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학 시험정리 (1장-3장)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 건축구조학 시험 정리 – 3학년 2학기 1차 >

-1장-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PSC)
1. 정의
- 외부하중이 가해지기 이전에 미리 부재내에 응력을 가해 긴장시킴으로써
외부하중에 의해 생기는 인장응력의 일부를 없앤 콘크리트
2. 장단점
- RC보에 비해 복부의 폭을 얇게할 수 있어 자중이 줄어듦
- 과다한 하중의 일시적인 작용으로 균열이 발생해도 하중을 제거하면 다시 복원되므로
RC보에 비해 탄성적, 복원성이 높음
- 전단면을 유효하게 이용, 시공성이 좋음
- RC보에 비해 강성이 작아 변형이 크고, 진동하기 쉬움
- 부속 재료 및 그라우팅의 비용 등 공사비가 증가됨
- 공사가 복잡해 고도의 기술 필요

● 합성구조(Composite)와 복합구조(Hybrid Structure)


1. 합성구조
- 동일한 부재에 성질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구조
- 한 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두 재료가 나누어서 받음
- SRC, CSFT 등이 있다.
*합성구조 장단점
- 건축적으로 기둥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 고층 건물에 적합
- 지진에 대한 연성도가 높고, 내화성능이 큼 -> 전체적으로 내력 및 강성을 증가시킴
- 완전한 합성작용을 위해서는 부재간의 미끄러짐이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력 확보 요구
2. 복합구조
- 각각의 부재에 그 부재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
- 부재에 따라 재료가 달라짐

● 조립식 구조 (PC, Precast concrete structure)


1. 정의
- 공장에서 미리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고 양생하여 기성제품화 하여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도록 한 콘크리트

● 부분 조립식구조 (Half PC)


1. 정의
- 기존 PC자재의 절반 이하의 두께로 PC를 제작하여 운송한 뒤,
현장에서 잔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

● 틸트업 구조

- 1 -
1. 정의
- 수평으로 지상에서 제작한 큰 벽체나 뼈대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 건축하는 공법
-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조립식 공법임

● 재료에 따른 건축구조 분류시 각 종류의 정의 및 장단점


->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목구조, 철콘, 철골, 철골철콘구조
1. 벽돌 구조
- 하중을 받는 벽, 내력벽을 벽돌로 쌓아 만든 구조로
슬래브와 지붕은 목재, 철골조,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한다.
- 내구적이며 외관이 장중하고 미려함, 구조 및 시공법 간단
- 풍압력, 지진력 등 횡력에 약하며 자중이 크고, 목구조에 비해 실내 면적 줄어듦
2. 블록 구조
- 블록과 모르타르로 내력벽을 쌓아 구성하는 구조로
조적식 블록조 외에 블록 내부 공간에 철근과 모르타르로 보강한
보강블록조, 거푸집 블록조 등으로 분류한다.
- 공사비가 저렴하며 방화에 강한 장점
- 횡력에 약하며 균열이 발생하기 쉬움
3. 돌구조
- 하중을 부담하는 벽체 또는 기둥을 석재로 구성하는 구조.
슬래브는 목재나 철재,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다.
- 외관이 장중하고 아름다우며, 내구 내화 방서 방한에 강함
- 재료와 공사비가 비싸며 시공이 까다로워 공기가 길다. 횡력에 약함
4. 목구조
- 목재를 접합, 연결하여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조로, 목재의 규격, 크기, 시공방법 등에
따라 통나무 주택, 기둥-보 주택, 중목구조, 경량 목구조 주택 등으로 분류함.
- 시공이 쉬워 공기가 짧으며 외관이 아름답다.
-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내구력이 약하다.
5. 철근콘크리트 구조 (RC)
- 거푸집 속에 철근을 조립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한 것
- psc, pc, half pc, tilt up이 있다.
- 구조의 일체화로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며, 내구성 내화성 차음성능 등이 우수하다.
- 부재의 단면과 중량이 철골조에 비해 크며, 복잡한 디자인의 구현이 다소 어렵다.
6. 철골구조 (SC)
- 철로된 부재(형강,강판)를 짜맞추어 만든 구조로 부재 접합에는 용접, 리벳, 볼트를 사용
- 라멘구조, 트러스 구조, 현수구조, 강관 구조 등이 있음
- 공장가공이 많아 정밀도가 높으며, 재료의 품질 확보가 용이함.
- 구조체의 자중이 내력에 비해 작아 고층건물에 적합
- 열에 약해 내화성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녹슬기 쉬우므로 녹막 처리가 필수적임
7.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SRC)
- 내화,내구,내진 성능을 위해 철골조와 철근콘크리트조를 함께 사용하는 구조.
- 복합구조, 합성구조 등이 있음

- 2 -
- 합성구조 : 동일한 부재에 성질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구조
ex) SRC
- 복합구조 : 각 부재에 이질의 재료를 사용
- 각 부재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강도가 높아짐,
건축적으로 기둥 크기를 줄여야 하는 고층건물에 적합
- 완전한 작용을 위해선 부재간의 미끄러짐,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력 확보 필요
- 서로 다른 구조방식의 결합으로 시공이 까다로워질 수 있음

- 3 -
-2장-

● 기초의 종류 (지정 및 기초판 형태에 따른 분류)

● 지반 조사(보링) 간격 – 수평간격, 조사깊이, 지반조사의 목적

● 지반조사 방법 및 특징 (장단점)

● 지반 및 말뚝의 지지력 평가 방법

● 지반 개량 방법 및 특징

-------------------------------------------------------

● 기초파기 공법 종류 및 특징 (장단점)

● 흙막이 벽 공법 종류 및 특징 (장단점)

● 지정의 종류 및 특징 (특히 말뚝,피어)

● 부등침하 원인 및 대책

● 언더피닝

● RCD (Reverse Circulation Drill method)

● SWC (Soil Cement Wall)

- 4 -
-3장-

● 벽돌 마름질

● 벽돌쌓기 종류 및 특징

● 벽돌구조의 벽체 높이, 두께, 개구부

● 공간쌓기

● 백화현상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