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제 1강 3) 투과도가 없는 거대이온 (ie.

prt-)  unequal distribution


1. 확산 현상을 통한 세포막 물질이동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of diffusible ions / Donnan excess
3 가지 -어느 한쪽의 osmolality 증가, 물의 유입 via aquaporin 
radius of spherical particle, viscosity of medium, absolute 투과성 이온의 곱이 작아져 reblance 하기 위해
temperature, conc. gradient, 확산 면적 (세포에서는 물이 또 들어오고  용적은 커진다 (lysis)
diffusion distance – 세포막 두께, viscosity, 전하특성) 나. Double Donnan equilibrium
: non-permeable anion 에 해당하는 non-permeable cation
2. 확산을 통하여 세포막 이동이 일어나는 물질과, 이 반대편에 있음  electrochemical + osmotic eqm
단순수송체를 통하여 이동되는 물질의 수송 특성을 ex) 3 Na+ efflux/ 2 K+ influx electrogenic pump 에 의해
비교하고, 그 차이는? Na+를 실질적인 비투과성 이온으로 만들어준다)
-diffusion: conc. gradient 에 비례, 우연적 분자운동과
collision – 질량이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속도가 커짐 2. 능동수송체의 에너지 특성 및 간접적인 능동수송체 분류
-facilitated diffusion: carrier, transporter 을 통한 enzyme- 가. Primary active transport: against conc. gradient, using
like property (빠른 확산속도, saturation curve, substrate ATP hydrolysis
specificity, competitive inhibition against substrate-like 나. 간접적인 능동수송체 (secondary active transport)
molecules – cycles of conformational changes) 예시. 1) symporter(co-transporter) : downhill 로 이동되는 물질과
glucose 같은 방향으로 이동
2) antiporter(exchanger) : downhill 로 이동되는 물질에 대해
3. Osmolarity 와 tonicity 의 의미와 그 차이를 설명하고, 반대방향으로 이동
이를 기준으로 세포 용적 조절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primary active transport creates conc. gradient for
-Osmolarity : total conc. of all solute present secondary active transport
-Tonicity : conc. of the solutes that does not enter the cell
– solutes that influence the osmotic pressure gradient - 3. 상피세포층을 통한 물질 수송의 대표적 예로서 Na+
세포내외의 용질들이 실제로 투과성이 있는가 하는 문제 의존적인 glucose 이동을 도식적으로 설명
(Effective osmolarity)
ex) Isotonicity, Hypertonicity, Hypotonicity (water enters
from lower to higher solute conc.  increase in
intracellular volume)

4. 전하를 가진 이온의 농도경사에 따른 이동이 균형을


이루는 메커니즘 및 이 균형을 기술하는 수식을 설명할 수
있다.
-농도경사에 따른 이동경향(Chemical potential difference),
전압차이(electrical potential difference)
-Nernst equilibrium potential 식
Nernst potential = voltage required to prevent the flow of
ions down their conc. gradient
각 이온에 대한 electrochemical potential 의 균형상태
-Goldman-Hodgkin-Katz equation(GHK-equation)
실제 세포막전압은 이온들에 대한 다양한 선택적 투과도의
총합
세포는 K+에 대한 통로가 안정상태에서 더 활발  K+
equilibrium potential 에 가까운 resting memb. potential 4. 생체전기현상의 역사적 이해 과정에서 갈바니와 볼타의
이론이 대립하였던 핵심 요인이 무엇인가?
제 2강 *죽은 개구리 뒷다리가 금속을 가져다대니 수축한다.
1. 세포막전압이 형성되고 유지되기 위하여 Nernst 균형 -갈바니 : 생물전기파
외에 필요한 요소 =동물의 몸(신경과 근육)은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가.Gibbs-Donnan equilibrium 있는 특성이 있다고 생각
1) Principle of electroneutrality: 하나의 구획 안에서 총 =self electrical stimulation 이 전류를 통하면서 근육 수축
전하값은 “0” 일어남
2) 투과도가 있는 이온들이 각 구획에서 만드는 chemical -볼타 : 물리전기파
potential 은 동일 =서로 다른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을 갖는 상이한
ln[x] + ln[y] = ln[x][y] 금속들의 경계면에서는 전위차이가 전류를 만들 수 있다.
제 3,4 강 3. 세포막과 이온통로의 전기적 등가회로를 바탕으로
1. 활동전압의 발생기전을 이해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 이온전류가 막전압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
실험들의 핵심요소 -콘덴서에 걸리는 charge 와 voltage 의 관계
Hodgkin 과 Huxley 의 오징어 신경섬유 실험 -lipid memb = capacitor (Cm); ion channels = resistance
-Max. depol 값이 0mV 를 넘어 +ve value  안정막전압이 (Rm)
소실(0mV)되는 것이 아님 - C, R in parallel
& Na+의 Nernst equilibrium potential (50mV)와 가까움  - 배터리는 세포 안팎의 안정막전압
Na+에 선택적인 투과도 증가 ion channels, 저항성분이긴 하지만, conductance = 1/R (
(sodium potential 을 낮추면서 action potential 을 기록: 막전압에 대한 여닫힘  variable conductor)
action potential 크기가 줄어듬) -전류를 주입하면, “실직적인 저항 없이 전하의 이동이
-Hyperpolarization: repol 의 최대값이 안정막전압보다 더 가능한” Cm 에 우선 흘러감 (세포막, 축전기에 붙음)
아래  K+에 선택적인 통로, 즉 highly-selective + highly- -축전기가 포화되면 저항성분 Rm 으로 current flow
permeable 한 channel 이 repol phase of action potential -막전압 = 저항성분에 따라 흘러가는 current 와 resistance
에서 더 열린다고 추정 의 정도에 따라 결정 (ohm’s law)
-Electrotonic potential: passive phenomenon, 세포막전압은 (ie. 세포막저항이 크다면 – 열려있는 채널이 적다면- small
자극전류의 양과 방향에 비례 (dissipation) – depol, repol current can induce 큰 전압변화)
양상을 보임 (ie. 세포막의 축전능이 크다면, 전류 주입에 따른 막전압의
2. Hodgkin 과 Huxley 가 막전압고정법을 통하여 얻은 변화반응속도는 느림)
결과들로부터 알게된 사실 4. Inactivation 의 전압의존성을 바탕으로 생리적 조건(예:
5. 활동전압의 실무율 현상 및 빠른 탈분극속도를 세포외액의 조성)이 활동전압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막전압의존성 이온통로의 특성을 바탕으로 Hodgkin cycle 설명한다.
개념 Na+ channel 의 activation 과 inactivation 는 별개의 전압에
-Inward sodium current (INa)가 -50mV 보다 높은 depol 의존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다, -20mV 까지 크기가 급속히 Na+ channel 의 inactivation 이 전압이 less negative 해 질
증가 수 록 민감하게 일어남
+50mV 근처에서 outward 로 바뀜 (reversal potential) – 만약 extracellular fluid 에서 K+ conc.가 올라가는 일이
Nernst Equilibrium potential 이랑 일치. 발생하면
DRIVING FORCE = memb. potential (Vm) - Eqm potential K+ ion 이 Nernst eqm. potential (EK)가 less negative 해짐 (-
(ENa) 90mV  -60Mv): 세포의 resting memb. potential 은 EK 에
 Voltage-dependent activation, depol activates Na+ 근접  안정막전압 또한 less negative 해짐.  Na+
conductance (gNa), Na+가 들어와서 depol 이 강화 또다시 channel 의 inactivation 이 significant degree 가 됨
더 많은 Na+ channel 이 열림: +ve feedback  순간적 Action potential 발생이 힘들어짐
depol (overshoot) (inactivation of Na+ channel, 즉 K+ channel 은 더 열리고,
어느 수준 이상의 부분적 depol 부터 저절로 최대값까지 shorter depolarisation period 와, longer refractory period
action potential 이 발생: all-or-none 현상 를 가지면서 weaker, shorter action potential)
Na+ 저절로 닫히는 특성 (inactivation due to decreased
driving force for Na+) Normal resting In response to Memb. Memb.
potential electrical potential, potential low
-Outward K+ current (IK), depol 할수록 크기가 증가 (일정한 current high enough
수준의 depol 에서 K+ channel 이 열림)  평행전압에 enough
(peak)
가까이 접근 Activation Blocked Opened Remained Closed
K+ Channel 의 열림은 repol 을 일으킨다; K+ channel 은 gate opened
Inactivation Deinactivated Remain closed reopens
Na+ channel 보다 늦게 열린다 (due to 상호 반대 방향 gate (opened) opened
이동) Status of Deactivated depolarisation inactivated Deinactivatio
Na+ state n
channel Removal of
inactivation
=deactivated

6. 활동전압 재분극의 이온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Na+ channel 보다 늦게 열리는, K+ channel 이 열리면서
세포 안의 K+가 세포 밖으로 확산
 K+가 세포 밖으로 나가면서 세포막 안쪽이 다시 –ve 한
resting memb. potential 로 돌아감
-Na+ channel 의 저절로 닫히는 특성도 repol 을 돕는다
(inactivation + deactivation)
7. 신경세포에서 반복 활동전압의 불응기가 무엇인지  prt conformation in ion channels (esp. in 극성
실험결과를 도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아미노산이 많은 domain)
-Refractory period : 이어지는 action potential 반응이 ie. Na+ channel, 열림  막전압의 추가변화 (positive
일어나지 못하는 기간 feedback)  급격한 depol
 Na+ channel 의 inactivation 때문 (time required for de-
inactivation)
제 6강
다시 repol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야만 depol 에 의한
1. 신경축삭(axon)을 통한 자동재생산적인 활동전압의 전파
전류이동 가능 (memb. potential 이 –ve enough 해야함)
기전
-음성막전압 상태가 확실히 낮은 상태  shorter refractory
-active patch of membr. = source of stimulus current
period
-local circuit current: 앞 capacitive current 담당
제 5강 뒤 K+current - refractory period (Na+ channel, in
1. 단일이온통로 특성을 밝혀낸 Patch clamp 기법의 기술적 inactivated state)
핵심요소 2 가지와 기록방식 3 가지 -unidirectional
가. 기술적 핵심요소 세포막이 complete insulator x 세포 밖 주변으로 퍼지기
1) 세포의 인지질막은 매끈하게 끝처리가 된 미세유리관 때문에, depol 은 exponential decay
끝의 둘레에 저절로 달라붙는 성질이 있다. -> threshold 까지 전파된 곳에서 action potential
2) 미세유리관을 세포에 살짝 올려놓은 다음 약간의 음압을 regeneration
걸어주면 순간적으로 세포막과 유리관의 접착력이 높아진다.
나. 기록방식 2. 활동전압 전도속도를 설명하는 케이블 특성의 요소들과
1) cell-attached recording : 세포에 접착만 시킨 상태에서 관계
기록, most physiologically-intact length constant, λ = how far a stationary current will
2) inside-out recording : intracellular surface exposed to influence the voltage along the axon
air - chemical/molecular effect on behaviour of single ion λ 가 클수록, conduction velocity 도 크다
channels & effect of medium 연구 가능 -active area of memb. will be able to depolarise more
3) whole-cell recording : strong suction – memb. patch distant areas to threshold
within pipette is disrupted  pipette is continuous w/ -memb. resistance (rm) 이 클수록, more current remain
cytoplasm – measurements of electrical potentials + inside axoplasm to travel longitudinaly through axon
current of entire cell 연구 -axoplasmic resistance (ri)이 클수록, harder for current to
travel through axoplasm
2.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는 자극의 모드에 따라 구분
물리적 자극(stretch-activated, touch receptor cells of propagation time constant
human finger pads, contact 가 자주 일어나는 site); -Cm membrane capacitance
화학적 자극 (synapse, skeletal muscles – acetylcholine); -smaller propagation time constant, faster conduction (as
호르몬; 약물 Vm changes more rapidly)

3. 선택적 이온투과가 가능한 분자구조의 핵심요소를 K+ 3. 미엘린껍질의 기능과 도약전도 현상


channel 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Myelination: decrease Cm but increase Rm  time constant
1) Electrostatic: -ve charge 갖는 아미노산을 구멍 주위에 감소, length constant = prime factor
배열하면 Na+, K+, Ca+ 같은 cation 을 끌어올 수 있음 insulated by myelin sheath, action potential-induced current 가
2) Selectivity filter, located at the narrowest part 세포막을 통과 x
->K+가 selectivity filter 를 지나가려면 hydration capsule 을 action potential 발생 지점: nodes of Ranvier (saltatory
벗고 대신 selectivity filter 벽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들과 conduction)
일시적으로 붙었다가 반대편으로 넘어가면서 그곳에 있는
물분자들을 입음 4. 흥분성세포 사이에 전기신호가 직접 전파될 수 있는 경로
cf) Na+는 +ve charge 가 concentrated 되어있어, Na+를 및 분자
둘러싼 물옷이 겹으로 둘러쌈 gap junction 빠름빠름~~
벗겨주기에는 K+통로의 선별필터의 크기와 위치가 -allows for direct electrical communication b/n cells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Na+는 지나가지 못함 (imparting single channel conductance)
-ensures that molecules + current passing through the
4. 막전압의존성 활성화가 가능한 단백질 분자구조의 예를 gap junction x leak into intercellular space
설명할 수 있다. ie. propagation of cardiac action potential via gap junction
-Voltage-gated : width of memb. (nm)에 비하면 꽤 큰
막전압(mV)
5. Na+ channel 에 대한 천연독소들을 두 가지 이상 예를 들고 4. 운동단위의 정의 및 운동단위동원에 의한 근력조절의
그 생체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의미
-Na+ channel 차단 : TTX(Tetrodotoxin, 복어), Saxitoxin( 운동단위(motor unit) = 운동 신경 하나가 지배하는 근섬유
쌍편모조류) 그룹
-Na+ channel 항진 : Aconite(백부자로 알려진 식물의 뿌리), 운동단위동원: 하나의 somatic neuron 이 흥분하면 지배하는
DDT, Batrachotoxin(독화살개구리) 모든 muscle fiber 동시 수축  근력 발생
제 7강  한 운동단위 자극으로 일어난 수축력이 distributed,
avoiding risk of 손상, 찢어짐 (due to 한 부분에 집중)
1. 골격근 운동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일으키는
Innervation ratio: 운동 단위의 크기 (precise or large scale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mvt)
가) Pre-synaptic:
-Action potential of motor nerve  opening of V-gated
5. 근육길이와 수축의 종류를 다음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Ca2+ channel in presynaptic terminal  [Ca2+] 증가
있다: 등장성, 등척성, 후부하 수축
-exocytosis of synaptic vesicle  Ach released into
가. 등척성 isometric contraction
synaptic clef
-sacromeres shorten (generating energy), but elastic
나) Post-synaptic:
elements stretch  same length
-Ach binding to nicotinic type (비선택성 cation 채널)
-tension / force generated by m. without m. shortening
receptor – ligand-gated channel – in sarcolemma
나. 등장성 isotonic contraction
 channel opening (Na+ influx)  End-Plate potential >
-elastic elements already stretched, sarcomeres shorten 
threshold for activating V-gated Na+ channel
entire m. must shorten
 [Na+]증가  action potential
-m. counteracting w/ enough force to overcome the load
applied to m.
2. 골격근 세포에서 흥분-수축의 연결과정
-concentric contraction (shortened); eccentric
골격근 requires faster contraction  storage of Ca2+ in
contraction (lengthened)
Sacroplasmic reticulum 이 필요
다. 후부하 afterload 수축
V-gated Na+ channel 이 열리면서 action potential
-load encountered after m. starts shortening
generated  T-tubule 안쪽으로 퍼짐
-occurs where unexpected perturbation in load
가) Membrane depol opens DHPR (L-type Ca2+ channel)
나) Mechanical coupling b/n DHPR & RyR (Ca2+ release
6. 평활근의 수축과정을 크게 둘로 나누어 (전기적 흥분과
channel - 열리게함)
수용체 자극) 기전을 설명하고,
DHFR-RyR form a junctional complex
최종 수축을 조절하는 “Ca++ sensitivity”에 대하여 설명할
다) Ca2+ exits the SR via RyR, activating troponin C (
수 있다.
muscle contraction)
Smooth m. 의 수축은 autonomic nervous system 뿐만
라) troponin complex 가 myosin-binding site 를 차단하고
아니라, 호르몬, 약리학적 자극, 대사물질, 온도, 신장, 압력
있는 tropomyosin 을 옮겨줘, myosin 의 머리 부위가 actin 에
-매우 느린 depol  L-type Ca2+ channel 열림  세포 내
결합  cross-bridge cycle 형성 (excitation-contraction
[Ca2+] 증가
coupling)
-Ca2+가 CaM 과 결합  MLCK 에 결합  효소 활성 증가
(myosin 의 regulatory light chain, phosphorylation)
3. 흥분빈도에 따른 골격근 수축의 조절과정: 연축, 경축,
 cross-linkage w/ actin
강축
-actomyosin ATPase 효소 반응이 느려, 느린 수축 속도
연축(twitch) : a single brief contraction of a single muscle
- 수축의 종료 : MLCP 에 의해 myosin 에 붙은 P 제거
fiber
* 최종적으로 평활근의 수축상태를 결정짓는 것은 MLC 의
-speed of tension development, determined by isoform of
인산화 상태
myosin ATPase (ATP hydrolysis rate)
-twitch duration, determined by how fast the SR removes
Ca2+ sensitivity: Ca2+증가, MLCK 활성화 or MLCP 억제 
Ca2+ from cytosol
강력한 수축상태
강축(tetanus) : fully relaxing 하기 전의 twitch 가
1) rho-A 의존적 인산화효소(ROK)
summation 함 – higher frequency 에서 relaxation b/n
2) protein kinase (PKC)
“twitch” is progressively reduced  steady state of tension
3) phospholipase C(PLC)
-teanic tension reached when sarcoplasmic Ca2+ level 이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이 활성화 시킴
max.
경축(rigidity) : 비정상적, 지속적으로 강축이 수축되는
1) Na+ channel 외에도 느리게 열리는 다른 통로 : depol 로
유도되는 Ca++ 통로 존재
-> 세포 내로 양이온(Ca++) 유입
* 세포 내로 들어온 Ca++는 SR 에서 Ca++ 방출 촉진 ->
수축으로 직결됨
2) 활동전압 기간동안 K+ channel 이 닫혀있음 : Kir(inwardly
rectifiying K+ channel)
-> 평형전압 근처에서만 전류가 지나갈 수 있음(일단 depol
되면 닫혀버림)
3) 재분극을 일으키는 K+ channel 이 매우 느리게 열림 : Kv
ex) HERG
*평상시에 심장세포의 안정막전압은 –80~90mV : K+
channel 이 평소보다 많이 열려있음
1. 골격근 활동전압의 재분극 관련 이온통로의 특성과
돌연변이가 보이는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3. 온도와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TRP 채널에 대하여 예시할
Cl- channel (highly-dense: CLC-1 in m.)
수 있다.
-ve memb. potential  electrostatic repulsion against Cl-
가. TRP channel : non selective cation channel – activated
 세포내 [Cl-] 낮음
by environmental/external factor
depol or action potential generated  influx of Cl- 
나. TRPV1 : 뜨거운 온도에서 활성화 -> ‘뜨거운 통증’으로
repol (addition to Na+ inactivation & K+ activation)
인식
빠른 repol 을 통해 단일 활동전압이 단일 twitch 만 하도록
다. TRPM8 channel : 시원한 느낌 ex) 민트성분

라. TRPA1 : 통증으로 인식 ex) 마늘이나 겨자
Myotonia congenita: Cl- channel malfunction, 전기자극에
더 민감, 긴장성 수축 + 강한 수축 x
4. 상피세포에서 전해질 흡수/분비에 관련된 이온 채널들의
2. 심장근 활동전압의 특성을 골격근과 비교 설명하고, 종류와 배열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관련된 이온통로들의 특성을 설명한다. 상피세포에서 전해질을 흡수할 때는 ENaC 를 이용한다. 이
가. 심장근의 특징 : E-C coupling 이 느림, 연축으로만 통로를 통해 Na+를 흡수하면, 삼투압이 증가하여 물을
이루어짐, 수축력은 action potential 의 높이와 길이 및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과하면 고혈압을 유발할 수
myofilament 에서 내보내는 Ca2+의 양에 따름  긴 활동 있다. 반대로 독성이 있는 물질 등을 흡수하면 안될 때,
전압이 필요 (+ 혈액이 뿜어져나가는 과정) 보호작용으로 CFTR 을 이용한다. 이 통로를 통해 Cl-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면 물 흡수도 일어나지 않고, 설사를 하게 된다.
나. 긴 활동전압을 유지하는 기전들
1) resting memb. potential: Kir 이 열려 있어서 K+ 5. 면역세포에서 중요한 칼슘통로(CRAC)의 특성을 설명할 수
equilibrium potential 가까이에서 안정막전압 유지 있다.
2) 부분적 depol 이 threshold 에 이르면 Na 급속열림,
금방 다시 닫힘
3) depol 과 동시에 Kir 의 pore block  막힘
4) 이후 잠시 transient outward current (Ito)가
일시적으로 열렸다 닫히면서 phase 1 과 phase 2
사이에 일시적 repol 약간 보임 (notch)
5) 이와 함께 약간 늦게 열린 voltage-operated
(gated) Ca2+ channel 에 의하여 높은 depol 수준이
유지됨 (plateau phase, phase 2): 이 시기에는 아직
voltage-gated K+ channel 들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전이라 depol 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음 -CRAC(Ca++ release activated Ca++ channel) : ER/SR 의
6) 잠시 후에 IKr (HERG), 또 조금 있다가 IKs (KCNQ1) Ca++ release 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세포막 칼슘통로
이 열리면서 repol, repol 에 의하여 Ca2+통로는 · STIM : ER/SR 의 칼슘 고갈상태를 Orai 에 전달해주는
닫힘 전령역할 단백질
7) repol 이 진행되는 후반기에 (음전압에 * CRAC 의 역할은 특히 면역세포에서 중요
가까워올수록) Kir 의 폐쇄가 풀리면서 다시 Kir (∵ 림프구 등의 자극이 적절한 면역세포 활성화로
전도도 증가 - 더욱 강한 음성전압상태로 복귀를 이루어지려면, 세포 내 칼슘농도의 지속적 상승 상태가 중요)
도와줌 (repol 기여). · Orais STIM 유전자 돌연변이 -> 심각한 면역결핍질환
· CRAC 억제하는 약물 사용 -> 과잉면역반응이나
자가면역방응 치료, 완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