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3

https://doi.org/10.35822/JCLLT.2022.01.50.

299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朴奎貞 *
1)

目次
1. 서론
2. 중국-티베트어족
3. 결론
4. 중국-티베트어족 외의 언어와의 관계

국문제요
본 논문은 로버트 섀퍼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에 대한 번역이다.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는 코노우나 마스페로 등이 제시한 분류법을
비판하고, 6개의 어군으로 나누는 세세한 분류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4장으로 나뉜다. 1장은 ‘서론’으로 기존 분류법의 부족한 점과 필자의
분류 방법을 서술하였다. 2장은 ‘중국-티베트어족’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제언어에 대
한 분류 결과이다. 3장은 ‘결론’으로 2장의 ‘분류’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4장은 ‘중국-
티베트어족 밖의 언어와의 관계’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고 있다.

중심어: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로버트 섀퍼, 중국-티베트어족,


분류, 비교언어학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강사

www.dbpia.co.kr
300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1. 서론1)
현재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이 동쪽의 “중국-시암”어군와 서쪽의 “티베
트-버마”어군2)으로 나뉘는 것으로 많이 오해를 하고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영
역에서 활동하는 유명한 두 명의 학자가 그들의 학문 분야에서 다뤄야 할 언어들
을 거의 무시한 데서 비롯된 결과이다.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 및 방언 중 약 300여 개가 기록이 되면서, 작
업의 분화가 기록 과정 중에 자연스레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는 다분히 지리적인
경계를 따라 발생하였다. 동남아시아에는 메콩강, 살윈강, 이라와디강, 친드윈강
과 같은 거대한 물줄기가 대개 남쪽으로 흐르고 있으며, 그 사이에 놓인 능선에
펼쳐진 계절풍림, 남쪽으로 뻗어 있는 말레이반도, 그리고 프랑스의 지배 하에 있
는 인도차이나와 영국이 지배하고 있는 버마와 인도 사이의 정치적인 차이로 인하
여 교류가 방해를 받았기 때문에, 태평양을 향하고 있는 지역과 인도양을 향하고

1) [역주] 원문에서는 장/절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번역 과정에서 추가하였다.


2) [원주] 코노우는 다이어와 중국어가 “발화의 형태에 있어 티베트-버마 어군과는 완전
히 다른 어족을 형성한다”(Linguistic Survey of India, 3[1909], p.1)라고 경솔
하게 주장한 바가 있다. 물론 그가 말한 어족(family)는 어군(sub-family)를 의미하
는 것이었으나, 브리타니카 백과사전(Encyclopedia Britanica)의 마지막 판에서 어
족 내의 어군을 불합리적으로 나누는 일을 다시 반복하게 되는데, 바로 “티베트 버마
어군”과 “시암-중국어 어군”를 언급한 것이다. (1953, v.22, p.187, and v.20,
p.596a)
암브리고 발리니와 카를로 타글리아비니는 어군들에 대하여 정확히 언급하기는 하였
으나 이는 코노우의 “중국-시암어”와 “티베트-버마어”와 동일하다. (Enciclopedia
Italiana, v.19, pp.46 and 19) U.T.E.H.A 백과사전(Dicci)에서는 “티베트-버마
어”와 “시암-중국어”를 족에종 잘못 용 모
적 하기도 하였다. 이는 두 명백히 코노우의
Linguistic Survey of India를 따른 것이다.
~ 탈
[역주] 암브리고 발리니(Ambrigo Ballini), 1879.07.19 1950.03.20, 이 리아,
인도학자.
~ 탈
카를로 타글리아비니(Carlo Tagliavini), 1903.06.18 1982.05.31, 이 리아, 언
어학자.
‘ ’표
* 이하에서는 원주와 역주가 같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원주] 시를 생 한다. 략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01


있는 지역으로의 인 이 나뉘는 경향을 보였다.
앙리 마스페로3)는 수
“시암-중국어”의 구분을 고 한 마지막 대학자이며, 이는 하
노이의 극동학원(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에서 행한 연구의 산물이
다. 그는 중국어와 다이(타이)어 에 관한 뛰어난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만약
4)

어떤 사람이 두 개의 언어를 안다면, 그는 두 언어가 서로 연관이 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보여주는 유사점에 대하여 기록하려 할 것이다. 마스페로는 다이어와 이 5)

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형식 사이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고


기록하였는데, 이는 그가 이 두 언어가 유전적으로 가깝다고 결론을 내리기에 충
분할 정도였다. 그렇지만, 마스페로는 비록 인도의 영국인들로부터 후원을 받아
“티베트-버마어”에 대하여 공부한 적은 있으나 사실상 이에 대해 정통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연스레 그는 그러한 언어들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의 성과에 의지
하여 “티베트-버마어”를 어군으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인도의 영국 (식민)정부는 주로 이란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노르웨
이 학자인 스텐 코노우 를 고용하여, Linguistic Survey of India를 편찬하는
6)

과정에서 비아리안계 언어를 맡도록 하였다. 코노우는 많은 비아리안계 언어 및


방언의 실증자료에 대한 문법적인 분석을 하는데 매달리다시피 하였기 때문에, 다
른 것에는 거의 관여할 수가 없었다. 코노우는 Linguistic Survey of India에
7)

서 중국어와 다이어에 대해서는 거의 관여하지 않은데다가, 아마추어들이 보기에


도 유사한 점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중국어와 다이어의 수사가 긴밀하게 대응을 하


3) [역주] 리 마스페로(Henri P. G. Maspero), 1883.12.15~1945.03.17, 프랑
스, 중국학자.
‘ ’ 북
4) [역주] 여기에서 말하는 다이(타이)어 는 중국남부, 베트남 부, 라오스, 태국, 버마
북 걸 용
부에 쳐 사 되는 언어(본문 2장 2절 참조)를 가리 키므 특
로, 정 국가의 언어로
이해 될수 ‘ ’ 용 용
있는 태국어 라는 어를 사 하지 않았다.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5) 20년이나 지났음에도 고대 일본어의 wata(海, 바다)와 영어의 water가 매우 유사하
다는 것이 필자의 기억 속에 여전히 남아있지만, 필자는 두 언어 사이에 어떠한 친소
관계가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텐 코노우(Sten Konow), 1867.04.17~1948.06.29, 노르웨이, 인도학자.
6) [역주] 스
7) 이는 필자가 코노우와 개인적으로 교류하는 가운데 얻은 정보이다.

www.dbpia.co.kr
302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였기 때문에, 그가 잘 알지 못했던 이러한 언어들을 “중국-시암어”로 분할한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란어를 연구하던 코노우는 인도-유럽어족의 연구에 통용되던 비교 문
법적 관점, 즉 언어의 유전적 관계를 나누는데 있어 형태론적 요소를 기준으로 삼
는 것에 입각하여 중국-티베트어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런데, 중국-티베
트어족의 언어 중에서 중국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는 (학자들이 생각하는) 형태론
적 요소가 거의 없었다. 코노우는 어순을 형태론적 요소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했
기 때문에, 대신 이를 분류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전혀 다른 학문 영역에서 활약하였고 다른 언어에 대해서는 거의 알
지 못했던 학자 코노우는 문장 내에서 단어의 위치에 의거하여 (중국-티베트어족)
에 대한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티베트-버마 어군에서는 주어-목적어
-동사의 순서로 단어를 배열하지만, 중국어와 다이어에서는 주어-동사-목적어의
순서를 가진다”고 기술하였다. 8)

발화의 일부분이 위치를 이동하는 것, 즉 한쪽에서는 목적어가 동사에 선행하고


다른 쪽에서는 동사를 따라간다는 점이라 할 수 있는데,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자가 어순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티베트어족에 대하여 분류를 진행하
였다고 기술했다는 것이 그저 놀라울 뿐이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독
일어를 처음 배울 시에 독일어 동사의 전이에 어려움을 느끼는가에 대해서는, 두
말하면 잔소리다. 그러나 어느 누가 영어와 독일어를 문장 내의 동사 위치가 다름
으로 인하여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다른 어군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을 과연
할 수 있겠는가?
만약 중국-티베트어족의 제언어에 인도-유럽어족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형태론적
요소와 유사한 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언어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형태론적 대응관계를 주요한 기준으로 삼을 수 없음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
이지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한다.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허
사”에 관한 개념에 매우 익숙할 것인데, 이론적으로 이는 (“실사”가) 구체적인 의

8) Encyclopedia Britanica, 11th ed.(1911), v.26, p.929.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03

미를 잃어버리고 불변화사로서 쓰이게 된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많은 “허사”의 정


확한 사용 양상에 대하여 중국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중국-티베트어족 제언어의 “허사”에 관한 특기할 만한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허사 중에서 일부는 “실사”와 동일한 음성적 발
전 과정을 따라가며, 이러한 현상이 중국-티베트어군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발견되
기 때문에, 필자의 연구에 중국-티베트어족 제언어의 음성적 발전과 관련한 여러
가지 사항을 포함시켜 놓았는데, 이는 중국-티베트어족이 모두 가지고 있다고도
할 수 있는 형태론적 요소와 연관된 증거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만약 어떤 그
룹이 다른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명사나 의문사와 같은 형
태론적 요소를 전혀 혹은 거의 가지지 못한다면, 우리는 친소 관계를 정하는 데
있어 매우 회의적일 수밖에 없을 것, 즉 같은 어족에 속한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인도-유럽어족과 연관된 비교 문법이 형태론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비교 문법의 많은 부분은 음성적인 동일성을 다루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노
우나 마스페로 모두 그러한 동일성에 대하여 다루지 않은 채, 그저 “닮았다”는 정
도에서 비교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는 잘못된 부분이 매우 많다. 필자가 행한 중
국-티베트어족 관련 연구에는 그러한 동일성을 다루는 부분이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 명사, 수사, 신체의 일부, 동사, 형용사, 형태론적 요소 등이 고려되
9)

었으며, 의미론적으로 명확히 차이를 보이는 유사쌍은 제외되었다.


현재까지 연구에 기록된 유사쌍의 수는 보드어 와 중국어 사이에 216개,
10) 11)

O
9) Shafer의 “East Himalayish”(Bull Sch. r. Afr. St. 15 (1953), 357n.)와
Nw
“ e ari and Sino-Tibetan,”(Studia Linguistca (Lund, 1952), 92, n.1 and
참조
93, n.3, par.2 ff)을 하기 바 다. 란
V O
10) [원주] “The ocalism of Sino-Tibetan,” Journ. Amer. r. Soc. 60 (1940),
; ; P P
302-337 61(1941), 18-31 “ roblems in Sino-Tibetan honetics” JA S O
; O
64 (1944), 137-143 “The Initials of Sino-Tibetan” JA S 70 (1950),
96-103. (원주)
모 R 신 표
[역주] 이는 두 . Shafer 자 이 발 한 논문이다.
보 보
11) 여기에서의 드어(Bodish)는 고대 드어(고전 티베트어) 및 그와 연관된 언어를
말하며, 이에 대한 정의는 아 를 래 참조 란
하기 바 다.

www.dbpia.co.kr
304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보드어와 버마어 사이에 191개, 중국어와 다이어 사이에 122개, 버마어와 중국


어 사이에 101개, 보드어와 다이어 사이에 63개, 버마어와 다이어 사이에 38개
이다. 물론 이것이 최종적인 수치는 아닐 것이나, 관련된 수치가 위에 기록된 것
과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 믿을 이유도 없다.
만약 우리가 처음의 두 수치를 가져와 보면, 216개의 유사쌍이 보드어와 중국
어 사이에 존재하며 191개의 유사쌍이 보드어와 버마어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는
보드어가 친소관계에 있어 버마어보다는 중국어에 더 가깝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
자의 이국적인 모습에 이끌려 중국어가 동떨어져 있다고 여기지 않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결론이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리 놀라운
것이 아니다. 비록 티베트에서 버마까지의 거리가 중국보다는 어느 정도 가까운
것은 사실이나, 라싸에서 만달레이에 이르는 가장 가까운 길을 지나기 위해서는
히말라야 및 인도와 버마의 국경에 있는 험준한 산악지대를 넘어야 하고 브라마푸
라 및 이라와디로 불리는 두 개의 거대한 강을 건너야 한다. 또한 우리는 역사적
으로도 중국과 티베트 사이에는 수 세기 동안 교류가 있었으나 티베트와 버마 사
이에는 그러한 교류가 없었음을 안다.
우리가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이, 중국어와 보드어 사이에는 216개의 유사쌍이
존재하는 반면에, 중국어와 다이어 사이에는 유사쌍이 122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즉, 중국어가 다이어보다 보드어에 훨씬 가까운 것이다. 사실, 필자
가 20여 년 전부터 중국-티베트어족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 이래로, 비록 다이어
가 (다른?) 중국-티베트어족의 제언어와 연관이 있다고 하더라도 친소관계는 멀
것이라 줄곧 생각해왔다. 베네딕트 가 다이어와 중국-티베트어족의 친족관계
12) 13)

년 ?
12) 1938 에 필자는 다이어와 (기타 ) 중국-티베트어족 제언어의 일반 명사에서 정확한
음 응
성적 및 의미적 대 관계가 결여된 단어, 즉 신체 천체 련
의 일부, 관 명사, 대명사
목 준
등의 록을 비하여, 마스페로에게 다이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득 키 력 소
시 고자 노 하였다. 마스페로는 중국어와 다이어 사이에 친 관계가 존재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필자는 이에 마스페로와 . 프의 자 를 K 울 료 더욱 깊 이 연구하였
울 긴 련 음
고, 여기에 프가 남 일 의 어말 (finals) 연구에 존재하는 백을 메공 울수 있는
거의 두 배에 가 까운 만 료 러
필자 의 자 를 추가하였다. 이 한 중국어와 다이어 사이의
V 후 상
비교를 “The ocalism of Sino-tibetan”에 기술해 놓았으나, 차 의 연구에서는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05

에 대하여 의심하고 있을 때, 그는 단지 필자가 발 하지 않았 표 던 관점과 자료의


일부분을 역 적이게도 설충분히 반복하고 확장했던 것에 지나지 않았다.
베네딕트는 마스페로, 울프 , 필자가 제시한 다이어와 “다른” 중국-티베트어족
14)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약 200개의 유사쌍을 기본이 될 수 없다고 취급하여 무시


해버렸고, 오히려 그가 발견한 다이어와 인도네시아어 사이에 존재하는 30개의
유사쌍(“논”, “문”과 같은 문화적 색채가 강한 단어들을 포함한다)을 기본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좀 더 최근에는 앙드레 G. 오드리쿠르 가 다어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
15)

하였다. “중국어에 가까운 통용어는 숫자의 명칭, 군사기술(말, 안장, 코끼리, 멍


에 ), 공예기술(베틀, 노동자, 종이), 즉 차용된 문명 관련 어휘이다. 이에 반해
16)

신체 부위의 명칭과 농업 용어는 중국어와 대응하는 어휘가 없다.” 오드리쿠르 17)

는 다이어의 관계에 대해 북쪽으로는 Man-Yao 언어, 남쪽으로는 Annamese-


Muong 언어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오드리쿠르는 후자와 관련된 분야
호연관성에 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필자는 마스페로와 이야기를 나누고 논문을 발표한 후 유럽으로 떠나기 전에 다이어
와 중국-티베트어족 간의 친소관계에 대한 회의감을 논한 바가 있다. 그래서 필자가
중국어와 다이어로 구성된 동쪽 지역과 이와 반대 지역의 티베트-버마어로 설정한 마
스페로 및 울프의 의견을 따랐다는 베네딕트의 주장에는 근거가 없는 것이다.
(Benedict “Thai, Kadai, and Indonesian,” American Anthropologist 44
(1942), 558)
13) [역주] 폴 킹 네딕트(Paul K. Benedict), 1912.07.05~1997.07.21, 미국, 인

류학자/언어학자.
14) [역주] 커트 울프(Kurt Wulff), 1881.09.04~1939.05.04, 덴마크, 동양학자/언어
학자.
15) [역주] 드레앙 조
르주 오드리 르(André 쿠 G. Haudricourt), 1911.01.17.~
1996.08.20, 프랑스, 인류학자/언어학자.
‘j ’ j
16) [역주] 원문에는 ouget 로 되어 있는데, 이는 ouguet( 에)의 오기로 사 된다. 멍 료
17) [원주] “Les phonèmes et le vocabulaire du thai commun,” (Journal
q
Asiati ue (1948), 235 ff).
[역주] 이는 A. Haudricourt가 발 한 논문이다. 표

www.dbpia.co.kr
306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이어가 이 한 언어들과 연관이 있다고
제시하고 싶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관계된 모든 언어에 대해 어휘 및 형태론적으
로 유사한 점을 조사한 후에, 다시 그러한 유사한 점의 음성적인 상황을 평가한다
면, 우리는 다이어와 같이 의심스러운 그룹들에 대하여 마침내 친소관계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우리는 오드리쿠르가 제시한 다이어 내의 중국어 차용어에 관한 관점을
조사도 하지 않고 무시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버마어의 k‘ye, 시암어 및 라오어의
k‘ī “dung”, 또는 라오어의 hnū, 루세이어의 hnu- “breast” 사이에는 정확히
18)

음성적으로 대응관계가 형성되는데, 이는 문명과 관계된 단어들이 차용된 것이라


고 여길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유사한 유형의 유사쌍이 너무 많기 때문에 바로
무시할 수도 없다. 그래서 필자는 다이어와 “기타” 중국-티베트어족 언어 간에 존
재하는 상당한 수의 유사쌍을 고려하여 다이어를 중국-티베트어족에 포함시키고자
하는데, 여기에서 제시한 증거를 결론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반박하는 증거를 찾
아내는 도전으로 받아들여 주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다이어는 통계적으로 중국-티베트어족 내
의 다른 어떤 언어보다 중국어에 가까우나, 중국어는 다이어와 가장 가까운 것이
아니라 보드어와 가장 가깝다. 그러므로 우리는 티베트-버마어군과 대립하는 중국
-다이어군을 버려야 하며, 아래와 같이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을 설정해야
한다: 중국어군, 다이어군, 보드어군, 버마어군, 바락어군, 카렌어군. 그리고 19)

각 어군에 포함되는 언어들 중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것들은 아래에서 서술할 것이


다.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300여 개의 언어와 방언에 대한 연구 자료들이 현
재까지 발표되었는데, 그중 대부분은 학자들에게도 생소하다. 이에, 독자들에게
중요도에 따른 내림차순 방식의 명명법 체계를 도입하여 어족 내에서의 상대적인

V 상 보 각각
18) “ ocalism”(( 기의 n.4를 라), Table 4, no.18 및 Table 6, no.26)에 기
쌍 위
록이 되어 있다. 그리고 유사한 속성을 가진 유사 이 에서 언급된 논문에서 발 견
된다.
19) 필자는 둘혹 상
은 그 이 의 어군을 Sino-Daic, Tibeto-Baric, Tibeto-Burmic 등으
로 시한다.표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07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며, 어족 내에서 그룹의 등급을


내리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어족(Sino-Tibetan과 같이 ‘-an’으로 끝남), 어군(Sino-Tibetan과 같이 ‘-an’
으로 끝남), 어구(語區, Bodish와 같이 ‘-ish’으로 끝남), 어지(語枝, 특별한 어
미는 없음), 어단(語單, 특별한 어미는 없음). 20)

어떤 언어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


람들과 외부인들이 각각 다른 이름을 부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명의 철자가
다른 경우도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시암어에서는 Dai(단, Thai로 발음함)라고
표기하지만 같은 어군 내의 다른 언어에서는 Tai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유럽에서
는 철로도를 제작할 시에 해당 국가의 언어로 명칭을 붙이는 것이 오랜 기간 관습
처럼 굳어져 왔으므로, 학자들도 학계에서는 표준을 제시하면서도 동시에 현지인
들에 대해서도 존중을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는 이웃 민족에 의해 명명된
언어명을 버리고 현지인들의 명명법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Aka를
Hruso로, Miri를 Mising으로, Digaro를 Taying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필자는
언어명을 표기할 시에 현지인들이 사용하던 이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 활자로
표기된 명칭이 있는 경우에는 구어보다는 그것을 기준으로 삼았으므로, 보드어 방
언의 표기 시에 구어인 Hloke 보다는 Lhoskad를, Ü 보다는 Dbus를 선택하였다.

2. 중국-티베트어족
2.1 Sinitic Division (중국어군) [중국]

MANDARIN Section 21)(관화어구, 官话) [중국 북부 및 서부]


용 땅
20) [역주] Shafer가 사 한 분류법에 대한 마 한 역어가 존재하지 않아, division(분
파 위 래 용 ‘ ’ ‘
과), section(구역), branch(지 ), unit(단 )의 원 의미를 차 하여 어군 , 어
’‘ ’‘ ’
구 , 어지 , 어단 으로 번역하였다.
21) [원주] 기록된 중국어 방언 중의 일부분에 대해서는 Bernard Karlgren의 “Études

www.dbpia.co.kr
308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WU Section(우어구, 吴语): Shanghai(상하이, 上海), Ningpo(닝보, 宁波),


Wenchow (원저우, 温州).
S. ANHWEI.(안후이 남부,安徽)
MIN Section(민어구, 闽语) [중국 동남 해안]: Foochow(푸저우, 福州),
Amoy(샤먼, 厦门), Swatow(산터우, 汕头).
HUNAN.(후난, 湖南)
YUE Section(웨어구, 粤语): Canton(광저우), Kiangsi(장시, 江西),
Hakka(커자, 客家)

2.2 Daic Division22) (다이어군) [중국 서부, 통킹, 라오스 왕국, 시암,
버마 Shan주]23)

O
S UTH(남부): Siamese(시암어), Lao(라오어)

’ O
Sur la phonologie chinoise,” (Arichives d Études rientales 15 (1915),
pp.230-1)를 참조 란 K
하기 바 다. 여기에 제시된 중국어 방언은 기본적으로 arlgren
랐 Y R 赵元任 수 안
의 분류법을 따 으나, 일부분에 대해서는 uen enn Chao( )의 정 을
수용 P 년 념 참조 란
하였다. 방언 지도는 Shun ao 60주 기 논문을 하기 바 다.
칭 모 ‘웨 W G 식’ 닌
[역주] 여기서의 중국어 방언명 은 두 이드ㆍ자일스( ade- iles) 방 이 아
‘ ’표 랐 예 M F w 웨
영어 기법을 따 다. 를 들어, in Section의 oocho 를 이드ㆍ자일스 방
식 표 ‘F ’ 표 당 汉
으로 기하면 uchou 가 된다. 그리고 Shafer가 본 논문을 발 할 시에는
语 音
拼 이 존재하지 않았다.
칼 렌 K ~ 웨덴
베른하르트 그 (Bernard arlgren), 1889.10.15 1978.10.20, 스 , 중국
학자/언어학자.
22) 마스페로가 분류 시에 이 하였 용 던음 변
성적 화를 제외하면, 다이어군의 제언어에서는

다른 점이 그다지 이지 않는다. (마스페로의 분류에 대해서는 다 을 음 참조
하기 바
란 q
다. “Contribution a letude du systeme phoneti ue des langues thai,”
F x O
Bull. Ec. r. E t.- r. 11 (1911), 158, n.1.) 필자는 마스페로가 Tai oir와 N

Ahom를 중간에 놓았다고 생 한다. 그리고 Hainan 지역의 많은 언어와 방언에서
상당 휘
한 부분의 어 를 다이어에서 차 한 것으로 사 된다.용 료
‘크 K 각 참조
[역주] Shafer의 다이어군은 현재 라다이어족( ra-Dai) 에 속한다. ( 주11 ’ )
23) [역주] Tonkin은 베트남 북부, Siam은 태국, Burma는 미얀마를 가리킨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09

NORTH(북부): Tai Noir(블랙 다이어), Tai Blanc(화이트 다이어), Tho


(토어), Dioi(디오이어), Ahom(아홈어). 24)

NORTHWEST(북서부): Shan(샨어), Khamti(캄티어)


2.3 Bodic Division (보드어군)

O 보
B DISH Section( 드어구)

Bodish Branch25)( 드어지)
West Bodish Unit(서부 보드어단) [카슈미르] : Sbalti(발티어,
26)

Balti); Burig(부리그어); Ladwags(라드와그스어, Ladakhi): Sam(삼),


Leh(레), Rong(롱) ; Lahul(라훌어).
27)

Central Bodish Unit(중부 보드어단) [티베트 남부, 인도 북부 , 네 28)

팔 , 부탄]: Lhoskad(로스카드어), (Lhoke)(로케어), Sarpa(사르파어),


29)

Kagate(카가테어), Garhwal(가하발어), Spiti(스피티어), Mnyamskad(냠스카


드어, Nyamkat), Dzad(자드어), Gtsang(창어), Dbus(웃어, Ü) : Lhasa
30)

(라사), Sikkim(시킴), Aba(아바, Batang), Choni(초니), Tseku(체쿠),


Dartsemdo(다르체도, Tatsienlu), Nganshuenkuan (안쉔콴), Sotati-po(소타

24) [역주] Ahom은 사어이고, Dioi는 불명이다.


25) 옛 모습이 캄 방언에 걸쳐 뚜렷해짐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방언에서의 음성적 약화
현상이 아쉔콴 방언 지역에 걸쳐 서에서 동으로 진행된다.
26) [역주] 카슈미르(Kashmir) 및 인도 히마찰프라데시(Himachal Pradesh State) 일
대를 포함한다.
27) 지리적으로 히말라야에 위치하는 지역명과 쿠키어구(Kukish Section) 내의 북부-나
가어지에 속하는 언어명을 혼돈하지 않도록 한다.
28) [역주] 인도 히마찰프라데시 일대를 포함한다.
29) [역주] 네팔의 라메찹(Ramechhap District) 일대를 포함한다.
30) [역주] Gtsang, Dbus은 티베트 문자로 각각 གཙང་과 དབུས་로 표기하는데, Gtsang의 전
접자 ག(g)는 묵음이며 Dbus의 전접자 ད(d)는 བུ (bu)와 합하여 wu로 발음된다.
Garhwal의 경우, Shafer에 의하여 중국-티베트어족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인도
-유럽어족으로 분류되어 있다.

www.dbpia.co.kr
310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포 Paurong(파우롱), Dru(루), Panakha(파나카), Panags (파나그스),


티 ),
Nyarong(냐롱), Ngamdo(암도, Amdo), Khams(캄스). 31)

South Bodish Unit (남부 보드어단) [시킴]


32)

Groma(로마어, Tromowa): Upper, Lower 33)

Sikkimese(시킴어) 34)

Dandzongka(단종카어)
East Bodish Unit(동부 보드어단): Dwags(드와그어, Takpa)
Tsangla Branch(창라어지)
Rgyarong Branch(갸롱어지)
Rgyarong(갸롱어): Pati(파티), Wassu(와쑤).
Gurung Branch(구룽어지) [네팔 중부] : Gurung(구룽어), Murmi(무
35)

르미어), Thaksya(탁샤어)
West HIMALAYISH Section(서부 히말라야어구) [대부분 히말라야 서부에
산재함]. 36)

31) [원주] 폰 호 R 뉴
로스트 른(von osthorn)이 언급한 한 (Hanniu) 역시 중부 티베트어
단에 속하지 , 만 랴롱
방언은 아니다.
[역주] 아르 투폰 호 R
로스트 른(Arthur von osthorn), 1862.04.14 1945.12.17, ~
오스트리아, 외교관/중국학자.
32) -r-이 -y-로 변하는 것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대부분의 버마어와 일맥상통
한다.
G
33) [역주] roma는 현재의 중국 시장자치구 야 현( 둥 亞東縣 근 용
) 인 에서 사 되는 언어이

다. 야 현은 지형 상 ‘북저 ’
남고 의 형태를 는데, 문제는 필자가 띠 Upper과 밝힌
w 준 위
Lo er의 기 이 도인지 고도인지가 분명하지 않다는 점이다.
34) [원주] 중부 보드어의 Sikkim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역주] Sikkimese(འབྲས་ལྗོངས་སྐད)는 인도의 시킴(Sikkim State), 네팔 제1주(Province
No.1)의 메치(Mechi Zone) 일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35) [역주] 네팔 간다키(Gandaki Province), 인도 시킴(Sikkim State) 일대를 포함한다.
36) [역주] 인도 히마찰프라데시(Himachal Pradesh State) 및 우타락한드
(Uttarakhand State), 네팔 수두르파쉬침(Sudurpashchim Province) 및 바그마
티(Bagmati Province) 일대를 포함한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11

NNW Branch(북북서부 어지)



Bunan.(부 어)
Thebor(테보르어): Sumtsu( 숨츠), Zangram(장람어), 숭
Sungnam( 남
어), Kanam (카남), Lippa(리파). 37)

NW Branch(북서부 어지)
Kanauri(카나우리어): Upper, Lower, Tsitkhuli(칫쿨리어), Tukpa(툭파
어), Kanasi (카나시어).
Mantsati(만차티어), Tsamba Lahuli(참바 라훌리어), Rangloi(랑로이어).
Almora Branch(알모라어지)
Rangkas(랑카사스어), Darmiya(다르미야어).
Tsaudangsi(챠우당시어), Byansi(뱡시어)
Dzanggali Branch(장갈리어지)
Eastern Branch38)(동부어지): Thami(타미어), Bhramu(브라무어).
West Central HIMALAYISH Section(중서부 히말라야어구) [네팔 중 39)

부] : Vayu(바위어), Tsepang(체팡어), Magari(마가리어).


40)

East HIALAYISH Section (동부 히말라야어구) [네팔 동부] 41) 42)

Western Branch(서부 어지)


힝 w 순
Bahing(바 어), Sun ari( 와리어)43), Thulung( 투룽어), Tsaurasya(차
우라 어).샤
K
37) [역주] anam과 Lippa는 인도 히마 프라데시의 찰 키나우르(Kinnaur District)에
있는 지명이다.

38) 코노우가 분리하였 타미어와 브라무어를 하나로 었다. 비록 어 자 는 제한적 묶 휘 료
떤 보 닮
이나, 두 언어가 다른 어 언어들 다도 았기 때문에 서부 히말라야어에 속한다는
만 밝힐 수
것 은 있다.
설 못 탓
39) [원주] 이 어구의 정이 그다지 적절하지 한 에, 이에 속한 언어들이 다른 그 룹
보 깊
에 속하는 언어들 다는 이 연관되어 있다는 점 외에는 밝힐
것이 다. 이에 대해 없
서는 “Classification of Some Languages of the Himalayas,” (J. Bihar es. R
Soc. 36 (1950), 192ff)를 참조
하기를 바라며, 언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면 대 적 략

으로 다 과 같다.

www.dbpia.co.kr
312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Dumi Unit(두미어단))44): Dumi(두미어), Khaling(카링어), Rai(라이어).


Eastern Branch45)
Khambu Unit(캄부어단): Khambu(캄부어) , Natśhereng(나체렝어).
46)

Bontawa Unit(본타와어단): Rodong(로동어); Waling(와링어):


Rungtchenbung (룽첸붕어), Kiranti(키란티어), Dungmali(둥말리어);
Lambitshong(람비총어) ; Lohorong(로호롱어) ,
47) Limbu(림부어) ,
48) 49)

W.는 서부 히말라야어구를 의미하며, EW.는 동부 히말라야어구의 서부 어지를 뜻한다.


[역주] ‘원주’에 있는 논문은 Shafer 자신이 발표한 논문이다.
40) [역주] 네팔 바그마티, 네팔, 부탄 남부, 인도 시킴 및 웨스트 벵갈(West Bengal
State) 일대를 포함한다. 웨스트 벵갈의 경우, 북부의 다르질링(Darjeeling) 일대를
뜻한다.
41) 코노우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아야 할 언어들을 섞어 놓기도 하였고, 포함시켜야 할
것들을 생략하기도 하였다. 자세한 것은 필자의 “East Himalayish,” (Bull. Sch.
Or. Afr. St. 15 (1953), 356f)를 참조하기 바란다.
42) [역주] 네팔 제1주, 인도 시킴 및 웨스트 벵갈 일대를 포함한다. 웨스트 벵갈의 경우,
북부의 다르질링 및 칼림퐁(Kalimpong) 일대를 뜻한다.
43) 바힝어에 비하여 음성적으로 약화되었다.
44) 상당한 정도로 분화되었다.
45) 음성적으로는 버마어에 근접한다.
46) 쿠룽어와 상팡어는 다른 지역에서 기록된 같은 언어이다.
47) 칭탕어(Tsingtang)는 다른 지역에서 기록된 같은 언어이다.
48) 발랄리(Balali)어는 다른 지역에서 기록된 같은 언어이다.
49) 림부어와 야카어는 다른 동부 히말라야 제언어에서 다소 분화되었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13

Yakha(야카어).
어군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언어들은 보드어구나 버마어구의 어군에 속할
수 있으나, 확실히 바릭어구(Baric)에 속하지는 않는다. 50)

NEWARISH(네와리어) [네팔 중부] : Newari(네와리어), Pahri(파흐리어).


51)

DIGARISH(디가로어) [아삼 북동부 및 티베트에서 (이와 접경한) 지역] : 52)

Taying(타잉어, Digaro), Midu(미두어).


MIDŹUISH(미주어) [아삼 북동부와 접경하고 있는 티베트 지역]. 53)

HRUSISH(루소어) [아삼 북부]. 54)

Hruso(루소어, Aka): Dialect A , Dialect B.


55) 56)

DHIMALISH(디말어) [다르질링과 잘파이구리] : Dhimal(디말어), Toto


57)

룹 보
50) 이 그 에 속하는 언어에서는 드어구나 버마어구와 구 되는 자 을 발 하지 한 별 질 견 못
보 혹 후
것으로 이며, 이에 이들을 전자 은 자로 분류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존

재한다. 여기에서는 로베 Q &크 엔 레티 의 연구 “ 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Language 13 (1937), 83-103)에서 제시된 것과
칙 즉통 료
같은 원 , 수 없 만통
계 자 에 치중하여 분류작업을 진행할 밖에 지 , 계 자 에 료
련 예 M
치중한 분류와 관 해서는 메이 (A. eillet)가 비판을 가한 바가 있다.
알 루 크 K ~
[역주] 프레드 이스 로베(Alfred L. roeber), 1876.06.11 1960.10.05,
미국, 인류학자.
앙 안 예P M ~
트 메이 ( aul Jules Antoine eillet), 1866.11.11 1936.09.21, 프랑스,
언어학자.
51) [역주] 네팔 바그마티의 카트만두 계곡(Kathmandu Valley) 일대를 포함한다.
52) [역주]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Arunachal Pradesh State) 북동부, 중국 서장티베
트 자치구의 察隅县 일대를 포함한다.
53) [역주]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일대를 포함한다.
54) [역주]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의 웨스트 카멩(West Kameng District) 일대를 포함
한다.
55) 켐벨의 주장에 따르면, 옛 형태를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필자의
“Hruso,” (Bull Sch. Or. Afr. St. 12 (1947), 184-196)를 참조하기 바란다.
56) 루소어를 조사한 다른 3명의 연구자들은 음성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57) [역주] 인도 웨스트 벵갈의 다르질링 및 잘파이구리(Jalpaiguri District) 일대를 포
함한다.

www.dbpia.co.kr
314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토토어).
MISINGISH(미싱어) [아삼 북동부 및 티베트에서 (이와 접경한) 지역]. 58)

Mising(미싱어, Miri), Abor(아보르어).


Yano(야노어).
NYISING(니싱어, Dafla): E , C , Tagen(타겐어).
59) 60)

DZORGAISH(조르가이어, DZORGAIC?) [티베트 고원 북동부, 쓰촨, 간


61)

수]: Dzorgai(조르가이어), Kortse(코르체어), “Outer Mantse(외-만체어),”


Pingfang(핑팡어).

삼 루찰
58) [역주] 인도 아 (Assam State) 일대 및 아 나 프라데시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59) 니드햄과 해밀턴에 의하여 기록되었다.
[역주] Needham, J. F. Outline Grammar of the Shaíyâng Miri Language,
k M R N
as Spo en by the iris of that Clan esiding in the eighbourhood of
W P k V
Sadiya: ith Illustrative Sentences, hrase-boo and ocabulary, 1886.
R k
Hamilton, . C. An outline grammar of the Dafla language as spo en by
the tribes immediately south of the Apa Tanang country, 1900.
잭 프란시스 니드햄(Jack F. Needham), 1842~1924, 영국, 군인.
60) 로빈슨에 의하여 기록되었다.
[역주] Robinson, Wm. “Notes on the Dophla’s and peculiarities of their
language,” An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angal V.20 (1851),
126-137.

61) 이 그 은 적어도 쓰촨분지에서는 상당 늘날
한 부분을 차지하며, 아마도 오 티베트-
용 북 료
버마어를 사 하는 화자들 중 가장 동쪽 지역에 있다고 사 된다. 필자가 았 보 던
휘 료 못 탓 휘 측
어 자 들은 제대로 기록되지 한 에 부족한 점이 많았다. 어 의 면에서 보
실 만특 상
면 여기에 속하는 언어들은 확 히 티베트-버마어군에 속하지 , 이한 현 들도 일
부 존재한다. 최근 華西協合大學 W Y
에, Studia Serica( )의 en u과 같은 중국학자들
러 헌
은 이 한 언어들이 고문 에 언급된 Chiang(중국어 병음 姜 됨
: Jiang( 으로 추정 ))
던 람 용 목 렇 만 최근
으로 불리 사 들에 의하여 사 되었다는 점에 주 하고 있다. 그 지 , 의연
구 중에서는 필자의 관심을 끌만 없 소 포 휘
한 주제가 거의 었다. 타티- 어의 어 중 일
조 보 위
부분이 르가이어와 유사한 것으로 이는데, 이에 관해서는 에서 언급한 중부 보

드어단을 고하기 바 다.란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15

2.4 Burmic Division (버마어군)

BURMISH Section.(버마어구)
Burma Branch(버마어지) [버마].
Southern Unit(남부 어단): Burmese(버마어), Ara anese(아라 어), k 칸

Tavoy(타 이어), Taungyo(타 응요어), Intha(인타어), Danu(다누어), Yaw
(야우어).
Northern 북
Unit( 부 어단):Phun(푼어, Megyaw, Samong
dialects), Atsang (아창어, Ngatsang, Maingtha), Lawng(나웅어, Maru),
Letsi(레치어, Lashi), Tsaiwa (차이와어, Atśi, Szi).
Lolo Branch(롤로어지) [버마 북부, 통킹, 중국 서남부]. 62)

Southern Unit(남부 어단) : Phunoi(푸노이어): Phunoi(푸노이),


63)

Pyen(폔어), Khaskhong(카스콩어), Hwethom(훼톰어). Akha(아카어):


Akha(아카), Ako(아코어), Asong(아송어), Phana(파나어), Menghwa(멍화
어), Woni(워니어), Lahu(라후어), Lahuna(라후나), Lahushi(라후쉬) , 64)

Kui(쿠이).
Central Unit.(중부 어단)

Lisu(리 어): Lisu(리수), Lishaw(리사우) 65), 파
Lipha(리 어),
Lipho(리포어), Kesopho(케소포), Kosopho(코소포).

얀 샨 난
62) [역주] 미 마 (Shan State)에서 중국 윈 성의 서남부, 라오스 북부를 거쳐, 베

트남의 부에 이르는 일대를 포함
한다.
북 음 떠
63) 버마어지의 부어단은 성적으로, 그리고 어 한 경우에는 어 적으로도 남부 어단 휘
에 가 까운 P q q
데, 이에 관해서는 필자의 “ honéti ue histori ue des langues lolo,”
’ P
(T oung ao 41 (1952), 191-229)를참조 란 실
하기 바 다. 사 , 버마어지에서 로 롤
북 넘
어지의 부어단으로 어오면서 어말 자 음 탈락
의 전이가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반면
롤 북 넘
에, 로어지의 부어단에서 버마어지로 어오면서는 어두 자 의 무성화가 진행된 음
러 용
다. 그 나 버마어구에 속한 언어들은 언어가 사 되는 지역이 게 펼쳐 있 에도 넓 져 음
휘 굉
불구하고 어 적으로는 장히 단일화되어 있는 모습 보
을 인다.
64) [역주] Lahuna(Black Lahu)와 Lahushi(Yellow Lahu)는 Lahu族의 지파이다.
65) [역주] Lishaw는 미얀마 경내의 Lisu族을 말한다.

www.dbpia.co.kr
316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Nyi(니이어), Tśökö(최쾨어), Weining(웨이닝어), Ahi(아히어),


Lolopho(롤로포어).
Northern Unit(북부 어단): Thongho(통호어), Pakishan(파키샨어),
Kangsiangying (캉시앙잉어), Kiaokio(키아오키오어), Nee(니어), Ulu(울루
어), Laichau(라이차우어), Tudza(투자어), Nuoku(누오쿠어).
Tonkin Unit(통킹어단): Mung(뭉어) ; White, Black, Khoany(코
66)

아니어).67)
Manyak(마냨어, Menia); Mosso(모소어),
Unclassified(미분류)68):
Dion(디온어); Duampu(두암푸어); Phupha(푸파어); Nameji(나메지어).
Hor Branch(호르어지) [티베트 동부?]: Hor(호르어, Horpa). 69)

Hsihsia(Sihia) Branch(시시아어지).70)
MRUISH Section(므루어구) [아라칸 언덕].
71) 72)

NUNGISH Section(눙어구) [버마 북부] : Rawang(라왕어), Metu(메


73) 74)

투어), Melam(멜람어), Tamalu(타말루어), Tukiumu(투기우무어).


KATSINISH Section(카친어구) [버마 북부]: Katsin(카친어), Khauri(카
루어); Dzili(질리어). 75)

66) 부분적으로는 롤로어에 속하지 않을 수 있다.


67) [역주] White Khoany(화이트 코아니어)와 Black Khoany(블랙 코아니어)로 구분
된다.
터 너무 적거나 규칙적으로 기록되지 못하였다.
68) 데이 가
69) 버마어와 롤로어지에서는 (다른 언어에서) 소실된 일부 접두사가 남아 있으며, 어말
음이 다소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70) 불확실한 전사 자료와 제한된 어휘 자료로 인하여 정확한 분류가 현재는 힘들지만,
시시아어지는 버마어구의 가장 북단에서 발견된다.
71) 필자의 논문 “The Linguistic Position of Mru,” (Journ. Burma Res. Soc. 31
(1941), pt.2, no.2)을 참조하기 바란다.
72) [역주] 미얀마 라킨(Rakhine State)의 동부 지역을 포함한다.
73) 친소관계상 쿠키어구보다는 버마어에 더 가깝다.
74) [역주] 미얀마 카친(Kachin State) 및 접경지역 일대를 포함한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17

R
TSAI ELISH Section(차이 어구) [아 렐
삼 남동부].
LUISH Section(루 [아삼 남동부 및 버마 접경지역]
어구)76) 77): 안
Andro( 드
로어), Sengmai(셍마이어), Sak(삭어), Kadu(카두어).
Taman.(타만어) 78)

KUKISH Section(쿠키어구) [인도와 버마의 접경 지역].


79) 80)

Southern Branch.(남부 어지)


소 w
So( 어): Sando ay(산도와이), Thayetmyo(타 옛묘), Minbu(민부),
75) 접두사에 있어서는 더욱 옛모습에 가깝다. 지극히 적은 수의 어휘만이 알려져 있다.
76) 루어구의 언어에 관한 기록들은 범위 및 기록인의 능력에 있어 차이가 크기 때문에
어구 내에서의 관계를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삭어의 어말음을 루어구에 속하는 다
른 언어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차이가 나는데, 다만 이는 온전히 좋지 못한 기록 탓만
은 아닌 듯하다. 삭어에서는 중세의 *l이 r로 남아있는데, 다른 언어에서 이러한 음이
소실된 것과는 대조가 되는 현상이다. “어머니”나 “새”와 같은 삭어의 일부 단어는 쿠
키어와 닮아있으며, 이는 다른 루어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므로, 쿠키어에서 차용된 것
으로 사료된다.
77) [역주] 인도 마니푸르(Manipur State) 일대를 포함한다.
78) R. 그랜트 브라운(R. Grant Brown, JRAI 41 (1911), 305 f.)이 기록한 타만어
는 접두사에 있어 옛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나, 제한된 어휘자료로 인하여 음성/음운
체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차용어를 배재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자료가
모일 때까지는 연구의 진척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즉, 우리가 타만어 및 그 방언, 그
리고 주변의 언어에서 충분한 어휘자료가 모이기 전까지는 분류 작업을 진행하기 힘
들다는 것이다. 타만어는 버마어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것으로 보이나, 루어에서 발견
이 되는 희귀한 형태의 어근을 지니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물소’, ‘코끼리’, ‘말’, ‘소금’,
‘아버지’ 등이 그것이다.
[역주] Brown, R. G. “The Tamans of the Upper Chindwin, Burma.” JRAI
41 (1911), 305 f.

79) 코노우의 분류에서 발 되는 중대한 오류 중 하나가 나가어 그 을 정한 것이다. 룹 설
락 북
나가어는 바 어에 속하는 동부 지역의 일부 언어를 제외하면 두 모 쿠키 어에 속한
련 증 N
다. 전자와 관 한 거는 필자의 ”The aga Branches of u ish,” oc ni Kk R z k
O z K kw
rientalistyc ny ( ra o , 1950, 467-530)를 참조 후
하기 바라며, 자와 관 된 련
N N
것은 “Classification of the orthernmost aga Languages” (J. Bihar es. R
Soc. 39 (1953), 225-264)를 참조
하기 바 다. 란 쿠키
어구에 속하는 제언어들의 관
략 래
계는 대 아 와 같다.

www.dbpia.co.kr
318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Tsinbon (친본), Chittagong(치타 )81), Lemyo(레 ). 묘
Yawdwin(야우드윈어); Tsinbok.(친복어)
Khami(카미어): S., Khimi(키미) , N.
82)

Lakher Branch.(라케르어지)

실선은 친소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며, 점선은 차용관계를 나타낸다. 쏘어 내의 버마어


차용어, 고대 쿠키어, 루후파어, 서부 쿠키어 내의 메이틀레이어 차용어는 주로 버마
와 메이틀레이의 행정적인 지배에서 기인한다.
고대 쿠키어는 원시 쿠키어의 매우 많은 부분을 반영한다고 보일 수 있지만, 어말음
에 있어 부분적인 약화가 라케르어 및 남부 쿠키어에서 발생하였으며, 중부 쿠키어
중에서 북부지역의 언어 및 북부 쿠키어에서는 접두사에서 이러한 현상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직선상에 있는 모든 그룹은 약화와 차용의 정도에서 차이가 보이
는 것을 제외하면 매우 유사하며, 수직선상에 놓여 있는 개별적인 어지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어근의 숫자는 무시할 만한 정도이다. 그리하여 필자는 이러한 언어들에
대하여 중부 핵심 언어 혹은 쿠키 본어(本語)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 수직선에서 벗
어난 쿠키어에서는 의미론 및 형태론적으로 약화와 분화가 발생하였다.
80) [역주] 인도 아삼, 트리푸라(Tripura State), 미조람(Mizoram State), 마니푸르,
나가랜드(Nagaland State), 방글라데시 치타공(Chittagong Division), 미얀마 친
(Chin State), 마그웨이(Magway Division) 일대를 포함한다.
81) 소어에 대한 대부분의 자료보다는 좀 더 잘 보존되어 있다.
82) [원주] 카미 북부어(N. Khami)와 실낱 같은 연관성이 있다. 키미어에 대한 자료는
“Khimi Grammar and Vocabulary,” (Bull. Sch. Or. Afr. St. 11 (1944),
386-434)를 참조하기 바란다. (원주)
[역주] 이는 Shafer 자신이 발표한 논문이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19

Mara(마라어), Tlongsai(트롱사이어) 83), w


Ha thai.(하우타이어)
Sabeu.(사베우어)84)
Zeuhnang.(제우낭어)
Sandu.(산두어)85)
Old Kuki Branch.(고대 쿠키어지)

Central Unit(중부 어단): Tsiru(치 어), Aimol(아이 어), 몰 Purum
(푸룸어), Langrong.(랑롱 어)86)
Kyau.(카유어) 87)

Western Unit(서부 어단): Hrangkhol(랑콜어), Biate(비아테어),


Hallam(할람어); S Luhupa.(남부 루후파어) 88)

Kolhreng(C. Peripheral) Unit(콜렝어단): Kolhreng(콜렝어), Kom(콤


어), Tarao(타라오어)89).

패 P 신
83) 비록 리( arry)는 자 이 사비지의 마라어와 동일한 방언을 기록한 것으로 생 하 각

였으나, 성적으로 약간의 차이를 인다. 보
P N k
[역주] arry, . E. The La hers, 1932, p.503 (Digital publication, 2005)
F W k
Savidge, red . A grammar and dictionary of the La her language, 1908.
프레데 릭윌 엄새 F kW
리 비지( rederic ~
. Savidge), 1862 1935.09.28, 영국, 선교사.
84) 레윈(Lewin)이 기록한 라케르어 어휘는 패리가 기록한 사베우어와 매우 가깝지만,
정확히 대응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아마도 사베우어와 패리가 기록한 다른 방언 간에
중간 단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역주] Lewin, T. H. The Hill Tracts of Chittagong and the Dwellers
; With Comparative Vocabularies of the Hill Dialects, Calcutta,
Therein
1869, pp.146-151.
토 헐 w ~
마스 버트 레윈(Thomas H. Le in), 1839.04.01 1916, 영국, 군인.
85) 더 이른 시기에 기록된 다른 라케르어보다는 좀 더 옛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86) 정확히 분류가 되었는가에 대하여 의심할 여지가 있다.
87) 여기에 속하는지 의문시되지 , 남부 쿠키 만 용
어의 차 어를 제외하면 카유어는 아마도
고대 쿠키
어지의 서부 어단과 가까울 료
것으로 사 된다.
88) 잠정적인 분류이다. 비록 루후파어가 속한 그룹에서 “말”, “소”와 같은 단어들을 차용
하였고, 고대 쿠키어와는 다르게 일부의 어휘에서 변화 - 특히 *u와 *ui에서의 변화
가 일어났으나, 확실히 루후파어에 속하지는 않는다.

www.dbpia.co.kr
320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람 람
Lamgang(Southern) Unit((남부) 강어단): Lamgang( 강어), Anal
(아날 어)90).

Langet.(랑 어)91)
Central Branch.(중부 어지)
루 루 Ngente
Lusei Unit( 세이 어단): Lusei( 세이어)(Dulien dialect,
dialect 둘리엔/응엔테 방언), Zahao(자하오어) Hmar(마르어), Pankhu(판쿠
어) , Bom.(봄어)
92)

Haka Unit(하카어단): Haka(하카어, Lai), Sonse(손세어),


Taungtha(타웅타어) , Bandzogi(반조기어).
93)

Kapwi Unit.(캅위어단) 94)

Northern Branch.(북부 어지)


Thado(타도어), Ralte(랄테어) ; Siyang(시양어, Siyin), Vuite(부
95)

이테어, Paite).
Luhupa Branch.(루후파어지) 96)

89) 정확히 분류가 되었는가에 대하여 의심할 여지가 있다. 람강어단으로 볼 여지도 있으
요 특징 콜렝
나, 주 한 은 어단에 속한다.
90) 람강어보다는 약간 약화된 형태를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의 “Phonetik der
Alt- Kuki-Mundarten,” (ZDMG 102 (1952), 262-279)을 참조하기 바란다.
91) “중부 핵심” 쿠키어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남아있다. 이
언어는 남쪽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쿠기어 가운데 중부 어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사료된다.
92) 반조기어와 특수한 연결 관계가 있으나, 레윈어의 어휘를 주로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왜냐하면 두 언어가 후자보다 더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93) 남부 쿠키어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중부 쿠키어의 하카어단에 속
해 있다. 다만 아직 연구되어야 할 영역이 남아있는데, 왜냐하면 타웅타어는 남부 쿠
키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의 발전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독자적
인 노선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94) 정확히 분류가 되었는가의 여부에는 의문점이 남아있다. 그러나 코노우가 그러하였듯
이 카부이어와는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95) 부이테어와 약간의 연관성이 있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21

Maring Unit (마링어단) : Maring(마링어), Khoibu(코이부어).


97)

Tangkhul Unit(탕쿨어단): Ukhrul(우크룰어), Phadang(파당어);


Tsamphung(참풍어) . 98)

Kupome Unit(쿠포메어단): Kupome(쿠포메어), Khunggoi(쿵고이어),


Central Luhupa(중부 루후파어), Northern Luhupa(북부 루후파어).
Western Branch.(서부 어지) 99)

Maram(마람어), Kwoireng(쾨이렝어); Kabui(카부이어), Khoirao(코


이라오어); Empeo(엠페오어) . 100)

Northern Naga Branch.(북부 나가어지)


Hlota(로타어) ; Ao Unit(아오어단): Tsungli(충리어); Longla(롱라어);
101)

Mongsen (몽센어), Tsangki(창키어), Khari(카리어); Tengsa(텡사어),


Rong(롱어, Leptsa) (Sikkim), Yatsam(야참어); Yatsumi(야츠미
102)

어) , Thukumi(투쿠미어).
103)

Eastern Branch.(동부 어지)


Rengma.(렝마어) 104)


96) 친 관계로 보자면 고대 쿠키어에 가장 가까우나, 다만 서부 어단은 그렇지 아니하다.
97) 코노우(p.451)가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하의 두 어단보다는 쿠키어 방향으로 분화하
고 있다.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9, Vol 3, pt 2, p.451.
98) 급격한 분화를 보이고 있다.
99) 쾨이렝어와 코이라오어의 하위 언어는 표시하지 않았다.
100)버틀러(Butler)가 조사한 엠페오어는 소핏과 스튜어트가 조사한 것과는 다른 방언이다.
101) 쾨(kyö)나 쾬취(kyontsü)가 좀 더 나은 이름일 수 있다.
102) 롱은 야참어보다는 텡사어에 조금 더 가깝지만, 후자는 서로 더 가깝다.
103) 임추르(Yimtsurr)어로 명명하는 편이 좀 더 좋을 것이다.
104)[원주] 아마 은종(Nzong)어나 은존유(Nzonyu)어로 명명하는 편이 좀 더 좋을 것으
로 사료된다. 그리어슨이 기록한 렝마어는 버틀러의 것에 비해 좀 더 변화한 것이다.
서부 렝마어 중에서 북부 그룹에 속하는 은텐이어는 로타어와 시미어 사이의 연결부
를 형성하고 있으며, 반면에 휴튼의 이세니-코체누어는 은텐이어와 안요어(동부 렝마
어)의 중간 단계이다. 이렇듯 불충분하게 기록된 언어는 현재 더 이상 정확히 분류할

www.dbpia.co.kr
322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Simi(시미어, Sema): Keźama(케자마), Sopvoma( 솝보마어);


Zumomi(주모미어), Dayang(다양어).
Angami(안가미어): Tengima(텐기마어); k 크
Tśa rima(차 리마어):
Dzuna(주나어), Kehena(케헤나어), Mima(미마어).
Meithlei Branch.(메이틀레이어지) 105)

Mikir Branch.(미키르어지) 106)

2.5 Baric Division (바락어군, Assam)107)

R
BA ISH Section.(바 어구) 락
North Central Branch.(북중부 어지)
Garo(가로어): Atsik(아칙어, Standard), Kamrup(캄룹어), Abeng
(아뱅어), Dacca(닥카어).
Jalpaiguri Branch.(잘파이구리 어지)
South Central Branch(남중부 어지): Atong(아통어), Rabha(라바어),

수는 없다.
[역주] 조지 아브라 함
그리어 ( eorge 슨G A. Grierson), ~
1851.01.07.

1941.03.09, 아일 드, 언어학자.
위 용 래 칭 용
105)필자는 에서 현지인이 사 하는 가장 오 된 명 을 사 한다는 기 을 제시한 바 준

있으며, 이에 따라 필자는 일반적으로 사 되는 현재의 발 인 음 M 신
eithei 대
M 용 삼 용 람 k K w
eithlei를 사 하였다. 아 어에서는 이 언어를 사 하는 사 들을 mē lē( ono ,

p.20)로 부르는데, 이는 아 인들이낼수 M 까운 음
있는 * eithlei와 가장 가 발 이다
(쿠키 설측 파찰음 흔 k k 표
어의 싱
은 히 l 및 ‛l로 기한다.) (p.71)은 마니프리스의 타
름 M
도어에서 부르는 이 을 ailhai,즉M ei-hlei로 기록하였는데, 타도어에서 *t‛l은
흔 푸
히 hl로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니 르 지역의 언어에서는 *t‛l이 t‛로 하변 므
로, 우리는옛 름 M 규칙 음 변
이 * eithlei가 M
적인 성적 화에 의하여 현재의 eithei로
변 한 것으로 결론을 지을수 있다.
106)형태가 매우 다르나, 확실히 쿠키어에 속한다.
107)인도 웨스트 벵갈(북부지역), 아삼, 메갈라야(Meghalaya State), 나가랜드 일대에
서 사용되는 언어의 집합이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23

Ruga(루가어), Kontś(콘츠어), Tintikeya(틴티케야어), Cooch Behar(쿠치 베


하르어), Kotś(코츠어).
Western Branch(서부 어지): Bodo(보도어), Metś(메츠어); Dimasa(디
마사어), Hodzai(호자이어); Tipura(티푸라어); Lalung(라룽어); Moran(모란어).
Eastern Branch(동부 어지): Tsutiya(츠티야어).
NAGISH Section.(나가 어구)
Mośang(모상어), Sangge(상게어).
Namsangia(남상기아어).
Banpara(반파라어), Mutonia(무토니아어).
Tsingmegnu(칭멕누어, Tamlu).
Angwanku(앙완쿠어, Tableng), Mulung(무룽어).
Tsang(창어).

2.6 Karenic Division108) (카렌어군) [버마 중부 및 남부]109)

Yeinbaw(예인바우어); Karenni(카레니어): Yintale(인탈레), Manö


(마뇌), Sinhmaw Mapauk(신마우 마파욱); Pwo(포어): Bassein(바세인),
Maulmein(마울메인) ; Mopwa(몹와어): Dermuha(데르무하), Bilitsi(빌
110)

리치); Taungthu(타웅투) ; 111)

위 룹
108)비록 중국-티베트어족에서 가장 남쪽에 치하는 언어그 이기는 하지 , 어 방면 만 휘
매 까 보 모
에서는 버마어와 우 가 우면서도 드어적인 면 도 강하게 나타 다. 버마어와 낸
보드어의 중간 단계라고도 말할 수 겠 만음 휘
있 지 , 성 및 어 적으로 이한 현 이 일 특 상
부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에는 다른 어군으로 분리하는 것이 좀더
나을 것으로 사 료
렌 상
된다. 카 어 제어에 대해 명확히 분류가 되지 않은 태에다 일부 언어의 경우에는
료 충 래 잠
자 도 불 분하기 때문에, 아 의 분류는 정적인 것 을 다. 임 밝힌
109)[역주] 미얀마의 카야(Kayah State), 카인(Kayin State) 일대를 포함한다.
110)[역주] Bassein은 미얀마 아예야와디 구(Ayeyawady Division), Maulmein은 몬
주(Mon State) 내의 지명이다.
111)중부 쿠키어의 타웅타어와 혼동하면 안된다.

www.dbpia.co.kr
324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Zayein(자예인어): Sawntung(사운퉁), Padeng(파뎅), Banyang(바


냥); Kawnsawng (카운사웅어); Gheko(게코어), Bwe(붸어), Sgaw(스가우
어), Wewaw(웨와우어), Padaung(파다웅어), Karenbyu(카렌뷰어).

3. 결론
스텐 코노우는 중국-티베트어족에 대하여 거의 전면적인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
한 학자이다. 그러나 그는 Linguistic Survey of India에서 티베트어에 관한 문
자 기록에 대한 문법적 분석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현대 티베트어 방언에 대한 어
휘 비교는 비교적 전면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으나, 음성적 공통점에 대해서는 거
의 손을 대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언어 분류를 위한 비교 작업을 진행할 만한
기초가 넓지는 못하였지만, 대신에 지리적 위치, 문법적 유사성, 다른 학자들이나
자신이 관찰하였으나 발표하지 않은 임의의 어휘 유사쌍에 눈을 돌린 듯하였다.
만약 그가 알지 못했던 음성적 전이에 관련한 지식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코노
우의 언어 분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는 굉장히 뛰어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서부 히말라야 언어에 대한 분류는 아주 훌륭하며, 그가 “쿠키-친”으로 분류한 언
어들은 실제로도 쿠키어에 속한다. 그렇지만 나가어의 제언어에서와 같이 심각한
음성적 전이가 발생하여 유사점을 왜곡시키거나 언어 간의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
은 경우에, 코노우는 잘못된 결과를 도출하곤 하였다.
코노우는 나가어 제어를 서부 쿠키어 및 루후파 어지와 혼동하였으며, 미키르어
의 분류에서는 오류를 일으켰다. 그는 엠페오어, 카부이어, 코이라오어, (카부이
어와 혼동한) 캅위어 및 미키르어를 “발화의 두 형태에서 기인하는 자질 사이
112)

의 차이를 연결하는 나가-보도 그룹” 에 포함시켜 놓았으며, 미키르어는 명확


113)

112)418쪽.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9, Vol 3, pt 2, pp.416-424.
113)379쪽.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9, Vol 3, pt 2, pp.379ff.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25

하게 카치차 나가어114), 카부이어, 코이라오어와 동일한 그 에 속한다고 주장하 룹



였다. 그 나 미 르어의 키
위치는 그가 생각했던 만큼 분명하지 못했으며, 후일 그
는 미키르어를 나가-보도 그룹에서 나가-쿠키 그룹으로 옮겼는데 , 비록 “보도 115)

어와 연관성이 있다”고 여전히 인식하면서도 “쿠키어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


116)

지만 어느 정도 독립적인 위치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사실 미키르어는 어휘적으로나 음성적으로 쿠키어 제어 가운데서도 가장 독립
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코노우가 생각했던 것처럼 지리적으로 가까운
바락어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멀리 떨어진 보드어와 연결되는 부분
이 있다. 그리고 코노우가 미키르어를 포함시키던 제외를 시키던 간에, 그가 설정
한 나가-보도 그룹은 쿠키어 제언어보다 바락어(그가 말한 ‘보도어’)와의 연결점을
찾기가 어렵다.
코노우가 미키르어를 나가-쿠키 그룹으로 옮겨버린 것은 오히려 그 그룹의 균
질적이지 못한 측면만을 악화시켰을 뿐인데, 왜냐하면 나가-쿠키 그룹에 이미 세
개의 다른 어지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키르어가 추가됨으로 인해 네 번
117)

째 어지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하나의 그룹이 언어적으로 이렇게 다양성을 가진


다는 점은 “나가-쿠키”가 안가미어와 쿠키어 제언어 사이의 간극을 연결한다는 코
노우의 주장 을 무색하게 만드는데, 왜냐하면 셋 혹은 네 개의 그룹에 속한 언
118)

114)이는 엠페오어를 말한다.


V
115) ol 1, pt 1, p 66, n2.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27.
116)69쪽.
Vol 1, pt 1.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27,
117)그러나 코노우는 “솝보마어는 서부 하위 집단의 모든 언어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
기 때문에, 이를 서부 하위집단에 속한다고 분류하는 것은 나가-쿠키 그룹에 속한다
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적절하다”고 기술하였으며(p.451), 뒤이어 코노우가 솝보마
어와 안가미어를 비교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혹자는 이에 대하여 ‘코노
우가 문헌자료에서 불일치하는 점을 찾지도 못한 채 솝보마어의 분류를 정정하지 못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그래도 남겨두는 것으로 타협하였다’고 의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118)451쪽.

www.dbpia.co.kr
326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소깝
어들이 자연스레 친 관계가 가 지 않은 언어들과 연결이 되기 때문이다.
롱어는 보드어에서 대량의 어휘를 차용하면서 주변의 히말라야 언어에서 일부
요소들을 받아들였고, 또한 아오어 지역에서 롱어 지역까지 약 400마일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Linguistic Survey of India에서 롱어가 아오어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기술은 이해할 만한 사항이다. 그렇지만 혹자는 롱어를 북부 나가어지의
아오어단에 속할 뿐만 아니라 텡사 하위어단에 속하며, 또한 이 하위어단 내에서
는 야참어 보다는 텡사어에 좀 더 가깝다고 조심스레 분류할 수도 있다. 그러
119)

나 텡사어와 야참어는 형태에 있어 롱어보다는 서로 간에 더 가까운데, 왜냐하면


언어가 분리되어 있는 기간 동안에 롱어에서는 특이한 음성적 현상이 독립적으로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롱어의 정확한 분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인도 인류학자들과 역사가들
사이에서 대두되고 있다: 북부 나가어단 (그리고 모든 쿠키어 화자들)이 히말라야
에서 현재의 위치인 인도-버마의 접경지역으로 옮겨갈 때, 롱어가 남겨져 있었느
냐? 아니면, 북부 나가어단이 아삼계곡을 넘어 확장해 나갔을 때, 롱어가 남겨져
있었느냐?
필자는 여기에서 코노우가 잘못 분류한 언어들을 모두 예로 들지는 않을 예정
이지만, 독자들은 코노우와 필자의 분류 결과를 비교하면서 알아차릴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필자 역시 기발표한 논문들에서 코노우의 오류 중 일부분을 바로잡은
바가 있다.

4. 중국-티베트어족 외의 언어와의 관계
필자는 중국-티베트어족과 베트남어120), 아사 스 어121), 카 어122) 및 파칸 식 파
[역주]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9, Vol 3, pt 2, p.451.

119) 자는 롱
어의 정확한 분류에 관한 아이디어를 “Classification of Some
R
Languages of the Himalayas,” (Journ. Bihar es. Soc. 36 (1950))에서 얻
을 수
있으리라 생 된다. 각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27

라웅익어 사이에 존재하는 음성적 공통점 중에서 일부에 관하여 많은 수의 유사쌍


을 제시한 바가 있다. 필자는 앙드레 G. 오드리쿠르의 “베트남어는 기본적으로 오
스트로아시안어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며, 필자 자신
이 베트남어와 중국-티베트어 사이에서 찾아낸 유사쌍을 필자가 기존에 찾아낸 중
국-티베트어와 두 개의 오스트로아시안 언어 사이의 유사쌍에 더하여야 한다고 생
각한다. 123)

그렇지만, 혹자는 필자가 중국-티베트어족, 오스트로아시안어 및 아사파스칸어


로 구성되는 대 중국-티베트어족을 설정하려 시도하는 것이 아닌가 추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필자는 유관 증거를 자세히 살펴볼 기회를 갖지 못했으나, 만약 그
러한 작업이 이뤄진다면 중국-티베트어족과 아사파스칸어의 뿌리가 중국-티베트어
족과 오스트로아시안어 사이의 유사쌍에서 발견된 것과는 완전히 다를 것이라 믿
으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본다. “그렇다면 이것은 중국-티베트어족이 둘 이
상의 원시 어족, 즉 오스트로네시안어 및 오스트로아시아어가 섞여서 탄생한 것임
을 나타내는 것인가?”
F
San rancisco에서

’ F x O
120)“L annamite et le tibéto-birman,” (Bull. Ec. r. E t.- r. 40(1940),

439-442), 은 “Annamese and Tibeto-Burmic,” (Harv. Journ. As. St. 6
;
(1942), 399-402) “Le vietnamien et le tibeto-birman,” (Dân iêt am, V N
No.1 (Hanoi, 1948), 1-10).
k
121)“Athapas an and Sino-Tibetan,” (Interna. Journ. Am. Ling. 18 (1952),
12-19).

122)“Études sur l austroasien,” (Bull. Soc. Ling. 48 (1952), fasc. 1, pp.133- 158)
각 ~
[역주] 주 118 120의 논문은 Shafer 자 이 발 한 것이다. 신 표
123)필자는 오드리 르가 내 쿠 원고에 기 하여 보 온 초 이러한
주장을 하는 바이다. 그의
q
“Introduction à la phonologie histori ue des langues miao-yao” (BE E FO
44 (1945), 554-576)에 의거하여 판단을 하자면, 마니어도 오스트로아시 어에 속 안
하는 것으로 사 된다. 료

www.dbpia.co.kr
328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참고문헌】124)

Enciclopedia Italiana, v.19, pp.46 and 19.


Encyclopedia Britanica, 1953, v.22, p.187, and v.20, p.596a.
Vol 1, pt 1, pp. 66 and 69, n2.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27,
Linguistic Survey of India, 1903, Vol 3, p.2, pp. 379 and 416-423
and 451.
Benedict, P. K. “Thai, Kadai, and Indonesian,” American
Anthropologist 44 (1942), 558.
Bro n,w R. G. “The Tamans of the Upper Chindwin, Burma.” JRAI 41
(1911), 305 f.
q
Haudricourt, A. “Introduction à la phonologie histori ue des langues
miao- yao,” BE E F O 44 (1945), 554-576.
Haudricourt, A. “Les phonèmes et le vocabulaire du thai commun,”
q
Journal Asiati ue (1948), 235 ff.
Karlgren, B. “Études Sur la phonologie chinoise,” Arichives d’Études
Orientales 15 (1915), pp.230-1.
Kroeber, A. L. & Q
C. D. Chrétien “ 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Language 13 (1937), 83-103.
w w
Le in, T. H. The Hill Tracts of Chittagong and the D ellers Therein ;
With Comparative Vocabularies of the Hill Dialects, Calcutta,
1869, pp.146-151.
Maspero, ’
H. “Contribution à l étude du système phonéti ue des q
langues thai,” Bull. Ec. Fr. Ext.-Or. 11 (1911), 158, n.1.
Parry, N. E. The Lakhers, 1932, p.503 (Digital publication, 2005).
Savidge, Fred. W. A grammar and dictionary of the Lakher language,

124)[역주] 원문에는 참고문헌 부분이 없어서, 번역과정에서 정리하였다.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29

1908.
Shafer, R. “L’annamite et le tibéto-birman,” Bull. Ec. Fr. Ext.-Or.
40(1940), 439-442.
Shafer, R. “The Vocalism of Sino-Tibetan,” Journ. Amer. Or. Soc. 60
(1940), 302-337; 61(1941), 18-31.
Shafer, R. “The Linguistic Position of Mru,” Journ. Burma Res. Soc.
31 (1941), pt.2, no.2.
Shafer, R. “Annamese and Tibeto-Burmic,” Harv. Journ. As. St. 6
(1942), 399-402.
Shafer, R. “Khimi Grammar and Vocabulary,” Bull. Sch. Or. Afr. St.
11 (1944), 386-434.
Shafer, R. “Problems in Sino-Tibetan Phonetics” JAOS 64 (1944),
137-143.
Shafer, R. “Le vietnamien et le tibeto-birman,” Dân Viêt Nam, No.1
(Hanoi, 1948), 1-10.
Shafer, R. “The Initials of Sino-Tibetan” JAOS 70 (1950), 96-103.
Shafer, R. “Classification of Some Languages of the Himalayas,” J.
Bihar Res. Soc. 36 (1950), 192ff.
Shafer, R. “The Naga Branches of Kukish,” Rocznik Orientalistyczny
16 (1950), 467-530.
Shafer, R. “Études sur l’austroasien,” Bull. Soc. Ling. 48 (1952), fasc.
1, pp.133-158.
Shafer, R. “Athapaskan and Sino-Tibetan,” Interna. Journ. Am. Ling.
18 (1952), 12-19.
Shafer, R. “Newari and Sino-Tibetan,” Studia Linguistica 6 (1952),
92, n.1 and 93, n.3, par.2 ff.
Shafer, R. “Phonetik Kk M
der Alt- u i- undarten,” ZDMG 102 (1952),
262-279.

www.dbpia.co.kr
330 中國語文論譯叢刊 第50輯

Shafer, R. “Phonétique q ’
histori ue des langues lolo,” T oung Pao 41
(1952), 191-229.
Shafer, R. “East Himalayish,” Bull Sch. Or. Afr. St. 15 (1953), 356f
and 357n.
Shafer, R. “Classification of the Northernmost Naga Languages,” J.
Bihar Res. Soc. 39 (1953), 225-264.

www.dbpia.co.kr
섀퍼(Shafer)의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에 대한 분류> 331

<Classification of the Sino-Tibetan Language>


by R. Shafer
W ritten b y R . S hafer
T ranslated b y K y u -Ju ng P ark

Abstract

This paper translates <Classification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by


Robert Shafer (1955) in Korean. <Classification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criticized the classification by Konow or Maspero, and classified
Sino-tibetan language family into 6 division.
This paper consists of 4 Chapters. Chapter 1 is ‘Introduction’, which
describes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classification and writer’s classification
methods. Chapter 2 has ‘Sino-Tibetan Language Family’, consisting of the
results of writer’s classification for Sino-Tibetan Languages. Chapter 3 contains
‘Conclusion’ arranging the ‘classification’ in Chapter 2. Chapter 4 gives a brief
description about ‘Relationships outside Sino-Tibetan’.

Key Words: <Classification of the Sino-Tibetan Language>, R. Shafer,


Sino-Tibetan Language Family, Classification, Comparative
Linguistics

투고일: 2021. 11. 30. / 심사일: 2021. 12. 02. ~ 12. 24. / 게재확정일: 2021. 12. 27.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