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 pdf, or txt
Download as doc,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0

Read Up 1_Answer Key

Unit 1_The Code of Hammurabi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고대 메소포타미아
고대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현재의
이라크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문명의 요람”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농업과 문어
(文語; 기록 언어)가 발생한 곳이기 때문이다. 기원전 2900~1100년 사이, 즉 청동기 시대로
알려진 시기에 수메르,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와 같은 거대한 제국이 메소포타미아에
있었다. 이 지역에 새로 정착한 사람들은 기존 문화의 관습, 전통, 믿음의 일부를 받아들였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어떤 측면은 시간에 흐르면서 변했지만, 다른 측면은 수세기 동안
변하지 않은 채로 남아있었다.

The Big Question


It was the first set of laws to be written down and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본문
함무라비 법전

메소포타미아의 옛 지역은 여러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기원전 2천년 전에는 아카디아 제국이
가장 강력한 나라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 아카디아인들은 아모리라는 종족에게 점령을 당했다.
아모리족의 수도는, 현재의 이라크 자리에 위치했던 바빌론이라는 이름의 도시였다. 그래서
아모리족이 세운 제국은 바빌로니아 제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바빌로니아 제국의 생활은 매우 질서정연했다. 바빌로니아의 왕들은 관개용 수로, 방어용 벽,
대규모 공공건물, 격자구획을 이용한 도시계획을 세웠다. 또한 최초로 조세제도를 시행하여
바빌로니아 시민들로부터 돈을 걷었다. 바빌로니아의 가장 유명한 왕은 함무라비왕이었다.
함무라비왕은 위대한 전사였지만, 그보다는 함무라비 법전이라는 또 다른 업적으로 더
기억된다.
함무라비 법전은 법률을 집대성한 것으로, 기록하여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전시해
두었다. 이 법전은 어떤 것이 위법인지를 기술했을 뿐만 아니라, 위법자에게는 어떤 처벌이
가해지는지도 기술하였다. 일례로, 사원의 소유물을 훔치는 것은 불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법전은 또한 그렇게 훔치다가 잡힌 사람은 사형에 처해질 것이라는 점도 밝히고 있다.
법전이 담고 있는 내용은 꽤 광범위하여, 돈을 빌려주는 문제에서부터 군복무에 이르기까지
다루고 있다.
법전의 281개조 법규 가운데 일부는 아모리족의 관습에서 왔다. 어떤 법규들은, 아카디아 제국
같은 이전의 제국들에서 가져왔다. 또 다른 법규들은 완전히 새로운 것들이었다. “눈에는 눈”

1
Read Up 1_Answer Key

이라는 원칙은,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면, 본인에게도 똑 같은 종류의 해를 입게 함으로써 처벌을 받게 하였다. 함무라비
법전은 여러 본을 복제하여 크고 넙적한 돌이나 나무에 적어 공공장소에 놓아두었다. 한
정부의 법률을 이와 같이 설명하고 배포한 것은 이 때가 처음이었다.
결국, 바빌로니아 제국은 앞서 있었던 다른 나라들처럼 멸망했다. 현재의 이란 자리에 있었던
카사이트족이 점령을 했다. 그러나 카사이트족은 바빌론을 파괴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카사이트족은 함무라비 법전을 포함하여, 바빌로니아의 문화들을 많이 받아들였다. 이런
식으로, 함무라비 법전은 제국에서 제국으로 전수되어 서로 다른 법률체계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다.

On Your Own
When I'm at home, I have to be nice to my little sister. I'm not allowed to ignore
her or make fun of her.

Vocabulary Building
1. distribute / 2. influence / 3. conquer / 4. inflict / 5. illegal /
6. d / 7. a / 8. c / 9. a / 10. a / 11. in fact / 12. put on display / 13. such as

Reading Comprehension
1. c / 2. a / 3. a / 4. b / 5. c / 6. d

7. Some laws came from Amorite tradition, others came from earlier empires like
the Akkadians, and still others were brand new.
8. "An eye for an eye" means that if people cause others harm, they will be
punished by having the same type of harm inflicted upon them.
9. They described what was against the law and what punishments would be given
to lawbreakers.

Summary
1. Akkadians / orderly / Babylon / Created / issues /
punishments / in public / Kassite / survived / legal systems

2. The Amorites conquered the Akkadians around 2000 B.C. and ruled Babylon in
an orderly fashion. The best-known king of Babylon was King Hammurabi, and he
created a system of laws called the Code of Hammurabi. The laws dealt with a
variety of social issues. They also introduced new punishments based on the idea of

2
Read Up 1_Answer Key

"an eye for an eye." Hammurabi had his code written down and displayed in public
for everyone to see. The Babylonian Empire was eventually conquered by the
Kassite people. The Code of Hammurabi survived and influenced later legal
system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My school has relaxed rules. We do not wear uniforms, and there are only general
rules about classroom behavior. Because of this, many students behave badly. I
would prefer that my school had stricter rules to better control student behavior.

3
Read Up 1_Answer Key

Unit 2_The Three Climate Zones of West and Central Africa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아프리카의 기후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륙으로, 지구 육지의 약 1/5을 차지하고 여러 다른


기후대를 포함하고 있다. 보통 아프리카 대륙은 연중 대부분 꽤 덥지만, 일부 산악 지역과 해안
지역에는 더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 전반적인 기후는 열대 기후부터 높은 산악 지대의
아북극 기후까지 양 극단에 걸쳐 나타난다. 북아프리카의 대부분은 사막이나 건조 지대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는 평원과 밀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개의
다른 기후대가 만나는 곳에 사헬이라고 알려진 제3의 지역이 있다. 이곳은 대서양부터
홍해까지 대륙을 가로지르는 1000킬로미터에 이르는 지대이다.

The Big Question


The main difference among the three climate zones is the amount of water each
receives through rainfall. The Sahel is the driest, the savanna is moderate, and the
rainforest is quite wet.

본문
아프리카 서부와 중부의 세 가지 기후대

아프리카 서부와 중부를 가로질러 여행을 하게 되면, 여행 중에 풍경과 기후가 많이 변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암석평원, 초원, 키 큰 나무들이 가득한 숲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지구상의 이 부분에 매우 다른 세 종류의 생태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사헬(
사하라 사막 남쪽의 대평원), 사바나(대초원), 열대우림지대이다. 각 지대 사이에 가장 큰
차이점은 강수량이다.
사헬지대로 여행을 간다면 무엇을 보게 될까? 풍광은 대부분 평평한 모래투성이로 사막처럼
물이 있는 곳은 매우 드물다. 사실상, 이 지대는 북쪽의 사하라 사막과 남쪽의 초원 사이에
중간지대이다. 그래서 사막과 초원, 양쪽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사막처럼 강수량이 매우
적다. 그렇지만, 키 작은 풀로 뒤덮인 부분도 있고, 나무와 억센 풀들이 자랄 만큼 물이 있기도
하다.
사헬지대의 남쪽에, 군데군데 나무가 있는 광할한 초원지대인 사바나가 자리잡고 있다. 이
생태지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이곳에 우기가 있다는 점이다. 이 지역은 일년 중
얼마간은 매우 건조하지만, 여름철에 내리는 비가 사바나지대를 오아시스로 바꾸어놓는다.
이로 인해, 건조한 사헬지대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많은 종류의 식물이 사바나지대에서는
자란다. 아프리카 서부의 열대우림지대는 훨씬 더 남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곳은 기후가

4
Read Up 1_Answer Key

습하고 매우 더워, 온갖 종류의 식물이 자라기에 이상적인 환경이다. `해마다 5백 센티미터


이상의 비가 내려서, 풍광이 온통 초록색이고 키가 큰 나무로 가득하다. 나무들이 서로 촘촘히
서 있어서, 그 나무의 잎들이 아래쪽 숲의 지붕역할을 한다.
이 기후들은 사람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지구상의 이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식량을 자급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 세 기후지대의 농부들은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사헬지대에서는, 생존을 위해 필요한 물을 찾기 위해 사람들이 머나먼 거리를
이동해야만 한다. 기후 변화에다가, 과도한 방목 등의 미숙한 농경방식으로 사헬지대는 해마다
더욱 메말라가서 삶이 더욱 고단해지고 있다. 사바나 지대에서는, 사람들이 농사를 우기
즈음에 지을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운다. 그래서 항상 미리 생각을 해두어야만 한다.
열대우림지대도 살기에 쉽지 않은 곳이다. 나무들이 너무 빽빽이 서 있어서 곡물을 재배할
공간이 거의 없다. 그래서 곡물을 충분히 재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On Your Own
The climate where I live has four different season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During the summer, there is a period of one month when it rains almost
every day.

Vocabulary Building
1. distances / 2. survive / 3. landscape / 4. flat / 5. ideal /
6. a / 7. a / 8. c / 9. d / 10. b / 11. was crowded with / 12. thought ahead / 13.
had (have) little room for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c / 3. a / 4. b / 5. b / 6. b

7. It is located between the Sahara Desert and the grasslands and shares
characteristics with both zones.
8. The rainforest’s landscape is heavily affected by the large amount of rainfall it
gets.
9. It is very green and crowded with trees.

Summary
1. transitional / savanna / climate / south / Dry / Sahel /
rainforest / trees / vegetation / water / Farmers / crops

5
Read Up 1_Answer Key

2. The Sahel is a transitional region between the Sahara and the savanna. It is the
driest climate zone in West and Central Africa. South of the Sahel is the savanna,
which is dry for part of the year but can support more vegetation than the Sahel.
The rainforest south of the savanna is covered in forests. It has a lot of vegetation
because it gets plenty of rain. Africa’s climate zones have a serious effect on the
people who live there, as well. The Sahel becomes drier every year, so water is
hard to find. Farmers in the savanna depend on seasonal rains. There is little space
for crops in the rainforest.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My country is getting warmer because of climate change. The summers are hotter
and more humid than before, and it also rains a lot. In the winter, it snows less
because the weather has gotten warmer. I’ve read that the overuse of air
conditioners and automobiles is negatively affecting the climate. Therefore, we
should use them less frequently.

6
Read Up 1_Answer Key

Unit 3_How Light Work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뉴턴의 프리즘 실험

1665년에 아이작 뉴턴은 작은 구멍 한 개를 제외한 방의 모든 창문을 가리고 실험을 했다.


이렇게 해서 광선 하나가 (구멍을 통해) 들어오게 한 다음, 구멍 앞에 유리 프리즘을 놓고 그
백색광이 무지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바뀌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는 이 모든 색깔이 태양광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첫 번째 프리즘 앞에
다른 프리즘을 거꾸로 놓았다. 그가 추측한 것처럼, 그 색깔들은 백색광으로 다시 통합되었다.
이것은 백색광이 실제로 스펙트럼의 모든 색깔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The Big Question


Light bounces off objects and allows us to see their shape and color.

본문
빛의 작용

여러분이 밤중에 침실에 있다고 상상해보라. 불빛이 하나도 없어서 모든 것이 캄캄하다가 책상


스탠드를 켜자 빛이 방안을 채운다. 갑자기, 책상, 침대, 옷장 등 방안의 모든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빛이 있어서 우리가 세상에 있는 사물의 형태와 색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빛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런 일을 할까? 빛은 다양한 근원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한
종류이다. 지구상 대부분의 빛은 태양이 만든다. 그렇지만, 불길이나 책상 스탠드 같은 것들도
빛을 낸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빛은 파동처럼 바깥쪽으로 움직여간다. 이는 마치 여러분이
연못에 작은 돌을 던졌을 때와 비슷하다. 그런데 빛의 파동은 연못에 생긴 파동보다 훨씬 더
빠르게 움직인다.
여러분이 빛이 나온 출처를 보려고 할 때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의 파동이 여러분의 눈으로
직접 움직여오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체는 빛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가
그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이 물체에서 튀어올라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빛이 튀어 오르는 것을 우리는 반사라고 부른다. 빛이 물체에서 우리 눈으로 반사될 때
우리 뇌는 이렇게 반사된 것을 분석하여 그 물체의 형태를 결정한다. 빛이 있어 우리가 주변의
물체들을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방식 때문이다.
또한 빛의 반사로 인해 우리는 색깔을 볼 수 있다. 태양빛과 같은 백색 빛은 다른 파동들이
결합된 것이고, 각 파동은 특정 색을 보여준다. 우리가 이러한 색들을 분간할 수 있는 때는
태양빛이 프리즘을 통해 빛날 때이다. 프리즘은 각 파동을 따로따로 휘게 하여 색깔들을

7
Read Up 1_Answer Key

분리한다. 백색 빛을 이루는 각각 색들을 한데 모아 스펙트럼이라고 부른다.


빛이 어떤 물체에 부딪쳐 튀어오를 때, 빛의 모든 파동들이 눈으로 반사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는 그 물체가 흡수한다. 그 때 다른 파동은 반사되어, 그 물체의 색깔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빨간 사과는 빨간 빛만 반사하고, 나뭇잎은 초록 빛만 반사하는 것이다. 석탄과 같이
검은 물체는 아무 빛도 반사하지 않는다. 대신, 빛의 모든 파동들을 흡수한다.
다시 돌아가 여러분의 컴컴한 침실을 생각해보라. 스탠드 불을 켰을 때, 빛의 파동은 즉시
전구에서 사방으로 움직여간다. 파동이 책상, 침대, 옷장에서 반사된다. 그러면, 여러분의 눈과
뇌는 이렇게 반사된 것을 이용하여 각 사물의 형태와 색깔을 파악하는 것이다.

On Your Own
I see my bookcase full of books. It is tall, rectangular, and brown. There are books
of many different colors and sizes on its shelves.

Vocabulary Building
1. object / 2. direction / 3. separate / 4. absorb / 5. analyze /
6. b / 7. c / 8. a / 9. a / 10. d / 11. give off / 12. make up / 13. turned on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a / 3. a / 4. c / 5. d / 6. a

7. When light bounces off an object, not all the light waves are reflected to our
eyes. Some are absorbed and the waves that are reflected determine the color of
the object.
8. The sun, fire, and lamps are examples of light sources.
9. Light waves reflect off objects and our eyes and the brain uses the reflections to
see their shape and color.

Summary
1. energy / sources / waves / bounces off / shapes / light wave
spectrum / absorb / reflect / directions / enters / objects

2. Light is a kind of energy that is created by different sources and travels in


waves. Some of the light bounces off objects and then enters our eyes. These
reflections show us what kind of shape an object has. White light contains a
spectrum of different waves, and each one has a color. When the waves come in
contact with an object, some of them are absorbed by it. Others are reflected and

8
Read Up 1_Answer Key

travel to our eyes, and this is the color we see. When we turn on a lamp in a
bedroom, it travels in all directions. The light reflected off objects in a room enters
our eyes and allows us to see the object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f the world did not have any color, our sense of fashion would be different because
color is a big part of how we choose clothes. On the other hand, since writing is
already in black and white, we would still be able to read and write normally.

9
Read Up 1_Answer Key

Unit 4_The Food Chain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광합성
광합성은 녹색 식물이 에너지를 내는 데 사용하는 당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 당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사용될까? 주재료는 태양에서 오는 빛 에너지이다. 다른 재료는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서 빨아들이는 물, 공기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인 이산화탄소, 식물의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클로로필이다. 먼저 클로로필이 태양으로부터 빛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고 나서 이것을 사용하여 물의 산소 분자와 수소 분자를 분리한다. 이 수소가
이산화탄소와 결합하면 당이 만들어진다.

The Big Question


A food chain describes how energy from the sun moves from producers to different
levels of consumers.

본문
먹이사슬

먹이사슬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들이 서로서로 먹이 감으로 어떻게 의존하는지를 보여준다.


대부분의 먹이사슬 밑부분에는, 식물이나 다른 유기체 같은 생산자가 위치한다. 이들은
광합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먹이를 만들어낸다. 광합성이란 태양 에너지를 포착하여 자신의
세포 속에 당분으로 저장해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긴 에너지는 먹이사슬의 위쪽으로,
생물체에서 생물체로 옮겨간다.
스스로 먹이를 만들 수 없는 유기체는 살기 위해 다른 생명체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비자라고
부른다. 소비자에도 여러 단계가 있다. 즉 1차 소비자에는 식물을 먹는 동물인 쥐 등이
포함된다. 초식동물로 알려진 이들은 생산자만을 먹고 다른 동물들은 먹지 않는다. 이들 1차
소비자들은 고기를 먹는 동물인 육식동물의 먹이가 된다. 어떤 먹이사슬에는 3차 소비자도
있다. 고양이도 먹고, 쥐도 먹는 늑대는 3차 소비자에 해당한다. 돼지, 소, 곰과 같이, 동물도
먹고 식물도 먹는 2차 소비자와 3차 소비자는 잡식동물이라고 부른다.
먹이사슬은 3차 소비자로 끝나지 않는다.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옮겨간 뒤, 먹이사슬 속의
에너지는 분해자에게로 이동한다. 분해자는 박테리아나 곰팡이 같은 유기체로 죽은 조직을
해체하고 영양분을 토양으로 돌려보내 새로운 생산자의 성장을 돕는다. 따라서 먹이사슬의
에너지는 계속해서 서로 맞바꾸는 식이다.
먹이사슬 내의 에너지를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한 가지 방식은, 밑부분이 넓고 윗부분이 좁은
피라미드형이다. 유기체가 소비를 통해 받아들이는 에너지의 약 10퍼센트만이 위 단계로
옮겨진다. 나머지는 유기체가 생존하고 이동하는데 사용되거나, 체내 열로 소모된다.
결과적으로, 피라미드 내 에너지의 총량은, 다른 단계의 소비자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계속

10
Read Up 1_Answer Key

감소하게 된다.
각 먹이사슬은 태양 에너지를 생산자에서 소비자, 분해자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
가운데 한 방법만을 보여줄 뿐이다. 자연에서 각각의 먹이사슬들은 먹이그물이라고 지칭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다. 먹이그물은 유기체가 먹이를 찾기도 하고, 먹이가 되기도 하는
다양한 경로를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구상의 생물체를 바라보면, 삶과 죽음이라는
자연의 순환 속에 우리 모두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On Your Own
Today I ate a piece of chicken. Energy from the sun was used to grow grains, and
the chicken ate these grains. Then I ate the chicken.

Vocabulary Building
1. sustain / 2. demonstrate / 3. nutrients / 4. visualize / 5. transfer /
6. a / 7. d / 8. a / 9. c / 10. d / 11. In addition to / 12. depend on / 13. break down

Reading Comprehension
1. a / 2. d / 3. c / 4. b / 5. b / 6. c

7. All the energy comes from sunlight, which is changed into food by producers.
8. An herbivore is a primary consumer that only eats producers, or plants.
9. A food web is a network that connects individual food chains. It shows how
organisms find food and feed others.

Summary
1. energy / bottom / photosynthesis / Rely on / herbivores / carnivores
omnivores / Process / soil / pyramid / web / becomes

2. The food chain describes how energy is passed from creature to creature.
Producers are at the bottom and they turn sunlight into sugar. Consumers rely on
other organisms for food. They are differentiated by what they consume.
Herbivores only eat plants, carnivores only eat animals, and omnivores eat both
plants and animals. Decomposers process dead matter and return energy to the
soil. Food chains can be visualized in different ways. A pyramid-shaped model
shows how energy decreases as it moves up the chain. A food web shows all the
ways an animal finds food and becomes food for others.

11
Read Up 1_Answer Ke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believe people in my country are omnivorous. First, we eat a variety of meat such
as beef, pork, and chicken. Yet at the same time, we also consume a lot of fruit and
vegetables, especially rice and kimchi, which is made from cabbage. This mixture
of meat and vegetables proves that Koreans are omnivores.

12
Read Up 1_Answer Key

Unit 5_Pancakes of the World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팬케이크 데이
팬케이크 데이, 또는 참회 화요일은 사순절(기독교 신자들이 신에 대한 신앙심을 나타내기
위해 절제하는 전통을 가진, 부활절 전의 40일의 기간)이 시작하기 전날이다. 과거에는
영양분이 풍부한 음식들이 사순절 기간 동안 엄격하게 금지되어서, 각 가정에서는 계란, 설탕,
버터를 전날 모두 먹어 버려야 했다. 팬케이크는 이런 재료들을 모두 사용하기에 좋은
방법으로 알려졌고, 마침내 참회 화요일과 관련된 전통 음식이 되었다. 오늘날 영국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팬케이크 데이를 기념한다. 팬케이크 경주에서는 사람들이 후라이팬을 들고
팬케이크를 뒤집으면서 달려야 한다. 팬케이크 던지기 경연 대회도 있는데, 참가자들은 1분
동안 최대한 많이 팬케이크를 공중에 던졌다 받아야 한다.

The Big Question


Their batter can be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they can be topped or filled
with different food items, and they can be eaten at different times of day.

본문
세계의 다양한 팬케이크

팬케이크는 세계 많은 나라에서 식사로도, 간식으로도 먹는다. 고대의 팬케이크는 밀가루와


물로 만든 빵에 더 가까웠다. 오늘날의 팬케이크는 영양분이 더 풍부하다. 팬케이크 요리법은
만드는 지역과 만드는 사람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가 매우 다양하다.
두툼하고 둥근 모양이 특징이 북아메리카의 팬케이크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전통적으로
아침식사로 먹는 이 팬케이크는, 만드는 법이 무수히 많지만, 대부분의 요리법에는 밀가루,
달걀, 우유, 베이킹파우더, 설탕이 필요하다. 팬케이크에는 보통 메이플 시럽과 버터를 함께
준비한다. 그렇지만, 팬케이크에 초코렛 칩, 생과일, 슈가파우더(밀가루 형태의 설탕) 같은
다양한 토핑을 함께 준비하기도 한다.
프랑스의 팬케이크인 크레페는 북아메리카의 팬케이크보다 훨씬 얇다. 그렇지만, 재료에서
베이킹파우더만 안 들어가고, 이외에는 공통점이 많다. 스위트 크레페는 디저트나 간식으로
준비하는데, 설탕이나 시럽에서부터 과일이나 초콜릿에 이르기까지 어떤 토핑도 가능하다.
반면에, 메밀가루로 만든 세보리 크레페는 식사대용이다. 이 크레페에는 치즈, 햄, 야채 등이
속 재료로 들어간다.
얇고 바삭바삭한 도사(dosa)는 인도식 팬케이크이다. 도사는 판판하고 넓적하며, 도사를
반죽할 때는 밀가루, 우유, 계란을 넣는 대신에 쌀과 검은 렌틸콩 가루를 넣어 만든다. 도사는
고기와 야채로 속을 채우곤 하는데, 흔히 카레요리와 함께 먹는다. 도사를 아침식사 대용으로

13
Read Up 1_Answer Key

생각하기도 하지만, 하루 중 다른 때 먹기도 한다.


어떤 나라에서는 팬케이크를 먹는 것이 종교의식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도 하다. 영국에서는
참회의 화요일(사순절에 앞서 그 동안의 죄를 뉘우치도록 고백성사를 보는 날)에 팬케이크를
먹는 것이 관습인 때가 있었다. 이 관습이 결국 팬케이크의 날이라는 연례행사로 이어졌다.
오늘날, 팬케이크의 날에 영국인들은 종교를 불문하고 팬케이크를 먹고, 팬케이크 뒤집기 등의
즐거운 시합을 벌이기도 한다.
여러분이 여러분만의 팬케이크를 만들고 싶다면 호주식 팬케이크인 파이크렛의간단한
요리법으로 만들어보라.

재료
달걀 1개
설탕 1/4컵
우유 1/2컵
베이킹파우더가 든 밀가루 1컵
달걀, 설탕, 우유를 함께 휘젓는다.
밀가루를 천천히 섞고 부드러워질 때까지 반죽을 젓는다.
중불에 올린 기름 두른 프라이팬에 반죽 한 스푼을 떠 넣는다.
윗면에 거품이 생기면 팬케이크를 뒤집어 양면이 황갈색이 될 때까지 굽는다.
팬케이크 위에 꿀이나 잼이나 메이플 시럽을 뿌린다.

On Your Own
I'd like to try the Indian dosa. The batter made from rice and black lentils sounds
very interesting.

Vocabulary Building
1. competition / 2. stir / 3. ingredient / 4. customary / 5. rituals /
6. d / 7. a / 8. a / 9. b / 10. c / 11. calls for / 12. be accompanied by / 13. in terms
of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a / 3. c / 4. b / 5. d / 6. d

7. They were more like bread, made from only flour and water.
8. The thick, circular pancakes of North America are best known around the world.
9. Savory crepes are main-course meals made with buckwheat flour and have
fillings like cheese, ham, and vegetables.

14
Read Up 1_Answer Key

Summary
1. earliest / Modern / nutritious / Vary / circular / thin
sweet / Indian / rice / England / annual / pikelets

2. The earliest pancakes were more like bread than pancakes today. Modern
pancakes are more nutritious and vary by location in batter ingredients, toppings
and fillings. The thick, circular North American pancake is world famous and served
with butter or syrup. French crepes are thin and can be either sweet or savory. The
dosa of India is made from rice and lentils and comes with a curry dish. English
pancakes were connected to a religious ritual and are now the focus of an annual
celebration. If you like pancakes, Australian pikelets are simple to make and are
served with sweet topping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My pancake would look like a cat because cats are my favorite animal. I would
make my pancake big but thin, so that it could hold a lot of toppings but still be
easy to cut. As for the toppings, I would start with a scoop of vanilla ice cream and
add different fruits, such as strawberries and blueberries.

15
Read Up 1_Answer Key

Unit 6_The Children of Ancient Rome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고대 로마
고대 로마는 작은 농경 부락으로 시작했다. 기원전 753년에 도시국가인 로마가 현재의 중부
이탈리아에 건설되었다. 수세기에 걸쳐 로마 문명은 왕정에서 공화정으로, 그리고 제정으로
성장했다. 결국 로마제국은 너무 커져서 반으로, 즉 서로마제국(유럽과 북아프리카)과
동로마제국(터키와 아시아 일부)으로 분열되었다. 정치적인 문제와 계속되는 외부의 공격
때문에 서로마제국은 476년에 멸망했지만, 동로마제국은 1000년 더 존속했다. 고대 로마는
서구 사회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고, 그 역사는 현대 사회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The Big Question


Kids spent their free time playing games or playing with toys and pets. They wore
togas and received a basic education if their families could afford it.

본문
고대 로마의 아이들

고대 로마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가족들이 그 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간단한 탄생의식을


행했다. 관습에 따르면, 아기를 아빠 앞에 둔 뒤, 아빠는 그 아기를 가족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아기를 안아 올렸다.
이 아이들은 조금 더 자라면, 한가한 시간에는 친구를 사귀거나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며
재미있게 지냈다. 애완동물을 흔히 키웠는데, 강아지와 같이 일반적인 애완동물을 키우는가
하면, 오늘날로서는 특이하게 생각되는 비둘기, 거위, 원숭이 등도 키웠다. 오늘날의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로마 아이들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를 좋아했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죽마, 연,
구슬, 양의 복사뼈 등을 주었다. 양의 복사뼈로는 너클본(주사위놀이 비슷한 게임)이라는
전통적인 놀이를 하였다. 로마의 청소년들은 틱택톡(오목놀이 비슷한 게임), 보드게임,
전쟁놀이 같은 다른 놀이도 즐겼는데, 전쟁놀이는 특히 소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다.
로마 아이들이 입은 옷은 오늘날 우리가 입는 옷 패션과 많이 비슷하지는 않았다. 아이들은
주로 토가라고 알려진 일종의 드레스를 입었는데, 토가는 길고 늘어지는 옷감으로 몸을 휘감은
것이었다. 여기에다가 소년과 소녀들은 불라라는 보석을 달았다. 불라는 어린시절에 아이들이
착용하고 있으면, 아이들을 보호해 준다는 목걸이였다. 불라에는 악을 피하는 특별한 마법을
지닌 장식물이 있었다.
로마 초기에는 아이를 교육하는 것이 부모의 책임이었다. 남자아이들은 읽고 쓰는 법을
배웠고, 여자아이들은 바느질과 천 짜는 법을 배웠다. 그러다가 마침내 정식 학교가 세워졌고,
집 밖에서 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무상이 아니었기

16
Read Up 1_Answer Key

때문에, 많은 가정에서는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 정식으로 교육받게 할 수가 없었다.


학교에서는 부유한 부모를 둔 아이들이 교육을 받았는데 읽기, 쓰기, 수학 같은 과목들을
배웠다. 그렇지만 여자아이들은 대부분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다. 12세, 13세 때, 부유한
가정의 남자아이들은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법과 문학을 공부했다. 16세 때는 연설법을 공부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연설법은 로마인에게는 아주 중요한 기술이었다.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면서, 주어지는 기회는 성별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집 밖에서 일했지만, 여자는 흔히 집안일과 가정살림을 하는데 국한되었다. 여자는
정부 직위를 차지한다거나, 변호사나 교사가 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한 직업은,
어렸을 때 특별한 교육을 받은 부유한 남자들의 전유물이었다.

On Your Own
In my early years of school, I learned subject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math,
just like kids in ancient Rome did. I also studied music and PE.

Vocabulary Building
1. formal / 2. observe / 3. typical / 4. accept / 5. socialize /
6. a / 7. b / 8. b / 9. b / 10. d / 11. is supposed to / 12. according to / 13. ward off

Reading Comprehension
1. c / 2. a / 3. a / 4. b / 5. c / 6. c

7. At first, children were educated by their parents. Eventually, formal schools were
created and some children began to receive free education outside the home.
8. They held a ceremony where the baby was placed before the father, who then
picked it up to symbolically accept it into the family.
9. Men typically worked outside the home while women managed the house.

Summary
1. accepted / father / games / pets / toga / bulla
Wealthy / formal / Poor / girls / managed / outside

2. When a baby was born in ancient Rome, it was ceremoniously accepted into the
family by the father. As kids grew up, they spent their time playing games and with
their toys and pets. They wore a toga for clothing in addition to a necklace called a
bulla. Wealthy families were able to pay to send their children to formal schools to
be educated. Poor children and many girls, on the other hand, did not receive an

17
Read Up 1_Answer Key

education. When they became adults, women managed the house and worked
within the home. Conversely, educated men worked outside the home in specialized
career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d like to study public speaking the most out of all the subjects. I think public
speaking is an important skill today, just as much as it was in Roman times. The
ability to communicate your ideas clearly to the public is necessary in almost any
occupation. In addition, studying public speaking can help build confidence.

18
Read Up 1_Answer Key

Unit 7_National Flags of the World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사회의 물질적 문화 요소와 비물질적 문화 요소

모든 나라는 다양한 문화 요소가 복합적이고 독특하게 혼합된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요소들 중 일부는 물질적인 것으로, 지니거나 만질 수 있는 것들이다. 물질적 문화
요소의 예로는 옷, 장난감, 건물, 음식, 수공예품, 기계가 있는데, 우리가 외국 여행을 할 때
다르다는 것을 즉시 알아챌 수 있는 것들이다. 다른 문화 요소들은 비물질적인 것으로, 관습,
정치제도, 의식, 언어, 종교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인사법, 즉 손을 흔들거나 키스하거나
머리를 숙여 인사하는 것도 비물질적 문화 요소의 예이다. 물론 한 문화의 비물질적 측면은
물질적 요소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나라의 사상이나 신념은 국기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The Big Question


Flags usually convey meaning through symbolic colors and shapes.

본문
세계의 국기

국기는 국가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깃발이다. 국기는 한 국가의 영토, 인구, 정부를 상징한다.
국기에 나타난 색과 모양은 그 나라 국민들에게 중요한 신념을 표현하곤 한다.
국기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국기의 색깔이다. 국기의 특정 색이 여러 나라에서 같은
개념을 상징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일례로, 중국과 베트남의 국기에서 붉은색은
혁명을 상징하지만, 알바니아와 페루비아의 국기에서는 각각 강인함과 피를 나타낸다.
파란색은 아르헨티나와 유럽연합 국기에서는 하늘을 상징하지만, 그리스 국기에서는 바다를
상징한다. 문화적 단합을 표출하기 위하여 아랍 나라들 국기에는 대부분 초록색, 붉은색, 흰색,
검은색이 들어간다.
국기가 나타내는 의미는 모양을 통해서도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성조기의 경우에서
보듯이, 별은, 한데 모여 한 국가를 형성하게 된 각 집단이나 각 주의 화합을 대변하곤 한다.
의미가 널리 알려진 또 다른 모양에는 별과 초승달이 있는데, 많은 이슬람 국가에서 중요한
신념인 평화와 생명을 상징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독교의 상징인 십자가 모양은 많은 기독교
국가의 국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물론 그 의미가 세계적으로 공통이 아니고 개별 국가에 따라
특별한 모양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의 칼은 정의를 나타내지만, 과테말라
국기의 X자로 놓인 칼은 명예를 상징한다.
국기는 색깔과 모양으로 다양한 배합이 가능한데, 일부 국가의 국기는 거의 같기도 하다.
이렇게 비슷한 이유는 기원이 같아서 일수도 있고, 인도네시아와 모나코의 경우에서처럼 정말

19
Read Up 1_Answer Key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두 나라의 국기는 가로로 나뉘어 있는데 윗쪽 절반은 붉은색이고
아래쪽 절반은 하얀색이다. 인도네시아인에게 인도네시아 국기는 용기와 순수한 의지를
상징한다. 모나코 국기는 13세기 이래로 모나코를 통치했던 그리말디 가문의 전통적인 색을
나타낸다.
여러분이 다음에 국기를 보게 되면 그 국기가 무엇을 상징하는지 생각해보라. 그렇게
해봄으로써 그 나라의 문화와 국민에 대해서 어렴풋이나마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On Your Own
My flag is white with red, blue, and black designs on it. The white represents the
peace and purity of the country's citizens, and the designs show the universe in
harmony.

Vocabulary Building
1. vary / 2. identical / 3. unity / 4. honor / 5. respectively /
6. b / 7. a / 8. a / 9. d / 10. c / 11. stands for / 12. result from / 13. for instance

Reading Comprehension
1. c / 2. a / 3. b / 4. b / 5. a / 6. d

7. National flags represent things like the land, population, government, and culture
of a country.
8. They have similar colors to express cultural solidarity.
9. On the Chinese and Vietnamese flags, red represents revolution. It stands for
hardiness on the Albanian flag, and blood on the Peruvian flag.

Summary
1. identity / beliefs / expressed / Colors / meanings / similarities
Shapes / crescent / global / different / origins / coincidence

2. National flags represent the identity of a nation. Important beliefs held by the
country's citizens are expressed through colors and shapes. Colors may mean the
same thing on different flags, or their meanings may be more specific. Flags with
similar colors may show similarities in culture among countries. Shapes like the
star, crescent and cross have global meanings. Shapes like the sword, on the other
hand, can mean different things on different flags. Flags that look very similar to

20
Read Up 1_Answer Key

each other can be the result of the countries’ shared origins or it may be a
coincidence.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would make my family flag have a blue background. Blue is my favorite color, and
it is my sister's favorite color, too. Our flag would have five vertical lines arranged
by height. They would represent my father, my mother, my older sister, me, and
my little brother.

21
Read Up 1_Answer Key

Unit 8_Sound and Echolocation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청각기관
소리는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으며, 우리의 귀가 소리 듣기를 담당하는 기관(청각기관)이다.
귀는 세 부분, 즉 외이, 중이, 내이로 되어 있다. 외이는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인데, 외부의
소리를 받아서 중이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중이는 이 소리를 내이로 보내는데, 내이가
소리를 판단해서 특별한 메시지를 뇌로 보내면 뇌가 소리에 관해 설명한다. 사람의 귀는 듣는
데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평형감각을 유지하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그래서 귀에 염증이
있는 사람들이 때때로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것이다.

The Big Question


Echolocators emit sounds that travel through the air until they bounce off nearby
objects and return as echoes. Echolocators gather information about their
environment by listening for changes in the echoes.

본문
소리와 반향정위

소리는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연상하기가 쉽지 않은 그 무엇이다. 소리는


에너지의 한 형태로 진동으로 이루어진다. 숟가락 두 개를 함께 두드리는 것을 상상해보자.
숟가락 두 개는 진동을 해서 가까운 공기입자를 움직이게 만든다. 공기 중에 이렇게 움직이는
입자들이 물의 파동처럼, 공기 중 다른 입자들도 움직이게 만든다. 우리가 음파라고 부르는
이러한 움직임은 그 근원이 되었던 숟가락에서부터 멀리까지 움직여간다. 결국 움직임이 우리
귀에까지 도달하여 우리는 숟가락들이 만들어내는 울림 소리를 듣게 된다.
우리 몸에는 이러한 공기 중의 진동을 받아들여 이해하는 놀라운 능력이 있다. 음파가 우리
귀에 도달할 때, 그 정보는 우리 뇌에 다다를 때까지 계속 전달된다. 그러면 뇌는 그 소리를
만들어낸 것이 무엇인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유기체들 가운데 박쥐, 돌고래, 고래, 특별히 훈련을 받은 인간의 경우에는, 음파를 가지고
더한 일도 할 수 있다. 이들은 반향정위(동물이 음이나 초음파를 내어 그 음이 물체에 닿은 후
일어나는 반향으로 물체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라는 능력을 가지고 소리를 이용해서
주변환경을 감지해 낸다. 첫째, 반향정위 생물들은 음파를 방출한다. 그 다음에 그 음파가
주변에서 물체에 부딪쳐 튀어 오르는 반향을 귀 기울여 듣는다. 이러한 반향으로 인해 주변
물체의 종류, 위치, 크기, 움직임 등에 관한 세부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반향이 되돌아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의 길이로 거리를 파악할 수 있는 한편, 반향음에 나타나는 변화로 물체의
크기와 질감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22
Read Up 1_Answer Key

반향정위로 유기체들은 완전히 어두운 곳에서도 돌아다니고 사냥을 할 수 있어서, 야행성


동물에게 안성맞춤이다. 야행성 동물은 박쥐와 같이 밤에 활동하는 동물을 가리킨다. 박쥐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반향정위 생물일 것이다. 박쥐는 반향정위를 사용할 때, 너무
고주파라서 사람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초음파를 낸다.
박쥐가 반향정위를 사용하는 능력은 무척 효율적이어서, 박쥐는 너비가 단 0.08밀리미터에
불과한 철사도 듣고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주변에서 먹고 싶은 것과 먹고 싶은 생각이 덜 나는
것도, 반향으로 구분해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박쥐는 지금 알아낸 것이 맛있는 나방인지,
마른 나뭇잎인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반향정위를 사용해서 나방을 발견하면 박쥐는 먹이
감을 입으로 채간다. 나방 가운데는 박쥐가 내는 초음파를 듣고 먹이 감이 되기 전에 피할 수
있는 종도 있다.

On Your Own
One sound I rely on in my daily life is the sound of my alarm clock. It helps me
wake up in the morning.

Vocabulary Building
1. details / 2. species / 3. invisible / 4. navigate / 5. grab /
6. d / 7. d / 8. d / 9. a / 10. a / 11. has the ability to / 12. make sense of / 13. In
other words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a / 3. a / 4. c / 5. b / 6. b
7. Sound waves arrive at our ears, and information is passed to the brain, which
determines what made the sound and where it came from.
8. Echolocation tells organisms the type, location, size, and movement of objects
nearby.
9. Echolocation helps nocturnal animals navigate and hunt in complete darkness.

Summary
1. vibrations / ripples / brain / information / echoes / objects
location / nocturnal / Ultrasound / navigate / accurate / tiny

2. Sound is a kind of energy that is produced by vibrations and travels through the
air in waves like ripples in water. The brain processes these waves to give us
information about our surroundings. Animals called echolocators make sounds and
listen for their echoes bouncing off objects. These echoes tell them details about

23
Read Up 1_Answer Key

the objects. This skill is very useful for nocturnal animals like bats. Bats create
ultrasound noises that help them navigate and hunt in the dark. Their echolocation
is very accurate and can detect even tiny object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My favorite sound is the sound of fireworks. They are loud, noisy, and very exciting.
They are usually heard during festivals or big celebrations, with big crowds of
people. So when I hear fireworks, I know something fun and entertaining is going
on.

24
Read Up 1_Answer Key

Unit 9_The Human Immune System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박테리아와 질병
박테리아는 우리 몸 안팎, 거의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단세포 생물이다. 그것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생물 가운데 하나이지만, 너무 작아서 보통 현미경 없이는
볼 수 없다.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박테리아의 대부분은 면역 체계에 의해 해를 끼치는 것이
차단되며, 일부는 심지어 이로운 효과를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박테리아가 피부에 난 상처를
통해서 몸 속으로 들어오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때때로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박테리아성 질병은 피부가 빨개지고 부풀어 오르고 따가운 것이 특징이다.

The Big Question


The immune system defends our bodies against harmful germs that could make us
sick.

본문
인간의 면역체계

인간의 몸은 침입자에 대비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성과 같다. 인간의 몸에, 전형적인


침입자란 감염이나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일 수 있다. 우리 몸의 방어능력을 우리는 “면역체계”
라고 부른다. 우리는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이 면역체계에 의존하여 우리를 아프게 만드는
세균들을 찾아내서 공격하고 파괴한다. 세상에는 다른 종류의 세균들이 무수히 많지만,
다행히도 우리의 면역체계에는 그 세균들을 싸워 물리칠 방법이 많이 있다.
면역체계의 첫 번째 방어선은 우리 몸의 외면에 있다. 바로 피부, 코, 눈, 입이 여기에
해당한다. 피부는 우리 몸의 대부분을 덮고 있어 침입자에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면서, 또한
침입균에 대해 우리 몸에 조기경보를 울린다. 이외에도 피부는 세균을 죽이는 화학물질인
항균물질을 만들어낸다. 물론 눈, 코, 입과 같이 피부가 덮지 않는 부위도 있다. 그런
부위에서는 다른 물질이, 피부가 몸의 나머지 부분에서 하듯이 같은 방법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는다. 더욱이, 입과 눈에서 분비되는 침과 눈물처럼, 코와 입 속의 끈적끈적한 점액에는
세균을 죽일 수 있는 효소가 있다.
몸 외면의 방어시스템이 이물질을 물리치는데 실패할 경우에는, 침입자를 막는 다른 방법들이
몸 내부에 있다. 백혈구는 내부방어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몇 가지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데, 한데 모여 세균을 발견하고 맞서 싸운다.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는 백혈구도 있고,
이전에 몸에 들어왔던 세균을 기억하고 알아내는 백혈구도 있다. 또한 어떤 백혈구에는
침입자에 대응하기 위한, 항체라는 특별한 무기가 있다. 각기 다른 항체는 각기 다른 세균에
대응한다. 항체가 자기에게 맞는 세균을 발견하면, 자물쇠를 열 수 있는 열쇠처럼 그 세균에
달라붙는다. 그런 다음 그 세균이 체내에서 해를 끼치지 못하도록 가두어둔다.

25
Read Up 1_Answer Key

비록 면역체계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활동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일어나지만, 때로는


우리 방어체계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여 우리 건강을 지키고 있음을 알게 될 때가 있다. 목이
붓고 아플 때 목 임파선이 부은 적이 있을 것이다. 아니면 손가락을 베었는데 며칠 사이에 나은
적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바로 여러분의 면역체계가 감염에 대응하여 맞서 싸운 것을
경험한 것이다.

On Your Own
I think my immune system is working well. I recently cut my finger and it healed
quickly.

Vocabulary Building
1. invaders / 2. germ / 3. recollection / 4. substance / 5. recognition /
6. b / 7. c / 8. d / 9. a / 10. c / 11. fight off / 12. lock up / 13. carry out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b / 3. b / 4. a / 5. c / 6. c

7. A castle can protect itself from enemies. Similarly, the body can use its immune
system to protect itself from germs.
8. You know that your immune system is working when you see a cut heal or
experience swelling of the neck when you have a sore throat.
9. The skin forms a physical barrier against intruders, provides the body with
advance warning about invading germs, and makes antibacterial substances that
kill bacteria.

Summary
1. germs / skin / warns / kills / Mucus / mouth
identifying / lock / Effects / knowing / heals / recover

2. Our immune system protects our body from infection by germs with external and
internal defenses. The skin is an external defense that keeps out germs, warns the
body of infections, and kills germs. Also, the mucus, saliva, and tears in our nose,
mouth, and eyes block or kill germs. White blood cells are an internal defense that
identifies and digests germs. Their antibodies correspond to specific germs and lock
them up so they cannot harm us. Many of these processes work without us
knowing. However, we can tell the immune system is working when it heals our

26
Read Up 1_Answer Key

cuts and helps us recover from illnesse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am going to strengthen my immune system by sleeping at least seven hours a
day. I usually go to bed too late, so I will need to go to sleep earlier. Also, I will try
to laugh as much as I can because laughing is good for the health. In order to do
this, I will watch more comedy movies and TV shows.

27
Read Up 1_Answer Key

Unit 10_The Ancient Olympic Game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는 기원전 1100~146년에 번성했던 문명으로, 당시에 가장 세력 있는 제국들 중
하나였다. 기원전 8세기에 고대 그리스는 각각 독자적인 법과 지도자를 가진 수많은
도시국가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여전히 공통된 언어와 종교로 결합되어 있기도 했다. 여러
세기에 걸쳐 그들의 문화는 예술, 과학, 정치, 철학 분야에서 많은 새로운 사상을 발전시켰다.
결국 로마에 의해 정복당했지만, 그리스는 로마제국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와 로마
문화는 함께 서구 문명의 토대를 이루는 데 크게 기여했다.

The Big Question


They were a way that all Greeks could come together and honor their gods and
celebrate things like courage and beauty.

본문
고대 올림픽 경기

근대 올림픽 경기는, 훨씬 오래 전인 기원전 776년에 시작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 운동 시합은 고대 올림픽에서는 일부에 불과했다. 주된 목적이 그리스 신들을
숭배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고대 올림픽은 매 4년마다 그리스 해안의 올림피아라는 마을에서
벌어졌다.
당시 그리스는 수백 개의 도시국가로 이루어져 그들 간에 서로 싸우곤 했다. 그러나 올림픽은
함께 공유하는 문화가 있음을 환기시켜 주는 존재가 되어, 그리스인들은 정치적인
의견차이보다 올림픽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이유에서 올림픽경기 전에는 항상 한달 간
“휴전”을 했다. 모든 도시국가들이 아무리 격렬하게 싸웠더라도, 휴전기간 중에는 전쟁을
멈추었다. 더욱이, 각국은 올림픽에 가는 선수나 관람객이 자국의 영토를 통과할 때는 안전한
통로를 마련해 주어야 했다.
올림피아로 가는 시민들은 대부분이 남자였다. 여자들은 경기에서 겨룰 수 없었고, 결혼한
여자들은 관람객으로 입장조차 할 수 없었다. 선수들은, 참가하는 스포츠 규칙상 특별한
장비를 걸쳐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벌거벗고 경기를 했다.
고대 올림픽에는 9개의 경기가 있었다. 하나는 육상시합으로 단거리 경주 두 경기와 장거리
경주 한 경기가 있었다. 전차경주에서는 참가자들이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시합을 벌였다.
권투, 레슬링과 판크라티온이라는 권투와 레슬링의 혼합형 경기가 가장 격렬한 종목이었다. 그
이유는 선수들이 서로를 다치게 해도 막을 규칙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던지기 종목은
창던지기와 원반던지기 두 경기가 있었다. 전자에서는 선수들이 목표물을 향해 정확히 창을
던졌고, 후자에서는 청동원반을 멀리 던졌다. 멀리뛰기 시합에서는 선수들이 최대한 멀리

28
Read Up 1_Answer Key

뛰려고 했다. 마지막으로 5종 경기는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달리기, 레슬링, 멀리뛰기를 모두


합친 경기였다.
올림픽은 5일 동안 계속되었다. 이틀간은 종교 의식에 할애했고, 나머지 사흘은 실제 경기를
위해서였다. 올림픽이 지닌 종교적 의미와 더불어, 그리스인들은 올림픽경기가 용기와 인간
형상의 아름다움을 축하하는 행사라고 생각하였다. 승리한 선수들에게는 월계수 화관과 여러
상을 받았고 모든 그리스인에게서 영웅 대접을 받았다.

On Your Own
My favorite Olympic event is the high jump. I like how people can jump over such a
high bar.

Vocabulary Building
1. practiced / 2. reminder / 3. allot / 4. significance / 5. accuracy /
6. a / 7. c / 8. d / 9. a / 10. a / 11. be made up of / 12. be preceded by / 13. are
based on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a / 3. b / 4. b / 5. c / 6. b

7. They were a reminder of a shared culture and their importance was to honor the
Greek gods.
8. The nine events were the foot race, the chariot race, boxing, wrestling,
pankration, javelin, discus, jumping, and the pentathlon.
9. Winners got laurel wreaths and other prizes and they were regarded as heroes.

Summary
1. four / Olympia / gods / at war / common / before
participate / Athletes / Nine / courage / form / heroes

2. Held every four years in Olympia, Greece, the main purpose of the Olympics was
to honor the Greek gods. At this time, the hundreds of Greek city-states were often
at war, but they shared a common culture. This is why a "sacred truce" was called
before the Olympics. It allowed people from all the city-states to participate in the
games. The Olympic athletes and most of the spectators were men. Nine events
were held, and these were seen as a celebration of courage and the human form.
Winners received prizes and were treated like heroes by all Greeks.

29
Read Up 1_Answer Ke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e Olympics as a soccer player. First of all, I am
pretty good at the sport because I have been playing it for many years. In addition,
it would be great to play on the same team as my favorite soccer players like Park
Ji-sung.

30
Read Up 1_Answer Key

Unit 11_Medieval Castle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봉건제도
봉건제도는 서기 900년경에 프랑스에서 시작된 통치 제도로서, 이후 150년에 걸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제도는 왕과 여왕이 집중화된 왕권을 잃으면서 성립되었다. 그들은
지역의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그 지역에 거주하는 영주들에게 주었다. 영주들은 그곳에 살고
있던 농부(농노)들과 그들의 소유 재산은 물론 땅의 소유권을 부여 받았다. 이러한 권력을 받는
대가로, 영주들은 왕과 여왕에게 충성을 바칠 것과 필요할 때 기사를 보내 그들을 보호할 것을
맹세했다. 한편 농노들은 영주들을 위해 일하도록 강요되었는데, 영주들의 땅을 경작하고
요구되는 일은 무엇이든 수행해야 했다.

The Big Question


Early castles were small wooden forts that were very uncomfortable. Later, they
were replaced by big stone buildings with many features, and living conditions
improved.

본문
중세의 성

영화에서 우리가 본 것에 따르면 성은 매우 로맨틱하고 우아해 보인다. 사랑 이야기, 요정


이야기, 공주가 나오는 신화에 흔히 등장한다. 그러나 실제의 성은 항상 그렇게 이상적인
곳만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초기의 성들을 보면 대부분 춥고, 어둡고, 눅눅했다. 게다가, 직접
불을 때서 공기는 연기로 자욱했고, 어디에나 해충이 문제였다. 배관장치도 없었다.
성은 로마시대에, 아니 그 이전부터 널리 퍼져 있던 요새용 캠프에서 진화했다. 우리가
생각하는 성의 모습은 9세기와 10세기경에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카롤링거 제국이 막
무너지고, 소위 말하는 봉건사회가 이어졌다. 제국의 모든 영토는 각기 분할되어, 끊임없이
경쟁관계에 있는 영주들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영주들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영토를 보존하고,
자신의 권력과 부를 과시하기 위하여 요새를 짓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새들이 초기의 성이었는데, 보통 나무로 지었다. 이 성들은 대부분 “모트 베일리”
라는 양식을 사용해 지었다. 이 양식은 도랑을 둥글게 돌아가며 파고, 흙더미는 가운데 쌓아
올리는 방법이다. 이렇게 인공적으로 만든 언덕이 “모트”로 여기에 성을 지었다. “베일리”는
육중한 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여 성을 보호하는 주위 지역이었다.
시간이 흐르며 성은 점차 변모해서 더 커지고 더 높아졌으며, 건축물의 나무는 돌로
대체되었다. 나중에 지은 성은 탑, 거대한 성벽, 새로운 방어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었다. 성이
더 개선되면서 성 건축술도 함께 진보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성의 모습을 오늘날에도
유럽에서 찾아볼 수 있다.

31
Read Up 1_Answer Key

처음에는 성안에서 사는 것이 불편했다. 살기에 힘든 곳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성 안이


춥고 어둡고 바람조차 막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침실도 없어서 사람들은 성 안의 홀에 있는
의자나 간단한 매트리스에서 잠을 잤다. 나중에, 성 안에 침실을 만들어서 편안해졌다.
벽난로로 난방을 했고 촛불로 빛을 밝혔다. 성은 단순한 방어용 군사 건축물이 아닌 그 이상의
것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은 예배당, 감옥, 병기고, 정부 집무실,
보물창고 등을 지었다. 또한 연못, 우물, 과수원, 정원도 새로이 만들었다. 성이 아주 훌륭한
경우에는 도시와도 같아서, 사람들이 그 안에서 모든 일상생활을 할 수 있었다. 후 세기에
접어들며, 대규모의 잔치, 열띤 시합, 결혼식 등이 성내 삶의 일부가 되었다.

On Your Own
My house doesn't have walls or towers, because it doesn't need to be protected
from enemies. Also, my house is small but it has many comfortable rooms.

Vocabulary Building
1. besides / 2. evolve / 3. Architecture / 4. eventually / 5. construct /
6. b / 7. d / 8. a / 9. a / 10. b / 11. gave rise to / 12. going about / 13. been
replaced by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c / 3. d / 4. d / 5. a / 6. a

7. All the empire’s territory was divided up and controlled by individual lords who
were in constant competition with each other.
8. Sleeping chambers, fireplaces and candles made later castles more comfortable.
9. People built chapels, prisons, armories, government offices, and treasure houses
inside them.

Summary
1. romantic / cold / uncomfortable / forts / land / commonly
stone / improved / heat / private / cities / events

2. The truth about early castles is that they were not as romantic as they are in
stories. Problems like cold, dampness, smoke and pests made life uncomfortable.
These castles were first built by lords who wanted to protect their land and show off
their wealth. They were made of wood and featured a motte-and-bailey design.
Later, stone was used to build bigger and more beautiful castles. Life became more

32
Read Up 1_Answer Key

comfortable in later castles with the introduction of heat, light, and private rooms.
Eventually, castles became like small cities with lots of people living in them and
many events being held.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My castle would have a very tall tower so that I could have a good view of the
kingdom. Also, my castle would be surrounded by a moat, which would help keep
enemies from entering the castle. There would be a garden inside the castle walls
for everyone to enjoy, as well.

33
Read Up 1_Answer Key

Unit 12_How the Stock Market Work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주식회사
주식회사는 한 사람 또는 두 사람 이상이 소유하는 회사와는 상당히 다르다. 주식회사는
주주들이 소유하는데, 주주란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사서 공동 소유주가 되는 사람이다.
주주들은 정기적으로 모여서 이사회를 선출하고, 이사회는 실질적으로 주식회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을 고용하고 해임하는 것은 물론, 회사 방침을 정하는 권한을 갖는다. 또한 많은 면에서
주식회사는 법적으로 하나의 인격체로 간주된다. 실제 사람처럼 자산을 소유하고 계약을 하고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주식회사가 고소를 당할 때, 일반적으로 소유주들에게는
책임이 없다. 주식회사가 파산한다 해도, 소유주들은 투자금을 잃는 것 외에 어떤 책임도 지지
않는다.

The Big Question


The stock market lets people buy and sell shares of ownership in corporations.

본문
주식시장의 원리

매일 주식과 주식시장에 관한 보도로 경제뉴스가 가득 차는데, 이런 용어들의 뜻은 무엇일까?


주식은 기업이라는 특별한 형태의 회사에서 소유권을 나누어가짐을 의미한다. 기업은 경영하는
사람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법적 재체이다. 따라서 기업은 소유권을 투자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런 투자자들이 기업에서는 주주가 되는 것이다.
주식시장은, 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의 주식을 집단으로 사고 파는 것을 보여준다.
오늘날은 이러한 거래가 인터넷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투자자들이 거래를 위해 건물
안에서 만나기도 한다. 구글, 디즈니, 맥도날드 같은 대부분의 기업은 주식시장에 자사 주식을
내놓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업을 확장하고 발전시킬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이다. 주식을
팔면 대출을 받지 않고도 자금을 구할 수 있다. 은행에서 융자를 얻으면 빚을 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주식을 사는 사람도 이익을 볼 수 있다. 기업 소유주 중의 한 사람이 되어 이익을
나누어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기업이 각각의 주주에게 기업
수익을 매년 나누어줄 수 있는데, 이를 배당금이라고 한다. 또는 기업이 사업을 확장하는데
수익 모두를 쏟아 부을 수도 있다. 물론 기업의 주주들이 배당금을 받을 수는 없지만, 이론상,
기업이 성장하면 그 주가가 오를 것이다. 그렇게 되면, 주주들이 주식을 팔 때 원래 살 때
지불했던 값보다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주가란 쉽게 올라갈 수 있는 것처럼, 쉽게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조심해야 한다. 기업이 실적이 나쁘면, 주가가 떨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주주들은 수익이

34
Read Up 1_Answer Key

없을 뿐만 아니라, 낮은 가격에 주식을 팔게 되어 팔 때 손해를 보게 된다. 주식은 장기적인


투자로 보아야 맞다. 확실한 보증이란 전혀 없지만, 투자자들은 주식을 대부분 15년 이상
가지고 있다.
단기적으로, 기업 실적과 시장의 동향에 따라 주가는 오르고 떨어진다. 주가가 대체로 올라
주식시장이 활황일 때를 ‘황소시장(강세장)’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주식이 오를 것이라고
믿고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는 ‘황소 같다(저돌적)’라고 표현한다. 왜냐하면 황소는
앞으로 돌진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경제 용어로 그 반대 성향의 투자자는
곰이다. 곰은 조심스럽고 천천히 움직이기 때문이다. ‘곰시장(약세장)’은 주가가 하락한다. ‘곰
같은’ 투자자는 시장을 믿지 못하여 조심스럽게 투자하거나 아예 주식을 팔아버리기 때문이다.

On Your Own
I would buy stock in Disney because I really like the animated movies they make.

Vocabulary Building
1. overall / 2. perform / 3. investors / 4. available / 5. guarantee /
6. a / 7. c / 8. a / 9. d / 10. b / 11. come out ahead / 12. in theory / 13. be wary of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a / 3. c / 4. b / 5. d / 6. a

7. Corporations exist separately from the people who run them, and they can sell
stock.
8. Bearish investors invest cautiously, or they may choose to sell their stocks to
other investors.
9. Investors can receive dividends from a corporation, or they can sell stock that
has increased in value.

Summary
1. companies / sell / stock market / Corporations / dividends / shares
go down / long-term / rise / aggressively / lose / cautiously

2. Stocks are shares of ownership. They are sold by corporations, which have a
special status that allows them to do this. Corporations sell stock in the stock
market in order to get money without going into debt. Investors buy stock to make
money by receiving dividends or selling valuable shares. However, investors must
be careful, because stocks can go down in value. They should be seen as a long-

35
Read Up 1_Answer Key

term investment. If a market is rising in value, it is called a bull market, and bullish
investors act aggressively. Conversely, bear markets lose value, and bearish
investors act cautiousl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would put my money in a savings account. It is a safe option because you will
always get back at least the money you put in. Although you may not make as
much money as you could in stocks or antiques, there is little risk of losing
everything.

36
Read Up 1_Answer Key

Unit 13_Sink or Float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아르키메데스
아르키메데스는 그리스의 유명한 수학자, 과학자, 발명가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발명품들
중에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식펌프’라고 알려진 장치가 있는데, 이것은 원통 안의 나사 모양의
홈을 회전시켜 물을 위로 전달할 수 있다. (안에 나사 모양의 홈이 파여져 있는 원통을
비스듬히 물 속에 넣고 회전시키면, 물이 홈을 따라 위로 올라온다.) 그런데 아르키메데스는
물의 대체에 관한 발견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듯하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그는
왕관이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감정하는 방법을 찾도록 요청받았다고 한다. 어느 날 목욕을
하는 동안 왕관을 욕조에 넣으면 그 부피만큼 물을 밀어낼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이
발견에 흥분해서 “유레카!(알았다!)”라고 소리치면서 벌거벗고 거리를 뛰어다녔다고 한다.

The Big Question


Buoyancy force pushes up objects that are in water. Sometimes this force is
enough to make an object float, and other times it is not.

본문
뜨느냐? 가라앉느냐?

얼음 덩어리를 물컵에 넣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얼음 덩어리의 무게가 물의 일부를 밀어


올려, 컵 안의 물 높이가 올라갈 것이다. 그러나 그 일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물도 얼음
덩어리를 밀어 올린다. 이러한 현상을 부력이라고 한다. 부력이 있어 어떤 물체들은 물에 뜰 수
있다.
부력은 중력의 정반대이다. 중력은, 물체를 지구를 향해 아래쪽으로 잡아당기지만, 부력은
물체를 밀어 올린다. 부력이 중력보다 세면 물체는 뜨게 된다. 부력이 중력보다 약하면 물체는
가라앉는다. 어느 힘이 더 센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물의 밀도와 물체의 밀도를 비교해보아야
한다. 밀도란 물질의 분자가 얼마나 촘촘하게 서로 무리 지어 있는지를 의미한다.
그리스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인 아르키메데스는 부력에 관한 글을 처음 쓴 사람으로 유명하다.
아르키메데스는, 욕조에 들어갈 때 욕조의 수면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했다. 몸이 들어가니까
물이 밀어 올려지거나, 자리가 옮겨진 것이다. 이 점을 관찰한 후, 아르키메데스는 몇 가지
실험을 하여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알아 넀다. 이 원칙에 의하면, 물체에 의해 옮겨진 물의
무게는 물체의 무게와 같다.
부력의 효과는 간단한 실험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크기의 병 두 개에 물을 채운 뒤, 각
병에 계란을 하나씩 넣어보자. 계란은 물보다 밀도가 조금 더 높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을
것이다. 이번에는 첫 번째 병에 소금을 몇 수저 넣고 소금이 녹을 때까지 저어준다. 계란이

37
Read Up 1_Answer Key

올라오기 시작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소금물은 그냥


물보다 밀도가 높아서, 부력이 세져 계란을 밀어 올리기 때문이다. 두 번째 병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계란이 여전히 물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바닥에 그대로 남아있다.
우리는 무엇이 가라앉고 무엇이 뜰지 밀도를 조사해서 예측할 수 있다. 금속은 밀도가 높아서,
못을 물 속에 넣으면 가라앉는다. 반면에, 나무는 그렇게 밀도가 높지 않다. 나무조각을 물속에
넣으면 물에 뜬다. 물의 부력이 나무가 가라앉는 것을 막아주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On Your Own
Metal items like spoons, knives, and forks will sink in water. However, if a spoon is
made out of wood, it will probably float.

Vocabulary Building
1. compare / 2. notice / 3. opposite / 4. bottom / 5. determine /
6. c / 7. a / 8. a / 9. d / 10. d / 11. came up with / 12. on the other hand / 13. is
equal to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c / 3. a / 4. c / 5. b / 6. c

7. Density describes how tightly an object's molecules are grouped together.


8. He realized that he was displacing some of the water in the tub with his body
because the water level in the tub got higher.
9. The wood floats because its density is less than the density of the water.

Summary
1. displaces / floats / pushes up / gravity / density / bathtub
weight / water / experiment / denser / more / sink

2. An ice cube in water displaces some of the water, and floats because of
buoyancy force. Buoyancy pushes an object up, while gravity pulls it down. The
object's density determines whether it sinks. Archimedes wrote about buoyancy
based on his experience in a bathtub. He said the weight of the water an object
displaces equals the weight of the object. As we can see in an experiment, denser
water has more buoyancy force, so objects are more likely to float in it. On the
other hand, objects that are very dense, like metal, almost always sink.

38
Read Up 1_Answer Ke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A steel ship is hollow and filled with air, so it makes its total weight less than it
would be if it were solid. Also, the shape of the ship helps it displace a lot of water
quickly. These traits help a heavy steel ship displace enough water to let it float,
according to the theory of buoyancy.

39
Read Up 1_Answer Key

Unit 14_How Spacesuits Work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우주 여행의 간략한 역사
우주는 항상 인간에게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우리의 초기 조상들은 별을 보고 그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곤 했다. 이후에 고대 천문학자들은 밤하늘에 보이는 태양계의 몇몇 행성을
식별할 수 있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행성들이 태양을 회전하는 궤도를
계산했다. 17세기에 이르러서는 망원경의 발명이 새로운 발견을 이끌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야 로켓 과학 덕분에 중력에서 벗어나 우주로 물체를 발사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인간은 달에서 걷고 무인 우주선이 금성과 화성에 착륙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은
인간이 만든 여러 우주선이 우주여행을 하면서 우주에 관한 정보를 모으고 있다.

The Big Question


Spacesuits protect astronauts and give them the ability to work in the dangerous
conditions of outer space.

본문
우주복의 기능

우주라는 거친 환경에서 일하는 우주비행사에게는 특별히 필요한 사항들이 있는데, 우주복은


이를 충족시켜주도록 제작되어 있다. 우주선 내부에서는 공기가 엄격히 조절되기 때문에
특수한 옷이 필요 없다. 그러나, 우주공간에서는 기압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인간의 몸은
우주의 진공상태에 노출되면, 체액이 액체상태로 있지 못하고 꿇게 된다. 그래서 우주복은,
적절한 기압이 유지되는 유동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게 제작되었다.
우주복은 비행사가 숨 쉬는데 사용할 100퍼센트 순수한 산소를 공급한다. 지구 대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78퍼센트 질소와 21퍼센트 산소의 혼합물이 아니다. 우주복을 입기 전에
우주비행사는 체내에서 질소를 모두 제거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질소가스 방울이 체액
내에 생겨 ‘급성통증’이라고 부르는 고통스러운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우주복은 산소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비행사가 내쉬는 이산화탄소도 처리하는데, 그 이유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복의 깡통이 가스를 제거해서, 이산화탄소가 우주복
안에 쌓여 비행사가 해를 입지 않게 해준다.
우주복은 또한 유성들로부터 물리적으로 막아준다. 유성이란 빠른 속도로 우주를 날아다니는
작은 돌 조각이다. 유성은 크게 피해를 끼칠 수도 있어서 우주복에는 견고한 보호층이 있다. 이
층은, 신체보호장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최첨단 소재로 만든다. 이외에, 우주복은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발열, 냉각 시스템이 급격한 온도 변화로부터 비행사를
차단해 준다. 태양빛을 받을 때와, 못 받을 때 온도 변화가 심해서 섭씨 160도에서 120
도에까지 이른다.

40
Read Up 1_Answer Key

우주복의 또 다른 특징은 우주복에 있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 우주비행단은 무전기를


사용하여 우주에서 유영하는 비행사들과, 우주선과, 지구의 관제소와 계속 연락을 취한다.
모든 우주복 헬멧에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마이크와 이어폰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을 조율하여, 비행사들은 안전한 우주선 밖에서도 복잡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새로운 우주 임무가 진행될 때마다 우주복 제작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우주복 디자인은,
우리가 우주에서의 삶과 작업에 관해 더 많이 알게 되면 계속해서 진화해 갈 것이 분명하다.
우주복 덕분에 인간은 우주를 더 가까이에서 탐험할 수 있는 것이다.

On Your Own
I do many things every day that astronauts couldn't do without a spacesuit, like
breathing and staying warm. Also, I can talk to my friends without using a radio
system.

Vocabulary Building
1. insulate / 2. exposed / 3. coordinate / 4. vacuum / 5. fluids /
6. d / 7. c / 8. a / 9. a / 10. b / 11. deal with / 12. breathe out / 13. built up

Reading Comprehension
1. a / 2. a / 3. d / 4. b / 5. b / 6. b

7. The radio system allows astronauts to maintain contact with their spacecraft and
ground controllers.
8. Astronauts create carbon dioxide when they breathe out. It's dangerous if there's
a lot of it, so the suit has to get rid of it.
9. Micrometeoroids are small pieces of rock that fly through space at high speeds.
If they hit something, they can damage it badly.

Summary
1. astronauts / air pressure / pure oxygen / the bends / removed
sturdy / guard / Temperature / radio system / Designs

2. Spacesuits are designed to protect astronauts outside their spacecraft. One way
suits do this is by providing the correct amount of air pressure. The air in the suit is
made up of pure oxygen to prevent "the bends," while dangerous carbon dioxide is
removed. The suit has a sturdy outer layer to protect against micrometeoroids.

41
Read Up 1_Answer Key

Also, the suit keeps the temperature constant for the astronaut. A radio system
makes communication possible, as well. Spacesuit designs have changed in the
past and will continue to do so.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would choose to visit Jupiter because it is the biggest planet in the solar system.
During the trip, I would try to see the Earth from outer space and find Korea. I
would also take a spacewalk. Floating in outer space would be an amazing
experience.

42
Read Up 1_Answer Key

Unit 15_Inventive Entrepreneur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특허
발명가들은 새로운 발명품을 개발할 때나 그에 관한 아이디어만 있을 때에도 보통 특허 신청을
한다. 특허란 정부가 인증하는 기본적인 권리로서, 발명품의 소유권을 보장하고 다른 이들이
허락 없이 모방하는 것을 금지한다. 특허는 일정한 기간만 존속하며, 이 기간이 지나면 다른
사람들이 발명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제한되지 않는다. 수많은 새로운 아이디어, 기구,
도구, 장치, 방법이 해마다 특허를 받는다. 하지만 특허가 나기 전에, 특허청은 발명품이
독특하고 유용한 것임을 확인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특허를 받는 것은 때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The Big Question


An invention fills an opportunity niche by meeting a need in a new way.

본문
창업가의 창의적 생각

본인의 사업을 시작해서 경영하는 사람들을 창업가라고 부른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창업가에게 돈이나 자금이 필요하다. 창업을 하는데 필요한 돈이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은행이나 투자자들에게서 대출을 받는 사람들도 있다. 이외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데
중요한 또 다른 요건은 바로 틈새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이다. 틈새 기회란 사람들에게
필요하기는 한데, 다른 어떤 사업에서도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을 말한다. 창업가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서 그 틈새를 채워 주려고 노력한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제품들이 대부분 틈새 기회를 채우기 위해 발명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던 코디 팍스가 한 일도 바로 그러했다. 코디와 그 친구들은 학기말에 교과서를
깨끗이 사용하지 않은 벌금으로 수백 달러씩 내는 것에 짜증이 났다. 코디는 천으로 된 보통 책
커버에 딱딱한 플라스틱 껍질을 더해서 북 잭스라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생각해냈다 교과서가
매일 써서 닳는 것을 북 잭스가 막아주어서, 학생들은 책을 처음 받았을 때와 똑같은 상태로
반납할 수 있게 되었다. 코디의 발명은 특허를 받았고 오늘날 미국 내 문구점에서는 북 잭스를
판매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1800년대 후반에 미국의 한 인쇄소에서 근무했던 험프리 오 설리반의 경우가
있다. 설리반이 하는 일은 하루 종일 서서 해야 하는 일이었다. 설리반은 발의 긴장을
최소화하려고 인쇄소에 고무매트를 가져가, 그 위에 서 있었다. 고무매트는 너무나 효과가
좋아서 설리반은 고무를 신발 바닥에 직접 붙이기로 했다. 설리반의 발명은 즉각적으로 큰
인기를 끌어서, 그는 1899년에 특허를 내고 직접 회사를 세운 뒤, 고무밑창 신발을 제작하고

43
Read Up 1_Answer Key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팍스나 설리반의 발명은 기술적으로 복잡하다거나 금전적으로 돈이 많이 필요한 일이
아니었다. 성공한 다른 창업가들처럼, 이 두 사람은 그저 필요성을 찾아내어 충족시켜 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창의성이 필요하다. 창업가가 발명가이든,
아니든, 그들 모두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지금 벌이려는 사업이 실패해서 돈을 잃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안다. 그러나 진정한
창업가라면 눈에 띈 기회를 무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스스로 상사가
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 즉 중요한 결정을 하고 노력한 결실을 바로 거둘 수 있는 힘은
너무나 매력적이어서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On Your Own
Yes, I have an idea for an invention. My idea is clothing that can change color when
you want it to so it can match your mood or your accessories.

Vocabulary Building
1. complicated / 2. strain / 3. combine / 4. ignore / 5. directly /
6. a / 7. d / 8. b / 9. a / 10. d / 11. are tired of 12. pass up / 13. make a decision

Reading Comprehension
1. a / 2. b / 3. c / 4. a / 5. d / 6. d

7. Entrepreneurs can fund their ventures themselves, get bank loans, or find
investors.
8. It is a cover for textbooks that protects the book from day-to-day wear.
9. All entrepreneurs must take risks.

Summary
1. run / capital / niche / need / textbook / patent
rubber / at work / company / Creativity / risks / benefits

2. Entrepreneurs are people who build and run their own businesses. They require
capital and an opportunity niche to do so. Cody Fox saw a need for a protective
textbook cover. He invented the Book Jax and received a patent for it. Similarly,
Humphrey O'Sullivan invented the rubber-soled shoe by attaching rubber to his
shoes to stand more comfortably at work. He received a patent and started a
company to sell the shoes. Entrepreneurs have some traits in common. For one

44
Read Up 1_Answer Key

thing, they have the creativity to see and respond to an opportunity niche.
Additionally, entrepreneurs take risks in order to receive potential benefit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Among the greatest inventions of the last century, I think the airplane is the most
important. With the airplane, people are able to travel great distances very quickly.
The airplane has also made it easier for companies in different countries to do
business together. Our global economy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airplane.

45
Read Up 1_Answer Key

Unit 16_The Renaissance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고대와 근대 사이
서양 역사가들에게 고대 역사의 시기는 서기 476년 로마의 몰락과 함께 끝이 났다. 이어지는
천년은 중세라고 부른다. 이 시기는 종종 암흑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리스와 로마의
위대한 지적 문명이 쇠퇴했기 때문이다. 중세 유럽에서의 삶은 매우 힘들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문맹이었기 때문에(글을 읽고 쓸 줄 몰랐기 때문에), 대부분의 권력과 부는 혜택 받은
소수가 독점하였다. 보통 사람들은 천국에서의 삶이 고통을 덜어줄 거라는 기독교적 믿음에서
위안을 찾았다. 그러다가 1400년대 초기에 유럽은 엄청난 변화를 겪기 시작했다. 역사가들은
유럽 역사의 다음 시기를 ‘르네상스기’라고 부르며, 근대 역사의 시작으로 본다.

The Big Question


The Renaissance changed how people thought about the world. Previously they
focused on religion, but during the Renaissance they started to emphasize the
individual.

본문
르네상스

로마가 멸망한 후에 유럽은 암흑기로 알려진, 길고도 힘든 시기를 보낸다. 전쟁, 빈곤, 기아가
유럽대륙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가, 1400년 초반에 이르러서는 유럽의 많은 지역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이제 사람들은 삶을 즐기고 싶어져서 그들 주위의 세계에 관심을 더 많이
기울이게 되었다. 이러한 호기심은, 과학, 예술, 언어, 교육 분야에서 창조적인 행위로
이어졌다. 이것이 바로 역사가들이 르네상스라 부르는 현상의 시작이었다.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부활”을 의미한다.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이탈리아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서 이 기간 동안에 중요한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무역을 해서 번 돈과 다른 문화권과의
접촉을 통해, 이탈리아는 유럽의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암흑기에서 벗어났다.
이탈리아가 예술과 교육의 중심지가 되자, 사람들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가, 사상가들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로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보게
되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중세의 종교적인 철학사상에서 벗어나 “인문주의”라고 하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발전시켰다. 인문주의는 각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생은 풍요롭고 흡족한
것이라고 가르쳤다.
인문주의라는 강력한 가치가 이탈리아의 문화를 바꾸어놓았다. 작가들은 라틴어와
그리스어만을 사용하는 대신에, 일반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는 근대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문학작품을 읽고 새로운 것들을 배울 수 있게

46
Read Up 1_Answer Key

되었다. 르네상스시대의 작가들은 일상 생활에 관한 글을 썼고,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계발하고, 더 창의적으로 살고, 삶을 최대한 경험해 볼 것을 권유했다.
르네상스시대의 미술가들도 마찬가지로 각 개인과 일상 장면을 보다 사실적인 이미지로
표현했다. 피렌체의 미술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그 유명한 모나리자와 최후의 만찬을
그렸다. 이들 작품은 사실주의와 감정표현 묘사로 잘 알려져 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 만드는 기술을 발전시켜 목성의 위성 4개를 발견했고,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창안해냈다.
르네상스로 인해 이탈리아의 경제상황과 생활수준도 높아졌다. 다른 유럽인들은 이탈리아를
방문하고 감명을 받아, 이탈리아의 문화와 생활방식을 따라 하기 시작했다. 이런 식으로,
르네상스는 천천히 북쪽으로 퍼져나가 유럽의 다른 지역까지 전파되어 마침내 프랑스, 독일,
폴란드까지 다다랐다. 영국은 유럽에서 맨 마지막으로 르네상스를 경험한 나라였다. 17세기에
영국에 르네상스가 일어났을 즈음에는 유럽대륙은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On Your Own
If I were living in Europe before the Renaissance, I wouldn’t be able to read any
books as they were written in Latin and Greek only.

Vocabulary Building
1. continents / 2. encourage / 3. realistic / 4. curiosity / 5. emphasize /
6. a / 7. d / 8. d / 9. a / 10. b / 11. went through / 12. due to / 13. as well

Reading Comprehension
1. d / 2. d / 3. a / 4. a / 5. d / 6. b

7. Humanism taught people to focus on the individual and live rich, satisfying lives.
8. Italy experienced a lot of trade during and after the dark ages. Therefore, it had
more money and opportunity to explore art and learning.
9. Books were written in other languages so more people could read them.

Summary
1. curiosity / Dark Ages / Italy / rediscovered / individual / religion
literature / Leonardo da Vinci / realistic / Galileo Galilei / north / England

2. Europe’s Renaissance began around 1400, as people developed a new curiosity


for life after the Dark Ages. It started in Italy, supported by money and contact
from trade. There, humanism developed as a new way of seeing the world.

47
Read Up 1_Answer Key

Influenced by rediscovered ideas from ancient Greece and Rome, it focused on the
individual rather than religion. The Renaissance had many effects on Italian culture.
Books were written in languages other than Greek and Latin, artists created more
realistic styles, and scientists made discoveries. From Italy, the Renaissance spread
north to other countries. England was the last to experience the Renaissance.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think experiencing life to the fullest means visiting different places around the
world. Seeing how people in different cultures live would help me understand the
world better. Also, I would be able to compare my own culture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That way, I could find ways to improve myself and my culture.

48
Read Up 1_Answer Key

Unit 17_Time Zones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해시계
사람들은 그림자를 이용하여 시간을 재는 법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들은 그림자가 아침에
길었다가 한낮에 해가 머리 위에 올 때까지 짧아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그림자가 밤이 될
때까지 다시 길어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방향을 바꾼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러한 관찰로부터
그들은 하루의 시간을 알기 위해서 간단한 해시계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최초의 해시계는 땅 위의 막대기와, 매시간 해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 해시계 주변에 그린
눈금으로 구성되었던 것 같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오벨리스크라고 하는 높은 돌탑이
지어졌는데, 사람들은 그 그림자를 보면서 시간을 알았다.

The Big Question


Time zones were made so everyone could follow a standard time system that was
also based on their local time.

본문
지역 시간대

우리가 사는 행성은 태양의 둘레를 공전해서 절반은 태양빛에 노출되고, 다른 절반은 어둠


속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같은 시간에 태양을 향하고 있는 지구의 절반은 낮인 반면, 다른
절반은 밤이다. 또한, 지구는 자전할 때 지구의 중심인 지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상에서
움직인다. 이러한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지구에서 햇빛을 받게 되거나 어둠 속으로 들어오게
되는 부분들이 계속 달라지게 된다.
시계가 있기 전에는, 사람들이 태양의 위치를 이용해서 시간의 경과를 알았다.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있으면 한낮을 의미했다. 시계가 발명되었을 때 시간은 태양의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맞추어졌다. 즉, 시계는 태양시를 기초로 했다. 마을 별로 그 지역의
태양시에 따라 시간을 다르게 맞추었다. 이러한 차이는 철도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열차로 인해 먼 거리도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자, 지역마다
태양시가 다른 것이 열차 시간표를 아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갑자기, 표준시를 정할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지역 시간대를 확정하였다. 1884년에 영국의 그리니치시가 시간을 맞추는
세계의 기준점으로 선정되었고, 표준시는 그리니치 평균시(GMT)로 불렀다. 그러다가 1972
년에 시간측정 기술이 발달하면서 협정세계시(UTC)를 채택하게 되었다. UTC는 여전히
그리니치시를 기준점으로 삼지만, 필요한 경우에 윤초를 더해주어 GMT보다 더 정확도를
유지한다.
지역 시간대의 물리적인 경계는 지구를 하루 24시간에 맞추어 24개의 구획으로 똑같이

49
Read Up 1_Answer Key

나누어서 설정하였다. 시간대는, 지도상에서 북극과 남극 사이를 잇는 세로선인 경도에 따라


나누었다. 지구에는 0도에서 360도까지의 경도가 있어, 각 시간대 구획은 15도씩이다.
각 시간대는 UTC에 대한 지역 시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토론토는 UTC보다 5시간 늦은
시간대에 위치하고 있어, 토론토 시간은 UTC-5라고 적는다. 그리니치가 오후 9시 22분일 때
토론토는 오후 4시 22분이다. 각 시간대 간에는 시만 변하고, 분과 초는 그대로이다. 여러분이
동쪽으로 여행을 가서 다른 시간대에 들어가게 되면 시계를 한 시간 빨리 맞추어야 하고,
서쪽으로 가면 한 시간 늦게 맞추어야 한다.

On Your Own
When I get up, it is already getting dark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So children
there must be eating dinner or getting ready for bed.

Vocabulary Building
1. vertical / 2. forward / 3. adoption / 4. confusing / 5. matter /
6. a / 7. a / 8. b / 9. b / 10. c / 11. in relation to / 12. lead to / 13. keep track of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a / 3. c / 4. d / 5. a / 6. b

7. Half of Earth experiences day while the other half experiences night.
8. Trains made it possible to travel long distances very quickly, so differences in
local solar time made scheduling very confusing and a standard time was needed.
9. The Earth has 360 degrees and there are 24 time zones, so each has 15
degrees.

Summary
1. half / Different / continually / solar time / railroad / standard
Greenwich / leap / zones / degrees / longitude / equals

2. As Earth revolves around the sun, the half exposed to sunlight experiences day,
while the other experiences night. Earth is also rotating, so different parts of Earth
are continually entering sunlight or darkness. Traditionally, people told time using
local solar time. However, the invention of railroad travel created a need for a
standard system. Greenwich, England, was chosen as a reference point and GMT
was created. Later, UTC improved this by adding leap seconds. There are 24 time
zones, based on lines of longitude. One zone change equals one hour change,

50
Read Up 1_Answer Key

described in relation to UTC.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Daylight Savings Time can save my country energy. People would consume less
electricity for lights because there would be more daylight in the mornings and
afternoons. That would also mean people could save a lot of money on their
electricity bills.

51
Read Up 1_Answer Key

Unit 18_The Forces of Flight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라이트 형제
1903년 12월 17일에 라이트 형제는 세계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조종하여 비행을 함으로써
역사에 남는 인물이 되었다. 라이트 형제는 올빌과 윌버 라이트로, 어렀을 때부터 기계에 푹
빠져있던 두 명의 젊은 자전거 수리공이었다. 그들은 무동력 글라이더로 몇 번 실험한 후에,
프로펠러와 엔진을 작은 비행기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올빌이
조종한 그들의 비행기는 12초 동안 36미터를 날았다. 라이트 형제의 성공의 열쇠는 실험과
공학의 극히 정밀한 방법에 있었다. 예를 들어 시험 비행에서 양력(비행기를 날게 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으면, 집에 만들어 놓은 바람 터널과 균형 장치로 세밀한 과학 실험을 하곤 했다.

The Big Question


The four forces of flight are lift, drag, thrust, and gravity.

본문
비행에 작용하는 힘

자연의 새를 관찰하면서 처음으로 인간은 하늘을 나는 기계를 만들 영감을 얻었다. 핵심은


새를 하늘로 올려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날개의 기능 방법을 알아내는데 있었다. 비록
시행착오를 거치는데 수백 년이 걸렸지만, 전문가들은 마침내 비행기를 설계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결과물은 비행에 관련된 네 가지 기본 힘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네 가지 힘은
위로 뜨는 양력, 공기저항에 의한 항력, 앞으로 미는 추력, 밑으로 떨어지는 중력이다.
양력은 비행기를 끌어올리고 공중에 지탱하는 힘이다. 비행기 날개의 특별한 모양이 양력을
만들어낸다. 왜냐하면 공기는 편편한 아래쪽 날개의 표면 위보다, 위쪽의 유선형 표면 위로 더
빨리 흐르기 때문이다. 공기가 빨리 흐르면 날개 위에, 낮은 압력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생기게
된다. 그렇게 되면 아래쪽으로부터 날개를 밀어 올리는 압력이, 날개를 밀어 내리는 압력보다
더 크게 된다. 그래서 날개가 올라가고, 날개와 함께 비행기도 뜨게 되는 것이다.
항력은 물체를 반대쪽으로 밀어, 속도를 떨어뜨리는 힘이다. 항력은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며
마주치게 되는, 공기의 저항 때문에 발생한다. 항력을 낮추기 위해서 비행기 몸체는 길고 가는
형태를 취한다. 이렇게 유선형이어서 공기가 기체 위로 효과적으로 흘러갈 수 있어,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력은 비행기가 공기를 뚫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다. 비행기는 동력에 의지해서 이러한
추진력을 만들어낸다. 재래식 항공기는 비행할 추력을 얻을 때 엔진과 프로펠러 모두를
사용하였다.
비행 중에 작용하는 네 가지 기본 힘 중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인 중력이 아마 가장 익숙한
개념일 것이다. 여러분이 욕실 체중계에 올라서 있다면, 여러분은 중력이 자신의 몸에 미치는

52
Read Up 1_Answer Key

효과를 측정하고 있는 것이다. 체중은 지구의 중력 때문에 생겨난다. 중력을 극복하는 일은


비행 중에 아주 중요한 요소로 항공기 엔진이 맡고 있는 또 하나의 일이기도 하다.
안정된 상태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힘들이 미세한 균형을 유지해야만 한다. 서로
상반되는 양력과 중력이 같아야 하고, 역시 힘이 상반되는 추력과 항력도 같아야만 한다. 물론
이륙시에는 비행기에 작용하는 양력의 세기가, 내려가려는 중력보다 커야 한다. 마찬가지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행기는 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추력을 충분히 만들어야 한다.

On Your Own
I've flown in an airplane a couple times. The force I noticed most was thrust
created by the engines during take off. The engines are very loud while the airplane
speeds up.

Vocabulary Building
1. likewise / 2. exceed / 3. delicate / 4. inspire / 5. overcome /
6. a / 7. c / 8. a / 9. b / 10. d / 11. cut down / 12. pull up / 13. slow down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d / 3. d / 4. c / 5. a / 6. a

7. An airplane creates lift and thrust and it must overcome gravity and drag.
8. Airplanes need to be slender in shape in order to cut down on drag.
9. They use engines and propellers to generate thrust.

Summary
1. operate / forces / Lift / wings / resistance / Thrust
propellers / weight / downward / balance / Takeoff / increases

2. To understand how airplanes can fly, it is necessary to explain four scientific


forces. Lift is created by the plane's wings. The shape of the wings pulls upward on
the plane and keeps it in the air. Drag is created by the air resistance the plane
meets as it moves forward, and it slows the plane down. Thrust moves the plane
forward, and it is produced by engines and propellers. Gravity pulls the plane
towards the ground. In stable flight, these forces are kept in balance. But during
takeoff, lift must outweigh gravity, and to increase speed, thrust must outweigh
drag.

53
Read Up 1_Answer Ke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 would choose to go to Cheju Island by helicopter. First of all, traveling to Cheju


Island by helicopter would give me a wonderful view of Korea. Also, a helicopter
can take off and land in many places. So when I get there, I would be able to visit
many places on the island in a short amount of time.

54
Read Up 1_Answer Key

Unit 19_Charles Darwin and Evolution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찰스 다윈의 학교 시절
찰스 다윈은 어렸을 때 자연을 사랑했지만 학교는 싫어했다. 찰스의 아버지는 그가 게으르다고
생각했고, 그를 에든버러 대학에 보내 의학을 공부하도록 했다. 찰스는 의학을 싫어했고
수술이 매우 끔찍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조개껍질을 관찰하면서 스코틀랜드 해안가를
돌아다니는 것을 훨씬 더 좋아했다. 찰스는 의대를 그만두었고,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의사
대신 목사가 될 것을 제안했다. 그래서 찰스는 목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하러 케임브리지
대학에 갔지만, 그것도 재미있지가 않았다. 그는 수많은 딱정벌레를 모아 상자에 담으면서
시간을 보냈다. 다행히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그는 식물 전문가인 헨슬로 교수와 화석 전문가인
세쥐윅 교수를 만났다. 그들은 찰스를 격려해 주었고 그에게 자연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마침내 찰스 다윈은 그가 좋아하는 분야를 찾게 되었다.

The Big Question


Darwin's primary contribution to science was his theory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본문
찰스 다윈과 진화론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은 진화라는 근대적 이론을 소개하여, 지구상의 생명체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영국의 부유한 가정에서 1809년에 태어나 다윈은 어릴 때부터
자연에 깊은 관심을 보여서, 돌, 식물, 동물들을 찾아 수집하였다. 다윈의 아버지는 다윈이
의학을 공부하도록 에딘버러 대학에 보냈다가, 성직자가 되도록 캠브리지 대학에 보냈으나, 두
직업 모두 다윈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캠브리지 대학에서, 다윈은 식물학자 J.S. 헨슬로에게서
과학 지도를 받았다. 한편, 헨슬로는 다윈을 로버트 피츠로이 선장에게 소개해 주었는데, 1831
년에 피츠로이 선장은 다윈에게 지도제작을 위한 남아메리카 탐사에 동행하자고 제안했다.
다윈이 이를 받아들였을 때, 그 여행이 자신의 인생을 바꿀 것이라는 사실은 미처 알지 못했다.
이 여행은 5년간 계속되었는데 그 기간 동안 다윈은 <지질학 원리>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의
저자는 지구는 수백만 년 전에 생겼고,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것이었지만, 다윈이 관찰한 사항들은 이 개념을 뒷받침하는 것 같았다.
더욱이, 다윈은 지구상의 생명체에도 같은 개념이 적용된다고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남아메리카 외딴 섬들의 무리인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다윈은 몇몇 핀치 새의 무리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핀치새들의 특징은 매우 유사하였으나, 사는 섬에 따라 중요한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윈은 영국에서 더 연구를 할 목적으로, 이 핀치새들을 포함하여 동물 샘플을
수집하였다.

55
Read Up 1_Answer Key

고국에 돌아와서 다윈은 핀치새들을 전문가에게 보여주었는데, 그 전문가는 다윈이, 핀치새를


한 종이 아닌 13종 모은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이후 20년 동안, 다윈은 13종의
핀치새에서처럼 생물 종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다윈이 설명한 것은
자연선택이라는 진화이론이었다. 이 이론은, 한 종의 개체들은 모두 차이가 있는데, 어떤
차이점들로 인해 한 개체는 다른 개체보다 생존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개념에 착안하고 있다.
이 생존자들은 생식할 기회도 더 많아, 유전형질이 어미에서 새끼로 전해진다. 점차, 특정
형질이 무리 가운데 우세하게 되어 세대를 거치면 처음과는 다른 무리가 새로운 종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1859년에 다윈은 그의 이론을 <종의 기원>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처음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윈의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사람들은 신이 세상을
지금의 모습으로 창조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진화개념은 수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오늘날까지도 일반대중 가운데는 다윈의 진화론에 종교적으로 반대하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진화론은 그 배경에 과학적 증거가 담겨있어, 생물학의 중심 원리가 되었다.

On Your Own
Yes, when I was younger I used to collect interesting objects I found in nature, like
small rocks and bones or colorful autumn leaves.

Vocabulary Building
1. encountered / 2. expedition / 3. trait / 4. reject / 5. fascination /
6. d / 7. a / 8. c / 9. a / 10. d / 11. Millions of / 12. for further study / 13. Over
generations

Reading Comprehension
1. b / 2. b / 3. a / 4. a / 5. c / 6. d

7. Traits that help individuals survive better are passed from parent to child. Over
time, the traits of the entire species can change until it becomes a new species.
8. Darwin was not interested in studying medicine or becoming a priest.
9. They think it goes against their religious belief that God created the world as it
is.

Summary
1. nature / collected / careers / Accompanied / specimens / finches
theory / evolve / Published / Controversial / natural selection / biology

2. Early in life, Darwin showed an interest in nature rather than in the careers his

56
Read Up 1_Answer Key

father directed him towards. Later, he accompanied Robert FitzRoy on a sea voyage
to South America. Darwin read Principles of Geology and made important
observations about the finches of the Galapagos Islands. Back home, he worked on
a theory to explain his observations. He theorized that a species could evolve over
time and published his ideas in On the Origin of Species. The book was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ideas about God and evolution. Nonetheles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became one of the central principles of
biology.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The experience that has influenced me the most is the trip I took with my class to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last year. We watched politicians debate important
issues that greatly affected the nation. It was interesting to see topics I only read
about in newspapers come to life. I decided then that I wanted to become more
involved in local politics, and maybe even run for office when I grow up.

57
Read Up 1_Answer Key

Unit 20_Michelangelo and the Sistine Chapel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프레스코
프레스코는 주로 천장이나 벽에 바르는 재료인 회반죽 위에 그려진 그림이다. 회반죽은
처음에는 가루 상태인데 물과 섞이면 두꺼운 페이스트(부드러운 혼합물)가 되어 시간이 지나면
굳는다. 프레스코란 말은 “신선”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프레스코가 아직
약간 약간 축축한 “신선한” 회반죽 위에 직접 그려지기 때문이다. 화가는 회반죽이 건조되기
전에 10시간 이내로 그림을 모두 그려야 한다. 이런 이유로 많은 프레스코가 한꺼번에 전부
그려지기보다는 부분으로 나눠서 작업된다. 화가는 한번에 얼마나 그릴지를 결정하고 그
면적에 알맞은 회반죽을 섞으면 된다. 그러면 다음 부분을 그리기 전에 쉴 수 있다.

The Big Question


The paintings are very large and detailed, and they required a great effort to paint.

본문
미켈란젤로와 시스티나 성당 천정화

1475년에서 1483년 사이에 바티칸시에 건축한 시스티나 성당은, 1500년대 초기에


미켈란젤로가 그림을 그린 1만 2천 평방피트의 천장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미켈란젤로의
작업은 교황 율리우스 2세가 명해서 이루어졌다. 미켈란젤로는 그림보다는 조각을 선호하였고,
이 일이 무척 힘들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었지만, 교황의 명을 거절할 수는 없었다.
1508년에, 미켈란젤로는 방대한 천장에 프레스코화(회벽이 완전히 마르기 전, 그 표면에
안료를 직접 바르는 기법)를 그리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미켈란젤로는 68피트 높이의
천장에 닿는 방법을 찾아내야만 했다. 그는 성당 벽에 붙이는 나무 받침대를 세웠다. 받침대에
등을 대고 누워 바로 위편의 천장에 프레스코 회반죽을 직접 발랐다. 이 자세는 불편했지만
천장에 닿기 위해서는 그렇게 해야 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을 하여 모든 작업을 마치는데 4
년이 걸렸다.
거꾸로 그림을 그리는 데서 오는 불편함 이외에, 미켈란젤로는 다른 문제도 겪었다. 작업
초반에 자신이 사용하는 회반죽이 너무 눅눅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회반죽 안팎으로 곰팡이가
자라 반죽이 부서지게 되었다. 1509년 초반에, 한참 진행 중이던 그림을 포기하고, 다시
시작해야만 했다. 혁신적인 회반죽 기법을 사용해서 다시 시작했는데, 이 기법은 나중에
이탈리아 프레스코 화가들이 사용하는 표준이 되었다. 또 다른 문제는 교황이 미켈란젤로에게
돈을 주는데 소홀했다는 것이다. 미켈란젤로는 모든 시간을 성당작업으로 보냈기 때문에 그
일을 하느라 돈이 다 떨어졌다. 마침내 1512년에 작업을 마쳤을 때, 미켈란젤로는
탈진상태에다, 시력도 나빠졌다.
다행히도, 그의 작품은 바로 걸작으로 인정을 받았다. 교황은 원래 12사도 그림만을

58
Read Up 1_Answer Key

요청했으나, 미켈란젤로는 그림에서 이를 훨씬 더 확대했다. 그는 천장의 가운데 줄을 9개


칸으로 나누어, 각 칸에 창세기에 나오는 장면들을 보여주었다. 천장의 모든 그림 중에서 아마
가장 유명한 장면일, 하느님이 아담에게 생명을 주기 위해 손가락을 뻗는 장면이 그 중 한 칸을
차지하고 있다. 가운데 줄 주변에는, 다윗과 골리앗 같이, 성경에서 잘 알려진 이야기의
등장인물과 장면들이 담겨 있다. 작품의 방대한 규모에 더하여, 관람객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정밀하게 인간의 형상을 그린 세부묘사이다. 미켈란젤로의 완벽한 솜씨로 인하여, 다른
화가들은 보다 사실적인 화풍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서구미술의 방향은 변화하게 되었다.

On Your Own
I painted a picture in school last week. It was a portrait of my family standing in
front of our house. We were all wearing bright clothing and the sun was shining.

Vocabulary Building
1. access / 2. obstacle / 3. occupy / 4. precise / 5. innovative /
6. b / 7. d / 8. a / 9. c / 10. b / 11. is known for / 12. upside down / 13. Reach out

Reading Comprehension
1. a / 2. c / 3. b / 4. b / 5. a / 6. b

7. He painted people and stories that appear in the Bible.


8. The work made Michelangelo very tired and it hurt his eyes.
9. One scene shows God reaching towards Adam to give him life, and another
shows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Summary
1. ceiling / Pope / frescoes / uncomfortable / create / pay
masterpiece / expansive / asked for / Bible / detail / influenced

2. Michelangelo was asked by the Pope to paint the Sistine Chapel. He reluctantly
accepted, knowing he could not say no to the Pope. Michelangelo started the job,
painting frescoes on the ceiling. He encountered many problems, such as having to
lie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to paint. Also, his first plaster recipe failed, so he
had to make a new one. In addition, the Pope did not pay Michelangelo. Despite the
difficulties, he produced a masterpiece more expansive than the Pope's original
idea. It featured many people and scenes from Bible stories. The extraordinary

59
Read Up 1_Answer Key

detail Michelangelo used greatly influenced other painters.

Write and Speak


Sample answer
I’d like to visit the Great Wall in China.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famous
landmarks in the world and is evidence of the great power of Asian civilization. I
am very interested in Chinese history, and so it would be great to walk on the wall
and imagine the history behind the landmark.

6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