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0

조사연구 2019-0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 구 기 관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 박미희(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공동연구원 : 노법래(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현경(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전문위원)
유재윤(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연구원)
연구보조원 : 강수진(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수료)
목 차

요약문 ··················································································································· 1

제1장 서 론 ··········································································································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1
제2절 선행연구 리뷰 ································································································ 14
1. 국내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 검토 ··············································· 14
2. 해외 기부트렌드 연구 검토 ······································································ 15

제3절 연구의 내용 ···································································································· 18

제2장 연구방법 ··································································································· 19


제1절 전문가 조사 ···································································································· 21
1. 서베이 조사 ································································································ 21
2.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 ············································································ 22

제2절 언론 분석 ········································································································ 24
1. 기사 본문에 대한 토픽 분석 ···································································· 24
2. 헤드라인을 통한 이슈어 출현 시계열 분석 ············································· 25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년 한국의 사회이슈 ······································· 27


제1절 토픽 모델링을 통한 기사 본문 분석 결과 ··················································· 29
1. 기부 ············································································································ 30
2. 복지국가 ····································································································· 34
3. 기업 ············································································································ 38

제2절 언론 보도 핵심어 노출 추세 분석 ································································ 43


1. 기부 관련 키워드 ······················································································· 43
2.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키워드 ·························································· 45

i
3. 기타 주요 사회이슈 ··················································································· 51

제3절 시사점 ············································································································· 67

제4장 2018년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 69


제1절 법령 및 제도의 변화 ······················································································ 71
1. 지정기부금단체 의무사항 대폭 강화 ························································ 71
2. 기부금 세제혜택 범위 확대 및 이월공제기간 연장 ································ 72
3.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 : 공익법인 등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 77
4. 공익법인회계기준 제정에 따른 실무지침서 발간 ···································· 77
5.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 ············································································ 78

제2절 정책관련 주요 이슈 ······················································································· 79


1. 공익법인법 개정안 ····················································································· 79
2. 부처합동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발표 ···································· 83

제2절 비영리조직의 대응활동 ·················································································· 85


제4절 시사점 ············································································································· 87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 트렌드 ··············································· 89


제1절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평가 ······················································· 91

1. 모금시장의 저성장국면 진입 ···································································· 92


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 97
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 102
4. 사회적 투명성 강화 ················································································· 105
5. 2018년 전망에 대한 전반적인 타당성 ···················································· 109
6. 2018년의 인상적인 사회적 사건 ····························································· 110
7. 시사점 ······································································································· 112

ii
제2절 2019년 전망 ·································································································· 113
1. 2019년 기부 전망 ····················································································· 113
2. 2019년 주요 기부 이슈에 대한 전문가 인식 ·········································· 118
3. 2019년 기업 기부에 대한 전문가 인식 ··················································· 127
4. 2019년 기부자의 주목을 얻을 기부 분야 및 대응 이슈에 대한 전문가 인식 ····· 130
5. 시사점 ······································································································· 137

제6장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 139


[Trend 1]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 ······································ 141
[Trend 2] 기부자 유동성 증대 ··············································································· 146
[Trend 3] 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 149
[Trend 4] 두 개의 채널, 두 개의 바퀴 : The New Classic ································· 152
[Trend 5]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 : 비영리 마케팅 ···························· 158
[Trend 6] 투명성! 여전히 지뢰밭 ·········································································· 163

제7장 결론 ········································································································ 165


제1절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리뷰 ······················································· 168
제2절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 171

참고문헌 ············································································································ 177

부록 ··················································································································· 179
[부록 1] 전문가 인식조사 설문지 ·········································································· 181
[부록 2]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 192
[부록 3] 2019 한국사회 핵심 트렌드 정리 ···························································· 209
[부록 4] 법령자료 ···································································································· 218

iii
표 목 차

<표 1-1> 국내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 ···························································· 15


<표 1-2> 2018 해외 기부 트렌드 ·················································································· 17
<표 2-1> 전문가그룹 구성 ····························································································· 21
<표 2-2> 설문지 구성 ···································································································· 22
<표 2-3> FGI 참여 전문가 ···························································································· 23
<표 2-4> FGI 질문지 구성 ···························································································· 23
<표 3-1> “기부”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 33
<표 3-2> “복지국가”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 36
<표 3-3> “기업” 관련 토픽의 주요어 구성과 베타값 ·················································· 40
<표 3-4> “기업”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 41

<표 4-1> 2013년 2015년 연도별 5개 사회복지법인의 고액기부 현황 ······················· 73
<표 4-2> 연도별 근로소득자 종합소득과세표준 규모별 1인당 기부금액 현황 ·········· 73
<표 4-3> 연도별 기부금 공제 신고 현황 ····································································· 74
<표 4-4> 연도별 근로소득자 종합소득과세표준 규모별 기부인원 현황 ····················· 75
<표 4-5> 국가별 기부금 세제혜택의 금전적 가치 비교 ·············································· 75
<표 4-6>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 84
<표 5-1>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 91
<표 5-2>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평가 ················································ 93
<표 5-3>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2019년 전망 ··································· 93
<표 5-4>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 상황 ························································· 95
<표 5-5> 2017년 대비 2018년의 비영리 운영 전반의 상황 ········································· 95
<표 5-6> 개인과 법인의 연도별 공제대상 기부금 ······················································· 96
<표 5-7>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평가 ··············· 98
<표 5-8>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2019년 전망 ··· 99

iv
<표 5-9>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평가 ·········································· 103
<표 5-10>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2019년 전망 ···························· 103
<표 5-11>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평가 ···························································· 106
<표 5-12>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2019년 전망 ················································ 106
<표 5-13> 2018년 전망에 대한 전반적 타당성 ··························································· 109
<표 5-14> 2018년 사회적 사건 / 이슈 ······································································· 111
<표 5-15> 2019년 개인기부금(액) 전망 ······································································· 113
<표 5-16> 2019년 기업기부 전망 ················································································ 114
<표 5-17> 2019년 기부참여율 전망 ············································································· 114
<표 5-18> 2019년 전반적인 모금환경 전망 ································································ 116
<표 5-19>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칠 가장 중요한 요인 ········································· 117
<표 5-20>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 120
<표 5-21>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기부에 미칠 영향 ·················································· 122
<표 5-22> 2019년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 ······································· 124
<표 5-23>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 126
<표 5-24>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 ································································ 130
<표 5-25> 향후 기부자들의 주목을 받을 분야 ··························································· 132
<표 5-26>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 ··········································································· 133
<표 5-27> 2019년 비영리에서 대응해야 할 이슈 ······················································· 136

v
그 림 목 차

[그림 3-1] “기부”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 30


[그림 3-2] “복지국가”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 34
[그림 3-3] “기업”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 38
[그림 3-4] “기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4
[그림 3-5] “나눔”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5
[그림 3-6] “국민연금”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6
[그림 3-7] “최저임금”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7
[그림 3-8] “일자리”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8
[그림 3-9] “저출산”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49
[그림 3-10] “소득주도성장”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0
[그림 3-11] “사각지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1
[그림 3-12] “미투”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2
[그림 3-13] “성폭력”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3
[그림 3-14] “위안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4
[그림 3-15] “혐오”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6
[그림 3-16] “블록체인”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7
[그림 3-17] “4차산업혁명”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58
[그림 3-18] “먼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60
[그림 3-19] “폭염”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61
[그림 3-20] “평화”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63
[그림 3-21 “난민”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65
[그림 3-22] “정상회담” 언론 노출 빈도 추이 ······························································ 66
[그림 3-23] 2018년 월별 빈출 이슈 ··············································································· 67
[그림 5-1] 기부참여율의 변화 ························································································ 94

vi
[그림 5-2] 기부금 총액의 변화 ······················································································ 96
[그림 5-3] 기부 시 사용한 방법 ·················································································· 100
[그림 5-4]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중복응답) ····································· 108
[그림 5-5] 기부단체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 요건 ··········································· 109
[그림 5-6]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칠 가장 중요한 요인 ········································· 117
[그림 5-7] 각 이슈가 2019 기부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 ·························· 119
[그림 5-8] 2019년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1-3순위) ························· 125
[그림 5-9] 기부처 ·········································································································· 131
[그림 5-10]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1순위 ·················································· 134
[그림 5-11]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2순위 ·················································· 134
[그림 6-1] 밀레니얼의 사회이슈에 대한 관심 및 행동정도 ······································· 143
[그림 6-2] 유희적 사회참여의 대표적 사례 ································································ 144
[그림 6-3] 밀레니얼의 활동방식 ·················································································· 145
[그림 6-4] 기부참여율, 정기기부율, 일시기부율(2011-2017) ······································· 148
[그림 6-5]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150
[그림 6-6] 아모레퍼시픽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체계 ····························· 152

[그림 6-7] 기부 방법(2016~2018) ················································································· 153


[그림 6-8] 유튜브 이용시간 ························································································· 154
[그림 6-9] 유정호 TV 캡쳐화면 ··················································································· 155
[그림 6-10] 온라인 기부 방법(2016~2018) ··································································· 157
[그림 6-11] 국경없는의사회의 ‘구호창고’ 홈페이지 화면 ·········································· 159
[그림 6-12] 굿네이버스 GIVESTORE 홈페이지 화면 ················································· 160
[그림 6-13] 나누기스토어 홈페이지 화면 ···································································· 161

vii
요약문

요 약 문

Ⅰ. 연구과제명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석』

Ⅱ. 서론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사회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복지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변화의 흐
름을 읽고 방향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임
- 모금회를 비롯한 비영리·모금기관의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변화
를 예측하여 향후 사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연구의 내용
- 2장에서는 분석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
- 3장에서는 2018년의 사회이슈를 실증적으로 분석
- 4장에서는 기부 관련 정책 변화와 주요 이슈의 내용을 정리
- 5장에서는 전문가 인식조사와 FGI 결과를 제시
- 6장에서는 연구진이 선정한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제시

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Ⅲ. 연구방법

1. 전문가 조사

□ 서베이 조사
- 학계, 모금 현장, 비영리 현장, 기업 및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부 및 나
눔, 비영리 영역의 전문가를 추천받아 121명의 전문가 그룹을 구성
- 웹설문을 통하여 서베이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에는 총 80명이 응답
- 설문지는 크게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에 대한 리뷰, 2019년 기부 및 사회이
슈에 대한 전망, 시민들의 기부행위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파트로 구성

□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FGI)


- 서베이에 참여한 각 영역의 대표 전문가가 최소 1인이 포함되도록 구성
- FGI는 2018년의 사회이슈 및 기부와 나눔 현장에 대한 리뷰와 2019년의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하여 진행

2. 언론 분석

□ 기사 본문에 대한 토픽 분석
- 1단계 : 핵심어를 선택하고 기사문 수집
- 2단계 : 수집된 기사문에 대한 단어 분해(segmentation)
- 3단계 : LDA 기법을 활용하여 토픽 추출\

□ 헤드라인을 통한 이슈어 출현 시계열 분석


- 1단계 : 분석에 필요한 자료 수집
- 2단계 : 헤드라인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분해(segmentation)
- 3단계 : 시계열 변화를 검토하여 2018 핵심 키워드 결정
- 4단계 : 선별된 이슈어별 노출 수준의 연간 시계열 변화 해석

2
요약문

Ⅳ.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년 한국의 사회이슈

□ 토픽 추출(모델링) 결과
- 핵심 키워드로 “기부”, “복지국가”, “기업”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본문을 대상으로 토픽 분석을 실시
- 기업의 기부 활동은 전통적 영역과 아울러 인적 투자, 사회 혁신에 이르기까
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 복지국가와 관련해서 한국 복지국가의 다양한 도전 상황을 살펴볼 수 있었음
-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국제관계, 기술 변화,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요구와 같은 다층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

□ 이슈어들의 시계열적 변화 검토
- 언론 기사의 제목에 빈번하게 노출된 단어에 대한 선별과정을 통해 19개의 이
슈어를 선정하고 의미상 기부 관련,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기타 주요
사회 이슈로 대별함
- 연금 및 고용을 둘러싼 문제는 한국 사회복지와 관련해 2018년의 핵심이슈
- 한국 사회보장 제도의 한계와 관련된 “사각지대” 또한 여전히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었음
- 미투, 혐오문제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는 개인의 권익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을 환기하는 중요한 사건이었음
- “먼지”, “폭염” 등의 환경 이슈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도전으로 작용할 것으
로 보임

Ⅴ. 2018년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 법령 및 제도의 변화
- 법의 신설이나 전면 개선 방식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비영리법인 및 단체
의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내용은 많이 정비됨

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의 인정 한도나 이월공제기간을 늘리고, 고액기부금에


대한 세액공제을 늘렸지만 상징적인 수준에 머무름

□ 정책 관련 주요 이슈
- 정부 주도의 모금과 관련된 흐름이 나타남. 고향사랑기부제가 통과되지 못했
으나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으로 지자체에 대한 기부를 심의하는 ‘기부심의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지자체에 일임하였으며, 이는 정부주도
의 모금에 관한 시민사회의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함

Ⅵ.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 트렌드

1. 2018년 트렌드 리뷰
□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
- 다수의 전문가들이 동의했으며, 2019년에도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 2018년 모금이 어려웠던 것은 전체 기부금 규모의 축소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분위기와 모금시장의 경쟁 과열을 원인으로 지적함

□ 혁신모금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 2018년부터 서서히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으며 2019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온라인/모바일 기부 및 다양한 기부 마케팅이 도입되었으나 신기술을 접목한
모금이 완전히 장악한 것은 아님. 이는 기존 방식에 익숙한 기부자와 모금기
관의 관성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음

□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 다수의 전문가들이 동의했으며, 2019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자선적 측면에 치중되었던 기부가 다양한 공익활동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
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기업사회공헌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남

4
요약문

□ 사회적 투명성 강화
- 2019년에도 사회적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기부포비아 관련 사건에 비영리기관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강함.
다양한 이슈파이팅과 비영리기관의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강조

□ 2018년 종합 리뷰
- 2018년에 전반적으로 모금의 성장세가 둔화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는 비
영리기관들이 투명성이나 사회이슈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임
- 2018년은 환경, 젠더, 일자리, 남북문제 등 다양한 이슈가 등장했으나 비영리
기관들의 대응전략이 부족하였음

2. 전문가의 2019년 전망
□ 2019년 기부 전망
- 2018년에 비해 기부 상황이 좋아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부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새로운 시도에 성공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슈퍼스타’가
등장할 가능성도 존재
- 새로운 시도에 성공한 기관에 그렇지 못한 기관 간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전망

□ 기부 관련 주요 이슈가 2019년 기부에 미칠 영향


- 밀레니얼 세대 및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임
- 밀레니얼 세대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와 의사소통의 창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
는 반면, 전통적 방식도 지속적으로 유효할 것으로 전망

□ 기업사회공헌의 변화
- 전통적인 자선 기반 사회공헌에서 기업 밸류체인 내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강
조하는 경향이 강화
-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업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기부전
략이 제안되어야 할 것임

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 기부가 필요한 분야
- 현재 기부자들이 선호하는 분야는 국내의 복지 및 자선 분야이지만, 전문가들
이 인식하는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는 사회권익단체 환경 및 동물보호단체
등의 NGO이고, 향후 이 분야가 기부자들의 주목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
측됨

□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가 최우선 이슈로 선정됨
- 취약계층지원과 고용․노동 이슈, 남북협력, 혐오 및 사회갈등 해결이 주요 이
슈로 선정됨
- 비영리기관이 기부자가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를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사회문제의 해결 주체로 자리매김해야 함

Ⅶ.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Trend 1]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


- 밀레니얼 세대가 새로운 소비집단이자 트렌드를 선도하는 집단으로 주목
- 사회이슈에 대한 관심이 크고, 관심 갖는 이슈를 위해 직접 행동도 실행
- ‘윤리적 소비’, ‘가치 소비’ 등의 착한 소비를 주도. 착한 소비는 곧 내가 누구
인지를 보여주는 행동이 됨

[Trend 2] 기부자 유동성 증대


- 착한 소비는 비영리기관이 기부나 후원에 대한 감사를 위해 지급하는 ‘굿 굿
즈(Good Goods)’ 열풍으로 이어짐
- 굿 굿즈에 대한 관심은 굿즈 수집을 위해 기부처를 옮겨다니는 상황까지도 초
래하고 있음

6
요약문

- 기부자 유동성의 증대는 기부가 편리할수록 강화되고 있으며, 기부의 편의성


과 기부 충성도 모두를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

[Trend 3] 기업의 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 향후 4~5년 이내에 기업사회공헌의 판도가 재편될 것으로 예상
- 자선 기반의 사회공헌은 사라지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것임
- 기업은 업종의 특성과 경영전략에 맞는 사업을 중심으로 CSR 활동을 할 것이
며, 비영리기관도 이에 따른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임

[Trend 4] 두 개의 채널, 두 개의 바퀴 : The New Classic


- 기술발전의 속도가 빠르지만 기존의 모금방식을 전면적으로 대체하고 있지 못
한 실정임
- 전통적 방식에 익숙한 기부자들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비영리기관이
새로운 기술에 민감하지 못한 이유도 있음
- 반면, 유튜브를 활용해 모금 사례를 공유하고, 그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유하
며, 댓글을 통해 기부자들 간에 피드백을 주는 등 새로운 기술과 접목한 방식
도 존재함
- 전통적 채널과 새로운 채널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한 동안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됨

[Trend 5]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 : 비영리 마케팅


- 마케팅 전략에 대한 비영리기관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
- 기부쇼핑몰 등을 통해 기부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보장하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
한 전략 선택
- 하지만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부금의 양을 늘리는 것에만 집중하기보다는 기
부자들과의 진정성 있는 소통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이 필요함

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Trend 6] 투명성, 여전히 지뢰밭


- 비영리기관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추락한 상태이나 회복이 더딘 상황
- 기부자들과 더 쉽게 소통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기부금에 의한 임팩트 보고를
성실하게 하며, 기부자들이 그 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해
야함
- 비영리기관이 스스로 투명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여 그 결과
를 기부자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필요

8
제1장 서 론
제1장 서론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현대사회는 쉽게 예측이 불가능할 만큼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 특히 한국사회
는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그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박미희, 2018: 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
구소는 2015년부터 매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회변화
와 트렌드를 추적하고자 노력해왔다. 그 이유는 모금회를 비롯한 비영리·모금기관의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사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갈피를 잡기 위해서라도, 보다 적극적
으로는 사회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복지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변화의
흐름을 읽고 방향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최근에 수행되었던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
는 진단은 몇 년간 대내외적 환경의 악화로 인해 모금생태계가 도전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김진욱 외, 2017: 21). 작년에 본 연구진이 수행했던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금시장이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상황
에서 ‘이영학사건’과 ‘새희망씨앗 사건’은 국민들에게 ‘기부포비아’를 조성하여 기부시
장의 성장 동력이 사라지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민간 비
영리 영역에 사회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정책적 수단이 도입되어야 할 필
요성을 제기하며, 모금생태계를 둘러싼 급격한 정책변동이 예고되고 있음도 분석하였
다. 한편 새로운 소비세대인 Y세대의 등장과 블록체인 및 핀테크로 대표되는 기술발
전은 기부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도 전망했다. 기존의 전통적인 ‘자선
적 기부’에서 기부가 하나의 ‘사회적 기여’가 되는 상황이 목격되고 있으며, 새로운

1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기술을 접목한 기부방법의 혁신은 기부편의성과 기부과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는 점에서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박미희 외, 2018).
2019년을 맞이하며 2018년의 전망결과를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다. ‘2018년에 대한 이러한 전망이 과연 타당했는가? 이러한 전망이 내년에도 여전히
적용될 수 있는가? 혹은 다른 새로운 변화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 될까?’ 와 같은
질문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이것은 곧 본 연구의 연구질문과 직결된다.
본 연구는 2018년 트렌드 전망 결과가 적실했는지를 돌아보고 2019년 트렌드를 전
망하려고 한다. 기본적인 연구의 틀은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연구와 동일
하다. 2018년 연구는 나눔연구소가 진행했던 기존 트렌드 연구(노혜진 외, 2015; 박혜
경 외, 2016; 김진욱 외. 2017)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취했는데, 연
구의 일관성을 위해 본 연구도 동일한 연구전략을 유지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이슈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슈들 간의 관련성, 논의지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진이 임
의로 취사선택한 이슈(특히 공동모금회 배분의제)를 중심으로 현황 및 추세파악을 진
행했다. 실증분석 없이 기존에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여 추세적인 경향성만을 살펴보
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18년 트렌드 연구에서는
사회이슈를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고, 그러한 이슈들이 기부 및 나눔과
관련하여 어떤 연관구조를 가지는지, 이슈의 확대 재생산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
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2018년 사회이슈를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한다. 다만, 올해 새롭게 시도되는 부분은 기부/나눔
과 관련된 핵심 이슈들의 논의지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전체적인 한국사회 트렌드 속에서 기부트렌드와 사회이슈 트렌드
를 전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기부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기부 및 법인
기부와 관련된 국내외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추세적인 경향성을 파악했다. 통계수치
를 중심으로 기부규모의 증감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기는 하나, 내년도
기부 트렌드가 어떻게 될 것인지 전체적인 한국사회 트렌드 속에서 전망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18년 트렌드 연구에서는 소비트렌드와 생활양
식, 그리고 기술발전이라는 한국사회 핵심 트렌드 속에서 기부 트렌드가 어떻게 될

12
제1장 서론

것인지를 적극적으로 전망해보았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방식


을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도 기존 연구의 경향성 파악이라는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사회 트렌드와의 연결을 시도할 것이다. 다만, 올해 새롭게 진행한 것은 트렌드
분석을 위한 전문가 서베이 그룹을 구축한다는 점이다. 전문가 FGI가 소수의 전문가
를 통해 깊이 있는 내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일반화하거나
이전 트렌드 분석과 비교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그룹을 구축하였
으며, 이후 자료가 축적되면 시계열적 비교분석도 시도한다.
셋째, 기존 연구는 사람들의 기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제도적 변화를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제도적·정책적 환경변화가 모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
고 그로 인해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간과되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18년 트렌드 연구에서는 새 정부의 등장과 함께 이슈화되었던
시민사회영역에 대한 법제도를 집중 조명하였다. 이번 연구도 정책 환경변화를 주요
연구내용으로 삼되, 2018년 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못한 정책 환경변화에 대한 민간
비영리 조직의 대응, 이를 둘러싼 논쟁점들을 깊이 있게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의 기본 틀을 유지하
면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사회 이슈를 분
석함에 있어 기부/나눔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 영역인 1섹터(복지국가)-2섹터(기
업)-3섹터(기부/나눔)를 키워드로 논의지형을 심층탐색한다. 이를 통해 기부/나눔과
관련된 이슈의 흐름을 확인하고, 이러한 이슈에 대응하는 민간 비영리 섹터의 역할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둘째, 정책환경을 전망함에 있어 정책에 대한 정보전달을
넘어 이를 둘러싼 민간 비영리섹터의 대응, 정책변화를 둘러싼 논쟁지점을 보다 밀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셋째,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를 전망함에 있어 소수
전문가에 의지한 질적 분석결과를 보충·보완할 수 있도록 전문가 서베이 자료를 새롭
게 구축한다. 이를 통해 트렌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를 전망하고자 한다.

1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제2절 선행연구 리뷰

1. 국내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 검토
나눔연구소는 2015년부터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지금
까지 진행한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 <표 1-1>에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노혜진 외
(2015), 박혜경 외(2016)의 주된 내용은 개인 및 기업기부의 국내외 통계를 활용해 경
향성을 확인하고 모금회 배분사업과 밀접하게 관련된 빈곤, 질병, 소외라는 사회이슈
를 선정해 관련 경향성을 통계수치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들 연구는 모금회의 모금
및 배분사업 진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경향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모금회 내부의 필요와 관점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김진욱 외(2017)의 연구는
이전의 연구와는 달리 대외환경분석이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어졌고, 사회이슈 트렌
드도 양극화, 가족변화, 청년실업, 사회적 경제와 같은 다양한 부분의 이슈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전 연구와는 달리 모금회 중심 관점을 상당히 탈색했다고 평가할 수 있
다. 그러나 이전 연구와 같이 각 주제와 관련된 통계수치의 경향성 파악을 중심으로
했다는 점에서, ‘트렌드’라는 연구제목을 통해 독자들이 기대하는 바를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트렌드’라는 단어를 들을 때, 독자들은 올해의 트
렌드와 내년의 트렌드에 대한 정리된 답을 원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이러저러
한 이슈에 대한 경향성 정도만을 보여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이
전반적인 한국사회의 변화 혹은 트렌드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연결하지 못함으
로 인해, 전체적인 사회변화의 흐름속에서 이해하지 못한 한계도 존재한다. 박미희
외(2018)는 기존 연구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트렌드’라는 주제에 주목하여 대
한민국의 소비트렌드와 기술발전 트렌드, 생활양식의 트렌드가 모금생태계에 어떤 영
향을 미칠 것인지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사회이슈를 분석함에 있어서
도 실제 언론기사를 실증분석함으로써 각 이슈들과 기부/나눔과의 관련성을 실증적
으로 보여주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트렌드와 기부트렌드
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소수의 전문가로 구성된 FGI 결과만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해
석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사회이슈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도 언론기사

14
제1장 서론

만을 중심으로 진행했기에 언론에 언급된 것을 민간 비영리 섹터가 주목해야 할 사


회이슈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있을 수 있다. 선정된 사회이슈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 혹은 사회이슈를 적합하게 선정하기 위한 다방면의 보완이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표 1-1> 국내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연구


노혜진 외(2015) 박혜경 외(2016) 김진욱 외(2017) 박미희 외(2018)
환 - 한국경제 추세 파악 :
- 대외환경분석 : 세계
경 거시경제, 가계부문, - 대한민국 트렌드
없음 화, 사드, 트럼프, 한
분 기업부문, 지역사회 (소비 및 기술발전)
중관계
석 및 경제부문
- 전문가 FGI : 대한민국

트렌드가 기부 트렌

- 개인 및 기업기부의 - 개인 및 기업기부의 - 개인 및 기업기부의 드에 미칠 영향

국내외 통계비교 국내외 통계비교 국내외 통계비교 - 도출된 기부트렌드에

관한 통계적 경향성

확인
- 양극화 : 소득, 교육,

- 모금회 3대 의제(빈 노동시장 - 2017년 언론분석을

곤, 질병, 소외) 중심 - 가족변화(출산률, 가 통한 사회이슈 도출

- 빈곤 트렌드 : 국내 통계수치 비교 구유형, 여성고용룰, - 기부나눔과 관련된

빈곤관련 통계수치 활용 - 기타 이슈 : 탈북청 결혼태도, 가사분담) 사회이슈 실증분석

소년, 다문화가정 청 - 청년실업 ( 청년실업 , - 기사문 분석을 통한

소년 NEET) 내용분석

- 사회적 경제

정 - 기부관련 정책(기부금 - 기부관련 법령 및


책 공제제도, 기부연금) 제도의 변화
없음
변 - 복지정책 변화(국기초, - 기부관련 정책환경의
화 기초연금 등) 변화

2. 2018 해외 기부 트렌드 연구 검토
<표 1-2>는 2018년에 발표된 해외 기부 트렌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대부
분의 보고서는 연구자들이 몇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질적으로 트렌드를 서술하는 방
식을 택하고 있으나, Fidelity charitable에서 발간한 『The Future of Philanthropy -
Where individual giving is going』은 3,254명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1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진행한 결과를 통해 트렌드를 전망하고 있었다. 해외에서 발간된 이러한 트렌드 보고


서의 공통적인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시장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과
함께 기부의 중심축도 밀레니얼 세대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디지털문화
에 익숙하고 조직보다는 개인의 생각과 의견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기부를 통해
사회변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에 맞는 모금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둘째,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핀
테크의 발달은 기부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그에 맞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셋째, 1인가구의 등장에 따른 사업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의 변화와 가족구조의 변화는 기부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최근의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이를 고려한 모금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기부를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성과달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영
리 영역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임팩트 투자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임팩트를 달성하
기 위한 전략과 투자, 그리고 성과에 대한 측정과 관리가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협업과 파트너십이 2018년 트렌드로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민간 비영리
영역에서 경계가 사라지면서 영역 내, 그리고 영역 간 협력과 파트너십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사회변화를 위한 임팩트 향상과도 관련되는 부분이다. 즉 변화의 성과,
임팩트를 위해 다양한 영역간의 협력과 파트너십이 필수적이며 강화되고 있다는 것
이다.
이상 2018년 해외 기부 트렌드를 살펴본 결과,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에서 전망했던 결과와 상당히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소비의 주체로써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혹은 Y세대가 모금생태계에 미친 영향,
핀테크 등의 기술발전을 접목한 새로운 기부 플랫폼에 대한 강조는 국내외 트렌드
연구의 공통적인 부분이다. 1인 가구의 확대와 같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맞춤형
전략의 필요성도 유사한 결과이다. 한편 국내 트렌드에서 강조되었던 투명성강화와
관련된 부분과 모금시장이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논의는 해외 트렌드에서는 확
인하기는 어려운 부분이었다.

16
제1장 서론

<표 1-2> 2018 해외 기부 트렌드


연번 제목 주요내용
- 자선적 실체보다 사회적 가치 중심
- 밀레니얼 세대의 부상 : 새로운 세대의 행동과 사고 패턴을 알아야 함
The Future of
1 - Generation Z 부상 : 디지털 네이티브, 테크놀로지의 영역의 중요성 부상
Fundraising
- 스마트폰의 일상화 : 새로운 기부 방법의 중요성
- personal connection의 강조
- philanthropy 영역에서 다양성 확대 : (미국) 유색인종이 다수
Philanthropy
- 1인가구의 증가에 따른 맞춤형 접근 필요 : 미혼, 이혼, 무자녀 등의 증가
2 Outlook -
- 임팩트 투자 증가
Emerging Trends
- 직장기부에서 직원의 선택권 중요
- 기빙서클 또는 기부그룹을 통한 기부금 증가
-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집단으로 부상
- 기부의 세계화 : 나눔의 영역이 국경을 넘어 세계로
- 지역기반 나눔 : 특정 지역에 집중하는 전략적 기부. 변화에 대한
11 Trends in 성과측정 강조
3
Philanthropy - 인구학적 변화 : 성정성 이슈와 임팩트 변화에 대한 강조
-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강조
- 임팩트 평가의 중요성
- 비영리 기관의 역량강화
- 정부와 비영리 간의 파트너십 강화
- 개인 기부 : 증가추세, 새로운 기부방법의 등장, 젊은 세대의 영향력 증가
- 제도적 기부 : 재단의 수 증가, 재단의 경우 전통적인 분야(교육, 건강,
WINGS global 사회서비스)에 안전하게 기부하는 경향
4 philanthropy - 지역사회 나눔 : 지역의 욕구와 환경에 맞추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report 지역재단의 증가
- 경계를 넘어서는 기부 : different uses of philanthropic money
- 협력 : 임팩트 극대화를 추구하는 타 영역간의 협력 증가
- 기술발전으로 인해 기부에 대한 접근이 편리해짐
- 상속보다는 자선적 플래닝(유증기부) 영향력 증가
the Future of
5 - 성공적인 사회문제 해결에 기부자 관심 증가
Philanthropy
-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 : 기부를 통해 의미 있는 변화창출 원함
- 사회변화를 위한 강력한 역할 강조
- 핀테크가 필란트로피의 새로운 관심영역으로 등장
Philanthropy - 파트너십의 강화
and Digital Civil - “크고 잘 알려진” 비영리 조직과 “DIY help”로 나누어진 기부
6
Society: -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포함한 새로운 기부지표 출현
Blueprint 2018 - Donor advised funds의 증가
- Robot Nonprofits and Algorithmic Philanthropy : 디지털 도구의 확대

1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제3절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이상의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을 구성하였다.
2장에서는 분석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새롭게 구축한 전문가 그룹
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제시한다.
3장에서는 2018년의 사회이슈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2018년에 기부를 둘러싼 논
의지형이 어떻게 되는지, 어떠한 사회이슈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위
해 언론 헤드라인과 기사문을 중심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다.
4장에서는 2018년에 기부 관련한 정책 변화의 내용을 정리하고, 공익위원회법 개정
안 등을 둘러싼 주요 이슈를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그에 대한 비영리 조직의 대
응활동을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 기관에 던지는 시사점을 정리한다.
5장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구축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및 전문가 FGI 결과를
제시하는 장이다.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2018년에
대한 평가와 2019년에 대한 전망이 그것이다. 2018년 평가는 본 연구진이 예측한
2018년 트렌드의 전망이 타당했는지를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2019년 전망은
2019년의 기부상황,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들의 영향력, 기업 사회공헌의
변화 및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에 대한 전망을 정리한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정리하여 연구진이 선정한 2019년 기부 및 사회이
슈 트렌드를 제시한다.

18
제2장 연구방법
제2장 연구방법

제2장 연구방법

제1절 전문가 조사

1. 서베이 조사
이번 연구에서는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에 대한 보다 신뢰할 만한 데이터를 수
집하기 위해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였다. 먼저 학계, 모금 현장, 비영리 현장, 기업 및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부 및 나눔, 비영리 영역의 전문가를 추천받아 121명의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였다(<표 2-1>). 이후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웹설문을 통하여
서베이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에는 총 80명이 응답하였다. 이를 통하여 2018년 트렌드
에 대한 리뷰, 2019년에 대한 전망 결과를 양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전문가
그룹의 조사자료가 축적되면 변화에 대한 양적 비교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 2-1> 전문가그룹 구성


대상 대상자수 응답자수 비고
학계 전문가 15명 11명 모금회 연구소 운영위원 및 관련 학계 교수 및 전문가
모금 현장 전문가 39명 25명 주요 모금기관의 본부장급 이상

비영리 현장 전문가 36명 28명 주요 비영리 기관의 사무국장급 이상

기업 담당자 15명 7명 주요 기업 사회공헌 담당부서의 장


언론 담당자 16명 9명 주요 언론사의 복지전문기자 또는 편집장

설문지는 크게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에 대한 리뷰,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에


대한 전망, 시민들의 기부행위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파트로 구성되었다. 조사를 진
행하기 전,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FGI를 진행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다음의
<표 2-2>와 같다.

2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2-2> 설문지 구성


구분 내용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소속, 경력, 거주지
2018년 전망의 타당성
2018년 트렌드에 대한 NPO의 대처
2018년의 인상적인 사회적 사건
2018년 리뷰
민간 비영리 분야에서 2018년에 대응했어야 할 이슈
2018년 모금 분야의 변화 또는 사건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상황 및 비영리 운영
2019년의 기부 및 나눔환경에 대한 전망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가장 중요한 요인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트렌드가 2019년의 기부/나눔에 미칠 영향
2019년 전망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2019년의 기부/나눔에 미칠 영향
다양한 기부콘텐츠의 변화가 2019년의 기부/나눔에 미칠 영향
2019년 비영리영역에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는 주요 사회이슈
향후 사회문제의 솔루션을 가장 잘 만들어낼 수 있는 곳
시민들이 기부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시민들이 기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
시민들의 기부행위에
시민들이 기부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
대한 인식
2019년 모금기관들이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
우리 사회에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

2.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


전문가 그룹 인식조사의 결과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전문가 그룹 중 일
부(7명)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특히 2018년 트렌드 연구의 FGI
에 참여했던 전문가를 포함함으로써 2018년 트렌드 예측에 대한 평가도 함께 진행하
였다. 인터뷰 대상자의 구성은 다음의 <표 2-3>과 같으며 각 영역의 대표하는 전문가
가 최소 1인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22
제2장 연구방법

<표 2-3> FGI 참여 전문가


구분 경력 직책 비고
A 15년 ○○ 언론사 편집장 1차, 2차
B 23년 ○○ 모금기관 본부장 1차, 2차
C 18년 ○○기업 사회공헌팀장 1차, 2차
D 20년 ○○ 비영리기관 사무국장 1차, 2차
E 21년 ○○협회 이사(모금전문가) 1차, 2차
F 18년 ○○ 언론사 센터장 2차
G 22년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차, 2차

트렌드 분석을 위한 FGI는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는 2018년의 사회이


슈 및 기부와 나눔 현장에 대한 리뷰, 2차는 2019년의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FGI 진행에 앞서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
전에 참여자들에게 공유하여 FGI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2-4> FGI 질문지 구성


구분 내용
∙ 2018년의 사건을 관통하는 특징이나 시대정신은?
[1차 FGI]
2018년에 대한
∙ 비영리 분야를 관통했던 이슈/트렌드
2018년 기부 및
전반적 평가
∙ 비영리분야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던 이슈
사회이슈 트렌드 ∙ 연구진이 전망했던 2018년 트렌드에 대한 평가
회고 2018년 트렌드
∙ 2018 트렌드와 관련한 NPO의 대응
전망에 대한 평가
∙ 이러한 트렌드가 2019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
∙ 2019 핵심트렌드에 대한 동의 정도
2019년 핵심 트렌드 ∙ 2019년 핵심 트렌드가 모금/비영리 분야 및 단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차 FGI] ∙ 2019년의 전반적인 기부 및 모금 상황 전망
2019년 기부 및 2019 기부 및 ∙ 시민들의 기부에 영향을 미칠 요인
사회이슈 트렌드 나눔환경 전망 ∙ 환경변화에 대한 비영리조직의 대응
전망 ∙ 기부문화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들
2019년 비영리분야가 대응해야 할 이슈는?
기부/나눔 관련 정책 변화가 기부/모금시장에 미칠 영향 및 평가

2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제2절 언론분석
언론 분석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한다. 첫 번째는 2018년의 트렌드를 대표
한다고 판단되는 선별된 주제어를 바탕으로 기사 본문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검토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토픽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각 주제어별로 어떤 하위 토픽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두 번째는 비교적 풍부한 수의 이슈어를 선별해 관련
기사의 헤드라인 분석을 통해 지난 1년 동안 각 이슈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와 같은
흐름이 어떤 시계열적 패턴을 보이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전자의 토픽 분석을 통해
핵심 사회 이슈를 바탕으로 2018년 한국 사회 변화 성격의 주요 측면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부 전략 마련에 필요한 실증적 기반을 얻을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핵심 이슈어의 노출 수준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2018년의 핵심 이슈 및 사건의 시간적 흐름을 짚어봄으로써 우리 사회가 근래 어떤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1. 기사 본문에 대한 토픽 분석
언론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사회”를 제목이나 본문에 포함하는 2018년 기사 및 본
문이다. 본 연구에서 검색어를 “사회”로 선정한 이유는 트렌드 검토와 관련해서 가장
포괄적인 쿼리(검색어)가 되기 때문이며, 이는 지난 연구와 동일한 조건이다. 수집 대
상 언론사는 한국ABC협회1)의 2018년 발표 기준 10만 부 이상의 유료 발행 부수를
기록하는 매체와 함께, 17개 시 도 지역의 대표 지방지로 선정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기사문 토픽 분석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분석에서 다룰 핵심어를 선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난 1년 간 해당 핵심어가 포함된
기사문을 수집하는 것이다. 분석의 특성상 많은 핵심어를 다룰 수 없기 때문에 기부
전략 마련에 의미가 있으면서 이론적으로도 타당성이 있는 방식으로 핵심어를 2~3개
선택하여 각 핵심어에 해당하는 기사문을 수집하였다.
분석의 두 번째 단계는 수집된 기사문에 대한 단어 분해(segmentaion) 과정이다.
분해된 단어는 해당 단어가 나온 기사의 기본 정보(언론사, 보도일자)와 결합하여 분

1) http://www.kabc.or.kr/

24
제2장 연구방법

석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했다. 분해 과정은 Python 3.6.5 환경에서 관련 라이브러리


와 함수를 활용하여 수행한다. 분해 결과에 대한 오류 검토 과정을 거쳐 단어 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후 분석에서 활용한다.
분석의 세 번째 단계는 핵심어별로 수집된 기사문에 대한 토픽 추출 단계이다. 여
기서는 토픽 추출과 관련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기법을 사용한다.
토픽 추출 혹은 토픽 모형은 비구조화된 대규모 텍스트 자료를 바탕으로 개별 텍
스트 내의 단어 출현 패턴을 통해 잠재적인 토픽을 발견하는 기법으로 볼 수 있다.
LDA의 핵심적 가정은 특정한 하나의 문건 생성 과정은 해당 문건을 구성하는 토픽
의 확률적 분포와 그 각각의 토픽을 구성하는 단어의 출현 확률을 따른다는 것이다.2)
어떤 (잠재)토픽이 있을 때 해당 토픽을 다루는 기사문에서 활용되는 단어의 출현은
일정한 확률 분포를 따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 “기부”, “온정”,
“봉사” 등의 단어가 전체 기사문에서 해당 단어들의 공동 출현에 관한 사전 확률에
(priori probabilities)비해 확률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동시에 빈번히 분포하는 기
사가 있다면 해당 기사는 기업의 사회 공헌과 관련된 토픽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
처럼 LDA는 각 문건(여기서는 기사문)에서 함께 등장하는 단어의 분포를 바탕으로
토픽을 발견하는 기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DA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각화 작업을 통해 2018년 한
국 사회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 핵심 이슈를 구성하는 주요 토픽들이 무엇이었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난 해 한국 사회가 경험한 변화의 핵심적 측면이
무엇이었는지 이해하고, 향후 기부 전략 마련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2. 헤드라인을 통한 이슈어 출현 시계열 분석


헤드라인을 통한 2018년 이슈의 시계열 분석은 크게 네 단계로 진행된다. 본 연구
는 이전의 트렌드 연구와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사한 분석 단계를 유지할 것
이다. 각 단계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2) Blei, D. M., Ng, A. Y., Jordan, M. I., Lafferty, J.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4/5), 993 1022.

2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먼저 분석에 필요한 자료 수집단계로 앞서 토픽분석의 경우와 유사하게 주요 일간


지를 대상으로 한다. 이어지는 단계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헤드라인에 포함된 단
어에 대한 분해(segmentaion)과정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토픽분석의 단어 분해와 동
일한 과정을 거친다. 분해 결과 가운데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주요한 단어
의 분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단어 분해에 활용되는 사전(dictionary)을 갱신하는 절
차를 반복해서 거칠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2018년 핵심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시계열 변화를 검토할
단어를 선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핵심 키워드는 분석 목적과 관련이 없는 문법
성분이나, 기호 등을 제거한 뒤 단어 당 출현 수준을 중심으로 결정하기로 한다. 이
단계에서는 빈출 수준과 더불어 2018년을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키워드에 대한 연구
진의 평정 과정을 통해 20개 정도의 키워드를 선별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선별된 이슈어별로 노출 수준의 연간 시계열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해석하기로 한다. 본 분석에서 시계열 변화 관찰의 기본 시간 단위는 1일이다.
분석의 시간 단위가 짧기 때문에 단어별 출현 빈도의 파동(fluctuations)이 클 수 있는
데, 이는 단어 출현의 전반적인 추세를 해석함에 어려움을 줄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제 출현 수준에 대한 곡선과 아울러서 스무딩(smoothing)된 추세선을 함께 다루기
로 한다. 아울러 수집 기간 전체 평균을 기점으로 출현 빈도가 높아지는 이상치
(outlier)가 발생하는 지점을 표준편차를 기준(평균 기준 2표준편차 이상 등)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빈도가 갑자기 치솟는 시점은 해당 이슈어와 관련한 사건이나 논의가
활발하게 주목받은 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시기의 주요한 사회적 변화에 덧
붙여 이를 검토하는 과정은 2018년의 사회적 흐름을 실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6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3장에서는 2018년 한국사회를 흔들었던 사회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언론분석을 수


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언론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2018년의 이슈를 도출하고, 이러한
이슈들이 기부 및 나눔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에 대한 논의지형은 어떠한지 실증
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기부 및 모금전략 마련을 위한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를 파
악하는 것이 본 장의 목적이므로, 기부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가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제1절 토픽 모델링을 통한 기사 본문 분석 결과
토픽 추출을 위해 어떤 키워드를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는 분석 결과의
성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본 보고서의 목적에 맞게 기부 전략 마
련에 기여할 수 있는 트렌드 도출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분석에서는 “기
부”, “복지국가”, “기업”을 핵심 키워드로 보고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기부”는 본 연구의 목적상 기부와 관련된 2018년의 흐름을 짚어본다는 측면
에서 의의가 있어 포함을 했다. “복지국가”는 기부 행위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제도
적 맥락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키워드에 아울러 포함했다. 구성원의 니즈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변동은 기부와 배분 행위의 양과 방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
문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업”을 핵심 키워드로 선정했다. 그 이유는 기업 활동은
고용을 통해 구성원의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부와 관련해 가
장 중요한 참여자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 세 키워드를 둘러싼 토
픽 지형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 결과를 제시한다.

2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1. 기부(토픽수 : 6개)
[그림 3-1]은 “기부”를 검색어로 추출된 기사문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토픽의 수는 처음부터 주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토픽 수를 변환해가면서
의미상 가장 적절한 모형(토픽 수)를 찾아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토픽 수
를 낮게 설정하면 이질적인 내용이 포함되는 하위 토픽이 출현할 가능성이 커지며,
반대로 토픽 수를 지나치게 많이 설정할 경우 유사한 토픽이 복수로 포착될 가능성

[그림 3-1] “기부”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30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이 커진다. 본 분석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을 바탕으로 의미상 가장 적절한 토픽 수를


확정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기부의 경우 하위 토픽을 6개로 설정했을 때 토픽 수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림 3-1]에서는 각 토픽에 속하는 주요 단어들을 제시하였다. 단어 출현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단어를 나열하되 막대 그래프의 길이를 통해 베타값을 함께 제시
하였다. 특정 토픽을 구성하는 핵심어는 출현 빈도와 더불어 해당 토픽에 지니는 고
유한 의미 정도를 의미하는 베타값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출현
빈도와 베타값은 상관성이 높은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일률적인 패턴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추출된 토픽별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픽 1은 “나눔”, “전달”, “행사”, “캠페인”, “공헌” 등의 나눔 활동을 의미하
는 주요어에 더불어 “임직원”, “대표” 등의 기업과 관련된 단어가 주요어로 포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토픽 1이 주로 기업의 전통적인 형태의 사회공헌 활동과 관련된 내
용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토픽 2는 “학생”, “교육”, “학교”, “장학금”, “대학” 등 교육 현장과 관련한 주제어
에 더불어 “기부”, “지원”, “공헌”, “사업” 및 특정 기업명이 주요어로 포함되는 것을
통해서 주로 인적 자원 개발과 관련된 공헌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토픽 3은 “선수”, “팬”, “배우”, “야구”, “스타” 등이 주요어로 포착된 것을 통해
연예계 혹은 스포츠계에 속한 유명인들과 관련성이 높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기부”,
“아이”, “힘” 등은 관련 행위 주체들의 기부 행위나 대상 집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토픽 4는 “기업”, “회사”, “그룹” 등의 주제어를 볼 때 토픽 1과 마찬가지로 기업
과 관련된 토픽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지역”, “사회적”, “가치”, “환경” 등의 주제어
를 통해서 이 토픽은 기업의 전통적인 사회 기여 방식보다는 지역 복원이나 환경 문
제와 같은 보다 새롭고 대안적인 형태의 공헌 활동과 관련된 내용으로 파악이 된다.
토픽 5는 “정부”, “법인”, “정책” 등의 주제어가 포함된 것으로 볼 때 기부와 관련
된 정부 정책 변화와 관련된 이슈가 포함되는 토픽으로 보인다. “문제”와 같은 단어
는 기존 기부 관련 제도에 대한 개혁 필요성과 관련된 논의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이
며 “블록체인”과 같은 신기술이 주제어로 포함된 것은 기부와 관련한 새로운 제도적
접근을 시도하려는 움직임과 관련된 것으로 예상된다.

3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끝으로 토픽 6은 “대통령”, “의원”, “정부”, “후보” 등의 단어가 주요어로 포착된


것으로 볼 때 주로 정치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장”, “문제”, “피해자”,
“돈”, “사건”, “변호사” 등 정치적 혹은 법률적 논쟁과 관련한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기부 행위와 관련 있는 혹은 기부를 가장한 형태의 정치적 비위 이슈와 관련
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기부”를 검색어로 수집된 기사문에 대한 토픽 추출 결과를 출현 빈도와
베타값을 기준으로 선별된 주요어의 조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추출된 토픽의 보
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는 또 하나의 방법은 해당 토픽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
되는 기사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에
포함된 텍스트(기사문)가 특정 토픽에 속하는 수준을 드러내는 감마값을 기준으로 각
토픽과 관련성이 높은 기사문을 선별해서 살펴볼 수 있다. <표 3-1>은 각 토픽별로
감마값이 높은 5개의 기사문의 제목을 제시한 결과이다.
기사문은 앞에서 제시한 토픽의 성격을 전반적으로 잘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토픽 1은 기업의 전통적 기부 활동, 토픽 2는 인적 자원 개발과 관련한 사회 공
헌 활동, 토픽 3은 연예, 스포츠계 유명인의 기부 활동, 토픽 4는 기업의 새로운 대안
적 형태의 사회 공헌 활동과 관련한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토픽 5는 기부, 나눔과
관련한 제도 및 정책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토픽 6은 기부 명목의 정치 비위
행위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가 포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2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표 3-1> “기부”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토픽 Gamma 기사제목
1 0.997947 [나눔경영] 신세계, 생필품 전달 `희망마차` 年 100회 운영
1 0.997938 삼성, 연말 맞아 `이웃사랑 성금` 500억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
1 0.997812 [두드림 샤롯데 통합 봉사단] 부산·경남 소외계층 도우며 지역사랑 실천
1 0.997659 CJ제일제당 임직원, '푸드뱅크 희망나눔 선물세트' 조립 봉사 진행
1 0.997548 자동차업계, 연말 소외이웃에 김장·쌀 기부 등 나눔활동 활발
[시선집중] 청소년 SW교육, 대학생 봉사단 운영 통해 미래인재 키우고 사회 현
2 0.997792
안 해결
2 0.997705 창의적 청소년 인재 양성 지원
2 0.996026 하나금융, 2020년까지 국공립 어린이집 등 100곳 지어 기부
2 0.995657 충남대-계룡건설, 지역인재 육성 위해 손잡았다
[Life&사회공헌] 삼성전자, 인재 키우고... 현안 해결하고... 기술로 전하는 희망
2 0.943304
‘쾌속 질주’
3 0.998286 [SC이슈]장근석·이영자·하연수·진영...작은 기적 '아이스버킷' 11일째ing
3 0.997716 [SC이슈]'9일만 100여명'...'아이스버킷' 션이 쏘아올린 작은 기적(종합)
3 0.997716 “더는 스스로 목숨 끊는 청소년 없기를” 이동우ㆍ강타가 손 맞잡은 이유
3 0.996917 [화보] 빅스 라비, 유기견 돕기 나섰다···후원금 전액 기부
3 0.995616 [화보] 박해진 "꾸준한 기부, 노인·아이들·사회 빈곤층이 우선순위"
4 0.999162 지자체·기업·지역주민이 상생하는 에너지 국가 이끈다
4 0.999108 [CEO] 박형구 한국중부발전 사장 "세계 최고 친환경설비로 미세먼지 꼭 잡겠다"
4 0.998025 커피찌꺼기 버리지 마세요, 농작물에 양보하세요...스타벅스, 커피박 퇴비로 봉사
[국민의 기업] 일자리 창출, 미세먼지 감축, 미래성장동력 확충 등 국정과제 선도
4 0.997760
적 이행
4 0.997812 [더불어 사는 세상만들기] 사회적기업과 동행...신개념 사회공헌 패러다임
5 0.99864 정부, 일부사업外 기부금품 모집 '원칙적 허용'...기부 규제 완화
대기업 공익법인, 총수일가 지배력 확대 도구로 이용...공정위 제도개선 방안 논
5 0.998375
의중
5 0.998008 [단독] 1년 전엔 문제 없다더니 공익재단 겨눈 공정위
5 0.997781 저소득층 자녀장려금 20만원 인상... 1인당 70만원 지급
5 0.996309 정부, 참여율 높이려 기부연금 제도 도입
6 0.998992 [전문] 이명박 "다스는 형님 회사...삼성 뇌물 혐의는 모욕"
6 0.997261 김기식, 더미래硏에 5000만원 후원하고 급여로 8500만원 받아가
6 0.996918 ‘정치자금법 위반’ 이군현, 2심도 의원직 상실형 구형
6 0.996746 MB, 3100만원 손배소 피소...“재산 사회환원 공약 어겨”
6 0.995812 미투 민병두의 '두달 쇼'

3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2. 복지국가(토픽수 : 6개)
[그림 3-2]는 “복지국가”를 검색어로 추출된 기사문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를 제
시한 것이다. 분석에 포함된 기사는 총 659건이었다. 최적 토픽 수에 대한 결정은 앞
서 진행한 “기부”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토픽 수를 다르게 해서 결과
를 검토한 결과 토픽 수를 6개로 했을 때, 의미상 타당성이 높은 결과가 도출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각 토픽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3-2] “복지국가”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34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우선 토픽 1은 “국회”, “당”, “후보” 등과 아울러 특정 정당의 명칭이 거론되는 것


으로 보아서 주로 정치권에서 복지국가와 관련된 논의를 한 것과 관련성이 있는 것
으로 파악된다. “정의당”, “민주당”, “촛불” 등의 단어는 특정 정당을 중심으로 복지
국가에 대한 논의가 정치권에서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토픽 2는 “포용”, “소득주도성장”, “청와대” 등의 단어를 통해서 현 정권의 복지국
가 전략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저임금”, “일자리”, “청년”,
“정규(직)”과 같은 단어는 현 정권의 복지국가 전략과 관련해 주요한 방향성인 고용
과 관련된 이슈가 비중이 크게 다뤄지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토픽 3은 “여성”, “가족”, “육아휴직”, “아이”, “노인” 등의 주제어가 포착된 것을
통해 가족 정책이나 저출산 등의 정책 이슈와 관련된 토픽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된
다. 다만 “청소년”, “창업”, “교육” 등의 주제어도 포함된 것으로 볼 때 다양한 대상
집단을 아우르는 사회서비스를 아울러 포함하고 있는 주제로 파악이 된다.
토픽 4는 “불평등”,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등의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때 주로 불평등이나 양극화의 심화와 관련된 주제가 도출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민주주의”와 같은 주제어가 포함되었다는 것은 불평등의 심화에 따른 민주주의의
약화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 논의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토픽 5는 “스웨덴”, “영국”, “덴마크”, “핀란드”, “미국” 등의 주요 복지국가가 주
요어로 언급되는 것을 통해 복지국가와 관련된 해외 동향과 관련된 논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난민”, “세금” 등은 그와 관련된 주된 이슈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
며 “보수당”, “극우” 등의 주요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때 복지국가 확대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끝으로 토픽 6은 “국민연금”, “수당”, “노인”, “노후” 등이 주요어로 포착된 것을
통해서 볼 때 주로 연금을 둘러싼 복지국가 이슈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
정”, “보험료”, “인상”, “부담” 등의 단어는 노령화에 따른 관련 보장 제도의 재정적
부담과 관련된 논의가 포함되었음을 시사한다.
<표 3-2>의 토픽별 관련 기사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앞서 언급한 토픽 내용에 대한
해석을 대체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1은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복지
국가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 여당과 정의당과 같은 진보 진영에서 관련 정

3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치적 논의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토픽 2는 현 정부의 복지국가


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포용국가”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픽 3은 주로 가족의 역할 변화 혹은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도전에 대한 논의를 포
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출산, 노령화 및 여성 그리고 고독사 등
과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토픽 4는 불평등과 관련된 논의가
주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회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수준에서도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과 양극화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를 중재하기 위한 복지국가의 역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픽 5는 해외 복지국가 이슈를 포함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앞서 주제어 목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웨덴과 같은 북유럽의 복
지국가 동향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논조에 있어서는 긍정적,
부정적 시각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토픽 6은 국민 연금과 같은 노후 소
득 보장 제도와 관련된 이슈를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노후 보장 제도에 대한
보장성 강화 논의와 더불어 재정적 압박에 대한 우려 논의가 함께 포착됨을 알 수
있다.

<표 3-2> “복지국가”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토픽 Gamma 기사제목
이해찬 신임 민주당 대표, 여야 5당 대표 회담 전격 제안 “철통 같은 단결로 文정
1 0.999143
부 지킬 것” 취임 일성
1 0.853743 민주당 강령에 촛불혁명 등 추가... 공정ㆍ포용 가치 추가, 완전한 비핵화 명시
1 0.737282 이해찬, 교섭단체대표 연설 “새 시대 향한 대전환, 포용적 성장 시대로”
1 0.672356 [오늘의 국회토론회-12일]정의당, 사회복지세 도입 방안 고민
1 0.213051 文대통령, 6일 포용국가전략회의...‘사람중심사회’ 제시
2 0.999185 [전문] 문대통령 “포용국가 위해 노동계·경영계·정부 협력해야”
2 0.998739 靑, 혁신역량 강화-포용성 확대 정책패키지 낸다
2 0.998246 조금 낯선 이름 ‘포용국가전략회의’, 문 대통령 “국민 삶, 국가가 책임”
2 0.997033 문재인 대통령 "포용은 정부 핵심가치"
2 0.996845 [사설] 혁신, 다 함께 잘 사는, 포용... 중요한 건 말이 아니다
3 0.99869 “남에게 폐 끼치기전, 죽는 방법 정도는 스스로 고를수 있어야”
3 0.997219 ´결혼´에 등돌리는 여성들··· 이유는 ´행복´
3 0.754861 [이상이 칼럼] 고독사 문제의 근원적 해법

36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토픽 Gamma 기사제목
3 0.74935 초고령 사회 일본에서 배우는 한국 ‘1인가구’의 내일
3 0.726595 초저출산 시대, 돌봄노동 제대로 대접하는 ‘돌봄국가’로 가야
4 0.858195 “불평등 심하지 않다”는 계층이 삶에선 되레 “불평등탓 힘들어”
4 0.849745 기로에 선 ‘한국형 복지국가’ 성공하려면
4 0.634849 세계 연구자들, 여기의 불평등을 논하고 그 너머의 희망을 찾는다
4 0.340797 초고속 성장 속 위태로운 삶...어떤 복지가 필요한가
4 0.213272 나랏빚 강박증에...소득불평등 줄일 돈 있는데 ‘구두쇠 재정’
5 0.906038 지금 유럽은 포퓰리즘 정당發 복지 확대 물결
5 0.837749 [특파원 리포트] '복지 천국' 북유럽의 진실
5 0.779036 파키스탄, 역대 최대규모 구제금융 받나
5 0.690139 복지국가하면 스웨덴... 그들은 어떻게 해냈나
5 0.676805 '핀란드에서 찾은 우리의 미래' 혁신·교육·복지... 핀란드의 저력을 배운다
6 0.999389 국가지급 보장돼야 ‘용돈연금’ 꼬리표 뗀다
6 0.999047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독립적 삶' 위해 국민연금 강화해야
6 0.998388 기초연금 40만원으로 올리면 2028년 관련예산 40조원 넘어
6 0.998113 ‘워킹푸어’ 75살 이상 노인 생계급여 늘어나지만...
[문재인 대통령 취임 1년]치매국가책임제 등 적극적 복지 챙기기...당국, 재원 뒷받
6 0.799803
침할 증세 논의는 소극
6 0.739002 [기고-조흥식] 내년 복지 예산 적절한가

3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3. 기업(토픽수 : 8개)
[그림 3-3]은 “기업”을 검색어로 추출된 기사문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를 다룬
것이다. 검색어의 특성상 분석은 52,107건의 대량의 기사문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기
업”이라는 주제 특성과 분석에 포함되는 기사문의 수를 고려할 때 다양한 토픽이 도
출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기업 및 시장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부터
기업 분야별 소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가 포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그림 3-3] “기업”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38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연구의 목적상 기업과 관련된 세부적인 토픽을 모두 다루기보다는 해석상 의미가 있


는 범주로 묶는 간명화의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여기서는 분석결과
에 대한 비교를 통해 토픽을 8개로 설정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된 토픽은 세부적인 토픽으로 다시 다양하게 나눠질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자 한다. 토픽이 많아지면서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주제어가 작게 표현되었음
을 고려하여 별도로 <표 3-3>에서 베타값을 기준으로 각 토픽을 구성하는 상위 10위
수준의 단어를 제시하였다.
먼저 토픽 1은 기업의 사회적 혁신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일자리”, “혁신”, “에너지” 등은 고용 환경의 변화, 산업구조의 변동, 신산
업 동력 등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혁신 노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토픽 2는 “교육”, “대학”, “프로그램”, “협력” 등의 주요어를 통해 교육
부분의 산업 인재 양성 및 그와 관련된 기업의 협력과 관련한 내용임을 예상해 볼
수 있다.
토픽 3은 “중국”, “북한”, “미국”, “베트남” 등을 통해 기업을 둘러싼 해외 동향과
관련된 주제임을 알 수 있다. “정상회담”, “평화” 등의 단어는 해당 토픽에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와 기업 환경 변화에 주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큼을 예
상할 수 있다. 토픽 4는 “공헌”, “기부”, “행사”, “장애인” 등의 주요어를 통해 기업의
전통적 형태의 사회공헌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토픽 5는 “대통령”, “위원회”, “경제”, “대표”, “장관”, “노조” 등의 단어를 바탕으
로 재계와 정치권 및 노동 단체와의 접촉 및 논의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토픽 6은 “블록체인”, “(빅)데이터”, “변화”, “시스템” 등의 주요어를
통해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기술 환경 변화와 관련된 논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토픽 7은 “종목”, “분석”, “증권사”, “거래” 등의 단어를 통해 주식 관련 동향에 대
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끝으로 토픽 8은 “일자리”, “최저임금”,
“근로자”, “중소기업” 등의 주요어를 통해 지난해 중요한 사회적 이슈였던 최저임금
을 포함한 고용 및 임금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와 갈등을 포함하는 주제임을 알 수
있다.

3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3-3> “기업” 관련 토픽의 주요어 구성과 베타값

토픽 단어 beta 토픽 단어 beta
1 기업 0.02482 5 정부 0.01276
1 사회적 0.01357 5 대통령 0.00914
1 지원 0.01309 5 국민 0.00711
1 사업 0.01287 5 기업 0.00639
1 일자리 0.00904 5 문제 0.00613
1 지역 0.00790 5 회장 0.00508
1 혁신 0.00775 5 정책 0.00502
1 경제 0.00735 5 우리 0.00488
1 창출 0.00697 5 국회 0.00470
1 추진 0.00617 5 관련 0.00429
1 발전 0.00383 5 후보 0.00248
2 교육 0.01724 6 기업 0.00741
2 대학 0.01316 6 사람 0.00694
2 학생 0.01215 6 기술 0.00555
2 취업 0.00883 6 생각 0.00549
2 기업 0.00837 6 우리 0.00538
2 지원 0.00739 6 세계 0.00504
2 인재 0.00720 6 서비스 0.00461
2 프로그램 0.00662 6 사회 0.00426
2 교수 0.00549 6 회사 0.00424
2 분야 0.00521 6 시장 0.00415
3 중국 0.02377 7 섹터 0.02804
3 미국 0.01841 7 삼성 0.02716
3 북한 0.01753 7 개요 0.02257
3 대통령 0.00846 7 리스트 0.02047
3 한국 0.00804 7 관련종목 0.01957
3 정부 0.00791 7 전자 0.01378
3 제재 0.00761 7 종목 0.01319
3 기업 0.00710 7 관련 0.01081
3 트럼프 0.00642 7 분석 0.00990
3 우리 0.00487 7 바이오 0.00979
4 사회 0.01079 8 기업 0.01266
4 기업 0.01034 8 정부 0.01081
4 활동 0.01011 8 일자리 0.00870
4 공헌 0.00793 8 최저임금 0.00765
4 회장 0.00688 8 고용 0.00755
4 대표 0.00663 8 시간 0.00674
4 진행 0.00611 8 정책 0.00613
4 기부 0.00585 8 인상 0.00564
4 기자 0.00579 8 만원 0.00534
4 지원 0.00576 8 이상 0.00520

40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표 3-4>는 “기업”과 관련 있는 토픽별 주요 기사문을 제시한 것이다. 토픽 7의 경


우 거의 모든 기사가 주식 동향에 대한 기사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따로 구체적인 내
용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기사문에 대한 검토 결과 앞에서 살펴본 토픽 성격에 대한
해석을 대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토픽 1은 고용을 중심으로 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의 강조 및 혁신투자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픽 2는 기업과 교육 부분의 산업 인력 양성과 관
련된 협력 활동을 보여준다. 토픽 3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급박한 변동은 기업에게 위기와 아울러 새로운 투자처와 같은 새로운 기
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토픽 4는 기업의 전통적인 사회공헌활동 관련 내용이
담겨있다. 토픽 5는 기업을 둘러싼 정치권 및 시민사회와의 갈등과 접촉을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토픽 6은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술 환경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과 같은 개념이 주요한 이슈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토픽 8은 고용 불안정성의 심화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4> “기업” 하위 토픽별 주요 기사 제목


토픽 Gamma 기사제목
0.998195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부산혁신도시 공공기관 일자리 창출 토론회’ 개최
0.997966 ‘더불어 함께하는’ 포스코, 5년간 45조 투자, 2만명 고용한다
1 0.997905 한화, 5년간 22조 투자·3만5천명 고용..."성장기반 구축"(종합)
0.997482 현대차 그룹 “340억 투자...일자리 3000개 창출”
0.997105 부산항만공사·문현혁신도시 공공기관 일자리 창출 협약
0.998906 재학생 SW 교육 의무화·창업 역량 강화 >4차 산업 이끌 '소프트파워' 인재 육성
0.997526 서경대, 미용기업 ㈜준오뷰티와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설치 산학협력 협약 체결
[전문대학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사업] NCS 기반 현장직무중심 교육과정 산업체와
2 0.996124
공동으로 운영
0.995709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고용노동부 지원 재학생 직무체험 프로그램 실시
0.995538 인천대, 일학습병행제 학생 136명 포스코건설 등 35개 기업에서 장기현장실습 효과
0.998814 북ㆍ미 정상회담 앞두고 글로벌 외교전쟁 치열
0.998772 北리용호 "국가안전 확신없이 일방적 핵무장 해제 절대 없어"(종합2보)
3 0.998707 미 vs 중·러, 대북제재 놓고 안보리서 '정면충돌'
0.998475 [6·12 북미 정상회담] 북·미, 평화·번영 새로운 관계 정립... ‘불신의 역사’ 끝낸다
0.998229 문 대통령 “내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김정은 초청 검토”

4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토픽 Gamma 기사제목
0.998016 따뜻한 나눔 전하는 삼천리 스포츠단, 소외계층 아동-청소년과 만남
0.997651 골든블루, 인천 사랑의 열매에 3,650만원 기부금 전달
4 0.997548 닭곰탕 나눠주고, 연탄 배달하고, 헌혈하고 ‘이색 시무식‘ 눈에 띄네
0.997313 CJ그룹, 소외이웃에 김장김치 10만포기 지원
0.997149 독거노인에 ‘孝박스’ 부모님께는 ‘손편지’...동국제약 ‘인사돌플러스’ 사회공헌활동
0.998955 文, '강력·지속 적폐청산' 주문... 사정 한파 몰려온다 [뉴스+]
0.998611 청와대·법원행정처 '강제징용 재판' 판 짰다
5 0.997913 靑, ‘경제 투톱’ 교체 가닥...이르면 내주초 인사
0.997388 日강제징용 피해자 승소..."이제야 식민지배 벗어난 기분"(종합)
0.997388 김용균법 통과시키라 시민단체·전문가·노동계 국회 규탄(종합)
0.998084 5년 안에 개인 디지털 비서 시대 온다
0.997559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통해서 본 4차산업혁명
6 0.997206 AI라는 '판도라 상자' 이미 열려... 빨리 움직여야 산업 주도권 쥔다
0.997105 [이코노 서가(書架)] "블록체인이 구글 대체한다"
0.996466 블록체인-이상과 현실, 어디쯤 와 있나
7 - [주식 동향 및 증권가 소식]
0.998791 벼랑 끝 영세업체 ‘소리 없는 구조조정’
0.99859 탄력근로제 활용 기업 24% "현행 제도로 주 52시간 어려워"(종합)
0.998415 [일자리 재난 장기화]실업자 113만명 외환위기 이후 최대...민간부문 고용 감소 심화
8
0.997881 임대-숙박 등 3개업종서만 31만명 줄어... 실업자 102만명
[고용 쇼크]주력산업 구조조정에 신성장산업 지리멸렬...정책 실패까지 ‘3박자’로 대
0.997559
란 지속

42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제2절 언론 보도 핵심어 노출 추세 분석
2장의 연구방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사회”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2018년의 모든 기사 제목을 대상으로 핵심어를 포착한 결과를 다룬다. 우선 빈도수를
기준으로 2000위까지의 단어 목록을 도출했다. 이 가운데는 특별한 의미가 없는 문법
적 성분이나 대명사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진의 주요어에 대한 평정
과정을 통해 분석에서 다룰 단어를 확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19개의 주요어를 도
출했다. 이를 다시 의미상 유사성을 바탕으로 세 개의 집단으로 묶었는데, 크게 기부
관련 키워드,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키워드, 기타 주요 사회 이슈 관련 키워드
로 분류하였다.
기부 관련 키워드에는 “기부”, “나눔”이 포함되었다.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이슈는 “국민연금”, “최저임금”, “일자리”, “저출산”, “소득주도성장”, “사각지대”를
선택했다. 기타 주요 사회 이슈에는 “미투”, “성폭력”, “위안부”, “혐오”, “블록체인”,
“4차산업혁명”, “먼지”, “폭염”, “평화”, “난민”, “정상회담”이 포함되었다.

1. 기부 관련 키워드

가. 기부
[그림 3-4]는 2018년 “기부”의 언론 노출 빈도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그림의 각 점
은 일별 노출 빈도수를 의미한다. 검토의 편의를 위해 매일 1일을 수직선으로 표시했
다. 점선으로 표시된 세 개의 수평선 가운데 가장 아래 선은 2018년 일일 노출 수준
의 평균을 의미하고, 중간 점선은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에 해당하는 값을, 가장 위
에 있는 점선은 최대값을 의미한다.
“기부”의 경우 주로 연말에 노출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월 30일에
는 연예인들의 기부 참여가 화제가 되었다. 이 날 이민호와 팬클럽은 아동복지회에
쌀 1톤을 기부하였고, 방탄소년단이 카카오와 함께 기부 이모티콘을 발매한다고 밝혔
다. 해당 이모티콘은 팔릴 때마다 BTS가 배당금 전액을, 카카오는 건당 200원을 기부
했다. 이렇게 적립된 기부금은 BTS가 조성하는 러브마이셀프 펀드를 통해 유니세프

4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의 아동·청소년 폭력 근절 사업에 사용될 예정으로 밝혔다. 아울러 이 날 정가은이


기부방송 기부스에 출현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10월에는 중국의 배우 주윤발이 자신의 전재산인 8,100억원을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아울러 아모레퍼시픽 그룹이 강진과 쓰나미로 피해를
입은 인도네시아의 재난 복구 성금으로 1억원을 기부한 것과 롯데카드가 12월 16일
까지 고객이 기부한 포인트만큼 롯데카드가 한 번 더 기부하는 포인트 매칭기부 행
복 두 배 이벤트를 진행할 것을 밝히며 언론 노출 수준이 증가했다.

12월 18일을 비롯한 12월은 희망 나눔 캠페인 사랑의 온도탑을 통한 기부와 그
외 각종 단체와 기업들의 기부 관련 소식이 증가했다. 가장 높은 노출 수준을 보인
12월 27일은 기업과 개인 기부가 주를 이루었다. 개인 기부로는 가수 홍진영이 한국
장학재단에 1억원을 기부한 것과 괴산 소수면에 등장한 익명의 기부자가 생활이 어
려운 이웃에 써달라며 현금 100만원과 자필 편지를 전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그림 3-4] “기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나. 나눔
[그림 3-5]는 “나눔”의 언론 노출 빈도의 일간 변화를 제시한 것이다. “나눔”도 연
말에 접어들며 노출 수준이 높아지는 양상이 나타났지만 “나눔”은 주로 “기부”와는

44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다르게 명절과 관련하여 진행된 행사에 맞춰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월 13일


은 설날맞이 나눔 행사로 언론 노출 빈도가 2 표준편차 이상으로 높아졌다. 9월 19일
에는 추석맞이 나눔 행사가 있었다. 가장 높은 노출 수준을 보인 11월 20일은 겨울을
맞이하여 진행된 김장 나눔 행사와 희망 2019 나눔 캠페인 행사가 각 지역에서 개최
되면서 노출 수준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림 3-5] “나눔” 언론 노출 빈도 추이

2.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키워드

가. 국민연금
[그림 3-6]은 “국민연금”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국민연금은 주로
관련 정책 방안이 논의될 때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7월 1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민연금기금 스튜어드십코드 도입방안
공청회가 열렸다. 이 날 공청회에서는 국민연금의 노후자금 손실을 막기 위해 투자
기업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강화하는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관한 공방이 있었다.
언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은 8월 13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4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회의에서 국민 동의와 사회적 합의 없는 정부의 일방적인 국민연금 개편은 결코 없


을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정부의 국민연금 개편안 논의
에 대한 여론이 거세지면서 국민연금에 대한 문제를 직접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8월
27일에도 마찬가지로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민연금 제도개혁 및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의 지급보장을 분명히 하여 국민의 불안
감을 해소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달라고 발언한 것이 다시 한 번 주목을 받
았다. 이 날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연금 개편안과 관련한 불안감에 국가 지급보장을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12월 14일에는 현행유지방안, 기초연금 강화, 노후소득보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정부의 국민연금 제도 개선안 발표가 있었다.

[그림 3-6] “국민연금”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나. 최저임금
[그림 3-7]은 “최저임금”의 언론 노출 빈도의 연간 추이를 살펴본 것이다. 1월 8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작용 우려와 그에 대한 정부 대책, 대응 방안이 주목을 받았
다. 5월 28일 최저임금의 산입범위를 개편하는 내용을 담은 최저임금법 개정안이 28
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7월 16일 문재인 대통령이 2020년
최저임금 1만 원 공약이 사실상 파기된 데 대해 사과의 뜻을 전했다. 12월 17일은 경

46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제, 사회부총리 산하 장관들이 집결한 첫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최


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국민의 공감을 강조했다.

[그림 3-7] “최저임금”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다. 일자리
[그림 3-8]은 “일자리”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1월 2일 문재인 대
통령은 청와대에서 신년 인사회를 주최하고 "특히 좋은 일자리 창출과 격차해소에 주
력해 양극화 해소의 큰 전환점을 만들겠다"고 한 해 포부를 밝혔다. 3월 15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을 비롯한 관계부처 장관들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
사에서 청년 일자리 대책과 관련하여 합동 브리핑 시간을 가졌다.

4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3-8] “일자리”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라. 저출산
[그림 3-9]는 “저출산”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의 일간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2월
말 2표준편차 이상의 노출을 보였던 때는 2월 28일 통계청의 2017년 인구동향조사
– 출생 사망통계 잠정 결과 발표가 있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출생아 수가 사
·

상 처음으로 30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그와 함께 출산 정책의 무용론이 함께 언급되


며 저출산 정책에 관하여 재정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닌 지역 연령에 맞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3월 26일은 서울 정부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과 저출산 극
복을 위해 460조원 규모의 예산 편성을 예고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언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은 7월 5일에는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부 부처 합동으로 ‘일하며 아이 키우기 행복한 나라를 위한 핵심과제’를 확정·
발표가 있었다. 7월 11일은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제2회 서울인구심포지엄과
세종문화회관에서 인구의 날 기념식이 열렸다. 7월 12일에는 행정안전부가 지난 4월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저출산 대응 지원사업을 공모한 결과 발표가 있었
다. 해당 사업은 정부가 일하며 아이키우기 행복한 나라를 위한 핵심과제를 확정·발
표한 것에 발맞춰 추진되었다. 저출산 대응 지원사업은 아이와 부모의 삶의 질 개선

48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에 중점을 두고 지역맞춤형 저출산 대책을 발굴·확산하기 위한 공모사업이다. 하지만


7월 25일은 통계청이 내놓은 인구동향에서 2018년 5월 출생아 수가 2017년 5월보다
감소하며 다시 한 번 저출산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결국 12월 7일 정부는 저출산 대
책을 출산 장려에서 삶의 질 향상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그림 3-9] “저출산”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마. 소득주도성장
[그림 3-10]은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처음 2 표
준편차 이상의 노출을 보였던 8월 20일에는 소득주도 성장에 관한 여야의 공방이 있
었다. 그 후 8월 26일에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간담회에
서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더욱 과감하게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그와 함께 9월 6일 서울 종로구 이마빌딩에서 소득주도
성장특별위 출범식이 열렸다. 하지만 같은 날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 철회를 요구하였다. 10월 18일 정부 세
종청사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소득주도성장을 두고 여야의 공방이 계속
적으로 이어졌다.

4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3-10] “소득주도성장”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바. 사각지대
[그림 3-11]은 “사각지대”의 언론 노출 빈도의 일간 변화를 제시한 것이다. 복지 사
각지대 발굴과 관련하여 사각지대는 꾸준한 노출 수준을 보였다. 일정 수준 이상의
노출 빈도를 보인 것은 주로 사각지대의 발굴과 사각지대 관련 정책의 발표와 관계
가 있다. 처음 2표준편차 이상의 노출 수준을 보였던 1월 9일은 쌍용 SUV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각지대의 노출수준이 높아졌다. 1월 16일은 보건복지부에
서 2017년에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을 통해 단전·단수, 기초수급 탈락·중지,
의료비 과다지출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 7000명을 찾
아내고 지원했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하여 18%가 증가한 수치이다.
보건복지부는 2018년에도 발굴관리 시스템을 통해 2개월 간격으로 총 6차례 사각지
대 예측대상자를 찾고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상담조사를 통해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
혔다.
4월 26일 고용노동부는 중소기업·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한 '거점형 공동직장어린
이집'(이하 거점형 어린이집) 시범사업자로 서울 노원구, 경기 시흥시, 인천 부평구 3
개 자치단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거점형 어린이집은 국가와 자치단체가 중소기업

50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근로자 등의 보육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밀집지역 인근에 설립·운영하는 근로자 친화


적인 새로운 유형의 직장어린이집이다. 그 외에 사각지대의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지
는 때는 하절기, 동절기를 맞이하여 시행한 지역구별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과 관련
이 있었다.

[그림 3-11] “사각지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3. 기타 주요 사회 이슈

가. 미투
[그림 3-12]는 “미투”의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2월 26일 청와대에서 열
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미투 운동에 정부가 힘을 싣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3월 6일 국회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인 미투 운
동으로 국회 보좌관이 면직처분 됐다. 아울러 언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은 3월 8일부
터는 트로트계, 개신교, 바둑계, 병원 등 미투 운동이 사회 각 계층으로 확산되며 언
론 노출 빈도가 높아졌다.

5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3-12] “미투”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나. 성폭력
[그림 3-13]은 “성폭력”의 언론 노출 빈도의 일간 변화를 제시한 것이다. “성폭력”
의 노출 수준이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 이상을 보인 것은 주로 성폭력 사건과 대응
방법과 관련하여 노출 빈도가 높아졌다. 2월 1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검찰
내 성폭력 사건 진상규명 촉구와 관련하여 전국 16개 지역에서 동시 기자회견이 열
렸다. 이 날 회견에 참여한 한국여성단체연합,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한국여성민우
회 등 여성단체들은 이번 성폭력 사건에 대해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조사위원회
를 만들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설치해 성역 없는 수사를 할 것을 촉구했다.
2월 28일 연극 연출가 이윤택에게 성폭력을 당했다고 주장한 여성들이 단체로 이
윤택을 검찰에 고소했다. 또한 28일 오후 광진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는 최근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한 모 신부의 성폭력 사건에 대해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가 '한국 천주교 사제의 성폭력 사건에 대해 사
죄하며'란 제목의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노출 빈도가 높아졌다.
3월 6일은 행정안전부가 성희롱·성폭력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신고된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 및 피해자 상담 및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정부는 성

52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희롱·성폭력 근절 특별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월 8일에는 정


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직장 및 문화예술계 성희롱·
성폭력 근절 대책을 발표했다. 발표된 성희롱·성폭력 근절 대책에 따르면 권력형 성
폭력의 경우 징역 10년으로 법정형 상한이 상향 조정된다. 3월 19일 정현백 여성가족
부 장관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 추진현황과 계
획을 보고하면서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특별신고센터'를 100일간 운영한 뒤 기간을
연장하거나 상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4월 3일에는 국회 윤리특별
위원회가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국회의원 및 보좌진을 대상으로 '국회 내 성폭력
관련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하면서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그림 3-13] “성폭력”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다. 위안부
[그림 3-14]는 “위안부”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1월 4일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 입원 중인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를
찾아 위로하고 위안부 할머니 9명을 청와대 초청 오찬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
로했다. 그리고 지난 이면 합의에 대한 사과 및 향후 정부 입장을 정함에 있어 당사
자를 배제하지 않는 원칙에 따라 할머니들의 의견을 묻는 시간을 가진 것이 언론의

5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주목을 받았다.
1월 10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해 한국 측이 추가
조치를 요구하는 듯한 언급을 한 데에 대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2월 27
일 서울시 주최로 오전 시청사에서 열린 3·1절 99주년 기념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컨퍼런스에서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한 증거를 보여주는 영상이 최초로
공개됐다. 해당 영상은 아시아·태평양전쟁 패전 직전인 1944년 중국 등충에서 조선인
'위안부'들이 학살된 후 버려진 모습을 담은 19초 분량 흑백영상이다.
8월 14일 여성가족부는 충남 국립망향의 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첫 기념식을 개최했다. 동시에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을 맞이하여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동시
에 이 날 도쿄에서는 위안부 추모행사가 열리고, 타이완은 첫 위안부 피해자 동상을
세우기도 했다.

[그림 3-14] “위안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54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라. 혐오
[그림 3-15]는 “혐오”의 언론 노출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혐오는 주로 성차별적 혐
오 발언과 난민 혐오와 관련이 있었다. 2월 1일 웹툰작가 기안84가 여성 혐오 논란에
휩싸이면서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7월 12일에는 남성 혐오 성향 사이트 ‘워마
드’에 게시된 ‘성체’ 훼손 사진이 논란이 됐다. 7월 31일은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
표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임태훈 소장의 성정체성을 문제 삼으며 성소
수자 혐오 발언을 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8월 7일 애플, 유튜브, 페이스북, 스포티파이가 알렉스 존스의 콘텐츠를 일괄 삭제
했다. 알렉스 존스 채널은 혐오 발언과 언어 폭력등을 통한 반복적인 규정 위반을 이
유로 삭제 됐다. 또한 8월 7일에는 정부가 청와대 국민 청원 답변에서 난민법 폐지
불가 입장을 밝혔다.
9월 18일에 성별이나 지역 등과 관련한 혐오 표현을 불법 정보로 규정하고 유통을
차단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됐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용현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불법 정보의 유통금지 조항에 '인종, 지역, 성별, 신체적
조건 등을 이유로 반복적 혹은 공공연하게 차별하거나 이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의 정보'가 포함됐다.
10월 14일은 서울 중구 청계천 광장 인근에서 난민대책 국민행동자들이 불법 체류
자 추방 및 난민법 폐지 촉구 집회가 열렸다. 이와 반대로 10월 17일에는 서울 보신각
앞에서 난민인권센터 등의 주최로 열린 난민과 함께하는 행동의 날 집회가 열렸다.
언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았던 12월 20일에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9 여성가족부 업무 보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성차별 이슈가 남녀 간 대립
양상으로 치닫는 현상과 관련해 “사회적 이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마땅히 존중되
어야 하지만 극단적인 대립이나 혐오 양상으로 표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발
언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5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3-15] “혐오”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마. 블록체인
[그림 3-16]은 블록체인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1월 17일 과학기
술정보통신부가 상반기 중으로 ‘블록체인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내놓을 것을 발표했
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가상통화와 블록체인은 분리해서 봐야 한다며 블록체인 기
술개발에도 1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올해를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의 원년으로 삼는다
는 계획을 밝혔다.
4월 1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오는 18일 국회에서 ‘블록체인 육성을 위한 정
책토론회’를 펼친다는 계획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4월 18일에는 국회의원회관에서
블록체인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인재양성, 산업발전 등 제반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블록체인 육성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6월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광화문 일
자리위원회에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안)' 기자 설명회를 열고 정부가 향후 5년
내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블록체인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을 추진하고, 2022년까지 1만명 규모의 블록체
인 인력을 양성하여 100여 개의 블록체인 전문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56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7월 24일 광화문 KT 빌딩에서 KT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세계 최초로 네트워크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KT 네트워크 블록체인'을 공개하였다. 또 오는 2022년까지 국내
블록체인 시장이 1조원 규모로 성장하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9월 20일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로코에서 블록체인 업계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블록체인 전문기업 현장간담
회'를 열어 업계와 소통 행보를 이어가면서 정부의 지원확산을 약속했다.

[그림 3-16] “블록체인” 언론 노출 빈도 추이

바. 4차 산업혁명
[그림 3-17]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언론 노출 수준의 일간 추이를 제시한 것이
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행사가 주로 주목을 받았다. 3월 15일에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가 열렸다.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전
시회인 이 날 행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품은 첨단 의료기기와 의료정보시스
템, 헬스케어·재활기기 등을 대거 선보였다. 5월에는 국민대학교에서 개최하는 4차 산
업혁명 Festival 시즌 2가 주목받았다. 5월 16일, 17일 양일간 오후 12시 30분부터 오
후 6시까지 국민대 대운동장·7호관 등에서 ‘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 융·복합을 만나
다’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Festival 시즌2’가 개최됐다.
4차 산업혁명의 노출수준이 가장 높았던 9월 20일은 중국 텐진시에서 열린 하계

5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다보스포럼 이틀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4차 산업혁명이 가져 올 대량실업문제에 대


한 해법으로 기본소득을 주장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재명 경기도 지사는
19일 열린 2018 하계 다보스 포럼 이틀째 ‘일자리의 50%가 사라진다면?(What If:
50% of Today‘s Jobs Disappear?)’ 세션에 참석해 자동화로 인한 대량실업은 불가피
한 사회현상으로 이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본소
득은 피할 수 없는 운명과도 같다라고 발언했다.
11월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일 중국 톈진(天津) 빈하이신구 위지아푸국
제금융회의센터에서 중국국제다국적기업촉진회(CICPMC)와 함께 '제7차 한중CEO 라
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 한중 경제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양국 간 전자상거래,
원격의료 활성화, 북한을 포함한 역내 인프라 확충을 위한 한중 기업 간 공동투자 등
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11월 13일 현대엘리베이터는 14일부터 16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8 한국국제승강기 EXPO’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엘
리베이터 시스템을 대거 선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기도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
자원부의 공동 주최로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안전산업을 융합한 혁신성장 기반 구축
을 목표로 열리는 ‘2018년 제4회 대한민국 안전산업 박람회’가 14일부터 16일까지 역
대 최대 규모로 3일간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그림 3-17] “4차산업혁명” 언론 노출 빈도 추이

58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사. 먼지
[그림 3-18]은 “먼지”에 대한 언론 노출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먼지는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주로 봄철과 겨울철에 높은 언론 노출 수준을 보였다. 노출 수준이 높아지
는 때는 일반적으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이 되거나 좋음 단계가 예보
될 때였다. 1월 11일은 최강 한파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청정한 대기를 나
타내 대부분 지역에서 보통이나 좋음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며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3월 20일 환경부는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는 환경
정책기본법 시행령이 2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3월 23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미세먼지 저감 등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서울
시청에서 대기오염 저감 대책 등을 주제로 제 29회 중앙·지방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등 관계부처와 17개 시 도가 참석해 대기환
경 개선 대책을 함께 논의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저감과 적응 대책을 발표하고 저
공해 차 의무구매 확대, 강화된 미세먼지 환경기준 홍보, 미세먼지 배출 핵심현장 특
별점검 등 실질적인 저감 조치에 동참해 줄 것을 시 도에 협조 요청했다.
3월 24일에는 미세먼지 농도는 강원 영동과 제주만 ‘보통’ 수준을 보이고, 이 밖의
모든 권역은 ‘나쁨’ 수준을 보일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이 예보했다. 3월 27일은 나흘
째 계속 되었던 미세먼지가 28일 낮부터 점차 해소되지만 다가오는 황사와 관련한
우려가 담긴 예보로 언론의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언론 노출수준이 가장 높은 4월 5
일은 교육부에서 미세먼지에 약한 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고자‘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가 3년 안에 모든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
교 교실에 환기설비나 공기청정기 등 정화장치를 설치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일 경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학생 등 민감
군인 초중고교생은 이르면 이달부터 질병 결석 인정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언
론의 주목을 받았다.
6월 15일 미세먼지 농도가 대부분의 지역에서 좋음으로 예상되며 언론 노출수준이
높아졌다. 11월 6일에는 수도권에 처음으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됐다. 환경
부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3개 시도는 7일 오전6시부터 오후9시까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비상저감조치에서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

5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은 화력발전의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조치도 처음 시행됐다.


11월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터넷쇼핑몰 등에서 유통되는 화장품 중 미세먼지
차단·세정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판매하는 자외선차단제, 보습제, 세정제 등 53개 제
품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7개 제품이 미세먼지 차단·세정 효과가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12월 20일에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나면서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그림 3-18] “먼지” 언론 노출 빈도 추이

아. 폭염
[그림 3-19]는 “폭염”의 언론 노출 빈도의 연간 추이를 살펴본 것이다. 폭염은 여름
에 집중적으로 높은 노출수준으로 나타났다. 처음 노출수준이 2표준편차 이상으로 나
타난 7월 17일에는 폭염으로 인해 나흘 동안 285명의 온열환자 신고와 어린이집 차
량에 방치된 4살 어린이가 숨지고, 가축이 79만 마리가 폐사 되는 등 피해가 급증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 문제가 제기 되었다. 7월 26일에는 경북 경산 하양의 낮
기온이 40.5도를 기록하였고, 폭염에 대해 태풍 종다리의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추
정되어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7월 31일 환경부는 전국 시·군·구 기초지자체별 8월 ‘폭염 취약성 지수’ 분석 결과를

60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공개했다. 폭얌 취약성 지수 평가 결과는 이번 범정부 폭염 대응 대책을 위해 5월과 7


월에도 발행해 각 지자체에 배포했지만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장 높은 노출 수준을 보였던 8월 2일에는 연일 폭염이 신기록을 세우며 온열 질환
으로 쓰러지는 사람들도 역대 최대로 증가했다. 그와 함께 1박 2일 녹화가 취소되었고,
드라마 서른이지만의 스태프가 사망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과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과로가 이번 사망 사건의 원인이라 추측하고 있다.
8월 6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가정용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 줄 방안을 빨리 확정해 시행하라고 발언한 것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우선적으로 7월과 8월 두 달간의 가정용 전기요금에 대해 한시적 누진제 완
화와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 등에 대한 전기요금 할인 확대 등 전기요금 부담 경감
방안을 조속히 확정하여 7월분 전기요금 고지부터 시행해 줄 것에 대해 발언하였다.
8월 9일은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바다에서도 고수온 현상이 지속
해 어민 피해가 18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한반도 주변 바다 수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향후 한국 폭염 수준이 한층 심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더군다나 폭염으로
인한 농가 피해로 인한 물가 상승도 함께 화제가 되면서 언론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그림 3-19] “폭염” 언론 노출 빈도 추이

6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자. 평화
[그림 3-20]은 “평화”의 언론 노출 빈도의 연간 추이를 살펴본 것이다. “평화”의 언
론 노출 수준은 정상회담을 비롯하여 주로 문재인 대통령의 행보와 관련이 있었다. 3
월 29일 남북 정상회담이 4월27일에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기로 확정됐다. 언
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았던 4월 27일은 남북정상이 평화의 집 1층 로비에서 만나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판문점 선언) 서명식을 개최하고
공동 발표했다. 남북은 선언을 통해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
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
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8월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6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
일 맞이하여 촛불문화제‘함께평화!’가 열렸다. 그리고 8월 15일은 서울 용산 국립중앙
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제73주년 광복절 및 제70주년 정부수립 기념 경축식이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경축식에서 정치적 통일은 멀었더라도 남북이 평화를 정착시키고
자유롭게 오가며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이루는 게 진정한 광복이라고 말한 것이 언론
의 주목을 받아 노출 수준이 높아졌다.
9월 18일 문재인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위해 북한 조선노동당 당사를 방문하고 ‘평
화와 번영으로 겨레의 마음은 하나’라는 내용의 방명록을 작성했다. 9월 27일에는 문
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3차 유엔총회에 참석하여 국제사
회를 향해 한반도 평화 정착 여정에 힘을 실어달라고 당부했다. 이 날 문재인 대통령
이 연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평화'로 총 34번 등장했다. 10월 1일에는 문재
인 대통령은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열린 제 70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이
제 우리 군이 한반도 평화의 맨 앞자리에 서야할 때라면서 힘을 통한 평화는 군의
사명이며, 평화시대의 진정한 주인공은 바로 강한 군대라고 발언한 것이 주목을 받았
다. 12월 6일에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빌딩에서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
상 18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62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그림 3-20] “평화” 언론 노출 빈도 추이

차. 난민
[그림 3-21]은 “난민”의 언론 노출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난민”은 제주도에 유입
된 예멘 출신 난민 신청자들과 관련이 높게 나타났다. 6월 19일 유엔난민기구가 2017
년 전세계 난민과 국내 실향민 수가 6천850만 명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고 연례
보고서에서 밝혔다. 아울러 우리나라 법무부 난민과는 2018년 1월에서 5월까지 우리
나라에 난민인정을 신청한 외국인이 7737명으로 전년 동기(3337명)대비 132% 증가했
다고 밝히면서 언론 노출 빈도가 증가했다.
6월 20일 제주도에 예멘 출신 난민신청자들이 몰려들면서 난민 문제가 확산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은 제주도의 예멘인 등 난민수용 문제와 관련해 현황 파악을 지시했다.
이 날 난민의 날을 맞이하여 난민 혐오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리기도 했지
만 청와대 청원게시판의 난민 수용 반대 글에는 30만 명이 서명하는 난민 수용을 반
대하는 움직임도 함께 보였다.
6월 29일 김오수 법무부 차관은 정부 과천청사에서 난민법 개정 추진 계획을 비롯
한 난민대책을 발표했다. 법무부는 지난 4월 예멘인을 비롯한 모든 난민 신청자 체류
지를 제주도로 한정했으며 일부 난민 신청자가 경제적 목적을 위해 난민신청제도를

6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악용한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만큼 악용 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법무


부는 난민을 보호해야 할 국가법상의 의무를 이행하는 동시에 국민들의 우려를 불식
시키겠다고 강조하며 난민에 관하여 지나치게 온정주의적이거나 과도한 혐오감을 보
이는 일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7월 5일 배우 정우성이 난민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을 향한 비판에 대해 언급한 것
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정우성은 '김현정의 뉴스쇼'와 전화 인터뷰에서 “난민은 우
리에게 먼 나라 이야기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 난민에 대한 반감을 가진 국민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라며 우리 사회는 불평등과 불안 등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8월 1일에는 역대 최다 인원의 동의를 얻은 '난민 수용 반대' 국민청원에 청와대의
답변이 있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청와대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난민법 폐지'
요구에 난민협약 가입국인 142개국 중 협약 탈퇴국이 없는 것과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과 국익에 미치는 문제점 등을 고려할 때 난민법 폐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9월부터 제주도에 입국하여 난민 신청을 한 예멘인에 대한 심사결과가 난민의 언
론노출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9월 14일에는 제주도에 입국하여 난민 신청을 한 예멘
인 중 23명에 대해 인도적인 차원의 체류가 허가됐다. 10월 17일은 제주도에 입국해
난민 신청을 한 예멘인 339명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체류가 추가로 허가됐다. 예멘인
국내 인도적 체류자는 362명으로 늘어났다. 12월 14일 제주도 예멘 난민 신청자 가운
데 2명이 처음으로 ‘난민’ 인정을 받았다. 법무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은 제주 내 예
멘 난민 신청자 중 심사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던 85명 가운데 2명에 대해서 난민으
로 인정했다고 밝혔다. 12월의 심사를 끝으로 법무부는 제주도에 입국해 난민신청을
한 484명에 대한 난민 심사 절차를 마쳤다. 심사 결과 2명은 난민으로 인정하고, 412
명은 인도적 체류허가가 결정됐다.

64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그림 3-21 “난민” 언론 노출 빈도 추이

카. 정상회담
[그림 3-22]는 “정상회담”의 언론 노출 빈도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3월 9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조속한 만남을 희망했고, 이
에 트럼프 대통령도 오는 5월 안에 만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
안보실장의 발표가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날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두 분이 만
난다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서게 될 것이라며 5월의 회
동은 훗날 한반도 평화를 일궈낸 역사적인 이정표로 기록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4월 26일에는 일산 킨텍스 프레스센터에서 27일 남북정상회담 당일 남북 정상의
첫 만남부터 만찬에 관한 임종석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의 전체 일정 발표가 진행
됐다. 언론 노출 수준이 가장 높았던 4월 27일은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이 진행됐다.
6월 1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갖고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9월 1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마
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을 통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8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평양에서 열리는 남북정상회담 기간
동안에 2번 이상 만날 것으로 밝혔다.

6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10월 16일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과 한·프랑스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프로세스에 지지와 협
조를 당부했다. 정상회담 후 문재인 대통령은 엘리제 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림 3-22] “정상회담” 언론 노출 빈도 추이

타. 2018년 월별 빈출 이슈
이상의 이슈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그림 3-23]과 같다. 앞서 제시된 이슈가 제기되
는 최빈 월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이다. 이를 보면, 2018년 미투와 성폭력 이슈에서
부터 시작하여(3월), 4월에는 정상회담과 평화이슈가, 7월에는 사각지대, 저출산과 같
은 복지국가 관련 이슈가, 8월에는 폭염 및 국민연금 이슈가, 9월에는 소득주도 성장
이슈, 11월~12월에는 기부/ 나눔, 그리고 난민 및 혐오 이슈가 주로 제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폭력 및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여성관련 이슈와 평화이슈, 그리고 경제
및 노동관련 이슈, 환경이슈, 그 외 다양한 복지관련 이슈(국민연금, 저출산, 사각지
대, 난민 등)가 제기되었던 한 해였음을 알 수 있다.

66
제3장 언론분석을 통해 본 2018 한국의 사회이슈

[그림 3-23] 2018년 월별 빈출 이슈

제3절 시사점
지금까지 “기부”, “복지국가”, “기업”을 핵심 키워드로 하는 토픽 모델링과 언론
주요 빈출어를 기준으로 2018년의 흐름을 살펴보는 시계열 검토를 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드러난 내용을 바탕으로 나눔과 관련한 환경변화와 전략에 대한 함의를 간
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와 관련한 “기부 시장”의 다원화가 급속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우선, 개인의 다양한 가
치 지향이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투”, “혐오”로 대표되는 개인 권리 의식
의 신장은 이와 같은 다양한 가치 지향을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 기부 행위는 이와
같은 개인의 가치 지향을 드러내는 행위로도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할 필
요가 있다. 개인 일상과 가치 지향을 드러낼 수 있는 소통 채널의 저변 학대는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주요 환경으로 기능할 것이며, 아울러 개인의 권익을 대변하는 공익
활동에 대한 기부 의사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 중요한 변화의 차원은 기부
에서 중요한 “고객”의 역할을 점했던 기업의 사회공헌의 방향성이 다양해지고 있다
는 점이다. 전통적인 형태의 기부활동 이외에 새로운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혁신 인
재 양성을 위한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나,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산업 혁신 활동

6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과 사회 공헌을 일치시키는 활동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사회 공헌


영역의 다원화 가능성은 이들을 주요 “고객”으로 하는 기부 단체에게 새로운 도전
상황이 될 것이다. 이들 “고객”의 니즈에 조응하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것이
다. 이를 위해서는 다원화된 환경에서 각 기업이 추구하고 있는 경영 전략에 대한 체
계적인 모니터링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부 영역의 중요성은 여전히 강화될 것으로 보이나 그 성격에서 변화가 있
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한국의 복지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도전 상황과 관련
성이 높다. 현재 한국 사회는 급속한 노령화와 가족의 다양화 및 전통적 가족 기능의
약화로 인해 사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연금을 둘러싼
논의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사회보장 예산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은
상황이다. 현 정부가 포용적 복지를 지향하고 있으나 이미 예산이 급격히 불어나고
있는 의료 및 노후보장 영역을 고려할 때 이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
서 이런 상황에서 국가가 직접적인 예산 확대를 통해서 모든 니즈에 대응하기 보다
는 다양한 민간 참여와 기금 마련 등의 전략을 통해 대응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기부 활동이 복지국가의 보완물의 성격을 넘어서 중요한 파트너로 확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새로운 기술 변화는 정부와 기업을 넘어 사회 전반에 깊숙히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기부 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는 새로운 기술 변화를 기부 방법에 직접적으로 활용
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새로운 기술 변화로 인해 어떤 새로운 니즈가 창출될
수 있으며 이를 기부 영역 확대 및 전략 마련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논의는 전자에 할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여기에 더해서 새로운 기술 변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격차, 소외 등의 문제를
조명하고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부 전략을 도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68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4장에서는 2018년에 진행된 기부 관련 정책환경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기부관련


법령 및 제도 중 2018년에 변경된 부분을 살펴보고, 2018년에 기부관련 정책·제도를
둘러싸고 상당한 논의가 진행된 정책이슈를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비
영리 조직의 대응활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제1절 법령 및 제도의 변화

1. 지정기부금단체 의무사항 대폭 강화3)


2018년 2월 13일에 개정된 법인세법 시행령은 지정기부금단체의 의무사항이 대폭
강화되었고, 개정된 규정들이 2019년부터 적용된다.
첫째 장학단체, 문화예술단체, 학술연구단체, 환경보호단체, 기술진흥단체를 당연
지정기부금단체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기존에 이들은 별도 지정절차 없이 설립과
동시에 지정기부금자격을 자동으로 취득해왔다. 시행령 변경으로 이들 단체도 설립과
별도로 지정기부금 신청을 통해 자격을 부여받고, 매 6년마다 재신청을 해야 한다.
기존 단체들의 지정기부금단체 자격은 2020년까지만 인정되어 종료 전 별도로 지정
기부금단체를 신청해야 한다.
둘째 지정기부금단체 신청서류 제출기간이 촉박해졌다. 기존에는 주무관청이 기획
재정부에 분기종료 1개월 전인 매 2월/5월/8월/11월말까지 제출하게 하였던 것을 2
개월 전인 매 1월/4월/7월/10월말까지 제출해야 한다.4)
셋째 지정기부금단체 신청 시 제출해야 할 최근 결산서가 2년치에서 3년치로 1년

3) 이 내용은 사단법인 한국공익법인협회 홈페이지 http://publiclab.tistory.com/137의 게시자료의 요약임.

4)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8조 제5항

7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치가 늘어났다.
넷째 기부금품 모집 및 활용실적 명세서를 국세청과 법인 홈페이지에 공개해야 하
는 의무가 확대되었다. 이 의무는 당연 지정기부금단체에게는 별도로 부과되지 않았
었는데, 2019년부터는 종교법인을 제외한 모든 지정기부금단체는 연간기부금품 모집
및 활용실적 명세서를 사업연도 종료일 이후 3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다섯째 지정기부금단체 의무이행 여부 점검결과 보고서양식이 변경되었다. 전용계
좌신고의무 이행여부를 보고서에 체크하게 되었다. 전용계좌 신고의무는 2008년부터
상증세법에 의해 시행되는 제도로서 종교단체를 제외한 모든 공익법인이 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계좌를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과반수 이상의 비영리법인이 전용계좌 신고
의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양식변경으로 해당의무에 대한 인지와 이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지정기부금단체 의무이행 여부 점검결과 보고서 제출의무가 확대되었다. 기
존 당연 지정기부금단체에게는 보고서 제출 의무가 부과되지 않았는데, 변경으로 종
교법인을 제외한 모든 지정기부금단체가 제출하게 되었다.

2. 기부금 세제혜택 범위 확대 및 이월공제기간 연장


소득세법 개정에 의해 2019년부터 지정․법정기부금의 필요경비 산입한도액 및 세
액공제 한도액의 초과금액에 대한 이월공제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고, 세액공
제 시 30퍼센트의 세액공제율이 적용되는 고액기부로 분류되는 기준금액을 2천만원에
서 1천만원으로 하향조정되었다(제34조제4항, 제59조의4제4항 및 제61조제2항). 법인세
법 개정에 의해 기준소득금액의 10%까지 인정되는 기업 기부금 인정 한도액 초과금액
에 대한 이월공제기간을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였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부
금은 기준소득금액의 20%에 달하는 금액까지 한도를 높였다.(법인세법 제24조)
2014년부터 기부금 세제혜택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 15%(당시 3천만원 초과분은
25%)로 전환됨에 따라 24% 이상의 한계세율을 적용받는 과세표준 4,600만원을 초과
하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의 기부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
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요청으로 한국재정학회가 2014년 10월에 수행한 연구용역
에 따르면, 소득공제방식에서 세액공제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세수 증가보다 훨씬

72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더 큰 기부금 감소가 예상되었다. 기부금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겨우(-0.87), 세수는


546억원 증가하지만 기부금은 3.640억원 감소하고, 기부금의 가격탄력성이 높은 경우
(-4.87), 세수는 3.057억원 증가하지만 기부금은 2조 376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실제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개인의 고액기부도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이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표 4-1> 2013년 2015년 연도별 5개 사회복지법인의 고액기부 현황
(단위 : 백만원, 명)

전 체 개 인 법인 및 단체
구 분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2013년 252,928 1,234 21,567 321 231,361 913
2014년 461,684 1,204 14,869 169 446,815 1,035
2015년 439,764 1,266 24,131 220 415,633 1,046

주: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연속된 자료가 갖추어진 굿네이버스인터내셔날,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


런, 유니세프, 월드비전 등 5개 사회복지법인의 2천만원(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경우 4,500만원) 이상 고액기
부 현황임
자료 : 채병완․임승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부금세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제73집, 한국
국제회계학회, 2017. 6. p. 339.

또한 2014년 이후 모든 종합소득과세표준 구간에서 1인당 기부금액이 감소하였으


며, 특히 과세표준 8,800만원 초과 구간에서 1인당 기부금액이 2013년 411.2만원에서
2014년 298.3만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표 4-2> 연도별 근로소득자 종합소득과세표준 규모별 1인당 기부금액 현황


(단위 : 만원)

구 분 1.2천만원 이하 ∼
1.2 4.6천만원 ∼
4.6 8.8천만원 8.8천만원 초과 전 체
2012년 70.5 118.5 200.4 422.0 119.9
2013년 67.1 110.7 186.5 411.2 115.2
2014년 30.3 82.0 158.2 298.3 105.3
2015년 33.6 89.4 166.5 332.1 115.9
2016년 34.1 91.8 169.0 342.7 119.9

자료 : 국세청, 연도별 국세통계연보

7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이에 2016년부터 고액기부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25%에서 30%로 인상하고 고액기


부의 기준도 3천만원 초과에서 2천만원 초과로 하향함으로써 이들 소득계층의 고액
기부에 대한 세제유인을 일정부분 강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4% 이상의 한계
세율이 적용되는 과제표준 4,600만원 초과 구간에서는 소득공제에 비하여 여전히 혜
택이 적어 중산층과 고소득층의 기부유인에 불충분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국세청에 따르면 기부금 공제를 신고한 근로소득자는 2013년 475.2만명에서 세액공
제 전환된 이후 2014년 415.2만명으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도 459.4만명으로 2013년
신고인원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기부금 신고액도 2013년 5조 4,758억원에서 2014년 4
조 3,724억원으로 크게 감소하였다가 2016년에 5조 5,066억원으로 3년 만에 2013년 신
고액 수준을 회복하였다.

<표 4-3> 연도별 기부금 공제 신고 현황


(단위: 만명, 억원)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신고인원 372.5 394.8 425.0 452.0 475.2 415.2 441.3 459.4
신고금액 44,910 47,335 50,611 54,215 54,758 43,724 51,155 55,066

자료 : 연도별 국세통계연보, 4-2-6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 현황 VI(과세표준)

2018년에도 기부금 세제혜택을 높이는 방향의 개정안들이 논의되었다. 개정안들은


세액공제율 15%의 요율을 상향하거나 이전 소득공제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한다.
개정안에 대한 반론은 첫째, 세액공제 전환 후에도 기부와 고액기부가 크게 줄어들
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계세율 24%를 적용받는 과세표준 4,600만원 8,800만원 구간 ∼
의 기부인원은 2013년 59.6만명에서 2016년 108.5만명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기부금액
도 같은 기간 1조 1,115억원에서 1조 8,331억원으로 늘어났다. 또한, 35% 이상의 한계
세율을 적용받는 과세표준 8,800만원 초과 구간도 기부인원이 같은 기간 12.6만명에
서 27.2만명으로, 기부금액이 5,164억원에서 9,331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여, 기부금에
대한 공제방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산층 및 고소득층의 전체 기부규모가 확대된 것
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74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표 4-4> 연도별 근로소득자 종합소득과세표준 규모별 기부인원 현황


(단위 : 명)

구 분 1.2천만원 이하 ∼
1.2 4.6천만원 ∼
4.6 8.8천만원 8.8천만원 초과 전 체
2012년 1,431,514 2,459,876 520,795 107,710 4,519,895
2013년 1,405,612 2,624,750 596,112 125,569 4,752,043
2014년 352,234 2,678,683 910,750 210,759 4,152,426
2015년 383,384 2,764,814 1.017,798 246,628 4,412,626
2016년 399,598 2,837,289 1,084,704 272,260 4,593,851

자료 : 국세청, 연도별 국세통계연보

둘째, 저소득층의 기부가 줄어든 것은 기부금 공제방식의 전환으로 저소득 근로자


대부분이 면세자로 전환됨에 따라 기부금 세액공제가 저소득 근로자의 기부유인 수
단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기부금 신고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조세형평성의 측면에서 소득공제로의 회귀는 고소득층에게 더 큰 세제
혜택을 주게 된다. 넷째, 2016년에 진행된 세액공제율 인상과 고액기부 기준 하향의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잦은 세제변경은 혼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시아 15개국의 공익활동환경을 비교 조사하는 Doing Good Index에 따
르면 중국, 일본, 싱가폴, 태국 등 전체 조사대상국 대부분 소득공제를 채택한 가운
데, 오직 한국만 세액공제를 채택하고 있다. 전 세계 26개 국가의 기부금 세제혜택을
비교연구한 Charity Aid Foundation에 따르면 기부금에 세제혜택을 주지 않는 2개
국가를 제외한 24개 국가 중 19개국에서 소득공제방식으로 기부금에 세제혜택을 준
다. 이 보고서의 계산방식을 준용하여 한국의 기부금 세제혜택의 금전적 가치를 계산
해보면, 특히 고액기부자가 받는 세제혜택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5> 국가별 기부금 세제혜택의 금전적 가치 비교

최고 소득세율대비 10,000달러 기부에 대한


국가명
소득세율(%) 환급율(%) 세제혜택의 금전가치(USD)

싱가폴 20 300 6000


일본 50 100 5000

7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최고 소득세율대비 10,000달러 기부에 대한


국가명
소득세율(%) 환급율(%) 세제혜택의 금전가치(USD)

독일, 중국, 영국, 호주 45 100 4500

미국 45 100 4499

이탈리아 43 100 4300

캐나다 43 100 4100


남아프리카, 터키, 아르헨티나,
35 100 3500
멕시코, 베트남
폴란드, 필리핀 32 100 3200
아일랜드 40 78 3100
페루 30 100 3000
프랑스 45 66 2970
이집트 25 100 2500
인도 30 50 1500
대한민국 42 36 1500
러시아 13 100 1300
방글라데시 30 15 150
나이지리아 24 0 0
사우디아라비아 0 0 0

출처 : 「Donation States-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Tax Treatment of Donations」


Charity Aid Foundation

Doing Good Index 2018발표에 따르면, 기부금 세제혜택은 금전적 혜택의 가치 뿐


아니라 국가가 국민에게 기부행위의 가치를 매겨주는 ‘상징적’효과를 갖는다고 분석
했다. 한국은 세제혜택 제외한 다른 모든 정책이 기부문화의 확산과 성장을 독려하는
방향이다. 민간기부금의 금전적 가치 뿐 아니라 신뢰를 높이는 등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한다면, 기부금 세제혜택은 더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안이다.

76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3.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 : 공익법인 등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에 공익법인 등에 대한 관리관련 내용이 포함되었다. 2017
년에 공익법인 전용계좌 신고의무를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중소규모 비영리법인/
단체에게 대거 가산세가 부과되는 사건이 있었다. 전용 계좌 신고제도는 2008년 시행
되었으나 실제 집행되지 않아 전용계좌제도를 알지 못하는 비영리 법인/단체도 많았
다. 그러다 K스포츠재단 비리 문제가 터진 후 정치권에서 공익법인 투명성 이슈를
제기하자 국세청에서 관련 내용을 챙기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네
트워크, 한국공익법인협회 등 전문가그룹에서 법제도 개정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번 개정안에는 이 내용이 반영되어 공익법인 전용계좌 미신고 법인에 대한 신고
기간 부여하고 있다. 연간 수입금액과 출연받은 재산가액의 합계액이 5억원 미만의
소규모 공익법인 등으로서 공익법인 등에 해당한 지 3개월 이내에 전용계좌를 신고
하지 아니한 경우 시정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전용계좌를 2019년 6월 30일까지 신
고할 수 있게 되었다.(제50조의2제3항 단서 신설)
그 외로 증여세 과세대상인 출연받은 재산 범위를 명확하게 하였다. 즉 공익법인 등
이 출연받은 재산을 원본으로 취득한 재산과 출연받은 재산의 매각대금 등을 출연자
및 그 친족 등에게 임대차, 소비대차(消費貸借) 등의 방법으로 사용ㆍ수익하게 하는
경우에도 공익법인 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규정을 명확하게
하였다.(제48조제3항) 마지막으로 공익법인 등의 공시의무 서류에 외부감사보고서 및
출연재산의 운용소득 사용명세서가 추가되었다.(제50조의3제1항제6호 및 제7호 신설)

4. 공익법인회계기준 제정에 따른 실무지침서 발간


2017년 공익법인회계기준이 제정되었으나 이를 시행하기 위한 실무지침이나 책임
있는 실무안내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못하다는 우려가 해소되지 못한 채 2018년부터
시행되었다. 현장의 시급한 필요에 부응하여 삼일회계법인, 국민은행-공익회계사회 등
민간에서 먼저 공익법인 회계기준 매뉴얼북을 발간하고 교육을 시행해왔고, 공익법인
회계기준 제정 후 1년이 되는 2018년 12월에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서 공익법인회계
기준 실무지침서가 발간되었다.

7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실무지침서에는 첫째, 일반목적의 재무보고, 공익법인 통합재무제표, 발생주의·복식


부기 기반의 재무보고, 공익법인 재무제표의 종류, 공익법인의 특수성 반영, 공익법인
회계기준 구성의 공익법인회계기준 제정에 대한 기본원리. 둘째, 「상속세 및 증여세
법」의 공익법인회계기준 적용대상 및 공익법인회계기준 적용예외 대상에 대한 설명.
셋째, 재무제표 개요 및 작성기준 등 실무적용에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5.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

가. 서식 및 정보공개절차 정비
2018년 ‘기부금품법 시행령’개정을 행정안전부에서 추진하였다. 2018년 12월 입법예
고를 마치고 법제처에 제출된 상태이다. 이 개정안은 관련 서식과 정보공개절차를 정
비하는 내용과 기부심의위원회관련 변경을 담고 있다. 후자는 다음 항에서 별도로 논
하겠다.
관련 서식과 정보공개절차 정비관련 변경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집자의 사용
명세 서식 구체화 및 공개기간 확대(안 제19조제3항)로 모집자는 기부금품의 모집완
료 및 사용시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게 되는데, 게시기간을 기존 14일에서 30일로
늘렸다. 둘째, 기부금품모집 등록을 받는 등록청이 일반 대중에게 모집등록 등을 공
개하는 시기를 매 분기별 명확하게 하였다. 보통 연 1-2회로 등록청마다 공개시기와
빈도가 상이했던 것을 일치시켰다. 셋째, 기부금품 모집등록증 신설 및 서식을 개정
하여 필요한 정보를 누락 없이 소통할 수 있게 하였다.

나. 기부심사위원회 운영 자율권 확대
지방자치단체 기부심사위원회 구성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공통기준만 유지하고, 나
머지 조항은 삭제하며 세부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도록 하였다. 위
원장은 부단체장, 부위원장은 기부담당 실ㆍ국장으로 조정하였다.
이미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세종, 울산,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서울
서초구, 중랑구, 부산시 남구, 인천시 서구, 광주시 북구, 서구, 경기도 과천시, 구리
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안성시, 안양시, 용인시, 평택시, 충

78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청북도 제천시, 청주시, 계룡시, 충청남도 부여군, 아산시, 천안시, 전라북도 익산시,
여수시, 장흥군, 경상북도 영양군, 청송군, 경상남도 사천시의 39개 지자체에서 조례
를 통해 기부심사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와 지자체 출연기관이 비록 자발적 기부금품이라 할지라도 접수를 금
지하고 있는 기부금품법의 원칙을 우회하여 공익적 목적에 정부권력이 개입되지 않
았다는 것이 명확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절차를 두어 기부금품 접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법에서 위원장을 단체장으로 하였던 것을 부단체장으로 한 단계
낮추고, 세부사항을 조례에서 정하도록 위임하는 것이 이번 개정의 핵심이다.
현행 기부관련 법제도의 정비방향이 K재단이나 미르재단과 같은 권력형 비리연계
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면, 지자체와 지자체 출연기관에 대한 기부 모니
터링을 지자체 스스로에게 위임하는 것은 감시기능을 포기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현행 조례를 통한 기부심의위원회의 정치적 중립이나 지자체의 기부관련 영향력 행
사방지기능이 원활히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지자체 기부접수관리에
대한 수위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제2절 정책관련 주요 이슈

1. 공익법인법 개정안
2018년 가장 뜨거운 이슈는 공익법인법 개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의의 시
작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의 ‘시민공익위원회’설치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반부패 개
혁으로 청렴 한국 실현”과제의 일환으로 제기되었고 공익법인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
화의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이는 기존 비영리단체, 공익법인의 등록관리가 여러부처에 산재해 있는 것을 일원
화하여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자는 기구설치의 방향으로 논의되었다. 법무부에서
주관하여 개정안 작성을 위해 부처담당자, 법률 전문가, 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TF를
운영하였고, 2018년 12월에 법무부 개정안이 정리되었다. 아직 국회에서 승인되지 않
은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7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가. 공익목적 사업 범위를 확대하여 자세히 규정 (안 제2조)


비영리법인은 민법 32조에서 “학술, 종교, 자선, 기예, 사교 기타 영리아닌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단 또는 재단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어 이를 법인으로 할 수 있
다.”고 추상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현행 공익법인법에서도 공익목적 사업의 범위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 개정안에서는 통일된 기준에 따른 공익성 심사를 위해 공익으
로 인정되는 범주를 정하고 있다.
비록 차목에서 언급되지 않는 사업도 공익위원회가 인정할 수 있다고 하지만, 가목
부터 자목으로 정리된 공익인정 범주는 ‘대한민국 사회가 어떤 사업을 공익적이라고
인정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중요한 선언적 의미와 실무적 무게를 갖는다. 공
익법인의 현황과 향후 전망, 그리고 해외 공익성 인정 기준들을 기반으로 한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가. 학자금ㆍ장학금 또는 연구비의 보조ㆍ지급 및 학술ㆍ문화ㆍ예술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나. 인권옹호 및 인권증진에 관한 사업
다. 사회적 약자의 권익신장 및 지원을 위한 사업
라. 사고ㆍ재해 또는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하거나 이로 인한 피해자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마. 환경보전 및 공중의 위생ㆍ보건ㆍ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바.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제활동이나 소비자의 이익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사. 교육ㆍ스포츠 등을 통한 심신의 건전한 발달 및 아동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을 위한
사업
아. 남북통일, 평화구축, 국제 상호이해 증진 또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경제협력을 목적으
로 하는 사업
자. 취업 및 창업 지원 등 국민의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차. 가목부터 자목까지의 사업에 준하는 것으로서 공익위원회가 인정하는 사업

나. 국무총리 소속 공익위원회 구성과 기능정의


국무총리 소속으로 민 관이 공동 참여하는 공익법인 총괄기구인 ‘공익위원회’를 설
치하여 통일적인 공익법인 설립허가 및 관리 감독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공익위원회
의 구성은 업무수행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 의무를 부여하여 특혜성 공익법인 설립
등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다른 한편 비영리 민간 활동에 정부의 영향력을 충분히 견

80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개정안에서는 총 9인으로 위원회가 구성되는데, 대통령이 임명하는 사람이 위원
장, 상임위원, 일반직 공무원 2인으로 총 4명이고, 국회에서 추천하는 민간위원이 5명
이다. 공익위원회는 위원장, 상임위원 및 대통령이 지명하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 2명과 국회에서 추천하는 민간위원 5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장과 상임
위원을 대통령이 임명하고, 민간위원도 국회 추천이라면 여당의 영향력 하에 놓인다.
또한 민간위원의 요건이 첫째, 공익사업 10년 이상인 사람 둘째, 법률 또는 회계 직
종 10년 이상인 사람 셋째, 관련 연구기관이나 부교수 이상 10년 이상인 사람 외에
넷째, 공익관련 행정 3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 경험자를 포함시켜 전 현직 ∙
공무원의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이 안이 공익위원회 구성취지에
적합한지에 대한 토론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공익위원회는 첫째 공익법인의 공익성 인정 및 인정취소, 둘째 공익법인에 대한 업
무 감독 및 감사, 셋째 공익법인에 대한 교육·지원 등에 관한 사항 등을 담당한다. 이
는 다음의 공익성 인정요건을 기준으로 수행된다.(제22조 2항)

1. 공익목적 사업을 실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목적 외의 사업을 하지 않을 것


2. 정관의 내용이 이 법 제5장의 내용에 위배되지 아니할 것
3. 공익을 해하거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하는 사업을 하지 않을 것
4. 공익법인으로 인정된 날이 속하는 연도와 그 직전 연도에 해당 공익법인의 명의 또는
그 대표자의 명의로 특정 정당 또는 특정인에 대한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에
따른 선거운동을 한 것으로 권한 있는 기관이 확인한 사실이 없고, 특정 정당 또는 선
출직 후보를 지지·지원 또는 반대할 목적으로 설립 운영되지 아니할 것
5. 특정 종교의 교리전파를 목적으로 설립·운영되지 아니할 것
6. 재단법인에 있어서는 출연재산의 수입, 사단법인에 있어서는 회비 기부금 등으로 조성
하는 재원의 수입으로 목적사업을 원활히 달성할 수 있다고 인정될 것
7. 정관의 내용상 수입을 친목 등 회원의 이익이 아닌 공익을 위하여 사용하고, 사업의
직접 수혜자가 불특정 다수일 것
8. 이사, 감사, 사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해관계인에 대하여 특별한 이익을 부여하
지 않을 것
9. 공익법인 인정이 취소된 날로부터 3년이 경과하였을 것
10.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을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일반에 공개한다는 내용이
정관에 포함되어 있을 것
11. 해산 시 잔여재산을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유사한 목적을 가진 비영리단체(법인 포
함)에 귀속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정관에 포함되어 있을 것

8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다. 공익법인의 인정 및 감독
공익법인의 공익성 인정 및 인정 취소 규정을 마련하였다. 공익법인 인정이 취소된
경우 비영리 사단 재단법인으로 존속하여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비영리 사
단 재단법인 설립허가 취소 사유 발생 시 비로소 법인이 소멸되도록 규정하였다. 즉,
공익성 인정을 받은 법인은 주무부서를 공익위원회로 옮겨서 혜택과 관리를 받지만,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시에는 기존의 각 부처 및 지자체로 주무부처를 옮겨 일반
비영리법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이원화된 구조이다.
법무부는 공익위원회가 공익법인에 대하여 시정명령을 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하
고, 임원의 직무집행정지 근거규정을 신설하여, 공익법인에 대한 실효적 관리 감독
도모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 편, 기존 주무부처가 그대로 있으면서 공
익법인 주무부처로서 공익위원회가 하나 더 추가되는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리고,
주무부처를 통해 비영리법인 설립된 후 공익법인이 되면서 공익위원회로 주무부처가
이동되고, 공익성 인정이 취소되면 다시 주무부처로 관리가 옮겨가는 과정의 혼선이
나 행정공백의 가능성도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

라. 공익법인에 대한 지원규정 신설
공익법인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에도 불구하고 공익법인들이 자발적으로 공익위원
회의 관리·감독 범위 내로 포섭될 수 있도록 지원규정을 신설하였다. 첫째 공익법인
은 별도의 등록 없이 공익위원회가 정하는 방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모집 할 수 있도
록 하였다. 둘째, 공익법인에 출연하거나 기부한 재산에 대해 조세 뿐 아니라 지방세
감면혜택을 부여할 수 있음을 규정하였다. 셋째, 공익법인이 아닌 법인의 공익법인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안 제24조), 위반 시 형사처벌을 부과하도록 하여, 공익위원회
산하의 공익법인에게 배타적인 특권을 부여하였다.
관련하여 기부금품모집등록의 면제나 지방세 감면은 헤택이라고 하나, 그것이 공익
위원회의 관리를 받아들일만큼의 실효성이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 공
익법인이 아닌 법인의 공익법인 명칭 사용 금지하고 형사처벌을 부과하게 한 규정은
‘공익’에 대한 해석을 국가가 독점하는 일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82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마. 공익법인 운영규정 합리화


공익법인의 임원 취임에 대한 사전 승인 절차를 삭제하고, 사후적 보고를 통해 결
격 사유 해당 여부 등을 심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공익법인의 자율성 확보하였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법인의 경우에는 공익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특수관계자를 이사 현원의 5분의 1을 초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행 시행법
의 특수관계인이 공익법인의 총출연재산가액의 100분의 1, 혹은 2천만원 이상을 기부
한 사람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이사회의 기부를 독려할 수 없는 어려움은 여전
히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공익위원회의 허가를 통한 합병제도를 도입하고, 합병의 절차 및 효력발생 시기 등
을 규정하여 합병에 따른 법률관계를 명확화하였다는 점은 공익법인의 운영다각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의료법 및 사립학교법 등 타 입법례 등을 참고하여, 승인 없는 수익사업 및 허가
없는 기본재산 처분에 관하여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로 전환하거나, 공익법인
의 임원 선임 등과 관련한 금품 등 수수에 대하여 형사처벌을 부과하는 규정 신설은
행정절차적 실수에는 관대하게 불법비리에 대해서는 엄한 처벌을 부과한다는 점에서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2. 부처합동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발표


공익위원회 설치와 함께 논의되었던 시민사회발전위원회법 제정안이 수면위로 올
라오지 못했으나, 시민사회발전위원회(위원장 :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총리 자문
위원회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 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2018년 10월 정부부처 합동으
로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기부 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은 ①기부금품 모집 사용의 투명성 강화(5개 과
제), ②기부촉진 제도적 기반 강화 및 문화 확산(5개 과제), ③기부관련 행정체계 효
율화(4개 과제), 3대 분야 14개 과제로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8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4-6>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추진 소관부처
과제명 주요내용 비고
일정 (협조부처)
1. 기부금품 모집·사용의 투명성 강화
▪민간단체 협업을 통한 민간투명성지원기관 18년 행안부
 민간단체 중 운영
심 투명성 강화
▪공시자료를 일괄 제공받는 민간기관 확대 19년
기재부,
(국세청)
18년10월
시행5)
국세청

▪공익법인 의무이행 제고 관리체계 강화 19년 기재부,


 공인법인의
의무이행 강화
▪회계기준 실무매뉴얼 작성, 교육실시 18년~ 기재부 18년 12월 발간

▪공익법인 회계기준 적용 대상 확대 검토 19년 기재부


 공익법인 직
무집행 정지 제 ▪공익법인 임원의 직무 정지제도 마련 18년 법무부
도 마련

 기부단체에 ▪기부자의 요구에 충실히 응대토록 권고 18년~ 행안부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안에 포함
대한 기부자의
알 권리 강화 ▪기부자의 알권리 홍보 및 실천 협약체결 18년~ 행안부
2018년 12월 투명
성 협약
 기부금품 모
집·사용 정보
▪정보시스템 연계 및 공익법인공시시스템
18년~
국세청, 기부금품법 시행령
구축 행안부 개정안에 포함
접근성 제고

2. 기부 촉진 제도적 기반 강화 및 문화 확산


: 사회적 상속 캠페인 지원 및 법제도 개선
18년~ 행안부
검토
 고액자산 기
부 활성화 ▪ 사회적 상속 상담 및 법률 지원 18년~ 국세청

▪ 공익신탁제도 활성화 18년 법무부

 기부장려금
제도 활성화
▪단체 및 대국민 홍보 교육 강화
· 18년~ 국세청

 기부격차 해 ▪소외 기부시설에 대한 정보 제공 18년


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금품 배분방법 개선 18년~
복지부

 기부연금 제
도 도입
▪기부연금 제도 도입 18년~
행안부
복지부

 기부문화 확 ▪기부의 날 지정 운영 및 모범기부자 포상 18년 행안부


산 ▪기부문화 캠페인 전개 지속 행안부

84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추진 소관부처
과제명 주요내용 비고
일정 (협조부처)
3. 기부 관련 행정체계 효율화

 비영리법인
단체 통합관리
▪비영리법인 단체 관리운영 매뉴얼 마련 19년
법무부
(행안부 등)
지원 체계 마련 ▪(가칭)시민공익위원회 설치 18년 법무부 자문위원회

 공시 보고서 ▪공시 보고 서식 표준화


·

식 표준화 ▪결산공시 서류 보완 19년 기재부 등

 기부금품 모 ▪신원조회 간소화, 사후등록 허용


집자 편의성 제 18년 행안부
고 ▪기부금품 모집등록 개선
 비영리분야
국가통계 생산 ▪국가통계 생산 추진 19년~
행안부
(법무부)
체계 구축

발표 후 고시․지침,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으로 추진이 가능한 과제들은 2018년


연말에 발빠르게 추진되었고, 상증세법, 기부금품법, 공익법인법 등 법 제․개정이 필
요한 사항도 추진되고 있다.

제3절 비영리조직의 대응 활동
법제도 환경변화와 관련하여 정부는 시민사회발전위원회 등의 채널을 통해 비영리
현장 의견 수렴 및 정책 진행상황 공유를 적극적으로 진행해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18년 국무총리비서실과 시민사회발전위원회에서 2회에 걸쳐 시민사회 활성화 세
미나를 개최하였다. 4월 제1차 시민사회 활성화 세미나는 「비영리섹터의 성장과 시
민공익위원회 설치」라는 주제로 진행되어 NPO공동회의에서 공익위원회논의 방향을
법무법인 동천에서 구체적인 이슈를 발표하였다. 11월에 열린 2차 세미나는 「사회적

상속(유산기부)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라는 주제로 한국모금가협회가 서울


시립대 세무전문대학원과 분야별 전문가, 그리고 기획재정부에서 참여하여 관련 이슈

5) 국세청에서 2018년 10월 「국세청 공시내용을 제공받을 공익법인 지정신청 공고」를 통해 제시된 자격, 준
수할 의무조항을 이행하는 법인에게 공시자료 제공이 가능하도록 했다. 다만, 제공받은 공시자료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하되, 제3자에게 일괄제공하지 않아야 한다고 제한하였다. 이는 현행 가이드스타와 같은 시
스템을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8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를 논의했다.
5월에는 국무총리실이 주최하고 재단법인 동천이 주관한 ‘제 2차 시민사회 활성화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이 세미나는 「시민사회 재정 투명성 제고와 행정 효율화 방
안」이라는 주제로 법률, 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관련 정책, 행정과제와 비영리분야
스스로 노력할 부분을 논의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큰 변화에 앞서 현장의 불편함
을 제거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공익
법인이 각종 법령에 따라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의 서식이 상이하여 행정중복과 낭비
를 낳는다는 지적이나, 정보 공개 시 개별 기관들에게 온라인 포털공개를 추가의무로
하기보다 정부가 받은 기부금품등록정보의 대중공개를 강화하라는 지적들이 연말 기
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안에 반영되었다.
정부-민간의 협력 이외에 민간 자체에서도 법제도 논의와 대응을 위한 노력이 눈에
띄는 한해였다. 공익위원회 설치 관련 다년간 연구와 토론회를 통해 관련 정보와 지
식을 쌓아온 한국NPO공동회의는 「공익법인 현황과 과제 : 2016년 국세청 공시자료
를 중심으로」연구결과 발표회(2018.3월)와 「“민간공익위원회 필요성, 역할 그리고
해결과제”NPO간담회」(2018.4월)를 통해 공익법인의 현실을 진단하고 공익위원회 논
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6월에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아름다운재
단 기부문화연구소가 공동으로 「제4회 나눔지식네트워크 공동기획포럼 : 비영리기관
의 투명성과 신뢰」라는 주제로 공익위원회 정부안을 검토하고 공익법인회계기준의
적용과 대응방안을 논의하였다. 11월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에서 ‘비영리
공익활동법센터’를 개소하며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와 공동주최, 행정안전부
후원으로 「비영리공익활동법에 대한 성찰과 비전」 주제의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여기에서 공익법인 관리체계, 과세제도 및 기부금품법에 대한 전반적인 리뷰, 그리고
기부활성화를 위한 기부급여제 도입 등 제도전반에 대한 학술-현장의 통섭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86
제4장 2018 기부 관련 정책환경 변화

제4절 시사점
본 연구진이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에서 전망한 법제도 변화의 대부분이
실제 논의와 입법으로 추진되었으나, 어떤 구체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시민사회발전법의 입법은 잠정 중단된 것으로 보이고, 법무부에서 시민
공익위원회를 자문기구로 두는 내용이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에 포함되어
있다. 공익법인법 개정안이 비영리법인 등록관리 일원화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나
현재로서는 ‘공익성 인증’기구로서 추진되고 있다. 기부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경우도
입법화되지는 못했고, 다만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등록기관의 정보공개의
내용을 명확히 하고 등록기간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고향사랑기부제’입법
안도 국회에서 검토되었으나 실효성에 대한 추가검토가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논의되
었다.
법의 신설이나 전면개정 방식의 변화는 없었지만, 비영리법인/단체의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내용은 많이 정비되었다. 정부부처 합동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도 큰 법의 입법이나 변경보다는 실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실행지침이나 행정에
비중을 두는 것이 눈에 띈다. 이는 새로운 기구설립을 위한 정부예산 동원이나 기존
부처들의 권한이양 관련 논의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무적 행정강화를 통한 비영리법
인/단체의 투명성 재고는 일견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지만, 비영리법인/단체의 행정
부담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국민대중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추
진되어야 할 것이다. 공익법인 전용계좌 등록의무 관련 사건은 정부중심의 행정집행
이 현장단체에 불필요한 충격을 주었다. 또한 공익법인 회계기준 또한 현장단체를 위
한 지침이나 수행지원시스템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평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열악한
중소규모의 비영리법인/단체가 피해를 보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기부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상징적인 수준에 머물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개인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2천만원 혹은 1천만
원 이상인 일부 고액기부금에 혜택을 높이는 방식으로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두고
보아야 할 것이다.
2019년 법제도 트렌드 예측에서 주목할 것은 ‘정부 주도의 모금’ 관련 흐름이다. 고
향사랑기부제가 통과되지 못했으나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으로 지자체에 대한 기부

8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를 심의하는 ‘기부심의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지자체에 일임하게 되었


다. 형식적으로나마 행안부가 관리를 책임지는 구조가 없어진 것이다. 현재까지 기부
심의위원회를 통해 접수되는 기부금품의 건수와 규모가 크지 않지만, 어떤 기부자가
어떤 내용을 기부하는지에 대해 정보가 공개되어있지 않다. 기부심의위원회 관련 법
은 대체로 ‘기부자예우’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모금하는 것을 원칙적
으로 금지하는 나라에서 거의 모든 지자체가 ‘기부자예우’와 기부금품 접수를 위한
‘기부심의위원회’에 관한 내용을 하나의 조례에 담고 있다. 기부심의위원회 장을 지자
체장으로 두던 것을 한 단계 낮추어 부단체장이 맡게 되었다. 이 변화의 시행과 영향
력에 대해 시민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88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 트렌드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 트렌드

본 장에서는 전문가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2018년의 기부 트렌드에 대한 평가와


2019년의 기부 트렌드에 대한 전망의 주요 결과를 정리한다. 전문가 인식조사는 전문
가 서베이 조사와 초점집단인터뷰(FGI)로 진행되었다. 1절에서는 2018년 초에 본 연
구진이 전망했던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를 점검한다. 2018년에 대한 전망이
타당했는지를 중심으로 전문가 평가를 정리하고, 통계수치들을 확인해본다. 2절에서
는 2019년 기부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 결과를 정리한다.

제1절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평가


본 연구진이 예측한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이다.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자
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사회적 투명성의 강화가 그것이다.

<표 5-1>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구분 내용
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 •모금시장의 고성장 국면 종식. 모금규모 증가속도 크게 감소하여 답보하
면 진입 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임

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
•핀테크의 발달이 지속될 것이며, 안전성과 안정성에서 우위를 점하는 블
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단계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모금방식이 주목을 받
한 전통적 모금방식
을 것임
의 퇴조
•전통적 모금방식인 동전모금, 지로모금, 모금함 모금은 감소할 것임
•소비에 윤리성과 가치성을 접목하는 가치소비가 확대됨으로 인해 소비
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 행위도 사회적 기여와 기부로 확장되고 있음. 이로 인해 기부의 영역도
적 기여로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확장되고 있음
•자선영역의 퇴조, 권리옹호 및 소셜벤처 영역의 확대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임
•자기주도적 소비경향의 확대로 인해 ‘신중한 기부, 꼼꼼한 기부’가 강화
될 것임
4. 사회적 투명성 강화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공익활동과 기부금단체 관련 법안
이 정비될 것이며, 사회적 투명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가할 것임

9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

가. 전망 요약
본 연구진이 첫 번째로 제시한 2018년 전망은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이다.
그러나 모금시장의 성장추세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존재한다. 기부
금 규모의 증가추세가 꺾였다고 보는 사람이 있는 반면, 모금시장을 전통적인 사회복
지영역에서 문화/교육/체육 영역까지 다양하게 포함하면 오히려 모금시장이 커지고
있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다. 이에 국세통계연보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기부금 규모
가 아직까지는 증가하고 있지만 성장속도는 정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2013년부터 지속되었고 2018년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2018년은 국가차원의 다양한 이벤트, 예를 들어 지방선거와 올림픽, 월드컵 등과 같
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고, 2017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기
부포비아’로 인한 불신분위기로 인해 오히려 상황은 더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나. 평가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3.8%가 ‘동의한
다’고 응답하였으며, 23.8%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75% 이상이 동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7.5%에 불과하여
전문가의 다수는 2018년 모금시장의 저성장에 대한 예측이 합당했던 것으로 평가하
고 있다.

92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표 5-2>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9 23.8

동의 43 53.8

그저 그렇다 12 15.0

동의하지 않음 6 7.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다수는 2019년에도 그러한 추


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응답자의 절반인 50.0%가 ‘동의한다’라고
응답하였으며, 27.5%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의 77.5%가 저성장 국면이 지속
될 것으로 보았다. ‘그저 그렇다’는 응답은 15.0%, ‘동의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은 7.5%
로 나타났다.

<표 5-3>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2 27.5

동의 40 50.0

그저 그렇다 12 15.0

동의하지 않음 6 7.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9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문가 FGI에서는 모금시장의 저성장에 대해 다수의 비영리기관에서 정기기부자가


감소하는 등 모금상황이 어려웠다는 점이 나타났다. 또한 2018년에 있었던 다양한 이
벤트로 인해 기부에 대한 관심이 감소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른 주요 모금기관 본부장들하고 만나서 이야기를 하면 정기기부가 많이 줄었


다는 얘기를 하더라구요. 경제적 어려움도 있긴 했지만 심리적 불안이, 불신의 다
음 단계가 무관심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기부나 이런 거에 대한 게 2018년도는 무
관심의 해였지 않았을까...” _참여자 Ⓑ
“기부자 유지율에 대해서는 1%라도 민감한 것이 사실이에요. 2018년에는 확실히
변화가 있었는데 유지율이 조금 낮아진 건 사실이에요. 불신 이슈가 주로 정기기
부자랑, 고액기부자들에게서 영향이 나타났습니다.” _참여자 Ⓓ
“너무 이슈가 큰 게 많아서, 남북정상회담이라던지, 어금니아빠라던지, 많은 이슈가
있다보니 기부가 아예 이슈 밖에 있어가지고 받기가 좀 어려웠어요.” _참여자 Ⓑ
전문가들의 의견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개인기부 참여율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추
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1~2017 사회조사, [그림 5-1] 참조).

* 출처 : 사회조사(2011-2017, 각 년도)

[그림 5-1] 기부참여율의 변화(2011-2017, 단위: %)

인식조사에서도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 상황에 대하여 응답자들의 50.0%는


‘전년(2017) 대비 좋지 않았다’라고 평가했으며, 2.5%는 ‘전년 대비 매우 좋지 않았다’고

94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하여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2018년의 모금 및 기부 상황이 좋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표 5-4>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2 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40 5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27 33.8
전년 대비 좋았다 11 13.8
전년 대비
0 0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2017년 대비 2018년 비영리 운영의 전반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1.3%가 ‘전년(2017)


과 비슷하다’고 응답했으며, ‘전년 대비 좋지 않았다’(40.0%), ‘전년 대비 좋았
다’(6.3%), ‘전년 대비 매우 좋았다’(1.3%), ‘전년 대비 매우 좋지 않았다’(1.3%)의 순으
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는 비영리 운영에 있어서 전년과 비슷하거나 좋지 않은 수준
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서 살펴본 모금/기부 상황과 비교해서는 전년과 비슷하
다는 응답이 늘고, 전년 대비 좋지 않았다는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5> 2017년 대비 2018년의 비영리 운영 전반의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1 1.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32 4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41 51.3
전년 대비 좋았다 5 6.3
전년 대비
1 1.3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9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하지만 앞서 이야기된 어려운 모금 상황과는 상반된 의견으로, 모금시장은 계속 성


장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현장의 상황이 어렵게 느껴졌던 것은 여러 기관의 경
쟁에 기인한 것으로, 매년 전체 기부금액은 증가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는데, 실제로
국세청에서 매년 발간하는 국세통계연보 자료를 살펴보면 개인과 법인의 차이는 있
지만 전체 기부금액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6> 참조). 다만, 그 증가
세가 최근 들어 낮아지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표 5-6> 개인과 법인의 연도별 공제대상 기부금
(단위 : 조원, %)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기부금 총계 11.16 11.84 12.49 12.62 12.71 12.87 12.90
근로소득자 5.19 5.54 5.58 5.15 5.41 5.63 5.73

개 종합소득자 1.90 2.19 2.25 2.57 2.52 2.59 2.54


인 소계 7.09 7.73 7.83 7.72 7.93 8.22 8.27
비율 63.5 65.3 62.7 61.1 62.4 63.9 64.1

법 금액 4.07 4.11 4.65 4.91 4.78 4.65 4.63


인 비율 36.5 34.7 37.3 38.9 37.6 36.1 35.9
※ 출처: 국세청 국세통계연보(각 연도), 2018 민간나눔자원 총량 추계 및 나눔지수 도출 연구(2018,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재정리

* 출처 : 국세통계연보(2011-2017, 각 년도)

[그림 5-2] 기부금 총액의 변화(2011-2017, 단위: 조원)

96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응답자의 70~80% 정도가 한국의 모금시장이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를


하거든요. 저는 팩트는 아닌 것 같아요.” _참여자Ⓖ
봤 으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것이 맞는지 통계수치를 찾아 는데, 수치상 로 절대액수
증 걸 증
는 여전히 가하고 있는 로 나타났어요. 그런데 그 가하는 추세가 확 였습 꺾
니다.” _참여자 Ⓑ
처 으 희 달 못
“ 음 로 저 가 모금 목표 성을 했어요. (기부를) 리 딩할
수 있는 그룹은 I T
새 새 쪽 늘
계라던지, 로운 방법, 로운 은 더 어났어요. 그리고 이슈라는 것은 게새롭
발 으 새
개 하지 않 면 전통적인 이슈는 기업들도 식상해지고 있고, 로운 이슈, 제 생
파 팅
각에는 이슈 이 을 하지 않 면 으 또똑
같은, 이런 모습이 오 래갈
것 같다...” _
참여자Ⓑ
결과적으로 아직 우리나라 전체의 기부금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그 성장세는 둔화
하고 있으며, 특히 비영리기관의 현장에서는 점점 치열해지는 경쟁과 급변하는 환경
으로 갈수록 모금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가. 전망 요약
2018년 두 번째 트렌드는 혁신모금의 태동과 관련한 것이다. 본 연구진은 2018년을
혁신모금이 태동하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핀테크 및 블록체인 등과
같은 기술발전의 파고가 모금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결과이다. 핀테크
의 발달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고, 안전성과 안정성 그리고 자금흐름의 투명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에 비영리 분야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신기
술을 활용한 모금방법은 전통적인 모금방법의 퇴조를 가져올 것인데, 대표적으로 동
전모금과 지로모금, 길거리 모금의 감소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핀테
크의 발달로 현금없는 사회가 정착하면서 현금 이외의 기부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
였다. 구체적으로 주식기부, 부동산 기부가 확대될 것이며, 이를 선도하는 곳이 모금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9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나. 평가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5.0%가 ‘동
의한다’고 응답하였으며, 18.8%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절반이 조금 넘
는 53.8%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저 그렇다’(35.0%)와 ‘동의하지 않는
다’(11.3%)의 응답이 2018년 예측했던 4가지 전망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
는 혁신모금이 태동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기부 관련 시장에서 아직은 기존의 모금 방
식에 대한 익숙함 역시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5-7>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5 18.8

동의 28 35.0

그저 그렇다 28 35.0

동의하지 않음 9 11.3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가 2019년에도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1.3%가 ‘동의한다’고 응답하였으며, 20.0%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61.3%의 응답자가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는
앞서 살펴본 2018년 전망 내용의 평가보다는 다소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그저 그
렇다’(26.3%)와 ‘동의하지 않는다’(12.5%)의 응답 역시 4가지 전망 중에서는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앞선 평가와 마찬가지로 모금기관들이 새로운 모금 방식에 대
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기존에 해오던 방식과 관성을 무시하거나 단기간 내에
변화를 주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98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표 5-8>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6 20.0

동의 33 41.3

그저 그렇다 21 26.3

동의하지 않음 10 12.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전문가 FGI에서는 기부 트렌드의 변화 및 모금 환경의 변화, 기부의 개인화와 새로


운 기부 형태, 기부마케팅의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기부 트렌드의 경우 이전에
비해 온라인 모금의 상승이 두드러지고, 문화예술계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에 보다 초
점이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부자의 욕구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기부도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 우 펀딩
“ 라 드 우 굉 술 우
같은 경 에는 장히 많이 이제, 문화예 같은 경 는 거의 그
곳으 포커싱 되
로 온 우 희
이 어있고, 라인 모금 같은 경 에도 저 가 조사한 바에 의하
면 십몇 동 온 작 우 굉
년 안 라인 모금에 참여했던 비율보다도 년 같은 경 에는 장히
두 러 올 간 꺾 점 작
드 지게 라 것 같아요. 거의 이제 트렌드가 이는 시 이 년에 있지 않

았나...” _참여자

“저희도 온라인 작년에 성장을 많이 했고, 같은 노력 대비 성장하는 폭이 작년에


저희는 훨씬 컸거든요. 뭔가 이제 더 많이 익숙해지셨나? 이런 생각이 들기도 했
어요.” _참여자 Ⓓ

“기부자가 자기주도적으로 기부에 참여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고, 단체를 필요로


해서 이렇게 따라다니는 식에 대해서는 약간 지양을 한다는 게 저희 조사에서는
명확하게 보였던 것 같아요.” _참여자 Ⓔ

실제로, 2016 나눔실태조사(2017)에 의하면 기부 시 사용한 방법 중 인터넷,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기부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은 미세하게 줄었으며, 크라우드 펀딩과
SNS를 통한 기부 경험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휴대폰 기부어플을 활용한

9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기부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부어플의 경우 해당 어플에 연동된 특정 이슈에


만 기부가 가능하여 기부자의 선택권이 한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부자
의 욕구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기부가 증가하는 것과도 일맥상통하는 내용으로, 크라
우드 펀딩이나 SNS를 통한 기부의 경우 기부어플에 비해 기부자가 자신의 욕구에 맞
는 다양한 선택의 폭이 넓기 때문에 활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나눔실태 및 인식현황조사(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각 년도)


[그림 5-3] 기부 시 사 한 방법

모금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는 과거 큰 영향을 가지고 있던 언론의 힘이 약화되면


서 1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이 특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단체들은 고유의 목적사업으로 인해 새로운 이슈를 던지기 어려운 반면 기부자들은
새로운 이슈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함께 일자리와 사회
적 가치 측정을 강조하는 등 거시적인 흐름의 변화도 보였다. 기부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식(현금, 지로, CMS 등)과 새로운 방식(각종 간편 결제방식 등)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며, 젊은 층의 공략을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도입이 늘어날 필요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는 기존의 방식과 새로운 방식이 공존하면서 변
화의 기류가 형성되고 있으며, 비영리기관은 그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송 달
“과거에 방 3사의 영향력이 대단했거든요. 최근에 가장 라진 거는 유 튜브나
크 터 술 발달
리에이 들이 많아지고, 기 들이 하고... 이슈를 접할
수 있는 게 예전에는
조 중동 송 중 송
이나 방 3사 심이었는데 이제는 방 모금이 어려 워졌
어요.” _참여자 Ⓑ
“기존의 단체들은 사실 고유 목적 안에 인식이 있기 때문에 자기 목적 사업에서
크게 벗어나는 이슈들을 던지기가 어려운데 기부자들은 새로운 이슈들을 굉장히
많이 겪고 있는 거죠.” _참여자 Ⓔ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기부 역시 개인화되고 있는 경향이 보였는데 이전에


는 집단적인 형태로 진행하던 직장 단위 기부 역시 개인의 선호에 따라 기부처를 선
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쪽 직 됐
“자영업 , 정기기부같은 장인 단위 기부도 정체 었어요. 최근 사회이슈에서
왔 집 형으
도 나 지만 단 되
로 기부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개인화가 어가고 있다.”
_참여자 Ⓑ
직 선
“( 장인 기부가) 예전에는 택지가 하나였어요. 그런데 지금은 여 러군
데예요. 본
선 죠 렇 으 직
인이 택하게 해주 . 그 게 하지 않 면 원들이 불만이 오고...” _참여자 Ⓒ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기부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먼
저,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1인 미디어, 소셜 인플루언서들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부 영역에 있어서도 그런 행위들이 점점 일상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의 영향에 따른 팬클럽의 기부라던지, 공익상품을 통한 기부도 두드러지게 나타났으
며, 특히 동물 관련단체에서 모바일 마케팅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인 미 어 이런 것들이 로운새 셀럽으
로서 기능을 하고, 그 분들이 새로운
인 플루 슷 팬클럽들 기부가
언서로 영향을 미치는 기부가 좀 있었어요. 이것 비 하게
졌 Ⓓ
2017년도보다 더 많아 고...” _참여자

“공익상품을 통한 기부는 저희가 기부로 봐야 할지, 상품구매로 봐야 할지 약간


꺼리는 부분이 있거든요. 그런데 기부자들이 이것을 기부로 인식을 굉장히 많이
하고, 실제로 그것에 대한 선호도가 굉장히 높았어요.” _참여자 Ⓔ

“동물 단체들이 모바일 마케팅을 되게 많이 하는 거예요. (중략) 재미있는 포인트


는 다른 대형 NGO, 소형 NGO들 중에서 모바일로 이렇게 많이 모은 데가 없어
요. 동물 단체에서는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모바일로 모금을 한 거
고...” _참여자 Ⓔ

10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선호
“기부자들이 품 뭐온
하는 방식은 공익상 이나 크 우 펀딩이
라인 모금이나 라 드
나뭐 쪽 되 선호
이 을 게 쪽
하고, 그리고 그 을 모바일에서 가 뭔 재밌 루되서
게 연
하는걸 원하지만 단체들은 그런 걸 용 죠 Ⓔ
사 하지 않는다는 거 .” _참여자

새로운 기부형태의 등장과 함께 이러한 기부 마케팅이 가지는 문제점도 나타났다.


특히 공익상품을 내세운 기부의 경우 기부자들이 상품을 받기 위해 여러 곳의 단체
에 기부를 신청했다 끊는 등의 ‘기부쇼핑’내지 ‘기부 유목민’행태를 보이는 문제가 발
생하고 있었으며, 비영리단체의 과도한 기부 마케팅과 자극적인 스토리에만 집중하는
TV 광고 등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NO 품 줬
“2018년도에 G 들이 유난히 기부상 을 많이 어요. 그것이 기부자들의 어 떤
계속해서 옮겨 키 죠특 젊
가는 성향을 가속화시 는 거 . 히나 은 세대는 이제 기부를
슷 때
소비랑 비 하게 가치소비로 많이 생각하시기 문에 아까 라 드크 우 펀딩 얘기도
셨 청 끊 작
하 지만 여기서 정액기부 신 해서 하고, 고 하는 식의 경향성이 년에 좀 더
두 러
드 지게 나타난다는 것을 느꼈어요.” _참여자 Ⓓ
“자극적인 스토리를 가지고 TV광고에만 열중하고, 이런 것이 (기부)쇼핑하는 사람
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줄지 몰라도 전체의 기부 트렌드를 선도하는 데는 별로 기
여한 바가 없다(고 생각해요).” _참여자 Ⓖ

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가. 전망 요약
2018년의 세 번째 트렌드로 제시된 것은 기부의 성격변화와 관련된 것이다. 과거의
자선적이고 사회복지영역에 국한되었던 기부가 자선을 넘어 사회적 기여로 확장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이 2018년에는 더욱 가시적으로 나타나게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는 특히 기업사회공헌 활동이나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새로운 영역에서 확연히 드러
난다. 기업사회공헌이 자선의 영역을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그리고 더 나아
가 공유가치창출이라는 CSV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새로운
모금방식에서도 자선활동보다는 공익활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집약적으로 나타
나고 있었다. 이에 기부의 영역이 전통적 사회복지에 기반한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에
기여하는 다양한 공익활동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102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나. 평가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1.3%가 ‘동의한다’고 응답
하였으며, 26.3%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77.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저 그렇다’는 18.8%였으며, ‘동의하지 않는다’는 3.8%에 불과하여 다수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예측이 타당했음을 인정하고 있다.


<표 5-9> ‘자 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1 26.3
동의 41 51.3
그저 그렇다 15 18.8
동의하지 않음 3 3.8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의 2019년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8.8%가 ‘동


의한다’고 응답하였으며, 31.3%는 ‘매우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80.0%가 동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저 그렇다’는 16.3%였으며, ‘동의하지 않는다’는 3.8%에 불
과하여 2018년 평가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의 변화 역시 2019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표 5-10> ‘자 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5 31.3
동의 39 48.8
그저 그렇다 13 16.3
동의하지 않음 3 3.8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0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문가 FGI에서는 먼저 기업 CSR이 변화하고 있는 부분이 이야기되었다. 전통적인


사회복지나 자선사업에 대한 비율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사회적 책임과 환경문제 등
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사회복지 쪽으 테
로 계속 기업들한 요구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 로 글
벌 곳 선
한 에서는 사회복지나 자 사업에 대한 퍼센테 굉
이지는 장히 줄고 있습니다.

대신 경문제, CO 중략
2문제, 이런 문제에 대한... ( CSR
) 기업의 역
자체가 지 사회
의 기부의식에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제 에 어품 떤환 경적인 유해성을 낮출 것인가,
프 스 환 얼
로세 내에서 경자금을 마나 줄일 것인가...” _참여자 Ⓒ
“기존의 회장님들은 어떤 식으로 기부를 하셨냐면 아침에 차 타고 오면서 뒷자리
에서 주요 신문을 보면서 넘기다가 ‘어 불쌍한 애 나왔어’ 하면은 비서실에 넘겨
가지고 ‘야 이것좀 기부 좀 해봐’ 이렇게 해서 약간 그 회장님의 어떤 개인적인
그런 것들(에 의해서 기부가 됐거든요).. 주먹구구식 기부의 형태로 많이 했었는데
실제로 새로운 회장님들은.. 가장 대표적으로 **의 ***회장님이 되겠죠? 이 분은
이제는 기부가 아니라 기부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 즉 기부를 새로운 비즈
니스 모델(로 만드는 거죠)”_ 참여자 Ⓒ

또한 사업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보다는 그 사업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에 대한 부분이 더욱 중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에는 인 풋중 얼
심이었어요. 마를 투입하 . ( 냐 중략
) 그런데 재작 터
년부 나타난
변화가 뭐냐 중 떤
면 기부한 게 심이 아니라 그 기부를 해서 어 변화들이 일어났는
?
데 이게 아 웃컴 웃풋
이든 아 이든 임팩트든 좋으 걸
니까 그 수치화시 서 리한켜 우 테

보내 라.” _참여자Ⓒ
이러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 일자리와 인큐베이팅, 소셜 벤처 등의 분야에 대한 강조는 물론 기존의 사
회복지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부에서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이 진행되고 있
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글 벌
“전체적인 로 적인 흐름 역 헌
은 지 사회공 에서 경 환 쪽으
로 가고 있고, 국내에서
와 때
도 계속 큰 이슈가 일자리 문제 주거문제이기 문에... ( 중략 셜 벤처
) 소 라던지,
청 중 으
사회적기업이라던지, 년 심 로, 일자리 심 로 하는 중 으 펀딩 형태 큐 팅
, 인 베이
쪽으 로 가는 상황이고...” _참여자Ⓒ

104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굉 되 잖
“기부 목적 자체가 장히 다변화 고 있 아요. 여전히 사회복지가 장히 굉 선호
되 곳 환
는 이지만 경하고 관련동물 된곳 굉 늘
이 장히 었구요.” _참여자 Ⓔ

4. 사회적 투명성 강화

가. 전망 요약
2017년에는 새희망씨앗사건, 이영학사건 등 한국사회를 충격에 빠트린 사건들이 연
속적으로 발생하여 기부하는 것에 대한 공포를 의미하는 ‘기부포비아’라는 단어까지
등장했다. 특히 이러한 사건들은 박근혜 정부에서 발생했던 K스포츠재단, 미르재단
사건과 연속선상에서 발생하여 모금시장에 거대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비영리기관의
투명성과 관련된 이러한 사건들은 개인기부자와 기업기부자 모두에서 심리적 위축감
을 안겨주었을 뿐만 아니라, 비영리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자 하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기조가 확고하게 수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공익법인회계기준 실행 및 기
부금단체 관련 법안 정비가 예고되어 있었고, 문재인 정부의 공약인 시민공익위원회
의 설치와 관련된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밀레니얼세
대의 소비특징인 자기주도적 소비경향으로 인한 ‘신중한 기부, 꼼꼼한 기부’와 맞물려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 평가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3%가 ‘매우 동의한다’고
응답하였으며, 40.0%는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96.3%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저 그렇다’는 3.8%였으며, 부정적인 응답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응답자
의 절대 다수는 2018년에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문제가 비영리 영역에서 중요
한 이슈로 다뤄졌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2017년에 사회적인 이슈로
떠올랐던 비영리 관련 각종 비리 사건으로 인하여 비영리기관들의 투명성과 신뢰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고, 그에 따른 관련된 여러 노력이 수반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볼 수 있다.

10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5-11>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45 56.3

동의 32 40.0

그저 그렇다 3 3.8

동의하지 않음 0 0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사회적 투명성 강화’의 2019년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5%가 ‘매우 동의한다’
고 응답하였으며, 36.3%는 ‘동의한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98.7%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저 그렇다’는 1.3%였으며, 부정적인 응답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8년 전
망에 대한 평가와 마찬가지로 응답자의 절대 다수는 2019년에도 사회적 투명성 강화
에 대한 이슈가 비영리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표 5-12>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50 62.5

동의 29 36.3

그저 그렇다 1 1.3

동의하지 않음 0 0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06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전문가 FGI에서는 투명성 이슈와 관련하여 비영리기관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렇게 대응이 미흡했던 것에는 비영리기관 자체의 역량이 부족하기 때
문이라는 점이 컸으며, 이러한 역량을 키워야 할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더불어 그러
한 사건에 대응하는 이슈파이팅, 이슈레이징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NO 냥
“이건 G 의 문제가 아니라 그 사기 사건이에요. 어금니아빠나 망새희 씨앗

은 사건이 터졌 때
을 주범은 일단 언론이에요. 그 걸NOG 문제로 프레 밍
이 하고,
믿 없 렇 렇 러 NO
을 수 다 그 게. 그 다 하더라도 그 한 문제에 대해서 G 의 대응이 너
무 형편없 극 된 떤
었다. 적 적인 대응이나 아니면 그 문제, 그 것과 관련 어 반전을
파 팅
시도하는 이슈 이 이나 이런 게 전 혀없 냥 냥
고, 그 , 그 가만히 있는 거예요.” _
참여자 Ⓖ
“사실 투명성 이슈가 요번에만 나온 건 아니잖아요. 시간이 지나면 유야무야 되기
도 했고... 대응이 약했다라는데 저는 철저하게 공감을 해요.” _참여자 Ⓔ

“대응할 정책도 없지만 대응할 어떤 마음의 준비 자체도 전혀 안되어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좀 들기도 했어요.” _참여자 Ⓔ

“이 NGO들의 문제는 투명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 역량이 없는 거예


요. 저는 그렇게 봐요.” _참여자 Ⓖ

이러한 상황에서 비영리기관들은 기부자와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러한 소통이 이루어지
기 쉽지 않은 환경이고,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정보의 양도 많지 않았으며, 기부자의
인식도 일부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 단체로부 터피 백 돈 디 쓰 잘
드 을 제대로 받았다, 그 을 어 에다 는지를 안다라고
람 없 말 냐
반응한 사 들이 별로 어요. 단체가 정 로 소통을 안하는거 , 아니면 본인(기부

자)이 관심을 안가 서 있는데도 안받 느냐 두
이 가지 문제가 있는데.” _참여자 Ⓔ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NGO에 대한 정보의 양 자체가 굉장히 적은 거예요. 제가
신문기사 검색을 몇 년치 돌려봤는데, 절대치가 작아요. 어떤 임팩트가 있거나 이런
거에 대해서 의미 있게 알려주는 내용 자체가 양이 많지 않다는 거죠.” _참여자 Ⓔ

“요새 느끼는 건 기부자들은 그냥 작은 스캔들도 사기당했다, 횡령이다 이렇게 인


지를 하시더라구요. (중략) 결론은 기부자들한테 저희가 다가갈 방법이 없는 거예
요. (기부자들이) 전화는 안받아요. 스팸전화가 많아졌기 때문에. 그리고 문자로 해
도 거의 확인을 안하세요. 소식지를 안받겠다는 기부자도 늘어나고, 소식지를 보

10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열 분
내도 안 어보는 들이 많은 로 고 있거든요. 그 서 기부자들한 걸 알 래 테 안보게
하는 방법은 있어도 받게 하는 방법은 줄어드는 거예요.” _참여자 점점 Ⓓ
2017년 사회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68.3%가 기부문화의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기부단체의 자금운영 투명성 강화’를 꼽았다. 이는 2015년 조사에 비해 9%
정도 증가한 수치로, 일반 시민들이 기부에 있어서 투명성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조사 결과로, 기빙코리아(2016) 자료에서는 기부단체를 선
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 요건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1순위로 조사되었다. 즉, 일
반 시민들의 경우 기부를 실행함에 있어서 기부단체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영리 기관들은 앞으로도 투명
성 강화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2017년

75.3 76.8
68.3
59.3
55.3
45.5
35.1
23.9
19.2
12.3
6.7 9.2
0.4 0.4

사회지도층과 나눔에 대한 기부단체의 소득공제 기부방법의 다양한 기타


부유층의 인식개선 자금운영 확대 등 편리성 증대 기부방법
모범적 기부 투명성 강화 정부지원 홍보
증대 강화

* 출처 : 사회조사(2017)

[그림 5-4]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중복응답)

108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51

27.1

8.2 8.8
5

인지도 투명성과 지인 소개 권유 활동 분야나 모름/무응답


신뢰성 수혜자에 대한
관심

* 출처 : 기빙코리아(2016)

[그림 5-5] 기부단체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 요건

5. 2018년 전망에 대한 전반적인 타당성


지난 연구에서 예측한 2018년의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7.5%가 ‘타당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매우 타당하다’는 18.8%로 전망의 타당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86.3%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11.3%, ‘타당하지 않
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2.5%에 불과하여, 전문가의 대다수는 2018년 전망에 대하여
타당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표 5-13> 2018년 전망에 대한 전반적 타당성

구분 N(명) 비율(%)

매우 타당하다 15 18.8

타당하다 54 67.5

보통이다 9 11.3

타당하지 않다 2 2.5

전혀 타당하지 않다 0 0

합계 80 100.0

10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6. 2018년의 인상적인 사회적 사건


전문가들에게 열린 문항으로 2018년의 인상적인 사회적 사건을 1~3순위까지 선정
해줄 것을 요청한 결과 1순위로는 남북관계 관련 이슈, 2순위로는 미투 등의 젠더 이
슈, 3순위로는 최저임금 등 경제정책의 변화 관련 내용을 꼽았다. 2018년의 사회이슈
로 선정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의 <표 5-14>와 같다.
주요하게 제시된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면 먼저 남북관계와 관련된 이슈가 많이 제
시되고 있었으며 ‘남북’, ‘평화’, ‘정상회담’, ‘통일’ 등의 키워드가 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젠더 관련 이슈도 많이 등장했으며, ‘미투(운동)’, ‘성평등’,
‘젠더’, ‘페미니즘’ 등의 키워드가 주로 제시되었다. 경제정책 변화와 관련된 이슈도
다수 나타났는데, 소득주도 성장과 최저임금제도, 근로시간 단축, 부동산 폭등에 대한
문제들이 다수 거론되었다. 실업문제, 자영업자문제, 청년취업(실업) 등의 일자리 문제
도 다수 나타났으며, 4차 산업혁명, 가상화폐, 블록체인 등 기술 발전과 관련된 이슈
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갑질사건과, 비정규직 문제, 위험의 외주화 등 공정과 관련
된 이슈와 다양항 사회갈등, 환경문제, 안전문제, 정치이슈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영리와 관련해서는 투명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어금니아빠’, ‘비영리투명성 문제’, ‘기부포비아’ 등의 키워드가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사립유치원 비리(유치원보조금)’, ‘국제비영리단체 관련
사건’ 등의 내용도 다수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비영리 이슈로는 기업사회
공헌 활동의 위축, 비영리단체 청와대 초청, 사회적경제 분야의 성장 등의 내용이 있
었다.

110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표 5-14> 2018년 사회적 사건 / 이슈


구분 주요 내용

남북 관련 이슈 남북정상회담, 평화, 통일

젠더 이슈 미투(운동), 성평등, 페미니즘, 젠더 간 갈등/혐오

경제정책 변화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부동산 폭등

사회갈등 세대갈등, 양극화, 빈부격차

일자리 취업, 실업, 청년실업, 자영업자

환경문제 미세먼지, 플라스틱, 폭염

기술발전 4차 산업혁명, 가상화폐, 블록체인, 비트코인, 1인 미디어

공정 갑질사건, 비정규직, 위험의 외주화, 시험문제 유출 사건

비영리 투명성 투명성, 어금니 아빠, 사립유치원 비리, 유치원보조금

소수자/난민/다문화 다문화중학생 추락사, 난민문제, 퀸 재조명(소수자)

안전 저유소 폭발, BMW화재, 고시원 화재, 산재사망

묻지마범죄 PC방 살인사건, 강력범죄, 청소년 살인사건

문화이슈 동계올림픽, 월드컵, BTS

기타 정치 이슈 지방선거, 정권교체, 이명박 구속, 사법농단, 노회찬 자살, 적폐청산

기타 사회이슈 저출산, 1인가구 증가, 자살률, 고령화, 국제무역분쟁

기업사회공헌 위축, 비영리단체 청와대 초청, 인도네시아 지진피해 모금,


기타 비영리 이슈
사회적경제분야 성장, (기부활성화 관련) 정부의 보여주기식 활동

11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7. 시사점
전문가들은 지난 2018년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모금의 성장이 둔화하고, 기존 모금
방식의 토대 위에서 새롭고 다양한 모금이 피어나기 시작한 해로 평가하였다. 다양한
기부 영역으로의 관심이 높아진 동시에, 비영리 분야의 투명성 강화에 대해서는 앞으
로도 시민들의 요구가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2018년의 트렌드에 대한 NPO의 대처에 있어서는 비교적 잘 대처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평가6)하였다. 전문가 FGI에서도 지적된 바와 같이, 뉴 미디어의 등장으
로 다양한 이슈가 등장하고 기부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훨씬 많아졌음에도 불
구하고 기존의 비영리기관은 그러한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기부자의 다양
한 욕구를 채워주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
고, 여기에 온라인 모금의 확장 등 새로운 기부 환경으로의 전환에 대비하는 과제도
남아있다. 변화를 준비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쫓아가기보다는 고민을 통
해 적절한 컨텐츠를 담고 그에 맞는 효율적인 방법을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아직도 기존의 기부방식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기존의 방식과 새로운 방
식의 공존에 대해서도 현명한 대처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비영리 기관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역할이 중요하며, 그를 위한 역량강화
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6) 응답 내용을 살펴보면 ‘대체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51.3%였으며,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가 5.0%로 응답자의 56.3%는 NPO가 2018년의 트렌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였다([부록4]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참조).

112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제2절 2019년 전망
2019년에 대한 전문가 전망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진행되었다. 2019년의 기부 전
망, 2019년 기부 영향요인에 대한 전문가 인식, 2019년 기부자가 주목할 기부분야 및
대응해야 할 이슈가 그것이다.

1. 2019년 기부 전망
2019년 트렌드를 전망함에 있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궁금증은 2019년의 기부가 어
떻게 될까에 관한 것이다. 2018년 트렌드 전망에서 본 연구진은 기부 성장세가 둔화
되어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보았다. 과연 전문가들은 2019년의 기부상황을 어떻
게 전망하고 있을까?
먼저 개인기부금(액)과 관련하여, 다수의 전문가들은 2018년과 비교하여 감소하거나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올해(2018) 대비 감소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절반인 50%를 차지하였으며, ‘올해 대비 크게 감
소할 것이다’라는 의견도 1.3%가 있었다. ‘올해 대비 비슷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경우
는 40%로 나타나 전문가들의 다수는 2019년의 모금상황에 대하여 2018년과 비교하여
비관적이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응답자의 8.8%는 ‘올해
대비 증가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여 대조를 이루었다.

<표 5-15> 2019년 개인기부금(액)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감소할
1 1.3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40 50.0
것이다
2018과 비슷할 것이다 32 40.0
2018 대비 증가할
7 8.8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증가할
0 0
것이다
합계 80 100.0

11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한편, 기업기부금은 개인기부금보다는 부정적 전망이 다소 적었다. 전체적으로는


올해와 비슷하거나(45.0%) 감소할 것(43.8%)으로 여전히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지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전문가도 11.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전망이 우세
한 가운데, 긍정적 전망이 개인기부금보다는 높았다.

<표 5-16> 2019년 기업기부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감소할
0 0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35 43.8
것이다
2018과 비슷할 것이다 36 45.0
2018 대비 증가할
9 11.3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증가할
0 0
것이다
합계 80 100.0

2019년 기부참여율 전망은 앞서 살펴본 개인기부 전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응


답자의 절반 이상인 52.5%가 ‘올해(2018) 대비 감소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41.3%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올해 대비 증가할 것이다’라는 응답
은 6.3%에 불과하여 2019년의 기부참여율이 낙관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전망하였다.

<표 5-17> 2019년 기부참여율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감소할
0 0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42 52.5
것이다
2018과 비슷할 것이다 33 41.3
2018 대비 증가할
5 6.3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증가할
0 0
것이다
합계 80 100.0

114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전문가들은 2019년의 기부상황이 2018년보다 좋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2018년의 저성장 기조가 2019년에도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그것을 타개할 만한 뾰족한 대안이 없기 때문에 2018년 대비 비
슷하거나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예측은 최대한 보수적
으로 예측하여 ‘틀리기를 바라는’ 응답자들의 마음이 담긴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보수적 예측을 통해 더 절실한 마음으로 대안을 찾기를 바라는 전문가들의 기대가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경제가 안 아지는데 또 양극 화 현상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모금이 점점 안

될 되
것이고, 모금이 안 면 모금기관들이 점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서 모금을 더
하려고 할 러 되 람
것이고, 그 면 기부해야 는 사 들 입장에서 ‘나는 지금 도 돈 없는
상황에서 왜 꾸 귀찮
자 게 하지’ 하고 짜증
이 나고, 짜증
이 나면 모금기관들이 심
으 멀
리적 로 어지고, 그 면 러 또다시 모금 기관들은 더 많은 노력을 할
것이고, 이
게 계속 악순환 되
는(상황이 될것 같아요)” _참여자 Ⓒ
“(경제의) 성장여력이 거의 없어요. (중략) 그게 좀 악몽같은 미래이지만..획기적인
변화가 없으면 거의 ‘주어진 미래’라고 생각을 하고, 그런 상황에서 기부나 모금,
나눔, 이런 것들이 어떤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될까?라는 생각이 드는데..(보기
에) 2019년에는 큰 변화가 없다, 없을 것이다. (중략) (부정적인 예측이 많은 것은)
이런 상황을 보다 최대한 보수적으로 예측하고 그 예측이 틀리기를 바라는 마음
이 응답자들에게 있지 않나.. 생각해요.” _참여자 Ⓖ

2019년에 대한 부정적 전망은 모금환경에 대한 전망과 연결이 된다. 전체 응답자의


58.8%가 2019년의 모금환경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고, 2018년 대비 좋아질 것
이라고 응답한 전문가는 3.8%에 불과했다.

11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5-18> 2019년 전반적인 모금 경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나빠질
2 2.5
것이다
2018 대비 나빠질
47 58.8
것이다
2018과 비슷할 것이다 28 35.0
2018 대비 좋아질
3 3.8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좋아질
0 0
것이다
합계 80 100.0

2019년의 모금환경에 대한 부정적 전망은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


과 궤를 같이한다. <표 5-19>를 보면, 전문가들은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경제성장(57.5%)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2019년 경제성장률은 대체적
으로 2018년 대비 낮게 전망되고 있다7). 이는 기부에 영향을 미칠 가장 중요한 요인
인 경제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므로, 모금환경이 2018년 대비 나빠질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외 모금기관의 신뢰성과 투명성 이슈
도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는데, 신뢰성과 투명성 관련한 사
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모금기관이 느끼는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므로 전반적인 모
금환경이 나빠질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7) 2019년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정부는 2019년 경제성장률을 2.6%~2.7%로 전망하고 있고,
KDI와 LG경제연구원의 2019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2.6%이다. 기관에 따라 조금씩의 수치차이는 있지만
2018년에 비해 경제성장률이 악화되고 있다는 진단이 일반적이다.

116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표 5-19>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 칠 가장 중요한 요인


구 분 N(명) 비율(%)
인구집단의 변화 1 1.3
법 제도 등의 정책환경 변화 4 5.0
경제상황 46 57.5
모금기관의 신뢰성과 투명성 12 15.0
기술발전 2 2.5
선호하는 기부처의 변화 4 5.0
사회적 이슈나 담론 7 8.8
미디어 매체 환경의 변화 1 1.3
기타 3 3.8
합계 80 100.0

칠 가장 중요한 요인
[그림 5-6]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

그러나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전망 속에서도 ‘슈퍼스타’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했다. 어려운 국면을 타개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하는 기관들이 나타날 것이
고 이는 곧 기부의 정체상황에서 새로운 트렌드가 태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11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누 발 누 두
“그거를 가 개 을 하고, 가 장치를 더 고, 어.. 사회적인 명 을 만들 수 분
있느냐 따 격 벌
에 라서 차가 어질 수 있는 해다, 지금까지는 10대 모금기관의 위 순
뀌 동 슷 갔
가 거의 안 바 었어요. 10년 안 거의 비 하게 는데 이제 위 변 이 오순 동 겠
발 르 러
다. 저성장시대에는 확 개 하면 확 오 는 거거든요. 그 니까 그게 한 데는 두군

그런 게 오를 수 있다(고 예 해요)”_참여자 Ⓑ
한편 전체적인 저성장 기조에서도 성공하는 일부가 나타난다는 것은 곧 모금기관
간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과도 연결된다. 모금기관 간의 양극화는 2018년
트렌드에서 예측된 부분인데, 대형 기관과 중소형 기관의 모금액 격차가 더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는 대형 기관은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여력’이 존재하지만
소형 기관은 그렇지 못해, 결과적으로 새로운 출구를 찾을 수 있는 대형 기관에 더욱
더 기부금이 쏠리는 현상이 강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슷할
“저는, (2018년과) 전체적 로 비 렇
거라고 전체 전망은 그 게 생각하지만... 많

은 들이 얘기하 셨듯 간 쟁 형 새
이 (기관 의) 경 은 더 심해지고 있고, 대 기관들은
로운 것을 하려고 또 잖 중략 형 N O
노력하고 있 아요. ( ) 대 G 들은 계속해서 더 성장
후 집 새 색 작 분 솔
하고, 원자를 모 하고, 로운 방법을 모 하는데 ( 은 기관의) 이 들은
직 할
히 없 우 떻
수 있는 방법이 고, 사회복지기관 같은 경 이제 모금회에서 어 게
돈 냥 래
을 받을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주로 하시고 그 거기서 그치시는... 그 서 빈
익빈 부익부가 훨씬 Ⓓ
심해 질거라고...”._참여자

2. 2019년 주요 기부 이슈에 대한 전문가 인식


2018년에 새롭게 등장한 이슈들이 2019년 기부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을 것인
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이슈 중, 2018년에 더욱 두드러졌던 세 가지 이슈, 밀레니얼
세대8)의 등장과 디지털 기술발전, 그리고 기부 콘텐츠의 변화의 영향력을 조사하였
다. [그림 5-7]를 보면, 조사대상 전문가의 82.8%가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기부콘텐츠의 변화(개인
활동에 대한 기부, 공익적 요소를 가미한 상품판매를 결합한 기부 등)의 영향력도 상

8) 밀레니얼 세대 : ‘Y세대’라고도 함. 디지털 기반의 활동에 익숙한 세대로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임. 우리
나라의 경우 1985년부터 1999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20대 초반 ~ 30대 중반)로 보고 있음

118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디지털 기술발전(핀테크, 각종 ‘페이’, 블록체인 등)의 영


향력에 대해서는 다른 이슈에 비해 영향정도를 낮게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이슈가 기부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칠 영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N=80)


[그림 5-7] 각 이슈가 2019 기부에 미

가.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Generation)란, 1980년부터 2000년에 출생한 세대로 현재
20대~30대를 아우르는 용어이다. 이들은 X세대의 다음 세대라는 의미에서 ‘Y세대’로,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익숙한 세
대라는 의미에서 ‘디지털 네이티브’로, 그리고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라는 의미에
서 ‘에코(echo) 세대’로 지칭되고 있다. 구체적인 연령대는 조금씩 상이하지만, 현재
20~30대의 청년층을 생각하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작년에 본 연구진은 밀레니얼 세
대의 소비특징인 자기주도적 소비와 참여형 소비, 가치소비가 기부에 새로운 트렌드
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였다. 자기주도적 소비로 인해 자기만의 의미를 찾는 신중한
기부가 증가하고 기부자의 주도권이 더욱 강화될 것이며, 가치소비의 확대로 단순 자
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기부의 내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밀레니얼 세

11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대의 이러한 소비 특성은 2019년에는 밀레니얼 세대의 공익활동으로 확장되며 더욱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과 확대,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가는 트렌드가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한 결과, 응답자의 56.3%가 ‘영향을 미칠 것이
다’라고 보았으며, 26.3%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
의 82.5%가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저 그렇
다’는 응답은 12.5%,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5.0%에 불과했다.

<표 5-20>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전혀 영향을 미치지
0 0
않을 것이다
영향을 미치지 않을
4 5.0
것이다
그저 그렇다 10 12.5
영향을 미칠 것이다 45 56.3
상당한 영향을 미칠
21 26.3
것이다
잘 모르겠다 0 0
합계 80 100.0

밀레니얼 세대의 영향에 대한 자유서술에서 전문가들은 관심 있는 사회이슈에 대


한 적극적 참여, 단순 기부가 아닌 공익상품 구매와 같은 소비와 연계된 활동의 증
가, 개성이 강하고 자기 주장이 강한 밀레니얼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기부문화의 활
성화,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기부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적 기부문화 확대, 사회
적 성과제시 강조, 투명성 및 평판 강조, 밀레니얼과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커뮤니케
이션의 개발 등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기부문화가 형성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기중심적이고 개인주의적 성향, 그리고 치열한 생존경쟁을 경험하고 있는
청년세대의 특성으로 인해 기부문화가 위축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의견도 존재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영향이 부정적이던 긍정적이던 분명한 사실로 보인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밀레니얼의 특징이 기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파악하는 것이다. 밀레

120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니얼의 특징 및 그들의 공익활동에 대한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는 《매거진 밀레니


얼 1권1호(2016)》에 따르면, “밀레니얼은 공익활동의 정의와 방식을 재창조하고 있
다”라고 말할 수 있다. 내용의 일부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은 비영리 기관들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기부/모금 방식에는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다. 대신 공익활동에 대해 발견하고 학습하고 참여하고 행동하는
데 있어 자기주도적인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여정을 따라, 그들의 온/오프라
인 소셜 네트워크에 공익활동에 대한 참여를 독려하면서 밀레니얼은 또한 그들
의 기술과 전문성을 개발해 간다.

우리는 밀레니얼 세대가 ‘공익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를 새롭게 변화시키


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밀레니얼에게 공익활동은 덜 형식적이고 더 즉
각적이며 실제적인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들의 작은 노력이 변화로 이어지도
록 계속해서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동기부여해야 한다“(진저티프로젝트, 2016:38)

이러한 밀레니얼의 특징과 그들의 공익활동은 기부 트렌드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그들의 성향이 그대로 반영되듯, 밀레니얼은
기부행동도 직접적, 유희적, 효율적으로 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밀
레니얼이 영향력 있는 주체가 될수록 이러한 경향은 기부 트렌드를 주도하게 될 것
으로 예측된다.

밀레 얼
“ 격 으 등 왔 람
니 세대가 본 적 로 경제주체로 장하는 시기가 고, 그 사 들의 성
향을분석 을 해보면 자신들이직접 선 싶
택하고 어 하고 즐겁 효
게 기부하고 율적
으 싶 래 람 중 으 윤
로 기부를 하고 어 하는 경향이 있거든요. 그 서 그런 사 들 심 로 리
되 Ⓐ
적 소비나 가치소비, 이런 것들이 계속 확대 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여요...”_참여자

“기부하는 이유나 동기를 봤을 때 싱글에서 나타나는 경향은 만족도라든지 자기


가 가치를 확인했을 때 반응하는 경우가 되게 높은 거에요. 그러니까 그냥 뭐 불
쌍해서, 동정심에서 하는 거는 다인 가족이 더 많고, 공익상품을 구매 한다던가
내가 확실하게 동기가 부여되는 어떤 사업이라던가 나하고 연결이 되는 사업이라
든가 이런 식으로 미혼들은 기부를 하더라구요..”_참여자 Ⓔ

12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나.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기부에 미칠 영향


핀테크 및 각종 ‘페이’. 그리고 블록체인의 발달은 2018년 기부 트렌드에서 주목했
던 부분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기부 방식인 거리모금, 모
금함 모금, TV 모금, 지로모금 등의 방식은 사라지게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핀테크
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2019년의 기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라는 응답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영향을 받을 것이다’는 응답이 40.0%,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라
는 응답이 12.5%,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2.5%), ‘모르겠다’(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 의견이 52.5%,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 의견이 45.0%였다. 결과적으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 응답이 다소 우세하
였지만 두 의견 사이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21>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2 2.5
것이다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34 42.5

영향을 받을 것이다 32 40.0


상당한 영향을 받을
10 12.5
것이다
모르겠다 2 2.5
합계 80 100.0

각종 ‘페이’를 비롯한 핀테크는 이미 일상화되어 있는데, 왜 이러한 핀테크의 발달


이 기부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보류적일까?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측한
전문가들의 자유의견을 보면, 기술의 발전이 모금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할 것
이나 장기적인 영향력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122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순 술 발 새
“단 히 기 이 전한다고 해서 모금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로운 방식의
모금 형태 등 뿐
가 장해야 하는데, 소소한 방식의 변화가 있을 모금문화의 근본적인
렵 봅 특
방식이 2019년에 당장 변하기는 어 다고 니다. 히 모금이나 기부금 모 품 집

관련 다 한 규제가존재 하는 상황에서는솔직 말 딴
히 해서 세상 얘기 는 처럼 되
것이지요” (서베이 참여자의 자유서 술중)

기술발전이 모금방식의 변화를 추동하지 못하는 이유는 한편으로는 모금기관들이


전통적인 방식에 익숙하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방식을 활용한 기부
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발전의 변화가 오늘날
사회변화의 큰 축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기부방식에서의 급격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격 곳
“타 을 제일 많이 받는 은 주로, 큰,옛날 으
방식, 전통방식 로 하는 단체일 거
에요. 그런데 테크놀 으 왜
로지를 모금방식 로 못 냐 직
받아들이지 하 면... 아 은 전통
적인 방식이 여전히 굴러 새
가고 있거든요. 전통적인 방식과 로운 방식을 모금방식
으 용 젠 새 잡 먹 쪽
로 사 하고 있는데 언 가는 이게( 로운 방식이) 아 을 거다. 이 이 속도

가 빠 거든요. ( 중략 숙 터
) 그런데 지금 전통적인 방식에 익 한 1위부 10위까지의
때 갑 꿀 없
모금 기관들은 다 전통적인 방식이 많기 문에 자기 바 수는 거든요. 여전
히2 억짜
리 수표를 들고 직접 Ⓑ
찾아오는 기부자들이 있어요” _참여자

한편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기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전문가들은 기부


의 편의성 증대로 인한 소액 일회성 기부의 확대, 기부의 성과관리와 투명성 리포팅
의 강화를 언급하고 있다.

점 으 편 후
“ 차적 로 기부자들은 리한 원방법들을 선호할 후
것이다. 정기 원 같은 지속
후 할 으 며 으
적인 원방법은 감소 것 로 보이 , 정기적 방법이 아닌 일시적 소액 로 다
양 후 역 될 후 젠 동 애환
한 사업과 단체에 원하는 영 은 확대 것이다. 향 에는 더, 성 ,

경, 노 , 문화사업 등 양 후 증 할
다 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원은 가 것이다.”(서베이
참여자의 자유서 술중
)

이상의 의견을 정리하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금방식이 당장 변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다소 많은 가운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전문가들도 긍정적
인 영향만을 제시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흥미롭다. 기부 편의성의 증대로 인해 정기
기부가 감소하고 일회성 기부 및 소액 기부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더불어 손쉬

12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운 기부가 과연 기부의 가치와 의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우려하는


의견도 있었다. 기부의 본질이 침해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모금기관들이 2019년에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 방법에
대한 조사결과에도 반영된다. 모금방법에 대한 1순위~3순위 조사결과, 전문가들은 ‘인
터넷 또는 웹사이트를 통한 모금캠페인’(1순위 최빈, 52.5%), ‘기업을 대상으로 기부요
청’(2순위 최빈, 31.3%), ‘개인대상 고액기부 요청’(3순위, 17.5%)을 선택하였다. 이 결
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1순위로 언급된 인터넷 모금이 절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차지
하지만, 47%가량의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기부 방법(인터넷 이외의 방식)이 여전히 중
요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보았다. 즉 디지털 기술발전을 활용한 핀테크가 접목된 인터
넷 모금과 전통적인 방식이 공존하는 상황인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 모금이라는 것이
디지털 기술발전 및 핀테크를 직접적으로 접목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
할 필요도 있다. 인터넷으로 모금하면서 기부방식을 계좌이체나 CMS(약정에 의한 정
기인출) 등의 전통적인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표 5-22> 2019년 많이 시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


1순위 2순위 3순위 1-3순위 합계
구분
N(명) 비율(%) N(명) 비율(%) N(명) 비율(%) N(명) 비율(%)
직접 우편 1 1.3 1 1.3 2 2.5 4 1.7
전화로 기부요청 1 1.3 2 2.5 2 2.5 5 2.1
특별 모금행사 7 8.8 11 13.8 13 16.3 31 12.9
이메일로 기부요청 0 0 2 2.5 0 0 2 0.8
인터넷 모금캠페인 42 52.5 14 17.5 11 13.8 67 27.9
방송 모금캠페인 9 11.3 11 13.8 13 16.3 33 13.8
개인대상 고액기부 7 8.8 13 16.3 14 17.8 34 14.2
기업 기부 요청 13 16.3 25 31.3 22 27.5 60 25.0
무응답 0 0 1 1.3 3 3.8 4 1.7
합계 80 100.0 80 100.0 80 100.0 240 100.0

124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1 위> 순
< 2 위>

<3 위>순
[그림 5-8] 2019년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1-3순위)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다. 기부
마지막으로 기부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에 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
사하였다.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기부콘텐츠의 변화(개인활동에 대한 기부
나 공익적 요소를 가미한 상품 판매를 결합한 기부 등)가 2019년의 기부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전문가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51.3%)라고

12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응답하였다. 이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28.8%),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18.8%),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1.3%)의 순으로 나타나, 전문가의 80%는 기부콘텐츠
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표 5-23>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1 1.3
것이다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15 18.8

영향을 받을 것이다 41 51.3


상당한 영향을 받을
23 28.8
것이다
모르겠다 0 0

합계 80 100.0

앞의 다른 이슈와 비교해보면,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2019년에 ‘상당한 영향’을 미


칠 것이라고 보는 전문가가 많았다. 이는 그동안 비판을 많이 받아왔던 ‘빈곤포르노’
에 대한 비판과 자성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더이상 “안타까운 사례로 모금을 하
는 시대는 지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불쌍한 사례’가 아닌 “활동의 성과,
임팩트, 효율성”을 기부 콘텐츠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하는가 하면, “사회적 임
팩트를 가진 제품이나 서비스와 결합한 착한 소비 방식의 기부 콘텐츠가 증대할 것”
이라고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있었다. 또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기부 플랫폼의 등장
은 다양한 사례와 이슈를 쉽게 접할 수 있어 “개인의 관심사나 가치관, 취향을 반영
한 기부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전문가도 존재했다.


“기 의 모금 콘텐츠 동
( 정이나 일시적인 감정에 소하는 의 방식)에서 호 기부등 왜
를 해야 하는지, 그리고 기부를 했을 때얻
어지는 결과에 대해 서로 소통하고 이
를 통해 지속 는되 콘텐츠 의 변화가 매우 중
요하다고 생각 니다.”(서베이 참여자됩
의 자유서 술중
)

126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새로운 기부 콘텐츠의 개발은 모금기관의 당면과제로 다


양한 취향과 가치관을 가진 기부자들을 모을 수 있는 콘텐츠, 사회적 이슈와 결합한
콘텐츠가 기부시장의 확대를 가져올 것이라는 데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새로운 콘텐츠로 굿즈를 활용한 기부가 일회성 기부의 증
가를 추동할 것이나 이것이 “자선을 가장한 소비”가 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강 져 우 된
“기부를 소비로 인식하는 경향이 해 조금 려가 다. 그리고 실제 상 에서품
용 효
들어가는 비 대비 과를 수적 로 필 으 분석
해야 하 ,며 굿즈 우선으
를 로 참여유도
끌 낼
를 이 어 긍
수는 있지만 일회성의 기부이거나 장기 유지에는 정적인 요소를
울 으
보여주기 어려 것 로 보인다. 경 적 로쟁 으 굿즈 후 끌
를 통한 원유도를 이 어 내고
우 된
있어 려가 다” (서베이 참여자의 자유서 술중
)

3. 2019년 기업기부에 대한 전문가 인식


지금까지의 이슈는 개인기부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기업기부의 경우 개인기부
와는 또 다른 변화의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 앞의 <표 5-2>에서 전문가들은 기업기부
금이 전년 대비 비슷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개인기부금에 대한 부정적
전망에 비하면 다소 긍정적인 모습도 보인다. 2019년 기업기부가 어떻게 될 것인지,
이에 대한 전문가의 전망을 전문가 FGI 결과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전문가 FGI 결과, 기업사회공헌과 관련된 큰 변동이 향후 4~5년 이내에 나타나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당장 2019년에 어떤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
을 것이어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자선적 기부활동이 지속될 것이지만, 멀지 않은 미
래에 기업사회공헌이 자선적 기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즉 기업활동 전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정착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이미 관측되고 있지만9), 전문가들은 현 정부의 정책기조가 이어진다면 향후 5년 이내
에 획기적 변화가 정착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9) 이로 인해 본 연구진은 2018 기부 트렌드의 하나로 “자선적 활동에서 사회적 기여로”라는 트렌드를 선정한
바 있다.

12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 돈
“(현 정부는) 기업에 에 기부해라( 내라) 소리 절대 안하거든요. 다 일자리 창
중 돈 희 밸류
출해라. 소기업과 상생해라. 을 너 뿌
체인사에다 려라. 이익을 독 하지 점
마라, 이익을 외부에 나 눠줘 렇 없
라. 이 게 얘기해요. 이익을 (기업과 관련 는) 외부에

나 주라는 게 아니라 밸류 눠 죠 럼 냥
체인사에 나 주라고 하는 거 . 그 그 얘기가 달
라지는 거에요.” _참여자 Ⓒ
“협력 이익공유제가 아직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지만 그 방향으로 갈 거라
고 봐요. 그거는 문재인 정권 아니라 그 다음 정부에 보수정당이 들어선다 해도,
누가봐도 그런 방식, 그 이름은 아니더라도, 기업 생태계 중심에서 이익을 공유하
는 방식으로 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조세 기반이나 기부금 기반의 자선적인 그
런 기여를 통해서 가난한 사람을 돕고 이런 건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요)” _참여자 Ⓖ

그러나 기업의 자선적 기부활동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으로 변하게 되는 배경


에는 단지 정부의 정책기조의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경영
환경 전반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전문가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글로벌 CSR 기준
의 강조,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평가와 기업이윤 활동의 밸류체인내
배분에 대한 강조, 오너의 세대교체로 인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강조 등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언급되었다.

“국내에서는 사회복지 쪽으 테
로 계속 기업들한 요구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 로 글
벌 곳 선
한 에서는 사회복지나 자 사업에 대한 퍼센테 굉
이지는 장히 줄고 있습니다.

대신 경 문제, CO 커
2문제, 이런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지고 있어요). 예전에 2000
헌 분
년, 10년, 13년 전까지의 기업의 지속가능 보고서에서 사회공 이 차지하는 부
큼굉
이 1/3정도였어요. 그만 분 채 티 또
장히 많은 부 을 차지했고, 기업의 리 라던지
동 봉 동 역 역할 굉
는 기업의 기부활 , 자원 사활 이런 것들을, 지 사회 내에서의 을 장
강 파 협 파 협 후 터
히 많이 조했다고 한다면... 리 정, 오바마의 리 정 이 부 는 모든 기
S Ds R 스탠
업이 G 라던지 G I 분 후환 쪽
다드라던지 이런 부 들이 다 기 경 변화 에 가
중략 러
있어서..( CSR
) 그 다보니까 역 자체가 지 사회에 기부하는 것에 있다기보다는
품 떤환
오히려 제 에 어 프 스 환
경적인 유해성을 낮출 것인가, 로세 내에서의 경 자

금을 마나 줄일 것인가(에 맞 춰져 Ⓒ
있어요)” _참여자

글로벌 차원의 CSR 기준이 자선적 사회복지영역을 넘어 기업 활동 전반으로 확대


되면서 자선적 기부에 대한 관심도가 과거에 비해 하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러한 경향은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평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공공기관에 대한 평
가 기준이 민간 기업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반문이 생길 수 있으나, 공

128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공기관에 물건을 납품하는 모든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측정 항목을 고려할 수밖에 없


다는 점에서 민간 기업에의 영향력이 상당하다고 전문가들은 인식했다. 또한 현재의
사회적 가치측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이 일자리 창출, 기업 내 인권, 기업내 성별
불평등 해소 등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기업이 사회적으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한 평가가 기부활동을 넘어서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업이 자선적
기부에 관심을 갖게 될 유인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국가 평가 에서 요구하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지
표를 마나 얼 이지를 퍼센테 넣느냐
라는 게 생기는 바 에 공공기관에 건을 람 물 납
품 못 점 넣 되
하는 모든 기업들이 하다 해 그 수를 어야 는 거예요. 그 기업 입장에서
는.”_ 참여자 Ⓒ
최고경영자의 세대교체나 새로운 산업분야(IT나 게임업계)의 약진 또한 자선적 기
부의 축소를 야기할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되었다. 최근 5년 안에 주요 기업의 최고경
영자 세대교체가 진행되었는데, 이들은 기업 사회공헌활동을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고려할 정도로 기존 오너들과는 차별화된다는 것이다. 또한 IT나 게임업계의 젊은 경
영자들은 모금기관에 기부금을 전달하는 기존 방식보다는, 기부금을 통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새로운 활동 영역을 개척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점도 중요한 변화요인이 되
고 있다.

존 님
“기 의 회장 들은 어 식 로 기부를 하 떤 으 셨냐 침
면 아 에 차 타고 오면서 자리 뒷
에서 주요 신문을 보면서 기다가 ‘어 불 한 넘 쌍 애 왔
나 어’ 하면은 비서실에 넘겨
봐 렇 간
가지고 ‘야 이것 좀 기부 좀 해 ’ 이 게 해서 약 그 회장 의 어 개인적인 님 떤

그런 것들(에 의해서 기부가 거든요).. 주 구구식 기부의 먹 형태
로 많이 했었는데
새 님
실제로 로운 회장 들은.. 가장 대표적 로 의 회장 이 으 ** *** 님 되겠죠? 분
이 은
이제는 기부가 아니라 기부로 사회적 가치를 출하는 것, 창
기부를 로운 비 즉 새 즈

니 모델(로 만드는 거 )”_ 참여자 죠 Ⓒ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전문가들은 향후 4~5년 이내에 새로운 트렌드가 정
착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토대에 대한 기업의 대응은 기
업의 규모나 소재지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수도권 소재의 큰 기업의
경우, 자선적 기부에서 임팩트 투자의 개념으로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밸류체
인 내에서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것이므로 자선기부단체의 기업기부금은

12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수도권 이외의 규모가 작은 기업은 기존의 방식,
즉 전통적인 자선기부 활동을 여전히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4. 2019년 기부자의 주목을 얻을 기부분야 및 대응 이슈에 대한 전문가 인식

가. 2019년 기부자가 주목 할 분야
2019년 기부자의 관심을 받을 주된 기부분야나 이슈는 무엇일까?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기부자나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전문가들이 예측
하는 기부분야와 이슈를 살펴보도록 한다.
<표 5-24>을 보면, 전문가가 예측한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는 국내의 사회
복지 또는 자선 분야(65.0%)로 나타났다. 이어 해외구호분야(22.5%), 사회권익단체 환
경 및 동물보호단체 등 NGO분야(3.8%),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분야(2.5%), 병원
등 의료분야(2.5%), 지역사회발전 분야(2.5%), 문화예술분야(1.3%) 등의 순으로 나타
나, 국내의 사회복지와 해외구호 분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24>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52 65.0
해외구호 18 22.5
교육분야 2 2.5
의료분야 2 2.5
문화예술분야 1 1.3
NGO 3 3.8
지역사회발전 2 2.5
기타 0 0
합계 80 100.0

130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이러한 결과는 기부자를 대상으로 동일항목을 조사한 기빙코리아 조사결과와 일치


한다. [그림 5-9]를 보면, 국내의 사회복지/자선, 해외구조, 사회권익단체 등 NGO분
야 순으로 기부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 중복응답허용)
[그림 5-9] 기부 (%,
주 1): 현물, 적십자회비, 정치자금 기부, 모름/무응답은 2017년 조사항목에 없음
주 2) 2017년 1월~12월 동안의 물품제외한 금전 기부만 해당
출처 : 아름다운재단(2018:20), 『2018 기빙코리아 조사(일반국민조사) 보고서』

이상의 결과가 기부자가 선호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라면, 향후 기부자들의 주목을


받을 분야는 어떠할까? 전문가를 대상으로 향후 기부자들이 주목할 분야를 확인한
결과, 현재 기부처와는 달리 사회권익단체 환경 및 동물보호단체 등 NGO분야가
2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국내의 사회복지 및 자선 분야(25.0%), 지역
사회발전 분야(21.3%), 문화예술분야(12.5%), 해외구호분야(8.8%),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분야(1.3%), 병원 등 의료분야(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부자들이 가
장 선호하는 분야와는 다르게 전문가들은 향후 기부자들이 NGO, 지역사회발전, 문화
예술 분야를 주목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13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5-25> 향 후 기부자들의 주목을 받을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20 25.0
해외구호 7 8.8
교육분야 1 1.3
의료분야 1 1.3
문화예술분야 10 12.5
NGO 22 27.5
지역사회발전 17 21.3
기타 2 2.5
합계 80 100.0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이 인식한 기부가 필요한 분야를 살펴보면(표 5-26), 사회권익


단체 환경 및 동물보호단체 등 NGO분야가 4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는 향후 주목을 받을 분야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어 국내의 사회복지 또는 자선분
야(23.8%), 지역사회발전 분야(12.5%), 해외구호분야(7.5%), 문화예술분야(5.0%), 병원
등 의료분야(3.8%),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분야(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현재 기부자들이 주로 기부하는 분야는 국내 복지/자선이
지만,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는 사회권익단체 환경 및 동물보
호단체 등의 NGO이고, 향후 이 분야가 기부자들의 주목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
측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기부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 복지/자
선 분야는 그 절대 수치로는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겠지만 점차 중요도는 줄어들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132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표 5-26>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19 23.8
해외구호 6 7.5
교육분야 1 1.3
의료분야 3 3.8
문화예술분야 4 5.0
NGO 34 42.5
지역사회발전 10 12.5
기타 3 3.8
합계 80 100.0

나. 2019년 비영리에서 대응해야 할 이슈


2019년에 비영리분야가 대응해야 할 사회이슈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였다.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2019년 비영리에서 대응해야 할
이슈를 범주화한 결과는 [그림 5-10], [그림 5-11]이고, 각 범주별 구체적인 내용은
<표 5-27>과 같다.
전문가들은 2019년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1순위 이슈로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전체
응답자의 22.5%), 취약계층지원(16.3%), 고용/노동관련 이슈 대응(13.8%), 남북협력 및
평화 관련 이슈(11.3%)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2순위로는 비영리 투명성과 이슈
(15.1%), 사회통합(15.1%), 남북협력 및 평화(12.3%), 비영리 성과관리(6.8%), 환경문제
(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 관련 이슈가 가장 큰
이슈로 나타났고, 그 외 취약계층 지원과 사회갈등 해결, 남북협력과 평화 관련 대응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표 5-27>과 같다. 제시된
이슈를 기부 관련 이슈와 사회이슈로 구분하여 살펴보면(1순위 기준), 먼저 기부 관련
이슈에서 가장 큰 이슈는 투명성 이슈였다. 이와 관련하여 비영리기관들이 투명성과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다양한 노력(예를 들어, 투명성 가이드, 정보공개

13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5-10]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1순위 (N=80, 단위 : %)

[그림 5-11]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2순위 (N=73, 단위: %)


주 1) 전문가들이 서술형으로 응답한 결과를 연구진이 범주화한 것임

134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강화, 사업과 운영의 책무성 강화 등)을 해야 한다는 것과, 작은 사건도 투명성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시민들의 인식변화와 개선을 위한 노력(예. 투명성 강화 캠페인 등)
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기부 관련 이슈의 두 번째는 기부콘텐츠와 관련
된 것으로 새롭고 괜찮은 기부콘텐츠 마련과 변화에 대한 대응, 우수사례 보급, 체험
형 기부활동, 유산기부에 대한 새로운 접근 등의 내용이 있었다. 세 번째 이슈는 비
영리기관의 성과관리와 관련된 것으로, 배분사업의 임팩트 측정과 성과관리, 임팩트
및 변화에 관한 객관적 정보 제공, 모금에 대한 사회적 가치 고려, 사회적 임팩트가
큰 주제나 사업과 모금의 연계 등의 내용이 있었다. 다음으로 모금환경의 변화에 관
련된 것으로, 어려워진 모금환경과 경제 악화로 인한 기부 위축, 개인기부자 감소와
기부자 피로도 증가 등 기부문화의 위축에 대한 내용과 정부와의 관계 변화, 공유경
제 및 새로운 트렌드 등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사회이슈 중 가장 많은 의견이 제시된 것은 취약계층지원이다(1순위 기준). 빈곤에
대한 대응, 위기가정 지원, 소수자/다문화/난민, 아동/노인/장애인 문제 등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취약계층 지원은 자선적 기부 영역에서 주되게 대응해 온
이슈이지만, 전문가들은 특히 난민문제, 소수자 인권옹호,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자
지원 등 2018년에 이슈가 되었던 문제와 관련된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이슈는 고용/노동 관련 이슈인데, 이 또
한 2018년에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최저임금 이슈, 실업문제, 비정규직 문제,
노동환경의 문제 등에 대해 비영리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이슈는 남북협력 및 평화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 또한
2018년 남북이슈의 연장선에서 제시된 것으로, 이 이슈가 2019년에도 지속될 것이고
특히 남북협력 사업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는 장기적
비전하에 비영리도 남북협력 사업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전문가들은 2019년에는 비영리기관이 시민들과 공감할 수
있는 이슈를 제시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사업을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회이슈에 대한 대응은 어느 하나의 비영리기관이 단독으로 진
행할 수 없는 것이기에, 비영리 조직 간, 그리고 기타 파트너 기관들 간의 협력 활동
을 통한 문제해결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3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표 5-27> 2019년 비영리에서 대응해야 할 이슈


구분 주요 내용
•투명성/신뢰 강화 노력 : 투명성 가이드, 복지계에 대한 사회적
신뢰성 강화, 기부금 관리이슈, 정보공개 강화, 사업과 운영의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 책무성
•인식변화/개선 : 기부포비아 분위기 쇄신, 대중 인식 개선, 투명
성 강화 운동 전개
기부금품모집법 개정, 기부관련 정책변화에 공동 대응, 기부금 관
법/제도 변화
련 제도 정비/개선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모금방법 개발, 혁신적인 모금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금방법
대응, 스마트 기부활동의 증가
기부 새롭고 괜찮은 기부콘텐츠의 개발, 모금 참여 우수사례 보급, 체
관련 기부 콘텐츠
험 기부활동의 증가
배분사업의 임팩트 측정과 성과관리, 모금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성과관리
임팩트 고려
•기부문화 위축 : 모금실적 저조, 경제 악화로 인한 위축
모금환경의 변화 •정부와의 관계 변화 : 공공-민간 협치, 시민사회파트너십
•기타 : 공유경제, 트렌드에 대한 민감성 유지
•기관운영 : 의사결정권자의 의식변화, 비영리 혁신
비영리 운영
•비영리의 역할 : 균형발전, NPO 간 협업
기타 온라인을 통한 자유로운 기부활동 문제, 정부 결탁 모금
•이슈 제시 : 공감할 수 있는 이슈 제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 사회적 영향 고려
방향성
•사회혁신과 연대 : 파트너십을 통한 문제해결력 강화, 사회혁신
솔루션/교육
새로운 영역 개발 전통적 복지영역의 최소한 지원,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및 대응
남북협력/평화 남북교류와 통일문제, 남북협력, 북한의 환경 변화 대응
•갈등 대응 : 세대갈등, 사회갈등 중재, 젠더 대결 문제, 갑질 성
사회통합 평등, 혐오문제
•양극화 : 주거, 일자리, 소득, 경제적 배분, 형평성
•실업문제 대응 : 청년실업과 고용,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회이 고용/노동 이슈 대응 •비정규직 문제 : 비정규직 사회안전망
슈 관련 •노동환경 : 노동현안 대응, ILO 100주년 맞이 협약 비준
환경문제 미세먼지, 수질오염, 기후변화
•빈곤문제 대응 : 상대적 빈곤, 빈곤 확대, 노인빈곤, 신빈곤층(청
년) 확대, 저소득층 빈곤 심화
•위기가정 지원 : 복지사각지대, 저소득층 자녀 의료비, 초취약계
취약계층지원 층에 대한 관심 유도와 옹호
•소수자/난민/다문화 : 권리보장, 문화다양성, 인권옹호
•아동/노인/장애인 : 학대 및 방임, 지역사회 어린이 보육, 육아,
독거노인, 발달장애인과 가족
인구 및 가족구조 변화 저출산, 1인 가구 증가, 급격한 고령화 등
기타 주택문제 대응, 안전/재난

136
제5장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본 기부트렌드

5. 시사점
2019년 트렌드를 전망하기 위해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2019년에 대한 전망을 조
사하고, 이에 대해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2019년 전망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
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2019년을 상당부분 어둡게 전망하고 있었다. 2018년보다 기부상
황이 좋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2018년보다 경제상황이 좋지 않을 것
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것을 타개할 만한 뾰족한 방법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전망속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성공하는 기관을 중
심으로 ‘슈퍼스타’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부시장 자체
가 축소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다만 새롭게 뜨는 인구집단을 기부
자로 유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새로운 집단을 이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기관은 여력이 있는 대형기관일 것이라는 점에서 대형 기관과 중소규모 기관간의 격
차가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했다.
둘째,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두각을 보이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핀테크나 블
록체인, 5G의 상용화와 같은 기술발전이 기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밀레니얼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기부 콘텐츠의 변화, 기술발전의 영향력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밀레니얼에게 맞는 기부문화를 만들기 위해, 맞춤형
콘텐츠나 밀레니얼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창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밀레니얼은 자기주도적·참여적 활동을 선호하고,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는 활동도 가볍고 쉽게, 그리고 유희적이고 직접적으로 하기를 원한다. 밀레니얼을
겨냥한 기부방식과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만 이러한 방식이 ‘자선을 가
장한 소비’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한편 핀테크나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발전이 모금방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
는 전통적 방식을 활용한 기부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이러한 방식에 모금기관들도
더 익숙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을 고집하면 새로운 기부자 집단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새로운 기부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3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셋째, 기업 사회공헌의 트렌드를 확인한 결과, 전통적인 자선기반 사회공헌에서 기업


활동 전반에서, 즉 생산과 유통, 그리고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
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글로벌 CSR 기준이 변화하고, 문재인
정부의 사회적 가치 강조 경향, 그리고 새로운 오너세대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추동된 결과이다. 따라서 기업사회공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 트렌드가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도권 소재의 규모가 큰 기업과 지방소재의 규
모가 작은 기업의 대처방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자의 기업은 이미 자선적
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변화를 시작하고 있으나 후자의 기업은 여전히 전통적
인 자선적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이는 모금기관이
기업을 만날 때 그 기업의 CSR방향에 맞는 기부전략을 갖춰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전체적인 CSR의 방향이 자선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으로 확장되고 있는 경
향은, 자선기부 단체의 기업기부금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현재 기부자가 선호하는 분야와 향후 기부자의 주목을 받을 분야, 기부가 필
요한 분야를 비교한 결과, 기부자가 선호하는 분야는 국내 복지 및 자선분야이지만,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는 사회권익단체 환경 및 동물보호단
체 등의 NGO이고, 향후 이 분야가 기부자들의 주목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측되
고 있다. 이는 자선분야와 복지분야의 축소가 예상되는 결과이다. 반대로 환경/권익/
동물권을 중심으로 한 NGO의 성장세가 예상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2019년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를 조사한 결과,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 문제가 대응해야 할 우선 이슈로 선정되었다. 그 다음이 취약계층지원, 고용/노
동이슈에 대한 대응, 남북협력 및 평화에 대한 대응, 그리고 2018년을 뜨겁게 달구었
던 각종 혐오이슈로 인한 사회갈등 해결이 주요한 이슈로 선정되었다. 이는 2017 -
2018년에 비영리기관의 당면과제였던 투명성과 신뢰문제에 대해 제대로 된 대응을
못했다는 점, 그리고 2018년에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되었던 문제들(미투/최저임금
/남북이슈 등)에 대해 비영리 기관들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
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결과와 함께 해석하자면, 이러한 결과는 비영리기관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왔던 자선/복지분야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기부자가 공감할 수 있
는 사회적 이슈를 개발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자
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138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지금까지 본 연구는 전문가 서베이조사, 전문가 FGI, 언론분석을 통한 사회이슈 분


석, 나눔을 둘러싼 정책환경분석 등 다양한 조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장에서는 지
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2019년의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를 아
래와 같이 6가지로 선정하였다.

2019 예측 트렌드 비고
[ Trend 1 ]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 개인 기부자
[ Trend 2 ] 기부자 유동성 증대 개인 기부자
[ Trend 3 ] 기업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기업 기부자
[ Trend 4 ] 두 개의 채널, 두 개의 바퀴 : The New Classic 기부 방법
[ Trend 5 ]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 : 비영리 마케팅 비영리 활동
[ Trend 6 ] 투명성! 여전히 지뢰밭 비영리 이슈

[ Trend 1 ]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


2019년의 첫 번째 트렌드로 본 연구진은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
비’를 선정했다. 물론 기부와 소비의 연결은 최근의 트렌드는 아니다. 공익연계마케팅
(CRM : cause-related marketing)이라는 이미 알려진 방식이 기부와 소비를 연결한
대표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기업 사회공헌의 하나의 방법이자 기업
경영전략의 방식으로도 유명하다.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기업이 수익금의 일부를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공익연계마케팅은, 소비자들에게는 별다른 수고없이 의
미있는 활동에 동참했다는 뿌듯함을 주고 기업에게는 이미지 제고와 매출 신장의 긍
정적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그러나 2019년 트렌드에서 주목하는 것은 ‘공익연계마케팅’이라는 기업의 마케팅적

14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관점이 아니라, 기부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기부와 소비의 연계, 즉 착한 소비이다. 그


리고 2019년에는 특히 ‘나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는 착한 소비에 주목한
다. 2018년 기부 트렌드에서 본 연구진은 Y세대의 ‘가치소비’ 경향에 주목하였다. 제
품의 성능이나 가격보다는 소비행위 자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이 착한소비로 연
결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소비에 윤리성과 가치성을 접목하는 행위는 개인의 필요와
만족을 위한 소비행위가 사회적으로도 가치있는 행위가 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
러한 가치소비가 기부의 개념으로까지도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진은 주목하
였다. 이러한 경향은 2019년에도 그대로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2019년에는
이에 더해 ‘나를 드러내는’ 착한소비 경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밀레니얼의 공익활동
최근의 ‘착한소비’를 주도하는 세대는 바로 밀레니얼 세대이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
대의 특성과 변화양상을 뒤쫓아 가면 착한소비의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에 본 연구진은 2019년 한국사회 트렌드로 제시된 ‘소피커’와 ‘마이싸이더’에 주목한다.
이는 가치소비를 주도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자신의 생각을 스
스럼없이 표현하고 행동하는 경향을 강조한 말이다. ‘소피커’는 所/小(바 소/작을 소)
와 speaker(말하는 사람)의 합성어로, 작은 사안이라도 자신의 생각을 스스럼없이 말하
는 사람을 의미하며, ‘마이싸이더는 ‘My(나)와 side(-을 중심으로 한), er(사람)을 합친
단어로 내 안의 기준을 세우고 따르는 사람을 의미한다(대학내일20대연구소, 2018).10)
밀레니얼 세대의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전형적인 기준과 가치보다는
’내‘가 생각하는 가치, ’내‘가 생각하는 기준, ’내‘가 생각하는 이슈를 중시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가 극도의 개인주의적 성향이나 이기주의적 성향, 사회문
제에 대한 무관심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현재 20~30대 청년들이 본인들이 직면한 삶
의 문제(취업, 결혼, 양육, 부동산 등)로 인해 사회문제에 관심이 적을 것이고 이에 기
부문화도 자연스럽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분석한
매거진 밀레니얼(2016년 1권1호)에 따르면, 이들은 사회이슈에 대한 관심과 행동정도
가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10) 자세한 내용은 <부록>의 2019 한국사회 트렌드를 참고.

142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그림 6-1] 밀레니얼의 사회이슈에 대한 관심 및 행동정도


주) 왼쪽 그림은 조사대상자의 응답 내용에 기초한 것임. 오른쪽 그림(연구팀부여)은 응답자의
‘겸손할 가능성에 의한 오류’를 감안하여 연구팀에서 재조정한 값임. 관심은 있지만 현실
적 제약 때문에 참여를 못한다고 응답한 응답자(왼쪽 그래프의 440명)에게 구체적인 활동
사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여, 최소 2개 이상의 공익활동에 참여했다고 응답한
경우 관심이 높은 집단(A그룹)으로 재조정한 것임
출처: 매거진밀레니얼, 2016년 12월 제1권1호, p.32

밀레니얼은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소신을 거리낌 없이 말하고, 더 나아가 문


제 해결을 위한 행동과 실천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그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크게 어려워하지 않는다는 특징인 것이다. 그리고 그 활동은 ’
부담 없고 가볍게‘, ’즐겁고 유희적인 방법‘으로 구현된다.
밀레니얼의 유희적 사회참여의 기폭제는 아마도 2016년 11월 촛불집회에서 만난 ’
장수풍뎅이연구회‘ 일 것이다. 실제 있을 법한 단체명과 그럴싸한 깃발이지만 ’집회
‘라는 사회행동과의 이질감으로 인해 눈길을 끌었던 장수풍뎅이연구회, 그렇지만 장
수풍뎅이를 연구하는 모임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이 깃발로 인해 그 이후 수많은 패
러디 깃발이 등장하면서 촛불집회에 유쾌함을 가미해주었다. 이들은 촛불집회를 촉발
한 문제가 갖는 엄숙함과 무게감을 유희적으로 풀어내며 시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집회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14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희 례
[그림 6-2] 유 적 사회참여의 대표적 사
출처: JTBC 디지털뉴스룸

밀레니얼의 사회이슈에 대한 높은 관심정도와 행동력은 기부와 결합하기도 한다.


매거진밀레니얼의 조사결과에 따르면(그림 6-3), 사회이슈에 관심도가 높은 그룹이 주
로 하는 활동의 1위는 옹호/지지활동(1,165명)이고 기부 및 자원봉사참여도 937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라이프스타일로 구현하는 방식보다 더 많은 밀레니얼이 기부
및 자원봉사의 방식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구분 없이 참여가 가
장 많은 활동은 예상대로 SNS 지지활동(좋아요/공감/댓글/공유 등)이었고, 2번째로
많은 참여방식이 현금기부, 3위가 생활 속 실천(텀블러 사용, No Fur, 에코백 등), 4
위가 서명운동참여, 5위가 착한소비로 나타났다. SNS 지지활동이 가장 많은 가운데,
현금기부나 착한소비, 자원봉사 활동이 상위권 순위를 차지하는 부분이 흥미롭다.

144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그림 6-3] 밀레니얼의 활동방식


출처: 매거진밀레니얼, 2016년 12월 제1권1호, p.34 저자 재구성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소비


밀레니얼의 가치소비와 사회이슈에 대한 높은 관심, 그것을 유희적이고 쉽게 풀어
내는 행동력, 드러내는 것에 익숙한 SNS기반의 생활양식은 밀레니얼이 새로운 기부
문화를 만드는 도구들이다. 그들은 기부활동을 통해 내가 어떤 사회이슈에 관심을 갖
고 있으며 어떻게 행동을 하고 있는지 SNS를 통해 ’드러내는 것‘에 익숙하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기억하기 위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전체 영업이익의 50%
를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해 기부하는 ’마리몬드‘11)제품을 구매하고, 그것을 SNS에 공
유하면서 문제해결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소비자들은 “I MARYMOND
YOU”라는 마리몬드의 대표 문구가 담긴 제품, 특유의 플라워패턴이 있는 제품을 소
지한 사진을 SNS에 올리기만 해도 이 문제해결을 위해 동참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셈이다. 그리고 그것을 본 사람들은 리트윗/좋아요/공유하기를 통해 자신의 네트워

11) 2012년 10월에 설립된 마리몬드는 2014년 3,300만원의 영업이익이 2017년 14억 4,445만원(같은 기간 동안
매출액은 4억 4085만원에서 99억원)으로 급증했다 출처 : ‘마리몬드는 착해서 성공한 게 아니다’(2018.10.4.
일자)“, (매거진)사회적경제 실천 사전 https://brunch.co.kr/@kkamanham/14

14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크를 통해 이 사실을 다시 공유한다. 그렇게 퍼


져나간 사진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가늠이 불
가능할 정도이다. 이것이 밀레니얼의 착한소비
방식이다. 내가 누구인지, 어떤 문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인지, 문제에 어떤 방식으로 동참을 하
는지 널리 ’드러내는‘ 것이다. 불쌍한 사람을 돕
기 위해 길거리 모금함에 천원짜리 한 장을 넣
고 그 사실을 본인만 알고 잊어버렸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드러냄‘으로써 계속해서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와 연관된 다른 행동에도 동참할
준비가 되어 있는 방식, 이것이 밀레니얼의 기부
출처: 클리앙
방식이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
/park/12829690)

[ Trend 2 ] 기부자 유동성 증대

굿굿즈(Good Goods) 열풍12)


밀레니얼의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는 굿굿
즈(Good Goods)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드러
낼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굿
굿즈는 마리몬드 제품처럼 ’착한 상품‘을 뜻하기
도 하고, 비영리기관이 기부자들에게 기념품(리
워드)으로 주는 제품들을 말하기도 한다. 대표적
인 굿굿즈로 화제가 되었던 기관이 유니세프이
다. 유니세프의 #everychild 반지는 독특한 디자
인으로 인해 밀레니얼에게 큰 인기를 끌었고, 셀
럽의 동참으로 인해 한때 홈페이지가 다운되기

12) “기부하고 희귀 아이템 선물받고..‘굿굿즈’ 모르면 아재래요” (조선일보, 2019.01.29.일자, 문일요 기자 작성),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8/2019012801397.html

146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도 했다. 이 반지를 받기 위해 유니세프에 정기후원을 한다는 사람, 몇 달을 걸쳐 이


반지가 오기를 기다렸다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밀레니얼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이러한 굿굿즈의 열풍은 일반 악세사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의 디자인과
퀄리티, 그리고 특정 기간에만 받을 수 있는 ’한정판‘이라는 요소가 결합된 것이라는
분석이 존재한다. 좋은 취지에 동참하여 받은 제품이지만 ’드러낼‘ 만큼 ’예쁘지 않으
면‘ 이렇게 열풍까지 불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기부를 한 사람에게 주기 위해
제작된 기념품이, 중고장터에서 판매되거나 기념품(굿즈)을 갖기 위해 기부를 하는 상
황까지 이끌어낸 것이다.

기부자 유 성 동 증대
굿즈를 갖기 위해 정기기부를 하게 되는 상황은, 반대로 굿즈를 갖고 나면 정기기
부를 그만두고 싶은 경우로 이어지기도 한다. 굿즈를 갖기 위한 후원방법을 문의하면
서 동시에 후원 취소방법을 동시에 문의하던가, ’리워드만 받아낸 뒤 다음 달 바로
후원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13)은 기부유입의 경로로 쓰이는 굿즈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러나 이를 부정적으로만 볼 것도 아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굿즈를 통해 기부에 첫 발을 내딛는 통로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뭐좋 쁘 따
“이게 다 나 다를 지는 게 아니라 이들의 방식이나 을 바 요도 흐름 꿀 필
없 할때 되
고 연구 가 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구요. 그 서 아까 하 던 래 말씀 셨 굿즈

출처 : NAVER 지식in 검색화면(2019.02.28.일자)


13) “기부하고 희귀 아이템 선물받고..‘굿굿즈’ 모르면 아재래요” (조선일보, 2019.01.29.일자, 문일요 기자 작성),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8/2019012801397.html

14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같은 것을 주는 것을 많이 오히려 기부를 하게 다 그런 건데 ( ) 그 니까 중략 러

그 은 기부도 하면서 구 도매 할 수 있는 이런 것이 트렌드가 것이다 이런 될

거거든요.”_전문가 FGI 참여자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던 굿즈들은 정기후원의 경우에만 지급하는 것임에도 불구하


고 굿즈 열풍이 풀었던 2017~2018년에는 오히려 정기기부는 주춤하고 일시기부자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그림 6-4]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2017년을 보면 기
부참여율, 정기기부율, 일
시기부율의 경향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7
년 기부참여율의 반등은
일시기부자의 급증에서 비
롯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러한 경향이 굿즈 열풍때
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
으나, 경향 상으로 굿즈
열풍은 시민들의 기부 참
여, 특히 일시기부 참여에
[그림 6-4] 기부참여율, 정기기부율, 일시기부율(2011-2017)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아름다운재단 기빙코리아(2011-2017)

굿즈가 기부유인으로 작
동하고 있다는 것은, 기부의향이 있거나 기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다른 기부처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이기도 한다. 물론 아직까지는 그러한 경향이 숫자로 확인되는 것
은 아니다. 그러나 굿즈를 받기 위해 기부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것은, 소장하
고 싶은 굿즈가 나타나면 기존 기부에 더해 새로운 기부처를 증액하거나 혹은 기존
의 기부를 취소하고 다른 기부처로 이동할 가능성을 모두 높인다.
이러한 기부자 이동성은 특히 최근의 기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모금기술의 발달,
SNS를 통한 기부방법의 확대를 통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방법은 기부를
쉽게 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거절과 취소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좋아요‘나 ’응
원‘, ’공유하기‘를 누르기만 해도 기부가 되고, 프로젝트 ’밀어주기‘만 해도 기부가 된

148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다. SNS를 돌아다니다 마음에 꽂히는 것이 있으면 클릭 한 번으로 기부가 되고 결재


도 쉽게 된다.

후 간 될
“향 2-3년 되 쟁 되
계속 거라고 생각이 는데.. 경 이 너무 심화 어 있어요. ( 중
략 NO 좋 으
) ‘이 I G 에 안 은 소문이 났 니까 다음 엔 PN O 봐 겠
G 에 해 야 다‘ 라는 경향
분 두 러졌
성이 대부 드 NO
어요. 그리고 2018년도에 많이 유난히 G 들이 기부 상 품
굿즈
( 줬 희 걸 되 말 되 됐
)을 많이 어요. 저 도 그 해야 나 아야 나 많이 고민이 는데 하지
않기로 한 결정이 그것이 기부자들의 어 계속해서 떤 옮겨 가는 성향을 가속화 시
키 죠특 젊 슷
는 거 . 히나 은 세대는 이제 기부를 소비랑 비 하게 가치소비로 많이 생
때 청 끊
각하시기 문에.. 여기서 정액기부 신 해서 하고 고, 하는 식의 경향성이 좀
작 두 러
년에 드 지게 나타난다는 것을 느꼈 Ⓓ
어요” _전문가 FGI 참여자

이러한 경향은 결국 ’기부자의 마음‘을 무엇으로, 어떻게 얻을 것인지가 매우 중요


한 상황이 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쉽게 기부활동에 참여하는 통로가 열린 만큼, 그
리고 기부자가 기부처에 대한 정보를 더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만큼, 기부자의 마음
을 ’붙잡을 수‘ 있는 전략과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부자의 유동성 증가
가 모금기관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더욱 고도화된 마케팅 기법이 도입14)되면서 더
욱 강화되는 측면도 존재하지만, 기부자의 마음을 얻고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내용
과 전략의 마련이 더욱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 Trend 3 ] 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2019년 전문가 전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기업기부 즉 기업사회공헌과 관련하여 향
후 4~5년 이내에 큰 변동이 예상된다. 4~5년을 예상하는 이유는 정부 정책의 변화와
관련이 크다. 현재 문재인 정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다음 정부
의 정책기조에 따라 더 확고해지거나 반대로 약화될 것이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을
지언정 그 방향성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경향은
비단 한국만의 트렌드가 아니기 때문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오래되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정확한 합의가 되지 않

14) 비영리기관의 마케팅기법과 관련해서는 이후 [트렌드 5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에서 다시 다룬다.

14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은 것으로 보인다. 오준석 외(2018)에 따르면, 언론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CSR을 기


업사회공헌과 동의어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기업평가에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는 방안이나, 최근 활발히 논
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기업이 져
야 할 ’사회적 책임‘의 방향성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
면, 기업의 이윤추구 활동과 사회적 책임을 일치시키라는 것이다.

[그림 6-5]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주) 지속가능발전목표는 17개 목표, 169개 세부목표로 이루어져 있음
출처: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

기업의 밸류체인(value-chain)안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


과거 기업 사회공헌은 기업 기부금과 임직원 봉사활동 또는 기업재단의 운영이 대
부분이었다. 이 중에서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기부금단체에 기부금을 전달
하는 것이었다. 기부금 전달식을 하고 이를 언론에 홍보하여 알리고 기부금에 대해서
는 세제혜택을 받는 방식이 전형적인 기업 사회공헌의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에서
기업기부금은 자선 영역에 상당부분 흘러 들어갔다. 회장님의 마음을 움직이는 ’불쌍
한 사례‘, ’불우한 이웃‘에게 기업기부금이 전달되는 방식이었다.

150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그러나 글로벌 CSR 기준(GRI, SDGs 등)의 도입 및 적용, 문재인 정부의 등장, 오
너의 세대교체와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기업은 회사가 창출한 이윤의 일정 부분을 누군가
를 위해 ’내어 놓는‘ 것을 넘어, 기업의 이윤추구 활동의 전 과정에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그리고 경제(economic)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
해 책임을 다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경영활동 전반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기업의 이윤을 밸류체인 과정에서 공유하기 위해 최근 선도적인 기업에서는 경영활
동과 SDGs 간의 연계를 꾀하는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자사가 달성해야 할
SDGs 목표 및 세부지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CSR 활동을 실시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CSR활동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해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내기업은
아모레퍼시픽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자사의 주요 사업(화장품, 생활용품)과 주요 고객
(여성)을 감안하여 ‘여성의 건강과 웰빙(SDGs 3. 건강과 복지)’, ‘여성의 역량강화
(SDGs 5. 성평등)’라는 핵심 SDGs를 설정하고, 2020년까지 20만 명의 여성을 지원한
다는 목표를 세우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이재혁 외, 2018).
이처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자선 기반의 기부금 전달에서 기업 활동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기업의 자선적 기부에 의존해오던 비영리기관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부금 전달 외에도 일자리 창출, 기업 내 인권, 기업 내 성별
불평등 완화 등으로 확대가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문제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업 본연의 활동과 맞물린
영역에서의 책임이 강조되므로 자선적 기부에 대한 관심도는 하락할 수밖에 없다. 이
에 비영리기관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이다. 기업의 업종 특성과 경영전략에 맞는 사업
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고, 비영리 기관의 사업 특성과 맞는 기업체를 선별하
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15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그림 6-6] 아모레퍼시픽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체계


출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2017), 201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우수이행 기업 사례집.

[ Trend 4 ] 두 개의 채널, 두 개의 바퀴 : The New Classic


핀테크 및 각종 ‘페이’, 그리고 블록체인은 본 연구진이 주목한 2018년 트렌드였다.
그러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급속한 기술발전이 과연 모금방식의 변화
를 가져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했다. 이는 추세적으
로 보면 전통적 모금방식이 점차 하락하고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모금방식이
점차 증가할 것이지만, 절대적 비중으로 보면 전통적 모금방식이 여전히 상당한 비중
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기부방식과 모금방식이 무섭게 증
가하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전통적 모금방식을 포기할 수도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2019년은 전통적 모금방식과 신기술을 접목한 모금방식이 여전히 공존
하는 한 해가 될 것이며, 기부 편의성 증진을 위한 두 개의 모금방법의 결합(The
New Classic)이 나타날 것이라고 본다.

152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기존 채널의 견고함
인터넷과 결합된 핀테크의 일상화에도 불구하고 지로/계좌이체, 모금함, ARS 등의
전통적인 모금방법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나눔실태 및 인식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로/계좌이체/모금함/ARS의 전통적 방
식에 의한 기부는 1~3위의 방법을 선점하고 있다. 또한 ARS만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
일 뿐, 그 외의 전통적 방식은 감소세가 확인되지 않는다. 여전히 전통적 모금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처럼 전통적 모금방법이 여전히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이 방식에 익숙한 기부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그래서 비영리
기관도 기존 방식을 버리고 기술발전을 접목한 새로운 방식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
는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림 6-7] 기부 방법(2016~2018)


주) 중복응답 값임
출처: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나눔실태 및 인식현황조사, 각년도.

전통적 기부방법이 여전히 견고함을 보여주는 것에는 전통적 기부방식의 변화 또


한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통적 기부방식이 새로운 매체 또는 기술과 접목한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본 연구진은 The New Classic이라고 명명하였다.

15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The New Classic : 기부, 유튜브를 만나다.


튜브 플랫폼 용
“유 팔 우
을 이 해 가지고 자기를 로 하는 사 들한 요 하고, 그런 람 테 청
네 웤 후
트 을 통해서 원금을 모금하려는 방식이 뭐
이미 일상화 어 있고. 기부자가 되

택 수 있는행동 행의, 위의 일이 스케 훨씬 넓
어요.” _전문가 FGI 참여자 Ⓖ
2018년을 뒤흔든 대표적인 매체는 바로 유튜브이다. ‘한 달 이용자가 18억 명이 넘
고, 없는 콘텐츠가 없는, 없는 세대가 없는 동영상 플랫폼이 되었다. 단순 동영상 플
랫폼에서 이제는 검색도, SNS도 유튜브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니 가히 ’갓튜브’라고
불릴 만하다.15) 아래 [그림 6-8]을 보면, 2017년 하반기부터 유튜브 이용시간은 카카
오톡을 넘어섰다. 유튜브가 대세인 것이다.

[그림 6-8] 유 튜브 이용시간


출처 : 파이낸셜 뉴스(2018.3.11.일자) “국내 ICT기업, 기울어진 운동장서 뛰는 사이 유튜브
천하”

유튜브의 이런 위력을 반영하듯 유튜브를 통해 모금활동을 하는 새로운 시도가 나


타났다. 일반 검색으로는 도저히 접하지 못하지만 유튜브안에서는 웬만한 모금기관만
큼 영향력이 크다. 바로 ‘유정호TV’이다. 유정호TV는 2017년 9월에 개설되어 동영상
업로드를 시작했고 현재 총 971,549명의 구독자가 있다. 주로 여러 일상에서 벌어지

15) “태어나 ’말보다 먼저 배운‘ 유튜브, 우린 갓튜브 제국에 산다” (한겨레, 2018.8.18.일자),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58146.html

154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는 일화를 중심으로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지만,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에 관해 제


보받으면 함께 모금에 나서기도 한다. [그림 6-9]는 어머니가 암 투병 중에 급성 골수
백혈병을 선고받아 투병중인 학생을 위해 모금을 시작하여, 12시간 만에 6천 336만
3,254원이 모금되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 외에도 익명의 개인이 유정호에게 더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을 위해 전달해달라는 메시지와 함께 선풍기 100대를(500만원
상당) 보내기도 하고, 간이식 수술을 앞둔 제보자의 어머니를 위해 후원요청을 하여,
3시간 동안 약 3만 명의 사람으로부터 3천만 원을 모금하기도 했다. 2018년부터 본격
적으로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활동한 시기로부터 지금까지 총 1억 3983만 5,191회의
높은 조회수를 보이고 있다.

호 TV 캡쳐화면
[그림 6-9] 유정

‘유정호TV’에서는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윤정호가 직접 찾아가 인터뷰를 해


서 그 상황을 있는 그대로 알리고, 실시간으로 돈이 얼마나 모였는지 알려준다. 기부
자들은 해당 동영상의 댓글란에 기부했다는 인증글을 올리고, 구독자들은 거기에 댓
글을 달면서 ‘칭찬’을 한다. 초등학생이라 3천원 밖에 못했다는 글에는 ‘돈의 액수가
뭐가 중요한가요, 친구의 예쁜 마음이 더 중요해요’라는 반응을 보이고, 유통업을 하
는 21세 청년이 차를 사려고 모아두었던 돈을 기부했다는 글에는 ‘대단하다, 멋지다,

15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존경한다’는 응원글을 보낸다. 그리고 유정호TV는 댓글로 모여진 돈이 어떻게 사용될


예정인지를 안내한다.
그런데 유정호TV가 모금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계좌이체’이다. 유튜브를 통해
모금사연을 올리고, 모금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사람들이 참여하는 모습
을 댓글로 보면서, 사람들은 계좌이체 방식으로 기부한다.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매우
새롭다.16)
기존의 모금방식에 약간의 새로움을 더하는 방식은 언제나 있어왔다. 기부자 편의
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인 것이다. 대표적 예로 ‘문자기부’을 들 수 있다. 전화통화
를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ARS방식을 ‘문자’방식으로 변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내된 번호로 문자를 보내면
전화요금에 통합청구되는 방식으로 진행되
고 있는 문자기부는 음성통화를 하지 않을
뿐이지 ARS방식과 동일하다. 그럼에도 사람
들은 전화기를 귀에 대는 것보다 손가락을
활용하는 편을 더 편하다고 느낀다.

TV광
“ 층 젊 층 희 TV 찬
고 보고 전화하는 이, 은 은 절대로 전화하지 않아요. 망 도 마
젊 람 싫 때 중략
가지지만 은 사 들은 전화를 드는 것 자체를 어하기 문에 ( ) 그런데 최
TV 분 령 삼십 후 십 초 으 떨
근에 를 보고 기부를 하시는 들의 연 대가 대 반, 사 대 반 로
어진 단체들을 보면 뭐 문자를 통해서 다시 전화를 한다거나 문자를 유도하는 단
체들이 몇 군 와 중략 TV광
데 나 요. ( ) 와 클래
고도 결국은 이런 트렌드 만나서 식한
쓰 새 접 키 새
방법을 여전히 지만 거기에 로운 트렌드를 목시 는, 로운 방식을 연구해
새 붙 쓰 쪽으
서 로운 방식을 이는, 는 Ⓓ
로 생각하고 있고,”_전문가 FGI 참여자

새로운 채널의 증가세가 무섭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모금방식이 영향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을 활용한 모
금은 이미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기부자의 온라인 모금에 대한 인지도도 높아지고

16) 유정호TV가 모금활동을 할 수 있는 법적인 절차를 제대로 갖추었다고 가정하였다. 본인도 댓글에서 변호
사와 함께 합법적으로 모금을 진행했다고 밝히고 있다.

156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있다. 절대적 비중은 여전히 크지 않지만, 그 증가세는 확연하다. 특히 게시글 공유나


’좋아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SNS 기부는 최근 2년 동안 2배 가량의 성장세
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6-10] 온라인 기부 방법(2016~2018)


주) 중복응답 값임
출처: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나눔실태 및 인식현황조사, 각년도.

두 개의 바퀴, 두 개의 채널
두 퀴
“ 개의 바 가 아 직 굴러
가고 있거든요. 전통적인 방식과 로운 방식. 은 새 젊 층
쓰 페 쉬
들은 현금을 안 고 있고, 카카오 이라던지 운 결제가 경제상황에서 익 해 숙 져
되 편
있는데 기부는 게 불 한 거예요.” _참여자 Ⓑ
블록체인, 5G의 상용화가 한국사회를 이끌고 있는 신기술이지만, 새로운 테크놀로
지가 모금의 방식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그 시점
이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모금방법들은 더 많이 고
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핀테크의 상용화로 인해 이미 핸드폰을 통한 기부, 온라인을
통한 기부는 상당히 가깝게 다가와 있다. 블록체인 기술까지 모금에 접목하는 시도도

15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전통적 모금방식이 갖는 영향력이 상당하다. 이는


기부자도 모금기관도 전통적 방식에 이미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적 방
식이라고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새로운 미디어를 접목하고 기
부자들이 조금이라도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방식을 접목한다. 이것이 바로 전통적 모
금방식이 여전히 견고한 이유이다.
2019년은 이 중에서 유튜브를 접목한 모금방법이 더 활발하게 될 것으로 조심스레
예측해본다. 사실, 유튜브는 모금방법이기보다는 기부자와 모금기관 간의 소통채널이라
고 할 수 있다. 텍스트보다는 영상에 익숙한 시대, 실시간으로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시대, 이런 시대에 맞게 모금기관의 소통방식도 변화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특히 5G
의 상용화는 초고속, 최저지연, 초연결이라는 특징으로 이전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서비스가 가능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어려움없이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었
다(연대성, 2018).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지연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일방적 정
보전달에서 벗어나 쌍방향적 정보전달이 가능한 시대, 모금기관의 소통방식과 모금방
식이 이러한 신기술과 접목하여 어떠한 The New Classic을 만들어낼지 기대가 된다.

[ Trend 5 ]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 : 비영리 마케팅

비영리 기관의 마 케팅 기법 활용
[Trend 1]에서 기업의 상품 판매 전략인 마케팅이 기부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살
펴보았다. 밀레니얼세대의 가치소비, 윤리적 소비 경향이 ’착한소비‘로 연결되고 이것
이 나를 드러내는 ’정체성 소비‘로 까지 확대되는 트렌드를 확인하였다. 기부를 착한
소비로 인식하기도 하고, 소비활동에 사회적 의미까지도 담는 경향은 결과적으로 소
비행위와 기부행동의 긴밀한 연계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과 함께 비영리기관의 마케팅기법이 더욱 활발해지고 잘 알려진 상업적
방법을 통해 비영리의 공익활동을 유도하고 있는 사례들이 눈에 띈다. 사람들에게 더
익숙한 방식으로 기부동기를 부추기는 마케팅인 것이다. 기부를 하면 굿즈를 제공하거
나 기업과 콜라보 행사를 진행하며, 기념품을 지급하면서 기부자들 혹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한다. 그 외에 기부하는 과정을 ’쇼핑‘처럼 느끼게 하는 방법도 등장하고

158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있는데, 신선했던 이 방법으로 관심을 끌었던 곳은 ’국경없는의사회‘의 ‘95’창고이다.


‘95’창고는 인터넷 쇼핑을 하는 것과 같이 실제 기부자들이 물건을 구매하고 전달
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도록 하는 기부플랫폼이다. 구명복 하나에 3만원, 수술
키트는 6만 5천원, 야전텐트는 7만 5천원이다. 내가 원하는 제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결제’를 진행하면 끝이 난다. 물론 기부자가 구매한 것이 그대로 현지에 전달되지는
않는다. 기부자는 3만원을 기부하는 것이고, 국경없는의사회는 모아진 돈으로 긴급구
호활동을 진행한다. 만약 이 과정이 정확히 안내되지 않는다면 아마 국경없는의사회
는 여론의 지탄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국경없는의사회의 이런 방식은 오히려 주목
을 받았다. 그 이유는 기부동기를 유발하고, 기부자가 그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느
낌’을 주기에 적절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국경없는의사회가 기부금으로 어떤 활동을
하는지 소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홍보 효과도 뛰어나다.


[그림 6-11] 국경 는의사회의 ‘구 호창고’ 홈페이지 화면
출처: 국경없는의사회 홈페이지(http://warehouse.msf.or.kr)


진 , 기부 쇼핑몰의 등장
국경없는의사회의 ‘95창고’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쇼핑용어’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쇼핑’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진짜’ 기부쇼핑몰이 등장했다.
굿네이버스에서 운영하는 ‘GIVESTORE’와 굿임팩트에서 운영하는 ‘나누기스토어’가
대표적이다. 굿네이버스의 ‘GIVESTORE’는 ‘기부의 의미와 스토리가 담긴 좋은 품질

15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의 상품을 나누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굿네이버스의 다양한 사업을 통해 만들어


진 전 세계의 협동조합의 생산품을 쇼핑몰을 통해 판매한다. 그 외 기브스토어의 행
동에 동참하고자 하는 브랜드 10여 종이 참여하고 있다.

[그림 6-12] 굿네이버스 GIVESTORE 홈페이지 화면


출처: 기브스토어 홈페이지(http://givestore.kr)

굿임팩트에서 운영하는 ‘나누기스토어’는 기업의 공익연계마케팅을 모아놓은 쇼핑


몰 같다. ‘누구나 기부를 쉽고 편하게 할 수는 없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는 나누
기스토어에서는 입점되어 있는 반려동물 관련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데, 구매시
판매금액의 평균 6%가 소비자와 해당 기업 이름으로 기부된다. 반려동물 관련 제품
이외에도 외식/영화/뷰티관련 제품 197개의 e쿠폰을 구매할 수 있다. e쿠폰은 평균
기부율 2%이며 소비자와 해당 기업이 판매금액의 1%를 매칭하여 기부하게 된다. 기
부금처리와 사용은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 협업하여 진행된다.
굿네이버스의 ‘GIVESTORE’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이 주로 참여하는 쇼핑몰이며,
굿네이버스의 다양한 사업의 결과물로 만들어진 협동조합 등이 자생할 수 있는 유통
채널을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미있는 시도이다. 한편 나누기스토어는 기업의
공익연계마케팅을 진행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쇼핑몰의 느낌이 더 많다. 대표적
인 비영리기관인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의 협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영리와 비영리,

160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사회적 기업과의 콜라보가 독특하다. 두 사례 모두 상업적으로 운영되는 쇼핑몰 툴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리와 비영리의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는 현상이 관
찰된다.

누 스
[그림 6-13] 나 기 토어 홈페이지 화면
출처: 나누기스토어 홈페이지(http://www.nanugistore.com)

비영리 마 케팅,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쟁 떻
“경 이 심해지면서 어 게 더 정교하고, 기 한 마 기법을 하 발 케팅 느냐 이러한 과
꾸 겨
제들이 자 생 난다는 것이고, 이게 개별 G 입장에서는 고통 NO 스럽죠.” _전문
가 FGI 참여자 Ⓖ
비영리기관의 홍보·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기관들의 활동을 기부자들과 더욱 잘 소통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이기도 하고, 기부 편의성을 높여 기관의 활동에 기부자들이 더 많이 동
참하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모금기관들에서 마케팅이 더욱 중시되는 이유는 모금기관을 둘러
싼 생존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모금을 확장할 수 있는

16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으로 인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치열


한 경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과 기부자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는 것이다.

굉 쟁 잖 특 N O international N O
“ 장히 경 이 심하 아요. 히나 I G ( G )같은 경 는 사이트 우 웹
접 뭐 뜬 광
하나에 속한다고 해도 가 다거나 고가 나타나는 것도 많아 고, 를 졌 TV 틀
광 작
면 거의 10개의 단체가 계속해서 고를 하고... 년 거리에 가면 블록 단위로 모
집 특
을 하고, 히나 개인에 집중 행
하는 그런 모금 위들이 많아 고, ( 졌 중략 렇
) (이 게
쟁 중
경 이 심해진) 그 이유 에 한국의 모금 시장이 더 이상 엄청 커
질거라는 기대
잖 굉
는 거의 하지 않 아요. 10년 전에 비해서 지금은 장히 많이 성장했지만, 어 느
될 분
정도 성장이 지속 까 하는 부 이 있는데 약 간 앞으
로 언저리 2-3년 기 이 개 간
풀 할 막
인 기부의 을 확장 수 있는 (마지 ) 기회다라고 생각하는 것인가 라는 그런
말 들을 하거든요.”_전문가 FGI 참여자Ⓓ
이처럼 모금기관을 둘러싼 생존경쟁이 심화되면서 마케팅전략이 더욱 중시되는 상
황에서 글로벌 마케팅업체와 손잡은 비영리기관의 전략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을 위해 기부를 해야 하는지보다는 ‘기부금 자체의 성장’에 관심을 갖는
접근이 주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모금기관들의 경쟁이 심해질수록 이런 현상이 더
강화되고, 경쟁적으로 기부자를 ‘나의’ 기관으로 유치하려고 하는 시도는 오히려 시민
들의 기부문화를 위축시키는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사실 전통적인 모금방법, TV광 발 으


고라던지 거리모금이라던지 이게 폭 적 로 성장
케팅 흐름
한 것은 마 적인 솔직
들이 저는 분석
히 아니라고 글 벌
해요. 그건 로 업체
커 으
가 진출하면서 진거거든요. 이런 일을 전문적 로 하는 외국의 체들이 I G 엄 NO
접 품 판매
에게 근을 하고, 그 상 을 러 TV 격
하고, 그 니까 가 이 낮아지게 된
데에 가
장 큰역할 젼 중략
을 한 에이 시가 있거든요. ( TV광
) 이 업체가 고모금을 월 3만원
으 췄 랬 박 죠 래
에서 만원 로 낮 어요. 그 더니 소위 대 이 난거 . 그 서 다른 기관들도 다
따 으 췄 뒷따
라서 만원 로 낮 는데.. 간 잡
라 들어 업체들은 상투만 고 나 온꼴 된
이 거
죠 Ⓓ
”_전문가 FGI참여자

162
제6장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 Trend 6 ] 투명성! 여전히 지뢰밭


2016년 K재단, 미르재단과 같이 정치권력형 강제모금과 사익에 악용된 공익법인
의 사건이 밝혀졌고, 2017년에는 공익모금을 빙자하여 전국민을 우롱한 ‘새희망씨
앗재단’과 ‘이영학 사건’이 있었다. ‘새희망씨앗재단’은 비영리법인/단체 등록과 관
리시스템의 약점이 악용되는 사례로서 법제도나 행정정비의 필요성이 있다지만,
‘이영학 사건’은 개인의 대중기망 사기사건이자 ‘k재단’, ‘미르재단’은 온전히 권력
형 비리사건이다.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 사건들 모두 일반적인 비영리법인/단
체와는 관련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비영리법인/단체 전반에 대한 신뢰를 추락시켰고, 이에
대한 법제도 정비와 투명성 강화라는 사회적 요구를 어느 때 보다 높아지게 만들
었다. 그 결과 정부의 비영리법인/단체 관리가 국세청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다.
명목상으로만 있던 비영리법인/단체에 대한 법집행을 시행하고, 회계기준을 정비
하는 등의 노력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방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중소 규모의 비영리법인/단체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무리한 행정적
요구가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대중의 투명성 요구를 명분으로 삼아 행정과 법을 강화한다고
하여 대중의 신뢰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기부자와 대중들이 직관적
으로 이해하는 투명성은 ‘내 기부금이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도움을 받은 사
람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내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가깝다. 유튜브 크리에이터 중
‘유정호TV'라는 채널에서 간이식 수술을 앞두고 있는 환자를 직접 인터뷰하며 단
기간에 3천만원 이상을 모금하였다. 이런 직접 소통이 가능한 모금활동은 오히려 ’
이영학 사건‘과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중
들에게 개인채널보다 등록된 법인이 더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이라는 것을 설득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8년 비영리 투명성에 대한 언급이 언론을 통해
서는 ‘관련 정책 정비’ 관련이나 ‘비영리 귀책 사례 보도’에 그쳤다면, 댓글이나
SNS에서 드러나는 대중의 온도는 냉소적인 방향으로 돌아서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사건들에 대해 비영리분야 스스로 입장을 밝히고 사회적 논의를 주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법제도를 통한 관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영리법인/단체 스스

16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로 투명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는 모습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해외에는 미국 재단협회가 주도하여 온라인 투명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
하고 관련 실행을 다각도로 지원하는 ‘Glasspocket'이라는 민간투명성증진 프로그
램이나 비영리단체 협회, 모금가협회 등이 주도하고 관리하는 ’Code of Conduct'
에 단체의 책무성과 투명성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민간의 자율규제
(Self Regulation)의 형태로 운영되어 필요시 이를 지키고 있다는 인증브랜드를 병
행하기도 한다. 이들은 비영리법인/단체 스스로가 어떤 기준을 지키기로 한다는
내용을 정하고, 이것을 지키기 위한 행동을 구체적인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시행
한다. 기존 자료에서 해석되기 어려운 개별 사례에 대해 협회에 문의하고 그 판정
내용을 다시 공개할 뿐 아니라 이후 규정 개정에 반영한다. 경우에 따라 이를 지
키지 않는 사례나 단체를 모니터링하거나 신고를 받는 창구도 함께 운영한다.
기존 비영리분야 사건에 대한 적절한 대응실패와 매체환경 변화로 인해 기존 비
영리단체를 통하지 않은 사회참여가 활발해지는 추세에서 비영리법인/단체가 스스
로의 강점과 사회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필요성이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개별 기관들이 대응하여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협회나 네
트워크 같은 협업구조와 전체를 대변할 수 있는 엄브렐러의 활동이 중요하게 부각
될 것으로 예상된다.

164
제7장 결론
제7장 결론

제7장 결론

한국사회는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그리고 그에 따


른 반응속도도 매우 빠른 편이다. 그래서 변화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는 것이 상대
적으로 어렵기도 하고, 그 변화를 예측한다는 것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트렌드 저작물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보면, 연말마다 다음
해의 트렌드를 예측하는 각종 행사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것을 보면, 변화를
쫓아가고 혹은 리드하고 또는 대응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보게 된다. 한국사회
가 지금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그 변화를 추동하는 힘은 무엇인지,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래서 나는 그리고 내 조직은 어떻게 해야
할지 전략을 세우기 위함이다.
본 연구도 마찬가지이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비롯
한 비영리·모금기관의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사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2018년은 어떤 변화의 흐름들이 있었
는가? 2018년의 사회이슈는 무엇이며 이것이 기부/나눔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2018년의 기부관련 정책환경 변화는 어떠한가? 전반적으로 2018년의 상황은 어떠했다
고 평가할 수 있으며, 앞으로 2019년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본 연구는 다양한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8년의 사회이슈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언론자료를 기초로 각 이슈들의 시
계열적 분석을 시도했으며, 기부/나눔을 둘러싼 논의지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3
장). 2018년의 정책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변화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
에 대한 비영리조직의 대응활동도 분석하였다(4장). 2018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2019년 예측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도 진
행하였다(5장).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의 트렌드를 6가지로
정리하였다(6장).

16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각 연구내용을 2018년에 대한 리뷰와


2019년에 대한 전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제1절 2018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리뷰


2018년에 대한 리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언론분석을 통해 2018년의
사회이슈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부분이고, 둘째는 2018년에 나타난 기부 및 나눔과
관련된 정책환경의 변화를 정리하는 부분이며, 셋째는 2018년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반
적인 평가와 본 연구진이 지난 연구에서 예측한 2018년 트렌드에 대한 평가부분이다.
첫째, 2018년 사회이슈를 언론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사회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토픽 추출(모델링)과 이슈어들의 시계열적
변화를 검토했다. 전자를 위해서 핵심 키워드로 “기부”, “복지국가”, “기업”을 선정하
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본문을 대상으로 토픽 분석을 실시했다. 후
자와 관련해서는 언론 기사의 제목에 빈번하게 노출된 단어에 대한 선별과정을 통해
19개의 이슈어를 선정하고 의미상 기부 관련, 복지국가 및 노동시장 관련, 기타 주요
사회 이슈로 대별하였다. 아울러 19개 이슈어에 대한 노출 수준 시계열과 노출 빈도
가 높아지는 시점의 주요 사회 이슈를 짚어보는 과정을 거쳤다.
토픽 추출 결과 기부에서 6개, 복지국가에서 6개, 기업에서 7개의 토픽을 추출하여
각 토픽을 구성하는 주요어와 토픽을 대표하는 기사문 예시를 검토했다. 기부와 관련
해 절반에 이르는 토픽이 기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기업의 기부 활동은
전통적 영역과 아울러 인적 투자, 사회 혁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복지국가와 관련해서 한국 복지국가의 다양한 도전 상황을 살펴볼 수 있었
다. 빠른 노령화에 따른 재정 위기와 관련한 논의와 더불어 산업 변동에 따른 일자리
문제, 그리고 가족 기능의 변화 혹은 약화로 인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직면
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한편 기업과 관련해서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
가 진행되고 있음을 검토했다. 그와 같은 변화는 국제관계, 기술 변화,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요구와 같은 다층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주요어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서 2018년의 주요 사회 이슈를 파악할 수 있었

168
제7장 결론

다. 연금 및 고용을 둘러싼 문제는 한국 사회복지와 관련해 2018년의 핵심이슈였다.


한국 사회보장 제도의 한계와 관련된 “사각지대” 또한 여전히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
었다. 여기에 더해 미투, 혐오문제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는 개인의 권익에 대한 구
성원의 인식을 환기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먼지”, “폭염” 등
의 환경 이슈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도전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
과는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와도 일치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전문가 서베이 조사결과
에서도 남북협력이슈, 미투 등의 젠더이슈, 일자리 문제, 환경문제 등이 주로 제기되
었다. 특히 환경이나 혐오문제는 기부/모금 이슈와 깊게 연결짓지 못했던 이슈였는
데,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전략의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2018년의 정책환경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 개정 완료되어 2019년부
터 시행될 예정인 법안들과 2019년 현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법무부 ‘공
익법인법 개정안’과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기부투명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 논의과정에서 시민사회의 대응을 함께 분석하여 제도 환경 변
화를 입체적으로 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첫째, 2018년에 법의 신설이나 전면개정 방
식의 변화는 없었지만, 비영리법인/단체의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내용은 많이 정비되
었다. 다만, 정부주도적인 추진과정에서 중소비영리법인/단체들에게 무리한 부담이나
불이익이 가는 사례가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대책이 따르고 있다. 둘째, 기부활성화
를 위한 노력은 상징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의 인정한도나 이
월공제기간을 늘리거나 고액기부금에 대한 세액공제액을 늘렸지만, 좀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쨰, ‘정부 주도의 모금’관련 흐름이 부각되고 있다. 고향사랑기부
제가 통과되지 못했으나 기부금품법 시행령 개정으로 지자체에 대한 기부를 심의하
는 ‘기부심의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지자체에 일임하게 되었다. 이는
정부주도의 모금에 관한 시민사회의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2018년 트렌드에 대한 전문가들의 리뷰결과이다. 연구진은 지난 2018년의 기
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로 ①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 ②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
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③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④ 사회적 투명성
강화의 네 가지를 선정했다. 이러한 전망한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다수는 해당 트렌드에 동의

16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했으며 2019년에도 그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 비영리기관의 모


금이 상당히 어려웠으나, 전체 기부금 규모가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인 분위기와 모금시장의 경쟁과열이 원인으로 언급되었다.
② 혁신모금의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2018
년에 그러한 분위기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었으며, 2019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
았다. 특히 온라인/모바일을 활용한 기부, 다양한 기부마케팅 기법의 도입 등
여러 형태의 모금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생각만큼 신기술을 접목한 혁신모금이
활발해진 것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이는 기존의 방식에 익숙한 기부자와 모금기
관 모두의 관성에 의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었다.
③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의 변화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다수가 동의하
였으며, 2019년에도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았다. 이는 기존에 자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던 기부가 다양한 공익활동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
며 특히 기업사회공헌 측면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④ 사회적 투명성 강화와 관련해서는 대다수의 전문가가 동의하였으며, 2019년에도
그러한 방향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2018년에는 기부포비아 관련 사건에
비영리기관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크다고 보았으며, 다양한 이슈파
이팅과 비영리기관의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앞서 살펴본 2018년의 네 가지 전망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전체적으로 타당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2018년의 상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모금의 성장세가 둔화되었는
데, 이는 투명성 이슈나 사회이슈에 대해 비영리 기관이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2018년은 환경이슈, 젠더이슈, 일자리이슈, 그리고 남북협
력이슈 등 다양한 사회이슈가 등장했지만 이러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비영리조직
의 전략이 부재했고, 다양한 정책적 변화에 대해 비영리 기관의 협력적 대응이 부족
했다는 평가가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다.

170
제7장 결론

제2절 2019년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


2018년에 대한 이러한 평가에 기초해 2019년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① 2019년 기부 전망 : 2018년보다 기부상황이 좋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다. 2019년 경제상황이 전년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
황을 타개할 만한 뾰족한 방법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부정적 전
망속에서도 새로운 시도에 성공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슈퍼스타’가 등장할 것이
라는 전망도 있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기관과 그렇지 못한
기관간의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② 기부 관련 주요 이슈가 2019년 기부에 미칠 영향 :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두각을
보이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
한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핀테크나 블록체인, 5G의 상용화와
같은 기술발전이 기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밀레
니얼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기부 콘텐츠의 변화, 기술발전의 영향력 순서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밀레니얼에게 맞는 기부문화를 만들기 위해, 맞춤형 콘
텐츠나 밀레니얼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창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
음을 시사한다. 한편 핀테크나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발전이 모금방법에 직접적
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전통적 방식을 활용한 기
부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이러한 방식에 모금기관들도 더 익숙하기 때문으로
이해되었다.
③ 기업 사회공헌의 변화 : 기업 사회공헌의 트렌드를 확인한 결과, 전통적인 자선
기반 사회공헌에서 기업 밸류체인 내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
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글로벌 CSR 기준이 변화하고, 문재인 정부
의 사회적 가치 강조 경향, 그리고 새로운 오너세력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요인
에 의해 추동된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기업소재지에 따라, 그리고 기
업 규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기부전략이 제
안될 필요가 있다.

17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④ 기부가 필요한 분야 : 현재 기부자가 선호하는 분야와 향후 기부자의 주목을 받


을 분야, 기부가 필요한 분야를 비교한 결과, 기부자가 선호하는 분야는 국내
복지 및 자선분야이지만,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는 사회
권익단체 환경 및 동물보호단체 등의 NGO이고, 향후 이 분야가 기부자들의 주
목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자선 및 사회복지 분야의 축소가
예상되는 결과이다.
⑤ 2019 비영리가 대응해야 할 이슈 :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 문제가 대응해야 할
최우선 이슈로 선정되었다. 그 다음이 취약계층지원, 고용/노동이슈에 대한 대
응, 남북협력 및 평화에 대한 대응, 그리고 2018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각종 혐
오 이슈로 인한 사회갈등 해결이 주요한 이슈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
영리기관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왔던 자선/복지분야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기부
자가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를 개발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사회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지금까지의 다양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다음과 같이 2019 기부 및 사


회이슈 트렌드를 선정하였다.

[Trend 1] 밀레니얼의 기부,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


한국의 새로운 소비집단이자 트렌드를 선도하는 집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청소년 사회봉사활동 의무제 도입 등으로 인해 ‘의무적’으로 사회참여를 해왔던
세대로, 한일월드컵-쇠고기수입반대-세월호-촛불집회 등 2000년 이후 광화문을 가득
메웠던 굵직한 사건을 청소년기부터 겪어 온 세대이다. ‘단군이래 최대의 스펙을 갖
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역설적이게도 ‘부모보다 가난한 첫 세대’이기도 한
밀레니얼은 어렸을 때부터 온라인 매체를 자유자재로 다룰 줄 알고, SNS를 통해 소
통하는 것이 더 편한 세대이기도 하다. 이들은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매우 크고 관심을
갖는 이슈를 위해 직접 행동도 서슴치 않는 저력을 갖고 있기도 하다. 최근 이들이
‘윤리적 소비’, ‘가치 소비’에 주목하며 ‘착한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 소비에 윤리성과
가치성을 접목하는 행위로 인해, 소비와 기부, 그리고 사회적 기여를 구분하는 것이

172
제7장 결론

어려워졌다. 이들은 소비를 통해 기부를 하고, 소비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하


며, 이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더구나 이런 활동은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퍼져나간다. ‘착한 소비’가 곧 ‘내가 누구인지를 보여주는, 나를 드러내는’
행동이 되는 것이다. 적극적, 유희적, 그리고 자기주도적인 밀레니얼이 새로운 기부문
화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참여와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Trend 2] 기부자 유동성 증대


밀레니얼의 ‘나를 드러내는 착한 소비’는 굿굿즈(Good Goods)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드러낼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영리기관이 기부자에게 후원
이나 기부에 대한 감사를 전하기 위해 지급하는 기념품(리워드)인 굿굿즈. 그런데 오
히려 굿굿즈를 갖고 싶어서 후원이나 기부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굿굿즈의
열풍은 시판 제품과 비교해서 뒤지지 않는 디자인과 고퀄리티, 그리고 특정 기간에만
(캠페인 기간에만) 받을 수 있는 ‘한정판’이라는 요소가 결합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얻
고 있다. 심지어 이를 중고시장에서 구매하는 경우까지 나오고 있으니, 굿굿즈의 열풍
을 짐작할 만하다. 그런데 굿즈에 대한 관심은 역설적이게도 굿즈 수집을 위해 기부처
를 옮겨다니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굿즈를 갖기 위해 후원방법을 문의하면서 동시
에 취소방법도 문의하는 것이다. 굿즈가 기부유입의 경로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반대
로 굿즈를 따라 기부자가 이동하는 현상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부자 유동성의
증대는 기부가 편리할수록 강화되고 있다. 기부하기 편하면 반대로 기부 취소의 비용
도 적게 들기 때문이다. 기부 편의성과 기부 충성도,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전
략이 필요하다. 이는 결국 기부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이슈’,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가 얼마나 기부자들에게 공감을 받을 수 있는지와 직결된다.

[Trend 3] 기업의 사회공헌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향후 4~5년 이내에 기업사회공헌은 판도가 완전히 바뀌어 있을 것이다. 자선에 기
반한 사회공헌은 조만간 사라질 것이며, 기업의 영리활동 전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것이다. 이로 인해 기
업의 자선적 기부에 의존해오던 비영리기관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이다. 기업은 일

17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자리 창출, 기업 내 인권, 기업 내 성별 불평등 완화와 같은 문제에 책임을 다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노동·거버넌스 측면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의 활동과 동떨어진 자선적 기부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기업은 자신의 업종 특성과 경영전략에 맞는 사업을 중
심으로 CSR 활동을 해나갈 것이며, 따라서 비영리기관에서도 이에 따른 기부전략을
마련해 놓아야 할 것이다.

[Trend 4] 두 개의 채널, 두 개의 바퀴 : The New Classic


핀테크, 블록체인, 그리고 2019년의 5G의 사용화 등, 기술발전의 속도가 무섭다. 이
러한 기술은 비영리기관의 투명성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상당한 주목을 받
았다. 그러나 실제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기존의 모금 방식을 전면적으로 대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지로/계좌이체/모금함/ARS의 전통적 방식에 익숙한 기부
자들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비영리기관이 새로운 기술을 바로 접목할 만큼
기술 발전에 민감하지 못한 이유도 있다. 즉, 비영리기관 또한 관성적으로 기존 채널
이 더 편하기 때문이기도 한 것이다. 그렇다고 기존 채널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 기부방식은 새로운 기술과 접목하여 기부자들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
가고 있는 것이다. 유튜브를 활용해 모금 사례를 공유하고, 그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
유하며, 댓글을 통해 기부자들 간에 피드백을 주는 방식은, 모금기관과 기부자들 간
의 새로운 소통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주기에 충분하다. 텍스트보다는 영상에 익숙한
시대, 실시간으로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시대, 이런 시대에 맞게 모금기관의 소통
방식도 변화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전통적 채널과 신기술을 접목한 채널이 함께 굴
러가고 있는 2019년. 어떠한 The New Classic이 새롭게 등장하게 될지 기대된다.

[Trend 5] 공익활동에 영리적 요소 가미하기 : 비영리 마케팅


비영리기관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관심은 최근의 트렌드는 아니지만, 관심도가 더
욱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향은 향후에도 계속될 것이다. 기부과정을 ‘쇼핑’의
과정처럼 느끼게 하는 방식이나, 진짜 기부쇼핑몰의 등장은 돈만 내고 그만인 기부보
다는 기부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보장해주는 느낌을 준다. 이는 기관들의 활동을 기부

174
제7장 결론

자들과 더욱 잘 소통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이기도 하고, 기부 편의성을 높여 기관의


활동에 기부자들이 더 많이 동참하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모금기
관들에서 마케팅이 더욱 중시되는 이유는 모금기관을 둘러싼 생존경쟁이 더욱 치열
해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내 기관’의 성공, ‘내 기관
으로 들어오는 기부금의 양’에만 관심을 갖는 것은 전체 기부문화를 해치는 일이 될
것이다. 기부금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떻게 기부자들과 진정성 있게 대화를 할 것
인지, 기부자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 동참할 수 있는지를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Trend 6] 투명성, 여전히 지뢰밭


2016년부터 있었던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비영리기관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추락
한 상태이다. 이에 정부가 국민의 투명성 요구를 명분삼아 행정과 법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실효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
로 국민의 신뢰가 회복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도 어렵다. 정부에서 각종 법과 행정
적 규제를 강화하여 규제의 칼날을 댈수록 일부 기관의 투명성 문제가 비영리 전체
의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도 크다. 기부자들과 국민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투명성
은 ‘내 기부금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도움을 받은 사람이 어떻게 변했는지’ 직접 눈으
로 확인한 것에 더 가깝다. 이러한 부분은 정부의 규제로 인해 충족될 수 없는 부분
이다. 결국 기부자들의 투명성과 신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부자들과 더 쉽게
소통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기부금에 의한 임팩트 보고를 성실하게 하며, 기부자들이
그 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2019년 비영리회계기준에
따른 공시의무가 확대되면 비영리기관은 또 한번의 투명성 이슈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법제도를 통한 관리보다는 비영리기관이 스스로
투명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고 그 결과를 기부자들과 적극적으로 공
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개별 기관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비
영리 기관 간의 협업과 네트워킹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175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진욱, 엄태영, 조주희, 고은주, 권진. (2017). 『2017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


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노혜진, 강철희, 김교성, 민인식, 김계정, 오세헌, 김윤민. (2015).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박미희, 유재윤, 노법래, 전현경, 강수진. (2018).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
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박혜경, 박태근, 이보라, 김소라. (2016). 『2016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석』. 사
회복지공동모금회.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빅퓨처. (2018). 핫트렌드 2019 어나더 라이프, 로크미디어.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이수진, 서유현, 권정유. (2018) 트렌
드 코리아 2019, 미래의창.
김용섭. (2018). 라이프 트렌드 2019, 부키.
김정구, 박현영, 신수정, 염한결, 이예은, 이효정. (2018). 2019 트렌드 노트 생활변화
관찰기, 북스톤.
대학내일20대연구소(2018). 트렌드 MZ 2019, 대학내일.
안성민. (2018). 미세유행 2019, 정한책방
연대성. (2018). 디지털 트렌드 2019, 책들의 정원.
차두원. (2018). 포워드 2019 미래를 읽다, 한스미디어.
최인수, 윤덕환, 채선애, 송으뜸, 김윤미. (2018). 2019 대한민국 트렌드, 한국경제신문.
커넥팅 랩. (2018). 모바일 트렌드 2019, 미래의 창.
KCI Forward Thinking. “The Future of Fundraising”, 『Philanthropic Trends Quarterly』,
2018(1). retrieved from http://kciphilanthropy.com/download_trends/2018_1/pt-2018-01.pdf.
Bivin, D., Osili, U., Pruitt, A., Bergdoll, J., Skidmore, T., Zarins, S., &Kou, X. (2018).
『The Philanthropy Outlook 2018 &2019』.

17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Behrens T., Frankin J., Caldwell K., Moody M., Downey M., Olivarez J. and Petersen
J..(2018). 『11 Trends in philanthropy for 2018』. Jonson center
Milner A..(2018). 『The Global Landscape of philanthropy』. WINGS.
Fidelity Charitable. (2018). 『The Future of Philanthropy』. retrieved from
https://www.fidelitycharitable.org/docs/future-of-philanthropy.pdf
Bernholz L.. (2018). 『Philanthropy and Digital Civil Society: Blueprint 2018』.
Standford PACS.

178
부록
부록

[부록 1] 전문가 인식조사 설문지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전망을 위한


전문가 인식조사

안녕하십니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는 2015년부터 매년 기부트렌드와 사회이슈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트렌드 전망을 통해 모금 및 비영
리기관의 사업방향과 전략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렌드 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19년 연구에서는 트렌드 전망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올해 트렌드와 내년도 트렌드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답변은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예측의 핵심자료가 되오니, 모든 질문에 빠


짐없이 솔직하게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귀하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통계법 제 33
조에 따라 철저히 비밀이 보장되며,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약속
드립니다. 바쁘신 가운데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18년 12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김누리 소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박미희 책임연구원(연구책임자)

※ 설문조사에 대한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유재윤(010-○○○○-○○○○, jaeyun@chest.or.kr)
- 박미희(010-○○○○-○○○○, parkmh@chest.or.kr)
- 주소: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21길 39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18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일반적 특성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 )


① 여성 ② 남성

2. 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 ) 세

3. 귀하의 현 소속은 어떻게 되십니까? ( )


① 학계
② 모금 기관
③ 비영리 기관
④ 기업
⑤ 언론사
⑥ 기타 ( )

4. 귀하의 현직경력과 전체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현직 : ) 년 (전체 경력 : ) 년

5. 귀하의 거주지역은 어디입니까?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경기 ⑨ 강원 ⑩ 충북
⑪ 충남 ⑫ 전북 ⑬ 전남 ⑭ 경북 ⑮ 경남
⑯ 제주 ⑰ 세종

182
부록

2018년 리뷰

6.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에서 2018년 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예측하였습니다.


2018년을 돌아보았을 때, 이러한 트렌드 예측이 어느 정도 타당했다고 보십니까?

① 전혀 타당하지 않다 ②타당하지 않다 ③보통이다 ④타당하다 ⑤매우 타당하다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
- 모금시장의 고성장 국면 종식. 모금규모 증가속도 크게 감소하여 답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임
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
- 핀테크의 발달이 지속될 것이며, 안전성과 안정성에서 우위를 점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상
용화단계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모금방식이 주목을 받을 것임
- 전통적 모금방식인 동전모금, 지로모금, 모금함 모금은 감소할 것임
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 소비에 윤리성과 가치성을 접목하는 가치소비가 확대됨으로 인해 소비행위도 사회적 기여
와 기부로 확장되고 있음. 이로 인해 기부의 영역도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확
장되고 있음
- 자선영역의 퇴조, 권리옹호 및 소셜벤처 영역의 확대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임
4. 사회적 투명성 강화
- 자기주도적 소비경향의 확대로 인해 ‘신중한 기부, 꼼꼼한 기부’가 강화될 것임
-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공익활동과 기부금단체 관련 법안이 정비될 것이며,
사회적 투명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가할 것임

7. 각 문항에 대한 동의정도를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①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②동의하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③그저 그렇다 ④동의한다 ⑤매우 동의한다
7-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진입
7-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 퇴조
7-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7-4. 사회적 투명성 강화

18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8. 아래 문항의 내용이 2019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그렇지 않다


① ② ③ ④ ⑤
③그저 그렇다 ④그렇다 ⑤매우 그렇다
8-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진입
8-2.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 퇴조
8-3. 자선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
8-4. 사회적 투명성 강화

9. 2018년 트렌드와 관련하여 NGO는 적절히 대처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① 전혀 대처하지 ② 대체로 ③ 보통이다 ④ 어느 정도 ⑤ 매우 잘 대처
못하고 있다 대처하지 대처하고 하고 있다
못하고 있다 있다

10. 2018년을 돌아보았을 때, 가장 인상적인 사회적 사건은 무엇이었습니까? 우선순위를 정하


셔서 3가지를 적어주십시오. ( ※ 추가적인 내용이 있다면 4~5순위도 적어주시길 부탁드립
니다.)
①순위 ( )
②순위 ( )
③순위 ( )
④순위 ( )
⑤순위 ( )

11. 2018년을 돌아보았을 때, 민간 비영리 분야에서 대응해야 할(혹은 대응했어야 할) 주요 사


회이슈(문제)는 무엇이었습니까? 우선순위를 정하셔서 3가지를 적어주십시오. ( ※ 추가적
인 내용이 있다면 4~5순위도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①순위 ( )
②순위 ( )
③순위 ( )
④순위 ( )
⑤순위 ( )

184
부록

12. 2018년을 돌아보았을 때, 모금분야에서 발생한 변화 혹은 사건 중 기억나는 것은 무엇이


었습니까? 우선순위를 정하셔서 3가지를 적어주십시오. ( ※ 추가적인 내용이 있다면 4~5
순위도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①순위 ( )
②순위 ( )
③순위 ( )
④순위 ( )
⑤순위 ( )

※ 아래의 항목에 대해 전년(2017년) 대비 올해(2018년)의 상황을 평가해주시기 바랍니다.


①전년 대비 매우 좋지 않았다
②전년 대비 좋지 않았다
③전년과 비슷하다 ① ② ③ ④ ⑤

④전년 대비 좋았다
⑤전년 대비 매우 좋았다
13. 2018년 모금/기부 상황

14. 2018년 비영리 운영의 전반

18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2019년 전망

※ 다음은 2019년 기부/나눔 성장정도를 전망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항목에 대해 올해


대비 내년의 상황을 전망해주시기 바랍니다.

① 올해 대비 크게 감소할(나빠질) 것이다
② 올해 대비 감소할(나빠질) 것이다
③ 올해와 비슷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④ 올해 대비 증가할(좋아질) 것이다
⑤ 올해 대비 크게 증가할(좋아질) 것이다

15. 내년도 개인기부금(액) 전망

16. 내년도 기업기부금(액) 전망

17. 내년도 기부참여율 전망

18. 내년도 전반적인 모금환경 전망

19.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① 인구집단의 변화(세대 간 차이, 1인가구의 증가 등)
② 법·제도 등의 정책 환경 변화
③ 경제상황
④ 모금기관의 신뢰성과 투명성
⑤ 기술발전(핀테크 등의 새로운 결제수단의 등장)
⑥ 선호하는 기부처의 변화(ex. 전통적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적 기업, 공익단체 등으로의
선호 변화)
⑦ 사회적 이슈나 담론(ex. 일자리, 젠더, 평화/통일 등)
⑧ 미디어 매체 환경의 변화(ex. 공중파 중심에서 다양한 뉴미디어로의 미디어 환경 변화)
⑨ 기타( )

186
부록

20. 밀레니얼 세대(20대 초반~30대 중반)*가 중요한 소비집단으로 등장하면서 이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소비트렌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이 주도하는 가치소비(윤리소비), 자기주
도적 소비, 경험소비(재화보다는 경험을 중시) 트렌드가 2019년의 기부/나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①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②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⑤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⑥ 잘 모르겠다

* 밀레니얼 세대 : Y세대라고도 함. 디지털 기반의 활동에 익숙한 세대로,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임.
한국의 경우 1985~1999년생 정도가 해당됨.

21.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인구집단의 변화가 기부 및 사회이슈와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개인적인 전망과 의견이 있다면, 자유롭게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2. 귀하는 디지털 기술(핀테크, 각종 페이, 블록체인 등)의 발전이 2019년의 기부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십니까?
①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②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③ 영향을 받을 것이다
④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
⑤ 모르겠다

23. 핀테크,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발전이 기부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개인적


인 전망과 의견이 있다면, 자유롭게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8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24. 귀하는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기부콘텐츠의 변화(예를 들면 개인활동에 대한 기


부, 공익적 요소를 가미한 상품판매를 결합한 기부 등)가 2019년의 기부에 어느 정도 영향
을 줄 것으로 판단하십니까?
①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②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③ 영향을 받을 것이다
④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
⑤ 모르겠다

25. 상기의 다양한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에 관한 개인적 전망과 의견이 있
다면 자유롭게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6. 2019년 민간 비영리 분야에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는 주요 사회이슈는 무엇이었습니까?


우선순위를 정하셔서 3가지를 적어주십시오. ( ※ 추가적인 내용이 있다면 4~5순위도 적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①순위 ( )
②순위 ( )
③순위 ( )
④순위 ( )
⑤순위 ( )

27. 향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가장 잘 만들어낼 수 있는 곳은 어디라고 보십니까?


우선순위 두 가지를 선택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① 정부
② 기업
③ NPO
④ 학교(대학)
⑤ 종교기관
⑥ 공공-민간 파트너십
⑦ 사회적 기업
⑧ 개인(ex. 소셜 인플루언서)
⑨ 기타 ( )

188
부록

시민들의 기부행위에 대한 인식

28. 귀하는 시민들이 기부에 참여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남을 돕는 것이 행복해서(보람을 느껴서)
② 불쌍한 사람을 위해서
③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 싶어서
④ 시민으로서 해야 할 책임이라고 생각해서
⑤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서

29. 귀하는 시민들이 기부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부단체의 인지도
② 기부단체의 투명성과 신뢰성
③ 기부단체에 대한 지인의 소개나 권유
④ 기부단체의 활동 분야나 수혜자에 대한 관심

30. 귀하는 시민들이 기부를 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부에 관심이 없어서
② 기부할 만한 경제적 여력이 없어서
③ 기부단체를 신뢰하지 못해서
④ 기부단체나 방법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⑤ 기부는 개인이 아니라 국가가 세금으로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서

18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31. 다음의 모금 방법들 중에서 2019년 비영리 모금기관들이 전반적으로 많이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은 무엇입니까?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세 가지를 골라주십시오.

모금 방법 1순위 2순위 3순위

① 직접 우편(예. 지로모금)

② 전화로 기부요청(예. ARS 모금)

③ 특별 모금 행사

④ 이메일로 기부요청

⑤ 인터넷 또는 웹사이트를 통한 모금캠페인

⑥ 방송을 통한 모금 캠페인

⑦ 개인을 대상으로 한 고액기부 요청: 계획기부, 유산기부 등

⑧ 기업을 대상으로 기부요청

⑨ 재단 등 배분조직에 대한 지원요청

⑩ 기타 ( )

32. 귀하는 우리사회의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내용 1순위 2순위 3순위

①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확대

② 나눔교육, 대중 캠페인 등을 통한 나눔에 대한 인식 개선

③ 기부단체의 자금운영 투명성 강화

④ 소득공제 확대 등 세금혜택 강화

⑤ 기부방법의 편리성 증대

⑥ 경조금기부, 유산기부 등 다양한 기부방법 홍보

⑦ 기부자에 대한 예우 혜택 강화

⑧ 기타 ( )

190
부록

※ 다음의 분야 중 현재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 향후 기부자들의 주목을 받을 분


야,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기부자 선호무관)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33. 34. 35.


분야 기부자 향후 기부
선호분야 성장분야 필요분야
① 국내의 사회복지 또는 자선 분야

② 외국의 의료, 자연재해(태풍, 지진등) 지원 등 해외구호


분야 (예 : 아프리카 의료지원)

③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분야

④ 병원 등 의료분야

⑤ 미술관, 문화재단, 박물관 등 문화예술분야

⑥ 사회권익단체(참여연대, 장애인인권센터등), 환경 및 동물
보호단체 등 NGO 분야

⑦ 지역사회발전분야 (주민센터, 지역도서관지원등)

⑧ 기타 ( )

19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부록 2-1>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9 23.8

동의 43 53.8

그저 그렇다 12 15.0

동의하지 않음 6 7.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부록 2-2> ‘모금시장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2 27.5

동의 40 50.0

그저 그렇다 12 15.0

동의하지 않음 6 7.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92
부록

<부록 2-3>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2 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40 5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27 33.8
전년 대비 좋았다 11 13.8
전년 대비
0 0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부록 2-4> 2017년 대비 2018년의 비영리 운영 전반의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1 1.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32 4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41 51.3
전년 대비 좋았다 5 6.3
전년 대비
1 1.3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19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5>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5 18.8

동의 28 35.0

그저 그렇다 28 35.0

동의하지 않음 9 11.3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부록 2-6> ‘혁신모금 태동으로 인한 전통적 모금방식의 퇴조’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16 20.0

동의 33 41.3

그저 그렇다 21 26.3

동의하지 않음 10 12.5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94
부록


<부록 2-7> ‘자 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1 26.3

동의 41 51.3

그저 그렇다 15 18.8

동의하지 않음 3 3.8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부록 2-8> ‘자 적 기부에서 사회적 기여로’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25 31.3

동의 39 48.8

그저 그렇다 13 16.3

동의하지 않음 3 3.8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9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9>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평가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45 56.3

동의 32 40.0

그저 그렇다 3 3.8

동의하지 않음 0 0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부록 2-10> ‘사회적 투명성 강화’에 대한 2019년 전망

구분 N(명) 비율(%)

매우 동의 50 62.5

동의 29 36.3

그저 그렇다 1 1.3

동의하지 않음 0 0

전혀 동의하지 않음 0 0

합계 80 100.0

196
부록

<부록 2-11> 2018 트렌드에 대한 NPO의 대처


구분 N(명) 비율(%)
전혀 대처하지
4 5.0
못하고 있다
대체로 대처하지
41 51.3
못하고 있다
보통이다 25 31.3
어느 정도 대처하고
10 12.5
있다
매우 잘 대처하고
0 0
있다
합계 80 100.0

<부록 2-12> 2018년 전망에 대한 전반적 타당성

구분 N(명) 비율(%)

매우 타당하다 15 18.8

타당하다 54 67.5

보통이다 9 11.3

타당하지 않다 2 2.5

전혀 타당하지 않다 0 0

합계 80 100.0

19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13> 2017년 대비 2018년의 모금/기부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2 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40 5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27 33.8
전년 대비 좋았다 11 13.8
전년 대비
0 0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부록 2-14> 2017년 대비 2018년의 비영리 운영 전반의 상황

구분 N(명) 비율(%)
전년 대비
1 1.25
매우 좋지 않았다
전년 대비
32 40.0
좋지 않았다
전년과 비슷하다 41 51.3
전년 대비 좋았다 5 6.3
전년 대비
1 1.3
매우 좋았다
합계 80 100.0

198
부록

<부록 2-15> 2018년 사회적 사건 / 이슈


구분 주요 내용
남북 관련 이슈 남북정상회담, 평화, 통일
젠더 이슈 미투(운동), 성평등, 페미니즘, 젠더 간 갈등/혐오
경제정책 변화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부동산 폭등
사회갈등 세대갈등, 양극화, 빈부격차
일자리 취업, 실업, 청년실엄, 자영업자
환경문제 미세먼지, 플라스틱, 폭염
기술발전 4차 산업혁명, 가상화폐, 블록체인, 비트코인, 1인 미디어
공정 갑질사건, 비정규직, 위험의 외주화, 시험문제 유출 사건
비영리 투명성 투명성, 어금니 아빠, 사립유치원 비리, 유치원보조금
소수자/난민/다문화 다문화중학생 추락사, 난민문제, 퀸 재조명(소수자)
안전 저유소 폭발, BMW화재, 고시원 화재, 산재사망
묻지마범죄 PC방 살인사건, 강력범죄, 청소년 살인사건
문화이슈 동계올림픽, 월드컵, BTS
기타 정치 이슈 지방선거, 정권교체, 이명박 구속, 사법농단, 노회찬 자살, 적폐청산
기타 사회이슈 저출산, 1인가구 증가, 자살률, 고령화, 국제무역분쟁
기업사회공헌 위축, 비영리단체 청와대 초청, 인도네시아 지진피해 모
기타 비영리 이슈
금, 사회적경제분야 성장, (기부활성화 관련) 정부의 보여주기식 활동


<부록 2-16> 2018년 비영리 야에서 대응했어야 할 이슈
구분 주요 내용
남북 관련 이슈 대북지원, 이산가족 상봉, 평화분위기 조성, 통일복지 준비
젠더 이슈 미투운동, 성평등, 페미니즘에 대한 올바른 대응
경제정책 변화 최저임금 인상, 52시간 근무제, 저성장, 부동산문제
• 사회갈등 중재 : 혐오/갑질, 사회갈등 완화
사회갈등
• 양극화문제 : 빈곤의 대물림, 빈부격차, 경제/사회적 불평등
일자리 청년 일자리, 비영리 방식의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사회적 일자리
환경문제 미세먼지, 쓰레기 대란, 분리수거, 폭염, 환경/기후변화
대외환경변화 기술발전, 블록체인, 1인 미디어
공정 위험의 외주화, 공정/공평한 사회 만들기, 기업비리
• 투명성 저해 사건/사고 : 기부포비아, 사립유치원사태, 잘못된 단체
운영, 비영리 신뢰도 하락(불신문화)
비영리 투명성
• 자정노력과 대응 : 비영리 내부의 투명성 강조 및 노력, 공익위원
회, 공익법인회계기준, 시민사회발전기본법
소수자/난민/다문화 난민 이슈, 문화다양성
안전 김용균씨 죽음, 고시원 화재
묻지마범죄 -
문화이슈 -
기타 정치 이슈 사법농단, 선거법, 정치모금 문제
제도변화(커뮤니티케어, 부동산 등), 취약계층 지원, 인권옹호, 저출산
기타 사회이슈
및 고령화 등
기부활동(유산기부, 모금액 감소 등), 인식개선, 역량강화, 사회혁신,
기타 비영리 이슈
사회연대 등

19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17> 2018년 모금 야의 변화 또는 사건
구분 주요 내용
NPO 관련 각종 부정적 사건/언론보도, 어금니아빠, 새희망
NPO 불신 유발 사건
씨앗, 비영리 내부갈등

비영리 대기업 출연 공익법인 전수조사, 공익법인 회계기준 적용, 국


투명성 요구
투명성 세청 공시기준 변경, 정부 감독 강화, 공익위원회
및 신뢰 모금기관의 대응 투명성에 대한 움직임, 투명성을 담보하는 모금/기부 플랫폼
사회적 책임성 요구, 신뢰도 저하, 대중의 불신, 기부에 대한
기부문화 위축
부정적 정서 심화, 풀뿌리 기부문화 확산 미흡, 항의댓글
성장률 정체, 모금시장의 위축, 모금기관의 양극화, 모금액 감
모금 저성장
소, 모금 총량 감소, 개인기부자 감소
단체 간 치열한 경쟁, 주요 대학 및 대형병원의 모금 조직화
경쟁심화
모금환경 및 강화, TV광고 단체의 증가
진단 기업기부에 정부 입김 축소, 모금회의 정치적 의존성, 정부
정부의 역할 변화
복지기능 확대, 사회적 경제로 관심 전환
기업기부금 규모 축소, 대기업 중심의 기부, 기업기부의 불확
기업의 역할 변화
실성 상승, 기업재단에 대한 책임성 요구 증대
모금의 다변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모금, 전통적 모금방
모금방식의 다양화
식의 축소, 디지털 모금의 강화, 다양한 기부플랫폼
새로운 모금이슈의 등장, 사회적 가치 이슈의 본격화, 사회혁
모금 모금내용의 다양화
신기금, 사회적 투자의 기부, 유산기부 관심 고조
활동의
다양화 팬덤의 기부활동 확대, 소셜 벤처 등의 출현, 다양한 모금 주
주체의 다양화
체 등장
고액기부 강화, 고액기부의 지속적 성장, 기부동기의 변화, 기
개인기부
부 충성도 감소
비영리 조직 내부 모금활동의 전문성 증대, 모금전문가 양성 부족, 비영리단체
시스템 및 제도 리더십 약화
사회적 성과 요구 사회적 임팩트의 강조, 사회적 성과, 변화와 혁신 강조
비영리
운영 신규기부자 유입을 위한 활동, 모금참여 유도 기사 감소, 공
홍보/언론활동
익마케팅의 증대, 빈곤포르노
기부쓰레기, 고려대 400억 기부, 모금단체 대표 청와대 초청
기타
행사, 라오스 댐 붕괴 사고

200
부록

<부록 2-18> 2019년 개인기부금(액)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1 1.3
감소할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40 50.0
것이다
2018과 비슷할
32 40.0
것이다
2018 대비 증가할
7 8.8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0 0
증가할 것이다
합계 80 100.0

<부록 2-19> 2019년 기업기부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0 0
감소할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35 43.8
것이다
2018과 비슷할
36 45.0
것이다
2018 대비 증가할
9 11.3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0 0
증가할 것이다
합계 80 100.0

20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20> 2019년 기부참여율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0 0
감소할 것이다
2018 대비 감소할
42 52.5
것이다
2018과 비슷할
33 41.3
것이다
2018 대비 증가할
5 6.3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0 0
증가할 것이다
합계 80 100.0


<부록 2-21> 2019년 전반적인 모금 경 전망

구 분 N(명) 비율(%)
2018 대비 크게
2 2.5
나빠질 것이다
2018 대비 나빠질
47 58.8
것이다
2018과 비슷할
28 35.0
것이다
2018 대비 좋아질
3 3.8
것이다
2018 대비 크게
0 0
좋아질 것이다
합계 80 100.0

202
부록

칠 가장 중요한 요인
<부록 2-22> 2019년 기부에 영향을 미
구 분 N(명) 비율(%)
인구집단의 변화 1 1.3
법 제도 등의 정책환경 변화 4 5.0
경제상황 46 57.5
모금기관의 신뢰성과 투명성 12 15.0
기술발전 2 2.5
선호하는 기부처의 변화 4 5.0
사회적 이슈나 담론 7 8.8
미디어 매체 환경의 변화 1 1.3
기타 3 3.8
합계 80 100.0

20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23> 밀레니얼 세대가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전혀 영향을 미치지
0 0
않을 것이다
영향을 미치지 않을
4 5.0
것이다
그저 그렇다 10 12.5
영향을 미칠 것이다 45 56.3
상당한 영향을 미칠
21 26.3
것이다
잘 모르겠다 0 0
합계 80 100.0

<부록 2-24>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거의 영향을 받지
2 2.5
않을 것이다
큰 영향은 없을
34 42.5
것이다
영향을 받을 것이다 32 40.0
상당한 영향을 받을
10 12.5
것이다
모르겠다 2 2.5
합계 80 100.0

204
부록

<부록 2-25> 2019년 많이 시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금방법


1순위 2순위 3순위 1-3순위 합계
구분
N(명) 비율(%) N(명) 비율(%) N(명) 비율(%) N(명) 비율(%)
직접 우편 1 1.3 1 1.3 2 2.5 4 1.7
전화로 기부요청 1 1.3 2 2.5 2 2.5 5 2.1
특별 모금행사 7 8.8 11 13.8 13 16.3 31 12.9
이메일로 기부요청 0 0 2 2.5 0 0 2 0.8
인터넷 모금캠페인 42 52.5 14 17.5 11 13.8 67 27.9
방송 모금캠페인 9 11.3 11 13.8 13 16.3 33 13.8
개인대상 고액기부 7 8.8 13 16.3 14 17.8 34 14.2
기업 기부 요청 13 16.3 25 31.3 22 27.5 60 25.0
무응답 0 0 1 1.3 3 3.8 4 1.7
합계 80 100.0 80 100.0 80 100.0 240 100.0


<1 위> 순
< 2 위>


<3 위>

20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26> 기부 콘텐츠의 변화가 기부에 미칠 영향


구 분 N(명) 비율(%)
거의 영향을 받지
1 1.3
않을 것이다
큰 영향은 없을
15 18.8
것이다
영향을 받을 것이다 41 51.3
상당한 영향을 받을
23 28.8
것이다
모르겠다 0 0

합계 80 100.0

<부록 2-27>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52 65.0
해외구호 18 22.5
교육분야 2 2.5
의료분야 2 2.5
문화예술분야 1 1.3
NGO 3 3.8
지역사회발전 2 2.5
기타 0 0
합계 80 100.0

206
부록

<부록 2-28> 향후 기부자들의 주목을 받을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20 25.0
해외구호 7 8.8
교육분야 1 1.3
의료분야 1 1.3
문화예술분야 10 12.5
NGO 22 27.5
지역사회발전 17 21.3
기타 2 2.5
합계 80 100.0

<부록 2-29> 기부가 가장 필요한 분야


소속 N(명) 비율(%)
국내 복지/자선 19 23.8
해외구호 6 7.5
교육분야 1 1.3
의료분야 3 3.8
문화예술분야 4 5.0
NGO 34 42.5
지역사회발전 10 12.5
기타 3 3.8
합계 80 100.0

20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2-30> 2019년 비영리에서 대응해야 할 이슈


구분 주요 내용
•투명성/신뢰 강화 노력 : 투명성 가이드, 복지계에 대한 사
회적 신뢰성 강화, 기부금 관리이슈, 정보공개 강화, 사업과
비영리 투명성과 신뢰 운영의 책무성
•인식변화/개선 : 기부포비아 분위기 쇄신, 대중 인식 개선,
투명성 강화 운동 전개
기부금품모집법 개정, 기부관련 정책변화에 공동 대응, 기부
법/제도 변화
금 관련 제도 정비/개선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모금방법 개발, 혁신적인 모금방식에
새로운 모금방법
대한 대응, 스마트 기부활동의 증가
기부
새롭고 괜찮은 기부콘텐츠의 개발, 모금 참여 우수사례 보급,
관련 기부 콘텐츠
체험 기부활동의 증가
배분사업의 임팩트 측정과 성과관리, 모금에 대한 사회적 가
성과관리
치와 임팩트 고려
•기부문화 위축 : 모금실적 저조, 경제 악화로 인한 위축
모금환경의 변화 •정부와의 관계 변화 : 공공-민간 협치, 시민사회파트너십
•기타 : 공유경제, 트렌드에 대한 민감성 유지
•기관운영 : 의사결정권자의 의식변화, 비영리 혁신
비영리 운영
•비영리의 역할 : 균형발전, NPO 간 협업
기타 온라인을 통한 자유로운 기부활동 문제, 정부 결탁 모금
•이슈 제시 : 공감할 수 있는 이슈 제시, 사회적 요구에 부
응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 사회적 영향 고려
방향성
•사회혁신과 연대 : 파트너십을 통한 문제해결력 강화, 사회
혁신 솔루션/교육
새로운 영역 개발 전통적 복지영역의 최소한 지원,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및 대응
남북협력/평화 남북교류와 통일문제, 남북협력, 북한의 환경 변화 대응
•갈등 대응 : 세대갈등, 사회갈등 중재, 젠더 대결 문제, 갑
사회통합 질 성평등, 혐오문제
•양극화 : 주거, 일자리, 소득, 경제적 배분, 형평성
•실업문제 대응 : 청년실업과 고용, 사회적 일자리 창출
고용/노동 이슈 대응 •비정규직 문제 : 비정규직 사회안전망
사회이슈
관련 •노동환경 : 노동현안 대응, ILO 100주년 맞이 협약 비준
환경문제 미세먼지, 수질오염, 기후변화
•빈곤문제 대응 : 상대적 빈곤, 빈곤 확대, 노인빈곤, 신빈곤
층(청년) 확대, 저소득층 빈곤 심화
•위기가정 지원 : 복지사각지대, 저소득층 자녀 의료비, 초취
취약계층지원 약계층에 대한 관심 유도와 옹호
•소수자/난민/다문화 : 권리보장, 문화다양성, 인권옹호
•아동/노인/장애인 : 학대 및 방임, 지역사회 어린이 보육,
육아, 독거노인, 발달장애인과 가족
인구 및 가족구조 변화 저출산, 1인 가구 증가, 급격한 고령화 등
기타 주택문제 대응, 안전/재난

208
부록

[부록 3] 2019 한국사회 핵심 트렌드 정리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9년을 지배할 핵심 트렌드로 논의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2019년 핵심 트렌드를 추출하기 위해 기존의 트렌드 저작 10종을
분석하였고 핵심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작물
<부록 3-1> 2019 트렌드 저
연번 제목 저자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1 트렌드 코리아 2019
최지혜, 이수진, 서유현, 권정윤
2 디지털 트렌드 2019 연대성

3 모바일 트렌드 2019 커넥팅랩


4 라이프 트렌드 2019 김용섭

5 2019 대한민국 트렌드 최인수, 윤덕환, 채선애, 송으뜸, 김윤미

6 핫트렌드 2019 어나더 라이프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김정구, 박현영, 신수정, 염한결, 이예은,
7 2019 트렌드노트 생활변화 관찰기
이효정
8 미세유행 2019 안성민

9 트렌드 MZ 2019 대학내일20대연구소

10 포워드 2019 미래를 읽다 차두원

본 절에서는 핵심 트렌드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생활양식과 관련된 트렌


드, 소비와 관련된 트렌드, 기술발전과 관련된 트렌드, 환경과 관련된 트렌드가 바로
그것이다.

1.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


가. 1인 체제의 나비 과 : 1인 체제, 횰로, 혼자가 제맛!
새로운 세대로 떠오르는 밀레니얼 세대는 전체 인구의 29.1%를 차지하며 기존 세
대의 가치관에 대한 순응을 거부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주장하며 밀레니얼 세대의 중

20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김정구 외, 2018). 이들은 미디어에 익숙하고, 디지털과 함께 자


라왔기 때문에 자기감정을 스스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사람과의 직접
적인 관계를 맺기 더 어려워 온갖 걱정을 안겨주지만 행복을 강요하는 감정 과잉의
시대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을 곳이 없어 감정대리인을 찾기도 한다(김난도,
2018). 하지만 모순적이게도 혼자 있고 싶지만 외로움을 느끼고 싶지 않은 마음을 크
게 느끼기도 한다(김용섭, 2018). 그렇기 때문에 관계를 깊게 맺지는 않지만 자신이
필요로 할 때만 관계를 하는 세뮤니티족이 생겨나기도 하고, 대화는 하지 않지만 교
류를 원하는 사람들이 모여 실제적인 대화가 오가지는 않지만 좋아하는 가수나 연예
인의 사진을 올리거나 이모티콘으로 답하고 반응하는 고독한 OOO라고 이름을 붙이
는 오픈채팅 방도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오프라인에서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것보다 온라인에서 관계를 맺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데 결국 이들은 사람 간의 감정적 교류를 원하는 것이 아닌 그저
같이 있는 ‘느낌’, 함께 하는 ‘느낌’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감정적 교류에
관하여서 필요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넘어 그 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꺼리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내가 평소 좋아하는 것들, 관심 있는 것들에
관한 데이터를 알아서 수집하고, 내 감정을 이야기하고, 공감해줄 수 있는 인공지능
을 지닌 로봇이나 챗봇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연대성, 2018).

핵심 트렌드 1 : 1인 체제의 확대 : 혼자가 제맛!


­ ‘혼자 있고’싶지만, ‘혼자이고’싶진 않아[⑧]
­ 감정대리인[①]
­ 챗봇 [⑥]
­ 혼자인 듯 혼자가 아닌 실시간 방송
­ 고독한OO방 : 대화를 하면 추방! 올리는 것은 사진과 이모티콘 뿐 [①]
­ 챗봇 열풍 [②]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210
부록

우 따르다.
나. 내 안의 기준을 세 고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의 기준을 더욱 확고히 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주장하
는데에 거침없는 세대이다. 그 세대의 특성에 맞춰 나온 새로운 용어들이 만들어졌
다. 그 중 하나가 마이싸이더로 마이싸이더는 My(나)와 side(-을 중심으로 한), er(사
람)을 합친 단어로 내 안의 기준을 세우고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이제 전
형적 아름다움이 아닌 자기 기준에 맞는 매력에 환호한다(대학내일20대연구소, 2018).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일반적인 유행을 따르지 않는다. 오히려 개성이 존중되고, 다
양한 가치가 공존하고 있다. 사회적인 이슈나 사건과 같은 것에 기준을 두는 것이 아
닌 각 개인에게 흥미가 있을 주제에 더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소비가 아닌 쾌락적이고 유희성이 강한, 가벼운 터치와
직관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김난도, 2018). 혼자에 익숙하고 혼자 있기를 좋
아하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이기 때문에 ‘나’를 중심으로 기준과 취향을 더욱 세분
화 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라이프 스타일도 다양화되고 있다. 남과 다른 자기만의
취향을 자각하고, 드러내고, 공유하려고 하는 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기가 좋아하
는 것에 집중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취향을 가진다(김용섭, 2018).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에 대한 반응에도 같이
작용한다. 그래서 자신의 소신을 거리낌 없이 말하는 밀레니얼 세대, Z세대를 뜻하는
말로 소피커라는 말이 생겨는데 이는 所/小(바 소/작을 소)와 speaker(말하는 사람)
의 합성어로 아무리 작은 사안이라도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를 스스럼없이 전한다(대
학내일20대연구소, 2018).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들은 자기주장을 내세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제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하는 점에 있다. 어떤 문제가 발생
했을 때 의견을 펼치는 것과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제
시하고 행동에 옮기는 데 특징이 있다. 이들로 인해 탈코르셋, 에코 슬리브, 실리콘
빨대 사용이 확산되기도 했다.

21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핵심 트렌드 2 : 내 안의 기준을 세우고 따르다.


­ 나나랜드 : 자기만의 기준으로 스스로를 사랑하고 지켜나간다 [①]
­ 싱글 오리진 : 모두를 만족시킬 것이 아닌 나만 만족시켜주면 충분하다 [④]
­ 마이싸이더 : 내 안의 기준을 따른다 [⑨]
­ 취향, 내 공간, 내 집, 내 가치관, 내 소신이 중요 [⑨]
­ 우리나라에서 나의 나라로 [⑤]
­ 소속이 아닌 취향으로 자신을 증명하는 세대 [⑨]
­ 소피커 : 소신껏 말하고 행동한다 [⑨]
­ 탈코르셋, 에코 슬리브, 실리콘 빨대 [⑨]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다. 균형을 넘어 ‘나’에 집중하기 : 워라밸의 진화


2018년 떠오르는 라이프 트렌드인 욜로(YOLO : you only live once)와 워라밸과
유사한 새로운 트렌드가 등장했다. 라고머가 그것이다. 라고머는 스웨덴 어 ‘라곰’에
서 유래된 것으로 스웨덴식 라이프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라곰은 어떤 사람이 되겠
다고 치열하게 계획하고 자신을 채찍질하기보다 현재 나의 모습에서 행복을 찾는 것
을 말한다(김경훈, 2018). 이는 ‘나’의 ‘현재’에 주목하는 욜로열풍과도 비슷하게 보인
다. 하지만 욜로는 현재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면 라곰은 현재의
상태에 만족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라곰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마음 가치로
두고, 삶과 일이 균형을 이루는 삶을 추구한다. 라고머는 이런 라곰의 정신을 이해하
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소박하고 균형 잡힌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라곰의
가치는 최고보다 최적의 상태를 따라갈 때 발현된다.
‘라곰스럽게’사는 사람들은 단순하고 실용적 기준과 방식으로 삶을 살아간다. 인간
관계에서, 식사에서, 운동을 할 때, 직장생활을 할 때 모두 이 기준이 적용된다. 삶에
대해 야심찬 목표를 갖는 것이 아닌 평범함과 별스럽지 않은 것을 추구하는 삶, 저녁
이 있고 자기만의 시간에서 자기애를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삶의 방식을 추구한
다. 소득 수준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적고, 미래 전망이 불투명하고 넉넉하지 않은

212
부록

현실의 삶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만족할 수 있는 방향을 좇는 것이다(최인수 외,


2018). 라곰 라이프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마치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
라밸(Work and Life Balance)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 워라밸에 관한 언급은 2017년
대비 2018년에 더 증가하였고, 퇴근 후 삶의 태도와 가치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김정
구 외, 2018). 하지만 균형적인 삶을 추구하는 모습이 2018년과는 조금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처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았던 사람들은 ‘시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인
의 시간이 없고, 사적인 시간을 보낼 수 없어서 퇴근 후의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시
간’의 확보에 주로 관심이 맞춰져 있었다. 그리고 확보된 시간을 친구들과 시간을 보
내거나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지금은 퇴근 후 친구
와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자기 자신을 위한 행위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
는데 이들은‘나’를 중요시하고, 드러내고 하는 모습이 확산되면서 제2교시라고 칭하는
퇴근 이후의 시간에 가시적인 결과물을 가져다주는 운동을 하거나 문화센터에서 무
언가를 만드는 것과 같은 활동을 주로 한다(김정구 외, 2018). 이런 활동들로 오롯이
자기만의 시간을 갖거나, 나만의 공간에 머무르며 사회에서 겪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벗어나 혼자 있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가고 있다(최인수 외, 2018).

핵심 트렌드 3 : 워라밸의 진화 : 균형을 넘어 ‘나’에게 집중하기


- 라곰, 라고머 : 삶과 일이 균형을 맞추는 평범하고 별스럽지 않은 삶을 살아간다. [⑥]
- 워라밸, 욜로 라이프 [①]
­ 제 2교시 : 퇴근 후의 새로운 나의 일과 [⑦]
­ 오롯이 나만의 공간, 자기만의 시간이 필요하다[⑤]
­ 중요한 것은 시간 확보가 아닌 자기계발[⑦]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21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2. 소비 트렌드

가. 취향과 가치소비
2019년 소비 트렌드는 ‘취향’이다. 새로운 세대의 부상은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정한 것에 대해 소비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사람이
지닌 취향과 가치이다. 그 중의 하나로 문화로 떠오르는 것이 살롱의 부활이다. 이
살롱은 기존의 친구라는 개념이 학연과 지연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이제 취향과 공
감대를 중심으로 전환되는 것을 받아들인 사람들에 의해서 살롱 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살롱 문화는 오직 지적 탐닉과 취향에 대한 적극적 공유만 있으면 되는데,
오늘날 누구나 취향을 가지는 것을 당연시 여기고 취향을 키우기 위해 적극적인 투
자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김용섭, 2019).
사람들의 가치는 개인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시장의 규모는 축소되고, 다양화되었
다. SNS채널을 통해 상품을 유통하고, 수많은 1인 사업자가 나타났다. 1인 1마켓, 1인
1기업과 같이 기존의 기업 조직이나 유통의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이 아닌 소비자 개
인이 SNS나 블로그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직접 판매에 나서고 있다. 이들 특성
은 자기 사용 혹은 만족을 위함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서 시장 시스템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존에 소비자들이 생산 활동에 참여하는 이들을 향해 프로
슈머라고 지칭하였지만 이제는 판매 활동에 참여하는 소비자로 셀슈머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셀슈머들이 주도하고 있는 극도로 세분화된 세포 단위의 시장이 바로
세포마켓이다(김난도 외, 2018). 이러한 세포마켓은 지역이나 거점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SNS와 블로그와 같은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
용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고, 소비자 측면에서도 원하는 제품을 즉각 검색하여 찾아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세포마켓은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시장이기 때문에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무시
할 수 없다. 인플루언서는 영향력 있는 개인을 뜻하는 단어로 기존의 연예인들에서
벗어나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수십만 명의 구독자(팔로
어)를 보유한 ‘SNS 유명인’을 지칭한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인플루언서를 1인 크
리에이터로 꼽을 수 있는데 최근에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보

214
부록

다 유튜브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유튜브에서 1인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목받고 있다. 유튜브는 사람과 깊은 관계를 맺고 싶진 않지만 외로움을 느끼는 세
대들에게도 적합한 콘텐츠로 꼽힌다. 실시간 방송을 통해 마치 소통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하지만 실제 관계는 한없이 가벼울 수 있고,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이
들은 학습과 호기심에 관하여 텍스트보다 영상을 통해 이해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각
개인의 취향에 따라 영상을 시청하거나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여 방송하기까
지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시청자이자 콘텐츠 제작자로 확장되
어가고 있다(김정구 외, 2018).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를 검색엔진으로 인식하
기 시작했고, 유튜브를 단순히 동영상을 보여주는 플랫폼을 넘어 소통의 공간으로 인
식하고 있다(최인수 외, 2018).

핵심 트렌드 4 : 취향과 가치소비


­ 어센틱 컨슈머 : 브랜드에 나와 같은 가치관을 요구하다[⑥]
­ 살롱의 부활 : 취향 맞는 사람의 아지트[④]
­ 가취관 : 가볍게 취향을 중심으로 관계하다[⑨]
­ 게릴라 취향 공동체 : 취향으로 뭉쳐 이슈에 반응하다[⑨]
­ 세포마켓 : 세포 단위의 시장이 만들어진다[①]
­ 셀슈머 : 판매에 참여하는 소비자[①]
­ 인플루언서 : 영향력 있는 개인[①]
­ 유튜브를 통한 랜선 라이프[⑦]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나. 필환경 시대
2018년에 들어서면서 환경 문제는 우리 삶에서 무척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환
경 문제에 민감해지면서 환경적 문제가 나의 문제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제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를 하면 좋은 것이 아닌 반드시 지켜야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김난도 외, 2018). 이는 그렇게 될 만큼 환경오염의 수준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
렀기 때문인데 그 중에서도 공기오염과 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하게 다루어졌다.

21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먼저, 대기오염은 미세먼지 농도의 연일 기록치가 갱신될만큼 최악의 상태를 보였


다. 그래서 마스크를 쓰고 외출을 자제하며 개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나의
문제로 영향력을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중국의 폐자재 수입 중단 결정으로 인한 쓰
레기 대란이 일어나면서 플라스틱 용기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분리배출에 신경
을 써야한다고 인식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2019대한민국트렌드). 플라스틱의 실제
재활용 비율은 9%밖에 되지 않지만 전 세계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양은 약 3억 3
천만 톤에 이른다. 그리고 폐기되는 플라스틱조차 해마다 바다로 흘러가는데 이런 플
라스틱 조각이 많은 해양생물을 비롯한 플랑크톤의 체내에서도 발견되었던 미세 플
라스틱은 결국 인간의 체내로 들어가게 된다는 문제가 떠오르는 등 새로운 환경문제
를 맞닥뜨리게 되었다(김난도 외, 2018).
그와 함께 플라스틱 어택 캠페인이 확산되고 있다. 그 캠페인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는 제로 웨이스트 운동, 플라스틱 제로, 플라스틱 프리와 같은 운동들이 활성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환경 문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받아들이기 시작
하며 기업들도 이에 대응한 움직임을 보였다. 실제 스타벅스에서도 재활용 빨대의 사
용 대신 종이 빨대로 교체하고 있고, CJ택배는 택배 배송 포장을 비닐테이프 대신 종
이 테이프를 사용하고, 완충재도 종이 재질로 바꾸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외 다양한 기업들이 플라스틱 어택 캠페인을 지지하며 환경을 위한 움직임에 동조하
고 있다(김용섭, 2018).

핵심 트렌드 5 : 필환경 시대
­ 중국의 폐자재 수입 중단 결정으로 인한 쓰레기 대란[⑤]
­ 제로 웨이스트 운동 : 쓰레기를 줄이자[①]
­ 컨셔스 패션 : 개념 있는 옷 입기[①]
­ 리디자인 : 재활용을 넘어 ‘새활용’으로[①]
­ 원 헬스 원 웰페어 : 동물과 인간의 복지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로 연결되어있다[①]
­ 활성화 되는 플라스틱 어택 캠페인[④]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216
부록

3. 기술발전에 따른 사회 변화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되며 35년간 지속적인 기술 발전이 이루어져왔다. 큰 변화
를 이끈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이전 기술과 구분하기 위해 세대라는 개념을 도입했
는데 이제는 4G를 넘어 5G의 시대가 도래하려고 한다. 2019년은 이 5G가 본격적으
로 시작되는 해로 보고 있다. 5G 기술의 발전은 그들이 지닌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
결이라는 특징을 통해 이전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다
양한 콘텐츠의 확장에 앞설 것으로 예측된다(연대성, 2018).
실제 5G 기술은 초연결이라는 특성을 통해 IoT(사물인터넷)시대의 확장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IoT란 주변에서 흔히 보고 쓰는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서
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한다. 그래서 5G 기술로 인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늘어나게 되고, IoT 기기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을 기대하
고 있다. 다양한 사물을 인터넷과 연결하여 기기를 직접 작동하러 가지 않더라도 가
습기를 틀고, 방 안의 스피커를 재생시키고, 청소기를 돌리는 등 더 많은 기기의 연
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5G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가장 큰 콘텐츠의 발전으로 보일 것이라 기대되는 분야
는 VR과 AR서비스이다. 기존의 AR과 VR 관련 콘텐츠 시장의 성장이 더딘 이유는 대
용량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의 한계로 인한 것이었지만 이제 5G의 초저지
연이라는 특성을 통해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지연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일방
적 정보 전달에서 벗어나 쌍방향적 특성을 갖고 있는 AR과 VR은 젊은 세대에 큰 영
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커넥팅랩, 2018). 이러한 기술은 콘텐츠 내에서 더 자연스러
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데 주로 게임 산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현재에도
VR은 교육용, 체험용, 업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진행 중이다.

핵심 트렌드 6 : 초연결시대
­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5G[②]
­ 일단 연결하고 보자[⑩]
­ IoT 시대[②]
­ VR과 AR의 확장[②]
주: 괄호안의 숫자는 <표 4-1>의 저서 연번을 의미

21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부록 4] [법령자료]

□ 법인세법
제24조(기부금의 손금불산입)
.................................
③ 제2항에서 법정기부금은 다음 각 호의 기부금으로 한다. <개정 2011. 7. 25.,
2011. 12. 31., 2013. 1. 1., 2014. 1. 1., 2015. 3. 27., 2018. 12. 24.>
1.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기증하는 금품의 가액. 다만, 「기부금품의 모
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기부금품은 같은 법 제5조제2항에 따라 접
수하는 것만 해당한다.
2. 국방헌금과 국군장병 위문금품의 가액
3. 천재지변으로 생기는 이재민을 위한 구호금품의 가액
4. 다음 각 목의 기관(병원은 제외한다)에 시설비ㆍ교육비ㆍ장학금 또는 연구비로
지출하는 기부금
가. 「사립학교법」에 따른 사립학교
나. 비영리 교육재단(국립ㆍ공립ㆍ사립학교의 시설비, 교육비, 장학금 또는 연구비
지급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한정한다)
다.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른 기능대학
라. 「평생교육법」에 따른 전공대학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시설 및 원
격대학 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마. 「경제자유구역 및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외국교육기관 설립ㆍ운영에 관한 특별
법」에 따라 설립된 외국교육기관 및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
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이 운영하는 국제학교
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학협력단
사. 「한국과학기술원법」에 따른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법」에 따른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에 따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및 「울산과

학기술원법」에 따른 울산과학기술원

218
부록

아.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립대학법인 서


울대학교,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립대학법
인 인천대학교 및 이와 유사한 학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학교
자. 「재외국민의 교육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한국학교(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학교만 해당한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
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하는 학교
5. 다음 각 목의 병원에 시설비ㆍ교육비 또는 연구비로 지출하는 기부금
가. 「국립대학병원 설치법」에 따른 국립대학병원
나. 「국립대학치과병원 설치법」에 따른 국립대학치과병원
다. 「서울대학교병원 설치법」에 따른 서울대학교병원
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설치법」에 따른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마. 「사립학교법」에 따른 사립학교가 운영하는 병원
바. 「암관리법」에 따른 국립암센터
사.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방의료원
아. 「국립중앙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립중앙의료원
자. 「대한적십자사 조직법」에 따른 대한적십자사가 운영하는 병원
차.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법」에 따른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 운영하는 병원
카.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법」 제13조의2에 따른 한국원자력의학원
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병원
파.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3조제1항제1호에 따른 의료기관

6. 사회복지사업, 그 밖의 사회복지활동의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모집ㆍ배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법인(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법인만
해당한다)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하는
법인에 지출하는 기부금

7. 삭제 <2017. 12. 19.>

21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④ 제2항에서 지정기부금은 사회복지ㆍ문화ㆍ예술ㆍ교육ㆍ종교ㆍ자선ㆍ학술 등 공


익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부금(제3항에 따른 법정기부금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 및 제29조에서 같다)으로 한다. <신설 2018. 12. 24.>
⑤ 제2항에 따라 법정기부금 및 지정기부금의 손금산입한도액을 초과하여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한 금액은 해당 사업연도의 다음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10년 이내에 끝
나는 각 사업연도로 이월하여 그 이월된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법정기부
금 및 지정기부금이 각각의 손금산입한도액에 미달하는 금액의 범위에서 손금에 산
입한다. <개정 2018. 12. 24.>
[전문개정 2010. 12. 30.]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8조(지정기부금단체등의 범위)
④ 영 제36조제1항제1호바목에 따른 지정은 매분기별로 한다. <신설 2008. 3. 31.,
2011. 2. 28., 2018. 3. 21.>
⑤ 영 제36조제1항제1호바목에 따라 추천을 하는 주무관청은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매분기 종료일부터 2개월 전까지 기획재정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1.
2. 28., 2013. 2. 23., 2017. 3. 10., 2018. 3. 21.>
1. 주무관청의 장의 관인이 날인된 별지 제63호의2서식의 기부금단체 추천서
2. 법인 등의 설립에 관한 다음 각 목의 서류
가. 「민법」 제32조에 따라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법인, 「공공기

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같은 법 제5조제3항제1호에 다른 공


기업은 제외한다) 또는 법률에 따라 직접 설립된 기관의 경우 : 법인설립허가서 및
법인 등기사항증명서(말소사항을 포함하며 제출일 전 1개월 이내에 발급된 경우로 한
정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나. 「협동조합 기본법」 제85조에 따라 설립된 사회적협동조합(이하 이 조에서 "
사회적협동조합"이라 한다)의 경우 : 사회적협동조합 설립인가증 및 법인 등기사항증
명서
다. 비영리외국법인의 경우 : 외국의 정부가 발행한 해당 법인의 설립에 관한 사항

220
부록

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3. 정관
4. 최근 3년간의 결산서 및 해당 사업연도 예산서. 다만, 제출일 현재 법인 등의 설
립기간이 3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서류
가. 제출 가능한 사업연도의 결산서
나. 해당 사업연도 예산서
다. 주무관청에 추천을 신청하는 날이 속하는 달의 직전 월까지의 월별 수입ㆍ지출
내역서
5. 지정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부터 5년이 경과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까지의 기
부금 모집을 통한 사업계획서
......................................................................
제18조의2(기부금단체의 의무이행 여부등 보고기한 등) ① 영 제36조제1항제1호각
목(마목은 제외한다)의 지정기부금단체등 또는 영 제36조의2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학교 및 법인(이하 이 조에서 " 학교등" 이라 한다)은 영 제36조제6항에 따른 의무이행
여부 또는 영 제36조의2제9항에 따른 요건 충족여부등(이하 이 조에서 " 의무이행 여
부등" 이라 한다)을 사업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주무관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8. 3. 21.>
② 주무관청은 제1항의 보고기한까지 의무이행 여부등을 보고하지 아니한 지정기
부금단체등 또는 학교등에 대해서는 제1항의 보고기한으로부터 2개월 이내에 의무이
행 여부등을 보고하도록 지체 없이 요구하여야 한다. <개정 2011. 7. 29., 2014. 3.
14., 2018. 3. 21.>
③ 주무관청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의무이행 여부등을 보고받은 경우에는 그
점검결과를, 보고받지 못한 경우에는 그 미보고 사실을 제1항의 보고기한으로부터 3
개월 이내에 국세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11. 7. 29., 2014. 3. 14., 2018.
3. 21.>
④ 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지정기부금단체등 또는 학교등 및 주무관청이 제출하는
서식은 다음 각 호의 서식에 따른다. <신설 2012. 2. 28., 2018. 3. 21.>

221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 법 인세법 시 행규칙 [별지 제 63호 의10서식] <개정 2018. 3. 21.>

지정기부금단체 의무이행 여부 점검결과 보고서


1. 단 체 인 적 사 항
① 법인(단체)명 ② 사업자등록번호(고유번호)
③ 대표자 성명 ④ 기부금단체 지정일
⑤ 소재지 ⑥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2. 의무이행 여부
⑦ 의무 ⑧ 의무이 ⑨ 점검
행 여부 결과
가. 정관 및 실제운영상 수입을 회원의 이익이 아닌 공익을 위하여 사용하고
사업의 직접 수혜자가 불특정 다수일 것(사회적협동조합의 경우 「협동조합
기본법」 제93조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공익사업을 수
행할 것)
나. 정관상 해산 시 잔여재산을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유사한 목적을 가진
다른 비영리법인에 귀속하도록 할 것
다. 인터넷 홈페이지가 개설되어 있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을 공개한다는 내용이 정관에 포함되어 있으며, 매년 기
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을 기부금단체와 국세청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사업
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각각 공개할 것
라. 해당 비영리법인의 명의 또는 그 대표자의 명의로 특정 정당 또는 특정인에 대
한 「공직선거법」 제58조제1항에 따른 선거운동을 한 것으로 권한 있는 기
관이 확인한 사실이 없을 것
마. 수익사업의 지출을 제외한 지출액의 100분의 80 이상을 직접 고유목적사업에
지출할 것(2012. 2. 2. 이후 지정된 단체의 경우 해당)
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0조의2제1항에 따른 전용계좌를 개설하여 사용할

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0조의3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서류등을 해
당지정기부금단체등과 국세청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시할 것(「상속
세 및 증여세법」 제43조의3제1항제1호에 따른 공익법인등은 제외)
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0조의4에 따른 공익법인등에 적용되는 회계기준에
따라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3조 따른 감사인에게 회계감사를
받을 것(「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3조제3항 및 같은 조 제4항제2호에 따른 공익
법인등은 제외)

「법인세법 시행령」 제36조제5항 및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8조의2제1항에 따라 지정기


부금단체 의무이행 여부를 보고합니다.
년 월 일

제출인 : (단체의 직인) [인]


귀하

222
부록

□ 소득세법
제34조(기부금의 필요경비 불산입)
④ 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필요경비 산입한도액을 초과하여 필요경비에 산입하지
아니한 기부금의 금액(제59조의4제4항에 따라 종합소득세 신고 시 세액공제를 적용받
은 기부금의 금액은 제외한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과세기간의 다
음 과세기간 개시일부터 10년 이내에 끝나는 각 과세기간에 이월하여 필요경비에 산
입할 수 있다. <개정 2012. 1. 1., 2014. 1. 1., 2018. 12. 31.>
.................................................................................................
제59조의4(특별세액공제)
④ 거주자(사업소득만 있는 자는 제외하되, 제73조제1항제4호에 따른 자 등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자는 포함한다)가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한 기부금[제50조제1항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사람(나이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며, 다른 거주자의 기본공제를
적용받은 사람은 제외한다)이 지급한 기부금을 포함한다]이 있는 경우 다음 각 호의
기부금을 합한 금액에서 사업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필요경비에 산입한 기부금을 뺀
금액의 100분의 15(해당 금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100
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이하 제61조제2항에서 "기부금 세액공제액"이라 한다)을 해
당 과세기간의 합산과세되는 종합소득산출세액(필요경비에 산입한 기부금이 있는 경
우 사업소득에 대한 산출세액은 제외한다)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제1호의 기부금과
제2호의 기부금이 함께 있으면 제1호의 기부금을 먼저 공제하되, 2013년 12월 31일
이전에 지급한 기부금을 2014년 1월 1일 이후에 개시하는 과세기간에 이월하여 소득
공제하는 경우에는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한 기부금보다 먼저 공제한다. <개정 2014.
12. 23., 2015. 12. 15., 2016. 12. 20., 2018. 12. 31.>
1. 법정기부금
2. 지정기부금. 이 경우 지정기부금의 한도액은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다.
가. 종교단체에 기부한 금액이 있는 경우
  한도액 = [종합소득금액(제62조에 따른 원천징수세율을 적용받는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은 제외한다)에서 제1호에 따른 기부금을 뺀 금액을 말하며, 이하 이 항에서
"소득금액"이라 한다] × 100분의 10 + [소득금액의 100분의 20과 종교단체 외에 지급

223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한 금액 중 적은 금액]
나. 가목 외의 경우
  한도액 = 소득금액의 100분의 30
.........................
제61조(세액감면액 및 세액공제액의 산출세액 초과 시의 적용방법 등)
② 제59조의2에 따른 자녀세액공제액, 제59조의3에 따른 연금계좌세액공제액, 제59
조의4에 따른 특별세액공제액, 「조세특례제한법」 제76조 및 같은 법 제88조의4제13
항에 따른 세액공제액의 합계액이 그 거주자의 해당 과세기간의 합산과세되는 종합
소득산출세액(제62조에 따라 원천징수세율을 적용받는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에 대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출세액은 제외하며, 이하 이 조에서 "공제기준산출세액"이라
한다)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금액은 없는 것으로 한다. 다만, 그 초과한 금액
에 기부금 세액공제액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부금과 제59조의4제4항제2호에
따라 한도액을 초과하여 공제받지 못한 지정기부금은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
간의 개시일부터 10년 이내에 끝나는 각 과세기간에 이월하여 제59조의4제4항에 따
른 율을 적용한 기부금 세액공제액을 계산하여 그 금액을 공제기준산출세액에서 공
제한다. <개정 2018. 12. 31.>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4항 중 “모집등록증”을 “별지 제2호서식에 따른 모집등록증”으로 한다.
제12조제2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② 위원장은 시ㆍ도 및 시ㆍ군ㆍ자치구의 경우 부단체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기
부담당 실ㆍ국장이 된다.
제12조제4항부터 제6항까지를 각각 삭제하고, 같은 조에 제7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
한다.
⑦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지방자치단체 기부심사 위원회
의 구성ㆍ운영에 필요한 세부적인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제14조제2항 중 “별지 제2호서식”을 “별지 제3호서식”으로 한다.

224
부록

제16조제2항 중 “별지 제3호서식”을 “별지 제4호서식”으로 한다.


제17조제1항 중 “별지 제4호서식”을 “별지 제5호서식”으로 한다.
제19조제1항 중 “별지 제5호부터 별지 제7호”를 “별지 제6호부터 별지 제8호”로
하고, 같은 조 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해당”을 “별지 제10호서식에 작성하여 해
당”으로, “14일”을 “30일”로 하며, 같은 조 제4항 중 “별지 제8호서식”을 “별지 제9
호서식”으로 하고, 같은 조 제5항 중 “공개하여야”를 “매 분기별로 공개하여야”로 하
며, 같은 조에 제6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⑥ 기부자는 모금자에게 기부금품의 사용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 할 수 있
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모집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제20조제2항 본문 중 “별지 제9호서식”을 “별지 제10호서식”으로 한다.
별지 제1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지 제3호서식(종전의 별지 제2호서식), 별지 제5호서식(종전의 별지 제4호서식),
별지 제9호서식(종전의 별지 제8호서식) 및 별지 제10호서식(종전의 별지 제9호서식)
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지 제1호서식]

기부금품 [[ ]] 모집등록
모집변경등록 신청서
※ 뒤쪽의 작성방법을 읽고 작성하시기 바라며, □ 에는 해당되는 곳에 √표를 합니
다. (앞쪽)
접수번호 접수일

성명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 외국국적동포
모집자 거소번호)
(개인) 주소 전화번호

명칭
모집자 주된 사무소 소재지 전화번호
(법인‧단
대표자 성명 대표자 생년월일
체)
대표자 주소 대표자 전화번호

모집목적
. . . ~ . .
모집기간 . 사용기한 . . .까지

225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모집목표액 원 모집지역
원 이내 (모집액의 % 이
모집비용 내)

※다음의 사항은 변경등록을 하는 경우에만 적습니다.


등록번호 등록연월일 . . .
변경 전 변경 후
변경사항
사유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같은 법 시행령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위와 같이 [ ]등록 ([ ]변경등록)을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행정안전부 장관 또는 시‧도지사 귀하

1. 모집목적, 모집금품의 종류, 모집목표액, 모집지역, 모집방법, 모집기간, 모집금품


의 보관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적은 모집계획서
2. 모집비용의 예정액 명세와 조달방법, 모집금품의 사용방법 및 사용기간 등을 구체적
으로 적은 모집금품의 사용계획
3. 모집 사무소를 두는 경우에는 그 소재지
4. 모집자가 법인ㆍ정당, 그 밖의 단체인 경우에는 정관, 당헌 또는 회칙ㆍ규약과 정당
첨부서류
등록증 사본 또는 단체신고증 등 해당 단체가 공인된 단체임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
본 수수료
5. 법 제4조제2항제4호아목에 따라 기부금품 모집등록을 하려는 자의 경우 모집된 금 없음
품으로 하려는 사업에 대한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기부금품 모집등록추천서
6. 기부금품 접수를 위한 금융기관의 예금통장 사본
7. 그 밖의 사항
담당공무
원 1. 법인등기사항증명서(신청인이 법인인 경우만 해당합니다)
확인사항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본인은 이 건 업무처리와 관련하여 담당 공무원이 「전자정부법」 제36조제1항에 따른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
여 위의 담당 공무원 확인 사항 제1호를 확인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신청인이 직
접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신청인(대표자)
(서명 또는 인)

210mm×297mm[백상지 80g/㎡(재활용품)]

226
부록

(뒤쪽)

유의사항

※ 기부금품 모집 등록신청서는 개별 모집 건별로 작성 제출하여야 합니다(예 : 불우이웃돕


기, 환경보호 등 모집목적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모집등록 신청합니다).

1. 법인방문자는 사원증(또는 재직증명서)과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명서를 함께 제시해야 합니다.

2.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라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


법으로 모집등록을 하고 기부금품을 모집할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
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3. 모집자가 외국인인 경우(법인 대표가 외국인 또는 외국국적동포인 경우 포함) 주민등록번호란에


외국인등록번호또는 외국국적동포거소번호를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처리절차

등록신청 è 접수 è 검토 è 결재 è 등록증 교부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신청인
시ㆍ도 시ㆍ도 시ㆍ도 시ㆍ도
210mm×297mm[백상지 80g/㎡(재활용품)]

별지 제2호서식 및 별지 제3호서식부터 별지 제9호서식까지를 각각 별지 제3호서


식, 별지 제4호서식부터 별지 제9호서식까지 및 별지 제1호서식으로 하고, 별지 제2
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지 제9호서식을 별지 제10호서식으로 하고, 같은 서식(종전의 별지 제9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한다.

부 칙

이 영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12조는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227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8조(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에 대한 과세가액 불산입등)
③ 제1항에 따라 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 출연받은 재산을 원본으로 취득한
재산, 출연받은 재산의 매각대금 등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임
대차, 소비대차(消費貸借) 및 사용대차(使用貸借) 등의 방법으로 사용ㆍ수익하게 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액을 공익법인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즉시 증
여세를 부과한다. 다만, 공익법인등이 직접 공익목적사업과 관련하여 용역을 제공받
고 정상적인 대가를 지급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31., 2018. 12. 31.>
1. 출연자 및 그 친족
2. 출연자가 출연한 다른 공익법인등
3.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자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관계에 있는 자
..........................
제50조의2(공익법인등의 전용계좌 개설ㆍ사용 의무)
③ 공익법인등은 최초로 공익법인등에 해당하게 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전용계좌
를 개설하여 해당 공익법인등의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2016년 1월 1일, 2017년 1월 1일 또는 2018년 1월 1일이 속하는 소득세 과세기간 또
는 법인세 사업연도의 수입금액(해당 공익사업과 관련된 「소득세법」에 따른 수입금
액 또는 「법인세법」에 따라 법인세 과세대상이 되는 수익사업과 관련된 수입금액
을 말한다)과 그 과세기간 또는 사업연도에 출연받은 재산가액의 합계액이 5억원 미
만인 공익법인등으로서 본문에 따라 개설 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2019년 6월
30일까지 전용계좌의 개설 신고를 할 수 있다. <개정 2018. 12. 31.>
.........................
제50조의3(공익법인등의 결산서류등의 공시의무) ① 공익법인등(자산 규모, 사업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익법인등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
다)은 다음 각 호의 서류 등(이하 이 조에서 "결산서류등"이라 한다)을 해당 공익법인
등의 과세기간 또는 사업연도 종료일부터 4개월 이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세청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방법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개정 2010.

228
부록

12. 27., 2016. 12. 20., 2018. 12. 31.>


1. 재무상태표
2. 운영성과표
3. 기부금 모집 및 지출 내용
4. 해당 공익법인등의 대표자, 이사, 출연자, 소재지 및 목적사업에 관한 사항
5. 출연재산의 운용소득 사용명세
6. 제50조제3항에 따라 회계감사를 받을 의무가 있는 공익법인등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감사보고서와 그 감사보고서에 첨부된 재무제표
7. 주식보유 현황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229
사랑의열매 나눔문화연구소
사랑의열매 나눔문화연구소는 우리사회의 나눔문화 성숙을 위해 기부와 나눔, 사회
변화, 임팩트를 탐구하며 나눔지식의 허브를 지향합니다. 사회복지 및 비영리 단체
실무자와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나눔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고, 모두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공동체 성장의 토대를 다지는 공간으로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사명
나눔문화를 선도하는 Think Tank

▣ 주요사업
▪ 조사연구사업 : 기부자 ‧ 수혜자 욕구조사, 사회이슈 및 의제개발연구
공동모금 제도에 관한 연구, 배분 · 모금사업 평가연구 등
▪ 정보분석사업 : 국내외 주요 이슈 및 동향 분석
▪ 교류협력사업 : 심포지엄 및 포럼 개최, 연구결과 발표 및 교육

▣ 2018년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안내


▪ 2018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석
▪ 2018 민간 나눔자원 총량추계 및 나눔지수 도출 연구
▪ 국제 CSR 기준변화와 기부채납 연구

▣ 사랑의열매 나눔문화연구소 블로그(www.nanumresearch.or.kr)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조사연구 2019-01

인 쇄 : 2019년 3월
발 행 : 2019년 3월

발행처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발행인 : 예종석
주 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9 사랑의열매 나눔문화연구소
연락처 : TEL (02) 6262-3191~7, FAX (02) 6262-3130
인 쇄 : 리드릭 (02)2269-191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