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6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

ISSN : 1738-2580(Print)

김정은시대 북한 대외정책 변화 연구: 전망이론을 중심으로

김관옥

To cite this article : 김관옥 (2013) 김정은시대 북한 대외정책 변화 연구: 전망이론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4:3, 145-169

① earticle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학술교육원은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
습니다.

② earticle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
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ww.earticle.net

Download by : 203.253.93.78 Accessed :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김관옥
(계명대학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 목 차>
Ⅰ. 서론 Ⅳ. 2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1874호에 대한
Ⅱ. 이론적 검토 김정일정권의 대응
Ⅲ. 1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1718호에 대한 Ⅴ. 3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2094호에 대한
김정일정권의 대응 김정은정권의 대응
Ⅵ. 결론

【국문요약】
본 연구는 북한 대외정책의변이성을 설명하 사례연구결과는 북한정권은 국제적으로 고
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왜 종종www.earticle.net
대외적으로 립되며 정치, 경제적 조건이 열악한 상황에서
위험을감수하는도발적행태를취하며왜다른 현재상태의 상대적 손실에 더욱 민감하게 되어
경우에는 비교적 온건한 행태를 보이는가를 규 현재상태가 손실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
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손실회복을 위해 ‘벼랑끝 전략’에 기반한 극단
집권한 김정은정권이 제 3차 핵실험 이후 유엔 적인 위기촉발 행태를 전개한 것이다. 하지만
안보리 제재에 대해 예외적으로 김정일정권 시 미국과 중국 등이 북한의 도발적 행태 이후에
기보다 더 극단적인 도발 행태를 취한 원인을 협상을재개하고경제적지원을제공한경우이
규명하는데연구의취지가있다. 익영역으로 인식하며 비교적 타협적 행태를 전
이에 본 연구는 전망이론을 통해 김정일정 개했다. 특히 김정은정권은 김정일정권에 비해
권과 김정은정권의 대외정책과 행태의 변이성 권력이 충분히 공고화되지 않는 등 국내외 정
의 원인을 분석한다. 김정일정권시기에 취해진 치, 경제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더 악화되면서
‘대포동 2호’와 ‘광명성 2호’ 등의 장거리미사일 현상을 더 큰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한 것이 유
발사와 1차, 2차 북핵실험 그리고 유엔안보리 엔안보리 제재 2094호 이후 극단적인 도발행태
제재 이후의 행태를 김정은정권 시기의 경우와 를이어가게한것으로분석되었다.
비교 연구함으로서 ‘위기촉발’의 도발적 행태와
온건한 협상추구의 행태를 반복하는 원인을 규 주제어:북한 대외정책, 김정은정권, 전망이론,
명하는것이다. 북핵문제, 북미관계, 6자회담
146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Ⅰ. 서 론
알렉산더웬트(Alexander Wendt)는무정부상태구조에서는모든국가들은자신들의선
호와 관계없이 세력균형을 이루게 되어 그 가운데 비합리적으로 행동하는 국가들은 도태
된다고 주장한바 있다. 그러나 북한은 자국에게 불리한 비대칭적 세력구조임에도 불구
1)

하고 비합리적 행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북한은 2012년 12월 12일 중국을 포함
한 주변 국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장거리 로켓발사를 단행했으며 이어 2013년 2월 1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일에는 제 3차 핵실험을 강행함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핵위협을 가중시키는 행태를 이


어갔다. 특히 이러한 북한의 도발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를 중심으로
국제사회가 제재를 강화하는데 대해서도 북한은 매우 이례적으로 강력한 반발을 가속화
하고 있다. 유엔안보리가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해 제재 결의안 2087호를 채택했고 이어
핵실험에 대해서도 제재 결의안 2094호를 통과시키면서 제재의 강도를 높여가자 북한은
핵보유국 위상을 천명하며 정전협정 파기, 남북불가침합의 폐기, 판문점직통전화 단절 등
가용한모든반발수단을적극활용하고있다. 북한은또 3월 30일에는정부, 정당, 단체명
의의 특별성명을 발표하여 남북관계가 전시상황(state of war)에 진입했다고 선언함으로
서 한국전쟁을 끝내고 정전협정을 체결한지 60년 만에 북한은 다시 한반도에서의 전쟁의
위기감을 최고 수준으로 고조시켰다. 더욱이 4월 15일을 앞두고 김정은정권은 한국, 미
2)

국, 일본에의미사일발사를공언하며전면전쟁직전까지상황을몰아갔다
www.earticle.net .
유엔 제재결의안 2094호는 북한의 오랜 동맹국인 중국을 포함해 유엔안보리 15개 회원
국 전체가 만장일치로 채택 했고 그 내용도 기존 결의안들보다 제재 강도가 높은 것은 사
실이지만 북한은 과거에 비해 예외적으로 강도 높은 반발을 이어갔다. 북한은 3월 6일에 3)

는 핵 선제공격권 행사와 제2의 조선전쟁을 공언했으며 11일에는 정전협정 백지화 조치


를 실행에 옮기기 시작해 판문점 남북 연락사무소 간 직통전화를 단절했다. 더욱이 북한
1) Alexander Wendt,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p.150-156.
『연합뉴스』 년 월 일
2) . 2013 3 30 .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3/03/30/0511000000AKR
검색
20130330013852014.HTML?template=2085 (2013/3/30 ).
유엔헌장 장 평화에 대한위협 평화의파괴 및 침략행위에 관한행동 조 비군사적 조처 에 근거한
3) 7 ( , ) 41 ( )
제재안으로서 군사적 강제조처에 해당하는 조는 채택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의 제재안보다 강화
42 .
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북한과 관련되어 금지물자 적재가 의심되는 선박 검색과 항공기 영공통과 및
이착륙금지등이포함되었다. 특히해당선박이검색을거부할경우유엔회원국들이자국에 북한선박
의 기항을 불허한다는 조처가 포함되었다. 금융거래 부분에서도 북한의 제재 대상 관련 단체 또는 개
인의 자산동결뿐만 아니라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 금지와 대리인의 자산 동결도 추가되었다.『한겨레
신문』, 2013년 3월 8일.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47
은 3월 26일에는 한반도에 핵전쟁 상황이 조성되었다고 주장하며 한국과 미국에 대한 핵
타격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으며 27일에는 마지막 남은 남북한 소통통로인 남북 군사당
국간 통신선까지 단절했다. 특히 북한은 4월 10일에는 개성공단까지 폐쇄시킴으로서 남
4)

북간의 모든 접촉 창구를 폐쇄했다. 이는 김정은 북한정권이 한반도 안보상황을 위협의


수준에서물리적충돌의상황으로확대시킬수있음을보여주는것이다.
내부적으로도 북한은 연일 대규모 군민대회를 열고 모의 사격훈련 등 전쟁분위기를 조
성했으며 이런 환경에서 김정은 제1비서는 3월 7일 “북한군은 전면전을 개시할 준비가 되
어 있다“ 주장한 바 있다. 또 3월 12일에는 김정은 스스로 백령도 인근 월내도방어대를
5)

시찰하면서 ”명령만하면 적들을 모조리 불도가니에 쓸어 넣어라“고 지시하는 등 한반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안보 긴장을 최고조로 키우고 있다. 이와 더불어 3월 26일에는 인민군 최고사령부 명의


6)

성명을 통해 미사일 군부대와 장거리포병부대를 포함한 모든 야전포병군을 “1호 전투태


세”에 진입시킨다고 선언하며 군사적 위협의 강도를 최고조로 높였다. 특히 북한의 도발
적 행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미국이 B-52폭격기와 B-2 스텔스폭격기 그리고 핵잠수함
을 한반도에 보내자 북한군은 국가급 군사훈련을 실시했으며 김정은은 28일 전략미사일
부대에사격대기를명령함으로서한국과미국본토타격계획을숨기지않았다. 7)

이러한 김정은 북한정권의 도발적 행태는 2006년과 2009년 제 1차, 2차 핵실험 강행 이


후 안보리가 재제결의안 1718호와 1874호를 각각 채택했던 상황에서 김정일정권이 취했
던 행태보다 반발의 강도가 매우 크며 더 극단적이라는 평가다.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 8)

협회(CFR) 선임연구원도 “벼랑끝www.earticle.net


전술이 북한의 전술로 활용되어 왔지만 지금은 한도를
넘어섰다”고 주장함으로서 과거보다 북한의 도발적 행태가 극단화되었음을 지적했다. 9)

예컨대 2006년 유엔 안보리가 1차 핵실험에 대해 1718호 재제 결의안을 채택했을 당시 김


정일정권은 결의안 채택 3일후 외무성 성명을 통해 제재안은 미국의 각본에 따른 선전포
고라고 비난했지만 북한은 비핵화를 위한 자기 책임을 다할 것이며 미국의 동향을 주시하
며 해당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주장했다. 특히 NPT 탈퇴 후에는 사전 통보한 핵실험10)

4) 『연합뉴스』, 2013년 3월 27일.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3/03/26/0511000000AKR


20130326226951014.HTML?template=2085 (2013/3/27 검색).
5)『노컷뉴스』 , 2013년 3월 8일.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426286 (2013/3/10 검색).
6)『경향신문』, 2013년 3월 13일.
7)『한국일보』 , 2013년 3월 29일.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politics/201303/
h2013032911240174760.htm&ver=v002 (2013/3/29 검색).
8)『데일리 NK』 , 2013년 3월 29일.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6100&num=
99324 (2013/3/29 검색).
9)『연합뉴스』, 2013년 3월 30일.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3/03/30/0601080100
AKR20130330003500071.HTML?template=5566 (2013/3/30 검색).
10)『한겨레』, 2006년 10월 17일. http://book.hani.co.kr/arti/ISSUE/29/165075.html (2013/3/11 검색).
148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은 정당하다고주장함으로서 핵실험의당위성을 주장하고 재제결의안의불공정성을 부각
시키는 데에 주력했다. 2차 핵실험을 강행한 이후 안보리가 재제 결의안 1874호를 채택했
을 당시에도 북한외무성은 성명을 통해 6자회담 복귀 거부를 천명하면서 우라늄 농축작
업 개시와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의 전량 무기화를 주장하는 정도 수준의 반발을 하는 데
그쳤다.
이렇듯 김정일체제시기의대응보다 극단화된김정은체제의도발적 행태는중국과의관
계설정에서보다명확해진다. 김정은정권은동맹국인중국이적극적으로반대하던핵실험
을 강행함으로서 중국 지도자들과 고위관료들로부터 상당한 비판에 직면했으며 중국은 안
보리 제재결의안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 북한은 동맹국도 동의하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11)

지않는도발적행태를이어가면서국제적고립상태를스스로심화시키고있는것이다.
왜 김정은 북한정권은 장거리 로켓 발사와 제 3차 핵실험 강행했으며 여기에 정전협정
을 파기하고 한국, 일본, 미국에 미사일 발사를 준비하는 등 한반도 전쟁 가능성을 높이는
도발적 행태를 이어가고 있는 것인가? 왜 김정은체제는 과거 김정일체제 시기보다 유엔
안보리 제재결의안에대해 더욱도발적인 대응을이어가고 있는가? 김정은북한정권은 최
근 주장하는 대로 핵보유를 영구화 하고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바탕으로 한국은 물론 미국
안보를 위협하고 제2의 한국전쟁을 일으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
인가?
위의 질문들이 보여주듯이 본 연구는 김정은 북한정권의 극단적 도발행태의 원인을 분
석하고 김정일체제와의 차이점 www.earticle.net
규명과 북한의 향후 행태를 전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비대칭적 힘의 관계에서 현실주의이론이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김정은정권이 왜 중
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켜 결과적으로 북한에게 불리한 힘의 분배상태가 형성되게 할 수 있
는도발적행태를취하는지를규명하는데집중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북한정권의 ‘벼랑끝 전략’과 같은 도발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접근
법으로서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을 제시한다. 둘째로 북한의 도발적 행위의 원인을 파
악하고 안보리제재결의안에 대한김정일체제의 대응방법과 김정은체제의대응을 비교하
기 위해 우선 2006년과 2009년의 1, 2차 북핵실험 배경과 안보리 제재결의안에 대해 북한
이 취했던 행태를 규명한다. 셋째, 2013년 2월 3차 북핵실험 강행과 3월 유엔의 제재 결의
안 채택이후 김정은정권이 취했던 극단적 도발행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12월
김정일 사후 북한의 대내외적 요인들의 변화가 어떻게 대외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었는지
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이론적 접근법으로
『 』
11) 38 North, March , 30th 2013. http://38north.org/2013/03/jjun032913/?utm_source=38+North+
Bulletin%2C+ 032913&utm_campaign=38+North&utm_medium=email (2013/3/30 검색 ).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49
제시한 전망이론의 적실성을 평가하고 아울러 이를 배경으로 향후 김정은정권이 추구할
대외정책이한반도안보에미치는함의를파악한다.

Ⅱ. 이론적 검토
본 연구는 왜 김정은정권이 유엔 안보리 제재에 대해 더 극단적이고 공격적인 행태를
취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집중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북한이 공격적 행태를 지향하는 미국,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일본, 그리고 한국과는 비대칭적 힘의 배분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행태는
비합리적인 것이다. 왜 김정은정권은 이런 비합리적인 행태를 이어가는가? 특히 왜, 어
12)

떤 조건에서김정은정권은 김정일정권시기보다 더공격적인 행태를전개하는가? 어떤 접


근법이이런비합리적이며공격적인행태를보다효과적으로설명할수있는가?
본 연구는 북한의 비합리적이며 공격적 행태를 설명하기 위해 전망이론 을 이론적 접 13)

근법으로 채택한다. 전망이론은 카네만(Daniel Kahneman)과 트베르스키(Amos Tversky)


에 의해서 제시된 이론으로서 기존의 합리적 선택이론(rational choice theory)이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정책결정자들이 항상 절대적 가치에 근거해 결정하기 보다는 준거점
(reference point)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의 관계 속에서 선택을 한다는 것이다. 즉 전 14)

망이론은 국가들 간의 관계의 주관성과 상대성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으로서 정책결정자


들은 이익보다도 상대적 손실에 www.earticle.net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따라서 손실의 상황에서 손실회복
을위해위험부담이높은비합리적인정책을채택한다는것이다.
전망이론은 이러한 손실에 대한 민감성은 두 가지 효과에 의해서 강화된다고 주장한다.
우선 손실에 대한 민감성은 전망이론이 주장하는 영역효과(frame effects)와 연결되어 있
는데 선택의 영역이 손실영역인지 또는 이익영역인지에 따라 채택하는 정책의 선호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즉 인간은 이익의 영역에서 선택할 경우 안전한, 위험을 회피
(risk-averse)하는 선택을 선호하고 반대로 손실의 영역에서 선택할 경우 손실 복원에 집착
하게되어위험부담(risk-taking)을감수하는선택을한다는것이다. 15)

12) Victor Cha and David Kang, 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pp. 1-11.
13) 전망이론은 위험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이론으로서 정책결정자의 대내외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정책
결정에결정적변수로서작용한다고간주한다 .
14) Daniel Kahneman and Amos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Making under
Risk,” Econometrica, Vol. 47, No. 2, (1979), pp. 263-291.
15) Rose McDermott, James Fowler, and Oleg Smirnov, “On the Evolutionary Origin of Prospect Theory
Preferences,” Journal of Politics, Vol. 70, No. 2, (April 2008), pp.336-337.
150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둘째, 이러한 손실에 대해 보다 민감성을 보이는 영역효과는 소유효과(endowment
effect)에 그 근원이 내재되어 있다. 소유효과는 인간이 새로운 것을 얻을 때 가지는 기쁨
은 유사한 기존의 것을 잃을 때 느끼는 고통보다 작다는 것이다. 즉 소유효과는 인간이 16)

이미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한 과대평가의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따라서 자신의 기존


자산에대한손실을매우꺼려하는손실회피경향이더강화된다는것이다.
그럼 무엇이 손실과 이익의 경계선인가? 결국 정책결정자가 어떤 기준을 통해 손실과
이익을 규정하는가에 따라 대외정책의 내용도 달라지는 것이다. 정책결정자에게 있어서
손실영역과 이익영역의 구분기준인 중립적인 준거점(reference point)이 중요한데카네만
과 트베르스키는 인간이 현재 상태를 준거기준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판단한다는 점에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현재상태(status quo, 이후 현상)가 준거점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정책결정자들 17)

은 현상유지에 정당성을 부과하는 인식체계를 구성함으로서 현재 상태에서 이익을 추가


하는 것은 받아들이면서도 현상을 위협하는 손실은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전망이론은 손실에 민감한 정책결정자들은 준거점 역할을 하는
18)

현상유지에 더 집착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상으로부터의 손실은 더 큰


불안을 조성하게 돼서 정책결정자들은 손실을 복원하기 위해 비합리적이며 위험부담이
높은선택을하게된다는것이다. 19)

이렇듯 전망이론이 대외정책이론에 가지는 함의는 국가들의 손실에 대한 높은 민감성


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현상유지 경향으로 이어져 결국 현상유지를 위협하는 손실을 복
원하기 위해서는 위험부담(risk-taking) 을 감수하는 비합리적 정책을 채택할 수 있다는 것
www.earticle.net
이다. 20)

이러한 전망이론의 주장은 무정부상태의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안보를 확보해야 하는


정책결정자들의 손실회피 경향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정부상태의 효과에 따른 국
가들의 행태는 이미 신현실주의 이론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고 특히 상대적 이익개념을
통해 다른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이익을 파악하고 그 결과로서 국가간 협력이 어렵다는
16) Jack Levy, “Loss Aversion, Framing Effects, and International Conflict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17, No. 2, (1996), p.182.
17) Daniel Kahneman and Amos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Making under
전망이론에서 현상은 개인이 생각하는 현재 소유 자산의 상태이다 따라서 정책
Risk,” pp.274-278. .
결정에 적용할 경우 현상은 정책결정자가 인식하는 현재 소유하고 있는 국내외적 위상과 자산으로
정의할수있다.
18) William Samuelson and Richard Zeckhauser, “Status Quo Bias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Vol. 1, (1988), pp.33-39.
19) Robert Jervis, “The Implications of Prospect Theory for Human Nature and Values,” Political Psychology,
Vol. 25, No. 2, (2004), pp. 163-176.
20) 황지환 전망이론의 현실주의적 이해 현상유지경향과 상대적 손실의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논
,“ : ,”
총』제 집 호
, 47 3 , (2007), pp.11-12.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51
주장을 제기했다. 하지만 전망이론은 상대적 손실부분에 집중하여 국가들의 협력 실패
21)

와 같은 방어적 행태보다는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손실을 복원하여 현상을 유지하려는 목


적으로비합리적이며공격적행태의발생에대한주장을제시한것이다.
이러한 전망이론의 주장은 정책결정자들이 항상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합리적 정
책만을 채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며 이는 북한의 비합리적이며 도발적인 정책
을 이해하는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전망이론에 따르면 만약 북한의 정책결정자가 현상
유지를 이익의 영역으로 파악할 경우 합리적 선택이론이 주장한대로 합리성을 기반으로
한 선택이 이루어져 위험회피적 대외정책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정책결정자가 ‘현상’을손실의영역으로인식할경우손실보전을위해높은위험부담의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박성격이큰정책이채택될가능성이크다는것이다. 22)

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망이론은 정책결정자가 손실과 이익을 전망할 수 있


는 준거점(reference point)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전망이론은 어떤 23)

요인이 변화할 때 ‘현상’을 변화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특히 이익영역으로 변화하는지 손


실영역으로 변화하는 지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단지 전망이론
은 정책결정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만을 강조한다. 전망이론은 정책결정
자의 정책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제정치적 상황과 환경 등을 추상적으로 판단할
뿐이다. 둘째, 전망이론은 특정 정책결정자를 행위 주체로 간주함으로서 다른 국내 주
24)

요 행위체들의 손실과 이익에 대한 판단이 정책결정자의 준거점 규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


려하지 않고 있다. 즉 정책결정자의 준거점 규정에 있어서의 국내 정치세력들이 국내외
www.earticle.net
정치환경에 대한 해석 또는 힘의 역학관계를 통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한다는 것이
다. 25)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재 소유하고 있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다음과 같은 가


치들(‘생존 및 영토’, ‘경제적 성과’, ‘국제적 반응과 위상’, ‘명성 및 정체성’, 그리고 ‘국내적
안정 또는 지지’)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변화가 정책결정자가 ‘현상’을 이익 또는 손실영역
으로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둘째, 전망이론이 정책결정에 있어 정책 26)

21) Joseph Grieco,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2, No. 3, (Summer 1988).
22) Rose McDermott, “Prospect Theory in Political Science: Gains and Losses from the first decade,”
Political Psychology, Vol. 25, No. 2, (2004), p.294.
23) Jeffrey Berejikian, “The Gains Debate: Framing State Choi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1, No. 4, (December 1997), p.791.
24) Timothy Mckeown, “Decision Processes and the Co-operation in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Vol. 47, No. 2, (1992), p.412.
25) Paul Hart, Eric Stein, and Bengt Sundelius, Beyond groupthink: political groups dynamics and foreign policy-
making, (Ann Harb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pp.132-133.
152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결정자 개인의 판단에 집중한다면 본 연구는 정책결정자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
치집단 또는 세력의 역할 및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한다. 즉 정책결정자와 유사한 수준의
기득권 집단은 손실에 대한 민감도도 높아 정책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외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집단의 판단과 역할을 함께 고
려한다.
이러한 전망이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 차례에 걸친 핵실험과
그이후유엔안보리제재과정에서김정일정권과김정은정권이가진 ‘현상’에대한인식이
어떻게 대외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함으로서 북한의 도발적 행태의 원인을
규명한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Ⅲ. 1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1718호에 대한 김정일정권의 대응


북한은 2006년 10월 3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핵실험계획을 선언한 이후 10월 9일 핵실
험을 전격적으로 단행했다. 북한의 핵실험은 주변 국가들의 강력한 경고와 설득에도 불구
하고 강행된 것으로서 북한의 가장 강력한 현상타파적인 행태였다. 북한은 ‘현상’을 손실
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예상될 수 있는 제재를 감안하고서도 핵실험이라는 도발적 행태를
전개한것이다.
2005년 6자회담을 통한 9.19공동성명이 발표되면서 북핵문제 해결의 청신호가 켜진 상
www.earticle.net
황에서 미국이 북한의 위폐 제작 혐의를 문제 삼아 북한 해외자금을 동결하자 북미관계는
다시 악화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북한이 100달러 위조지폐를 제작했다고 주장하며 마카
오에 위치한 방코델타아시아은행(BDA)에 있는 북한자금을 동결하자 북한은 강력히 반발
하며 BDA문제 해결없이 6자회담 복귀는 없다고 주장했다. 즉 북한은 미국의 제재가 경
제적 손실은 물론 자국의 명성과 주권국가의 정체성을 훼손했다고 판단함으로서 ‘현상’을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한 것이다. 9.19공동성명에 합의를 했다고는 하지만 경제적 역량은
물론 군사적 역량에서도 열세를 면치 못했던 북한은 BDA사건으로 손실의 인식이 강화되
었던 것이다. 특히 북한의 입장에서는 1990년대초부터 시작된 경제위기의 상황이 개선되
지 않았고 이에 따른 사회불안정성이 고조되는 환경이었기 때문에 미국의 제재는 북한으
로 하여금 ‘현상’을 손실로 인식하게 한 것이다. 이렇듯 손실의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은 소
26) Anat Niv-Solomon, “When Risky Decisions are Not Surprising: An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to the Israeli War Decision in 2006,” Prepared for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Montreal, Canada, March 16-19, 2011, pp.8-9.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53
유영역에 존재하던 ‘BDA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자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
호’ 미사일을 발사했고 10월 9일에는핵실험을 단행한 것이다. 물론 북한의 핵실험이 다양
한 전략적 계산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북한의 10월 3일 외무성과 9일 조선중앙통신의
핵실험을 “자위적 전쟁억제력을 강화하는 조치”라는 성명과 보도는 핵실험에 내재되어
있는북한의손실복원의의미가드러나고있다 . 27)

북한의 핵실험이 한반도 안보는 물론 국제안보 질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국제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등장했다. 한반도 차원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최대 군사도발로
서 남북대화국면을대결국면으로 급전환시킨효과를 보였으며 동시에동북아지역 전체에
위기감을 조성함으로서 핵확산의 동기를 고조시킨 효과를 보였다. 북한의 위협에 안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28)

가 노출되어 있는 일본과 한국 등에서의 핵보유의 동기가 커지는 효과가 나타남으로서 핵


도미노 현상을 우려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런 수평적 핵확산 우려는 미국이 강력하게 유
지하고자하는 핵비확산레짐과 규범을 약화시키는 것으로서 국제안보질서를 위협하는 것
이다.
이러한 북핵 1차실험의 효과는 결국 미국중심의 안보질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했
고 미국은 이에 대해 유엔안보리를 통해 제재결의안을 채택했다. 10월 14일 중국과 러시
아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북핵실험을 비난하며 재래식무기 금수 등이 포함된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 1718호를채택했다. 제재결의 1718호의주요내용은 <표 1>이보여주듯이초
보적 단계의 제재안이며 그 내용도 구체성이 약하다는 평가다. 특히 화물검색 조항도 ‘금
지물품을 적재한 북한행 또는 북한발 화물선박에 대해 검색에 협조를 요청’한다고 되어
www.earticle.net
있고 사치품이 수출통제 품목에 포함되긴 했지만 구체적으로 명기가 되지 않아 제재를 강
제하기위한구체성이떨어졌다.
이러한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해 김정일정권은 “미국이 압박을 가
중시킬경우이를선전포고로간주한다” 라고대응했다. 특히유엔안보리가만장일치로 29)

대북 제재결의안 1718호를 통과시키자 “미국의 각본에 따른 것으로 안보리 결의를 전면


배격한다”는외무성성명을발표했다. 30)

하지만 전체적으로 북한은 1718호 제재에 대해 도발적이며 대결적 행태를 보이기보다


는 “미국의 동향을 주시할 것이며 그에 따라 해당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비교적 온건한 행태를 보였다 .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핵실험 직후 방북한 탕자쉬안
31)

27)『노동신문』, 2006년 10월 11일.


28)윤황, “북한의 핵실험이 한반도 통일환경에 미치는 영향,”『국제정치연구』, 제10집 1호 (2007),
pp.142-143.
29)『조선중앙통신』 , 2006년 10월 11일.
30)『한겨레신문』 , 2006년 10월 17일.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165116.html (2013/4/22
검색).
154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중국국무위원에게 “추가 핵실험 계획이 없다”고 밝히는 등 제재에 대한 반발보다는 수습
의행태를보였다. 특히북한은 10월 31일에는 6자회담에복귀하는등제재에대한반발
32)

과도발보다는조건부대화수용의행태를보였다.
이러한 북한의 비교적 온건한 행태는 유엔안보리 제재결의 1718호가 실질적으로 북한
에 직접적 타격을 주지 못했던 점도 작용했지만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중국의 경제협력
이 북한으로 하여금 ‘현상’을 손실의 영역보다는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하게 한 결과인 것
이다. 북한의 핵실험 이후 미국은 거부해오던 북미간 양자접촉과 대화를 시작했으며 북
33)

한과 ‘2.13 합의’도 도출하면서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하고 중유 5만톤 지원 등


경제, 인도, 에너지 지원을 약속했다. 부시 미국대통령도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면서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북핵문제가 외교적 수단에 의해 해결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등 변화된 입장을 보였다. 34)

이런 맥락에서 미국은 북한과 베를린 양자회담을 가졌고 북한이 문제해결의 단초라고 주


장했던 BDA문제 해결과 6자회담 재개에 합의했다. 따라서 이러한 미국의 대북정책 변 35)

화는 김정일정권이 ‘현상’을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위험감수의 행태보다는 위험회피


의온건한행태를취하는데직접적인영향을미친것으로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제재에 동참했던 중국이 적극적으로 제재안을 실행하지 않았고 오히려 경
제적 지원을 제공한 것도 안보리 제재결의가 북한을 압박하는 효과를 보이지 못하면서 김
정일정권이 ‘현상’을 손실영역으로 보지 않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특히 “제멋 36)

대로 핵실험을 했다”고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했던 중국은 2006년 10월 곧바로 탕자쉬안
국무위원을 평양에 보내 후진타오주석의 친서를 전달해 북한과의 관계 악화를 막았으며
www.earticle.net
2007년에는 양제츠 외교부장을 보내 영변핵시설 폐쇄를 요구하며 이에 대한 대가로 경제
협력을 제시했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도 제재결의의 실행 의지보다는 협상에 무
37)

게중심을두는것으로서북한이이익영역으로인식하게하는데기여한요인이다.
그러나 김정일정권이 ‘현상’을 이익영역으로 인식하게 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단행함으로서 핵무기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도 상당한
31)『서울신문』, 2012년 3월 9일.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309004002
(2013/4/22 검색).
32)『연합뉴스』 , 2006년 10월 20일.
33) 박홍석, “북한핵실험이후의미국의대응전략,”『국제정치연구』, 제 11집, 2호, (2008), pp.68-73.
34) White House, “President Bush’s Statement on North Korea Nuclear Test,” October 9, 2006.
http://georgewbush-whitehouse.archives.gov/news/releases/2006/10/20061009.html (2013/4/22 검색)
35) New York Times, “North Korea and U.S. Envoys Meet in Berlin,” January 18, 2007.
36) Marcus Noland and Stephan Haggard, “Limited Effect Likely from New Sanctions on North
Korea,”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March 7th, 2013). http://www.piie.com/
blogs/nk/?p=9618 (2013/4/22 검색 ).
37) 최춘흠 『중국의대북정책과
, 합의에대한입장』 서울 통일연구원
2.13 ,( : , 2007), pp.55-63.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55
국가의 인적, 물적 자원을 비생산적인 군비에 투자해야 하는 ‘선군정치’를 내세웠던 김정
일정권으로서는 핵실험 성공이 체제안보, 정권생존, 그리고 사회결속 차원 등에서 긍정적
효과를낸것이다.
이렇듯 핵실험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중국의 지속적 지원 그리고 핵무기 확보
등의 이익이 김정일정권이 ‘현상’을 이익영역으로 인식하면서 비교적 온건한 행태를 이어
간요인이된것이다.

Ⅳ. 2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1874호에 대한 김정일정권의 대응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1차 북핵실험으로 인한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가 북한으로 하여금 ‘현상’을 이익의 영


역으로 인식하게 하면서 북한의 행태는 온건한 성격을 보였다. 북한은 ‘2.13 합의’에 이어
2단계 북핵 불능화 시행을 위해 ‘10.3 합의’도 동의했으며 이를 근거로 핵신고서를 중국에
제출했고 영변냉각탑도 폭파했다. 특히 미국도 이에 대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
외하는등화답함으로서북핵문제의해결전망이어둡지않았다.
그러나 검증문제가 대두되면서 협상이 난관에 봉착하자,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던 북
한은 2009년 오바마대통령 집권에 높은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기대했던 미국과의 협상
이이루어지지않으면서김정일정권은 ‘현상’에대한부정적인식을하기시작했고이익의
영역에서 손실의 영역으로 준거점을 전환하기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바마행정부
www.earticle.net
가 출현한 후 100일간 정책동향을 지켜본데 의하면 대조선 적대시정책에는 변화가 없다
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비판함으로서 오바마정부와 ‘현상’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
다. 38)

이렇듯 오바마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정책에 의해 협상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던


김정일정권은 오바마 미국대통령이 ‘핵없는 세상’ 기조를 밝히는 프라하방문 시기에 맞춰
2009년 4월 5일인공위성이라부르는 장거리미사일 ‘광명성 2호’를발사하는도발적 행태
를 전개했다. 이에 대해 미국이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을 추진하자 김정일정권은 강력히
반발했고중국과러시아의반대로결국결의안채택은무산되었다. 그러나미국은 ‘광명성
2호’ 발사를 안보리 제제결의 1718호 위반으로 규정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함으로서 북한
에대한제재의지를분명히했다.
이렇듯 오바마정부가 압박정책의 기조를 명확히 하자 북한은 미국의 대북정책에 변화
가없다고인식하고미국과의대화가능성을부인하며대결적행태를이어갔다.
38) 『조선중앙통신』, 2009년 5월 8일.
156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표 1> 북핵실험과 유엔안보리 제재 내용

결의 1718호 결의 1874호 결의 2094호


제재내용
(2006년) (2009년) (2013년)
무기금수, ∙유엔 재래식무기 등록제 ∙북한의 모든 무기관련 ∙금수대상 사치품 종류를
수출통제 도상 7대 무기류 및 관 물자대외수출금지 요트와 경주용 자동차,
련물자, 부품 (탱크, 장 ∙회원국들의 북한에 대한 고가보석등으로예시
갑차, 대포, 전투기, 공격 모든 종류의 무기 및 관
용헬기, 전함, 미사일) 련물자이전, 수출금지
∙핵공급그룹(NSG), 미사
일통제체제(MTCR), 화
학무기(AG) 통제품목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사치품
화물검색 ∙금지물품(대부분 상기 ∙국제법에 따라 자국 영 ∙북한과 관련된 화물에
금수무기, 특히 WMD관 토내 북한행 화물검색 판매, 이전, 공급, 수출이
련 물자)을 적재한 북한 촉구 금지된 물품이 포함됐
행 또는 북한발 화물검 ∙기국 동의하에 공해상에 을 것이라는 믿을 만한
색에협조요청 서의심선박검색촉구 정보가 있을 경우 화물
∙금지품목 발견시 국제법 에대한검색의무화
에따른압류 ∙금지물자 적재가 의심되
∙검색, 화물압류, 처분, 검 는항공기에대한영공통
색 부동의 등 관련사항 과나이착륙금지촉구
을제재위원회에보고 ∙검색 거부 선박에 대해
∙의심 선박에 대한 지원 정박불허
서비스금지
금융, ∙대량살상무기(WMD), ∙대량살상무기, 미사일프로 ∙대량살상무기 등과 관련
경제제재 미사일 프로그램www.earticle.net
관련 그램 활동에 기여할 수 된 금융거래금지 강제
안보리 또는 제재위가 있는 금융, 자산, 재원동 화 (북한의 대규모 현금
지정한 개인, 단체 등에 결등금융거래금지 다발이용우려표명)
대한 자금, 여타 금융자 ∙무상원조, 금융지원, 양 ∙회원국에 국제자금세탁
산 및 경제재원 동결 및 허성차관의 신규계약금 방지기구(FATF)의 관련
이전금지 지및기존감축노력 규정준수촉구
∙WMD, 미사일프로그램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대북무역에 대한 공적
금융지원금지
기타조처 ∙대북제재위에 추가 제재 ∙북한외교관불법행위감시
대상 품목, 개인, 단체 ∙우라늄농축 프로그램을
지정지시 명시하고 관련물품 금
∙북한인대상 확산민감 핵 수대상추가
활동 등에 관한 특수교 ∙부속서 형식으로 추가제
육, 훈련제공금지 재대상이 되는 개인3명,
단체 2곳특정
출처:『한겨레신문』, 2013년 3월 8일;『연합뉴스』, 2009년 6월 13일.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57
이에 4월 29일 북한은외무성대변인 성명을통해 “유엔안보리가북한의 장거리로켓발
사에 대한 의장성명 등의 조치를 즉시 사죄하지 않으면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북한이 오바마정부 집권 이후 현재상태를 손실의
39)

영역으로 파악하며 도발적 행태를 전개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결국 북한은 5월 25


일 2차 핵실험을 단행했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자위적 핵억제력을 위한 지하핵실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밝히면서 핵실험 성공으로 나라와 민족의 자주권과 사회주의
수호에이바지하게되었다고주장했다. 40)

북한의 2차 핵실험은 북한의 핵역량을 확인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면서 북한의 핵보유국


논란을 일으키며 국제안보질서에 위협요인으로 등장했다.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유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안보리는 6월 12일 안보리 제재결의안 1874호를 채택했다. 결의안 1874호의 내용은 <표
1>이 보여주듯이 1718호에 몇 가지 조항이 추가된 내용이다. 우선 1874호는 7대무기와
WMD 그리고 미사일관련 품목의 금수 및 수출통제로 국한되어 있던 제재를 북한의 모든
무기관련 물자를 수출금지하고 북한에 대한 모든 무기수출도 금지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특히 북한 화물과 관련된 검색과 압류의 근거가 확대됨에 따라 실질적인 화물검색이 가능
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서 태국에서 북한산 무기가 압류되기도 했다. 금융제재도 강화되 41)

어 대량살상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에 기여하는 금융, 자산, 재원을 동결 또는 거래중지


하는광범위한제재가 가능하게되었다. 즉제재결의 1874호는 1718호보다강화된재제의
내용을 담고 있어 북한은 강력한 자국 압박수단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또 1874호 제재결
의 채택은 곧바로 북한에 대한 실질적 제재국면으로 전환되어 미국은 대량살상무기와 관
www.earticle.net
련된 품목이 적재되어 있다고 의심되는 북한선박 ‘강남 1호’를 추적하여 결국 북한으로 회
항시켰고 중국은 2009년 7월 북한이 밀반입하려던 전략 금속 바나듐을 압수했고 북한과
공동개발하기로한동(銅) 광산사업도중단했다. 42)

이러한 유엔안보리 1874호 제재에 대해 북한 외무성은 “더 이상 도발을 해오는 경우 자


위적 조치가 불가피해 질것”이라고 위협했다. 특히 1718호 제재결의 때와는 달리 결의
43)

안에 찬성했던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서도 비판했으며 판문점대표부 성명을 통해서는 정


전협정무효화를선언하기도했다.
39)『조선일보』, 2009년 4월 29일.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4/29/200904290
1435.html (2013/4/22 검색).
40)『서울경제신문』 , 2009년 5월 25일. 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0905/e20090
52514282693140.htm (2013/4/23 검색).
41)『한국일보』 , 2009년 12월 21일.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912/h200912211032
3874760.htm (2013/4/23 검색).
42) 홍성후, “북한의 2차핵실험과핵개발의도,” 『한국동북아논총』, 제15집 2호 (2010), p. 151.
43) 서울신문, 2013년 3월 9일.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309004002 (2013/
4/23 검색).
158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그러나 이 이상의 도발적 행태는 이어지지 않았다. 이는 1차 북핵실험으로 인한 제재결
의 1718호가 채택된 이후의 환경과 같이 북한은 2차 북핵실험의 도발적 행태에도 불구하
고 강력한 제재의 상황에 직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1874호 제재결의가 발효되긴 했
지만 미국은 북한과 양자접촉을 이어갔으며 중국도 북한과의 유대관계를 계속 유지함으
로서 2차 핵실험 이후의 ‘현상’을 손실의 영역보다는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009년 8월 클린튼 전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일위원장과 만났으며 12
월에는 미국의 대북정책 특별대표인 보스워즈가 평양을 방문해 강석주 북한외무성 제 1
부장과 만나 미국은 북한과 “6자회담의 필요성과 9.19공동성명 이행의 중요성에 대해 공
통의 이해에 도달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미국이 1874호를 통해 제재를 하지만 동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44)

에 대화를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향으로 선회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북한의 45)

2차핵실험을 통한 도발이 다시 상황을 반전시켜 미국의 ‘전략적 인내’ 정책을 협상국면으


로 전환시킨 것이다. 북한은 이러한 미국의 대북정책 전환을 바탕으로 ‘현상’을 이익의 영
역으로인식하면서 1874호제재결의에대해비교적온건한행태를이어간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온건한 행태는 중국의 유화정책에서 의해서도 비롯되었다. 즉 중국이
1874호 제재결의에 찬성했지만곧 바로 북한에 대한유화적 행태를 보이면서 북한이도발
적 행태를 취할 동기를 약화시킨 것이다. 북한의 2차 핵실험 직후인 2009년 6월부터 북한
과 중국은 고위급 상호방문을 시행했으며 중국은 북중 국경지역인 랴오닝성과 지린성 개
발계획을 승인함으로서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해나갔고 그 일환으로 단동과 신의주
사이의 북한 영토인 황금평 및 위화도 개발까지 합의했다. 또 2009년 10월 중국의 원자
www.earticle.net
46)

바오총리는 방북하여 김정일위원장을 만나 수천만 달러의 대북원조 제공과 경제교류 활


성화, 관광교류활성화 등의 협정을 체결함으로서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보다는 협력에
무게를 두었다. 제재결의안에 동참했던 중국이 북한과 광범위한 경제협력에 합의함으
47)

로서 실질적인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이 회담에서 김정일위원장은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한다는 목표를 위해 노력한다는 것에는 변화가 없음”을 강
조하며 “북미 양자회담을 통해 북미간 적대관계가 평화관계로 바뀌어야 한다”고 언급함
으로서 중국의 대규모 경제협력에 화답했다. 특히 후진타오주석은 천안함사건 발생 이
48)

후인 2010년 8월 방중한 김정일위원장에게 상호이익을 확대하는 경제협력을 추진하자는


44)『경향신문』, 2009년 12월 11일.
45) 백학순, “북핵문제해결은불가능한가?,”『정세와정책』, (세종연구소, 2010년), pp.1-2.
46) 박종철, “중국의 대북 경제정책과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논총』, 제17집 1호, (2012),
pp.86-87.
47) 이종석,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대외전략의 변화와 그 배경,”『정세와 정책』 , (세종연구소, 2009),
p.5.
48)『연합뉴스』 , 2009년 10월 6일.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59
제안을 함으로서 북한에 대한 유화적 태도를 이어갔다. 결국 이러한 중국의 경제적 지원
은 1874호 재제를 무력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며 북한이 ‘현상’을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
하게하는데기여한것이다.
1874호 제재결의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의 대북한 유화정책이 북한으로 하여금 ‘현
상’을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서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도발적인 행태를 이
어가지않은것이다.

Ⅴ. 3차 북핵실험과 제재안 2094호에 대한 김정은정권의 대응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천안함사건과 백령도사건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1월 미국과 중국이 미중정


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악화된 정세를 완화시키기로 합의하면서 한반도 정세는 안정화의
길로 들어섰다. 이런 변화의 기조 속에서 미국은 2011년 7월부터 북한과의 협상을 재개
49)

하여 2012년 2월 29일 양국은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잠정중단과 식량지원 카드를


주고받는 ‘2.2.9 합의’를도출했다. 미국은 2012년대선을 앞두고북한의도발을관리할 ‘통
제장치’가 필요했던 것이고 북한은 김정일위원장의 사망 전에 이미 미국과 합의했던 사안
이고 내부적으로 힘의 공백이 발생하면서 외부적 압박을 완화시켜야할 필요성이 있었던
데서 ‘2.29 합의’의 배경이 해석되고있다. 즉 김정일위원장이 2011년 12월 17일에 사망
50)

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간 필요성에 의해 대화는 계속되었고 결국 공식적인 합의를 이끌


www.earticle.net
어냈던것이다.
이와 같이 김정일위원장의 사망은 북한 국내변수로서 김정일 사후 집권한 김정은정권
의 ‘현상’ 인식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권력의 공고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김정은정권
은 ‘현상’ 인식에 국내 정치적 변수를 고려해야 될 필요성이 커진 것이다. 김정일 사망 이
후 북한은 소위 ‘10.8 유훈’에 따라 2012년 4월 11일 제 4차 당대표자대회와 제 12기 제 5
차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김정은을 조선노동당 제 1비서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에 추대
함으로서김정은정권을공식적으로출범시켰다.
김정은정권이 ‘현상’을 인식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
다. 첫째, 김정일의유훈이김정은정권의행태와국정목표설정에영향을미침으로서김정
은정권이 ‘현상’을 인식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효(孝)를 강조하는 유교
49) U.S.-China Joint Statement, January 19, 2011.
50) 백학순 북한 인공위성 로켓발사와 북미관계 『창비주간논평』, (2012). http://weekly.changbi.com/
,“ ,”
검색).
tag/2.29%ED%95%A9%EC%9D%98 (2013/4/24
160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문화는 김일성 사후 김정일의 권력 승계과정에서도 정통성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과
같이 김정은정권도 김정일 유훈의 수행 여부가 권력기반 공고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이다. 즉 김정일 유훈의 성취여부가 손실영역과 이익영역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어
51)

‘현상’을 인식하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정치경험이 일천한 김정은위원장 집권 이후 정


52)

권 내부권력의 향배가 또 다른 변수로서 김정은정권의 ‘현상’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이다. 즉김정은의권력장악정도와군부또는당, ‘선군파(先軍派)’ 또는 ‘선경파(先經派)’
등의 사이의 권력 향배가 정권의 인식체계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맥 53)

락에서 마커스 놀랜드(Marcus Noland) 미국 피터슨 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의


제 3차핵실험 1년전인 2012년 2월인터뷰에서 “김정은이자신의 군사력장악을과시하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위해 핵실험을 하거나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것은 이러한 국


내정치적요인이현상인식에대한요인으로작용할수있음을주장한것이다. 54)

이러한 북한 내부권력의 변화속에서도 미국과의 ‘2.29 합의’로 대외적 행보를 안정적으


로시작한김정은정권은중국과도원만한관계가이어지면서 ‘현상’을손실의영역으로인
식하지는 않았다. 북한은 2012년 1월 신년사에서 “함남의 불길”을 강조하며 경제재건을
시도하려는 의지를 보임으로서 대결적 정책을 추구하기 보다는 경제적 조건을 개선하는
데 집중함으로서 유연한 대외관계를 예고했다. 특히 중국의 김정은체제에 대한 정치적
55)

지지와 경제적 지원은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은 북한의 안정


과김정은체제를지지하는성명을발표했으며쌀 100만톤, 원유 50만톤, 비료 50만톤등을
무상제공함으로서새로운북한권력체제의공고화를지원한것이다
www.earticle.net . 56)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2.29 합의’를 바탕으로 미국과의 제 3차 베이징회담을 열었지만


양측의 입장차이만 확인하고 마무리 되었다. 즉 대선을 앞둔 오바마정부의 외교성과의 필
요성과 당면과제인 식량난 해결이라는 양국의 전략적 목적이 ‘2.29 합의’를 도출시킨 의미
가 컸기 때문에 구체적인 실행계획 도출에는 어려움이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 변 57)

화 속에서 북한은 3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인공위성을 발사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했고 58)

결국 4월 13일 ‘광명성 3호’라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함으로서 ‘2.29 합의’는 위기 상


51) 이계만, 김일기, “김정은체제의 권력구조와 대내정책에 관한 연구,”『평화학연구』, 제13권 4호,
(2012), p.81-82.
52) 안성호, 안치섭, “북한김정은체제와민주화전망,”『한국동북아논총』, 제 17집 4호, (2012), p.153.
53) 정성장, “북한 김정은의 실제 영향력, 지도체제의 성격과 핵심 파워엘리트,”『JPI 정책포럼』 , (제주
평화연구원, 2012).
54)『중앙일보』 , 2012년 2월 13일.
55)『노동신문』 , “신년공동사설,” 2012년 1월 1일.
56) 박종철, “중국의대북경제정책과경제협력에관한연구,” pp.95-96.
57) 한승호, “<광명성3호> 발사이후북한의전략,”『평화학연구』 , 제13권 4호, (2012), p.115.
58)『조선중앙통신』 , 2012년 3월 16일.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61
황에 빠지며 북한 미사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다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4
월 16일 유엔안보리가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해 이미 채택한 제재결의 1874호를
강화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하자 김정은정권은 의장성명을 배격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2.29 합의”도 파기할 것을 선언함으로서 향후 핵실험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즉 ‘광
59)

명성 3호’ 발사 이후 미국이 대북 식량지원을 중단하자 북한은 ‘2.29 합의’ 위반이라고 비


판하며, 합의가 깨지면 북한도 핵실험, 장거리미사일 발사, 우라늄 농축활동 중지 등을 취
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오바마 미국대통령은 노다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60)

“도발과 보상이 반복되는 대북정책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강조하며 ‘전략적 인내


정책’을계속유지할것을천명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이렇듯 ‘광명성 3호’ 발사로 북미간 관계는 악화되었지만 중국은 미사일 발사 직후인 4
월 22일 북중전략회의를 개최했으며 후진타오중국주석과 김정은위원장이 친서를 교환하
며 협력관계를 확인했다. 중단되었던 중국인 북한 관광이 재개되었고 북중교역이 사상 최
대치를 경신하는 등 경제협력관계도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의 중국과의 경제
61)

협력관계 강화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증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김정은정권은 내


부적 정통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식량난과 에너지난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과의 경제협
력을 강화시켰지만 그 결과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대폭 확대된 것이다. 이러한 중국
의영향력증가는불가피한선택이었지만결과적으로북한이강조하는 ‘자주적’ 행태를제
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북한에게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특히 중국
에 대해서는 김정일이 이미 ‘유훈www.earticle.net
’으로 경계를 강조했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정치, 경제적
의존성 증가는 김정은정권에게는 ‘현상’을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충분했던 것
이다. 62)

이렇듯 미국과의 협상단절과 중국에의 의존도 심화는 내부적으로 정권 공고화가 완성


되지 않은 김정은정권에게는 극복해야 할 난관으로 인식되었으며 따라서 ‘현상’을 손실의
영역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된 것이다. 특히 4월 13일에 개정된 헌법에 ‘핵보유국’임을 명
기할 정도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두 차례의 핵실험에 성공한 핵보유국으로 규정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 등 국제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갖는 것도 ‘현
상’을 손실 영역으로 인식하는 근거인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소유 영역”에 해당되는
63)

핵보유를 기정사실로 인정받고 미국과의 협상을 재개하여 안보리 제재를 제거하고 체제


59)『매일경제신문』, 2012년 4월 18일.
60)『조선신보』, 2012년 4월 16일.
61)『주간통일정세 2012-19』, 2012년 5월 6일.
62)김진하, “김정은 등장이후 대외전략과 동북아 정세변화,”『김정은체제의 변화 가능성과 동북아 안
보』, (통일연구원, 2012), pp.53-55.
63)『연합뉴스』 , 2012년 5월 30일.
162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보장을 확약 받는 것만이 손실을 보전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을 손실 영역으로 인식 한 김정은정권은 손실보전을 위해 다시 위험을 감수하
는도발적 ‘벼랑끝전술’을채택하게된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김정은정권은 손실영역에 있는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 2012년 12월 12일
장거리 미사일 ‘은하 3호’를 발사했다. ‘은하 3호’는 ‘광명성 3호’ 때와는 달리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고 평가받았다. 특히 ‘은하 3호’의 최대 사거리가 1만km 이상으로 평가받으면
서 미국본토까지 사정권안에 들게 되면서 국제안보질서에 위협 요인으로 등장한 것이
다. 64)

미국은 북한의 ‘은하 3호’ 발사에 대해 미의회에서 먼저 북한미사일 발사 규탄결의안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통과했으며 유엔안보리 차원에서도 제재결의안을 추진했다. 더욱이 중국은 미사일 발사


전부터 북한에게 발사 계획 철회를 설득하기도 했지만 북한이 강행하자 중국신화사통신
은 “누가 뭐래도 자기방식만 고집하는 나라”라고 북한을 비난했다. 같은 맥락에서 중국 65)

외교부 장즈쥔부부장(차관)도 북한은 한반도 안정을 위해 정확한 판단을 해야 한다는 지


적을함으로서북한의추가도발을견제했다. 66)

북한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공식적 대응은 1월 22일 유엔안보리 제


재결의안 2087호의 통과로 나타났다. 중국이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해 안보리 제재결의
안에 찬성한 것은 처음으로 시진핑체제의 변화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결의안은 북
한의 ‘은하 3호’ 발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조치로서 북한의 현금거래와 금융회사 감시를
통해 자금 줄을 봉쇄하고 군사적으로 전용될 수 있는 모든 품목의 거래를 차단하는 제재
www.earticle.net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정은위원장은 직접 “실제적이며 강도 높은 국가적
67)

중대조치를 취할 단호한 결심을 표명한다”라고 반응함으로서 3차 핵실험을 강하게 예고


했다. 68)

이러한 북한의 제 3차 핵실험 예고에대해 에드 로이스 미국하원외교위원장은 “만약 북


한이 3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우리가 쓸 수 있는 가장 강한 제재를 사용해야 한다”고 경
고 했으며 중국도 외교부 홍레이 대변인을 통해 “중국은 비핵화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어
떠한 조차에도 반대한다”라고 언급함으로서 핵실험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특히 북 69)

한의제 3차핵실험이 분명해지자 미국은 2월 1일 핵잠수함과이지스함을 한국에보내무


64)『경향신문』, 2012년 12월 12일. (2013/4/25 검색).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
artid=201212122225515&code=910303
65)『연합뉴스』 ,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12일.
66)『연합뉴스』 , 2012년 12월 28일.
67)『동아일보』, 2013년 1월 24일. http://news.donga.com/3/all/20130124/52542066/1 (2013/4/25 검색).
68)『주간통일정세 2013-04』 , 2013년 1월 27일, p.3.
69)『주간통일정세 2013-05』 , 2013년 2월 3일, pp. 16-17.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63
력시위를 하며 북한을 압박했다. 이런 환경에서 북한은 미국과 중국의 직접적 압박이 조
성되고있는 ‘현상’을 ‘생존’과 ‘주권’이위협받는 손실의영역으로인식하고위험을 감수하
는도발적행태를취하게된것이다.
결국 북한은 미국의 경고와 중국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2013년 2월 12일 제 3차 핵실험
을 강행했다. 북한은 즉시 핵실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경량화와 소형화에 집중했
다고 주장함으로서 장거리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음을 강조했다. 이 70)

는 북한이 미국까지 핵미사일 공격이 가능함으로 보여주려는 의도인 것이며 도발 효과를


극대화하려는행태인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과 중국 등 국제사회는 2013년 3월 7일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 2094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채택하여 북한에 대해 강도 높은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제재결의 2094호는 <표 1>
이 보여주듯이 기존의 1874호의 내용에 추가하여 의심화물 해상검색 의무화, 북한에 대한
항공제재, 북한외교관 불법행위 감시, 그리고 금수 대상 사치품 목록 예시 등 보다 구체적
이고강도높은내용을포함하고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과거 1, 2차 핵실험의 경우와는 달리 미국과 중국이 3차 핵실
험 이후 2094호 제재결의를 도출하는데서 머무르지 않고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정책을
유지,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압박의 강도는 오히려 더 커졌으며 중국은 유엔안
보리 제재결의 1718호 및 1874호 채택 이후 보여주었던 북한에 대한 유화적 입장과는 달
리 제재 실행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실질적 제재에 들어가 안보리 제재결의가 발
표된 직후 북한행 선박의 검색과www.earticle.net
제한은 물론 나진, 선봉특구와 황금평 특구와 같은 북한
관련 인프라 공사도 전면 중단했다. 특히 중국외교부는 4월 상무부, 국방부, 공안부, 해
71)

관총서, 교통운수부 등에 공문을 보내 제재결의 2094호의 철저한 이행을 통보함으로서 제


재의 압박 수준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50개 국가와 EU
72)

및 NATO 등 5개 국제기구가 북한의 제 3차 핵실험에 대해 규탄성명을 발표하는 등 북한


은핵실험으로국제사회로부터더고립되는효과를경험했다. 73)

북한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규탄에 대해 반발하며 내부적으로는 대규모 ‘군민연환대회’


를 열어 핵보유국의 위상을 자축했으며 핵실험 성공과 핵보유국이라는 김정은정권의 성
과를 지방으로 확산시키며 체제 정당성과 결속력을 강화하고 있다. 즉 북한은 핵실험 74)

공로자들을 영웅으로 치켜세우는 등 핵보유국 지위를 통해 김정은정권의 정통성을 제고


70)『조선중앙통신』, 2013년 2월 12일.
71)『중앙일보』, 2013년 3월 13일.
72)『중앙일보』, 2013년 4월 29일.(2013/4/29 검색).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
total_id=11366931&ctg=1305
73)『연합뉴스』 , 2013년 2월 14일.
74)『연합뉴스』 , 2013년 2월 19일.
164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하여 내부권력을 공고히 하려는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3차핵실험 강행은 타국가와의75)

관계에서의 손실 인식뿐만 아니라 김정은정권 공고화의 필요성과 같은 내부적 측면에서


의 손실 인식도 함께 작용한 것이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압박을 제거하려는 취지도 있었
지만 김정일정권과는 달리 내부적으로 권력을 공고히 해야 하는 김정은정권의 고민이 함
께고려된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마이크 로저스 미국 하원정보위원장은 북한이 미국에 대한 핵 선제공격
위협은 김정은 정권의 불안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김정은체제의 도발적 행태는
김정은의 권력 공고화를 위해 군부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려 했고 군부는 기득권 유지
를 위해 무력과시에 집중한 결과라는 것이다. 선경(先經)정책을 통해서 기득권을 잃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76)

우려가 있던 군부가 ‘김정일 유훈’을 빌미로 강경책을 주장했고 군과 정치경력이 일천한


김정은은 짧은 기간 동안에 군부를 장악하고 권력을 공고화하기 위해 더 극단적인 도발행
태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김정은정권의 ‘현상’에 대한 인식이 김정은 개인에
77)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요 정치세력간의 힘의 역학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 것


을보여주는것이다.
국제사회의 압박과 국내 정치세력의 역학관계 등과 같은 국내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은
김정은정권은 제재결의 2094호 발표 이후에도 미국과 중국의 대북정책이 변화하지 않고
압박의 강도를 높이자 손실의 영역이 확대된 것으로 인식하고 더 큰 위기상황을 감수하는
도발적인 행태를이어갔다. 특히 유엔안보리 2094호제재결의가 구체화되자 3월 5일 정전
협정 폐기를 선언했으며 3월 7일에는 10만명 군민대회를 열었고 동해에서 국가급 규모의
www.earticle.net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이에 한국과 미국은 한미합동 키 리졸브훈련을 실시하고 미국이
B-2 폭격기와 F-22 전투기 등을 한국에 보내자 김정은정권은 키 리졸브훈련을 정치군사
적 도발행위로 규정하며 ‘1호 전투태세’ 명령과 미사일부대에 발사준비 명령을 하달하고
‘현상’을 제 2의 한국전시상황으로 규정했다. 또 북한은 4월초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을 78)

이동식 발사대에 탑재하고 중단거리 미사일들을 동해로 이동시키면서 서울과 평양의 외


국인들의 출국을 권유했다. 이렇듯 김정은정권은 전쟁의 심리적 위기감을 최고조로 끌어
올렸고 결국 존 케리 미국국무장관이 방한하고 한미 양국이 대화를 촉구하면서 긴장감은
완화되고있으나개성공단문제심화등여전히대치의국면은유지되고있다.
이렇듯 김정은정권은 과거 1, 2차 핵실험 시기의 김정일정권과는 달리 매우 도발적인
75)『주간통일정세 2013-08』, 2013년 2월 24일, pp.2-3.
76)『연합뉴스』, 2013년 3월 18일.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3/03/18/0511000000AKR
20130318001400009.HTML (2013/3/27 검색).
77)『중앙일보』 , 2013년 3월 14일. (2013/4/25 검색).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
total_id=10931842&cloc=olink|article|default
78)『연합뉴스』 , 2013년 3월 10일.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65
행태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1, 2차 핵실험 시기와 3차 핵실험 시기가 가장 큰 차이를 보
이는 것은 첫째, 3차 핵실험 이후에는 미국과 중국의 대북정책이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이
다. 안보리 결의제재 2094호를 충실히 이행하며 제재국면을 전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1,
2차의 경우 미국과 중국 모두 제재 이후 북한에 대해 유화적인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북한
이 현재상태를 손실영역이 아닌 이익영역으로 인식하게 한데 반해 3차 핵실험 시기는 양
국 모두 압박의 강도를 유지 및 강화함으로서 북한이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하게 하여 위
험감수의도발행태를취하게했다는것이다. 둘째, 일체적권력속성을보인김정일정권과
는 달리 김정은정권은 권력 공고화를 위해 기존 정치세력의 역학관계에 부응하거나 압도
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면서 더 도발적인 행태를 이어갔다는 것이다. 특히 비대칭적 힘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의 분배구조에서 김정은정권이 오랜 동맹국인 중국과의 관계도 악화시키는 위험을 감수


하면서 도발적 행태를 이어가고 있는 것은 강경책을 채택해야만 기득권을 유지할 수 있는
북한군부의 손실회피 인식이 작동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즉 미국과 중국의 대북제재
공조와 국내 정치세력간의 역학관계가 김정은정권으로 하여금 ‘현상’을 손실영역으로 인
식하게 하여 제 3차 핵실험과 제재결의 2094호 이후의 도발적 행태를 감행하게 했다는 것
이다.

Ⅵ. 결 론
www.earticle.net
본 연구는 북한의 대외정책의 변이성을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왜 북한이 종종 대
외적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도발적 행태를 취하며 왜 다른 경우에는 비교적 온건한 행태를
보이는가를 규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의 장거리미사
일 발사와 3차에 걸친 핵실험 그리고 유엔안보리 제재 이후의 대응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그원인을조사했다.
우선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은 2005년 ‘9.19 합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BDA
사건을 통해 자국의 자금을 동결하고 압박을 가하는 것에 대한 북한의 손실 영역 인식에
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즉 북한은 미국이 BDA사건의 장기화를 통해 북한의 주권국가로
서의 위상을 훼손하고 위폐조작 국가라는 정체성을 심어주는 손실을 주었다고 인식한 것
이다. 이런 ‘현상’에 대한 손실 영역의 인식이 결국 이를 복원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제 1차 북핵실험이라는 도발적 행태로 나타난 것이다. 하지만 1차 핵실험 이후 유엔안보
리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비교적 온건한 행태를 보였다. 이는 부시정부의 대북정책이
압박기조에서 대화로 전환되었고 중국이 실질적인 제재를 실행에 옮기지 않았기 때문에
166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북한이 ‘현상’을손실의영역으로인식할이유가없었기때문이다.
이러한 1차 핵실험 시기의 북한의 행태는 2차 핵실험 시기에도 유사하게 반복되었다.
부시정부와 ‘2.13 합의’ ‘10.3 합의’를 두출하며 협상을 순조롭게 전개했던 북한은 기대했
던 오바마정부가 ‘전략적 무시’ 정책으로 대화가 단절되면서 ‘현상’을 손실영역으로 인식
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손실을 복원하고자 김정일정권은 2009년 제 2차핵실험을 감행
하는 도발적 행태를 벌인 것이다. 이에 미국과 중국은 유엔 안보리 1874호를 통해 제재를
시도했지만 미국은 압박의 강도를 높이지 않았으며 중국은 오히려 북한과 대규모 경제협
력을 시행하면서 1874호 제제 효과를 무력화시킴으로서 북한이 ‘현상’을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하지 않게 한 것이다. 따라서 1874호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행태는 온건한 모습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을유지했던것이다.
반면 3차 핵실험의 시기는 지금까지 지속가능한 상황으로 가정했던 북한의 국내정치가
김정일 사망으로 변수로서 등장했다. 정치경험이 부족한 김정은정권은 내부적 지지와 정
통성 확보가 필요했고 특히 군부와 같은 주요 정체세력 사이의 역학관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는 대내적 측면에서의 손실로 작용한 것이고 이를 만회해야 하는 과제
가 발생했던 것이다. 여기에 오바마정부의 ‘전략적 인내’ 정책으로 인한 협상단절과 중국
에대한정치, 경제적의존도 심화는김정은정권으로서는 ‘현상’을손실영역으로인식하게
한 것이다. 결국 이런 김정은정권의 대내외적 상황에 대한 손실의 인식은 3차 핵실험이라
는 도발로 이어진 것이다. 특히 1, 2차 핵실험 이후의 미국과 중국이 북한에 대해 유화적
입장으로 선회한 것과는달리 미중www.earticle.net
양국은 강도높은 2094호 제재결의를 채택했고미국은
물론 중국도 제재안을 실질적으로 실천하기 시작하면서 김정은정권으로서는 손실영역에
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이렇듯 대내외적으로 더 심화된 손실 영역으로 상황을 인식한
김정은정권은 정전협정파기, ‘1호 전투태세 명령’, 한,미,일 3국에 대한 미사일발사 주장
등의위험감수의극단적인도발행위를전개한것이다.
이런 연구 결과는 김정일정권은 국내정치가 변수로서 작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외적
상황이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할 때 만 도발적인 핵실험의 위험을 감수하는 행태를 벌였으
며 북미대화 유지 및 북중경제협력 등 대외적 상황이 호전되었을 경우에는 유엔 안보리
제재를 받는 환경에서도 상황을 이익의 영역으로 인식하면서 온건한 행태를 이어간 것이
다. 그러나 김정일 사망으로 국내 정치적 변수가 발생해 내부적으로 정권의 강력함을 인
정받아야 하는 김정은정권은 미국과의 협상중단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 심화 등의 상황을
더 심각하게 손실영역으로 인식하면서 고도의 위험을 감수하는 극단적 도발행태를 이어
간것이다.
이러한 북한 대외정책의 변이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현상’을 손실의 영역으로 인식할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67
때 손실보전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고 모험적 행태를 전개한다는 전망이론 주장의 적실성
을확인하고있는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김정은정권이 대외적 상황을 극단적 손실의 영역으
로 인식할 때 손실 보전을 위해 다시금 위험을 감수하고 모험주의적 도발행태를 전개할
가능성이 높아 질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특히 과거 내부가 강력하게 통제된 김정
일체제와는 달리 김정은체제에서 새로운 국내 정치, 경제적 변수가 발생할 경우 내부적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더 도발적 행태를 전개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즉 김정일정권
에 비해 국내외 정치, 경제적 조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김정은정권의 대외정책
적안정성은떨어지고기복이심한양상으로전개될가능성이높다고평가된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www.earticle.net
168 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2013)

참고문헌
김진하, “김정은 등장이후 대외전략과 동북아 정세변화,”『김정은체제의 변화 가능성과
동북아안보』, 통일연구원, 2012.
박종철, “중국의 대북 경제정책과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논총』, 제17집 1
호, 2012.
박홍석, “북한핵실험이후의미국의대응전략,”『국제정치연구』, 제11집 2호 (2008).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백학순, “북핵문제해결은불가능한가?,”『정세와정책』, 세종연구소, 2010.4.


백학순, “북한인공위성로켓발사와북미관계,”『창비주간논평』, 2012.4.18.
안성호, 안치섭, “북한김정은체제와민주화전망,”『한국동북아논총』, 제17집 4호 (2012).
윤황, “북한의 핵실험이 한반도 통일환경에 미치는 영향,”『국제정치연구』, 제10집 1호
(2007).
이계만, 김일기, “김정은체제의 권력구조와 대내정책에 관한 연구,”『평화학연구』, 제13
권 4호 (2012).
이종석,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대외전략의 변화와 그 배경,”『정세와 정책』, 세종연구
소, 2009.
최춘흠,『중국의대북정책과 2.13 합의에대한입장』, 서울: 통일연구원, 2007.
한승호, “<광명성3호> 발사이후북한의전략 ,”『평화학연구』, 제13권 4호 (2012).
www.earticle.net
홍성후, “북한의 2차핵실험과핵개발의도,”『한국동북아논총』, 제15집 2호 (2010).
황지환, “전망이론의 현실주의적 이해: 현상유지경향과 상대적 손실의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논총』, 제47집 3호 (2007).
Berejikian, Jeffrey, “The Gains Debate: Framing State Choi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1, No. 4, December 1997.
Cha, Victor and David Kang, 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Grieco, Joseph,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2, No. 3, Summer 1988.
Hart, Paul, Eric Stein, and Bengt Sundelius, Beyond groupthink: political groups dynamics and
foreign policy-making, Ann Harb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Jervis, Robert, “The Implications of Prospect Theory for Human Nature and Values,”
김정은시대북한대외정책변화연구: 전망이론을중심으로 169
Political Psychology, Vol. 25, No. 2, 2004.
Kahneman, Daniel and Amos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Making
under Risk,” Econometrica, Vol. 47, No. 2, 1979.
Levy, Jack, “Loss Aversion, Framing Effects, and International Conflict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17, No. 2, 1996.
McDermott, Rose, “Prospect Theory in Political Science: Gains and Losses from the first
decade,” Political Psychology, Vol. 25, No. 2, 2004.
McDermott, Rose, James Fowler, and Oleg Smirnov, “On the Evolutionary Origin of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3.93.78 at Wednesday, April 29, 2020 7:37 PM

Prospect Theory Preferences,” Journal of Politics, Vol. 70, No. 2, April 2008.
Mckeown, Timothy, “Decision Processes and the Co-operation in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Vol. 47, No. 2, 1992.
Niv-Solomon, Anat, “When Risky Decisions are Not Surprising: An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to the Israeli War Decision in 2006,” Prepared for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Montreal, Canada, March 16-19, 2011.
Noland, Marcus and Stephan Haggard, “Limited Effect Likely from New Sanctions on
North Korea,”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March 7th, 2013.
Samuelson, William and Richard Zeckhauser, “Status Quo Bias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Vol. 1, 1988.
Wendt, Alexander,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www.earticle.net
University Press, 1999.
White House, “President Bush's Statement on North Korea Nuclear Test,” October 9,
2006.

투 고 일: 2013. 4. 30. 심사완료일: 2013. 5. 29.


게재확정일: 2013. 6.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