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4

제1장 공통규정

1.1 일반사항
1.1.1 적용 범위
(1) 이 지침은 송배전설비(이하, “설비”)의 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지침에서 지

칭하는 설비는 국내의 전력망에서 송전, 변전, 배전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기기 및 구

조물을 의미한다.

(2) 이 지침은 신설되는 설비의 내진설계에 적용되며, 기존 설비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와

개선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 설비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와 개선 시에는 별도의

기준을 참조할 수 있다.

(3) 이 지침은 설비의 내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만족시

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널리 알려진 이론, 시험 또는 최신 기준에 의해 기술적 우

수성이 증명된 경우에는, 이 지침을 대신하여 별도의 대체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4) 이 설계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국민안전처 시행(2017. 7) “내진

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의 개념을 준수하여 관련 기술기준 및 설계지침 등에서 허용

하는 규정을 적용한다.

[해설]

(1) 이 지침에서 지칭하는 송배전설비라 함은 국가 전력공급망에 속한 설비들로서 송전설

비, 변전설비, 배전설비와 이들을 지지하는 부속구조물을 통칭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2) 송배전설비가 보유해야 할 내진성능 수준은 단일 성능수준으로서 붕괴방지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대상 설비의 수량이 방대한 반면, 시설물 고유의 기능이 정착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결정된 것이다. 붕괴방지수준은

지반운동의 세기는 높으나 발생 빈도가 낮은 지진 시에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붕괴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방지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성능수준이다.

(3) 송배전설비는 지진으로 인하여 설비가 손상된 이후에 초래될 수 있는 영향의 범위와

기능의 중요도 및 취급전압의 수준을 고려하여 송배전설비의 내진등급을 이 기준의

1.2.1절과 같이 결정한다. 이러한 등급은 국민안전처 시행(2017. 7) “내진설계기준 공

통적용사항”에 준하여 결정한 것이다.

(4) 이 규정을 따르지 않더라도 송배전설비의 내진성능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창의력이

발휘된, 상대적으로 개선된 설계를 할 경우에는 설계기준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 1 -
1.1.2 대상 설비
(1) 이 지침의 적용 대상 설비는 22.9㎸급 이상의 신설되는 송전설비, 변전설비 및 배전설

비에 속한 기기 및 구조물과 이들을 지지하는 옹벽 및 사면과 같은 지반구조물 등이

포함된다.

(2) 설비는 옥내설비와 옥외설비 모두가 내진설계 대상에 포함된다.

(3) 변전소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은 이 지침의 대상에 포함되지 아니하며, 관련 건축법의

요건에 따른다.

(4) 사업자가 특별히 요구하지 않는다면 송전철탑, 배전전주, 관로, 덕트, 케이블 등은 내

진설계 대상에서 제외한다.

[해설]

(1) 이 지침의 대상 설비는 22.9㎸ 급 이상의 전력설비와 전력구 및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지반구조물(옹벽, 사면, 기초 등)이 포함된다. 22.9㎸ 급 미만 설비는 이 지침의 내진

설계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 시설물에 대해서는 소유주의 의지나 요구에 의해

내진설계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이 지침의 방법과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2) 덕트와 케이블 등은 구조체의 강성에 비하여 질량이 매우 작으므로 지진에 의한 관성

효과가 무시될 수 있으므로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일본에서도 전력용 케이블

본체, 제어케이블, 압력배관 등에 관해서 지진피해의 사례가 없으며, 내진설계를 실시

할 필요가 없다고 JEAG 5003 (2008)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3) 지상에 노출된 관로의 경우에는 국내에 발생 가능한 설계지진수준에서 충분한 연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경우에도 지진시의 동토압 등의 영향으로

인한 관로의 파괴가 예상되지 않으므로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4) 송전철탑의 경우에는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지진공학회

가 공동으로 발행한 연구보고서(송 변전설비 내진설계기준 설정 연구, 2001)에 의하

면, 국내에 설치된 송전철탑 상부구조는 내진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

기 때문이다. 즉, 이 연구에서는 한국전력공사 설계기준의 최저 설계풍하중(풍압Ⅲ지

역, 기준 속도압=  kgf cm  )에 대한 철탑 구조요소의 설계단면력과 지진하중에 의하

여 요구되는 설계단면력을 비교한 후, 지진하중을 고려한 경우의 단면력이 풍하중을

고려한 값의 12~37%에 불과하며, 현수형 철탑보다 내장형 철탑에서 단면력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철탑구조물에 작용한 풍하중이 비교적 약한

풍압Ⅲ지역임을 감안할 때, 송전철탑 설계 시 풍하중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설계된다

면, 지진에 대해서도 안전하며, 지진에 대한 영향은 별도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일본의 연구결과(地震に强 い電氣設備のため 6


に, 199 )에서

도 이와 유사한 비교를 통하여 철탑의 경우에는 내진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보

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송전철탑은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

로 하였다.

- 2 -
(5) 일반적으로 전주의 설계하중은 풍압하중에 의하여 결정되며, 지진하중을 고려하더라도

설계하중의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지진발생 규모 및 그 빈

도 면에서 빈 번 한 일본에서도 배전 전주에 대해서는 내진설계를 수행하지 않고 있으

며, 다만 전주가 설치되는 지반조건에 유의하여 필요시 내진 안전성 검 토를 수행할

수 있다고 JEA C 7001 (2007)을 통하여 규정하고 있다.

1.2 설계 지진 및 지진의 영향
1.2.1 내진등급의 분류
(1) 송배전설비를 기능의 중요도 및 지진에 의한 손상으로 초래할 수 있는 영향의 범위를

고려하여 내진등급을 분 류 한다.

(2) 신설되는 7 5 6 kV 급 송전 및 변전설비는 “내진특등급”으로 분 류 하며, 최대지반가속도

값(자유장 지반 지표면 기준)이 최소 0.3 가 되도록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g


(3) 기설 22.9 kV 급 이상 7 5 6 kV 급 미만 송전 및 변전설비는 “내진 Ⅰ등급”으로 분 류하며,

최대지반가속도값이 최소 0.22 가 되도록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g


(4) 그 외에 배전설비 등 22.9 kV 급 이상 기 타 설비는 “내진 Ⅰ 등급”으로 분 류 하되, 최대지

반가속도값이 0.154 g 이상이 되도록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5) 단, 원자력발전소 내 스위치야 드 6


설비는 본 지침 2. 절의 (3) 및 (4)항에 의해 최대지

g
반가속도값이 최소 0.3 가 되도록 별도로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6
( ) 건물의 설계 시에는 “건축구조기준”을 적용하여 중요도 “특”으로 분 류 한다.

(7) 전력구, 사면, 옹벽은 인 접 한 전력설비의 내진등급과 동일한 등급으로 설정한다.

(8) 이 지침은 내진등급으로 분 류 된 설비를 적용 대상으로 한다. 다만, 비내진등급의 설비

에 대해서 사업자가 특별히 내진성능을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 지침을 적

용하여 내진설계를 할 수 있다.

[해설]

송배전설비는 취급전압의 수준에 따라 내진등급을 분 류 한다. 내진등급 분 류 는 송배전설비

사업자가 시설 및 기능의 중요도를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

지침은 취급전압 22.9㎸를 기준으로 설비의 내진등급을 분 류


한다. 22.9㎸ 급 미만의 설비는

비내진등급으로서 내진설계의 적용대상이 아니다. 다만, 22.9㎸ 급 미만의 설비라 하더라도

사업자의 요 청 에 따라 내진설계는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이 지침의 내용을 준수해도

좋 다.

6
9.12지진(201 .9.12.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 이후, 산 업통상자 원 부에서 신설

핵심 6 kV
설비(7 5 급 송변전설비)를 0.3 , 기설 g 핵심 g
설비는 0.22 로, 신설 및 기설 일반 설비

kV
(345 급 이하 송변전설비)는 0.22 , g그 리고 기 타 설비(배전설비)는 0.154 의 내진성능을 요 g
구함에 따라, 이들 송배전설비의 최소 내진성능 요구수준을 설정하였다.

- 3 -
1.2.2 설계지진의 수준
(1) 송배전설비는 각 설비별로 규정된 수준의 설계지진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송배전설비의 설계지진의 수준은 표 1.2.1의 내진등급별 평 균재 현주기를 적용하여 결

정한다.

표 1.2.1 송배전설비의 내진등급 별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설계지진
재 현주기( 년 )
붕괴방지

1,000 내진 Ⅰ등급

2,400 내진특등급

[해설]

송배전설비가 만족해야 할 내진성능수준은 붕괴방지수준이다. 붕괴방지수준은 지반운동

의 발생빈도는 낮으나, 세기가 높은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설비는 전력공급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지진 후 쉽게 복 구가 가능하여야 하는 구조안전 수준을 의미한다.

신설 7 5 6 kV 급 송변전설비를 제외한 송배전설비의 내진설계에서는 한반도의 평 균 지진 재


현주기를 1,000 년 으로 설정하여 지진지반운동의 세기를 결정한 것이다. 이것은 국내 중요 산
업시설물 중에서 내진 Ⅰ 등급인 구조물의 붕괴방지수준의 성능 목 표로 정하고 있는 수준이다.

설계지반운동의 수준은 한반도의 지진 재 해도 분 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으로 다 음 과

같이 초과확 률 써 로 결정된 것이다.

① 평 균재 현주기 50 년 지진지반운동 : 년 5 내 초과확 률 10%

② 평 균재 현주기 100 년 지진지반운동 : 년


10 내 초과확 률 10%

③ 평 균재 현주기 500 년 지진지반운동 : 년


50 내 초과확 률 10%

④ 평 균재 현주기 1,000 년 지진지반운동 : 년


100 내 초과확 률 10%

⑤ 평 균재 현주기 2,400 년 지진지반운동 : 년


250 내 초과확 률 10%

1.2.3 지반의 분류
(1) 국지적인 토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

여 지반을 표 1.2.2와 같이 6종으로 분 류 한다.

(2)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분 류 는 기반 암 깊 의 이(  )와 토 층 의 평 균 전단파속도(    )에

근거 한다.


(3) 토 의 평 균 전단파속도(    )는 탄 성파시험 결과가 있을 경우 이를 우선적으로 적용

한다.

- 4 -
표 1.2.2 지반의 분류
분 류
기준
지반
종류 지반 종류 호 의 칭
기반 암깊 이, 토 층 균 평 전단파속도,

 m ( )      ( m/s )

 암 반 지반 1 미만 -
 얕 6

고 단단한 지반 2 0 이상

얕 6
1 20 이하
 고 연약한 지반 2 0 미만

 깊 고 단단한 지반 180 이상


20 초과
 고 연약한 지반 180 미만

 부지고유의 특성 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주) ① 기반 암 은 전단파속도 7 0 6 m/s 이상을 나 타 내는 지 층 을 의미한다.


② 기반 암깊 이와 무관하 게 층 균토 평 전단파속도가 120 m/s 이하인 지반은  지반으로
분 류 한다.

[해설]

(1) “지반분 류란 ” 국지적인 토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정도를

공학적인 특성에 근거 하여 지반을 분 류 하는 등급을 말 한다.

(2)  지반은 부지고유의 특성 평가가 요구되는 지반등급으로, 아래의 경우에 해 당 된다.

①액 상화가 일어 날 수 있는 흙 , 예민비가 8 이상인 점 토, 붕괴될 정도로 결 합 력이 약

한 붕괴성 잠재 흙 과 같이 지진하중 작용 시 적인 파괴나 붕괴에 취약한 지반

② 탄 이 점 층
또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토지반 (지 의 두 께> m 3 )

③ 띤점 층 께> m
매우 높은 소성을 토지반 [지 의 두 7 이고, 소성지수 PI Plasticity Index >
( ) 75]

④층 껍 거 간
이 매우 두 고 연약하 나 중 정도로 단단한 점 층 께> 6m
토 (지 의 두 3 )

⑤ 암 깊기반 m 재
이 이 50 를 초과하여 존 하는 지반

※ m/s 암깊
   이 120 이하인 지반은 기반 이에 관계없이  지반으로 분 류 한다.

부지 고유의 특성 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즉   으로 분 류할 때는 상기  에 대한

정의에서 제시한 기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 해 당 부지가 이 기준과 일치하면 그


부지는 지반 종류   으로 분 류되어야 하며, 부지 고유의 특성 평가 및 지반 응답 석 해

이 이 루 어져야 한다.

(3) 토 층 균 평 전단파속도(    )는 다 음 해설 식 1.2.1에 따라 결정된다.

 
     
 

 
(해설 식 1.2.1)



  

- 5 -
여기서 :  = 기반 암 깊 까 i번째 층 께 m
이 지의 토 의 두 ,

  = 기반 암 깊 까 i번째 층
이 m/s
지의 토 의 전단파속도,

(4) 표준관 입 시험 관 입저항치( SPT-N 환 치)를 전단파속도로 변 할 수 있다. 변 환 에는 국내

지반에 대해 제안된 해설 식 ∼ 식 1.2.2 4의 상관관계 을 활용하여 구한 최 솟 값을 사용한다.

     Sun et al . (2013)


* (해설 식 1.2.2)

     정남훈- 종 이 규 (2009)


** (해설 식 1.2.3)

     김 동수 외 (2003)


*** (해설 식 1.2.4)

여기서 :  = 전단파속도, m/s


 = 표준관 입
SPT-N
시험 관 입 저항치( 값)

※ 입
표준관 암
시험 시 단단한 달 타 질에 도 cm 깊 하여 항 수가 50에 이르러도 30

이를 관입 못 하지타 
할 경우 50 수 이상의 값은 선형적인 비례관계를 토대로

cm 께 입 
30 두 관환산 시 환산 
값으로 식
한다. 이때 값의 최대값은 해설

1.2.2 적용 시 300이고 해설 식 1.2.4 적용 시 50이다.

* Sun C Cho C S Son M and Shin S


, . G., , . ., , Correlations between
., , J. . (2013).
shear wave velocity and in-situ penetration test results for Korean soil
deposits Pure and pplied eophysics
. A - G , 170(3), 271 281.
** 남훈 종
정 , 이 PS SPS 검층
규 (2008). 부유형 ( 찰 ) 속도 을 통한 전단파 특성 고 , 한국
지반공학회 논 집 6-문 , 24(10), 1 1 174.
*** 김 동수, 방은석 원석 , 서 입 홀
(2003), 표준관 시험을 이용한 업 시험에서 전단파 속
도 주상도의 도출, 한국지반공학회 논 집 - 6 문 , 19(2), 135 14 .

1.2.4 설계지반운동의 표현
(1) 설계지반운동은 이 지침에 제시된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으로 정의되고, 지반운동의 세

기는 가속도계수의 크 기에 따라 결정된다.

(2) 설비의 지진해 석 에서 시 간 이력해 석 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 지침에 규정된 인공가속

도시 간 이력의 생성방법에 따라 작성된 가속도시 간 이력을 입 력운동으로 사용한다.

[해설]

가속도계수는 지구의 중력가속도( ) g 크 기에 대한 지반운동가속도의 크기의 비 율 을 의

미하는 계수로서 무차 원 량이다.

1.2.4.1 정의 위치와 고려사항


(1) 설계지반운동은 부지정지작업이 완료 된 지표면에서의 자유장 운동으로 정의된다.

(2) 국지적인 토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3) 기본적인 지진 재 해도는 암 반지반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 6 -
(4) 설계지반운동은 흔 림들 의 세기, 진동수 성분 및 지속시 간 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특성

이 잘 정의되어야 한다.

(5) 설계지반운동은 수평 2축 방향과 수 직 방향 성분으로 정의된다.

6
( ) 설계지반운동의 수평 2축 방향 성분은 세기와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1.2.4.2 유효수평지반가속도(S)
(1) 지진구역계수(  재 , 현주기 500 년 기준)는 우리나라의 행정구역별로 2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표 1.2.3과 같이 서로 다른 값을 적용한다.

(2) 위험도계수(  )는 표 1.2.4와 같다.

표 1.2.3 지진구역 및 지진구역계수(  ), (평균재현주기 500년 기준)


지진 지역구역 계수
행정구역
구역 ( )

시 서 울 천
, 인 산 울산 광 종
, 대전, 부 , 대구, , 주, 세

I 경기, 충 북 남 북 남 북 남
, 충 , 경 , 경 , 전 , 전 ,
0.11 g

강 원남 부

Ⅱ 도 강 원북 부, 제주 0.07 g
※ 원남 : 월
강 삼척 릉 부 영 , 정선, , 강 , 동해, 원 태백 주,
원 북 : 홍천 원 천 횡
강 부 , 철 , 화 , 성, 평창, 양 양양 춘천
구, 고성, , , 속초

표 1.2.4 위험도계수( )
재 현주기 100년 년200 년 500 1,000 년 2,400 년
위험도계수(  ) 0.57 0.73 1 1.4 2.0

(3)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는 다 음 과 같이 결정한다.

①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 란 , 지진하중을 산 정하기 위하여 국가지진 위험지도나 행

정구역을 기준으로 제시된 암 반지반의 지반운동수준을 말 한다.

②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는 국가지진위험지도를 우선하여 결정하고, 행정구역에 따

라 결정할 수 있다.

③ 행정구역에 의한 방법으로 재 현주기에 따른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는 지진구역계

수(  )에 각재 현주기의 위험도계수(  )를 곱 하여 결정한다.

 =  × (1.2.1)

④ 국가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여 결정한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는 행정구역에 의한

- 7 -
방법으로 결정된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 값의 80% 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해설]

위험도계수(  )는 평 균재 현주기별 최대 유효수평지반가속도의 비를 의미한다.

1.2.4.3 지반증폭계수(  ,  )  

(1) 지반증 폭 계수(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장주기 지반증 폭 계수  )는 암반지반에 해 당


하는  지반에서는 고려하지 않으며, 토사지반인  ,  ,  ,  지반에 대해서 적용

한다.

(2)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에 따라 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  와 장주기 지반증 폭 계수  는


표 1.2.5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의 값이 중 간 값에 해 당 할 경우

직 선보 간 하여 결정한다.

표 1.2.5 지반증폭계수(  ,  )  

단주기 증 폭  계수, 장주기 증 폭 계수, 


류 

≤  ≤
지반분
 0.1  = 0.2  = 0.3 0.1  = 0.2  = 0.3

 1.4 1.4 1.3 1.5 1.4 1.3

 1.7 1.5 1.3 1.7 1.6 1.5

 6
1. 1.4 1.2 2.2 2.0 1.8

 1.8 1.3 1.3 3.0 2.7 2.4

[해설]

(1) “지반증 폭 계수(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장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란 , 기반 암 스펙


트럼 가속도와 지표면의 스펙 럼
트 가속도의 증 폭 율 비 을 의미한다. 이 지침의 1.2.4.5의

그림 1.2.1과 1.2.4.5의 그림 1.2.2를 참고하면 암 반지반(   )에 대해서는   =1,  =0.84


임을 알 수 있다.

(2) 표 1.2.5의 지반증 폭 계수를 이용하고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에 따른 직 선보 간 을 통해

내진 Ⅰ 등급과 내진특등급에 해 당 하는 지반증 폭계수를 계 산 하면, 다 음 의 해설 표 1.2.1

및 해설 표 1.2.2와 같다.

- 8 -
해설 표 1.2.1 지반종류와 내진등급별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 ( )

I 지진구역 II 지진구역

Ⅰ Ⅰ
지반

분 류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0.22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0.14
 = 0.154  = 0.098

 1 1 1 1

 1.400 1.380 1.400 1.400

 1.592 6
1.4 0 1.700 6
1. 20

 1.492 6
1.3 0 6
1. 00 1.520

 1.530 1.300 1.800 6


1. 00

해설 표 1.2.2 지반종류와 내진등급별 장주기 지반증폭계수  ( )

I 지진구역 II 지진구역

Ⅰ Ⅰ
지반

분 류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0.22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0.14
 = 0.154  = 0.098

 0.840 0.840 0.840 0.840

 6
1.44 1.380 1.500 6
1.4 0

 66
1. 4 1.580 1.700 1.66 0

 2.092 6
1.9 0 2.200 2.120

 2.838 6
2. 40 3.000 2.880

해설 표 1.2.1과 해설 표 1.2.2를 이용하여 송배전설비의 지반 종류 별로 최대지반가속도(지

표면에서의 최대가속도)를 계 산하면, 다 음 의 해설 표 1.2.3과 같다.

해설 표 1.2.3 지반종류별 최대지반가속도 ( g )


I
지진구역 지진구역 II
Ⅰ Ⅰ
지반

분 류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 0.22
내진 등급 내진특등급
 = 0.14
 = 0.154  = 0.098

 0.1540 0.2200 0.0980 0.1400

 0.215 6 0.303 6 0.1372 0.19 0 6


 0.2452 0.3212 666
0.1 0.22 8 6
 0.2298 0.2992 6
0.15 8 0.2128

 0.235 6 0.28 06 6
0.17 4 0.2240

- 9 -
1.2.4.4 최소 내진성능 요구수준
(1) 기설 핵심 설비와 일반설비는, 유효수평지반가속도와 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를 곱한 최대

g
지반가속도값(해설 표 1.2.3)이 0.22 보다 작은 경우 지진구역과 지반분 류에 상관없이

g
최소 0.22 로 설정한다.

(2) 기 타 설비의 유효수평지반가속도와 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를 곱 한 최대지반가속도값(해

g
설 표 1.2.3)이 0.154 보다 작은 경우 지진구역에 상관없이 최소 0.154 로 설정한다. g
(3) 신설 핵심설비는, 유효수평지반가속도와 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를 곱
한 최대지반가속도

g
값(해설 표 1.2.3)이 0.3 보다 작은 경우 지진구역과 지반분 류 에 상관없이 최소 0.3 로 g
설정한다.

표 1.2.6 설비 등급별 최소 내진성능 요구수준


최소 내진성능
구 분 대상설비 비 고
요구수준

신설 0.3g 내진특등급
핵심 설비 6 kV
7 5 급 송변전설비
기설 g
0.22

일반설비
345kV 급 이하
0.22 g 내진 Ⅰ 등급
송변전설비

기타 설비 배전설비 0.154 g

[해설]

6
9.12지진(201 .9.12.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 이후, 산업통상자 원 부에서 신

설 핵심 설비(7 5 6 kV 급 송변전설비)를 0.3 , 기설 g 핵심 g


설비는 0.22 로, 신설 및 기설 일반

설비(345 kV 급 이하 송변전설비)는 0.22 로, g 그 타 리고 기 설비(배전설비 등 22.9 kV 급 이

상의 기 타 g
설비)는 0.154 의 내진성능을 요구함에 따라, 표 1.2. 과 같은 설비 등급별 최소 6
내진성능 요구수준을 설정하였다. 기설 핵심 설비와 일반설비, 그 리고 기 타 설비는 모두 내

진 Ⅰ등급의 내진성능 수준을 채택 하고 있으나, 산 업통상자 원 부가 설비등급 별로 차등화

함에 따라 기 타 설비의 최소 내진성능 요구수준을 기설 핵심 설비 및 일반설비와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 10 -
1.2.4.5 암반지반의 설계스펙트럼
(1) 암 당 
반지반에 해 스펙 럼 하는  지반의 설계 트 가속도(  )는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에

따라 그림 1.2.1과 같이 결정한다.

(2) 그림 스펙 럼 쇠 
1.2.1에 정의된 설계 트 은 5% 감 비( , %단위)에 대한 표준설계 응답스펙
트 럼곡 쇠 스펙 럼
선으로서, 감 음 비에 따른 트 형상은 다 에 제시한 감 쇠 보정계수(   )를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곱 쇠 트 에 해서 구할 수 있다. 단, 감 비가 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으며, 해 간 석 권 구조물의 경우 시 이력해 을 장한다.

①  든 쇠 초, 모 감 비에 대해서    (1.2.2)

② ≤≤ 

, 초에서    ,    에서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3) 수 직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은 다 음과 같다.

① 5% 감 쇠 비에 대한 수 직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그림 트 은 1.2.1

의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트 쇠


과 같은 전이주기와 감 보정

계수를 갖 는다.

② 최대 유효 수평지반가속도에 대한 최대 유효 수 직 지반가속도의 비는 0.77이다.

(4) 기설 핵심 설비 및 일반설비가 암 반지반에 설계되는 경우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22 보 g


다 작으므로, 지진구역에 상관없이 최소 0.22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 g 스펙 럼 각
트 은

통제 점 에서 최대지반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5) 기 타 설비는 지진구역 II g


일 때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154 보다 작으므로, 지진구역에 상

관없이 최소 0.154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g 스펙 럼 각


트 은 통제 점 에서 최대지반가속도

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켜
증가시 야 한다.

6
( ) 내진특등급인 신설 7 5 6 kV 급 송변전설비의 경우에는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3 보다 작 g
으므로, 지진구역에 상관없이 최소 0.3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 g 스펙 럼 각
트 은 통제 점
에서 최대지반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 11 -
그림 1.2.1 암반지반 수평설계지반운동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해설]

그림 1.2.1의 스펙 럼트 의 형상을 결정하는 전이주기는 해설 표 1.2.4에 주어져 있다.

해설 표 1.2.4 암반지반(  지반) 수평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전이주기


 전이주기(초)
구 분 (단주기 스펙 럼 트

증 폭 계수)
  

수평, 수 직 2.8 0.0 6 0.3 3

1.2.4.6 토사지반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스펙트럼


(1) 토사지반에 해 당  ∼ 하는 쇠   지반의 5% 감 비에 대한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그림 트 은 1.2.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토사지반에서 감 쇠 비에 따

른 스펙 럼 트 당
형상은 해 합 간 토사지반에 적 한 가속도 시 이력을 이용하여 공학적으로

적절한 분 석 과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2) 유효수평지반가속도( )에 따라 단주기 지반증 폭  계수(  )와 장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

는 표 1.2.5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의 값이 중 간 값에 해 당할 경

우 직 간 선보 하여 결정한다.


(3) 수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은 다음 과 같다.

① 쇠5% 감 비에 대한  ∼  지반의 수 직 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트

럼 그림 은 1.2.2의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과 같은 전이주

쇠기와 감 보정계수를 갖 는다.

- 12 -
② 최대 유효 수평지반가속도에 대한 최대 유효 수 직 지반가속도의 비(    비)는 공

학적 판단에 의해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   비는 0.5 이상이어야 한다.

(4)  ∼  지반의 경우, 그림 1.2.2의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대신 부지고유의 지반 응답 해

석 을 이용하여 결정한 스펙 럼 트 을 사용할 수 있다.  지반의 경우에는 부지고유의

지반 응답 석 해 을 이용하여 결정한 스펙 럼 트 을 사용한다.

(5) 가속도시 간 이력은 암반지반에 대해 작성된 가속도시 간 이력을 사용하여 지반 응답 석 해 을

통해 결정한다.

그림 1.2.2 토사지반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6
( ) 기설 핵심 설비와 일반설비가 토사지반에 설계될 때 유효수평지반가속도와 단주기 지

반증 폭 계수를 곱 g
한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22 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진구역과 지반분

류 g
에 상관없이 최소 0.22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 스펙 럼 각 트 은 통제 점에서 최대지반

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7) 기 타설비가 지진구역 II 에 설계될 때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154 보다 작은 경우에는 g


지진구역에 상관없이 최소 0.154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 g 스펙 럼 각
트 은 통제점 에서

최대지반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8) 내진특등급인 신설 7 5 6 kV 급 송변전설비는 최대지반가속도값이 0.3 보다 작은 경우에 g


한해 지진구역과 지반분 류 g
에 상관없이 최소 0.3 로 설정하며, 이 때 설계 스펙 럼
트 은

각 통제 점 에서 최대지반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해설]

(1) 토사지반(   ∼  지반)의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전이주기는 해설 표 1.2.5와 같다.

- 13 -
해설 표 1.2.5 토사지반(  ∼  지반) 수평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전이주기
 

 전이주기 (초)

구 분 (단주기 스펙 럼 트

증 폭 계수)
  

수평, 수 직 2.5       



 
3

(2) 일본 변전소 전기설비의 내진설계 지침(JEAG 5003 2008)에 따르면, 변전설비의 지진 -


관 측 데이 터 를 통해 대부분의 연 직가속도의 크 기는 수평가속도의 1 2을 고려하면 충 /
분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1.2.4.7 설계지반운동의 속도 표준설계스펙트럼


(1) 설계지반운동의 5% 감 쇠 응답스펙 럼 식 비 속도 표준설계 트 은 1.2.3과 같이 구한다.


   ⋅ (1.2.3)


여기서 :  = 5% 감 쇠 비 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 


 = 주기, 초

 = 5% 감 쇠 비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


(2) 지반의 변위를 계 산 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계속도 응답스펙 럼 식 트 은 1.2.3의 속도 표준

설계 응답스펙 럼 트 에 이 지침의 1.2.4.5에 주어진 감 쇠 곱 보정계수를 하여 적용한다.

[해설]

(1) 설계지반운동의 5% 감 쇠 비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그림 트 ( 1.2.1 및 그림 1.2.2)과

식 1.2.3으로 표현된 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간


을 주기( ) 구 별 함수로 표현하면

해설 표 1.2. 과 같다. 6 그 리고 해설 표 1.2. 을 6 그림 으로 표현하면 해설 그림 1.2.1 및

해설 그림 1.2.2와 같다.

- 14 -
해설 표 1.2.6 암반지반 및 토사지반 수평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함수
응답스펙 럼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속도 표준설계 트
주기  (초) 
 (g )    ⋅ ( g⋅sec )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 :  = 식 1.2.1

 = 해설 표 1.2.3

 = 해설 표 1.2.1

 = 해설 표 1.2.2

 = 해설 표 1.2.4 ( S
1 지반), 해설 표 1.2.5 ( S ∼S
2 5 지반)

 ,  ,  = 해설 표 1.2.4 ( S
1 지반), 해설 표 1.2.5 ( S ∼S
2 5 지반)
Spectral Acceleration, Sa [g]

0
0 Period, T [s]

해설 그림 1.2.1 수식으로 표현된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이 그림은  ∼  지반에 대한 것으로 계수 결정방법은 해설 표 1.2.6의 주를 참고)
 

- 15 -
Spectral Velocity, Sv [g-sec]

PGA Fv
×
2p Fa
PGA Fv
×
2p Fa

PGA
aA × ×T
0 2p
0 Period, T [s]

해설 그림 1.2.2 수식으로 표현된 수평설계지반운동의 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이 그림은  ∼  지반에 대한 것으로 계수 결정방법은 해설 표 1.2.6의 주를 참고)
 

1.2.5 설계지진시간이력
1.2.5.1 일반사항
(1) 시 간 석 이력해 에 의해 시설물의 지진 응답 을 구하는 경우, 지진 입 력으로 단일세트의 시

간 복 이력 또는 수세트의 시 간이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 간 이력은 이 절의 요건

을 만족하도록 실제 기록된 지진운동을 수정하 거 나 인공적으로 합 성된 지진운동을 작

성하여 사용해야한다.

(2) ‘ 응답스펙 럼’
1.2.4.3 설계 트 에 기술한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합 트 에 부 되는 시 간이력을 사

용하여 지진 응답 석 해 을 할 경우 시 간 이력의 지속시 간 ∼ 은 13.5 28초이고 강진구 간 지

속시 간 6∼
은 12.5초가 되어야 한다.

(3) 두 방향 이상의 시 간 이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각직 교방향의 시 간 이력은 통계학적

독립 이어야 한다. 여기서 두 시 간 이력 사이의 시작시 간 차이를 고려하여 계 산 된 상관

계수의 최대 절대값이 0.1 을 6 넘 지 않는다면 두 시 간 이력은 통계학적 독립 으로 간


할 수 있다.

(4) 시 간이력해 석 에 적용하는 설계시 간이력은 단일 시 간 이력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복


수 시 간
이력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일 시 간 이력세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는 이 지침의 1.2.5.2 단일 설계시 ‘ 간 ’ ‘


이력 요건 1 과 1.2.5.3 단일 설계시 간 이력 요건 2 ’
중에서 한 가지 요건을 만족하도록 생성하여야 한다. 반면에 복 수 시 간이력세트를 생

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지침의 ‘


1.2.5.4 복 수 시 간 ’
이력 세트 를 적용하여 시 간이력

- 16 -
을 생성한다.

(5) 시 간 이력의 절단( cut off ) 진동수는 최소 50 Hz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

이 지침에서 사용하고 있는 설계지진시 간 이력에 관한 규정은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

사항(국민안전처)” 및 “전력 산 업기술기준(대한전기 협회)”의 내용을 포 괄 하도록 결정하였

다. 특별히 참조할 만한 자 료 가 없이 지진의 지속시 간 과 강진구 간 의 지속시 간 을 정하여

야 하는 경우에는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국민안전처)”의 지진규모 7.0 미만을 적

용하여 시 간 이력의 지속시 간 은 21초이고 강진구 간 지속시 간 은 9초인 지진운동을 작성할

수 있다.

1.2.5.2 단일 설계시간이력 요건 1
(1) 지진시 간 터
이력으로부 응답스펙 럼 응답 석
구한 트 은 지진 해 시 사용될 모 든 쇠 감 값에

대하여 설계 응답스펙 럼 괄 트 을 포 하여야 한다.

(2) 지진시 간 응답스펙 럼


이력의 응답스펙 럼 트 값이 설계 트 값보다 낮은 진동수의 수는 5개

이하이고 낮은 정도는 10 % 이내이어야 한다.

(3) 지진시 간 이력의 응답스펙 럼 트 값을 계 산 하는 진동수 간격 은 충분히 작아야 한다. 표

1.2.7에 적용 가능한 진동수 간격 을 나 타냈 다.

표 1.2.7 응답스펙트럼 계산을 위해 권장하는 진동수 간격


진동수 구 간 ㎐ ( ) ㎐ 증분 진동수 ( )

-
0.2 3.0 0.10

- 6
3.0 3. 0.15

6-
3. 5.0 0.20

-
5.0 8.0 0.25

-
8.0 15.0 0.50

-
15.0 18.0 1.0

-
18.0 22.0 2.0

-
22.0 34.0 3.0

비고 : 응답스펙 럼 트 은 표기한 구 간 의 경계 점 이 되는 진동수와 각 증분

진동수를 더해서 구해지는 진동수 마 다 계 산하여야 한다.

[해설]

설계를 위하여 생성한 단일시 간 이력 지진운동의 가속도 응답스펙 럼 6 트 은 표 1.2. 에 제시

된 진동수 간격 산 스펙 럼 그 프
에서 계 하여 트 래 를 작도하여야 한다. 이 렇게 작도한 단일시

간 이력의 스펙 럼 곡 그림
트 선은 1.2.1에 제시된 표준 응답스펙 럼 곡 괄 트 의 선을 포 하는지 조

- 17 -
사되어야 한다.

1.2.5.3 단일 설계시간이력 요건 2
(1) 지진시 간 이력은 최소한 0.01초 이하의 작은 시 간간격 갖 을 고 20초 이상의 지속시 간 을

갖 ㎐
도록 작성해야 한다. 만일 50 보다 높은 진동수를 고려해야 한다면, 식 (1.2.3)에

따라 지진시간 간간격 이력의 시 을 결정해야 한다.


   (1.2.3)
 

여기서,  : 간
지진시 이력의 시 간간격
 : Nyquist
 진동수 (최대 고려 진동수)

(2) 지진시 간이력의 5% 감 쇠 비에 대한 응답스펙 럼 트 은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을 포 괄 해야

한다.

① 지진시 간 응답스펙 럼
이력의 ㎐ 트 은 0.1~50 (또는 Nyquist 진동수) 사이에서 계 산 하

되, 응답스펙 럼 산
트 값을 계 하는 진동수는 0.1 ㎐ 터각
부 10배 범위 즉, 0.1~1 ㎐ ,

1~10 ㎐ ㎐ 마 그눈금
, 10~100 범위 다 로 에서 동일한 간격 으로 최소한 100개의 진동

수를 정의하여야 한다.

②① 산 응답스펙 럼
에서 정의한 진동수에 대해 계 된 설계 트 값에 대한 지진시 간이력의

응답스펙 럼 균 트 커값의 비의 평 값이 1.0보다 야 한다.

③ 간
지진시 응답스펙 럼 ①
이력의 느 트 값은 에서 정의한 어 진동수에서도 설계 응답스
펙 럼 트 응답스펙 럼
값의 90% 보다 낮지 않아야 한다. 이때 설계 트 값보다 낮은 응
답스펙 럼 갖 트 값을 는 진동수의 범위는 이들 진동수의 가운데 값 기준으로 ± 10%

진동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④ 지진시 간 이력의 응답스펙 럼 트 값은 ① 에서 정의한 어 느 진동수에서도 설계 응답스


펙 럼
트 값의 13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1.2.5.4 복수시간이력세트
‘ ’
1.2.5.1 일반사항 을 만족하는 복
수세트의 지진시 간 이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 음 의 요

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최소한 4개 세트 이상의 지진시 간이력을 사용해야 한다.

(2) 각 방향의 지진시 간 이력으로부 터 산 응답스펙 럼


계 된 트 의 평 균 응답스펙 럼 ‘ 트 이 1.2.5.3

단일 설계시 간 ’
이력 요건 2 를 만족해야 한다.

- 18 -
1.2.6 지진의 영향
지진 시 송배전설비의 구조적 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상은 다 음 과 같으며, 이에

의한 효과는 관련 설계기준에 따라 다른 하중과 조 합되어 설계 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1) 지진시의 지반 변위 또는 변형

(2) 구조물의 자중과 적 재 하중 등에 기인된 관성력

(3) 지진 시 토압

(4) 지진 시 지반의 액 상화

(5) 지질이나 지형이 급변하는 지반의 지진 시 이 완 또는 파괴

1.3 해석 및 설계방법
1.3.1 설계목표
(1) 지진 시 송배전설비의 기능 확보를 위하여, 지진 시에도 송배전설비 자체의 구조적 안

전성은 물론, 구조물 사용성과 관련된 과도한 변위, 연결부의 취성파괴, 사면의 활동,

지반의 액 상화 등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2) 설비가 성능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설계모 델이 제공하는 내진능력이 지진에 의

하여 발생하는 내진요구력을 초과하여야 하고 적절한 안전여유치를 확보하여야 한다.

(3) 설계지진 발생 시 일반구조물은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약 간의 비선형 변

형을 허용할 수 있지만, 파괴는 방지되어야 한다.

(4) 기초는 어 떠한 경우에도 그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지반의 변형

및 침하도 제한되어야한다.

(5) 전력구는 연성 거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함을 원칙 으로 한다.

[해설]

이 지침에서 “내진설계”라 함은 지진 시 송배전설비에 적용하는 설계지진의 결정, 지진 응


답 석
해 , 지진하중을 고려한 구조부 재 설계 및 기기의 내진 검 증 등을 포함하는 내진성 확

보 전 과정을 의미한다.

1.3.2 설비의 분류
(1) 이 지침의 적용을 받는 대상 설비는 설비의 지진 응답 특성에 따라 변전설비, 송변전구

조물, 배전설비, 지반구조물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2) 변전설비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지진피해에 민감한 “ 애자형기기(변압기 부 싱 포함)”와

지진피해에 민감하지 않은 일반기기인 “비 애 자형기기”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3) 송변전구조물은 변전구조물, 전력구, 송전철탑으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 19 -
(4) 배전설비는 지상개 폐 기, 지상변압기, 전주로 분 류 하여 설계한다.

(5) 기초와 옹벽, 사면 등은 지반구조물로 분 류 하여 설계한다.

6 맨홀
( ) 과 같이 지 층 변화나 하 천통과 등의 이유로 수 직 전력구와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가진 경우는 수 직전력구의 규정에 준해서 내진설계한다.

[해설]

(1) 이 지침에서 대상 설비는 설계방법과 설비의 특성에 따라 크게 기기, 구조물, 지반구

조물 및 기초로 구분하고 있다.

(2) 기기는 다시 애 자형기기와 일반기기인 비 애 자형기기로 구분하여 별도의 내진설계 지

침의 적용을 받 는다.

(3) 구조물에는 일반 변전구조물과 지중구조물인 전력구 및 지반구조물인 옹벽과 사면이

포함된다. 변전구조물인 경우는 대부분 강구조이고 일부 철 근콘크 리트구조가 있을 수

있다. 지중전력구인 경우는 대부분 철 근콘크 리트 구조물이다.

(4) 기초의 경우에는 기기기초와 변전구조물의 기초가 포함되며, 얕 은기초와 깊 은기초인

말뚝 기초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또한, 말뚝기초는 단일 말뚝 인 경우와 군말뚝 인 경우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1.3.3 지진응답해석법
(1) 지진해 석에 필요한 지반정수는 동적 하중조건에 적 합한 값들이 선정되어야 하며, 특히

지반의 전단 탄 성계수와 감 쇠 비는 발생 전단변형도의 크기에 상 응 게 택


하 선 되어야 한

다.

(2) 지진파의 해 석에는 지반을 통한 파의 방사조건이 적절히 반영된 수평 2축방향 성분과

수직 방향 성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3) 대상으로 하는 시설물의 구조적 특성과 지반조건에 따라 등가정적해 석 응답스펙


법, 트

럼 석
해 법, 동적해 석 법 중에서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수

성이 입 증된 단 순 석
해 법도 사용될 수 있다.

(4) 애자형기기를 제외한 설비의 지진 응답은 비선형 거 동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 석 법을

사용하여 해 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수성이 입 증된 단 순 석해 법 및 설계법이 사용될

수 있다.

-
(5) 지반 구조물 상 호작용 해 석 시, 구조물의 유연성과 지반의 변형성 및 방사감 쇠 효과

를 고려해야 한다.

6
( ) 선형 지진해 석
① 구조부 재 거
의 동을 선형으로 가정하고, 지진 응답 은 선형해 석법에 의해서 해 석 한다.

② 지중구조물인 경우에 구조적 특성과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 변위법과 동적해 석법

을 사용할 수 있다.

③ 보수성이 입 증된 단 순 석
해 법도 사용될 수 있다.

- 20 -
(7) 비선형 지진해 석
① 지진 응답 은 비선형 거 동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 석 법에 의해서 해 석 할 수 있다.

② 보수성이 입증된 단 순 석
해 법이 사용될 수 있다.

(8) 지반의 액 상화 가능성 판단은 이 지침의 “5.3 지반의 액 상화 평가”에 따른다.

[해설]

단순해석법
순 석
단 해 법은 어 느 정도 보수성이 입 증된 등가정적해 석 법 또는 응답 변위법 등을 의미하

며, 대상 설비의 특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되며, 정확한 동적해 석을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간편 법을 말 한다.

(1) 등가정적해 석법은 대상 설비 및 구조물의 최대동적 응답 과 동일한 응답 을 발생시키는

등가의 정적 하중을 산 출하여 이를 정적구조해 석 델


모 에 작용시 킴 써 으로 동적인 해 석
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계지진 응답 근의 사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각 설비에 작용되

는 등가하중은 설비의 종류 및 특성 별로 각기 다르 게 결정된다.

(2) 지중구조물에 발생하는 응 력은 관성력에 의한 영향보다도 구조물 주변지반의 상대적

인 변위에 크게 영향을 받 는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 하여 지진 시에 발생하는 지반

의 변위를 구조물에 작용시 켜 지중구조물에 발생하는 응 력을 정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응답 변위법이라 한다.

응답스펙트럼해석법
이 방법은 전체 시 스템 응답 에 대한 기여를 무시할 수 없는 모 든 드 모 의 동적 응답 을 고

려하지만 각 드
모 들의 최대 응답 만을 통계적 방법으로 조 합 하여 구조물의 최대 동적 응답 을

구하므로 준동적해 석 법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설계 응답스펙 럼 곡 트 선으로부 터각 드 모

의 주기에 해 당 하는 스펙 럼트 값을 읽어서 최대 모 드응답


을 평가한다.그 리고 각 드
모 의 최

대응답 을 적절한 통계적인 방법으로 조 합 하여 전체 구조계의 지진 응답 얻 을 는다.

(1) 응답스펙 럼 트

주어진 설계 응답스펙 럼 트 으로부 터각 드 모 의 주기에 해 당 스펙 럼하는 읽 트 값을 어서 최

대 모 드응답 을 평가한다. 단, 이 지침에서 주어진 설계 응답스펙 럼 쇠 트 은 감 비가 5%인 경

우로서 대상설비의 감 쇠 비가 5%가 아 닐 때에는 감 쇠 스펙 럼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트 값을

수정한다.

(2) 고려하는 모 드 의 수

해 석에 고려되는 모 드 수는 통상 잔 여모 드
를 모두 포함하여 해 석을 하더라도 해 석 결과

의 응답 이 10 % 이상 증가하지 않는 충분한 개수이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

- 21 -
는 적합 네 한 가지 방법은 다 음 과 같다.

① 누락 잔 된 여모드 질량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응답 산 계 을 위해 고려된 총 드 모 질량이 최소한 총 스템시 질량의 90 % 이

상 되도록 최대 고려진동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② 누락 된 변형에 너  지  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시 스템 총 의 변형에 너 지에 대한 고려하지 않은 모 든 드 모 들의 누락 변형에

너 지 비 율 이 5 % 이하가 되도록 최대 고려진동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


≤  (해설 식 1.3.1)

   


여기서 : 번째 드 너 모 의 변형에 지

 : 석 해 드 에 고려된 모 의 수

③ 시행착 오 절차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응답 렴 까의 값이 수 될 때 지 최대 고려진동수를 증가시키면서 반 복 하여 응답


을 구하는 것이다.

④ 영주기가속도 진동수를 최대 고려진동수로 고려하는 방법

이 방법은 영주기가속도 진동수(  )보다 작은 진동수를 갖는 모 든 드 모 를 고려하는

것이다.

(3) 상기 (2)의 방법에 따라 고려된 모 드 에 포함되지 않은 잔 여모 드 질량에 의한 잔 여강체

응답  
(  )은 다 음식 과 같이 계 산 한다.

     식

  max      max (해설 1.3.2)
 

여기서   : 강성행 렬
  : 질량행 렬
 : 지진방향성분에 대한 자유도 믐 1의 값을 갖 그
고 외의 자유도는 0의 값을

갖 벡터는

  
 : 번째 드 모 의 참여계수 = 
 
 max : 최대 고려진동수와 영주기가속도 진동수 사이 구 간 에서 최대 스펙 럼 트

가속도 값

모 드 합목 잔
조 응답 적상 여강체 은 최대 고려진동수 또는 영주기가속도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를 갖 추 드 간 는 가 모 로 주하여야 한다.

(4) 모 드 의 조 합

- 22 -
모 드 의 조 합 은 이 지침의 1.3.4.1을 따라야 한다.

(5) 지진운동 방향별로 평가된 지진영향의 조 합


각 방향별로 별도 평가된 지진의 3 직교 방향 성분으로 인한 영향은 이 지침의 1.3.4.2

방향별 지진영향의 조 합 규정에 따라 조 합한다.

6 틀림 멘
( ) 비 모 트


등가정적해 법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 3차 원 델모 을 사용할 경우에

편심
는 우발 을 고려하여 질량을 적절하 게편 킴 위시 으로 써 실제 편심 편심
과 우발 에 의해서

틀림 멘
발생하는 비 모 트가 모두 포함된 응답 얻 이 어질 수 있다.

동적해석법
(1) 동적해 석 에는 다 음 석
과 같은 해 법이 사용될 수 있다.

① 간 시 영역해 석 드 첩 직접
법 (모 중 법, 적분법)

② 진동수영역 해 석 법

(2) 일반적으로 동적해 석 간


법은 시 석 말 영역해 법을 하며, 특별하 게 요구되지 않으면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 편 간 , 시석 영역해 입 법과 구분하여, 력운동과 시 스템 의 운동방정 식 을

진동수의 함수로 변 환 석
하여 동적해 을 수행하는 방법을 진동수영역해 석 법이라 한다.

(3) 동적해 석 을 사용할 경우에는 설계 응답스펙 럼 괄 트 을 포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속도

시 간이력이 입력으로 사용된다.

1.3.4 지진영향의 조합
1.3.4.1 모드응답의 조합
(1) 지진 응답 석 응답스펙 럼 석
해 으로 트 해 법 또는 모 드 첩
중 법에 의한 동적해 석 법을 이용하

는 경우에는 전체 응답 에 비하여 10% 이상의 차이가 나지 않도록 충분한 수의 모 드


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응답스펙 럼 석 트 해 법을 적용하는 드응답 경우에는 드응답 SRSS주기모 과 강체모 을

(square root of the sum of squares 합 완 산


)법으로 조 하여 전해를 계 하여야 한다. 주

기모 드응답 각 드 은 모 별응답 SRSS 혹 CQC complete quadratic


최대 을 은 (

combination )와 같은 공인된 방법으로 적절히 조 합 드응답 드 하여야 한다. 강체모 은 모

별 강체모 드응답 누락 과 드 질량모 잔 응답 합


에 대한 ZP
여 강체 의 또는 정적 A 방법을

사용해 계 산 한다.

(3) 별도의 간편 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모 드응답 합 의 조 은 고려하지 않는다.

- 23 -
[해설]

(1) 자세한 사항은 이 지침의 1.3.3 해설 (2)항에 기술되어 있다.

완 응답 
(2) 구조물의 폭 전 (  )은 증 이 발생하는 주기모 드응답  (   )과 강체모 드응답 (   )의

조합 타난
으로 나 응답 다. 주기 (변위, 속도, 가속도) 증 폭 간구 그림 -D
(해설 1.3.1에서 A

구간 응답)에서 드응답  은 주기모 (   ) 성분이 지배적이며 고진동수구 간 그림 (해설 1.3.1

- 간
에서 E G 구 드응답  )에서는 강체모 ( 그림
  ) 성분이 지배적이다. 해설 1.3.1은 설계

응답스펙 럼 광 응답스펙 럼
트 과 같은 대역 트 에서 간
구 을 그림
표시한 것이다. 해설


1.3.1의 진동수 그림  은 해설 1.2.1의 가속도 표준 응답스펙 럼 트 당 에서 주기 에 해

한다. 즉,    이다.

구 간 설명

구 간 B:
A 주기 응답 변위 증폭 간 구

구 간 BC : 주기 응답속도 증 폭 간 구

구 간 CD : 주기 응답가속도 증 폭 간 구

구 간D : E 주기 응답가속도 증 폭 간 터 구 부 강체 응답 까 천
가속도 지 이구 간
구 간 F:
E 강체 응답가속도부 터 밑 최대 면가속도로 까 천 간
지 이구

구 간F :
G 최대 밑면가속도 구 간

해설 그림 1.3.1 광대역 응답스펙트럼

- 24 -
모 드 의 조 합 을 위하여 국내 전력 산 업기준 K PIC STB
E 드응답 합
3.2.7의 모 조 법을 참고

할 수 있다. K PIC STB


E 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 드응답 합 조 음 방법은 다 과 같다.

주어진 설계지진의 세 방향(수평 두 방향 및 수 직 방향에 대해 I = 1, 2, 3) 성분 각각


에 대해 응답스펙 럼 석 트 해 에 의한 완전해(   )는 아래 해설 식 1.3.3을 이용하여 계 산 한다.

      

(해설 식 1.3.3)

여기서   는 증 폭 드   모 (   )에 대해 주기모 드응답 성분이며   는 강체모 드응답


성분으로서 다 음 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① 합 조 방법 1에서는   와   를 각각 음
다 해설 식 1.3.4와 해설 식 1.3.5를 이용하여


계 한다.




      
 
  (해설 1.3.4)
       



   
 

    (해설 1.3.5)

여기서


       

   

 : i번째 드 드응답 모 의 모

   : I 번째 누락 드 잔
방향 지진성분에 대한 질량모 의 여 강체 응답
 : Lindley-Yow upta 방법 또는 G 산 방법에 의해 계 되는 계수로서  ≤  ≤ 

 : 상관계수로서 Rosenblueth Der Kiureghian 방법과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계 산
 :  보다 낮은 모 드 의 수

 : 영주기 진동수 (33 Hz )

② 합 조 방법 2는 주기모 드응답 산 을 계 하기 위해 Lindley-Yow 방법을 사용하고 강체모

드응답 을 구하기 위해 정적 ZP A 방법을 적용할 때만 사용한다. 이 방법에서는   와


  를 각각 음 다 해설 식 6 식1.3. 과 해설 1.3.7을 이용하여 계 산 한다.

- 25 -

식 6

      
 
  (해설 1.3. )
       

      (해설 식 1.3.7)

여기서


       

   : ZP 정적 산 I 번째 A 방법을 사용해 계 한, 지진성분에 대한 강체 응답


 : Lindley-Yow 산 ≤ ≤
방법에 의해 계 되는 계수, 

 : 상관계수로서 Rosenblueth Der Kiureghian 방법과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 : 드
 보다 낮은 모 의 수

 : Hz
영주기 진동수 (33 )

누락 질량모 드 잔
의 K PIC STB
여 강체 응답 ,    는 E 3.2.7.1.4.1(2015 년 판)에

제시된 누락 산 upta
질량방법을 사용해 계 K PIC STB 한다. G 방법은 E 3.2.7.1.3.1에 제시

되어 있으며 Lindley-Yow K PIC STB 방법은 E 3.2.7.1.3.2에 제시되어 있다. 그 리고 강

체 응답  , K PIC STB
    는 ZP E 3.2.7.1.4.2에 제시된 정적 A 방법을 이용하여 계

산 한다.

Rosenblueth 상관계수는 다 음 해설 식 1.3.8과 같다.





  ′ ′  
         
(해설 1.3.8)
  ′      ′   

여기서

   : 드 모 진동수

   : 드 쇠
모 감 비

 : 강진지속시 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 리고 Der Kiureghian 상관계수는 다 음 해설 식 1.3.9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해설 식 1.3.9)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
여기서, 각 호 기 의 정의는 해설 식 1.3.8과 동일하다.

상관관계가 없는 모 드응답 을 조 합 하는 방법들은 모두 SRSS 법에 기초하며, 진동수가

충분히 떨 어져 있는 모 드 의 주기모 드응답 성분을 조 합 하는 방법들은 모두 SRSS 법과

같아진다. 이 경우,    (    인 경우),     ( ≠ 인 경우)의 관계가 성 립


하며 해설 식 6
1.3. 은 다 음 해설 식 1.3.10과 같아진다.




    

   (해설 1.3.10)
   

근접 드 모 (진동수가 근접 한 모 드 )가 있을 경우에는 SRSS 법을 적용할 수 없으며 근접


모 드 의 정의는 임계감 쇠 비의 함수로 주어지며 다 음 과 같다.

- 쇠
임계감 비가 2% 이하인 경우, 진동수가 서로 10% 이내이면 근접 드 모 로 고려한다.

(즉,    일 때   ≤    )
- 임계감 쇠비가 2%보다 큰 경우, 진동수가 서로 임계감 쇠 비의 5배 이내이면 근접 드 모

로 고려한다. (즉,      일때 감쇠 비가 5%이면   ≤     , 감 쇠비가 10%이면

  ≤    )

1.3.4.2 방향별 지진영향의 조합


(1) 송배전설비의 내진설계 시에는 원칙 적으로 수평 두 방향 및 수 직 방향 지진 응답 의 영

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수 직성분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에는 수 직 방향

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2) 각 방향별 응답 의 조 합 SRSS


은 방법에 따른다. SRSS 합 조 방법을 따르지 않을 경우는

다 음 의 3가지 조 합 방법에 따라 방향별 지진 응답 합 그


을 조 하고, 중 가장 큰 값을 취

한다.

              (1.3.1)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및  는 각각 - -
1 방향, 2 방향 및 3 방향의 - 응답 이다.

(3) 단, 전력구 등의 지하구조물의 경우는 그 특성에 따라 별도 방법에 의하여 방향별 지

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 27 -
1.4 지진응답 계측
1.4.1 계측의 목적
(1) 지진 시 또는 지진경과 후 송배전설비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진 응답
계 측 스템
시 을 운용한다.

(2) 내진설계 시의 가정 사항을 검증하고 설계이론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설비의 지진 시

실제 동적 거 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한다.

(3) 송배전설비 주변지반의 거 동에 관한 자 료 를 취 득하고 축적한다.

[해설]

(1) 송배전설비의 유지관리, 내진설계 기술 개발 및 개선을 위하여 자 료 집수 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송배전설비의 지진 응답 측계 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할 수 있다.

(2) 송배전설비의 지진 응답 을 계 측 하기 위한 계 측기기의 설치위치, 종류 및 수량은 이 지

침의 목 적을 달 성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1.4.2 계측에 관한 책임
(1) 설비의 관리주체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지진 응답 측계 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2) 지진 응답 측 계 에 관한 책임은 설비의 관리주체가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설비의 운영

을 담당 하는 자에 게 부과된다.

1.4.3 계측기기의 종류
(1) 계 측 에 사용되는 기기로서는 가속도계, 속도계, 변위계, 간극 수압계, 동토압계, 수압계

등이 있다.

(2) 계 측 기기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해서는 지진공학분야 전문가의 의 견 받


을 아야 한다.

1.4.4 계측항목 및 설치 위치
(1) 계 측 목 항 의 선정은 시설의 규모, 중요도, 지반조건에 따라 달 라지므로, 구체적인 계 측
결과의 활용 목적, 평가수법 등을 명확하 게 립 수 한 후 계 측 목
항 을 선정하여야 한다.

(2) 액상화에 대한 관 측을 위하여 지반에 간극 수압계를 설치할 수 있다.

1.4.5 유지관리 및 활용
(1) 설치된 계 측 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 태 를 유지하여야 한다.

(2) 계 측 기의 유지 상 태 는 주기적으로 점검 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한 빠 른 시

간 내에 점검 을 하여, 지진 응답 측계 기록을 회수, 분 석


하고 그 책
대 을 강구하여야 한

- 28 -
다.

(3) 계 측기록은 관련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소 등에 배포하여 지진 응답 의 특성을 분 석 하

고 보존한다.

1.5 품질보증요건
1.5.1 일반조건
(1) 송배전설비의 내진성 확보를 위한 품 질보증은 각 설비의 내진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

는 품 질보증요건을 문서화된 계 획 으로 수 립 하여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단계별로 이

루 어져야 한다.

(2) 품질보증 활동과 관련된 수행과정과 결과는 설계도서와 함 께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한

다.

[해설]

(1) 설계 품 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타당 성 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

계에 대한 검 토가 이 루 어져야 한다.

(2) 품질보증계 획 에는 검 사 및 시험계 획품 , 질시험 및 검 사요원 의 기준, 시험실 및 시험 검


사장비에 대한 기준, 검 사와 시험결과로 부적 합 판정이 난 경우의 후속 조치사항 등

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유지관리계 획 에는 사용기 간중의 내진성능 확보를 보증할 수 있도록 구조물을 구성하

는 하중 전 달 경로상의 부 재나 충분한 연성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구조요소에 대한 내

진성능 평가요건이 포함되어야 한다.

1.5.2 설계품질관리
(1) 설계자는 내진설계규정을 숙 지하고, 송배전설비가 충분한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

록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검 토를 하여야 한

다.

(2) 활성단 층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에 완 벽히 저항하는 설비를 설계하는 것은 비

현실적이므로 지진발생 후 피해 구조물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1.5.3 시공품질관리
(1) 송배전설비의 적절한 품 질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시공자는 공사 품질에 관한

품 질보증계 획 을 작성하고, 품 질보증계 획 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 재료 품의

질관리를 실시한다.

(2) 시공자는 품 질보증계 획의 일부인 검 사 및 시험계 획


서를 시방서, 도면, 국가규 격 및 사

- 29 -
업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 든검사, 계 측 및 시험장

비는 그 정확도를 보증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 되어야 한다.

(3) 시공의 감리를 담당 하는 자는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 합 하지 않는 제 품 (부적 합품 식


)을

별, 평가, 처리하는 방법과 부적 합 사항의 원 인을 제 거 하기 위한 시정 및 예방조치에

대한 이행 절차를 수 립 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1.5.4 유지관리
(1) 송배전설비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노후시설의 내진성능 평가, 지진시의 안전성 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유지, 보수체제를 구성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2) 설비의 관리 책 임자는 별도의 기준에 의 거 송배전설비의 노후화 정도 및 중요도에 따

라 일상 점검 , 정기 점검 긴 점검
, 급 및 정 밀 안전진단 계 획 종합
과 적인 보수 보강 대 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3) 송배전설비 중 주요 시설물에 대한 모 든 구조적 변경은 지진공학에 관한 지 식 갖춘


전문기술자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여부를 검 토한 후 이 루어져야 한다.

1.6 참조 표준 및 기준
다 음 열거
에 하는 기준과 규 격서는 필요한 경우 이 지침의 참고규정으로 사용한다.

(1)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 국민안전처, 2017

(2)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 태 설계법), 한국도로교통 협 회, 2012

(3) 건축구조기준, 대한건축학회, 201 6


(4) 콘크 리트구조기준, 한국 콘크 리트학회, 2012

(5) 강구조설계기준, 한국강구조학회, 2010

6 K PIC ST
( ) E 지진해 석 및 내진성능평가, 대한전기 협 회, 2011

I 6
(7) EEE 93, 미국전기전자학회, 2005

(8) 도시철도 내진설계 기준, 국토해 양 부, 2009.

(9) 공동구 설계기준, 국토해 양 부, 2010

(10)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국토해 양 부, 2009

(11) A SC - 6
E 4 1 , 미국토 목 학회, 2017

- 30 -
1.7 용어 및 기호
1.7.1 용어의 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 음 과 같다.

(1) 붕괴방지수준 : 송배전설비가 보유해야 할 내진성능 수준으로서 지진발생 시 개개의

시설에 경미한 피해는 허용하나, 인명에 중대한 피해를 주지 않고, 부분적인 송배전설

비로서의 성능이 유지될 정도의 수준

(2) 내진등급 : 시설물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설계수준을 분 류 한 범주. 송배전설비는 내진

Ⅰ 등급, 내진특등급으로 구분

(3) 재 현주기 :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가 특정한 크 기 이상으로 발생할 주기를 확 률 적으로

계 산 한 값으로, 1 년 동안에 특정한 크 기 이상의 자연 재해가 발생할 확 률 의 역수

(4) 지진구역 : 유사한 지진위험도를 갖는 행정구역 구분으로서 지진구역 I II


, 로 구분

(5) 지반분 류: 국지적인 토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정도를 공

학적인 특성에 근거 하여 지반을 분 류 하는 등급

6
( ) 기반 암: 전단파속도가 7 0 6 m/s 이상을 나타 층 내는 지

(7) 가속도계수 : 지구의 중력가속도( g≒ m/s 크


9.8
2
) 기에 대한 지반운동가속도의 크기의

비 율 을 의미하는 계수

(8)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위험도계수와 지진구역계수의 곱 으로 표현되며, 설계지반운동의

세기를 나 타 내는 가속도

(9) 지진구역계수 : 우리나라의 지진 재 해도 해 석


결과에 근거 한 지진구역 과 I II 암
의 반지반(   )

상에서 평 균재 년현주기 500 지진의 지반운동 가속도를 중력가속도 단위로 표현한 값

(10) 위험도계수 : 균재 평 년
현주기 500 인 지진을 기준으로 하여, 평 균재 현주기가 다른 지

진의 최대지반가속도를 상대적 비 율 로 나 타낸 계수

(11) 지반증 폭 : 계수 기반 암 스펙 럼
의 트 가속도와 지표면의 스펙 럼 트 가속도의 증 폭 율 비

(12) 응답스펙 럼 : 트 지반운동에 대한 단자유도 시 스템 의 최대 응답 을 고유주기 또는 고유

진동수의 함수로 표현한 스펙 럼 트

(13)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 암  균재 트 반지반(  )에서 평 현주기가 500 년 인 설계지진에 대한


5% 감 스템
비 단자유도 시 응답스펙 럼 의 설계 트

(14) 감 쇠 :
보정계수 쇠 특정 감 비에 대하여 주어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으로부 터 다른

쇠 갖
감 값을 스템 는 동적시응답스펙 럼 의 설계지진 트 을 구하기 위하여 표준설계 응답스
펙 럼 곱트 에 하여 주는 계수

(15) 영주기가속도 : 응답스펙 럼 드 ㎐ 트 의 강체모 (통상 33 이상의 모 드)에 해 당 하는 가속도

값으로서 보통 입 력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와 같다.

6
(1 ) 등가정적해 석 : 법 환산 지진의 영향을 정적하중으로 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정적해 석
을 수행함으로써 거 측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동을 예 하는 방법

- 31 -
(17) 시 간이력해 석 :
법 계기지진파 또는 인공으로 합성된 지진파를 입력운동으로 하여 지

진의 지속시 간동안 각 간 시 단계에서의 구조물의 동적 응답 을 구하는 방법

(18) 응답 변위법 :
기반면으로부 터 발생된 지반운동으로 인하여 자유장지반에 발생된 변

위와 주면전단력을 이용하여 지중구조물의 지진해 석


을 정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9) CQC Complete Quadratic Combination :


( ) 진동모 드
들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각
모 드 응답 합의 써 응답
을 조 함으로 최대 을 구하는 방법

(20) SRSS Square Root of Sum of Squares :


( ) 개별 진동모 드 터 로부 구한 응답 성분 또는

각 응답
방향의 터 응답
성분으로부 최대 을 구하기 위하여 응답 성분의 최 댓 값을 제 곱 하

여 모두 더한 값에 제 곱근 을 취하는 방법

(21) 응답 :탄 석
수정계수 산성해 에 의해 계 된 구조요소의 부 재력으로부 터 실제의 설계지

진력을 산 정하기 위한 수정계수

(22) 소성 거 : 재 응답 탄 태
동 구조부 의 이 성상 를 초과하여 하중이 제 거되더라도 원 래 형상

으로 되 돌 거
아가지 않는 동

(23) 연성 거 : 동 재 갑
구조물 또는 부 가 자기 파괴되지 않고, 파괴에 이르기 까 지 상 당 크

기의 소성 변형을 동반하는 거 동

(22) 액 : 상화 포화된 사질토 등에서 지진동, 발파하중 등과 같은 충 격


하중에 의하여, 지반

내에 과 잉간극 수압이 발생하여, 지반의 전단강도가 상실되어 물처 럼거 동하는 현상

1.7.2 기호의 설명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기 호의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 감쇠 보정계수

 : 지표 층 지반의  번째 층 토 의 두 께
 : 재료 탄 의 성계수

 :  번째 드모 의 변형에 너 지

 : 단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장주기 지반증 폭 계수

 : 지표에서 기반 암까 깊 지 이

 : 지표층 지반의 두 께
 : 평균재 현주기별 최대유효수평지반가속도를 나 타내는 위험도계수

  : 강성행 렬
 : 지진동의 파장

  : 질량행 렬
 : 응답 수정계수

 :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32 -
 : 지반의 분 류 중 암 반 지반

 : 지반의 분 류 중 얕 고 단단한 지반

 : 지반의 분 류 중 얕 고 연약한 지반

 : 지반의 분 류 중 깊 고 단단한 지반

 : 지반의 분 류 중 깊 고 연약한 지반

 : 지반의 분 류 중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 : 5% 감 쇠 비 가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m/s 트 ,


2

 : 지표 층 지반 고유주기에 해 당 되는 내진설계기준면의 5% 감 쇠비 속도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m/s 트 ,

 max : 최대 고려진동수와 영주기가속도 진동수 사이 구 간 에서 최대 스펙 럼 트 가속도 값

 : 진동주기

  : 지표 층 지반의 고유주기

  :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의 장주기 영역의 변 곡점 을 나 타내는 주기 (3초)

  :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의 최대증 폭 간 구 을 나 타 내는 최소주기 (0.0 초) 6


  :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의 최대증 폭 간 구 을 나 타 내는 최대주기 (0.3초)

  : 가속도시 간
이력의 강진운동의 정상구 간 의 최소지속시 간
   :
 지표면 아래  점 지 의 설계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지반의 수평변위진 폭
 :
    지표 층 (지표면에서 기반 암까 층 지 토 )의 평 균 전단파속도

  : 지표 층 지반의  번째 층 균
토 의 평 전단파속도

 : 구조물의 중량과 활하중의 합


 : 지진구역계수

g : 중력가속도


  : 지반의 평 균 비배수 전단강도

 : 포아송 비 ( Poisson's Ratio )

 : 감 쇠비(% 단위)로서 0.5에서 50 까 지 범위에서 유효함

  
 :  번째 드모 의 참여계수 = 
  
 : 지진방향성분에 대한 자유도 믐 1의 값을 갖 그 고 외의 자유도는 0의 값을 갖 벡터

- 33 -
2.6 발전소 스위치야드 설비
(1) 발전소 스 위치야 드 에 속한 설비들은 이 지침의 “제2장 변전설비”의 내진설계 지침을

따라 내진설계 할 수 있다.

(2) 스위치야 드 설비에 적용하는 설계지반운동의 수준은 이 지침의 “1.2.4 설계지반운동의

표현”에서 적용하는 수준의 지진운동 수준을 스 위치야 드 설비에 동일하 게 적용한다.

(3) 단, 원 자력발전소 스 위치야 드에 설치되는 변전설비의 내진설계를 위한 설계응답스펙 트

럼 은 본 지침서의 표준설계 응답스펙 럼 협 K PIC STB


트 과 대한전기 회의 E 에서 규정하

는 원 자력발전소의 안전정지지진 설계 응답스펙 럼 괄 곡 트 을 포 하는 선으로 결정한다.

이때, 설계 대상 원 자력발전소 안전정지지진의 영주기 가속도가 0.3 g 보다 작은 경우,

g
최소 0.3 로 설정하여야 하며, 안전정지지진의 설계 응답스펙 럼 각 점 트 은 통제 에서 영

주기 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켜증가시 원 야 한다. 자력발전소 안전정지지진의 설

계 응답스펙 럼 트 은 지반특성이 고려되어 지표면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이 규정은

수평 및 수 직 방향 설계 응답스펙 럼 트 에 모두 해 당 된다.

(4) 또한, 원 자력발전소 스 드


위치야 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건물의 중요도계수를 고려한 설계 응답스펙 럼 트협 K PIC


과 대한전기 회의 E

STB 에서 규정하는 원 자력발전소의 안전정지지진 설계 응답스펙 럼 괄 곡 트 을 포 하는 선

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설계 대상 원자력발전소 안전정지지진의 영주기 가속도

가 0.3 g g
보다 작은 경우, 최소 0.3 로 설정하여야 하며, 안전정지지진의 설계 응답스펙
트 럼 각
은 통제 점에서 영주기 가속도의 증가비와 동일하 게 증가시 켜 야 한다. 원 자력

발전소 안전정지지진의 설계 응답스펙 럼 트 은 지반특성이 고려되어 지표면에서 정의되

는 것으로 한다. 이하 건축물의 내진설계절차는 건축구조기준을 준용한다.

[해설]

송배전설비 내진설계 실무지침(2014)에서는 I Preliminary findings and


AEA에서 발행한 “

lessons learned from the 6 uly earthquake at Kashiwazaki-Kariwa nuclear power


1 J 2007

plant
(2007. 8)”를 참조하여 원 g
자력발전소 소외전력의 최소기준으로서 0.25 로 설정하였다.

그 ’6
러나, 9.12 경주지진( 1 .9.12) 이후, 산 원 원
업통상자 부에서 가동 전의 주요 안전계통에 대한

내진성능을 0.3 g 수준으로 확보하도록 요구함에 따라, 원 자력발전소 소외전력의 최소기준을

g
0.3 로 변경 설정하였다.

- 3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