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1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

hwp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 바 허용전류 계산

1. 목적
배전반류에 사용되는 동 부스 바는 일반적으로 JIS H 3140 「동 부스 바 '에서 선정
된 있지만 종류도 많고 그 허용 전류에 대해서도 JIS C 4620 "큐비클 식 고압 수전
설비"의 설명에 표시된 것이 유일한 것이다.
본 기술 자료는 배전반류에 필요한 JIS H 3140 「동 부스 바 '를 정리하는 것과
동시에 부족 부분을 충족하고 동 부스 바를 선정 함에 있어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또한 기술적으로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2 허용 전류 계산
2.1 전류 용량 계산 할 때
도체의 주요 기능은 전류를 흘리는 것이다. 그 통전 용량은 도체 자체의 발열을
일정 값 이하로 되게 하면서 흘리는 값이지만 그 기준은 도체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
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도체를 절연 재료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온도에서 정해
진 다.
도체의 전류 용량 값의 계산은 실험을 기반으로 한 계산식이 각종 사용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체의 발열량과 대류, 복사에 의한 방열량이
같다는 열 평형식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식은 복사에 의한 방산 Wr는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에 따라 도체 표면의 복사 계수
에 비례 한다.
한편, 대류에 의한 방산 Wc는 여러 가지 실험식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러 도체의 경우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실제 시험에 의해 수정할 필요가 있다.
온도 시험은 정격 전류가 큰 설비에서는 시험 전원 설비의 사정에 따라 정격 전류를
통전 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온도 상승 값의 추정
계산식 [JEM1265 : 1994 저압 금속 폐쇄 형 스위치 기어 및 컨트롤 기어에 규정 된
계산식]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저압 폐쇄 모선 등 정격 전류가 큰 장치에 있어서는 시험 전원 설비의 사정에


따라 정격 전류를 통전 할 수없는 경우에는 정격 전류보다 작은 시험 전류를 통전
하여 온도 상승 값을 측정하고, 자연 환기 조건의 경우는 다음 식에 의해 정격 전류
에 대한 온도 상승 값을 구하여도 된다.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2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

 

   × 


여기서    정격전류에 대한 온도 상승값   


   온도 상승 측정 값   
  정격 전류   
  시험 전류   

교류의 경우에는 도체 주위에 일어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류가 도체의 표면에


집중하는 표피 효과 및 도체 상호가 매우 근접하는 경우는 도체의 자기장의 상호 작용
에 의해 전류 밀도가 치우쳐 오는 근접 효과 등으로 그 계산 된 값은 도체의
단면형상, 치수, 배열 등등 외에 주파수, 저항 등에 따라서 변화하고 산포가 크게
된다. 본 기술 자료는 동대를 수직 배치 한 경우의 계산에 대해 기술 한다.
계산식은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

단   연속 통전 전류   
  도체  당 저항 값  Ω 
 도체  당 바깥쪽 으로 향한 표면적   
 도체  당 바깥쪽 으로 향한 간격표면적   
 도체  당 안쪽 으로 향한 표면적   
  복사에 의한 부  당 방열량   
  ×   ×  

  복사에 의한 부  당 방열량   


  ×   ×  

  대류에 의한  부  방열량   


 ×   



  대류에 의한  부  방열량   


  ×   

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3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  도체 주위 절대온도   ℃ 
  도체 절대온도   ℃ 
  도체 등가 높이   
  열 복사 계수   에서는 를 사용 
  기압 대기압 일때 는     

또한, 동 부스바 수직 배치 (1 매)의 도체 1㎝ 당 표면적은 그림 2-1의 실선 부분에


표시된 A 면적이 되고 동 부스바 수직 병렬 배치 (2 매)의 도체 1 ㎝ 당 표면적은
그림 2-2에 표시된 A, B, C 면적의 실선부분이 된다.
A 면적 A면적 B면적 C면적

그림 2-1 동 부스바 수직배


치 (1매) 일 경우
도체 두께와 같음

그림 2-2 동 부스바 수직 병렬배치


(2매) 일 경우

직류 전류용량을 구할 때 직류저항 Rdc가 교류 전류용량을 구할 때 교류저항 Rac가


R의 값이된다. 그 저항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식


1) 동 부스바 배치 1장 일 때 직류저항
   ×   
    Ω  ⋯⋯    식

2) 동 부스바 병렬 배치 2 장 일 때 직류 저항
   ×    
   ×   Ω  ⋯⋯    식
 
단    ℃의표피계수
  ℃도체㎝당 교류저항 
  ℃도체㎝당 직류저항
  단도체의 단면적  × ㎝ 
  도체온도℃
  ℃의저항온도계수·℃
도전율  일때   
  ℃의고유저항·㎝
   × 
  주파수
  도체  ㎞ 당 직류저항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4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도체 표피 계수

동부스바 병렬 배치 2일때
j=3j 가 된다.

f: 주파수 [Hz]
Rdc1: 도체 1km당
직류 저항 [Ω]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5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2.2 동 부스바 ー 수직배치 (1매) 계산 예


조건 : 주위 온도 40 ℃, 주파수 60Hz 회로, 6 × 50mm 동 부스바 (도전율 98 %
이상) 온도상승 30K에서 전류용량 (A)을 구하여라.

① 동 부스바 1본 1cm 당 직류저항 Rdc (Ω)을 구 한다.


(1-3) 식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Ω 

② 동 부스바 1본의 도체 1 ㎞ 당 직류저항 Rdc1 (Ω)을 구한다.


① 에서 구한 1cm 당 저항 값을 1 ㎞ 로 저항을 환산 한다.
   ×    ×   ×    ×    

③ 표피계수 표에서 표피 계수 Ks 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피계수 표 에서




  의 곡선과
 

 

  와 교차점 에서 표피계수 는    가 된다

④ 동 부스 바 1본의 1cm 당 교류저항     Ω  를 구한다.


(1-2) 식 에서    ×    ×  ×   ≒  ×    

동 부스 바 는 1본 이기 때문에 그림 2-1에서 A 면적의 방열량을 구한다.

⑤ 복사에 따른 A부 1㎠ 당 방열량  ㎠ 을 구 한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6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⑥ 대류에 따른 A 부문 1㎠ 당 방열량  ㎠  을 구 한다.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⑦ 도체 1cm 당 바깥 쪽으로 향한 표면적 A(㎠)를 구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⑧ (1-1) 식 에서 연속 통전 전류을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
주변보다 고온의 물체는 주변으로 에너지를 방출하고, 저온의 물체는 주변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하여 결국 물체는 주변과 같은 온도를 갖게 되는데,
이를 “열 평형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처럼 주변과 온도가 다른 물체가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정도는 물체마다 다른데, 그 정도가 가장 높은 가상의 물체를
흑체(黑體, black body)라고 한다.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7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2.3 동 부스바 ー 수직배치 (2매) 계산 예


조건 : 주위 온도 40 ℃, 주파수 60Hz 회로, 2-10 × 150mm 동 부스바 (도전율 98
% 이상) 온도상승 30K에서 전류용량 (A)을 구하여라.

① 동 부스바 1본 1cm 당 직류저항 Rdc (Ω)을 구 한다.


(1-4) 식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Ω 
 

② 동 부스바 1본의 도체 1 ㎞ 당 직류저항 Rdc1 (Ω)을 구한다.


① 에서 구한 1cm 당 저항 값을 1 ㎞ 로 저항을 환산 한다.
   ×    ×   ×    ×    

③ 표피계수 표에서 표피 계수 Ks 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피계수 표 에서




  의 곡선 계산  과
 

 
  와 교차점 에서 표피계수 는    가 된다


④ 동 부스 바 1본의 1cm 당 교류저항     Ω  를 구한다.


 
(1-2) 식 에서    ×    ×  ×   ≒  ×    

동 부스 바 는 2본 이기 때문에 그림 2-2에서 A 면적, B면적 , C면적의 방열량을


구한다.

⑤ 복사에 따른 A부 1㎠ 당 방열량  ㎠ 을 구 한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8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⑥ 복사에 따른 B부 1㎠ 당 방열량  ㎠ 을 구 한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⑦ 대류에 따른 A 부문 1㎠ 당 방열량  ㎠  을 구 한다.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⑧ 대류로 인한 C부 1㎠ 당 방열량     를 구 한다.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⑨ 도체 1cm 당 바깥 쪽을 향한 표면적 A(㎠)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⑩ 도체 1cm 당 바깥 쪽을 향한 표면적 B(㎠)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⑪ 도체 1cm 당 바깥 쪽을 향한 표면적 C(㎠)를 구한다.
   ×   ×    ×  ×     

⑫ (1-1) 식 에서 연속 통전 전류을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9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3. 동 부스 바 허용전류
배전반 내에서 도체가 설치되는 위치와 공간과 구조에 따라 방열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 상승 값은 방열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개방형 배전반은
65K와 같은 값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분전반 등의 폐쇄형에서 주위온도와 반내 온도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규정의 온도 상승 값보다 그 차이를 줄여 사용해야 한다.
주위 온도 40 ℃, 주파수 60Hz 회로에서 동 부스바 (도전율 98 % 이상)은 나도체로
설치를 개방상태 할 때 온도 상승 30K의 전류 용량(A) 계산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복사 계수는 0.4 이며 "배전반 · 제어반 핸드북」(전기 서원,関根安次監修
1979 년 1월 30 일 발행) 주회로 도체 허용 전류 계산식 따라 구했다.

(주) 온도 상승 30K에서 전류 용량 (A)은 다음 환산 식에 따라 각종 온도 상승시


전류 계산 기본 값으로 사용된다.
또한 그 외의 경우는 동 핸드북의 환산 식

 
 

    에 의한다


여기서    이외의 온도상승  에서의 전류용량  


   일 때의 전류용량  

(주) 도체를 수평 배치 한 경우에는 1 매의 경우 6 %, 2 장 병렬의 경우 10 %


감 할 것.

정면 측면

정면 측면

수평 배치
수직 배치

예 2.2 계산 예제와 같이 6 × 50 ㎜ 인 동 부스바를 수평 배치 한 경우는 6 %


감소이기 때문에 0.94 배로 한다. 즉 676 (A) × 0.94 = 635 (A)가 구해지고
이것이 연속 통전 전류 값이 된다.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10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표 1 수직배치 1매

온도 상승(k)
30 35 40 45 50
치수t x H(mm)
2 x 12 110 120 130 140 150
3 x 12 140 150 170 180 190
3 x 15 170 190 200 210 230
3 x 20 210 230 250 270 290
3 x 25 260 280 310 330 350
4 x 15 200 220 240 250 270
4 x 18 230 250 270 290 310
4 x 20 250 280 300 320 340
4 x 25 300 330 360 380 410
4 x 30 350 390 420 450 480
5 x 20 290 310 340 360 390
5 x 25 340 380 410 440 460
5 x 30 400 440 470 510 540
5 x 40 510 560 600 650 690
6 x 20 320 350 380 410 430
6 x 25 380 420 450 490 520
6 x 30 440 490 520 560 600
6 x 40 560 620 670 710 760
6 x 50 680 740 800 860 920
6 x 75 950 1040 1120 1200 1280
6 x 100 1210 1330 1440 1540 1640
8 x 25 450 500 540 580 610
8 x 30 530 580 620 670 710
8 x 40 660 720 780 840 890
8 x 50 790 930 930 1000 1070
8 x 75 1100 1300 1300 1400 1480
8 x 100 1380 1640 1640 1750 1870
10 x 50 890 1050 1050 1120 1200
10 x 75 1220 1440 1440 1550 1650
10 x 100 1530 1810 1810 1940 2060
10 x 150 2120 2510 2510 2690 2860
15 x 100 1830 2160 2160 2320 2460
15 x 150 2500 2960 2960 3170 3370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11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표 2. 수직 병렬 배치 2매

[단위 A]
온도상승(k)
치수 30 35 40 45 50
t x H(mm)
2- 6 x 75 1600 1750 1890 2020 2150
2- 6 x 100 1990 2180 2360 2520 2690
2- 8 x 75 1820 1990 2160 2310 2460
2- 8 x 100 2250 2460 2660 2860 3040
2- 10 x 75 2030 2220 2400 2570 2730
2- 10 x 100 2480 2710 2930 3140 3350
2- 10 x 150 3330 3650 3950 4230 4500
2- 15 x 100 2970 3250 3510 3760 4010
2- 15 x 150 3940 4310 4660 5000 5320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12 배전반에서 사용하는 동 부스바 허용전류 계산.hwp

4. 동 부스 바 치수
배전반 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동부스 바 의 치수는 표 3과 같다.

표3. 동 부스바 치수표


12 15 16 18 20 25 30 32 35 38 40 45 50 60 65 70 75 80 100 125 150
두께
2 Ο                        
2.4                          
2.6                            
3 Ο Ο     Ο Ο              
3.2                          
4   Ο   Ο Ο Ο Ο                            
4.5                                          
5         Ο Ο Ο       Ο                    
6         Ο Ο Ο       Ο   Ο       Ο   Ο    
6.5                                  
8   Ο Ο       Ο   Ο       Ο   Ο    
10                   Ο       Ο   Ο   Ο
12                              
 
15                         Ο   Ο

6 참고 자료
配電盤・制御盤ハンドブック:電気書院 関根安次監修 昭和54 年1 月30 日発行
・電気設備技術計算ハンドブック:電気書院 電気設備技術計算ハンドブック編集委員会 [ 平成2 年7 月30 日 第3 版]

일본배전제어 시스템 공업기술 자료 jsia-t100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