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5

October 2017

대한조선학회논문집

K o r e a

한 국
대한조선학회

o f

/ 연
/ 구
/ 재
A r c h i t e c t s

/ 단
/ 등
논문집

/ 재
/ 학
대한조선학회

/ 술

/ 지
5

/
4

권 제
Vol.54 No.5

논문집

N a v a l
5 P r i n t ISSN 1225-1143

호 통( 권
Online ISSN 2287-7355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2 www. snak. or. kr

o f
1
5

S o c i e t y
)
2
0
1
7

10

t h e

o f
J o u r n a l
Aims and Scope Editorial Committee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provides a Editor-in-Chief Dae-Seung Cho / Pusan National University
forum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from a wide variety of disciplines to
present and discuss various phenomena in the utilization and Editorial Directors
preservation of ocean environment. Topic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Sang Hyun Kim / Inha University (Manuscript in Chief)
to: marine hydrodynamics; structural mechanics; marine propulsion Hyun Soo Kim / Inha Technical College
system; design methodology and practice; production technology; Byoung-Kwon Ahn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ystem dynamics and control; marine equipment technology; materials Hyung Taek Ahn / Ulsan University
science; underwater acoustics; satellite observations; and information Han Koo Jeong / Kunsan National University
technology related to ship and marine systems; ocean energy systems;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maritime safety engineering; polar Editorial Board
and arctic engineering; coastal and port engineering; aqua-cultural Dong Joon Kim / Pukyong National University
engineering; subsea engineering; and specialized watercraft Moon Chan Kim / Pusan National University
engineering. Yonghwan Kim / Seoul National University
Yooil Kim / Inha University
Jong-Ho Nam /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General Information Myung Il Roh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k Jun Moon / KIMM
The official title of this journal is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Jin Ho Bae / Jeju National University
Architects of Korea,’ abbreviated to ‘JSNAK,’ and the ISO abbreviation
MuSeok Song / Hongik University
is ‘J. Soc. Nav. Archit. Korea.’ The journal, first established in 1964,
Ha Cheol Song / Mokpo National University
accepts original research articles, case reports, and other invited
Hyun Kyoung Shin / Ulsan University
papers.
WonSun Ruy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yeon Kyu Yoon /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is published every other month in February, April, June,
Hyun Chung / KAIST
August, October and December of each year.
Sa Young Hong / KRISO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KOFST)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Subscription Information
(MOSF&MSIP).
Journal subscription can be obtained after registering with the Society of
This is an Open-Access journal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The fee for registration is KRW70,000.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Room 508, Science and Technology Building,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2, 7 Gil, Teheran-ro,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8-7533, 3452-2370, 2371 FAX : +82-2-554-1006
Full texts of journal articles are available at http://www.snak.or.kr/02_ E-mail: editor@snak.or.kr
journal/journal01.htm
Printed at Hanrimwon Co., Ltd.
Print ISSN 1225-1143
Abstracting and Indexing Services Electronic (online) ISSN 2287-7355
All of the articles in this journal are indexed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an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Nurimedia.

Journal of Vol.54 No.5 October 20, 2017


(Serial Number 215)
the Society of
Published on October 20, 2017
Naval Architects of Publisher Suak Ho Van
Editor-in-Chief Dae-Seung Cho
Published by The
‌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Korea Room 508, Science and Technology Building,
22, 7 Gil, Teheran-ro,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02)3452-2370, 2371 FAX: (02)554-1006
E-mail: editor@snak.or.kr
Bank & Account Citibank Korea 102-53148-250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Printed at Hanrimwon Co., Ltd.
Print ISSN 1225-1143
Electronic (online) ISSN 2287-7355

©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2017. All rights reserved.


대한조선학회 임원 대한조선학회 국문편집위원회

회 장 반 석 호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위 원 장 조 대 승 / 부산대학교
부 회 장 정 정 훈 / 한국기계연구원 편집이사 김 상 현 / 인하대학교
조 대 승 / 부산대학교 김 현 수 / 인하공업전문대학
하 문 근 / 삼성중공업(주) 안 병 권 / 충남대학교
총무이사 김 진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안 형 택 / 울산대학교
송 하 철 / 목포대학교 정 한 구 / 군산대학교
기획이사 김 정 환 /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논문위원 김 동 준 / 부경대학교
서 성 부 / 동의대학교 김 문 찬 / 부산대학교
우 종 훈 / 한국해양대학교 김 용 환 / 서울대학교
재무이사 고 재 용 / 목포해양대학교 김 유 일 / 인하대학교
김 찬 기 / 국방과학연구소 남 종 호 / 한국해양대학교
사업이사 박 준 수 / 경남대학교 노 명 일 / 서울대학교
유 병 석 / (주)한진중공업 문 석 준 / 한국기계연구원
정 현 / 한국과학기술원 배 진 호 / 제주대학교
편집이사 김 상 현 / 인하대학교 송 무 석 / 홍익대학교
김 현 수 / 인하공업전문대학 송 하 철 / 목포대학교
안 병 권 / 충남대학교 신 현 경 / 울산대학교
안 형 택 / 울산대학교 유 원 선 / 충남대학교
정 한 구 / 군산대학교 윤 현 규 / 창원대학교
국제이사 김 용 환 / 서울대학교 정 현 / 한국과학기술원
하 태 범 / (사)한국선급 홍 사 영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기술이사 배 재 류 / 대우조선해양(주)
이 웅 섭 / 국방과학연구소
홍보이사 강 사 준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장 봉 준 / 현대중공업(주) 대한조선학회 국제논문집위원회
감 사 신 현 경 / 울산대학교
이 성 근 / 대우조선해양(주) 위 원 장 이 신 형 / 서울대학교
위 원 구 원 철 / 인하대학교
신 상 묵 / 부경대학교
안 병 권 / 충남대학교
정 준 모 / 인하대학교
정 현 / 한국과학기술원
조 대 승 / 부산대학교
고 대 은 / 동의대학교
심 천 식 / 목포대학교
우 종 훈 / 한국해양대학교
윤 현 규 / 창원대학교
이 인 원 / 부산대학교
장 범 선 / 서울대학교
최 정 호 / 동아대학교

대한조선학회 제54권 제5호 2017년 10월 20일


(통권 215호)

논문집 인



2017년 10월 15일
2017년 10월 20일
발 행 인 반석호
편 집 인 조대승
발 행 소 사단법인 대한조선학회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본관 508호
TEL : (02)3452-2370, 2371 FAX : (02)554-1006
E-mail : editor@snak.or.kr
온 라 인 한국씨티은행 102-53148-250(대한조선학회)
지로번호 7510658
인 쇄 처 한림원(주) 등록 : 2006년 8월 2일 제 2-0642호

·‌본 논문집은 대한조선학회의 공식 논문집으로서 조선해양공학의 이론과 기술전반에 관련된 내용으로 본 학회에 투고된 원고중
심사절차를 거쳐 선별하여 년 6회 발행됩니다.
·이 학술지는 정부재원(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사) 대한조선학회 윤리강령

다음과 같이 대한조선학회 회원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제정하여, 대한조선학회 회


원이 이를 성실히 준수함으로써 윤리의식을 제고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스스로의
위상과 긍지를 높이고, 관련 기술 및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 기본 정신

1. 우리는 지식과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인간의 삶의 질과 복지향상 및 환경보전에 기여할 책임이 있음을 인식한다.

2. 우리는 학술 활동에서 정직성, 진실성, 공정성과 정확성이 학술활동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필수사항임을 인식
하며 모든 학술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이와 같은 원칙을 추구한다.

3. 우리는 새로운 지식창출과 기술개발로 인류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긍지와 품위를 유지한다.

나. 기본 규범

1. 우리는 인종, 성, 종교, 교육 배경 등으로 차별받을 수 없으며 평등한 권리와 의무를 갖는다.

2. 우리는 학술 활동의 전 과정에서 관련 법령이 정한 규정과 윤리강령에 적시된 규범 및 국제적으로 통용


되는 원칙을 성실히 준수한다.

3. 우리는 학술 활동 과정에서 발생했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이해상충에 대해서는 이를 미리 공표하고


자신의 이익보다 공익을 우선한다.

4. 우리는 책임 있는 학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적자유, 공평성, 개방성과 상호존중의 환경을 조성하
는데 적극 참여한다.

5. 우리는 학술 활동의 전 과정에서 저작권 및 특허권 등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존중하며 자신 및 타인의


학술 활동 성과에 대하여 공정히 평가한다.
대한조선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제 54 권 제 5호 2017년 10월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pISSN 1225-1143, eISSN 2287-7355 www.snak.or.kr

내 용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리퀴드 돔 체어 구조개발 ┃ 김정환․ 김유일 361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368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 조윤식․ 백점기 378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 단면의 변환가능 중점영역 예측 ┃ Nguyen, Si Bang ․ 남종호․ 이민규 387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김을년 393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김진․ 안남현 406

LNGC 2차 방벽에 적용된 Aramid 섬유의 Weibull 통계 분석을 이용한 피로특성 평가 ┃ 박진형․ 오동진․ 김민규․ 김명현 415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남병욱 ․ 이경호 ․ 이재준․ 문승환 421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 이충현 ․ 김유일 430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 김형준․ 최걸기․ 나양섭․ 박경훈․ 정현 439


CONTENTS

361 On the New Design of Liquid Dome Chair in Membrane Type LNG Carrier
Jeong-Hwan Kim ․ Yooil Kim

36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Defining the Installation Sequence of Outfitting
Jaeho Choi ․ Jihye Kim ․ Jonghun Woo

378 Optimal Design of Submarine Pressure Hull Structures Using Genetic Algorithm
Yoon Sik Cho ․ Jeom Kee Paik

387 A Method to Predict the Feasible Region of Geometric Centroid for Closed Hull Form Area Using Regression Analysis
Si Bang Nguyen ․ Jong-Ho Nam ․ Minkyu Lee

393 A Study on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Skirt Structure in the Spherical LNG Carriers
Ul-Nyeon Kim

406 A Study on the Effect of Large Coherent Structures to the Skin Friction by POD Analysis
Seong-Yun Shin ․ Kwang-Hyo Jung ․ Yong-Duck Kang ․ Sung-Bu Suh ․ Jin Kim ․ Nam-Hyun An

415 Estimation of Fatigue Characteristics Using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with Aramid Fiber on LNGC Secondary Barrier
Jin Hyeong Park ․ Dong Jin Oh ․ Min Gyu Kim ․ Myung Hyun Kim

421 A Study on Selection of Block Stockyard Applying Decision Tree Learning Algorithm
Byeong-Wook Nam ․ Kyung-Ho Lee ․ Jae-Joon Lee ․ Seung-Hwan Mun

430 Reliability-based Flaw Assessment of a Mooring Chain Using FORM and SORM
Choong-Hyun Lee ․ Yooil-Kim

439 An Experimental Study on UNDEX Characteristics of Airbag Inflators


Hyeongjun Kim ․ Gulgi Choi ․ Yangsub Na ․ Kyung Hoon Park ․ Hyun Chung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361-367,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361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리퀴드 돔 체어 구조개발


김정환․ 김유일†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On the New Design of Liquid Dome Chair in Membrane Type LNG Carrier
Jeong-Hwan Kim ․ Yooil Kim†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Inha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membrane type LNG cargo tank is equipped with a pump tower and a liquid dome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LNG.
However, the membrane running continuously on the tank wall to prevent leakage of LNG is interrupted by the liquid dome,
hence care should be taken in the design of liquid dome and its substructures. In case of GTT NO96 membrane type cargo
containment system, chair structure i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iquid dome targeting to support the membrane which
is exposed to the both hull girder and thermal load. This paper proposes a new and simple chair structure, which outperforms
traditional design from productivity point of view maintaining same level of structural safety. Strength assessment on the new
design was performed to guarante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new design, which includes strength, fatigue and crack
propagation analysis.

Keywords : Membrane type LNG cargo tank(멤브레인 타입 LNG 화물창), Pump tower(펌프 타워), Liquid dome(리퀴드 돔), Chair
structure(체어 구조), GTT NO96 system(GTT NO96 시스템)

1. 서 론

LNG선은 화물창을 이루는 탱크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타


입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중 멤브레인 타입은 선박이 대형화
됨에 따라 크게 인기를 얻어 현재 LNG선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멤브레인 타입의 화물창에는 LNG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선
체의 내벽 사이에 LNG의 누설 방지를 위해 얇은 막, 즉 멤브레
인을 배치한다. 이 멤브레인은 각 탱크의 코너부에 설치된 앵커
링 바(anchoring bar)에 부착되어 양 코너 사이에서 연속되므로
실온과 화물온도 차이만큼의 열응력과 선박의 운동으로 인한 선
체거더 굽힘응력(hull girder bending stress)을 견뎌내야 한다.
이에 GTT사에서는 멤브레인의 강도를 고려하여 내부선각(Inner
hull)에서의 선체거더 굽힘응력을 120 N/mm2이하로 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한, LNG선의 선수부 1번 탱크와 같이 경사진
코너(oblique corner)를 가지는 경우는 별도의 필라(pillar) 구조를
설치하여 멤브레인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멤브레인 타입의 화물창에는 LNG의 선적과 하역 등의 Fig. 1 Arrangement of liquid dome chair

Received : 10 April 2017 󰠛 Revised : 30 May 2017 󰠛 Accepted : 4 July 2017



Corresponding author : Yooil Kim, yooilkim@inha.ac.kr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리퀴드 돔 체어 구조개발

이송 처리를 위해 펌프 타워(pump tower)와 리퀴드 돔(liquid


dome)이 구비되는데 이 리퀴드 돔에 의해 단절되는 멤브레인은
별도의 체어(chair) 구조에 의해 고정된다. Fig. 1에서는 GTT사의
NO96 타입 화물창에 적용된 체어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체어
는 리퀴드 돔의 선수쪽 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11개의 체어가
120 N/mm2의 선체거더 굽힘응력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체어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계와 설치가 까
다로운 단점이 있다. 즉, 적재 조건(loading condition)에 따라 발
생하는 열변형에 적절히 대응하는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만족시
키기 위해 여러 부품들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
에 설계와 설치 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체어의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
하여 효율적인 제작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의 기능을 그대로 (a) Side view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조, 피로, 파괴강도 평가를 통해 개발
된 모델의 구조안전성을 검증하였다.

2. 기존 체어 모델

기존의 체어는 Fig.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퀴드 돔의 선수


쪽 면에 일정 간격으로 11개가 배치되어 멤브레인의 하중을 지
탱한다. Fig. 2에서는 기존의 체어 모델과 그 주변요소들을 나타
내고 있다. 체어는 내부선각판(inner hull plate)에 용접으로 부착
되어 세컨더리 박스(secondary box)와 프라이머리 박스(primary
box) 사이를 지나는 멤브레인을 고정한다. 따라서, 체어와 세컨
(b) Isometric view - chair and angle bar
더리 박스의 높이차를 메우고 멤브레인을 원활히 지지하기위해
목재 빔(wooden beam), 앵글 바(angle bar), 합판 쐐기
(plywood wedge), 레진(resin) 등이 추가된다. 이 때, 멤브레인
은 a와 같이 체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하중을 목재 빔에 접촉
(contact) 상태로 전달한다. 각 요소의 주요 역할은 아래와 같다.

■ 목재 빔(wooden beam): 멤브레인에 걸리는 하중을 앵글바를


통해 체어에 전달
■ 앵글 바(angle bar): 목재 빔의 거동을 체어에 전달
■ 합판 쐐기(plywood wedge): 체어의 스토퍼(stopper)와 앵글
바에 의해 발생한 빈 공간을 메움
■ 레진(resin): 멤브레인 설치 시 목재 빔과 세컨더리 박스의 높
(c) Isometric view - wooden beam and resin
이차를 없애 멤브레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
Fig. 2 Liquid dome chair and surrounding elements
11개의 체어는 그 아래에 설치되는 목재 빔을 고려하여 Fig.
3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체어가 번갈아 배치된다. 즉, 목재 빔
의 고정에 관여하는 A타입 6개와 고정과 상관없이 멤브레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B타입 5개로 구성된다.
Fig. 2와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체어 모델과 그 주변요
소들은 그 기능에 비하여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단열박스들의 배치를 최대한 유지하고, 극저온으로
인한 열수축을 최대한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조치들이긴 하지
만 오랜 기간 특별한 개선 없이 유지된 점을 고려하면 과도하게
설계된 부분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Fig. 3 Two types of chairs

36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호 2017년 10월


김정환․ 김유일

3. 새로운 체어 모델의 제안

새로운 체어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가장 먼저 살펴본 것은 체


어의 개수이다. 설치되는 단열박스의 위치를 고려하면 현재 11개
의 체어를 최대 7개까지 줄일 수 있다. 즉, Fig. 2에서 본 바와
같이 B타입의 체어는 목재 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것 외
에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강도만 만족한다면 제거가
가능하다. 체어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응력은 체어 자체
의 보강을 통해 줄일 수 있다. 변경된 체어의 배치와 형상은 Fig.
4에 나타내었다. 기존의 체어 모델과 제안된 모델의 형상 차이는
Fig. 5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기본적으로 이전과 동일한 강도 (a) Present chair model
를 가지기 위해 판이 두꺼워지거나 코너의 곡률이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체어 형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스토퍼 위치의
변경이다. 2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모델은 스토퍼로 인
해 목재 빔, 합판 쐐기 등의 체어 하부 구조가 둘로 나누어지는
데 본 모델에서는 스토퍼를 체어의 맨 끝으로 이동시켜 하부 구
조를 하나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멤브레인으로 인한
하중에 대해 목재 빔의 단면계수가 증가하여, 체어의 감소로 인
해 발생하는 굽힘응력 증가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b) New chair model


Fig. 6 Comparison of chair and surrounding elements
between present and new chair model

4. 제안 모델의 구조 안전성 평가

7개의 체어 구조는 극저온에서의 열수축과 선체거더 굽힘응력


120 N/mm2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다양한 환경조건에
Fig. 4 Modified arrangement and shape of liquid 서의 피로 및 파괴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dome chair 모델은 북대서양 해상 환경조건에서 4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도
록 설계되었다. 또한, 체어 구조는 검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IGC Code (IMO, 2014)에 따라 파괴해석(fracture analysis)이 요
구된다.

Fig. 5 Detailed shape comparison of two models

Fig. 6에서는 기존의 모델과 제안 모델을 그 주변 요소들과 함


께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체어와 목재 빔, 합판 쐐
기를 위주로 나타내었고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층 간단한
구조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원활한 설치를
위해 레진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Fig. 7 Geometry model and materials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63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리퀴드 돔 체어 구조개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각 조건의 하중을 구


현하고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Fig. 7에서는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MSC Patran/Nastran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모델과 각 부분의 재료를 나타내고 있고, 해석에 사용된 요소는
4절점 쉘 요소이다. Table 1에서는 사용된 재료의 기계적 물성치
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 모델의 요소 크기는 100 mm*100 mm이
며, 체어는 피로해석을 고려하여 판두께 크기(t*t)로 모델링하였다.

Fig. 9 Application of hull girder bending stress


Fig. 8 Detailed FE model of chair

Table 1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


Young's Thermal
Poisson's
Material modulus expansion
ratio
[MPa] coefficient

Steel 2.06×105 0.3 1.90×10-5


SUS316L 2.00×105 0.3 1.50×10-5

4.1 구조강도 평가(Strength analysis)

Fig. 10 Boundary conditions


Fig. 9에서는 구조강도 평가를 위해 체어의 스토퍼와 내부선
각판(inner hull plate)에 각각 단위하중을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
고 있다. 본 하중의 형태는 피로강도 평가에도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1 N/mm2의 단위하중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강도평가를 위해서는 계산된 결과를 120 N/mm2에 맞게 변경하
여 적용하였다. Fig. 10에서는 적용된 경계조건을 나타내었다.
체어에 해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영역을
선택한 후 Fig. 10과 같이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Fig. 11에서
는 극저온으로 인한 열수축 효과를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
다. 보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목재 빔과 체어가 맞닿는 면을
-163°C 그리고 내부선각(inner hull)의 온도를 -30°C로 지정하였
다. 이는 만재(full load) 상태와 발라스트(ballast) 상태에서의 리
퀴드 돔의 온도를 각각 나타낸다 (Lloyd Register, 2008). 주어진
조건에 대해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고 얻어진 온도 분포를 적용하 Fig. 11 Application of thermal contraction due to
여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cryogenic temperature

36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호 2017년 10월


김정환․ 김유일

Fig. 12과 Table 2에서는 구조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


다. 결과적으로 체어와 내부선각판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견되었으며, Table 2와 같이 최대 등가응력이 250.6
MPa이 계산되어 허용응력 351.9 MPa에 대해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Fig. 13 Considered areas for fatigue analysis

Table 3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in chair structure


Position FP-1 FP-2 FP-3

Type Weld joint Weld joint Weld joint

Stress
concentration 1.51 1.01 1.46
factor
Fig. 12 Result of structural strength assessment

Table 2 Maximum von-Mises stress and permissible 항해 중 상황에 대한 피로강도는 DNV CN 30.7 (DNV AS,
stress 2014)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대상 위치가 모두 용접부인 점을 고
Maximum von-Mises stress Permissible stress 려하여 Table 4에 나타낸 S-N 선도를 사용하였다.
250.6 MPa 351.9 MPa
Table 4 Applied design S-N curve and standard
여기서 허용응력(σpeak)은 DNVGL-OS-C102 (DNVGL, 2015)에 deviation
따라 아래와 같이 계산되었다. Joint Standard
N≤107 N>107
type deviation
    ×   (1)
CN 30.7 △σ3N = △σ5N =
0.20
여기서, ηpeak는 허용 피크 사용 계수(permissible peak usage curve I 1.46x1012 4.04x1015
factor)를 의미하며, 요소의 크기(50 mm*50 mm 이하)와 확률수
준을 고려하여 1.7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하중은 배의 일 와이블 분포(weibull distribution)에 의해 정의된 응력범위의
생동안 만날 수 있는 최대 파(wave)에 근거하여 산정되었기 때문 장기분포는 식 (3)과 같다. 여기서 Q는 응력범위 △σ의 초과 확
에 10-8의 확률수준이 적용되었다. σY는 재료의 항복 응력을 말 률을 의미하며, h는 와이블 형상모수(weibull shape parameter),
하며, SUS316L의 항복응력인 207 MPa이 사용되었다. q는 와이블 척도모수(weibull scale parameter)를 의미한다. 또
한, n0는 참고응력범위(reference stress range) △σ0에 관련된
4.2 피로강도 평가(Fatigue analysis) 전체 반복횟수를 의미한다.

Fig. 13에서는 피로강도 평가를 위해 선택된 위치를 나타낸다.


 
각 위치는 강도평가에 사용된 하중에 대해 주응력의 절대값이 가
장 큰 3곳이다. 각 위치에서 계산된 응력집중계수(stress
 ∆   exp   
    ∆  (3)
∆ 
concentration factor)는 Table 3과 같다.  
ln  
전체 피로손상도(total fatigue damage)는 식 (2)와 같이 항해
 ln  
중(voyage)과 적하역(loading&unloading) 시의 피로손상도를 각 ∆  ∆    
 ln  
각 계산하여 합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 항해 중 조건의 경우
전체 수명의 90%를 운항한다고 가정하였다.
위에서 계산된 와이블 형상모수와 척도모수를 이용하여 식(4)
        (2) 와 같이 피로손상도를 계산한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65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리퀴드 돔 체어 구조개발

      수 ρ를 더하여 계산된다. 보정계수의 계산식은 일차응력과 이차



  
   
       ≤ 

(4) 응력 각각의 응력확대계수(KIP, KIS)와 항복 비로부터 계산된 인
자(χ)에 관한 식 (7)로 표현된다. 인자를 계산하는 식은 식 (8)과
여기서, v0는 장기 평균응답 제로크로싱 주파수, Td는 선박의 수 같고 항복 비는 참조응력(σref)과 항복응력(σY)으로 계산되며 식
명, Nload는 하중조건 수, Pn은 하중조건 n에서 피로수명비, Γ는 (9)와 같다.
감마함수, a와 m은 S-N 선도의 계수이다.
적하역 시의 피로강도는 만재(full load)시와 발라스트(ballast) 
     (6)
시의 온도차 즉 -163°C와 -30°C의 온도차에 따른 응력범위를   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적하역 시의 반복횟수는 IGC Code (IMO,
2014)에 따라 20년간 1000번으로 산정하였다. 20년에 대해 계          ×     (7)
산된 피로손상도는 전체 피로손상도 계산 시에 40년에 대한 값
으로 변경하여 적용되었다.
   
항해 중과 적하역 시의 하중을 고려하여 계산한 피로손상도를  
(8)

합하여 Table 5와 같이 최종 피로손상도를 도출하였다. 항해 중
의 피로손상도가 지배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IGC Code
  
(IMO, 2014)에 따른 최대 허용 누적 피로손상도(maximum    (9)
 
alloable cumulative fatigue damage ratio) 0.1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파괴강도 평가에 사용된 SUS316L의 최종강도(ultimate
stress)는 485 MPa이고, 파괴인성값(fracture toughness)은
Table 5 Total fatigue damages
2160 kJ/m2이다. 계산을 위해서는 BS7910 (BSI, 2005) 기반으
Position FP-1 FP-2 FP-3
로 만들어진 결함평가 프로그램인 RESCEW (Kang, et al.,
Damage for -2 -2 -2 2015)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16×10 2.95×10 2.71×10
voyage
‘안정적(stable)’을 나타내어 파괴강도 평가도 문제없음을 확인하
Damage for -4 -3 -5 였다. Fig. 14은 RESCEW의 입력창을 보여주며, Fig. 15에서는
3.96×10 2.44×10 1.31×10
loading
결함의 안전성 여부를 판별하는 파손평가도(failure assessment
Total -2 -2 -2
diagram)를 나타내고 있다.
3.16×10 2.95×10 2.71×10
Damage

Table 6 Total fatigue damages


4.3 파괴강도 평가(Fracture analysis) Final flaw size FAD result at Max. SIF

Depth Length
리퀴드 돔 체어의 경우는 검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IGC Kr Lr Stable
(a) (2c)
Code (IMO, 2014)에 따라 파괴강도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파
0.64mm 3.01mm 0.03 1.05 OK
괴강도 평가는 피로해석 시 가장 높은 손상도를 보인 FP-1을 선
택하여 수행하였다. 초기균열 0.5(a)*3 mm(2c)를 가정하고 120
년간의 균열진전해석을 수행한 후 구조강도 평가에 사용된 최대
응력을 적용하여 최종 파손여부를 판단하였다.
균열 진전 율은 Paris 공식을 따르며 식 (5)와 같다. 여기서 A
와 m은 재료상수이며 N은 작용응력 싸이클, 그리고 △K는 응력
확대계수 값이다.


   ∆   (5)


결함의 안전성 여부는 파괴 비(Kr)와 항복 비(Lr)로 구성된 파


손평가도(failure assessment diagram)를 통해 판별할 수 있다.
파괴 비는 응력확대계수(KI)와 파괴 인성(Kmat)의 관계에 보정계 Fig. 14 Input window of RESCEW 2.0

36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호 2017년 10월


김정환․ 김유일

References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BSI), 2005. Guide to


methods for assessing the acceptability of flaws in
metallic structures. BS7910. UK: BSI Standards
Publication.
Det Norske Veritas AS, 2014. Fatigue assessment of
ships structures. DNV classification notes No. 30.7.
Norway: DNV.
DNVGL-OS-C102, 2015. Structural design of offshore
ships. Norway: DNV.
IMO, 2014.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ified gasses in bulk
Fig. 15 Failure assessment diagram (BS7910) - IGC code. UK: IMO.
Kang, B.J. Kim, Y. Ryu, C.H. Ki, H.G. Park, S.G. &
5. 결 론 Oh, Y.T., 2015. Flaw assessment on an offshore
structure using engineering criticality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GTT사의 NO96 타입 화물창 리퀴드 돔에 적용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되는 체어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구조를 개발 52(6), pp.435-443.
하여 설계 및 설치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조 및 Lloyd Resister, 2008. Additional design procedures:
피로, 파괴강도 평가를 통해 개발된 모델의 구조안전성을 검증하 Procedure for analysis of pump tower and pump
였다. 상기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tower base. UK: LR.
있었다.
현재의 체어 모델을 살펴보면 단열박스들의 배치를 유지한 채
극저온으로 인한 열수축을 최대한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상당
히 복잡한 형태로 각 요소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체어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7개로 줄이고 그
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변화에 맞추어 체어와 그 주변 요소들을
변화시켰다. 또한, 체어의 형태로 인해 불가피하게 둘로 나누어
져 있는 목재 빔(wooden beam)을 체어 형상의 변화를 통해 하
나로 만들어 형상을 간소화하였다.
제안된 형상에 대해 선체거더 굽힘응력 120 MPa과 극저온에
따른 열수축을 고려하여 검증 해석을 수행한 결과 최대 등가응력
이 250.6 MPa로 계산되어 허용응력 351.9 MPa에 대해 만족하
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DNV CN 30.7에 따라 피로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항해 시와 적하역시의 피로손상도를 각각 계산한 후
전체 피로손상도를 계산한 결과 0.0316이 계산되어 역시 허용
기준인 0.1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피로손상도가 가장 높게 계산된 위치에 대해 IGC
Code에 따른 파괴강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해당 구조물은 총 운
항기간동안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정환 김유일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67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368-377,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368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한국해양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Defining the Installation


Sequence of Outfitting
Jaeho Choi ․ Jihye Kim ․ Jonghun Woo†
Dep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utfittings of offshore plants and high value-added vessels, such as FPSO, drillship, are much more than outfittings of general
ships. So the complexity of the outfittings i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outfittings has also increased. But, there is no clear
method to define the installation sequence of outfittings, ye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lgorithm to define the installation
sequence of outfittings by applying variables and constraints related to outfitting, such as process parameters, weighting
coefficients, installation constraints. Also, we developed the application that applied the algorithm and compared cases by
changing the weighting coefficients of process parameters. We verified the practicality of the algorithm by developing th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the accuracy of the outfitting planning is improved and efficient lead time can be
predicted by defining the installation sequence of outfittings.

Keywords : Outfitting(의장재), Installation sequence(설치순서), Planning(계획)

1. 서 론 에서 보면, 해양플랜트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설비들의 사양이 높


아짐에 따라 설계 기술의 부족으로 인한 설계 변경이 빈번하게 발
생하였다. 잦은 설계 변경은 변경되는 자재로 인한 비용 상승과 생
1.1 연구 배경 산 일정 지연 및 막대한 페널티 비용 발생이라는 결과를 야기하였
으며, 이로 인해 전체 건조 비용이 증가하였다. 두 번째로 생산의
해양플랜트 수요는 2000년대부터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으 관점에서 보면, 해양플랜트의 생산 공정은 국내 조선소에서 기존
며, 2010년대에 들어서는 천연가스, 원유 등과 같은 육상 자원이 에 주로 건조하던 일반 상선과 비교하여 규모, 작업 물량, 작업환
점차 고갈됨에 따라 자원의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심해 매장 경 등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다. 기존에 건조하던 일반 상선은 해양
자원 및 해양 에너지의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해양플랜트 시 플랜트에 비해 설치해야 하는 의장재의 수가 비교적 적고 의장재
장의 규모는 더욱더 빠른 속도로 확대되었다. 또한 2010년대에 들 간의 관계가 단순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상선은
어서는 국내 조선소들이 유가 하락, 중국 조선 산업의 성장 등의 비교적으로 선행 작업이 많고, 후행 작업이 적은 특징이 있다. 또
대내·외적인 원인으로 인해 상선 수주에서 부진을 면치 못 하고 있 한 후행 작업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후행 작업에 대한 명확한 계
는 상황이었다. 국내 조선소들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획 뿐만 아니라 의장재 설치 순서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이루어지
새로운 분야인 해양플랜트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고, 비교적 지 않았다. 반면에 해양플랜트는 일반 상선에 비해 설치되는 의장
짧은 기간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해양플랜트의 복 재의 수가 많고 제한된 공간에 많은 수의 의장재를 설치해야 하기
잡한 생산 공정을 고려하지 못하여 수립한 계획과 동일하게 생산 때문에 의장재 간의 관계도 복잡하다. 그렇기 때문에 해양플랜트
작업을 진행하지 못한 결과, 국내 조선소들은 2014년부터 2015년 는 비교적으로 선행 작업 보다는 후행 작업의 비율이 높은 특징이
까지 총 8조 5000억원 가량의 손실을 냈다(Kim, 2015). 있다 (Ham, et al., 2016). 하지만 현재 대부분 조선소에서는 복잡
이러한 해양플랜트로 인한 손실의 원인은 크게 설계와 생산의 한 의장재 간의 관계를 고려한 의장재 설치순서의 정의가 이루어지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KEEI, 2015). 첫 번째로 설계의 관점 지 않고 실무자의 경험과 주관에 따라 의장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Received : 6 January 2017 󰠛 Revised : 15 April 2017 󰠛 Accepted : 15 July 2017



Corresponding author : Jonghun,Woou, jonghun_woo@kmou.ac.kr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이로 인해 의장재 설치 작업에서 전반적으로 일정 지연이 발생하 2. 적용 개념과 이론


고, 특히 복잡한 의장재 간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후행 작업에서
많은 일정 지연이 발생함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손
2.1 공정변수(Process parameter)
실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im, et al., 2016).
본 연구에서는 생산 관점에서 일정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의장재 설치 순서를 정의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 공정변수란 공정의 최종 목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하
였다. 이 알고리즘에서는 설치되는 의장재의 속성정보 중에서 의 며, 본 연구에서는 의장재의 설치 순서 결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장재 설치 작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정보인 공정변수(process 의장재의 속성정보를 공정 변수라고 정의하였으며, 위치(position)
parameter)와 각 공정변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무게(weight) 정보, 크기(size) 정보를 공정 변수로 설정하였다.
계수인 가중치(weight), 의장재 설치 작업 시 설치 작업을 방해하 첫 번째 공정변수인 위치 정보는 각 의장재가 설치되는 위치의
는 조건인 설치제약조건(installation constraint)을 적용하여 의 좌표 정보를 의미한다. 의장재의 위치 정보를 통해 의장재 간의 기하
장재 설치 순서를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알 학적 관계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에 영향을 끼칠
고리즘을 적용하여 의장재의 설치 순서 결정을 할 수 있는지 검 수 있다. 의장재 설치 작업은 크레인을 사용하거나 Turn-over 기법을
증하기 위해서 의장재의 정보를 바탕으로 의장재 설치 순서에 대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주방향은 위에서 아래, 즉, Z축 하방향
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장재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면 아래 경계
하였다. 개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장재 설치순서, 의장재 관 면(bottom)에서 가까운 의장재부터 설치하는 것이 충분한 작업 공간
의 관계 등의 최종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본 알고리즘의 데이 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순위
터가 상세 의장 계획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해보았다. 결과적으로 (position ranking)를 결정할 때는 간섭 발생여부를 파악하고 간섭이
본 연구를 통해 의장재 설치 순서를 정의함으로써 비용과 시간 발생할 경우에는 Z축 좌표 값이 가장 작은 의장재, 즉, 아래 경계면을
측면에서 효율적인 의장 계획 및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수 있었다. 두 번째 공정변수인 무게 정보는 각 의장재의 중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해양플랜트의 의장 후행 작업은 해양플랜트를 안
벽에 계류시킨 후 데크(deck) 위에서 의장재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
1.2 선행 연구
다. 의장재를 설치할 때, 무거운 의장재일수록 후행 작업으로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고 무거운 의장재는 Crane같은 설비
일반적으로 상선의 경우에는 의장 작업이 복잡하지 않았고 의
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거운 의장재는 선행 작업으로
장 작업이 복잡한 해양플랜트의 경우에는 아직 시작하는 단계이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므로 무게순위(weight ranking)를
기 때문에 조선분야에서 의장재와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는 미흡
결정할 때는 무거운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한 상황이다. 또한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도 의장 계획을 위한 방
세 번째 공정변수인 크기 정보는 의장재의 직경, 길이정보를
법론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였으며, 실질적인 방법론 적용 및
바탕으로 계산한 의장재의 체적 정보를 의미한다. 의장재의 크기
Test까지 진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가 클수록 설치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고 설치 장소까지 이동할
Rose, et al. (2015)는 의장재 간의 제약 조건들과 설치 종료
때 충분한 경로를 확보해야 하는 등 제한되는 사항이 많다. 그러
일, 설치 작업자 수, 작업 준비 시간과 같은 변수를 설정하고 최
므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크기순위(size ranking)를 결정할
적의 해를 찾는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활용하
때는 크기가 큰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여 제한된 리소스 내에서 최적의 상세 의장 계획을 생성하기 위
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는 작업자, 작업 공간 등과 같이
리소스가 제한적인 특징을 지닌 조선 산업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2.2 가중치(Weighting coefficient)
방법론을 정의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
지만 설치 종료일과 같은 변수는 1차 계획이 먼저 수립되어야 한 가중치는 2.1절에서 설정한 각 공정변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다는 점과 기준 이상의 큰 의장재나 기준 이하의 작은 의장재는 판단하기 위해서 정의한 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분석 방
계획 대상에서 제외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법론 중 하나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
그리고 의장재 설치순서가 아닌 선박의 블록 탑재 및 조립순 여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서와 관련된 연구로는 Hong, et al. (1997)의 조선 공정계획에서 AHP기법이란 의사 결정의 목표나 평가 기준이 복합적이거나
의 탑재 순서 생성과 관련된 연구가 있었고, Seo, et al. (2015) 다수일 경우에 다양한 대안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
의 용접 변형을 고려한 선박 및 플랜트 생산의 조립순서 계획 최 하는 의사 결정 지원 기법 중 하나로써, 계층화 분석법이라고도
적화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두 연구 모두 블록의 탑재 및 조립 한다 (Yan & Nienhuis, 2012). 이 기법은 각 대안의 가시적인 비
과 관련된 연구로써 계획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지만 의장재 교가 어렵거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의사소통이 어려울 경우
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블록에 관한 연구로 의장 계획에 적용하 에 다양한 대안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기는 어려운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있다. 하지만 이 기법은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될 수 없기 때문에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69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을 때 효과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 예를 들어 아래 수식 (2)를 보면 3개의 요소 e1, e2, e3에 대한
을 수 있다. 간섭매트릭스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e3가 e2와 간섭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1행과 2행의 값이 모두 0이기
Table 1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importance 때문에 e1과 e2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으므로, 1행
Value Level of importance 과 1열, 2행과 2열의 값을 수식 (3)과 같이 모두 삭제하고 e1과 e2
1 Equally important 에 1순위를 부여한다. 그리고 수식 (3)의 3행의 값도 0만 존재하
3 Slightly more important 기 때문에 3행과 3열의 값을 삭제하고 e3에 2순위를 부여한다. 결
5 Strongly more important 과적으로 수식 (4)와 같이 행렬 내부의 값이 모두 null이 된다면
7 Very Strongly more important 모든 요소의 순위가 계산되었으므로, 계산을 종료하게 된다.
9 Extremely more important

분석하는 방법은 먼저 문제를 정의하고 목표 설정을 완료한


후, 복잡한 문제를 계층화한다. 그리고 계층 구조를 구성하고 있
는 각 대안들을 Table 1의 AHP 9점 척도를 통해 두 개씩 쌍대비 (2)
교(paired comparison)하고 쌍대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하평
균, N승근, 구성비를 계산함으로써 각 대안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각 대안의 상대적인 중요도의 합은 100%
를 기준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3)
2.3 간섭매트릭스(Interference Matrix)

간섭매트릭스는 조립품의 분해 방법 중 하나로, 제품에 대한


조립 및 설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 기법 중 하나이
다 (Yan & Nienhuis, 2012). 먼저 기준이 되는 하나의 요소가 임 (4)
의의 방향 k(+/-)로 분리될 때 모든 요소와 쌍대 비교하여 간섭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 간섭 발생 여부 파악
본 연구에서는 모든 의장재의 위치 정보와 직선 방정식을 활
결과를 통해 요소들 간의 선·후행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용하여 간섭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결과를 통해 간섭매트릭스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서 각 요소들의
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위치순위(position ranking)를
간섭 발생 여부를 검사한 결과를 행렬로 표현할 수 있으며, 행렬
계산하였다.
로 표현된 간섭매트릭스는 행렬식으로 표현된 아래의 수식 (1)과
같다. 행렬의 열에는 기준이 되는 요소를, 행에는 비교할 요소를
2.4 설치제약조건(Installation constraint)
동일한 순으로 나열한다. 그리고 열의 요소를 기준으로 행의 요소
들과 쌍대 비교했을 때, 간섭이 발생하면 행과 열이 교차하는 aij의
설치제약조건은 의장재 설치 시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추
값은 1이 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aij값은 0이 된다. 따라서
가적인 작업을 발생시키는 등의 작업을 방해하는 조건들을 의미
같은 요소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주대각
한다 (Rose, et al., 2015). 본 연구에서는 의장재 간의 관계를
선의 모든 값은 0이 된다. 그리고 기준 행의 값이 모두 0일 경우에
고려하여 효율적인 의장재 설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2개의 설
는 기준 요소는 다른 요소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현재
치제약조건을 설정하였다.
설치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첫 번째 설치제약조건은 무충돌 제약조건(constraint of
간섭에 따른 설치 순서를 계산할 수 있다.
collision free)으로 이미 설치된 의장재는 이후의 의장재 설
치 작업을 할 때 제거되거나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제약조건은 위치순위를 결정할 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의장재의 설치는 아
래 경계면(bottom)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아래
경계면을 기준으로 간섭 발생 여부를 파악하였을 때 간섭이
발생한다면 재작업 및 추가 작업 발생 등으로 인해 작업 효
(1) 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의장재 간의 간섭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의장재에 우선

37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순위를 부여하여 설치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Fig. 1을 예로 연결되는 의장재와의 정렬 작업 뿐만 아니라 격벽과의 고정 작업
들면, 2번과 3번 의장재가 먼저 설치된 후 1번 설비가 설치 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설치 순서보다 먼저 설
된다면 1번 설비의 설치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번과 3번 의장재가 1번 설비와의 추가적인 정렬작업이나
재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1번 설비를 먼저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무충돌 제약조건은 충분한 작업 공간 확보
3. 알고리즘 개발
및 작업 효율을 위한 안전 작업 거리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
으로 의장재 설치 작업의 동시 실행 가능 여부와 의장재 간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한 데이터를
의 선·후행 관계를 결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토대로 원하는 결과물을 유도하기 위한 규칙의 집합이다. 본 연
두 번째 설치제약조건인 연속성 제약조건(constraint of 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2장에서 설정한 공정변수와 가중치,
continuity)은 의장재는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 제약조건들을 적용하여 의장재 설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목
라는 것을 의미한다. 의장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이미 적으로 하며, Input으로 설치할 의장재에 대한 속성정보의 집합
설치된 두 의장재 사이에 의장재를 설치한다면 추가적인 정렬 작 을 사용하고 Output으로 의장재의 최종 설치 순서가 포함된 데
업이 필요하거나 이미 설치된 의장재를 제거한 후 설치 작업을 이터를 출력한다.
진행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Fig. 2를 예로 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위의 Fig. 3과 같은 순서도로
면, 1→2→3→4 순으로 설치하거나 4→3→2→1 순으로 설치하 표현할 수 있으며 무게순위, 크기순위, 위치순위, 연속성순위의 계산
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Fig. 2의 1번과 4 을 바탕으로 의장재의 최종 설치순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번 의장재와 같이 격벽(bulkhead)을 통과하는 의장재는 양쪽에

Fig. 1 Constraint of interference

Fig. 2 Constraint of continuity Fig. 3 Flowchart of algorithm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71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3.1 의장재 데이터 선택과 가중치 설정 문에 ‘Pipe_1’에 간섭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기준 의장재의 Z축 좌표가 비교 의장재의 Z축 좌표보다 클 경우
이 단계에서는 설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의장재의 속성정보 에는 간섭이 발생한다고 파악하게 되고, 이 간섭 발생 여부 파악
가 포함되어 있는 Input data를 가지고 온다. 이 의장재의 속성정 결과를 바탕으로 간섭매트릭스를 작성한다. 간섭매트릭스의 값은
보에는 의장재명, 3차원 좌표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관통 기준 의장재가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는 “1”, 간섭이 발생하지 않
(penetration) 여부, 형상 정보 등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 을 경우에는 “0”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기준 행과 열의 값이 모두
다. 그리고 AHP기법의 9점 척도를 통해 Fig. 4와 같이 각 공정변수 “0”일 경우에는 기준 의장재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를 쌍대 비교하고 계산함으로써 3개의 공정변수(위치 정보, 무게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행에 대한 의장재의 위치순위를 부여하고
정보, 크기 정보)의 상대적인 중요도인 가중치를 설정한다. 해당 행과 열의 값을 모두 삭제해주는 이벤트를 반복 수행하여 1
차 위치순위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 과정은 아래의 Fig. 6의
Pseudo-code로 간략히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성 제약조
건에 따라 격벽을 관통하는 의장재는 먼저 설치되는 것이 효율적
이기 때문에, 격벽을 관통하는 의장재는 1차로 계산한 위치순위에
서 0.5를 빼준 순위를 부여하여 최종 위치순위를 계산한다. 0.5를
빼주는 이유는 선행으로 설치해야 하는 의장재 보다는 나중에 설
치하고 동순위의 의장재 보다는 먼저 설치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
어 격벽을 관통하는 의장재 A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고 기존 위치
순위가 2위였다면, 최종적인 위치순위는 1.5위가 되는 것이다.

Fig. 4 Paired Comparison of process parameters

3.2 무게순위와 크기순위 계산

이 단계에서는 2개의 공정변수, 무게와 크기에 대한 순위를


계산한다. 무게가 무거운 의장재일수록 작업공간 확보와 리소스
사용 측면에서 먼저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무게가 무
거운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무게순위를 계산한다. 그리
고 크기가 큰 의장재일수록 작업공간과 이동경로 확보 측면에서 Fig. 5 Orthogonal projection on X-Y plane
먼저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크기가 큰 의장재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크기순위를 계산한다.

3.3 위치순위 계산

의장재의 위치순위를 계산하기 위해서 X-Y평면 정사영과 직


선의 방정식, 간섭매트릭스를 사용하였다. 2차원 평면 상에서 의
장재 간의 간섭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의장재를 형상을 고려하여
Fig. 6 Pseudo-code for calculating position ranking
n개의 직선으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예를 들어 I형의 의장재는 1
개의 직선, T형과 L형의 의장재는 2개의 직선으로 구분하여 인식
한다. 그리고 의장재의 주설치 방향이 Z축 방향이기 때문에 모든 3.4 연속성순위 계산
의장재를 Fig. 5과 같이 X-Y평면 상에 정사영을 시킨다. 그리고
의장재로 가정한 각 선분의 양 끝점의 2차원 좌표 정보(X, Y)를 의장재 설치 작업을 Fig. 2와 같이 연속적으로 진행하지 않을
직선의 방정식에 적용하여 두 의장재의 교차점이 존재하는지 확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렬 작업이나 고정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
인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며, 교차점이 존재할 경우에는 Z축 좌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의장재 설치 작업은 연속적으로
표 정보를 통해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Fig. 5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Pipe_1’과 ‘Pipe_2’를 정사영 시켰을 때 교점이 발생하므로, 두 먼저 의장재의 속성정보들 중 의장재명을 통해 의장재의 종류
의장재의 교점에서의 Z축 좌표를 비교해보면 ‘Pipe_1’이 크기 때 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의장재명을 통해 의장재 별로 데이터를

37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분류한다. 그리고 각 의장재 종류 별로 관통 의장재가 있는지 확 4. 어플리케이션 개발


인하고 공정변수와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장 먼저 설치될 의장재
를 결정한다. 다음으로는 각 의장재 종류 별로 가장 먼저 설치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의장재의 좌표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하여 의장재 설치순서를 결정해봄으로써, 알고리즘을 통해 실제
부여하여 연속성순위를 계산한다. 설치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지, 알고리즘의 실용성을 검증해보고
자 하였다.
3.5 최종설치순위 계산
4.1 의장재 데이터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설정한 각 공정변수의 순위와 가중치를
아래의 수식 (5)로 표현된 합산식에 적용하여 각 의장재의 최종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에는 의장재명,
점수를 계산한다. 각 의장재의 최종 점수를 비교하여, 최종 점수 좌표정보, 크기정보, 무게정보, Cycle time, 관통 여부 등의 의장
가 가장 낮은 의장재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최종설치순위 재와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임의의 의장재 모델을
를 계산할 수 있다. Auto-CAD를 통해 모델링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의장재 모델

은 총 3개의 격실에 115개의 의장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장재
Score =  (Parameter ranking i X Weighting coeff i)
 
의 무게, 길이, 직경 등의 정보를 통해 임의의 Cycle time을 부여
하였다.
(n = Number of process parameter) (5)

다음으로 무충돌 제약조건과 연속성 제약조건을 적용하여 각 의


4.2 어플리케이션 구성
장재의 선행 설치 의장재를 결정한다. 무충돌 제약조건에서는 충분
어플리케이션은 Fig. 7과 같이 총 5개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한 작업 공간 확보와 작업 효율을 위해서 적절한 안전 작업 거리를
있다. 첫 번째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의장재 속성정보가 포함된
설정하고 안전 작업 거리와 최종 설치순위를 바탕으로 의장작업의
동시 실행 가능 여부 및 선·후행 관계를 명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Input data를 선택하고 가중치를 설정한다. 두 번째 화면에서는
연속성 제약조건에서는 각 의장재는 자신과 동일한 종류의 의장재 무게순위와 크기순위가 계산된 것과 연속성순위가 계산된 것을
중에서 연속성순위가 한 단계 위인 의장재가 먼저 설치되는 것이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화면에서는 의장재 간의 간섭 발생 여
효율적이기 때문에 연속성순위와 최종 설치순위를 바탕으로 동시 부 파악 결과를 바탕으로 간섭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
작업 가능 여부와 의장재 간의 선·후행 관계를 명시할 수 있다. 로 위치순위를 계산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네 번째 화면에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Output data에는 의장재명, 최종 설치순 서는 각 의장재에 최종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설
위, Cycle time, 선행 설치 의장재 정보와 의장재의 기본적인 속 치순위를 계산한 결과와 각 의장재의 선행 설치 의장재에 대한
성정보인 관통 여부, 무게 정보, 크기 정보, 위치 정보가 포함되 데이터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 번째 화면에서는 최
어 있다. 종 Output data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Composition of application function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73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4.3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우측의 계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다섯 번째 화면에서 Table


2와 같이 최종 Output data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Fig. 8과 같이 첫 번째 화면에서 의장 사용자가 최종 설치 순서를 결정하는 계산 과정을 확인하고 싶은
재의 속성정보가 포함된 Input data를 선택하고 각 공정변수를 경우에는 두 번째에서 네 번째 화면에서 각 단계를 확인할 수
쌍대 비교한 값을 입력하여 각 공정변수의 가중치 설정을 완료한 있다.

Fig. 8 User input page (1 page)

Table 2 Output data for outfitting installation sequence (5 page)


Outfitting Weight Size Final Cycle time
No. Penetration Pre-work
name [kg] [m3] ranking [Day]
1 H_20_A_1 43 120 12 10 H_20_A_2,H_20_A_3
2 H_20_A_2 43 120 10 10 P_30_A_2,H_20_A_6
3 H_20_A_3 63 170 11 11 H_20_A_2
4 H_20_A_4 63 170 93 11 H_20_A_5
5 H_20_A_5 43 120 92 10 P_30_A_4,H_20_C_13
6 H_20_A_6 O 30 100 2 11
7 H_20_B_1 60 120 61 10 P_5_B_2,H_20_C_11
8 H_20_B_2 43 120 62 10 H_20_B_1
9 H_20_B_3 20 50 29 9 P_20_B_4,H_20_A_1
10 H_20_B_4 40 85 111 9 P_10_B_11,H_20_C_12
11 H_20_B_5 63 170 95 11 H_20_B_7
12 H_20_B_6 20 50 30 9 P_30_C_1,H_20_B_3
13 H_20_B_7 60 120 94 10 P_5_B_8,H_20_A_4
14 H_20_C_1 O 33 95 31 10 H_20_B_6
… … … … … … … …

37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5. 가중치에 따른 결과 비교 Table 5 Case 3(Size>Weight>Position)

Geometric   Weighting
Position Size Weight
mean
 coeff.
본 연구에서는 각 공정변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해
서 가중치를 설정할 때 AHP기법을 사용하였다. AHP기법은 전문가 Position 1 1/7 1/3 1/21 0.36 0.08
및 실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될 수 없는 방법이기 때문에 Size 7 1 5 35 3.27 0.73
리소스, 작업환경, 작업자의 능력 등의 설치 작업에 대한 다양한
Weight 3 1/5 1 3/5 0.84 0.19
조건에 따라 각 공정변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
므로 각 공정변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했을 때 의장재의 최종 Sum 1

설치 순서가 어떻게 변경되어 출력되는지 확인해 보았다.


5.2 케이스 비교/분석
5.1 케이스 분류
각 케이스 별로 설정한 가중치를 통해 계산한 의장재의 최종
먼저 공정변수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 설치순위는 Table 6과 같이 출력된다. 모든 케이스가 같은 의장
정하여 케이스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케이스는 위치>무 재 정보를 입력하여 최종 설치 순서를 계산하였지만 각 공정변수
게>크기 순으로 각 공정변수가 중요하다고 가정한 케이스로, 간섭 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함에 따라 최종 설치 순서가 변경되는
발생이 의장재 설치작업의 효율을 가장 많이 저하시킨다고 판단될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이다. 첫 번째 케이스의 가중치를 가시적인 비교를 위해 Fig. 9와 같이 간섭이 발생하는 3개의
계산한 결과 Table 3과 같이 위치의 가중치는 0.73, 무게의 가중치 의장재를 Case1과 Case2에 적용하여 Table 7과 같이 최종 설치
는 0.19, 크기의 가중치는 0.08로 설정하였다. 두 번째 케이스는 순위를 계산하고 이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먼저 위치>무게>크기
무게>크기>위치 순으로 각 공정변수가 중요하다고 가정한 케이스 순으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한 Case1은 Table 7과 같이 위치순위
로, Crane과 같은 설비의 사용이 제한적일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가 가장 낮은 순서인 ‘P_5_C_10’, ‘P_10_C_5’, ‘P_5_C_3’ 순으
케이스이다. 두 번째 케이스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 Table 4와 같 로 최종 설치 순서가 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게>
이 무게의 가중치는 0.73, 크기의 가중치는 0.19, 위치의 가중치는
0.08로 설정하였다. 세 번째 케이스는 크기>무게>위치 순으로 각 Table 6 Final installation ranking by case
공정변수가 중요하다고 가정한 케이스로, 설치 장소까지의 의장재
이동경로 확보가 중요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이다. 세 번째 Outfitting
Case1 Case2 Case3
name
케이스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 Table 5와 같이 크기의 가중치는
0.73, 무게의 가중치는 0.19, 위치의 가중치는 0.08로 설정하였다. H_20_A_1 22 24 36
H_20_A_2 22 24 36
Table 3 Case 1(Position>Weight>Size)
H_20_A_3 4 6 3
Geometric   Weighting H_20_A_4 9 8 5
Position Size Weight
mean
 coeff.
H_20_A_5 30 30 44
Position 1 7 5 35 3.27 0.73
H_20_A_6 43 39 72
Size 1/7 1 1/3 1/21 0.36 0.08
H_20_B_1 21 18 30
Weight 1/5 3 1 3/5 0.84 0.19
H_20_B_2 26 27 41
Sum 1
H_20_B_3 68 61 95
H_20_B_4 55 38 79
Table 4 Case 2(Weight>Size>Position) H_20_B_5 9 8 5
H_20_B_6 68 61 95
Geometric   Weighting
Position Size Weight
mean
 coeff. H_20_B_7 25 19 31
Position 1 1/3 1/7 1/21 0.36 0.08 H_20_C_1 46 41 74
Size 3 1 1/5 3/5 0.84 0.19 H_20_C_10 68 61 95
Weight 7 5 1 35 3.27 0.73 H_20_C_11 51 51 86

Sum 1 … … … …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75


의장재 설치 순서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장재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와 조건을 적용한 알
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의장재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의장재 설
치 순서를 명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알고리즘
을 통해 실제 설치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알고리즘의 실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알고리즘
을 통해 출력되는 최종데이터가 상세 의장 계획에 적용할 수 있
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크게 3가지의 한계점이 있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알고리즘의 개발 단계로써 115개의 의장재로 구성된 임
의의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가 실선에
비해 많이 적으며 의장재 간의 복잡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Fig. 9 Unit model for comparison between cases
따라서 실 데이터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로 원형의 형태인 의장재의 설치순서만을 고려했기
Table 7 Final installation ranking of unit model
때문에 기계나 다른 형태의 의장재는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
Outfitting Position Weight Size 이 있다. 세 번째로 HR(Human Resource)나 T/P(Trans Porter),
Case1 Case2
name ranking ranking ranking Crane과 같은 리소스에 대한 제약조건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
P_5_C_3 5 80 25 85 84 에 실제 상세 의장 계획과 같은 효율적인 리드타임 예측은 어렵
P_10_C_5 3 64 58 78 74 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 계획으로는 더 많은 수의 의장재가 포함된 모델을
P_5_C_10 2 80 25 73 78
사용함으로써 알고리즘 검증을 확장해 보고자 하고, 간섭 체크
방법을 면적을 고려한 정사영을 통해 확장함으로써 간섭의 정확
크기>위치 순으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한 Case2는 무게순위가 가장 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의장재를 고려해보고자 한다. 또
낮은 ‘P_10_C_5’가 가장 먼저 설치되고 ‘P_5_C_3’와 ‘P_5_C_10’은 한 각종 리소스가 제한적인 조선 산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리소스
무게순위와 크기순위가 같기 때문에 위치순위가 낮은 ‘P_5_C_10’ 제약조건을 시뮬레이션 실행 시 적용함으로써 상세 의장 계획 수
이 먼저 설치되어 ‘P_10_C_5’, ‘P_5_C_10’, ‘P_5_C_3’ 순으로 최 립 및 효율적인 리드타임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 설치 순서가 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작업환경과 가용 리소스, 작업자의 능력 등의 설
후기
치 작업에 대한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함으
로써 적절한 의장재의 최종 설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중소형조선
확인할 수 있었다.
소 시뮬레이션기반 생산관리 시스템 개발" 과제 (과제번호:
10050495)와 미래창조과학부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6. 결 론 기술개발사업의 “공정 예측 모델을 활용한 의장 조달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 결과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의장재 간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하여 의장재
설치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에는 References
AHP기법, 간섭매트릭스를 활용하였고 공정변수, 가중치, 설치제
약조건을 적용하였다. 알고리즘의 Input data에는 의장재명, 좌 Ham, D.K. Back, M.G. Park, J.G. & Woo, J.H., 2016.
표정보, 무게정보, 크기정보, Cycle time, 관통여부 등의 정보가 A study of piping leadtime forecast in offshore
있으며, Output data에는 의장재명, 최종설치순위, 선행 작업 의 plants outfittings procurement management. Journal
장재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어플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53(1),
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의장재 설치순서를 결정해봄으로써 알고리 pp.29-36.
즘의 실용성을 검증해보았다. 그리고 각 공정변수의 가중치를 다 Hong, Y.G. Jung, E.K. Jeon, J. & Kim, S.Y., 1997.
르게 설정하여 의장재 설치순서를 결정해봄으로써, 각 조선소의 Generation of erection sequence In shipbuilding
각종 리소스 및 작업 환경에 따라 공정변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process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설정함으로써 의장재 설치순서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Industrial Engineers, 10(1), pp.189-207.

37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Kim, J.H. Lee, Y.G. Lim, H.K. & Woo, J.H., 2016. A Seo, J.Y., 2015. Assembly sequence planning for ship
study on the methodology in assembly sequence for and offshore structures considering welding
offshore plant topside 2016 Spring
spool. distortion. Master’s Thesis. Korea Advanced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ngineers, Jeju, Korea, 13-14 April 2016, Yan, W. & Nienhuis, U., 2012. Automatic generation
pp.535-540. of assembly sequence for the planning of outfitting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2015. A processes in shipbuilding. Journal of Ship
proposal for offshore plant of Korea resource Production and Design, 28(2), pp.49-59.
development. Korea: KEEI.
Kim, S.S., 2015. The three heavy industries operating
loss sharply. [Online] (Updated 2 June 2015) Available
at: http://www.monthlymaritimekorea.com/news/articl
eView.html?idxno=16199 [Accessed 2 June 2015].
Rose, C. Coenen, J. & Hopman, H., 2015. Definition
of ship outfitting as a resource availability cost
problem and development of a heuristic solution.
Journal of Ship Production and Design, 32(3), pp.
최재호 김지혜 우종훈
154-165.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77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378-386,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378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조윤식1,2,† ․ 백점기2,3,4
국방과학연구소1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2
부산대학교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3
런던대학교 기계공학과4

Optimal Design of Submarine Pressure Hull Structures Using Genetic


Algorithm
Yoon Sik Cho1,2,† ․ Jeom Kee Paik2,3,4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1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2
The Korea Ship and Offshore Research Institute (The Lloyd's Register Foundation Research Centre of Excellenc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3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University College London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paper, a method is presented for the optimal design of submarine pressure hull structures by taking advantage of genetic
algorithm techniques. The objective functions and design constraints in the process of structural optimization are based on the
ultimate limit states of hull structures. One of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genetic algorithm is that the
optimization process can be completed within short generations of design variables for the pressure hull structure model. Applied
examples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for the optimal design of submarine pressure hull structures. Details of the
design procedure with applied examples are documented. The conclusions and insigh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Keywords : Pressure hull structure(압력선체구조), Optimal design(최적설계), Genetic algorithm(유전알고리즘), Objective function(목
적함수)

1. 서 론 선체 구조설계는 붕괴심도(collapse depth)에서의 외부수압의 작


용에 의해 압력선체 구조부재에 발생될 수 있는 붕괴양식(failure
잠수함 압력선체구조(pressure hull structure)는 잠수함의 생 mode)에 따라 구조강도를 평가한다.
존과 운용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심해의 외부압력을 받 잠수함을 자체적으로 설계·제작 보유하고 있는 기술선진 국가
으며 요구강도를 충족시켜야 하고 최소중량을 유지하며 대기압 들은 이러한 압력선체 붕괴양식에 따른 압력선체 강도계산 방법
상태의 밀폐된 최대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잠수함의 선체구조 을 독자적으로 정립하여 압력선체 구조설계에 활용하고 있다. 국
중에서 압력선체가 가중 중요한 부분이며, 압력선체구조는 외부 내에서도 설계규정 및 절차 연구가 수행되었고 (Cho, 2006), 최
압력에 대한 충분한 내압강도를 확보해야 한다. 근에 잠수함 구조설계와 건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잠수함 설계·
잠수함의 압력선체구조는 보통 원환보강 원통형 또는 원추형 건조 기준서를 개발하여 제정하였다 (ROKN, 2016).
셸 구조(ring-stiffened cylindrical/conical shell structure)와 끝 압력선체 구조부재 설계변수는 외판(shell) 두께, 원환늑골
막이 격벽(end bulkhead)으로서 반구형 또는 타원형 셸 구조 (ring frame) 간격, 원환늑골 웨브 및 플랜지 크기, 대형늑골(king
(hemi-spherical/tori-spherical shell structure)로 구성된다. 압력 frame) 웨브 및 플랜지 크기 등이며, 설계변수들을 다양하게 변

Received : 30 May 2017 󰠛 Revised : 18 July 2017 󰠛 Accepted : 27 July 2017



Corresponding author : Yoon Sik Cho, yscho@add.re.kr
조윤식․ 백점기

화시키며 요구되는 강도를 충족시키도록 구조부재의 크기를 결 여기서,  는 외판의 처짐,  는 외판중앙으로부터의 거리,  는
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잠수함 압력선체 구조설계를 위해 설계지 외판 강성,  는 외부 압력,  은 원통 반경,  는 재료탄성계수, 
침서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압력선체 붕괴양식에 따른 강도계 는 외판두께,  는 재료 포아송비이다. 위 식으로부터 외판 처짐량
산식의 이해와 적용방법을 숙지하고, 과거 설계자료와 초기 설계 을 구하고 외판 중앙부(ⓐ, ⓑ) 및 늑골 인접부(ⓒ, ⓓ)에 발생하는
시작점을 선택하기 위한 지침을 적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설계 막응력 및 굽힘응력을 고려한 길이방향 응력( ) 및 원주방향의
방식은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여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 응력(  )의 조합으로 외판응력(  )을 계산한다 (ROKN, 2016).
설계점을 탐색하는 방식이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설계변수
선택의 폭이 넓어 설계자의 경험이 많이 매우 중요하며 설계 완   
        ․   (2)
성도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선체 구조설계를 위해 최근에 제정된 함정
2.2 외판 좌굴강도 계산
설계·건조 기준서에 따라 압력선체 최종강도 계산식을 사용하여
강도계산을 수행하며, 최적의 압력선체 설계결과를 도출할 수 있 원환늑골 사이에서 발생하는 외판 좌굴은 비대칭 좌굴모드
는 방법으로서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화 방법으로 많이 사 (lobar mode)와 축대칭 좌굴모드(axisymmetric mode)로 구분하
용되는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적용한다. 압력선체 고, 재료의 탄소성 영역을 고려하여 강도계산을 수행한다.
구조설계를 위해 유전알고리즘의 유전자를 압력선체 설계에 적 외판 비대칭 좌굴에 대한 탄소성영역에서의 좌굴압력은 다음
합하도록 적용하고 그 유용성과, 압력선체 설계변수에 대한 설계 과 같이 구한다 (Reynolds, 1960).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   
2. 압력선체 구조 강도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3)

잠수함 압력선체 구조는 높은 외부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주 여기서,   은 임계탄소성좌굴압력, 


 은 탄성좌굴압력, 

로 원통형 외판(shell)과 이를 지지하는 원환늑골(ring frame) 및 는 재료의 소성 포아송비,  는 tangent modulus,  는


격벽 등의 구조부재로 구성된다. 구조부재의 배치 및 크기에 따 secant modulus, Φ는 원통 반경  , 외판 두께  , 늑골사이 외
라 압력선체는 외판 항복(shell yielding), 외판 비대칭/축대칭 좌 판 길이  로 주어지는 값(=     )이다. 압력선체 제작
굴(shell axisymmetric/lobar buckling), 전체좌굴(general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기처짐과 용접 잔류응력 등의 초기결
instability), 보강 원환늑골 좌굴(ring frame tripping), 끝막이 격 함(Initial imperfection)의 영향을 고려한 감쇄계수(reduction
벽 좌굴(shell buckling of end bulkhead) 등으로 붕괴된다. factor)  를 도입하여 최종적인 외판 좌굴압력(exp
 )은 다음 식

으로 산출한다.
2.1 외판 응력 계산
exp
   ․  (4)
균일한 외부압력을 받는 외판의 처짐 식은 원통 길이방향 압
축과 굽힘으로 발생되는 효과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외판 축대칭 좌굴에 대한 탄소성영역에서의 좌굴압력은 다음
있다 (Pulos & Salerno, 1961). 과 같이 구한다 (Lunchick, 196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여기서,  와  는 재료의 응력상태에 따라 재료의 secant


modulus와 tangent modulus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최종적인
외판 축대칭 좌굴압력은 외판 비대칭 좌굴과 마찬가지로 감쇄계
수를 도입하여 식 (4)으로 구한다.

2.3 전체좌굴 강도 계산

압력선체 한 개의 구획 전체가 붕괴하는 전체좌굴 압력  은


Fig. 1 Pressure hull diagram 다음 식으로 구하게 된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79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  인하여 허용될 수 있는 경사각(allowable pretilting angle)을 계산


       (6)
   하여 검토한다. 원환늑골 초기결함 중에서 경사각  만을 고려하
여 산출한 응력을 식(8)으로 구하고, 이 응력은 항복응력을 넘지
여기서,  은 원환늑골이 담당하는 좌굴압력,  은 외판이 담 않아야 하므로 최대응력을 항복응력으로 했을 때 최대 경사각 
를 구한다.
당하는 좌굴압력,  는 대형늑골이 담당하는 좌굴압력,  는 구
획의 양단 경계에 있는 격벽이 담당하는 좌굴압력이고,  은 원주
2.5 끝막이 격벽 좌굴강도 계산
방향 좌굴모드의 파장 수이다. 전체좌굴 압력은 구획의 경계조건
에 따라 식 (6)를 변형시켜 구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구획 길이에
압력선체 끝막이 격벽(End bulkhead)의 좌굴압력 계산은 구
따라 좌굴식의 변수 값을 구하여 좌굴압력 계산식에 적용한다.
형 외판(spherical shell)에 대한 국부적인 좌굴을 고려하여 수행
전체좌굴에서의 강도계산 평가는 전체좌굴 모드에 따라 원주
한다. 국부 곡률반경  의 구형 외판에 대한 탄소성좌굴 압력
방향에서 원환늑골에 발생하는 굽힘응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
는 진원도(out-of-roundness) 크기를 다음 식으로 산출하여 검  은 다음 식과 같다.
토한다 (ROKN, 2016).

    
    (9)
     

   (7)
   
      
    여기서,  는 외판 두께이다. 최종적인 끝막이 격벽의 좌굴압력은
외판 좌굴과 마찬가지로 감쇄계수를 도입하여 식 (4)로 구한다.
여기서,   는 허용 진원도 크기,  는 재료의 항복응력,  끝막이 격벽좌굴에서의 강도계산 평가는 좌굴압력과, 다음 식
은 원환늑골 플랜지 끝단에서 발생하는 원주방향 응력,   은 으로 결정되는 허용 구형도(out-of-sphericity) 크기 를 검토
원환늑골 단면 중립축에서 플랜지 끝단까지의 거리, 는 원통 하여 수행한다 (ROKN, 2016).
중심에서 원환늑골 단면 중립축까지의 거리,  는 작용하는 외부
압력  은 좌굴 파수이다. 원환늑골에서 최대 허용되는 진원도   
∆         (10)
크기는 보통 원통 반경의 0.3~0.4%로 적용한다.   

2.4 원환늑골 좌굴강도 계산 여기서,  은 구형 외판의 공칭 반경이고,  는  


 
이다.
압력선체 원환늑골의 강도계산은 원환늑골의 국부좌굴(ring
frame tripping)로 인해 외판에 접하는 원환늑골 웨브 끝 부분 3. 압력선체 구조 최적화를 위한 정식화
(Fig. 1의 ⓒ)에 발생하는 응력을 산출하여 수행한다 (Kennard,
1966). 응력계산 시에 원환늑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기결함으
본 연구에서 압력선체 최적화를 위해 부피에 대한 중량비를
로서 원환늑골 웨브의 경사각(pretilting angle)으로 발생하는 응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함수로 하여 외판 두께, 원환늑골의 간격,
력  , 플랜지와 웨브 중심 간의 편차(eccentricity of flange)로
원환늑골의 크기(웨브 높이 및 두께, 플랜지 폭 및 두께), 대형늑
발생하는 응력  , 웨브 위치의 편차(out of plane)에 기인
골의 크기(웨브 높이 및 두께, 플랜지 폭 및 두께)를 설계변수로
하여 발생하는 응력  을 고려하여 원환늑골 응력을 다음 사용하였다.
식으로 나타낸다 (ROKN, 2016).
          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ubject to :  ≦  for shell yielding
여기서,  과  은 각각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 응력이고, ′  과  ≧  for lobar buckling
′  은 각각 원환늑골이 압력을 받을 때 반경방향 응력 및 원주방  ≧  for axisym. buckling
향 굽힘 응력이다.  ≧   for general instability
원환늑골 좌굴에서의 강도계산 평가는 원환늑골 국부좌굴로  ≧  for frame tripping

38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조윤식․ 백점기

여기서, 으며, 국부 최적화는 전역 최적화에 비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  : 압력선체 체적 V(X)에 대한 해를 도출할 수 있지만 초기 시작점에 따라 전역 최적해(global
중량 W(X) 비 optimum)가 아닌 국부 최적해(local optimum)에 도달할 가능성
 : 외판 응력 이 있다. 반면에 전역 최적화는 초기 시작점에 관계없이 올바른
 : 허용 응력 전역 최적 해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전역 최
 : 외판 비대칭좌굴 압력 적화 기법으로 적용하며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 : 외판 축대칭좌굴 압력
 : 허용 좌굴 압력 4.1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 진원도 크기
  : 허용 진원도 유전 알고리즘은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이론인 자연선택과 적
  : 허용 늑골 최대경사각 자생존 원리를 이용하여 진화와 도태 원리를 구현한 알고리즘으
로서 최근에 공학 분야에 다양하게 많이 적용되고 있다. 휴리스
압력선체 설계변수로 사용되는 부재치수는 생산가능한 제품의 틱 기반의 알고리즘들이 하나의 해를 운용하여 이웃한 해를 탐색
규격을 고려하여 경계제약조건으로 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 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유전 알고리즘은 다수의 개체로 구성된
으며, 설계영역은 상황에 따라 변화시켜 새로운 부재치수를 탐색 해 집단을 구성하여 해를 탐색하는 조합최적화 기법이다. 기존의
할 수 있다. 최적화 기법들은 경사도 벡터를 이용하여 경사도가 급하거나 다
수의 국부 최적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안정적이지 못하는 단점이

≤ 
  ,  = 1 ~ 10 (12) 있으나, 유전 알고리즘은 경사도 벡터를 사용하지 않고 목적함수
의 값만을 이용하여 확률론적으로 최적 해를 탐색함으로써 이러
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유전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무제약 최적화(unconstrained
유전 알고리즘의 세대(generation)는 특정한 순간의 해의 집단
optimization) 기법이나, 식 (11)과 (12)로 정식화된 문제는 제약
최적화 문제이다. 정식화된 문제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 을 의미하며 세대는 개체(individual)들의 집합, 즉 개체군
해서 벌점함수를 이용하여 다음 식과 같이 무제약 최적화 문제로 (population)으로 구성되며, 각 개체의 수를 개체군의 크기
변환하였다. (population size)라고 한다. 각 개체들은 해를 도출하기 위한 유
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개의 유전자(gene) 집합인 염색체
              (13) (chromosome)로 구성되며, 염색체에서 유전자가 있는 자리를
   
    유전자좌(locus)라 한다. 유전자좌는 염색체의 각 위치에 어떠한
     
 
 
    유전 정보가 결정되어 일반적으로 이진법의 문자열(string)로 표
          현된다. 각 개체들의 목적함수와 구속조건의 위반 정도에 따라

   


     개체들의 적합도(fitness)가 부여되는데, 적합도가 높은 개체일수
    록 다음 세대를 구성하는데 참여할 확률을 높게 하여 세대가 지

 
   날수록 전체 집단이 더 좋은 방향을 탐색하게 된다. 초기에 선정
된 개체들의 적합도가 우수한 개체들을 선택하여 다음 세대를 구
여기서    는 목적함수,  는 상수,    는 벌점함수(penalty 성하기 위한 부모(parents)가 되어 교배(crossover)를 통해 부모
function)이다. 의 유전자를 자손(offspring)에게 물려주며 일부 자손의 유전자는
위 최적화 문제에서 요구되는 강도(응력, 좌굴압력, 진원도 등) 돌연변이(mutation)를 통해 생성된다.
가 허용 강도보다 작은 경우는 목적함수에 참여시키지 않는다. 요 일반적인 유전알고리즘의 구현은 초기 세대의 구성으로부터
구되는 강도가 허용 강도보다 큰 경우에는 최소화 문제에서 벌점 시작된다. 무작위로 초기 세대가 구성되고 그 세대의 적합도를
함수의 벌점을 목적함수에 추가하게 되며 목적함수가 높은 값을 계산하여 우수하지 못한 개체는 도태시키고 최고의 적합도로 진
갖게 된다. 최소화 문제에서 벌점이 추가되면 목적함수를 근거로 화할 가능성이 있는 개체들을 선택(selection)하게 된다. 이렇게
평가하는 유전알고리즘의 적합도(fitness)는 반대로 낮은 값을 갖 선택된 개체들이 부모가 되어 교배(crossover)를 통해 자손에게
게 된다. 따라서 적합도가 낮은 개체는 새로운 개체의 생성에 참여 부모의 유전자를 물려주게 되고 일부 자손은 돌연변이(mutation)
할 수 있는 기회가 감소하고 다음 세대에서 생존 확률이 감소하므 를 통해 유전자의 다양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자손
로 해의 개선은 제약 조건을 위배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들이 다음 세대를 구성하는 개체가 되어 다시 적합도를 계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자손은 우수한 유전자를 물
4. 최적화 기법과 유전 알고리즘 려받아 적합도는 진화하게 된다. 각 단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선
택, 교배, 돌연변이를 실행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적절한 방법
최적화 기법은 전역 최적화와 국부 최적화로 크게 나뉠 수 있 으로 선택하여 효과적인 유전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81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4.2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micro-Genetic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합도


Algorithm) 함수를 최소화 문제로 식 (13)과 같이 목적함수를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유전알고리즘(simple genentic


algorithm)은 전역 최적해의 수렴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개체 수를
크게 하여 유전 인자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 전역 최적 해를
찾기 위해 다양한 유전정보의 확보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일반 유
전 알고리즘에서는 개체 수를 증가시킬수록 최적 해를 안정적으
로 구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로 인해 개체 수만큼 계산시간이 증
가하는 단점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oldberg (1989)는 일반 유전알고리즘 보다 작은 집단을 이용하
여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방법
을 기반으로 Krishnakumar (1989)는 매우 작은 집단을 운용하는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micro-GA)을 제안하였다.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은 일반 유전알고리즘보다 적은 개체
수로 탐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공칭수
렴(nominal convergence)과 난수에 의한 새로운 유전자 생성을
통하여 다음 세대를 구성하기 때문에 세대의 평균 적합도는 떨어
지지만 적은 개체 수로도 유전인자의 다양성을 확보하게 된다.
세대를 구성하는 개체의 단위가 작은 경우에는 일정세대를 거치
면서 개체들 간의 유전정보가 비슷해지게 된다. 마이크로 유전알
Fig. 2 Micro-genetic algorithm(μ-GA)
고리즘에서 선택과 교배 연산자를 통해 생성된 개체 집단을 최적
개체와 비교하여 그 상이함(difference)이 어느 수준 이하가 될
⑶ 평가된 적합도를 기초로 개체를 선택하고 교배 연산을 수
때까지 반복하여 개체를 선택하고 교배하는 단계를 공칭수렴이
행한다.
라고 한다. 비교 방법 및 상이함의 수준은 사용자가 임의대로 선
⑷ 교배 연산을 통해 생성된 개체 집단과 최적의 개체를 포함
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5% 이내를 사용한다. 또한 공칭수렴
하여 수렴성을 검토한다. 내부루프의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못하
단계에서 넘어온 1개의 최적 개체를 제외한 (n-1)개의 개체를 다
면 동일한 내부루프를 수행하고, 내부루프의 수렴조건을 만족하
시 임의로 선택하여 n개의 모집단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임의
면 외부루프의 종료조건을 검토한다. 외부루프의 종료조건을 만
로 개체를 재구성함으로써 일반 유전알고리즘의 돌연변이 연산
족하면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불만족하면 재시동을 하게 된다.
자 기능을 대신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유전자 알고리즘은 돌연변
⑸ 재시동 시에는 최적의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개체들을 랜
이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재시동(restart) 과정을 통해 새로운
덤함수를 이용하여 새롭게 구성한다. 최적의 개체는 지난 세대의
유전 정보의 다양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유전자
진화의 결과이며, 새롭게 생성되는 개체는 개체군에 새로운 형질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흐름도는 Fig. 2와 같다 (Carroll, 2002).
을 부여하여 다양한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한 압력선체 설계에서의
⑹ 정해진 기준(최대 세대수 등)이 만족될 때까지 위 과정을
최적화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개체군 크기 증가에 따른 계산
반복한다.
시간 감소를 위해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유전
알고리즘에 엘리트 개체를 선별하여 다음 세대에 좋은 개체를 유
지할 수 있도록 엘리트 보존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5. 압력선체 최적화
는 대상으로 하는 설계 변수를 세분화하여 사용하므로 각 설계
변수의 선택 영역이 넓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전알고리즘에 5.1 압력선체 최적화 결과
사용하는 이진스트링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길어진 이
진스트링을 효율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도록 일점 교배보다 탐색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대상으로 Fig. 3과 같이 원통형 압력선
성능이 우수한 균일 교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체 1개의 구획을 선정하였으며, 대상구획 양단에는 대형늑골이
유전알고리즘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인접한 구획과 경계를 이루며 지지하고 있다. 압력선체 반경(R)
⑴ n개의 초기 집단을 생성한다. 설계변수로 이루어진 이진스 은 5,000mm, 구획길이(  )는 20,000 mm, 인접한 구획 길이
트링에 랜덤함수를 이용하여 0과 1로 구성된 스트링을 생성한다. (  ,   )는 각각 15,000 mm로 고정하였다. 압력선체에 적
⑵ 개체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최적의 개체를 선택한다. 이때 용한 재료는 고항복강으로서 HY-100 강을 적용하였고, 항복강
적합도는 목적함수로부터 도출되며, 적합도가 큰 개체가 더 많은 도는 686 MPa, 탄성계수(E)는 206 GPa이다.

38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조윤식․ 백점기

도출하고 있고,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과 단순 유전알고리즘의


최적값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Fig. 5는 마이
크로 유전알고리즘과 단순 유전알고리즘의 계산시간으로서 개체
군의 크기가 클수록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 경우에는 선형적으
로 증가하나, 단순 유전알고리즘 경우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
Fig. 3 Pressure hull geometry 다. 따라서 압력선체 최적화 기법으로서 최적값 도출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며 계산 시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마이크로 유전알
대상으로 하는 압력선체 구획에 대한 최적화는 압력선체 강도 고리즘을 적용하고, 개체군은 10,000개로 선정하여 압력선체 최
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외판 두께, 원환늑골의 간격, 원환늑골의 적화 결과를 고찰하였다.
크기(웨브 높이 및 두께, 플랜지 폭 및 두께), 대형늑골의 크기 외부압력에 대한 단위길이당 부피에 대한 중량비의 수렴곡선
(웨브 높이 및 두께, 플랜지 폭 및 두께)에 대해 수행되었다. 으로서 Fig. 6은 유전알고리즘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안정성
있게 수렴하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각각의 공칭압력( ,
Nominal pressure)에 따라 최적함수 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
내고 있다.

Fig. 4 Comparison of fitness values F(X) using


micro-GA and SGA

Fig. 6 Convergence of fitness values(min.


weight/volume ratio)

Table 1은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외부압력( )에 대해 도


출된 압력선체 부재들의 최적 치수이고, Fig. 7은 외부압력의 변
화에 따라 최적함수값의 변화, Fig. 8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외
판 두께-원환늑골 간격 비( )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1 Optimal structural member size of pressure


hull by GA
 (MPa)
3.0 3.5 4.0 4.5 5.0
Item(mm)
Fig. 5 Comparison of calculation time using Shell thickness  30 35 40 48 51
micro-GA and SGA
Spacing  430 520 560 590 640
Ring Web  ×  268x20.5 242x22 264x24 264x25 270x26
압력선체 최적화기법으로써 일반 유전알고리즘과 마이크로 유 frame Flange  ×  240x19 126x66 230x39 166x56 186x63
전알고리즘의 비교를 위해 개체군의 크기 및 계산시간을 대상으 King Web  ×  890x36 840x20 820x50 900x21 800x40
로 결과를 고찰하였다. Fig. 4는 개체군의 크기에 따른 최적 함 frame Flange  ×  520x64 380x86 520x70 500x92 600x84
수값의 변화로서 개체군이 클수록 좀 더 최적값을 도출하고 있으 Fitness value,   
0.17331 0.19451 0.21687 0.23813 0.25624
(Weight/Volume ratio)
나 개체군의 크기가 10,000개 이상일 경우에는 유사한 최적값을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83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Fig. 7 Fitness values    on  , by GA


Fig. 10 Thickness/Spacing (  ) on  , by expert

Table 1과 2에서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한 압력선체 설계결


과는 전문가 설계결과와 비교하여 도출된 치수는 약간 다르지
만, 그림 7과 9의 최적값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
출된 부재치수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사유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유전알고리즘은 설계변수 10개를 변화시키며
도출한 결과이지만, 전문가 결과는 원환늑골 간격과 대형늑골
의 변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변수를 변화시키며 최적값을 도
출한 결과이다.
Fig. 8 Thickness/Spacing (  ) on  , by GA Table 1과 2에서 원환늑골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두께가 증
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Fig. 8과 10에서 원환늑골의 간격에 대
Table 2는 압력선체 설계전문가가 동일한 압력선체를 대상으 한 외판 두께 비는 하중 압력( )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
로 최적의 치수를 도출한 결과이다. Fig. 9는 외부압력의 변화에 음을 볼 수 있다.
따라 최적함수값의 변화, Fig. 10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외판 두
께-원환늑골 간격 비( )를 나타내고 있다.
5.2 유전알고리즘에 의한 압력선체 설계분석

Table 2 Optimal structural member size of pressure Fig. 11은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원환늑골 간격 크기에 따
hull by expert 라 최적 함수의 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력( )이 증가
 (MPa) 3.0 3.5 4.0 4.5 5.0
Item(mm) 할수록 최적함수 값은 증가하지만, 압력선체(P.H.) 원환늑골의
Shell thickness  28 31 34 37 41 간격이 변화하더라도 최적 함수값 즉 중량-부피비는 거의 일정
Spacing  380 390 400 410 420 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ing Web  ×  254x20.0 265x21.5 270x22.5 270x23.5 270x24.5
frame Flange  ×  180x30 180x30 200x31 230x32 250x34

King Web  ×  750x36 850x36 900x45 900x50 900x50


frame Flange  ×  500x90 550x90 600x90 600x100 600x100
Fitness value,     0.18082 0.19354 0.21115 0.22975 0.24948
(Weight/Volume ratio)

Fig. 11 Fitness values F(X) vs. ring frame spacing


Fig. 9 Fitness values    on  , by expert of P.H.

38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조윤식․ 백점기

Fig. 12는 압력( ) 4.5 MPa일 때 원환늑골 간격에 따라 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적설계를 수행한 결과, 유전알고리즘은
부재의 단면적 크기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외판 단면적( ), 단순히 최적함수 값과 확률적인 크기만을 비교하여 압력선체 최
웨브 단면적( ), 플랜지 단면적(), 원환늑골의 단면적( ) 적값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압력선체 구조설계와 같이
및 전체 단면적( )은 원환늑골 간격이 커짐에 따라 모두 증가 설계변수가 많고 해가 설계변수에 따라 다양한 곡면으로 이루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는 경우에 전역 최적화 기법으로 유전알고리즘은 매우 유용하
Fig. 13은 원환늑골 간격 크기에 따라 외판과 원환늑골의 단 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압력선체 최적
면적-늑골간격 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중이 증가할수록 설계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단면적은 증가하지만 원환늑골의 간격이 변화하더라도 외판과
원환늑골의 전체 단면적( )-늑골간격(  ) 비는 거의 일정하게 1) 압력이 증가할수록 외판 두께 및 원환늑골 간격은 거의 선형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외판 두께-원환늑골 간격 비도 증가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는 추세이다.
2) 압력이 증가할수록 중량-부피 비는 증가하며, 동일한 압력이
작용할 때 원환늑골 간격에 따라 중량-부피 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3) 동일한 압력이 작용할 때 원환늑골 간격이 증가할수록 외판과
원환늑골의 두께 및 크기가 증가하여 원환늑골의 단면적은 증
가하지만, 전체단면적-늑골간격 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압력선체 설계 시에 최적화 기법으로


서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은 최적부재 크기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설계자는 원환늑골 간격 등
설계변수의 영향을 쉽게 파악하여 목적하는 압력선체 최적배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 Sectional area vs. ring frame spacing of References


P.H.
Carroll, D.L., 2002. FORTRAN Genetic Algorithm(GA)
driver. Available at: http://cuaerospace.com/carroll/
ga.htm [Accessed 15 Oct. 2016].
Cho, Y.S., 2006. A study on the design rules and
procedure for pressure hull. Report NSDC-513
-060586. Daejeon Korea: ADD
Goldberg, D.E., 1989. Genetic algorithms in search,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
Wesley Longman Publishing Co., Inc.: Boston, USA.
Kennard E.H., 1966. Tripping of T-shaped stiffening
rings on cylinders under external pressure. Report
1079. Washington D.C.: DTMB
Krishnakumar, K., 1989. Micro-genetic algorithms for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function optimization.
Fig. 13    vs. ring frame spacing of P.H.
Proc. SPIE 1196, Intelligent Control and Adaptive
Systems, pp.282-296.
6. 결 론 Lunchick, M.E., 1961. Plastic axisymmetric bucking of
ring-stiffened cylindric shells fabricated from
본 연구에서는 외부수압을 받는 압력선체 구조에 대해 최근 strain-hardening materials and subjected to external
제정된 설계·건조기준서의 압력선체 최종강도계산식을 사용하고 hydrostatic pressure. Report 1393. Washington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micrro-Gene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D.C.: DTMB.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85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Pulos, J.G. & Salerno, V.L., 1961. Axisymmetric


elastic deformations and stress in a ring-stiffened,
perfectly circular cylindrical shell under external
hydrostatic pressure. Report 1497. Washington
D.C.: DTMB.
ROK Navy, 2016. Criteria for structural strength of 조윤식 백점기
pressure hull. Design and building criteria for
submarine, JoHam(Jam)-1-001(0). Daejeon Korea:
ROK Navy
Reynolds, T.E., 1960. Inelastic lobar bucking of
cylindrical shells under external hydrostatic pressure.
Report 1392. Washington D.C.: DTMB.

38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387-392,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387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 단면의 변환가능 중점영역


예측
Nguyen, Si Bang ․ 남종호† ․ 이민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A Method to Predict the Feasible Region of Geometric Centroid


for Closed Hull Form Area Using Regression Analysis
Si Bang Nguyen ․ Jong-Ho Nam† ․ Minkyu Lee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re is a constant demand for hull variation related to ship design. Various input variables are generally given to achieve the
objective functions assigned by each variation process. When dealing with geometric shapes accompanied by nonlinear
operations during the variation process, vague relationships or uncertainties among input variables are commonly observed.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dentify those uncertainty factors in advance. A method to modify the shape of a closed
hull form with a new area and a centroid had been introduced as a new process of hull variation. Since uncertainty between
input variables still existed in the method, however, it was not easy for the user to enter the area and the corresponding
centroid.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is presented in this paper to provide the feasible region of centroids for a given
area. By utilizing the concept and techniques used in the statistics such as the number of samples, probability, margin error, and
level of confidence, this method generates the distribution of possible centroids along the regression curve. The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helps the user to choose an appropriate input value following his or her design intention.

Keywords : Hull variation(선형변환), Statistics(통계학), Uncertainty(불확실성), Regression analysis(회귀분석), NURBS(NURBS)

1. 서 론 환작업이 어렵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해석단계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선박설계에 관련된 일련의 작업 중 선형변환(hull variation)에
통계학적 측면에서도 불확실성이 발생하는데, 이 불확실성
대한 요구는 끊임없이 제기된다. 모선으로부터 변환을 통한 수정
작업은 필수불가결한 단계이며, 새로운 선형개발을 수행할 때도 관계는 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에서 흔히 나타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종 변수를 바꿔가면서 형상을 개선하는 (Uusitalo, et al., 2015). 회귀분석은 입력변수의 변화가 발생할
것은 설계자가 반드시 수행하는 업무의 하나이다. 때 상관관계를 찾아주는 편리한 도구로서 기초적인 요구조건만
위와 같은 변환작업에는 항상 목적함수가 존재하는데, 주어진 존재하는 초기설계단계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고, 본 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입력변수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 문에서 다루는 연구수행에도 주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입력변
이다. 올바른 입력변수가 주어질 때 목적함수를 편히 구할 수 있 수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그 활용도에 제약이 있는 것은
지만 많은 공학 분야에서 모든 입력변수가 사전에 마련되지 않는 자명하다. 따라서 입력변수와 출력 값에 관련되는 불확실성을 제
다. 특히 기하학적 형상을 다룰 때는 비선형적 요소가 수반되는 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경우가 많으며 이때 입력변수 간 상관관계 역시 불분명할 여지가 다양한 조선공학 분야에서 불확실성을 해석하는 연구가 수행
존재한다. 또한 입력변수와 그 결과 나타나는 출력 값이 비결정 된 바 있다. 회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선박을 분석하거나 유체정
적인(non-deterministic) 경우도 많이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변 력학적 요소들을 파악하는 초기 노력이 있었다 (Fairlie-Clarke,

Received : 8 May 2017 󰠛 Revised : 9 August 2017 󰠛 Accepted : 30 August 2017



Corresponding author : Jong-Ho Nam, jhnam@kmou.ac.kr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 단면의 변환가능 중점영역 예측

1975; Cassella & Russo Krauss, 1983). 복수의 회귀분석을 사 (1950) 등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조선공학자에게 주어지는 기하
용하여 120개의 프로펠러를 시험, 분석하고 프로펠러 날개 면과 학적 형상과 제한조건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만족스
두께를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연구 역시 설계에서 나타나는 불확 러운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자유로운 형상변환에는 다소
실성을 제거하기 위함이었다 (Oosterveld & van Oossanen, 제한적이다.
1975). 최근 항모의 크기와 속력 간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연 느슨한 제약조건이 존재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단면형상
구가 Bi and Zong (2014)에 의하여 수행되었는데, 이들은 회귀 변환을 위한 방법이 최근 소개되었다 (Nam & Nguyen, 2017).
분석을 이용하여 초기설계단계에서 사용가능한 각종 실험적 공 이 방법은 단면의 면적과 중심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키는데, 이
식들을 산출하였다. 때 올바른 입력변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
본 연구에서는 특정 선형변환 방법에서 발생하는 입력변수와 용은 이 단면형상변환 방법을 수행할 때 수반되는 입력변수 처
출력 값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을 제 리와 관계가 있으므로 아래에 단면형상변환 방법을 간략히 기술
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2장에서 소개되는 이 방법은 사용자가 하도록 한다.
입력변수를 제공하면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산출되어야 하는 문 우선 원래 단면이 Fig. 2에 보이듯이 경계곡선   로 구성
제인데, 입력변수 간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관계로 올바른 입력 되어 있으며 중심은 G0이다. 이 단면을 변화시키는 방법의 하나
값을 사전에 정하기 어려운 상황을 포함한다. 이 상황을 해결하 는 새로운 면적과 이에 상응하는 새로운 중심(GF)을 부여하는
는 방법으로 통계학 기술을 적용하여 입력변수의 가능영역을 사 것이다. 즉 사용자가 기대하는 새로운 면적과 중심을 입력변수
전에 제시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로 넣으면, 그에 상응하는 새로운 형상이 계산되는 것이다. 결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선형변환 방법을 간략히 소 과적으로 새로운 형상의 경계곡선인  를 구하는 절차가 필
개한다. 곡선으로 둘러싸인 폐곡선의 면적과 그 중심을 변환하는 요하다.
과정이 결과 중심적으로 설명된다. 통계학 개념을 도입한 입력변
수 분석이 3장에서 다뤄진다. 오차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입력변
수의 가능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예제와 함께 제시된다.

2. 폐곡면 면적 및 중심 변환

2.1 면적 및 중심을 이용한 폐곡면 변환

폐곡선으로 구성된 평면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 Fig. 2 Two waterline areas with their centroids and
중 하나는 폐곡면의 일부인 경계곡선을 조정하여 기하학적인 특 boundary cuves:   for original area and 
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선형설계에서도 폐곡면이 널리 이용되 for new area
는데 예를 들면 Fig.1에 보이는 폐곡면(단면)은 워터라인이 포함
된 수선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수선면은 이 방법의 핵심은 NURBS 방법(Piegl & Tiller, 1997)에 의거
가로와 세로 축, 그리고   로 명명된 경계곡선으로 구성되어 하여 표현된 경계곡선을 중첩법에 의하여 변형시키는 것이다. 원
있다. 수선면이 정의되면 면적 A0와 중심 G0가 계산된다. 경계곡선인   와 같은 차수, 그리고 같은 노트벡터를 가지는
  를 만들어 중첩하여 최종적으로  를 선형적으로 산출한
다. Fig.2의 두 곡선은 3차식으로 9개의 조정점(control points)
과 13개의 노트로 구성되어 있다. 식 (1)은 NURBS표현법에 의
하여  를 구하는 수식을 나타내고 있다.

        (1)


 
 


    


  


Fig. 1 Waterline area with its boundary curve    


     


위 수선면을 변형하는 방법 중 조선공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
된 것은 CB법, 1-CP법, 그리고 널리 통용되어온 Lackenby법
 


  

38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Nguyen, Si Bang ․ 남종호․ 이민규

식 (1)에서 첨자 O, I, F는 각각 처음 단계, 중간 단계, 그리고


마지막 단계를 나타내며, n은 차수, N은 조정점 개수, P는 조정
점, R은 NURBS의 기저함수를 의미한다.
중첩된 NURBS곡선에 의하여 새롭게 얻어진  가 원 경
계곡선인   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는 점은 이 방법의 핵
심적인 효과로서 선형수정작업에서 요구하는 원상태유지 또는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에너지최소법칙과
균일분포라는 제약조건을 적용한 결과다. 이 선형변환방법에 대
한 자세한 설명은 참고문헌 (Nam & Nguyen, 2017)을 참조하
기 바란다.

2.2 입력변수 모호성

2.1절에서 소개된 단면형상변환방법은 간편하고 효과적인 변


환결과를 제공하지만, 불행하게도 사용자가 제공하여야 하는 올
바른 입력변수를 사전에 가늠하기 어렵다는 제약을 가진다.
원 단면의 면적 대신 새로운 면적을 부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미세 선형변환이라는 목적에 걸맞게, 원 면적의 작은 퍼
센티지 또는 미세 면적을 가감하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면적과 달리 새로운 중심을 사전에 지정하는 것은 간단
하지 않다. 중심은 면적에 종속적이지만 일대다대응 관계를 가
지므로 특정 면적 변화에 대한 중심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기
Fig. 3 Overall procedure of finding feasible region of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중심을 centroid
부여하기 원하며, 이 중심이 이전에 제공한 새로운 면적에 부합
되기를 바란다.
3.2 샘플 크기 결정
본 연구에서는 단면형상변환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
여 중심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가능영역에 포함되는 후보를 찾는 첫 번째 단계로 얼마나 많은 수의
새로운 면적에 대응하는 중심 후보군을 자동적으로 만들고, 그
샘플을 가질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샘플 수가 많을수록 가능영역이
후보군으로부터 의미 있는 중심을 선택하는 기하학적 영역을 제
더욱 분명해지지만, 무한정 샘플 수를 늘리는 것은 공학적인 해법이
공한다.
아니며 또한 수행시간이나 크기 면에서 볼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적정수의 샘플을 구비하는 것은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3. 중심이동 가능 영역 본 연구에서 샘플 수( )는 통계학에서 널리 활용되는 다음
식(2)으로부터 결정되도록 한다 (Walpole, et al., 2016;
3.1 개발 알고리즘
STAT200, 2017). 식에서 z는 t 분포(t-distribution)를 따르는데,
주어진 면적에 따라 선택 가능한 중심이 어떤 형태로 분포될 일반적으로 자유도가 증가할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며 본 예
것인가를 산정하는 알고리즘은 Fig. 3과 같이 정리된다. 제처럼 자유도가 높다면 정규분포로 가정할 수 있다.
우선 원 단면과 면적변화량, 그리고 기타 필요 자료를 입력한

다. 두 번째 단계에서 통계학을 이용하여 필요한 샘플 수를 계산
한다. 면적변화를 위하여 단면의 경계곡선을 변화시키는데 이때
      
 
(2)

NURBS로 표현된 경계곡선의 조정점(control points)을 설계변수


로 설정한다. 이 설계변수가 무작위로 변화하며 주어진 면적을 여기서 e는 오차에 대한 여유값이다. 샘플이 전체를 대변할 수
만족시키는 경계곡선을 찾는다. 경계곡선이 구해지면 그 단면의 없으므로 얼마나 큰 오차를 가질 것인지 사전에 결정한다. z는
중심이 자동적으로 계산되고 하나의 데이터로 저장된다. 모든 샘 z-점수로 불리는 요소로서 신뢰수준을 나타낸다. 예측확률 pR은
플에 대하여 중심이 구해지면 전체 중심집합군에 대한 경향을 회 얼마나 큰 확률로 데이터가 가능영역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기대
귀분석법으로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고려한 밴드를 설 하느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확률이 알려졌을 때는 그 값을 사
정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중심가능영역(feasible region 용하면 되지만, 본 연구의 문제와 같이 가능영역이 되느냐 마느
of centroid)을 제공한다. 냐를 사전에 결정하는 확률을 모르는 경우 0.5를 택하는 것이 안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89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 단면의 변환가능 중점영역 예측

전하다. 따라서 pR=0.5는 식(2)의 분자를 최대로 만드는 값으로 PSO에 의하여 얻어진 새로운 형상은 주어진 면적을 만족시키
주어진 환경에서 샘플 수 또한 충분히 큰 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 는 단면으로 각 형상에 따른 중심을 산출하며, 계산된 중심들이
미한다. 식 (2)로부터 사용자가 지향하는 오차와 신뢰도에 대한 가능영역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 (3)의 목
샘플 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적함수 f를 설정하여 식 (1)의  를 구한다.
95% 신뢰도를 택할 경우 z점수는 1.96이 되며, 5% 오차를
고려하면 식 (2)에 의하여  는 384.2가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     ∙     ∙  (3)
샘플 수를 390으로 정한다.    ∙      ∙      

3.3 중심 설정가능 영역 생성 식 (3)은 면적차이, 중심차이, 곡선 굽힘에너지, 그리고 굽힘


에너지 미분값에 대한 요소들의 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  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단면의 면적과 중심을 변수로 다루는 문 각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제에서 면적과 중심에 대한 기하학적 상관관계가 다중성을 가지 임의의 면적변화에 대하여 계산된 중심들과 전체 경계곡선에
므로 양 요소 간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확률과 통계를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Fig. 4에 보인다. 가능한 중심들이 x축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하나의 해법이 된다. 15.6~17.3과 y축 5.6~6.3사이에 분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데,
우선 입력되는 새로운 면적을 고려한다. 면적변화에 따라 중 가로축 측면에서 볼 때 시작부분과 끝부분에서는 분포가 매우 협
심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변화된 면적을 가지는 새로 소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비교적 넓은 분포를 이루고 있다. Figs.
운 단면을 찾는 방법으로 단면의 경계곡선을 구성하는 NURBS의 4~7의 x, y축은 Fig. 2 곡선이 위치하는 2차원 평면의 x 및 y 축
조정점을 설계변수로 책정하고 이를 무작위로 변화시킨다. 무작
의 실제좌표를 나타낸다.
위 변화를 위하여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기법을 활
용한다. 최적해를 찾는 기법 중 하나인 PSO는 유전(genetic) 또
3.4 회귀분석곡선 계산 및 유효성 검증
는 군집(colony) 알고리즘과 유사하다 (Kennedy & Eberhart,
1995). 비록 문제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중공간에서 연속적
인 설계변수를 다루는 제약조건 없는 비선형 문제를 풀 때는 중심가능영역을 구성하는 데이터 즉 중심의 위치가 구해지면,
PSO가 유전알고리즘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 분포하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차례
다. 군집형태 데이터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회귀분석은 하나의
종속변수와 이에 관계된 다수의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결정짓
는 강력한 도구다.
경향을 찾기 위하여 알맞은 곡선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Fig.
4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식 (4)과
같이 n차의 다항식을 회귀분석곡선(
 )으로 채택한다.


(a) 
  

  (4)

주어진 데이터 세트          ⋯  에 대하여 식


(5)의 최소자승법을 수행한다.


   
 
  
   (5)

Fig. 4에 나타난 샘플 수는 390이며, 이에 대하여 n이 3인 회귀분석


(b)
을 수행한 결과가 Fig. 5에 곡선으로 나타난다. 3차식의 선택은 샘플
Fig. 4 Distribution of obtained centroids: (a)
scattered 390 centroids ( = 390) and (b) 분표가 선형적인 동시에 폭에 의한 형상이 미세하게 곡을 가진 사실을
location of centroid cluster shown with the 고려한 결과다. 계산된 3차 회귀분석곡선식은 다음과 같으며 계산
original and new boundary curves 결과는 매우 양호하여 3차식의 사용이 정당화된다.

39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Nguyen, Si Bang ․ 남종호․ 이민규

100 x (1 - α)% 신뢰도로 중심가능영역을 가늠하기 위하여, 하


나의   에 대한 가능영역 신뢰도 계산에 다음 식 (8)을 활용한다.

   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Fig. 5 Polynomial representation of degree 3 as a
regression curve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는     에서 계산된 값,  는      자

           (6) 유도를 가진 t분포, 그리고 s는 평균제곱근오차(mean square

   error)다. 식 (8)에 포함되는 평균제곱잔차(mean of squared
residuals) s2과 샘플표준편차 Sdd는 식 (9)와 같이 정의되며
2
회귀분석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 (7)와 같이 R (Walpole, et al., 2016), 이 식에서 nS은 샘플 수, n는 차수, 그
로 표현되는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활용한다. 리고 변수 위 바는 평균을 의미한다.
회귀곡선은 회귀곡선으로 설명되는 변동분(SSR)과 설명되지 않
는 변동분(SSE)으로 구분되는데, 두 변동분을 합한 총변동분 
(SST = SSR + SSE)에 대한 SSR의 비율을 결정계수로 정의한  
  
 
  
다. 회귀분석모델이 정확할수록 결정계수는 1에 수렴한다. 결정    (9)
    
계수가 0에 가까워진다면 이는 회귀분석모델이 주어진 데이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   
 식 (8)과 (9)로부터 95%의 신뢰도를 가진 밴드를 구하면 Fig. 6
  
 
   
  과 같다. 회귀분석곡선 위아래에 점선곡선으로 밴드가 형성된다.

   
 
  
  

여기서 
 는  값들의 평균을 뜻한다.
본 예제에서 결정계수는      이
된다. 계산된 결정계수는 99%를 넘는 적합도로 주어진 데이터를
잘 반영하며, 단지 1% 미만이 경향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

3.5 중심가능영역 밴드화

계산된 중심 집합에 대한 경향이 회귀분석으로 파악되면 회귀 Fig. 6 Prediction band for feasible region of centroid
분석된 곡선으로부터 가능한 중심집합 영역을 선정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중심집합이 띠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띠를 감싸는
3.6 결과 분석
밴드 형태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밴드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 채택한 개념은 통계학
에서 이용되는 신뢰도이다. 통계학적인 중요도로 볼 때, 밴드는 Fig. 6에서는 95%라는 신뢰도를 적용함에 따라 많은 중심집
특정한 신뢰도를 가지고 수학적 모델을 반복 수행할 때 데이터 합 데이터가 밴드 내부에 존재한다. 높은 신뢰도를 택하는 것은
가, 본 예제에서 하나의 중심이, 밴드 내에 존재할 가능성을 설 대부분의 데이터가 밴드 내에 존재하여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면
명한다. 즉 어떤 중심이 특정한 확률로 나타남을 의미하는데 신 도 있지만, 한편 밴드 폭이 지나치게 넓어 밴드경계곡선(점선) 주
뢰도가 높을수록 중심집합 가능영역에 나타날 확률이 높아짐을 변에 데이터(중심)가 드물다는 것 즉 유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의미한다. 볼 수 있다. 만약 신뢰수준을 낮춘다면 밴드 폭은 감소 즉 유효율이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91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 단면의 변환가능 중점영역 예측

학교 해양플랜트특성화대학사업” 및 “중소형조선소 시뮬레이션기반


생산관리 시스템 개발”과제의 도움을 받아 수행되었음을 부기합니다.

References

Bi, J.Y. & Zong, Z., 2014. Regression analysis of


principal dimensions and speed of aircraft carriers.
Polish Maritime Research, 1(81), 21, pp.35-41.
Cassella, P. & Russo Krauss, G., 1983. Hydrostatic
Fig. 7 Bands for three different levels of confidence data for cargo ships obtained with regression
analysis. Ocean Engineering, 10(3), pp.145-155.
증가하나, 역으로 밴드를 벗어나는 데이터들이 상당수 발생할 수 Fairlie-Clarke, A.C., 1975. Regression analysis of ship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Fig. 6에서 샘플 수를 늘리면 밴드를 data. International Shipbuilding Progress, 22(251),

벗어나는 데이터가 출현한다. pp.227-250.


Kennedy, J. & Eberhart, R.C., 1995. Particle swarm
Fig. 7에 3가지 신뢰도 90%, 95%, 99%에 대한 밴드가 각각
optimization. Proceedings of the 1995 IEEE
나타나 있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Net works, Perth,
사용자는 신뢰도와 유효성 사이에서 절충할 필요가 있다. 계
Australia, November 27th – December 1st, 1995, IEEE:
산된 밴드는 사용자가 일정한 면적변화에 따른 중심의 존재 가능
Piscataway, NJ, pp.1942-1948.
성을 사전에 파악할 때 사용되므로, 안전하고 유효한 가이드라인
Lackenby, H., 1950. On the systematic geometrical variation
은 밴드에서 중심 회귀곡선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이다.
of ship forms. Transactions of INA, 92, pp.289-315.
Nam, J-.H. & Nguyen S.B., 2017. A curve based hull
4. 결 론 form variation with geometric constraints of area
and centroid. Ocean Engineering, 133, pp.1-8.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단면에서 새로운 면적을 부여할 때, 이 면 Oosterveld, M.W.C. & van Oossanen, P., 1975. Further
적에 부합하는 중심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 computer–analyzed data of the Wageningen B–screw
하여 새로운 면적이나 중심을 부여할 때 이를 만족시키는 새로운 series. International Shipbuilding Progress, 22, pp.251-262.
선형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전통적인 선형변환법에 더하여 자유롭 Piegl, L. & Tiller, W., 1997. The NURBS book. 2nd
게 단면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ed. Springer: Berlin.
사용자가 새로운 중심을 주고 이를 만족시키는 평면곡선을 구하는 STAT200, 2017. Finding sample size for estimating a
것은 직관적이지 않다. 특히 주어진 면적에 대한 중심은 이론적으로 population proportion [Online] Available at:
무한개가 존재하므로 사용자의 정확한 설계의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https://onlinecourses.science.psu.edu/stat200/node/
원하는 중심이 가능한지를 사전에 점검하는 것은 주요한 절차다. 255 [Accessed 01 August 2017].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변화하는 면적에 대하여 이론적으 Uusitalo, L. Lehikoinen, A. Helle, I. & Myrberg, K., 2015.
로 가능한 중심 영역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회귀분석 An overview of methods to evaluate uncertainty of
법을 활용하였다. 가능 영역을 신뢰도와 확률 개념이 적용된 밴 deterministic models in decision support. Environmental
드 형태로 제공하며, 제시된 밴드 내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Modelling & Software, 63, pp.24-31.
중심을 선택하도록 한다. Walpole, R.E. Myers, R.H. Myers, S.L. & Ye, K.,
다만 단면 경계곡선의 처음 시작부분과 끝부분에서 밴드 폭이 2016.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s and
군집 데이터에 비해 지나치게 넓은 점을 개선하는 것이 향후 과 scientists. 9th ed. Pearson education: Boston.
제로 남는다. 하지만 현실적인 설계단계에서 대부분의 중심변화
는 경계곡선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발생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
된 방법 적용에는 무리가 없다고 본다.

후기
Nguyen Si Bang 남종호 이민규
본 논문의 일부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사업인 “한국해양대

39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393-405,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393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김을년†
현대중공업 선박연구소

A Study on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Skirt Structure in the Spherical


LNG Carriers
Ul-Nyeon Kim†
Hyundai Maritime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paper deals with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skirt structure in the spherical LNG carriers. The spherical cargo tank systems
consist of spherical tank, skirt, tank cover, pump tower, etc. The skirt supports the spherical cargo tank and is connected with
ship hull structure. It is designed to act as a thermal brake between the tank and the hull structure by reducing the thermal
conduction from the tank to the supporting structure. It is built up of three parts, upper aluminum part, middle stainless steel part
and lower carbon steel part. The 150K spherical LNG carrier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he strength verification under
Classification Societies Rule. The design loads due to acceleration, thermal distribution, self-weight and cargo weight were
estimated considering requirements of the Class Rule and numerical simulation analyses. Based on the obtained design loads
and experienced project data, the initial structure scantling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structural integrity, theoretical and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strength was evaluated aspect of buckling capacity. The results by LR and DNV design
code are shown and discussed.

Keywords : Spherical LNG tank(구형 LNG 탱크), Skirt(스커트, 탱크 지지 구조), Buckling strength(좌굴 강도), Design load(설계 하
중),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구조 설계 및 해석)

1. 서 론 부분적 2차 방벽(partial secondary barrier)을 갖추고 있다. 즉, 액화


된 LNG를 담고 있는 구형 탱크가 손상되어 누출되는 사고에 대비하여
보온재와 구형 탱크 사이에 스프레이 보호막(spray shield)을 설치하
본 논문은 구형 LNG 운반선(LNG carrier equipped with 여 확산되는 것을 막고 누출된 LNG를 일정 크기의 용기(drip tray)로
spherical tank)의 탱크 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 강도 평가에 안내하기 위하여 유도 선로(leakage path)를 설치하고 있다. 용기의
관한 것이다. 스커트 구조에 대하여, 작용하는 하중과 설계 조건 크기는 누출된 액체 가스를 15일간 저장할 수 있도록 IGC Code
을 정의하고 선급 규정을 적용한 설계와 구조 해석을 수행하여 (2014)에서 규정하고 있다.
좌굴 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멤브레인형 LNG 운반선과 비교하여 구형 LNG 운반선의 장
IMO의 IGC Code (2014)에서는 해상에서 LNG 화물을 운반하는 점으로는 탱크가 단순한 구 형태의 내압 구조로 되어 있어 설
선박을, 적재하는 화물 탱크의 종류에 따라 크게 독립형(self- 계를 위한 이론적 구조 역학 기술이 잘 확립되어 있으며 탱크
supporting or 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 내부에 적재한 유체의 슬로싱 충격 하중에 강한 구조로 되어
로 구분하고 독립형 탱크는 Type A, B, C의 3가지 형태로 나눈다. 있어 부분적 액체 화물 적재 조건(partial filling condition)에서
본 논문의 대상인 구형 LNG 운반선은 독립형 Type B로 분류되며 도 선박 운항이 가능하여 LNG FPSO(floating production,
구형 탱크로부터 LNG가 누출되는 것에 대비하여 이중 안전 장치로 storage & offloading unit)의 셔틀 탱크(shuttle tanker)용으로

Received : 25 January 2017 |Revised : 27 June 2017 | Accepted : 6 September 2017



Corresponding author : Ul-Nyeon Kim, unkim@hhi.co.kr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선박의 좌초/충돌 사고 시 선


체와 탱크가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탱크의 손상이 적으며
탱크 내부에 LNG를 적재하지 않은 상온 상태와 적재 후 극저
온(-163℃)시 온도 분포에 따른 열 응력의 집중에 완화된 구조
로 되어 있으며 탱크 내외부의 검사/보수를 위한 통로와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선체 내부에 구형 탱크를 배치함에 있어
서 공간 효율이 낮아 동일 크기의 멤브레인 LNG 운반선 보다
화물 적재량이 적으며 탱크의 상부가 상갑판상으로 많이 올라
와 있어 시계 확보가 불리하고 후판의 구형 알루미늄 탱크 제
작에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는 단점도 있다.
Fig. 1은 구형 LNG 운반선의 선체와 화물창 배치를 나타낸 것으
로 통상 4개의 탱크를 설치하며 선수부터 탱크의 일련 번호를 부여
하며 단면에서 볼 때 구형 탱크의 절반 정도가 상갑판(upper deck)
Fig. 1 Hull and cargo hold configuration of the spherical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구형 탱크는 알루미늄(AL 5083-O) 재 LNG carriers
질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스커트 구조를 통하여 선체에 연결하고
있다. 최근에 건조하는 선박의 경우, 구형 탱크 카바(tank cover)를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완두콩을 보관하는 콩깍지 형태의 구조
인 IHS(Integrated Hull Structure)를 개발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탱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기 저항을 줄이고 종강
도 부재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선체 강도도 향상시켰다. 구형
LNG 탱크는 극저온(-163℃)을 유지하기 위하여 탱크 외부 표면에
보온재를 부착하며, 구형 탱크의 적도부(equator) 근처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원통형의 스커트를 설치하여 선체와 연결하고 있다.
No.1 탱크는 상대적으로 선체의 종방향 무게 중심(LCG, Longitudinal
Center of Gravity)으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어 선체 운동에 기인한
가속도가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No.1탱크와 나머지 탱크
(Nos. 2~4)로 구분하여 각각 하중을 설정하여 설계하였다.
구형 LNG 운반선에 대한 연구로는 Kim, et. al. (1997)이 선
체의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보온재와 보온 시스템에 대한 Fig. 2 Hull and cargo hold scheme of the spherical LNG
연구를 수행하였다. LNG 화물의 적재와 하역의 매 순간마다의 carrier
BOR(Boil Off Rate)을 계산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비정상 상태에서의 쿨다운 공정(cool down process)에서 스커트 구조에 대하여 주어진 설계 하중에 충분히 안전하도록
스커트와 탱크의 온도 본포를 이론적으로 찾아내었다. 또한 설계하기 위하여 항복 강도와 좌굴 강도를 포함하는 최종 강도
Nam, et. al. (1993)은 구형 LNG 운반선 탱크 시스템을 설계하 (ULS, Ultimate Limit State), 그리고 피로 강도(FLS, Fatigue
기 위하여 화물창을 포함한 선체 구조에 대한 온도 분포 해석을 Limit State)를 기준으로 강도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나 박판으로
수행한 후 탱크와 스커트에 대한 열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된 대형 원통 구조물이기 때문에 좌굴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설
Kim, et. al (1993)은 구형 LNG 운반선에 대한 항해중의 선체 온 계의 가장 주된 업무이다.
도 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해당 주변
온도와 사용 단열재 조건을 설정하여 BOR과 탱크 주변의 온도 2. 재료 물성치, 설계 하중과
분포를 계산하였다.
Fig. 2는 구형 LNG 운반선의 중앙 횡단면에 구조 부재들의 명 허용 건조 오차
칭을 표시한 것이다. 스커트는 LNG 화물에 의한 하중을 파운데
이션 데크(foundation deck)에 전달하는 것 외에 극저온의 LNG 구형 탱크를 지지하는 스커트의 설계를 위하여 적용 가능한
에 의하여 유발된 열이 선체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선급 규정은 LR (2012), DNV (2004) 그리고 IGC Code (2014)
수행한다. 즉, LNG화물에 의한 탱크에서의 온도는 -163℃이고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적선 150K급 구형 LNG 운반선의
알루미늄으로 된 스커트 상단부와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중간부를 스커트(직경 41.7 m)에 대하여 LR 선급에서 구형 LNG 탱크와
거쳐 고장력강으로 된 하단부에서는 온도가 상온으로 되어 선체 스커트 설계를 위하여 도입한 Sole (2006)과 DNV (1997)을 적
에는 탱크의 극저온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용하여 좌굴 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39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Table 1 Vessel principal dimensions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the skirt structure
Item Value Stainless High tensile
Aluminum
Length B.P. 277 m Property steel steel
5083-H321
Breadth MLD. 48.9 m (SUS 304N) (EH 32)

Depth MLD. 23.35 m Density


2.7 8.0 7.9
(t/m3)

Table 1은 본 논문에서 설계와 구조해석을 수행한 150K급 구 Young’s


modulus 75,600 196,000 206,000
형 LNG 운반선의 주요 제원을 나타낸 것이다.
(MPa)
215 for t≤38
2.1 재료 물성치 Yield stress
200 for 240 315
(MPa)
38<t≤80
Fig. 3은 원환보강 원통인 스커트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Ultimate 305 for t≤38
No. 1 탱크 스커트의 경우, 선체의 중앙 평행부와 달리 선수 부 strength 283 for 550 440
분은 폭이 좁아져 LNG 탱크의 배치가 어려워 길이가 짧으며 스 (MPa) 38<t≤80
커트 하단부의 고장력강 부분은 수직 보강재가 없는 후판의 원통 Thermal
구조물로 설계하였다. conductivity 70 12 47
스커트는 일반적으로 -163℃ 탱크온도가 선체로 전달되는 것 (W/m.K)
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음의 3가지의 부분으로 설계하고 있다. Mean
i) 스커트 상단부 : 알루미늄(aluminum 5083-H321)을 사용하 coefficient of
1.93ⅹ10-5 1.5ⅹ10-5 1.2ⅹ10-5
여 원환의 링 프레임으로 보강된 원통 구조로 제작함. expansion
(/℃)
ii) 스커트 중간부 : 스테인레스강 (stainless steel, SUS 304N)
을 사용하여 원환의 링 프레임으로 보강된 원통 구조로 제작함.
스커트에 사용한 각 재료들의 기계적 특성치를 Table 2에 나
iii) 스커트 하단부 : 고장력강(higher tensile steel, EH32)을
타내었다.
사용하여 원환 보강링과 수직 보강재를 부착하는 원통 구조로
제작함.
2.2 설계하중

스커트를 설계하기 위하여 LNG와 물의 설계 비중 값은 각각


0.5와 1로 적용하였으며 하중 조건은 다음과 같다.
i) 대양 항해 조건으로, LNG를 탱크에 가득 채우고 최대 설계
속도로 대양을 항해하는 조건(full load seagoing condition)
ii) 탱크 시험 조건으로, 선박 건조 후 안벽에서 탱크에 물을
반 또는 2/3를 채운 상태에서 가스의 기화로 인한 내압을 받는
조건(tank test condition)
iii) 선박의 충돌 조건으로, 선수방향 가속도 0.50g를 고려하는
조건(ship collision condition)
iv) 선박의 사고 조건으로, LNG를 탱크에 가득 채운 상태에서
선박의 사고로 30도의 경사(heeling) 조건(accidental flooding
condition)
이들 조건 중 iii)의 가속도 값은 i)의 대양 항해 조건에서 파랑
중 선체 운동에 기인한 설계 가속도 값보다 작으며 iv)는 동적 하
중이 없이 정수 중 하중 조건만을 고려하기에 스커트에 발생하는
축 압축력이 작아서 i)의 대양 항해 조건과 ii)의 탱크 시험 조건
만 설계 하중으로 고려하여도 설계상 충분하다. 스커트의 작용
하중은 정적과 동적 하중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i) 정적 하중(static loads) : 적재한 LNG의 무게, 탱크의 자중
과 보온재의 무게, 펌프타워 등을 포함한 각종 장비 무게, 온도
Fig. 3 Skirt arrangements (structural cross sections) 구배 차이(temperature difference)에 의한 열 하중, 정수 중 선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95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체 종굽힘 모멘트에 의한 파운데이션 데크의 처짐


ii) 동적 하중(dynamic loads) : 선체 운동에 기인한 가속도
(hull girder accelerations), 파랑 중 선체 종굽힘 모멘트에 의한
파운데이션 데크의 처짐

2.2.1 선체운동에 기인한 가속도

설계 가속도는 DNV 선급에서 개발한 WASIM (2011)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북대서양 항해 조건으로 운동 해석을 수행하였으
며 5% 설계마진을 고려한 값을 Table 3에 제시하였다. 구형
LNG 탱크는 선체에 설치하는 위치가 서로 달라 가속도 값은 모
두 다르게 나타나지만 경제성과 제작 편의성을 고려하여 가속도
가 큰 탱크인 No. 1 탱크와 나머지 Nos. 2~4 탱크, 2가지로 구 (a) Temperature distribution from equator to skirt base
분하여 설계하였다.

Table 3 Design acceleration


Item Longitudinal Transverse Vertical
No. 1 skirt 0.140g 0.651g 0.553g
Nos. 2~4 skirts 0.140g 0.618g 0.390g

2.2.2 스커트의 온도 분포

Fig. 4(a)는 온도 분포 해석 결과로, 구형 탱크에 LNG를 적


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외부 온도와 평형을 이룰
때 원통형 스커트 높이방향의 온도 구배를 나타낸 것이다. 스커
트와 탱크의 적도부가 만나는 상단부의 -163℃부터 스커트와 (b) Deformed shape and stress level(MPa) under thermal load

선체 파운데이션 데크 하단부의 +30℃까지 193℃ 온도 변화가 Fig. 4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deformed shape
나타났다. 온도 변화는 스커트 중간부인 스테인레스강 영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Fig. 4(b)는 스커트의 온도 분포 결과를 하
중으로 사용하여 열 응력 해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열 하중으로
인하여 상단부는 원주 방향의 수축으로 후프 응력(hoop stress)
이 주 성분으로 나타났다. 상단부인 알루미늄부위는 열에 의한
굽힘 응력이 탱크로부터 내려오는 구조물 자중과 화물 무게에
의한 굽힘 응력 성분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LNG화
물을 적재한 경우, 열 수축에 의한 후프 응력은 스커트 구조물
에 대하여 강도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온도 분포 변화가 급격히 변하는 스테인레스강 설
치부는 변형과 굽힘 응력이 불리한 방향으로 조합되는 경향도
있다.

2.2.3 선체의 종굽힘 모멘트에 기인한 변형

Fig. 5는 정수 중 굽힘 모멘트와 파랑 중 굽힘 모멘트에 의하


여 선체가 호깅 상태(hogging condition)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
낸 것이다. 선체와 스커트 하부가 만나는 곳은 선체 단면의 중립 Fig. 5 Deformed shape and stress level(MPa) due to
축에 위치하고 있어 선체의 종굽힘 모멘트에 의한 스커트 구조의 interaction force by vertical hogging bending
변형은 크지 않다. moment

39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2.3 허용 건조오차 i) 선형 해석에 의한 작용 응력 계산


ii) 초기 처짐과 열 영향을 고려한 기하학적/재료적 비선형 유
원환 보강 원통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 강도는 건조 과정에서 한요소 구조 해석에 의한 최종 강도 해석
발생하는 초기 처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 iii) 선급 규정(LR(2012), DNV(1997))에 의한 좌굴 강도 평가
서 조선소의 건조 기술, 사용하는 지그와 장비들의 능력을 고려 그러나 초기 변형을 고려하고 충분히 작은 크기의 요소를 사
하여 허용 건조 오차(construction tolerance)를 정의 하는데 그 용하여 구현한 상세 구조 해석 모델은 요소(element)수가 너무
종류로는 직선성(straightness)과 곡률(curvature) 유지 불량 그리 많아 해석 시간이 오래 걸리고 대용량의 컴퓨터가 필요하여 현실
고 용접부의 접합이 일직선으로 접합되지 않은 정렬 불량 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misalignment) 등이 있다. 조선소에서는 품질 규정(builders' 는 선형 해석은 스커트 전체 모델을, 비선형 해석은 축대칭인 스
quality assurance standards )을 만들어 선주사에 제출하여 사 커트의 경우 1/27만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선체의 굽힘 모멘트
전 승인을 획득하고 건조 과정에서 허용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 에 기인한 스커트부의 응력(interaction stress)은 별도의 선형 해
리하고 있다. 또한 Table 4는 스커트에 대한 초기 처짐 형태를 나 석을 통하여 구한 후 이를 스커트만으로 해석한 결과와 선형 중
타낸 것으로 설계 단계에서는 허용 건조 오차 최대 값을 유한요소 첩하였다.
구조 모델에 반영하여 비선형 구조 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2.2절에서 정의한 작용 하중에 의하여 스커트 구조에는 내력
으로 축 압축 응력(axial stress), 원주 방향의 후프 응력(hoop
Table 4 Geometric construction tolerance for skirt stress) 그리고 전단 응력(shear stress)이 나타난다. 각각의 작용
Construction tolerance Shape 응력 성분에 대응하는 구조물의 임계 좌굴 응력(critical buckling
stress)과 이들이 조합하여 작용하는 임계 조합 좌굴 응력(critical
combined buckling stress)을 구하고 이를 작용 응력과 비교하여
Out-of- roundness
Global 좌굴 강도를 평가하였다. 스커트의 좌굴 모드는 원환 링 프레임
D1  D2  0.005D
사이의 원통 판의 좌굴, 판부재와 보강재로 되어 있는 보강판의
좌굴, 원환 링 프레임 또는 수직 보강재의 국부 좌굴 등이 있다.
Out-of-roundness
본 논문에서는 LR (2012)과 DNV선급 (2004)의 규정으로 스커트
between vertical
stiffeners
의 좌굴 강도를 평가하였다.
  L / 150
3.1 LR선급 규정에 의한 좌굴 강도 평가
Radial deviation of
stiffener between LR (2012)에서는 스커트의 설계와 해석을 위한 규정으로 Sole
rings (2006)을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Local   0.002L

3.1.1 원통 외판의 좌굴 강도
Circumferential
deviation of stiffener 원통형의 스커트에 축 압축 응력과 전단력 그리고 원주 방향
face plate between 의 후프 응력이 조합하여 작용할 때 좌굴 강도 상관관계식
rings (interaction criterion under combined loads)은 식 (1)과 같다.
  0.002L

    
  1
 ax  cr  cr (1)
3. 구조 해석과 강도 평가
여기서,
스커트 구조는 주어진 설계 하중에 충분히 안전하도록 설계하
 cr : critical shear buckling stress corrected for plasticity
기 위하여 항복 강도, 좌굴 강도를 포함하는 최종 강도와 함께
피로 강도를 만족하도록 수행하여야 한다. 스커트는 박판으로 된 o

대형 원통 구조물로써 좌굴 강도 확보가 설계의 가장 주된 업무 1  ( o /  cre )2
이다. 스커트에 대한 좌굴 강도 평가는 구형 탱크와 선체를 포함
 o : shear yield stress
한 유한요소 구조 해석 모델을 구성하고 선형/비선형 해석을 통
o
하여 작용응력을 구하여 선급 규정의 설계식으로 수행하며 크게 
다음의 3가지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3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97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 o : material yield stress  0.605 for M s  1.73

 cre  (3.6  0.18Z ) E (t / L) 2  : plasticity reduction factor


Z  0.95L2 / ( Rt )  1.0 for   0.55
E :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 0.45 /   0.18 for 0.55    1.6
t : thickness of cylindrical shell
 1.31/ (1  1.15) for 1.6    6.25
L : length between rings
R : radius of cylinder  1/  for   6.25

 cr : critical hoop buckling stress corrected for plasticity  L  eL



o o

1  ( o /  cre )2 L
Ms 
Rt
 cre  3.6 E (t / L) 2

  : applied axial stress 식 (1)의 좌변 첫번째 항은 원통형 스커트의 축 압축 응력, 두


  : applied hoop stress 번째 항은 전단력, 세번째 항은 원주 방향의 후프 응력 성분이고
각각의 분모는 단독 하중 상태의 임계 좌굴 응력, 분자는 작용응
 : applied shear stress
력에 해당한다.
 : factor of safety 스커트의 상단부 알루미늄과 중간부 스테인레스강 부분은 링
 ax : critical axial compressive buckling stress 으로 보강된 원통으로, 임계 후프 좌굴 응력(  cr )과 임계 전단
좌굴 응력( cr )은 식 (1)로부터 구한다. 축 압축에 의한 임계 좌
 f e ax _ cri
굴 응력(  ax )은 이론적 계산과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차
 ax _ cri : inelastic axial compressive buckling stress 이를 보정하는 f e 을 도입하여 식 (1)로 구한다.
  L  eL Table 5~7은 150K 구형 LNG 운반선의 스커트 상단부 알루
미늄부분과 중간부 스테인레스강에 대하여 작용 응력과 임계 좌
f e : correlation factor obtained from non-linear finite
굴 응력을 구하고 좌굴 강도 평가를 통하여 안전 계수를 나타낸
element analyses 것이다. 스커트는 축대칭의 원통 구조임으로 선체 운동에 의한
 L : capacity reduction factor, this is the larger of a) and 가속도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단면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0°,
b) below; 45° and 90° 방향의 3곳 위치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Table 5에
서, 정적 하중에 기인한 작용 응력은 적재한 LNG의 무게와 탱크
a)  0.207 for R / t  600
와 펌프 타워 등을 포함한 각종 장비 무게, 보온재 무게에 의한
R 응력과 정수 중 선체 종굽힘 모멘트에 의한 파운데이션 데크의
 1.52  0.473log10  
 t  and 300  o /E-0.33, 처짐에 의하여 스커트에 전달되는 응력 그리고 온도 구배 차이에
whichever smaller, for R / t  600 의한 열 응력이다. 또한 동적 하중에 기인한 작용 응력은 선체
운동에 기인한 가속도에 기인한 각 방향 응력과 파랑 중 선체 종
b)  0.627 for M s  1.5 굽힘 모멘트에 의한 파운데이션 데크의 처짐에 의하여 스커트에
전달되는 응력이다. 이들 정적/동적 응력 성분들을 조합한 작용
 0.837  0.14M s for 1.5  M s  1.73
응력을 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임계 좌굴 응력으로, 각각 축 압축
 0.826 / M s0.6 for 1.73  M s  10 력에 대한  ax , 후프 방향 힘에 대한  cr , 전단력에 대한  cr
 0.207 for M s  10 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임계 좌굴 응력과 작용 응력의 비인 안
  eL : classical elastic buckling stress 전 계수(Safety Factor, S.F.)로, 축 압축력에 대한 값과 식 (1)의
조합 하중에 대한 값을 구하여 좌굴 강도를 평가하였다.
 C Et / R Table 5~7의 결과로부터 다음의 결과를 추론할 수 있다.
C  0.630 for    i) 스커트 하단부와 연결되는 선체 파운데이션 데크는 선체의

중립축 근처에 위치하여 선체 종굽힘 모멘트에 기인한 스커트의
 0.904 / M s2  0.1013M s2 for 1.5  M s  1.73 응력과 변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39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ii) 선체의 운동 가속도가 큰 No. 1 Tank에서는 수직 동적 가 적재하는 LNG 무게가 96% 정도 차지하였다.
속도 효과에 기인한 응력이 정적 하중에 기인한 값의 약 55% 정 iii) Table 5와 7의 스커트 상단부 알루미늄 부분에서는 후프
도이고 No. 2탱크에서는 40% 정도이다. 여기서, 정적 하중은 탱 방향 열 응력이 작으나 Table 6의 스커트 중간부 스테인레스강
크, 장비, 그리고 보온재를 포함하는 자중이 약 4%이고 탱크에 부분에서는 후프 방향 응력이 크게 나타났다.

Table 5 Shell buckling strength for Nos. 2~4 skirts (aluminum part, under hogging condition, [MPa])
0˚ 45˚ 90˚
Condition         
S.W. -21.8 0.0 0.0 -21.8 0.0 0.0 -21.8 0.0 0.0
I.L. -3.7 -0.4 0.1 0.0 0.0 0.8 -2.6 -0.3 -0.5
Static
T.L. 0.0 -6.8 0.0 0.0 -6.8 0.0 0.0 -6.8 0.0
Sum -25.5 -7.2 0.1 -21.8 -6.8 0.8 -24.4 -7.1 -0.5
ax -0.4 -0.9 -0.2 -0.2 -0.6 3.8 0.1 0.0 5.4
ay -0.1 -0.4 -24.4 -1.2 -2.7 -17.3 1.7 -3.9 0.7
Dynamic az -8.5 -1.4 0.0 -8.5 -1.4 -0.1 -8.5 -1.4 0.0
I.L -4.1 -0.5 0.1 -0.2 0.0 0.9 -3.0 -0.4 -0.6
Sum -9.4 -1.8 24.4 -8.5 -3.1 17.7 -9.1 -4.2 5.5
Static + Dynamic -34.9 -9.0 24.5 -30.4 -9.9 18.5 -33.6 -11.3 5.0
 ax -82.2 -82.2 -82.2
 cr 106.9 106.9 106.9
 cr -154.0 -154.0 -154.0
Axial 2.35 2.70 2.45
S.F.
Combined 1.89 2.24 2.33
S. W. : self weight
I. L. : interaction load due to the hull girder deflection
T.L. : thermal load
ax : accel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hip
a y : acceleration of the transverse direction in ship
az : accelera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in ship
 cr  ax  cr : see the formula (1)

Table 6 Shell buckling strength for Nos. 2~4 skirts (SUS part, under hogging condition, [MPa])
0˚ 45˚ 90˚
Condition         
S.W. -25.8 -2.7 0.0 -25.8 -2.7 0.0 -25.8 -2.7 0.0
I.L. -4.7 -0.4 0.1 -0.3 0.0 1.0 -3.5 -0.2 -0.6
Static
T.L. 0.0 -33.5 0.0 0.0 -33.5 0.0 0.0 -33.5 0.0
Sum -30.5 -36.6 0.1 -26.0 -36.2 1.0 -29.2 -36.4 -0.6
ax -1.2 0.0 -0.2 -0.9 0.0 4.5 0.0 0.0 6.4
ay -0.2 0.0 -28.9 -3.8 -0.1 -20.4 5.4 -0.1 0.8
Dynamic az -10.0 -1.0 0.0 -10.0 -1.0 0.0 -10.0 -1.0 0.0
I.L. 5.2 0.4 0.1 -0.3 0.0 1.1 -3.8 -0.2 -0.7
Sum -11.4 -1.1 28.9 -10.8 -1.0 21.0 -12.0 -1.1 6.5
Static + Dynamic -41.8 -37.7 29.0 -36.8 -37.3 21.9 -41.2 -37.5 7.1
 ax -127.6 -127.6 -127.6
 cr 132.6 132.6 132.6
 cr -200.8 -200.8 -200.8
Axial 3.05 3.47 3.10
S.F.
Combined 2.02 2.32 2.41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399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Table 7 Shell buckling strength for No. 1 skirt (Aluminum part, under hogging condition, [MPa])
0˚ 45˚ 90˚
Condition         
S.W. -20.9 0.0 0.0 -20.9 0.0 0.0 -20.9 0.0 0.0
I.L. -0.7 -1.4 0.3 -0.4 0.0 2.3 -0.9 0.0 -0.5
Static
T.L. 0.0 -7.3 0.0 0.0 -7.3 0.0 0.0 -7.3 0.0
Sum -21.6 -8.7 0.3 -21.3 -7.3 2.3 -21.8 -7.3 -0.6
ax -0.4 -0.9 -0.2 -0.3 -0.6 -3.7 0.0 0.0 -5.2
ay -0.1 -0.4 24.3 -1.2 -3.2 17.2 -1.8 -4.4 0.7
Dynamic az -11.4 -1.8 0.0 -11.4 -1.8 0.0 -11.4 -1.8 0.0
I.L. -1.6 -3.3 0.7 -1.0 -0.1 5.5 -2.1 -0.7 -1.3
Sum -11.6 -3.9 24.3 -11.5 -3.8 18.5 -11.8 -4.8 5.4
Static + Dynamic -33.2 -12.6 2.6 -32.8 -11.2 20.8 -33.5 -12.1 6.0
 ax -87.0 -87.0 -87.0
 cr 108.1 108.1 108.1
 cr -159.3 -159.3 -159.3
Axial 2.62 2.65 2.59
S.F.
Combined 2.01 2.14 2.45

iv) 최소 좌굴 안전 계수는 Nos. 2~4 스커트에서는 1.89이고 여 1반파 형태로 알루미늄 단면에서는 바깥쪽으로 스테인레스강
No. 1에서는 2.01로 나타났으며 식 (1)의 허용 좌굴 안전 계수 단면에서는 안쪽으로 처지게 구현하였다. 탱크로부터의 축 압축
1.85를 모두 만족하였다. 력을 작용하기에 앞서 Fig. 4의 열 분포를 적용하여 열 응력 구
조해석을 수행한 후 재료의 기하학적/재료적 비선형 해석을
3.1.2 축 압축력에 의한 원통의 최종강도 MSC/NASTRAN (2005)의 “Restart Option”을 이용하여 축 압축
력을 증분시키면서 수행하였다. 축 압축력은 스커트의 상단부 가
3.1.1절 식 (1)에서 축 압축력을 받는 원통의 임계 좌굴 응력 장자리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작용하였다.
(  ax )을 구하고자 할 때 이론적 비탄성 임계 좌굴 강도는 초기 Fig. 7(a)와 (b)는 각각 No. 1과 Nos. 2~4 스커트에 대한 비선
처짐, 열 응력 효과를 고려할 수 없기에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에 형해석 결과로, 최종 강도 상태에서의 von Mises 등가 응력과 변형
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Fig. 7(c)는 No. 1과 Nos. 2~4 스커트에
의한 최종 강도를 구하여 그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 f e 를 도입하
여 수정하였다. 즉, 탱크와 파운데이션 데크로 부터 축 압축력을
받는 스커트의 좌굴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론적 방법으로 수
행하되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으로 이를 보정하는 비교 평가법
(comparative method)을 도입하였다.
Fig. 5와 같이 구형 탱크, 스커트, 선체를 모두 포함하고 초기
처짐과 열 분포를 고려한 상세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구성하여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결과를 줄 수 있으
나 유한요소 수가 많아서 해석에 소요되는 비용과 설계 요구 시
간을 고려할 때 이 방법은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스커트 일부만을 모델링하여
구조 해석 상용 프로그램인 MSC/NASTRAN (2005)을 사용하여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축 대칭인 스커트
전체 모델의 1/27만을 구조 해석 모델로 구성하였으며 Fig. 6에
제시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에서의 경계 조건은 스커트 하단부와
파운데이션 데크가 만나는 곳을 따라 6자유도를 구속하고 스커
트 원주 방향의 모델 양쪽 끝단 면에 대하여는 대칭 조건
(symmetry conditions)을 구현하였다. 유한요소 모델을 구성할
때 Table 4의 초기 부정을 고려하여 최대 처짐량을 L/150로 하 Fig. 6 Nonlinear FE models and boundary conditions

40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Table 8 Correlation factor, f e obtained from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MPa]
correlation factor, f e
Al. SUS HTS
buckling strength
part part part

No.2 to  ax _ cri by Sole 82.2 137.2 -


4 tank
skirts
 ax by nonlinear FEA 109.3 128.8 -
[MPa] fe 1.0 0.93 -

 ax _ cri by Sole 87.0 137.2 126.2


No.1
tank skirt  ax by nonlinear FEA 113.4 139.3 158.7
[MPa]
fe 1.0 1.0 1.0
(a) von Mises stress(MPa) and deformed shape for
No. 1 skirt 대하여 하중-변위 곡선(load–displacement curve)을 나타낸 것
으로 판부재의 단위 두께 당 붕괴 하중은 각각 7,938 N/mm와
7,343 N/mm으로 나타났다. No. 1 스커트의 축 압축 응력(axial
stress)은 알루미늄부분에서 113.4 MPa, 스테인레스강 부분에서
139.3 MPa, 고장력강 부분에서 158.3 MPa이다. Nos. 2~4 스
커트의 축 압축 응력은 알루미늄부분에서 109.6 MPa, 스테인레
스강 부분에서 128.8 MPa이다.
Table 8은 Sole (2006)의 이론적 계산에 의한 비탄성 임계 좌
굴 강도(  ax _ cri )와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최종 강도(  ax )
의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 f e 를 비교한 것이다. 유한요소법에 의
한 비선형 구조 해석으로부터 얻은 최종 강도 값이 이론적 비탄
성 좌굴 강도 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는 이론적 계산에서 정확
히 고려할 수 없는 열 응력 효과, 기하학적 비선형 효과, 초기 처
짐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Sole (2006)로부터 계산한
값은 초기 치수 선정 시에 보수적 관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
(b) von Mises stress(MPa) and deformed shape for
Nos. 2~4 skirts 로 나타났다. 여기서 Nos. 2~4 스커트 하단부의 고장력강을 사
용한 부분에 대한 값을 나타내지 않은 이유는 No.1 스커트와 달
리 링 프레임 사이에 수직 보강재로 보강된 구조이기 때문에
3.1.3절에서 취급하였다.

3.1.3 수직 보강재로 보강된 원통의 좌굴 강도

Nos. 2~4 스커트 하단부는 수직 보강재로 보강된 원통 구조


물이고 축 압축력을 받을 때 좌굴 강도 평가는 LR 선급에서 제공
하는 이론적 해석 프로그램인 LR.PASS Program 20202 (1992)
을 사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보강 원통의 판부재와 보강재에
대한 압축 좌굴 강도를 각각 구하고 이들 중 작은 값을 설계 값
으로 취하였다. Table 9와 10은 Nos. 2~4 스커트 하단부의 고
장력강 설치부의 좌굴 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 원통의 압축 좌굴 강도에 대하여 추가의 원주 방향 후프
(c) Load –displacement relation curve
Fig. 7 Analysis results under ultimate strength condition 응력과 전단력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감쇄 계수, Fs 를
for Nos.2 to 4 tank skirts 도입하여 수정하였다. 여기서, 고장력강 부분에서의 후프 응력의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01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Table 9 Stiffened panel buckling strength for Nos. 2~4 skirts (upper HTS part, under sagging condition, [MPa])
0˚ 45˚ 90˚
Condition         
S.W. -44.5 -0.3 0.0 -44.5 -0.3 0.0 -44.5 -0.3 0.0
I.L. -1.7 0.0 0.0 -0.1 0.1 -0.3 1.3 0.1 0.2
Static
T.L. -8.9 -14.0 0.0 -8.9 -14.0 0.0 -8.9 -14.0 0.0
Sum -55.0 -14.3 0.0 -53.4 -14.4 0.3 -52.0 -14.3 0.3
ax 3.7 -0.2 -0.4 2.6 -0.1 8.7 -0.1 0.0 12.2
ay -0.5 -0.1 -55.1 -11.8 -0.6 -39.0 16.6 -0.9 1.6
Dynamic az -17.3 -0.1 0.0 -17.3 -0.1 0.0 -17.3 -0.1 0.0
I.L. -12.2 0.0 -0.3 -0.9 -1.2 -2.4 -9.2 -0.3 0.0
Sum -21.5 -0.3 55.1 -21.1 -1.3 40.0 -25.7 -1.0 12.3
Static + Dynamic -76.5 -14.6 55.2 -74.6 -15.8 40.3 -77.7 -15.2 12.6
 ax -246.3 -246.3 -246.3
 cr 0.94 0.97 1.00
 cr -231.0 -238.2 -245.5
S.F. 3.02 3.19 3.16

Table 10 Stiffened panel buckling strength for Nos. 2~4 skirts (lower HTS part, under hogging condition, [MPa])
0˚ 45˚
Condition      
S.W. -45.2 -2.2 0.0 -45.2 -2.2 0.0
I.L. -8.0 -3.4 -0.7 -1.9 -3.1 2.3
Static
T.L. -0.1 -4.0 0.1 -0.1 -4.0 0.0
Sum -53.4 -9.7 -0.8 -47.3 -9.3 2.3
ax -6.0 0.2 -0.4 -4.2 -0.1 8.8
ay -0.8 0.0 -56.3 -19.0 -0.5 -39.6
Dynamic az -12.0 -0.9 0.0 -17.6 -0.9 0.0
I.L. -9.7 -3.2 -1.0 -2.2 -3.9 2.6
Sum -16.6 -3.4 56.3 -26.3 -4.1 40.6
Static + Dynamic -70.0 -13.0 57.0 -73.6 -13.4 42.9
 ax -246.3 -246.3
Panel factor 0.93 0.96
Resultant -229.9 -237.1
S.F. 3.29 3.22
45˚ adj. to cut-out 90˚
Condition      
S.W. -49.0 -2.5 3.8 -45.1 -2.1 -0.1
I.L -1.9 -3.1 2.3 -5.7 -4.6 1.2
Static
T.L. -0.1 -4.0 0.0 -0.1 -4.0 0.0
Sum -51.1 -9.6 6.1 -51.0 -10.8 1.1
ax -5.4 -0.1 7.0 -0.2 0.0 12.4
ay -24.3 -0.4 -31.5 26.8 0.7 1.7
Dynamic az -19.0 -1.0 1.5 -17.6 -0.8 -0.1
I.L. -2.2 -3.9 2.6 -6.4 -5.1 0.0
Sum -31.4 -4.1 32.5 -32.7 -5.2 12.6
Static + Dynamic -82.5 -13.6 38.5 -83.7 -16.0 13.6
 ax -246.3 -246.3
Panel factor 0.99 1.00
Resultant -244.8 -245.4
S.F. 2.99 2.93

40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영향은 매우 작아서 무시할 수 있다(Table 9와 10 참조). 150K IR : 2nd moment of area of ring plus an effective
구형 LNG 운반선 스커트의 하단의 고장력강 부분에서의 임계 좌
width of plating equal to the minimum of L and
굴 강도는 판부재에서 246.3 MPa, 보강재에서 265.0 MPa로 나
타났다. 따라서 이들 중 작은 값인 246.3 MPa을 설계 좌굴 강도 1.56 Rt
값으로 취하였다. N : axial force resultant
전단 응력에 의한 추가의 강도 감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감쇄
계수로 식 (2)를 도입하였다. 설계한 링 프레임 또는 수직 보강재에 대하여 단면적과 단면
2차 모멘트를 계산하여 식 (3)에서 요구하는 값들과 비교하여 안
1/1.5
    
2
전도를 평가하였다.
Fs  1  3   

   o   (2)
3.2 타 선급 규정과의 좌굴 강도 비교
전단 응력 감쇄 계수( Fs )와 축 압축 좌굴 강도의 곱이 보강
원통의 임계 좌굴 강도가 된다. 3.2.1 DNV 선급 규정에 의한 평가
스커트 하단부의 고장력강 사용 영역에서 설계 좌굴 안전 계
수는 2.99와 3.02로 허용 안전 계수 1.85를 만족하였다. DNV (1997)는 스커트의 좌굴 강도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용 가능한 설계 프로그램으로 NVSKIRT (1997)를 제
3.1.4 원환 보강링의 국부 좌굴강도 공하고 있다. 스커트에 일어날 수 있는 다음의 좌굴 모드 중
최소 붕괴 하중이 나타나는 것을 좌굴 강도로 선택하도록 되어
스커트 링 프레임과 수직 보강재의 국부 좌굴 강도는 Sole 있다.
(2006)의 설계식으로 수행하였다. a) 판부재의 좌굴 : 링 프레임 또는 보강재사이의 판의 좌굴
a1) 링 프레임 사이에 보강재가 없을 때
링 프레임에 대하여,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단면적( AR )
a2) 링 프레임 사이에 수직 보강재가 있을 때
과 2차 모멘트 요구치( I R )는 식 (3)으로 구하였다.
b) 수직 보강재의 비틀림 좌굴 모드를 포함한 판부재의 전체
For the ring stiffened skirt sections 좌굴
c) 링 프레임의 국부 좌굴을 포함한 판부재의 전체 좌굴.
 0.334 
AR   0.6  0.063 Lt d) 수직 보강재와 링 프레임을 포함한 구조물 전체의 좌굴
 Ms  and AR  0.06 Lt (3-1)
e) 수직 보강재와 링 프레임의 국부 좌굴

I R  0.05 N LR 2 / E (3-2) Table 11은 Nos 2~4 스커트에 대하여 발생 가능한 좌굴 모


드의 안전 계수를 구한 것이다. Table 11 (a)의 결과에 따르면
For the junction between ring and vertically stiffened skirt 상단부인 알루미늄부분은 좌굴 안전 계수가 1.14이고 좌굴 모드
sections 는 외판에서 나타났다. 또한 중간부인 스테인레스강 부분은 최소
좌굴 안전 계수가 1.19이고 좌굴 모드는 외판에서 나타났다.
AR  300 N R L / E
0.2 0.8
(3-3) Table 11 (b)는 하단부인 고장력강을 사용한 윗부분으로 최소 좌
굴 안전 계수가 1.67이고 모드는 수직 보강된 보강판 좌굴로 나
타났다. Table 11 (c)는 하단부인 고장력강을 사용한 아래부분으
I R  0.13 N LR 2 / E (3-4)
로 최소 좌굴 안전계수가 1.70이고 모드는 수직 보강된 보강판
좌굴로 나타났다.
For the vertically stiffened skirt sections

AR  240 N R 0.2 L0.8 / E 3.2.2 LR 선급과 DNV 선급 규정에 의한 결과 비교


(3-5)

Table 12는 LR 선급과 DNV 선급 규정으로 150K급 구형 LNG


I R  0.10 N LR 2 / E (3-6) 운반선 스커트 좌굴 강도 안전 계수를 구하여 비교한 것이다. LR
선급에서 도입한 Sole (2006) 방법이 DNV (1997)에 의한 결과
where,
보다 대체적으로 보수적인 결과를 나타내지만 그 경향은 서로 유
AR : area of ring alone 사하게 나타났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03


구형 LNG운반선의 탱크지지 구조인 스커트의 좌굴강도에 대한 연구

Table 11 Summary of buckling strength check by DNV (1997) for Nos. 2~4 skirt
(a)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part
Production Type of skirt cylinder Figure of buckling Safety
Part Buckling mode type
tolerance (mm) geometry shape factor
shell(A1) ring stiffened
Al 20.5 1.14
(m=1, n=21) for Tk 2 (unstiff. between rings)

shell(A1) ring stiffened


22.5 1.19
(m=1, n=22) for Tk 2 (unstiff. between rings)
SUS
panel ring(A4) ring stiffened
105 2.33
(m=5, n=8) for Tk 2 (unstiff. between rings)

(b) Upper HTS part


Production Type of skirt cylinder Figure of buckling Safety
Part Buckling mode type
tolerance (mm) geometry shape factor
shell(A2)
12 vertically stiffened 2.55
(m=3, α=37 )

panel stiffener(A3)
6.5 vertically stiffened 1.67
Upper (m=1, n=35 )
HTS panel ring(A4) ring stiffened
105 2.34
(m=5,n=7 ) (unstiff. between rings)

panel ring(A5)
105 orthogonally stiffened 2.21
(m=3, n=7 )

(c) Lower HTS part


Production Type of skirt cylinder Safety
Part Buckling mode type Figure of buckling shape
tolerance (mm) geometry factor
shell(A2)
12 vertically stiffened 2.55
(m=3, α=37 )

panel stiffener(A3)
6 vertically stiffened 1.70
Lower (m=1, n=35 )
HTS panel ring (A4) ring stiffened
105 2.36
(m=5,n=7 ) (unstiff. between rings)

panel ring(A5)
105 orthogonally stiffened 2.23
(m=1, n=7 )

Table 12 Comparison of the buckling safety margins


Safety factor Buckling
Structures
LR(Sole, 2006) DNV (1997) Type
Aluminum 1.09 1.15 Shell
No.1 Tank SUS 1.44 1.59 Shell
HT 1.10 1.04 Shell
Aluminum 1.02 1.14 Shell
SUS 1.09 1.19 Shell
Nos. 2~4 Tanks
Lower 1.63 1.67 Stiffened Panel
HTS
Upper 1.58 1.70 Stiffened Panel

40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을년

4. 결 론 bulk(IGC code). MSC 93/22/Add.1 Annex 6,


Kim, Y.M. Ko, S.C. Chun, N.I. & Kim, K.K., 1993. A
study on the thermal design of the cryogenic LNG
본 논문은 구형 LNG 운반선의 탱크를 지지하는 원통형 스커
carri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트구조의 좌굴 강도에 관한 것으로 스커트의 구조 부재로서의 역
74(4), pp.227-236.
할,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와 크기, 조선소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Kim, J.G. Kim, Y.M. & Kim, C.S., 1997. A study on
적용하고 있는 설계와 강도 평가 절차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unsteady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of moss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ype LNG carrier by insulation system. Journal of
i) 스커트 구조의 안전성 평가는 항복 강도, 좌굴 강도, 피로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11(4), pp.159-168.
강도 등을 기준으로 수행하는데 이 중 가장 주요한 설계인자는
Lloyd’s Register (LR), 2012. Rules and regulations for
좌굴 강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the construction and classification of ships for the
ii) 구형 탱크가 극저온의 LNG로 채워져 있는 경우, 상온의 선
carriage of liquefied gases in bulk. London, United
체와 열적 평형 상태을 이루기 위하여 스커트로 열 전달이 발생
Kingdom: Lloyd's Register
하고 이 때 온도 구배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곳은 스테인레스강
LR PASS Program 20202, 1992. Direct calculation
(SUS 304N)부분이다. 이 때 발생하는 열 응력은 원주 방향 수축
program user manual of the stiffened compression
으로 인한 후프 응력이 주 성분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부분은
panels. Lloys’s Register Program No. 20202.
LNG화물 중량과 탱크 자중에 의한 굽힘 응력 성분과 열에 의한
MSC/Nastran 2005. Quick reference guide. Tokyo, Japan
굽힘 응력이 반대로 작용하여 전체 응력은 완화되었다.
: MSC Software Simulating Reality.
iii) 스커트에 축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 비선형 유한요소 해
Nam, Y.Y. Nho, I.S. & Lee, H.S., 1993. Structural
석으로 구한 최종 강도는 이론적 접근법인 Sole (2006)을 적용한
safety assessment of independent spherical LNG
비탄성 임계 좌굴 강도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론
적 접근법은 초기 처짐과 열 응력의 영향이 고려하지 않았기 때 tank(3rd report )–Safety assessment of tank system
문이다. 따라서 이론적 접근법은 보수적 접근법으로 나타나 설계 against cryogenic temperature-. Journal of the
목적상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30(4),
iv) 선체 거어드의 굽힘 모멘트에 의한 스커트에 작용하는 상 pp.83-92.
호작용 효과는 스커트 하단부가 선체의 중립축 근처에 연결됨으 NVSKIRT, 1997. User’s manual – NVSIRT design
로써 그 효과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gram for supporting skirts on LNG tankers. DNV
v) 선수 부분에 설치하는 No. 1 탱크의 수직 방향의 동적 가 Report No. 96-0411.
속도에 기인한 응력의 크기는 화물의 무게 등에 의한 정적 응력 Sole, G. H., 2006. Procedures and background for
의 약 55% 정도로 나타났다. the analysis of moss type LNG tanks. Lloyd’s
vi) LR 선급에 제시하는 스커트의 좌굴강도 평가법은 DNV 선 Register-04-06-R2.
급에 의한 방법보다 보수적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WASIM, 2011. SESAM user manual, Wave loads on
vessels with forward speed. Valid from program
version 5.1-01, Det Norske Veritas.
References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SME), 2012.


On design procedures for the buckling of cylinders under
combined axial compression and external pressure. Cases
of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N-284-4.
Det Norske Veritas (DNV), 2004. Classification Notes No.
30.2, Strength analysis of LNG carriers with spherical
tanks. Veritasveien Norway: Det Norske Veritas
Det Norske Veritas (DNV), 1997. Classification Notes No.
30.3, Buckling criteria of LNG spherical cargo tank
containment systems – skirt and sphere. Veritasveien
Norway: Det Norske Veritas
IGC Code, 2014.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김을년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in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05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406-414,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406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신성윤1 ・ 정광효1 ・ 강용덕2,† ・ 서성부2 ・ 김진3 ・ 안남현4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1
동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2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미래선박연구부3
거제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4

A Study on the Effect of Large Coherent Structures to the Skin Friction by


POD Analysis
Seong-Yun Shin1 ・ Kwang-Hyo Jung1 ・ Yong-Duck Kang2,† ・ Sung-Bu Suh2 ・ Jin Kim3・Nam-Hyun An4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1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2
Advanced Ship Research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Daejeon, Korea3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Koje College, Geoje-si, Gyeongsangnam-do, Korea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 experimental study in a recirculating water channe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rge coherent structures to
the skin friction on a flat plat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was used to quantify characteristic features of
coherent structures growing to the boundary layer. In the PIV measurement,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friction velocity near the
wall region due to laser deflection and uncertainty so that Clauser fitting method at the logarithmic region was adopted to
compute the friction velocity and compared with the one directly measured by the dynamometer. With changing the free-stream
velocity from 0.5 m/s to 1.0 m/s, the activity of coherent structures in the logarithmic region was increased over three times in
terms of Reynolds stress. The flow field was separated by Variable Interval Time Averaging (VITA) technique into the weak and
the strong structure case depending on the existence large coherent structures in order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stream-wise velocity fluctuation was scanned through at the boundary thickness whether it had a large deviation from
background flow. With coherent structures connected from near-wall to the boundary layer, mean wall shear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weak structure cas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analysis was also applied to compare the energy
budget between them at each free-stream velocity.

Keywords : Turbulent boundary layer(난류 경계층), Large coherent structure(난류 응집구조), Friction velocity(마찰속도), Wall
shear stress(마찰전단응력), Top-down energy cascade(하향식 에너지 전달), Particle Image Velocimetry(PIV, 입자영상
유속계), Variable Interval Time Averaging(VITA, 변동시간간격평균),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적합직교분해)

1. 서 론 Runstadler, 1967)를 사용하여 점성저층(viscous sublayer)에 존


재하는 유동방향 와류가 외부영역(outer layer)으로 에너지를 공
급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렇게 공급된 저속유동은 평균전단흐름
난류 경계층 내 에너지 재생성에 관련된 와류의 영향을 파악 (mean shear flow)과 상호작용하면서 와류의 소멸과 재생성 과
하기 위해 그 구조적인 특성이 연구되어져 왔다. 실험적으로는 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활발한 운동량을 갖고 있
벽면 근처에 설치된 수소기포(hydrogen bubble) 생성기(Kline & 는 외부영역의 고속유동을 벽면으로 유입시키는 Burst 현상

Received : 29 March 2017 󰠛 Revised : 26 July 2017 󰠛 Accepted : 8 September 2017



Corresponding author : Yong-Duck Kang, ydkang@deu.ac.kr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김진・ 안남현

(Corino & Brodkey, 1969; Willmarth & Lu, 1972)이 마찰항력을 2. 실험 구성


증가시킨다. 이를 뒷받침하는 수치해석 결과 (Kim, 1983; Lyons
et al., 1989; Smith, et al., 1991; Jimenez & Pinelli, 1999;
본 연구를 위한 유동장 계측은 Fig. 1에 나타나 있는 부산대학
Schoppa & Hussain, 2002)는 중심 이격 거리(  ) 50, 유속방
교 고속회류수조(길이 6 m, 높이 2 m, 폭 0.6 m)에서 수행되었
향으로 400~450 무차원 거리(  )가 유지되는 상반회전 와류가
다. 고속회류수조는 측정구간에서 2%의 uniformity와 자유유동속
sweep 현상을 유기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벽면 때림(splatting)”
도의 0.5%에 해당하는 난류 강도에서 25 m/s까지 작동이 가능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난류유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 하다.
한 구조적 모형 (Theodorsen, 1952; Hinze, 1975; Kim, 1983; 입자영상유속계(PIV) 장비는 2.0 m 길이와 0.2 m(폭) x 0.2
Choi, 1989; Smith, et al., 1991; Robinson, 1990; Lim, et al., m(높이)의 횡단면을 가진 측정구간에서 유속장을 얻기 위해 사용
1998)이 제안되었고, 그 중 하나로 머리핀 와류가 마찰항력 증감에 되었다. 입자영상유속계(PIV) 시스템은 Fig.2 에 나타낸 것과 같
관여하는 기본 형상으로 소개되었다. 초기 연구는 유속과 같은 방 이 고속 CCD 카메라, 다이오드 연속 레이저 및 광학 렌즈 시스
  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속방향을 양의 x축, 위쪽 벽면을 기준
향으로 벽면 근처에 머무르는 와류간 무차원 간격( )과 지름( )
으로 아랫방향을 양의 y축으로 설정하고 우수계를 만족하는 양의
등 구조적인 형상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난류
z축이 결정되었다. 다이오드 연속 레이저의 최대 강도는 8Watt이
구조의 재생성 과정중 점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마찰항력 증감 메
고 532 nm의 파장을 갖는다. 고속 CCD 카메라는 2352x1728
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로 이어졌다. 벽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
픽셀의 최대 해상도를 갖고, 최대 1000 Hz의 프레임으로 촬영이
는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작은 규모의 와류를 대상으로 하는 난류제
가능하며 7x7 μm, 8 bit의 depth를 가지며 초점 거리 105 mm의
어기법이 활발하게 제안되었으며, 더 나아가 마찰항력 저감의 최대
접사 렌즈를 장착하였다.
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계층 외부영역까지 성장해 나가는 거대
실험 특성상 벽면 근처에서 유동장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여
난류 응집구조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자유유동속도를 포함하는 전체 경계층에 이르는 영역뿐만 아니
연구그룹 (Zhou, et al., 1999; Christensen & Adrian, 2001;
라, 벽면으로부터 대수영역(logarithmic region)까지 포함하는 관
Panton, 1997; Ganapathisubramani, et al., 2003; Kim, 2008:
측 영역(field of view)을 추가하였고, 모든 정보는 Table 1에 상
Kang, et al., 2008; Jimenez 2012; An 2014)에서는 벽면근처에
세하게 정리하였다. 조사 영역(interrogation area)은 32x32 픽셀
서 생성된 작은 규모의 머리핀 와류가 경계층 외부영역까지 연결
이며, 50% 화상중복을 하여 벽 부근 영역은 0.2 mm와 경계층
되어 성장하든지 혹은 인접 와류끼리 집합체를 이룬 응집된 구조
전체 영역은 0.35 mm의 공간 해상도를 갖는다.
로 벽면에 흔적을 남기는 에너지 전달과정을 통해 벽면 마찰항력
마찰항력을 측정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시편(100 mm 길이, 50 mm
에 관여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난류 유동 특성상 하나의 대칭
폭, 8 mm 높이)을 동력계와 함께 상부 벽면에 설치하였다. 본 결과는
적인 와류가 발달되기는 어렵고, 다양한 크기의 와류가 모여 응
차후 진행될 미세기포를 사용한 유동제어실험에 활용될 예정이다.
집된 형태로 상호작용하면서 경계층까지 발달해 나가기도 하고
중간과정에서 소멸되어 재생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응
집된 와류 구조는 에너지 전달을 통해 벽면 마찰항력 증가에 영
향을 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근처의 와류구조뿐만 아니
라, 거대 난류 응집구조의 제어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난류 에
너지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계층 내 벽면에서 외부영역으로 성장하는
와류의 구조적 형상을 파악하고 주위 유동변화에 따른 마찰항력
메카니즘 연구는 활발히 이어져 왔다. 하지만, 거대 응집구조에
의한 잠재적인 난류 에너지 기여를 정량적으로 해석한 연구는 상 Fig. 1 Schematic diagram of a high-speed recirculating
대적으로 미흡하다 할 수 있다. water channel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속장 내 변동시간간격평균(VITA) 기법
으로 경계층 외부까지 성장하는 난류 응집구조의 존재 유무에 따
라 Weak structure와 Strong structure 유동장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유동장에서 난류응집구조가 확인된 시점으로부터 데이터
를 추출후 평균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난류 응집구조의 변화를 정
량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유속변화에 따른 유동장을 Reynolds
stress, 마찰 전단응력과 적합직교분해법(POD)으로 비교 및 분석
하여 난류 응집구조에 의한 잠재적 에너지 변화량을 벽면 마찰항
력 증가량으로 수치화하였다. Fig. 2 PIV system set-up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07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Table 1 Measurement area for the near-wall and the 상(snapshot)으로부터 경계층 내 에너지 분산에 기여하는 주된
whole boundary layer 난류구조를 각각의 모드 별로 구분함으로써 개별적인 영향을 분
Field of Resolution Size Vector spatial 리하여 파악할 수 있다. 난류유동의 공간상 측정된 n개의 속도성
view (Pixel) (mm) resolution (mm) 분을 Reynolds 분해법으로 평균속도〈  〉와 변동속도
Near wall 2352 x 240 28.9 x 2.9 0.20
 ′  로 분해할 수 있다.
Whole
2352 x 1728 51.4 x 37.8 0.35
boundary layer
   〈  〉 ′  (3)

따라서, 자유유동속도는 미세기포 발생기의 하류에 장착된 시편 위의 식에서 변동속도  ′  를 정규직교계(Orthonormal
상부 벽면에 도달하여 최대 저감효과를 나타내도록 선정하였다. system)로 분해하는 적합직교분해(POD)해석법을 활용하여 아래
자유유동속도(0.5 m/s와 1.0 m/s)에 따라 시편에 작용하는 힘과 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비례하는 전압을 PC로 전송하여 마찰항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동
력계의 용량은 1.0 N이며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획득한 재현성, 

비직진성 및 이력 오차를 포함한 전체 오차는 ±2.3%이다.


′       
 
  (4)

여기서, 공간모드    는 측정된 위치에서 자기상관함수


3. 데이터 처리
   를 통한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으며,   는 해당
공간모드의 시간종속 계수이다.
3.1 변동시간간격평균
(Variable Interval Time Averaging)
        (5)

변동시간간격평균 (VITA, Blackwelder & Kaplan, 1976)기법


적합직교분해(POD) 해석은 자기상관함수의 최적분포를 보여
은 측정된 유속에서 임의의 시간간격(T) 동안 변동속도의 분산이
주는 직교모드의 집합인 고유벡터   와 각 직교모드 크기인
전체 변동속도 분산의 설정 값(K) 비율을 넘는 신호를 찾아냄으
에너지 집합의 고유치  를 도출하는 과정(Han, et al., 2001)이
로써 난류 유동장속에서 응집 구조를 확인하는 기법이다. 특히,
경계층 부근 전체 변동속도의 분산이 낮기 때문에 난류 응집구조 다. 고유치 크기에 따른 모드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유동장내
를 확인하기가 용이하며, 시간간격(T) 동안의 분산은 다음 식으 에너지 재생성에 관여하는 주된 난류구조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로 계산할 수 있다.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연속된 시간영역에서 측정된 데이터
(snapshot)를 특이치 분해법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 method of snapshots , Sirovich, 1987)으로 이산화 하여 차원

   
 




, for   → (1)
을 감소시킴으로써 신속하게 계산 가능하다.

여기서,  ′ 는 평균 속도 〈 〉를 뺀 시간간격 T 내의 변동속


4. 결과 및 논의
도이고, n은 표본 전체수이다. 전체 변동속도의 분산(Varn)은 다
음 식에 의해 계산된다.
난류 경계층을 포함하는 전체영역 유속장은 시험부의 시작점
  으로부터 x=1.6 m 인 위치에서 0.5 m/s와 1.0 m/s의 자유유동
   
   ′ 
 


(2) 속도 조건으로 1.68s 동안 측정한 무차원 평균유속 윤곽을 Fig. 3
에 나타냈다. 경계층 두께(δ)는 평균유속 99.5%에 해당하는 높이
VITA기법에 의해 선택되는 난류 응집구조는 임의의 시간간격 이고, 벽면으로부터 높이(y)를 무차원화(y/δ)하는데 사용되었다.
(T) 동안 분산 변화(VarT)가 전체 변동속도의 설정치를 곱한 값 측정한 유동장이 난류 유동으로 충분히 발달되었는지를 확인
(K×Varn) 보다 큰 시점에 존재한다. 하기 위해 형상 계수(H)의 개념을 도입하여 배제두께(δ*)와 운동
량 두께(θ)의 비로써 계산할 수 있으며, 난류의 경우는 1.0~1.4
3.2 적합직교분해 의 값(Schlichting & Gersten, 2000)을 갖는다. 더불어, 운동량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해석 두께에 관한 Reynolds 수(Reθ)도 유동 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계산되었고, 모든 실험조건 및 난류변수를 Table 2에 정리하였
적합직교분해(POD) 해석은 변동속도를 기저함수로 표현하여 다. 형상계수(H)는 평균유속 0.5 m/s와 1.0 m/s에서 1.35와
유동 내 난류의 응집구조를 드러내는 유용한 기법 (Berkooz et 1.38인데, 이는 유동이 측정 위치에서 충분히 난류로 발달되었음
al., 1993)으로 활용되어 왔다. 입자영상유속계(PIV)로 촬영된 형 을 나타낸다.

40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김진・ 안남현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마찰 속도(uτ)를 계산하기 위해 카르만


상수 κ=0.41와 거칠기 상수 B=5.5를 갖는 선형 로그 법칙과
Clauser fitting (Clauser, 1956)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벽 부근 영역 데이터가 선형 벽 법칙 (y+=u+)에 해당하는 이론값
과 겹치게 된다. 여기서, y+=yuτ/ν 및 u+=u/uτ로 무차원화 된 수
이며, y는 벽면으로부터 수직한 거리이고, ν는 동점성 계수, uτ는
마찰 속도이다.
평균속도 분포중 로그 영역의 선형 부분에 맞춰 얻어낸 마찰
속도의 정확도 수준을 입증하기 위해 동력계의 마찰저항으로부
터 계산한 결과와 비교 하였다. 무차원 마찰전단항력 계수는
Cf=2τw/(ρU∞2)으로 계산되며, 다음 식을 통해 마찰 속도로 변환
할 수 있다.

Fig. 3 Non-dimensional mean velocity profiles at 0.5


   
 ×  ∞ (6)
m/s and 1.0 m/s of the free-stream velocity
여기서, τw는 0.5 m/s, 0.7 m/s, 1.0 m/s의 자유유동속도에 동
보다 정확한 점성저층(viscous sublayer)의 속도를 얻기 위해
력계로 측정한 마찰 전단응력을 나타낸다. 뉴턴유체 가정을 적용
벽면에서 대수영역(y+≈100)까지 확대한 관측 영역(field of view)
했을 때 점착 조건에 따르는 벽면에서의 유속(u=0)과 선형 벽 법
의 평균 유속분포를 전체 영역의 결과와 함께 로그 스케일로 표
칙(y+=u+)에 따르는 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한 기울기(∂u/∂
현하였다. 난류 유동은 로그 영역에서 선형성을 갖고 있으며, 이
y) 및 유체의 점성(μ)값을 사용하면 다음 식을 통해 마찰 전단응
구간에서 겹치는 평균 유속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체 영역을 측정
력 값(τw)을 구할 수 있다.
한 유속 데이터중 y+≈60이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확대한 관측
영역의 데이터로 대체하였다. 
Fig. 4는 경계층이 충분히 발달하여 넓은 로그 영역을 갖는 대
    (7)

표적인 평균 속도분포를 보여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해 유속 및 위
치에 관련된 오차분석을 하였다. 유속에 관련된 RMS-Uncertainty 동력계를 통해 계측된 마찰속도, 7승 멱법칙 Cf=0.027/(Rex1/7)
는 0.07 pixel로 속도로 환산하면 1.0 m/s 유속에서 0.15%이며, 및 Clauser fitting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마찰속도를 Table 3에
위치와 관련된 벽면 기준값 오차는 ±4 pixel로 =0.022 mm로 환 정리하였으며, 실험과 이론값이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산되어 유속이 0.5 m/s 및 1.0 m/s일 경우 각각 0.26% 및 측정된 유속장에서 난류 응집구조의 형상적 정보를 파악하
0.30%이다. Fig. 4에서 유속별로 벽에 가까운 두 점에 대한 위치 기 위해 VITA기법과는 반대로 내부영역의 버퍼구간인 y+=25를
오차 막대(error bar)로 유속 측정시 포함되는 오차를 표현하였다. 기준점(x, yR)으로 하여 임의의 점(x+rx, y)과의 상호상관관계
오차 막대는 각각 y+=±1.85(0.5 m/s) 및 y+=±3.7(1.0 m/s)을 Rij를 아래의 식 (Jacob, 2010)으로 계산하여 Fig. 5에 나타
내었다.

Table 2 Parameters for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at 0.5 m/s and 1.0 m/s
U∞(m/s) δ(mm) δ*(mm) θ(mm) H Reθ
0.5 34.1 5.1 3.7 1.38 1674
1.0 29.6 4.5 3.3 1.35 2907

Table 3 Friction velocities calculated by Clauser’s


method, Dynamometer and 7th power law.
U∞ uτ(m/s)
(m/s) Clauser’s method Dynamometer 7th power law
0.52 0.023 0.024 0.023
0.76 - 0.034 0.033
Fig. 4 Logarithmic mean velocity profile with error bar
1.00 0.043 0.042 0.043
of wall-normal position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09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   ′     
         (8)
′  ′
s  s

유속방향 길이를 규정하기 위해 Rij의 값을 0.15로 설정하면, 자유


유동속도 0.5 m/s에서는 r+≈500과 1.0 m/s에서는 r+≈900까지 상관
성을 유지하며 낮은 상관관계 값(Rij=0.05)이지만 경계층 높이까지
성장해 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해석방법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수치해석 및 실험 (Kim, et al., 2008; Kang, et al., 2008;
Jacob, et al., 2010)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자유유속별 무차원 Reynolds 응력분포 -<u'v'>/uτ를 계산하여
벽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른 응력변화를 Fig. 6에 표시하였다. 유
속이 증가함에 따라 Reynolds 응력으로 표현되는 잠재적 에너지
를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유속이 0.5 m/s에서 1.0 m/s로 변화하 Fig. 6 Non-dimensional Reynolds stress, -<u'v'>/uτ
면 그 값은 3.3배가 증가한다. 이것은 유속이 증가함으로써 전체 at 0.5 m/s and 1.0 m/s
적으로 와류 생성이 빈번하고 에너지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경계층 내 유동 특성상 난류구조는 비대칭형 혹은 무리를 이
대수영역(logarithmic region)의 확대로 이어진다. 즉, 최대 응력
루는 응집구조 형태가 대부분이고 대칭형 형상은 초기발생 이후
값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은 경계층까지 연결되는 응집구조로의
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경계층까지 이르는 난류 응집구
성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조를 선별하기 위해 경계층 높이에서의 변동속도를 변동시간간
격평균(VITA) 기법으로 10 ms의 시간(T)간격동안 분산이 설정치
(threshold)보다 큰 시점을 기준으로 유속별 무차원 시간
   ×     만큼 유동장을 추출하여 앙상블 평균하였
다. 즉, 경계층까지 연결되어 성장하는 응집된 난류 구조가 없는
유동장을 weak structure(왼쪽)와 있는 유동장을 strong
structure(오른쪽)라 구분하여 Fig. 7 (0.5 m/s)와 Fig. 8 (1.0
m/s)에 변동속도(′ ) 분포를 t+=20 간격으로 나타내었다.

(a)

(b)
Fig. 7 The velocity fluctuation of 0.5 m/s. Non-
Fig. 5 Cross correlation map of (a) 0.5 m/s with δ+=620 dimensional time (t+) interval between each figure
(b) 1.0 m/s with δ+=1100. Dashed line is for the is 20. Left column is for weak and right column
reference height, y+=25 and Thick line is for the is for strong structure. Dashed line indicates
non-dimensional boundary thickness, δ+. boundary layer thickness.

41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김진・ 안남현

Fig. 8 The velocity fluctuation of 1.0 m/s. Non-


dimensional time (t+) interval between each figure
is 20. Left column is for weak and right column
is for strong structure. Dashed line indicates
boundary layer thickness.

응집구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경계층(점선) 내부에 낮은 변


Fig. 9 POD modes of 0.5 m/s. Left column is for
동속도를 갖는 음과 양의 영역으로 산포되어있는 반면, 변동시간
weak and right column is for strong structure.
간격평균(VITA) 기법으로 추출된 유동장은 높은 음의 변동속도가
(a) 1st mode (b) 2nd mode (c) 3rd mode. Solid
내부영역으로 특히, 0.5 m/s의 유속에서는 깊숙이 버퍼영역 thin line indicates boundary layer thickness.
(buffer region)까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머리핀 와류의 유속방향 중앙단면에 나타나는 변동속도 화살표 크기를 합한 값이고 두 번째 x축(위쪽)에 대응된다. 이는
분포의 전형으로 와류의 회전방향(6시방향~12시방향)에 의해 낮 벽면으로부터 경계층까지 이어지는 난류 구조의 응집도를 높이
은 유속이 외부영역으로 분출(ejection)되어 평균유속을 감소시켜 에 따라 표현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각 그림의 왼쪽은 응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머리핀 와류 내부에서의 분출현상으로 집 구조가 없는 Weak structure, 오른쪽은 변동시간간격평균
구조물 주위의 변동속도는 증가되어 레이놀즈응력 생성에 기여 (VITA) 기법에 의해 응집 구조가 포함된 Strong structure 유동장
하게 된다 (Iwamoto, et al., 2002; Del Alamo, et al., 2004). 의 주된 난류 모드를 표시하고 있다. 유속에 관계없이 1차 모드
이와 동시에, 반대 방향(12시방향~6시방향)의 와류 회전은 높 는 난류 응집구조가 있을 경우, 벽면부터 경계층 높이까지 연결
은 유속을 내부영역으로 전달(sweep)하여 벽면 마찰항력을 증가 되는 유동의 형태가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확연하게 드러남을 볼
시킨다. 특히, 다리부분은 벽면에서 머리핀 와류가 외부영역으로 수 있다. 자유유동속도 0.5 m/s의 2차 모드 Weak structure 유
성장하게끔 지지대 역할을 하는데 전단흐름에 의해 머리핀 와류 동장은 y+ ≥ 400에서 응집구조가 급격히 줄어드나, Strong
가 유속방향으로 늘어나면 와류의 크기는 작아지면서 회전도는 structure 유동장은 증가후 점차 감소하고 경계층까지 상대적으
증가하게 된다 (Smith, et al., 1991; Dhanak & Dowling, 1995; 로 응집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유유동속도 1.0 m/s의 2차 모
Toh & Itano, 2005).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경계층까지 성장하면 드 Weak structure 유동장은 y+~400 기준으로 두 덩어리의 응집
서 벽면까지 연결된 난류응집구조는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구조가 분리되어 있고 y+~700을 정점으로 경계층까지 그 값이
에너지를 공급하고 난류유동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줄어들지만, Strong structure 유동장은 벽면으로부터 경계층까
경계층 내 산재해 있는 와류 구조를 적합직교분해(POD) 기법 지 하나의 응집구조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을 사용하여 모드별(고유벡터  )로 에너지 크기(고유치  )를 3차 모드는 벽면을 제외하고 경계층 전 영역에 낮은 응집도를
계산하여 내림차순으로 재배치한다. 저차모드는 유동장 속 주된 갖고 산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Fig. 7과
와류에 해당하며 3차 모드까지 유속별로 Fig. 9 (0.5 m/s)과 Fig. Fig. 8의 유동장을 시간변화에 따라 상호상관관계로 결정된 각
10 (1.0 m/s)에 나타내었다. 가는 실선은 경계층 높이를 나타내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최대 에너지를 갖는 1차 및 2차 모드는
 
며, 굵은 실선은 각각의 높이( )에서 유동방향( )으로 표시된 경계층까지 성장한 난류 응집구조가 벽면 근처의 난류 유동과 연결되어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11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a)

Fig. 10 POD modes of 1.0 m/s. Left column is for


weak and right column is for strong structure. (a) 1st (b)
mode (b) 2nd mode (c) 3rd mode. Solid thin line Fig. 11 (a) Non-dimensional cumulative eigen value
indicates boundary layer thickness. (b) Non-dimensional eigen value up to 20
modes compared between weak and strong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상부구조의 흔적에 의해 벽면에서 작은 structure of velocity field at 0.5 m/s and 1.0 m/s
규모의 와류가 활성화되어 마찰항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하향식
에너지 전달(Top-down energy cascade) 혹은 진폭변조영향
(Amplitude modulation effect)으로 설명한다 (Hutchins &
Marusic, 2007; Jimenez 2012; Squire, et al., 2016).
적합직교분해(POD) 방법으로 에너지 생성에 관련되는 모드의
누적 에너지 및 모드별 에너지를 전체 누적 에너지 값으로 무차
원화하여 Fig. 11에 각각 나타냈다. 전체 에너지의 60%를 4차
모드까지 기여하고, 5차 모드 이후는 5%이하의 개별 에너지를
Fig. 12 Non-dimensional wall shear force (Cf) at the
갖는다. 유속별 응집구조가 있는 유동(Strong structure)이 없는
wall for t+=40 (a) 0.5 m/s (b) 1.0 m/s.
유동(Weak structure)보다 0.5 m/s에서 32%, 1.0 m/s에서는
46% 잠재적 에너지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값은 유속장을 변동시간간격평균(VITA) 기법을 적용하여 난류 응집구
유동제어를 통해 응집구조의 활동을 제약하여 획득할 수 있는 최 조가 존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무차원 시간 t+=40동안 유속 데
대 마찰항력 감소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덧붙여, 변동시간간격 이터를 추출하고 시간변화에 따른 무차원 마찰전단항력계수(Cf)
평균(VITA)을 사용하여 유동장을 분리하기 전 적합직교분해 를 계산하였다. 응집구조가 감지되는 시점인 t+=0 이후 유속에
(POD) 방법을 적용한 유속별 난류 에너지를 비교해 보면, 0.5 따른 무차원 마찰전단항력계수(Cf)를 적분하여 비교하면, 0.5
m/s보다 1.0 m/s의 유속에서 약 3.4배 증가함을 보인다. 이것은 m/s인 경우 22.9%, 1.0 m/s의 경우 8.9%가 응집구조에 의해
Reynolds 응력 계산 결과인 증가분(약 3.3배)과 비슷한 결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은 규모의 난류 구조가 벽면 근
POD해석에 의한 잠재적 에너지 계산값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처에만 머무르지 않고 경계층까지 큰 규모의 난류 응집구조로 성
유속별 난류 응집구조의 유무에 따라 무차원 마찰전단항력 변 장하면서 내부영역의 난류 구조와 상호작용을 통해 빠른 유속이
동을 Fig. 12에 나타냈다. 벽 부근 영역(y+≈100)을 확대 촬영한 유입되어 벽면 마찰항력이 증가하는 것이다.

41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김진・ 안남현

5. 결 론 wall structure of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Journal of Fluid Mechanics, 76(1), pp.89-112.
Choi, K. S., 1989. Near-wall structure of turbulent
본 연구에서는 난류 경계층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하
boundary layer with riblets. Journal of Fluid
나의 메커니즘인 하향식 에너지 전달(Top-down energy
Mechanics, 208, pp.417-458.
cascade)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고속회류수조에서 입자영상유
Christensen, K. T. & Adrian, R. J., 2001. Statistical
속계(PIV) 기법으로 유속장을 측정하였다. 경계층을 포함하는 전
evidence of hairpin vortex packets in wall turbulence.
체 영역뿐만 아니라 벽면 유동장의 관측 영역(Field of view)을
Journal of Fluid Mechanics, 431, pp.433-443.
추가적으로 확대 측정함으로써 벽면 마찰속도 계산의 정확도를
Clauser, F. H., 1956.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높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Advances in Applied Mechanics, 4, pp.1-51.
1) 유속에 따른 잠재적 에너지 변화량을 Reynolds 응력으로
Corino, E. R. & Brodkey, R. S., 1969. A visual investigation
계산하면 자유유동속도가 0.5 m/s에서 1.0 m/s로 변함에 따라
of the wall region in turbulent flow. Journal of Fluid
그 값은 3.3배로 증가하였다. 이에 더하여, 적합직교분해(POD)
Mechanics, 37, pp.1-30.
방법으로 유속별 전체 모드에 대한 누적 에너지를 비교하면 3.4
Dhanak, M. R. & Dowling, A. P., 1995. On the pressure
배 증가하여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fluctuations induced by coherent vortex motion near
2) 버퍼영역(Buffer region)인 y+=25를 기준점으로 전체 유동
a surface. 26th AIAA Fluid Dynamics Conference, San
장의 상호상관관계 값(Rij)을 계산하면 유속에는 무관하게 무차원
Diego, CA, June 19-22, 1995, Paper No. 95-2240.
높이와 길이는 무차원 경계층 높이(δ+)와 유사하였다.
Del Alamo, J. C. Jimenez, J. Zandonade, P. & Moser,
3) 변동시간간격평균(VITA) 기법으로 경계층에 이르는 응집구
R. D., 2004. Scaling of the energy spectra of turbulent
조가 존재하는 유동장(Strong structure)과 그렇지 않은 유동장
channels. Journal of Fluid Mechanics, 500,
(Weak structure)으로 분류하여 난류 응집구조를 정량적으로 분
pp.135-144.
석하였다. 난류 응집구조가 있는 유동장에서는 버퍼영역(Buffer
Ganapathisubramani, B. Longmire, E. K. & Marusic, I.,
region)인 내부영역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003. Characteristics of vortex packets in turbulent
4) 각각의 유동장 내 주된 와류의 에너지 기여도를 적합직교
boundary layers. Journal of Fluid Mechanics, 478,
분해(POD) 방법으로 분류하면 1차 및 2차 모드가 경계층 전 영
pp.35-46.
역에 연결된 응집구조로 에너지 생성에 주로 관여하였다. 경계층
Han, S. & Feeny, B. F., 2002. Enhanced proper
까지 발달하는 난류 응집구조가 있는 유동(Strong structure)이
orthogonal decomposition for the modal analysis of
없는 유동(Weak structure)보다 0.5 m/s에서 32%, 1.0 m/s에서
homogeneous structures. Journal of Vibration and
46%로 잠재적 에너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trol, 8, pp.19-40.
5) 응집구조의 존재 유무에 따라, 0.5 m/s와 1.0 m/s 유속
Hinze, J. O., 1975. Turbulence. McGraw-Hill Book
조건에서 무차원 마찰전단항력계수(Cf)는 각각 22.9%와 8.9%
Company: New York.
증가하였다. 경계층 외부 영역에 존재하는 난류 응집구조는 벽면
Hutchins, N. & Marusic, I., 2007. Large-scale influences
으로 높은 운동량을 갖는 유동을 유입시켜 마찰항력 증가에 직접
in near-Wall Turbulenc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365, pp.647-664.
6) 유동 제어를 실시하여 내부영역뿐만 아니라, 외부 영역의
Iwamoto, K. Suzuki, Y. & Kasagi, N., 2002. Reynolds
난류 응집구조 생성을 방해하면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항력 저감
number effect on wall turbulence : toward effective
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feedback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Fluid Flow, 23, pp.678-689.
References Jacob, B. Olivieri, A. Miozzi, M. Campana, E. & Piva R.,
2010. Drag reduction by microbubbles in a turbulent
An, N. H., 2014. An Investigation of drag reduction boundary layer. Physics of Fluids, 22,
mechanism of outer-layer vertical blades array. pp.115104-1-11.
Ph.D.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Jimenez, J. & Pinelli, A., 1999. The autonomous cycle
Berkooz, G. Holmes, P. & Lumley, J. L., 1993. The of near-wall turbulence. Journal of Fluid Mechanics,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in the analysis of 389, pp.335-359.
turbulent flows.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Jimenez, J., 2012. Cascades in wall-bounded
25, pp.539-575. turbulence.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44,
Blackwelder, R. F. & Kaplan, R. E., 1976. On the pp.27-45.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13


적합직교분해(POD)기법을 사용한 난류 응집구조 거동에 관한 연구

Kang, Y. D. Choi, K. S. & Chun, H. H., 2008. Direct U., 1991. On the dynamics of near-wall turbulence.
intervention of hairpin structures for turbulent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boundary-layer control. Physics of Fluids, 20, London A, 336, pp.131-175.
pp.101517-1-101517-13. Squire, D. Baars, W. Hutchins, N. & Marusic, I., 2016.
Kim, J., 1983. On the structure of wall-bounded turbulent Inner-outer interactions in rough-wall turbulence.
flows. Physics of Fluids, 26(8), pp.2088-2097. Journal of Turbulence, 17(12), pp.1159-1178.
Kim, K., Sung, H. J. & Adrian, R. J., 2008. Effects of Theodorsen, T., 1952. Mechanism of turbulence.
background noise on generating coherent packets of Proceedings of the Second Midwestern Conference on
hairpin vortices. Physics of Fluids, 20, Fluid Mechanics, Ohio State University, pp.1-18.
pp.105107-1-105107-10. Toh, S. & Itano, T., 2005. Interaction between a
Kline, S. J. Reynolds, W. C. Schraub, F. A. & Runstadler, large-scale structure and near-wall structures in
P. W., 1967. The structure of turbulent boundary layer. channel flow. Journal of Fluid Mechanics, 524,
Journal of Fluid Mechanics, 30, pp.741-773. pp.249-262.
Lim, J. Choi, H. & Kim, J., 1998. Control of streamwise Willmarth, W. W. & Lu, S. S., 1972. Structure of the
vortices with uniform magnetic fluxes. Physics of Fluids, Reynolds stress near the wall. Journal of Fluid
10(8), pp.1997-2005. Mechanics, 55, pp.65-92.
Lyons, S. L., Hanratty, T. J. & McLaughlin, J. B., 1989. Zhou, J. Adrian, R. J. Balachandar, S. & Kendall, T. M.,
Turbulence-producing eddies in the viscous wall 1999. Mechanisms for generating coherent packets of
region.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hairpin vortices in channel flow. Journal of Fluid
35(12), pp.1962-1974. Mechanics, 387, pp.353-396.
Panton R. L., 1997. In Self-Sustaining Mechanisms of Wall
Turbulence. Computational Mechanics Publications:
Southampton, UK.
Robinson, S. K., 1990. A perspective on coherent
structures and conceptual models for turbulent
boundary layer physics. AIAA, Fluid Dynamics, 21st
Plasma Dynamics and Lasers Conference, Seattle, WA,
18-20 June 1990, pp.17.
Schlichting, H. & Gersten, K., 2000. Boundary layer
theor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Schoppa, W. & Hussain, F., 2002. Coherent structure
신성윤 정광효 강용덕 서성부
generation in near-wall. Journal of Fluid Mechanics,
453, pp.57-108.
Sirovich, L., 1987. Turbulence and the dynamics of
coherent structures part I : coherent structures,
quarterly of applied mathematics, Volume XLV, 3,
pp.561-571.
Smith, C. R. Walker, J. D. A. Haidari, A. H. & Sobrun, 김 진 안남현

41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415-420,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415

LNGC 2차 방벽에 적용된 Aramid 섬유의 Weibull


통계 분석을 이용한 피로특성 평가
박진형1 ・ 오동진1 ・ 김민규2 ・ 김명현1,†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1
(주)한국카본2

Estimation of Fatigue Characteristics Using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with


Aramid Fiber on LNGC Secondary Barrier
Jin Hyeong Park1 ・ Dong Jin Oh1 ・ Min Gyu Kim2 ・ Myung Hyun Kim1,†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1
HANKUK CARBON CO.,LTD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sulation systems in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LNGC) are vulnerable to sloshing impact and fatigue loads because of
waves. If gas leaks into the primary barrier, the Flexible Secondary Barrier (FSB) prevents the leakage of gas in this system.
Fatigue strength of the FSB largely depends on the behavior of composite materials. In this study, a new system is applied to
the FSB using aramid fiber to improve the fatigue strength of the secondary barrier, with the intention of replacing conventional
E-glass fibers. The manufacturing method involved varying the ratio of the aramid fiber to the E-glass fiber for optimum design
of the FSB. The fatigue tests results of the secondary barrier using aramid fiber were superior to that using E-glass fiber. The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obtain the fatigue test results and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ailure as well as the design
guideline of LNGC secondary barriers.

Keywords : Insulation systems(단열 시스템), Secondary barrier(2차 방벽), Aramid fiber(아라미드 섬유), E-glass fiber(유리 섬유),
Weibull distribution(와이블 분포)

1. 서 론 반영한 설계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Fig. 1은 Gastransport & Technigas(GTT)사의 Mark-III type
의 방열 화물창 시스템을 기반으로 건조된 LNG 선박의 화물창
전 세계적으로 LNG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LNG 선박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멤브레인 구조 화물창(Mark-III
의 건조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박의 크기도 대형화되고 있다. type, No. 96 type)은 –163℃에서 액화된 LNG를 운항 도중 누설
LNG 선박은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운송하며 -163℃로 유지되는 없이 저장하기 위해 1, 2차 방벽으로 구성된 이중 방벽 구조를
조건에서 부피는 600분의 1로 줄어들기 때문에 대량 운송이 가 적용하고 있다. 특히, Gaztransprort & Technigaz(GTT)에서 특
능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선 허를 보유하고 있는 Mark-III type LNG 화물창은 열 수축에 의한
박의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운항 중 유체 화물의 부분적재 조 변형을 줄이고자 주름부가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1차 방벽으
건(sloshing 발생)과 파고가 높은 운항 환경에서 운용되고 있기 로, 최종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복합재료 구성된 FSB 와 RSB를
때문에 LNG선의 화물창이 받는 유동에 의한 충격 및 피로에 의 2차 방벽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열 차폐용 강화 폴리우레탄
한 손상이 발생하여 LNG 누설에 의한 경제적 손실의 위험성이 폼(Reinforced polyurethane foam) 및 플라이우드(Plywood)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LNG 선박 건조 시 설계단계에서 열 하중 LNG 화물창의 단열 성능을 강화하였으며, 하나의 LNGC 단열 시
및 파고에 의한 운항 조건을 고려한 화물창 안전성 평가와 이를 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Oh, et al., 2017). 이러한 모든 구조물들

Received : 19 October 2016 󰠛 Revised : 23 June 2017 󰠛 Accepted : 9 September 2017


† Corresponding author : Myung Hyun Kim, kimm@pusan.ac.kr
LNGC 2차 방벽에 적용된 Aramid 섬유의 Weibull 통계 분석을 이용한 피로특성 평가

은 화물의 적재와 하역에 따른 열 하중과 운항 시 Hull girder 2. 시험 준비


bending moment를 반복해서 받기 때문에 피로 파괴의 문제에
심각하게 노출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LNG 단열시스템에 대한
극저온 환경에서의 강도 및 피로 성능 평가는 LNG 선박의 설계 2.1 시험편 형상 및 정의
에 있어서 중요한 평가 항목이 된다. 특히, LNG 누설 시 최종 방
벽에 해당되는 2차 방벽의 내구성 평가에 해당되는 인장 강도 및 본 연구에 사용된 시험편은 Mark-Ⅲ와 Mark-III Flex의 LNGC
피로 강도는 LNG 선박의 안전성 확보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임 방열시스템을 적용한 시험편으로 구성은 강화 폴리우레탄 폼
을 알 수 있다 (Oh, et al., 2017). (Reinforced Polyurethane foam), 2차 방벽인 RSB(Rigid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섬유강화재료인 Aramid 섬유는 금속재료에 Secondary Barrier)와 FSB(Flexible Secondary Barrier), 그리고
비해 높은 강도(strength)와 강성(stiffness) 등의 우수한 기계적 성 PU glue와 TBP glue로 구성된다. 극저온 내구성 평가를 위한 저
질을 가지고 있는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갖는다 (Park, et al., 2013). 온 피로 시험에 사용된 시험편 형상은 Fig. 2와 같으며, 크기는
그러나 유기섬유는 피로 시험 결과가 동일 조건 하에서도 큰 편차를 660 mm × 360 mm × 86 mm(길이 × 폭 × 두께, Aluminum
보이기 때문에 많은 시편들을 시험해야만 정확한 피로수명을 예측 plate 두께포함)의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었다.
할 수 있다 (Vorechovsky, et al., 2010). 하지만 시험 비용이나 시간 본 연구에서는 총 3가지 Case를 고려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적 제한 등의 이유로, 한정된 시험편만을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Case 1과 Case 2는 E-glass FSB을 적용하였으며 Mark-III와
(Satoshi, et al., 1980). 따라서 소량의 시험편으로 정확한 내구 Mark-III Flex의 온도 차이에 의한 변위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였
수명 데이터를 얻기 위해 피로 시험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다. Case 3은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평직 조직이며 위사 비에
파단 확률 또는 비파괴 확률을 수명과 관련시키려는 시도가 점차 따 E-glass 섬유와 Aramid 섬유를 위사(weft) 2:1 비율로 제작하
증대되고 있다. 또한, 신뢰성 해석에 응용하기 위해 확률 분포 곡선 였다.
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또는 금속의 피로수명을 예측하는 연구가 많
이 수행 되어왔다 (Radhakrishnan, et al., 1984). 피로수명을 추정
하는 방법에는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Weibull 분포의 통계량을
이용한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피로 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가중
치를 이용한 probit 해석을 통하여 소 표본 시험편에 대한 통계적
해석을 정량적으로 수행 하여 확률-응력-수명(probability stress
life, P-S-N) 관계를 구했다 (Santoshi, N, et al., 1980).
상기 연구들은 모두 금속과 일반 복합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로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LNGC 2차 방벽 FSB에 대한 파단
확률 분포 함수의 신뢰성 평가 및 거동을 검토하여 해석하는 경 Fig. 2 Dimension of the test specimen and jig devise
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E-glass 섬유를 적용한 FSB 대 2.2 피로 시험기 및 측정 장비
비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강화섬유인 Aramid FSB를 적용하
여, E-glass 섬유와 Aramid 섬유의 위사(weft) 비율을 달리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Fig. 3와 같이 최대 하중 용량 ±50
LNGC 2차 방벽인 FSB에 적용하였다. 피로 시험 결과를 기반으 Ton(동하중) 인장 압축 유압 구조물 피로 시험기(INSTRON, The
로 통계 분석 및 파면 분석을 통해, 피로 수명을 예측함과 동시 United Kingdom)를 사용하였다. 시험 과정에서 저온 챔버의 유
에 FSB의 피로 설계 시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리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험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Fig.
4와 같이 극저온 피로 시험을 위해 저온 챔버를 이용하였으며,
액화질소 가스를 냉매제로 사용하였다.

Fig. 1 Inside of LNG integrated tank on Mark-III system Fig. 3 Fatigue test machine (IST-8800, INSTRON)

41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박진형・ 오동진・ 김민규・ 김명현

Fig. 5 Procedure of fatigue test


Fig. 4 Test equipment : cryogenic chamber / temperature
controller Table 2 Fatigue condition
Test type Mark-III Mark-III Flex
2.3 피로 시험 조건 Displacement ratio 0
Displacement range 2.20 mm 2.23 mm
본 피로 시험에 사용된 Mark-III 및 Mark-III Flex의 피로 시험 Temperature -125℃ -139℃
변위조건은 Table 1을 통해 도출하였다. 변위 계산 시 파고에 의 Waveform Sinusoidal
한 longitudinal girder of bottom structure와 극저온 환경에서의 Frequency 3 Hz
열 수축으로 인한 thermal load의 총합으로 변위 설정을 하였다.
FSB의 파단이 발견된 시험편에 대해서는 하중 변화가 발생
   × ∆  ×  (1)
시, 해당 피로 주기를 파단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시험편의
대표적인 피로 관심 부위 및 손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   ×  (2) Fig 6, 7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 는 열팽창계수, ∆  는 온도차,  는 시험편길이,


 는 hull girder stress,  는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Table 1 Fatigue test displacement condition


Test type Mark-III Mark-III Flex
ΔT 170℃ 184℃
Hull girder stress 185 MPa 185 MPa
Thermal coefficient 2.33 × E-06 2.23 × E-06
Fig. 6 Interesting section of FSB
Length 1020 mm 1020 mm
Thermal displacement 0.4 mm 0.43 mm
Hull girder displacement 1.8 mm 1.8 mm
Total displacement 2.20 mm 2.23 mm

2.4 피로 시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피로 시험기를 사용하여 Fig. 3


Fig. 7 Typical procedure of failure of FSB
과 같이 시험편을 지그에 장착하여 시험편의 충분한 냉각을 위
해 Mark-III : -125℃, Mark-III Flex : -139℃에서 최대 수축변
위를 설정하기 위해 3시간 동안 냉각을 유지하여 수축 변위가 3. 통계적 분석을 통한 피로수명
일정해 질 때까지 온도를 유지하였다. 피로 하중의 부하 형태는
하중 비(R)=0인 정현파(Sinusoidal)로 했으며, 해당 과정은 Fig 3.1 Weibull 분포 이론
5에 나타내었다. 냉각이 완료되면 변위 제어 설정으로 수행했으
며, 시험조건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피로 수명 데이터는 시험편의 치수, 경도, 표면 상태 등 여러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17


LNGC 2차 방벽에 적용된 Aramid 섬유의 Weibull 통계 분석을 이용한 피로특성 평가

가지 요소들에 의해 같은 조건에 피로 시험을 진행하더라도 피 적합성 판단 및 동일한 수명 자료를 다수의 분포에 적용시켰을
로수명은 동일하지 않는 결과를 얻는다. 수명평가에 주로 사용되 때 AD 값이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분포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는 Weibull 분포는 피로수명 및 파단 확률을 나타낼 수 있다 알 수 있다. A-D Test 로 확률분포 합수를 검정한 후에 모수 추
(Libin, et al., 2017). 정방법에 따른 각각의 분포들의 피로수명예측 정확도 평가를 위
해 식 (10)을 이용한 잔차제곱합(Sum of Squared Error, SSE)을

  
  이용하였다. Table 3은 확률 분포의 적합 분포를 판단하기 위해
 
    
    

  ≥   ≥  (3)
A-D Test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 는 형상모수,  는 파단 주기,  는 척도 모수 또는 특성 

수명을 의미한다. 형상모수는 분포의 형상을 결정하는 모수이다.


   
 
 실험값   예측값  (10)
척도모수는 재질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내구성의 척도이며 Weibull
분포의 특성 수명이라 불린다 (Vorechovsky, et al., 2010). Table 3 Results of A-D value test for optimum distribution
Mark-III Mark-III Flex Mark-III Flex

Test type E-glass E-glass Aramid(weft, 2:1)
     
 

 

(4) FSB FSB FSB
Weibull
2.98 2.92 2.15

distribution
      
 

 

(5) Lognomal
2.99 2.97 2.15
distribution
        (6) Exponential
3.27 3.78 2.92
distribution
      (7) Normal
2.99 2.95 2.19
distribution
여기서,     는 파단확률,   는 생존확률 또는 신뢰성
Table 3에서 신뢰수준 95%에서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지
( )을 의미한다.
수분포, Weibull분포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D값 비교
LNGC 2차 방벽 FSB의 파단 확률은 P1, P10, P63.2, P90로 기
에서는 대수정규분포의 적합성이 Mark-III Flex Aramid(weft 2:1)
준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파단 확률에 해당되는 파단 주기를
FSB에서만 상대적으로 다소 떨어지는 것을 보였으며, 소수점 둘
NPx로 FSB의 파단 확률( %)에 해당되는 피로 주기를 식(8)을
째자리에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분포 함수 중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Effertz, et al., 2016).
Weubull분포 함수를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로 선정하였다.



     ×  ln    (8)
4. 피로 시험 결과
최소제곱은 누적분포함수의 추정 값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E-glass 섬유를 적용한 FSB 대비 높은
는 시험편의 개수가 소표본이므로 메디안 랭크(Median rank)법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강화섬유인 Aramid FSB를 적용한 LNG 2
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Effertz, et al., 2016).
차 방벽의 극저온 피로 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편의 파단
   수명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편의 최대 수축량을 고려하여 3시간
   (9)
   동안 냉각 후 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Fig. 8는 극저온 피로 시
험 시 변위 제어를 설정하여 하중 주기를 나타내었으며, 하중 그
여기서, n은 각 피로 시험에 해당되는 시편 수, i번째 고장 발생 래프가 감소되는 시점을 파단으로 정의하였다. 대표적인 FSB의
주기를 의미한다. 파단 위치 및 파단면을 Fig. 9에 나타내었다.
시험편의 대표적인 파단은 FSB의 중앙면, 경계면, TBP glue
3.2 확률분포의 적합도 검정 및 평가 에서 발생하였다. TBP glue의 파단은 FSB의 초기균열에 의한 노
치를 발생시켜 FSB의 파단을 발생시켰다. FSB 중앙면에서의 파
확률분포를 추정하여 사용 할 경우, 먼저 적합도 검정을 통해 단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Aramid 섬유는 파단이 발생하지
추정된 확률분포가 타당한가를 통계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않고 E-glass 섬유만 파단되었다. 피로하중 방향과 평행인 1축
(Maha, et al., 2002). (0°), 수직방향인 2축 (90°)을 기준으로 FSB 파단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적합도 검정방법으로 Anderson-Darling 검정 하중 방향과 수직인 2축 (90°) 방향에서 E-glass 섬유는 파단이
(A-D Test)을 이용하였다. A-D Test를 통해 추정된 확률분포의 발생했으며, 평행인 1축 (0°)에서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41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박진형・ 오동진・ 김민규・ 김명현

Table 5 Weibull parameter after fatigue test


Weibull Mark-III Mark-III Flex Mark-III Flex
distribution E-glass E-glass Aramid
parameter FSB FSB (weft, 2:1) FSB
Shape
2.6 11.2 3.0
parameter
Scale
26,585 13,893 61,576
parameter

Fig. 8 Displacement versus load curve(after fatigue test)

Fig. 10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of Each Specimen

Fig. 9 Typical failure of FSB at cryogenic temperature

Table 4 Probability failure of FSB


Failure Mark-III Mark-III Flex Mark-III Flex
probability E-glass E-glass Aramid
(%) FSB FSB (weft, 2:1) FSB
P1 4,628 9,219 13,838
P10 11,304 11,367 29,667
P63,2 26,585 13,893 61,576
P90 36,504 15,025 80,725
Fig. 11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of each specimen
상기 결과를 통해 하중 방향에 따른 강도 차이의 특성을 나타내
E-glass FSB는 26,585 cycle, Mark-III Flex E-glass FSB는
는 이방성재료임을 확인하였다.
13,893 cycle, Mark-III Flex Aramid(weft, 2:1) FSB는 61,576
LNG 2차 방벽 설계 기준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피로 수명주기
cycle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Aramid 섬유를 적용한
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확률론적 접근 방법인 Weibull
FSB는 LNG 2차 방벽의 강도를 높이는 재료임을 입증하였다.
분포를 이용하여 FSB의 피로수명을 예측하였다. 극저온 피로 시
험 결과를 기반으로 척도 모수와 형상 모수를 도출하여 Fig. 10
에 나타내었으며, 수치 값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Weibul 분포 5. 결 론
함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Aramid(weft, 2:1) FSB를 적용한 2차
방벽은 기존의 E-glass FSB 대비 높은 피로 내구성을 갖는 결과 본 연구에서는 LNG 2차 방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섬유강
를 확인하였다. 화재료인 Aramid 섬유를 적용하였다. E-glass 섬유와 Aramid 섬
LNG 2차 방벽 FSB의 파단 확률은 Weibull 누적분포함수 Fig. 유의 위사 비(2:1)를 적용하여 극저온 피로 강도 평가 수행을 진
11에 나타내었다. 해당 결과를 통해 파단 확률을 Table 4에 나타 행하였다. 극저온 피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파단 확률 및 파면
내었다. 식(11)을 통해 Weibull 파단확률(P63,2)은 Mark-III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19


LNGC 2차 방벽에 적용된 Aramid 섬유의 Weibull 통계 분석을 이용한 피로특성 평가

• Mark-III(-125℃), Mark-III Flex(-139℃) 조건에서 E-glass vs.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for pultruded
섬유를 적용한 FSB 피로 수명 차이는 해당 온도 차이에 의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Journal of Composite
한 변위 값의 차이로 판단된다. Structures, 58, pp.497–503.
•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한 FSB의 파단 확률(P90)에서 Oh, D.G. Lee, J.M. Chun, M.S & Kim, M.H., 2017.
Aramid(weft, 2:1) FSB은 80,725 cycles, E-glass FSB는 Reliability evaluation of a LNGC insulation system with
15,025 cycles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Aramid 섬 a metallic secondary barrier. Journal of Composite
유는 피로 강도를 높이는 재료임을 증명하였다. Structures, 171, pp.43–52.
• FSB 중앙면에서 파단 분석한 결과, 피로하중 방향과 평행 Park, S.C. Kang, S.S. Kim, G.Y. & Choi, J.H., 2013.
인 1축(0°), 수직 방향인 2축(90°)에서의 E-glass 섬유는 Evaluation of tensile strengths and fracture toughness
이방성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LNG 2차 방벽 설계 시, of plain weave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n
하중 방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37(8), pp.862-868.
Radhakrishnan, K., 1984. Fatigue and reliability evaluation

후기 of unnotched carbon epoxy laminates.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18(1), pp.21~31.
Satoshi, N., 1980. Statistical analysis to fatigue test data.
이 논문은 2016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
Journal of the Society of Materials Science, 29(316),
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1-0030013)
pp.24-29.
Vorechovsky, M., 2010. Incorporation of statistical length
References scale into Weibull strength theory for composites.
Journal of Composite Structures, 92(9), pp.2027–2034.
Effertz, P.S. Infante, V. Quintino, L. Suhuddin, U. Hankec,
S. & Dos santos, J.F., 2016. Fatigue life assessment
of friction spot welded 7050-T76 aluminium alloy using
Weibull distrib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87, pp.381–390.
Libin, Z. Meijuan, S. Fengrui, L. & Jianyu, Z., 2017. A
probabilistic model for strength analysis of composite
double-lap single-bolt joints. Journal of Composite
Structures, 161, pp.419–427.
Maha, A. Richard, B. & Abdul, Z., 2002. Three-parameter 박진형 오동진 김민규 김명현

42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421-429,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421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남병욱1 ・ 이경호1,† ・ 이재준1 ・ 문승환2
인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1
삼성중공업2

A Study on Selection of Block Stockyard Applying Decision Tree Learning


Algorithm
Byeong-Wook Nam1 ・ Kyung-Ho Lee1,† ・ Jae-Joon Lee1 ・ Seung-Hwan Mun2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Inha University1
Samsung Heavy Industries co., Itd.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position of the blocks in the shipyard where the work is completed, or the blocks need to be
moved for the next process opera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block increas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lock
stockyard. As the travel distance increases, the number of trips and travel distance of the transporter increases, which causes
a great deal of operation cost. Currently, the selection of the block position in the shipyard is based on the know-how of
picking up a transporter worker by the production schedule of the block, and the location where the block is to be plac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stockyard. The know-how to select the position of the block is the result of
optimizing the position of the block in the shipyard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we used the accumulated data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yard in the shipyard and tried to select the location of blocks by learning it. Decision tree learning algorithm
was used for learning, and a prototype was developed using it. Finally, we prove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a block stockyard
through this algorithm.

Keywords : Block stockyard(블록 적치장), Decision Tree Learning(DTL, 의사결정트리 학습), Transporter optical operation (트랜스
포터 최적 운영)

1. 서 론 들은 다음 공정 작업이 진행되기 전까지 블록 적치장에 적치되어


다음 공정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들은 각 단계의 공정
작업이 끝났거나 공정 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하며, 그 과정 속에서
조선 및 해양플랜트 산업은 다른 제조업과 달리 제품의 크기가 하루에 적게는 수십 번에서 많게는 수백 번의 블록들이 적치장에
매우 크기 때문에 전체를 한 번에 건조하기 어렵고 하나의 제품의 반입·반출하게 된다. 적치장은 작업 구역에 따라 지번으로 정해지
건조 기간이 오래 걸린다. 이로 인해 제품을 설계할 때 블록 단위 고 보통 조선소 내 적치장은 각 지번 별로 적치할 수 있는 가용 공
로 나누어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필요한 부재를 전처리 단계 간이 제한되어 있어, 적치장의 한 곳으로 블록이 집중될 경우, 적
부터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도장 공정의 단계를 거쳐 도크에서 치장의 부하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블록의 적치 위
탑재 단계를 거쳐 제품이 건조된다 (Kim, et al., 2013). 이러한 과 치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도 작업자에 의한 인적 오류가 발생하며,
정에서 블록들은 동시 다발적으로 각 공정 단계에서 건조되는 데, Fig. 1에서는 블록의 이동 과정에서 인적 오류의 발생 단계를 나타
각 공정 단계에서 건조 기간은 블록의 형상이나 필요한 부재 양, 내고 있다. 각 공정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블록 이동 신청을 하
작업의 난이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건조된 블록 였으나 블록의 적치 위치가 후행 공정 작업과 무관한 위치로 결정

Received : 10 July 2017 󰠛 Revised : 30 August 2017 󰠛 Accepted : 14 September 2017


† Corresponding author : Kyung-Ho Lee, kyungho@inha.ac.kr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Fig. 1 Human error in block move process (tred rectangle : part of human error)

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이동되어야하는 블록들이 많아지게 되어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적치장 선정과 관
인력 및 장비, 작업 시간, 특히, 블록은 특수한 운반 장비인 트랜스 련된 연구를 소개하고 본 연구의 차별화를 설명한다. 3절에서는
포터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트랜스포터 장비를 운행하는 데 기존의 블록 이동에 관한 실적 데이터에서 적치장 선정에 필요한
발생하는 비용 등의 추가 투입으로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 이외의 필요한 데이터를 선정한다. 4절에
된다. 뿐만 아니라 블록 이동에 대한 일정 계획 수립 시에도 작업 서는 이렇게 선정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알고리즘을
일정을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하여 적치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선정하고, 선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5절에서는 3절에서 실적 데
나 블록이 적치장에 적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이터 및 실적 데이터 이외 필요한 데이터를 선정한 학습 알고리
의 경험에 의존하여 오판하게 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블록 이동 즘에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를 보이고, 실적 결과와 비교하며, 마
지막으로 6절에서 결론을 제시한다.
이 발생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처럼 블록 이동 프로
세스에서의 인적 오류로 인해 블록의 불필요한 이동이 발생하여
인력 및 장비의 추가 투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와 재운반 작업으로 2. 관련 연구
인한 공기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옮겨져야 할
블록의 이동경로를 방해하고 있는 블록을 간섭 블록이라 하는데, 지금까지 조선 산업에서는 블록 생산과 물류에 관한 많은 연
블록이 옮겨질 때 간섭 블록이 이동되어야 한다. 즉, 블록 운반이 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Park, et al., 1995), 현재에도 블록 생
많아지게 되면 이동되어야할 간섭 블록도 많아지므로 적치장 운영 산 및 물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경제력을 갖
에 있어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추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소 내 블록 이동 및 물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먼저, 블록의 위치와 이동을 파악하여 블록 물류를 관리하기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블록의 이동과 물류 위한 연구 사례들이 있다. 블록에 대한 위치추적 시스템을 개발
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블록 운반을 수행하는 장비인 트랜스포 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Lee, et al., 2008), 블록의 실시간 위치
터의 운행을 최소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랜스포터 최 인식과 블록의 운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적 운영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 을 통하여 조립블록의 물류개선을 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
서 각 생산 공정 단계에서 생산된 블록을 어느 시점에 어느 위치 으며 (Kim, et al., 2009), 조선소에서 계획 수립 대비 블록 운반
에 적치할 것인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업무가 개선될 수 있도록 블록 운반 관리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블록 이동에 관한 실적 데이터를 분석 (Jung, 2007). 또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블록 부재의 추적과
하고 적치 위치 선정에 있어서 관련 있는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서 실적 정보를 획득하여 일정계
하였다. 보통 트랜스포터 작업반장과 운전수, 신호수 등의 작업 획 수립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Lee, 2007),
자들이 이동되어야 할 블록의 행선지와 이동 경로를 결정하게 되 복합적으로 움직여야하는 트랜스포터의 일정계획을 수립하기 위
는 데, 당시의 야드 상황과 각 공정 별 작업장의 상황을 파악하 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Jang, 2007). 이러한 연구들은 조선 산업
고 그에 맞는 판단을 통해 블록을 운반하게 되며, 실적으로 저장 에서는 블록 물류를 관리하기 위하여 블록의 위치 모니터링 뿐만
하게 된다. 이에 기존의 블록 이동에 관한 실적 데이터는 작업자 아니라 블록의 이동에 대한 요청 정보나 블록의 이동 후 실적 정
들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한 블록의 적치장 보를 관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선정을 제안한다. 작업자의 노하우가 축적된 실적 데이터의 유효 더 나아가서는 블록의 위치 추적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공정
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블록의 적치장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학 작업을 고려하여 현재 블록이 어느 위치로 이동할 것인가에 대한
습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선정하였다. 연구가 진행되었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조립 블록의 생산

42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남병욱・ 이경호・ 이재준・ 문승환

되어 후행 공정 작업장으로 반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


동결과를 Fig. 2에서 보이고 있다. 이러한 블록들의 이동은 기간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공정 작업장에서 많이 벗어나 적치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블록의 이동은 한 시점에 하나의 블록만 이동하
는 것이 아니라 다수 블록의 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급하게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함에 따라 실시
간 다수 블록의 적치 위치를 빠르게 선정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하나의 적치장 구역을 선정하여 반입·반출되는 블록에
대해 적치장을 선정하는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조선소 내 다양
하게 존재하는 블록 이동 상황에 대해 학습하여 이동이 필요한 블록
의 적치장을 도출하는 것으로 기존 연구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축적된 블록의 위치와 이동에 대한 요청 정보,
블록의 이동 후 실적 정보를 분석하고 여기서 적치 위치 선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 학습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수의 이동을
고려하여 각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하고 트랜스포터 및 적치장
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2 Various examples of block movement in shipyards.
(a) A case of moving to the work area without
having to go to the stock yard. (b) A case of 3.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
moving to the work area after being placed on a
stockyard. (c),(d) A case of moving to a location
축적된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
that is too mobile and not relevant to work.
습을 통해 이동이 필요한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하는 데 있어
계획을 수립에 대한 연구 (Koh, 1996, & Roh, 2012)와 적치 가용 서 이 데이터를 모두 학습하기에는 의미 없는 데이터가 많고 데
공간과 간섭 블록을 고려한 조선소 블록 적치장 배치와 반출 경로 이터가 많아질수록 학습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블록 이동 요청
를 결정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Kim, et al., 2013), 휴리스틱 알고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에서는 정확하지 않거나 학습에 불필요한
리즘을 이용하여 조선 산업의 블록 적치장 운영계획에 관한 연구 잡음(Noise) 데이터가 존재하여 학습의 성능을 저해한다. 예를
가 수행되었다 (Son, et al., 2014). 또한 타부 서치를 사용한 블록 들면, 작업자가 동일한 내용의 실적을 중복해서 입력하거나 블록
운반 계획 연구가 있었으며 (Lee, 2011),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 이 이동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블록 이동을 추적하였을 때, 블록
하기 위한 조립블록 지번할당 알고리즘을 연구한 사례가 있다 의 이전 이동의 하차지와 다음 이동의 상차지가 일치하지 않는
(Park, et al., 2006). 특히 조선소 내 블록 적치장의 공간적 제약 경우, 블록이 이미 A에서 상차되어 B라는 적치장으로 이동하여
과 생산 일정을 고려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생산 시간 실적으로 기록되었으나 다음 실적으로 동일한 블록이 다시 A에
을 최소화하기 위한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 공간 일정 계획의 연구 서 상차되어 C라는 적치장으로 이동되었다고 실적으로 기록된
가 수행되었다 (Lee, et al., 1996, Cho, et al., 2001). 하지만 이전 경우, 블록이 아닌 프로펠러, 거더 등 부재의 이동, 제자리 이동
의 연구들은 블록 물류 관리를 위하여 축적한 블록의 위치와 이동에 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전체 데
대한 요청 정보, 블록의 이동 후 실적 정보를 활용한 사례가 거의 이터에서 유효한 데이터를 선정해야 하며, 뿐만 아니라 블록 이
없다. 이러한 정보들은 현장 작업자가 현장 상황에 따라 계획된 작 동 요청 데이터나 실적 데이터에는 공정 작업에 관련된 정보가
업을 변경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그에 적합한 작업자의 있지 않으므로 이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노하우가 담겨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
할 경우, 적치 위치 선정 이유와 선정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도구로 3.1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
사용할 수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게다가 조선소 내 각각의 블록이 하나의 공정 작업장에서 반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축적한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와 실적

Table 1 Block transfer request data


Work Loading Request work Registration
No. Classify Sector Project Block Specification Weight Worker
scope area time date
1 Inside Production 1 PR0001 A110 16.2*12.2*2.7 Assembly in D210 Morning LKH 3/3/2017
2 Outside Production 2 PR0001 A111 18.3*12.5*4.2 Painting in H201 Afternoon NBW 3/3/2017
... ... ... ... ... ... ... ... ... ... ... ...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23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Table 2 Block transfer result data


Work Loading Unloading Working time
No. Classify Sector Equipment Project Block Specification Weight Worker
scope area area Loading Unloading
3/3/2017 3/3/2017
1 Inside Prod. 1 TP1 PR0001 A110 16.2*12.2*2.7 Assembly in D210 3Dock LKH
10:00 10:10
3/3/2017 3/3/2017
2 Outside Prod. 2 TP2 PR0001 A111 18.3*12.5*4.2 Painting in H201 P101 NBW
11:25 11:42
... ... ... ... ... ... ... ... ... ... ... ... ... ...

데이터를 학습하여 적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분석 - Unloading area (하차지) : 실제 블록이 하차된 위치
하고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한다. - Working time (작업시간) : 블록 이동이 수행된 시간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에는 대부분 공정 작업자가 공정 작업을 - Worker (작업자) : 블록을 운반한 작업자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의 입고를 요청하거나 공정 작업이 완 이러한 블록 이동은 블록의 이동 목적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료되어 해당 블록의 출고가 요청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외에도 나눌 수 있다. 공정 작업 수행을 목적으로 입고를 위하여 이동하
블록이 아닌 블록 부재나 작업에 필요한 기계나 장비의 운반을 포 거나 하나의 공정 작업이 종료되어 작업장에서 출고를 위하여 이
함하고 있다. Table 1은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의 항목과 그에 대 동하는 목적 이동과 하나의 블록이 목적 이동이 이루어질 때 간
한 데이터 예시를 나타내며, 각 항목들은 다음과 같이 의미한다. 섭 블록에 해당하는 블록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 부수 이
- No.(순번) : 블록 이동 요청 순번 동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블록이 이동될 때, 부수 이동
- Classifty (구분) :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사내, 사외) 이 아닌 목적 이동을 기준으로 블록 이동 실적 데이터에서의 학
- Sector (부문) :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서 습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 Project (프로젝트) : 블록이 속한 선박 프로젝트
- Block (블록) : 블록의 명칭 Table 3 Process plan and process data
- Specification (제원) : 블록의 크기 Process Process ...
Project Block
- Weight (중량) : 블록의 중량 Start End Location Start End Location ...
- Work scope (작업구분) : 작업의 명칭 PR0001 A110 3/3 3/9 D101 4/1 4/7 P201 ...
- Loading area (상차지) : 요청된 블록의 상차 위치 PR0002 B111 3/7 3/10 E102 4/6 4/12 P312 ...
- Request work time (요청작업시간) : 블록의 이동 작업이 ... ... ... ... ... ... ... ... ...
이루어져야 하는 시간
- Worker (작업자) : 블록 이동을 신청한 작업자 3.3 공정 계획 및 공정 정보
- Registration date (등록일) : 블록 이동이 수행되어야 하는
날짜 선박 및 해양플랜트 분야는 선표 계획, 공정 계획, 일정 계획,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에서는 하나의 블록이 어느 시점에 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각 생산 공정 단계 별로 계획에 따라 생산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 요청된 데이터가 중요하므로 학습 데 하게 된다 (Lee, 2007). 각 생산 공정 단계에서 생산되는 블록은
이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요청된 블록에 대한 정보 즉, 프로젝 어느 시점에 어느 공정 작업장에서 해당 공정 작업이 이루어지
트, 블록 명, 블록의 제원 등 세 가지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상 고, 블록의 이동 또한 공정 계획 및 공정 정보에 따라서 수행된
차 위치, 목적지를 나타내는 하차 위치,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다. Table 3은 조선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블록 별 공정 계획 및
날짜와 시간이 필요하다. 공정 정보로 각 항목과 그에 대한 데이터 예시를 나타내었으며,
각 항목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3.2 블록 이동 실적 데이터 - Process (공정작업명) : 공정 작업 명
- Start (시작일) : 공정 작업이 시작되는 날짜
블록 이동 실적 데이터를 살펴보면, 조선소에서 블록은 하루 - End (종료일) : 공정 작업이 종료되는 날짜
에 적게는 수십 건에서 많게는 수백 건으로 많은 이동이 이루어 - Location (위치) : 공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
지고 모든 블록 이동 정보는 실적으로 기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공정 계획과 공정 정보는 공정 작업장으로 블록이 운반되었을
Table 2는 조선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블록 이동 실적 데이터의 때 공정 작업장 내 작업이 완료되지 못하여 블록의 반출 및 반입
항목과 그에 대한 데이터 예시를 나타내며, 블록 이동 요청 데이 이 불가능하거나 공정 계획에 따라 블록 생산 및 작업이 이루어
터와 상이한 각 항목들은 다음과 같이 의미한다. 지나 블록마다 크기나 난이도에 따라 작업 일정이 달라지므로 블
- Equipment (장비) : 블록 운반 수단 장비 록 별 공정 계획과 공정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
- Loading area (상차지) : 실제 블록이 상차된 위치 간과 작업장 현황에 따라 적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한다.

42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남병욱・ 이경호・ 이재준・ 문승환

3.4 기타 정보 의사결정 트리 학습은 의사결정 트리에 학습의 개념이 더해진


것으로 통계학 및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에서 사용되는 예측
조선소에서 공정 작업장에 할당된 적치장이 존재하였으나 모델링 기법으로서 일련의 질문에 근거하여 주어진 데이터 분류
2000년대부터 선박 건조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블록 수에 비 알고리즘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와 같이 통계학
해 적치 공간이 부족하여 할당된 적치장 이외의 적치장에 적치하 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변수 간 상호작용을 쉽게 설명할
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블록의 이동이 많아졌고 물류 관리 및 수 있는 화이트박스(White box) 형태인 것이 특징이며 (Lee, et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다 (Son, et al., al., 2005), 이는 곧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의 적치 위치를 도출하
2014). 3절에서 적치장 선정 관련 데이터 이외에도 적치장 가동 였을 경우, 적치 위치의 선정 이유와 선정 결과에 대해 확인이
율이나 적치장 별 블록의 이동 거리 등의 추가로 고려되어야 하 가능하다.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의 대표적으로 ID3 (Iterative
는 요소들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정 작업장에 할당된 적치장 Dichotomiser 3), C4.5, C5.0 (Quinlan, 1993), CHAID
만을 다루었으며, 다른 요소들은 추후 연구에서 다루도록 할 예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Hartigan,
정이다. 1975),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Breiman,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한 적치장 할당이라는 개념 대신에 et al., 1984) 등이 있으며, 이 중 적치장 선정 관련 데이터에 대
블록이 다음 공정 작업을 대기할 때 블록 공정 작업장과 근접한 하여 C5.0 알고리즘을 선정하였다.
적치장으로 적치될 수 있도록 공정 작업장 주변 적치장의 분포를 C5.0 알고리즘은 Quinla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ID3의 개선된
확인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였다. C4.5 알고리즘을 개선한 의사결정트리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이
다. C5.0는 대부분의 문제에 적합하며, 범주형 및 수치형 데이터
를 모두 다룰 수 있고 중요하지 않은 특징에 대해서는 제거를 수
4. 학습 알고리즘 선정 행한다. 또한 데이터 셋의 규모와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전
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지 않아도 해석 가능한 모델을 생성하며,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은 학습하는 데이터의 형태나 목 다른 복잡한 모델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적에 따라 그 방법을 선택하게 되며, 어떤 방법을 선택하느냐에 따 의사결정트리 전반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이나 미적합(Under
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학습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fitting)이 일어나기 쉽고, 학습 데이터의 작은 변화량만으로도
(Jang, 2007). 기계 학습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 결정 논리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과적합
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과 미적합은 사전 가지치기(Pre-pruning)과 사후 가지치기(Post–
learning)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지도 학습은 학습 데이터 pruning)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고, 추후에 추가로 진행될 강화
로부터 입력 값에 대한 예측과 추정, 분류를 수행하고 비지도 학습 학습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은 입력 데이터로부터 패턴이나 규칙을 탐색하며, 강화 학습은 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이용한 블록의 적
경 변화에 따라 취해야할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 행동을 평가 치 위치를 선정하는 로직의 구동 조건은 Fig. 3에서 나타내는 것
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기존의 데이터와 적치장 상황을 학습하고 과 같다. 작업자에 의해 블록의 이동이 요청되어 블록의 적치 위
각각의 상황에서의 이동을 평가하여 최적의 적치 위치를 찾을 수 치가 Shop/Dock/적치장으로 요청 해당 적치장의 적치 가능 여
있는 점진적 학습을 통한 지능형 블록 적치장 선정을 목표로 하고 부를 판단하여 적치가 불가능하거나 블록의 이동이 요청되었지
있다. 학습 알고리즘을 선정하기에 앞서 블록의 이동은 Fig. 2을 만 적치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 기간 동안에 계속해서 발생하며, 이러 을 통하여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한 블록의 이동은 한 시점에 하나의 블록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 블록의 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서는 급하게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블록의 이동
이 필요할 때마다 조선소 내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적치장
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시간과 비용 소모가 발생한다.
이에 블록의 이동에 대한 기존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블록 이동 요
청이 이루어지면 대응하는 적치장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학습 방법
의 특징에 따라 지도 학습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 중에서도 지도
학습에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존재하는데, 학습하고자 하는 블록
의 이동 요청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 공정 계획 및 공정 정보 등의
적치 위치를 선정에 관여하는 데이터들은 범주형 데이터이면서 비
선형 데이터이며,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은 블록 하나하나의 움직임
과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을 학습하여 의사결정 트리 학습
(Decision tree learning) 방법을 선정하였다. Fig. 3 Logic for block stockyard selection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25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과 실적 기록의 오류, 제자리 이동 등의 잡음 데이터를 제거한


1,618건의 유효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였다. 테스트는 학
습으로 사용된 데이터 중 일부를 추출하여 진행하였고, 실제 적
치장 선정, 블록의 이동과 비교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추출
된 데이터에 대해 적치장의 부하율 및 간섭 블록에 대한 취급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테스트를 위하여 일부 적치장은 적치가 불가
능하다는 조건과 적치장에서의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전
제 조건 하에 데이터 학습 및 적치장 선정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추가로 블록의 후행 공정 작업의 일정을 변경하며 적치장 선정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Fig. 4 Example of decision tree

의사결정트리 학습 방법을 통해 3절에서 언급한 기존의 블록 이 5.1 유효 데이터 추출 및 의사결정트리 학습 결과


동 요청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 블록 공정 작업 계획 정보와 공
정 작업 위치 정보를 학습한 결과와 이동 요청된 블록의 대한 공 기존의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하여 블록 이동 요청 데이터 및
정 계획 정보, 적치장의 가동율을 통해 적치장을 선정하게 된다. 실적 데이터, 공정 계획 및 공정 정보, 공정 작업장과 근접한 적
본 연구에서의 결과로 생성된 의사결정트리의 일부를 Fig. 4에서 치장을 이용하여 각 데이터에서 학습에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하
예시로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하여 각 마디는 가지를 치는 질의 고, 이를 통해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계산하고 추가하였으며,
를 나타내고, 가지는 질의에 대한 답으로 트리가 형성되며, 각 Table 4와 같이 항목을 나열하여 정리하였다.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블록의 상차지 및 실제 하차지, 후행 공정 위치, 블록 이동
- 뿌리마디(Root node) : 트리구조가 시작되는 마디 일, 후행 공정 작업일, 블록 이동이 이루어진 날짜로부터 후행
- 자식마디(Child node) : 하나의 마디로부터 분리된 2개 이 공정 작업 일까지 남은 기간으로 항목을 나열하였다.
상의 마디
- 부모마디(Paent node) : 자식마디의 상위노드 5.2 적치장 선정 테스트
- 끝마디(Terminal node) 혹은 잎(Leaf) : 트리의 끝에 위치한
노드
Fig. 4에서는 5.1절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나온 결과
- 중간마디(Internal node) : 뿌리마디 및 끝마디가 아닌 트리
를 가시화한 트리 구조 중 일부를 나타내며, 트리 구조는 데이터
구조 중간에 위치한 마디
를 분류할 때 어떻게 나누어졌는지에 대한 질의와 질의에 대한
- 가지(Branch) : 하나의 마디로부터 끝마디까지 연결된 일련
답을 각각 노드와 가지를 통해 보여준다. 최상의 마디는 상차지
의 마디
가 어디인지 묻고 거기에 형성되는 가지는 상차지를 나타낸다.
- 깊이(Depth) : 가지를 이루고 있는 마디의 개수
상차지로 나누어진 데이터들은 두 번째 마디에서 후행공정 작업
장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끝마디인 적치장까지
5. 학습을 통한 적치 위치 선정 생성되어 트리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트리를 이용하여 Fig. 5에서는 블록이 하나의
본 연구에서는 블록의 적치 위치 선정에 대해 의사결정트리 공정 작업장과 다음 공정 작업장까지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학습 알고리즘인 C5.0을 적용하고 적치장 선정에 대해 검증하였 하여 기존의 블록의 이동 실적 데이터와 본 의사결정트리 학습
다. 학습 데이터는 조선소에서 건조중인 프로젝트 중 2016년 11 방법을 적용한 블록의 적치 위치의 선정 결과를 블록의 이동으로
월 한 달간 발생한 작업량이 가장 많은 3개의 컨테이너 선박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서 블록의 이동 표기는 실제 도로에서
건조하는 프로젝트에 대하여 블록 이동 요청 및 실적 데이터를 의 이동 경로를 표기한 것이 아니며, 블록이 적치된 위치를 표기
활용하였다. 11월 한 달간 발생한 3개의 프로젝트의 블록 이동 하고 이를 선으로 표기하여 블록 이동을 나타내었다. Fig. 5에서
건수인 2,254건 중 학습에 관계없는 부재 이동 등의 데이터 항목 (a)~(c)는 기존 실적으로 기록된 블록의 이동을 나타내며, 후행

Table 4 Extracted and computed data for learning


Loading Unloading area Escorting process Completion Escorting process Remaining
Project Block
area (result) area date start date date
PR0001 A110 D210 E201 3Dock 3/3/2017 3/17/2017 14
PR0001 A111 H201 P101 P1 3/7/2017 3/8/2017 1
... ... ... ... ... ... ... ...

42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남병욱・ 이경호・ 이재준・ 문승환

Fig. 5 Comparison of the routes and stockyards of the blocks from past records ((a)~(c)) and the proposed
method ((a-1)~(c-3))

Table 5 Comparing results of past data and proposed method


Proposed method
Past data
Short ← Remaining time to process → a lot of
Block First (0~3 days) Second (4~8 days) Third (8~ days)
Movement Distance
count (m) Movement Distance Movement Distance Movement Distance
count (m) count (m) count (m)
A 9 5,955 2 955 2 1,245 2 1,336
B 9 2,890 2 550 2 613 2 680
C 9 2,518 2 579 2 1,138 2 1,338
Results (average) -7 - 80.7 % -7 70.9 % -7 67.0 %

공정 작업 일정에 따라 적치장 선정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고 가장 가까운 도로를 이용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하였다. 실


(a-1)~(c-3)에서 후행 공정 작업 일정에 따라 적치된 위치를 나 제 적치장 입출고 방향과 크레인에 의한 이동에 대해서는 이
타내었다. 여기서, (a-1)~(c-1)은 후행 공정 작업 일정까지 가까 번 연구에서 다루지 않고 향후 연구에서 이동 거리에 대한 학
이 남은 경우(약 0~3일), (a-2)~(c-2)은 후행 공정 작업 일정까 습을 고려할 때 함께 비교 및 평가할 예정이다. 기존 실적에서
지 어느 정도 남은 경우(약 4~8일), (a-3)~(c-3)은 후행 공정 나타낸 결과 대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한 경우, 블
작업 일정까지 비교적 많이 남은 경우(약 9일 이상)로 나누어 나 록의 적치 위치가 후행공정 작업 일정에 따라 일정이 가까우
타낸다. 또한 Table 5에서는 Fig. 5에서 나타낸 블록 별 결과 비 면 후행공정 작업장에서 가깝게 선정되고 일정이 멀면 후행공
교를 나타낸다. 정 작업장에서 멀리 선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단순히 가깝
블록이 하나의 공정 작업장에서 반출되어 다음 공정 작업장으 고 멀리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행공정 작업장으로 가는 경
로 반입되기까지의 이동에서 블록의 적치장에 적치 및 적치장으 로 내 위치한 적치장으로 선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
로 이동횟수, 블록의 이동 거리(Count in Table 5)를 비교하였 로 실적과 블록 이동 거리를 비교해보았을 때에도 이동이 줄
으며, 이동 거리는 실제 적치장 입출고 방향으로 고려하지 않 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27


의사결정트리 학습을 적용한 조선소 블록 적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6. 결론 및 향후 연구 painting process in shipbuilding. The International


Academy for Production Engineering, CIRP
Annals-Manufacturing Technology, 50(1), pp.339–
본 연구는 블록의 입출고 시점에서 블록의 적치 위치를 선정
342.
하는 블록 물류 관리 문제를 다루었다. 이는 조선소에서 블록 생
Hartigan, J.A., 1975. Clustering algorithms. John Wiley
산과 물류 관리를 위하여 기존에 관리하고 있던 블록 이동 요청
& Sons: New York.
데이터와 실적 데이터, 공정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적치장 내에
Jang, B.T., 2007. Next-generation machine learning
서의 블록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고 블록 운반을 수행하는 장비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인 트랜스포터의 운행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첫 번째 과정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5(3),
이다.
pp.96-107.
본 연구는 조선소에서 물류 관리를 위하여 축적한 데이터를
Jung, Y.S., 2007. Block transportation management
학습하여 블록의 적치 위치를 도출하는 의사결정트리 학습 방법
system. Master’s Thesis, Ulsan National University.
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데이터에서 학습 결과에 영
Kim, M.S. Cha, J.H. & Cho, D.Y., 2013. Determination
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계 학습 중에서 데이터를 분
of arrangement and take-out path in ship block
류하고 결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확인하고 선정 결과에 대해 선정
stockyard considering available space and obstructive
이유와 결과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결정트리 학습
block.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을 통해 블록 적치 위치를 선정하고 기
Conference, Republic of Korea, 30 January – 1
존의 블록 이동 거리와의 비교를 통하여 의사결정트리 학습 방법
February 2013.
의 적용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의사결정트리 학습 방법은 각 공
Kim, J.O. Paek, T.H. Ha, S.J. Lee, S.H. Jung, M.Y. Min,
정 단계에서 생산된 블록의 반입·반출에 있어 블록 적치 위치 선
S.K. Kim. D.S. & Hwang, S.Y., 2009. Development
정 노하우의 시스템화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트랜스포터 운
of real time location measuring and logistics system
영 계획 수립에서도 필수적일 것이다.
for assembled block in shipbuiling. 2009 Conference
의사결정트리 학습 방법을 통해 도출한 블록의 적치 위치는
on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연속적으로 블록 이송 시 트랜스포터의 운영 전략과 함께 활용된
Society, Pusan, Republic of Korea, 22-23 May 2009.
다면 보다 나은 운영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되며, 블록 이동
Koh, S.G., 1996. A production schedule with genetic
거리의 최소화 및 트랜스포터의 최적 운영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
algorithm in block assembly shop. Korean
및 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Management Science Review, 13(1), pp.1-12.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연구로는 간섭 블
Lee, J.M., 2007. An integrated process and
록에 대한 취급과 적치장의 부하율을 고려하여 적치 위치를 선정
measurement framework for planning production of
할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며, 실제 도로에서의 블록 이동 거리
large shipyards. Ph.D. Thesis, Seoul National
를 계산하여 적치장 선정 시 블록의 실제 이동 거리도 학습에 포
University.
함될 수 있도록 고려할 예정이다.
Lee, K.H. & Yeun, Y.S., 2005, A study on the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method based on datamining
후기 concept in ship design. 2005 Conference of Society
for Computer Aided Design and Computer Aided
이 논문은 2016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 Engineering, Gangwon, Republic of Korea, 27 – 29
(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이며(10067423), 2016년도 정부 January 2005.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Lee, K.J. Lee, J.K. & Choi, S.Y., 1996. A spatial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6R1A2B4014406). schedul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shipbuilding
DAS-CURV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0(3/4), pp.311–324.
References Lee, S.H., 2011. Block transportation planning in a
shipyard.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reiman, L. Friedman, J.H. Olshen, R.A. & Stone, C.J., Lee, Y.H. Lee, K.C. Lee, K.J. & Son, Y.D., 2008. Study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on the positioning system for logistics of ship-block.
and Books: California. Special Issue of the Society of Naval Acrchitects of
Cho, K.K. Chung, K.H. Park, C. Park, J.C. & Kim, H. Korea, pp.68-75.
S., 2001. A spatial scheduling system for block Park, C.K. & Seo, J.Y., 2006. JIBUN (location)

42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남병욱・ 이경호・ 이재준・ 문승환

assignment algorithm for assembly blocks : A case of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Hyundai Heavy Industries. Industrial Engineers 51(3), pp.239-245.
Interfaces, 19(2), pp.160-167. Quinlan, J.R. 1993. Programs for machine learning.
Park, M.H. Lee, W.S. Ock, Y.S. & Lee, T.E., 1995. A Morgan Kaufmann Publishers: San Francisco.
review of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and engineering
research. Industrial Engineers Interfaces, 8(2),
pp.5-20.
Roh, M.I., 2012. Block layout method in the block
stockyard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Ocean
Systems Engineering, 2(4), pp.271-287.
Son, J.R. Seo, H.W. & Ha, B.H., 2014. A heuristic
algorithm for block storage planning in shipbuilding. 남병욱 이경호 이재준 문승환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29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430-438,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430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이충현・ 김유일†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

Reliability-based Flaw Assessment of a Mooring Chain Using FORM and


SORM
Choong-Hyun Lee ・ Yooil-Kim†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INHA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presents the reliability-based flaw assessment for the crack in the mooring chain of a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BSI(British Standard Institution) flaw assessment procedure BS7910 was combined with first- and second-order reliability method
(FORM, SORM) so that the acceptance of a given flaw can be assessed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parameters that play
important role in the flaw assessment.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nature of the crack size and long-term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acting on the crack in mooring chain, the failure probability was calculated using FORM and SORM.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FORM and SORM, Monte Carlo simulation was also carried out to derive the true limit state function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ORM and SORM.

Keywords : Reliability(신뢰성), FORM(일차근사신뢰도법), SORM(이차근사신뢰도법), Monte Carlo simulation(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BS7910(영국표준), Limit State Function(LSF, 한계상태함수)

1. 서 론 방법은 결함의 크기, 피로 하중의 분포, 파괴인성, 체인의 항복강


도 같은 다양한 변수들을 하나의 정해진 값으로 간주하고 결함
평가를 실시하는 결정론적 평가방법과 각 변수의 확률적 특성을
FPSO, 반잠수식 시추선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일반적으 고려한 확률론적 평가로 구분된다. 결정론적 평가방법은 BS7910
로 계류체인으로 위치를 유지하는데 계류체인이 파손되는 경우 (BSI, 2013)이나 API (API, 2007)같은 표준에 잘 정립되어 있고
에는 라이저의 손상으로 인한 기름의 유출과 같은 막대한 경제적 초기결함의 크기, 파괴인성, 피로하중분포 등 불확실성을 가지는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구조물의 전체 혹은 잔여 변수들에 대해서는 안전계수나 통계적으로 보수적인 값을 사용
가동시간 동안 계류체인의 구조적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반면에 신뢰성 개념은 구조신뢰성에 대한
중요하다. 체인의 각 링크들은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확률기반 평가를 목표로 여러 공학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
데 이러한 용접 연결부는 초기결함을 내포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러한 연구들은 불확실한 인자들의 영향을 확률적으로 고려할 수
만약 초기결함이 존재한다면 파랑하중에 의한 반복하중으로 균 있다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Rackwitz et al., 1978). 그러나 몬테
열이 진전해 파손에 이를 수 있다. 또한, 가동 중 수행되는 정기 카를로 시뮬레이션과 같은 직접해석법의 경우 고려하는 확률 변
검사를 통해 균열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균열의 유지 보수에 수의 수에 따라 불확실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해석의 수가 기하급
대한 의사결정이 신속히 내려질 필요가 있으며 이는 검출된 균열 수적으로 증가하는 어려움이 있다 (Metropolis, N. & Ulam, S.,
의 신뢰성 평가의 결과로 판단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구조물의 1949).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FORM) 및 Second Order
전체 혹은 잔여 수명 동안 계류체인의 결함이 성장해 파손되는지 Reliability Method (SORM) 확률론적 결함평가가 가지는 이러한
에 대한 구조 신뢰성 평가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결함평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Hohenbichler et al.

Received : 10 March 2017 󰠛 Revised : 1 June 2017 󰠛 Accepted : 20 September 2017



Corresponding author : Yooil-Kim, yooilkim@inha.ac.kr
이충현・ 김유일

(1987)은 파손 확률 등을 계산함에 있어 수치적인 효율성을 도모 재료의 항복응력( )과 참조응력()의 비 및 재료의 파괴인성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 )과 응력확대계수(Ⅰ )의 비이다. 과 Ⅰ 은 BS7910의
Fiessler (1979)의 연구와 같이 결함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절차에 따라 계산하였고 이는 식 (4)와 같다.
FORM 및 SORM 기법을 적용한 연구 사례는 다수 존재한다.
Lee and Kim (2007)은 가장자리 균열을 가지는 표준 시험편에 
   (1)
대한 파손 확률을 균열진전해석 기법과 FORM 및 SORM을 결합 
Ⅰ
하여 계산하였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균열진전속도 선도의 기   

울기가 시험편의 파손확률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Yu et al. (2012)은 확률론적 파괴역학 해석법을 적용하여 반 Fig. 1은 위에서 설명한 균열진전해석 및 파괴/항복 평가 절차
타원형 표면균열을 갖는 고압 파이프의 파손 확률을 계산하였으 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며 또한 수정된 민감도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Kang et al. 계산된   및  을 이용하여 결함의 안전성 여부를 판별하게
(2016)은 영국표준에 제시된 결함평가 절차에 FORM 및 SORM
되는데 이는     평면 상에 정의되는 파손평가도와의 비교
기법을 적용하여 계류계 앵커파일에 존재하는 반타원형 표면 균
를 통해 이루어진다. Fig. 2는 BS7910의 Option1 파손평가도의
열의 파손확률을 계산하였다.
예시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표준 (BSI, 2005)의 결함평가 절차에 따라
파손평가도의 가로축은 참조응력에 대한 항복의 정도를 나타내고
개발된 결함평가 프로그램 (Kang, et al. 2014)을 이용하여 무어
세로축은 응력확대계수에 대한 파단의 정도를 나타낸다. 파손평가도
링 체인에 내재된 결함에 대한 확률론적 결함평가를 수행하였다. 는   과  의 함수로 표현되고 파손/항복 평가의 경계가 된다.
BS7910의 파손평가도(Failure assessment diagram)를 이용하여
한계상태함수(Limit state function)를 정의하고 신뢰도를 기반으
로 한 FORM과 SORM으로 한계상태함수를 근사하였다. Weibull
분포를 장기피로하중의 확률분포로 가정하고 Weibull분포의 계수
와 결함크기를 Gaussian 분포를 가지는 확률변수로 가정하여 확
률적 특성을 고려했다. 기본적인 결함평가 정보인 결함형상, 재
료상수, 용접부의 응력집중계수, 정 하중, 파괴인성, 균열의 진전
선도 등은 고정된 값을 이용하였다. FORM 및 SORM으로 구해진
한계상태함수의 파손영역에 해당하는 세 확률변수의 결합 확률
분포영역을 적분하여 파손확률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파손확률
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00개의 확률변수 조합으로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구해 얻은 확률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 Fig. 1 Procedure diagram of flaw assessment
행하여 계산된 파손확률을 근사식으로 구한 파손확률과 비교하
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결함평가 해석 절차

본 연구에서는 피로하중에 의한 균열진전해석과 정하중에 의


한 파괴/항복 평가를 통해 무어링 체인에 존재하는 결함의 신뢰
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주어진 피로하중으로 균열진전해석을 수
행한 후 최종 결함크기에 정하중 조건을 가해 파괴 및 항복에 대
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균열진전해석에서는 결함의 형상, 피로하
중, 균열성장 선도 등의 정보에 따른 응력확대계수를 BS7910의
Annex M 절차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적용하여 균열을 진전시켜
최종 균열크기를 계산하였으며 파괴/항복 평가에서는 재료 물성
과 정하중 정보를 이용하여 항복비,   과 파괴비,  을 계산하
였다.   과  은 식(1)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정 하중 조건에서 Fig. 2 Option1 Failure assessment diagram (BS7910)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31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식(2)는 Fig. 2에 도시된 실선인 BS7910 Option1 파손평가도를 식(1)의  과  는 재료의 파괴인성과 항복응력으로서 구
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Fig.2에 보인 예시의 경우 계산 결과로 조물에 사용된 재료가 결정된 경우 고정된 값으로 주어지므로
도출된 Lr과 Kr이 파손평가도의 안쪽영역에 위치하여 해당 결함  과   은 Ⅰ 과 의 함수로 정의된다. 환봉에 존재하는 부
은 구조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내릴 수 있다. 분원형(Semi-circular) 표면균열을 고려하면 Ⅰ 과 는 식(4)와

 
같이 계산 가능하다. 여기서  은 1차 응력의 기여도, 
     ∙       (2) 은 2차 응력의 기여도,  은 1차 막응력(Primary mambrane
for   ≤ 
 stress), 는 1차 굽힘응력(Primary bending stress)을 나타내며
 
     ∙            는 반지름 r과 결함크기 a에 대한 보정 계수이다.
for    ≤  max 
Ⅰ    (4)
      
여기서 :   min          
        

2.2 한계상태함수 


여기서 :   
 
     sin
 
결함의 확률론적 평가를 위해서는 한계상태함수의 정의가 선행
 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BS7910의 결함평가기준인 Option1  
 arcsin  

파손평가도를 이용하여 한계상태함수를 정의하였다. 한계상태함 
   
수는 주어진 하중조건의   위치에서 계산된  과 임계  

값의 차이로 정의된다. Fig. 3은 BS7910에서 정의하고 있는 파 결함평가의 확률론적 접근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식(4)의
손평가도를 이용한 한계상태함수를 도식화한 것이다. Fig. 3의 변수 중 환봉의 반지름(r) 및 결함 깊이(a)를 확률변수  과 
파손평가도 안쪽에 위치한 점은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결함의
로 가정한다면 이들의 함수로 표현된 Lr과 Kr도 확률변수가 된다.
  과  을 나타내며 파손평가도 위에 위치한 점은 같은   에
Fig. 4는 결함 깊이와 환봉의 반지름을 Gaussian 분포를 가지는
대한 임계  값을 나타낸다. 한계상태함수 는 식(3)과 같이 두 확률변수로 가정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
점의  값의 차이로 정의된다. 과를 Lr-Kr공간과,  - 공간에 표시한 예시이다. Lr-Kr공간
에서 한계상태함수는 파손평가도로 정식화 되어있고 확률변수
     (3)
 ,  를 가정함에 따라  - 공간에서도 한계상태함수가
식(3)의 정의에 따라 계산결과가 파손평가도의 파손영역인 바 결정된다. 하지만 Lr, Kr과 확률변수  ,  는 복잡한 관계를
깥쪽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값이 음수 값을 가지게 되고 파손 갖기 때문에  - 공간에서 한계상태함수를 정의하는 것은 쉽
평가도 안쪽에 위치하게 되면 양수 값을 가지며 그 경계에서는 지 않다. 또한 Lr-Kr공간에서는 한계상태함수와 확률변수  ,
값이 0이 된다.  의 확률분포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 - 공간에서 정의되는 한계상태함수를 FORM 및 SORM을
이용하여 근사화하고자 한다. 이 때 가정한 확률변수에 따라 결
정된 한계상태함수를 실제 한계상태함수라고 하며 FORM과
SORM의 근사 대상이 된다.

Fig. 4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in Kr-Lr and 


Fig. 3 Limit state function in FAD -  space

43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이충현・ 김유일

2.3 FORM 및 SORM 확률은 각 한계상태함수에 의해 파손으로 평가되는 영역의 결합


확률분포를 적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한계상태함수는 결함 조건에 따라 Fig. 5와 같이 2개의 확률변수로 정의된 공간에서는 한계상태
복잡한 계산과정을 내재하고 있어 확률변수에 대해서 한계상태 함수가 선으로 표현되지만 N개의 확률변수로 정의된 공간에서는
함수를 정식화 하기는 쉽지 않다.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알기 위 초평면(Hyperplane)으로 표현된다. 다음 절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해서는 확률변수 공간의 무수한 조합의 점에 대한 계산을 필요로 연구에서는 균열의 크기 및 응력의 장기응답분포 등과 연관된 3
하며 이는 지나치게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FORM 및 SORM은 개의 확률변수를 가정하여 한계상태함수를 정의하였는데, 이 때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계상태함수의 경사도(gradient) 한계상태함수는 3차원 공간의 면으로 표현되며 Fig. 6과 Fig. 7
를 이용하여 한계상태함수를 근사하는 방법이다. 한계상태함수를 의 “Real LSF(Real Limit State Function)”가 그 예시이다. Fig. 6
테일러 전개를 이용하여 근사점 위치에서 근사하면 식(5)와 같이 은 3개의 확률변수로 정의한 확률변수공간에서 FORM으로 한계
표현이 가능하며, 일차항까지의 전개를 이용하는 것을 FORM 상태함수를 근사한 예시이다. FORM으로 근사한 한계상태함수는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이차항까지의 전개를 이용하는 특정 확률변수 범위 내에서 실제 한계상태함수와 유사한 형상을
것을 SORM (Second order reliability method)이라고 일컫는다. 보이지만 평면으로 근사되는 한계로 인해 실제 한계상태함수가

   ≈     ∇       (5)

     H      

여기서,  는 확률변수 벡터를,   는 근사점을 나타내며, ▽는


경사도 연산자를 H 는 헤시안(Hessian) 행렬을 나타낸다.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근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적의 근사점은 미지
의 값이므로 다음과 같은 반복계산을 통해 결정되어진다.

∙ 확률변수를 평균 및 분산을 이용해 표준화한다.


 
 

∙ 임의의 초기 근사점  를 결정한다.
∙ 테일러 전개식을 기반으로  에서의   를 전개한다.
       ∇     

    H   

Fig. 5 Definition of reliability index with FORM and
 
여기서 : H is Hessian matrix H   SORM

∙ 한계상태함수     을 정의한다.
∙     위에 있는 점 중 표준화된 확률변수 공간의 원점
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점을 다음 근사점  으로 설정
한다.
∙      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계산을 수행한다.
  min∥∥on    

신뢰도 지수 β는 정규화 된 확률변수공간에서 결합 확률밀도


함수의 중심과 근사식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근사식 위의 최단
거리가 되는 점을 새 근사 점으로 정하고 Δβ가 허용오차ε 이하
로 수렴할 때까지 근사과정을 반복한다. Fig. 5는 확률변수가 2
개인 정규분포공간에 FORM과 SORM, 한계상태함수, 신뢰도 지
수 β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이다. 등고선은 표준화된 결합 확률분
포이고 점선은 실제 한계상태함수이다. FORM 및 SORM은 각각
1점 쇄선으로 표현된 직선과 실선으로 표현된 이차곡선임을 확
인할 수 있으며 두 근사식과 β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파손 Fig. 6 Approximated limit state function by FORM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33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Table 2 Flaw type and geometry


Geometry Round bar
Flaw Semi-circular surface
Radius 68.5 mm
Initial crack size 2 mm

Fig. 7 Approximated limit state function by SORM

복잡한 형상을 띠는 경우 좋지 않은 결과를 보이게 된다. Fig. 7 Fig. 8 Geometry of semi-circular surface flaw on the
round bar
의 SORM으로 표시된 곡면은 테일러 전개의 이차항이 고려된
SORM으로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근사한 결과이다. SORM 또한 파괴/항복 평가에 적용되는 정하중조건은 장력의 장기응답분포
특정 확률변수 범위 내에서 실제 한계상태함수의 형상을 잘 표현 를 통해 도출하여야 하나 해석의 단순화를 위해 Stud R4 chain의
하고 있으며 이차항의 포함으로 인해 FORM에서 표현하지 못하 임계하중의 85%를 사용하였다. 이때 하중이 단면에 수직하게 작용
는 곡면이 잘 표현된 것을 볼 수 있다. 한다고 가정하였고 굽힘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막 응력(Pm)은 460MPa, 1차 굽힘 응력(Pb)은 0MPa
3. 결함평가 해석 으로 계산하였다. 계산에 사용되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Poisson비, 파괴인성 등의 고정된 재료 물성은 Table 3과 같다.
결함평가는 BS791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결함평가 프로그램
3.1 결함평가 해석 조건
인 RESCEW (Kang, et al. 2014)를 사용하여 계산을 수행하였
다. Fig. 9은 구조부재형상, 결함형상, 재료물성, 하중조건 등의
결함평가는 Mohammad (2015)의 연구에 제시된 FPSO의 계
입력을 위한 RESCEW의 입력창을 보여준다.
류체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계류체인의 결합부분은 용접으로
Almar (1985)는 단순 피로평가에 사용되는 피로하중의 확률분
제작되어 있어 초기결함을 가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초기결함
포를 Weibull 분포로 가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균열진전해석
을 가정하여 결함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계류체인의 제원은
에 사용되는 피로하중의 확률밀도함수가 식 (6)의 2-변수
Stud R4 chain으로 직경은 137mm이다. 최대임계하중, 탄성계수
Weibull 분포를 따른다 가정하였다.
는 Table 1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평가대상인 무어링 체인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결함의 형상은 
   
 
환봉에 내재된 부분원형 표면균열로 선정하였으며 BS7910절차를              (6)
 
따라 응력확대계수 등을 산정하였다. Fig.8은 환봉에 존재하는 부
분원형 표면균열의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이며 결함 정보는 Table 여기서  는 Weibull 분포의 형상 파라미터를,  는 척도 파라
2에 정리되어있고 초기결함 크기는 반복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가 미터를 의미한다.
정한 임의의 크기이다. 환봉에 내재된 균열의 형상은 반타원형 혹
은 부분원형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세 개의 확률변 Table 3 Deterministic material properties
수에 대한 평가를 위해 부분원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Yield strength 576 MPa
Tensile strength 690 MPa
Table 1 Particulars of mooring chain Young’s modulus 51050 MPa
Chain diameter 137 mm Poisson ratio 0.3
Modulus of elasticity 51050 MPa Toughness K 102 MPa
Breaking strength 16992 kN Pm (85% of breaking strength) 460 MPa

43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이충현・ 김유일

Table 6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random


variables
Variable Mean Standard deviation C.O.V [%]
Scale
4.08 0.35 8.5
parameter(α)
Shape
0.559 0.01 1.7
parameter(h)
Crack
2.5 mm 0.3 10
size(a)

Fig. 9 Flaw assessment program RESCEW 2.0

Mohammad (2015)는 100년 주기 파랑하중, 100년 주기 풍


력, 10년 주기 조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
션의 해상상태에 대해 계류체인의 1년 치 피로하중을 계산하고
피로하중의 확률분포를 2변수 Weibull 분포로 가정하여 계수의
대표 값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ohammad (2015)가 추
정한 피로하중의 확률분포를 참조하여 Weibull 분포의 계수와 총
피로하중 횟수를 선정하였으며 구조물의 수명을 고려해 참조한
Weibull 계수가 20년 치의 확률분포를 대표한다고 가정하였다.
Weibull 분포의 변수와 총 피로하중 횟수( ),  확률의 하중
진폭( )은 Table 4에 정리되어있다.
균열 성장률 선도는 2개의 기울기를 갖는 선도를 사용하였다. Fig. 10 Joi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응력확대계수의 하한 임계값은 63
 이며 기울기가 바뀌
평균과 표준편차는 변동계수와 함께 Table 6에 정리되어있다.
는 위치에서의 응력확대계수는 144  이다. 균열 성장률
Fig.10는 확률변수 공간에 도시한 결합 확률분포를 중심점에서의
선도의 각 계수들은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다.
x, y, z평면으로 잘라 가시화한 그림이다. 결합 확률분포는 구형
분포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고 결합 확률분포의 중심이 정의된
Table 4 Fatigue loading parameters
공간에서 아래쪽으로 치우쳐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z축으로
Initial scale parameter (α) 4.08
정의한 Shape 변수는 일반적으로 0.7에서 1.5사이에서 의미 있
Initial shape parameter (h) 0.559
는 값을 가지지만 (Lie, 1992) Mohammad (2015)의 연구에서는
Total cycle  (20 years) 3,262,420 극한의 환경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보다 작은 값이 대표값으로 정
∆ 15.27 MPa 의되었기 때문이다.

Table 5 Crack growth constants 3.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Stage A Stage B
A m A m 파손 확률을 근사적으로 계산해 내는 FORM과 SORM의 유효
-17 -12
2.1×10 5.10 1.29×10 2.88 성검증을 위해 확률변수로 가정한 변수들에 대해 몬테카를로 시
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함크기, Weibull의 척도변수, 형상변
3.2 확률밀도함수 수에 대해 3.2절의 Table 6의 조건으로 Gaussian 분포를 따르는
난수 조합을 sampling하여 파손확률을 계산하였다. 난수 조합의
본 해석에 사용된 확률변수는 Weibull 분포의 두 계수와 환봉 sampling수(N)에 따른 파손확률()은 Table 7에 정리되어있다.
의 결함 깊이로서, 모든 확률변수는 서로 독립이며 특정한 평균 파손확률 계산결과 500이상의 sampling 수에서 파손확률이
과 분산을 가지는 Gaussian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1500개의 sampling수의 파손확률
Weibull 분포의 두 변수의 평균값은 Mohammad (2015)의 연구 값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파손확률 값으로 결정하였다.
를 참조하였고 각 변수의 표준편차는 효율적인 몬테카를로 시뮬 Fig.11은 Lr-Kr 공간에서 2000개의 sampling에 대한 몬테카를로
레이션이 가능하도록 적절히 선정하였다. 해석에 적용된 확률변수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35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Table 7 Failure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mpling
No. of sampling 
100 0.16
200 0.145
300 0.157
500 0.186
800 0.18
1000 0.19
1500 0.192
2000 0.1855

Fig. 12 Real limit state function(G=0) in physical space

알기 때문에 Fig. 12의 파손영역에 해당하는 확률값을 더하여 파


손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의 파손확률은 0.1841을 얻었으
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0.7%의 근소한 상대오차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산량과 파손확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의 상대오차는 Table 8에 명시하였다. Fig. 10의 결합 확률분포
의 중심은 안전영역인 Fig. 12의 등위곡면 위쪽에 위치하지만 파
손평가의 경계인 곡면에 매우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장기응답분포가 극한 조건에 있기 때
문이다.

3.5 FORM과 SORM 근사

Fig.12에 보인 바와 같이 본 해석에서 고려하는 결함에 대한


Fig. 11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 in Lr-Kr space
실제 한계상태함수는 3개의 확률 변수로 정의된 공간에서 곡면
for N=2000
으로 나타난다. FORM과 SORM은 상기 한계상태함수를 근사적
으로 얻기 위한 방법으로 테일러 전개를 통해 근사된 한계상태함
3.4 실제 한계 상태 함수 수를 반복적으로 추정하여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근사를 위
한 초기 값은 고려된 확률변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고 근사식 위
신뢰도 지수 β을 FORM과 SORM의 수렴의 척도로서 사용하였 의 점 중 정규화 공간에서 결합 확률밀도함수의 중심과 최단거리
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난수조합으로는 실제 한계상태함수 를 이루는 점을 찾기 위해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수렴
가 3개의 확률변수로 정의되는 공간에서 어떤 형상을 보이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연속된 반복계산에서의 신뢰도 지수의 차
알 수 없기 때문에 FORM과 SORM으로 구한 근사식의 gradient 이가 0.001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계산을 수행하였으며 Fig. 12
와 curvature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먼저 확률변수가 정의된 영 에 보인 실제 한계상태함수와 비교하였다. Fig.13는 해석의 결과
역을 일정간격으로 나누어 반복계산을 수행하였다. 반복계산은 로 도출된 FORM 근사 한계상태함수의 결과이다. FORM 근사 한
결함평가 해석 프로그램인 RESCEW의 민감도해석 모듈을 활용 계상태함수는 평면이기 때문에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완전히 근
하였다. 결함 깊이 a는 1부터 5까지 0.1간격으로, 척도 변수 α는 사하지는 못했지만 그 경향을 비교적 잘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
3부터 5까지 0.1간격으로, 형상 변수 h는 0.55부터 0.62까지 다. Fig.14는 SORM 근사 한계상태함수의 결과를 보여준다.
0.01간격으로, 전체 8000개의 조합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FORM과 마찬가지로 실제 한계상태함수의 경향을 잘 따라가는
Fig.12의 곡면은 반복계산 결과로 도출된 한계상태함수의 값이 것을 확인할 수 있고 FORM 대비 SORM이 상대적으로 곡면을 잘
0의 값을 가지는 등위면을 확률변수 공간에 나타낸 것이다. 이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등위면은 세 확률변수에 대한 실제한계상태함수이다. 파손평가의 FORM 및 SORM으로 근사한 한계상태함수로 분할된 공간 중
경계가 되며 곡면의 위쪽영역은 한계상태함수 값이 양수 값을 가 G<0인 영역의 결합 확률분포 값을 적분하여 결함의 파손확률을
지고 아래쪽은 음수 값을 가진다. 즉, 등위면의 아래쪽영역이 파 구하였다. FORM 및 SORM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몬테카를
손영역이 된다. Fig.10에서 보인 것과 같이 각 위치에서의 확률을 로 시뮬레이션으로부터 도출된 파손확률과 각각의 확률을 비교

43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이충현・ 김유일

FORM 및 SORM을 사용하여 파손확률을 추정하고 이를 몬테카


를로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환봉에 내재된 부분
원형의 균열깊이와 장기피로하중의 확률분포에 적용된 2변수
Weibull 분포의 계수를 Gaussian 분포를 가지는 확률변수로 가
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해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신뢰성기반 결함평가 절차를 BS7910에 정의된 결정론적
결함평가 절차와 FORM과 SORM을 결합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를 계류체인의 결함에 대해 적용한 후 파손 확률을 비교
하여 두 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FPSO 계류체인에 내재된 부분원형 형상의 결함을 평가대
상으로 결정하였고 결함깊이와 장기피로하중분포의 2 변수

Fig. 13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and FORM Weibull 분포의 계수를 확률변수로 가정하였다.
approximation ∙ 결함깊이와 Weibull의 형상 파라미터, 척도 파라미터에 대
한 1500개의 난수조합에 대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
행하고 Lr-Kr 공간에서 파손확률을 계산하였다.
∙ 결함깊이와 Weibull의 형상 파라미터, 척도 파라미터에 대
한 8000개의 조합에 대해 반복계산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
으로 확률변수 공간에서 정의된 실제 한계상태함수를 도출
하였다.
∙ 개발된 절차를 기반으로 FORM과 SORM으로 실제 한계상
태함수를 근사하였으며 이차항을 포함한 SORM이 FORM보
다 상대적으로 한계상태함수를 좀 더 정확하게 모사함을 확
인하였다.
∙ 수렴까지 FORM은 총 5번, SORM은 4번의 반복 계산이 수
행되어졌으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
한 계산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Fig. 14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and SORM ∙ FORM과 SORM으로부터 계산된 파손확률은 실제 파손확률
approximation 과 매우 가까운 값을 보였고 두 방법 모두 오차율이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SORM을 통해 도출된 오차율은
Table 8 Comparison of failure probability
약 1.02%로 FORM의 결과인 9.16% 대비 절반 수준을 보
Failure No. of No. of Error
임을 확인하였다.
probability Iteration Analysis [%]
Monte Carlo 0.1855 - 2000 -
Real LSF 0.1841 - 8000 0.7% 후기
FORM 0.1685 5 20 9.16%
SORM 0.1874 4 40 1.02%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해양플랜트 특성화 대학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연구비 지원에 감사 드립니다.
분석하고 이를 Table 8에 제시하였다. 예상 되었던 바와 같이
SORM으로 예측된 파손확률의 오차가 FORM의 결과 대비 상대
References
적으로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FORM으로 예측된 파손확
률도 9% 정도의 값을 보였으며 SORM이 반복 당 계산량이 많기
Almarnaess, A., 1985. Fatigue handbook: Offshore steel
때문에 계산의 효율성 등을 고려컨대 공학적 활용가치가 매우 높
structures, Chapter 10: Fatigue life calculation. TAPIR:
음을 확인할 수 있다.
United Stat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2007. Fitness-for-
4. 결 론 service, API 579e1/ASME FFS-1.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BSI), 2013. Guide to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초기결함이 있는 FPSO의 계류체인에 대해 for assessing the acceptability of flaws in metallic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37


FORM 및 SORM을 이용한 무어링 체인의 신뢰성 기반 결함평가

structure, BS 7910. Metropolis, N. & Ulam, S., (1949). The Monte Carlo
Fiessler, B. Rackwitz, R. & Neumann, H. J., 1979.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Quadratic limit states in structural reliability. Journal of 44(247), pp.335-341.
the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105(4), pp.661-676. Mohammad, H. S., 2015. Fatigue analysis and design
Hohenbichler, M. Gollwitzer, S. Kruse, W. & Rackwitz, of mooring systems.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R., 1987. New light on first-and second-order reliability different methods. Master's thesis, Norwegian
methods. Structural Safety, 4(4), pp.267-284.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ee, O.S. Kim, D.H., 2007. Reliability of fatigue Rackwitz, R. & Flessler, B., 1978. Structural reliability
damaged structure using FORM, SORM and fatigue under combined random load sequences. Computers
model.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n & Structures, 9(5), pp.489-494.
Engineering, pp.1322-1328. Yu, Z. Zheng, Z. Qunpeng, Z., 2012. Improved reliability
Lie, H. 1992. Simplified fatigue analysis of mooring lines.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failure assessment
Posisjoneringsmøtet '92; 7-9.october, Fagernes. diagram. Chinese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Kang, B.J. Kim, J.H. Kim, Y., 2016. Engineering 25(4), pp.832-837.
criticality analysis on an offshore structure using the
first- and second-order reliability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8(6), pp.577-588.
Kang, B.J. Kim, Y.I. Ryu, C.H. Park, S.G. Oh, Y.T.,
2014. Development of a flaw assessment software
using the fracture mechanics approach. The Annual
Autumn Conference, SNAK, Changwon, 6-7 November,
2014. pp. 675-680. 이충현 김유일

438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pISSN:1225-1143, Vol. 54, No. 5, pp. 439-446, October 2017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eISSN:2287-7355, https://doi.org/10.3744/SNAK.2017.54.5.439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김형준1・ 최걸기1・나양섭2・ 박경훈3・정현1,†
KAIST 기계공학과1
KAIST 재난학연구소2
국방과학연구소 6본부3

An Experimental Study on UNDEX Characteristics of Airbag Inflators


Hyeongjun Kim1・ Gulgi Choi1・Yangsub Na2・Kyung Hoon Park3・Hyun Chung1,†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AIST, Daejeon, Korea1
KAIST Institute for Disaster Study, Daejeon, Korea2
Division of 6th R&D Institut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Jinhae, Korea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paper deals with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dynamics of an underwater bubbles and shock waves, generated by rapid underwater
release of highly compressed gas. Aribag inflators, which are used for automobile’s airbag system, are used to generate the
extremely-rapid underwater gas release. Experimental studies of the complex underwater bubble dynamics as well as underwater shock
wave were carried out in a specifically designed cylindrical water tank. The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 high-speed camera and
pressure sensors. The high-speed camera was used to capture the expansion and collapse of the gas bubble created by inflators, while
pressure sensors was used to measure the underwater shock propagation and magnitude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against the results of explosion of pentolite explosive. Several physical phenomena that has been observed and discusse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explosive underwater explosion.

Keywords : Underwater explosion (수중폭발, UNDEX), Airbag inflator (에어백 인플레이터), Gas bubble (가스 버블), Shock wave
(충격파)

1. 서 론 수 있는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폭약을 사용하지 않은 무폭약 충격시험은, 수중에서 폭약이
폭발하면서 발생시키는 수중 충격파가 함정에 미치는 영향을 폭
함정 생존성의 주요 요소인 내충격 성능평가를 위해 함정 건 약의 사용 없이 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폭약이
조 후 실선 충격시험 (LFT&E; Live Fire Test & Evaluation)이 필 수중에서 폭발할 때 발생하는 수중 충격파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
수적이며 일부 선진국에서 이를 수행하고 있다 (Clements, 에 맞는 수중충격파를 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
1972; NAVSEA, 1995; Constanzo, 2011). 그러나 폭약을 사용 다 (Antonov et al., 2014; Beatty, 1972; Brussieux et al.,
한 실선 충격시험은 높은 비용과 긴 시험 시간, 먼 바다에서 폭 2011; Buogo et al., 2009; Chahine et al., 1995; Cook et al.,
약을 사용한다는 위험성 및 해양 오염과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1997; Gilburd et al., 2012, Thompson, 2000). 현재까지 에어
부정적인 영향 등 현실적인 어려움을 갖고 있다 (Young, 1973). 건(Air gun)을 사용한 방법, 전자기 시스템, 전기화학적 시스템
시제함(leading ship)을 실험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없고, 수리 등이 개발되었으나, 발생시킬 수 있는 수중충격의 규모 면에서
및 보수 후 실전에 배치해야 하는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에어건을 사용한 방법이 가장 각광받고 있다.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해안이나 부두에서 폭약을 사용 에어건은 해저 지질조사를 위한 인공 지진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정
하지 않고 수중 폭발시험에 준하는 함정 내충격 성능을 확인할 수심에서 강력한 수중 충격파를 발생시키려 사용된 장비였다. 약

Received : 12 September 2017 󰠛 Revised : 28 September 2017 󰠛 Accepted : 11 October 2017



Corresponding author : Hyun Chung, hyunny92@kaist.edu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20~250 in3 (0.3~4L)의 공압 챔버 (pneumatic chamber) 안에 작동 방식에 따라 가스 발생제(gas generant)의 연소반응에 의해


약 2,000~3,000 psi (14~21 MPa) 로 압축된 공기를 순식간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화식 (pyrotechnic) 방식과, 압력용기에 보
방출하면서 수중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해저 지질조사를 위해 관된 고압가스를 기폭제(initiator)를 사용하여 방출시키는 하이브
사용될 때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 다수의 에어건을 등간격으로 리드 (hybrid) 방식으로 나뉜다. 주로 가스 발생량이 크지 않은
평행하게, 또는 삼각형으로 배열하여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수십 사이드 에어백, 커튼 에어백 등에 하이브리드 방식이 사용되고,
개의 에어건이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압 챔버의 가스 발생량이 큰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에는 점화식 방식이
크기가 클수록 저주파 영역에서, 크기가 작을수록 고주파 영역에 사용된다. Fig. 1은 각 에어건 인플레이터의 모습이다.
서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발생시키고자 하는 충격파의 주파
수를 고려하여 하나의 큰 에어건 대신에 다수의 작은 에어건을
사용하기도 한다 (Dragoset, 2000; Krail, 2010, Li & Wang
2013).
해저 지질 및 자원 조사를 위해 사용되던 에어건을 함정 내
충격 시험에 적용하는 방법은 Thompson에 의해 처음 시도되
었고 (Thompson, 2000), 영국 해군의 함정을 대상으로 내충격
시험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에어건 시스템은 압축공기를
다시 주입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반복적으로 발파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으나, 고압의 압축기(compressor), 제어장치 등 초기 비
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폭약에 의해 발생한 수중
충격파와 비교하면 고주파 영역으로 갈수록 그 유사성이 떨어지
는 제약이 있다 (de Graaf et al., 2014b; Watson et al., 2016; Fig. 1 Side, curtain, driver’s aigbag inflators (from the left)
Yu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에어건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스를 방출
본 연구는 무폭약 충격시험 기술 개발을 위해, 에어건과 같이
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사용하였다. 가스
고압의 압축공기를 수중에서 빠른 속도로 방출할 때 발생하는 수
발생량이 서로 다른 사이드 에어백과 커튼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중 버블과 수중 충격파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사용하였다. Table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인플레이터의 제원이다.
에어건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고 경제적인, 상용차에 사용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수중에서 고압가스를 고속으로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 발파시 발생하는 버
Table 1 Specification of airbag inflators
Position Side Curtain
블의 복잡한 거동과 수중 충격파를 관찰하기 위해 초고속 카메라
Model LE-060B(SAB) LE-110D(CAB)
를, 수중충격파의 크기와 전파를 측정하기 위해 3개의 수중 압력
Length 155 mm 282 mm
센서를 사용하였다. 가스발생량이 서로 다른 에어백 인플레이터
Diameter 25 mm 25 mm
를 사용하여 가스 발생량이 수중폭발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Weight 245 g 457 g
하였다. 다수의 인플레이터가 동시에 발파할 때의 현상도 고려하
Gas can.
였다. 실험의 결과는 펜톨라이트(pentolite)를 사용한 폭약시험의 25.4 ml 66.0 ml
Volume
결과와 비교하여, 폭약에 의한 수중폭발과 고압 가스 방출에 따
Gas pressure 9.8 Mpa 25 MPa
른 수중폭발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Pmax(air) 60k Pa 110 kPa
Time to Pmax 15 ms 25 ms
2.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발파 특성 Moles 0.5 1.1
Ar(80.7%), Ar(85.7%),
에어백 인플레이터는 승용차의 에어백 모듈에서 고속으로 가스 He(3.4%), He(3.6%),
Gas ratio N2(5.9%), N2(4.0%),
를 발생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가장 일 CO2(4.2%), CO2(2.8%),
반적인 운전석 에어백 (driver airbag), 조수석 에어백 (passenger H2O(5.8%) H2O(3.9%)
airbag) 뿐만 아니라 커튼 에어백 (curtain airbag), 사이드 에어 Hybrid Hybrid
백 (side airbag: 횡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좌석의 Explosion 15% explosive gas 10% explosive gas
옆에서 팽창되는 에어백), 무릎 에어백 등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type 85% compressed 90% compressed
air air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에어백 모듈에 따라 가스 발생량이 다
른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에어백 인플레이터는 그 Gas temp. 260℃ 150℃

440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형준・ 최걸기・나양섭・ 박경훈・정현

Fig. 2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이드 에어백 내부 구조이다. Table 2 Specification of pressure sensor
불활성 가스 (97% Ar, 3% He)는 약 100 bar의 압력으로 압축되 Model Piezo electronics model 138A
어 있고, 착화 전류 1.2 A를 2 ms 동안 가하거나, 1.75 A를 0.5 Measurement range 25000 psi (172.37 MPa)
ms 동안 가하면 기폭제로 흔히 사용되는 Zirconium-Potassium (±20%) 0.18 pC/psi
Sensitivity
Perchlorate (ZPP)가 반응하여 소량의 폭약(Nitroguanidine)을 기 (0.026 pC/kPa)
폭시킨다. 기폭된 폭약의 폭발충격으로 압축가스를 가두고 있는 Sensing element Tourmaline
압력용기 노즐의 막(membrane)을 파괴시키고, 이로 인해 압축 Temp. range 0 to 100°F (-17.8 to 37.5°C)
가스가 방출되게 된다. Nitroguanidine은 추진제 (propellant)로 Electrical connector 10-32 coaxial jack
주로 사용되는 폭약으로 0.95의 상대효과도 계수 (RE factor:
Relative Effectiveness factor)를 가지고 있다 (Wikipedia, 2017).
상대효과도 계수는 폭약의 폭발력을 TNT의 폭발력과 상대 비교
한 값으로 폭약의 무게와 동일한 폭발력을 내기 위한 TNT의 무
게의 비율이며, 계수가 클수록 폭발력이 크다.
사이드 에어백은 가스 발생 몰(mole)수는 0.5몰이고, 발파시
내부 기폭제와 폭약에 의해 가스 온도가 260°C에 도달하며, 수
중에서 단열상태로 가정하고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으로 추정하
면 약 21 L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수중 버블의 형태를 완전한
구로 가정하면 반지름 약 17 cm의 버블이 발생할 것으로 계산
할 수 있다.

Fig. 3 Layout of water tank

Fig. 2 Structure of hybrid airbag inflator

Fig. 4 Sensors placement in the water tank


커튼 에어백의 경우도 발파 기제는 동일하나, 압축된 가스의
양이 1.1몰로 사이드 에어백의 2.2배이다. 커튼 에어백의 경우
발파시 내부 가스가 150°C에 도달하며, 약 34 L의 가스를 발생
시킨다. 역시 이상적인 구로 수중버블의 형태를 가정하면 반지름
약 20 cm의 버블이 발생할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실험 장치 및 구성

실험은 KAIST에서 수중폭발을 위해 제작된 원통형 수조에서


수행되었다. Fig. 3과 같이 수조는 내부 지름 3 m, 높이 4 m의
크기이며, 수조 바닥으로부터 1.5 m와 2 m 높이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관측창이 있다. 관측창은 지름 300 mm의 원형으로 설
계되었고 같은 높이에서 카메라와 조명을 위해 서로 마주보게 설
치되었다. Fig. 5 Experimental setup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41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버블 거동을 관찰하기 위해 초고속 카메라 (Phantom사의 시 수축하여 붕괴한다. 에어백 인플레이터 노즐이 원통형으로 긴
VEO710, 최대 680,000 fps)을 사용하였다. 수중충격파의 전파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반경 방향으로 나 있어 그 방향
와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Fig. 4와 같이 압력센서를 으로 가장 빠르게 가스가 방출되어, 반경 방향으로 긴 타원면 형
설치하였다.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노즐(nozzle)을 수조의 정중앙 상으로 버블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대 반경에 도달 후 가
수심 1.5 m 지점에 배치하였으며, 수조 중앙에서 수평으로 500 장 빠르게 팽창했던 방향으로 가장 먼저 수축하여 버블의 크기가
mm 떨어진 위치에 수심 50 cm, 100 cm, 150 cm 위치에 총 3 줄어든다. 이 때 폭약으로 발생한 버블과 달리 반경 방향으로 붕
개의 압력센서를 배치하였다. Table 2는 사용한 압력센서의 제원 괴하면서 버블 내부의 가스로 인해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
이다. Data Acquisition을 위해 Dewetron (signal response: 300 라 양쪽으로 버블이 나뉘게 되고, 이후 나뉜 버블이 두번째 최대
kHz, sampling rate: 1 MHz)을 사용하였다. Fig. 5와 6은 실험을 크기에 도달하게 된다. 두번째 최대 크기 도달 후 다시 크기가
위한 장비의 배치 도식과 실제 실험 전경을 나타내었다. 줄어들면서 버블 내부의 가스가 작은 버블들로 붕괴하고, 부력에
의해 수면 쪽으로 떠오르는 거동을 보인다. 소형 에어건을 사용
한 De Graaf의 실험과 비교하면 버블의 거동 면에서는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버블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De Graaf et al.,
2014c).

Fig. 7 Side airbag explosion (exp3)

Fig. 6 Experimental setup (real)

4. 실험 결과

4.1. 수중 버블의 거동 특성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발파로 발생하는 수중 버블의 거동을 관


찰하기 위해 7500 fps (single SAB explosion) 및 2000 fps
(double SAB, CAB explosion)로 촬영된 초고속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최대 버블 직경과 버블 팽창의 속도 및 발파 후 다시
최소 지름이 될 때까지의 주기를 관측하였다. Fig. 7은 사이드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거동을, Fig. 8은 커튼 에어백 인플레이터
의 버블의 거동을 촬영한 영상이다. 그림에서 보여주듯 발파 후
구형에 가까운 타원면(Ellipsoid) 형상으로 버블이 생성된 후 다 Fig. 8 Curtain airbag explosion (exp5)

442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형준・ 최걸기・나양섭・ 박경훈・정현

Fig. 9는 사이드 에어백의 길이방향을 수평으로 두고 발파했 붕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플레이터의 반경 방향으로 첫 번째
을 때 버블의 사진이다. 인플레이터의 인플레이터 반경방향으로 버블이 붕괴하는 모습이 관찰되지만, 두 버블 중심 방향으로 양쪽
긴 타원면이 발생하고, 버블이 수축할 때 반경반향으로 버블이 버블이 수축하며 붕괴하기 때문에 두 번째 버블의 명확한 모습은
두 개로 나뉘는 현상에 중력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이 어려웠다. Table 3은 버블의 거동 특성을 정리한 표이다.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림에서 보이듯 시간이 흐르면서 부력에 의
Table 3 Period and radius of bubbles
해 다소 수면방향으로 버블 전체가 떠오르긴 하지만, 인플레이터
1st 1st 1st BCT 2nd 2nd
의 반경방향으로 긴 타원면 형태의 버블이 발생하고, 버블이 수 Type MBR MBT MBR MBT
(mm) (ms) (ms) (mm) (ms)
축하면서 두 개의 버블로 나뉘는 거동 모두 중력의 영향보다 에
어백 인플레이터의 노즐의 방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1 SAB. 246 19.7 43.2 168 63.6
S.V.
Fig. 10은 사이드 에어백 두 개를 동시에 발파한 사진이다. 두 SAB.
2 S.V. 233 20.4 43.6 163 63.5
버블이 최대크기에서 서로 맞닿도록 중심에서 각각 21.5 cm 서
로 떨어뜨려 놓고 발파하였다. 버블이 최대 크기에 도달하면서 3 SAB. 247 21.3 42.8 174 63.9
S.V.
서로 닿고, 이후 수축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4 CAB. 323 22.8 56.3 217 81.5
S.V.

5 CAB. 325 27.0 58.0 211 86.0


S.V.

6 CAB. 325 27.0 56.5 205 81.5


S.V.

7 SAB.A - 22.5 51.5 - 77.0


.V.

8 SAB.A - 25.0 50.5 - 71.5


.V.

9 SAB.A - 24.0 50.0 - 79.0


.V.

10 SAB.S - 22.5 43.5 - 62.5


.H.
SAB.: S.: Single MB: Max. bubble
Side airbag A.: Array BC: Bubble collapse
CAB.: Curtain V.: Vertical R: Radius
airbag H.: Horizontal T: Time

4.2. 수중 충격파 특성
Fig. 9 Side airbag explosion (horizontal dir.) (exp10)
1MHz의 샘플링 주파수 (sampling rate)로 3개의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에어백 인플레이터 발파시 수중 충격파를 측정하였다.
Fig 11은 3개의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들이다. 센서 1은 인플레
이터 노즐과 같은 수심 150 cm, 센서 2는 수심 100 cm, 센서 3
은 수심 50 cm에 배치되어 있으며, 에어백 인플레이터와의 거리
는 각각 50 cm, 70.7 cm, 111.8 cm 이다.
Fig 11에서 보이듯이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경우, 발파 초기에
내부 기폭제 작용에 의한 압력 변동이 0.2ms 정도 발생하다가
내부 Nitroguanidine의 발파로 인한 압력의 급격한 증가, 그리고
고압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압력, 그리고 버블이 최대 크기에 접
근하면서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초기 압력
최대값 이후 압력값의 변화는 압력용기 내 압축가스가 노즐을 통
해 분사되면서 용기 내 압력이 강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버블의
팽창속도도 줄어들게 되어, 이에 따라 압력도 줄어들게 된다. 전
체적으로 압력이 줄어들면서 버블이 최대 크기에 도달하면 음압
(negative pressure)이 걸리게 된다. 압력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Fig. 10 Side airbag array explosion (exp7) 발생하는 압력의 동요는 분출되는 가스 제트(gas jet)가 버블의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43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경계와 만나면서 난류를 발생시키면서 제트가 붕괴하면서 발생 험도 수행하였다. 펜톨라이트는 1.33의 상대효과도 계수를 가진
하는 것으로 보인다 (de Graaf et al., 2014a). 폭약으로서, ㈜한화의 협조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를 위해
수심 및 폭약의 위치는 에어백 인플레이터 실험과 동일하게 유지
하였다. Fig. 14는 폭약과 같은 수심에 위치한 센서에서 측정한
초기 충격파의 압력이다. 초기 충격파 발생 후 최대 지름 50.6
cm, 22.2 Hz로 진동하는 버블이 발생하였으나, 초기 충격파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발파 후 1ms 동안의 압력에 대해서만 분
석하였다. 그림에서 보듯 최대 압력 (peak pressure)은 16.85
MPa이고, 저주파에서 약 1000 Hz 영역까지 걸쳐 고주파로 갈수
록 줄어드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ONR 보고서 (Brenner, 2007)에 의하면, 에어건에 의해 발생하
는 수중 충격파의 최대 압력과 주파수는 다음의 식에 비례한다.

최대 압력 (peak pressure):  ∼        (1)

Fig. 11 Pressure before reflection shock is reached 최대압력 주파수 (peak frequency):  ∼      (2)

Fig. 12는 초기 충격파를 푸리에 변환 하여 얻은 주파수 중 버 이때,   은 압축공기의 초기 압력,  는 압력용기의 부피,  는
블이 붕괴한 이후에도 주요하게 남아있는 주파수를 제거한 결과 에어건과 측정점의 거리이다.
이다. 첫 번째 버블이 붕괴하는 40 ms 이후의 데이터를 퓨리에
변환해 보면 150 Hz 이하의 주파수가 큰 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를 제거함으로써 초기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충격파의 주파
수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초기 충격파
에서 주요한 주파수는 500 Hz와 915 Hz이다. 에어건 연구
(Watson et al., 2016)와 비교하면 크기가 작은 에어백 인플레이
터가, 수십~100 Hz 근방 주파수의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에어건
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충격파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2 Major frequency of pressure (exp3)

Fig. 13은 착화된 이후부터 첫 번째 버블이 붕괴하기까지의


압력과 그에 따른 버블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에어건 인플레이터가 발생시키는 충격하중의 특징을 폭약의
경우와 비교하기 위해서, 펜톨라이트 5g을 사용하여 수중폭발 실 Fig. 13 Pressure and bubble shape (exp3)

444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김형준・ 최걸기・나양섭・ 박경훈・정현

5. 결 론

본 연구는 수중에서 고압의 가스 분출로 인해 발생하는 버블


의 거동과 수중 충격파의 특성을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정량적으로 계측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버블의 거동을 관측하였고, 수중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수중 충격파를 계측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 발파로 인해
발생하는 버블의 형상이 에어건을 사용할 때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작은 크기로 인해 에어건보다 높은 주파수
대의 충격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 Peak pressure
본 실험연구는 무폭약 실선 충격시험장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폭약을 사용하지 않는 안전한 수중 충격파 발생원으로
서 하이브리드 타입의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
다. 또한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로 발생하는 충격파와 버
블의 특성과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규격 (압력용기의 크기, 초기
압력 등)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무폭약 충격시험 장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후 기

(b) Spectral density (MPa) of shock wave 본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근접폭발 특화연구실” 과제
Fig. 14 Peak pressure and frequency of pentolite explosion 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과 커튼 에어백은 각각 다른 초 References


기 압력과 부피를 갖고 있으나, 사이드 에어백이 평균 124 kPa,
커튼 에어백이 211 kPa의 최대 압력의 충격파를 발생시켰으므로 Antonov, O. Efimov, S. Tz. Gurovich, V. Yanuka, D. Shafer,
식 (1)에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식(2)에 따르면 커튼 에어백의 경 D. & Krasik, Y. E., 2014. Diagnostics of a converging
우가 사이드 에어백의 경우보다 약 1.16배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strong shock wave generated by underwater explosion of
있으나, 그 차이가 매우 적어 실험으로 뚜렷이 구별되지 않았다. spherical wire array. Journal of Applied Physics, 115(22),
두 개의 어레이의 경우 평균 294 kPa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중첩 223303.
의 효과가 잘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Beatty, L. G., 1972. Bubble frequencies of air gun sources
기존의 에어건을 사용한 수중 충격파 연구처럼, 충격파의 크 (No. NRL-MR-2503). Naval research Lab Orlando FL
기는 폭약의 경우에 비해 수백배 작으나 다수의 에어백 인플레이 Underwater Sound Reference Div.
터를 동시에 목표물에 인접하여 사용하면 일정부분 크기의 제한 Brenner, M. 2007. Navy ship underwater shock prediction and
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십~100 Hz 영역의 충격 testing capability study. Office of Naval Research (ONR).
파를 발생시키는 에어건보다 더 높은 주파수 영역의 수중 충격파 Report-No. JSR, pp.07-200.
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500 Hz 이상의 주파수 Brussieux, C. Viers, Ph. Roustan, H. & Rakib, M. 2011.
영역에서 폭약의 수중폭파에 비해 고주파 영역이 부족한 점도 보 Controlled electrochemical gas bubble release from
인다. 이는 초기 압력이 더 높거나, 압력 용기의 크기가 좀 더 작 electrodes entirely and partially covered with hydrophobic
materials. Electrochimica Acta, 56(20), pp.7194-7201.
은 인플레이터를 사용해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Buogo, S. Plocek, J. & Vokurka, K., 2009. Efficiency of
한 다양한 압력용기의 크기와 초기 압력을 가진 서로다른 에어백
energy conversion in underwater spark discharges and
인플레이터의 적절한 조합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가
associated bubble oscillations: experimental results. Acta
필요하다.

JSNAK, Vol. 54, No. 5, October 2017 445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수중폭발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Acustica united with Acustica, 95(1), pp,46-59. Li, Z. Wang, H., 2013. Numerical simulation of the multi-level
Chahine, G. L. Frederick, G. S. Lambrecht, C. J. Harris, G. air-gun array based on over/under source. Energy Science
S. & Mair, H. U., 1995. Spark-generated bubbles as and Technology, 6(1), pp.52-60.
laboratory-scale models of underwater explosions and their McCarthy, R. H., 1995. Shock Design Criteria for Surface
use for validation of simulation tools. In SAVIAC Ships (Vol. 10). NAVSEA 0908-LP-000-3010, Naval Sea
Proceedings of the 66th Shock and Vibrations Symposium Systems Command.
(Vol. 1). Thompson, P.R., 2000. Shock testing of naval vessels using
Clements, E. W. 1972. Shipboard Shock and Navy devices seismic airgun arrays, US patent 6662624 B1.
for its simulation (No. NRL-7396). Naval Research Lab Young, G. A., 1973.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Washington DC. environmental effects of underwater explosion tests (No.
Cook, J. A. Gleeson, A. M. Roberts, R. M. & Rogers, R. L., NOLTR-72-211). Naval Ordnance Lab White Oak MD.
1997. A spark-generated bubble model with semi-empirical Yu, W. Jianglin, F. Zhang, Z. Rongying, S. & Hongxing, H.,
mass transpor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2007. Shock spectrum calculation of structural response
America, 101(4), pp.1908-1920. to UNDEX. 14th International Congresson Sound &
Costanzo F.A., 2011. Underwater explosion phenomena and Vibration, Cairns, Australia, 9-12 July 2007.
shock physics. In: Proulx T. (eds) Structural Dynamics, Watson, L. Dunham, E. & Ronen, S., 2016. Numerical
Volume 3.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Society for modeling of seismic airguns and low-pressure sources.
Experimental Mechanics Series. Springer: New York, NY.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Annual Meeting,
De Graaf, K. L. Brandner, P. A. & Penesis, I., 2014a. Bubble Dallas, Texas, USA, 16-21 October 2016.
dynamics of a seismic airgun. Experimental Thermal and Wikipedia, 2017, TNT equivalent, [Online] Available at
Fluid Science, 55, pp.228-238. https://en.wikipedia.org/wiki/TNT_equivalent [accessed 10
De Graaf, K. L. Brandner, P. A. & Penesis, I., 2014b. The September 2017]
pressure field generated by a seismic airgun.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55, pp.239-249.
De Graaf, K. L. Penesis, I. & Brandner, P. A., 2014c.
Modelling of seismic airgun bubble dynamics and pressure
field using the Gilmore equation with additional damping
factors. Ocean Engineering, 76, pp.32-39.
Dragoset, B., 2000. Introduction to air guns and air-gun
arrays. The Leading Edge, 19(8), pp.892-897.
Gilburd, L. Efimov, S. Gefen, A. F. Gurovich, V. Tz. 김형준 최걸기 나양섭 박경훈
Bazalitski, G. Antonov, O. & Krasik, Y. E., 2012. Modified
wire array underwater electrical explosion. Laser and
Particle Beams, 30(2), pp.215-224.
Krail, P. M., 2010. Airguns: Theory and operation of the
marine seismic source. Course notes for GEO-391:
Principles of seismic data acuisition, University of Texas at
정현
Austin.

446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 54 권 제 5 호 2017년 10월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논문 원고작성요령
(2010. 8 개정)

1. (목적) 본 요령은 대한조선학회 논문집에 투고하는 논문 원고의 체재 및 형식의 통일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사항을 지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체제) 최근에 발간된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및 국내외의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동일유형 논문의 체재에 준한다.

(1) 논문원고는 인터넷 논문심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출한다.

(2) 표제부분: 제목, 저자명 및 저자 소속 기관명을 국문 및 영문으로 작성한다. 공저의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가 주저자가
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교신저자를 겸한다. 교신저자가 첫 번째 저자가 아닌 경우 별도로 명시한다. 연락을 위
한 교신저자(단독저자 포함)의 전화번호와 e‐mail 주소를 포함한다.

(3) 요약부분: 연구목적, 방법, 결과 등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요약하여 200단어 내외의 영문요약문(abstract)을 작성한다.

(4) 주요어 부분: 주요학술용어(keyword)는 원고의 내용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단어로 4~6개 선택하여 영문과 국문으로
병기한다.

(5) 본문부분: 논리의 전개에 따라 내용을 구분하고 부제를 달 수 있다.

3. (표기방법)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되 다음에 따른다.

(1) 부제의 표시: 부제는 순차적으로 일련번호를 붙여 표기한다(1., 2., 3.,···, 1.1, 1.2, 1.3,···).

(2) 학술용어: 국문논문의 경우 될 수 있는 한 한글로 표기하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원어를 부기할 수 있으며, [조선용어사전
(대한조선학회편)]에 따른다. 로마자를 원어로 부기할 경우 소문자를 사용한다. (예: 물가름각(entrance angle)).

(3) 수량 및 단위: 수량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며 단위는 국제단위계(SI unit)를 사용한다.

(4) 그림의 표기: 논문집에 게재되는 그림(사진포함)은 인쇄 시 선명하도록 선명도에 유의하여야 하며, 편집위원회의 요청이
있을 경우 별도의 그림파일로 제출하여야 한다. 그림(사진포함)의 제목은 그림 하단에 영문으로 ‘Fig. # + 설명’형태로
표기하되 첫 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Fig. 1 Body plan).

(5) 표의 표기: 표의 제목은 표 상단에 영문으로 표기하되 첫 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Table 1 Offset data).

(6) 수식의 표기: 수식은 수식편집기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수식번호는 괄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수식번호의 순서는 (1), (2),
(3)…의 형태로 한다. (예: S = f(u,v) (1)).

(7) 각주 표기: 각주(footnote)는 되도록 삼가되 부득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어휘 상단에 일련번호를 붙여 표기하고 원고의
하단에 그 번호와 설명을 부기한다.

(8) 문헌인용 및 표기: (본문 중) 참고문헌의 인용 및 표기는 영문작성을 원칙으로 하며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참고문헌 작성
및 인용 지침]을 따른다.

4. (기타사항) 기타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에 의뢰한다.

5. (준수의무) 저자는 투고논문의 원고 작성 시 본 원고작성요령을 준수하여야 한다. 편집위원회는 본 원고작성요령을 따르지 않


은 원고에 대해 저자에게 원고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고, 수정이 완료되기까지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
우 저자에게 추가비용을 요구할 수 있다.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투고규정
1. (목적) 본 규정은 대한조선학회 논문집(이하 논문집이라 한다)에의 투고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투고자격) 논문집에 투고하고자 하는 자는 대한조선학회의 회원임을 원칙으로 한다. 단, 본 학회의 편집위원회에서 특별히 인
정한 자는 예외로 한다.

3. (원고의 정의) 논문집에 투고되는 원고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1) 논문: 독창성과 신뢰성이 있으며 타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연구결과로서 학문발전에 공헌도가 높은 내용 또는 산업기술
에 직접 응용될 수 있는 내용 (규정면수 8면)
2) 논문토론: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않은 본 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학술토론 (규정면수 1면)

4. (원고의 작성 및 제출) 원고는 본 학회 논문집 논문 원고작성요령에 따라 전자파일로 작성하며, 인터넷 논문심사 시스템을 이
용하여 원고게재요청서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1부와 함께 제출한다.

5. (접수일자) 원고의 접수일자는 인터넷상에서 원고가 접수된 날로 한다.

6. (채택여부) 원고의 채택여부는 본 학회 논문집 원고심사규정에 따라 정한다.

7. (심사료) 투고자가 납부하는 심사료는 없으며, 심사자에게 지급되는 심사료는 본 학회의 예산에서 지급한다. 단, 투고자가 급
행 심사를 요청한 논문의 경우에는 대한조선학회 편집경비 처리 규정에서 정한 소정의 급행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8. (승인일자) 원고의 승인일자는 게재가 결정된 원고의 인쇄용 최종본이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득한 날로 한다.

9. (게재료 등) 논문집에 게재되는 원고의 저자는 대한조선학회 편집경비 처리 규정에서 정한 소정의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다음의 경우에 의한 추가경비는 저자가 부담한다.
1) 규정면수를 초과한 경우
2) 특수용지 사용, 색도인쇄 등을 요구할 경우
3) 본 학회 논문집 논문 원고작성요령을 따르지 않아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10. (저작권 및 책임) 논문집에 이미 게재되었거나 향후 게재되는 원고의 저작권은 학회에 귀속 되며, 원고의 투고로서 원고의
저작권을 학회에 이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종전에 발행된 논문집에 게재된 원고에 대해 학회가 이미 관리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다만 게재된 원고내용으로 인한 모든 책임은 투고자에게 귀속된다.

11. (논문의 체제) 논문의 체제는 다음의 순서를 원칙으로 한다.


1) 제목, 2) 저자 및 소속, 3) 영문초록, 4) 주요학술용어, 5) 기호설명(필요 시), 6) 서론, 7) 본문(이론해석, 실험방법, 결과, 결
과의 해석, 고찰 등), 8) 결론, 9) 후기(필요 시), 10) 참고문헌, 11) 부록(필요 시), 12) 저자사진 기타.

부 칙

1. 본 규정은 2003년 1월 17일부터 시행하며, 대한조선학회 투고규정(1988년 10월 8일 제정, 1995년 1월 1일 개정, 1996년 1월
11일 개정, 1998년 4월 23일 개정)은 폐지한다.

2. 본 규정은 2007년 5월 31일부터 시행한다.

3. 본 규정은 2010년 8월 31일 개정되어 2010년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

4. 본 규정은 2016년 12월 2일 개정되어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참고문헌작성 및 인용 지침
대한조선학회논문집에 수록되는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원문 표기가 필요한 경우 영문번역
다음 괄호을 사용하여 원문을 추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표기 및 인용방법으로 채택한 규정은 저자-날짜 구조로 이루어진
Harvard reference system에 근거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버드스타일의 가이드(Guide to the Harvard Style of Referencing:
http:// libweb.anglia.ac.uk/referencing/harvard.htm)를 참조한다.

A. 참고문헌 표기법 upon the cavitation behavior of a horn type rudder.


A.1 저자표기 기본원칙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저자의 성, 컴마, 이름의 이니셜 표기 후 마침표 사용한다: 47(2), pp.113-121.
Nam, Y.S. ❒ 학술대회발표: 저자(C) 연도(P) 제목(P) In: 편집자명 혹은
❒ 저자표기 후 컴마와 공백 후 출판년도를 기입하고 마침표 기관명(C) 학술대회 명칭(이탤릭)(P) 장소(C) 일자(C) 출판
를 사용한다: Nam, Y.S., 2009. 사: 출판장소(P)
❒ 저자가 2인인 경우 &를 사용하여 분리한다: Nam, Y.S. &  학술대회에서 구두로 발표된 자료나 프로시딩에 출판된
Lee, S.H., 2009. 논문은 위의 서식을 따르되 다음 예들도 참고한다.
❒ 저자가 3인 또는 4인인 경우, 마지막 저자 앞에 &를 사용 예) Naude, P. & Holland, C., 1998. Marketing in the
한다: Nam, Y.S. Lee, S.H. & Kim, J.K., 2009. information domain. In: Halinen-Kaila, A. and Nummela,
❒ 저자가 5인 이상인 경우, 첫 저자 표기 후 et al.을 사용한 N. eds., Interaction, Relationships and Networks:
다: Lee, S.H. et al., 2009. Visions for the Future, Proceedings of the 14th
Annual IMP Conference, pp.245-262.
A.2 표기 순서 예) Lodi, E. Veseley, M. &Vigen, J., 2000. Link
❒ 참고문헌은 매체에 관계없이 저자의 성의 순서에 따라 나 managers for grey literature. Proceedings of the 4th
열한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 같은 저자에 의한 복수의 문헌이 있는 경우, 출판년도 순으 Washington, DC, 4-5 October 1999, GreyNet:
로 배열한다. Amsterdam, pp.116-134.
❒ 같은 저자에 의한, 같은 연도에 출판된 복수의 문헌이 있는 예) Stauss, B. &Weinlich, B., 1995. Process-oriented
경우, 출판년도 뒤에 소문자알파벳을 첨가한다 (2010a,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by applying the
2010b, …) sequential incident technique. Paper presented at
❒ 같은 저자가 다른 저자들과 공동으로 출판한 각기 다른 참 the Fifth Workshop on Quality Management in
고문헌이 있는 경우, 저자 단독 문헌이 제일 먼저 나오고, 2 Services, EIASM, Tilburg.
인의 문헌, 3인의 문헌 순으로 배열한다. 같은 수의 저자가 ❒ 도서: 저자(C) 연도(P) 제목(이탤릭)(P) 판(P) 출판사: 출판장
있는 경우, 두 번째 저자의 성의 순서에 준한다. 두 번째 저 소(P)
자도 같은 경우 다음 저자의 성을 기준으로 한다.  판은 초판이 아닌 경우에 기입한다.
❒ 예) Lee, S.H., 2009. Introduction to ship design.  편집된 경우 저자명 다음에 ed., (복수의 편집자인 경우
Lee, S.H. & Kim, J.K., 2009. A modified algorithm eds.,)를 삽입한다.
for hull variation. 예) Nam, Y.S. et al., 1995. Ship production. 2nd Ed.
Lee, S.H. & Nam, Y.S., 2009. Construction of preliminary Charm Press: Busan.
ship design system. ❒ 번역서: 저자(C) 연도(P) 제목(이탤릭)(P) Translated from
(원문 언어) by (역자)(P) 출판사: 출판장소(P)
A.3 출판 매체에 따른 표기법  from (원문 언어)은 생략될 수 있다.
❒ 논문, 학술대회발표, 도서, 역서, 전자매체, 보고서를 위주로 예) Bourdieu, P., 1977.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표기 예를 들며 그 외의 매체는 가이드를 참조한다. Translated by Nice, R. ambridge University Press:
❒ 참고문헌의 각 항은 마침표(P) 또는 컴마(C)로 분리된다. Cambridge.
❒ 논문: 저자(C) 연도(P) 제목(P) 논문명(이탤릭)(C) 권(호)(C) ❒ 학위논문: 저자(C) 연도(P) 제목(이탤릭)(P) 학위명(P) 대학
페이지(P) 위치도시(대학명에서 추측이 안될 경우): 대학명(P)
예) Seo, D.W. Lee, S.H. Kim, H.C. & Oh, J.K., 2010. A 예) Jackson, A., 2009. New technology for innovative
nume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horizontal gap ship design: a case study of the warship. Ph.D.
Cambridg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3 저자 3인 이상
❒ 전자기록물: 전자문서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만 해당된다. ❒ 첫 저자 성 다음 컴마를 찍고 et al.을 사용한다. 단, 참고문
인쇄물이 웹에도 수록되어 있는 형태는 인쇄물표기법을 따 헌에는(4인 이하인 경우) 모든 저자가 표기되어야 한다.
른다. 예) 특정 연구결과는 (Nam, et al., 2009) 효율적인 선박설
Web: 저자 또는 근원(C) 연도(P) 웹문서의 제목 또는 웹페 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Lee,
이지(이탤릭)(P) [매체종류] (업데이트 일자) Available at: et al. (2010)에 의해 수행되었다.
full url [접근 일자](P)
 URL에는 밑줄을 친다. B.4 한 번에 복수의 문헌을 인용을 하는 경우
예)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2001. How ❒ 각 문헌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to prepare a SNAK journal paper? [Online] 예) 특정 연구결과는 (Kim, 2005; Nam, et al., 2009; Park
(Updated 1 August 2010) Available at: http://www. & Bai, 2008) 효율적인 선박설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snak.or.kr [Accessed 17 July 2010].
❒ 보고서: 기관명(C) 연도(P) 보고서제목(이탤릭)(C) 출판장소: B.5 같은 연도에 출판된 같은 저자의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출판사(기관명과 동일 가능)(P) ❒ 예) 특정 연구결과는 (Nam, 2009a, b) 효율적인 선박설계
예) Department for Trade and Industry (DTI), 2002. White 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Nam, 2009a와 Nam, 2009b
paper on enterprise, skills and innovation, London: DTI. 가 동시에 인용될 때)
❒ 발간예정인 문헌: 연도 대신 괄호 안에 in press를 사용한 ❒ 예) 유사한 연구결과는 Lee (2010a)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다. 발간일을 아는 경우 Accepted for publication + 발간 후속결과 역시 Lee (2010b)의 연구에 근거한다.
일을 표기한다.
예) Nam, Y.S., (in press). Usage of genetic algorithms B.6 다른 연도에 출판된 같은 저자의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in shipbuilding-oriented software. Journal of the Society ❒ 출판년도 순에 따라 인용한다.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Accepted for publication 예) 특정 연구결과는 (Nam, 2006, 2007) 효율적인 선박설
December 2010). 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Lee
(2009, 2010)에 의해 수행되었다.
B. 본문에서 참고문헌 인용법
❒ 저자명을 본문에 직접 표기하는 경우 저자명 다음 괄호 안 B.7 저자가 기관인 경우
에 출판년도를 기입한다. ❒ 저자명 대신 기관명 사용한다.
❒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경우 괄호 안에 저자 성과 연도를 표 ❒ 처음 인용될 경우 정식명칭을 쓰고 그 뒤에 약어를 괄호안
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저자와 연도는 컴마로 분리된다. 인 에 표기한다. 그 후 인용될 때는 약어를 사용한다.
용장소는 문장 내 관련된 곳 혹은 문장 끝으로 한다. ❒ 참고문헌에는 정식 명칭을 표기한다.
❒ 페이지를 삽입하는 경우 연도 다음에 컴마를 찍고 페이지 예)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SNAK) (2008)
를 쓴다. 예) Nam (2010, p.100) 는 효율적인 선박설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연
❒ 복수의 문헌이 인용되는 경우 각 문헌을 세미콜론으로 분 구기관에서도 SNAK (2008)의 결과를 증빙하고 있다.
리한다. ❒ 참고문헌에는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SNAK) 2008로 기록한다.
B.1 단독 저자
❒ 예) 특정 연구결과는 (Nam, 2009) 효율적인 선박설계의 B.8 인용된 내용을 인용하는 경우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Lee (2010) ❒ 논문 A(Nam, 2010)에 인용된 논문B(Lee, 2005)를 인용하
에 의해 수행되었다. 는 경우 cited in을 사용하여 근거를 밝힌다. 즉, 저자가 논
문B를 직접 읽지 않고 논문A에서 논문B에 대한 정보를 획
B.2 저자 2인 득한 경우, 본문에 논문B를 인용하되, 참고문헌에는 저자가
❒ 저자를 직접 인용할 경우 저자의 성을 and로 연결한다. 괄 읽은 논문A만 기재한다.
호안에 간접적으로 인용할 경우에는 &를 이용한다. 예) 특정 연구결과는 (Lee, 2005 cited in Nam, 2010) 효
예) 특정 연구결과는 (Nam & Kim, 2009) 효율적인 선박 율적인 선박설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직접인용인
설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경우 Lee (2005 cited in Nam, 2010)로 표기)
Nam and Lee (2010)에 의해 수행되었다.
C. 본 지침은 2010년 8월 신규로 작성되어 2010.10월부터 시
행된다.
연구윤리규정
2007. 10. 12 제정
2011. 6. 2 개정
2014. 12. 5 개정

제1장총칙

제 1조 (목적) 이 규정은 대한조선학회(이하“학회”라 한다) 회원들의 연구윤리를 확립하고 연구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하며, 연구
부정행위 발생 시 공정하고 체계적인 진실성 검증과 처리를 위한 연구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2조 (적용대상) 이 규정은 학회 회원으로서 논문을 투고하는 자와 학회 지원 과제 또는 학회를 수탁기관으로 계약을 체


결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자에 대하여 적용한다.

제 3조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다른 법적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구윤리에 관한 일반적 지침을 제공한다.

제 2 장 연구·집필·편집 윤리

제 1절 연구부정행위

제 4조 (연구부정행위의 범위) 이 내규에서 고려하는 연구부정행위(이하“부정행위”라 함)는 연구의 제안, 수행, 결과 보고 및 발


표 등에서 행하여진 위조·변조·표절,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 중복연구, 중복게재, 공적 허위진술, 부적절한 집필행위, 혹은
부정행위 관련 조사의 방해나 제보자에 대한 위해 행위 등을 말한다.

제 5조 (연구부정행위의 정의)
①“위조”는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나 연구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어 내는 행위를 말한다.
②“변조”는 연구 재료·장비·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데이터를 임의로 변형·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이나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를 말한다.
③“표절”이라 함은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내용·결과 등을 정당한 승인 또는 인용 없이 도용하는 행위를 말하며 다음의 각
호와 같이 정의한다.
1. (아이디어 표절) “아이디어 표절”이라 함은 창시자의 공적을 인정하지 않고 전체나 일부분을 그대로 또는 피상적으로
수정해서 그의 아이디어(설명, 이론, 결론, 가설, 은유 등)를 도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저자는 통상 각주 또는 참고인용의
형태를 통해 아이디어의 출처를 밝힐 윤리적 책무가 있고, 타인의 연구제안서 및 기고 원고에 대한 동료 심사 등을 통해
알게 된 타인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연구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원문 표절) “원문 표절”이라 함은 저자를 밝히지 않고 타인이 저술한 텍스트, 수식, 그림, 표, 사진 등의 일부를 복사
하는 행위를 말한다.
3. (모자이크 표절) “모자이크 표절”이라 함은 타인이 저술한 텍스트, 수식, 그림, 표, 사진 등의 일부를 조합하거나, 내용을
추가 또는 삽입하거나, 단어를 동의어로 대체하여 사용하면서 원저자와 출처를 밝히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4. (자기 표절) “자기 표절”이라 함은 저자 자신의 과거 출판물 등을 사용하면서 그 출처를 밝히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④“부당한 논문저자 표시”는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하여 과학적·기술적 공헌 또는 기여를 한 사람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거나, 과학적·기술적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자에게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를
말한다.
⑤“중복연구”는 동일한 내용의 연구로 두 개 이상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동일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행위를 말한다.
⑥“중복게재”는 동일한 내용의 논문을 둘 이상의 학술지에 발표한 행위를 말하며 다음의 각 호와 같이 정의한다.
1. 이미 출간된 본인 논문과 주된 내용이 동일하다면 후에 출간된 본인 논문의 본문이 다소 다른 시각이나 관점을 보여주는
텍스트를 사용하거나 이미 출간된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다소 다른 분석을 포함하더라도 중복게재에 해당한다.
2. 독자층을 넓히려는 “2차 출판”의 경우, 대한조선학회를 포함한 두 학술지 편집인이 모두 2차 출판에 대해 동의해야 한다.
1차출판과 2차 출판 사이에는 1주 이상의 시차가 있어야 하고, 두 출판물의 저자는 같아야 한다. 2차 출판물에서는 각주
등을 통해 2차 출판 사실을 밝히며 1차 출판물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한 언어로 출간된 논문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다른 학술지에 출간하는 경우도 2차 출판에 해당하므로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3. 연구 단계에 따라 초기 성과를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선 발표하고 나중에 완성도를 높여 작성한 논문을 대한조선
학회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은 허용된다. 단, 학술지 투고 논문에서 초기 성과가 발표된 학회 학술대회에 관한 정보를 각주,
참고문헌 등을 통해 제공해야 한다.
⑦“공적 허위진술”은 본인의 학력, 경력, 자격, 연구업적 및 결과 등에 관하여 허위진술을 하는 행위를 말한다.

제 6조 (비윤리적 연구행위) 다음의 행위는 윤리적으로 부적절한 연구행위에 해당한다.


① 공동연구의 사실을 적절한 방식으로 알리지 않고 학회나 세미나에서 발표하는 행위
② 적절한 검증절차를 거치지 않고 언론 등을 통해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행위
③ 연구비를 지원받으려는 목적 등으로 연구결과의 해석이나 기대효과에 관한 진실을 왜곡하는 행위

제 2절 부적절한 집필행위

제 7조 (부적절한 집필행위) 다음의 행위는 부적절한 집필행위에 해당한다.


① 부적절한 출처 인용
② 참고문헌 왜곡
③ 출간논문을 인용하면서 초록 등에 의존하는 행위
④ 읽지 않거나 이해하지 못한 저술의 출처 인용
⑤ 하나의 출처로부터 집중적으로 차용하면서 부분적으로만 출처를 밝히는 행위
⑥ 원문의 재활용 행위
⑦ 연구업적을 부풀릴 의도로 하나의 논문으로 게재되었어야 할 연구결과를 여러 편의 논문으로 분할하여 게재하는 행위

제 8조 (참고문헌의 왜곡금지)
① 참고문헌은 논문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문헌만 포함해야 한다.
② 자신의 데이터 또는 이론에 유리한 문헌만을 편파적으로 참고문헌에 포함해서는 안 되며, 자신의 관점과 모순될 수 있는
문헌도 인용할 윤리적 책무가 있다.

제 9조 (원문의 재활용)
①“원문의 재활용”이라 함은 저자가 자신의 다른 저술에서 이미 사용했던 텍스트, 수식, 그림, 표, 사진 등의 일부를 그대로
다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② 텍스트를 재활용할 때는 인용부호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환문을 하는 등 표준적 인용 관행에 따라야 하며,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제 10조 (기타 부적절한 집필행위) 다음 각 항의 행위는 부적절한 집필행위에 해당한다.


① 저자의 데이터 또는 관점에 부합하지 않는 중요한 관련 증거를 보고하지 않거나 독자에게 알리지 않는 행위
② 방법론상 또는 통계상의 결함이나 기타 다른 유형의 결함이 있는 연구를 입증의 근거로 인용하는 행위
③ 다른 연구자들이 연구결과를 독자적으로 재현할 수 없도록 표본설계를 포함한 연구방법을 의도적으로 왜곡하거나 불분명하게
기술하는 행위
제 3절 출판 윤리

제 11조 (저자의 책임과 의무)


① 교신저자 또는 책임저자는 논문 데이터 및 저자 표시와 관련하여 총괄적인 책임을 지며, 공동 연구자의 연구에 대하여도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다.
② 저자들은 논문을 투고할 때, 자신의 저자자격을 인정하고 저자순서에 동의하며 그에 따른 책임을 알고 있어야 한다.
③ 저자들은 논문을 투고할 때, 해당 연구와 관련한 재정적·인적 이해관계를 모두 밝혀야 한다.

제 12조 (저자결정 기준)


① 저자는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한 학술적·기술적 기여도에 따라 정한다. 저자가 되려면 다음의 각 호와 같은 기여를 해야
한다.
1. 연구의 기획이나 자료의 획득·분석·해석 등에 상당 부분 기여해야 한다.
2. 원고를 작성하는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3. 출판될 원고를 최종 승인해야 한다.
② 저자표시 순서는 모든 저자들 간의 협의에 따라 연구 기여도를 반영하여 공정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③ 제12조 1항에서 기술한 저자자격을 갖춘 연구자를 본인의 동의 없이 저자 목록에서 빼서는 안 된다.
④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학술적·기술적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을 감사의 표시 또는 예우 등의 이유로 저자에 포함해서는 안
된다. 다만, 데이터 수집 또는 입력이나 다른 언어로의 번역 등 기타 기여의 내용에 관하여는 사사를 표하는 주에 그 내용을
적시할 수 있다.

제 13조 (논문 저자의 소속 표시) 논문 저자의 소속은 실험 및 집필 등 연구를 수행할 당시의 소속으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 14조 (인용방법 및 원칙)


① 저자는 자신의 저작물에 소개, 참조, 논평 등의 방법으로 타인의 저작물의 일부를 원문 그대로 또는 번역하여 인용할 수
있다.
② 저자는 출처 표시와 참고문헌 목록 작성의 정확성을 기하여야 한다. 저자는 인용의 모든 요소(저자명, 학술지의 권 및 호수,
페이지, 출간년도 등)를 2차 출처에 의존하지 말고 원 논문에서 직접 확인해야 하며, 다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재인용을
밝히고 인용할 수 있다.
③ 저자는 피인용 저작물이 인용 저작물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도록 신의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합리적인 방식으로 인용하
여야 한다.
④ 저자는 원칙적으로 공표된 저작물을 인용하여야 하며, 사적 접촉 등을 통해 얻은 비공개 자료는 반드시 해당 연구자의 동의를
얻어 인용하여야 한다.
⑤ 저자가 불가피하게 웹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자료를 읽은 날짜를 정확한 사이트 주소와 함께 표시해야
한다.
⑥ 저자는 타인이 이미 발표한 논문에 담긴 이론이나 아이디어를 번안해서 자신의 저작물에 소개할 때에는 그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⑦ 저자는 어떤 아이디어가 자신의 것이고 어떤 아이디어가 참조된 출처로부터 왔는지를 독자들이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집필
해야 한다.
⑧ 인용 대상 연구가 초기에 학술회의에서도 발표되었고, 나중에 학술지 논문으로도 출판되었으면, 학술지 논문을 인용해야
한다.

제 15조 (일반 지식의 인용방법)


① 타인의 아이디어나 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누구의 것인지 출처를 밝혀야 하지만, 그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지식이거나 독자
들이 인지하고 있는 자료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② 어떤 개념 또는 사실이 일반 지식인지 의문이 드는 경우에는 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절 편집 및 심사 윤리

제 16조 (편집위원의 역할과 책임)


① 편집위원은 논문저자의 성별, 인종, 나이, 지역 및 교육 배경, 개인적 친분 등에 관련 없이 논문저자가 제출한 논문의 지적
수준을 공정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② 편집위원은 투고된 논문의 정보를 절대로 공개하지 않으며 또한 편집위원 자신의 연구에 사용하지 않는다.
③ 편집위원은 투고된 논문의 내용과 재정적·인적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심사를 거부하고 다른 편집위원을 선정하여 심사과
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제 17조 (심사자의 역할과 책임)


① 심사자는 논문저자의 성별, 인종, 나이, 지역 및 교육 배경, 개인적 친분 등에 관련 없이 투고된 논문을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공평하고 객관적으로 심사한다.
② 심사자는 심사를 통해서 취득한 정보나 결과 등을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거나 유용하지 않아야 한다.
③ 심사자는 논문저자의 인격을 존중하고 지적 능력에 대한 독립성을 중시하여야 한다. 개인적인 평가나 불쾌한 표현을
자제하고 호의적이고 보완적인 의견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④ 심사자는 논문에 적절하게 인용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 수정을 요청하고, 올바른 참고문헌 인용을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출판물에 발표된 원고와 유사한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⑤ 심사자는 투고된 논문의 내용과 재정적·인적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심사를 거부하고, 조속히 편집위원에게 알려 다른
심사위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8조 (편집·심사과정의 비윤리적 행위)


① 편집인이나 심사자는 연구제안서 또는 논문심사 과정에서 알게 된 특정정보를 원저자의 동의 없이 심사자가 직간접으로
관련된 연구에 유용해서는 안 된다.
② 다음 각 호의 행위는 편집·심사과정의 비윤리적 행위에 해당하므로 삼가야 한다.
1. 자신이 의뢰받은 논문심사를 학생이나 제3자에게 부탁하는 행위
2. 심사 대상 논문의 내용을 다른 사람들과 논의하는 행위
3.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인신공격을 하는 행위
4. 논문을 읽지 않고 심사·평가하는 행위

제 3 장 연구 진실성 검증

제 1절 연구윤리조사위원회 설치

제 19조 (부정행위 제보 및 접수) 제보자는 회장 또는 편집위원장에게 구술ㆍ서면ㆍ전화ㆍ전자우편 등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연


구부정행위를 제보할 수 있으며 실명으로 제보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0조 (조사 필요성 검토 및 제기) 편집위원회에서는 제보된 연구부정행위 내용이 본 연구윤리규정에 어긋나는 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연구 진실성을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검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연구윤리조사위원회 설치를 이사회에 요청한다.

제 21조 (연구윤리조사위원회 설치 및 임기)


① 이사회에서는 편집위원회에서 제기한 연구윤리조사위원회 설치 필요성이 합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구윤리조사위원회
(이하 '위원회'라 한다) 설치를 결정한다.
② 위원회는 이사회에서 설치가 결정된 일로부터 4주 이내에 부회장, 총무이사, 편집이사, 기술이사 등을 포함하여 10인 이내의
위원으로 위원회를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부회장 중에서 1인을 회장이 임명하며, 부위원장 및 간사는 위원회에서 호선한다.
④ 위원회는 구성 후 8주 이내에서 조사 활동을 수행하며 위원의 임기는 위원회 활동 종료와 함께 만료된다.

제 22조 (연구윤리조사위원회 기능)


①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1. 연구윤리 관련 제도의 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2. 부정행위 제보 접수 및 처리에 관한 사항
3. 조사의 착수 및 조사결과의 승인에 관한 사항
4. 연구진실성 검증결과의 처리 및 후속조치에 관한 사항
5. 기타 위원장이 부의하는 연구윤리에 관한 사항

제 2절 검증과정

제 23조 (회의)
①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이상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 있어 출석으로
인정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장은 심의안건이 경미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서면심의로 대체할 수 있다.
④ 회의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관계자를 출석케 하여 의견을 청취 할 수 있다.

제 24조 (출석 및 자료제출 요구) 위원회는 제보자․피조사자․증인 및 참고인에 대하여 진술을 위한 출석 및 피조사자에게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으며, 만약 출석을 포기할 경우 진술권 포기서를 위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 25조 (제보자와 피조사자의 권리 보호 및 비밀엄수)


① 어떠한 경우에도 제보자의 신원을 직․간접적으로 노출시켜서는 안 되며, 제보자의 성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제보자
보호 차원에서 조사결과 보고서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② 부정행위 여부에 대한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 피조사자의 명예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무혐의로 판명된
피조사자의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③ 제보ㆍ조사ㆍ심의ㆍ의결 및 건의조치 등 조사와 관련된 일체의 사항은 비밀로 하며, 조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자 및
관계 직원은 조사와 직무수행 과정에서 취득한 모든 정보를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합당한 공개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공개할 수 있다.

제 26조 (변론의 권리 보장) 위원회는 제보자와 피조사자에게 의견의 진술, 의견의 서면제출 및 변론의 권리와 기회를 동등하게
보장하여야 하며 관련 절차를 사전에 알려주어야 한다.

제 27조 (판정)
① 위원회는 이의제기 또는 변론의 내용을 토대로 조사내용 및 결과를 확정하고 이를 제보자와 피조사자에게 통보한다.
② 조사내용 및 결과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표결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원회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
및 출석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 28조 (결과에 대한 조치)


① 조사 결과는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주 이내에 학회장에게 보고한다.
② 학회장은 위원회의 조사결과 피조사자가 연구윤리규정에서 규정한 연구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최종 확인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결정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른다.
1. 투고된 논문을 반려하고 이미 출판된 경우에는 삭제하거나 철회 내용을 발행
2. 논문 투고의 제한
3. 회원의 제명
4. 법률기관에의 고발
5. 기타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사항 등

제 3절 검증 이후의 조치

제 29조 (위원회 최종보고서)


① 위원회는 제27조 및 제28조에 의해 심의 의결된 내용 및 결과를 최종보고서로 제출한다.

② 최종보고서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제보 내용
2. 조사의 대상이 된 부정행위 혐의 및 관련 논문
3. 해당 연구과제에서의 피조사자의 역할과 혐의의 사실 여부
4. 관련 증거 및 증인
5. 조사결과에 대한 제보자와 피조사자의 이의제기 또는 변론 내용과 그에 대한 처리결과
6. 조사위원 명단

제 30조 (기록의 보관 및 공개)


① 조사와 관련된 기록은 문서로 작성하여 학회에서 조사 종료 이후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② 최종보고서는 판정이 끝난 이후에 공개할 수 있으나, 제보자․조사위원․증인․참고인․자문에 참여한 자의 명단 등 신원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는 당사자에게 불이익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경우 공개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제 31조 (기타)
① 이 내규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학회의 관련 내규를 따르고, 그 밖의 사항은 학회 이사회에서 논의하여 결정한다.
② 연구부정행위 사전 예방과 연구윤리 교육을 위하여 학회 논문집 및 학회지 등을 통하여 연구윤리 규정을 충분히 홍보한다.

부 칙

1) 본 규정은 2007년 10월 12일부터 시행한다.


2) 본 규정의 개정안은 2011년 6월 2일부터 시행한다.
3) 본 규정의 개정안은 2014년 12월 5일부터 시행한다.

* 이 내규는
- 대한전기학회 연구윤리규정
- 고려대학교, 연구진실성 확보를 위한 연구윤리지침, 2007
- 과학기술부, 연구윤리확보를 위한 지침, 2007
- 서울대학교, 연구윤리 가이드라인
- IEEE Publication Services and Products Board Operations Manual, 2006
-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Writing and Editing for Biomedical Publication 등을 참고로 하여 제정되었다.
Final Submission Checklist
After your journal article has been accepted for publication, please review the following checklist to prepare your manuscript
for final submission. You will also be required to submit a completed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along with your
manuscript, to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SNAK) as a part of your final submission.

Language
The article title, names and affiliations of authors in the cover page should be prepared in a bilingual format, with
Korean first and English second. Abstract, the titles of all tables and figures, and all references should be written in
English. The body text can be written in either Korean or English.

Organization
The required elements of journal articles consist of cover page, article title, abstract, body text, tables (optional), figures
(optional), and references.

Corresponding Author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uthor should be list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page. In the case of multiple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hould be noted. If no corresponding author is specified or only one author is listed,
the lead author is assumed to be the corresponding author by default.

Abstract and Keywords


Abstract should be written in English and its length is 200 words or less. Keywords should be prepared in English first,
followed by Korean in parenthesis. The number of keywords should be 4 to 6.

Tables, Figures, Photos, and Equations


Titles of all tables and figures should be prepared in English. Photos should be properly formatted, and the equations
should be appropriately sized.

References and Citations


All references should be prepared in English and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The reference list should reflect all the
citations from the body text, and the references cited in the body text should appear in the reference list. References
and citations should be prepared following the guideline in “Instructions for Authors”.

Format
Hancom(a word process) is SNAK's preferred file format for manuscript. Other word processors are also acceptable, as
long as their formats follow that of Hancom.
SNAK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This form must be submitted with your final manuscript to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subsequently called
“SNAK”).

Publication title

Corresponding author

The author(s) warrant(s) that the above-cited manuscript is the original work of the author(s) and has never been
published in its present form.

The undersigned, with the consent of all authors, hereby transfers, to the extent that there is copyright to be transferred,
the exclusive copyright interest in the above-cited manuscript (subsequently called “work”), in this and all subsequent
editions of this work, and in derivatives, translations, or ancillaries, in Korean, English and in foreign translations, in all
formats and media of expression now known or later developed, including electronic, to SNAK subject to the following.

y The undersigned author and all coauthors retain the right to revise, adapt, prepare derivative works, present orally, or
distribute the work provided that all such use is for personal non-commercial benefit of the author(s) and is
consistent with any prior contractual agreement between the undersigned and/or coauthors and their employer(s).

y In all instances where the work is prepared as a “work made for hire” for an employer, the employer(s) of the
author(s) retain(s) the right to revise, adapt, prepare derivative works, publish, reprint, reproduce, and distribute the
work that such use is for the promotion of its business enterprise and does not imply the endorsement of SNAK.

y No proprietary right other than copyright is claimed by SNAK.

Sign below for copyright transfer

Author Name Affiliation E-mail Signature

Lead author

Coauthor(s)

* All authors should sign the agreement form. In the case that physical signatures from all authors cannot be secured,
the corresponding author may sign on the behalf of all other authors with their consents.
Instructions for Authors
Aim and Scope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first established in 1964, accepts original research articles,
case reports, and other invited papers. It provides a forum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from a wide variety of
disciplines to present and discuss various phenomena in the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of ocean environment. Topic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rine hydrodynamics; structural mechanics; marine propulsion system; design
methodology and practice; production technology; system dynamics and control; marine equipment technology; materials
science; underwater acoustics; satellite observ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to ship and marine systems;
ocean energy systems;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maritime safety engineering; polar and arctic engineering;
coastal and port engineering; aqua-cultural engineering; subsea engineering; and specialized watercraft engineering.

Publication Frequency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is published bimonthly (February, April, June, August, October, and
December).

Peer Review Process


Submitted manuscripts will be accepted for peer review as long as they meet the standards of the journal and remain
within its scope. Manuscripts will be reviewed by a panel of three experts.
A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 or a researcher with similar qualifications will give their opinions on whether or not
the article is of sufficient significance for publication.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In the case that policies on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are not given,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ditors and
Authors (http://publicationethics.org/international-standards-editors-and-authors) will apply.

References and Notes


For in-text citations and references, use Harvard's short reference system for citations in the text. For example, “Hamel
(2000) suggests...” or “Lee and Kim (2005) found that...” or “A study of economic change (Nelson, et al., 1982) has
shown that ……”.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libweb. anglia.ac.uk/referencing/havard.htm.
Footnotes should be avoided, if possible. Instead, it is preferred that any brief notebe placed in numerical order
following the (alphabetically arranged)reference list.
Only published works should be referenced.

Final Submission Checklist and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The final submission checklist and the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can be found during the submission process via
homepage.

Submission and Publication Fee


Submit onlineto http://www.snak.or.kr
Publication fee is KRW300,000 for 8 pages or less. Additional pages will be charged (KRW30,000 per page). 30
offprint copies are free.
Inquiry: editor@snak.or.kr, +82-2-3452-2371

Journal Subscription

A subscription to the journal can be obtained after registering with the Society.

Use of Cross Check


CrossCheck is used to detect plagiarisms or duplications.

ⓒ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2012. All right reserve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