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2

정부간행물발간등록번호


봄독성식물
11-1400119-000423-01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봄 독성식물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국립수목원
Korea National Arboretum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540년 조선왕조의 얼이 서린 숲이자 산림생태계의 보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인 광릉숲에 위치한 국립수목원은 1999년 설립된 국내
최고의 산림생물종 연구기관입니다.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 산림생물종에
대한 조사, 수집, 분류 및 보전, 희귀특산식물의 보전 및 복원, 국내외
유용식물자원의 탐사 및 이용기술의 개발, 전시원의 조성 및 관리,
산림생물종과 숲, 산림문화 등을 소재로 한 산림환경교육 서비스제공,
산림문화 사료의 발굴 및 보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920년대부터 시작된 산림생물종 연구의 전통을 이어온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 산림생물 주권 확보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생물을 공부하는 학생과
일반인들이 우리 숲에서 살아가는 나무와 풀, 곤충, 버섯, 새 등의 이름과
생태에 대해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교육과 전시, 도감과 홍보물을
발간하는 일도 하고 있습니다.
책을 펴내며

현재 지구에 현존하는 식물은 약 38만여 이에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는 2019년부터 독성식물에 대한


종류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도 약 4,300여 정보구축 및 활용성 분석을 통해 국민생활안전 정보서비스를
종류의 식물이 산과 들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제공하고 독성식물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기반을
이중 우리나라에서 최근까지 중독사례가 구축하는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 「가을 독성식물
보고된 독성식물은 약 320여 종류로 알려져 필드가이드북」을 발간하여 배포한바 있습니다.
있으나, 동일하거나 유사한 독성물질을 갖는
이번에 발간하는 「봄 독성식물 필드가이드북」에는 봄에 우리 생활
근연종들을 포함하면 거의 900여 종류에 이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독성식물 87종류의 형태적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징과 사진자료, 독성물질과 이에 따른 중독사례를 담았으며,
인류의 역사가 오랜 만큼 식물을 이용하는 식용식물로 오인될 수 있거나 유사한 식물들과의 형태적 차이점을
목적이 다양하고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독성식물의 범위를 규정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이 책자를 통해 식물의 내면에 숨겨진 독성을 인지하고, 언제나 약과
일입니다. 최근에도 자연식생활에 관한 관심
독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음을 주의하여 여러분의 건강안전을
증가 및 잘못된 정보제공 때문에 독성식물에
지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책자발간을 위하여 노력하고 도와주신
대한 과학적 정보 부족으로 중독사고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김동갑연구사를 포함한 관계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이처럼 우리의 생활권 내에서 자라는
독성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은 미흡한
수준으로 국민의 건강안전이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실정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예방
및 조치를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2021년 2월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이 시급히 요구되고 국립수목원장 최영태
있습니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02 쇠비름과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L. 142


일러두기 08 수국과 산수국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 144
독성식물이란? 10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146
식물의 대표적 독성물질 13 양귀비과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Maxim. 148
의학용어 설명 18 매미꽃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150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subsp. asiaticum H.Hara 152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im. 156
속새과 속새 Equisetum hyemale L. 24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160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26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 Lem. 164
석송과 뱀톱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28 개양귀비 Papaver rhoeas L. 166
관중과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30 옻나무과 옻나무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 F.A.Barkley 168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J.Sm. 32 붉나무 Rhus chinensis Mill. 172
잔고사리과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34 운향과 백선 Dictamnus dasycarpus Turcz. 174
가지과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36 자리공과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176
흰독말풀 Datura metel L. 40 장미과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180
국화과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H.Wigg. 44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182
꿀풀과 긴병꽃풀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48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184
난초과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50 귀룽나무 Prunus padus L. 186
약난초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54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188
느릅나무과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56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ews) Focke 190
대극과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 58 조름나물과 조름나물 Menyanthes trifoliata L. 192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60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194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L. 62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196
애기땅빈대 Euphorbia muculata L. 64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198
피마자 Ricinus communis L. 68 진달래과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202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70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206
오구나무 Sapium sebiferum (L.) Roxb. 72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208
때죽나무과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74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210
마디풀과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78 마취목 Pieris japonica D. Don ex G. Don 212
마타리과 쥐오줌풀 aleriana fauriei Briq. 82 천남성과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214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 84 반하 Pinellia ternata (Thunb.) Makino 218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86 앉은부채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222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90 창포 Acorus calamus L. 226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94 콩과 고삼 Sophora flavescens Aiton 228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Regel 98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230
복수초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102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 232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 106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Miq. 234
백합과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108 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 236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Miq. 112 칡 Pueraria lobata (Willd.) Ohwi 238
박새 Veratrum oxysepalum Turcz. 116 팥꽃나무과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 Zucc. 240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M.Bieb. 118 서향 Daphne odora Thunb. 242
산자고 Tulipa edulis (Miq.) Baker 122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246
연영초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126 삼지닥나무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248
무릇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128 협죽도과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250
붓꽃과 사프란 Crocus sativus L. 130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252
산형과 독미나리 Cicuta virosa L. 132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254
나도독미나리 Conium maculatum L. 136
소태나무과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138
참고자료 258
찾아보기 268
일러두기
독성식물이란?
식물의 대표적 독성물질
의학용어 설명

큰천남성
일러두기

•가이드북에 수록된 독성식물은 한반도에 자생하거나 재배 또는 외래식물 중, •독성식물과 생김새가 비슷하여 오인되기 쉬운 식물 종의 경우에는 식별을 위해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종류들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유사식물의 화상자료를 형질 특징과 함께 수록하였다.

•국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330 여종의 독성식물 중 봄에 일반인들에게 노출되기 •분류군별 분포도 및 설명문 작성 시 사용된 표본은 국립수목원표본관(KH)에 모두
쉬운 34과 87분류군의 식물을 선정하여 정리하였다. 독성식물과 동일한 속(genus)의 보관되어 있으며 실제 채집된 지역에 따라 분포도 상에 점(●)으로 표기하였다.
다른 종에서 유사한 중독사례가 보고된 경우 독성정보를 포함해 작성하였다.
•전국에서 경작하는 재배식물의 경우 분포점을 표기하지 않고 분포도 색상을 달리하였다.
•식물의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2021,산림청 국립수목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동안 인식되지 않았거나 잘못 인식하고 있던 분류군에 대해서 올바른 •독성정보 설명문의 독성부위, 독성분, 중독증상, 중독사례는 관련 단행본 서적, 논문,
학명을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뉴스 또는 기사, 병원 증례, 안전보건공단 등의 전문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독성식물의 형태 설명문과 독성정보, 화상자료를 첨부하였다. 단, 시기적으로 •LD50(반수치사량)은 실험쥐(rat)에 경구투여한 실험결과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지 못한 몇몇 분류군의 경우 일부 화상자료가 누락되어 있다.
•기본적인 페이지 구성은 다음과 같이 독성식물 사진, 독성정보 설명문,
독성식물 부위별 사진, 형태정보 설명문, 분포도로 이루어져 있다.

과/속

국명 / 학명

전체사진 부위별사진

독성정보
중독증상 형태정보

분포도

0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09


독성식물이란?

1. 독성식물의 개념
우리는 예로부터 식물을 이용하면서 식용식물, 약용식물, 독성식물로 나누기도 하지만, 수단으로 특별한 대사물질(유독성분)을 가지는 생존전략을 선택했으리라 추정된다.
독성식물이라도 식용이나 약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명확한 경계로 구분하기는 매 몇몇 학자들은 식물이 독성물질을 가지게 된 시점이 중생대의 쥐라기 시대부터 백악기
우 어렵다. 실제로 서양에서는 독성식물이라 하여 쳐다보지도 않는 고사리를 우리나라에 시대 즈음이라 주장한다. (PR Crane, S Lidgard., 1989) 실제로 백악기와 중생대에는 이
서는 봄마다 순을 따 정성스럽게 조리해서 식용하고 있으며, 많은 독성식물의 물질을 활 전과는 다른 식물화석기록이 발견되며, 실제로 백악기에는 플라타너스, 월계수, 무화과
용한 약학적인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나무와 같은 꽃을 피우는 피자식물(현화식물)이 등장한다.
독성식물의 사전적 정의는 ‘소량으로도 우리의 건강을 해치거나 생명에 위험을 일으키는 다양한 육상동물들이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피자식물은 진화를 거듭하여 동물, 바이러스,
식물’로 협소하지만, 우리의 식생활 건강과 밀접하므로 ‘섭취 때문에 중독사례가 보고된 해충 등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물질을 만들게 된다. 이것이 바로 알칼로이드(alkaloid)
모든 식물’로 유연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독성식물은 최근까지 성분인데, 식물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구성성분인 질소(nitrogen) 일부를 이용하여 만들
중독사례가 보고된 식물을 기준으로 약 320여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으나 독성식물에 대 어지며,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이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방어할 수 있는 독성을 가졌을 것
한 정의의 범주에 따라서 변동의 폭이 매우 클 수도 있다. 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모든 식물은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식·약용식물 또한 섭취량
에 따라 또는 제법에 따라, 때로는 체질의 차이에 따라 누군가에게는 독을 품은 식물이
새로운 자기방어체계를 가지게 된 백악기 식물들
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많은 사람이 우리 생활에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화려한 관
상식물들을 실내외에서 키우고 있지만, 그 식물들의 내면에 숨겨진 독성을 우리는 전혀
공룡대 멸종의 원인으로는 운석 충돌설, 기온저하설, 해수준저하설, 화산활동설 등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렇듯 우리 생활 주변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된다. 단편적인 이유일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사건들이 복
의 식물은 우리에게 약과 독이라는 양면성을 항상 가지고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독성식
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 다양한 멸종설 중에는 ‘피자식
물의 개념 이해와 정의에 대한 유연한 인식이 필요하다.
물(알칼로이드) 중독설’이라는 흥미로운 가설도 있다. (D. A. Russell., 1971)
알칼로이드 독성을 지닌 피자식물을 먹은 공룡들은 겪어본 적 없던 성분에 중독되
었으며, 독성물질을 가진 식물들이 점차 번성함에 따라 그들의 서식지에서 밀려나
2. 독성식물 출현에 대한 이야기 게 되었을 것이다. 그 시대 화석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면, 공룡의 화석은 대부분 나
지구의 모든 생물은 근본적으로 지구환경의 변화와 약육강식이라는 먹이사슬의 구조를 자식물과 피자식물이 더불어 번성하던 기존의 서식지가 아닌 나자식물이 그대로
이루며 진화를 거듭해왔다. 대략 4억 3천만년 전인 실루리아기에 식물은 황량한 육상에 남아있는 다른 서식지 근처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나가키 히데히로., 2018) 섭
처음으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다. 쿡소니아(Cooksonia pertoni)는 현재까지 화석으로 취 후,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피자식물 보다는 기존에 먹어오던 나자식물을
발견된 최초의 육상식물이며, 육지의 다양한 식물로 분화해나갈 첫 단추를 끼운 종으로 섭취하는 것이 더 편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피자식물의 진화는 번
알려져 있다. (D. Edwards & J. Feehan., 1980) 성했던 나자식물의 분포역을 감소시켰으며, 공룡 또한 이를 따라갔을 것이다. 그렇
식물은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체 생물이지만 이동 운동을 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독 게 함께 쇠퇴의 길을 걷던 공룡은 운석 충돌과 같은 큰 재앙으로 인하여 대멸종의
립영양이 가능한 식물은 육상 생태계를 번성하게 만든 근간이었지만, 움직이지 못하는 위기에 직면하였다는 것이 공룡 대멸종설(K-Pg 멸종) 에 힘을 실어주는 알칼로이
이유로 뜻하지 않게 먹이사슬의 최하층에 위치하게 된다. 그렇기에 식물은 생존과 번식 드 중독설이다. 이 가설에 의하면 독성물질을 갖는 식물이 등장한 시기는 쥐라기부
을 위해 식물종간의 경쟁과 더불어 포식자들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 터 백악기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어져 온 시간 동안 꾸준히 진화해온 피자식물
이고도 강력한 방어 체계가 필요했을 것이다. 식물의 방어기작 진화에 관하여는 명확하 이 번성할 즈음의 시기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게 밝혀진 것이 없으나, 여러 주변 환경 등의 이유로 인해 식물은 자신을 지킬 수 있는

1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1


독성식물이란? 식물의 대표적 독성물질

3. 우리나라의 독성식물 현황 1. 알칼로이드(Alkaloid)


현재 우리나라의 독성식물 종류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해외로부터 다양한 식물의 알칼로이드는 예전에는 질소를 포함한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 식물 유래 화학 물질이라
도입과 재배작물의 야생화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독성식물 종의 현황은 식 정의되었으나, 현재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식물, 박테리아, 균류, 동물 등의 생물이 만
물 독성학 관련 논문이나 전문 서적에 의하면 약 330여 분류군이 알려져 있는데, 같은 들어내는 질소를 포함하는 물질 전체를 의미한다. 알칼로이드는 포유동물의 신경계에 작
성질을 가지는 근연분류군을 포함하면 거의 900여 분류군에 이르며, 미나리아재비과 용하거나 암이나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Ranunculaceae), 국화과(Asteraceae), 백합과(Liliaceae) 순으로 많은 독성식물이 분포 염기성을 띄고 있으므로 식물로부터 추출이 쉬우며, 현재까지 20,000종류가 넘는 알칼
한다. 로이드 물질이 발견되었다. 알칼로이드는 인돌(indole), 아이소퀴놀린(isoquinoline), 퀴놀
린(quinoline), 트로판(tropan), 피롤리지딘(pyrrolizidine), 퀴놀리지딘(quinolizidine) 등의
질소를 포함한 헤테로 고리를 가지며, 구조가 복잡하다. 질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알칼로
이드로 분류되지 않는 물질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염기, 아민 등이 그러하다.
국내 분포 독성 식물 현황
알칼로이드 대부분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일부 성분들은 약물로 개발되
어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알칼로이드의 종류와 그 용도

• 니코틴(nicotine): 각성 및 신경 안정
• 디메틸트립타민(N,N-dimethyltryptamine): 환각 작용
• 모르핀(morphine): 통증 완화
• 상귀나린(sanguinarine): 항균제
• 아트로핀(atropine): 해독제
• 카페인(caffeine): 중추신경 자극제
• 캠프토세신(camptothecin): 항암제
• 코카인(cocaine): 흥분제
• 코데인(codein): 기침 억제
• 퀴닌(quinine): 말라리아 치료제
• 하르말린(harmaline): 중추신경 자극제
• 헤로인(heroin): 진통제, 모르핀으로 부터 합성

1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3


식물의 대표적 독성물질

2. 사포닌(Saponin) 3. 배당체(Glycoside)
라틴어의 sapo(비누)에서 유래한 사포닌(saponin)은 다양한 식물에 함유된 양친매성 배 배당체는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성분 중 하나로, 가수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인하여 당
당체(amphipathic glycoside)로서 계면활성, 세제 활성 등의 작용을 한다. 식물체 내에서 (糖) 부분과 아글리콘(aglycone) 또는 게닌(genin)이라 칭하는 비당(非糖) 부분으로 이루어
사포닌은 주로 다른 곰팡이나 미생물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진 물질을 의미한다. 구조적으로는 식물에 함유된 유기화합물의 수산기에 당의 anomeric
예상하며, 동물에게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리나 시금치에 존재 hydroxyl group(헤미아세탈성 또는 헤미케탈성 히드록실기)가 에테르 형태로 결합한 화합
하는 일부 사포닌이 동물의 소화과정 및 영양소 흡수를 촉진한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지 물이다. 배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은 대부분 포도당, 갈락토즈 등의 단당류이다.
만, 대부분 사포닌은 쓰고 얼얼한 맛을 가지고 있어 포유류가 섭취 시 위장 자극이 일어 배당체의 생리적 작용은 대부분 아글리콘 또는 게닌이라 칭하는 비당 부분에 의하여 일어
날 수 있으며, 사람 또한 마찬가지이다. 알팔파의 사포닌은 소가 섭취했을 때 소화 장애 난다.
와 고창증(bloating)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죽나무의 에고사포닌(egosaponin)과 같은 몇
몇 성분은 어류와 같은 냉혈동물(cold-blooded animal)에게 독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
다. 특정 농도의 사포닌은 곤충에게도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사포 우리 주변의 배당체와 용도 및 특성
닌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나, 아래와 같은 용도로 이용되기도 한다.
• 페놀(phenol) 배당체: 호흡기, 콩팥, 요도 등으로 배출되며 소독작용이 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사포닌의 종류와 그 용도 • ‌청산(cyanophore) 배당체: 장미과 벚나무(Prunus)속, 콩과 등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시안화수소(HCN)를 생성한다.
•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 혈당상승 억제,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질환 예방 • 안트라키논(anthraquinone) 배당체: 주로 설사를 유발한다.
• 키라야사포닌(quillaja saponin): 세정제, 발포제, 백신의 보조제, 유화향료 등 • 강심(cardiac) 배당체: 스테로이드 계통의 화합물로서 강심작용을 나타낸다.
• ‌사포닌(saponin) 배당체: 위벽을 자극하여 반사적 구토를 일으키며, 이외로도 이뇨제,
•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한약재, 음식과 담배 등의 단맛을 증진
강장약, 자극약 등으로 사용되며, 악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 연명피 사포닌: 세안료
• 쓴맛 배당체(고미질, amara)
•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중추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 약용효과 • ‌쿠마린(coumarin) 배당체: 진경작용, 항암작용, 관상피줄확장작용, 여성호르몬유사작
용, 억균작용 등을 나타낸다.
•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는 작용, 이뇨작용, 혈압
사포닌의 화학적 구조
을 낮추는 작용, 자궁수축작용, 설사작용, 구충작용, 동상 예방효과 등을 나타낸다.

식물의 액포에 수용성 화합물의 형태로 저장되는 사포닌은 지용성 화합물인 트리테
르펜 또는 스테로이드의 수산기에 당류가 여러 분자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청산배당체에 속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
트리테르펜은 세퀴테르펜(sesquiterpene) 2분자가 축합한 탄소 30개의 4환 골격 화
합물이고, 스테로이드는 트리테르펜보다 3개의 탄소가 부족한 탄소 27개의 4환 골격 덜 익은 매실의 과육과 씨앗에는 아미그
화합물이다. 달린이라는 청산배당체를 함유하고 있다.
아미그달린은 장내 효소인 아미그달라제
(amygdalase)에 의해 분해되어 시안산화
구조
합물을 생산해 중독을 일으킨다. 생체에
흡수된 청산은 중추신경의 자극과 마비를
동시에 일으키며, 혈액 중의 산화 환원 작
물질명 사포닌(saponin) 트리테르펜(triterpene) 스테로이드 U(steroid U) [아미그달린 구조식] 용을 방해하여 생명 활동에 문제를 일으
분자식 C58H94O27 C30H48O7S C19H28O2
킨다.

1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5


식물의 대표적 독성물질

4. 칼슘염(Calcium salt)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칼슘염의 종류와 그 용도

칼슘은 생체활동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물질이다. 인체 내에서 칼슘이온(Ca)은 골격 혈중알코올농도


중독증상
과 치아의 구성성분으로 존재하거나, 모세혈관의 투과성에 관여하고, 근의 흥분수축기 (BAC, ‰)

0.1-0.5 별다른 영향 없음
구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또 염화칼슘 등의 칼슘염은 지혈, 출혈 방지, 저칼슘혈증에
따른 경련, 골연화증 등에 이용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칼슘 이온은 불안전한 원소 0.3-1.2 적당한 행복감, 사교성, 재잘거림, 억제력 상실, 집중력과 판단력 감소

로서 자연 상태에서의 칼슘은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화합물의 상태로 존재한다. 탄산 0.9-2.5 감정적 불안정성, 주의력, 판단력, 기억력의 감소, 반응 더뎌짐, 운동·감각일치 장애

칼슘(CaCO3, calcium carbonate), 주석칼슘,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황산칼슘 1.8-3 방향감각 상실, 혼란, 졸음, 감각과 운동기능의 장애, 언어 불명료, 감정적 상태

(CaSO4, calcium sulfate), 구연산칼슘(C12H10Ca3O14·4H2O, calcium citrate), 수산칼 2.7-4 무관심, 마비, 자극에 대한 반응 감소, 구토, 방분방뇨, 의식 저하, 깊은 잠, 혼미

슘(Ca(OH)2, calcium oxalate) 등의 칼슘염은 세포 내에서 결정을 형성하여 신장결석, 가 3.5-5 완전한 의식불명, 혼수, 저체온증, 순환기와 호흡기의 불규칙성
성통풍 등의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4.5 이상 호흡 정지로 인한 사망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칼슘염의 종류와 그 용도


| 포름산(Formic acid)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제산제(위산과다 억제), 인결합제, 식물 비료 등 쐐기풀과(Urticaceae) 식물인 Urtica, Girardinia, Loasa 등의 자모, 잎과 뿌리에 낮은 농
• 황산칼슘(calcium sulfate): 두부 응고제, 인산질비료 재료, 석고 등 도로 함유된 물질이다. 경구로 섭취 시 유해하며,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간 기능 및
•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단백질의 흡착제, 베이킹파우더, 영양제 등 신장 기능에 해를 끼치며 동물실험에서 호흡 기능 저하가 관찰되었다.
• 구연산칼슘(calcium citrate): 산도조절제, 칼슘강화제, 조직응고제, 구연산 제조 등
| 글리옥실산(Glyoxylic acid), 글리콜산(Glycoylic acid)
완전히 익지 않은 과실과 어린잎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성장함에 따라 사라진다. 에틸알
코올,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산화될 때 생긴다. 호흡기 자극성 물질이며, 섭취 시 부식성
피해가 있고, 신장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5. 반응성이 있는 저분자 대사물질
| 모노플루오로아세트산(Monofluoroacetic acid)
| 에탄올(C2H5OH, Ethanol)
Dichapetalum cymosum (Dichapetalaceae), 콩과의 Oxylobium, Gastrolobium 등의 몇
에탄올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당류가 혐기성 발효되면서 생성되는 물질이며, 흔히 쌀과
몇 식물에 함유된 유독한 산이다. 플루오로아세트산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하여 만드
감자 같은 녹말 원료가 아밀라아제에 의하여 분해될 때 만들어진다. 적은 양은 사람에게
는 모노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에서 쥐약으로 사용하였을 정
활기를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혈중알코올농도(BAC) 1.4g/L를 넘기게 되면 중추억제 작
도로 독성이 강하여 특성 독물로 취급된다.
용, 근육 긴장의 감소, 빈맥, 이뇨증가, 고혈압, 구토, 감각과 운동능력 장애, 적혈구 생성
저하, 치매, 지방간 또는 간경화, 말초신경병증 등의 중독증상이 발현된다. 에탄올은 나 | 안식향산(Shikimic acid)
트륨과 칼륨에 의하여 조절되는 아세틸콜린, 글루타메이트, 세로토닌의 작용을 길항하는 팔각회향, 구스베리, 붓순나무의 과실 등에 함유된 식물 수지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작용을 하는데, 이는 진정제·최면제 용도로 사용되는 바르비투르 계의 성분과 비슷하다. benzoic acid라고도 불린다. 식품의 보존료 외에 의약품, 향료, 공업원료 등으로 사용된
다. 안식향산나트륨이 비타민C와 만날 경우, 1군 발암물질인 벤젠이 소량 생성된다.
| 옥살산(수산, Oxalic acid)
옥살산은 식물에서 생성되는 강한 산성의 다이카르복시산이다. 용해도가 낮은 수산칼륨 | 말론산(Malonic acid)
결정은 날카로운 침상결정으로 특히 인체에 유해하다. 옥살산과 옥살레이트는 몇몇 식물 산형과, 콩과, 벼과, 명아주과 등의 식물에 흔히 칼슘염의 형태로 함유된 물질이다.
을 제외하고 0.1% 미만의 낮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흔히 천남성과, 백합과, 콩과 등 경구로 섭취 시 구역질, 구토, 위통 등의 소화기계 증상과 함께 호흡 기도를 자극하여 호
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피부 또는 점막 자극이 있으며, 경구로 섭취 시 유해하다. 흡곤란, 후두염 등을 일으키며, 피부 자극이 있다고 보고되어있다.

1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7


의학용어 설명

1. 비뇨계
가성통풍(假性痛風, pseudogout) 활액 내 요산염 대신 피로인산 칼슘이 축적되어 산동(散瞳, mydriasis) 동공이 확대되는 상태, 동공산대
나타나는 통풍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관절염
섬망(譫妄, delirium) 의식장애와 내적인 흥분의 표현으로 볼 수 있는
세뇨관 탁종(細尿管 濁腫) 신장의 세뇨관에 나타나는 종기(腫氣)로 운동성 흥분을 나타내는 병적 정신상태
소변을 탁하게 하거나 통증을 동반할 수 있는 상태
안검하수증(眼瞼下垂症, ptosis of eyelid) 눈꺼풀이 처져서 시야를 가리는 증상.
신부전(腎不全, renal failure) 혈액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떨어져서 생긴다
신장의 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
암점(暗點, scotoma) 시야 내에 있는 섬 모양의 시야결손부
요실금(尿失禁, urinary incontinence)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하여
오한(惡寒, chill) 갑작스럽게 몸에 열이 나며 추위를 느끼는 증상.
소변이 유출되는 증상
몸이 덜덜 떨림이 관찰되는 불수의적인 근육수축
요폐(尿閉, urinary retention) 방광에 오줌이 괴어 있지만 배뇨하지 못하는 상태
이명증(耳鳴症, tinnitus) 귀울림이라고도 하며,
혈뇨(血尿, hematuria) 오줌에 적혈구가 섞인 것
상응하는 외부의 소리가 없음에도 귀에서 소리를 인식하는 증상
지남력 상실(指南力 喪失) 시간, 장소, 환경 따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 없는 일
2. 소화계
현훈(眩暈, dizziness) 회전감, 부동감 등을 동반하는 평형장애, 어지러움
고창증(鼓脹症, tympanites) 반추 동물, 특히 소의 혹위에서 음식물의 이상 발효로
갑자기 많은 가스가 생겨 배가 불룩해지는 증세
4. 심혈관계
구갈(煩渴, polydipsia) 갈증이 심해 다량의 물이 마시고 싶은 증세
기외수축(期外收縮, extrasystole) 심장에 이상 자극이 형성되어
구음장애(構音障碍, articulationdisorder) 발성 기관의 기능 이상으로 말하기 어려운 상태
정상적인 박동 이외에 다른 박동이 일어나는 상태
오심(惡心, nausea) 속이 메스꺼워 토하려고 하는 상태. 불쾌하고 울렁거리며
방실차단(傍室遮斷, auriculoventricular block) 심장 박동을 유지하는 신호가 동맥과
구역질이 나면서도 토하지 못하고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
직접적으로 연결된 심실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맥박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상태
인후종통(咽喉腫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증. 목구멍에 생기는 질환의 주된 증상
부정맥(不整脈, arrhythmia) 맥박의 리듬이 빨라졌다가 느려졌다가 하는 불규칙적인 상태
장음감소(腸音減少) 장의 운동 소리가 저하된 상태. 장 마비 증상이 있을 때 나타나며,
빈맥(頻脈, tachycardia) 맥박의 횟수가 정상보다 많은 상태
청진기로 장음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음
서맥(徐脈, bradycardia) 맥박의 횟수가 정상보다 적은 상태

3. 신경계 심계항진(心悸亢進, palpitation) 환자가 심박을 느낄 수 있는 상태


그리고 이에 따른 불편감
근육강직(筋肉強直, muscle infraction)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골격근이 수축하거나 굳는 증상 용혈(溶血, hemolysis)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관 등의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

바빈스키 징후(Babinski’s sign) 발바닥 외측부를 발뒤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침 등 저칼륨혈증(hypokalemia) 대사성 산증, 약물 사용, 당뇨병성 케톤산증,
뾰족한 것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배굴하는 병적 반사 현상 유전성 질환 등의 원인으로 혈청 칼륨치가 정상(3.5~5.5mmol/L)치 이하로 떨어진 상태

1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


의학용어 설명

7. 기타
청색증(靑色症, cyanosis) 혈중 산소 농도의 저하 및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로 ALT(alanine aminotransferase)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
인하여 입술이나 조상 등 피부의 점막이 암청색을 띠는 형태 간세포가 손상 받는 경우 농도 증가 (정상수치: 0~40 IU/L)
횡문근융해증(橫紋筋融解症, Rhabdomyolysis)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이나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간세포, 심장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
감염질환 등으로 횡문군의 근육세포가 손상되면서 세포 속의 마이오글로빈, 간세포가 손상 받는 경우 농도 증가 (정상수치: 0~40 IU/L)
칼륨, 칼슘 등이 혈액 속으로 녹아드는 질환
GGT(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간 내의 쓸개관에 존재하는 효소.
쓸개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주로 증가 (정상수치: 남성 11~63 IU/L, 여성 8~35 IU/L)
5. 피부계 LD50(Lethal Dose, 반수치사량) 일군의 실험동물 50%를 죽게 하는 독성물질의
구진(丘疹, papule) 피부에 나타나는 발진 중 안에 고름이 없으며 작고 단단한 덩어리 양으로, 동물의 체중 1㎏에 대해 독물의 양(㎎)으로 나타낸다.

다형삼출성홍반(多形渗出性紅斑, erythema exsudativum multiforme) 피부 질환의 막관통단백질(膜貫通蛋白質, transmembrane protein) 생체막의 지질2중층을
하나. 손등, 발등, 종아리 따위에 손톱만 한 크기의 붉은 반점과 작은 수두(水痘) 따위가 관통하여 생체막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고 있는 막단백질.
돋아나 물질이 생기면서, 가렵고 열이 나며 뼈마디가 아픈 증상 빌리루빈(Bilirubin) 파괴된 적혈구 내의 hemo가 과정을 거쳐 대사물로 재생성된
발진(發疹, rash) 피부나 점막에 돋아난 작은 종기를 지칭 것으로 간 기능 이상으로 혈중 빌리루빈 수치 증가시 황달(jaundice)이 나타남

소양증(搔痒症, pruritus)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어지는 주관적 감각으로 아급성(亞急性) 급성과 만성의 중간 성질.
가려움을 주 증세로 하는 피부병.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소양 증상을 모두 포함 황체(黃體) 척추동물의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된 뒤에 난소의 소포가 변화하여
종창(腫脹, swelling) 부기(浮氣) 또는 부종(浮腫)으로 인하여 부은 상태, 몸이 붓는 증상 생기는 황색의 조직 덩어리

홍반(紅斑, erythema)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 피부가 국한성으로 붉게 변하거나 황체호르몬(progesterone) 황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하나.
혈액이 피부하층부에 고이는 현상 주로 난소의 황체나 태반에서 분비되며, 임신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6. 호흡계
천식(喘息, asthma)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반복적, 발작적 증상
폐부종(肺浮腫, pulmonary edema)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정맥 및 모세혈관
내에서 체액이 빠져나가면서 폐에 과도한 양의 체액이 쌓여 호흡곤란 등을 야기하는 상태
호흡장애(呼吸困難, dyspnoea) 숨을 쉬는 운동에 있어 스스로 느끼는 상태로
흔히 불편함으로 표현. 폐 기능 이상 시에도 발현될 수 있음
흉통(胸痛, chest pain) 가슴통증, 가슴이 아프거나 결리는 질환

2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1


속새과 속새 Equisetum hyemale L.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석송과 뱀톱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관중과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J.Sm.
잔고사리과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가지과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흰독말풀 Datura metel L.
국화과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H.Wigg.
꿀풀과 긴병꽃풀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난초과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약난초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느릅나무과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대극과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L.
애기땅빈대 Euphorbia muculata L.
피마자 Ricinus communis L.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오구나무 Sapium sebiferum (L.) Roxb.
때죽나무과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복주머니란
속새과 I 속새속

속새
Equisetum hyemale L.

포자낭이삭 치편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규산(silicic acid), 규산염(silicates), palustrine, equisetine, nicotine(LD50: 188mg/kg, rat) equisetonin,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습지성 식물
aconitic acid, thiaminase, quercetin(LD50: 161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30~60cm
섭취 시 소화기 계통 증상이 나타나며, 다량을 섭취하면 소변량이 증가하고 혈뇨가 나타나며,
줄기
서맥이 나타나 움직이기 힘들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포자엽이 없고 줄기 끝에 포자낭이삭이 달리며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가지를 치지 않는다. 마디 사이에 10~18개의
•비뇨계통 : 소변량 증가, 혈뇨 능선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심혈관계통 : 서맥
엽초
•기타 : 발한
치편을 포함하여 길이 8~15mm로 줄기에 밀착하여
중독사례 둘러싼다. 치편은 삼각형의 막질이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포자낭이삭
•동물 중독사례의 경우 다리와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맥박의 느려짐이 보고됨 길이 6~10mm의 원뿔 모양으로 줄기 끝에 붙고
자루가 없다.
뿌리줄기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면 가까이서 여러 개로 갈라진다.
분포
중부 이북의 산림습지

2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5


속새과 I 속새속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포자체 포자낭수

영양체 치편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하록성의 여러해살이풀, 습지성 식물
nicotine, palustrine, equisetonin, equisetrin, 규산(silicic acid), luteolin 등
크기
중독증상 포자체는 10~30cm, 영양체는 20~40cm
다량 섭취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지속적인 섭취 시
포자체
vitamin B1 결핍이 유발될 수 있다.
영양체보다 먼저나오고, 연한 갈색이며,
•심혈관계통 : 이뇨 작용에 의한 혈압 저하 가지를 치지 않는다.
•소화계통 : 규산에 의한 소화기 장애 잎집은 15mm 정도로 영양체의 것보다 길다.
•비뇨계통 : 소변량 증가, 혈뇨
영양체
중독사례 겉에 6~10개의 능선이 있고 마디에 이와 같은 수의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가지와 잎집(엽초)이 돌려난다. 속은 비어 있다.
잎집은 치편을 포함하여 5mm 정도며 녹색이다.
포자낭수
길이 2~4cm의 긴 타원형으로 성숙 시 3~6cm의
자루가 생긴다.
뿌리줄기
땅속 깊게 뻗는다.
분포
전국

2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7


석송과 I 뱀톱속

뱀톱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포자낭군 무성아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levo-tetrahydropalmitine1), lycopodine2), nicotine(LD50: 188mg/kg, rat), clavatine 등 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신경계통 : 신경계 중독증상(마비 증상) 높이 7~25cm
•기타 : 간 독성 잎
중독사례 길이 10~18mm 정도로 좁거나 넓은 피침형,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
잎자루는 없다.
포자낭군
잎겨드랑이에 붙으며 황백색이다.
무성아
줄기 끝에 달리며 녹색이다.
줄기
밑부분이 지표면에 가까이에서 비스듬히 서거나 기며
위쪽은 곧게 서며 1~3회 갈라진다.
분포
전국의 산지
1) 간독성을 일으키며 신경계에 작용
2) 운동신경을 마비시키는 작용

2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9


관중과 I 관중속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포자낭군 잎자루인편

새순 새순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phloroglucine 유도체인 aspidin, albaspidine, dryorassin 등
중독증상 형태
구역질, 구토, 복통, 장출혈 등의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하록성의 여러해살이풀
점차 현기증, 경련, 마비 등의 신경계 증상 등이 동반되면서 악화된다. 크기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장 출혈 높이 50~100cm
•신경계통 : 현기증, 경련, 마비 등 잎
중독사례 길이 40~80cm 정도의 1회 깃모양겹잎이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잎자루
길이 14~25cm 정도로 잎몸보다 짧고, 갈색 또는 적갈색,
밝은 갈색 비늘조각은 밑부분에 많다.
포자낭군
소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에 붙는다.
포자는 단지형이며 과립상의 무늬가 있다.
뿌리
굵고 곧게 뻗는다.
분포
전국의 산지

3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31


관중과 I 쇠고비속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J.Sm.

포자낭군 잎자루

우편 새순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뿌리줄기에 tannin(LD50: 2,260㎎/㎏, rat) 등 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 습지성 식물
잎에 flavonoid 계열의 cyrtomin, cyrtipterin, isoquercitrin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30~50cm
•tannin은 경구로 섭취할 시 신장과 간에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잎
일부 성분들이 체내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길이 20~33cm 정도의 넓은 피침형으로 1회 깃모양겹잎이며
•고비류에 함유된 thiaminase를 다량 섭취하면 소화계통을 주로 한 인체 독성이 나타날 것으로 소우편은 16~30쌍이 어긋나게 붙는다.
추정되나 아직 정확한 연구보고는 없음 잎자루
중독사례 길이 10~20cm로 볏짚 색, 밑부분의 비늘조각은 난형,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피침형이다.
포자낭군
중앙의 양쪽에 4줄까지 붙으며
그물맥 안의 유리맥에 붙는다. 포자는 단지형이다.
뿌리줄기
곧게 서고 광택이 나는 갈색, 가운데 흑갈색 띠가 있는
비늘조각이 많이 붙는다.
분포
전국의 산지

3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33


잔고사리과 I 고사리속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포자낭군 우편

새순 새순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다 자라면 독성이 강해진다.
독성물질
ptaquiloside(발암물질), sesquiterpene, pterosin, pteroside 등
중독증상 형태
함유 성분과 동물 중독사례를 보아 다량을 섭취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심한 복통, 설사 크기
•심혈관계통 : 부정맥 높이 1~3m
•신경계통 : 기립장애, 보행장애 잎
중독사례 길이 30~95cm 정도의 3~4회 깃모양겹잎이다.
인체와 관련되어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지만, 과섭취나 장기간 지속적인 섭취는 피해야 한다. 잎자루
•소가 고사리를 먹으면 중독증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져있음 길이 1m 이상이며 볏짚색, 연녹색, 아래쪽은 흑갈색이며,
•동물실험을 통해 다량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폐암 또는 방광암의 유발 원인으로 보고 연한 갈색 털이 빽빽하게 있다.
포자낭군
잎의 가장자리에 붙고 서로 연속된다.
포자는 미립상의 삼지형이다.
뿌리
땅속 깊이 길게 뻗는다.
분포
전국

3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35


가지과 I 미치광이풀속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열매 잎

새싹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지만, 뿌리줄기3)의 독성이 강하며 봄철의 독성이 더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hyocyamine, scopolamine, atropine(LD50: 500mg/kg, rat), hyoscine, glycoalkaloid, 크기
nicotine(LD50: 188mg/kg, rat) 등 높이 30~60cm
중독증상 잎
섭취 후 1시간 이내 증상이 발현되며, 24시간부터 수일에 이르기까지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 어긋나며 긴 달걀모양, 밑부분의 잎은 1~2개의
•신경계통 : 의식장애, 환청, 환각, 발작, 구음장애, 행동장애, 시력장애, 섬망, 마비 톱니가 있고 길이 10~20cm, 끝이 좁으며
•소화계통 : 오심, 구토, 장음 감소 털이 없고 연하며 잎자루가 있다.
•호흡계통 : 호흡 부전 꽃
•심혈관계통 : 순환장애, 고혈압, 빈맥, 횡문근융해증 4~5월에 자줏빛이 도는 황색 종 모양의 꽃이
중독사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서 피고 밑으로 처진다.
•일가족이 식용나물로 오인하여 미치광이풀을 섭취한 후 오심, 구토로 내원하였으며, 열매
계속 웃음을 보이는 조증의 감정변화가 진단되어 입원 삭과, 지름 1cm 정도의 원형이고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50세 성인이 식용식물로 오인하여 섭취한 후 멍한 상태로 말을 하지 않고, 바지를 벗으려 하며, 줄기
비정상적인 행동 등으로 신고되어 응급실에 내원 후에는 혼미상태가 지속 연하며 털이 없다.
•성인 3명이 입원 6시간 전 산에서 채취한 나물을 섭취한 후 지속해서 웃고, 혼란스러움을 보이며,
뿌리
목마름증, 급박뇨, 행동 조절 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며 내원
옆으로 자라면서 굵어진다.
•61세 여성이 미치광이풀을 돼지감자로 오인하여 섭취 30분 후 오심, 구토와 같은
소화기계 증상과 함께 구음장애, 입 마름, 양안 산동 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관찰 분포
전국의 산지
3) 뿌리줄기를 10g 이상 먹었을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3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37


가지과 I 미치광이풀속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유사식물
잎 생김새가 유사한 식물 : 당개지치
뿌리 생김새가 유사한 식물 : 삽주, 천궁, 마

미치광이풀과 당개지치의 생김새와 차이점


미치광이풀 당개지치

유묘

•미치광이풀
식물 전체에 털이 없다.


•당개지치
잎 표면과 가장자리 및
꽃받침에 긴 흰털이 있다.

열매
•꽃이나 열매가 없는 시기에는
당개지치로 오인한 사례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전초

미치광이풀 뿌리의 생김새


소형 대형 유사 식물

뿌리가 크게 성장하였을 때는
삽주, 마, 천궁과 모양이
비슷하여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미치광이풀

38
가지과 I 독말풀속

흰독말풀
Datura metel L.

꽃 열매

(mm)
8

0
씨앗 잎

독성부위
맹독성으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잎, 꽃, 뿌리에 독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형태
독성물질 한해살이풀
atropine(LD50: 500mg/kg, rat), hyoscyamine4)(LD50: 95mg/kg, rat), scopolamine, meteloidine, 크기
belladonine 등 높이 1~2m
중독증상 잎
섭취 후 30~60분 이내에 증상이 발현되며 24시간부터 또는 수일에 이르기까지 증상이 지속 어긋나며 길이 8~15cm의 달걀모양이고
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뾰족한 톱니가 있다.
•소화계통 : 구토, 메스꺼움, 복통, 타액 분비, 구강점막 건조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신경계통 : 의식장애, 환청, 환시, 발작, 구음장애, 행동장애, 시력장애, 마비, 과잉반응 꽃
•심혈관계통 : 심계항진, 부정맥, 빈맥, 고혈압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피며 길이 8cm 정도의
•비뇨계통 : 신장 손상, 탈수증 나팔꽃 모양이고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중독사례 열매
•9세 남성이 흰독말풀 열매 20개를 달여 2컵 정도 섭취하고 2시간 후 오심, 구토, 복부 불쾌감, 삭과, 달걀모양으로 표면에 가시 같은 돌기가 많다.
불안하고 흥분된 모습이 관찰됨
줄기
•58세 여성이 도라지 뿌리로 오인하여 흰독말풀의 뿌리를 섭취하고 1시간 후 정신착란, 두통, 오심,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구갈, 불안, 지남력 감소, 혀의 감각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남
•남성 2명이 늪에서 채집한 야생식물의 뿌리를 한입 섭취하였고, 이후 심계항진, 동공확대, 뿌리
지나친 타액 분비 등의 증상이 나타남 잔뿌리가 많다.
•63세 여성이 흰독말풀 열매 20개를 달여 1컵 정도 섭취하고 구토, 오심, 안면홍조, 흥분된 상태를 분포
보여 가족들에 의해 응급실에 내원 (열대아시아 원산, 재배 및 관상용) 전국의 민가 주변

4) alkaloid 계열 중 강한 신경계통 독성을 보이는 주요 독성물질

4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41


가지과 I 독말풀속

흰독말풀
Datura metel L.

근연식물
가지과 독말풀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2종류가 있고, 모두 약용식물 또는 관상용으로 들여 와
재배하던 것이 일탈하여 야생화된 외래식물이다.
동일속 식물 모두 같은 독성 및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독말풀속(Datura)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흰독말풀(한해살이풀) 털독말풀(여러해살이풀)

꽃은 흰색 또는 꽃은 흰색이며,
연한 자주색을 가장자리에 꼬리
띠며 5~6갈래로 같은 5~6개의
갈라진다. 짧은 돌기가 있다.

열매는 위로 열매는 아래로


향해 달린다. 향해 달린다.

(mm)
8 10
씨앗은 타원형의 씨앗은
6
검은 갈색이고 귀 모양으로
4 5
표면에 불규칙한 납작하고,
2
돌기가 있다. 0
연한 갈색이다.
0

잎은 비대칭,
잎은 불규칙한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결각상의 뾰족한
물결모양의 톱니가
톱니가 있다.
있기도 하다.

줄기에 털이
줄기에 미세한
거의 없거나,
굽은 털이 밀생한다.
굽은 털이 밀생한다.

흰독말풀

4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43


국화과 I 민들레속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총포 열매와 씨앗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choline(LD50: 3,400mg/kg, rat), coumarin5)(LD50: 293mg/kg, rat),
크기
nicotinic acid(niacin)(LD50: 7,000mg/kg, rat), taraxasterol, taraxol, sesquiterpene, β-amyrin 등
높이 15~30cm
중독증상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알레르기성 결막염, 천식을
잎이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타원형이고
유발한다. 다량 섭취 시에는 소화기계의 증상도 같이 나타나며, 주로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밑을 향해 우상으로
•피부계통 : 발진, 접촉성 피부염(소양감, 홍반, 부종 등), 알레르기피부염, 결막염 갈라지거나 밋밋하다.
•호흡계통 : 천식, 호흡기관 자극

•소화계통 : 간세포 손상, 구역질, 복통, 설사, 완화작용 촉진 등
3~10(11)월에 피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노란 꽃이
•기타 : 항응고제, 아스피린, NSAID(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함께 복용하면 출혈
위를 향해 달린다. 외포편은 뒤로 꺾여 젖혀지며
중독사례 내포편은 곧추선다.
•동물중독 실험(쥐와 실험쥐)결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투약했을 때, 두 집단의 체중이 감소
열매
•방목하던 말 중에서 서양민들레를 대량으로 섭취한 개체들이 다리를 저는 것이 관찰
수과, 갈색의 편평한 방추형이고 짧은 돌기가
•동물실험에서 민들레 추출물을 투약한 쥐와 토끼에게 아급성 시험 결과 소변에
세로로 나 있고 관모는 백색이다.
소량의 원주(管型)가 나타났고, 세뇨관(콩팥요세관) 세포에 탁종이 관찰
•동물실험에서 민들레 추출물을 투약한 쥐와 토끼에게 간세포에 경도의 손상이 관찰 뿌리
직근성의 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유럽 원산, 외래식물) 전국에 분포
5)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4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45


국화과 I 민들레속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H.Wigg.

근연식물
국화과의 민들레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귀화식물 2종을 포함하여 모두 9종류가 분포한다.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하나, 근연종으로서 같은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민들레속(Taraxacum)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총포 씨앗 비고




들 자생하는 민들레속
레 식물과 비교해 바깥
총포가 아래로 꺾인다.

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씨 씨앗이 적색을 띤다.




산 씨앗으로는 거의
민 구분이 되지 않는다.
산지에서 자란다.

꽃이 흰색이고,
흰 주로 전국의

인가 주변 및

레 들녘에서
자란다.

좀 한라산의

고산지에서

레 자란다.

서양민들레

4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47


꿀풀과 I 긴병꽃풀속

긴병꽃풀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꽃 잎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는 5~25cm 정도 자란다.

마주나며 달걀모양 또는 콩팥 모양으로 길이 1.5~2.5cm 정도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퍼진 털이 있다.

독성부위 꽃
전체가 유독하다. 4∼5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그루에 따라 꽃이 큰 것과 작은 것의 2형이 있으며 꽃받침에
독성물질
퍼진 털이 있다.
limonene(LD50: 5g/kg, rat), menthol(LD50: 2,900mg/kg, rat), pinene), tannin, 우르솔산(ursolic acid),
p-cymene, isomenthone, isopinocamphone, linalool 등 열매
분과, 타원형이고 6월에 성숙한다.
중독증상
섭취 시 입안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입 주변 감각 이상이 나타난다. 줄기
모가 지고 처음에는 곧추서나 꽃이 진 뒤에 쓰러져 길게 뻗어
•소화계통 : 입 주위 통증, 설사, 복통, 구토 등
길이 50cm에 달하며 퍼진 털이 있다.
•호흡계통 : 호흡곤란, 폐기능 장애
•비뇨계통 : 알부민뇨, 혈뇨 분포
•신경계통 : 입 주위의 이상감각, 극심한 통증, 어지러움, 혼수, 경련, 마비 등 전국
•피부계통 : 부종, 피부알레르기
중독사례
•73세, 64세, 66세의 남성 세 명이 음주 후, 금전초6) 잎이 얼마나 매운지 이야기를 하다가
씹어서 섭취 후, 입 주위 통증과 이상감각, 마비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하였으며 12시간 관찰 후
호전되어 퇴원

6) 긴병꽃풀은 꿀풀과 식물로, 흔히 금전초라 불리기도 하며, 한방에서 사용하는 이름이다.

4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49


난초과 I 복주머니란속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꽃 잎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alkaloid, coumarin7)(LD50: 293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20~40cm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잎
중독사례 3~5개의 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타원형으로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길이 8~20cm 정도로 털이 약간 있고
유사식용식물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되며 줄기를 감싼다.
어린개체를 풀솜대로 오인 꽃
5~6월에 길이 4~6㎝ 정도이고 연한 홍자색 꽃이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려 피며 포는 잎 같다.
열매
삭과, 긴타원형이다.
줄기
줄기는 곧게 서고 다세포의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전국의 산지(제주도 제외)
7)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5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51


난초과 I 복주머니란속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과 풀솜대의 생김새와 차이점


복주머니란 풀솜대

유묘

복주머니란(독성)은 새순이
나올 때와 유묘기에 풀솜
대(식용가능)와 구분하기가
유묘
어려워 나물로 이용할 목적
으로 채집하여 섭취하였다
가 중독되기 쉽다.

전초

복주머니란

5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53


난초과 I 약난초속

약난초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꽃 잎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다. 특히 비늘줄기가 맹독성이며, 이를 산자고(山慈姑)8)라 한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olchicine9)(LD50: 5.886mg/kg, rat) 등
높이 30~50cm
중독증상

섭취 후, 수 시간 경과 되면 중독증상이 나타나며 초기에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다가
잎은 1~2개가 비늘줄기 끝에서 나오며, 길이 25~40cm,
이후에 신경계 증상이 나타난다.
너비 4~5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3맥이 있고 끝이
장기간 복용하면 정맥염이 발생하고, 치사량을 섭취하였을 때는 7~36시간 이내에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와 연결된다.
극도로 기력이 쇠약해져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다.
겨울이 지나면 마른다.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설사, 혈뇨, 소변감소 등

•신경계통 : 의식장애, 동공산대, 전신마비, 실언, 전신쇠약감 등
5~6월로 잎 옆에서 나온 꽃줄기에 15~20개의 연한 자줏빛이
•심혈관계통 : 중증의 경우 심혈관계 문제 발생
도는 갈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밑을 향해 달려 핀다.
중독사례
열매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삭과, 길이 2~3cm의 타원형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자루가 없다.
뿌리
위경(가짜 비늘줄기)은 난상 원형이고 땅속으로 얕게 들어가며
높이 3㎝이고 옆으로 염주같이 연결된다.
8) 난초과 약난초의 비늘줄기를 산자고(山慈姑)라 하는데, 산자고는 백합과의 산자고(Tulipa edulis)와 이름이 같다.
이 백합과의 산자고도 비늘줄기를 산자고 또는 광자고(光慈姑)라고도 하며 주요 독성물질도 약난초와 같은 분포
colchicine으로 거의 같은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내장산 이남의 해안 및 도서 지역
9) 치사량인 8mg을 복용하면, 7~36시간 이내에 극도로 기력이 쇠약해져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다.

5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55


느릅나무과 I 느릅나무속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꽃 열매

잎 수피와 겨울눈

독성부위
형태
수피와 뿌리10)에 독성이 있다.
낙엽 활엽 교목
독성물질
크기
pectin, alginic acid, β-sitosterol, stigmasterol, tannin, catechin(LD50: 10,000mg/kg, rat),
높이 15~30m, 지름 1m 내외
resin(LD50: 2,000mg/kg, rat), catechinapioside 등

중독증상
어긋나며 길이 3~12cm 정도의 긴 타원형, 끝이 꼬리처럼
•소화계통 : 메스꺼움, 구토, 소화불량, 오심, 간 손상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좌우비대칭이며 10~16쌍의 측맥이 있다.
•비뇨계통 : 신장 손상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3~7(12)mm이다.
•기타 : 피로감

중독사례 4월 잎이 피기 전 2년지의 잎겨드랑이에
•48세 여성이 건강 보조 개념으로 10일 전부터 느릅나무 껍질(유근피)을 달여 하루 3~4컵 정도를 양성화가 7~15개씩 모여 취산꽃차례로 핀다.
복용하던 중 오심, 구토, 피로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여 정밀 진단 결과 세뇨관 상피 세포의 편평화와 수술은 4~5개이고 암술대는 둘로 갈라지며 흰털이 밀생한다.
경한 정도의 염증 세포 침윤이 관찰 열매
시과, 길이 8~11mm 타원형으로
털이 없으며 5~6월에 익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암갈색~회갈색으로 세로로 균열이 생기며,
어린나무나 가지에 화살나무 같은 코르크층이 발달하기도 한다.
분포
전국의 산지
10)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을 한방에서 유근피라 한다.

5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57


대극과 I 대극속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

꽃 열매 씨앗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상처를 입으면 흰 유액이 나온다.
독성물질 크기
euphorbic acid, euphorbin, euphorin, anthraquinone(LD50: 5,000mg/kg, rat), flavonoid, gallic 높이 30~80cm
acid(LD50은 5.0g/kg, rabbit), quercitrin 등 잎
중독증상 어긋나며 긴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5~2.8cm이다.
난자의 착상을 방해하는 등의 독작용을 유발하므로 임산부에게 위험한 식물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때로는 간 기능 장애와 콩팥 기능 이상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꽃
•소화계통 : 구강점막 화상,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등 4~5월에 피며, 등잔모양꽃차례로 타원형 모양을 한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접촉 부위 통증(특히 눈), 결막염, 알레르기피부염 황록색인 4개의 선체로 둘러싸이고 1개의 암꽃과
•신경계통 : 어지럼증, 경련, 산동, 의식장애, 시력장애, 고열, 요폐 등 1개의 수술만 있는 수꽃이 다수 있다.
•기타 : 황체호르몬의 수치 감소, 혈중 요산 수치 증가 열매
중독사례 삭과, 둥글고 가장자리는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많으며
•묘목장에서 일하는 27세 여성이 재발성 천식 증상을 보이며 내원하였다. 7~8월에 익는다.
처음으로 증상이 발현될 때는 대극과 접촉한 후였다고 기록 줄기
•3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대극 추출물을 이용하여 pacth test(알레르기반응검사)를 진행한 결과 원줄기에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끝에 5개 정도의 피침형 총포엽이
대부분이 대극의 알레르기질환에 있어 부정적인 결과를 보임 돌려나고 그 윗부분에서 대개 5개(때로는 다수)의 가지로 갈라진다.
뿌리
사방으로 뻗는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전국

5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59


대극과 I 대극속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3 mm

꽃 열매 씨앗

새싹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상처를 입었을 때 나오는 흰 유액에 독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여러해살이풀, 상처를 입으면 흰 유액이 나온다.
독성물질 크기
triterpenoid 계열의 kansuinine A, kansuinine B, euphorbol, tirucallol 등 높이 20~40cm
중독증상 잎
섭취 시 소화기 질환이 나타나고, 유액이 피부에 접촉 시 염증이나 피부질환이 발현되는 어긋나며 긴타원형 또는 거꿀피침형으로 길이 3~6cm이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사례가 대부분으로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꽃
•소화계통 : 구역질, 구강통증, 설사, 구토, 복통 등 4~5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등잔모양꽃차례로
•피부계통 : 감광성 피부질환, 물집, 피부염증, 피부질환(눈과 손상된 피부에 닿으면 위험) 초승달 모양을 한 4개의 선체로 둘러싸이며 그 안에 1개의
•기타 : 이뇨작용, 임산부에게 유독, 만성적으로 장기간 노출 시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다. 암꽃과 1개의 수술만 있는 다수의 수꽃이 있다.
중독사례 열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삭과,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6~7월에 익는다.
•동물실험에서 개감수 추출물 0.0142gm/pound의 양을 물과 같은 형태로 개에게 급여한 결과 줄기
강한 이뇨작용이 일어남을 관찰 대개 털이 없고, 원줄기 끝에 5개 정도의 피침형 총포엽이
돌려나며 그 윗부분에서 대개 5개(때로는 다수)의
가지로 갈라진다.
뿌리
옆으로 뻗는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전국

6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61


대극과 I 대극속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L.

꽃 미성숙 열매

잎 전초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두해살이풀, 상처를 입으면 흰 유액이 나온다.
phorbol11), ingenol, saponin, euphorbine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30cm
유액이 피부에 닿으면 피부염증을 일으키고, 섭취하면 아래와 같은 중독증상들이 나타난다.

•소화계통 : 소화기계 자극, 구역질, 구토, 심한 복통, 설사, 인후종통
어긋나며 주걱상 또는 거굴달걀모양이다.
•심혈관계통 : 빈맥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신경계통 : 경련
•피부계통 : 작열감, 통증, 수포 등의 피부병변 꽃
3~4월에 피며, 등잔 모양 꽃차례로서 타원형 모양을 한
중독사례
황록색인 4개의 선체로 둘러싸이며 1개의 암꽃과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1개의 수술만 있는 수꽃이 다수 있다.
열매
삭과로 밋밋하며 털이 없고, 5~6월 익는다.
줄기
밑부분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사방으로 뻗으며
위쪽에 긴 털이 다소 있다. 위쪽 끝에 보통 5개의 총포엽이
돌려나며 그 위에 5개의 가지가 산형 모양으로 갈라진다.
분포
경기도 이남(주로 서해안~남해안)
11)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로 보고되어있다.

6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63


대극과 I 대극속

애기땅빈대
Euphorbia muculata L.

열매 잎

유묘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maculatul, sitosterol, tannin, saponin 등 형태
중독증상 한해살이풀, 상처를 입으면 흰 유액이 나온다.
•소화계통 : 복통 등 크기
•내분비계통 : 갑상선 호르몬 생성 이상 땅바닥에 누워 자란다.
•피부계통 : 두드러기, 다형삼출성홍반

중독사례 마주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5~10mm이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양 끝이 둥글며 위쪽에 잔 톱니가 있고 가운데 갈색 반점이 있다.

6~7(8)월에 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등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처럼 생긴 4개의 부속체 안에 4개의 선체가 있고,
그 안에 1개의 암술로 된 암꽃과 1개의 수술로 된 수꽃이 다수 있다.
열매
삭과로 3개의 둔한 능선이 있고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
적갈색을 띠고 털이 많고 지면을 따라 4방으로 퍼진다.
분포
전국

6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65


대극과 I 대극속

애기땅빈대
Euphorbia muculata L.

근연식물
대극과 대극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18종류가 보고되어 있으며, 동속 식물 중 애기땅빈대와 유사한
계열은 5종류로, 자생식물인 땅빈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외래식물이다.

애기땅빈대와 근연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땅빈대 애기땅빈대 큰땅빈대

열매

열매는 털이 거의 없고 열매에 털이 없고
열매 전체에 누운 털이 많다.
삼각 피라미드 모양이다. 둥근 삼각형이다.

애기땅빈대와 달리 잎 표면 잎 표면 중앙부에 적자색의 반점 어릴 때의 잎은 잎 표면 중앙부에


중앙부에 적자색의 반점이 없다. 이 있으나 드물게 없는 것도 있다. 적자색의 반점이 생기기도 하나
자라면서 점차 없어진다.

줄기

줄기와 가지에 미세한 굽은


줄기와 가지에 긴 퍼진 털이 있다. 줄기와 가지에 굽은 털이 많다.
털이 있다.

식물전체

줄기와 가지는 비스듬히 대부분 줄기와 가지는 땅에 거의 줄기는 거의 곧게 자라거나


옆으로 퍼지며 자라거나, 밀착하며 자라지만, 수풀 속에서는 약간 비스듬히 퍼진다.
거의 땅을 기며 자라기도 한다. 비스듬히 서서 자라기도 한다. 유사 종에 비해 대형이다.

애기땅빈대
6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67
대극과 I 피마자속

피마자
Ricinus communis L.

15mm

10

꽃 열매 씨앗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주로 씨앗과 잎의 독성이 강하다. 그중 씨앗은 맹독성이다.
독성물질
주요 독성물질은 ricin12), ricinine 등 형태
중독증상 한해살이풀(원산지에서는 나무처럼 자라며 여러해살이풀)
섭취 후 빠르면 4~8시간 내, 느리면 24시간 후에 주로 소화기계 증상이 발현된다. 크기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식욕감퇴, 설사, 혈변, 내장 출혈, 복통, 간기능 저하 높이 2m 내외
•피부계통 : 알레르기피부염 잎
•심혈관계통 : 빈맥, 저혈압, 혈소판감소증, 용혈, 혈압 저하 어긋나며 지름 30~100cm로 손바닥 모양 갈라지고
•신경계통 : 우울, 의식장애, 경련, 근육강직, 혼수, 두통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기타 : 신기능 저하, 전해질 이상, 탈수, 발한, 간장 및 신장 손상, 호흡 저하

중독사례 8~9월에 피며, 암수한그루로 총상꽃차례에 수꽃은 밑부분에,
•1995년 호주에서 10~15개의 피마자 씨앗 섭취 후 지속적 구토와 복통으로 내원 암꽃은 위쪽에 모여 달린다.
•1992년 그레이트브리튼에서 피마자 씨앗 추출물을 스스로 투여하고 심각한 두통과 오한, 열매
메스꺼움으로 내원. 간 손상과 저체온증이 관찰 삭과, 가시가 많고 3실이며, 씨앗은 타원형으로 광택이 나고
•성인 2명과 아이 1명이 피마자 열매를 섭취하고 탈수, 전해질 장애, 위장관 출혈, 저혈당, 용혈, 암갈색 반점이 있다.
장염 등의 증상으로 내원 줄기
•한약 혼합물을 섭취한 42세의 사우디 남성의 리신 중독을 보고. 위장관 증상과 위장 출혈 및 원기둥 모양으로 나무처럼 자란다.
저혈압을 나타낸 이후, 호흡 부전으로 인한 쇼크 상태로 이어지고 심정지 되어 사망 분포
(인도, 아프리카 원산, 재배) 전국
12) 청산가리(HCN)보다 6,000배 정도 강한 독성을 가지며 치사량은 7mg 정도로, 어린아이가 5~6알의 씨앗을 생으로 먹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 성인의 치사량은 500mg 정도이다.

6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69


대극과 I 광대싸리속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암꽃 수꽃 열매

잎 겨울눈과 엽흔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잎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securinine, allosecurinine, dihydrosecurenine, rutin(LD50: 950mg/kg, rat), securinol 등
중독증상
주로 신경계 증상과 심혈관계 중독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며,
중독되면 아래 내용의 증상이 나타난다. 형태
•심혈관계통 : 혈압 상승, 심장 수축력 증가, 심박동 증가, 안면 창백 낙엽 활엽 관목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마비, 호흡 저하 크기
•신경계통 : 어지럼증, 근육강직, 통증성 경련발작, 경련, 중추신경계 손상 및 흥분, 근육강직 높이 1~4m 내외
중독사례 잎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아직 없다.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길이 2~6cm로 털이 없다.
•동물실험에서 생쥐 3 집단을 대상으로 광대싸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10, 100과 1,000mg/kg씩 꽃
공급한 결과 1,257mg/kg에서 치명적인 증상이 발현되었으며, 활동저하, 호흡 감소 등이 관찰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지름 3mm 정도의 연한 황록색으로 핀다.
열매
삭과, 편구형으로 10~11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회색~회갈색으로 가지는 아래로 휘어진다.
분포
전국

7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71


대극과 I 사람주나무속

오구나무
Sapium sebiferum (L.) Roxb.

암꽃 수꽃 열매와 씨앗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잎과 열매(씨앗)에 독성이 있다.
독성물질
xanthoxylin, sebiferic acid, Di-o-methylellagic acid 등 형태
중독증상 낙엽 활엽 교목
씨앗을 섭취하면 아래와 같은 소화기계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계 증상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크기
•소화계통 :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높이 15m 지름 35cm 내외
•신경계통 : 두통, 어지럼증, 이명증 등 잎
중독사례 어긋나며 길이 3~13cm의 마름모 모양 또는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넓은 달걀모양으로 끝이 꼬리처럼 되고 잎자루에 선점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7~8월에 피며 꽃차례의 위쪽에 많은 수꽃이,
아래쪽에 몇 개의 암꽃이 달린다.
열매
삭과, 편구형으로 10~11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오래되면 세로로 거칠게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을 띠고 껍질눈이 있다.
분포
(중국, 베트남 원산, 재배) 충청도 이남(드물다)

7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73


때죽나무과 I 때죽나무속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며, 주로 열매(특히 열매껍질)와 잎에 독성물질의 함유량이 많다.
독성물질
egosaponin13), linolic acid 등 형태
중독증상 낙엽 활엽 소교목
•소화계통 : 구토, 구강 통증, 위장장애. 위점막 자극, 크기
•신경계통 : 통증 자극 유발 높이 4~10m
•심혈관계통 : 적혈구 손상, 빈혈, 용혈((溶血)증상, 모세혈관 막힘

•비뇨계통 : 급성 신부전
어긋나며 길이 4~10cm의 타원모양이며
•기타 : 안구 충혈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중독사례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5~6월 새 가지에 1~6개의 흰 꽃의 양성화가
•열매를 갈아서 물에 풀면 물고기들이 신경계 독성물질에 중독되어 떠오른다고 알려져있다. 아래로 처져서 핀다.
열매
삭과, 지름 8~14mm 회녹색으로 표면에
별 모양의 털이 많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짙은 갈색으로 얕은 세로줄이 있다.
분포
전국의 산지
13) 세포 원형질을 침해하는 원형질독으로, 독성이 강한 열매의 껍질에는 10%에 이르는 에고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섭취하면 목구멍과 위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용혈작용을 한다.

7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75


마디풀과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마타리과 쥐오줌풀 aleriana fauriei Briq.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Regel
복수초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
백합과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Miq.
박새 Veratrum oxysepalum Turcz.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M.Bieb.
산자고 Tulipa edulis (Miq.) Baker
연영초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무릇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붓꽃과 사프란 Crocus sativus L.
산형과 독미나리 Cicuta virosa L.
나도독미나리 Conium maculatum L.
소태나무과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복수초
마디풀과 I 소리쟁이속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hrysophanol, emodin(LD50: 35mg/kg, rat), chrysophanolanthrone, nepodin oxalate, tannin 등 높이 30~80cm
중독증상 잎
식용이 가능하나 위장의 점막을 자극하여 소화기계 증상을 유발하며, 과량 섭취하거나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3~30cm,
피부 접촉 시 또는, 장기간 섭취 시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짧다.
•소화계통 : 복통, 설사, 간기능 장애, 소화불량 등 꽃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6~7월에 연녹색의 꽃이 원뿔모양꽃차례에 돌려나며 핀다.
•비뇨계통 : 신결석, 요로결석 화피 열편과 수술은 각 6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기타 : 저칼슘혈증, 수족 경련, 대사성 산증 등 암술머리가 깃털처럼 잘게 갈라진다.
중독사례 열매
•53세 남성이 소리쟁이를 섭취 후, 복통, 구토, 간 기능 장애, 대사성 산증, 저칼슘혈증 등이 나타나 수과는 3릉형이며 3개의 숙존하는 꽃받침에 싸여 있고
입원하였으며, 내원 치료에도 불구하고 3일 후 사망 날개에 톱니가 거의 없으며 뒷면에 쌀알 같은 돌기가 있다.
•소리쟁이를 섭취한 100마리의 양 중 10마리에게 급성 옥살산염 중독증이 발현되었으며, 줄기
조직검사에서 신장 주위의 부종과 신세뇨관 변성이 관찰 곧게 자란다.
•동물실험에서 소리쟁이 추출물을 생쥐의 피부에 노출 시켰을 때, 100%의 확률로 자극성 피부염이 뿌리
나타남을 관찰 뿌리는 비대해진다.
분포
전국

7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79


마디풀과 I 소리쟁이속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근연식물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외래식물 6종류와 자생식물 9종류로 모두
14종류(소리쟁이종류 11종, 수영종류 3종)가 분포한다.
독성과 관련하여서는 연구 보고된 자료나 사례가 부족하거나 없지만, 근연종으로서 같은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소리쟁이속(Rumex)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열매 비고

소리쟁이

외래식물

돌소리쟁이 돌소리쟁이는
뿌리잎의 중맥이
대체로 붉은색을
띠고, 잎 뒷면
맥 겨드랑이에
좀소리쟁이 작은 돌기가
빽빽이 있는 것도
동속과 다른
특징이다.

부령소리쟁이

금소리쟁이

자생식물
소리쟁이

참소리쟁이

소리쟁이

8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81


마타리과 I 쥐오줌풀속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Briq.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amphor, benzyl alchohol, limonene(LD50: 5g/kg, rat), hatinine, valerianin, valeranone, chatinine, 높이 40~80cm
iridoid 배당체, tannin, stearic acid, palmitic acid, azulene 등 잎
중독증상 뿌리잎은 꽃이 필 때면 없어진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소화계통 : 상복부 통증, 계륵부를 포함한 복통, 소화기 질환, 메스꺼움 깃모양겹잎으로 5~7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호흡계통 : 호흡장애, 호흡기 자극 꽃
•비뇨계통 : 알부민뇨, 혈뇨 5~6월에 피며 홍자색의 꽃이 원줄기와 가지 끝에
•신경계통 : 두통, 불면증, 경련, 최면, 착란, 시력장애 진정작용, 진경작용, 연수신경 마비 등 편평꽃차례로 핀다.
•피부계통 : 피부 자극, 피부알레르기 열매
•기타 : 생리불순 건과, 피침형으로 관모상으로 변한 꽃받침에 의해
중독사례 바람에 날려 산포한다.
•camphor 과다노출은 메스꺼움, 불안, 어지러움, 착란, 두통, 얼굴근육 연축, 경직 및 심한 중독, 줄기
경련과 혼수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짧은 털이 성글게 있고 마디 부근에 긴 백색 털이 있다.
•camphor 독성은 구역과 구토로 시작하여 중추신경계 억제, 발작, 호흡부전 및 호흡정지나 드물게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간질지속증으로 인한 사망으로 빠르게 진행 뿌리
•limonene은 경미한 국소 자극과 피부 민감성 외에는 다른 독성이 보고된 바 없으나,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성글게 사방으로 뻗어 있다.
많은 양을 섭취할 시 알부민뇨와 혈뇨가 발생할 가능성 오줌 지린내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
•limonene은 피부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알레르기가 발생했다면 차후에는 매우 낮은 농도로도 분포
가려움증과 피부발진이 발생할 가능성 전국

8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83


멀구슬나무과 I 멀구슬나무속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

꽃 열매

잎 겨울눈과 엽흔

독성부위
나무껍질과 잎, 열매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toosendanin, nimbolin A, nimbolin B, gedumin, fraxinellon, kulinon 등 낙엽 활엽 교목
중독증상 크기
•소화계통 : 메스꺼움, 설사, 구토, 변비 높이 10m 내외
•신경계통 : 두통, 몽롱, 힘이 빠짐, 피로, 국소 마비, 침 흘림, 경련, 운동실조, 혼수

•심혈관계통 : 심계항진, 심장운동 약화 등의 순환기계 장애
어긋나며 길이 20~50cm 정도의 2~3회 깃모양겹잎이다.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부족
작은 잎은 밑부분이 좌우비대칭이며 가장자리에
중독사례 결각상의 둔한 톱니가 있다.
흔히 민간요법으로 악용을 하다 중독되는 경우가 보고된다. 야생식물의 약용은 안전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사용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5~6월에 원뿔모양꽃차례에 흰색~연한 자주색 양성화가
•51세 진성 당뇨병을 앓던 남성이 잎이 포함된 혼합물을 섭취 후, 힘이 빠짐, 두통, 감각마비, 모여 핀다.
심박 불안정 등을 호소하며 내원
열매
•77세 남성이 나무껍질을 우려먹고 안검하수증, 근육약화, 요추와 어깨 부분 통증 등을 호소하며 내원 핵과, 길이 15mm 내외이며 10~12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익는다.
•66세 여성이 건강 보조의 개념에서 나무껍질을 우려먹은 후 타액 흘림과 입술 외 줄기
신체 부분 마비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어릴 때는 짙은 녹색으로 평활하며 껍질눈이 있으나
•40세 남성이 요리에 나무껍질의 추출액을 과용한 뒤 턱 근육 마비 등을 호소하며 내원 성목이 되면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48세 남성이 3시간가량 나무껍질을 알코올로 끓여 추출물을 만드는 과정 중 설사, 호흡곤란 등의 분포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중국, 동남아 원산, 식재) 남부지방에 식재된 것이 야생화

8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85


미나리아재비과 I 동의나물속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1 mm

열매 씨앗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cholin(LD50: 3,400mg/kg, rat), coumarin14)(LD50: 293mg/kg, rat), anemonin15), arginine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30~60cm
•소화계통 : 오심, 구토, 복통, 입안의 심한 통증 또는 감각 이상(구강마비) 잎
•심혈관계통 : 저혈압, 서맥, 혈압저하, 빈맥, 부정맥, 서맥을 동반한 쇼크 뿌리잎은 모여 나며 콩팥모양 또는 달걀형콩팥모양으로
•신경계통 : 어지럼증, 사지의 저림, 구강마비, 시야장애, 허탈 지름 5~10(20)cm,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자루가 길다.
•호흡계통 : 호흡장애 줄기잎은 자루가 없다.
•피부계통 : 수포 등

중독사례 4~5월에 줄기 끝에 2~4개씩 달려 피며.
•71세 여성이 산에서 채취한 동의나물을 식용식물로 오인하여 섭취 후 상복부 통증, 복통, 오심, 구토, 꽃잎 같은 꽃받침은 5~7개로 노란색이다.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추가 진찰 결과 전신 쇠약감, 동서맥 등이 진단되었다.
열매
•51세 여성이 산에서 채취한 동의나물을 식용식물로 오인하여 섭취 후 복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골돌, 부리 모양을 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줄기
•48세 여성이 오대산에서 다른 일행으로부터 건네받은 산나물을 섭취한 후 구강마비, 사지의 저림,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선다.
어지럼증, 시야장애 및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 내원하였으며, 진단 결과 혈압이 낮아져 있는 것으로
뿌리
보고되었다.
백색의 굵은 뿌리가 많다.
유사식용식물
분포
산나물로 섭취하는 곰취, 머위
전국 산림습지(제주도 제외)
14)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15) 심장마비 유발
8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87
미나리아재비과 I 동의나물속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동의나물과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동의나물 곰취 머위

열매

잎자루가 붙는 잎 밑부분이 잎자루가 붙는 잎 밑부분이 흰빛을 띠지 않는다.


흰빛을 띤다.
잎의 중맥과 측맥이
뚜렷하지 않다. 잎의 중맥과 측맥이 뚜렷하다. 잎의 중맥과 측맥은 흰빛을 띤다.

잎 톱니

잎의 톱니는 반 타원상으로 잎의 톱니는 삼각형이고 잎의 톱니는 불규칙하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날카롭게 뾰족하다.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

잎자루에 2줄의 홈이 있다. 잎자루에 1줄의 홈이 있다.

동의나물

88
미나리아재비과 I 미나리아재비속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꽃 열매

뿌리잎 줄기하부

독성부위 형태
전초에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잎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ranunculin, protoanemonin16), anemonin17) 등 높이 50cm 내외
중독증상 잎
식용으로 오인하여 섭취하다 중독되는 경우와 민간치료에 의한 피부 접촉으로 중독되기도 하며, 뿌리잎은 길이 2.5~7cm, 너비 3~10cm로 깊게 3~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수일간 중독 증세가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퍼진 털이 많다.
•소화계통 : 구강 통증과 감각 이상, 구토, 복통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 톱니가 없다.
•피부 계통 : 접촉성 피부염, 홍반, 수포, 부종, 등 꽃
•심혈 계통 : 혈압저하, 느린맥과 빠른맥, 심실빈맥, 심방 차단, 등 4~5월에 취산꽃차례에 지름 12~20mm 정도의
•신경계통 : 감각 및 운동신경 장애 노란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타원형이며
•기타 : 발한 털이있고 수평으로 퍼진다.
중독사례 열매
•78세의 여성이 미나리아재비가 관절염에 좋다는 말을 듣고 엉덩이와 좌측 하지 전체에 미나리아재비를 길이 2~2.5mm 수과가 모여 취과를 이루며,
찧어서 밀봉 도포 하였다가 8시간 뒤부터 도포한 부위의 통증과 작열감을 동반한 다양한 크기의 털이 없고 끝의 돌기는 짧다.
홍반, 미란, 대수포가 발생 줄기
곧게 서며 전체에 퍼진 털이 많고 속은 비어있다.
뿌리
짧은 뿌리줄기에 가늘고 긴 뿌리가 있다.
분포
16) 자극성 피부염 유발 전국
17) 심장마비 유발

9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91


미나리아재비과 I 미나리아재비속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근연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은 한반도에 18종류(외래식물 3종)가 보고되어 있다.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은 독성이 강한 분류군이나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한 편이다.
근연식물로서 독성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미나리아재비와 근연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미나리아재비 바위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수과는 짧은 털이 많고 끝에
1mm 크기의 꼬부라진 돌기가
남아 있다.

수과는 털이 없고 짧은 돌기가 있다. 수과는 털이 없고 짧은 돌기가 있다.

높이 15~20cm 정도이며,
높이 10cm 정도이며,
높이 50~70cm 정도 자란다. 경북 이북의 산지 1,000m 이상에
한라산 고산지대 풀밭에 자란다.
자란다.

미나리아재비

92
미나리아재비과 I 미나리아재비속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꽃 열매

잎 유묘

독성부위 형태
전초에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잎의 독성이 강하다. 두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ranunculin, protoanemonin18), anemonin19) 등 높이 50cm 내외
중독증상 잎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홍반, 수포, 부종, 침윤(림프구, 호산구, 호중구) 뿌리잎은 모여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중독사례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 없어지며
벌레에 물리거나,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신경통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피부에 바르거나 3갈래로 완전히 갈라진다.
밀봉 도포 후 홍반성 피부질환, 부종 및 수포 등이 발생한 사례들이 있다. 꽃
•70세 여성이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개구리자리를 찧어 바른 후, 도포한 피부에 수포성 접촉피부염 등의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는 취산꽃차례이며
피부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개이고 크기는 같다.
•6세 여성이 상박부에 개구리자리 전초를 찧어 바른 후 홍반 꽃받침은 젖혀지며 뒷면에 털이있고 꽃잎의 밑부분에 꿀샘이 있다.
•33세 남성이 당뇨병과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개구리자리를 찧어 바른 후 통증과 열감을 동반한 열매
이완성 수포가 발현 100여 개에 이르는 수과가 모여 타원형원통모양의 취과를 이룬다.
•53세 여성이 신경통 치료를 위해 5일 전 개구리자리를 찧어 도포한 후 소양증, 통증, 열감을 동반한 줄기
홍반과 수포가 발현되어 내원 곧게 서며 광택이 나며 속은 비어있다.
•56세 남성이 하지의 통증과 소양증을 치료할 목적으로 개구리자리를 찧어 소금과 함께 양쪽 발목에 뿌리
도포한 후 통증과 열감을 동반한 대수포가 발현 흰색의 수염뿌리가 뭉쳐난다.
분포
전국
18) 자극성 피부염 유발
19) 심장마비 유발

9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95


미나리아재비과 I 미나리아재비속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근연식물
한반도에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식물은 18종류(외래식물 3종류을 포함)가
보고되어 있다.
이 식물들은 독성이 강한 분류군이지만 관련한 연구자료가 부족한 편으로 근연식물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개구리자리와 근연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젓가락나물

홑잎(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2회3출겹잎 3출겹잎

개구리자리

96
미나리아재비과 I 바람꽃속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Regel

꽃 열매

총포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anemonol, anemonin20), triterpenoid saponin, raddeanoside Ra, raddeanoside Rb, oleanolic acid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5~20cm
손상되어 수액이 노출된 식물이 피부나 점막과 접촉하거나, 경구로 섭취하면 아래 내용과 같은 잎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소화기계 증상 등을 유발한다. 꽃이 진 다음 뿌리잎이 자라며 2회3출 겹잎으로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출혈성 위장염, 장염, 오심 등 털이 있거나 없다. 총포는 3개가 깊게 갈라져 돌려나고
•피부계통 : 가려움, 발진, 피하조직 염증, 점막자극, 물집 등의 궤양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기타 : 현기증, 경련, 급성 간염, 황달, 마비 꽃
중독사례 4~5월에 흰 꽃이 핀다.
현재까지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열매
•동물실험 결과 생쥐에게 귀와 발이 부어오르는 등의 외적인 증상이 관찰 수과, 5월에 익는다.
•동물실험 결과 면역체와 항암체, 항염증 물질의 분비가 억제되는 관찰 결과가 보고 줄기
줄기 끝에 잎 같은 3개의 총포가 돌려나며
그 위에 1개의 꽃자루가 나온다.
뿌리
방추형의 육질로 굵고, 갈색이며 옆으로 자란다.
분포
전국(경기도, 강원도에 주로 분포)
20) 심장마비 유발

9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99


미나리아재비과 I 바람꽃속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Regel

근연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바람꽃속식물은 한반도에 14종류가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것은 8종류,
6종류는 북방계식물이다.
같은속 식물의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하지만, 근연식물로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바람꽃속(Anemone)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꿩의바람꽃 들바람꽃 남바람꽃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태백바람꽃 바람꽃 세바람꽃

꿩의바람꽃

100
미나리아재비과 I 복수초속

복수초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며 맹독성 식물로 알려져 있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ymarin, strophanthidin, adonitoxin, digitoxigenin, adonitol, adonilide 등 높이 3~27cm
중독증상 잎
섭취하게 되면 주로 아래 내용과 같은 심혈관계,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나며, 어긋나며, 1~2회 깃모양겹잎이며 삼각형달걀모양으로
심할 경우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다. 양면에 털이 없고, 마지막 열편은 선형이다.
•소화계통 : 오심, 구역질, 구토, 복통 등 잎자루는 털이 없으며 비늘잎이 없는 상부에만 턱잎이 있다.
•심혈관계통 : 서맥, 혈압상승, 심장마비 등 꽃
•신경계통 : 의식장애(기면증), 수면증, 시력감퇴 등의 증상 꽃은 3~4월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며
중독사례 꽃잎은 20~30개, 꽃받침은 7~16개로서 길이는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받침이 꽃잎보다 조금 길거나 같다.
열매
수과, 거꿀달걀모양으로 털이 있으며, 4~5월에 익는다.
줄기
곧게 서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뿌리
지하줄기는 짧고 굵으며 뿌리는 흑갈색이고 나무뿌리 같다.
분포
전국의 산지

10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03


미나리아재비과 I 복수초속

복수초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근연식물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식물은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는 여러해살이풀
3종류가 분포한다.

복수초속(Adonis)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꽃받침은 8~10개이고 꽃받침은 5~6개이고 꽃받침은 5~6개이고


꽃잎의 길이와 거의 같다. 꽃잎의 길이보다 훨씬 짧다. 꽃잎의 길이보다 훨씬 짧다.

잎은 주축이 가지를 친다. 잎은 주축이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주축이 가지를 치지 않는다.

비늘잎은 잎으로 되지 않으며 비늘잎은 잎으로 되고, 비늘잎은 잎으로 되고


줄기 속은 차 있다. 줄기 속은 차 있다. 줄기 속은 비어있다.

원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고, 원줄기는 가지를 치고 원줄기는 가지를 치고


꽃은 1개 달린다. 꽃은 2개 이상 달린다. 꽃은 2개 이상 달린다.
복수초

104
미나리아재비과 I 할미꽃속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형태
ranunculin, protoanemonin21), anemonin22), triterpene, hederagenine 등 여러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접촉성 피부 질환과 소화기계 증상을 유발하거나 강한 심혈관계 독성을 나타내다. 높이 30~40cm
다량 복용 시에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다.

•심혈관계통 : 부정맥, 혈압 불안정, 심부전증, 심장마비 등 깃모양겹잎으로 작은 잎은 2~3갈래로 갈라지며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위장염 전체에 긴 흰털이 많다.
•피부계통 : 피부 발진, 수포, 피부병변, 접촉성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기타 : 심혈관계 이상, 목의 통증, 흉통, 등
3~5월에 긴 꽃자루가 나와 끝에 1개의 짙은 자색꽃이
중독사례 아래를 향해 피며 전체에 긴 흰털이 많다.
•안면마비가 발생한 젊은 여성이 민간요법으로 할미꽃 진액을 등에 바른 후 도포 부위에 홍반성 수포가
줄기
발현되고 작열감이 나타나는 등의 피부 질환이 발생한 중독사례
수과, 긴달걀모양으로 남아 있는 긴 암술대와
함께 퍼진 흰털이 많다.
뿌리
어릴 때는 뿌리가 가늘지만 4~5년생쯤 되면
뿌리가 길고 굵어진다.
분포
전국(제주도 제외)
21) 자극성 피부염 유발
22) 심장마비 유발

10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07


백합과 I 원추리속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꽃 열매

1mm

씨앗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식물체가 자랄수록 독성이 강해진다.
독성물질
형태
saponin, colchicine23), tannin 등
여러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어린순이나 성장한 잎을 섭취하게 되면 1시간 전후로 식중독 증상이
높이 50~100cm
나타나며, 주로 아래와 같은 소화기계 증상과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소화계통 : 구토, 설사, 복통
긴선형으로 길이 50~100cm, 너비 1.5-2.0cm이며
•비뇨계통 : 신부전
잎끝이 뾰족하다.
•기타 : 어지러움, 발열, 두통, 호흡곤란

중독사례
6~7월에 3~14개의 주황색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2009년 대형쇼핑몰 구내식당에서 원추리를 명이나물로 오인하여 식단에 공급하여 700여 명이 식사를
향기가 없고, 아침에서 피어 저녁에 진다. 작은 꽃자루는
마친 후 1시간 뒤, 80여 명의 직원에게 구토, 구역질, 설사, 어지럼증과 같은 식중독 증상이 발생해 내원
5cm 이상으로 길고, 꽃가지는 3회 이상 깊게 갈라진다.
열매
삭과, 삼릉형타원모양이다.
뿌리
가늘며 황갈색이고 끝에서 부풀어서 방추형의
육질 덩이뿌리가 생긴다.
분포
전국의 산지
23) 치사량인 8mg을 복용하면, 7~36시간 이내에 극도로 기력이 쇠약해져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다.

10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09


백합과 I 원추리속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근연식물
백합과의 원추리속 식물은 한반도에 10종류가 보고되어 있으나 3종류은 북방계 식물이고,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자생식물 5종류와 재배식물 2종류가 있다.
독성이 있는 식물이지만 봄철에 어린순을 식용하기도 하며, 부적합한 조리법으로 인해 집단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 대표적인 분류군이므로 식용할 때는 항상 주의해야 한다.

원추리속(Hemerocallis)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큰원추리

관상용으로 심는 재배식물 저지대~고산까지 고산식물로 꽃차례 매우 짧아


전국에 흔히 자란다. 포엽에 싸인다.

주간개화형 주간개화형 주간개화형


관상용 재배식물이다. 전국에 흔하게 자생한다. 꽃차례가 짧아 포엽에 싸인다.

노랑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꽃은 연한 노란색이고, 잎의 너비가 6~14mm 정도이고, 홍도, 흑산도, 제주도에 분포한다.


해 질 무렵에 피어, 꽃자루 0.2~3cm 정도로
해 뜰 무렵에 진다. 대체로 포엽보다 길다.

야간개화형 주간개화형 주간개화형


(해질무렵~해뜰무렵) 잎너비는 6~14mm, 꽃자루 홍도, 흑산도, 제주도에 자생한다.
꽃이 연노랑색이다. 0.2~3cm로 포엽보다 길다.
백운산원추리

110
백합과 I 은방울꽃속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Miq.

열매 씨앗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맹독성 식물이다.
독성물질
convallatoxin24), convallarin, convallamarin 등
중독증상 형태
심혈관계와 소화기 증상이 등이 주로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여러해살이풀
•소화계통 : 식욕감퇴, 메스꺼움, 구역질, 구토, 설사 등 크기
•심혈관계통 : 빈맥, 서맥, 동방차단, 방실차단, 기외수축, 심실부정맥, 실신 높이 20~35cm
•신경계통 : 시각변화(노란색/초록색 출현, 기하학적 모양, 불꽃 반짝임, 눈부심), 잎
지남력장애, 무기력, 혼미, 구음장애, 어지러움, 발작, 착란 2~3장이 아래쪽에서 나며, 길이 12~18cm의 긴타원모양
•기타 : 발진, 생식능력 저하, 혈액 응고, 전해질 이상(고칼륨증) 또는 넓은타원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중독사례 꽃
•2010년 치매를 앓던 87세 여성이 은방울꽃을 섭취하고 2시간 후 메스꺼움과 구토 등의 증상을 4~5월에 넓은 종 모양의 흰 꽃 10여 개가 총상꽃차례로
호소하며 내원하였고, 진단 결과 심박수 감소, 혈압 증가 등의 증상이 관찰 피며 밑을 향해 달린다.
•73세 여성이 허브차로 은방울꽃을 섭취한 후 운동실조, 졸림, 근육경련, 마비, 호흡부전, 복통 등의 열매
증상이 관찰 장과, 둥글고 지름 6mm이며 9~10월에 붉게 익는다.
유사식용식물 뿌리
산나물로 섭취하는 산마늘, 둥굴레 속, 비비추 속, 풀솜대, 참나리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전국의 산지
24) 강한 심혈관계 독성을 가진 성분으로 독성이 3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11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13


백합과 I 은방울꽃속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Miq.

은방울꽃과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유묘 잎 모양 꽃 모양

독성 은방울꽃

잎끝이 뾰족하고 향이 없다.

산마늘

잎끝이 둥글고, 마늘 향이 짙게 난다.

참나리

새순의 잎은 피침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다.


식용

풀솜대

줄기와 잎 양면 특히 뒷면에 털이 흰털이 많고, 주름 같은 잎맥이 뚜렷하다.

둥굴레

잎은 줄기의 1/3 정도에서 어긋나게 층층으로 달린다.

은방울꽃

114
백합과 I 여로속

박새
Veratrum oxysepalum Turcz.

꽃 열매

어린풀 뿌리

독성부위
전초, 특히 줄기와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veratrin, rubijervin, jervin, protoveratrin, veratridin, ceveratrin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50cm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잎
•심혈관계통 : 혈압 저하, 심장쇠약, 서맥, 저혈압, 저산소증 및 산성화, 동방차단, 방실차단, 어긋나며, 줄기 중앙부의 잎은 길이 30cm 정도의
심실빈맥, 저칼륨혈증 넓은타원모양으로 세로주름이 진다.
•신경계통 : 시야흐림, 착감각, 저린 감각, 실신, 감각이상, 속상수축, 암점(scotoma), 어지러움,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싼다.
발작, 근육경색 등 대부분은 치료 후 24~40시간 이내에 호전되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른다.

중독사례 6~7월에 흰꽃이 원뿔모양꽃차례에 빽빽하게 모여 핀다.
•23명의 성인이 산에서 박새를 산나물로 오인하고 채취 후 섭취하여 단체로 심한 구역질, 복통 등의
열매
소화기계 증상을 호소하여 내원하였고, 심혈관계 증상이 진단
삭과, 달걀형타원모양으로 8~9월에 익는다.
•54세 남성이 산마늘로 잘 못 판단하여 섭취 후 구토, 오심, 흉부 불편, 어지럼증 등의
줄기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둥근 원주형으로 곧게 서며 속은 비어있다.
•74세 여성이 박새의 잎을 섭취한 후 구토, 두통, 오심 등의 증상으로 내원
뿌리
•5명의 가족이 박새를 산마늘로 오인하여 섭취한 후 구역질, 구토,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긴 수염뿌리가 많다.
유사식용식물 분포
산나물로 섭취하는 산마늘, 둥굴레, 참나리, 풀솜대 등 전국의 높은 산지
(114쪽 ‘은방울꽃과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참조) (제주도와 지리산 이북, 강원도에는 비교적 흔하다)

11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17


백합과 I 삿갓나물속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M.Bieb.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pariphyllin, dioscin, neochlorogenin 등 높이 20~40cm
중독증상 잎
사포닌에 의한 구토나 복통 같은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원줄기 끝에서 6~8개의 잎이 돌려나며,
중독사례 긴피침형 또는 넓은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
유사식용식물 4~6월에 피며, 줄기 끝에 1개의 꽃이 위로 향해 달린다.
산나물로 섭취하는 우산나물 외화피는 4~5개로 넓은피침형이고 내화피는
8~10개로 실처럼 가늘고 결실기에 밑으로 처지게 된다.
열매
장과로 둥글며 흑자색이다.
줄기
원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뿌리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마다 잔뿌리가 몇 개씩 뻗는다.
분포
전국의 산지

11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19


백합과 I 삿갓나물속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M.Bieb.

삿갓나물과 우산나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삿갓나물 우산나물

새싹

삿갓나물
새싹을 포함하여
식물 전체에 털이 없으며
유묘 잎은 주맥이 3개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우산나물
새싹을 포함하여 어릴 때는
식물 전체에 털이 있으나
꽃차례 이외는 점차 없어진다.
잎모양 잎은 깊게 2갈래로 갈라지며
주맥은 1개이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갈라진 열편은 결각상의 톱니
가 생기기도 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전초

삿갓나물

120
백합과 I 산자고속

산자고
Tulipa edulis (Miq.) Baker

열매 배모양의잎끝(개화시기)

결실기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비늘줄기를 한약명으로 산자고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맹독성이다.
독성물질
비늘줄기에 steroid saponin, tulipin, colchicine25) 등 형태
중독증상 여러해살이풀
섭취 후, 수 시간이 경과 되면 중독증상이 나타나며, 초기에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다가 크기
이후에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고, 장기간 복용하면 정맥염이 발생한다. 높이 15~30cm
•소화계통 : 구역질, 복통, 구토, 설사 등 잎
•신경계통 : 두통, 의식장애, 동공산대, 전신마비, 실언, 전신쇠약감 등 뿌리잎은 2개로 선형이며 길이 15~25cm,
•심혈관계통 : 중증의 경우 빈혈과 같은 심혈관계 문제 발생 백록색이며 털이 없고 줄기를 감싸고 끝부분이
중독사례 합생되어 보트 모양이다.
현재까지 인체 독성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
유사식용식물 3~5월에 줄기 끝에 1개의 흰 꽃이 핀다.
달래, 중의무릇 화피편은 6개로 흰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다.
열매
삭과, 세모지며 5~6월에 익는다.
뿌리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전국
25) 치사량인 8mg을 복용하면, 7~36시간 이내에 극도로 기력이 쇠약해져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다.

12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23


백합과 I 산자고속

산자고
Tulipa edulis (Miq.) Baker

산자고와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산자고

중독이 심한 경우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도
있는 독성이 강한 식물이다.
잎은 회녹색이다.

중의무릇

잎의 색이 녹색 또는 회녹색이라 꽃이
피지 않으면 맹독성의 산자고와 거의
구분이 안 된다.
독성식물로 분류된 연구 기록이 없고
보고된 중독사례도 없다,
어린순(비늘줄기)을 나물로 먹는다고는
하지만 산자고를 오인할 수도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달래

봄나물로 대표적인 식용하는 식물이다.


잎은 녹색이 강한 회녹색이고 산자고는
회녹색으로 구분이 될 수 있지만,
혼동할 수도 있다.

산자고

124
백합과 I 연영초속

연영초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diosgenin, pennogenin, kryptogenin, nologenin, fesogenin 등 높이 20~30cm
중독증상 잎
과량 섭취 시 구역질,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줄기 끝에 3개의 잎이 돌려나며, 넓은달걀형원모양으로
중독사례 길이 7~17cm로 끝이 뾰족하며, 그물맥이고, 가장자리는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밋밋하고 뒷면에 작은 돌기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꽃자루 끝에 1개가 비스듬히
위로 향하여 피며 자방은 연한 황록색이고
꽃자루는 길이 4~6cm이다.
열매
장과, 둥글며 7~8월에 녹색으로 익는다.
줄기
곧추서며 밑부분에 갈색 비늘잎이 있다.
뿌리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깊이 들어가고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분포
전국의(지리산 이북) 높은 산지에 드물게 자란다.

12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27


백합과 I 무릇속

무릇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꽃 열매

4×4mm
씨앗 잎

독성부위
알뿌리(구근)
형태
독성물질
26) 여러해살이풀
알뿌리에 protoanemonin
크기
중독증상
높이 20~50cm
피부나 점막에 자극성이 강하여, 피부에 닿으면 물집이 생기고, 섭취하면 위장염을 일으키며,
눈에 들어갔을 경우 눈물이 나고 결막염 증상을 일으킨다. 잎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2개씩 나오고
•소화계통 : 구토, 설사, 복통, 구강궤양, 위장염,
길이 15~30cm, 너비 4~6cm로서
•피부계통 : 발포
약간 두꺼우며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비뇨계통 : 혈뇨, 배뇨통, 신장장애
•기타 : 결막염 증상 꽃
7~9월 꽃줄기 끝에 12cm크기의 총상꽃차례가 달리며,
중독사례
포는 1~2mm 좁은피침모양, 꽃자루는 5~12mm,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화피편은 6개로 거꿀피침모양이다. 수술은 6개,
•동물에서 다리의 마비, 경련이 보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타원모양으로 잔털이 3줄로 난다.
열매
삭과, 길이 5mm로 거꿀달걀형원모양이다.
뿌리
비늘줄기는 길이 2~3cm 정도의 달걀형원모양이며
외피는 흑갈색이다. 수염뿌리가 내린다.
분포
26) 자극성 피부염 유발 전국

12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29


붓꽃과 I 크로커스속

사프란
Crocus sativus L.

봄에 피는 품종 가을에 피는 품종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colchicine27), crocin, picrocrocin, safranal 등 여러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주로 신경계의 증상이 나타나며 감각기능 마비와 호흡곤란, 호흡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높이 15cm
중독사례 잎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선형이며 꽃핀 후 성장하여 월동하고
이듬해 초여름에 시들어 버린다.

10~11월 깔대기모양 자색꽃이 여러 개 핀다.
판통은 가늘고 길며 윗부분이 6개로 갈라진다.
꽃자루는 짧고 잎과함께 잎집으로 싸여있다.
수술은 6개,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암술머리는 육질이다.
열매
결실은 하지 않으며 알뿌리로 번식한다.
뿌리
알뿌리는 납작한 구형이며 지름 3cm 내외이고 가을에 발아한다.
분포
(지중해 원산, 관상용 및 약용) 전국(드물게)
27) 치사량인 8mg을 복용하면, 7~36시간 이내에 극도로 기력이 쇠약해져 호흡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마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다.

13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31


산형과 I 독미나리속

독미나리
Cicuta virosa L.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맹독성이며, 특히 뿌리와 열매에 독성물질의 함량이 매우 높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resins 계열의 cicutoxin28), cicutin, coumarin29)(LD50: 293mg/kg, rat), isocicutoxin 등 높이 1m 내외
중독증상 잎
섭취 후 1시간 내외로 소화기계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복통 및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속이 빈 원통형의 긴 잎자루가 있고
구토, 신경중추 마비 등이 발생한다. 밑은 잎집으로 되며 삼각형달걀모양이고 길이 30~50cm,
•소화계통 : 구강통증, 구역질, 구토, 심한 복통, 설사 2회 깃모양겹잎이며 작은잎은 선형피침모양이다.
•피부계통 : 입술 위 수포, 혈포 꽃
•심혈관계통 : 동맥압 증가, 심장흥분, 심장마비 6~8월에 흰꽃의 공모양 우산모양꽃차례로 피며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마비 모두모여 겹우산모양꽃차례가 된다. 총포는 없으며 소총포가 있다.
•신경계통 : 손 떨림(tremor), 경련, 통증성 경련발작, 기억장애 등 열매
중독사례 분과, 달걀모양으로 8~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1988년까지 보고된 질병통제센터의 통계보고서에 의하면 드물기는 하나 사망사례가 보고 줄기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이 70%에 이를 정도로 맹독성이므로 섭취하였다면 중독증상이 속이 비어있고, 털이 없으며, 곧게 서고 가는 세로 홈 줄이 있다. 위
없거나 경미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독성제거술을 시행해야 함 쪽에서 가지를 친다.
•프랑스에서 11살 아이가 독미나리 뿌리를 먹은 후 구토, 두통,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보임 뿌리
유사식용식물 녹색의 굵고 긴 육질의 뿌리들이 뭉쳐 있다.
나물로 섭취하는 미나리 분포
28) 신경계에 주로 작용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강원도, 전라북도
29)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13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33


산형과 I 독미나리속

독미나리
Cicuta virosa L.

독미나리와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구분법

독미나리

독미나리는 전초가 맹독성으로 2~3회 3출 겹잎이며 작은 산형꽃차례는 탁구공 모양 둥글다.

미나리

미나리는 식용식물로 잎은 1~2회 3출 겹잎이고 산형꽃차례는 우산 모양이다.


식용식물이지만 약한 독성이 있으므로 과량 섭취를 삼가는 것이 좋다.

독미나리

134
산형과 I 나도독미나리속

나도독미나리
Conium maculatum L.

열매 잎과 줄기

형태
두해살이풀

독성부위 크기
전초가 유독하다. 높이 1~2m

독성물질 잎
30)
piperidine alkaloid, gamma-coniceine, conine , N-methylconiine, conhydrine, pseudoconhydrine 뿌리잎과 줄기 아래 잎은 잎자루가 있고, 위쪽의 잎은 잎자루가 없거나 거의 없어진다.
등 잎몸은 삼각모양 3회 깃모양겹잎이며, 작은잎은 달걀모양이며 결각상 톱니가 있다.
잎자루와 잎몸의 밑부분이 부풀어 지느러미 모양이 되면서 줄기를 감싼다.
중독증상
신경 증상이 주로 나타나며 말이 어눌해지다가 사지에 힘이 빠지게 되고, 점점 악화하면서 꽃
경련이 일어나며, 호흡근의 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다. 6~7월에 지름 3mm의 흰꽃이 겹우산모양꽃차례로 핀다.
큰꽃자루는 12~20개로 총포는 돌려나며, 작은꽃자루도 같은 수이다.
중독사례
꽃잎은 5개로 1개는 크고, 2개는 작으며 모두 끝이 오목하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로 암술대가 2개이다.
꽃받침조각은 쇠퇴 되어 흔적만 있다.
열매
분과, 지름 3.5mm 둥글고 2개로 갈라지며
각 분과에 5맥이 있고 맥이 지느러미 모양으로 자라서
물결모양 날개로 되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털이 없으며 많은 가지를 치고,
암자색의 반점이 있고 속은 비어있다.
분포
(유럽 원산, 외래식물) 경기도, 울산시, 양산시
30) coniceine에 비해 독성이 8배 이상 강하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신경독으로 근육을 마비시키며 점차 호흡과 관련한
근육이 마비되어 사망에 이르게 한다. 성인을 기준으로 잎 6~8개 정도 분량인 100mg을 섭취하면 사망할 수 있다.

13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37


소태나무과 I 소태나무속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암꽃 수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나, 주로 줄기와 잎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triterpene quassin 계열의 quassin31), nigakihemiacetal, picrasin A~G), nigakinone 등 형태
중독증상 낙엽 활엽 소교목~교목
•소화계통 : 인후두 통증, 구토, 설사, 미각신경 자극 및 위액 분비의 증가 크기
•신경계통 : 어지럼증, 경련 높이 10~15m
중독사례 잎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어긋나며 깃모양겹잎으로 작은잎은 9~12(15)개이다.
임산부에게는 치명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 작은잎은 좌우비대칭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녹황색 꽃들이 모여 핀다.
열매
핵과, 지름 6~7mm이며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맛이 쓰며
황색 껍질눈이 있다.
분포
전국의 산지
31) 자연에서 발견되는 가장 쓴 물질 중 하나로 쓰라린 임계치는 0.08ppm이며, quinine 보다 50배 이상 쓰다.

13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39


쇠비름과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L.
수국과 산수국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양귀비과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Maxim.
매미꽃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subsp. asiaticum H.Hara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im.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 Lem.
개양귀비 Papaver rhoeas L.
옻나무과 옻나무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 F.A.Barkley
붉나무 Rhus chinensis Mill.
운향과 백선 Dictamnus dasycarpus Turcz.
자리공과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장미과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귀룽나무 Prunus padus L.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ews) Focke
조름나물과 조름나물 Menyanthes trifoliata L.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현호색
쇠비름과 I 쇠비름속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L.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다. 한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oxalic acids, 오메가3지방산(omega-3 fatty), coumarin32)(LD50: 293mg/kg, rat), flavonoid, 높이 30cm 내외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 anthraquinone glycoside(LD50: 5,000mg/kg, rat) 등 잎
중독증상 마주나기 또는 어긋나기 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돌려나기한 것
독성물질 중에서 free oxalic acids와 cardiac glycosides의 독성이 위험하며, 같으며 긴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잎자루로 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청색증 꽃
•신경계통 : 의식장애, 구강마비, 안면근육 강직, 어지럼증 6~9월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노란색 꽃이 3~5개
•기타 : 피부발진, 홍반 정도 모여 핀다.
중독사례 열매
•74세 남성이 건선 피부병을 치료하기 위해 민간요법으로 쇠비름 달인 물을 섭취한 후 전신홍반, 열개과, 9~10(11)월에 익으며 중앙부가 열 개 되어
어지럼증, 구강마비, 호흡불량, 청색증 등의 신경계 증상과 심혈관계 증상을 나타내어 입원한 사례 많은 씨앗이 나온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고 적갈색이며, 육질의 원주형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
백색이지만 손으로 훑으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된다.
분포
32)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전국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14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43


수국과 I 수국속

산수국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형태
전체, 특히 잎과 꽃의 독성이 강하다. 낙엽 활엽 관목
독성물질 크기
잎과 꽃에 alkaloid, cyanogenic glycoside 계열의 hydrangin 높이 1m 내외
중독증상 잎
섭취 후 10~60분 정도 지나면 주로 소화기계의 증상들이 나타난다. 마주나며 타원모양 또는 달걀모양이다.
•소화계통 : 구토, 구역질, 복통 등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기타 : 발한(땀) 등 측맥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나 있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7~8월에 햇가지 끝에서 나온 큰 편평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차례 둘레에 같은 흰색~붉은 자색, 청색의 꽃잎 같은
무성화가 있고 안쪽에 양성화가 달린다.
열매
삭과, 거꿀달걀모양이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다.
분포
전국의 산지

14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45


수국과 I 수국속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꽃 잎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지만, 특히 줄기, 잎, 꽃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잎과 꽃에 alkaloid, cyanogenic glycoside계열의 hydrangin, 청산배당체33)(hydracyanoside A, B, C) 등
중독증상 형태
중독될 경우 섭취 10~60분 후 주로 소화기계, 호흡기계의 증상들이 먼저 나타난다. 낙엽 활엽 관목
•소화계통 : 구토, 설사, 피설사, 구역질, 복통, 출혈위염 크기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정지 높이 1m 내외
•심혈관계통 : 빈맥, 혈압저하 등

•신경계통 : 두통, 현기증, 경련, 의식장애, 쇼크
마주나며, 길이 7~15cm 달걀모양 또는 넓은달걀모양이며
•기타 : 발한(땀) 등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중독사례

•국내에서 인체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아직 없으나,
6~7월에 무성화만으로 이루어진 편평꽃차례에 달려 하늘색,
반려동물이 해당 식물체를 섭취한 뒤 무기력증, 구토, 설사 등을 보인 기록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일본에서는 식중독 사례
열매
•동물실험에서 에틸알코올 추출액을 닭(13g/kg, 피하주사), 결실은 하지 않는다.
개(0.2g/kg, 정맥 또는 피하주사) 주사하였을 때 구토, 혈변 후 사망한 사례가 보고
줄기
겨울 동안 윗부분이 말라 죽는다.
분포
(관상용) 전국에서 식재
33) 청산배당체에서 유리된 시안화수소(hydrge cyande, HCN)은 미토콘드리아의 호흡효소 시토크롬산화효소를 저해하고
ATP를 고갈시킴으로써 독성을 나타낸다. 가장 장해를 받기 쉬운 곳은 중추신경계이다.

14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47


양귀비과 I 피나물속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Maxim.

꽃 열매

잎 유액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alkaloid, sanguinarine, keleritrine, berberine(LD50: 329mg/kg, rat), protopine, coptisine 등 높이 20~40cm
중독증상 잎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타액 증가 등 뿌리잎은 줄기와 길이가 비슷하며 1회 깃모양겹잎이고
•신경계통 : 어지럼증, 두통, 사지마비 작은잎은 5~7개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마비 자르면 붉은 유액이 나온다.
•기타 : 나트륨 펌프(Na+/K+-ATPase)의 막관통단백질 이상, 폐 조직 손상(NF-κB, ICAM-1 이상) 꽃
중독사례 4~5월에 줄기 끝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1~3개의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사례는 없다. 긴 꽃자루 하나에 1개씩 노란색 꽃이 핀다.
•동물실험에서 쥐를 대상으로 keleritrine에 노출 시켰을 때, 폐조직 손상(NF-κB, ICAM-1 이상)이 관찰 열매
삭과, 긴선형으로 길이 3~5cm, 너비 약 3mm 정도이며
5~6월에 익는다.
줄기
연약하고, 뿌리잎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자르면 붉은 유액이 나오고 다세포 털이 있다.
뿌리
땅속 뿌리줄기는 옆으로 기며 뻗는다.
분포
전국의 산지(제주도, 울릉도 제외), 주로 경북 이북에 분포

14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49


양귀비과 I 매미꽃속

매미꽃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꽃 열매

잎 유액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형태
alkaloid, sanguinarine(LD50: 18mg/kg, rat), keleritrine, protopine 등
여러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타액증가 등
높이 20~40cm
•신경계통 : 어지럼증, 두통, 사지마비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마비 잎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1회 깃모양겹잎이고
중독사례
작은 잎은 3~7개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사례는 없다.
결각상으로 갈라지기도 하며 잔털이 있고 자르면 붉은 유액이 나온다.

4~6월에 뿌리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1~10개의 노란 꽃이 피며
우산모양꽃차례이지만 꽃자루 길이는 불규칙하다.
꽃줄기에 긴 털이 많고 잎은 달리지 않는다.
열매
삭과, 길이 3cm이며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염주같이 잘록하다.
뿌리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분포
전남 백양산~지리산권

15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51


양귀비과 I 애기똥풀속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subsp. asiaticum H.Hara

꽃 열매

뿌리잎 잎자루 유액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지만, 특히 줄기의 유액에 독성물질이 많다. 형태
독성물질 두해살이풀
chelidonin, chelerythrin, coptisine, sanguinarine(LD50: 18mg/kg, rat)), allocryptopine, 크기
berberine(LD50: 329mg/kg, rat), protopine, tetrahydroptisin 등 높이는 30~80cm
중독증상 잎
섭취하거나 유액이 피부에 닿으면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어긋나며, 1~2회 깃모양겹잎이다.
•소화계통 : 황달, 간 손상, 복통, 식욕감소, 메스꺼움, 구역질, 구토, 복통, 간부전증 꽃
•비뇨계통 : 혈뇨, 검갈색의 소변 5~8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신경계통 : 현기증, 어지럼증, 두통, 사지마비, 의식장애, 호흡장애, 사지마비, 경련 노란색의 우산모양꽃차례가 달린다.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안구 자극 유발, 점막의 염증
열매
중독사례 삭과, 좁은 통모양이며, 길이 3~4cm, 지름 2mm 정도로
애기똥풀을 섭취한 사람들에게 급성간염 또는 급성 간 손상 등이 발현된 사례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양 끝이 좁고 같은 길이의 자루가 있다. 6~9월에 익는다.
회복되기까지 6개월이 소요된 중독사례도 보고된다.
줄기
•해외에서 69세 남성이 건강식품 개념으로 애기똥풀을 섭취 후 중독되어 피부가 노랗게 변하고, 곱슬한 털이 있으나 나중에 거의 없어지며
검갈색의 소변을 보는 증상 등으로 내원하였으며, 담즙관 손상이 관찰 상처를 내면 노란 유액이 나온다.
•해외에서 49세 여성이 4주 동안 애기똥풀의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섭취하고 식욕감소, 뿌리
피로감, 붓기,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황달 등의 증상이 발현된 사례 원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가며 노란색이다.
유사식용식물 분포
산나물로 섭취하는 초봄의 좁쌀냉이, 황새냉이 전국

15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53


양귀비과 I 애기똥풀속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subsp. asiaticum H.Hara

애기똥풀과 유사식용식물의 생김새와 구분법

구분 애기똥풀 좁쌀냉이

뿌리잎

십자화과의 황새냉이속 식물의 뿌리잎과


혼동될 수도 있어 봄나물 채집 때 주의하여야 한다.

유액
특징 상처를 내어도 유액이 나오지 않는다.

식물체에 상처를 주면 노란 유액이 나온다.

애기똥풀

154
양귀비과 I 현호색속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im.

꽃 열매

1mm

씨앗 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두해살이풀
Benzophenanthridine, phenolic amides, isoquinoline, chelerythrine, corynoline, protopine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20~50cm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복부불쾌감 등 잎
•피부계통 : 소양감 달걀모양이며 1~2회 깃모양겹잎이다.
•신경계통 : 안면근육 경련, 전신경련, 흥분 등

중독사례 4~7월에 피고 총상꽃차례는 3~10cm이며
민간 약재로 오용하다가 황달, 쇠약감, 급성 독성간염 등의 증상을 보여 입원한 사례들이 보고된다. 꽃은 노란색이고 길이가 약 2cm가량이다.
•37세 남성이 2주 전부터 꾸준히 달여 마시던 산괴불주머니로 인하여 나타난 전신 황달을 주두의 돌기는 8개이다.
주된 증상으로 내원 열매
•식욕 저하, 구역질, 우상복부 불쾌감, 경미한 소양감 등을 비롯한 담즙 정체성 간 손상의 발생이 진단 삭과, 선형염주모양이며 씨앗은 1열로 배열하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연약하고 전체가 백록색이다.
뿌리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전국

15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57


양귀비과 I 현호색속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im.

근연식물
양귀비과의 현호색속 식물 중 한반도에 괴불주머니계열 8종류가 분포한다.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하지만, 산괴불주머니의 근연종으로서 같은 독성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산괴불주머니와 근연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산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개화기 : 봄 개화기 : 봄 개화기 : 봄


주두돌기 : 8개 주두돌기 : 6개 주두돌기 : 6개
씨앗배열 : 1배열 씨앗배열 : 1배열 씨앗배열 : 2배열
동속의 계열중 중 가장 빨리 울릉도, 제주도, 남부지방 해안가
꽃이 핀다.

자주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가는괴불주머니

개화기 : 봄 개화기 : 가을 개화기 : 가을


주두돌기 : 8개 주두돌기 : 14개 주두돌기 : 8개
씨앗배열 : 1배열 씨앗배열 : 1배열 씨앗배열 : 1배열
외화판의 아랫부분이 반구형으로 열매 너비는 2~2.5mm
부풀고 주두돌기가 14개인 것이
가는괴불주머니와 다르다.

산괴불주머니

158
양귀비과 I 현호색속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꽃 열매

1mm

씨앗 잎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뿌리에 독성물질의 함량이 많다. 두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orydalin, protopine, tetrahydropalmitine, isoquinoline, allocryptopine, levo-tetrahydropalmitine, 높이 20cm
berberine(LD50: 329mg/kg, rat) 등 잎
중독증상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3개씩 1~2회 3출 깃모양겹잎이다.
•소화계통 : 구역질, 메스꺼움, 구토, 타액과다, 복통, 설사, 변비, 소화불량 깊게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혈당저하, 심기능 저하 잎은 변이가 심하게 나타난다.
•신경계통 : 의식장애, 호흡중추 억제, 경련, 운동기능 저하, 국소 마비, 쇼크 등 꽃
•기타 : 간독성, 간염, 황달(유아의 혈내 빌리루빈 수치 증가) 등 3~5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중독사례 줄기나 가지 끝에 5~15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일본에서 현호색으로 인한 중독사례를 모아 후향적인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해당 식물로 인한 주두돌기는 14개이다.
중독사례의 증상으로는 소화계통의 질환이 주된 것으로 보고 열매
•THP(tetrahydropalmitine)를 다른 약과 함께 복용하면 항진통제와 항불안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삭과, 긴타원모양으로 씨앗은 1열로 배열되고
마비 또는 조증과 비슷한 증상이 관찰 4~5월에 검게 익으며 돌기가 없고 광택이 난다.
줄기
연하고 곧게 자라나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대개 털이 없지만 드물게 있는 것도 있다.
분포
전국의 산지

16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61


양귀비과 I 현호색속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근연식물
양귀비과의 현호색속 식물 중 한반도에 현호색계열 22종류가 분포한다.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하지만, 산괴불주머니의 근연종으로서 같은 독성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현호색종류와 괴불주머니종류 식물의 뿌리 생김새와 차이점


현호색계열 괴불주머니계열

많은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둥근 덩이줄기 아래에 잔뿌리가 달린다.
둥근 덩이줄기가 없다.

현호색

162
양귀비과 I 금낭화속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 열매

잎 새싹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다른 부위보다 10배 정도의 alkaloid 함유량을 가지고 있다. 크기
독성물질 높이 40~50cm
protopine, dicentrin34), Berberine(LD50: 329mg/kg, rat), coptisine, sanguinarine, coptisine, 잎
chelerythrine, chelirubine, chelilutine, cheilanthifoline, scoulerine, reticuline 등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회 갈라지고
중독증상 작은잎은 길이 3~6cm, 3~5개로 깊게 또는
잎과 뿌리줄기를 잘못 섭취하다 중독되면 대뇌중추가 마비되므로 술 취한 것처럼 졸리고 구토, 설사,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상 쐐기 모양이고,
호흡부전, 호흡마비, 심장마비, 동공축소, 서맥, 체온저하, 등을 일으킨다. 끝에 결각이 있다.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설사 꽃
•호흡계통 : 호흡부전, 호흡마비, 심장마비 5~6월에 길이 2.7~3cm의 연한 홍색이고
•신경계통 : 마취작용, 경련 등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핀다.
•심혈관계통 : 심장마비, 서맥 열매
•기타 : 동공축소, 체온저하 등 삭과, 긴타원모양
중독사례 줄기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연한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흰 가루를 쓰고 있는 듯이 보인다.
뿌리
굵은 육질로 깊게 뻗는다.
분포
전국
34) 마취 작용을 일으키며 다량 중독되면 경련을 발생시킨다.

16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65


양귀비과 I 개양귀비속

개양귀비
Papaver rhoeas L.

꽃 열매

잎 줄기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전초에 rhoeadine, rhoeagenine, protopine, isorhoeadine, rhoearubine, thebaine35),
coptisine, chelerythrine, sinactine, sanguinarine 등
꽃에 cyanidin, glucoside, mecopelargonin 등
형태
중독증상 두해살이풀
오심,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과 호흡곤란 경련 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크기
중독사례 높이 30~80cm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깃모양으로 갈라지고 결각은 피침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월에 가지 끝에 붉은꽃이 한 개씩 피며 양성화이다.
열매
삭과, 넓은거꿀모양으로 털이 없고 6~7월에 익는다.
줄기
전체에 긴 퍼진 털이 있다.
분포
(유럽 원산, 관상용) 전국에서 재배, 야생화
35) 인체 내에서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여 경련을 일으키기도 하며 오남용시 오심, 구토, 호흡곤란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16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67


옻나무과 I 옻나무속

옻나무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 F.A.Barkley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며, 특히 열매와 씨앗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coriamyrtin, coriatin, urushiol, pentadecylcatechol, gallotannin 등
형태
중독증상 낙엽 활엽 교목
수액 등이 피부와 닿거나 경구로 섭취하였을 시 아래와 같은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크기
증상이 발현되기까지 빠르면 최소 30분에서 최대 16일까지의 시간이 소요된다.
높이 20m 내외
•피부계통 : 알레르기성 피부염, 수포, 발적, 가려움증, 물집, 화농, 과각화증

•소화계통 : 구역질, 발진, 구토, 항문 및 회음부의 가려움증 등
어긋나며, 가지끝에 모여달리고 홀수 1회 깃모양겹잎으로
•신경계통 : 어지럼증, 전신 마비, 경련, 구음장애, 안면신경마비, 바빈스키 징후
길이 25~40cm이다. 작은잎은 7~17개로 표면 맥위에 털이 있고,
•심혈관계통 : 혈압상승, 뇌경색, 뇌 피질성 점상출혈, 혈압상승, 국소적 림프구 침윤
엽축과 뒷면에 황색털이 있다.
•호흡계통 : 발진, 호흡곤란, 호흡마비 등

중독사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다.
•옻 삼계탕을 먹고 47명이 전신에 접촉성 피부염이 나타나거나, 옻나무에 접촉으로 인하여 피부질환
원뿔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밑으로 처지며
•58세 여성이 옻칠한 빗을 사용하고 두피와 이마 등의 부위에 홍반, 구진 등의 피부질환 길이 15~30cm이고 퍼진 털이 있다.
•40세 여성이 5일 전 산행 시 접촉한 옻나무로 인하여 양손의 손등 등에 소양감을 동반한 윤상, 줄기
구진, 국소적 림프구 침윤 증상 등이 나타나 내원 어릴 때는 회색으로 평활하나
오래되면 세로로 조각처럼 갈라진다.
분포
(중국 원산, 재배) 전국

16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69


옻나무과 I 옻나무속

옻나무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 F.A.Barkley
근연식물
옻나무과의 옻나무속 식물은 5종류가 한반도에 분포한다.
옻나무가 가장 강한 독성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독사례도 대부분은 옻나무이지만,
근연종으로서 같은 독 성분을 가지고 있고, 특히 옻나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에게는 모두
주의하는 것이 안전하다.

옻나무속(Toxicodendron)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옻나무 산검양옻나무 개옻나무

겨울눈

엽흔

열매

열매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난다. 열매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난다. 열매에 가시 같은 털이 많다.

나무껍질

나무껍질에 껍질눈이 많다. 어린나무에는 껍질눈이 있고 나무껍질은 매끈하다.


(껍질눈은 어린나무에서는 다 자란 나무가 되면 작은잎은 결각 모양의 톱니가
적색을 띤다.) 거칠게 벗겨진다. 발달하기도 한다.
작은잎의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가지에 곧게 선 갈색의 잔털이
많다. 작은잎의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옻나무

170
옻나무과 I 붉나무속

붉나무
Rhus chinensis Mill.

암꽃 수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잎이 독성을 가진다.
독성물질 형태
tanin(신장과 간의 손상), gallotannin(소화기 장애) 등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중독증상 크기
주로 접촉에 의한 가벼운 접촉성 피부염이나 먹었을 시에 소화기계 질환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높이 5m
•소화계통 : 출혈성 설사, 갈증, 다뇨증, 복부 부종, 복부 통증 잎
•비뇨계통 : 신장 손상 및 이상 어긋나며, 홀수 1회 깃모양겹잎으로 가지끝에 모여달리며
•피부계통 : 피부 자극 작은잎은 7~13장이며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고
•신경계통 : 근육 경련 엽축 날개가 발달한다.
•기타 : 유전적 결함(genotoxicity), 암, 호흡기 자극

중독사례 암수딴그루로 8~9월에 햇가지 끝에서 나온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원뿔모양꽃차례에 흰꽃들이 모여 핀다.
열매
핵과, 지름 4~5mm 편구형으로 9~10월에 황적색으로 익으며,
표면에 털과 샘털이 많다.
줄기
나무껍질은 회색~회갈색이며 껍질눈이 있다.
분포
전국의 산지

17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73


운향과 I 백선속

백선
Dictamnus dasycarpus Turcz.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뿌리에 dictamnine, dictamnolacton, trigonellin, sitosterol, obacunonic acid, choline, fraxinellone, 크기
obakunone, obakulactone, dictamnolid, coumarins(LD50: 3,900mg/kg, rat), methoxypsoralen, 높이가 90cm 내외
xanthotoxin 등

지상부에 psoralen, xanthotoxin 등
어긋나며, 달걀형 또는 타원모양으로
중독증상 톱니가 있는 작은잎 2~4쌍인 깃모양겹잎이다.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오심, 복통, 간 기능 장애, 간염, 황달 등 엽축에 좁은 날개가 있다.
•심혈관계통 : 빈맥, 혈압상승, 혈중 빌리루빈 ALT AST ALP gamma-GT 등 수치 증가 꽃
•피부계통 : 가려움증, 접촉성 식물광피부염(광독성) 5~6월에 연한 붉은색을 띤 꽃들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기타 : 피로감, 전신쇠약증 꽃차례와 꽃자루에 기름구멍이 많아 강한 냄새가 난다.
중독사례 열매
•48세 남성이 4달가량 봉황삼주 40병분을 복용 후 황달이 발생하여 내원, 간세포의 종창과 담즙정체, 삭과,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고, 7~8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소담관 증식 및 담즙의 혈전, 부분적인 담즙성 단편 괴사 소견
줄기
•62세 남성이 5개월 전부터 백선을 달여 매일 복용하였고, 황달이 나타나 내원, 준광범성 간세포 괴사,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 털이 퍼져 난다.
융합상 괴사, 교상 괴사 소견
뿌리
•55세 남성이 건강 보조 개념으로 백선을 달여 복용하였으며, 황달 증상이 보여 내원, 공막의 심한 황달, 굵은 뿌리가 있다.
식도 칸디다증, 중등증의 역류성 식도염, 전정부의 장상피화생 소견
분포
•64세 남성이 3개월 전부터 백선 잎을 끓여 차를 섭취하였고 황달이 나타나 내원, 두꺼운 담낭벽, 전국의 낮은 산지
간세포 주위 섬유화 및 괴사 소견

17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75


자리공과 I 자리공속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뿌리에 Potassium nitrate(LD50: 3,750mg/kg, rat), triterpenoid saponin, phytolaccatoxin, 높이 1~2m
Oxi-myristic acid 등 잎
중독증상 어긋나며 털이 없고, 주맥이 뚜렷하고 길이 10~30cm의
섭취하고 2~3시간 후부터 구역질, 구토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나타난다. 달걀형타원모양 또는 긴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심혈관계통 : 혈압상승, 혈압강하, 빈맥, 심장마비 잎자루는 길이 1~4cm이다.
•호흡계통 : 빈호흡, 기침, 호흡마비 등 꽃
•소화계통 : 위장관 점막 자극, 구토, 설사, 복통, 토혈 6~9월에 연한 분홍색 꽃이 길이 10~15cm 총상꽃차례에 피며,
•신경계통 : 어지럼증, 경련, 강직, 진전, 의식장애, 혼수, 사망, 환시, 환청, 의식장애 씨방은 10개이다.
•비뇨계통 : 요실금, 신부전증 열매
•기타 : 발한, 전신 쇠약, 불안, 실신, 타액 증가, 오한 등 장과, 지름 1mm로 둥글고, 9~11월에
중독사례 흑자색으로 익으며 밑으로 처진다.
미국자리공의 뿌리를 식용가능식물의 뿌리로 오인하여 비교적 흔하게 중독이 일어난다. 줄기
•어린이 10명이 칡뿌리로 오인하여 미국자리공 뿌리를 먹고 중독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49세 남성이 미국자리공 뿌리를 마로 오인해 친구2명과 섭취 후 중독 대개 홍색을 띠며 녹색을 띠는 것도 있다.
•69세 남성, 65세 여성이 더덕으로 오인해 미국자리공 뿌리를 우유에 갈아 섭취후 중독 뿌리
•59세 남성이 미국자리공 뿌리를 산삼으로 오인해 섭취 후 중독 뿌리는 방추상으로 굵어진다.
•산악회원 5명이 미국자리공 뿌리를 우엉뿌리로 오인하여 섭취 후 중독
분포
유사식용식물 (유럽 원산, 외래식물) 전국에 분포
인삼 뿌리, 더덕 뿌리, 우엉 뿌리, 칡뿌리, 마 뿌리, 도라지 뿌리

17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77


자리공과 I 자리공속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근연식물
자리공과의 자리공속 식물은 외래식물인 자리공, 미국자리공과 울릉도에 자생하는
섬자리공 3종류가 있으며 모두 같은 독성물질을 함유한다.
자리공속 식물은 오인, 오용으로 인한 중독사고가 많은 대표적인 독성식물에 속하며,
자리공과 섬자리공은 희귀하여 대부분 중독사고는 미국자리공에 의해 발생한다.
자리공속(Phytolacca)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미국자리공 자리공 섬자리공

미국자리공은 씨방이 10개이며, 자리공과 섬자리공은 씨방이 8개이며, 꽃차례와 열매가 모두 곧게 선다.
꽃차례가 비스듬히 옆으로 눕거나 울릉도에 분포하는 섬자리공과 귀화식물인 자리공은 구분하기가 어렵다.
꽃차례가 짧으면 곧게 서기도 한다.
열매는 아래로 처져서 달린다.

자리공과 유사식용식물의 뿌리 생김새

미국자리공 인삼 도라지 더덕 미국자리공

178
장미과 I 벚나무속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꽃 꽃받침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덜 익은 열매의 과육과 씨앗이 유독하며, 맹독성이다.
형태
독성물질 낙엽 활엽 소교목~교목
청산배당체 amygdalin36)(LD50: 522mg/kg, rat), laetrile
크기
※ 열매가 성숙해서 단단해지면 씨앗을 제외한 살구 과육의 청산배당체가 사라진다.
높이 5~12m
중독증상

amygdalin에 의한 시안화물 중독이 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어긋나며 길이 6~8cm의 넓은타원모양 또는 넓은달걀모양으로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설사, 후두염 등 잎끝은 꼬리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피부계통 :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피부염증 양면에 털이 없다.
•호흡계통 :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호흡마비

•신경계통 : 무기력, 호흡곤란, 의식소실, 두통, 경련, 우울증, 흥분, 경련, 혼수, 어지러움 등
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꽃은 연한 홍색이고 꽃자루가
중독사례 거의 없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홍자색이고 뒤로 젖혀진다.
•41세 여성이 건강보조식품 개념으로 씨앗 15g 정도를 섭취 20분 후 쇠약감, 호흡곤란, 무감각 및
열매
마비, 삼키는 동작의 불편함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핵과, 지름 3cm의 둥근모양이며, 7월에 노란색 또는
•8명의 아이가 씨앗을 대량 섭취하고 2시간 후 시안화물 중독의 전형적인 징후와 증상을 나타냈는데 붉은빛을 띠는 노란색으로 익는다.
그중 7명이 회복하고 1명은 사망
줄기
•16명의 아이가 살구씨가 들어간 과자를 섭취했는데, 30분 후 시안화물 중독의 전형적인 징후와 개살구나무와 달리 나무껍질에 코르크질이
증상을 나타냈으며, 3명의 아이가 사망 발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분포
(중국 원산, 재배) 전국
36) β-glucosidase, emulsin으로 가수분해되어 D-glucose,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benzaldehyde를 생성한다.

18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81


장미과 I 벚나무속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1mm

열매 씨앗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형태
덜 익은 열매의 과육과 씨앗은 유독하며, 맹독성이다.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독성물질 크기
청산배당체인 amygdalin37)(LD50: 552mg/kg, rat), prunasin, prulaurasin, laetrile 등 높이 3~8m
중독증상 잎
덜 익은 열매의 과육이나 씨를 섭취하게 되면 amygdalin에 의한 시안화물 중독으로 사망할수도 있다. 어긋나며 길이 7~15cm 정도의 넓은피침모양 또는 타원모양으로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등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2cm다.
•호흡계통 :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호흡마비 꽃
•신경계통 : 두통, 불안, 흥분, 경련, 혼수, 사지마비 등 4~5월에 피고 흰색~연한 분홍색이며,
중독사례 묵은가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줄기는 짧고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5개로 타원모양이고 털이있다.
•1996년 스코틀랜드에서 3년생 소가 Prunus속의 식물을 섭취한 후 신경성 식욕 부진증을
씨방에 털이 있다.
비롯하여 강박적으로 빙글빙글 도는 등의 신경계 장애를 보이는 것이 관찰
열매
핵과, 넓은달걀모양으로 7~9월에 황록색으로 익으며,
겉에 연한 털이 많다.
줄기
어린나무는 회갈색이며 광택이 나고,
오래되면 짙은 적갈색으로 거칠게 갈라진다.
분포
(중국 원산, 재배) 전국
37) β-glucosidase, emulsin으로 가수분해되어 D-glucose,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benzaldehyde를 생성한다.

18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83


장미과 I 벚나무속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꽃 꽃받침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형태
덜 익은 열매의 과육과 씨앗이 유독하며, 맹독성이다. 낙엽 활엽 소교목
독성물질 크기
청산배당체 amygdalin38)(LD50: 522mg/kg, rat), laetrile 등 높이 4~10m
※ 열매가 자라서 단단해지면 씨앗을 제외한 매실 과육의 청산배당체가 사라진다. 잎
중독증상 어긋나며, 길이 4~10cm의 달걀모양 또는 넓은달걀모양으로
중추신경계 질환이 주요 증상이며, amygdalin에 의한 시안화물 중독이 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있고,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설사 등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선점이 있다.
•호흡계통 :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호흡마비 꽃
•신경계통 : 두통, 경련, 현기증, 우울증, 떨림, 불안, 흥분, 경련, 혼수 등 4월에 향기가 강한 흰 꽃 1~2개가 모여 피며
중독사례 꽃자루는 거의 없다.
•51세의 여성이 8년 전에 담가 둔 매실액 약 1L를 마신 뒤, 수 시간 후 의식장애가 발생하여 내원, 꽃받침은 둥글며 꽃잎은 거꿀달걀모양이다.
검진결과 혈중 메트헤모글로빈이 증가한 사례 씨방에 털이 많다.
열매
핵과, 지름 2~3cm로 둥글며 털이 많고
6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햇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중국 원산, 재배) 전국
38) β-glucosidase, emulsin으로 가수분해되어 D-glucose,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benzaldehyde를 생성한다.

18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85


장미과 I 벚나무속

귀룽나무
Prunus padus L.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형태
잎 부위가 유독하다. 낙엽 활엽 교목
독성물질 크기
benzaldehyde39)(LD50: 0.71ml/kg, man), hydrogen cyanide(HCN) 높이 15m 내외
중독증상 잎
prunasin은 알코올과 만나면 소화기관에 자극을 주게 되므로 주로 소화기계의 증상이 나타난다. 어긋나며, 길이 6~12cm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모양으로
•소화계통 : 구역, 구토, 위통, 후두염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신경계통 : 두통, 명정증상(알코올에 의한 마취작용), 경련 잎자루는 길이 1~2cm이며, 위쪽에 선점이 있다.
•호흡계통 : 호흡곤란, 알레르기 반응 꽃
•피부계통 : 피부 자극, 알레르기 반응 4~6월에 새 가지 끝에 지름 1.0~1.5cm 정도의
중독사례 흰 꽃이 총상꽃차례에 모여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차례는 길고 아래쪽에는 잎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1cm 정도로 꽃대와 더불어 털이 난다.
열매
핵과, 지름 6~8mm로 둥글고,
7~8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껍질눈이 있고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39) benzaldehydes는 방부제의 일종인 벤조산으로 변형되기 쉬운데, 바뀐 후 눈, 호흡기에 자극을 주거나 소화기 장애를 지리산 이북의 산지
유발할 수 있다.

18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87


장미과 I 비파나무속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꽃 열매

잎 수피 겨울눈

독성부위 형태
잎과 목질부, 씨앗에 강한 독성이 있다. 상록 활엽 소교목
독성분 크기
amygdalin40)(LD50: 552mg/kg, rat), alkaloid, tannin, β-gentiobiose, D-mandelonitrile 등 높이 4~10m
중독증상 잎
중독될 경우 주로 소화기계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어긋나며, 길이 15~25cm, 너비 3~5cm 타원형피침모양으로
•소화계통 : 구토, 설사, 구역질, 복통 표면에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갈색 털이 빽빽하게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정지 덮여 있으며, 잎의 윗부분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0~10mm이다.
중독사례
인체 독성에 관하여 국내에서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
11~1월에 원뿔모양꽃차례에 흰색 또는 연한 황백색 양성화가
모여 핀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고,
꽃대축과 꽃받침에 갈색 털이 빽빽하게 있다.
열매
이과, 지름 3~4cm로 원모양 또는 타원모양이다.
이듬해 6~8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다.
씨앗은 1~5개이며 갈색~흑갈색이고 강한 독성이 있다.
줄기
1년생 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털이 빽빽하게 덮여 있다.
분포
(중국, 일본 원산, 재배) 남부지방
40) β-glucosidase, emulsin으로 가수분해되어 D-glucose,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benzaldehyde를 생성한다.

18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89


장미과 I 뱀딸기속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ews) Focke

꽃 꽃받침 열매

잎 줄기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전초에 tannin,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 등
씨앗에 linoleic acid, β-sisterol, saponin 크기
길이 30~100cm
중독증상
주로 소화계와 피부 계통의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잎
뱀딸기의 사포닌은 명확하게 분류가 밝혀져 있지 않으며, 몇몇 사포닌은 다량 섭취 시 어긋나며 3출겹잎으로 작은잎은 달걀모양
위장염, 설사, 간과 신장의 손상을 유발한다. 또는 타원모양으로 길이 2~4cm이다.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소화계통 : 구역질, 위장장애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잎맥에 긴 털이 있다.
•피부계통 : 피부자극

중독사례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려 노란색 꽃이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받침은 5개며 달갈형피침모양, 꽃받침은 5개로
끝이 둥글게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 둥글고 6~7월에 붉게 익으며 표면에 돌기가 많다.
줄기
전체에 긴 털이 있다.
분포
전국

19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1


조름나물과 I 조름나물속

조름나물
Menyanthes trifoliata L.

꽃 열매

(mm)
5

0
씨앗 잎

독성부위
전초, 특히 잎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monoterpene, loganin, secologanin, metafolin, gentianin 등 형태
중독증상 여러해살이풀, 수생식물
주로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크기
다량을 섭취할 시 최면 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에 수채(睡菜)라고 부르기도 한다. 높이 20~35cm
중독사례 잎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3출겹잎으로 잎자루가 길고, 작은잎은 길이 4~8cm로 긴타원모양
또는 달걀형타원모양이며, 작은잎자루가가 없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4~5월 잎 사이에서 나온 20~40cm의 꽃자루에
흰꽃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열매
삭과, 지름 2~3.5mm로 둥글고 6월에 익는다.
뿌리
뿌리줄기는 녹색이며 길게 옆으로 자란다.
분포
경북 북부와 강원도에 드물게 분포

19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3


쥐방울덩굴과 I 족도리풀속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41) 42) 여러해살이풀
asarinin, catecholamine, higenamine, aristolochic acid , coumarin (LD50: 293mg/kg, rat) 등

중독증상
뿌리줄기에서 1~2개가 나오며 길이 5~10cm의
식물체의 유액이 피부에 닿거나 경구로 섭취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장모양 또는 콩팥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소화계통 : 구역질, 수토, 심한 복통, 설사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신경계통 : 신경예민증, 불안증, 마비, 호흡곤란, 경련, 발작, 강박적 행동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난다.
•비뇨계통 : 신(콩팥)기능 장애, 신장암과 요로암 발생 위험 증가 잎자루는 길이 13~20cm이다.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심혈관계통 : 혈압상승
4~5월에 짧은 꽃줄기 끝에 1개씩 거의 지면에
중독사례 닿거나 가까이에 달려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가 없다. 흑자색 꽃받침통 위쪽이 3갈래로 갈라지지만
•동물실험에서 aristolochic acid를 rat에 0.1, 1.0, 10mg/kg/day를 경구 투여한 결과 3~6개월 뒤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신장피질에 선종이 생성되거나 세뇨관 상피가 퇴화함이 관찰 열매
장과, 8∼9월에 익으며 끝에 꽃받침조각이 달려 있다.
뿌리
뿌리줄기는 육질이며 매운맛이 난다.
분포
41) 콩팥의 섬유화, 심장마비, 호흡마비 작용과 콩팥독성이 있으며, 신부전 및 간암을 유발하는 발암 물질로 분류된다. 전국의 산지
42)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19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5


쥐방울덩굴과 I 쥐방울덩굴속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꽃 열매

(mm)

10
8
6
4
2
0
씨앗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 특히 뿌리의 독성분이 많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aristolene, aristolochin, aristolochic acid43), ammonium alkaloid 등 길이 1.5m 내외
중독증상 잎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말초혈관 이완 어긋나며 길이 4~10cm 정도의 심장모양
•호흡계통 : 호흡곤란, 호흡마비 또는 달걀형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비뇨계통 : 신부전증, 이뇨작용, 악성 종양 잎자루는 길이 1~7cm이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가 없다. 7~8월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1~4cm의 꽃자루에
황록색 꽃이 1개씩 핀다. 꽃은 트럼펫모양이며 꽃잎은 없다.
열매
삭과, 지름 3cm로 둥글고 11월에 갈색으로 익어
6개로 갈라진 다음 낙하산처럼 된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가늘고 길다.
가지는 갈라지며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뿌리
뿌리는 굵다.
분포
43) 콩팥의 섬유화, 심장마비, 호흡마비 작용과 콩팥독성이 있으며, 신부전 및 간암을 유발하는 발암 물질로 분류된다. 전국

19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7


쥐방울덩굴과 I 쥐방울덩굴속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형태
전체가 유독하며, 특히 줄기의 독성이 강하다.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
독성물질 크기
알칼로이드 계통의 aristolochic acid44) 길이 10m 내외
중독증상 잎
중독되면 일반적으로 소화기계, 심혈관계 증상과 콩팥 독성이 나타난다. 길이 10~26cm로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이외에도 이뇨작용과 강심작용, 과다 섭취 시 심장마비를 유발할수 있다. 밑부분은 심장모양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중독사례 잎자루는 길이가 길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꽃
암수딴그루, 트럼펫모양으로 5~6월경에
잎겨드랑이에 황록색 꽃이 1개씩 달린다.
열매
삭과, 길이 11cm의 원통모양으로
6개의 능선 있으며 9~10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회갈색으로 코르크화 되며 땅 위를 기거나
주변의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분포
울산시 울주군 및 경북, 충북 강원도의 산지,
강원도에 흔하게 분포

44) 콩팥의 섬유화, 심장마비, 호흡마비 작용과 콩팥독성이 있으며, 신부전 및 간암을 유발하는 발암 물질로 분류된다.

19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199


진달래과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마취목 Pieris japonica D. Don ex G. Don
천남성과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반하 Pinellia ternata (Thunb.) Makino
앉은부채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창포 Acorus calamus L.
콩과 고삼 Sophora flavescens Aiton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Miq.
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
칡 Pueraria lobata (Willd.) Ohwi
팥꽃나무과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 Zucc.
서향 Daphne odora Thunb.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삼지닥나무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협죽도과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마취목
진달래과 I 진달래속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며, 특히 꽃과 잎, 꽃가루를 조심해야한다.
형태
독성물질 낙엽 활엽 관목
andromedotoxin, grayanotoxin45)(LD50: 1.31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2~5m 정도
흔히 꽃을 생으로 먹거나, 화전, 담금주 등으로 섭취하게 되는데 중독 후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소화계통 : 오심, 구토, 복통, 메스꺼움 어긋나고 가지 끝에서는 5개씩 모여나며 길이 각 5~10cm의
•심혈관계통 : 혈압강하, 저혈압, 서맥, 부정맥, 체온하강 거꿀달걀모양,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신경계통 : 오심, 두통, 현기증, 우울감, 어지럼증, 운동신경 마비, 실신, 호흡마비,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 길이는 2~5mm이다.
의식소실,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

중독사례 4~6월 초에 잎과 함께 피고, 지름 5~8cm 정도에
주로 철쭉꽃을 진달래로 오인하여 생식하거나 담금주로 섭취한 후 중독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연한 홍색이며, 향기가 있다.
•47세 여성이 집에서 키우던 철쭉꽃을 7개 정도 섭취하고 5분 후 오심, 구토, 현훈 등의 열매
증상이 발현되어 내원한 사례 삭과, 길이 1.5cm의 긴타원형달걀모양으로 샘털이 있고,
•10개가량의 철쭉꽃을 섭취한 9살 남아가 26시간 뒤 의식장애가 발생하여 내원 10월~11월에 성숙한다.
•소아 급성중독과 관련된 171건 중 독성식물로 인한 5건 중 4건이 진달래과 식물의 섭취로 인한 줄기
급성중독이므로 소아의 섭취에 있어서 특히 주의가 필요 수피는 연 황갈색으로 털이 없고,
유사식용식물 햇가지에는 샘털이 있으나 이듬해 없어지며 회갈색이다.
진달래 분포
전국의 산지
45) 만병초, 마취목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진달래과 식물에 함유된 주요 독성물질으로,
살충력이 있고 말린 잎은 재채기를 일으키게 하며, 이성분이 들어간 벌꿀에 의하여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0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03


진달래과 I 진달래속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근연식물
진달래과 진달래속 식물은 한반도에 17종류가 분포하며, 황산차와 좀참꽃은 북방계식물이고,
우리나라에 15종류가 분포하지만 철쭉, 산철쭉, 진달래, 흰참꽃나무, 털진달래, 참꽃나무 외에는
매우 희귀수종이거나 자생지 확인이 되지 않는 종이다.
독성과 관련하여 연구 보고된 자료가 부족하지만, 근연종으로서 같은 독성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진달래속(Rhododendron)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철쭉 산철쭉 흰참꽃나무

잎은 도란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잎은 어긋나거나 가지 끝에 잎은 타원형, 도란형,


어긋나게 달리지만 5개가 가지 모여 나며, 긴 타원형 또는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에서 모여 나고 끝은 둥글고 도란상 피침형이며 양 끝이 어긋나게 달라지만 가지 끝에서
밑부분은 쐐기모양이다. 쐐기모양이다. 모여 나고 양 끝은 쐐기모양이다.
진달래는 잎보다 꽃이 먼저 피지만,
산철쭉은 꽃과 잎이 같이 나오며,
꽃자루와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나온다.

철쭉

204
진달래과 I 진달래속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꽃 열매

잎 수피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나, 꽃의 독성을 주의하여야 한다. 반상록성 활엽 관목
독성물질 크기
andromedotoxin, grayanotoxin46)(LD50: 1.31mg/kg, rat), rhodojaponin 등 높이 30∼90cm
중독증상 잎
•소화계통 : 구토, 구역질, 복통, 설사 어긋나고 가지 끝에 모여 나며, 좁은피침모양으로
•신경계통 : 경련, 감성장애, 의식장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가지와 함께 갈색 털이 있다.
•호흡계통 : 호흡중추 마비(호흡곤란 또는 호흡마비) 꽃
중독사례 4~5월 가지끝에 지름 3.5~5cm 깔때기모양의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붉은자색꽃이 핀다.
꽃받침은 둥근달걀모양으로 5개로 갈라진다.
꽃잎 윗면은 홍자색 반점이 있다.
수술 5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다.
암술은 1개로 길이 3~5cm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삭과, 길이 7~8mm의 달걀모양이며
거친 털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가지는 많이 갈라지고, 잔가지에 갈색 털이 있다.
분포
46) 만병초, 마취목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진달래과 식물에 함유된 주요 독성물질으로, 살충력이 있고 말린 잎은 재채기를 (일본 원산, 관상용) 전국
일으키게 하며, 이것이 들어간 벌꿀에 의하여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0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07


진달래과 I 진달래속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꽃 열매

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며, 잎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낙엽 활엽 관목
rhodotoxin, rhododendrin, hyperoside, andromedotoxin grayanotoxin47)(LD50: 1.31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4m
섭취 1~2시간 후부터 철쭉에 의한 중독증상과 유사한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나며,

호흡마비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어긋나며, 가지 끝에서는 5~7개가 모여 나고,
•소화계통 : 메스꺼움, 구역질, 구토, 타액 분비 증가, 설사 등 길이 8~20cm의 타원모양 뒷면은 회갈색, 연한 갈색 털이
•심혈관계통 : 서맥, 혈압저하, 부정맥 빽빽하며,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고 톱니가 없으며
•신경계통 : 현훈, 무력감, 의력 소실, 시야장애, 경련, 마비 등 잎자루는 길이는 1~3cm이다.
•호흡계통 : 호흡장애, 흉통, 호흡곤란

중독사례 5~6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의 꽃 10~20개가
•50세, 20세 남성이 만병초로 담근 술을 3~5잔 마신 후 저혈압, 어지럼증, 호흡곤란, 전신 무력감, 가지 끝에 모여 피며 꽃자루에 털이 있다.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 꽃부리는 깔때기모양, 꽃잎 윗면에 녹색 반점이 있다.
•68세, 47세 남성이 같이 만병초로 만든 술을 섭취하고 흉통, 호흡곤란, 발한, 오심,
열매
구토, 복통 등으로 내원
삭과, 길이 2cm이며 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59세 남성이 민간요법으로 만병초를 섭취한 후 어지럼증, 전신쇠약감, 흉통, 중증의
서맥과 방실차단 등이 발생 줄기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그리야노톡신 벌꿀 중독 연구에서는 메스꺼움, 구토, 어지러움,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평활하다.
발한 등의 증상과 함께 심혈관계 장애가 보고 분포
전국의 높은 산지
47) 만병초, 마취목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진달래과 식물에 함유된 주요 독성물질으로, 살충력이 있고 말린 잎은 재채기를
일으키게 하며, 이성분이 들어간 벌꿀에 의하여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0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09


진달래과 I 산앵도나무속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꽃 미성숙열매

독성부위
잎 부위가 유독하다.
독성분 형태
arbutin48), Hydroquinon(LD50: 320mg/kg, rat), methylarbutin, pyroside, isoquercetin, hyperin 등 상록 활엽 소관목
중독증상 크기
식용으로도 사용이 되지만, 중독될 경우 심혈관계 이상 또는 이뇨작용 촉진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높이 20~30cm
•소화계통 : 구역질, 구토, 복통, 설사 잎
•호흡계통 : 질식감, 호흡수 증가, 호흡곤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길이 1~3cm의 달걀모양,
•피부계통 : 멜라닌 색소 생성 방해, 갈색증 거꿀달걀모양, 양면에 털이 없고 둔한 톱니가 있다.
•심혈관계통 : 동물실험(arbutin)에서 혈당 저하가 보고됨

•비뇨계통 : 이뇨작용 촉진
5~6월에 묵은 가지 끝에서 흰 꽃이 2~8개씩 핀다.
•기타 : 이명, 섬망, 허탈 등
꽃부리는 종모양으로 밑으로 처지며 길이 5~6mm,
중독사례 끝이 4개로 갈라진다.
현재까지 인체 독성에 관하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열매
장과, 8~10mm이고 8~9월에 붉게 익으며
신맛이 강하다.
줄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가늘며 햇가지는 푸르고 잔털이 있다.
분포
강원도 높은 산지(자생지 협소)
48) 월귤의 잎에 함유된 성분으로 요로 방부, 미백제, 요도염 따위에 쓰이며, 가수분해되면 Hydroquinone이 생성된다.

21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11


진달래과 I 마취목속

마취목
Pieris japonica D. Don ex G. Don

꽃 열매

잎 겨울눈

독성부위
잎과 목질부가 유독하다. 형태
독성물질 상록 활엽 관목
49)
andromedotoxin, grayanotoxin (LD50: 1.31mg/kg, rat), pieristoxin, asebotoxin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6m
•소화계통 : 구토, 복통, 설사 잎
•신경계통 : 경련, 감성장애 어긋나며, 길이 3∼8cm, 너비 1∼2cm 정도의
•호흡계통 : 호흡중추 마비(호흡곤란 또는 호흡마비) 거꿀달걀형피침모양으로 가죽질이고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다.
•심혈관계통 : 심기능 장애 잎자루는 짧으며 가장자리에 둔하고 미약한 톱니가 있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4∼5월에 흰색 또는 붉은색의 항아리모양 꽃들이
겹총상꽃차례로 아래로 향해 피며,
꽃부리 통부의 길이는 0.7∼1.5cm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꽃받침은 피침모양으로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삭과, 납작하고 10월에 위로 향해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여러 대로 갈라져 무성하게 가지를 친다.
분포
(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본 원산, 관상용) 전국
49) 만병초, 마취목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진달래과 식물에 함유된 주요 독성물질으로, 살충력이 있고 말린 잎은 재채기를
일으키게 하며, 이성분이 들어간 벌꿀에 의하여 식중독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1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13


천남성과 I 천남성속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열매 새싹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와 열매는 맹독성이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triterpenoid saponin, coniine, benzoic acid(LD50: 1,700mg/kg, rat), diacylglycerylgalactoside, 높이 15~30cm
nicotine(LD50: 188mg/kg, rat), homogentisic acid50), calcium oxalate51) 등 잎
중독증상 위경 끝에 1개의 잎이 난다. 작은잎은 3~5개,
섭취한 뒤 최대 몇 시간 후부터 인후부 통증이 발현되며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길이 10~20cm 정도의 달걀형피침모양
•소화계통 : 인후부 통증, 구강 부종, 작열감, 점막 자극 및 궤양, 구역질, 구토, 설사 또는 거꿀달걀형피침모양이고
•피부계통 :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피부염증, 소양증, 안면부종 등의 독성 피부염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는 길다.
•신경계통 : 구강마비, 촉각손실, 미각손실, 언어장애, 어지럼증 등 꽃
•호흡계통 : 호흡장애, 기도 부종 유발, 성대 주위의 발적, 숨막힘, 숨가쁨, 흉부불편감 암수딴그루, 4~6월에 피며 육수꽃차례, 꽃은 잎보다 짧다.
불염포는 녹색의 깔때기모양으로 통부의 길이는 5cm이고,
중독사례
•건강보조식품 또는 자살 목적으로 섭취한 후 인후부의 강한 통증과 마비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한 사례 윗부분은 앞으로 꼬부라진다.

•2명의 남성이 건강 보조 목적으로 천남성 뿌리를 섭취한 후 강한 구강의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 열매


장과, 육수 축에 옥수수알처럼 다수 달리고
•48세 여성이 자살을 목적으로 천남성을 채취하여 섭취 후 구강내 작열감,
9~11월 붉게 익는다.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내원한 사례
줄기
•4세 소아가 뿌리를 섭취 후 호흡곤란과 소화장애를 보인 사례
녹색이며 1개의 잎이 달린다.
•천남성을 식용식물로 오인하여 줄기를 섭취한 후 목 부위 마비, 언어장애 증상을 호소하며
뿌리
내원한 사례가 보고
땅속줄기는 둥글고 긴 수염뿌리가 달린다.
50), 51) 소화기 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해 심한 통증과 부종을 일으킨다. 분포
뿌리나 열매를 섭취하면 중독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사망할 수도 있다.
전국의 산지

21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15


천남성과 I 천남성속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근연식물
천남성과 천남성속 식물은 8종류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고, 동속 식물은 같은 독성에 의한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천남성속 식물은 섭취 시 사망할 수도 있는 맹독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천남성속(Arisaema)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둥근잎천남성 큰천남성 점박이천남성

줄기(위경)의 끝에 달리는 1개의 잎은 2개가 마주나고, 작은 잎은 잎은 2개가 달리고,


잎에 작은 잎은 3~5개가 달린다. 3개가 달리고 광택이 난다. 작은 잎은 5~14개이다.
불염포를 포함한 꽃차례는 불염포를 포함한 꽃차례는 줄기에 흑자색 점박이 무늬가 있다.
잎의 길이 보다 짧고, 잎의 길이 보다 짧고, 꽃차례의 연장부는 곤봉 모양이다.
연장부는 곤봉 모양이다. 연장부는 곤봉 모양이다.

두루미천남성 섬남성 천남성

잎은 1개이며 작은 잎은 잎은 2개가 달리고, 천남성(A. amurense Maxim. f.


13~19개가 달린다. 작은 잎은 6~18개로 표면에 serratum (Nakai) Kitag.)은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꽃차례의 흰 반점이 있다. 둥근잎천남성의 품종으로
연장부는 낚싯대처럼 꽃차례의 연장부는 곤봉 모양이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것이
가늘고 길게 자라 위로 뻗는다. 다르다.

둥근잎천남성

216
천남성과 I 반하속

반하
Pinellia ternata (Thunb.) Makino

꽃차례 열매

잎 살눈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뿌리와 열매는 맹독성이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calcium oxalate52), potassium oxalate, homogentisic acid53), protocatechualdehyde, glycoside,
크기
pinelline, benzoic acid(LD50: 1,700mg/kg, rat), choline(LD50: 3,400mg/kg, rat),
높이 20~40cm
ephedrine(LD50: 600mg/kg, rat), nicotine(LD50: 188mg/kg, rat) 등

중독증상
뿌리에서 1~2개의 잎이 나오며,
입으로 섭취하고 수분에서 수시간 내에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잎은 완전히 갈라져 3출엽이 된다.
•소화계통 : 미각상실, 오심, 구강통증, 후두경련, 소화관의 점막 자극, 잎자루 아래 또는 잎자루 끝 작은잎 사이에
구강부종, 점막궤양, 구역질, 구토, 설사 살눈이 1개 달린다.
•피부계통 : 피부염증, 가려움증, 수종(부기)

•심혈관계통 : 맥약
꽃자루는 뿌리에서 나오며 육수꽃차례는 밑부분에 암꽃차례,
•신경계통 : 경련, 경기, 후두경련, 호흡곤란, 사망
윗부분에 수꽃차례가 달린다. 부속체는 위쪽이 가늘어져
•기타 : 어지럼증, 사지감각이상, 알레르기 증상 등
길게 불염포 밖으로 나온다.
중독사례
열매
•약초 가게에서 일하던 비흡연자인 40세 남성이 반하를 가루로 만드는 과정에서 유독 심해지는
장과, 9~10월에 익으며 녹색이다.
지속적인 천식과 비염증상을 호소하여 내원
뿌리
•3년 동안 한약방에서 근무한 25세 남성이 1년 전부터 멈추지 않는 콧물, 재채기, 기침 및
땅속에 지름 1cm의 알줄기가 있고 긴 수염뿌리가 달린다.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며 내원
분포
전국
52), 53) 소화기 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해 심한 통증과 부종을 일으킨다. 이러한 성분은 천남성속(Arisaema sp.)
식물에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나 열매를 섭취하면 중독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사망할 수도 있다.

21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19


천남성과 I 반하속

반하
Pinellia ternata (Thunb.) Makino

근연식물
천남성과의 반하속 식물은 우리나라에는 2종류가 있고, 반하와 대반하는 같은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섭취 시 사망할 수도 있는 맹독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매우 조심해야 한다.

반하 대반하

반하와 달리 살눈이 없고
식물체가 반하에 비해 대형이다.

살눈

잎자루 밑부분과 잎의 분기점에 살눈이 있다.

반하

220
천남성과 I 앉은부채속

앉은부채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꽃 열매

새싹 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잎과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aporphine, isocorydine, calcium oxalate54), sodium nitrate(LD50: 2,480mg/kg, rat), serotonin,
크기
5-hydroxytryptamine 등
높이 10~20cm.
중독증상

성장한 잎을 먹거나, 식물의 유액이 피부에 접촉되면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뿌리에서 나오며 길이 30~40cm 정도의
•소화계통 : 구토, 오심, 복통, 설사 등 넓은심장모양이고 털이 없다.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서맥, 부정맥 잎자루는 길이 50~60cm 정도로 길다.
•신경계통 : 시야장애, 정신착란, 무기력, 마비 및 저릿함, 어지럼증, 시각장애, 현훈 등

•피부계통 : 수포, 접촉성 피부염, 소양증(가려움증)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8~20cm 정도의
중독사례 주머니모양의 불염포는 갈색으로
•54세의 남자가 머위로 혼동하고 앉은부채의 어린잎과 뿌리를 삶아 섭취한 후 흉부불편감과 적자색 반점이 있고 그 안에 육수꽃차례가 있다.
전신쇠약감, 통증, 어지러움 및 상복부 통증, 구역질, 구토, 빈호흡, 시야장애 등으로 내원
열매
장과, 8월에 익는다.
뿌리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긴 끈 같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중부지방
54) 소화기 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해 심한 통증과 부종을 일으킨다. 이러한 성분은 천남성속(Arisaema sp.) 식물에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나 열매를 섭취하면 중독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사망할 수도 있다.

22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23


천남성과 I 앉은부채속

앉은부채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근연식물
천남성과의 앉은부채속 식물은 앉은부채와 애기앉은부채 2종이 있고, 같은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앉은부채 애기앉은부채

2월 개화 9월 개화

4월 개엽 5월 개엽

2~6월 사이에 꽃과 잎이 함께 핀다. 3월에 잎이 나서 5월에 업어지고, 7월에 꽃이 핀다.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열매는 다음 해 7~8월에 익는다.

앉은부채

224
천남성과 I 창포속

창포
Acorus calamus L.

육수꽃차례 꽃 열매

독성부위
형태
잎과 뿌리에 독성이 있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뿌리와 잎에 asaron55), asarylaldehyde 등
높이 70cm 내외
뿌리줄기에 akorin, tannin, alkaloid 등

중독증상
잎은 뿌리줄기 끝에서 모여 나며 길이 70cm,
•소화계통 : 구토, 메스꺼움, 위장염
너비 1~2cm로서 선모양으로 나란히맥이 있으며
•비뇨계통 : 신장 손상
주맥이 뚜렷하고 대검 같으나 밑부분이
•신경계통 : 경련(떨림), 발작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심박감소
•기타 : 간독성, 생식독성, 졸음 꽃
5~6월에 피며, 꽃대축은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독사례
중앙부에 5cm 정도의 이삭꽃차례가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비스듬히 옆으로 달린다.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지속적인 경련을 일으킴이 관찰
열매
•추가로 개가 섭취 후 혈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보고
장과, 긴타원모양으로 7~8월에 익는다.
뿌리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많고
밑부분에서 긴 수염뿌리가 자란다.
분포
전국의 습지
55)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22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27


콩과 I 고삼속

고삼
Sophora flavescens Aiton

꽃 열매

5mm

씨앗 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지만,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여러해살이풀
alkaloid, matrine, oxymatrine, allomatrine, lehmannine, anagyrin, sophocarpine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2m
•소화계통 : 구도, 메스꺼움, 복통, 설사 등 잎
•신경계통 : 호흡 근육 및 횡경막의 마비, 두통, 경련, 중추신경계 자극, 자궁 수축 작용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15~40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호흡계통 : 호흡장애, 호흡마비 길이 15~25cm 정도의 홀수깃모양겹잎이다.
•심혈관계통 : 혈압 상승, 두근거림

중독사례 6~8월에 원줄기나 가지 끝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길이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15~18mm 정도의 연한 황록색의 많은 꽃이 달려 핀다.
•동물실험에서 고삼의 뿌리에 다량 함유된 matrine을 섭취하게 되면 호흡근육 및 횡경막의 열매
마비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협과, 길이 7~8cm 선모양으로 8~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뿌리
땅속 깊이 내린 원주상의 굵은 황갈색 뿌리는 맛이 매우 쓰다.
분포
전국

22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29


콩과 I 전동싸리속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꽃 열매

5mm

1mm

씨앗 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coumarin 계열 Dihydroxycoumarin, dicoumarol56)(LD50: 233mg/kg, rat), saponin, flavonoid 계열 형태
robinin, dovin, melilotoside, terpernoid 배당체, azukisaponin 등 두해살이풀
중독증상 크기
급성 임상 증상은 출혈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높이 60~100cm
•소화계통 : 객혈, 위장관 출혈, 복부 또는 요통 (복강 내 출혈) 잎
•비뇨계통 : 혈뇨 어긋나며 3출 겹잎이고 작은잎은 긴타원모양
•기타 : 간질, 고혈압, 뇌 혈관 사고 및 다발성 외상성 병변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턱잎은 선형이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5~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연한 노란색의 꽃이 모여 핀다.
열매
협과, 길이 3.5mm 정도의 달걀모양으로 털이 없고
7~9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분백색을 띤다.
분포
(중국 원산, 외래식물) 전국
56) 사람에게 섭취나 다른 경로에 의한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태아 사망, 비특정 발생 이상, 사산 및 비특정 신생아 영향이다.

23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31


콩과 I 해녀콩속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

(mm)
15

10

열매 씨앗

잎 새순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지만 씨앗과 잎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urease, hemagglutinine, canavanine, concanavalin 등
중독증상
•소화계통 : 구토, 복통, 메스꺼움 등
형태
•기타 : 간독성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중독사례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잎자루가 길고, 3출겹잎의 작은잎은
•과거 제주도의 해녀들이 원하지 않은 임신을 한 경우에 유산을 위하여 먹었던 독성식물이며, 길이 6~12cm로 두껍고 표면에 누운털이 있다.
독성이 강하여 간혹 해녀들도 사망하였다고 전해짐 턱잎은 달걀형피침모양이다.

7~8월에 길이 25~30mm 정도의 연한 홍자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려 핀다.
열매
협과, 길이 5~10cm 정도의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2개의 능선이 있다.
씨앗은 갈색이고 강한 독성분이 있어 먹을 수 없다.
분포
제주도

23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33


콩과 I 주엽나무속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Miq.

양성화 수꽃 열매

깃모양겹잎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다.
독성물질
어린줄기, 잎, 열매와 씨에 alkaloid 계열의 triacanthine, saikachinoside A 등 형태
열매에는 gleditschia saponin 등 낙엽 활엽 교목
열매껍질에 anthraquinone57)(LD50: 5,000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20m 내외
섭취하게 되면 혈압 저하와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심혈관계통 : 혈관 확장 작용, 혈압 저하 어긋나며 길이 12~22cm의 1~2회 짝수깃모양겹잎이며
•신경계통 : 평활근 진경작용, 호흡중추의 흥분 작용 작은잎은 5~13쌍이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기타 : 체중감소

중독사례 암수한그루(드물게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열매
•동물실험에서 triacanthine은 평활근을 진경 시키며 호흡중추의 흥분 작용, 혈압저하 작용, 협과, 길이 20~30cm 정도로 심하게 뒤틀리며
혈관 확장 등을 일으킴이 보고 9~10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으로 평활하며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송곳 같은 가시가 있다.
분포
전국에 드물게 분포
57) 피부에서 자극, 감작을 일으키고, 신경독성이 시력장애를 유발한다.

23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35


콩과 I 주엽나무속

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

꽃 잎

가시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지만 특히 어린줄기와 잎, 열매, 씨앗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물질
어린줄기, 잎, 열매와 씨에 alkaloid 계열의 triacanthine, saikachinoside A 등 형태
열매에는 gleditschia saponin 등 낙엽 활엽 교목
열매껍질에 anthraquinone58)(LD50: 5,000mg/kg, rat)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30m
중독증상은 아래와 같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흐흡계통 : 호흡중추 흥분 어긋나며 짝수 깃모양겹잎이며 작은 잎은 3~9쌍이고
•심혈관계통 : 혈관 확장, 혈압 저하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암수한그루(드물게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열매
협과, 길이 20~35cm 정도로 거의 곧게 자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갈색으로 껍질눈이 발달하며,
송곳같이 위협적인 큰 가시가 있다.
분포
(중국 원산, 재배) 전국에 드물게 식재
58) 피부에서 자극, 감작을 일으키고, 신경독성이 시력장애를 유발한다.

23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37


콩과 I 칡속


Pueraria lobata (Willd.) Ohwi

꽃 열매

잎 수피 엽흔

독성부위 형태
뿌리가 유독하다. 낙엽 활엽 덩굴나무
독성물질 크기
칡의 독성에 관해 연구 보고된 자료는 없다. 길이 20m 내외
중독증상 잎
칡즙을 장기간 복용한 경우로 인해 발생한 간독성 관련 보고가 있다. 3출겹잎으로 작은잎은 길이 10~15cm 마름모꼴이며,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중독사례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잎자루 길이는 10~20cm 정도로 털이 있다.
•57세의 여자가 내원 20일 전부터 2주일간 칡즙을 복용한 후 내원 7일 전부터 꽃
구역, 구토, 복통이 있으면서 내원 당일 전신에 발진이 생겨 응급실을 거쳐 입원한 사례 7월에 곧게 서는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길이는
•58세의 여자가 내원 10일 전부터 복부 불편감이 생기고, 소변 색이 짙어지며 3일 전부터 18~25mm 정도의 홍자색 꽃이 달려 핀다.
전신에 가려움이 발생하여 내원한 사례 열매
협과, 길이 4~9cm로 편평하고 넓으며
갈색의 퍼진 털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끝부분이 겨울 동안에 말라 죽으며 줄기는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다.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가지가 잘 갈라진다.
뿌리
2~3m, 지름 20~30cm까지 자라며,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고 섬유질로서 회백색을 띠며 녹말을 저장한다.
분포
전국

23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39


팥꽃나무과 I 팥꽃나무속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 Zucc.

꽃 잎(개화기) 잎(결실기)

어린개체 겨울눈 엽흔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지만, 특히 뿌리는 맹독성이다.
독성물질
꽃과 잎에 genkwanin, apigenin, sitosterol, benzoic acid59)(LD50: 1,700mg/kg, rat), yuanhuatin 등
뿌리에 diterpenoid, coumarin60)(LD50: 293mg/kg, rat), 그니딜라티닌, 오르도신 등 형태
중독증상 낙엽 활엽 관목
중독되면 오심, 극심한 설사와 복통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경련과 호흡 억제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크기
임신 초기에 사용하면 유산을 일으키기도 한다. 높이 1m 내외
•소화계통 : 구강내궤양, 구강자극, 식도궤양, 식도 자극, 복통, 침흘림, 구토, 피설사 잎
•신경계통 : 발작, 혼수상태, 사망 마주나거나 간혹 어긋나며 길이가 2~6cm 정도의 피침모양,
•피부계통 : 수액과 닿을 시 접촉성 피부자극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중독사례 꽃
•동물실험에서 개와 작은 동물이 경구로 섭취할 시 복통, 침 흘림, 구토, 피를 동반한 설사 등의 3~5월에 전년지 끝에서 홍자색 꽃이 3~7개씩 산형으로
증상이 발현된다고 보고 달려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
장과, 둥글고 6~7월에 붉게 익지만, 결실이 잘되지 않는다.
줄기
나무껍질은 자갈색이며 햇가지는 가늘고 털로 덮여 있다.
분포
59) 소화계통, 신경계통, 신장 기능 부전, 대사성 산증, 호흡계통(호흡기 폐쇄)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전남 해안가(산기슭)
60)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24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41


팥꽃나무과 I 팥꽃나무속

서향
Daphne odora Thunb.

꽃 잎

독성부위
전체가 유독하지만, 열매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물질 상록 활엽 관목
mezerin, yuanhuatin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1m 내외
주로 소화기계의 증상과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소화계통 : 입과 혀의 부종, 구역질, 구토, 연하장애, 복통, 간독성, 설사 등 어긋나며 길이 3~8cm 정도로 타원형이고
•신경계통 : 전신 쇠약감, 의식장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피부계통 : 접촉성 피부염

중독사례 암수딴그루로 3~4월에 전년지 가지 끝에
국내에 인체 독성 정보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흰색 또는 홍자색 꽃이 10~20송이씩
•작은 동물에게도 소화기계, 신경계, 피부질환과 같은 중독증상을 일으킨다는 사례가 보고 머리 모양으로 뭉쳐 피며 향기가 있다.
열매
핵과, 적색이며 수나무에서는 결실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식재되어있는 것은 대부분 수나무이므로
열매를 보기 힘들다.
줄기
곧게 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광택이 있다.
분포
(중국 원산, 관상용) 남부지방

24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43


팥꽃나무과 I 팥꽃나무속

서향
Daphne odora Thunb.

근연식물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4종의 자생식물과 재배식물 1종이 분포한다.
서향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재배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결실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며, 주로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독성이 강한 식물이지만 근연식물의 독성 관련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팥꽃나무속(Daphne) 식물의 생김새와 차이점

팥꽃나무 백서향 두메닥나무 서향

서향

244
팥꽃나무과 I 피뿌리풀속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꽃 잎차례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20~50cm
독성부위
잎과 뿌리가 유독하다. 잎
어긋나고 길이 10~25mm 정도의 피침모양
독성물질
61)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coumarin (LD50: 293mg/kg, rat), umbelliferone, daphnoretin, anthraglycoside 등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측맥이 뚜렷하고 잎자루는
중독증상 매우 짧고(0.5mm) 털이 없다.
중독증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자료는 없으나 coumarin으로 인하여 주로 설사, 복통 등을

동반한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며, 이뇨작용이 촉진될 가능성이 크다.
5~7월 원줄기 끝에 홍색꽃이 머리모양으로 모여피고,
•소화계통 : 위장자극, 복통, 구역질, 구토, 설사 꽃부리 통부는 원통 모양으로
•피부계통 : 피부 자극, 통증, 알레르기성 반응 길이 8~12mm이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호흡계통 : 호흡기관 자극 퍼지고 열편은 타원형이며 끝이
•비뇨계통 : 이뇨작용 촉진 둥글고 길이 2mm 정도이다.
중독사례 열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수과, 타원모양이다.
줄기
줄기는 모여 나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밑부분은 목질이다.
뿌리
목질이다.
분포
제주도
61)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24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47


팥꽃나무과 I 삼지닥나무속

삼지닥나무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꽃 잎

꽃눈 겨울눈과 엽흔

독성부위 형태
전초가 유독하지만, 특히 열매의 독성물질이 강하다. 낙엽 활엽 관목
독성물질 크기
edgeworoside B, C, edgeworin 등 높이 1~2m
중독증상 잎
섭취할 경우 소화기 장애를 주 증상으로 하여 신경계, 피부계, 비뇨계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어긋나고 길이 8~15cm, 너비 2~4cm 정도의
피침모양으로 엽질이 얇고 양면에 털있다.
•소화계통 : 구강 염증, 위염, 복통, 혈변
잎자루는 길이 5~8mm로 털이 있다.
•신경계통 : 과량 섭취 시 마비
•피부계통 : 피부염 꽃
•비뇨계통 : 이뇨작용 촉진 3~4월에 잎보다 먼저 전년도의 묵은 가지에서 나온 노란색의
꽃들이 머리모양꽃차례에 아래를 향해 핀다.
중독사례
꽃받침통은 끝이 4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처럼 보이고,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길이 1.2~1.5cm, 안쪽이 연한 노란색, 흰색의 연한 털이 많다.
수술은 8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수과, 달걀모양이며 끝에 잔털이 있고 6월에 익는다.
수피
나무껍질은 회녹색이며 털이 있다.
분포
(중국 원산, 관상용 및 섬유용) 남부지방

24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49


협죽도과 I 박주가리속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꽃 열매

(mm)

씨앗 잎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며, 특히 잎과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독성분 형태
전초에 gagamol, gagamol-7-methylether, pergularin, sarcostin 등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에 coumarin62)(LD50: 293mg/kg, rat), 뿌리에 saponin 등
크기
중독증상 길이 3m 내외
주로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독사례 마주나며, 길이 5~10cm 정도의 달걀형심장모양으로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연한 자색의 꽃들이 모여 핀다.
열매
골돌과, 길이 10cm이며 10~11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자르면 젖 같은 액체가 나온다.
뿌리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 번식한다.
분포
전국
62)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25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51


협죽도과 I 정향풀속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전초가 유독하지만, 특히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형태
독성분 여러해살이풀
alkaloid계열 yohimbin63)(LD50: 43mg/kg, rat), amsonin, ellipticine, 아이말린, 안트린 등 크기
중독증상 높이 40~80cm
정향풀이 함유한 alkaloid 계열의 독성물질은 생식기의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과 혈관이완의 작용이 잎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긋나거나 마주나기하고 길이 6~10cm의 피침모양으로
•심혈관계통 : 혈압저하, 혈관이완 및 확장 짙은 녹색이며 잎자루가 거의 없다.
•신경계통 : 국소마비 꽃
•기타 : 음경팽대 5월에 지름 13mm 정도의 하늘색 꽃이
중독사례 줄기 끝에서 취산꽃차례로 핀다.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열매
골돌과, 길이 5~6cm로 둥글고 털이 없고
8~10월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곧게 서며 통모양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뿌리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란다.
분포
인천시 옹진군, 전남 완도군
63) 중독 시, 척수 하부의 발기 중추의 흥분 작용 및 교감 신경 말초의 마비 작용을 한다.

25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53


홀아비꽃대과 I 홀아비꽃대속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꽃 열매

잎 뿌리

독성부위 형태
전체가 유독하다 여러해살이풀
독성물질 크기
coumarin64)(LD50: 293mg/kg, rat), saponin, alkaloid, iridoid 등 높이 20~30cm
중독증상 잎
saponin과 coumarin 등의 물질로 인해 경구 섭취 후 중독되면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4개의 잎이 줄기 윗부분에서 서로 연속하여 마주나므로
•소화계통 : 메스꺼움, 구토, 설사, 과도한 타액 분비, 식욕 저하 돌려난 것 같이 보이고 길이 4~12㎝로 달걀모양 또는
•신경계통 : 현기증, 불면증, 마비 타원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중독사례 꽃
인체 독성에 관하여 연구 보고된 중독사례는 없다. 4~5월에 위를 향한 1개의 꽃대축에 많은 흰 꽃이
이삭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꽃잎이 없다.
수술대는 3개이고 밑부분이 짧게 합쳐져서 씨방 뒷면에 붙어 있다.
열매
삭과, 둥굴며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털이 없다.
밑부분의 마디에 비늘 같은 잎이 있다.
뿌리
근경은 마디가 많고 흔히 덩어리처럼 되며
회갈색의 뿌리가 돋는다.
64) 잠재적인 간독성 효과 때문에, 1954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분포
우리 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쿠마린을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전국의 산지

25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55


참고자료
찾아보기

만병초
참고자료

1. 문헌
• Agric Food Chem. 2006. Potato glycoalkaloids and metabolites: Roles in the plant • Ertugrul O et al. 2010. Cardiac effects of “mad honey”: a case series. Clinical
and in the diet. Mendel Friedman. 54: 8655~8681. Toxicology. 48:6, 582~532.

• Allison MJ et al. 1977. Changes in ruminal oxalate degradation rates associated • Ferraz AC et al. 2002. Amino acid and monoamine alterations in the cerebral cortex
with adaptation to oxalate ingestion. Journal of Animal Science. 45:1173~1179. and hippocampus of mice submitted to ricinine-induced seizures. Pharmacol
Biochembehav. 72(2):779~786.
• Baenziger JU and Fiete D. 1979. Structural determination of Ricinus communis
agglutinin and toxin specificity for oliosaccharide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 Hare WR 1998. Chinaberry (Melia azedarach ) poisoning in animals. In: Toxic Plants
254:9795~9799. and Other Natural Toxicants. 514~516.

• Barnet BD. 1975. Toxicity of Pokeberries (fruit of Phytolacca americana Large) for • Hare WR et al. 1997. Chinaberry poisoning in two dogs. Journal of the American
turkey poults. Poultry Science. 54:1215~1217.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10:1638~1640.

• Borg PJV. 1971. Ecology of Equisetum palustre in Finland, with special reference to • Ishiguro T et al. 1964. Biochemical studies on ricin: I. purification of ricin. The
its role as a noxious weed. Annales Botanici Fennici. 8:93~141. Journal of Biochemistry. 55:587~592.

• Bruce EA. 1920. Hydrangea poisoning.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 Kamphues J. 1990. Refusal of horsetail (Equisetum palustere ) contaminated hay by
Association. 58:313~315. bulls. Tierarztl Prax. 18:349~351.

• Bruneton J. 1999. Toxic plants dangerous to humans and animals. Hamp-shire. • Kimiye B et al. 1989. Coumarins from Edgeworthia chrysantha . Phytochemistry.
28(1):221~225
• Crane PR and Lidgard S. 1989. Angiosperm diversification and paleolatitudinal
gradients in Cretaceous floristic diversity. Science. 246:675~678. • Kingsbury JM and Hillman RB. 1965. Pokeweed (phytolacca ) poisoning in a dairly
herd. Cornell Veterinarian. 55:534~538.
• David HL. 1994. Could a Comet Have Slain the Dinosaurs?. The Quest for Comets.
181~197. • Knauer KW et al. 1995. Mescalbean (Sophora secundiflora ) toxicity in a dog.
Veterinary and Human Toxicology. 37:237~239.
• Dewick. 2001. Medicinal natural products. chickester.
• Kwatra MS et al. 1974. Poisoning by Melia azedarach in pigs. Vet Record.
• Dickie CW et al. 1978. Oxalate (Rumex venosus ) poisoning in cattle. Journal of the 95(18):421.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173:73~74.
• Lee SM et al.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two phloroglucinol derivatives from
• Djakpo O and Yao W. 2010. Rhus chinensis and Galla Chinensis – folklore to Dryopteris crassirhizoma . Biological & Phamaceutical Bulletin. 26(9):1354~1356.
modern evidence: review. Phytotherapy Research. 24(12):1739~1747.
• Maitland Jones. 2000. Organic Chemistry, 2nd edition. Norton & Company Inc.
• Donald GB. 2009. Potatoes, tomatoes, and solanine toxicity (Solanum tuberosum L.,
Solanum lycopersicum L.). Disease a Month. 55:391~402. • Mann J. 1992. Muder, Magic,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 Edwards D. & Feehan J. 1980. Records of Cooksonia-type sporangia from late • Mariangela M et al. 2016. Effects of Saponins on Lipid Metabolism: A Review of
Wenlock strata in Ireland. Nature. 287:41~42. Potential Health Benefit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Molecules. 21(10):1404.

• Eo K-Y and Kwon O-D. 2009. Rhododendron poisoning in sleep and goats. Journal • Michael W and Ben-Erik W. 2008. Mind-altering & Poisonous Plants of the World.
of Veterinary Clinics. 26(4):344~347. Timber press.

25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59


참고자료

• Nakamura S et al. 2009. The absolute sereostructures of cyanogenic glycosides, • 가라키 히데아키. 2011. 우리를 병들게 하는 생활 속의 음식·독물 60. 국일미디어.
hydracyanoside A, B, and C,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hydrangea macrophylla .
Tetrahedron Letters. 50:4639~4642. • 강건일. 1997. 이야기 현대약 발견사. 까치글방.

• Oelrichs PB et al. 1985. Toxic tetranortriterpenes of the fruit of Melia azedarach . • 강선형 등. 2008. 급성 독성간염 159예의 임상적 고찰. 대한간학회지. 14:483~492.
Phytochemistry. 22:531~534.
• 강신정 등. 2007. 알기 쉬운 독초·독버섯. 식품의약품안전청·농촌진흥청.
• Osborne TR et al. 1905 A study of the proteins of the cavtorbean, with special
reperence to the isolation of ricin.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Journal. • 강영희. 2014. 생명과학대사전. 여초출판사.
14:259~286.
• 권동렬. 2007. 중독우려한약재의 관리방안 및 연구결과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
• Panciera RJ et al. 1990. Acute oxalate poisoning attributable to ingestion of
curly dock (Rumex crispus ) in sleep.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 권순경. 1988. 의약의 세계. 계축문화사.
Association. 196:1981~1984.
• 김기운 등. 2006. 임상독성학. 군자출판사.
• Paul MD. 2009. Medicinal Natural Products: A Biosynthetic Approach,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 김동훈. 1993. 식품화학(전정증보판). 탐구당.

• Peixoto PV et al. 1997. Phytolacca decandra poisoing in sleep in southern Brazil. • 김병훈 등. 2010. 유근피 다린 물을 복용 후 발생한 급성 독성 간염 및
Veterinary and Human Toxicology. 39(5):302~303. 급성 신손상 1예. 대한신장학회지. 29:136~139.

• Puschner B1 et al. 2001. Grayanotoxin poisoning in three goats. Journal of the • 김상철 등. 2008. 밀주를 마신 후 발생한 집단 초오중독.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18(4):573~575. 대한응급의학회지. 19(3):339~345.

• Robert PT. 1953. A case of poisoning by solanum nigrum . Irish Journal of Medical • 김원학 등. 2014. 독을 품은 식물 이야기. 문학동네.
Sciense. 28:77~80.
• 김태정. 1997. 한국의 자원식물 1~5권. 서울대학교출판부.
• Rotblatt M and Ziment I. 2002. Evidence Based Herbal Medicine. Hanley & Belfus.
• 김태훈 등. 2012. 앉은부채 섭취 후 발생한 심장독성 3예.
• Russell DA. 1971. The Disappearance of the Dinosaurs. Canadian Geographical 대한임상독성학회증례집. 10(1)41~46.
Journal. 83(6):204~15.
• 김형균 등. 2000. 한약의 약리. 고려의학.
• Sperti S et al. 1973. Inhibition by ricin of protein Synthesis in vitro: 60S ribosomal
subunit as the target of the toxin. Biochemical Journal. 136(3):813~815. • 농림축산검역본부·농림축산식품부. 2014. 동물의 중독성 식물 도감.
농림축산검역본부·농림축산식품부.
• Spoerke DG. 1990. Oxalate. In Toxicityof Houseplants. CRC press.
• 닉 아놀드. 2007. 오싹오싹 무서운 독. 김영사.
• Storie GJ et al. 1992. Suspected packalacca (Phytolacca dioica ) poisoning of cattle
and chickens. Australian Veterinary Journal. 69(1):21~22. • 다나카마치. 2008. 약이 되는 독 독이 되는 독. 전나무숲.

• Yan Z et al. 2016. Phytotoxicity mechanisms of two coumarin allelochemicals • 다치키 다카시. 2006. 독약의 박물지. 해나무.
from Stellera chamaejasme in lettuce seedlings. Acta Physiologiae Plantarum.
38(10):248. •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1. 한국의 알레르기 식물 추정. 식물추장.

• Weston CF et al. 1987. Veno-occlusive disease of the liver secondary to ingestion of • 대한간호학회. 1996.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comfrey. British Medical Journal. 295(6591):183

26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61


참고자료

• 도봉섭 등. 1947. 조선식물도설 유독식물편. 금룡도서주식회사. • 수의내과학교수협의회. 1985. 수의내과학 대가축편(II). 대영문화사. p99~103.

• 드리 리샤르. 2011. 약물 중독. NUN. • 스튜어트 리 앨런. 2005. 악마의 정원에서. 생각의나무.

• 마이클 폴란. 2002. 욕망의 식물학. 서울문화사. • 시부사와 다쓰히코. 2003. 독약의 세계사. 가람기획.

• 마이클 폴란. 2007. 욕망하는 식물. 황소자리. • 신민교. 1986. 원색 임상본초학. 남산당.

• 미즈호 레이코. 2006. 독살의 세계사. 해나무. • 심상룡. 1997. 약과 인간. 삶과 꿈.

• 박준수 등. 2004. 개구리자리에 의한 접촉피부염 1예. • 안덕균. 2012. 임상 한약대도감. 현암사.


대한피부과학회지. 42(6):791~793.
• 안병민. 2004. 식물 제재에 의한 간 손상. 대한소화기학회지. 44:113~125.
• 박찬우 등. 2011. 금전초 섭취 후 발생한 입 주위 마비 및 이상감각.
대한응급의학회지 22(4):359~361. • 안봉전 등. 2009. 화장품 생물신소재. 광문각.

• 배기환 등. 1997. 한국의 독버섯·독식물. 교학사. • 알렉산더 쿠퍼. 2000. 신의 독약 1·2. 책세상.

• 배기환. 2006. 생약(한약) 안전관리 연구·'알기 쉬운 독초·독버섯' 자료 연구. • 야마모토 히로토. 2006. 미처 몰랐던 독이 되는 약과 음식. 넥서스북스.
식품의약품안전청.
• 옥택근 등. 2006.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에 의한 전신 중독 2례.
• 백승운 등. 1998. 백선(Dyctamnus dasycarpus) 복용 후 발생한 간 손상 2예. 대한임상독성학회지 4권 2호: 142~146.
대한소화기학회지. 31(2):251~257.
• 우에노 마사히코. 2005. 독살. 살림출판사.
• 브라이언 마리너. 2007. 독살의 기록. 이지북.
• 위성하 등. 1984. Holstein 송아지에 발생한 고사리 중독증. 대한수의학회 학술발표 초록집.
• 사이토 가쓰히로. 2009. 모르면 독이 되는 독과 약의 비밀. 아르고나인.
• 유승조, 곽종환. 1989. 국내 자생식물의 화학성분 검색. 한국생약학회. 20(3):149~153.
•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2006. 생약학. 동명사.
• 유일재. 2008. KNTP 독성시험자료(생약재 3종). 식품의약품안전청.
• 서부일, 이은숙. 2003. 산자고의 독성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약은용학회지.
3(1):73~82. • 유태우. 2006. 한방약 부작용의 실상. 고려수지침학회.

• 세화편집부. 2008. 화학대사전. 세화. • 육창수 등. 1982. 한약의 약리·성분·임상응용. 계축문화사.

• 소배근. 1994. 중국본초도감 1~4권. 여강출판사. • 이석만. 2019. 화분제품에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안전관리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

• 손창환 등. 2008. 식물제제와 연관된 급성 독성 간염으로 인한 간이식:원인 제제와 • 이선동, 박영철. 2012. 한약독성학 I. 한국학술정보㈜.
손상 유형에 대한 후향적 분석. 대한임상독성학회지. 6(2):110~116.
• 이선동, 박영철. 2012. 한약독성학 II. 한국학술정보㈜.
• 송형익 등. 2000. 현대 식품위생학. 지구문화사.
• 이설희 등. 2008. 백선(Dyctamnus dasycarpus) 복용 후 발생한 급성 간염 3예.
• 수의내과학교수협의회. 1985. 수의내과학 대가축편(II). 대영문화사. p51~5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75(1):373.

26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63


참고자료

• 이시카와 요시미쓰. 2008. 독이 되는 채소, 약이 되는 채소. 대교북스캔. • 태광문화사 편집부. 2000. 함께 먹으면 독이 되는 음식 먹으면 약이 되는 음식.
태광문화사
• 이우주. 2012. 이우주 의학사전. 군자출판사.
• 학덕용 등. 1995. 약도 되고 독도 되는 약궁합. 청산.
• 이우철. 2005. 한국 식물명의 유래. 일조각.
• 한국생물과학협회. 2008.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 이차수 등. 1975. 경북지역 어느 방목우 목장에서 집단 발생한 방목우의
고사리 중독양 질병에 대하여. 대한수의학회 학술발표 초록집. •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1994. 본초학. (사)대한약사회.

•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한국식품과학회. 2008.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문화사.

• 이창업. 1993. 수의독성학. 서울대학교출판부. •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토양비료 용어사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경수 등. 2010. 식물독성학. 군자출판사. • 한대석 등. 1996. 한국·중국·일본의 생약비교연구. 한국의학품수출협의회.

• 임경수 등. 2013. 한국의 독초. 군자출판사. • 한명규. 1997. 식품화학. 형설출판사.

• 장 앙리 파브르. 2003. 파브르 식물기. 두레. •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2009. 한방약리학. 신일북스.

• 장인수 등. 2007.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재에 대한 고찰. • 한용봉. 2002. 한국야생 식용식물 자원 I. 고려대학교 출판부.
대한한의학회지. 28(1):1~10.
• 한용봉. 2003. 한국야생 식용식물 자원 II. 고려대학교 출판부.
• 전봉길 등. 1992. 개구리자리에 의한 원발성 접촉 피부염 3예.
대한피부과학회지. 30(6):886~891 • 홍문화. 2005. 약이나 독이냐. 빛과 향기.

• 장종순 등. 2008. 백선 복용 후 발생한 독성 간손상의 4예. • 홍상진. 2009. 이야기 보건학. 보문각.
대한간학회지. 14(2):206~212.
• 홍영남 등. 2012. 식물생리학(제4판). 월드사이언스.
• 정종영 등. 2008. 한국의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대한일차진료학회.

• 정종호. 2006. 환자의 눈으로 쓴 약 이야기2(순환기호흡기대사증후군). 종문화사.

• 정희곤 등. 1998. 최신 식품위생학. 광문각.

• 제임스 콜만. 2008. 내추럴리 데인저러스. 다산초당.

• 최유식, 장인성, 김병하, 권나영, 김재덕, 이명용, 이무용, 김영권, 김갑득, 송화식. 2002.
만병초 복용후 발생한 심한 서맥성부정맥 1예.
Korean Circulation Journal 32(3): 268~270.

• 크리스틴 메데페셀헤르만 등. 2007.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에코리브르.

26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65


참고자료

2. 웹사이트 3. 언론매체
• Atlas. https://ntp.niehs.nih.gov/nnl/index.htm. • HiDoc 건강이야기. 2019. 침묵의 '간' 건강을 미리 챙기는 5가지 방법.

• National Toxicology Program. https://ntp.niehs.nih.gov. • HiDoc 건강이야기. 2020. 노화와 염증, 혈관건강이 걱정된다면 '케르세틴'을?.

• Nature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main/Main.do. • MBC. 2009. 여로 섭취 후 중독된 산악회원 6명.

• Public Health England. https://www.gov.uk/government/organisations/public- • NEWS1 뉴스. 2014. 강원지역 산나물 채취 안전사고 2년새 150% 급증.
health-england.
• NEWSIS. 2014. 산채나물 먹던 母子... 중독증세로 병원 이송.
• T3DB. http://www.t3db.ca.
• SBS. 2015. 봄나물 직접 뜯어 먹었다가 ‘독초 중독’ 조심.
• Toxnet. https://www.nlm.nih.gov/toxnet/index.html.
• 강원일보. 2015. “산나물인줄 알았는데” 독초 중독 잇따라.
• 네이버 지식백과. 사포닌(Saponin). https://terms.naver.com.
• 강원일보. 2016. 산나물 닮은 독초 함부로 먹지 마세요.
• 네이버 지식백과. 알칼로이드 (alkaloid). https://terms.naver.com.
• 경기일보. 2014. 잎이 부드럽고... 털 송송... 곰취? 동의나물?.
• 농림축산검역본부. www.qia.go.kr.
• 경향신문. 2009. 성남 집단 식중독 “원추리나물 때문”.
•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 https://www.nifds.go.kr.
• 뉴데일리경제. 2016. '감자독' '고사리 발암물질' 그냥 드시나요?… "자연독소, 꼭 제거해야".
•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https://www.msds.kosha.or.kr.
• 부산경남방송. 2017. 봄 산나물, 잘못 먹으면 독초 중독 주의.
•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index.
• 브릿지경제. 2017. 여름철 독초 중독사고 빈번...삶아서 노란색 되면 위험.

• 연합뉴스. 2016. “봄철 산나물 조심하세요”...전국 곳곳서 독초 중독사고.

• 연합뉴스. 2019. 산나물인 줄 알고 먹었다가...독초 식중독 환자 57% 봄철 집중.

• 연합뉴스. 2020. 독성식물 ‘붉나무’ 추출물서 항산화·미백 효과 확인.

• 제주일보. 2016. 동식물의 삶에 필요한 정보전달 물질.

• 중부일보. 2019. ‘산나물인 줄 알았는데’... 봄철 등산객 ‘독초 중독사고’ 주의.

• 코메디닷컴. 2020. 천연소화제라 선물 받은 약. 만성콩팥병 환자가 먹어도 될까?.

• 쿠키뉴스. 2019. 고통스러운 요로결석. 여름철 발병 빈도 높은 이유.

• 프레시안. 2006. 비타민 음료수 ‘벤젠 쇼크’. 유명 제품서 발암물질 검출.

26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67


독성물질로 찾아보기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aconitic acid 속새 24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 족도리풀 194
adonilide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aristolochic acid 쥐방울덩굴 196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adonitol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등칡 198
adonitoxin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aristolochin 쥐방울덩굴 19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akorin 창포 226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asarinin 족도리풀 194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albaspidine 관중 30 소화계통, 신경계통 asaron 창포 226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alginic acid 느릅나무 56 (다량섭취시) 대장폐색, 흡인성 폐렴 asarylaldehyde 창포 226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allocryptopine 애기똥풀 152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asebotoxin 마취목 212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allocryptopine 현호색 160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aspidin 관중 30 소화계통, 신경계통
allomatr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미치광이풀 36
atropine 소화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allosecurinine 광대싸리 70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흰독말풀 40
ammonium alkaloid 쥐방울덩굴 19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azukisaponin 전동싸리 230
amsonin 정향풀 252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belladonine 흰독말풀 40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살구나무 180 Benzo[c]phenanthridine 산괴불주머니 156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복사나무 182 둥근잎천남성 214
amygdalin 호흡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매실나무 184 반하 218 소화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신장기능 부전
benzoic acid
비파나무 188 팥꽃나무 240
anagyr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benzyl alchohol 쥐오줌풀 82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철쭉 202 피나물 148
영산홍 206 애기똥풀 152
andromedotoxin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berberine 소화계통, 호흡계통
만병초 208 현호색 160
마취목 212 금낭화 164
동의나물 86 둥근잎천남성 214
미나리아재비 90 calcium oxalate 반하 21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anemonin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꿩의바람꽃 98 앉은부채 222
할미꽃 106 camphor 쥐오줌풀 82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anemonol 꿩의바람꽃 98 소화계통, 피부계통 canavanine 해녀콩 232 소화계통, 간독성
anguinarine 매미꽃 150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cardiac glycoside 쇠비름 142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대극 58 catechin 느릅나무 56
주엽나무 234 catechinapioside 느릅나무 56 소화계통, 비뇨계통, 기타(피로감)
anthraquinone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조각자나무 236 catecholamine 족도리풀 194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쇠비름 142 ceveratrum 박새 11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antocyanidin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chatinine 쥐오줌풀 82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안트린 정향풀 252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cheilanthifoline 금낭화 164 소화계통, 신경계통
apigenin 팥꽃나무 240 소화계통, 비뇨계통 애기똥풀 152
aporphine 앉은부채 222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산괴불주머니 156
chelerythrin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호흡계통
arbutin 월귤 210 소화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금낭화 164
arginine 동의나물 8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개양귀비 166
aristolene 쥐방울덩굴 19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chelidonin 애기똥풀 152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268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69


독성물질로 찾아보기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coumarin acid 전동싸리 230 쇠뜨기 26
coumarins 대극 58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methoxypsoralen flavonoid 애기땅빈대 64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crocin 사프란 130 신경계통, 호흡계통 쇠비름 142
cyanidin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고삼 228
cymarin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멀구슬나무 84
fraxinellon(fraxinellone)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cyrtipterin 쇠고비 32 소화계통 백선 174
cyrtomin 쇠고비 32 소화계통 gagamol 박주가리 250 소화계통
daphnoretin 피뿌리풀 246 소화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gagamol-7-methylether 박주가리 250 소화계통
diacylglycerylgalactoside 둥근잎천남성 214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gallic acid 대극 58 소화계통, 호흡계통
dicentrin 금낭화 164 소화계통, 신경계통 옻나무 168
gallotannin 피부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dicoumarol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붉나무 172
dictamnine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gamma-coniceine 나도독미나리 136 신경계통, 호흡계통
dictamnolacton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gedumin 멀구슬나무 8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dictamnolid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genkwanin 팥꽃나무 240 소화계통, 비뇨계통
digitoxigenin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gentianin 조름나물 192 소화계통
dihydrosecurenine 광대싸리 70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주엽나무 234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gleditschia saponin
Dihydroxycoumarin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조각자나무 236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Di-o-methylellagic acid 오구나무 72 소화계통, 신경계통 glycoalkaloid 미치광이풀 36 소화계통,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dioscin 삿갓나물 118 소화계통 glycoside 쇠비름 142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diosgenin 연영초 126 소화계통 gnidilatinin 팥꽃나무 240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diterpenoid 팥꽃나무 240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영산홍 206
D-mandelonitrile 비파나무 188 호흡계통, 소화계통 만병초 208
grayanotoxin(Ⅰ, Ⅱ, Ⅲ) 신경계통, 호흡계통
dovin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마취목 212
dryorassin 관중 30 소화계통, 신경계통 철쭉 202
edgeworin 삼지닥나무 2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hederagenine 할미꽃 10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edgeworoside B, C 삼지닥나무 2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hemagglutinine 해녀콩 232 소화계통, 간독성
egosaponin 때죽나무 7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higenamine 족도리풀 194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ellipticine 정향풀 252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hoead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emodin 소리쟁이 78 소화계통 둥근잎천남성 214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homogentisic acid
emulsin 복사나무 182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반하 21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ephedrine 반하 218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hydracyanoside A, B, C 수국 14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equisetine 속새 24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수국 146
hydrangin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equisetonin 속새, 쇠뜨기 24, 2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산수국 144
euphorbic acid 대극 5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Hydroquinone 월귤 210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대극 58 hyocyamine 미치광이풀 36 소화계통,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euphorbin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등대풀 62 hyoscine 미치광이풀 36 소화계통,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euphorin 대극 5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hyoscyamine 흰독말풀 40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fesogenin 연영초 126 소화계통 hyperin 월귤 210 피부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270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71


독성물질로 찾아보기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hyperoside 만병초 20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meteloidine 흰독말풀 40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아이말린 정향풀 252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methylarbutin 월귤 210 피부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ingenol 등대풀 6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mezerin 서향 242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iridoid 홀아비꽃대 254 소화계통, 신경계통 monoterpene 조름나물 192 소화계통
isocicutoxin 독미나리 13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monoterpenoid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isocorydine 앉은부채 222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neochlorogenin
삿갓나물 118 소화계통
isomenthone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steroid saponin계)

isopinocamphone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nepodin 소리쟁이 78 소화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월귤 210 속새, 뱀톱 24,28
isoquercetin 피부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쇠고비 32 미치광이풀 36
nicotine 소화계통, 호흡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산괴불주머니 156 둥근잎천남성 214
isoquinoline 소화계통, 피부계통
현호색 160 반하 218
isorhoead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nicotinic acid 서양민들레 4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jervin 박새 11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nigakihemiacetal 소태나무 138 신경계통, 소화계통
kansuinine(A, B) 개감수 60 소화계통, 피부계통 nigakinone 소태나무 138 신경계통, 소화계통
매미꽃 150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nimbolin(A, B) 멀구슬나무 8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keleritrine
피나물 1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N-methylconiine 나도독미나리 136 신경계통, 호흡계통
kryptogenin 연영초 126 소화계통 nologenin 연영초 126 소화계통
kulinon 멀구슬나무 8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obacunonic acid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살구나무 180 호흡계통,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obakulactone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laetrile 복사나무 182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obakunone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매실나무 184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o-coumarin acid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lehmann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oleanolic acid 꿩의바람꽃 98 소화계통, 피부계통, 순환계통, 비뇨계통
현호색 160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오르도신 팥꽃나무 240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levo-tetrahydropalmitine
뱀톱 28 간독성 omega-3 fatty 쇠비름 142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긴병꽃풀 48 oxalate 소리쟁이 78 소화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limonene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신경계통
쥐오줌풀 82 oxalic acids 쇠비름 142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linalool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oxymatr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linoleic acid 뱀딸기 190 소화계통, 피부계통 속새 24
palustrine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linolic acid 때죽나무 7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쇠뜨기 26
loganin 조름나물 192 소화계통 pariphyllin 삿갓나물 118 소화계통
luteolin 쇠뜨기 2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p-cymene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lycopodine 뱀톱 28 신경계통 pectin 느릅나무 56 소화계통, 비뇨계통, 기타
matr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pennogenin 연영초 126 소화계통
mecon acid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pentadecylcatechol 옻나무 168 피부계통, 소화계통, , 신경계통, 호흡계통
mecopelargonin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pergularin 박주가리 250 소화계통
melilotoside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phenolic amides 산괴불주머니 156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menthol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phenolic compound 뱀딸기 190 소화계통, 피부계통
metafolin 조름나물 192 소화계통 phorbol 등대풀 6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272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73


독성물질로 찾아보기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phytolaccatoxin 미국자리공 176 호흡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rhodojaponin 영산홍 206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picrasin A~G 소태나무 138 신경계통, 소화계통 rhodotoxin 만병초 20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picrocrocin 사프란 130 신경계통, 호흡계통 rhoeagen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pieristoxin 마취목 212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rhoearub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pinelline 반하 21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ricin 피마자 68
pinene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Potassium nitrate 미국자리공 176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ricinine 피마자 68
potassium oxalate 반하 21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미나리아재비 90 robinin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protoanemonin 개구리자리 94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rotopine 금낭화 164 소화계통, 신경계통
할미꽃 106 rubijervin 박새 11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protocatechualdehyde 반하 21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rutin 광대싸리 70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나물 148 safranal 사프란 130 신경계통, 호흡계통
매미꽃 150 saikachinoside A 주엽나무 234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애기똥풀 152 피나물 148
protopine 산괴불주머니 156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애기똥풀 152
sanguinarine 소화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현호색 160 금낭화 164
금낭화 164 개양귀비 166
개양귀비 166 애기땅빈대 64
protoveratrin 박새 11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쥐오줌풀 82
prulaurasin 복사나무 182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동의나물 86
복사나무 182 호흡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saponin 백운산원추리 108 소화계통, 피부계통
prunasin
귀룽나무 186 호흡계통, 소화계통, 피부계통, 신경계통 뱀딸기 190
pseudoconhydrine 나도독미나리 136 신경계통, 호흡계통 박주가리 250
psoralen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홀아비꽃대 254
ptaquiloside 고사리 34 발암물질 sarcostin 박주가리 250 소화계통
pteroside 고사리 34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미치광이풀 36
scopolamine 신경계통
pterosin 고사리 34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흰독말풀 40
pyroside 월귤 210 피부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scoulerine 금낭화 164 소화계통, 신경계통
quassin 소태나무 138 신경계통, 소화계통 sebiferic acid 오구나무 72 소화계통, 신경계통
quercetin 속새 24 소화계통 secologanin 조름나물 192 소화계통
quercitrin 대극 5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securinine 광대싸리 70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raddeanoside(Ra, Rb) 꿩의바람꽃 98 소화계통, 피부계통 securinol 광대싸리 70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미나리아재비 90 serotonin
앉은부채 222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ranunculin 개구리자리 94 소화계통, 피부계통 (5-hydroxytryptamine)

할미꽃 106 고사리 34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sesquiterpene
resin 느릅나무 56 신경계통 서양민들레 44 호흡계통, 피부계통, 기타
reticuline 금낭화 164 소화계통, 신경계통 silicates 속새 24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rhododendrin 만병초 20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silicic acid 속새, 쇠뜨기 24, 26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계통

274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75


독성물질로 찾아보기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독성물질 식물 중독증상 발현유형


sinact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veratrin 박새 116 순환계통, 신경계통, 소화계통
애기땅빈대 64 xanthotoxin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sitosterol 백선 174 소화계통, 피부계통, 내분비계통, 신경계통 xanthoxylin 오구나무 72 소화계통, 신경계통
팥꽃나무 240 yohimbin 정향풀 252 신경계통
sodium nitrate 앉은부채 222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팥꽃나무 240
yuanhuatin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sophocarpine 고삼 228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호흡계통 서향 242
steroid saponin 산자고 122 신경계통, 호흡계통 β-amyrin 서양민들레 44 소화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stigmasterol 느릅나무 56 소화계통, 비뇨계통, 기타(피로감) β-gentiobiose 비파나무 188 호흡계통, 소화계통
strophanthidin 복수초 102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β-sisterol 뱀딸기 190 소화계통, 피부계통
tanin 붉나무 172 피부계통, 소화계통, 비뇨계통, 신경계통 β-sitosterol 느릅나무 56 소화계통, 비뇨계통, 기타(피로감)
쇠고비 32 γ-euphorbol 개감수 60 소화계통, 피부계통
긴병꽃풀 48 콩팥독성, 간독성 아이말린 정향풀 252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tannin 백운산원추리 10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호흡계통
비파나무 188
창포 226
taraxasterol 서양민들레 44 소화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기타
taraxol 서양민들레 44 소화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기타
terpernoid 배당체 전동싸리 230 소화계통, 비뇨계통, 심혈관계통
tetrahydropalmitine 현호색 160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tetrahydroptisin 애기똥풀 152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thebaine 개양귀비 166 소화계통, 호흡계통
thiaminase 쇠고비 32 소화계통
tirucallol 개감수 60 소화계통, 피부계통
toosendanin 멀구슬나무 84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호흡계통
triacanthine 주엽나무 234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trigonellin 백선 174 피부계통,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triterpene 할미꽃 10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피부계통
triterpene quassin 소태나무 138 신경계통, 소화계통
꿩의바람꽃 98
triterpenoid saponin 미국자리공 176 비뇨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둥근잎천남성 214
tropane alkaloid 흰독말풀 40 소화계통, 신경계통, 심혈관계통, 비뇨계통
umbelliferone 피뿌리풀 246 소화계통, 호흡계통, 피부계통, 비뇨계통
urease 해녀콩 232 소화계통, 간독성
ursolic acid 긴병꽃풀 48 소화계통, 신경계통, 피부계통
urushiol 옻나무 168 피부계통
valeranone 쥐오줌풀 82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valerianin 쥐오줌풀 82 소화계통, 피부계통, 호흡계통, 신경계통, 비뇨계통
veratridin 박새 116 소화계통, 심혈관계통, 신경계통

276 FIELD GUIDE TO POISONOUS PLANTS OF KOREA 277


찾아보기

ㄱ ㅂ
개감수 60 박새 116 애기똥풀 152
개구리자리 94 박주가리 250 연영초 126
개양귀비 166 반하 218 영산홍 206
고사리 34 백선 174 오구나무 72
고삼 228 백운산원추리 108 옻나무 168
관중 30 뱀딸기 190 월귤 210
광대싸리 70 뱀톱 28 은방울꽃 112
귀룽나무 186 복사나무 182
금낭화 164 복수초 102 ㅈ
긴병꽃풀 48 복주머니란 50 전동싸리 230
꿩의바람꽃 98 붉나무 172 정향풀 252
비파나무 188 조각자나무 236
ㄴ 조름나물 192
나도독미나리 136 ㅅ 족도리풀 194
느릅나무 56 사프란 130 주엽나무 234
산괴불주머니 156 쥐방울덩굴 196
ㄷ 산수국 144 쥐오줌풀 82
대극 58 산자고 122
독미나리 132 삼지닥나무 248 ㅊ
동의나물 86 살구나무 180 창포 226
둥근잎천남성 214 삿갓나물 118 철쭉 202
등대풀 62 서양민들레 44 칡 238
등칡 198 서향 242
때죽나무 74 소리쟁이 78 ㅍ
소태나무 138 팥꽃나무 240
ㅁ 속새 24 피나물 148
마취목 212 쇠고비 32 피마자 68
만병초 208 쇠뜨기 26 피뿌리풀 246
매미꽃 150 쇠비름 142
매실나무 184 수국 146 ㅎ
멀구슬나무 84 할미꽃 106
무릇 128 ㅇ 해녀콩 232
미국자리공 176 앉은부채 222 현호색 160
미나리아재비 90 약난초 54 홀아비꽃대 254
미치광이풀 36 애기땅빈대 64 흰독말풀 40

278
인쇄 2021년 2월 28일
발행 2021년 2월 28일

발행인 최영태
집필진 김동갑, 장사범, 최예림, 손동찬, 정수영, 오승환
사진 장사범
세밀화 강혜종 공혜진, 구순원, 권순남, 이경민, 이보용, 이승현

발행처 국립수목원
주소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Tel : 031-540-8814
Fax : 031-540-8800

디자인·제작 (주)블루센세이션

Ⓒ국립수목원 2021
발간등록번호 : 11-1400119-000423-01
ISBN : 979-11-90509-5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