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재무 관리

개인과제: 자본 예산

호앙찌홍아잉 | 20102477| 경영학과


1. 신규 프로젝트의 회수기간

그림 1.1

- 1.1 그림에서는 새모델의 판매 단가는 360,000 원이고 판매량은 향후 5 년간 74,000;


95,000; 125,000; 105,000; 80,000 으로 추정한다. 초기 프로젝트는 시작할 때는 1 억원의
순운전자본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매년 말의 NCW 는 그 당해 매출액의 약
15%가 될 것이다. 단위당 변동비용은 155,000 원이고, 총고정비용은 연간
4,700,000,000 원이다.

- 생산을 위해 필요한 장비 구매에 약 21,500,000,000 원이다. 이 장비는 5 년 이상 쓸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미국의 MACRS(장비-7 년) 방식에 따라 분석하게 된다. 이
장비의 5 년 후 4,100,000,00 원 정도에 판매 가능해서 연도 5 의 잔존가치는
4,100,000,000/21,500,000,000=0.19 특 약 19%이다. 세율은 35%이고 요구수익율은 20%
이다.

- 구모델은 앞으로 2 년후면 판매가 종료되고 구모델의 가격은 29 만원이고 판매량은 2


년간 각각 65,000; 45,000 (연간 15,000 감소)

 https://dbr.donga.com/article/view/1401/article_no/4304/ac/magazine

위 링크에 참고하고 요구수익율을 20%으로 분석하게 됐다.

1페이지
1.2 그림

- 매출액, 첫해는 새모델의 단가 360,000 원에 74,000 대 판매하여 구모델의 단가 255,000 원에


65,000 대 판매해서 총 43,215,000,000 원 달성했다. 나머지 1.2 그림에 정리했다.
- 다음으로 1.2 그림에서 21,500,000,000 원 투자의 감가상각비를 계산한다. NCW 는 그
당해 매출액의 15%이라 NCW 변동은 단순히 계산할 수 있다.
(그해의 매출액* 15%)고 1.2 그림에서 결과 나와 있다.
- 1.2 그림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첫해의 순운전자본은 1,000,000,000 원에서 0.15* 43,215,000,000=
6,482,250,000 원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그 해의 순운전자본의 증가는 6,482,250,000-
1,000,000,000= 5,482,250,000 원이다. 나머지 숫자도 같은 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1.3 그림
- 마지막으로 이 프로잭트에 투자한 장기자본을 계산해야한다. 이 경우 0 년에 21,500,000,000
원을 투자한다. MACRS(장비-7 년) 방식에 의해서 이 장비는 프로젝트의 연도 5 에 479,880,000
원의 가치가 있다.
- 앞에서 논의한 대로 5 년후 4,100,000,000 판매 가능해서 자본이익을 발생한다.
자본이익= 처분가치- 장부가치= 4,100,000,000-479,880,000=3,620,120,000 원
- 이익을 발생해서 세금 유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세율은 35%으로
세금= 3,620,120,000*0.36= 1,267,042,000 원 유출해야 한다. 이대로 순처분가치를 계산할 수
있다. 순처분가치는 처분가치에 세금을 감가하는 것이며 순처분가치는 2,832,958,000 원이다.
- 누적현금흐름을 보면 누적현금흐름이 거의 0 가 되는 시점이기에 프로젝트 1 년과 2 년 사이에
회수된다. 그러므로 회수기간= 1+ 12,615,967,750/26,001,319,500 원= 1.48 년이다.
 결론: 1 년반에만 해도 NCW 회수 가능해서 프로젝트 진행할 만한다.

2페이지
2. 신규 프로젝트의 수익성지수

1.4 그림

- 1.4 그림에 보다시피 PV(1,5)= 42,659,268,495 이며


PI=PV(1,5)/|CF0|= 42,659,268,495/ 22,500,000,000=1,89
 수익성지수 PI >1.0 프로젝트 채택하는 게 좋다.

3. 신규 프로젝트의 NPV, IRR

1.5 그림

- NPV 형식적이, NPV= CF/(1+r)^t 따라서 1.5 그림이 NPV 을 계산되었다.


NPV= 20,159,268,495.
 NPV >0 프로젝트 채택.
- 내부수익율은 NPV 0 으로 만드는 할인율이라 NVP 0 으로 입력하고 계산한 결과:
IRR= 53%
 IRR>20% (요구수익율) 프로젝트 채택.

3페이지
4. NPV 는 가격 변동에 얼마나 민감하는가?

* 가정: 공기청정기의 가격이 1 만원 상승.

1.6 그림

- 1.6 그림 보이는 바와 같이 가격 1 만원 상승(360,000 원->370,000 원) 하면 NVP 는


20,159,268,495 에서 21,934,578,745 으로 바뀐다. 정리하면 단가 1 만원 상승하면 NPV
1,775,310,250 원 증가한다.
- 그러므로 NPV 는 가격 변동에 민감성이 높다고 결론할 수 있다.

5. NPV 는 판매량 변동에 얼마나 민감하는가?

* 가정: 판매량이 1000 대 증가한다.

1.7 그림
- 1.7 그림 보이는 바와 같이 판매량은 천대 증가 (74,000 대-> 75,000 대) 하면 NVP 는
20,159,268,495 에서 20,262,810,162 으로 바뀐다. 정리하면 단가 1 만원 상승하면 NPV
103,541,667 원 증가한다.
- 그러므로 NPV 는 가격 변동에 민감성이 별로 안 높다고 결론할 수 있다.

4페이지
6. 결론

- 다시 요약하자면 상기 계산한 모든 평가법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NPV = 20,159,268,495 원


>0, IRR 는 약 53%로 요구수익률 20%보다 높고, 수익성 지수 PI 는 약 1.89 로도 1 보다 크다.
게다가, 회수 기간도 약 1,48 년으 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는 두 가지 상황 발생할 수 있다.
 첫째, 요구 회수기간보다 짧으면 모든 평가법이 해당 프로젝트를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아
이 프로젝트를 채택해야 한다고 보인다.
 만일, 요구 회수기간보다 길더라도 프로젝트를 채택할까 말까 고민할 때는 NPV 법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해 이때의사결정을 할 때 공기청정기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그런데 1,48 년 후에 회수될 수 있다면 굉장히 짧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모든 평가법의
결과에 의하면 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

5페이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