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ution 06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6

Homework Chapter.


※ 힘( 
 )이 한 일    

 ∙   : 힘이 일정하고 변위가 직선변위이면   
 ∙ ∆ 

※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 )와 각속도( 


)의 관계 : 
  
 ×  (단,  은 물체의 위치벡터)

#(3-2, 3,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힘 
    
    가 점    에 가해지고 있다.

 
 

  

 
    
(a) 원점  에 대한 돌림힘은    ×       
    이다.
  

(b) -축에 대한 돌림힘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크기는  이고 방향은 


 
 방향이다.

      

(c) 직선      에 대한 돌림힘 : 직선의 방향이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크기는  이고 방향은 
   방향이다.

#(3-9) 힘 
     
   가 점     에 가해지고 있다.

 

 
 
원점  에 대한 돌림힘은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직선      , 즉      에 대한 돌림힘 : 직선의 방향이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직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크기는  이고 방향은    방향이다.
 

- 1 - S. Yoon
#(3-10) 아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보이자.

먼저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이다.

다음에   

 으로 쓸 수 있고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5) 아래 그림에서 반사의 법칙은      , 굴절의 법칙은  sin    sin  이다.

   → cos   cos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데, 만일

⊥  이면 
∙ 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3-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데, 만일 
⊥  이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 

- 2 - S. Yoon
#(3-19) 힘 
     
    가 점    에 가해지고 있다.

(a) 점     에 대한 돌림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직선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돌림힘 :

    

이 직선은 점     를 지나고      방향이다. 따라서    이고

  
         
∙  × 
직선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4-2)          


   

(a) 점     을 지나는 시각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앞에서    


   
    이고   은 곡선에 접하는 방향이므로   
    
  

일 때 접선의 방향은      


    이다. 따라서 점     에서 접선의 식은

     
     이다. 또 접선의 방향    
     은 곡선에 수직한 평면에
  

수직이므로 그 면의 식은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다.

#(4-3)          


    

(a) 점     을 지나는 시각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이고   은 곡선에 접하는 방향이므로    일 때
  
  

접선의 방향은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점     에서 접선의 식은

     
     이다. 또 접선의 방향    
     은 곡선에 수직한 평면에
  

수직이므로 그 면의 식은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다.

        
#(4-4)     이므로      ∙
     , 즉
    ∙   혹은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는 크기가  인 상수벡터이거나 혹은  가  에 수직이다.


- 3 - S. Yoon
#(4-5)       sin  
 cos    :    cos,    sin,    

 
속도      sin   , 속력      
 cos   sin   cos    
,



가속도       sin, 가속력      
 cos   cos  sin    이다.


      cos   sin     이고    , 즉       이므로, 중심이  -축 방향으로


일정한 속도   로 이동하는 반지름이 1 인 원주를 따라 나선운동을 한다.



#(4-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다음에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끝으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4-8) 극좌표계    에서    

 cos  
   
 sin

 sin  cos


이므로  ≡  라 하면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이다. 한편 극좌표계에서 위치벡터는   
  이므로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속도는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가속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4-9) 각운동량을   ≡  ×      ×  라 정의하면 각운동량의 시간에 대한

  
 
    



  
  
변화율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    
   
   

#(4-10)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4 - S. Yoon
#(6-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와   가 같은(반대) 방향일 때  가 가장 빨리 증가(감소)한다.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 방향으로 진행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로  가 가장 빨리 감소한다.


#(6-5)    sin  


∇             sin   
   cos  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 방향으로 진행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로
  

 가 가장 빨리 감소한다. 또,      에서 
 
  
 방향으로 진행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
  
  


#(6-7)                : 
∇ ⊥    인 면  임을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인

면에 수직이므로,     에서의 접면의 식은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이고, 또 그 점에서의 법선의 식은      이다.
  

#(6-9)        : 
∇ ⊥    인 면  임을 이용하자.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법선의 식은     
  

※  가 정전기퍼텐셜(electric potential)이면    는 등퍼텐셜(equipotenial)이고


전기장은    
∇ 이다.  가 온도면    는 등온곡선(isothermal)이고  ∇ 는

온도기울기이며 열(heat)은  
∇ 방향으로 흐른다.   
∇ ∙ 
 이므로 
∇ 와 
가

같은(반대) 방향일 때  가 가장 빨리 증가(감소)한다.

- 5 - S. Yoon
#(6-11)        → 
∇  
  

(a) 아래 그림은          의 contour plot 이다.

(b) 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이다.

#(6-12)        → 
∇  
  

(a) 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   
∇     
  
 이다.

(b)   ∇ ∙ 
 이므로 ∇ 와   가 반대 방향일 때  가 가장 빨리 감소한다.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 
 방향으로 진행할 때  (온도) 가 가장 빨리 감소한다.
   
(c)   에서 
 
 방향으로 진행하면   
  
 ∙   
 이다.
  

#(6-13)     cos → 
∇  
   cos  
   sin    
 cos  
 sin 

  
(a)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방향으로 진행할 때  (온도) 가 가장

      
빨리 증가하고, 이 때의 증가율은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b)   에서   
 

 방향으로 진행하면    


 
  


 ∙   
 

(c)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전기장은 
   방향이고 크기가 1 이다.
 
(d)    에서 
   
∇          sin  이므로 전기장의 크기가  이다.
 cos  
 

#(6-16) 
     
           방향으로 진행할 때  의 거리에 따른
   
변화율은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두고 Lagrange
   

multiplier 방법을 이용해서  의 최대(최소)값을 구하자.    이 되는 조건은


- 6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들을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가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즉,  의

 
최대값은      ∇ 일 때  
∇ 이고, 최소값은      ∇ 일 때   ∇ 이다.
 

∇

한편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방향, 즉 ∇ 의 방향으로 진행할 때  는 최대값  
∇ 를 갖고,

∇  

∇ 

    방향, 즉  ∇ 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할 때  는 최소값   
∇ 를 갖는다.
 ∇  

      
#(6-17~20) Eq.(6.3)  ∇  
     , Eq.(6.7) 
  ∇         
  ,
      

Eq.(4.11,12)  
  
 cos  
   
 sin
 sin  
 cos
, 그리고 
   cos
   sin
,   
     를 이용한다.

   
#(6-17) Eq.(6.7)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Eq.(6.3)과 Eq.(4.11)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 .
   

  
#(6-18) Eq.(6.3)으로부터 
∇    
     
 , Eq.(6.7)과 Eq.(4.12)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cos 
 cos  
 sin   sin  
 sin  
 cos   

   

  
#(6-19) Eq.(6.3)으로부터 
∇    
     
 , Eq.(6.7)과 Eq.(4.12)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 sin   sin   cos  
 cos    cos   
 sin   
   

   


#(6-20) Eq.(6.7)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Eq.(6.3)과
   
  
Eq.(4.11)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7 - S. Yoon
#(7-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
   sin     
  cos  

 sin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sin 
 
 sin cos 

   
     cos

#(7-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0)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S. Yoon
#(7-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6)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 S. Yoon
#(7-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0)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혹은 
∇ ×  
  
∇ × 
  
∙ 
∇ 임을 이용하면 (6장 맨 끝에 있는 표의 (g)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  
     

(a)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S. Yoon
#(8-2)      

(a) 경로  :      →   sin


cos    sin
   cos
    →  

 
   
cos  sin  sin   cos cos   
sincos    

(b)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방법> 닫힌 경로에 대한 선적분이므로 6장 9절의 Green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면적   인데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8-3)    

- 11 - S. Yoon
(1)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경로  : OR(     ), RP(     )


 
            
 

(3) 경로  : OQ(     ), Q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       

(a) O    → P    → Q    → R   

OP(        ), PQ(         ), QR(         )


 
 OPQR
                      
 

(b) O    → S   → R   



OS :         →    cos
 sin
   sin
   cos
→  ≤  ≤ 

    

SR :          
 
 OS
  SR
   
   sin   sin   cos cos       


  sin  sin   sin   cos    
  
 

  sin  cos    cos sin   
 

  sin  cos  cos sin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cos          
    

- 12 - S. Yoon
#(8-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힘이 한 일은    ∙         이다.


 
 

(a) 경로  :       , 즉      and   




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b) 경로  : PR(     ), RS(     ), SQ(     )


  

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8-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힘이 한 일은    ∙            이다.


 

(a) 경로  :        

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경로  :        즉    sin
cos    sin
   cos
 ≤≤ 

 경로 
 sincos   sin   cos  

 
 
 sin  cos  sin   cos  sin  cos    
 sin cos  sin  cos 


   sin   cos  sin          

- 13 - S. Yoon
(c) 경로  : PR(     ), RQ(     )
 
  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문제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는 보존력이고, 따라서 이 힘이 한 일은 이동 경로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8-7) 아래 경로에 대해 힘 
           
       가 한 일(work) 구하기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c)

(a)       , 반시계방향 :

  cos ,   sin ,   ,   sin ,   cos ,   ,    → 



따라서   ∙    
 sin   cos   

(b)       , 반시계방향 :

  cos ,   ,   sin ,   sin ,   ,   cos ,    → 


 
따라서   ∙    
 sin   cos   
cos  

(c) O    → A    → B    → C    → O   



O → A :         ,    →  → O A     


A → B :   ,       ,    →  → A B     


B → C :     ,     ,    →  → BC      


C → O :      ,      ,    →  → CO         

따라서   O A  A B  BC  CO            

- 14 - S. Yoon
(d) O    → P     → O   

O → P :     cos,   sin,   ,   sin,   cos,   ,    → 



O P  
 sin  sin    cos  cos    cos  sin  


 
   sin   cos  cos  sin       cos   sin  
  


P → O :         ,    →  → P O   
  

따라서   O P  P O      

#(8-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는 보존력이다.
  
  

 에 대한 potential field 를 그림과 같이 O    → A    → B    → C    

의 직선 경로에 대해 계산하자. 
 ∙         이므로 potential field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8-10) 
    :  는 상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는 보존력이다.
  
  

<문제#(8-8)>의 그림과 같이 O    → A    → B    → C     의 직선

경로를 따라 
 에 대한 potential field 를 계산하자.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15 - S. Yoon
#(8-11)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sin cos  sin    이므로 
  는 보존력이다.
  
 sin sin  

<문제#(8-8)>의 그림과 같이 O    → A    → B    → C     의 직선

경로를 따라 
 에 대한 potential field 를 계산하자. 
 ∙     sin  sin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sin  이다.
 
     

#(8-13) 
    sinh 
   cosh 

 

 
  
   
∇ × 
       sinh   sinh    이므로 
  는 보존력이다.
  
   sinh  cosh

<문제#(8-8)>의 그림과 같이 O    → A    → B    → C     의 직선

경로를 따라 
 의 potential field 를 계산하자. 
 ∙     sinh   cosh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cosh    cosh 이다. 
     

#(8-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만 보존력이다.
     
        

 에 대한 potential field 를 그림과 같이 O    → A    → B    → C    

의 직선 경로에 대해 계산하자. 
 ∙          이므로 potential field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16 - S. Yoon
(b) 
 는 비보존력이다. 
 가 한 일을 아래의 세 경로 1, 2, 3 에 대해 계산하자.

  경로

  ∙   
 경로
  
  ∙ 
   
     경로
    이므로

       

 ∵ 경로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경로 3에서는   cos ,   sin ,    →  이고   sin ,   cos 이므로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이다.

#(8-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 보존력이다.
    
 

     

입자가   ,        인 원주를 따라 한 바퀴 도는 동안 힘이 한 일을 계산하자.

  cos,   sin 라 두면   sin,   cos 이고  는  →  로 변한다. 그러면


 
   원주

  ∙  
  원주
      

sin    cos   
   이다.

한편 
 는 보존력이고 원주는 닫힌 경로이므로    원주

 ∙    이다.

#(8-18)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a)   cos,   sin,    이면    →      인 경로는    →  에 해당하고

  sin,   cos,    이므로

- 17 - S. Yoon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이다.

  
(b) 두 점    과      를 잇는 직선은    방향이므로 직선의 식은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인 경로는    →  에 해당하며,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8-19) 원점에 놓인 점전하  가 위치  에 만드는 전기장과 퍼텐셜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앞으로의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
알 수 있다. 여기서       , 즉 전기장의   -축 방향 성분이다.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전기장 
 가 conservative field 임을 알 수 있다.
 
한편 점전하에 의한 퍼텐셜    는 직교좌표계     에서    인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전기장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  
또 점전하에 의한 퍼텐셜    는 원통좌표계     에서      인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전기장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 18 - S. Yoon
#(8-20)

 
  
       이므로 
 
(1)     이면 ∇ ×      는 보존력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는 보존력이다.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sin       



#(8-21)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질량이 ′ 인 구껍질 (spherical shell) 에 의해


     ′
위치  에 놓인 질량  이 갖는 중력에 의한 퍼텐셜에너지가 ′    ′ 임을
    ′
  
알 때, 반지름이  이고 질량이  이며 밀도()가 일정한 지구 (earth) 가 위치  에 놓인

질량  인 물체에 가하는 힘(중력)과 퍼텐셜에너지를 구하는 문제이다.

반지름이 ′, 두께가 ′, 밀도가  인 구껍질은 질량이 ′   ′ ′ 이므로 이 구껍질에
       ′

의한 퍼텐셜에너지는 ′    ′  이 된다. 단,  은 구껍질의 중심에서
   ′    ′
 
질량  까지의 거리이다. 퍼텐셜에너지는 연속적으로 변해야 하므로    ′′ 이

   ′′    ′

되고 따라서 ′    ′  이 된다. 지구를 밀도()가 일정한 구껍질들이

 ′    ′
 
겹겹이 쌓인 것으로 간주하고 지구에서 먼 곳의 퍼텐셜에너지를 ∞    으로 두면,

- 19 - S. Yoon
(1) 질량  이 지구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고,

(2) 질량  이 지구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
그런데 지표면(   )에서는 중력이 지구 중심방향이고 크기가  이므로      

이 성립하고, 이를 앞에서 구한 
 와  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지구 외부(   )에서는     ,    ,
 

  
지구 내부(   )에서는      ,       
  

  
참고로 아래 그림은  와  을  의 함수로 표시한 것이다.
   

#(9-3~11)은 Green's theorem  


       



   을 이용한다.



#(9-2)            × 면적     ×  


 

 

- 20 - S. Yoon
   
 

#(9-3)  
     

     
  


   

#(9-4)   

cos    sin, 경로   A → D → B

   
  cos    sin    sin   sin     by GT.
 

   
  cos    sin      cos   sin

 

       
  cos    sin ← 경로  에서     
ln 
 
 ln 

       ln     ln       
 
  

#(9-5)   

     , 경로   그림의 빨간색 반원

  & BA
        by GT.
          

  & 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로  에서     

 
         


- 21 - S. Yoon

#(9-6) 
       
  로 둘러싸인 면
  

   로 둘러싸인 면


 닫힌 곡선  로 둘러싸인 면의 면적  

 
#(9-7)   sin
cos     sin
    cos
→ 



  타원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9-8)         

   sin

cos     cossin
 →        그림의 빨간선    ≤  ≤ 
    sin  cos



        cos sin   sin cos    
 
   

cos sin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9-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S. Yoon
#(9-10)                 
  

(문제 9-10)의 그림 (문제 9-11)의 그림

#(9-11)   sin                   




 

#(9-12) 아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를 계산하는 문제이다.

닫힌 경로           라 하자. 그러면 경로   에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Green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0-1) 
       
   ,   구         ≤  ,   구면          

  
주어진 구는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반지름 인 구의 부피    이고, 구면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반지름 인 구의 표면적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 23 - S. Yoon
#(10-2) 
      
     →  ∙   

면 
 
∙ 

PQTS 
        
ORUW 
         
WSTU         
OPQR           
RQTU         
OPSW          

(1) 그대로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해서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y symmetry
  

       ×  ×  ×   
   

#(10-3)  ∙
 

     : 실린더의 전체 표면 (      ,   ,   )

(1) 그대로 계산

       인 면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면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면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실린더 옆면
    실린더 아랫면
   실린더 윗면
         

(2)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해서 계산

 ∙
 

    
∇∙ 
 

    × 실린더의 부피   ×   

- 24 - S. Yoon
#(10-4)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구          의 표면 

(1) 그대로 계산
    
      cos       sin  
주어진 구면()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구면좌표계를 써서   sincos,   sinsin,   cos ,    sin 로 두면


 
 구면

∙ 
    
  가 된다. 단, 여기서

     sin coscos sin sin   sin  cossincos  sincos sin  sin sin  

이다. 이 계산을 할 수는 있지만 Divergence Theorem 을 알고 있는 우리가 이런 복잡한

적분을 할 이유가 없다.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도록 하자.

(2)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해서 계산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cos   sin    


 구면

∙ 
     
∇∙ 
구 구  ≤  
  구의 부피   ×  ×   

#(10-5)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구의 내부

(1) 그대로 계산 (구면좌표계: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구    

구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2)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해서 계산 (구면좌표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면    
   × 구의 표면적    × 

- 25 - S. Yoon
#(10-7)  ∙

       그림에 표시한 원뿔면 

(1) 그대로 계산 (원뿔의 밑면과 옆면을 구분해서 따로 계산)

(a) 원뿔의 밑면에서는 ∙


     ∙  
      이므로  원뿔의 밑면
∙
   .

(b) [그림1]과 같이 원점에서 -평면 상의 점 R    까지의 거리를  라 하자. 선분



O R 과  -축을 품는 평면을 [그림2]에 나타내었다. 원뿔의 옆면은 [그림2]에 빨간색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면의 식은      가 된다. 이제 원점에서 원뿔의
 
옆면 상의 점 Q    를 잇는 벡터  을 고려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라 쓸 수 있으므로, ∙
          가 된다. 또  가  만큼 변하고  가 
  
  
만큼 변할 때의 원뿔의 옆면에 있는 면적요소는       가 되므로
sin 

최종적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이제
    
원뿔의 옆면은  ≤  ≤ ,  ≤  ≤  인 영역이므로

 
 
 원뿔의 옆면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

(a)(b)를 종합하면  ∙


 

  
원뿔의 밑면
∙
    원뿔의 옆면
∙
       .

[그림1] [그림2]

(2) Divergence Theorem 을 이용해서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뿔

∇∙ 
 
 원뿔


   × 원뿔의 부피    ×  ×  ×  ×   
 
※ #(10-1)~#(10-7)의 풀이과정에서 보듯이  ∙    

∇∙ 
 를 계산할 때

경우에 따라 왼쪽의 면적적분 혹은 오른쪽의 체적적분이 상대적으로 더 쉽다. 따라서

앞으로는 특별한 지시사항이 없으면 둘 중 쉬운 적분만을 선택해서 계산하도록 하겠다.

- 26 - S. Yoon
#(10-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이  인 원통 

 이므로 
 ± 
원통의 윗면(아래면)에서는  ∙ 
   이다. 원통의 옆면에서는 원통좌표계

    를 쓰면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Divergence Theorem 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 원통

∇∙ 
   원통의 옆면

∙ 
   원통의 밑면

∙ 
  원통의 윗면

∙ 


  원통의 옆면
        원통의 옆면
   × 원통의 옆면적 

  ×  ×  ×  ×   

#(10-9) 
  
  
 → ≡  ∙   

 
       밑면의 반지름이  이고 높이가  인 벨 모양 입체의 옆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원통좌표계에서        이다.
  

  
 
 입체

∇∙ 
    입체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입체의 밑면에서   이므로 


   ∙ 
   이고, Divergence Theorem 에 의해

 입체

∇∙ 
   입체면

∙ 
   입체의 밑면

∙ 
   ∙       

⋯ 

따라서 (1)=(2)로부터    ∙   


 입체

∇∙ 
  .

- 27 - S. Yoon
#(10-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반구의 윗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구

∇∙ 
    반구


   × 반구의 부피    ×   ×   
  ⋯ 

반구의 밑면(  )에서   이므로 


   ∙ 
   이고, Divergence Theorem 에 의해

 반구

∇∙ 
   반구의 윗면

∙ 
   반구의 밑면

∙ 


   반구의 밑면
    반구의 밑면적      ⋯ 

(1)=(2)로부터    ∙   


 반구

∇∙ 
        .

#(10-11)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이므로, 임의의 닫힌 면에 대해

닫힌 면

∙ 
  
닫힌 면 내부

∇∙ 
   닫힌 면 내부

∇∙ 
∇ × 
    이다.

#(10-12) 원통형 축전기 (concentric cylindrical capacitor) 의 전기용량 (capacitance)

그림과 같이 실린더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 이라 하고, 안쪽 실린더(   )에는 단위


길이 당   의 전하, 바깥쪽 실린더(   )에는 단위 길이 당   의 전하가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a)    , (b)      , (c)    인 세 영역에서 각각
반지름이  이고 길이가  인 원통 면을 가우스 면으로 잡고 가우스 법칙을 적용하자.

우선 전하 분포의 대칭성에 의해 전기장의 방향은 원통의 중심축에 수직하고 중심축에서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는 전기장의 크기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원통의

윗면과 아랫면에서는 
∙ 
  , 옆면에서는 
∙ 
   이므로

- 28 - S. Yoon
원통면

∙ 
  
윗면

∙ 
   아랫면

∙ 
   옆면

∙ 
   가 된다. 한편

      or   
 
가우스 법칙에 따라  원통면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인 곳에서는 
   혹은    인 곳에서는       이 된다.
 

또,   ∞ 에서 퍼텐셜 ∞    이라 두면   r e f     ref

∙  로부터

 
   에서는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에서는      ∙     


   
   ln  이며,
  

    
   에서는      ∙   
 
ln       ln  가 된다.
      

  
(a)    :   ,    ln 
  

    
(b)      :    ,    ln 
     

(c)    : 
  ,   

끝으로 원통형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계산해 보자. 두 실린더의 길이가  이면, 두 실린더

면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의 양은 각각 ±  ±  이고, 두 면 사이의 전위 차이는


    
∆   ln  이므로 전기용량은      이다. 혹은 원통형 축전기의
   ∆ ln   
 
단위 길이 당 전기용량이  이다.
ln   

#(10-14)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구면을 가우스 면으로 하면 그 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
 방향이고 전기장의 크기가 일정하므로  구면

∙ 
      로부터

 
쿨롱의 법칙 
      을 확인할 수 있다.
  

- 29 - S. Yoon
  
#(10-15) 유체의 밀도가       이고 유체의 속도가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
한편 Eq.(10.9) 에서 
∇∙      , 즉  
∇∙   ∙
 
∇     ⋯  이므로
 

(1)(2)를 결합하면  
∇∙      ⋯  임을 확인할 수 있다.


※ steady-state 에서는 밀도가 시간에 직접 의존하지는 않으므로    이기는 하지만

  
  ∙
 ∇    ∙
 ∇ 이므로  가 반드시  일 필요는 없다. 또, 비압축성 유체
  

(incompressible fluid) 에서는    이므로 (3)으로부터 
∇∙    임을 알 수 있다.


#(11-2)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그림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경로  에서        
     인데,

O →P          →  , P →Q          →  ,
Q →R          →   , R→O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S. Yoon
#(1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밑면의 반지름이  이고 높이가  인 벨 모양 입체의 옆면 

Stokes 정리를 적용하여 주어진 면적적분을        인 원주에 대한 선적분으로 바꾼다.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인 원주를 따라가는 경로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cos    
 

#(11-4) 
  
  
 → 
∇× 

∙ 
  

  평면        상의 ∆P Q R 과 ∆O P R ∆O Q R 로 이루어진 면

Stokes 정리를 적용하여 주어진 면적적분을 경로 O →P →Q →O 에 대한 선적분으로 바꾼다.

∇× 

∙   
O →P →Q →O

∙   ← 
∙      

     ← O P       P Q           Q O      


O →P →Q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 S. Yoon
#(11-5)      
    →  ∙
 

   <문제#(11-4)>의 그림 참조

  평면        상의 ∆P Q R 과 ∆O P R ∆O Q R 로 이루어진 면

Divergence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O P Q
∙
   
∇∙ 

 가 된다.

  
여기서  는 면  와 ∆O P Q 로 둘러싸인 4면체의 내부이다. 우선 ∆O P Q 에서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이 되어서 
∆O P Q
∙
    이 된다. 다음에 
∇∙   

이므로 ∇∙ 



 
    × 면체의 부피   ×    ×  ×  ×    이어서,

결과적으로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O P Q

#(11-6) 
        
     →  ∙   

  원통         ≤  ≤  의 표면

Divergence 정리에 의해  ∙    



∇∙ 
   면  로 둘러싸인 공간  인데,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원통의 부피   ×  ×   .
∙  
 

#(1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면에 있는 닫힌 곡선  를 가장자리로 하는 임의의 열린면

Stokes 정리에 의해 열린 면  에 대한 면적적분∇× 


∙ 
 을 같은 곡선  를

가장자리로 하되 -평면에 있는 열린 면 ′ 에 대한 면적적분   ∇× 


∙ 
 으로
′

바꿀 수 있는데, 열린 면 ′ 에서는   , 즉  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서, 최종적으로


∇× 
∙ 
   이다. 
   

- 32 - S. Yoon
#(11-8) 
   
   
 → 
∇× 

∙ 
  

 
  
  ellipsoid        의 면 닫힌 면 
  

주어진 면적적분 
∇× 
∙ 

 은 ellipsoid 의 면(닫힌 면)에 대한 것인데 이를 두 개의

열린 면(ellipsoid 의 윗면   과 아랫면   )에 대한 면적적분의 합으로 쓸 수 있다. 그런데

Stokes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다른 방법 : Divergence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인데,

임의의 
 에 대해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1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         ≤  중    ≥  인 곳에 놓인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닫힌 면


∇∙ 
             이므로 Divergence 정리를 적용하자. 그러면

      × 반지름이  인 구의 부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면 중  ≥  인 부분 열린면 

주어진 열린면  의 가장자리는    인 평면에 있는 타원          이다.

Stokes 정리에 의해 열린 면  에 대한 면적적분∇× 


∙ 
 을 같은 곡선  를

가장자리로 하되 -평면에 있는 열린 면 ′ 에 대한 면적적분   ∇× 


∙ 
 으로
′

- 33 - S. Yoon
바꿀 수 있는데, 열린 면 ′ 에서는   , 즉  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어서, 최종적으로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인 타원의 면적    이다.

※ 또는 ∇× 

   
∙  ∙            인데, Green 정리를
 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타원의 면적   



 ′

이므로, 최종적으로   ∇× 


∙    로 계산할 수도 있다.

#(11-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평면으로 둘러싸인 정육면체의 표면 닫힌면 


∇∙ 
         이므로 Divergence 정리를 적용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한변의 길이가 인 정육면체의 부피    × 
∇∙ 


 

#(11-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원주

Stokes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가 된다. 여기서  는 평면   

 

 
  
  
에 놓인 면이므로   가 되어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따라서  ∙       × 반지름이 인 원의 면적   이다. 혹은
 

곡선  상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인데, Green 정리를


 
 

- 34 - S. Yoon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이 인 원의 면적  

 

이므로, 최종적으로   ∙     로 계산할 수도 있다.


#(11-13) 
     
    →  ∙   

 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구의 표면


∇∙ 
   이므로 Divergence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구
∇∙ 
   이다.

#(11-14) 
     
    →  ∙   

     평면에 놓인 원점이 중심이고 반지름이  인 원주

Stokes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가 된다. 여기서  는 -평면에

 

 
  
  
 가 되므로 
 
놓인 원으로 둘러싸인 면이어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반지름이 인 원의 면적   이다. 혹은


 

곡선  상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인데, Green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반지름이 인 원의 면적   이므로,


 

최종적으로   ∙     로 계산할 수도 있다,


#(11-15) 
     
    →  ∙   

  평면      와 구             의 교선 원 

     는  -축과 나란한 평면이고              는            ,


즉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이 
 인 구의 표면이다. 따라서 두 면의 교선인  는 평면
     에 놓여 있으면서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이 
 인 원주이다.

- 35 - S. Yoon
이제 Stokes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가 되는데, 여기서  가

폐곡선  , 즉 평면      에 놓인 원으로 둘러싸인 면이므로      


   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되고,  ∙      반지름이  인 원의 면적   이다.
 

#(11-16) 다음은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한 틀린 증명이다. 어느 과정이 잘못


되었는지 알아보자. 단,  ∇∙ 
   이고 
  
∇× 
 로 쓸 수 있다.

 ∇∙       
∙ 
 (by the divergence theorem)

  
∇ ×     
∙  ∙  (by Stokes' theorem)

∙    이므로  는 보존되고(conservative) 따라서    ∇ 로 쓸 수 있다.

그러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위 과정의 첫째 줄에서 Divergence 정리는 “닫힌 공간”에 대해 적용된다. 그러나 둘째


줄의 Stoke 정리는 “열린 공간”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다. 즉, 서로 다른 공간에 적용되는
두 정리를 같은 공간에 적용한 점이 잘못된 것이다.

#(11-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    
   
우선         로부터     ,      라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즉         라 쓸 수 있다.
   

- 36 - S. Yoon
    
이를           에 적용하면             , 즉
  




  가 되어서      이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라 쓸 수 있다. 여기서  는 임의의 스칼라 함수이다.

#(11-21) 
  
 → 
  
∇× 
 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우선     
   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라 쓸 수 있다. 이를      에 적용하면    이 되어서    가 된다.
  

따라서 
  
 
∇ 라 쓸 수 있다. 여기서  는 임의의 스칼라 함수이다.


  
 
  

#(12-2) 아래 그림에서      , 즉    ,    이다.
    , 
 
그런데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    sin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  


#(1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해              이므로
먼저 스칼라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37 - S. Yoon
        
그러면 벡터 함수      에 대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4)   
     일 때 벡터 함수      에 대해 6장 맨 뒤에 있는 표의
  

 

  
eq.(h) 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인데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가 된다.

#(12-5) 2D Green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이다.

(a)  :        →    × 반지름 인 원의 면적   

(b)  : 네 끝점이   ,    ,     ,    인 정사각형

→    ×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의 면적   

(c)  : 네 끝점이   ,    ,    ,   인 정사각형

→    × 한 변의 길이가 
 인 정사각형의 면적   

#(12-11)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접하는 평면은  


∇          
    에 수직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
수직인 직선은 방향이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38 - S. Yoon
#(12-15) 
    sinh        sinh  
   cosh   

 
  
  sinh    cosh  sinh    

     
∇×         
  인데,
   
      cosh  sinh    sinh    

sinh    cosh  sinh   이므로 


∇× 
  , 즉 
 는 conservative 하다.
     
     

∙      
   sinh     cosh      sinh    이다.

이 적분을 O  → P  → Q  → R   의 경로를 따라 계산하자.

O P          , P Q        , Q R      임을 이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sinh        

 cosh     


      cosh          cosh   

#(12-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long the circle      


 
   sin
cos
로 치환하면   cos
sin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sin  
 cos  
 sin 
 cos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39 - S. Yoon
#(12-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  만 보존력이다.
     
          

(b)   cos ,   sin ,    →  →   sin ,   cos

  타원

 ∙   
  타원
  
 ∙     
    타원
   

 
  
 sin   cos     
  cos   

(c) 보존력 
 에 대한 potential field 를 [그림(c)]의 경로 O ABC 에 대해 계산하자.

∙              이고, O A 에서         , AB 에서

      , BC 에서는      이므로 potential field 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그림(d)]에 주어진    →    의 직선경로에 대해 


 이 한 일을 계산하자.
이 경로는   ,     ,   ,    →  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일은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b)] [그림(c)] [그림(d)]

(e) 앞의 (b)에서 
 가 한 일은       인데 여기에 2D  타원

 ∙   

타원

Green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타원의 면적    이다.


타원 타원

#(12-20)  ∙  over upper hemisphere of    whe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n d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40 - S. Yoon
#(12-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피라미드 TO P Q R 의 네 빗면

Stokes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경로 O P Q RO 에서    이고, O P       , P Q       , Q R       ,

RO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면           

닫힌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Divergence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 인 구의 부피   

#(12-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원통면

닫힌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Divergence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  높이 인 원통의 부피   

- 41 - S. Yoon
#(12-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반구면 전체

닫힌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Divergence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반지름 인 반구의 부피   
 

#(12-2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반구의 윗면

열린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Stokes 정리와 2D Green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반지름 인 원의 면적   

#(12-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둘러싸인 정육면체의 면

닫힌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Divergence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27) 앞의 (문제 12-26)에서 ′       인 면  일 때 


∇ × 
∙ 
′
  

열린 면에 대한 면적 적분으로 Stokes 정리를 이용하자. (문제 12-26)의 그림을 참고하면

′ 의 둘레에서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D G reen 정리

  노랑 정사각형
    한 변이 인 정사각형의 면적    이다.

- 42 - S. Yoon
#(12-28)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원주


∙   
  
 ∙ 
   
       이고 2D Green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원판
     × 반지름 인 원의 면적   

#(12-29) 
  
  
 →  ∙   

  그림의 정사각형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2D Green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정사각형
   × 한 변이 
 인 정사각형의 면적   

#(12-30) 경로  가 그림의 평행사변형이다. 2D Green 정리를 이용하자.

  


            평행사변형
   × 밑변  높이 인 평행사변형의 면적   

#(12-31) 
      
    
 →  ∙   

  O  에서 P 
  까지는 직선 P 
  에서 Q   까지는 원호

- 43 - S. Yoon
폐곡선 경로     에 대한 선적분    

∙  에 Green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그런데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래는 6장 맨 뒤에 있는 표의 eq.(a)~(g)를 직교좌표계에서 증명한 것이다.


10장의 텐서를 이용하면 더 쉽게 증명할 수도 있다.

  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44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 S. Yoon
(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46 - S. Yo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