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93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2 0 1 6 학년도
박사학위논문

프로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운동탈진의 관계모형 검증

지도교수 : 천 길 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신 태 용
프로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운동탈진의 관계모형 검증

이 논문을 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12월

경기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신 태 용
신 태 용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심 사 위 원 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2016년 12월

경기대학교 대학원
목 차

표 목 차 ················································································································ ⅲ
그림목차 ················································································································ ⅳ
감사의 글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8
3. 연구 모형 ·························································································· 8
4. 연구 가설 ·························································································· 9
5. 연구의 제한점 ················································································ 10
6. 용어의 정의 ···················································································· 11

Ⅱ. 이론적 배경 ······················································································ 13
1. 코칭 스타일 ···················································································· 13
1) 자율성지지 ················································································ 13
2) 통제적 코칭행동 ······································································ 17
2. 코치-선수관계 ··············································································· 21
3. 팀 효능감 ························································································ 24
4. 운동탈진 ·························································································· 27

- i -
Ⅲ. 연구 방법 ·························································································· 32
1. 연구 대상 ························································································ 32
2. 측정 도구 ························································································ 33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41

Ⅳ. 연구 결과 ·························································································· 43
1.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관계 분석 ···························· 43
2. 측정모형 검증 ················································································ 46
3. 구조모형 검증 ················································································ 48

Ⅴ. 논의 ···································································································· 51
1.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코치-
선수관계의 관계 ············································································ 51
2.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팀 효
능감의 관계 ·················································································· 54
3. 코치-선수관계와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 57

Ⅵ. 결론 및 제언 ···················································································· 59
1. 결론 ·································································································· 59
2. 제언 ·································································································· 60

참고문헌 ···································································································· 61
부 록 ···································································································· 77
Abstract ····································································································· 81

- ii -
표 목 차

표 1. 학자들의 탈진의 정의 ············································································· 29

표 2.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33


표 3. 기술통계 분석 ··························································································· 44

표 4.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 46

표 5. 측정모형에 대한 경로계수 ····································································· 47


표 6. 구조모형에 대한 경로계수 ····································································· 49

- iii -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모형 ··································································································· 9

그림 2. Edelwich와 Brodsk의 탈진 과정 ····················································· 28


그림 3. Selye의 탈진 과정 ··············································································· 28

그림 4. 자율성 지지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4

그림 5. 통제적 코칭행동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5


그림 6. 코치-선수관계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7

그림 7. 팀 효능감 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8

그림 8. 운동선수 탈진 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40


그림 9. 구조모형 분석 결과 ············································································· 50

- iv -
감사의 글

축구 현장에서 어려움과 역경을 이겨내며 희망과 성과와 함께 박사 학


위라는 새로운 도전으로 앞으로 이루어나갈 연구 활동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찬 저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지난 박사 과정 동안에 항상 곁에서 지
켜주시며 끊임없이 응원을 해주신 분들게 이글을 통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박사 학위를 받기까지 연구자의 길을 갈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천길영 지도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진심어린 교수님의 말씀을 되새기며 앞
으로도 최선을 다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저의 부족
한 논문을 위해 애정어린 충고를 해주신 김대권 교수님, 장윤창 교수님,
강혜련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본 논문에 교정을 위해
많은 도움을 주신 박성준 교수님, 조선령 박사님, 김재현 박사님께 진심
으로 감사드리며, 시즌 중에도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많은 힘과 응원
을 모아주신 프로축구단 감독 및 코칭 스태프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
합니다.
제가 선택하고 가는길에 헌신을 아끼지 않으며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준 나의 아내 차영주 고맙습니다. 또한 일과 학업으로 지치고 힘들 때도
큰아들 신재원과 둘째 신재혁이 있기에 힘이 났고, 불철주야 기도해주신
어머님과 장인, 장모님, 사랑하는 가족이 있기에 지금까지 일과 학업을
이어올 수 있었습니다.
이제 박사 과정을 마치고 새로운 인생을 시작합니다. 그동안의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 않고, 저 또한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베풀며 최선을 다하여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12
신태용 올림

- v -
논문개요

본 연구는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및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축구 선수 317명을 대상으로 자율성
지지스타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팀 효능감과 운동탈진을 설문지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onfimatory factor analysis)과, 구조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을 검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스타일은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1), 팀 효능감에도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통제적 코칭스타일은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팀 효능감에도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선수들이 지각한 코치-선수관계는 운동탈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선수들이 지각한 팀 효능감은 운동탈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프로축구 현장에 제공할 실증적 정보를 이론을 적용하
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선수들의 수행력뿐만 아니라 팀의 경기력을 향상

- vi -
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보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vii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16 리우 올림픽에서 보여준 우리 태극전사들의 뜨거운 열정은 아직도 우

리 가슴속 깊이 남아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번 축구국가대표 팀은 역대 최


약체 팀으로 일명, “골짜기 세대”라고 평가 받으며 큰 기대감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지난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이어 성적은

물론 상대 팀을 상대하는 전술 및 선수들이 그라운드에서 보여준 열정과 패기


를 바탕으로 만들어 낸 경기력 또한 최고라는 찬사를 받았고, 축구 전문가들

을 비롯한 관계자들 역시 결과에 대한 아쉬움보다도 코칭스텝과 선수들이 보

여준 경기내용 즉,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아끼지 않았다. 이러


한 성과에는 오랜 시간 강도 높은 훈련으로 신체적·정신적으로 강해진 선수들

의 마음가짐과 당당히 자신이 준비해왔던 모든 것들을 그라운드에 쏟아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코칭 스텝의 다양한 경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된


코칭지식 그리고 선수들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과 목표달성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노력과 열정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낸 결과일 것이다.

선수들의 경기력이나 수행력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 스포츠심리


학 영역에서는 이론에서 벗어나 현장과 활발히 소통하는 실증적 연구들이 주

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들은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 적

용 가능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일부 연구자들과 현


장 지도자들의 공감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최

헌혁과 조승관, 2014).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와 선수가 서로 호혜적인 협력적

- 1 -
관계가 유지된다면 최상의 수행력을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팀 스포츠 종목

가운데에서 축구 종목은 상호 관계적 측면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는 종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듯 일부 연구자들(Philippe &

Seiler, 2006; Poczwardowski, Barott, & Jowett, 2006)은 스포츠 상황에서 대

인간의 관계수준이 선수들의 운동수행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히 최헌혁과 조승관(2014), 그리고 Jowett과

Cockerill(2003)등에 의해 보고된 코치-선수관계 이론은 사회적 대인관계 성격

을 특징으로 팀 내에서 발생하는 사회화와 상호작용의 기능으로 개발된 심리


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코치-선수관계는 수행과제(Poczwardowski, Barott, & Henschen,


2003), 정서와 인지적 측면 그리고 코치와 선수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믿음 등

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Jowett과 Ntoumanis(2004)는 코치-선

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개


발하였는데, 이 척도는 이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김기형과 박중길(2008)이 국

내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국내 스포츠 영역에서

도 사용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스포츠 영역에서 코치와 선수간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개발된 이후 국내 일부 연구자들(김덕진,

2015; 박상혁, 김영숙, 김용국과 전재희, 2014; 최헌혁, 조승관, 2016)이 보고한

실증적 증거들은 코치의 행동이나 코칭 유형이 운동선수들의 행동을 변화시키


거나 예측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나아가 선수들의 심

리적 과정을 설명하는 기본적 틀을 제시하였다.

최근 코치-선수관계 이론이 팀의 중심인물(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를 연결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보고되어 지면서 관계적 관점에서의 코치와 선수

간의 특성이나 효과를 유용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차원적인(Yang, & Jowett,

- 2 -
2013) 관점에서의 팀 응집력과 리더십(Jowett & Ntoumanis, 2004), 운동탈진

(김덕진, 2015; 최마리, 박상혁과 성창훈, 2012), 구성원 간의 갈등 또는 지지


(Jowett, 2009), 팀 효능감(Jowett, Shanmugam, & Caccoulis, 2012)등과 관련

되어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현장적용 측면에서 주목해 볼 점은 자기결정성

이론(Deci & Ryan, 2002) 관점에서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


(Bartholomew, Ntoumanis, & Thøgersen-Ntoumani, 2010)이다. 왜냐면 축구

선수들의 경우 기량이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코치들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듯이 Bartholomew, Ntoumanis와


Thøgersen-Ntoumani(2010)는 코치의 행동이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경험과 수

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율성 지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보편적으로 코치의 자율성 지지는 운동선수들에게 독립적 활동의 허용과 더

불어 그들의 감정이나 생각을 존중함으로서 내적인 동기 자원을 이끌어내고

학습시킨다고 보고되었다(송용관, 2015; 천승현, 김승재, 2015; Mageau &


Vallerand, 2003; Reeve, 2006; Reeve, Vansteenkiste, Assor, Ahmad, Cheon,

Jang, & Wang, 2014). 스포츠 영역에서 자율성 지지에 대해 보고된 연구들은

코치가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행동을 지각했을 경우 주어진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즐거움, 지속성, 헌신 등을 갖는다고 밝히고 있다(Ommudsen

& Kvalo 2007; Conroy & Coatswoth, 2007). 또한 같은 맥락에서 코치의 자율

성 지지는 코치와 선수 간의 감정(Alvarez, Balaguer, Castillo, & Duda, 2009)


과 동기(Mageau & Vallerand, 2003)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고하고

있다. 운동선수들에게 동기가 중요한 이유는 선수들의 결과적 측면인 경기력

혹은 설정한 목표에 대한 성취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 다양한 프로 팀 스포츠 종목의 코치들은 자율성에 대해 자주 언급하고

상당부분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태도 또는 행동을 보여주곤 한다. 이

- 3 -
러한 행동은 기존에 우리가 흔히 상상할 수 있는 스포츠 현장에서의 코치들의

모습과는 상반된 모습일 것이다. 지금도 간혹 코치들은 현장(그라운드)에서 선


수들에게 큰 목소리로 무언가를 요구하는 듯한 외침을 하고, 때로는 선수들에

게 찌푸린 표정을 보여주곤 한다. 그라운드에서 코치들은 어떠한 이유로 이러

한 행동을 보이는 것일까? 이는 아마도 현장에서 보여주는 계획된 하나의 전


략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듯 Bartholomew, Ntoumanis와

Thøgersen-Ntoumanis(2009), 그리고 Mageau와 Vallerand(2003)는 통제적인

코칭방식은 코치의 믿음에서 비롯되는 의사결정이자 특정행동으로 보고하고


특히, 단순히 단일화된 개념보다는 다차원적인 전략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

고하였다(송용관, 천승현, 2012; Bartholomew, Ntoumanis &

Thøgersen-Ntoumanis, 2009). 실제 통제적 행동은 코치가 특정한 방식으로의


권한을 사용하거나 혹은 행동을 했을 경우 만들어 지는데 이 경우 코치들은

외적인 보상을 사용하여 선수들의 행동을 통제하는 전략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인 보상은 그 순간에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강한 요인


이 될 수 있지만 점차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보상에 대한 가치는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선수들에 효율적 수행되기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과 적절

성을 판단하여 통제적 코칭에 대한 이론을 적절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 영역에서 통제적 코칭행동에 대해 보고된 일련의 연구들은 언급한

바와 같이 외적인 보상으로 선수들의 행동을 통제하는 전략(Bartholomew et


al., 2009), 비 자기결정적 형식의 통제적 행동을 조절하는 예측변수(Pelletier,

Tuson, & Haddad, 1997), 부정적 정서를 경험할 때 나타나는 부정인 결과

(Fraser-Thomas, & Côté, 2009), 그리고 장학금을 받는 수영선수들을 대상으


로 통제적 코칭행동의 역할(Matosic, Cox, & Amorose, 2014) 등에 대해 보고

된 연구들이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김성문, 황승현과 손원일(2012), 그리고 송

- 4 -
용관과 천승현(2012)이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국내 스포츠 상황을 고려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 개발 연구를 시작으로 통제


적 코칭전략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천승현과 이재원, 2011), 그리고 선수

들의 탈진(소영호, 2016; 송기현과 정구인, 2014)등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이 보여준 결과들은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들이 통제적 코칭행동을 통해 선수들의 행동이나 수행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

한 근거로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들은 역시 두 가지 유형의 행동을 함께 보여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Pelletier et al., 2001). 최근의 보고되는 주요 연구들

은 코치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행동이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관계를

통해 선수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고하였고(Lafrenière, Jowett,


Vallerand, & Carbonneau, 2011), 또한 Smith, Ntoumanis & Duda(2010)도 코

칭행동 유형이 자율적 통제적 동기를 예측하고 그 결과 선수들의 안녕감에 영

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축구를 비롯하여 다양한 팀 스포츠에서 팀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협

력은 팀 효능감에 의해서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se, Feltz, &


Lirgg, 2003). Jowett, Shanmugam과 Caccoulis(2012)는 팀 스포츠 상황에서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팀 구성원들의 능력에 대한 신념

이라고 주장한다. 초기 팀 효능감에 대한 연구들은 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Feltz & Lirgg, 1998; Kozub & McDonell, 2000; Myers Payment &

Feltz, 2004; Stajkovic & Lee, 2009; Shanmugam & Caccoulis, 2012;

Hampson & Jowett, 2014; Fransen, Decroos, Vanbeselaere, Broek, de


Cuyper, Vanroy, & Boen, 2015). 특히, Feltz와 Lingg(1998)는 대학 아이스하

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개인 효능감, 팀 효능감,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를

- 5 -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팀 효능감이 개인 효능감보다 팀 성과에 더욱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과거의 팀 성과가 개인 효능감보


다도 팀 효능감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팀 효능감은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에게는 중요한 동기적 요인


(Gibson, & Earley, 2007)이며, 팀 효능감이 높을수록 팀 구성원들은 과제가

어렵거나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고(Bandura, 2000), 수행에서 스트

레스에 대한 탄력성이 높아지고(Meneghel, Salanova, & Martínez, 2016), 선수


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관계와 선수만족의 관계에서 팀 효능감(Jowett,

Shanmugam, & Caccoulis, 2012)은 중요한 매개 과정 즉, 특정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블랙박스를 밝혀내고자 노력하였다. 국내에서도 팀 효능감에


대해 보고한 일부 연구자들(유정인과 최만식, 2011; 정청희, 김영숙과 성창훈,

2006; 천승현과 문익수, 2010)의 경우 팀 스포츠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율성과

유능성, 그리고 동기수준과 심리적 욕구, 및 운동 수행 등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 하였지만, 팀 스포츠에서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

행동)과 팀 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동안 스포츠 영역에서 코치와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관점에서 보고된 연구

들은 스트레스(stress), 탈진(burnout), 운동탈퇴(drop out) 등과 관련하여 다양

한 심리적 변인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운동탈진은 선수


들의 운동 수행력이나 성취감 그리고 은퇴상황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최마리, 박상혁과 성창훈, 2012). 탈진은 선수들 개인의

문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외적 조건에서 발생되는 부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탈진에 대한 연구는 운동선수가 아닌 지도자

(Caccess & Mayerberg, 1984)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시작으로 운동선수들

(Gould, Tuffey, Udry, & Loehr, 1996, Raedeke & Smith, 2001)을 대상으로

- 6 -
영역이 확장되어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탈진

연구들은 최근 탈진을 다차원적인 요인으로 구분하고 선수들의 특성이나, 심


리적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 등에 대한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들이 꾸준히 보고

되고 있다(Barcza-Renner, Eklund, Morin, & Habeeb, 2016; Lonsdale, Hodge,

& Rose, 2009; Raedeke & Smith, 2004).

국내에서도 운동선수 탈진을 효과적으로 분석한 일부 연구자(김진구, 박현

권, 여윤기와 김성운, 2015; 오영택, 김선욱, 인소정과 양명환, 2016; 황진, 궁천


과 김은숙, 2013)들에 의하면 선수들의 탈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의 인지·정서·심리 및 사회 환경적인 요인을 동시에 살펴 볼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황진, 궁천과 김은숙, 2013). 이러한 관점에서 코치-선수관계(김


덕진, 2015; 최헌혁과 조승관, 2014; Isoard-Gautheur, Gustafsson, &

Guillet-Descas, 2016)와 팀 효능감(Jowett, Shanmugam & Caccoulis, 2012)은

운동선수 탈진의 선행변인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선행연구들이 보여


준 일련의 결과들은 결과적으로 코치와 선수는 유기적인 상호적 관계를 지속

한다면 서로간의 상당부분 이점을 얻을 수 있겠지만, 갈등이나 수행력 또는

경기력 등이 감소된다면 상호적 관계는 물론 행동에도 부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팀 효능감 역시 내재적 동기요인(Gibson &

Earley, 2007)으로 팀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코치들이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성과를 강조하는 경우 오히려 선수들은 심리적 또는 신


체적으로 탈진이 높아질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으로 제시된 선행연구들과 이론적 근거를 바탕


으로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그

리고 운동탈진 등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검증하여 프로축구 현장에서 선수들의

수행력뿐만 아니라 팀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을 다양한 관점

- 7 -
에서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가 기대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프로축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


하고, 아울러 팀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협력을 어떻게 이끌어 내어 결

과적으로 선수들의 수행 향상이나 팀의 높은 성과 그리고 무엇보다 선수들의

운동탈진이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쳐 나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포츠


현장에서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일, 통제

적 코칭행동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대한 구조를

검증하여 선수 및 코치들에게 보다 실증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3. 연구 모형

본 연구의 목적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


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대한

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8 -
코칭 스타일

자율성지지 코치-선수
스타일 관계

운동탈진

통제적 코칭행동
팀 효능감
스타일

그림 1. 연구모형

4. 연구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


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대한

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을 근거로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일, 통제적 코

칭행동 스타일)은 코치-선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일, 통제적 코

칭행동 스타일)은 팀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코치-선수관계는 운동탈진에 유의한 영향

- 9 -
을 미칠 것이다.

넷째,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한 팀 효능감은 운동탈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칠 것이다.

5. 연구의 제한점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축구선


수들 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프로리그에 참가하는 모

든 프로구단 축구선수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표본에 대한

일반화는 제한된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프로축구선수들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설문문

항에 성실히 응답하였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양적연구로서 연구를

수행되기 때문에 선수들이 인지하고 있는 심리적인 측면을 보다 면밀히 분석


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팀 스포츠에서도 특히, 축구라는 종목에 참여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들의 운동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들을 조사하였는데, 이


것이 개인 종목을 포함한 모든 스포츠 선수들에게까지 확대되어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 10 -
6. 용어의 정의

1) 코칭 스타일

(1) 자율성지지 스타일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의 자율성지지는 선수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자율성 동기를 촉진(Grolnick, Deci, & Ryan,

1997)하는 것으로, 자율성지지 태도는 선수들의 내적동기, 긍정적 정서, 성취


등의 다양한 심리적 결과와 정적으로 관련성이 있다(이지현과 장형심, 2015;

Grolnick, Kurowski, McMenamy, Rivikin, & Bridges, 1998).

(2)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프로축구 코치의 믿음에서 시작되는 의사결정이자 특정행동(송용관과 천승

현, 2012; Bartholomew, Ntoumanis, & Thøgersen-Ntoumanis, 2009)으로 선


수들의 생각이나 행동을 코치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전략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코치-선수관계

프로축구 코치와 선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프로축구 팀 내에서 코

치와 선수 간의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을 기초로 개발(Jowett &


Ntoumanis 2004)된 심리적 개념이다.

- 11 -
3) 팀 효능감

프로축구 선수들이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팀 구성원


들의 능력에 대한 신념(Jowett, Shanmugam, & Caccoulis, 2012)으로 축구선

수들의 높은 자신감의 느낌은 높은 수준의 팀 효능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 운동탈진

본 연구에서의 운동탈진은 프로축구 선수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


응(Ragline, 1993; 최마리, 박상혁과 성창훈, 2012)과 동기, 태도 및 기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수반하는 자신의 부정적 경험(Maslach & Leiter, 1997)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Raedeke와 Smith(2001)는 정서/신체적 소진, 성취감 저하 그


리고 평가절하 등의 하위요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운동선수 탈진은 프로축

구 선수들의 동기유발 저하, 훈련에서의 노력 감소, 경기력 저하 그리고 상황

적 대처행동 미숙 등의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12 -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 스타일

1) 자율성지지

(1) 자율성지지의 개념
자기결정성 이론은 사회환경 요소들로 대인관계, 분위기, 외적사건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사회적 환경은 사람들의 심리적 욕구만족, 동기수행 및 적응

에 영향을 미친다(김덕진, 2010). Deci와 Ryan(1985)은 자기결정성의 동기증진


을 지지하는 분기의 필수적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자율성 지지라는 개념을 제

안하였다. 또한 자율성지지는 집단 내에서의 지도자 및 관리자의 전반적인 관

계 지향성을 의미하고(Deci, Connell & Ryan, 1989),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선


택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특정 과정의 참여자가 지도자, 교사, 부모 및 동료로

부터 특정 활동의 참가에 있어서 독자적인 문제 해결,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

여 등에 자발적인 선택의 기회가 부여되었다고 느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Vallerand, Blanchard, Mageau, Koestner, Ratelle, Leonard, Gagne &

Marsolais, 2003). 이명희와 김아영(2008)은 자율적인 분위기는 사람의 행동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수행능력보다 더 발휘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


며, 자율성지지 기능을 나타내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eve(2011)는

자율성지지 분위기란 스스로가 하고 싶은 대로 놔두는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니

라,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선택을 통해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해결 방법

- 13 -
기다려 주고, 참여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도록 노력하되 반드시 참여자

들에게 규칙과 한계를 명확히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Deci,


Eghrari, Patrick, & Locnc(1994)의 연구에 의하면 자율성지지는 사회적 차원

에서 자신과 관련 있는 정보와 선택에 대한 기회 제공과 함께 자기 주도적 동

기에도 관련성이 있으며, 자율성을 보장 받는다고 인지하게 되면 내재적 동기


및 확인적 조절의 자율성 발달을 증가시킨다. 이처럼 자율성 지지는 자신의

행동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요소이며, 개인차를 비롯해 사회

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내재적 동기와 수행에 관한 적응력에 중요하게 작용한


다.

자율성지지를 스포츠 분야에서는 스포츠심리학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을 받

고 있는 연구이다(김기형, 박중길, 2009). 스포츠 상황에서 자율성지지는 선수


가 주요타자(감독, 코치, 동료 선수)로부터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정권이 부여

되었다고 느끼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Reeve, 2002). 이와 같은 스포츠 상황

에서의 자율성지지는 선수가 자신의 행동에 가장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요


소다. 즉, 자율성지지는 코치, 감독, 동료 등 주요타자가 선수의 기분을 이해하

고 지속적인 정보와 선택의 기분을 제공하여 선수들이 경험하는 심리적인 압

박과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Deci & Ryan, 1985). 이러한 특


성으로 인해 운동선수들은 감독이나 코치 등과 같은 주요타자들에게 수행에

관한 자율성을 받고 있다고 지각하게 되면 선수들 스스로 수행에 대한 목표를

정하고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 필요한 행동과 수행 방향을 개인이 결정하


게 된다. 김기형과 박중길(2009)은 스포츠 현장에서 자율성 지지는 개인의 행

동과 수행에 가장 일관되게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보

이는 주요타자에게 자율성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 개인의 설명이다. 아


울러 자율적인 성향이 높은 스포츠 선수들은 자신이 즐거움을 느끼거나 가치

가 인정받고 있다고 생각되는 활동과 행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 14 -
특성이 있다(황정동, 2012). 특히, 스포츠 현장에서 지도자들의 다양한 지도행

동에 대한 선수들의 지각은 선수 개개인의 동기에 매우 의미 있는 영향을 나


타낸다(Horn, 2002). 김기형과 박중길(2009)은 스포츠 선수들의 동기적 성향은

지도자로부터 지각된 자율성지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힌 연구결과

(Gagne, Ryan, & Bargmann, 2003; Reinboth, Duda, & Ntoumaniset, 2004)가
입증하여 주고 있다. 따라서 선수들에게 있어서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면 확대

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면 그에 맞는 개선점을 찾아 보완하는


것이 프로축구 발전을 물론 선수들의 기량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자율성지지의 선행연구


자율성지지는 운동수행에 관한 관계형성, 동기, 만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

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

들을 대상으로 한 자율성지지에 관한 효율성을 검증한 연구는 지도자가 지도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주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스포츠 현장에서 자율성 지지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황정동(2012)의 중·고 핸드볼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율성 지지는 지

도자-운동선수 관계의 친근감, 상보성, 헌신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

고하였고, 지도자의 자율성 지지행동은 선수들의 열정과 정신력을 극대화 시


킬 수 있는 요인으로 설명된다고 하였다. 김우림(2012)의 고등학교 운동선수들

의 자율성 지지가 높으면 내적동기와 심리적 욕구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선수

의 실력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허진영, 최헌혁(2014)은 자율성지지 스타일의 코치들은 선수들의 자기주도적인

측면과 합리적인 관점에서 선수들을 존중하고, 격려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코

- 15 -
치의 자율성 지지 행동은 향후 코치-선수관계를 보다 긍정적으로 정서적 유대

감을 형성하고 소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하였다. 스포츠 상황에


서 코치-선수의 관계에 자율성이 뒷받침 되면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 결과에

긍정적 변화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Mageau, Vallerand, 2003). 따라서 운동

선수들은 지도자로부터 자율성 지지를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운동에 대한 높은


동기를 통해서 수행과 관련된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자율성지지의 효율성 측면에서 본다면 프로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자율성지지는 선수가 인식하는 만족으로 코치-선수관계와 팀 효능감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보편적으로 선수는 지도자가 자율성을 지

지하는 행동을 보이면 지도자를 더욱 신뢰하게 되어 심리적으로 더욱 큰 만족

을 경험하게 된다(Reinboth, et al., 2004).


Gillet, Vallerand, Amoura, & Baldes(2010)는 운동선수들의 내적동기와 수

행의 긍정적 변화에 코치의 자율성 지지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를 제시하였고, Amorsose와 Anderson-Butcher(2007)의 연구에서도 고교 및


대학 운동선수들의 동기지향성은 코치의 자율성 지지에 의해서 강화될 수 있

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Bartholomew, K. J., Ntoumanis, N.,

Thøgersen-Ntoumanis, C. (2010)은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코치와 선수와의


관계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율성지지를 통한 효율성 차원에서

코치-선수관계의 긍정적인 향상은 선수들의 운동수행에 크게 기여하였다(Eye,

Lougheand & Hardy, 2007; Jowett & Cockerill, 2003; Philippe & Seiler,
2006). 이상과 같이, 자율성지지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선수들의

동기와 운동수행에 대한 즐거움, 코치-선수관계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프로축구선수들의 지각하


는 자율성지지는 코치-선수관계와 팀 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16 -
2) 통제적 코칭행동

(1) 통제적 코칭행동의 개념


통제적 코칭행동은 지도자의 믿음에서 비롯한 특정행동이자 의사결정이다

(Bartholomew, Ntoumanis, & Thøgersen-Ntoumanis, 2009; Mageau &

Vallerand, 2003). 이러한 통제적 행동은 선수들의 행동, 생각, 정서를 지도자
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방법들로 구성되어진다(Bartholomew,

et al., 2009).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자의 통제적 코칭전략

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Bartholomew et al.,(2010)의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


(Controlling Coach Behaviors Scale: CCBS)를 국내 스포츠 상황에 맡게 개발

한 송용관, 천승현(2012)은 통제적 행동은 단순히 단일화된 개념보다 다차원적

인 방법들로 구성하였다. 이는 자율성지지 스타일의 상반된 의미로 통제적 코


칭행동이 위계적 개념(상→하: 코칭환경→선수동기)의 다차원 코칭방법들로 구

성되어 있으며, 네 가지 통제방법들로 코칭행동을 설명하였다.

첫째, 보상 활용을 통한 통제(controlling use of reward)는 특정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을 촉진 및 통제하기 위해 활용되는 보상방법이다.

예로 훈련을 할 때, 지도자는 열심히 하는 선수보다는 상호경쟁(팀 연습, 시

합 등)을 통해서 승리한 팀 선수에게 휴식과 간식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코칭방법의 전략은 외적동기자원(outer motivational resource)으로 구분되며,

지도자가 생각하는 방향(경기력향상, 운동수행촉진)으로 이끌기 위한 미끼

(bait)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외적보상의 방법은 선수의 수


행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내적동기에 치명적이다.(Amorose & Horn, 2000;

Medic, Mack, Wilson, & Starkes, 2007).

둘째, 과도한 개인통제(excessive personal control)란 특정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이 지나친 강요·통제를 받는 것을 말한다.

- 17 -
예로 축구 팀 C선수는 연습 후에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휴식(독서, 음악,

연습 등)을 하고 싶지만, 휴식을 지시한 지도자는 선수의 휴식방법을 존중하


기 보다는 지도자가 결정한 휴식시간(상대분석, 이미지 트레이닝, 취침 등)으

로 선수의 행동과 생각을 지나치게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는 선수에

게 휴식을 제공하지만, 휴식시간에 지나치게 선수의 개인행동 및 휴식방법을


개입·간섭하는 부분을 말한다. 스포츠 연구 분야에서 코치의 통제성(권위적 행

동: 복종을 요구하는 명령, 지시, 강압 등)은 선수의 동기와 정서에 부정적으

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ollembeck & Amorose, 2005).


셋째, 스포츠 선수들에게 협박·위협(intimidation)을 보이는 통제방식이다

(Bartholomew et al., 2009). 지도자는 선수들의 실수나 실패 등을 사전에 예

방하기 위해서 시합 전 선수들을 협박이나 위협하는 행동들을 하는 경우다.


예로 협박("제대로 못하면 오늘 기합을 받을 테니 정신 바짝 차려라!" 등)이

나 위협(“오늘 지면 너희들 다 죽을 알어!” 등)을 일삼아 지도자 자신이 생각

하는 결과(훈련방법, 승리 등)로 이끌어 내려한다. 협박과 위협을 통한 통제적


코칭방법은 선수들에게 중도포기, 불안, 우울증, 부정적 정서 등과 밀접한 관

계가 있다(Barber, 2001; Fraser-Thomas & Cóté, 2009).

넷째, 통제방법 중 부정적인 조건적 관계(negative conditional regard)는 지


도자가 생각하는 방법으로 선수들이 행동할 때 보상되는 조건적인 관심, 보살

핌, 사랑 등의 코칭행동을 말한다(Assor, Roth, & Deci, 2004).

예로 지도자가 시키는 대로, 원하는 대로 선수들이 이행할 때 관심과 사랑


을 제공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는 무관심을 의미한다. 선수들은 팀 코치-선

수 간 관계를 사회적으로 만족, 유지, 지속, 신뢰하고, 지도자의 기대에 부응하

기 위해서 노력하지만(Bartholomew et al., 2009), 선수들의 동기감소와 관련


이 있다고 보고하였다(Mageau & Vallerand, 2003). 즉 축구 선수들에게 통제

적 코칭행동은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긍정적인 영

- 18 -
향을 받는다면 확대할 필요가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면 개선점을 찾아

보완하는 것이 프로축구 발전 및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통제적 코칭행동의 선행연구


통제적 코칭행동은 운동수행에 관한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통제적 코칭행동을

검증한 연구는 지도자가 지도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통제방식을 다양한 측


면에서 제시하였다. 스포츠 상황에서 통제적 코칭행동을 검증한 연구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지도자의 통제적 코칭행동은 청소년 운동선수의 내면화된 정체성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운동 회피동기를 촉진시켜 탈진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송기현, 정구인, 2014). 또한 통제적 방식 안에서 위안적인

결과물을 제공할 것이라는 신호를 주게 되면 선수들의 미래 행동을 활성화시


키는 방향으로 능동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제적 방식의 환경 안에서 운동

수행이 일어나더라도 외적 보상활용이 내면적 보상과 같은 역할양식으로 전환

되어 지속적인 운동수행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제시하였다(김승용, 김동환,


2015). 소영호(2016)의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지도자의 통제적

코칭행동 중 부정적 조건관계는 인지된 경기력을 예측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보상활용 통제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스


포츠도 현장에서 주로 시행하고 있는 통제적 코칭행동은 선수들의 인지된 경

기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동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통제적 코칭행


동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보상활용을 통한 통제는 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는 반면, 부정적 조건관계의 코칭행동은 인지된

- 19 -
경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도자가 선수의

행동을 촉진시키거나 통제하기 위해 활용되는 보상활용을 통한 통제가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운동수행이나 결과에 대한 보상을

주는 행동이 행동의 규제나 통제가 아닌 촉진시키는 역할을 나타내었기 때문

이라고 생각된다. 즉 보상 활용을 통한 통제가 선수들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


려진 동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중 외적동기 유발 효과를 나타내어 긍정적인 효

과를 나타낸 것이다. 지금까지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이 지각하는 관점에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지도자의 권위 및 통제적 행동은 선수들과의 관계 질을 낮


게 유지 한다는 측면의 편견적 인식으로 인해 통제적 코칭행동은 어쩌면 선수

들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지도자의 존중, 관심과 선수들의 이해에 대한 흥미

로운 사실들을 새롭게 보여줌으로써 미래 통제적 코칭행동 연구에 대한 새로


운 인식을 보여주었다는 측면과 시사점을 제공한다(허진영, 최헌혁, 2014).

코칭지식에 기초한 연구들은 구성요소를 분류하는 데에는 제한적인 성과만

거두었을 뿐 요소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혀내는 시도는 미비하


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를 좀 더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

해 코칭이 가지는 특성을 다각도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코칭지

식에 대한 상황인식은 연구가 나가야할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코칭의 지식은 긍정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반면, 통

제적인 환경에 대한 연구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선수들이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을 분석하여 지도자의 코


칭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의미가 있다. 통제적 코칭행동을 검증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선수들의 동기와 운동수행, 코치-선수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프로축구 선수들의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은 코치-선수관계와 팀 효능감에 새로운 관점에서 중요한 영

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된다.

- 20 -
2. 코치-선수관계

1) 코치-선수관계의 개념

스포츠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코치-선수관계는 코치와 선수사이의 감정과 행

동들은 원칙적·상호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Jowett, &


Timson-Katchis, 2005). 2002년 월드컵 당시 히딩크 감독이 보여준 리더십이

관심을 받으면서 국내 여러 종목에서 코치들의 리더십, 의사소통, 기술 함양을

위한 교육과 세미나를 통해 코치들의 사고와 인식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


고(김병문, 2010), 이를 반영하듯 스포츠 심리학에서 코치-선수관계 관한 연구

에 주목하고 있다(김기형, 박중길, 2008). 스포츠 경기에서 코치와 선수는 경기

력의 극대화를 위해 끊임없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관계로서, 선수들에게


있어 코치는 매우 중요한 존재이지만(이경호, 2001), 현실적으로 항상 좋은 관

계를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 특히, 축구와 같이 팀 구성원들 간의 조직력과

단합을 중시하는 종목에서 코치와 선수 사이에 발생하는 불화는 이들의 문제


로 끝나지 않으며, 선수들의 사기와 팀의 전체적인 분위기에까지 영향을 미치

기 때문에 코치는 효율적인 팀 운영을 위해 선수들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스킨쉽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스포츠에서 선수와 코치는 파트너십을 발휘하여 궁극적으로 성공과 최적의

수행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이들의 관계는 선수들의 훈련과 경기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Coakley, 1990). 이를 위해 코치와 선수 상호간


의 존경과 신뢰, 믿음,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은 운동수행의 만족과 성공을

이끌어 내는데 매우 중요한 관계요소이다(Jowett, Paull, & Pensfaard, 2005).

이와 같은 코치와 선수와의 관계에 관한 효용성에 주목하여 스포츠 현장에

- 21 -
서 코치-선수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코치의 전반적인 지도행동과 선수와의

관계는 팀의 전반적인 수행능력의 좌우하는 동시에 그 관계의 질에 따라 선수


들에게 긍정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유정인, 문익수, 성창훈, 2009).

본 연구에서 코치-선수의 관계 척도는 Jowett & Ntoumanis(2004)는 3요인 11

문항의 코치-선수 관계 척도(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개


발하였다. 먼저 친근감(closeness)은 선수와 코치가 그들의 관계에 정서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 정의되며, 헌신감에 의해 형성되는 인지적인 측면은 현재

그리고 미래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의사/의도와 관련이 있고,


행동적인 측면에서의 상보성은 구성원들 간의 협동적인 관계와 소속감에 상응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 척도를 바탕으로 국내 김기형, 박중길(2008)은 코치

-선수 관계를 효과적으로 다룬 경험적 연구는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과정을 설


명할 수 있는 기본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제시한 경험적 증

거는 코치 행동이나 코칭 유형이 선수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변화시키는 결정

적 요인이 코치-선수 관계 변인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의 지도행동은 팀의 목표달성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하

는 동시에 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고, 효율적인 지도행

동은 선수들의 동기를 강화시키고 팀의 효율성과 경기력 향상에 있어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선수가 인식하는 개인의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김기형, 박중길, 2009). 따라서 팀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선

수의 유기적인 관계는 프로축구에서 팀의 목표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선수 개인에게는 경기수행 향상과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를 볼

것으로 판단된다.

- 22 -
2) 코치-선수관계의 선행연구

스포츠에서 코치-선수관계를 긍정적인 차원에서 운동수행에 대한 동기, 효


능감, 만족 등과 같은 팀과 개인의 수행성과와 관련된 요인들에 중요하게 작

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헌혁과 허진영(2014)의 연구에서 선수가 지각하

는 코치와의 관계 정도는 개인의 운동관련 인지와 동기나 정서 및 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포츠에서 코치-선수관계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이들의 상호작용 측면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Mageau와

Vallerand(2003)는 선수들의 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코치


와 선수의 관계 형성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특성이 있는 코칭행동이라 보고하

였다. 이근철, 김인우와 신명진(2014)은 팀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팀’이라는 것은 결국 코치-선수의 관계, 집단응집력, 개인의 만족도에 의


해서 결정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다차원적인 관계는 역동적으로 팀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으며, 팀의 목표성취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치들의 경우 이


러한 팀 응집력, 선수개인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코치-선수간의 원만한 의

사소통과 융합될 수 있는 매개체들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러한 코치의

노력은 긍정적 수행 및 심리적 성취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보고하


였다. 박중길(2009)의 연구에서는 코치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선수

들이 기본욕구만족이 높고 긍정적인 신체적 안녕감과 자아수용,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의 동기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대학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코치-선


수관계와 탈진의 관계를 살펴본 최헌혁, 허진영과 김석규(2013)의 연구에서 코

치-선수관계는 운동선수의 기본심리욕구와 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기본심리욕구에 매개하여서도 탈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따


라서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선수관계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코

- 23 -
치와 운동선수의 긍정적인 관계는 팀과 선수들의 운동성과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와 이론


적 근거를 바탕으로 프로축구 선수들의 지각하는 코치-선수관계는 팀과 개인

의 성과차원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팀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코칭 스타일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3. 팀 효능감

1) 팀 효능감의 개념

팀 효능감은 개인들의 힘의 합이 아닌 팀의 힘은 구성원들의 효능감의 차이

에 의한 부분이며, 팀의 기능은 구성원의 통합이고 상호작용인 역동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즉, 개인 효능감과 팀 효능감의 측정 단위는 다르지만, 개념의 출


발 자체가 자기 효능감에 근원을 두고 있으므로 기능 과정의 면에서는 자기효

능감과 팀 효능감이 유사하게 볼 수 있다(백운성, 2014). 팀 효능감은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신념’


으로 이해되는 자기효능감에 기초한 개념으로서 팀 차원에서 과제수행에 대한

다양한 성취행동을 원활하게 조직하고 실행하는 팀의 능력에 대한 구성원 간

의 공유된 신념을 의미한다(유진, 임수원, 2009; Bandura, 1997). 또한 팀 스포


츠에서 선수들 간에 형성된 팀 효능감은 연습과 경기상황에서 팀의 수행향상

과 성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팀 스포츠를 수행하는 선수는

개인에게 부과된 과제수행과 팀 차원에서 부과된 과제를 함께 수행하게 된다

- 24 -
(마해영 2015). 유진과 임수원(2009)은 스포츠심리학 분야의 팀 역학 관련 연

구에서 선수 의 경기수행력과 팀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하나로


팀 효능감이 강조되어 왔다(Bandura, 1997; Gibson, 1999). 이는

Bandura(1997)의 팀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개인에게 부여된 과업을 수행하면

서 팀의 일원으로 자신이 무엇을 선택하고, 어느 정도의 노력을 투입하며, 어


느 정도 지속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제안에 근거한다. 또한 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과거 성공적인

수행을 경험한 팀은 효능감이 높으며, 팀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실패를 경


험한 이후 다음 수행 준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반면에 팀 효능감이 낮

은 팀은 수행준비에 적은 노력을 기울이거나 중도에 과제를 포기하는 양상을

나타낸다고 하였다(Hodges, Carron, 1992; Spink, 1990; Paskevich, 1995).


Bandura(2001)는 팀 효능감이 높으면 과거 수행에 대한 실패와 좌절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의 효과가 크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팀

효능감은 목표달성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향후 과제수행에도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팀 스포츠에서 성과와 만족을 이끌어 내기 위해 활동성과 변화성에 대한 이

해가 선행 되어야하기 때문에 스포츠심리학 분야는 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개인차원 뿐 아니라 팀 차원의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성창훈, 2000).

이와 같은 팀 효능감의 개념적으로 보면 스포츠 현장에서 팀 효능감의 향상은

팀 차원에서의 수행능력 향상과 목표달성을 이끌어 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


을 담당 할 뿐 아니라 개인차원에서 인식되는 운동 수행만족에도 매우 중요하

게 관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축구에서 팀 효능감에 긍정적인

작용은 팀과 선수 개인의 경기수행 향상과 만족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


단된다.

- 25 -
2) 팀 효능감의 선행연구

팀 효능감을 하나의 협동능력으로 팀의 원천을 이끌어내고 공통된 목표와


결과를 향해 협동적으로 행동하는 팀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말한다(유진,

임수원, 2009). 이에 김성일(2015)의 청소년 축구 선수들의 집단효능감이 운동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수행과 응집된


팀워크를 발휘하기 위한 팀 동료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팀 전략 향상으로

인한 자신감 상승 등은 단체종목의 특성과 더불어 축구 선수들의 운동성과 향

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제시하였다. Chow와


Feltz(2008)는 팀 효능감과 수행결과 귀인, 성공적인 수행 인식의 관계에 대한

구조를 다차원적으로 밝힌 연구를 통해 총체적 차원에서 팀 효능감은 팀의 안

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Felt와 Lirgg(1998), Watson과


Chemers(1998)의 연구에서 팀 효능감은 운동수행력과 정적인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경기상황에서 시즌 초반과 후반의 팀 효능감을 통해 경기수행력을 예

측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Greenless, Nunn, Graydon & Maynard(1999)의


연구를 통해 팀 효능감은 팀의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수들이 지각하는 팀 효능감은 코치가 제공하는

훈련방법과 긍정적인 피드백, 그리고 사회적지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Feltz & Lirgg, 1998; Vargas-Tonsing, Wamers & Feltz,

2003). 이는 운동선수들의 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코치들의

전반적인 코칭행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팀 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개인과 팀 수행력 및 성공 등과 같이 운동수행과 경기력 향상관련 요인

이라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팀 효능감의 영향요

소를 밝힌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팀 스포츠 선수들이 인식하는 팀 효능감은


운동탈진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팀 효능감은 선수들

- 26 -
의 운동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코칭 스타일과 운동탈진의 관

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팀 효능감은 팀의 성공적


수행 및 경기력 향상과 관련 요인뿐 아니라 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선행 인자는 코치와 리더, 선수의 주변인 등의 주요타자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와 이론적 가정에 근거하여 프로축구 선수들의 지각하는


팀 효능감은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운동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

니라 코칭스타일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4. 운동탈진

1) 탈진의 과정

탈진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에는 대표적으로 Edelwich &


Brodsky(1980)와 Selye(1979)의 모델이 있다.

먼저, Edelwich와 Brodsky(1980)는 자신이 겪는 탈진의 발달단계를 네 단계

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탈진은 이상적인 열성, 침체, 좌절, 무관심 단계를 거쳐


발생하게 된다.

첫째, 열성은 자신의 일이나 직업에 대해 비이상적인 기대를 갖는 상태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즉각적인 보상을 기대하는 단계이다. 둘째, 침


체는 이상에서 벗어나 현실을 파악하게 되는 상태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셋째, 좌절은 자신의 일과 능력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의욕을 상실

하는 단계이다. 넷째, 무관심은 좌절에 대한 방어로 일이나 직업에 대해 냉담


해지는 단계이다.

- 27 -
열성 침체 좌절 무관심
단계 단계 단계 단계

그림 2. Edelwich와 Brodsk의 탈진 과정

Selye(1979)의 탈진 과정을 만성적인 스트레스 원인으로 발생되며, 초기에는

발생 원인에 대해 경계를 하고, 점점 경계하던 원인에 대해 저항하며, 저항하

던 원인에 대해 결국 고갈되는 탈진이론이다.

경계 저항 고갈
단계 단계 단계

그림 3. Selye의 탈진 과정

2) 운동탈진의 개념

탈진은 ‘개인이 더 이상 어떤 일을 못하거나 포기할 때의 상태’라고 정의하


였으며(Harris, 1984), 스포츠에서도 일반상황과 유사하게 운동탈진이 발생한

다(Smith, 2007). 운동탈진은 스트레스가 지속될 경우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리적·심리적 탈진, 스포츠에 대한 가치 상실, 타인


과의 부정적 관계를 나타내는 비인격화와 성취결여로 나타나는 상태로 정의된

다(Raedeke, 1997). 스포츠에서 탈진은 선수들이 자신의 능력이상의 과제요구

를 부여 받았거나 지나친 훈련과 주요타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였을 경

- 28 -
우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일어나게 된다(Bunker, Rotella, & Reilly, 1985).

Heyman(1986)은 운동선수가 탈진을 느끼는 경우 부정적인 정서로 인한 무기


력감, 고독감, 우울, 분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즉, 스포츠 상황에서는 과도

한 훈련이나 시합으로 인한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심리적, 정서

적, 신체적으로 고갈된 상태를 말한다. Emner(1979)와 Freudenberger(1980)는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은 탈진을 경험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책

임감이 많거나 높은 동기부여를 지니고 있는 사람일수록 탈진을 경험할 가능

표 1. 학자들의 탈진의 정의

학자 정의

Freudenberger
에너지, 근력, 자원에 대한 초과적 요구에 의해 소진되거나 지치는 것.
(1980)

Perlman &
정서적/신체적 고갈이며 일의 생산성 저하를 의미함.
Hartman (1982)

Harris (1984) 개인이 더 이상 어떤 일을 하지 못하거나 포기할 때의 상태.

Maslach &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수행 성취감소의 심리적 증상을 의미함.
Jackson (1984)

환경과 개인의 성격사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관계로 나타나는 신체적,


Smith (1986) 행동적, 정신적 증상. 또한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의 증상이며,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발생함.

운동탈란 훈련과 시합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신


체적·정서적 소진, 타인에 대한 비 인격적 태도, 운동수행과 성취의 감소,
Eades (1990) 운동에 가치 감소, 운동에 의욕 감소 및 상실과 스포츠 내에서 역할 갈등
과 모호성 등에 의해 나타나는 심리적, 생리적 증상으로 탈진이 높아질수
록 운동을 포기하게 됨.

스트레스의 누적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고갈의 증


Taylor (1995) 상이며, 탈진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대처할 능력이 없거나
상황적 요구가 자신의 능력을 초과하여 발생함.

Raedeke (1997) 신체적/정서적 고갈, 스포츠 가치 감소, 수행 성취감소의 심리적 증상.

- 29 -
성이 높다고 하였다. 특히, 선수들은 너무 많은 기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스스

로에게 과다한 요구 사항을 부담 지워야하는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는 것


이다(Bunker, Rotella & Railly, 1985). 선수들의 부모나 지도자의 높은 기대는

엄청난 압박감과 스트레스을 받게 하고 걱정, 실패감, 욕구 불만, 과도한 훈련

으로 인한 피로, 시합에 대한 압박감 등과 같은 반응이 탈진을 일으키는 원인


이라 볼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탈진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이다.

이와 같이 탈진을 정의한 학자들의 공통적인 견해는 개인과 직업 환경의 관

계에서 유발되는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이며, 개개인마다 다른 수준


의 신체적, 정서적인 고갈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즉 탈진은 “직업 환경과 개인

사이에 발생하는 부정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의 심리적, 행동적인 결과이며,

과도한 요구에 의한 고갈”이다. 따라서 선수들이 느끼는 지도자의 믿음직한


의사결정을 신뢰하고, 지도자와 상호의존성을 통해 팀 구성원의 능력을 신뢰

하고 이로 인한 자신감 상승은 운동탈진을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운동탈진의 선행연구

1990년대부터 탈진과 관련된 연구는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이후

스포츠 분야에서 탈진이 선수의 수행력의 감소뿐 아니라 운동참여 자체에 대


한 거부감을 갖게 된다는 인식이 증가되면서 운동선수의 탈진에 관한 연구들

이 점증적으로 확대해왔다(Coakley, 1992; Price & Weiss, 2000; Raedeke,

1997). 이와 관련하여 운동선수 개인의 수행능력 이상의 과제 요구를 받을 때


탈진을 쉽게 이르게 된다고 하였고(Smith, 1986), 운동선수가 탈진에 이르게

되면 운동생황에 있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극도의 고독감을 경험하게

- 30 -
되고, 심리행동적로는 분노, 무력감, 우울, 불안 등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으

며(Heyman, 1986), Murphy, Fleck, Dudley, & Callister (1990)은 과다 훈련으


로 인해 발생되는 운동탈진은 선수들이 부적응해지며, 운동 수행능력 또한 감

소되는 결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국내 스포츠 연구에서도 탈

진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탈진을 통해 선수들이 느끼는 심리


적 요인에 부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천은영, 정해상

(2015)은 운동선수의 스포츠탈진이 팀만족과 팀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통해 운

동선수 개인의 스포츠탈진을 고려한 적합한 배려와 지도를 함양하여 팀 만족


과 성과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김덕진(2013)의 연구에서는 운동탈진을 감

소시키는 요인으로 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지각한 코치의 자율성지지와 자아탄

력성의 높은 인식이라고 보고하였으며, 즉, 운동탈진이 감소될수록 선수가 지


각한 코치의 자율성 지지와 선수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

다. 오영택, 양명환(2014)의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선수들이 운동탈진이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 하였으며, 스포츠에서의 완벽성은 높은 운동탈진이나 경쟁불


안과 같은 역기능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부적응적인 것이라는 학자

들도 있지만, 완벽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차원은 부적응적인 것이 아니며,

운동탈진과는 역의 관계를 갖는다는 밝혔다. 박중길, 김경원(2013)의 연구에서


는 탈진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긍정적 정서경험과 정체성이 운동선수들의 탈

진을 감소시킨다고 밝힌바 있으며, 이는 선수의 본분과 올바른 정체성 확립과

탈진현상에서 긍정적인 정서경험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위의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운동선수들의 탈진현상은 곧 운동수행력 저하

뿐 아니라 의욕감소, 불충분한 동기부여로 이어지며, 지속적인 선수생활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운동탈진을 감소하기 위해서 선


수들의 심리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심층적, 종단적 연구가 지속적해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31 -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축구 선

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활용하여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활용하여 골키퍼(GK), 수비수(DF), 미드필더(MF), 공격수(FW) 등의 축구선수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자료 중 응답내용이 미흡하거나 신


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검토하여 최종분석에는 총 317명의 선수가 응

답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골키퍼(GK) 31명(9.8%), 수비수(DF) 111명(35.0%), 미드필더

(MF) 106명(33.4%), 공격수(FW) 69명 (21.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국가

대표 경험(올림픽 대표 포함)이 있는 선수는 94명(29.7%)으로 조사되었다. 아


울러 프로축구 선수로서의 선수경력 기간은 1년 이하 54명(17.0%), 3년 이하

44명(13.9%), 5년 이하 44명(13.9%), 7년 이하 62명(19.6%), 10년 이하 42명

(13.2%), 13년 이하 41명(12.9%), 그리고 13년 이상인 축구선수는 30명(9.5%)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축구선수들의 평균 연령은 26.63세로 조사되

었다<표 2>.

- 32 -
표 2.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구분   빈도(명) 백분율(%)
1년 이하 54 17.0
1년 이상-3년 이하 44 13.9
3년 이상-5년 이하 44 13.9
선수경력 5년 이상-7년 이하 62 19.6
7년 이상-10년 이하 42 13.2
10년 이상-13년 이하 41 12.9
13년 이상 30 9.5
총계 317 100.0
국가대표 경험 있음 94 29.7
(올림픽 대표 포함) 없음 223 70.3
총계 317 100.0
골키퍼(GK) 31 9.8
수비수(DF) 111 35.0
포지션
미드필더(MF) 106 33.4
공격수(FW) 69 21.8
총계 317 100.0
프로축구선수평균 연령 26.63세

2. 측정 도구

1) 코칭 스타일

(1) 자율성지지(autonomy support)

본 연구에서 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자율성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Deci(2001)

가 제시한 단축형 스포츠 분위기 검사지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 33 -
국내에서 김기형과 박중길(2009)이 번안하여 사용한 문항을 프로축구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조사도구는 6문항 단축형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7점 리커드(1점= 전혀 그렇지 않다, 7점= 매우 그렇다) 형

식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

과 1번 문항이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이하로 나타나 삭제하였다<그림

4>.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 TLI와 CFI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I .934, CFI .971으로 나타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

났다. 아울러 모든 문항이 표준화 계수 .7값 이상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935로 나타나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그림 4. 자율성 지지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2) 통제적 코칭행동(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제적 코칭행동에 대한 조사도구는 김성문, 황승현과


손원일(2012), 그리고 송용관과 천승현(2012)이 국내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차원적 요인은 모두 4요

- 34 -
인으로 설문문항 내용 역시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김성문, 황승현과 손원

일(2012)의 경우 제시된 문항이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원척도


에서 제시된 설문문항 15문항에 대한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 송용관과 천승현

(2012)이 개발한 척도를 참고하여 최종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최종 설문문항

은 4요인 보상의 통제적 사용 4문항, 부정적 조건배려 4문항, 언어적 위협 3문


항, 과도한 개인통제(사생활 간섭) 3문항 등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

항은 7점 리커드(1점= 매우 그렇지 않다, 7점= 매우 그렇다) 형식으로 반응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림 5. 통제적 코칭행동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5 -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

과, 과도한 개인통제(사생활 간섭) 1문항이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이하


로 나타나 삭제하여,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그림 5>.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 TLI와 CFI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I .915, CFI

.933으로 나타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든 문항


이 표준화 계수 .7값 이상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보상의 통제적 사용

.845, 부정적 조건배려 .899, 언어적 위협 .900, 과도한 개인통제(사생활 간섭)

.95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2) 코치-선수관계(coach-athlete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 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치-선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Jowett과

Ntoumanis(2004)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국내에서 김기

형과 박중길(2008)이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 상황에 맞게 타당도와 신뢰


도를 검증하여 개발하였다. 코치-선수관계를 측정하는 조사도구는 3요인, 헌신

Commitment 3문항, 친근감 Closeness 4문항, 상보성 Complementarity 4문항

등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리커드(1점= 매우 그렇지 않


다, 5점= 매우 그렇다) 형식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


과, 제시된 모든 문항은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 이상으로 나타나 3요인

11문항이 유지되었다<그림 6>.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적합도 지

수 TLI와 CFI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I .926, CFI .946으로 나타나 적합도


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든 문항이 표준화 계수 .7값 이

상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친근감 .963, 헌신 .853, 상보성 .920으로 비교적

- 36 -
높게 나타나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그림 6. 코치-선수관계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3) 팀 효능감(team efficacy)

본 연구에서 축구선수들이 지각한 팀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유진과 임수

원(200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2007-2008년도 대한축

구협회에 등록된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 상황에 맞게 타당도와 신뢰도를

- 37 -
검증하여 개발하였다. 팀 효능감을 측정하는 조사도구는 4요인, 팀 전력 team

strategy 4문항, 충분한 훈련 sufficient training 3문항, 지도자 신뢰 trust for


leaders 4문항, 효율적 의사소통 effective communication 6문항 등 총 16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7점 리커드(1점= 매우 그렇지 않다, 7점= 매우

그렇다) 형식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림 7. 팀 효능감 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38 -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

과, 제시된 모든 문항은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 이상으로 나타나 4요인


16문항이 유지되었다<그림 7>.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적합도 지

수 TLI와 CFI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I .912, CFI .929로 나타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든 문항이 표준화 계수 .5값 이상으


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팀 전력 .743, 충분한 훈련 .847, 지도자 신뢰 .953,

효율적 의사소통 .92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를 확보하였다.

4) 운동탈진(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본 연구에서 축구선수들의 운동탈진을 측정하기 위해 Raedeke와

Smith(2001)가 개발한 운동선수 탈진(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 측


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국내에서 최헌혁, 허진영과 김석규(2013)가

운동선수 대상으로 스포츠 상황에 맞게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

다. 운동선수 탈진을 측정하는 조사도구는 3요인, 정서/신체적 소진


Emotional/Physical Exhaustion 5문항, 성취감 저하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5문항, 평가절하 Devaluation 5문항 등 총 15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리커드(1점= 매우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


형식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


과 성취감 저하 1문항이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이하로 나타나 삭제하였

다<그림 8>. 문항을 삭제한 이후 표준화 계수 값이 기준치(.50) 이상으로 나

타나 3요인 14문항이 유지되었다<그림 8>.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 39 -
적합도 지수 TLI와 CFI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I .927, CFI .941로 나타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든 문항이 표준화 계수 .5


값 이상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성취감 저하 .794, 정서/신체적 소진 .912,

평가절하 .89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

보하였다.

그림 8. 운동선수 탈진 요인 확인적 요인분석

- 40 -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1) 조사절차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프로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연구자는 먼저 연구윤리를 고려하여 국가과학기술인력(KIRD)에서 시행


하는 연구책임자를 위한 연구윤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료하였다. 이후 설문

조사를 위해 연구자는 선수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위해 사전에 각 프로축구

팀 감독님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기대효과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허락 받았다.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최종 설문지는 연구자와 본 연구에 도움을 줄 보조원


2명과 함께 프로축구 경기장에 직접 방문하여 시합 후 선수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기대효과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선수

들에 한해서 설문지 응답을 진행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하는 시간은 선수에 따


라 10분에서 13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축구선수들이 설문지에 응답을 완료하

면 즉시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무응답 자료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의

불성실한 자료와 결측치를 검토하여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2) 자료처리

최종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방법에 따라서 우선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과

구조모형(structural model)을 설정하였고, 이 과정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


증하였다. 이상의 검증 과정에 대한 분석은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

- 41 -
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적합도 지수는

TLI, CFI, SRMR, 그리고 RMSEA 지수를 사용하였고, 적합기준은 TLI와


CFI의 경우 .90값 그리고 SRMR과 RMSEA의 경우 .08값 이하일 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해석하였다(홍세희, 2000). 이 적합기준은 구조모형 검증에

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아울러 연구대상자에 대한 기초분석 및 신뢰도 분


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든 가설 검의

유의수준은 α=.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 42 -
Ⅳ. 연구 결과

1.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관계 분석

1) 기술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여 <표 3>에 제시

하였다. 구체적인 주요 변인에 대한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자율성지지


4.72(±1.22)로 나타났고, 통제적 코칭행동에서의 보상의 통제적 사용

4.14(±1.09), 부정적 조건배려 3.60(±1.34), 언어적 위협 3.02(±1.41), 사생활 간

섭 2.49(±1.65)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치-선수관계에서의 헌신에 대한 평균점


수는 5.42(±1.24), 친근감 5.05(±1.13), 상보성 5.28(±1.14)이었고, 팀 효능감에서

의 팀 전략에 대한 평균점수는 4.56(±1.11), 충분한 훈련 5.57(±1.06), 지도자

신뢰 5.16(±1.35), 효율적 의사소통 5.42(±1.00)이로 나타났다. 아울러 운동선수


탈진에서의 성취감저하에 대한 평균점수는 2.65(±.49), 신체/정신적 소진

2.25(±.80), 평가절하 1.87(±.81)이었다.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정상분포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

서는 왜도와 첨도에 대한 정규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왜도는 -.799에서

.875 그리고 첨도는 -.637에서 2.08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제시된 각 변인들은 정상분포 조건인 왜도 ±<3, 첨도 ±<10 이하로

나타나, Kline(2005)이 제시한 기준에 충족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3>.

- 43 -
표 3. 기술통계 분석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자율성지지 317 1.00 7.00 4.7230 1.22159 -.496 .434

보상의 통제적 사용 317 1.00 7.00 4.1475 1.09486 -.184 1.113

부정적 조건배려 317 1.00 7.00 3.6080 1.34348 -.053 -.425

언어적 위협 317 1.00 7.00 3.0229 1.41382 .397 -.549

사생활간섭 317 1.00 7.00 2.4968 1.65401 .875 -.369

헌신 317 1.00 7.00 5.4227 1.24245 -.598 .406

친근감 317 1.00 7.00 5.0513 1.13154 -.499 1.070

상보성 317 1.00 7.00 5.3896 1.14307 -.799 1.457

팀 전략 317 1.75 7.00 4.5615 1.11634 -.098 -.264

충분한 훈련 317 2.33 7.00 5.5783 1.06731 -.424 -.358

지도자 신뢰 317 1.00 7.00 5.1625 1.35275 -.636 .172

효율적 의사소통 317 2.80 7.00 5.4246 1.00254 -.103 -.637

성취감저하 317 1.40 5.00 2.6536 .49224 .858 2.087

신체/정신적 소진 317 1.00 4.80 2.2593 .80851 .360 -.316

평가절하 317 1.00 4.40 1.8713 .81262 .815 -.075

2)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

시하였다<표 4>. 분석결과 모든 변인들의 유의 수준은 *p<.05와 *p<.01 수준


에서 유의한 상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율성 지지는 통제적 코칭행동

에서 보상의 통제적 사용과 정적인 상관관계(  =.654,  <.01), 부정적 조건배려와

- 44 -
부적인 상관관계(  =-.504,  <.01), 언어적 위협과 부적인 상관관계(  =-.451, 

<.01), 사생활 간섭과 부적인 상관관계(  =-.422,  <.01)를 보여주었고, 코치-선수


관계에서 헌신과 정적인 상관관계(  =.699,  <.01), 친근감과 정적인 상관관계( 

=.654,  <.01), 상보성과 정적인 상관관계(  =.666,  <.01)를 보여주었다. 팀 효능

감에서 팀 전략과 정적인 상관관계(  =.308,  <.01), 충분한 훈련 정적인 상관관


계(  =.480,  <.01), 지도자 신뢰와 정적인 상관관계(  =.699,  <.01), 효율적 의사

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  =.490,  <.01)를 보여주었고, 운동선수 탈진에서 성취

감 저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174,  <.01), 신체/정신적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


계(  =-.315,  <.01), 평가절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335,  <.01)를 보여주었다.

통제적 코칭행동에서 보상의 통제적 사용은 코치-선수관계에서 헌신과 정적인


상관관계(  =.501,  <.01), 친근감과 정적인 상관관계(  =.539,  <.01), 그리고 상보

성과 정적인 상관관계(  =.528,  <.01)를 보여주었고, 팀 효능감에서 팀 전략과

정적인 상관관계(  =.330,  <.01), 충분한 훈련 정적인 상관관계(  =.323,  <.01),


지도자 신로와 정적인 상관관계(  =.531,  <.01) 효율적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

관계(  =.325,  <.01)를 보여주었고, 운동선수 탈진에서 성취감 저하와 부적인 상

관관계(  =-.107,  <.01), 신체/정신적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  =-.181,  <.01),


평가절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187,  <.01)를 보여주었다.

코치-선수관계에서 헌신은 팀 효능감에서 팀 전략과 정적인 상관관계(  =.302,

 <.01), 충분한 훈련 정적인 상관관계(  =.635,  <.01), 지도자 신로와 정적인 상

관관계(  =.781,  <.01), 효율적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  =.601,  <.01)를 보

여주었고, 운동선수 탈진에서 성취감 저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238,  <.01),


신체/정신적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  =-.411,  <.01), 평가절하와 부적인 상관관

계(  =-.460,  <.01)를 보여주었다. 팀 효능감에서 팀 전략은 운동선수 탈진에서

성취감 저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110,  <.01), 신체/정신적 소진과 부적인 상

- 45 -
관관계(  =-.114,  <.01), 평가절하와 부적인 상관관계(  =-.102,  <.01)를 보여주

었다.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1
2 .654** 1
3 -.504** -.190** 1
4 -.451** -.210** .658** 1
5 -.422** -.202** .485** .685** 1
6 .699** .501** -.494** -.567** -.593** 1
7 .654** .539** -.403** -.430** -.453** .835** 1
8 .666** .528** -.423** -.463** -.522** .855** .852** 1
9 .308** .330** -.096 -.085 -.036 .302** .301** .282** 1
10 .480** .323** -.405** -.411** -.441** .635** .552** .586** .382** 1
11 .699** .531** -.485** -.482** -.471** .781** .718** .751** .340** .703** 1
12 .490** .325** -.372** -.352** -.273** .601** .554** .541** .416** .652** .630** 1
13 -.174** -.107 .286** .331** .287** -.238** -.175** -.238** -.110 -.304** -.225** -.331** 1
14 -.315** -.181** .281** .404** .383** -.411** -.355** -.400** -.114* -.289** -.407** -.346** .370** 1
15 -.335** -.187** .298** .415** .445** -.460** -.410** -.460** -.102 -.417** -.397** -.358** .512** .586** 1
* **
 <.05,  <.01 수준에서 유의함. (1자율성지지 2보상의 통제적 사용 3부정적 조건배려 4언어
적 위협 5사생활 간섭(통제) 6헌신 7친근감 8상보성 9팀 전략 10충분한 훈련 11신뢰 12의사소
통 13성취감저하 14신체적/정신적 소진 15평가절하)

2. 측정모형 검증

우선적으로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측정모형을 검증하는 것을 Anderson

과 Gerbing(1988)은 권장하고 있다. 이에 2단계 분석법(two-step approach)을


적용하여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을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설정한 각

잠재변수가 측정변수를 설명하는 경로<표 5>와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

값을<표 5>에 제시하였다. 설정한 모형의 추정법은 관측 상관행렬로부터 모

- 46 -
상관행렬을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요인을 추출하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적용하였다. <표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모든 변인의 표준화 계


수는 .4 이상으로 나타났고, 신뢰도 또한 통제적 코칭행동 .578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7 이상으로 나타나 변인들이 내적일관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x2=451.534, df=139, TLI=.915, CFI=.931,

RMSEA=.084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 판단은 x2, TLI, CFI, RMSEA 등의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홍세희(2000)가 제시한 기준 TLI, CFI의 경우


.90 이상 그리고 RMSEA의 경우 .10 이하일 경우를 수용할 수 있는 적합도로

하였다.

표 5. 측정모형에 대한 경로계수
표준화
잠재변수 관측변수 estimate S.E. t cronbach's α P
계수
au6 1.000 .860
au5 1.122 .926 .048 23.527 ***
Autonomy
au3 .960 .814 .052 18.484 .923 ***
_Support
au2 .818 .769 .049 16.814 ***
au4 1.041 .915 .045 22.981 ***
cur 1.000 .597
controlling
cr -.974 -.474 .113 -8.650 ***
coaching .578
li -1.038 -.504 .114 -9.101 ***
behavior
epc -1.184 -.468 .138 -8.560 ***
헌신 1.100 .935 .037 29.673 ***
coach-athlete
친근감 .965 .900 .036 26.612 .942 ***
relationship
상보성 1.000 .923
팀 전략 1.000 .407
충분한훈련 1.816 .773 .255 7.108 ***
team efficacy 지도자신뢰 2.732 .918 .369 7.399 .807 ***
효율적
1.588 .720 .228 6.955 ***
의사소통
신체/정신
.835 .702 .080 10.440 ***
소진
athlete burnout .724
성취감저하 .655 .538 .077 8.466 ***
평가절하 1.000 .836
측정모형 적합지수: x2=451.534, df=139, TLI=.915, CFI=.931, RMSEA=.084
**
 <.01

- 47 -
3. 구조모형 검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채택할 것인지 혹은 기각할 것


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구조모형(structural model)에 의해 검증될 통계적 모

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9>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코칭 스타일(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코칭 스타일)을 외생변수로 설정하


고, 코치-선수관계와 팀 효능감은 내생변수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운동선수 탈

진은 내생변수이면서 최종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율성지지 스타일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변인에서 설명오차 간 상


관관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이 변인이 일반적 요인이 존재함을 가정

하기 때문이다(서은철, 2015; Kline, 2011).

따라서 모형 설정 결과에 따라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적용하였

다. 본 연구의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x2=469.660, df=142,

TLI=.913, CFI=.928, RMSEA=.085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 판단은 x2,


TLI, CFI, RMSEA 등의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홍세희(2000)가 제시한

기준 TLI, CFI의 경우 .90 이상 그리고 RMSEA의 경우 .10 이하일 경우를 수

용할 수 있는 적합도로 하였다.

설정된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됨에 따라 각 가설에서 설정한 인과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가설을 검증


하였다.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이 각 경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

율성지지 스타일이 코치-선수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t=2.755,

p<.01)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지지 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t=2.397, p<.05)하게 나타났다. 셋째,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이

코치-선수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t=5.000, p<.001)하게 나타났다.

- 48 -
넷째,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

(t=4.816, p<.001)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코치-선수관계가 운동선수 탈진에 미


치는 효과는 부적으로 유의(t=-3.164, p<.01)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섯째, 팀

효능감이 운동선수 탈진에 미치는 효과는 부적으로 유의(t=-.987, p>.05)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표 6. 구조모형에 대한 경로계수

경로 표준화
잠재변수 관측변수 estimate S.E. t P
path 계수

coach-athlete
→ .838 .304 .944 2.755 .006
Autonomy relationship
_Support
→ team efficacy .207 .086 .540 2.397 .017

coach-athlete
controlling → 2.670 .534 1.807 5.000 ***
relationship
coaching
behavior
→ team efficacy .874 .181 1.370 4.816 ***

coach-athlete
→ athlete burnout -.298 .094 -.463 -3.164 .002
relationship

team efficacy → athlete burnout -.220 .223 -.147 -.987 .324

구조모형 적합지수: x2=469.660, df=142, TLI=.913, CFI=.928, RMSEA=.085

* **
 <.05,  <.01

- 49 -
그림 9. 구조모형 분석 결과

- 50 -
Ⅴ. 논의

1.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

1) 자율성 지지행동 스타일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

스포츠 현장에서 나타는 코치들의 코칭 스타일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스타

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적용된 자기결정성 이론을 근거로 스포


츠와 관련된 연구들은 자율성지지와 상반된 개념으로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을 관찰하는데 한계점이 있음을 송용관과 천승현(2012)은 지적하고 있다. 이러

한 관점에서 코치의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이 스포츠 상황에서 그들의 의사


결정 형태에 외부적 관점에서의 통제형 코칭행동이 동기 수준(김성문, 황승현

과 손원일, 2012)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먼저, 코치들의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 스타일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코치-선수 관계를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성지지 스타일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은 코치-선


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rose, Anderson-Butcher, Newman, Fraina와 Iachini(2016)가 보고한 연


구결과에 의하면, 이들은 청소년 운동선수들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

거하여 코치와 부모로부터 자율성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높은 수준의 자기결

- 51 -
정성 동기와 관련이 있음을 보고였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코치들의 자율성지

지 스타일이 운동선수들의 동기를 촉진시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코치와 선수


간에 긍정적 감정이 형성되어 보다 강력한 정서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축구 그라운드에서 코치들은 선수들의 경기력을 향

상시기 위해 전략을 구상하고 선수들의 관점에서 선수들이 즐길 수 있도록 흥


미나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행동을 보여준다. 이처럼 자율성지지는 프로

스포츠 현장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Black와 Deci(2000)가 보고한 자

료에 의하면 코치가 선수들에게 심리적 압박이나 요구를 최소화하고 선수들의


입장에서 지속적인 정보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때, 선수들의 심리적 욕구를

비롯하여 집중력과 내동기로 인한 지속적 활동참여 그리고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 등의 대인관계에 자율성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


다.

실제 시합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적 변화들은 코치들의 감정을 통제


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코치들의 감정이 심판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도 하겠지만, 우리 팀이 구축한 전술이 뜻대로 실행되지 않거나 혹은 선

수들이 보여주는 플레이 상황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코치들이


보여주는 감정을 선수들이 어떻게 지각하는 하는지에 따라서 선수들의 수행력

이나 경기력 등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선수들이 인지하고 있는 감

독 혹은 코치들이 지금 보여주는 모습이 실제 코치들이 가지고 있는 모습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이다. 유성민(2014)에 의하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

신을 보는 방식과 태도를 가지고 타인을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신을 수

용하는 사람은 이와 유사한 태도로 타인을 지각하고 수용하여 보다 나은 대인


관계를 갖게 된다고 보고하였다(이찬희와 조영아, 2015). 다시 말해, 일상에서

코치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태도를 보여준다면 선수들은 자신이 선택한 목표를

- 52 -
성취하거나 가치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상황에 맞게 통제하거나 조절,

적응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이 결과적으로 코치의 자율


성지지 태도가 선수들의 수행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수들의 생각이

결국,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를 보다 유기적이고 공고히 하게하는 중요한 선

행변인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2)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제적 코칭행동은 자율성지지와 서로 반대되는 개

념으로 설명되어 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통제적 코칭행동과 관련하여 일부

연구자들(김성문, 황승현과 손원일, 2012; 송기현과 정구인, 2014; 소영호,


2016; 송용관과 천승현, 2012; 천승현과 이재원, 2011; 이 보고한 연구결과들은

제시된 개념을 이해하는데 좋은 연구결과들이다. Reeve(2009)의 주장에 따르

면 자율성지지는 통제적 방식과 상반된 개념임을 주장하면서 결국 자율성지지


는 자기결정성 동기를 더욱 촉진시키지만, 통제적 방식은 통제적 동기 즉, 부

과된 조절이나 외적 조절 또는 무동기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자율성지지


와 통제적 코칭행동과의 관계는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

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연구결과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그러

나 통제적 코칭행동은 코치-선수 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매우 흥미로운 결과라 판단된다.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

는지 연구자는 진지하게 고민하였다. 다양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일부 선행


연구자들이 보여준 연구들 대부분이 청소년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

- 53 -
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찾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본 연구

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이 프로축구 선수들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연구참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상당부분 확연히 다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판

단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경우 대부분이 어려서 운동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부모님들에 의해 일부 통제 또는 제약되는 부분이 상당부

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적 행동들이 자연스럽게 몸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행동으로 경기력을 보여주는 프로축구 선수들의 경우엔 더욱이 이러한


습성이 몸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코치들이 때로는 일부 통제적 코칭행동을

보이더라도 선수들이 인지하기엔 이것이 어쩌면 나에 대한 관심 또는 애정으

로 인식하기 때문에 코치-선수 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된


다. 이러한 주장은 이민경과 김정은(2013)이 보고한 연구 자료에 의해 증명된

다. 그들에 의하면 청소년 시기에는 정서적으로 불안이나 걱정, 그리고 긴장에

대한 수준은 크게 증폭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코치들의 적


적한 개입이 오히려 선수들을 정서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2. 코칭 스타일(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팀 효능감의 관계

1) 자율성 지지행동 스타일과 팀 효능감의 관계

팀 효능감은 팀 집단 수행력에 대한 개인의 지각을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 54 -
성취상황에서 팀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 간의 노력과 수행이 강조된다. 따

라서 팀 구성원들이 팀 효능감을 높게 지각할 때, 주어진 팀 과제를 실패 하


거나, 좌절 하더라도 선수들은 포기하지 않고 더욱 노력하고 인내하기 때문에

팀 수행에 있어서 팀 효능감을 높게 지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

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축구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자율성지지와 통제적 코칭)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상

당부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다시


말해 선수들이 코칭 스타일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에 따라 팀 효능감을 높

게 지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수개인에 대한 수행력 향상이나, 팀 경기력 증

가에도 상당히 크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축구 선수들의 경우 자율성지지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있

다기보다 지금까지 코치와 감독이 보여준 태도 혹은 다양한 상황에서 자유롭


게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등을 통해 선수들은 자연스럽게 자율성

지지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이것이 개인 한 선수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팀을 이루고 있는 모든 선수들이 함께


자율성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은 팀 효능감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팀 효능감은 개인의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확장된 개념으

로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높다면 선수들이 구성하는 팀 효능감 역시 높아져 팀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도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코치와 리더

들의 역할의 중요함을 보고한 Carron과 Hausenblas(1998), 그리고 지도자는

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Feltz와 Lirgg(2001)의 연구에 의해 뒷받


침 된다.

- 55 -
2)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과 팀 효능감의 관계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결과는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


지 보고된 일부 연구(박중길과 김기형, 2013; 천승현과 이재원, 2011)들은 통제

적 코칭행동을 코치의 권위와 선수들의 욕구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면

서 결과적으로 선수들의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통제적 코칭스타일이 팀 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선행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언

급한 것처럼 프로축구라는 독특한 상황적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축구 선수들은 대부분 어려서 운동선수 생활을 시작한다. 이 시

기에 선수들은 코치의 통제를 받기도하지만 대부분이 부모님들과 함께 생활하

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 대학에 입학을 하거나 혹은 프로


에 바로 입단할 경우 프로선수로서의 경력이 부족할 경우 오히려 코치나 감독

이 어느 정도 선수들의 행동 간섭을 하거나 통제하는 태도를 보일 경우 선수

들은 이것을 나에 대한 애정 혹은 유능한 선수로서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그라운드에서 자신이 만족할 만한 경기력을 이끌어 주기위한 관심으로 느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일부 연구자들이 주장(송관용과 천승현,

2012; 최헌혁과 허진영, 2014); Bartholomew, Ntoumanis, &


Thøgersen-Ntoumanis, 2009)한 것처럼 프로축구 상황에서 코치의 통제적 코

칭행동 스타일을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프로스포츠만이 가

지고 있는 특수한 상황이나 선수들의 생각이나 특성에 맞추어 전략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여 현장에 적용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으로 생

각한다. 이러한 전략은 선수들의 생각이나 개인적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

- 56 -
기 때문에 특수한 상황에서 선들의 경쟁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측면과 상호경쟁을 통해 팀의 경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측면을


조심스럽게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 코치-선수관계와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코치-선수관계와 운동선수 탈진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다양한 영역에서 활

발히 수행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들(김덕진, 2015; 박


상혁, 김영숙, 김용국과 전재희, 2014; 최헌혁과 조승관, 2014; 황옥철과 박중

길, 2012; Eklund & Cresswell, 2007; Isoard-Gautheur, Guillet-Desecas, &

Lemyre, 2012; Isoard-Gautheur, Trouilloud, Gustafsson, & Guillet-Descas,


2016)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건강 나아가 행복을 위해서도 탈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코치-선수관계

는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창훈, 김태


형, 유승준, 최마리와 박상혁(2011)은 코칭 행동이나 코치-선수관계에 대한 이

론은 결과적으로 선수들의 스포츠 행동을 예측하고 변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이

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일찍이 Smith(1986)는 탈진의 원인을 스포츠 영역에서


의 상황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그리고 개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고 주장하

였다.

프로축구 선수들이 경우 고강도 훈련에 대한 적응과 인내력은 개인마다 서

로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인 훈련 부하에도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

기 때문에 훈련이 증가되면 탈진된 선수들의 경우 다소 부족한 수행력을 보여

- 57 -
준다. 스포츠심리학적 측면에서 탈진모형을 제시한 Smith(1986)는 스트레스와

회복을 같은 선상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다시 말해 스트레스가 커지면


회복도 증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그들이 지각하는 부정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잠재적 근원을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양한 잠재적 원인이 있겠

지만 선수들을 탈진으로부터 사전에 예방하고 경기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

과적인 잠재적 근원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연구가설에서 설정된 것처럼


선수들의 심리적 안정과 부담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일 것이

다. 프로축구 영역에서 코치와 선수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아마도 신뢰일 것이다. 신뢰는 상호 유기적 관계 속


에서 강력한 신뢰가 형성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탈진상태에 있는 선수들을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심리적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보고된 김덕진(2015)의 주장에 따르면 코치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수행


과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와의 갈

등은 심각하고 강력한 스트레스 원인으로 작용하여 탈진으로 이어진다고 주장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선수들의 탈진을 낮추기 위해서 코치와 선수들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연구이다. 따라서 프로축구 선수들

이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그라운드에서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면서 최고의 경

기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선수들의 심리적 측면과 함께 관계적 측면을 이해


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관계적 측면에서 코치와 선수뿐만 아니라 선수동료

들과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58 -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현장에서 축구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 스타일(자율


성지지 스타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및 운동
탈진에 대한 구조를 검증하여 선수 및 코치들에게 보다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
하고, 선수들의 수행력뿐만 아니라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법을 다양한 관
점에서 분석하였다.
프로축구선수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코칭 스타일(자율성 지
지스타일, 통제적 코칭행동 스타일),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그리고 운동탈
진에 대해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스타일은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p<.01), 팀 효능감에도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p<.05).
둘째, 통제적 코칭스타일은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p<.001), 팀 효능감에도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p<.001).
셋째, 선수들이 지각한 코치-선수관계는 운동탈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선수들이 지각한 팀 효능감은 운동탈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프로축구 현장에 제공할 실증적 정보를 이론을 근거하여 분

- 59 -
석하였기 때문에 선수들의 수행력뿐만 아니라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접근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제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선수들의 수행력뿐만 아니라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증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관점
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보를 확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첫
째, 선수들의 심리적 측면이나 관계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문
항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선들이 인지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터
뷰 방식을 활용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의미 있
는 결과를 증명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가 코치 및 선수 나아가 팀을 위한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어 의미 있는 결과물을 도출하였지만, 이러한 결과가 지속적으로
의미 있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횡단연구 방법을 적용하기보다 시간 혹은 기간
을 둔 종단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해 보는 것 또한 상당히 의미 있는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선수들의 심리적 측면이나 관계적 측면을 분석하기 본 연구에서는 K-


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 선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연구에 참여한 선수들의 집단이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 선수들을 구분하여 다집단 분석
을 통해 집단 간 경로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결과를 현장에 제공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60 -
참고문헌

김기형, 박중길(2008). 한국판 코치-운동선수 관계 척도의 구조적 타당화. 한

국체육학회지, 47(6), 219-233.

김기형, 박중길(2009). 대학 운동선수의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기본욕구 및 동


기적 성향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3), 33-38.

김덕진(2010). 스포츠 상황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척도 개발과 자기결정이론

의 모형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김덕진(2015). 청소년 태권도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선수관계와 탈진의 관계에

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지, 17(2), 61-75

김병문(2010). 변혁적 리더십의 스포츠 분야에의 적용: 히딩크감 독의 사례를


중심으로. 스포츠와 법, 13(1), 11-37.

김성문, 황승현, 손원일(2012). 한국판 통제적 코칭행동척도(K-CCBS) 개발의

구조적 타당도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 11-23.


김성일(2015). 청소년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코칭리더십과 집단효능감 및 운동

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1), 883-895.

김승용, 김동환(2015). 학교 운동부 지도자의 통제적 코칭행동과 청소년 선수


들의 열정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1059-1070.

김우림(2012). 고등학교 운동지도자의 자율서 지지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과 자결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

교 대학원.

김진구, 박현권, 여윤기, 김성운(2015). 운동 탈진이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에 미

- 61 -
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2), 89-98.

마해영(2015). 프로야구 선수가 지각한 자율성지지와 운동 수행 만족의 관

계에서 코치-선수관계와 집단 효능감의 매개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상혁, 김영숙, 김용국, 전재희(2014). 스포츠 실패내성 조절 변수로서의 코치

-선수 관계 인식. 한국체육학회지, 53(5). 207-218.

박중길(2009). 지각된 코치-선수관계, 욕구만족, 신체적 및 심리적 안녕감: 개

인내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4), 177-191.

백운성(2014). 축구 동호인의 집단효능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집합주의-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

대학교 대학원.

성창훈(2000). 스포츠심리학에서 집단역학 지식과 시각의 재고. 한국심리학회


보.

소영호(2016). 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과 탈진 및 인지

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5(2), 167-179.


송기현, 정구인(2014).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

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하회

지, 25(4), 143-157.
송용관(2015). 팀 스포츠에서 코치와 동료의 동기부여방식이 심리적 욕구만족

과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6(4), 761-779.

송용관, 천승현(2012).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한국스포


츠심리학회지, 23(1), 111-123.

오영택, 김선욱, 인소정, 양명환(2016). 운동열정과 운동선수 탈진 간의 관계: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5(4), 159-174.

- 62 -
유정인, 문익수, 성창훈(2009).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심리적 욕구 및 운동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8(4), 65-81.

유정인, 최만식(2011). 대학생 운동참여자들의 동기와 심상의 관계. 한국사회

체육학회지, 44(2), 697-708.


유진, 임수원(2009). 축구 집단효능감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0(3), 17-31.

이경호(2001).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이근철, 김인우, 신명진(2014). 청소년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선수 관계와

선수만족, 집단 응집력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6(2), 37-45.


이명희, 김아영(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심리 욕구척도 개

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2(4), 157-174.

이지연, 장형심(2015). 모의 자율성지지 및 조건부 관심, 자율적 동기, 친사회


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2), 139-155.

정청희, 김영숙, 성창훈(2006). 고교 축구선수의 노력에 대한 자율성과 유능성

지각 및 내,외적 동기수준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7(3), 61-73.

천승현, 김승재(2015).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학습무동기 예방을 위한 교수전

략의 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6(1), 39-60.


천승현, 문익수(2010). 피트니스 프로그램 내 참여자들의 동기부여 촉진저략:

자율성지지와 그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1), 175-195.

천승현, 이재원(2011). 장애인 스포츠 팀 내 코치의 다차원적 통제적 코칭전략


이 선수의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4),

162-179.

- 63 -
최마리, 박상혁, 성창훈(2012). 코치-선수 부합과 심리욕구만족 및 운동탈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2), 203-213.


최헌혁, 조승관(2014).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열정과 탈진의 관계에서

코치-선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5(4),

111-125.

최헌혁, 조승관(2016).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열정과 코치-선수관계에서 코칭행

동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웰니스학회지, 11(2), 111-123.

최헌혁, 허진영(2014). 코치-선수관계에서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코칭행동의 역할.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581-591.


최헌혁, 허진영, 김석규(2013). 코치-선수관계와 엘리트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에서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2(3),

129-141.
황정동(2012). 지도자의 자율성 지지가 중․고교 핸드볼선수이 지도자-운동

선수 관계 및 열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황진, 궁천, 김은숙(2013). 중국 엘리트 수영선수들의 정서지능, 지각된 코칭행

동과 탈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6), 563-576.

Alvarez, M. S., Balaguer, I., Castillo, I., & Duda, J. L. (2009). Coach
autonomy support and quality of sport engagement in young soccer

players.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12, 138-148.

Amorose, A. J., & Anderson-Butcher, D. (2007). Autonomy-supportive


coaching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athletes: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654-670.

- 64 -
Amorose, A. J., & Horn, T. S. (2000). In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s

with collegiate athletes gender, scholarship status, and perceptions of


their coach's behavior.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22,

63-246.

Assor, A., Roth, G., & Deci, E. L. (2004). The emotional costs of parents'
conditional regard: A self-determination theory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72, 47-8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 (2001).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Monograph).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Bandura, A. (2001).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Retrieved

March 25, 2005, from Emery University, Divisional of Educational

Studies Web site:


htto://emory.edu/EDUCATION/mfp/self-efficacy.htmleffusive.

Barber, B. K. (2001).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arcza-Renner, K., Eklund, R., Morin, A., & Habeeb, C. (2016).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e burnout: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s of perfectionism and motivatio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38(1), 30-44.

Bartholomew, K. J., Ntoumanis, N., & Thøgersen-Ntoumani, C. (2009). A


review of controlling motivational strategies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sports

- 65 -
coaches.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

215–233.
Bartholomew, K. J., Ntoumanis, N., & Thøgersen-Ntoumanis, C. (2010).

The controlling interpersonal style in a coaching contex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psychometric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32, 193-216.

Bartholomew, K. J., Ntoumanis, N., Thøgersen-Ntoumanis, C. (2009).

Areview of controlling motivational strategies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sport coaches.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 215-233.

Bartholomew, K. J., Ntoumanis, N., Thøgersen-Ntoumanis, C. (2010). The


controlling interpersonal style in a coaching contex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psychlmetric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lolgy, 32, 193-216.


Bunker, L. K., Rotella, R. J., & Reilly, A. S. (1985). Sport Psychlolgy. Ann

Arbor, MI: Mcnaughton & Guinn Inc.

Caccess, T. M., & Mayerberg, C. K. (1984).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burnout of college coach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6, 279-288.

Chase, M. A., Feltz, D. L., & Lirgg, C. D. (2003). Sources of collective and

individual efficacy of collegiate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 180-191.

Chow, G. M., & Feltz, D. L. (2008).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perceptions of success, and team attribution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Coakley, J. (1990). Sport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St. Louis,

- 66 -
Mo: Time Mirror/Mosby.

Conroy, D. E., & Coatsworth, J. D. (2007). Assessing autonomy-supportive


coaching strategies in youth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5, 671-684.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Deci, E. L., Connell, J. P., & Ryan, R. M. (1989). Self-determination in a

work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 580-590.

Deci, E. l., Eghrari, H., Patrick, B. C., & Locnc, D. R. (1994). Facilitation
internalizati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62, 119-142.

Eades, A. (1990). An investigation of burnout in intercollegiate athletes:


The development of the eades athlete burnout inventory. Paper

presented at North American Society for the Psychology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y National Conference, Asilomar. CA.


Edelwich, J., & Brodsky, A. (1980).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Y: Academic Press.

Emner, W. G. (1979). Professional burnout: rehabilitation’s hidden


handicaps. Journal of Rehabilitation, 45(1), 55-58.

Eye, M. A., Lougheand, T. M., & Hardy, J. (2007). Athlete leadership

dispersion and satisfaction in interactive sport team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281-296.

Feltz, D. L., & Lirgg, C. D. (1998). Perceived team and player efficacy in

- 67 -
hock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557-564.

Fransen, K., Decroos, S., Vanbeselaere, N., Broek. G. V., De Cuyper, B.,
Vanroy, J., & Boen, Filip. (2015). Is team confidence the key to

success? The reciprocal relation between collective efficacy, team

outcome confidence, and perceptions of team performance during


soccer games. Journal of Sport Sciences, 33(3), 219-231.

Fraser-Thomas, J. & Côté, J. (2009). Understanding adolescents' positive


and negative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port. The Sport

Psychologist, 23, 3-23.

Freudenberger, H. J. (1980). Burnout: How to beat the high cost of


success. Bantam Books.

Gagne, M., Ryan, R. M., & Bargmann, K. (2003). Autonomy support and

need satisfaction in the motivation and well-being of gymnastic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5, 372-389.

Gibson, C. B. (1999). Do they do what they believe they can?: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across task and cultur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2), 138-152.

Gibson, C. B., & Earley, P. C. (2007). Collective cognition in action:

Accumulation, interaction, examination, and accommod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roup efficacy beliefs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32(2), 438-458.

Gillet, N., Vallerand, R. J., Amoura, S., & Baldes, B. (2010). Influence of
coaches’ autonomy support on athletes’ motivation and sport

performance: A test of the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 68 -
extrinsic motivatio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1, 155-161.

Gould, D., Udry, E., Tuffey, S., & Loehr, J. (1996). Burnout in competitive
junior tennis players. I: A quant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The Sport Psychologist, 10, 322-340.

Greenless, I. A., Nunn, R. L., Graydon, J. K., & Maynard, I. W.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precompetitive affect

in rugby players: Testing Bandura model of collective efficac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9, 431-440.


Grolnick, W. S., Deci, E. L., & Ryan, R. M. (1997). Internalization within

the family: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J.E. Grusec,

L. Kuczynski (Eds.), Parenting and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values: A handbook of contemporary theory, Wiley, New York

(1997), pp. 135-161.

Grolnick, W. S., Kurowski. C. O., McMenamy, J.M., Rivkin, I., & Bridges,
L. J. (1998). Mothers' strategies for regulating toddlers' distress.

Development, 21, 437-450.

Hampson, H., & Jowett, S. (2014). Effects of coach leadership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on collective efficacy.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 24, 454-460.


Harris, D. V. (1984). The athlete's guide to sport psychology. NY: Leisure.

Harris, D. V., & Harris, B. L. (1984). The athlete’s guide to sport

psychlolgy: Mental skills for physical people. Champaign, IL: Leisure


Press.

Heyman(1986). Psychlolgical problem patterns found with athletes. Clinical

- 69 -
Psychologist, 39(3), 68-71.

Hodges, L., & Carron, A. V. (1992). Collective efficacy and group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3, 48-59.

Hollembeck, J. & Amorose, A. (2005).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and

college athletes' intrinsic motivation: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7, 20-36.

Horn, T. S. (2002). Coaching effectiveness in sport domain. In T. S. Horn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pp. 309-354.) Champaign, IL:


Human Kinetics. Human Relations, 35, 235-305.

Isoard-Gautheur, S., Trouilloud, D., Gustafsson, H., & Guillet-Descas, E.

(2016). Associations between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athlete burnout: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achievement goal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22, 210-217.


Jowet, S. & Ntoumanis, N. (2004).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14, 245-257.


Jowett, S. & Timson-Katchis, M. (2005). Social Networks in Sport:

Parental Influence on the Coach- Athlete Relationship. The Sport

Psychologist, 19, 267-287.


Jowett, S. (2009). Factor structure and critetion-related validity of the

metaperspective version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CRT-Q).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3(3), 163-177.

Jowett, S., & Cockerill, I. M. (2003). Olympic medalists' perspective of the

- 70 -
athlete-coach relationship.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4,

313-331.
Jowett, S., & Ntmoumanis, N. (2004).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14, 245-257.


Jowett, S., Paull, G., & Pensfaard, A. M. (2005). Coach-athlete relationship.

In J. Taylor & G. S. Wilson, Applying sport psychology: Four

perspective, 153-170.
Jowett, S., Shanmugam, V., & Caccoulis, S. (2012). Collective efficacy as a

mediati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thlete satisfaction in team s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0(1), 66-78.

Kozub, S. A., & McDonnell, J. F. (2000).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hesion and collective efficacy in ruby teams. Journal of


Sport Behavior, 23, 120-129.

Lafrenière, M. A. K., Jowett, S., Vallerand, R. J., & Carbonneau, N. (2011).

Passion for coaching and the quality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e mediating role of coaching behavior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2, 144-152.

Lonsdale, C., Hodge, K., & Rose, E. (2009). Athlete burnout in elite sport: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Journal of Sports Sciences, 27(8),

785-795.

Mageau, G. A., & Vallerand, R. J. (2003).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a


motivational model. Journal of Sports Sciences, 21, 883-904.

Maslac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San

- 71 -
Francisco: Jossey-Bass.

Maslach, C., & Jackson, S. E. (1984). Maslach burnout inventory research


edition.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Matosic, D., Cox, A. E., & Amorose, A. J. (2014). Scholarship status,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and intrinsic motivation in collegiate


swimmers: A test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Sport Exercise,

and Performance Psychology, 3(1), 1-12.

Medic, N., Mack, D. E., Wilson, P. M., & Starkes, J. L. (2007). The effects

of athletic scholarship on motivation in sport. Journal of Sport

Behavior, 30, 292-306.


Meneghel, I., Salanova, M., & Martínez, I. M. (2016). Feeling good makes

us stronger: How team resilience mediates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s on team performa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7(1),


239-255.

Myers, N. D., Feltz, D. L. & Short, S. E. (2004). Collective efficay and


team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iate football team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2), 126-138.

Ommundsen, Y. & Eikanger-Kvalo, S. (2007). Autonomy-mastery,


Supportive or performance focused? Different teacher behaviours and

pupils' outcomes in physical educ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 385-413.


Paskevich, D. M. (1995). Conceptual and measurement factors of collective

efficacy in its relationship to cohesion and performance outc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Canada.

- 72 -
Pelletier L., Fortier, M., Vallerand, R., & Brière, N. (2001). Associations

among perceived automomy support, forms of self-regulation, and


persistence: a prospective study. Motivation and Emotion, 25,

279-306.

Pelletier, L. G., Tuson, K. M., & Haddad, N. K. (1997). Client motivation

for therapy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for therap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8(2), 414-435.

Philippe, R. A., & Seiler, R. (2006). Closeness, co-orientation and

complementarity in coach-athlete relationships: What male swimmers


say about their male coach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7,

159-171.

Poczwardowski, A., Barott, J. E., & Henschen, K. P. (2003). The athlete


and coach: their relationship and its meaning. Results of an

interpre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3, 116

- 140.
Poczwardowski, A., Barott, J. E., & Jowett, S. (2006). Diversifying

approaches to research on athlete-coach relationship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7, 125-142.


Raedeke, T. D. (1997). Is athlete burnout more than just stress? A sport

commitment perspectiv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9(4), 396-417.
Raedeke, T. D., & Smith, A. L. (2001).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n athlete burnout measure. Journal of Sport and

- 73 -
Exercise Psychology, 23, 281-306.

Raedeke, T. D., & Smith, A. L. (2004). Coping resources and athlete


burnout: An examination of stress mediated and moderation

hypothese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6, 525-541.

Raglin, J. S. (1993). Overtraining and staleness: Psychometric monitoring of


endurance athletes. In R. Singer, M. Murphey, & K. Tennant(Eds.),

Handbook of sport psychology(pp. 840-850). New York: Macmillan.

Reeve, J. (2002). Self-determination theory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183-20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Reeve, J. (2006). Teachers as facilitators: What autonomy-supportive

teachers do and why their students benefit.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 225-236.


Reeve, J. (2011). 동기와 정서의 이해. 도서출판:박학사.

Reeve, J., Vansteenkiste, M., Assor, A.,, Ahmad, I., Cheon, S. H., Jang, H.,

& Wang, C. K. J. (2014). The beliefs that underlie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A multinational

investigation. Motivation and Emotion, 38, 93-110.

Reinboth, M., Duda, J. L., & Ntoumanis, N. (2004). Dimensions of coaching


behavior, need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fare of young athletes. Motivation and Emotion, 28, 297-313.

Selye, H. (1979). Stress in health and disease. Boston: Butter worths.


Smith, A., Ntoumanis, N., & Duda, J. (2010). An investigation of coach

behaviors, goal motives, and implementation intentions as predictors

- 74 -
of well-being in sport.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2(1),

17-33.
Smith, R. E. (1986).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athletic burnou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36-50.

Smith, R. E.(2007). Essential reading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athletic burnout. Human

Kinetics.

Spink, K. S. (1990). Group cohesion and collective efficacy of volleyball


team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2, 301-311.

Stajkovic, A. D., Lee, D., & Nyberg, A. J. (2009). Collective efficacy, group

potency, and group performance: Meta-analysies of their


relationships, and test of a mediation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3), 814-828.

Vallerand, R. J., Blanchard, C. M.,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Vargas-Tonsing, R. M., Wamers, A. L., & Feltz, D. L. (2003). The

predictability of coaching efficacy on team efficacy and player

efficacy in volleyball. Journal of Sport Behavior, 26, 396-407.


Watson, C. B., & Chemers, M .M. (1998). The rise of shared perception: A

multi-level analysis of collective efficacy. Paper presented at the

Organization Behavior for the Academy of Management meeting,


San Diego, CA.

Yang, S. X., & Jowett, S. (2013).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of

- 75 -
the complementarity dimension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across cultur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4(6), 830-841.

- 76 -
부 록

설 문 지
여러분의 귀중한 시간을 할애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프로축구 발전에는 여러분들의 땀과 열정이 있었기
에 가능하였습니다. 먼저, 바쁜 훈련 및 대회 일정으로 분주하실 여러분들
에게 몇 가지 협조를 얻고자 이렇게 설문지를 부탁드리게 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본 설문지는 여러분 스스로가 프로축구 활동 과정 속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어떻게 결정하고 해결해나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입니다. 본
설문지는 통계법 제8조 및 9조의 규정에 의하여 통계목적으로만 처리될 것
이며 연구 목적 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묻는 질문에는 맞고 틀리
는 것이 없으니 본인의 생각을 솔직하게 기재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6년 4월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박사과정
연구자 : 신 태 용

◈ 코치의 자율성지지 스타일에 대한 문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아래의 1번


부터 7번까지의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표시 해 주세요. 질문에 대한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
전혀
보통 매우
내가 현재 참가하고 있는 스포츠에서…. 그렇지 ← 이다 → 그렇다
않다
1. 나는 나의 코치가 나에게 선택의 기회들은 준다고 느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낀다.
2. 나는 나의 코치가 나를 이해한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3. 나의 코치는 경기에서 잘하도록 나에게 자신감을 심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어준다.
4. 나의 코치는 나에게 질문을 하도록 독려/격려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5. 나의 코치는 내가 어떻게 하고 싶은지를 귀담아 듣는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다.

6. 나의 코치는 어떤 것들을 하는 것에 대해서 새로운 방


식을 제시하기 전에 내가 어떻게 그것들을 바라보는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먼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77 -
◈ 통제적 코치 스타일에 대한 문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아래의 1번부터 7
번까지의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표시해 주세요. 질문에 대한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
다.

매우 보통 매우
설 문 문 항 ← →
그렇지 않다 이다 그렇다

1. 나의 코치는 내가 잘 했을 때, 상을 줌으로써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나에게 동기를 잘 부여해 준다.
2. 나의 코치는 내가 더 열심히 노력하게 만들기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위해서만 칭찬(상)을 한다.
3. 나의 코치는 내 집중력을 강화시키기 위할 때만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칭찬(상)을 사용한다.
4. 나의 코치는 내가 모든 연습량을 끝마치도록 칭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찬(상)을 사용한다.
5. 나의 코치는 내가 코치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노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력하지 않으면 나에게 덜 친절하다.
6. 나의 코치는 내가 연습하지 않거나 경기에서 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하지 못하면 나를 덜 격려해준다.
7. 나의 코치는 내가 코치의 기분을 상하게 하면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나에게 관심을 적게 보인다.
8. 나의 코치는 내가 코치를 실망시키면 나를 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인정해 준다.
9. 내 코치는 내가 코치가 원하는 것을 하도록 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기 위해 사람들 앞에서 소리를 지른다.
10. 나의 코치는 내가 훈련을 따라가게 하기 위해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서 처벌을 하겠다고 윽박지른다.
11. 나의 코치는 코치가 원하는 것을 내가 하도록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하기 위해 나에게 윽박지른다.
12. 나의 코치는 내가 코치가 원하는 대로 하지 않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으면 사람들 앞에서 면박을 준다.
13. 내 코치는 나의 삶에서 중요한 것들을 존중해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주지 않고, 열심히 운동하기를 기대한다.
14. 내 코치는 운동 시간 이외의 내 사생활을 통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하려고 한다.
15. 내 코치는 운동 이외의 내 사생활을 간섭하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고 한다.

- 78 -
◈ 코치-선수관계를 묻는 문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아래의 1번부터 7번까지
의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표시해 주세요.

설 문 문 항 매우 ← 보통 → 매우
그렇지 않다 이다 그렇다
1. 나는 우리 코치를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2. 나는 우리 코치를 신뢰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3. 나는 우리 코치를 존중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나는 우리 코치가 자신의 실력 향상을 위해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쏟은 노력을 고맙게 생각한다.
5. 나는 우리 코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6. 나는 우리 코치에게 헌신하고 있다고 생각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다.
7. 나의 운동 경력은 우리 코치가 있어 가능하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고 생각한다.
8. 나는 우리 코치에게 지도 받을 때 편안함을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느낀다.
9. 나는 우리 코치에게 지도 받을 때 그의 노력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에 전력을 기울인다.
10. 나는 우리 코치에게 지도 받을 때 나는 최선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을 다할 준비가 되어 있다.
11. 나는 우리 코치에게 지도 받을 때 호의적인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자세를 취한다.

◈ 팀 효능감에 대한 문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아래의 1번부터 7번까지의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표시해 주세요.
매우 보통 매우
설 문 문 항 그렇지 ← 이다 → 그렇다
않다
1. 우리 팀은 강팀을 많이 이겼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2. 우리 팀은 선수층이 두껍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능력
3. 우리 팀은 세트플레이에 강하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우리 팀 선수들은 상대팀 선수보다 커 보인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5. 우리 팀은 시합을 위한 많은 훈련을 해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준비 6. 우리 팀은 훈련을 열심히 해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7. 우리 팀은 상대 팀을 미리 분석해 두었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지도 8. 우리 팀의 감독은 전술이 좋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9. 우리 팀은 코칭 스텝을 믿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자 신
10.우리 팀은 코칭스텝과 선수 간에 신뢰가 깊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뢰 11.우리 팀은 실력 있는 감독(코치)한테 배운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12.우리 팀은 서로 팀 동료를 위로 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13.우리 팀은 선수 서로 간에 믿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단결 14.우리 팀은 선수 서로 간에 호흡이 잘 맞는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15.우리 팀은 선수 간에 갈등을 잘 해소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16.우리 팀은 시합 중에 선수 간 대화를 많이 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 79 -
◈ 운동탈진에 대한 문항입니다. 지금 현재, 이 순간에 느끼는 각 문항에 대한 느낌을 아래의
1번부터 5번까지의 느낌에 대한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표시해 주세요.

전 혀 보통 매 우
지금 현재 나의 느낌은 …. 아니다 그렇다
아니다 이다 그렇다
1. 나는 프로축구에서 많은 가치 있는 것들을 성취
① ② ③ ④ ⑤
하고 있다.
2. 나는 프로축구에서 성취한 것이 별로 없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프로축구에서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하지
① ② ③ ④ ⑤
않는다.
4. 내가 무엇을 하든 나는 내가 해야 할 만큼 수행
① ② ③ ④ ⑤
하지 못 하는 것처럼 보인다.
5. 나는 프로축구에서 성공했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6. 나는 다른 것들을 하기 위한 에너지/힘을 갖기
① ② ③ ④ ⑤
조차 힘든 훈련으로 너무 지쳐있다고 느낀다.
7. 나는 나의 선수생활에 몹시 지쳐있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강한 훈련으로 녹초가 된 느낌이다. ① ② ③ ④ ⑤
9. 나는 신체적/육체적으로 매우 지쳐있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프로축구에서 정신적/신체적 훈련에 의해
① ② ③ ④ ⑤
진이 다 빠졌다.
11. 내가 운동에 쏟는 노력을 다른 일들에 쏟는 편
① ② ③ ④ ⑤
이 낫다.
12. 나는 예전처럼 나의 경기 수행에 대해 신경 쓰
① ② ③ ④ ⑤
지 않는다.
13. 나는 예전처럼 축구에 빠져있지 않다. ① ② ③ ④ ⑤
14. 나는 예전보다 프로축구에서 성공에 대한 관심
① ② ③ ④ ⑤
이 덜 한 느낌이다.
15. 나는 프로축구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생각을
① ② ③ ④ ⑤
갖고 있다.

※ 다음 문항들은 개인적 특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체크(


∨ )해 주세요.
1. 귀하의 나이는? 세
2. 귀하의 소속팀은 ? ( )
3. 귀하는 프로축구 선수로서 선수경력 기간은 어느 정도 입니까? 년 개월
4. 귀하는 국가대표 선수 경험이 있으신가요? ① 예 ② 아니오
5. 귀하의 포지션은 무엇입니까?

① 골키퍼(GK) ② 수비수(DF) ③ 미드필더(MF) ④ 공격수(FW)

- 80 -
Abstract

Ph.D. Dissertation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Model among


Coaching Style Perceived by Professional Soccer
Athletes,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
Team Efficacy and Athlete Burnout

S in, Tae-Yo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tructural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among coaching style perceived by professional soccer athletes,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 team efficacy and athlete burnout.

To this end, samples of professional soccer athletes were collected. The

sample of 317 soccer athletes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measures


autonomy support style, controlled coaching behavior style, team efficacy

and athlete burnout.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Moreov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2 program were us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 81 -
First, autonomy support styl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p<.01), as well as team efficacy(p<.05).

Second, controlled coaching style had a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p<.001), as well as team efficacy(p<.001).

Third,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 perceived by the athletes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p<.01).

Fourth, Team efficacy perceived by athletes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athlete burnout(p>.05).

This research analyzed empirical information based on theory to be

provided to professional soccer field.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ield with more effective information through analysing a wide range of

approach methods in order to improve both athlete's performance and team

performance.

- 8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