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in A Rural Population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

大韓再活醫學會誌:第 25 卷 第 5 號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Vol. 25, No. 5, October, 2001

일부 농촌 주민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1예방의학교실

1 1
이종민ㆍ권용욱ㆍ최종철ㆍ최종호ㆍ임현술 ㆍ김수근

= Abstract =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in a Rural Population

Jongmin Lee, M.D., Yong Wook Kwon, M.D., Jong Chul Choi, M.D.,
Jong Ho Choi, M.D., Hyun-Sul Lim, M.D., Ph.D.1 and Soo-Keun Kim, M.D.1

Department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1Preventive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in a rural population in Korea.
Method: Among the 1004 residents in a rural district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xami-
nation, 450 (165 male, 285 female) adults aged between 30 and 79 years were randomly selected.
Hand symptom questionnaire and electrodiagnostic studies were used to diagnose and classify
carpal tunnel syndrome.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related factors, work-related factor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normal and carpal tunnel syndrome group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Results: Subjec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were 76 (16.9%), symptom only subjects were
168 (37.3%), asymptomatic slowing 27 (6.0%) and peripheral polyneuropathy were 16 (3.6%).
Age, farming, body mass index and wrist depth width ratio were associated with risk of carpal
tunnel syndrome and odds ratio were 1.03 (95% confidence interval 1.01∼1.07), 2.62 (95%
confidence interval 1.17∼5.86), 2.24 (95% confidence interval 1.14∼4.40) and 3.13 (95%
confidence interval 1.64∼5.96), each.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is high in a
rural population and physical factors like wrist shape and body mass index, occupation and aging
are associated with risk of carpal tunnel syndrom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Carpal tunnel syndrome, Prevalence, Risk factors

접수일: 2001년 3월 14일, 게재승인일: 2001년 8월 27일


교신저자: 이종민

818
이종민 외 5인:일부 농촌 주민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819

Table 1. Classification of Symptom Quality and Location


with a Questionnaire
서 론
ꠧꠧꠧꠧꠧꠧꠧꠧꠧꠧꠧꠧꠧꠧꠧꠧꠧꠧꠧꠧꠧꠧꠧꠧꠧꠧꠧꠧꠧꠧꠧꠧꠧꠧꠧꠧꠧꠧꠧꠧꠧꠧꠧꠧꠧꠧꠧꠧ
Symptom Description
수근관 증후군은 가장 흔한 포착성 신경병증으로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Classic/probable Numbness, tingling, burning or pain
성인에서의 유병률이 10%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나
10,12,27)
in at least 2 of digits 1, 2, or 3.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일반 인구를
Palm pain, wrist pain, or
대상으로한 유병률 조사에서 de Krom 등7)이 715명 radiation proximal to the
의 등록인구를 대상으로 남자 0.6%, 여자 5.8%의 최 wrist is allowed
9) Possible Numbness, tingling, burning or pain in
소 유병률을 보고하였고, Ferry 등 이 정중신경 전도
지연을 기준으로 7∼16%, Atroshi 등5)이 임상 검사 at least 1 of digits 1, 2, or 3.
Unlikely No symptoms in digits 1, 2, and 3.
와 전기진단검사로 확인된 유병률이 2.7%라 하였으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나, 진단기준의 차이로 전체 유병률을 추정하는데는
제한이 있다. 또한, 수근관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성, 손목의 모양, 임신, 반복적인 손목의 사용 감, 무딘 느낌, 화끈거림 및 통증 여부와 손바닥
12,23)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한국인에서의 수근관 증 및 손목의 저린감, 화끈거림 및 통증, 야간 증상
후군 위험 요인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으며, 국내에 악화 여부 등을 조사한 후 증상의 위치와 양상에
서는 포장작업 근로자, 전화교환원 등 일부 직종에서 따라 classic/probable, possible, unlikely로 분류하였
1-4) 25)
유병률이 10.9%에서 23.5%까지 보고되고 있으나, 다(Table 1).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위험요인으로 연령, 성별, 직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한국의 농촌 지역은 최근 업, 병력, 음주, 흡연 여부 등의 일반적 요인과 여성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 농작업의 특성상 에서 초경, 임신횟수, 폐경 시기, 경구피임약 복용여
손 및 손목의 반복적인 사용이 많아 수근관 증후군 부, 자궁절제술, 임신중의 수부 증상유무 등의 산과
의 유병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조사 적 요인, 우성수, 작업시의 손목의 자세, pinch grasp
는 수근관 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할 것 동작, 수장부에 압력을 가하는 작업 여부, 반복적인
으로 생각된다. 손목의 움직임, 진동노출 여부 등의 직업 관련 요인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 1개 면의 주민을 등을 조사하였다.
25)
대상으로 Rempel 등 이 제시한 역학조사를 위한 수 인체계측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장 및
근관 증후군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수근관 증후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를 구하였으며, 완관절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주름 부위에서 손목의 둘레와 손목 깊이/폭
비율을 측정하였고, 수부 및 수장부의 길이, 수부/신
연구대상 및 방법 장 비율 등을 측정하였다. 수장부의 길이는 제3수지
의 기저부에서 완관절의 두 번째 주름까지를 측정하
1) 연구대상
였고 수부의 길이는 제3수지의 말단에서 완관절의 두
인구 7,777명의 농촌 지역 1개 면에서 건강검진에 번째 주름까지의 길이를 구하였다.
참여한 주민 1004명 중 무작위로 추출된 30세 이상 TD 50 근전도기기(Medelec, UK)를 사용하여 정중
80세 미만의 성인 남녀 4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경과 척골신경의 운동신경 전도검사 및 정중신경
남자 165명, 여자 28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7.9세 의 감각신경 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제4수지에서 정
이었다. 중신경 및 척골신경의 감각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였
다. 정중신경의 운동신경 전도검사는 단무지 외전근
2) 연구방법
에 활성전극을 부착하고 중수지 관절의 건부위에 참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을 위한 증상조사는 hand dia- 고전극을 부착한 후, 활성전극에서 8 cm 근위부의 완
gram을 이용한 설문지로 1, 2, 3번째 손가락의 저린 관절 부위에서 전기자극을 가하였고 척골신경의 운
820 大韓再活醫學會誌:第 25 卷 第 5 號 2001

동신경 전도검사는 소지 외전근에 활성전극을, 중수


지관절의 건부위에 참고전극을 부착한 후, 활성전극 결 과
에서 8 cm 근위부의 완관절 부위에서 전기자극을 가
1)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
하였다. 정중신경의 감각신경 전도검사는 제2수지 근
위지절에 활성전극을, 원위지절에 참고전극을 부착 증상분류와 전기진단검사를 이용한 진단기준에 따
한 후 14 cm 근위부의 완관절 부위에서 전기자극을 라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된 경우는 76명으로 16.9%
가하였다. 제4수지의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의 감각신 의 유병률을 보였고, 증상은 있으나 전기진단검사가
경 전도검사도 근위지절에 활성전극을 원위지절에 참 정상인 경우가 37.3%, 증상은 없으나 전기진단검사
고전극을 부착한 후, 14 cm 근위부의 완관절 부위에 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가 6.0%, 말초신경병증이 3.6%
서 전기자극을 가하여 기록하였다. 수부의 온도는 부 이었다(Table 3). 이환된 수부는 우측 17.1%, 좌측
TM
착형 피부온도계(DermaTherm , Sharn Inc, USA)로 23.7%, 양측 59.2%로 양측성이 많았다. 수근관 증후
o
수장부에서 측정하여 32 C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군의 연령별 유병률은 30대 8.8%, 40대 13.7%, 50대
각 연령군별로 무작위로 추출된 50명의 무증상 성 22.4%, 60대 15.3%, 70대 14.3%이었으며, 성별 유병
인(남자 25명, 여자 25명)으로부터 수근관 증후군의 률은 남자 10.3%, 여자 20.7%이었다(Table 4).
전기진단기준을 구하여, 정중신경 전도검사에서 운
2)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요인
동신경 원위부 잠시 4.2 msec 이상, 감각신경 원위부
잠시 3.4 msec 이상 또는 제4수지 정중신경-척골신경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된 76명과 정상군으로 진
의 잠시차이 0.6 msec 이상이고 척골신경의 운동신 단된 163명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에 대한 단변량 분석
경 원위부 잠시와 제4수지 척골신경 원위부 잠시가 정
25)
상범위인 경우로 하였다. Rempel 등 이 제시한 수
Table 3.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근관 증후군 역학조사를 위한 진단기준에 따라 증상 ꠧꠧꠧꠧꠧꠧꠧꠧꠧꠧꠧꠧꠧꠧꠧꠧꠧꠧꠧꠧꠧꠧꠧꠧꠧꠧꠧꠧꠧꠧꠧꠧꠧꠧꠧꠧꠧꠧꠧꠧꠧꠧꠧꠧꠧꠧꠧꠧ
분류에서 classic/probable 또는 possible이고 전기진단 Diagnostic group Number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를 수근관 증후군으로 판
Carpal tunnel syndrome 76 (16.9)
정하였다(Table 2). Symptom only 168 (37.3)
각 위험요인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 8.0 for Win- Asymtomatic slowing 27 (6.0)
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은 Student's Peripheral polyneuropathy 16 (3.6)
t-test, 카이제곱 검정 및 Fisher's exact test 등으로 검 Normal 163 (36.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정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p값이 0.1 이하를 보인 Total 450 (100.0)
변수들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4.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by Age


and Sex
ꠧꠧꠧꠧꠧꠧꠧꠧꠧꠧꠧꠧꠧꠧꠧꠧꠧꠧꠧꠧꠧꠧꠧꠧꠧꠧꠧꠧꠧꠧꠧꠧꠧꠧꠧꠧꠧꠧꠧꠧꠧꠧꠧꠧꠧꠧꠧꠧ
Table 2. Case Definitions of Carpal Tunnel Syndrome in Male Female Total
the Current Study Age (year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Case/total (%) Case/total (%) Case/total (%)
Symptom Electrodiagnosis Case defini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0∼39 1/13 (0.8) 2/21 (1.0) 3/34 (8.8)
Classic/probable Positive Carpal tunnel syndrome 40∼49 0/15 (0.0) 7/36 (19.4) 7/51 (13.7)
Possible Positive Carpal tunnel syndrome 50∼59 7/52 (13.5) 27/100 (27.0) 34/152 (22.4)
Classic/probable Negative Symptom only 60∼69 5/54 (9.3) 18/96 (18.8) 23/150 (15.3)
Possible Negative Symptom only 70∼79 4/31 (12.9) 5/32 (15.6) 9/63 (14.3)
Unlikely Positive Asymtomatic slowing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Unlikely Negative Normal Total 17/165 (10.3) 59/285 (20.7) 76/450 (16.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이종민 외 5인:일부 농촌 주민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821

Table 5.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able 6. Comparison of Female-related Factors between
Normal and Carpal Tunnel Syndrome Group Normal and Carpal Tunnel Syndrome Group
ꠧꠧꠧꠧꠧꠧꠧꠧꠧꠧꠧꠧꠧꠧꠧꠧꠧꠧꠧꠧꠧꠧꠧꠧꠧꠧꠧꠧꠧꠧꠧꠧꠧꠧꠧꠧꠧꠧꠧꠧꠧꠧꠧꠧꠧꠧꠧꠧ ꠧꠧꠧꠧꠧꠧꠧꠧꠧꠧꠧꠧꠧꠧꠧꠧꠧꠧꠧꠧꠧꠧꠧꠧꠧꠧꠧꠧꠧꠧꠧꠧꠧꠧꠧꠧꠧꠧꠧꠧꠧꠧꠧꠧꠧꠧꠧꠧ
1) 1)
Variables Normal CTS p-value Variables Normal CTS p-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years) 0.073 Menarche (years) 17.0±1.6 17.0±1.7 0.983
30∼39 21 (87.5) 3 (12.5) Number of pregnancy 5.5±2.3 5.9±2.3 0.273
40∼49 24 (77.4) 7 (22.6) Number of delivery 4.0±1.8 4.3±1.7 0.427
50∼59 53 (60.9) 34 (39.1) Menopause (years) 47.2±5.3 46.7±6.8 0.687
60∼69 40 (63.5) 23 (36.5) Oral contraceptive use 0.151
70∼79 25 (73.5) 9 (26.5) Yes 33 (68.8) 15 (31.3)
Sex 0.001* No 53 (55.8) 42 (44.2)
Male 74 (81.3) 17 (18.7) Hysterectomy 0.703
Female 89 (60.1) 59 (39.9) Yes 5 (71.4) 2 (28.6)
Occupation 0.056 No 80 (59.7) 54 (40.3)
Farming 116 (64.8) 63 (35.2) Menopause time 0.102
Others 47 (78.3) 13 (21.7) <=1 year 7 (43.8) 9 (56.3)
Smoking 0.148 2∼5 years 7 (43.8) 9 (56.3)
Yes 64 (74.4) 22 (25.6) >5 years 75 (64.7) 41 (35.3)
No 99 (64.7) 54 (35.3)
Hand symptom at
Alcohol 0.001* 0.616
pregnancy
Yes 58 (82.9) 12 (17.1)
Yes 12 (66.7) 6 (33.3)
No 92 (59.7) 62 (40.3)
No 76 (59.4) 52 (40.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Values are numbers (%).
Values of menarche, number of pregnancy, number of
1. CTS: Carpal tunnel syndrome.
2 delivery and menopause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5 by χ -test
and other values are numbers (%).
1. CTS: Carpal tunnel syndrome

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았으나 통계 기로부터의 기간, 임신중의 수부증상여부 등도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p=0.073), 성별로는 여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6).
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직업군은 직업과 관련된 요인에 따른 비교에서는 우성수에
농업종사자에서 기타 직업군에 비해 수근관 증후군 서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으며,
유병률이 높았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가까운 값을 보 농작업시의 손목의 신전과 굴곡 여부, 수장부 압력이
였다(p=0.056)(Table 5). 흡연과 음주 여부에 대해서 가해지는 작업 여부 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Table
는 흡연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7). Pinch grasp 및 반복적인 수부작업이 많았던 군에
없었으나 음주 여부는 음주를 하지 않는 군에서 수 서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근관 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p<0.05)(Table 5). 성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진동 노출 여부에 따른 통계
별에 따른 흡연 및 음주 여부에의 영향을 배제하기 적으로 유의한 유병률 차이는 없었다(Table 7).
위하여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흡연 및 음주 여 인체계측학적 요인에 따른 비교에서는 체질량 지
2
부는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유병률 차이를 수 25 kg/m 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비만도가 높은
보이지 않았다. 군에서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
여성에서 산과적 위험요인에 따른 비교에서는 초 게 높았으며(p<0.05), 손목 깊이/폭 비율이 수근관 증
경연령, 임신횟수, 출산횟수, 폐경 연령, 경구피임약 복 후군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용여부 및 자궁절제술의 병력 여부 등에서 통계적으 수부 길이 및 수장부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로 유의한 유병률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폐경시 작았으나(p<0.05), 손목 둘레 및 수부/신장 비율 등
822 大韓再活醫學會誌:第 25 卷 第 5 號 2001

Table 7. Comparison of Work-related Factors between Table 8.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Factors between
Normal and Carpal Tunnel Syndrome Group Normal and Carpal Tunnel Syndrome Group
ꠧꠧꠧꠧꠧꠧꠧꠧꠧꠧꠧꠧꠧꠧꠧꠧꠧꠧꠧꠧꠧꠧꠧꠧꠧꠧꠧꠧꠧꠧꠧꠧꠧꠧꠧꠧꠧꠧꠧꠧꠧꠧꠧꠧꠧꠧꠧꠧ ꠧꠧꠧꠧꠧꠧꠧꠧꠧꠧꠧꠧꠧꠧꠧꠧꠧꠧꠧꠧꠧꠧꠧꠧꠧꠧꠧꠧꠧꠧꠧꠧꠧꠧꠧꠧꠧꠧꠧꠧꠧꠧꠧꠧꠧꠧꠧꠧ
1) 1)
Variables Normal CTS p-value Variables Normal CTS p-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2) 2
Dominant hand BMI (kg/m ) 0.021*
1) 0.909
and right CTS ≥25 38 (56.7) 29 (43.3)
Right 151 (74.0) 53 (26.0) <25 125 (72.7) 47 (27.3)
Left 8 (72.7) 3 (27.3) Wrist circumfer- 16.6±1.05 16.6±1.00 0.632
Bilateral 8 (80.0) 2 (20.0) ence (cm)
3) †
Dominant hand Wrist DWR 0.69±0.03 0.71±0.03 0.000
1) 0.481 †
and left CTS Hand length (cm) 17.9±0.95 17.5±0.97 0.013

Right 148 (72.5) 56 (27.5) Palm length (cm) 10.3±0.53 10.1±0.55 0.004
4)
Left 7 (58.3) 5 (41.7) LH ratio 1.12±0.04 1.12±0.04 0.874
Bilateral 8 (80.0) 2 (2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ctivity with wrist Values of BMI are numbers (%) and other values are
1.000 mean±standard deviation.
extension
Yes 62 (65.3) 33 (34.7) 1. CTS: Carpal tunnel syndromem, 2. BMI: Body mass
index, 3. Wrist DWR: Wrist depth/width ratio, 4. LH
No 54 (64.3) 30 (35.7)
ratio: Hand length/height ratio (mm/cm)
Activity with wrist
0.751 *p<0.05 by χ2-test, †p<0.05 by Student's t-test
flexion
Yes 68 (64.2) 38 (35.8)
No 48 (66.7) 24 (33.3)
Table 9. Odds Ratio of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Activity with pinch
0.083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grasp ꠧꠧꠧꠧꠧꠧꠧꠧꠧꠧꠧꠧꠧꠧꠧꠧꠧꠧꠧꠧꠧꠧꠧꠧꠧꠧꠧꠧꠧꠧꠧꠧꠧꠧꠧꠧꠧꠧꠧꠧꠧꠧꠧꠧꠧꠧꠧꠧ
1)
Yes 43 (57.3) 32 (42.7) Variables Odds ratio 95% CI
No 73 (70.2) 31 (29.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ctivity with palm Age 1.03 1.01∼1.07
0.752 Sex 1.60 0.61∼4.13
pressing
Yes 48 (63.2) 28 (36.8) Farming 2.62 1.17∼5.86
No 68 (66.0) 35 (34.0) Alcohol 0.43 0.17∼1.14
Activity with repetitive Body mass index 2.24 1.14∼4.40
0.530 Wrist depth width ratio 3.13 1.64∼5.96
motion
Yes 49 (62.0) 30 (38.0) Hand length 1.31 0.69∼2.50
No 67 (67.0) 33 (33.0) Palm length 0.50 0.16∼1.5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ctivity with vibration
0.334 1. CI: Confidence interval
tools
Yes 26 (72.2) 10 (27.8)
No 90 (62.9) 53 (37.1)
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농작업, 손목 깊이/폭 비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Values are numbers (%). 율 및 체질량지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각
1. CTS: Carpal tunnel syndrome 변수의 교차비는 연령 1.03 (95% 신뢰구간: 1.01∼
1.07), 농작업 2.62 (95% 신뢰구간: 1.17∼5.86), 손목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8). 깊이/폭 비율 3.13 (95% 신뢰구간: 1.64∼5.96), 체질
량지수 2.24 (95% 신뢰구간: 1.14∼4.40)이었다(Table 9).
3)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고 찰
교란요인을 보정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p값
이 0.1 이하를 보인 변수들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내에서 정중신경이 압박되
이종민 외 5인:일부 농촌 주민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823

어 발생하는 포착성 신경병증으로 말초신경의 가장 의 특성상 손목의 반복작업이 많은 농촌 지역의 주


12)
흔한 포착성 신경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 성인 민을 대상으로 하여 증상과 전기진단검사로 진단된
에서의 유병률이 10%, 연간 발생률이 0.1%로 추정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이 16.9%, 증상은 있으나 전
되고 있으나27) 1990년대에 들어서 직업관련성 수근 기진단검사가 정상인 경우 37.3%, 증상은 없으나 전
관 증후군의 증가와 수근관 증후군에 대한 홍보 및 기진단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 6.0%의 결과를 얻
10)
관심의 증가로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었다. 이는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한 다른 연구들에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유병률 조사로는 비해 높은 유병률로 전기진단 검사기준을 정중신경
7) 9) 5)
de Krom 등, Ferry 등 과 Atroshi 등 의 보고가 있 운동신경 원위부 잠시, 감각신경 원위부 잠시, 제4수
7)
는데 de Krom 등 은 네덜란드 일부 지역의 25세 이 지 정중신경-척골신경의 잠시 차이 등 세 가지를 적
상 74세 이하의 등록인구 715명을 대상으로 전기진 용하여 민감도가 높았고, 연구대상 설정시 건강검진
단검사로 확인된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이 남성 에 참여한 주민 중 무작위로 추출하였기 때문에 일
0.6%, 여성 5.8%라 보고하였고, 여성중 3.4%는 이미 부 선택 비틀림에 의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고 하여 남성 0.6%, 여 러나 선택 비틀림을 감안하더라도 농촌 지역의 인구
성 5.8%는 최소 유병률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Ferry 특성 및 농작업의 특성에 의해 수근관 증후군의 유
9)
등 은 영국 일부 지역의 18세 이상 75세 이하의 성 병률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 농촌 지역에서의 수근
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과 전기진단검사를 관 증후군의 예방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용하여 정중신경 전도지연의 유병률을 7∼16%로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는 여성, 연령, 손목
5)
추정하였으며, Atroshi 등 은 스웨덴 일부 지역의 25 의 모양, 손의 크기, 임신, 가족력, 손목의 반복적 사
세 이상 74세 이하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우편 용, 당뇨, 류마치스 관절염, 손목의 골절, 체중, 신장,
6,8,12,14,17,21,23,28)
설문, 임상검사 및 전기진단검사를 이용하여 증상에 손의 크기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일반
의한 유병률 14.4%, 임상적 진단에 의한 유병률 3.8%, 인구를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는 많지 않으며 한
임상적 진단 및 전기진단검사로 확인된 수근관 증후 국인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대한 역학적
군 유병률을 2.7%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논란은 역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농촌지역의
학적 연구시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기준의 차이로 인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증상과 전기진단검사를 이용
해 발생하는데 연구에 따라 증상과 이학적 검사소견 한 진단기준에 따라 수근관 증후군 환자군, 증상은 있
을 기준으로 하거나 전기진단검사소견만을 기준으로 으나 전기진단검사가 정상인 군, 증상은 없으나 전
또는 증상과 이학적 검사소견 및 전기진단검사소견 기진단검사가 양성인 군 및 정상군으로 분류하고,
을 기준으로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때문이다.25) 수근 환자군과 정상군으로 환자-대조군 디자인에 따라 위
관 증후군의 진단기준은 가능한한 민감도 및 특이도 험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 높고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대해서는 30∼60세의 중년
25)
데 Rempel 등 은 역학조사를 위한 수근관 증후군의 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22) 본
진단기준에 대해 완전한 황금기준은 없으며, 증상과 연구에서는 50대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환자-대조군 비
전기진단검사를 이용한 진단기준이 수근관 증후군의 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50대와
분류에 가장 정확하며 전기진단검사만을 사용하는 60대에서 유병률이 높았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1.03의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교차비를 보였다. 따라서 연령의 증가는 일반적 특성
25)
는 이러한 Rempel 등 의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연구 중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 요인으로 생각되며 노화가
대상 전체에서 증상조사와 전기진단검사를 시행하 수근관내에서의 정중 신경 손상의 위험 요인 중 하
23)
였다. 나로 생각된다. 성별에 대해서는 여성의 유병률이
6,12,14,19,21-23,28)
국내에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수근관 증후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의 유병률의 보고는 없으며 일부 위험 직업군의 유 도 남성 10.3%, 여성 20.7%의 유병률을 보였고, 위험
1-4)
병률이 10.9%에서 23.5%까지 보고되고 있다. 본 요인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
연구에서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 농작업 는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이는 성별에 의한 내재적
824 大韓再活醫學會誌:第 25 卷 第 5 號 2001

인 요인보다는 성별에 따른 직업의 차이 및 기타 다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우성수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14,23)
른 요인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없었다.
6,12,14,20,21,23,28) 11,13)
도 다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의미를 보이지 않아 체질량 지수, 손목의 모양, 손의 크
17)
성별 자체는 위험 요인으로 생각되지 않았다. 수근 기 등 인체계측학적 요인들이 수근관 증후군의 위
관 증후군의 위험 요인으로 직업관련성이 제시되고 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체질량 지수는 작은 신
6,14,15,21,28)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 주민을 대 장에 비만한 사람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많다는 임상
상으로 하여, 농작업 종사자군과 기타 직업군을 비 적 경험에 따라 체질량 지수와 정중 신경의 신경전
교하였을 때 농작업 종사자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 도지연의 관계를 제시하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20,23) 6) 21)
률이 높았고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있다. de Krom 등 과 Nordstrom 등 은 일반 인
차이를 보였으며 교차비는 2.62로 높은 위험도를 보 구를 대상으로 한 수근관 증후군 위험 요인 조사에
였다. 이는 국내 농작업이 수작업을 주로 사용하기 서 체질량 지수의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도에 대한
때문에 손목의 반복적인 사용이 많아 정중신경 손상의 교차비를 각각 1.09, 1.08로 보고하여 수근관 증후군
18)
위험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Nathan 등 은 근로자 의 위험 요인 중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를 대상으로 한 위험 요인 조사에서 흡연 및 음주가 본 연구에서도 다변량 분석에서 2.24의 높은 교차비
13)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하였으나 본 를 보였다. Johnson 등 이 손목의 모양이 정사각형
연구에서는 흡연 및 음주 여부는 통계적으로 의미 에 가까울수록 정중 신경의 원위 잠시가 지연되어
11)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있으며, Gordon 등 이 손목 깊이/폭 비율이 0.7 이
여성에서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이 높은 이유로 임 상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률이 높았다고 보고한
신, 자궁절제술 및 난소절제술, 폐경 등 산과 및 부 이후, 손목의 모양 또는 손목 깊이/폭 비율이 정중신
인과적 요인들이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임 경 전도지연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에 의한 체중증가, 호르몬에 의한 말초 혈관확장과 손목의 모양이 정사각형에 가까울수록 수근인대가
수근관내 압력 증가 등이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 두껍고 수근관의 단면적 및 부피가 작기 때문으로
8,16,23) 29)
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산과 및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손목 깊이/폭 비율
부인과적 위험 요인을 조사하였으나 초경 연령, 임 이 정상군에서 평균 0.69, 수근관 증후군 환자군에서
신횟수, 출산횟수, 폐경 연령, 경구피임약 복용여부, 자 평균 0.71으로 환자군에서 높았고 다변량 분석에서
궁절제술의 병력, 폐경시기로부터의 기간, 임신중의 도 교차비가 3.13으로 수근관 증후군의 중요한 위험
17)
수부증상 여부 등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없었다. 이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Nakamichi와 Tachibana
는 연구대상수가 작았기 때문이거나 다른 위험 요인 는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서 수부의 길이 및 수부/신
들에 비해 산과 및 부인과적 요인들의 위험도가 낮 장 비율 등이 작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부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의 길이는 차이를 보였으나, 수부/신장 비율은 차이
직업 관련 요인들로는 손목의 굴곡 또는 신전 동 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수부의 길이
작, 진동공구의 사용 등이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고 는 통계적인 의미가 없어 수부 길이는 손목의 깊이/
6,15,28)
있으며 수근관내의 굴곡근 건의 작용 때문으로 폭 비율과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생각되고 있다.26)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 동 따라서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에는 체질량 지수와 손
작에 따른 위험 요인 중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 목의 모양 등 신체적 요인에 노화 및 직업적 요인이
를 얻을 수 없었는데 이는 작업장의 공정 내에서 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생각된다.
복적인 동작을 해야하는 근로자들과 달리 농작업의
경우 작업 동작이 다양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수 결 론
근관 증후군은 우성수에서 주로 발생하며 우성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는데22,24) 본 저자들은 농촌 지역 1개 면에서 건강 검진에 참여
연구에서는 양측성을 보인 경우가 59.2%로 가장 많 한 주민 중 무작위로 추출된 30세 이상 80세 미만의
15)
아 Masear 등 의 연구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고,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 및
이종민 외 5인:일부 농촌 주민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요인 825

위험 요인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 Carpal tunnel syndrome: a nested case-control
1) 증상분류와 전기진단검사를 이용한 진단기준에 study of risk factors in women. Am J Epidemiol 2000;
151: 566-574
따라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은 16.9%이었으며, 증
9) Ferry S, Pritchard T, Keenan J, Croft P, Silman AJ:
상은 있으나 전기진단검사가 정상인 경우가 37.3%, 증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delayed median nerve
상은 없으나 전기진단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가 conduc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Br J Rheumatol
6.0%이었다. 1998; 37: 630-635
2)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 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10) Franzblau A, Werner RA: What is carpal tunnel syn-
에서 연령, 농작업, 손목 깊이/폭 비율 및 체질량 지 drome? JAMA 1999; 282: 186-187
11) Gordon C, Johnson EW, Gatens PF, Ashton JJ: Wrist
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각변수의 교차비는
ratio correlation with carpal tunnel syndrome in indu-
연령 1.03 (95% 신뢰구간: 1.01∼1.07), 농작업 2.62
stry. Am J Phys Med Rehabil 1988; 67: 270-272
(95% 신뢰구간: 1.17∼5.86), 손목 깊이/폭 비율 3.13 12) Hennessey WJ, Johnson EW: Carpal tunnel syndrome.
(95% 신뢰구간: 1.64∼5.96), 체질량지수 2.24 (95% In: Johnson EW, Pease WS, editors. Practical electro-
신뢰구간: 1.14∼4.40)이었다. myography,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이상의 결과로 농촌 지역의 인구 특성 및 농작업 1997, pp195-215
13) Johnson EW, Gatens T, Pointdexter D, Bowers D:
의 특성에 의해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아 농
Wrist dimensions: correlation with median sensory la-
촌 지역에서의 수근관 증후군의 예방과 관리가 필요 tencies. Arch Phys Med Rehabil 1983; 64: 556-557
할 것으로 생각되며, 체질량 지수와 손목의 모양 등 14) Lam N, Thruston A: Association of obesity, gender,
신체적 요인에 노화 및 직업적 요인이 수근관 증후 age and occupation with carpal tunnel syndrome. Aust
군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생각된다. N Z J Surg 1998; 68: 190-193
15) Masear R, Hayes J, Hyde A: An industrial cause of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1986; 11: 222-227
참 고 문 헌
16) Melvin JL, Burnett CN, Johnson EW: Median nerve
1) 강중구, 백도명, 이윤정, 마효일, 손미아, 이홍기, 최정 conduction in pregnancy. Arch Phys Med Rehabil
근: 한 콘돔 공장근로자들의 수근관 증후군에 관한 연 1969; 50: 75-80
구. 예방의학회지 1996; 29: 507-519 17) Nakamichi K, Tachibana S: Small hand as a risk factor
2) 손민균, 김봉옥, 윤승호: 산업장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for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Muscle Nerve
발생 및 신경전도검사의 진단적 의의. 대한재활의학회 1995; 18: 664-666
지 1997; 21: 112-120 18) Nathan PA, Keniston RC, Lockwood RS, Meados KD:
3)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 Tobacco, caffeine, alcohol, and carpal tunnel syn-
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예방의 drome in American industry: A cross-sectional study
학회지 1992; 25: 26-33 of 1464 workers. J Occup Environ Med 1996; 38:
4) 이종민, 김수근, 김종민: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기준: 일 290-298
개 육류 가공업체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대한산업의 19) Nathan PA, Keniston RC, Meadows KD, Doyle LS:
학회지 1999; 11: 407-414 Relationship of age and sex to sensory conduction of
5) Atroshi, I, Gummesson C, Johnsson R, Ornstein E, the median nerve at the carpal tunnel and association
Ranstam J, Rosen I: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 of slowed conduction with symptoms. Muscle Nerve
drome in a general population. JAMA 1999; 282: 1988; 11: 1149-1153
153-158 20) Nathan PA, Keniston RC, Myers LD, Meadows KD:
6) de Krom MC, Kester AD, Knipschild PG, Spaans F: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slowing of sensory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Am J Epi- conduction of the median nerve in industry. A cross
demiol 1990; 132: 1102-1110 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involving 429 work-
7) de Krom MC, Knipschild PG, Kester AD, Thijs CT, ers. J Occup Med 1992; 34: 379-383
Boekkooi PF, Spaans F: Carpal tunnel syndrome: 21) Nordstrom DL, Vierkant RA, DeStefano F, Layde PM: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J Clin Epidemiol Risk factors for carpal tunnel syndrome in a general
1992; 45: 373-376 population. Occup Environ Med 1997; 54: 734-740
8) Ferry S, Hannaford P, Warskyj M, Lewis M, Croft 22) Phalen GS: Reflections on 21 years' experience with
826 大韓再活醫學會誌:第 25 卷 第 5 號 2001

the carpal tunnel syndrome. JAMA 1970; 212: 1365- tunnel syndrome: Contribution of flexor tendons. Arch
1367 Phys Med Rehabil 1977; 58: 379-385
23) Redecki P: Carpal tunnel syndrome; effector of per- 27) Stevens JC, Sun S, Beard CM, O'Fallon WM, Kurland
sonal factors and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Phy WT: Carpal tunnel syndrome in Rochester, Minnesota,
Med Rehabil Clin North Am 1997; 8: 419-437 1961 to 1980. Neurology 1988; 38: 134-138
24) Reinstein L: Hand dominance in carpal tunnel syn- 28) Tanaka S, Wild DK, Cameron LL, Freund E: Assoc-
drome. Arch Phys Med Rehabil 1981; 62: 202-203 iation of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risk fac-
25) Rempel D, Evanoff B, Amadio PC, de Krom M, tors with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carpal tunnel
Franklin G, Franzblau A, Gray R, Gerr F, Hagberg syndrome in a national survey of the working po-
M, Hales T, Katz JN, Pransky G: Consensus criteria pulation. Am J Ind Med 1997; 32: 550-556
for the classifica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in 29) Winn F, Habes D: Carpal tunnel area as a risk factor
epidemiologic studies. Am J Public Health 1998; 88: for carpal tunnel syndrome. Muscle Nerve 1990; 13:
1447-1451 254-258
26) Smith EM, Sonstegard DA, Anderson WH: Carpal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