 미래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
길다: 최초의 투자 이후 열매를 맺기까지는 오랜 시간 소요.
 회임기간(gestation period)이

 언제 어디서 어떠한 열매가 맺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 투자에 대한 회수 가능성 불투명. Cf. 소비의 변덕성


⑩ 質(quality)의 문제 (최하질이나 최상질보다는 평균에서 일탈하지 않으려는 현상)
 분포곡선의 평균치로 쏠리는 현상
→ 안정되어 있는 수요부분을 우선적으로 충족.
→ 시장에는 고품격 문화상품의 유통 드물다. 동시에 최하질·저질도 드물다.
→ (Q) 사회의 자정능력 신뢰할 수 있는가? (NY Times 사설 참고)


 (Q) 그 다면 문화상품의 저질화, 갈수록 자극적 추세는 어떻게 이해?
→ 시간에 따른 ‘중심축(보통수준, 평균치) 자체의 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보통사람들의 감성)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7

(3) 문화부문의 민간실패

1> 경제적 차원

1. William Baumol's ‘Cost Disease’ (비용질병, 고비용병)


 Performing arts(공연예술, 실연예술)의 경우 숙달된 인간의 기예 그 자체로서 상품이 완성되
는 것이며, 대량생산이나 생산표준화가 불가능하다.
→ 예술가의 기예는 기술혁신, 신기술개발, 기술진보에 따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 제조업과 같이 노동생산성을 급속히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Ex) 화가의 그림 1점 완성시간, 가수가 노래 1곡 부르는 시간, 오페라 공연시간 등은 고정.
따라서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그림, 노래, 오페라 공연은 불가능하다.
→ 공연예술의 경우 제조업에 비해 인건비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비용이
급등하는 경향이 있다.
→ 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 투자의욕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 따라서 공연예술단체의 적자 및 도산이 불가피하다. (경영 잘못 때문이 아니다.)

2. Imperfect Market Conditions


① 정보의 결핍 (Incomplete information) ※ 정보비용: Information is NOT free.

a. 생산 측면: 정보부족으로 인해 문화예술의 발전· 신 기회 제한
 예술가
- 창의적 영감을 자극할 새로운 정보 부족
- 창작활동 후원자에 관한 정보 부족
- 작품발표 기회에 관한 정보 부족
 후원자
- 유망한 신예 창작인들에 대한 정보 부족
b. 소비 측면 ※ 정보 비대칭
 생소한 신인 및 새로운 작품에 대한 정보 부족
→ 새로운 문화예술의 등장 기회 제한 → 소비자 선택의 폭 제한
 다양한 예술 경험기회 부족 → 예술에 대한 ‘획득된 취향’의 범위 제한
→ 다양한 문화예술 감상능력 제한 → 소비자의 잠재적 유용성 상실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8

② 과다한 거래비용 (Transaction costs)


: 생산자와 소비자의 만남/거래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면 거래 자체가 안이루어짐.

 작품발표를 위한 공연장·전시관 등의 확보 비용
Ex) 과다한 임대비용, 대중음악 전문공연장 부재 ... ※ 까다로운 공연허가
Ex) 과거 라이브 클럽 단속/규제 → 인디밴드, 신예밴드들의 등단기회 제약
 신예 예술가에게 불리한 부당조건 계약 ※ 흥행사·제작사의 투자 ≒ 도박
 작품활동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재료·도구·장소 구하기 어려우면 공급 어려워짐

Ex) 충무로 영화가, 인사동 화랑가, 낙원악기상가 등 가게밀집은 거래비용 감소 효과

③ 독과점 (Monopoly, Oligopoly)


 독과점의 폐해: 품질 저하, 가격 상승
Ex) - 헐리우드 영화 독점 → 소비자 선택의 폭 제한
- 메이저 영화 배급사의 횡포

P
2. 외부효과 ( ositive Externalites)

: 타인의 노력과 수고의 산물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채 이익 향유

① 불법복제: 내용 담긴 매체의 복사 → 디지탈 기술의 발달로 더욱 수월해짐.


 디지탈 매체의 경우 원본과 복사본의 품질 차이 전혀 없다. (※ LP, Tape vs. CD, MP3)
 불법복제품 방치하면 원제작자에게 정당한 대가 지불 안된다.
→ 양질의 문화예술작품이 충분히 생산되지 않는다.
 외국 문화예술작품 불법복제 → 심각한 통상마찰 야기

② 표절: 내용(Contents)의 복사
 수요의 유동성·변덕성에 대해 표절로써 쉽게 안정적 수요 확보하려는 유혹 강하다.
 표절 방치되면 결국 원제작자의 창작의욕 및 표절자의 창작성이 저하된다.
 외국 작품의 표절 → 경제적 배상책임 + 국가적 위신 추락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29

재P
3. 공공 ( ublic goods)

재 승
 소비의 비 제성과 비경합성으로 인하여 ‘무임 차자’(Free rider) 문제 발생
→ 생산자에 대한시장에서 보상(유효수요) 없으므로 공급 이루어지지 않게 됨.
Ex) 공원조형물, 공공조각물: 예술이 공공재 성격을 띠고 사회공동체적 욕구 충족

※ 문예진흥법상의 ‘1% 미술품’ 제도와 조형미술 비리 문제


재M
4. 가치 ( erit goods)

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재화/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개인 입장에서는 정보(인식) 부족으로 인해


가치평가는 적정수준 이하 → 사회적으로 적정 수준보다 낮은 소비

5. 막대한 초기비용 혹은 고정비용(Fixed cost) 필요한 경우


 가격 너무 높아 충분한 수요 없으므로 공급도 형성 안됨.
→ 생산자의 재정적 위험(개인공급자 감소) & 많은 대중의 소비·접촉기회 감소
Ex) 오케스트라, 합창단, 무용단, 공연장, 박물관, 도서관, 영화촬영스튜디오 등


< 국공 예술단체 국고보조 금 비중 현황 >
(단위 : 천 ) 원
2004년도 2005년도 2006년도
분 구
국고보조 금 예산 총액 국고보조 금 예산 총액 국고보조 금 예산 총액
국립극장 27,878,816 31,596,195 17,359,270 20,859,270 17,973,994 21,648,689
국립발레단 3,210,000 5,625,000 3,836,000 5,765,140 4,032,000 6,166,000
국립오페라단 3,175,000 6,190,380 3,987,000 7,211,000 4,158,000 7,605,280
국립합창단 2,012,000 2,506,000 2,414,000 2,934,000 2,553,000 3,067,176
서울예술단 612,000 5,571,343 812,000 6,058,000 802,000 6,192,000
세종문화회관 23,833,088 42,494,277 18,100,000 42,199,151
합 계 52,241,358 85,321,687 47,618,994 86,878,296
※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극단(1950), 국립창극단(1962), 국립무용단(1962), 국립국악관현악단(1955)
※ 예술의 전당 상주/입주단체 (재단법인): 국립합창단(1973), 국립발레단(1974), 국립오페라단(1962), 서울예술단(1985)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0

2> 정치적 차원


1. 정 결정과정에서 문화예술계의 목소리 미 .약
→ 문화예술적 가치 잘 고려되지 않음. 예산 삭감시 우선적 대상.
2. 문화예술계 내부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의 불균등 분포
Ex) 미인대회: 여성상품화라는 여성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제재조치 없음
Ex) 대중음악에 대한 정책지원 거의 전무
Ex) 소수 영화제작인 그룹의 강력한 요구로 스크린쿼터 유지

※ 참고: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후보의 문화재원확보 관련 공약


① 문화부문 예산 정부전체의 1% 확보
② 문예진흥기금 5천억원 조성
③ 문화산업특별자금 3천억원 조성
④ 한국영화진긍기금 500억원 조성

※ James Wilson의 규제정치 이론과 지대추구행위(Rent-seeking behavior)



이 넓게 분산 좁게 집중
비 용
넓게 분산 대중적 정치 고객 정치
좁게 집중 기업가적 정치 이익집단 정치

 ‘고객정치’ 상황에서는 규제로 인하여 ‘지대’(Rent) 발생


→ 지대 추구하는 소수가 무관심한 다수보다 정치적 영향력 더 강하기 때문에 공익 차원의
정책이 아닌 소수의 이익을 보장하는 정책이 결정되기 쉽다.

3> 사회문화적 차원

1. Quality 문제 ※ 전제: 문화예술의 질적 우열(수준차이) 존재


• 문화예술의 질·수준을 발전시키려면
- 수요: 예술문화를 감상·향유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 필요
높 창 높
- 공급: 은 향유능력에 의지해 조활동의 수준을 여가는 예술인 필요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1

• 시장기구에 의해 질적 수준 향상? → 수요 안정화시키려면 중간 수준 유지


→ 경제적으로는 별문제 없을지 몰라도 수준향상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Q) 순수예술인의 외도, 크로스오버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음란· 력성 심화

업 쫓 초
: 상 성 아가다 보면 말 신경 자극하는 저질 양 될
의 문화 성 가능성
→ 폭 폐
‘과도한’ 음란성· 력성의 해 터넷 송
Ex) 인 성인방

•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사회적 환경 제공: 도덕적 타락, 모방범죄...


• 기존 사회질서와 윤리의 붕괴 위험

(Q)과연 음란물·폭력물 등의 ‘저질문화’는 사회적으로 유해한가?


노래가사, 영화내용, 게임내용 → 음란, 폭력, 동성애, 자살 등 사회의 부정적 가치 조장?
Ex) ‘거짓말’, ‘친구’, ‘죽어도 좋아’, 동방신기의 ‘주문-미로틱’, 박지윤의 ‘할줄알어’, 리니지...

※ 문화와 사회변화 간의 가능한 인과관계


① ‘불량’ 문화예술상품 → 사회적 범죄 및 윤리타락 야기
② 사회적 범죄 및 윤리타락 심화 → ‘불량’ 문화예술상품 탄생
③ ‘불량’ 문화예술상품 ⇄ 사회적 범죄 및 윤리타락
④ Spurious relationship: 제3의 변수(Ex:외래문화) → ‘불량’ 문화예술상품
↘ 사회적 범죄 및 윤리타락

3. 전통문화

① 전통예술은 수요 부족으로 시장에서는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 사명감 가진 소수의 사람들이 전수
Ex) 인간문화재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2

② 문화재 도굴 및 밀반출: 불법 거래
③ 도시개발 vs. 유적발굴
Ex) 풍납토성 유적지 보호 vs. 아파트 주거지역 건설

q
4. E uity: 생산 측면

① 문화예술 생산자의 소득 불균형 문제: Top 소수는 상당한 수준의 고소득.


But 절대다수는 저소득 → 생계유지 및 창작활동 곤란

책 원 총 총 원 골 분
“한국문화정 개발 이 2000년 한국예술문화단체 연합회(예 ) 회 을 무작위로 라(예술 야별 5
~ 득 태 월평균 득 원
0 60명) 예술가 소 실 를 조사한 결과를 보자. 음악가의 예술활동 관련 소 은 115만 으로
타났 원 버 % 았 영 금 월평균
나 다. 200만 이상 는 음악가는 5.8 에 지나지 않 다. 화인은 사정이 조 나아 소
득 원 원 득 %였 득 장 높 분 월평균 득
은 142만 , 200만 이상 소 자는 19.6 다. 소 이 가 은 야는 연예인으로 소 이
원 달했 장 눈길 끄 건
350만 에 다. 가 분
을 는 틀 푼
10개 예술 야를 통 어 예술활동을 통한 수입이 한 도 없
% 궁핍
는 사람이 18.1 라는 사실이다. 예술가의%영 % %
은 음악인 84 , 화인 92 , 연예인 77 가 경제적
한계를 느낀 토 데 히드 난
다고 로한 서 여실 러 다.”

※이케가미 준, 문화경제학 입문, p.165-6


- 일본 1990년 국악, 전통연극, 국무, 양악, 현대연극, 양무, 연극 1,365명 대상 조사
- 전체 평균수입 455만엔. 연수입 400만엔 이하 전체 63% (현대연극은 75%)
- 평균연수입: 1.가부키(884만), 2.방송(814), 4.대중음악(674), 6.오케스트라(512), 13.발레(317), 16.아동극(178)

※ Creative America , p.13


- 조각가, 공예가, 배우, 화가 12,000명
- 28%만이 연소득 20,000달러 이상.
- 화가 경우 90% 이상이 연소득 20,000 미만. 매 달
연간 작품판 수입은 7,000 러 미만.

② 문화예술 유형·종류별 공공지원의 형평성 문제


Ex) 문화산업 vs. 순수예술, 영화(스크린쿼터) vs. 애니메이션

q
5. E uity: 소비 측면

① 지역적 불균형: 대도시(서울)와 지방과의 문화 예술 생산·유통·소비상의 격차·괴리


→ 규모의 경제 때문에 인구 많은 대도시 지역에 편중되는 경향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3

※ ‘97 문화욕구조사보고서(문화정책개발원)
- 여가시간 활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이 생활권역내에 전혀 없다(33.5%), 이용이 불편하다(31.5%)
- 군,읍,면 지역에 문화시설 전혀 없는 경우 52.1%, 이용이 불편한 경우 26.3%
- 예술교육경험율(피아노,미술학원 등): 중소도시 - 미술 7.1, 전통음악 3.6% 그 외 다른 항목 모두 2% 미만
: 읍,면 - 미술 3.9%, 나머지 모두 2% 미만

② 소비자의 소득 불평등: 저소득 계층의 문화예술 접근기회 차등적


 경제적 부익부 빈익빈 → 문화적 부익부 빈익빈 Ex) 청소년 음악교육

③ 장애인 및 소외 계층: Ex)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문자방송, 극장내 장애인좌석

6. 문화주권 문제

 외래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문화적 정체성 상실 우려


(Q) 문화교류 통한 문화발전 or 문화적 침략?

※ 민간부문의 기부 (philanthropy)
Ex) 미국 1994년 예술·인문분야에 대한 민간기부 중 개인 80%, 기업 7%. (Creative America)

(4) 문화행정의 의의
1> 문화행정(정책)의 개념

∙ 문화와 관련된 공공행정


∙ “정부가 공권력에 기초하여 문화예술과 관련된 공적업무(공공문제)를 수행(해결)하는 과정”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4


< 문화행정(정 )에 관한 다 한 개 양 념 정의 >
저 자 개념 정의
문학과 예술을 포함하여 국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을
정홍익(1992)
지원하고 문화전통을 승계하기 위한 행정
문화발전이라는 목표를 향하여 공권력의 배경하에 문화예술정책을 형성
이종인(1997)
내지 결정하며 이를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집행하는 합동적 행위
국가단위가 추구하는 문화에 대한 이상적 목표를 국가 개입을 통하여
정갑영(1994)
수행하는 과정
정부 등 공공기관이 예술을 발전시키고 국민들의 예술복지 수준을
임학순(1998)
높이기 위해 예술부문에 개입하는 일련의 행위 및 상호작용
주어진 시간 내에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육체적 내지 인적자원의
효용화를 통해 어떤 특정한 문화적 필요성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지각
UNESCO(1967)
있고 사려 깊은 통찰력과 한 사회 내에서의 행위 또는 행위의 결여에
대한 총체
문화분야에서 정부, 지방정부, 기타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 행동수단의
유럽의회
총체적인 틀(public measures)
Golberman 정부가 공공재원을 활용해 예술을 지원하는 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와 관련된 공적목적(공익)의 달성을 위한 행동지침
※ 참고: 최재승,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나무와 숲, 2001. (제2장).
김태훈의 문화정책마당, “문화정책의 개념”, http://culture.music.or.kr/frame1.htm

2> 문화행정의 일반적 경향


(한국문화예술 진흥원, 문화정책, 1987, ‘국가와 예술진흥’; 이케가미 준 외, 문화경제학, 246-7)

1. 1960년대 이 후 문화예술에 대한 선진 각국 정부의 관심과 지원규모가 급증


∙ 정책환경의 변화
1) 생활수준 향상
2) 육
교 의 보급과 수준향상
3) 매스 디
미 어의 발 달
4) 자유시간의 대 증
5) 진 편
도시화의 행: 도시의 리성 생활의 적인 부 구+ 질 풍 함추
6) 정보화 & 계화세
→ 후 장
2차대전 이 경제성 을 기반으로 사회 전체에 서 문화에 대한 관심 대 걸쳐 증

: 경제와 기술의 보/발전 뿐 아 라 문화발전이 니
을 이 어야 정으로 부한 균형 루 진 풍
생활이라는 사회적 인 산 식확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5

2. ‘예술’을 위한 정 에서 문화 전반에책 걸친 정책으로 확대되는 추세


Ex) 대중문화, 문화산 지 업 원
규모 종합 문화센터 건축 (대규모 프로그램 위주)
3. 대
Ex) 독립기념관, 예술의 전당

게 안 책들 각 영 받
4. 문화예술과 무관하 입 된 정 에 의해 심 한 향 음
Ex) 품 시행식 영양법 령 → 클럽 속 본
라이브 단 , 일 역사교과서 왜 곡 파동
5. 대부 분 단기적 통계지수 & 정부지원 및 공공프로그램의 효과(이익) 측정 곤란

3> 문화예술부문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 → ‘촉매’ 기능


1. 문화예술과 정부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한 견해들(이종인, 헤일브런&그레이, 이케가미)

 “ 향력을 행사하지 않는 지 ” (전 원 프랑스 문화상 앙드레 말로)
 “어떤 정부도 위대한 예술작품을 탄생하게 하는 마력은 없지만 적어도 예술의 개화를
촉진시키는 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전 미국 대통령 린든 존슨)
 “정부가 격 하고 려
재정적으로 지원은 할 수 있으나 창작행위에 개입해서는 안된다.” (전
스웨덴 수상 팔뫼)
 “정부는 언제나 전통과 보수의 수호자이며 예술은 혁신의 수호자이다. 만약 정부와 예술가
사이에 아무런 마찰도 없다면 그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구 소련 예술가 멜아미드)

원 섭
 “지 은 하되 간 은 하지 않는다.” (김대중 정부)


 “문화란 기 적으로 개인적 자유의 영역이며, 따라서 국가나 어떤 집단이 개인의 자유로운

문화선 에 관여해서는 안된다.” “문화 그 자체가 아니라 문화환경을 정책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김문환)

 “국가는 예술을 지도하기 위해 존 하는 것이 아 라 예술에 재 니 봉사하기 위해 존재한다.”


(프랑스 초대 문화부장관 앙드레 말로, 이케가미 준 외, 문화경제학, 244)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6


2. 개입(간 ) 정도에 따른 문화행정의 유형 분류

정부개입
역할
자유방임자 장
시 보호자 간접촉매자 휘 독
지 감 자 직 접담당자

기 적인
× ○ ○ ○ ○
장질
시 서유지
각종 공공지원 × × ○ ○ ○
제공

목 ·기준설정
× × × ○ ○
및규 제
생산·유통·소비
직 당 접담 × × × × ○

4> '팔길이원칙'(Arm's Length Principle)

K
1. eynes와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원 섭
2. “지 은 하되 간 은 하지 않는다”

3. 비판
 Palm's Length
 Arm's Length but Hands On

4. 공적지 에 원 따른 공공책임성(Public Accountability) 확보 문제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7

[참고]

< 문화예술에 대한 정부개입의 근거 및 정당성에 관한 여러 견해들 >

1.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 지원의 경제학적 논거 http://www.kcaf.or.kr/zine/artspaper97_07/19970708.htm


(유한성, “문화복지사회의 달성, 문화재정 확충에 달려 있어”, 문화예술, 1997. 7.)

“우선, 사회적 공동재산으로서의 문화예술 시스템의 정비는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선


진제국의 역사적인 경험에 따르면 대체적으로 문화예술의 창조 시스템과 교류 시스템, 그리고 향수 시스템
같은 세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경우에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의 각 요소들이 균형 있게
정비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도로 및 항만과 마찬가지로 문화예술을 사회간접자본으로 정비해야 하는 경제학적인 논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
문화예술 인프라를 공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경제학적 논거로서는 일차적으로 규범경제학적인 관점
에서 접근할 수 있다. 우선, 평등주의적인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인간은 최소한의 문화예술을 소비할 권리
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의 부족(저소득 상태)으로 인하여 문화예술에 접근할 수 없는 저소득계층
사람들을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통하여 문화예술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현대
재정학을 확립한 바 있는 Musgrave가 개념화한 가치재(Merit Goods)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다. 통상적
으로 주택, 보건 및 의료, 문화예술과 같은 활동들은 정책결정자의 입장에서 볼 때 그 자체가 좋은 것임에
도 불구하고 소비자(시민)들이 문화예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 소비가 최적 수준에 미치지 못
하게 된다는 점에서 정부가 개입하여 문화예술을 적극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 지원의 경제학적 논거를 규범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찾을 수 있지
만, 실증경제학적인 관점에서도 예술문화에 대한 공적 지원의 경제학적인 논거를 찾을 수 있다. 이 경우,
문화예술은 교육과 마찬가지로 소비 및 생산과정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에게 소득의 증대라든가 민주 시민으
로서의 성장과 같은 사적 편익을 가져다주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 및 소비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제3자(사회
전체 구성원)들에게까지도 다양한 사회적인 편익을 초래한다.
지금까지 호주와 캐나다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문화예술 활동은 다음과
같은 사회(외부)적인 편익을 낳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지금은 소비하지 않고 있지만 공급을 계
속하면 언젠가는 소비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생기는 선택가치 option value, 둘째, 문화예술이 공급되고
있고 또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에서 생기는 존재가치 positive existence value, 셋째, 다음 세
대에 문화예술을 상속함으로써 생기는 유증가치 positive bequest value, 넷째, 문화예술의 존재가 시민
에게 주는 일종의 자랑스러운 감정에서 생기게 되는 위광가치 positive prestige value, 다섯째, 문화예술
활동이 창조성이나 수용력, 심미력 등을 계발함으로써 생기게 되는 교육가치 education value, 여섯째,
지역경제에 끼치는 사회경제적 가치 spillover benefits 등이다.”

2.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창의적 문화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제안, 1998)


• 문화예술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의 저장소임과 동시에 미래를 위한 계획이며, 국민을 하나로 묶어
주는 정체성과 연대의식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국가가 문화예술에 개입하는 이유는 문화예술의 다
음과 같은 특성 때문이다.
 문화예술은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시키고 인간 본연의 창조적이고 감성적인 특성을 지니는 고유한
표현인 만큼, 사회통합과 사회문제 치유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문화는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사회의 중요한 방향과 가치를 결정지우기 때문에 국가는 장기
적인 안목을 가지고 문화에 대한 정책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수립하고 수행하여야 한다.
 문화예술은 시장의 메카니즘이나 수요공급 법칙의 경제논리에 맡길 수 없는 영역으로, 경제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가 이를 보호 육성하여야 한다. 문화부문의 재화와 서비스는 상품과 동일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8

하게 취급될 수 없고 각 나라마다의 고유성과 정체성이 보호되어야.


 특히 전통문화재 보존이나 유무형의 문화유산의 계승과 같은 문제는 국가의 의무이며, 문화재보존
의 문제는 이윤추구동기에 따라 지배되지 않으므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 문화의 정체성 유지는 국가의 정신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며 ‘국가발전 전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
다. 문화발전 없는 경제발전이나 사회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 문화향유권은 국민의 기본권 가운데 하나이다.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 물질적 풍요 뿐만 아니라 문화복
지까지 포함하는 복지개념의 확장이 현대사회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국가는 문화향유권을 보장할 의무
가 있으며 문화에 대한 정책개입은 당연하다.

3. 임희섭: 경제발전우선론 Vs. 문화발전론

(1) 경제발전 우선론


① 욕구단계설에 기초한 경제우선론: 인간 욕구의 위계 강조
② 부국강병론: 국가의 국정목표상의 우선순위 강조
③ 불균형 발전전략론: 경제발전이 사회발전 선도하는 것이 효율적
※ 비판: 풍요로운 물질적 조건은 문화발전의 필요조건일 수는 있어도 충분조건은 아니다.

(2) 문화발전의 논리
① 인간의 경제적 활동 그 자체도 결국은 문화적 활동이다.
 경제와 문화는 서로 분리된 별개의 혹은 대립적인 체계라기보다는 사회시스템의 상호의존적이고
보완적인 subsystem이다.
 문화시스템의 뒷받침 없는 경제시스템의 발전은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한계를 지닌다.
② 인적자원론
 문화발전은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인 우수한 인적자원 공급에 도움이 된다.
③ 지식가치설
 지식사회, 정보사회의 산업구조에서는 S/W, 문화산업, 문화상품의 비중이 커진다.
 소품중 대량생산 대신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이행되면서 보다 심미적이고 문화적으로 세련된 감각
을 지니는 ‘High Touch’ 제품이 고객의 선택을 받는다.
 경제와 문화의 경계는 허물어져 가고 있으며 그 구분이 모호해진다.
④ 경제제일주의적 개발전략의 후유증과 부작용을 치유하기 위해서 문화발전 중요.
 정신적, 내면적, 도덕적 가치관의 회복 중요
⑤ 한국사회의 세계화를 위해서 필요
 세계 속의 문화선진국 이미지

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예술행정)

(1) 경제적 측면
 문화예술단체(혹은 개인)가 적자 걱정 없이 활동하도록 필요한 재정 지원
→ 그 나라 예술단체의 질적향상과 안정을 유지시키고 국민에게 충분한 봉사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필요

(2) 사회적 측면
 공공지원 덕분에 과거 문화예술계 바깥(outside)에 있던 사람들에게 ‘멀리 있는 것으로만 여겨져 왔
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 “미의식의 좀 더 수준높은 형태로서 예술을 보급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일반인과 노동자들을 인간적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39

으로 순화시키고 교육시키고 세련되게 만들 것”이라는 신념으로 1880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설립


됨.(Joseph C. Choate 이사) 예술은 더 이상 부유층의 독점물 아니고 일반 대중의 것이 되었다.
예술은 “대중들에게 최고의 자원이며 가장 효과적인 교육이 되었고, 수백만 노동자들의 중요하고 실질
적인 이익”이 되었다.
 공공지원이 문화대중의 비율을 늘리거나 더 ‘민주적’으로 만들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일반인들이 예술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킨 것은 사실이다.

(3) 교육적 측면
 문화적 감수성은 정신적 습관이며 어렸을 때부터 쉽게 친해지면서 개발된 일종의 정신적 조건화상태를
의미한다. → 문화예술의 생산(창조) 혹은 소비(감상·수용) 능력 배양
 But 공립학교의 예산삭감시 ‘불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우선적 대상이 된다.
 조기예술교육의 필요성: (록펠러 2세가 의장이었던 「문화예술, 교육, 그리고 미국인에 관한 토의」)
- “미의식에 쉽게 눈뜬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빨리 글을 깨우친다.”
- “기본적인 학습방법인 인지와 대화는 언어적 훈련 이상을 요구한다. 예술(회화, 무용, 노래, 연기,
기타 등등)은 그것을 만들거나 연출하는 이로부터 감상하는 이들에게 비언어적인 메시지로 전달되
는 까닭에 감각을 훈련시키고 정서적인 자아를 풍요롭게 만들고 환경을 구성시키는 이상적인 매
개물이다.”
 교육에서 예술에 대해 강조하는 것은 배우지 못하거나 훈련받을 기회가 없었던 사람들에게도 예술적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주려는 것이다. 문화교육은 탁월한 예술과 새로운 문화를 수용할 수 있
는 관객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문화수용의 기회가 불균등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상할 수 있을 것이다.

(4) 도덕적 측면
 문화는 단지 미학적이거나 지적인 이유 때문에 중요한 것이 아니다. 문화예술은 “인간성 회복을 위하
여 일하는 중개기관”으로 봉사해야 한다.(Ralph A. Cram, 예술의 사명, 1914)

(5) 정치적 측면
 예술은 다른 (사회서비스) 부문들에 비해 공공정책상의 우선순위(priority)가 낮게 매겨진다.
→ 레이건 행정부: 군비·사회보장비 지출은 확대. But 에술기금예산은 주저없이 삭감.

(6) 결론: 문화에 대한 공공지원의 정당성의 근거

① 문화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라는 믿음. 사회는 가장 고상한 문화적 소양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믿음. 자유민주주의 사회는 가능한 한 다수의 사람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참여의 기회를 늘리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믿음. Cf. "사회적 신화" (H. Abbing)

② 문화는 문명사회의 빼놓을 수 없는 한 부분이다. 문화전통은 한 사회의 업적을 끊임없이 대변한다.


문화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은 오늘의 사회·도덕적 가치의 이해를 다음에 올 새로운 세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상징’으로서의 문화에는 ‘의미’로서의 문화가 녹아있음.) 문화를 위한 공공지원은 공공서비
스를 마련하고 공익을 창조하며 공공복지에 기여한다.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0

(5) 문화행정의 영역과 목표


1> 문화행정의 목표에 관한 기존 연구

홍익: 문화행정의 체계
1. 정

이념 목적 영역
주체 민족의 식 배양 문화유산 보존
평등 국민정서욕구 충족 문화향수기회 확대
창의 예술발전 창작 지원
효용 가치관 계도 규범 전파 및 경제적 진작
※ 창의(문화예술 일반), 집 원 평등(이용), 효용(수단적 기능)
주체( 단·민족차 ),

2. 한국문화예술 진흥원 (문화정책)


(1) 문화는 민족주체성의 표현 → 뚜렷한 민족문화적 정체성 장려·유지.
 강한 문화적 주체성 및 유산을 지닌 프랑스, 일본, 이태리는 주로 ‘보존’ 강조
 장구한 독립적 문화·역사 없는 아일랜드, 노르웨이, 캐나다는 문화적 ‘발전’ 장려
 특히 프랑스, 캐나다는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로부터 자국 문화의 정체성 보호가 중요 목표

(2) 경제적 목표: 문화산업 → 종종 관광 혹은 오락산업의 일부로 인식


(3) 자국 시민의 인간적 잠재성의 본질적 가치 추구
 물질적 요구에 부응하는 책임감과 동등하게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환경 요구
(4) 정부지도자들에게 중요한 정치적 이익 제공되도록 추구됨.
→ Ex) Nixon 자신의 정책 지지하지 않는 주요 집단의 비위맞추려고 NEA 설립지원

3. 김영평: 궁극적 목표는 문화복지의 향상(국민 전반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1) 문화능력의 고양: 우수한 문화를 감식하고 체득하는 능력 배양
(2) 문화역량의 강화: 문화적 기반구조
※ 문화행정으로 얻고자 하는 최종 귀결은 ‘국민의 창의력 확산’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1

2> 문화행정의 영역에 관한 기존 연구



1. 최종 : (1) 보존, (2) 창작, (3) 보급·민주화, (4) 양성교육
2. 정홍익:

전통적영역 새로운 영역
(1) 문화의 발전 진작 속
(1) 민 예술, 대중예술 포함
1. 예술인의 양성·훈련
2. 예술활동에 대한 직간접 지원 (2) 예술가 위주에서 시민위주로
3. 문화예술의 보급 촉진 (3) 생활의 문화화
4. 시민 문화활동 지원
(2) 문화적 유산 보존 (4) 문화산 업 (생산적 측면)

창 및
3. 이종인: 문학적·예술적 작 역사적 유물의 (1) 보존, (2) 련, (3) 작, (4) 보급 훈 창
→ 히 장 흐
특 ‘보급기능’이 가 중요한 위치: 름, 유통, n or ation lo If m fw
→ 촉매 히
문화 : 가만 있어서는 일반대중의 문화활동이 유발되지 않으 로 잘
기능 필요 므 촉매

4. 오귀스땡 지라르

(1) 문화향유의 기회 대: 국민 문화생활의 민주화, 중 중의 피, 문화생활에의 자극 앙편 탈
매 질
(2) 대중 체의 적 개선과 지역사회 체 개인 체의 개발 매 및 매
창 업 려 양
(3) 조적 작 의 격 , 다 한 기술·기능의 기회 제공, 능의 선 , 예술가 문화활동을재 용 및
업 들
직 으로 하고 있는 사람 의 생활수준 향상
(4) 전통적 문화제도의 현대화
(5) 국가의 문화적 생산 능력 화 강
영 강
(6) 국가의 문화적 대외 향력 화와 문화적 성의 보호 독립

5. 이케가미 준 (문화경제학, 249): 주요 선 국의 문화정 구성요소 책

(1) 예술가 예술단체의 작활동 창 /지 장려 원
(2) 문화의 보급과 일반인의 문화활동에 대한 참가기회 충 확
(3) 지역문화 진흥

(4) 문화 야의 인 성과 교재양 육

(5) 문화 의 보존과 활 용
(6) 문화의 국제교류와 국제 력 협

(7) 문화시설 문화에 관한 제도 등의 기반정비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2

6. 양현미 (문화의 사회적 가치, 2007)


< 문화의 가치에 따른 문화정책의 목표와 영역 >
가치 문화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 문화적 효과 ○ 경제적 효과 ○ 사회적 효과
- 문화자 본증
가 - 소득증 대 - 건강증진
- 정체성 화강 - 고용창출 - 인적자 본 창
제고( 의성
- 문화적 가치관 산 확 - 마케팅강 화 과 소통능력 향상)
효과
- 투 촉진
자 본
- 사회자 과 사회 응집 력
- 성장잠재 력 제고 제고
- 사회적 비 감소용 죄
- 범 예방
- 환경 개선
본 문화자 본 경제자 본 사회자 본

(cultural capital) m
(econo ic capital) (social capital)

문화 조 창 ○ 문화경제 ○ 문화교육
- 종교 - 예술시 장 ○ 복문화 지
영 역 - 문화유산 - 문화산 업 ○ 문화환경
- 순수예술 - 스포츠 업

- 독립영
화 등 광 업
- 관 산 등
목 표 창 의와 다
(문화발전)
양 용 장
고 과 성
(경제성 )장

신 와 화합
(사회통합)

3> ‘문화의 사회적 순환’ 모델 림 7-1 수정)


(이케가미, 문화경제학, 242, 그

< 문화의 사회적 순환 >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3

4> 문화행정의 목표와 영역: 종합

1. 문화행정의 대상 영역
∙ 인간의 정서적 또는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상징적 표현 활동을 뜻하는 ‘표출문화’
∙ 어떠한 형태로든 상징적 표현을 통해 인간의 정서적 또는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반 활
동 또는 아름다움의 체험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무언가 감동과 기쁨을 제공하는 모든 활동

2. 문화행정의 궁극적 목표: 문화발전을 통한 국민복지 향상


∙ ‘문화복지’(Cultural Welfare) 혹은 ‘문화적 공공의 富’(Cultural Common Wealth) 증진
∙ ‘문화발전’ : “인간의 관념과 이상 및 여러 창작물을 전달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행위의 결과” (오기스땡 지라드, 최재승(2001: 79) 재인용)

① 예술적 차원의 발전: 예술인들의 창작행위 발전


② 환경적 차원의 발전: 문화환경, 즉 창조환경과 향수환경 발전
③ 수용자 차원의 발전: 국민 전체의 전반적인 문화수준(문화감수성) 향상
∙ ‘문화적 공공의 부 극대화’ → 최고수준의 최대다양한 문화의 창출·향유

3. 본원적 목표, 부가적 목표, 수단적 목표


① 본원적 목표: 최고수준의 최대다양한 문화·예술을 최대다수의 국민들이 누리게 함으로써
국민의 정서적 만족과 감동을 극대화하고 문화적 삶의 질을 제고

② 부가적(파생적) 목표: 문화의 부가적 가치들을 극대화


③ 수단적 목표: 본원적 및 부가적 목표의 달성 위해 추구해야 할 도구적 성격의 목표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4

<문화행정의 목 표 체계>

4. ‘문화의 사회적 순환’ 모델에서 본 문화행정의 5대 영역과 하위 목표


<표 4-1> 문화행정의 5대 영역
영역 내 용
생 산 창 창 양 증진 창
문화·예술 작에 있어서 의성·다 성의 확
과 작의 기회 대
유 통 원 남 래 용
문화·예술 생산자와 소비자의 활한 만 을 위한 거 비 최소화
소 비 접 확
소비자의 문화 근 기회 대와 문화향수 능력 배양
보 존 민족의 주체성·정체성 유지 위한 문화유산 보호와 문화주권 수호
교 류 래 내
우리 문화의 대외적 소개와 외 문화의 국 소개

① 생산: 문화·예술 창작에 있어서 창의성·다양성의 증진과 창작의 기회 확대


② 유통: 문화·예술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래비용 최소화
③ 소비: 소비자의 문화접근 기회 확대와 문화향유 능력 배양
④ 보존: 민족의 문화적 주체성/정체성 유지 위한 문화유산 보호와 문화주권 수호
⑤ 교류: 우리 문화의 대외적 소개와 외래문화의 국내 소개

5. 상충되는 가치 들 ※ Ex) ‘신속 정확한 서비스’ → 두 마리 토끼?


① 시장성(경제성) vs. 예술적 수준
② 표현(창작)의 자유 vs. 사회질서(청소년) 보호
③ 창작자의 권리 보호 vs. 소비자의 접근기회 확대
④ 국제문화교류 vs. 문화주권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5

(6) 문화의 민주화 vs. 문화민주주의

1> 문화의 민주화 (Democratization of Culture)

본 사상
1. 기
- 모든 사람은 문화권(right to culture)을 가지며 따라서 누구나 좋은 작품(고급/순수예술)을
감상할 수 있어야
- 그러나 기존 문화예술은 엘리트, 프로페셔널 중심이었으며 또한 경제 및 교육수준 등의 이유
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고급문화에의 접근이 제한되어 있는 ‘문화소외’ 발생
- 정부는 ‘모든 사람에게 고급문화를’(the best for the most) 제공할 의무를 가지고 있음


2. 정 적 지향
- 문화와 문화적 감상/참여(culture and cultural appreciation/participation)는 모든 사람에게 개
방되어야
- 예술적 가치와 질(artistic value and quality) 강조: 대중주의(populism)는 고급문화를 위협
- 기존 학계나 평론가들로부터 인정받은 예술, 즉 우월한 취향(superior taste)의 합법성을 부여
받은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을 강조
- 가능한대로 모든 사람에게 고급예술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기 위해, 입장료를 할인해준다거나,
마케팅 전략을 표적시장에 따라 세분화하여 구사한다거나, 찾아가는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
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

3. 비판
양 책
- 다 한 문화민주화 정 을 통해 고급예술을 일반대중 에 들 게 확대보급하려는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고급예술인 오페라나 발레 등을 보려는 관객의 숫자는 그다지 늘지 않았음.
- 고급예술을 중심으로 한 ‘문화의 민주화’를 추구하는 문화정책만으로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는 것을 자각한 여러 유럽국가들은 7,80년대에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실제 즐기고 있는 문화
를 지원하는 방향에서 확장된 개념인 ‘문화민주주의’ 정책을 추구하게 되었음.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6

2> 문화적 민주주의 (문화민주주의, Cultural Democracy)

본 사상
1. 기
- 각 개인의 자율적인 선택과 다양한 취향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
- 문화예술은 순수예술에만 국한시킬 필요가 없음: 대중예술, 실험적 예술, 지역예술, 아마츄어
예술까지도 포함
- 모든 사람은 창조적 소양(creative mind)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창조적 활동(creative activity)
을 할 수 있음
- 따라서 사람들 개개인이 갖는 문화적 역량을 확대해야 함

2. 정 적 지향
- 고급예술의 보급보다는 각 개인이 다양한 선호와 취향을 행사할 기회를 보장하는 것
- 특정 하위문화들(particular subcultures) 스스로 표현하도록 장려하고 의사소통매체를 이용하
여 다른 하위문화 나아가 많은 보편적인 하위문화와 관계를 맺는 것
- 문화예술 소비자는 기존의 수동적인 문화소비에서 벗어나, 문화예술 활동에의 참여라는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 기대됨 (관객인 동시에 아마추어 예술가)

< 문화의 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차이 >

문화의 민주화 문화민주주의


m
문화의 단일성( ono cuture) 양 f
문화의 다 성(plurality o cultures)
기관(제도) 중심(institutions) 비공 식․ fm
비전문가 조직(in or al group)
m
기회의 기성화(ready ade opportunity) m
역동적 활성화(ani ation)
틀 f mw k
(구조) 중심(create ra e or ) 활동 중심(creative activities)
f
전문가 중심(pro essional) 추 m
아마 어 중심(a ateur)
질 h q
미학적 (aest etic uality) q
사회적 동등성(social e uality)
보존(preservation) 변 h
화(c ange)
전통(tradition) m
개발과 역동성(develop ent, dyna ics) m
m
향상(pro otion) 개별 활동(personal activity)
생산물(products) 과정(processes)
* 자료 : Langsted(1990: 58) 서순복 논문에서 재인용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7

(7) 문화행정의 수단
1> 정홍익

1. 지 수단
접 원 접
(1) 직 지 : 정부가 직 예술작품 소비, 예술활동에 대한 보조금 지원
접 원 세 저
(2) 간 지 : 조 감면제도, 작권 보호

※문화예술을 지원하기 위한 조세제도


a. 문화예술가에게 부과되는 조세: Ex) 법적으로 인정된 전문예술단체 조세감면
b. 일반시민에게 부과되는 조세: Ex) 문화예술단체 기부금에 대한 조세감면
c. 예술활동·작품에 대한 조세: Ex) 공연장 입장권에 부과하는 문예진흥기금 (현재 폐지)

※ 세제혜택의 예
- 박물관·미술관 등에 출연하는 재산에 대한 상속세·증여세 면제
- “ 등록자료에 대한 상속세·증여세 유예
- “ 시설에 대한 취득세·등록세·재산세·종합토지세·도시계획세 면제
- “ 농지전용부담금·산지전용부담금·대체조림비 면제
- 박물관·미술관에 대한 기부금의 손비인정
- 전시목적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감면
- 3년 이상 운영한 등록박물관·미술관 운영을 목적으로 이전할 경우 양도소득세·특별부가세 면제
- 박물관·미술관 운영 법인이 수익사업에서 발생한 소득을 관련사업에 사용할 경우 전액 손비처리

2. 규제수단
(1) 인허가제도
a. 청중·관중: 연령제한
b. 장소: 공중안전 혹은 보건상의 이유, 정부의 통제·감시 용이하게, 세금부과 용이
c. 문화예술인: 정부규제 거의 없다. 오히려 예술가들 자율적 규제(단체회원)

(3) 교육훈련제도
- 교육훈련 통해 문화예술 향수할 수 있는 기호·능력 배양

(4) 검열
- 사회적으로 용인하기 어려운 불법 혹은 불건전한 내용 제한
(창작의 자유 제한 vs. 사회도덕윤리 보호)
<문화행정론> 2009학년도 제2학기 48

2> 김동현
1. 경제적 지원
2. 문화 인프라 형성: 문화마인드, 법체제정비, 전통문화·유적 보호, 공공박물관·공연장·전시실, 통계

3> 시게오 미노와 (정부개입의 강도는 내려가면서 줄어듬)


1. 접 영
직 경
2. 허 송
가 ex) 방
3. 약
활동의 제 ex) 방 송내용
4. 보조
5. 세
과 와 공공요 금책 혜 편 금
정에 있어서의 특 부여 ex) 우 요 할인, 기부 에 금 세제혜택
6. 매
문화예술 생산품 구 위한 공공지 출
7. 법률 창
적 환경의 조정: 작자유, 권리보호, 전한 유통 건
8. 연구와 상 담

5> 오귀스떙 지라르


1. 접 원 식 금 매
직 지 방 : 보조 , 구
2. 면세형식 접 원 식
의간 지 방
3. 규 식규
제 정의 시행 방 ( 제)
4. 국제협약
5. 타
기 유인 방식

[참고]········································

< 문화행정 조직의 유 >형


모형분류 대표국가 특 징 행정영역
모형 프랑스,일본(외청형) 집직중접형지원독립, 간부서(외
문화부
청) 형태, 국가 주도의 정책, 정부의 매우넓음
섭이 심함
부처분산모형 독일,이태리 정부의 각 부서별로 분산, 문화예술 유형별 분류(문화재 중간
/공연예술)하거나 기능별 분류(내부/외부)
대부처의 한 부서로 편제,복지/교육 등과 함께
통합부처모형 스웨덴,네덜란드 정부의편제 중간
정부에서는 문화정책부서가 없이 독립위원회(재단)에서
독립위원회모형 미국
예술지원 기능만 담당
좁음
혼합모형 한국,영국,캐나다 문화정책 전담부서와 예술지원위원회(재단)가 혼합 넓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