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

VOL. 54 2017.

11

라이다 기술 및 시장 동향
목차

1. 서 론 3

2. 기술 동향 5

3. 시장 동향 8

4. 산업 동향 12

5. 종 합 15
라이다 기술 및 시장 동향

1. 서 론

목적

○ 본 보고서는 라이다의 기술 및 시장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업화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음

라이다 개요

○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란 고출력의 펄스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 빔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기술로 자율주행자동차, 지구환경 관측, 대기분석 및
무인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

- ‌먼 거리까지 퍼지지 않고 나아가는 직진성을 가진 레이저의 높은 밀도와 짧은 주기를 가지면서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특성을 활용하는 라이다는 정밀한 대기 중의 물성 관측 및 거리 측정 등에 사용됨
- ‌최근 라이다 기술 기반의 3차원 공간 스캐닝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자율주행자동차, 거리 측정기, 3D
Image System 등과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음

○ 라이다는 1930년대 공기 밀도 분석을 위해 처음 개발이 시도되어 레이저가 발명된 1960년대 본격적인 개발이
진행면서 위성, 항공기 등에 적용되었고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임

- ‌‌1990년대 이후 항공기, 위성 등에 탑재되면서 정밀한 대기분석 및 지구 환경 관측을 위한 중요한 관측


기술로 활용됨
- ‌2000년대 이후부터는 우주선 및 로봇에 장착되어 사물까지의 거리 측정 등 카메라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지상에서 원거리 측정, 자동차 속도위반 단속 등을 위한 라이다 기술들이 상용화되어
활용됨
- ‌최근에는 3D 리버스 엔지니어링, 자율주행 및 무인자동차를 위한 레이저 스캐너 및 3D 영상 카메라의
핵심 기술로 활용되면서 그 활용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음

○ 라이다는 기본적으로 레이저 송수신부, 레이저 검출부, 신호 수집 및 처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분으로 단순하게 구분이 가능함

3 l S&T Market Report


- ‌‌라이다는 레이저 신호의 변조 방법에 따라 time-of-flight(TOF) 방식과 phase-shift 방식으로 구분됨
- TOF방식은 레이저가 펄스 신호를 방출하여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하는 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함
- ‌phase-shift 방식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시간 및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임

출처 : ETRI(2012), 라이다 센서 기술 동향 및 응용

<그림> 라이다 기본 구성 및 동작원리

보고서 범위

○ 라이다 기술 동향
○ 라이다 시장 동향
○ 라이다 산업 동향

4 l S&T Market Report


2. 기술 동향

기술 분석

○‌기상 관측 및 거리 측정을 목적으로 주로 연구되었던 기존 라이다 기술들은 최근에는 무인 로봇 센서,


3차원 영상 모델링 등을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라이다 기술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표> 라이다 기술 종류

분류 기술내용

·레이저 파장의 변화 없이 입자들의 운동량에 따라 후방산란되는 빛의 스펙트럼 퍼짐


Elastic-backscatter lidar
특성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에어로졸 및 구름의 특성 측정 등에 활용되는 기술

·분자 에너지 상태에 따라 분산되는 레이저 빛의 주파수 변화 및 라만 밴드 내의


Raman lidar
세기 분포 분석을 통하여 대기 중의 수증기 및 온도 분포 등의 측정에 활용되는 기술

·각기 다른 레이저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들에 대하여 측정 대상 물질의


Differential-absorption lidar
흡수차이를 이용하여 대기 오염 물질 등의 농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원자, 이온 또는 분자의 에너지 천이와 동일한 에너지를 가지는 레이저 빛에


Resonance fluorescence
대하여 동일 파장의 빛 또는 긴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lidar
중간권역 대기 중의 원자 및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

·도플러 효과에 의한 레이저 빔의 미세한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바람 등의


Doppler lidar
속도를 측정하는 기술

·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빔의 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가장


Laser rangefinder
간단한 형태의 라이다 기술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재구성

○라이다 기술 방식은 2차원 및 3차원 레이저 스캐너, 3차원 플래시 라이다로 나눌 수 있으며 기술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2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일반적으로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을 포함하는 특정 평면
에서의 영상 정보를 수집함
- ‌2차원 레이저 스캐너 시스템의 구성은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같이 단일 레이저와 단일 수신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을 위한 모터가 추가됨
-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다수의 레이저 및 수신 소자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의 시야각에 대하여 동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 스캐닝을 통해 3차원 영상 수집이 가능한 기술임
-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넓은 시야각의 확보를 위하여 많은 수의 레이저 및 수신소자들이 필요하고 비교적
고난이도의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지만, 현재 상용화된 소자들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5 l S&T Market Report


<표> 2차원과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기술

2차원 레이저 스캐너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 ‌‌‌3차원 플래시 라이다 기술은 단일 레이저 빔을 광 시야각으로 확장하여 조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 빔을
다중 배열 수신 소자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일반적인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실시간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임
- ‌‌‌3차원 플래시 라이다 및 시스템 내 FPA(Focal Plane Array)는 2차원 디지털 카메라와 비슷하게 동작
하지만, 3차원 깊이 및 강도 데이터를 동시에 얻는 점에서 차이를 가짐
- ‌‌소스는 단일 레이저 및 빔 스프레더로 구성되어 있고, 디텍터는 렌즈를 통해 수광한 빛을 FPA로 수신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
- ‌‌현재 상용화된 회전 방식의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기술은 광 시야각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지만 수직 방향의
해상도가 낮고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반해 3차원 플래시 라이다는 높은 해상도와 넓은 시야각을 위한 수신기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소형
집적화가 가능하고, 3차원 레이저 스캐너에서 소요되는 회전 또는 레이저 스캐닝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그림> 3차원 플래시 라이다 기술 원리

6 l S&T Market Report


기술개발 동향

○ 최근 상용화된 라이다 제품들은 대부분 차량용으로 3D 레이저 스캐닝 방식 기반으로 제작되어 판매하고 있음

- ‌현재 상용화된 라이다 제품은 대부분 제한된 수직 방향의 시야각을 가지며, 수평 방향에 대해 360˚또는
수십 도의 스캐닝 각도를 지원함

○ ‌외부환경(outdoor)에서 사용하기 위한 Velodyne, Quanergy, IBEO, SICK 등 제품들 중에 비교적 장거리


지원이 가능한 모델들의 주요 사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Velodyne사의 HDL-64E는 3D 레이저 스캐닝 기반으로 다수의 레이저 및 수신 소자를 이용하여 일정한
수직/수평 시야각(FoV)에 대해 동시 측정이 가능하도록 회전 스캐닝 방식으로 구성됨
- ‌Quanergy사의 Mark VIII 제품은 현재 전 세계 저가형 라이다 상용 제품 중 가격 대비 성능 면에서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평가되고 있음
- ‌IBEO사의 SCALA 라이다는 Valeo사와 협업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레이저 스캐너 개발을 목적으로
개발 중이며, SICK사의 라이다는 4개의 채널로 일정 시야각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 거울을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 방향만 관측하기 위해 제공함

<표> 주요 제품 사양 비교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7 l S&T Market Report


3. 시장 동향

○라이다 세계 시장은 향후 연평균 17.6%의 성장률로 빠르게 성장하여 2017년에는 383.9백만 달러에서 2020년
에는 624.9백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라이다 세계 시장의 규모는 현재(2017년) 대비 2020년 두 배 정도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그 중 아시아 지역 및


그 외 지역(LAMEA)의 성장률이 북미와 유럽에 비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됨

<표> 라이다 세계 시장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성장률(%)
지역 2017 2018 2019 2020
[’17~’20]
North America 174.5 201.5 234.3 274.9 16.4
Europe 121.2 137.6 157.7 182.7 14.7
Asia-Pacific 66.0 81.2 100.8 126.5 24.2
LAMEA 21.6 26.2 32.5 40.8 23.6
Total 383.9 446.5 525.3 624.9 17.6

LAMEA : Latin America, Middle East&Africa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라이다의 적용 분야별 세계시장 규모를 보면 현재 항공 분야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고,
그 뒤로 모바일, 우주 분야 순으로 나타남

- ‌적용 분야별 라이다 시장 규모를 보면 모바일 분야와 우주 분야에서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특히, 스마트카 분야의 관심도가 높아짐과 함께 자율주행자동차 또는 무인기기 시장에서의 모바일 라이다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그림> 라이다 적용분야별 세계 시장 점유율 전망

8 l S&T Market Report


- ‌라이다의 적용분야별 세계 모바일 라이다 시장은 연평균 22.1%의 성장률로 2017년 97.7백만 달러에서
2020년 177.8백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표> 라이다 적용분야별 세계 시장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성장률(%)
적용분야 2017 2018 2019 2020
[’17~’20]
Terrestrial 66.6 81.1 99.8 124.1 23.1
Aerial 188.6 212.6 241.3 276.0 13.5
Mobile 97.7 118.0 144.1 177.8 22.1
Short range 30.4 34.8 40.1 47.0 15.6
Total 383.3 446.5 525.3 624.9 17.7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모바일 라이다의 세계 시장은 2017년 북미와 유럽이 전체에 76% 정도로 과점 체제이며, 향후 아시아 및
그 외 지역(LAMEA)이 부상할 것으로 전망됨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그림> 모바일 라이다 세계 시장 점유율 전망

- ‌모바일 라이다 세계 시장의 규모는 라이다 시장의 성장과 비슷한 규모로 현재(2017년) 대비 2020년 두배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됨
- ‌‌특히 LAMEA 지역의 경우 현재 시장 규모가 작지만 연간 성장률이 매년 30%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아시아 지역의 경우 역시 28.1%의 성장률로 2020년 전세계 모바일 라이다
시장의 2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9 l S&T Market Report


<표> 모바일 라이다 세계 시장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성장률(%)
지역 2017 2018 2019 2020
[’17~’20]
North America 44.4 53.1 64.1 77.9 20.6
Europe 30.3 35.6 42.3 50.7 18.7
Asia-Pacific 17.8 22.6 28.9 37.4 28.1
LAMEA 5.2 6.7 8.8 11.8 31.4
Total 97.7 118.0 144.1 177.8 22.1

출처 : Allied Market Research(2015), Global LiDAR Market

○모바일 라이다의 판매가격은 2016년 기준 약 39,000달러이며, 판매 수량이 약 3배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2020년 이후로 단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본격적인 상용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됨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그림> 라이다 평균 판매가격 및 판매수량 전망

○국내에서도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자동차 업계에서 라이다 기술을 채용한 무인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제품
시연을 하고 있으나 아직 기술 검증 단계의 수준임

- ‌국내 완성차 업체 및 부품 업체의 경우 하드웨어적인 라이다 개발보다는 라이다를 적용한 자율주행용


자동차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전자부품연구원(KE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등의 국가 기관 산하의
연구소 등에서는 라이다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완료하였거나 진행 중임

10 l S&T Market Report


<표> 라이다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7 2018 2019 2020 성장률(%)

국내 38.4 44.7 52.5 62.5 17.6

* 전세계 라이다 시장의 국내 점유율 10%를 가정하였을 경우 2020년 약 62.5백만 달러 규모 예상

출처 : 중소기업청(2016), 중소중견기업기술로드맵 2017~2019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은 거의 동등수준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음

- Velodyne사, Quanergy사 제품들과 비교해 보면 기술과 가격면에서 국내 업체의 수준은 부족하지만 성장


잠재력을 보유함

○ 정부는 2014년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에 따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비 779억원, 민자 531억원,


지방비 145억원 등 총 1,445억원을 자율주행차 사업에 투자할 예정임

- 산업부는 핵심부품과 시스템, 과기부는 ICT 기반 서비스, 국토부는 도로와 법/제도 등 각 부처별 역할을
수립하고, 단계별 기술개발 추진을 통해 관련 자동차 부품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11 l S&T Market Report


4. 산업 동향

○ 라이다는 우주탐사, 지구 지형 및 환경 관측을 위한 항공 산업과 더불어 최근 자율주행 및 무인자동차


산업에서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 분야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항공, 위성 및 우주 산업에 적용되는 라이다의 경우 특수 목적에 맞게 소량으로 개발되어 개발비의 비중이


높아 산업 측면에서 수요가 많지 않은 편임
- ‌특히 자율주행 및 무인자동차 산업에 적용되는 모바일 라이다의 경우 현재 상용화된 제품이 많지 않고,
일부 기업이 라이다 센싱 기술을 독점하고 있어 가격대가 높음

<표> 라이다 산업별 분류 및 적용 분야

산업 적용분야

· 자율주행자동차
· 무인자동차
자동차
· 3D 지형 정보 수집
· 차량 주변 환경 감지 및 정보 수집

· 우주선 도킹 시스템
· 행성 탐사선
우주, 위성
· 지구 지형 관측
· 환경 관측

· 지구환경 관측
· 산림관리 및 계획
항공기
· 도시 모델링, 해안선 관리
· 교통 및 셀룰러 네트워크 계획

· 3D 레이저 스캐너
· 영상 관측 카메라
지상
· 로봇
· 3차원 모델링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최근 자율주행 및 무인자동차의 핵심 부품인 라이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저가격의
라이다 제품의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음

- ‌차량용 라이다는 전세계적으로 소수에 불과하지만, 이미 관련 완성차 업체에서 스마트카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력 및 상용화 진행은 상당히 진척되어 있는 단계임
- ‌CES 2016에서 Velodyne, Quanery, IBEO, SICK사 등에서 발표한 라이다의 최신 개발 동향을 보면,
성능적인 면을 낮추거나 유지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품 개발 진행 중임

12 l S&T Market Report


- 기존 기구적 회전 방식뿐만 아니라 일정 시야각을 갖는 구조로 생산되고 있고, 라이다의 수광 센서 및
프로세서들을 칩으로 집적화하여 소형화를 위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표> 라이다 주요 업체 동향

업체명 특징 대표 제품

·제품 채널수에 따라 레이저 및 수신 소자를 각각 포함하고,


360˚회전 스캐닝 기반 3D 영상 수집이 가능한 구조
·현재 전 세계 라이다 시스템 중 성능 면에서 가장 뛰어난
Velodyne 제품으로 평가
·Google의 자율주행 자동차에 탑재된 제품
·64, 32, 16 채널의 라이다 제품 판매
·높은 가격으로 상용화를 위한 제품 저가화가 필요

·각각 8개의 레이저 및 수신 소자를 포함하고, 360˚


회전 스캐닝 및 일정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3D 영상 수집이
가능한 구조
Quanergy ·현재 전 세계 저가형 라이다 상용 제품 중 가격 대비 성능
면에서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평가
·다임러(Daimler) 그룹 및 현대/기아자동차에서 개발 중인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 예정

·4 채널에 일정 수평 시야각만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회전


거울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구조
·차량 부품 업체인 Valeo 사와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IBEO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제품
·사양은 타 제품에 비해 가장 낮지만, 2016년 말 대량 생산을
목표로 개발 진행 중

·8개의 채널로 일정 시야각만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회전


거울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구조
SICK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는 특정 방향만 관측하기
위해 제공

출처 : KEIT(2016),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라이다 모듈의 밸류체인은 크게 칩과 모듈, 시스템 업체로 구분됨

- 칩 업체는 전파나 레이저 빛을 통해 주행 환경을 감지하여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를 모듈 메이커에


공급하며, 모듈 업체는 전자 신호를 처리/분석하여 공간 정보 인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탑재한 모듈을
시스템 메이커에 공급하고, 시스템 업체는 센서모듈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만들어 완성차 업체에게 공급함
- 라이다에 사용되는 칩은 독일의 Osram Opto, 미국의 Maxim Integrated 및 Trilumina 등이 시장을 선정하고
있으며, 소형화, 저전력화가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칩 가격을 낮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13 l S&T Market Report


- 모듈을 만드는 시장은 미국의 Velodyne 과 ASC, 독일의 Ibeo 가 각각 몸체 회전 방식, 광학계 고정 방식,
거울 회전 방식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모듈을 기반으로 ADAS/자율주행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업체는 역시 자동차부품 업체들인데,
현재는 프랑스 Valeo, 독일 Continental, 일본 Denso 등이 라이다 시스템 업체로 활동 중임

<표> 라이다 모듈 밸류체인

벨류체인 업체 비고

Osram Opto(독일)
Maxim Integrated(미국)
광원
칩 센싱 기술
레이저 관련 반도체 업체
Trilumina(미국)

Velodyne(미국) 몸체 회전 방식

모듈 신호처리 기술 ASC(미국) 광학계 고정 방식

Ibeo(독일) 거울 회전 방식

Valeo(프랑스) Ibeo 기술 양산화

시스템 통합 기술 Continental(독일) 투자 중

Denso(일본) 투자 중

출처 : 미래에셋증권(2016), 자율주행차 밸류체인 대해부

○‌국내에서는 전자부품연구원이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인 스캐닝 라이다 광학엔진 플랫폼을 개발함

- 개발된 스캐닝 라이다 광학엔진 플랫폼은 소형화에 유리한 거울 회전 방식으로써 렌즈 광학계의 통합설계를
통해 구조를 단순화함
- 또한 연구소 차원에서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라이다 제품을 이용한 자율
주행자동차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표> 국내 업체 동향

구분 연구성과 차별화 및 특화분야

·송수진 일체형 라이다 개발 ·기상용 라이다 개발


정상라이다 ·해상도 QVGA급(320*240) 구현 ·광송수신 일체형 광학계 기술확보
·인식거리 : 200~300m ·Eye-safety 광학계

엠씨넥스 ·차량과 보행자를 식별하는 라이다-7 ·레이저 2ea, 리시버 2개, 카메라 1개로 구성

·거울회전형 라이다 센서 기술 이전
카네비컴 ·8채널 차량용 라이다 센서 개발 진행 중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출처 : 중소기업청(2016), 중소중견기업기술로드맵 2017~2019

14 l S&T Market Report


○현대자동차 및 쌍용자동차 일부 차량에 라이다를 장착하고 있고 정상라이다, LIG 넥스원, 센싱테크 등이 차량용
라이다를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 양산단계는 아님
- ‌라이다 자체 시장은 현재 규모가 크지 않고 높은 가격 및 대량 생산을 위한 타 산업과의 연계가 형성되지
않음
- ‌그러나 라이다의 저가격화와 더불어 자율주행 및 무인자동차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예상됨에 따라 라이다의
양산화를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라이다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5. 종 합

○‌항공, 위성, 대기관측 등에 주로 사용되던 라이다가 최근 스마트카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자율주행 및 무인 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써의 활용될 것으로 전망됨
○ ‌최근 라이다의 상용화를 위해 저가격화 및 소형화에 집중한 기술개발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제품 개발
에 집중이 되고 있음
○라이다 세계 시장은 2017년 383.9백만 달러에서 2020년 624.9백만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이 17.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적용분야별 시장 전망에서 모바일 분야가 2017년 97.7백만 달러에서 2020년 177.8백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20.7%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라이다 모듈의 밸류체인은 크게 칩과 모듈, 시스템 메이커로 구분되며 대부분 소수의 해외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음
○ 국내 라이다 기술은 연구소에서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및 쌍용자동차 일부 차량에
라이다를 장착하고 있고 정상라이다, LIG 넥스원 등이 차량용 라이다를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 양산단계는 아님
○‌최근 스마트카 산업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라이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자동차부품 산업에서 라이다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적극 대응이 필요함
- 자율주행
‌ 및 무인자동차의 상용화 시점과 더불어 라이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공공-민간
부분의 역량 결집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가 중요함
- ‌특히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 업체의 적극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극복을 위한
국산 라이다 개발이 필요함
- 또한 ICT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로봇, 드론, 공장 자동화 및 무인화, 측량/영상 정보처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저가의 소형 제품을 양산함으로써 라이다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15 l S&T Market Report


참고문헌

○ 라이다 기술동향과 산업 전망, KEIT, 2016년

○ 라이다 센서 기술 동향 및 응용, ETRI, 2012년

○ 자율주행차 밸류체인 대해부, 미래에셋증권, 2016년

○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2017~2019, 중소기업청, 2016년

○ 차량용 LiDAR 센서, 코리아에셋투자증권, 2016년

○ LiDAR 기술개발 추이 및 시장현황, 전자부품연구원, 2013년

○ ‌Automotive LIDAR Market for ADAS and Automated Driving, Frost&Sullivan, 2016

○ ‌Global LIDAR Market (Product type, Applications, Component, End-User and Geography) - Size,

Share, Global Trends, Company Profiles, Demand, Insights, Segmentation and Forecast, 2013 –

2020, Allied Market Research, 2015

본 보고서는 기술·시장정보 조사·분석하여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37-733) 서울 서초구 바우뫼로 27길 2(양재동 60번지) 3층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기계소재기술실용화팀
작성자 : 문혜정 매니저
전화 : 02-736-9822 팩스 : 02-736-9799

16 l S&T Market Repor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