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4

제 1 장 요약문

1.1 대상사업의 개요
1.2 대상사업의 설정
1.3 지반 및 지질현황
1.4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1.5 지반안정성 검토
1.6 지하안전 확보방안
1.7 결론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제 1 장 요약문
1.1 대상사업의 개요

1.1.1 대상사업의 개요

사업의 배경 및 목적
본 사업은 만성적 교통정체 구간인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경제성 분석,
사업목적 교통분석, 기술적 사항을 종합 검토하고기 수행한 기본계획과 대안노선의 비교검토 및 최적 노선을
선정하여 원활한 교통처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 분 사 업 배 경 및 현 황
본 사업부지는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잠실대교 남단(잠실동) 일원”으로 잠실대교 남단에
위치하며, 올림픽대로와 기존 도시부 도로를 연결하는 연결램프의 추가 설치를 위한 사업이다.
잠실대교 남단IC
사업구간 북쪽은 한강이며, 남쪽은 롯데월드, 송파구청 및 잠실동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주변도로로는 송파대로, 한가람로, 올림픽로 등이 있다.
본 사업부지는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천호대교 남단(풍납동) 일원”으로 천호대교 남단에
위치하며, 올림픽대로와 기존 도시부 도로를 연결하는 연결램프의 추가 설치를 위한 사업이다.
천호대교 남단IC
사업구간 북쪽은 한강이며, 남쪽은 현대백화점, 풍납토성 및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주변도로로는
천호대로, 한가람로, 지하철5호선 등이 있다.
사업개요
구 분 내 용
사업명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기본 및 실시설계
사업위치 서울특별시 잠실대교 및 천호대교 남단IC 주변
올림픽대로 : 연장(L)=2.1km (왕복6차로)
사업규모 잠실대교 남단IC : 차로폭 1차로, 교량 L=33m, 지하차도 L=300m
천호대교 남단IC : 차로폭 1차로, 지하차도 L=193.8m
잠실대교 남단IC : 최대 19.19m (GL(-)19.19m, EL(+)2.073m)
굴착깊이
천호대교 남단IC : 최대 9.40m (GL(-)9.40m, EL(+)13.825m)
사업기간 2016년 6월 9일 ~ 2019년 4월 30일
사업시행자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사업승인기관 서울특별시 송파구청
잠실대교 남단IC : 37,524,403,000원
사업비
천호대교 남단IC : 31,104,115,000원

잠실대교 남단IC 주변현황도 천호대교 남단IC 주변현황도

1-1
제 1 장 요약문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 14조 및 시행령 제13조에 의거 최대 굴착깊이 2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혹은


터널(산악터널 또는 수저터널 제외) 공사를 수반하는 사업일 경우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실시.
본 사업은 올림픽대로와 도시부 도로를 연결하는 연결램프의 추가 설치를 위한 사업으로 잠실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으며,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다.
잠실구간의 가시설 구간 최대굴착심도는 GL(-)19.19m로 계획되었으며, 천호구간의 가시설 구간 최대굴착심도는
GL(-)9.40m로 계획되어 있다.
천호구간의 가시설 구간 최대굴착심도는 9.40m로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조건인 10m 이상 20m 미만인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음. 따라서, 잠실구간 비개착터널 2개소, 가시설 3개소 및 천호구간 비개착터널 2개소에 대하여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실시.

구 분 내 용
제14조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등)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중 대통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지하 굴착공사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수반하는 사업을 하려는 지하개발사업자는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특별법
1, 도시의 개발사업 ~
5. 도로의 건설사업
제13조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의 규모 등)
① 법 제14조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지하굴착공사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수반하는 사업’이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말한다.
특별법 시행령 1. 굴착깊이(공사 지역 내 굴착깊이가 다른 경우에는 최대 굴착깊이를 말한다. 이하 같다)가
2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
2. 터널[산악터널 또는 수저터널은 제외한다] 공사를 수반하는 사업

가시설 굴착구간(중앙부) 전개도

1- 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2 대상사업의 설정
1.2.1 대상사업의 설정

굴착영향범위 검토결과
잠실대교 남단IC 구간

경험식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사업대상부지의 굴착공사에 따른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경험식 추정방법은 Peck(1969), O'Rourke(1976), Clough, O'Rourke(1990)의 방법 모두 굴착 깊이의 2배로 제시되어
약 40m로 산출되었다. 반면, 사업구간의 해석단면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굴착에 의한 영향범위는 52.2m로 검토되었음.
굴착영향범위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 방법을 고려한 보수적인 값을 적용하여 3H(굴착깊이)인 60m를
적용하였다.

Clough,
Peck(1969) O'Rourke(1976) 수치해석 적용범위
O'Rourke(1990)
2.0H(굴착깊이) 2.0H(굴착깊이) 2.0H(굴착깊이) ≒3.0H(굴착깊이)
52.2m
약 40m 약 40m 약 40m 60m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정성 영향 검토 대상지역

1-3
제 1 장 요약문

천호대교 남단IC 구간

가시설구간은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므로 비개착터널에 대한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터널구간의 영향범위는 터널 굴착폭(11.80m)의 3배를 적용하여 36.00m로 선정하였으며, 그 영향범위 다음과 같다.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정성 영향 검토 대상지역

1- 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영향 검토 대상지역 구조물 현황 조사
지하매설물에 관한 정보

굴착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하에 존재하는 각종 매설물들의 위치와 심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우수 및 오수관로, 전력선로, 상수도관로, 도시가스관, 통신관로 등이 포함된다.
관련자료는 지하매설물 관망도와 현장조사 및 측량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비교·대조하였다.
사업대상부지의 굴착영향범위내 지하매설물은 지표 아래 1.0 m ~ 3.0 m에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교차 및 변곡, 중첩되는 구역과 하부에 직경이 500mm를 초과하는 우수관로가 위치한 도로는 굴착
진행에 따른 변위발생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지하굴착(흙막이 벽체 시공)시 인접부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수그라우팅(S.G.R GROUTING, Φ1,000, C.T.C
800)으로 계획하였으나, 굴착시 인근에 설치된 계측기의 계측값을 확인하여 계측관리기준에 따른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 중 계측빈도 : 1~2회/일 또는 자동화계측)

구분 상수관 하수관 난방관 고압선


규격 D250, D1500, D2200 D600 - Φ150
관계기관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공사

잠실대교 남단IC구간
사업구간 주변 지하매설물 위치도

1-5
제 1 장 요약문

1.3 지반 및 지질 현황

1.3.1 지형 및 지질분석
지형현황 분석

잠실구간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및 신천동 일원에 위치한다.


사업대상부지 남쪽으로 롯데월드, 송파구청 및 잠실동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송파대로, 한가람로, 올림픽로, 지하철
2호선, 8호선 등이 있다.
천호구간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및 강동구 천호동 일원에 위치한다.
사업대상부지 남쪽으로 현대백화점, 풍납토성 및 풍납동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천호대로, 한가람로, 지하철 5호선, 8호선 등이 있다.
산계는 북쪽에 아차산이 분포하고 있으나 산세가 험하지 않고 그 외의 지형은 대부분 평지로 되어있다.
수계는 주요 하천으로 북쪽에 한강이 있으며, 한강은 화천-춘천-청평을 거쳐 흐르는 북한강과 여주-양평을 거쳐 흐르는
남한강이 합쳐져 서해로 유입됨.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류로 경기도 남쪽으로 흘러내려가는 탄천이 있다.

지질현황 분석

본 과업지역은 한국지질자원연구소에서 발간한 뚝섬 도폭(1981)을 참고하였다.


본 과업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에 속하는 경기편마암복합체(호상편마암, 운모편암)를 제4기 충적층과 홍적층이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과업구간의 암상은 호상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였다.
운모편암은 호상편마암 내에 잔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백운모의 함량이 높고 풍화의 정도가 심하게 되어 있으며
암갈색 또는 암회색을 보인다.
호상편마암은 경기편마암복합체 중에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우백질인 석영과 우흑질인 흑운모가 교호하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과업구간에는 단층이나 습곡 같이 규모가 큰 지질구조는 보이지 않으며, 북서쪽에는 중생대 시기에 조산운동에 의해
나타난 대보화강암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기복도 지질도

1- 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3.2 지하정보통합체계를 통한 기본자료 조사

국토지반정보통합DB센터(https://www.geoinfo.or.kr) 자료를 이용하여 사업지역 인근에서 조사된 시추조사 정보를


획득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사업대상지 인근의 경우 다수의 시추조사로 인하여 많은 시추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그 자료의 양이 방대하여 대표적인
시추공 8개소(잠실구간 5공, 천호구간 3공)를 선택하여 검토하였다.
대표 시추공 8개소는 ‘잠실대교 확장 기본 및 실시설계’, ‘지하철 5-11공구 지반조사’ 등 총 5개의 과업에서
선택하였으며,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보고서 “4.2 사업대상지 지반조사”에 기술한 지반조사값과 인근 자료값을 비교 검토한 결과 지층별 층후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잠실대교 남단
잠실구간 인근 기존 시추조사 위치

잠실구간 조사자료 현황
과업명 활용 시추공 비고
잠실대교 확장 기본 및 실시설계 4공 AAH-52, 54, 58, 61
잠실2단지 재건축아파트 신축공사 추가 지반조사 1공 BH-82

천호대교 남단
잠실구간 인근 기존 시추조사 위치

1-7
제 1 장 요약문

천호구간 조사자료 현황
과업명 활용 시추공 비고
지하철 5-11공구 지반조사 1공 AAP-10
명일분기 전력구공사 설계용역 지반조사 1공 BH-1
한강개발 기본설계 토질조사 1공 ABF-145

인근 기존 시추공 검토요약
검토항목 사 업 배 경 및 현 황
조사지역 최상부층으로 지표로부터 0.8m∼4.4m 심도까지 분포한다.
매 립 층 대체로 실트, 자갈섞인 모래 및 모래섞인 자갈로 구성된다.
느슨 또는 보통 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인다.
퇴적층은 조사지역 내 매립층 하부에 분포하며, 대체적으로 10.0m 이상 깊게 나타난다.
퇴 적 층 주로 실트질 모래 또는 모래섞인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
습윤한 상태이며 갈색, 황갈색 또는 회백색을 띈다.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풍화된 암맥, 습윤상태이다.
풍 화 토 보통조밀 내지 매우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인다.
조사개수 8개소 중 2개소에서 조사된다.
모암인 편마암의 풍화암, 암편으로 파쇄되어 있다.
풍 화 암 심한 풍화상태이고, 견고하며. 매우조밀하다.
조사개수 8개소 중 6개소에서 조사되었다.

기 반 암 전체적으로 균열이 심하고 파쇄대 분포한다.


(연암, 약간풍화 또는 보통풍화 상태이며, 파쇄로 인해 코어 회수가 매우 불량하다.
보통암, 조사지역은 매립 및 퇴적층의 층후가 두텁게 분포하여 기반암이 깊은 심도에서 출현하며, 조사공에서 일부만
경암) 확인되었다.

1- 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3.3 사업대상지 시추조사 및 설계지반정수 산정

지반조사 개요
과업구간의 지층분포상태 및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설계에 필요한 지반공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추조사 및
현장시험,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3공의 시추조사를 포함하여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지층분포를 분석하고 지반물성을 산정하였다. 또한 시추조사
및 지하수위 관측공은 기술자의 판단 하에 해당 부지 내에서 부지경계, 굴착깊이가 깊은 지역, 구조물이 위치할 지역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시추조사 위치도
잠실구간 시추조사 위치도

천호구간 시추조사 위치도

시추조사공 현황
구 분 공번 표고(EL(+)m) 시추심도(m) 지하수위(GL(-)m) 지하수위(EL(+)m)
BH-1 18.28 29.4 15.0 3.28
BH-2 18.02 25.3 14.8 3.22
잠실대교 BH-3 16.01 26.0 12.9 3.11
BH-5 16.68 24.0 13.2 3.48
NH-1 12.10 17.2 7.5 4.60
BH-7 19.50 37.0 13.6 5.90
천호대교
BH-10 22.39 41.5 16.1 6.29

1-9
제 1 장 요약문

시추조사공 현황(계속)
구 분 공번 표고(EL(+)m) 시추심도(m) 지하수위(GL(-)m) 지하수위(EL(+)m)
BH-11 17.77 32.0 11.1 6.67
BH-12 18.01 34.0 12.1 5.91
NBH-1 19.70 45.5 13.1 6.60
천호대교
NBH-2 20.30 38.6 14.3 6.00
NBH-3 20.90 40.0 15.0 5.90
NH-2 12.66 32.6 6.4 6.26

조사항목
구 분 단위 기존 추가 결과활용
시추조사 공 11 2 지층분포상태 파악 및 원위치 시험공 제공
표준관입시험 회 325 43 토층의 연경도 및 상대밀도 파악 및 시료채취
현장 공내재하시험(PMT) 회 1 4 기반암의 변형특성 산정
조사 공내재하시험(G/J) 회 3 0 기반암의 변형특성 산정
및 현장투수시험 회 8 4 토사층 및 풍화암의 투수계수 산정
시험 하향식 탄성파탐사 회 9 0 기반암의 투수계수 산정
시추공 양수시험 회 0 1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및 저류계수 산정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회 0 1 지하수 흐름방향 및 속도 평가
토질기본물성 회 17 2 토질의 분류 및 물리적특성 파악
토 다짐시험 회 10 0 토질의 최대건조밀도 및 최적함수비산정
실내 질 실내CBR시험 회 10 0 CBR값 산정
시험 직접전단시험 회 10 0 쌓기재료의 강도정수 산정
암 암석기본물성 회 3 2 암석의 물리적특성 파악
석 일축압축강도시험 회 7 2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산정

조사지역 지층개황
검토항목 사 업 배 경 및 현 황
조사지역 최상부층으로 지표로부터 4.0m∼12.0m 심도까지 분포한다.
매 립 층 대체로 실트질, 자갈섞인 모래 및 모래섞인 자갈로 구성된다.
느슨 또는 보통 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인다.
퇴적층은 조사지역 내 매립층 하부에 분포하며, 대체적으로 10.0m 이상 깊게 나타난다.
퇴 적 층 주로 실트질 모래 또는 모래섞인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
습윤한 상태이며 갈색, 담갈색 또는 황갈색을 띈다.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풍화된 암맥, 습윤상태이다.
풍 화 토 보통조밀 내지 매우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인다.
조사개수 13개소 중 10개소에서 조사되었다.
모암인 편마암의 풍화암이며, 굴진시 암편섞인 실트질모래로 분해된다.
풍 화 암
풍화상태가 심하고, 매우조밀하다.
기 반 암
(연암, 전체적으로 풍화정도 및 균열이 심하고 절리면이 존재한다.
보통암, 조사지역은 매립 및 퇴적층의 층후가 두텁게 분포하여 기반암이 12.2m~42.2m 깊은 심도에서 출현하였다.
경암)

1- 1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지반정수 산정결과 요약
토사 및 풍화암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투수계수


구 분 포아송비
(kN/m3) (kPa) (゚) (MPa) (cm/sec)
모래 19.0 1.0 26.0 9.0 0.36 4.6×10-3
매립층
자갈 19.0 0.0 32.0 32.0 0.33 8.6×10-3
점성토 17.0 37.0 20.0 6.0 0.40 8.3×10-4
퇴적층 모래 18.0 0.0 28.0 10.0 0.34 5.3×10-3
자갈 19.0 0.0 33.0 41.0 0.33 8.0×10-3
풍 화 토 19.0 15.0 30.0 60.0 0.45 2.4×10-4
풍 화 암 20.0 30.0 32.0 240.0 0.30 1.1×10-4
주) 실제 매립층(모래)의 점착력은 0.0kPa이나, 수치해석시 강도정수가 매우 불량(점착력이나 내부마찰각이 0인 경우)하여
정확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겉보기 점착력 1.0kPa을 적용함.

기반암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투수계수


구 분 포아송비
(kN/m3) (kPa) (゚) (MPa) (cm/sec)
연 암 23.0 300.0 34.0 1,100 0.26 5.5×10-5
경 암 26.0 1,000.0 38.0 13,000 0.22 5.9×10-6

1-11
제 1 장 요약문

1.4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1.4.1 광역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예비평가

평가 목적

자연적인 지하수위 분포 및 흐름상태를 모델에 재현하고 인위적 요인에 의한 지하수 거동 특성을 예측하였다.
굴착공사에 따른 지하수 유입량을 분석하고 인근 지하수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델영역 설정
모델영역 및 격자망 구성

∙ 본 모델에서는 지표 분수령 및 유입·유출경계인 하천과, 지하철 2, 8호선 노선을 고려하여 모델영역을 설계하였다.
∙ 잠실-천호 사업지구의 지하수 유입 및 유출원 역할을 하는 탄천, 한강, 성내천, 지하철 2, 8호선을 유역경계로 가로
7.5 km× 세로 3.0 km 의 모델영역을 설정하였다.
∙ 모의 대상지역의 격자망은 373행, 213열, 3층으로 총 238,347개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모델 외곽부 격자 크기는 50m×50m
~ 25m×25m, 사업부지는 5m×5m의 세격자망(fine grid)으로 생성하여 수치해석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였다.
∙ Layer 는 사업대상지역의 지반조사 및 인근 시추자료를 고려해 토사층, 풍화암, 기반암으로 개념화하여 3층으로
구성하였다.

모델영역 격자망 구성

󰋯격자망은 373행, 213열, 3층으로 총 238,347개 격자로


󰋯모델영역은 사업지구를 둘러싸며 흐르는 한강, 성내천, 탄천
구성하였다.
등 하천경계와 지하철 2호선, 5호선 노선을 경계로 설정하였다.
󰋯모델 외곽부 격자 크기는 50m×50m ~ 25m×25m,
󰋯가로 7,500m, 세로 3,000m
사업부지는 5m×5m의 세격자망(fine grid)으로 생성하였다.

경계조건 및 수리전도도 설정

경계조건

∙ 경계조건은 지하수의 유입 및 유출을 지배하는 입력인자로서 실제 모사지역의 상태를 면밀히 검토하고 수리지질학적
검토 후 설정해야함. 금번 사업지구는 한강, 성내천, 탄천, 지하철 노선(2호선,5호선)을 주요 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 모델영역 내 수계발달지역인 성내천, 탄천은 지하수 유동이 형성되는 특성을 보이므로 하천 경계(River Boundary)조건,
한강은 일정수두경계(Constant Head Boundary), 지하철 2호선, 5호선 라인은 운영 중 지속적인 지하수 유출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배수경계 (Drain Boundary) 조건과 일반수두경계(General Head Boundary)조건으로 입력하였다.
∙ 일정수두경계(Constant Head Boundary)로 입력한 한강은 잠실대교 하부 수중보에 따른 수위차를 고려하여
입력하였다(수위차 약 3m).

1- 1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수리지질조건

∙ 현장수리시험결과와 지반설계정수를 분석하여 입력, 수리지질조건 적용하였다.


∙ 모델보정을 통해 같은 수리지질특성을 갖는 지역(대수층 구역화, zoning)을 설정하여 적절한 수리지질인자를 최적
적용하여 부정류 상태 해석을 시행하였다.

경계조건 수리전도도 조건

∙ 현장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수문 지질도 등의 자료를


분석 하여 모델영역 내 수리전도도 분포지역을 4개
󰋯모델영역은 사업지구를 둘러싸며 흐르는 한강, 성내천, 지역으로 구역화(Zoning)하였다.
탄천 등 하천경계와 지하철 2호선, 5호선 노선을 경계로 ∙ 모델보정을 통해서 수리전도도 분포지역 영역을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최종적인 수평적 수리
󰋯가로 7,500m, 세로 3,000m 전도도 분포 영역을 적용하였다.
∙ 수리전도도 입력상수는 지반조사보고서의 지층별
투수계수를 적용하였다.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량을 예측하였다.


최대 변화량은 BH-5에서 5.92m, 최소 변화량은 BH-2에서 2.05m로 예측되었다.
굴착완료 후, 구조물공사 기간동안 지하수위는 지속적으로 하강하지만 공사완료 후 모든 관측정은 90% 이상의 회복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굴착완료(6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ㅔㅔ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1-13
제 1 장 요약문

굴착완료 후 3개월 경과(15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굴착완료 후 6개월 경과(24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굴착완료 후 11개월 경과(39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공사완료 후 1개월 경과(42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1- 1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공사완료 후 2개월 경과(45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공사완료 후 3개월 경과(48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공사완료 후 5개월 경과(540일경과)


지하수위 분포 수두강하로 인한 영향권역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입량 분석

유입 및 유출량 분석 모듈인 Zonebudget을 이용하여 굴착공사 중 유입되는 지하수량의 변화를 경시별로 예측하였다.
굴착공사에 따른 지하수 유입량은 굴착단계에 따라 107.0 ∼ 496.5㎥/day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굴착이 끝나고 공사가 완료되는 단계(배수시스템 중지)에서는 최대유출량 대비 약 96.1 ~98.1 %인 0.4 ~ 1.4 ㎥/day로
감소하여 지하수위가 준정류 상태에 도달하면서 지하수 유출량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1-15
제 1 장 요약문

추진기지 및 도달기지 영역 설정 경시별 유출량 변화

1- 1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4.2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상세평가

잠실구간 설계지하수위 산정
국가지하수 관측망 검토

잠실구간 인근 국가 지하수 관측정은 사업부지로부터 약 10.6km 떨어진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550번지”에 위치하는
“과천과천(암반) 관측소”로서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의 수위측정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관측기간 지하수위 변화량은 최대 0.20m로 확인되었다.
수위변화량은 평균수위에서 최저수위, 최고수위차 중 큰 값을 적용하였다.

최고수위 최저수위 평균수위 수위변화량


위 치 이격거리
(EL(+), m) (EL(+), m) (EL(+), m) (m)
과천과천 약 10.6km 24.87 24.57 24.67 0.20

보조지하수 관측망 검토

잠실구간 인근 보조 지하수 관측정은 사업부지로부터 약 0.9km 떨어진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하는
“잠실고등학교 관측소”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하는 “부리근린공원 관측소”로서 각각 2013년
1월 1일부터 2019년 2월 18일, 2013년 1월 1일부터 2019년 4월 4일까지의 수위측정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관측기간
지하수위 변화량은 각각 최대 4.70m, 2.20m로 확인되었다.
수위변화량은 평균수위에서 최저수위, 최고수위차 중 큰 값을 적용하였다.

최고수위 최저수위 평균수위 수위변화량


위 치 이격거리
(EL(+), m) (EL(+), m) (EL(+), m) (m)
잠실고등학교 약 0.90km 7.93 0.91 3.23 4.70
부리근린공원 약 0.90km 10.58 6.90 9.10 2.20

강우강도를 고려한 수치해석 검토

사업부지 인근에 위치한 서울(유)기상관측소의 50년간(1969년~2018년) 기후자료 극값(최대값)을 검토하여 일


최다강수량을 시점으로 50일 강우강도를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검토를 수행하였다.
강우에 의한 수위상승 검토결과 초기지하수위 EL(+)4.60m에서 최대 5.62m 상승하여 EL(+)10.22m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초기지하수위 EL(+)4.60m는 해당단면의 시추공 중 최고 측정수위인 NH-1의 지하수위를 적용하였다.

설계지하수위 검토 결과

잠실구간 설계지하수위는 지하수위 상승량이 최대인 강우강도를 고려한 수치해석 결과를 적용하여
초기지하수위(EL(+)4.60m)보다 5.62m 상승한 EL(+)10.22m로 산정하였다.

지하수위 상승량
초기지하수위
국가지하수 보조지하수 강우강도를 설계지하수위
(NH-1)
관측정 검토 관측정 검토 고려한 수치해석
EL(+)4.60m 0.20m 4.70m 5.62m (최대값) EL(+)10.22m

1-17
제 1 장 요약문

천호구간 설계지하수위 산정
국가지하수 관측망 검토

천호구간 인근 국가 지하수 관측정은 사업부지로부터 약 10.2km 떨어진 “경기도 하남시 하산곡동 산18-34”에
위치하는 “하남하산곡(암반) 관측소”로서 2005년 1월 1일부터 2019년 3월 31일까지의 수위측정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관측기간 지하수위 변화량은 최대 3.26m로 확인되었다.

최고수위 최저수위 평균수위 수위변화량


위 치 이격거리
(EL(+), m) (EL(+), m) (EL(+), m) (m)
하남하산곡 약 10.2km 78.59 72.39 75.33 3.26

보조지하수 관측망 검토

천호구간 인근 보조 지하수 관측정은 사업부지로부터 약 1.2km 떨어진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2동”에 위치하는
“천호2동자치회관 관측소”로서 2013년 1월 1일부터 2019년 4월 4일까지의 수위측정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관측기간 지하수위 변화량은 최대 1.15m로 확인되었다.

최고수위 최저수위 평균수위 수위변화량


위 치 이격거리
(EL(+), m) (EL(+), m) (EL(+), m) (m)
천호2동
약 1.20km 10.20 7.92 9.05 1.15
자치회관

강우강도를 고려한 수치해석 검토

사업부지 인근에 위치한 서울(유)기상관측소의 50년간(1969년~2018년) 기후자료 극값(최대값)을 검토하여 일


최다강수량을 시점으로 50일 강우강도를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검토를 수행하였다.
강우에 의한 수위상승 검토결과 초기지하수위 EL(+)6.67m에서 최대 6.19m 상승하여 EL(+)12.86m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초기지하수위 EL(+)6.67m는 해당단면의 시추공 중 최고 측정수위인 BH-11의 지하수위를 적용하였다.

설계지하수위 검토 결과

천호구간 설계지하수위는 지하수위 상승량이 최대인 강우강도를 고려한 수치해석 결과를 적용하여
초기지하수위(EL(+)6.67m)보다 6.19m 상승한 EL(+)12.86m로 산정하였다.

지하수위 상승량
초기지하수위
국가지하수 보조지하수 강우강도를 설계지하수위
(BH-11)
관측정 검토 관측정 검토 고려한 수치해석
EL(+)6.67m 3.26m 1.15m 6.19m (최대값) EL(+)12.86m

1- 1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검토
검토개요

사업대상부지의 굴착으로 인한 지하수 영향 분석을 위하여 가장 인접한 서울(유) 기상관측소의 최근 50년간 기상자료를
참고하여 강우강도를 적용하였으며, 검토된 지하수위 상승량을 적용하여 수위 변화량 및 침투유량을 검토하였다.
공사기간을 고려하여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량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GTS NX를 사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대표단면 선정

해당 과업 구간은 한강변에 위치하고, 올림픽대로 및 도시부도로가 인접하여 있으므로, 안정성 평가 시 흙막이 벽체


및 인접구조물, 지하매설물 등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함. 따라서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적합한
단면을 대표 단면으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 굴착 심도가 가장 깊은 구간
- 인접 구조물이 사회기반 주요시설물이 존재하는 경우
- 지층의 형태가 매우 불안한 경우
- 굴착 단계 또는 단면의 형상이 매우 불안한 경우
상위 4가지를 포함한 구간을 다음과 같이 C-C, D-D, E-E 3가지로 나눠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검토하였다.

해석단면 위치도

1-19
제 1 장 요약문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 검토(차수 적용)

침투해석 결과 요약

지하수위 저하, (m) 지하수 유출량, (㎥/day/m)


구 분 1일 최대 누적 단계별 최대 유출량 합계유출량 총유출량
지하수위 저하량 지하수위 저하 최대 저하량 (바닥/벽체) (㎥/day/m) (㎥/day)
Sec C-C
0.080 / 0.046 0.338 / 0.179 0.120 / 0.065 0.48/0.16 0.56 5.30
(좌/우)

Sec D-D
0.200 / 0.200 1.462 / 1.465 0.369 / 0.368 1.26/0.50 1.58 16.58
(좌/우)

Sec E-E
0.605 / 0.620 1.435 / 1.378 0.738 / 0.743 2.61/0.36 2.98 32.74
(좌/우)

침투해석 결과 요약(단면 C-C)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굴착단계별 유출량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좌측 0.338m, 우측 0.179m 󰋯바닥 유출량 : 4.53㎥/day, 벽체 유출량 : 1.57㎥/day

침투해석 결과 요약(단면 D-D)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굴착단계별 유출량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좌측 1.462m, 우측 1.465m 󰋯바닥 유출량 : 13.26㎥/day, 벽체 유출량 : 2.60㎥/day

1- 2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침투해석 결과 요약(단면 E-E)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굴착단계별 유출량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좌측 1.435m, 우측 1.378m 󰋯바닥 유출량 : 28.76㎥/day, 벽체 유출량 : 3.85㎥/day

1-21
제 1 장 요약문

1.5 지반안정성 검토
1.5.1 검토개요

지반 안정성 검토는 자연적인 요인(지질특성, 지반조건, 지하수 등)과 외부 요인(인접구조물, 지하매설물 등)을 충분히
조사하고 반영해야 하며, 사업부지 굴착 계획의 공법 및 순서 등을 고려하여 굴착에 의한 주변지반의 영향을 검토해야
한다.

흙막이 공법 선정
잠실구간 현장조건
구 분 내 용
지층 분포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지하수위 지표면 이하 GL(-)7.5m ~ GL(-)15.0m(EL(+) 3.11m ~ EL(+) 4.60m)
설계조건 굴착심도 EL(+)9.136m~EL(+)19.19m, Hmax = 19.19m
올림픽대로(김포), 올림픽대로(하남), 한가람로, Ramp-A, Ramp-B Ramp-C, Ramp-D,
주변현황
Ramp-E, Ramp-F, Ramp-G

천호구간 현장조건
구 분 내 용
지층 분포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지하수위 지표면 이하 GL(-)6.4m ~ GL(-)16.1m(EL(+) 5.90m ~ EL(+) 6.67m)
설계조건 굴착심도 EL(+)6.209m~EL(+)9.40m, Hmax = 9.40m
올림픽대로(김포), 올림픽대로(하남), 한가람로, Ramp-A, Ramp-B Ramp-C, Ramp-D,
주변현황
Ramp-E

공법 및 선정사유
구 분 적 용 공 법

SHEET PILE 공법, H-Pile + 토류판 + SGR GROUTING


본 현장의 굴착구간이 한강변에 위치하여 지하수위가 높은 구간은 차수성이 우수한 Sheet Pile 공법을
흙막이벽체
적용하였으며, 지층조건이 양호하고 지하수위가 낮게 위치한 구간은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의 여러가지 여건들을
고려하여, 시공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H-Pile + 토류판 + SGR Grouting공법을 적용하였다.

STRUT 공법
앵커 점용이 불가한 사유지 및 구조물 인접구간에는 지간거리가 길고, 조립식으로 공정이 신속한 Sturt
공법 적용하였다.
지보재
E/ANCHOR 공법
본 현장의 굴착깊이, 주변여건, 평면형상, 지층조건 등을 고려하여 부지외부 간섭이 없고, 시공성이
우수하고 안정성 확보에 유리한 E/Anchor 공법 적용하였다.

1- 2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구간 선정
잠실대교 남단IC구간
검토구간 선정 사유
과업구간의 굴착면적 및 위치별 굴착심도, 지층구성을 고려하여 총 5개의 단면을 선정하여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및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특히, 선정된 각 단면은 해당 구간 중 굴착 깊이가 가장 깊은 단면 위주로 선정하였고, 이에 주변의 인접건물,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으므로, 해당 단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확인되면, 해당 구간의 타 단면 또한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어 선정하였다.

해석단면 위치도

잠실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고, 비개착터널 연장은
100.5m(1구간 : 41.60m, 2구간 : 58.90m), 가시설 굴착 깊이는 9.136~19.19m임. 각 구간 중 가장 굴착깊이가 깊은
단면들을 선택하여 검토단면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터널 2개 단면, 가시설 3개 단면으로 검토단면을 설정하였음. 또한, 전체구간에 대한 3차원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보다 현장여건을 정확히 모사한 수치해석 검토를 수행하였다.

1-23
제 1 장 요약문

단면 A-A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가 위치하고 상부에 올림픽대로(김포), 우측으로 Ramp C가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단면 B-B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가 위치하고 상부에 Ramp D, Ramp E가 위치하며, 우측에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1- 2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단면 C-C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김포)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Ramp C와 그 아래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는 13.961m(EL(+)6.059m)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단면 D-D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Ramp E 및 지하매설물(상수관)이 위치하고 우측으로 올림픽대로(김포),


RampC와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은 잠실구간 중 최대 굴착깊이 19.19m(EL(+)2.073m)를 나타내는 위치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1-25
제 1 장 요약문

단면 E-E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및 Ramp D, Ramp E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한가람로와 그 하부에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 난방관)이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는 12.055m(EL(+)6.645m)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1- 2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천호대교 남단IC구간
검토구간 선정 사유
과업구간의 굴착면적 및 위치별 굴착심도, 지층구성을 고려하여 총 2개의 단면을 선정하여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및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특히, 선정된 각 단면은 주변의 인접건물,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으므로, 해당 단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확인되면, 해당 구간의 타 단면 또한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어 선정하였다.

해석단면 위치도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고, 비개착터널 연장은
51.06m(1구간 : 21.20m, 2구간 : 29.86m), 가시설 굴착 깊이는 6.209m~9.40m이다.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경우 최대 굴착 깊이가 9.40m로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조건인 10m 이상 20m 미만인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이에 터널 2개 단면 및 전체구간에 대한 3차원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보다 현장여건을 정확히 모사한 수치해석
검토를 수행하였다.

1-27
제 1 장 요약문

단면 A-A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상부에 올림픽대로(하남)가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단면 B-B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상부에 올림픽대로(김포)가 위치한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1- 2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5.2 지반안정성 검토결과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정성 검토 요약
인근 도로 침하량 검토 결과 요약
발생침하량 부등침하
구 분 각변위 판정
(mm) (mm)
올림픽대로(하남) 0.04 < 25.0 0.03 < 10.0 1.61×10-6 < 2.0×10-3 O.K
단면
올림픽대로(김포) 0.14< 25.0 0.07 < 10.0 3.57×10-6 < 2.0×10-3 O.K
A-A
-6 -3
Ramp-C 0.05 < 25.0 0.02 < 10.0 2.06×10 < 2.0×10 O.K
올림픽대로(하남) 0.05< 25.0 0.04 < 10.0 1.86×10-6 < 2.0×10-3 O.K
단면
Ramp-D 0.19< 25.0 0.13 < 10.0 1.91×10-5 < 2.0×10-3 O.K
B-B
-3 -3
Ramp-E 0.06< 25.0 0.04< 10.0 3.57×10 < 2.0×10 O.K
올림픽대로(하남) 1.37 < 25.0 0.39< 10.0 2.44×10-5 < 2.0×10-3 O.K
잠 단면
실 올림픽대로(김포) 1.71 < 25.0 1.14< 10.0 6.33×10-5 < 2.0×10-3 O.K
C-C
-5 -3
구 Ramp-C 2.34 < 25.0 0.48< 10.0 4.95×10 < 2.0×10 O.K
간 올림픽대로(김포) 3.04< 25.0 0.73 < 10.0 8.13×10-5 < 2.0×10-3 O.K
-4 -3
단면 Ramp-C 4.28 < 25.0 2.05< 10.0 1.28×10 < 2.0×10 O.K
D-D 올림픽대로(하남) 4.11 < 25.0 2.05< 10.0 1.28×10 -4
< 2.0×10 -3
O.K
Ramp-E 2.99 < 25.0 1.15 < 10.0 7.19×10-5 < 2.0×10-3 O.K
-5 -3
Ramp-E 3.18 < 25.0 1.28 < 10.0 8.0×10 < 2.0×10 O.K
-5 -3
단면 Ramp-D 3.81 < 25.0 0.45 < 10.0 7.5×10 < 2.0×10 O.K
E-E 올림픽대로(하남) 3.86< 25.0 2.01 < 10.0 2.45×10-4 < 2.0×10-3 O.K
-4 -3
한가람로 3.73 < 25.0 1.93 < 10.0 1.38×10 < 2.0×10 O.K

천 단면
올림픽대로(하남) 0.012 < 25.0 0.01< 10.0 7.75×10-8 < 2.0×10-3 O.K
호 A-A
구 단면
간 올림픽대로(하남) 0.003< 25.0 0.001 < 10.0 7.75×10-8 < 2.0×10-3 O.K
B-B

비개착터널구간 결과 요약
비개착터널 천단변위 검토 결과 요약
구 분 발생변위량(mm) 발생 위치
단면 A-A 0.31 중간부
잠실구간
단면 B-B 0.58 중간부
단면 A-A 0.03 중간부
천호구간
단면 B-B 0.12 중간부
비개착터널 측벽변위 검토 결과 요약
구 분 발생변위량(mm) 발생 위치
단면 A-A 0.76 좌측
잠실구간
단면 B-B 0.55 좌측
단면 A-A 0.09 좌측
천호구간
단면 B-B 0.32 우측

1-29
제 1 장 요약문

터널상부 지표침하량 검토 결과 요약
구 분 최대 침하량(mm) 발생 위치
단면 A-A 0.300 중간부
잠실구간
단면 B-B 0.400 중간부
단면 A-A 0.012 중간부
천호구간
단면 B-B 0.007 중간부

지하매설물 침하량 검토 결과 요약

발생침하량 허용침하량 발생/허용


구 분 판정
(mm) (mm) (%)
상수관A(D2200) 0.006 25.0 0.024% O.K

단면 상수관BD1500) 0.004 25.0 0.016% O.K


B-B 상수관C(D1500) 0.003 25.0 0.012% O.K

하수관 (D1500) 0.004 25.0 0.016% O.K

하수관A(D600) 1.40 25.0 6% O.K

하수관B(D600) 1.37 25.0 5% O.K

단면 하수관C(D600) 1.25 25.0 5% O.K


C-C 하수관D(D600) 1.05 25.0 4% O.K

상수관A(D250) 0.84 25.0 3% O.K

상수관B(D2200) 0.34 25.0 1% O.K

상수관A(D2200) 0.957 25.0 4% O.K



실 상수관B(D250) 1.547 25.0 6% O.K
구 하수관A(D600) 1.437 25.0 6% O.K

단면
하수관B(D600) 1.392 25.0 6% O.K
D-D
하수관C(D600) 1.301 25.0 5% O.K

하수관D(D600) 1.235 25.0 5% O.K

상수관C(D250) 1.257 25.0 5% O.K

상수관A(D2200) 0.95 25.0 3.80% O.K

상수관B(D1500) 2.21 25.0 8.84% O.K

하수관A(D600) 2.31 25.0 9.24% O.K


단면
상수관C(D1500) 2.02 25.0 8.08% O.K
E-E
난방관A 3.69 25.0 14.76% O.K

난방관B 3.74 25.0 14.96% O.K

하수관B(D600) 3.53 25.0 14.12% O.K

1- 3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3차원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정성 검토 요약


주변 시설물 단계별 침하량 검토 결과

단계별 발생침하량(mm)
구 분
상수관로 난방관로 하수관로 가스관로 전기관로 통신관로 도로
1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0단계 0.34 0.08 0.28 0.18 0.08 0.10 2.65
15단계 0.35 0.09 0.29 0.19 0.09 0.10 3.46
20단계 0.35 0.09 0.29 0.19 0.09 0.10 4.91
25단계 0.35 0.10 0.29 0.20 0.09 0.10 5.45
30단계 0.36 0.10 0.30 0.20 0.09 0.10 5.69
35단계 0.36 0.10 0.30 0.20 0.09 0.09 7.40
47단계 0.37 0.11 0.31 0.21 0.08 0.09 10.18

주변 시설물 침하량 검토결과 요약

발생침하량 허용침하량 비율
구 분 안정성 평가
(mm) (mm) (발생/허용)
상수관로 0.37 25 1.5% O.K
난방관로 0.11 25 0.4% O.K
하수관로 0.31 25 1.2% O.K
가스관로 0.21 25 0.8% O.K
전기관로 0.08 25 0.3% O.K
통신관로 0.09 25 0.4% O.K
도로 10.18 25 20% O.K

수치해석결과 정리
구 분 올림픽대로
침하량 최대값 6.15
(mm) 기준치 100.00
주요구조물
각변위 최대값 -
변형검토
(rad) 기준치 -
평가 O.K

구 분 강관(시점) 강관(종점)
침하량 최대값 16.70 18.20
(mm) 기준치 25.00 25.00
휨응력 최대값 121.45 181.13
다중강관다단
(MPa) 기준치 243.00 243.00
공법검토
전단응력 최대값 86.99 88.50
(MPa) 기준치 135.00 135.00
평가 O.K O.K

1-31
제 1 장 요약문

구 분 Sheet Pile Strut Wale


휨응력 최대값 164.9 67.5(압축응력) 147.4
(MPa) 기준치 243.0 135.6(압축응력) 187.9
가시설검토
전단응력 최대값 82.5 3.0 43.0
(추진기지)
(MPa) 기준치 135.0 108.0 108.0
평가 O.K

구 분 Sheet Pile Strut Wale


휨응력 최대값 140.4 82.4(압축응력) 142.3
(MPa) 기준치 184.6 137.9(압축응력) 184.6
가시설검토
전단응력 최대값 44.5 2.9 58.8
(도달기지)
(MPa) 기준치 108.0 108.0 108.0
평가 O.K

구 분 Sheet Pile Strut Wale


휨응력 최대값 143.0 74.9(압축응력) 149.2
(MPa) 기준치 174.3 127.8(압축응력) 170.8
가시설검토
전단응력 최대값 70.0 5.1 91.2
(추진기지)
(MPa) 기준치 108.0 108.0 108.0
평가 O.K

해석단면별 벽체 변위량 비교
굴착단계별 벽체 변위량 비교 (단면 C-C)

탄소성해석 유한요소해석 허용변위량


시공단계 발생변위량(mm) 발생변위량(mm) (mm) 판정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1단 굴착 1.27 0.72 2.81 0.80 4.50 3.84 O.K

2단 굴착 및 1단 지보 1.42 0.67 2.62 0.78 10.50 5.94 O.K

3단 굴착 및 2단 지보 3.55 0.96 2.60 0.78 18.00 9.54 O.K

4단 굴착 및 3단 지보,
8.25 1.81 2.35 0.79 23.40 14.34 O.K
1단 앵커 설치

5단 굴착 및 2단 앵커 설치 15.10 3.94 2.05 0.79 27.90 19.14 O.K

6단 굴착 및 3단 앵커 설치 20.30 11.40 1.73 0.84 32.40 23.94 O.K

7단 굴착 및 4단 앵커 설치 27.90 19.30 1.64 0.88 36.60 28.74 O.K

8단 굴착 및 5단 앵커 설치 35.10 14.80 1.57 0.91 40.20 30.30 O.K

9단 굴착 및 6단 앵커 설치 33.40 - 1.52 0.91 41.88 30.30 O.K

버림콘크리트 타설 - - 1.52 0.91 41.88 30.30 O.K

지하구조물 시공완료 33.40 19.30 1.52 0.91 41.88 30.30 O.K

1- 3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굴착단계별 벽체 변위량 비교 (단면 D-D)

탄소성해석 유한요소해석 허용변위량


시공단계 발생변위량(mm) 발생변위량(mm) (mm) 판정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1단 굴착 2.04 2.04 0.87 0.81 3.60 3.60 O.K

2단 굴착 및 1단 지보 2.82 2.82 1.02 0.55 10.20 10.20 O.K

3단 굴착 및 2단 지보 4.83 4.83 1.37 0.75 16.50 16.50 O.K

4단 굴착 및 3단 지보 11.00 11.00 3.62 2.87 25.20 25.20 O.K

5단 굴착 및 1단 앵커 설치 14.30 14.30 5.83 5.18 31.20 31.20 O.K

6단 굴착 및 2단 앵커 설치 19.10 19.10 8.20 7.64 36.60 36.60 O.K

7단 굴착 및 3단 앵커 설치 27.10 27.10 10.01 9.57 42.00 42.00 O.K

8단 굴착 및 4단 앵커 설치 33.80 33.80 10.88 10.48 46.80 46.80 O.K

9단 굴착 및 5단 앵커 설치 32.20 32.20 11.14 10.74 51.60 51.60 O.K

10단 굴착 및 6단 앵커 설치 33.60 33.60 11.35 10.93 56.10 56.10 O.K

굴착단계별 벽체 변위량 비교 (단면 D-D) (계속)

탄소성해석 유한요소해석 허용변위량


시공단계 발생변위량(mm) 발생변위량(mm) (mm) 판정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11단 굴착 및 7단 앵커 설치 29.70 29.70 11.65 11.21 57.57 57.57 O.K

1차 구조물 타설 및 7단 앵커 해체 - - 11.65 11.11 57.57 57.57 O.K

2차 구조물 타설 및 6단 앵커 해체 - - 11.65 11.16 57.57 57.57 O.K

3차 구조물 타설 및 5단 앵커 해체 - - 12.42 12.10 57.57 57.57 O.K

4차 구조물 타설 및 4단 앵커 해체 - - 15.20 14.90 57.57 57.57 O.K

5차 구조물 타설 및 3단 앵커 해체 - - 17.53 17.21 57.57 57.57 O.K

6차 구조물 타설 및 2단 앵커해체 - - 18.86 18.33 57.57 57.57 O.K

7차 구조물 타설 및 1단 앵커 해체 - - 19.38 18.59 57.57 57.57 O.K

8차 구조물 타설 - - 19.38 18.59 57.57 57.57 O.K

뒷채움 및 3단 지보재 해체 - - 19.38 18.59 57.57 57.57 O.K

뒷채움및 2단 지보재 해체 - - 19.38 18.60 57.57 57.57 O.K

뒷채움및 1단 지보재 해체 - - 19.38 18.60 57.57 57.57 O.K

지하구조물 시공완료 29.70 33.80 19.38 18.60 57.57 57.57 O.K

1-33
제 1 장 요약문

굴착단계별 벽체 변위량 비교 (단면 E-E)

탄소성해석 유한요소해석 허용변위량


시공단계 발생변위량(mm) 발생변위량(mm) (mm) 판정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1단 굴착 1.30 1.30 0.34 0.46 2.10 2.10 O.K
2단 굴착 및 1단 지보, 2.22 3.10 0.35 0.46 7.80 7.80 O.K
3단 굴착 및 2단 지보,
4.34 3.34 0.58 0.47 13.80 13.80 O.K
1단 앵커 설치
4단 굴착 및 3단 지보,
7.49 7.31 1.07 0.95 19.80 19.80 O.K
2단 앵커 설치
5단 굴착 및 4단 지보,
11.50 15.30 1.64 1.72 25.80 25.80 O.K
3단 앵커 설치
6단 굴착 및 5단 지보,
15.10 20.50 2.12 3.26 31.20 31.20 O.K
4단 앵커 설치
7단 굴착 및 6단 지보,
19.50 21.20 3.43 4.52 33.99 33.99 O.K
5단 앵커 설치
버림콘크리트 타설 - - 3.43 4.52 36.17 33.99 O.K
지하구조물 시공완료 19.50 21.20 3.43 4.52 36.17 33.99 O.K

해석단면별 벽체 발생응력 비교
벽체 발생응력 비교
탄소성해석 유한요소해석 허용응력 안정성
구 분
발생응력(MPa) 발생응력(MPa) (MPa) 평가
단면 휨응력 234.383 102.65 317.25 O.K
C-C 압축응력 109.715 20.08 171.399 O.K
좌측 전단응력 21.301 25.55 168.75 O.K

단면 휨응력 158.92 82.05 317.25 O.K


C-C 압축응력 42.802 13.29 170.848 O.K
우측 전단응력 14.752 23.97 168.75 O.K

단면 휨응력 138.354 83.79 182.420 O.K


D-D 압축응력 5.707 57.04 189.0 O.K
좌측 전단응력 78.663 53.49 108.0 O.K

단면 휨응력 138.354 80.54 182.420 O.K


D-D 압축응력 5.707 53.31 189.0 O.K
우측 전단응력 78.663 77.30 108.0 O.K

단면 휨응력 116.710 34.21 182.053 O.K


E-E 압축응력 5.602 4.26 189.0 O.K
좌측 전단응력 103.549 28.38 108.0 O.K

단면 휨응력 122.378 32.26 176.45 O.K


E-E 압축응력 3.484 12.94 188.464 O.K
우측 전단응력 82.984 12.76 108.0 O.K

1- 3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6 지하안전 확보방안


1.6.1 계측관리방안 수립

과업구간 계측계획 수립
계측 관리기준 선정

계측치 관리기준
계측항목 비고
1차 관리기준 2차 관리기준 3차 관리기준

2.0mm/1m 굴착 2.9mm/1m 굴착 5.0mm/1m 굴착


지중
수평변위 -
경사계
F1) : 1.2 F : 1.0 F : 0.8

0.75m/day 벽체변형
지하수위계 0.5m/day 1.0m/day
(0.5m/day ~ 1.0m/day) 판단기준
관리수위 : 1.0m
관리수위2) 3.35m 5.70m - 최대자연변동량 :
5.70m 적용

지표침하계 설계예상치3) 설계예상치의 125% 25.00mm -

변형율계 및
설계예상치4) 설계예상치의 125% 부재허용치5) -
하중계

건물경사계(각변위) 1/1000 1/850 1/500 -

균열계 0.20mm 0.38mm 0.50mm -

어스앵커 하중
±10 ±15 ±20
(tonf)

지중침하계 설계예상치 설계예상치의 125% 25

광파타켓/무타켓
8 11 13
광파 (mm)

수평경사계 24 32 40

주1) 지중경사계 벽체변형 판단기준 F값 산정시 설계시의 추정치는 “제6장 지반안정성 검토” 내용중 ‘흙막이 벽체
시공단계별 수평변위량 검토’ 결과 참조
( F = 설계시의 추정치 / 실측에 의한 변형량 )
주2) 관리수위는 “제5장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내용중 단면별 지하수위 저하량 참조
주3) 지표침하계의 설계예상치는 “제6장 지반안정성 검토” 내용중 각 단면 해석결과 참조
주4) 변형율계의 설계예상치는 “제6장 지반안정성 검토” 내용중 각 단면 부재력검토 결과 참조
주5) 변형율계의 부재허용치는 “제6장 지반안정성 검토” 내용중 각 단면 부재력검토 결과 참조
※ 지하수위 계측은 지하수 회복시까지의 계측결과를 관리하여야 한다.

1-35
제 1 장 요약문

계측기 설치 수량

계측 기기의 위치는 굴착공사 전반에서 판단하여 계측 효율이 뛰어나고 큰 변형이 예측되는 단면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인접구조물 및 주요지장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계측기 설치위치를 결정하였다.
각 항목별 측정결과는 상호 긴말한 연관성을 가지므로 주요 위치선정 후 가급적 동일단면에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계측기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현장여건상 설치가 곤란한 경우 또는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경우는
항목, 수량, 위치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개착 및 인접구조물 계측 수량

구분 수 량 설치위치 비 고

지 중 경 사 계 14개소 흙막이벽체 외측부 -

잠 지 하 수 위 계 6개소 흙막이벽체 외측부 -



하 중 계 54개소 어스앵커 -

간 변 형 률 계 37개소 STRUT -

광 파 타 겟 35소 침하위험구간 -

지 중 경 사 계 3개소 흙막이벽체 외측부 -

지 하 수 위 계 3개소 흙막이벽체 외측부 -



하 중 계 40개소 어스앵커 -


변 형 률 계 6개소 STRUT -

지 표 침 하 계 8개소 흙막이 외측부 -

C C T V 58개소 인접구조물 외측벽체 -

1- 3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계측기 측정 빈도 선정

계측항목 측정시기 측정빈도 비 고


그라우팅 완료 후 4일 1회/일(3일간)
초기치선정
지중경사계 공사진행 중 2회/주
1~6개월(월1회)
공사완료 후 1회/주(1개월까지)

설치 후 1일 경과후 1회/일(3일간)
지표침하계 초기치선정
공사진행 중 2회/주
/지하매설물침하계 1~6개월(월1회)
공사완료 후 1회/주(1개월까지)

설치 후 1일 경과 후 3회/일(1일간)
건물경사계 ․ 초기치선정
공사진행 중 3회/주
/건물균열계 1~6개월(월1회)
공사완료 후 1회/주(1개월까지)

설치 후 3회/일(1일간) 초기치 선정
변형률계
공사진행 중 3회/주 다음 단 설치시 추가측정
(응력계)
공사완료 후 1회/주(1개월까지) 1~6개월(월1회)

설치 후 3회/일(1일간) ․ 초기치 선정
버팀보 하중계 공사진행 중 ․ 2회/주 다음 단 설치시 추가측정
․ 공사완료 후 ․ 1회/주(1개월까지) 1~6개월(월1회)

E/A 인장시 1회/일(3일간) 초기치 선정


어스앵커 하중계 공사진행 중 2회/주 다음 단 설치시 추가측정
공사완료 후 2회/주(1개월까지) 1~6개월(월1회)

설치 후 ․ 1회/일(1일간) 초기치 선정
지하수위계 공사진행 중 1회/일
공사완료 후(관리기간) 2회/주(1개월까지) 1~6개월(월1회)

그라우팅 완료 후 4일 1회/일(3일간)
지중침하계 초기치선정
공사진행 중 2회/주
/수평경사계 1~6개월(월1회)
공사완료 후 1회/주(1개월까지)

주1) 공사완료 후는 되메우기 완료시를 의미한다.


주2) 굴착완료 후 방치기간이 1개월 이상이 되는 경우 측정빈도는 “공사완료 후”에 준한 측정빈도를 적용한다.
주3) 현장 여건의 변위에 따라 위험시 빈도를 공사 감독자와 협의 후 변경할 수 있다.
주4) 되메우기 완료 후 공사종료시점까지 각 계측빈도에 따라 측정을 실시하고 변위발생의 원인이 배제된 상태에서 변위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수렴된 것으로 판단하고, 공사 감독자와 협의하여 계측종료 여부를 결정한 후 최종보고서에
결과값을 제출하도록 한다.
주5) 건물경사계는 초기치 측정일자를 증빙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하여 함께보관하도록 한다.

1-37
제 1 장 요약문

계측기 설치 현황
계측기 설치 항목 및 위치도(잠실구간)

계측기 설치 항목 및 위치도(천호구간)

1- 3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6.2 지반침하 취약구간에 대한 보강 및 차수방안

과업구간에 대하여 굴착 중 지반 안전성 평가결과 흙막이 벽체의 변위 및 부재력 등이 모두 허용값 이내로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사업지와 인접해서 위치해 있는 도로 및 지하매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침하량이 작아 안전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굴착구간 간의 이격거리가 근접해 영향범위가 중첩되고 올림픽대로 및 Ramp도로와 같은 인접도로가 비개착
터널구간의 상부와 가시설 굴착구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구역은 아래의 그림에 나타낸 것처럼 지반침하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낸 해당 구역을 지반침하 취약구간으로 선정하여 시공시 앞 장에서 수립한
계측관리방안에 따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침하에 대한 철저한 집중 관리를 수행하여야한다.
굴착 중 지하수 저하에 따른 침하를 감소시키는 차수 그라우팅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설계 시 반영된 시공심도의 준수와 약액의
현장 품질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차수 그라우팅 시공 유무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량이 0.047m~4.185m의 다소 큰 폭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차수
그라우팅을 설치할 경우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설계 반영된 차수 그라우팅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시공 심도 준수와 약액 배합의 현장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여야한다.

잠실대교 남단IC구간

지반침하 중점관리구간

1-39
제 1 장 요약문

천호대교 남단IC구간

지반침하 중점관리구간

1- 4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1.7 결론

1)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지반굴착으로 인한 주변지역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동법 시행령에 의거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2) 잠실구간에 대한 굴착에 따른 영향범위는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하면 29.25m~40.00m로 나타났으며, 수치해석결과는
최대 52.2m에 이른다. 이에 당해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는 안전을 고려하여 각 구간마다 3H(최대굴착심도)를 적용하여
40.0m~60.0m로 굴착영향범위를 선정하였다. 천호구간은 가시설 구간의 경우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므로 비개착
터널 구간에 대한 영향범위를 산정하였으며, 이는 터널 굴착폭(12.45m~19.31m)의 3배를 적용하여 37.5m, 60.0m로
굴착영향범위를 선정하여 주변구조물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3) 본 과업 수행을 위한 지반조사는 시추조사(11공, NX기준)를 포함하여 각종 현장 및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과업구간 인접지역의 시추조사 자료를 국토지반정보통합 DB센터를 통해 수집하여 지반특성 분석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설계지반정수는 과업지역내에서 수행된 각종 조사 및 시험결과를 우선하여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문헌자료나 경험식을 참조하여 적정성을 판정한 후 산정하였다.
4) 과업구간 지반의 구성으로는 상부로부터 매립층(모래, 자갈)과 그 하부에 퇴적층(점토, 모래), 풍화토, 풍화암, 기반암순의
지층구성을 보이고 있다.
5) 과업구간 지형적 특색으로는 대체적으로 평탄한 평지에 위치하며, 주변으로 한강과 접해있는 지형에 해당한다.
주변으로는 올림픽대로 및 한가람로가 인접해있고 영향범위내 위치한 건축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6) 굴착공법으로 흙막이 가시설로서 Sheet Pile 및 H-Pile+토류판으로 구성된 토류벽 구조물을 스트럿 및 앵커로 지지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차수로는 S.G.R 차수그라우팅(C.T.C 1000, Φ800)을 계획하였다.
7) 굴착공사시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분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량은 0.338m~1.465m이고,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주변지반의 탄성침하량은 0.81mm ~5.61mm로 분석되었다. 유출량 검토결과 1일 기준 최대 발생량은
32.74m3/day으로 나타났으며, 굴착공사에 따른 지하수위 영향이 주변지반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8) 지반굴착으로 인한 주변지반 및 인접 구조물 안정성 검토를 위한 단면을 선정하고 시공단계를 고려한 침투-응력
연계해석을 수행한 결과 흙막이 벽체의 최대수평변위는 19.38mm로 허용변위기준(0.3%H)이내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인접 지하매설물의 최대 침하량은 3.74mm로서 모두 허용침하량(25mm)이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5장 지하안전영향 평가 결과’ 및 ‘6장 지하안전확보방안수립’에서 명시한 각 단면별 취약 시공 단계 등을
유의하여 특히 해당 단계 시공시에는 각별히 계측관리와 현장관리에 유념해야 한다.
9) 과업구간의 굴착지반분류, 흙막이 벽체형식, 지보재 간격등을 고려하여 표준단면을 분류하고 이에 따라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지표침하계, 하중계, 변형율계 등의 계측계획을 수립하였다. 현장에서는 시공전 계측 수행 계획서를
수립하여 사전조사결과 및 취약개소가 확인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계측기를 반영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토록
해야 하겠다.
10) 본 평가는 제한된 지반조사 결과와 수집 자료, 설계 자료를 바탕으로 다각적으로 검토한 평가로서 이를 참고로 하여
현장에서 또한 굴착 전 주변 사전조사와 시공중 철저한 품질관리 및 계측관리를 통해, 흙막이 본체를 포함한 주변
건물,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1-4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