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0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AASHTO LRFD)에

의한 강교량의 설계

2004 INI steel 강재응용 기술발표회


동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이 성 철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발 표 내용
1. 한계상태 설계법(하중-저항계수 설계법) 이란?

2. AASHTO LRFD

3. 강교량 상부구조의 설계 절차

4. 플레이트거더의 설계

-2-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1. 한계상태 설계법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이란?

-3-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한계상태 설계법(Limit State Design)이란?

구조부재나 연결부에 작용하는 단면력 또는 하중이 부재나

연결부의 한계상태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방법

-4-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교량 설계방법의 변화와 국내현실


▶ 1970년대 후반부터 캐나다, 영국 등에서 한계상태설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현재 북미대륙과 유럽에서는 기존의 허용응
력 설계법(ASD)이 강교량의 설계에 사용되지 않음.

▶ 일본도 이 같은 추세를 인식하고 일본토목학회 차원에서


Performance-Based Limit State Design Code 제정을 위하여
꾸준히 연구해오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미국 AASHTO LRFD 시방서를 근간으


로 하중-저항계수 설계편(도로교 표준시방서 부록)을 제정하였
으나, 아직 실제 설계에 적용된 적이 없음.

-5-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한계 상태(Limit State)

구조물에 부여된 특정한 기능(Performance: Strength,


Serviceability) 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상태

‰ 강도한계상태(Strength Limits State):


강재의 항복(Yielding), 좌굴(Buckling), 피로(Fatigue) 및 파단
(Fracture), 전도(Overturning), 미끌어짐(Sliding) 등에 의하여
내하력(Strength)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

‰ 사용한계상태(Service Limit State):


처짐(Deflection), 균열(Cracking), 진동(Vibration), 영구변형
(Permanent Deflection) 등이 과도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

-6-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Performance Based Limit State Design


– AASHTO LRFD

다양한 기능별 한계상태(Performance Based Limit States)


를 미리 설정하고, 모든 한계상태가 일정수준의 동일한 안전율
(Margin of Safety)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중계수(Load
Factor) 와 저항계수(Resistance Factor)를 구조신뢰성이론
(Theory of Structural Reliability)에 바탕을 두고 결정

-7-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Performance Based LRFD의 특징

‰ 구조물의 사용 기간내에 기능별 한계상태에 도달할 확률(한계


상태에 대한 안전율)을 설계자가 미리 알고 있다는 사실이
Performance Based LRFD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기존의 허용응력설계에서는 인장부재 허용응력으로 강재항복


강도를 안전계수(n=1.67)로 나눈 값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
로 부재가 파단될 확률은 모르고 있음.

-8-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하중 및 저항계수의 결정방법


Frequence

R
Q

Failure

0 Qm Rm
Resistance R
Load Q

R = φ ⋅ Rn Q = ∑ γ i ⋅ Qi
Frequency distribution of load Q and resistance R

-9-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Frequence

σ ln(R/Q) = standard derivation of ln(R/Q)

Failure

0 [ln(R/Q)]m [ln(R/Q)]
βσ ln(R/Q)

Reliability Index β

-10-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한계상태 설계법 이란?

‰신뢰성지수(Reliability Index)에 따른 파괴확률


시방서에서 목표로 하는 신뢰성지수, βT(Target Reliability Index) 는 구
조물 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계수로서, 시방서 제정위
원회에서 경제, 사회적인 측면과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
< 파괴 확률 >

Pf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β 1.28 2.33 3.09 3.71 4.26 4.75 5.19 5.62 5.99

AASHTO LRFD:Target Reliability Index βT=3.5


우리나라 하중-저항계수 설계편: βT=4.0~4.5

R = φ ⋅ Rn Q = ∑ γ i ⋅ Qi

-11-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2. AASHTO LRFD

-12-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Section 1 – Introduction
개요 및 설계 일반
Section 2 – General Design and Location Features

한계상태의 종류, 한계상태 별 하중조합 및 하중계수, 하중 Section 3 – Loads and Load Factors

구조해석 Section 4 – Structural Analysis and Evaluation

Section 5 – Concrete Structure

Section 6 – Steel Structure


상부구조의 재료 별 한계상태 검토
Section 7 – Aluminum Structures

Section 8 – Wood Structures

박판과 바닥틀 Section 9 – Decks and Deck Systems

기초 Section 10 – Foundations

교대, 교각, 옹벽 Section 11 – Abutment, Piers, Walls


기타 부재의 한계상태 검토
매설물과 터널 라이닝 Section 12 – Buried Structures and Tunnel Liners

방호벽 Section 13 – Railing

신축이음과 받침 Section 14 – Joints and Bearing

-13-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강도한계상태 하중조합
DC LL
DD IM
TU
DW CE
WA WS WL FR CR TG SE 비고
EH BR
SH
EV PL
ES LS
0.50/
Ⅰ γP 1.75 1.00 - - 1.00 γ TG γ SE
차량통행을 고려
한 기본하중조합
1.20
0.50/
Ⅱ γP 1.35 1.00 - - 1.00 γ TG γ SE
특수차량을 고려
한 하중조합
1.20
0.50/ 풍속(25m/s)를
Ⅲ γP - 1.00 1.40 - 1.00 γ TG γ SE 고려한 하중조합
1.20
γP 0.50/ 활하중에 비해 사
Ⅳ - 1.00 - - 1.00
1.20
- - 하중이 큰경우
1.50
0.50/ 풍하중과 차량하
Ⅴ γP 1.35 1.00 0.40 0.40 1.00
1.20 γ TG γ SE 중을 고려한 조합

-14-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극한한계상태 하중조합
DC LL
DD IM
DW CE
WA FR EQ IC CT CV 비고
EH BR
EV PL
ES LS

지진하중을 고려하는
Ⅰ γP γ EQ 1.00 1.00 1.00 - - - 하중조합

빙하중,선박충돌하중
Ⅱ γP 0.50 1.00 1.00 - 1.00 1.00 1.00 등을 수리학적 하중과
고려

-15-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
DC LL
DD IM
TU
DW CE
WA WS WL FR CR TG SE 비고
EH BR
SH
EV PL
ES LS
일상적인 하중

Ⅰ 1.00 1.00 1.00 0.30 1.00 1.00


1.00 γ TG γ SE 하에서 교량의
/1.20 사용성을 검토
하는 하중조합.
차량하중에 의
1.00 한 강구조물의
Ⅱ 1.00 1.30 1.00 - - 1.00
/1.20
- - 함복과 볼트연
결의 미끄러짐
을 검토.
균열제어의 복
적으로 프리스
1.00
Ⅲ 1.00 0.80 1.00 - - 1.00 γ TG γ SE 트레스트 부재
/1.20 의 인장응력을
검토하는 하중
조합.

-16-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피로한계상태 하중조합

LL, IM
CE, BR 비고
PL, LS
피로설계트럭하중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LL, IM & CE만 고려 0.75 차량하중과 동적응답에 의한 피로파괴
를 검토하기 위한 하중조합

상시하중(Permanent Loads)
DC=구조부재와 비구조적 부착물의 중량, DD=말뚝부마찰력, DW=포장과 설비의
하중, EH=수평토압, ES=상재토하중, EV=수직토압
일시하중(Transient Loads)
BR=제동하중, CE=원심하중, CR=크리이프, CT= 차량충돌하중, CV= 선박충돌하
중, EQ= 지진하중, FR=마찰력, IC=빙하중, IM=충격하중, LL=차량활하중, LS=상
재활하중, PL=보행자 활하중, SH=건조수축, TG=온도경사, TU=온도하중, WA=
정수압과 유수압, WL=차량에 작용하는 풍하중, SE=침하, WS=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17-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AASHTO LRFD

‰상시하중 γ p 에 관한 하중계수
하중계수
Type of Load
최대 최소
DC : 구조부재와 비구조적 부착물 1.25 0.90
DD : 말뚝부착력 1.80 0.45
DW : 포장과 시설물 1.50 0.65
EH : 수평토압
-주동 1.50 0.90
-정지 1.35 0.90
ES : 상재토하중 1.50 0.75
EV : 수직토압
-구조안정 1.35 N/A
-옹벽 1.35 1.00
-강성 매설구조 1.30 0.90
-강성 뼈대구조 1.35 0.90
-강박스암거이외의 연성 매설구조 1.95 0.90
-연성 강박스 암거 1.50 0.90
-18-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3. 강교량 상부구조의 설계 절차

-19-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모든 단계(Transportation, Handling, Erection,


Construction, Service Life)가 다 검토되어야 함

‰검토해야 하는 한계상태
▶ 사용한계상태 (Service Limits State)
▶ 피로 및 파단 한계상태 (Fatigue and Fracture Limits State)
▶ 강도한계상태 (Strength Limits State)
▶ 극한한계상태 (Extreme Event Limit State)

☞ 모든 한계상태가 동일한 중요도를 갖도록 취급하여야 함

-20-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사용한계상태의 검토

종류 하중조합 조항 비고

SERVICE- I Article
처짐 (Deflection)
하중조합 2.5.2.6
영구변형
SERVICE-II Article
(Permanent Deformation Flange의 항복검토
하중조합 6.10.5
due to Yielding)

마찰이음부의 미끌어짐 SERVICE-II Article


Friction-Type
(Slip of Slip Critical Connection) 하중조합 6.13.2.2

-21-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피로 및 파단 한계상태 검토

종류 하중조합 조항 비고

하중유발 피로 Fatigue – LL, IM


Article 6.6.1.2
(Load Induced Fatigue) & CE Only

Fatigue – LL, IM 복부판의 전단 및 휨에


복부판 Article 6.10.6
& CE Only 의한 국부좌굴 방지

변형유발 피로 Article
연결판 상세 6.6.1.3.1
(Distortion Induced Fatigue)
& 6.6.1.3.2

강상판 보강 상세 Article 9.8.3.7

Charpy V-notch
파단 (Fracture) Article 6.6.2
impact requirement

-22-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강도한계상태 검토
▶ 저항(강도감소)계수 (Resistance Factor)
강도한계상태에서의 경우 저항계수 강도한계상태에서의 경우 저항계수

φ f = 1.00 전단력을 받는 φ s = 0.80


휨 F10T
볼트

전단 φ v = 1.00 블록전단 φ bs = 0.80

강재 φ c = 0.90 유효단면적에 대한 전단력 φe1 = 0.85


축방향 압축 완전용입 홈 용
유효단면적에 대한 수직한 인장 또
합성부재 φ c = 0.90 접시의 용접 금 모재 φ
는 압축력

순단면 적용시 φ u = 0.80 용접선에 평행한 인장 또는 압축력 모재 φ
인장력
총단면 적용시 φ y = 0.95 용접선에 평행한 전단력 φ e 2 = 0.80

φ b = 1.00 용접선에 평행한 인장력 또는 압축


핀의 지압력 완전용입 홈 용 모재 φ

접시의 용접 금
볼트의 지압력 φ bb = 0.80 속 유효단면적에 수직한 압축력 모재 φ

전단 연결재 φ sc = 0.85 유효단면적에 수직한 인장력 φ e1 = 0.80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의 인장 또는


F10T φ t = 0.80 필렛 용접시에 모재 φ
인장력을 받는 압축력
용접금속에 대
볼트
F8T φ t = 0.80 해 용접금속의 목에 작용하는 전단력 φ e 2 = 0.80

-23-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부재 별 강도한계상태 검토

부재종류 조항 비고

인장부재 Article 6.8 Tension, Tension+Bending

압축부재 Article 6.9 Compression, Compression+Bending

플레이트 거더 Article 6.10 Bending, Shear, Bending+Shear

Bending, Shear, Bending+Shear


박스거더 Article 6.11
Bending + Torsion

기타 휨부재 Article 6.12

연결 Article 6.13

트러스 Article 6.14.2

강상판 Article 6.14.3

-24-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싱부구조의 설계 절차

‰설계순서

검토해야 하는 한계상태 결정

기본설계(형상 및 단면결정)
N.G O.K

N.G 부재 및 연결부의 강도한계상태 검토


O.K

극한한계상태(Extreme Event Strength Limit State) 검토


O.K
N.G
피로 및 파단(Fatigue & Fracture)한계상태 검토
O.K
N.G
사용한계상태(Serviceability Limit State) 검토

-25-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4. 플레이트거더의 설계

-26-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조밀단면과 비조밀단면
조밀단면(compact section)
휨모멘트에 의하여 특정 단면이 소성모멘트(plastic
moment), Mp에 도달하기 이전에 복부판과 압축 플랜지
의 국부좌굴(local buckling) 및 거더의 횡비틈좌굴
(lateral-torsional buckling)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그
단면을 조밀단면이라 한다.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조밀단면이 아닌 단면은 비조밀단면이라 한다.

-28-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판형의 공칭휨강도(nominal flexural resistance)


조밀단면(compact section)
단면이 저항할 수 있는 최대 휨모멘트: Mn ≤ M p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플랜지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휨응력: Fn = Rb Rh Fyf
☞ 비조밀단면을 설계할 때는 조밀단면처럼 휨모멘트를 직접 비교
하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의 응력을 검토하기 때문에 기존의 허
용응력설계방법과 비슷함.

☞ 비조밀단면이 받을 수 있는 최대휨모멘트는 My이하이기 때문에


조밀단면이 받을 수 있는 최대휨모멘트(소성모멘트,Mp)보다 낮다.
따라서 판형의 설계시에는 조밀단면과 비조밀
단면중에서 어떤 것이 보다 경제적인가 하는 점을 반드시 검토해
야 한다.
-29-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4.1.1 단면의 조밀성 여부 검토


① 복부판의 휨좌굴

-30-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② 압축 플랜지의 국부좌굴

-31-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③ 횡비틈 좌굴(Lateral-Torsional Buckling)

-32-
Lateral Distortional Buckling

Restraint
by slab

Distortion
of Web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Flow Chart for I-Girder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4.1.2 조밀단면의 공칭휨강도


부모멘트 구간: Mn = M p

정모멘트 구간:단순보, 내부지점(Interior Support)단면이 조밀단면인 경우.


▶ 연성요구조건(ductility requirement)을 만족하는 경우:

If D p ≤ D ' , Mn = M p ------------(6.10.4.2.2a-1)

▶ 연성요구조건(ductility requirement)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If D ' < D p ≤ 5D ' then :
5M p − 0.85M y 0.85M y − M P ⎛ DP ⎞
Mn = + ⎜ '⎟ -----(6.10.4.2.2a-2)
4 4 ⎝D ⎠

정모멘트 구간:내부지점 단면이 비조밀단면인 경우.


M n = 1.3Rh M y ------------(6.10.4.2.2a-3)

그러나 식(6.10.4.2.2a-1) 과 식(6.10.4.2.2a-2)를 초과하지 못함.

-33-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4.1.3 연성요구조건(Ductility Requirement)


▶하부플랜지가 인장응력으로 인한 변형경화점 (Strain-Hardening
Point)에 도달하기 이전에 콘크리트 바닥판이 파괴(crush)되지 않을
조건
ƒ 변형 경화점에서 강재의 변형도: 0.012
ƒ 콘크리트 파괴시 변형도:0.003 0.003( d + t s + t h )
Dp =
( 0.003 + 0.012 )

0.003 d + t s + th
Dp =
ts DP 5
th PNA

d
d + t s + th
D' = β
7.5
β = 0.9 for Fy = 250 MPa
0.012
= 0.7 for Fy = 345MPa

-34-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4.1.4 판형의 공칭전단강도(Nominal Shear Strength)

일반적으로 전단좌굴강도와 후좌굴강도를 합하여 공칭전단


강도를 구한다.
Vu = Vcr + VPB

( a ) τ < τ cr ( b ) τ > τ cr ( c ) Collapse Behavior


( Basler )
-35-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후좌굴 거동

600.0

Applied Shear (kips)


400.0 Vpb

200.0 a/D=1.0, D/tw=200, Fy=50ksi

Vcr

0.0
0.0 0.5 1.0 1.5

Max. Deflection (in.)

-36-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4.1.5 조밀단면의 공칭전단강도


M u ≤ 0.5ϕ f M p ⎡ ⎤
⎢ ⎥
⎢ 0.87(1 − C ) ⎥
Vn = V p ⎢C + ------------(6.10.7.3.3a-1)
2 ⎥
⎢ ⎛ d0 ⎞ ⎥
1+ ⎜ ⎟
⎢⎣ ⎝ D ⎠ ⎥⎦

M u > 0.5ϕ f M p ⎡ ⎤
⎢ ⎥
⎢ 0.87(1 − C ) ⎥
Vn = RV p ⎢C + ≥ CV------------
2 ⎥ p (6.10.7.3.3a-2)
⎢ ⎛ ⎞
1+ ⎜ 0 ⎟ ⎥
d
⎢⎣ ⎝ D ⎠ ⎥⎦

⎡ ⎛ Mr − Mu ⎞⎤
R = ⎢0.6 + 0.4⎜ ⎟⎥ ≤ 1.0 -----------------(6.10.7.3.3a-
⎢⎣ ⎜ M − 0.75ϕ M ⎟⎥
⎝ r f y ⎠⎦ 3)

V p = 0.58 Fyw Dt w -------------------------(6.10.7.3.3a-4)

-37-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ƒ플레이트 거더의 설계

다음의 경우에는 복부판의 공칭전단강도 산정 시


후좌굴강도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1) 복부판의 항복강도가 플랜지의 항복강도보다 낮은 복합단면
(hybrid section)

(2) 수직보강재가 없거나 수직보강재의 간격이 복부판 높이의 3배


이상일 경우(비보강복부판, unstiffened web)

(3) 지점부에 인접한 복부패널

V
V

-38-
‰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맺음말

국내 실정에 적합한 LRFD 설계기준 정립이 필요


설계실무자 들의 LRFD 설계에 관한 관심이 요구됨

-3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