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부천 도깨비 공부방 미디어교육 계획서

차시 제목 내용 준비물

1) 5명 2모둠으로 나눈다. 각 모둠에 디지털 캠코더 한대씩을 준다. 동네를 배경으로 5명의 아이들이 숨는다. 단, 빔프로젝트
1
숨은 친구 찾기’ 놀이 자기 신체 일부를 프레임 안에서 보여주어야 한다.(너무 꼭꼭 숨어버리면 이 게임은 진행할 수 없다) 사진을 찍 캠코더 2대
12/8
은 후 다른 모둠에게 자신들의 영상을 보여주며 서로의 모습을 찾아내는 게임이다. 노트북

1) 다섯가지 색의 포스터 물감을 덜어 준다(검정/흰색/빨강/파랑/노랑)


2) 자신의 기억을 더듬어 한가지 사건을 떠올리게 한 후 그 이야기를 생각하며 다섯가지 색을 섞어 적당한 색을 조
포스터 물감
합하도록 한다.
2 붓
색으로 이야기하기 3) 작은 종이에 그 색을 칠하도록 하고 그 아래에는 그 색과 관련된 이야기를 쓰도록 한다. 상단에는 자신이 만들어
12/9 도화지
준 그 색의 이름을 만들어 적는다.
종이 액자
4) 비슷한 색 또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색일지라도 자신의 이야기가 얼마나 담겨 있고 또 그것에 어떤 정의를
내려주는지에 따라 느낌이 틀리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1) 실체가 있는 단어를 제외하고 덥다. 슬프다. 아름답다. 귀찮다. 등의 단어를 쓰도록 한다.
2) 써놓은 여러개의 단어중 ‘오늘의 나’를 설명하기에 적당한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단어를 표현할 수 있는 사
진을 찍는다. (한사람당 3장의 사진을 찍도록 한다)
3 느낌을 사진으로 말하기, ‘우리 동 즉석사진기 3대
3) 사진을 찍을땐 모둠별로 촬영, 동네를 돌아다니며 가장 좋아하는 동네의 ‘어디’ 또는 호기심이 생기는 공간 등을
12/10 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곳 필름 50장
별도로 촬영한다.(두장씩 촬영)
4) 설명 또는 단어를 사진 아래 쓰도록 한다.
5) 해당 사진을 찍은 이유, 찍고나서의 생각, 요즘의 ‘나’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부천 도깨비 공부방 미디어교육 계획서

차시 제목 내용 준비물

1) 교육이 진행중인 공간의 주변을 함께 둘러보도록 합니다.


2) 나의 관심을 끌고 있는 공간, 꺼려지는 공간, 좋아하는 공간 등을 찾아 봅니다.
3) 1인당 4컷의 영상을 촬영합니다.
4) 각각의 컷은 아래의 요령으로 촬영합니다.
캠코더
4 - 나의 관심을 끌고 있는 공간
공간, 이야기 그리고 나 빔프로젝트
12/15 - 공간안에 있는 나(또는 다른 사람과 함께)
노트북
- 공간+나+사건
- 위 사건으로 인한 결말을 보여줄 수 있는 자유로운 영상
5) 별도의 편집을 염두하지 않고 컷과 컷을 캠코더에서 붙여 촬영하도록 합니다.
6) 모든 촬영이 끝나면 시사회를 진행합니다.

1) 100여장의 흑백 사진을 늘어 놓고 7장을 선택하여 완결된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도록 한다. 한정된 재료를 가지
고도 무궁무진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사진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고 컷cut과 컷이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변
형되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흑백사진 100여장
5 2) 이야기를 만들어 발표하도록 하고 그 이야기를 들은 다른 사람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사진을 교체하거나 순서를 전지 두 장
사진으로 이야기 하기
12/16 바꾸어 다른 이야기를 만들도록 한다. 매직펜
3) 모둠으로 나누어, 각자 마음에 드는 사진을 한 장씩 고르도록 한 뒤 한 사람이 내려놓은 사진 뒤에 자신의 사진을 양면테이프
붙여 놓으면서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시간을 갖는다. 완성된 이야기는 제목과 그 이야기를 써서 전지에 붙이
도록 한다.
부천 도깨비 공부방 미디어교육 계획서

차시 제목 내용 준비물

1) 각 모둠에서 만들 영화를 구상한다.


2) 간단한 이야기가 완성되면 A4용지 절반만한 크기의 종이(21cm*15cm) 여러장을 나누어 주고 ‘한 문장 또는 상
황’을 각각 한 장의 종이에 쓰도록 한다.
1) 우리 영화’는 무엇을 말할까? 3) 한 장씩 써 놓은 종이를 펼쳐 놓고 내용과 맞는 사진이 있으면 가져다가 붙이도록 한다.(전날 사용한 100장의 흑
6 흑백사진100장
2) 글, 그림, 사진으로 먼저 만들 백사진 이용)
12/22 필기도구
어 본 우리들의 영화 4) 만약 글과 어울리는 사진이 없다면 간단하게 그림을 그려 채워넣도록 한다.
5) 각각 완성된 ‘한 장의 카드’를 순서대로 배열해 본다. 순서를 바꾸어 가며 비교해 본다.
6) 내용을 다 쓰고 순서를 정했으면 사진 또는 그림이 붙어있는 귀퉁이에 대사, 준비물 등을 적을수 있도록 한다.
7) 연출, 촬영, 배우 등 역할을 분담한다.

캠코더
외장마이크
7 1) 그림 카드 순서에 맞게 촬영을 진행한다.
촬영(1) 붐폴
12/23 2) 제목과 출연한 사람들의 이름은 별도로 쓰거나 연출해서 촬영한다.
슬레이트
6mm Tape

캠코더
외장마이크
1) 일찍 촬영이 끝난 모둠은 자신들의 작품을 성명할 수 있는 글귀와 그림을 그려 간단하게나마 포스터를 만들고 상
1) 촬영(2) 붐폴
영장 근처 붙이도록한다.
8 2) 편집 슬레이트
2) 강사가 오퍼레이터로 참여해서 아이들과 상의하여 편집하도록 한다.
12/24 3) 상영회 준비 6mm Tape
3) 상영회에는 센터의 다른 학생들과 부모님 그리고 모둠을 나누어 직접 홍보를 통해 구경 온 사람들로 채워지도록
4) 상영회 도화지
한다.
필기도구
빔프로젝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