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코 드 개 요

제정경과 및 관련규격
1997년 11월 기계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에서 심의.
1997년 12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이 코드는 다음 규정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음.


- 영국의 Chemical Industry Association의 Guidelines
- ICI Guidelines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82조 및 제335
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코드적용 및 문의
이 코드에 대한 문의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중대산업사고예방실
(TEL 032-5100-682, FAX 032-512-8315)로 연락하여 주십시오.

공표일자 : 1998년 1월
개정권자 :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
KOSHA CODE

D - 28 - 1998

제어실의 위치 선정 및 설계기준

제 1 장 일반사항

1. 목 적

이 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7조,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규칙”이라 한다) 제282조 및 제335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어실
의 위치 및 설계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본 기준은 안전규칙 별표 1의 제4호 인화성물질 및 제5호 가연성가스에 의한


화재 또는 개방계 증기운 폭발 및 제7호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 위험을 갖고
있는 설비 주위에 제어실 등을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의 1과 같다.

(1) “개방계 증기운 폭발(UNCOFINED VAPOR CLOUD EXPLOSION, 이하


“UVCE”라 칭한다)"이라 함은 가연성 가스가 탱크나 배관내에 저장․취급
되는 과정에서 서서히 지속적으로 누출되면서 대기중에 구름형태로 모이게
되고 바람․대류 등의 영향으로 움직이다가 담배불, 정전기, 계적 마찰, 스
파크 등의 점화원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모든 가스가 동시에 폭발하는 현상
을 말한다.

(2) “제어실(CONTROL ROOM)”이라 함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등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한 장소에 모아놓은 곳을 말한다.

- 1 -
KOSHA CODE

D - 28 - 1998

3.2. 기타 이 기준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이 기준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 동법 시행규칙 및 안전규칙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 2 장 화재로부터 보호대책

4. 화재로 부터의 안전거리

화재시에 대비하여 제어실과 화재원과는 화재에 의한 복사열의 량이 제어실의


외벽에서 최대로 12.6kW/㎡(3980Btu/ft²hr) 이하가 되도록 적정한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5. 제어실의 구조등

5.1. 외부화재 발생후 30분 동안에 내부 온도가 최대로 10℃이상 상승되지 않도


록 건물의 구조 및 내부온도 조절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5.2. 화재원과 마주보지 않는 곳에 긴급 대피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대피로에서 복사열량이 2kW/㎡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5.3. 제어실의 환기를 위한 공기 흡입구는 화재에 대한 연기의 흡입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5.4. 제어실 건물 내부에는 비상등 및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되어야 한다.

5.5. 방폭지역으로 향하는 출입문은 갑종 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 3 장 독성물질 누출로부터 보호대책

6. 제어실의 위치 등

제어실은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지역의 밖에 설치하여야 한다.

- 2 -
KOSHA CODE

D - 28 - 1998

7. 제어실의 구조등

7.1. 건물은 가스밀폐 구조로 되어야 한다.

7.2. 창문은 망입유리로 하고 열수 없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7.3. 출입문과 창문틀은 강제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갖는 비수축성 재


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7.4. 방폭지역으로 향하는 출입문은 갑종 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8. 환 기

8.1. 설비를 안전하게 운전을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신선한 공기를 공


급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8.2. 제어실에는 자급식 호흡기를 상시 근로자에게 1개씩 지급될 수 있도록 준


비 하여야 한다.

8.3. 제어실은 25파스칼(2.5mmH2O)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양압설비를 설치하여


야 한다.

8.4. 제어실의 공기는 시간당 8회이상 치환 할 수 있어야 한다.

9. 제어실의 설비등

9.1. 제어실에는 공장의 비상조치부서와 전용 회선의 비상연락망이 설치되어야


한다.

9.2. 제어실에는 가스누출감지경보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9.3. 제어실에는 풍향지시계를 설치한다.

- 3 -
KOSHA CODE

D - 28 - 1998

9.4. 제어실에는 독성물질 누출시에 대피 하는데 필요한 개인보호구를 근무자


모두에게 지급․비치하여야 한다.

제 4 장 UVCE로부터 보호대책

10. 가연성가스 및 인화성 물질을 15톤이상 보유한 설비의 제어실

10.1. 제어실 건물내에는 운전에 필요한 필수 요원만을 상주할 수 있도록 설계


한다.

10.2. 제어실의 지붕 또는 상층에는 하중이 무거운 설비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10.3. 제어실은 주위에서 화재․폭발이 발생하였을 경우 20미리 초(MILISECOND)


동안에 0.7kg/㎠(10psi)의 폭발압력에 견딜 수 있는 방폭벽으로 설계․설치
되어야 한다.

10.4. 제어실 건물에는 창문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11. 가연성가스 및 인화성 물질을 2톤이상 15톤미만을 보유한 설비


의 제어실

11.1. 제어실 건물내의 근무자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11.2. 제어실은 방폭지역 및 화재위험지역 밖에 설치하여야 한다.

11.3. 제어실의 지붕 또는 상층에는 하중이 무거운 설비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11.4. 제어실 건물에는 창문을 없애거나 최소화 하여야 한다.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