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 06. 한국 제조업의 서비스화 현황과 해외 진출 사례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

2020.04.30. No.

6 “융복합 시대, 미래무역의 글로벌 리더 한국무역협회”


- KITA, Smart BRIDGE to the Future Trade -

신성장연구실
심 혜 정 수석연구원 02-6000-5159, hj.shim@kita.or.kr

한국 제조업의 서비스화 현황과 해외 진출 사례

최근 국가간 범용 제조기술 격차 축소, 경쟁 심화 등에 따라 많은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서비스화에 주목하고 있다. 생산, 판매, 유통 등 제조업 가치사슬 전반에서 서비스업 참여가
높아지고 있는 한편 제품-서비스 융합으로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는 추세다. 한국은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유발 효과가 과거 대비 증대되었으며, 제조업에 투입되는
서비스업 중간재 비중도 매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국 대비 여전히 서비스업 참여도가
낮으며, 유지보수 및 렌탈 서비스 위주의 해외 진출 성과에 머물러 있다. 우리 제조업은
서비스화를 통해 제조 혁신과 경쟁력 강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융합 R&D
투자 지원, 융합 전문인력 양성 지원, 전후방 제조지원 서비스 육성 등 제조-서비스 융합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01. 제조업의 서비스화 개요

최근 제조업 영역이 제품 위주에서 제품 관련 서비스 또는 융합 서비스 등으로 확장됨에 따라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음

● 제조업의 서비스화는 제품의 생산, 판매, 유지보수, 유통 등 과정에서 서비스를 부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

제조업의 서비스화 유형과 예시

제조 과정 서비스화 내용
제품 생산과정 중 설계, 디자인, 연구개발, ICT 기술 등을 활용하거나 제공
생산 - 아디다스, 나이키는 3D프린팅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제품을 생산
- 퍼시스(가구)는 자체 가구 디자인을 타업체에 제공하고 로열티를 취득

제품을 서비스 형태로 판매


판매 - HP는 프린트기를 사용량(Pay per Use) 기준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도입
- BMW는 차량 공유 플랫폼 ‘DriveNow' 출시

수명주기가 긴 제조품의 경우, 유지보수 서비스를 추가


유지보수
- OTIS 엘리베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실시간 점검 서비스를 제공
컨설팅
- 애플은 아이튠즈(iTunes), 앱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판매

제품 체험공간을 운영하거나 제품 유통서비스로 사업을 확장


유통 - 동원F&B는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몰을 통해 새벽 배송 서비스를 시작
- 하이마트 옴니스토어, 삼성디지털플라자 메가스토어 등 가전 체험공간 운영

자료 : 언론자료를 참고하여 저자 재구성


1
● 제조업 가치사슬 전반에서 ①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서비스 중간재 ②제조 지원 서비스
③ 제품+서비스 융합 최종재 등 형태로 서비스업 참여가 높아지고 있음

- AI, IoT, 3D프린팅, 로봇, 클라우드 등 ICT 기술들이 제조업에 적용되면서 제조업의 디지털화,
서비스화가 촉진

제조 과정에서 서비스 참여 유형

서비스 투입재 제조 지원 서비스 제품의 서비스화

• 상품 생산과정 중 서비 • 연구개발(R&D), 디자인, • 상품에 서비스를 결합


스 중간재 투입 물류, 마케팅 등 전후방 하여 최종재 고부가가
제조 지원 서비스 활용 치화

자료 : Miroudot and Cadestin(2017), ‘Services in Global Value Chains’, OECD Trade Policy Paper

제조업 분야에서 국가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은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할 수 있음

● 제품 유지보수, 기술지원, 금융 등 부대 서비스는 제품 판매보다 높은 부가가치와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제품 관련 서비스시장이 확대되는 추세
* 대만의 컴퓨터 제조사(Acer) 창업자인 Stan Shin은 제조부문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보다 디자인, 브랜드,
유통, 사전/사후 서비스에서의 부가가치가 더 높다는 스마일 커브 모델을 제시

- 국내외 연구에서는 서비스화 제조기업(고용 3000명 미만)이 순수 제조기업 대비 더 큰


매출과 영업이익을 창출한다고 분석하거나1) 또는 서비스화 이후 기업의 시장가치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2)

참고 제조기업이 서비스화 전략을 구상하는 이유3)

① 아웃소싱 트렌드 : 최근 기업들은 핵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비전략 사업을 아웃소싱함에 따라 소비자 행태
및 관리, 서비스 개발 사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됨
② 기존 사업 기반 포화 : 기존 사업의 이윤 저하 및 경쟁 심화로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함
③ 공산품의 범용화 : 기술 격차 축소로 인한 경쟁력 하락으로 제조업체들이 서비스화를 추진

1) Neely, A. (2008), Exploring the financial consequences of the servitization of manufacturing,


Operations Management Research, Vol. 1, No. 2, pp. 103-118
2) 유연성, 임호순(2011), 서비스화(Servitization)가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포춘 500대 기업의
제휴공시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6권, 4호, 63-79
3) 베르너 라인아르츠, 볼프강 울라가(2008), 우리는 서비스회사, 제조업체 생각을 바꾸다, 동아비즈니스리뷰,
2008.6월, 10호

2
● 과거 기업 경쟁력은 제품의 품질에 주로 좌우되었으나 차별화된 혜택,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 충족 등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

- 2013년 이후 한국 제조업의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는 주요국 중 가장 더디게 늘어나면서


제조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

주요국의 제조업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추이


천 달러, %

국가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증가율

중국 19.6 20.6 21.8 23.2 25.3 27.8 7.3

일본 69.8 72.0 79.9 77.2 79.8 81.9 3.3

독일 80.1 81.2 84.6 86.2 88.3 90.2 2.4

미국 105.4 107.5 108.2 104.9 107.5 111.5 1.1

한국 93.0 88.0 86.3 89.2 94.4 96.7 0.8

자료 : BCG Report, ‘A Manufacturing Strategy Built for Trade Instability’, 2020.2.14.

02. 국내 제조업의 서비스화 현황

한국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과거 대비 확대

● 제조업에서 최종 수요 1단위가 발생했을 때, 이로 인해 유발되는 서비스업 생산액은 2010년


0.2단위에서 2017년 0.3단위로 증가. 동 기간 부가가치유발은 0.10에서 0.15로 증가함

한국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유발 및 부가가치 유발 효과

산업 2010(A) 2015 2017(B) 차이(B-A)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유발 효과 0.20 0.29 0.30 0.10

제조업의 서비스업 부가가치유발 효과 0.10 0.15 0.15 0.05

주 : 제조업의 최종 수요(소비, 투자, 정부소비, 수출) 1단위가 발생했을 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산출액 및 부가가치 수준4)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저자 분석

한국 제조업에 투입되는 서비스 중간재 비중은 매해 증가하고 있으나 주요국 대비 저조

● 우리 제조업에 투입되는 중간재 중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4.2%에서 2017년


18.3%로 증가
* 서비스 중간재 비중 = 제조업에 투입되는 서비스 중간재 / 제조업에 투입되는 총 중간재
(수도 ・ 전기 ・ 가스 및 건설 서비스 중간 투입은 제외)

- 세부 산업별로는 2010년 이후 1차 금속제품, 화학제품, 비금속광물 등에서 서비스 중간재


투입 비중이 크게 증가

4)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서비스 생산유발액(부가가치유발액)을 제조업 최종 수요로 나누어 구함

3
● 반면, 미국(2015년 34.9%), 독일(31.7%), 일본(27.5%)에 비해 제조업에 대한 서비스 투입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

한국 제조업에 투입되는 서비스 중간재 비중 주요국 제조업의 서비스 중간재 비중

(%) 18.3
19.0 18.1 중국 17.8
(%)
18.0
17.0
한국 18.1
16.0
15.0 14.2 일본 27.5
14.0
13.0 독일 31.7
12.0
11.0 미국 34.9
10.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10 2015 2017

주 : 생산자가격, 대분류 기준 자료 : OECD ICIO(2015년) 이용 저자 분석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이용 저자 분석

한국 제조업 부문별 서비스 중간재 비중(%)

산업 2010(A) 2017(B) 차이(B-A)


제조업 전체 14.2 18.3 4.1
1차 금속제품 7.8 15.8 8.0
화학제품 14.3 21.1 6.8
비금속광물제품 26.0 31.6 5.6
전기 및 전자기기 14.3 18.2 3.9
금속제품 15.8 19.6 3.8
목재 · 종이 · 인쇄 20.8 24.4 3.6
석탄 및 석유제품 6.0 9.2 3.1
음식료품 20.5 22.6 2.0
운송장비 14.4 16.1 1.7
섬유 및 가죽제품 21.0 20.2 -0.8
정밀기기 19.0 17.4 -1.6
기계 및 장비 16.3 14.5 -1.8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저자 분석

해외 제조기업들의 서비스화 혁신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이나 우리의 대응은 여전히 미흡

● 아직까지 우리 기업들은 단순 제품 연계 서비스 제공에 머물고 있어, 자사의 제품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선진국에 비해 경쟁력이 낮음
* 미국 GE, IBM는 제조기업에서 서비스기업으로 변화를 시도면서 컨설팅, 솔루션 사업에 집중함. 현재 매출의
절반이 서비스 분야에서 창출

4
03. 제조기업의 서비스 수출 사례

1 제품의 생산기술 판매 : 기술 계약, 로열티 등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제조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요소기술, 디자인 등 생산에 투입되는


서비스의 수출을 통해 수익을 높이고 있음

● 현대중공업은 최근 선박 설계 기술을 사우디에 수출하는 한편 가구 제조업체인 (주)퍼시스는


자사 가구 디자인을 이탈리아와 미국에 수출하여 로열티를 취득

● 국내 제약 · 바이오 업체들은 신약 관련 기술을 수출하거나 임상시험 연구 등 제약 생산에


필요한 서비스업을 위탁 수행
5)
* 바이오 서비스 수출(억 원, 한국바이오협회 ) : (’16) 3,398 → (’17) 5,526 → (’18) 6,313

제품에 정보통신(ICT) 기술을 적용한 후, 제품 사용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서비스 매출도 생성

● 체외진단기 등 헬스케어 관련 제품 제조회사들은 제품에 바이오센서, AI 등을 적용해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 제품 판매와 동시에
관련 소프트웨어 판매로 수익성 제고

제품 관련 기술•디자인 수출 기업 사례

구분 업체 사례

중국 거보타이에 생산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수출(’19)하고, 향후


딜라이드보청기(보청기)
지속적인 컨설팅을 수행할 예정
생산기술 미국 길리어드사이언스에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신약 후보
유한양행(제약) 물질 기술 수출,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신약후보물질 기술수출 계약(’19)

사우디 합작조선소 IMI와 초대형유조선 도면 라이선스 및 기술 컨설팅


설계기술 현대중공업(조선)
등 로열티 계약 체결(’19)

체외진단기에 정보통신(IT) 및 바이오기술과 융합하여 헬스케어


ICT
필로시스(체외진단기) 프로그램과 같이 공급. 미국 조달시장에서 공급망을 확보, 알제리,
융합기술
이란과 3년간 500억원 규모 혈당스트립 기술이전 제휴계약 성사(’19)

퍼시스(가구) 이탈리아(’16~’21), 미국(’12~’25) 디자인 로열티 계약 체결


디자인
몬도미오(컵) 네덜란드와 ‘리컵키트’ 디자인 로열티 계약 체결(’18)

자료 : 언론 자료를 종합하여 저자 정리

5) 바이오(의약품, 식품, 화학 등) 관련 기업 1000개 내외로 설문조사를 시행. 바이오 서비스는 바이오 관련 분석,
연구개발, 위탁생산, 가공처리 및 보관 등의 서비스를 의미

5
2 제품의 렌탈(rental)•공유(sharing) 서비스 : 제품 자체 판매 → 서비스 형태로 판매

제조기업들은 제품의 ‘소유’보다는 ‘이용’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 변화에 대응하여 제품 판매에서


렌탈 및 공유 서비스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서비스기업으로 변모

● 국내 생활가전 제조업체들은 동남아 지역 렌탈 시장에 진출하여 꾸준한 매출 증가세를


기록 중임

● 자동차 제조기업인 ‘현대’는 해외 차량 공유(카셰어링)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해외 서비스


사업에 참여함. ‘자동차 생산’에서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사업 모델 지향하고
있음
* 세계적인 전통 자동차 제조기업들은 차량 공유 서비스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임. 일례로 포드는 고
드라이브(2015), GM은 메이븐(2016) 등 차량 공유 업체를 설립하였으며, 도요타는 2018년 우버, 그랩
등에 지분 투자

제품 렌탈 및 공유 서비스 기업 사례

기업 분야 내용

코웨이, SK매직, 가전 렌탈 열악한 동남아 상수도 인프라 사정으로 정수기 수요가 확대되는 것에 착안,
쿠쿠홈시스, (정수기,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에 진출하여 현지화에 성공함.
청호나이스 공기청정기) 방문 관리로 초기 설치 및 제품 점검 서비스 제공

차량 공유
현대자동차 동남아 그랩(2018), 인도 레브(2018), 올라(2019)에 지분 투자
(카셰어링)

자료 : 언론 자료를 종합하여 저자 정리

3 제품 유지보수 서비스

제품 판매 시 유지보수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편 연계


서비스업으로 사업 확장하여 이익을 창출

● 유지보수 서비스는 우리 제조업체들의 대표적인 서비스화 형태로, 국내 시장 위주에서 최근


해외에 진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활발해짐
* 해외 바이어의 국내 의료기기 구입 시 A/S 어려움이 주로 지적되고 있어,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베트남
호치민에 센터를 설립하여 의료기기 수리서비스를 지원

제품 관련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기업 사례

기업 제조 분야 내용

엔진진단시스템(EDS)을 통해 엔진 온도, 압력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현대중공업 선박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즉각 점검하고 주기적으로 상태 진단

삼성 휴대폰 해외 각 지점에서 삼성 휴대폰, 노트북 등의 점검 및 수리 서비스를 제공

베트남에 센터를 설립, 국산 의료기기 A/S 제공, 현지 의사 대상 국산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
장비 사용 교육 지원

자료 : 언론 자료를 종합하여 저자 정리

6
참고 서비스 기업의 제조화(Productization)
■ 서비스 제공업자가 관련 제품을 출시하는 것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결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
•사례 ①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 기업이 스마트 스피커를 생산
- ICT 플랫폼 기업이 검색 포털, 전자상거래, 통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서비스 역량을 접목시켜 스마트
스피커 출시(SK텔레콤의 누구, 카카오의 카카오미니 등)
•사례 ② 콘텐츠 기업이 관련 캐릭터 제품을 출시하며 상품화
- IT 기업 카카오는 2015년 캐릭터 상품 제조, 판매, 라이선스 사업을 전담으로 하는 자회사 카카오 프렌즈를
설립하여 2018년 매출 1000억 원 이상 기록

04. 결론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과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제품의 서비스화 전략이 필요

● 제조업의 서비스화는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차별화 포인트로 부각될 수 있음. 또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매출 증대와 함께 고객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음

국내 제조 기업들의 서비스화는 해외 기업들과 비슷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실제 서비스


구현 수준에 있어서는 부족한 편

● 글로벌 제조 기업들은 단순히 제품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시도하고 있으며, 제품의 기획, 마케팅, R&D 등 서비스 요소에 대한 투입과
부가가치도 늘어나고 있음

● 반면, 국내 제조 기업들은 여전히 제품의 유지보수, 렌탈 서비스 위주로 해외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혁신 서비스화와 산업 전반에 확산은 미흡

제조 기업들은 소비자 수요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자사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새로운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서비스화룰 추진해야 함

● 제조-서비스 융합 수요 발굴을 위한 산업 데이터 축적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수행할 필요

- 제조업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의 특성에 주목하지만, 서비스는 소비자가 원하는 경험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고객의 필요(needs)에 기반한 서비스 수요 발굴이 서비스화의 성공
요인

7
-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서비스 인력에 대한 투자와
교육도 필요

● 중소 제조기업의 경우,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투자 없이 서비스화를 추진하는


방법도 고려

- 서비스화 기업들은 초창기 서비스 전문인력 인건비, 정보화시스템 등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해 전문 제조기업 대비 수입은 크나 수익률은 낮은 문제점도 있음(서비스화의 역설;
Paradox of Servitization)6)

정부 차원에서 제조-서비스업 융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

● 우리 정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2019.6월)’을 발표하며 제조업 혁신과 함께


융복합화를 추진 중임

- 주력 제조업의 융합 핵심기술 개발과 사업화(자율운행 자동차, 스마트 가전 등)를 촉진하는


한편 규제 샌드박스와 규제 자유특구를 통해 융합 제품 · 서비스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 중

● 제조업의 서비스화 아이템 발굴, 요소기술 개발, 사업화 아이디어 도출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추진하고, 제조-서비스 융합 연구개발(R&D), 설비투자에 대한 세제 · 금융 지원 확대가
요구됨

● 설계, 디자인, 엔지니어링, IT기술 등 전후방 제조 지원 서비스를 적극 육성할 필요

- 제조업의 서비스화가 IT기술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IT기반 인프라와 플랫폼을
구축해 융합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함

● 서비스화의 성공은 핵심기술 인력의 역할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융합 교육과정 개설


등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한 지원도 뒷받침 되어야 함

한국은 제조업 밸류체인 전반에서 경쟁력 있는 산업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고속 통신망
등 우수한 IT 기술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이러한 강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서비스 융복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할 잠재력이 충분할 것으로 보임

6) Gebauer, H., E. Fleisch, and T. Friedli(2004), Overcoming the service paradox in manufacturing
companie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Vol.23, No.1, pp.14-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