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31

시편 68편과 우가릿 문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 학 과
김 재 환
시편68편과 우가릿 문서 비교연구

지도 박 준 서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3년 12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 학 과
김 재 환
김재환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년 12월 일
감사의 글

‫והמשכלים יזהרו כזהר הרקיע ומצדיקי הרבים ככוכבים לעולם ועד‬


지혜 있는 사람은 하늘의 밝은 빛처럼 빛날 것이요
많은 사람을 옳은 길로 인도한 사람은 별처럼 영원히 빛날 것이다(다니엘 12장 3절)

가장 먼저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립니다.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이 지금까지 나를 인도하신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심을 고백합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오늘의 이 작은 결실이 있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

다.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부족한 제자를 지도해 주신 박준서 교수님, 김영진 교


수님, 노세영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들께서 보여주신 학자로서의 자세와

꾸지람, 훈계, 지적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저의 마음 가운데 머물러 있을 것입니

다. 저를 구약성서학으로 인도해주시고 고대근동학이라는 더 넓은 세계를 볼 수

있도록 해주신 교수님은 제게 학문적인 부모님이십니다. 기도로 후원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항상 부족한 저를 위해 기도해주시는 김석구

목사님, 김동주 장로님, 박승자 권사님께 감사를 드리며, 영문초록을 작성하는 데

에 도움을 준 피츠버그에서 유학 중인 친구 최용훈과 논문에 필요한 서적들을 보

내주신 예루살렘에서 유학 중인 김성언 선배님에게도 이 지면을 통해 감사의 마

음을 전합니다. 또한 항상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보여주시는 김한성 선배님의 충

고와 격려에도 감사드립니다. 제게 큰 힘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항상 기도로 부족한 아들을 지원해주시는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는 부모님의 희생과 사랑에 대해 진심으로 감


사를 드리며 이 작은 결실을 아버지 어머니께 드립니다.

2003년
김재환
목 차
약어표 i
국문요약 vii
제 1장 서론 1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1. 2. 연구사 3
1. 2. 1. 통일성의 문제 3
1. 2. 2. 역사적 배경 4
1. 2. 3. 양식비평적인 문제 6
1. 2. 4. 우가릿 문서와 관련된 연구 8
1. 3. 연구 방법 10
1. 3. 1 셈어내에서 우가릿어의 위치 10
1. 3. 2. 연구방법 14
제 2장. 본문 분석 15
2. 1. 1연 하나님의 신현현과 그 결과 15
2. 2. 2연 폭풍의 신인 야웨를 찬양하라 24
2. 3. 3연 백성을 위하여 거처를 마련해 주시는 하나님 33
2. 4. 4연 적들을 물리치시는 하나님 40
2. 5. 5연 하나님의 거처 52
2. 6. 6연 승리하신 하나님 61
2. 7. 7연 승리의 행렬 73
2. 8. 8연 승리하신 하나님께 드리는 간구 81
2. 9. 9연 승리하신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 85
제 3장. 시편 68편의 구조, 해석 및 신학 91
3. 1. 시편 68편의 구조 91
3. 2. 시편 68편의 해석 96
3. 2. 1. 시편 68편의 장르 96
3. 2. 2. 시편 68편의 역사적 배경 및 삶의 자리 97
3. 3. 시편 68편의 신학 99
참고문헌 101
영문요약 116

- i -
약 어 표

I. Sigla

[ ] 훼손된 본문에 대한 재구성


x. x 단어 구분표시(Word Divider)

II. Bibliographical

AB Anchor Bible
ABD D. N. Freedman, (e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6
Vols., (New York: Doubleday, 1992).
AHw W. von Soden, Akkadisches Handwörterbuch, I-III,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1965-1981).
Albright, "Catalogue" W. F. Albright, "A Catalogue of Early Hebrew Lyric
Poems(Psalm LXVIII)," HUCA 23/1 (1950-51): 1-39.
ANET J.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ing

to the Old Testament, 3rd. Edition with Supple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ARI A. K. Grayson, Assyrian Royal Inscriptions. 2 Vols.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72-76).
BDB F. Brown, S. R. Driver & A. Briggs,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Biblical Aramaic.


BHS K. Elliger & W. Rudolph (ed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Stuttgart: Deutsche Bibelgesselschaft,

- ii -
1967/77).
BL H. Bauer & P. Leander, Historische Grammatik der

Hebräischen Sprache des Alten Testamentes, (Hildesheim:


Georg Olms Verlagsbuchhandlung, 1962).
CAD The Assyrian Dictionary of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1954-).
CAT A. F. Rainey, Canaanite in the Amarna Tablets.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Mixed Dialect Used by Scribes


from Canaan, I-IV, (Leiden: E. J. Brill, 1996).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MHE F. M.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Context W. W. Hallo & K. L. Younger, Jr., (eds.), The Context
of Scripture, 3 Vols., (Leiden: E. J. Brill, 1997).
Dahood, Psalms II M. Dahood, Psalms II: 51-100, AB 17, (Garden City,
New York: Doubleday, 1968).
DDD K. van der Toorn, B. Becking & P. van der Horst,
(eds.),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Leiden: E. J. Brill, 1995).

DNWSI J. Hoftijzer & K. Jongeling Dictionary of the North-West


Semitic Inscriptions (Leiden: E. J. Brill, 1995).
Driver, Myths J. C. L. Gibson, Canaanite Myths and Hebrew Legends,
(Edinburgh: T & T Clark, 1977).
DULAT G. del Olmo Lete & J. Sanmartín, A Dictionary of the

- iii -
Ugaritic Language in the Alphabetic Tradition, (Leiden:
E. J. Brill, 2003).

EA J. A. Kundtzon, Die El-Amarna-Tafeln, 2 Vols., (Aalen:


Zeller Verlag, 1964 (Originally Published 1915)).
EJ Encyclopedia Judaica

GKC E. Kautzsch & A. E. Cowley, Gesenius' Hebrew


Grammar,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10).
Gray, KRT Text J. Gray, The KRT Text in the Literature of Ras Shamra.

A Social Myth of Ancient Canaan, (Leiden: E. J. Brill,


1955).
Gray, "Cantata" J. Gray, "A Cantata of the Autumn Festival: Psalm

LXVIII," JSS 22 (1977): 18-19.


HALOT L. Köhler & W. Baumgartner,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5 Vols., (Leiden: E. J.
Brill, 1994-1999).
HAR Hebrew Annual Review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UCA Hebrew Union College Annual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AO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JNE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JSS Journal of Semitic Studies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AI H. Donner & W. Röllig, Kanaanäische und Aramäische
Inschriften, 3 Vols., (Wiesbaden: Otto-Harrasowitz,

- iv -
1962-4).
KTU2 M. Dietrich, O. Loretz & J. Sanmartín, The Cuneiform

Alphabetic Texts from Ugarit, Ras Ibn Hani and Other


Places, (Münster: Ugarit-Verlag, 1995).
LePeau, Psalm 68 J. LePeau, Psalm 68: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Study, (University of Iowa Dissertation, 1981).


MT Masorah Texts
NIDOTTE W. A.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RB Revue Biblique

Religious Texts N. Wyatt, Religious Texts from Ugarit, (London:


Sheffield Academic Press, 2002).
RHR Revue de l'Histoire des Religions

RIMA 2 A. K. Grayson, The Royal Inscriptions of Mesopotamia.


Assyrian Periods. Volume 2. Assyrian Rulers of the
Early First Millenium BC (1114-859 BC). (Toronto:
Toronto University Press, 1991).
TDOT G. Johannes Botterweck & Helmer Ronggren,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4-).
UF Ugarit Forschungen: Internationales Jahrbuch für die
Altertumskunde Syrien-Palästinas, (Neukirchen, 1969- ).
UT C. Gordon, Ugaritic Textbook, (Rome: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1965).

- v -
VT Vetus Testamentum
VTS Supplements to Vetus Testamentum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 vi -
국문요약

시편 68편과 우가릿 문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신학과
김 재 환

본 연구의 목적은 구약성서 시편 68편의 본문을 이해하고 본문에서 나타나는 신

학을 서술하는 것이다. 현재 상태의 본문은 해석될 수 없는 부분들이 아주 많기

때문에 본문을 수정하거나 성서히브리어에 없는 의미를 우가릿어에서 나타나는

의미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우가릿어와 성서 본문을 비교할 수 있는 이유는

언어적으로는 우가릿어와 히브리어가 모두 같은 북서셈어에 속하며 문화적으로

같은 가나안 문화권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도 고대 근동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더 가깝기 때문이다.

시편 68편은 첫째로는 본문 상에 있어서 성서에서 단 1회만 나오는 단어와 해석

이 되지 않는 단어, 표준적인 성서히브리어 문법에서 어긋나는 형태의 단어들이

많이 나온다는 어려움이 있으며, 둘째로는 단어들을 해석을 하더라도 내용의 측면

에 있어서 하나의 일관된 흐름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많은 학자들의 지적을 받았

다. 그래서 극단적인 경우는 이 시편은 일관성 있는 주제를 가지는 하나의 완결된

시편이 아니라 여러 다른 시들의 서두(incipit)만 모아서 편집한 일종의 목록이라는


견해도 나왔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두 가지 문제는 첫째 언어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여주는 단어 및 구문론적인 측면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문장

들을 해석하는 것이며, 둘째 이러한 해석된 본문이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일관

- vii -
성있는 내용을 갖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우가릿 문학과의 비교 연구는 주로 첫

번째 단계에서 이루어졌다.

본문은 우가릿어의 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해는 본문의 이해에

여러 가지 도움을 준다. 첫째, 어휘의 면에 있어서 이해할 수 없는 히브리어 단어

를 우가릿어에 나타나는 의미를 바탕으로 의미가 잘 통하는 단어로 이해하거나


수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는 구약성서에 단 1회만 나오는 단어인 ‫שנאן‬을 우가

릿어 단어인 ṯnn을 통하여 ‘궁수’라는 의미로 수정, 해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해석은 문맥과도 잘 맞는다. 둘째, 표현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우가릿 문서가 발견


되기 이전에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던 표현이 우가릿의 발견 이후 더욱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 ‘구름을 타는 자’라는 표현이 있는데 우가

릿에서 바알 신에 대한 호칭으로 사용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제대로 이해되었다.

혼돈의 세력들을 무찌르고 비를 내리시는 하나님의 모습 또한 우가릿 신화에서

바알 신이 가지고 있던 역할이었음이 밝혀졌다. 셋째, 짝을 이루어 쓰이는 단어들

이 있는데 예를 들면 성서히브리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금’을 의미하는 단어인


‫חרוץ‬가 ‫כסף‬와 함께 짝을 이루어 사용되고 있는데 우가릿어에서도 이 두 단어가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것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이 나타난다고 해서

이 시편이 우가릿 문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주제적인 면에서 통일성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문은 전쟁의 상황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셔서 적들을 물리치고 그의 백성에게 살 곳을 마련해주시며 승리

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백성과 하나님이 영원히 택하신 성소 시온으로 오셔서

거하시는 하나님이라는 하나의 분명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편의 장르는 찬양시에 속한다. 찬양시 이외의 다른 요소들도 많이 있지만

가장 두드러지는 측면은 찬양시의 모습이다.


본문이 서술하고 있는 내용의 역사적 배경에 관해서는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반적인

전쟁과 승리를 묘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이 현재의 형태로 고착화될 당시의
정황은 이스라엘의 분열 왕국 시기 중에서도 야웨 하나님을 왕실의 공식적인 신

으로 섬기던 시기들 중의 하나인 히스기야, 요시야 통치 시기가 가능성이 있다고

- viii -
생각된다.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였을 야웨를 알리기 위해서 당시 사람들에게 친

숙했던 형식인 찬양시의 형식을 사용하고, 또한 당시에 친숙했었던 내용인 가나안

의 신화적인 내용을 이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는 초

기 히브리어의 특징들은 야웨가 오래전부터 있던 신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의고적인 표현이거나 혹은 현재 형태의 시편이 기록되기 이전에 존재하던 전승의


형태를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시편을 통해서 나타나는 신학적인 주제는 야웨가 가나안의 신들에 대해 승리

하였다는 것과 약한 자들을 돌보시는 정의로운 하나님의 모습이다.

핵심되는 말 : 시편, 히브리어, 셈어, 우가릿, 우가릿어, 찬양시, 신현현

- ix -
제 1장 서 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약성서 시편 68편의 본문을 올바르게 이해하며 본문에서 나


타나는 신학 및 사고를 서술하는 것이다. 시편 68편은 시편 중에서도 가장 이해하

기가 어려운 시편들 중의 하나로 꼽힌다. 다후드는 본문이 현재 MT에 보존되어

있는 상태나 그 본문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시편들 중에서 가장 어려운 시편으


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1)고 하였다.2) 여러 학자들의 지적대로 이 시편은 해석상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이 시편을 제대로 이해

하기 위해 본문에 상당한 수정을 가하기도 하였다. 시편 68편에서 이러한 어려움

이 생기는 이유들은 첫째로는 현재 본문의 상태 그대로는 해석이 되지 않는 구절

들이 많다는 것이 있는데, 그 원인은 본문의 전승 과정에 있어서 깨어진 본문이

존재하거나, 성서의 다른 곳에서는 나오지 않는 단어들(hapax legomena)이 많이 있

기 때문이다.3) 둘째로, 본문의 각 부분들이 내용적인 측면에서 매끄러운 하나의

완결된 통일체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해석하기 쉽지 않은 구절들의 의미를 밝히고, 통일성이 없어

보이는 각 내용들이 하나의 일관된 맥락을 중심으로 조직된 내용들이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첫째 이 시편의 통일성에 관한 문제를 다룰 것이다. 시편 68편은

각 절들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그 통일성에 관해서 본문

1) M. Dahood, Psalms II: 51-100, AB 17, (Garden City, New York: Doubleday, 1968), p. 133.
2) 이 외에도 여러 학자들이 이러한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W. F. Albright, "A Catalogue of Early
Hebrew Lyric Poems (Psalm LXVIII)," HUCA 23, I (1950), p. 7; H. -J. Kraus, Psalm 60-150,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originally published in 1978)), p. 47; M. Buttenwieser, The Psalms.
Chronologically Treated with a New Transl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38), p. 30. A. R.
Green, The Storm-God in the Ancient Near East, (Winona Lake: Eisenbrauns, 2003), p. 240.
3) MT에는 hapax legomena를 가리키는 ‫ל‬이 32개가 있다.

- 1 -
자체가 많은 문제점을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올브라이트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이 시편을 통일성 있는 하나의 시로 보지 않고, 각 부분들이 서로 관련

이 없는 다른 작품들의 일부라는 견해들을 여러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이 시편 68편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통일성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둘째로, 이 시편과 우가릿 문서간의 비교연구를 할 것이다. 시편 68편은 이 본문

그 자체로만 놓고 보았을 때에는 해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성서 바깥의 다른

문학들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면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20세기 초반에 라스

샴라(Ras Shamra)에서 고대 우가릿의 문학들이 발견되었을 때 이 시편과 우가릿

문학간의 유사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인식되었다.4) 시편 68편에는 우가릿 문서

에서 나타나는 표현들과 유사한 표현들이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표현들 및 우가


릿어의 문법적인 특징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 시편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히브리어에서 ‫רכב בערבות‬라는 표현은 오래전부터 많은 학

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으며, 많은 학자들이 ‫ערבות‬를 ‘광야’라는 의미의 ‫ער‬

‫בה‬와 연결시켜 이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가 발견되면서 이 호칭이

가나안의 폭풍의 신인 바알에게 사용되는 호칭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로, 양식비평적인 문제, 즉 이 시편의 삶의 정황에 관한 문제 및 장르의 문

제, 그리고 역사적인 배경의 문제 등을 다룰 것이다. 궁켈(Gunkel)이 시편 연구에

양식비평적인 방법을 적용하면서 시편 연구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이 시편 68

편에 대해서도 그 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양식 비평적인 연구들이 시도되었으

며, 그 연구 결과들은 이 시편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양식 비평적

인 연구는 시편 본문 그 자체에 대한 이해보다는 이 시편에 배후에 있는 배경에

더욱 더 초점을 맞추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궁극적으로는 시편 본문


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 시편의 주제와, 신학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서술할 것이다.

4) 이러한 대표적인 학자가 올브라이트(Albright)와 다후드(Dahood) 등이 있다.

- 2 -
1. 2. 연구사

시편 68편의 연구사는 다음의 네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첫째, 시

편의 통일성(unity)의 문제이다. 20세기에 들어서 이 시편의 통일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학자들이 있었는데, 이러한 견해들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둘째, 이

시편에 나타나는 역사적인 배경에 관한 견해들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이 시편의

양식 비평적 문제, 즉 장르(Gattung)와 삶의 자리(Sitz im Leben)에 관한 견해들을

살펴볼 것이다. 넷째, 우가릿 문서 발견 이후에 어떤 방향으로 시편 연구가 진행

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1. 2. 1. 통일성의 문제

현재의 본문상으로 이 시편은 통일성이 있는 하나의 시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러나 1934년 슈미트(Hans Schmidt)가 처음으로 이 시편의 통일성에 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후 로빈슨(T. H. Robinson), 올브라이트(W. F. Albright) 등의 학자들

도 이 시편의 통일성을 부정하였다. 여기서는 이 세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

펴보겠다.

슈미트(H. Schmidt)는 이 시편에서 각 부분들 간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를 했

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이 시편은 원래는 독립적이었던 짧은 노래들을 모아놓은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각각의 짧은 노래들은 하나의 제의에서 사용되던

노래들도 아니며, 또한 그 기원과 내용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하였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내용의 이러한 노래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게 한 요인은


이 노래들이 모두 같은 하나의 축제, 즉 야웨의 즉위식(Enthronment Feast of

Yahweh)에서 불려졌던 노래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6절에 의하면 노래부르는

자들과 악기를 연주하는 자들이 행렬의 제일 앞에 서서가고 있는데, 이 때문에 슈

미트는 이 행렬은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를 부르면서 진행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

- 3 -
였다. 이 때 불려지는 노래들은 그렇게 길지는 않았을 것이며, 이 시편에는 이 짧

은 노래들이 적어도 16개는 들어있다고 하였다.5)

로빈슨도 슈미트와 같이 시편 68편은 하나의 작품이 아니라, 여러 개의 다른 시

들로부터 문장들을 발췌하여 단순히 연결시켜놓기만 한 모음(collection)이라고 하

였다. 그러나 야웨의 즉위식에서 사용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슈미트와는 달리,

로빈슨은 이들 모음은 어떤 특정한 하나의 의식을 위해서 모아놓은 것이 아니라

고 하였다.6)

올브라이트는 이 시편은 원래 하나의 시가 아니라 여러 시편들의 서두(incipit)들


만 따서 모아놓은 카탈로그라고 하였다. 로빈슨이 단순히 여러 시들로부터 문장을

발췌하여 모아놓은 것이라고 한 것에 반해, 올브라이트는 여러 개의 시들의 서두

를 모아놓은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성서 내에서 이와 같이 하나의 시의 서두만으로 그 시를 나타내는 좋은 예는 출

15:21에서 나타난다. 앞의 1절에서부터 모세가 불렀던 노래가 여기서는 그 서두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시 68:2은 민 10:35에서 약간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

며, 민 21:17, 삼상 18:7, 사 23:16 등도 이와 같이 원래는 더 길었던 시의 서두만

을 기록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것은 수메르어나 아카드어, 우가릿어로 기록

된 작품들에서 사용되던 방식이었다고 한다. 우가릿에서는 lbʿl, lkrt, lʾaqht 등과 같


이 짧은 이름으로 그 작품의 이름과 같이 사용하며, 아카드어에서는 Enūma elīš와

같은 이름으로 부른다. 그러나 올브라이트는 이와 같이 여러 시들의 서두를 모아

놓은 작품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7)

1. 2. 2. 역사적 배경

5) Hans Schmidt, Die Psalmen (Tübingen: J. C. B. Mohr [Paul Siebeck], 1934), pp. 127-128.
6) W. O. E. Oesterley, The Psalms (London: SPCK, 1962), p. 320에서 재인용.
7) Albright, "Catalogue," pp. 7-9.

- 4 -
시편 68편은 어떤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사건은 어떤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 대답을 찾으려는 시도들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19세기에는 마카비 시대, 셀류시드 왕가와 톨레미 왕가 사이

에 분쟁이 있던 주전 3세기, 예루살렘에 제 2성전을 건축하던 시기, 요시야 통치

기, 히스기야 통치기에 산헤립의 포위로부터 해방되었을 때, 다윗의 도성에 언약


궤를 놓던 때, 삼하 10-11장에 기록되어 있는 암몬과의 전쟁을 끝마쳤을 때 등의

시기가 제안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시편 68편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시편 연

구에서 마카비 시대는 가능한 연대에서 제외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계속해서

다양한 연대들이 제시되었는데, 주전 4세기 이집트와 페르시아가 대립하던 시기,

포로 후기나 귀환 초기, 성전이 건축되기 이전의 다윗 혹은 솔로몬 당시 등과 같

이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한다.

포드샤르는 시편 68편을 야웨의 영광에 대한 찬양으로 규명한다. 야웨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행하신 과거(7-18절), 현재(5-6, 19-23, 24-27절)의 행위들이 언급되며,

이러한 것들이 미래에도 계속될 것이라는 희망에 대한 표현들이 나타난다(1-2,

29-32, 32-35절).8)

모빙켈은 28절에 베냐민 지파가 대열을 이끄는 것이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하여

베냐민 지파 출신의 사울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때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라고 보았다.9) 그리고 지리적인 배경으로는 다볼산을 지적하였는데 그 근거는 다

음과 같다. 모빙켈은 16절의 ‫הר אלהים הר בשן‬을 “하나님의 산은 바산의 산(Der

(rechte) Gottesberg ist der Basanberg)”로 해석하는데, ‫בשן‬과 우가릿어에서 “뱀”을

의미하는 bṭn을 같은 것으로 보고 ‫הר בשן‬을 “용의 산”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용의 산”을 다볼 산으로 보는데 왜냐하면 “다볼”은 탐무즈 신의 명칭으로 사용되

기도 하는데 탐무즈 신은 뱀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적인 근거를 통


해 모빙켈은 ‫הר בשן‬을 다볼산으로 해석하고, 시편 68편의 지리적 배경을 그곳으

로 본다.

크라우스도 모빙켈과 비슷하게 시편 68편의 지리적인 배경을 다볼산으로 보는데,

8) Podechard, "Psaume LXVIII," RB 51 (1942): 227-245.


9)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s, pp. 72-73.

- 5 -
몇 가지 이유를 더 제시한다. 첫째, 28절에는 유다, 베냐민 지파와 더불어 스불론,

납달리 지파가 언급되는데 베냐민은 당시의 주도적인 지파였고 유다는 나중에 삽

입된 것으로 보며 스불론과 납달 리가 언급된 것은 이 두 지파 사이에 다볼산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시편 68편과 사사기 5장은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

고 있는데, 사사기 5장에서 시스라를 무찌르는 장소가 다볼산이기 때문이다. 삿


4:6, 10등에서는 이 전쟁에 스불론과 납달리가 참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

으로 크라우스는 시편 68편이 사울 시대에 다볼산에서 있었던 제의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1. 2. 3. 양식비평적인 문제

양식비평적인 연구는 첫째로 어떤 한 문학 작품의 장르(Gattung)를 결정하고, 둘

째로 그 삶의 자리(Sitz im Leben)을 결정하며, 마지막으로 한 장르의 역사를 추적

해 나가는 과정이다.

궁켈은 시편에 대한 양식 비평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장르들을 분리해

내었다: 찬양, 왕조 시편, 공동체 탄원, 개인 탄원, 개인 감사시.10) 그리고 이 외에

기타 작은 분류들도 있는데 여기에는 지혜시편, 토라시편, 승리의 노래 등이 있다.

시편 68편에는 양식비평적으로 보았을 때,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장르의 문학 작

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는 시편 68편의 장르와 그 삶의 자리가 어떤 것인지


에 관한 연구의 역사를 서술할 것이다.

첫째, 승리의 노래(victory song)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11) 처음 2절에서부터 하나

님의 대적들이 흩어진다는 단정이 나온다. 여러 곳에서 하나님이 승리하고 그의

적들이 패배한다는 내용들이 나타나고 있다(7, 12-15, 19, 22-24절 등). 그러나 이러

한 장르 구분에는 문제가 있다. 궁켈은 전쟁노래(Siegeslied)라는 장르를 작은 장르

10) Gunkel/Begriech, An Introduction to the Psalms, (Macon: Mercer University Press, 1998), pp. 1-22.
11) P. D. Miller, The Divine Warrior in Early Israe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p. 230.

- 6 -
(Kleinere Gattungen)중의 하나로 구분을 하였다. 이 장르는 전쟁이 끝난 후에 전쟁

의 영웅을 찬양하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12) 이스라엘에서는 이것

이 야웨가 영광을 받는 것으로 변형되었다. 그러나 구약성서에서 이 장르의 완전

한 예가 하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가스터(Gaster)와 같은 학자는 이 시편을 야웨의 행진(Yahweh's Processional)


이라는 장르로 분류한다. 가스터는 메소포타미아와 히타이트에는 지역 신이나 국

가의 신이 신년 축제 기간에 왕좌에 등극하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 신은 축제의

행렬을 거쳐서 왕궁으로 들어가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행렬은 신이 적들을 물


리침으로써 그의 지배를 굳건하게 하였다는 승리를 축하하는 행렬이며 이 적은

신화적인 바다의 용을 가리킨다. 이러한 행렬이 가나안에서도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가나안의 신화 본문들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에서도 이러한 행렬이 실제로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제의에서 사용되던 제

의용 본문(liturgical composition)은 남아 있었을 것이며 시편 68편은 그러한 예에

해당된다고 본다.13)

셋째, 찬양시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14) 이들은 대게 시편 68편을 단순히 찬양시

로 볼 수는 없지만, 찬양적인 요소가 많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5-7절, 33-36절 등

은 확실히 찬양시와 같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찬양을 하라는 부름이 나오고 뒤

이어 그 찬양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는 형식이 전형적인 찬양시의 형식이다.

넷째, 제의문(Liturgy)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이것은 하나의 제의를 위하여 여러

가지 다른 장르의 문학작품들로부터 발췌를 하여 만든 하나의 제의문과 같은 것

으로 보는 것이다.15) 하나의 시편 내에서 2인칭과 3인칭이 교차하여 사용되는 것

12) Gunkel/Begriech, An Introduction to the Psalms, (Macon: Mercer University Press, 1998), pp. 237-240.
13) T. H. Gaster, Myth, Legend, and Custom in the Old Testament,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69), p. 759; Gunkel-Begriech는 시편의 주요 분류 이외에 작은 장르들 중의 하나로 ‘승
리의 노래’를 제시하고 있다. Gunkel/Begriech, An Introduction to the Psalms, (Macon: Mercer
University Press, 1998), pp. 237-240.
14) Kraus, Psalm 60-150, p. 43;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16; R. E. Murphy, "Psalms,"
in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 R. E. Brown, J. A. Fitzmyer, R. E. Murphy, (London:
Geoffrey Chapman, 1989) 등.
15) S. Mowinckel, Psalms in Israel's Worship, (Sheffield: JSOT Press, 1992), pp. 74-78; A. Weiser, The

- 7 -
들도 하나의 제의에서 여러 가지 다른 부분들에서 사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시편의 삶의 자리에 관한 연구이다.16) 이 시편의 삶의 자리에 대해

서는 크게 어떤 특정한 역사적인 시기에서 불려졌던 시편으로 보는 견해와 반복

적으로 벌어지던 제의적인 상황에서 불려졌던 시편으로 보는 견해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위에서 역사적 배경에 관하여 언급하면서 다루었고,

후자의 경우는 이 시편에 배후에 있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

라 이 시편이 어떠한 제의적인 배경에서 사용되었는지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모빙켈은 야웨의 즉위식(Enthronement Feast of Yahweh)을 시편 68편의 삶의 자리

로 보았다.17) 야웨의 즉위 시편을 구성하는 요소들로는 ‫ך‬ꗛꗪ ‫יהוה‬이라는 표현(시

93:1; 97:1; 47:8; 96:10 등), 신화적인 창조의 모티브, 야웨의 승리, 신현현, 심판,
이스라엘의 선택, 야웨의 전 우주적인 통치 등이 있다. 시편 68편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장르의 중요한 특징인 ‫ך‬ꗛꗪ ‫יהוה‬라는 표

현이 나타나지 않으며, 반대로 다른 야웨의 즉위식 시편들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요소들이 시편 68편에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단순히 즉위식 시편으로 보는 것

도 쉽지 않다.

1. 2. 4. 우가릿 문서와 관련된 연구

라스 샴라(Ras Shamra)에서 발견된 고대 우가릿 문서가 출판된 이후로, 구약성서

의 연구에 우가릿 문서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우가릿 문서는 시편 68편의 연구에

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우가릿 문서의 발견이 구약성서 연구에 미친 영향은 언어

Psalms: A Commentary, (Philadelphia: Westminster, 1962), pp. 481-483.


16) 삶의 자리에 관한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본문을 바탕으로 하나의 제의를 상정한 다음 그 제
의를 다시 본문에 대입시켜서 해석하는 순환적인 논증이다.
17) Ibid., pp. 106-192; Gunkel/Begriech는 “야웨의 즉위식”을 찬양시의 하위 장르로 본다.
Gunkel/Begriech, An Introduction, pp. 66-81, esp., 66.

- 8 -
적인 측면에서의 영향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영향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히브리어의 문법적인 측면과 어휘적인 측면에서 많은 도움

을 주었다. 시편 연구에서 우가릿어의 연구 성과를 가장 잘 활용한 학자는 다후드

이다. 우가릿어의 발견 이후 히브리어 문법에 영향을 미친 것들이 여러 가지가 있

는데, 이러한 것들 중에서 다후드가 이 시편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발견한 것들은


호격의 라메드(lamedh vocativum), ‘-로부터’의 의미를 가지는 전치사 ‫ב‬, 전접어 ‫מ‬,

이중 의무(double-duty) 접미어, 소망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희구법 등이 있다. 다후

드는 Anchor Bible시리즈의 시편 주석에서 우가릿 문학의 자료를 폭 넓게 이용하

고 있는데 그는 우가릿어의 증거들을 너무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오늘날 그가 주

장하였던 단어의 의미 및 문법적 요소들에 대해서 그대로 받아들이는 학자는 거

의 없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19세기의 범바벨론주의(Pan-Babylonism)와 비견될만

한 범우가릿주의(Pan-Ugaritism)이라고까지 불릴만하다.18)

또한 우가릿 문서와 시편 68편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 시편의 연대를 이스라엘

역사에 있어서 아주 초기, 즉 주전 10세기 이전으로 보려는 시도들도 있었다. 이

러한 시도 중의 한 가지가 올브라이트가 한 것인데, 그는 이 시편에 있는 철자법

(orthography)19)이 페니키아나 초기 이스라엘의 것과 비슷하다는 점을 근거로 이

시편이 아주 초기의 것이라고 보았다.20)


그러나 모빙켈은 이러한 올브라이트의 방법을 비판하였다. 그는 토기 조각은 유

형적으로 분류하여 정확하게 연대를 측정할 수 있지만, 문학작품은 그런 식으로

정확하게 연대를 측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는 하박국 3장의 예를 들면서 하박


국 3장은 올브라이트도 보여준대로 우가릿 문서와 유사한 점들이 많지만21), 그 연

대는 포로기 이후의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올브라이트가

18) J. Barr, Comparative Philology and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68), p.
111. 이 용어는 Driver 가 사용한 말이다.
19) Cross, F. M., Forbes, D. N. & Andersen, F. I. Studies in Hebrew and Aramaic Orthography, (Winona
Lake: Eisenbrauns, 1992). 히브리어 철자법은 초기로 갈수록 불완전 철자법(scripto defectiva)의 비율
이 높고, 후기로 갈수록 완전 철자법(scripto plene)의 비율이 높아진다고 한다.
20) Albright, "Catalogue," pp. 9-10.
21) Albright, "The Psalm of Habakkuk," in Studies in Old Testament Prophecy, ed. H. H. Rowley,
(Edinburgh: T & T Clark, 1950), pp. 1-18.

- 9 -
지적한 불완전 철자법들도 모빙켈은 거의 다 거부하였다.22)

그레이도 올브라이트가 지적한 철자법의 증거를 반박한다. 그가 드는 이유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9세기 이전의 히브리어 비문들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게젤 달

력23)이 있지만, 여기에는 동사는 없으며 또한 여기에는 완전 철자법(scripto plene)

으로 쓰여진 단어도 나타나고 있다. 둘째, 그레이는 구약성서에서 상당히 후기의


작품인 것으로 널리 생각되는 전도서에서도 불완전 철자법의 경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그레이는 올브라이트의 방법과 같은 이러한 방법을 사

용하여 시편의 연대를 이른 시기로 결정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하고 있

다.24)

1. 3. 연구 방법

1. 3. 1 셈어내에서 우가릿어의 위치

셈어는 세부적인 사항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동셈어(북동셈어), 북서셈

어, 남셈어(남서셈어) 등의 3가지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25) 이중에서

우가릿어가 북서셈어 그룹에 속한다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으나, 북서셈어 내에서

의 정확한 위치에 관하여는 아직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계속해서 논의가 진


행 중이다. 북서셈어에는 주요한 하위 언어군으로 가나안어와 아람어가 있다. 가

나안어에는 히브리어, 페니키아어, 암몬어, 모압어 등의 언어가 속해있다. 예전에

는 우가릿어를 북서셈어 중에서도 이 가나안어에 속하는 것으로 보려는 학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우가릿어는 가나안어와도 공통점이 있으나, 아람어와도 또한 공통

22)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ANVAO II, Hist.-Filos. Kl., 1953), pp. 69-71.
23) KAI 182.
24) Gray, "Cantata," pp. 18-19.
25) Moscati, Ullendorff & von Soden,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Grammar of the Semitic
Languages,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80), p. 4.

- 10 -
점을 나타내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별다른 논증 없이 우가릿어를 가나안어에 속하

는 것으로 생각해왔지만, 현재는 이에 대해서 학자들 간의 서로 다른 견해들이 나

타나고 있다. 최근에 우가릿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는 대표적인 학자는 트로퍼

가 있으며, 우가릿어와 가나안어를 분리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시반이 있다. 여기

서는 이 두 학자의 견해를 중심으로 가나안어와 우가릿어의 관계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트로퍼가 우가릿어를 가나안어로 보는 근거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나안어에

는 원셈어의 자음 ḥ가 사라졌는데, 우가릿어에도 이 자음이 없다. 둘째, 가나안어

와 우가릿어는 공통적으로 이중모음 aw, ay가 ô와 ê로 되는데 아랍어 고대 아람어

등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없다. 셋째, 바르트의 법칙(Barth's law)26)이 가나안어와 우

가릿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아랍어와 주전 5세기 이전의 아람어에서는 나타


나지 않는다. 넷째, ‫אבד‬, ‫אהב‬, ‫)אחד(אחז‬, ‫אכל‬, ‫אסף‬등의 어근이 가나안어와 우가

릿어에서 동일하게 변화한다. 다섯째, 가나안어와 우가릿어에서 공통적으로 ‫הלך‬

와 ‫ ילך‬어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되는데 다른 셈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

이다. 여섯째, 가나안어와 우가릿어에서 의문사 ‫מי‬를 사용하는데 다른 셈어들에서

는 man(nu)를 사용한다. 일곱째, 가나안어와 우가릿어에서 복수와 쌍수 주격에서

mimation이 사용된다.27) 그러나 트로퍼가 제시한 항목들은 잘못된 것이 많으며 만


약 각 항목들이 다 옳다고 하더라도 그가 제시한 기준은 지나치게 임의적이어서

이를 바탕으로 우가릿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28)

시반은 우가릿어는 가나안어에 속할 수 없는 것으로 보는데 그가 드는 증거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북서 셈어들과 달리, 우가릿어에는 원 셈어의 거의 모든

자음들이 보존되어 있다. 히브리어에는 없는 ḍ, ṭ, ṯ, ǵ, ẓ 등의 자음들이 보존되어

26) E. Lipiński, Semitic Languages. Outline of a Comparative Grammar, (Leuven: Peeters, 1997), p. 368.
바르트의 법칙은 셈어 동사에서 주제 모음이 a일때 접두 모음이 i가 되고, 주제모음이 i또는 u 일
때 접두 모음이 a가 된다는 법칙이다.
27) Tropper, J., "Is Ugaritic a Canaanite Language?" in G. J. Brooke, A. H. W. Curtis and J. Healey
(eds.), Ugaritic and the Bible, (Münster: Ugarit-Verlag, 1994), pp. 343-353.
28) 트로퍼의 견해에 대한 비판은 Sivan, "The Status of Ugaritic among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s
in the Wake of New Research," UF 32 (2000), pp. 231-241를 참고하라.

- 11 -
있다. 둘째, 가나안어 변화(Canaanite-Shift)라고 알려져 있는 ā 모음이 ō 모음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우가릿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가나언어와는 달리 우가릿

어에는 정관사가 없다. 넷째, 우가릿어에는 가나안어 관계 대명사 ‫שׁ‬, ‫אשׁר‬, ‫ אשׁ‬등

이 나타나지 않으며, 대신 ‫ד‬이 사용된다. 다섯째, 사역형 동사를 나타내는 히브리

어, 모압어의 ‫הפיל‬, 페니키아어의 ‫ יפעל‬대신에 우가릿어에서는 ‫ שׁפעל‬형태가 사

용된다. 여섯째, 우가릿어에서는 독립 인칭 대명사가 목적격 인칭 대명사와 소유

격 인칭 대명사로도 사용되는데, 이러한 독립 인칭 대명사는 가나안어들에서는 발

견되지 않는다.29)
리핀스키(Lipiński)는 위에서 언급한 전통적인 셈어의 분류를 비판하고,30) 새롭게

셈어를 분류한다.31) 이에 따르면 셈어는 크게 북 셈어, 동 셈어, 서 셈어, 남 셈어

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분류에서 우가릿어는 아모리어 등과 함께 북 셈어에 속하


고 히브리어는 페니키아어 등과 함께 서 셈어에 속하며 서 셈어 중에서도 가나안

어에 속한다. 즉, 이 분류에 의하면 우가릿어와 히브리어는 각각 북 셈어와 서 셈

어로 전혀 다른 범주에 속하는 언어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리핀스키는


이러한 분류에 대한 언어학적인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 지역적인 인접성에 더 큰

비중을 두었기 때문에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한계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

이며, 우가릿어와 가나안어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역적인 인접성 이외의 어떠한 점

에서도 새로운 것을 밝혀주는 것이 없는 분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리핀스

키의 견해는 거부한다.

이상에서 본 것과 같이 최근에 들어서 셈어의 분류에 대하여 의견의 일치를 보

지 못하고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우가릿어와 가나안어의 차이점에 대

해서는 분명히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이전의 연구들과 같이 우가릿 문

29) Sivan, "Biblical Hebrew in the Light of Ugaritic Literature," Leshonenu Laʿam 43 (1992): 123-134;
idem., "The Status of Ugaritic among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s in the Wake of New Research,"
UF 32 (2000): 231-241.
30) E. Lipiński, Ibid., p. 47. 전통적인 분류가 유지될 수 없는 이유는, 기존의 분류 기준에 맞지 않는
새로운 언어들이 발굴되었다는 한 가지 이유와, 우가릿어, 아모리어, 아랍어의 분류에 관한 문제들
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31) Ibid., pp. 47-94.

- 12 -
학을 가나안 문학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그렇지만 가나안어와 우가릿어

가 모두 북서셈어라는 상위범주에 공통적으로 속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기 때문에 가나안어와 우가릿어는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는 것에는 틀림이 없다.

이러한 점에서 히브리어 성서와 우가릿 문학을 비교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있다.

언어적인 면에서 어느 정도의 인접성과 어느 정도의 차이점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으나, 문화권이라는 측면에서는 상당한 동질성을 보여주고 있다. 우가릿에서 발

견된 문학 및 신화의 내용들은 성서와 많은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 진

행될 시편 68편의 연구를 통해서도 두 지역 사이에 높은 관련성이 있음이 드러날

것이다. 바는 성서히브리어와 비교하는 언어를 선택함에 있어서 연대, 지리적 근

접성, 언어 분류내의 유사성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는데,32)

우가릿어는 이러한 세 가지 면에서 모두 다른 어떤 셈어들 보다도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양자 사이의 유사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영향’이라는 측면에 있어

서는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처음 우가릿 문서가 발견되었


을 때에는 구약성서의 많은 부분이 우가릿의 영향을 받고, 우가릿에서 직접적으로

들여오거나, 약간의 변형을 거쳐서 수입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면 시편 29편의 경우 현재의 본문에서 ‫יהוה‬가 있던 부분이 원래의 우가릿 시에


서는 ‫בעל‬로 되어 있었으며, 이 우가릿 시를 수입해 오면서 신명만 ‫יהוה‬로 바꾼

것이라는 견해들이 초창기에는 있었다.33) 이제는 이 시에 대해서 그러한 견해를

주장할 수 없다. 이러한 결론을 내릴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며,

또한 유사한 두 가지에 있어서 어떤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한 사고방식이다.

32) J. Barr, Comparative Philology and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68),
pp. 112-113.
33) Y. Avishur, Studies in Hebrew and Ugaritic Psalm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4), pp. 39-44.

- 13 -
1. 3.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우가릿 문서와의 비교 연구와 히브리

시의 문학적인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비교에 있어서는 아

무런 전제도 가지지 않고, 단순하게 양자에게서 나타나는 동일한, 혹은 비슷한 표

현들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양자가 비슷하다고 해서 그 자체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얼마 되지 않는다. 유사성만으로 연대 문제와 영향 관계에 대한 결론을 내

리기에는 근거가 너무 빈약하다. 오히려 이러한 유사성에 대한 더욱 더 합리적인

판단은 가까운 지리적 경계 내의 동일한 문화를 가지는 두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있던 문화적인 전통으로 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아무런 전제를 가지지는 않을 것이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어려운 단어들이 구약성서의 다른 부분들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연구하여 본문에 가장 적합한 의미를 찾을 것이다.

특별히 시편 68편에는 구약성서의 다른 책들에 동일한 문구가 있는 경우가 여러


곳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본문들에도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본문을 다 분석하고 난

후에, 장르 및 삶의 자리에 관한 문제에 관하여 논할 것이다.

- 14 -
제 2장. 본문 분석

2. 1. 1연. 하나님의 신현현과 그 결과

2절
MT 수정본문

‫יקום אלהים יפוצו אויביו‬ ‫ים‬ꕙꗟꔤ ‫קוּם‬ꖷ

‫וינוסו משנאיו מפניו‬ ‫יו‬ꔧꖺ‫פוּצוּ אוֹ‬ꖷ


‫יו‬ꗺ꘱ꗬ ‫אָיו‬ꗽꙵꗱ ‫נוּסוּ‬ꖷꕵ

하나님이 일어나신다.

그의 원수들은 흩어진다.

그를 미워하는 자들은 그의 앞에서 도망간다.

2절은 민 10:35b과 유사하다.

민 10:35b ‫קומה יהוה ויפצו איביך וינסו משנאיך מפניך‬


시 68:2 ‫יקום אלהים יפוצו אויביו וינוסו משנאיו מפניו‬

두 절 사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민수기의 ‫יהוה‬가 여기서는 ‫אלהים‬으로 바뀌

었고, ‫איב‬, ‫ משנא‬,‫מפני‬에 붙어있는 민수기의 2인칭 접미어가 여기서는 3인칭 접

미어로 바뀌었다는 것, 그리고 민수기에는 ‫ קום‬동사가 명령형으로 사용되었는데

반해34), 여기서는 미완료형으로 사용되었다는 것 등이다.

‫קום‬동사는 전쟁의 상황과 신현현의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이다. ‫קום‬

34) Milgrom, Numbers. The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0),
p. 375.

- 15 -
동사가 Qal 형으로, 하나님을 주어로 해서 나오는 경우는 총 26회이다. 이중에서

24회의 경우에 하나님이 이스라엘이나 개인, 원수들을 심판하기 위해 일어나시는

상황에서 사용되었다.35) 그리고 나머지 2회는 법궤와 관련해서 사용된다.36) 이 동

사가 사용되는 상황은 모두 신 현현의 상황이다. 하나님이 일어나시는 것은 심판

을 받는 사람에게는 기쁨이 될 수도 있고, 공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קום‬동사는


전쟁의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예로는 신 19:11; 암 7:9; 옵 1; 시27:3

등이 있다. 이 구절과 똑같은 구절인 민 10:35b는 법궤가 진을 떠날 때에 모세가

외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법궤는 전쟁을 할 때에 항상 함께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삼상 4:5-7). 그러므로 여기서 ‫קום‬동사가 사용되는 것은 전쟁의 상황과 하나님

의 신현현의 상황을 동시에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스터

(Gaster)는 이 동사가 전쟁과 관련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을 차지하다(takes the

field)’로 해석을 하지만37), 본래의 의미를 넘어서는 이러한 해석은 불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יקום‬동사와 관련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것을 미완료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


면 간접명령형(jussive)으로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은 이 구절

의 성격이 무엇인가에 관한 문제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올브라이트는 이 동사

를 간접명령으로 해석하는데, 그 이유로 이 구절의 성격이 단순히 하나님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이라는 예상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러한 행동을 해 주

시기를 원하는 간청(appeal)이라는 것을 든다.38) 르포는 이 동사를 접속사가 생략

된 종속절(a temporal clause and apodosis without the conjunction)으로 보고 ‘하나님

이 일어나실 때(When God arises)’로 해석하려고 한다.39)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이

35) 이스라엘에 대해 - 사 2:19, 21; 28:21; 31:2; 암 7:9; 개인에 대해 - 욥 31:14; 원수에 대해 - 민
10:35; 사 14:22; 33:10; 렘 2:27; 습 3:8; 시 3:8; 7:7; 9:20; 10:12; 12:6; 17:13; 35:2; 44:27; 68:2;
74:22; 76:10; 82:9; 102:14.
36) 시 132:8 = 대하 6:41 cf. 민 10:35.
37) T. H. Gaster, Myth, Legend, and Custom in the Old Tesament,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69), p. 760.
38) Albright, "Catalogue," p. 17.
39) LePeau, Psalm 68, p. 65.

- 16 -
구절의 찬양으로서의 성격을 잘 나타내주는 것으로, 야웨의 과거, 현재, 미래의 행

위를 모두 찬양하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해석이 한 시편의 서

두로서도 적합하다는 근거를 내세운다.

시편 42편부터 83편은 흔히 ‘엘로힘 시편(Elohistic Psalter)’이라고 불리는 시편이

다. 이 시편들은 원래 신명에 ‫יהוה‬가 사용되었으나, 어떤 한 시기에 이들을 모두

‫אלהים‬으로 바꾸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가진 학자들이 많이 있다.40) 그리고 이 시

편 68편에서도 원래의 신명은 ‫ יהוה‬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다.41) 그

러나 이 시편의 원형에서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지 결론을 내리는 것은 쉽


지 않다. 왜냐하면 이 시편 내에서 ‫יהוה‬와 ‫ אלהים‬두 개의 신명이 동시에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אויביו‬의 정체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שנא‬와 ‫איב‬는 구약성서에서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23회 나타난다. ‫איב‬는 개인적인 적을 가리킬 때도 사용되고(삼상

18:29; 19:17; 24:5, 20(한글 24: 4, 19) 등에서 사울과 다윗; 왕상 21:20에서 아합과

엘리야; 삼하 4:8 이스보셋과 다윗), 이외 많은 다른 경우들에서는 하나님의 선택

된 백성을 괴롭히는 이방 국가를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그러나, 자신의 백성이나

이야기의 영웅에게는 이 단어가 사용되지 않는다. 하나님이 그의 백성의 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애 2:4; 사 63:10). ‫איב‬이 대상이 하나님일 때는 총 29회가


나타나는데, 이 중에 14회는 주어가 사람이며, 주어가 우주적인 적(cosmic enemy)

일 경우는 시편 8:3과 89:11 단 2회에만 나타난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사람과 우주

적인 적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민 10:35; 사 42:13; 나 1:2, 8; 시 66:3; 74:3, 10,


18, 83:3; 89:52). 이 시편은 어떤 특정한 역사적인 상황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구절에서의 적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사적인 실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

‫שנא‬는 개인이나, 민족, 물건, 하나님에 대한 증오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적’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단어와 짝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은 ‫צר‬, ‫ קם‬등이 있다.

40) H. -J. Kraus, Psalms 1-59,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89), pp. 17-19.
41) 예를 들면, W. F. Albright, C. Briggs, E. Beaucamp, Jean-Psacal de Relles, A. Deissler, H. Gunkel,
H. -J. Kraus, S. Mowinckel, E. Podechard 등이 있다.

- 17 -
‫שנא‬가 하나님의 대적인 경우에 있어서, 계명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5회, 이스라엘

전체의 대적인 경우가 3회, 개인의 대적인 경우가 1회 나타나며, 그 정체가 드러


나지 않는 경우는 2회가 나타나는데, 그것이 바로 민 10:35과 시 68:2이다. 그러므

로 이 구절에서 ‫שנא‬를 우주적인 적으로 볼 수 있는 특별한 이유가 없을 경우에는

이 대적을 인간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נוס‬는 일반적으로 군대가 도망가는 경우에 사용된다(삼상 4:17 등 총 81회). 그러

나 ‫פוץ‬는 강제이주를 당하여 있는 이스라엘의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신 28:64; 겔

11:16 등 총 23회)나 양떼가 흩어지는 경우(겔 34:5 등 총 13회)에 더 많이 사용된


다. 그러므로 ‫פוץ‬가 군대가 흩어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삼상 11:11; 왕하

25:5; 렘 52:8), 군인들이 양떼가 흩어지는 것과 같이 흩어지는 상황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며, 이 시 68:2의 경우도 이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구절의 상황은 어떤 전쟁의 상황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구

절과 똑같은 구절인 민 10:35는 법궤가 떠날 때에 모세가 외친 말이다. 이스라엘

은 전쟁을 할 때에 법궤를 가지고 전쟁터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삼상 4:4). 이러

한 것들을 종합해 볼 때에, 이 구절은 이스라엘이 전쟁을 할 때에 법궤를 가지고

나가면서 불렀던 노래로 볼 수 있을 것이고, 전쟁할 때에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전사 하나님(God the warrior)이 나타나시는 모습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

다.

3절

MT 수정본문

‫כהנדף עשן תנדף‬ ꘯ꕒꘅꚝ ‫ן‬Ꚃꘝ ‫ף‬ꕒꘅꕙꗖ


‫כהמס דונג מפני־אש‬ ‫שׁ‬ꔞ‫י־‬ꗽ꘸ꗬ ‫ג‬ꗻ‫ס דּוֹ‬ꗵꕙꗖ

‫יאבדו רשעים מפני אלהים‬ ‫ים‬ꕙꗟꔤ ‫י‬ꗽ꘸ꗬ ‫ים‬ꘟꚂꙣ ‫דוּ‬ꔮ‫א‬ꖼ

연기가 흩어지는 것 같이 그들은 흩어진다

밀납이 불 앞에서 녹는 것 같이

- 18 -
악한 자들은 하나님 앞에서 멸망할 것이다

3절에서는 본문비평적으로 문제가 되는 단어가 몇 가지 있다. 3절에서 ‫ נדף‬어근

이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데, ‫ף‬ꕔꘁꕙꗖ는 자음으로만 보면 Niphal 부정형으

로 볼 수 있으나 모음은 Qal 부정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단어는 대부분의 학자


들이 ‫ף‬ꕒꘅꕙꗖ, 즉 전치사 ‫ כ‬와 ‫ נדף‬어근의 Niphal 부정형이 합하여진 것으로 본

다.42) 그리고 그 다음에 나오는 ‫ף‬ꕔꘁꚝ는 어근이 ‫נדף‬인 ‫־ן‬ꔘ‫פ‬동사인데, ‫נ‬이 동화되

지 않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시편 1:4에는 ‫נּוּ‬꘭ꕖꚝ, 욥 32:13에는 ‫נּוּ‬꘭ꕖꖹ와 같이 ‫נ‬


이 동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נ‬이 남아있는 경우는 이 구절에서만 그러하다.

이 부분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다른 방법으로 수정되었다. 첫 번째는 첫 행의

끝에 ‫רוח‬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편 1:4의 ‫ כמץ אשר־תדפנו רוח‬라는 구


절을 근거로 하여 이와 비슷하게 수정하는 것으로 이렇게 할 경우 첫 번째 행은

‫כהנדף עשן תנדפנו רוח‬가 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연기가 흩어지는 것과 같이’라

고 해석될 수 있다.43) 두 번째 수정 제안은 ‫תנדף‬를 Niphal로 보면서 이 단어를 ‫שן‬

‫ע‬의 관계절로 보는 것이다. 크라우스(Kraus)가 이러한 수정을 제안하는데 그는 이

행을 ‘날아가는 연기가 사라지듯(As diffusing smoke vanishes, Wie verfliegender

Rauch vergeht)’으로 해석을 하였다.44) 세 번째는 ‫פוּ‬ꕎꘅꖹ로 수정하여 “그들이 쫓겨


날 것이다”로 해석하며45), 네 번째로 ‫תּנּוּר‬로 수정하여 ‘화덕의 연기’로 해석하는

것이다.46)

이러한 제안들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원래의 자음 본문을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지 않는 방법일 것이다. 본문의 수정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이 단어를 가장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은 ‫תנדף‬를 ꘯ꕒꘅꚝ, 즉 Niphal, 미

42) GKC §51k, Mowinckel, Kraus, Albright 등.


43)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II, (New York: Scribner,
1906-07), p. 97, 106
44) Kraus, Psalms 60-150, p. 43.
45) Kissane, pp. 292-293.
46) Aistleitner, "Zu Ps 68," BZ 19 (1931), p. 30; R. Tournay, "Le Psaume LXVIII," RB 51 (1942), p.
231.

- 19 -
완료, 3인칭, 남성, 복수로 보는 것이며 이럴 경우 본문은 “연기가 흩어지듯이, 그

들도 흩어진다”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문제는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에서 ꘯ꕒꘅꖹ가 아니라 ꘯ꕒꘅꚝ라는 것인데, 이 문제는 우가릿어와의 비교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우가릿어에서는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에서 접미어 ‫ת‬를

쓰기도 한다.47) 고든은 그러므로 이 구절을 이와 같이 해석하는 것은 본문의 수정

을 최소화하면서 자연스러운 해석을 얻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연기(‫)עשן‬는 덧없는 것을 나타낼 때에 자주 사용되며(사 51:6; 호 13:3; 시 37:20;

102:4), 또한 신현현의 정황에서도 사용되며(출 19:18; 삿 5:4; 삼하 22:12; 사 6:4;


시 104:32; 144:5), 야웨의 분노를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시 18:9; 74:1; 80:5). 여

기에서 이 단어가 사용된 것은 2절에서 야웨의 신현현 장면이 나오는 것과 함께

좋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두 번째 행에서는 밀랍이 녹아내리는 이미지가 사용된다. ‫דונג‬는 구약성서에서

총 4회(미 1:4; 시 22:15; 68:3; 97:5)가 사용되었는데, 모든 경우에 ‫מסס‬동사와 함께

사용되었다. 미 1:4과 시 97:5의 상황은 신현현의 상황이다. 이 두 구절에서는 모

두 공통적으로 불(‫)אש‬이 나온다. 이 곳 이외의 신현현의 장면들에서 불이 등장하

는 구절들로는 출 19:18; 신 4:11-12; 시 18:13-14 등이 있다.

‫ אבד‬동사는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 동물 등에 대하여도 많이 사용된다. 이 동사


는 구약성서 히브리어에서 총 184회 사용되며, 예레미야와 다니엘의 아람어 부분

에서도 7회 사용된다(렘 10:11; 단 2:12, 18, 24(2x); 7:11, 26). 이 중에서 Hiphil과

Piel로 사용되는 횟수는 65회인데,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이 나타난


다: 첫째, 거의 반 정도에 있어서 야웨가 주어로 나타난다. 둘째, 반 이상의 경우

에 이 단어가 군사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48) 이 단어가 사용되는 곳

에서는 야웨는 ‘전사’로서 나타나며 이방 국가들을 파괴시키고 멸망시키는 모습으

47) Sivan, A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p. 111, 119; Segert, A Basic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pp. 60-61; Gordon, UT 9.14. 고든은 구약성서 내에서 이러한 예들이 나타나는 곳이 신
5:20-21; 겔 37:7; 욥 19:15 등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신 5:20-21은 2인칭으로 해석할 수 있고, 겔
37:7은 ‫ ותקרבו‬동사의 주어가 여성 복수 명사인 ‫עצמות‬이기 때문에 이러한 예에 속한다고 볼 수
가 없다. 욥 19:15는 이와 같은 예로 볼 수 있다.
48) Otzen, ‫ אבד‬in TDOT I, pp. 19-23.

- 20 -
로 나타난다. 신 8:20; 11:4 등에서 이스라엘이 출애굽하고 약속의 땅에 정착할 때

에도 야웨가 이방민족들을 멸망시킨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예언서에서도 마지

막 날에 믿지 않는 자들을 야웨가 멸망시킬 것이라는 내용에서 ‫אבד‬가 사용된다.

그런데 ‫אבד‬는 7-6세기의 예언서에서만 사용되고 있다(습 2:5, 13; 렘 49:38; 51:55;

겔 25:7, 16; 28:16; 30:13; 옵 8). 이 단어보다 더욱 더 일반적인 단어는 ‫נתש‬, ‫נתץ‬

등으로 렘 1:10; 12:17; 18:7 등에서 사용된다.

‫ אבד‬가 Qal로 사용되는 경우는 멸망시키는 행동을 하는 자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문맥상으로 보았을 때 야웨가 행동을 하는 주체인 경우가 많다. 이집트(출


10:7), 가나안(신 7:20), 블레셋(암 1:8; 슥 9:5), 모압(민 21:29f; 렘 48:8, 46), 두로(겔

26:17), 이스라엘의 모든 대적들(삿 5:31; 시 2:12; 9:4(한글 9:3); 10:16; 80:17(한글

80:16); 83:18(한글 83:17); 사 41:11; 60:12) 등에 대하여 이 동사가 사용된다. 이들

은 모두 야웨의 심판을 받고 멸망하는 상황들이다. 이 동사는 이스라엘에 대하여

도 역시 사용되는데, 율법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해(레 26:38; 신 28:20, 22; 렘

9:11(한글 9:12), 우상을 숭배한 것에 대해(신 4:26; 8:19f; 11:17; 30:18; 수 23:13,

16) 하나님이 심판하시는 것으로 나온다. 이러한 ‫ אבד‬동사의 용례는 야웨가 나타

나서 대적들을 무찌르는 이 절의 정황과 잘 맞고 있다.

‫רשעים‬은 처음에는 특정한 범죄를 행한 범죄자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었다49).


그러나 나중에는 하나님과 관계를 가지지 않는 일반적인 의미의 악인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었다50). 시편에서 ‫רשעים‬의 정체에 관한 많은 논쟁들이 있어왔다. 버

크란드(Birkeland)와 같은 학자는 시편에서 이 단어는 모든 경우에 이스라엘의 국

가적인 대적에 대해서만 사용된다고 하였으며51), 피더슨과 모빙켈과 같은 학자들

은 국가적인 적이나 개인적인 대적 모두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52) 여

기서는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논쟁을 할 필요가 없이 문맥으로 보았을 때, 앞의

49) 출 23:7; 신 25:1-2; 왕상 8:32.


50) 창 18:23-33; 겔 3:16-21; 18:1-32; 33:7-20; 욥 20:29; 21:7; 36:6.
51) H. Birkeland, The Evildoers in the Book of Psalms (Oslo: I Kommisjon Hos Jacob Dybwad, 1955),
pp. 13-40.
52) S. Mowinckel, The Psalms in Israel's Worship, Vol. I, (New York: Abingdon, 1962), p. 208.

- 21 -
절에서 나온 ‫איבים‬과 ‫משנאים‬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하나님의 대적들, 즉

국가적인 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4절

MT 수정본문

‫וצדיקים ישמחו‬ ‫חוּ‬ꗱꙺꖹ ‫ים‬Ꙏ‫י‬ꕑ꘽ꕵ

‫יעלצו לפני אלהים‬ ‫ים‬ꕙꗟꔤ ‫י‬ꗽ꘰ꗜ ‫צוּ‬ꗡꘞꖸ

‫וישישו בשמחה‬ ‫ה‬ꖎꗱꙶꔮ ‫ישׂוּ‬ꙶꖷꕵ

그러나 의로운 자들은 즐거워한다.

그들은 하나님의 앞에서 기뻐한다.


즐거움으로 기뻐한다.

4절에서는 앞의 절과는 정반대의 내용이 대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처

음에 나오는 ‫ו‬는 ‘그러나’ 해석하는 것이 좋다. ‫צדיק‬는 ‫רשע‬의 반대되는 단어로

이 두 단어가 짝으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총 94회가 나타난다. 시편에서만 ‫דיק‬

‫צ‬는 52회가 사용되는데, 야웨가 의롭다고 불려지는 경우는 8회가 나오며 대부분은
국가 전체로서의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된다. 이 구절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שמח‬는 일반적인 기쁨의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쁨 이외에 제의와 관련된 기쁨을 나타낼 때도 사용이 된다. 무교절과 관련하여

서는 라 6:22; 대하 30:21, 23, 26등에 나타나며, 칠칠절은 신 16:11; 초막적은 신

16:14; 레 23:40, 부림절은 더 9:17-22등에서 나타난다. 또한 법궤를 옮겼을 때 다윗


이 기뻐한 것(삼하 6:12; 대상 15:16, 26)과 예루살렘의 성벽을 건축하였을 때(느

12:27, 43) 등에서 ‫שמח‬가 사용된다. 그리고 시편 내에서 이 단어와 그 파생어들은

총 68회가 사용되는데, 야웨의 구원 행위로 인하여 ‫שמח‬와 그 파생어가 사용되는

경우들은 9:3; 31:8; 32:11; 66:6; 97:8, 12; 104:34; 149:2 등 총 47회이다. 이 구절에

서도 야웨의 구원 행위로 인하여 즐거워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문맥과도 자연스럽

- 22 -
게 잘 일치한다.

‫עלץ‬는 구약성서에서 총 9회만 사용되는데, 아마도 ‫עלז‬의 다른 스펠링일 것으로


생각된다. ‫עלז‬는 총 24회가 사용된다. 시편 96:12에는 “들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

들이 기뻐한다(‫”)יעלז שדה וכל־אשר־בו‬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것은 대상 16:32

의 ‫ יעלץ השדה וכל־אשר־בו‬와 똑같은 구절이다. 그런데 시편에서는 ‫עלז‬가, 역

대상에서는 ‫עלץ‬가 사용되었다. 우가릿에서는 ‫ עלץ‬어근만 사용된다.53) 이 ‫עלץ‬는

‫שמח‬와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17회, ‫גיל‬과는 5회, ‫רנן‬과 5회 나타난다. ‫עלץ‬가

사용되는 횟수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이 단어의 정확한 용례를 알기는 쉽지 않


지만, 이와 같이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단어들을 통해서 이 단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 수 있다.

쾰러는 ‫ פנים‬이 반복해서 여러 번 사용되는 것을 신현현의 정황과 연결시켜 이


해하였다. 즉, 여기서 ‫פנים‬이 반복해서 사용되는 것은 고대 이스라엘의 신현현의

전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54)

‫שיש‬와 그 파생어들은 66회 사용된다. 이중에서 제의적인 것과 관련이 없는 즐거


움으로는 20회 사용되지만(사 22:13; 렘 7:34 등), 하나님 안에서의 즐거움과 하나

님의 구원으로 인한 즐거움에 사용되는 경우도 21회가 있다. 이들 중에서 제의와

관련된 것이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שיש‬가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로 ‫שמח‬


와 26회, ‫גיל‬과 11회, ‫רנן‬과 5회 등이 나타나는 것을 볼 때에 이 단어도 제의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연이 끝이 난다. 이 연에서는 하나님의 신현현과, 하나님이 나타


나심으로 인한 결과, 즉 악한 자들은 멸망하고, 의로운 자들은 기뻐할 것이라는

결론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에서는 전통을 폭 넓게 활용하고 있다. 우선 2절은

법궤의 노래라고 불리는 것을 변형시킨 것이다. 신현현을 묘사하는 언어들도 전통


적으로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되던 어휘들을 폭 넓게 사용하고 있다.

53) DULAT, p. 159.


54) L. Köhler, Old Testament Theology, (Philadelphia: Westminster, 1957), pp. 123f.

- 23 -
2. 2. 2연 폭풍의 신인 야웨를 찬양하라

두 번째 연은 짧은 찬양시의 성격을 갖고 있다. 5절에서 찬양을 하라는 부름이

나오고 뒤 이어, 그 찬양에 대한 동기를 서술하고 있다.

5절

MT 수정본문

‫שירו לאלהים זמרו שמו‬ ‫ו‬ꗪꚂ ‫רוּ‬ꗹꕿ ‫ים‬ꕙꗟ‫א‬ꗝ ‫ירוּ‬Ꚅ


‫סלו לרכב בערבות‬ ‫בוֹת‬Ꙝ꘥‫ב בּ‬ꗊꙡꗚ ‫לּוּ‬ꘒ

‫ביה שמו ועלזו לפניו‬ ‫יו‬ꗺ꘩ꗡ ‫זוּ‬ꗝꘟꕵ ‫מוֹ‬ꚉ ‫הּ‬ꖷꔶ

신들이여! 노래를 불러라. 그의 하늘들이여! 찬양하라.

구름을 타고 오시는 자를 예비하라.

그의 이름은 야이며 그의 앞에서 기뻐하라.

‫לאלהים‬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에게’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의 발

견 이후 다후드는 이 ‫ל‬을 우가릿 문서에서 나오는 lamedh vocativum55)으로 보고

‘신들이여!’로 해석할 것을 주장했다. 다후드는 또한 그 다음에 나오는 ‫שמו‬도 MT

의 ‫מוֹ‬ꚉ와는 달리 ‫ו‬ꗪꚂ로 읽고 ‘그의 하늘들’로 해석한다. 그리고 앞의 ‫לאלהים‬에

있는 ‫ל‬을 이중 의무(double-duty)로 해석하여 ‫ אלהים‬과 ‫שמו‬를 모두 호격으로 해

석하였다.56)

‫שיר‬와 ‫זמר‬은 구약성서 내에서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총 15회 나타난다. 우가

릿에서도 šr와 ḏmr이 짝을 이루어서 나온다.

55) Dahood, Ugaritic-Hebrew Philology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1965), p. 18, 36.
56) Dahood, Psalms II, pp. 135-136; idem., Vocative Lamedh in the Psalter, VT 16(1966): 306-307; idem.,
Ugaritic-Hebrew Philology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1965), p. 36.

- 24 -
il (...) yšr w yḏmr b knr 하프에 맞추어 노래하고 찬양하는 (,,,) 신57)

‫ סלה‬는 도로를 만들기 위해 무언가를 쌓는 행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58) 사


40:3의 하나님께서 오실 길을 예비하라는 구절에서 ‫סלה‬와 같은 어근을 가지는 단

어인 ‫ה‬ꗢ꘏ꗱ가 사용된다. 사 57:14; 62:10 등에서도 앞으로 오실 하나님을 위한 길

을 예비하라는 의미로 이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구절에서도 ‫ סלל‬은 이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궁켈(Gunkel)은 이러한 해석에 반대한다. 그는 인간이 하나님을 위한 길을

만들 수가 없다고 한다. 하나님은 하늘에서 다니시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곳과는


달리 여기서 ‫ סלל‬동사는 목적어가 없이 사용되는데, 이 때문에 궁켈은 이 단어를

비유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고 하며, ‫סלל‬이 ‫שיר‬, ‫זמר‬과 평행하게 사용

된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찬양을 올린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려고 하였다.59)

‫ לרכב בערבות‬와 관련해서는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다. 우가릿 문서에서

rkb ʿrpt는 바알의 명칭(epithet)으로 사용된다.60)

왕자 바알이여! 내가 다시 말한다. 구름
lk. l zbl. bʿl. ṯnt. l rkb. ʿrpt
을 탄 자여!61)

시편 68편 본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히브리어 ‫ערבות‬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다. 구약성서 히브리어에서 ‫ערבה‬는 지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62), 일반적

인 명사로 광야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63). 그러나 여기서는 ‫ערבות‬를 “광야”로

2
57) KTU 1.108:3.
58) HALOT, p. 757b.
59) Gunkel, Die Psalmen, p. 288. Kraus도 이와 비슷하게 ‘Exult’로 해석한다. Kraus, Psalms 60-150, p.
44.
60) DULAT, pp. 184, 739-740.
2 2
61) KTU 1.2 IV: 8; 이외에도 KTU 1.3 II: 40; 1.4 III: 11; 1.10 I: 7; 1.19 I:43 등.
62) 유다에 있는 아라바 : 삼상 23:24; 사 51:3 등. 사해 남쪽 광야에 있는 아라바 : 신 2:8; 렘 2:6.
63) HALOT p. 880. 사 33:9; 렘 5:6; 욥 24:5 등.

- 25 -
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이 단어를 ‘구름’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좋은 이유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이 하늘의 구름을 타고 온다는 이미지는 구약성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이다(신 33:26; 사 19:1; 합 3:8; 시 18:12; 104:3). 둘째, 구약

성서에서 신현현의 정황에서 광야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는 한 군데도 없다.64)

오히려 신현현의 정황에서 구름이 언급되는 경우들이 여러 군데 있다.65)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 ‫רכב בערבות‬는 우가릿 문서에서 바알의 명칭으로 사용되던 ‘구름을

타는 자’와 같은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바알에게 사용되던 표현을 구

약성서에서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 사쿠아는 야웨가 바알의 명칭을 빼앗았기 때문

에 야웨를 찬양해야 한다는 논쟁적인 의도가 있다고 설명하였다.66)

그 다음에 나오는 ‫(ביה שמו‬그의 이름은 Yah 이다)라는 구절도 이러한 논쟁적인

의도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ב‬의 해석에 있어서도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된다. 깁슨은 본질의 ‫(ב‬Beth essentiae)로 본다67) 이 구절과

비슷하게 ‫ב‬가 사용되는 구문으로 출 18:4의 ‫“ אלהי אבי בעזרי‬나의 조상의 하나

님은 나의 도움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크라우스는 ‫ביה‬를 ‫כוּ‬ꙣꔯ로 수정하여 “그의

이름을 찬양하라”로 해석한다.68) 크라우스의 본문 수정은 아무런 증거가 없는 임

의적인 수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정을 받아들일 수는 없다.

6절

MT 수정본문

‫אבי יתומים ודין אלמנות‬ ‫ים‬ꗬ‫תוֹ‬ꖾ ‫י‬ꔩꔣ


‫אלהים במעון קדשו‬ ‫נוֹת‬ꗪꗡ‫ן אַ‬ꗀꕈꕵ

‫שׁוֹ‬ꕎꙌ ‫עוֹן‬ꗱꔱ ‫ים‬ꕙꗟꔤ

64) C. A. Briggs & E. G.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II, ICC
2 vols. (New York: Scribner, 1906-07), p. 97.
65) 출 19:9; 시 99:1 등.
66) A. Caquot, "Le Psaume LXVIII," RHR 177 (1970): 147-182, esp. 152.
67) J. C. L. Gibson, Davidson's Introductory Hebrew Grammar Syntax, (Edinburgh: T & T Clark, 1994),
p. 150.
68) Kraus, Psalm 60-100, p. 46.

- 26 -
고아들의 아버지
과부들의 보호자

그의 거룩한 곳에 계시는 하나님

5절에서 찬양을 하라는 부름이 나오고 6절부터는 찬양을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서 서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찬양시에서 찬양하라는 부름과 그 이유를 서술하는

부분 사이에는 접속사 ‫כי‬가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이 접속사가 없다.


고대 근동에서는 아버지나 남편이 없는 고아와 과부들이 불이익을 받는 경우들

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은 이스라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구약성서 여러 곳, 특히

예언서에서 이스라엘에 이러한 상황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구절들이 나타난다69).


이 구절에서 고아와 과부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것은 전통적인 사고와 큰 차

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 표현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표현들을 따르

고 있지 않다. 구약성서에서 ‫אבי יתומים‬이라는 표현은 다른 어떤 곳에도 나타나


지 않는다. 또한 야웨가 아버지(‫)אב‬로 불리는 경우는 17회 밖에 나오지 않는다.70)

이 구절과 같은 문맥에서 야웨가 아버지가 되는 이미지가 사용되는 곳은 한 군데

도 없다.

마찬가지로 야웨가 과부를 보호해 준다는 것도 독특한 것이다. 야웨가 나라 전체

의 남편이 되는 경우는 있으나(호 2:2-23; 겔 16장; 렘 3:1, 20), 개인의 남편이 된

다는 것은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דין אלמנות‬라는 표현도 구약성서에서 다른

곳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표현이다. 전통적으로 과부에 대한 보호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표현은 ‫(ריבו אלמנות‬사 1:18), ‫(ריב אלמנות‬사 1:23), ‫יתום ואלמנות‬

‫(עשה משפט‬신 10:18), ‫ אלמנות‬... ‫(משפט‬신 27:19), ‫(אלמנה לא תעשקו‬렘 7:6), ‫שקו‬
‫ אל־תע‬... ‫(אלמנה‬슥 7:10) 등이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에서는 이 구절에서 사용된

69) 사 1:23; 10:23; 렘 5:28; 7:6; 겔 22:7; 말 3:5.


70) 다윗과 다윗 왕조의 아버지 : 삼하 17:14; 대상 17:13; 22:10; 28:6; 시 89:27. 이스라엘 백성의 아버
지로 : 신 32:6; 사 45:10-11; 63:16; 64:7; 렘 3:4; 3:19; 31:9; 말 1:6; 2:10; 출 4:24; 신 32:11; 렘
31:20; 호 11:1. 야웨의 사랑과 부모의 사랑을 비교 : 신 103:13; 잠 3:12.

- 27 -
표현과 유사한 표현이 나타난다.

l tdn. dn. almnt


l tṯpṭ. ṯpṭ. qṣr. npš
너는 과부의 송사를 변호하지 않았다
너는 힘없는 자(lit. 영이 짧은 자)를 심판하지 않았다71)

ydn dn. almnt.


yṯpṭ. ṯpṭ. ytm
그는 과부의 송사를 변호하였다

그는 고아를 심판하였다72)

우가릿 문학에서 이와 같이 약자를 보호해야 하는 의무는 왕들에게 지워지는 것

이다.73) 이와 비슷한 것을 페니키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74)

‫מעון‬은 짐승들의 굴의 의미로도 사용되며, 하나님의 거주지로도 사용된다.75) 하

나님이 거하시는 곳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7회인데, 이들 중 5회는 하나님의 거

하시는 곳이 하늘이라고 하며(신 26:15; 렘 25:30; 슥 2:17; 대하 30:27), 2회는 성전

을 가리킨다(시 26:8; 대하 36:15). 이들 중에서 ‫מעון קדש‬가 사용되는 경우는 모두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거처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이러한 해석은 이 구절의 문맥

에서도 잘 맞는다.
다후드는 ‫במעון‬의 ‫ב‬를 ‘-로부터(from)’의 의미로 해석하였다.76) 우가릿어에서 전
2
71) KTU 1.16 VI 33, 45-46; Wyatt, Religious Texts, p. 239; Gray, The Krt Text, pp. 24-25; Driver,
Myths, p. 101; Ginsburg, "The Legend of King Keret," in ANET, p. 149.
72) KTU2 1.17 V 8. Wyatt, Religions Texts, p. 267.
73) Keret 서사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Keret의 아들 Yasib이 아버지 Keret을 대신하여 자신의 왕권을 주
장하면서 Keret을 비판하는 내용중에 과부와 약자를 돌보지 않았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각주 72번
을 참조하시오.
74) 페니키아에서 이상적인 왕은 ‫צדק‬와 ‫ישר‬로 묘사된다. KAI 4: 6-7. 해석은 Context 2. 29; ANET,
499.
75) HALOT, p. 610b.

- 28 -
치사 ‫ב‬가 ‘-로부터’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밝혀져 있

다.77) 이 구절에서 ‫ב‬를 반드시 이러한 의미로 해석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

다. 그러나 ‫במעון‬을 ‘거처에’가 아니라 ‘거처에서부터’로 해석을 하면, 앞에서부터

이어져 온 맥락과 잘 일치한다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님의 신현현 장면들, 그리

고 고아와 과부를 직접 돌보아 주신다는 맥락들은 하나님이 먼 곳에 계신다는 생

각보다는 먼 곳에서부터 내려오신다는 사고와 더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7절

MT 수정본문

‫אלהים מושיב יחידים ביתה‬ ‫ה‬ꚓꖾ‫ם בּ‬ꕉ‫י‬ꖐꖾ ‫יב‬Ꚅ‫ים מוֹ‬ꕙꗟꔤ

‫מוציא אסירים בכושרות‬ ‫רוֹת‬Ꚃ‫כּוֹ‬ꔰ ‫ים‬Ꙟ‫י‬꘏ꔣ ‫יא‬꘾‫מוֹ‬


‫אך סוררים שכנו צחיחה‬ ‫ה‬ꖎ‫י‬ꖐꙃ ‫נוּ‬ꗎꚂ ‫ים‬ꙞꙤ‫ סוֹ‬ꗗ‫אַ‬

하나님은 홀로 있는 자들을 그의 집에 거하게 하고

포로된 자들을 이끌어 내어 잘 살게 하신다

그러나 고집스러운 자들은 메마른 땅에서 살 것이다.

‫ ישב‬동사의 Hiphil형인 ‫מושיב‬는 야웨를 주어로 하여 신분이 낮은 자를 높은 곳

으로 들어 올린다는 맥락에서 사용된다(삼상 2:8; 욥 36:7 등). ‫מושיב‬를 ‫יב‬Ꚅꗭ로

수정하여 ‫ שוב‬동사로 보려는 학자들이 있는데78), 이러한 수정은 불필요한 것이다.

‫יחיד‬는 구약성서에서 12회만 사용되는데, 시편에서 4회, 다른 곳에서 8회가 사용

된다. 시편이 아닌 곳에서 사용될 경우에는79), ‘외아들’의 의미로 사용된다. 복수형

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이 곳이 유일한데, 아마도 어떤 계층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76) Dahood, Psalm II, p. 137.


77) C. Gordon, UT, 10.1; D. Sivan, A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Leiden: E. J. Brill, 1997), p.
195; idem., "Biblical Hebrew in the Light of Ugaritic Literature," Leshonenu La'am 43 (1992): 123-134;
DULAT, pp. 199-202.
78) Gunkel, Mowinckel, Podechard 등.
79) 창 22:2, 12, 16; 삿 11:34; 렘 6:26; 암 8:10; 슥 12:10; 잠 4:3.

- 29 -
단어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들의 정체가 누구인지에 대해서 많은 제안들이 있었

다.80) 여러 가지 해석들 중에서 ‘가족이 없이 홀로 있는 자들’81)이라는 해석이 이

구절의 문맥과 가장 잘 일치한다. 집이 필요한 자들은 포로로 잡혀간 자들이나 옥

에 갖힌 사람들이 아니라, 가족이 없이 홀로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יחידימ‬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절이 우가릿 문서에서 나타


나고 있다.

yḥd. bth. sgr


외로운 사람은 그의 집을 닫고

almnt. škr. tškr.


과부는 하인이 된다82)

이 구절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yḥd와 almnt가 짝으로 사용이 된다는 것이다.

이 두 단어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대구를 이룰 수가 있겠지만, 이 구절의 문맥에

가장 자연스럽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은 ‘혼자 사는 집 없는 사람’의 의미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מוציא‬는 시편에서 17회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14회가 하나님의 구원 행위와 관


련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구절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나님이 갇힌 자를 구원해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אסיר‬는 구약성서에서 총 12회 사용되는데, 범죄로 인하여 감옥에 갇힌 자로 사


용될 수도 있지만(창 39:20, 22), 더욱 더 많이 사용되는 의미는 전쟁으로 인한 포

로나 강제 이주민들(사 14:13; 슥 9:11; 시 69:34; 79:11)의 의미이다. ‫ היציא‬동사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시켜 주시는 구절에서 많이 사용된다(출

3:10; 렘 11:4 등). 그러나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אסיר‬라고 가리키는 경우

80) Buttenwieser, Gunkel 등은 ‘외롭고 버려진 자들’로, Briggs는 혹은 ‘옥에 갖힌 자’로, Dahood는 ‘이
집트에 포로로 있는 이스라엘 사람들’이라고 보았다.
81) Mowinckel, Albright.
2
82) KTU 1.14 II: 43-45; Wyatt, Religious Texts, p. 191, Pardee, "The Kirta Epic," in Context, p. 342;
Gray, KRT Text, p. 9.

- 30 -
는 한 번도 없다. 이 구절에서 ‫אסיר‬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의미인 전쟁으

로 인한 포로, 이주민 등의 의미로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특정


한 역사적 상황에서의 포로, 이주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고대 근동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이러한 상황들은 널리 있던 것이기 때문이다.

‫כושרות‬는 구약성서에서 단 1회만 나오는 단어(hapax legomenon)이다. 게제니우스


문법에서는 이 단어를 어근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복수형으로 보고,

어근 ‫כש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행복(happiness)의 의미로 해석하였다.83)

Albright를 비롯한 이전의 학자들은 우가릿 문서를 통해서 이 단어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려고 시도 하였다. 우가릿어에서 kṯr (I)는 ‘능숙한(skillful)’의 의미를 가

지고 kṯr (II)는 ‘정력, 건강함’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kṯr 는 마법과 기술의 신의

이름이며, kṯrt 는 출산을 관장하는 여신이다.84) 올브라이트는 이 구절에서 나오는


‫כושרות‬는 우가릿 문서에 나오는 kṯrt 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85)

다후드는 우가릿어 단어 kṯrt 에 여자 가수(female singer)의 뜻이 있다고 보고, 이

단어를 ‘음악’으로 해석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이 시편을 출애굽의 상황과 관련

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단어를 음악으로 해석할 경우에 이 구절은

시 105:43 의 ‫ויוצא עמו בשושן ברנה את־בחיריו‬, “그리고 그는 기쁨으로 그의

백성을 끌어내었고, 그의 선택받은 자들은 즐거움으로”라는 표현으로 출애굽을 설


명하는 상황과 잘 일치한다고 하였다. 또한 사 24:9에 나오는 ‫בשיר לא ישתו־יין‬

의 구문과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보았다.86)

드 무어는 올브라이트의 해석을 따라서 이 구절을 “하나님이 옥에 갇힌 자들을

코샤로트(Kosharoth)로부터 끌어내신다”라고 해석하였다.87) 그러나 이 구절에서 우

가릿의 kṯrt 신과의 관련을 찾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보다는 히브리어와

북서셈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 כשר‬어근88)으로부터 파생된 단어로 보는 것

83) GKC § 143e.


84) DULAT, p. 471-472.
85) W. F. Albright, Yahweh and the gods of Canaan, (Winona Lake: Eisenbrauns, 1994), p. 255.
86) M. Dahood, Psalm II, p. 137.
87) J. C. de Moor, The Rise of Yahwism (Leuven: Peeters, 1990), p. 119.

- 31 -
이 훨씬 더 자연스럽다. 이렇게 볼 경우 해석은 ‘번영으로(in prosperity)’라고 해석

할 수 있을 것이다.

‫אך‬는 강조, 제한, 역접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89) 여기서는 역접의 의미를 가

진다고 할 수 있다. ‫אך‬에 바로 뒤이어 ‫סוררים‬이 나온다. 이 ‫סוררים‬의 정체에 관

하여서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지 제안을 하였다. 다후드는 출애굽 당시의 바로와


애굽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고90), 궁켈(Gunkel)은 이들을 광야에서 머물던

세대들이라고 보았다.91) ‫סוררים‬이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 지에 관하여 알 수 있

는 중요한 단서는 이 구절의 앞에서 고아와 과부들과 혼자 사는 이들에 대한 언


급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סוררים‬은 이들과는 반대되는 사람들이

라고 볼 수 있을 것인데, 사 1:23과 슥 7:10-11에서는 ‫סורר‬가 고아, 과부들을 억압

하는 사람들로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의 ‫סוררים‬은 사 1:23과 슥


7:10-11의 ‫סורר‬과 같은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צחיחה‬는 ‘빛나다’라는 뜻을 가지는 어근 ‫צחח‬에서 파생된 단어로, 구약성서에서

단 1회만 나오는 단어이며, 황무지라는 뜻을 가진다.92) 다후드는 이 단어가 ‫שאול‬

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93)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그러한 의미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2연에서는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부름으로 시작하여, 그 이유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고아, 과부와 같은 전통적인 모티브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표현에 있어서

는 구약성서의 다른 부분들과는 차이점들을 보이고 있으며, 우가릿 문서에서 사용

되는 표현들과 유사한 표현들이 많이 있다.

88) DNWSI pp. 539-540; HALOT, p. 503.


89) HALOT, p. 45.
90) Dahood, Psalm II, pp. 137-138.
91) Gunkel, p. 288.
92) HALOT, p. 1018.
93) Dahood, Psalms II, p. 138.

- 32 -
2. 3. 3연 백성을 위하여 거처를 마련해 주시는 하나님

8절
MT 수정본문
‫אלהים בצאתך לפני עמך‬ ꗘꚚ‫א‬꘿ꔶ ‫ים‬ꕙꗟꔤ

‫בצעדך בישימון סלה‬ ꗘꗶꘞ ‫י‬ꗽ꘰ꗜ


‫ימוֹן‬Ꚅ‫י‬ꔩ ꗘꕖ꘤꘽ꔰ

‫ה‬ꗚꘑ

하나님 당신께서 나오실 때에

백성들의 앞에서

여시몬에서 나올 때에

이 연에서 또 다시 신현현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8절에서는 하나님은 그의 백

성에 앞서서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신이 백성들의 앞에서 나간다는 표현은

성서와 가나안뿐만 아니라 고대근동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다.94)

이 절은 삿 5:4과 유사하다. 사사기에서의 ‫יהוה‬가 여기서는 ‫אלהים‬으로 바뀌었

고, ‫משעיר‬과 ‫משדה‬가 각각 ‫לפני עמך‬와 ‫בישימון‬으로 바뀌었다. ‫יצא‬동사가 Qal로


사용될 때에, 하나님이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14회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하나님이 군대 앞에 나가셔서 전쟁을 하시거나(삿 4:14; 5:4; 삼하 5:24 등), 땅위에

심판을 내리신다(출 11:4; 사 26:21; 42:13; 미 1:3; 합 3:13 등). 여기서는 심판을 내
리는 상황은 아니고, 백성의 앞에 나가서 전쟁을 하는 상황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יצא לפני עם‬이라는 표현은 삼상 18:13; 대하 1:10 등에서 ‘군대를

이끌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94) 텔 단(Tel Dan)비문. “하다드가 나의 앞에서 갔다(‫(”)ויהך הדד קדמי‬Context 2.39); Biran and
Naveh, An Aramaic Stele Fragment from Tel Dan, IEJ 43 (1993): 81-98;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러한
표현이 나타나는 곳들은 다음과 같다: RIA 2: 128, 130, 140, 76 n. 305; RIMA 2: 203, 205, 216,
134.

- 33 -
‫צעד‬동사는 엄숙하게 걷다, 길을 따라 걷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95) 이 동사가 하

나님을 주어로 해서 사용되는 경우는 총 3회인데(삿 5:4=시 68:8; 합 3:12-13), 모두


다 ‫ יצא‬동사와 짝으로 사용되며, 신현현의 상황이다.

‫ישימון‬이 관사와 함께 사용될 때, 이 단어는 모압 지역에 있는 특정한 지역을 가

리키거나(민 21:20; 23:28), 유다의 남쪽에 있는 어떤 지역을 가리킨다(삼상 23:19,


24; 26:1, 3). 그러나 이 절에서와 같이 관사가 없이 사용될 때는 출애굽 할 때의

광야를 가리키거나(신 32:10; 시 78:40; 106:14), 포로로부터의 귀환(사 43:19, 20),

또는 일반적인 광야(시 107:4)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삿 5:4과의 비교가 이

단어에 관한 이해해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절과 삿 5:4의 유사성에 관하여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하였다. 어떤 학자들은

시편이 사사기를 보고 변형시킨 것이라고 하였고96), 다른 학자들은 이 두 구절은

독립적인 것으로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이라고 하였으며97), 또 다른 학자들은 이 두

구절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것이라고 하였다.98)

우선 사사기 5장은 특정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시편 68편은 그렇

지 않다. 삿 5:4에서 야웨는 세일과 에돔에서부터 오신다. ‫ישימון‬은 여기에서 세

일, 에돔과 같이 특정한 장소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남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cf. 합 3:3 ‫)אלוה מתימן יבאו‬.

9절
MT 수정본문
‫ארץ רעשה אף־שמים נטפו‬ ‫פוּ‬ꖮꗺ ‫ם‬ꖹꗫꚂ‫ה אַף־‬ꚂꘝꙜ ‫ץ‬Ꙡꔟ

‫מפני אלהים זה סיני‬ ‫י‬ꗻ‫י‬꘏ ‫ה‬ꖂ ‫ים‬ꕙꗟꔤ ‫י‬ꗽ꘸ꗬ

‫מפני אלהים אלהי ישראל‬ ‫ל‬ꔞꙜꙺꖹ ‫י‬ꕚꗟꔤ ‫ים‬ꕙꗟꔤ ‫י‬ꗽ꘸ꗬ

95) HALOT, p. 1040.


96) Gunkel, Lipiński 등.
97) Albright, Gray, Miller 등.
98) Vogt, "Die Himmel troffen(Ps 68, 9)?," Biblica 46(1965): 207-209.

- 34 -
땅이 흔들리고 하늘은 비를 내린다

시내산의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의 신인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실 때 전 자연이 반응을 하는 것은 신현현의 장면을 묘사하는


데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이미지이다(출 19:16-18; 20:18; 왕상 19:11-13; 나

1:3-5; 합 3:3-12; 미 1:3-4; 시 18:8-16; 97:1-5). 땅이 흔들리는 것으로 묘사되는 구

절들도 있고(나 1:5; 시 77:19(한글 77:18)), 하늘과 땅이 짝으로 같이 나오는 경우

도 있다(삼하 22:8; 사 13:13; 24:18; 욜 2:10; 4:16; 학 2:6, 21). 그러나 하늘이 비를

내린다(‫)שמים נטפו‬라는 표현은 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다. 많은 학자들은 신현

현의 장면에서 하늘이 비를 내린다는 것은, 땅이 흔들린다는 것과 짝을 이루기에


는 너무 약한 표현이라고 생각하여, 이 단어를 수정하려고 시도를 하였다. 올브라

이트는 자음을 그대로 유지한 체로 ꘷ꖨꗺ로 읽었는데, 이것은 어근이 ‫נטף‬가 아닌

‘던지다’라는 뜻을 가진 ‫טפף‬로 본 것이다. 그는 이것을 아랍어에서 ‘날개를 펄럭

이다’라는 뜻을 가진 ṭaffa, ṭafṭafa와 아람어에서 ‘깜빡이다’라는 뜻을 가진 ṭpṭp라

는 단어와 비교하였다.99)

그레이(Gray)도 올브라이트와 같이 자음은 유지하면서 어근을 ‫טוף‬로 보고 ‫פוּ‬ꖬꗺ


로 읽는데, 이 단어는 ‘강이 넘치다’는 의미를 가지는 아랍어 단어 ṭafa와 같은 의

미를 가진다. 이렇게 볼 경우에 이 구절은 “하늘이 홍수로 넘쳤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텐비져(Buttenwieser)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서

그 의미를 단순히 ‘비가 내리다’는 것보다는 좀 더 강한 ‘쏟아 붓다’, ‘홍수가 내리

다’ 등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נטף‬가 구약성서에서 사용되는 용례들을 살펴볼 때, 이 단어가 ‘쏟아 붓

다’, ‘홍수가 내리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올브라이트가 지적한

대로, 이 구절과 똑같은 구절이 삿 5:4에 나오며 두 구절 모두에서 자음이 똑같기

때문에, 본문의 자음이 원래의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있는 타당한 이유도 없다.101)

99) Albright, "Catalogue," p. 20.


100) Gray, "Cantata" pp. 2-26.

- 35 -
그렇다면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둘 경우에는 구약성서내의 다른 신현현

장면에서 비가 내리는 것은 한 번도 없다는 문제가 남는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다

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삿 5:21에서 결국 시스라를 휩쓸어 가는 것은 물(‫)נחל‬

이다. 시 68:10-11에서도 비(‫)גשם‬로 말미암아 기업을 회복해 주신다. 그러므로 비

가 내린다는 표현은 신현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약한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겠으나,


뒤에서 나오는 내용의 전개상 ‘비’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9절에서 하나님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두 번 불려지고 있다. 한 번은 ‫זה סיני‬이

고, 나머지 한 번은 ‫אלהי ישראל‬이다. ‫זה סיני‬는 많은 학자들의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고, 여러 가지 해결책들도 제시되어왔다. “이것은 시내산이다”라고 해석한

경우도 있었고, ‫זה‬를 ‫ע‬ꕾ로 수정하고 ‘떨다’라는 의미의 ‫זוע‬동사102)로 보아서 “시내

산이 떨었다”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103) 바(J. Barr)는 ‫ זה‬는 아람어 ‫זי‬, 우가릿어
의 ḏ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04) 다후드는 시 103:4의 ‫זה הים‬도 ‫זה סיני‬와

같은 문법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105) 이 두 가지 이름은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를 나타내주고 있다. 시내산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

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10절
MT 수정본문
‫גשם נדבות תניף אלהים‬ ‫ים‬ꕙꗟꔤ ‫יף‬ꗼꚛ ‫בוֹת‬ꕇꘁ ‫ם‬Ꚇꕃ

‫נחלתך ונלאה אתה כוננתה‬ ‫הּ‬ꚛꘁꗻ‫ה כוֹ‬ꚛ‫אָה אַ‬ꗡꗼꕵ ꗘꚚꗚꖖꗻ

하나님은 기꺼이 비를 뿌려주신다

101) Albright, ibid., p. 20.


102) HALOT, p. 266.
103) J. Barr, Comparative Philology and Text of the Old Testa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68), p.
114.
104) W. R. Garr, Dialect Geography of Syria-Palestine, 1000-584 B. C. E.,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 Press, 1985), p. 85.
105) Dahood, Psalms II, p. 139.

- 36 -
당신의 지친 기업을 굳게 하여주신다

8-9절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시는 장면이 나온 후에, 그 결과가 10절과 11절에 걸

쳐서 서술되고 있다. 2절에서 하나님이 나타나신 결과는 악인들이 흩어지고 의인

들은 즐거워하는 것이었다. 여기서는 하나님이 나타나신 결과 비가 내린다. 비는


가나안 문화권에서 농업과 관련하여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신현현의 결과

비가 내린다는 것은 5절에서 하나님을 ‘구름을 타는 자’로 묘사한 것과도 잘 조화

를 이루고 있다. 이 구절에서의 표현도 구약성서에서는 사용되지 않던 표현들을

이용하고 있다.

‫גשם‬은 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비를 가리킬 때 사용되는 단어들은 이

외에도 ‫יורה‬, ‫מורה‬, ‫ מלקוש‬등이 있다. ‫גשם‬은 이들 모두를 통칭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단어이다.

‫נדבה‬는 ‘낙헌제’, ‘자원하는 예물’의 의미를 가지는 제의적인 용어이다106). 이 단

어가 제의적이지 않은 문맥에서 사용될 때는107), 모두 형용사가 아닌 부사로 사용

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이 단어를 형용사로 보고 뒤에 나오는 ‫גשם‬을 수식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나108), 이 구절에서도 다른 일반적인 용례를 따라 부사로 해

석해도 해석에 무리가 없다.


비와 관련하여 ‫ נוף‬동사를 쓰는 것은 독특한 경우이다.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이

단어를 쓰는 경우는 이 구절과 잠 7:17 외에는 없다. 이 단어는 제의와 관련하여

요제를 ‘흔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e. g., 레 7:30). ‫נוף‬가 제의와 관련없이

사용될 때는 도구를 앞뒤로 흔들거나(e. g., 신 27:5), 손을 흔드는 경우(e. g., 사

10:32)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DB 사전에서는 이러한 용례들을 모두 같은 하나

의 ‫נוף‬어근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쾰러, 바움가르트너는 이를 두 개의 어근으로

나누어서 ‫(נוף‬I)와 ‫(נוף‬II)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109) ‫(נוף‬II)의 두 가지 용례 중

106) HALOT, pp. 671-672.


107) 신 23:24 ‘마음대로’; 호 14:5 ‘기쁘게’; 시 110:3 ‘즐거이’; 대하 35:8 ‘즐거이.’
108) ‫גשם נדבות‬를 HALOT은 ‘많은 비(abundant rain)’로, Briggs도 ‘풍부한 비(copious rain)’로(Briggs, p.
95), Kraus는 ‘많은 비(rain in abundance)’로(Kraus, p. 44) 해석하였다.

- 37 -
의 하나인 잠 7:17에서는 ‘뿌리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 구절에서도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앞의 9절에서 ‫נטף‬의 의미가 홍수나, 쏟아 붓

다의 의미가 아니라 그냥 비가 내린다는 의미를 가진다는 것과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다음에 나오는 ‫נחלתך ונלאה‬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너의 기업 그리고


그것은 지쳤다”라는 의미로 이렇게 해석할 경우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브릭스는

‫נחלתך‬는 앞의 콜론에 붙이고 ‫ונלאה‬를 뒤의 ‫אתה כוננתה‬와 연결하고, ‫ו‬를 ‘만약

(if)’으로 보고 “그가 지치면 당신이 그것을 세워주었다(If it were weary, Thou didst
establish it)” 으로 해석하였다.110) 여기서 이 두 단어는 중언법(hendiadys)으로 해석

하는 것이 좋다. ‫נחלה‬는 보통 이스라엘 백성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이스라엘 땅

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e. g., 삼상 26:19; 삼하 14:16 등). 이 구절의


문맥에서 기업이 가리키는 것은 이스라엘 땅이라고 볼 수 있다.

‫כון‬동사가 폴렐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29회가 있는데, 그 중에 23회가 하나님을

주어로 하고 있다. 이 단어는 ‘굳게하다, 세우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111) 이 절에

서 나타나는 이미지는 하나님이 나타나시고, 그 결과로 땅에 비가 내리며, 비가

내린 땅이 단단해진다는 모습이다.

11절

MT 수정본문

‫חיתך ישׁבו־בה‬ ‫הּ‬ꔯ‫בוּ־‬ꚉꖷ ꗘꚚꖿꖏ

‫תכין בטובתך‬ ꗘꚚꔧ‫טוֹ‬ꔶ ‫ין‬ꗉꚛ

‫לעני אלהים‬ ‫ים‬ꕙꗟꔤ ‫י‬ꗼꘝꗞ

109) HALOT, p. 682.


110)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II, (New York: Scribner,
1906-07), p. 95.
111) HALOT , pp. 464-466.

- 38 -
당신의 백성들이 거기에서 삽니다

당신의 선하심으로 준비하신 그 곳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하나님이여!

10절에서 땅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11절에서는 백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0절


에서 먼저 땅을 마련하신 후에, 그 땅에 하나님의 백성이 살게 되는 것이다. 하나

님의 백성을 나타나는 위해 ‫חיה‬가 사용되는 경우는 구약성서에서 이곳 말고는 없

다. 일반적으로 ‫חיה‬는 짐승이나, 동물 등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112) 브릭스(Briggs)


는 여기서 이 단어가 어떤 동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113) 그러나 이 구절의

문맥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볼 이유가 전혀 없다. ‫היה‬가 사람을 가리키는데 사용

되는 경우로 삼하 23:13에서 군대를 가리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 군


대는 블레셋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블레셋 사람들을 경멸하는 의미로 사용되

었다고 볼 수 있다.114) 여기서는 경멸적인 의미라기보다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

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거처를 마련해주신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

이 좋을 것이다. 이 단어가 뒤에 나오는 ‫עני‬와 짝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도 이러

한 해석을 정당화 해준다.

전치사 ‫בה‬에서 접미어가 가리키는 것은 ‫נחלתך‬이며, ‫כוננתה‬의 접미어와 같은 것


을 가리키는 것이다.

다음에 나오는 ‫תכין בטובתך‬는 앞 부분에 연결되는 관계사 없는 관계문

(asyndeton relative clause)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115) ‫כון‬은 앞에서 Qal로 사

용되었을 경우에는 ‘견고하게 하다’의 의미였지만, 여기서는 Hiphil로 사용되고 있

으며 그 의미는 ‘준비하다’라는 의미이다. ‫טוב‬가 ‘하나님에게로부터 오는 선함’이

112) HALOT, p. 310.


113) Briggs, Ibid., pp. 98-99.
114) HALOT 에서는 이 구절에서 사용된 단어를 짐승 같은 존재(beast-like creatures)로 해석하고 있다.
이 시편 68:11 에서의 ‫ חיה‬도 같은 의미로 분류하고 있다.
115) GKC §155f; 관계사 없는 관계절은 셈어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구문이다. 아카드어에서는 관
계대명사 ša가 사용되는데, 이 ša가 생략되고 앞에 있는 선행사가 연계형으로 되는 구문이 나타난다. (e.
g., ḫarrān illaku = the way which he will go, bītum ša ēpušu imqut or bīt ēpušu imqut = The house I built
collapsed.)

- 39 -
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구약성서에서 총 12회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그

선한 것이 음식인 경우가 4회(시 34:11; 104:28; 107:9; 신 26:11) 나타나고, 4회는

비(신 28:12; 렘 5:25; 시 65:12; 85:13)를 가리킨다. 여기서도 앞에서 비가 나왔기

때문에 ‘비’로 보는 것이 문맥상 가장 자연스러울 것이다.

‫עני‬는 ‘재산이 없는 사람, 가난한 사람, 불쌍한 사람’ 등을 가리키는 단어이다.116)


여기서 이 단어가 사용된 것은 문맥과 잘 일치한다. 하나님의 보잘것없던 백성들

은 하나님이 나타나시고, 비를 주심으로 말미암아 그 땅이 견고해지고 그 땅을 기

업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재산이 없는 사람’, 즉 ‘땅이 없는 사람’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3연에서 하나님이 기업을 주시고, 그곳에서 백성을 살게 하신다는 것을 이스라엘

의 가나안 정복과 관련하여 해석하려는 학자들이 있었다. 그러나 구약성서에서 가

나안 정복에 관련된 전승과 이 연의 사고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가나안

정복 전승에서 하나님이 비를 내리시는 언급이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 연에서도 바알 종교와의 논쟁적인 면이 나타나고 있다. 5절에서는 바알

에게 사용되던 명칭인 ‘구름을 타는 자’라는 명칭을 야웨의 것으로 하고 있는데,

계속하여 이 연에서도 바알의 역할로 생각되어지던 비를 내리는 역할을 야웨가

가지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117) 여기서 가나안 정복이나 출애굽 등의 특정한 역

사적 상황을 찾으려고 할 필요는 없다.

2. 4. 4연. 적들을 물리치시는 하나님

12절

MT 수정본문

‫אדני יתן אמר‬ ‫ה‬Ꙝꗱꔠ‫ן־‬ꚟꖹ ‫י‬ꗺꕌꔣ

116) HALOT, p. 856.


117) LePeau, Psalm 68, p. 109.

- 40 -
‫המשברת צבא רב‬ ‫ב‬Ꙝ ‫א‬ꔧ꘼ ‫רוֹת‬Ꚓꔨꗱ

주께서 많은 적들을 부수는

말씀을 하신다

12절에서는 하나님의 호칭이 ‫אדון‬으로 바뀌어서 나온다. 시편에서 ‫אדון‬은 총 55

회가 나오는데, 그 사용에 있어서 일정한 패턴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예언서

에서는 총 318회가 사용되는데, 주로 예언 신탁의 시작이나 끝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118)

많은 학자들이 둘째 콜론의 처음에 있는 ‫ה‬를 첫째 콜론의 ‫אמר‬에다 붙인다.119)

올브라이트는 이렇게 본문을 수정하는 근거로 시편 68편에서도 이 부분이 아주


오래되었는데, 초기 히브리 시에서는 관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제시한다.

‫יתן אמרה‬는 신현현의 장면들에서 나오는 ‫נתן קול‬를 연상시킨다(렘 10:13; 암


1:2; 욜 2:11; 4:16 등). 그러나 여기서는 ‫ קול‬대신에 ‫אמרה‬를 사용하였다. ‫אמרה‬는

시편 119편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사용되는데, ‫תורה‬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또한

예언서에서 예언 신탁의 서두에서 사용되기도 한다(사 28:23; 32:9). 다후드는 여기


서의 ‫אמרה‬는 아카드어의 rigmu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이 단어는 ‘말’이라

는 의미도 있지만, 또한 ‘번개’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

서의 ‫אמרה‬도 앞서 나오던 신현현의 장면을 계속 이어가는 의미에서 ‘번개’로 해

석하려고 하였다.120) 그러나 여기서부터는 하나님의 신현현에 무게를 두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더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에, 굳이 이러한 무리한 해석

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예언 신탁을 시작하는 부분에서 잘 사용되던 ‫אדון‬

과 ‫אמרה‬가 여기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이 이러한 해석을 지지하는 근거들이다.

118) LePeau, Psalm 68, p. 111.


119) Albright, "Catalogue," p. 21; LePeau, Psalm 68, p. 110;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II, (New York: Scribner, 1906-07), p. 107; Dahood, Psalms II, pp.
140-141;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36.
120) Dahood, Psalms II, p. 140.

- 41 -
‫בשר‬동사는 Piel로 사용되어서 ‘소식을 전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 단어는 사

무엘서에서부터 열왕기서까지에서 전쟁의 결과를 알려주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그


러나 전쟁의 결과만이 아니라 아들의 탄생(렘 20:15)이나, 야웨의 행위(사 40:9;

52:7; 시 56:20)를 알려줄 때도 사용된다. 이 구절에서 사용된 형태인 ‫מבשרות‬는

분사, 여성 형태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 단어를 ‘소식을 전하는 여자’의 의미로 해


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의 문제점은 이스라엘에서 여자가 전쟁에서의 결과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는 한 번도 없다는 것이다.121)

어떤 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소식을 전하는 자를 천사로 해석한


다.122) 모빙켈, 올브라이트 등은 MT의 모음을 수정하여 ‫ת‬Ꙡꙸꔨꗱ로 읽는데, 모빙켈

은 이 단어를 집단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좋은 소식을 전하는 사자들의 군대’로

해석하였고123), 올브라이트는 앞의 ‫אמרה‬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아, ‘만군을 즐겁게


하는 말씀’으로 해석하였다. 다후드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는데, ‫ות‬-

를 페니키아어의 여성, 단수형과 같은 것이라고 보고, 이를 단수로 해석하였다. 그

리고 그 의미는 우가릿어의 ‘즐겁게 하다’라는 뜻의 bšr124)와 같은 의미로 해석하


고 125) 그레이는 이 단어를 ‫ש‬과 ‫ב‬의 위치를 바꾸고, ‫שבר‬동사로 보아서, ‫משברת‬

로 수정하고, ‘만군을 부수는 말씀’으로 해석하였다.126)

이러한 해석들 중에서 이전의 문맥과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그레이가 수정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올브라이트와 다후드가 한 것처럼 ‫בשר‬을 ‘즐겁게 하는’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이 단어는 즐겁게 하는 행위 이전에 좋은

소식을 전하는 행위가 먼저 전제가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며, 또한 앞선 연들에서

121) 여자들이 승리를 축하하는 경우는 나타난다: 출 15:20; 삿 11:34; 삼상 18:6-7.


122) Caquot, "Le Psaume LXVIII," pp. 158-159; Miller, "Two Critical Notes on Ps 68 and Dtn 33," p.
108.
123)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36; GKC §122s.
124) DULAT, p. 243 : ‘to impart (good) news; to be happy to hear good news’; 성서 히브리어에서 ‫בשר‬
이 ‘즐겁게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우가릿어에서 이 단어의 용례를 볼
때, ‘좋은 소식을 들어서 즐겁다’라는 의미를 히브리어에서도 유추해서 사용하는 것은 타당한 방
법이라고 생각된다.
125) Dahood, Psalms II, pp. 140-141.
126) Gray, "Cantata," p. 22.

- 42 -
야웨가 적들을 무찌르는 전쟁의 모티브들이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즐

겁게 하다는 의미 보다는, ‘부수다’라는 ‫שבר‬로 수정하는 것이 더욱 더 타당하다.

13절

MT 수정본문
‫מלכי צבאות ידדון ידדון‬ ‫דוּן‬ꕔꖹ ‫דוּן‬ꕔꖹ ‫אוֹת‬ꔧꙃ ‫י‬ꗊꗡꗫ

‫ונות בית תחלק שלל‬ ‫ל‬ꗚꚂ ‫ק‬ꗥꖏꚢ ‫ת‬ꖹꔰ ‫ת‬ꕰꗽ‫וּ‬

군대들의 왕들. 그들이 도망간다 그들이 도망간다.

성문에서 전리품이 나누어진다.

구약성서에서 ‫צבאות‬가 ‫יהוה צבאות‬의 형태로 사용되는 이외의 경우로는 총 28

회가 나오는데, 이 구절을 제외하고는 이들은 모두 이스라엘의 군대나 백성을 가

리키는 용례로 사용된다. 적들의 군대에 대해 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 구절이

유일하다.

올브라이트는 ‫מלכי צבאות‬가 원래는 ‫ צבאות מלכי‬즉, ‘왕들의 군대’였었는데

‫יהוה צבאות‬와의 유비에 의해서 지금의 형태로 위치가 변형되었다고 하였다.127)


르포는 이 ‫מלכי צבאות‬라는 표현은 ‫יהוה צבאות‬라는 표현을 의식하여 일부러 만

든 표현이라고 하였으며, 그 이유는 야웨와 적들의 군대를 대조하기 위한 의도였

다고 한다.128) 올브라이트와 같이 원래의 형태가 어떠하였는지를 재구성하는 것

까지는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이러한 단어의 구성에 의도가 있다는 것은 타당

하다고 생각된다.

‫ידדון‬이 두 번 반복되어 사용되는 것은 삿 5:22의 ‫מדהרות דהרות‬에서 ‫דהר‬가


두 번 사용되는 것과 같은 테크닉이다.129) ‫ נרד‬동사는 새가 흩어지는 것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사 16:2; 렘 4:25; 9:9). 여기서도 이 동사를 사용하여 적의 군대가 새

127) Albright, "Catalogue," p. 21.


128) LePeau, Psalm 68, p. 115.
129) R. Tournay, "Le Psaume 68 et le livre des Juges," RB 66(1959), p. 360.

- 43 -
가 흩어지듯이 도망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올브라이트는 이 절에서 ‫מלכי‬, 즉 왕들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것을 근거로 하여

이스라엘이 정착하기 이전에 요단 서편의 적들을 상대하여 싸우던 역사적인 상황

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요단 동편의 나라들은 한 나라에 한 명의 왕들만

있었기 때문에 ‘왕들’이라는 표현은 이들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


러나 르포는 삼하 10:6; 왕상 20:1 등에 의하면 요단 동편 나라의 왕들도 연합하여

함께 싸우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올브라이트의 이런 견해는 옳지 않다고 한

다.130)
‫נות בית‬의 해석에 대하여는 학자들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올브라이

트 는 이 콜론에 대해 대대적인 수정을 가하였다. 우선 ‫בית‬의 ‫ב‬를 ‫נות‬앞으로 옮

기고, 남아있는 ‫ית‬를 뒤의 동사 ‫תחלק‬에 연결하며 ‫ת‬가 두 개 겹치는 것은 중복오


사(dittography)로 보고 하나를 제거하였다. 그래서 본문을 ‫ובנות יתחלק שלל‬로 보

고 “목초지에서 그들은 전리품을 나눈다(in the meadows they divide the spoils)”로

해석하였다.131)
에드만스는 ‘집의 마당(courtyard of the house)’로 해석한다.132)

크라우스는 ‫נות‬를 ‫ת‬ꕰꘁꔩ로 수정하고, 그 다음에 나오는 ‫תחלק‬는 ‫ק‬ꗝꖔꖾ로 수정하

고 “집의 입구에서 전리품이 나누어진다(At the entrace of the house, booty is being
distributed, Auf des Flur des Hauses verteilt man Beute)”로 해석하였다.133)

모빙켈은 크라우스와 비슷한 해석을 하긴 하지만, 그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았다.

그는 ‫נות‬에서 앞에 전치사 ‫ב‬가 없이도 장소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보

고, 동사 ‫תחלק‬는 비인칭으로 사용되는 3인칭 여성, 혹은 2인칭 남성이라고 하였

다.134) 현재 본문은 능동태로 되어있지만, 의미에 있어서는 수동태로 해석이 가능

하다. ‫תחלק‬를 이와 같이 보는 것은 가능하다.135)

130) LePeau, Ibid., p. 116.


131) Albright, "Catalogue," pp. 21-22.
132) Eerdmans, "Psalm 68," Exp. Times 46 (1934/35), p. 171.
133) Kraus, Psalms 60-150, p. 44.
134)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p. 36-37.

- 44 -
르포는 ‫נות‬의 어근을 ‘목초지’라는 의미의 ‫נוה‬가 아니라 ‘아름답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נאה‬로 보고, 이 콜론을 “집의 아름다운 자들이 전리품을 나눈다(the beauty

of the house divides the spoil)”로 해석하였다.136)

그레이는 ‫תחלק‬를 ‫ק‬ꗝꖔꚖ로 모음을 수정하여 읽고 ‫נות בית‬를 주어로, 뒤의 ‫שלל‬

‫תחלק‬을 관계절로 보고, ‘전리품으로 나누어진 궁전의 여자들(fairest women of the


palace who are divided as spoil)’로 해석하였다.137)

이러한 해석들 중에서 모빙켈의 해석이 가장 자연스럽다. ‫נות‬를 전리품을 나누는

여자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전쟁에서 전리품을 나누는 일은


남자들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שלל‬과 ‫חלק‬동사는 전쟁이 끝난 후에 전리품을 나누는 장면에서 함께 잘 사용되

는 짝이다. 구약성서에서 ‫שלל‬이 ‫חלק‬의 목적어로 나우는 경우는 총 11회가 있다.

14절
MT 수정본문

‫אם־תשכבון בין שפתים‬ ‫ם‬ꖹꚛꘪꚉ ‫ין‬ꔲ ‫בוּן‬ꗖꚉꚝ‫אּם־‬

‫כנפי יונה נחפה בכסף‬ ‫ף‬ꘑꗓꔨ ‫ה‬꘱ꖕꗾ ‫ה‬ꗺ‫י יוֹ‬꘬ꘁꗐ


‫ואברותיה בירקרק חרוץ‬ ‫רוּץ‬ꖎ ‫ק‬ꙝꙓꙝ‫י‬ꔱ ꕗ‫י‬ꚗ‫רוֹ‬ꘁꔟꕵ

왜 노새의 안장 사이에 앉아있는가?

비둘기의 날개는 은으로 입혀져 있고

그 날개 끝은 노란빛 나는 금으로 입혀져 있다.

이 절은 해석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성서 번역들과 주석

들에서 각각 상이한 해석들을 하고 있다.

135) GKC §144b, h.


136) LePeau, Psalm 68, p. 119; 개역 개정 성서에도 이와 비슷한 해석을 하고 있다. “집에 있던 여자
들도 탈취물을 나누도다”.
137) Gray, "Cantata," p. 22.

- 45 -
첫 번째 콜론은 사사기 5:16a와 유사한 표현을 찾을 수 있다.138) 여러 가지 면에

서 이 두 구절은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지만, 정확한 관계에 대해서는 알 수 없


다. 첫 번째 콜론의 ‫ם‬ꖹꚛꘪꚉ은 이와 비슷한 형태로 ‫ם‬ꖹꚜꘪꚉ(겔 40:43), ‫ם‬ꖹꚔ꘸ꚉꗬ(창

49:14; 삿 5:16) 등이 있지만, 구약성서에서 단 1회만 나오는 단어이다. 올브라이트

는 이 단어의 어근인 ‫שפת‬가 ‘냄비를 화덕에 놓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139) 여기에서의 ‫שפתים‬을 ‘화덕’이라고 해석하고 ‘두 개의 화덕 사이에

앉아 있는 것’을 ‘집에서 머무르는 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쌍수 형태

로 사용되는 것은 아랍 유목민들은 아직도 두 개의 화덕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140) 또한 올브라이트는 이 단어와 같은 형태인 우가릿어

단어 mṯpdm도 ‘화덕’으로 해석하고 있으나, 요즈음 이러한 해석이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141)

ṯn mṯpdm tḥt ʿnt arṣ142)


땅의 기초 아래의 두 개의 층들

여러 성서 번역들과 주석들에서 이 단어를 ‘양의 우리’로 번역하고 있으며,143) 이

러한 해석이 많은 번역과 주석들에서 일반적으로 따르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단어를 ‘안장에 다는 주머니(saddlebag)’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144)

이 문제에 대해 답을 찾기 위해서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는 사사기 5장 16

절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사기 5장 16a절은 르우벤 지파에 대하여 왜

138) ‫למה ישבת בין המשפתים‬


139) HALOT 1636, ‫שפת הסיר‬가 왕하 4:38과 겔 24:3에 2회 나온다.
140) Albright, "Catalogue," p. 22.
141) DULAT p. 605-606에서는 ‘층(layer, stratum)’으로 해석한다. 이와 비슷하게, N. Wyatt Religious
Texts, p. 82, Driver, Myths, p. 51도 ‘층(layer)’으로 해석한다.
142) KTU2 1.3 IV 35. Wyatt, Religious Texts, p. 82.
143) 개역성서, ‘양 우리’; 표준새번역, ‘양 우리’; 가톨릭 새번역, ‘가축 우리들’; NRSV, JPS Tanakh,
Kraus, Dahood, ‘sheepfolds.’
144) Tate, Psalm 51-100, p. 160; HALOT p. 652; Johnson, Sacral Kingship in Ancient Israel, p. 71.

- 46 -
전쟁에 참가하지 않았는지에 대하여 추궁을 하는 맥락이다. 바이저는 이 두 구절

이 유사하다는 것을 근거로 하여, 시편 68편 14a 절은 사사기 5:16a절과 똑같은 역

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145) 그러나 이 두 부분 사이의 차이점도 무시할 수

가 없다. 사사기에서는 명확하게 ‘왜’라는 의미의 ‫מלה‬가 표현되어 있는 반면에,

이 구절에서는 ‘만약’이라는 의미의 ‫אם‬만 있을 뿐이며, 이 구절을 조건절로 해석

할 경우에 귀결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사 ‫ישב‬와 ‫שכב‬

사이의 차이점도 가볍게 생각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 두 동사는 비슷한 의

미를 갖고 있긴 하지만, ‫ישב‬가 ‫ שכב‬보다는 조금 더 ‘영구적인 정착’의 의미를 갖


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들을 넘어서 사사기 5:16a절이 구절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실은 두 구절이 모두 다 전쟁과 관련된 정황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차이점이 있는데, 사사기 5:16a는 전쟁에 참여하

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시편 68:14a는 전쟁이 끝난 후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이 구절에 가장 적합한 해석은 전쟁이 끝난 후에 전리품을

나누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일로 보는 것이 좋다. 이 다음 콜론에서 그 전리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오는 것도 이 구절의 이러한 해석을 지지한다.

이 구절에서의 ‫אם‬은 ‘만약’의 의미가 아니라 의문문을 이끄는 소사(particle)로 보

아야 한다. 게제니우스 문법에 의하면 구약성서에서 이러한 예들은 왕상 1:27; 사


29:16; 욥 6:12; 39:13 등에서 나타난다.146)

다음 두 개의 콜론에서는 구약성서와 우가릿 문학에서 짝을 이루어서 사용되는

단어들 두 쌍이 나온다. 첫째는 ‫כנף‬와 ‫אברה‬이고 둘째는 ‫כסף‬과 ‫הרוץ‬이다. ‫כנף‬

와 ‫אברה‬가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4회로 신 32:11; 시 68:14; 91:4; 욥 39:13

등에서 나타나며, 이외에 ‫ר‬ꔫꔞ와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겔 17:3에서 나타난다. ‫ף‬

‫כס‬와 ‫הרוץ‬가 짝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6회로 슥 9:3; 시 68:14; 잠 3:14; 8:10,
19; 16:16 등이다. ‫הרוץ‬는 구약성서에서 단 6회만 사용되는데, 모든 경우에 있어서

‫כסף‬와 짝을 이루어서 사용된다. 우가릿 문학에서도 ḫrṣ는 ksp와 짝을 이루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구약성서에서 일반적으로 ‘금’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단어

145) Weiser, Psalms II, p. 487.


146) GKC §150f.

- 47 -
는 ‫זהב‬이다.147)

imtḫṣ ksp irtṯ ḫrṣ 148)

나는 은을 위해 싸웠다. 나는 금을 얻었다.

‫ בירקרק חרוץ‬라는 표현도 우가릿 문학에서 유사한 표현을 찾을 수 있다.

qḥ . ksp. w yrq. ḫrṣ149)


은과 노란 금을 취하라.

결론적으로 14절은 앞의 13절의 내용과 연속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13

절에서 전쟁의 승리로 인하여 전리품이 나누어진다는 언급이 나오고 14절에서는

그 전리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우리

말 번역에서는 비록 14a 절의 해석에 있어서는 다른 해석을 하고 있긴 하지만

13-14절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표준새번역의 해석이 설득력이 있

다.

15절
MT 수정본문
‫בפרש שדי‬ ‫י‬ꕐꚃ ‫שׂ‬ꙟ꘩ꔶ
‫מלכים בה‬ ‫הּ‬ꔯ ‫ים‬ꗉꗚꗱ

‫תשלג בצלמון‬ ‫מוֹן‬ꗡ꘽ꔶ ‫ג‬ꗝꚉꚜ

샤다이가 그 안에 있는

147) 쿠처는 초기 히브리어(Archaic Hebrew)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 중에 하나로 ‫חרוץ‬를 나


열하고 있다. E. Kutscher, A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84),
p. 80.
2
148) KTU 1.3 III 47. Wyatt, Religious Texts, p. 80.
2
149) KTU 1.14 III 22. Wyatt, Religious Texts, p. 195.

- 48 -
왕들을 흩을 때에

살몬산에 눈이 내린다

‫ פרש‬동사는 ‘펼치다’라는 의미로 주로 Qal 로 사용되며, Niphal로 사용될 때는

전쟁에서 패한 자들이 흩어지는 것을 묘사할 때도 사용된다(겔 17:21). 그러나 이


어근이 Piel로 사용되는 경우는 총 9회가 있는데, 이중에 7회가 팔을 벌리는 것으

로 사용되며 팔을 벌리는 것은 주로 기도를 하거나 도움을 구할 때에 하는 행동

으로 여겨진다. 나머지 2회는 이 구절과 슥 2:10인데, 슥 2:10에서도 그 의미가 명

확하지 않다.

다음으로 ‫בה‬의 의미가 문제이다. 이것은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해왔다. 첫째, ‫שדי‬가 왕들을 흩는 장


소로 해석하는 학자들이 있다(부텐비져150), 크라우스151) 등). 둘째, 시간으로 해석

하여 ‘그리고 그 때에’ 눈이 내렸다는 의미로 해석을 하는 학자들이 있다(다후

드152)). 셋째, ‘-을 이용하여’라는 의미로 앞의 절에 나오는 ‫יונה‬를 가리켜서 왕들


을 흩거나, 눈이 내리는 동작을 수식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학자들이 있다(사쿠

아153), 투르나이154)). 넷째, ‘- 때문에’의 의미로 해석하는 학자가 있다(르포155)). 이

러한 여러 제안들은 문법적으로는 모두 가능한 해석들이다.


‫תשלג‬는 2인칭 남성 단수로 보고 ‘당신이 눈을 내리게 한다’로 해석할 수도 있고,

3인칭 여성 단수로 보고 단순하게 비인칭으로 ‘눈이 내린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

다.156) 모빙켈, 브릭스 등은 이 단어를 ‫כשלג‬로 수정하려고 한다.157) 이렇게 수정을

150) Buttenwieser, The Psalms. Chronologically Treated with a New Translation, p. 29.
151) Kraus, Psalms 60-150, p. 44.
152) Dahood, Psalm II, p. 142
153) Caquot, pp. 161-162.
154) Tournay, "Le Psaume LXVIII et le livre Juges." pp. 365-366.
155) LePeau, Psalm 68, p. 127.
156) Waltke, B. K., & O'Connor, M. An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Winona Lake:
Eisenbrauns, 1990), p. 376에서는 비인칭 으로 해석한다.
157)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37;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 49 -
하면 왕들이 ‘살몬산의 눈처럼 흩어진다’라고 해석을 할 수 있어서 의미도 잘 통

하고 ‫תשלג‬에 관련된 문제도 없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을 뒷받침할 만한 본문

상의 근거가 전혀 없다는 약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수정을 받아들일 수는 없

다. 전쟁이라는 상황과 눈이 내리는 상황이 관련되어 있는 경우는 성서에서 단 1

회(삼하 23:20 = 대상 11:22) 나온다. 브릭스는 이 눈이 실제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이 아니라 전쟁에서 죽은 적들의 뼈가 산에 하얗게 흩어져있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였으며158), 이와 같은 표현이 성서내에서는 없지만 성서외의 고전 문

헌들 가운데에서 나타나는 경우들을 예로 들고 있다.159) 근동에서 이러한 문학적


표현이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앞 절에서

부터 계속하여 색채에 대한 이미지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있다.

‫צלמון‬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 산을 삿 9:48


에 나오는 세겜 근처에 있는 산, 즉 에발산으로 보려는 학자들이 있다.160) 올브라

이트는 이 산은 높이가 900미터가 되지 않으며 눈이 거의 오지 않는 곳이기 때문

에 이 곳이 될 수 없다고 한다. 대신에 그는 요단강 건너편에 있는 오늘 날의

Djebel Ḥauron이 ‫צלמון‬이라고 하는데, 이곳이 Ptolemy 때 (A)Salmon 라는 이름으

로 전해지기 때문이라는 근거를 든다.161) 그러나 ‫צלמון‬은 이와 같이 어떤 특정한

곳을 지칭하려는 것이 아니라, ‘어둡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이름으로서 사용된 것


으로 보는 것이 더욱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이 시편의 저자는 ‫צלמון‬이라는 이

름을 사용하면서 레바논(‫)לבנון‬이라는 지명을 염두에 두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가나안을 배경으로 하며 가나안의 신들에 대해 논쟁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이 시

편의 특징과도 잘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살몬이라는 검정색과 그 곳에 눈이

내린다는 흰색의 대비라는 측면도 시편의 저자가 의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

다.

the Book of Psalms II, p. 108.


158) Briggs, Ibid., p. 100.
159) Homer, Iliad., XIX. 357-361; Virgil, Aeneid. V. 865, XII. 36.
160) 예를 들면 Kraus, Psalms 60-150, p. 53.
161) Albright, "Catalogue," p. 23

- 50 -
마지막으로 ‫שדי‬라는 하나님의 이름에 대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출애굽기 6:3에

의하면 샤다이는 모세에게 ‫יהוה‬라는 이름을 알려주기 전에 아브라함, 이삭, 야곱

에게 알려진 하나님의 이름이다. 창 49:25; 민 24:4, 16 등의 시에서는 ‫אל שדי‬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이 이름은 창 17:1; 28:3; 35:11; 43:14; 48:13 등의 P자료에서도

사용된다. ‫שדי‬가 ‫אל‬이 없이 따로 사용되는 경우는 욥기에서 9회 나오며, 사 13:6=


욜 1:15; 겔 1:24; 시 91:1; 룻 1:20, 21 등에서도 따로 사용된다. 성서내에서 ‫שדי‬의

분포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욥기, 룻기 등의 비교적 후대의 책에서 이 이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룻기의 경우는 저작 시기는 늦지만 내용 자체의 시

대적인 배경은 사사 시대이다. 그러므로 룻기의 저자가 ‫שדי‬를 사용한 것은 의도

적으로 고대의 형태를 사용한 것(archaism)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P자료에서

족장들에게 알려진 하나님의 이름이 ‫שדי‬였다는 사실과도 조화를 이루는 설명이


다.

‫שדי‬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들이 있다. 올브라이트는 이 단

어의 기원을 ‘산의 하나님’이라는 의미로 보았다.162) 그는 이스라엘의 초기 전승에

서 야웨는 산과 관련이 있었는데, 그 이유는 또 다른 산의 신인 ‫אל שדי‬와 동일시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히브리인들의 조상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산

악 지역에서 ‫שדי‬라는 신명을 가지고 왔다고 하였다. 메소포타미아에는 šaddâyû라


는 이름이 있었다.

크로스는 ‫שדי‬라는 이름이 자연적인 요소 + -ay(-ayyu) 접미어 형태를 하고 있는

데, 우가릿어에서 나오는 Pidray, Ṭallay, Arṣay 등의 신명과 같은 형태라고 한

다.163)

‫שדי‬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고 이곳에서 이 신명이 사용된 이유도 확실하지 않지

만, 이 절에서 나오는 ‫ צלמון‬혹은 ‫תשלג‬와 연계하여 다음과 같이 이해할 가능성

은 있다. 첫째, ‫צמלון‬이라는 산의 이름과 ‘산의 신’ 이라는 ‫ שדי‬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둘째, ‫שדי‬가 원래 ‘폭풍의 신’이라고 한다면 눈이 내린다는 ‫תשלג‬와 관련

이 있을 수 있다.

162) Albright, "The Names Shaddai and Abram," JBL 54(1935), pp. 181-187.
163) CMHE, p. 56.

- 51 -
2. 5. 5연 하나님의 거처

16절
MT 수정본문

‫הר־אלהים הר־בשן‬ ‫ן‬Ꚃꔯ‫ר־‬ꕘ ‫ים‬ꕙꗟꔤ‫ר־‬ꕘ

‫הר גבננים הר־בשן‬ ‫ן‬Ꚃꔯ‫ר־‬ꕘ ‫ים‬ꘇꘀꔮꕀ ‫ר‬ꕘ

하나님의 산, 바산의 산

봉우리가 많은 산, 바산의 산

이 절은 네 개의 명사가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절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첫째, 이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네 개의 요소들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각 요소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먼저 각 요

소들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를 파악해야 첫째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

다.

‫הר־אלהים‬은 ‘하나님의 산’이라는 의미이다. 다른 해석의 가능성으로는 ‫אלהים‬

이 최상급을 만드는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창 1:2; 23:6; 삼상 14:15; 사

14:13; 시 36:7; 80:11; 욥 1:16)164), 이런 의미로 이해할 경우 ‘높고 큰 산’ 정도의

의미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토마스는 ‫אל‬이나 ‫אלהים‬이 최상급의 의미로 사

용되는 것은 그것이 하나님과 관련된다는 의미에서 그러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

지 일반적인 의미에서 최상급으로 사용된다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165) 그러므로

여기에서 ‫הר־אלהים‬을 최상급의 의미로 해석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하나님의

산’이라는 의미는 남아있게 된다.

164) HALOT, p. 53b.


165) D. W. Thomas, "A Consideration of Some Unusual Ways of Expressing the Superlative in Hebrew,"
VT 3 (1953), p. 215.

- 52 -
바산은 지리적으로 갈릴리 바다 동쪽의 트랜스 요르단 지역에 있는 비옥한 지역

을 가리키는데, 주로 야르묵강 북쪽이다.166) 바산은 살찐 암소와 힘센 소들의 이미

지(신 32:14; 겔 39:18; 암 4:1; 시 22:13), 혹은 사자의 이미지(신 33:22) 등으로 힘

있고 좋은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사 2:13). 여기에서 바산은 우가릿어의 bṯn, 아

카드어의 bašmu등과 같이 ‘뱀’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167) 23

절에서도 이 단어는 ‘뱀’의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하나님이 라합(‫)רהב‬과 바다

괴물(‫)תנין‬을 무찌르시는 것과 같은 모티브(사 51:9)로 우가릿 신화의 ltn, tnn 등에

서도 찾아볼 수 있는 모티브이다. 그러나 동시에 바산은 요단 동편에 위치한 풍요


로운 지역으로 이스라엘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거만한 이방인들로

생각되었을 것이므로 이 단어는 신화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고 지명으로서 바산을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적대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마도 여기서는

한 단어를 이용해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전달하려는 중의적인 용법이 사

용되었을 것이다.

‫גבננים‬168)은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데, 봉우리가 많은(NRSV), 뾰족한(JPS Tanakh),


높이 솟은(크라우스), 높이 솟은 봉우리가 많은(표준새번역) 등으로 해석된다. 이

단어는 구약성서에서 2회만 나오는데, 이 절과 17절에서 한 번씩 사용되는 것이

전부이다. 많은 경우에 이 단어는 레 21:20에 나오는 곱사등이(‫ן‬ꔲꕁ)와 관련된 것으


로 본다. 산의 모습과 관련된 묘사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여기서 나열된 4가지의 명사는 서로 대립적인 관계로 보아야 한다.

바산의 산과 하나님의 산이 대립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17절
MT 수정본문

‫למה תרצדון הרים גבננים‬ ‫ים‬ꘇꘀꔮꕀ ‫ים‬Ꙟꕗ ‫דוּן‬ꙋꙝꚢ ‫ה‬ꗲꗚ

166) J. C. Slayton, Bashan, in ABD I, pp. 623-624.


167) HALOT, p. 165 II ‫ן‬Ꚃꔯ
168) HALOT, p. 174a.는 동사 ‫(גבן‬구부러지다)에서 파생된 ‫נוֹן‬ꔮꕀ의 복수형으로 본다. 어근 ‫גבן‬에 접미
어 ‫ון‬이 추가되어 형용사가 되는 예들은 BL, 500p에 있다.

- 53 -
‫ההר חמד אלהים לשבתו‬ ‫תּוֹ‬ꔮꚄꗡ ‫ים‬ꕙꗟꔤ ‫ד‬ꗫꖎ ‫ר‬ꕗꕗ

‫אף־יהוה ישכן לנצח‬ ‫ח‬꘽ꗾꗚ ‫ן‬ꗔꚉꚕ ‫ה‬ꕯ‫ה‬ꖾ‫אַף־‬

봉우리가 많은 산들아 어찌하여

야웨가 영원히 정하신


하나님이 거하시기 원하는 산을 쳐다보느냐?

봉우리가 많은 산은 앞에서 나온 바산의 산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야웨가 영원히

정하신 산은 어디를 가리키는 것인가? 크라우스는 이 곳은 다볼산을 가리키는 것

이라고 한다. 크라우스는 이 시편과 사사기 5장이 유사한 것은 두 시편이 모두 다

다볼산에서 있었던 시스라와의 전쟁(삿 4:6-14)이라는 공통의 전승을 갖고 있기 때

문이라고 한다.169) 르포는 크라우스의 주장에 대하여 이 시편과 사사기 5장간의

유사성은 존재하지만 차이점들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완전히 동일한 전승에서

나온 것으로 보는 것은 힘들다고 한다. 르포는 이 구절이 사용된 어휘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내용에 있어서 시 132:13-14; 왕상 8:12-13과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

로 하여 하나님이 정하신 곳이 시온이라고 주장한다.170)

시 132:13-14

‫כי־בחר יהוה בציון אוה למושב לו‬

‫זאת מנוחתי עדי־עד פה־אשב כי־אותיה‬


주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그곳을 당신이 계실 곳으로 삼으시기를 원하셔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 곳은 영원히 내가 쉴 곳, 이곳을 내가 원하니 나는 여기에서 살겠

다.

왕상 8:13

‫בנה בניתי בית זבל לך מכון לשבתך עלומים‬

169) Kraus, Psalms 60-150, p. 53.


170) LePeau, Psalm 68, pp. 139-140.

- 54 -
제가 주께서 계시기를 바라서, 이 웅장한 집을 지었습니다.

이 집은 주께서 영원히 계실 곳입니다.

시편 68편에서 사용된 어휘들(‫חמד‬, ‫)לנצח‬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같은 의미를 가

지는 다른 단어들(‫אוה‬, ‫בחר‬, ‫עולמים‬, ‫)עדי־עד‬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상에서 하

나님이 영원히 거하시기로 하였다는 표현이 사용되는 곳은 시온 외에는 없기 때

문에 이 구절에서 가리키는 곳은 시온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시편의

다른 곳에서 예루살렘도 나오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은 타당하다.


브릭스와 올브라이트는 운율에서 벗어난다는 이유로 ‫אף־יהוה תשכן לנצח‬를 제

거한다. 그러나 자신들이 설정한 운율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본문을 삭제하는

것은 옳지 못한 해석 방법이다. 올브라이트가 설정한 운율에 맞추기 위해서는 이

시편의 본문에 너무 많은 수정을 가해야 한다.

18절

MT 수정본문

‫רכב אלהים רבתים אלפי שנאן‬ ‫י שׁנן‬꘬ꗡ‫ם אַ‬ꖹꚔꔴꙞ ‫ים‬ꕙꗟꔤ ‫ב‬ꗋꙠ


‫אדני בם סיני בקדש‬ ‫שׁ‬ꕋꙙꔰ ‫י‬ꗻ‫י‬꘏ ‫ם‬ꔧ ‫י‬ꗺꕌꔣ

하나님의 병거는 수만이며 활쏘는 자들은 수천이다

주는 그들 가운데 계시며 시내산의 하나님은 거룩한 자들 가운데 계신다

이 절의 첫 번째 콜론과 민 10:36171)과의 유사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었


다. 첫째, 두 콜론이 공통적으로 다섯 개의 단어를 가지고 있다. 둘째, 단어 ‫אלפי‬

는 공통적으로 나온다. 셋째, 신명이 ‫יהוה‬와 ‫אלהים‬으로 달라진 것은 시편 68편이

엘로힘 시편에 속하기 때문에 바뀐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רבבות‬와 ‫רבתי‬

‫ם‬은 같은 단어에 대한 다른 스펠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민 10:36은 ‘법궤의 노래’라고 불리는 것들 중의 두 번째 것이다(첫 번째는 민

171) ‫“ ;שובה יהוה רבבות אלפי ישראל‬주님 수천만 이스라엘 사람에게도 돌아오십시오(표준새번역)”

- 55 -
10:35b). 첫 번째 노래는 법궤가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부르는 것이고, 두 번째는

법궤가 제자리에 놓여질 때 부르는 것이다. 법궤는 이스라엘이 전쟁을 할 때에 가

지고 다니던 것이었기 때문에 이 법궤가 들어오고 나가고 하는 것은 전쟁을 하러

나가는 것과, 전쟁을 끝내고 돌아오는 상황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 절이 민 10:36의 두 번째 법궤의 노래를 변형시킨 것이라고 한다면, 시편 68


편은 이 두 개의 법궤의 노래를 모두 다 인용하고 있는 것이 된다. 하나는 시편의

처음인 2절에 두고, 또 하나는 18절에 두었다. 이러한 배치는 의도적인 것으로

2-17절에서는 전쟁을 하러 나가는 것과 관련된 주제들이 나타나고, 18절 이후에서

는 전쟁을 마치고 돌아와서 하나님이 거처에 앉으시는 것과 관련된 내용들이 나

타난다.172)

‫רכב‬는 단수형태이지만 하나의 병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집합적으로 많은


병거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173)

‫רבתים‬은 양수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단순히 2만개라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

니라, 많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174)

‫שנאן‬은 성서에서 단 1회만 사용되는 단어이다. 이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많은

설명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반복하다’라는 의미의 ‫שנה‬를 그 어근으로 본

다.175)
이 단어를 수정하는 학자들의 의견들로는 다음이 있다. 첫째, 아이스트라이트너

는 삿 3:29에서 ‫אלפים‬이 ‫שמן‬과 함께 나오는 것을 근거로 해서 ‫שנאן‬을 ‫שמני‬로 수

정하고 “하나님의 병거는 수만이며, 주의 용사들은 수천이다 (Die Wagen Gottes

sind zu Myriaden, Und in ihnen Tausende der Tapferen des Herrn)”으로 해석한다.176)

둘째, 바이저는 ‫שנאן‬을 ‫שאון‬으로 수정하고 ‘수천의 외치는 소리(the roaring voices

of thousands upon thousands)’로 해석한다.177) 셋째, 크라우스는 이 단어를 아랍어

172) LePeau, pp. 143-44.


173) HALOT p. 1233.
174) GKC, §97c.
175) HALOT, pp. 1596-7.
176) Aistleitner, "Zu Ps 68," BZ 19 (1931), p. 33.

- 56 -
“높아지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saniya에서 온 것으로 보고178) “하나님의 병거들이

여! 만 번의 천 번 - 권능 안에서(Wagen Gottes! Zehntausend mal Tausend -- in


Erhabenheit.)”로 해석한다.179) 넷째, 올브라이트는 ‫שנאן‬에서 다음 단어인 ‫אדני‬의

첫 번째 글자인 ‫א‬까지 포함해서 ‫נא‬이 중복오사(dittography)된 것으로 보고, ‫שנאן‬을

‫שנן‬으로 수정한다. 그리고 이 단어를 우가릿어의 ṯnn180)과 같은 “용사”라는 의미의


단어로 보려고 한다. 그래서 이 구절을 “야웨의 병거는 2만이고, 내 주의 용사는

수천이다”로 해석한다.181) 다섯째, 사쿠아는 이 단어를 “빛나다”라는 의미의 ‫שנא‬동

사에 여성 복수 어미가 첨가된 것으로 보고 “하나님의 (강한) 병거들, 불타는 2만


의 용사들(Les chars de Dieu(comptent) deux myriades d'escadrons flamboyants)”로 해

석하였다. 여섯째, 르포는 이 단어를 사쿠아와 같이 ‫שנא‬동사에서 온 것으로 보지

만 마지막의 ‫ן‬을 소유격 접미어로 보지 않고 집합 명사를 가리키는 명사 어미로


보았다.182) 그리고 이 단어를 ‘빛나는 자들(Bright Ones)’으로 해석한다.183)

‫אדני בם סיני‬를 ‫אדני בא מסיני‬로 수정하고 “주께서 시나이에서 오신다”184), 혹

은 “그들이 그 거룩한 자를 시나이에서 불러올 때(When they brought the Holy

from Sinai)”185)고 해석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 학자들이 본문을 이렇게 수정하는

177) Weiser, The Psalm II, p. 478, 480, 488.


178) D. Winton Thomas, "The Root ‫ سنى = שׁנה‬in Hebrew," ZAW 52 (1934): 236-8; J. A. Montgomery,
"‫سنى = שׁנה‬," ZAW 53 (1935): 207-8; D. Winton Thoman, "The Root ‫ سنى = שׁנה‬in Hebrew II,"
ZAW 55 (1937): 174-6.
179) Kraus, Psalms 60-150, p. 44, 46.
180) DULAT, p. 922-3에서는 “궁수”로 해석한다. 올브라이트도 이후 "Notes on Psalm 68 and 134",
NTT 56(1955): 3-4에서 이 단어를 “궁수”로 해석하였다. 아카드어에서도 šanannu는 “궁수”를 의미
한다. AHw, p. 1161; CAD Š/1, p. 366.
181) Albright, "Catalogue," p. 25. 다후드, 크로스, 테이트, 그레이, 마르굴리스 등이 이러한 해석을 지
지한다.
182) GKC, §85u.
183) LePeau, Psalm 68, p. 147.
184)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New York: Scribner,
1906-07), p. 101; Kraus, Psalms 60-150, p. 44; Gun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290.
185) Albright, "Catalogue," p. 25. 올브라이트는 본문에 많은 수정을 가하는데, 여기서는 ‫אדני‬를 앞 콜
론으로 옮기고 이 콜론을 ‫בבאם מסני בקדש‬로 수정한다.

- 57 -
것은 신 33:2에 ‫ יהוה מסיני בא‬라는 구절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석할 경우

이 콜론은 야웨가 시나이에서 새롭게 택하신 곳으로 거처를 옮기신다는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문의 수정이 정당한 것이라면 이와 같은 해석

도 의미가 있겠지만,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이해할 수 있다면 그것이 더 좋은 방

법이 될 것이다.

르포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이 콜론을 “야웨는 그들 가운데 계시고, 시나이는

거룩한 자들 가운데 계신다(The Lord is in them, Sinai among the Holy Ones)”로 해

석한다. 여기서 시나이는 앞에서 나왔던 ‫זה סיני‬에서 ‫זה‬를 생략한 것으로 ‫אדני‬와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보면 큰 어려움 없이 의미가 통한다.186)

19절

MT 수정본문

‫עלית למרום שבית שבי‬ ‫י‬ꔩꚏ ꚓ‫י‬ꔩꚂ ‫רוֹם‬ꗲꗛ ꚓ‫י‬ꗜꘝ

‫לקחת מתנות באדם‬ ‫ם‬ꕇ‫אָ‬ꔯ ‫נוֹת‬ꚛꗫ ꚛꖕꙍꗚ


‫ואף סוררים לשכן יה אלהים‬ ‫ים‬ꕙꗟꔤ ‫הּ‬ꖷ ‫ן‬ꗔꚉꗜ ‫ים‬Ꙟꙣ‫אַף סוֹ‬ꕵ

당신은 높은 곳으로 올라갔고

포로들을 잡았으며

사람으로부터 예물을 받았다

반역하는 자들까지도 야웨 하나님이 다스리시기 위하여

이 절 또한 해석하기가 아주 까다롭다. 크라우스는 그 의미를 알 수 없다는 이유

로 이 절의 세 번째 콜론을 해석하지 않았다.187)

‫מרום‬은 ‘높다’라는 의미의 ‫רום‬에서 파생된 명사형으로 ‘높은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구약성서에서 총 55회 사용된다. 이들 용례 중에서 ‘하나님의 거처’의 의미

로 사용되는 경우는 사 33:1, 16; 57:15; 시 18:17; 102:20; 144:7 등이 있다.188) 이러

186) LePeau, Psalm 68, p. 141.


187) Kraus, Psalms 60-150, p. 47.

- 58 -
한 용례는 우가릿에서도 나타나는데, 바알의 거처를 가리킬 때에 mrym이 사용되

는 경우가 있다.

ṭrd bʿl mrym ṣpn


바알을 짜폰의 높은 곳으로부터 몰아낸 자189)

또한 왕하 19:23(=사 37:24)에는 산헤립이 ‫עליתי מרום הרים‬이라고 말하는 것으

로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산헤립은 이런 말을 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분노를 일


으키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을 종합해 볼 때, ‫מרום‬이 신화적인

의미에서 ‘신의 거처’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שׁבה‬동사는 구약성서에서 총 47회 사용되는데, 그 중에 하나님이 주어로 사용되


는 경우는 이 곳이 유일하다. 이 단어와 비슷한 단어로 ‫גלה‬가 있는데 ‫גלה‬는 주로

앗시리아나 바벨론으로의 포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반면, ‫שבה‬는 이 보다는

더 넓은 의미의 범위를 가진다.190) ‫שׁבה‬동사가 사용되는 경우는 모두 다 전쟁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또한 목적어에 있어서는 동물, 물건 등이 사용되는 창 34:29;

렘 43:12; 옵 11; 출 22:9; 대상 5:21; 대하 14:14; 21:17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람

이 사용된다.
‫לקח‬동사가 하나님을 주어로 하는 경우는 단 6회만 사용된다.191) ‫מתנה‬는 제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7회 그렇지 않은 경우가 10회 있다.

‫באדם‬은 ‫מתנות‬를 수식하고 있는데 ‫באדם‬의 ‫ב‬를 우가릿어의 전치사 b와 같이 ‘-


로 부터’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 ‘사람들이 드리는 예물’로 해석할 수도 있

고, ‫ב‬를 본질의 ‫(ב‬beth esseitiae)로 보고 “사람이 예물이다”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

성이 있다. 모빙켈, 부텐비저 등이 이러한 해석을 따르며 New Jerusalem Bbible 도

이러한 해석을 따르고 있다.192)

188) HALOT, p. 633.


2
189) KTU 1.3 IV: 1; Wyatt, Religious Texts, p. 80.
190) Howard, ‫שׁבה‬, in NIDOTTE IV, 18-19.
191) 삿 13:23; 말 2:13; 시 6:10; 50:9; 68:19; 욥 35:7

- 59 -
본문을 수정하는 학자들로는 다음이 있다. 다후드는 ‫באדם‬의 자음은 그대로 두고

모음을 ‫ם‬ꕊ‫אַ‬ꔨ으로 읽고 ‘그들의 손에서부터’로 해석한다.193) 그는 ‫אד‬가 ‘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시 17:4에도 나타난다고 하는데, ‫אדם‬ ‫פעלות‬과

Phoenician-Punic 비문에 나오는 FELIOTH IADEM194)을 같은 것으로 보고 이렇게

해석하였다.195) 올브라이트는 ‫בארם‬으로 수정하고 ‘아람으로부터’로 해석한다. 그

리고 이 콜론은 다윗이 주전 980년경에 소바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후에

그 승리를 축하하기 위한 노래의 서두로 보았다.196)

그러나 이 콜론은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현재상태로도 의미가 통하는 해석이 가


능하다. 전치사 ‫ב‬를 우가릿어의 전치사 b와 같이 해석하여 ‘사람으로부터’라고 해

석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음의 ‫ ואף סוררים לשכן יה אלהים‬는 해석하기가 아주 까다로운 콜론이다.


우선 ‫לשכן‬은 이곳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단어이다. 첫째, 게제니우스 문법에

는 ‘거주하다’라는 의미의 동사가 목적어를 취할 때에는 그 목적어는 거주하는 장

소, 혹은 함께 거주하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하며, 이 경우에는 함께 거주하는 하

나님을 가리키는 경우로 보고 있다.197) 이러한 의미로 볼 경우 “반역하는 자들도

야웨 하나님과 함께 거주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앤더슨은 우가릿

어에서 ‫שׁכן‬이 ‘세우다’라는 의미가 있는 것을 근거로 하여 이 콜론을 “반역하는


자들도 야를 하나님으로 세우는데 경의를 표한다”고 해석한다.198) 셋째, 드라이버

는 시리아어에서 ‫ שׁכן‬이 ‘복종하다’라는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이 콜

론을 “완강한 자들도 야 하나님에게 복종한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199)

192) you have taken men as tribute


193) Dahood, Psalms II, p. 143
194) KAI 178.
195) Dahood, Psalms I, p. 95.
196) Albright, "Catalogue," pp. 25-26.
197) GKC §117bb.
198) A. A. Anderson, The Book of Psalms, (London: Marshall, Morgan and Scott, 1972), p. 492.
199) G. R. Driver, "Studies in the Vocabulary of the Old Testament," JTS 33(1922): 43.

- 60 -
본문의 현재 상태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 알기가 힘들지

만 이 콜론은 다음과 같이 해석하는 것이 본문에 수정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שכן‬동사는 하나님을 주어로 하여 하나님이 다스린

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도 사용이 된다.200) 그러므로 뒤에 있는 ‫יה אלהים‬을 주어

로 보고 앞에 있는 ‫סוררים‬을 목적어로 보며, 부정형으로 되어있는 ‫לשכן‬을 목적

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면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해석할 수 있게 된

다.201)

2. 6. 6연. 승리하신 하나님

20절

MT 수정본문

‫ברוך אדני יום יום‬ ‫י יוֹם יוֹם‬ꗺꕌꔣ ꗗ‫רוּ‬ꔯ


‫יעמס־לנו האל ישועתנו‬ ‫נוּ‬Ꚗꘝ‫שׁוּ‬ꖾ ‫ל‬ꔞꕗ ‫נוּ‬ꗚ‫ס־‬ꗪ꘥ꖸ

‫סלה‬ ‫ה‬ꗚꘑ

날마다 주를 찬양하여라!

그는 우리를 위해 짐을 지신다.

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이시다!

브릭스는 이 절 전체와 다음 절을 시편 전체의 맥락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

로 제외시킨다.202)

‫ברוך‬이 하나님을 목적어로 사용하는 경우는 총 36회가 나온다. ‫יהוה‬, ‫אלהים‬, ‫ון‬

200) HALOT, p. 1498.


201) 부정사의 주어는 부정사 뒤에 나온다. GKC §115e-f. cf. 신 1:27; 창 19:16 등. 그러나 부정사의
목적어가 부정사 앞에 나오는 경우는 이곳이 유일하다.
202) Briggs, The Book of Psalms, p. 102.

- 61 -
‫אל עלי‬, ‫אדני‬, ‫כבוד יהוה‬, ‫שמ כבודו‬, ‫ צורי‬등의 신명이 ‫ברוך‬과 함께 사용된다.

‫יום יום‬은 창 39:10; 출 16:5; 잠 8:30, 34 등에서도 똑같이 나오는데 같은 명사를


두 번 연속하여 사용함으로서 ‘모든’의 의미를 가지게 되며203),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가 접속사 ‫ו‬없이 사용되는 경우는 연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204) 이와

유사한 용례들로는 ‫ה‬ꗺꚂ ‫ה‬ꗺꚂ(신 14:22), ‫(אּישׁ אּישׁ‬출 36:4) 등이 있으며, 유사한 형

태들로 ‫יוֹם‬ꔶ ‫(יוֹם‬대상 12:22[23]), ‫יוֹם‬ꗡ ‫יּוֹם‬ꗬ(시 96:2), ‫ה‬ꗺꚂꔮ ‫ה‬ꗺꚂ(신 15:20; 삼상

1:7), ‫יוֹם‬ꕯ ‫ל־יוֹם‬ꗇ(더 2:11; 9:28; 대하 11:12 등)등이 있다. 대상 9:33에 의하면 예

루살렘 성전에서 찬양을 맡은 자들이 있어서 이들이 성전 내부에 거주하면서 밤


낮으로 일을 하였다.

두 번째 콜론은 앞서 나온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에 대한 서술을 하고 있다. 대

게는 접속사 ‫כי‬와 함께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양식을 따르지 않고 있다. ‫ס‬


‫עמ‬동사는 ‘싣다’, ‘운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총 9회 사용된다.205) 운반되어지

는 대상은 전치사 없이 목적격으로 나오고, 전치사 ‫(על‬창 44:13; 왕상 12:11; 느

13:15)이나 ‫(ל‬사 46:11) 등을 사용하여 짐이 실리는 동물이나 사람을 표시한다. 이

콜론 또한 이러한 문법적 형태를 갖고 있는데 이렇게 직역을 하면 “하나님(‫)אל‬이

우리의 구원을 우리에게 실어 주신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며, 그 의미는 “하나

님이 우리에게 구원을 주신다”는 것이다. 올브라이트 등이 이렇게 해석한다. 반면,

크라우스, 르포 등은 ‫ יעמס־לנו‬와 ‫האל ישועתנו‬를 분리하여 “그는 우리에게 용기

를 주신다. 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승리]이다” 와 같이 해석한다. 르포는 ‫ל ישועתנו‬

‫הא‬가 ‫(צור ישעתו‬신 32:15), ‫(אל ישועתי‬사 12:2), ‫(יהוה אלהי ישועתו‬시 88:2), ‫תי‬
‫(צור ישוע‬시 89:27), ‫ יהוה אדני עז ישועתי‬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하

나님의 명칭(epithet)으로 보고 “하나님은 우리의 승리이다”라고 해석해야 한다고

한다.206) 그러나 르포의 논리에는 문제가 있는데, ‫האל ישועתנו‬를 하나님의 명칭

203) GKC §123c


204) J. C. L. Gibson, Davidson's Introductory Hebrew Grammar Syntax, (Edinburgh: T & T Clark, 1994),
p. 42.
205) 창 44:13; 왕상 12:11; 사 46:1, 3; 시 68:20; 슥 12:3; 느 4:11; 13:15; 대하 10:11.
206) LePeau, Psalm 68, p. 156

- 62 -
으로 보려고 한다면 “하나님은 우리의 승리이다”가 아니라 “우리의 구원의 하나

님!”과 같이 해석하는 것이 옳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구원이라는 표현은 시편 내에서 ‫(אלחי ישענו‬시 65:5; 79:9; 85:4), ‫ישעי‬

‫(אלהי‬시 18:46; 24:5; 27:9) 등으로 사용된다. 크라우스는 이와 같이 하나님 혹은

하나님의 이름 자체가 구원이 되는 것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선택하시고 애굽에


서 구원해 내신 것을 그 원형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207)

시편에서 ‫אל‬이라는 신명은 57개의 시편에서 총 77회 사용되는데, 이중 정관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7회 나타난다(구약성서 전체에서는 20회). ‫אל‬은 구약성서에


서 일반적인 ‘신’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엘’신을 의미하

는 고유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르포의 분석에 의하면 시편에서 ‫אל‬이 고

유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약 30회가 있는데, 이들 중 절반은 ‘엘로힘 시편’이라


고 불리는 42-83편 사이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다른 곳에서 ‫אל‬이 고유명사로 사용

되는 경우는 오래된 시나 후대의 시에서 나타난다: 발람의 신탁(민 23-24, 8회), 제

2이사야(5회), 욥기(50회 이상). 또한 ‫אל‬이 다른 명칭들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들이


총 68회 나오는데, ‫(אל רוי‬창 16:13), ‫(אל עלום‬창 21:33), ‫(אל קנא‬출 20:5; 신

6:15; 수 24:19), ‫(אל שדי‬창 17:1; 출 6:3; 겔 10:5), ‫(אל עליון‬창 14:18; 시 78:35), ‫י‬

‫(אל ה‬수 3:10; 호 2:1; 시 84:3) 등이 있다. 르포는 이 구절에서 사용된 ‫אל‬은 고유
명사라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אל‬이 정관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대부분 일반적인 의미의 신을 가리키는데 창 46:3등에서는 예외가 나타나기도 하

며 이 구절은 사 12:2의 ‫אל עשועתי‬과 유사한데 이곳에서 ‫אל‬이 고유명사로 사용

되기 때문에 시 68:21의 ‫אל‬도 고유 명사로 보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208)

르포는 ‫ ישועתנו‬를 일반적인 의미의 ‘구원’이 아니라 ‘승리’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이 시편의 맥락이 군대를 이끌고 나간 왕이 전쟁에서 승리를

하는 정황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209)

207) Kraus, The Theology of Psalms, p. 31.


208) LePeau, Psalm 68, p. 157.
209) Ibid., p. 156.

- 63 -
21절

MT 수정본문

‫האל לנו אל למושעות‬ ‫עוֹת‬Ꚃ‫מוֹ‬ꗡ ‫נוּ‬ꗚ ‫ל‬ꔞꕗ

‫וליהוה אדני למות תוצאות‬ ‫אוֹת‬꘼‫ת תּוֹ‬ꕳꗲꗛ ‫י‬ꗺꕌꔣ ‫יהוה‬ꗝꕵ

하나님은 우리에게 구원이시다

죽음으로부터 나가는 길이 주 야웨에게 있다

이 절의 첫 번째 콜론과 앞 절의 두 번째 콜론 사이의 유사함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포드샤르는 앞 절의 두 번째 콜론을 삭제한다.210)

‫מושעות‬는 단 1회만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의미는 앞 절에서 사용된 ‫ישועה‬와 비


슷한 의미이다. 이 단어는 maqtal 혹은 miqtal형태에 여성 어미가 추가된 단어로서

‫ת‬ꕋꗞ‫מוֹ‬, ‫אָה‬꘼‫מוֹ‬, ‫ה‬ꚂꙜ‫מוֹ‬, ‫ה‬ꕇ꘍‫מוּ‬, ‫ה‬ꕇꘝ‫ מוּ‬등의 단어가 같은 형태의 단어에 속한

다.211) 이 단어 앞에 사용된 ‫ל‬은 많은 학자들이 중복오사된 것으로 보고 제거한

다.212) 크라우스는 ‫ל‬을 ‘-의’의 의미로 해석하여 ‫אל למושעות‬를 ‘구원의 하나님’으

로 해석하였다.213)

두 번째 콜론에서는 전치사 ‫ל‬이 2회 사용되는데 이 전치사의 해석이 이 절의 의

미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다. 먼저 나오는 ‫ליהוה‬의 전치사는 소유의 의미로 해

석하고, 두 번째의 ‫למות‬의 ‫ל‬은 우가릿어 전치사 l과 같이 ‘-로부터’로 해석하면

의미가 잘 통한다. 크라우스는 ‫ל‬을 일반적인 히브리어의 의미로 해석하여 “야웨가

죽음으로 가는 길을 다스린다”로 해석하는데, 이 해석은 ‘다스린다’라는 본문에 없

는 단어를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좋은 해석이 될 수는 없다.

‫תוצאות‬는 총 23회 사용되는데, 이중 19회는 민수기와 여호수아서에서 경계를 서


술할 때에 ‘경계’의 의미로 사용되며, 겔 48:30에서는 도시에서 나가는 출구(‫העיר‬

210) Podechard, p. 510.


211) BL, 490e.
212) Albright, "Catalogue,", p. 26.
213) Kraus, Psalms 60-150, p. 42.

- 64 -
‫)תוצאת‬, 즉 문(‫)שער‬의 의미로 쓰이며, 잠 4:23에서는 삶의 근원(‫)תוצאת חיים‬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미들은 이 단어의 어근이 되는 ‫יצא‬가 ‘나가다’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 의미의 범위 안에서 모두 가능한 의미들이다. 여기서도 이러한 기

본적인 의미를 따라서 해석하면 큰 무리가 없다. 그러므로 두 번째 콜론은 “죽음

으로부터 나가는 길이 주 야웨에게 있다”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 콜론에서 중요한 것은 우가릿 신화에서 바알이 모트신을 죽이는 모티브

가 여기에서도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죽음’으로 번역되는 단어 ‫מות‬는 동시에

모트신을 가리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모트신을 죽


인 것은 바알이 아니라 야웨 하나님이라는 것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가나안

의 신에 대한 논쟁적인 성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2절

MT 수정본문

‫אך־אלהים ימחץ ראש איביו קדקד שער‬ ‫יו‬ꔧꖾꔠ ‫אשׁ‬ꙡ ‫ץ‬ꖏꗱꖹ ‫ים‬ꕙꗟꔤ‫־‬ꗗ‫אַ‬
‫מתהלך באשמיו‬ ‫יו‬ꗪꚂꔣꔰ ꗗꗥꕘꚚꗬ ‫ע‬ꙷꙜ ‫ד‬ꙑꕎꙌ

하나님은 악한 자들의 머리를 치시고

자신의 죄 가운데 다니는 죄인들의 왕관을 치신다.

‫אך‬는 ‘확실히’, ‘단지’, ‘그러나’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이다.214) 여기서는 앞


의 상황과 반대되는 상황을 서술할 때에 이 단어를 사용하여 강조하는 효과를 주

고 있다.

‫מחץ‬는 총 13회 사용되는데 하나님을 주어로 하는 경우는 8회가 나타난다. 이 구


절에서와 같이 ‫ראש‬를 목적어로 하는 경우는 합 3:13; 110:6 등에서도 나타난다(그

러나 우가릿에서는 mḫṣ와 rš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없다).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נכה‬가 있으며 ‫מחץ‬보다 ‫נכה‬가 구약성서에서는 훨씬 더 많이 사용된

다. 그러나 우가릿 문학에서 mḫṣ는 Gt나 D로 아주 많이(58회) 사용되는 단어이

214) HALOT, p. 45.

- 65 -
다.215) 구약성서에서 ‫מחץ‬는 오래된 시들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종

합해 볼 때, ‫מחץ‬동사는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초기부터 가나안에서 사용

되고 있었던 단어로 구약성서의 오래된 시들에 보존되어 있는 단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216) 다만 주의해야 할 것은 의고적인 표현(archaism)을 위해 후대에도

이러한 단어를 사용하였을 가능성은 언제든지 남아있다는 것이다.


우가릿에서 mḫṣ와 ib가 함께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ht. ibk. tmḫṣ.


ht. tṣmt. ṣrtk217)

이제 너는 너의 원수를 친다.

이제 너는 너의 대적을 파괴한다.

‫ראש‬와 ‫קדקד‬는 우가릿 문학에서도 짝을 이루어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성서에서

도 4회(창 49:26=신 33:16; 시 7:17) 나타난다. ‫קדקד‬는 11회 사용되며 오래된 시에

서 주로 사용된다(창 49:26=신 33:16; 사 3:16; 렘 2:16; 48:45; 신 33:20;시 7:17;

68:22). 산문에서 사용되는 경우로는 신 28:35; 삼하 14:25; 욥 2:7 등이 있다.

다후드는 다음 단어인 ‫שער‬를 자음은 유지한 체 모음만 ‫ר‬ꘞꚂ 혹은 ‫ר‬꘠ꚇ로 수정


하고 ‘벌려서 열다’라는 의미의 ‫ שער‬동사로 해석하려 한다.218) 이렇게 수정할 경

우 윗 콜론의 ‫מחץ ראש‬와 좋은 평행을 이루게 된다. 또한 다후드는 이러한 수정

과 연계하여 ‫באשמיו‬의 해석을 독특하게 하고 있다. 그는 ‫אשם‬을 일반적인 의미의

히브리어 단어로 보지 않고 ‘하늘’을 의미하는 ‫שמים‬의 앞에 ‫א‬이 어두첨가

(prothetic aleph)된 것으로 보았는데, 이와 같이 ‫א‬이 어두첨가되는 것은 페니키아

215) DULAT, pp. 540-541.


216) E. Ktuscher, A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84), p. 80. 쿠처
는 고대 히브리어 시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들의 목록에 이 단어도 포함시키고 있다.
217) KTU2 1.2 IV: 9; Wyatt, The Religious Texts, p. 65.
218) Dahood, Psalms II, pp. 144-145; HALOT, p. 1614. 다후드는 이 단어가 ‘벌리다’, ‘깨다’라는 의미
를 가진 아랍어 ṯaģara(‫)ثغر‬와 같은 어근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문’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ר‬
‫שׁע‬도 이 어근에서 온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HALOT은 이에 대해 부정적이다.

- 66 -
방언의 특징이라고 한다. 또한 한 시편 내에서 한 번은 ‫שמים‬과 ‫אשמים‬의 두 가지

형태가 모두 사용되는 것은 예레미야에서 ‫(בזרוע‬렘 22:1)와 ‫(באזרוע‬렘 32:21)가

동시에 사용되고, 욥기에서 ‫(זרוע‬욥 38:15)와 ‫(אזרועי‬욥 31:22)가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정당화될 수 있다고 한다. 여기에 전치사 ‫ב‬는 우가릿어 전치사 b와 같이

‘-로 부터’로 해석한다. 그래서 두 번째 콜론을 “(하나님이) 그의 하늘에서부터 와


서 그들의 머리를 치신다”로 해석한다.219)

르포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קדקד שער‬를 ‘머리털이 많은 머리’로 해석한다.

르포는 본문을 수정하여 더 좋은 해석을 얻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수정하지 않은


본문 그대로 의미가 통하면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는 원칙을 지키려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을 한다.220) 긴즈버그는 ‫שער‬을 ‫רשע‬로 수정하고 ‫קדקד רשע‬를 ‘악한

자들의 왕관’으로 해석한다.221) 이러한 수정은 현재 본문이 ‫ד‬과 ‫ר‬혼동으로 인한


실수와 중자탈락이 결합되어 훼손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시편의 전체적인 맥

락에도 위배되지 않기 때문이 좋은 해석이 된다.

‫אשם‬은 P문서에서 ‘속건제’를 가리킬 때 사용되는 단어이며, 창 26:10; 렘 51:5;


잠 14:9 등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의 ‘죄’를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여기서도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독특한 점은 복수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이곳 밖에 없

다는 것이다. 이 복수형은 어근의 어미를 강조하기 위한 복수형(plural of

amplification)으로 이해할 수 있다.222) 이 단어는 우가릿어에서 ‘빚을 지다’라는 의

미의 동사로 사용되지만, 명사로 ‘죄’의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223) 이 단어와

우가릿어 iṯm이 동일한 어근의 단어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

다.224)

219) Dahood, Psalms II, p. 145.


220) LePeau, Psalms 68, p. 164.
221) Ginsburg, "Some Emendations in Psalms," HUCA 23 (1950): 100-101.
222) GKC §124e.
223) DULAT, pp. 125-126. 성서히브리어에서도 이 동사는 우가릿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224) Kellerman, ‫ם‬Ꚃ‫ אָ‬in TDOT I, pp. 429-437; idem., "ʾāšām in Ugarit?", ZAW 76 (1964): 319-322.

- 67 -
23절

MT 수정본문

‫אמר אדני מבשן אשיב‬ ‫י־ם‬ꗺꕌꔣ ‫ר‬ꗫ‫אָ‬

‫אשיב ממצלות ים‬ ‫יב‬Ꚅ‫ן אָ‬Ꚃꔯ

‫ם‬ꖷ ‫לוֹת‬Ꙃꗹꗬ ‫יב‬Ꚅ‫אָ‬

주의 말.

나는 뱀을 끌어내었다.
나는 바다를 깊음으로부터 끌어내었다.

이 절도 상당히 많은 수정이 가해지는 본문이다. 현재 상태의 MT 그대로 해석하

면 “주가 말씀하신다. 바산으로부터 나는 데려올 것이다. 바다의 깊은 곳으로부터

나는 데려올 것이다.”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둘 경우

동사 ‫אשיב‬의 목적어가 없다는 문제점이 남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자들


의 노력들은 다음과 같다.

크라우스는 본문에 없는 목적어 ‘너’를 추가시키고 다른 단어들은 수정하지 않고

본문 그대로 해석한다.225) 테이트는 생략된 목적어가 ‘야웨의 적들’이라고 한다.226)


펜샴은 우가릿 문서에 나오는 ḥr bšnm uḥd를 근거로 하여 ‫בשן‬의 앞에 ‫מחר‬를 삽

입하여 “나는 뱀 굴에서부터 끌어내었다. 나는 깊은 얌으로부터 끌어내었다”로 해

석하였다.227) 그러나 펜샴이 인용한 우가릿 본문은 비롤로가 수정한 본문으로

KTU와 고든이 출판한 본문에는 ḥw bšnm uḥd로 되어있다.228) 그러므로 펜샴의 수

정은 근거가 없다.

올브라이트는 이 콜론을 가나안의 시로 보고 ‫אדני‬가 있던 자리에 원래는 ‫בעל‬이

225) Kraus, Psalms 60-150, p. 45.


226) Tate, Psalms 51-100, p. 182.
227) Fensham, "Ps 68:23 in the Light of the Recently Discovered Ugaritic Tablets," JNES 19 (1960):
292-293.
2
228) KTU 1.82: 6; UT §1001:6.

- 68 -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우가릿의 발견 이전에 많은 학자들이 시도했던 본문 수정

들은 모두 다 잘못된 것으로 평가를 내리고, 이 콜론을 수정하는 데에 많은 우가

릿의 증거들을 사용한다. 우선 그는 ‫ בשן‬앞에 ‫מחץ‬를 추가한다. 그는 원래는 그

위치에 ‫מחץ‬가 있었는데 중자탈락과 homoiarkton229)에 의해서 이 단어가 탈락되었

다고 한다. ‫בשן‬은 전통적으로 지명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해오고 있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를 지명이 아닌 ‘뱀’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 올브라이트가 제시하는 이

유는 다음과 같다. 우가릿어에 bṯn230)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 단어가 ‘용’, ‘뱀’

등의 의미를 가지며, 아카드어에도 ‘뱀’을 뜻하는 bašmu231)라는 단어가 있다. 그리


고 이 단어는 신 33:22에서도 ‘뱀’의 의미로 사용된다고 하며, 원래 ‘바산’이라는

지명이 ‘뱀’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아람어를 통해서 성서히브리어에

들어온 같은 의미를 가지는 ‫פתן‬232)도 ‫בשן‬과 같은 단어라고 보고있다.233) 그리고


2번 나오는 ‫אשיב‬는 모두 MT의 Hifil이 아닌 Qal로 읽는다. ‫ממצלות‬의 첫 번째 ‫מ‬

을 전접어 ‫מ‬으로 보고 앞 단어에 붙이고, ‫מצלות‬는 ‫מצמת‬로 수정한다. 이렇게 수

정하여 나오는 해석은 다음과 같다: “주가 말한다. 나는 뱀을 치는 것으로부터 돌

이켰다. 나는 바다를 파괴하는 것으로부터 돌이켰다.”234) 올브라이트의 견해는 너

무 많은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과 본문상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많

은 부분 받아들일 수 없다.

다후드는 ‫אשיב‬를 ‫ב‬ꚍ‫אַ‬로 수정하고 이 단어를 ‘불다’라는 의미의 ‫ נשׁב‬동사의

Hifil로 보고 “내가 뱀을 질식시켰다”로 해석한다. 그리고 ‫מבשן‬의 ‫מ‬을 전접어 ‫מ‬

(enclitic mem)으로 보고 앞 단어인 ‫אדני‬의 뒤에 붙여서 해석한다. 다후드는 이 콜

론의 ‫בשן‬을 이집트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UT 67:I:1-2(KTU2 1.5 I:

1-2235))에서 bṯn은 ltn과 같은 것인데 구약성서 사 27:1에서 바다에 있는 용(‫ר בתם‬

229) Tov, Textual Criticism of the Hebrew Bibl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2), pp. 238-240.
230) DULAT, p. 252; UT §19. 546.
231) AHw, 112a; CAD, B 351f.
232) HALOT, p. 990; DNWSI, p. 1024.
233) Albright, "Catalogue,", p. 27.
234) Ibid., pp. 27-28, 38.

- 69 -
‫)התנין אש‬인 ‫לויתן‬이 이집트를 가리키 때문이라는 논리이다. 그리고 ‫ממצולת‬의

‫מ‬을 앞의 ‫אשיב‬의 뒤에 붙이고 ‫אשיבם‬은 ‘재갈을 물리다’라는 의미의 ‫שבם‬동사236)


로 본다.

l ištbm. tnn. ištm. lh

mḫšt. bṯn. ʿqltn237)

확실히 나는 tnn의 입을 막았다. 나는 그를 정복하였다.

나는 꿈틀거리는 뱀을 쳤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주가 말한다: 나는 뱀을 질

식시켰고 깊은 바다의 입을 막았다.”238)


이와 같은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볼 때 이 절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첫째, ‫בשן‬은 현재의 상태로서는 지명과 ‘뱀’이라는 의미 두 가지가 모두 다 가능

하다고 생각이 된다. 그러나 본문에서 ‘바산’이라는 지명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기가 쉽지 않고 시편 68편에서 전체적으로 가나안 신화의 요소가 많이 나타나

는 점을 고려해볼 때 ‘뱀’으로 해석하는 것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두 번 나오는 ‫אשיב‬의 목적어가 없다는 문제는 앞에 있는 ‫בשן‬을 목적어로

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기 위하여 앞에 있는 전치사 ‫מ‬은 앞 단

어의 끝에 붙는 전접어 ‫מ‬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성서히브리어에 단 1회도

나오지 않는 ‫שבם‬동사로 수정하는 것은 좋은 수정이 될 수 없다. 두 번째 ‫אשיב‬는

‫ים‬을 목적어로 보고 “깊음으로부터 얌을 끌어내었다”고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24절

235) ktmḫṣ ltn bṯn brḥ tkly bṯn ʿqltn


네가 꿈틀거리는 뱀 ltn을 쳤을 때, 몸부림치는 뱀을 죽였을 때.
236) Dahood, Ugaritic-Hebrew Philology, (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89), p. 73.
237) KTU2 1.3: III:40-41. Wyatt, Religious Texts, p. 79.
238) Dahood, Psalms II, pp. 131, 145-146; P. D. Miller, Jr., "Two Critical Notes on Psalm 68 and
Deuteronomy 33," HTR 57 (1964), p. 240.

- 70 -
MT 수정본문
‫למען תמחץ רגלך בדם‬ ‫ם‬ꕇꔶ ꗘꗡꔾꙝ ‫ץ‬ꖏꙣꚝ ‫ן‬ꘞꗫꗡ

‫לשון כלביך מאיבים מנהו‬ ‫הוּ‬ꘈꗬ ‫ים‬ꔩꖾꔠꗭ ꗘ‫י‬ꔫꗚꗖ ‫שׁוֹן‬ꗡ

네 발을 피에 씻게 될 것이다.

네 개들의 혀가 적들의 피를 핥게 될 것이다.

다후드는 ‫למען‬을 결과의 의미로 해석하려 한다.239) 결과로 해석하여도 의미가

통하고 오히려 더 좋은 해석같이 보여질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의미인 목적으

로 해석하더라도 문제될 것은 없기 때문에 굳이 이 단어에 새로운 의미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תמחץ‬는 현재 자리에서 제대로 해석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단어를 ‫תרחץ‬로 수정한다.240) 이들이 이렇게 수정하는 근거

는 시 58:11에 ‫פעם ירחץ בדם הרשע‬라는 구절이 나오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다.

올브라이트는 ‫למען תמחץ‬를 두 단어 사이에 ‫ת‬가 중자탈락으로 빠진 것으로 보

고 ‫למען ענת תרחץ‬로 수정하고 “아낫이여! 왜 당신의 발을 피에다 씻는가?”로


해석한다. 그가 이와같이 본문을 과감하게 수정할 수 있는 것은 우가릿에서

[t]rtḥṣ. ydh. bdm. ḏmr241) “그녀는 그녀의 손을 용사들의 피에다 씻었다”라는 구절

이 나오는 것을 근거로 한 것이다.242) 그러나 이 구절을 이렇게 수정하고 해석할

필요는 없다. 발을 피에다 씻는다는 표현은 구약성서에서는 단 2회(시 58:11;

68:24)만 나오는 것으로 용례가 드물지만 우가릿에서는 여러 번 사용되는 표현이

기 때문에 구약성서의 용례가 우가릿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는 있다. 이 시편의


저자가 우가릿의 표현을 알고 있었을 수도 있지만 이 구절을 우가릿 본문과 똑같

239) Dahood, Psalms II, p. 146.


240) Albright, Kraus, Weiser, Mowinckel 등.
2
241) KTU 1.3 II: 34; DULAT, p. 738; Wyatt, Religious Texts, p. 75.
242) Albright, "Catalogue," p. 38.

- 71 -
이 수정할 필요는 없다.

그레이는 ‫תמחץ‬를 ‫תחמץ‬로 수정하여 ‫ חמץ‬II243) 동사로 보고 이 단어의 의미를

‘물들이다’로 해석하여 “너의 발을 붉게 물들여라”로 해석한다.244) 그레이의 이러

한 해석은 본문상의 증거도 없고 이 단어가 이러한 용례로 사용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들다.


첫 번째 콜론의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은 ‫תמחץ‬만 ‫תרחץ‬로 수정하고 ‘너의 발을

피에다 씻기 위하여’로 보는 것이다.

두 번째 콜론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마지막 단어인 ‫מנהו‬와 동사가 없다는 점이


다. 우선 ‫מנהו‬를 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현재 형태 그대로 이해

하려는 노력들은 다음과 같다. 이 단어를 ‫מנה‬에서 파생된 명사 ‫מנת‬245)로 보고 ‘부

분’으로 해석하기도 하고,246) 같은 의미의 단어이지만 ‫ מנן‬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ן‬


ꗭ에 3인칭 접미어가 추가된 것으로 보기도 하고247), ‘누구’를 의미하는 의문사 ‫ן‬ꗫ

에 접미어가 추가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248)

본문을 수정하려는 학자들의 시도들은 다음과 같다. 올브라이트는 이 콜론을 ‫ים‬

‫לשן כלבך בדם איב‬으로 수정하고 “너의 개들의 혀가 너의 원수들의 피 속에 있

느냐?”로 해석한다.249) 그레이는 ‫מאיבים‬을 ‘원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יאב‬동사의

Piel로 보고 ‫מיאבים‬으로 수정하여 “그것들의 일부를 맛보기를 원한다”로 해석한


다.250) 모빙켈은 왕상 21:19; 22:38 등을 근거로 하여 ‫לשון כלביך תלק דם איבים‬

으로 수정하고 “너의 개들의 혀가 적들의 피를 핥는다(deiner Hunde Zunge lecke

der Feinde Blut)”로 해석한다.251) 모빙켈의 수정은 본문상의 근거가 없기 때문에

243) HALOT, p. 329.


244) Gray, "Cantata,", p. 15.
245) HALOT, p. 603.
246) BDB, p. 584.
247) GKC §103m.
248) HALOT, p. 597.
249) Albright, "Catalogue," p. 29. 38.
250) Gray, "Cantata," p. 15.
251) Mowinckel, p. 47. 표준새번역에서 이러한 해석을 따르고 있다.

- 72 -
받아들일 수가 없다.

이 구절에서 ‘피(‫’)דם‬와 ‘개(‫’)כלב‬가 나오기 때문에 열왕기에 나오는 아합(왕상

22:38), 이세벨(왕하 9:35-37)의 이야기를 떠올릴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콜론을 해석

하는 데에 있어서 아합과 이세벨을 생각할 필요는 없다. 본문에 나타나는 그대로

해석을 하면 “너의 개들의 혀가 적들로부터 몫을”의 의미를 가지며 이 콜론에서


동사가 없다는 문제가 남게 된다.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해야 한다. 이 콜론

의 동사는 앞 콜론의 동사인 ‫רחץ‬가 생략된 것으로 보아야 하며 ‘몫’의 의미는 피

(‫)דם‬의 일부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너의 개들의 혀가 적들로부터 피의 일


부를 씻는다”는 의미가 되며 모빙켈과 같이 본문을 수정하지 않더라도 “너의 개들

의 혀가 적들의 피를 핥는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2. 7. 7연. 승리의 행렬.

25절

MT 수정 본문
‫ראו הליכותיך אלהים‬ ‫ים‬ꕙꗟꔤ ꗘ‫י‬ꚗ‫יכוֹ‬ꗜꕟ ‫אוּ‬ꙣ

‫הליכות אלי מלכי בקדש‬ ‫שׁ‬ꕋꙙꔨ ‫י‬ꗑꗡꗫ ‫י‬ꗜꔞ ‫יכוֹת‬ꗜꕟ

당신의 행렬이 보입니다. 하나님이여!

성소로 들어가는 나의 하나님, 나의 왕의 행렬!

이 절에서는 하나님의 행렬이라는 새로운 주제가 등장한다. 이 절의 본문상에 있

어서 문제를 일으키는 단어는 ‫ראו‬이다. MT 의 형태로는 ‫ראה‬동사의 Qal 완료 3인

칭 복수형인데 주어가 없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이 이를 자음은 유지한 체 명령형


으로 모음을 다시 찍었다.252) 그러나 이렇게 수정할 경우 다음 단어인 ‫הליכותיך‬

- 73 -
의 2인칭 접미어가 문제가 된다. 이 2인칭 접미어는 분명히 하나님을 가리키는 것

인데 앞의 동사를 명령형으로 볼 경우 이 접미어는 명령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정은 불가능하다. BHS는 비평장치에서

LXX를 따라서 이 단어를 수동형인 ‫אוּ‬ꙣꗼ로 수정할 것을 제안한다.253) 그러나 르포

는 이러한 수정없이 현재 상태 그대로 수동의 의미가 될 수 있다고 한다. 254)

GKC에 의하면 동사의 주어를 따로 명시하지 않고 사용하여 능동형의 동사를 수

동형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לילות עמל מני־לי‬욥 7:3)를

예로 들면서 여기서 사용된 ‫מנה‬동사는 능동형으로 직역할 경우 “그들은 괴로운


밤들을 나에게 주었다” 이지만 그 의미는 “괴로운 밤들이 나에게 주어졌다”는 의

미를 가진다는 것이다.255) 성서히브리어에 이러한 용례들이 있기 때문에 이 구절

도 굳이 수정할 필요 없이 현재 상태로 두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된다.


‫כליכות‬는 성서에서 6회(나 2:6; 합 3:6; 시 68:25[2회], 욥 6:19; 잠 31:27) 사용된

다. 나 2:6에서는 전쟁의 상황에서 ‘행진’을 의미하며(혹은 ‘참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잠 6:19에서는 ‫ארחות‬와 평행으로 사용되어 ‘대상(caravan)’을 의미하고, 합


3:6에서는 (별의) 궤도256), 업적과 행적257) 등의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확실하게

‘행렬’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는데 다음 절에서 이 행렬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

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הליכתיך‬와 다음 단어인 ‫אלהים‬은 연계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첫 번째 콜론의 마지막 단어인 ‫אלהים‬은 호격(vocative)으로 해석해야 한다.

두 번째 콜론에서 하나님은 왕(‫)מלך‬으로 불려진다. 출 15:18; 민 23:21; 신 33:5

등의 오래된 이스라엘의 시에서도 이러한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258) 르포의 분석

252) Dahood, Psalms II, p. 147; Gray, "Cantata," p. 17; Podechard, Psaume 68," RB 54 (1947), p. 511 등.
253) BHS, p. 1148.
254) LePeau, Psalm 68, p. 177.
255) GKC, §144g.
256) HALOT, p. 246; 우가릿의 hlk kbkbm, 아카드어의 alkāt kakkabē 를 근거로 들고 있다.
257) 김성언,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출간 학위논문, 2001), p.
60.
258) 이 시들의 연대에 관하여는 모든 학자들이 오래된 것으로 보는 것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다룰 수 없기 때문에 오래된 시들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74 -
에 의하면 하나님을 왕으로 칭하는 경우는 총 41회가 나오며, 동사 ‫מלך‬이 하나님

을 주어로 하는 경우는 13회가 나온다고 한다. 이 시편의 전반부에서 하나님을 이


상적인 왕의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

가릿에서도 신을 왕으로 묘사하는 구절들이 나타난다.

il mlk yḫssk259)

너를 자극시키는 왕, 엘(il)

이 콜론에서 문제가 되는 단어는 ‫בקדש‬이다. ‫קדש‬는 명사로 거룩함과 관련된 물

건, 거룩한 사람과 물건, 거룩한 제사 음식, 거룩함, 거룩한 장소 등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260) 이 콜론에서 ‫קדש‬를 거룩한 사람으로 보고 ‫בקדש‬를 ‘거룩한 자들 가


운데서’라고 해석할 수도 있고261), 거룩한 장소로 해석하여 ‫בקדש‬를 ‘성소로’라고

해석할 수도 있고262), 거룩함이라는 추상명사로 보고 ‫בקדש‬를 ‘거룩함 가운데’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263) 이 구절에서는 하나님이 나타나셔서 예루살렘에 있는 그의

성서로 들어간다는 전체적인 맥락에 맞추어 ‘성소로’의 의미를 가진다.

26절

MT 수정본문

‫קדמו שרים אחר נגנים‬ ‫ים‬ꗼꔾꗿ ‫ר‬ꖏ‫ים אַ‬ꙞꚂ ‫מוּ‬ꕖꙎ

‫בתוך עלמות תופפות‬ ‫פוֹת‬꘬‫מוֹת תּוֹ‬ꗚ꘥ ꗗ‫תוֹ‬ꔶ

노래하는 자들이 앞서고 현악기를 연주하는 자들이 뒤따른다

2
259) KTU 1.4 IV: 38-39; Wyatt, Religious Texts, p. 100.
260) HALOT, pp. 1076-1078.
261) LePeau, Psalm 68, p. 176; Tate, Psalms 51-100, p. 161.
262) Briggs, Psalms, p. 95; Dahood, Psalms II, p. 132, 147; Kraus, Psalms 60-150, p. 45 등. Dahood는 ‫ב‬
를 ‘-로부터’로 보고 ‘성소로부터’로 해석한다. 이 성소는 앞서 나왔던 시내산의 성소를 가리킨다.
263) Albright, "Catalogue,", p. 38.

- 75 -
그 가운데에서 여자들이 북을 친다

앞 절에서 언급된 행렬(‫)הליכות‬의 구체적인 모습이 이 절에서 서술된다. ‫שיר‬의

Qal 분사는 총 11회 사용되는데 제의적인 정황과 그렇지 않은 정황에서 모두 사용

된다. ‫נגן‬동사는 총 15회 사용되는데 14회는 Piel로 사용되고 Qal로 사용되는 곳은


이 곳 밖에 없다.264)

올브라이트는 첫 번째 콜라에서 나오는 ‫קדמו‬와 ‫אחר‬을 피엘 복수 명령형으로 수

정하고 “노래부르는 자들아! 앞서가라! 악기를 연주하는 자들아! 뒤를 따라가라!”


로 해석한다.265) 크라우스는 ‫קדמו‬, ‫אחר‬를 모두 부사로 보고 뒤에 나오는 부사 ‫וך‬

‫בת‬와의 균형을 이루어서 “앞에는 노래하는 자들, 그 다음에 악기 연주자들, 그 가

운데 탬버린을 연주하는 여자들”과 같이 해석하였다.266)


‫תף‬는 우가릿어에도 ‘북’, ‘템버린’ 등의 의미로 나타나는 단어이다.267) 동사 ‫תפף‬

가 성서히브리어와 고대 아람어268) 등에서 나타나는데, 명사 ‫תף‬와 동사 ‫תפף‬의 관

계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들이 있다. 브릭스, 드라이버, 브라운은 북소리를 흉내내

어 만든 명사 ‫תף‬가 먼저 있었고 여기에서 동사 ‫תפף‬가 파생되었다고 본다.269) 그

러나 쾰러, 바움가르트너는 이와는 반대로 동사가 먼저 있었고 그 동사에서 명사

가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270)


‫תף‬는 제의적인 상황(시 81:3; 149:3; 150:4)과 제의적이지 않은 상황(창 31:27; 사

5:12; 욥 21:12)에서 모두 사용되며, 동사 ‫תפף‬는 제의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치다’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עלמות‬가 제의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것도 이 곳이 유

일하다.

264) HALOT, p. 668.


265) Albright, Ibid., p. 30, 38.
266) Kraus, Psalms 60-150, p. 45.
267) DULAT, p. 874.
268) DNWSI, p. 1226; KAI 49:7; 224:13 등.
269) BDB, p. 1074; LePeau, Psalm 68, p. 182.
270) HALOT, p. 1771, 1779.

- 76 -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하여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절이 어떠한 형

태의 제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 내용을 묘사하는

언어 및 표현에 있어서는 전형적인 모습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

다. “...가 앞서고 ...가 뒤따른다”라는 표현은 성서의 다른 곳에서도 사용되는 숙어

적인 표현인데(합 3:5; 욜 2:3; 사 52:12; 58:8), 시편 68편에서는 이 표현이 약간 변


형되어 사용되었다.271)

27절

MT 수정본문

‫במקהלות ברכו אלהים‬ ‫ים‬ꕙꗟꔤ ‫כוּ‬ꙣꔯ ‫לוֹת‬ꕚꙓꗫꔶ

‫יהוה ממקור ישראל‬ ‫ל‬ꔞꙜꙺꖹ ‫א‬ꙝ‫ק‬ꗴꗬ ‫ה‬ꕯ‫ה‬ꖾ

회중가운데서 그들은 하나님을 찬양한다

이스라엘의 회중 가운데 계시는 야웨를.

앞 절에 이어 계속하여 행렬에 대한 서술을 하고 있다. ‫מקהלות‬는 비슷한 단어

가 시 26:12에 ‫מקהלים‬으로 나오지만 이 형태로는 유일한 단어이다. 올브라이트와


다후드는 이 단어를 앞의 전치사 ‫ב‬와 함께 ‫ת‬ꗧꕜꙓ ꗯꔶ로 수정한다.272) 이러한 수정

은 ‫מקהלות‬라는 어려운 단어를 없애기는 하지만 의미에 있어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또한 쾰러, 바움가르트너는 이 단어를 maqtil, miqtil > ‫ל‬ꖪꙓꗫ 형태273)의 명사

로 ‫ל‬ꕚꙓꗫ가 원형인 단어이며 그 의미는 ‫קהל‬의 기본적인 의미와 똑같은 ‘모임’으

로 해석한다.274) 이렇게 볼 경우 본문에 아무런 수정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다.

271) Lipiński, La Royauté de Yahwé dans la Poésie et le Culte de L'Ancien Israël, (Brussels: Paleis der
Academiën, 1968), p. 435.
272) Albright, "Catalogue," p. 30; Dahood, Ugaritic-Hebrew Philology, p. 27.
273) BL, 492q.
274) HALOT, p. 626.

- 77 -
두 번째 콜론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단어는 ‘근원’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מקור‬이

다. 르포는 ‘이스라엘의 근원’이 예루살렘에 있는 기혼샘을 가리킨다고 한다.275)

브릭스는 ‫ממקור‬에서 ‫מ‬을 제거하고 ‫מקור ישראל‬이 하나님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고 한다.276) 아이스트라이트너는 ‫מקור‬를 ‫מצור‬로 수정하고 ‘이스라엘의 요새’로

해석한다.277) 크라우스, 모빙켈, 올브라이트 등은 ‫מקור‬를 (‫מקרא)י‬로 수정하고 ‫רא‬

‫מק‬278)를 위 콜론의 ‫מקהלות‬과 평행을 이루는 단어로 본다.279) 다후드는 ‘부르다’

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 ‫קור‬에서 온 것으로 본다.280) 이렇게 볼 경우 올브라이트

등이 수정한 것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본문을 수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어떠


한 방법을 취하든지 의미상의 큰 변화는 없기 때문에 본문의 수정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최선일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다후드의 제안을 따르는 것이 좋은 해

석이 될 것이다.

28절

MT 수정본문
‫שם בנימן צעיר רדם‬ ‫ם‬ꕇ‫יר אָ‬ꘟ꘼ ‫ן‬ꗬꖷꘁꔱ ‫ם‬Ꚃ

‫שרי יהודה רגמתם‬ ‫ם‬ꚕꗪ ‫ב‬ꙝ ‫ה‬ꕇ‫הוּ‬ꖾ ‫י‬ꙟꙴ

‫שרי זבלון שרי נפתלי‬ ‫י‬ꗜꚛ꘰ꗻ ‫י‬ꙟꙴ ‫לוּן‬ꔭꖅ ‫י‬ꙟꙴ

보아라. 사람이 적은 베냐민아!

사람이 많은 유다의 우두머리들아!

275) LePeau, Psalm 68, pp. 185-186.


276) Briggs, Psalms, p. 103, 110. Briggs는 이 명칭을 ‫(מקור מים היים‬시 36:10; 렘 2:13; 18:13)등과 비
교한다.
277) Aistleitner, "Zu Ps 68," BZ 19 (1931), p. 34.
278) HALOT, p. 629. 출 12:16; 레 23:2, 4, 7, 27, 35; 민 28:18, 25; 29:1, 7, 12; 사 1:13; 4:5 등에서 ‘모
임’의 의미로 사용된다.
279) Albright, "Catalogue," p. 30; Kraus, Psalms 60-150, p. 45;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 52.
280) Dahood, Psalms II, p. 148. 그가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우가릿어에 ‘소리’를 뜻하는 명사 qr이
있다는 것이다; DULAT, p. 707.

- 78 -
스불론의 우두머리들아! 납달리의 우두머리들아!

첫 번째 단어인 ‫שם‬은 전통적으로 성서히브리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의미인 ‘저

기’의 의미로 보아 ‘-이 있다(there is)’로 번역하고 있다.281)

올브라이트는 아래에 연속하여 세 번의 ‫שרי‬가 나온다는 것을 근거로 하여 첫 번


째 단어인 ‫שם‬에서 필사과정에서 원래의 ‫ר‬가 ‫ם‬으로 바뀌었고 그래서 이를 ‫שר‬로

수정하고 ‫שר בנימן‬을 ‘베냐민의 왕자’로 해석한다. 이 수정은 어떤 사본의 지지도

받지 못하는데 올브라이트는 이에 대해 다른 사본들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이 실


수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 절이 이스라엘의 지파들에 대한 비판의

내용이 있다고 하며 지파 체계는 솔로몬의 행정구역 개편 이후로 와해되었기 때

문에 이 시의 연대가 다윗 이전의 것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한다. 다윗

이전이라는 것은 솔로몬의 행정 체계 개편이 이미 다윗의 중앙집권화 때부터 시

작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울의 출신 지파인 베냐민 지파를 비판하는

것은 이 구절의 저자가 사무엘을 추종하는 세력이었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이 구

절의 연대를 사울 집권 초기로 볼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그리고 베냐민, 유다,

스불론, 납달리 지파만 나와 있는 것은 원래는 12지파가 다 있었는데 이 시편은

서두만 모은 것이기 때문에 없어졌다고 한다.282)

다후드는 이 단어를 아마르나 서신에 나오는 šumma283)와 같은 것으로 보고 주의

를 환기하는 의미의 ‘보라(Look!)’로 해석한다.284) 그는 시 14:5의 ‫שם‬도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본다. 이러한 해석을 테이트, 르포등이 따른다.285)

‫רדם‬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문제가 제기되었다. 전통적으로 이 단어는 ‘다스리

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 רדה‬동사의 Qal 분사에 3인칭 복수 접미어가 첨가된 것으

281) Briggs & Briggs, Psalms II, p. 95, 103; Kraus, Psalms 60-150, p. 45; Weiser, Psalms II, p. 479 등.
282) Albright, "Catalogue," pp. 30-31.
283) EA 244:24-32; EA 35: 10-15; Moran, "Amarna šumma in Main Clauses," JCL 7 (1953): 78-80, esp.,
p. 79; idem., The Amarna Letter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p. 298-299. 그러
나 A. F. Rainey는 šumma의 이러한 해석에 반대한다. CAT III, p. 96.
284) Dahood, Psalms II, p. 148; idem., Psalms I, p. 81.
285) LePeau, Psalms 68, p. 189; Tate, Psalms 51-100, (Dallas: Word Books, 1990), p. 161, 168.

- 79 -
로 이해되었다. LXX에서 이 단어는 ἐν ἐκστὰσει로 번역되었으며 테이트는 이를

따라서 “가장 작은 베냐민은 무아경에 빠져있다(ecstatic)”으로 해석하였다.286) 궁켈

과 르포는 ‫רדם‬을 ‫אדם‬으로 수정하고 ‫צעיר אדם‬을 사람의 수가 적다는 의미로 해

석하였다. ‫א‬과 ‫ר‬는 현재 형태로는 그 모습이 차이가 많이 나지만 페니키아 글자

체에서 이 두 문자는 모양이 비슷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287) 부텐비져

는 이 단어가 ‘밟다’, ‘굴복시키다’라는 의미의 ‫רדד‬에서 온 것으로 보고 본문에

수정을 하지 않은 체 “적들을 굴복시키는 가장 작은 자들”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

다.288) 아이스트라이트너는 ‫צעוף בדם‬으로 수정하고 ‘아마 옷을 입은(In Linnen


gekleidet)’으로 해석하였다.289) 이러한 견해들 중에서 궁켈과 르포가 수정한 것과

같이 해석하면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을 얻을 수 있으며 다음 콜론과의 균형도 얻

을 수가 있다.

다음은 ‫רגמתם‬이 문제가 된다. 아이스트라이트너는 ‫ברקמתם‬으로 수정하고 이 단

어를 “색깔있는 실로 짜다”라는 의미의 ‫רקם‬동사로 보아 유다의 색깔있는 옷을 가

리키는 것이라고 한다.290) 궁켈은 ‫רב מתים‬으로 수정하고 “사람이 많은”의 의미로

해석한다.291)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볼 수 있는 방법으로는 ‘말하다’라는 우가릿어

의 rgm292)과 ‘외침’의 의미를 가지는 아카드어의 rigmu293)와 같은 어근의 단어로

볼 수가 있다.294)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문제는 베냐민, 유다, 스불론, 납달리의 네 지파만 언급되

286) Tate, Psalms 51-100, (Dallas: Word Books, 1990), p. 161, 168.
287) Gunkel, Die Psalmen, (Göttingen: Vandenhoeck und Ruprecht, 1926), p. 291; LePeau, pp. 188,
190-191.
288) Buttenwieser, The Psalms. Chronologically Treated with a New Transl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8), p. 47.
289) Aistleitner, "Zu Ps 68," pp. 34-35.
290) Ibid., "Zu Ps 68," p. 34-35.
291) Gunkel, Die Psalmen, p. 291. LePeau, Tournay, Podechard, Gray 등이 Gunkel의 이러한 수정을 따
른다.
292) DULAT, pp. 732-734.
293) AHw, p. 982a.
294) Koehler, Baumgartner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는 이러한 견해를 따른다. HALOT, p. 1187.

- 80 -
어 있는 이유에 관한 것이다. 여러 학자들의 많은 추측들이 있었지만 여기에서 다

나열할 필요는 없다. 열 두 지파 중에서 네 지파만 언급한 것은 이들 지파들이 대

표성이 있기 때문이다. 베냐민은 예루살렘이 속해있는 지파이고, 유다는 가장 큰

지파이며, 스불론과 납달리는 가장 먼 곳에 있는 지파이기 때문이다. 이 네 지파

만 언급함으로서 이스라엘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8. 8연. 승리하신 하나님께 드리는 간구

29절

MT 수정본문
‫צוה אלהיך עזך עוזה‬ ꗘ‫ז‬꘢ꗖ ‫י‬ꕘꗟꔤ ‫ה‬ꕹ꘽

‫אלהים זו פעלת לנו‬ ‫נוּ־ם‬ꗢ ꚛꗡꘞ꘱ ‫ים זוּ‬ꕙ‫ל‬ꔤ ‫עוֹז‬

나의 하나님 당신의 힘을 주시옵소서!

우리에게 행하셨던 하나님의 힘.

본문을 현재 상태 그대로 번역하면 “너의 하나님이 너의 힘을 명령했다. 강하십

시오! 우리에게 행하신 하나님”과 같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번역하면 의미

는 통하지 않는다.

이 본문은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의미가 잘 통하게 된다. 우선 첫 번째 단어인 ‫ה‬

‫צו‬의 모음을 Piel 명령형인 ‫ה‬ꕹ꘽로 수정한다. 그리고 ‘너의 하나님(‫’)אלהיך‬은 문맥

에 맞지 않으며 갑자기 나오는 2인칭도 모호하기 때문에 마지막에 있는 ‫כ‬는 다음

단어의 앞에 붙이고 이 단어는 ‘나의 하나님(‫’)אלהי‬으로 수정한다. 이렇게 하면

다음 단어는 ‫כעזך‬가 되는데 여기서 ‫כ‬는 진실의 ‫(כ‬kaph veritatis)295)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콜론은 첫 번째 콜론의 ‫עזך‬를 반복해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다. ‫להים‬

295) GKC §118x.

- 81 -
‫עוזה א‬이 연계형이 되기 위해서는 ‫עוזה‬에서 ‫ה‬가 없어야 한다. ‫זו‬는 일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는 ‫אשר‬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관계대명사인데 총 12회 사용되며

시에서만 사용된다(출 15:13, 16; 사 42:24; 43:21; 시 9:16; 10:2; 17:9; 31:5; 32:8;

68:29; 142:4; 143:8). ‫פעל‬동사가 하나님을 주어로 하는 경우는 총 17회가 있는데

하나님의 행위를 가리킬 때에 사용된다.

30절

MT 수정본문

‫מהיכלך על־ירושלם‬ ꗬꗚꚂ‫רוּ‬ꖾ ‫ל‬ꘞ ‫ך‬ꗞꗇ‫י‬ꕚ

‫לך יובילו מלכים שי‬ ‫י‬Ꚃ ‫ים‬ꗉꗚꗱ ‫ילוּ‬ꔩ‫ יוֹ‬ꗘꗡ

당신의 가장 높은 성전은 예루살렘입니다

왕들이 당신에게 예물을 드릴 것입니다

올브라이트는 ‫מהילך‬를 ‫מה יכלת‬로 수정하고 “당신의 승리는 위대하다!”라는 감


탄문으로 해석한다.296) 다후드는 첫 번째 단어의 ‫מ‬을 앞 절의 마지막 단어에 붙이

는 전접어 ‫מ‬으로 보고 이 절에서는 제거한다. 그리고 전치사 ‫על‬은 전치사가 아니

라 ‘가장 높은’이라는 의미의 ‫ עליון‬이 생략된 형태로 보고 앞의 ‫היכל‬을 한정한


다고 한다.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는 ‫על‬은 시 55:23; 57:8 등에서도 나타난다.297)

다후드의 이러한 해석은 의미가 잘 통하며 본문을 큰 수정 없이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해석이 될 수 있다.

31절

MT 수정본문

‫גער חית קנה‬ ‫ה‬ꗾꙌ ‫ת‬ꗀꖏ ‫ר‬ꘞꕆ

‫עדת אבירים בעגלי עמים‬ ‫ים‬ꗴꘞ ‫י‬ꗝꔾ꘡ꔶ ‫ים‬Ꙟ‫י‬ꔱ‫ת אַ‬ꕈ꘥

296) Albright, "Catalogue," p. 31


297) Dahood, Psalms II, p. 149.

- 82 -
‫מתרפס ברצי־כסף‬ ‫ף‬ꘑꗇ‫י־‬ꙇꙡꔶ ‫ס‬꘴ꙝ‫ת‬ꕙ

‫בזר עמים קרבות יחפצו‬ ‫צוּ‬꘱ꖕꖻ ‫בוֹת‬Ꙝꙓ ‫ים‬ꗴꘞ ‫ר‬ꖉꔰ

갈대 사이에 있는 짐승과

황소 떼들과 여러 백성들로 이루어진 송아지를 꾸짖어 주십시오.


은을 탐하는 자들을 밟아주십시오.

전쟁을 좋아하는 백성들을 흩어주십시오.

꾸짖어 달라고 요청하는 대상 다섯 가지가 연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첫 번째 단어인 ‫גער‬는 명령형으로 29절의 ‫ צוה‬명령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같은 형식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갈대 사이에 있는 짐승이 무엇을 가리키는


지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의 추측이 있었다: 사자298), 악어299), 하마300)등. 그리고

이 짐승이 실제로 어떤 대상을 가리키기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많은 추측들이

있다: 이집트301), 바벨론302), 하솔303), 혼돈의 세력304) 등. 그러나 이 짐승은 아마도


이집트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집트는 왕하 18:21; 사 19:6; 36:6;

겔 29:6 등에서 갈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בעגלי עמים‬은 직역하면 ‘백성들의 송아지들 안에 있는’인데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크라우스는 ‫בעגלי‬를 ‫בעלי‬로 수정하고 ‘백성들의 통치자들’로 해석

한다.305) 그러나 이 단어의 전, 후에서 계속하여 동물의 이미지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시편 저자가 송아지를 의도하였다고 보는 편이 좋을 것이다. 이 단어는 다

298) Albright, Ibid., p. 33.


299) Dahood, Psalms II, pp. 149-150.
300) Briggs, Psalms II, p. 96, 111; Podechard, "Psaume 68," p. 519.
301) Briggs, Psalms II, p. 96; Podechard, "Psaume 68,", p. 519; Gray, "Cantata," p. 6
302) Buttenwieser, Psalms, p. 260.
303) Gray, "Cantata," pp. 19-20.
304) Mowinckel, Der Achtundsechzigste Psalm, pp. 59-61.
305) Kraus, Psalms II, p. 45.

- 83 -
음과 같이 해석하는 것이 좋다. ‫עגלי‬와 ‫עמים‬이 연계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epexegetical 소유격306)으로 보고 이 두 가지를 동격과 같이 사용한 것으로 보는 것

이 좋다.

다음의 ‫מתרפס ברצי־כסף‬도 해석이 까다로운데 ‫ף‬ꘑꗇ‫י־‬ꙇꙡꔶ ‫ס‬꘴ꙝ‫ת‬ꕙ307)로 수정

하면 앞 콜론과 유사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수정은 MT에 (‫ רפס)רפשׂ‬동사의

Hitpael 분사형을 명령형으로 수정하고 ‘조각’, ‘막대기’ 등을 의미하는 ‫ברץ‬를 전

치사 ‫ב‬와 ‫רצה‬동사의 Qal 분사형이 합쳐진 것으로 보는 것이다.

마지막 콜론의 ‫בזר‬은 MT는 Piel의 완료형으로 되어있지만 Piel의 명령형으로 모


음을 수정하는 것이 계속해서 명령형이 나오는 형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

32절
MT 수정본문

‫יאתיו חשמנים מני מצרים‬ ‫ם‬ꖹꙜꙃꗬ ‫י‬ꘇꗬ ‫ים‬ꘇꗫꚉꖏ ‫יוּ‬ꚓꔤꖻ

‫כוש תריץ ידיו לאלהים‬ ‫ים‬ꕙꗟ‫א‬ꗝ ‫יו‬ꕇꖷ ‫יץ‬Ꙟꚛ ‫כּוּשׁ‬

이집트에서 외교 사절들이 올 것이고

구스는 하나님에게 손을 들 것이다.

‫חשמנים‬은 성서에 단 1회만 나오는 단어이다. 많은 학자들이 이 단어를 이집트어

의 ḥsmn과 연관시켜 해석한다. 올브라이트는 이 이집트어 단어가 ‘소다석’이라는

의미와 ‘구리’를 의미할 수 있는데 히브리어에서 ‘구리’를 가리킬 때는 다른 단어

가 있어서 이와 같은 드문 단어를 사용할 이유가 없으며, 또한 이 단어는 이집트

어에서 ‘소다석’이라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소다석’으로 해석한다.308)

다후드는 우가릿에서 나온 아카드어 텍스트에 ‘푸른 옷’을 의미하는 ḫušmānu309)라

306) GKC §128k-q.


307) Kraus의 수정을 따른다. Kraus, Psalms II, p. 45. cf. HALOT, pp. 1279-1280.
308) Albright, "Cataogue," pp. 33-34.
309) CAD IV, 142. ḫašmānu.

- 84 -
는 단어와 이 단어를 같은 것으로 보고 ‫חשמנים‬을 ‘푸른 옷’으로 해석한다.310) 테

이트는 LXX와 시리아역을 따라서 ‘외교 사절’로 해석하는데 다후드가 제안한 의


미인 ‘푸른 옷’이라는 의미가 이러한 해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즉 높은 지

위를 가진 사람들이 푸른 옷을 입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311)

다후드는 ‫מני מצרים‬을 ‘이집트의 상인’으로 번역한다. ‫מני‬는 대부분 전치사로


보고 있지만 다후드는 ‘계산하다’라는 의미의 ‫ מנה‬동사의 Qal 분사로 보고 ‘돈을

계산하는 자’ 즉 ‘상인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312) 그러나 구약성서에서 ‫מני‬

가 ‘상인’의 의미로 사용된 용례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약점을 가지고 있


다.

‫כוש תריץ ידיו לאלהים‬는 직역하면 ‘구스가 그들의 손을 하나님에게 달리게 할

것이다’는 의미를 가진다. 부텐비져는 ‫ידיו‬가 원래는 ‫מתנת ידה‬, 즉 ‘그 손의 예


물’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313) 다후드는 본문을 수정하지 않고 ‫יד‬에 ‘손이 만든

것’이라는 의미가 있어서 여기서 사용된 것은 그 의미라고 한다.314) 크라우스는 ‫יו‬

‫תריץ יד‬라는 표현이 아카드어에서 ‘손을 뻗다’라는 의미의 tiriṣ kâti 라는 표현과
같은 것으로 보고 ‘손을 들다’로 해석한다. ‘손을 들다’라는 표현은 구약성서에서

하나님을 찬양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예; 시 28:2. cf. KAI 202).

2. 9. 9연. 승리하신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

33절

MT 수정본문

310) Dahood, Psalms II, p. 150.


311) Tate, Psalms 51-100, p. 161, 169.
312) Dahood, Psalms II, p. 150.
313) Buttenwieser, The Psalms. Chronologically Treated with a New Transl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38), p. 216.
314) Dahood, Psalms II, p. 151.

- 85 -
‫ממלכות הארץ‬ ‫ץ‬Ꙡ‫אָ‬ꕗ ‫כוֹת‬ꗡꗱꗫ

‫שירו לאלהים‬ ‫ים‬ꕙꗟ‫א‬ꗝ ‫ירוּ‬Ꚅ


‫זמרו אדני סלה‬ ‫ה‬ꗚꘑ ‫י‬ꗺꕌꔣ ‫רוּ‬ꗹꕿ

세상의 왕들아!
하나님께 노래를 불러라!

주께 찬양하라!

첫 번째 연에서 나왔던 주제들이 다시 마지막 연에서 나타나고 있다. 성서에서 ‫ה‬

‫ממלכ‬는 다스림, 지배라는 추상명사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라를 가리키기도 하며

왕이나 한 나라에 사는 백성들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315) 올브라이트는 왕국이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말이 안되기 때문에 이 단어는 페니키아에서의 용례와 같

이 ‘왕’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한다.316)

다후드는 5절에서와 마찬가지로 ‫לאלהים‬을 호격으로 해석하고 이와 맞추어 첫 단

어인 ‫ממלכות‬도 호격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 절의 운율을 3 + 3으로 보고 ‫שירו‬

의 주체는 ‫ממלכות‬로, ‫זמרו‬의 주체는 ‫אלהים‬으로 본다.317) ‫ממלכות‬는 호격으로

볼 수 있지만 여기서 ‫לאלהים‬은 호격보다는 ‘하나님에게’로 해석하는 것이 더욱


더 자연스럽다. 즉 ‫שיר‬와 ‫זמר‬동사의 주체는 모두 ‘땅의 나라들’로 보는 것이 좋

다.

34절

MT 수정본문

‫לרכב בשמי שמי־קדם‬ ‫ם‬ꕋꙐ‫י־‬ꗭꚉ ‫י‬ꗭꚉꔱ ‫ב‬ꗊꙡꗚ

315) HALOT, p. 595.


316) Albright, "Catalogue," p. 34. Dahood도 이러한 주장을 한다. 이 단어가 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삼상 10:18; 왕상 10:20; 렘 1:15; 25:26; 시 79:6; 102:23; 135:11; 애 2:2; 대하 9:19; 12:8 등이 있다.
Dahood, Psalms II, p. 151; Koehler, Baumgartner도 이 구절에서는 ‘왕국’이 아니라 ‘왕’으로 해석해
야 한다고 한다. HALOT, p. 595.
317) Dahood, Psalms II, p. 151.

- 86 -
‫הן יתן בקולו קול עז‬ ‫ז‬꘢ ‫קוֹלוֹ קוֹל‬ꔶ ‫ן‬ꚞꖹ ‫ן‬ꕚ

태고의 가장 높은 하늘위에 계시는 분!

보아라! 그 분이 그의 강한 소리를 내신다.

5절에서 ‫שיר‬와 ‫זמר‬동사가 나와서 찬양하라고 부른 뒤에 ‘구름을 탄 자’라는 호

칭이 나오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앞선 33절에서 이 두 동사가 나온 뒤에 ‘하늘

을 탄 자’라는 호칭이 나온다. 앞서 나왔던 구름이 여기서는 하늘로 바뀌었는데

마지막 연에서 모든 세상을 다스리는 자로서 하나님의 모습에 부합하게 구름보다

도 더 높은 곳에 있는 하늘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שמי שמי‬는 직역하면

‘하늘의 하늘’로 같은 단어를 연속으로 사용하여 최상급의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


이며, ‘가장 높은 하늘’이라는 의미를 가진다.318) ‫לרכב‬의 ‫ל‬은 lamedh vocativum이

다.

천둥은 하나님이 나타나실 때 자주 동반하는 자연현상이다(출 19:19; 삼상 7:10;

욥 37:4 등). ‫ נתן‬동사의 목적어인 ‫ קול‬앞에 전치사 ‫ב‬를 사용함으로써 목적어를

더욱 더 독립적으로 만들고 그렇게 함으로써 의미를 더욱 더 강조하는 효과를 가

진다.319) 이 표현은 우가릿에서 바알을 주어로 하여 많이 사용되는 표현이다.

w tn. qlh. b ʿrpt320)

그리고 그는 그의 소리를 구름에서부터 낼 것이다.

35절

MT 수정본문

‫תנו עז לאלהים‬ ‫ים‬ꕙꗟ‫א‬ꗝ ‫ז‬꘢ ‫נוּ‬ꚢ

‫על־ישראל עאותו‬ ‫תוֹ‬ꕯꔣꕀ ‫ל‬ꔞꙜꙺꖹ‫ל־‬ꘞ

318) GKC §133i. 이와 비슷한 용례로는 출 26:33, ‫ ;קדש הקדשים‬아 1:1 ‫ שיר השירים‬등이 있다.
319) GKC §119q. cf. 시 46:7.
2
320) KTU 1.4 V: 8. Wyatt, Religious Texts, p. 101; DULAT, p. 669.

- 87 -
‫ועזו בשחקים‬ ‫ים‬ꙎꖎꚒꔰ ‫זּוֹ‬꘣ꕵ

하나님께 능력을 드려라!

그의 위엄은 이스라엘의 위에 있고

그의 힘은 하늘에 있다.

하나님께 힘(‫)עז‬을 드린다는 표현은 시편 29편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시편 또한

우가릿 문학의 영향을 많이 보여주고 있는 시편이다. 인간이 하나님께 드릴 수 있


는 것은 힘(‫)עז‬, 영광(‫כבוד‬, 삼상 6:5), 의(‫צדק‬, 욥 36:3) 등이 있다.

다후드는 여기서도 30절에서와 마찬가지로 ‫על‬을 ‫עליון‬의 짧은 형태로 보고 ‘이

스라엘의 가장 높으신 분’으로 해석한다.321) 그러나 여기서는 이렇게 보지 않아도


해석이 잘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무리한 해석을 할 필요는 없다.

올브라이트는 이 구절과 신 33:26322)이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ישראל‬을 ‫ם‬

‫שמי‬으로 수정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은 어떠한 사본의 지지도 받을 수


없으며323) 단순히 단어 몇 개가 같다는 이유로 어떤 하나의 본문을 다른 본문과

똑같이 수정하려는 시도는 좋지 못한 시도이다.

‫שחק‬는 먼지, 구름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신 33:26; 사 45:8; 렘 51:9; 시 36:6;


57:11; 108:5; 욥 35:5 등에서 ‫שמים‬과 평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늘’의 의미도

가진다고 할 수 있다.324)

36절

MT 수정본문

321) Dahood, Psalms II, p. 151.


322) ‫ בגאותו שחקים‬... ‫רכב שמים‬
323) 올브라이트는 자신의 본문 수정이 본문상의 지지나 사본상의 지지를 얻지 못할 경우마다, 원래
본문의 훼손이 다른 사본들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이는 논리적이지
못한 사고이다.
324) HALOT, pp. 1464-1465.

- 88 -
‫נורא אלהים ממקדשיך‬ ‫יו‬Ꚃꕏꙓꗴꗬ ‫ים‬ꕙꗟꔤ ‫א‬Ꙝ‫נוֹ‬

‫אל ישראל הוא נתן עז‬ ‫ל הוּא‬ꔞꙜꙺꖹ ‫ל‬ꔞ


‫ותעצמות לעם‬ ‫ם‬ꘝꗚ ‫מוֹת‬Ꙃ꘥Ꚕꕲ ‫ז‬꘢ ‫ן‬Ꚗꗿ

‫ברוך אלהים‬ ‫ים‬ꕙꗟꔤ ꗗ‫רוּ‬ꔯ

그의 성소에 계시는 하나님은 두려운 분이다.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다

그는 힘과 능력을 그의 백성들에게 주신다

하나님을 찬양하여라!

‫מקדשיך‬의 2인칭 접미어는 3인칭 접미어로 수정되어야 한다. ‫מקדש‬는 광야의 성


막(출 25:8; 민 3:38), 세겜의 성소(24:26), 벧엘의 성소(암 7:13), 두로의 성소(겔

28:18), 모압의 성소(사 16:12), 솔로몬의 성전(겔 5:11; 대하 20:8), 유다와 이스라엘

의 여러 성소들(레 26:31; 겔 21:7; 암 7:9), 에스겔이 본 회복된 성전(겔 43-48장),

야웨의 미래의 성소(사 60:13; 겔 37:26, 28), 예루살렘에 회복된 성전(느 10:40), 백

성들의 성소로서 야웨(사 8:14; 겔 11:16) 등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된다.325) 다후드

는 이 절에서의 ‫מקדש‬가 하늘에 있는 성소(celestial shrine)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지만326) 그러한 용례로 사용되는 곳은 시 96:6 한 군데 밖에 없기 때문에 가능

성이 적다. 그러나 이 시편에서 ‘하나님의 신현현’이라는 맥락을 볼 때에 이 성소

는 땅위에 있는 성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편이 훨씬 더 낳다.

‫אל ישראל‬이라는 표현은 ‫(אל אלהי ישראל‬창 33:20)이라는 유사한 표현이 있긴

하지만 구약성서의 다른 곳에서는 나오지 않는 표현이다. 크로스는 ‫אל ישראל‬이

더 오래된 표현이라고 한다.327)

‫תעצמות‬는 ‘강하다’라는 의미의 ‫עצם‬에서 파생된 명사인데 구약성서에서 이곳에

서만 사용되는 단어이다.328) 복수형으로 사용된 것은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

325) HALOT, pp. 625-626; LePeau, Psalm 68, p. 230.


326) Dahood, Psalms II, p. 152.
327) Cross, ‫אל‬, in TDOT I, pp. 242-262. esp., 255.

- 89 -
다.329)

328) HALOT, p. 1770.


329) GKC §143e. cf. Ps 68:7.

- 90 -
제 3장 시편 68편의 구조, 해석 및 신학

3장에서는 이상의 본문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시편 68편의 장르 및 역사적 배경,


삶의 자리에 관하여 서술하고, 시편 68편을 통해서 나타나는 신학적인 주제들에

관하여 서술할 것이다.

3. 1. 시편 68편의 구조

이상에서의 본문 분석 결과 이 시편은 주제에 있어서 하나님의 신현현과 전쟁에


서 원수를 무찌르는 장면, 그리고 하나님이 예루살렘의 성전에 거하신다는 일관된

흐름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시임이 드러났다. 총 36개의 절이 각각 일관된 주제를

가지고 있는 9개의 연으로 나누어지며, 이렇게 나누어진 9개의 연은 서로 간에도

하나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1연에서 하나님이 일어나셔서 백성들 앞에 모습을 나타내시고 전쟁에서 승리를

하는 모습이 묘사되며 이후 2연에서 9연까지는 승리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찬양

시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전쟁에서 승리하신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이상적인 왕

의 모습(2연)으로도 나타나고, 백성들에게 비를 내려 주시는 폭풍의 신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3연). 4-6연에서 다시 한 번 전쟁에서의 하나님의 승리를 묘사하


는데, 이곳에서의 전쟁의 묘사를 통해서 이 전쟁은 역사적인 전쟁이 아니라 신화

적인 전쟁으로서 혼돈과의 싸움을 통해 세상을 창조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이 나타

난다. 전쟁에서 승리하신 하나님은 승리의 행렬을 통하여 성소로 들어가시며 백성


들이 모두 승리하신 하나님의 행렬에 동참한다(7연). 이 결국 영원히 계실 곳은 시

온이며(8연) 하나님은 시온에서 온 세상의 왕들을 다스리시며 영원히 찬양을 받으

신다(9연).

시편 68편은 이와 같은 구조와 흐름을 가지는 하나의 시편으로 각각의 구성 요

- 91 -
소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연. 하나님의 신현현과 그 결과(2-4절)

2. 하나님이 일어나신다.
그의 원수들은 흩어진다.

그를 미워하는 자들은 그의 앞에서 도망간다.

3. 연기가 흩어지는 것 같이 그들은 흩어진다


밀납이 불 앞에서 녹는 것 같이

악한 자들은 하나님 앞에서 멸망할 것이다

4. 그러나 의로운 자들은 즐거워한다.


그들은 하나님의 앞에서 기뻐한다.

즐거움으로 기뻐한다.

2연. 폭풍의 신인 야웨를 찬양하라(5-7절)

5. 신들이여! 노래를 불러라. 그의 하늘들이여! 찬양하라.

구름을 타고 오시는 자를 예비하라.

그의 이름은 야이며 그의 앞에서 기뻐하라.

6. 고아들의 아버지

과부들의 보호자

그의 거룩한 곳에 계시는 하나님

7. 하나님은 홀로 있는 자들을 그의 집에 거하게 하고

포로된 자들을 이끌어 내어 잘 살게 하신다


그러나 고집스러운 자들은 메마른 땅에서 살 것이다.

3연. 백성을 위하여 거처를 마련해 주시는 하나님(8-11절)


8. 하나님 당신께서 나오실 때에

백성들의 앞에서

- 92 -
여시몬에서 나올 때에

9. 땅이 흔들리고 하늘은 비를 내린다

시내산의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의 신인 하나님 앞에서

10. 하나님은 기꺼이 비를 뿌려 주신다


당신의 지친 기업을 굳게 하여 주신다

11. 당신의 백성들이 거기에서 삽니다

당신의 선하심으로 준비하신 그 곳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하나님이여!

4연. 적들을 물리치시는 하나님(12-15절)


12. 주께서 많은 적들을 부수는

말씀을 하신다

13. 군대들의 왕들. 그들이 도망간다 그들이 도망간다.

성문에서 전리품이 나누어진다.

14. 왜 노새의 안장 사이에 앉아있는가?

비둘기의 날개는 은으로 입혀져 있고


그 날개 끝은 노란빛 나는 금으로 입혀져 있다.

15. 샤다이가 그 안에 있는

왕들을 흩을 때에
살몬산에 눈이 내린다

5연. 하나님의 거처(16-19절)


16. 하나님의 산, 바산의 산

봉우리가 많은 산, 바산의 산

17. 봉우리가 많은 산들아 어찌하여

야웨가 영원히 정하신

하나님이 거하시기 원하는 산을 쳐다보느냐?

- 93 -
18. 하나님의 병거는 수만이며 밝은 자들은 수천이다

주는 그들 가운데 계시며 시내산의 하나님은 거룩한 자들 가운데 계신다

19. 당신은 높은 곳으로 올라갔고

포로들을 잡았으며

사람으로부터 예물을 받았다


반역하는 자들까지도 야웨 하나님이 다스리시기 위하여

6연. 승리하신 하나님(20-24절)


20. 날마다 주를 찬양하여라!

그는 우리를 위해 짐을 지신다.

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이시다!


21. 하나님은 우리에게 구원이시다

죽음으로부터 나가는 길이 주 야웨에게 있다

22. 하나님은 악한 자들의 머리를 치시고

자신의 죄 가운데 다니는 죄인들의 왕관을 치신다.

23. 주의 말.

나는 뱀을 끌어내었다.
나는 바다를 깊음으로부터 끌어내었다.

24. 네 발을 피에 씻게 될 것이다.

네 개들의 혀가 적들의 피를 핥게 될 것이다.

7연. 승리의 행렬(25-28절)

25. 당신의 행렬이 보입니다. 하나님이여!


성소로 들어가는 나의 하나님, 나의 왕의 행렬!

26. 노래하는 자들이 앞서고 현악기를 연주하는 자들이 뒤따른다

그 가운데에서 여자들이 북을 친다

27. 회중가운데서 그들은 하나님을 찬양한다

이스라엘의 회중 가운데 계시는 야웨를.

- 94 -
28. 보아라. 사람이 적은 베냐민아!

사람이 많은 유다의 우두머리들아!

스불론의 우두머리들아! 납달리의 우두머리들아!

8연. 승리하신 하나님께 드리는 간구(29-32절)


29. 나의 하나님 당신의 힘을 주시옵소서!

우리에게 행하셨던 하나님의 힘.

30. 당신의 가장 높은 성전은 예루살렘입니다

왕들이 당신에게 예물을 드릴 것입니다

31. 갈대 사이에 있는 짐승과

황소 떼들과 여러 백성들로 이루어진 송아지를 꾸짖어 주십시오.

은을 탐하는 자들을 밟아주십시오.

전쟁을 좋아하는 백성들을 흩어주십시오.

32. 이집트에서 외교 사절들이 올 것이고

구스는 하나님에게 손을 들 것이다.

9연. 승리하신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33-36절)

33. 세상의 왕들아!

하나님께 노래를 불러라!

주께 찬양하라!

34. 태고의 가장 높은 하늘위에 계시는 분!

보아라! 그 분이 그의 강한 소리를 내신다.

35. 하나님께 능력을 드려라!


그의 위엄은 이스라엘의 위에 있고

그의 힘은 하늘에 있다.

36. 그의 성소에 계시는 하나님은 두려운 분이다.

그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다

그는 힘과 능력을 그의 백성들에게 주신다

- 95 -
하나님을 찬양하여라!

3. 2. 시편 68편의 해석

3. 2. 1. 시편 68편의 장르

연구사에서 다룬 것과 같이 이 시편의 다양한 해석만큼이나 장르에 대해서도 학

자들간의 많은 이견들이 존재하고 있다. 궁켈의 여섯 가지 장르 분류에서 시편 68


편은 찬양시330)이다. 본문 분석 결과 이 시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측면

은 찬양시의 요소들이다. 첫째, 궁켈의 분석에 의하면 찬양시에서 첫 단어로 자주

사용되는 어휘들은 ‫(הללו‬찬양하라), ‫(זמרו‬노래하라), ‫(הודו‬감사하라), ‫(שירו‬노래하


라), ‫(הריעו‬외치라), ‫(ברכו‬찬양하라), ‫(רננו‬기뻐하라), ‫(רונו‬기뻐하라), ‫(הרננו‬기뻐하

라)등이 있다고 한다.331) 이 어휘들 중에서 이 시편에서는 비록 첫 단어로 사용되

는 것은 아니지만 ‫זמרו‬, ‫שירו‬, ‫ברכו‬등의 세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 첫 단어

가 아닌 시편 가운데에 사용되는 단어로 ‫(יודו‬감사하라), ‫(יהללו‬찬양하라), ‫(ירנו‬기

뻐하라), ‫(ירננו‬기뻐하라), ‫(ישמחו‬즐거워하라), ‫(יאמרו‬말하라), ‫(יגדו‬말하라), ‫(יגלו‬즐

거워하라) 등의 단어들이 있는데 이 시편에서는 ‫ישמחו‬가 사용되고 있다. 셋째, 행

렬이 찬양시의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는 경우들이 있다(예, 시 42, 87, 149, 150 편

등).332) 시편 68편에서 행렬이 등장하는 것은 이러한 찬양시의 특성과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찬양시에는 여러 가지 악기들이 등장하는데(예,

시 42, 57, 92, 149, 150 편 등), 시편 68편 또한 이러한 악기들이 언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식상의 특성들을 통해 볼 때에 시편 68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찬양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30) 찬양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관한 것은 Gunkel/Begriech, An Introduction to the Psalms, (Macon:


Mercer University Press, 1998), pp. 22-65를 참조하라.
331) Ibid., p. 23.
332) Ibid., p. 43.

- 96 -
기타 다른 장르로 승리의 노래, 야웨의 행진, 제의문 등의 제안이 있었는데 시편

68편은 실제로 이러한 장르들의 특징을 모두 다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궁켈은 작은 장르들 속에 위와 같은 장르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르들도

또한 찬양시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한다.333) 그러므로 이 시편을 찬양시로 분류하

는 것은 타당하다. 승리의 노래, 야웨의 행진, 제의문 등의 분류는 삶의 자리를 서


술하면서 그 때 다시 논의할 것이다.

3. 2. 2. 시편 68편의 역사적 배경 및 삶의 자리

시편 내의 다양한 근거로 하여 여러 역사적 배경들이 제안되었고, 이는 연구사에

서술되어 있다. 본문의 분석에서 나타났듯이 이 시편에는 혼돈의 세력을 무찌르시


는 하나님 등의 가나안의 신화적인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신화적

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역사적인 배경을 추론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타당하

지 않은 방법일 수 있다. 다만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이러한 신화를 필요로 했는


지에 관한 질문은 타당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적 배경에 관한 질문

은 본문에서 서술하고 있는 내용의 역사적 배경과 본문이 기록되던 당시의 역사

적 배경에 관한 질문으로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후자의 질문은 본문의


삶의 자리에 관한 질문과도 연결이 된다.

첫째, 본문에서 서술하고 있는 내용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것은 연구사에서 서술

한 지금까지의 수많은 제안들에도 불구하고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원인은 본문

이 신화적인 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표현에 있어서 어떠한 상황에라도 적용

할 수 있는 일반화된 표현들이 많이 사용되며, 본문의 상태가 불명확한 곳이 많다

는 점 등이 있다. 본문에 나타나는 전쟁이나 포로의 상황, 그리고 하나님이 개입


하셔서 그 백성을 도우신다는 것은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어떠한 상황에 대입하여

도 다 적용될 수 있다.

둘째, 본문이 기록되던 당시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333) Ibid., p. 239.

- 97 -
있다. 시편 68편은 언어적인 면에서 평가하면 초기 히브리시의 특징을 가지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기 청동기 시대로 정확하게 연대 추정을 할 수 있는 우

가릿 신화의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편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

들은 분명히 오래된 자료들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고대성이 곧바로

시편 저작의 고대성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성서 해석에서 항상 따라


다니는 문제점인데 전승이 만들어지던 시기와 그 전승이 본문으로 고정되던 시기

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의고(擬古)적인 표현의 사용(archaism)의 가능성도 항

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결론을 내린다면 이 시편의 언어가 의도적인 고어체 사용

이 아니라면 이와 유사한 언어적인 특징을 보이는 다른 시들(삿 5장; 출 15장 등)

과 함께 이스라엘에 왕정이 시작되기 이전의 전승이 고정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언어적인 증거에 많이 의존하고 내리는 결론이다. 그렇지 않고 의도

적으로 고어체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면 역사적 배경에 관한 문제는 또 다시 결

론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야웨 하나님이 모든 땅으로부터 찬양을 받는다는

보편주의적인 사고와 제 2이사야와의 주제적인 유사성334)을 고려해보면 포로기 이

후의 늦은 시기도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제 2이사야에 있는 내용 및 주제라고 해

서 반드시 포로기 이후의 것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결론을

쉽게 내릴 수도 없다.335)

가능한 시기를 한 가지 제시한다면 분열왕국 시대 중에서 왕실에서 야웨를 공식

적인 신으로서 섬기던 시기들 중의 하나인 히스기야 혹은 요시야 시대가 가능하

다고 생각된다. 왕실에서는 야웨를 공식적인 신으로 섬기기 위해 일종의 선전을


할 필요가 있었고 그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당시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던 가

나안의 신들에 대한 서술을 이용하여 야웨를 소개하는 것이다. 고어체를 사용한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오래전부터 야웨가


비를 내리고, 혼돈의 세력을 잠재우는 신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인

334) CMHE, p. 105-111. 야웨가 시온으로 행진한다는 것과 제 2의 출애굽을 언급한다는 점에서 유사


점이 있다고 한다. Cross는 이러한 유사성을 원래의 고대의 시에서 사용되던 주제들이 변형
(transformation)된 것이라고 설명한다.
335) 대표적으로 A. Laato, Who is Immanuel?, (Jyaäskyiä: Åbo Academy Press, 1988).

- 98 -
표현할 수가 있다. 둘째는 이 시편의 저작 이전에 히브리어로 된 오래된 전승이

있었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분열 왕국 시대에 이 오래된 전승을 그대로 수용하

여 저작을 했기 때문에 의고적인 표현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히스기야,

요시야 시대에는 앗시리아의 지배 영토가 바로 예루살렘 근처까지 확장되었으며

그래서 유다는 항상 전쟁의 위협이라는 상황에 처해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


서 전쟁에서 적들을 무찌르시고 백성에게 거할 곳을 마련해주시는 야웨 하나님의

모습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 시편은 궁켈의 분류에 의하면 찬양시에 속하지만, 친숙한 찬양시의


형식과 친숙한 가나안 신화의 내용을 이용하여 만든 유다 왕실의 선전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는 이렇게 사용되기 이전에 단계의 본문

이 어떤 성격의 것이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3. 3. 시편 68편의 신학

이 시편은 가나안 신화의 모티브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신화의 내용들을 그

대로 가지고 온 것은 아니다. 이 시편의 저자는 위의 3. 2. 2 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자신과 동시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던 가나안의 신들에 대한 묘사를

사용하여 야웨 하나님을 나타내고 있다.336) 가나안에서 잘 알려져 있던 신은 구름

을 타고 다니는 신으로 비를 내리는 폭풍의 신이었다. 이 시편에서는 야웨가 구름

을 타고 다니시며 그의 백성에게 비를 내리신다. 가나안의 신들은 혼돈의 세력인

얌과 용을 죽이는 신들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역할도 이 시편에서는 야웨가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야웨 하나님을 알리기 위해 가나안의 신들의 묘사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동시에 야웨 하나님이 가나안의 신들보다 더 위대하다는 것을 나

타내주고 있다.

다음으로 이 시편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모습은 정의로운(‫ )צדיק‬하나님의 모습

336) 우가릿과 성서의 신에 대한 서술이 Korpel, Marjo Christina Annette A Rift in the Clouds. Ugaritic
and Hebrew Descriptions of the Divine, (Münster: Ugarit-Verlag, 1990)에 비교되어 있다.

- 99 -
이다. 하나님은 고아와 과부들을 돌보시며(6절) 홀로있는 자들과 포로된 자들을 잘

살게 하여 주신다(7절). 가난한 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도 나타나고 있다(11절).반

면에 하나님께 반역하는 자들은 메마른 땅에서 살게 하신다(8절).

- 100 -
참고 문헌

사전

del Olmo Lete, G. & Sanmartín, J., A Dictionary of the Ugaritic Language in
the Alphabetic Tradition, Leiden: E. J. Brill, 2003.

Hoftijzer, J. & Jongeling, K., Dictionary of the North-West Semitic Inscriptions


, Leiden: E. J. Brill, 1995.

Koehler, L. & Baumgartner, W.,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Leiden: E. J. Brill, 1994-1999.

텍스트

de Moor, J. C. & Spronk, K., A Cuneiform Anthology of Religious Texts from

Ugarit, Leiden: E. J. Brill, 1987.

Donner, H. & Röllig, W., Kanaanäische und Aramäische Inschriften,


Wiesbaden: Otto-Harrasowitz, 1962-4.

- 101 -
Dietrich, M. - Loretz, O. - Sanmartín, J., The Cuneiform Alphabetic Texts from
Ugarit, Ras Ibn Hani and Other Places, Münster:

Ugarit-Verlag, 1995.

Kundtzon, J. A., Die El-Amarna-Tafeln, 2 Vols., Aalen: Zeller Verlag, 1964


(Originally Published 1915).

Concordance, Grammar, Syntax

Bauer, H. & Leander, P., Historische Grammatik der Hebräischen Sprache des
Alten Testamentes, Hildesheim: Georg Olms
Verlagsbuchhandlung, 1962.

Even-Shoshan, A., A New Concordance of the Old Testament, Jerusalem:


Kiryat Sefer Publishing House, 1993.

Gibson, J. C. L., Davidson's Introductory Hebrew Grammar Syntax, Edinburgh:


T & T Clark, 1994.

Joüon, P.,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translated and revised by T.


Muraoka, Roma: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co,
2000. 2 vols.

Segert, S., A Basic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Berkeley: University

- 102 -
of California Press, 1984.

Sivan, D., A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Leiden: E. J. Brill, 1997.

Waltke, B. K., & O'Connor, M., An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Winona Lake: Eisenbrauns, 1990.

시편주석

Briggs, C. A. & Briggs, E. G.,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ICC. 2 vols. New York: Scribner,
1906-07.

Dahood, M., Psalm I. 1-50, Garden City: Doubleday, 1968, AB 16.

__________, Psalm II. 51-100, Garden City: Doubleday, 1968, AB 17.

Delitzsch, F., Biblical Commentary on the Psalms, translation by D. Eaton,


New York: Funk & Wagnalls.

Kraus, H. -J., Psalms 1-59, translation by H. C. Oswald,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originally published in 1978).

__________, Psalm 60-150, translation by H. C. Oswald, Minneapolis: Fortress

- 103 -
Press, 1993 (originally published in 1978).

Murphy, R. E., “Psalms”, in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s. R. E.


Brown, J. A. Fitzmyer, R. E. Murphy, London:
Geoffrey Chapman, 1989.

Schmidt, H., Die Psalmen, Tübingen: J. C. B. Mohr [Paul Siebeck], 1934.

Tate, M. E., Psalm 51-100, Dallas: Word Books: 1990, WBC 20.

Weiser, A., The Psalms: A Commentary, translation Herbert Hartwell,


Philadelphia: Westminster, 1962.

기타 단행본 및 연구

김영진, ꡔ이스라엘 역사 서설ꡕ, 광주: 올람하타낙, 2002.

Aistleitner, J., "Zu Ps 68," BZ 19 (1931): 29-41.

Albright, W. F., "The Earliest Forms of Hebrew Verse," JPOS 2 (1922):


69-86.

__________, "The Names Shaddai and Abram," JBL 54 (1935): 173-204.

- 104 -
__________, "The Old Testament and Canaanite Language and Literature,"
CBQ 7 (1945): 5-31.

__________, "The Psalm of Habakkuk," in Studies in Old Testament Prophecy,


ed. H. H. Rowley, Edinburgh: T & T Clark, 1950.

__________, "A Catalogue of Early Hebrew Lyric Poems(Psalm LXVIII),"


HUCA 23/1 (1950-51): 1-39.

__________, "Notes on Psalm 68 and 134," NTT (1955): 177-184.

Althann, R., Studies in Northwest Semitic, Roma: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co, 1997.

Avishur, Y., Studies in Hebrew and Ugaritic Psalms,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4.

Barr, J., Comparative Philology and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68.

Blau, J., "Hebrew and North West Semitic," HAR 2 (1978): 21-44.

__________, "Some Ugaritic, Hebrew, and Arabic Parallels," JNES 10 (1982):


5-10.

- 105 -
Buttenwieser, M., The Psalms. Chronologically Treated with a New
Transl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38.

Caquot, A., "Le Psaume LXVIII," RHR 177 (1970): 147-182.

Cross, F. M.,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__________, ‫ אל‬in TDOT I, pp. 242-261.

Cross, F. M. & Freedman, D. N. Studies in Ancient Yahwistic Poetry,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1975.

Cross, F. M., Forbes, D. N. & Andersen, F. I. Studies in Hebrew and


Aramaic Orthography, Winona Lake: Eisenbrauns,
1992.

Dahood, M., Ugaritic Lexicography, in: Mélanges E. Tisserant, I. Écriture


Sainte - Ancient Orient, Vatican City, 1964, pp.
81-104.

__________, "Hebrew-Ugaritic Lexicography I," Biblica 44 (1963): 289-303.

__________, Ugaritic-Hebrew Philology, Rome: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1965.

- 106 -
Day, J.,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2000.

de Moor, J. C., The Rise of Yahwism, Leuven: Peeters, 1990.

__________, "Ugarit and Israelite Origin," in VTS 61, Leiden: E. J. Brill,


1995.

Driver, G. R., "Problems in Proverbs," ZAW 50 (1932): 141-148.

__________, "Studies in Vocabulary of the Old Testament," JTS 33 (1932):


38-47.

__________, Canaanite Myths and Legends, Edinburgh, T & T Clark, 1977.

Eerdmans, B., "Psalm 68," Exp. Times 46 (1934/35).

Eissfeldt, O., "Der Gott des Tabor und seine Verbreitung," ARW 31 (1934):
14-41.

__________, ‫אָדוֹן‬, in TDOT I, pp. 59-72.

Fensham, C. F., "Ps 68:23 in the Light of the Recently Discovered Ugaritic
Tablets," JNES 19 (1960): 292-293.

- 107 -
Fox, M., Names of God, in EJ.

Friedman, D. N., Pottery, Poetry, and Prophecy. Studies in Early Hebrew


Poetry, Winona Lake: Eisenbrauns, 1980.

Garr, W. R., Dialect Geography of Syria-Palestine, 1000-584 B. C. E.,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1985.

Gaster, T. H., "Earliest Known Miracle Play?," Folklore 44 (1933): 379-390.

__________, Myth, Legend, and Custom in the Old Testament,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69.

Gibson, J. C. L., Canaanite Myths and Hebrew Legends, Edinburgh: T & T


Clark, 1977.

Ginsburg, H. L., "The Victory of the Land-God over the Sea-God," JPOS 15
(1935): 327-333.

__________, "Some Emendations in Psalms," in HUCA 23 (1950): 100-101.

Goodwin, D. W., "A Rare Spelling, or a Rare Root in Ps 68, 10?," VT 14


(1964): 490f.

- 108 -
Gordon, C., Ugaritic Textbook, Rome: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1965.

Gray, J., The KRT Text in the Literature of Ras Shamra, Leiden: E. J. Brill,
1955.

__________, "A Cantata of the Autumn Festival: Psalm LXVIII," JSS 22


(1977): 2-26.

Grill, S., "Der Berg Salmon. Psalm 68, 15," ThZ 17 (1961): 432-435.

Gualandi, D., "Salmo 68(67)," RivBiblItal 6 (1958): 210-218.

Guillaume, A., "A Note on Psalm LXVIII. 5," JTS 13 (1962): 322-323.

Healey, J. F. & Craige, P. C., "Ugaritic," ABD IV, pp. 226-229.

Howard, D. M. Jr., ‫ שׁבה‬in DOTTE IV, pp. 18-19.

Huehnergard, J., "Languages," in ABD IV, pp. 155-170.

Iwry, S., "Notes on Psalm 68," JBL 71 (1952): 161-165.

Johnson, A. R., Sacral Kingship in Ancient Israel, Cardiff: University of

Wales Press: 1967.

- 109 -
Johnston, G. H., ‫אָדוֹן‬, in NIDOTTE I, pp. 256-261.

Kellerman, D., "ʾāšām in Ugarit?," ZAW 76 (1964): 319-322.

__________, ‫ם‬Ꚃ‫ אָ‬in TDOT I, pp. 429-437.

Knauf, E. A., "El Shaddai: Der Gott Abrahams," BZ 29 (1985): 97-103.

Köhler, L., Old Testament Theology, trans. A. S. Todd., Philadelphia:


Westminster, 1957.

Korpel, Marjo Christina Annette, A Rift in the Clouds. Ugaritic and Hebrew
Descriptions of the Divine, Münster: Ugarit-Verlag,
1990.

Kraus, H. -J., "Die Kulttraditionen des Berges Tabor," BASILEIA. Festschrift


für W. Freytag (1959), pp. 177-184.

__________, Theology of the Psalms,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86(originally published in German in 1979).

Lipinski, E., "La colombe du Psaume LXVIII, 14," VT 23 (1973): 365-368.

__________, "Juges 5, 4-5 et Psaume 68, 6-11," Biblica 48 (1967): 185-206.

- 110 -
Loewenstamm, S. E., From Babylon To Canaan : Studies in the Bible and Its
Oriental Background, Jerusalem: The Magness Press,

1992.

Loretz, O., "Der kanaanäische Ursprung des biblischen Gottesnamen El


Shaddaj," UF 11 (1979): 420-21.

Manross, L. N., "Bêth Essentiae," JBL 73 (1954): 238-239.

Margulis, B., "Psalm LXVIII, 18-19 and the tradition of Divine Rebellion,"
Tarbiz 39 (1969/70), 1-8, (Heb.).

Milgrom, J., The JPS Torah Commentary. Numbers, Philadelphia: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0.

Miller, P. D., "Two Critical Notes on Ps 68 and Dtn 33," HTR 57 (1964):
240-243.

__________, "Fire in the Mythology of Canaan and Israel," CBQ 27(1965):


256-261.

__________, "El the Warrior," HTR 60 (1967): 411-431.

__________, The Divine Warrior in Early Israe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 111 -
Moran, W. L., "Amarna šumma in Main Clauses," JCL 7 (1953): 78-80.

__________, The Amarna Letter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Originally Published as Les Lettres d'El-Amarna,

Paris: Les Éditions du Cerf, 1987).

Morgenstern, J., "Psalm 8 and 19A," HUCA 19 (1945): 506-516.

Moscati, S., Ullendorff, A. S. E. & von Soden, W.,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Grammar of the Semitic Languages,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80.

Mowinckel, S., Der achtundsechzigste Psalm, ANVAO II, Hist.-Filos. Kl.

(1953) no. 1.

__________, "Driver and/or Rider in Old Testament," VT 12 (1962): 299f.

__________, Psalms in Israel's Worship, Sheffield: JSOT Press, 1992.

Pardee, D., "Koshar" in DDD, pp. 490-491.

__________, "Kosharot" in DDD, pp. 491-492.

Patton, J. H., Canaanite Parallels in the Book of Psalms, Baltimore: The

- 112 -
Johns Hopkins Press, 1944.

Podechard, E., "Psaume 68," RB 54 (1947): 502-520.

Rainey, A. F., Canaanite in the Amarna Tablets.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Mixed Dialect Used by Scribes from Canaan, I-IV,
Leiden: E. J. Brill, 1996.

Ringgren, H., ‫איב‬, in TDOT I, pp. 212-218.

Robertson, D. A., Linguistic Evidence in Dating Early Hebrew Poetry, New


Haven, 1966.

Schroeder, O., "Versuch einer Erklärung von Ps 68, 14b, 15," ZAW 34
(1914): 70-72.

Snaith, N. H., "The Meaning of the Hebrew ‫אך‬," VT 14 (1964): 221-225.

Seely, D. R., "Arabah," in ABD I, pp. 321-324.

Sivan, D., "Biblical Hebrew in the Light of Ugaritic Literature," Leshonenu


La'am 43 (1992): 123-134.

__________, "The Status of Ugaritic among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s


in the Wake of New Research," UF 32 (2000):

- 113 -
531-541.

Slayton, J. C., Bashan, in ABD I, pp. 623-624.

Tournay, R., "Le Psaume 68(67)," Vivre et Penser 2 (1942): 227-245.

__________, "Le Psaume 68 et le livre des Juges," RB 66 (1959): 358-368.

Tur-Sinai, N. H., "Some Ideas on the Place of Ugaritic among the Semitic
Languages," Tarbiz 23 (1951-52): 143-45, (Heb.)

van der Toorn, K., "Yahweh," in DDD, pp. 910-919.

Tov, E., Textual Criticism of the Hebrew Bibl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2.

Tropper, J., "Is Ugaritic a Canaanite Language?" in G. J. Brooke, A. H. W.


Curtis and J. Healey (eds.), Ugaritic and the Bible,
Münster: Ugarit-Verlag, 1994, pp. 343-353.

Vogt, E., "Regen in Fülle (Ps 68, 10-11)," Biblica 46 (1965): 359-361.

__________, "Die Wegen Gottes, zehntausendfach, Tausende sin'an (Ps 68,


18)," Biblica 46 (1965): 460-463.

- 114 -
__________, "Die Himmel troffen (Ps 68, 9)?," Biblica 46 (1965): 207-209.

Watson, W. G. E., Classical Hebrew Poetry,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5.

Wyatt, N., Religious Texts from Ugarit, London: Sheffield Academic Press,
2002.

- 115 -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Psalm 68 and Ugaritic Literature

Kim, Jae Hwan

Departmen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xt of the Psalm 68, and to recount

its thoughts. Since the text in its present form shows a number of difficulties that

can't be easily solved, using Ugaritic Literature is a good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t can be justified to compare Biblical Text to Ugaritic Literature, on the

grounds that both Hebrew and Ugaritic linguistically belong to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 family, culturally belong to Canaanite cultural sphere and geographically these

two regions are closer than any other regions in the Near East.

Psalm 68 has following difficulties: First, there are a number of hapax legomena and

words whose morphologies deviate from that of the standard Hebrew grammar. Second,
even if these words are successfully construed, a consistent theme seems to lack.

For these reasons, there is an extreme view that this Psalm is not a consistent unity

which has a thematic homogeneousness, but a catalogue which was compiled to just
collect incipit of many independent poems. Two tasks to be done emerge: The first is

to elucidate morphologically difficult words and syntactically difficult sentences and the

second is to unfold the theme around which the elucidated text revolves. Comparison

- 116 -
to Ugaritic Literature was done particularly in the first task.

Many Ugaritic words are included in the text. Knowing this fact can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Hebrew words, which can't

be understood, can be either explained or emended to other words that can be well

understood with the help of Ugaritic Literature. For example, a hapax legomenon ‫שנאן‬
can be emended to ‫ שנן‬whose meaning is 'archer' by the comparison to the Ugaritic

word ṯnn and this meaning accords well with the context of the whole psalm. Second,

expressions, not well conceived before the discovery of Ugaritic Literature, can now be
understood much better. A case in point is the Hebrew expression 'the one who rides

the clouds'. After it was discovered that this expression was originally an epithet for

the Canaanite god Baal, that Hebrew expression could be more fully construed. Also,

it was known that the image of God, who defeats the chaos and lets the rain fall,

was the same as the image of the Canaanite god Baal. Third, there are word-pairs

shared by both Hebrew and Ugaritic. For example, a Hebrew word-pair ‫ חרוץ‬and ‫סף‬

‫כ‬, the former of which is not used widely in Biblical Hebrew is also present in

Ugaritic Literature. This, however,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this Psalm is a

borrowing from Ugaritic Literature.

The theme around which the text revolves is elucidated. In war, God appears,

defeats the enemies and provides His people with the place to live in. Then, the

people praises God and the victorious God proceeds to the His eternal abode at Zion.
Thus, the text reveals smooth and continuous flow of a consistent theme.

This psalm belongs to the genre of Hymn. Though some factors existing other than

those of Hymn, the aspect of Hymn is the most prominent.


The historical event, which the text describes, can't be known. It is thought that this

is not a description of a particular historical event but a general situation of war and

victory that can happen at any time. 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text was fixed is probably the divided monarch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Hezekiah or Josaiah, under whose reign pious Yahwism revived. Well-known form of

- 117 -
Hymn and well-known contents of Canaanite myths were adopted to propagate Yahweh

among the people. Clear trait of early Hebrew is probably either the product of

archaism with the aim of stressing that the God Yahweh is in fact a long-existed God

or the reflection of the tradition which existed before the fixation of the text.

The theological themes aroused by the text are the victory of Yahweh against the
gods of Canaan and the justice of God who cares the weak.

Key words : Psalm, Hebrew, Semitic Language, Ugarit, Ugaritic, Hymn, Theophany

- 11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