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해, 습해, 온수지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3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농어촌용수ICT융합연구실
http://ruralwater.snu.ac.kr
한해와 습해
 한해 : 수분부족으로 작물의 생육장애를 입는 것 (한발, 가뭄)
 세포수분감소
 광합성 감퇴
 생리작용 저해(양분흡수,물질전류)
 효소작용 교란(합성감퇴,분해증가)
 원형질의 수축,파괴
한해와 습해
• 습해 : 수분과다로 작물의 생육장애를 입는 것
• 호흡 장해 - 무기성분(N, P, K, Ca, Ng 등)흡수 저해
– 환원성 유해물질 생성
– 전염병 전파,병해발생 초래
– 메탄가스, 질소가스, 이산화탄소의 생성

 배수개선으로 해결
수온과 작물
• 벼의 생육과 수온은 밀접한 관계
• 최적수온 : 30∼34℃
• 위험수온 : 15∼20℃ (저온장해)
35℃이상 (고온장해)

생육단계 최저온도 최적온도 최고온도

발 아 기 10~13 30~34 40~44

유 묘 기 - 32 -

초 장 신 장 기 15~16 30~32 40

분 얼 기 14 28~34 40

수 잉 기 15 - 40

출 수 기 17~20 - -

개 화 기 15~19 28~40 30~40

성 숙 기 10~20 30 내외 40
자연수의 수온
 관개용 수원의 자연수 : 하천, 저수지, 호소, 지하수
 하천수 : ① 최고수온→최고기온보다 1∼3시간 후 발생
② 최저수온→최저기온시와 같음
③ 수온의 일변화→5∼10℃
④ 수온의 월변화→7월(18∼25℃)
8월(20∼27℃)
9월(18∼20℃)
• 저수지/호소 : 깊이에 따라 다름
표수층(대류층) : 0∼4m 깊이
변수층(약층) : 4∼7m 깊이
심수층 : 7m 이상 깊이
• 지하수
지하수온 : ① 연평균 기온보다 1∼3℃ 높음
② 연교차는 약 2℃
③ 항온층은 17∼18℃
온수 대책
 수온상승 시설계획의 조건
① 수원의 수온이 18℃ 이하일 때
② 관개기간중의 냉수피해(유수형성기)를 받을 때(>18℃)
야간 심수관개(수온 > 기온; 4~7℃)
 수온상승대책
① 취수대책 : 수원공 취수 (표수층 취수)
취수탑, 사통으로 취수
② 송수대책 : 수로내의 송수 (온수지 : 온수로, 우회수로)
Sluice Gate Type
Water Intake Tower – Typical type for small-
medium size dams
Roller Gate Type
Water Intake Tower (성주댐)
Roller Gate Type Water Intake Tower Operation
for Warm Surface Water Taking
Inclined Water Intake Facility
Inclined Water Intake Facility
온수 대책
수온상승 시설계획의 조건
① 수원의 수온이 18℃ 이하일 때
② 관개기간중의 냉수피해(유수형성기)를 받을 때(>18℃)
야간 심수관개(수온 > 기온; 4~7℃)

수온상승대책
① 취수대책 : 수원공 취수 (표수층 취수)
취수탑, 사통으로 취수
② 송수대책 : 수로내의 송수 (온수지 : 온수로, 우회수로)
논의 열수지
열수지 요소 : 복사, 저장열, 잠열, 현열, 지중열
한해와 습해

저수형 온수지의 열수지

유수형 온수지의 열수지


S : 순복사량(cal/㎡.s)
L : 현열 전달량(cal/㎡.s)--공기중 방열
LE : 증발 잠열 전달량(cal/㎡.s) (La*E)
La : 증발잠열(580 cal/gr)
E : 수면증발량(gr/㎡.s)
B : 저장열 변화량(cal/㎡.s)
G : 지중열 전달량(cal/㎡.s)
S=L + LE + B + G ---------------------------(1) 식(1)에 대입하면
L=h(w- a ) S=h(w- a )+2h(e(w )- ea )+ C H dw/dt
h : 현열 전달계수(cal/㎡.℃.s) S=h(w- a )+2h(D+  (w - a ))+ C H dw/dt
w : 수온(℃) dw/dt 에 대하여 정리하면
a : 기온(1.5m 높이, ℃) dw/dt +h(1+2  ) w / C H =(S+h(1+2  ) a -2hD)/ C H
LE=k(e(w )-ea ) dw/dt =0 이면 w= ∞ ( ∞ : 평형수온)
k : 잠열 전달계수(cal/㎡.mmHg.s) h(1+2  ) ∞ =S+h a (1+2  )-2hD
k≒2(℃/mmHg)*h ∞ = a +(S/h - 2D)/(1+2  )
e(w) : 수온에 대한 포화수증기압(mmHg)
ea : 공기중 수증기압(mmHg) ∞: S/h가 포차의 2배보다 큰 경우에 수온이 기온보다 높아짐
e(a) : 기온에 대한 포화수증기압(mmHg)
수온 - 기온 < 10℃일 때 (선형변화)
e(w)≒e(a )+ (w- a)
 : 포화수증기압력-온도곡선의 기온에 대한
변화율(mmHg/℃)
LE=k((e(a )- ea)+  (w- a ))
D : 포차(mmHg) (포화수증기압과 공기중 수증기
압의 차이)  D=e(a )- ea
LE=k(D+  (w- a )) = 2h(D+  (w - a ))
B= C .H(dw/dt)
C : 물의 용적열용량(cal/℃.㎥)
H : 수심(m)
평형수온: 수층에 공급되는 순복사량과 공기 중으로 나가는 방열
d w/dt : 수온의 변화(℃/s) 량이 평형일 때의 수온
G : 무시
S+ i =L + LE + B + G + o o - i=(∞ - i) (1-exp(-h(1+2  )t/( C H ))
t/H = A/Q 로 대치하면
i : 유입수 열량(온도)(℃) o - i =(∞ - i) (1-exp((-h(1+2  )/C)(A/Q))
o : 유출수 열량(온도)(℃)
수온상승률: ’=(o - i)/(∞ - i)=1-exp((-h(1+2  )/ C)(A/Q))
온수지에 유입해서 시간 t 만큼 못안에서 체류한 후 못으로
부터 유출되는 물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e(o )≒e(i )+ ′(o - i )
o - i =(’∞ - i) (1-exp((-h(1+2 ’ )/ C)(A/Q) )
o = ∞ -(∞ - i )exp (-h(1+2  )t/( C H ))
’∞ = a +(S/h – 2(ea –e(i))/(1+2 ’ )
변형하여 수온상승도 (o - i) 로 나타내면
(o - i)=(∞ - i) (1-exp(-h(1+2  )t/( C H )) Check!!! S : 순복사량(cal/㎡・sec)
e(o) : 수면의 수증기압(mmHg)
o: 온수지에서 나가는 물의 온도(℃)
′ : i의 포화수증기압곡선의 기울기(mmHg/oC)
i: 온수지로 들어오는 물의 온도(℃)
∞: 평형수온(℃) e(i) : i의 포화수증기압(mmHg)
h: 현열 전달계수(cal/㎡.℃.s) ′∞ : 유입수(원류)수온을 기준한 평형수온
:포화수증기압력-온도곡선의 기온에 대한 변화율
(mmHg/℃) Ref: ∞ = a +(S/h - 2D)/(1+2  )
C  : 물의 용적열용량(cal/℃.㎥)
H: 온수지 수심(m)
t: 체류시간 (AH/Q (sec)), A : 온수지 표면적(㎡), Q :
유입량(㎥/sec), t/H = A/Q
열 평형
e(o ) : 수면의 수증기압(mmHg)

′ : i의 포화수증기압곡선의 기울기(mmHg/oC)

e(i ) : i의 포화수증기압(mmHg)

′∞ : 원류수온을 기준한 평형수온

∞ = a + ((S/h)-2D)/ (1+2)
∞

oC

o

t
온수로
수로로선 : 양지, 비강풍지, 비냉수 유입지

흡열효과 : 아스팔트 라이닝

온수효과 : 천심(0.5m), 나비(>5m), 유속(<0.5m/s)


체류시간 10~30 hr
낙차공 설치
우회수로
우회수로
형태 : 한겹형, 두겹형, 사행형, 체류형, 병행형
길이 : 2∼3 - 30∼40m
나비 : 0.6∼0.65m
논 안의 온수 대책
• 사용수량의 절약(누수방지) : 객토, 밑다짐, 논두렁개량
• 관개방법개선 : 간단관개 (냉수유입 억제)
• 물꼬내의 대책
– 웅덩이 조성, 우회수로 설치
– poly-tube(분산판) 설치 (plastic tube(pipe))
• 평형수온 상승책 : OED (oxyethylene developer, 증발억제약품)이용
• 재배법 개량 : 방풍림 조성
내냉성 품종 선택
조식재배법
수질과 작물
관개용수에 함유된 물질 : 부유물질, 유해물질

부유물질 : 이토, 모래, 자갈, 각종 폐기물


유해물질 : 지질(모암), 기후(강우), 각종 폐수, 염분축적
양이온 : Na, Ca, Mg, K
음이온 : Cl, SO4, HCO3, CO3, NO3
수질오염 성분의 분류
구 분 대분류 수질항목

중금속 수은, 카드뮴


유해독물질
유독물 시안, PCB

유기물 BOD, COD, TOC


산소 DO
부유물질 SS, 탁도
유기물류 세균 대장균, 일반세균
수소이온 pH
전기전도도 EC
수온 ℃

질소 T-N, NH4-N,
영양염류 NO3-N, NO2-N,
인 T-P, PO4-P

염분
기 타 방사능물질
기름

농작물의 피해 : 염화물(Cl, Chlorides) > 유화물(S, Sulfides)


농업용수 수질
• 벼농사 수질 기준
• 염도와 나트륨 흡착율에 따른 관개용수의 수질분류
• 벼농사 수질 기분 기준값
항목
한국 일본
pH 6.0~8.5 6.0~7.5
BOD(mg/ℓ) 8이하 8이하
COD(mg/ℓ) 8이하 6이하
SS(mg/ℓ) 100이하 100이하
DO(mg/ℓ) 2이상 5이상
T-N(mg/ℓ) - 1이하
EC(㎛hos/cm) - 300이하
중금속 : Hg(mg/ℓ) 0.005이하 -
Pb(mg/ℓ) 0.05이하 -
Cr+6(mg/ℓ) 0.1이하 -
CN(mg/ℓ) 0.1이하 -
As(mg/ℓ) 0.05이하 0.05이하
Cd(mg/ℓ) 0.01이하 -
Zn(mg/ℓ) - 0.02이하
Cu(mg/ℓ) 0.01이하 0.02이하
염분량의 추정방법
① SAR(Sodium Adsorption Ratio)

SAR = Na 
Ca    Mg  
2
② EC(Electrical Conductivity)
전기저항의 역수로 표시
센서크기 : 면적 1㎠, 길이 1㎝
측정단위 : mhos/㎝ (CGS unit)
s/m (Siemens, Sl unit)
1 S/m= 105 mhos/㎝
1d S/m=1m mhos/㎝
1m mhos/㎝=103 mhos/㎝ =640㎎/ℓ
1 mhos/㎝= 10-6mho

염도와 나트륨 흡착률에 따른 관개용수의 수질분류. 두 항목 모두 작물에 미치는 해가


낮은 것에서부터 매우 높은 것까지 4단계로 구분.
※ 농업용수의 오염피해

① 산, 알카리, 염류, 질소과잉 등의 직접피해


② 생산물 품질피해(카드뮴, 수은)
③ 농업용 시설피해 - 통수시설 : 비닐, 쓰레기
시설부식 : 산, 알카리 폐수
④ 농작업 피해 - 악취, 피부습진
⑤ 주변환경피해 - 악취
경관악화 ← 오수유입
부영양화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