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ution 07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7

Homework Chapter.

#(2-1~6) 입자가 원점으로부터 거리   만큼 떨어져있을 때, 입자의 운동의 진폭(  ),




주기(  ), 진동수(), 입자의 속도    의 진폭(  ) 구하기
 
  
※      sin    혹은      cos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이다.

#(2-1)    cos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2-2)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2-3)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2-4)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2-5)    sin cos  sin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2-6)    sin     sin   
   ← sin      sin       sin cos


  cos  sin

  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cos,    
    

#(2-7~10)   가 각 문제에서 주어진 바와 같을 때, 입자가 위치    가   Re   ,

  Im   이면 이 입자는 단순조화진동을 한다는 것을 보이고, 입자의 운동의 진폭(  ),




주기(  ), 진동수(), 입자의 속도    의 진폭(  ) 구하기
 

- 1 - S. Yoon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이면 이 입자는 단순조화진동을
   
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2-7)      →   cos,   sin → 단순조화진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      →   cos  ,   sin  → 단순조화진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     →   cos,   sin → 단순조화진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        →   cos     ,   sin     → 단순조화진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  sin   
  →    


 cos   


  
 의 진폭은   , 주기는      , 진동수는      이고,
  
  
  의 진폭은    , 주기는      , 진동수는      이다.
  


#(2-12)   Re     cos →      Re      sin 

  
 의 진폭은   , 주기는      , 진동수는      이고,
  
  
  의 진폭은    , 주기는      , 진동수는      이다.
  

#(2-13) 단진자(simple pendulum)

아래 그림에서  -축 양(+)의 방향(즉, 


 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 2 - S. Yoon
물체에는 중력( 
)과 장력( 
 )이 작용하는데, 물체의  에 대한 회전관성은    이고

돌림힘은    ×    


   ×     sin 
 이므로 물체의 운동방정식    
 는
     
  sin 
    
, 즉  
  sin 가 된다. 그런데 만일  ≪  이면 sin ≈ 
  
  
이므로 운동방정식은  
≈   이 되고, 그 해는      cos   이다. 단, 여기서
 



   이고,   와  는 초기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들이다. 따라서  ≪  인 경우에

물체의  -방향 운동은 단순조화진동이다. 한편 그림에서 보듯이   sin


 cos
이고,  ≪ 

 sin ≈    ≈     cos  
 

이면 
 cos ≈  

 이므로, 

  
 
 

 이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cos    

 ≪  인 경우에 물체의 -방향 운동도 단순조화진동이다.

#(2-14)    sin  ,    sin 

     이 되는 시각은     으로부터         ⋯  이고


     이 되는 시각은     으로부터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 되는    인 최초의 시각은          이다.

#(2-15)    cos ,    sin 

   라 두면    cos  cos   cos sin  이고     sin  sin cos

이므로       인 시각에  cos   cos sin    sin cos 가 성립해야 한다. 즉,
cos cos   sin    sin  cos   sin    sin  cossin    sin  
이 성립해야 하므로           ⋯  혹은     ⋯ 이다. 이 중
가장 작은 값은    이므로       가 되는 최초의 시각은    ×    이다.

- 3 - S. Yoon
#(2-16)     sin 
  ,     sin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위의 그래프로부터  ≈  일 때에 최초로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근처에서

 
   sin 





  
  cos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이므로

     을 무시하고 sin      cos       sin   cos    라 두면


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일 때 최초로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cos  
 
 
cos   
 




  
#(2-17)      sin       sin    
 
위의    로 표시되는 파동은  파장이  이고,  -축 양(+)의 방향으로 속력  로

진행하는 진행파이며,  파동의 주기는    이다. 이 사실들을 확인해 보자.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   sin        
    
이므로  가 이 파동의 파장임을 알 수 있다.
 
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     sin     의 그래프는       sin   의
 
그래프를 -축 양(+)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다. 즉,    상의 각 점이 

의 시간 동안  만큼 이동한 것이므로  가 이 파동의 진행속력임을 알 수 있다.

   
혹은    의 양변을 전미분 하면     cos         cos    
   

이므로 
 


  가 되고, 따라서  가 파동의 진행속력임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즉  sin           sin     로부터     ,
  

즉 이 파동의 주기가    임을 알 수 있다.

- 4 - S. Yoon
   
파동의 진동수는      , 각진동수는         이므로 아래가 성립한다.
   

 
     sin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0)      sin       sin   

이 파동의 식을      sin      와 비교하면 이 파동의 진폭은 , 주기는   ,


 
 
  
파장은   , 진동수는      , 진행속력은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또, 주어진 각각의 시각과 각각의 위치에서 파동의 모양은 아래 그림과 같다.

 

     sin     at      


  



     sin     at         

- 5 - S. Yoon
 
#(2-21) 파동의 진폭이 , 파장이   , 진행속력이    이면, 진동수는      ,
 
 







주기는      이므로, 이 파동의 식은      sin      sin    
  
 
이고,    cos     이다. 이 파동을 -축을 따라 당겨진 줄의 한 쪽 끝을 계속
 

흔들어서 만들어진 진행파라고 생각하면  는 주어진  위치에서 줄이 -축 방향으로

흔들리는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진행파의 진행속력과는 무관하다.
  
아래 그림은 시각         과 위치       에서의 파동의 모양이다.
  

   
     sin     at        
   


     sin     at      

 
#(3-1)     sin,     sin,            sin   sin
 

- 6 - S. Yoon

#(3-5) 기본음(fundamental tone)의 주기가  이면 배음(倍音-overtone)의 주기는  라

할 수 있다. 단,      ⋯ 이다. 그러면 기본음의 파동은           를 만족하고,

 

배음(倍音)의 파동은          를 만족한다. 이제 기본음과 배음(倍音)의 합성음을

          라 할 때   의 주기가  , 즉         임을 보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3-6) sin   sin   sin  cos  임을 이용하면
 

sin  sin      sin     cos    sin     이므로 진폭은 , 주기는 
   
   

이다. 아래는 sin  sin    와 sin     의 그림이다.


 
 


sin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3-7) cos  cos    sin  sin  임을 이용하면
 

cos  cos       sin     sin     


 sin     이므로 진폭은 
   
,
   

주기는  이다. 아래는 cos  cos     와    sin     의 그림이다.


 
 


cos  cos   
      
 sin   
 

- 7 - S. Yoon


 
#(3-8)        sin   sin       
   
  는 주파수가   , 진폭이     sin   인 파동으로  의 속력으로 -축 양(+)의


 
방향으로 진행하는 진행파이다. 보통 sin        를 운반파(carrier wave)라 부른다.
   
이 진행파의 진폭이 시간  의 함수이므로 이 파는 진폭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되었다고 말하고,   가  Hz 정도인 경우 이 파를 라디오파(radio wave)라고 부르며, 이
경우에 변조 주파수()로는  ≈   Hz 정도인 소리주파수(audio frequency)가 사용된다.

이 파의 대략적인 모양을 파악하기 위해    인 위치에서 이 파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  ,   ,   ,     인 경우(비록 실제의 라디오파와는 많이 다른 값들임)에 대해
그려보면, 즉       sin   sin  를 그려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한 번의 변조
주기(   ) 동안 운반파의 파형이 20번(∵   ) 반복됨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   sin   sin  : 변조 주기가    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sin          sin         sin sin      
     

이므로 삼각함수의 공식인 sin sin    cos      cos     를 이용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     이 된다
    

 
여기서  ±   ±   이다. 따라서   는 주파수가   ,   ± , 진행속력이 ,  ± ,


진폭이  , ±  인, -축 양(+)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세 개의 진행파의 합성파임을 알 수



 
있다. 참고로 주파수가   인 파, 즉  sin        를 운반파(carrier wave)라 하고,
   
   
   ± 

주파수가   ±  인 파, 즉 ∓  cos    ±       를 곁띠(side bands)라고 한다. 
  
#(4-1)         이면  
      임을 증명하자.

    
 
       
 
   ← 두 번째 적분에서         로 치환

- 8 - S. Yoon
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고    로 치환

  
        
  

#(4-2)





(a)     ,    로 치환하면  ≤  ≤  이고 cos     sin 이므로
  
   

cos    


cos      
   
sin   

sin  이다.


 
  

(b) sin   와 cos   는 모두 주기가  인 우함수(even function)이므로
 
 

   sin  

cos    
  
 
 임을 보이면 된다. 이제    로 치환하면
 

   


 cos  
  

    cos ,  sin       sin  인데 (a)에서
 




 




   


 cos    sin  임을 보였으므로  cos  


  

   sin    임을
 
 


알 수 있다. 따라서 sin    와 cos    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이 같다.


   
 


 
#(4-3) 
  
sin  sin  sin      cos  cos  cos  
  



#(4-4)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4-5)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4-9) 
  
sin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  cos
#(4-11) 
  
sin  sin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4-13)        정수  혹은             정수  이면
 
 
 sin    cos       임을 증명하시오.



- 9 - S. Yoon

 cos
sin  
  
 ± cos  sin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sin  sin  cos 


cos  


 
            정수  이면  에서 sin  sin  sin  sin   이므로
 
 
 sin    cos       이다.



또,        정수  이면  에서 sin    sin   이므로


 
 sin    cos       이다.



 ∞
#(5-1)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even 
 
 
  cos     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

 


   odd


 ∞ sin    sin sin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sin
위의 그림은    부터    까지의 합, 즉       
    
의 그래프로 
문제에 주어진    의 모양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 10 - S. Yoon
※      

는 7장 5절의 <예제1>에 주어진    
      
 
를 
-축을 따라  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다. 즉          이다. 그런데 <예제1>로부터

sin sin
 

       sin      ⋯ 이고,  이 홀수일 때 sin     sin
    
sin sin
 

이므로              sin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예제2>에서와 같이 별도의 계산을 하지 않고도    의 Fourier 급수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5-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sin 
      cos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sin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sin     sin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cos   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sin     ∞ sin  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여기서는    를 주기가  인 함수로 간주하여      
 
 cos   sin 로 
계산하였지만,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실제로는    가 주기가  인 함수이므로 Eq.(8.3)을

- 11 - S. Yoon
 ∞
이용해서      
 

 cos   sin 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odd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even 

 ∞ sin    sin sin


    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
    
따라서    를 주기가  인 함수로 간주하여 Fourier 급수를 계산하건, 주기가  인

함수로 간주하여 Fourier 급수를 계산하건, 그 결과가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sin   


위의 그림은    부터    까지의 합, 즉       
    
  
의 그래프로 
문제에 주어진    의 모양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 ∞
#(5-7)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sin  
  
  
  cos  
    

 

    even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  odd
     
  

- 12 - S. Yoon
  sin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cos cos sin sin



 
    cos  
 

 
 ⋯  sin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sine, co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5-8)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13 - S. Yoon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5-11)     
sin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cos 

  
  
  cos  
  sin sin

 
 
 ≡ 
 
sin     
  sin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d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ven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cos cos cos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co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14 - S. Yoon
sin sin
#(6-1)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Dirichlet condition 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6-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 
       sin      ⋯
  


  
Dirichlet condition 에 따라     ±    ±     ±     이다.
 

#(6-7)      



cos cos sin sin




 
       cos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Dirichlet condition 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15 - S. Yoon
sin sin
#(6-8)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Dirichlet condition 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6-11)     sin
 

 cos cos cos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Dirichlet condition 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cos   sin
#(6-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 16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6-15)     
sin



 
       sin  
      
  
 (5-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sin sin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           cos            cos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sin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7-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cos cos sin sin



    cos  
  


 
 ⋯  sin      ⋯
    

#(7-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sin   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   sin 
∞      sin  sin sin


  
   
   




⋯ 

#(7-11)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cos  
 

- 19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cos







sin 

  


 

  
cos    
 ∞ cos  cos cos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7-12)     
  ∞
   일 때    가 real, 즉 
       이면    
 임을 증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데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혹은    
 이다.

 ∞ ∞
#(7-13)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cos   sin     
       cos       sin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   일 때에도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혹은 ±    .

- 20 - S. Yoon
#(8-10)
 ∞ ∞
(a)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1) sine-cosine ser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sin
→         sin      ⋯ 

  

(2) exponential ser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sin


  
  sin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21 - S. Yoon
 ∞ ∞
(b)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1) sine-cosine ser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sin
→            sin      ⋯ 

  

(2) exponential seri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sin
      sin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22 - S. Yoon
 ∞

   
  
#(9-6)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가 odd function 이므로   .

    even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odd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sin    sin   ⋯
 
아래 그림은    일 때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 
    
#(9-9)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에서   가 even function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sin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cos  

cos  ⋯  

- 23 - S. Yoon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20개 혹은 40개까지의 co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 
    
#(9-10)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에서   가 even function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sin

    even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dd

 ∞ 


      
 
    
 





cos     cos  
   
cos  

cos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co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9-14)           : even functions,           : odd functions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ven function


                    →   : even function
                    →   : odd function

- 24 - S. Yoon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dd func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ven function
  

 ∞

 
 
#(9-20)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주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  →    가 even function 이므로   . 주기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cos cos




      
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5개 혹은 10개까지의 co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가 odd function 이므로   . 주기   


   cos 
  cos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sin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 S. Yoon
  
 
 
   
  

 
   odd
 



 

   odd

 

    even  
 


   even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sin sin



  sin  sin  sin  ⋯   

sin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 의 처음 10개 혹은 4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 sin  
  sin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sin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cos sin cos sin cos sin

 
 


   

   
 ⋯
 
아래 그림은    의 처음 10개 혹은 20개까지의 sine 항을 더한 그래프이다.

           

- 26 - S. Yoon

#(9-25)    와 ′     를 구간     에서 Fourier 급수로 전개하면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cos  ′ sin 로 쓸 수 있다
  
여기서    
  ,  ≠  이면 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이면 ′    
′  cos, ′    
′  sin 이다.

이 문제는 (1) ′    , (2) ′    (′   ) 임을 보이고, (3) (1)(2)의 결과는   

의 Fourier 급수를 각 항별로 미분함으로써 얻는 결과와 같다는 것을 보이라는 문제이다.

(*) 우선    의 도함수 ′   가 존재하면    는 연속이어야 하므로         이다.


  sin   
(1)  ≠  이면   

  cos        
      
′  sin 인데,

 sin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sin  ′  이므로    ′  ,

즉 ′    이다.
  cos   
(2)  ≠  이면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cos 인데,

 cos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cos  ′  이므로    ′  ,


즉 ′    이다. 만일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3)      
 
 
 cos   sin  를 미분하면 ′   


  sin   cos
′  ∞
가 되는데 ′     
 

′ cos  ′ sin 라고 했으므로 두 식을 비교하면 역시
′    , ′    (′   )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   가 존재하고 ′   를 Fourier 급수로 전개할 수 있으면 ′   의 Fourier

급수는    의 Fourier 급수의 각 항을 미분해서 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9-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 S. Yoon
 ∞
   의 Fourier 급수를      
 

 cos   sin 라고 하자.

우선         , 즉    는 even function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sin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cos 

cos   
 
 ⋯
     

이제    에서 처음  개의 cosine 항까지만 고려한 함수를    라고 부르도록 하자.


   cos  
즉, 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와 


       cos cos 
아래는           cos    의 그래프이다
     

   와     를 같이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그 둘이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28 - S. Yoon
한편    와    의    차 도함수 및 그들의 그래프는 각각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sin sin 
′       ′     sin   
    

  cos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위의 그림들에서 보듯이    와    , ′   와  ′   , ″  와   ″  는 거의 유사하지만,


   에서 불연속인 ″′   와   ″′   는 꽤 차이가 난다. 따라서  가 얼마일 때 ″′   와
 ″′   가 거의 같은지 알아보기 위해   ″′   ,  ″′   ,   ″′   ,   ″′   를 그려보자.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 가 클수록 ″′   ≈  ″′   이지만 ″′   가 불연속인    근처에서는
여전히 두 함수 ″′   와  ″′  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급하게 변하는
함수일수록 Fourier 급수에서 더 많은 항, 즉 주기가 더 짧은 항(sin 혹은 cos 에서
 이 더 큰 항)들까지를 더해야 그 함수와 유사해지게 된다.

- 29 - S. Yoon
#(11-5~9) 는 Parseval 의 정리를 이용한다.

#(11-5)       

→     
  




sin 

(9-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9-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11-7)         →        


(5-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9-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S. Yoon
 ∞ cos
#(11-9)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5-11)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cos
 
   
sin
 
 cos  sin

   →      ∞

sin  cos
  



∞ ∞
sin  cos sin  cos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sin  cos sin  cos

 
∞
cos     sin

 ∞


sin  cos

 
   ∞
sin ∵ 첫번째 적분은 기함수에 대한 적분이어서  이 됨



#(12-11)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sin cos    cossin    cos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8) (문제 12-6)의    는 기함수 →          sin 를 계산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cos  sin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 cos
  sin 



 
 
sin  cos

∞
 sin ∵ 우함수에 대한 적분이므로  ∞→∞ 적분하고  곱함

따라서 기함수    의 Sine Integral 이 (문제 12-6)의 Exponential Integral 과 같다.




 
 
#(12-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exp  


 
        ∞    
  이제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exp     exp      exp   ←    좌표계로 변환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32 - S. Yoon

#(13-2)    ≡   이하인 최대 정수  이면,            의 그림은 아래와 같다.


즉,    는      에서        이고 이 모양이 반복되는 주기가 1 인 기함수이다.


따라서    의 Fourier exponential series 는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이며,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13-3) 불연속적인 함수를 power series 로 전개할 수는 없지만 Fourier series 로
전개할 수는 있다. 그러나 Fourier series 의 sine 항과 cosine 항이 power series 로
전개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불연속적인 함수를 먼저 Fourier series 로 전개한 다음 그
안에 있는 sine 항과 cosine 항을 power series 로 전개하면 결국 불연속적인 함수를
power series 로 전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power series
가 수렴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불연속적인 함수를 power series 로 전개할 수가 없다. 이

사실을 함수             를 Fourier series 로 전개한 다음 sine 항과 cosine


항의 power series 를 대입하여  의 1차항과 3차항의 계수가 수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확인해 보는 것이 이 문제가 요구하는 것이다. 주어진    는 주기가  인

기함수이므로 우선    의 Fourier sine series     

 sin 를 구해보자.

  ∞
 sin
  
   sin    sin  


 

이므로        가 된다.
  

- 33 - S. Yoon

        
여기에 sin  
  
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sin sin sin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1차 항과  의 3차 항의 계수가 각각       ⋯  와       ⋯ 

이고 이들은 발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             , 즉 불연속적인


함수를 power series 로 전개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4) relaxation oscillator : 아래 회로에서 축전기에 전하가 어느 정도 이상


충전되면 neon tube 불이 켜지면서 축전기의 전하가 방전된다. 그러고 나서 축전기에는
다시 전하가 충전되고 방전되는 사이클이 무한히 반복된다. 시각    일 때 축전기의

전하가    이고,     가 되면 neon tube 에 불이 켜진다고 가정하자.

 
(a) 축전기의 전하  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따라 미분방정식       를 만족한다.
 
 
이 방정식의 변수를 분리하여 정리하면    가 되고,    일 때    임을
   
 
     
고려하여 양변을 적분하면 

 

 


, 즉 ln    가 된다.
  

이 식을 다시 정리하면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b) 축전기의 전하는     때 방전되고 그 후에 다시 충전-방전 과정을 반복한다고


하였으므로           는 주기가   인 함수이고, 그 모양은 그림과 같다.

- 34 - S. Yoon


(c)  의 주기가   이므로  
   ∞

   로 쓸 수 있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sin 

 
이다.

이렇게 구한  의 모양을 알아보기 위해    부터  까지의 합을 아래에 표시하였다.




즉   




 
    
      cos sin  의 그림이다.

 


가로축은  이고,


세로축은  이다.


또 원래의          와  의 Fourier series 를 비교하기 위해 아래 그림에









  
      와         
     cos sin  를

 

 
     인 구간에 대해 표시하였다.
 


가로축은  이고,


세로축은  이다.


- 35 - S. Yoon
 
 
#(13-5) 
  
sin 와 
 
sin 를 비교하는 문제이다.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이고 
   
sin     cos 
   


 
 
이므로 
  
sin   × 
  
sin 이다.

#(13-6) 구간       에서      일 때   를 주기  의 Fourier series, 즉



   
  ∞
   로 전개하라는 문제이다. 단,  ≠ integer 이다.   의 주기가  이므로

 
      sin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에
         

   sin
   을 대입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므로 모든  에 대해    이다. 따라서
  
∞ ∞
   sin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cos   sin

  


 cos  sin

  
 cos  sin
 
  
 ⋯  이다.
 
즉, 주기가  이고 구간       에서      인 함수   의 Fourier series 는


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혹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cos  sin
 
  
 cos  sin
 
  
 ⋯  이다.
 

- 36 - S. Yoon
#(13-7) 구간       에서        일 때    를 주기  의 Fourier series 로
 ∞
전개하라는 문제이다.    가 우함수이므로      
 
 cos 로 전개하자. 


  
     이고

 

sin cos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cos cos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이다.
 
아래 오른쪽 그림은 cosine 항을 10개까지 더한 결과이다.

#(13-9)         
   

(a)    를 Fourier sine series 로 전개하려면    를 주기적인 기함수로 확장해야 한다.

(b)    를 위의 그림과 같이 확장하고 Dirichlet 조건을 적용하면    의 Fourier sine


series 는    에서  ,    에서 ,    에서 ,    에서  에 수렴한다.

(c)    를 주기  인 함수로 확장한 그림은 아래와 같고, 이를 Fourier exponential


∞ ∞
series, 즉     
  ∞
   로 전개하면, Parseval 의 정리에 의해 
  ∞
    는

    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과 같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37 - S. Yoon
#(13-10)         
   

(a)(b)    를 Fourier cosine series 로 전개하려면    를 주기적인 우함수로 확장하고,

   를 Fourier exponential series 로 전개하려면    를 주기  인 함수로 확장한다.

(a) (b)

(c) 위의 그림 (a)에 Dirichlet 조건을 적용하면    의 Fourier cosine series 는   

에서 ,    에서  ,    에서  ,    에서   에 수렴한다.

(d) 위의 그림 (b)에 Dirichlet 조건을 적용하면    의 Fourier exponential series 는

   에서  ,    에서  ,    에서  ,    에서   에 수렴한다.

#(13-11)         
   
: (문제 13-9, 10) 의 해당 그림 참고

(a) Fourier sine series : (문제 13-9(a)) 의 그림처럼    를 주기  인 기함수로




확장했으므로 Fourier sine series 는      

 sin 

이고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sin    cos 이어서    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b) Fourier cosine series : (문제 13-10(a)) 의 그림처럼    를 주기  인 우함수로


 ∞

확장했으므로 Fourier cosine series 는      
 
 cos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 S. Yoon
  
  
   cos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이어서    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c) Fourier exponential series : (문제 13-9(c)) 의 그림처럼    를 주기  인 함수로

확장했으므로 Fourier exponential series 는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어서    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혹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cos  sin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 sin
     
  
cos

 

sin

cos
 
   ⋯.
   

- 39 - S. Yoon
 

    을 계산해 보자.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그런데 (문제 11-7)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또 (문제 11-5) 에서  
   

 

, (문제 11-8) 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결과적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 

이 결과는 (문제 13-9(c)) 에서 Parseval 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한 값과 같다.

#(13-12) 한 지점에서 소리파(sound wave)에 의한 공기의 압력이 시간  의 함수 


 ∞
이고,  의 Fourier 급수가    
 

 cos     sin  이면, 그 지점에서
소리파의 apparent frequency 는   혹은   이 최대인   을 말한다. 따라서 소리파가
∞ ∞
cos 
 


    
, 즉

  

 cos  ,    ,   
    
이면,

   은    일 때 최대이므로 apparent frequency 는      ×    Hz  이다.

 
#(13-13) 구간      에서      일 때    의 주기  인 Fourier sine


series 는 아래 그림과 같은 기함수의 Fourier series 이다. 따라서    

  sin,

- 40 - S. Yoon
      
 cos  
   cos sin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cos         이다. 즉,      이다. 
      

이제 Parseval 의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13-14) 구간      에서        일 때    의 주기  인 Fourier series


 ∞
는 아래 그림과 같은 우함수의 Fourier series 이다. 따라서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sin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이다. 즉,     

   이다.
     

이제 Parseval 의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 cos  sin
#(13-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영역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으므로 편의상 이 영역에서      으로 두고

계산하자. 계산 결과가     인 영역에 대해서만 성립한다는 점을 잊지 않으면 된다.

- 41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cos   cos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cos  sin
 

  

   ∞
cos   sin  
#(13-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영역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으므로 편의상 이 영역에서      으로 두고

계산하자. 계산 결과가      인 영역에 대해서만 성립한다는 점을 잊지 않으면 된다.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cos 
  

 cos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sin

  
cos  

 
sin

    
cos  cos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cos  
  cos   cos     cos sin   
 
       
    

 ∞
cos sin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 ∞
cos  sin   ∞
cos  sin  

  


 →  


  

- 42 - S. Yoon

  

#(13-17)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sin 인데, 적분표 혹은  


 


sin    이므로     


WolframAlpha 로부터    
이 된다. 
 
 


sin    는 14장의 contour integration 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적분    

 


#(13-18)    와    가 서로의 Fourier Transform 이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어서


 와    가 서로의 Fourier Transform 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 Fourier Integral 에

∞ ∞

대한 Parseval 의 정리, 즉 Eq.(12.23)  ∞

        
  ∞

       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이다


<참고사항>

양자역학에서는 실공간(real space)에서의 파동함수    혹은 운동량()공간(momentum

space)에서의 파동함수  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기술한다. 실공간에서 시스템의

   
상태를 기술하고자 할 때, 운동량은 1차원에서는     , 3차원에서는    
∇ 와
  

같이 연산자로 표시된다. 여기서    인 상수이다. 또, 실공간에서의 파동함수   와


운동량공간에서의 파동함수  는 서로의 Fourier Transform 으로서, 대칭적인 Fourier


∞ ∞
 
Transform 의 정의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문제 12-35)에서 보인 바와 같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또 대칭적인

- 43 - S. Yoon
∞ ∞
Fourier Integral 에 대한 Parseval 의 정리  ∞

        ∞

      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이 문제에서 보인

∞ ∞ ∞ ∞
      
식 ∞
      
  ∞

     를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로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이 식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  가 실공간에서
   

시스템의 상태를 기술하고자 할 때의 운동량 연산자 


 이므로, 이 식이 의미하는 바는

시스템의 상태를 실공간에서 표현하건 운동량공간에서 표현하건 운동량()의 기대치가

같다는 것이다. 참고로 이 식을 양자역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bra-ket 형식으로 표현하면

〈  〉  〈  


   〉 가 된다.

#(13-19) Fourier Sine(Cosine) Transform 에 대한 Parseval 의 정리

(a) Fourier Sine Transform 에 대한 Parseval 의 정리


 
 
∞ ∞
 
Fourier Sine 변환은  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이므로 두 함수    ,    와 이들의 Fourier Sine 변환인    ,     에 대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라 두면  
        
    가 된다.

(b) Fourier Cosine Transform 에 대한 Parseval 의 정리


 
   
∞ ∞
 
Fourier Cosine 변환은        cos,        cos
   

이므로 두 함수    ,    와 이들의 Fourier Sine 변환인    ,     에 대해

- 44 - S. Y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라 두면  
      
   가 된다.


sin  
#(13-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sin 
  
   이고,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Parseval 의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정리  ∞
       
  ∞
      를 적용하면  

 
   이 된다.


#(13-21)    
  ∞
     이고 Dirichlet 조건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는 주기가  인 함수이다.

- 45 - S. Yoon

(a)   를 Fourier exponential series    
  ∞
   로 전개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데,     ,    로 치환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  ∞
   가 된다.



여기서    는    의 Fourier transform, 즉     
  ∞
      이다.

∞ ∞
(b) 앞에서 보인    
  ∞
 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Poisson's

∞ ∞
summation formula 
  ∞
    
  ∞
  을 구할 수 있다.

#(13-22) (문제 13-20) 에서 보인 같이            이면


sin 
   의 Fourier transform 은      이다.
 

그런데 위 그림에서 보듯이    인 경우에, 정수  에 대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이제 (문제 13-21) 에서 구한 
  ∞
    
  ∞
  을 적용하면

∞ ∞
sin  sin  
  
  ∞


인데,  를  로 바꾸면 
  ∞


  이다. 단,      이다.

- 46 - S. Yoon
cos
#(13-23)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12-11)

∞ ∞

Parseval 의 정리  ∞
       
  ∞
      를 이용하자.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이므로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다.

- 47 - S. Yo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