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0

2013-00 책임연구보고서

「각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비교·관찰을 통한」우리경찰의
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2013-00 책임연구보고서

「각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비교·관찰을 통한」우리경찰의
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김천대학교 경찰횅정학과
교수 정 신 교
목 차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범위 및 방법 ························································································ 3

I
I.성폭력범죄의 개념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성폭력범죄의 개념 ······················································································ 5

2. 성폭력범죄의 현황 ······················································································ 7
가.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발생실태 ······················································ 7
나. 외국과의 비교 ······················································································ 9

I
II
.성폭력범죄의 처벌규정과 대응방안 ·
··
··
··
··
··
··
··
··
··
··
··
··
··
··
··
··
··
··
··
·14
1. 성폭력범죄의 처벌규정과 각국의 입법 ·················································· 14

가. 미국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 14


나. 독일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 17
다. 일본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 19
라.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 23
마. 비교 및 검토 ······················································································ 26

2. 성폭력범죄에 대한 각국의 대응방안 ····················································· 28


가. 미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 28
나. 독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 39
다. 일본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 44
라.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 47
마. 비교 및 검토 ······················································································ 67

I
V.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
··
··
··
··
··
··
··
··71
1.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체계 ··································································· 72
가.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실태 ··························································· 72
나.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 개선방안 ·················································· 80

2. 경찰의 성폭력범죄 과학수사 ··································································· 84


가. 경찰의 성폭력범죄 과학수사 실태 ·················································· 84
나. 경찰의 성폭력범죄 과학수사 개선방안 ·········································· 87

3.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절차상 피해자 보호 ········································ 93


가. 수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 개관 ······································ 93
나.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 실태 ····································· 98
다. 수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에 대한 개선방안 ··············· 103

4. 경찰의 성폭력범죄 전력자 관리 ··························································· 107


가. 경찰의 성폭력전력자 관리제도의 종류 ········································ 107
나. 경찰의 성범죄전력자 관리제도의 실태 ········································ 113
다. 성범죄전력자 관리제도의 개선방안 ·············································· 116

V.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4
표 목 차

<표 2-1> 최근 10년간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 8


<표 2-2> 최근 13세미만 및 19세미만 대상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 8
<표 2-3> 우리나라와 각국의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및 발생률 ··················· 10
<표 2-4> 인구 10만 명당 성폭력범죄 피해율 ·············································· 11
<표 4-1> 지방청별 ‘성폭력 전담수사팀’ 신설현황 ······································· 75
<표 4-2> 피해자 보호센터운용 현황 ······························································ 79
<표 4-3> ONE-STOP 지원센터 운영실적 ······················································ 80
<표 4-4> 국과원 감정처리 현황 ······································································ 85

그림 목 차

<그림 4-1> 성범죄 수사절차 ············································································ 77


1 2013 책임연구과제

I
.서론

1.연구목적

2000년 이후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부녀자 및 아


동에 대한 성폭력 사건1)은 범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과 두려움을 가중
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회는 경쟁적으로 각종 성폭력범죄 대
책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2000년 아동·청소년대상으로 하는 성범죄자들
의 신상정보에 대한 공개와 성인성범죄자로의 확대, 2007년 성폭력범죄
자의 재범방지를 위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하게 한 특정 범죄자에 대한 전
자감시제도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사제재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국민을 경악하게 할 만한 성폭력범죄가 끊임없이 발생하자 국민들은 성
폭력범죄자에 대한 교화, 개선 또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했다는 비난을
가하기 시작했고, 이에 추가적인 대책으로 2010년 특정범죄에 한해 범
죄자들의 DNA를 채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
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과 성범죄의 재범위험성이 높은 자에 대해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12년 11월 22일 국회에서 최근 잇따라 발생된 성폭력


범죄에 대응한 소위 ‘성범죄 처벌강화 종합대책’2)을 통과시켰다. 주요
내용으로는 형법과 형사특별법을 개정하여 강간죄의 객체를 ‘여자’에서

1) 대표적인 성폭력 사건으로 용산어린이 성폭행 사건(2006. 2), 혜진·예슬양 사건(2007.12),


조두순 사건(2008.12), 김길태 사건(2010. 2), 김수철 사건(2010. 6), 광진구 주부살해 사건
(2012. 8) 등이 있다.
2)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1/23/2012112300221.html(검색일:
2013. 6. 10)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사람’으로의 변경, 특정 성폭력범죄에 대해 친고죄의 폐지, 특정 성폭력


범죄에 대해 공소시효 적용배제 등 형벌과 보안처분의 강화와 확대로 나
아가고 있다. 또한 화학적 거세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아동·청소년에 대
한 강간·강제추행의 처벌의 강화와 더불어 진술조력제도가 도입되어 성
폭력피해자의 2차 피해 예방과 인권존중이 강화되었다. 한 예로 2013년
1월 3일 청소년 5명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게 서울 남부지
방법원 형사11부에서 징역 15년, 성충동 약물치료 3년, 신상정보공개
10년, 전자장치 부착 20년,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200시간 이수 등을
선고했다.3) 즉 형벌과 함께 화학적 거세, 신상공개, 전자발찌부착 등의
형사제재가 중첩적으로 부과된 것이다.

이처럼 성폭력범죄의 예방을 위하여 더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형벌의 집행을 종료한 성폭력경력자
에 대해 재범의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출소한 후에도 필요한 치
료처우 내지는 사후감독을 통해 국민의 안전을 담보하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갈수록 흉포화 되어 가는 성폭력범죄에 상응하여 보다 더 강력한
형사제재가 등장하게 되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형사제재는 그
내용에 있어서 인권침해의 소지와 정책적으로도 그 실효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제는 성폭력범죄와 관련된 법률은 법률전문가들도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복잡한 체계를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에서 성폭력범죄의 처벌규정과 각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입법과 재범방
지대책과 더불어 성폭력범죄에 대한 수사체계에 대해 분석·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현행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
로써 궁극적으로 성폭력범죄의 예방과 형사절차에서의 피해자보호 등도
검토함으로서 향후 수사기관의 제도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3)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49003(검색일: 2013. 6. 10)


3 2013 책임연구과제

2.연구범위 및 방법

성폭력범죄에 대응하는 각종 형사제재가 도입되었지만 그 실효성을 확


보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관의 노력과 기관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수반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발생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한 성폭력범죄의 대
응방안을 단순한 형벌강화 정책만으로는 그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지도 모른다. 특히 성폭력범죄는 다른 범죄와는 다
르게 반사회적 인격 장애나 성도착증과 같이 정신적·심리적 장애를 가지
고 있는 범죄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범죄이므로 각각의 범죄자의 특성
에 맞게 현재 시행하고 있는 대응방안 이외에 교도소와 사회 내에서 성
폭력범죄자에 대한 치료와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을 분석하고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의 성폭력범죄 대응 형
사법체계 등을 비교법적인 고찰을 통하여 우리 현실에 맞는 성폭력 대응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성폭력범죄에 대한 우리 경찰의 수사제도의 실
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성폭력범죄의 개념과 현황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발생실태와 외국의 성폭력범죄의 발생실
태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각국의 입
법례와 형사 정책적 대응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즉, 미국과 독일,
일본의 성범죄 관련 처벌규정과 성폭력범죄 관련 대응방안 대해 고찰하
고 우리나라의 처벌규정과 대응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
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우리 경찰의 수사실태, 성폭력범죄에 대한 과학수
사 등을 살펴보고 현행 성폭력범죄의 수사체계, 피해자보호방안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성폭력피해자의 2차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

적 피해 방지에 대해서도 각국의 수사제도를 검토하고 현행 제도에 맞는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찰의 성범죄 전력자 관리제도의 실태
와 관련한 경찰청 예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고찰
하고자 한다. 제5장은 결론으로 앞의 내용의 요약·정리이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 중 참고문헌과 관련하여 국내문헌은 형사정책연구


원, 법제연구원, 법제처의 문헌조사와 연구·검토, 국내 학자들의 성폭력
범죄 관련 연구의 문헌조사와 연구·검토를 하고자 한다. 또한 riss 등 인
터넷 검색 사이트를 비롯한 인터넷 자료도 검색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외국문헌은 외국 주요학자들의 성범죄관련 문헌의 검토와 분석, 해외 데
이터베이스 LexisNexis Academic, westlaw, eulaw, DDoD 등 해외 사
이트상의 문헌조사와 함께 이에 대한 연구·검토하고자 한다.
5 2013 책임연구과제

I
I.성폭력범죄의 개념 및 현황

1.성폭력범죄 개념

일반적으로 성범죄는 성폭력범죄와 성풍속범죄로 구분된다. 양자는 모


두 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성폭력범죄는 성적 자기결정
권 내지는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것을 속성으로 하는데 반하여, 성풍속
범죄는 사회의 성도덕 또는 건전한 성적 풍속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있다
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넓은 의미의 성범죄는 ①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강간, 강제추행, 준강간·준강제추행 등), ② 의존관계를 악용한 성행
위(업무상위력에 의한 간음), ③ 미성년자의 성보호를 침해하는 행위(미
성년자간음 및 추행, 아동포르노 등), ④ 성적으로 괴롭히는 행위(성적
폭언, 통신매체이용음란, 카메라 등 이용촬영, 치부노출, 공연음란 등),
⑤ 성매매 및 음화·음란도서의 반포 등과 같이 성도덕·윤리를 침해하는
행위까지 포함하는데,4) ①과 ②의 유형은 성폭력범죄의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나 ③, ④, ⑤의 유형은 반드시 성적 자기결정의 자유를 침해
하는 폭력성을 수반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5)

이처럼 성범죄를 그 특성에 따라 성폭력범죄와 성풍속범죄로 구분하는


것은 개인적 법익에 대한 죄와 사회적 법익에 대한 죄를 구분하고 있는
형법체계에 상응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범죄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에 맞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런데 현행 성폭력범죄의

4) Kaiser, Kriminologie, 3. Aufl., 1996, §64 Rn. 1.


5) 이덕인, “형법과 형사특별법상 성범죄 처벌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찰연구논집, 제8호,
한국경찰이론과 실무학회, 2011, 3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특례법’이라 약칭함)은 성폭력범죄


개념의 외연을 상당히 확장하고 있다.6)

성폭력은 성(sexuality)과 폭력(violence)의 결합어로, 사전상의 의미


로는 ‘성적인 행위로 남에게 육체적 손상 및 정신적·심리적 압박을 주는
물리적 강제력’을 말한다. 성폭력을 폭넓게 정의하면 문자 그대로 ‘성과
관련된 범죄’를 말하고 반드시 폭력성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7) 이렇게
본다면 성폭력범죄에는 전통적인 강간, 강제추행 이외에도 간음·추행목
적 약취·유인·매매, 간통, 성매매, 공연음란, 각종 음란물의 제조·판매 등
도 포함된다. 그러나 이처럼 성범죄 개념의 외연을 확장하면 사실 성폭
력범죄가 아닌 범죄가 거의 없을 것이고, 성범죄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
하고 그에 맞는 합리적인 대책을 수립·시행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성폭
력은 폭행·협박을 수반하여 성적 자기결정권을 중대하게 침해하는 범죄
에 국한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범죄는 성풍속범죄와는 달리 ‘폭력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데 그 동기가 이윤이나 성적 욕구 보다는 남성으로서의 권력적 충동에
있으며, 폭력성이 전면에 부각되고 성적 측면은 이러한 폭력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결과라는 특성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법과 도덕의 분리, 형
법의 보충성의 원칙이 강조되는 성풍속범죄와는 달리 성폭력범죄에 대해
서는 ‘폭력성’이라는 특성에 맞는 대책들이 요구된다. 그런데 성폭력특례
법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아청법’으로 약칭함)은 ‘성
폭력범죄’의 유형으로 규정된 음행매개, 음화제조·반포 등, 공연음란, 공

6) 이들 성폭력특례법에 따르면 성폭력범죄에는 강간, 강제추행, 준강간·강제추행, 강간등 상해·


치상, 강간 등 살인·치사, 미성년자 등에 대한 간음, 업무상 위계, 위력에 의한 간음·추행,
의제강간·강제추행, 강도강간, 추행·간음·추업사용 목적의 약취·유인·매매 및 수수·은닉죄 이
외에도 음행매개, 음화반포등, 공연음란 공중밀집장소 추행, 통신매체이용 음란행위, 카메라
등 이용촬영과 같이 형법상 성풍속에 관한 죄로 분류되어 있는 죄까지도 성폭력범죄에 포함
되어 있다.(성폭력특례법 제2조)
7)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Uniform Crime Report 2002, DC: U.S. Deparment of
justice, 2003, p. 29,
7 2013 책임연구과제

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행위, 카메라 등을 이용


한 촬영 등 성폭력범죄의 전형적인 특성을 갖고 있지 않는 범죄까지도
포함시킴으로써 성폭력범죄 개념의 외연을 확장시키고 있다.8) 성폭력범
죄 범주의 확장은 비단 개념상의 혼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형사정책상
으로도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한다.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사입법정책은 지속적으로 형벌을 가


중하고 신상공개, 전자감시, 화학적 거세 등을 부가함으로써 처벌을 강
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사실상 성풍속범죄로서의 성질을 가
지는 범죄까지도 성폭력범죄에 포함시키게 되면 원래 강간, 강제추행 등
폭력적 성범죄에 초점을 맞춘 강력한 대응수단이 성풍속범죄에까지 미치
게 되고, 나아가서 성폭력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구실로 하여 성도
덕·성윤리를 강화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협의의 성폭력
위주로 살펴보고, 필요에 따라 광의의 성폭력도 고찰하고자 한다.

2.성폭력범죄의 현황

가.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의 발생실태

대검찰청「범죄분석」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전체범죄 발생건수9)는


2002년 1,977,665건에서 등락을 보이며 2012년 1,944,906건으로 200
만 여건이 발생하였다.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간 등 성폭력범

8) 예를 들어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은 성충동약물치료의 대상을 성폭


력특례법상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동법 제11조), 통신매체이용음란행위(동법 제12조)도
포함시키고 있다(동법 제2조 제2호 참조)
9) 여기서의 성폭력범죄는 강간에는 성폭력특별법, 아청법,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이하 ‘특가법’으로 약칭함) 중 특수강간·강제추행, 특수준강간·강제추행 등은 포함되나 강도
강간죄는 제외되었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

죄의 발생건수는 2002년 9,435건에서 2012년 21,346건으로 56.1%가


증가하였다.

<표 2-1> 최근 10년간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발생 건수
연도 점유율(%)
전체범죄 강간 등 성폭력
2002 1,977,665 9,435 0.48
2003 2,004,329 10,365 0.52
2004 2,080,901 11,105 0.53
2005 1,893,896 11,757 0.62
2006 1,829,211 13,573 0.74
2007 1,965,977 13,634 0.69
2008 2,189,452 15,094 0.69
2009 2,168,185 16,156 0.75
2010 1,917,300 19,939 0.68
2011 1,902,720 22,034 0.81
2012 1,944,906 21,346 0.75
*출처: 대검찰청,「범죄분석」, 2013; 법무연수원,「범죄백서」, 2013.

<표 2-2> 최근 13세미만 및 19세미만 미성년자 대상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전체발생 13미만자 19세미만자 장애인


연도 친족관계
건수 대상 대상 대상
2002 9,435 630 827 129 202
2,003 10,365 754 1,583 168 184
2,004 11,105 735 1,946 169 203
2,005 11,757 799 1,780 207 190
2,006 13,573 844 2,022 179 255
2,007 13,634 851 2,062 206 276
2,008 15,094 971 2,587 146 293
2,009 16,156 874 2,699 239 286
2010 19,939 1,170 5,793 258 386
2011 22,034 1,053 6,743 251 357
2012 21,346 975 5,652 295 345
*출처: 대검찰청,「범죄분석」, 2013; 법무연수원,「범죄백서」, 2013.
9 2013 책임연구과제

그리고 <표 2-2>에서와 같이 성폭력범죄를 피해자의 연령, 장애여부,


피해자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13세미만 미성년자대상 성폭력범죄, 19세
미만 미성년자 대상 성폭력범죄, 장애인 대상 성폭력범죄 그리고 친족관
계 성폭력 범죄로 나누어 그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13세미만자 대상 성
폭력범죄는 2002년 630건에서 2011년 1,053건으로 423건 증가하였다
가 2012년 975건으로 78건 감소하였다. 그리고 19세미만 미성년자 대
상 성폭력범죄와 장애인 대상 성폭력범죄, 친족관계 성폭력범죄의 비율
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외국과의 비교

<표 2-3>은 2011년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 미국, 독일, 일본의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및 발생률(인구10만 명 기준 발생건수)을 비교한
것인데, 우리나라에서 성폭력범죄가 다른 나라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가
늠해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2002년 95,235건 이래 계속 감소하여
2011년에는 2002년 대비 약 12.4%감소하였다.10) 독일의 경우 2002년
59,452건이 발생한 이래 2011년 49,084건으로 약 12.3%의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11) 일본의 경우 2002년 12,357건이 발생한 이래 계속하여

10) 미국은 FBI에서 관장하는 표준범죄보고 프로그램(The Uniform Crime Reporting


Program, UCR)에 의해서 범죄를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범죄 통계의 집계를 산출하고 있
다. 미국의 자세한 범죄 통계자료는 미국 연방수사국 사이트 통계자료(http://www.fbi.gov
/stats-services/ crimestats)
11) 성적강요와 강간에 관한 통계는 독일 형법 제177조의 성적강요, 강간 외에 제176조 아동
에 대한 성적남용(Sexueller Mißbrauch von Kindern), 제179조 항거불능자에 대한성적남
용(Sexueller Mißbrauch von wiederstandsunfähiger Personen), 제180조 미성년자에 대
한 성적행위 조장(Förderung sexueller Handlungen Minderjähriger) 등을 포함하여 통계
를 산출하고 있다. 자세한 통계자료는 독일 연방수사청사이트(www.bka.de/Publikationen/
Polizeiliche Kriminalstatistik(PK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

감소하여 2011년 8,693건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12)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33.4명으로 6.8명인 일본보다는 높지만 각각 74.9명과 59.9명인
영국이나 독일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성폭력범죄의
발생률이 높지는 않다 다만 <표2-2>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소년(13세 이
상 19세 미만자)대상 성폭력범죄의 발생건수가 대폭 늘어나고 있으며,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보더라도 청소년대상 성폭력범죄의 발생률은 비교
적 높은 편이다.

<표 2-3> 우리나라와 각국의 성폭력범죄 발생건수 및 발생률(2011년)


구분 우리나라 미국 독일 일본
전체 발생건수 16,234 83,425 49,084 8,693
성폭력범죄 10만 명당 33.4 29.3 59.9 6.8
13-19세 발생 건수 4,192 18,942 971 3,379
성폭력범죄 10만 명당 79.4 88.0 29.1 39.4
13세미만 발생건수 1,194 36,278 11,391 1,007
성폭력범죄 10만 명당 16.9 59.4 109.4 6.8

그러나 이와 같은 공식적인 통계자료만으로는 성폭력범죄의 발생률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범죄가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수사기관에 의
해 인지되지 않았거나 인지되기는 하였지만 해결되지 않아 공식적인 범
죄통계에 나타나지 않는 범죄, 이른바 암수범죄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성범죄를 포함한 성폭력범죄는 암수범죄의 비율이 높은데, 특히 우리나
라와 같이 성폭력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체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고
명예를 중시하는 풍토가 강한 사회일수록 암수범죄의 비율이 높다.

성폭력범죄의 암수범죄율에 관한 의미 있는 조사결과로는 2008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08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조사

12) 일본 경찰청 홈페이지 통계자료(http;//www.npa.go.jp/toukei/index.htm)


11 2013 책임연구과제

연구”13)와 2010년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전국 성폭력피해 실태조사’14)


가 있다.

<표 2-4> 인구 10만 명당 성폭력범죄 피해율


신체접촉을 수반한 성폭력
공식통계
(2010년 전국성폭력 실태조사)
구분 (범죄
가벼운 심한 강간미수 강간 A∪B∪
분석)
성추행(A) 성추행(B) (C) (D) C∪D
피해건수 55 34 7 3 78
발생건수
추정피해
708,864 392,949 74,627 50,952 980,694 :
건수
16,156
10만 명당
2,087. 1,156. 219. 150. 2,887. 건 32.5
추정피해율
출처: 여성가족부, 2010 성폭력실태조사, 2010, 145쪽.

우선 2008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공식통계에서는 여성인구 10만 명


당 여성 성폭력피해자의 비율은 58.3명으로 계산되나 실제 조사에서는
467.7명으로 거의 8배에 이른다. 이에 따르면 성폭력범죄의 피해여성 8
명 중 1명 정도만이 공식통계에 잡히고, 나머지 7명은 암수범죄로 남게
되는데,15) 암수범죄율을 감안한다면 2008년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 발
생건수는 약 13만 건이 되며 인구 10만 명당 발생건수도 267명 이상이
된다. 그런데 2010년 여성가족부의 발표결과에 따르면 암수범죄의 비율
은 훨씬 더 높게 나타난다.

여성가족부는 <표 2-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난 1년간 형법,


성폭력특례법 등의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는 가벼운 성추행, 심한 성추행,
강간미수, 강간의 피해율을 조사하여 법무연수원의「2010년 범죄백서」

13) 김은경·최수영·박정선, “2008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조사연구(VI)”, 한국형사정책연구


원, 2010, 31쪽.
14) 여성가족부, 2010년 성폭력 실태조사(1부), 2010, 12쪽 이하.
15) 황지태, “범죄피해율과 공식범죄발생률간의 비교분석”, 형사정책연구, 제21권 제3호(2010
년 가을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3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

에 나타난 성폭력범죄의 발생건수와 비교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추정 성


폭력범죄 피해건수와 공식적인 발생건수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
다.

여성가족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추정 성폭력 피해건수는 공식적인 발


생건수의 약 60배에 달하고 인구 10만 명당 피해건수도 약 88배에 달
한다. 다만 여성가족부의 조사에는 동네사람, 친구, 선후배, 업무관계 등
아는 사람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벼운 성추행’을 포함하고 있고 이것이
전체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는데, 가벼운 성추행이 형법, 성폭력특례법,
아청법이 규정하고 있는 성폭력범죄로 보기에는 곤란한 측면이 있다. 그
렇지만 심한 성추행, 강간, 강간미수 등 명백히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는
것만을 놓고 보더라도 공식적 통계에 나타난 발생률과 실제 조사를 통해
추정되는 발생률 사이에는 몇 십 배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공식적 범죄발생률과 실제 조사를 통해 추정되는 범죄발생률 사이의 괴
리는 비단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미국은 매년 미국전역의 76,000가구, 약 135,000명을 대상으로 범죄


피해조사를 실시하고,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법무성 통계국에서
강간, 성폭행, 강도, 절도, 주도침입절도, 차량절도의 피해율을 측정하고
암수범죄를 추정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2008년 미국의 성폭력범죄
피해율은 인구 10만 명당 80건으로 공식통계의 약 2.7배에 달한다. 영
국에서도 매년 범죄피해조사인 영국 범죄조사를 실시하고 잇는데, 이에
따르면 2008년 인구 10만 명당 성폭력범죄피해율은 약 1,150건으로 공
식통계와 비교할 때 약 12.2배가 많다.16) 그렇지만 우리나라보다는 공
식적 범죄발생률과 실제 조사를 통해 추정되는 범죄발생률 간의 격차가
좁다.

16) 강은영·김한균·이원상, “국내외 아동성폭력범죄 특성분석 및 피해자보호체계 연구”, 형사정


책연구원, 2010, 47쪽 이하.
13 2013 책임연구과제

각 나라마다 성폭력범죄의 범주, 조사방식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암수범죄율을 반영하여 성폭력범죄의 발생률을 단순 비교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는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보호체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고 나아
가서 명예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우리나라에
는 암수범죄율이 비교적 높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고, 이러한 사정까
지 감안해서 본다면 우리나라는 -공식적인 범죄발생률은 비슷하나 암수
범죄율이 높으므로-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성폭력범죄 발생률은 다소 높
은 수준이라고는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

I
II.성폭력범죄의 처벌규정과 대응방안

1.성폭력범죄의 처벌규정에 대한 각국의 입법

가.미국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미국은 성폭력범죄 발생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의 하나이며 동시에 성


폭력범죄자에 대한 처벌과 대책 면에서 가장 많은 법률적·제도적 장치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이다. 미국의 많은 주에서는 범죄의 초점을 성적 측
면이 아닌 폭력적 측면에 맞추기 위해 강간(rape)이라는 용어 대신 성폭
력(sexual assault, sexual batter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17) 또
한 같은 범죄라도 각 주(州)에서의 인정여부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하
여 성폭력에 관한 법률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 보일 수도 있지만, 범죄
의 분류방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 아래에서는 미국 모범
형법전(Model Penal Code) 제213장 성에 관한 죄(sex offences)의 규
정과 성범죄의 유형 및 처벌과 관련한 미국연방법(United States Code)
제18편의 규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1)모범형법상 성폭력 범죄 처벌규정

강간 및 관련규정에 대해서는 모범형법전(Model Penal Code) 제213


장에 성폭력에 관한 죄(sex offenses)를 두어 성폭력범죄를 규정하고

17) 서원철, 미국형법, 법원사, 2005, 161쪽.


15 2013 책임연구과제

있다.18) 이 장에서 성교는 구강·항문성교를 포함하며 경미한 삽입으로


족하고 사정을 요하지는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213.1조 제1항은
처가 아닌 여자와 성교한 남자는 각호의 1에 해당하는 때에는 강간의
죄가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19) 그리고 제213.2조 제2항 강간이 각호20)
의 1에 해당하는 때에는 제1급의 중죄이고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급 중죄로 처벌하고 있다.

제213.4조에서는 성폭행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21) 제1항 5호에서


배우자 아닌 타인을 항거를 불능케 하기 위하여 은밀하게 약물, 기타의
수단을 이용하여 자기와 성교케 하거나 성적인 접촉을 가진 때에는 경죄
로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2항에서는 성적 접촉행위라 함은 성적
인 욕망을 유발하거나 만족시키기 위하여 신체의 성기 또는 은밀한 부분
에 접촉을 하는 것을 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미국연방법(
Uni
tedSt
atesCode)
의 규정

미국연방법 제2241조 (a)는 미국의 특별한 해역이나 영역적 관할, 연


방교도소 또는 연방부서 혹은 기관의 책임자와의 계약 또는 합의에 따른
방침이나 규칙에 따라 사람들이 구금되어 있는 장소인 구치소나 기관,
시설들에서 그 누구라도 고의로 성적 행위에 개입한 경우에 벌금, 유기
징역, 무기징역에 처하거나 병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2) 제2241조 (b)

18) 조국,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3, 73-75쪽.


19) 제1호, 폭력 또는 중대한 신체적 가해, 극단적인 고통 등으로 위협함으로써 여자에게 복종
을 강요한 때, 제2호, 저항을 불능케 하기 위해 은밀하게 약물, 명정물질, 기타의 수단을 사
용함으로써 통제할 수 없게 만든 때, 제3호, 여자가 무의식상태인 때 및 10세 미만의 여자
를 강간한 경우 등이다(MCP §231.1)
20) 제1호, 성교 과정에서 행위자가 중대한 신체적 해악을 가하였을 때, 제2호, 범행당시 피해
자가 행위자의 자발적·사회적 동반자가 아니었고 그에게 미리 성행위의 자유를 허용하지 아
니한 때이다.
21) MCP §233.4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6

는 고의로 타인을 의식불명상태로 만들어 성행위를 하는 경우 또는 힘으


로 타인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타인이 모르게 혹은 허락 없이 약물, 마
취제 혹은 다른 유사한 물질로 위해하여 사실상 타인의 판단 혹은 행동
통제능력을 손상시키고, 그 사람과 성행위를 하거나 미수에 그친 경우
벌금, 유기징역, 무기징역에 처하거나 병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3) 제
2241조 (c)는 고의로 12세 미만 아동과 성행위를 하고, 고의로 아래에
기술한 사실에 따라 성행위를 하거나 미수에 그친 경우 벌금, 최하 30년
이상의 징역, 무기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12세 이상 16
세 미만의 자와 성행위를 하는 경우(적어도 행위를 한자보다 4살 이상
어린 경우)에 피고가 이전에 같은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적이 있거나,
연방법에 규정된 범죄와 같은 조항에 의해 주(州)법상의 범죄를 저지른
경우, 사형에 처해지지 않는다면 피고인은 무기징역에 처해야 한다고 규
정하고 있다. 제2241조 (d)는 제2241조 (c)에 의해 기소된 경우 피고인
이 12세 미만의 아동임을 알았다는 점을 입증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
하고 있다.

제2242조 (a)는 미국의 특별한 해역이나 영역적 관할, 연방교도소 또


는 연방부서 혹은 기관의 책임자와의 계약 또는 합의에 따른 방침이나
규칙에 따라 사람들이 구금되어 있는 장소인 구치소나 기관, 시설들에서
그 누구라도 고의로 위협하거나(협박, 살해, 중상해 또는 납치 등의 두려
움 이외의) 두려움에 처하게 하여 성관계를 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
다.24) 제2242조 (b)는 상대방이 타인과 성관계를 할 때 행동의 본질을
판단할 수 없거나(심신미약상태), 육체적으로 그 성행위를 거절하지 못
하고, 싫다는 의사를 표시할 수 없는 사람과 성행위를 하는 경우 미수에
그친 경우라도 벌금, 유기징역, 무기징역에 처한다. 제2242조는 우리나

22) http://www.law.cornell.edu/uscode/html/uscode18: 검색일. 2013. 7. 20.


23) USC §2241.
24) USC §2242.
17 2013 책임연구과제

라 형법 제299조(준강간·준강제추행), 제302조(심신미약자 간음·추행죄)


와 같은 범죄를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243조 (a)는 미국의 특별한 해역이나 영역적 관할, 연방교도소 또


는 연방부서 혹은 기관의 책임자와의 계약 또는 합의에 따른 방침이나
규칙에 따라 사람들이 구금되어 있는 장소인 구치소나 기관, 시설에서
그 누구라도 고의적으로 성적 행위에 개입한 경우에 그 미성년자가 12
세에 달했으나 16세에 달하지 않았고, 적어도 그런 관여나 시도를 한 사
람보다 4세 이하 더 어릴 경우에 벌금, 1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거나
병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5) 제2243조 (b)는 고의로 성적 행위에 개
입한 경우에 그 피보호자가 구금상태에 있고, 보호감찰, 감시 또는 그런
관여를 하거나 하려고 한 사람의 규율 하에 있을 경우에 벌금, 15년 이
하의 징역에 처하고 병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2243조 (a)는
미성년자에 대한 성적 접촉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성적 자기결정권이
있는 미성년자를 12세 이상 16세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나.독일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1960년대 후반 독일헌법재판소장 Woesner가 독일의 민주화를 위하


여 이에 맞는 자유로운 생활 형태를 보호해야 하며, 헌법이 지향하는 자
유주의를 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26) 이에 따라 독일에서
는 여러 차례 형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 제33차 형법일부개정
(Strafrechtsänderungsgesetz vom 1. 7. 1997)에에 의하여 (구)형법
제177조 강간죄의 구성요건과 제178조 성적남용에 대한 구성요건이 한
조문으로 결합되고, 성적 남용과 관련한 악용의 상황에 “피해자가 무방

25) USC §2243.


26) Busch, Die deutsche Strafrechtsreform, 2005, S. 53 Anm, 170, 171.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8

비 상태로 행위자의 영향에 방치되어 있는 상황”까지도 포함시키는 등


구성요건이 확장되었다.27) 특히 1996년 이후 유럽사회에서는 우리나라
와 마찬가지로 아동에 대한 무차별적인 성폭력범죄의 증가는 국민의 감
정을 자극하였다. 그로 인해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강한 적대심과 분노가
표출되어 이들을 강경하게 처벌할 수 있는 형법의 개정이 또 다시 필요
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민들의 여론을 반영해 1998년에 ‘성범죄 및 기타
위험한 범죄와의 투쟁에 관한 법률’(Gesetz zur Bekämpfung von
Sexualdelikten und anderen gefährlichen Straftaten)’과 관련하여 제6
차 형법개정법률(Strafrectsrefhormsgesetz vom 26. 1. 1998)에 의해
서 성범죄관련 규정은 아동 성적 학대의 기본형과 가중형을 나누어 규정
하면서 아동 성적학대에 대해서는 상한을 10년에서 15년으로 높였다.

신체의 학대를 수반하는 성적학대와 사망에 이르게 하는 성적 학대의


하한을 5년으로 하였다.28) 또한 성적 강요나 강간죄에서 피해자를 사망
에 이르게 한 경우에는 하한과 상한이 모두 상향조정 되었다.29) 그리고
성폭력범죄에 대한 보안감호 요건도 완화되는 등 대폭적인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독일에서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처벌규정은 기본적으로 독일 형법 ‘제


13장 성적 자기결정에 대한 죄’라는 표제 하에 제174조 이하 제184조
에 걸쳐 규정되어 있다. 독일형법에서는 강간과 추행의 죄가 예전에는
제13장 풍속에 관한 범죄로 규정되어 있던 것을 1973년 제4차 형법개
정에 의해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죄로 제목을 바꾸어서 개인적 법익에
대한 죄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정의 체계와
내용에 비추어 아직도 개인적 법익의 보호뿐만 아니라 사회질서도 보호

27) 법무부, 독일형법, 법무부 형사법제과, 2008, 6쪽.


28) 김성은, “독일의 아동 및 청소년의 성보호를 위한 형사입법 동향”, 형사정책 주요동향, 한
국형서정책연구원, 2008(가을호), 13쪽.
29) 조준현, “독일형법에 있어서 성범죄규제의 변화와 의미”, 한국 형사법학의 이론과 실천, 정
암 정성진 박사 고희 논문집, 2010, 478쪽.
19 2013 책임연구과제

하는 범죄라고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다.30)

독일 형법 ‘제13장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죄’를 행위유형은 ① 보호


의무자31)의 성폭력범죄(제174조)32), ② 보호의무자 또는 직무권한자의
성폭력범죄(제174조a, 제174조b, 제174조c) ③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
(제176조33) 내지 176조 a34)), ④ 강간 및 성적 강요(제177조 내지 178
조), ⑤ 항거불능자에 대한 성폭력범죄(제179조)35), ⑥ 청소년에 대한
성폭력범죄(제182조)36), ⑦ 공연음란죄(제183조a)와 음란문서반포죄(제
184조) 등을 규정하고 있다.

다.일본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일본형법은 2004년 18차 개정에서 성폭력과 관련하여 강력한 처벌을

30) 법무부, 앞의 책, 7면; 이와 다르게 우리형법의 성범죄에 대한 규정을 개인적 법익에 관한


‘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제22장 성 풍속을 해하는 죄’로 구별하여
규정하고 있다(이재상, 형법각론(제8판), 박영사, 2013, 159쪽).
31) 1. 교육, 직업교육, 생활보호를 위하여 위탁된 16세 미만자, 2. 교육, 직업교육, 보호․업무․
고용관계로 인한 종속성을 남용하여 교육·직업교육, 생활보호를 위하여 위탁되거나 업무 또
는 고용관계에 속하는18세 미만자3. 18세에 이르지 아니한 친자 또는 양자
32) 1. 피보호자 앞에서 성적 행동을 하는 행위 2. 피보호자로 하여금 자신 앞에서 성적 행동
을 하게 하는 행위
33) 1. 아동에 대하여 성적 행동을 한 자 2.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에 대하여 성적 행동을 하
게 한 자3. 행위자 또는 제3자에 대하여 또는 그들 앞에서 성적 행동을 하거나 또는 행위자
또는 제3자로 하여금 아동에 대하여 성적 행동을 하게 하기 위하여 문서(독일 형법 제11조
제3항)를 통해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 자 4. 음란도화나 음란표현물의 게시, 음란한 내용의
테이프의 상연 또는 그에 준하는 대화를 통해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 자
34) 1. 18세 이상인 자가 아동과 성교(Beischlaf vollziehen)하거나 또는 신체 침입과 관련된
유사 성행위를 하거나 또는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에 대하여 유사성행위를 하게 한 경우 2.
다수에 의해 범죄가 공동으로 범해지는 경우 3. 행위자가 아동에게 범죄를 통하여 중대한
건강상의 훼손위험 또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성장에 현저한 훼손을 가져온 경우
35) 1. 정신적·심리적 질병 또는 중독과 관련된 장애 또는 심한 의식장애로 항거불능인 자2.
신체적으로 항거불능인 자
36) 1. 강제(핍박)상태를 악용하거나 또는 대가를 지급하고 16세 미만자에 대하여 성적 행동
을 하거나 그로 하여금 자신에 대하여 성적 행동을 하게 하는 경우 2. 강제상태를 악용하여
16세 미만자로 하여금 제3자에 대하여 성적 행동을 하게 하거나 또는 제3자로 하여금 16
세 미만자에 대해 성적 행동을 하게 하는 경우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정이 있었다.37) 주요 내용은 강제음란(제176조),


준강제음란 및 준강간(제178조 제1항), 강간(제177조), 강간치사상(제
181조 제2항) 등의 법정형을 상향하였고 13세 미만자에 대한 성교, 유
사성교행위, 성행위를 하는 경우에도 성인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하였
다.38) 일본 법무성의 범죄백서에 따르면 성범죄를 강간, 강제음란, 공연
음란, 음란문서반포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고, 경찰청의 범죄
총계에서는 형법범에 관해서는 성범죄의 한 종류로 분류하기보다는 강간
을 강도와 같은 흉악범으로 보고 있고 강제음란과 공연음란은 풍속범으
로 보고 있다.39)

본고에서는 형법전에 나와 있는 공연음란죄, 강제음란죄, 강간죄, 준강


제음란죄 및 준강간죄, 강제음란 및 치사상죄를 살펴보며, 음란물 반포
등은 성풍속에 관한 범죄이므로 따로 논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아동
성매매·아동포로노처벌 및 아동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해서도 검토
하고자 한다.

1)형법

우리 형법은 제22장에는 “성풍속에 관한 죄”를 두고 제32장에 “강간


과 추행의 죄”를 두고 있는 반면에 일본 형법은 “제22장에서 음란, 간음

37) 이 개정의 계기가 된 사건은 2004년 나라 현에서 발생한 성범죄사건이다. 이 사건은


2004년 11월 17일 시립초등학교 1학년 여아인 아리야마 카에데(7세)가 유괴되어, 행방불명
되었다. 그해 11월 18일 사체가 발견되었는데, 검시 결과 사인은 욕조 등에 머리를 집어넣
어 야기된 익사로 판명되었다. 이 밖에 피해자의 신체에서 소량의 타액이 검출되었고, 사망
후 피해자의 치아 및 신체의 일부에 대한 훼손행위가 있었으며, 사망 당시 피해자는 전라였
으나 사망 후 옷이 입혀졌다는 등의 엽기적인 범행사실이 밝혀졌다. 그 후 그해 12월 30일
신문판매소에 근무하며 신문배달과 수금을 하는 범인이 검거되었다. 범인은 1989년 아동에
대한 강제추행과 1991년 5세 아동의 목을 조른 사건으로 실형 판결을 받은 전과가 있었다.
38) 內海明子, “日本に おける 性犯罪處罰規定の問題點”, Aisa University Law Review 38卷
2號, 2004, 62面.
39) 藤永帝治, 風俗 性犯罪, 東京法令出版, 1996, 3쪽.
21 2013 책임연구과제

및 중혼의 죄”에서 성범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40) 일본형법 제22장


은 음란, 간음 및 중혼의 죄로서 공연음란죄, 음란물반포 등의 죄, 강제
음란죄, 강간죄 준강제음란·준강간죄, 강제음란 등 치사상죄, 음행권유죄,
중혼죄를 규정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음행권유죄나 중혼죄는 논하지 않
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174조 공연음란, 제176조 강제음란41), 제
177조 강간42), 제178조 준강제음란 및 준강간, 제178조의 2 집단강간,
제179조에서는 제176조부터 제178조의 2까지의 미수범을 처벌하고 있
으며, 제180조에서 176조부터 178조의 미수범에 대하여 친고죄로 규정
하고 있다. 또한 제181조 강제음란 등 치사상죄를 규정하고 있다.

제22장을 체계적 위치에서 보면 입법자가 본 장에 위치한 각 죄를 주


로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로 파악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으나 강제음
란죄, 음란물반포 등의 죄, 음행권유죄 등은 국민의 건전한 성감정 혹은
성풍속을 침해하는 죄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각 죄는 죄질 면에서 상당
히 다른 점이 있다.

2)아동성매매·
아동포르노처벌 및 아동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동법은 성적착취 및 성적 학대로부터 아동의 권리의 보호를 목적으로

40) 법무부, 일본형법, 법무부 형사법제과 2008, 71쪽.


41) 본죄는 13세 이상의 남녀에 대해서 폭행 또는 협박으로 음란한 행위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13세 미만의 남녀에 대해서는 폭행 또는 협박을 이용하지 않고도 음란행위를 하면 똑같이
본죄가 성립한다. 법정형은 6월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이며 미수범도 처벌하며 친고죄이다.
폭행 또는 협박은 강간죄의 그것과 정도가 달라 반드시 피해자의 반항을 현저하게 곤란하게
할 정도에 이를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 일본판례의 태도이다(日本最高裁判所, 昭和 24年5月
10日刑集第3卷6号711項).
42) 본죄에서 말하는 폭행 및 협박에 관해서는 피해자의 반항이 현저하게 곤란하게 할 정도의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반항을 억압하게 할 정도에 이를 필요성은 없다는 것이 일본의 통설
과 판례의 태동이다(日本最高裁判所 昭和24.5.10刑集3.6.72; 日本最高裁判所 昭和33.6.6 裁
集 126. 171).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2

하고 있다.43) 동법은 18세 미만자를 ‘아동’으로 정의하고, 금품 등의 대


가를 주거나 그 약속을 한 후에 아동과의 성교 등을 하는 것을 아동성매
매행위로 규정하고 이를 금지하고 있다(동법 제2조). 아동성매매의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동법 제4조). 또
한 아동성매매의 중개나 권유도 처벌된다. 아동 성매매를 중개한 자는 5
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엔 이하의 징역에 처하며(동법 제5조 제1
항), 아동성매매를 권유한 자의 처벌도 전조와 같다. 또한 아동과의 성교
나 유사 성교행위, 아동의 전·반라의 자태로 성욕을 흥분시키는 등을 묘
사한 사진·비디오테이프를 ‘아동포르노’로 정의하며 이를 반포하거나 판
매, 공연진열 등의 행위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7조 제4항). 또한 아동을 아동성
매매에서의 성교 등의 상대방으로 하거나 동법 제2조 제3항 각호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아동의 모습을 묘사하여 ‘아동포로노’를 제작할 목
적으로 당해 아동을 매매한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
록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8조 제1항).

동법의 성립 배경은 일본인에 의한 해외에서의 아동성매매행위를 막으


려는 정책적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성매매 행위를 비친고
죄로 규정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아동성매매 등의 규제를 강화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동법은 행위자에 관하여도 제한하지 않고 있어 남성
과 여성 모두 본 죄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피해아동이 13세 미만인 경우
에는 형법상의 강제음란죄나 강간죄도 동시에 성립한다. 이 경우의 죄수
관계는 상상적 경합이므로 결과적으로 중한 형법상의 죄에 따라 처벌된
다.44) 이 경우는 친고죄와 비친고죄가 동시에 성립되어 만일 강간죄에
관해서 피해자의 고소가 없어도 아동성매매만으로 공소를 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43) 制定:平成11年5月26日法律第52号
44) 關田實, 兒童賣春兒童ボルト處罰法, 日本評論社, 1999, 32面.
23 2013 책임연구과제

라.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1)형법

형법 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는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범죄로서 보


호법익은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성폭력범죄
의 실태가 사회적으로 크게 악화되자 2012년 12월 18일 비교적 큰 폭
의 개정을 단행하였다. 그 내용은 강간죄의 객체를 ‘사람’으로 바꾸고,
유사강간죄를 신설하며, 헌법재판소에 의해 위헌결정을 받은 바 있는 혼
인빙자간음죄를 폐지하고, 종래의 친고죄를 비친고죄로 바꾸었다.

강간과 강제추행의 죄의 기본적 구성요건은 강간죄와 강제추행죄이다.


신설된 유사강간죄(제297조의 2)는 강간죄의 피해가능성으로서 임신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강간죄보다는 법정형이 낮게 규정되었다. 준강간·
준강제추행죄(제299조)와 미성년자의제강간·의제강제추행죄(제305조)는
독립된 구성요건을 갖으나 강간죄와 강제추행죄에 준하여 처벌하고 있
다. 가중적 구성요건으로 강간·강제추행상해·치상죄(제301조)와 강간·강
제추행살인 및 강간·강제추행치사죄(제301조의 2)가 있다. 그리고 독립
된 구성요건으로 미성년자 등에 대한 간음죄(제302조), 업무상 위력 등
에 의한 간음죄(제303조)가 있다. 형법은 강간죄, 강제추행죄, 유사강간
죄 및 준강간·준강제추행죄의 미수범을 처벌하고(제300조), 2012년 12
월 종래의 친고죄 조문(제306조)를 삭제함으로써 본 장의 모든 성폭력
범죄를 비친고죄로 개정하였다.

2)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4

성폭력특례법은 형법에 규정되어 있는 강간, 강제추행 등의 성폭력범


죄를 가중처벌하고, 전에는 처벌되지 않았던 행위들을 성폭력범죄로 새
롭게 규정하여 범죄화하였다.45) 또한 성폭력범죄의 처벌절차에 대한 특
례를 규정하고, 성폭력범죄의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국가의 조치를 규
정한 법이다.46) 이에 따라 실체 형법적 성격과 형사절차법적 성격을 지
니고 있고 사회복지적 성격도 지니는 있는 복합적 성격의 법률이다. 그
러나 이제는 성폭력특별법이 성폭력특례법과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에 관한 법률(이하에서는 ’성폭력방지법’으로 약칭)로 따로 제정되어 가
해자의 처벌과 피해자의 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2012년 12월 18일에 개정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친고죄로


인하여 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합당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피해자에 대
한 합의 종용으로 2차 피해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친고죄 조항을 삭제하였다. ② 13세 미만자 및 장애인에 대한 강간죄,
준강간죄 외에 강제추행, 준강제추행죄 등을 범한 경우에도 공소시효 적
용을 배제함으로써 공소시효 배제 대상 범죄를 확대하였다(동법 제21
조). ③ 성적 목적을 위한 공공장소 침입죄를 신설하여 최근 다양화된
성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자 하였다(동법 제12조). ④그 외 종전과
달리 성폭력범죄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성인 피해자 또한 법률적 조
력을 위한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한 점(동법 제27조), 법원에 출석
하는 피해자 등을 보호, 지원하기 위한 증인지원관을 두도록 하고(동법
제32조), 의사소통 및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폭력범죄 피해자에게
형사사법절차에서 도움을 주기 위한 진술조력인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
다는 점(동법 제35조)이 특징이다.

45) 1994년 1월 5일 법률 제4702호로 제정된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에서는 성폭력특별법)은 폐지되었고 2010년 4월 15일 성폭력특례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14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46) 오영근, “형사특별법 정비방안(6)”, 성폭력특례법, 형사정책연구원, 2008, 7쪽.
25 2013 책임연구과제

3)아동·
청소년성보호에 관한 법률

2000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동법은 청소년 성매매의 심각성에 기인


하여 정부가 청소년의 성을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청소년 성매매 방지대
책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제정되었고,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의 신
상공개제도는 미국의 ‘매건법’을 모델로 도입하였으나 많은 비판을 받아
왔었다. 이에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 폐지되고 2009년 6월 9일
부터 ‘아청법’이 제정된 이래 여러 차례 개정이 있었다. 아동도 이 법에
따른 보호대상임을 명확히 하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유사성교
행위 및 성매수 유인행위 처벌규정(동법 제7조)과 성범죄 피해자 및 보
호자에 대한 합의 강요행위를 처벌하는 규정(동법 제16조)을 두어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를 더욱 강화하였다.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범죄자는 재
범가능성 및 범죄의 경중 등을 고려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신상정보
를 공개하도록 함으로써(동법 제49조) 아동·청소년 성범죄에 대한 경각
심을 제고하였다.

최근 2012. 12. 18. 개정되었으며 그 규정을 살펴보면, 아동·청소년이


용 음란물의 정의를 아동·청소년 또는 아동·청소년으로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나 표현물이 등장하는 것으로 한정하고(동법 제2조), 아
동·청소년에 대한 강간·강제추행 등의 죄의 법정형을 5년 이상의 유기징
역에서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으로 상향조정하였다(동법 제7
조). 또한 음주 또는 약물로 인한 감경 배제 규정의 적용대상을 종전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폭력특례법 소정의 범죄만 아니라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형법상 강간죄 등으로 확대하고(동법 제19조),
공소시효의 적용배제 대상을 13세 미만자 및 장애인에 대한 강간·준강
간죄 외에 강제추행·준강제추행죄 등으로 확대함으로써(동법 제20조) 성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6

범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마.비교 및 검토

미국은 과거 강간법의 법리가 피해자 여성의 행위만을 부적절하게 강


조하였음을 비판하면서, 강간죄의 성립요건에서 ‘비동의요건(저항요건)을
삭제하고 강간죄를 오직 가해자의 강제력에 초점을 맞추어 정의하였다.
모범형법전의 제안자들은 “강간을 남성들이 여성에게 강제력을 사용함으
로써 죽음이나 심각한 상해 또는 극심한 고통이나 납치 등을 하겠다는
위협을 사용하고, 강제로 성교행위를 하도록 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방법률집은 성폭력범죄는 그 위험성과 해악성으로 인해


미수행위도 기수와 동일하게 처벌되며, 법정최고형은 무기구금형이다.
미국에서는 45개주가 성폭력범죄에 대해 사형을 선고하고 있지 않으나
루이지애나 주를 비롯하여 조지아, 몬테나, 오클라호마, 사우스캐롤라이
나, 텍사스 주는 12세 미만의 아동을 강간한 자에 대해 사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강간 및 강제추행을 구별하지 않고, “성적자기결정권에 대한


침해행위”로 일률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피해자가 16세 미만인 경
우 가중 처벌되며, 12세 미만의 경우 거듭하여 가중사유가 된다. 12세
미만 아동과의 성적 행위는 피해자의 동의 여부와 무관하게 우리나라와
같이 의제강간죄로 규율되고 있다. 이는 아동의 절대적인 성적 자유와
발전을 보호하기 위해서 엄격하게 처벌하고 있으며, 아동의 나이에 대한
착오가 합리적인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처벌한다. 즉, 아동이 적극적으로
유혹하거나 나이에 대하여 거짓말을 한 경우에도 의제강간죄의 성립을
인정한다.
27 2013 책임연구과제

독일은 형법 ‘제13장 성적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범죄’의 영역에 성폭


력범죄자 처벌규정을 두고 있다. 이는 우리 형법상 성풍속에 관한 죄와
유사한 모습의 규정도 궁극적으로는 피해자의 성적자기결정권을 침해하
는 행위에 대한 처벌규정만을 두고 있기 때문에 성폭속에 관한 죄를 사
회적 법익으로 보는 우리 규정과는 달리 개인적인 법익의 관점에서 판단
하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독일형법은 유사강간 규정을 제177조 제3항에 “피해자를 간음하거나


피해자에게 유사한 성적 행위를 행한 자”라고 규정하여 성적자기결정권
에 대한 중대한 침해로써 간음이외에 이와 유사한 유형의 성적 행위도
강간죄로 규정하고 중하게 처벌하고 있다. 우리 개정형법도 제297조의
2에 유사강간죄를 규정하여 처벌범위를 확장하였다. 독일형법 제177조,
제178조는 강간죄의 객체를 타인으로 규정하고 강간범죄를 모든 사람,
즉, 남성에 대한 강간죄도 성립한다. 우리 개정형법도 제297조에 강간죄
의 객체를 부녀에서 사람으로 개정하여 그 대상을 확대하였다. 또한 성
적강요, 강간죄의 유형을 제177조 제1항 제3호는 “피해자가 무방비 상
태로 행위자의 영향에 방치되어 있는 상황을 악용하여”라는 표지를 추가
하여 범죄의 성립범위가 넓어졌다.

이로써 피해자가 경악으로 몸이 굳어 버렸다거나, 가해자에 대한 공


포, 기타 다른 심리적 이유로 저항할 능력이 없었던 경우, 피해자가 타
인의 도움을 전혀 기대할 수 없고, 가해자는 체력적으로 우월하여 저항
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처음부터 저항을 포기한 경우에도 강
간죄가 성립된다. 그리고 아동·미성년자에 대한 성폭력범죄에 관하여는
제176조, 제176조a, 제176조b에서 아동에 대한 성적 보호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에 있어서 법정형을 높이는 것이야말
로 매우 중대한 것이라는 인식을 모든 국민에게 전하는 데 큰 효과를 거
두었다고 생각된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8

일본은 성풍속에 관한 범죄와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성폭력범죄


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성폭력범죄로는 강제음란, 강간, 집단강간, 준강
제음란·준강간, 강제음란 등 치사상, 강도강간 등의 규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형법이나 성폭력특례법에서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
에서 일본과 다르지만 일본형법은 우리 형법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지니
고 있다.

일본은 제18차 개정에서 유기징역·금고의 법정형을 20년 이하로 하였


고, 유기징역 및 금고를 가중한 경우 그 형을 30년까지 선고할 수 있게
하여 법정형을 가중하였다. 또한 13세 이상과 13세 미만의 부녀를 구별
하여 규정하고 있지만, 그 법정형이 동일하여 성인과 아동·청소년에 대
한 성폭력범죄의 처벌은 다르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형법에 규정된 아
동·청소년의 성폭력범죄는 친고죄이나 2인 이상 공모한 경우에는 비친고
죄로 처벌하고 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강간죄의 법정형이 다른 중요범죄와 비


교했을 때 결코 해악의 정도가 낮지 않지만 법정형이 가볍다는 것과 피
해자의 명예와 사생활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친고죄가 피해자에게 범죄
를 회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국가의 형사소추권을 제한하는 문제
가 있다. 그리고 성폭력범죄의 피해대상을 부녀로 한정하고 있어서, 남
성의 성적자유결정권에 대한 침해행위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
되고 있다.

2.성폭력범죄에 대한 각국의 대응방안

가.미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29 2013 책임연구과제

1)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미국에서는 폭력적 성범죄자의 높은 재범율과 성폭력 대상이 아동일


때 나타나는 사회적 파장 문제를 배경으로 성범죄자 등록제도와 성범죄
자 고지제도를 시행47)하고 있다.48)

미국에서의 성폭력범죄자 신상공개는 1994년에는 뉴저지주에서 메건


킨카(Megan Kanka)라는 7세 여자아이가 2번의 성폭력범죄의 전과가
있는 범죄자에 의해 강간, 살해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는데, 그 후 일명
‘Megan’s Law’가 제정되었다.49) 메건법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성범죄자
는 출소 후 주거지 경찰서에 자신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인종, 주소
등 신상정보를 등록해야 한다.50) 같은 해 연방 법률로 아동대상 성범죄
자 및 성폭력범죄자등록법(Jacob Wetterling Crimes Against Children
and Sexually Violent Offender Registration Act)이 제정되었다. 또한
1996년 제정된 연방법인 팜 라이크너 법(Pam Lychber Act)은 공공의

47) 이 제도는 특정 조건의 성폭력범죄자들이 출소한 후 반드시 자신의 이름, 나이, 주소, 직
장, 전과 등의 신상정보와 키, 몸무게, 지문, 혈액형, DNA, 타액, 사진 등 신체적 특성정보
를 정부기관에 등록하여야 하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의 거주 사실을 지역사회주민이나
기관에 고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전영실 외,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재범억
제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536쪽).
48) 권창국, “청소년 대상 성범죄의 통제수산으로서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관한 재고찰”,
법조, 제53권 제4호, 법조협회, 2004, 90쪽.
49) Laura A. Ahearn, "Megan's Law Nationwide and The Appele of my Eye Childhoo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Prevention Press USA, 2001. p. 15.
50) 메건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첫째, 성범죄자들에게 신상등록을 요구하지만
등록정보를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registration statutes)이다. 이는 지역 내에 있는
성범죄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성범죄자들로 하여금 지방당국에 신상정보를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snyder v. State, 912, 1996). 둘째, 등록정보를 일반에 공개하
는 일정한 형태를 규정하는 경우(notification statutes)이다. 이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신
상공개법이다. 이 규정에는 범죄자들의 위험정도에 따라 범죄자들을 분류하고 등록된 정보
의 공개수위는 위험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진다. 위험도가 낮은 사람에 대한 정보공개는
실질적으로 사법당국에 의해서 그의 인적 정보가 비밀로 보호되는 사람의 그것과 동일하다
(Menendez, Bernard, "The Constitutional of Megan's Law; Permissible Regulation or
Unconstitutional Intrusions?", 24 New England Journal on Criminal Civil Confinement
1, Winter 1998, p 252)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0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연방·주·지방·지방정부에 많은 의무를 부과했다.

워터링법은 대부분의 범죄자를 10년간 등록하도록 하였지만, 라이크너


법은 평생 동안 등록하게 했다. 그리고 성폭력 흉악범, 상습범과 폭력상
해까지 포함하고 있다.51) 현재 미국 내 50개주가 이러한 성범죄자의 거
주사실을 알려주는 제도를 시행52)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신상공개제
도는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처벌보다는 성폭력범죄자의 위험으로부터 지
역사회 주민을 보호하는데 중점을 둔 제도라고 평가 된다.

2)전자감시제도

가)전자감시제도의 도입배경과 개념

전자감시시스템이 세계최초로 미국의 형사사법제도에 의하여 구상된


것은 1964년 렐프 쉬츠게벌(Ralph Schwitzgebel)에 의해서이다. 그는
실험 심리의 측면에서 정신병원을 퇴원하는 자 또는 가석방자에게 행동
전달증강장치(BTR, Behavior Transmitter Reinforcer)라고 하는 소형
수신기를 휴대하게 하고 그 행동을 감시, 통제하며 개선하려고 하였
다.53) 당시 대량운송시대에 대응하여 버스나 전차의 흐름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에서 힌트를 얻었고, 그 후 이 제도는 매사추세추주에서 교도소
출소자, 정신장애자, 학생, 사업가 등을 대상으로 시험적으로 실시되었

51) 이영란 외, “신상공개제도 효과성 분석 연구”,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2004, 10쪽.


52) 2005년 미법무부는 인터넷상의 국가적 성범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2006년, 미연방 의회는 이 웹사이트를 미국 성범죄자 공개 사이트(The Dru Sjodin Nationl
Sex Offender Public Registry)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각 주의 개인검색데이터베이스에 빠
르고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Laura L. Rogers, The SMART OFFICE: Open
for Business, 41 JUN Prosecutor, 2007, p. 11)
53) Brian K. Payne & Randy R. Gainey, “Is Good-time Appropriate for Offenders on
Electronic Monitoring? Attitudes of Electronic Monitoring Director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8, 2000, pp. 497-506.
31 2013 책임연구과제

다.

이어서 1977년에 뉴멕시코주 지방법원 러브(Jack Love)판사에 의하


여 개발된 전자팔찌(bracelet)를 1984년에부터 실제 사용하였는데, 사회
내처우를 판결한 보호관찰대상자에게 전자팔찌를 착용시켜 준수사항의
이행을 감독하는 방식으로 보호관찰에 통제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발전
되어온 하나의 감독수단이라고 할 수 있고,54) 구금형의 대체수단으로 활
용되기 시작하였다.55) 대다수의 전자감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은
미결구금을 대체하기 위하여 전자감시를 조건으로 한 보석을 실시하거나
집행유예나 가석방시 보호관찰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전자감시를 실시하
고 있다. 즉, 전자 감시는 보호관찰의 감시적 성격을 강화하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재사회화이념에 따라 구금형보다는 사회내처
우를 강조하고 불필요한 구금형을 회피하고자 하는 정책적 지향점을 갖
고 있다.56) 전자감시의 유형으로는 재택구금, 가택구금, 가택연금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다.

현재 미국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전자장치에 의해 직접 개입을 하는


경우인데57) 위치확인과 감시대상자의 신체에 대한 통제를 결합한 것으
로 감시대상자가 출입이 금지된 구역에 들어가는 경우 신호음이 울리거
나 전기충격 등을 가하는 방법과 알코올이나 약물의 음용여부를 원격지
에서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기충격은 아직 시행되지 않으나 미국
에서 수감자를 이송할 때 사용 되고 있다.

54) 정신교, “특정성범죄자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쟁점”, 형사정책, 제20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


학회, 2008, 286쪽.
55) 박혜진, “소위 전자장치부착법(특정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에 관한 법
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형사정책, 제19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7, 351쪽.
56) Matt Black & Russel G. Smith, “Electronic monitoring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rends & Issues in Crime and criminal Justice 254, 2003, p. 5.
57) 정현미, “성폭력범죄대책과 전자감시”, 형사정책, 제21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9,
343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2

나)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감시제도

성폭력범죄자의 전자감시제도가 미국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지는 않지


만 캘리포니아나 플로리다 등 일부 주에서는 특정 조건의 성폭력범죄자
들에게 ‘평생감시법’을 통해 교도소를 출소한 이후 평행동안 전자감시를
실시하는 강력한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58)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감
시는 콜로라도 주에서 최초로 1998년 ‘성법죄자 감시법’이 시행되면서
성격 장애와 성도착 등으로 인해 상습성이 인정되고 정신과의사의 진단
에 의해 재범의 위험성이 인정된다고 판단되면 아동성폭력범죄자의 경우
선고된 형이 종료된 후 전자팔찌 등을 착용하게 하여 보호 관찰과 전자
감시를 무기한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정기적인 약물조치 및 거짓말
탐지기 검사를 받게 하고 있다.59) 캘리포니아 주(州) 오렌지카운티는
2002년 가석방된 성범죄자에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장착되어
있는 전자팔찌를 착용시키는 전자감시법을 도입하였다.60)

플로리다 주는 2005년에 이웃에 사는 아동성폭력 전과자에 의해 살해


된 9살 소녀 제시카 런드포드(Jessica Lunsford)의 이름을 딴 ‘제시카런
드포드법(Jessica Lunsford Act)’을 만장일치 통과 시켰다.61) 아이오와
주(州에)서는 2006년 ‘성폭력 대책법’에 따라 성폭력범죄자 등록명부상
의 성폭력범죄자 중 폭력을 수반한 성폭력 범죄자,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58) 전영실 외, 앞의 보고서, 548쪽 이하.


59) Schmidt A. K., “The use of Electronic Monitoring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00, p. 25.
60) 김혜정 ,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팔찌 적용가능성에 관한 검토, 형사정책연구, 제16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0쪽.
61) 이 법은 성폭력범죄자들에게 25년 이하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고 출소 후에도 필요한
경우 평생 전자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게 하여 집중 감시하도록 했으며 11세 이하 아동 대
상 강제추행치상 혹은 강간으로 유죄판결을 받게 되면 오직 종신형만 선고할 수 있도록 규
정하고 있는데, 플로리다 주에 이어 미국 전역 42개 주가 같은 내용의 입법을 했고, 이를
연방법으로 만들기 위한 입법안이 제출되었다. 또한 각 지역에 살고 있는 성폭력범죄전과자
등을 직접 파악할 수 있도록 전과기록과 사진 및 주소 등을 플로리다 주정부 웹사이트를 통
해 제공하고 있다(Jessica Lunsford Act, Chaper 2005-28 House Bill No 1877)
33 2013 책임연구과제

한 성폭력범죄자(소년범 제외)에 대해 최소 5년 동안 전자팔찌를 부착하


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오와 주(州) 교정청 성폭력범죄
자 전자감시지침에 따르면, 17세 이하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폭력범죄자
는 의무적으로 전자감시의 대상이 된다.62)

미국의 경우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평생 혹은 장기간의 전자감시는 무


기징역 선고와 보호관찰조건부 가석방이 결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성폭
력범죄에 대해 무기징역을 선고가 정당성 여부의 비판이 있을 수 있지
만, 전자감시로 인한 이중처벌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자감
시제도는 독자적인 형사제재에 속하지 않으며 치료와 교정에 초점을 둔
집중감시(Intensive Suoervision) 보호관찰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행되
는 성격이 강하다.63) 다만, 현실적으로 맞지 않은 과도한 징역형을 선고
해 놓고 이를 토대로 보호관찰부 가석방과 전자감시를 평생하거나 장기
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실질적인 효과의 면에서 우리나라의 방식과 유사
한 측면이 있다.

3)성폭력범죄자 치료제도

가)성폭력범죄자 치료의 필요성

미국은 이미 1930년경에 ‘성적 싸이코패스(sexual psychopath)' 법률


을 제정하고 성폭력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
다.64) 그러나 성폭력범죄자를 환자로 인식하여 이들에 대한 처벌보다는

62) 김한균·강은영, “성폭력범죄의 양형분석 및 재범방지를 위한 성폭력범죄자 사후관리방안”,


법무연수원, 2007, 172쪽.
63) 이호중, “아동성폭력 재범방지정책의 인권법적 쟁점”, 국가인권위원회 편, 2010, 51쪽.
64) Pfaffenroth, P. C., The Need for Coherence: States Civil Commitment of Sex
Offender in the Wake of Kansas v. Crane, Stanford Law Review, 55, 2003, pp.
2229-2244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4

사회 구성원의 일부분으로서 치료의 대상으로 생각한 임상적 시각에 의


한 대책은 재범방지나 범죄 예방에 있어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65)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90년대 이후 성폭력범죄자의 처우에 대한 법률


적 모델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소수의 매우 위험한 성폭력범죄자를
대상으로 ‘성폭력흉악범 재범방지법(Sexual Violent Predator(SVP)
Law)'이 제정되었다. 이 법률은 기준에 맞는 성폭력범죄자는 교도소가
아닌 민간 위탁 시설에 수용하는 것이다.66) 그 후 1997년 국립교정연구
소(National Institute of Correction)산하의 성범죄자 관리센터(Center
for Sex Offender Management, CSOM)가 설립되어 지역사회 내에 거
주하는 성폭력범죄자들에 대한 교육과 관리를 통해 성폭력범죄예방활동
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67) 이들 프로그램의 목적은 성폭력범죄
가해자들의 문제행동을 치료하고 좀 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교
육하여 이들의 재범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나)성폭력범죄자 민간위탁 프로그램

미국은 17개 주68)에서 성폭력흉악범(SVP)의 출소 후 민간 위탁 프로


그램을 허용하도록 하는 법률이 시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주(州)법률은

65) 이수정, “국내 성범죄자 치료처우 방안 모색을 위한 미국의 성폭력범죄자 치료 프로그램의


실태 조사”, 법무부, 2007, 33쪽.
66) 성폭력 흉악범은 주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성폭력 흉악
범은 성폭력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고 정신이상이나 성격이상으로 평가된 자로서 석방이 된
다면 또 다른 성폭력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아 본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결 받은 자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출소 후 민간 위탁 프로그램에 강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이수정·고려진, “성폭력 범죄자 재범방지 치료처우 강화방안”, 한국범
죄학, 제1권 제1호, 한국범죄학회, 2007, 117쪽)
67) 박상진·신준섭, “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연구”, 형사정책, 제17권 제1호, 한국
형사정책학회, 2005, 320쪽.
68) 17개 주로는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일리노이, 아이오와, 캔자스, 매사추세츠, 미
네소타, 미주리, 뉴저지, 노스다코타, 오클라호마, 사우스캐롤라이나, 텍사스, 버지니아, 워싱
턴, 위스콘신주 등이다.
35 2013 책임연구과제

성폭력 흉악범법이 최초로 제정된 워싱턴과 캔자스의 법률을 모델로 하


고 있으며, 대부분의 주에서 교도소에서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일정 조
건의 성폭력 흉악범들을 중구금 수준의 정신병원에 수용하여 치료와 통
제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 법률에는 공통적인 특성이 있지만, 각 주
마다 다양한 차이점이 있다. 해당 범죄자를 감금하여 수용할 수 있는 시
설 내에서 일리노이, 워싱턴 그리고 위스콘신 등의 주는 청소년 성폭력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특별 민간위탁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애리조나와
플로리다 등은 18세 이상의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민간위탁 프로그램
을 시행하고 있으며, 다른 주들은 21세 이상의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민
간위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주에서는 수용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는 부정기형으로


이들이 사회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다는 판단이 될 때까지 치료를 계속하
고, 치료를 실시한 결과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석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시설에 수용된 성폭력범죄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
고, 중구금 시설에서 집중적인 치료를 실시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69) 캘리포니아에서는 2년의 수용기간이 정해져 있었으나. 제시
카법이 시행된 2006년 이후 부정기형으로 전환 되었다.70) 버지니아 주
에서는 최대 5년까지 수용하여 그 후 2년마다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다)교도소 내 성폭력범죄자 치료프로그램

미국 대부분의 주(州)는 성폭력범죄자의 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


다. 이미 2000년대 이후 120개의 교도소에서 치료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71) 교정시설에서는 성폭력범죄자가 가석방되기 전에 교도소 내에

69) 사회내 치료의 경우 성폭력범죄자 1인당 9만 달러에서 12만 달러가 소요되는데, SVP치료
의 경우에는 여기에 구금시설 유지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된다.
70) 이수정, 앞의 논문, 41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6

서 전문 성폭력범죄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할 것을 요구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참가를 유도하기도 한다. 교도소 내에서 이루어지는 성폭력범
죄자의 치료는 강제적이거나 가석방 등의 이익을 위해 치료 의사가 없는
상태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치료과정 이수 여부를 가석방심
사 시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항목으로 선정함으로써 치료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알래스카 주에서는 법원 명령을 통해
의무적으로 치료프로그램에 참가하도록 한다.

다른 주에서는 의무적 조건이 아니라, 가석방 조건이나 치료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취할 수 있는 편안한 시간이 인센티브로 작용하기도 한다.72)
어떤 주에서는 교도소 내 치료와 지역사회 감시의 일부로서 출소 후 갱
생치료 모두를 제공하는데, 캘리포니아 주를 포함한 몇몇 주들은 교도소
내의 치료는 없으며, 가석방 기간 동안 출소 후 전문 갱생치료만 제공한
다.73) 미국의 34개 교도소에서 공식적인 전문 성폭력범죄자 치료프로그
램이 진행되고 있는데, 7개 주에서는 전문 성폭력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이
법률로 제정되어 있다. 콜로라도 주에서는 성범죄자 치료 및 감시프로그
램, 알래스카 주에서는 성범죄자 평가 및 치료프로그램, 인디에나 주에
서는 교정국의 시설 내 성폭력범죄자를 위한 프로그램, 미시간 주의 성
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은 교정국 건강과 심리치료팀에 의해 실시되고 있
다. 이러한 치료프로그램은 각 주마다 다른데 짧게는 180시간의 프로그
램부터 6년 이상 진행되는 프로그램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는 2-3
년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2년의 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이렇게 성폭력범죄자들을 치료 프로그램에 참가시키는 것은
교정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이 사실이며, 나아가 구금기간을 증가시킨다.

71) 박상진·신준섭, 앞의 논문, 323쪽.


72) 전영실 외, 앞의 보고서, 564쪽.
73) 이수정, 앞의 논문, 63쪽.
37 2013 책임연구과제

4)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미국의 DNA데이터베이스는 통합유전자감식 정보검색시스템(CODI


S)74)와 각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1990년 버지니아
주를 시작으로 관련 법률들이 제정되었고 1998년 로드아일랜드를 마지
막으로 50개 주의 입법이 완료되어 1998년 10월 미연방 전체의 NDIS
로 통합되었다. 50개의 주가 서로 다른 형태이지만 모두 독자적인 DNA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있다.75) 또한 미시시피 주를 제외한 나머지 주
의 유전자정보색인시스템은 연방수사국의 CODIS와 네트워크화 되어 있
어 상호 접속 및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최초 운영된 데이터베이스
는 대체적으로 성폭력범죄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 후 점차 확대되
어 성폭력범죄자를 제외하고도 모든 중범죄자를 대상으로 DNA 감식파
일을 자료화하고, 살인, 상해 및 폭행 등 폭력성 중범죄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가장 큰 규모의 DNA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2010년


까지 900만개의 유전자 감식파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8,483,906
개는 범죄자 유전자 감식정보이고, 324,318개는 미해결사건 유전자 감
식정보이다.76) CODIS는 117,800개의 범죄사건에 120,300개 이상의 유
전자마커의 배열정보가 일치하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건을 해결
하고 있고, 모든 주는 유죄판결을 받은 성폭력범죄자의 경우 유전자 정

74) CODIS는 연방, 주, 지역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FBI에서 총괄 운영하고 있다. 최상
위 단계인 국가 유전자정보색인시스템(National DNA Index System, NDIS)은 국가적 범위
에서, 주 단위의 유전자정보색인시스템(State DNA Index System, SDIS)은 각 주의 범위에
서, 지역 유전자정보색인시스템(Local DNA Index System, LDIS)은 각 지역 내에서 해당
유전자정보를 상호교환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이승환,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
스의 이론과 국제 현황”, 형사법의 신동향, 제18호, 대검찰청, 2009, 148쪽)
75) 권창국, 앞의 논문, 170쪽.
76) M. J. Markett, Genetic Diaries; An Analysis of Privacy Protection in DNA
Databanks, 30 SUFFOLK U. L. REW., 1996, P. 184.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8

보은행에 자신의 DNA샘플을 제공하여야 할 법적 의무를 부과하고 있


다.

5)성폭력범죄자 거세법

현재 미국에서는 성폭력범죄자처우의 방법으로 유죄를 받은 범죄자가


자기 스스로 형기를 단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약물사용의 신청이 시
행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성적일탈 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사용을 주정부에 부여하고, 석방의 조건으로 화학적 거세를 선택 하
던가 혹은 의학적 거세를 할 것인지 아니면 교정시설에 있을 것인지의
선택권을 범죄자에게 부여하고 있다.77) 이와 같은 전략은 심각한 헌법상
의 문제 및 윤리적인 문제의 야기와 더불어 이러한 약물이 재범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잘못된 추측에 근거하여 처우를 전개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성폭력범죄자들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률


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시행하여 왔으나 재범억제의 효과가 적은
것으로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방지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었다.
그 대안으로 약물로 성폭력범죄자들의 성 충동을 없애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성적 행동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하였
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주에서는 거세법(Castration Law)을 통과시킬 것
을 고려하게 되었는데, 처음으로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13세 미만의 소아
에 대한 성폭력범죄자에 대해 가석방 상태인 경우에 성충동 억제제
(Depo Provera)를 주입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이후 이 법률은 1996
년에 통과되었고, 몬타나 주와 플로리다 주, 텍사스 주, 아이오아 주는
1997년에, 오레곤 주에서는 1999년에 거세법을 통과 시켰다. 그리고

77) 이수정, 앞의 논문, 38쪽.


39 2013 책임연구과제

2008년 루이지애나 주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나.독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1)성폭력범죄자 전자감시제도

독일의 성폭력범죄자 전자감시제도는 1998년 초 연방정부에서 논의되


기 시작하여78) 2000년 5월 2일 처음으로 헤센(Hessen)주에서 시범적
으로 전자발찌를 이용한 전자감시를 선고하였고, 두 번째로 프랑크푸르
트(Frankfurt) 지방법원에서 2000년 7월 10일 미결구금에 대신하여 전
자감시가 선고되었으며, 같은 해 7월 24일 세 번째로 선고한 사례가 있
었다. 2000년 5월부터 헤센(Hessen)주의 프랑크푸르트 지역에서 전자
감시에 대한 시범실시에 들어간 이후, 지난 2002년 5월 그에 결과분석
에서 긍정적인 성과가 입증되어 헤센(Hessen)주 전역으로 전자감시를
확대하기로 결론을 내렸고, 2005년 8월 전자감시 대상자 중 성폭력범죄
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79)

독일에서는 2000년 이후 전자감시에 대한 시범실시를 시행하고 있으


면서도 아직 전국으로 확대·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전자감
시업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보호관찰관의 부정적인 입장 때문이다.
전자감시를 담당하는 보호관찰관은 다른 보호관찰관의 업무에 비해 많은
업무를 하고 있어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이 상당히 크다.80) 즉, 전자감시

78) Bösling, “Elekrronisch uberwachter Hausarrest als Alternaive zur kurzrn


Freiheitsstrafe”, Monatsschrift fur Kriminologie und Strarechtsrmform, 2002,
Heft, 2, S. 105ff
79) 정신교, “특정 성범죄자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쟁점”,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학회, 2008,
284쪽.
80) 김혜정, “미국과 독일 전자감독 운영방식의 비교를 통한 우리 전자감독 운영방식의 검토”,
한국형사법학의 오늘, 정온이영란교수화갑기념논문집, 2008, 309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0

는 단순히 형식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기보다는 대상자를 사회에


원활하게 복귀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어 가능한 대상자가 규정을 위반하
는 상황을 회피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노력이 보호관찰을 담당하는 실무
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2)성폭력범죄자 거세

외과적 거세(surgical castration)는 신체형을 중시했던 중세시대는 물


론이고, 20세기에 들어서 인류가 행하는 형벌 가운데 하나였다.81) 화학
적 거세는 성폭력범죄자 치료에 약물을 투약하는 방식이다.82) 현재 약물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로는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
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아세테이트(MPA)가 가장
대표적이다. MPA는 성적 공격의 징후가 호르몬의 불균형에 있다는 것
에 근거하고 있다. 투약에 의해 성폭력범죄자의 성적기호가 변화되는 것
은 아니지만 대상자의 육체적인 충동을 감퇴시켜 그것을 스스로 통제하
는 능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83) 그러나 투약을 중단하면 통상적
으로 7일에서 10일 이내에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독일은 1970년부터 성폭력범죄자에 대해서 징역형과 외과적 거세 중


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을 시행해 왔다.84) 독일 거세법의

81) Matthew V. Daley, A Flawed Solution to the Sex Offender Situation in the Unite
States: The Legality of Chemical Castration for Sex Offender. 5 IND. HEALTH. L.
REV. 87. 2008, p. 98.
82) 이수정·이영점, “Correction for Sex Offender, What Work?”, 소위 ‘화학적 거세’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2010, 29쪽.
83) Melella. J./Travin. S./K. Cullen, “Legal and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Antiandrogens in Treating Sex Offenders”, Bulletin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Law, Vol. 17, 1989, p. 223.
84) 황성기, “상습적 성범죄 예방수단으로서의 거세(去勢)에 관한 헌법적 고찰”, 공법학연구,
제9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8, 130쪽.
41 2013 책임연구과제

정식 법률명은 ‘자의적 거세 및 기타 치료방법에 관한 법률(Gesetz


überdie freiwillige Kastration und die andere Behandlungsmeth-
oden)’로써 1969년 8월 15일(BGB1. I. S. 1143)에 제정 되었으며,
2008년 12월 17일(BGB1. I. S.2586)에 개정되었다. 이 법률의 주요 내
용은 비정상적인 성충동을 가진 중범죄자를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거세
를 시행한다는 내용으로, 성폭력 범죄자 뿐 아니라 살인, 상해 등 중범
죄자 중 비정상적인 성적 충동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동의를 받아 의
사의 진단과 법원의 승인을 거쳐 외과적 거세를 시행하고 있다. 이 경우
에도 본인의 동의와 의사의 진단이 있어야 하며, 요건과 절차가 갖춰지
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가 거세를 시행할 경우 상해죄로 처벌받도록 하고
있다. 독일은 25세 이상의 성인에 대해서만 거세 시술을 허용한다. 그러
나 독일의 경우 거세법은 거의 적용되지 않아 사실상 사문화된 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성폭력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형사제재로 적용되지 않
고 있다.

3)DNA정보 데이터베이스

독일에서는 1990년대 초반 연방 전역에 걸쳐 과학수사 영역에서 유전


자 감식기법이 도입되었고 독일 연방대법원이 형사소송법 제81조의a에
규정되어 있는 신체검사의 의미로 유전자 분석이 범죄행위의 규명을 위
해 허용될 수 있다는 판결85)을 내린 이후로 독일 전역에 걸친 유전자정
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기에 이르렀다.86)

1998년에 설립된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독일의 모든 주와 연방


을 결합한 형태이고, 연방범죄수사국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다. 유전자정

85) BGHSt 37, S. 155ff


86) 이정념,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형사법적 제언”, 정암정성진박사
고회논문집, 박영사, 2010, 938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2

보 데이터베이스는 인적데이터유형과 증거데이터유형으로 나누어 해당


정보가 등록·관리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인적데이터유형은 유전자분
석에 의해 이미 신원이 확인된 자에게서 획득된 유전자정보를 등록·관리
하고, 증거데이터유형은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증거물로부터 획득된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자의 유전자정보를 관리·등록한다.87) 이러한 데이
터베이스는 범죄현장의 흔적 또는 신원불상의 사체로부터 유래된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자로부터 획득한 유전자정보와 신원이 확인된 자로부터
획득한 유전자정보를 비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88)

여기에 입력되는 범죄는 1년 이상의 징역형에 해당하는 모든 범죄이


고, 유죄확정 후 또는 피의자 단계에서 해당 유전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
도록 하고 있다.89) 그렇기 때문에 피의자 단계에서 자료가 입력된 경우
에는 무죄확정 또는 불기소 시점 이후 1년 이내에 자료를 삭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성인의 경우
10년, 청소년의 경우 5년 동안 해당 기록을 보관하도록 규정하여 이후
에는 자료를 삭제하도록 하고 있다.90) 하지만 반복적으로 범죄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록보관을 연장할 수도 있으며 살인이나 성
폭력범죄와 같은 중범죄의 경우에는 기간의 제한 없이 자료를 보관하도
록 규정하고 있다.

4)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치료처우

독일은 범죄인들을 형법상의 규율로 통제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범죄

87) 이정념, 위의 논문, 940쪽.


88) 김성준, “DNA정보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독일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9권 제4호, 한독사회과학회, 2009, 42쪽.
89) Lutz Meyer-Großner, Strafprozessordnung, C.H. Beek, 2007, §81a RN. 2.
90) 이정념, 앞의 논문 941쪽.
43 2013 책임연구과제

율의 감소 방법으로 수형자들을 교정하여 성폭력범죄를 방지하고 사회에


복귀시켜 성공적으로 생활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91) 그러기 위해
서는 전문적인 치료시설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재활과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단순하게 교도소에 수
용되어 수감을 받는 것만으로는 장기적인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보았던
것이다.

1998년 1월에 ‘성범죄 및 기타 위험한 범죄와의 투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그 계기로 독일 행형법 제9조 제1항에 독일 형법 제174조 내
지 제180조 및 제182조에 해당하는 범죄를 범하여 2년 이상의 자유형
을 선고받고 형벌을 집행 받는 수형자들의 경우에는 당사자의 동의여부
에 관계없이 필요적으로 사회치료처우를 받는 대상자로 규정하여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사회치료를 실시하고 있는데,92) 이것은 보안처분과 재범
방지프로그램에 관한 기본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법 개정이 있었다고 해서 이러한 사회치료가 반드시 같은 범죄군에 같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사실 독일의 입법자들은 이미 1998년 형법개정 법률을 마무리하면서


사회치료시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특히 위험한 성폭력범죄자들
을 독일 사회치료시설에 맡기는 것을 목표로 법률을 마무리하였다.93)

특히 뮌헨 교도소에서는 성폭력범죄자에 대하여 다양한 처우와 프로그


램이 실시되고 있는데, 성범죄자들은 처음에 자신이 정신적인 질환이 있
다는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에 천천히 인식의 단계를 먼저 밟
게 된다. 자신이 지금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란 것을 인식하는 시간까지

91) 류여해, “교정시설에서의 성범죄자 재범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47호, 한


국교정학회, 2010. 152쪽.
92) 김혜정, “성폭력범죄자 출소 후 감독제도 효율화 방안”,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2008, 156쪽.
93) 전영실 외, 앞의 보고서, 503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4

보통 6개월 이상이 소요 되는데 치료과정보다 이 단계가 더 어렵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는 대규모의 인력이 투입되는데 기본적으로 수형자 한
명에 치료인력이 20명 이상이 소요된다고 한다. 여기서 특이하게 주목
할 점은 국가는 절대 조급해 하지 않고 천천히 치료를 시도 한다는 것이
다. 한명의 수형자에게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 됨에도 불구하고 단 한
명이라도 재범자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굉장히 진지하고 철저하다.94) 치
료과정 중에 반복적으로 범죄의 성향을 수형자는 보이지만 치료자는 절
대 당황하지도 않으며 포기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다.일본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1)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일본은 유전자감식기법이 형사절차에 도입되면서, 2003년 12월 일본


정부는 범죄대책 각료회의에서 발표한 ‘범죄에 강한 사회의 실현을 위한
행동계획’을 통해 유전자감식의 수사상 활용에 필요한 내용을 검토할 것
과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관련 제도의 정비를 진행하였다.
그 후 일본경찰청은 2004년 12월 강력범죄 재범 방지를 위한 범죄현장
에서 발견된 유류물에서 채취한 유전자감식 샘플을 축적하는 ‘유류자료
DNA형 DB망’을 구축하였다. 2005년 9월에는 강력범죄 피의자로부터
채취한 인체유래감식물을 바탕으로 ‘피의자 DNA형 DB망’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95)

94) 독일의 사회치료시설은 자유형 집행의 한 형태로서의 사회치료처우를 행할 수 있는 독립


적인 형사시설 또는 그 일부이다. 독일에서의 치료프로그램은 각주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치
료시설들이 독자적으로 개별 프로그램들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프로그램 시행 초기에
는 연방 전체적으로 통일된 계획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체계화된 인지행동 및 복
합모델 프로그램이 독일 전체적으로 괄목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를 수용하는 상황이다.
95) 이정념, 앞의 논문, 942쪽.
45 2013 책임연구과제

일본 경찰청에서 구축한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신체적인 특징이


나 병력에 관해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유전자정보만을 수록하고 있고,
이것은 2005년부터 시행된 DNA형 기록 취급 규칙에 의해 국가기관에
서 범죄인들의 유전자검사와 유전정보 수집을 가능하게 하면서 필요한
절차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유전자감식에 사용하는 유전자 마커를 명시
함으로써 다른 부위의 유전자정보에 대해서는 검사나 기록을 하지 않도
록 명문화하고 있다.96) 2006년에는 동 규칙의 개정이 있었는데, 종전의
13개 특정유전좌위에서 17개의 특정유전좌위로 확대하여 정하고 있다.
즉, DNA형을 인간의 DNA 염기서열의 특징에 대해, 특정유전좌위의 특
정 염기서열의 반복 횟수나 특정염기서열의 유·무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
라고 한다. 동 규칙에서 특정유전좌위를 지정하고 있는 이유는 DNA형
기록에 유전정보가 포함된 부분을 제외함과 동시에 개인 식별 목적으로
만 이용하도록 명시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97)

이러한 DNA형 기록은 ① 피의자료 ② 유류자료 ③ 변사자 등 자료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경시청 및 각급 도도부현 경찰본부에 소속된
과학수사연구소가 피의자에게서 채취한 DNA 감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
를 경찰청 형사국범죄감식관에서 전송하도록 하고 범죄감식관은 전송받
은 자료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자료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98) 삭제와 관련해서 피의자 자료의 경우는 사망하였거나 기타
의 이유로 보관이 필요 없을 때, 변사자 자료의 경우는 자료대조가 종료
된 때에 삭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96)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일본경찰청, 범죄용의자 DNA DB, 2005, 14쪽.


97) 이정념, 앞의 논문, 943쪽.
98) 권창국, “.DNA데이터베이스 도입 및 관련법제에 관한 연구”, -미국 등 각국의 DNA데이터
베이스법제 및 관련판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16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2005, 181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6

2)성폭력범죄 재범방지 프로그램

일본은 새로 형이 확정된 수형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범죄자 처우프로


그램 수강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심사를 실시하고, 수강의 필요성이 인
정되는 후보자에 대해서는 심리기관에 의한 상세한 성범죄자 조사를 실
시한 후 처우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수강하게 된다.99) 프
로그램은 인지행동요법을 기초로 하여 재범방지기법 등을 활용하고 있
다.100)

일본의 재범방지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기간은 대상


자의 재범위험이나 처우요구에 상응하여 주2회 8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고밀도 프로그램과 주1회 3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저밀도 프로그램을 수
강하면 된다. 단계는 입문, 본과정, 유지 보수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특징
은 수용기간 동안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몸에 익힐 수 있도
록 한다. 매년 550명 정도의 수용자들이 이 과정에 참가하여 이수하고
있으며, 효과도 어느 정도 입증된 상태이다. 제1단계는 자기통제의 능력
을 함양하고, 제2단계는 왜곡된 인지와 자신의 행동이 행한 결과에 대한
인식을 학습한다. 제3단계는 대인관계의 친밀성을 통한 사람과의 관계의
재학습을 실시하고 제4단계는 자신의 감정의 통제를 배우게 되며 제5단
계는 남의 아픔을 공감 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대신 하
는 감정 이입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학습의 내용을 유지하는 관리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100분 이상 수강 하게 되는데, 8명 정도의 수강자와
2명 정도의 지도자에 의해 구성된다. 집중력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되거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많은 등 통상보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

99) 전영실 외, 앞의 보고서, 635쪽.


100) 재범방지기법이란 인지행동요법의 한 기법으로 재발방지라고 한다. 문제행동에 관련된 요
인을 폭넓게 검토하면서 문제행동에 이르는 과정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러한 과정은 가급적
조기에 효과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체득하게 한다는 구
조를 취한다.
47 2013 책임연구과제

상되는 그룹의 경우 각 회당 80분에서 120분 사이에 설정한다. 일본은


의학, 법학, 심리학, 교육학의 전문가들이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
며 지금까지는 철저한 준비과정을 통한 연구로서 성과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라.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1)신상공개제도

가)개요

2000년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후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었다. 이하에서는 ‘아청법’으로 약칭)의 제정이후 아
동·청소년에 대한 성범죄자들에 대해 여성가족부에서 신상을 등록 및 공
개했으나 2011년 4월 16일부터 성인 대상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고지는 법무부에서 담당하였다. 2012년 12월 18일 성폭력특례법의
개정(2013일 6월 19일 시행)으로, 종전 신상정보의 등록 및 공개 관련
규정이 아청법과 성폭력특례법에 각각 나누어져 있어 이를 담당하는 관
련 소관 부처의 중복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에 관한
사항은 법무부장관이 집행하도록 하고 등록대상자 신상정보의 공개와 고
지는 여성가족부장관이 집행하는 것으로 하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에서는 ‘성폭력특례법’으로 약칭)에서는 관련 규정을 삭
제하도록 함으로써 통일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현재
읍·면·동까지만 공개하던 신상정보를 도로명 및 건물번호까지로 확대하
고 경계를 같이 하는 읍·면·동 게시판에도 신상정보를 고지하도록 하는
등 신상정보고지제도를 확대 하였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8

나)내용

성폭력범죄의 등록에 관하여는 성폭력특례법 제3장에 규정되어 있다.


신상정보등록대상자는 동법 제2조제1항, 제3호·제4호, 같은 조 제2항(제
1항 제3호·제4호에 한정한다), 제3조부터 제15조까지의 범죄 및 아동·청
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의 범죄(이하 "등록대상 성범죄"
라 한다)로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 또는 같은 법 제4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공개명령이 확정된 자는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이하 "등록대상자"라
한다)가 된다. 다만,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제5항의
범죄로 벌금형을 선고받은 자는 제외한다(성폭력특례법 제42조 제1항).

법원은 등록대상 성범죄로 제1항의 판결을 선고할 경우에 등록대상자


라는 사실과 제43조에 따른 신상정보 제출 의무가 있음을 등록대상자에
게 알려 주어야 한다(동법 제42조 제2항). 법원은 제1항의 판결이 확정
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제2항의 고지사항을 서면으로 판결문 등본에 첨
부하여 법무부장관에게 송달하여야 한다(동법 제42조 제3항). 신상정보
제출의무자는 제42조 제1항의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다음
각 호101)의 신상정보를 자신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경찰관서의 장(이하 "
관할경찰관서의 장"이라 한다)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등록대상자가
교정시설 또는 치료감호시설에 수용된 경우에는 그 교정시설의 장 또는
치료감호시설의 장(이하 "교정시설 등의 장"이라 한다)에게 신상정보를
제출함으로써 이를 갈음할 수 있다(동법 제43조 제1항).

성폭력범죄자의 신상등록의 공개와 고지는 아청법 제5장에 규정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정보의 공개에 대해 법원은
다음 각 호102)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 판결로 제3항의 공

101) 1. 성명 2. 주민등록번호 3. 주소 및 실제거주지 4. 직업 및 직장 등의 소재지 5. 신체


정보(키와 몸무게) 6. 소유차량의 등록번호
49 2013 책임연구과제

개정보를 성폭력특례법 제45조제1항의 등록기간 동안 정보통신망을 이


용하여 공개하도록 하는 명령(이하 "공개명령"이라 한다)을 등록대상 사
건의 판결과 동시에 선고하여야 한다. 다만, 피고인이 아동·청소년인 경
우, 그 밖에 신상정보를 공개하여서는 아니 될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판
단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동법 제49조 제1항). 제1항에 따른
등록정보의 공개기간(「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른 기간
을 초과하지 못한다)은 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기산한다. 다만, 공개명령
을 받은 자(이하 "공개대상자"라 한다)가 실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
은 경우에는 그 형 또는 치료감호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집행을 종료하거
나 집행이 면제된 때부터 기산한다(동법 제49조 제2항). 제1항에 따라
공개하도록 제공되는 등록정보(이하 "공개정보"라 한다)는 다음 각
호103)와 같다(동법 제49조 제3항). 공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열람하고자 하는 자는 실명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동법 제49조 제5
항).

등록정보의 고지에 대해 법원은 공개대상자 중 다음 각 호104)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 판결로 제49조에 따른 공개명령 기간 동

102) 1. 아동·청소년대상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자, 2.「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제1항제3호·제4호, 같은 조 제2항(제1항 제3호·제4호에 한정한다), 제3조부터 제15조
까지의 범죄를 저지른 자 3. 13세 미만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를 저지른 자로서 13세 미만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를 다시 범
할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4. 제1호 또는 제2호의 죄를 범하였으나 「형법」 제10조
제1항에 따라 처벌할 수 없는 자로서 제1호 또는 제2호의 죄를 다시 범할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103) 1. 성명 2. 나이 3. 주소 및 실제거주지(「도로명주소법」 제2조제5호의 도로명 및 같은
조 제7호의 건물번호까지로 한다) 4. 신체정보(키와 몸무게) 5. 사진 6. 등록대상 성범죄 요
지(판결일자, 죄명, 선고형량을 포함한다) 7. 성폭력범죄 전과사실(죄명 및 횟수) 8.「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장치 부착 여부
104) 1. 아동·청소년대상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자 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제1항 제3호·제4호, 같은 조 제2항(제1항 제3호·제4호에 한정한다), 제3조부터 제15
조까지의 범죄를 저지른 자 3. 제1호 또는 제2호의 죄를 범하였으나「형법」제10조제1항에
따라 처벌할 수 없는 자로서 제1호 또는 제2호의 죄를 다시 범할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
는 자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0

안 제4항에 따른 고지정보를 제5항에 규정된 사람에 대하여 고지하도록


하는 명령(이하 "고지명령"이라 한다)을 등록대상 성범죄 사건의 판결과
동시에 선고하여야 한다. 다만, 피고인이 아동·청소년인 경우, 그 밖에
신상정보를 고지하여서는 아니 될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동법 제50조 제1항).

고지명령은 다음 각 호105)의 기간 내에 하여야 한다(동법 제50조 제3


항). 제1항에 따라 고지하여야 하는 고지정보는 다음 각 호106)와 같다
(동법 제50조 제4항). 제4항의 고지정보는 고지대상자가 거주하는 읍·
면·동의 아동·청소년의 친권자 또는 법정대리인이 있는 가구, 「영유아보
육법」에 따른 어린이집의 원장,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의 장,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의 장, 읍·면사무소와 동 주민자치
센터의 장(경계를 같이 하는 읍·면 또는 동을 포함한다), 「학원의 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제2조의2에 따른 학교교과교습학원의
장과 「아동복지법」 제52조제1항 제8호에 따른 지역아동센터 및 「청
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제1호에 따른 청소년수련시설의 장에게 고지한
다(동법 제50조 제5항).

고지의 집행은 여성가족부장관이 한다(동법 제51조 제1항). 법원은 고


지명령의 판결이 확정되면 판결문 등본을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법무부장관에게 송달하여야 하며, 법무부장관은 제50조제3항에
따른 기간 내에 고지명령이 집행될 수 있도록 최초등록 및 변경등록 시
고지대상자, 고지기간 및 같은 조 제4항 각 호에 규정된 고지정보를 지
체 없이 여성가족부장관에게 송부하여야 한다(동법 제51조 제2항). 법무

105) 1.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고지대상자는 신상정보 최초 등록일 부터 1개월 이내 2. 금고 이


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고지대상자는 출소 후 거주할 지역에 전입한 날부터 1개월 이내 3.
고지대상자가 다른 지역으로 전출하는 경우에는 변경정보 등록일 부터 1개월 이내
106) 1. 고지대상자가 이미 거주하고 있거나 전입하는 경우에는 제49조제3항의 공개정보. 다
만, 제49조제3항 제3호에 따른 주소 및 실제거주지는 상세주소를 포함한다. 2. 고지대상자
가 전출하는 경우에는 제1호의 고지정보와 그 대상자의 전출 정보
51 2013 책임연구과제

부장관은 고지대상자가 출소하는 경우 출소 1개월 전까지 다음 각


호107)의 정보를 여성가족부장관에게 송부하여야 한다(동법 제51조 제3
항). 공개명령의 집행은 여성가족부장관이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집행
한다(동법 제52조 제1항). 법원은 공개명령의 판결이 확정되면 판결문
등본을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법무부장관에게 송달하여야
하며, 법무부장관은 제49조제2항에 따른 공개기간 동안 공개명령이 집
행될 수 있도록 최초등록 및 변경등록 시 공개대상자, 공개기간 및 같은
조 제3항 각 호에 규정된 공개정보를 지체 없이 여성가족부장관에게 송
부하여야 한다(동법 제52조 제2항).

다)개선방안

개정된 성폭력특례법은 이원화로 관리되던 등록과 고지를 등록·관리는


법무부에서, 공개·고지는 여성가족부가 담당하고 있다. 또한 등록정보의
제출기간의 단축, 성범죄자 관리기간을 20년으로 확대하여 성범죄자의
관리체계를 대폭 강화하였다. 그리고 공개방법도 도로명 및 건물번호까
지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성범죄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이하에서는 그 외에 몇 가지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상공개의 확대이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이


용한 주소지 입력만으로 주변 성폭력범죄자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
고, GPS를 통해 자기의 스마트폰 주변에 거주하는 성폭력범죄자들의 사
진과 주소 및 전과내용을 쉽게 확인하게 된다면 성폭력범죄의 예방에 효
과적일 것이다.

둘째, 성폭력대상자의 취업제한의 확대는 성폭력범죄의 예방에 효과적


인 대책이라고 볼 수 있다(아청법 제56조).108) 문제는 취업의 제한에 무

107) 1. 고지대상자의 출소 예정일 2. 고지대상자의 출소 후 거주지 상세주소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2

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택시기사 등에 의한 성폭력범죄에 대해 빈번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택시기사에 대해 취업 제한을 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대해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침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성
폭력범죄자가 갖는 직업선택의 자유와 선량한 시민이 보호받아야 할 생
명과 신체의 자유를 비교형량 할 때 개인의 보호가 공익적 측면에서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청법 제56조를 개정하여 택시기사도 취업
제한에 포함해야 한다고 본다.

2)전자감시제도

가)개요

108) 1. 「유아교육법」 제2조제2호의 유치원 2.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학교 3.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 학원, 같은 조 제2호의 교습소 및 같은 조
제3호의 개인과외교습자(아동·청소년의 이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학원·교습소로서 교육부장관
이 지정하는 학원·교습소 및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과외교습자를 말한다). 4. 「청
소년 보호법」 제35조의 청소년 보호·재활센터 5. 「청소년활동진흥법」 제2조제2호의 청소년
활동시설 6. 「청소년복지 지원법」 제29조제1항에 따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같은 법 제31
조제1호에 따른 청소년쉼터 7. 「영유아보육법」 제2조제3호의 어린이집 8. 「아동복지법」 제
3조제10호의 아동복지시설 9.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제2호
의 청소년 지원시설과 같은 법 제10조의 성매매피해상담소 10. 「주택법」 제2조제2호의 공동
주택의 관리사무소 11.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체육시설 중 아
동·청소년의 이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체육시설로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지정하는 체육시설
12. 「의료법」 제3조의 의료기관 13.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다음 각 목의 영
업을 하는 사업장 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의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
업 나.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의 복합유통게임제공업 14. 「경비업법」 제2
조제1호의 경비업을 행하는 법인 15. 영리의 목적으로 「청소년기본법」 제3조제3호의 청소년
활동의 기획·주관·운영을 하는 사업장(이하 "청소년활동기획업소"라 한다) 16. 영리의 목적으로
연기·무용·연주·가창·낭독, 그 밖의 예능과 관련한 용역을 제공하는 자 또는 제공하려는 의사를
가진 자를 위하여 훈련·지도 또는 상담을 하는 사업장(이하 "대중문화예술기획업소"라 한다)
17. 아동·청소년의 고용 또는 출입이 허용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이하 이 호에서 "시설등"이라 한다)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형의 시설 등
가. 아동·청소년과 해당 시설 등의 운영자·근로자 또는 사실상 노무 제공자 사이에 업무상 또는
사실상 위력 관계가 존재하거나 존재할 개연성이 있는 시설등 나. 아동·청소년이 선호하거나
자주 출입하는 시설 등으로서 해당 시설등의 운영 과정에서 운영자·근로자 또는 사실상 노무
제공자에 의한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발생이 우려되는 시설 등이다.
53 2013 책임연구과제

전자감시제도(electronic monitroing system)는 일정한 조건으로 석


방된 범죄자가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
한 범죄자의 원격감시제도의 하나로서 새로운 사회내처우의 하나이
다.109) 2006년 발생한 용산 초등학생 성폭력 살해 사건을 계기로 2년여
간의 논의 끝에 2007년 4월 27일 ‘특정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특정 성폭력범죄자에 한하여 예
외적으로 전자감독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후 2009년
5월 8일 법률 개정으로 ‘미성년자 대상 유괴범죄’자에 대해서도 전자감
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법률 명칭도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
적 전자장치 부착에 관한 법률’로 개정하였다.

2010년 4월 15일 에는 살인범죄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함과 아울러 이


법률 시행 이전에 범한 죄로 1심 판결을 선고받아 형 복역 중이거나 출
소한지 3년이 되지 않은 자 등에 대해서도 소급하여 전자감독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012년 12월 18일 법률 개정으로 인해 범죄자
형기종료 후 보호관찰제를 도입하게 되면서 법률 명칭도 ‘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이하에서는 ‘위치추적
법’으로 약칭)’로 개정되었으며, 형기종료 후 보호관찰제를 도입(2013.
6. 19. 시행)하고, 전자발찌 대상 범죄에 강도죄를 추가(2014. 6. 19. 시
행)하게 되었다.

나)내용

특정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에서는 부착명령 청구요건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우선 성폭력범죄의 경
우110)에는 부착명령 청구 대상이 된다. 그 외 미성년자 대상 유괴범죄를

109) Matt Black & Russel G. Smith, “Electronic monitoring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rends & Issues in Crime and criminal Justice 254, 2003, May, pp. 1-6.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4

저지른 사람으로서 미성년자 대상 유괴범죄를 다시 범할 위험성이 있다


고 인정되는 사람에 대하여 부착명령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으며 유죄범
죄 실형 전력이 있는 자에게는 의무적으로 청구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동법 제5조 제2항). 살인범죄를 저지른 사람으로서 살인범죄를 다시 범
할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에 대하여 부착명령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으며, 살인범죄 실형전력이 있는 자에게는 의무적으로 청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5조 제3항).

부착명령 대상사건은 모든 성범죄가 아니라 동법 제2조에서 규정한


특정성범죄에 국한되며 청구요건으로서 성폭력범죄의 재범위험성을 요구
된다.111) 부착명령 청구는 공소가 제기된 특정범죄사건의 항소심 변론
종결시까지 청구할 수 있다(동법 제4조 제3항). 또한 법원은 부착명령을
선고하는 경우 부착기간의 범위에서 준수기간을 정하여 특별준수사항 중
하나 이상을 부과할 수 있다(동법 제9조의 2).112) 한편, 만 19세 미만의

110) 성폭력범죄로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이 그 집행을 종료 후 또는 집행면제 후 10


년 이내에 성폭력범죄를 다시 저지른 때(1호), 성폭력범죄로 전자장치를 부착 받은 전력이
있는 자가 다시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때(2호), 성폭력범죄를 2회 이상 범하여(유죄확정판결
포함) 그 습벽이 인정될 때(3호), 19세 미만의 사람에 대하여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때(4호),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때(5호)에 해당하고
성폭력 범죄를 다시 범할 위험성이 있는 경우 등이다.
111) 대상범죄 중 성폭력범죄는 형법상 제32장 강간과 추행의 죄 중 제297조(강간)·제298조
(강제추행)·제299조(준강간, 준강제추행)·제300조(미수범)·제301조(강간등 상해·치상)·제301
조의2(강간등 살인·치사)·제302조(미성년자등에 대한 간음)·제303조(업무상위력등에 의한
간음)·제305조(미성년자에 대한 간음, 추행) 및 제339조(강도강간), 제305조의 2(상습범),
제2편 제38장 절도와 강도의 죄 중 강도강간(제339조), 해상강도(제340조 제3항) 및 제342
조(미수범) 등의 죄 등이다. 나.「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특수강도강
간 등)부터 제10조(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까지의 죄 및 제15조(미수범)의 죄(제3조부
터 제9조까지의 미수범만을 말한다. 다.「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7조(아동·
청소년에 대한 강간, 강제추행등)의 죄 라. 가목부터 다목까지의 죄로서 다른 법률에 따라
가중 처벌되는 죄 등이다.
112) 특별준수사항으로는 야간 등 특정 시간대의 외출제한(1호), 특정지역·장소에의 출입금지
(2호), 주거지역의 제한(2의2호), 피해자등 특정인에의 접근 금지(3호), 특정범죄 치료 프로
그램의 이수(4호), 그 밖에 부착명령을 선고받는 사람의 재범방지와 성행교정을 위하여 필
요한 사항(5호) 등이 해당된다.
55 2013 책임연구과제

자에 대한 전자장치의 부착은 금지(동법 제4조)되어 있으나 전자장치 부


착은 징역형 집행 이후에 집행되므로 징역형 집행 중 만 19세에 이를
가능성이 있는 자에 대하여는 전자장치 부착명령을 청구할 필요가 있다.

법원은 부착명령 청구가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판결로 부착


명령을 선고해야 한다. 다만, 19세 미만의 사람에 대하여 특정범죄를 저
지른 경우에는 부착기간 하한을 2배로 가중하도록 되어있다(동법 제9조
제1항).113) 부착명령을 선고받은 사람은 부착기간 동안 ‘보호관찰 등에
관한법률’에 따라 예외 없이 보호관찰을 실시하고(동법 제9조 제3항),
준수사항으로 주거지역의 제한을 부과할 수 있으며 주거이전이나 국내외
여행 시 보호관찰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다)개선방안

첫째, 전자감시제도는 원칙적으로 성폭력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입


되었지만 성폭력범죄의 사전적인 예방이 아닌 사후적으로 성폭력범죄에
있어서 범죄를 저질렀다는 증거로서의 기능이 강조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감시제도의 사전적 예방대책이 되기 위해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감시 장치를 부착하고 있는 사람이
근처에 오게 되면 부모나 아이들에게 사진을 포함한 기본적인 내용을 핸
드폰 알림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서 아동·청소년에 대한 사전예방책
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둘째, 감시 인력의 증원과 전문화이다. 전자감시제도는 기계에 의한


형식적인 대면접촉이 아닌 실질적인 감시를 통하여 범죄자의 재범을 방

113) 법정형의 상한이 사형 또는 무기징역인 특정범죄는 10년 이상 30년 이하, 법정형 중 징


역형의 하한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인 특정범죄는 3년 이상 20년 이하, 법정형 중 징역형
하한이 3년 미만의 유기징역인 특정범죄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부착기간을 정하여 부착
명령을 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6

지하는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숙련된 보호관찰관의 증원


이 필수적이다. 보호관찰관의 업무과다는 전자감시제도의 효율성을 저하
시키며 효과적인 전자감시제도의 운용을 방해한다.114) 전자감시대상자는
일반보호관찰 대상자보다 몇 배의 노력과 시간이 투입되는 업무이며 대
상자에게 보호관찰관은 범죄예방의 마지막 보루이이다. 이러한 점을 감
안하여 전담 보호관찰관의 증원과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제도의
정비는 성폭력범죄 예방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즉 관련인력의 사전교육
과 직무교육을 통해 서로의 정보와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전문성을 강화
시켜 나간다면 효과적인 제도로 정착되리라고 생각된다.

셋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115) 전자감시


대상자 중 정신질환, 알코올 중독, 저지능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
형의 대상자들은 전자감시의 영향력이 발휘되는데 한계가 따르는 전자감
시에 적합하지 못한 범죄자이다. 전자감시가 합리적 선택이론에 기반을
둔 제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신질환자 등이 전자감시제도를 이해하고
감당할 능력이 되는지,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는 대상자인지에 대한 진
지한 고찰과 대책이 절실하다. 또한 알코올이 상습 성폭력범죄의 원인으
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장치를 부착
하여 전자감시를 통해 음주여부를 감독하는 방식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하면서 대상자의 유형이나 특징에 따라 전자감시를 차등 적용함으로써
전자감시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전자감시의 방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전자감시 대상자들이 수긍하고 납

114) 전자감시로 인한 성폭력전과 동법 재범률이 시행 전 3년간 14.8%였으나 시행 후 3년간


은 1.67%로 감소하였다는 통계도 있다. 법무부, 보도자료 2013. 1. 1 2쪽; 그러나 우리나
라의 경우 시행초기이고 대상인원이 적기 때문에 법무부의 통계조사의 효과성을 평가하기에
는 이르다는 견해가 있다(정신교, “전자감시제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12
권 제2호, 2011, 221쪽)
115) 김일수, “범죄인 전자감독에 관한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법무부 용역과제, 2005 45쪽
이하; 조윤오,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감독제도의 효과성 연구”, 법무부 용역
과제, 2009.12면 이하.
57 2013 책임연구과제

득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대상자 선정과 이를 위해 과학적인


재범위험성 평가도구의 개발과 검증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성폭력교정프로그램의 강력한 실시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자


감시대상자에 대해 재범방지를 강요하고 있을 뿐, 성행교정을 통한 재범
방지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선 성행교정을 위한 치료프
로그램을 이수한 전자감시 대상자들이 가석방 조항 준수와 재범방지에
더 성공할 경향이 높고,116) 보호관찰 조항을 더 잘 준수하여 범죄를 저
지르고 다시 체포될 확률이 줄어들어 치료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나
타내고 있다.117) 우리나라의 경우 치료감호법을 통해 성폭력범죄자에 대
한 치료가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치료보다는 형벌과 감시에 중점을 두
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치료프로그램을 위해서는 효과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프로그램의 도입과 평가연구, 충분한 연구와 인력의 확보가 우선
되어야 한다.

3)성충동 약물치료제도

가)개요

성폭력 범죄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입법적 강화조치에 대한 논


의는 꾸준히 있어왔으나, 2004년 유영철의 연쇄 성폭행 살인사건을 계
기로 본격적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성폭력 범죄자에게 호르몬 조
절약물을 투여하여 성범죄를 방지하고자 하는 내용의 법률안이 2008년
10월 의원입법으로 발의되었고, 2010년 6월 영등포 초등학생 납치 성폭

116) Jolin, A., & Stipak, B., “Drug treatment and electronically monitored home
confinement: An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sentencing option”, Crime and
Delinquency, 38, 1992, pp. 158-170.
117) Petersilia, J., & Turner, S., “Comparing intensive and regular supervision for high
risk probationers”, Crime & Delinquency, 2003, p. 36.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8

행 사건(김수철사건) 발생을 계기로 법안 심의가 신속히 이루어져, 2010


년 7월 23일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이하 ‘약물
치료법’이라 약칭)이 통과되면서 성충동 약물치료제도가 도입되어 2011
년 7월 24일 부터 시행되고 있다. 약물치료는 성욕을 일으키는 남성 호
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감소시켜 성충동과 성기능을 약화시킴으로써 성
폭력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는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그리고 고환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약물치료는 이러한
테스토스테론의 생성과정의 어느 부분에 작용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생성
을 억제하는 것으로, 작용하는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약물은 다양하다.

나)내용

약물치료의 대상은 사람에 대하여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19세 이상의


성도착증 환자118)로서 성폭력범죄의 재범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 한정
된다. 2012일 12월 18일 법 개정(2013. 3. 19. 시행 예정)으로 16세
미만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는지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
성도착증 환자의 경우로 대상 범위를 확대하였다.119)

검사는 사람에 대해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성도착증환자로서 성폭력범


죄를 다시 저지를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19세 이상의 사람에 대하
여 치료명령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검사는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이
나 감정을 받은 후 치료명령을 청구하여야 하며, 법원은 검사에게 치료

118) 성도착증 환자란 “소아성기호증, 성적 가학증 등 성적 성벽이 있는 정신성적 장애자로서


금고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성폭력범죄를 지은 자(치료감호법 제2조 제1항 제3호)와 정신과
전문의의 감정에 의하여 성적 이상 습벽으로 인하여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
고 판명된 사람”을 말한다(약물치료법 제2조 제1호).
119) 제정 당시에는 대상자를 16세 미만의 아동으로 한정하였으나 최근 연이은 부녀자 성폭력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화학적 거세가 필요한 성충동 범죄자를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개정되었다. 약물치료 대상자를 19세 이상으로 한정한 것은 청소년의 신체적 성장을 보장하
면서도 혈기왕성한 성범죄자의 재범 방지를 위한 것이다.
59 2013 책임연구과제

명령을 청구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동법 제4조). 검사는 치료명령을 청


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보호관찰소의 장에게 범죄의 동기, 피해자
와의 관계, 심리상태, 재범의 위험성 등 치료명령 피청구자에 관하여 필
요한 사항의 조사를 요구할 수 있다(동법 제5조).

법원은 치료명령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15년의 범위에


서 치료기간을 정하여 판결로 치료명령을 선고하여야 하며, 치료명령의
선고는 피고사건의 양형에 유리하게 참작될 수 없다(동법 제8조). 치료
명령의 판결에 피고인의 동의는 요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재판의 청
구와 판결의 선고를 피의자·피고인의 동의에 좌우되도록 하는 것은 보안
처분의 성격에 맞지 않으며, 치료감호는 약물치료보다 더 무거운 처분으
로 장기간 수용하여 치료를 실시함에도 동의를 요건으로 하고 있지 않
고, 동의를 요건으로 할 경우 사실상 제도를 무의미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며, 약물치료를 중단하면 성기능이 회복된다는 점 등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형 또는 치료감호와 치료명령이 병과된 경우 형 또는 치료감호를 먼저


집행하고, 출소 2개월 전부터 보호관찰관이 명령을 집행한다(동법 제13
조 제1항, 제14조 제3항). 성충동 조절 호르몬약물에 따라서 호르몬 투
약 시 최초 약 2주간은 남성호르몬이 과다 분비될 수 있기 때문에 출소
이후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 성욕이 도리어 항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출소 2개월 전부터 치료를 실시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성호르몬 조절
을 통해 성기능을 일시적으로 약화시키는 성충동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
료 등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반드시 병행하도록 규정하였다.

의료법에 따른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의한 약물투여와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보건전문요원 등 전문가에 의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도
록 하여 약물효과 뿐 아니라 자발적인 성충동 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안전한 집행원칙을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10조 제1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0

항 제3호 및 제4항, 제14조 제1항). 치료명령을 받은 사람은 치료기간


동안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호관찰을 받아야한다(동법 제8
조 제2항).

다)개선방안

첫째, 전문 인력의 양성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정신적·심리적 원인


에 의한 성폭력범죄자들을 교정할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의사 이외 교정
을 담당할 공무원, 심리치료에 관여하는 임상심리사, 음악치료사, 미술치
료사 등 각계의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양성된 전문 인력들을
관리하고, 학문적, 임상적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이 필
요하다. 전문가 자격으로 일정수의 집단에 대해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
면 1급, 전문가의 자격을 갖추고 있지만 일정 수 이상의 집단에 대한 진
행 경력이 쌓이지 않았거나 준전문가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다면 2급
등의 자격을 부여하여 경력에 따른 차별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성폭
력범죄자들에 대한 심층평가와 치료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법
무부 교정국 이외에 보건복지부와 정신과 의사협회 등의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를 통해 제도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되어야 하
며, 성충동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로부터 새로운 프로그
램이나 치료기법을 도입하여 시행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성도착판정의 진단 기준의 마련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성도착증


환자의 진단은 자극에 대한 성기의 변화도(Penile Plethysmograph, 음
경체적계)와 정신과에 보편적인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의한 면
담검사와 PCL-R(Psychopath Check List-Revised, 사이코패스 진단도
구), Abel 척도 등으로 성도착증 환자를 판정하고 있다.120) 아직까지는

120) 신의진,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의학적 의견”, 상습적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안을 위한 토론회 자료, 2010, 66쪽 이하.
61 2013 책임연구과제

우리의 현실에 맞는 진단 방법이 없고, 외국에서 서양인을 대상으로 만


들어진 행동적 진단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러한 진단 방법을 적용했을 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이에
우리현실에 맞는 진단 기준과 진단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시급히 해
결해야 할 문제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성충동 억제 약물에 대한 용량, 치료지침, 부작용 정


도를 알 수 있는 과학적 임상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외국의 경우를 참고
할 수는 있으나 그것은 외국인에 대한 임상연구일 뿐, 우리나라 사람에
게 그 효율성과 안정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임상적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
다.121) 또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목적이 성적 충동의 억제를 통한 재범의
방지에 있다면, 필수적으로 약물치료 대상자의 성폭력범죄행위가 성적충
동이나 욕구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기타 요인(약물, 알코올, 반사회적성
향, 폭력적 성향 등)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처음부터 법원에서 치료명령이 내려지지는 않았지만 가석방과 연계되어
약물치료를 성폭력범죄자 본인이 원하여 하게 되는 경우 선별 기준과 약
물투여 효과 및 재범 위험도를 평가하는 기준 역시 새로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재범위험성에 대한 평가기준마련이 필요하다. 성폭력범죄자의


재범위험성 평가가 성충동 약물치료 대상자 선별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현재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감시 대상자를 판정할 때에 한국
성폭력범죄자 위험성 평가기준인 KSORAS(Korea Sex Offender Risk
Assessment)라는 것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122) 미국의 경우 성폭

121) 조철옥, “아동성폭력 범죄자에 화학적 거세에 관한 고찰”, 치안정책연구 제24권 제2호,
치안정책연구소, 2010, 123쪽.
122) KSORAS는 총 15개의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평가되는데, ① 피의자 연령, ② 피의자 혼
인관계, ③ 최초 경찰입건 연령, ④ 성폭력범죄의 유형, ⑤ 성폭력범죄의 횟수, ⑥ 다른 폭
력범죄의 횟수, ⑦ 총 시설수용기간, ⑧ 수용기간 동안의 문제행동여부, ⑨ 피해자 유형, ⑩
피해자의 나이, ⑪ 피해자의 성별, ⑫ 피해자의 수, ⑬ 피해자와의 연령차, ⑭ 현저한 폭력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2

력범죄자의 재범위험성 평가한다는 것은 단순히 성폭력범죄자가 얼마나


위험한 지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재범 위험성의 정도 및 치료프로그램
을 통해 치료되어야 할 위험요인, 보호관찰관이나 교도소 수감 중 교도
및 감독하는데 있어서 어떤 점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까지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성폭력범죄 재범위험성 평가표
는 성폭력범죄자의 범죄경력이나 피해자와의 관계처럼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위험요인들을 대입하여 재범위험성을 평가한다.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


중 Static-99는 성폭력범죄 재발위험성 간편 평가(Rapid Risk
Assessment for Sexual Offender Recidicism :PRASOR)와, 구조화된
단계적 임상판단(Structured Anchored Clinical)을 보완한 것으로 가장
높은 재범예측력을 가지고 있다. Static-99는 아동성폭력범죄 만을 대상
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성폭력범죄자와 살인, 강도 같은 폭력범죄
자의 재범위험성 평가 도구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재범위험성 평가척도
를 개발하기 위한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123)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우리 현실에 맞는 재범위험성 평가 기준이 없다. 즉, 외국의
평가기준으로 재범위험성을 판단하여 대상자를 판별할 뿐 다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축적된 노하우를 가
진 외국의 제도를 도입하여 우리 현실에 맞게 수용해야 될 것으로 본다.

4)DNA 데이터베이스제도

사용여부, ⑮ 범행에 대한 책임 수용 등을 평가하여 이 척도에 의한 평가점수는 0-29점이


며, 13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재범예측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평가기준에
의하면 성폭력범죄자의 재범예측률이 86.1%에 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조철옥, 위의 논문,
123쪽).
123) 조철옥, 위의 논문, 124쪽.
63 2013 책임연구과제

가)개요

2010년 1월 25일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이하에서는 ’DNA법’으로 약칭)이 공포되고, 같은 해 7월 21일 동법 시
행령이 공포됨에 따라 2010년 7월 26일 부터 시행되었다. 그 외 ‘DNA
감식시료의 채취방법 및 지명통보에 관한 지침’도 마련되었다. 동법은
범죄수사, 범죄예방, 국민의 권익보호를 입법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수사
방식으로는 강력범죄의 사전예방 및 범인의 검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검거 후 사후관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범의 위험성이 높았다.
따라서 강력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DNA신원확인정보를 미리 확보하여
관리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범인을 최대한 빨리 검거하고, 죄 없는 용의
자를 수사선상에서 배제함으로써 사건처리기관의 단축과 수사기관의 인
력낭비를 방지하고, 범죄예방의 효과를 제고하고자 입법되었다.

나)내용

방화, 살인, 미성년자 약취·유인, 성폭력범죄, 강도, 마약사범 등 DNA


법 제5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의 선고, 보호관찰명
령, 치료감호 선고, 보호처분 결정을 받아 확정된 사람(수형인 등) 및 위
채취대상 범죄로 구속된 피의자 또는 치료감호법에 따라 보호구속 된 치
료감호대상자 등이 채취대상자가 된다(동법 제6조). 범죄현장에서 발견
된 것이거나 범죄의 피해자 혹은 범죄의 실행과 관련된 사람의 신체나
물건의 내, 외부 또는 범죄의 실행과 관련된 장소에서 발견된 유류물에
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동법 제7조). 판결이 확정된 사람은 검사가
채취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경우는 초동수사를 담당하는 사법경찰관이
채취한다(동법 제8조).124) 채취에 대해 대상자의 동의를 얻거나 검사가

124) 아직 유죄 판결이 선고되지 않은 구속피의자로부터 시료를 채취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논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4

판사에게 청구하여 발부받은 영장에 의하여 대상자의 구강점막을 채취하


는 방법으로 채취할 수 있다(동법 제9조).

판결이 확정된 대상자의 경우에는 검사가, 그 외의 경우는 사법경찰관


이 채취한다. 다만 경찰단계에서 구속된 피의자의 경우 사법경찰관이 법
제6조에 따라 DNA감식시료를 채취하여야 함에도 이를 누락한 채 송치
하는 경우 검사가 DNA감식시료를 채취하여야 할 뿐 아니라, 검찰단계
에서 구속된 피의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검사가 직접 DNA감식시료
를 채취하여야 한다(동법 제6조, 제8조). 판결이 확정된 사람의 데이터
베이스는 검찰에서, 그 외의 경우에는 경찰이 관리하며, 각 데이터베이
스는 연계하여 운용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구속피의자나 범죄현장에서 채취하는 DNA는 강력범죄 발생 시 초동


수사를 경찰이 담당하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며, 데이터베이스 관리주체
를 이원화하여 양 기관간의 정기적 점검을 통해 정확성 제고가 가능해질
수 있다. DNA 감식이 끝난 시료는 즉시 폐기한다(동법 제12조). 또한
대상자가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는 경우나 검찰청에서 혐의 없음 등의
불기소 처분을 받은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DNA 정보를 삭제
한다(동법 제13조).125) 현재 대검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간에 형사사법
정보시스템(KICS) 연계서버를 통해 DNA정보를 수시로 교환하는 시스템
이 구축되어 일치 여부를 회보하여 주고 회신 받고 있다. 다만, 대검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연계서버로 상호 연결되어있기는 하나 시스템 보
안상의 문제로 상대방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검색할 수 있는

란이 있을 수 있으나, DNA 채취는 처벌이나 수사가 아니고 신원확인을 위한 지문채취와


같은 처분이므로 무죄추정원칙과 무관하다는 점, 구속피의자의 여죄를 밝혀 동일 절차에서
일괄재판이 가능하다는 점, 보석 석방된 구속 피의자의 재판 확정 전 재범에 대비할 필요성
이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다수 선진 국가에서도 피의자를 대상자로 하는 등 세계적 추세인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도 구속피의자를 상대로 채취할 필요성은 크다고 할 것이다.
125) 유죄확정자의 DNA 정보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 외국의 입법례에 따라 사망
시까지 보존한다.
65 2013 책임연구과제

시스템은 아니므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DNA-DB 시스템 연계 운영


을 위해 관련기관들이 협의하여 시스템 개선을 위해 상호노력 해야 할
필요가 있다. DNA 데이터베이스 제도 시행 이후부터 2011년 12월 31
일 까지 DNA 정보를 채취하여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함으로써 미제사건
284건을 해결하였다는 점은 DNA 데이터베이스 제도를 활용한 괄목할
만한 성과라 볼 수 있다. 향후에도 DNA 데이터베이스 제도가 흉악범
재범방지를 위해시행중인 전자발찌와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하여
신속하고 획기적으로 흉악범을 검거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개선방안

첫째, DNA신원확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리・감독이 매우 중요


하다.126) 우리나라의 경우는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DNA신원확인정보데이터베이스 관리위원회를 두고
있다51). 관리위원을 국무총리가 위촉하기 때문에 위원에 대한 자질이나
적합성 등이 문제로 나타날 수 있고, 위원들의 의견이 절대적인 것은 아
니기 때문에 신뢰성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위원회는
DNA감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의 양성과 교육에 관
한 사항 및 DNA분석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규범의 마련에도 위원회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좀 더 전문성을 갖춘 위원들이 위원회를 구
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관리주체의 일원화 DNA법은 정보관리주체를 검찰과 경찰로 이


원화하여 검찰총장은 수형인 등으로부터 취득한 DNA신원확인정보에 관
한 사무를 총괄하고, 경찰총장은 대상범죄로 구속된 피의자, 보호 구속
된 치료감호대상자, 범죄현장 등에 유류된 DNA 감식시료의 유전자정보

126) 황만성, “유전자감식정보의 형사절차상 활용방안-유전자감식정보법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 형사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214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6

의 사무를 총괄하도록 하고 있다. 검찰총장 및 경찰청장은 데이터베이스


의 수록내용을 상호 열람, 검색할 수 있도록 전자적으로 서로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DNA관리 주체를 현행법처럼 이원화하는 경우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통해 정보유출에 대한 오남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정보관
리의 효율성 면이나 정보의 보안성 및 안전성의 면에서 타당하지만, 기
관의 이원화는 감정인에 대한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유전자정
보의 유출 및 비용부담의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정보열람청구
시 혼선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일원화하여야 할 것이다.127) 따라서
비효율성과 이중채취의 위험을 방지하고, 재범예방이라는 측면이나 수사
과정에서의 효율성, 감식정보의 오·남용가능성의 축소, 관리비용의 절감
등을 고려할 때 DNA정보관리주체는 일원화하여 관리될 필요가 있다
즉,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정치적 중립성 확보와 민주적 통제를 위해 수
사기관과 분리된 하나의 독립된 기관으로서 DNA정보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등록·관리 범죄의 명확화 유전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


리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입력대상의 범위이다. 입력대상의 범위는 데이
터베이스의 총 규모와 연간 입력규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
이다. 현재 범죄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기록범죄를 입력대상으로 하는
국가는 영국,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등이 있
고,128) 범죄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량이상의 선고를 받은 사람들
로 입력대상을 정하는 국가도 있다. 독일129)과 핀란드는 1년 이상의 징

127) 서계원,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세계


헌법연구, 제16권 제2호, 국제헌법학회, 2010, 221쪽.
128) Peter D. Martin, National DNA databases-practice and practicability, A forum for
discussio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2004, pp. 1-8.
129) 독일은 2001년 독일 동부 지역의 에버스발데에서 12세 소녀 울리케브란트가 강간당한
뒤 교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 이후로 기독교사회당의 노에비르트 가이스 의원은
독일 성인 남성의 DNA 등록을 의무화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모든 사람의 DNA를 등록해
둔다면 성폭력범죄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강한
반대에 부딪치고 법률의 제정은 무산되기도 하였다.
67 2013 책임연구과제

역형, 덴마크는 1년 6개월 이상의 징역형, 스웨덴은 2년 이상의 징역형,


네덜란드는 4년 이상, 헝가리는 5년 이상의 징역형에 해당하는 범죄자들
을 입력대상으로 정하고 있다.130) 우리나라는 DNA데이터베이스제도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입력대상의 범위가 넓
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 대상이 구속된 피의자와 수형자라는 점을 감안
하면 결코 적은 것은 아니다. 생각건대, 재범의 위험성과 불법의 정도가
경미한 범죄에 대해서는 대상범죄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DNA데이터베이스제도의 목적이 재범의 신속한 검거와 동시에 재범을
방지하는 것에 있는 만큼 재범률이 높은 살인, 강도, 성폭력, 아동대상범
죄 등을 중심으로 입력대상을 제한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
이다.

마.비교 및 검토

우리나라 제도의 경우 신상공개제도, 전자감시제도, 약물치료법, DNA


신원확인법 등 성폭력범죄자의 범죄예방과 재범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독일이나 미국, 일본은 범죄예방과 재범방지는 물론 치료처우의 제
도 및 성폭력 재범방지 프로그램을 운용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성폭력범죄
자에 대한 치료가 함께 이루어져 재범방지는 물론 성폭력범죄자의 교정
에 있어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폭력범죄자 신상공개제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신상공개제도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 판결에 의하여 신상정보공개를 하게 되는데 반해 미국에서
는 폭력적 성범죄자의 높은 재범율과 성폭력 대상이 아동일 때 나타나는
사회적 파장 문제를 배경으로 성범죄자 등록제도와 성범죄자 고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신상정보제도는 각 주마다 특징이 있으나

130) 이승환, 앞의 논문, 153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8

거의 대부분 신상공개와 더불어 교도소 출소 후 지역사회로 복귀하는 경


우나 거주지를 옮길 경우 관할 사법당국에 등록을 의무화하는 등록제를
병행하고 있다.

전자감시제도에 대해 독일에서는 2000년 이후 전자감시에 대한 시범


실시를 시행하고 있으면서도 아직 전국으로 확대·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전자감독업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보호관찰관의 부정적
인 입장 때문이다. 전자감시를 담당하는 보호관찰관은 다른 보호관찰관
의 업무에 비해 더욱 더 많은 업무를 하고 있어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이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평생 혹은 장기간의 전자감시는 무


기징역 선고와 보호관찰 조건부로 인한 가석방이 결합되는 방식이기 때
문에 성폭력범죄에 대해 무기징역의 선고가 정당한가 하는 비판이 있을
수 있지만, 전자감시로 인한 이중처벌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자감시제도는 독자적인 형사제재에 속하지 않으며 치료와 교정에 초점
을 둔 집중감시(Intensive Supervision) 보호관찰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성격이 강하다. 다만,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과도한 징역형을
선고해 놓고 이를 토대로 보호관찰부 가석방과 전자감시를 평생하거나
장기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실질적인 효과의 면에서 우리나라의 방식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약물치료법에 대한 독일의 주요 내용은 비정상적인 성충동을 가진 중


범죄자를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거세를 시행한다는 내용으로, 성폭력 범
죄자 뿐 아니라 살인, 상해 등 중범죄자 중 비정상적인 성적 충동이 있
는 사람을 대상을 동의를 받아 의사의 진단과 법원의 승인을 거쳐 외과
적 거세를 시행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본인의 동의와 의사의 진단이 있
어야 하며, 요건과 절차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가 거세를 시행
할 경우 상해죄로 처벌받도록 하고 있다. 독일은 25세 이상의 성인에 대
69 2013 책임연구과제

해서만 거세 시술을 허용한다. 독일의 경우에는 거세법은 거의 적용되지


않아 사실상 사문화된 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성폭력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형사제재로 적용되지 않고 있다.

미국에서는 성폭력범죄자처우의 방법으로 유죄를 받은 범죄자가 자기


스스로 형기를 단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러한 약물의 사용이 신청
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성적일탈 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의 사용을 주정부에 부여하고, 석방의 조건으로 화학적 거세를 선택
하던가 혹은 의학적 거세를 할 것인지 아니면 교정시설에 있을 것인지의
선택권을 범죄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법원의 판결
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성범죄자의 인권침해의 논란의 여지가
있다.

DNA신원확인법에 대해서 독일의 1998년 설립된 유전자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독일의 모든 주와 연방을 결합한 형태이고, 연방범죄수사국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다.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인적 데이터유형과
증거 데이터유형(Spurendatensatze)로 나누어 해당 정보가 등록·관리되
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인적 데이터유형은 유전자분석에 의해 이미 신
원이 확인된 자에게서 획득된 유전자정보를 등록·관리하고, 증거데이터
유형은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증거물로부터 획득된 아직 사원이 확인되지
않은 자의 유전자정보를 관리·등록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범죄현
장의 흔적 또는 신원불상의 사체로부터 유래된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자
로부터 획득한 유전자정보와 신원이 확인된 자로부터 획득한 유전자정보
를 비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의 DNA데이터베이스는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연방차원에서


운영하는 CODIS와 각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현재
미국은 가장 큰 규모의 DNA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모든 주는 유죄
판결을 받은 성폭력범죄자의 경우 유전자 정보은행에 자신의 DNA샘플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0

을 제공하여야 할 법적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일본경찰청은 ‘유류자료 DNA형 DB망’과 ‘피의자 DNA형 DB망’을 구


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일본 경찰청에서 구축한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
스는 신체적인 특징이나 병력에 관해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유전자정
보만을 수록하고 있고, 이것은 2005년부터 시행된 DNA형 기록 취급 규
칙에 의해 국가기관에서 범죄인들의 유전자검사와 유전정보 수집을 가능
하게 하면서 필요한 절차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유전자감식에 사용하는
유전자 마커를 명시함으로써 다른 부위의 유전자정보에 대해서는 검사나
기록하지 않도록 명문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DNA신원확인법에서는 DNA신원확인정보의 관리·운


영의 주체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운영을 통제한 심의기관에 관한 규정
을 두고 있다. 검찰총장은 적용대상 범죄를 범하여 형을 선고 받고 확정
된 사람 등의 DNA정보에 관한 사무를, 경찰청장은 적용대상 범죄를 범
하여 구속된 피의자의 DNA정보와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DNA정보의 사
무를 총괄한다. 따라서 형선고를 받은 사람의 데이터베이스와 피의자의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이원화 하고 있어 운용상의 번거로움과 절차의
복잡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운영 등
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DNA신원확인
정보 데이터베이스관리위원회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71 2013 책임연구과제

I
V.성폭력범죄 수사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지난 10년 동안 우리사회는 국민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수많은 성폭력


범죄를 목격하였고 온 사회가 충격에 빠지기도 했다. 이러한 성폭력 사
건을 겪으면서 우리국민은 우리사회가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감과 함께
경찰의 범죄대응에 대해 많은 불만과 오해를 낳기도 하였다. 최근 세계
사법정의프로젝트(the WorldJustice Project, WJP)가 48개 항목에 대하
여 97개 국가를 대상으로 발표한 2012년 법의지배지수(rule of law
index)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형사사법분야(criminal justice)에서 평점
0.76으로 97개국 가운데에 10위를 차지하였다.131) 이는 영국(0.75), 프
랑스(0.69), 일본(0.68) 등을 앞서는 매우 높은 점수로서 우리사회의 치
안이 비교적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 것이다. 그러나 ‘범죄수사의
효율성’의 항목에서는 0.57의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우리나라와 총
점이 같은 홍콩, 독일이 각각 0.88과 0.76을 기록한 것과 대조된다. 현
재 경찰인력은 매우 우수한 인력이 유입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수사능력의 향상을 위한 각종 제도의 도입과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불안과 경찰의 수사에 대한 불신
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성폭력범죄는 그 범행의 은밀성과 피해자의 수취심 등으로 인해 다른


범죄보다 신고율이 낮고 피의자가 자신의 범행사실을 좀처럼 시인하지
않기 때문에 수사하기 매우 어려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수사에서 대부
분의 사건은 자백에 의해 해결되고 있지만, 성폭력범죄는 피의자의 자백

131) The World Justice Project/rule of law index 2012, 161면(http://worldjusticeproject.


org/sites/default/files/wjproli2012-web.pdf; 검색일: 2013. 8. 20).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2

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수사관은 피해자의 진술에 의존해야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성폭력범죄에 있어서 수집된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
로 피해자에 대한 정확하고 면밀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는 전담 수사관
의 역량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성폭력피해자가 아동이거나 장
애인인 경우 그 대상의 특정을 명확히 인식하고 수사를 진행해야만 실체
적 진실은 물론 2차 피해방지를 담보할 수 있다. 현재 경찰에서는 성폭
력피해자 전담조사관이 배치되어 성폭력전담 수사제가 실시되고 있으나
그 운영상의 미비점과 기존 성폭력수사체계의 한계로 인하여 사실상 성
폭력전담수사제도의 전문성을 살리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
서 본장에서는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체계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다. 또한 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실태와 개선방안, 수사상 피해자보호의
실태와 개선방안, 성폭력범죄 전력자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1.우리나라 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체계

가.경찰의 성폭력수사 실태

1)성폭력범죄 전담 수사대

경찰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성폭력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피해자


를 보호하기 위해 성폭력전담 수사대를 신설하였다. 2010년부터는 아동·
여성 범죄수사 전담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여경기동 수사대를 원스톱 기
동수사대로 개편하여 아동·여성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체계를 구축하였
다. 이후 경찰은 지속적으로 일어나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는 아동성범
73 2013 책임연구과제

죄에 대한 대응책으로 ‘성폭력 특별수사대’를 2010년 7월 7일 발대하였


다. 성폭력 특별수사대는 성폭력뿐만 아니라 여성과 아동 대상 범죄에
대한 수사업무를 수행했던 ‘원스톱 기동수사대’에 지방청의 광역수사대
원 등 전문수사요원을 보강하여 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으로 발대
하였다. 또한 과거 여성 기동수사대나 원스톱 기동수사대 시절에는 생활
안전과 여성청소년계 소속이었지만, 성폭력 특별수사대로 새롭게 발대하
면서 수사 요소의 보강을 위하여 형사과 광역수사대 소속으로 이동하였
다.

2013년 2월 지방청별 ‘성폭력 특별수사대’를 신설하여 아동·장애인 성


폭력을 전담토록 하였다. 예컨대 경북경찰청의 성폭력 특별수사대의 조
직체계는 성폭력수사대장(경감)과 5팀(1팀 2명 구성)으로 운영되고 있
다. 성폭력 특별수사대는 연쇄·광역성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다수인 성
폭력사건, 사회적 이목을 집중시키는 아동성폭력 등 주요 성폭력사건 수
사를 전담하여 수사하고 있다.

<표4-1> 지방청별 ‘성폭력 전담수사팀’ 신설현황132)


구 서 부 대 인 광 대 울 경 강 충 충 전 전 경 경 제

분 울 산 구 천 주 전 산 기 원 북 남 북 남 북 남 주
인원 294 117 23 15 22 11 6 6 55 5 6 5 5 5 5 4 4

경찰서 52 19 4 3 4 2 1 1 10 1 1 1 1 1 1 1 1

2013년 각 경찰청의 성폭력 특별수사대가 발족한 이후 2013년 9월


각 경찰서에 성폭력 전담수사팀을 설치하여 일반 성폭력사건도 가해자
수사 및 피해자 조사·보호·지원이 하나의 전담부서에서 처리될 수 있는

132) 법무부, 보도자료(2013. 9. 5)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4

체계를 마련하였다.133) 각 경찰서에 신설되는 성폭력 전담수사팀은 경찰


서별 성폭력 발생 건에 따라 최소 4명에서 최대 8명까지 차등 배치되며
신속한 사건 수사와 피해자보호를 위해 지구대·파출소와 같이 24시간
상시 운영된다.

각 경찰서 전담수사팀 요원은 성폭력 수사라는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


해 주로 수사·여경 경력자로 선발되었으며, 피해자 대부분이 여성인 점
이 고려되어 이들의 보호·지원을 위한 여경도 총 57명(19.4%)이 포함되
었다. 경북경찰청 구미경찰서의 경우 여성·청소년계에 성폭력 전담수사
팀이 구성되어 있다. 현재 성폭력전담수사팀은 팀장(경위) 1명과 2팀(2
명 1팀) 4명, 총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성폭력범죄 수사절차

통상적으로 범죄수사는 수사기관이 형사사건에 관하여 공소를 제기하


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준비로서 범인을 발견, 보전하고 증거를 발견,
수집, 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이다. 즉 수사는 공소의 제기·유지를 위
한 준비행위이다.134) 성폭력범죄 수사는 수사기관이 범죄의 혐의가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에 공소제기 유무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안의 진상을 명
백히 하고 나아가 공소제기·유지하기 위한 준비로서 범인을 발견 보전하
고 증거를 발견 수집 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이다.

133) 성폭력 전담수사팀은 구체적 운영방안과 수사실무 지침 등 마련을 위하여 2013년 6월부
터 8월까지 3개월간 서울 관악경찰서에서 시범 운영되었다. 우선 성폭력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52개 경찰서에 먼저 신설된 후, 2014년 293명, 2015년 292명 등 총 879명의 인력을
연차적으로 확보하여 모든 경찰서에 전담수사팀의 설치가 추진된다.
134) 권오걸, 형사소송법, 형설출판사, 2010, 189면; 이은모, 형사소송법, 제3판, 2012, 165면
이재상, 형사소송법, 제9판, 박영사, 2013, 185면; 손동권 형사소송법, 개정신판, 2010, 세
창출판사, 155면;
75 2013 책임연구과제

<그림 4-1> 성폭력범죄 수사절차

신고접수 112, 지역경찰, 경찰서에서 신고접수


↓ ↓
현장출동 지역경찰, 강력당직, 과학수사팀의 현장출동
↓ ↓
지역경찰은 바로 피해자를 원스톱지원센터로 인계(피
피해자 인계
해자전담 여경 수사관이 피해상황 파악)
↓ ↓
해당 경찰청, 경찰서 등의 성폭력전담 팀이 주체가 되
초동수사
어 초동수사실시
↓ ↓
피해자 전담여경수사관과 범죄 분석관의 의견을
수사착수
종합하여 수사착수

성폭력 사건의 신고가 접수되면, 지역경찰관은 형사과 강력당직에게


피해자의 신고 내용 즉 현장과 용의자 및 피해자 상태만 구두보고 하고,
피해자를 원스톱지원센터로 인계한다. 강력당직 팀은 담당형사를 지정하
여 원스톱지원센터로 보내 피해자가 피해자진술조서를 작성하고 있을 때
외부에서 청취하여 자세한 상황을 팀장에게 구두보고 하고, 발생보고서
는 피해조서를 받은 성폭력전담수사관이 작성하고, 그 후 성범죄전문수
사대와 함께 초동수사를 진행한다. 위에 예시된 사건일 경우 성범죄전문
수사대가 주체가 되어 본격적으로 수사를 착수하면 된다. 지방청에서 운
영하는 성폭력 특별수사대는 아동·장애인 성폭력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
행한다.

3)성폭력피해자 보호

가)ONE-STOP 지원센터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6

ONE-STOP 지원센터는 성폭력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인권보호 및 신


속한 피해회복을 위하여 기존 시스템의 문제를 보완과 더불어 통합 지원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피해자를 위한 통합지원체
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24시간 ONE-STOP 서비스를 위한 상담원 채
용과 상담시설의 구축과 더불어 여러 분야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ONE-STOP지원센터는 피해자에 대한 수사지원, 상담지원, 의료지원, 법
률지원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365일 24
시간 통합 지원하고 있다. 또한 여성 경찰관이 상주하면서 피해자에 대
한 수사지원(피해조서 작성 및 수사연계)을 하고 있어 기존의 피해자가
병원과 경찰서를 오가며 2, 3차 피해에 노출되었던 단점을 보완하고 있
다.

경찰은 성폭력 등 범죄피해를 당한 여성·아동의 체계적 보호와 성폭력


등의 범죄의 효과적인 수사를 위해 2005년 8월 31일 경찰병원에 여성·
학교폭력 피해자 ONE-STOP 지원센터를 최초로 개소한 이래 각종간담
회, 관련부처 협의회 및 설명회 등을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ONE-STOP
지원센터의 전국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다. 그 결과 경북·울산·강원·충북
등 전국 14개 지역에 15개 센터가 설치되었으며, 2008년 12월에는 서
울 서남부 지역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서울시 보라매병원에 센터를 추가
설치하였다.

2009년에는 원스톱 센터가 없었던 충남, 전남 지역 등에 원스톱지원


센터 개소를 목표로 노력을 기울인 결과 2010년 1월부터 충남, 전남지
역 내 개소를 완료하였고 2011년 서울(서울대병원), 경북(포항선린병원)
에 센터 2개소를 설치하여 현재 경찰관이 상주하며 수사지원부터 상담․
의료․법률지원까지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지원센터’ 18곳과 여기에 심
리치료 기능이 더해진 ‘해바라기 여성·아동센터’ 7곳 등 전국적으로 총
25개소를 설치·운영 중이다. 전국에 총 25개 센터를 운용하고 있다.
77 2013 책임연구과제

<표4-2> ONE-STOP 지원센터 운용현황135)136)

계 위치 개소 설치병원
경찰병원
서울 3 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동아대병원
부산 2
부산의료원
대구 1 대구의료원
인천의료원
인천 2
인천성모병원
광주 1 조선대병원
대전 1 충남대병원
울산 1 울산병원
아주대병원
25 경기 3 의정부병원
아산한도병원
강릉동인병원
강원 2
강원대병원
충북 1 청주의료원
충남 1 단국대병원
전북 1 전북대병원
목포중앙병원
전남 2
성가롤로병원
안동의료원
경북 2
포항선린병원
경남 1 마산의료원
제주 1 한라병원

ONE-STOP 지원센터는 2005년 서울 송파구 소재 경찰병원을 시작으

135) 서울대병원․동아대병원․울산병원․강릉동인병원․강원대병원․목포중앙병원 원․포항선린병원 등


7곳은 심리치료 기능이 포함된 ‘해바라기 여성․아동센터’임
136) http://polinlove.tistory.com/6490 검색일 : 2013. 11. 25.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78

로 전국에 25개소가 운용 중에 있다. 지원센터에는 여성 경찰관·상담사·


간호사 등이 24시간 상주하면서 성폭력·학교폭력·가정폭력·성매매 사건
피해자들에게 의료·상담·수사·법률 등의 통합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137) 또한 병원진료 후 피해자가 진술녹화 및 조서 작성을 위해 경
찰서에 가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센터 내에 진술녹화실을 설치하여
이중조사로 인한 불편이나 수치심 유발 등의 발생 가능한 2차 피해를
방지하고 있으며, 피해자 치료 및 증거채취를 위해 최첨단 의료장비를
갖춘 영상진료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법률구조공단이나 민주화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에 소속된 전문 변호사들이 고소 및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 소송지원과 범죄피해자 구조에 관한 무료 법률상담을 실시하
고 있다.

<표4-3> 2008-2013년 ONE-STOP지원센터 운영실적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7월


방문자 (명) 10,074 10,471 13,211 12,722 14,423 11,042
지원 건(건) 35,643 41,180 52,647 57,717 69,376 50,532

※ 지원 건수는 상담, 진료, 증거채취, 진술녹화, 피해자조서작성, 전문가


참여 등의 통계이다.

<표 4-3>에 보는 바와 같이 2008년-2013년 7월까지 ONE-STOP


지원센터는 성폭력 등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담, 진료, 증거채취, 진술
녹화, 피해자조서작성 등을 처리하였다.138) 2013년 7월 말까지 센터를

137) 서울 경찰병원 원스톱지원센터의 구성은 팀장 이하 상담지원(상담사 5명), 의료지원(간호


사 1명 및 경찰병원 의료진), 수사지원(경찰관 4명), 법률지원(무료법률자문변호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http://www.smonestop.or.kr/intro/intro03.asp : 검색일 2013. 11. 25)
138) 특히, 신분노출에 대한 부담으로 신고나 법적 대응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던 피해자들
이 ONE-STOP 지원센터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피해에 대응하게끔 도움을 주고 있다.
79 2013 책임연구과제

방문한 사람은 11,04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106명에 비해 36%가


증가하였고, 이들에 대한 상담·진료·진술녹화 등 지원실적은 50,532건으
로 지난해 같은 기간 38,834건에 비해 30% 가량 증가하였다.

나)진술녹화실 운영

2003년 12월 11일에 개정된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13세 미만 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진술녹화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한 후 2006년 10월 27일 법률이 재개정되어 진술녹화
의 의무대상이 16세 미만 아동 및 장애인으로 확대되었다. 진술녹화실
운영의 목적은 의무적 진술녹화 대상인 성폭력 피해아동 및 장애인은 물
론 일반 성폭력·가정폭력·아동학대·청소년사범·성매매·청소년성매매 등
범죄 피해자에 대해서도 진술녹화를 실시하여 수사기관 및 법원에 반복
출석하면서 생길 수 있는 인권침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 지방경찰청, 경찰서, ONE-STOP 지원센터에 진술녹화


실을 설치하여 성폭력 피해아동에 대한 별실조사와 함께 아동성폭력범죄
에 대한 상담 및 수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2년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총 987건의 진술녹화를 실시하였고 일반 성폭력·가정폭력·아동학대·성매
매 등의 피해자에 대해서도 총 4,065건의 진술녹화를 실시하였다.

다)성폭력수사 전문 과정 및 아동성폭력 심리전문가 활용

성폭력 등 여성 피해자의 수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하고 조사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찰은 경찰수사연수원에
「성폭력 수사 전문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 성폭력 사건과 관련하여 피해아동 진술의 증명력을 확보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0

하고 아동의 눈높이에 맞춘 조사를 위해 조사과정에 전문가가 참여하여


진술을 돕고 있다. 이는 성폭력피해아동의 진술시 전문가가 참여하여 성
폭력 피해아동 진술에 대한 과학적 분석 후 수사 재판의 증거자료로 활
용하고, 2차 피해 방지 및 아동의 진술의 증거능력 및 증명력을 제고하
기 위한 제도이다. 2009년 10월말 기준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5개
ONE-STOP센터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었고, 2013년 전국 25개 원스톱
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다.

나.경찰의 성폭력범죄 수사 개선방안

1)수사 인력의 전문성 확보와 교육

성폭력범죄의 특성상 성폭력전문가는 범죄의 수사뿐만 아니라 피해자


의 보호와 지원에도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경찰도 성폭력 전문가를 육
성하여 성폭력범죄의 수사와 피해자의 보호와 지원에 노력해야 할 것이
다. 이러한 방안으로는 선발된 ‘피해자심리전문요원 중 전공이나 본인의
의사에 따라 지원자를 선발하여 아동성폭력 전문가로 육성하는 방안과
성폭력 전담조사관, 성폭력 특별수사대의 대원, 원스톱지원센터의 직원
등의 아동성폭력 담당 경찰인력 중 일정 경력 이상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지원자를 선별하여 국내외의 교육을 통해 아동성폭력 전문가로 키우는
방안 등이 있다.139)

성폭력범죄를 수사하는 경찰관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도 필수적이다.


성폭력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이해와 수사과정에 있어서의 피해자

139) 경찰은 범죄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2010년 「인권보호 종합대책」을 수


립하고 서울ㆍ부산ㆍ대구ㆍ인천ㆍ경기 등 대도시권 5개 지방경찰청에 심리학 전공 학위 소
지자 또는 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자 11명을 ‘피해자심리전문요원’으로 선발하
였다.
81 2013 책임연구과제

의 입장 등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면 수사 시 성폭력피해자의 심리적·정


신적 상태를 고려하고 조사 받는 피해자가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는 점
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경찰은 경찰대학, 경찰교육원,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등의 경


찰교육기관에 필수적으로 성폭력범죄 강좌를 실시하고 전문상담기관의
상담실무과목을 도입하여 경찰관들의 아동성폭력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에 대한 변화를 가져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성폭력범죄에 대한 교육이
시도되고 있으나 교육시간이 단기간이고 그 참여도 활성화되지 않아 형
식적인 교육에 그칠 우려가 많다. 따라서 성폭력전담조사관, 성폭력특별
수사대, 원스톱지원센터 등 아동성폭력범죄 사건을 담당하는 경찰관에게
는 일정시간 이상의 지속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
고 성폭력범죄에 대한 국내외의 수사기관이나 의료기관, 학계의 전문가
등을 초청하여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하겠다.

2)현행 수사구조의 현실화

현행 수사구조는 1차적으로 경찰에서 수사를 하고 경찰수사가 마무리


되면 수사 자료를 검찰로 송치하면서 검찰에서의 2차 수사가 시작된다.
검사는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사료할 때는 범인, 범죄사실과 증거를 수
사하여야 하며(형사소송법 제195조), 사법경찰관은 검사의 지휘를 받아
수사를 하여야 하며(형사소송법 제196조 제1항), 현행법상 검사의 기소
독점주의에 의해 검사가 공소를 제기함으로 수사는 종결된다. 또한 경찰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상의 내용을 피의자였던 피고인이 공판과정에서
경찰조사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할 경우 증거능력이 부정되나, 검찰작
성의 피의자신문조서는 조서에 피의자가 간인, 서명, 날인한 사실과 그
진술이 강압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임의성이 인정되면 증거능력이 인정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2

된다. 또한 검사의 독점적인 영장청구권으로 인하여 경찰수사의 문제점


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형사소송법상의 구조로 인해 경찰이 성폭력 사건 수사의 문제


뿐만 아니라 성폭력 피해자의 경우 법원에서의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
해서, 혹은 수사 종결을 위해서 같은 피해내용에 대하여 경찰조사에서와
똑같은 방법과 절차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되는 피해를 받고 있다. 이는
피의자 중심의 형사절차로서 범죄피해자에 대한 입법적 고려는 결여되어
있다. 피해자 중심의 수사와 수사 효율성을 위해 최근 경찰에서는 검사
의 기소독점에 대한 문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찰의 수사권
현실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형사절차에 있어 2차, 3차
피해가 가해지고 있는 성폭력범죄에 있어 검사에게 독점되어 있는 수사
종결권에 대해 경찰에서 인지한 성폭력범죄는 경찰에서 행사할 수 있도
록 함으로서 경찰·검찰에서의 반복조사로 인한 피해 방지의 대안으로 검
토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피의자신문조서 증거능력에 있어 검찰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와 마찬가지로 피의자였던 피고인이 조서의 성립 진정과
임의성에 대한 인정이 있으며 범행을 인정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입법론적 검토가 필요하다.

3)검·
경 성폭력 협력수사제의 도입

검찰과 경찰의 협력수사제를 통해 성폭력 사건을 해결하는 방법을 고


려해 볼 수 있다. 그동안 검·경 협력수사팀은 사안이 중대하고 법질서를
심각하게 해치는 사건에 대해서 검찰에 한시적으로 조직되어 경찰의 수
사 활동을 검찰이 지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성폭력사건은
일시적으로 경찰과 검찰이 협력한다고 근절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
문에 성폭력사건 일체를 전담하는 검경협력수사제도를 도입하여 경찰과
83 2013 책임연구과제

검찰뿐 아니라 형사사법기관 및 관련 정부부처 등과 상호 협력하는 체제


로 운영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성폭력사건을 담
당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청소년·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시도하
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검·경 성폭력협력수사기구는 광역단위로 관할의 특례를 두어 지방검찰


청 단위 또는 고등검찰청 단위의 검찰청에 전담검사와 검찰수사관, 전담
경찰관 등으로 구성되는 광역수사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초동단계에서부터
수사를 지휘하고 경찰과 합동수사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과 제도
로 규정되고 있다. 이 방안의 장점은 성폭력피해자의 신빙성 있는 진술
을 확보하기 위한 수사역량의 집중과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고, 피해자
의 이중조사의 폐해를 방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사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수사에 있어서 기소여부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증인과 피해자를 조사


하지 않거나 조사에 간접적으로 관여한 채 기소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
한 일이다.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에는 그 진술의 신빙성 검증을
위한 조사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그러나 현재 성폭력전담검사는 경
찰의 피해자진술녹화 현장에 거의 참여하지 못하는 현실이고, 검찰 측의
재조사가 불가피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검·경 성폭력협력수사
기구를 도입하게 되면 이러한 중복조사의 문제가 해소될 뿐만 아니라 성
폭력 사건을 더욱 신속하고 전문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검·경 성폭력협력수사제는 현재 우리나라의 형사법 구조상 검찰과 경찰
관의 역학관계로 그 실현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 예상되지만 검·경성폭력
합동수사제가 현실화된다면 성폭력사건에 있어 피해자의 중복조사 여지
를 제거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사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사의 투
명성과 과학화를 촉진시키는 등 수사시스템 전반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
져올 수 있을 것이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4

4)효율적인 수사지원의 구축

성폭력 특별수사대와 성폭력 전담수사팀은 현재의 인원과 함께 범죄분


석관, 원스톱지원센터가 한 팀으로 운영되어야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
용이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140) 최근 성범죄의 증가에 따른 상황을 가
정한다면 성폭력수사대의 인원을 보강하고 성폭력수사대장의 총지휘를
경정으로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성범죄 특별수사대
의 팀에는 원스톱지원센터의 여경조사관, 성범죄전담수사관, 범죄분석관
이 1팀으로 구성되어 성범죄 발생의 초기부터 피해자 보호 수준의 피해
자 조사, 프로파일링 등 과학적 수사기법을 통한 검거활동, 검찰과의 원
활한 협조를 통하여 기소와 피해자의 공판 참여까지 일련의 수사과정을
총괄하는 시스템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성폭력범죄와 관련된 수사기법의 개발, 성폭력피해자와의 장기


적인 보호프로그램 개발, 여성사회단체와의 교류 등을 통해 성폭력범죄
의 수사능력과 피해자 보호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2.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

가.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 실태

1)과학수사의 의의

140) 이 경우 원스톱 지원센터의 조직상의 직원이 아니라 조직적·유기적으로 운용되는 팀도 고


려될 수 있다.
85 2013 책임연구과제

통상 과학수사(Scientific Investigation)란 “과학적 지식과 과학기구


및 시설을 이용하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수사행태”라 정의할 수 있다.
즉 과학수사란 과학기술․과학기기 및 시설을 이용하거나 과학적인 방법
으로 행하는 모든 수사를 지칭하는 것이다. 과학수사와 관련한 개념으로
법과학(Forensic Science)이 있다. 법과학은 과학적인 관찰 및 실험을
통하여 수사 및 재판에 필요한 증거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수사를 직
접 뒷받침하는 학문으로서, 감정․감식에 관한 과학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과학수사나 법과학은 과학의 특성인 객관성․확실성․효율성 등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신문위주의 수사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사방법이다. 과학수사
나 법과학은 법원의 판결에 의해 진술거부권이나 자백의 보강법칙 등 인
권보장을 위한 각종 제도적 장치들이 날로 엄격히 지켜지고, 범죄수법
또한 날로 지능화․광역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 범인의 식별․증거의 수집
분석 등 수사의 가장 중요한 분야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보편적
인 수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 실태

가)과학적 감식제도의 미비

성폭력범죄의 특성상 종래 진술위주의 수사가 인권침해의 여지와 진술


의 불확실, 번복 등으로 사건해결의 혼미를 초래하여 국민으로부터 경찰
수사에 대한 신뢰 저하의 원인이 된 점을 인식할 때 과학의 확실성과 유
용성을 감식에 적용하는 과학적 감식이 성폭력범죄에 대한 수사력 강화
의 첩경이다. 현장 감식은 아직 감정에 이르기 전에 범죄가 행하여진 장
소나 범죄의 의심이 있는 장소에 임하여, 현장 및 피해상황과 유류(遺
留)된 자료에 대한 관찰, 사진촬영, 지문채취 등의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하여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고 범인을 검거한 후 범죄사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6

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마련하는 수사 활동이다.

성폭력범죄 수사의 경우 초동수사에서의 신속하고도 과학적인 현장 감


식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은 모든 경찰관들이 공감하면서도, 실무에서는
대개가 사건발생지 파출소로 신고 되어 형사과 감식요원 등 전문요원이
도착하기 전에 관할 파출소 경찰관들이 먼저 현장에 출동하는 경우가 많
이 발생한다. 그러나 파출소 직원들의 전문성과 경험부족으로 인해 현장
감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초동수사 활동인 현장보존 등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현재 형사과에 소속 되어있는 감식요원들도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상


비교적 기본적인 감식 기술만 습득한 후 전문적인 감식교육이나 직무 교
육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각종 첨단장
비 사용법을 숙지할 기회가 많이 없어서 실제로 첨단장비의 활용이 활성
화되지 않고 있는 등 아직도 인력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약간은 미숙한 부분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학부전공에서 기초영역만 있을 뿐 이를 응용한 법과학적 감정업무 인력
을 양성하는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감정업무 전
문가의 필요성은 절감하면서도 이에 대한 경찰의 구체적인노력은 없는
실정이다.

나)과학수사 인력의 부족

일반적으로 사건현장의 증거 채증은 경찰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증


거 채증 이후의 증거물에 대한 전문적인 확인․감정은 국립과학수사연구
원 또는 지방 분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표 4-4>에서 보는바와
같이 2008년부터 2012년 까지 최근 5년간 감정처리 현황을 보면 2010
년을 제외한 모든 해에 걸쳐 감정요구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87 2013 책임연구과제

일선경찰서에서 수집된 감정의뢰물의 감정에 대부분 5일내지 10일이 소


요되고 있어 현대범죄의 고속화․지능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국과원의 과중한 업무부담 및 경찰과 국과원의 기능이 유기적


으로 연계되지 못하여, 성폭력범죄에 대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표4-4> 국과원 감정처리 현황, 2008-2012141)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감정처리건수 256,386 278,040 276,614 297,357 298,729
연도별 증가율 14.2 8.4 -0.5 7.5 0.5

나.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 개선방안

1)과학수사체계의 확립

가)과학수사 기법의 도입

범죄수사는 실체적 진실발견과 인권보장이라는 두 개의 이념이 충돌하


는 분야이다. 인권의 강조는 수사 활동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고, 실체
적 진신발견을 중시하다 보면 수사 활동의 위축을 초래한다. 이 두 개의
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이 과학수사이다. 과학수사는 과학의
특성인 객관성과 확실한 증거를 발견하여 진술위주 수사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증거확보에 있어서 피해자의 진술에 의존하
는 경우가 많은 성폭력범죄의 경우 과학적 방법에 따른 수사방법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141) 국립과학수사연구원(http://www.nfs.go.kr)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88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 새로운 과학수사의 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원자력과 관련된 학문의 진보로 1960년대에
중성자방사화분석이 개발되었고, DNA의 구조에 관한 분자생물학의 연
구 성과로 유전자 감식 등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레이저기술, 정보통
신공학의 발전이 과학수사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미국, 영국, 캐나
다 등의 경찰들은 과학기술 및 정보기술을 이용한 첨단시스템과 장비들
을 수사실무와 치안행정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DNA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응용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적 지원을 확대하
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강력범죄 수사에 적용하는 폭력범죄 연관분석 시스템
VICLAS (Violent Crime Linkage Analysis System)142)를 개발하여 활
용 중이다. 한편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경찰은 범죄지도 분석(Crime
Map Analysis)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143) 이를 치안실무에 활
용하여 효과를 거두고 있다.

나)감식기능의 활성화

성폭력범죄에 대한 과학적·효율적 감식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제시된다. 첫째, 충분한 감식인력의 확충이다. 다시 말해 수
사 활동을 위한 엄청난 감식자료가 수집·보관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경찰청 과학수사센터를 확대·보강해야 할 것이다.144)

둘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수사지원체제의 문제이다. 현재 국립과학

142) 피해자의 특징이나 범행도구, 결박 방법 등이 유사한 사건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 범


인의 특징을 파악한 뒤 수사에 활용하는 수사방식이다.
143) 안정행정부는 2014년 하반기에 범죄 지도를 일반에 공개한다고 한다.
144) Saferstein, R, Criminalistics(8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2004, p.
361; 우리나라도 1991년부터 대검찰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유전자 감식을 하고 있
다.
89 2013 책임연구과제

수사연구원의 인력들은 경찰관이 아니라 연구원 신분으로 수사권이 없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는 현장에 직접 임장하지 않고 경찰로부터 의뢰
된 사건만을 조사할 뿐이다. 따라서 효율적 범죄수사를 위해서는 국립과
학수사연구원에 법의학 전문가를 증원하여 수도권 및 국립과학수사연구
원의 분원이 소재한 지역의 중요사건의 경우에 반드시 합동으로 현장 감
식이 이루어져 수사지도와 범인 조기검거에 필요한 자료수집 발견 등 경
찰수사를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145) 또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와 경찰청 과학수사센터와의 긴밀한 연계체제의 구축
을 통해 실시간 협조체계로 합동 수사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각 경찰서에서 강력사건(특히 성폭력사건)의 경우 유·무형의 현


장 감식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유사한 사건발생 지역 경찰서에서
수사 시 참고하도록 하고, 더불어 경찰종합전산망을 활용한다면 불필요
한 감정기일 소요로 인한 수사의 신속성 저하 등의 문제점 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경찰청 과학수사센터는 경찰청 종합전산망을 이
용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문이나 족 흔적, 몽타주나 각종 과학수사
자료를 지방청과 경찰서에서 곧바로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감식요원에 대한 전문교육 실시

감식활동은 다양한 분야에 걸친 폭넓은 지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감식요원은 감식에 관한 지식 없이 경험만으로 감식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미국에서는 법 과학 분야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전문특수교육
과정을 이수한 경찰관 또는 민간인 전문가146)가 엄격한 프로토콜에 따

145) 김효정, “경찰의 강력범죄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5-138쪽.
146) 과학수사전문가(Forensic Specialist)로 인식되는 범죄현장조사관 혹은 증거채취전문관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0

라 체계적으로 범죄현장을 조사하고 증거물을 채취하며, 채취된 증거물


은 경찰, 정부, 대학병원 또는 인증 받은 민간연구소의 전문적인 과학수
사 실험실에서 검사·분석·평가된 후 법정증거자료로 제출 되고, 이 과정
에서 참여한 전문가들은 법정에 진술서를 제출하거나 전문가 증인
(expertwitness)으로 출두하여 증언하는 것이 필수적인 과학수사 절차
이다.147)

국제감식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dentification)의 4단계


과학수사요원자격증(Crime Scene Certification)취득제도는 미국 전역의
법집행기관에서 통용되는 과학수사요원 자격증 제도이다.

영국의 범죄현장수사관 혹은 현장조사관은 증거수집 및 분석 전문가로


지문과 DNA 샘플을 비롯한 모든 증거자료들을 현장에서 찾아내는 기술
과 전문장비사용에 대한 특별훈련을 받은 경찰관 및 특별채용 된 과학수
사전문가로 경찰서 단위 또는 지방경찰청 단위의 감식과 또는 과학수사
지원과에서 근무한다.148)149)

우리나라 경찰에서도 경찰관에 대한 전문 과학수사 과정을 관련 대학


과 공동으로 신설하거나 위탁하는 한편, 민간의 법과학자와 법의학자를
과학수사요원으로 특채하는 등의 과감한 개선조치를 취해나가야 할 것이
다.150) 향후에는 변사조사 뿐만 아니라 특히 성폭력범죄에서 활동할 수

(Crime Scene Investigator or Evidence Recovery Technician)의 임무는 범죄현장에서의


증거채취에서부터 증거자료분석 및 법정증거제출 준비까지의 업무를 전담하며 지역에 따라
경찰관이 담당하기도 하고 민간인 전문가가 담당하기도 한다.
147) 조병인, “우리나라의 법과학연구 및 과학수사 실태와 발전방향”,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1198-1204쪽.
148) 유재설, “법과학대학원 도입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2호, 동국대학교 사
회과학연구원, 2010, 363쪽 이하.
149) 영국 런던수도경찰청 부설 과학수사학교의 교육 및 훈련과정은 런던 킹스칼리지(King' s
College London)의 평가와 자문을 받아 구성하며, 성공적인 과정이수자는 킹스칼리지에서
과학수사 준학위(Diplomain Fingerrint Expertise and Scene of Crime Examination)를
수여받는다.
150) 현재 경찰청 과학수사센터에서는 정확한 사인규명과 전문적인 사체감실을 위해서 2005년
부터 연차적으로 변사조사관을 특별채용 하여 각 지방경찰청에 배치하여 보다 정확한 사인
91 2013 책임연구과제

있는 전문요원의 채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2)전문 수사관의 선발 및 교육훈련 강화

가)전문 수사관의 선발

미국 FBI의 경우 특정 전공자를 범죄 심리분석관(Profiler)으로 선발


하지는 않으며, 범죄 심리분석관(Profiler)이라고 부르는 직책도 가지고
있지 않고, 프로파일링 관련 임무는 흉악범죄분석센터(National Center
for the Analysis of Violent Crime)에 배치된 감독직 특별수사관
(Supervisory Special Agent)에 의해 수행된다. 흉악범죄분석센터에 들
어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특별수사관으로 3년 간 근무해
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부서에 선발된 사람은 대부분 특별수사관
으로 8-10년의 수사경험을 가지고 있다. 흉악범죄분석센터는 다양한 배
경의 특별수사관을 고용하며, 가장 중요한 자질은 강력범죄 특히 살인,
강간, 어린이 유괴, 협박에 전문화된 수사관으로서의 경험이다.

흉악범죄분석센터내의 직무들은 특정한 학위나 전공보다는 특별수사관


으로서의 경험과 증명된 능력을 요구한다. 우리와 미국의 범죄 및 범죄
자분석 환경은 차이가 있으나 범죄분석요원 선발 및 운영에 대한 개선은
필요한 실정인데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지원 자격
을 심리학․사회학과로 제한하기보다는 법학과, 경찰행정학과, 통계학과
등 다양한 전공자를 포함시켜 여러 가지 측면의 종합분석을 통해 귀결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시켜야 하며 둘째, 범죄분석요원을 신규로 특별 채용
하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대학(원)을 졸업하고 양성 교육 후 곧바

규명 및 수사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임상병리 등 보건의무계열을 전공한


석·박사 및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하여 과학수사연구원 법의학부 위탁교육 6개월 등 1년간
의 전문교육을 실시한 후 변사사건 현장임장 및 사체감식을 전담하게 하고 있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2

로 실무에 배치된 후 범죄분석업무를 이행하는 것 보다는 현장 수사 인


력으로 투입되는 것이 설사 범죄분석을 통해 수사관에게 자료를 제공한
다.

범죄 심리분석관은 일선 경찰서에 1-2명 배치하는 것보다 지방청에


배치하는 것이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사
의 극대화를 위해 범죄 심리분석요원과 수사요원 간 상호 전문성과 독립
성을 인정하고 상호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조관계도 필수적으로 요구된
다.

나)과학수사 역량 강화

경찰은 성폭력 범죄수사 능력의 향상을 위해 24시간 현장출동 증거수


집 및 분석체계를 활성화 시켜야 하고, 시대적 요구 및 IT강국의 위상에
걸 맞는 디지털증거분석 역량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편, 과학수사와
상반된 영역으로 취급하여 왔던 피의자 신문기법도 행동 및 심리분석 등
과학적 기법을 접목하여 더욱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증거수집 절차의 적법성 확보 문제다.

과학수사를 통해 객관적인 물증을 확보하더라도 증거수집 과정에서 적


법절차를 위반하게 되면 법정에서 증거로 활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가지 더 유의할 점은 증거 수집 시 적법절차에 의한 수집이 불가능 하다
면 최대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절차를 통해 수집해야 한다는 것
이다. 특히 과학수사 분야에 있어서 증거수집 과정에 대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절차를 명확히 확립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시스
템의 발굴과 이와 관련된 장비 및 시설의 확충은 기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수사역
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뒷받침 또한 있어야 할 것이다.
93 2013 책임연구과제

3.수상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

가.수사상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 개관

1)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의 필요성

수사는 피해자가 형사사법제도와 최초로 접하는 단계이며 경찰은 범죄


발생 직후 피해자가 접하게 되는 최초의 국가기관이다. 경찰수사는 피해
자의 신고나 고소·고발, 경찰 자신의 인지를 통하여 시작되며, 수사 활동
에 있어 피해자를 만나 피해 진술 청취를 비롯한 협조를 받아야 한다.
성폭력피해자는 심리적으로 민감하며 경찰의 대응에 따라 정신적으로 영
향을 받기도 한다. 따라서 성폭력범죄 피해자가 심적인 부담을 느끼지
않고 최대한 편안한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며
성폭력범죄에 대해 적극적인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
서 법을 적용하고 집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인권보
호는 국가적인 보호방안을 마련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범죄 피해자는 조사대상으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인적 증거로


서의 지위도 매우 중요하므로 공소범죄 사실 중에서 범죄 발생 여부를
결정짓는 구성요건 해당사실과 위법성과, 책임 소재 및 기초 사실 등은
거의 대부분 피해자의 진술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151) 그러므로 범죄현
장에서의 범행 당시 상황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도록 유도하는 형사사법
절차를 거치면서 입게 되는 피해자의 심각한 2차 피해문제는 성폭력 범
죄 사건에서 특히 더 부각될 수밖에 없다.152) 성폭력 범죄 피해자가 경

151) 신주호, 경찰수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연구, 법학연구, 제21권 제2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13쪽 이하.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4

험할 수 있는 피해의 유형은 성폭력 범죄 사건의 발생과 사후 처리 과정


에 따라 1차 피해와 2차 피해, 그리고 3차 피해로 구분될 수 있다. 153)

더욱이 성폭력범죄 피해자들은 사회적인 분위기 탓에 범죄를 당한 것에


대한 법적인 대응을 쉽게 결정하기가 힘들고, 대부분의 피해자들이 시간
이 지난 뒤에야 사건에 대한 문제 해결을 결심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증거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수
사과정에서 2차 피해를 겪게 된다.

그리고 성폭력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진술이 수사 및 공판절차에서 범


죄사실의 입증에 결정적인 경우가 많지만, 특히 피해자가 아동이거나 장
애인인 경우에는 범죄사실을 효과적으로 입증하기 어렵다. 아동 및 장애
인 성폭력범죄 피해자가 형사절차에서 피해자로서 보장받을 수 있는 권
리를 행사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및 형사절차
상 각종 권리 이행을 보조하는 진술조력인 제도가 있다.154) 현재 신뢰관
계인의 동석, 진술조력인의 수사 및 재판과정 참여, 해바라기아동센터의
지원, 전문가 의견 조회 등 아동 및 장애인 성폭력범죄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들이 있지만, 형사절차에서 특히 보완되어야 하는 의사소통
적 필요를 충족 시켜주는 전문적인 지원체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아동
및 장애인의 가장 취약점인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보조하는 진술조력인의
양성과 수사과정에서의 적극적 참여는 가장 우선적으로 보장 되어야 할
부분이다.

152) Jordan, J., “Beyond belief?: Police, rape and women’s credibility”, Criminal
Jus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 Practice, 4(1), 2004, pp. 29-59.
153) 1차 피해는 성폭력 범죄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적인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을 말하며, 그
외에 사건 이후 사회적 체계 및 주변 환경에 의해 간접적으로 또 다시 피해를 입게 되는 것
을 2차 피해라고 한다. 3차 피해는 앞선 피해들에 대한 적적할 사회적 개입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다(Hackett, L., Day, A., & Mohr, P., “Expectancy Violation and Perceptions of
Rape Victim Credibility”,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13, 2008, pp.
323-334).
154)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 피해자에 대한 진술조력인 제도는 2013년 12월 19일 시행을 앞
두고 있다(성폭력특례법 제36조)
95 2013 책임연구과제

2)수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규정

성폭력특례법 제22조에서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처벌절차에서「특정강


력범죄의 처벌에 관한특례법」제7조(증인에 대한 신변안전조치), 제8조
(출판물 게재 등으로부터 피해자 보호), 제9조(소송 진행의 협의), 제12
조(간이공판절차의 결정) 및 제13조(판결 선고)를 준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동법 제23조(피해자와 신고인에 대한 보호조치)와 동법 제24조에
서는 피해자의 신원과 사생활 비밀 누설 금지 조항을 둠으로써 피해자와
신고인의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외에도 신뢰관계 있는 자의 동석
(동법 제34조), 진술조력인의 수사과정 참여(동법 제36조), 증거보전 특
례(제41조), 아동·장애인 등 취약한 피해자에 대한 진술녹화제(동법 제
30조)와 증거능력 부여 특례 (동법 제30조 제6항)및 비디오 중계 장치
에 의한 증인신문(동법 제31조 제3항) 등을 통해서도 피해자를 보호하
기 위한 여러 규정들을 두고 있다. 또한 경찰청 범죄수사규칙은 성폭력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규정을 두고 있다. 제218조(성폭력범죄 전담 조
사관의 조사), 제219조(성폭력범죄 수사 시 유의사항)155) 제220조(영상
물의 촬영·보존 등), 제221조(신뢰관계에 있는 자의 동석), 제222조(장애
인에 대한 특칙),156) 제223조(증거보전의 특례)를 규정하고 있다. 이런

155) ①경찰관은 성폭력범죄를 수사함에 있어서는 피해자의 인권을 최우선시 하여야 한다. ②
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와 피의자에 대한 신문은 분리하여 실시하고, 대질신문
은 최후의 수단인 경우 예외적으로 실시하되 대질 방법 등에 대한 피해자측의 의사를 최대
한 존중하여야 한다. ③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 조사시 공개된 장소에서의 조사 및 증언요
구로 인하여 신분노출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는 수사상 필요
최소한도로 실시하여야 한다. ④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 조사시 피해자의 연령, 심리상태
또는 후유장애의 유무 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가급적 진술녹화실 등 별실에서 조사하여 심
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조사 과정에서 피해자의 인격이나 명예가 손
상되거나 사적인 비밀이 침해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156) ①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가 정신상의 장애 등으로 사물을 변별하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
력이 미약한 때에는 본인이나 법정대리인 등에게 보조인을 선정하도록 권유하고, 선정된 보
조인을 신뢰관계에 있는 자로 동석하게 할 수 있다. ②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가 언어장애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6

다양한 규정들에도 불구하고 피해자의 자발적인 성폭력 신고를 저해하는


여러 상황들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157)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 않는
조사환경, 조사자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몰이해와 편견에서 비롯된 인권
침해적 조사방식 뿐만 아니라 검찰에 사건이 송치된 이후에도 피해자 진
술의 신빙성을 입증하기 위한 반복된 조사 등 피해자 진술에 대해 끊임
없이 신빙성을 재확인하려는 상황으로 인해 2차 피해의 우려가 높다.

3) 수사기관에 의한 2차 피해

성폭력범죄 2차 피해는 보편적으로 형사사법절차 내에서 범죄사건을


처리하는 과정 중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에 의해 피해자가 정신적·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겪는 것, 형사사법체계가 수사과정상 실체적 진실
발견이라는 미명하에 피해자에게 가하는 추가적인 수모와 고통 등으로
정의되는데,158)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병
원, 언론기관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부적절한 반응으로 인한

인, 청각장애인 또는 시각장애인인 때에는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 등의 의견을 참작하여 수


화 또는 문자 통역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③경찰관은 성폭력 피해자가 정신지체
인인 때에는 면담을 통하여 진술능력 등을 확인하고, 피해자가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전달
하지 못하여 수사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항의 보조인 또는 신뢰
관계에 있는 자로 하여금 피해자의 의사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157) 재판절차 에서도 피해자를 위한 법정대기 장소의 부적절, 부적절한 신문방식 및 개인 사
생활 공개의 두려움으로 인해 피해자는 범죄 사건의 직접적인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피고
인과 검사라는 대립된 형사소송 구조에서 단지 증거의 대상으로서만 인식되기 쉽다. 또한
성폭력범죄에서의 피해자와의 합의는 친고죄에서의 고소취소에 준하는 정도로 양형판단에
있어 결정적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다른 사건의 피해자와 동일한 피해자임에도 성범죄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고소 동기의 순수성에 대한 의심, 합의 종용, 합의금의 적정성 논란 등으
로 형사절차 내에서 인권침해적인 불공정한 취급을 받을 우려가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이
는 가해자 측의 합의 시도 내지 권유를 위한 재판의 지연을 가져옴은 물론 가해자 측의 합
의 시도로 인해 피해자는 원하지 않는 접촉을 당하게 되는 등 또 다른 정신적인 피해를 입
게 된다.
158) 김용근, 경찰 수사단계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방안, 피해자학연구, 제16권 제2호,
2008, 107면; 정현미, 성폭력범죄피해 아동·장애인을 위한 진술조력제도, 이화젠더법학, 제
4권 제1호, 2012, 이회여대 법학연구소, 74쪽 이하.
97 2013 책임연구과제

정신적 피해도 2차 피해로 볼 수 있다.159)

범죄현장에서의 범행 당시 상황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도록 유도하는


수사절차를 거치면서 입게 되는 피해자의 심각한 2차 피해 문제는 성폭
력 범죄 사건에서 특히 더 부각될 수밖에 없다.160) 더욱이 성폭력 범죄
피해자들은 사회적인 분위기 탓에 범죄를 당한 것에 대한 법적인 대응을
쉽게 결정하기가 힘들고, 대부분의 피해자들이 시간이 지난 뒤에야 사건
에 대한 문제 해결을 결심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거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수사과정에서 2차 피해
를 겪게 된다.161)

2012. 10. 28일 성폭력 관련 법률의 개정으로 형법상 성범죄에 대한


친고죄 폐지(동법 제18조), 법률조력인제도(동법 제27조)162), 증인지원
시설 설치·운영(동법 제32조), 진술조력인제도(제35조-제38조)163)를 도
입하였다. 제도의 도입으로 그동안 성폭력 피해자들이 겪어야 했던 2차
피해의 빈도 및 정도가 완화되고 진정한 피해자 보호가 이루어질 것을

159) 성폭력 범죄 피해자가 경험할 수 있는 피해의 유형은 성폭력 범죄 사건의 발생과 사후


처리 과정에 따라 1차 피해와 2차 피해, 그리고 3차 피해로 구분될 수 있다. 1차 피해는 성
폭력 범죄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적인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을 말하며, 그 외에 사건 이후
사회적 체계 및 주변 환경에 의해 간접적으로 또 다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2차 피해라
고 한다. 3차 피해는 앞선 피해들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개입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다(허선
주·조은경,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피해자학연구, 제20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12, 389면)
160) Carli, L. L., “Cognitive reconstruction, hindsight, and reaction to victim and
perpetrat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5, 1999, pp. 966-976.
161) 김용근, 앞의 논문, 105쪽.
162) 최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으로 19세 미만 아동·청소년에 한정해서
만 지정된 법률조력인을 성인 여성에까지 확대하여 모든 성폭력피해자에 대하여 법률조력인
을 선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해자 보호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성폭력특례
법 제27조). 나아가 성폭력범죄 피해자뿐만 아니라 다른 강력범죄 피해자도 수사 및 재판절
차에서의 2차 피해로부터 보호 필요, 범죄사건의 당사자로서의 권리 보장이 필요하다는 점
및 방어와 이익 주장에 대하여 법률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성폭력범죄 외의 다
른 강력범죄의 피해자에 대하여도 법률조력인 제도를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
고 보인다.
163) 진술조력인제도 중 진술조력인의 수사과정 참여(동법 36조), 진술조력인의 재판과정참여
(동법 제37조), 진술조력인의 의무(동법 제38조)는 2013년 12월 19일 시행예정이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98

기대해본다.

나.아동·
청소년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

1)아동·
청소년성폭력범죄피해자 보호규정

피해아동의 2차 피해를 방지하겠다는 입법취지에서 성폭력범죄피해아


동이 법정에서 진술하는 경우 또는 수사기관에서 조사받는 경우 피해아
동 대신 조사과정에 동석하였던 신뢰관계 있는 자가 법정과 수사과정에
서 그 성립의 진정을 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정에 기여
하고 있다(아청법 제28조 제1항, 제2항). 그리고 피해아동에게는 수사초
기부터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었다.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피해자에 대한 변호인제도(아청법 제30조)164)는 피해아동·청
소년 등에 대한 변호인선임의 특례규정이다. 이러한 ‘피해자 변호인’제도
는 형사절차의 전반에 걸쳐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
다. 이에 근거하여 피해자변호인의 임무범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164) 이에 대해 성폭력특례법 제27조를 준용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법 제27조 ① 성


폭력범죄의 피해자 및 그 법정대리인(이하 "피해자등"이라 한다)은 형사절차상 입을 수 있
는 피해를 방어하고 법률적 조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변호사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피해자등에 대한 조사에 참여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다만, 조사 도중에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승인을 받아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③
제1항에 따른 변호사는 피의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 증거보전절차, 공판준비기일 및
공판절차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한 절차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대법원규칙으로 정한다. ④ 제1항에 따른 변호사는 증거보전 후 관계 서류나 증거물, 소송
계속 중의 관계 서류나 증거물을 열람하거나 등사할 수 있다. ⑤ 제1항에 따른 변호사는 형
사절차에서 피해자등의 대리가 허용될 수 있는 모든 소송행위에 대한 포괄적인 대리권을 가
진다. ⑥ 검사는 피해자에게 변호사가 없는 경우 국선변호사를 선정하여 형사절차에서 피해
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다.
99 2013 책임연구과제

가)아동·
청소년성폭력피해자 변호인의 임무범위

아청법 제30조 제1항은 아동·청소년성폭력피해자가 수사기관에 의해


출석을 요구받을 때, 피해자변호인도 수사기관에의 출석권을 가지므로
수사기관의 신문과정에 참석하여 피해자에게 조언과 상담할 수 있는 권
한이 보장된다. 이러한 피해자변호인의 조언권은 피해자조사에 동석만이
허용되는 신뢰관계인의 역할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또 검사·피고인·
피의자 또는 변호인의 청구에 의하여 수사상의 증거보전절차가 행해져서
피해자가 증인신문을 받게 될 경우 피해자변호인도 증거보전절차에 참여
할 수 있고, 증거보전 이후에는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이 인정된다.

피해자변호인은 피해자가 허위진술을 하여 위증죄로 처벌되지 않도록


법률적 조언을 할 수 있고, 피해자가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할
때에는 실체진실발견에 저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증언거부권을 행사하
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인가에 대해 피해자에게 조언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피해자에 대한 신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감시하
면서 법원과 수사기관의 신문내용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하고, 사
생활 및 인격권침해로 이어지는 폭로성 신문에 대해서도 이의제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증인신문 시 피해자변호인의 임무는 피해자의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나)피해자 변호인제도의 활성화

경제적인 이유로 변호사를 선임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피해자들도


많을 것이다. 특히 근친성폭력과 같은 경우 피해아동이 변호인을 선임하
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들에게는 변호인선임권이 허용된다고 하
여도 실제로 아무런 보호대책이 되지 못한다. 이에 아동 성폭력범죄의
수사절차에서 실체진실을 밝히는데 중요한 증거가 되는 아동 피해자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0

진술확보를 위하여 수사단계의 피해자조사에서부터 국선변호인을 선정해


줄 수 있도록 아청법 제30조 제2항에서 검사가 국선변호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65) 다만, 동법에서 국선변호인제도에 대해 규정
하고 있으면서 국선변호인제도의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규정하고 있지
않아 피해자 국선변호인제도의 운영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국선
변호인의 지정 주체가 검사이기 때문에 법원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국
선변호인제도를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에 수사절차에서부터 피해아동에게 법률적 조력을 할 수 있는 국선


변호인단을 법무부 산하에 구성하고, 실질적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변호인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
는 것에 대하여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 더불어 성폭력 피해아동을 원조
하는 변호인제도는 피해아동의 보호와 아울러 범죄의 실체진실을 발견하
여 가해자에 대한 적정한 처벌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측면도 함께 고려되
어야 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제도가 아니라 형사처
벌과 관련된 특별한 조치를 담고 있는 제도이다.

2)각국의 아동성폭력범죄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수사

미국은 아동성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경찰관이 아동심리 전문가를 참여


시켜 합동수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때 참여한 전문가가 부모 등 보호자
를 대상으로 성폭력 발생 이후 아동행동 변화에 대한 분석(Child
Sexual Behavior Inventory: CSBI)등을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법정에
제출한다. 이 결과서는 법정에 증거자료로 채택되어 아동진술의 증명력
을 높인다. 이 제도는 1986년 플로리다 주에서 개발되어 현재 대부분의

165) 이 제도는 2013년 6월 19일부터 연령에 제한 없이 모든 성폭력범죄의 피해자는 국선변


호인의 조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01 2013 책임연구과제

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체포된 용의자


가 학교·대학교 직원일 경우 학교 측에 즉각 통보를 해야 한다. 그리고
피해자의 신분을 상황에 따라 비공개 수사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주에
는 특수 성폭행 관련 전담반이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아동성폭력
전담반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LA 경찰국(LAPD)의 경우에는 소
년부(Juvenile Division)내의 학대아동과(Abused Child Unit)와 아동성
폭력과(Sexually Exploited Child Unit)에서 아동성폭력 사건을 전담하
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피해아동을 위
해서 특정한 거주지를 만들어서 피해 아동이 수사 중 정신적 안정을 찾
으며 증언 등 수사에 협조할 수 있게 한다.

LA 경찰국(LAPD)의 경우 Stuart House라는 곳에서 거주 또는 방문


해서 치료도 받고 경찰 및 검찰과 수사 협조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미국 경찰의 경우 아동성폭력 수사 시 피해자에게 자신의 신상을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는 권리를 인식시켜 주고, 증거 수집 및 치료를
위해서 아동성폭력 피해자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 지정 및 협력체제 구축
하고 있다. LA경찰국(LAPD)의 경우 ‘Warner Brothers Children’s
clinic at Santa Monica-UCL Medical Center’ 병원과 협력 체제를 구
축하고 있으며, 이 병원은 아동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료는 물론 관련 증
거 보존 전문 직원들이 별도로 근무하고 있다.

영국 런던경시청의 경우 아동성범죄자는 경미한 사건은 Child Abuse


Investigation Team, 사안이 중요하거나 광역사건인 경우는 Major
Investigation Team에서 담당하고 있다. 런던의 32개 경찰서 중에서
18개 거점 경찰서를 지정하여 아동범죄전담수사반(Child Abuse
Investigation Team)을 설치하고 성범죄, 아동학대, 살인미수까지 수사
하며 팀장은 경위(Inspector)가 담당하고 1개 팀당 15-20명의 형사를
배치하고 있다. Major Investigation Team은 런던경시청 수사부 직할로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2

런던을 동·서 2개 지구로 나누어 아동성범죄 중 다수의 피해자가 있거나


범죄발생지가 광역인 사건 등을 담당하며 팀장은 경감이고, 팀당 경위 3
명, 경사 6명, 순경 18명을 배치하고 있다. 성폭력범죄의 피해아동에 대
한 진술 녹화 및 이중진술 등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나 영국
법무부의 홍보자료에 의하면 부모 또는 후견인이 진술을 대신하거나 또
는 오디오녹화에 의한 진술이 가능하다.

프랑스의 아동성폭력 수사실태는 아동성폭력수사와 관련된 특별한 팀


은 없으며 아동피해자를 전담하는 팀을 각 지방청 수사과에 두고 있고,
경찰서 단위에는 소년담당으로 방범과에 경사 1명을 두고 있다. 소년범
죄 수사대는 증거수집과 미성년자에 대한 신문에 전문가인 사법경찰관들
로 구성되어 있고 아동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시 미성년자의 동의나
미성년자의 동의가 불가능한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 비디오와
음성 녹화를 할 수 있으며, 미성년자와 법정대리인이 녹음을 요청하는
경우 녹음이 가능하다(형사소송법 제706-53조).166) 미성년자는 조사기
간 동안 심리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나 법정대리인 검사나 소년
담당 판사가 지정한 대리인, 심리학자나 심리전문의의 동행을 받을 수
있다.167)

일본 아동성폭력 범죄피해자 조사는 피해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조사관


이 지정되며(성별, 연령 등 고려), 별도의 자격을 요하지는 않는다. 다만,
여성경찰관의 경우에는 경찰학교에 성범죄수사 전과과정(1주)을 개설하

166) Au cours de l'enquête ou de l'information, les auditions ou confrontations d'un


mineur victime de l'une des infractions mentionnées à l'article 706-47 sont réalisées
sur décision du procureur de la République ou du juge d'instruction, le cas échéant
à la demande du mineur ou de son représentant légal, en présence d'un
psychologue ou d'un médecin spécialistes de l'enfance ou d'un membre de la famille
du mineur ou de l'administrateur ad hoc désigné en application de l'article 706-50
ou encore d'une personne chargée d'un mandat du juge des enfants.
167) 김택수, “형사절차상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와 지위강화: 프랑스와 한국간의 비교법적 고
찰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170쪽.
103 2013 책임연구과제

여 수강을 권장하고 있다. 피해자 조사는 경찰서 형사과 내 피해자 상담


실을 이용하고 있다. 성폭력 전담인력으로는 성폭력 전담조사관을 운영
하고 있다. 이러한 성폭력 전담조사관은 지방경찰본부의 경우, 수사1과
성범죄수사계(10명 내외)근무 여성경찰관이 담당하고, 경찰서의 경우에
는 형사과, 생활안전과 근무 여성경찰관 중 2-3명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치현(愛知縣) 경찰본부의 경우, 아동 성폭력만을 전담하는 수사
관은 없으나, 특별한 경우 성폭력 전반에 대해 경험을 가진 수사관이 수
사를 담당하도록 하고, 특별한 수사기법이 동원되기 보다는 피해자의 심
리상태 등을 배려하여 조사한다.

다.수사상 성폭력범죄피해자 보호에 대한 개선방안

‘범죄피해자보호법’ 제8조 제1항에 “국가는 범죄피해자가 해당 사건과


관련하여 수사담당자와 상담하거나 재판절차에 참여하여 진술하는 등 형
사절차상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범죄
피해자 보호를 국가책무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형사소송법은
범죄피해자에 대한 다양한 보호·지원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피해자 보호·지원제도는 성폭력범죄자에 대해서만 국한되는 문제
는 아니다. 즉,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범죄피해자 보호는 형사절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1)성폭력범죄피해자의 개인정보 보호의 강화

범죄 신고자는 자신의 신고가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고 보호받을 때 범


죄 신고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은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4

성폭력범죄를 포함한 일부 특정범죄의 신고자나 그 친족 등이 보복을 당


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범죄 신고자 등의 인적사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기재 생략이 가능하도록 하고(동법 제7조), 이러한 인적사항에 대
한 공개를 금지하고(동법 제8조), 실제 인적사항의 기록을 위해 신원관
리카드를 작성하여 그 열람을 제한하고 있다.(동법 제9조). 문제는 이러
한 인적사항의 기재 생략 규정에도 불구하고 범죄 신고자의 인적사항이
노출되기 쉬운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또 신원관리카드의 열람대
상자가 넓고, 실질적으로 신원관리카드의 작성 사례도 많지 않아 범죄피
해자의 신상정보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범죄피해자로서 범죄 신고자의 신원관리카드의 신원관리카드 열람
을 무조건 제한하는 경우, 피고인의 방어권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현재와 같이 전자기술의 발달로 개개인의 정보에 대한 접근
성이 강화되고, 소송정보의 검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자소송의 시행
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적어도 피해자 내지 증인의 사생활의 비밀에
대한 보호와 공개의 이익 간의 이익형량에 따라 최대한 범죄피해자의 신
상정보보호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 미국의 피해자 개인정보의 봉인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예컨대 우리도 성폭력범죄에 대하여는 당사자의 신청
또는 법관의 판단에 의하여 봉인명령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마련하고, 기
록봉인명령이 있게 되면 피해자 번호 및 가명 등으로 해당 사건에서 피
해자를 특정 하는 절차가 당연히 수반되도록 하여 형사절차에서 피해자
또는 그 대리인의 신분을 보호하는 제도를168)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으
로 본다.

168) 이수진, 미국의 성범죄 재판-피해자 보호를 위한 재판절차연구-, 각국의 성범죄, 공동학
술세미나 자료집, 2011, 17면.
105 2013 책임연구과제

2)경찰에 법률조력인 지정권 부여

현행 아청법은 ‘피해아동·청소년 등에 대한 변호인선임의 특례’조항에


대해 아동·청소년에게 변호인이 없는 경우에 검사가 국선 법률조력인을
지정하게 되어 있어 경찰 수사단계에서 법률조력인 없이 사건이 진행되
어 피해자의 보호가 미흡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사 개시 초기 단
계인 경찰에서 법률조력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면 성인에 비해 대응
력이 부족한 아동이나 청소년이 첫 진술부터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경찰은 그간 자체적으로 피해아동에 대해 무료법률서비스
나 피해상담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등 나름대로의 피해자보호방안을 강구
해 왔지만, 피해자들이 원하는 수준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형식
적 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아동성범죄의 경우 대검에서는 ‘1
회 수사원칙’ 지침을 내려 경찰 수사에서 불필요한 중복수사를 막기 위
해 노력했지만, 현실에서는 경찰이 수사를 다하고 송치하기 전에서야 검
사지휘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피해자권익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
고 있다. 법률조력인은 피해자의 권익보호 뿐만 아니라 수사과정상 발생
할 수 있는 인권침해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도 있어 위 경찰단
계에서의 법률조력인 제도의 시행이 필요하다.

3)화상증언의 확대와 보완

성폭력범죄피해자가 수사기관에 자신의 피해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2


차적 피해의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169)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무엇보다도 성폭력피해자가 심리적인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안정된 상태에서 조사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경찰은

169) 이수진, 위의 자료, 23쪽 이하.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6

현재 각 경찰서에 진술녹화실을 설치하고 친근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운


영하고 있지만, 아직도 성폭력피해자의 2차 피해를 완전히 예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진술녹화실의 활용도를 높이
고 수사담당자들에 대한 진술녹화관련 전문교육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
련하여, 모든 성폭력피해자들이 진술녹화실에서 심리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전문 수사담당자에 의해 조사를 받을 수 있도록 방안이 마련되
어야 할 것이다.

다른 방안으로 피해아동의 출석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 출


장 조사하는 방법도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편으로 성폭력 수사담당
경찰관과 심리전문가 등의 인원과 진술녹화 장치 등의 필요한 장치를 가
지고 성폭력피해자가 심리적으로 가장 편안하게 느낄 수 있고 조사의 부
담을 느끼지 않도록 성폭력피해자의 집으로 찾아가서 진술을 받는 방법
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4)전담조사제도의 활성화 및 전문성 확보

성폭력특례법의 개정을 통해 수사단계에서 공판단계에 이르기까지 성


폭력 수사 및 재판의 전담제를 실시하고 있다. 경찰의 성폭력 전담조사
관 운영형황을 살펴보면, 전국 경찰관서에 배치된 성폭력전담조사관은
총 744명으로 모두 여경이 담당하고 있고, 이들은 각 경찰서에 3-4명씩
배치되어 24시간 3교대 근무를 하고 있으며, 진술녹화실에서 성폭력피
해자를 조사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지시켜주며 수치심 및 모욕감 유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과거 성폭력 수사에서 피해자 조사와
가해자 조사가 이원화되어 중복출석을 통한 2차 피해자화가 우려되었던
것을 성폭력전담조사관으로 일원화하여 중복출석을 통한 2차 피해를 방
지하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70)
107 2013 책임연구과제

그럼에도 수사단계에서 전담조사와 관련하여 가장 큰 문제는 아동 전


문가가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특히 이러한 아동조사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조사 분야로 수사관과 전문가에 의한 합동조사가 권장되는 경
우가 많다. 그럼에도 현재 성폭력전담조사관으로 여경을 배치하고 있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폭력 수사전문가의 양성과 배치의 필요성이 제
기되고 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수사기관과 아동심리전문가 등 관련 전
문가가 함께 아동에 대한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는 점에서 합동조사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전담조사제도의 활성화뿐만 아
니라 전문성의 확보에 보다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4.경찰의 성폭력범죄 전력자 관리

경찰에서는 성범죄 전력자에 관한 관리를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


하고 있다. 첫째, 성폭력관련 특별법에 의한 성범죄 신상정보 등록대상
자 담당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실효성 있는 성범죄 전력자 관리 및 재
범방지를 위해 실시된 제도로서 등록대상자를 담당경찰관이 1대1로 관
리하는 제도이다. 둘째, 경찰청 예규인 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
에 따른 우범자 관리제도로서, 경찰은 신상정보 제출자 중 비열람 대상
자도 전담 관리를 하면서 3개월에 한 차례씩 점검을 한다. 성폭력 범죄
자의 경우에는 경찰이 특별히 신상정보를 관리하거나 할 수 있는 법적근
거가 없기 때문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가.성폭력범죄 전력자 관리제도의 종류

170) 원혜욱, “성폭력 피해아동을 위한 법률조력인제도 도입방안”, 법무부 여성아동정책팀 보


고서, 2011, 12쪽.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8

1)성범죄전력자 신상정보 등록대상자 담당제도

가) 연혁 및 관련 근거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정보 등록·열람제도는 2005년 12월 29일 법률


제7801호 (구)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처음으로 신상정보 등록
및 열람제도가 신설 되었다. 즉 성범죄 행위시점을 기준으로 2006년 6
월 30일부터 2008년 2월 3일까지 성범죄를 행한 자를 대상으로 신상정
보 등록 및 열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국가청소년위원회
주관으로 신상정보 대상자관리가 이루어져, 성범죄 등록대상자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2월 이내에 신상정보를 국가청소년위원회에 등록하고, 신
상정보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변동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월 이내에
변동된 신상정보를 국가청소년위원회에 변경 등록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였다(동법 제23조 제2항). 그리고 등록 대상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제
23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등록 또는 변경등록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의 신상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 등록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였다(동법 제27조 1항).171)

이후 법률 제8634호 (구)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관할 경


찰서장은 등록기간 중 매년 1회 등록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여야 한
다는 의무규정을 두었으며(동법 제35조 제3항), 등록 대상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제출정보 또는 변경정보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정보를
제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동법 제45조 제2항).

그리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범죄자 관리와 더불어 19


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범죄자의 경우에도 신상정보 등록제도

171) 국가청소년위원회에서 자체적으로 그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사실상 성범죄자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09 2013 책임연구과제

가 신설 되었다. 2010년 4월 15일 법률 제10258호로 제정된 성폭력범


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신상정보 등록 제도를 두었고, 2011년
4월 16일부터 시행 중에 있다. 경찰은 신상정보 등록기간 중에 반기(6
개월) 1회 직접 대면 등의 방법으로 등록정보의 진위와 변경여부를 확인
해야 하고(동법 제45조 제4항), 등록대상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제출정
보 또는 변경 정보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정보를 제출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동법 제50조). 따라서
경찰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5조 제4항에 의거 신상
정보 등록대상자들을 대상으로 관리 하고 있다.

나)관리 대상자 요건 및 등록정보 내용

성범죄자는 성매매 및 성폭력을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성범죄자 중


신상정보 등록 대상자인 경우 경찰이 관리하게 되는데, 현재 경찰이 관
리하고 있는 신상정보등록대상자 현황은 어떠하고, 어떤 요건을 갖춘 성
범죄전과자들을 관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과 관리 활용에 관한 규정은 성폭력특별법 제


42조(신상정보 등록대상자), 동법 제43조(신상정보의 제출의무), 동법 제
44조(등록대상자의 신상정보 등록 등), 동법 제45조(등록정보의 관리),
제46조(등록정보의 활용 등) 등에 규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제3장
에서 전술하였다.

2)성폭력경력 우범자 관리제도

성폭력경력 우범자 관리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경찰청 자체예규인


‘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172)으로서 운영되었으나 2005년 7월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0

1일 규칙명을 개정하고 인권 침해적 요인을 일부 제거하였다.173)

가)주요내용

우범자 관리는 첩보수집 대상자와 자료보관 대상자로 구분·운영 되었


지만, 추가로 중점 관리 대상자를 지정·운영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
거 1970년부터 2003년간 성폭력 전과자 중 7년 이상 장기 복역자를 우
범자로 편입, 우범자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려고 하였다. 중점관리 대
상자는 13세 미만 아동을 성폭행한 범죄로 2회 이상 금고형 이상의 형
을 선고받은 자, 성인을 대상으로 성폭행 범죄를 저지른 자로서 3회 이
상 금고형 이상의 형을 받은 자, 19세 미만 청소년을 성폭행한 범죄로
3회 이상 금고형 이상의 형을 선고받거나 2회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형
기의 합계가 3년 이상인 자이다. 대상자로 선정된 성폭력 전과자는 관내
지구대 경찰이나 담당 경찰이 해당 성폭력 전과자의 최신 동향을 매월
1회 집중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174)

이러한 첩보수집 대상자로 선정된 성폭력 전과자들에 대해서는 관내

172) 경찰은 범죄단체의 조직원 또는 불시 조직화가 우려되는 조직(성)폭력배 중 범죄사실 등


으로 보아 죄를 범할 우려가 있는 자, 살인․방화․강도․강간․미성년자 강제추행․마약류사범의
범죄경력이 있는 자 중 그 성벽․상습성․환경 등으로 보아 재범의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첩보수집대상자, 자료보관대 상자, 중점관리대상자로 분류하여 우범자를 관리하고 있다. 첩
보수집대상자에 대해서는 관할 지구대에서 대상자별 담당직원을 지정하여 3개월에 1회 이
상 첩보수집 후 우범자 전산관리시스템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료보관 대상자는 해당
자료를 전산입력하고, 범죄발생시 수사 자료로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우범자가 소재불명인
경우 소재확인을 거쳐 전산시스템에 입력하며, 소재불명 우범자를 발견한 경우, 거주지를
확인하여 우범자로 편입하거나 거주지 고나할 경찰서로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173) 과거 ‘우범자 관찰보호 규칙’에서는 법적 근거도 없이 ‘보호관찰’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우범자 동정을 정확히 보호관찰하고 관찰기록을 보존하도록 하였다.
174) 성폭력범죄 우범자 선정(첩보수집) 기준은 13세 미만 아동을 강간·강제추행 하여 실형을
받고 출소하였거나 19세 미만 청소년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죄를 범하여 2회 이상 실형을
받고 출소한 자는 중점 관리 대상자가 된다(동 규칙 제3조 제2항 제4호). 그리고 동 규칙
제2조 제2호 중 강간·강제추행의 죄로 19세 미만 청소년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죄를 범하
여 실형을 받고 출소한 사람 중 제3조 제2항 제4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이다(동 규칙
제3조 제3항 제4호).
111 2013 책임연구과제

지구대 경찰이 해당성폭력 전과자인 우범자에 대한 정보를 3월에 1회,


수집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동 규칙 제6조 제3항). 1회 성폭력 범죄
로 복역한 자 중 재범 위험자에 포함되지 않으나, 폭력으로 자주 입건되
는 등 폭력성향이 있는 자는 자료 보관 대상자로 편입된다.

나)각국의 성폭력범죄 우범자 관리

미국은 모든 주가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신상이 적극적으로 공개되고


있다. 뉴욕 주는 모든 성범죄자의 온라인 ID·이메일 주소 등을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마이스페이스, 페이스 북)에 제공, 성범죄자 신규 회원
가입거부 및 기존 회원 삭제를 통해 청소년 개인 홈페이지 접근을 원천
차단하고 있으며, 텍사스 주에서는 지역 케이블방송에 성범죄자신상정보
를 90일간 주당 16회 이내로 공개하는 “존TV"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일리노이 주는 성범죄자의 거소를 지도에 표시하여 인터넷에 게재
하며 소재불명 성범죄자 정보공개를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캘리포니
아 주의 경우, 유죄가 확정된 성범죄자에 대해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에
성범죄자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주 법무부장관 또는 교정국장은
형기 만료가 임박한 성범죄자 중 정신과 의사·심리학자 등으로 구성된평
가단이 재범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자를 성 위험자로 지정하여 치료감호
기관에서 구금·보호 상태로 약물·정신과·심리치료를 실시하여 매년 1회
이상 성위험자 해당 여부를 재평가하고 있다.

성범죄 피해아동을 위한 경찰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미 법무성 산


하 범죄피해자지원국(Office for Victiom of Crime: OVC)에서는 현장에
서 처음 피해자와 대면할 가능성이 높은 경찰을 위해 범죄피해자 초동대
응이라는 매뉴얼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75) 그리고 미국

175) Timothy O, Woods, Office for Victims of Crime, First respond to Victims of Crime,
2001, p. 6.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2

에서는 1997년 플로리다 주에서 가석방대상자를 상대로 최초로 전자 감


시 위치추적 장치사용을 시행하였다.176) 특히, 플로라다·콜로라도·미주
리·캘리포니아 주 등은 특정 성폭력 상에 대해 징역형 만기복역 후 평생
위치추적 전자장치를 부착하도록 하였다.

영국은 2006년 4월 중요조직범죄청(SOCA) 산하에 아동성범죄 조정


및 총괄 전담 기구인 ‘아동착취 및 온라인보호센터’를 설립·운영 중에 있
다.177) 이 기구는 아동성범죄 전담 총괄기구로써 신고접수·수사·교육·홍
보 등 종합적인 활동을 수행하며, 성범죄 전과자가 별도의 보호자가 없
는 16세 미만의 아동과 함께 있는 것을 금지하는 성범죄예방명령 제도
를 시행하고 있고, 학원·놀이방 등 아동관련 시설의 장은 교사 등을 채
용할 때 국가범죄수사국을 통해 성범죄 전과 여부 확인을 의무화 하고
있다. 영국에서도 전자 팔찌라고 불리는 전자 위치추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2003년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형사사법에 의거하여 가석방의 조
건 혹은 형기만조 후 최장 8년간 출입금지 명령 혹은 외출 제한 명령
이행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추적 전자장치를 부착시키고 있다. 그리
고 영국 전역의 25개 교도소에서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역할극 등을 통해 범죄자가 피해자의 고통을 이
해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내용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재발방지를 위해 사
회복귀 능력도 함께 배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업훈련 및 사회적응 훈
련이 함께 진행된다. 영국은 경찰법상 유치원이나 학교처럼 아동 관련기
관 등에 아동성범죄자에 관한 기록을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성범
죄법상 아동 성범죄자는 경찰에 자신의 거주지를 신고할 것을 의무화 하
고 있다.

일본은 아동 대상 성범죄자 출소 시 법무성에서 관련 자료를 경찰청에

176) Jessica Lunsford Act, Chaper 2005-28 House Bill No 1877.


177) http://www.nationalcrimeagency.gov.uk/about-us/how-we-are-run/the-board:검색일
2013. 11. 2.
113 2013 책임연구과제

통보하여 경찰은 경감급 이상 직원을 재범방지 담당관으로 지정·관리하


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성범죄 신고활성화를 위해 익명으로 범죄 신고를
접수하는 익명신고 다이얼제를 시행 중에 있고, 오사카경찰의 경우는 지
역 내 택배업체와 연계하여 배달 중 위험에 노출된 아동을 발견 시 보호
및 경찰에 통보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오카야마 경찰은 신청자에
한해 지역 내 각종 범죄정보 및 아동에게 말을 거는 수상한 사람의 자료
등 범죄관련 정보를 이메일로 실시간 제공하는 아동보호 안심메일 서비
스를 실시하고 있다. 2005년 5월 일본의 법무성의 교정국과 보호국은
성범죄자 처우 프로그램연구회를 통해 일본 내의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캐나다의 것을 기본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8개월로 구성하여 1-3단계로 구성되어 수용과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나.경찰의 성범죄 전력자 관리제도 실태

1)신상정보 등록대상자 관리제도 문제점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의 경우 현재 경찰은 신상정보 등록대상자를 관리


하는 방법으로, 관내 지역경찰관 1인이 등록대상자 1인을 전담하여 관리
하는 형태로 1:1 운영 중에 있다. 세부적으로는 이들 등록대상자들 중
법원에서는 열람 대상자와 비열람 대상자를 나누어 선고하며, 열람대상
자는 매월 1회 신상정보 변경여부를 확인,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경찰
서 여성·청소년계에 보고하고, 비열람 대상자는 3월 1회 신상정보 변경
여부를 확인,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경찰서 여성·청소년계에 보고하는
방법으로 운영 된다

성범죄자 관리방법을 제시한 경찰청 여성청소년과 ‘성범죄자 신상정보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4

연계에 따른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관리강화 계획’ 내용에 의하면, 주소


및 차량번호는 경찰전산조회시스템을 활용하고, 실거주지는 직접 방문하
여 확인하며, 직업 및 직장소재지는 유선 등을 통해 확인하되 성범죄자
등록대상임을 추측할 수 있는 언행은 금지하라고 기술되어 있다. 주소
및 차량번호 확인을 전산시스템 조회만을 통해 성폭력 범죄자를 관리할
경우, 성범죄자가 자신의 명의로 된 차량을 운행치 않고 다른 차량을 운
행하거나 주소지를 이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주소지에 거주할 경우,
전산조회만으로 성범죄자의 실제 운행차량이나 주소를 확인하는 것은 불
가능하며, 신고하지 않은 다른 차량을 이용해 성범죄 관련 재범을 하였
을 경우, 그에 따른 비난 및 책임은 전담 경찰관이 부담해야 할 위험성
이 매우 크다. 또한, 직업 및 직장 소재지와 관련, 성범죄자라는 사실이
직장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인권침해 소지가 없도록 전화 등의 방법으로
성폭력 범죄자를 관리하라는 지시내용은, 일선 지역담당 경찰관들이 가
장 어려워하는 부분일 것이다.

그리고 아청법이나 성폭력특례법상 관할 경찰서장은 등록기간 중에 반


기 1회 등록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고만 규정되어 있을 뿐,
열람대상자와 비열람 대상자를 구분하여 매월 1회 또는 3월 1회 간격으
로 변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법적 근거 규정이 미비 된 상
태로 있다. 즉, 경찰청 자체 공문을 통해서 관리 횟수를 지정, 운영 중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경찰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성범죄 등록대상자
들을 관리하는 지침 방식으로는 담당 지역 경찰관들에게 성범죄자 재범
방지라는 큰 책임만을 떠넘긴 채, 형식적인 논리로 내몰고 있다는 점에
서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세부 관리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2)우범자 관리제도의 문제점


115 2013 책임연구과제

우범자 관리는 현재 경찰청 예규인 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법률적 근거가 없다는 점에서 과거부터 우범
자 관리는 형식적 관리에 그치고 있었다. 물론 경찰관직무집행법에 우범
자 관리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기 위해 국회에 개정안을 상정하고 있으나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현재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우범자 관리는 타 범죄 우범자와 마찬가지로
간접관찰로써, 사실상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다. 특히 집중관리 대상자와 직접 대면할 법적 근거가 없어 주변인 탐
문, 주거지역 조사, 직장 주변 탐문 등의 과정을 거쳐서 대상자의 재범
위험성을 미리 탐지하고 관리하고 있지만, 인권침해 논란 문제가 지속적
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선 지역경찰관들에게 매우 큰 부담으
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집중관리 대상자의 경우는 우범자 첩보수집 등
에 관한 규칙에도 없고 경찰청 자체 공문에 근거한 새로 분류된 대상자
이므로, 경찰청 예규에도 관련 근거가 없다.178)

첩보수집 대상자의 경우도 집중관리 대상자와 마찬가지로 비록 경찰청


예규에 규정되어 있긴 하나, 법률에 근거가 없어 인권침해 논란을 부추
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 규칙 제6조 제3항에서는 첩보를 수집함에 있
어 우범자의 인권을 최대한 배려하여 적절한 방법에 의하고 명예나 신용
을 부당하게 해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일선 우범자 담당지역 경찰관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료보관 대상자의 경우는 말 그대로 자료만 보관하는 것으로 사실상


어떠한 재범여부나 위험성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관리방법

178) 현재 경찰의 우범자분류는 경찰서장이 분기 1회에 교도소 등 수형기관에서 출소통보를


받아 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우범자의 재범위험성을 심사한 뒤, 대상자의 편입여부․등급 등
을 결정하는데 위원장이 경찰서 형사과장이다. 성폭력전과자는 성범죄자 위험성 평가척도인
KSORAS-R(Korea Sex Offender Risk Assessment Scale-Revision)을 통해 심사를 하지
만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고 경찰이 자체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문제점과 대상자에 대한 인
터뷰 등과 같은 정밀검사를 진행하지 않고 있어 전문성과 신뢰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6

은 아니다. 따라서 성폭력 우범자 관리는 사실상 우범자의 민원제기에


충분히 소명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책임은 지구대
및 파출소 담당직원이 부담해야 하는 현실에서, 실질적인 첩보수집 활동
이나 관리가 이루어지기 힘들다. 또한, 성폭력 범죄를 포함한 강력범죄
에 대한 우범자 관리 제도는 자체 특성상 정보수집 활동의 일환이고, 검
거의 목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에 불과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성
폭력 범죄자를 관리한다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다.성범죄 전력자 관리제도의 개선방안

1)성범죄 신상정보 등록대상자 관리 운영 매뉴얼제작

성폭력범죄 우범자 관리는 법률적 근거 미비 및 검거의 목적을 위한


정보수집활동에 불과한 제도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사실상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인권침해 문제 등으로 인해 일선 지역경찰관들의 부담과
책임만 지울 뿐, 사실상 제대로 된 성범죄 전과자 관리는 힘들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법률로 명확히 경찰에게 성범죄 전과자들을 관리할 수
있는 의무이자 권한을 규정해 놓고 있는 성범죄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에
대한 관리가 실질적인 경찰의 성폭력 전과자 재범방지 대책의 대표적인
제도라고 할 것이다.179) 따라서 경찰서장은 매년 2회 등록정보의 변경여
부를 확인해야 하고, 등록대상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제출정보 또는 변
경정보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정보를 제출한 때에는 1년 이하 징
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 이고 실효
성 있는 관찰·관리가 필요하며, 일선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성범죄 전력

179) 2013년 10월 현재 경찰에 자신의 신상을 등록해야 하는 등록대상자는 8727명에 달한다.
이중 22명을 현재 소재파악이 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http://www.newsis.com/ar_detail/
view.html?ar_id: 검색일:2013. 11. 20)
117 2013 책임연구과제

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세부지침(매뉴얼)을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주소 및 차량번호는 경찰 전산조회시스템을 통한 확인과 직접 담당 경


찰관이 등록된 주소지를 방문하여, 성범죄 전과자가 실제 살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출장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주변 탐문
및 주거지 방문을 통해 주차된 차량들을 파악하여, 실제로 성범죄자가
어떤 차량을 운전하고 다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위와 같은 조사는 직접적인 대면조사 보다 주변 탐문
조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탐문수사 중 이웃주민들에게 성범죄자 등
록대상임을 추측할 수 있는 언행을 자제하여 인권침해 문제 소지를 줄이
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비록 위와 같은 조사행위로
성범죄 등록관리 대상자로부터 민원제기를 받더라도 경찰은 연 2회 변
경정보 여부를 확인할 권한을 법적으로 부여받은 만큼, 충분한 소명이
가능하며, 변경 여부확인에 대한 세부지침 마련과 관련 이에 따른 법률
판단 및 검토가 이루어진 후 일선에 하달해야 할 것이며, 이로써 일선
경찰관들이 인권침해와 같은 민원소지 위험의 부담감으로부터 해소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2) 성폭력 전과자 우범자 관리 법적근거 마련

담당 경찰은 성폭력범죄 우범자의 인권침해시비를 최소화하고자 직접


대면을 지양하고, 주변 사람을 상대로 탐문하는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첩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무적으로 오히려 타인에게 우범
자임을 알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호관찰대상자와 같은
근거법률과 준수사항이 없기 때문에 위반 시 제재할 법적 근거도 없다.
따라서 우범자첩보수집이 오히려 지구대 등 경찰인력을 낭비하는 요인으
로 작용한다.180)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8

비록 우범자 관리는 정보수집활동에 불과하여, 대인적 관리 측면의 효


과성은 미미하나 대물적 관리 즉, 자료 관리를 통해 신속하게 성폭력 범
죄자를 검거할 수 있는 유용한 제도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성폭력 전
과자우범자 관리 제도에 대한 개선도 필요하다고 본다.181) 따라서 성범
죄 전력자를 포함한 우범자 관리에 대한 법률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며,
이와 더불어 경찰청 자체적으로 우범자 등급조정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
중점관리 대상자에 대해서도 조속히 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에
우범자 관리 대상으로 포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전담 경찰관 대상 교육 강화

성범죄 신상정보 등록대상자 담당 직원 및 1:1로 지정된 담당 지역경


찰관, 성폭력 우범자 담당 형사 직원 및 우범자 관리 지역경찰관들을 대
상으로 성범죄 전력자들의 관리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따른 구체적
인 관리방법 및 현 실태, 상호간 연계방안 등 실무 중심의 심층적인 논
의가 성범죄자 신상정보 운영 매뉴얼 지침제작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으
로 생각된다. 그리고 제도 운영의 중요성과 적극적인 관리 필요성에 대
한 1:1 담당 지역경찰관들의 교육이 필요하다.

법률적 근거 및 적극적 대처, 관리 방법 등 세부적인 관리내용 등의

180) 김학신, “범죄경력자의 관리실태와 효율적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제25권 제2호, 2011,
169쪽.
181) 경찰우범자관리의 가장 문제는 법적 근거에 대한 논란이다. 범죄첩보수집이 강제성을 띠
지는 않지만 사생활을 침해할 여지가 있어 법적 근거가 필요한 반면, 근거규정이 되는「우
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은 경찰청 예규에 불과하고 경찰관직무집행법 제2조 제4호
의 치안정보수집규정이 근거법률이 될 수 없다는 비판과 함께 인권침해의 우려가 항상 제기
되어 왔다. 실제로 경찰이 2012년 8월 24일 성범죄전과자에 대한 우범자의 동향을 파악하
는 과정에서 가족 앞에서 27년 전의 성범죄전과를 들먹여 수치스러웠다는 이유로 성범죄전
과자가 목을 매어 자살한 사례가 있었다. 이렇게 우범자관리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명확하
지 않다보니 경찰관들이 우범자에 관한 첩보 수집을 형식적으로 하게 되고, 사건이 발생하
면 언론은 우범자관리를 잘못한 경찰을 비판적으로 보도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19 2013 책임연구과제

전반적인 교육이 선행되어야 담당 경찰관이 책임감을 가지고 성폭력범죄


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육체적 고통보다 정신적
고통으로 피해자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고, 전 국민을 분노와 불안
에 휩싸이게 할 수 있는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것이 바로 성폭력 범죄이
다. 성폭력 사건이 일어날 때 마다 검증되지 않은 대책들로 이벤트성 대
응전략들을 쏟아내고 있는 현실 속에서, 기존의 근시안적이고 대중적인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처방과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
내기 보다는 기존에 운영 중인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법률상 경찰에게 권
한과 의무를 부여한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대상자 관리 제도에 대해서
는 가장 우선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현장 지역 경찰관들이 성범죄 전력자들을 실효성 있게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매뉴얼을 제작, 하달하여야 할 것이며, 신속한 범인 검거를 위
해 관내 성범죄 전력자들의 정보 수집을 위한 목적의 우범자 자료 관리
가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범자 관리에 관한 근거규정이 법률에
명시될 수 있도록 법률 제정 작업도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 신상정보 등록대상자를 관리하는 일선의 지역경찰관들 대상으로 성
범죄전력자들의 관리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알리고, 경각심과 공감대
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교육 또한 필요하다. 물론, 성범죄 전력자들의
재범방지를 위해서는 경찰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

전술한 영국의 경우처럼 중요조직범죄청(SOCA) 산하에 아동 성범죄


조정 및 총괄전담 기구를 설립, 운영하여 신고 접수부터 수사, 교육, 홍
보 등 종합적인 활동수행이 가능한 것처럼,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경찰
청, 여성가족부, 법무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등 부처별로 시행
중인 수많은 성폭력 예방대책들과 성범죄 전력자 관리대책 등이 각각 개
별로 운영 중인 바, 영국의 제도처럼 종합적으로 성폭력 범죄에 강력히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0

대처할 수 있는 종합대책기구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성폭


력 범죄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도 성범죄 전력자들의 재범을 방지하는 정
책이 형식적인 아닌 실효성 있는 제도로 운영되어야 한다.
121 2013 책임연구과제

v.결론

본 연구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의 성폭력범죄의 형사법제와 대


응방안을 비교법적인 고찰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성폭력범죄에
대한 우리나라 형사법체계와 보안처분의 검토와 더불어 성폭력범죄에 대
한 우리 경찰의 수사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는 성폭력범죄자에 대하여 신상공개제도, 전자감시제도, 약물


치료법, DNA신원확인법 등 성폭력범죄자의 예방과 재범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 미국, 독일, 일본은 범죄예방과 재범방지와 더불어 치료
처우의 제도 및 성폭력방지 프로그램을 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교정을 중시하고 있다. 특히 성폭력범죄는 다른 범죄와는
다르게 반사회적 인격 장애나 성도착증과 같이 정신적·심리적 장애를 가
지고 있는 범죄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범죄이므로 각각의 범죄자의 특
성에 맞게 현재 시행하고 있는 대응방안 이외에 교도소와 사회 내에서
범죄자에 대한 치료와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에 대한 우리나라 경찰의 수사실태와 개


선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찰의 수사제도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성폭력범죄의 수사실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수사 인력
의 전문성확보와 전문수사인력이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성폭력피해자의
심리상태를 잘 이해하고 수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성폭력수사에 있어서 경찰이 인지한 사건 중 특정한 사건에 있어서는 경
찰이 행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사의 반복 조사로 인한 피해방지의
대안으로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검·경 성폭력 협력수사제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성폭력 사건 일체를 전담하는 검·경 협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2

력수사제도를 도입하여 관련 정부부처 등과 상호 협력체제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효율적인 수사지원체계를 구축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
하여 성폭력범죄와 관련된 수사기법의 개발, 성폭력피해자에 대한 장기
적인 보호프로그램의 개발, 여성사회단체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유지
등이 필요하다.

둘째, 성폭력범죄의 과학수사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과학수사기법의 도


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리정
보시스템(GIS)을 도입하여 운용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그리고 감식기능
의 활성화를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인력을 범죄수사에 적극 참여하
게 하는 방안과 경찰청 과학수사센터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실시간 협조체계를 통한 합동 수사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수사관의 선발과 교육훈련을 통한 과학수사 역량강화도 요구된다.

셋째, 성폭력피해자의 사생활비밀보장과 관련하여 성폭력특례법 제24


조의 피해자의 신원과 사생활비밀누설 금지규정과 위반 시 처벌규정이
있으나 좀 더 실효성 확보차원에서 관련자에 대한 교육적 차원의 검토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성폭력피해자의 개인정보강화에 대해 미국의 성폭
력피해자보호제도에서 보듯이 전문상담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상담과정을
비디오 등으로 녹화하여 수사 과정이나 재판 과정에서 증거로 사용된다
면 피해자의 2차적 피해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이를 위
해서는 관련법령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법률조력인의 선
임에 대해 검사가 국선 법률 조력인을 지정하게 되어있어 경찰 수사단계
에서 법률조력인 없이 사건이 진행되어 성폭력피해자의 보호가 미흡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경찰에 법률조력인 지정권을 부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넷째, 성폭력범죄자의 재범우려와 관련하여 일선에서 치안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의 경우 경찰청 예규에 의해 재범방지와 성폭력특별법에 의한
123 2013 책임연구과제

신상정보 등록대상자 담당제도가 있다. 특히 성폭력우범자 관리제도는


그 법적 근거가 없이 경찰청 예규로 존재한다. 이러한 법적 근거가 없는
내부지침으로는 범죄예방이나 수사에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
서 성폭력 범죄 우범자에 대한 관리를 위해 성폭력특별법 내에 관련규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제정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4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1. 단행본

김일수·서보학, 형법각론, 새로쓴 제7판, 박영사, 2007.

권오걸, 형사소송법, 형설출판사, 2010.

김성돈, 형법각론, 제2판,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2011.

박상기, 형법각론, 제8판, 박영사, 2011.

정성근·박광민, 형법각론, 제3판, 삼지원, 2008.

서원철, 미국형법, 법원사, 2005.

손동권 형사소송법, 개정신판, 2010.

오영근, 형법각론, 제2판, 박영사, 2012.

이재상, 형법각론(제8판), 박영사, 2013.

이은모, 형사소송법, 제3판, 2012.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손동권·김재윤, 형법각론, 율곡출판사, 2011.

조 국,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3.

법무부, 독일형법, 법무부형사법제과, 2008.

법무부, 일본형법, 법무부형사법제과, 2008.


125 2013 책임연구과제

2. 논문

강은영·김한균·이원상, “국내외 아동성폭력범죄 특성분석 및 피해자보호


체계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2010,

김일수, “범죄인 전자감독에 관한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법무부 용역


과제, 2005.

권창국, “.DNA데이터베이스 도입 및 관련법제에 관한 연구”, -미국 등


각국의 DNA데이터베이스법제 및 관련판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 형사정책연구, 제16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권창국, “청소년 대상 성범죄의 통제수산으로서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에 관한 재고찰”, 법조, 제53권 제4호, 법조협회, 2004.

김상운·조현빈, “경찰의 성범죄 전력자 관리”, 한국콘텐츠학논문지, Vol


11. No 12, 2011.

김성은, “독일의 아동 및 청소년의 성보호를 위한 형사입법 동향”, 형사


정책 주요동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가을호),

김성준, “DNA정보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독일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9권 제4호, 한독사회과학회, 2009,

김용근, “경찰 수사단계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방안”, 피해자학연


구, 제16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08.

김은경·최수영·박정선, “2008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조사연구(V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김택수, 형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보호와 지위강화-프랑스와 한국의


비교법적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3호, 2009.

김학신, 범죄경력자 관리 실태와 효율적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제25


권 제2호, 2011.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6

김한균·강은영, “성폭력범죄의 양형분석 및 재범방지를 위한 성폭력범죄


자 사후관리방안”, 법무연수원, 2007.

김혜정, “미국과 독일 전자감독 운영방식의 비교를 통한 우리 전자감독


운영방식의 검토”, 한국형사법학의 오늘, 정온이영란교수화갑기
념논문집, 2008.

김혜정, “성폭력범죄자 출소 후 감독제도 효율화 방안”,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김혜정,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팔찌 적용가능성에 관한 검토, 형사


정책연구, 제16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김혜정, “범죄피해자 등의 신상정보 보호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피해


자학회, 대검찰청 용역과제, 2009.

김회균, “상습적 아동 성폭력범에 대한 화학적 거세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 형사법연구, 제21권 제4호, 한국형사법학회, 2009,

김효정, “경찰의 강력범죄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1.

류여해, “교정시설에서의 성범죄자 재범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


정연구, 제47호, 한국교정학회, 2010.

박상진·신준섭, “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연구”, 형사정책,


제17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5.

박성수, “보호관찰대상자의 전자감시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


회보, 제25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박철현, 성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국제비교: 한국, 미국, 영국의 양형기


준에 나타난 형량비교, 한국치안행정논집, 제8권 제4호, 2012.

박혜진, “소위 전자장치부착법(특정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127 2013 책임연구과제

부착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형사정책, 제19권 제2


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7.

신주호, 경찰수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연구, 법학연


구, 제21권 제2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계원,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세계헌법연구, 제16권 제2호, 국제헌법학회, 2010,

오삼광, 현행DN데이터베이스제도의 법적 문제점과 발전방안, 치안정책


연구, 제26권 제1호, 2012.

오영근, 형사특별법 정비방안(6), 성폭력특례법, 형사정책연구원, 2008.

원혜욱, “성폭력피해아동을 위한 법률 조력인제도 도입방안”, 법무부,


2011.

이덕인, “형법과 형사특별법상 성범죄 처벌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찰연구논집, 제8호, 한국경찰이론과 실무학회, 2011,

이수정, “국내 성범죄자 치료처우 방안 모색을 위한 미국의 성폭력범죄


자 치료 프로그램의 실태 조사”, 법무부, 2007.

이수정·고려진, “성폭력 범죄자 재범방지 치료처우 강화방안”, 한국범죄


학, 제1권 제1호, 한국범죄학회, 2007.

이수정·이영점, “Correction for Sex Offender, What Work?”, 소위 ‘화


학적 거세’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2010.

이승환,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의 이론과 국제 현황”, 형사법의 신


동향, 제18호, 대검찰청, 2009.

이영란 외, “신상공개제도 효과성 분석 연구,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


회, 2004.

이정념,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형사법적 제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8

언”, 정암 정성진 박사 고회논문집, 박영사, 2010.

이희선, 경찰의 정신지체장애 성범죄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


국민간경비학보, 제18호, 2011.

임석원, “개정형법상 성범죄처벌규정에 관한 재검토”, 법학연구, 제54권


제2호, 2013.

유제설, “법과학대학원의 도입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2


호, 동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전영실 외,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재범억제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정신교, “전자감시제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12권 제2


호, 2011.

정신교, “특정성범죄자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쟁점”, 형사정책, 제20권


제2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8.

정현미, “성폭력범죄대책과 전자감시”, 형사정책, 제21권 제1호, 한국형


사정책학회, 2009.

정현미, “성폭력범죄피해 아동·장애인을 위한 진술조력제도”, 이화젠더법


학, 제4권 제1호, 이화여대 법학연구소, 2012.

조병인, “우리나라의 법과학연구 및 과학수사 실태와 발전방향”, 형사정


책연구, 제20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조준현, “독일형법에 있어서 성범죄규제의 변화와 의미”, 한국 형사법학


의 이론과 실천, 정암 정성진 박사 고희 논문집, 2010.

조철옥, “아동성폭력 범죄자에 화학적 거세에 관한 고찰”, 치안정책연구


제24권 제2호, 치안정책연구소, 2010,

진수명·김혜정, “각국의 보호관찰 대상자 준수사항에 관한 연구”, 한국형


129 2013 책임연구과제

사정책연구원, 2001,

허선주·조은경,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


향”, 피해자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2.

황만성, “유전자감식정보의 형사절차상 활용방안-유전자감식정보법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2007.

황만성,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형사제재의 최근 경향과 쟁점”, 한양법학,


제22권 제2집, 2011.

황성기, “상습적 성범죄 예방수단으로서의 거세(去勢)에 관한 헌법적 고


찰”, 공법학연구, 제9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8.

황지태, “범죄피해율과 공식범죄발생률간의 비교분석”, 형사정책연구, 제


21권 제3호, 한국형사정책연구회, 2010.

3. 기타

국립과학수사연구원(http://www.nfs.go.kr)

법무부, 보도자료(2013. 9. 5)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일본경찰청, 범죄용의자 DNA DB, 2005.

여성가족부, 2010년 성폭력 실태조사(1부), 2010.

이수진, “미국의 성범죄 재판-피해자 보호를 위한 재판절차연구-”, 각국


의 성범죄 공동학술세미나 자료집, 2011.

신의진,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의학적


의견”, 상습적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
안을 위한 토론회 자료, 2010,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0

Ⅱ. 외국문헌

1. 단행본

Busch, Die deutsche Strafrechtsreform, 2005.

Lutz Meyer-Großner, Strafprozessordnung, C.H. Beek, 2007.

Kaiser, Kriminologie, 3. Aufl., 1996.

Wolfgang Joeck, StGB, 5. Aufl., Verlang C. H. Beck, 2004.

藤永帝治, 風俗 性犯罪, 東京法令出版, 1996.

關田實, 兒童賣春兒童ボルト處罰法, 日本評論社, 1999.

2. 논문

Brian K. Payne & Randy R. Gainey, “Is Good-time Appropriate for


Offenders on Electronic Monitoring? Attitudes of Electronic
Monitoring Director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8, 2000.

Carli, L. L., “Cognitive reconstruction, hindsight, and reaction to


victim and perpetrat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5, 1999.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Uniform Crime Report 2002, DC:


U.S. Deparment of justice, 2003.

Hackett, L., Day, A., & Mohr, P., “Expectancy Violation and
Perceptions of Rape Victim Credibility”, Legal and
131 2013 책임연구과제

Criminological Psychology, 13, 2008.

Jolin, A., & Stipak, B., “Drug treatment and electronically


monitored home confinement: An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sentencing option”, Crime and
Delinquency, 38, 1992.

Jordan, J., “Beyond belief?: Police, rape and women’s credibility”,


Criminal Jus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 Practice,
4(1), 2004.

Laura L. Rogers, The SMART OFFICE: Open for Business, 41


JUN Prosecutor, 2007.

Laura A. Ahearn, "Megan's Law Nationwide and The Appele of my


Eye Childhoo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Prevention Press USA, 2001.

M. J. Markett, Genetic Diaries; An Analysis of Privacy Protection


in DNA Databanks, 30 SUFFOLK U. L. REW., 1996.

Matt Black & Russel G. Smith, “Electronic monitoring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rends & Issues in Crime and
criminal Justice 254, 2003.

Matthew V. Daley, A Flawed Solution to the Sex Offender


Situation in the Unite States: The Legality of Chemical
Castration for Sex Offender. 5 IND. HEALTH. L. REV. 87.
2008.

Melella. J./Travin. S./K. Cullen, “Legal and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Antiandrogens in Treating Sex Offenders”, Bulletin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Law, Vol. 17,
성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2

1989.

Menendez, Bernard, "The Constitutional of Megan's Law;


Permissible Regulation or Unconstitutional Intrusions?", 24
New England Journal on Criminal Civil Confinement 1,
Winter 1998.

Pfaffenroth, P. C., The Need for Coherence: States Civil


Commitment of Sex Offender in the Wake of Kansas v.
Crane, Stanford Law Review, 55, 2003.

Petersilia, J., & Turner, S., “Comparing intensive and regular


supervision for high risk probationers”, Crime &
Delinquency, 2003,

Peter D. Martin, National DNA databases-practice and


practicability, A forum for discussio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2004.

Timothy O, Woods, Office for Victims of Crime, First respond to


Victims of Crime, 2001.

Schmidt A. K., “The use of Electronic Monitoring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00.

Wille, R. & K. M. Beier, “Castration on Germany”, Annals of Sex


Research, Vol. 2, 1989.

內海明子, “日本に おける 性犯罪處罰規定の問題點”, Aisa University


Law Review 38卷 2號, 2004.
133 2013 책임연구과제

3. 기타

미국 연방수사국 사이트 통계자료(http://www.fbi.gov/stats-services/


crimestats)

독일 연방수 사청사 이트( w ww . bk a. de/ Pu bl i k ati onen / Pol i zei l ic he


Kriminalstatistik(PKS)

일본 경찰청 홈페이지 통계(http;//www.npa.go.jp/toukei/index.htm)


책임연구보고서 20
13-00

「각국의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대응방안


비교·관찰을 통한」우리 경찰의 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2013년 12월 발행

발행인 : 치안정책연구소장
발행처 : 치안정책연구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로 74
홈페이지 : www.psi.go.kr

이 책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이 책자에 게재된 내용은 연구자 개인의 의견이며


치안정책연구소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POLICE SCIENCE INSTITUT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