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9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 및 재하성토공)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ㆍ수평배수재와 연직배수재를 최대한 안전하게 결속시키고 복토과정이나 침


하과정에서 연결부가 떨어지거나 수평배수재와 연직배수재가 훼손되지 않
도록 작업 중 시공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ㆍPBD 설치 후에 복토층의 표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고르기 및 평탄 작업


을 다시 하여 수평배수재를 설치한다.

2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ㆍ수평배수공 1일 작업을 완료하면
아래의 내용을 기록한 성과물을 검측서에 첨부하여 제출한다.

- 수평배수재의 시공위치 및 길이, 소요기간, 인원, 자재, 기타 시공에 관한 기록

- 시공시의 지반고 및 지반의 변화상태

- 시공 책임자

- 기타 시공시 문제점

3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4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5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ㆍ수평 배수재에 기 시공된 연직 배수재(PBD)를 충분히 오버랩 시키고(약
30cm) 결속장비(에어 타카등)를 이용해 최소 4곳 이상 단단히 결속시켜
수평 배수재와 연직 배수재의 연결부가 재하성토 과정이나 침하과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최대한 결속 시키도록 한다.

ㆍ수평 배수재와 PBD를 결속시킨 후 토사로 먼저 수평 배수재를 덮어 주어 강


풍에 의해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다음 공정인 재하성토 과정에서도 도저 등
의 작업 시 외력에 의해 수평배수재가 밀려나가거나 연직 배수재와의 결속
부위가 떨어지지 않도록 예방에 만전을 기한다.

6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ㆍ수평 배수재와 수평 배수재간 연결이 있을시에는 수평 배수재간 코어재가 서


로 충분한 겹침 길이로 맞물리도록 한 후 연결부위에 결속기(에어 타카 등)
를 사용해 단단히 결속 시키고 연결부위를 테이핑하여 주변의 미세 토립자
가 수평 배수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7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8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9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0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1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ㆍ집수정은 아래 단면도와 같이 시공하며, 토립자 유출에 의한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매트를 이용해 집수정 둘레에 밀실하게 덮어씌운다.

12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3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4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5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6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7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1) 수평배수공 시공(품질) 관리

18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재하성토용 재료는 감리원 및 발주처가 승인한 채취원에서 채취하여야 하며,


사전에 공급원 승인 등 적정한 선행 행정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ㆍ설계도 및 시방서에 의거하여 수평배수공을 포설 후 단계별 성토하여 안정


성과 시공품질을 확보한다..

ㆍ토공재료는 향후 토취장이 선정되면 시방기준에 맞게 품질관리계획을 수립/


실시하여 폐기물 등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

ㆍ재하성토 기간 완료 후 제거해야하는 토사는 설계도서에 근거하여 감리단


및 발주처의 지시/승인을 득하여 적법하게 유용 및 처리한다.

19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지반개량 확인은 압밀도를 기준으로 확인하며, 세부적인 확인방법은 제반
설계도서에 명시된 사항을 준용하여 관리하고, 지반개량 확인이 완료된 구
간에 대해 매립의 역순으로 압밀 제거를 실시하며, 제거토 운반/매립은 위
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적정 처리한다.

ㆍ관리시험계획은 시방규정 등 제반 설계도서와 품질시험계획서에 명기된 사


항을 기준으로 감리원과 협의하여 실시하며, 폐기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

20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재하성토 및 복토 재료는 다음 표와 같은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이러한
품질기준은 공급원 승인 단계에서 사전 검토 및 시험하여 관리한다.

<토공재료 품질기준 - 시방서>

구분 습윤단위중량(kN/m3) 포화단위중량(kN/m3)

재하성토 및 복토 18.0 20.0

21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재하성토 재료는 특별한 별도 지침이 없는한 다음 표와 같은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이러한 품질기준은 공급원 승인 단계에서 사전 검토 및 시험하여 관리한다.

구분 조건 비고
최대치수 150mm 이하

No. 4번체 통과분 25~100%

No. 200번체 통과분 50% 이하

No. 40번체 통과분의 소성지수 20 이하

시방 다짐을 실시한 흙의 수정 CBR 값 5 이상 KS F 2320

22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재료원과 관련하여 수급조건 조정이 불가피할 때에는 별도 재료수급계획 등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별도의 검토서를 작성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ㆍ시방서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재료는 재하성토 재료로 사용하지 않는다.


- 벤토나이트, 온천여토, 산성맥토, 유기질토 등 흡수성, 팽창성 및 압축성이 큰 흙

- 빙토, 빙설, 초목, 나무등걸 및 다량의 부식물을 함유한 흙

- 기타 사용에 부적합한 재료

ㆍ재하성토 운반은 BH와 DT, DZ 등 범용장비를 투입하여 실시하며, 대량의 장비투입으로 교


통사고 및 현장 내 충돌/협착 등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23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4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5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6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7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8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29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0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1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2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3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4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5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36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재하성토의 제거시기는 계측 결과와 개량효과 판단을 위한 지반조사 결과를 분
석하고 검토보고서를 작성 제출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얻은 후에 결정한다.

ㆍ목표 압밀도에 도달하여 재하토를 제거할 경우에는 제거된 지역에 응력집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재하시와 같이 균등하게 순차적으로 제거를 실시한다.

ㆍ압밀 침하량은 실제 계측 및 측량결과를 분석하여 재평가하여 설계와 비교분석


한다.

ㆍ성토제거는 설계목표 압밀도 및 침하량 이상에 도달할 때 실시하며, 목표 압밀


도 및 침하량 도달전에 성토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감리원과 협의하여 실시한다.

37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공 및 재하성토공)
2) 재하성토공 시공(품질) 관리
ㆍ실제 성토 제거량은 계측 및 측량 결과를 분석하여 설계값과 비교분석 후 실시한다.

ㆍ재하성토 포설 중 발생하는 원지반의 초기 침하량은 침하판 계측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감리원의 확인을 받은 후 해당수량을 공사수량에 포함시킨다.

ㆍ설계시 산정한 제거토량과 지반개량 후 발생하는 수량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필요시 감리원의 확인을 받아 설계 변경하도록 한다.

38
05. 압밀배수공법 (수평배수 및 재하성토공)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