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0

한약재 품질표준화 연구사업단

황기(黃芪)
Astragali Radix

생약연구과
○ 한글명(한자명) : 황기(黃芪)
○ 영 명 : Astragalus Root
○ 라 틴 명 : Astragali Radix
○ 기원식물 :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몽골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콩과 Leguminosae)
○ 약용부위 :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

1. 성상

이 약은 뿌리로 가늘고 긴 원기둥모양을 이루고 길이 30 〜 100 cm, 지름 7 〜 20


mm이며 드문드문 작은 가지뿌리가 붙어있으나 분지되는 일은 없고 근두부 가까이에
서는 약간 꼬여있으며 줄기의 그루터기가 남아있다. 바깥면은 연한 회황색 〜 연한 황
갈색이며 회갈색의 코르크층이 때로 군데군데 남아 있고 불규칙한 거친세로의 주름과
가로로 껍질눈 같은 모양이 보인다. 질은 치밀하고 꺾기 힘들며 꺾인 면은 섬유성이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볼 때 최외층은 주피이고 피부는 연한 황백색, 목부는 연한 노란
색이며 형성층 근처는 약간의 황갈색을 띤다. 피부의 두께는 목부지름의 약 1/3 〜 1/2
이고 가는 뿌리에서는 목부로부터 피부에 걸쳐 흰색의 수선이 보이나 굵은 것은 때로
다수의 방사상의 갈라진 틈이 있다. 대개 수는 볼 수 없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약
간 있고 맛은 달다.

Fig.1 약재(좌), 식물(우)

- 1 -
2. 기원

한국, 중국, 일본의 공정서를 비교한 결과 라틴명은 동일하였으나, 기원식물에 차이


가 있었다.
Table 1. The origin of the Astragali Radix in KP, ChP and JP

구분 라틴명 기원 함량기준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Astragali
KP 11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
Radix
(Bge.) Hsiao,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Astragali
CP 2015 (Bge.) Hsiao, -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Astragali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JP 16 -
Radix Astragalus mongholicus Bung

3. 한방에서의 용도
황기는 한의학적으로 약성이 달고 미온하며 폐, 비경으로 들어가 보기승양(補氣升陽),
익위고표(益衛固表), 탁창생기(托瘡生肌), 이수소종(利水消腫)하는 효능이 있다.
보기승양 하므로 인체에 기허로 인하여 생기는 중기하함으로 인한 탈항, 자궁탈수, 권
태, 무력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익위고표 하므로 표허로 인한
자한에 사용한다. 탁창생기 하므로 ‘창가의 성약’이라 불리며 인체가 허하여 면역반응
이 저하되어 농이 잘 사라지지 않을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수술부위가 잘 아물
고 회복이 빠르게 되게 하는 십전대보탕에서도 가감 될 수 있다. 이수소종 하므로 수
종이 있으며 겸하여 비허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기허시 기혈 및 체액순환이 저하될 때
수액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 2 -
4. 성분분리 연구

(1) 국내·외 연구 현황

황기의 주성분은 saponin과 flavonoid들로서 saponin은 대부분 cycloartane계열이고,


소수의 lanostane계 및 oleanane계열의 물질들이다. 또한 flavonoid성분들도 대부분 iso
flavone계열이며, 이 외에도 isoflavan 및 pterocarpan계열의 물질들이 유리형(遊離型)으
로 또는 배당체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황기의 성분 연구는 1983년 일본의 Kitagawa
group의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황기의 MeOH extract를 물과 BuOH로 분획
하여 얻은 BuOH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걸고 CHCl3-MeOH-H2
O=10:3:1로 용출시켜 얻은 6개의 subfraction을 C18 (MeOH-H2O) 및 silica gel colum
n을 반복하여 모두 12종의 saponin성분들을 단리하여 보고하였다. Cycloastragenol을 a
glycon으로 하는 saponin들은 acetylastragaloside I, isoastragaloside I, II, astragalosid
e I, II, III, IV, V, VI, VII 등 이다. 이 외에도 soyasaponin I과 astragaloside VIII는 s
oyasapogenol B을 aglycon으로하는 oleanane계 saponin임을 밝혔다. 이후로 isoastraga
loside IV도 분리되어 구조가 규명되었다. Phenol성 성분들로는 flavonoid성분들이 주류
를 이루고 있다. 즉 formononetin, calycosin, afrormosin (7-hydroxy-6,4´-dimethoxyis
oflavone), odoratin (7,3´-dihydroxy-6,4´-dimethoxy isoflavone), 7,3´-dihydroxy-8,4´-d
imethoxyisoflavone, 8,3´-dihydroxy-7,4´-dimethoxyisoflavone 같은 isoflavone계열의
성분들과 이들을 aglycon으로는 하는 배당체들 즉 calycosin 7-O-glucoside, formonon
etin 7-O-glucoside, odoratin 7-O-glucoside, 5´-hydroxy-3´-methoxyisoflavone 7-Ogl
ucoside가 보고되었으며, isoflavan계열로는 8,2´-dihydroxy-7,4´-dimethoxyisoflavan, 7,
2´,3´-trihydroxy-4´-methoxyisoflavan, 2´-hydroxy-7,3´,4´-trimethoxyisoflavan, 2´-hyd
roxy-3´,4´-dimethoxyisoflavan 7-O-glucoside, 7,2´-dihydroxy-3´,4´-dimethoxyisoflava
n 7-O-glucoside, 5´-hydroxy-3´-methoxyisoflavan 7-O-glucoside 등이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pterocarpan계열의 (6aR,11aR)-10-hydroxy-3,9-dimethoxypterocarpan, (6a
R,11aR)-3,9,10-trimethoxypterocarpan, (6aR,11aR)-3-hydroxy-9,10-dimethoxypterocar
pan 3-O-glucoside 등이 보고되었다.

- 3 -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황기의 주요성분

(2) 성분 분리 및 동정

가. 시료 정보

생약명 기원식물학명 산지 형태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한국산 뿌리

나. 황기 추출물 제조

관능검사를 통해 기원 동정 등을 확인한 황금 17.8 ㎏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70%


EtOH로 70~80 ℃에서 3시간씩 7회 추출하여 70% EtOH 엑스 3.1kg을 얻었다.
용도 추출용매 추출물 양
(수득률 %)

분리, 분석 및 효능 실험용 70%EtOH 3.1kg (17.4%)

다. 성분 분리 과정
구입한 황기 17.8 ㎏을 세절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70% EtOH로 70 - 80 ℃에서
3시간씩 7회 추출하여 70% EtOH 엑스 (3.1 kg)를 얻었다. 이를 H2O로 현탁시켜 동량
의 hexane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여 hexane 분획 (137 g)을 얻고, 수층에 동량의
- 4 -
EtOAc를 가하여 진탕 방치하여 EtOAc분획 (145 g)을 얻고, 수층에 다시 동량의
BuOH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여 BuOH분획 (340 g)을 얻었으며, 수층을 농축하여 H2O
분획 (2,471 g)을 얻었다.

황기 추출 분획 및 분리도

라. 성분 분리량

물질명 분리량 (mg) 비고

lupenone 108 효능 검토
β-sitosterol 600

palmitic acid 7

daucosterol 6´-palmitate 634

isomucronulatol 7-O-glucoside 1,457 분석법 검토


daucosterol 468 효능 검토
calycosin-7-O-β-D-glucoside 1,410 분석법 검토
agroastragaloside I 8

- 5 -
cycloaraloside A 3

brachyoside B 5

astragaloside I 1,610 분석법 검토, 효능 검토


astragaloside II 350

astrapterocarpan 3-O-glucoside 344

(+)-syringaresinol glucoside 63

(+)-pinitol 1,600

7-oxo-β-sitosterol 7

astragaloside III 35

astragaloside IV 250 분석법 검토, 효능 검토


agroastragaloside II 10

isoastragaloside II 3

formononetin 150 분석법 검토, 효능 검토


sucrose 500
cycloastragenol
4
6,25-di-O-β-D-glucoside
calycosin 40

cycloastragenol 3-O-β-D-xyloside 5

cyclocanthogenin 3-O-β-Dglucosyl(
15
1→2)-β-D-xyloside

- 6 -
마. 분리 성분의 화학구조 (*황기에서 처음 분리된 성분; ** 신규성분)
구조 화합물명 (compound number)
R= R1= H formononetin (21)
R= H R1= OH calycosin (24)

R= Glucose
calycosin-7-O-β-D-glucoside (7)
R1= OH

palmitic acid (3)

*daucosterol 6´-palmitate (4)

isomucronulatol 7-O-glucoside (5)

daucosterol (6) (=-sitosterol glucoside)

astrapterocarpan 3-O-glucoside (13)

*(+)-syringaresinol glucoside (14)

- 7 -
*lupenone (1)

R= H β-sitosterol (2)

R= O *7-oxo-β-sitosterol (16)

R1 R2 R3 R4
astragaloside I (11)
Ac Ac H Glc
Ac H H Glc astragaloside II (12)
Glc H H H astragaloside III (17)
H H H Glc astragaloside IV (18)

H Ac H Glc isoastragaloside II (20)

R1 R2
agroastragaloside I (8)
Ac Ac

Ac H agroastragaloside II (19)

**cyclocanthogenin 3-O-β-Dglucosyl(1→2)-β-D-xyloside (26)

- 8 -
cycloaraloside A (9)

*brachyoside B (10)

**cycloastragenol 6,25-di-O-β-D-glucoside (23)

cycloastragenol 3-O-β-D-xyloside (25)

sucrose (22)

*(+)-pinitol (15)

- 9 -
바. 성분 분리 결과
황기로부터 saponin 성분들인 astragaloside I ~ IV, isoastragaloside II,
agroastragaloside I, II, cycloastragenol 3-O-xyloside, cycloastragenol 3-O-glucoside
(cycloaraloside A, huangqiyiesaponin C), cycloastragenol 6-O-glucoside (brachyoside
B), cyclocanthogenin 3-O-β-D-glucosyl(1→2)-β-Dxyloside 및 cycloastragenol
6,25-di-O-β-D-glucoside 등 12종과, formononetin, calycosin, astrapterocarpan
3-O-glucoside, calycosin 7-O-glucoside, isomucronulatol 7-O-glucoside,
(+)-syringaresinol glucoside 같은 phenol성 성분 6종, β-sitosterol, 7-oxo-β
-sitosterol, daucosterol, β-sitosterol glucoside 6´-O-palmitate 등의 sterol계열 화합물
4종과, 지방산, lupenone, sucrose, (+)-pinitol 등 모두 26종의 화합물들을 단리하여 이
들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성분 중 cyclocanthogenin 3-O-β-D-glucosyl(1→2)-β
-Dxyloside 및 cycloastragenol 6,25-di-O-β-D-glucoside 등은 식물로부터 처음으로
분리 보고되는 신물질들이다. 또한 brachyoside B와 (+)-syringaresinol glucoside,
7-oxo-β-sitosterol, daucosterol 6´-O-palmitate, lupenone, (+)-pinitol 등도 이 식물로
부터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다.
분리된 성분들 중에, astragaloside I, IV 및formononetin을 황기의 지표성분 후보물
질로 선정하였다.

- 10 -
5. 분석법 연구

(1) 연구수행 방법 및 연구내용

가) 수집시료 및 감별

황기 시료는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황기 8종과 중국산 황기 10종을 제 1세부기관으


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각각 균질하게 분말화 하였다.

나) 분석대상 성분
각 국 공정서에서 정량법 및 확인시험의 지표 성분으로 채택하고 있는 5가지 성분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isomucronulatol 7-O-glucoside, calycosin 7-O-β
-glucoside, formononetin)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 1).
OH
O

OH

O
O OR
OH
R=Glucose
OH OH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isomucronulatol 7-O-glucoside calycosin 7-O-β-glucoside

epi-aminotadalafil (IS) byakangelicol


formononetin
(HPCL-UV) (HPLC-MS/MS)

Fig. 1. Marker compounds of Astragali Radix and internal standard

- 11 -
(2) 연구결과

가) HPLC/UV 분석법 개발

① 황기 추출법 최적화

추출방법, 용매, 추출시간을 다양화하여 검토한 결과, 작약 시료의 최적 추출조건은


Table 4와 같이 설정되었다.

Table 4. The optimal condition of sample preparation

Extracting method Solvent Time

초음파 추출 (sonication) 70% EtOH 1시간

② 시료제조 방법

400 mg pulverized sample in 70% EtOH

← sonication for 60 min

← filter with membrane filter (17 mm, 0.45 μm)

← mixing filtrate 100μL and internal standard 100μL

HPLC analysis (10 μL)

Fig. 3. Overall analytical procedures of extracts from Astragali Radix

③ 분석조건
Tabel 3-1의 조건으로 분석하였을 때, 화합물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Fig. 4-1).

- 12 -
Table 3-1.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of HPLC/UV for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isomucronulatol 7-O-glucoside, calycosin 7-O-β-glucoside, formononetin

Column Luna column (4.6 × 150 mm, 5 μm, phenyl-hexyl)


(A) Acetonitrile/Water (20/80, v/v)
Mobile phase
(B) Acetonitrile/Water (80/20, v/v)
Flow rate 1.0 mL/min
Column temp. 30℃
HPLC Inj. vol. 10 μL
Time (min) Solvent (%A)
condition
0-2 0 – 10
2-15 10 – 40
Gradient elution
15-20 40 – 100
20-25 100 – 100
25-30 100 - 0
UV
wavelength 230 nm
contidion

Fig. 4-1. Chromatograms of three isoflavonoids in Astragali Radix by Phenyl-hexyl column. :


A) standard compounds, B) 70% EtOH extract
(1: calycosin 7-O-β-glucoside, 2: isomucronulatol 7-O-glucoside, 3: formononetin, I.S.:
epi-aminotadalafil)

- 13 -
④ 분석법 검증(validation)
분석법 검증은 선택성, 직선성, 정확성 및 정밀성, 정량한계, 완건성 등의 항목에 대하
여 수행하였다.
3종의 isoflavonoid 화합물 및 내부표준물질의 머무름 시간은 calycosin
7-O-glucoside가 약 5.1분, isomucronulatol 7-O-glucoside가 약 12.1 분, 내부표준물질
이 약 17.3분, formononetin이 약 18.2분 이었고, 황기 추출물의 다른 성분들로부터 간
섭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분리되었다. 3종의 황기 생리활성성분을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ng/mL의 농도범위에서 내부표준물질과의 피크 면적비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세 가지 성분 모두 검량선의 상관계수가 0.9983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크로마토그램상에서 신호대 잡음비 (S/N ratio)를 3 이상으로
하여 3가지 성분 모두 50 ng/mL로 정하였다. 정량한계는 크로마토그램상에서 신호대
잡음비 (S/N ratio)를 10 이상으로 하고 정밀성이 20% 이하이고 정확성이 80 ~ 120%
인 조건을 만족하는 농도로 하여 3가지 성분 모두 200 ng/mL로 정하였다. 각 생리활
성성분 분석의 일내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가지 농도에 대하여 하루에 5
번 반복 실험하였으며, 일간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5일간 반복 실험하였
다. 일내, 일간 정밀성은 각 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비의 표준편차를 각 성분
과 내부표준물질의 피크면적비의 평균값으로 나눈 비의 백분율 (%)로서 구하였으며
그 값은 0.70 ~9.39%와 2.55 ~ 19.76% 내에 들었다. 일내, 일간 정확성은 검량선에
의하여 정량한 농도의 평균값을 기지의 농도로 나눈 비의 백분율 (%)로서 구하였으며,
그 값은 91.61 ~ 110.02%와 94.25 ~ 107.07% 이었다. 분석조건을 고의로 변동시켰을
때의 분석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완건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칼럼 온도, 유속
그리고 이동상 조성을 변화시키며 분석하여 area precision (C.V.), relative retention
time (RRT), peak asymmetry, theoretical plate number (N)를 계산하고 비교하여 평
가하였다. 칼럼 온도는 35 ±} 5℃의 3 포인트에서 각각 3번 반복하였으며, 유속은 1.0
±} 0.1 mL/min의 3 포인트에서 각각 3번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이동상 조성은 기
울기 용리 방법을 변경하여 평가하였다.

- 14 -
나) HPLC/MS/MS 분석법 개발

① 황기 추출법 최적화

추출방법, 용매, 추출시간을 다양화하여 검토한 결과, 작약 시료의 최적 추출조건은


Table 4와 같이 설정되었다.
Table 4. The optimal condition of sample preparation

Extracting method Solvent Time

초음파 추출 (sonication) 70% EtOH 1시간

② 시료제조 방법

400 mg pulverized sample in 70% EtOH

← sonication for 60 min

← filter with membrane filter (17 mm, 0.45 μm)

← mixing filtrate 100μL and internal standard 100μL

HPLC analysis (10 μL)

Fig. 3. Overall analytical procedures of extracts from Astragali Radix

- 15 -
③ 분석조건
Tabel 3-2의 조건으로 분석하였을 때, 화합물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Fig. 4-2).

Table 3-2.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of HPLC/MS/MS for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isomucronulatol 7-O-glucoside, calycosin 7-O-β-glucoside, formononetin

Column Capcell pak C18 (2.0 × 50 mm, 3 μm)

Mobile phase Acetonitrile / Water (40 / 60 v/v)

Flow rate 0.2 mL/min


Column temp. 30°C
Inj. vol. 10 μL
run time 7 min

HPLC/MS/MS
condition

MRM ion
transition

- 16 -
Fig. 4-2. 황기 생리활성성분의 LC-MS/MS chromatograms ;
A) calycosin 7-O-glucoside, B) formononetin, C) astragaloside I, D) astragaloside IV, and
E) byakangelicol (I.S), F) total ion chromatogram (TIC).

④ 분석법 검증(validation)

4종의 isoflavonoids 화합물 및 내부표준물질의 머무름 시간은 calycosin


7-O-glucoside가 약 0.76분, formononetin이 약 2.82분, astragaloside I가 약 5.05분,
astragaloside IV가 약 1.30분, 내부표준물질이 약 4.37분 이었고, 황기 추출물의 다른
성분들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양호하게 분리되었다.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비에
대한 4종의 황기 생리활성성분의 피크 면적비를 가지고 검량선 (50 ~ 750 ng/mL)을
작성하였다. 네 가지 성분 모두 검량선의 상관계수가 0.9912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크로마토그램상에서 신호대 잡음비 (S/N ratio)를 3 이상으로
- 17 -
하여 4가지 성분 모두 50 ng/mL로 정하였다. 정량한계는 크로마토그램상에서 신호대
잡음비 (S/N ratio)를 10 이상으로 하고 정밀성이 20% 이하이고 정확성이 80 ~ 120%
인 조건을 만족하는 농도로 하여 4가지 성분 모두 200 ng/mL로 정하였다. 각 생리활
성성분 분석의 일내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농도에 대하여 하루에 5
번 반복 실험하였으며, 일간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5일간 반복 실험하였
다. 일내, 일간 정밀성은 각 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비의 표준편차를 각 성분
과 내부표준물질의 피크면적비의 평균값으로 나눈 비의 백분율 (%)로서 구하였으며
그 값은 1.05 ~ 5.24% 와 3.77 ~ 19.77% 내에 들었다. 일내, 일간 정확성은 검량선에
의하여 정량한 농도의 평균값을 기지의 농도로 나눈 비의 백분율 (%)로서 구하였으며,
그 값은 88.22 ~ 117.60% 와 87.00 ~ 116.20%이었다. 분석조건을 고의로 변동시켰을
때의 분석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완건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칼럼 온도, 유속
그리고 이동상 조성을 변화시키며 분석하여 area precision (C.V.), relative retention
time (RRT), peak asymmetry, theoretical plate number (N)를 계산하고 비교하여 평
가하였다. 칼럼 온도는 35 ± 5℃의 3 포인트에서 각각 3번 반복하였으며, 유속은 200
± 20 μL/min의 3 포인트에서 각각 3번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이동상 조성은 40
± 2%의 3 포인트에서 각각 3번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다) 함량 모니터링 및 통계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황기 8종과 중국산 황기 10종을 제 1세부기관으로부터 제공받
아, 이를 각각 균질하게 분말화한 후, 체 (No. 30 mesh)로 곱게 체질을 하였다. 분말화
한 황기 400 mg을 정밀하게 취한 뒤, 70% 에탄올 10 m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
서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membrane filter (17 mm, 0.45 μm)로 여과한 후 확립
한 HPLC/UV 분석법을 이용하여 3종의 생리활성성분을 정량분석 하였다.

- 18 -
한국산 황기와 중국산 황기에 함유되어 있는 3종의 생리활성성분 함량

- 19 -
6. 약리활성 연구

본 연구에서는 황기 추출물 및 그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염증, 항알러지, 면역


조절, 골다공증 예방, 항당뇨 및 소화기계 질환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1) 항염증 효과

본 연구를 행한 결과는 염증에 대한 미약한 활성만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황기의 성


분들의 항염증작용은 arachidonic acid나 NO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에 보고된 바와 같이 adhesion molecule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난다고 사료되며,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항염증 효능에 대한 지표을 선정하면 astragaloside IV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2) 항알러지 효과
황기 함유성분 중 in vitro 가장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lupenone이였으
며, in vivo에서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lupenone과 astragaloside IV였다.
아직까지 이들 성분에 대한 항알러지 효과 연구는 검색할 수 없었다. 이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황기의 항알러지 효능 성분으로는 lupenone과 astragaloside IV라고 생각된
다.

(3) 면역효과
면역조절에 의한 전신성캔디다증 효과를 조사한 바, 항균효과가 검증되었다. Th1 면
역반응 결과는 cytokine profile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황기의 일반적인 성분으로만
알려진 daucosterol을 황기의 면역증가를 유도하여 감염증에 효과가 있는 지표성분으로
제시한다.
(4) 항당뇨 효과
황기를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에 의해 유도된 diabetic rat에 처리한
후 insulin 반응성을 본 결과 IR 유도가 저해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족부 궤양
(diabetic foot ulcer)의 치료에도 효능을 나타내었다. Diabetic rat에 daucosterol 을 처
- 20 -
리하면 insulin과 glucose 양의 변화는 없었지만, 췌장세포에서 insulin의 분비가 촉진되
고, astragaloside Ⅳ를 diabetic rat 에 3, 10, 30 μg/ml 를 투여하면 전구지방세포의 분
화 촉진 및 지방세포로의 glucose 유입 증가, 전구지방세포의 PPARγ 발현 증가, 혈당
량감소, insulin 증가와 같은 항당뇨 효능을 나타내었다. 총 8종의 황기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에 대하여 인슐린 1 nM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1 nM에 의한 IR-β
autophosphorylation의 상승효과를 평가한 결과, astragaloside IV가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stragaloside IV이 항 당뇨에 대한 효능과 혈관이완효과를 나타내었으므
로 항당뇨 효능의 지표성분으로서 astragaloside IV를 지표 성분으로 제시할 수 있다.

(5) 위염 및 위궤양 억제 활성
기존 연구에서 astragaloside IV는 ethanol에 의한 위점막 손상에 대하여 보호 효능을
지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난소를 제거한 rat에서 뼈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황기 유래 화합물 중 astragalosideⅠ의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daucosterol과 astragalosideⅠ이 HCl․ethanol로 유도된 위염
에 대한 동물 실험에서 위손상을 현저히 개선시켰다.

(6) 대사성 질환 (골다공증)


(3R)-(-)-7,2'-dihydroxy-3',4'-dimethoxyisoflavan-7-O-β-D-glucoside, lupeol,
formononetin은 조골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aucosterol과 formononetin은
ALP 활성을 증가시켰다. Lupeol은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고삼의 성분과 일치
하는 formononetin은 소주골 면적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astragaloside I과 formononetin을 위장관계 질환 개선 및 골다공증 예방 효능 지표성
분으로 선정하였다.

- 21 -
7. 최신 연구 동향

구분 제목 주요내용
14가지 oleanane타입 사포닌을 황기에서 분리해냈으며
Oleanane type saponins from the stems 이중 8가지(astroolesaponins A, B, C1, C2, D, E1, E2, F)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를 새로 밝혔다. 이들의 구조를 화학적, 분광학적 방법을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통해 규명하며 이들이 HepG2세포에 갖는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비교한다.
12가지 cyclolanstane타입 사포닌을 황기에서 분리해냈으
며 이중 6가지(astrolanosaponine A1, A2, B, C, D, E)를
성분· Bioactive cyclolanstane-type saponins 새로 밝혔다. 이들의 구조를 화학적, 분광학적 방법을 통
분석 from the stems 해 규명하며 HepG2세포에 갖는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비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교한다. 또한 알려진 화합물중 cycloastragenol-3-O-β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D-glucopyranoside, astraverrucinⅡ, cycloaraloside E,
huangqiyenin A, huangqiyenin B는 종에서 처음으로 분리
한 것이다.
Smith degradation, an efficient method astragaloside Ⅵ에서 cycloastragenol을 분리해해는 5가
for the preparation of cycloastragenol 지 방법들의 효율을 비교하고 이 중 smith degradaton의
from astragaloside IV. 효율이 가장 좋음을 입증한다.
Calycosin induces apoptosis in colorectal Calycosin의 종양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종양세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ng the ER 포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in vitro, in vivo에서 분자수
β/MiR-95 and IGF-1R, PI3K/Akt 준으로 알아본다.
signaling pathways.
Effect of Astragali Radix in improving 황기 추출물이 대사증후군을 가진 쥐의 ACE2,
early renal damage in metabolic Ang1-Mas 단백질에 어떤 작용을 하며 항산화효과를 갖
syndrome rats through ACE2/Mas 는지 알아보기 위해 valsartan과 대조연구를 진행하였다.
pathway
Astragalus polysaccharides decrease 황기의 다당류가 근 위축을 분자수준에서 어떻게 억제하
약리· muscle wasting through Akt/mTOR, 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장을 제거한 쥐의 체중, 근섬유, 단
독성 ubiquitin proteasome and autophagy 백질대사, 염증인자, 산화지표 등을 확인한다.
signalling in 5/6 nephrectomised rats.
Astragaloside IV enhances diabetic 당뇨를 가진 쥐에서 AstragalosideⅣ의 상처치유효과를
wound healing involving upregulation of 확인, ECM의 fibronectin, collagen의 변화를 관찰한다. 또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한 내피세포 성장을 보기위한 성장인자의 발현량 변화 또
한 관찰한다.
Protective effect of calycosin-7-O-β Calycosin-7-O-β-D-glucopyranoside의 산화적 스트레스
-D-glucopyranoside against oxidative 를 해소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활성산소 제거 능력,
stress of BRL-3A cells induced by 세포 생존능력 등을 평가하고 이 때의 mRNA, 단백질의
thioacetamide.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다

- 22 -
1) Calycosin의 대장암 억제 메커니즘
연구과정: Calycosin의 다양한 암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ERβ/miR-17 시
호전달경로 연구에 이어 이 경로에 의해 조절받은 IFG-1R, Akt 유전자의 변화를 알아
본다. 이를 위해 몇몇 종류의 대장암의 종양 miRNA 발현량을 관찰한다. ERβ 양성 인
간 대장암 세포주 SW480, LoVo세포와 ERβ-devoid 자궁경부암 HeLa세포를 배양해
전이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CCK8 assay를 수행하고 PI염색을 통한 유세포분석,
Hoechst 염색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한 세포자멸사를 판단한다. qRT-PCR을 통해
mRNA, miRNA의 발현정도를 확인하고 Western blotting을 통해 단백질 발현량을 확
인하여 calycosin 투여에 따른 변화를 확인한다. 체내에서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 쥐의
xenograft tumor model로 종양의 성장과 억제정도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Calycosin은 20-80μM 농도에서 SW480과 LoVo 모두의 전이를 농도 의존적

으로 억제하였다. CCK8 assay 결과와 flow cytometry 분석 결과 모두 calycosin에 의


해 종양세포의 세포자멸사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발되었음을 나타내었다. Hoechst염색
을 통한 형태변화를 본 결과 SW480세포에서의 효과가 LoVo세포보다 큰 것으로 나타
났다. RT-PCR 결과 calycosin은 특히 80μM에서 ERβ의 mRNA발현을 높였으며
miR-95 mRN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calycosin과 PHTPP를 병용한 결과 SW480
세포에서 miR-95 mRNA발현이 calycosin 단독투여보다 증가되었다. IGF/PI3K/Akt 신
호전달경로를 볼 때 calycosin에 의한 ERβ는 활성화되고 p-Akt, ERα, IGF-1R은 불활
성화되었다. 쥐의 체내 종양에서도 calycosin은 SW480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결론: Calycosin은 IFG-1R, PI3K/Akt 신호전달경로와 miR-95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대장암의 전이를 억제한다. (참고문헌3)
2) 황기 다당류들의 근위축 억제효과와 메커니즘

연구과정: 신장을 절제한 쥐에게 155일간 2% 황기 다당류(APS)를 먹인 뒤 체중변화,


근섬유, 단백질 대사, 염증인자(TNF-α, IL-15, CRP), 산화인자(MDA, SOD)를 비교하
고, Akt/mTOR, ubiquitin proteasome, autophagy signalling, AA transporter를 in
vivo와 in vitro로 관찰한다.
연구결과: 2% APS는 체중손실을 완화시키고 단백질 대사를 향상시켰다. 신장절제로
인해 변화되었던 혈청 염증인자들과 산화인자들이 회복되었고, 분자수준에서
- 23 -
Akt/mTOR, MAFbx, MuRF1, Atg7, LC3B-Ⅱ/LC3B-Ⅰ, SLC38A2를 회복시켰다. in
vitro 시험결과에서 0.2mg/ml의 APS가 가장 유효한 농도였으며 SLC38A2 siRNA가
감소하였다.
결론: APS는 Akt/mTOR, ubiquitin proteasome, autophage signalling, SLC38A2등의
가능성 있는 타겟을 통해 근위축을 개선시킨다. (참고문헌5)

3) 당뇨성 상처를 치유하는 AstragalosideⅣ의 효과


연구과정: 당뇨가 걸린 쥐의 피부상처를 치료하는 astragalosideⅣ(AS-Ⅳ)의 치유효과
를 확인하기 위해 streptozotocin-induced 쥐의 피부에 AS-Ⅳ를 직접 적용하였다. 이후
상처의 매트릭스 형성, 혈관신생, 재상피화과정을 평가하였다. 또한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M2 대식세포)의 발달 활성화가 상처 재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또한 관찰한다.
연구결과: AS-Ⅳ를 처치한 쥐의 상처를 관찰한 결과 상처범위가 대조군에 비해 시간
이 지날수록 현저히 줄어들었다. 재상피화의 경우 대조군은 3-7일간 20-60%의 상처회
복률을 보였으며 18일 만에 완전히 재상피화 된 반면 AS-Ⅳ 처치시 더 빠른 회복률을
보였다. ECM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AS-Ⅳ 처치시 Collagen의 량 자체도 늘어
났고 fibronectin과 collagenⅢ의 mRNA 발현도 늘어났다. CD31을 염색한 결과 AS-
Ⅳ 처치에 의한 혈관신생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rtPCR에 의해 혈관신생인자인
VEGF, vWF가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이 발현되었다. 면역염색법을 통해 M2 대식세포의
발현이 특징적으로 증가함이 관찰되었으며 대식세포 마커인 arginase-1, Ym1의 발현
증가 또한 rtPCR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AS-Ⅳ는 당뇨성 상처의 회복에 기여를 하며 이는 ECM의 재형성, 혈관신생, 대
식세포 발달에 의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피부관리를 위한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6)
4) Calycosin-7-O- β-D-glucopyranoside의 BRL-3A세포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연구과정 : Calycosin-7-O-β-D-glucopyranoside(CG)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RL-3A 세포에 10, 20, 40mg/ml의 농도로 12시간동안 투여한 뒤 0.18 mol/l
- 24 -
thioacetamide(TAA)를 2시간동안 처리한다. 이후 세포의 생존률을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assay를 통해 측정하고 총 항산
화물질 용량, melondialdehyde(MDA), 항산화효소(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을 microplate method를 통해 측정한다. 활성산소종
(ROS)의 생성은 2',7'-dichlorofluorescin-diacetate method를 통해 정량한다. CYP2E1
의 단백질과 mRNA 발현량을 Western blot과 rt-PCR을 통해 확인한다.
연구결과: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TAA를 투여 후 증가하였다. BRL-3A 세포에
CG를 사전투여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여 ROS를 제거하고 MDA의 생성을 억
제하였다. CG는 CYP2E1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결과적으로 TAA에 의한 BRL-3A세포
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결론: CG는 TAA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활성을 가지며 이는 ROS를 감

소시키고 CYP2E1의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이뤄졌다. (참고문헌7)

- 25 -
8. 종합고찰

기원 :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몽골황기 A. Bunge var.


mongholicus Hsiao (콩과 Leguminosae)의 뿌리이다.
성분 :
Ÿ Saponin 화합물: astragaloside I ~ IV, isoastragaloside II, agroastragaloside I, II,
cycloastragenol 3-O-xyloside, cycloastragenol 3-O-glucoside (cycloaraloside A,
huangqiyiesaponin C), cycloastragenol 6-O-glucoside (brachyoside B),
cyclocanthogenin 3-O-β-D-glucosyl(1→2)-β-Dxyloside 및 cycloastragenol
6,25-di-O-β-D-glucoside 등이 분리되었다.
Ÿ Isoflavonoid 화합물: formononetin, calycosin, astrapterocarpan 3-O-glucoside,
calycosin 7-O-glucoside, isomucronulatol 7-O-glucoside, (+)-syringaresinol
glucoside 등이 분리되었다.,
Ÿ Steriod 화합물: β-sitosterol, 7-oxo-β-sitosterol, daucosterol, β-sitosterol
glucoside 6´-O-palmitate 등이 분리되었다.
Ÿ 기타화합물: 지방산, lupenone, sucrose, (+)-pinitol 등이 분리되었다.
분석 :
Ÿ 지표성분: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isomucronulatol 7-O-glucoside,
calycosin 7-O-β-glucoside, formononetin 5종을 지표성분으로 결정하였다.
Ÿ 정량분석: HPLC-UV와 HPLC-MS/MS 분석법에 적용하여 지표성분 5종을 표준품
으로 하여 각 시료의 지표성분 농도를 구한 후, 정해진 함량분석법에 근거하여 함
량 분석을 하였다.
. 표. 황기 지표성분 5종에 대한 HPLC-UV 분석조건
Column Luna column (4.6 × 150 mm, 5 μm, phenyl-hexyl)
(A) Acetonitrile/Water (20/80, v/v)
Mobile phase
(B) Acetonitrile/Water (80/20, v/v)
HPLC Flow rate 1.0 mL/min
condition Column temp. 30℃
Inj. vol. 10 μL
Time (min) Solvent (%A)
Gradient elution
0-2 0 – 10

- 26 -
2-15 10 – 40
15-20 40 – 100
20-25 100 – 100
25-30 100 - 0
UV
wavelength 230 nm
contidion

표. 황기 지표성분 5종에 대한 HPLC-MS/MS 분석조건


Column Capcell pak C18 (2.0 × 50 mm, 3 μm)

Mobile phase Acetonitrile / Water (40 / 60 v/v)

Flow rate 0.2 mL/min


Column temp. 30°C
Inj. vol. 10 μL
run time 7 min

HPLC/MS/MS
condition

MRM ion
transition

약리 :
Ÿ 항염증효과: astragaloside IV이 높은 것으로 추측함.
Ÿ 항알러지효과:
- in vitro 가장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lupenone이였으며, in vivo에서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lupenone과 astragaloside IV였다.
Ÿ 면역조절효과:
- 27 -
- 면역조절에 의한 전신성 캔디다증 효과를 조사한 바, 항균효과가 검증되었다.
- daucosterol을 황기의 면역증가를 유도하여 감염증에 효과가 있는 지표성분으로
제시한다.
Ÿ 항당뇨효과
- 황기를 diabetic rat에 처리한 후 insulin 반응성을 본 결과 IR 유도가 저해되었
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족부 궤양 (diabetic foot ulcer)의 치료에도 효능을 나타
내었다. Diabetic rat에 daucosterol 을 처리하면 항당뇨 효능을 나타내었다. 총 8종
의 황기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에 대하여 인슐린 1 nM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1 nM에 의한 IR-β autophosphorylation의 상승효과를 평가한 결과, astragaloside
IV가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Ÿ 위보호효과:
- astragalosideⅠ은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 daucosterol과 astragalosideⅠ은 위염으로 인한 위손상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Ÿ 골다공증예방효과:
-(3R)-(-)-7,2'-dihydroxy-3',4'-dimethoxyisoflavan-7-O-β-D-glucoside, lupeol,
formononetin은 조골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aucosterol과 formononetin
은 ALP 활성을 증가시켰다. Lupeol은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고삼의 성분
과 일치하는 formononetin은 소주골 면적을 증가시켰다.

응용: 강장, 강심, 이뇨, 지한약으로 사용된다.


※ 별첨
(1) 황기의 지표성분 검토

(2) 황기의 분석 가이드라인


(3) 황기의 지표성분 표준품 제조 가이드라인

- 28 -
9. 참고문헌

1. 한약재 품질 표준화 연구 사업단 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2005~2006) , 한약재 품


질 표준화 연구 사업단
2. 대한민국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3. Zhao X et al. Calycosin induces apoptosis in colorectal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ng the ERβ/MiR-95 and IGF-1R, PI3K/Akt signaling pathways. Gene. 2016
Jul 5. pii: S0378-1119(16)30538-8.
4. Wang QY et al. Effect of Astragali Radix in improving early renal damage in
metabolic syndrome rats through ACE2/Mas pathway. Zhongguo Zhong Yao Za
Zhi. 2015 Nov;40(21):4245-50.
5. Lu L et al. Astragalus polysaccharides decrease muscle wasting through
Akt/mTOR, ubiquitin proteasome and autophagy signalling in 5/6 nephrectomised
rats. J ethnopharmacol. 2016 Jun 20; 186:125-35.
6. Luo X et al. Astragaloside IV enhances diabetic wound healing involving
upregulation of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2016
Jun;35:22-8.
7. Jian L et al. Protective effect of calycosin-7-O-β-D-glucopyranoside against
oxidative stress of BRL-3A cells induced by thioacetamide. Pharmacogn Mag. 2015
Jul-Sep;11(43):524-32.
8. Zhang Y et al. Oleanane type saponins from the stem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Fitoterapia. 2016 Mar;109:99-105. 
9. Wang T et al. Bioactive cyclolanstane-type saponins from the stem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J Nat
Med. 2016 Apr;70(2):198-206. 
10. Feng LM et al. Smith degradation, an efficien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ycloastragenol from astragaloside IV. Fitoterapia. 2014 Jun;95:42-50. 

- 29 -
[별첨 1] 지표성분 검토

화학팀 지표물질 제시 효능팀 지표물질 제시 분석팀 지표물질 제시


(약리학효능 ) (함량기준 )
종합의견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
(위염∙위궤양 억제)

astragaloside IV
astragaloside IV ( 항염증, 항알러지,
항당뇨)

formononetin
formononetin
( 골다공증 예방) formononetin

lupenone
( 항알러지)

daucosterol
( 면역효과)

결론 을 황기의 지표성분 후보로 설정함.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 30 -
[별첨 2-1] 분석 가이드라인

황기 (Astragalii Radix)
약전 생약명 기원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KP 11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기원 CP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2015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JP 16 Astragali Radix
Astragalus mongholicus Bung

지표
성분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후보
10mL 용량 플라스크에 저, 중, 고농도 (10 ppm, 20 ppm, 30 ppm)의 calycosin 7-O-β
-glucoside, isomucronulatol 7-O-glucoside , formononetin 표준액을 각각 1.0 mL씩 가함
검액 → 70% EtOH로 표시선까지 정확하게 맞추기 → 여기에 균질하게 분말화한 황기 시료를
제조 400 mg씩 정밀히 취함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한 후 membrane filter → 여
과액 100 μL과 내부표준용액 (20 ppm) 100 μL을 섞기 → 여과액 10 μL을 검액으로 함
Detector (검출) UV (230nm)

Column (분리관)
Luna column
(4.6 × 150 mm, 5 μm, phenyl-hexyl)
Flow rate (유속)
분석 Column temperature (컬럼온
1.0 mL/min

조건 도) 30°C

Injection volume (주입량) 10 μL

Mobile phase (이동상용매)


(A) Acetonitrile/Water (20/80, v/v)
(B) Acetonitrile/Water (80/20, v/v)
Time (min) Solvent (%A)
0-2 0 – 10

Gradient ( 기울기용리, B%) 2-15


15-20
10 – 40
40 – 100
20-25 100 – 100
25-30 100 - 0

함량 국산 8종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평균치 중국산 10종 -

공정서 기준 함량제안
함량 KP CP JP KP
제안
- - -

- 31 -
[별첨 2-2] 분석 가이드라인

황기 (Astragalii Radix)
약전 생약명 기원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KP 11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기원 CP
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var.
mongholicus (Bge.) Hsiao,
2015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JP 16 Astragali Radix
Astragalus mongholicus Bung

지표
성분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후보
용량 플라스크에 저, 중, 고농도 (10 ppm, 20 ppm, 30 ppm)의 calycosin 7-O-β
10mL
isomucronulatol 7-O-glucoside , formononetin 표준액을 각각 1.0 mL씩 가함
검액 -glucoside,
70% EtOH로 표시선까지 정확하게 맞추기 → 여기에 균질하게 분말화한 황기 시료를
제조 →
400 mg씩 정밀히 취함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한 후 membrane filter → 여
과액 100 μL과 내부표준용액 (20 ppm) 100 μL을 섞기 → 여과액 10 μL을 검액으로 함
Detector (검출)
Column (분리관) Capcell pak C18 (2.0 × 50 mm, 3 μm)

Flow rate (유속) 0.2 mL/min


분석 Column temperature ( 컬럼온
조건 도) 30°C

Injection volume ( 주입량) 10 μL

Mobile phase ( 이동상용매) Acetonitrile / Water (40 / 60 v/v)

함량 국산 8종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V, formononetin


평균치 중국산 10종 -

공정서 기준 함량제안
KP CP JP KP
함량
제안
- - -

- 32 -
[별첨 3] 지표성분 표준품 제조 가이드라인

① 포름오노네틴 (formononetin)

□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로부터 분리

1) EtOAc분획 (143.8 g)에 대하여 CH2Cl2-MeOH의 혼합용매로 silica gel (Merck no.
7734)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기울기 용리시킨다.
2) 소분획 E-23 (1.0 g)에 대하여 hexane-EtOAc (gradient)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Merck no. 7729)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한다.
3) 소분획 E-23-221을 CH2Cl2-MeOH 혼합용매로 재결정을 반복하여 formononetin
(150 mg)을 각각 분리하였다.

- 33 -
□ 물리화학적 특성

○ 성상 White powder
○ 이명
○ CAS number 485-72-3
○ 분자식 C16H12O4 (MW 268.26)
○ 녹는점(℃) 256-260 ℃
○ 구조

□ 확인
○ 분광학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를 동정
- 1H NMR [붙임 1 참조]
○ 분석법 개발 [붙임 2 참조]

- 34 -
[붙임 1] 구조 동정

□ 1H-NMR (300 MHz, DMSO-d6)


δ : 3.78 (3H, s, OCH3), 6.87 (1H, d, J = 2.1 Hz, H-8), 6.93 (1H, dd, J = 2.1, 9.0 Hz,
H-6), 6.98 (2H, d, J = 8.7 Hz, H-3´, 5´), 7.50 (2H, d, J = 8.7 Hz, H-2´, 6´), 7.96
(1H, d, J = 9.0 Hz, H-5), 8.32 (1H, s, H-2), 10.77 (1H, br s, OH).

- 35 -
[붙임 2] 분석법 개발
□ HPLC-UV
○ 분석조건
Column Luna column (4.6 × 150 mm, 5 μm, phenyl-hexyl)
Detector UV (230nm)
Temp. 30℃
Injection volume 10 μL
Flow rate 1.0 mL/min
Time(min) Acetonitrile/Water Acetonitrile/Water
(20/80, v/v) (80/20, v/v)
0 0% 100%
Mobile phase 2 10% 90%
15 40% 60%
20 100% 0%
25 100% 0%
30 0% 100%

○ HPLC chromatogram (황기 70% EtOH 추출물 및 지표성분)

Chromatograms of three isoflavonoids in Astragali Radix by Phenyl-hexyl column. :


A) standard compounds, B) 70% EtOH extract
1: calycosin 7-O-β-glucoside, 2: isomucronulatol 7-O-glucoside, 3: formononetin,
I.S.: epi-aminotadalafil

- 36 -
□ HPLC-MS/MS
○ 분석조건
Column Capcell pak C18 (2.0 × 50 mm, 3 μm)
Detector
Temp. 30℃
Injection volume 10 μL
Flow rate 0.2 mL/min

MS/MS
conditon

MRM
ion transition

- 37 -
○ HPLC chromatogram (황기 70% EtOH 추출물 및 지표성분)

Fig. 4-2. 황기 생리활성성분의 LC-MS/MS chromatograms ;


A) calycosin 7-O-glucoside, B) formononetin, C) astragaloside I, D) astragaloside IV, and
E) byakangelicol (I.S), F) total ion chromatogram (TIC).

- 38 -
[붙임 3] 분석법 밸리데이션
□ HPLC-UV
- 범위,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Calibration graphs, linear ranges, LOD and LOQ

Linear range Correlation LOD LOQ


Analytes Slope Intercept
(ng/mL) coefficient (ng/mL) (ng/mL)

formononetin 200-10,000 1 0.0009 -0.0785 50 200

- 정확성․정밀성
Precision and accuracy of analytical results (n=5)

Intra-day (n=5) Inter-day (n=5)

Compounds conc.
(ng/mL)
Precision Accuracy Precision Accuracy

200 3.32 110.02 7.29 107.07

500 5.41 97.51 2.55 97.37


formononetin
1000 0.70 97.62 2.62 94.25

10000 2.78 94.91 3.20 95.39

- 39 -
- 완건성
Robustness of formononetin (n=3)

Theoretical
Compounds Analytical condition Resolution Selectivity
plate (N)

30℃ 40809.02
Temperature 35℃ 49659.97
40℃ 36051.08
formononetin
0.9 mL/min 49816.00
Flow rate 1.0 mL/min 40809.02
1.1 mL/min 43260.28

- 40 -
□ HPLC-MS/MS
- 범위,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Calibration graphs, linear ranges, LOD and LOQ

Linear range Correlation LOD LOQ


Analytes Slope Intercept
(ng/mL) coefficient (ng/mL) (ng/mL)

formononetin 50-750 0.996069 0.01696 2.07637 1.25 50

- 정확성․정밀성
Precision and accuracy of analytical results (n=5)

Intra-day (n=5) Inter-day (n=5)

Compounds conc.
(ng/mL)
Precision Accuracy Precision Accuracy

50 1.05 105.28 19.77 97.76

200 2.18 98.48 6.77 99.90


formononetin
500 1.41 112.17 5.84 101.00

1000 4.53 98.06 13.16 93.39

- 41 -
- 완건성
Robustness of formononetin (n=3)

Theoretical
Compounds Analytical condition Resolution Selectivity
plate (N)

30℃ 675.42
Temperature 35℃ 621.85
40℃ 670.38
180 uL/min 689.67

formononetin Flow rate 200 uL/min 708.76


220 uL/mi 664.52

38% 774.77
Gradient
profile 40% 682.93

42% 630.95

□ MS
○ ESI-MS-spectrum

- 42 -
② 아스트라갈로사이드 Ⅳ (astragaloside Ⅳ)

□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 로부터 분리

1) BuOH분획 (170g)을 silica gel (Merck no. 7734) column에 걸고 CH2Cl2


-MeOH-H2O (7 : 1 : 0.5 → 7 : 2 : 0.5 → 7 : 3 : 1)의 혼합용매로 용출시켜 39개의
소분획 (B-01 ― 39)을 얻는다.
2) 소분획 B-20 (1.5 g)에 대하여 MeOH-H2O (8 : 2)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B-20-23으로부터 CH2Cl2-MeOH 혼합용매로 재결정을 반
복하여 astragaloside IV (250 mg)를 분리한다.

- 43 -
□ 물리화학적 특성
○ 성상 Hydroscopic brown or yellow powder
○ 이명
○ CAS number 84687-43-4
○ 분자식 C41H68O14 (MW 784.97)
○ 녹는점(℃) 295 - 296℃
○ 구조

OH
O

OH

O
O OR
OH
R=Glucose
OH OH

□ 확인
○ 분광학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를 동정
- 1H NMR, 13C NMR, MS 등 [붙임 1 참조]
○ 분석법 개발 [붙임 2 참조]

- 44 -
[붙임 1] 구조 동정

□ 1H-NMR (300 MHz, pyridine-d5)


δ : 1.40 (3H, s, 18-CH3), 1.29 (6H, s, 21, 27-CH3), 1.57 (3H, s, 26-CH3), 2.02 (3H, s,
28-CH3), 1.36 (3H, s, 29-CH3), 0.93 (3H, s, 30-CH3), 0.19 (1H, d, J = 4.2 Hz,
H-19a), 0.58 (1H, d, J = 3.9 Hz, H-19b), 1.90 (1H, d, J = 9.0 Hz, H-5α), 3.51 (1H,
dd, J = 4.2, 11.7 Hz, H-3α), 3.78 (1H, ddd, J = 3.3, 7.8, 7.8 Hz, H-6β), 4.94 (1H,
overlap, H-16α), 2.51 (1H, d, J = 7.5 Hz, H-17α), 3.12 (1H, dd, J = 11.0, 20.4 Hz,
H-22a), 3.87 (1H, dd, J = 5.1, 8.7 Hz, H-24), 4.84 (1H, d, J = 7.5 Hz, H-1´), 4.90
(1H, d, J = 8.1 Hz, H-1˝).

□ 13C NMR (75.5 MHz, pyridine-d5)

δ : 32.2 (C-1), 30.2 (C-2), 88.5 (C-3), 42.6 (C-4), 52.5 (C-5), 79.3 (C-6), 34.6 (C-7),
45.7 (C-8), 21.1 (C-9), 29.0 (C-10), 26.2 (C-11), 33.4 (C-12), 45.0 (C-13), 46.2
(C-14), 46.2 (C-15), 73.4 (C-16), 58.2 (C-17), 21.1 (C-18), 28.8 (C-19), 87.2 (C-20),
27.1 (C-21), 34.9 (C-22), 26.4 (C-23), 81.7 (C-24), 71.3 (C-25), 28.2 (C-26), 28.6
(C-27), 28.6 (C-28), 16.6 (C-29), 19.8 (C-30), 107.7 (C-1´), 75.6 (C-2´), 78.1 (C-3´),
71.8 (C-4´), 67.0 (C-5´), 105.2 (C-1˝), 75.6 (C-2˝), 79.2 (C-3˝), 71.3 (C-4˝), 78.5
(C-5˝), 63.1 (C-6˝).

□ MS
FABMS m/z 783 [M - H]-, 651 [(M - H) - 132]-, 621 [(M - H) - 162]-

- 45 -
[붙임 2] 분석법 개발
□ HPLC-MS/MS
○ 분석조건
Column Capcell pak C18 (2.0 × 50 mm, 3 μm)
Detector
Temp. 30℃
Injection volume 10 μL
Flow rate 0.2 mL/min

MS/MS
conditon

MRM
ion transition

- 46 -
○ HPLC chromatogram (황기 70% EtOH 추출물 및 지표성분)

Fig. 4-2. 황기 생리활성성분의 LC-MS/MS chromatograms ;


A) calycosin 7-O-glucoside, B) formononetin, C) astragaloside I, D) astragaloside IV, and
E) byakangelicol (I.S), F) total ion chromatogram (TIC).

- 47 -
[붙임 3] 분석법 밸리데이션
□ HPLC-MS/MS
- 범위,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Calibration graphs, linear ranges, LOD and LOQ

Linear range Correlation LOD LOQ


Analytes Slope Intercept
(ng/mL) coefficient (ng/mL) (ng/mL)

astragaloside IV 50-750 0.991281 0.000492 0.015556 12.5 50

- 정확성․정밀성
Precision and accuracy of analytical results (n=5)

Intra-day (n=5) Inter-day (n=5)

conc.
Compounds (ng/mL)
Precision Accuracy Precision Accuracy

50 3.51 117.60 7.48 115.52

200 2.64 95.18 6.49 91.24


astragaloside IV
500 1.51 112.28 8.84 111.89

1000 5.24 108.07 9.73 100.46

- 48 -
- 완건성
Robustness of astragaloside IV (n=3)

Theoretical
Compounds Analytical condition Resolution Selectivity
plate (N)

30℃ 110.29
Temperature 35℃ 168.36
40℃ 363.29
180 uL/min 132.19

astragaloside IV Flow rate 200 uL/min 114.60


220 uL/mi 149.17

38% 87.66
Gradient
profile 40% 122.20

42% 94.55

□ MS
○ ESI-MS-spectrum

- 4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