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3

―○


일반사업 2014 업
2
0
1
4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기



추진방안 사












김 주 희 외 방















제 출 문

본 보고서를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 12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 김주희 연구원
참여연구원 :
목차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목차 제2절 기술사업화 추진 법·정책 및 지원기관 ························································ 57


1. 주요국 동향 ······································································································ 57
2. 미국 ···················································································································· 59
3. 영국 ···················································································································· 64
제1장 서론 ······························································································ 1
3. 일본 ···················································································································· 6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3 4. 중국 ···················································································································· 7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 6
1. 연구의 내용 ········································································································ 6 제4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 79
2. 연구의 방법 ········································································································ 8
제1절 기술사업화 R&D 사업 분석 ··········································································· 81
1. 분석의 개요 ······································································································ 81
제2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1 2. 부처별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81
제1절 기술사업화의 정의 ························································································ 13
제2절 기술사업화 정부지원 과제 유형분석 ···························································· 105
1. 기술사업화 정의 ······························································································· 13
1. 분석 개요 ········································································································ 105
제2절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및 유형 ········································································ 16 2. 정부 R&D 과제의 기술사업화 지원 유형 분석 ········································· 107
1.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 16
2. 기술사업화 정책의 범위 ·················································································· 19 제5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117
3. 기술사업화 정부지원의 유형 ·········································································· 20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19
제3절 기술사업화에 대한 선행연구 ·········································································· 24 1. 설문조사 내용 ································································································· 119
1. 국외연구 ············································································································ 24 2. 설문조사 방법 ······························································································· 123
2. 국내연구 ············································································································ 28 3. 기술통계 결과 ································································································· 124
3.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의 유형화 ····························································· 29
제2절 설문분석 결과 ······························································································· 129
1. 기술사업화 추진 애로요인 교차분석 결과 ················································· 130
제3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 37 2. 기술사업화 추진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 144
제1절 우리나라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지원 ················································· 39 3. 연구자의 기술사업화 정책 니즈 ·································································· 155
1. 정부 기술사업화 정부 R&D 투자 동향 ························································ 39 4. 소결 ···················································································································· 159
2. 기술사업화 관련 법 ························································································· 42
3.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 44 제6장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 160
4.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 프로그램 ···································································· 47

i ii
목차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부 록 ································································································· 171 표목차


부록 1. 연구자 대상 설문지 ············································································ 173
부록 2. 기술사업화 지원 관련 포털 ································································ 179
<표 1> 제품생산과정에 따른 기술사업화 활동 및 정부지원(예시) ·················· 23
<표 2> 기술사업화의 영향요인별 선행연구 ······················································ 36
<표 3> 14~18년 정부 R&D 투자 규모(부처 요구) ············································ 39
<표 4> 정부 R&D 투자의 기본방향 ····································································· 40
<표 5> 창조경제 성과 창출 및 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전략 ······················ 41
<표 6>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 42
<표 7>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주요내용 ·································· 43
<표 8> 기타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법률 ······················································· 43
<표 9>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유형 및 사업예시(2014년 기준) ························· 45
<표 10> 2015년도 부처·청별 연구성과 활용·사업화 촉진사업 R&D예산안 ·· 46
<표 11>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부 지정 기술거래기관, 기술평가기관 ·· 55
<표 12> 기술이전․사업화 단계/주체별 추진체계도 ········································· 56
<표 13> 주요국 기술사업화 현황 및 주요 지원 내용 ······································· 58
<표 14> TIP 지원유형, 규모 및 자격요건 ·························································· 61
<표 15> SBIR과 STTR 프로그램 비교 ································································ 62
<표 16> 미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 ··········································· 63
<표 17> 영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 65
<표 18> 영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 ··········································· 68
<표 19> 일본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 ··········································· 73
<표 20> 중국의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 76
<표 21> 중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 ··········································· 78
<표 22> 2012년도 부처별 기술사업화 사업과 지원정책 유형 ························ 82
<표 23> 학교기업지원 사업내용 ········································································· 83
<표 24>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내용 ···························································· 84
<표 25>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사업 내용 ······················································· 85
<표 26>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사업내용 ····················································· 86

iii iv
목차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표 27> 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내용 ·································································· 87 <표 56> 기술적 측면의 관측 결과 ······································································ 126
<표 28>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내용 ···························································· 88 <표 57> 시장 측면의 관측 결과 ········································································· 126
<표 29>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내용 ···························································· 89 <표 58> 정책적 측면의 관측 결과 ······································································ 127
<표 30> 나노융합2020 사업내용 ········································································· 91 <표 59> 조직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 127
<표 31> 디자인기업역량강화 사업내용 ··························································· 92 <표 60> 기술적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 128
<표 32> 사업화연계기술개발 사업내용 ································································ 93 <표 61> 시장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 128
<표 33> 산업융합촉진 사업내용 ········································································· 94 <표 62> 정책 측면의 애로요인 결과 ·································································· 129
<표 34>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사업내용 ························································ 95 <표 63> 사업화 지원 2개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 131
<표 35>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 96 <표 64> 성과 유형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 132
<표 36>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량혁신 사업내용 ·········································· 97 <표 65> 목표시장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 134
<표 37>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사업내용 ················································· 98 <표 66> 목표시장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 135
<표 38>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 사업내용 ···················································· 99 <표 67> 제품거래처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 136
<표 39>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내용 ································································ 100 <표 68> 제품거래처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 138
<표 40> 기술사업화지원 사업내용 ···································································· 101 <표 69> 주요제품형태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 139
<표 41> 수산실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 102 <표 70> 주요제품형태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 140
<표 42>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 103 <표 71> 산학연 주체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 141
<표 43>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사업내용 ····································· 104 <표 72> 산학연 주체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 143
<표 44> 2012년도 부처별 기술사업화 사업과 지원정책 유형 ······················ 109 <표 73> 영향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 144
<표 45>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지원활동 유형별 6T 기술분야 ···················· 111 <표 74> Cronbach's Alpha 결과표 ···································································· 146
<표 46>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지원 유형별 정부연구개발 사업비 및 과제 수 ··· 112 <표 75> 분석에 활용된 변수 설명 ······································································ 147
<표 47> 단계별×연구수행주체별 과제수 ·························································· 113 <표 76> 2개 유형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 148
<표 48> 단계별×부처별 과제수 ········································································· 114 <표 77> 2개 유형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 148
<표 49> 과제 유형별x기술개발단계 ··································································· 115 <표 78> 제품형태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 149
<표 50> 단위사업별×단계별 과제수 ·································································· 116 <표 79> 제품형태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 150
<표 51> 영향요인 용어와 내용 ··········································································· 121 <표 80> 거래처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 151
<표 52> 애로요인 용어와 내용 ··········································································· 122 <표 81> 거래처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 151
<표 53> 16개 유형별 답변 비율 ········································································· 124 <표 82> 산학연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 152
<표 54> 2개 유형별 답변 비율 ··········································································· 125 <표 83> 산학연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 152
<표 55> 조직 측면의 관측 결과 ········································································· 125 <표 84> 2개 유형별 인과관계 종합 ···································································· 153

v vi
목차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표 85> 제품형태별 인과관계 종합 ···································································· 153


그림목차
<표 86> 거래처별 인과관계 종합 ······································································· 154
<표 87> 산학연별 인과관계 종합 ······································································· 154
<표 88> 연구자의 기술사업화 지원 정책 니즈 ················································· 155
[그림 1] 연구의 흐름 ································································································ 7
<표 89> 기술사업화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요인(시장·조직측면) 159
[그림 2] 연구의 틀 ···································································································· 9
<표 90>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현황, 문제점 및 개선 전략(예시) ············ 168
[그림 3]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 16
[그림 4] Rothwell & Zegveld (1985)의 기술사업화 모형 ······························· 17
[그림 5] 기술사업화 4단계별 의사결정 ······························································· 17
[그림 6] Jolly (1997)의 비선형적 기술사업화 모형 ·········································· 18
[그림 7] 기술사업화 정책의 범위 ········································································· 19
[그림 8] 연구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기술사업화 지원 활동 ······················ 21
[그림 9] 중소기업 육성 사업화 프로세스 ···························································· 47
[그림 10] 생산기술연구원의 기술이전 방식 및 절차 ········································· 49
[그림 11] 특구재단의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 50
[그림 12]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 ········ 51
[그림 13]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및 추진절차 ······························· 52
[그림 14] 학교기업지원사업 추진체계 및 추진절차 ·········································· 52
[그림 15]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 지원 업무 ····························· 53
[그림 16] 기술보증기금 기술사업화 지원 내용 ·················································· 54
[그림 17] 정부지원R&D과제에 대한 유형분류 과정 ······································· 106
[그림 18]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의 과학기술표준분류별 분포(2012년) ··········· 110
[그림 19] 내,외부 영향요인 및 애로요인 분석 측면 ······································· 120
[그림 20] 영향요인 분석 관점 ··········································································· 120
[그림 21] 회수건수 및 회수율 ············································································· 124

vii viii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요 약 문

1. 제목 :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2. 연구 배경과 목적

□ (배경) 박근혜 정부는 국가·기업간 더욱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시대에 창조경제


기반 조성, 신산업 창출 및 산업고도화 추진 등을 주요 국정 목표로 제시

◦ 기술사업화는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의 상용화 과정에서 신산업·시장,


일자리 창출 등 국민경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촉진시키는 바, 관련 정
책의 추진 강화 및 투자를 확대할 필요

-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수요지향적 R&D 기획이 시도되면서 산업·경제적 효과


제고에 기여

- 정부는 기술사업화 촉진 및 산업전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법·제도 추진 강화


⁕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 「제5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2014, 국과심
안건)」등 전방위로 지원 강화
⁕⁕ 기술사업화 관련 정부 R&D 예산(억원) : 3,200(‘13) → 4,428(’13) → 7,600(‘17) 확대 계획

- 연구성과의 활용·확산을 위한 R&D 사업예산도 증가 추세

◦ 주요국은 신기술 창출을 뛰어넘어 기술개발 성과의 이전·확산 및 사업화 등


기술 활용도 제고를 중요 과제로 선정하고 연구개발성과 확산 정책을 지속적
으로 추진, 강화하는 추세

- 시장경제가 발달한 미국은 ‘기반 조성’, 유럽은 관련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형태로 추진하는 등 정책적 개입 실시·강화
⁕ 미국 : 법적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한 공공기관(NTTC, FLC)의 기반조성, 개발지원 정책 중심
⁕⁕ 유럽 : 기반조성뿐 아니라 직접 기관 설립에 관여, 구체적인 사업도 추진(예. EU EEN,
영국 BTG 등)

- 일본은 공공기술의 이전과 산학연 협력활성화를 위한 법 마련,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제도, 사업화 정책등에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연구개발
자금 지원 강화
※ 대학 등 기술이전촉진법(1998), 산업활력재생특별조치법(1999), 산업기술력강화법(2000)등

x
요 약 문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 우리나라도 사업화 관련 R&D 투자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추진 사업에 대한


3. 주요 연구내용
객관적 평가와 내실화를 위한 사업수준에서의 지원 현황, 특성 분석이 필요

- R&D 투입과 산출물은 양적으로는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사업화·기술무역수지 □ 기술사업화 정의 및 범위


등 지표에서 나타나는 개발기술 활용·확산 성과는 현재 답보적 상황 ◦ 본 연구에서 기술사업화 정의는 ‘공공(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과 민간(기업)
- 정부부처나 관리기관에서 사용되는 기술사업화 개념, 범위 및 집계 기준이 에서 개발된 기술을 이전, 거래, 확산하거나 제조활동에 적용함으로써 상품·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들이 기획·추진되었던 바, 정책 목표의 수립· 서비스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으로 봄
평가가 타당성·신뢰성을 갖기 어려움 ◦ 기술사업화 범위는 ‘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체화
- 정부는 R&D성과 사업화 개선을 목표로 하여 시장수요 기반 R&D 사업화로 하고 시장에 판매하기까지의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일부 또는 전체의 과정’
의 전환, 이전 기술의 후속 R&D 지원 등 창의·혁신적 R&D체계 강화 방안 - 지원 정책사업의 범위에는 R&D기획, 기술전문가 컨설팅을 비롯하여 기술
마련을 촉구(재정전략회의. ‘14.5.1) 개발과 시장진출을 위한 마케팅지원, 자금대출 등의 분야가 포함됨
□ (목적) 각 부처·청 단위에서 추진 중인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에 대한 개념 설정, □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및 지원활동 유형화
정부연구개발사업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기술사업화 전략 방향 설정에 유효한 분
◦ 사업화 대상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을 통해 사업화까지를 직접 지원하는 단계의
석정보를 제공
활동과 기술개발 외에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 구분이 가능
◦ 관련 정부연구개발사업들의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현황을 조사하여 연구개발성과
-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6단계로 구분하고, 사업화 대상기술이 사업화되기
의 활용·확산을 위한 전략 도출
까지의 필요한 지원 활동을 ‘사업화 지원 활동’ 10개로 구분해 유형화 함
◦ 추진중인 정부정책들은 관련 기관간 연계·협력이 가능한 부분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과 프로세스 개선 전략 발굴도 추진

◦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술사업화 추진시 겪는 애로사항, 정


책적 수요를 연구책임자들에게 설문조사함으로써 기술사업화 지원 전략 도출

xi xii
요 약 문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 기술사업화 관련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지원 유형 분석 ◦ 2012년 24개 지원 사업, 3947개 과제에 대해 총 7,951억 원이 투입되었고, 직
◦ 정부가 추진중인 기술사업화 사업들에 대해 앞서 설정한 정의와 범위에 따라 접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전체 사업비의 79.77%, 전체 과제 건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지원과제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정부 수의 90.6%를 차지하며 기술사업화 지원활동이 전체 사업비의 19.22%, 전체
지원과제의 유형 분포도를 확인 과제 건수 대비 8.87%를 차지

◦ 대상사업은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배분(안)의 ‘연구성과사업화 촉진사 ◦ 기술사업화 직접 프로세스 과제 3,578건 가운데 국공립 연구소가 530건, 대기
업’과 일부 ‘창업 및 중서기업지원사업’을 기준으로 하되 2012년 사업을 분석 업 31건, 대학 483건, 중소기업 2,541건, 출연연구소 138건, 기타가 126건이었
으며 중소기업이 65%가량의 지원을 받고 있었음

- 기술사업화 지원활동은 총 350개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주요 정부 지원은 R&BD기획, 사업화전담조직역량강화 등 존재

◦ 부처별 과제 현황은 중소기업청이 2,397개로 가장 많았고 농촌진흥청 774개,


지식경제부 326개, 농림수산식품부 260개, 교과부 183개, 환경부 7개 순
<표> 단위 사업별×단계별 과제수

A: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B: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유형 분류


사업명 총계
1 2 3 4 5 계 1 2 3 4 5 6 7 8 9 미분류 계 불가
기술사업화지원사업 4 84 1 10   99 2 1 2 5 1 105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3   4 9 1 13 2 25 29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9 26 1 1 37 37
<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지원 유형별 정부연구개발 사업비 및 과제 수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8 29   37 4 2 2 2 10 11 58
사업비(억원) 과제 수 평균과제기간  나노융합2020 9   10 2 2 12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43 605 2 26   677 75 6 6 1 1 3 4 96 1 774
총사업비 비율 평균액 건 비율 (개월)
디자인기업역량강화 20   20 1 3 1 5 25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6,342 79.77% 1.8 3,578 90.65% 18.9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3 3   6 1 1 7
1. 사업화기술기획 67 0.84% 0.6 103 2.61% 23.6
사업화연계기술개발 34   34 11 11 45
2. 사업화기술개발 6,223 78.26% 1.8 3,409 86.37% 18.6 산업융합촉진사업 7   7 1 1 8
3. 사업화시제품제작 15 0.19% 0.9 17 0.43% 18.9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32 1 33 33
4. 성능과기능점검·TEST 30 0.38% 0.7 44 1.11% 35.2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지원)
5. 사업화제품생산(양산) 7 0.09% 1.5 5 0.13% 24.9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6 1 7 7
6. 판매 . . . . . . (대학보유기술직접사업화지원)
기술사업화 지원 활동 유형 1,528 19.22% 4.4 350 8.87% 36.7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12   12 1 1 3 12 17 29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원)
1. R&BD 기획지원 549 6.91% 5.1 107 2.71% 43.3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2. 기술컨설팅지원 1 0.01% 0.5 1 0.03% 32.5   2 1 3 3
(특화전문대학원지원)
3. 기술정보DB구축·관리·제공지원 5 0.07% 0.8 7 0.18% 32.0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53 53 53
4. 기술인증·표준화지원 6 0.08% 0.6 11 0.28% 27.0 (학교기업지원)
5. 기술거래지원 115 1.45% 8.9 13 0.33% 45.1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4 139 3 6   153 1 1 2 155
6. 사업화전담조직역량강화지원 610 7.67% 3.8 161 4.08% 33.1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26   26 1 1 1 28
7. 기술인력현장지원 0 0.00% 0.2 1 0.03% 58.9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7   7 2 1 3 10
연구개발특구육성 65   65 2 2 3 7 1 73
8. 마케팅·영업컨설팅지원 1 0.02% 0.4 4 0.10% 36.5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신 41 209 3   253 2 1 15 1 19 272
9. 법·제도개선 70 0.88% 8.8 8 0.20% 51.7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591 2 1   594 3 3 597
10. 금융지원·펀드조성 . . . . . .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169   169 1 1 170
. 미분류과제 170 2.14% 4.6 37 0.94% 30.4 창업성장기술개발 1350 6 1   1358 1358
분류불가 80 1.01% 4.2 19 0.48% 14.0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47   47 4 4 8 4 59
계 7,951   2.0 3,947   20.5 총합계 103 3409 17 44   3578 107 1 7 11 13 161 1 4 8 37 350 19 3947

xiii xiv
요 약 문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 및 애로요인에 대한 설문분석을 실시(회수율10.1%) 1) 기초조사 결과

◦ 조사대상: 2011~2012년도 기술사업화 관련 정부지원과제 책임자(총 4,050명 대상) ◦ 기초조사 결과, 관련 법·제도적 지원 등 정책 측면에서 보면 모든 문항에서 2점
후반~3점 초반의 평균 점수를 보였음. 이는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정보 제공,
◦ 조사기간: 2014.11.28.~12.11(2주간)
네트워크 제공, 기술사업화 관련 교육/인력 제공, 초기 시장진입 지원, 정부의
◦ 조사내용: 기술사업화 정책 지원방향 조사
자금 지원, 적절한 행정절차 등에 대해서 정부 지원이 효과적이지 않음 시사
(성과 영향요인, 추진 애로사항, 연구자의 정책적 니즈)
◦ 외부환경 중 시장 측면 관점에서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 시장수요나 파트너
기관의 역량, 유사제품의 출현 등에 대해서는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됨

- 그러나 국내·해외 시장 진출 시 판로개척, 해외 시장 진출 시 관련 법 정보,


사업화 후 초기 단계에서의 위험성, 민간 투자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정부는 사업화를 하는 기관에 대해 판로개척, 관련 법 정보
에 대한 컨설팅 지원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정책 측면 관점에서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 정부 과제 선정과 기술담보·대출의


애로수준이 높았고, 정부의 수혜기업으로 선정되는 것을 가장 큰 부담으로 여김

- 실제적으로 많은 기업이 사업 설명회, 지원기업을 선정 단계의 자격 기준,


◦ 설문응답자는 사업화기술개발 유형 관측치가 345건으로 가장 많았고(86.0%),
제안서 작성요령 등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정부에
사업화전담조직 역량강화지원 23건(5.7%), 사업화 기술기획 13건(3.2%)으로 관측됨
서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지원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R&BD 기획지원, 성능과 기능점검·TEST 등 대부분의 유형 응답이 10건 미만
이었고 기술인증표준화지원, 기술인력현장지원 등 5개 지원유형은 응답 없음 2)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교차분석 결과
<표> 16개 유형별 설문 응답 비율
2개 성과 유형별, 목표시장별, 제품거래처별, 주요제품형태별, 산학연별 영향요인과
유형 분류 N % 애로요인과에 대해 조사
사업화 기술기획 13 3.2
기술사업화 사업화 기술개발 345 86.0 ◦ 먼저 영향요인 교차분석 결과,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높은 의지, 판매시장에
프로세스 사업화 시제품 제작 1 0.2
단계 성능과 기능점검·TEST 6 1.5 대한 이해, 높은 시장진입장벽 등이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화 제품생산(양산) 1 0.2 기술의 차별성, 관련 기술의 성장가능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R&BD 기획 지원 8 2.0
기술컨설팅 지원 1 0.2 - 반면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보호, 정부의 자금지원, 네트워크, 정부로
기술사업화
기술정보 DB구축 관리제공지원 1 0.2
지원활동 부터의 교육·인력지원 등이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기술거래 지원 1 0.2
단계
사업화전담조직 역량강화 지원 23 5.7
마케팅영업 컨설팅지원 1 0.2 ◦ 애로요인 교차분석 실시 결과, 공통적(또는 대부분)으로 답변된 문항은 조직측
총 합 401 100 면에서 사업화 자금력 부족(특히 중소기업), 시장측면에서 해외시장 진출 시

xv xvi
요 약 문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영업 또는 판로 개척의 어려움, 법·세제 등의 정보 부족, 민간투자자 연결, 도출되었고, 대상기술과 연구개발성과물간 인과관계 분석 결과(성과2) 기업과
정책측면에서 특허 등록·유지비용 부담, 정부과제 선정 등에 애로점이 존재 정부공공은 조직, 소비자는 시장측면이 성과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다고 보임

- 기술사업화 의지, 기술지도자의 지도, 기술완성도, 기초 원천기술, 차별성 등 ◦ 산학연별로 분석한 결과, 산과 연은 시장측면, 학은 조직측면의 계수값이 크게
기관 내부에서 해결가능한 부분에 대해선 애로점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나타나 가장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산의 경우 조직,
기술, 시장, 정책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됨
◦ 향후 성공적인 정책지원을 위해서 정부 자금 뿐만 아니라 판로개척, 민간투자
연결 컨설팅 등 기관이 하기 힘든 부분에 대해 지원이 필요 - 사업화 대상기술과 연구개발성과물간 인과관계 분석 결과(성과2)에서 산은
시장측면, 학과 연은 조직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주요 변수로 분석됨
3) 회귀분석 결과
◦ 종합적으로,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시장측면과 조직
 성과     요인가지   기업속성   측면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음. 이는 기술사업화 성과를 위해서 대상

<표> 기술사업화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요인(시장·조직측면) 기술의 시장규모, 시장의 성장가능성과 연구책임자의 시장에 대한 경험, 이해,
- 대상기술의 시장 규모 정보획득, 사업화 의지가 정책측면(기술사업화관련 교육, 인력, 자금지원), 기
시장 측면
- 시장의 성장가능성 → 술측면(대상기술의 독창성, 차별성 등)보다 더 중요한 변수로 판단됨
기술사업화 성과
- 연구책임자의 기술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 기술사업화 경험 (소기의 목표 달성 또는 4) 연구자의 정책 수요 조사 결과
조직 측면 - 기술사업화 의지 → 연구개발성과물)
- 조직차원에서의 기술사업화 정보 획득 ◦ 정부 지원을 받았던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책적 니즈는 정부예산증대(자
- 기술제공자 및 관련 기관과의 협력
금관련), 과제선정 증대(조건 완화), 공정한 평가, 중소기업 지원(인력), 성공과
제에 대한 장기지원, 기술료 감면 도입, 간편한 행정절차 및 명확한 자격조건
◦ 먼저, 기술사업화 프로세스(기술개발), 지원활동 프로세스 두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 등이 연구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됨
분석한 결과,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됨.
즉, 사업화 대상기술의 시장규모가 클수록, 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가능성 - 특히 공정한 과제 선정·평가·행정절차에 대해 많은 의견이 있었고, 중소기

이 높을수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 업의 경우 인력, 기술료감면 등이 기술개발에 효과 높은 지원방안이라고 제시

◦ 제품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제품형태가 기술, 부품, 완제품의 기관인 경우 사 - 기술사업화지원을 위해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책적 니즈로 인프라 구축,

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하기 위해서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가 네트워크 지원, 시설·장비구축 지원 등 물리적인 환경 개선에도 의견을 제시

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됨. 또한 대상기술이 연구성과물로 이어졌는지에 대


한 분석(성과2)에서는 기술, 부품, 서비스의 기관인 경우 시장측면, 소재, 완제 □ 기술사업화의 전략적 추진 방안
품의 기관일 경우 조직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어 제품형태별로 차 1) 조직 측면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주기적 산학연 공동 협력체제 구축 필요

◦ 거래처별로 분석한 결과,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소로는 ◦ 현행 PBS 성과제도 개선

기업과 소비자는 시장측면, 정부/공공기관은 조직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 기관간 유연한 특허 정보 공유·활용

xvii xviii
요 약 문

2) 기술적 측면

◦ 적시의 중단없는 사업화 후속연구개발 지원체계(Seamless R&D Process) 구축

◦ 전주기적인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3) 시장 측면
제1장
◦ 기술수요자 중심의 연구성과활용·확산 시스템 구축

◦ 글로벌 시장 대응 역량 강화 서 론
◦ 국내외 기술거래기관 활용·벤치마킹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홍보 지원

4) 정책적 측면

◦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을 통한 지식 및 정보, 인력 교류의 활성화

◦ 중소기업 자금지원을 위한 IP금융 정책 개발

4. 향후 과제

◦ 사업회 대상기술의 시장규모와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R&D기획 단계에서 부터


고려하도록 지원하고, 산·학·연 공동의 기술사업화공동사업 기획 및 사업성
높은 기술의 국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임

xix
제1장 서 론

1
제 절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R&D 투자율이 2012년 4.15%(54조 9,692억


원), 2013년 4.36%(61조 7,447억 원)로 총액 규모면에서 5위, 세계 1위로 세계 최고의
수준이다. MB정부에서부터 이어진 정부 R&D예산 5%로 확대 계획추진으로 2014년
정부 R&D예산은 17조 7,358억 원으로 확정되었고,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5.1% 수
준이다. 그러나 연구개발 성과를 따져보면 실제 사업화율은 1%대 이고, 경제협력개발
기구 국가 중 29위로써 하위권이고 기술이전율도 20% 미만에 머무르고 있다.1) 2000
년 이후 정부R&D 예산 투입은 양적으로 증가했고 R&D 성과를 통한 경제적 가치창
출의 중요성도 강조되었지만 기술무역수지, 사업화율 등 질적 측면에서 R&D성과는
활용과 확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급격히 증가한 정부연구개발의 투자가 성
과로 이어지기까지는 일정 시일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정부연구개발 예산이 꾸준히 증
가해왔기 때문에 오늘날의 성과 활용·확산 수준은 상당부분 개선되어야 할 시점에
도달하였다. 우리나라의 2012년도 기술무역수지는 57억 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
다. 이는 OECD 32개 회원국 중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앞으로는 보다
적극적인 성과 창출 노력이 필요하다.

공공부문에서 연구개발성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는 것은 기술개발자의 기술혁신


동기부여, 중소기업 육성과 더불어 국가연구개발2)의 생산성 제고에 기여하는 방편으

1) 2012년 공공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기술이전 건수는 5,193개에서 6,676건으로 전년대비


28.6%가 증가했다.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율도 26.0%에서 27.1%로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누적된 기술이전율은 18.6%로 여전히 낫다.
기술보유현황 기술이전현황 기술이전율(%)
누적 ‘12년 누적 ‘12년 누적 ‘12년
전체 190,280 24,661 35,299 6,676 18.6% 27.1%
공공연구소 127,040 12,179 23,351 4,245 18.4% 34.9%
대학 63,240 12,482 1,948 2,431 18.9% 19.5%

2) 국가연구개발은 공공, 민간부문에서의 연구개발 모두를 포함하는 범위이고 정부연구개발은 대학,


출연연 등 정부 투자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1장 서 론

로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새로운 산업, 시장, 일자리 정부가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
마련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과제로 기술사업화를 제시했 고 시장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끔 하는 등의 공정한 심판자 역할(아담스미
다.3) 박종복(2011), 권영관(2011), 이윤준(2013) 등 많은 연구에서도 기술사업화가 일 스, 1776)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전략을 개선하는 것에 연구 의의를 둔다.
자리 창출은 물론 신산업분야로 이어진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국가
위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 투자된 기술사업화 관련 R&D 사업 현황을 조
R&D예산은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산업적으로 부
사하고 이들 사업의 정부지원 유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술사업화의 범위가 기술
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시스템적 투자는 미흡한 상황이다(손수정외, 2009).4)
기획·개발부터 제품 생산과 수익 창출단계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볼 때, 기술사업화
정부투자가 불가피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은 기술이 혁신적이라고 하더라도 관 프로세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
련 시장이 활성화되기 까지는 시간이 소요되고 어려움이 존재한다. 즉 시장실패 발생 는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간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성 있는 지원전략을 발굴·
확률이 높은 것이다. 그러다 보니 우수한 기술이 개발되어도 추가적인 활용으로 이어 개선할 것이다. 지원전략은 연구현장 애로사항이 정부 정책 현황과 차이가 있는지도
지지 못하거나 기술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즉, 죽음의 계곡(Death Valley)를 점검해 볼 수 있다.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은 정책의 중요성과 더불어 지원 타당성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구개발 투자 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기술사업화 기반 구축에 힘쓰고 있고, R&D 성과확산을
위한 대응방안 마련을 중요시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시의 적절하게 기획·추진되고 있는지 우리는 살펴보아야 한다. 정부 R&D
투자가 좋은 의도를 가지고 정책을 펴는 만큼 투자 결과도 좋은 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점에서 R&D예산을 통한 기술사업
화 지원사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검토함으
로써 연구자 지원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관련 요인들은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과 정부R&D 과제 수행자가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과정
에서 겪은 애로사항을 실증적으로 조사해봄으로써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예정이다.

3) 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


4) 기술이 이전된 이후 기술사업화로의 성과 변화를 살펴보면, 이전된 기술이 성공적으로 제품, 서
비스 생산 및 공정개선에 활용되어 수익(매출)이 발생한 경우는 전체의 33.6%를 보인다. 1/3가량
으로 활용수준이 높게 여겨질 수 있지만 이전된 기술이 현재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36.8%,
기술 활용 및 사업화 현황을 모르는 경우가 16.6%로 합하면 절반을 넘는 53%를 차지한다.
<표> 기술이전 이후 기술사업화 성과의 활용 현황, KIAT(2013)
도입한 기술의 활용 현황 기술이전 계약 건수
제품, 서비스 생산 및 공정개선에 활용되어 수익(매출) 발생 2,956건 (33.6%)
활용을 위한 준비 및 진행 단계(시설투자, 추가 연구개발 등) 1,142건 (13.0%)
이전된 기술의 현재 활용되고 있지 않음 3,234건 (36.8%)
이전된 기술의 활용이나 사업화 현황을 알지 못함 1,459건 (16.6%)
유효한 기술이전 계약*건수 8,791건 (100.0%)

4 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1장 서 론

넷째, 정부 R&D를 수행한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부지원R&D성과가 기술

2
제 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사업화까지 이어지는 데 있어 연구자․기관의 특성, 과제 특성, 기술 특성을 비롯하여
해당 조직, 기술, 외부시장, 정부정책 등의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알아
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설문 결과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기술업
그레이드, 기술이전·거래, 제품판매 등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의 모형
을 도출했다. 또한 세부과제 책임자를 대상으로 기술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겪은 애
1. 연구의 내용 로사항을 조사하고 정부로부터 기대하는 정책적 수요를 발굴한다. 앞에서 도출한 기
술사업화 영향요인 분석 결과와 더불어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응답을 기대할 수 있
본 연구에서는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연구 성과와 민간에서 창출된 연구 성
다는 점에서 조사의 활용도가 높다.
과의 기술사업화 추진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수
마지막은 앞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학, 출연연, 기업이 보유한 우수 기
행했다.
술들의 사업화를 높이는 전략적 방안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첫째, R&D 성과의 확산․활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했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기술사업화의 개념을 설정하고 사업화 주체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는 직접적 사업화
활동과 사업화를 성공적인 방향으로 지원하는 간접적 활동으로 정부지원의 유형을 분
류했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 및 제도개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확인했다. 우리나라의 R&D 성과물이 시장으로 활발하게 진출되지 못한 요인
으로 연구자와 소속집단의 의지 및 역량 부족, 기술의 완성도·독창성 부족, 관련 정
보 획득의 어려움, 정책·제도적인 지원의 미비,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의 한계 등이
주로 제시됐다. 더불어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요
인들 가운데 조직, 기술, 시장,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하위 요인변수들을 설정하였다.
이들 요인에 대해서는 정부과제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둘째, 국내외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및 지원방안에 대한 문헌조사를 수행했다.


우리나라의 관련 법, 제도를 살펴보고 주요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술사업화 프로
그램을 소개한다. 이어서 미국, 영국, 일본, 중국 정부의 연구 성과 확산․활용 촉진 투
자동향 및 법․제도를 살펴보고, 정부가 지원하는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셋째, 정부연구개발투자를 통해 지원한 사업과 세부과제들을 분석한다. 사업의 경


우 2012년도 기준 연구개발성과확산,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 사업이 중심을 이루며 상 [그림 1] 연구의 흐름
세사업별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관련사업의 세부과제들을 앞에서 분류한 정부의
직·간접지원활동 유형별로 포트폴리오를 살펴본다.

6 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1장 서 론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틀은 아래 그림과 같다.

본 연구는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으로서 연구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


의 접근방법, 연구의 구성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제2장은 기술사업화의 개념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기초연구 성과 활용·확


산 촉진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더불어 기술사업화 추진 단계별로 논의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과 우리나라의 R&D성과 활용․확


산 촉진 관련 법 ․ 제도에 대한 문헌을 검토했다. 더불어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성과에 대한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2012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중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을 선정하여 사


업별 특성을 살펴보고 정부지원 유형을 분석한다. R&D과제를 통해 지원되는 유형분 [그림 2] 연구의 틀
포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부문을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앞서 수행한 선행연구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설문항목을 구성하여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성과에의 영향요인을 도출한다. 설문결과에 대한 기초
통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제 6장에서는 전략적 추진방안을 도출한다.

연구 내용 방법론 구성

문헌 기술사업화 정의, 국내외


정성적 문헌분석 1,2,3장
분석 정책 현황, 기존 선행 연구

정량적 분석
실증 기술사업화사업 특성 분석,
사업 분석, 4장
분석 정부지원의 활동 유형 분류
키워드 분석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
실증 기초통계분석,
기술사업화 추진 애로요인, 5장, 6장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책적 니즈

제 1장에서 제 5장 까지 문헌조사,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


론과 함께 기술사업화 추진을 위한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8 9
제2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 절1 기술사업화의 정의

1. 기술사업화 정의

기술사업화(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는 법적으로 ‘기술이전5)’(Technology


Transfer)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기술이전과는 다르게 기존의
보유 기술을 실용화, 시장화 또는 사업화하는 과정만을 따로 분리하여 정의된다.

[ 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14.4.23) ]

ㅇ (기술사업화) 개발기술을 직접 제조 활동에 활용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행위


(협의) 및 이를 촉진하기 위한 지원 활동
* 광의로는 기술과 직․간접으로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이 해당하나, 촉진계획에서는 법에
정의된 기술평가, 사업화금융지원, 기술자산유동화 등에 한정

ㅇ (기술이전) 기술자원의 성장동력화를 위해 공공연 보유기술을 기업에 이전하거나,


공동기술개발 ․ M&A 등을 통해 기술 전수

특허법 상의 기술사업화는 물건의 발명인 경우 그 물건을 생산·사용·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을 하는 행위로 정의(방법의 발명
인 경우에는 그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한다. 그 외에도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
한 법률」 등이 관련된다. 한편 WTO 「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에서는 사업
화 자체를 직접 지원하는 연구개발 보조금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대학 및 연
구소의 독자적 기초연구, 산업적 연구의 75%, 경쟁전 개발활동(상업화 이전)의 50%까
지는 지원이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5) 기술이전은 양도, 실시권 허락, 기술지도, 공동연구, 합작투자 또는 인수 합병 등의 방법으로 기


술이 기술보유자로부터 그 외의 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1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Teece, 1986)이라고도 정의된다.


신제품, 신공정 또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
산업적
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데 유용한 지식을 발견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계획된 연구
연구 협의적으로는 자체 연구개발 또는 외부조달을 통해 획득한 신기술을 생산활동(즉,
또는 조사
엔지니어링 및 제조공정활동)에 투입하여 대량생산을 통한 제품의 제작, 출하 및 판
경쟁전 산업적 연구의 결과를 새로운 제품, 공정, 서비스 개선을 위해 계획, 청사진 또는
개발활동 디자인으로 전환하거나 상업적으로 즉각 이용될 수 없는 시제품 개발 매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권영관외, 2011). Perkmann et al.(2013)은 대학 및 연구기
관으로부터 창출된 연구결과인 해당기술이 특허이전 또는 라이센싱과 같은 방법
기술의 원천에 따라 공공기술 사업화와 민간기술 사업화로 구분되는 기술사업화는 으로 정책·산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라고도 했다.
일반적으로 기술혁신의 전주기적 관점에서 ‘개발된 기술의 이전, 거래, 확산과 적용을 유사개념으로 통용되는 것에는 상용화, 실용화, 산업화, 기업화가 있다. 최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과 그 과정’으로 정의된다(박종복, 2008). 미국의 연구흐름은 ‘기술이전·사업화’ 용어를 사용하여 시장지향적 기술기획에서 신사업/
공공연구 부분(대학 등)에서는 기술사업화를 ‘기술이전’의 결과로 간주하여 ‘기술이전’ 신제품 개발 및 상용화까지 광범위한 범위를 포괄하기도 한다(양현모, 2011).
에 보다 큰 정책 비중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및 민간(기업)에서 개발된 기
연구자에 따라서 개념은 다소 차이가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상업화를 위한 목적으로 술을 이전, 거래, 확산하거나 제조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상품·서비스 등을 통해 부가
경제적 효과·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정혜순(2003)은 아이디어 발굴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으로 정의한다.
부터 시장에서의 독점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제반 활동이라고 했다. 이영덕(2005)은
자체연구개발 또는 외부조달을 통해 획득한 신기술을 생산활동에 투입하여 대량생산
하여 제품의 제작·출하 및 판매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제시했다. 최근의 연구에서도
그 맥락은 유지되는데, 보유기술의 잠재적 가치 실현을 위해 기술을 이전하거나 생산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절차라고 기술사업화의 개념
을 정의되기도 한다(STEPI, 2009, 이길우, 2013)

다양하게 논의되는 기술사업화에 대한 광의적 개념은 기술혁신의 전 주기적 관점에


서 기술사업화를 염두에 둔 연구 개발 계획 수립 또는 아이디어단계부터 포함하여 포
괄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다양한 혁신 주체들이 참여하여 연구 개발과 이를 통
해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도 하며(KISTEP, 2014), 산업적으로는
제품 및 공정개발에 적용 가능한 기술들이 개발 완료된 후 출시제품이 제작 완료되기
까지를 의미한다(KEIT, 2012).

중범위적 의미로는 개발된 기술을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하고 엔지니어링 기


술과 결합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시장도입 전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활동으로
개념을 제한한다. 앞서 제시한바 있는 새로운 기술을 소화하고 개량하여 기업생
산활동에 직접 응용하는 과정(이영덕, 2011) 또는 기술 지식을 통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로 연결하여 동적역량(dynamic capability)을 만들어내는 과정

14 1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제 절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및 유형

1.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앞의 기술사업화 정의를 이어받아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기술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체화 하고 시장에 판매하기까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일부 또는 전체의 과정으로 보겠다. 개발한 기술을 이전
[그림 4] Rothwell & Zegveld (1985)의 기술사업화 모형
또는 자체개발함으로써 사업화 대상기술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프로세스에 응용되거나
시제품제작, 제품생산·판매 등 시장에 진출하기까지 관련되는 전 과정이 해당된다.

[그림 3]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대한 접근으로는 선형적 접근과 비선형적 접근이 있다. 과


거에는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선형적인 모형으로 여겼었다. 기술아이디어 단계부터 시
장으로의 확장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선형적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는 Rothwell &
[그림 5] 기술사업화 4단계별 의사결정
Zegveld (1985)의 모형이 근간이 된다. 선형적 모형은 아이디어, 개발, 시제품 제작,
생산, 판매 그리고 시장의 진입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사회 및 시장
의 새로운 니즈가 신기술이 상호 진화하면서 영향을 받는 모습을 반영하지만 아이디 이후 실질적인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복잡성·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선형

어로 시작해서 기술이 시장에 등장하기까지 단편적인 기술사업화 흐름을 제시한다.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통합적인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모형들이 제시되기 시작했
다. 그중 대표적인 비선형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은 Jolly(1997)의 5단계 4전이 모
형이다. Jolly는 기술사업화과정에서 기술은 기술사업화의 핵심요소이며, 각 단계의
가치를 통합하여 해당 단계를 넘어가는 전이 과정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16 1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기술사업화 정책의 범위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예산의 정책 범위는 R&D예산 영역과 비R&D예산 영역


이 혼재되어 있다.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펀드·융자사업 등은 비 R&D 예산으로
분류되며 연구개발예산에서 융자지원은 원칙적으로 제외하나 상환이 면제되는
융자금은 포함하고 있다. 사업화 단계에서도 개량연구개발, 실증 플랜트, 시제품
제작 및 시험생산의 일부는 정부의 R&D예산과 비R&D예산이 혼재되어 있다.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정책 사업의 범위에는 R&D 기획, 기술전문가 컨설팅


자료: Jolly(1997)의 수정(산업연구원, 2011) 을 비롯하여 기술개발과 시장진출을 위한 마케팅 분야가 포함되기도 한다. 특히
주: R=연구, D=개발, E=엔지니어링, MF=제조, MA=마케팅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사업화 대상 기술의 시장분석과 전략수립에 어려움을 토로
단계 내용
하고 있어 정부의 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이 중요한 사안으로 간주되고
1. 착상 기술적 성과를 매력적인 시장기회와 접목시키는 단계, 대부분 시장의 관심을
있다. 기술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의 각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한다면 연구개발
(imaging) 얻지 못하며 이해관계자는 상업적 가치를 주관적으로 판단
성과는 후속 R&D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추가적인 기술사업화로도 이어질
2. 보육 새로운 아이디어의 사업화 가능성을 기술측면과 시장수요 측면에서 구체화
(incubating) 시키는 단계, 성공가능성에 대한 이해관계자 설득의 어려움 존재 수 있다.

3. 시연 신기술 제품의 시장진입에 따른 시장수용성을 높이는 단계, 고객에 대한


(demonstrating) 구체적인 설득 및 기술이용 사회·경제적 인프라 조성

4. 촉진 신기술 제품의 시장진입에 따른 시장수용성을 높이는 단계, 고객에 대한


(promoting) 구체적인 설득 및 기술이용 사회·경제적 인프라 조성

5. 지속 신기술을 이용한 제품이나 공정이 시장에 오랜기간 존속하면서 발생하는


(sustaining) 가치의 상당부분을 전유, 새로운 경쟁자 진입의 위협 존재

[그림 6] Jolly (1997)의 비선형적 기술사업화 모형

비선형적인 모형이 제시된 이후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적인 프로세스를 제시되었다.


Vohora et al.(2004)은 기술개발(Research), 기회포착(Opportunity Framing), 조직 전환
(Pre-organization), 방향성 조정(Re-orientation), 지속가능한 이익창출(Sustainable
returns)의 각각의 단계에서 단계사이의 피드백을 강조한다. 각 단계 사이의 피드백
프로세스가 선택메커니즘(selection mechanism)을 움직이게 하고 선택메커니즘을 통 자료: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산업연구원, 2011)

해 그 다음 사업화 단계를 대비하기 위한 역량을 축적한다고 보았다. 본 모형은 기업


사내 벤처의 분사(spin-off)과정, 대학의 고난도 기술집약적 기술의 사업화 과정을 중 [그림 7] 기술사업화 정책의 범위

심으로 하여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18 1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주로 이루


어지고 있으며 이외 미래창조과학부, 특허청 등에 일부 사업이 있다(STEPI,
2013). 사업 내용에는 기술이전・사업화 조직 및 기반 구축 지원, 이전기술에 대
한 후속 R&D 등이 해당한다.

3. 기술사업화 정부지원의 유형

기술사업화 추진 방법은 가장 대표적인 실시권 허여(기술 및 특허에 대한 라이


센싱)를 비롯해 특허‧기술 양도, 기술지도, 공동연구, 기술창업, 합작투자, 인수‧합
병 등 다양하게 있다. 대표적인 기술공급자인 공공연구기관의 경우 가장 선호하
는 사업화 유형은 기술이전(라이센싱)을 통한 간접사업화이나, 최근에는 기술출
자 등을 통한 연구소기업과 기술창업 등 직접사업화 방식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림 8] 연구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기술사업화 지원 활동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사업의 유형에는 사업화 대상기술에
대한 기술기획, 기술개발 부터 제품생산과 판매 단계 까지를 직접 수행하는 활동과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서 [1.사업화 기술 기획]은 기술·시장수요 측면에서 새로운
기술개발중심의 직접적 지원 외에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협력적인 지원 활동들이
아이디어의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대상 기술을 발굴하고, 개발된 기술을 기
있다. 기술개발 지원은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를 염두에 둔 연구개발, 기 완료된 연구
존의 것에 접목하여 제품, 공정 및 서비스의 기능·성능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거나 비
개발성과에 대한 후속 연구 및 성과활용방안 연구 등이 해당한다. 기술개발 이외의
즈니스모델을 전제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에 대해 R&D 전주기적 관점에서 사
기술사업화 지원에는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 컨설팅, 기술패키징, 매뉴얼
업화 계획을 구체화 하는 활동을 하는 단계이다. [2. 사업화 기술 개발] 단계는 자체
작성·제공, 기술정보 유통, 기술서비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대학, 연구소 등의
개발하거나 이전받은 기술이 최종 목표 수준에 도달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제품·서
기술이전전담조직의 역량 제고를 위한 기술이전 전담조직 지원, 기술사업화 기반을
비스 등의 개선을 위한 개발 활동을 한다. [3. 사업화 시제품 제작] 단계는 개발기술
조성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구현, 시설·장비구축, 기술금융·펀드조성 등 정책적 차
이 적용된 제품·공정·서비스를 시험제작하고 모의 생산한다. [4. 성능, 기능 점
원에서 가능한 지원 활동들이 있다.
검·TEST] 단계는 제품·공정·서비스의 성능과 기능을 점검하고 이를 피드백 하는
정부가 지원하는 기술사업화 관련 연구개발사업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단계로써 시장공개 전 단계에 해당한다. [5. 사업화 제품생산] 단계는 사업화 기술을
연구에서는 앞에서 구분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단계별 범위, 핵심 내용을 제 적용한 제품·공정·서비스의 시장진입을 위하여 판매용 제품을 생산한다. [6. 시장진
시한다. 출, 판매] 단계에서는 개발 기술이 적용된 제품·공정·서비스를 관련 시장에 출시함
으로써 매출발생을 위한 활동을 한다.

개발된 기술 적용의 효과성을 높이고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지원이 필요한


부문에 대해 아래 표의 10가지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유형을 구분했다.

20 2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기술사업화 앞에서 제시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Cooper(2001)의 신제품개발과정과 비교해보


활동 내용
지원활동 유형
면 두 개의 과정은 매우 유사하다. Cooper(2001)도 R&D사업의 목표는 창출된 지식을
1. R&BD 기획 기술완성도 및 시장수요에 기반한 상품개발과 기술사업화 모델 수립·개발 통해 가치를 생산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한 측면애서 R&D 투자 비중을 기획단계
지원 등을 지원하는 활동
20%, 기술개발단계 37%, 사업화단계 43%로 제시했었던 만큼 사업화의 비중을 중요하
2. 기술 컨설팅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경제성, 시장성, 권리성 등 기술가치의 평가를 전문
게 생각했다. 다만, 기업의 신제품개발 과정은 기업 보유 자원을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지원 적으로 지원하는 활동
진행이 가능한 반면, 기술사업화 과정은 사업화 주체가 해야 하는 역할과 외부 환경
3. 기술정보
사업화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술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발
DB구축·관리· 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조건이 함께 만족되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대
하게 제공하는 활동(예. NTB, 성과마루, 미래기술마당 등)
제공지원 학,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업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지만 현재 기술사업화의 주체들

4. 기술인증 사업화 대상 기술을 적용한 제품·공정·서비스의 시장 진출을 위하여 은 일반 사기업과 다르게 보유역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제도적·환경적으로 기술
·표준화 지원 성능·시스템을 인증하고 국내외에 기술을 표준을 지원하는 활동 연계 또는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적 도움이 요구된다.

기술이전 : 개발된 기술을 새로운 용도에 적용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넘겨


주어 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노하우를 전수·지원하는 활동 <표 1> 제품생산과정에 따른 기술사업화 활동 및 정부지원(예시)
5. 기술거래 지원
기술거래 : 개발된 기술들을 기술거래기관을 통해 중개·매매될 수 있도록
신제품개발과정 기술사업화 활동 정부 지원 유형
지원하는 활동
1. 아이디어 탐색
사업화 인력 양성·지원 : 기술사업화를 위한 전담인력 확충 및 업무 관련 전문가컨설팅(기술·시장)
2. 예비시장, 3. 기술 평가
6. 기술사업화 교육·훈련을 지원(예. 기술평가사 양성, TLO 전문가 육성) 기술마케팅/ 기술가치평가 간접적 지원
4. 시장조사, 마케팅연구
전담조직 역량 BM 개발/ R&D 기획
사업화 전담조직 지원 :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전·거래·사업화 전담조직이 5. 경영·재무분석
강화 지원 전문적 역량을 갖출수 있도록 육성 및 지원하는 활동 6. 상품개발 기술패키징/ 실용화 R&D
(예. TLO, 기술지주회사 설립·운영 등) (디자인 구성, 샘플 생산) 기술인력 현장 파견
7. 기술인력 현장 사업화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연구개발 전문가를 현장에 매칭·파견· 7. 내부(in-house) 상품테스트 R&D 지원
지원 지원하는 활동 8. 고객(현장)테스트 시제품 제작
9. 시장테스트·시제품판매 제품 테스트
마케팅·홍보 : 관련 시장 분석, 컨설팅 등 매매·거래 활성화를 위해 전략
10. 시(Trial) 생산
수립을 지원하는 활동
8. 마케팅·영업 11. 예비상업화 경영분석
국내 판로 개척 : 사업화 대상 기술·제품·공정·서비스의 국내시장 수용 기술사업화 매뉴얼 작성·제공
컨설팅 지원 12. 생산시작 간접적 지원
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및 시장진입을 지원하는 활동 기술서비스/ 글로벌시장 진출
13. 시장 런칭(출시)
글로벌 시장 진출 : 해외시장에서 사업화 대상기술·제품·공정·서비스의 전인력양성(교육, 훈련)
- 전담조직 지원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출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활동 TLO 설립

대학·출연연·기업의 기술사업화 추진과정에서 기술개발과 시장진입 저해 기술표준화/ 기술인증


9. 법·제도 개선 R&D지원
요인의 제거 및 사업화촉진을 위해 인프라를 개선하는 활동 기술거래 DB 구축
- 간접적 지원
기술거래·유통
10.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위험부담 경감과 신산업분야 중소기업 육성 (제도,인프라 등)
기술금융 및 펀드조성
금융지원·펀드 등을 위해 금융애로가 높은 사업화를 지원하고, 투·융자의 다양화 및
자료: Cooper(2001)의 신제품 개발 과정을 기술사업화 활동과 비교
조성 펀드를 조성·확대하는 활동

22 2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인한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대규모로 확대된 것에

제 절3 기술사업화에 대한 선행연구
기인하는바가 컸다. 대규모 재정 지원 및 관리를 위한 국가적 수준의 혁신이 도
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사립대학에서만 해당하던 각 대학의 기
술개발과 특허출원의 개별적인 관리가 공립 및 주립대학으로 확대되었다. 그에
발맞추어 각 대학의 내부적인 기술정책들도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추
가적인 대학 펀딩 규제완화로 인해 사립대학과 국공립, 주립 대학을 불문하고 대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 연구는 2000년
학에서의 특허 출원과 라이센싱 건수 등의 기술 사업화 성과가 가시적으로 증가
초반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Bayh-Dole 법안 이후에 기술사업화의 국가적
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미국 대학의 특허출원의 증가와 기술사업화의 증가는
시스템이 많이 변화하면서 그에 대한 파급효과 측면의 기술사업화를 분석하는 논문이
종전 이후 대대적으로 지원이 확대된 정부적 재원의 역할이 컸다. 그에 따라 국
많았다. 법률적 규제의 변화와 같이 산업 환경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변화함
가적 관리 시스템과 사립 및 주립 대학의 내부적 기술 개발 및 관리 정책 등의
으로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부터의 사업화가 급격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개선이 기술사업화 성과를 개선하는데 역할을 하였다.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연구는 기업과 대학, 공공연구기관등 사업화를 실행하는 주체
특정 대학에서 기술기반의 창업기업들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하면서 기
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기술수명주기, 산업, 환경 등 다양한 고려요소들이 반영된
술사업화 성과의 원인을 연구한 논문도 주목할 만하다. Di Gregorio and Shane
연구모델들이 문헌에서 발견되었다.
(2003)은 미국 대학의 기술관리자 협회(AUTM: Association of University
본 절에서는 그러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문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향후 본 연구 Technology Managers)에 소속되어 있는 116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
에서 설문에 필요한 변수 또는 연구 개념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절에 제시 였다. 해당 설문을 통하여서 대학에서의 내부적인 정책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
된 연구들이 사용한 변수들은 주로 공공연구소인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 일반 사기 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사업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업인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을 연구의 기본 단위로 인식하여 연구 대상의 특성을 변수 있는 네 가지 조건에 주목하였는데 첫째는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의 역할
화 했다. 이다. 벤처캐피탈을 통해 사업화를 진행하려는 기업은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성 관리 까지 가능해진다. 벤처캐피탈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1. 국외연구
필요한 자원과 시장을 적절한 시점에 물색할 수도 있다. 둘째는 상업화 중심의
연구(commercially-oriented research)이다. 사업화가 가능한 연구를 중점적으
해외에서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에 많은 관심을 보여 왔다.
로 실행하는 대학이나 연구기관일수록 정부의 지원을 받기가 쉽고 시장성 중심
Mowery와 Sampat은 1925년부터 1980년까지 약 반세기 동안의 미국 대학에서
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자금의 지원을 받을수록 기업과 투자자 사이의 정보의 비
출원된 특허의 동향을 거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의 특허출원과 출원을 통한
대칭 문제가 줄어들어 사업화의 실패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지적
기술사업화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그들에 따르면 1970년을 기점으로 대학에서
우월성(intellectual eminence)이다. 연구 성과가 더 많고 지적으로 우월한 연구
의 기술에 대한 관점이 많이 달라졌고 그에 따라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이
자들은 우월한 기관 또는 학교로 몰리게 되며 그럴수록 우월한 기관에서의 성과
크게 변화하였다. 대학이 기술을 공공을 위한 재화일 경우에만 특허출원을 하던
는 더욱 증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한 조건이 대학의 정책(university
관행을 멈추고 더 나아가 기술적인 개선이 있는 경우에도 특허를 진행하는 등 더
policies)이다. 대학이 기술사업화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설정하는 것이 기술사업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기술개발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화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은 직관적이고 자명한 사실이다. 해당 조건에서는 구체

24 2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적으로 특허와 라이센싱 투자에 대한 내부적 지침, 로열티 수준 설정을 하는데 연구를 꼽을 수 있는데 저자들은 미국에서 2002년 사업화 진행한 81개의 대학
있어서 근거 등의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다양한 대학의 제도가 어떻게 영향을 미 연구공원 (university’s research park)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이들은 대
치는지 분석하였다. 학 연구공원에서 창업한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대학과 시장과의 물리적인 거리
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설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기술사업
Siegel et al.(2003)에 따르면 조직의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화를 진행하여 창업하는 경우 시장이나 관련 지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업화
것은 사업화를 진행하는 연구자 또는 교수의 의지이다. 또한 연구자들에게 동기를 부
가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의 물리적인 거리와 위치에
여하기 위한 보상체계, 직원의 보상제도 등이 사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
따라 사업화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드러났다.
였다. 저자들은 대학에서의 기술이전기관(TTO:Technology Transfer Offices)에서의
생산성 변화와 그에 영향을 가져오는 환경적인 요인, 제도적인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의 네트워크 또는 비공식적인 인맥(informal interaction)이 사업화에 미치
그와 더불어 98명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55번의 인터뷰에서 보상체계의 중요 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도 존재한다. Boardman의 2008년 연구에서는 사업화의 성과에
성과 문화적인 요소가 주요한 요인임을 증명했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력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꼽았다. 대학과 여
러 연구기관에 소속 경험이 많은 인력일수록 연구에 필요한 자원이나 정보를 수집하
De Coster과 Butler (2005)는 영국 대학들에서부터 기술기반의 기업이 탄생하
기가 쉽고 이것이 산업적인 성과로 연결된다는 것이 Boardman이 주장하는 바이다.
는 경우, 해당기술을 어떻게 보호하고 침해 위험성을 관리하느냐에 따라서 사업
저자는 전미 지역의 생물학 연구자들 중에서 연구기관이나 연구센터와 같은 조직에
화의 성과가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기술적인 위험성과 기술 프로세스의 수명주
소속되어 있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와 같은 결과를 찾게 되었다.
기에 따라서 사업화의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본 연구였다. 영국의 14개
대학에서 스핀오프(spin-off)하여 창업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앞에 Thursby, Fuller, Thursby의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대학 기술사업화의 전성시
서 언급한 바와 같은 기술적 주요 변수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주요한 두 가지 대를 이끌어낸 규제완화정책에 관한 분석을 실시했다. 1980년대의 미국의
변수 중 하나가 제품의 혁신 정도이며 그것을 관리하는 기업의 위험관리능력이 Bayh-Dole 법안으로 인한 규제적 변화가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에 큰 영향을
사업화의 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혔다. 주었고 이 과정에서 법안 통과 전후의 사정을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구체적
으로 Bayh-Dole법으로 인하여 연구자가 대학에서 개발한 발명기술에 대한 소유
해외 사례연구 중 Gubeli와 Doloreux (2005)연구에서 흥미로운 기술사업화 사
권을 주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학의 기술사업화는 기초연구 분야, 기업의 기
례를 찾을 수 있었다. 그들은 스웨덴 대학에서의 스핀오프 창업기업들을 대상으
술사업화는 응용연구 분야로 연구 추진의 방향성 변화가 드러났다.
로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에서 기술적인 요소로 가장 중요하게 간주한 것은
기술적인 협력(technological collaboration)이다. 그 이유로는 대학에서 개발된 5,811개의 특허를 다중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 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
기술을 해당 기업이 사업화를 진행하는 경우 보육이전단계(pre-incubation 서는 기존의 연구 문헌에서의 흐름과는 다르게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관점을
period)인 사업화 초반에는 대학으로부터 사업화에 필요한 인프라와 전문성 등의 다르게 접근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해 낸다면 대학내부에서 발명
지원 및 후원이 창업기업에게 있어서 결정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자들을 우선시하는 로열티나 인센티브 시스템의 개발이 사업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사업화 이후에 성장이 가속화되면 지역이나 사회의 특성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것이다. 또한 대학기술이전기관에서의 낮은 로열티 비율이 성공률을 증가시킬 수 있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초기단계에서는 혁신에 필요한 기술적인 성과는 을 것이다. 이것은 매출의 일정규모를 공유하는 일반적인 기술이전 방법론보다 효과
대학과의 기술적, 전문적인 연결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논의하고 있다. 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경우에는 스웨덴과 다소 차이가 있다. 미국의 실증연구로 Link와 Scott의 최근에는 재원(펀딩)의 성격에 따라서 기술사업화의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

26 2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을 증명한 내용도 존재한다. Guerzoni, Aldridge, Audretsch, Desai의 2014년 로 사업화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책임자 1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데이
Research Policy 논문에서는 펀딩의 원천에 따라서 대학의 사업화가 영향을 받 터를 수집한 것이다. 요인분석을 통하여서 해당 연구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 영향요인
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들은 대학에서 출원되는 특허의 독창성 중에서 특별히 언급하고자 하는 기술요인은 모델의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originality)을 인용횟수(citation)를 기반으로 허핀달지수(Herfindahl Index)화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기술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기술 성숙도, 기술복잡성, 그리고
하여 사업화의 성공여부를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기업 또는 정부로부터 받 기술 신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세 가지 변수 모두 사업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은 펀딩보다 대학에서 펀딩을 받을 경우 성과로 나타나는 특허들의 독창성이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 수명주기에서 기술이 성숙할수록, 기술에 대한 신뢰
높았다. 이것은 사금융 또는 정책금융을 통한 자금 확보는 그 성격상 단기적인 가 많을수록, 그리고 기술이 복잡할수록 기술사업화가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
성과를 나타내기를 원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기업이나 정부로부터의 단했다.
펀딩은 새로운 과학적인 지식이나 기술적인 발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주는데
기술사업화를 통한 시장에서의 추격과정에서 필요한 시장적인 요인을 분석한 논문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대학에서 장기적인 지원 성격이
도 또한 존재한다. 김혜전, 장성용, 송재용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사업화의 과정에서
강한 펀딩을 통한 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가 성공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의 기존 선도자와 경쟁하기 위해 후발자의 추격에서 주요한 것은 시장 진입 시간
의 차와 내,외부 자원의 영향의 차이이다. 그 중에서도 후발자는 시장에서의 자원상황
2. 국내연구
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마케팅 역량으로 선발자의 우위를 극복할 수 있기 때

국내에서의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2000년대 이후에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문에 시장적인 요소로서 마케팅 역량이 매우 중요했다.

특히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의 관점에서 사업화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 황경연과 성을현 (2014)은 대덕 연구개발 특구 내에 위치해 있는 정부출연 연
된 것은 2000년대 후반으로 미국과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기가 늦었다. 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은

국내 논문에서 다양한 고려요소를 동시에 분석한 논문이 있다. 해당 연구는 인력요 102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수행 결과 정부출연연구소로 부터 도입된 기

소, 조직요소, 그리고 환경요소들이 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내용이다. 술은 시장성이 높을수록 사업화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옥주영과 김병근 (2009)은 기술혁신연구에서 국내 공공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 효율성 관측 되었다.

을 분석하였다. 저자들은 의사결정단위의 효율성을 추정하는 기법의 하나인 확률적 김용정(2013)은 기초연구분야의 연구성과 활용·확산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프론티어 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통하여서 공공연구기관들의 기 연구자의 기술이전 경험, 성과확산에 대한 의지, 후속연구의 연구기간을 제시했
술이전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앞선 해외연구들에서와 같이 국내 연구기관 다. 따라서 기술이전 경험이 중요한 만큼 연구자에게 성과 활용·확산에 대한 동
들의 연구개발비, 기관의 유형, 기관소재 지역, 보상시스템 등과 같은 조직요소들 기를 부여하고 참여연구원의 보상을 확대하는 한편 불확실성이 높은 기초연구의
과 환경요소들이 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과제의 경우 신규과제이외에도 우수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중요하다는

또한 학위논문에서도 요인들을 탐색한 경우를 찾을 수 있었다. 김현식(2009)의 국가 점을 알 수 있다.

연구 개발사업 성과의 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영향요인을 도


3.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의 유형화
출하였다. 해당 요인들은 기술 제공자적 요인, 기술 수요자적 요인, 기술적 요인, 관계
적 요인 그리고 정책 환경적 요인이다. 해당 다섯 가지 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해 저자
기술사업화는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완성
는 기술이전 시스템 전체적인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이것은 국가연구 개발사업 성과
된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에

28 2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서도 실증적으로 요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 또한 지속적으로 진


기존의 국내 및 해외의 선행 연구를 통해 드러난 연구기관, 대학 또는 기업에
행되어 왔다.
서의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및 조직적 요소는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앞서 언급하였던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 연구담당자 또는 교수·기업가의 사업화 의지와 경험, 연구성과 활용·확산에 대한
어 정리하면, 첫째 인력 및 조직적인 요인은 산·학·연의 조직 내부의 인적 자원과 인센티브, 공식·비공식 네트워크 및 교류, 연구개발비의 원천 등을 대표적으로 꼽
그 자원을 지원하는 제반사항 등을 조직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둘째 기술적인 요 을 수 있다.
인은 대상기술의 이전·추가개발 등 사업화 진행하는 기술에 중점을 둔 관점이다.
셋째 시장적인 요인은 개발된 기술이나 제품에 대한 수요 또는 소비자를 만나는
2) 기술적 요인
데 있어서의 환경에서 접근하며, 넷째 제도적인 요인은 규제와 정책 등 정부 지
원과 관련된 내용이다. 기술적 요인은 사업화에 필요한 기술의 다양한 특성과 기술적인 환경에 따라 사업
화 성공여부가 결정되는 이유로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내용에서는 기술적인 특
1) 조직 요인 성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개발된 기술의 완성도, 기술의 독창성, 기존기술 또는

연구 대상 연구소, 기업, 대학등의 연구 조직에서 사업화를 하는데 필요한 개인이나 제품과의 연관성 및 연계성, 신기술 및 신제품의 보호 가능성 등과 같이 기술의

집단으로서의 인력의 특징이나 성격을 조직요인으로 본다. 예를 들면 대학 특성에 따라 변하는 기술사업화의 성과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의 기술사업화 전담부서의 인력 특징이나 지원정 다양한 연구들 중에서도 기술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해외연구의 경우
도, 기술사업화를 위한 조직적인 재정(펀딩)의 성격 및 확보, 전담인력이나 실무자 또 De Coster and Butler (2005), Gubeli and Doloreux (2005), 국내연구의 경우에는 김현
는 최고경영자, 최고책임자의 사업화 의지 등이 포함된다. 식 (2009)을 꼽을 수 있었다. De Coster and Butler의 경우에는 기술의 침해성과 기

이에 해당하는 해외 연구로는 Siegel et al. (2003), Di Gregorio and Shane (2003), 술의 위험관리를 기술적인 요인으로 제시하였는데 이것을 기술적인 특성으로 보았을

Boardman (2008), Thursby et al. (2009), 그리고 Guerzoni et al. (2014)가 있고 국내 때 사업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Gubeli and Doloreux 역시 기술적인

논문으로는 옥주영, 김병근 (2009) 등이 있다. Siegel et, al.(2003)에 따르면 연구자 또는 요소로 사업화를 진행하는 기관과 기업 사이에서의 기술적 협력 정도를 제시하였다.

교수의 의지와 같은 인적자원의 특성이 기술사업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Di Gregorio 김현식(2009)은 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의 성숙도, 기술의 복잡성, 기술의 신뢰

and Shane(2003)는 기술사업화에 대해서는 대학, 연구기관의 태도가 가장 영향력이 성 등이 주요한 요인임을 도출했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이 연구중심일수록 기술사업화의 성공이 클 것이기 때 대학에서의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사업화 뿐만 아니라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문이다. 즉 연구자들은 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주는 존재가 된다. 김용정(2013)은 의 기술사업화에서도 기술적인 요인은 대단히 주요한 결정요인이었다. 기술적인
사업화 의지와 경험, 연구성과 활용·확산에 대한 보상이 중요하다고 했다. 요인에 대해서도 기술위험성 관리, 기술성숙도, 기술복잡성, 기술신뢰성, 기술적
Boardman(2008)은 연구자들의 연구 네트워크 또는 비공식적인 인맥이 중요하 인 네트워크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다고 주장했으며 Thursby et al. (2009)은 기술료의 로열티 또는 인센티브가 중 더욱 정교한 기술사업화의 기술적인 영향요인 검증을 위해 기술요인들의 통합적
요하다고 피력했다. Guerzoni et al.(2014)는 가장 최근 논문에서 펀딩의 원천의 인 분석이 앞으로의 연구에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요성을 강조했고 이것은 펀딩의 성격과 출처에 따라 사업화의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3) 시장적 요인

30 3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기술을 제품화, 상용화하여 사업화를 거치는 프로세스에서 시장의 영향도 무시할 기술사업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제도와 규제, 정책 환경적인 기반은 중요하다. 그 중
수 없다. 결국에는 최종 수요자들인 소비자들의 입장이 반영되는 제품이 경쟁에 에서도 정부의 지원 정책과 산업적인 규제는 사업화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기도 하지
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에서는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시장의 수요가 만 방해요소가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공공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대학과 일반 중
존재하지 않거나 시장이 준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업화가 중단하거나 실패에 이를 수 소기업들은 정부의 규제변화에 따라서 사업성의 존폐를 논할 수 있을 만큼 긴밀한 상
밖에 없다. 기술의 사업성이 중요한 만큼 기술사업화도 궁극적으로는 시장의 반 관관계를 보인다. 그러므로 제도적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사업화 성과를 분석
응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는데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 중 시장의 중요성을 검증한 연구는 다양하다. 시장의 수용준비성, 현재 정부적 차원에서 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 또는 지원책 등은 점차
시장 출시 시기의 적절성, 시장의 규모 등과 같이 사업화 시점에서 시장의 현재 구체화되고 있으며 그 숫자도 증가추세에 있다. 기술사업화 자금을 직접적으로 지원
상태를 주목한 연구도 존재하는 반면, 시장점유율의 확보 가능성, 시장의 성장성 하거나, 세제 감소 혜택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담보대출 기준 완화, 기술평가제도 명
과 같이 시장의 미래 상태를 예측하여 고려할 수도 있다. 확화 등의 세부적인 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술지도 및 기술컨설팅 등을 통하여
기술사업화에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 기술사업화 이후 시장성을 담보
앞서 언급된 연구들 중 시장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기존의 문헌은 Link and
하기 위한 제품 우선 구매제도 또한 향후 정책적인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다.
Scott (2005), 김혜전, 장성용, 송재용 (2012), 황경연, 성을현 (2014) 등이 있다. Link
and Scott은 대학에서의 기술사업화 환경에서 시장의 물리적인 거리에 관심을 두었 제도적인 요인들을 대표하는 연구들로는 Mowery and Sampat (2001), Di Gregorio
다. 대학과 시장과의 위치적인 관계가 시장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증명했다. 김혜 and Shane (2003), Thursby et al. (2009)을 꼽을 수 있었다. Mowery and Sampat은
전 외(2012)는 기술사업화 과정에서도 시차를 두고 기술의 격차를 좁혀가는 후발주자 거시적인 관점에서 규제와 제도변화에 따른 대학에서의 사업화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특별히 기업이 경쟁자와 기술격차를 좁히는 기술적 추격에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기술과 규제의 관계를 서술하였는데 이것을 통해 미국의 전 국
집중하는 경우에 시장에서의 자원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가적 혁신 시스템과 대학 내외부의 특허 관련 정책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Di
실증적으로 기업 내외부의 마케팅 역량을 통하여서 사업화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 Gregorio and Shane은 대학에서의 기술기반 창업이 대학의 내부적인 정책과 어떻게
으며 이것이 기술사업화의 시장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황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기술사업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네 가지 조건을 제
경연외(2014)는 기술의 시장성과 경영성과를 연구하였다. 기술의 특성이 기술사업화의 시하면서 대학에서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검증한 다음, 기술사업화의 성과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 네 가지 조건 중 제도적인 요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특히 대학의 정책(university
를 분석하였는데 기술사업화 성과의 매개효과를 볼 수 있었다. policies)인데 이를 통해 대학에서의 라이센싱, 기술료 수입, 로열티 비율 등 제
도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그 외도 연구성과 활용·확산에 대한 보상과 후속연구
이 외에도 제한적으로 시장적인 관점을 반영한 De Coster와 Butler (2005)는 시장에
에 대한 지원의 영향력이 크다고 했으며(김용정, 2013), Thursby, Fuller,
서의 만족도(satisfaction)와 시장의 시기적절성(timeliness)을 추가적인 변수로 포함하
Thursby은 1980년대의 미국의 Bayh-Dole 법안으로 인한 규제적 변화를 제도
였다. 김현식(2009)은 5가지 영향요인 중 정책 환경적 요인으로 시장의 규모를 고려했
적 요인의 예시로 제시했다.
지만 요인분석 중 낮은 설명력으로 인해 최종 모델에서는 제거되었다.
지금까지 본 절에서 정리한 내용은 크게 네 가지 주요 요인인 인적, 조직적 요인,

4) 정책적 요인 기술적 요인, 시장적 요인, 제도적 요인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세부적인 내용은 [표.
기술사업화의 영향 요인별 연구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적 및 조직적 요인에서

32 3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2 장 기술사업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주목할 만한 변수로는 연구자 또는 교수의 연구에 대한 보상체계, 직원의 보상체계, 팅 역량은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추격자의 입장에서는 선도자의 기술격차를 줄이
비공식적인 연구 네트워크, 조직의 연구비 원천 등을 꼽을 수 있었다. 기술적인 요인 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마케
으로는 기술의 위험성, 기술네트워크, 기술성숙도, 기술복잡성, 기술신뢰성 등이 기술 팅 역량 향상으로 기술사업화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시장에서
사업화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시장적 요인으로는 시장과 제품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반응이 나타난다면 기술사업화 뿐만 아니라 기업 자체
의 적합도, 시장성의 준비정도, 시장의 물리적인 거리, 시장에 어필할 수 있는 기업의 의 지속가능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마케팅 능력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외부의 규제, Bayh-Dole과
본 연구는 주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을 조직, 기술,
같은 국가적 정책 변화, 그리고 펀딩규제 완화로 인한 영향력이 대표적인 제도 요인
시장,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적절한 요인들을 선정·구체화하고 설문 분석을
으로 나타났다.
실시하고자한다. <표2>에 도출된 요인들은 정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연구자
이러한 네 가지 주요 요인을 기술사업화를 진행하는 주체인 대학, 정부출연연구기 를 대상으로 조사할 설문 항목의 토대가 될 것이며, 기술사업화 추진시 성과에
관, 그리고 일반 기업의 관점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학의 관점에서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게 될 요인들과 실제 겪는 애로사항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사업화를 진행한 현상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자의 의지, 연구자에 대한 보상,
연구자의 비공식적인 연구 네트워크 등이 대학에서의 기술사업화에 영향이 미치는 것
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주로 대학에서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 또는 교수의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다. 대학 내부적인 규제가 변화하는 경우 사업화에 영
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모형의 경우 설명력은 개인적인 특성보다 다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센터등과 같은 공공연구기관의 관점에서 본 변


수들은 다음과 같다. 정부출연연구소의 특성상 새로운 기술개발실적은 타기관에 비해
우수하지만 실질적으로 해당 기술을 사업화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이 많이 관찰된
다. 이로 인해 기술제공자로써 연구개발능력, 사업화 참여의지 및 노력, 시장 지향적
사고, 인력들에 대한 인센티브, 기술의 시장성, 그리고 연구소의 소재지역이 기술사업
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일반 사기업의 관점에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가장 우선적인 고려요소


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중소기업 또는 대기업이 기술사업화를 진행하는 경우에
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시장의 상황이나 경쟁과 관련
된 많은 변수들이 주된 영향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연구한 기업
의 관점에서 주된 영향요인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기술사업화를 진행하는 시장
에서의 후발주자 기업은 선도자와 경쟁하기 위해서 시장의 진입 시간차와 내·외부
자원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시장에서의 내·외부 자원 중에서 특히 마케

34 35
<표 2> 기술사업화의 영향요인별 선행연구
  저자 (연도) 조직 요인 기술 요인 시장 요인 정책 요인
국가적 혁신
시스템,
Mowery and
      특허출원·유지
Sampat (2001)
프로세스,
관련 법안
Di Gregorio
사업화에 대한
태도,
벤처캐피탈
관련 제도,
제3장
and Shane    
연구자들의 연구기관의
(2003)
Siegel et al.
지적 우월성
연구자들에
내부 정책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2003) 대한 보상체계
기술의 침해성, 시장에서의
DeCoster
기술의 만족도,
and Butler    
해 위험관리 시장의 시기
(2005)
외 적절성
Gubeli
기술적
and Doloreux      
협력정도
(2005)
연구기관과의
Link and Scott 물리적 거리,
     
(2005) 시장과의
물리적 거리
Boardman 연구자들간
     
(2008) 연구 네트워크
Thursby et al. 기술료 로열티, Bayh-Dole
   
(2009) 인센티브 법안
Guerzoni et al.
펀딩의 원천      
(2014)
연구개발비
옥주영, 김병근 기관 소재
기관의 유형    
(2009) 지역
보상 시스템
기술제공자-수 R&D 투자의
기술 성숙도
요자간 협력 정도, 일관성,
김현식 (2009) 기술 복잡성  
기술사업화 기술사업화
국 기술 신뢰성
네트워크 지원 프로그램

김혜전,장성용, 시장진입시점,
     
송재용(2012) 마케팅 역량
황경연,성을현
    기술의 시장성  
(2014)
연구자 경험, 후속 연구의
김용정(2013)
성과에의 보상 지속적 지원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우리나라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지


제 절 1

1. 정부 기술사업화 정부 R&D 투자 동향

정부는 ’17년까지 총 연구개발비 규모(정부+민간)를 GDP의 5% 수준까지 단계적으


로 확충할 계획이며, R&D규모는 향후 2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양적
확대와 더불어 정부 R&D투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의 성과를 확산,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표 3> 14~18년 정부 R&D 투자 규모(부처 요구)


(단위: 조 원, %)
연평균
구 분 ’13 ’14 ’15 ’16 ’17 ’18
증가율
’13∼’17년
16.9 17.5 18.3 19.1 19.9 4.3
국가재정운용계획
’14∼’18년
17.7 20.5 22.6 24.2 24.7 8.6
(부처 요구)
자료: 2013~2017년 국가재정운용계획, 2014~2018년 부처 중기사업계획서

정부의 ’14~’18 R&D투자의 기본방향은 R&D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창


조경제 조기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창조경제 성과 창출·확산 및 미래성장동
력 육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무 강화를 위한 R&D분
야에 중점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투자는 창조경제형 연구개발 시스템을 구축하
여 R&D성과를 새로운 시장·기술·일자리 창출로 연결시키고, R&D 투자의 내실화
를 통한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를 주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3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표 4> 정부 R&D 투자의 기본방향 기술사업화는 창조경제 성과 창출 및 확산분야에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써 정부

목표 R&D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창조경제 조기 실현 투자가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15년 제시한 정책 전략은 크게 5 가지 이다.

<표 5> 창조경제 성과 창출 및 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전략


규모 적정 수준 증가율 유지 (GDP 대비 5%)
① 상용화 목적 R&D사업의 기술이전 ‧ 사업화 중심 R&D전주기 재편

② 기술이전 이후 애로요인 해소를 위한 후속 R&D 지원 강화

<창조경제 성과 창출 및 확산> ③ 공공·민간 TLO의 연계 강화 및 TLO 역량 강화 지원


①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에 대한 지속적 투자 확대 ④ 기술이전 및 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고도화
②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투자 강화
⑤ 중소기업의 성장·도약을 위한 정부 R&D 투자 확대
③ 중소기업의 성장·도약을 위한 투자 확대

우선, 정부는 상용화 목적 R&D사업은 R&D전주기(기획-연구-관리·평가)를 기술


중점
<미래 신성장동력 육성> 이전‧사업화 중심으로 재편하고자 한다. 기술수요자 또는 기술사업화 전담기관‧조직의
투자
분야 ④ 과학기술 ‧ ICT와 융 ‧ 복합을 통해 기존산업의 경쟁력 제고 R&D기획 참여를 활성화시켜 수요자 니즈 및 시장 상황을 고려한 R&D기획 체계를
⑤ 신시장 선점 및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신산업 발굴·육성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응용·개발 및 원천기술 획득 목적의 과제는 기획단계
에 IP 환경 분석, 시장성·경제성 분석, 사업화 기획 등을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사
업화 전주기형 R&D과제*의 비중을 확대하여 개발기술의 활용 가능성 및 상용화 성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무 강화> 공 가능성을 제고하겠다는 의미이다. 이를 위한 TLO의 사업화 기획, 비즈니스 모델
⑥ 국민안전을 보장하는 공공기술개발 투자 강화
기획 및 사업화 컨설팅, 그리고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후 상용화까지의 지원을 포함한다.
⑦ 삶의 질과 밀접한 국민체감형 R&D 투자 강화
두 번째 전략은 기술이전 이후 애로요인 해소를 위한 후속 R&D 지원 강화이다. 기
술도입을 희망하는 수요자를 발굴하여 공동으로 기술완성도를 제고하고 애로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후속 R&D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R&D 투자의 효율화·내실화>
⑧ 창조경제형 연구개발 시스템으로 개편 추진 세 번째 전략은 공공·민간 TLO의 연계 강화 및 TLO 역량 강화 지원이다. 공공·
효율화
· ⑨ 연구 시설·장비 투자 내실화 민간 TLO 연계를 통해 대학·출연연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기업수요에 맞게 포트폴
내실화 ⑩ 개방형 융합연구 촉진을 위한 제도적 정비 리오화하여 보유기술·수요기업 간 접점을 극대화하고, 시장확대는 물론 기술금융까
⑪ 세출구조조정(유사·중복 정비,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전환 등) 지의 연계를 추진한다. 장기적으로 TLO가 자립할 수 있도록 TLO의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지원 방안이 마련될 것이다.

네 번째 전략은 기술이전 및 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고도화이다. 기업이 필


요한 공공부문 R&D 성과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기술 DB의 양과 질을 높이고, 기술

40 4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정보 기반 新비즈니스 창출을 촉진한다. 예를들어, 비즈니스 관점에서 연관 사업화 가 <표 7>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주요내용
능분야 정보 제공을 강화하여 NTB, 기술은행 등의 활용률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기 구분 주요내용
업의 기술거래기관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바우처’ 제도를 활성화하고, 민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내용) 기술이전사업화 정책목표 및 전략, 기반확충, 기술
간 기술거래기관의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할 것이다. 촉진계획 수립 평가 및 금융지원, 기술자산 유동화 등에 관련된 사항
(제5조) (추진현황) 제4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및 현재 시행 중
마지막은 중소기업의 성장·도약을 위한 정부 R&D 투자 확대이다. ‘벤처·창업 →
기술이전사업화 정보의 등록(NTB 운영) 및 제공
중소기업 → 중견기업 → 글로벌 전문기업’으로의 성장사다리 구축을 위한 것이다. 이 기술이전사업화
기술거래기관, 기술평가기관 및 사업화 전문회사 지정 및 지원
기반 확충
를 목표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를 ’16년까지 18%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 기술거래사 등 기술이전·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제7~14조)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전담조직 설치 및 지원
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전용 R&D사업과 중소기업의 수행비중이 70% 이상인 사업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사업 추진
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연구역량 및 자체투자 여력이 큰 대기업은 자기부담율 확대
기술이전사업화 지방자치단체의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사업 지원
등을 통해 지원 비중은 축소될 것이다. 또한 기술혁신 잠재력이 우수한 기업 위주로 촉진 지원 기술지주회사의 설립, 운영 등
합리적 재원배분을 유도하기 위해 우수 중소기업에 대한 중·대형 연구과제 지원도 (제15~25조) 공공연구개발 성과의 귀속
늘린다고 한다. 연구자 및 기술이전 기여자 인센티브 등

기술이전사업화에 기술담보대출
대한 금융 지원 국유재산에 대한 유·무상 대부, 양여, 사용 등
2. 기술사업화 관련 법 (제32~34조) 국유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무상 양여
기술신탁 관리업 기술신탁의 방법
우리나라 기술사업화의 근간 법률은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다. (제35조의2~8) 관리기관 지정 및 감독 등

<표 6>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기술이전,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다른 법률로는 ‘연구개발특구육성’, ‘벤처기업 육성’,
구분 내용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연 협력촉진’ 등과 관련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교육
소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부에서 시행하는 법률이 있다. 이러한 법률은 연구개발특구, 기술지주회사 등 기술사
소관부처 및 법률의 제정목적
제정 목적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의 민간이전 및 사업화 촉진 업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근거 법률이 된다.
­민간부문에서 개발된 기술의 원활한 거래, 이전 및 사업화 촉진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표 8> 기타 기술이전 및 사업화 관련 법률
기술이전사업화 기반확충
구분 소관부처 주요내용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주요내용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금융지원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구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기반 구축
미래창조과학부
기술평가체제의 확립 특별법 (기술거래, 이전, 사업화 등) (제8조)
기술신탁관리업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중소기업청 신기술창업전문회사
특별조치법
산업교육진흥 및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은 계획수립, 기반확충, 촉진지원, 교육부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금융지원, 기술신탁 등으로 구분된다.

42 4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위한 제도적 노력으로 정부는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소요될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정


정부는 R&D 성과의 활용, 확산을 위한 기술이전·사업화 정책을 추진해왔는데
부주도 펀드조성, 자금 투·융자 등도 지원하고 있다. 주요 사업) 산업부의 신성장동
2000년 ‘기술이전촉진법’을 제정한 이후 5 차례에 걸쳐 촉진계획을 수립했다.
력펀드 조성사업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특허청의 기술 관련 IP컨설팅, 기술패키징 등
제1차 (’00~’05년) : 기술거래시장 조성 활성화
기술 지식재산권 관리를 사업으로 지원한다.
제2차 (’06~’08년) : 기술이전·사업화 기반 확충
제3차 (’09~’11년) : 기술기반 글로벌 기업 육성
제4차 (’12~’14년) : 기술과 시장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 <표 9>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유형 및 사업예시(2014년 기준)
제5차 (’15~’17년)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정책 유형 내용 주요 사업(예시)

추가기술 • 旣개발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제1차, 제2차, 제3차, 제4차를 거쳐 현재, 제5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에서는 기 추가기술개발 지원 ‧ (미래부) 특구기술사업화사업 등
개발 및 ‧ (산업부)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등
술이전·사업화 정책을 시장의 수요와 변화에 맞게 추진함으로써 민간·공공 R&D를 시제품 • 엔지니어링, 생산라인 구축 등 시 ‧ (문화부) 콘텐츠산업 기술지원사업 등
사업화 ‧ (중기청)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등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 중장기적으로 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제작 지원 제품 및 출시제품의 제작을 지원
연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이 중심이다. 2014년에 수립된 제5차 기술이전사업화 개발 • 대학/출연연으로부터 이전받은
지원 이전대상 기술의 추가기술개발
정책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기술이전·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각 부처별 ‧ (미래부) Upgrade 기술이전사업 등
기술 후속 ‧ (중기청)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R&D • 연구소기업, 산학렵력기술지주회
전문화된 지원체계 정립과 더불어 R&D 결과물에 대한 후속지원 강화를 강조하
사의 이전기술 후속 R&D 지원
고 있다. • 기술 발굴 및 사업화 기획을 위한
기술패키징, IP 전략 및 컨설팅 ‧ (미래부) 기초연구성과 활용지원사업 등
기술발굴 ‧ (산업부) 기술시장지속성장 기반구축사업 등
기술 등 지원
및 거래 ‧ (문화부) 개발기술 사업화컨설팅 사업 등
3.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이전
지원 ‧ (중기청)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등
및 • 기술신탁, 기술DB 구축 및 거래 ‧ (특허청) 유망기술발굴 및 사업화지원사업 등
거래 장터 개설 등 기술거래 지원
현재 부처·청에서 시행 중인 기술사업화 지원 정책은 사업화 연구개발 지원, 기술
지원 ‧ (미래부) 연구소기업 설립을 위한
기술평가 • 기술가치평가, 기술사업타당성
이전 및 거래지원, 기술 사업화 기반구축 지원, 기술사업화 금융 지원 등으로 유형화 지원 평가, 종합기술평가 등을 지원
기술가치 타당성평가 사업 등
‧ (문화부) 콘텐츠 가치평가 사업 등
가 가능하다. 사업화 연구개발 지원 유형은 기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응용
조직· 기술이전 • 산학연의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및 추가기술개발, 시제품 제작, 이전대상기술의 후속 R&D 등을 지원하는 사업들로 ‧ (미래부) 우수기술탐색이전사업 등
네트 인력 및 촉진하기 위한 인력양성, 조직 지
‧ (산업부) TLO 역량강화 지원사업 등
워크 조직 지원 원사업
구분된다. 주요사업에는 미래부의 Upgrade 기술이전사업, 산업부의 사업화연계기술개

발사업, 중기청의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이 있다. 기술이전 및 거래 지원 유 기반 네트워크 • 기술이전 사업화 전문가 네트워크 ‧ (미래부) 연구개발특구지식커넥트사업 등
구축 구축을 통해 기술사업화 과정에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등
형은 개발된 기술의 이전을 위해 기술발굴 및 기획과정, 이전 및 거래 과정, 기술평가 지원 ‧ (특허청) 특허관리전문가 파견사업 등
지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등을 지원한다. 주요사업에는 미래부의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산업부의 중기청
• 정부 R&D로 개발된 제품 우선
의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문화부의 개발기술 사업화컨설팅 사업/콘텐츠 가치평 법· 수요 창출 구매 및 공공구매 지원 ‧ (산업부) 신기술인증제도 등
가 사업이 있다. 기술사업화를 위하여 기술개발 등의 직접적인 프로세스 이외 기술사 제도 지원(구매) ‧ (중기청)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 등
• 신기술 및 인증제품 구매지원
업화 기반 구축 등 외부적 지원은 기술사업화 전문 인력 양성 및 조직 역량 강화를
• 정부 주도의 펀드 조성, 자금 투‧
금융 ‧ (산업부) 신성장동력 투자 펀드 등
지원하고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을 등의 사업들이 있다. 주요 사업에는 미래부와 교육 자금 지원 융자 등을 통해 기술사업화에 필
‧ (문화부) 콘텐츠기업 컨설팅지원사업 등
지원 요한 자금을 지원
부의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사업(교육부: 학교기업지원사업) 등이 있다. 기술사업화를

44 4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및 기준에서 제시하는 「연구성과 활용 사업화 촉진 4.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 프로그램


사업」을 부처·청별로 살펴보면 미래창조과학부 1,879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691억 원,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연구성과 활용·확산 및 중소기업 육성·지원 프로그램을
중소기업청 3,019억 원, 농림축수산식품부 56억 원, 농촌진흥청 63억 원, 해양수산부가
운영하고 있는 관련 기관과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113억 원으로 연구성과사업화촉진 R&D 예산을 배분했다.

<표 10> 2015년도 부처·청별 연구성과 활용·사업화 촉진사업 R&D예산안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단위 억원)
기업 애로사항을 전주기로 파악·해결하고, 중소 ․ 중견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부처 ’14년 예산안 ’15년 예산안 증감액 증감비중(%)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계 5,496 6,152 656 11.9
미래창조과학부 1,640 1,879 239 14.6
산업통상자원부 36 691 55 8.6
중소기업청 3,019 3,338 319 10.6
농림축산식품부 56 68 12 21.4
농촌진흥청 55 63 8 14.5
해양수산부 90 113 23 25.6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술사업화 추가기술개발을 비롯해 다양한 사업이 추진 중이며, [그림 9] 중소기업 육성 사업화 프로세스

기초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율을 높이는 기술사업화 지원도 포함하고 있다. 산


ETRI는 아래 6가지 주요 활동을 추진한다.
업통상자원부는 기업들의 실질적인 기술사업화를 촉진하는 사업화연계기술개발 및
산업융합촉진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들의 연구장비공동활 ① (상용화 현장지원) 연구인력 파견(단기)을 통한 이전기술 완성도 제고
용지원, 상용화기술개발지원, 중소중견기업기술경쟁력강화파트너십사업, 산학연협 ② (연구인력 현장지원) 연구인력 파견(1년내)을 통한 기술애로 해소 지원
력기술개발 등이 있다. 그 외 에너지, 생명·바이오 등의 기술분야와 관련 높은 해양
③ (1실1기업 기술지원) 잠재적 히든챔피언 육성을 위한 맞춤형 기술지원
수산부, 농림축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도 사업 투자 계획이 있다.
④ (추가R&D지원) 기업과 시장 니즈에 부합한 R&D를 통해 조기 제품/서비스화 지원

⑤ (연구인프라지원) ETRI 보유 연구인프라 지원을 통한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⑥ (Gap Bridge) 중소․중견기업과 관련기술 분야 연구실간 기술․시장 협력 세미나 개최

ETRI에서 추진한 기술사업화 성공사례 예시


◦ ㈜코위버의 POINTS(Packet Optical INTergrated Switch)상용화 개발지원
◦ ㈜CSLI의 자동통역 관련 24건 기술지원,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서비스

46 4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ETRI는 중소․중견기업의 매출증대, 고용창출, 비용절감 등을 위한 전사적 지원체계 3)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구축하고, 성과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을 보완(매출, 고용, 비용, 기간, 만족도 등)하고
생산기술연구원은 실용화 위주의 생산기술 개발로 생산기반, 청정생산시스템, 융복
있다.
합시스템 응용기술 분야에 걸쳐 700여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및 기
술이전을 위하여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경우 협상, 중개를 거쳐 기술이전계약을 체결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하고 이전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용화를 위한 후속기술개발을 지원한다.

KIST 는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을 산업계에서 성공적으로 사업화할 수 있도록 보 KITECH의 기술이전‧사업화 관련 주요 수행사업은 아래 3가지가 있다.
완개발을 지원하는 기술이전사업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상용화 기술개발 단계 ① 출연(연)의 유망기술이전전담조직 선정,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지원
에 존재하는 리스크를 줄임으로써, 기업의 신기술 적용 및 신사업 개발을 촉진하고
② 중소기업에 이전한 개발기술의 사업화 및 추가기술개발 지원
KIST 연구 성과의 산업계 보급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지원 대상 기술은 현재 기술
에서 단기 추가연구를 통해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이며, 기술수요업체가 존재하나 기 ③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사업 운영 (기관주요사업)
술이전을 위해서는 보완연구가 필요한 경우 또는 현재 기술수요업체는 존재하지 않으나
1년 이내의 보완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또는 사업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해당된다.

KIST는 아래 6가지 주요 활동을 추진한다.

① (Bridge Program) 원천기술의 상용화 기술개발을 통해 기술사업화 및 기업 역량


강화

② (K-Club 프로그램)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회원사를 KOITA, KOTRA 등 유관기


관과 연계

③ (중소·중견기업 동반성장) 중소-대기업간 수요 제품을 중계하여 기술개발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KIST-대기업간 동방성장 생태계 구축

④ (Techno-partnership) 중소기업의 핵심애로 기술 해결, 인증획득 등을 지원, 성장 견인

⑤ (개방형 플랫폼) 기술별 플랫폼 구축 및 개발지원으로 중소기업의 중앙연구소 역할

⑥ (첨단장비·분석 지원/ 인력양성/ 특허나눔 등)

KIST에서 추진한 기술사업화 성공사례 예시


◦ 고효율의 재생증발냉각기를 통한 제습냉방기 시장창출형 생태계 구축 [그림 10] 생산기술연구원의 기술이전 방식 및 절차
◦ 캡슐형 내시경 국산화를 통한 기술사업화, 관련 기관의 협력체계 구축

48 4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4) 연구개발특구재단 5)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연구개발 특구재단은 공공기술의 연구성과 사업화를 지원한다. 특구가 보유한 우수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은 기초‧원천 R&D사업에서 창출된 우수 연구성과가 산업계에
기술을「기술발굴 → 이전 → 사업화(R&BD)」등의 단계를 거쳐 조기사업화 촉진하는 것 기술 이전 또는 사업화되도록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기초‧원천
이 주요 사업의 내용이다. 재단은 연구소기업이 창업부터 성장‧도약할 수 있는 지원체 연구성과 활용‧확산 촉진으로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대형사업단 성과관리, 연구성
계를 정착시켜 특구 성공모델로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을 위한 이노폴리스 캠퍼 과 사업화지원, 성과확산 역량강화 등 세 가지 중점 추진과제를 가진다. 과제에 따른
스‧아이디어 기술창업 등 플랫폼 확대를 추진했다. 추진방향으로는 전주기 사업화지원 체계마련을 위한 R&D-기술사업화 연계 강화, 사
업화 유망기술 자체 발굴과 사업화 타당성 검증 및 수요기업 매칭 지원을 통한 유망
특히,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특구펀드를 증액(500억 → 1,000억)하고, 첨단
기술 발굴체계구축, 기술이전‧사업화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기술이전‧사업화 네트워크
기술기업 등 중소벤처에 투자하고 기술기반 벤처기업이 유형의 담보 없이 기술사업
강화가 있다.
화 추진 및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금융 연계형 (투‧융자) 기업성장 프로그램을 시범
실시하고 있다.

기획 네트워크(기술찾기포럼 등) 사업화 네트워크 및 멘토링

기술탐색 이전․공급 특구기술 성장지원


➡ 기술이전 ➡
사업화
출연 유망기술 발굴
연(IBS 기술금융
포함), ➡ 기업 수요 탐색 연구소기업 연계 지역산업
➡ ➡
설립 상용화 ➡ (특구펀드, ➡ 육성
대학 사업성 분석 기술개발 엑셀러레이 및

⇩ R&BD
팅 등) 일자리

비즈니스 모델링 ➡ ➡ 창출
기획
R&D
성과   

▪ 기술사업화서비스(특허‧법률‧디자인 컨설팅, 시제품 제작 등) 수시 지원 자료 : 2014년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2014년도 추진계획


▪ 테크비즈센터,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창업공작소 등 인프라 활용
[그림 12]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
자료 : 2014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 시행계획

[그림 11] 특구재단의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50 5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7)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우수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 및 사업화기획 과정을 지원하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소기업 R&D 평가관리 선진화, 중
R&D성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소기업 R&D 지원 성과제고, 중소기업 기술혁신 인프라 구축, 창의혁신 경영기반 구
한, 산업인력의 현장적합형 인재양성 및 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재정충실도 제고를 축의 4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R&D 지원, 정보화지원, 경영혁신지원, 기
위해 학교기업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술인재양성 등의 사업을 상시 진행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종합과제관리, 기술보호상
담, 컨설팅지원, 정보화지원, 인력지원 등에 대해 별도의 포털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자료: www.kiat.or.kr
자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그림 13]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추진체계 및 추진절차
[그림 15]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 지원 업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R&D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사업과 창업


성장기술개발 사업을 지원한다. 중소기업의 융‧복합형 신제품개발 촉진, 융복합기술
개발역량 강화 및 개방형 R&D 활성화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 사업은
융복합 과제, 이전기술과제, 센터연계형 과제를 지원한다. 창업성장 기술개발 사업은
기술개발에 대한 잠재역량은 보유하고 있으나 자금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5년
이하의 창업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자료: www.kiat.or.kr

[그림 14] 학교기업지원사업 추진체계 및 추진절차

52 5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8) 기술보증기금 <표 11>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부 지정 기술거래기관, 기술평가기관


분류 기관명 홈페이지
기술보증기금은 업무 융복합을 통해 기술이전사업화 ecosystem을 구축하는 것을 주
기술보증기금 www.kibo.or.kr
요 업무로 삼는다. 이를 위해 기술보증, 기술평가, 직접금융, 기업지원 등 다양한 세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www.khidi.or.kr
업무를 수행한다(<그림 16> 참고). 기술보증 업무에는 기술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한국산업은행 www.kdb.co.kr
공공
한국발명진흥회 www.kipa.org
(채무보증)을 통한 R&D, 창업, 사업화 전주기 지원 등이 포함되며, 기술평가 업무에 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ww.kist.re.kr
는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등 기업/기술의 미래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www.efact.or.kr
한 직접금융을 통해 성장 유망기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중기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고, 한국기술벤처재단 www.hongneung.com
(주)지티티비
벤처, 이노비즈, 녹색인증 및 기술, 경영지도를 통해 기업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사)한국기업평가원
(주)테크노베이션파트너즈
(주)기술과가치
(주)테크란
한편 기술보증기금은 기술융합센터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데, 기술융합센터에서는 (주)날리지웍스
(주)특허와사업
(주)더비엔아이
기술수요발굴, R&BD 컨설팅 등을 통해 기술이전․융합을 지원하고, 기술이전 설명회, (주)피앤아이비
(주)델타텍코리아
(주)피에스엠비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한 기술이전 마케팅, 기술정보 DB 구축, 전문기술평 기술거 (주)리온아이피엘
도원닷컴(주)
래기관 (주)마크프로
가 등 기술융합과 관련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라온과기술(주)
(주)비즈하스피탈
세연 특허법률사무소
(주)아이피씨앤비
아이피웨이(주)
민간 (주)엔에이엠아이엔씨
유미 특허법인
기관 (주)원니스
특허법인 다나
(주)웰아이피에스
특허법인 다래
(주)웰쳐기술
특허법인 다울
(주)윈티스글로벌
특허법인 무한
(주)윕스
특허법인 세신
(주)유라스텍
특허법인 세아
(주)이디리서치
특허법인 웰엘엔케이
(주)이엠오티
특허법인 이룸
(주)이지펙스
특허법인 정안
(주)지케이티엠
특허법인 태평양
기술보증기금 www.kibo.or.kr
자료: 한국연구재단 제34회 NRF정책세미나 발표자료
국방기술품질원 www.dtaq.re.kr
[그림 16] 기술보증기금 기술사업화 지원 내용 농업기술실용화재단 www.fact.or.kr
전자부품연구원 www.keti.re.kr
기술보증기금 Tech-Bridge는 연구소 등이 보유중인 공급기술과 중소기업이 필요로
중소기업진흥공단 www.sbc.or.kr
기술평가기관
하는 수요기술을 연결하고, 기술금융지원 등을 통해 국가 R&D 사업 기술이전 및 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www.kisti.re.kr
업화를 촉진하는 기술이전 사업화 전용 플랫폼이다. Tech-Bridge는 「기술의 이전 및 한국발명진흥회 www.kipa.org
한국보건산업진흥원 www.khidi.or.kr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제 10조에 따라 7개 공공기관을 기술거래기관으로, 제 35조
한국산업은행 www.kdb.co.kr
에 따라 10개 공공기관을 기술평가기관으로 지정했다. 기술거래기관 및 기술평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www.kiat.or.kr
현황은 <표 11>과 같다. 자료: 기술보증기금 홈페이지

54 55
<표 12> 기술이전 ․ 사업화 지원 과정별/기관별 내용
2.Planning 6.Technology
1.Ideation 3.Preparation 4.Deployment 5.Monitoring & 7.Follow up&
(Orientation& Commercialization,Technolog
(Observation) (Decision) (Action) Marketing Management
Differentiation) y Transfer, Negotiation
구분
(역할)
‣ ‣ ‣ ‣ ‣ ‣
공동 기술 창업
Idea구체화 Biz-Plan 예산 R&D R&D R&D 기술 수요자 TT&TC 협상 계약
Idea 창출 Idea 검증 R&D 마케팅 사후관리 /사업화
BM발굴 작성 확정 준비 실행 종료 평가 확보 전략 전략 체결
전략 전략 후속지원

기술보증기금 모든 기술사업화 활동에 자금 지원

제품·서비스화 상용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가R&D지원
지원 지원

협상과 중개를 통한 기술이전계약 체결 지원 후속기술개발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I-R&D 비즈니스 사업 I-R&D 비즈니스 사업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유망기술 발굴, R&BD 기획컨설팅 지원 (연구성과사업화지원사업, 대형사업단 성과관리)

한국연구재단
기초/원천 R&D 사업 등
(미래부
연구성과 관리) 연구개발지원

대학/출연(연) TLO
(기관보유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연구성과 창출 TLO 자체 기술사업화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특구내 연구성과 특구기술사업화 기술탐색 이전․공급 / 특구기술사업화
기술사업화)

중소기업지원 통합센터 장비,실험실


기업수요접수 사후 만족도 관리
(중소기업 사업화지원) 대여

출연(연) 공동
기술지주회사
성과발굴 및 BM 설계 기술사업화 전략 및 창업, 기술사업화
(출연(연) 보유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기술사업화 추진 법·정책 및 지원기


2
제 절

1. 주요국 동향

현 시점에서 기술사업화는 세계적인 추세임이 틀림없다. 세계적인 추세가 기술사업


화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현상은 각국의 기술사업화 관련 정책의 설
정, 법안의 입안 그리고 지원기관의 증가로 드러난다.

본 절에서는 현재 기술사업화의 진행이 세계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정리하


며 그 중에서도 주요 국가들의 정책, 법안을 중심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미국에서는 오바마 정부의 R&D 정책 중에 하나로 기술을 통한 사업화를 선정할


만큼 관심이 많다. 특별히 행정부에서는 기존의 R&D를 통한 국가적 시스템 혁신을
목표로 ‘국가혁신전략’을 수립하였다. 이 시스템 혁신을 시장으로 방향을 바꾸어 사업
화가 가능한 기술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기술이전 효율성 및 기술
개발 효과성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위해 부처별 정책 입안을 수시로 진
행 중이다. 산업계와 정부의 파트너십 강화,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기술
이전 코디네이터 활용 등 기술이전 정책을 마련하여 기술사업화의 성과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다.

EU에서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관심이 많다. 개방적인 혁신을 위하


여 EU의 통합적인 특허시스템, 기술이전정책, 기술 지원 정책을 새롭게 개정하는 추
세이다. 독일은 연방 및 지방 정부 모두 ‘사이언스파크’와 같은 인큐베이션 기능을 강
화 하고 모든 주(州)에 특허평가나 기술이전을 시행하는 사업체가 설립하였다. 또한
영국의 경우 공동R&D 프로그램을 설립하여 EU 뿐만 아니라 타 국가들과의 공동의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외부적으로 중국, 러시아 등과 혁신을 위한
협력활동 (워크샵, 포럼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기술이전기구 등 혁신주
체 간 네트워크를 형성 하고 지식이전 사례 보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5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중국에서는 자주 혁신 시범구역과 사업기관을 설정하고 과학 기술 사업화를 향한 2. 미국


관심을 많이 드러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국가급 기술이전 시범기구 건설활동’을 통
1) 미국 정부 R&D 투자 동향
해‘국가 기술이전 시범기관’을 선정하여 다양한 기술이전 모델을 확산을 추진하고 있
다. 그리고 2008년부터는 주요 기술의 이전 보급촉진과 지역차원의 기술교류를 위해 미국 정부에서는 기술사업화와 관련하여 정부적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매우 많은

‘국가급 기술이전 시범기구 건설’을 추진하여 5대 유형 133개 기관을 모델로 선정하 실정이다. 특히 기술사업화는 오바마 정부의 최근 R&D 예산안에서도 “STEM 교육,

였다. 혁신과 기술사업화 연구” 항목으로서 7대 우선순위에 포함될 정도로 큰 관심을 얻고


있다. 그 외 우선순위에서 정보기술, 신경과학, 생물혁신, 첨단 제조업, 청정에너지,
기후변화와 같은 항목이 존재하는데 이 항목들은 기술사업화와의 관련성이 매우 높은
<표 13> 주요국 기술사업화 현황 및 주요 지원 내용
사업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R&D의 우선순위가 주요 정책적 관심인 것만큼
주요 국가 주요 프로그램 및 현황 관련 내용
TIP (Technology Innovation 고위험 고수익 연구를 통해 기술혁신 지원 기술사업화에 대한 R&D 연구비 투입은 증가추세에 있다.
Program) 및 촉진하는 프로그램
미국의 관련 제도적 동향은 민간 투자 못지않은 공공적 투자가 진행 중이다. 제도
첨단기술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신규고용
SBIR (Small Business
창출 및 기술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경제 적으로 주로 기업 R&D강화, 유망산업(기술) R&D 지원, 네트워킹 강화, 인프라 등의
Innovation Program)
정책 측면의 프로그램
정책분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특히 R&D 강화와 협력 확대에 지원이 집중되어 있다.
(미국) STTR (Small Business 공공 연구조직이 창출한 연구 성과를 민간
Technology Transfer 부분으로 이전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 또한 세부적으로 기술사업화 관련하여서는 5~10여개의 주요 부처에 의해 중소기업
Program) 그램
기술이전사업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R&D 예산의
공동R&D 프로그램 운영 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 국가간 공동연구
(Collaborative Research and 및 지식이전 증진을 위한 자발적 이니셔티브 일정비율을 강제 할당하기도 하는 것이 최근 미국의 동향이다.
Development) 제정(Responsible Partnering)
신규 리스크 분담 재정기구
민간과 공공기관의 고위험 R&D 프로젝트에 2) 미국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안 및 지원 정책
(EU) 설립 (Risk-sharing finance
다차원적 지원
facility : RSFF) 미국 정부에서는 Bayh-Dole의 법안 통과를 시작으로 기술사업화에 대한 본격적인
A-STEP (Adaptable and 대학의 기초연구에 의해 산출된 연구결과물과
Seamless Technology IP를 기반으로 한 산학 공동연구 과제를 지원
틀을 80년대 마련하였다. Bayh-Dole 법안은 연방정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연
Transfer Program) 하는 프로그램 구결과와 관련하여 연방정부에게 소유권이 귀속되던 것이 연구자가 소속하고 있는 대
기초연구프로그램 (Strategic 학, 연구기관 또는 중소기업에 귀속시키는 법으로 미국특허법 중의 특별법이다. 특히
일본 과학기술 진흥 사업단(JST) 선별된 우수한
Program of Innovation R&D:
R&D 연구주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미국의 경우 일반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이루어지는 발명보다 연방정부 지원 하에 이루
S-Innovation)
(일본)
신기술사업화 전문기관으로 다양한 기술이전 어지는 발명되는 기술이 월등히 다양하고 숫자적으로도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중소
신사업지원기관 신설
및 사업화 관련 서비스 지원
기업을 포함하는 연구기관과 대학에게 연구결과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도록
해외 기술성과 및 인재활용을 위해 전세계
‘全세계 혁신자원 지도’ 15개 국가 및 도시의 45개 기술이전 및 혁신 규제를 변화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Bayh-Dole 법안을 통해서 대학들은 보유 기
작성 서비스 기구와 국제 기술이전협력 네트워크 술을 관리하고 TLO를 설립하게 되었고 이것은 대학에서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활성
(ITTN) 설립 및 운영
화의 기폭제가 되었다. 그리고 발생한 기술이전 수입료를 교수, 연구자, 소속 학과나
(중국) 기술이전 시범기구 및 기관 선정을 통해
국가 혁신기지 지정
우수사례 선정 및 다양한 이전 모델 확산 연구소, 해당 단과대학 등에 분배하는 내부 규칙을 확립하였으며 이 법은 각국의 사
업화 관련 법안과 정책의 기반적인 모델이 되었다.

58 5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Bayh-Dole 법안과 더불어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던 법안은 Stevenson-Wydler


미국은 법안이외에도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쳐왔다. 미국 정부적 차원에서의 기술
법 (Stevenson-Wydler Technology Innovation Act, Public law 96-480)이다. 이 법안
사업화 지원 정책은 법안 제정과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이다. 첫 번째로
은 연방정부가 연구개발투자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여야 할 의무를 부과하였고 이로서
TIP(Technology Innovation Program)는 미국 경쟁력 확보 및 유지에 필요하다고 판
연방 산하 연구기관 내부에 기술이전기구를 설치하고 운영을 의무화하였다. 뿐만 아
단되는 중요한 분야의 고위험 고수익 연구를 통해 기술혁신 지원 및 촉진하는 프로그
니라 해당 연구 기관은 R&D 예산의 0.5% 이상은 반드시 기술이전활동에 사용하도록
램이다.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초기단계의 기술을 발굴하여 지원하기에는 위험성이 어
배정하도록 정하였다.
느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TIP이 위험관리 차원에서 사업화를 지원하는데 적절한 프로
이에 추가적으로 1986년 연방기술이전법(Federal Technology Transfer Act)이 실행 그램이다. TIP의 예산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되었는데 이 법안은 Stevenson-Wydler법을 보완하는 성격을 띄는 법안이다. 연방 기 Technology: NIST)의 고위험 R&D프로젝트 관련 예산의 50% 한도 내에서 지원된다.
술이전법은 정부가 운영하는 연방실험연구기관들이 연방 정부, 주정부, 각종 회사, 공 또한 그 수혜대상이 중소기업 및 JV(Joint Venture)로 한정되어 대기업이 수행하거나
공 및 일반기관, 비영리법인, 사기업, 기타 연방기관들과 협동 R&D협정(CRADAs)을 참여하는 프로젝트에는 지원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TIP의 단독
체결할 권한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체적 규정이 결여되어 실효성이 떨어진 법 과제는 최대 3년간 3백만 달러를 지원하며, 중소기업 대상으로 운영하고, 공동과제는
으로 평가받았던 Stevenson-Wydler법을 다소 보완했다고 평가받는다.
최대 5년간 9백만 달러를 지원하며, 중소기업 또는 고등교육기관만 주관기관이 가능
90년대에는 국가기술이전 및 진보법(National Technology Transfer and Advancement 하다.
Act)이 제정되었다. 해당 법안은 1996년 제정되었으며 연방기관에 대한 상세한 요건
은 연방정부 예산국에 의하여 1998년에 확정되었다. 동법은 국가, 지방정부, 연방기관 <표 14> TIP 지원유형, 규모 및 자격요건
등이 기술( 및 제품, 서비스) 표준화에 부응하도록 고취하는 내용이다.
유형 지원규모 자격요건 민간부담금 비고
이후 2000년에 접어들어서 기술이전사업화법(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단독과제 3백만 달러/
중소기업 -
(Single) 3년
Act)이 상정되었다. 기술이전사업화 법은 연방의 발명의 기술실시허락과정을 능률적 연간 총
1. 중소기업 및 비영리기관 사업비의
인 것이 되도록 합리화하고 미국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연방 주관기관은
JV과제 9백만 달러/ 2. 최소 2개 이상 중소기업 50% 이상 중소기업 또는
연구기관과 협력하는 사기업에 대하여 보다 많은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을 내용으로 (Joint Venture) 5년 또는 1개 이상 중소기업과
고등교육기관
하는 입법이다. 동법에 따라 연방연구기관은 자신의 협력연구기관인 사기업에게 비영리기관

CRADA에서 정한 업무범위와 직접 연관성 있는 기존의 특허발명을 실시 허락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미국의 정책 중 대표적인 사업화 지원 정책 중 하나이다. SBIR(Small
그 외 제반적인 법안으로는 국가경쟁기술이전법(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echnology Business Innovation Program)은 미국경제에 중요한 첨단기술 중소기업을 육성함으로
Transfer Act)가 있는데 동 법안은 스티븐슨-와이들러 법의 개정법 성격이 강하다. 이 서 신규고용 창출 및 기술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경제정책 측면의 프로그램이다.
법안으로 인해 기술이전은 국가 자신이 소유하여 위탁경영하는 연구기관(GOCO) 및 이 정책은 기술혁신에 소요되는 투자 및 위험을 감수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 연
그 근무자의 책임임을 밝히고 협동 R&D 협정의 적용이 가능함을 명시하게 되었다. 방 R&D예산의 일부를 중소기업을 위한 재원으로 별도 책정하여 지원하는 정책으로
그리고 최근에는 새로운 생산기술 연구개발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국립기술표준연구 몇 가지 참가 자격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해당 규정으로는 첫째, 미국인이 소유하고
소(NIST)에 2010년까지 자금 배정하여서 기술사업화의 성장을 돕기 위한 인프라 설 있는 미국 내 기업이어야 하고, 둘째, 종업원 규모 5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어야 하
립을 추진하고 있다. (약 08년 471백만 달러, 09년 498백만 달러, 10년 538백만 달러)

60 6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며, 셋째, 연구책임자는 해당 중소기업에 의해서 고용된 직원이어야 한다. 40% 이상 참여하고 연구기관이 30% 이상을 수행해야 하며, 핵심 연구자는 참여 중소
기업이나 참여 연구기관 어느 곳에 근무해도 무방하다. STTR에는 연간 R&D예산이
SBIR과 유사하지만 보완적인 성격 또한 가지고 있는 STTR(Small Business Technology
10억달러 이상인 국방부, 에너지부, 보건복지부, 항공우주국, 국립과학재단 등 5개 부
Transfer Program)이 있다. STTR은 공공 연구조직이 창출한 연구 성과를 민간 부분
처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 참여 부처 R&D예산의 0.3%를 동 프로그램 예산으로 할
으로 이전하는 것을 촉진하는 것과 함께, 충분한 기술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기업에
당토록 하여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게도 정부가 지원하는 R&D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STTR
은 타당성 검증(1단계), 개발(2단계), 상업화(3단계) 등 3단계로 구분되어 있는데 민간
3) 미국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
과 공동으로 투자할 수도 있다. 특히 STTR은 중소기업 보유기술 실용화 연구에 중소
기업이 단독으로 참여하는 SBIR 프로그램과 달리 대학 및 비영리기관의 연구자들이 미국에서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은 주로 인프라 지원과 협력을 지원하는 방안을 주
동 프로그램의 1, 2단계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공공연구기관이 창출한 R&D성과가 로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지원 형식 또한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간접적인 형식으로
중소기업을 통해 실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공공연구기관 간의 공동연구 지원하고 있다.
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표 16> 미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6)
<표 15> SBIR과 STTR 프로그램 비교 형식 수행기관 핵심 내용
RTTC 협력기관 설정 및 협회 구성 지원
구분 SBIR 프로그램 STTR 프로그램 협력 네트워킹
FLC 연방연구소들의 기술 활용을 위한 포럼 지원
중소기업혁신개발법안(Small Business 중소기업기술이전법안(Small Business
법적 근거 NTTC 국가지원 개발기술 관련 정보 제공
Innovation Development Act of 1982) Technology Transfer Act of 1992) 정보제공
RTTC 기술, 시장, 특허 등 포괄적인 정보
중소기업(40% 이상) +
연구수행주체 중소기업 마케팅 및 NTTC 시장분석, 재정분석, 교육, 기술평가
비영리연구기관(30% 이상) 인프라 지원
컨설팅 RTTC 시장조사서비스 및 기술자문서비스
대학 등 비영리기관 보유기술의 실용화
실용화 대상 중소기업 보유기술의 실용화 연구 교육·훈련 NTTC 계약체결 및 협상 관련 교육
연구
설비대여 RTTC NASA, 정부, 대학, 산업체 연구소 시설 이용
R&D예산 1억달러 이상 부처(농무부,
R&D예산 10억달러 이상 부처(국방부,
상무부, 국방부, 교육부, 에너지부,
참여부처 에너지부, 보건복지부, 항공우주국,
보건복지부, 교통부, 환경청, 항공우주국,
국립과학재단)
국립과학재단) 미국의 대표적인 사업화 지원기관으로는 RTTC(Regional Technology Transfer
지원예산 참여부처 R&D예산의 2.5% 참여부처 R&D예산의 0.3% Center), NTTC(National Technology Transfer Center)와 그리고 FLC(Federal
Laboratory Consortium for Technology Transf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이전센터들은 인프라 지원, 마케팅 지원뿐만 아니라 금융 분야 지원 또한 왕성하게
STTR이 SBIR과 비교했을 때 유사한 점과 차이점이 각각 존재하는데 그 해당 내용
수행하고 있다.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정책 모두 목적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으로 동일하지만,
STTR 프로그램은 SBIR 프로그램과는 달리 관련 기술을 보유하는 연구기관이 참여하 첫 번째로 NTTC는 1989년 NASA의 금전적인 지원으로 설립된 기술이전센터로서
여 중소기업과 같이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둘째, STTR 프로그 지적재산권, 데이터베이스 처리, 제조컨설팅, 엔지니어링 등 중심의 연방정부 산하 사
램은 연구개발예산 10억 달러 이상인 연방정부기관이 그 예산의 0.3%를 중소기업 기
술지원에 사용하도록 정해져 있다. 셋째, STTR 프로그램은 각 단계별로 중소기업이 6) 출처: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p69

62 6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업화 기관이다. NTTC의 정보서비스는 기술, 시장, 특허와 관련된 거의 모든 주제에 Centre7)) 설립을 통해 연구와 사업화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대한 정보서비스를 포괄하고 있으며 주 및 지방단위에서 운영되고 있는 70여 개 이상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업체를
의 제휴조직들로 이루어진 개별적인 지역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포함한 R&D 커뮤니티들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기술 분야에서 공동 R&D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다.
RTTC는 NTTC의 지역 네트워크 중 거점 지역의 센터로서 6개지역에 나누어져있는
기술이전센터이다. RTTC를 통한 해당 기술사업 네트워크는 기술 벤치마킹, 시장목표 영국에서 현재 중점적으로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하고자 하는 방안은 크
설정, 경쟁력 분석 등을 포함한 시장조사서비스와 기업의 기술경영전략에 대한 자문 게 네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것은 자금과 장비에 대한 접근성 향상, 기술사업화를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민간회사들이 NASA, 연방정부, 주 정부, 대학, 산업체 위한 제도 환경 조성,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선도적 소비자로서 정부의
내 연구소들의 과학기술 및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도 하고 있다. 역할 강화이다. 이러한 활성화 위한 추진과제를 통하여 다른 EU 국가들과의 공동투
자 기회를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영국 정부의 중점전략이다.
FLC의 경우에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에서 1974년에 설립한 기술연구네트워크이다. 약 250개의 대학과
<표 17> 영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출연연, 연구기관들의 연합체로서 연방연구소들의 기술과 전문성을 시장과 연계하기
중점 추진과제 세부 내용
위한 전략 개발 포럼을 제공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RTTC는 협력기관을 설정하거나,
(1) 승자선택 방식의 자금 지원
협회 구성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제공하는 반면, FLC는 연방연 자금과 장비에 대한
(2) 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적절한 형태의 자금 공급
접근성 향상
구소에 특화된 네트워킹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다. (3) 상용화를 위한 제조 설비의 접근성 향상
(1) 민간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술사업화를 위한 (2) 규제 관련 정책 개선
3. 영국
제도 환경 조성 (3) 지식재산권 관련 제도 개선
(4) 증거기반의 정책 추진
1) 영국 정부 R&D 투자 동향
대학과 (1) 대학 연구성과의 이익 창출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2) 공공연구기관의 적극적인 활용
영국 정부 역시 한국 정부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상업적 결과로 연결시
선도적 소비자로서
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고 그 현상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해당 (1) 혁신과 기술사업화 과정에서의 역할 수행
정부의 역할 강화
문제가 90년대부터 이슈화되기 시작했지만 최근 들어 영국의 과학기술위원회는 국가
적 차원에서의 사업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영국 정부는‘기초적이
며 학문적 호기심에 기반 한 연구’와 ‘민간 및 공공서비스가 지닌 문제해결을 위한 연 2) 영국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안 및 지원 정책
구’에 정부적 차원의 투자할 것을 결정하고 정책적인 주안점을 모색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공동R&D 프로그램(Collaborative
현재 영국의 정책은 주로 R&D와 협력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기술 전략 위원회 Research and Development)을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산업체를 포함한 R&D 커뮤니
(Technology Strategy Board; TSB)가 5가지 핵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TSB는 티들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기술 분야에서 공동 R&D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프로
기업주도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정부의 주요한 기구로서 연구, 개발, 상용화를 홍보・ 그램으로 영국뿐만 아니라 EU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된 R&D 지원제도이다. 이로서
지원․투자하고 혁신 분야의 장벽을 없애도록 정부에 조언하는 기구이다. TSB와 기술 영국 정부는 영국의 참여자들이 EU R&D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혁신센터(Technology and Innovation Centre) 및 이를 계승한 캐터펄트 센터(Catapult 7) 첨단분야에 집중한 혁신센터로, 분야별 전문성이 있는 대학, 연구소, 중소기업 등이 공동 참여하여
연구프로젝트를 수행을 관리하는 센터. 기존의 기술혁신센터를 대체한 개념(산업기술진흥원, 2013)

64 6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지원하며, 다른 EU 국가들과의 공동투자 기회를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하고 Development)은 개인 또는 종업원 250명 미만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있다. 이 EU 연합 프로그램에서 영국을 담당하고 있는 FP7UK는 영국의 참여 연구원 이 보조금은 기술타당성 연구와 기술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이 주요 골자이며 기
들이 EU R&D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른 EU국가들과 술적으로는 주로 혁신적인 제품의 개발 또는 R&D를 지원하며, 지원 금액은 사업성
TSB가 공동 투자 하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평가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된다.

앞선 EU의 프로그램보다 영국의 지역으로 집중화 된 프로그램으로 TCS(Teaching


Company Scheme) 프로그램을 예로 들 수 있다. TCS는 대학 등이 보유하고 있는 기 3) 영국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
술, 지식, 인력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지원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영국의 기술사업화 기관은 앞선 영국의 다양한 기술사업화 지원 제도와 정책, 법안
1975년부터 SRC(Science Research Council)의 주관으로 시행되어 2003년까지 운영되
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을 도우고 있다. 대표적인 기관의 예를 몇가지 정리해
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기관 간 연구인력 공유 및 효율적 활용에 도움이 되었다는 평
보면 다음과 같다.
을 받는다. 11개 부처의 출연금을 받아 대학과 기업 간의 기술이전을 지원하고 대학
먼저 기업혁신숙련부 (Deaprtment of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BIS)는 영국의
의 연구 인력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 주요 내용
경제적인 성장을 위해 설립된 정부부서로 신기술과 과학기술교육 및 혁신추진을 담당
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은 대학과 공동으로 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개척해 나
하는 기관이다. 산하에 49개의 기관을 두고 있으며 연간 1억 유로(약 1400억원)의 예
갈 수 있으며, 대학의 연구 인력은 높은 수준의 기업체 훈련을 통해 산업체 지향적인
산(2014년 기준)으로 대학과 연구기관에 재무적인 지원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산
마인드를 연구 및 강의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의 특정 프로젝트 참
하의 각 분야 7개의 연구평의회(Research Council)를 통해 각 분야의 대학이나 연구
여를 위한 해당 기업에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대학원생이 사업 종료 후 취업과 연
기관으로 기초연구를 지원한다. 응용연구, 개발, 실증시험 등 기초연구 외의 모든 분
계될 수 있었다. 2003년 운영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은 이후 KTP(Knowledge
야에 대해서는 기술전략위원회(Technology Strategy Board: TSB)와 에너지기술연구소
Transfer Partnership) 프로그램으로 승계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Energy Technologies Institute: ETI)가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식 이전 네트워크(KTNs: Knowledge Transfer Networks)는 산업 및 기술 분야
인프라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대표적인 기관은 비즈니스링크(Business Link)가 있다.
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전문가들이 공동연구 및 과제를 진행하도록 지원하는 전문
당시 영국 통상산업부의 마이클 헤슬타인의 제안으로 1993년에 설립되었다. 한 번에
가 커뮤니티 프로그램이다.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온 오프라인을 통해 산업·기
기업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스탑샵(One Stop Shop) 개념을 현실화하기 위
술 정보 제공 및 공유, 커뮤니케이션, 정책파악 및 개발·반영 등의 협력관계를 구축
해 추진된 비즈니스링크 프로젝트는 정보서비스, 기술이전, 사업화, M&A 중개 등 기
할 수 있도록 영국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지식
업지원의 단일 창구 역할을 해왔다. 현재는 그 예산규모가 연간 1억 유로(약 1400억
이전 파트너십(KTP: Knowledge Transfer Partnership) 프로그램도 존재하는데 이것은
원)이며 과거에는 영국 지역의 여러 기술네트워크를 만들어 기업의 운영에 도움이 되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지원 및 산업혁신 제고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었다. 현재는 기업의 컨설팅과 자문역할보다는 창업과 신규기업지원에 지원을 늘려
이다. 업계와 학계, 기관(또는 지식기반 기관), 준회원이라 칭하는 유자격 인사들 간에
신기술기반의 기술사업화에 집중하고 있다.
협력 관계를 조성하여 지식이전을 촉진하고, 업무 조직 내에 새로운 역량을 구축하도
록 도우고 있다. 인프라 지원기관으로 사업화 전문회사 또한 존재한다. BTG(British Technology
Group)라고 불리는 이 기관은 1981년에 영국의 국립법인으로 탄생하였다. 민영화를
마지막으로 영국 정부는 기본적인 세제 혜택과 보조금 혜택을 잘 유지하여 사업화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개선한 BTG는 기술이전을 포함하여 특허기술 발굴, 기술 보완,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R&D 보조금(GRD, Grant for Research and
마케팅전략 수립 등을 통해 기술사업화를 지원해왔다. 또한 BTG는 미완성 기술들을

66 6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매입하여 후속개발을 통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인 후, 이를 다시 판매하는 방식의 사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정부는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서 공공기술의 한계를 직면하
업도 수행하였다. 현재는 기업공개에 이어 포트폴리오 또한 다각화하여 의약 및 제약
기 시작했고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일본
산업에서 관련 제품에 투자, 연구 개발 및 사업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연간 약 2억3천
정부는 개별기술을 가지고 개별기관이 세계최고 수준의 미국 대학․다국적 기업과 협
유로(약 26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력․경쟁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추진을 시작하였다. 구체적
으로 여러 지적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대학에서의 특허는 기초적 단계의 핀 포인
<표 18> 영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8)
트9)형 기술이 많아서 단독으로는 사업으로 활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는 것
형식 수행기관 핵심 내용
이 그 첫 번째 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 TLO 등은 상호협력에 의해 전략적·
기업혁신숙련부 (Deaprtment of 기초과학연구 및 기술사업화의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BIS) 전 과정 지원 중점적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개별 기관의 특허를 패키지화하여 특허군10)을 형성하
과학기술 및 고 이를 기업에게 어필하여 사업화로 연결해 가는 방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11).
기술전략위원회 (Technology
R&D 산업(기술) 응용연구, 개발, 실증시험 등 지원
Strategy Board: TSB)
R&D 지원 또한 추가적인 노력으로 기초 연구 성과를 국제적인 사업으로 적극 연결할 수 있도
에너지기술연구소 (Energy
응용연구, 개발, 실증시험 등 지원 록 대학 지식재산본부나 TLO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 연구개발
Technologies Institute:ETI)
정보서비스, 기술이전, 사업화, M&A 의 초기 단계에서 연구자에 대한 조언, 창출된 성과의 지식재산화, 특허 포트폴리오
비즈니스링크 (Business Link)
정보제공/ 중개 등 기업지원 단일 창구 형성, 나아가 그러한 지식재산의 사업화를 위한 산업계와의 중개의 실시하려고 시도
인프라
마케팅/ 특허기술 발굴, 기술보완,
지원 사업화 전문회사 (British 하고 있다12). 이것의 이유는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수준은 높지만, 대학이나
컨설팅 마케팅전략 수립 등
Technology Group: BTG) 공공연구기관의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과 산업계에 의한 사업의 성공을 향해서 유효하
중소·대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게 활용하는 환경은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산학관이 연구의 시작 단계부터 이노베이션(innovation)의 출구 이미지


3. 일본
를 공유하여 개입하고자 한다. 기술이나 지식재산을 공창(共創)하는 장소의 구축, 대
1) 일본 정부 R&D 투자 동향 학의 산학협력능력의 향상이나 산학협력을 촉진하는 환경의 정비에 의해 산학관의 공
신력을 세계 톱클래스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을 밝힌 것
일본의 기술사업화는 정부적 차원에서의 역할이 매우 큰 구조이다. 특히 일본의 산
을 보면 정부의 관심이 다방면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학협력구조는 중앙정부 주도 성격이 매우 강하여 정부의 정책적, 법률적 방향성에 따
라 좌지우지된다. 이에 따라 일본의 대학은 기업의 최첨단 기술과제에 그다지 민감하 최근 들어 기술사업화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일본의 현상은 이처럼 다양한 방면으로
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정부의 정책적인 방향에 동조하는 현상이 주로 발생한 변화와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정부적 차원에서 기초연구성과의 상업화
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사업화 과정에 있어서 미국과 같은 혁신적인 모델이 발생하지 를 위한 추가연구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략적 혁신 창출 추진사업 등을 통해 기
않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보수적이며 파급효과가 적은 기술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술과 사업화의 중간다리 역할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일본의 기술사업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프로세스는 대기업의 영
9) 정확하게 한 부분이나 대상만을 겨냥함(국어국립원 ‘신어’ 자료집에 수록된 단어로 네이버에서
향력이 매우 큰 상황이며 해당 대기업은 기업 내부의 연구소 또는 연구기관을 통해
검색), 아주 작은 지점(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m Dictionary)
연구 성과를 관리 및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10) 복수의 특허를 특정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군집화한 것
11) 출처: 일본 문부과학성 과학기술・학술심의회 산학관협력추진위원회 보고서
8) 출처: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p79 12) 출처: 일본지식재산추진계획 2008

68 6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2) 일본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안 및 지원 정책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더욱 개선된 기초연구프로그램(Strategic Program of


Innovation R&D:S-Innovation)프로그램 또한 존재한다. 이것은 일본 과학기술 진흥
일본은 몇 가지 일본만의 고유한 기술사업화 지원정책이 존재하는데 그 특성은 다
사업단(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JST)의 기초연구 프로그램(SBRP)
음과 같다. 첫째, 관련 협회 및 대학 TLO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있다. 둘째,
의 연구 결과로부터 선별된 우수한 R&D 연구주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
지역 단위 중심의 기술이전 운영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 단순 기술이전과 위
로그램에서는 1단계 응용기초 연구, 2단계 요소기술 R&D, 3단계 응용개발로 나눠 장
험성 높은 기술사업화에 대한 지원이 차별적으로 분리되어 적용된다. 넷째, 미국 등
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선진국에 비해 성과가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정책도 존재한다. IP유동화
일본의 기술사업화는 미국모델을 벤치마킹하여 고유한 모델로 발전시키는 경우가
및 증권화 제도는 2004년 12월 「신탁업법」 개정으로 특허권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신
많다. 이는 실제 법안과 정책을 살펴보면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특별히 일본 기술사
탁이 가능해지면서 지적재산권을 통한 자본조달 및 중개사업 등 신탁은행의 지식재산
업화 정책과 법안의 특수성으로 지식재산권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통해 기술사업화
상품판매가 본격화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을 듣는다. 이와 관련하여 지식재산 상
를 촉진하는 정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정책은 다양한 기술사업화 관련
품화를 위한 시범사업으로 일본 정부는 2003년 3월 JDC(Japan Digital Contents)사의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드러난다. 특히 해당 제도들은 R&D, 금융, 협력, 기업
주관으로 약 2억엔 규모의 IP유동화 방식을 이용한 핀 체인지사의 IP유동화를 진행하
인프라, 지식재산권 등 전 분야에 걸쳐 다각적으로 설립, 확립되고 있다.
기도 했다.
일본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률적 기반은 1998년 「대학 등에 있어서 기술에 관한 연
이와 같이 일본에서도 기술사업화 관련 법안과 정책은 산·학·관 지식재산 협력을
구 성과의 민간사업자로의 이전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하여 만들어지게 되었
통해 공동 창의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인프라 정비, 글로벌 지
다. 이 법안으로 공공기술이전사업을 정부의 임무로 정하고 연구 성과물의 활용 촉진
식재산권의 효율적인 획득 및 관리를 위한 국제 지식재산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글로
을 위한 관련 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에 1999년 「중소기업기본법」 개정 등
벌한 협력관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을 통해 연구 성과의 이전촉진, 창업지원, 모험자금 운용, 인적·물적 교류 등을 위한
지원제도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해당 중소기업기본법은 미국의 Stevenson-Wydler법
3) 일본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
을 벤치마킹하여 제정되었고 일본판 Stevenson-Wydler법이라고 부를 만큼 해당 법안
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본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은 기술연구개발, 금융, 협력업무, 인프라 지원, 기술관
리 등 다양한 방면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학의 기술사업화와 관련하여 A-STEP(Adaptable and Seamless Technology
Transfer Program)의 역할 또한 컸다. 이것은 대학의 기초연구에 의해 산출된 연구결 첫째로 일본의 R&D 분야에서는 TLO(Technology Licensing Organization)과 신에
과물과 IP를 기반으로 한 산학 공동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과학기술 전 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분야에서 상향식(Bottom-Up)으로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시스템을 기초연구로부터 실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역할이 크다. 각각의 경우 과학기술의 활성화와 산업기
제 사업화 적용까지 R&D의 다양한 단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9개의 세부 지원 유형 술의 연구개발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신에너지·산업기술종
(sub-type)으로 구성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의 신청자는 자신의 R&D 단계에 맞게 합개발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R&D 관리 조직으로서 일본 및 해외의 최신 기술 동
지원할 수 있으며, 여러 세부 지원 유형을 고려하여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성공적인 향 및 시장 트렌드를 입수 후 정책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과제는 단계진입 평가를 통해 다음 단계의 지원 유형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있는 것이 특징이다.

70 7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표 19> 일본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13)


두 번째로는 기술금융과 관련된 기관이다. 일본 과학기술진흥사업단(JST, Japan
형식 수행기관 핵심 내용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의 경우에는 기술개발위험인수기금을 조성하여
과학기술
위험도가 높은 기술과 사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IPTJ(IP Trading Japan)는 TLO 기업과 대학 간 공동연구 지원
R&D 강화
R&D
지식재산권의 평가 및 관리, 각종 펀드이용의 중개,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 중개, 사 산업(기술) 신에너지·산업기술
산업, 에너지, 환경 기술에 집중
R&D 지원 종합개발기구
모채권의 발행, 지식재산권의 상품화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과학기술
기술개발위험인수기금 운용
세 번째로 네트워킹과 국제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은 다음과 같 진흥사업단(JST)
금융 금융지원
펀드 및 차입 중개, 사모채권 발행,
다. 일본 산업기술진흥협회(JITA, Japan Industry Technology Association)는 국제적인 IPTJ
지식재산권의 금융상품화
공동연구 및 국제 기술교류 사업을 수행하는데 주로 산업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골자 산업기술진흥협회 공동연구 및 국제 기술교류 사업 추진
네트워킹 및
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과학기술진흥사업단은 해외의 유수 연구자들을 일본으로 협력 과학기술 국내외 연구자 교류 촉진 및
해외협력
진흥사업단 공동연구 지원
유치하거나 일본의 연구자들을 해외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국
기술정보의 수집 및 제공을 통한
제적인 협력을 도모하고 연구회 또한 개최하여 학술적인 교류 또한 지원하는 역할을 테크노마트
기술거래 중개
하고 있다. 정보제공/ 기술정보 및 미활용 지식재산권 DB
인프라 IPTJ
컨설팅/ 제공 및 컨설팅
지원
일본의 테크노마트는 일본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서 인프라를 조성하고 건설하 교육·훈련 신에너지·산업기술 산업기술 Fellowship 프로그램 운영을
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테크노마트는 일본입지센터(JILC, Japan Industrial Location 종합개발기구 통해 기술관리 인력 양성
TLO 기술이전 전문인력 양성
Center)에 위치하여 기술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 R&D 데이터 활용을 위한 컨설팅, 강
산업기술진흥협회 지식재산권 이용계약 체결업무
연 및 전시회 등, 생태계 조성에 관심이 많다. 이를 통해 수집된 최신 기술 동향을 기 지식재산권 대학 연구기술의 평가 및
기술 TLO
반으로 기술거래 또한 중개 및 알선하기도 한다. 확보 및 기술이전 관련 업무
관리
기술이전 유휴 지식재산권 매입 및 판매,
IPTJ
교육 및 훈련 분야의 경우,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에서 대표적인 산업기 지식재산권의 라이선스 중개
술 Fellowship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기구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R&D 인력을 육성하고 훈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술이전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업무는 TLO에서도 진행하고 있는데 기관의 성격과 상관없이 기술사업 4. 중국
화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기관별로 진행하고 있을 만큼 추후 세대를 위
1) 중국 정부 R&D 투자 동향
한 기술사업화 컨설팅, 양육, 훈련 프로그램은 다양화되어 있다.
중국은 ‘과학은 곧 산업’이라는 모토를 앞세워 과학기술을 산업기술을 잉태시키는
마지막으로 기술 관리를 위한 지적재산권 확보, 운영관리, 이전 또한 많은 기관이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 서비스업을 중국의 주요 산업을 육성시키기 위
지원하고 있는 분야이다. 산업기술진흥협회는 경제산업성과 여타 공공연구 기관들이
하여 정부적 차원에서 과학연구, 전문기술 서비스, 기술 보급, 과학기술 정보교류, 과
보유하고 있는 지식재산권에 대해 민간부문과 이용계약을 체결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학기술 교육, 기술 컨설팅, 기술인큐베이터, 기술시장, 지식재산권 서비스, 과학기술
있으며 IPTJ는 유휴 지식재산권 매입 및 판매, 지식재산권의 라이선스 중개를 담당하
평가 및 과학기술 검증과 같은 분야에 투자하고자 한다.
고 있다.
13) 출처: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72 7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최근의 주목할 만한 동향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14). 첫째는 과학기술 성


2) 중국의 기술사업화 관련 법안 및 정책
과의 활용 및 수익관리 개혁과 관련한 시범 사업과 관련된 것이다. 리커창 국무원 총
중국의 기술사업화 지원제도, 법안, 정책은 R&D, 협력, 인프라, 기술관리 등의 분
리는 2014년 7월 2일 국무원 상임회의를 주재하면서 자주 혁신 시범구역과 사업기관
을 설정하고 과학 기술 사업화를 향한 의지를 드러내었다. 이와 더불어 해당 시범구 야에 걸쳐 다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이를 통한 중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동력

역에서 발생하는 성과에 대해 개혁 시범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은 사업기 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것은 2014년 6월 중국 주석인 시진핑 국가 주석이 중국과

관이 허가 및 가격을 모두 관할하여 과학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진행하고 모든 수입 학원 제 17차 원사대회, 중국공정원 제12차 원사대회에서의 발언한 것에서도 알 수

은 기관이 자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사업화가 본격적인 성 있다. 그는 중국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장곡선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주 혁신 능력을 강화하여 과학기술을 최고 우선순위에 두고자 하는 그의 의도가 드
러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는 북경시의 발표문과 관련된 것이다. 북경시는 ‘경과9조’ 즉 ‘과학기술 연구기
관의 과학기술 성과 사업화 및 산업화에 대한 일부 의견 시행’을 발표하였다. 총 9개 첫째로 국가 기술이전 촉진행동 실시방안이 있다. 이 정책은 중장기과학기술발전계
세부 실행 정책이 포함된 해당 의견은 과학기술 체제 개혁과 산학연 협력적 혁신을 획(’06~’20년)의 목표달성과 기술시장의 발전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강화와 과학기
도모하는 것이다. 해당 의견은 과학기술 연구 성과의 공개 거래 제도를 시범적으로 술의 산업화를 촉진하고자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해당 정책은 과학기술부, 교육
시행하고 연구개발 기관의 시장사업화 개혁을 추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구자 부와 중국과학원이 공동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정책의 주요 목적은 전면적인 과학발전
에게 사업화 수익의 일정 비율 공유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으며 기업과 협력할 관을 실현하는 것이다. 과학의 보급과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한 기술이전 체계를 구축
수 있는 근거도 확장하였다. 그리고 과학기술 연구 기관의 관련 기업을 육성하기 위 하여 기술, 인재, 자본 3대 요인의 상호결합을 통해 과학기술자원 배분 및 운영측면에
해 인큐베이터를 조성하고 독려하고자 한다. 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신기술 이전 체계를 구축

셋째는 중관촌 과학기술 성과 사업화 추진에 관한 의견이 좋은 예다. ‘중관촌’은 중 하여 기술이전과 보급에 유리한 운영 메커니즘과 효율적인 루트를 구축하고, 기술시
국에서 과학교육을 통한 고등 인적 자원이 가장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북경대학, 청 장의 법률 및 정책적 보강체계를 정비하여 기술이전에 유리한 법 제도적 환경을 조성
화대학과 같이 40여개의 고등 교육, 연구기관과 레노버와 바이두와 같은 첨단 기술기 하고자 한다.
반 기업 2만여개가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2014년 1월 중관촌 지역에서 발표한 ‘경교 둘째 정책적 예시는 국가 중점 실험실 계획이다. 해당 정책은 새로운 연구 분야 발
10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관촌 지역은 사업화에 필요한 산학연 협력적 기반을 만 생 시 중국 과학기술부 내에서 협의를 거쳐 중점연구실을 개설하는데서 시작한다. 이
들고 있다. ‘경교 10조’는 ‘대학교 과학기술 성과 사업화 및 과학기술의 협력적 혁신의
런 중점 연구실을 통해 연구자들이 장기간 정부의 직접적 지원과 관련 분야의 간접적
가속화 추진에 대한 일부 의견 시행’의 약칭으로 대학교 및 연구기관에서의 연구 성
연구비까지 지원받게 되는 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적으로 필요한 과학기술 분야
과를 사업화하는데 있어서 심사와 허가를 대학교 및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시행하도
에 대표 연구실을 선정, 지원하는 계획하는데 선정이 확정될 시 상당기간 동안 해당
록 하였다. 또한 사업화를 장려하고 일자리 창출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
세부 연구 분야의 대표적 연구소로 각종 연구비 지원과 대외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을 정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 까지 포함한다. 세부내용은 대학교의 오픈 실험실에
점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그것은 해당 연구 분야 내에서 확고한 뿌
필요한 자원을 지원하고 사업화 성과를 국제화하는 데 필요한 플랫폼 조성에도 지원
리를 내리는 계기가 되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연구자들 사이에서 경쟁이 매우 치열한
을 한다. 그리고 연구자들과 학생들의 창업과 사업화를 독려할 수 있도록 투자 지원
상황이다. 지원분야로는 화학, 물리, 지구지질학, 생명공학, 정보기술, 소재, 응용공학
도 마다하지 않으며 재원의 다양한 지원제도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등 7개 기초연구 분야로, 이 제도 시행 이후 중국의 SCI 논문발표 및 특허출원 실적
14) 출처: Xu Guo Wen, ‘중국 과학기술 성과의 사업화 및 중한 과학기술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제
이 증가했으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세부 분야별 과학 연구 성과의 축적에 큰 공헌
안‘의 내용을 발췌 및 정리한 것임

74 7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3 장 국내외 기술사업화 투자동향 및 법·제도

을 하고 있다.
3) 중국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
셋째로 국제과학기술협력계획은 수준 높은 해외과학 기술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급격한 경제 성장 이후 중국은 자본과 인력등의 많은 자원을 과학기술에 투자하여
이를 통해 중국의 과학문제 해결 및 핵심기술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계
급성장하고 있고 그 성장은 다양한 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을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특
획을 통해 중국이 국가 관점에서 국제 핵융합실험실로 프로젝트(ITER), 국제인간게놈
히 중국은 구체적으로 세계1위 연구개발(R&D) 인력, 연구개발 투자 세계2위, 연간 과
프로젝트(HPP) 등 대형 국제과학 프로젝트에 참가하였고, 주요 연구 분야별 국제과학
학인용색인(SCI) 논문 세계2위(‘13년 OECD Technology & Industry Scoreborad) 국가
기술협력기지로서 국제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로서 그 자리를 공고히 지키고자 지원기관의 다양화, 업무의 포괄화에 주력하고 있다.
넷째로 국가 기술이전 시범센터 관리방법이 존재한다. 이것은 과학기술 발전과 자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사업화 주력 기관의 예로 중국기술시장관리촉진센터를 들 수
주혁신을 촉진하고 중국의 과학보급과 기술이전의 활성화 및 기술이전기구의 건전한
있다. 기술시장관리촉진센터는 중국과학기술부 산하기관으로 1986년에 세워졌다. 이
발전을 위한 기술이전 시범센터의 운영, 관리 등에 대한 규정을 정해둔 것이다. 주요
센터에서는 중국 전역의 기술시장 및 생산력 촉진 분야와의 협력하여 기관간 연락 및
업무로는 기술정보의 수집 분석 및 정리, 기술양도와 기술이전 대행, 기술의 집적과 2
조직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정부와 과학연구기관 및 기업 간의 연락을 통하여,
차 개발, 기술표준 및 시험평가, 기타 서비스 제공이 있다. 각 지역의 국가 기술이전
기업혁신능력 및 시장경쟁력 향상, 기술시장 발전, 지적재산권 보호, 과학연구 성과의
시범센터는 지식의 보급과 기술이전 활성화를 주요 임무로 과학기술혁신과 신기술산
상품화 및 산업화, 과학연구 성과의 국제화, 전환 속도의 가속화 촉진을 설립 취지로
업발전 촉진을 위해 본 지역의 산업별 기술이전 기구의 선도자, 시행자, 추진자 역할
삼고 있다.
을 주요임무로 하고 있다.
두 번째로 하이테크연구발전중심 기관이 있다. ․하이테크연구발전중심은 1994년에
과학기술부 직속의 독립법인 자격으로 건설된 기구이다. 국가 과학기술공관계획 프로
<표 20> 중국의 기술사업화 지원정책15)
젝트 관리와 성과 산업화 담당 첨단기술 프로젝트의 경제적 평가 및 기술이전 관리를
정책분야 지원정책 주요내용
주로 수행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중국 과기부의 핵심 사업과 관련된 법률 및 지적재
국가 기술이전 촉진행동
과학기술의 산업화를 촉진
기술 및 기업 실시방안 산권 관련 컨설팅 및 서비스제공까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과학기술계획 관리업무
R&D
R&D 강화 선정 시 정부의 직접적 지원과 관련 분야의 관련 트레이닝, 컨설팅 등을 제공하기도 하며 국영자산 관리사업 담당하기도 한다.
국가 중점 실험실 계획
간접적 연구비까지 지원
세 번째 예로 화거하이테크개발센터를 들 수 있다. 본 센터는 중국 과학기술부 산
국가 기술이전 촉진행동 기술이전 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이전과 보급에
네트워킹 및 실시방안 유리한 운영 메커니즘과 효율적인 루트를 구축 하 첨단기술 산업화 연구 담당기관으로 중국 연구개발(R&D)투자의 2/3를 차지하고
협력
해외 협력
국제과학기술협력계획 해외과학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을 목적 54개 산업단지와 40여개의 기술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화거하이테크산업개발중심은
인프라 교육, 훈련 기술이전 석사과정 기술이전 전문인력 양성 첨단기술산업 발전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 신소재, 생물기술,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 국가 기술이전 시범센터 광기전 일체화(메카트로닉스), 대체연료(신에너지), 고효율성 및 환경보호산업 등을 중
기술이전 과학기술혁신과 신기술산업발전 촉진
관리 관리방법
점적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중국 첨단기술 성과의 상품화, 기술혁신펀드 운영, 과학기
술형 기업 인큐베이터 운영, 과학기술 벤처 투자 등을 수행하는 곳이다. 본 센터는 중
국 과학기술부의 관심이 많은 만큼 다양한 협력 사업도 진행 중에 있는데 가장 주목
할만한 내용이 우리나라와의 협력이다. 2014년 한중 정상회담의 결과로 양국이 대형
1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2년 기술이전사업화백서 재정리 실용화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기술사업화의 노하우를 공유하기로 결정한 이후,

76 7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국내의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기술사업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로 계획하였다. 특


히 본 센터에서는 연구성과 사업화(기술사업화 기반조성, 기술이전, 공공연구성과 사
업화), 벤처생태계 조성(첨단기술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경영마케팅지원),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중국의 기술사업화 경쟁력을 제고
하고자 한다.

제4장
<표 21> 중국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기관과 내용
형식 수행기관 핵심 내용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기술 및 기업 중국기술시장관리촉진센터 기술시장 및 생산력 촉진
R&D
R&D 강화 (中國技術市場管理促進中心) 분야와의 협력
하이테크연구발전중심 기술 경제적 평가 및 기술이전
정보제공/ (科技部高技術硏究發展中心) 관리
인프라
마케팅/ 시장지향을 목표로 첨단기술
지원 화거하이테크산업개발중심
컨설팅 성과의 상품화에 이은 하이테크
(火炬高技術産業開發中心)
기술상품의 산업화

78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제 절1 기술사업화 R&D 사업 분석

1. 분석의 개요

기술사업화 R&D 사업은 데이터를 통해 사업 분석이 가능한 2012년도 정부연구개


발사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대상사업의 선정 기준은 기술사업화 정의에 따
라 연구성과물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사업들로써 2015년도 정부연구개
발예산·배분(안)의 ‘연구성과 사업화 촉진사업’ 과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사업’ 의
일부 사업을 참고하였다. 또한 2012년도 ‘일자리창출 효과가 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에 대한 R&D’16) 예산 사업도 유사한 정책목표를 추진했던바, 후보 대상사업으로 고
려하였다.

2. 부처별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기술사업화 지원으로 고려되는 대상사업에 대해 전문가 면담, 관리기관 자문을 통


해 최종 대상사업을 선정하였다. 2012년도 부처·청별 기술사업화 지원 R&D사업은
대부분 추가 R&D를 중심으로 사업이 수행되고 있었고, 많은 과제는 아니지만 기술개
발에 앞서 R&D, R&BD 기획을 지원하는 경우들이 보였다. 인력·조직 측면에서 많
은 유형이 존재한 것으로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를 위한
TLO, 학교기업, 특화전문대학원 지원 등이 세부과제를 구성하고 있다. 부처별 각 사
업의 상세한 내용은 2012년도 부처별 기술사업화 사업과 지원정책 유형 표에 뒤이어
서 사업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16) 2012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배분(안)

8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22> 2012년도 부처별 기술사업화 사업과 지원정책 유형 1) 교육부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유형 <표 23> 학교기업지원 사업내용
사업화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금융
제도
연구개발 지원 거래지원 기반 구축 지원
부처 사업명 사업명 학교기업지원사업 부처명 교육부
추가
R&D 발굴‧ 인력‧ 네트 구매
R&D 평가 자금
기획 거래 조직 워크 등
개발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 ○ ○ ○ ○ (억원) 120 120 130 122.5 110.45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 ○ ○ ○ ○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한국연구재단,
(대학보유기술직접사업화지원)
○ ○
시행주체 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시행년도 2004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미래 ○ ○ ○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원)
창조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과학부 ○ ㅇ 학교기업 현장실습 지원을 통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상시적 현장 실습환경을
(특화전문대학원지원)
제공하고 실무형 인재로 양성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지원)

연구개발특구육성 ○ ○ ㅇ 학생들에게 창업경험 기회 제공을 통해 학교기업을 창업․창직의 전초기지로
사업목적
활용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 ○ ○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교육부
(학교기업지원)
○ ○ ㅇ 5년 내외의 재정지원으로 정부의 지원 없이도 독자적으로 운영 가능한 자
생적 학교기업의 전환 유도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 ○ ○ ○ ○ ○
나노융합2020 ○
산업 디자인기업역량강화 ○ ○ ○ ㅇ (학교기업의 창업지원) 지방소재 학교기업의 학생창업 지원·육성 유도
- 지방소재 학교기업이 지역산업 기반 학생창업 아이템에 초기 창업도전자
통상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
자원부 금을 지원하는 경우, 학교기업 선정․성과 평가에 반영
산업융합촉진사업 ○ 사업내용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 ㅇ (학교기업 운영비 지원) : 학교기업 현장실습비 및 원부자재 구입비 등 학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 교기업 운영 지원을 위한 사업비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신 ○ ○ ○
중소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 ○ (학교기업지원사업): 11,045백만원
‘14년도
기업청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 - 학교기업 현장실습비 지원 및 창업시제품 제작 등 창업경험기회 제공을 위
사업내역
한 지원 (47개 학교기업×235백만원)
창업성장기술개발 ○ ○
해양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 ○ ○ ○ ○ 교육부가 지원하는 학교기업지원사업은 2004년도부터 시행되었다. ‘12년도 130억 원, ‘13년도
수산부
농림축 122.5억 원, ’14년도 110.4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고 사업목적은 학생들에게 현장 실습환
산식품 기술사업화지원사업 ○ ○ ○ ○ 경을 제공하여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창업경험 기회 제공을 통해 학교 기업을 창업 창직의
부 전초기지로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5년 내외의 재정지원으로 정부의 지원 없이도 운영 가능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 한 자생적 학교기업의 전환을 유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요 사업내용은 지방소재 학교기업
환경부 ○ ○
화촉진 의 학교기업의 학생창업 지원‧육성을 유도하고, 학교기업의 운영비 지원이다.
농촌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 ○ ○ ○ ○ ○
진흥청

82 8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25>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사업 내용


2) 미래창조과학부
<표 24>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내용 지식경제부
사업명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부처명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명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부처명 사업비
(미래창조과학부)
(억원) 419.59 424.67 468 469.93 675.82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시행주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시행년도 1996
(억 원) 30 30 33 65.52 179
IT산업 인프라 구축으로 기술, 사업화, 지재권, 시설장비 등 기업활용서비스 강
기초연구성과실용화재단 사업목적
화를 통해 IT기술의 확산 및 글로벌 사업화 촉진
시행주체 시행년도 2010
(한국연구재단)
ㅇ (IT·SW융합기술확산) IT·SW융합기반구축(IT‧SW융합혁신센터, IT‧SW융합지
사업목적 ㅇ 미래부 기초·원천 연구성과의 활용·확산을 촉진 원센터), SW융합 실증·확산지원(시제품제작‧테스트‧인증‧상용화지원)
ㅇ (연구성과사업화 지원) ㅇ (SW융합 클러스터) 지역별로 특화된 ‘SW융합 클러스터’ 조성 (현재 3개,
- 사업화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수요기업 발굴 등을 위한 전문 컨설팅 ‘15년 2개 추가)
지원 ㅇ (협업기반의 산업활력제고사업) 과학기술과 ICT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 추진,
-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BM설계, 시제품·상용화 기술개발 지원 비타민 ICT R&D 확산 과제 추진
ㅇ (연구성과확산역량제고(기술패키징)) ㅇ (SW산업기술확산역량강화) SW자산재개발사업, 공개SW활성화지원, SW공학
- 여러 기관이 보유한 IP를 패키징하여 기업 등에 효과적으로 연계 사업내용
경쟁력강화, SaaS 활성화 기반구축, 임베디드SW산업육성, 창의도전형 SW
ㅇ (대형사업단 성과관리) R&D지원, SW테스트기반조성, Future Star SW기업 발굴·육성(‘15신규)
사업내용
- 대형사업단 등 주요사업에 대한 사업화 관점의 연구 개발전략 수립, ㅇ (정보통신기업R&D역량강화) ICT투자지원체계 구축운영, ICT중소·벤처협력
사업화 유망기술 발굴 등을 위한 R&D 컨설팅 지원 네트워크 운영, 공통서비스 인프라 구축·운영, 모바일융합 해외인증정보지
- 사업화 유망기술 마케팅 등 기술이전 지원 원체계구축(‘15신규), 선진기술특허대응시스템구축·운영
ㅇ (기술가치평가 활성화 추진) ㅇ (IT산업환경규제신속대응체계구축) 사용금지물질확대, 친환경설계기준강화,
- 기술가치평가 인프라 구축 등 지원 에너지효율제고 등 IT산업환경규제신속대응체계구축
- 대형, 유망기술 기술가치평가 지원
(IT·SW융합기술확산): 9,682백만원
- 가치평가 전문교육 및 온라인 시스템 활용교육 확대
- 2개 과제×4,841백만원
(연구성과사업화):12,500 백만원
(SW융합 클러스터): 6,104백만원
- 사업화 컨설팅 150개
- 3개센터 ×2,035백만원
- 기술업그레이드 R&D 40개
‘14년도 (협업기반의 산업활력제고사업): 16,939백만원
(계속 10개, 신규 30개)
사업내역 ‘14년도 - 1개 과제×16,939백만원
(성과확산 역량강화):1,000백만원
사업내역 (SW산업기술확산역량강화): 29,021백만원
- 지원과제 10개
- 7개 과제 ×4,146백만원
(대형사업단 성과관리): 4,400백만원
(정보통신기업R&D역량강화) : 5,174백만원
- 4개 과제×1,294백만원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사업의 해당부처이며, 1996년도부터 시행되었다.
(IT산업환경규제신속대응체계구축): 662백만원
사업목적은 IT산업 인프라 구축으로 기술, 사업화, 지재권, 시설장비 등 기업활용서비스 강화를
- 1개 과제 ×662백만원
통해 IT기술의 확산 및 글로벌 사업화 촉진이다. ‘12년 468억, ’13년 469.93억, ‘14년 675.82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사업내용으로 IT‧SW 융합기술확산, SW융합 클러스터조성, 협엽기반의 산업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사업은 미래부 사업으로 1996년도부터 시행되었다. 사업목적은 IT산업 인
활력제고사업, SW산업기술확산역량강화, 정보통신기업 R&D역량강화,IT산업환경구제 프라 구축으로 기술, 사업화, 지재권, 시설장비 등 기업활용서비스 강화를 통해 IT기술의 확산
신속대응체계구축이다. 및 글로벌 사업화 촉진이다. ‘12년 468억, ’13년 469.93억, ‘14년 675.82억원의 예산이 투입
되었다. 사업내용은 IT‧SW 융합기술확산, SW융합 클러스터조성, 협엽기반의 산업활력제고사업,
SW산업기술확산역량강화, 정보통신기업 R&D역량강화,IT산업환경구제신속대응체계구축 등이다.

84 8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26>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사업내용 <표 27> 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내용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교육부
사업명 부처명 지식경제부
(산학연협력활성화지원) (미래창조과학부) 사업명 연구개발특구육성 부처명
(미래창조과학부)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억원) 123 123 155 173 161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시 1.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원: 2002~ (억원) 331 331 347 347 387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 행 2. 학연협력특화전문대학원지원: 2009~
시행주체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진흥협회) 년 3. 대학보유기술이전촉진: 2006~ 시행주체 시행년도 2005
도 4. 대학보유기술직접사업화지원:2012~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ㅇ(산학협력 전담조직 역량 강화)
- 대학 기술이전전담조직(TLO) 지원을 통한 기술이전 역량 강화, 직접 ㅇ 연구개발특구의 연구성과 사업화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기술-창업-성장
사업목적
사업화를 통한 대학 연구개발의 선순환 구조 정착 이 선순환하는 한국형 혁신클러스터 육성
ㅇ(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
사업목적 - 산학연협력 지식클러스터, 핵심융합기술개발을 통한 산학연 융합연구 ㅇ 연구성과의 조기 사업화를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발굴과 기술 수요자와
역량 강화와 공동연구법인을 활용하여 대학 등의 보유기술 사업화
공급자간 연계 및 사업화 지원
ㅇ(특화전문대학원 지원)
- 출연(연)의 전문R&D인프라를 대학의 고급인력양성에 접목시켜 특화 사업내용
분야의 대학원을 운영함으로써 학연협력의 선도모델 운영 ㅇ 우수 아이디어 및 기술의 창업‧성장 지원 및 특구벤처 기업의 글로벌 진출
ㅇ (산학협력 전담조직 역량 강화) 지원
- 대학 보유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전문인력 확충, 기술개발 지원 등 역량 강화
- 대학 보유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및 자회사 (연구성과 사업화(‘14년)→특구 연구성과 사업화(‘15년)): 32,406백만원
설립 확대 및 지원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 - 기술탐색이전공급:3,100백만원
-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활동 및 애로기술 개발을 통해 R&D 역량이 취약 ‘14년도 - 특구기술사업화:29,306백만원
사업내용
한 대학․중소기업의 새로운 산・학・연 협력 모델 확산 사업내역 (벤처생태계조성(‘14년)→특구창업․글로벌지원(‘15년)): 6,300백만원
- 산학연 협력 공동연구법인 운영을 통해 기술사업화 효율성 증진 및 성공 - 기술사업화기업발굴및성장지원 : 4,800백만원
가능성 제고 (특화전문대학원 지원)
- 대학의 고급인재와 출연(연)의 전문화된 R&D 인프라간 연계를 통해 - 특구커뮤니티및글로벌교류 : 1,500백만원
교육과 연구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학연협력의 선도적
모델 개발․운영 및 확산
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은 2005년도부터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미래창조과학부이다. 투입
(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 2,400백만원
- (20개×80백만), (4개×200백만) 된 예산으로는 ‘12년 347억, ’13년 347억, ‘14년 387억 원 이다. 사업목적으로는 연구개발특
(산학연공동연구법인 지원): 2,500백만원 구의 연구성과 사업화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 하는 한국형 혁신클
- (4개×500백만+기획연구 500백만)
‘14년도 러스터 육성이다. 사업내용으로는 연구성과의 조기 사업화를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발굴과 기
(학연협력 특화전문대학원 지원): 5,000백만원
사업내역 - (1개×3,000백만+2개×1,000백만) 술 수요자와 공금자간 연계 및 사업화 지원, 우수 아이디어 및 기술의 창업성장 지원 및 특구
(대학 보유기술 이전촉진): 5,400백만원 벤처 기업의 글로벌 진출지원이다.
- (30개×167백만), (E-TLO 400백만)
(대학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800백만원
- (4개×200백만)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사업 해당부처는 미래창조과학부이다. 각각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


원 2002년, 학연협력특화전문대학원지원 2009년, 대학보유기술이전촉진 2006년, 대학보유기
술직접사업화지원 2012년도부터 시행되었으며, 투입된 예산으로는 ’12년도 155억, ’13년도
173억, ’14년도 161억 원이다. 사업목적은 산학협력 전담조직 역량 강화, 산학연 협력 클러
스터와 특화전문대학원 지원이다. 이에 따른 사업 내용으로는 산학협력 전단조직 역량 강화와
산한연협력 클러스터 지원, R&D 역량이 취약한 대학‧중소기업의 새로운 산학연 협력 모델 확
산을 돕고 특화전문대학원을 지원한다.

86 8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28>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내용 3) 산업통상자원부


<표 29>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내용
지식경제부
사업명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부처명
(미래창조과학부)
지식경제부
사업명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부처명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비
(억원) - 100 140 270 300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억원)
시행주체 시행년도 2011 267 247 217 162.14 163.99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ㅇ 추가연구개발특구의 연구성과 사업화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기술-창업- 시행주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공공연구기관 등 시행년도 1999
사업목적
성장이 선순환하는 한국형 혁신클러스터 육성

ㅇ 연구성과의 조기 사업화를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발굴과 기술 수요자‧ ㅇ 기술사업화를 통한 R&D 성과 활용 촉진


공급자간 연계 및 사업화 지원 사업목적 - 개발된 기술의 이전․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
사업내용 - 공공연구기관의 이전․거래 역량을 강화하여 사업화 촉진기반 조성
ㅇ 우수 아이디어 및 기술 창업의 성공률 극대화를 위해 창업아이템 검증-
응용기술 이전-상용화 지원 ㅇ (기술시장 지속성장 기반조성) R&D성과물 기업 확산 촉진을 위한 기술
시장 기반조성 및 기술평가 신뢰성 증진
(연구성과 사업화(‘14년)→특구연구성과 사업화(‘15년)): 26,060백만원 - (기술사업화종합정보망 구축․운영) 기술이전사업화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 기술탐색이전공급:2,470백만원 를 수집, 선별, 가공, 분석하여 DB로 구축하고, 이의 유통활성화를 위해
‘14년도 - 특구기술사업화:23,590백만원 인터넷 기반의 정보유통체계(NTB) 구축 및 운영
사업내역 (벤처생태계조성(‘14년)→특구창업 지원(‘15년)): 3,940백만원 - (기술이전설명회 개최) 기술공급자-수요자간 만남의 장 마련을 통한 기
- 기술사업화기업발굴및성장지원 : 3,390백만원 술이전 활성화를 위해 기술이전설명회 개최
- 특구커뮤니티및글로벌교류 : 550백만원 - (기술나눔 활성화) 기술력이 우수한 신성장 동력 분야 기업의 기술 금융
(사업화자금 신용대출) 지원을 위한 기술평가비용 지원
2011년도부터 시행된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가 해당부처이다. 투입된 - (혁신형 중소기업 기술금융지원) 기술력이 우수한 신성장 동력분야 기업
예산으로는 ’12년도 140억, ‘13년도 270억, ’14년도 300억 원이다. 추가연구개발특구의 연구 의 기술금융(사업화 자금 신용대출) 지원을 위한 기술평가비용 지원
성과 사업화 및 창업지원 등을 통해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한국형 혁신클러스터 육성 - (기술평가기법 개선)기술평가기법 개발․보급, 기술평가정책․제도연구 등
이 사업의 목적이다. 이에따른 사업내용으로는 션구성과 조기 사업화를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기술평가인프라 확충을 통한 기술평가 활성화
사업내용
- (산업기술분쟁조정) 산업기술분쟁조정 및 국내외 산업기술분쟁예방을 위
발굴과 기술 수요자 공급자간 연계 미 사업화지원, 우수 아이디어 및 기술 창업의 성공률 극
한 교육․상담․홍보 지원
대화를 위해 창업아이템 검증-응용기술 이전-상용화 지원이다.
- (BI인중제품 지원) BI제품의 조기 시장진출지원을 위하여 마케팅 전략수
립 등에 필요한 시장조사(marketing research) 서비스 제공

ㅇ (글로벌 기술이전․거래 역량강화) 국내 및 해외의 기술공급자․중개자․수요자


간 기술이전 및 거래역량 강화 지원
- (글로벌 성과 확산 지원) 글로벌 기술사업화 협력네트워크 구축(GCC&EEN)
을 통한 국내 유망기술의 글로벌화 촉진 지원
- (선도 TLO 육성 지원) 연구소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기관역량 및 성과에
따라 차별적으로 운영비 지원
-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지원) 공공(RTTC)과 민간의 기술거래기관 간 네
트워크를 지역권으로 구분 및 선정하여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활동 지원

88 8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0> 나노융합2020 사업내용


- (기술지주회사 지원) 기술지주회사 성과 및 자립화 계획 등을 검토하여
우수한 기술지주회사를 선정 및 지원 지식경제부
사업명 나노융합 2020 부처명
- (기술사업화 바우처) 중소기업이 기술중개자를 선택하여 기술이전 및 사 (산업통상자원부)
업화에 필요한 전문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바우처 지원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기술시장지속성장기반조성): 4,100백만원 (억원)
- - 50 120 145.3
- 기술은행(NTB) 운영: 1,100백만원
- 기술이전 설명회: 500백만원 시행주체 나노융합 2020 사업단 시행년도 2012
- 기술신탁․기부채납 활성화: -
ㅇ 나노융합기술 R&BD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미래 신산업·신시장을 조기
- 혁신형 중소기업 기술금용지원: 1,200백만원
사업목적 창출하고 지속적인 나노융합 기술의 발전을 통한 시스템 구축
- 기술평가기법 개선: 500백만원
‘14년도 - 산업기술분쟁 조정: 300백만원
ㅇ NT-IT, NT-ET 등 2대 융합분야, 4대 핵심전략사업분야에 대한 나노융합
사업내역 - BI 인증제품 지원: 500백만원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
(글로벌 기술이전 거래역량 강화)
※ 4대 핵심전략사업분야 : Post CMOS형 차세대반도체, 휴먼인터페이스용
- 글로벌 성과확산 촉진: 2,699백만원 사업내용 나노유연소자, 나노융합 고효율 에너지변환기술, 나노융합 고성능 물환
- 선도 TLO 육성: 3,800백만원
경/자원처리기술
-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지원: 2,600백만원
ㅇ 2대 융합분야를 개발하기위한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통기반 기술개발 지원
- 기술지주회사 육성: 3,200백만원
- 기술사업화 바우처: - (NT-IT융합): 8,072백만원
- (16개×503백만)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사업은 1999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해당부처이다. ‘14년도 (NT-ET융합): 5,680백만원
‘12년 217억, ’13년 162.14억, ‘14년 166.99억 원의 예산이 투업 투입되었다. 기술사업화를 사업내역 - (11개×517백만)
통한 R&D 성과 활용 촉진이 사업의 목적이다. 이에 따른 사업의 주요내용으로는 기술시장 지 (기획평가관리비): 800백만원
속성장 기반조성, 글로벌 기술이전‧거래 역량강화이다.
나노융합2020 사업은 2012년도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이다. 나노융합기술
R&BD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미래 신산업‧신시장을 조기 창출하고 지속적인 나노융합 기술의
발전을 통한 시스템 구축이 사업의 목적이다. 투입예산은 ‘12년 50억, ’13년 120억, ‘14년
145.3억 원 이며, NT-IT, NT-ET등 2대 융합분야, 4대 핵심전략사업 분야에 대한 나노융합상
용화 기술개발 지원, 2대 융합분야를 개발하기 위한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통기반 기술개발
지원이 주요 기술사업화 지원 내용이다.

90 9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1> 디자인기업역량강화 <표 32> 사업화연계기술개발 사업내용

디자인기업역량강화
지식경제부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 지경부 사업명 사업화연계기술개발 부처명
사업명 *‘15년부터 글로벌전문기술개발(주력및신산업)사업 내역사업인 ’디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을 통합하여 명칭 변경(기존 세부사업명 :
디자인기업역량강화)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억원) 269 300 270 291.64 384.5
사업비
(억원)
- 145 188.47 185.47 248.7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시행주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소․중견기업, 공공연구 시행년도 2005
기업(참고:한국디자인진흥원) 기관 등)
시행주체 (중소․중견기업(디자인전문기업 포함), 연구소, 시행년도 2011 ㅇ 글로벌시장 창출․선점 가능성이 높은 사업화 유망기술, 우수 BM(Business
대학 등) Model) 및 BI(Business Idea)의 발굴 및 사업화 기술기획 과정을 지원
사업목적 ㅇ 사업화 유망기술에 대한 추가기술개발, 제품성능인중, 시제품 제작 등 사업
ㅇ 자체적 디자인 역량이 미약한 중소기업의 디자인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사업목적 화지원을 통해 R&D성과물의 사업화 촉진 및 글로벌 선도형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자인기업 육성
육성
ㅇ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 육성) 중소·중견기업 제품․서비스의 디자인 혁신을 ㅇ (BM기획형) 우수 BM․BI 지원
견인할 수 있도록 디자인전문기업 자체 역량을 발굴 개발하여 글로벌 디자 - 우수 BM 기획 및 사업화개발 지원(추가기술․제품화개발, 제품성능인증,
인전문기업으로 육성 시제품제장 등)
- 개인․기업 등이 제안한 우수 BI 발굴 및 사업화 개발 지원
ㅇ (디자인전문기술개발) 중소·중견기업이 활용하여 바로 사업화 가능한 디자 사업내용 ㅇ (투자유도형) 글로벌시장 창출형 유망기술 지원
사업내용
인 기술을 개발토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육성
ㅇ (기관연계형) BI사업화 환경 조성 지원
ㅇ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 여러 기업이 새로운 제품․서비스 개발에 활용 ㅇ (아이디어 팩토리 지원) 대학생의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발전을 위한 공간․
활 수 있는 확장성 있는 실험적인 미래 선행․융합 디자인 기반기술 개발 장비․교육․목업제작, 전문기관의 아이디어 고도화․사업화 등 지원
지원
(BM기획형): 23,050백만원
(글로벌디자인전문기업육성): 8,895백만원 - BM기획: 12,050백만원(신규:5개×1080백만, 계속:6개×1108백만)
- 글로벌기업 5개×500백만 - BI연계: 11,000백만원(신규:22개×500백만)
- 선도기업 9개×300백만 ‘14년도 (투자유도형):11,400백만원
‘14년도 - 창조기업 10개×150백만 사업내역 - 신규:6개×840백만, 계속:7개×908백만
사업내역 - 두뇌기업5개×420백만 (기관연계형): 4,000백만원
(디자인전문기술개발): 15,982백만원 - 계속:10개×400백만
- 신규47과제×340 (기획평가관리비): 1,550백만원
(※기획평가관리비: 2,080백만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사업은 2005년도부터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이다. ‘12
년 270억, ’13년 291.64억, ‘14년 384.5 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고, 사업의 목적은 글로벌
디자인기업역량강화 사업은 2011년도 시행되었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해당부처이다. 자체적
시장 창출선점 가능성이 높은 유망기술, 우수 BM (Business Model)및 BI(Business Idea)의 발
디자인 역량이 미약한 중소기업의 디자인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자
굴 및 사업화 기술기획 과정을 지원하고, 사업화 유망기술에 대한 추가기술개발, 제품성능인증,
인기업 육성이 사업의 목적이며 투입된 예산으로는 ‘12년 188.47억, ’13년 185.47억, ‘14년
시제품 제작 등 사업화지원을 통해 R&D성과물의 사업화 촉진 및 글로벌 선도형 중소‧중견기업
248.77억 원 이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글로벌 디자인전문기업 육성, 디자인전문기술개발,
육성이다.
차세대디자인핵심기술개발이 있다.

92 9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3> 산업융합촉진 사업내용 <표 34>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사업내용

지식경제부 지식경제부
사업명 산업융합촉진 부처명 사업명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2015년도 종료)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억원) - - 40 55 61.76 사업비
(억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산업융합지원센터 100 128.5 176.8 169.68 163
시행주체 시행년도 2012
(바이오나노융합평가팀))
ㅇ 산업융합촉진법 제정(‘11.4.5일)을 계기로 산업융합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시행주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시행년도 2010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여 혁신적인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융합 신제품 개발촉진과 공통활용정보 개발을 지원
ㅇ 산업융합촉진법(‘11.4월 제정)을 바탕으로 수립된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과 ㅇ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사업의 기술개발(슈퍼소재, 융합제품, 기반기술) 및
‘실행계획’에 기반한 對국민(産·學·硏·官·民)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공 기반구축을 위한 계속사업비 지원
사업목적 사업목적
통정보 개발 및 중소·중견기업의 융합대응 역량 강화를 통한 산업적 가치
창출(부가가치, 신제품 사업역량 등) 성과 창출 ㅇ 계속과제 관리를 통한 성과창출을 중점 수행하고, 기반구축은 R&D 상용화
-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국민이 다양한 아이디어(Idea)를 다양한 와 기업지원을 위한 핵심 필수 장비구축에 주력
분야의 전문가들과 소통하여 사업화(Business)까지 이끌고,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산업융합 역량강화 기반 정보 및 기술 개발 ㅇ(기술개발): 3대 분야
ㅇ (중소·중견기업 산업융합 신제품 개발 촉진) 중소‧중견기업 산업융합 신제 - 슈퍼섬유소재기술개발, 슈퍼소재기반기술개발, 융합제품화기술개발)
품의 시장출시를 목표로 제품 개발 단계별 맞춤식 통합지원
- 중소·중견기업의 산업융합 신제품 개발 지원을 위해 연구개발부터 시제 사업내용
ㅇ(융합소재(가공)센터): 매년 30여개 인프라․제품 평가 기반 조성, 확산
품 제작, 적합성 인증 등을 통합적으로 연계 지원하는 산업융합형 R&D
사업 추진
ㅇ (산업융합 공통정보 개발 및 활용)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산업융합 기반 정보 ㅇ(사업화지원): 매년 50여개 슈퍼소재 융합제품화 지원
사업내용 개발·활용 및 융합신제품의 사업화 저해요인 해소를 통해 동종·이종 업
종 간 선순환적 산업융합 혁신 생태계 조성
-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핵심기반 정보(통계, 지수 등)개발 및 보급·확산 (슈퍼섬유소재개발사업): 977백만원
- 융합신제품의 원활한 초기시장 진출을 위한 산업융합 활성화 기반 조성 (슈퍼소재융합제품화기술개발사업):7,773백만원
‘13년도
을 통해 성공사례 창출 및 확산 (슈퍼소재기반기술개발사업): 1,900백만원
사업내역
- 산업융합을 저해하는 애로요소(규제, 기술 등)들을 다양한 채널로 발굴· (기반구축): 6,000백만원
분석하여 全주기적(기획-R&D-제조-판매) 애로해소 지원체계 구축 (사업기획 및 평가 관리): 315백만원
(중소·중견기업산업융합 신제품 개발 촉진):3,475백만원
- 산업융합 신제품 개발지원 (과제 10개×327백만 : 계속(5), 신규(5))
‘14년도 - 평가관리비: 200백만원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사업은 2012년부터 시행되어 2015년도 종료되는 사업으로 산업통
사업내역 (산업융합 공통 정보 개발 및 활용): 2,701백만원 상자원부가 해당부처이다. ‘12년 176.8억 원, ’13년 169.68억, 14년 163억의 예산이 투입되
- 산업융합 기반정보 개발 및 보급 확산: 1,801백만원 었다. 사업목적은 슈퍼소재, 융합제품, 기반기술 및 기반구축을 위한 지원과 계속과제 관리를
- 융합신제품 시장진입 활성화지원: 900백만원
통한 성과창출을 중점 수행하고, 기반구축은 R&D 상용화와 기업지원을 위한 핵심 필수 장비
산업융합촉진 사업은 2012년부터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산업통상지원부이다. 산업융합 신 구축 주력이다. 사업내용으로는 기술개발 3대분야 (슈퍼섬유소재기술개발, 슈퍼소재기반기술
제품 개발촉진과 공통활용정보 개발을 지원하고, 산업융합촉진을 위한 공통정보 개발 및 개발 개발, 융합제품화기술개발), 융합소재(가공)센터, 수퍼소재 융합제품화의 지원이다.
및 중소·중견기업의 융합대응 역량 강화를 통한 산업적 가치창출(부가가치, 신제품 사업역량
등) 성과 창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집행예산으로는 ‘12년 40억, ’13년 55억, ‘14년 61.76억
원 이다. 사업내용으로는 중소‧중견기업 산업융합 신제품의 시장출시를 목표로 제품 개발 단
계별 맞춤식 통합지원,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산업융합 기반 정보 개발·활용 및 융합신제품
의 사업화 저해요인 해소를 통해 동종·이종 업종 간 선순환적 산업융합 혁신 생태계 조성이
있다.

94 9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5>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4) 중소기업청
<표 36>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량혁신 사업내용
지식경제부
사업명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량혁신
사업명 부처명 중소기업청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신제고)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억원)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 150 212 201.46 251.46
(억원) 30 50 55 55 5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시행주체 시행년도 2011
(수행기관) 기업, 연구소, 대학, 연구조합 등 시행주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시행년도 2002

ㅇ 시스템반도체를 신성장동력으로 본격 육성하고,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강


ㅇ 중소기업이 기술성 및 사업성이 높은 기술분야에 R&D역량을 집중할 수
사업목적 화를 위해,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휴대폰, 디지털가전, 자동차용 시스
사업목적 있도록 개별 중소기업에게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템반도체를 중심으로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
률 제고
ㅇ 휴대폰, 디지털가전, 자동차 등 주요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스템반도체 핵심
상용화기술 개발 ㅇ (중소기업 R&D기획역량제고) 중소기업의 신기술에 대한 타당성 검토, 기
- (모바일용 시스템반도체) 스마트폰, 4G폰, LTE-A 기지국 등 차세대 휴대 술로드맵 및 사업화 전략 수립 등 개별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강화를 지원
폰용 핵심 시스템반도체 상용화개발 사업내용 -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해 개발 타당성 분석, 시장성
사업내용 - (디지털가전용 시스템반도체) 3D·인터넷·초고화질 TV용 핵심 시스템반 조사, 성공가능성 평가, 중기 사업전략 수립 등의 R&D기획을 지원하여
도체 상용화개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
-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 지능형자동차, 전기차 등 차세대 자동차용 핵심
시스템반도체 상용화개발 (R&D기획지원사업): 4,000백만원
- (사업화지원 및 글로벌 핵심IP개발) 사업화방안 연구·지원 - 145개×36백만×75%
‘14년도 (과제발국연구회사업): 1,000백만원
(모바일용 시스템반도체): 6,500백만원
사업내역 - 60개×17백만×100%
(디지털가전용시스템반도체): 7,226백만원
‘14년도 (R&D기획역량강화 프로그램): 500백만원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7,000백만원
사업내역 - 500명×1백만×100%
(사업화지원 및 글로벌 핵심IP개발): 3,850백만원
(기획평가관리비): 570백만원
(2011) : 사업명칭을 ‘R&D기획역량혁신사업’로 변경하고, 사업내용에 과제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사업의 해당부처이고 2011년부터 시 발굴연구회,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추가
비고사항 (2013) : ‘중소기업 R&D기획역량제고사업’으로 사업명칭 변경
행되었다. 시스템반도체를 신성장동력으로 본격 육성하고,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위
(2014) : R&D기획지원으로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통합 및 ‘R&D기획역량
해,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휴대폰, 디지털가전,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를 중심으로 상용
강화 프로그램“ 신설
화 기술개발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12년 212억, ’13년 201.46억,‘14년 251.46억 원이 투입
되었다. 사업의 내용으로는 휴대폰, 디지털가전, 자동차 등 주요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스템반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량혁신 사업은 2002년부터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중소기업청이다.
도체 핵심 상용화기술 개발이다. 중소기업이 기술성 및 사업성이 높은 기술분야에 R&D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개별 중소기
업에게 R&D기획을 지원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 제고가 사업의 목적이다. 집행된 예
산으로는 ‘12년부터 ’14년까지 매년 일정하게 55억 원 이다. 중소기업의 신기술에 대한 타당
성 검토와 기술로드맵 및 사업화 전략 수립 등 개별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강화를 지원이 사
업의 주요내용이다.

96 9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7>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사업내용 <표 38> 중소기업 융 ․ 복합 기술개발 사업내용

사업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부처명 중소기업청 사업명 중소기업 융 ․ 복합 기술개발 부처명 중소기업청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사업비
(억원) 750 900 1,110 1,316 1,336 (억원)
180 234 399 831.6 839.9
(구매조건부) :
2002 시행주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시행년도 2003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민관공동투자)
시행주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기업기술정보 시행년도
: 2011
진흥원) ㅇ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성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
(이전기술)
사업목적 학, 산·산)의 異種기술간 융합R&D를 통한 창의적 신기술·신제품·신시
: 2001
장 창출 지원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및 성장기회 제공
ㅇ 대기업 등 수요처에서 구매를 조건으로 과제를 제안하고, 이를 수행하는
사업목적
중소기업에게 개발비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경영안정을 도모
ㅇ (융복합기술과제) 융복합 기술수요조사, 연구용역 등을 통해 발굴된 첨단
ㅇ (구매조건부 R&D) 융·복합 기술분야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을 지원
- 일반 수요처(공공기관, 대기업, 해외 등)에서 제안한 과제를 개발하는 사업내용
중소기업을 지원 ㅇ (센터연계형기술과제) 지역 거점인 중소기업 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
ㅇ (민관공동투자 R&D) 획된 과제 중에서 사업성이 우수한 융복합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을 지원
사업내용 - 수요처가 직접 투자하는 “R&D협력펀드”를 조성하고 수요처가 필요로 하는
과제에 대해 중소기업의 개발을 지원
(융복합기술과제): 36,580백만원
ㅇ (이전기술 R&D)
- 146개 과제 × 250백만원
- 중소기업이 대학·공공연구기관 및 해외선진기업 등의 보유기술을 이전
받아 상용화하는데 소요되는 개발비를 지원 * 신규과제(74과제, 18,629백만원)
계속과제(72과제, 17,951백만원
(구매조건부): 81,528백만원 (센터연계형기술과제): 26,000백만원
- 수요증가에 따라 사업비 증액 - 기술개발 (22,000백만원) : 88개 과제 × 250백만원
- 계속130과제×250백만원, 신규188과제×250백만원 * 신규과제(34과제, 8,500백만원)
(민관공동투자): 52,093백만원 ‘14년도
계속과제(54과제, 13,500백만원)
‘14년도 - 수요자 중심의 지원방식 및 제도 개선 추진 사업내역
- 과제기획 (4,000백만원)
사업내역 - 계속50과제×250백만원, 신규158과제×250백만원 * 22백만원×180개 과제
(이전기술개발):
(이전기술개발): 18,750백만원
- 74개 과제 × 250백만원
- 지원규모 : 78개 과제 × 250백만원
* 신규과제(40과제, 10,000백만원)
* 신규과제(38과제, 9,448백만원)
계속과제(34과제, 8,700백만원)
계속과제(38과제, 9,302백만원)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사업의 해당부처는 중소기업청이며 시행년도는 각각 구매조건부 (기획평가비): 2,659백만원
2002년, 민관공동투자 2011년, 이전기술 2001년 이다. 대기업 등 수요처에서 구매를 조건으로
과제를 제안하고, 이를 수행하는 중소기업에게 개발비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사업은 2003년부터 시해되었고 해당부처는 중소기업청이다. 투입예
경영안정 도모가 사업의 목적이다. 집행예산으로는 ‘12년 1,110억, ’13년 1,316억, ‘14년 산으로는 ‘12년 399억, ’13년 831.6억, ‘14년 839.9억 원이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
1,336억 원이다. 사업의 내용으로 구매조건부 R&D 일반 수요처(공공기관, 대기업, 해외 등)에서 으로 구성된 개방형 R&D 협력체(산·연, 산·학, 산·산)의 異種기술간 융합R&D를 통한 창의
제안한 과제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의 지원과 수요처가 직접 투자하는 “R&D협력펀드”를 조성 적 신기술·신제품·신시장 창출 지원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및 성장기회 제공을 사업의
하고 수요처가 필요로 하는 과제에 대해 중소기업의 개발 지원이다, 또한, 중소기업이 대학· 목적으로 두고 있다. 사업 주요내용은 융복합 기술수요조사, 연구용역 등을 통해 발굴된 첨단
공공연구기관 및 해외선진기업 등의 보유기술을 이전받아 상용화하는데 소요되는 개발비 지원이다. 융·복합 기술분야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과 지역 거점인 중소기업 융합지원센터를 통해
발굴·기획된 과제 중에서 사업성이 우수한 융복합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이다.

98 9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39>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내용 5) 농림축산식품부


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부처명 중소기업청 <표 40> 기술사업화지원 사업내용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농림수산식품부
사업비
사업명 기술사업화지원사업 부처명
(억원) 100 950 1,136 1,314 1,414 (농림축산식품부)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시행주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시행년도 2009 (억원) 80 80 80 72 57
ㅇ 잠재역량을 보유한 창업기업 및 1인 창조기업에 대한 기술개발지원을 통 시행주체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시행년도 2008
사업목적
해 기업의 생존율 및 경쟁력 제고
ㅇ 개발된 기술의 사장을 방지하고 산업화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사업화 기
사업목적
술개발 지원
ㅇ (창업과제) 창업 7년 이하이고 종업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원
ㅇ (현장 연계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화)
이하인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소요비용 지원
- 연간 매출액 100억 원 이상의 상품 생산이 가능한 우수기술에 대한 사업
사업내용
사업내용 화 및 농림수산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및 제품의 사업화 지원
ㅇ (1인 창조기업 과제) 1인 창조기업 및 대학생 예비창업자의 기술개발 소요
- 녹색기술인증 기술 등 핵심기술과 사업화개발 추진 역량을 보유한 혁신
비용 지원
기술 지원

(창업과제) (현장 연계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화): 5,620백만원


- 200백만원×609개 ‘14년도 - 12과제×468백만
‘14년도 (1인창조기업과제) 사업내역 (사업관리비)
사업내역 - 74백만원×197개 - 140백만(사업비의 2.5%)
(기획평가비)
- 4,700개 기술사업화지원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해당부처이며, 2008년도부터 시행되었다. 사업목적은
개발된 기술의 사장 방지와 산업화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이다. 집행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은 2009년도부터 시행되었으며 해당부처는 중소기업청이다. ‘12년
예산으로는 ‘12년 80억, ’13년 72억, ‘14년 57억 원이다. 주요 사업내용은 연간 매출액 100억 원
1,136억, ’13년 1,314억, ‘14년 1,414억 원이 집행되었다. 잠재역량을 보유한 창업기업 및 1인
이상의 상품 생산이 가능한 우수기술에 대한 사업화 및 농림수산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창조기업에 대한 기술개발지원을 통해 기업의 생존율 및 경쟁력 제고가 사업의 목적이다.
소재 및 제품의 사업화 지원과 녹색기술인증 기술 등 핵심기술과 사업화개발 추진 역량을 보
사업내용으로는 중소기업(창업 7년 이하이고 종업원 수 50인 이하 또는 매출액 50억 원 이하인)의
유한 혁신기술의 지원이다.
기술개발 소요비용과 1인 창조기업 및 대학생 예비창업자의 기술개발 소요비용 지원이다.

100 10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6) 해양수산부 7) 농촌진흥청
<표 41> 수산실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표 42>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사업내용
농림수산식품부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2012년도 종료)
사업명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부처명 사업명 부처명 농촌진흥청
(해양수산부) (농업실용화기술R&D지원)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억원) 99 109 119 165 146 사업비 (307) (328)
(억원) *‘12예산요구 *‘12예산요구 91 90 105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시행주체 시행년도 1994 서 참조 서 참조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ㅇ 수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독자적인 신기술개발․보급 시행주체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시행년도 2006~
사업목적 으로 어업인 소득증대 및 수산 중소기업 육성, 첨단 수산 기술개발을 통한 ㅇ 농업분야 공공 R&D 성과의 실용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지원 및 지역별
수산부문 고용창출, 고부가가치 증대 및 산업화 촉진 사업목적
농업기술 실용화
ㅇ (수산질병제어기술) ㅇ (지역특화작목기술개발)
- 오믹스(유전체, 단백질체, 대사체) 기술 기반으로 감염성 질병에 대한 병 - 지역에 적합한 특화작목 기술개발을 위한 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 시험
원성 기전 확립을 통한 수산질병제어 기술개발 장 및 센터에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ㅇ (수산생물실용화기술) 사업내용
ㅇ (농업기술실용화지원)
- 수산물을 이용한 식품소재, 화장품소재 및 의약품 소재개발 등을 통한 수
- 농업분야 공공기관 보유 기술이전 업체를 대상으로 해당 기술을 실용화
산물의 고부가가치화
사업내용 하는데 소요되는 시제품 제작 비용 등 추가 비용 지원
ㅇ (신수산 비즈니스 동력창출기술)
- 친환경 양식산업 육성을 위한 고부가가치 중심의 신품종 및 양식기술 개 ‘14년도 ㅇ (농업기술사업화지원): 5,500백만원
발, 원가절감 기술 및 고소득 품목의 양식기술 개발 및 사료개발 등 사업내역 - 신규 71과제×77백만
ㅇ (탄소저감형 어구어업기술) ㅇ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R&BD형 사업인 ‘농업과학기술실용화’, ‘성과창출지
- 에너지 절감형 어선 및 자원관리를 위한 선택적 어구어법 개발, 어선설비 원’ 사업을 농업실용화기술R&D지원 내역사업인「농업기술실용화지원사업」
의 자동화, 생력화 및 기계화 등 어업시스템 자동화 기술개발 등 과 통합 추진
(신수산 비즈니스 동력창출): 5,135백만원 - (2010년) 원예작물로열티대응기술개발, 유기농산물생산기술개발, 지역농업
- 계속 : 15과제×258 = 3,874백만원 연구개발지원, 농축산물부가가치향상기술개발, 에너지절감 및 바이오에너
- 신규 : 5과제×252 = 1,261백만원 지작물생산기술개발 등 5개 세부사업을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로 통합하
(탄소저감형 어구어법): 1,511백만원 고 에너지절감 및 바이오에너지작물생산기술개발은 국책기술개발내 세세
- 계속 : 4과제×328 = 1,311백만원 비고사항 부사업으로 이관
‘14년도 - 신규 : 1과제×200 = 200백만원 - (2011년) 기능성잡곡산업발전기술개발과 국책기술개발로부터 인수한 농축
사업내역 (수산질병 제어기술): 3,682백만원
산부산물 부가가치향상 및 천연유래염료식용색소발굴 등 3개사업을 농축
- 계속 : 8과제×252 = 2,015백만원
산물 기능성평가로 통합, 약용작물종자생산체계구축 및 농업기술실용화지
- 신규 : 2과제×833 = 1,667백만원
(수산생물 실용화기술) :4,272백만원 원 신규추진
- 계속 : 17과제×234 = 3,972백만원 - (2013년) 성과목표를 명확히 하고 사업운영 효율성 재고를 위해 농업현장
- 신규 : 1과제×300 = 300백만원 실용화기술개발을 3개의 세부사업으로 과목구조 개편하고 국과위 협의를
거쳐 공동연구사업의 내역사업을 사업목적별로 조정하여 재구성
수산실용화기술개발 사업은 1994년도부터 시행되었고 해양수산부가 해당부처이다. 사업 목적
은 수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독자적인 신기술개발․보급으로 어업인 소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사업은 농촌진흥청이 해당부처이고 2006년도부터 시행 되었다. 집행
예산으로는 ‘12년 91억, ’13년 90억, ‘14년 105억 원 이다. 사업 목적은 농업분야 공공 R&D
득증대 및 수산 중소기업 육성, 첨단 수산 기술개발을 통한 수산부문 고용창출, 고부가가치
성과의 실용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지원 및 지역별 농업기술 실용화이다. 사업내용으로는 지
증대 및 산업화 촉진이다. 투입예산으로는 ‘12년 119억, ’13년 165억, ‘14년 146억 원 이다. 역에 적합한 특화작목 기술개발을 위한 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 시험장 및 센터에 연구개발
사업내용으로는 수산질병 제어기술, 수산실물 실용화 기술개발을 통한 수산물의 고부가 가치 지원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와 농업분야 공공기관 보유 기술이전 업체를 대상으로 해당 기
화, 신수산 비즈니스 동력창출기술과 탄소저감형 어구어업기술의 개발이다. 술을 실용화 하는데 소요되는 시제품 제작 비용 등 추가비용 지원이다.

102 10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8) 환경부
기술사업화 정부지원 과제 유형분
사업명
<표 43>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사업내용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부처명 환경부


2
제 절

사업비 ’10예산 ‘11예산 ‘12예산 ‘13예산 ‘14예산
(억원) 40 48.5 50 46.46 46.46

시행주체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시행년도 2010


1. 분석 개요
ㅇ 기 개발된 기술 중 현장적용이 시급한 분야에 대한 실증화 지원을 통해
사업목적
환경현안 해결 및 중소기업 우수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 정부지원 기술사업화 R&D 사업의 세부과제에 대한 분류를 위하여 먼저 데이터셋
ㅇ (지자체 Test-bed 실증화) 을 준비한다. 활용 정보는 2012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이다. 해당 데이
사업내용
ㅇ (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
터와 관련 NTIS 홈페이지 내 사업별 과제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등을 정
(지자체 Test-bed 실증화): 3,663백만원
리했다. 각 사업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과제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후보과제 데이터
- 하폐수 처리 및 공공수역 관련 시설: 2,763백만원
(=계속2과제×691+신규2과제×691) 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제 중복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분석대상은 R&D과제
- 음식물쓰레기 악취 흡착시설: 900백만원 24개 사업, 3947개이다.
‘14년도 (=신규1과제×900)
사업내역 (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 983백만원 정부지원 R&D에 대한 과제 유형 분류는 엑셀을 활용하여 1. Unique키워드 분류,
- 대기오염 방지기술: 500백만원
(=계속1과제×500) 2. Common키워드 분류단계를 거쳐 1차 분류를 했다. Unique키워드 분류는 특정 유
- 폐기물 자원화 기술: 483백만원 형에만 직접 관련된 키워드로 검색하여 선별하고, 적정성 여부 검토 후 판정했는데
(=계속1과제×483)
약 2%가 해당한다. Common키워드 분류는 여러 유형에 해당할 수 있는 키워드로 검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사업은 2010년도부터 시행되었고, 환경부가 해당부처이다. 색하여 선별했다. “과제명·연구내용/과제목표”를 통해 적정 여부 검토 후 판정했으
사업목적은 기 개발된 기술 중 현장적용이 시급한 분야에 대한 실증화 지원을 통해 환경현안
며 약 60%가 이에 해당한다. 1차 분류로 걸러지지 않은 과제에 대해서는 직접분류를
해결 및 중소기업 우수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이다. 투입된 예산으로는 ‘12년 50억, ’13년,
‘14년 동일한 46.46억 원 이다. 사업의 주요내용은 지자체 Test-bed 실증화와 중소기업 우수 실시했다. 이는 “ 과제명·연구목표/연구내용/기대효과/사업명 등 마련된 정보를 충분
기술 육성이다. 히 활용하고자 했으며, 문맥 간 이해를 통해 과제 이유와 목표를 구분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이는 약 38%에 해당한다. 각 유형의 판정순위는 [연구목표>연구내용>과
제명>사업명] 순으로 기준을 세웠다. 분류된 정보에 대해서는 기초통계를 실시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유형 분류 결과 ‘2. 사업화 기술 개발’이 86.4%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17). 대부분


의 과제가 가장 긍정적인 상황 및 최종목표를 전제하여 기술되었으며,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과제가 가장 긍정적인 상황을 전제로 최종적인 목표

17) 2011년 22개 사업과 2012년 24개 사업의 차이는 20개 과제에 불과하므로, 2011년 22개 사업을
기준으로 함

104 10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를 기술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상 ‘사업화 기술 기획’ 단계인지 아 2. 정부 R&D 과제의 기술사업화 지원 유형 분석
니면 보다 진전된 단계인지 판단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확보한 정보만으
로는 상당수의 과제가 여러 단계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중복되어 있었다. 예를 들 1) 주요 프로세스별 판정결과

어, ‘OO과제는 OO기술을 개발하고, 테스트 및 시제품 제작을 목적으로 함’과 같이 A: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키워드
주어진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의 여러 단계에 걸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기술사업화 주요 키워드 및 관측치수
내용
단계 (분류불가 관측치수 )
경우 가급적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상 앞에 해당하는 단계로 판정하였다. 그 외 분류
사업화 대상기술 발굴: 기술·시장수요 측면에서 새로
시 어려웠던 점은 기입된 정보의 오류 또는 해석불가능한 정보들이 존재하여 ‘분류불
운 아이디어의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대상 기 (직접 판정)
가’처리를 내려야 했다. ‘기반구축’ 또는 ‘사업관리’ 등의 유형은 기술사업화 분류 기준 술을 발굴하는 활동

에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우 비분류 항목으로 설정했다. 향후 연구자에게 과제에 사업화 제품·서비스 개발 기획: 개발된 기술을 기존의
1. 사업화 103
대한 정보입력을 요구할 시 과제에 대해 직접적이고 정확한 정보의 입력을 가이드라 것에 접목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기능·성능을 개선하는 (직접 판정)
기술 기획 (17)
방안을 모색하는 활동
인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사업화 BM 기획: 비즈니스모델을 전제로 사업화 가능
성이 높은 기술에 대해 R&D 전주기적 관점에서 사업화 (직접 판정)
계획을 구체화 하는 활동

System 개발, 공정
개발,
기술 개발, 사업화 기
술 개발, 설계, 시스
자체개발하거나 이전받은 기술이 최종 목표 수준에 도
2. 사업화 템, 시스템 개발, 장 3409
달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제품·공정·서비스 등의 개
기술 개발 비 개발, 장비개발, (492)
선을 위한 개발 활동
장치 개발, 제작, 제
조, 제품 개발, 프로
세스 개발, 플랫폼 개발
(직접 판정)

3. 사업화 시 시제품
개발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시험제작·모의 생산 17(1)
제품 제작 (직접 판정)

4. 성능과 기능 제품·공정·서비스의 성능·기능을 점검하고 피드백하 테스트


44(2)
점검·TEST 는 활동(시장공개 전 단계) (직접 판정)

5. 사업화 제품 사업화 기술을 적용한 제품·공정·서비스의 시장진입 제품 생산


5(1)
생산(양산) 을 위하여 판매용 제품 생산 (직접 판정)

개발 기술·제품·공정·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


6. 판매 (직접 판정) -
로 매출을 시도
[그림 17] 정부지원R&D과제에 대한 유형분류 과정

106 10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B: 기술사업화 활동유형 키워드 기술사업화지원사업의 과학기술분류표분류별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기술사업화 주요 키워드 및 같다. 전체 사업가운데 기술사업화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농림수산식품 기술분야


내용 관측치수
지원 유형 가 2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기계(15%) 전기전자(15%), 정보통신(
* (분류가 불가 관측치 수)
기획 지원, 시범,
1. R&BD 기획 사업화 대상기술을 발굴·선정하고 시장판매를 위한 상품
육성, 조사
107 12%) 기술이 각 10%이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원 과 사업화 모델 개발을 지원 (6)
(직접 판정)
2. 기술컨설팅 R&D 결과물에 대한 경제성, 시장성, 권리성 등 기술가치
컨설팅, 평가 1
지원 의 평가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활동
3. 기술정보 DB 사업화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술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DB, 데이터
구축·관리· 구축하고, 이를 활발하게 제공하는 활동(예. NTB, 성과마 7
(직접 판정)
제공 지원 루, 미래기술마당 등)
사업화 대상 기술 및 제품·서비스의 시장 진출을 위하여
4. 기술인증·
성능·시스템을 인증하고 국내외에 기술을 표준화하는 활 인증, 표준화 11
표준화 지원
동(예. ISO 9001, 14000 등)
기술이전 : 개발된 기술을 새로운 용도에 적용하거나 다른 사
용자에게 넘겨주어 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전수하는 활동 13
5. 기술거래 지원 (직접 판정)
기술거래 : 개발된 기술들을 기술거래기관을 통해 중개· (1)
매매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
사업화 인력 양성·지원 : 기술사업화를 위한 전담인력 인력양성, 지원센
확충 및 업무 관련 교육·훈련을 지원 터, 인력활용 지원
사업, 교육과정, 역
(예. 기술평가사 양성, TLO 전문가 육성)
량강화
6. 사업화전담 사업화 전담조직 지원 :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전·거래·
TLO, 관리운영비, 학 161
조직 역량 사업화 전담조직이 전문적 역량을 갖출수 있도록 육성 및
교기업 지원사업, 기 (55)
강화 지원 지원하는 활동
술지주회사, 센터지
원사업, 산학협력,
(예. TLO, 기술지주회사 설립·운영 등) 공동연구, 협력, 공동
기술개발, 전담조직 [그림 18]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의 과학기술표준분류별 분포(2012년)
7. 기술인력 현장 사업화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연구개발 전문가를 현 전문가, 현장
1
지원 장에 매칭·파견·지원하는 활동 (직접 판정)
마케팅·홍보 : 관련 시장 분석, 컨설팅 등 매매·거래 활 앞에서 분류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6T분야별로 구분해보면 <표44>와 같다. 가장
성화를 위해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활동
많은 비중은 생명공학기술이었는데 이는 앞에서 본 농림수산식품분야의 과제가 많은
국내 판로 개척 : 사업화 대상 기술·제품·공정·서비스
8. 마케팅·영업 의 국내시장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및 시장진입을 지 마케팅, 이유에서였다.
4
컨설팅 지원 원하는 활동 (직접 판정)
글로벌 시장 진출 : 해외시장에서 사업화 대상기술·제
품·공정·서비스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출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활동
대학·출연연·기업의 기술사업화 추진과정에서 기술개발
9. 법·제도 개선 과 시장진입 저해요인의 제거 및 사업화촉진을 위해 인프 (직접 판정) 8
라를 개선하는 활동
사업화기업의 사업화 위험부담 경감, 신산업분야 중소기업
10. 금융지원·
육성 등을 위해 금융애로가 높은 사업화를 지원하고 투· 해당 없음
펀드조성
융자 다양화 및 펀드를 조성·확대하는 활동

108 10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45>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 활동 유형별 R&D 사업비 및 과제 수


<표 44>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유형별 6T 기술분야 사업 수
평균과제
사업비(억원) 과제 수
기간 
건당
총사업비 비율 건 비율 (개월)
평균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6,342 79.77% 1.8 3,578 90.65% 18.9
1. 사업화기술기획 67 0.84% 0.6 103 2.61% 23.6
2. 사업화기술개발 6,223 78.26% 1.8 3,409 86.37% 18.6
3. 사업화시제품제작 15 0.19% 0.9 17 0.43% 18.9
4. 성능과기능점검·TEST 30 0.38% 0.7 44 1.11% 35.2
5. 사업화제품생산(양산) 7 0.09% 1.5 5 0.13% 24.9
6. 판매 . . . . . .
기술사업화 지원 활동 유형 1,528 19.22% 4.4 350 8.87% 36.7
1. R&BD 기획지원 549 6.91% 5.1 107 2.71% 43.3
2. 기술컨설팅지원 1 0.01% 0.5 1 0.03% 32.5
3. 기술정보DB구축·관리·제공
5 0.07% 0.8 7 0.18% 32.0
지원
4. 기술인증·표준화지원 6 0.08% 0.6 11 0.28% 27.0
5. 기술거래지원 115 1.45% 8.9 13 0.33% 45.1
6. 사업화전담조직역량강화지원 610 7.67% 3.8 161 4.08% 33.1
7. 기술인력현장지원 0 0.00% 0.2 1 0.03% 58.9
8. 마케팅·영업컨설팅지원 1 0.02% 0.4 4 0.10% 36.5
9. 법·제도개선 70 0.88% 8.8 8 0.20% 51.7
10. 금융지원·펀드조성 . . . . . .
. 미분류과제 170 2.14% 4.6 37 0.94% 30.4
분류불가 80 1.01% 4.2 19 0.48% 14.0
계 7,951   2.0 3,947   20.5
* 주 : 평균과제기간은 ‘(과제종료일 – 과제시작일)/30’으로 계산.

단계별 연구수행주체별 과제수를 살펴보면 기술사업화 직접 프로세스 과제 3,578


2012년 기술사업화 지원 24개 사업, 3947개 과제에 대해 총 7,951억 원이 투입되고
건 가운데 국공립 연구소가 530건, 대기업 31건, 대학 483건, 중소기업 2,541건, 출연
있었다. 프로세스 단계별 사업비 및 과제건수, 과제 평균 수행기간을 살펴보면 직접
연구소 138건, 기타가 126건이었으며 중소기업이 65%가량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이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전체 사업비의 79.77%, 전체 과제 건수의 90.6%를
들 과제는 대부분 사업화 대상기술 개발(2,472건)이었고 일부 사업화기술기획, 시제품
차지하며 기술사업화 지원활동이 전체 사업비의 19.22%, 전체 과제 건수 대비 8.87%
제제작, 성능·기능점검·TEST, R&BD기획지원, 사업화전담조직 역량강화지원 과제
를 차지한다. 기술사업화 과제 중 ‘2. 사업화기술개발’이 전체 사업비의 78.26%로 대부
가 있었다. 기술사업화 지원활동은 총 350개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
분이었고 과제 수 역시 전체의 86.37%에 달했다. 사업화 지원활동 유형 과제들은 사
었으며 주요 정부 지원은 R&BD기획, 사업화전담조직역량강화가 있었다. 사업화전담
업화전담조직역량강화지원(7.67%), R&D기획지원(56.91%), 기술거래지원(1.45%), 법제
조직역량강화지원 활동 유형은 산학연협력체계 활성화 사업 중 TLO 등 전문조직을
도개선(0.88%)의 분포를 보였다.
지원하는 과제가 다수 해당한다.

110 11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46>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 활동 유형별 연구수행주체 <표 47>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 활동 유형별 해당부처 과제 수

2012년 기준 부처별 과제지원 현황은 중소기업청이 2,397개로 가장 많았고 농촌진


흥청 774개, 지식경제부 326개, 농림수산식품부 260개, 교과부 183개, 환경부 7개 순 기술개발단계별 정부지원 R&D과제를 보면 개발연구가 3,025개로 가장 높은 비율
으로 분류되었다. 역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기관은 중소기업청이었다. 특이점은 을 차지하고 응용연구가 376개, 기타과제 338개, 기초연구 208개 순으로 나타났다. 다
농촌진흥청이 다른 부처·청에 비해 직접 사업화 부문의 사업화기술기획, 지원활동유형 른 과제분석과 마찬가지로 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프로세스에 가장 많은 과제가 집
중 R&BD 기획지원 과제 비중이 높았다는 것이다. 농수산식품 기술분야가 산업기술, 중되어 있다. R&D, R&BD 기획은 개발, 응용분야에서 분포가 많이 이루어지지만, 기
환경기술분야 보다 시장 수요와 니즈에 대응하는 기술개발 과제가 상대적으로 많다. 술기획 시 기초연구 분야에서도 사업화지원 과제가 있다.

112 11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4 장 기술사업화 R&D 사업 및 특성 분석

<표 48>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유형별 기술개발단계 <표 49> 기술사업화 단위사업의 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유형별 과제 수
A: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B: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유형 분류
사업명 총계
불가
1 2 3 4 5 계 1 2 3 4 5 6 7 8 9 미분류 계

기술사업화지원사업 4 84 1 10   99 2 1 2 5 1 105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3   4 9 1 13 2 25 29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9 26 1 1 37 37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8 29   37 4 2 2 2 10 11 58

나노융합2020 9   10 2 2 12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43 605 2 26   677 75 6 6 1 1 3 4 96 1 774

디자인기업역량강화 20   20 1 3 1 5 25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촉진 3 3   6 1 1 7

사업화연계기술개발 34   34 11 11 45

산업융합촉진사업 7   7 1 1 8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32 1 33 33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6 1 7 7
(대학보유기술직접사업화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12   12 1 1 3 12 17 29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2 1 3 3
(특화전문대학원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53 53 53
(학교기업지원)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4 139 3 6   153 1 1 2 155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26   26 1 1 1 28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7   7 2 1 3 10

연구개발특구육성 65   65 2 2 3 7 1 73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신 41 209 3   253 2 1 15 1 19 272

* 기타과제 357개의 분포를 보면, 기술확산, 기초연구 등 지원사업이 177건(49.6%), R&D 등 기획사업이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591 2 1   594 3 3 597
98건(27.5%), 기술개발사업이 29건(8.1%), 대학 TLO 등 기타사업이 53건(14.8%)으로 나타남.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169   169 1 1 170

창업성장기술개발 1350 6 1   1358 1358


앞에서 살펴본 정부사업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구분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와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47   47 4 4 8 4 59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활동의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표와 같다. 총합계 103 3409 17 44   3578 107 1 7 11 13 161 1 4 8 37 350 19 3947

114 11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2012년도 부처·청별 기술사업화 지원 R&D사업은 대부분 추가 R&D를 중심으로


사업이 수행되고 있었고, 많은 과제는 아니지만 기술개발에 앞서 R&D, R&BD 기획을
지원하는 경우들이 보였다. 인력·조직 측면에서 많은 유형이 존재한 것으로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사업에서 TLO, 학교기업, 특화전문대학원
지원 등이 세부과제를 구성하고 있다.
제5장
<표 50> 2012년도 부처별 기술사업화 사업과 지원정책 유형

사업화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유형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제도
금융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연구개발 지원 거래지원 기반 구축 지원
부처 사업명
추가
R&D
기획
R&D
개발
발굴‧
거래
평가
인력‧
조직
네트
워크
구매

자금
분석
기술확산지원(정보통신) ○ ○ ○ ○ ○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 ○ ○ ○ ○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 ○
(대학보유기술직접사업화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 ○ ○
미래 창조 (산학연협력클러스터지원)
과학부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특화전문대학원지원)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대학기술이전전담조직지원)
연구개발특구육성 ○ ○
추가연구개발특구육성 ○ ○ ○
산학연협력체제활성화지원
교육부 ○ ○
(학교기업지원)
기술확산지원(주력,신산업) ○ ○ ○ ○ ○ ○
나노융합2020 ○
디자인기업역량강화 ○ ○ ○
산업통상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
자원부
산업융합촉진사업 ○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
시스템반도체상용화기술개발 ○
중소기업R&D기획역량혁신 ○ ○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지원 ○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
창업성장기술개발 ○ ○
해양수산부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 ○ ○ ○ ○
농림축산
기술사업화지원사업 ○ ○ ○ ○
식품부
미래유망녹색환경기술산업화
환경부 ○ ○
촉진
농촌진흥청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 ○ ○ ○ ○ ○

116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1
제 절 설문조사 개요

1. 설문조사 내용

기술사업화 정책지원방향 조사는 1.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 2. 기술사업화 추진


시 애로사항, 3. 연구자가 바라는 기술사업화 정책 수요 등 세 가지 내용에 대해 설문
을 추진하였다.

먼저 기술사업화 추진 시 영향요인 애로사항 조사를 위해서 기술사업과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 학술지 또는 학위논문, 유사 정책연구보고서를 검토하였다. 출연(연)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촉진방안(KISTEP, 2014)에서는 정부지원체계 관점을 연구성과확산
지원 부족, R&D 시스템의 단점, TLO 육성정책의 한계, 법률상 의무사항 관리감독
소홀 등으로, 기술이전사업화 추진현황(KIAT, 2013)에서는 기업 내부역량/시장/정보
환경 관점을 관련 시장의 불확실성, 기업의 연구개발 경험 및 역량 부족, 기업 자금부
족 연구개발 인력 등 관리인력 부족, 기술도입협상 어려움 등으로, 산학연 협력연구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KISTEP, 2014)에서는 사업화 기획이나 마
케팅 역량부족, 자금부족, 시장수요, 낮은 기술완성도, 부서의 역량부족, 파트너 기관
의 사업화 역량의지 부족 등으로 조사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와
내부 연구진 회의를 통해 크게 내부역량과 외부환경 관점으로 조사를 실사하였다.

11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본 상관행렬의 적절성을 검정하기 위해 표본 적


절성 측정치(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18) 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요인간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를 개선하는 회
전방법인 직각회전(Orthogonal Rotation)에 입각하여 해를 개선하였으며, 변수들이 여
러 요인에 의해 비슷하게 요인 적재량이 나타날 경우 변수들을 각 요인에 모이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요인에 높게 적재하고 변수의 수를 줄여 요인의 해석에 중점을 둔
방식인 Varimax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4가지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추출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준인 고유값(Eigen
Value) 1 이상을 기준으로 요인을 추출하지 않고, 요인의 수를 4개로 지정한 채 요인
[그림 19] 내·외부 영향요인 및 애로사항 설문 구조
추출을 실시하였다. 요인을 검증한 후,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간의 영향관계 파악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 기술사업화 추진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조직 측면, 기술적 측면, 시장 측
면, 정책 측면 등 4가지 측면에서 변수를 조사하였다. 조직 측면은 사업화를 수행하는 마지막으로 정책·제도적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설문에 응답한 과제책임자가 자유

기관 및 조직·인력의 역량 관점, 사업화 할 대상기술의 완성도, 우수성, 연계성 관점, 롭게 작성한 내용을 활용하였다.

시장 측면은 사업화 대상기술 시장의 규모, 개방성, 성장성, 경제상황 관점, 정책 측면 다음의 표는 해석의 용이함을 위해 설문문항은 ‘영향요인_조직 1’, ‘영향요인_조직
은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법·제도적 지원 관점으로 설문을 설계하였다. 2’ 등으로 줄여 활용하는데 영향요인분석, 주요제품형태별*영향분석 기초결과, 요인분
석에서는 아래 표 내용과 같이 용어를 줄이도록 사용한다.

<표 51> 영향요인 용어와 내용


영향요인
영향요인_조직1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해 사업화 의지가 높았다.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기술의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가
영향요인_조직2
지고 있었다.
조 영향요인_조직3 연구책임자는 기술사업화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직 영향요인_조직4 조직 차원에서 기술사업화 관련 정보의 획득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측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기술제공자 또는 관련 기관과의 협력이 충분히
영향요인_조직5
면 이루어졌다.
[그림 20] 영향요인 분석 관점 영향요인_조직6 우리 조직은 사업화에 필요한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있었다.
영향요인_조직7 우리 조직의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마케팅·홍보 능력이 우수했다.
영향요인_조직8 기술사업화를 위한 조직 차원의 자금투입이 충분했다.
영향요인을 위한 분석방법론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요
인분석(Factor Analysis)은 많은 측정변수들을 공통적인 요인으로 수렴화시켜 자료의 18) KMO값이 작다는 것은 변수간 상관이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복잡성을 줄이고 측정된 변수들이 동일한 구성 개념을 측정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KMO값이 1에 가까울수록 요인분석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함.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은 변수들
간의 상관이 0인지를 검정하는 것으로서 구형성 검정 통계치가 크고 그에 따른 유의확률이 작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 을수록(p<0.05) 요인분석하기에 적합함을 나타냄

120 12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영향요인 애로요인
영향요인_기술1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았다. 애로요인_시장1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기 영향요인_기술2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유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애로요인_시장2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술 애로요인_시장3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
영향요인_기술3 자체개발하거나 이전받은 기술의 성숙도를 고려할 때, 사업화에 적합했다.
적 시 애로요인_시장4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영향요인_기술4 사업화 대상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독창성·차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측 장 애로요인_시장5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면 영향요인_기술5 사업화 대상 기술은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었다. 측 애로요인_시장6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영향요인_기술6 사업화 대상 기술은 기존 기술과의 기술연계성이 높았다. 면 애로요인_시장7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영향요인_시장1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규모가 컸다. 애로요인_시장8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시 영향요인_시장2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았다. 애로요인_시장9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장 애로요인_시장10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영향요인_시장3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았다.
측 애로요인_정책1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
면 영향요인_시장4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경쟁이 치열했다.
애로요인_정책2 높은 기술료 부담
영향요인_시장5 사업화 대상기술은 적절한 시기에 시장에 출시되었다.
애로요인_정책3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
영향요인_정책1 정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와 관련해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정
애로요인_정책4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정부차원에서 해당 기술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크가 제공·지원 책
영향요인_정책2 애로요인_정책5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정 되었다. 측
애로요인_정책6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책 영향요인_정책3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교육·인력을 정부로부터 제공받았다. 면
애로요인_정책7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측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 보호, 초기 시장 진입과 관련된 지원이 애로요인_정책8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영향요인_정책4
면 있었다. 애로요인_정책9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영향요인_정책5 사업화와 관련된 정부의 자금 지원이 충분했다.
영향요인_정책6 사업화와 관련된 정부지원을 신청할 경우 행정적 절차가 적절했다
2. 설문조사 방법
<표 52> 애로요인 용어와 내용
애로요인 앞서 연구된 설문서를 기반으로 최근 2011~2012년 과제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
애로요인_조직1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대상자(모집단)는 24개 사업의 과제책임자 5,081명이다.
애로요인_조직2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 과제책임자 선정기준은 제5장 제2절의 정부지원 과제 유형분석 참조 (105쪽)
애로요인_조직3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애로요인_조직4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직 조사 방법은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송부했고, 설문내용에 대한 교육을 받은 조사원
애로요인_조직5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애로요인_조직6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이 과제책임자에게 전화독려를 하였으며 응답내용은 이메일, 팩스, 구글설문지를 통

애로요인_조직7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해 회수하였다.
애로요인_조직8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애로요인_조직9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조사 기간은 11월 28일부터 12월 11일까지 2주간 실시되었으며, 회수된 데이터는 2
애로요인_기술1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애로요인_기술2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차례*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기 애로요인_기술3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 1차 검증: 설문코딩 후 20% 선별 검증, 2차 검증: 분석실시 전·후 기초통계량 확인
술 애로요인_기술4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적 애로요인_기술5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어려움 조사 결과 5,081명의 과제책임자 중 1,031명이 연락이 닿지 않았고(관계책임자 정보
측 애로요인_기술6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면 애로요인_기술7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 불일치, 퇴사, 이직 등), 4,050명 연구책임자와 연락이 되었으며 최종회수율은 10.1%이
애로요인_기술8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다(총 408건 회수/4,050명 연구책임자). 설문응답은 월요일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애로요인_기술9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122 12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54> 2개 유형별 답변 비율


유형분류 N %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366 91.3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단계 35 8.7
총 합 401 100

2) 기술사업화의 영향요인 기초조사 결과


[그림 21] 회수 건수 및 회수율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쳤던 요인을 기관/인력 등의 조직 측면에
3. 기술통계 결과 서 살펴본 결과,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기술사업화 경험,
사업화에 필요한 지식재산권 확보 등이 기술사업화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
1) 유형별 기초통계 조사 결과
다. 그러나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마케팅, 홍보 능력, 조직 차원의 자금투입은 상대적
16개 유형별로 설문지 답변비율을 조사한 결과, 사업화 기술개발 유형의 답변이 가
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 많았고(345건, 86.0%), 사업화전담조직 역량강화지원 유형이 5.7%, 사업화 기술기획
유형이 3.2%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R&BD 기획 지원, 성능과 기능점검·TEST 등 대부분 <표 55> 조직 측면의 영향요인 관측 결과
의 지원 활동 유형은 답변 건수가 10건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인증 표준화지원, 조직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기술인력 현장지원 등 5개 지원 유형에서는 답변 건수가 없었다. 답변건수가 10개 미 1.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해 사업화
396 4.50 0.67
의지가 높았다.
만인 경우 원 표본의 비율이 3%이하로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2.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기술의 판매시장에
395 4.23 0.69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53> 과 같이 설문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유형 분류를
3. 연구책임자는 기술사업화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393 4.01 0.92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 활동 유형 등 두 가지 정부지원유형으로
4. 조직 차원에서 기술사업화 관련 정보의 획득이
396 3.74 0.85
결과를 분석을 실시하였다. 충분히 이루어졌다.
5.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기술제공자 또는 관련 기관
393 3.73 0.88
<표 53> 정부 지원 활동 유형별 답변 비율 과의 협력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유형분류 N % 6. 우리 조직은 사업화에 필요한 지식재산권을 확보
394 3.90 0.97
사업화 기술기획 13 3.2 하고 있었다.
기술사업화 사업화 기술개발 345 86.0 7. 우리 조직의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마케팅·홍보
388 3.21 0.92
프로세스 사업화 시제품 제작 1 0.2 능력이 우수했다.
단계 성능과 기능점검·TEST 6 1.5 8. 기술사업화를 위한 조직 차원의 자금투입이 충분
사업화 제품생산(양산) 1 0.2 391 3.05 1.01
했다.
R&BD 기획 지원 8 2.0
기술컨설팅 지원 1 0.2
기술사업화
기술정보 DB구축 관리제공지원 1 0.2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도출한 변수들을 기술의 완성도
지원활동
기술거래 지원 1 0.2
단계 /우수성/연계성 등 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사업화 대상 기술의 우수성, 기술의
사업화전담조직 역량강화 지원 23 5.7
마케팅영업 컨설팅지원 1 0.2 성숙도를 고려한 사업화, 독창성, 기술의 적용가능범위, 기존기술과의 연계성 등 모든
총 합 401 100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이 되었다.

124 12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56> 기술적 측면의 영향요인 관측 결과 <표 58> 정책적 측면의 영향요인 관측 결과

기술적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정책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1.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았다. 392 3.31 0.87 1. 정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와 관련해 충분한 정보가
380 3.16 0.90
제공되었다.
2.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유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393 3.82 0.73 2. 정부차원에서 해당 기술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네
우수했다. 375 3.02 0.94
트워크가 제공·지원되었다.
3. 자체개발하거나 이전받은 기술의 성숙도를 고려 3.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교육·인력을 정부로부터
391 3.80 0.75 370 2.77 0.94
할 때, 사업화에 적합했다. 제공받았다.
4. 사업화 대상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독창성· 4.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 보호, 초기 시장
392 3.98 0.77 374 2.80 0.92
차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진입과 관련된 지원이 있었다.
5. 사업화 대상 기술은 적용 가능한 범위가 넓었다. 393 3.72 0.85 5. 사업화와 관련된 정부의 자금 지원이 충분했다. 382 2.76 0.93
375 3.11 0.89
6. 사업화 대상 기술은 기존 기술과의 기술연계성이
392 3.86 0.74
높았다.

3) 기술사업화 추진 시 애로사항 기초조사 결과


영향요인에 대해 시장의 규모, 개방성, 성장성 등의 시장 측면으로 조사한 결과, 사업화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며 겪었던 애로사항에 대해 조직적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조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가능성, 시장 규모, 시장 출시 시기, 치열한 경쟁 등이 직 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사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장 진입 장벽 또한 대체적으로 높은 등이 높은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소속 기관의 기술사업화 의지, 내부, 외부 네
것으로 나타났다(시장 진입장벽이 낮았습니까? 라는 질문에서 2.72의 점수를 획득함). 트워크 협력,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등은 애로요인으로써 문제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표 57> 시장 측면의 영향요인 관측 결과
시장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표 59> 조직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1.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규모가 컸다. 392 3.57 0.88
내부 역량 - 조직의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2.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진입장벽이
393 2.72 0.95 1.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385 3.15 1.08
낮았다.
3.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은 앞으로 성장 2.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387 2.86 1.11
393 3.99 0.75
가능성이 높았다. 3.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377 2.83 1.09
4.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경쟁이 치열했다. 392 3.42 0.89 4.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386 3.22 1.13
5. 사업화 대상기술은 적절한 시기에 시장에 출시 5.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378 3.12 1.12
388 3.40 0.86
되었다. 6.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381 3.32 1.12
7.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383 2.55 1.11
8.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382 2.65 1.10
한편, 관련 법, 제도적 지원 등 정책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2점 후
9.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382 2.84 1.11
반~3점 초반의 평균 점수를 보였다. 이는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제공, 기술사업화 관련 교육/인력 제공, 초기 시장진입 지원, 정부의 자금 지원, 적절
애로사항에 대해 기술적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기초원천기술 부족, 낮은 기술완성
한 행정절차 등에 대해서 정부의 지원이 크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제품의 차별성, 보유장비의 성능 등 모든 관점에서 평균 점수가 3점 미만으로 조

126 12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사되었다. 이는 기술사업화 추진 시 원천기술 등의 기술적 역량에 대해서는 큰 문제 외부 환경 - 시장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가 없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6.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367 3.60 0.97

<표 60> 기술적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7.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64 3.58 1.00

8.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377 3.41 0.91


내부 역량 - 기술적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1.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384 2.60 1.00 9.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373 2.91 0.96

2.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373 2.53 0.95 10.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357 3.47 1.01

3. (기술을 이전한)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360 2.40 0.88


4.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385 2.76 1.00 외부환경 중 정책 측면에서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 정부 과제 선정과 기술담보·
5. 사업화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대출이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부의 수혜기업으로 선정되는 것이 가장 큰 어
385 2.77 1.02
어려움
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제적으로 많은 기업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6.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385 2.52 1.03
사업 설명회, 지원기업을 선정함에 있어 까다로운 자격 기준, 제안서 작성요령 등에
7.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노후화 등) 376 2.74 0.98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정부에서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
8.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373 2.56 0.93
9.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370 2.99 1.00
컨설팅의 활성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 KIAT(2014),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 종합성과분석

외부환경 중 시장 측면에서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 시장 수요나 파트너 기관의 <표 62> 정책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역량, 유사제품의 출현 등에 대해서는 어려움이 없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그러
외부 환경 - 정책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나 국내·해외 시장 진출 시 판로개척, 해외 시장 진출 시 관련 법의 정보, 사업화 후
1.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분산된 정보DB) 372 3.10 0.88
초기 단계에서의 위험성, 민간 투자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어 정부에서
2. 높은 기술료 부담 361 3.03 0.94
사업화를 하는 기관에 대해 판로개척, 관련 법 정보에 대한 컨설팅 지원 확대가 필요 3.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상환기간, 금액 등) 350 3.26 0.97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377 3.08 0.96
5.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362 3.15 0.93
<표 61> 시장 측면의 애로요인 관측 결과 6.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370 3.10 0.89

외부 환경 - 시장 측면 N 평균 표준편차 7.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383 3.63 0.94


8.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373 3.13 0.84
1.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390 3.10 0.97
9. 지원가능한 제도에 대한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383 3.13 0.89
2.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386 3.01 0.94

3.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기술·제품 조기 출시로) 386 2.79 0.97

4.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384 3.23 0.99


5.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79 3.01 0.96

128 12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등 세 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에서는 기술사업화 경험이, 지원활동 단계에서는 지식재산권 확보가 영
2
제 절 설문 분석의 결과 향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보호, 정부의 자금지원 등은 낮은 점수를 기록,
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의 경우
네트워크, 정부로부터의 교육·인력지원 등도 부족하다고 답변되었다.
1. 기술사업화 추진 애로요인 교차분석 결과
<표 63> 사업화 지원 2개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본 장에서는 다음 그림과 같이 각 조건 별 애로요인을 볼 수 있도록 교차분석을 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유형
시하였다. 주요 교차분석의 내용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나온 애로요인의 결과값에 2개 영향요인
평균 N STD 평균 N STD
유형별, 목표시장별, 제품거래처별, 주요제품형태별 결과값의 교차 결과 내용이다. 세 조직1 4.50 360 0.67 4.51 35 0.56
조직2 4.24 359 0.70 4.14 35 0.60
부적으로 설명하면, 2개 유형별은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조 조직3 4.03 357 0.92 3.77 35 0.91
단계의 2개 유형, 목표시장별은 제품이 판매되는 시장을 뜻하며 국내시장과 국내&해 직 조직4 3.73 360 0.87 3.94 35 0.68
외시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품거래처별 주요 거래처를 뜻하는 것으로 대기업, 중소 측 조직5 3.71 357 0.88 3.97 35 0.75
면 조직6 3.88 360 0.98 4.06 33 0.83
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요제품형태별은 기술, 소재, 부
조직7 3.19 354 0.93 3.48 33 0.87
품, 완제품, 서비스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조직8 3.04 356 1.01 3.24 34 1.02
기술적1 3.28 358 0.87 3.55 33 0.94
영향/애로요인 도출방법은 교차분석 후 점수 평균±(표준편차×1)를 기준으로 검토
기 기술적2 3.81 359 0.73 3.85 33 0.80
해 보도록 한다. 술 기술적3 3.80 357 0.75 3.70 33 0.73

측 기술적4 3.98 358 0.77 3.94 33 0.83
면 기술적5 3.72 359 0.87 3.70 33 0.64
기술적6 3.87 358 0.75 3.79 33 0.60
시장1 3.56 357 0.88 3.68 34 0.84
시 시장2 2.72 358 0.95 2.76 34 0.92

시장3 3.99 358 0.76 4.00 34 0.74

면 시장4 3.40 357 0.90 3.68 34 0.81
시장5 3.38 353 0.87 3.59 34 0.70
정책1 3.12 346 0.90 3.55 33 0.83

[그림 22] 주요 교차분석 변수 정 정책2 2.98 341 0.94 3.45 33 0.79


책 정책3 2.73 336 0.94 3.24 33 0.71
1) 지원유형별 영향/애로요인 분석 결과 측 정책4 2.78 340 0.93 3.00 33 0.71
면 정책5 2.75 347 0.92 2.91 34 0.97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단계 등 2개 유형별로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 정책6 3.09 340 0.90 3.32 34 0.88
한 결과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통적으로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답변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평균 3.49, 표준편차 0.507, 평균+1표준편차: 4.00 평균-1표준편차: 2.98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평균 3.63, 표준편차 0.404, 평균+1표준편차: 4.04 평균-1표준편차: 3.23
것은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높은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높은 시장진입장벽

130 13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2개 유형별 애로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시장측면에서 해외시장 진출시 영업 또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단계
애로사항
평균 N STD 평균 N STD
는 판로개척, 법·세제 등의 정보, 민간투자자 연결, 정책측면에서 정부과제 선정의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3.10 353 0.96 3.06 33 1.12
높은 경쟁률 등 4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애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2.99 350 0.96 3.19 32 0.78
지원활동 단계에서는 조직차원의 사업화 자금력 부족, 기술담보, 대출의 어려움, 특허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 2.79 349 0.98 2.82 33 0.85
등록, 유지비용 부담 등 3가지 문항의 애로점이 더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지원활동단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3.24 347 1.00 3.03 33 0.81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01 342 0.96 2.88 33 0.93
계에 속해 있는 기관의 경우 자금, 비용관련 어려움이 기술개발단계보다 큰 것으로 장
측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3.61 330 0.97 3.39 33 0.97
나타났다. 면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59 328 0.99 3.31 32 1.03

한편, 기술사업화 의지, 내외부 네트워크, 기술지도자의 지도력 등에 대해서는 기술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3.42 341 0.91 3.25 32 0.88

사업화 프로세스, 지원활동 단계 모두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술사업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2.90 337 0.97 3.00 32 0.95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3.44 320 1.01 3.70 33 0.98
화 프로세스의 경우 기초원천기술, 기술완성도, 제품의 차별성, 지식재산권 소유 등에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 3.09 338 0.88 3.03 30 0.93
대해서도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기술료 부담 3.05 327 0.95 2.83 30 0.79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 3.26 316 0.97 3.30 30 0.95
<표 64> 유형별*애로요인 분석 결과
정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3.04 341 0.96 3.38 32 0.91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단계 책
애로사항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3.15 326 0.93 3.09 32 0.96

평균 N STD 평균 N STD
면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3.10 334 0.88 3.09 32 1.00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3.17 348 1.09 3.00 33 1.06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3.64 346 0.95 3.45 33 0.90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2.86 350 1.10 2.82 33 1.21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3.13 336 0.84 3.06 33 0.79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2.82 342 1.08 2.97 31 1.17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3.14 346 0.89 3.03 33 0.95
조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3.23 349 1.13 3.06 33 1.12
직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평균 3.00, 표준편차 0.326, 평균+1표준편차: 3.33 평균-1표준편차: 2.67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3.13 342 1.11 2.94 32 1.16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평균 3.01, 표준편차 0.273, 평균+1표준편차: 3.28 평균-1표준편차: 2.73

면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3.31 344 1.12 3.42 33 1.15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2.56 346 1.12 2.48 33 1.09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2.65 345 1.09 2.64 33 1.25
2) 목표시장별 영향/애로요인 분석 결과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2.86 346 1.10 2.73 33 1.15 목표시장별로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표는 다음과 같다. 사업화에 영향을 미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2.57 348 1.00 2.84 32 1.08
치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높은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2.50 337 0.95 2.84 32 1.02
높은 시장의 진입장벽 등 세 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2.38 324 0.87 2.56 32 0.95
기 다. 그 외 국내외시장은 타기술에 비해 독창성·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련 시장의
술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2.75 348 0.99 2.76 33 1.06
적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어려움 2.73 348 0.98 3.06 33 1.27 성장가능성이 기술사업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답변되었다.
측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2.50 349 1.02 2.72 32 1.11
면 사업화 관련 교육인력의 정부 지공,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 보호, 사업화관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 2.71 340 0.97 3.06 32 0.98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2.56 336 0.93 2.52 33 0.91
련 정부자금 등이 공통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 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2.99 335 0.99 2.97 31 1.02 조사되었다.

132 13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65> 목표시장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표 66> 목표시장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국내시장 극내해외시장 국내시장 국내/해외시장
영향요인 애로사항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조직1 4.51 98 0.60 4.50 282 0.69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3.12 99 1.06 3.17 270 1.10
조직2 4.19 97 0.63 4.24 282 0.72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2.72 99 1.08 2.91 272 1.12
조직3 4.04 97 0.87 4.00 280 0.94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2.78 95 1.17 2.83 266 1.07

조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3.00 98 1.13 3.27 272 1.14
직 조직4 3.79 98 0.85 3.75 282 0.84

측 조직5 3.65 98 0.90 3.77 280 0.87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2.99 95 1.13 3.16 267 1.12

면 조직6 3.67 98 0.96 3.99 280 0.94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3.21 95 1.17 3.34 270 1.09

조직7 3.21 97 0.90 3.23 275 0.92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2.55 98 1.10 2.55 269 1.12
조직8 3.00 99 0.91 3.10 276 1.03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2.56 98 1.06 2.66 268 1.12
기술적1 3.34 98 0.80 3.26 277 0.91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2.71 99 1.05 2.87 267 1.14
기 기술적2 3.57 98 0.75 3.91 278 0.70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2.76 97 0.88 2.55 271 1.03
술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2.68 93 0.86 2.47 263 0.98
기술적3 3.56 97 0.76 3.89 277 0.72
적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2.53 92 0.90 2.37 251 0.88
기술적4 3.65 98 0.77 4.09 277 0.74 기

기술적5 3.52 98 0.80 3.78 278 0.85 술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2.77 97 0.90 2.76 271 1.05

기술적6 3.61 97 0.76 3.95 278 0.72 적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어려움 2.85 97 0.96 2.74 271 1.05
시장1 3.30 98 0.91 3.67 277 0.83 측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2.71 98 1.01 2.43 270 1.04
시 면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 2.89 98 0.99 2.70 261 0.97
시장2 2.90 99 0.86 2.66 277 0.96
장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2.70 98 0.94 2.51 260 0.92
시장3 3.66 99 0.78 4.10 277 0.72

시장4 3.17 99 0.83 3.53 276 0.88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2.99 96 0.91 2.99 259 1.03

시장5 3.31 99 0.79 3.44 272 0.87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2.91 98 0.97 3.17 275 0.97
정책1 3.18 96 0.87 3.18 268 0.90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2.88 96 1.01 3.05 273 0.92
정책2 3.07 96 0.98 3.03 263 0.91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 2.81 97 0.98 2.77 272 0.96

책 정책3 2.79 95 1.00 2.79 259 0.90 시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3.12 97 1.04 3.25 270 0.97
측 정책4 2.83 96 0.94 2.81 262 0.90 장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03 96 1.04 3.00 266 0.93
면 정책5 2.82 96 0.91 2.78 270 0.92 측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3.56 85 0.99 3.61 267 0.96
면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55 85 0.99 3.58 264 1.00
정책6 3.16 94 0.75 3.13 266 0.91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평균 3.42, 표준편차 0.435, 평균+1표준편차: 3.85 평균-1표준편차: 2.98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3.25 95 0.86 3.47 266 0.92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평균 3.54, 표준편차 0.517, 평균+1표준편차: 4.06 평균-1표준편차: 3.02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2.92 95 0.86 2.89 262 0.99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3.35 89 0.98 3.49 252 1.00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 3.03 97 0.80 3.13 259 0.92
목표시장별 애로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해외시장 진출 시 판로개척, 법, 세제 등 높은 기술료 부담 3.01 93 0.89 3.03 254 0.95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 3.11 91 0.87 3.31 245 0.99
정보, 민간투자자 연결, 정부과제 선정 등 4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애로점이 있는 정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2.93 92 0.94 3.11 271 0.95

것으로 조사되었다. 측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3.14 95 0.92 3.15 252 0.92
면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3.06 96 0.79 3.12 259 0.92
한편, 국내시장, 국내&해외시장 모두 기술사업화의 의지, 기술완성도, 기술개발자의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3.42 99 0.89 3.71 269 0.91
기술지도 등에 대해서는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해외시장의 경우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3.08 98 0.83 3.14 260 0.83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3.09 99 0.81 3.13 268 0.91
원천기술, 차별성 등에서도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수준단계에 대해 높게 국내시장 평균 2.96, 표준편차 0.258, 평균+1표준편차: 3.22 평균-1표준편차: 2.70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해외시장 평균 3.01, 표준편차 0.345, 평균+1표준편차: 3.35 평균-1표준편차: 2.66

134 13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3) 제품거래처별 영향/애로요인 분석 결과 대기업 중소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영향요인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제품거래처별로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먼저 공통적으로 사업화에 영향을 정책1 3.12 101 0.84 3.14 122 0.87 3.25 59 0.90 3.22 77 1.03
주는 요인이라고 답변한 것은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정책2 2.94 100 0.91 2.90 122 0.89 3.26 57 0.84 3.18 76 0.92

높은 시장의 진입장벽 등 세 개의 문항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책 정책3 2.61 100 0.86 2.70 120 0.86 2.88 56 0.95 3.00 76 0.94
측 정책4 2.83 100 1.00 2.72 121 0.80 2.84 57 0.90 2.89 76 0.95
대기업과 소비자는 기술사업화 경험, 정부/공공기관은 기술의 차별성, 중소기업과 소 면
정책5 2.72 103 0.95 2.70 122 0.88 2.88 58 0.88 2.95 77 1.00
비자는 관련기술의 성장가능성이 기술사업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책6 3.10 100 0.80 3.13 120 0.83 3.31 55 0.74 3.17 77 1.01

반면, 기술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크, 정부로부터의 교육·인력 제공, 정부차원에서 대기업 평균 3.51, 표준편차 0.544, 평균+1표준편차: 4.05 평균-1표준편차: 2.96
중소기업 평균 3.49, 표준편차 0.515, 평균+1표준편차: 4.01 평균-1표준편차: 2.98
신기술·신제품 보호, 사업화관련 정부자금 등이 공통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으 소비자 평균 3.53, 표준편차 0.455, 평균+1표준편차: 3.98 평균-1표준편차: 3.07
정부/공공기관 평균 3.56, 표준편차 0.489, 평균+1표준편차: 4.05 평균-1표준편차: 3.08
며, 또한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사업화를 위한 조직 차원의 자금 투입도 낮은 점수를
기록하여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품거래처별로 애로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직차원의 자금력, 해외시장 영업·
<표 67> 제품거래처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판로개척, 정부과제 선정 등 3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애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

대기업 중소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되었다.


영향요인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세부적으로 보면, 기업(대기업,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부족하다고 답하였으며,
조직1 4.60 106 0.58 4.52 125 0.66 4.40 62 0.71 4.57 82 0.61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은 민간투자자 연결에 대해 애로점
조직2 4.26 106 0.65 4.23 124 0.68 4.26 62 0.70 4.27 82 0.70
조직3 4.19 104 0.85 3.98 124 0.91 4.03 62 0.94 3.99 82 0.99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 조직4 3.75 106 0.83 3.70 124 0.82 3.76 62 0.90 3.70 83 0.74 한편, 제품거래처별 모두 기술지도, 차별성, 보유장비 등에 대해서는 애로점이 없는
측 조직5 3.69 106 0.84 3.62 125 0.81 3.77 61 0.86 3.76 82 0.81
면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완성도, 기술사업화 지원 등은 중소기업을 제외하고 애로점
조직6 3.89 106 0.93 3.92 124 0.98 3.97 62 0.92 4.01 82 0.88
조직7 3.21 106 0.95 3.18 122 0.94 3.21 61 0.91 3.25 80 0.89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중소기업이 기술사업화를 진행하는데 있어 대기
조직8 3.08 106 0.94 2.98 123 1.02 3.16 61 1.00 3.12 82 1.04 업, 정부/공공기관에 비해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적1 3.24 105 0.88 3.34 123 0.82 3.23 61 0.86 3.35 80 0.84
기 기술적2 3.90 105 0.65 3.85 124 0.66 3.74 61 0.75 3.88 80 0.66
술 기술적3 3.85 105 0.72 3.71 124 0.76 3.77 61 0.78 3.84 79 0.78

측 기술적4 3.98 105 0.78 3.94 124 0.74 3.93 60 0.82 4.05 80 0.71
면 기술적5 3.68 105 0.85 3.74 124 0.82 3.61 61 0.86 3.88 80 0.79
기술적6 3.76 105 0.78 3.93 124 0.72 3.93 61 0.75 3.99 80 0.68
시장1 3.59 105 0.80 3.64 124 0.82 3.41 61 0.96 3.67 79 0.87
시 시장2 2.58 105 0.89 2.81 124 0.97 2.79 61 0.99 2.61 79 1.06

시장3 4.04 105 0.78 4.06 124 0.73 4.02 61 0.70 4.01 79 0.76

면 시장4 3.60 105 0.84 3.48 124 0.92 3.32 60 0.87 3.42 79 0.94
시장5 3.46 105 0.84 3.46 124 0.81 3.50 58 0.76 3.34 79 0.80

136 13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68> 제품거래처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4) 주요제품형태별 영향/애로요인 분석 결과


대기업 중소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애로사항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주요제품형태별로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먼저 공통적으로 사업화에 영향을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3.09 105 1.12 3.24 123 1.04 3.12 57 1.12 3.15 80 1.07
주는 요인이라고 답변한 것은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2.72 105 1.11 2.98 123 1.03 2.81 58 1.16 3.01 81 1.15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2.83 102 1.07 2.95 122 1.11 2.73 56 1.12 2.97 78 1.06 등 두 개의 문항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서비스의 경우 기술의
조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3.13 104 1.17 3.21 124 1.15 3.34 58 1.09 3.37 81 1.11

차별성, 부품과 완제품은 기술사업화 경험, 소재와 서비스는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기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3.10 103 1.07 3.18 122 1.08 3.16 55 1.17 3.05 81 1.12

면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3.28 104 1.15 3.49 121 1.04 3.21 56 1.25 3.32 79 1.09 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2.37 106 1.13 2.59 123 1.02 2.37 54 1.09 2.66 80 1.14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2.42 104 1.02 2.73 124 1.03 2.54 56 1.11 2.78 80 1.14 반면, 정부로부터의 교육·인력 제공,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 보호, 사업화관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2.74 104 1.10 2.89 123 1.05 2.87 54 1.06 2.88 81 1.12
련 정부자금 등이 공통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 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2.61 103 0.95 2.66 122 1.06 2.35 57 0.99 2.63 80 0.96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2.37 100 0.85 2.47 118 0.98 2.46 56 0.97 2.65 77 0.93 조사되었으며, 시장의 진입장벽, 네트워크 등도 대체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2.32 92 0.85 2.34 116 0.91 2.36 53 0.98 2.44 77 0.83
기 사업화 진행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2.74 103 1.02 2.70 122 1.00 2.71 59 0.98 2.91 78 1.01

적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어려움 2.59 103 0.98 2.76 123 1.00 2.69 58 0.99 2.96 79 1.07
측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2.43 105 0.97 2.55 121 1.04 2.55 56 1.11 2.60 80 1.09 <표 69> 주요제품형태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 2.66 101 0.92 2.81 119 0.98 2.69 55 1.02 2.60 78 0.94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2.48 100 0.80 2.53 120 0.93 2.62 53 1.04 2.61 79 0.91 영향요인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2.92 100 0.98 2.99 118 0.99 2.96 54 1.01 3.18 77 1.00 조직1 4.54 119 0.59 4.44 36 0.65 4.67 43 0.47 4.52 110 0.60 4.27 41 0.87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2.97 105 0.99 3.18 122 0.93 3.09 58 0.94 3.19 80 0.96 조직2 4.26 118 0.66 4.14 36 0.59 4.42 43 0.63 4.27 110 0.73 4.12 41 0.75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2.99 105 1.01 3.02 122 0.97 3.04 57 0.80 3.00 80 0.89 조 조직3 3.92 118 0.98 3.81 36 1.01 4.36 42 0.76 4.12 110 0.84 3.83 40 1.01
직 조직4 3.81 118 0.76 3.36 36 0.96 4.02 43 0.80 3.77 111 0.89 3.73 41 0.78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 2.62 105 1.00 2.84 122 0.95 2.93 57 0.98 2.85 79 0.95
측 조직5 3.87 119 0.85 3.36 36 0.76 4.00 43 0.85 3.67 108 0.91 3.68 41 0.93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3.09 104 0.94 3.32 121 0.94 3.47 58 1.13 3.26 80 1.03 면 조직6 3.98 119 0.97 3.78 36 0.96 4.02 43 0.83 4.01 111 0.95 3.50 38 1.08

장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2.80 103 0.91 3.01 119 0.97 3.05 57 0.87 3.13 79 0.99 조직7 3.24 115 1.00 3.26 35 0.61 3.12 43 1.05 3.31 110 0.90 3.11 38 0.83
측 조직8 3.03 117 1.03 2.89 35 0.87 3.19 43 0.93 3.28 110 1.01 2.64 39 1.04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3.60 100 0.98 3.58 113 0.87 3.63 57 1.03 3.76 76 1.02
면 기술적1 3.45 118 0.81 3.14 36 0.90 3.29 42 0.99 3.19 110 0.86 3.32 38 0.93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3.48 98 1.07 3.52 111 0.92 3.57 56 0.95 3.78 76 0.99 기 기술적2 3.82 118 0.80 3.92 36 0.73 4.00 43 0.69 3.84 110 0.64 3.61 38 0.68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3.38 104 0.84 3.43 119 0.88 3.40 57 1.05 3.41 78 0.97 술 기술적3 3.85 117 0.77 3.58 36 0.69 4.07 43 0.67 3.87 109 0.67 3.55 38 0.89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2.72 103 0.88 2.87 116 0.93 3.04 55 1.00 2.90 78 0.97 측 기술적4 3.91 117 0.80 3.83 36 0.88 4.16 43 0.72 4.03 110 0.74 3.97 38 0.75
면 기술적5 3.80 118 0.81 3.78 36 0.90 3.98 43 0.74 3.55 110 0.88 3.53 38 0.83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3.24 93 0.95 3.47 114 0.98 3.38 52 1.07 3.53 76 1.09
기술적6 3.84 118 0.75 3.69 36 0.71 3.88 43 0.88 3.98 109 0.68 3.71 38 0.80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 3.08 98 0.77 3.08 119 0.94 3.18 56 0.90 3.13 78 0.90 시장1 3.53 117 0.89 3.69 36 0.86 3.67 43 0.84 3.57 109 0.85 3.33 39 0.93

높은 기술료 부담 3.09 97 0.93 3.03 117 0.99 3.08 53 0.87 2.93 75 0.93 시장2 2.81 117 0.90 2.72 36 1.00 2.65 43 1.09 2.70 110 0.96 2.64 39 0.93

시장3 3.93 117 0.75 4.06 36 0.83 4.14 43 0.71 3.98 110 0.78 3.85 39 0.71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 3.14 96 0.95 3.39 118 1.00 3.35 52 1.01 3.29 73 0.94 측
시장4 3.34 117 0.87 3.64 36 0.72 3.51 43 1.03 3.48 109 0.90 3.28 39 0.86
정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2.97 102 0.94 3.22 119 0.97 3.02 56 0.94 3.09 77 0.98 면 시장5 3.40 115 0.85 3.36 36 0.80 3.53 43 0.91 3.38 108 0.87 3.38 39 0.81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3.15 95 0.89 3.16 117 0.92 3.15 53 1.01 3.16 75 0.93 정책1 3.22 115 0.93 3.00 34 0.70 3.26 42 0.80 3.17 104 0.94 3.03 38 0.97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3.08 97 0.89 3.13 119 0.87 2.91 53 0.74 3.10 79 0.89 정 정책2 3.15 113 0.97 2.71 34 0.76 3.02 41 0.85 3.05 102 0.91 2.92 38 1.00

책 정책3 3.00 112 1.04 2.47 34 0.71 2.80 41 0.75 2.59 100 0.93 2.71 38 0.93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3.63 103 0.84 3.70 121 0.86 3.44 55 1.01 3.59 79 1.09
측 정책4 2.84 112 0.84 2.71 35 0.67 3.07 41 1.03 2.75 102 0.98 2.66 38 0.85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3.06 98 0.74 3.11 120 0.82 2.95 55 0.87 3.10 77 0.90 면 정책5 2.76 113 0.98 2.67 36 0.68 2.71 42 1.04 2.87 107 0.90 2.67 39 0.96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3.02 102 0.90 3.14 121 0.85 3.16 57 0.84 3.11 80 0.90 정책6 3.01 112 0.88 2.86 35 0.69 3.33 42 0.90 3.24 102 0.91 3.10 39 0.82

대기업 평균 2.92, 표준편차 0.343, 평균+1표준편차: 3.26 평균-1표준편차: 2.57


기술 평균 3.53, 표준편차 0.481, 평균+1표준편차: 4.01 평균-1표준편차: 3.05
중소기업 평균 3.03, 표준편차 0.333, 평균+1표준편차: 3.37 평균-1표준편차: 2.70 소재 평균 3.39, 표준편차 0.535, 평균+1표준편차: 3.93 평균-1표준편차: 2.86
소비자 평균 2.98, 표준편차 0.348, 평균+1표준편차: 3.33 평균-1표준편차: 2.64 부품 평균 3.64, 표준편차 0.567, 평균+1표준편차: 4.20 평균-1표준편차: 3.07
정부/공공기관 평균 3.06, 표준편차 0.321, 평균+1표준편차: 3.38 평균-1표준편차: 2.73 완제품 평균 3.53, 표준편차 0.515, 평균+1표준편차: 4.04 평균-1표준편차: 3.01
서비스 평균 3.37, 표준편차 0.484, 평균+1표준편차: 3.85 평균-1표준편차: 2.88

138 13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주요제품형태별로 애로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해외시장 진출시 판로개척, 법 세 애로사항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제 정보 등 2개의 문항에서 공통적으로 애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책1 3.13 112 0.88 3.22 32 0.87 2.95 40 0.96 3.16 105 0.90 3.03 38 0.72
정책2 2.97 105 0.91 3.16 32 0.99 2.95 40 0.96 3.12 103 0.95 2.92 37 0.80
세부적으로 보면, 소재제품의 경우 기술사업화 마케팅 및 홍보에 애로점이 있는 것 정책3 3.17 103 0.97 3.13 32 1.10 3.45 38 0.95 3.34 101 0.95 3.28 36 0.85
정책4 3.23 111 1.00 3.11 35 0.87 2.93 43 1.08 2.93 107 0.91 2.97 37 0.96
으로 조사되었으며, 부품과 완제품의 경우 보증 대출, 특허 등록 유지비용이 부담스러 정책
정책5 3.13 109 0.98 3.12 33 0.89 3.29 38 0.87 3.14 101 0.97 3.25 36 0.69
측면
정책6 3.13 110 0.94 3.09 35 0.92 2.98 40 1.00 3.10 101 0.81 3.29 38 0.90
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소재, 부품, 서비스제품은 기술사업화관련 자금력도 애로 정책7 3.61 113 0.91 3.83 35 0.98 3.80 44 0.82 3.56 107 0.93 3.37 38 1.02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8 3.17 112 0.83 3.00 34 0.65 3.15 41 0.91 3.09 105 0.89 3.22 37 0.82
정책9 3.21 115 0.82 3.09 35 0.82 2.88 42 0.99 3.16 106 0.93 3.21 38 0.74

한편, 제품형태별 모두 기술완성도, 기술지도, 제품의 차별성 등 기술적인 측면에 기술 평균 3.09, 표준편차 0.302, 평균+1표준편차: 3.39 평균-1표준편차: 2.79
소재 평균 3.00, 표준편차 0.347, 평균+1표준편차: 3.34 평균-1표준편차: 2.65
부품 평균 2.90, 표준편차 0.398, 평균+1표준편차: 3.30 평균-1표준편차: 2.51
대해서는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사업화 의지, 기초원천기술 또한 대 완제품 평균 2.94, 표준편차 0.333, 평균+1표준편차: 3.27 평균-1표준편차: 2.60
서비스 평균 3.09, 표준편차 0.312, 평균+1표준편차: 3.40 평균-1표준편차: 2.78
체적으로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70> 주요제품형태별*애로요인 분석 결과 5) 산학연 주체별 영향/애로요인 분석 결과

애로사항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산학연 주체별 영향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먼저 공통적으로 사업화에 영향을 주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조직1 3.30 115 1.03 3.19 36 1.06 3.12 43 1.22 3.08 105 1.06 3.15 40 1.14
는 요인이라고 조사된 문항은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의지, 연구책임자의 판매시장
조직2 3.15 114 1.06 2.86 36 1.10 2.63 43 1.18 2.71 107 1.08 2.93 40 1.19
에 대한 이해, 높은 시장의 진입장벽 등 세 개의 문항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조직3 2.96 113 1.18 3.08 36 1.05 2.79 43 1.15 2.70 103 1.04 2.72 39 1.02

조직
조직4 3.35 115 1.10 3.36 36 1.10 3.07 44 1.28 3.15 106 1.15 3.18 40 1.03 되었다. 그 외 산업계의 경우 기술사업화 경험, 학계의 경우 기술의 차별성이 기술사
조직5 3.36 112 1.10 3.00 36 1.04 3.02 44 1.19 2.93 102 1.13 3.08 39 1.11
측면 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6 3.37 111 1.14 3.53 36 1.00 3.38 42 1.10 3.07 107 1.13 3.46 39 1.10
조직7 2.63 114 1.14 2.64 36 1.15 2.45 44 1.15 2.34 103 1.04 2.90 39 1.10
조직8 2.78 113 1.16 2.72 36 1.09 2.41 44 1.00 2.48 103 1.06 2.90 40 1.15 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인으로는 정부로부터의 교육·인력 제공, 정부차원
조직9 2.80 114 1.15 2.75 36 1.18 2.77 44 1.08 2.88 104 1.09 3.03 38 1.15
기술적1 2.72 117 1.04 2.61 36 1.15 2.57 44 1.15 2.47 103 0.95 2.76 38 0.79 에서 신기술·신제품 보호, 사업화관련 정부자금 등이 공통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
기술적2 2.69 110 0.95 2.55 33 1.06 2.40 43 1.03 2.37 102 0.96 2.68 38 0.81
사업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적3 2.45 109 0.94 2.45 31 0.77 2.29 38 0.87 2.34 98 0.93 2.65 37 0.79
기술적4 2.72 115 0.99 2.80 35 1.11 2.66 44 1.03 2.80 106 1.05 2.84 38 0.95
기술
기술적5 2.90 115 1.02 2.81 36 0.95 2.49 43 0.83 2.67 106 1.09 2.97 38 1.08
측면
기술적6 2.64 115 1.03 2.33 36 1.07 2.23 43 0.90 2.50 105 1.12 2.63 38 0.91
<표 71> 산학연 주체별 영향요인 분석 결과
기술적7 2.93 112 0.97 2.79 33 1.05 2.52 44 0.95 2.61 103 0.99 2.84 37 0.93
산 학 연
기술적8 2.71 112 0.96 2.56 34 0.89 2.35 43 0.90 2.50 101 0.97 2.57 37 0.87 영향요인
기술적9 3.13 113 0.96 2.89 35 1.02 2.74 43 1.11 2.92 98 0.98 3.22 36 1.07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시장1 3.19 115 0.88 3.00 36 0.89 3.09 44 1.05 3.08 108 1.03 3.05 39 1.05 조직1 4.50 269 0.65 4.42 50 0.84 4.55 77 0.60
시장2 3.10 113 0.86 2.81 36 1.06 2.86 44 1.03 3.02 107 0.99 3.03 38 0.82 조직2 4.23 269 0.70 4.22 50 0.79 4.22 76 0.62
시장3 2.83 114 0.93 2.66 35 0.94 2.59 44 1.13 2.85 106 0.95 2.90 39 0.85 조직3 4.05 267 0.91 3.92 49 1.06 3.91 77 0.88
시장4 3.37 113 0.90 3.06 36 1.15 3.09 44 0.96 3.19 106 1.06 3.26 38 0.98

직 조직4 3.75 270 0.86 3.59 49 0.91 3.82 77 0.79
시장 시장5 3.21 112 0.87 2.86 36 1.02 2.80 44 1.02 3.02 102 0.99 3.03 38 0.91
측면 시장6 3.64 108 0.95 3.53 36 0.88 3.57 42 1.11 3.51 102 0.99 3.86 35 0.88
측 조직5 3.69 267 0.89 3.65 49 0.95 3.92 77 0.76
시장7 3.61 107 0.97 3.50 36 1.06 3.52 42 1.09 3.51 99 0.98 3.83 35 0.82 면 조직6 3.88 268 0.97 3.96 50 0.92 3.92 76 0.99
시장8 3.43 112 0.85 3.66 35 0.87 3.53 43 0.91 3.21 104 0.95 3.53 36 0.94 조직7 3.20 266 0.92 3.10 48 0.93 3.32 74 0.94
시장9 3.04 111 0.91 2.79 34 0.98 2.79 42 1.02 2.81 104 0.97 3.08 36 0.84
조직8 3.04 266 1.01 3.00 49 0.98 3.13 76 1.05
시장10 3.50 108 1.02 3.41 32 0.95 3.35 37 0.86 3.33 95 1.07 3.68 38 0.96

140 14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산 학 연 <표 72> 산학연 주체별 애로요인 분석 결과


영향요인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산 학 연
애로사항
기술적1 3.30 269 0.88 3.37 49 0.93 3.28 74 0.84 평균 N STD 평균 N STD 평균 N STD
기 기술적2 3.81 270 0.72 3.96 49 0.79 3.73 74 0.73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3.14 263 1.08 2.98 49 1.11 3.30 73 1.08
술 기술적3 3.80 270 0.78 3.86 49 0.61 3.75 72 0.75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2.79 267 1.10 3.02 48 1.12 3.01 72 1.13
적 변리사 등 기술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2.83 258 1.05 2.67 49 1.16 2.94 70 1.18
기술적4 4.00 270 0.76 4.04 48 0.77 3.85 74 0.79
측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3.19 264 1.14 3.40 48 1.14 3.18 74 1.11
면 기술적5 3.73 270 0.85 3.78 49 0.77 3.66 74 0.90 조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3.05 256 1.10 3.27 48 1.14 3.26 74 1.16

기술적6 3.88 270 0.74 3.73 49 0.73 3.89 73 0.74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3.39 262 1.07 3.34 47 1.20 3.04 72 1.19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시장1 3.58 271 0.87 3.84 49 0.72 3.36 72 0.94 면 2.53 262 1.11 2.91 47 1.16 2.42 74 1.09
미흡
시 시장2 2.72 271 0.97 2.63 49 0.93 2.75 73 0.88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장 2.62 261 1.07 2.91 47 1.19 2.62 74 1.17
부족
시장3 4.03 271 0.76 3.96 49 0.64 3.88 73 0.80
측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2.86 261 1.09 3.02 47 1.26 2.66 74 1.08
시장4 3.47 270 0.90 3.59 49 0.76 3.12 73 0.88 부족

시장5 3.41 268 0.87 3.38 47 0.82 3.38 73 0.84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2.61 262 0.97 2.45 49 1.08 2.67 73 1.07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2.50 256 0.96 2.43 46 0.86 2.70 71 0.99
정책1 3.15 260 0.89 3.11 47 0.98 3.23 73 0.91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2.34 246 0.85 2.46 46 0.89 2.57 68 0.98
정 정책2 2.98 257 0.94 2.98 46 0.95 3.21 72 0.90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기 2.73 264 0.97 2.85 48 1.11 2.77 73 1.06
정책3 2.70 253 0.91 2.89 46 0.95 2.96 71 1.01 어려움
책 술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측 정책4 2.77 257 0.92 2.65 46 0.77 3.01 71 0.96 적
어려움
2.72 263 0.97 2.96 48 1.11 2.82 74 1.11
면 측
정책5 2.79 264 0.91 2.51 47 0.83 2.83 71 1.03 면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2.49 265 1.01 2.46 48 0.94 2.67 72 1.15
정책6 3.18 259 0.88 2.79 47 0.98 3.09 69 0.84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 2.72 258 0.98 2.79 47 0.83 2.80 71 1.06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2.54 254 0.90 2.58 48 0.94 2.65 71 1.03
산 평균 3.50, 표준편차 0.505, 평균+1표준편차: 4.01 평균-1표준편차: 3.00 문제
학 평균 3.48, 표준편차 0.542, 평균+1표준편차: 4.02 평균-1표준편차: 2.93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2.98 252 1.01 3.02 48 1.00 3.03 70 0.95
연 평균 3.51, 표준편차 0.459, 평균+1표준편차: 3.97 평균-1표준편차: 3.05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3.09 268 0.97 3.18 49 0.95 3.07 73 1.02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2.99 266 0.94 3.23 48 0.90 2.94 72 0.99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 2.82 266 0.98 2.85 48 0.87 2.65 72 0.98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3.24 264 0.99 3.35 48 0.89 3.13 72 1.05
산학연 주체별 애로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해외시장 진출시 판로개척, 법 세제 시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3.00 260 0.98 3.13 48 0.89 2.96 71 0.92
부족

정보, 사업화 후 높은 리스크 관리, 정부과제의 높은 선정률 등 4개의 문항에서 공통 측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3.61 250 0.95 3.73 48 0.94 3.51 69 1.08
면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3.57 249 0.99 3.70 47 1.02 3.54 68 1.03
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족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3.39 259 0.90 3.62 47 0.85 3.35 71 0.97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세부적으로 보면, 산업계의 경우 기술사업화 관련 자금부족, 기술담보·보증, 대출 부족
2.85 253 0.94 3.02 48 0.86 3.04 72 1.09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3.46 243 0.99 3.60 48 1.12 3.42 66 0.99
에 애로점이, 학계와 출연연계은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성공보수 미흡 등에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 3.12 257 0.87 3.07 46 0.93 3.03 69 0.91
애로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기술료 부담 3.09 253 0.94 3.05 44 1.01 2.78 64 0.84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 3.39 246 0.98 3.05 43 0.90 2.87 61 0.85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3.05 261 0.97 3.25 48 0.96 3.06 68 0.94
한편 기초원천기술, 기술완성도, 기술지도, 제품의 차별성,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 정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책 3.22 246 0.92 3.00 47 0.98 2.99 69 0.90
미미
용시 책임범위 문제와 관련해서는 애로사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장수요, 변리 측
면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3.11 253 0.84 3.06 47 1.07 3.09 70 0.94
부족
사 등 전문인력 등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애로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3.65 265 0.93 3.83 47 0.99 3.39 71 0.92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3.13 257 0.82 3.18 45 0.94 3.08 71 0.84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3.13 263 0.87 3.15 48 0.92 3.08 72 0.93
산 평균 3.00, 표준편차 0.337, 평균+1표준편차: 3.34 평균-1표준편차: 2.66
학 평균 3.07, 표준편차 0.357, 평균+1표준편차: 3.43 평균-1표준편차: 2.71
연 평균 2.98, 표준편차 0.277, 평균+1표준편차: 3.25 평균-1표준편차: 2.70

142 14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위의 교차분석 결과를 통해 사업화의 목표 성과 달성 및 R&D 성과물의 완성에 영 요인 관측문항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비고
연구책임자의 기술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0.0452 0.8384 0.0393 0.1379
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업화 대상 기술에 대한 높은 의지,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높은
연구책임자의 기술사업화 경험 -0.0197 0.7572 -0.0482 0.1056
조직 6, 7,
시장진입장벽 등이 사업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차별성, 관련기 조직
조직차원에서의 기술사업화 정보획득 0.1522 0.7512 0.2385 -0.2680 8 문항
측면
삭제
술의 성장가능성 또한 기술사업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의지 0.0448 0.7487 0.0143 0.2633
기술제공자 및 관련기관과의 협력 0.2409 0.6991 0.2115 -0.4167
애로요인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적(또는 대부분)으로 답변된 문항은 사업화 대상기술의 독창성·차별성 0.0052 0.0562 0.8155 0.1779
기술 1, 5,
기술
조직측면에서 사업화 자금력 부족(특히 중소기업), 시장측면에서 해외시장 진출시 영 측면
사업화 대상기술의 상대적 우수성 0.0966 0.0383 0.8060 0.0343 6 문항
삭제
기술의 성숙도 및 사업화 적합성 0.2158 0.0657 0.7761 0.0538
업 또는 판로 개척의 어려움, 법·세제 등의 정보 부족, 민간투자자 연결, 정책측면에
시장 사업화 대상기술의 시장 규모 0.1687 0.1297 0.4842 0.6376 시장 2, 4,
서 특허 등록·유지비용 부담, 정부과제 선정 등이 애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측면 5문항삭제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가능성 0.1192 0.1446 0.5389 0.5883
고유값(eigen value) 3.355 2.976 2.628 1.149
기여율(proportion) ( %) 22.367 19.841 17.521 7.657 -
2. 기술사업화 추진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누적기여율(cumulative) ( %) 22.367 42.207 59.728 67.385
근사 카이제곱 2255.553
1) 요인분석 결과 Baetlett의 구형성 검정 자유도 105
유의확률 0.000
선행연구에서 도출 된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MO(Kiser-Meyer-Olkin) 0.829
요인1(정책적 측면)은 전체분산의 22.4%를 설명하고 있으며, 요인2(조직적 측면)는
19.8%, 요인3(기술적 측면)은 17.5%, 요인4(시장 측면)는 7.7%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가지 요인 별로 신뢰도(Reliability)분석을 실시, 도출된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개의 요인이 전체변량의 67.4%를 설명하고 있다. 요인의
Cronbach's Alpha( )값을 이용하여 측정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표본 적합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Kiser-Meyer-Olkin (KMO) 척도를 사용하였는
분석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데, 설문항목의 표본 적합도는 0.829로 KMO의 판단기준( ≤ 0.7)19)보다 높으므
로, 이 요인분석의 표본은 상당히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Bartlett의 구형성 검 신뢰도 분석 결과, 요인1(정책 측면)은 0.871, 요인2(조직 측면)는 0.816, 요인3(기술

정도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측면)은 0.771, 요인4(시장 측면)는 0.718의 Cronbach's Alpha(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Cronbach's Alpha( )값의 값이 0.6이상이면 신뢰
<표 73> 영향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개 요인 모두 0.7이상의 높은
요인 관측문항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비고
Cronbach's Alpha( )값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요인 별 항목을 하나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크의 제공 및 지원 0.8585 0.0984 0.1249 -0.0001
척도로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교육·인력 지원 0.8261 -0.0473 0.0419 0.0351
정책
정책
신기술·신제품 보호 및 초기시장진입 지원 0.8047 0.0640 0.0723 -0.0324 6문항
측면
삭제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정보 제공 0.7577 0.1324 0.2403 0.0724

기술사업화 관련 자금지원 0.7277 0.0781 0.0190 0.0880

19) KMO 척도에 대한 절대적 기준은 없으나 학자들에 따라 KMO 판단 기준을 0.7로 보거나 혹은
0.6을 기준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음. 본 연구에서는 보다 엄격하게 0.7을 기준으로 사용하였음.

144 14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74> Cronbach's Alpha 결과표 가정은 상수항을 포함한 통제변수들간 다중공선성을 의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

요인 관측문항 Cronbach's Alpha( ) 구에서는 모든 회귀분석 결과값에 VIF(분산팽창계수, variance inflation factor)값이 5
기술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크의 제공 및 지원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VIF값이 10이 넘어가면 다중공선성을 의심할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교육·인력 지원 수 있다.
정책
신기술·신제품 보호 및 초기시장진입 지원 0.871
측면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정보 제공
기술사업화 관련 자금지원
<표 75> 회귀분석에 활용된 변수 설명
연구책임자의 기술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구분 변수명 변수설명 비고
연구책임자의 기술사업화 경험 성과 1 수행했던 과제는 계획한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
조직 종속 설문지 성과 측장
조직차원에서의 기술사업화 정보획득 0.816 변수 사업화 대상 기술은 사업화용 제품생산, 기술이전, 시장진출, 문항
측면 성과 2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의지 판매, 기술이전거래 등 연구 성과물의 완성 등이 이루어짐

기술제공자 및 관련기관과의 협력 조직측면 사업화를 수행하는 기관 및 인력의 기술사업화 역량


독립 요인분석을 통해
사업화 대상기술의 독창성·차별성 변수 기술측면 사업화할 대상기술의 완성도, 우수성, 연계성 도출
기술 (영향 시장측면 사업화 대상기술 시장의 규모, 개방성, 성장성, 경쟁상황 (설문지 영향요인
사업화 대상기술의 상대적 우수성 0.771
측면 요인) part)
기술의 성숙도 및 사업화 적합성 정책측면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법·제도적 지원 및 관리·감독

시장 사업화 대상기술의 시장 규모 통제변 종업원수 로그변환(+1)


0.718 설문지 part1
측면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가능성 수 목표시장 연속변수 (1~5점 점수 부여)
유형 2개 유형(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단계) 자체 연구
대상 거래처 기업(대, 중소),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2) 회귀분석 설문지 part1
제품형태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값을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성과와 영향요인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도출된 4가지 요인(정책측면, 조직측면, 기술측면, 시장 2-1) 2개 유형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측면)을 독립변수로, 설문지의 성과 측면 설문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
아래의 표는 2개 유형별로 인과관계를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값이다. 먼저 사업화의
시하며, 분석대상은 2개 유형별 및 목표시장별이다.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목표를 소기에 달성했는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분석(성과 1)을 보면, 기술사업화 프
 성과     요인가지   기업속성   (1) 로세스 단계 과제는 조직측면, 기술측면, 시장측면이 목표달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
석되었으며, 시장측면 계수값이 가장 크게 분석되었다. 또한 지원활동 단계 과제는 시
식 (1)에서 종속변수는 성과측정 문항 두 개로 설정하였다. 측정 문항은 1. 수행했 장 측면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사업화 대상 기술이 제품생산 등
던 과제는 계획한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함 2. 사업화 대상 기술은 제품생산, 연구성과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분석(성과 2)에서는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에서
기술이전, 판매 등 연구 성과물로 이루어짐이다. 통제변수로는 사업화 성공과의 인과 는 조직, 기술, 시장, 정책측면 모두 양의 값을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으며,
관계를 보기 위해 기업속성 변수를 활용하였다. 활용한 기업속성 변수는 연구인력수 성과 1 분석과 마찬가지로 시장측면의 계수값이 가장 크게 도출되었다. 지원활동 단
(로그), 기관의 목표시장(국내시장, 국내&해외시장)을 활용하였다. 연구인력수는 이분 계에서는 시장측면, 정책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장측면
산성을 고려해 로그로 변환하였으며, 로그변환 시 연구인력이 0명인 기업이 탈락되는 계수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상이 생기므로 모든 관측치에 1을 더한 후 로그변환하였다. 한편 회귀분석의 기본

146 14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76> 2개 유형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표 78> 제품형태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단계 기술 소재
성과 1 성과 1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요인 1. 조직측면 0.218*** 0.046 4.70 0.014 0.137 0.10 독 요인 1. 조직측면 0.182*** 0.067 2.70 0.301 0.250 1.21
독립 요인 2. 기술측면 0.140*** 0.045 3.14 0.185 0.138 1.34 립 요인 2. 기술측면 0.214*** 0.079 2.71 -0.007 0.202 -0.03
변수 요인 3. 시장측면 0.240*** 0.047 5.13 0.442*** 0.118 3.75 변 요인 3. 시장측면 0.329*** 0.067 4.91 0.201 0.182 1.10
요인 4. 정책측면 0.060 0.045 1.33 0.189 0.153 1.24 수 요인 4. 정책측면 0.176*** 0.066 2.66 0.151 0.168 0.90
통제 로그종업원수 -0.006 0.031 -0.20 0.025 0.047 0.53 통
로그종업원수 0.046 0.036 1.27 0.307 0.198 1.55
변수 목표시장별 0.040 0.107 0.38 0.680 0.309 2.20 제
constant 3.708*** 0.089 41.61 3.633 0.221 16.42 변
목표시장별 0.306* 0.154 1.98 0.142 0.430 0.33
N 305 32 수
ADJ-R squared 0.174 0.345 constant 3.512*** 0.144 24.39 3.058*** 0.420 7.28
N 101 34
ADJ-R squared 0.257 0.191
부품 완제품 서비스
<표 77> 2개 유형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성과 1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활동 단계 요인 1. 조직측면 0.108 0.166 0.65 0.282*** 0.087 3.25 0.223 0.162 1.38
성과 2
coef. std.E t coef. std.E t -0.01
요인 2. 기술측면 0.161 0.161 1.00 0.167* 0.095 1.76 0.117 -0.08
요인 1. 조직측면 0.313*** 0.045 6.93 0.080 0.109 0.74 독 0
요인 2. 기술측면 0.106** 0.044 2.42 -0.109 0.108 -1.01 립
독립
변 -0.00
요인 3. 시장측면 0.298* 0.169 1.76 0.283*** 0.101 2.80 0.130 -0.01
변수 요인 3. 시장측면 0.318*** 0.046 6.95 0.302*** 0.092 3.29 수 1
요인 4. 정책측면 0.098** 0.044 2.25 0.225* 0.120 1.88 -0.05
요인 4. 정책측면 -0.058 0.208 -0.28 -0.134 0.090 -1.49 0.156 -0.32
통제 로그종업원수 -0.004 0.030 -0.14 -0.032 0.038 -0.85 0
변수 목표시장별 0.052 0.104 0.50 0.031 0.261 0.12
통 -0.03
로그종업원수 0.076 0.143 0.53 -0.041 0.098 -0.42 0.062 -0.63
constant 3.717*** 0.087 42.69 3.872*** 0.174 22.29 제 9
N 304 31 변 -0.16
수 목표시장별 -0.039 0.395 -0.10 0.039 0.225 0.17 0.321 -0.52
ADJ-R squared 0.254 0.333 7
3.678** 3.421*
constant 0.339 10.85 3.770*** 0.202 18.71 0.244 14.01
* **
2-2) 제품형태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N 40 93 35
ADJ-R squared 0.1427 0.180 0.103
아래의 표는 기업의 주요 제품형태별로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값이다.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했는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분석(성과 1)에서는 제품형태가 기술
인 기관인 경우, 모든 계수값이 양의 값을 보이며 유의성을 확보했으며, 시장측면의
계수값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품과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관 또한 시장측면
계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재,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관일 경우 통계적 유
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사업화 대상 기술이 제품생산 등 연구성과물로 이어졌는
지에 대한 분석(성과 2)에서는 기술, 소재,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관은 조직측면, 부품,
서비스가 제품인 기관은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48 14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79> 제품형태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표 80> 거래처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기술 소재 기업(대, 중소)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성과 2 성과 1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요인 1. 조직측면 0.363*** 0.076 4.80 0.412* 0.214 1.92 독 요인 1. 조직측면 0.229*** 0.061 3.76 0.248* 0.138 1.80 0.250** 0.095 2.63
독 요인 2. 기술측면 0.170*** 0.062 2.75 0.093 0.119 0.78 0.016 0.096 0.17
립 요인 2. 기술측면 0.012 0.089 0.13 0.170 0.174 0.98 립
변 변 요인 3. 시장측면 0.269*** 0.062 4.36 0.356*** 0.121 2.95 0.065 0.101 0.65
요인 3. 시장측면 0.312*** 0.075 4.14 0.252 0.156 1.61
수 수 요인 4. 정책측면 0.063 0.063 1.00 0.008 0.113 0.07 0.158* 0.092 1.72
요인 4. 정책측면 0.184** 0.073 2.51 0.157 0.144 1.09
통 로그종업원수 0.046 0.044 1.03 0.029 0.070 0.42 -0.005 0.043 -0.11
통 로그종업원수 0.035 0.041 0.85 0.206 0.170 1.21
제 제
변 변
목표시장별 0.070 0.174 0.40 -0.489 0.370 -1.32 목표시장별 0.125 0.142 0.88 0.056 0.243 0.23 0.095 0.234 0.41
수 수
constant 3.480*** 0.165 21.09 3.515*** 0.361 9.75 constant 3.610*** 0.121 29.73 3.579*** 0.204 17.56 3.525*** 0.157 22.43
N 99 34 N 192 49 68
ADJ-R squared 0.267 0.195 ADJ-R squared 0.162 0.118 0.083
부품 완제품 서비스
성과 2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표 81> 거래처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요인 1. 조직측면 0.063 0.132 0.48 0.382*** 0.078 4.93 0.223 0.163 1.37
독 기업(대, 중소)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립 요인 2. 기술측면 0.048 0.128 0.38 0.124 0.085 1.45 -0.066 0.119 -0.56 성과 2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변 요인 3. 시장측면 0.451*** 0.135 3.35 0.380*** 0.091 4.19 0.300*** 0.131 2.29
수 요인 1. 조직측면 0.345*** 0.058 5.98 0.248** 0.121 2.05 0.296*** 0.085 3.48
요인 4. 정책측면 -0.230 0.166 -1.39 -0.014 0.081 -0.17 0.238 0.157 1.51 독
립 요인 2. 기술측면 0.123** 0.058 2.11 0.124 0.104 1.19 -0.100 0.087 -1.15
통 로그종업원수 0.038 0.114 0.34 0.040 0.087 0.46 -0.081 0.062 -1.29 변
제 요인 3. 시장측면 0.291*** 0.058 5.00 0.315*** 0.106 2.97 0.265*** 0.090 2.94

변 요인 4. 정책측면 0.012 0.060 0.20 0.023 0.099 0.23 0.289*** 0.082 3.51
수 목표시장별 0.341 0.315 1.08 0.078 0.202 0.39 0.104 0.324 0.32
통 로그종업원수 0.018 0.042 0.42 0.006 0.062 0.10 -0.007 0.039 -0.18
constant 3.642*** 0.271 13.45 3.705*** 0.181 20.51 3.769*** 0.247 15.29 제
N 40 93 35 변
수 목표시장별 0.037 0.134 0.28 -0.444** 0.214 -2.07 0.188 0.210 0.89
ADJ-R squared 0.198 0.305 0.211
constant 3.723*** 0.116 32.21 4.003*** 0.179 22.33 3.529*** 0.144 24.54
N 190 49 67
2-3) 거래처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ADJ-R squared 0.242 0.243 0.358

기업의 주요 거래처별로 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업과 소비


자가 거래처인 기관은 시장측면, 정부/공공기관인 거래처는 조직측면이 성과를 높일 2-4) 산학연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화 대상 기술이 제품생산 등 연구성과물로 이 산학연별로 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산과 연은 시장측면, 학은
어졌는지에 대한 분석(성과 2)에서는 기업과 정부/공공기관이 거래처인 경우 조직측 조직측면의 계수값이 크게 나타나 가장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
면이, 소비자가 거래처인 경우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 다. 산의 경우, 조직, 기술, 시장, 정책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었다.
었다.
사업화 대상 기술이 제품생산 등 연구성과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분석(성과 2)에
서는 산은 시장측면, 학과 연은 조직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
었다.

150 15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표 82> 산학연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1) <표 84> 2개 유형별 인과관계 종합


산 학 연 성과 1 성과 2
성과 1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구분 (유형1)기술사업화 (유형2)지원 (유형1)기술사업화 (유형2) 지원
요인 1. 조직측면 0.161*** 0.054 2.97 0.366** 0.141 2.60 0.337*** 0.115 2.94 프로세스 단계 활동 유형 프로세스 단계 활동 유형
독 요인 1. 조직측면 0.218*** 0.014 0.313*** 0.080
독립 요인 2. 기술측면 0.142** 0.056 2.55 0.439** 0.179 2.45 0.078 0.126 0.62
변수 립 요인 2. 기술측면 0.140*** 0.185 0.106** -0.109
요인 3. 시장측면 0.266*** 0.055 4.87 0.349** 0.143 2.44 0.352*** 0.118 2.99 변 요인 3. 시장측면 0.240*** 0.442*** 0.318*** 0.302***
요인 4. 정책측면 0.107* 0.055 1.95 0.327* 0.166 1.97 -0.015 0.117 -0.13 수 요인 4. 정책측면 0.060 0.189 0.098** 0.225*
통제 로그종업원수 0.032 0.043 0.73 0.044 0.082 0.53 -0.014 0.065 -0.22
변수 목표시장별 0.065 0.130 0.50 0.630* 0.333 1.89 -0.003 0.240 -0.01
constant 3.601*** 0.118 30.47 3.186*** 0.340 9.38 3.832*** 0.267 14.38 두 번째 제품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제품형태가 기술, 부품, 완제품의 기관인 경우
N 218 30 57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하기 위해서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가장 중요
ADJ-R squared 0.154 0.337 0.223
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상기술이 연구성과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분석에서
는 기술, 부품, 서비스의 기관인 경우 시장측면, 소재, 완제품의 기관일 경우 조직측면
<표 83> 산학연별 회귀분석 결과(성과 2)
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어 제품형태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 학 연
성과 2
coef. std.E t coef. std.E t coef. std.E t
요인 1. 조직측면 0.273*** 0.052 5.23 0.412*** 0.116 3.54 0.420*** 0.111 3.77
<표 85> 제품형태별 인과관계 종합
독립 요인 2. 기술측면 0.053 0.054 1.00 0.068 0.146 0.46 0.015 0.123 0.13 성과 1
변수 요인 3. 시장측면 0.359*** 0.053 6.83 0.347*** 0.118 2.94 0.297** 0.114 2.60 구분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요인 4. 정책측면 0.104** 0.052 1.98 0.066 0.135 0.49 0.151 0.114 1.32
통제 로그종업원수 0.012 0.041 0.29 -0.032 0.074 -0.44 -0.058 0.063 -0.93 독 요인 1. 조직측면 0.182*** 0.301 0.108 0.282*** 0.223
변수 목표시장별 0.168 0.124 1.35 -0.126 0.291 -0.43 -0.235 0.233 -1.01 립 요인 2. 기술측면 0.214*** -0.007 0.161 0.167* -0.010
constant 3.703*** 0.113 32.85 3.505*** 0.291 12.04 3.997*** 0.259 15.44 변 요인 3. 시장측면 0.329*** 0.201 0.298* 0.283*** -0.001
N 218 29 57 수 요인 4. 정책측면 0.176*** 0.151 -0.058 -0.134 -0.050
ADJ-R squared 0.254 0.341 0.306
성과 2
구분
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2-5) 인과관계 분석 종합 독 요인 1. 조직측면 0.182*** 0.412* 0.063 0.382*** 0.223
립 요인 2. 기술측면 0.214*** 0.170 0.048 0.124 -0.066
목표로 한 기술사업화를 소기에 달성하거나(성과1) 사업화 대상기술이 연구성과물로
변 요인 3. 시장측면 0.329*** 0.252 0.451*** 0.380*** 0.300***
이어지는 것(성과2)을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인 조직, 기술, 시장, 정책과의 인과관 수 요인 4. 정책측면 0.176*** 0.157 -0.230 -0.014 0.238
계를 2가지 정부지원유형별(프로세스 단계, 지원활동 유형), 제품형태별(기술, 소재,
부품, 완제품, 서비스), 거래처별(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로 살펴보았다. 분석결
거래처별로 분석한 결과,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소로써 거
과 대부분의 유형에서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먼저,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와
래처가 기업과 소비자인 경우는 시장측면, 정부/공공기관인 경우는 조직측면이 가장
정부지원 활동으로 구분한 2 가지의 유형을 살펴보면 시장측면이 성과를 올릴 수 있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대상기술과 연구성과물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성과 2에
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즉, 사업화 대상기술의 시장규모가 클수록, 기술과 관련
서는 거래처가 기업과 정부공공인 경우는 조직, 소비자인 경우는 시장측면이 성과에
된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높을수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52 153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86> 거래처별 인과관계 종합


성과 1 성과 2
구분
기업 소비자 정부/공공 기업 소비자 정부/공공
요인 1. 조직측면 0.229*** 0.248* 0.250** 0.345*** 0.248** 0.296***
독립 요인 2. 기술측면 0.170*** 0.093 0.016 0.123** 0.124 -0.100
변수 요인 3. 시장측면 0.269*** 0.356*** 0.065 0.291*** 0.315*** 0.265***
요인 4. 정책측면 0.063 0.008 0.158* 0.012 0.023 0.289***

산학연별로 분석한 결과, 사업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소로는 산


과 연은 시장측면, 학은 기술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특히 학의 경우,
기술개발단계, 지원단계 등 2개 유형별, 제품형태별, 거래처별 등의 분석과 달리 기술
측면 계수값이 가장 높게 분석된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대상기술과 연구성과물과
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성과 2에서는 산은 시장, 학과 연은 조직측면이 성과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87> 산학연별 인과관계 종합


성과 1 성과 2
구분
산 학 연 산 학 연
요인 1. 조직측면 0.161*** 0.366** 0.337*** 0.273*** 0.412*** 0.420***
독립 요인 2. 기술측면 0.142** 0.439** 0.078 0.053 0.068 0.015
변수 요인 3. 시장측면 0.266*** 0.349** 0.352*** 0.359*** 0.347*** 0.297**
요인 4. 정책측면 0.107* 0.327* -0.015 0.104** 0.066 0.151

종합적으로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시장측면과 조직측면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사업화 성과를 위해서 대상기술의 시장규모,
시장의 성장가능성과 연구책임자의 시장에 대한 경험, 이해, 정보획득, 사업화 의지가
정책측면(기술사업화관련 교육, 인력, 자금지원), 기술측면(대상기술의 독창성, 차별성
등)보다 더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154 15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3. 연구자의 기술사업화 정책 니즈 구분 정책 needs 설 명


◇ 정부 R&D 사업에 대한 전담반을 구성, 정부사업의 활성화와
정책·제도적 개선 방안은 설문에 응답한 과제책임자가 자유롭게 작성한 내용을 정 지원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
리한 것으로서, 2개 유형별(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단계, 기술사업화 지원단계)로 구분 인이 필요함
◇ 기술력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며, 기업규모를 평가대상
해서 정리하였다. 에서 제외해야 함
◇ 일부 평가위원의 주장과 편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필요함
먼저 기술사업화프로세스 단계의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책임자들이 ◇ 기술력은 판단하지 않고 재무지표에만 의지하고 있는 지원정
필요로 하는 정책 니즈는 정부예산증대(자금관련), 과제선정 증대(조건 완화), 공정한 핵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기술력의 평가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
평가, 중소기업 지원(인력), 성공과제에 대한 장기지원, 기술료 감면 도입, 간편한 행
◇ 시장 수요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는 세라믹필터 기술에 대해
정절차 및 명확한 자격조건 제시 등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공 OOO공사 등에 제안서를 제출하였으나 서면평가 결과를 통보
받지 못함
정한 과제 선정, 평가, 행정절차에 대해 많은 의견이 있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인력,
공정한 평가 ◇ 제품의 부품 중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거나 충분한 성능이 나
기술료감면 등에 대해 기술사업화 추진시 개선되길 바란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오지 않아 외산 부품를 사용하는 경우, 과제선정 혹은 평가단
계에서 이에 대한 국산화 의향을 묻는 경우가 다수 있어 기업
또한 기술사업화지원단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력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 지원, 장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게 됨
◇ 일반적으로 기술개발 후 2-3년 이내에 실현가능한 사업이 많
비구축 지원 등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변리사외에
음에도 불구, 평가시에는 시장규모 및 실현가능성이 어려운 먼
기술사업화 관련 인력을 정부가 지원해 주어야 한다는 답변이 여러 개 있었다. 네트 미래 시장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문제가 있음
◇ BT분야 의약품개발은 기술이전 뒤 기업과 호흡하여 해야 할
워크 및 장비구축 지원을 요구하는 의견들은 물리적인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연구가 많음. 그러나 미래부 산하 OOO진흥원의 "연구성과지
준 연구자들의 정책적 니즈였다. 원화사업 R&D 기술 업그레이드"에 신청하여 발표평가도 하지
못하고 서류에서 탈락함. 소규모 기술이전과 열악한 중소기업
<표 88> 연구자의 기술사업화 지원 정책 니즈 위주의 치약, 샴푸 만드는 사업에 정부지원이 된 것 같은데 이
와 같은 평가방법은 기술이전을 할 수 없는 제도일 수 있음
구분 정책 needs 설 명
◇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력은 있으나 인력, 자금부분이 어려운
◇ 표준개발의 경우, 관련 전문가 자문비, 회의비, 인건비의 비중 기업이 많으므로 대기업 위주의 선정보다 미래성이 있는 중소
이 크므로 해당사업비에 대한 비중 증대가 필요함 기업 선정을 적극 지원해 줄 필요가 있음
정부예산 증대
◇ 예산이 많이 줄어들어 기술개발에 어려움이 증대하고 있음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교육지원사업이 활성화 되어야 함
(자금관련)
◇ 지원하고 있는 자금을 기술을 담보로 융자·전환할 수 있다면 ◇ 개발된 기술을 시장에서 활용하려면 계속 기술력을 업그레이
더욱 효율적인 지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중소기업 지원
드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사업화 전문 인력과 자금의 지
기술 ◇ 기술사업화 관련 예산 증액으로 인해 과제의 선정율이 증가할 (인력관련)
원이 꼭 필요한 실정임
사업 수 있도록 해야 함 ◇ 중소기업 지원 횟수 제한을 폐지해야 함
화 ◇ 폭넓은 과제구성과 R&D 지원정책 추진이 필요함 ◇ 중소기업의 인건비를 정부자금의 현금으로 할당할 수 있는 방
◇ 창의성, 독창성을 가진 제품에 대한 지원 증대가 필요함 안 마련이 시급함.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생존과 기술개발의
프로 ◇ 시장수요가 증명된 R&D 사업에 대한 선별이 필요함 활성화가 될 수 있을 것임(현재는 신규인력만 현금으로 가능)
과제 선정 중대
세스 ◇ 구매 조건부 신규 사업 부문을 진행하면서 대상 구매 사업자
(조건 완화) ◇ 기술개발이 성공했을 경우,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정부의 후
의 장벽이 너무 높음. 즉, 중견기업이상(대기업, 해외기업 등)
의 기업구매조건부계약이 성립 되어야 사업자체를 검토 할 수 속지원이 필요함
성공과제 지원
있다는 조건부명시가 중소기업의 구매조건부 기술사업에 참여 ◇ 성공과제의 사업화를 위해 투자 연계가 필요함
장기 지원
하기 힘든 벽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정책적조건 변화가 따라 ◇ 최소 3년 이상 장기지원을 통해 기술개발을 실시해야 함
주어야 중소기업활성화에 의한 신사업 진행에 도움이 될 것임 ◇ 단기성과 위주의 R&D 과제 수행으로 우수한 성과를 기대하기

156 15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구분 정책 needs 설 명 구분 정책 needs 설 명

어려운 측면이 있음 ◇ 연구개발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이 부족함. 네트워크가 잘 형성


◇ 발전플랜트 사업의 경우, 시장이 확실하고 자체적 연구/판매도 네트워크 지원 되어 있다면 서로의 장단점을 절충 보완하여 더욱더 멋진
진행중에 있으나 신규 기술부족으로 인해 정부의 도움이 필요 R&D사업을 이뤄 나갈 것이라 확신할 수 있음
함. 그러므로 성공과제에 대한 후속지원(시설홍보, 전문가 연
◇ 개발된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한 pilot scale 연구에 대한 지원
계, TEST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이 부족하여, 실증화 설비/실적을 통한 영업에 불가능한 경우
장비구축 지원
가 많음. 그러므로 이에 대한 지원책이(대부분의 업체들이 실
◇ 사업화 성공시 기술료 납부 금액을 감면할 필요가 있음 적을 가져오라고 하기 때문에) 절실하게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너무 과도한 기술료를 납부해야 함
◇ 정부의 도움을 받아 사업화를 하는 경우 대부분 자금의 여유
기술료 감면 도입
가 충분하지 않으며, 사업화과제 종료이후에도 기업에서는 추 ◇ 지정과제 뿐만 아니라 기업의 공모과제도 지원 대상에 푹 넓
가투자를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또한 과제종료이후 높은 게 선정될 필요가 있음
기술료가 기업에는 부담으로 작용하게 됨 ◇ 콜센터 상담인력의 역량 강화가 필요함(잘못된 정보를 주는 경
우가 빈번함)
◇ 현재 과제를 수행시 행정절차나 너무 복잡하므로 보다 편리하 ◇ 중소기업에서 어렵게 기술개발에 성공해도, 정부에서는 지원으
고 접근성 높은 정책이 필요함 로로 개발했다는 홍보만 열심히 하고, 정작 제품의 상업적 적
◇ 정부예산(R&D 자금)에 대한 관리지침이 너무 융통성이 부족함. 용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음
예를 들어 과제수행 전 계획한 것과 과제수행 후 자금을 쓰다 ◇ 본부 소속 산학협력단과 공과대학 같은 단과대 소속 LINC 사
보면 당연히 차이가 나기 마련이지만 계획을 바꾸기 어려운 업단간의 업무 조정/책임 문제의 명확성이 다소 결여되어 어
측면이 있음. 사용가능한 항목을 통합한도로 조정하는 방안이 기타 려움을 겪고 있음.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이들 업무를 총괄하
필요할 것임 는 방안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필요 있음
◇ 사업 설명회 후에도 필요한 자료를 다운받는 기능이 필요함 ◇ 기존에 사업화 성과를 현장에 실질 적용코자, 지원사업을 신청
◇ 연구비 지원 후 지나친 성과를 요구하고 있음. 특히 기술개발 해보니, 담당의 역량부족인지 아니면, 사업신청에 제동을 거는
간편한 행정절차 건지는 알 수 없으나, 2년째 신청도 못하고 있는바, 상급기간
직후 성과가 바로 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정부에서는 성공
/ 에 바로 신청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방안이 필요함. 이는
여부 판단을 성과중심으로 하다 보니 무리해서 기술개발을 끝
명확한 자격조건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항이며, 내년도에는 없어지는 지역
낼 수 밖에 없는 실정임
◇ 지원가능한 제도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쉬운 접근방법을 개 활력화 사업이므로 검토가 필요
발할 필요가 있음 ◇ 농업인이 하는 연구도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스마트
◇ 자금 운영에 처음 계획한대로 해야해서 제한 사항이 많음 폰 등 소프트사업 지원 외에도 많은 관심이 필요
◇ 모든 사업의 자격조건을 정확하게 명시해 줄 필요가 있음. 예
를 들어 앞부분에는 자격요건이 되는데 사업내용의 뒷부분을
읽어보면 자격조건이 안 되는 조건이 나와 모르고 지원하는
경우가 있으니 앞부분에 정확한 자격요건을 모두 기재해야 할
것임

◇ 현재 정부 R&D사업성과를 확산하는 출연연 TLO내에 기술과


기술 사업을 동시에 이해하는 전문가인 비지니스 개발 담당자는 거
사업 인프라 구축 의 전무한 상태임. 최근 변리사를 채용하고 있으나, 변리사는
화 (기술사업화 관련 기술을 법적 권리화하는 전문가일 뿐, 기술사업화는 현장에서
지원 전문인력) 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고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
정책 업(비지니스)를 개발할 수 있는 사람이 더욱 중요한데, 출연연
에는 없으므로 정부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음.

158 15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5 장 기술사업화 성과의 영향요인과 추진상의 애로사항 분석

4. 정책적 시사점

설문분석 결과,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시장측면과 조직측


면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기술사업화의 성과 달성을 위해 시장측면
에서는 대상기술의 시장 규모, 관련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중요했고, 조직측면에서는
연구책임자의 기술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사업화 경험, 조직의 관련 정보 획득 능력,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의지 및 기술제공자·관련 기관과의 협력 등이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학연 주체별로는 연구개발성과물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학·연은 조직측면의 요인들이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쳤고, 산은 시장측면이 높은 영
향을 미쳤다. 연구자들이 바라는 정책 수요를 오픈형 질문으로 조사한 결과 정부예산
증대, 과제선정 확대, 공정한 선정 평가 및 중소기업 지원, 후속 R&D과제 지원, 기술료
감면, 간편한 행정절차 등을 많이 요구했다. 부가적으로 기술사업화를 위해서는 연구
개발 네트워크 지원과 시설·장비구축 지원을 요구하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표 89> 기술사업화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요인(시장·조직측면)

- 대상기술의 시장 규모
시장 측면
- 시장의 성장가능성
→ 기술사업화 성과

- 연구책임자의 기술판매시장에 대한 이해 (소기의 목표 달성


- 기술사업화 경험 또는
조직 측면 - 기술사업화 의지 → 연구개발성과물)
- 조직차원에서의 기술사업화 정보 획득
- 기술제공자 및 관련 기관과의 협력

160 161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
부연구개발사업과 관련 정책을 살펴본 뒤, 정부연구개발사업이 지원하는 정책 유형을
분류해보았다. 이어 정부지원과제 수행 연구책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중회
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정부 기술사업화 정책들의 미흡한 부분 또는
제6장 개선해야 할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기술사업화의 전략적 추진방안


1. 조직 측면

1) 전주기적 산학연 공동 협력체제 구축 필요

우리나라의 출연(연)은 기술이전전담조직간 정보 제공과 협력체제 구축 미비로 효


과적인 기술사업화 활동이 작동되지 않고 있다. 사업화 유망기술․제품 발굴부터 사업
화 단계까지 핵심 연구자와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긴밀한 협력이 가능한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 하다. 산·학·연이 연구개발의 시작 단계부터
사업화 유망기술․제품 이미지를 공유하고 기술이나 역량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공동기
술사업화’가 추진가능하다. 대학·출연연의 연구역량과 기업의 사업화 역량의 시너지
를 발휘함으로써 대학·출연연 보유기술의 활용은 극대화 될 수 있다. 실례로 현재
몇몇 대학이 공동으로 준비 중인 ‘20대 전용 대학보유기술 화장품 브랜드 통합 및
전국대학 판매점 구축’사업이 있다. 시장성 있는 기술로 사업화에 나선다는 취지로,
기술지주회사협의회에 따르면 기술사업화공동사업이 추진된다면 하나의 사업만으로도
고용창출 1,000명, 수백억의 매출 및 수출 효과 및 최소 300여 개의 대학특허기술이
사업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적으로는 학연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공동R&D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대학과 출연연의 우수 연구인력이 기업의
제품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기술협력을 해 나가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기술
사업화 성공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

2) 현행 PBS 성과제도 개선

학, 연의 경우 조직의 보상체계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문제가 현행 PBS 제도이다. 외부 과제를 수주하기 위하여 과제가 지나치게 세분화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6 장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되면서 선진 경쟁사 투입 인력 대비 20 ~ 30% 수준의 투입 인력으로 연구 진행하는 제작, 타당성 검증, 사업계획 작성 등을 지원하는 Fellow-on Fund를 추진중이다. 우
경우가 많다. 이러한 외부 과제 수주에 대한 압박으로 사업화를 위한 인력파견 등 지원 리나라도 연구성과의 상용화 격차(commercialization gap) 해소를 위해 상용화보완연
제도 마련에도 어려움 뒤따른다. 따라서 사업화를 위한 파견 등의 경우 인건비 지원, 구의 수행이 필요한데, 대부분 단순 시험․인증 등의 추가연구 정도여서 사업화를 위한
기관별 주요사업의 전략적 운용을 위한 방안 등과 함께 PBS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후속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3) 기관간 유연한 특허 정보 공유·활용 2) 전주기적인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특허법상의 공유규정 및 과제관리 상의 특허 공유 규정으로 인해 기술이 사장되는 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활용 및 확산의 기획부터 실용화 후속연구개발 지원 및 사업
경우가 발생한다. 참여기업이 존재하는 과제의 경우 참여기업이 명백한 기술실시 의 화 자금에 대한 기술금융 연계 지원까지 기술사업화 전주기적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
사가 없는 경우에도 특허 공유를 통하여 기술 활용에 지장을 주고 있다. 이와 관련 하다. 무엇보다 연구개발성과의 상용화 격차(commercialization gap) 해소를 위해 상
특허정보 공유·활용 등에 대한 유연한 정책 변경이 시급하다. 국가R&D 국내 특허 용화보완연구도 요구되나, 단순 시험․인증 등의 추가연구 정도가 대부분으로 연구개발
출원의 38%를 점유하는 출연(연)이 특허를 개별 관리함으로써 관리·비용 및 활용측 성과는 사장화가 되고 있다. 연구자의 응용연구는 프로토타입의 시제품까지라고 인식
면에서 비효율 초래하고 있다. 2013년 기준 출연연 보유특허(34,887건) 가운데 기 활 하고 있는데 반하여, 기업은 1~2년 안에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완성도를 원하는 만
용된 특허(11,896건)는 34.1%로 특허활용율이 저조하다. 최근 정부는 국가기술은행 큼 시제품에서 판매할 수 있는 제품까지는 제품시험, 하자보수 등으로 2년 이상이 시
(NTB: National Technologies Bank)의 개선을 통해 국내외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이 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사후관리가 허술해지는 것은 물론 추가연구로 이어지기
개발한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에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전기업이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서는 ETRI와 KIST를 중심으로 특허정보공개 및 특허기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지원하는 Golden Bridge시스템 구축하여 기술 관련 비즈니스모델 수립, 연구개발을
다. 앞으로 출연연간 특허정보 공유 방안에 대한 계획 수립 및 특허정보 공유를 위한 위한 기술기획, 시제품화, 후속연구, 판매·홍보까지 기술이 사업화되기까지의 전 과
기관별 로드맵 수립(연구회, 미래창조과학부 등)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정 지원이 필요하다.

2. 기술적 측면 3. 시장 측면

1) 적시의 중단없는 사업화 후속연구개발 지원체계(Seamless R&D Process) 구축 1) 기술수요자 중심의 연구성과활용·확산 시스템 구축

공공연구기관의 성과를 사업화할 수 있는 사업화 후속연구개발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정부의 과제선정단계에서부터 기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 선정·지원을 적극 유도할
사업화의 조기 실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은 공공연구기 필요가 있다.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기초연구과제 선정단계에서 부터 기업
관이 창출한 성과가 사업화하기에 미흡한 경우 장기적인 후속연구개발 지원형태를 마 의견이 반영될 뿐만 아니라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련하여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STTR 프로그램을 통해 비영리기관이 창출한 기업에 대한 기술수요조사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주로 대학·출연연
R&D성과가 실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비영리기관간의 공동연구를 지원 등 공공 부문의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등 기술공급자 입장에서 조사하는 경우가 일반
한다. 일본도 전략적혁신창출추진사업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기초연구성과를 적이다. 더구나 상용제품개발을 위한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과의 협력체계가 구축되
장기적(최장 10년)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단계와 위험도 등에 따라 다양한 후 지 않아 사업화를 통한 상생협력이 부진하다. 대기업의 단기성과 위주, 납품단가 인하
기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성과최적확장지원사업(A-STEP)을 추진중에 있다. 영국 요구,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에 대한 신뢰부족으로 인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의 EPSRC는 대학의 연구성과물과 기업의 실용화간의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시제품 제품개발 및 사업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신제품 사업화를 위한

164 16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6 장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개발·생산·유통 과정에서의 중소기업간 협력체계가 부족하고, 신제품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 등의 중소기업간 협업의 수준도 매우 낮다. 따라서 시장에서 사업성 있는 4. 정책적 측면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협업적 연구개발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사업화 매체 또는
관련 기초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연구자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들에 대하여 성
허브를 구상해야 한다.
과에 미치는 영향의 수준이 미미하다고 응답했다(2점 후반 ~ 3점 초반 대). 정부에서
2) 글로벌 시장 대응 역량 강화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답변이 나온 것은 기술사업화 추
정부는 연구개발 지원이외에 글로벌 시장 진출 등 외부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정 진에 있어 관련 정보 제공, 네트워크 제공, 기술사업화 교육·인력 제공, 초기 시장진
책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설문에서 기술사업화 영향요인과 애로사항 입 지원, 자금지원 등의 정책적 지원 방식은 기술사업화 성공에 결정적 역할을 하지
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시장대응 부문에서 연구자가 겪는 애로점이 높게 나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공되는 자료는 많지만 정보는 분산되어 있고 구심점을
났다. 구체적으로는 시장측면에서 해외시장 진출 시 영업 또는 판로 개척의 어려움, 가지고 있는 체계가 아니어서 연구자가 느끼는 체감수준은 낮을 수 있다. 정부정책은
법・세제 등의 정보 부족, 민간투자자 연결, 정책측면에서 특허 등록・유지비용 부담, 기술개발 지원 이외에도 지속적이고 집적화된 지원·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정부과제 선정 등에 애로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의 경우 기술사업화 추진 1)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을 통한 지식 및 정보, 인력 교류의 활성화
자금력이 부족하다고 답하였으며,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 소비자, 정부/공공기관
기술이전 기업의 핵심 애로사항인 지식과 인력이 함께 지원될 수 있는 산학연 공동
은 민간투자자 연결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조직의 보유 역량 및
연구개발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기술이전 받은 기업에게 기술의
기술의 수준에 대해서는 애로점이 없거나 낮게 나타난 것과는 다소 상반되는 모습이
완성도 및 사업화 성공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추가 기술개발․지도, 전문인력 등 후
다(기술사업화 의지, 기술지도자의 지도, 기술완성도, 기초 원천기술, 기술의 독창성
속지원이 부족하며, 기업 차체의 기술역량 부족 등으로 상용화 보류 및 포기가 일반
등은 우수). 따라서 기술사업화 주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술마케팅, 판로 개척,
화되어 있다. 그러나 영국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대학의 인력을 활용하여 산업
민간투자 연결 등 시장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체를 지원하고 대학의 인력은 높은 수준의 산업체 훈련을 받으면서 프로젝트 참여기
시점이다.
업에 취업기회를 주는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즉, 정부 주도의 산학연 네트워크 구
3) 국내외 기술거래기관 활용·벤치마킹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홍보 지원 축을 통한 기식 및 정보, 인력 교류의 활성화가 자리잡아가고 있다. 우리도 대학·출
기술과 기관소개 중심의 기술설명회 참가 및 전시회 개최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연연과 기업간 개별적으로 가동되는 집단지성 네트워크를 확장·연결해주어 수요기
기술사업화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 없이 제품 소개와 유사한 형태의 마케팅 및 홍보가 반의 연구개발성과 활용·확산이 가능해지게 만든다면, 사업화 대상기술은 시장성과
이루어지고 있다. 조직차원에서 사업화 기회까지 고려한 마케팅의 전환으로 기술기획 사업성을 높여 기술사업화를 성공적으로 리드할 수 있을 것이다.
부터 활용까지 전주기를 포함했어야 하나, 마케팅이 기술개발 이후 단계에만 치중하 2) 중소기업 자금지원을 위한 IP금융 정책 개발
여 실제 수요와의 괴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정책적으로눈 조직의 마케
설문결과 조직측면에서 사업화자금력 부족에 기인하는 애로가 있다고 했으며, 특히
팅·홍보 역량 부족과 더불어 현행 전시회 및 기술설명회가 형식적으로 개최되는 것
중소기업에서 그 수준이 높게 나왔다. 사실 중소기업의 경우 IP 금융 활용에 대한 지
도 이유이다. 따라서 시장수요 대응을 위해 조직의 기술마케팅 관련 인력/프로그램의
식과 인력이 부족하여 실질적으로 IP 금융을 이용하기까지는 한계가 있다. 대부분의
전주기 적용을 통한 개선과 정부의 국내․외 기술거래기관 활용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
중소기업이 보증 한도에 달한 상황으로, 우수 기술을 담보로 해도 추가 보증이 어려
다. 물론 국내 기술거래기관의 전문성 강화 방안 및 국내외 기술거래기관의 활용·벤
울 수 있다. 기술보증기금 등에 의한 IP 금융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고, 한국과학기술
치마킹 지원 전략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66 16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6 장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지주(KST)에 의한 투자를 받는 방안이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과학기술지주(KST)로 <표 90>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현황, 문제점 및 개선 전략(예시)
부터 투자를 받는 것이 쉽지 않다. 게다가 기타 출연연이 IP를 활용하여 fund raising 기술사업화 추진 산학연 연계
현황 문제점 나아갈 방향
부문 전략
을 할 수 있는 모델 부재한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IP 금융 정
•중개 연구(학:
책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과학기술지주(KST)에 의한 정책적 중소기업 지원 방안 또는 원천 기술 개
발, 연: 상용
출연(연)의 기술사업화 자금 마련을 위한 fund raising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연구성과의
화 기술 개발,
방향과 기술
한다. •기획 및 선정 평가 단계에서 산: 기술 도입
수요의 괴리 •개방형 혁신 도입
R&D 폐쇄적 운영(연구자 만이 평가 및 활용)
로 인하여, •3M 선도 사용자 프로세스,
기획 에 참여, 외부 전문가도 R&D •협력 대상 ‘학’의
시장에서 기 Harvard Catalyst 실험 등
분야로 한정) 범위를 국내에
술에 대한
서 글로벌로 확
수요가 낮음
장할 필요, 즉,
해외 공동연구
확대

•기술이전조직을 일반 연구행
정조직과 독립하여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함
•명세서 작성중
•기술사업화는 사업 또는 기술 •연구직 중심의 전문인력 확충
심의 변리사보
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나 행 (기술사업화 업무 중 IP 관리,
•인사체계가 다는 이공계
정적인 관점에서 접근 과제 관리 등 행정직렬 업무
일반 행정직 석박사 후 산
•위험 회피형 계약 관행, 연구 를 제외한 기타 업무에 연구
중심으로 구성 업계에서 근무
자 중심의 기술사업화 등이 인 직/전문직 위주의 배치)
기술 •공학박사, 산 하고 있는 인
력의 문제에서 기인 •대학의 폐쇄적 구조상 독립조
이전 업계 전문가 력을 기술이전
•기초연구 중심의 대학과 제품 직이 어려울 경우 기설립된
조직· 등 전문인력 조직으로 끌어
중심의 기업을 연결하기 위해 기술지주회사에 기술이전과 특
인력의 에는 맞지 않는 들여서 (전문
내부 서는 기술과 사업 양쪽의 지식과 허관리업무를 위탁하고, 기술
전문성 연 봉체계로 인력에 합당한
역량 경험을 가진 전문인력이 필수 지주회사에서 독립적인 인사체
인해 대부분 인사체계를 갖
•행정인력 중심의 인사체계로는 계를 갖추어 전문인력을 채용
비정규직으로 춘 후) 자연스
전문인력을 채용하기 어렵고, •독립 조직화 또는 연구 지원
채용 럽게 대학과
채용된 인력도 1-2년 이상 근 부서에 부속화(현재 행정 지원
산업계의연결을
무하지 못함 부서로 배정되어 있는 기술사
유도해야 함
업화팀을 연구부서에 부속시
켜 연계를 확대하거나 독립
조직화하여 위상 강화)

•IP 관리 조직 전문화를 통하
여 필요한 IP만을 생산할 수
있는 전문 역량 배양
•연구자 주도의 IP 관리(이에 더 •전문적 IP 관리에 연구자/기타
•연구자 주도
기술 하여, IP 실적과 개인 평가와의 조직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의 IP 관리
평가, 연계)로 인하여 무절제한 IP 양 있도록 하는 새로운 평가제도
•비용접근법
IP 산/비용 낭비 (유인시스템) 개발
위주의 기술
관리 •비용접근법에 치중하여 기술이 •IP 관리 시스템 강화
가치 평가
전 시 협상력 약화 •기술가치평가 모델 개발 또는
도입
•기술사업화 방법의 다각화를
통한 극복 전략 도입

•단순 기술 •기술사업화의 특수성에 대한 •사업 기회까지 고려한 형태의


마케팅, 소개 중심 고려 없이 제품 소개와 유사한 마케팅으로의 전환
홍보 • 기 술 설 명 회 형태의 마케팅 및 홍보 •기술마케팅 관련 인력/프로그
참가 및 개최 •마케팅은 원칙적으로 기술기획 램의 전주기 적용을 통한 개선

168 16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제 6 장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기술사업화 추진 산학연 연계 기술사업화 추진 산학연 연계


현황 문제점 나아갈 방향 현황 문제점 나아갈 방향
부문 전략 부문 전략

있으며, 일부
사업화 지원
부터 활용까지 전주기를 포함 연스럽게 특정
•국내 기술거래기관 간의 경쟁 자금 역시 대
해야 하나 기술개발 이후 단계에 원, 추가개발 및 창업단계에서 문제의 해결을
•국내․외 기술 을 통한 발전 유도 학에 지원되 는 gap funding이 활성화되고
치중하여 수요와의 괴리 지속 5천만원~2억원까지 투자하 위해 다수의
거래기관 활용 •국외 기술거래기관 활용 및 거나 또는 중 있고 대학의 경우 기술지주회
•국내 기술거래기관의 전문성 고, 3년 주기로 투자실적을 대학 및 연구
벤치마킹을 통한 발전 유도 소기업 지원 사에 100억 내외의 gap fund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 관리함으로써 연구비가 아닌 소의 기술을
이라는 명목 를 지원하여 사업화에 투자하
실질적인 사업화 부분에 자금 혼합하여 사업
하에 연구역 고 있음
이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 화를 추진할
량이 매우 부
수 있음
족한 기업에
•특허의 수, 지원되고 있음
년간 기술료 •기술료 중 실제 상용화를 통해 •평가를 위한 새로운 지표 개발
금액 등 양적 징수되는 기술료(경상기술료) •특허를 양적으로 평가하기 보 •중소기업의 경우 IP 금융 활용이
성과 인 지표에 의 등 우수 사업화 지표에 대한 다는 질적 지표로 평가, 특히
현실적으로 어려움(대부분의 중
평가 한 평가 판별력 부족 특허 출원 건수의 평가에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IP 금융
소기업이 보증 한도에 달한 상
시스템 •특허 활용률 •특허의 양적 평가로 인하여 각 배제 •기술보증기금 정책 개발
황으로, 우수 기술을 담보로 해
등 질적인 지 기관별 특허 양산 및 이로 인 •창업 등 다양한 성과를 반영 등 IP 금융 •KST의 정책적 중소기업 지원
도 추가 보증이 어려울 수 있음)
표에 의한 평 한 활용률 저하 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 개발 금융 •한국과학기술 필요
•KST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이 쉽
가로 전환 중 지주(KST)에 •출연(연)의 기술사업화 자금
지 않음
의한 투자 마련을 위한 fund raising을
•기타 출연(연)이 IP를 활용하여
위한 연구 필요
fund raising을 할 수 있는 모델
부재
•외부 과제를 수주하기 위하여
과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됨(선
진 경쟁사 투입 인력 대비 20
•PBS 제도 •PBS 제도의 개선 방안 마련
~ 30% 수준의 투입 인력으로
•특허법상의 (사업화를 위한 파견 등의 경 •현재 사업화 지원체계가 외부
외부 연구 진행) •KIAT의 선도
공유규정 및 우 인건비 지원, 기관별 주요 기술거래기관을 활용 확대하는
환경 •외부 과제 수주에 대한 압박으 TLO 사업
과제 관리 사업의 전략적 운용을 위한 쪽으로 변하고 있으나 실제 기
: 로 사업화를 위한 인력파견 등 •한국지식재산
상의 특허 방침 마련 등) 술사업화(기술이전) 부진이 단 •기술사업화를 진행하기 위해
관리 보상 지원 제도 마련의 어려움 존재 전 략 원
공유 규정으 •특허 공유 등에 대한 유연한 순히 TLO의 역량 부족에 기인 서는 기술역량, 자본, 사업 역
기관 시스템 •참여기업 존재 과제의 경우 참 IP-R&D 사업
로 인한 기 정책 변경 필요 하기보다는 다수의 복합적 원 량을 모두 갖춘 주체가 필요
및 여기업이 명백한 기술실시 의 •연구개발특구
술사장 발생 •각 출연(연) 별 운영을 위한 인에 기인하는 것이어서 실효 하며 이를 위한 전문 지원기
정부 사가 없는 경우에도 특허 공유 진흥재단 지원
•출연(연) 내부 장기적 로드맵 제시(연구회, 성에 의문이 있음 관의 필요성 있음
지자체 등을 통하여 기술 활용에 지장 사업화 사업(R&BD,
정책 변화 주 미래창조과학부 등)를 통하여 •R&BD 과제의 경우 기업에 직 •출연(연)에 직접 지원하는
을 주는 경우가 발생함 지원 기술탐색이전
기가 짧은 편 일관된 기조 유지 필요 접 지원되는 경우에는 기업이 R&BD 과제의 확대(현재 연구
•3년마다 출연(연) 정책 목표가 체계 등)
큰 폭으로 변화하여 일관성 부 운영 자금 확보 등을 위하여 회의 실용화 과제 등 존재)를
•중소기업청
여가 어려움 불필요하게 기술이전을 받아가 통하여 R&BD 과제의 실효성
지원 사업 등
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확보
•기타 국가과
개선이 필요함 •지원 체계 통일화 및 전문화
• 연 구 개 발 에 •논문실적 중심의 대학 환경에 •Gap fund는 대학의 기초기술 •민간 기술사업 학기술연구회
•행사 위주의 사업화 지원이 이 를 통한 내실화
투입된 인력, 서는 사업화를 위한 연구를 수 을 제품 단계까지 발전시키는 화 전문기관 등 다수 주체가
루어지고 있으나 행사가 지나
비용에 비해 행하기 어려움 데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위 및 기술지주회 독립적 지원
치게 많고, 체계적이지 않으므
사업화 단계 •국내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연 해서는 대학이 아닌 기술사업 사에서는 대학 체계를 운영
로 개선이 필요함
에서는 약 구역량을 가진 인력(이공계 박 화 전문조직에서 자금을 관리 및 연구소의
법·
10배의 자원 사)를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 해야 함 (대학에 맡길 경우 연 문화 (내부 기
제도
이 투입되어 문에 대학의 연구결과를 이전 구비에 혼합되어 사용됨) 술의 활용에만
야 함 하더라도 이를 사업화할 수 있 •민간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및 관심)와는 달
•현재의 연구 는 역량이 없음 기술지주회사에 gap fund를 리 제품화 자
개발 지원은 •선진국에서는 기술사업화기관 지원 (자기부담 20~25%, 기 체가 조직의
대학 중심으 에 사업화가능성 검증 및 추가 관당 100억 내외) 생존에 직결되
로 이루어져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 •사업화검증단계에 2~5천만 기 때문에 자

170 171
부 록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부 록

부록 1. 연구자 대상 설문지 Part 2 기술사업화의 영향요인에 대한 문항


No. □□□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데 영향을 미쳤던 요인을 조직, 기술, 시장, 정책, 성과
기술사업화 정책지원방향 수립을 위한 조사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합니다. 설문은 5점 척도이며, 1번은 매우 그렇지 않다, 5번은
매우 그렇다.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R&D예산정책실 연구팀에서
인사드립니다. 연구성과 사업화와 관련하여 R&D예산의 효율적인 배분과 지원을
㉧ ① ② ③ ④ ⑤
조직측면
위하여 “정부의 기술사업화 정책 개선방향”을 도출 중입니다. 이에 수요자 의견을 해당
매우
그렇지 매우
(사업화를수행하는기관및인력의
그렇지 보통 그렇다
반영코자 정부 과제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조사 기술사업화역량) 없음 않다 그렇다
않다
내용은 연구자께서 생각하는 [1. 기술사업화 추진의 영향요인, 2. 기술사업화 1.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추진시 애로사항, 3. 정책·제도적 개선 방안] 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기술에 대해 사업화 의지가 ㉧ ① ② ③ ④ ⑤
높았다.
보내주시는 의견은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R&D 예산정책
2. 연구책임자는 사업화 대상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작성 내용은 통계 목적으로만 사용됨을 기술의 판매시장에 대한 이해를 ㉧ ① ② ③ ④ ⑤
알려드립니다. 충분히 가지고 있었다.

적극적인 설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가정에 행운과 건강이 가득하시길 3. 연구책임자는 기술사업화
㉧ ① ② ③ ④ ⑤
빕니다. 감사합니다.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2014. 11
4. 조직 차원에서 기술사업화
관련 정보의 획득이 충분히 ㉧ ① ② ③ ④ ⑤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R&D예산정책실 김주희 연구원 이루어졌다.
(T:02-589-2931, E-mail:jhkim@kistep.re.kr)
5.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기술
제공자 또는 관련 기관과의 ㉧ ① ② ③ ④ ⑤
Part 1 응답자 정보 및 기관 현황 협력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기관명 성 명
6. 우리 조직은 사업화에 필요한
소속부서 직 책 ㉧ ① ② ③ ④ ⑤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있었다.
연락처 이메일
조직 형태 ▢ 대기업 ▢ 중소기업 ▢ 출연연구소 ▢ 국공립연구소 ▢ 대학 ▢ 기타( )
7. 우리 조직의 기술사업화와
연구개발 인력 연구소 인력 수 ( )명, 기관 총 종사자 수 ( )명 관련된 마케팅·홍보 능력이 ㉧ ① ② ③ ④ ⑤
우수했다.
주요 제품 형태 ▢ 기술 ▢ 소재 ▢ 부품 ▢ 완제품 ▢ 서비스 ▢ 기타( )

주요 제품 8. 기술사업화를 위한 조직
▢ 대기업 ▢ 중소기업 ▢ 소비자 ▢ 정부/공공기관 ▢ 기타( ) ㉧ ① ② ③ ④ ⑤
거래처 차원의 자금투입이 충분했다.

목표 시장 ▢ 국내시장 ▢ 해외시장 ▢ 국내 & 해외시장


※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호됩니다.

174 175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부 록

기술적 측면 ㉧ ① ② ③ ④ ⑤ 정책 측면 ㉧ ① ② ③ ④ ⑤
매우 매우
(사업화할 대상기술의 완성도, 해당 그렇지 매우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법·제도적 해당 그렇지 매우
그렇지 보통 그렇다 그렇지 보통 그렇다
우수성, 연계성) 없음 않다 그렇다 지원 및 관리·감독) 없음 않다 그렇다
않다 않다

1.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완해야 1. 정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와


㉧ ① ② ③ ④ ⑤
할 부분이 많았다. 관련해 충분한 정보가 제공 ㉧ ① ② ③ ④ ⑤
되었다.

2. 사업화 대상 기술은 보유기술에


㉧ ① ② ③ ④ ⑤ 2. 정부차원에서 해당 기술의 기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술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크가 ㉧ ① ② ③ ④ ⑤
제공·지원되었다.
3. 자체개발하거나 이전받은 기술의
성숙도를 고려할 때, 사업화에 ㉧ ① ② ③ ④ ⑤
3.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교육·
적합했다. ㉧ ① ② ③ ④ ⑤
인력을 정부로부터 제공받았다.
4. 사업화 대상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독창성·차별성을 지니고 ㉧ ① ② ③ ④ ⑤ 4. 정부차원에서 신기술·신제품
있었다. 보호, 초기 시장 진입과 관 ㉧ ① ② ③ ④ ⑤
련된 지원이 있었다.
5. 사업화 대상 기술은 적용 가능한
㉧ ① ② ③ ④ ⑤
범위가 넓었다. 5. 사업화와 관련된 정부의 자금
㉧ ① ② ③ ④ ⑤
지원이 충분했다.
6. 사업화 대상 기술은 기존 기술
㉧ ① ② ③ ④ ⑤
과의 기술연계성이 높았다.
6. 사업화와 관련된 정부지원을
신청할 경우 행정적 절차가 적 ㉧ ① ② ③ ④ ⑤
절했다

시장 측면 ㉧ ① ② ③ ④ ⑤
매우
(사업화 대상기술 시장의 규모, 해당 그렇지 매우
그렇지 보통 그렇다
개방성, 성장성, 경쟁상황 등) 없음 않다 그렇다
않다
㉧ ① ② ③ ④ ⑤
1.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 ① ② ③ ④ ⑤ 매우
시장의 규모가 컸다 기술사업화의 성과 측면 해당 그렇지 매우
그렇지 보통 그렇다
없음 않다 그렇다
2.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않다
㉧ ① ② ③ ④ ⑤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았다.
1. 수행했던 과제는 계획한 사업
3.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 ① ② ③ ④ ⑤
화의 목표를 소기에 달성했다.
시장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 ① ② ③ ④ ⑤
높았다.
2. 사업화 대상 기술은 사업화용
4. 사업화 대상기술과 관련된 제품생산, 기술이전, 시장진출,
㉧ ① ② ③ ④ ⑤
시장의 경쟁이 치열했다. 판매 또는 시제품제작, 기술
㉧ ① ② ③ ④ ⑤
이전거래, 기술업그레이드 등
5. 사업화 대상기술은 적절한 시기에 연구 성과물의 완성) 등이 이
㉧ ① ② ③ ④ ⑤ 루어졌다.
시장에 출시되었다.

176 177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부 록

1. 기술정보DB 상호 연계성 부족(분산된 정보DB) Ⓞ ① ② ③ ④ ⑤


2. 높은 기술료 부담 Ⓞ ① ② ③ ④ ⑤
Part 3 기술사업화 추진의 애로사항에 대한 문항
3. 기술담보·보증 대출의 어려움(상환기간, 금액 등) Ⓞ ① ② ③ ④ ⑤

사업화를 추진하며 겪었던 애로사항에 대하여 5점 척도로 체크해주십시오 4. 특허의 등록·유지 비용 부담 Ⓞ ① ② ③ ④ ⑤


정책
5. 산학, TLO 등 사업화 지원시스템의 효과 미미 Ⓞ ① ② ③ ④ ⑤
매우 매우
그렇 측면
해당 그렇 보통 그렇
구분 애로 사항 지 그렇 6. 사업화 전담인력 역량 강화 교육, 재교육 부족 Ⓞ ① ② ③ ④ ⑤
없음 지 이다 다
않다 다
않다
7. 정부 과제 선정의 높은 경쟁률 Ⓞ ① ② ③ ④ ⑤
1. 현장의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 Ⓞ ① ② ③ ④ ⑤
8. 기술사업화 관련 법·제도 체계의 상이함 Ⓞ ① ② ③ ④ ⑤
2. 기술사업화 기획 경험, 역량 부족 Ⓞ ① ② ③ ④ ⑤
9. 지원가능한 제도에 대한 정보 획득 및 이해도 부족 Ⓞ ① ② ③ ④ ⑤
3. 변리사 등 기술의 관리·대응 전문인력 부족 Ⓞ ① ② ③ ④ ⑤

조직 4. 기술사업화 마케팅·홍보 역량 부족 Ⓞ ① ② ③ ④ ⑤
의 5.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성공보수 미흡 Ⓞ ① ② ③ ④ ⑤
측면 6. 조직차원의 기술사업화 자금력 부족 Ⓞ ① ② ③ ④ ⑤ Part 4 기술사업화 지원에 대한 연구수행자 수요 조사
7. 소속 기관·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지, 지원 미흡 Ⓞ ① ② ③ ④ ⑤
8. 사업화 추진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협업 부족 Ⓞ ① ② ③ ④ ⑤
사업화를 지원하는 정부R&D사업에 대하여 제도 및 지원방안과 관련해 의견이 있
내부 9. 사업화 추진을 위한 외부 네트워크 협력 부족 Ⓞ ① ② ③ ④ ⑤
으신 분은 자유롭게 작성해 주십시오.
역량 1. 기초원천기술의 부족 Ⓞ ① ② ③ ④ ⑤
2. (도입 기술의) 낮은 기술 완성도 Ⓞ ① ② ③ ④ ⑤ 정부지원 R&D사업(예시)

3. (기술을 이전한) 기술개발자의 기술지도 미흡 Ⓞ ① ② ③ ④ ⑤ ‧ (미래부) 특구기술사업화사업 등 ‧ (중기청)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등


사업화 연구개발 지원 ‧ (산업부)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등 ‧ (미래부) Upgrade 기술이전사업 등
기술 4. 사업화 유망 기술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 (문화부) 콘텐츠산업 기술지원사업 등 ‧ (중기청)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적 5. 사업화 대상 기술·제품 비즈니스 모델 제시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 (미래부) 기초연구성과 활용지원사업 등 ‧ (중기청) 중소기업 R&D기획지원사업 등
측면 6. 개발된 기술 및 제품의 차별성 부족 Ⓞ ① ② ③ ④ ⑤ 기술이전·거래 지원 ‧ (산업부) 기술시장지속성장 기반구축사업 등 ‧ (특허청) 유망기술발굴 및 사업화지원사업 등
7. 개발·생산을 위한 보유 장비의 성능(노후화 등) Ⓞ ① ② ③ ④ ⑤ ‧ (문화부) 개발기술 사업화컨설팅 사업 등 ‧ (문화부) 콘텐츠 가치평가 사업 등
‧ (미래부) 우수기술탐색이전사업 등 ‧ (산업부)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등
8. 지식재산권 소유 및 활용시 책임의 범위 문제 Ⓞ ① ② ③ ④ ⑤
사업화 기반구축 지원 ‧ (산업부) TLO 역량강화 지원사업 등 ‧ (특허청) 특허관리전문가 파견사업 등
9. 테스트베드 발굴, 조성의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 (미래부) 연구개발특구지식커넥트사업 등
‧ (산업부) 신성장동력 투자 펀드 등
기술사업화 금융 지원
1. 시장 동향 정보의 획득, 분석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 (문화부) 콘텐츠기업 컨설팅지원사업 등
‧ (산업부) 신기술인증제도 등
2. 대체기술 및 유사제품의 출현 Ⓞ ① ② ③ ④ ⑤ 기타
‧ (중기청)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 등
3. 시장 수요가 없거나 작음(기술·제품 조기 출시로) Ⓞ ① ② ③ ④ ⑤

4. 국내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개척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외부 시장 5. 국내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 ① ② ③ ④ ⑤
환경 측면 6. 해외 시장 진출시 영업·판로 개척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7. 해외 시장 진출시 관련 법·세제 등 정보 부족 Ⓞ ① ② ③ ④ ⑤
바쁘신 일정에도 조사서 작성을 위해 시간을 내주셔서 참으로 감사합니다.
8. 사업화 후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 관리 Ⓞ ① ② ③ ④ ⑤
일익 번창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9. 파트너 기관의 사업화 역량이나 의지 부족 Ⓞ ① ② ③ ④ ⑤

10. 민간 투자자 연결의 어려움 Ⓞ ① ② ③ ④ ⑤

178 179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참 고 문 헌

부록 2. 기술사업화 지원 관련 포털
참고문헌
서비스 홈페이지 서비스 내용
1. R&D 종합서비스 : 부처별로 관리하고 있는
국가 R&D 사업정보를 종합하여 국가 R&D
국가과학기술 현황에 대한 서비스 제공 권영관, (2011). 산업기술생태계 관점에서 본 기술이전사업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www.ntis.go.kr
지식정보서비스 2. 정보유통서비스 : 각 부처로부터 정보를 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합적으로 수집해 가공, 정제하여 더욱 필요
한 정보를 제공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제4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안)
연구개발과제 관련 인력에 대해 전화․온라인상
담, 질의응답 검색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국가 김경환, 이건범, (2013). 한국의 기술이전사업화 생산성 향상방안, 생산성논집, 27(4).
R&D 도우미센터 www.rndcall.go.kr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법령 정보, 사업관리, 연
김병근, 조현정, 옥주영, (2011).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구비 관리인증 등에 대한 정보 제공
중소기업지원 통합센터를 이루고 있는 25개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4(3).
중소기업지원
www.smehappy.re.kr 출연(연)기관 등 지원정보에 대해 안내하며, 기
통합센터 김선정, 이종률, (2006). 미국, 일본의 기술사업화 관련 정책 동향 분석, POSTECH
술상담, 상담사례 등을 소개
미래글로벌창업지원 국내 벤처기업 창업 초기부터 법률, 회계, 특허 산학협력연구소.
www.born2global.com
센터 등 전문 컨설팅 및 멘토링 서비스 제공
김용정, 고민구, (2013). 대학 연구개발성과의 기술확산 영향요인 분석, ISSUE
고경력과학기술인의 체계적 관리 및 지원사업
고경력과학기술인 간 연계, 수요-공급 매칭 및 정보제공을 위한 PAPE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www.rsec.or.kr
지원센터 일자리 알선 등 산학연의 R&D 경쟁력을 제고
김용정 외, (2014). 대학의 기술기반 창업 영향요인 분식 및 활성화 방안, 한국과학
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 지원
산학연 연구기관에 대한 미취업 연구인력의 원 기술기획평가원.
활한 공급을 위하여 만들어진 이공계 전문 취
이공계인력중개센터 www.rndjob.or.kr 김용정, (2013). 기초연구성과의 확산․활용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성과 활용도 제고방안,
업사이트로, 기업서비스, 개인서비스, 정부인력
지원사업 지원서비스 등을 제공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중소기업을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사업, 김이경, (2013). 산학연 협력연구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방안 수립,
중소기업진흥공단 www.sbc.or.kr
참여광장, 정보광장, 알림광장 등을 제공
창업과 신고, 허가 취득, 시험과 검사, 인증 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업지원플러스 www.g4b.go.kr 기업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행정절차를 온라 김현식, (2009).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인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 제공
www.nts.go.kr 국세청
논문, 성균관대학교.
조세․법령 관련
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김혜전, 장성용, 송재용, (2012). 기술 사업화에 있어 후발자의 시장 추격 전략; 진입
정보제공 사이트
taxinfo.nts.go.kr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시간차, 기업의 역량 및 제휴 관점에서, 기술혁신연구, 20(1).
특허청이 보유한 국내외 지식재산권 관련 모든
특허정보검색서비스 www.kipris.or.kr
정보를 DB로 제공 미래창조부, (2013). 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안)
IT산업 전반에 관한 국내외 기술, 시장 및 경영
ITFIND www.itfind.or.kr 정보 등 각종 지식과 정보를 수집, DB화하여 미래창조부, (2013). 영국의 기술사업화 활성화안 분석, 과학기술 동향 심층 분석보고서
IT 관련 기업 및 기관에 제공 제2호
각종 특허조사, 분석사업을 통해 생산되는 특
허정보를 제공하며, 특허정보의 활용을 통해 박종복, 조윤애, 이상규, 성열용, 권영관, (2011). 민간부문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e-특허나라 www.patentmap.or.kr
효과적인 연구개발과 투자효율성 개선이 이루 산업연구원.
어지도록 지원

180 181
기술사업화 특성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안 참 고 문 헌

산업통상자원부, (2014). 기술지주회사활성화 기반구축을 위한 역량 결집 기술지주회사 creation and originality: Insight from the funding sources of university patents.

2014 추계 워크샵 자료집 Research Policy.

손수정, 이윤준, 정승일, 임채윤, (2009).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시장 메커니즘 Jolly, V. K. (1997).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Getting From Mind To Market.

활성화 방안, STEPI 정책연구 2009-08. Harvard Business Press.

양현모, (2011).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글로벌 도약을 위한 Link, A. N., & Scott, J. T. (2005). Opening the ivory tower's door: An analysis of the

새로운 10년, 과학기술정책 21(3). pp.3-14 determinants of the formation of US university spin-off companies. Research
Policy, 34(7), 1106-1112.
옥주영, 김병근, (2009). 국내 공공 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 효율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17(2). Mowery, D. C., & Sampat, B. N. (2001). University patents and patent policy debates in

이길우 외,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이전 사업화 제고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



the USA, 1925 1980.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0(3), 781-814.

기획평가원. Perkmann, M., Tartari, V., McKelvey, M., Autio, E., Broström, A., D’Este, P., ... &
Sobrero, M. (2013). Academic engagement and commercialisation: A review of the
이영덕, (2005). 기술사업화, 도서츨판 두남.

literature on university industry relations. Research Policy, 42(2), 423-442.
황경연, 성을현, (2014). 기술의 특성, 기술사업화성과 및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Rothaermel, F. T., Agung, S. D., & Jiang, L. (2007). University entrepreneurship: a
실증연구, 생산성논집, 28(2).
taxonomy of the literatur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6(4), 691-79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2013년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 자료집
Siegel, D. S., Waldman, D., & Link, A. (2003). Assess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2). 2012년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 자료집 practices on the relative productivity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offices: an
exploratory study. Research policy, 32(1), 27-48.

Teece, D. J. (1986). Profiting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Implications For


Boardman, P. C. (2008). Beyond the stars: The impact of affiliation with university
Integration, Collaboration, Licensing And Public Policy. Research Policy, 15(6),
biotechnology centers on the industrial involvement of university scientists.
285-305.
Technovation, 28(5), 291-297.
Thursby, J., Fuller, A. W., & Thursby, M. (2009). US faculty patenting: Inside and
Cooper, Robert G.(2001). Winning at New Products, 3rd ed. BASIC BOOKS.
outside the university. Research Policy, 38(1), 14-25.
De Coster, R., & Butler, C. (2005). Assessment of proposals for new technology ventures
Thursby, J. G., & Thursby, M. C. (2002). Who is selling the ivory tower? Sources of
in the UK: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pin-off companies. Technovation, 25(5),
growth in university licensing. Management Science, 48(1), 90-104.
535-543.
Vohora, A., & Lockett, A. (2003). Critical Junctures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Di Gregorio, D., & Shane, S. (2003). Why do some universities generate more start-ups
High-Tech Spinout Companies. In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Vol.
than others?. Research policy, 32(2), 209-227.
2003, No. 1, Pp. I1-I6). Academy Of Management.
Gübeli, M. H., & Doloreux, D. (2005). An empirical study of university spin-off
development.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8(3), 269-282.

Guerzoni, M., Aldridge, T. T., Audretsch, D. B., & Desai, S. (2014). A new industry

182 18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