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Aspect of Gay Representation PDF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7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 진정성과 대중성
Two Aspects of Gay Representation : Authenticity and Popularity

저자 이형식
(Authors) Lee, Hyung Shik

출처 문학과영상 14(3), 2013.9, 711-736 (26 pages)


(Source)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14(3), 2013.9, 711-736 (26 pages)

문학과영상학회
발행처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Publisher)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62706

APA Style 이형식 (2013).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문학과영상, 14(3), 711-736.

이용정보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202.254.***.251
(Accessed) 2019/04/04 12:13 (KST)

저작권 안내
DBpia에서 제공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누리미디어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은 DBpia와 구독계약을 체결한 기관소속 이용자 혹은 해당 저작물의 개별 구매자
가 비영리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위반하여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을 복제, 전송 등의 방법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Copyright of all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copyright holder(s)and Nurimedia does not guarante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or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may
only be used by the users affiliated to the institutions which executed a subscription agreement with DBpia or the
individual purchasers of the literary work(s)for non-commercial purposes. Therefore, any person who illegally uses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y means of reproduction or transmission shall assum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문학과 영상 2013 가을

* 1)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이형식 / 건국대

I. 서론

1969년 스톤월(Stonewall) 폭동 이후 게이해방 전선(Gay Liberation Front) 등


동성애자들의 자기 권리 쟁탈을 위한 운동이 지속되면서 미국 사회에서의 동성애자
인식 및 활동에는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그러나 보수적인 레이건 정권이 들어서면서
동성애자들은 소위 소프트 바디의 하나로 지목되면서 또 다시 박해와 차별을 받는
대상이 되었다. 그동안 연극과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도 동성애자들의 재현이 이루어
져 왔지만 그중 가장 대중적이고 보수적이라 할 수 있는 할리우드 영화는 동성애자

* 이 논문은 2012년도 건국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11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재현에 대해 매우 억압적인 양상을 보여 왔다. 동성애자의 재현이 본격적으로 이루어
진 것은 먼저 연극 무대를 통해서였다. 왜냐하면 영화와 달리 연극은 소수의 교육 수
준이 높은 엘리트 관객을 대상으로 공연이 이루어지고 동성애 문제에 대해 좀 더 관
용적인 관객이 자신들의 선택에 의해 연극을 보러 오기 때문이다. 토니 쿠시너(Tony
Kushner)가 1993년에 미국의 천사들 (Angels in America)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것
은 그동안 자신들의 올바른 재현을 위해 애써 온 동성애자들이 퓰리처상이라는 제도
권의 수상을 함으로써 그동안의 노력을 인정받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제 대중들도 무대에서 표현된 동성애에 대해 좀 더 관용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이다.
1996년에는 뉴욕에 사는 보헤미안의 삶을 다룬 렌트 (Rent)에서도 동성애자들의 삶
이 표현되면서 이제 연극 무대에서 동성애 재현은 더욱 더 힘을 얻게 되었다. 렌트
또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스크린에서 동성애자의 삶의 재현에 대해 미온적이면서 소극적이었던 할리우드
영화에서도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중들에게 반감을 주지 않으
면서 그들을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도록 대중들의 감수성에 호소하는 영화들이 나오
게 되었다. 데브라 모델목(Debra Moddelmog)은 게이와 레즈비언 로맨틱 코미디라
고 간주될 수 있는 영화들의 등장에 대해 “지난 15년간 사실상의 폭발”(a virtual
explosion of films in the past fifteen years)(164)이 일어났다고 하면서 이러한 현상
을 진단한다. <아이다호>(My Own Private Idaho) 등에서 단편적으로 동성애가 소개
되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동성애 자체를 주제로 대중적으로도 성공을 얻게 된 영화
에는 <인 앤 아웃>(In and Out)(1997)과 <이브의 아름다운 키스>(Kissing Jessica
Stein)(2001)라는 영화가 있다. 케빈 클라인(Kevin Kline) 등 인기 배우를 앞세워 코
믹한 요소들을 가미한 <인 앤 아웃>은 자신의 동성애 성향을 알아가면서 마침내 커
밍아웃을 하는 인물을 다루고 있다. <이브의 아름다운 키스>는 남성과의 관계에서
연속적으로 실패하는 결벽증의 이성애 여성이 바이섹슈얼인 여성을 만나서 시험적인
동성애 관계를 진행하는 이야기를 거부감 없이 다루고 있어서 맛깔스러운 동성애 영
화로 환영을 받았다. 동성애 영화가 가장 큰 인정과 대중적 성공을 거둔 것은 바로

712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2006년에 아카데미상 8개 부문 후보에 오르고 3개 부문의 수상을 한 <브로크백 마
운틴>(Brokeback Mountain)이다. 광활한 서부의 산악지역을 배경으로 두 명의 미남
배우가 펼치는 남성 간의 사랑 이야기는 동성애자나 이성애자를 막론하고 관객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고 영화 비평계에서도 많은 논란의 소재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성애가 연극과 영화라는 두 대중매체에서 다르게 재현되는 양
상을 대비하고자 한다. 미국의 천사들 과 렌트 와 같이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인
작품의 경우 동성애 재현에 진정성이 묻어나지만 광범위한 저변으로 확대되지 못하
는 단점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작품들이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콘텍스트에 그 성공
을 크게 빚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가지고 접근할 때 탈맥락화로 인
해 원작의 메시지의 강도가 힘을 잃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반면 주류 할리우드 산업
이 제작한 <인 앤 아웃> <이브의 아름다운 키스> <브로크백 마운틴>의 경우 동성애
작가가 쓴 작품들이 아니어서 동성애 재현에서의 진정성은 떨어지고 또 일부 동성애
자들에게는 모욕적으로 비칠 수는 있지만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동성애자가 아닌
일반 관객에게도 동성애에 대한 관용과 이해를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진정성과 상업
성, 시의성과 보편성의 문제가 바로 연극과 영화에서의 동성애 재현의 차이라는 것이
본 논문에서 미국의 천사들 과 <브로크백 마운틴>의 비교 분석을 통해 주장하려는
논지이다.

II. 게이 드라마에서 표현의 진정성과 한계: 미국의 천사들

미국 연극에서는 테네시 윌리엄스(Tennessee Williams)를 비롯하여 에드워드 올


비(Edward Albee), 윌리엄 인지(William Inge), 래리 크레이머(Larry Kramer), 테렌
스 맥낼리(Terence McNally) 등 많은 동성애 극작가들이 자신들의 동성애 경험을 극
화해왔다. 그러나 20세기 이전까지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으로 여겨져 왔고 연극이
나 영화 등 대중매체에 표현된 동성애자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거나 우스꽝스러운 희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13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화화의 대상이 되었다. 릴리언 헬만(Lillian Hellman)의 아이들의 시간 (The
Children’s Hour)에 나오는 두 여교사는 어린 학생의 악의적인 거짓말에 의해 억울
한 누명을 쓰는 과정에서 한 여성이 다른 여성을 친구 이상으로 사랑한다는 것이 밝
혀지면서 결국 한 사람이 자살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
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A Streetcar Named Desire)에서도 여주인공의 남편은 동성
애자임이 발각되자 권총으로 자살한다. 1969년의 스토월 항쟁 이후 동성애자들은 자
신들의 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면서 게이 해방 전선을 결성하고 커밍아웃하였
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에이즈라는 병을 옮기는 주체가 동성애자들이라는 인식
이 팽배하게 되고 동성애자들은 새로 들어선 신보수주의 레이건 행정부의 탄압의 대
상이 된다. 1970년대에 워터게이트 사건, 베트남 전쟁에서의 패전, 나약한 카터 행정
부의 대외 장악력 추락 등을 겪은 미국 국민들은 강한 미국을 열망하였고 영화배우
출신인 레이건 대통령은 강력한 신보수주의로의 선회로 이들의 열망에 보답하였다.
수잔 제포즈(Susan Jeffords)는 하드 바디 (Hard Bodies)에서 다음과 같이 이 시대
의 분위기를 말한다.

레이건은 많은 사람들을 미국의 복지에 내적인 위협을 가하는 “소프트 바디”로


규정하면서 국가적 몸으로부터 배제시켰다. 복지수당 수혜자로부터 동성애자
에 이르기까지, 쿠바 난민으로부터 대학교수에 이르기까지 레이건은 “외부의
테러리스트”에 맞먹는 국내의 적으로 이들을 설정하는데 성공했다. (38)

신보수주의가 “소프트 바디”로 규정한 대표적인 부류의 인물들이 동성애자였고 토니


쿠시너의 미국의 천사들 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하였다. 미국의 천사들 의
1부 새천년이 도래하다 (Millenium Approaches)는 1990년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초
연되었고 그로부터 1년 후에 2부 페레스트로이카 (Perestroika)가 공연되면서 폭
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 작품은 결국 1993년에 미국 연극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이라고 할 수 있는 퓰리처 상, 토니상, 뉴욕 극비평가협회 상을 1993년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여성, 흑인과 함께 소수자로 여겨져 온 동성애 작가의 작품이

714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제도권의 권위 있는 상이라 할 수 있는 퓰리처상을 수상한 것은 몇 십년 동안 지속되
어 온 동성애 작가들의 노력의 성취라고 할 수 있으며 동성애자를 보는 사회적 인식
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앨런 신필드(Alan Sinfield)는 무
대 위로 나오다: 20세기의 레즈비언과 게이 연극 (Out on Stage: Lesbian and Gay
Theatre in the Twentieth Century)에서 “ 미국의 천사들 은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
차 와 세일즈맨의 죽음 이후 ‘미국’의 고전 위치를 차지한 첫 번째 희곡이다”(205)
라고 말하고 있다.
쿠시너는 인터뷰에서 모든 연극은 정치적이라고 말한 적이 있으며 입센, 버나드
쇼, 그리고 브레히트와 같이 정치적 성향의 극을 많이 쓰는 극작가들의 영향을 받았
다. 그러나 그는 같은 동성애 작가인 테네시 윌리엄스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
며 특히 유연한 장면 전환과 표현주의적 기법을 쓰는 윌리엄스의 무대는 쿠시너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당연히 예측할 수 있는 일이겠지만 그는 또한 동성애 인권단체와
래리 크레이머와 같은 동성애 작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정치적인 그의
극이 상업적 비평적 성공과 퓰리처 상 수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사회적인 변화
때문이다. 제임스 피셔(James Fisher)는 “간단히 말하면 윌리엄스는 쿠시너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처럼 당시에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해 공개적이 될 수 없었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미국의 천사들 은 찬사와 함께 논란도 불러 일으켰다”(67)라고
쓰고 있다.
미국의 천사들 은 레이건 시대 미국의 초상이다. 이 극은 단순히 동성애자들의
입장 옹호나 권리의 주장을 내용으로 하기보다는 미국의 이민의 역사, 종족성, 매카
시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종교적 편견, 성적 다양성 등 넓은 스펙트럼의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극의 부제인 “국가적 주제를 다룬 게이 판타지아”(A Gay
Fantasia on National Themes)는 이 작품이 단순히 동성애 문제뿐만 아니라 레이건
시대의 미국이 안고 있는 정치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이슈들을 다루고 있음을 확
실하게 표명하고 있다. 제랄드 버코위츠(Gerald Berkowitz)는 미국 드라마는 아무리
거창한 주제를 다루더라도 그것을 중산층의 현대 가족 리얼리즘 드라마로 표현된다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15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고 말한 적이 있는데(2) 이 말은 이 작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왜냐하면 이극에서는
“국가적 주제”가 세 그룹의 인물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극은 세 그룹의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레이건 시대의 미국에서 동성애자로 살
아가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탐색하고 있으며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세 그룹
의 인물들의 삶은 서로 교차한다. 첫 번째 그룹에서 동성애자인 루이스 아이런슨은
에이즈에 걸려서 죽어가고 있는 자기의 파트너 프라이어 월터를 버릴 것을 결심한다.
두 번째 그룹에 나오는 역사상 실존했던 인물인 로이 콘은 극우 보수주의자이며 핵
심 공화당원이지만 결국 동성애자였음이 드러난다. 그는 평생 보수주의를 표방하며
동성애자들을 억압했지만 그 자신의 동성애 성향 또한 억압하며 부인해왔던 것이다.
그는 맥카시즘의 열풍 속에 로젠버그 부부를 사형대로 보냈던 인물이며 병원에 입원
하여 환상에 시달릴 때 에델 로젠버그를 만난다. 세 번째 그룹은 몰몬 교도인 조 피
트와 그의 아내 하퍼 피트의 이야기이다. 조는 로이 콘 밑에서 변호사로 일하는데 아
내와 사랑이 없는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결국 그는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거리에 나갔다가 프라이어를 버리고 방황하는 루이스와 성관계를 맺는
다. 발륨 중독인 조의 아내 하퍼는 환상 속에서 루이스의 애인 프라이어를 만난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는 종교와 직업과 종족성과 정치적 성향이 모두 다른 세 그룹 인
물들의 삶이 서로 교차하면서 1980년대를 살아가는 극우 보수주의자, 진보주의자,
몰몬교도, 유대인, 흑인과 백인, 동성애자 등의 다양한 스펙트럼의 삶을 무대 위에서
연출한다.
이 극은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이므로 다른 소수자들의 극에서 볼 수 있듯이 주류
이성애 사회에서 동성애자로 살아가는 주인공의 억압과 차별, 그리고 해결책을 모색
하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실제로 에이즈라는 병에 걸려 사회로부터 낙인찍히고
외롭게 죽어간 동성애자들의 분노와 섭섭함은 “나는 미쳤어. 온 세상이 미쳤는데 내
가 왜 안 미치겠어? 지금은 1986년이고 전염병이 돌고 있고 내 친구의 절반은 죽었
고 나는 겨우 31세야”(55)라는 프라이어의 대사를 통해 표현된다. 에이즈라는 병은
확실히 에이즈 작가들을 더욱 더 정치적인 경향으로 몰고 갔다(Fisher 69). 쿠시너는

716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자신이 동성애자이면서 그러한 성향을 남들과 자신에게 속이면서 극우 보수주의자
행세를 하는 로이 콘의 대사를 통해서 당시 레이건 정권이 인종적 소수자, 약자, 동
성애자에게 취했던 정책을 비난한다. 로이 콘은 “동성애자는 다른 남자와 잠을 자는
남자가 아니야. 그들은 15년간 애쓰고도 차별 금지법을 시 의회에서 통과시키지 못
하는 작자들이야. 아무도 몰라주고 아는 사람도 전혀 없는 존재들이야. 연줄이 전혀
없는 사람들이라고. 내가 바로 그런 사람 같은가?”(45)라고 말한다. 섹슈얼리티는 파
워와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성애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동성애자들에게는 파워가 없
다.
그러나 쿠시너는 이 작품에서 동성애자를 억압하는 주류사회에 대한 비판만으로
극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그러기에는 미국이라는 나라가 너무나 다양하고 복잡한 역
사적 궤적을 겪어 왔고 그 구성원 또한 단일하지 않은 것이다. 진보와 보수, 백인과
흑인, 신교도와 몰몬교와 유태교로 구성된 등장인물들은 미국이라는 사회의 소우주
를 보여주며 미국적 정신의 대전환기를 맞는 1980년대에 있어서 미국적인 도덕성이
란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세 그룹의 등장인물들이 서로 얽혀 있듯이 미국이라는 사
회는 겉으로 보기에 대립되는 그룹들이 상호의존하며 살아가는 사회이다. 그렇기 때
문에 이 극은 단순히 동성애자들이 연대하여 억압을 이겨내고 자신들의 권리를 되찾
자는 단순한 논리의 정치적 메시지만을 전하는 것은 아니다. 1부의 마지막에 거실 천
장이 뚫리면서 거대한 천사가 내려오고 2부의 마지막의 무대를 센트럴 파크의 베데
스다 분수로 삼은 것은 바로 화해와 용서, 그리고 희망의 주제를 전하기 위한 설정이
다. 베데스다 샘의 상징성은 “육체와 영혼의 고통을 받는 어느 누구라도 베데스다의
샘물을 걸어 지나가기만 하면 치유를 받고 고통에서 해방되는”( 페레스트로이카
47) 샘이라는데 있다. 이 극의 마지막 대사는 프라이어가 관객을 향해 직접 말하며
그는 인종과 종교, 이념을 초월하여 모든 인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역설한다. 그
는 “세계는 앞으로만 나갑니다. 우리는 시민이 될 것입니다. 때가 왔습니다. 안녕. 여
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은 멋진 분입니다. 여러분을 축복합니다. 더 많은 생명을 받으
시기를. 위대한 일이 시작됩니다”( 페레스트로이카 148)라는 마지막 대사를 관객에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17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게 직접 말한다. 존 클럼(John Clum)의 말대로 “이 축복은 가장 명백한 장벽인 무대
와 관객의 장벽을 무너뜨리는 용서의 행위이다” (323). 피셔는 이 극이 “커뮤니티를
통한 치유의 비전을 제안한다”(92)고 주장한다.
이처럼 무대와 관객의 벽을 무너뜨리며 직접 관객에게 호소하는 이 극의 장점은
바로 진정성과 직접성(immediacy)에 있다. 동성애자로서 직접 1980년대를 살아오고
에이즈로 인해 친구들의 죽음도 목격한 작가가 펼치는 혁신적인 무대는 참신함과 충
격으로 관객에게 다가갔고 찬사와 함께 논란도 불러 일으켰다. 쿠시너는 이 극에서
브레히트식의 소격 효과 뿐 아니라 현실과 환상의 공존, 희극과 비극의 교차, 역사와
고전에 대한 상호텍스트적 인유, 다중 플롯 라인의 전개 등 파격적인 무대를 보여주
고 있다. 특히 인간관계의 붕괴,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배신, 타락이라는 양상이 사회
전체에 만연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그는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분리된 화면(split screen) 기법을 무대에서 사용한다. 조가 하퍼를 버리는 것처
럼 루이스 또한 프라이어를 버리며 쿠시너는 이것을 같은 시간에 서로 분리된 무대
에서 보여줌으로써 배신의 스토리가 동성애 커플과 이성애 커플에 공통적으로 전개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극의 가장 파격적인 특징이면서 여러 곳에서의 공연 당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장면은 바로 동성애자들간의 성관계 장면이다. 무대 위에서는
프라이어를 버리고 거리로 나온 루이스가 낯선 남자를 만나 공원에서 가지는 성관계
와, 조와 루이스가 벌이는 성관계 장면이 관객이 보는 앞에서 공개적으로 재현된다.
“보고, 보이고, 수행하는 것은 쿠시너의 극에서 중심적인 것이다”(282)라고 말한 존
클럼의 말대로 이 극의 큰 장점은 직접성과 진정성이며 그것은 혁신적인 극적 기법
으로 표현되어 주류 연극계의 인정 또한 끌어냈다.
그러나 미국의 천사들 이 가진 이러한 매력은 바로 이 작품의 단점이기도 하다.
1980년대 레이건 시대 미국에 기반을 둔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맥락들은 그 시대가
지날 때 메시지의 충격과 직접성이 세월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될 수밖에 없다. 그
것은 미국 연극에서 데이비드 레이브(David Rabe)라는 작가의 위치와 연관시켜 생
각해볼 때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베트남 3부작으로 미국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은

718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데이비드 레이브는 그 후에도 붐붐 룸에서 (In the Boom Room)와 구스와 탐탐
(Goose and Tomtom)과 같은 작품을 썼지만 그가 기억되는 것은 베트남 3부작을 통
해서이다. 베트남전이 종식한지 몇 십년이 지난 오늘날 그의 작품들은 미국 역사의
중요한 한 시대를 묘사한 작품으로, 또한 미국인의 세계무대 지배 야욕과 역사성 망
각을 지적한 작품으로 공부할 가치가 있지만 작품이 발표될 당시의 임팩트와 적절성
은 더 이상 관객과 독자에게 전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미국의 천사들 또한 레
이건 시대라는 독특한 신보수주의 정권이 물러간 지 몇십년이 지났고, 에이즈 또한
죽음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병이 되지 않게 된 오늘날 이 작품이 가지는 강력한 메시
지가 더 이상 유효하지는 않은 것이다. 특히 이 연극이 HBO 에서 영화로 제작되었을
때 라넨 오머 셔먼(Ranen Omer-Sherman)은 “ 국가적 주제를 다룬 게이 판타지아
라는 도발적인 부제가 삭제된 것을 놓고 많은 사람들이 즉각 충격을 받았다”(7)고 말
하고 있다. 그는 또한 “에이즈에 걸린 사람들이 더 이상 무관심한 취급을 받고 있지
않으며 어쩌면 그 이유로 인해 이제는 이 극의 다른 관심들이 우리에게 더 가시적이
다”(11)라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작품의 수용 환경의 변화를 지적한다. 모니카 펄
(Monica Pearl) 또한 게이 판타지아 라는 부제가 빠진 것을 두고 “스토리는 같지만
그것이 더 이상 게이 스토리가 아니라 국가적 스토리이기 때문이다”(773)라고 설명
한다. 이것을 볼 때 연극이라는 예술 형식은 일회성, 현장성, 직접성, 그리고 관객의
엘리트화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 관객에게 강하게 어필하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그렇
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미국의 천사들 과 같은 작품은 토피칼(topical)한 작품
으로 머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같은 동성애를 다루면서 전 세계적인 공감과 감동
을 이끌어내며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브로크백 마운틴>과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III. 대중성을 통한 게이 센서빌리티: <브로크백 마운틴>

비평가 J. 바부시오(Babuscio)는 「캠프와 게이 센서빌리티」라는 글에서 게이 이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19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데올로기와 게이 센서빌리티(gay sensibility)를 구분한다. 게이 이데올로기가 “사회
와 문화가 영화와 같은 예술품과 가정을 통해 옳은 성적 행동이라고 간주하는 것에
대해 특정한 견해를 강요하는 것”이라면 게이 센서빌리티는 “성적 다양성에 대한 발
달된 의식이다. 게이에 대한 주제와 이슈를 제시하고 이해하기 위해 감독이나 관객이
게이나 레즈비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아니라 이러한 의식이 풍부한 창조
적 가능성을 열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40). 미국 사회가 인종적, 성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할리우드는 그에
따른 다양한 인물의 표현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감독이나 배
우가 반드시 게이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런 차이를 지닌 인물들을 이해하고 표현함으
로써 풍부한 창조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관객 또한 게이나 레즈비언이
아니어도 그들을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하고 그들의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그동안 게이, 레즈비언 자신들이 인디영화 포맷
으로 메시지가 강한 작품들을 제작해 왔지만 주류 할리우드 영화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배우들을 통해서 동성애 관계를 표현한 것은 1990년대 말이 되면서부터이다.
앞에서 데브라 모델목이 지적한 것처럼 그동안 게이 레즈비언 로맨틱 코미디의
폭발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중에서 <고 피시>(Go Fish)(1994), <사랑에 빠진 두
소녀의 엄청나게 진실한 모험>(The Incredibly True Adventure of Two Girls in
Love)(1995), <인 앤 아웃>(In and Out)(1997), <이브의 아름다운 키스>(Kissing
Jessica Stein)(2001) 등은 학계와 일반관객들에게 잘 알려진 사례들이다. 그러나 이
런 영화들은 상업적인 일반 극장보다는 예술 전용 극장에서 상영이 되었으며 설사
상업 극장에서 상영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완전히 코믹하거나, 완전히 비극적이거나,
성적인 내용이 거의 없거나, 주인공이 모두 백인일 경우였다. 모델목은 주류 상업극
장에서 상영되는 동성애 영화는 백인 배우가 주연을 맡거나, 성적 욕망이 거의 없는
것으로 묘사가 되거나, 둘 중 한 사람이 죽는 내용을 다루어야 된다고 말한다(164).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좋은 평판까지 얻었던 <인 앤 아웃>, <이브의 아름다운 키
스>, <브로크백 마운틴>은 바로 이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720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인 앤 아웃>에서 영어교사로 근무하는 하워드는 영화배우가 된 제자가 아카데
미 시상식장에서 스승인 자신을 동성애자로 폭로하면서 어려움에 말려들게 된다. 학
생들을 비롯한 모든 주변 사람들이 그를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게 되고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약혼녀와의 결혼은 위기를 맡게 된다. 그러면서 그가 3년 동안이나 약혼녀와
교제해오면서 한 번도 성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 등 동성애 성향이 있었음이 드러나
게 된다. 그를 취재하러 온 게이 기자의 도전과 권유에 의해 그는 자신의 내면에 숨
어 있는 동성애 성향을 직면하고 마침내 그것을 받아들인다. 결혼식으로 마지막 장면
을 장식하는 이 영화는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의 공식을 따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놀라운 반전은 이것이 하워드의 결혼식이 아니라 알고 보니 그의 부모님의
결혼 42주년 결혼기념식이라는 사실이다. <이브의 아름다운 키스>에서 제시카는 결
벽증을 가진 유태계 여성으로 출판사의 편집자로 일한다. 남자들과의 관계에서 만족
을 얻지 못하는 그녀는 레즈비언 파트너를 찾는 신문광고에 장난삼아 응하면서 헬렌
이라는 큐레이터와 만나게 된다.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돌이키려 하지만 두 사람은
공통의 관심과 감수성으로 이끌려서 교제를 시작한다. 양성애자인 헬렌은 과감하고
모험적인 섹스를 시도하려 하지만 동성애자가 아닌 제시카는 적극적인 헬렌의 공세
를 매번 막아내면서 헬렌을 애타게 만든다. 전통적인 로맨틱 코미디를 전복한 여성들
간의 사랑의 이야기는 이들이 만나고 헤어졌다가 다시 만나는 공식을 그대로 따라간
다. 동거를 시작하여 몇 개월을 보냈음에도 궁극적으로 동성애자가 될 수 없었던 제
시카는 헬렌과 헤어져 친구로 남고 마지막 장면에 옛 애인이었던 조슈아를 다시 만
남으로써 이성애 사랑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영화가 끝난다. 이 두 편의 영화는 동
성애 관계를 재현하기는 하지만 이들의 관계가 사회 전체에 위협이나 도전을 가하지
는 않는다.
<브로크백 마운틴>은 동양계의 이안(Ang Lee) 감독이 연출하여 아카데미 감독
상, 음악상, 각본상, 촬영상, 최우수작품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등 8
개 부문 후보에 올라 감독, 음악, 각본상 3개 부문을 수상하였다. 비록 최우수작품상
에서 <크래시>(Crash)에 밀리기는 했지만 동성애라는 논란이 많은 주제를 다룬 영화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21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로는 괄목할 만한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필름 쿼털리 (Film Quarterly)는 대중적
견해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영화로 1979년에 <디어 헌터>(The Deer Hunter), 1991
년에 <델마와 루이스>(Thelma and Louise)를 특집호로 다룬 것처럼 2007년에는
<브로크백 마운틴>에 대한 특집호를 만들었다. 이 저널이 주목한 것은 이 영화가 독
립영화나 저예산 영화가 아니라 할리우드에서 일반 관객을 위해 만든 주류영화라는
사실이었고 로빈 우드(Robin Wood)는 “<브로크백 마운틴>은 오늘날 주류 관객을
위한 이상적 영화, 특히 일반 관객이 수용하고 볼 준비가 된 게이 남자들에 대한 영
화이다”(28)라고 평가했다. 이 영화는 세계적으로도 각광을 받았고 동시에 평단에서
도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동양계 감독이 서부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 또 미국의 국
가적 아이콘인 카우보이 이미지에 거북한 주제인 동성애를 접목시킨 점, 도회지가 아
니라 시골이라는 배경에서 동성애 영화를 만들었다는 점, 그러면서도 대형 스튜디오
에서 제작하여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모두 성취했다는 점 등이 많은 논란의 이유였
다. 이안 감독은 동성애라는 불편한 주제를 이성애자 관객들도 감동을 가지고 볼 수
있는 영화로 만들었지만 이러한 성공 뒤에 이것이 실제로 동성애자들의 실제적인 현
실을 반영한 영화인가, 오히려 보편성을 빌미로 리얼리티를 왜곡한 것이 아닌가 하는
반론들이 쏟아졌다.
그렇다면 동성애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주류 대중을 상대로 한 상업 영
화관에서 크게 흥행에 성공하고 아카데미상이라는 제도권의 인정을 받은 요인은 무
엇인가? 첫 번째 이유는 이 영화가 주인공인 에니스 델마와 잭 트위스트의 사랑 이
야기를 보편적인 러브 스토리로 승화시켰다는 사실에 있다. 대만 출신의 이안 감독은
매우 다양한 작품세계를 추구하는 다재다능한 감독이지만 작가(auteur)로서 그의 작
품 전체를 꿰뚫는 특징은 주류에서 밀려난 아웃사이더 “캐릭터에 대한 감독의 따뜻
한 애정과 동정”(Wood 30)이다. 닐 캠벨(Neil Campbell) 또한 이안 감독의 영화를
관통하는 주제를 “대안적 힘들이 대항하는 사회적 통제와 사회적 관습에 대한 연구,
다양한 고통 받는 아웃사이더들, 자연과 사랑과 충성심의 힘에 대한 연구”(210)라고
보고 있다. 사회의 관습과 규범 때문에 자신들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는 비극적 사랑

722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의 이야기는 로미오와 줄리엣 , 워더링 하이츠 , 트리스탄과 이졸데 등의 고전
에서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평자들은 이 영화를 이런 작품들에 비유했다(Cooper
and Pease 257). 로빈 우드는 이 영화를 고전적 의미에서 이안 감독의 최초의 비극이
라고 하면서 주인공들의 비극적 결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첫 번째는 게이를 여전히 역겹고, 변태적이고, 비겁하고, 경멸스러운 존재로 보


는 문화적 상황과 시점(1963년)에서 살고 있는 게이라는 점. 두 번째는 그들이
사회의 비난에 반발하면서도 둘 다 그것을 어느 정도 내면화했다는 점(결과는
다르지만)이다. (31)

카우보이는 전통적으로 미국의 남성성의 상징이며 강인함과 독립심이 강한 인물상이


지만 이 영화에 등장하는 두 명의 카우보이는 사회 주변부에서 척박한 삶을 근근이
이어나가려 애쓰는 아웃사이더에 지나지 않는다. 에니스와 잭은 한 철 양치기 일을
얻기 위해서 아귀레의 사무실에서 처음으로 조우한다. 양치기라는 직업은 카우보이
들 사이에서도 가장 비천한 일거리로 취급받는 일이며 “두 명의 쪼다들”(a pair of
deuces)이라고 그들을 부르는 아귀레의 호칭에서도 이들에 대한 경멸이 묻어난다. 그
들은 문명과 떨어져서 추위와 배고픔을 이겨내면서 코요테로부터 양을 지키며 노동
을 파는 대가로 품삯을 받는 하층 노동자이다.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좁은 텐트 속에
서 함께 밤을 보내던 두 남자는 우발적으로 성행위를 갖게 되지만 다음 날 “이런 일
은 다시 없을 거야”(This is one shot thing we got going on here), “나는 게이가 아
니야”(You know I ain’t queer) “나도 아니야”(Me neither)라는 대화를 주고받으면
서 애써 서로에 대한 이끌림을 외면한다.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가고 각각 결혼도
하지만 4년 만에 만나자마자 서로 끌어안고 격렬하게 키스하며 이 모습을 에니스의
아내인 앨마가 창문을 통해 지켜본다. 그로부터 몇 년 동안 그들은 캠핑 여행을 자주
다니며 동성애 관계를 계속 유지한다. 생활고와 에니스의 일탈행동을 견디다 못한 앨
마는 결국 이혼을 요구하고 이혼 소식을 들은 잭이 반가워하면서 달려오지만 에니스
는 잭과의 결혼 생활을 원하지는 않는다. 잭은 에니스에게 둘이서 목장을 얻어서 같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23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이 살자고 제안을 하지만 에니스는 잭과 이따금 성적인 만남을 갖는데 만족하며 결
혼이라는 속박에 억지로 얽매이고 싶지 않은 것이다. 리처드 러시튼(Richard
Rushton)과 게리 베틴슨(Gary Bettinson)은 “잭이 에니스와 게이 결혼과 비슷한 것
을 원하는 사람인 반면 에니스는 방랑과 목동으로서의 일과 결혼한 상태”(110)라는
히람 페레즈(Hiram Perez)의 주장을 인용한다. 몇 년 후 자신이 잭에게 보낸 카드에
“사망”이라는 글자가 찍혀서 돌아오자 에니스는 잭의 아내에게 전화를 걸고 그가 타
이어를 갈다가 사고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러나 그의 눈앞에는 잭이 동성애
혐오자들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되는 이미지가 재현된다. 에니스는 잭의 부모의 집을
방문하고 잭의 방에서 자신들이 헤어질 때 주먹다짐을 하면서 피가 묻었던 셔츠를
발견한다. 잭은 그것을 집으로 가져오고 결혼 소식을 전하러 온 딸을 배웅한 뒤 그
셔츠를 바라보면서 잭에 대한 그리움에 눈물짓는다.
이 영화에는 서로를 사랑하지만 사회의 규범과 주변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마음
껏 그 사랑을 꽃피울 수 없는 비운의 사랑 이야기가 펼쳐져 있다. 비록 감정적인 표
현이 어색하고 어울리지 않는 퉁명스러운 카우보이들 사이의 못다 이룬 사랑일지라
도 그것은 여전히 관객에게 강한 감동을 주며 눈물짓게 한다. 사회의 규제를 뛰어넘
으려는 주인공의 일탈과 시도는 전통적으로 미국의 가족 멜로드라마의 단골 소재였
다. 그리하여 이 작품을 멜로드라마와 연관시켜 읽으려는 시도들이 있었는데 짐 키세
스(Jim Kitses)는 유명한 더글러스 서크(Douglas Sirk) 감독의 영화 제목을 패러디한
논문 「브로크백이 허락한 모든 것」(“All That Brokeback Allows”)이라는 논문에서
“카우보이들이 자신들에게 폭풍처럼 휘몰아치는 경험을 통제하기는커녕 이해하거나
표현조차도 못하는 불쌍함이 바로 이 영화가 주는 정서적 충격”(25)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계속해서 사랑의 배경은 탁 트인 서부의 아름다운 산악지역이지만 이들의 가장
힘든 싸움은 가족들과 부엌과 식당과 서로와 벌이는 싸움이라고 주장한다. 크리스 베
리(Chris Berry)는 이안 감독이 대만 출신임에 착안하여 이 영화가 중국식 멜로드라
마 형식을 차용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국의 가족 윤리 영화(family ethics film)가
유교적 가치관으로 인해 개인의 의무감과 개인적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을

724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다루며 결국 개인의 희생이라는 비극으로 끝나게 됨을 지적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
면 에니스는 딸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에 잭을 돌려보내며, 결국 가족에 대한 의무 때
문에 사랑을 희생하는 사람이 된다. 1950년대의 미국 할리우드 멜로드라마가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무와 자신의 욕망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해야 했던 주인공에 대한 동
정심을 불러일으킨 영화였다면 <브로크백 마운틴>은 가족이라는 제도와 이성애적
사회의 규범 때문에 마음껏 사랑을 꽃피우지 못하고 비극적으로 끝나버린 사랑의 이
야기를 다룸으로써 관객들의 감정과 눈물샘을 공격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로맨틱 코미디의 형식도 사용한다. 대개 “소년 소녀를 만나다—소년
소녀를 잃다—소년 소녀를 다시 얻다”라는 공식으로 진행되는 로맨틱 코미디에서는
남녀가 갈등 때문에 이별을 한 뒤에는 각자가 서로를 그리워하며 아픈 현실 생활을
견뎌나가는 모습을 크로스커팅으로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브로크백에서의 첫 만남
이후 헤어진 4년 동안 영화는 에니스와 잭의 삶을 번갈아 오가며 두 사람이 각자 아
내를 얻어 가장으로 자리를 잡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삶은 에니스의 경우 부
부가 미친 듯이 일하여 두 딸을 키워야 하는 경제적으로 척박한 현실적 삶이며 잭의
경우 장인의 가부장적 파워에 압도되어 머슴처럼 행세하는 삶이다. 영화는 4년 만의
해후 이후에도 이들이 떨어져 지내는 삶을 계속 번갈아 보여주면서 이들이 서로의
존재가 결핍된 힘든 삶을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로맨틱 코미디에서 이성의 연인들
사이에 벌어지는 사건들을 교차 편집으로 보여주는 메커니즘을 이 영화는 동성 간의
사랑에 적용하고 있고 이것도 이러한 공식에 익숙한 관객들에게 공감을 끌어내는 요
소로 작용한다.
이 영화가 성공을 거둔 두 번째 요인은 이안 감독의 탁월한 연출력과 짜임새 있
는 구성, 아름다운 미장센이다. 이안 감독 자신은 동성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
성애자에 대한 편견이 있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의 어려움, 사회의 주류 계층에 속
하지 못하고 감정의 표현도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자들의 고통을 절제된 연출력으로
표현했다. 에니스 델마 역의 히스 레저(Heath Ledger)와 잭 트위스트 역의 제이크 질
렌할(Jake Gyllenhaal)이라는 두 명의 미남 배우를 캐스팅한 것도 영화의 인기 요인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25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이지만 이들로부터 최고의 연기를 끌어낸 것도 바로 감독의 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 미국 남성성의 상징인 카우보이는 과묵하고 무뚝뚝하며 감정 표현에 익
숙하지 않지만 이들의 마음속에서 폭풍우 치는 격한 감정을 절제된 연기력으로 표현
한 것은 배우들과 감독 모두의 탁월함 덕분이다. 에니스와 잭은 아귀레의 사무실 밖
에서 처음 조우하며 사무실에 들어가서 지시를 받고 나올 때까지 한마디도 주고받지
않는다. 두 주인공 중에서 특히 에니스 델마의 경우 이러한 감정 표현의 어눌함 때문
에 내면화한 갈등으로 인해 겪는 고통이 더욱 더 심하다. 에니스는 말을 할 때 입을
다문 채 이를 악물 듯이 말을 하며 그의 대사는 배우지 못한 사람의 영어 표현과 함
께 알아듣기가 무척 힘들다. 산에 올라가서 처음으로 개인적인 삶을 이야기하면서 그
는 1년 치 할 말을 그날 다했다고 이야기한다. 브로크백에서의 일을 다 마치고 헤어
질 때도 “또 보자”(I guess I’ll see you around)라고 말한 뒤 악수도 없이 헤어진다.
4년 뒤 잭에게서 방문하겠다는 엽서를 처음 받았을 때에도 속으로는 기쁨을 감출 수
없으면서도 “당연하지”(You bet)라는 한마디 답장으로 말뿐만 아니라 글에서도 과묵
함을 드러낸다. 그에 비해 잭 트위스트는 에니스보다 더 적극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며
크리스 베리의 표현에 의하면 “남자를 의무로부터 유혹하는 여성”(the woman who
tempts a man from his duty)(33)의 역할을 맡는다. 그 자신이 게이인 비평가 로빈
우드는 두 사람이 트럭을 타고 와서 애과이어의 사무실 밖에서 처음 조우할 때의 장
면을 여덟 개의 샷으로 나누어 묘사한다. 잭을 적극적으로, 에니스를 수동적으로 설
정하는 첫 번째 샷에서부터 미러를 보고 면도를 하는 잭의 이미지까지를 두 사람의
게이가 서로를 조심스럽게 탐색해나가는 과정으로 보면서 로빈 우드는 “두 사람의
엇갈린 운명의 씨앗이 이 여덟 개의 샷 속에 이미 심겨졌다”(31)고 분석하고 이 장면
에서의 이안 감독의 탁월한 연출력을 평가한다.
이처럼 과묵한 카우보이들이 눈물짓는 장면은 이 영화의 가장 감동적인 장면이
면서 관객 또한 눈물 흘리게 만드는 장면이다. 첫 번째 장면은 잭이 에니스를 만나러
왔다가 헛걸음하고 돌아가는 상황이다. 에니스가 이혼했다는 소식을 듣고 휘파람과
노래를 부르며 14시간을 한걸음에 운전하여 달려온 잭은 에니스의 이혼이 자신과 살

726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기 위한 목적이라고 넘겨짚는다. 그러나 에니스가 주말을 딸들과 같이 지내야 하니
돌아가라고 하자 그는 쿨하게 돌아서지만 다시 14시간을 운전하여 텍사스로 돌아가
는 차 속에서 눈물을 흘린다. 두 번째 장면은 에니스가 딸을 돌려보내고 셔츠를 보며
눈물짓는 마지막 장면이다. 브로크백 마운틴에서 일할 때 우발적인 주먹다짐으로 서
로 피를 흘린 두 사람은 옷에 피를 묻히게 되는데 그때 에니스는 밝은 색의 체크 셔
츠를 산에 두고 내려온다. 잭이 죽은 후 에니스는 잭의 집을 방문하여 그의 방에서
자신의 셔츠가 잭의 청색 셔츠 밑에 함께 걸려 있는 것을 발견하고 집으로 가지고 온
다. 결혼 소식을 전하러 온 딸이 옷을 두고 떠나자 그것을 옷장에 걸어두려다가 다시
자신들의 셔츠를 발견한 에니스는 그것을 끌어안고 눈물짓는다. 닐 캠벨은 다중의 프
레임 속에 정교한 샷을 구성한 이안 감독의 연출력을 높이 평가한다.

영화는 에니스가 [잭의 집에서] 돌아와서 브로크백 마운틴 그림엽서와 옷장에


걸린 두벌의 셔츠(겉과 속이 뒤바뀐)로 창조한 비밀스러운 “성소”에 더 집중한
다. 영화가 끝날 때, 이안 감독은 다중의 액자로 구성된 정교한 샷을 구성한다.
옷장 문은 성소를 담고 있는 액자이며, 엽서는 산의 모습을 담은 액자, 트레일
러의 창문은 바깥세상을 담고 있는 액자, 영화의 스크린 자체는 이 모든 이미
지를 관객을 위해 담고 있는 액자이다. (217-18)

원작인 애니 프루의 소설에서는 잭의 옷장에서 발견한 두벌의 셔츠를 “하나의 셔츠


가 다른 셔츠 안에 들어가서 두 개의 피부가 하나로 합쳐진 것 같은 한쌍의 셔
츠”(the pair like two skins, one inside the other, two in one)(316, Campbell 재인
용)라고 표현한다. 잭의 옷장에서는 잭의 셔츠가 겉에서 에니스의 셔츠를 감싸고 있
지만 마지막 장면에서는 에니스의 옷이 잭의 옷 위에 걸려있다. 이것은 두 사람이 산
에서 마지막으로 모닥불 앞에서 다정한 시간을 보낼 때 에니스가 잭을 등 뒤에서 허
깅하고 있는 모습을 상기시킨다. 이 두 장면은 에니스와 잭의 비운의 사랑 이야기를
가장 감동적으로 연출한 장면이고 두 배우의 훌륭한 연기와 이들의 연기를 끌어낸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이는 장면이다.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27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우호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타인에 의해 정체성이 설정되는 고통은 이 영화에서
응시라는 장치를 통해 표현된다. 로라 멀비(Laura Mulvey)의 유명한 「시각적 쾌락과
서사 영화」(Visual Pleasure and the Narrative Cinema)라는 글에서 잘 알려져 있듯
이 응시(gaze)라는 개념은 주류 영화에서 여성을 성적인 존재로 대상화하는 메커니
즘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성애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신의 감정에 충실할 수 없는
게이들은 언제나 가부장적 시선에 의해 대상화되며 수동적 존재로 살 수밖에 없다.
이들에게는 늘 따라다니는 가부장적 존재가 있다. 에니스에게는 어릴 때 동성애자들
의 죽음을 보여주며 결코 동성애자로 살면 안된다는 것을 경고한 아버지가 있다. 잭
또한 자신이 로데오를 했으면서도 비법을 가르쳐 주지도 않고 그의 경기를 보러 오
지도 않은 아버지가 있다. 잭의 아버지는 잭이 죽은 후 브로크백 마운틴에 묻히고 싶
다는 소원을 거부하고 가족 묘지에 가둬 두는 인물이다. 잭을 옭죄는 또 한명의 가부
장적 존재는 그의 장인이다. 잭의 아들이 태어났을 때 그는 손자가 자신을 닮았다고
하면서 잭에게는 차에 가서 분유나 꺼내오라고 하인처럼 부리는 인물이다. 추수감사
절 만찬에서도 집주인이 칠면조 고기를 잘라서 손님에게 주는 전통을 무시하고 자신
이 나서서 고기를 자르려 하며, 잭이 아들에게 식사를 하고 나서 풋볼을 보라고 교육
하자 남자란 풋볼을 봐야한다고 부추기며 그를 무시한다.
이처럼 이성애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수동적 존재로 살아야하는 이들이 가부장적
응시에 의해 대상화되는 세 개의 장면이 있다. 비록 응시로 표현되지는 않지만 에니
스를 언제나 따라다니며 그를 구속하는 응시는 어릴 적 아버지가 보여주었던 살해당
한 두 게이의 죽음이다. 어린 시절부터 절대로 동성애자를 용인하지 않는 이성애적

728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사회의 호모포비아(homophobia)를 내면화한 에니스는 잭과의 대화에서 마을 사람들
이 자신에 대해 다 알고 있는 듯한 느낌을 늘 갖는다고 말한다. 이들이 타인의 시선
에 의해 대상화되는 두 번째 장면은 산에서 웃통을 벗고 장난치는 모습을 아귀레가
멀리서 쌍안경으로 지켜보는 장면이다. 처음부터 그들을 탐탁하지 않게 보았던 아귀
레는 이듬해 잭이 일거리를 찾으러 갔을 때 너희들이 산에서 사랑 놀음이나 하라고
돈 주는 거 아니다(“You guys wasn’t paid to leave the dogs baby-sit the sheep
while you stemmed the rose”)고 빈정댄다. 에니스와 잭이 타인의 시선의 대상이 되
는 세 번째 장면은 4년 만에 조우한 그들이 골목에서 열정적인 키스를 나누고 있는
모습을 앨마가 창밖으로 응시하는 장면이다. 닐 캠벨은 원작자인 애니 프루와 이안
감독이 “모든 것을 보는 ‘사회적’ 눈이라는 유사한 역할을 앨마에게 부여함으로써 아
귀레의 패놉틱(panoptic)한 판단과 가정적 규범의 연결점을 강조한다”(216)고 주장한
다. 이 시선은 이혼 후에도 두 딸의 존재로 에니스를 따라다니며 그를 구속한다. 로
라 멀비가 영화에서 작용하는 시선으로 카메라의 시선, 캐릭터의 시선, 관객의 시선
을 열거했듯이 주인공들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선은 관객의 시선이다. D.A. 밀러
(Miller)는 「브로크백 마운틴의 보편성에 대해서」라는 논문에서 관객인 우리도 그들
을 대상화하는데 공조하여 가부장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이 영
화의 보편성이 관객을 서사 밖의 편안한 구역에 위치하게 하여 “들키지 않고 볼 수
있도록 하는”(55)장치에서 나온다는 말이다. “에니스는 편집증 환자이다. 누군가 그
를 매처럼 항상 관찰하고 있다. 잭, 혹은 조 아귀레, 혹은 앨마가 아니라면, 그들의
것을 합친 것보다 훨씬 더 연속적인 감시의 행위를 하는 우리 관객에 의해 관찰되고
있다”(58)라고 그는 지적한다. 잭과 에니스는 앨마와 아귀레의 시선의 대상이 될 뿐
만 아니라 관객으로서의 우리의 시선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 영화가 대중들을 감동시킨 또 하나의 특징은 바로 미장센이다. 에니스와 잭이
아귀레로부터 작업지시를 받은 후 양떼를 몰고 브로크백 마운틴을 올라갈 때부터 이
안 감독은 롱샷과 클로즈업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여 아름다운 산, 계곡, 구릉지, 시
냇물 등 숨 막히듯 아름다운 풍광을 서정적으로 보여준다. 2006년에 <브로크백 마운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29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틴>, 2007년에 <바벨>(Babel)로 2년 연속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구스타보 산타
오랄라(Gustavo Santaolalla)의 기타 음악이 배경음악으로 흐르는 가운데 이안 감독
은 클로즈업을 통해 양의 모습, 계곡의 시냇물을 보여주다가 롱샷으로 양떼 무리, 구
름이 낀 산등성을 보여주는 등 그림엽서에나 나올 법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서부영화
에서는 프런티어의 모습 자체가 하나의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는 말이 이 영화에서
도 그대로 적용된다. 만약에 이 영화에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는 미장센이
없었더라면 과연 이 영화가 그토록 감동적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 정도이다.
자연은 에니스와 잭이 사회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마음 놓고 사랑을 펼칠 수 있는 공
간이다. 이곳에서 그들은 양을 지키고, 모닥불에 음식을 요리하고, 설거지와 빨래도
하고, 목욕도 하고, 나체로 물에 뛰어들며, 사랑도 한다. 그러나 일단 산을 떠나게 되
면 그들은 폐쇄공포증을 불러일으키는 규율과 규범의 공간으로 돌아와야 한다. 앨마
는 아이들이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외롭게 자라지 않도록 같이 놀아줄 아이들이 있
는 시내의 집으로 이사하자고 조른다. 세탁소 위에 있는 그 집은 아이들이 울어대고
부엌과 방과 거실이 모두 좁은 답답한 공간이다. 이혼 후 에니스가 결국 정착하게 되
는 곳도 거실과 침실과 옷장이 한 공간에 있는 좁은 트레일러이다. 잭은 부잣집 사위
로 들어가지만 그의 아내 로린은 항상 전화통에 매달려서 돈을 버느라 혈안이다. 추
수감사절 파티에서조차 잭은 가장 노릇을 하지 못하고 장인의 숨 막히는 간섭에 옥
죄인다. 잭은 죽어서도 브로크백 마운틴의 광활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열
망이 거부된 채 가족의 묘지에 갇히고 그가 남긴 셔츠는 에니스의 트레일러의 옷장
속에 갇힌다. 캠벨의 말대로 영화는 “자연의 세계와 아래에 있는 사회적 세계의 어두
운 실내와 좁은 공간을 대조”(216)한다.
한편, 이처럼 감동적인 러브스토리로 보편화된 <브로크백 마운틴>은 관객이 누
구이냐에 따라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특히 카우보이들은 모욕감을 느꼈으며 어
떤 평자는 “할리우드가 말보로맨을 강간했다”(Hollywood has now raped the
Marlboro Man)라는 격앙된 평을 썼다(Kupelian, Campbell 250 재인용). 사실 게이
카우보이라는 말은 그 자체가 모순어법(oxymoron)일 수가 있다. 미국적 남성성의 상

730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징인 카우보이가 게이라는 것이 말이 되지 않는 것이다. 게이와 퀴어 커뮤니티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어떤 동성애자가 보기에 “이 영화는 미국에서 게이로 산다는 것의
어려움을 절제된 뉘앙스와 감동적인 묘사로 표현한 작품”(Rushton and Bettinson
107)이었고, 다른 동성애자가 보기에는 충분히 퀴어하지 못했다. 원작자인 애니 프루
는 “이것은 파괴적인 농촌 호모포비아의 이야기”(130, Campbell 256 재인용)라고 말
하며 그녀가 이 단편소설을 쓴 의도 또한 “게이들을 벽장 속에 가두고 차이가 잔인
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잔인한 문화를 폭로”(Campbell 256)하는 것이었다. 그러
나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영화는 할리우드의 영화 제작 스타일로 주류 관객이 감
동할 만한 테크닉과 요소들을 사용하여 보편적 러브스토리로 만들었고, 그 결과 비평
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이것을 페미니즘 연극이나 영화와 연관시켜서 생각해볼
수 있다. 1960년대에 제도권에 대한 여러 대항 운동이 폭발했을 때 시작한 실험적
페미니즘 연극 운동은 가부장제에 대한 도전과 여성 권익의 옹호 등의 메시지를 실
험적이고 파격적인 연극 형식으로 전달했다. 그러나 그것의 파장과 임팩트는 소수 엘
리트 진보적 여성들에게만 전달되었다. 1970년대 후반 1980년대에 좀 더 전통적이고
사실적인 형식으로 일상적 여성의 삶을 다룬 베스 헨리(Beth Henley)의 마음의 범
죄 (Crimes of the Heart)와 마샤 노먼(Marsha Norman)의 잘자요 엄마 (’night,
Mother)는 1981년과 1983년에 각각 퓰리처상을 수상하면서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
오랫동안 공연되는 작품이 되었다. 모녀와 자매들의 관계와 같은 시공을 초월한 보편
성을 익숙한 형식에 담아 표현한 것이 성공의 요인이었던 것이다. <브로크백 마운
틴>도 일부 동성애자들에게는 퀴어성을 억압하고 대중성에 영합한 영화로 비칠 수
있지만 게이가 아닌 일반 관객들에게도 그들의 어려움과 고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 즉 게이 센서빌리티를 갖도록 한 영화라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31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IV. 결론

미국의 천사들 은 새천년이 다가오다 와 페레스트로이카 라는 2부작으로 되


어 있다. 두개의 제목들은 이 작품의 콘텍스트가 새천년의 도래를 앞둔 1990년대이
며 소련의 붕괴 등 냉전 상황의 종식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 작품은 또한 작가 자
신의 경험에서 가져 온 동성애라는 이슈를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형식으로 무대 위에
서 재현하였다. 경험에서 우러난 진정성과 혁신적인 기법은 이 작품이 가진 장점이고
성취이지만 그것이 바로 이 작품이 가진 한계이기도 하다. 에이즈가 주는 공포와 죽
음의 위협, 신보수주의 정치의 동성애자 탄압, 소련의 붕괴와 새로운 세기가 열리는
데 대한 기대와 희망은 메시지의 면에서 특정 시대적 콘텍스트에 이 작품을 위치시
킨다. 또한 분리된 화면과 영화적 기법, 동성애 성행위 장면의 무대상의 재현 등은
미국의 평범한 중산층 관객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호응을 받기에는 거북한 면이 있다.
이에 반해 <브로크백 마운틴>은 영화가 시작된 지 28분 만에 잘 생긴 미남 배우 두
명이 항문 섹스를 하는 파격적인 장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명의 동성애자 간의
사랑을 보편적인 사랑 이야기로 승화시키는 할리우드 장르 영화 제작 시스템의 덕분
에 성의 지향성(sexual orientation)과 상관없이 많은 관객과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
았다. 이것은 동성애 재현에 대해 지금까지 미온적이거나 거부감을 보이던 할리우드
영화 산업이 변화하는 관객 구성의 다양성과 성적 지향성의 변화에 열린 태도로 접
근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브로크백 마운틴>이 동성애 극작가들의 작품들처럼 무대
위에서 강렬한 메시지를 설파하지는 않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게이 센서빌리티
가 있는 관객들에게 타자에 대한 수용성과 감수성을 고양시킨 것은 분명하다. 영화의
감동은 상처받고 소외당한 외로운 영혼들의 아픔을 아름다운 화면과 영화적 문법으
로 풀어 낸 이안 감독의 기량에 크게 빚지고 있다. 서부영화, 로맨틱 코미디, 멜로드
라마 등 할리우드 영화의 기본을 이루는 장르들을 융합하여 동성애 커플의 이야기를
한편의 러브 스토리로 승화시킨 <브로크백 마운틴>은 게이 센서빌리티에 호소함으
로써 이 시대의 사랑받는 영화가 되었다.

732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주제어: 토니 쿠시너, 이안, 미국의 천사들 , <브로크백 마운틴>, 동성애, 게이 센서
빌리티

인용자료

Babuscio, Jack. “Camp and Gay Sensibility.” Gays and Film. Ed. Richard Dyer.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1977. 116-35.
Berkowitz, Gerald. American Drama of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Longman, 1992.
Berry, Chris. “The Chinese Side of the Mountain.” Film Quarterly 60.3 (2007):
32-37.
Brokeback Mountain. Dir. Ang Lee. Focus Features/Universal Pictures, 1970.
Campbell, Neil. “From Story to Film: Brokeback Mountain’s ‘In-Between’
Spaces.” Canadian Review of American Studies 39 (2009): 205-20.
Clum, John. Acting Gay: Male Homosexuality in Modern Drama. New York:
Columbia UP, 1994.
Cooper, Brenda, and Edward C. Pease. “Framing Brokeback Mountain: How the
Popular Press Corralled the ‘The Gay Cowboy Movie’.”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25.3 (2008): 249-73.
Fisher, James. The Theatre of Tony Kushner: Living Past Hope. New York:
Routledge, 2002.
In and Out. Dir. Frank Oz. Paramount, 1997.
Jeffords, Susan. Hard Bodies. New Brunswick: Rutgers UP, 1994.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33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Kissing Jessica Stein. Dir. Charles Herman-Wurmfeld. Fox Searchlight, 2001.
Kitses, Jim. “All the Brokeback Allows.” Film Quarterly 60.3 (2007): 22-27.
Kushner, Angels in America: Millenium Approaches. New York: Theatre
Communication Group, 1994.
_____. Angels in America: Perestroika. New York: Theatre Communication
Group, 1994.
Miller, D.A. “On the Universality of Brokeback Mountain.” Film Quarterly 60.3
(2007): 50-60.
Moddelmog, Debra. “Can Romantic Comedy be Gay?: Hollywood Romance,
Citizenship, and Same-Sex Marriage Panic.” Journal of Popular Film and
Television 36.4 (2009): 162-73.
Mulvey, Laura. “Visual Pleasure and the Narrative Cinema.” Feminism and Film
Theory. Ed. Constance Penley. New York: Routledge, 1988. 57-68.
Omer-Sherman, Ranen. “The Fate of the Other in Tony Kushner’s Angels in
America.” MELUS 32.2 (2007): 8-30.
Pearl, Monica. “Epic Aids: Angels in America from Stage to Screen.” Textual
Practice 21.4 (2007): 761-79.
Rushton, Richard, and Gary Bettinson. What is Film Theory?: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Debates. Berkshire: Open UP, 2010.
Sinfield, Alan. Out on Stage: Lesbian and Gay Theatre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Haven: Yale UP, 1999.
Wood, Robin. “On and Around Brokeback Mountain.” Film Quarterly 60.3 (2007):
28-31.

734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Abstract Lee, Hyung Shik

Two Aspects of Gay Representation: Authenticity and Popularity

Since the Stonewall Riot in 1969, gays and lesbians have been more
aggressive in asserting their own rights and representing their images on literature
and media which had been more or less stereotyped by heterosexual perspective.
Even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gay playwrights who wrote about the plights
of gay men living in a heterosexual society, Tony Kushner seems to be the most
accomplished homosexual playwright who achieved both critical and popular
acclaim by winning the Pulitzer Prize with his play Angels in America. Likewise,
Hollywood, which had been reluctant in accepting frank depiction of gay sexuality,
has witnessed the explosion of gay romantic comedies for the last fifteen years or
so. The fruition of this trend was the spectacular success of Brokeback Mountain
by Ang Lee which was nominated in the eight categories in the Academy Award
and grabbed three Oscars in 2006.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ces in gay representation in
theatre and film. Angels in America, written by a gay playwright, conveys strong
and authentic messag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playwright himself. It deals
not only with the agony and plights of gay men living in neo-conservative society
of Reagan administration, but also historical, political, racial, religious issues
involving wide spectrum of multicultural America. Even though this play now
belongs to the canon of contemporary American drama, its topicality focusing on
the political context of Reaganite America loses its validity in the new millenium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진정성과 대중성 / 이형식 735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when AIDS is no longer a fatal disease and gay rights have been acknowledged
in many corners of society. In contrast, watching Brokeback Mountain starring two
handsome actors was a touching and moving experience for both heterosexual and
homosexual audience. Even though Ang Lee is not a gay director and therefore
may lack the authenticity of gay artists, his direction of the film transformed the
story of two gay cowboys into a beautiful love story filled with universality,
which some critics compared with Romeo and Juliet and Wuthering Heights. His
cinematography and mise-en-scene, which highlighted breathtaking grandeur and
beauty of Brokeback Mountain, also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popularity of the
film and resulted in raising gay sensibility.

Keywords: Tony Kushner, Ang Lee, Angles in America, Brokeback Mountain,


homosexuality, gay sensibility

736

Bukkyo University(불교대학) | IP: 202.254.***.251 | Accessed 2019/04/04 12:13(KS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