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08

를 꿰뚫는 유

념과 원리 형훈
개 련서

유형 내신

수학〈상〉
Ⅰ 다항식
⑶ (x+1)(x-2)(x+3)(x-6)
=(x+1)(x-6)(x-2)(x+3)
=(xÛ`-6-5x)(xÛ`-6+x)
다항식의 뜻과 연산 이때, xÛ`-6=t라 하면
(t-5x)(t+x)=tÛ`-4xt-5xÛ`
=(xÛ`-6)Û`-4x(xÛ`-6)-5xÛ`

001  ③ =(xÝ`-12xÛ`+36)+(-4xÜ`+24x)-5xÛ`
=xÝ`-4xÜ`-17xÛ`+24x+36
2(A-B)+3B
=2A+B=2(3xÛ`+6x+3)+(2xÛ`-1)
=8xÛ`+12x+5 006  ②

(2x-3)(xÛ`+ax+5)의 전개식에서 xÛ`의 계수는


(x의 계수)_(x의 계수)+(상수항)_(xÛ`의 계수)이므로
002  ②
2_a+(-3)_1=5에서 a=4이다.
2A+B-{A-(C-3B)} 따라서 (2x-3)(xÛ`+4x+5)의 전개식에서 x의 계수는
=2A+B-(A-C+3B) (x의 계수)_(상수항)+(상수항)_(x의 계수)이므로
=2A+B-A+C-3B=A-2B+C 2_5+(-3)_4=-2이다.
=(3xÜ`-x+6)-2(xÜ`-xÛ`+2x-1)+(-xÛ`+5x-10)
=xÜ`+xÛ`-2
007  ④

ㄱ. (2x+1)Ü`=(2x)Ü`+3_(2x)Û`_1+3_2x_1Û`+1Ü`
003  ④
=8xÜ`+12xÛ`+6x+1 (참)
A-2(X-B)=5A에서 ㄴ. (x+y)(xÛ`-xy+yÛ`)=xÜ`+yÜ` (거짓)
-2(X-B)=4A, X-B=-2A ㄷ. (a-b+c)Û
‌ `
∴ X=B-2A=(3xÛ`-x+2)-2(xÛ`+2x-5) =aÛ`+(-b)Û`+cÛ`+2_a_(-b)+2_(-b)_c+2ca
=xÛ`-5x+12 =aÛ`+bÛ`+cÛ`-2ab-2bc+2ca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004  ①

(x+3y-1)(2x-y+3)
008   29

=(2xÛ`-xy+3x)+(6xy-3yÛ`+9y)+(-2x+y-3) (5xÜ`-3xÛ`+2x)Û`=(5xÜ`-3xÛ`+2x)(5xÜ`-3xÛ`+2x)의 전개식에서


=2xÛ`-3yÛ`+5xy+x+10y-3 xÝ`의 계수는
(xÜ`의 계수)×(x의 계수)+(xÛ`의 계수)×(xÛ`의 계수)
+(x의 계수)×(xÜ`의 계수)이므로
005   풀이 참조 5_2+(-3)_(-3)+2_5=29이다.
다른 풀이
⑴ xÛ`+2x=t라 하면
(xÛ`+2x-1)(xÛ`+2x-4) (5xÜ`-3xÛ`+2x)Û`
=(t-1)(t-4)=tÛ`-5t+4 =25xß`+9xÝ`+4xÛ`+2(-15xÞ`-6xÜ`+10xÝ`)
=(xÛ`+2x)Û`-5(xÛ`+2x)+4 =25xß`-30xÞ`+29xÝ`-12xÜ`+4xÛ`
=(xÝ`+4xÜ`+4xÛ`)+(-5xÛ`-10x)+4 에서 xÝ`의 계수는 29이다.
=xÝ`+4xÜ`-xÛ`-10x+4
⑵ (x-2)(x-1)(x+2)(x+3)
=(x-1)(x+2)(x-2)(x+3) 009  7

=(xÛ`+x-2)(xÛ`+x-6) (x-2)(x+1)(x+3)
이때, xÛ`+x=t라 하면 =xÜ`+(-2+1+3)xÛ`+{(-2)_1+1_3+3_(-2)}x
(t-2)(t-6)=tÛ`-8t+12 +(-2)_1_3
=(xÛ`+x)Û`-8(xÛ`+x)+12 =xÜ`+2xÛ`-5x-6
=(xÝ`+2xÜ`+xÛ`)+(-8xÛ`-8x)+12 에서 xÛ`의 계수는 a=2, x의 계수는 b=-5이다.
=xÝ`+2xÜ`-7xÛ`-8x+12 ∴ a-b=7

2 수학 <상>
다른 풀이 1
x+ =(3-2'2)+(3+2'2)=6
x
(x-2)(x+1)(x+3)의 전개식에서 xÛ`의 계수는
1 1 1
(x의 계수)_(x의 계수)_(상수항) ∴ xÜ`+ ={x+ }Ü`-3{x+ } 
xÜ` x x
+(x의 계수)_(상수항)_(x의 계수) =6Ü`-3×6=198
+(상수항)_(x의 계수)_(x의 계수)이므로
a=1_1_3+1_1_1+(-2)_1_1=2
x의 계수는 015  ④
(x의 계수)_(상수항)_(상수항) 다
xÛ`-3x-1=0에서 x+0이므로 항
+(상수항)_(x의 계수)_(상수항) 식
양변을 각각 x로 나누면
+(상수항)_(상수항)_(x의 계수)이므로
1 1
b=1_1_3+(-2)_1_3+(-2)_1_1=-5 x-3- =0   ∴ x- =3
x x
∴ a-b=7 1 1 1
∴ xÜ`- ={x- }Ü`+3{x- } 
xÜ` x x
=3Ü`+3_3=36
010  ③

분배법칙에 의하여 (x-1)(x+1)=xÛ`-1,


(x-1)( xÛ`+x+1 )=xÜ`-1,
016  ①

(x-1)(xÜ`+xÛ`+x+1)= xÝ`-1  이고, a+b+c=3, aÛ`+bÛ`+cÛ`=21이므로


(a+b+c)Û`=aÛ`+bÛ`+cÛ`+2(ab+bc+ca)에서
마찬가지 방법으로 자연수 n`(n¾2)에 대하여
n-1 n-2 n 3Û`=21+2(ab+bc+ca)
(x-1)(x +x +y+x+1)= x -1
∴ ab+bc+ca=-6
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n
∴ ㈎`:`xÛ`+x+1, ㈏`:`xÝ`-1, ㈐`:`x -1
017  ⑤

011   38
다항식 2xÜ`+3xÛ`-7x+4를 2x-3으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x+y=2, xy=-5이므로 xÛ` +3x +1 `:`몫
xÜ`+yÜ`=(x+y)Ü`-3xy(x+y) 2x-3<Ô2xÜ`+3xÛ`-7x+4
=2Ü`-3_(-5)_2=38 2xÜ`-3xÛ`
6xÛ`-7x+4
6xÛ`-9x
012  ③
2x+4
a-b=2, aÛ`+bÛ`=6이므로 2x-3
aÛ`+bÛ`=(a-b)Û`+2ab에서 7 `:`나머지
6=2Û`+2ab   ∴ ab=1 따라서 구하는 몫은 xÛ`+3x+1, 나머지는 7이다.
∴ aÜ`-bÜ`=(a-b)Ü`+3ab(a-b)
=2Ü`+3_1_2=14
018  ⑤

013  ⑤ 다항식 4xÛ`-5x+3을 x+a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x=1+'3, y=1-'3이므로 4x +(-5-4a) `:`몫


x-y=(1+'3)-(1-'3)=2'3 x+a<Ô4xÛ`-5x    +3
xy=(1+'3)(1-'3)=1-3=-2 4xÛ`+4ax
∴ xÜ`-yÜ`=(x-y)Ü`+3xy(x-y) (-5-4a)x+3 yy ㉠
=(2'3 )Ü`+3_(-2)_2'3 (-5-4a)x+a(-5-4a)
=24'3-12'3=12'3
4aÛ`+5a+3 `:`나머지

① ‌㉠에서 (-5-4a)x+3은 3x+3과 같으므로 -5-4a=3에서


014   198
a=-2이다. (참)
1 1 3+2'2 ② a=-2이므로
‌ ㈎에 알맞은 식은 
= = =3+2'2이므로
x 3-2'2 (3-2'2)(3+2'2) 4x+(-5-4a)=4x+3이다. (참)

Ⅰ. 다항식 3
③ a=-2이므로
‌ ㈏에 알맞은 식은 4xÛ`+4ax=4xÛ`-8x이다. (참) 따라서 다항식 A를 3x+1로 나누었을 때의
④ a=-2이므로
‌ ㈐에 알맞은 식은  몫은 2x-1, 나머지는 -6이므로
(-5-4a)x+a(-5-4a)=3x-6이다. (참) 구하는 합은 (2x-1)+(-6)=2x-7이다.
⑤ a=-2이므로 ㈑에 알맞은 값은 4aÛ`+5a+3=9이다. (거짓) 다른 풀이

TIP 다항식 A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에서 a=-2임을 알 수 있으므로 다항식 4xÛ`-5x+3을 6x+5, -2이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2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빈칸을 좀 더 빨리 알아낼 수 있다. A=(x-1)(6x+5)-2
4x+3 `:`몫 =6xÛ`-x-7

x-2<Ô4xÛ`-5x+3
이때, 다항식 A를 3x+1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2x -1 `:`몫
4xÛ`-8x
3x+1<Ô6xÛ`-x -7
3x+3
6xÛ`+2x
3x-6
-3x-7
9 `:`나머지 -3x-1
-6 `:`나머지
따라서 다항식 A를 3x+1로 나누었을 때의
019  ⑤ 몫은 2x-1, 나머지는 -6이므로
구하는 합은 (2x-1)+(-6)=2x-7이다.
다항식 3xÝ`-xÛ`+5x+1을 xÛ`+x+1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xÛ`-3x -1 `:`몫
xÛ`+x+1<Ô3xÝ` -xÛ` +5x+1
3xÝ`+3xÜ`+3xÛ`
-3xÜ`-4xÛ`+5x+1
022  ④

-3xÜ`-3xÛ`-3x 다항식 P(x)를 4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xÛ` +8x+1 Q(x), R이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Û` -x -1 P(x)=(4x+6)Q(x)+R
3
9x+2 `:`나머지 ={x+ }_4Q(x)+R
2
따라서 Q(x)=3xÛ`-3x-1, R(x)=9x+2이므로
3
Q(2)=3_2Û`-3_2-1=5, R(1)=9_1+2=11 따라서 다항식 P(x)를 x+ 으로 나누었을 때의
2
∴ Q(2)+R(1)=5+11=16 몫은 4Q(x), 나머지는 R이다.

020  9

다항식 f(x)를 4xÛ`+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023   풀이 참조


2x-1, -x+3이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호의 풀이에서 다항식 2xÜ`+xÛ`-3x+7을 2x+3으로
f(x)=(4xÛ`+2x+1)(2x-1)-x+3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4x+1로 일차식이다.
∴ f(1)=(4_1Û`+2_1+1)(2_1-1)-1+3=9
하지만 다항식 2xÜ`+xÛ`-3x+7을 일차식 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참고 나머지는 상수이어야 한다.
f(x)=(2x-1)(4xÛ`+2x+1)-x+3 즉, 다항식 -4x+1도 2x+3으로 나누어야 한다.
=(8xÜ`-1)-x+3 2xÜ`+xÛ`-3x+7=(xÛ`-x+2)(2x+3)-4x+1
=8xÜ`-x+2 =(2x+3)(xÛ`-x+2)-2(2x+3)+7
=(2x+3)(xÛ`-x)+7
따라서 수호의 풀이는 나누는 식과 나머지의 차수가 같으므로
021   2x-7 몫과 나머지가 모두 틀렸고,
다항식 2xÜ`+xÛ`-3x+7을 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다항식 A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바르게 구한 몫은 xÛ`-x, 나머지는 7이다.
6x+5, -2이므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다른 풀이
A=(x-1)(6x+5)-2
=6xÛ`-x-7 다음의 방법으로 다항식 2xÜ`+xÛ`-3x+7을 2x+3으로 나누었을
=(3x+1)(2x-1)-6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4 수학 <상>
xÛ`-x `:`몫 밑면의 세로의 길이는 x+2,
2x+3<Ô2xÜ`+xÛ` -3x+7 높이는 (x+2)+(x-3)=2x-1이다.
2xÜ`+3xÛ` ∴ (구하는
‌ 직육면체의 부피)
-2xÛ`-3x+7 =(2x+1)(x+2)(2x-1)
-2xÛ`-3x =(4xÛ`-1)(x+2)
7 `:`나머지 =4xÜ`+8xÛ`-x-2
따라서 바르게 구한 몫은 xÛ`-x, 나머지는 7이다. 다른 풀이

채점 요소 배점 주어진 직육면체는 그림과 같이 4개의 직육면체 항
틀린 이유 설명하기 60 % A, B, C, D로 이루어져 있다. 식

몫과 나머지 바르게 구하기 40 % x+2 x-1


x+2

024   ⑴ 16  ⑵ 10¡`-1 x+2 A D

⑴ (2+1)(2Û`+1)(2Ý`+1)(2¡`+1) x-3 B C
=(2-1)(2+1)(2Û`+1)(2Ý`+1)(2¡`+1) 직육면체 A의 부피는 (x+2)Ü`
=(2Û`-1)(2Û`+1)(2Ý`+1)(2¡`+1) 직육면체 B의 부피는 (x+2)Û`(x-3)
=(2Ý`-1)(2Ý`+1)(2¡`+1) 직육면체 C의 부피는 (x+2)(x-1)(x-3)
=(2¡`-1)(2¡`+1) 직육면체 D의 부피는 (x+2)Û`(x-1)
=2Ú`ß`-1 ∴ (구하는
‌ 직육면체의 부피)
따라서 n=16이다. =(x+2)Ü`+(x+2)Û`(x-3)+(x+2)(x-1)(x-3)
⑵ 9_11_101_10001 +(x+2)Û`(x-1)
=(10-1)(10+1)(10Û`+1)(10Ý`+1) =4xÜ`+8xÛ`-x-2
=(10Û`-1)(10Û`+1)(10Ý`+1)
=(10Ý`-1)(10Ý`+1)
=10¡`-1 027   32

TIP 원에 내접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원의 지름이다.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ABC의 빗변을 AC라 하면
⑴에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각각 2-1=1을 곱하면
원의 지름의 길이가 14이므로 ACÓ=14
(a-b)(a+b)=aÛ`-bÛ`을 반복하여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⑵에서 주어진 숫자를 A

(a-b)(a+b)=aÛ`-bÛ`을 사용할 수 있도록


14
적절하게 변형하여 계산하면 편리하다. x

B C
025
y
 ⑤
이때, ABÓ=x, BCÓ=y`(x>0, y>0)라 하면
a+b=t라 하면 직각삼각형 ABC에서
(a+b+c)(a+b-c) ABÓ Û`+BCÓ Û`=ACÓ Û`이므로 xÛ`+yÛ`=14Û` yy ㉠
=(t+c)(t-c) 직각삼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32이므로
=tÛ`-cÛ` ABÓ+BCÓ+CAÓ=32에서
=(a+b)Û`-cÛ` x+y+14=32   ∴ x+y=18 yy ㉡
=(aÛ`+2ab+bÛ`)-cÛ` ㉠, ㉡에서
따라서 aÛ`+2ab+bÛ`-cÛ`=2ab에서 aÛ`+bÛ`-cÛ`=0 (x+y)Û`=xÛ`+yÛ`+2xy, 18Û`=14Û`+2xy
즉, aÛ`+bÛ`=cÛ`이므로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2xy=18Û`-14Û`=(18+14)(18-14)=32_4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이므로 xy=64이다.
1
∴ (직각삼각형의 넓이)= _ABÓ_BCÓ  
2
026  ③
1
= xy
2
주어진 직육면체의
1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x+2)+(x-1)=2x+1, = _64=32
2

Ⅰ. 다항식 5
028   34 032  ②

FGÓ=a, GHÓ=b, HDÓ=c`(a>0, b>0, c>0)라 하자. (xÛ`-4)(xÛ`-2x+4)(xÛ`+2x+4)


A =(x+2)(x-2)(xÛ`-2x+4)(xÛ`+2x+4)
D
B =(x+2)(xÛ`-2x+4)(x-2)(xÛ`+2x+4)
C c
=(xÜ`+8)(xÜ`-8)=xß`-64
E
H 다른 풀이
b
F
a G
(xÛ`-4)(xÛ`-2x+4)(xÛ`+2x+4)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32이므로 =(xÛ`-4){(xÛ`+4)Û`-(2x)Û`}
4(a+b+c)=32에서 a+b+c=8 =(xÛ`-4)(xÝ`+4xÛ`+16)
DFÓ='3Œ0이므로 =(xÛ`)Ü`-4Ü`=xß`-64
"ÃaÛ`+bÛ`+cÛ` ='3Œ0에서 aÛ`+bÛ`+cÛ`=30
∴ (직육면체의
‌ 겉넓이)
=2(ab+bc+ca)=(a+b+c)Û`-(aÛ`+bÛ`+cÛ`)
=8Û`-30=34 033  ③

(1+2x+3xÛ`+y+101xÚ`â`â`)Ü`
=(1+2x+3xÛ`+y+101xÚ`â`â`)_(1+2x+3xÛ`+y+101xÚ`â`â`)
029  ⑤
 _(1+2x+3xÛ`+y+101xÚ`â`â`)   yy ㉠
㈎, ㈏의 등식을 변끼리 더하면 의 전개식에서 x의 계수는 yy TIP
3A=3xÛ`+3xy+6yÛ`이므로 A=xÛ`+xy+2yÛ` (x의 계수)_(상수항)_(상수항)
이를 ㈎ 또는 ㈏에 대입하면 B=-xy+3yÛ` +(상수항)_(x의 계수)_(상수항)
∴ A+3B=(xÛ`+xy+2yÛ`)+3(-xy+3yÛ`) +(상수항)_(상수항)_(x의 계수)
=xÛ`-2xy+11yÛ` 이므로 2_1_1+1_2_1+1_1_2=6이다.
다른 풀이

030   24 구하는 것이 x의 계수이므로


(1+2x+3xÛ`+y+101xÚ`â`â`)Ü`에서
주어진 세 등식을 변끼리 더하면 3xÛ`, 4xÜ`, y, 101xÚ`â`â`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3A-B)+(3B-C)+(3C-A) 따라서 (1+2x)Ü`의 전개식에서 x의 계수를 구하면
=2(A+B+C) (1+2x)Ü`=1+6x+12xÛ`+8xÜ`에서
=(xÜ`+2x-1)+(3xÛ`+x+7)+(3xÜ`-xÛ`+5x) 구하는 x의 계수는 6이다.
=4xÜ`+2xÛ`+8x+6
TIP
따라서 A+B+C=2xÜ`+xÛ`+4x+3이므로
a=2, b=1, c=4, d=3이다. (1+2x+3xÛ`+y+101xÚ`â`â`)Ü`은
∴ abcd=24 1+2x+3xÛ`+y+101xÚ`â`â`을 3번 곱한 것이다.
따라서 ㉠의 전개식에서 x의 계수는
(x의 계수)×(상수항)×(상수항) ← 2x_1_1

031  ③ +(상수항)×(x의 계수)×(상수항) ← 1_2x_1

+(상수항)×(상수항)×(x의 계수) ← 1_1_2x


(x-'3 )Ü`(x+'3 )Ü`
로 같은 것을 3번 더한 것과 같다.
={(x-'3 )(x+'3 )}Ü`
따라서 3_{(x의 계수)×(상수항)×(상수항)}으로 계산하면
={xÛ`-('3 )Û`}Ü`=(xÛ`-3)Ü`
편리하다.
=(xÛ`)Ü`-3_(xÛ`)Û`_3+3_xÛ`_3Û`-3Ü`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항식 {P(x)}Ü` 꼴의 전개식에서
=xß`-9xÝ`+27xÛ`-27
특정 계수를 간단하게 구하자.
TIP
(x-'3)Ü`, (x+'3)Ü`을 각각 먼저 전개하면
(x-'3)Ü`(x+'3)Ü`
=(xÜ`-3'3 xÛ`+9x-3'3)(xÜ`+3'3 xÛ`+9x+3'3) 034  ①
이와 같이 계산 과정이 복잡하므로 본풀이와 같이 식을 변형하여
(3aÛ`+2a+1)Ü`(a-1)의 전개식에서 aÞ`의 계수는
간단하게 전개한다.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구할 수 있다.

6 수학 <상>
Ú (3aÛ
‌ `+2a+1)Ü`의 전개식에서 aÝ`의 계수와 a-1에서 a의 계수를 4_{(x의 계수)×(상수항)×(상수항)×(상수항)} yy TIP
곱하는 경우 =4_(1_2_2_2)=32
(3aÛ`+2a+1)Ü`=(3aÛ`+2a+1)(3aÛ`+2a+1)(3aÛ`+2a+1) xÚ`Ú`의 계수는
의 전개식에서 aÝ`의 계수는 4_{(xÜ`의 계수)×(xÜ`의 계수)×(xÜ`의 계수)×(xÛ`의 계수)}
3_{(aÛ`의 계수)×(aÛ`의 계수)×(상수항)} =4_(1_1_1_4)=16
=3_(3_3_1)=27,  따라서 구하는 값은 32+16=48이다.
3_{(aÛ`의 계수)×(a의 계수)×(a의 계수)}
TIP
=3_(3_2_2)=36 다
(xÜ`+4xÛ`+x+2)Ý`은 xÜ`+4xÛ`+x+2를 4번 곱한 것이다. 따라서 항
의 합이므로 27+36=63 yy ㉠

(xÜ`+4xÛ`+x+2)Ý`
a-1에서 a의 계수는 1 yy ㉡
=(xÜ`+4xÛ`+x+2)(xÜ`+4xÛ`+x+2)(xÜ`+4xÛ`+x+2)
㉠, ㉡에서 aÞ`의 계수는 63_1=63
  _(xÜ`+4xÛ`+x+2)
Û (3aÛ
‌ `+2a+1)Ü`의 전개식에서 aÞ`의 계수와 a-1에서 상수항을
의 전개식에서 x의 계수는
곱하는 경우
(x의 계수)×(상수항)×(상수항)×(상수항) ← x_2_2_2
(3aÛ`+2a+1)Ü`=(3aÛ`+2a+1)(3aÛ`+2a+1)(3aÛ`+2a+1)
+(상수항)×(x의 계수)×(상수항)×(상수항) ← 2_x_2_2
의 전개식에서 aÞ`의 계수는
+(상수항)×(상수항)×(x의 계수)×(상수항) ← 2_2_x_2
3_{(aÛ`의 계수)×(aÛ`의 계수)×(a의 계수)}
+(상수항)×(상수항)×(상수항)×(x의 계수) ← 2_2_2_x
=3_(3_3_2)=54 yy ㉢
=4_{(x의 계수)×(상수항)×(상수항)×(상수항)}
a-1에서 상수항은 -1 yy ㉣
이다.
㉢, ㉣에서 aÞ`의 계수는 54_(-1)=-54
이와 같은 방법으로 xÚ`Ú`의 계수도 구한다.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aÞ`의 계수는 63+(-54)=9이다.

035   108 037  ②

1 1 1
(xÜ`+2xÛ`+3y)Ü`+(xÜ`+2xÛ`-3y)Ü`의 전개식에서 xÛ`yÛ`의 계수는 {a+ }{b+ }{c+ }
b c a
(xÜ`+2xÛ`+3y)Ü`의 전개식에서 xÛ`yÛ`의 계수와 (xÜ`+2xÛ`-3y)Ü`의 1 1
={ab+ +1+ }{c+ }
a
전개식에서 xÛ`yÛ`의 계수의 합과 같다. c bc a
Ú (xÜ
‌ `+2xÛ`+3y)Ü`의 전개식에서 xÛ`yÛ`의 계수 1 1 1 1
=abc+b+a+ +c+ + +
c a b abc
3_{(xÛ`의 계수)_(y의 계수)_(y의 계수)}
1 1 1 1
=3_(2_3_3)=54 =abc+ +{a+ }+{b+ }+{c+ }
abc b c a
Û (xÜ
‌ `+2xÛ`-3y)Ü`의 전개식에서 xÛ`yÛ`의 계수 
1 5
=abc+ +1+2+
3_{(xÛ`의 계수)_(y의 계수)_(y의 계수)} abc 6
=3_{2_(-3)_(-3)}=54 1 23
=abc+ +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abc 6
1 1 1 5 5
xÛ`yÛ`의 계수는 54+54=108이다. 이때, {a+ }{b+ }{c+ }=1_2_ = 이므로
b c a 6 3
다른 풀이 1 23 5
abc+ + =
xÜ`+2xÛ`=A, 3y=B라 하면 abc 6 3
(xÜ`+2xÛ`+3y)Ü`+(xÜ`+2xÛ`-3y)Ü` 1 13
∴ abc+ =-
abc 6
=(A+B)Ü`+(A-B)Ü`
다른 풀이
=(AÜ`+3AÛ`B+3ABÛ`+BÜ`)+(AÜ`-3AÛ`B+3ABÛ`-BÜ`)
1 1 1
=2AÜ`+6ABÛ` {a+ }{b+ }{c+ }
b c a
=2(xÜ`+2xÛ`)Ü`+6(xÜ`+2xÛ`)(3y)Û`
(ab+1)(bc+1)(ca+1)
이므로 xÛ`yÛ`의 계수는 6(xÜ`+2xÛ`)(3y)Û`에서 6_2_3Û`=108이다. =
abc
aÛ`bÛ`cÛ`+abc(a+b+c)+(ab+bc+ca)+1
=
abc
036   48 1 1 1
=abc+(a+b+c)+{ + + }+
1
c a b abc
(x+1)Ü`+(x-1)Û`=xÜ`+4xÛ`+x+2이므로 1 1 1 1
{(x+1)Ü`+(x-1)Û`}Ý`=(xÜ`+4xÛ`+x+2)Ý`의 전개식에서 =abc+ +{a+ }+{b+ }+{c+ }
abc b c a
x의 계수는 이후 풀이는 본풀이와 같다.

Ⅰ. 다항식 7
038   112 (xÜ`+yÜ`)(xÝ`+yÝ`)=xà`+xÜ`yÝ`+xÝ`yÜ`+yà`
=xà`+yà`+xÜ`yÜ`(x+y)
(aÜ`+bÜ`)(aÜ`-bÜ`)=aß`-bß` ∴ xà`+yà`=(xÜ`+yÜ`)(xÝ`+yÝ`)-xÜ`yÜ`(x+y)
=(aÛ`)Ü`-(bÛ`)Ü` =4_7-(-1)Ü`_1=29
=(aÛ`-bÛ`)Ü`+3aÛ`bÛ`(aÛ`-bÛ`) yy ㉠
이때, aÛ`=2'2+2, bÛ`=2'2-2이므로
aÛ`-bÛ`=(2'2+2)-(2'2-2)=4
aÛ`bÛ`=(2'2+2)(2'2-2)=4
042   35
∴ (aÜ`+bÜ`)(aÜ`-bÜ`)=4Ü`+3_4_4 (∵ ㉠)
a-2b-c=2ab-2bc+ca=5이므로
=112
(a-2b-c)Û`=aÛ`+4bÛ`+cÛ`+2(-2ab+2bc-ca)에서
aÛ`+4bÛ`+cÛ`=(a-2b-c)Û`-2(-2ab+2bc-ca)
039   -10 =5Û`-2_(-5)=35
<A, B>=AÜ`+AB+BÜ`
=(A+B)Ü`-3AB(A+B)+AB
이때, A=2xÛ`-5x+1, B=5x-2xÛ`에서
A+B=(2xÛ`-5x+1)+(5x-2xÛ`)=1이므로 043  ②
<A, B>=1-2AB 1 1 1 yz-zx-xy
=1-2(2xÛ`-5x+1)(5x-2xÛ`) - - =0에서 =0이므로
x y z xyz
따라서 x의 계수는 -2_1_5=-10이다. -xy+yz-zx=0이다.
한편, xÛ`+yÛ`+zÛ`=4이므로

040  ④ (x-y-z)Û`=xÛ`+yÛ`+zÛ`+2(-xy+yz-zx)
=4+2_0=4
10 10
aÝ`-'5 aÛ`-1=0의 양변을 aÛ`으로 나누면 ∴ (x-y-z) ={(x-y-z)Û`}Þ`=4Þ`=2
1 1
aÛ`-'5- =0   ∴ aÛ`- ='5 yy ㉠
aÛ` aÛ`
1 1
{aÛ`+ }Û`={aÛ`- }Û`+4=('5 )Û`+4=9
aÛ` aÛ`
1
∴ aÛ`+ =3 (∵ aÛ`>0)
044   풀이 참조
aÛ`
⑴ x+y+z=4, xÛ`+yÛ`+zÛ`=10이므로
1 1
{a- }Û`=aÛ`+ -2=1 xÛ`+yÛ`+zÛ`=(x+y+z)Û`-2(xy+yz+zx)에서
a aÛ`
1 10=4Û`-2(xy+yz+zx)
∴ a- =1 (∵ a>1)
a xy+yz+zx=3
1 1 1
aß`- ={aÛ`- }Ü`+3{aÛ`- }  ∴ xÜ
‌ `+yÜ`+zÜ`
aß` aÛ` aÛ`
=(x+y+z)(xÛ`+yÛ`+zÛ`-xy-yz-zx)+3xyz 
=('5 )Ü`+3_'5=8'5 (∵ ㉠)
=4_(10-3)+3_(-2) (∵ xyz=-2)
3 2 1
∴ aß
‌ `+2aÛ`-3a+ + -  =22
a aÛ` aß`
1 1 1 ⑵ (xy+yz+zx)Û`
={aß`- }+2{aÛ`+ }-3{a- } 
aß` aÛ` a =(xy)Û`+(yz)Û`+(zx)Û`+2(xyÛ`z+yzÛ`x+zxÛ`y)
=8'5+2_3-3_1 =xÛ`yÛ`+yÛ`zÛ`+zÛ`xÛ`+2xyz(x+y+z)
=3+8'5 ⑴에서 xy+yz+zx=3이므로
3Û`=xÛ`yÛ`+yÛ`zÛ`+zÛ`xÛ`+2_(-2)_4

041  ④ xÛ`yÛ`+yÛ`zÛ`+zÛ`xÛ`=25
∴ xÝ
‌ `+yÝ`+zÝ`=(xÛ`)Û`+(yÛ`)Û`+(zÛ`)Û`
x+y=1, xÛ`+yÛ`=3이므로 =(xÛ`+yÛ`+zÛ`)Û`-2(xÛ`yÛ`+yÛ`zÛ`+zÛ`xÛ`)
xÛ`+yÛ`=(x+y)Û`-2xy에서 =10Û`-2_25=50
3=1Û`-2xy   ∴ xy=-1
채점 요소 배점
xÜ`+yÜ`=(x+y)Ü`-3xy(x+y)
xy+yz+zx의 값 구하기 10 %
=1Ü`-3_(-1)_1=4
xÜ`+yÜ`+zÜ`의 값 구하기 40 %
xÝ`+yÝ`=(xÛ`+yÛ`)Û`-2xÛ`yÛ`
xÝ`+yÝ`+zÝ`의 값 구하기 50 %
=3Û`-2_(-1)Û`=7

8 수학 <상>
045   10 f(x)=(x-1)g(x)+2
=(x-1){(xÛ`+x+1)h(x)+x+1}+2
a-b=1+'3, b-c=-2'3 을 변끼리 더하면 =(x-1)(xÛ`+x+1)h(x)+(x-1)(x+1)+2
a-c=1-'3 =(xÜ`-1)h(x)+xÛ`+1
∴ aÛ
‌ `+bÛ`+cÛ`-ab-bc-ca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Û`+1이다.
1
= {(a-b)Û`+(b-c)Û`+(c-a)Û`}
2
1
= {(1+'3)Û`+(-2'3)Û`+(-1+'3)Û`}
2
049  ①


=10 다항식 f(x)를 xÛ`+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식
f(x)=(xÛ`+2)Q(x)+x+1이므로
(x+1) f(x)-3=(x+1)(xÛ`+2)Q(x)+(x+1)Û`-3
046  ⑤ =(x+1)(xÛ`+2)Q(x)+xÛ`+2x-2

x+y+z=4에서 =(x+1)(xÛ`+2)Q(x)+(xÛ`+2)+2x-4

x+y=4-z, y+z=4-x, z+x=4-y =(xÛ`+2){(x+1)Q(x)+1}+2x-4

∴ (x+y)(y+z)(z+x)
‌ 따라서 R(x)=2x-4이므로

=(4-z)(4-x)(4-y) R(1)=-2

=4Ü`-4Û`(x+y+z)+4(xy+yz+zx)-xyz
=4Ü`-4Û`_4+4_1-(-6) 
=10
050  ④

다항식 f(x)를 g(x)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가 각각


Q(x), R(x)이므로
047   12 f(x)=g(x)Q(x)+R(x)이다.
2xÜ`+3xÛ`-x+a를 xÛ`-x+b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ㄱ. ‌f(x)=g(x)Q(x)+R(x)에서
f(x)-R(x)=g(x)Q(x)이므로 f(x)-R(x)는 Q(x)로
2x +5
나누어떨어진다. (참)
xÛ`-x+b<Ô2xÜ`+3xÛ`-x +a
ㄴ. (반례)
‌ f(x)=xÜ`+xÛ`, g(x)=xÛ`+2x라 하면
2xÜ`-2xÛ`+2bx
xÜ`+xÛ`=(xÛ`+2x)(x-1)+2x이므로
5xÛ`-(1+2b)x+a
Q(x)=x-1, R(x)=2x이다.
5xÛ`-5x    +5b
이때, f(x)를 Q(x)로 나누면 
(4-2b)x+a-5b
xÜ`+xÛ`=(x-1)(xÛ`+2x+2)+2이므로 
이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하므로 나머지 (4-2b)x+a-5b에서
몫은 xÛ`+2x+2이고 나머지는 2이다. (거짓)
4-2b=0, a-5b=0을 연립하여 풀면 a=10, b=2
ㄷ. ‌f(x)=g(x)Q(x)+R(x)에서
∴ a+b=12
2 f(x)=2g(x)Q(x)+2R(x)
다른 풀이
이때, 양변에서 각각 g(x)를 빼면
항등식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2 f(x)-g(x)=2g(x)Q(x)+2R(x)-g(x)
2xÜ`+3xÛ`-x+a는 xÛ`-x+b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x){2Q(x)-1}+2R(x) yy TIP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다항식 2 f(x)-g(x)를 g(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xÜ`+3xÛ`-x+a=(xÛ`-x+b)(2x+k) (k는 상수) 2Q(x)-1, 나머지는 2R(x)이다. (참)
이는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xÛ`의 계수를 비교하면 3=k-2   ∴ k=5
TIP
따라서 2xÜ`+3xÛ`-x+a=(xÛ`-x+b)(2x+5)이므로
(R(x)의 차수)<(g(x)의 차수)이므로
x의 계수를 비교하면 -1=-5+2b   ∴ b=2
다항식 2 f(x)-g(x)를 g(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상수항을 비교하면 a=5b=10
2R(x)이다.
∴ a+b=10+2=12

048  ③
051  ④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1
g(x), 2이고, 다항식 g(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다항식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가 각각
6
h(x)라 하면 나머지가 x+1이므로 Q(x), R이므로

Ⅰ. 다항식 9
1
f(x)={x- }Q(x)+R
㉠의 양변에 2를 곱한 식과 ㉡을 변끼리 더하면
yy ㉠
6 3 f(x)=2_{(xÛ`-3x+7)QÁ(x)+2}
㉠의 양변에 x를 곱하면 +{(x-1)(xÛ`-3x+7)Qª(x)+xÛ`+6x-9}
1
x f(x)=x{x- }Q(x)+Rx =2(xÛ`-3x+7)QÁ(x)+4+(x-1)(xÛ`-3x+7)Qª(x)
6
+(xÛ`-3x+7)+9x-16
1 x 1
={3x- } Q(x)+ {3x- }+
R R
2 3 3 2 6 =(xÛ`-3x+7){2QÁ(x)+(x-1)Qª(x)+1}+9x-12
1 x 1
={3x- }[ Q(x)+ ]+
R R f(x)= (xÛ`-3x+7){2QÁ(x)+(x-1)Qª(x)+1}+3x-4
2 3 3 6 3
1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3x-4이다.
이므로 다항식 x f(x)를 3x- 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2
x R R
각각
3
Q(x)+ ,
3 6
이다.
055   36

a=9996=10Ý`-4이므로
052  ⑤ aÛ`=(10Ý`-4)Û`
=10¡`-8_10Ý`+16
다항식 P(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각각
=100000000-80000+16
Q(x), 5이므로
=99920016
P(x)=(2x+1)Q(x)+5
따라서 aÛ`의 각 자리 숫자의 합은
1
=2Q(x){x+ }+5 9+9+9+2+0+0+1+6=36이다.
2
1 1
={2Q(x)-1}{x+ }+{x+ }+5
2 2
1
={2Q(x)-1}{x+ }+x+
11 056  ②
2 2 10 10 10 10
('3+1) +('3-1) =X, ('3+1) -('3-1) =Y라 하면
이다. 이때, P(x)는 삼차다항식이고, Q(x)는 이차다항식이므로 10 10
X+Y=2('3+1) , X-Y=2('3-1) 이므로
다항식 P(x)를 2Q(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는 10 10 10 10
{('3+1) +('3-1) }Û`-{('3+1) -('3-1) }Û`
1 11
각각 x+ , x+ 이다. =XÛ`-Y Û`=(X+Y)(X-Y)
2 2
10 10
1 11 =2('3+1) _2('3-1)
따라서 구하는 합은 {x+ }+{x+ }=2x+6이다. 10 10
2 2 =4('3+1) ('3-1)
10
=4{('3+1)('3-1)}
10
=4{('3 )Û`-1Û`}
053  ⑤
=4_2 =2
10 1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다른 풀이


몫과 나머지는 서로 같으므로 10 10
('3+1) =A, ('3-1) =B라 하면
f(x)=(x-2)Û`(x+a)+x+a`(a는 상수) yy ㉠ 10 10 10 10
{('3+1) +('3-1) }Û`-{('3+1) -('3-1) }Û`
라 할 수 있다.
=(A+B)Û`-(A-B)Û`=4AB
이때, f(2)=3이므로 ㉠에 대입하면 10 10
=4('3+1) ('3-1)
a+2=3에서 a=1이다. 10
=4{('3+1)('3-1)}
f(x)=(x-2)Û`(x+1)+x+1 10
=4{('3 )Û`-1Û`}
=(x-2)Û`(x-2+3)+x+1 10 12
=4_2 =2
=(x-2)Ü`+3(x-2)Û`+x+1
=(x-2)Ü`+3xÛ`-11x+13
이므로 구하는 나머지는 3xÛ`-11x+13이다. 057  ④
18
(5Û`-5+1)(5ß`-5Ü`+1)(5 -5á`+1)=k라 하자.

054  ② 위 식의 양변에 5+1=6을 각각 곱하면


18
(5+1)(5Û`-5+1)(5ß`-5Ü`+1)(5 -5á`+1)
다항식 f(x)+g(x)를 xÛ`-3x+7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 18
=(5Ü`+1)(5ß`-5Ü`+1)(5 -5á`+1)
다항식 f(x)-2g(x)를 (x-1)(xÛ`-3x+7)로 나누었을 때의 18
=(5á`+1)(5 -5á`+1)
몫을 Qª(x)라 하면 27
=5 +1=6k
f(x)+g(x)=(xÛ`-3x+7)QÁ(x)+2 yy ㉠ 27
5 +1
f(x)-2g(x)=(x-1)(xÛ`-3x+7)Qª(x)+xÛ`+6x-9 yy ㉡ ∴ k=
6

10 수학 <상>
따라서 A`Ú`C`Ú`E`Ú`B를 잇는 최단거리는
058  ①
ACÓ+CEÓ+EBÓ=(3'3-x)+3'3+(3'3-y)
x='7-3에서 =9'3-(x+y)
x+3='7의 양변을 제곱하면 =9'3-7
(x+3)Û`=7이므로
xÛ`+6x+2=0 yy ㉠
이다. 한편, 다항식 xÞ`-34xÜ`-13xÛ`-5x+1을 xÛ`+6x+2로 061  ④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BCÓ=x, CDÓ=y`(x>0, y>0)라 하면 BCÓ_CDÓ=2에서 다



xÜ`-6xÛ` -1 xy=2 yy ㉠ 식
xÛ`+6x+2<ÔxÞ` -34xÜ`-13xÛ`-5x+1 A
xÞ`+6xÝ`+2xÜ` E
-6xÝ`-36xÜ`-13xÛ`-5x+1
H
-6xÝ`-36xÜ`-12xÛ`
60æ
-xÛ`   -5x+1 B D
x C y
-xÛ`   -6x-2
x+3 이때, 점 A에서 선분 CE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xÞ
‌ `-34xÜ`-13xÛ`-5x+1 '3
AHÓ= x이므로
2
=(xÛ`+6x+2)(xÜ`-6xÛ`-1)+x+3
(사각형 ABDE의 넓이)
=0+('7-3)+3 (∵ ‌㉠)
=(삼각형 ABC의 넓이)+(삼각형 ACE의 넓이)
='7
+(삼각형 CDE의 넓이)
'3 1 '3 '3 3'3
= xÛ`+ _y_ x+ yÛ`=
059  ⑤ 4 2 2 4 2
xÛ`+yÛ`+xy=6, (x+y)Û`-xy=6, (x+y)Û`=8 (∵ ‌㉠)
다음과 같이 OCÓ=S, CDÓ=T라 하면 ∴ BDÓ=x+y=2'2 (∵ x>0,
‌ y>0)
A D

T
062   29

B O S C OAÓ=a, OBÓ=b, OCÓ=c (a>0, b>0, c>0)라 하자.


조건 ㈎의 OCÓ+CDÓ=x+y+3에서 조건 ㈏에 의하여 a+b+c=9
S+T=x+y+3 yy ㉠ 조건 ㈎에 의하여 세 삼각형 OAB, OBC, OCA는 직각삼각형이고,
조건 ㈏의 DAÓ+ABÓ+BOÓ=3x+y+5에서 조건 ㈐에 의하여 이 세 삼각형의 넓이의 합이 13이므로
3S+T=3x+y+5 yy ㉡ 1
(ab+bc+ca)=13에서 ab+bc+ca=26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S=x+1, T=y+2 2
∴ (직사각형
‌ ABCD의 넓이) ∴ OAÓ Û`+OBÓ Û`+OCÓ Û`=
 aÛ`+bÛ`+cÛ`

=BCÓ_CDÓ=2S_T=2(x+1)(y+2) =(a+b+c)Û`-2(ab+bc+ca)
=9Û`-2_26=29

060  ④

직사각형 OCDE의 대각선의 길이는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와 063   16

같으므로 주어진 직육면체의 부피는


CEÓ=ODÓ=3'3 (a+b)Û`(a+2b)=(aÛ`+2ab+bÛ`)(a+2b)
이때, OCÓ=x, OEÓ=y (x>0, y>0)라 하면 =aÜ`+4aÛ`b+5abÛ`+2bÜ`
직각삼각형 OCE에서 OCÓ Û`+OEÓ Û`=CEÓ Û`이므로 이므로 12개로 나누어진 직육면체 중에서
xÛ`+yÛ`=27 yy ㉠ 부피가 aÜ`인 직육면체는 1개,
직사각형 OCDE의 넓이는 11이므로 부피가 aÛ`b인 직육면체는 4개,
OCÓ_OEÓ=11   ∴ xy=11 yy ㉡ 부피가 abÛ`인 직육면체는 5개,
㉠, ㉡에서 부피가 bÜ`인 직육면체는 2개이다.
(x+y)Û`=xÛ`+yÛ`+2xy 따라서 abÛ`=150=6_5Û`에서
=27+2_11=49 두 자연수 a, b는 서로소이므로 a=6, b=5
∴ x+y=7 (∵ x>0,
‌ y>0) ∴ a+2b=6+2_5=16

Ⅰ. 다항식 11
064  ③ 067  ⑤

fÁ(x)=xÜ`+xÛ`+1 aÜ`+bÜ`=(a+b)Ü`-3ab(a+b)이므로
fª(x)= fÁ(x+1)=(x+1)Ü`+(x+1)Û`+1 4=1Ü`-3_ab_1   ∴ ab=-1
f£(x)= fª(x+2)=(x+1+2)Ü`+(x+1+2)Û`+1 (a-b)Û`=(a+b)Û`-4ab
f¢(x)= f£(x+3)=(x+1+2+3)Ü`+(x+1+2+3)Û`+1 =1Û`-4_(-1)=5
f°(x)= f¢(x+4)=(x+1+2+3+4)Ü`+(x+1+2+3+4)Û`+1 이므로 a-b='5 (∵ a>b)
=(x+10)Ü`+(x+10)Û`+1 ∴ (aÛ
‌ `+a-1)(bÛ`-b+1)
따라서 f°(x)의 xÛ`의 계수는 30+1=31이다. =aÛ`bÛ`-aÛ`b+aÛ`+abÛ`-ab+a-bÛ`+b-1
=aÛ`bÛ`-aÛ`b+abÛ`+aÛ`-bÛ`-ab+a+b-1

065  ④ =(ab)Û`-ab(a-b)+(a+b)(a-b)-ab+(a+b)-1
=(-1)Û`-(-1)_'5+1_'5-(-1)+1-1
ㄱ. ‌f(x)=g(x)Q(x)+R(x)에서  =2+2'5
m=n+(Q(x)의 차수)이므로
다른 풀이
Q(x)의 차수는 m-n이다. (참)
위의 풀이에서 ab=-1, a-b='5이므로
ㄴ. (반례)
‌ f(x)=xÜ`+x, g(x)=xÛ`이라 하면
aÜ`-bÜ`=(a-b)Ü`+3ab(a-b)
xÜ`+x=xÛ`_x+x이므로 Q(x)=x, R(x)=x이다.
=5'5+3_(-1)_'5=2'5
이때, m-n=3-2=1이지만 R(x)는 상수가 아니다. (거짓)
∴ (aÛ
‌ `+a-1)(bÛ`-b+1)
ㄷ. m+n=10이고
‌ f(x), g(x), Q(x), R(x)의 차수가 각각
=(aÛ`-b)(bÛ`+a) (∵ a+b=1)
m-n
m, n, m-n, 이므로 m>n을 만족시키는 =aÛ`bÛ`+aÜ`-bÜ`-ab
2
자연수 m, 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Û`+2'5-(-1)
m-n =2+2'5
m n m-n
2
9
8
1
2
8
6
4
3
 068   135

7 3 4 2 조건 ㈎에서 (x-3)(y-3)(2z-3)=0이므로
6 4 2 1 (x-3)(y-3)(2z-3)
=(xy-3x-3y+9)(2z-3)
m-n
위 표에서 n>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2xyz-3xy-6xz+9x-6yz+9y+18z-27
2
가능한 모든 n의 값의 합은 3+4=7이다. (참) =2xyz-3(xy+2yz+2zx)+9(x+y+2z)-2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xyz-3_3(x+y+2z)+9(x+y+2z)-27 (∵ 조건 ㈏)
=2xyz-27=0
27
066   112 2xyz=27, xyz=
2
{(x-2)Ý`+6(x-2)Ü`+12(x-2)Û`}Ü` 27
∴ 10xyz=10_ =135
2
=〔(x-2)Û`{(x-2)Û`+6(x-2)+12}〕 Ü`
다른 풀이
=(x-2)ß`{(x-2)Û`+6(x-2)+12}Ü`
=(x-2)ß`(xÛ`+2x+4)Ü` 조건 ㈎에서 x, y, 2z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3이므로
=(x-2)Ü`{(x-2)(xÛ`+2x+4)}Ü` 일반성을 잃지 않고 x=3이라 하면
=(x-2)Ü`(xÜ`-8)Ü` 조건 ㈏의 3(x+y+2z)=xy+2yz+2zx에서
이므로 m=3, n=8이다. 9
3(3+y+2z)=3y+2yz+6z, 9=2yz, yz=
2
(x-2)Ü`(xÜ`-8)Ü`
9
=(xÜ`-6xÛ`+12x-8)(xá`-24xß`+192xÜ`-512) ∴ 10xyz=10_3_ =135
3m
2
에서 x , 즉 xá`의 계수는
(xÜ`의 계수)_(xß`의 계수)+(상수항)_(xá`의 계수)이므로
1_(-24)+(-8)_1=-32이다. 069   36
n
또한 x , 즉 x¡`의 계수는 조건 ㈏에서
(xÛ`의 계수)_(xß`의 계수)이므로 xÛ`+4yÛ`+zÛ`-2xy+2yz+zx=0
(-6)_(-24)=144이다. 1
{(x-2y)Û`+(2y+z)Û`+(-z-x)Û`}=0
따라서 구하는 값은 -32+144=112이다. 2

12 수학 <상>
이므로 x=2y=-z이다. cÛ`+dÛ`=(c+d)Û`-2cd=1Û`-2_(-3)=7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이므로 ㉠에서
x=2y=-z=4이므로 ‌(ac-bd)Ü`-(bc-ad)Ü`
x=4, y=2, z=-4이다. =(4_1)Ü`+3_{(-1)_7-14_(-3)}_(4_1)
∴ xÛ`+yÛ`+zÛ`=4Û`+2Û`+(-4)Û`=36 =484

070   -4 073   18 다

(x+y+z)Û`=xÛ`+yÛ`+zÛ`+2(xy+yz+zx)에서 주어진 두 식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식

1 1 1 1
1=xÛ`+yÛ`+zÛ`+2(xy+yz+zx) {a+ }+{b+ }=6에서 a+b+ + =6
b a a b
xÛ`+yÛ`+zÛ`=1-2(xy+yz+zx) yy ㉠
a+b
이므로 ∴ a+b+ =6 yy ㉠
ab
xÜ`+yÜ`+zÜ`=(x+y+z)(xÛ`+yÛ`+zÛ`-xy-yz-zx)+3xyz에서
주어진 두 식의 양변을 각각 곱하면
13=1_{1-3(xy+yz+zx)}+3xyz (∵ ㉠)
1 1 1
xy+yz+zx-xyz=-4 {a+ }{b+ }=4에서 ab+ +2=4이므로
b a ab
∴ xy(x+y)+yz(y+z)+zx(z+x)+2xyz
‌ 1
ab+ =2 yy ㉡
=xy(1-z)+yz(1-x)+zx(1-y)+2xyz (∵ x+y+z=1) ab
=xy+yz+zx-xyz=-4 이때, ab=t라 하고 ㉡의 양변에 t를 곱하면
tÛ`-2t+1=0   ∴ t=1, 즉 ab=1
이를 ㉠에 대입하면 a+b=3

071  ⑤ ∴ aÜ`+bÜ`=(a+b)Ü`-3ab(a+b)
=3Ü`-3_1_3=18
임의의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aÛ`+bÛ`+cÛ`-ab-bc-ca
1
= {(a-b)Û`+(b-c)Û`+(c-a)Û`}¾0
2
074   32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한다.) f(x)=2(xÛ`+1)+x+3이므로


즉, aÛ`+bÛ`+cÛ`-ab-bc-ca¾0 yy ㉠ { f(x)}Ü`={2(xÛ`+1)+x+3}Ü`
한편, a+b+c=9이므로 A=2(xÛ`+1), B=x+3이라 하면
aÛ`+bÛ`+cÛ`=(a+b+c)Û`-2(ab+bc+ca) { f(x)}Ü`=(A+B)Ü`
=9Û`-2(ab+bc+ca) =AÜ`+3AÛ`B+3ABÛ`+BÜ`
이를 ㉠에 대입하면 =AÛ`(A+3B)+3ABÛ`+BÜ`
aÛ`+bÛ`+cÛ`-ab-bc-ca 에서 AÛ`=4(xÛ`+1)Û`은 (xÛ`+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9Û`-2(ab+bc+ca)}-(ab+bc+ca) { f(x)}Ü`을 (xÛ`+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81-3(ab+bc+ca)¾0 3ABÛ`+BÜ`을 (xÛ`+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따라서 ab+bc+caÉ27이고, 3ABÛ`+BÜ`=6(xÛ`+1)(x+3)Û`+(x+3)Ü`
a=b=c=3일 때, ab+bc+ca=27이므로 =6(xÛ`+1){(xÛ`+1)+6x+8}+(x+3)Ü`
구하는 ab+bc+ca의 최댓값은 27이다. =6(xÛ`+1)Û`+6(xÛ`+1)(6x+8)+(x+3)Ü`
3ABÛ`+BÜ`을 (xÛ`+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삼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072   484 R(x)=6(xÛ`+1)(6x+8)+(x+3)Ü`이다.
∴ R(-1)=32
(ac-bd)Ü`-(bc-ad)Ü`
={(ac-bd)-(bc-ad)}Ü`
+3(ac-bd)(bc-ad){(ac-bd)-(bc-ad)}
={a(c+d)-b(c+d)}Ü`
075  ④

+3(abcÛ`-aÛ`cd-bÛ`cd+abdÛ`){a(c+d)-b(c+d)} f(x)=(x+2)QÁ(x)+rÁ
={(a-b)(c+d)}Ü` f(x)=(x+2){(x+2)Qª(x)+rª}+rÁ
+3{ab(cÛ`+dÛ`)-(aÛ`+bÛ`)cd}{(a-b)(c+d)}   yy ㉠ =(x+2)Û`Qª(x)+rª(x+2)+rÁ
한편, 이므로 다항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Û`+bÛ`=(a-b)Û`+2ab=4Û`+2_(-1)=14, rª(x+2)+rÁ이다.

Ⅰ. 다항식 13
f(x)=(x+2)Û`{(x+2)Q£(x)+r£}+rª(x+2)+rÁ (정사각뿔대 B의 부피)
=(x+2)Ü`Q£(x)+r£(x+2)Û`+rª(x+2)+rÁ 1 1
= _4bÛ`_3h- _aÛ`_h
이므로 다항식 f(x)를 (x+2)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 3
1 3 1 3
r£(x+2)Û`+rª(x+2)+rÁ이다. yy ㉠ = _4_{ a}Û`_3h- _aÛ`_h {∵ b= a}
3 2 3 2
마찬가지 방법으로
26
다항식 f(x)를 (x+2)Ý`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aÛ`h
3
R(x)=r¢(x+2)Ü`+r£(x+2)Û`+rª(x+2)+rÁ이다. 정사각뿔대 B의 부피가 정사각뿔대 A의 부피보다 더 크므로
조건 ㈏에서 구하는 두 정사각뿔대의 부피의 차는
R(8)=1000r¢+100r£+10rª+rÁ=1024이므로 (정사각뿔대 B의 부피)-(정사각뿔대 A의 부피)
조건 ㈎에 의하여 r¢=1, r£=0, rª=2, rÁ=4이다. 26 19 85
= aÛ`h- aÛ`h= aÛ`h
따라서 다항식 f(x)를 (x+2)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 12 12
㉠에 의하여
0_(x+2)Û`+2_(x+2)+4=2x+8

076  ⑤ 077   15

정사각뿔대 B의 두 밑면의 넓이의 비가 1`:`9이므로 ALÁÓ=a (a>1), BLªÓ=b라 하면


두 밑면의 한 변의 길이의 비는 1`:`3이다. ALÁÓ_LªBÓ=1에서 ab=1 yy ㉠
두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a, 2b이므로 ABÓ=4에서 LÁLªÓ=4-(a+b) yy ㉡
A
a`:`2b=1`:`3 (∵ a<b), 2b=3a
a
∴ a`:`b=2`:`3 L¡
즉, 정사각뿔대 A의 두 밑면의 한 변의 길이의 비가 4-{a+b}
L™ N™
a`:`b=2`:`3이므로 밑면의 한 변의 길이가 b이고 높이가 3h인
b P N¡
정사각뿔의 꼭짓점을 P라 하고 정사각뿔대 A의 두 밑면의 대각선의
교점을 각각 Q, R라 하면 PQÓ=2h, PRÓ=3h이다.
B C
P M™ M¡
이때, 두 선분 LÁMÁ, MªNª의 교점을 P라 하면
2h 네 삼각형 ABC, NÁMÁC, PMªMÁ, LªBMª의 닮음비는
4`:`a`:`{4-(a+b)}`:`b이므로 넓이의 비는
Q
a 4Û``:`aÛ``:`{4-(a+b)}Û``:`bÛ`이다.
h 그러므로 상수 k에 대하여
R
b
네 삼각형 ABC, NÁMÁC, PMªMÁ, LªBMª의 넓이를 각각
4Û`k, aÛ`k, {4-(a+b)}Û`k, bÛ`k라 하면
(정사각뿔대 A의 부피)
세 삼각형 NÁMÁC, PMªMÁ, LªBMª의 넓이의 합이
1 1
= _bÛ`_3h- _aÛ`_2h 1
3 3 삼각형 ABC의 넓이의 이므로
2
1 3 1 3
= _{ a}Û`_3h- _aÛ`_2h {∵ b= a} 1
3 2 3 2 _4Û`k=〔aÛ`+{4-(a+b)}Û`+bÛ` 〕k
2
19
= aÛ`h 8=aÛ`+bÛ`+{4-(a+b)}Û`
12
마찬가지 방법으로 정사각뿔대 B의 두 밑면의 한 변의 길이의 비가 8={(a+b)Û`-2ab}+{4-(a+b)}Û`
a`:`2b=1`:`3이므로 밑면의 한 변의 길이가 2b이고 높이가 3h인 ㉠에서 ab=1이므로
정사각뿔의 꼭짓점을 P'이라 하고 정사각뿔대 B의 두 밑면의 8={(a+b)Û`-2}+{4-(a+b)}Û`
대각선의 교점을 각각 Q', R'이라 하면 P'Q'Ó=h, P'R'Ó=3h이다. 이때, a+b=t라 하면
P' 8=(tÛ`-2)+(4-t)Û`, 2tÛ`-8t+6=0
(t-1)(t-3)=0이므로 t=3 (∵ a+b¾2)
h
Q' 즉, a+b=3이다.
a
∴ 15 LÁLªÓ=15_{4-(a+b)}=15_1=15 (∵ ㉡)
2h

R'
2b

14 수학 <상>
다른 풀이
나머지정리
등식의 우변을 전개한 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Ü`+axÛ`-4x-5=(x+1)(xÛ`+bx-5)
=xÜ`+(b+1)xÛ`+(b-5)x-5
078  ⑤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axÛ`-3x+5=xÛ`+(1-b)x+c는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1, -4=b-5에서 b=1, a=2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 a+b=3
a=1, -3=1-b에서 b=4, 5=c 다

∴ a+b+c=10 식

다른 풀이 081  ④
axÛ`-3x+5=xÛ`+(1-b)x+c는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에 어떤 주어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성립한다. 항상 성립한다.
따라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따라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5=c x=0을 대입하면 4=-2a, a=-2
x=1을 대입하면 a+2=2-b+c, a+b=5 yy ㉠ x=2를 대입하면 6=6b, b=1
x=-1을 대입하면 a+8=b+c, a-b=-3 yy ㉡ x=-1을 대입하면 6=3c, c=2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 a+2b+3c=6
∴ a+b+c=1+4+5=10

079   36 082  ③

등식의 우변을 전개한 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2kx+(k-2)y-(k+2)=0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xÛ`-4x+7=a(x-1)Û`+b(x-1)+c k에 대하여 정리하면
=a(xÛ`-2x+1)+b(x-1)+c (2x+y-1)k-2y-2=0
=axÛ`+(-2a+b)x+a-b+c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2x+y-1=0, -2y-2=0에서 y=-1, x=1
3=a, -4=-2a+b, 7=a-b+c에서 ∴ x-y=2
a=3, b=2, c=6
∴ abc=36
다른 풀이 083   13

주어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a(x+y)+b(2x-3y)+8x-7y=0이


항상 성립한다.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a+2b+8)x+(a-3b-7)y=0
x=1을 대입하면 6=c yy ㉠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x=0을 대입하면 7=a-b+c yy ㉡ a+2b+8=0 yy ㉠
x=2를 대입하면 11=a+b+c yy ㉢ a-3b-7=0 yy ㉡
㉠을 ㉡, ㉢에 대입하면 a-b=1, a+b=5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이를 연립하여 풀면 ∴ aÛ`+bÛ`=13
a=3, b=2
∴ abc=3_2_6=36

084   34

080  3
다항식 3xÜ`+axÛ`-22x+b를 xÛ`+2x-5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주어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3x-4이고 나머지가 x-3이므로
항상 성립한다. 3xÜ`+axÛ`-22x+b=(xÛ`+2x-5)(3x-4)+x-3
따라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3xÜ`+2xÛ`-22x+17
x=-1을 대입하면 a-2=0, a=2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x=1을 대입하면 a-8=2(b-4), b=1 a=2, b=17
∴ a+b=3 ∴ ab=34

Ⅰ. 다항식 15
085   ⑴ -1  ⑵ -125 090  ④

⑴ a¼+aÁ+aª+a£+a¢+a°+a¤은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4이므로


주어진 항등식의 우변에 x=1을 대입한 것이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4 yy ㉠
따라서 주어진 항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6이므로
a¼+aÁ+aª+a£+a¢+a°+a¤=(1+2-4)Ü`=-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6 yy ㉡
⑵ a¼-aÁ+aª-a£+a¢-a°+a¤은 한편, 다항식 f(x)를 (x+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주어진 항등식의 우변에 x=-1을 대입한 것이다. 몫을 Q(x),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따라서 주어진 항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2)(x-3)Q(x)+ax+b
a¼-aÁ+aª-a£+a¢-a°+a¤=(1-2-4)Ü`=-125 이므로 ㉠, ㉡에서
f(-2)=-2a+b=4, f(3)=3a+b=-6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086   ⑴ 5  ⑵ -6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x이다.
⑴ ‌f(x)=xÜ`-3xÛ`+5x+2라 하면 다항식 f(x)를 x-1로

091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⑤
f(1)=1Ü`-3_1Û`+5_1+2=5
⑵ ‌f(x)=8xÜ`+4x-3이라 하고 다항식 f(x)를 2x+1로  다항식 3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 f(-2)-g(-2)이다.
1
f(x)=(2x+1)Q(x)+R=2{x+ }Q(x)+R
다항식 f(x)를 (x-2)(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2 나머지가 2이므로
1 f(x)=(x-2)(x+2)QÁ(x)+2 yy ㉠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2
다항식 g(x)를 x(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1 1 1
R= f {- }=8_{- }Ü`+4_{- }-3=-6 나머지가 x-5이므로
2 2 2
g(x)=x(x+2)Qª(x)+x-5 yy ㉡
㉠, ㉡의 양변에 각각 x=-2를 대입하면
087  ①
f(-2)=2, g(-2)=-7
12
f(x)=x +axÞ`-3이라 하자. ∴ 3 f(-2)-g(-2)=3_2-(-7)=13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6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12
f(-1)=(-1) +a_(-1)Þ`-3
092   11

=-a-2=6 다항식 f(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 a=-8 나머지가 5이므로
f(x)=(x-1)(x-2)QÁ(x)+5 yy ㉠
다항식 f(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088  ②
나머지가 2x+3이므로
f(x)=xÛ`+ax-4, g(x)=xÛ`-x+a라 하자. f(x)=(x+1)(x+2)Qª(x)+2x+3 yy ㉡
두 다항식 f(x), 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다항식 f(x)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각각 ax+b (a, b는 상수)라 하면
f(-2)=(-2)Û`+a_(-2)-4=-2a, f(x)=(x-1)(x+2)Q(x)+ax+b
g(-2)=(-2)Û`-(-2)+a=a+6 이 식의 양변에 x=1, x=-2를 각각 대입하면
이때, 두 나머지는 서로 같으므로 -2a=a+6 f(1)=a+b, f(-2)=-2a+b이고
∴ a=-2 ㉠에서 f(1)=5, ㉡에서 f(-2)=-1이므로
a+b=5, -2a+b=-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3이므로
089  ④
R(x)=2x+3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므로 ∴ R(4)=1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2
g(x)=(x+3) f(x)라 하면
다항식 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93  ③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2)=5 f(2)=10이다.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16 수학 <상>
-3이므로 따라서 f(x)=xÜ`+3xÛ`+ax-2에서
f(x)=(x-1)Q(x)-3 yy ㉠ f(-2)=(-2)Ü`+3_(-2)Û`+a_(-2)-2=0
다항식 Q(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므로 ∴ a=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Q(3)=2
따라서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에서 f(3)=2 Q(3)-3=1이다. 097  ②

1
다항식 f(6x+1)이 3{x-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3
094  ①
1
인수정리에 의하여 f {6_ +1}= f(3)=0이다.


3 식
다항식 f(x)를 xÛ`+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따라서 f(x)=xÜ`+axÛ`-2x+6에서
3x+5이므로
f(3)=9a+27=0   ∴ a=-3
f(x)=(xÛ`+2)Q(x)+3x+5 yy ㉠
f(x)=xÜ`-3xÛ`-2x+6이므로
다항식 f(x)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f(1)=1Ü`-3_1Û`-2_1+6=2
나머지가 x-3이므로
f(x)=(x-3)(x+1)QÁ(x)+x-3 yy ㉡
다항식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098   13
의하여 Q(-1)이다.
다항식 P(x)가 (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3 Q(-1)+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4
다항식 P(x)는 x-1과 x-2로 나누어떨어진다. yy TIP
따라서 인수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3 Q(-1)+2=-4이므로
P(1)=a+b-3=0에서 a+b=3
Q(-1)=-2
P(2)=4a+2b+4=0에서 2a+b=-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8
095  ④ ∴ b-a=13
x=50이라 하면 TIP
98_99_103=(2x-2)(2x-1)(2x+ 3 ) 다항식 P(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이다. 이때, Q(x)라 하면 P(x)=(x-1)(x-2)Q(x)이므로
f(x)=(2x-2)(2x-1)(2x+ 3 ) 다항식 P(x)는 x-1과 x-2로 나누어떨어진다.
이라 하면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4-2)_(-4-1)_(-4+3)= -30 이므로 099  ④
f(x)=(x+2)Q(x)+( -30 ) (단, Q(x)는 다항식)
다항식 f(x)+2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다시 x=50을 대입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f(-2)+2_(-2)=0
98_99_103=52Q(50)+( -30 ) ∴ f(-2)=4 yy ㉠
=52{Q(50)-1}+( 22 ) yy TIP 다항식 f(x)-7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7=0
이므로 98_99_103을 5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2 이다.
∴ f(1)=7 yy ㉡
따라서 a=3, b=-30, c=22이므로
다항식 f(x)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a-b+c=55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TIP
f(x)=(x+2)(x-1)Q(x)+ax+b
자연수 a를 자연수 b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에서 f(-2)=-2a+b=4
r는 0Ér<b인 정수이다. ㉡에서 f(1)=a+b=7
따라서 자연수의 나눗셈을 다항식의 나눗셈으로 변형하여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6이므로
계산할 때 조건 0Ér<b에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구하는 나머지는 x+6이다.

096  ④ 100  ③

다항식 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 xÜ`-4xÛ`+5x-1을 x-3으로 나누었을
인수정리에 의하여 f(-2)=0이다.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다항식 17
3   1   -4  
3   -3  
5   -1
6
103  ④

1   -1   2   5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삼차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따라서 xÜ`-4xÛ`+5x-1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다항식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x-3, 나머지는
몫은 Q(x)=xÛ`-x+2, 나머지는 r=5이다.
∴ Q(r)=Q(5)=5Û`-5+2=22 1이므로 Q(x)=(x+1)(2x-3)+1
이때, 삼차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이므로
다른 풀이
f(x)=(x-2)Q(x)+3
직접 나눗셈을 하면 다음과 같다. =(x-2){(x+1)(2x-3)+1}+3
xÛ`-x +2 `:`몫 ∴ f(1)=-1_{2_(-1)+1}+3=4
x-3<ÔxÜ`-4xÛ`+5x-1 다른 풀이
xÜ`-3xÛ`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빈칸을 채우면 다음과 같다.
-xÛ` +5x-1
2   2   -5   0   7
-xÛ` +3x
4   -2   -4
2x-1
-1   2   -1   -2   3
2x-6
-2   3
5 `:`나머지
2   -3   1
따라서 xÜ`-4xÛ`+5x-1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xÛ`-x+2, 나머지는 r=5이다. 따라서 f(x)=2xÜ`-5xÛ`+7이므로
∴ Q(r)=Q(5)=5Û`-5+2=22 f(1)=2_1Ü`-5_1Û`+7=4이다.

101  ⑤
104  ②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 xÜ`+axÛ`+bx+c를 x+2로 나누었을
x¡`+axÜ`+b=x(x-1) f(x)-2x+5 yy ㉠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yy TIP
-2   1   a   b   c
x=0을 대입하면 b=5
-2   -10   4
x=1을 대입하면 1+a+b=3, a=-3
1   5   -2   -1
이를 ㉠에 대입하면
a+(-2)=5에서 a=7
x¡`-3xÜ`+5=x(x-1) f(x)-2x+5이므로
b+(-10)=-2에서 b=8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c+4=-1에서 c=-5
1+3+5=2 f(-1)+7
∴ a+b+c=10
∴ f(-1)=1
참고
TIP
위 과정은 다항식 xÜ`+7xÛ`+8x-5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주어진 등식에서 f(x)를 구체적으로 알 수 없으므로
몫은 xÛ`+5x-2이고 나머지는 -1임을 구한 것이다.
f(x)에 곱해진 x(x-1)의 값이 0이 되도록 하는 x의 값, 즉
x=0, x=1을 대입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102  ③

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 3xÜ`+4xÛ`-13x+8을 x-
3

105  ②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x+y)a-(y-z)b-(y+z)c-3x+z=0이
;3@;   3   4   -13   8 x, y,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 y, z에 대하여 정리하면
2   4   -6 (a-3)x+(a-b-c)y+(b-c+1)z=0
3   6   -9   2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2 a-3=0 yy ㉠
∴ 3xÜ`+4xÛ`-13x+8={x- }(3xÛ`+6x-9)+2
3 a-b-c=0 yy ㉡
=(3x-2)(xÛ`+2x-3)+2 b-c+1=0 yy ㉢
따라서 a=6, b=-9, c=-2, d=2, e=-3이므로 ㉠에서 a=3이므로 ㉡에 대입하면
a+b+c+d+e=-6 b+c=3

18 수학 <상>
이를 ㉢과 연립하여 풀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b=1, c=2 12a-8=4, -6aÛ`+8a=b, aÜ`-2aÛ`+5=c에서
∴ abc=3_1_2=6 a=1, b=2, c=4
∴ a-b+c=3

106  ⑤

x-y=1에서 x=y+1을
(a+b)x+(b-2a)y=9에 대입하면 109   21 다

(a+b)(y+1)+(b-2a)y=9
PÁ(x)=x, 식
(-a+2b)y+a+b=9
Pª(x)=x(x-1),
이 등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P£(x)=x(x-1)(x-2)이므로
-a+2b=0, a+b=9
(2x-1)Ü`=ax(x-1)(x-2)+bx(x-1)+cx+d yy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b=3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 ab=18
x=0을 대입하면 -1=d
다른 풀이 1
x=1을 대입하면 1=c+d, c=2
x-y=1에서 9x-9y=9이므로 x=2를 대입하면 27=2b+2c+d, b=12
(a+b)x+(b-2a)y=9에 대입하면 ㉠의 양변의 xÜ`의 계수를 비교하면 a=8
(a+b)x+(b-2a)y=9x-9y ∴ a+b+c+d=8+12+2+(-1)=21
이 등식은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다른 풀이
a+b=9, b-2a=-9
㉠의 좌변을 전개하면 8xÜ`-12xÛ`+6x-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b=3
이를 x, x-1, x-2에 대하여 차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 ab=18
같다.
다른 풀이 2
0   8   -12   6   -1
x-y=1을 만족시키는 임의의 x, y의 값을 0   0   0
(a+b)x+(b-2a)y=9에 대입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1   8   -12   6   -1 =d
있다. 8   -4
(a+b)x+(b-2a)y=9의 양변에 2   8   -4   2 =c
x=1, y=0을 대입하면 a+b=9 yy ㉠ 16
x=0, y=-1을 대입하면 2a-b=9 yy ㉡ 8   12 =b
=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3


a
∴ ab=18
따라서 조립제법의 결과를 이용하면
8xÜ`-12xÛ`+6x-1

107  ② =x(8xÛ`-12x+6)-1
=x{(x-1)(8x-4)+2}-1
2x-6y+a =x〔(x-1){8(x-2)+12}+2〕-1
=k (k는 상수)로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하면
bx+3y+5
=8x(x-1)(x-2)+12x(x-1)+2x-1
2x-6y+a=k(bx+3y+5)
이므로 a=8, b=12, c=2, d=-1
이 등식은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 a+b+c+d=21
2=bk, -6=3k, a=5k이므로
k=-2, a=-10, b=-1
∴ a+b=-11

110   22

108  ③ 다항식 f(x)를 2xÜ`-6xÛ`+5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2xÛ`+ax+7이므로
f(x)=xÜ`-2xÛ`+5에서
f(x)=(2xÜ`-6xÛ`+5x)Q(x)-2xÛ`+ax+7
f(a-2x)=(a-2x)Ü`-2(a-2x)Û`+5
5
=(aÜ`-6aÛ`x+12axÛ`-8xÜ`)-2(aÛ`-4ax+4xÛ`)+5 =2x{xÛ`-3x+ }Q(x)-2xÛ`+ax+7
2
=-8xÜ`+(12a-8)xÛ`+(-6aÛ`+8a)x+aÜ`-2aÛ`+5
5
=-8xÜ`+4xÛ`+bx+c 이때, 다항식 f(x)를 xÛ`-3x+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

Ⅰ. 다항식 19
5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4x+b이므로 다항식 -2xÛ`+ax+7을 xÛ`-3x+ 로 나누었을
2 2a=b+3, a+b=c+2, b=1, c=1
때의 나머지가 4x+b이다. 따라서 a=2, b=1, c=1이므로 f(x)=2xÛ`+x+1이다.
5
즉, -2xÛ`+ax+7=-2{xÛ`-3x+ }+4x+b에서 ∴ f(2)=11
2
-2xÛ`+ax+7=-2xÛ`+10x+b-5 채점 요소 배점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다항식 f(x)의 차수 구하기 30 %


a=10, 7=b-5에서 b=12 다항식 f(x) 구하기 60 %
∴ a+b=22 f(2)의 값 구하기 10 %

111  ③
113  ③
n n n-1
삼차식 f(x)는 xÛ`+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두 상수 a, b에 (x+a) =an x +an-1x +y+a¼에서
대하여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f(x)=(xÛ`+x+1)(ax+b)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n
삼차식 f(x)+6은 xÛ`+2로 나누어떨어지고, (1+a) =an+an-1+y+a¼
㉠에서 f(x)의 삼차항의 계수가 a이므로 상수 c에 대하여 이때, -243=(-3)Þ`이므로
n
f(x)+6=(xÛ`+2)(ax+c) (1+a) =(-3)Þ`에서 a=-4, n=5
∴ f(x)=(xÛ`+2)(ax+c)-6 yy ㉡ ∴ a+n=1
f(0)=2이므로 ㉠에서 b=2, ㉡에서 c=4
따라서 ㉠, ㉡에서
(xÛ`+x+1)(ax+2)=(xÛ`+2)(ax+4)-6 yy ㉢ 114  6

axÜ`+(a+2)xÛ`+(a+2)x+2=axÜ`+4xÛ`+2ax+2 (2x-1)Ü`(x+1)Û`=axÞ`+bxÝ`+cxÜ`+dxÛ`+ex+ f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2=4, a+2=2a에서 a=2 4=a+b+c+d+e+ f
f(x)=(xÛ`+x+1)(2x+2)이므로 이때, (2x-1)Ü`(x+1)Û`=(8xÜ`-12xÛ`+6x-1)(xÛ`+2x+1)
f(1)=12 에서 xÛ`의 계수는
다른 풀이 (xÛ`의 계수)_(상수항)+(x의 계수)_(x의 계수)
+(상수항)_(xÛ`의 계수)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이므로 (-12)_1+(6_2)+(-1)_1=-1
-a+2=3(-a+4)-6에서 a=2
즉, d=-1
f(x)=(xÛ`+x+1)(2x+2)이므로
상수항은 (상수항)_(상수항)에서 (-1)_1=-1
f(1)=12
즉, f=-1
∴ a+b+c+e=(a+b+c+d+e+ f)-(d+ f)

112   풀이 참조 =4-{(-1)+(-1)}=6
다른 풀이
f(xÛ`+x)=xÛ` f(x)+x(1+2x+3xÛ`)+1 yy ㉠
에서 다항식 f(x)가 n차식일 때 (단, n은 자연수) (2x-1)Ü`(x+1)Û`=(8xÜ`-12xÛ`+6x-1)(xÛ`+2x+1)
f(xÛ`+x)의 최고차항은 x ,
2n
=8xÞ`+4xÝ`-10xÜ`-xÛ`+4x-1
xÛ` f(x)의 최고차항은 x
n+2
이므로 이므로 a=8, b=4, c=-10, e=4
㉠에서 좌변의 최고차항은 x 이고
2n
∴ a+b+c+e=6
n+2
우변의 최고차항은 x 이거나 xÜ`이다.

115
2n
이때, 자연수 n에 대하여 x =xÜ`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 풀이 참조
2n n+2
x =x 에서 2n=n+2, n=2
12
따라서 다항식 f(x)가 이차식이므로 (xÜ`-2x-4)Ý`=a¼+aÁx+aªxÛ`+y+aÁªx  yy ㉠
f(x)=axÛ`+bx+c (a+0, b, c는 상수)라 하면 이는 x에 대한 항등식이다.
㉠에서 ⑴ a¼은 (xÜ`-2x-4)Ý`의 상수항과 같으므로
a(xÛ`+x)Û`+b(xÛ`+x)+c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a¼=256
12
=xÛ`(axÛ`+bx+c)+x(1+2x+3xÛ`)+1 aÁª는 (xÜ`-2x-4)Ý`의 x 의 계수와 같으므로 aÁª=1
axÝ`+2axÜ`+(a+b)xÛ`+bx+c ∴ a¼+aÁª=256+1=257
=axÝ`+(b+3)xÜ`+(c+2)xÛ`+x+1 ⑵ ㉠의 양변에

20 수학 <상>
x=1을 대입하면
625=a¼+aÁ+aª+a£+y+aÁÁ+aÁª yy ㉡
118  ③

x=-1을 대입하면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9이므로


81=a¼-aÁ+aª-a£+y-aÁÁ+aÁª yy ㉢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19 yy ㉠
㉡, ㉢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다항식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2(a¼+aª+a¢+a¤+a¥+aÁ¼+aÁª)=706 나머지가 3x+1이므로
∴ a¼+aª+a¢+a¤+a¥+aÁ¼+aÁª=353 f(x)=(xÛ`-x+1)Q(x)+3x+1
⑶ ⑵의 풀이에서 ㉡에서 ㉢의 양변을 각각 빼면 이때, Q(x)가 상수이어야 다항식 f(x)의 차수가 가장 낮으므로 다
Q(x)=k (k는 상수)라 하면 항
2(aÁ+a£+a°+a¦+a»+aÁÁ)=544

∴ aÁ+a£+a°+a¦+a»+aÁÁ=272 f(x)=k(xÛ`-x+1)+3x+1
f(2)=3k+7=19 (∵ ㉠)
채점 요소 배점
k=4이므로 f(x)=4xÛ`-x+5이다.
a¼+aÁª의 값 구하기 20 %
∴ f(1)=8
a¼+aª+a¢+a¤+a¥+aÁ¼+aÁª의 값 구하기 40 %
aÁ+a£+a°+a¦+a»+aÁÁ의 값 구하기 40 %

119  3

다항식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5이므로


116  ③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10 10 f(2)+g(2)=5 yy ㉠
x +2=aÁ¼(x+2) +a»(x+2)á`+y+aÁ(x+2)+a¼ yy ㉠
다항식 { f(x)}Ü`+{ g(x)}Ü`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80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x=-1을 대입하면 yy TIP
10 { f(2)}Ü`+{ g(2)}Ü`=80 yy ㉡
aÁ¼+a»+y+aÁ+a¼=(-1) +2=3
다항식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2를 대입하면
10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g(2)이다.
a¼=(-2) +2=1026
10 { f(2)}Ü`+{ g(2)}Ü`={ f(2)+g(2)}Ü`-3 f(2)g(2){ f(2)+g(2)}
㉠의 양변의 x 의 계수를 비교하면 aÁ¼=1
이므로 ㉠, ㉡에 의하여
∴ aÁ+aª+y+a¥+a»=3-(1+1026)
80=5Ü`-3_ f(2)g(2)_5
=-1024
∴ f(2)g(2)=3
TIP
㉠의 우변에서 a¼+aÁ+aª+y+aÁ¼의 값을 구하려면
x+2=1이어야 하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해야 하고,
120  ①

a¼의 값을 구하려면 x+2=0이어야 하므로 ㉠의 양변에 다항식 f(x)를 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x=-2를 대입해야 한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0)=3이다.
따라서 항등식 f(x+1)= f(x)+3xÛ`-x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1)= f(0)=3 yy ㉠
x=1을 대입하면 f(2)= f(1)+2=5 yy ㉡
117  ②
이때, 다항식 f(x)를 xÛ`-3x+2=(x-1)(x-2)로 나누었을 때의
(3xÛ`-x-1)Þ`=a¼+aÁx+aªxÛ`+y+aÁ¼xÚ`â` 몫을 Q(x),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f(x)=(x-1)(x-2)Q(x)+ax+b이므로
1 ㉠에서 f(1)=a+b=3, ㉡에서 f(2)=2a+b=5
x= 을 대입하면
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aÁ aª a» aÁ¼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x+1이다.
-1=a¼+ + +y+ + 10  yy ㉠
3 3Û` 3á` 3
1
x=- 을 대입하면
3
aÁ aª a» aÁ¼
121  ④
1
- =a¼- + -y- + 10  yy ㉡ 1 1 55
3Þ` 3 3Û` 3á` 3 55
f(x)= x-2에서 { f(x)+2} ={ x} 이고
2 2
㉠에서 ㉡을 변끼리 빼면
aÁ a£ a° a» 1 1 1
-3Þ`+1 f(xÛ`)= xÛ`-2= (xÛ`-4)= (x+2)(x-2)이므로
=2{ + + +y+ } 2 2 2
3Þ` 3 3Ü` 3Þ` 3á` 55
aÁ a£ a° a» 1-3Þ` 다항식 { f(x)+2} 을 f(xÛ`)으로 나누었을 때의
∴ + + +y+ = 몫을 Q(x),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3 3Ü` 3Þ` 3á` 2_3Þ`

Ⅰ. 다항식 21
1 55 1
{ x} = (x+2)(x-2)Q(x)+ax+b
2 2 124   20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조건 ㈏에서 삼차식 f(x)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x=-2를 대입하면 -1=-2a+b 일차식이므로 ax+b (a+0, b는 상수)라 하면
x=2를 대입하면 1=2a+b f(x)=(x+3)Û`(ax+b)+ax+b yy ㉠
1 1 이때, 조건 ㈎에서 f(-3)=2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b=0이므로 R(x)= x
2 2
f(-3)=-3a+b=2, b=3a+2
∴ R(4)=2
이를 ㉠에 대입하면
f(x)=(x+3)Û`(ax+3a+2)+ax+3a+2
=(x+3)Û`{a(x+3)+2}+ax+3a+2
122   -170 =a(x+3)Ü`+2(x+3)Û`+ax+3a+2 yy ㉡

Q(x)=a¼+aÁx+aªxÛ`+y+a¥x¡`에서 따라서 다항식 f(x)를 (x+3)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Q(1)=a¼+aÁ+aª+y+a¥ yy ㉠ R(x)=2(x+3)Û`+ax+3a+2이다.

Q(-1)=a¼-aÁ+aª-y+a¥ yy ㉡ R(0)=3a+20, R(-2)=a+4이므로

㉠에서 ㉡을 변끼리 빼면 R(0)=R(-2)에서

Q(1)-Q(-1)=2(aÁ+a£+a°+a¦)에서 3a+20=a+4   ∴ a=-8

1 ㉡에 대입하면
aÁ+a£+a°+a¦= {Q(1)-Q(-1)}이다.
2 f(x)=-8(x+3)Ü`+2(x+3)Û`-8x-22
한편, f(x)=xá`이라 하면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 f(-4)=20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512이므로
f(x)=(x+2)Q(x)-512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125  7
x=1을 대입하면
다항식 f(x)를 (x-2)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1)=3 Q(1)-512
나머지가 R(x) (R(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이때, f(1)=1á`=1이므로
f(x)=(x-2)Û`(x-1)Q(x)+R(x) yy ㉠
1=3 Q(1)-512   ∴ Q(1)=171
이때, 다항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을 대입하면
x+3이므로 다항식 R(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1)=Q(-1)-512
x+3과 같다.
이때, f(-1)=(-1)á`=-1이므로
즉, R(x)=a(x-2)Û`+x+3 (a는 상수) yy ㉡
-1=Q(-1)-512  
이를 ㉠에 대입하면
∴ Q(-1)=511
f(x)=(x-2)Û` (x-1)Q(x)+a(x-2)Û`+x+3
1
∴ aÁ+a£+a°+a¦= {Q(1)-Q(-1)} 이때,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5이므로 나머
2
1 지정리에 의하여
= (171-511)=-170
2 f(1)=a+4=5, a=1
따라서 ㉡에서 R(x)=(x-2)Û`+x+3이므로
R(3)=7
123  1

다항식 x20+2x+5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126  ③

x20+2x+5=x(x+1)Q(x)+ax+b yy ㉠ 다항식 f(x)를 (x-2)(x-3)(x-4)로 나누었을 때의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몫을 Q(x), 나머지를 R(x) (R(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라 하면
x=0을 대입하면 5=b f(x)=(x-2)(x-3)(x-4) Q(x)+R(x) yy ㉠
x=-1을 대입하면 4=-a+b에서 a=1 이때, 다항식 f(x)를 xÛ`-7x+12=(x-3)(x-4)로 나누었을
이를 ㉠에 대입하면 때의 나머지가 x-1이므로 다항식 R(x)를 (x-3)(x-4)로
x20+2x+5=x(x+1)Q(x)+x+5 yy ㉡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과 같다.
다항식 Q(x)의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Q(1)과 즉, R(x)=a(x-3)(x-4)+x-1 (a는 상수)이므로 이를
같으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에 대입하면
8=2 Q(1)+6 f(x)=(x-2)(x-3)(x-4)Q(x)+a(x-3)(x-4)+x-1
∴ Q(1)=1  yy ㉡

22 수학 <상>
한편, 다항식 f(x)를 xÛ`-5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TIP
하면 5=3_1+2에서 5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고,
f(x)=(x-2)(x-3)QÁ(x)+3x-7이므로 f(2)=-1이다. 7=3_2+1에서 7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5+7=(3_1+2)+(3_2+1)에서
f(2)=2a+1=-1이므로 a=-1 5+7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R(x)=-(x-3)(x-4)+x-1 5와 7을 각각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2, 1을 합한 2+1을
=-xÛ`+8x-13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인 0과 같다.
5_7=(3_1+2)_(3_2+1)에서 다

127  ③ 5_7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5와 7을 각각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2, 1을 곱한 2_1을

다항식 f(x)를 (xÜ`+5)(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인 2와 같다.


나머지를 R(x)라 하면 (R(x)는 삼차 이하의 다항식) 이를 일반화하여
f(x)=(xÜ`+5)(x-1)Q(x)+R(x) yy ㉠ A, B, C, y를 각각 P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각각
이때, 다항식 f(x)를 xÜ`+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a, b, c, y라 하면
xÛ`-2x이므로 다항식 R(x)를 xÜ`+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A+B+C+y를 P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Û`-2x와 같다. a+b+c+y를 P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고,
즉, R(x)=a(xÜ`+5)+xÛ`-2x (a는 상수)이므로 이를 A_B_C_y를 P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에 대입하면 a_b_c_y를 P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f(x)=(xÜ`+5)(x-1)Q(x)+a(xÜ`+5)+xÛ`-2x yy ㉡ 따라서 ⑵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1이므로 8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1이다. 8Û`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Û`=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8Ü`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Ü`=1,
f(1)=6a-1=11이므로 a=2 ⋮
따라서 R(x)=2(xÜ`+5)+xÛ`-2x이므로 n
8 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1이다.
n

R(2)=26 (단, n은 자연수)


100 99 98
따라서 8 +8 +8 +y+8+1을 7로 나누었을 때의

128   ⑴ 253  ⑵ 3 나머지는


1+1+1+y+1=101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으므로
11
⑴ x=253이라
‌ 하고 x 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101=7_14+3
문제로 변형하자. 에서 구하는 나머지는 3이다.
11
f(x)=x 이라 하면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이므로 
몫을 Q(x)라 하면
11
x =(x+1)Q(x)-1
다시 x=253을 대입하면
129  ④
11
253 =254 Q(253)-1 x=100이라 하면
39 2 19 19
=254{Q(253)-1}+253 10 =10_(10 ) =10x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53이다. 99_101=(100-1)(100+1)=(x-1)(x+1)
100 99 98 19
⑵ x=8이라
‌ 하고 x +x +x +y+x+1을 x-1로 나누었을 이므로 10x 을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19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로 변형하자. 문제로 변형하자. 10x 을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100 99 98
f(x)=x +x +x +y+x+1이라 하면 Q(x),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19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0x =(x-1)(x+1)Q(x)+ax+b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1+y+1=101이므로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몫을 Q(x)라 하면 x=1을 대입하면 10=a+b yy ㉠
yy ㉡
100 99 98
x +x +x +y+x+1=(x-1)Q(x)+101 x=-1을 대입하면 -10=-a+b
다시 x=8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10, b=0이므로
100 99 98 19
8 +8 +8 +y+8+1 10x =(x-1)(x+1)Q(x)+10x
=7 Q(8)+101=7 Q(8)+7_14+3 다시 x=100을 대입하면
39
=7{Q(8)+14}+3 10 =99_101_Q(100)+1000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3이다.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1000이다.

Ⅰ. 다항식 23
다른 풀이
39 39
132  ④
x=10이라 하면 10 =x
2 2 2 2 4 조건 ㈎에서 f(-2)= f(0)= f(2)=k (k는 상수)라 하면
99_101=(10 -1)(10 +1)=(x -1)(x +1)=x -1
39 4 f(-2)-k=0, f(0)-k=0, f(2)-k=0이고,
이므로 x 을 x -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로
f(x)-k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변형하자.
39 4 35 31 27 3 3 인수정리에 의하여 f(x)-k=x(x-2)(x+2) yy ㉠
x =(x -1)(x +x +x +y+x )+x
조건 ㈏에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0이므로
다시 x=10을 대입하면
39 35 31 27 3 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 =99_101_(10 +10 +10 +y+10 )+10
f(1)-k=-3에서 k=3이다.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1000이다.
따라서 f(x)=x(x-2)(x+2)+3이므로
f(3)=18
130  2

다항식 f(x)-2가 xÛ`-9=(x+3)(x-3)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3)-2=0에서 f(-3)=2 133   풀이 참조
f(3)-2=0에서 f(3)=2
f(1)-1= f(2)-2= f(3)-3=k (k는 상수)라 하면
다항식 f(x-1)을 xÛ`-2x-8=(x+2)(x-4)로 나누었을 때의
f(1)-1-k=0, f(2)-2-k=0, f(3)-3-k=0이므로
몫을 Q(x),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f(x-1)=(x+2)(x-4) Q(x)+ax+b
f(x)-x-k=a(x-1)(x-2)(x-3) (a는 상수)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 f(x)=a(x-1)(x-2)(x-3)+x+k yy ㉠
x=-2를 대입하면 f(-3)=-2a+b=2
한편, 다항식 f(x)를 x(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x=4를 대입하면 f(3)=4a+b=2
나머지가 -17x-10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0, b=2
f(x)=x(x+1)Q(x)-17x-10에서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이다.
f(-1)=7, f(0)=-10이다.
다른 풀이
㉠에 x=-1을 대입하면
다항식 f(x)-2가 xÛ`-9=(x+3)(x-3)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24a-1+k=7
그때의 몫을 Q(x)라 하면 -24a+k=8 yy ㉡
f(x)-2=(x+3)(x-3)Q(x) ㉠에 x=0을 대입하면
∴ f(x)=(x+3)(x-3)Q(x)+2 f(0)=-6a+k=-10 yy ㉢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 대신 x-1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1, k=-16이므로
f(x-1)=(x+2)(x-4)Q(x-1)+2 f(x)=-(x-1)(x-2)(x-3)+x-16
따라서 다항식 f(x-1)을 xÛ`-2x-8=(x+2)(x-4)로 나누었을 ∴ f(-2)=42
때의 나머지는 2이다.
채점 요소 배점
f(-1), f(0)의 값 구하기 20 %

131  ③ f(x)의 식 세우기 70 %


f(-2)의 값 구하기 10 %
P(x)-2x가 삼차식이고, (x+2)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P(x)-2x=(x+2)Û` (ax+b) (a+0, b는 상수)
∴ P(x)=(x+2)Û` (ax+b)+2x yy ㉠
한편, 다항식 1-P(x)가 xÛ`+4x+3=(x+1)(x+3)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34   34

1-P(-1)=0에서 P(-1)=1 나머지정리에 의해서 n=1, 2, 3에 대하여 f(n)=2nÛ`-n


1-P(-3)=0에서 P(-3)=1 즉, f(n)-2nÛ`+n=0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f(1)-2_1Û`+1=0, f(2)-2_2Û`+2=0,
P(-1)=-a+b-2=1에서 -a+b=3 yy ㉡ f(3)-2_3Û`+3=0이다.
㉠에 x=-3을 대입하면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P(-3)=-3a+b-6=1에서 -3a+b=7 yy ㉢ 인수정리에 의하여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이므로 f(x)-2xÛ`+x=(x-1)(x-2)(x-3)
P(x)=(x+2)Û`(-2x+1)+2x 따라서 f(x)=(x-1)(x-2)(x-3)+2xÛ`-x이므로
∴ P(2)=-44 f(4)=34

24 수학 <상>
1
135  ③ QÁ(x)={x- }(4x-12)-2
2
두 다항식 3x f(x)+g(x)와 f(x)+g(x)-4x가 모두 x-1로 1
이때, 삼차식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6이므로
2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1
3 f(1)+g(1)=0, f(1)+g(1)-4=0이고 f(x)={x- } QÁ(x)+6
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f(1)=-2, g(1)=6이다. 1 1
={x- }[{x- }(4x-12)-2]+6
ㄱ. ‌다항식 3 f(x)+x g(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2
1 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 f(1)+g(1)=3_(-2)+6=0이므로 ={x- }Û` (4x-12)-2{x- }+6 다
2 2 항
인수정리에 의하여 다항식 3 f(x)+x g(x)는 x-1로
=(2x-1)Û` (x-3)-2x+7 식
나누어떨어진다. (참)
따라서 Q(x)=x-3이고 R(x)=-2x+7이므로
ㄴ. ‌다항식 f(x-1)+g(x-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Q(1)+R(-1)=-2+9=7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1)+g(2-1)= f(1)+g(1)=(-2)+6=4이므로 
다항식 f(x-1)+g(x-1)은 x-2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거짓)
138  ②

ㄷ. ‌f(1)=-2, g(1)=6에서 f(1)+2=0, g(1)-6=0이므로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다항식 P(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인수정리에 의하여 두 다항식 f(x)+2와 g(x)-6은 각각 몫을 QÁ(x)라 하면 나머지는 3, 다항식 QÁ(x)를 x+1로 나누었을
x-1로 나누어떨어진다.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나머지는 4, 다항식 Qª(x)를 x+1로
따라서 다항식 { f(x)+2}{g(x)-6}은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이고 나머지는 -1이므로
나누어떨어진다. (참) P(x)=(x+1)QÁ(x)+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x+1){(x+1) Qª(x)+4}+3
=(x+1)〔(x+1){2(x+1)-1}+4〕+3
=2(x+1)Ü`-(x+1)Û`+4(x+1)+3
136   72 따라서 다항식 P(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P(-2)=-4이다.
(x-1) f(x)=(x+2)g(x) yy ㉠
다른 풀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0, x=1을 대입하면 g(1)=0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빈칸을 채우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다항식 f(x)는 x+2로 나누어떨어지고 -1   2   5   8   8
다항식 g(x)는 x-1로 나누어떨어진다. -2   -3   -5
또한 다항식 f(x)는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   2   3   5   3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 f(x)는 -2   -1
f(x)=(x+2)(x-2)(x+a) (a는 상수) -1   2   1   4
이를 ㉠에 대입하면 -2
(x-1)(x+2)(x-2)(x+a)=(x+2)g(x) 2   -1
∴ g(x)=(x-1)(x-2)(x+a) yy ㉡ 따라서 P(x)=2xÜ`+5xÛ`+8x+8이므로 다항식 P(x)를 x+2로
이때, 다항식 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2이므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P(-2)=-4이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2)=12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g(-2)=12(-2+a)=12   ∴ a=3 139  8
따라서 f(x)=(x+2)(x-2)(x+3)이고
다항식 3xÜ`+2xÛ`-x+1을 x+1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연속으로
g(x)=(x-1)(x-2)(x+3)이므로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f(3)+g(4)=30+42=72
-1   3   2   -1   1
-3   1   0

137  ④ -1   3   -1  


-3  
0   1
4
=d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1   3   -4   4 =c


1 -3
삼차식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다항식
2
3   -7 =b
1
=

QÁ(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4x-12, 나머지는 -2이므로


2 a

Ⅰ. 다항식 25
따라서 조립제법의 결과를 이용하면 f(x)=54(x+1)Ú`á`이라 하면
3xÜ`+2xÛ`-x+1=(x+1)(3xÛ`-x)+1 다항식 f(x)를 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0)=54이므로
=(x+1){(x+1)(3x-4)+4}+1 몫을 Q(x)라 하면
=(x+1)〔(x+1){3(x+1)-7}+4〕+1 54(x+1)Ú`á`=x Q(x)+54
=3(x+1)Ü`-7(x+1)Û`+4(x+1)+1 다시 x=80을 대입하면
이므로 a=3, b=-7, c=4, d=1이다. 54_81Ú`á`=80 Q(80)+54
∴ 2a+b+2c+d=8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54이다.
다른 풀이 TIP
3xÜ`+2xÛ`-x+1 나머지정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나누는 수를 x에 대한
=a(x+1)Ü`+b(x+1)Û`+c(x+1)+d 일차식으로 변형하면 간단하게 풀 수 있다.
=a(xÜ`+3xÛ`+3x+1)+b(xÛ`+2x+1)+c(x+1)+d 만약 x=3이라 하고 2_xà`á`을 xÝ`-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axÜ`+(3a+b)xÛ`+(3a+2b+c)x+a+b+c+d 구하는 것으로 변형한다면 답을 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따라서 해설과 같이 나누는 수인 80과 가장 차가 작은 3Ý`=81을
a=3, 3a+b=2, 3a+2b+c=-1, a+b+c+d=1 이용하여 식을 변형한다.
따라서 b=-7, c=4, d=1이므로
2a+b+2c+d=8

140   16 142   999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AÁ=9+99+999,


몫을 GÁ(x)라 하면 나머지는 -1, 다항식 GÁ(x)를 x-1로 Aª=9_99+99_999+999_9,
나누었을 때의 몫을 Gª(x)라 하면 나머지는 3, 다항식 Gª(x)를 A£=9_99_999이므로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1이고 나머지는 -2이므로 (x+9)(x+99)(x+999)=xÜ`+AÁ xÛ`+Aª x+A£
f(x)=(x+2)GÁ(x)-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2){(x-1) Gª(x)+3}-1 10_100_1000=1+AÁ+Aª+A£
=(x+2)〔(x-1){(x-2)-2}+3〕-1 ∴ AÁ+Aª+A£=1000000-1=999999
=(x+2)(x-1)(x-2)-2(x+2)(x-1)+3(x+2)-1 따라서 AÁ+Aª+A£을 100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999이다.
따라서 f(1)=8이고,
P(x)=x+2, Q(x)=x-1, R(x)=x-2이므로
P(2)=4, Q(3)=2, R(4)=2이다.
∴ f(1)+P(2)+Q(3)+R(4)=8+4+2+2=16 143   3.151903

참고 f(x)=a(x-3)Ü`+b(x-3)Û`+c(x-3)+d (a, b, c, d는 상수)로


나타내면
주어진 조립제법 과정에서 빈칸을 채우면 다음과 같다.
f(3.01)=a_(0.01)Ü`+b_(0.01)Û`+c_0.01+d이므로
-2   1   -3   -3   13
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2      10   -14
다항식 3xÜ`-8xÛ`-18x+48을 x-3으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1   1   -5       7   -1
연속으로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1   -4
3   3   -8   -18   48
2   1   -4   3
9   3   -45
2
3   3   1   -15   3 =d
1   -2
9   30
3   3   10   15 =c
9
141  ④
3   19 =b
=

x=80이라 하면 a

2_3à`á`=2_(3Ý`)Ú`á`_3Ü`=54_(3Ý`)Ú`á` 따라서 a=3, b=19, c=15, d=3이므로


=54_81Ú`á`=54(x+1)Ú`á` yy TIP f(3.01)=3_(0.01)Ü`+19_(0.01)Û`+15_0.01+3  
이므로 54(x+1)Ú`á`을 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로 =0.000003+0.0019+0.15+3  
변형하자. =3.151903

26 수학 <상>
Ú a=0인 경우
144  ⑤
2ab=0을 만족시킨다.
다항식 f(x)를 (x-a)(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2ac+bÛ`=b+2에서 bÛ`-b-2=0
나머지를 R(x)=mx+n (m, n은 상수)라 하면 b=-1 또는 b=2이므로
f(x)=(x-a)(x-b) Q(x)+mx+n 2bc=0에서 c=0이고, 이때 cÛ`=c를 만족시킨다.
f(a)=ma+n yy ㉠ 따라서 P(x)=-x 또는 P(x)=2x이다.
f(b)=mb+n yy ㉡ Û a=1인 경우
㉠에서 ㉡을 변끼리 빼면 2ab=0에서 b=0이므로 2ac+bÛ`=b+2에서 c=1 다
f(a)- f(b) 이때, 2bc=0, cÛ`=c를 모두 만족시킨다. 항
f(a)- f(b)=m(a-b)에서 m= (∵ a+b) 식
a-b
따라서 P(x)=xÛ`+1이다.
∴ R(a+b)=m_(a+b)+n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식 P(x)는 -x, 2x, xÛ`+1로
=(ma+mb)+{ f(a)-ma} (∵ ㉠)
3개이다.
=mb+ f(a)
f(a)- f(b)
=b_ + f(a)
a-b

=
b f(a)-b f(b)+a f(a)-b f(a)
a-b
 147  ⑤

1 1 1
=
a f(a)-b f(b) f {x+3- }=xÜ`+xÛ`+3+ -
a-b x xÛ` xÜ`
1 1
={xÜ`- }+{xÛ`+ }+3
xÜ` xÛ`
1 1 1
=[{x- }Ü`+3{x- }]+[{x- }Û`+2]+3
145  ④ x x x
1 Ü` 1 1
PÁ(x)=(x-1)Pª(x)+rÁ ={x- } +{x- }Û`+3{x- }+5
x x x
=(x-1){(x-1)P£(x)+rª}+rÁ 1
이때, x- =k라 하면
=(x-1)Û` P£(x)+rª(x-1)+rÁ x
=(x-1)Û` {(x-1) P¢(x)+r£}+rª(x-1)+rÁ f(k+3)=kÜ`+kÛ`+3k+5
=(x-1)Ü` P¢(x)+r£(x-1)Û`+rª(x-1)+rÁ k+3=t라 하면 k=t-3이므로
⋮ f(t)=(t-3)Ü`+(t-3)Û`+3(t-3)+5
n
=(x-1) Pn+1(x)+rn(x-1)
n-1
+y

=(tÜ`-9tÛ`+27t-27)+(tÛ`-6t+9)+(3t-9)+5

+r£(x-1)Û`+rª(x-1)+rÁ =tÜ`-8tÛ`+24t-22
n
따라서 다항식 PÁ(x)를 (x-1)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즉, f(x)=xÜ`-8xÛ`+24x-22이므로
R(x)=rn(x-1)
n-1
+y+r£(x-1)Û`+rª(x-1)+rÁ a=-8, b=24, c=-22
이므로 다항식 R(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a+b-c=38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R(2)=rÁ+rª+r£+y+rn
148  ⑤

{
x
+1}¡`=a¼+aÁx+aªxÛ`+y+a¥x¡`
146  ④ 2
yy ㉠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다.
P(x)가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ㄱ.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P(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0=a¼-2aÁ+4aª-y+256a¥ (참) yy ㉡
{P(x)}Û`=(axÛ`+bx+c)Û`
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aÛ`xÝ`+bÛ`xÛ`+cÛ`+2abxÜ`+2acxÛ`+2bcx
256=a¼+2aÁ+4aª+y+256a¥ yy ㉢
P(xÛ`)=axÝ`+bxÛ`+c이다.
㉡과 ㉢을 변끼리 더하면 
{P(x)}Û`=P(xÛ`)+2xÛ`에서
256=2(a¼+4aª+16a¢+64a¤+256a¥)   
aÛ`xÝ`+2abxÜ`+(2ac+bÛ`)xÛ`+2bcx+cÛ`=axÝ`+(b+2)xÛ`+c
a¼+4aª+16a¢+64a¤+256a¥=128 yy ㉣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이때, { +1}¡`의 전개식에서
x
aÛ`=a, 2ab=0, 2ac+bÛ`=b+2, 2bc=0, cÛ`=c를 모두
2
만족시켜야 한다.
1 1
x¡`의 계수는 이므로 a¥=
aÛ`=a에서 a=0 또는 a=1이므로 a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2¡` 256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상수항은 1이므로 a¼=1  

Ⅰ. 다항식 27
따라서 ㉣에서 1+4aª+16a¢+64a¤+1=128이므로 ㉡에서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aª+8a¢+32a¤=63 (참) a+b-1이다. yy TIP
ㄷ.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두 나머지의 합은
3
{ }¡`=a¼+aÁ+aª+y+a¥
{(a-2)x+b+1}+(a+b-1)=(a-2)x+a+2b
yy ㉤
2 =2x-6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1
{ }¡`=a¼-aÁ+aª-y+a¥ yy ㉥ a-2=2, a+2b=-6에서 a=4, b=-5
2
∴ ab=-20
㉤에서 ㉥을 변끼리 빼면
3 1
{ }¡`-{ }¡`=2(aÁ+a£+a°+a¦)   TIP
2 2
㉠에서
3¡`-1
∴ aÁ+a£+a°+a¦=  (x-1)Ü` Q(x)-(x-1)Û`+(a-2)x+b+1
2á`
(3Ý`+1)(3Û`+1)(3+1)(3-1) =(x-1)Û`{(x-1) Q(x)-1}+(a-2)x+b+1
=  
2á` 이므로 다항식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05 (a-2)x+b+1이다.
= (참)
16
또, ㉡에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1)Ü` Q(x)-(x-1)Û`+(a-2)(x-1)+a+b-1
=(x-1){(x-1)Û` Q(x)-(x-1)+(a-2)}+a+b-1

149  ① 이므로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b-1이다.
x에 대한 항등식
(xÜ`+xÛ`-2x)ß`=a¼+aÁx+aªxÛ`+y+aÁ¥xÚ`¡`에서 좌변은
{x(xÛ`+x-2)}ß`=xß`(xÛ`+x-2)ß` 이므로
이 전개식에서 x에 대한 5차 이하의 항의 계수와 상수항은 모두 151  8
0이다.
두 다항식 xÜ`-4x+5, xÜ`-3xÛ`+5x-1을
따라서 a¼=aÁ=aª=a£=a¢=a°=0이므로
(x-a)(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각각 QÁ(x), Qª(x)라 하면
(xÜ`+xÛ`-2x)ß`=a¤ xß`+a¦ xà`+a¥ x¡`+y+aÁ¥ xÚ`¡` yy ㉠
나머지가 모두 R(x)이므로
또한 xß`(xÛ`+x-2)ß`의 전개식에서 xß`의 계수는
xÜ`-4x+5=(x-a)(x-b)QÁ(x)+R(x) yy ㉠
(xÛ`+x-2)ß`의 전개식에서 상수항과 같으므로
xÜ`-3xÛ`+5x-1=(x-a)(x-b)Qª(x)+R(x) yy ㉡
a¤=(-2)ß`=64
㉠에서 ㉡을 변끼리 빼면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3xÛ`-9x+6=(x-a)(x-b){QÁ(x)-Qª(x)}
0=a¤+a¦+a¥+y+aÁ¥ yy ㉡
이때, 3xÛ`-9x+6=3(x-1)(x-2)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QÁ(x)-Qª(x)=3이고, a=1, b=2 또는 a=2, b=1이다.
2ß`=a¤-a¦+a¥-y+aÁ¥ yy ㉢
따라서 ㉠에서
㉡과 ㉢을 변끼리 더하면
xÜ`-4x+5=(x-1)(x-2)(x+3)+3x-1이므로
2ß`=2(a¤+a¥+aÁ¼+y+aÁ¥)이므로
다항식 xÜ`-4x+5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a¥+aÁ¼+y+aÁ¥=32
QÁ(x)=x+3이고, 나머지는 R(x)=3x-1이다.
∴ a°+a¥+aÁ¼+aÁª+y+aÁ¥
‌  
∴ R(a+b)=R(3)=8
=a°+(a¤+a¥+aÁ¼+aÁª+y+aÁ¥)-a¤  
=0+32-64=-32 참고

다항식 xÜ`-3xÛ`+5x-1을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


은 Qª(x)=x이고, 나머지는 R(x)=3x-1이다.
150  ②

다항식 f(x)를 (x-1)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xÛ`+ax+b이므로
f(x)=(x-1)Ü` Q(x)-xÛ`+ax+b
152  ②

=(x-1)Ü` Q(x)-(x-1)Û`+(a-2)x+b+1 yy ㉠ 조건 ㈎에서 다항식 xÜ`+3xÛ`+4x+2를 f(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1)Ü`Q(x)-(x-1)Û`+(a-2)(x-1)+a+b-1 QÁ(x)라 하면 나머지가 g(x)이므로
 yy ㉡ xÜ`+3xÛ`+4x+2= f(x) QÁ(x)+g(x) yy ㉠
㉠에서 다항식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때, f(x)가 이차식이므로 나머지인 g(x)는 일차 이하의
(a-2)x+b+1이고 다항식이다.

28 수학 <상>
조건 ㈏에서 다항식 xÜ`+3xÛ`+4x+2를 g(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1
P(x-1)+R=(x+1)Û` QÁ(x-1)+ (x+1)+2R이므로
Qª(x)라 하면 나머지가 f(x)-xÛ`-2x이므로 R
xÜ`+3xÛ`+4x+2=g(x) Qª(x)+ f(x)-xÛ`-2x yy ㉡ 다항식 P(x-1)+R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때, g(x)가 일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나머지인 f(x)-xÛ`-2x는 1
(x+1)+2R이다.
R
상수이다.
1 1 1
따라서 f(x)=xÛ`+2x+a (a는 상수)라 하자. yy ㉢ (x+1)_[ (x+1)+2R]= (x+1)Û`+2(x+1)
R R RÛ`
다항식 xÜ`+3xÛ`+4x+2를 f(x)=xÛ`+2x+a로 나누었을 때의 이므로 다항식 {P(x-1)}Û`-RÛ`을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1이고, 나머지가 (2-a)x+(2-a)이므로 나머지는 2(x+1)=2x+2이다. (참) 다

㉠에서 g(x)=(2-a)(x+1)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식
따라서 ㉡에서
xÜ`+3xÛ`+4x+2=(2-a)(x+1) Qª(x)+a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54   12

a=0 조건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4)=14 yy ㉠


따라서 g(x)=2(x+1)이므로 조건 ㈏에서 다항식 f(x)를 (x+1)(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g(1)=4 QÁ(x)라 하면 나머지는 -3x+1이므로
f(x)=(x+1)(x-3)QÁ(x)-3x+1
양변에 x-1을 곱하면

153  ④ (x-1) f(x)=(x+1)(x-3)(x-1) QÁ(x)+(x-1)(-3x+1)


이때, 다항식 (x-1) f(x)를 (x+1)(x-3)으로 나누었을 때의
ㄱ. ‌다항식 P(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R이므로
나머지는 다항식 (x-1)(-3x+1)을 (x+1)(x-3)으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R=P(-2)이다.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으므로
그러므로 다항식 P(x-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1)(-3x+1)=-3xÛ`+4x-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xÛ`-2x-3)-2x-10
P(-1-1)=P(-2)=R이다. (참)
에서 나머지는 -2x-10이다.
ㄴ. ‌다항식 P(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나머지는
즉, (x-1) f(x)=(x+1)(x-3) Q(x)-2x-10이므로
R이므로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P(x)=(x+2)Q(x)+R yy ㉠
3 f(4)=5 Q(4)-18, 5 Q(4)=3_14+18=60 (∵ ㉠)
다항식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 Q(4)=12
1
나머지가 이므로
R

Q(x)=(x+2)QÁ(x)+
1
R
 155   -4

이를 ㉠에 대입하면 다항식 f(x)를 (x+2)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1 나머지가 2xÛ`+4x-1이므로
P(x)=(x+2)[(x+2)QÁ(x)+ ]+R
R f(x)=(x+2)Ü` QÁ(x)+2xÛ`+4x-1
1 =(x+2)Ü` QÁ(x)+2(x+2)Û`-4x-9
=(x+2)Û` QÁ(x)+ (x+2)+R
R
=(x+2)Û` {(x+2)QÁ (x)+2}-4x-9
양변에 x 대신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다항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P(x-1)=(x+1)Û` QÁ(x-1)+ (x+1)+R yy ㉡ -4x-9이다. yy ㉠
R
그러므로 다항식 P(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다항식 f(x)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1 나머지가 4x-8이므로
(x+2)+R이고, 다항식 P(x-1)을 (x+1)Û`으로 나누었을
R f(x)=(x-3)Û` Qª(x)+4x-8
1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3)=4 yy ㉡
때의 나머지는 (x+1)+R이므로 서로 다르다. (거짓)
R
다항식 f(x)를 (x+2)Û`(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ㄷ. {P(x-1)}Û
‌ `-RÛ`={P(x-1)-R}{P(x-1)+R}이다.
하면 나머지가 R(x)이므로
㉡에서
f(x)=(x+2)Û` (x-3)Q(x)+R(x)
1
P(x-1)-R=(x+1)Û` QÁ(x-1)+ (x+1)이므로  이때, ㉠에 의하여 R(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R
다항식 P(x-1)-R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4x-9이므로
1 f(x)=(x+2)Û` (x-3)Q(x)+a(x+2)Û`-4x-9 (a는 상수)
(x+1)이다. 
R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에 의하여
㉡에서 f(3)=25a-21=4이므로 a=1이다.

Ⅰ. 다항식 29
따라서 R(x)=(x+2)Û`-4x-9이므로 P(2)-8=-9k에서 k=1이므로
R(1)=-4 P(x)=(x+1)Û` (x-3)+xÜ`=2xÜ`-xÛ`-5x-3
즉, 삼차항의 계수는 2이므로 조건에 맞지 않다.
Ü P(x)-xÜ`=k(x+1)(x-3)Û`인 경우
156   11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n
다항식 x (xÛ`+ax+b)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P(2)-8=3k에서 k=-3이므로
n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3 (x-3)이므로 P(x)=-3(x+1)(x-3)Û`+xÜ`=-2xÜ`+15xÛ`-9x-27
n n
x (xÛ`+ax+b)=(x-3)Û` Q(x)+3 (x-3) yy ㉠ 삼차항의 계수는 -2, 즉 음수이다.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Ú〜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식 P(x)는
n n
3 (9+3a+b)=0에서 3 +0이므로 P(x)=-2xÜ`+15xÛ`-9x-27이므로
b=-3a-9 yy ㉡ P(1)=-23
㉡을 xÛ`+ax+b에 대입하면
xÛ`+ax+b=xÛ`+ax-3a-9=(x-3)(x+a+3)

159
이므로 ㉠에서
n n
  28
x (x-3)(x+a+3)=(x-3)Û` Q(x)+3 (x-3)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7
P(4)= ,
n
x (x+a+3)=(x-3) Q(x)+3
n 4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4 7
P(3)= P(4)= ,
n n n
3 3
3 (a+6)=3 에서 3 +0이므로
3 7
a+6=1   ∴ a=-5 P(2)= P(3)= ,
2 2
이를 ㉡에 대입하면 b=6 7
P(1)=2P(2)= 이므로
∴ b-a=11 1
7
n=1, 2, 3, 4일 때, P(n)= , 즉 nP(n)-7=0
n
157  ① 이때, xP(x)-7은 사차식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P(x)-7=k(x-1)(x-2)(x-3)(x-4) (k+0)
f(1)-0Û`=0, f(2)-1Û`=0, f(3)-2Û`=0, f(4)-3Û`=0이고,
7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7=24k에서 k=- 이므로
24
인수정리에 의하여 7
xP(x)-7=- (x-1)(x-2)(x-3)(x-4) yy ㉠
f(x)-(x-1)Û`=(x-1)(x-2)(x-3)(x-4) 24
따라서 한편, 다항식 P(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x-1)(x-4)(x-2)(x-3)+(x-1)Û`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P(-1)이므로
=(xÛ`-5x+4)(xÛ`-5x+6)+(x-1)Û`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Û`-5x+2+2)(xÛ`-5x+2+4)+xÛ`-2x+1 7
-P(-1)-7=- _(-2)_(-3)_(-4)_(-5)
24
=(xÛ`-5x+2)Û`+6(xÛ`-5x+2)+8 +(xÛ`-5x+2)+3x-1
∴ P(-1)=28
=(xÛ`-5x+2)(xÛ`-5x+9)+3x+7
이므로 R(x)=3x+7이다.
∴ R(1)=10

160   29

158  ④ P(1)=1, P(2)=3, P(3)=7, P(4)=15이다.


P(x)는 삼차식이므로 네 상수 a, b, c, d에 대하여
조건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P(2)=-1
P(x)=a(x-1)(x-2)(x-3)+b(x-1)(x-2)+c(x-1)+d
조건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라 하면 yy TIP
P(a)=aÜ`, 즉 P(a)-aÜ`=0을 만족시키는
P(1)=d=1
실수 a는 -1과 3뿐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P(2)=c+d=3에서 c=2
상수 k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P(3)=2b+2c+d=7에서 b=1
Ú P(x)-xÜ`=k(x+1)(x-3)인 경우
1
P(x)=xÜ`+k(x+1)(x-3) P(4)=6a+6b+3c+d=15에서 a= 이므로
3
즉, 삼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조건에 맞지 않다. 1
P(x)= (x-1)(x-2)(x-3)+(x-1)(x-2)+2(x-1)+1
Û P(x)-xÜ`=k(x+1)Û`(x-3)인 경우 3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P(5)=8+12+8+1=29

30 수학 <상>
TIP
자연수 n에 대하여 임의의 n차식은 (n+1)개의 상수
162   430

a¼, aÁ, aª, y, an을 이용하여 다항식 f(x)를 n차식이라 하면 (n은 자연수)
n
an x +an-1 x
n-1
+y+aÁ x+a¼ 꼴로 나타낼 수 있다. f(xÛ`+1)- f(xÛ`-1)=kx f(x)+12x+4 yy ㉠
2n-2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P(x)가 삼차식이므로 상수 4개를 ㉠의 좌변의 최고차항은 x 이고 yy TIP
n+1
이용하여 P(x)를 나타낼 수 있다. 우변의 최고차항은 x 이므로
이때, P(1), P(2), P(3), P(4)의 값을 알고 있으므로 2n-2=n+1에서 n=3이다.
P(x)에 x=1, 2, 3, 4를 각각 대입했을 때의 식이 f(x)=axÜ`+bxÛ`+cx+d (a, b, c, d는 상수, a+0)라 하자. 다
이를 ㉠에 대입하여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항
간단해지도록 4개의 상수 a, b, c, d에 대하여 식
P(x)=a(x-1)(x-2)(x-3)+b(x-1)(x-2) 6axÝ`+4bxÛ`+2a+2c=kaxÝ`+kbxÜ`+kcxÛ`+(kd+12)x+4
+c(x-1)+d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와 같이 식을 세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6a=ka, 0=kb, 4b=kc, 0=kd+12, 2a+2c=4에서
k=6, b=0, c=0, d=-2, a=2이므로
f(x)=2xÜ`-2이다.

161  ②
∴ f(k)= f(6)=430

TIP
다항식 f(x)를 n차식이라 하면 (n은 자연수) n n-1
다항식 f(x)=px +qx +y (p+0)라 하면
1
f(x+1)+xÝ` f { }=5xÝ`-xÛ`+x+6 yy ㉠ n
f(xÛ`+1)=p(xÛ`+1) +q(xÛ`+1)
n-1
+y 
xÛ`
2n 2n-2 2n-2
1 1 =p(x +nx +y)+q(x +y)+y
에서 f { }은 2n 항을 가진다.
xÛ` x n
f(xÛ`-1)=p(xÛ`-1) +q(xÛ`-1)
n-1
+y 
1
이때, n¾3이면 xÝ` f { }에서
2n 2n-2 2n-2
=p(x -nx +y)+q(x -y)+y
xÛ` 2n-2
이므로 f(xÛ`+1)- f(xÛ`-1)=2pnx +y
1 1
xÝ`_ 2n = 2n-4 (∵ 2n>4)항이 생기므로 이때, pn+0이므로 다항식 f(xÛ`+1)- f(xÛ`-1)의 최고차항은
x x
2n-2
㉠은 항등식이 될 수 없다. yy TIP x 이다.
따라서 f(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f(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1
f(x+1)+xÝ` f { }
xÛ`
=a(x+1)Û`+b(x+1)+c+xÝ`{
a b
+ +c}
xÝ` xÛ`
=cxÝ`+(a+b)xÛ`+(2a+b)x+2a+b+c
따라서 ㉠에 의하여
cxÝ`+(a+b)xÛ`+(2a+b)x+2a+b+c=5xÝ`-xÛ`+x+6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c=5, a+b=-1, 2a+b=1, 2a+b+c=6에서
a=2, b=-3, c=5
따라서 f(x)=2xÛ`-3x+5이므로
f(1)=4

TIP
n=3인 경우, f(x)가 삼차식이면 f(x+1)도 삼차식이고
1 1 1
xÝ` f {
}은 xÝ`_ = 항을 갖는다.
xÛ` xß` xÛ`
1 1
따라서 ㉠에서 좌변은 항을 갖지만 우변은 항을 갖지
xÛ` xÛ`
않으므로 ㉠은 항등식이 될 수 없다.
1
마찬가지로 n>3인 경우, xÝ` f { }은
xÛ`
1 1
xÝ`_ = (∵ 2n>4)항을 가지므로 ㉠은 항등식이
x2n x2n-4
될 수 없다.

Ⅰ. 다항식 31
(x-y)Û`=(x+y)Û`-4xy=16-8=8
인수분해
따라서 (x-y)Û`(x+y)=8_4=32이므로
구하는 값은 32이다.

163  풀이 참조

⑴ aÛ`+4a+4-bÛ`=(a+2)Û`-bÛ`
167  ③

={(a+2)+b}{(a+2)-b} a+b+c=0이므로
=(a+b+2)(a-b+2) aÜ`+bÜ`+cÜ`-3abc=(a+b+c)(aÛ`+bÛ`+cÛ`-ab-bc-ca)
⑵ aÜ`+9aÛ`b+27abÛ`+27bÜ` =0
=aÜ`+3_aÛ`_3b+3_a_(3b)Û`+(3b)Ü`
=(a+3b)Ü`
⑶ aÜ`+8bÜ`=aÜ`+(2b)Ü`=(a+2b)(aÛ`-2ab+4bÛ`)
168   (x-1)Û`(x+1)(x-3)

⑷ aÛ`+4bÛ`+cÛ`+4ab-4bc-2ca xÛ`-2x=X라 하면
=aÛ`+(2b)Û`+(-c)Û`+2(2ab-2bc-ca) (xÛ`-2x)Û`-2xÛ`+4x-3
=(a+2b-c)Û` =(xÛ`-2x)Û`-2(xÛ`-2x)-3
=XÛ`-2X-3=(X+1)(X-3)
=(xÛ`-2x+1)(xÛ`-2x-3)
164  ③
=(x-1)Û`(x+1)(x-3)
① xÜ`y-9xyÜ`=xy(xÛ`-9yÛ`)=xy(x-3y)(x+3y)
② 64xÜ`-48xÛ`+12x-1
=(4x)Ü`+3_(4x)Û`_(-1)+3_(4x)_(-1)Û`+(-1)Ü`
169   풀이 참조

=(4x-1)Ü` ⑴ xÛ`+2x=X라 하면
③ 8aÜ`-bÜ`=(2a)Ü`-bÜ` (xÛ`+2x-2)(xÛ`+2x+5)+12
=(2a-b)(4aÛ`+2ab+bÛ`) =(X-2)(X+5)+12
④ xÝ`-16yÝ`=(xÛ`+4yÛ`)(xÛ`-4yÛ`) =XÛ`+3X+2=(X+1)(X+2)
=(xÛ`+4yÛ`)(x+2y)(x-2y) =(xÛ`+2x+1)(xÛ`+2x+2)
⑤ 4aÛ`+bÛ`+9cÛ`+4ab+6bc+12ca =(x+1)Û`(xÛ`+2x+2)
=(2a)Û`+bÛ`+(3c)Û`+2(2ab+3bc+6ac) ⑵ xÛ`+3=X라 하면
=(2a+b+3c)Û` (xÛ`+x+3)(xÛ`+2x+3)-2xÛ`
따라서 선지 중 인수분해가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X+x)(X+2x)-2xÛ`
=XÛ`+3xX=X(X+3x)
참고
=(xÛ`+3)(xÛ`+3x+3)
인수분해 공식은 항등식이므로 우변을 각각 곱셈 공식으로
전개하여 좌변과 비교해서 풀 수도 있다.
170  ⑤

(x-1)(x-2)(x+2)(x+3)-60
165  ③
={(x-1)(x+2)}{(x-2)(x+3)}-60
2aÜ`+3aÛ`b-3abÛ`-2bÜ` =(xÛ`+x-2)(xÛ`+x-6)-60
=2(aÜ`-bÜ`)+3ab(a-b) 이때, xÛ`+x=X라 하면
=2(a-b)(aÛ`+ab+bÛ`)+3ab(a-b) (xÛ`+x-2)(xÛ`+x-6)-60
=(a-b)(2aÛ`+5ab+2bÛ`) =(X-2)(X-6)-60
=(a-b)(a+2b)(2a+b) =XÛ`-8X-48=(X-12)(X+4)
=(xÛ`+x-12)(xÛ`+x+4)
=(x+4)(x-3)(xÛ`+x+4)
166   32
따라서 선지 중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⑤이다.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면
TIP
xÜ`-xyÛ`-xÛ`y+yÜ`=xÛ`(x-y)-yÛ`(x-y)
(x-3)(xÛ`+x+4)=xÜ`-2xÛ`+x-12이므로
=(xÛ`-yÛ`)(x-y)
선지 ②의 식 xÜ`-2xÛ`+x-12는
=(x-y)Û`(x+y)
다항식 (x-1)(x-2)(x+2)(x+3)-60의 인수이다.
이때, x+y=4, xy=2이므로

32 수학 <상>
171  ③ 175  ④

2 1
xÝ`-2xÜ`+3xÛ`-2x+1=xÛ`{xÛ`-2x+3- + }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 xÛ` xÛ`+3xy+2yÛ`-2x-y-3
1 1
=xÛ`[{xÛ`+ }-2{x+ }+3]  =xÛ`+(3y-2)x+(2yÛ`-y-3)
xÛ` x

=xÛ` °[{x+ }Û`-2]-2{x+ }+3¤


=xÛ`+(3y-2)x+(y+1)(2y-3)
1 1
x x   x y+1
1 Û` 1
=xÛ`[{x+ } -2{x+ }+1]   x 2y-3 다
x x 항
=(x+y+1)(x+2y-3) 식
1
이때, x+ =t라 하면 따라서 선지 중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④이다.
x
1 Û` 1
xÛ`[{x+ } -2{x+ }+1]=xÛ`(tÛ`-2t+1)
x x
=xÛ`(t-1)Û` 176  ①

1
=xÛ`{x+ -1}Û`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
3xÛ`-2xy-yÛ`-7x-y+2
1
=[x{x+ -1}]Û` =3xÛ`-(2y+7)x-(yÛ`+y-2)
x
=3xÛ`-(2y+7)x-(y+2)(y-1)
=(xÛ`-x+1)Û`
  3x y-1
따라서 선지 중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③이다.
  x -(y+2)
=(3x+y-1)(x-y-2)
172   풀이 참조 =(-3x-y+1)(-x+y+2)
따라서 a=-3, b=1, c=-1, d=1이므로
⑴ xÛ`=X라 하면
a-b+c-d=-6
xÝ`-7xÛ`+12=XÛ`-7X+12
=(X-3)(X-4)
=(xÛ`-3)(xÛ`-4) 177   풀이 참조
=(xÛ`-3)(x+2)(x-2) yy ㉠
⑴ 주어진 식을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이므로 유리수 범위까지 인수분해하면
8xÜ`+4xÛ`y-4xy-3yÛ`+4y-1
xÝ`-7xÛ`+12=(xÛ`-3)(x+2)(x-2)이다.
=-3yÛ`+(4xÛ`-4x+4)y+8xÜ`-1
⑵ ㉠에서 xÛ`-3=(x+'3)(x-'3)이므로
=-3yÛ`+(4xÛ`-4x+4)y+(2x-1)(4xÛ`+2x+1)
실수 범위까지 인수분해하면
  -3y 4xÛ`+2x+1
xÝ`-7xÛ`+12=(x+'3)(x-'3)(x+2)(x-2)이다.
y 2x-1
={-3y+(4xÛ`+2x+1)}{y+(2x-1)}

173  ⑤ =(4xÛ`+2x-3y+1)(2x+y-1)
⑵ 주어진 식을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Ý`-6xÛ`yÛ`+yÝ`=(xÝ`-2xÛ`yÛ`+yÝ`)-4xÛ`yÛ`
xÝ`+2xÛ`y-4xÛ`+yÛ`-4y-5
=(xÛ`-yÛ`)Û`-(2xy)Û`
=yÛ`+(2xÛ`-4)y+xÝ`-4xÛ`-5
=(xÛ`+2xy-yÛ`)(xÛ`-2xy-yÛ`)
=yÛ`+(2xÛ`-4)y+(xÛ`+1)(xÛ`-5)
따라서 선지 중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⑤이다.
  y xÛ`+1

  y xÛ`-5

174   풀이 참조 ={y+(xÛ`+1)}{y+(xÛ`-5)}
=(xÛ`+y+1)(xÛ`+y-5)
⑴ xÝ`+4=(xÝ`+4xÛ`+4)-4xÛ`
=(xÛ`+2)Û`-(2x)Û`
={(xÛ`+2)+2x}{(xÛ`+2)-2x} 178  ②

=(xÛ`+2x+2)(xÛ`-2x+2) 주어진 식을 a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⑵ xÝ`+7xÛ`+16=(xÝ`+8xÛ`+16)-xÛ` aÛ`b-abÛ`+bÛ`c-bcÛ`+cÛ`a-caÛ`
=(xÛ`+4)Û`-xÛ` =(b-c)aÛ`+(cÛ`-bÛ`)a+bc(b-c)
=(xÛ`+x+4)(xÛ`-x+4) =(b-c)aÛ`-(b-c)(b+c)a+bc(b-c)

Ⅰ. 다항식 33
=(b-c){aÛ`-(b+c)a+bc}
=(b-c)(a-b)(a-c)
182   ⑴ 729000  ⑵ 10000

=(a-b)(b-c)(a-c) ⑴ x=89라 하면
89Ü`+3_89Û`+3_89+1
=xÜ`+3xÛ`+3x+1
179   (x+1)(x-2)(x+3) =(x+1)Ü`
f(x)=xÜ`+2xÛ`-5x-6이라 하면 =90Ü`=729000
f(-1)=-1+2+5-6=0이므로 ⑵ a=32, b=19, c=49라 하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32Û`+19Û`+49Û`+2(32_19+19_49+49_32)
-1   1   2   -5   -6 =aÛ`+bÛ`+cÛ`+2(ab+bc+ca)
-1   -1   6 =(a+b+c)Û`
1   1   -6   0 =(32+19+49)Û`=100Û`=10000

∴ xÜ`+2xÛ`-5x-6=(x+1)(xÛ`+x-6)
=(x+1)(x-2)(x+3) 183  ②

x=999라 하면

180   풀이 참조 999Ü`-1=xÜ`-1
999_1000+1=x(x+1)+1
⑴ 다항식 f(x)=xÜ`-2xÛ`+kx+12는 =xÛ`+x+1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이때, xÜ`-1=(x-1)(xÛ`+x+1)이므로
f(1)=1-2+k+12=0 999Ü`-1=(999-1)(999Û`+999+1)
∴ k=-11 =998_(999_1000+1)
⑵ ⑴에 의하여 f(x)=xÜ`-2xÛ`-11x+12이고 따라서 구하는 몫은 998이다.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1   -2   -11   12
1   -1   -12 184  ③
1   -1   -12   0 x=31이라 하면
∴ f(x)=(x-1)(xÛ`-x-12) 31Ü`+7_31Û`-17_31+9=xÜ`+7xÛ`-17x+9
=(x-1)(x+3)(x-4) f(x)=xÜ`+7xÛ`-17x+9라 하면

채점요소 배점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k의 값 구하기 30 %
1   1   7   -17   9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 f(x) 인수분해하기 70 %
1   8   -9
1   8   -9   0

181  ④ xÜ`+7xÛ`-17x+9=(x-1)(xÛ`+8x-9)
=(x-1)Û`(x+9)
f(x)=2xÝ`-7xÜ`-6xÛ`+7x+4라 하면 다시 x=31을 대입하면
f(1)=2-7-6+7+4=0, 31Ü`+7_31Û`-17_31+9=30Û`_40  
f(-1)=2+7-6-7+4=0이므로 =3600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2   -7   -6   7   4
2   -5   -11   -4 185  ④

-1   2   -5   -11   -4   0 직육면체 A, B, C, D의 부피는 각각 xÜ`, yÜ`, xyÛ`, xÛ`y이므로
-2   7   4 직육면체 A, B, C, D를 각각 27개, 1개, 9개, 27개 사용하여
2   -7   -4   0 만든 정육면체의 부피는 27xÜ`+yÜ`+9xyÛ`+27xÛ`y이다.
2xÝ`-7xÜ`-6xÛ`+7x+4 이를 인수분해하면
=(x-1)(x+1)(2xÛ`-7x-4) 27xÜ`+27xÛ`y+9xyÛ`+yÜ`
=(x-1)(x+1)(2x+1)(x-4) =(3x)Ü`+3_(3x)Û`_y+3_(3x)_yÛ`+yÜ`
따라서 선지 중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3x+y)Ü`
④ xÛ`+5x+4=(x+1)(x+4)이다. 따라서 구하는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3x+y이다.

34 수학 <상>
186  ③ 189  ③

aÜ`+bÜ`+cÜ`-3abc에서 aÜ`+bÜ`=(a+b)Ü`-3ab(a+b)이므로 1
f(x)=x¡`이라 하면 다항식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2
aÜ`+bÜ`+cÜ`-3abc=( a+b )Ü`-3ab(a+b)+cÜ`-3abc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a+b )Ü`+cÜ`-3ab(a+b+c)
1 1 1
RÁ= f {- }={- }¡`=
이때, (a+b)Ü`+cÜ`={(a+b)+c}{(a+b)Û`-(a+b)c+cÛ`}이므로 2 2 2¡`
1 1
( a+b )Ü`+cÜ`-3ab(a+b+c) 따라서 x¡`={x+ }Q(x)+ 이므로
2 2¡` 다
=( a+b+c ){(a+b)Û`-(a+b)c+cÛ`}-3ab(a+b+c) 항
1 1
x¡`- ={x+ }Q(x) yy ㉠ 식
=( a+b+c )(aÛ`+2ab+bÛ`-ac-bc+cÛ`-3ab) 2¡` 2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a+b+c)( aÛ`+bÛ`+cÛ`-ab-bc-ca )
1 1 1
따라서 X=a+b, Y=a+b+c, x¡`- ={xÝ`+ }{xÝ`- } 
2¡` 2Ý` 2Ý`
Z=aÛ`+bÛ`+cÛ`-ab-bc-ca이므로 1 1 1
={xÝ`+ }{xÛ`+ }{xÛ`- } 
XY+Z=(a+b)(a+b+c)+(aÛ`+bÛ`+cÛ`-ab-bc-ca) 2Ý` 2Û` 2Û`
1 1 1 1
=(a+b)Û`+c(a+b)+(aÛ`+bÛ`+cÛ`-ab-bc-ca) ={xÝ`+ }{xÛ`+ }{x+ }{x- }
2Ý` 2Û` 2 2
=2aÛ`+2bÛ`+cÛ`+ab
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1 1 1
Q(x)={xÝ`+ }{xÛ`+ }{x- }
2Ý` 2Û` 2
187   18 1
따라서 다항식 Q(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xÜ`+8yÜ`+8zÜ`-12xyz=0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xÜ`+(2y)Ü`+(2z)Ü`-3_x_2y_2z 1 1 1 1 1 1 1
Rª=Q{- }={ + }{ + }{- - } 
=(x+2y+2z)(xÛ`+4yÛ`+4zÛ`-2xy-4yz-2zx) 2 2Ý` 2Ý` 2Û` 2Û` 2 2
1 1 1 1
= (x+2y+2z){(x-2y)Û`+(2y-2z)Û`+(2z-x)Û`} = _ _(-1)=-
2 2Ü` 2 2Ý`
Rª 1 1
=0 ∴ ={- }Ö =-2Ý`=-16
RÁ 2Ý` 2¡`
이때, x, y, z는 모두 양수이므로 x+2y+2z+0이다.
따라서 x-2y=0, 2y-2z=0, 2z-x=0에서
x=2y=2z이므로 190  ④
주어진 식에 x=2z, y=z를 대입하면
xÜ`Ú`-1=(x-1)(xÜ`â`+xÛ`á`+xÛ`¡`+y+x+1)이므로
4zÛ` 2xy 3xÛ` 4zÛ` 4zÛ` 12zÛ`
+ + = + +  다항식 xÜ`Ú`-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xy yÛ` yz 2zÛ` zÛ` zÛ`
=2+4+12=18 Q(x)=xÜ`â`+xÛ`á`+y+x+1이다.
∴ Q(1)=31

188  ④ 191   450

aÜ`-bÜ`=(a-b)(aÛ`+ab+bÛ`)이고 다항식 xÞ`â`-1을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bÜ`-cÜ`=(b-c)(bÛ`+bc+cÛ`)이므로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aÜ`-bÜ` a-b xÞ`â`-1=(x-1)Û`Q(x)+ax+b yy ㉠
= 에서
bÜ`-cÜ` b-c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a+b   ∴ b=-a yy ㉡
(a-b)(aÛ`+ab+bÛ`) a-b ㉡을 ㉠에 대입하면
=
(b-c)(bÛ`+bc+cÛ`) b-c
xÞ`â`-1=(x-1)Û`Q(x)+a(x-1)
aÛ`+ab+bÛ
`=1 (∵ a+b, b+c) =(x-1){(x-1)Q(x)+a}
bÛ`+bc+cÛ`
aÛ`+ab+bÛ`=bÛ`+bc+cÛ` 이때, xÞ`â`-1=(x-1)(xÝ`á`+xÝ`¡`+xÝ`à`+y+x+1)이므로
aÛ`-cÛ`+b(a-c)=0, (a-c)(a+b+c)=0 (x-1)(xÝ`á`+xÝ`¡`+xÝ`à`+y+x+1)=(x-1){(x-1)Q(x)+a}
따라서 a+b+c=0 (∵ a+c)이므로 양변을 x-1로 나누면
aÜ`+bÜ`+cÜ`=(a+b+c)(aÛ`+bÛ`+cÛ`-ab-bc-ca)+3abc xÝ`á`+xÝ`¡`+xÝ`à`+y+x+1=(x-1)Q(x)+a
=3abc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Ü`+bÜ`+cÜ` 3abc a=50, b=-50 (∵ ㉡)에서 R(x)=50x-50이다.
∴ = =3
abc abc ∴ R(10)=450

Ⅰ. 다항식 35
192  ④ 194   46

(x+2)(x+4)(x+6)(x+8)+k (x-3)Ý`-5(x-3)Û`+4에서 (x-3)Û`=X라 하면


={(x+2)(x+8)}{(x+4)(x+6)}+k (x-3)Ý`-5(x-3)Û`+4=XÛ`-5X+4=(X-1)(X-4)
=(xÛ`+10x+16)(xÛ`+10x+24)+k ={(x-3)Û`-1Û`}{(x-3)Û`-2Û`}
xÛ`+10x+16=X라 하면 yy TIP ={(x-4)(x-2)}{(x-5)(x-1)}
(xÛ`+10x+16)(xÛ`+10x+24)+k=X(X+8)+k =(x-1)(x-2)(x-4)(x-5)
=XÛ`+8X+k ∴ aÛ`+bÛ`+cÛ`+dÛ`=1Û`+2Û`+4Û`+5Û`=46
이때, XÛ`+8X+k가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의 꼴로
인수분해되기 위해서는
XÛ`+8X+k=(X+4)Û`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195  ①

k=16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다시 X=xÛ`+10x+16을 대입하면 xÛ`+3xy+2yÛ`-2x-5y+k
(X+4)Û`=(xÛ`+10x+20)Û`이므로 =xÛ`+(3y-2)x+2yÛ`-5y+k yy ㉠
f(x)=xÛ`+10x+20 이 식이 인수분해되므로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2yÛ`-5y+k=(2y+a)(y+b) (a, b는 상수) yy ㉡
라 하면 양변의 y의 계수에서 -5=a+2b yy ㉢
TIP
또한 ㉠에서
xÛ`+10x=X라 하면
xÛ`+(3y-2)x+2yÛ`-5y+k
(xÛ`+10x+16)(xÛ`+10x+24)+k
=xÛ`+(3y-2)x+(2y+a)(y+b)
=(X+16)(X+24)+k=XÛ`+40X+384+k
  x 2y+a
이때, XÛ`+40X+384+k=(X+20)Û`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384+k=400에서 k=16임을 구할 수도 있으나   x y+b
본풀이와 같이 xÛ`+10x+16=X라 하면 큰 수의 곱셈 없이 =(x+2y+a)(x+y+b)
좀 더 간단하게 풀 수 있다. 의 양변의 x의 계수에서
3y-2=(2y+a)+(y+b)=3y+a+b
이므로 -2=a+b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193   72 ∴ k=ab=-3 (∵ ㉡)

xÝ`+(n-1)xÜ`+nxÛ`+(n-1)x+1

=xÛ`[xÛ`+(n-1)x+n+(n-1)
1 1
+ ]
196  ⑤
x xÛ`
ㄱ. aÛ`+bÛ`+cÛ`-2ab-2bc+2ca=(a-b+c)Û`
1 1
=xÛ`[{xÛ`+ }+(n-1){x+ }+n] ㄴ. (a+b)(b+c)(c+a)+abc
‌
xÛ` x

=xÛ` °[{x+ }Û`-2]+(n-1){x+ }+n¤


1 1 =(ab+ac+bÛ`+bc)(c+a)+abc
x x =abc+acÛ`+bÛ`c+bcÛ`+aÛ`b+aÛ`c+abÛ`+abc+abc
1 Û` 1
=xÛ`[{x+ } +(n-1){x+ }+n-2] 이 식을 a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 x
(b+c)aÛ`+(bÛ`+3bc+cÛ`)a+bc(b+c)
1
이때, x+ =X라 하면 a b+c
x
1 Û` 1
xÛ`[{x+ } +(n-1){x+ }+n-2] (b+c)a bc
x x
={a+(b+c)}{(b+c)a+bc}
=xÛ`{XÛ`+(n-1)X+n-2}
=(a+b+c)(ab+bc+ca)
=xÛ`(X+n-2)(X+1)
ㄷ. ‌주어진 식을 a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1 1
=xÛ`{x+ +n-2}{x+ +1} aÛ`(b+c)-bÛ`(a-c)+cÛ`(a-b)-abc
x x
={xÛ`+(n-2)x+1}(xÛ`+x+1) =(b+c)aÛ`-(bÛ`+bc-cÛ`)a+bc(b-c)
k+1이므로 k=n-2에서 n=k+2 a -(b-c)
즉, f(k)=k+2이다. (b+c)a -bc
∴ ‌f(2)+ f(3)+y+ f(10) ={a-(b-c)}{(b+c)a-bc}
=4+5+6+7+8+9+10+11+12 =(a-b+c)(ab-bc+ca)
=72 따라서 a-b+c를 인수로 갖는 것은 ㄱ, ㄷ이다.

36 수학 <상>
197  ④ -1   4   0   -11   -9   -2
-4   4   7   2
다항식 f(x)가 x+a를 인수로 가지므로 2   4   -4   -7   -2   0
인수정리에 의하여 8   8   2
f(-a)=(-a)Ü`+(a+1)(-a)Û`-5_(-a)-a+4 4   4   1   0
=aÛ`+4a+4=(a+2)Û`=0 4xÝ`-11xÛ`-9x-2=(x+1)(x-2)(4xÛ`+4x+1)
∴ a=-2 =(x+1)(x-2)(2x+1)Û`
따라서 f(x)=xÜ`-xÛ`-5x+6, f(2)=0이므로 따라서 ax+b=2x+1이므로 ㉠에서 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항
f(x)=(x+1)(2x+1), g(x)=(x-2)(2x+1)이다. 식
2   1   -1   -5   6 ∴ f(2)-g(3)=15-7=8
2   2   -6
1   1   -3   0
∴ f(x)=xÜ`-xÛ`-5x+6=(x-2)(xÛ`+x-3) 200  ②

따라서 선지 중 f(x)의 인수인 것은 ④이다. x+2=t라 하면


(x+2)Ü`-3(x+2)Û`-6x-4
=(x+2)Ü`-3(x+2)Û`-6(x+2)+8
=tÜ`-3tÛ`-6t+8
198   26
이때, f(t)=tÜ`-3tÛ`-6t+8이라 하면
xÝ`+xÜ`-5xÛ`+3x=x(xÜ`+xÛ`-5x+3)에서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P(x)=xÜ`+xÛ`-5x+3이라 하면 1   1   -3   -6   8
P(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2   -8
1   1   1   -5   3 1   -2   -8   0
1   2   -3 tÜ`-3tÛ`-6t+8=(t-1)(tÛ`-2t-8)
1   2   -3   0 =(t-1)(t+2)(t-4)
xÝ`+xÜ`-5xÛ`+3x=x(xÜ`+xÛ`-5x+3) =(x+1)(x+4)(x-2) (∵ t=x+2)
=x(x-1)(xÛ`+2x-3) 따라서 a=-2, b=1, c=4이다.
=x(x-1)Û`(x+3) ∴ a+2b+3c=12
이때, f(1)>0이므로 이차식 f(x)는 x-1을 인수로
가질 수 없다.
따라서 f(x)=x(x+3), g(x)=(x-1)Û`이다.
201  5

∴ f(2)+g(5)=10+16=26 다항식 xÝ`+axÛ`+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다항식 xÝ`+axÛ`+b는 x-1로 나누어떨어진다.
f(x)=xÝ`+axÛ`+b라 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f(1)=1+a+b=0에서 b=-a-1
199  ③ f(x)=xÝ`+axÛ`-a-1
=(xÛ`+a+1)(xÛ`-1)
조건 ㈎에서 x에 대한 항등식
=(xÛ`+a+1)(x+1)(x-1)
(x-2) f(x)=(x+1)g(x)의 양변에
이때, f(x)가 (x-1)Û`을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x=-1을 대입하면 f(-1)=0,
xÛ`+a+1이 x-1을 인수로 가져야 한다.
x=2를 대입하면 g(2)=0이므로
따라서 g(x)=xÛ`+a+1이라 하면
다항식 f(x)는 x+1을 인수로 갖고,
인수정리에 의하여 g(1)=1+a+1=0이므로
다항식 g(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a=-2, b=1
또한 두 이차식 f(x), g(x)는 같은 일차식을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 aÛ`+bÛ`=5
f(x)=(x+1)(ax+b), g(x)=(x-2)(ax+b) (a, b는 실수)
다른 풀이
 yy ㉠
따라서 조건 ㈏에서 다항식 xÝ`+axÛ`+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f(x)g(x)=4xÝ`-11xÛ`-9x-2 다항식 xÝ`+axÛ`+b는 x-1로 나누어떨어진다.
=(x+1)(x-2)(ax+b)Û` 그 때의 몫을 Q(x)라 하면
P(x)=4xÝ`-11xÛ`-9x-2라 하면 xÝ`+axÛ`+b=(x-1)Q(x)
P(-1)=0, P(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이때, 다항식 xÝ`+axÛ`+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Ⅰ. 다항식 37
다항식 Q(x)도 x-1로 나누어떨어진다. 또한 분모를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이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xÜ`-5xÛ`+4x=x(xÛ`-5x+4)
1   1   0   a       0   b =x(x-4)(x-1)
1   1       a+1   a+1 xÜ`-5xÛ`+5x-1 (x-1)(xÛ`-4x+1)
∴ =
1   1   1   a+1   a+1   a+b+1=0 xÜ`-5xÛ`+4x x(x-4)(x-1)
1   2       a+3 xÛ`-4x+1 3
= = (∵ ㉠)
xÛ`-4x 2
1   2   a+3   2a+4=0
다른 풀이
2a+4=0에서 a=-2이므로 a+b+1=0에서 b=1
x=2+'6에서 x-2='6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 aÛ`+bÛ`=5
xÛ`-4x+4=6   ∴ xÛ`-4x-2=0
xÜ`-5xÛ`+5x-1
의 분자와 분모를 각각 xÛ`-4x-2로 나누었을
202   240 xÜ`-5xÛ`+4x
때의 몫은 모두 x-1이고, 나머지는 각각 3x-3, 2x-2이므로
x=19, y=11이라 하면
xÜ`-5xÛ`+5x-1 (xÛ`-4x-2)(x-1)+3x-3
19ß`-11ß` xß`-yß = 
= xÜ`-5xÛ`+4x (xÛ`-4x-2)(x-1)+2x-2
19Ý`+19Û`_11Û`+11Ý` xÝ`+xÛ`yÛ`+yÝ` 0+3(x-1)
= (∵ xÛ`-4x-2=0)
(xÛ`-yÛ`)(xÝ`+xÛ`yÛ`+yÝ`) 0+2(x-1)
=
xÝ`+xÛ`yÛ`+yÝ` 3
=
=xÛ`-yÛ` 2
=(x-y)(x+y)
=(19-11)_(19+11)
=240
205  8

x=1234라 하면
1234Ü`-1234Û`-3_1234+2 xÜ`-xÛ`-3x+2
203  ④ 1234Û`+1233
=
xÛ`+x-1
 yy ㉠

이때, 분자를 f(x)=xÜ`-xÛ`-3x+2라 하면


x=90이라 하면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90Ý`+90Û`+1 xÝ`+xÛ`+1
=  2   1   -1   -3   2
90_91+1 x(x+1)+1
(xÛ`-x+1)(xÛ`+x+1) 2   2   -2
= yy TIP
xÛ`+x+1 1   1   -1   0
=xÛ`-x+1
f(x)=(x-2)(xÛ`+x-1)
=90Û`-90+1=8011
㉠에서
TIP xÜ`-xÛ`-3x+2 (x-2)(xÛ`+x-1)
= 
xÛ`+x-1 xÛ`+x-1
xÝ`+xÛ`+1
=x-2
=(xÝ`+2xÛ`+1)-xÛ`=(xÛ`+1)Û`-xÛ`
=1234-2=1232
={(xÛ`+1)-x}{(xÛ`+1)+x}
따라서 구하는 합은 1+2+3+2=8이다.
=(xÛ`-x+1)(xÛ`+x+1)

206  ④
204  ②
2Ú`Û`-1=(2ß`+1)(2ß`-1)
x=2+'6에서 x-2='6이므로 =(2ß`+1)(2Ü`+1)(2Ü`-1)
양변을 제곱하면 xÛ`-4x+4=6 =(2ß`+1)(2Ü`+1)(2-1)(2Û`+2+1)
∴ xÛ`-4x=2 yy ㉠ =65_9_7
xÜ`-5xÛ`+5x-1 =3Û`_5_7_13
이때, 에서
xÜ`-5xÛ`+4x 따라서 2Ú`Û`-1을 나누어떨어지도록 하는 3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분자를 f(x)=xÜ`-5xÛ`+5x-1이라 하면 자연수는 5_7=35, 3_13=39이므로 그 합은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35+39=74
1   1   -5   5   -1
1   -4   1
1   -4   1   0 207   풀이 참조

f(x)=(x-1)(xÛ`-4x+1) 주어진 식의 좌변을 c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38 수학 <상>
aÜ`-aÛ`b+abÛ`-acÛ`+bcÛ`-bÜ`
=-(a-b)cÛ`+aÜ`-bÜ`-aÛ`b+abÛ`
210  ⑤

=-(a-b)cÛ`+(a-b)(aÛ`+ab+bÛ`)-ab(a-b) 부피가 (xÜ`+3xÛ`-9x+5)p인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a-b)(-cÛ`+aÛ`+bÛ`) r(x), 높이를 h(x)라 하면
에서 a=b 또는 aÛ`+bÛ`=cÛ`이다. (xÜ`+3xÛ`-9x+5)p=p{r(x)}Û`h(x)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a=b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 xÜ`+3xÛ`-9x+5={r(x)}Û`h(x) yy ㉠
c인 직각삼각형이다. 이때, f(x)=xÜ`+3xÛ`-9x+5라 하면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다
채점 요소 배점
1   1   3   -9   5 항
다항식 aÜ`-aÛ`b+abÛ`-acÛ`+bcÛ`-bÜ`을 인수분해하기 50 % 식
1   4   -5
a=b 또는 aÛ`+bÛ`=cÛ`임을 구하기 20 %
1   4   -5   0
a=b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임을 구하기 30 %
xÜ`+3xÛ`-9x+5=(x-1)(xÛ`+4x-5)
=(x-1)(x-1)(x+5)
=(x-1)Û`(x+5)
208  ③
㉠에서 r(x)=x-1, h(x)=x+5
ab(a+b)=bc(b+c)+ca(c-a)에서 따라서 구하는 원기둥의 겉넓이는
ab(a+b)-bc(b+c)-ca(c-a)=0이므로 2_p(x-1)Û`+2p(x-1)_(x+5)
좌변을 전개하여 a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2p(x-1){(x-1)+(x+5)}
ab(a+b)-bc(b+c)-ca(c-a) =2p(x-1)(2x+4)
=aÛ`b+abÛ`-bÛ`c-bcÛ`-cÛ`a+caÛ` =4p(x-1)(x+2)
=(b+c)aÛ`+(bÛ`-cÛ`)a-bc(b+c)
=(b+c){aÛ`+(b-c)a-bc}
a b

a -c
211  ①

=(b+c)(a+b)(a-c) 한 모서리의 길이가 x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xÜ`이고,


=0 [그림 1]에서 높이 방향으로 구멍을 뚫은 부분은
이때, a+b+0, b+c+0이므로 (∵ a>0, b>0, c>0)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y, y, x인 직육면체 모양이므로
a-c=0에서 a=c이다. 그 부피는 y_y_x=xyÛ`이다.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a=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마찬가지로 [그림 2]에서 각 면에 뚫은 구멍의 부피도 모두 xyÛ`이다.
이때, 뚫은 세 개의 구멍에서 겹치는 부분은
한 모서리의 길이가 y인 정육면체 모양이므로 그 부피는 yÜ`이다.

209  ③ 따라서 구하는 [그림 2]의 입체의 부피는


xÜ`-3xyÛ`+2yÜ`=xÜ`-yÜ`-3xyÛ`+3yÜ`  yy TIP
제 1 관의 세로의 길이가 x+3이고
=(x-y)(xÛ`+xy+yÛ`)-3yÛ`(x-y)
넓이는 xÛ`+7x+12=(x+3)(x+4)이므로
=(x-y)(xÛ`+xy-2yÛ`)
제 1 관의 가로의 길이는 x+4이다.
=(x-y)(x-y)(x+2y)
따라서 제 2 관의 가로의 길이가 x+4이고
=(x-y)Û`(x+2y)
넓이는 xÛ`+5x+4=(x+4)(x+1)이므로
다른 풀이
제 2 관의 세로의 길이는 x+1이다.
따라서 제 3 관의 세로의 길이가 x+1이고 본 풀이에서 구한 [그림 2]의 입체의 부피 xÜ`-3xyÛ`+2yÜ`을
넓이는 xÜ`+4xÛ`+11x+8이다.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할 수도 있다.
f(x)=xÜ`+4xÛ`+11x+8이라 하면 f(-1)=0이므로 xÜ`-3xyÛ`+2yÜ`을 x에 대한 식으로 보자.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f(x)=xÜ`-3yÛ`x+2yÜ`이라 하면
-1   1   4   11   8 f(y)=yÜ`-3yÜ`+2yÜ`=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3   -8 y   1   0   -3yÛ`   2yÜ`
1   3   8   0 y  yÛ`   -2yÜ`
1   y   -2yÛ`   0
xÜ`+4xÛ`+11x+8=(x+1)(xÛ`+3x+8)
따라서 제 3 관의 가로의 길이는 xÛ`+3x+8이므로 xÜ`-3xyÛ`+2yÜ`=(x-y)(xÛ`+xy-2yÛ`)
a=3, b=8이다. =(x-y)(x-y)(x+2y)
∴ ab=24 =(x-y)Û`(x+2y)

Ⅰ. 다항식 39
인수분해되어야 하고, pqr=3이어야 하므로
TIP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부피가 xÜ`인 정육면체에서
Ú (x+1)(x+1)(x+3)으로 인수분해되는 경우
부피가 xyÛ`인 3개의 직육면체의 부피를 빼면
(x+1)Û`(x+3)=xÜ`+5xÛ`+7x+3에서
부피가 yÜ`인 정육면체의 부피가 3번 빠진다.
a=5, b=7이므로
따라서 [그림 2]의 입체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선
a+b=12
부피가 yÜ`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2번 더해야 한다.
Û (x+1)(x-1)(x-3)으로 인수분해되는 경우
따라서 [그림 2]의 입체의 부피는
(x+1)(x-1)(x-3)=xÜ`-3xÛ`-x+3에서
xÜ`-3_xyÛ`+2_yÛ`=xÜ`-3xyÛ`+2yÜ`이다.
a=-3, b=-1이므로
a+b=-4
Ü (x-1)(x-1)(x+3)으로 인수분해되는 경우
212   30 (x-1)Û`(x+3)=xÜ`+xÛ`-5x+3에서
a=1, b=-5이므로
f(x)=xÛ`+2x-n이 (x-a)(x+b)로 인수분해되면
a+b=-4
xÛ`+2x-n=(x-a)(x+b)
Ú〜Ü에서 a+b의 최댓값은 M=12, 최솟값은 m=-4이므로
=xÛ`+(b-a)x-ab
M+m=8
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b-a=2, n=ab이다.
즉, n=a(a+2)É1000이고,
a=30이면 a(a+2)=30_32=960<1000 215  ①
a=31이면 a(a+2)=31_33=1023>1000
다항식 xÜ`+3xÛ`-7x+2를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는 a=1, 2, 3, y, 30이다.
A(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
따라서 구하는 다항식 f(x)의 개수는 30이다.
B(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그때의 나머지가 모두 2x-3이므로
213   풀이 참조 xÜ`+3xÛ`-7x+2=A(x)QÁ(x)+2x-3
xÜ`+3xÛ`-7x+2=B(x)Qª(x)+2x-3
⑴ ‌자연수 n부터 연속하는 네 자연수의 곱에 1을 더한 수를 식으로
각 식의 양변에서 2x-3을 빼면
나타내면 n(n+1)(n+2)(n+3)+1이다.
xÜ`+3xÛ`-9x+5=A(x)QÁ(x)
이를 인수분해하면
xÜ`+3xÛ`-9x+5=B(x)Qª(x)
n(n+1)(n+2)(n+3)+1
즉, A(x), B(x)는 xÜ`+3xÛ`-9x+5의 인수이다.
={n(n+3)}{(n+1)(n+2)}+1
f(x)=xÜ`+3xÛ`-9x+5라 하면 f(1)=0이므로
=(nÛ`+3n)(nÛ`+3n+2)+1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nÛ`+3n=X라 하면
1   1   3   -9   5
(nÛ`+3n)(nÛ`+3n+2)+1
1   4   -5
=X(X+2)+1=(X+1)Û`=(nÛ`+3n+1)Û`
1   4   -5   0
이때, nÛ`+3n+1은 자연수이므로
모든 연속하는 네 자연수의 곱에 1을 더한 수는 xÜ`+3xÛ`-9x+5=(x-1)(xÛ`+4x-5)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 된다. =(x-1)Û`(x+5)
⑵ ‌⑴에서 n(n+1)(n+2)(n+3)+1=(nÛ`+3n+1)Û`이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이차식 A(x), B(x)는
성립하므로 n=11일 때 (x-1)Û`, (x-1)(x+5)이다.
'Ä11_12_13_14+1 ="Ã(11Û`+3_11+1)Û` ∴ A(x)+B(x)=(x-1)Û`+(x-1)(x+5)
=121+33+1=155 =2(x-1)(x+2)
따라서 다항식 A(x)+B(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채점 요소 배점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A(-1)+B(-1)=-4이다.
n(n+1)(n+2)(n+3)+1로 식 세우기 30 %
(nÛ`+3n+1)Û`으로 인수분해하기 50 %
'Ä11_12_13_14+1 의 값 구하기 20 % 216  ②

세 다항식 A, B, C가 각각 모두 xÛ`+cx+d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모두 xÛ`+cx+d를 인수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214  8
A=xÝ`-10xÛ`+9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다항식 xÜ`+axÛ`+bx+3이 =(xÛ`-1)(xÛ`-9)
xÜ`+axÛ`+bx+3=(x+p)(x+q)(x+r) (p, q, r는 정수)와 같이 =(x+1)(x-1)(x+3)(x-3)

40 수학 <상>
다항식 B= f(x)라 하면 f(1)=0, f(-1)=0이므로 TIP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2aÛ`+2bÛ`+2cÛ`-2ab-2bc-2ca
1   1   5   5   -5   -6 =(aÛ`-2ab+bÛ`)+(bÛ`-2bc+cÛ`)+(cÛ`-2ca+aÛ`)
1   6      11       6 =(a-b)Û`+(b-c)Û`+(c-a)Û`
-1   1   6      11   6         0 이므로 a=x-1, b=x+2, c=x+4를 대입하여 생각하면
-1   -5   -6 해설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1   5   6   0
B=(x-1)(x+1)(xÛ`+5x+6) 다

218

=(x-1)(x+1)(x+2)(x+3)  ② 식
그러므로 두 다항식 A, B가 모두 (x+1)(x-1)(x+3)을 인수로
칠판의 오른쪽이 3`cm가 남으므로
가지므로 다항식 C도 x+1, x-1, x+3 중에서 적어도 2개를
nÜ`+anÛ`+8n+7-3=nÜ`+anÛ`+8n+4가 n+2로 나누어떨어진다.
인수로 가져야 한다.
f(n)=nÜ`+anÛ`+8n+4라 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이때, C=g(x)라 하면 g(-1)=-48+0이므로
f(-2)=-8+4a-16+4=0에서 a=5
인수정리에 의하여 다항식 C는 x+1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따라서 f(n)=nÜ`+5nÛ`+8n+4, f(-2)=0이므로
따라서 다항식 C는 x-1, x+3을 모두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2   1   5   8   4
g(1)=2(1+a)-2(1+b)-48=0
-2   -6   -4
2a-2b-48=0에서 a-b=24 yy ㉠
1   3   2   0
g(-3)=6(9+a)+2(9+b)-48=0
6a+2b+24=0에서 3a+b=-12 yy ㉡ nÜ`+5nÛ`+8n+4=(n+2)(nÛ`+3n+2)
㉠, ㉡을 연립하여 풀면 =(n+2)Û`(n+1)
a=3, b=-21 따라서 칠판의 가로 방향으로 붙인 사진의 개수는
세 다항식 A, B, C는 모두 (x-1)(x+3)=xÛ`+2x-3을 인수로 (n+2)(n+1) yy ㉠
가지므로 또한 칠판의 아래쪽이 1`cm가 남으므로
c=2, d=-3 nÜ`+6nÛ`+bn+7-1=nÜ`+6nÛ`+bn+6이 n+2로 나누어떨어진다.
∴ a+b+c+d=3+(-21)+2+(-3)=-19 g(n)=nÜ`+6nÛ`+bn+6이라 하면 인수정리에 의하여
g(-2)=-8+24-2b+6=0에서 b=11
따라서 g(n)=nÜ`+6nÛ`+11n+6, g(-2)=0이므로

217   38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2   1   6   11   6
나무토막의 부피를 V(x)=xÜ`+5xÛ`+2x-8이라 하면 -2   -8   -6
V(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4   3   0
1   1   5   2   -8 nÜ`+6nÛ`+11n+6=(n+2)(nÛ`+4n+3)
1   6   8 =(n+2)(n+1)(n+3)
1   6   8   0 따라서 칠판의 세로 방향으로 붙인 사진의 개수는
xÜ`+5xÛ`+2x-8=(x-1)(xÛ`+6x+8) (n+1)(n+3) yy ㉡
=(x-1)(x+2)(x+4) ㉠, ㉡에 의하여 칠판에 붙인 모든 사진의 개수는
따라서 이 나무토막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는 (n+2)(n+1)_(n+1)(n+3)=(n+1)Û`(n+2)(n+3)이다.
x-1, x+2, x+4이다.
선분 BH의 길이 kÁ은
kÁ="Ã(x-1)Û`+(x+2)Û`+(x+4)Û` 이므로 219  ②

2(kÁ)Û`=2{(x-1)Û`+(x+2)Û`+(x+4)Û`} aÜ`+bÜ`-cÜ`-(b-c)aÛ`-(c+a)bÛ`-(a-b)cÛ`
나무토막의 겉넓이 kª는 =(aÜ`-abÛ`-acÛ`)+(bÜ`-baÛ`+bcÛ`)+(-cÜ`+caÛ`-cbÛ`)
kª=2{(x-1)(x+2)+(x+2)(x+4)+(x+4)(x-1)} =a(aÛ`-bÛ`-cÛ`)-b(aÛ`-bÛ`-cÛ`)+c(aÛ`-bÛ`-cÛ`)
∴ 2 (kÁ)Û`-kª =(a-b+c)(aÛ`-bÛ`-cÛ`)=0 yy ㉠
=2(x-1)Û`+2(x+2)Û`+2(x+4)Û` 이때, 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
    -2(x-1)(x+2)-2(x+2)(x+4)-2(x+4)(x-1) 으므로 b<a+c이다.
={(x-1)-(x+2)}Û`+{(x+2)-(x+4)}Û` 따라서 a-b+c>0에서 a-b+c+0이므로
           +{(x+4)-(x-1)}Û` yy TIP ㉠에서 aÛ`-bÛ`-cÛ`=0, aÛ`=bÛ`+cÛ`이다.
=(-3)Û`+(-2)Û`+5Û`=38 즉, 주어진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이다.

Ⅰ. 다항식 41
따라서 이 삼각형의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가 b, c이므로 Ú aÛ`+3a+3=1인 경우
1 aÛ`+3a+2=0, (a+2)(a+1)=0에서
넓이는 bc이다.
2 a=-2 또는 a=-1이므로 a가 자연수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Û aÛ`-3a+3=1인 경우
aÛ`-3a+2=0, (a-1)(a-2)=0에서
220  ⑤
a=1 또는 a=2이고 ㉠에 각각 대입하면
1 1 N=7 또는 N=13
xÝ`+2axÜ`+bxÛ`+2ax+1=xÛ`[{xÛ`+ }+2a{x+ }+b] 
xÛ` x Ú, Û에서 가능한 소수 N의 값의 합은 7+13=20이다.
1 1
=xÛ`[{x+ }Û`+2a{x+ }+b-2]
x x
ㄱ. a=2,
‌ b=6인 경우 222  ⑤
1 Û` 1 1
xÛ`[{x+ } +4{x+ }+4]=xÛ`{x+ +2}Û` xÛ`=t라 하면 xÝ`-axÛ`+36=tÛ`-at+36
x x x
=(xÛ`+2x+1)Û` 이 식을 계수가 모두 정수인 t에 대한 두 일차식으로 인수분해할 수
=(x+1)Ý` 있는 경우는
이므로 N(2, 6)=4 tÛ`-at+36=(t-1)(t-36)
a=0, b=-2인 경우 tÛ`-at+36=(t-2)(t-18)
1 Û` 1 1 tÛ`-at+36=(t-3)(t-12)
xÛ`[{x+ } -4]=xÛ`{x+ +2}{x+ -2} 
x x x tÛ`-at+36=(t-4)(t-9)
=(xÛ`+2x+1)(xÛ`-2x+1) tÛ`-at+36=(t-6)Û`
=(x+1)Û`(x-1)Û` 의 5개이다. (∵ a>0이므로 자연수 m, n에 대하여
이므로 N(0, -2)=4 (t+m)(t+n)으로 인수분해할 수 없다.)
∴ N(2, 6)+N(0, -2)=8 (거짓) 이때, (t-m)(t-n)=(xÛ`-m)(xÛ`-n)에서
ㄴ. a=k,
‌ b=2인 경우 x에 대한 각 이차식이 계수가 모두 정수인 두 일차식으로
1 1 1 1
xÛ`[{x+ }Û`+2k{x+ }]=xÛ`{x+ }{x+ +2k}  인수분해되려면 m, n이 각각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 되어야 한다.
x x x x
따라서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xÛ`+1)(xÛ`+2kx+1)
(t-1)(t-36)=(xÛ`-1)(xÛ`-36)
이므로 N(k, 2)=2를 만족시키려면 xÛ`+2kx+1이 계수가
=(x+1)(x-1)(x-6)(x+6)
모두 정수인 일차식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한다.
=xÝ`-37xÛ`+36
따라서 k=1 또는 k=-1이다. (참) yy TIP
(t-4)(t-9)=(xÛ`-4)(xÛ`-9)
ㄷ. b=aÛ
‌ `+2이면 
=(x+2)(x-2)(x+3)(x-3)
1 Û` 1 1
xÛ`[{x+ } +2a{x+ }+aÛ`]=xÛ`{x+ +a}Û` =xÝ`-13xÛ`+36
x x x
=(xÛ`+ax+1)Û` 따라서 양수 a가 될 수 있는 값은 37 또는 13이므로
그러므로 N(a, b)=4를 만족시키려면 그 합은 37+13=50이다.
a=2 또는 a=-2이므로 모든 a의 값의 곱은 -4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223   40
TIP
nÝ`+2nÛ`-3=(nÛ`-1)(nÛ`+3)
xÛ`+2kx+1의 상수항이 1이므로 =(n-1)(n+1)(nÛ`+3)
xÛ`+2kx+1=(x+1)Û` 또는 xÛ`+2kx+1=(x-1)Û`으로 =(n-1)(nÜ`+nÛ`+3n+3)
인수분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x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n-1){(n-2)(nÛ`+3n+9)+21}
k=1 또는 k=-1이다. =(n-1)(n-2)(nÛ`+3n+9)+21(n-1) yy ㉠
(n-1)(n-2)(nÛ`+3n+9)는 (n-1)(n-2)의 배수이므로
㉠이 (n-1)(n-2)의 배수가 되기 위해서는

221   20 21(n-1)이 (n-1)(n-2)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즉, n-2가 21의 약수이어야 한다.
N=aÝ`-3aÛ`+9 이때, 21의 약수는 1, 3, 7, 21이므로
={(aÛ`)Û`+6aÛ`+9}-9aÛ` n-2=21일 때, n=23
=(aÛ`+3)Û`-(3a)Û` n-2=7일 때, n=9
=(aÛ`+3a+3)(aÛ`-3a+3) yy ㉠ n-2=3일 때, n=5
이때, N이 소수이므로 aÛ`+3a+3=1 또는 aÛ`-3a+3=1이다. n-2=1일 때, n=3

42 수학 <상>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즉, x+y+z=6, xy+yz+zx=82
23+9+5+3=40이다. 또는 x+y+z=12, xy+yz+zx=41이다.
그런데 x+y+z=6인 경우, 즉 x, y, z가 각각 1, 2, 3이면
xy+yz+zx=1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24  ③ 따라서 구하는 값은 x+y+z=12이다. yy 참고
다른 풀이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yÛ`-ax-by-2=xÛ`-ax-(yÛ`+by+2) yy ㉠ xy(x+y)+yz(y+z)+zx(z+x)+3xyz=492

이 식이 계수가 정수인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의 좌변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항
(y+z)xÛ`+(yÛ`+3yz+zÛ`)x+yz(y+z) 식
인수분해되려면 x에 대한 다항식 ㉠의 상수항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y+z)xÛ`+{(y+z)Û`+yz}x+yz(y+z)
Ú yÛ`+by+2=(y+1)(y+2)=yÛ`+3y+2인 경우 x y+z
y의 계수를 비교하면 b=3이다.
(y+z)x yz
이때, ㉠에서
=(x+y+z){(y+z)x+yz}
xÛ`-ax-(y+1)(y+2)={x-(y+1)}{x+(y+2)}
=(x+y+z)(xy+yz+zx)
=xÛ`+x-(y+1)(y+2)
이후 풀이는 본풀이와 동일하다.
인 경우 x의 계수를 비교하면 a=-1이고,
xÛ`-ax-(y+1)(y+2)={x+(y+1)}{x-(y+2)} 참고

=xÛ`-x-(y+1)(y+2) x<y<z라 하면 x+y+z=12, xy+yz+zx=41을 만족시키는


인 경우 x의 계수를 비교하면 a=1이다. 자연수 x, y, z의 값은
Û yÛ`+by+2=(y-1)(y-2)=yÛ`-3y+2인 경우 x=1, y=5, z=6 또는 x=2, y=3, z=7이 있다.
y의 계수를 비교하면 b=-3이다.
이때, ㉠에서
xÛ`-ax-(y-1)(y-2)={x-(y-1)}{x+(y-2)} 226  ④
=xÛ`-x-(y-1)(y-2)
xÜ`+yÜ`+zÜ`=3xyz yy ㉠
인 경우 x의 계수를 비교하면 a=1이고,
에서
xÛ`-ax-(y-1)(y-2)={x+(y-1)}{x-(y-2)}
xÜ`+yÜ`+zÜ`-3xyz
=xÛ`+x-(y-1)(y-2)
=(x+y+z)(xÛ`+yÛ`+zÛ`-xy-yz-zx)
인 경우 x의 계수를 비교하면 a=-1이다.
1
Ú, Û에서 가능한 a+b의 값은 = (x+y+z){(x-y)Û`+(y-z)Û`+(z-x)Û`}=0
2
a=-1, b=3에서 a+b=2 이므로 x+y+z=0 또는 x=y=z이다.
a=1, b=3에서 a+b=4 Ú x+y+z=0인 경우
a=1, b=-3에서 a+b=-2 x=-y-z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a=-1, b=-3에서 a+b=-4 xÛ`=yÛ`+2yz+zÛ`에서 yÛ`+zÛ`-xÛ`=-2yz
따라서 선지 중 a+b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③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zÛ`+xÛ`-yÛ`=-2zx, xÛ`+yÛ`-zÛ`=-2xy이므로
2xÛ` 2yÛ` 2zÛ`
225   12 + +
yÛ`+zÛ`-xÛ` zÛ`+xÛ`-yÛ` xÛ`+yÛ`-zÛ`
2xÛ` 2yÛ` 2zÛ`
xy(x+y)+yz(y+z)+zx(z+x)+3xyz=492 =
+ +
-2yz -2zx -2xy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Ü`+yÜ`+zÜ`
=-
xy(x+y)+yz(y+z)+zx(z+x)+3xyz xyz
=xy(x+y+z-z)+yz(y+z+x-x) 3xyz
=- (∵ ㉠)
xyz
+zx(z+x+y-y)+3xyz
=-3
={xy(x+y+z)-xyz}+{yz(x+y+z)-xyz}
Û x=y=z인 경우
+{zx(x+y+z)-xyz}+3xyz
y=x, z=x를 대입하면
=(x+y+z)(xy+yz+zx)
2xÛ` 2yÛ` 2zÛ`
또한 492를 소인수분해하면 492=2Û`_3_41이므로 + +
yÛ`+zÛ`-xÛ` zÛ`+xÛ`-yÛ` xÛ`+yÛ`-zÛ`
(x+y+z)(xy+yz+zx)=2Û`_3_41 2xÛ` 2xÛ` 2xÛ`
= + + =6
이때, x, y, z는 서로 다른 세 자연수이므로 xÛ` xÛ` xÛ`
x+y+z¾6, x+y+z<xy+yz+zx이다.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값의 합은 (-3)+6=3이다.

Ⅰ. 다항식 43
227  3 TIP
12
P(x )=x +x +1
24 12
  3 이상의 홀수인 자연수 n에 대하여
n n-1 n-2 n-3
={(xÜ`)¡`-1}+{(xÜ`)Ý`-1}+3      x +1=(x+1)(x -x +x -y-x+1)

=(xÜ`-1){(xÜ`)à`+(xÜ`)ß`+(xÜ`)Þ`+y+xÜ`+1} 이 성립한다.

+(xÜ`-1){(xÜ`)Ü`+(xÜ`)Û`+xÜ`+1}+3 [증명]

이때, xÜ`-1=(x-1)(xÛ`+x+1)=(x-1)P(x)이므로 다항식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 n-1 n-2 n-3
xÜ`-1은 P(x)로 나누어떨어진다. x -1=(x-1)(x +x +x +y+x+1) yy ㉠

따라서 다항식 P(x )을 P(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이다.


12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다.
따라서 n이 3 이상의 홀수일 때,
㉠에 x 대신 -x를 대입하면
n n-1 n-2 n-3
-x -1=(-x-1)(x -x +x -y-x+1)
228  ① n
∴ x +1=(x+1)(x
n-1
-x
n-2
+x
n-3
-y-x+1)
27 26 24 23
x +x +x +x +x+3
27 26 25 24 23 25
=x +x +x +x +x -x +x+3
23 25
=x (xÝ`+xÜ`+xÛ`+x+1)-x +x+3
23 25
=x (xÝ`+xÜ`+xÛ`+x+1)-(x -1)+x+2
23
=x (xÝ`+xÜ`+xÛ`+x+1)
20 15 10
      -(xÞ`-1)(x +x +x +xÞ`+1)+x+2 yy TIP
23
=x (xÝ`+xÜ`+xÛ`+x+1)
20 15 10
-(x-1)(xÝ`+xÜ`+xÛ`+x+1)(x +x +x +xÞ`+1)+x+2
23 20 15 10
=(xÝ`+xÜ`+xÛ`+x+1){x -(x-1)(x +x +x +xÞ`+1)}
+x+2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2이다.

TIP
25
x -1에서 xÞ`=t라 하면
25
x -1=tÞ`-1=(t-1)(tÝ`+tÜ`+tÛ`+t+1)이므로
25 20 15 10
x -1=(xÞ`-1)(x +x +x +xÞ`+1)이다.

229  ③
10
f(x)=x -2xÞ`-3이라 하면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2_(-1)-3=0이다.
10
다항식 x -2xÞ`-3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이므로
10
x -2xÞ`-3=(x+1)Q(x) yy ㉠
이때, xÞ`=X라 하면
10
x -2xÞ`-3=XÛ`-2X-3=(X+1)(X-3)
=(xÞ`+1)(xÞ`-3)
=(x+1)(xÝ`-xÜ`+xÛ`-x+1)(xÞ`-3) yy TIP
이를 ㉠에 대입하면
(x+1)(xÝ`-xÜ`+xÛ`-x+1)(xÞ`-3)=(x+1)Q(x)에서
Q(x)=(xÝ`-xÜ`+xÛ`-x+1)(xÞ`-3)
따라서 다항식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Q(-1)={1-(-1)+1-(-1)+1}_(-1-3)
=-20

44 수학 <상>
ⅠⅠ 방정식과 부등식 2aÛ`+bÛ` 2_(-1)+(-1)
ab
=
1
=-3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233  ③

(x-y+5)+(2x+y+1)i=0에서

230  ④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실수부분)=x-y+5=0 yy ㉠
① 허수는 대소 관계가 없으므로 양수, 음수를 판단할 수 없다. (허수부분)=2x+y+1=0 yy ㉡
② 복소수 a+bi (a, b는 실수)에 대하여 b=0이면 실수이다. ㉠+㉡에서 3x+6=0, x=-2
③ 2+3i의 허수부분은 3이다. ㉠에 대입하면 y=3
④ 복소수의 허수부분은 실수이다. ∴ x+y=-2+3=1
⑤ 허수는 실수 a와 0이 아닌 실수 b에 대하여 a+bi 꼴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234  ⑤

(3+i)a-2bi=6-4i에서
3a+(a-2b)i=6-4i이므로
231   ⑴ 5+2i  ⑵ 1  ⑶ -1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⑴ (1+i)Û`+(1+2i)(1-2i)‌=(1+2i+iÛ`)+{1Û`-(2i)Û`} 3a=6, a-2b=-4에서 a=2, b=3

=(1+2i-1)+{1-(-4)} ∴ a+b=2+3=5 등

=5+2i
2 2(1+i) 2(1+i) 2(1+i)
‌= = = =1+i이고

1-i (1-i)(1+i)
(1-i)Û`
1-iÛ` 2 235  6
1-i 1-2i+iÛ`
‌= = (1-i)Û`=1-2i-1=-2i
1+i (1+i)(1-i) 1-iÛ`
1-2i-1 -2i (1+i)Û`=1+2i-1=2i이므로
= = =-i
1-(-1) 2 (1+i)Ý`=(1+i)Û`(1+i)Û`=2i_2i=-4
2 1-i (1-i)Û`-a(1+i)Ý`=-2i-a_(-4)=4a-2i
∴ + =(1+i)+(-i)=1
1-i 1+i
이고 4a-2i=16+bi이므로
1+i (1+i)Û` 1+2i+iÛ`
⑶ ‌= =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i (1-i)(1+i) 1-iÛ`
1+2i-1 2i 4a=16, a=4이고 b=-2
= = =i
1-(-1) 2 ∴ a-b=4-(-2)=6
}2`=iÛ`=-1
1+i
∴{
1-i

236   21

232  ② a
+
b
=
a(1+i)
+
b(1-i)
1-i 1+i (1-i)(1+i) (1+i)(1-i)
1+i (1+i)Û` 1+2i-1 a(1+i) b(1-i)
a= = = =i = +
1-i (1-i)(1+i) 1-(-1) 2 2
1-i (1-i)Û` 1-2i-1 a+b a-b
b= = = =-i 이고 + i=5+2i이므로
1+i (1+i)(1-i) 1-(-1) 2 2
2aÛ`+bÛ` 2iÛ`+(-i)Û`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 = =-3
ab i_(-i) a+b a-b
=5, =2
다른 풀이 2 2
a+b=10, a-b=4에서 a=7, b=3
1+i 1-i
a= , b= 에서 ∴ ab=7_3=21
1-i 1+i

}2`=
1+i 1+2i-1 2i
aÛ`={ = =-1
1-i 1-2i-1 -2i

}2`= 237 
1-i 1-2i-1 -2i ①
bÛ`={ = =-1
1+i 1+2i-1 2i
1+i 1-i aÜ`-aÛ`b-abÛ`+bÜ`‌=aÛ`(a-b)-bÛ`(a-b)
ab= _ =1이므로
1-i 1+i =(aÛ`-bÛ`)(a-b)

Ⅱ.방정식과 부등식 45
=(a+b)(a-b)Û` yy ㉠ 참고
한편, a+b=(1+2i)+(1-2i)=2 복소수 z=a+bi (a, b는 실수)에서 실수부분이 0이고
a-b=(1+2i)-(1-2i)=4i이므로 허수부분은 0이 아닌 경우 z=bi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에 대입하면 복소수를 순허수라 한다.
(a+b)(a-b)Û`=2_(4i)Û`=-32

240   ⑴ a=0, b+0  ⑵ a=b=0  ⑶ a+0, b=0


238  ②
z=a+bi (a, b는 실수)에 대하여
2 2(1-i) zÛ`=(a+bi)Û`=aÛ`-bÛ`+2abi yy ㉠
x= = =1-i
1+i (1+i)(1-i) ⑴ zÛ`<0일 때,
2 2(1+i) ㉠에서 aÛ`-bÛ`+2abi<0이므로
y= = =1+i이므로
1-i (1-i)(1+i)
aÛ`-bÛ`<0이고 2ab=0이어야 한다.
x+y=(1-i)+(1+i)=2
Ú a=0이면 -bÛ`<0이어야 하므로 b+0
xy=(1-i)(1+i)=2
Û b=0이면 aÛ`<0을 만족시키는 실수 a가 존재하지 않는다.
∴ xÜ`+yÜ`‌=(x+y)Ü`-3xy(x+y)
 yy TIP
=2Ü`-3_2_2=-4
Ú, Û에서 a=0이고 b+0이다. 즉, z는 순허수이다.
다른 풀이 ⑵ zÛ`=0일 때,
2 2(1-i) ㉠에서 aÛ`-bÛ`+2abi=0이므로
x= = =1-i
1+i (1+i)(1-i) aÛ`-bÛ`=0이고 2ab=0이어야 한다.
2 2(1+i)
y= = =1+i이므로 따라서 a=b=0이다. 즉, z=0이다.
1-i (1-i)(1+i)
⑶ zÛ`>0일 때,
xÜ`=(1-i)Ü`=1-3i-3+i=-2-2i
㉠에서 aÛ`-bÛ`+2abi>0이므로
yÜ`=(1+i)Ü`=1+3i-3-i=-2+2i
aÛ`-bÛ`>0이고 2ab=0이어야 한다.
∴ xÜ`+yÜ`=(-2-2i)+(-2+2i)=-4
Ú a=0이면 -bÛ`>0을 만족시키는 실수 b가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Û b=0이면 aÛ`>0이어야 하므로 a+0
2 2 Ú, Û에서 a+0이고 b=0이다.
x= , y= 를 그대로 계산하기 보다는 분모가 실수가
1+i 1-i 즉, z는 0이 아닌 실수이다.
되도록 x=1-i, y=1+i로 정리하고 계산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TIP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0이 성립한다.
즉, xÛ`<0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

239  ① 참고

복소수 z에 대하여
z=(1+i)xÛ`-(1-i)x-2i라 하면
❶ z=0이면 zÛ`=0이고, zÛ`=0이면 z=0이다.
z‌=(xÛ`-x)+(xÛ`+x-2)i
❷ ‌z가 0이 아닌 실수이면 zÛ`>0이고, zÛ`>0이면 z는 0이 아닌
=x(x-1)+(x+2)(x-1)i에서
실수이다.
(실수부분)=x(x-1) yy ㉠
❸ z가 순허수이면 zÛ`<0이고, zÛ`<0이면 z는 순허수이다.
(허수부분)=(x+2)(x-1) yy ㉡
이다. 복소수 z가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에서 x=-2 또는 x=1이어야 한다.
이때, x=1이면 ㉠에서 실수부분도 0이 되어 z=0이므로 241  ④
z가 0이 아닌 실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은 -2이다.
z=2-3i, z=
® 2+3i이므로
TIP ① z+z®=(2-3i)+(2+3i)=4 (참)
z=(1+i)xÛ`-(1-i)x-2i의 값은 ② z-z®=(2-3i)-(2+3i)=-6i (참)
❶ x=1일 때, z=0 (실수) ③ zz=
® (2-3i)(2+3i)=13 (참)
❷ x=-2일 때, z=6 (실수) z 2-3i -5-12i
④ = = (거짓)
z® 2+3i 13
❸ x=0일 때, z=-2i (순허수)
⑤ zÛ`=(2-3i)Û`=-5-12i (참)
그 이외의 실수 x에 대하여 z는 순허수가 아닌 허수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46 수학<상>
242  ⑤ ㄱ. z®=a-bi의 켤레복소수는 z이므로 z®®=z (참)
ㄴ. zzÕ=
® z ® z®=
® zz® (거짓)
복소수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ㄷ. z+z®Ó=z®+z®®=z®+z (거짓)
z의 켤레복소수는 z®=a-bi이다. ㄹ. z-zÓ= ® ®=
® z-z ® z-z
® (참)
① z+z=® (a+bi)+(a-bi)=2a이므로 ㅁ. É{ }= ® = ® (참)
z z z
z+z는 ® 실수이다. (참) z® z®® z
② z-z®=(a+bi)-(a-bi)=2bi이므로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ㄱ, ㄹ, ㅁ으로 3개이다.
z-z®는 실수부분이 0이다. (참) TIP
® (a+bi)(a-bi)=aÛ`+bÛ`¾0이므로
③ zz=
0이 아닌 두 복소수 z, w와 각각의 켤레복소수 z®, w에
Õ 대하여
zz®는 0 또는 양수이다. (참)
다음이 성립한다.
④ z=z이® 면 a+bi=a-bi에서 b=-b, b=0 z®®=z, zwÓ=z® wÕ, z+wÓ=z®+wÕ, z-wÓ=z®-wÕ,
즉, z=a이므로 z는 실수이다. (참)
É{ }= ®
z z
⑤ z=-z®이면 a+bi=-(a-bi)=-a+bi에서 w wÕ
a=-a, a=0
즉, z=bi이므로 z는 0 또는 순허수이다. (거짓)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246  ⑤
TIP 방
z=1-i이므로 z=
® 1+i 정
복소수 z와 그 켤레복소수 z®에 대하여 z+z®=(1-i)+(1+i)=2


z+z와
® zz®는 항상 실수이고, z-z®는 0 또는 순허수이다. zz=
® (1-i)(1+i)=1-(-1)=2 부

z+1 z®+1 1 1 z+z® 식
∴ + ‌=1+ +1+ =2+
z z® z z® zz®
2
243  ④ =2+ =3
2

복소수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다른 풀이

z의 켤레복소수는 z®=a-bi이다. z+1 (1-i)+1 2-i 3+i


= = =
z+z= z 1-i 1-i 2
® (a+bi)+(a-bi)=2a`:`실수
z®+1 3-i
=É{ }=
zz®=(a+bi)(a-bi)=aÛ`+bÛ``:`실수 z+1
z® z 2
z-z®=(a+bi)-(a-bi)=2bi`:`0 또는 순허수
z+1 z+ 1 3+i 3-i
ㄱ. (1+z)(1+z)® =1+(z+z)® +zz= ∴ + ® = + =3
® 1+2a+aÛ`+bÛ`이므로 z z® 2 2
항상 실수이다.
1 1 z+z® 2a
ㄴ. + =
z z® zz®
=
aÛ`+bÛ`
이므로 항상 실수이다.
247   26
ㄷ. zÛ`-z® `Û =(z+z®)(z-z®)=2a_2bi=4abi이므로 0 또는
a-b=(3-2i)-(2+3i)=1-5i
순허수이다.
이므로 a-bÓ=a®-b®=1+5i이다.
ㄹ. (z-z®)Û`=(2bi)Û`=-4bÛ`이므로 항상 실수이다.
∴ aa®
‌ -ab®-a®b+bb®
따라서 항상 실수인 것은 ㄱ, ㄴ, ㄹ이다.
=a(a®-b®)-b(a®-b®)=(a-b)(a®-b®)
=(1-5i)(1+5i)=1+25=26

244  ③ TIP
주어진 식 aa®-ab®-a®b+bb®에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이므로
a=3-2i, b=2+3i, a®=3+2i, b®=2-3i
z+z=® (a+bi)+(a-bi)=2a=6에서 a=3
를 먼저 대입하는 것보다 주어진 식을 변형하여 계산하는 것이
zz®=(a+bi)(a-bi)=aÛ`+bÛ`=9+bÛ`=11에서
더 편리하다.
bÛ`=2, b=Ñ'2
∴ z=3Ñ'2i

248  ④
245  ③
zÁ-
Õ zª=
Õ zÁ-zª=
Ó 2+3i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ÁÕ zªÕ=zÁzªÓ=1-5i
z의 켤레복소수는 z®=a-bi이다. ∴ (zÁÕ-2)(zªÕ+2)‌=zÁ Õ zªÕ+2(zÁÕ-zªÕ)-4

Ⅱ.방정식과 부등식 47
=(1-5i)+2(2+3i)-4
=1+i
253  ⑤

다른 풀이 iÛ`=-1, iÜ`=-i, iÝ`=1, iÞ`=i, y이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iÇ` =iÇ` ±Ý`이다.
(zÁ-2)(zª+2)‌=zÁzª+2(zÁ-zª)-4
∴ ‌1+i+iÛ`+iÜ`+y+iÚ`â`
=(1+5i)+2(2-3i)-4=1-i
=(1+i+iÛ`+iÜ`)+(iÝ`+iÞ`+iß`+ià`)+i¡`+iá`+iÚ`â`
∴ (zÁ-
Õ 2)(zª+
Õ 2)‌=(zÁ-2)(zª+2)Ó
={1+i+(-1)+(-i)}+{1+i+(-1)+(-i)}
=1-iÓ=1+i
 +1+i+(-1)
=i

249  ①

z=z를 ® 만족시키므로 z는 실수이다. 254  ④


z‌=x-4+(xÛ`+2x-24)i
iÛ`=-1, iÜ`=-i, iÝ`=1, iÞ`=i, y이므로
=(x-4)+(x-4)(x+6)i
자연수 n에 대하여 iÇ` =iÇ` ±Ý`이다.
에서 허수부분이 0이 되려면 x=4 또는 x=-6이다.
iÛ`+3iÝ`+5iß`+7i¡`+9iÚ`â`+11iÚ`Û`
이때, z+0에서 실수부분은 0이 아니므로 x+4이다. ∴ ‌
2i+4iÜ`+6iÞ`+8ià`+10iá`+12iÚ`Ú`
∴ x=-6 (-1+3)+(-5+7)+(-9+11)
=
(2i-4i)+(6i-8i)+(10i-12i)
2+2+2
=
250  ④ (-2i)+(-2i)+(-2i)
6
= =i
z+z= ® 0을 만족시키므로 z가 순허수이다. -6i
z‌=xÛ`-(3+i)x+2+i
=(xÛ`-3x+2)-(x-1)i
=(x-1)(x-2)-(x-1)i 255  ⑤

에서 (x-1)(x-2)=0이고 x-1+0이므로 1 1-i 1-i 1-i


= = =
1+i (1+i)(1-i) 1-(-1) 2

}2`={ }2`=
x=2이다.
1 1-i 1-2i-1 -2i
{
따라서 a=2, b=-i이므로 i
= =-
1+i 2 4 4 2

}3`‌= }2`=
a+b=2-i
1 1 1 1-i -i(1-i)
{ _{- }=
i
_{
1+i 1+i 1+i 2 2 4
-i-1
251  ④ =
4
=-
i+1
4

}4`‌={ }2`_{ }2`={- }_{- }


1 1 1
{
복소수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이므로 i i
1+i 1+i 1+i 2 2
(1+i)z+i z=(1+i)(a+bi)+i(a-bi)
®‌
1
=a+bi+ai-b+ai+b =-
4
=a+(2a+b)i 이므로 구하는 값은

}2`+4{ }3`-8{ }4`


=3+8i 1 1 1 1
-2{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i 1+i 1+i 1+i
1-i 1
-2_{- }+4_{- }-8_{- }
a=3, 2a+b=8이므로 a=3, b=2 i i+1
=
2 2 4 4
∴ z=3+2i
1-i 3 1
= +i-i-1+2= - i
2 2 2

252  ⑤ 3 1
따라서 p= , q=- 이므로
2 2
a® Û`+b® Û`=5-2i에서 ¹a® Û`+b® Û`=aÛ`+bÛ`=5+2i이다. 3 1
p-q= -{- }=2
2 2
이때, a+b=4-i
(a+b)Û`=aÛ`+bÛ`+2ab에 대입하면
(4-i)Û`=(5+2i)+2ab 256  ①
2ab=10-10i에서 ab=5-5i이다.
1+i (1+i)(1+i) 1+2i-1
따라서 a® b®=abÓ=5+5i이므로 = =
1-i (1-i)(1+i) 1-(-1)
=i
ab+a® b®‌=(5-5i)+(5+5i) 1-i (1-i)(1-i) 1-2i-1
= = =-i
=10 1+i (1+i)(1-i) 1-(-1)

48 수학<상>
}2`n`+{ }2`n`‌=[{ }2`]n`+[{ }2`]n`
1+i 1-i 1+i 1-i
∴{
1-i 1+i 1-i 1+i 261  ⑤
=(iÛ`)Ç`+{(-i)Û`}Ç` '¶-4 '4 i '4
① = = ='2 (참)
=(-1)Ç`+(-1)Ç` '¶-2 '2 i '2
=-2 (∵ n은 홀수) '¶-9 '9 i
② = ='3 i (참)
'3 '3
③ '¶-2 '¶-5='2 i '5 i=-'1Œ0 (참)
257  ④ ④ 'Ä-12-'¶-3=2'3 i-'3 i='3 i (참)
'8 '8 2
⑤ = = =-2i (거짓)
zÜ`=1-i이므로 z® Ü`=zÜ`Õ=1-iÓ=1+i '¶-2 '2 i i
z® `ß =(1+i)Û`=2i, z® Ú`Û`=(2i)Û`=-4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z® Û`Ý`=(-4)Û`=16 다른 풀이

'¶-4 -4
① =®É ='2 (참)
'¶-2 -2
258  ①
'¶-9 -9
② =®É ='¶-3='3 i (참)
zÛ`=(1+i)Û`=2i '3 3
z100=(1+i)100={(1+i)Û`}Þ`â`=(2i)Þ`â`=2Þ`â`_(iÝ`)Ú`Û`_iÛ`=-2Þ`â` ③ '¶-2 '¶-5=-"Ã(-2)_(-5)=-'1Œ0 (참)
Ó -2Þ`â`
z® 100=z100= yy TIP '8 8
⑤ =-®É =-'¶-4=-2i (거짓)
'¶-2

-2 정
∴ z100+z® 100=(-2Þ`â`)+(-2Þ`â`)=-2Þ`Ú` 식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과
TIP 부

두 복소수 z, w에 대하여 zwÓ=z® w이 Õ 므로 z® Ç`=zÇ` Õ 가 성립한다.
Û
한편, z®=1-i이므로 z® `=(1-i)Û`=-2i 262  ③

z® 100=(1-i)100={(1-i)Û`}Þ`â`=(-2i)Þ`â`=-2Þ`â` 'b b
a<0, b>0에 대하여 =-®  이므로
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a a
4 '4
®É =- 이다.
-1 '¶-1
따라서 등호를 잘못 사용한 곳은 ③이다.
259  ①

1
i
=-i이므로 263  ①

'¶-6 '8 '3Œ2
1 1 1
+ + +y+
1 '¶-2 '¶-8+ +
i iÛ` iÜ` iÞ`â` '¶-3 '¶-2
=-i+(-i)Û`+(-i)Ü`+y+(-i)Þ`â` -6 32
=-"Ã(-2)_(-8)+®É _'8-®É
-3 -2
=(-i-1+i+1)+(-i-1+i+1)+y-i-1
=-'1Œ6+'2_2'2-'Ä-16
=12_(-i-1+i+1)-i-1
=-4+4-4i=-4i
=-1-i
따라서 a=-1, b=-1이므로 다른 풀이

a+b=(-1)+(-1)=-2 '¶-6 '8 '3Œ2


'¶-2 '¶-8+ +
'¶-3 '¶-2
'6 i_2'2 4'2
='2 i_2'2 i+ +
260  ② '3 i '2 i
=-4+4-4i=-4i
1+i (1+i)(1+i) 1+2i-1
= = =i
1-i (1-i)(1+i) 1-(-1)
1-i (1-i)(1-i) 1-2i-1
= =
1+i (1+i)(1-i) 1-(-1)
=-i 264  ①

}2`+{ }3`+{ }4`+y


1+i 1-i 1+i 1-i xÛ`-9x-36=0에서 (x+3)(x-12)=0
∴ ‌ +{
1-i 1+i 1-i 1+i

}2``9 +{ }3``0
∴ x=-3 또는 x=12
1+i 1-i a=-3, b=12라 하면
 +{
1-i 1+i
'§a "Åb '¶-3 '1Œ2 -3 12
={i+(-i)Û`+iÜ`+(-i)Ý`} + ‌= + =®É -®É
"Åb '§a '1Œ2 '¶-3 12 -3
 +y+{iÛ``Þ +(-i)Û``ß +iÛ``à +(-i)Û``¡ }+iÛ``á +(-i)Ü``â i 3
= -2i=-  i
=-1+i 2 2

Ⅱ.방정식과 부등식 49
다른 풀이 2+9b-3bÛ` 2-3(bÛ`-3b)
∴ ‌=
2aÛ`-6a+9 2(aÛ`-3a)+9
'§a "Åb '¶-3 '1Œ2 '3 i 2'3
+ ‌= + = + 2-3_(-3) 11
"Åb '§a '1Œ2 '¶-3 2'3 '3 i = =
3
2_(-3)+9
i 2 i 2i 3
= + = + =-  i
2 i 2 i Û` 2

270   ;2!;

265  ④ 1
xÛ`- (1+4i)x+i=0
2
'a'b=-'¶ab이므로 a<0, b<0이다.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따라서 복소수 'a-'¶-b의 허수부분은 '¶-a이므로 2xÛ`-(1+4i)x+2i=0, (2x-1)(x-2i)=0
'a-'¶-b의 켤레복소수는 -'a-'¶-b이다. 1
이므로 x= 또는 x=2i이다.
2
1
따라서 실근은 x= 이다.
266  ① 2
다른 풀이
'b b
=-®  에서 a<0, b>0이므로
'a a 1 1
xÛ`- (1+4i)x+i=0, xÛ`-{ +2i}x+i=0
2 2
a
-a>0, <0, aÛ`b>0이다. 1
b {xÛ`- x}+(1-2x)i=0
2
따라서 '¶-a+®  +"aÛ`b에서
a
b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
실수부분은 '¶-a+"aÛ`b이고, 허수부분은 ®É-  이다.
a xÛ`- x=0이고 1-2x=0이다.
b 2
1
∴ x=
2

267  ⑤

a>b>0에서 a>0, a-b>0, b-a<0이므로 271  ③


'¶-a 'Äa-b -a a-b
- ‌=®É +®É ='¶-1+'¶-1 이차방정식 xÛ`-4ax+4aÛ`+a+3=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a 'Äb-a a b-a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D<0이다.
=i+i=2i
D
=(-2a)Û`-(4aÛ`+a+3)<0
다른 풀이 4
a>b>0에서 b-a<0이므로 -a-3<0이므로 a>-3
'¶-a 'Äa-b 'a i 'Äa-b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 ‌= -
'a 'Äb-a 'a 'Äa-b i 다른 풀이
1
=i- =i-(-i)=2i xÛ`-4ax+4aÛ`+a+3=0에서 (x-2a)Û`=-a-3이므로
i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기 위해선
-a-3<0, 즉 a>-3이어야 한다.
268  ⑤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xÛ`+(m+2)x-2(m+1)=0의 한 근이 1이므로
x=1을 대입하면
1+(m+2)-2(m+1)=0
272  ③

에서 m=1이다.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주어진 방정식이 이차방정식이므로 k+0


xÛ`+3x-4=0, (x-1)(x+4)=0 이차방정식 kxÛ`-2kx+3=0 yy ㉠
이므로 다른 한 근은 x=-4이다. 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D=0이다.
D
=kÛ`-3k=0, k(k-3)=0
4
이므로 k=3 (∵ k+0)
269  ②
㉠에 k=3을 대입하면
xÛ`-3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3xÛ`-6x+3=0, 3(x-1)Û`=0
aÛ`-3a+3=0, bÛ`-3b+3=0에서 ∴ a=1
aÛ`-3a=-3, bÛ`-3b=-3이다. ∴ k+a=3+1=4

50 수학<상>
1
273  ③ a+b=2, ab=-
3
이차방정식 (1+kÛ`)xÛ`-2(1-k)x+2=0 ① a+b=2 (참)
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실근을 가지므로 D¾0이다. 1
② ab=- (참)
3
D
=(1-k)Û`-2(1+kÛ`)=-(k+1)Û`¾0 ③ aÛ`+bÛ`‌‌=(a+b)Û`-2ab
4
1 14
즉, (k+1)Û`É0이어야 한다. =2Û`-2_{- }= (거짓)
3 3
이때, 실수 k에 대하여 (k+1)Û`¾0이므로 k+1=0
④ aÜ`+bÜ`‌=(a+b)Ü`-3ab(a+b)
∴ k=-1
1
=2Ü`-3_{- }_2=10 (참)
3

274  ① ⑤
1 1 a+b
+ =
a b ab
=
2
1
=-6 (참)
-
3|x|Û`-5|x|-2=(3|x|+1)(|x|-2)=0에서 3

1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x|=- 또는 |x|=2
3
이때, |x|¾0이므로 |x|=2이다.
즉, x=Ñ2이므로 구하는 모든 실근의 곱은 -4이다. 278  ④

방정식 xÛ`-5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정
275  ③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Ú x¾-1일 때, a+b=5, ab=2 부



2 2 2 2 4
∴ {1+ }{1+ }‌=1+ + +

xÛ`-2|x+1|-6=0에서
a b a b ab
xÛ`-2x-8=0, (x+2)(x-4)=0
2(a+b) 4
∴ x=4 (∵ x¾-1) =1+ +
ab ab
Û x<-1일 때, 2_5 4
=1+ +
xÛ`-2|x+1|-6=0에서 2 2
xÛ`+2x-4=0 =8
∴ x=-1-'5 (∵ x<-1)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4+(-1-'5)=3-'5 279  ③

이차방정식 xÛ`-3x+6=0의 두 근이 a, b이므로


276   49 aÛ`-3a+6=0, aÛ`=3a-6
[   yy ㉠
bÛ`-3b+6=0, bÛ`=3b-6
|a-3|xÛ`+a=3, |a-3|xÛ`=-(a-3)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Ú a=3일 때,
a+b=3, ab=6 yy ㉡
0_xÛ`=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 ‌(aÛ`-2a+2)(bÛ`-2b+2)
Û a<3일 때,
=(3a-6-2a+2)(3b-6-2b+2) (∵ ㉠)
-(a-3)xÛ`=-(a-3), xÛ`=1
=(a-4)(b-4)
이므로 실근 x=Ñ1을 갖는다.
=ab-4(a+b)+16
Ü a>3일 때,
=6-4_3+16 (∵ ㉡)
(a-3)xÛ`=-(a-3), xÛ`=-1
=10
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는다.
Ú∼Ü에서 실근을 갖지 않기 위한 a의 값의 범위는 a>3이므로
10 이하의 자연수 a는 4, 5, 6, 7, 8, 9, 10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280   x=-1 또는 x=3

4+5+6+7+8+9+10=49 성수는 b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77  ③ b=1×(-3)=-3
지연이는 a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방정식 -3xÛ`+6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2i)+(1-2i)=2, a=-2

Ⅱ.방정식과 부등식 51
따라서 a=-2, b=-3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x-3=0의 해는 다른 풀이
(x+1)(x-3)=0에서 x=-1 또는 x=3 f(x)=xÛ`-5x-5에서 x 대신 3x+1을 대입하면
f(3x+1)‌=(3x+1)Û`-5(3x+1)-5

281  ④
=9xÛ`-9x-9
따라서 이차방정식 f(3x+1)=0, 즉 9xÛ`-9x-9=0의 두 근을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로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한 근이 a+bi이고 다른 한 근은 a-bi이다. a+b=1, ab=-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 |a-b|‌="Ã(a+b)Û`-4ab
(a+bi)+(a-bi)=4, 2a=4이므로 a=2 yy ㉠ ="Ã1Û`-4_(-1)='5
두 근의 곱은
(a+bi)(a-bi)=40, aÛ`+bÛ`=40이므로 bÛ`=36 (∵ ㉠)
∴ (ab)Û`=aÛ`bÛ`=4×36=144 285   ⑴ xÛ`-4x+3=0  ⑵ xÛ`-x-1=0

이차방정식 xÛ`-3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82  ④
a+b=3, ab=1이다.
두 근을 a, b라 할 때, ⑴ 두 근이 3, 1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3)(x-1)=0, xÛ`-4x+3=0이다.
3 ⑵ (a-1)+(b-1)=3-2=1,
a+b=-4, ab=- k
2 (a-1)(b-1)=ab-(a+b)+1=1-3+1=-1이므로
(a-b)Û`=(a+b)Û`-4ab이고 |a-b|=k이므로 두 근이 a-1, b-1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3 xÛ`-x-1=0이다.
kÛ`=(-4)Û`-4_{- k}=16+6k
2
kÛ`-6k-16=0, (k-8)(k+2)=0
∴ k=|a-b|=8 (∵ k>0) 286  ⑤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a, b이므로


283  ③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비가 1`:`2이므로 a+b=- , ab=
a a
두 근을 a, 2a (a는 실수)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1 1
따라서 두 근이 , 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관계에 의하여 a b
1 1 1 a+b 1
a+2a=2k+1에서 a=
2k+1
 yy ㉠ xÛ`-{ + }x+ =0, xÛ`+{ - }x+ =0
3 a b ab ab ab
a×2a=kÛ`+1에서 2aÛ`=kÛ`+1 yy ㉡ b c

}2`=kÛ`+1
위 식에 a+b=- , ab= 를 대입하면
2k+1 a a
㉠을 ㉡의 식에 대입하면 2{
3 b a
xÛ`+ x+ =0
2(2k+1)Û`=9(kÛ`+1), kÛ`-8k+7=0 c c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실수 k의 이때, 양변에 c를 곱하면 cxÛ`+ b  x+ a =0이다.
값의 합은 8이다. a+b
따라서 ㈎`:`- , ㈏`:`b, ㈐`:`a 이다.
ab

TIP
284  ①
이차방정식 axÛ`+bx+c=0 (ac+0)의 두 근이 a, b이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1 1
이차방정식 cxÛ`+bx+a=0의 두 근은 , 이다.
a b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5
f(3x+1)=0의 두 근은 3x+1=a, 3x+1=b에서
a-1 b-1
, 이다. 287  ③
3 3
이때, (a-b)Û`=(a+b)Û`-4ab=25+20=45에서 이차방정식 xÛ`-kx+k+1=0의 두 근을 a, b라 할 때,

|a-b|=3'5이므로 두 근의 차는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ab<0이다.

a-1 b-1 |a-b| 3'5 따라서 ab=k+1<0이므로


| - |= = ='5
3 3 3 3 k<-1

52 수학<상>
TIP
❶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을 x라 하면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서로 다른 부호의 두 실근을 xÛ`+x+1=0이고, 근의 공식에 의하여
가지면 판별식 D>0이고, 두 근의 곱이 음수이다. -1Ñ'3 i
x= 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이 음수이면 2
c 또한 xÛ`+x+1=0의 양변에 각각 x-1을 곱하면
<0, ac<0이다.
a xÜ`-1=0이므로 xÜ`=1이다.
이때, 판별식 D=bÛ`-4ac에서 bÛ`¾0이고 ac<0에서 ❷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을 x라 하면
-4ac>0이므로 D>0을 만족시킨다. 1Ñ'3 i
xÛ`-x+1=0이고,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서로 다른 부호의 두 2
c 또한 xÛ`-x+1=0의 양변에 각각 x+1을 곱하면
실근을 가지기 위해서는 두 근의 곱이 음수인 것, 즉 <0을
a xÜ`+1=0이므로 xÜ`=-1이다.
보이면 된다.

290   2-'3

288  ④ APÓ=x (0<x<1)라 하면 BPÓ=1-x


1
이차방정식 xÛ`+(kÛ`-k-6)x-2k+3=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A D
x 방
두 실근의 절댓값은 같고 부호는 서로 다르므로 P


ab<0, a+b=0을 만족시켜야 한다. 1 과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x 부

a+b=-(kÛ`-k-6)=0 yy ㉠ 식
B C
ab=-2k+3<0 yy ㉡ Q

㉠에서 (k+2)(k-3)=0이므로 한편, 두 삼각형 PAD, QCD는


k=-2 또는 k=3 ∠A=∠C=90ù, PDÓ=QDÓ, ADÓ=CDÓ=1
3 이므로 서로 합동이다.
㉡에서 k>
2 따라서 CQÓ=APÓ=x이므로 BQÓ=1-x
직각이등변삼각형 PBQ에서 PQÓ='2(1-x)
∴ k=3

TIP 직각삼각형 PAD에서 PDÓ="ÃxÛ`+1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실근이 절댓값은 같고 정삼각형 PQD에서 PQÓ=PDÓ이므로
부호가 서로 다르면 한 실근이 a일 때 다른 실근은 -a이므로 '2(1-x)="ÃxÛ`+1, 2(1-x)Û`=xÛ`+1
두 근의 합은 0이고, 두 근의 곱은 음수이다. xÛ`-4x+1=0
따라서 axÛ`+bx+c=0의 두 실근이 절댓값은 같고 부호가 서로 ∴ x=2-'3 (∵ 0<x<1)
다르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
b=0,
a
<0임을 보이면 된다.
291  ⑤

3-i (3-i)(1-i) 2-4i


z= = = =1-2i이므로
1+i (1+i)(1-i) 2
z-1=-2i에서 (z-1)Ü`=(-2i)Ü`
289  ② zÜ`-3zÛ`+3z-1=8i
방정식 xÛ`+x+1=0의 한 근이 x이므로 yy TIP zÜ`-3zÛ`+4z+1‌=(zÜ`-3zÛ`+3z-1)+z+2
xÛ`+x+1=0 yy ㉠ =8i+(1-2i)+2=3+6i
이고 xÛ`+x+1=0의 양변에 각각 x-1을 곱하면 3+6i=a+bi에서 a=3, b=6
(x-1)(xÛ`+x+1)=0, xÜ`-1=0이므로 ∴ a+b=9
xÜ`=1 yy ㉡ 다른 풀이
∴ xÝ`+xÛ`‌=x+xÛ` (∵ ㉡) 3-i (3-i)(1-i) 2-4i
z= = = =1-2i
=-1 (∵ ㉠) 1+i (1+i)(1-i) 2
이므로 (z-1)Û`=(-2i)Û`에서 zÛ`-2z+5=0
TIP
zÜ`-3zÛ`+4z+1‌=(zÛ`-2z+5)(z-1)-3z+6
이차방정식 xÛ`+x+1=0 또는 xÛ`-x+1=0의
=-3z+6
한 허근 x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3+6i

Ⅱ.방정식과 부등식 53
3+6i=a+bi에서 a=3, b=6 Û (a+b)+(a-b)i=-2i일 때
∴ a+b=9 a+b=0이고 a-b=-2이므로
a=-1, b=1
∴ ab=-1
292  5

z‌=(1+2i)xÛ`-(7+16i)x+12+30i 295  ②
=(xÛ`-7x+12)+(2xÛ`-16x+30)i
복소수 2(k-2i)+kÛ`-35+ki에서
=(x-3)(x-4)+2(x-3)(x-5)i
2(k-2i)+kÛ`-35+ki=(kÛ`+2k-35)+(k-4)i
이므로 zÛ`>0이기 위해서는
이므로 이 복소수를 제곱해서 실수가 되려면
(실수부분)=(x-3)(x-4)+0
실수부분이 0이거나 허수부분이 0이 되어야 한다.
(허수부분)=2(x-3)(x-5)=0
Ú (실수부분)=0인 경우
이어야 한다.
kÛ`+2k-35=0, (k+7)(k-5)=0
∴ x=5
에서 k=-7 또는 k=5
참고 Û (허수부분)=0인 경우
zÛ`>0, 즉 z가 0이 아닌 실수이기 위해서는 x=5 k-4=0에서 k=4
zÛ`=0, 즉 z=0이기 위해서는 x=3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합은
zÛ`<0, 즉 z가 순허수이기 위해서는 x=4이어야 한다. -7+5+4=2

296  ③
293   18
zÁ=1+i
복소수 z에 대하여 zÛ`<0이면 z는 순허수이다. zª=izÁ=i(1+i)=i+iÛ`=i-1
조건 ㈎에서 (1-i+z)Û`<0이므로 z£=izª=i(i-1)=iÛ`-i=-1-i
1-i+z는 순허수이다. z¢=iz£=i(-1-i)=-i-iÛ`=-i+1
즉, 1-i+a+bi=(a+1)+(b-1)i가 순허수이므로 z°=iz¢=i(-i+1)=-iÛ`+i=1+i
a=-1, b+1 이므로 zn=zn+4이다.
조건 ㈏에서 ∴ z1000=z996=z992=y=z4=1-i
zÛ`=(a+bi)Û`=(-1+bi)Û`=1-bÛ`-2bi=c-8i 다른 풀이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zª=izÁ
1-bÛ`=c, -2b=-8이므로 b=4, c=-15
z£=izª=i Û`zÁ
∴ a+b-c=-1+4-(-15)=18
z¢=iz£=i Ü`zÁ
z°=iz¢=i Ý`zÁ=zÁ (∵ i Ý`=1)

294  ② 그러므로 zn+4=zn이다.


이때, 1000=4_250이므로
{a(1+i)+b(1-i)}Û`=-4<0이므로 zÁ¼¼¼=z¢=i Ü`z=-i(1+i)=1-i
복소수 a(1+i)+b(1-i)는 순허수이다.
a(1+i)+b(1-i)=(a+b)+(a-b)i에서
a+b=0 yy㉠
297  ②

이때, {(a-b)i}Û`=-4이므로 zÁ=2+i


a-b=2 또는 a-b=-2 yy㉡ 1 1 -1+i
zª= = =
1-zÁ 1-(2+i) 2
㉠, ㉡을 연립하여 풀면
1 1 3+i
a=1, b=-1 또는 a=-1, b=1이므로 z£= = =
1-zª -1+i 5
1-
ab=(-1)_1=-1 2
다른 풀이 1 1
z¢= = =2+i=zÁ
1-z£ 3+i
1-
a(1+i)+b(1-i)가 -4의 제곱근이므로 5
y

a(1+i)+b(1-i)는 2i 또는 -2i이다.
이므로 zÇ=zÇ*£이다.
Ú (a+b)+(a-b)i=2i일 때
이때, 50=3_16+2이므로
a+b=0이고 a-b=2이므로
i-1
z°¼=zª=
a=1, b=-1 2

54 수학<상>
b=0이면 ㉠에서 a=0이므로 a=0이다.
298  ②
Û c=0이면 ㉠, ㉡에서 d=0 또는 a=b=0이므로
1-ni (1-ni)Û` 1-nÛ`-2ni a=0 또는 b=0이다.
aÇ+bÇi‌= = =
1+ni (1+ni)(1-ni) 1+nÛ` 따라서 ab=0이면 a=0 또는 b=0이다. (참)
1-nÛ` 2n
= -  i ⑤ (반례) a=1, b=i (거짓)
1+nÛ` 1+nÛ`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③, ④이다.
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nÛ` 2n
aÇ=
1+nÛ`
, bÇ=-
1+nÛ` 300  ⑤

}2`+{- }2` ‌
1-nÛ` 2n
(aÇ)Û`+(bÇ)Û`‌={ z=a+bi (a, b는 실수, a>0)라 하면 z®=a-bi
1+nÛ` 1+nÛ`
(1-2nÛ`+nÝ`)+4nÛ` z-z=® 2bi=2i에서 b=1이므로 z=a+i
=
(1+nÛ`)Û` zÜ`-z® Ü`‌=(z-z®)Ü`+3zz®(z-z®)
(1+nÛ`)Û` =(2i)Ü`+3(aÛ`+1)_2i
= =1
(1+nÛ`)Û` =-8i+6(aÛ`+1)i={-8+6(aÛ`+1)}i
∴ {(aÁ)Û
‌ `+(aª)Û`+(a£)Û`+y+(a°¼)Û`} =22i
 +{(bÁ)Û`+(bª)Û`+(b£)Û`+y+(b°¼)Û`} 이때,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Á)Û`+(bÁ)Û`}+{(aª)Û`+(bª)Û`}+{(a£)Û`+(b£)Û`} -8+6(aÛ`+1)=22, 6(aÛ`+1)=30, aÛ`+1=5
 +y+{(a°¼)Û`+(b°¼)Û`} aÛ`=4   ∴ a=2 (∵ a>0) 방

=1+1+1+y+1=50 따라서 z=2+i이므로 식

참고 zÛ`-z® Û`=(z+z®)(z-z®)=4_2i=8i 부

임의의 두 실수 x, y (xÛ`+yÛ`+0)에 대하여 식

x-yi
‌‌=
(x-yi)Û`

301  ⑤
x+yi (x+yi)(x-yi)
1+'7i 1-'7i
xÛ`-yÛ`-2xyi z= 에서 z=
® 이므로
= 2 2
xÛ`+yÛ`
z+z=
® 1, zz=
® 2
xÛ`-yÛ` 2xy
= -  i이므로 2z-1
xÛ`+yÛ` xÛ`+yÛ` 이때, w= 이므로
z+1
xÛ`-yÛ` 2xy
실수부분은 a= , 허수부분은 b=- 2z-1 2z®-1 4zz®-2(z+z®)+1
xÛ`+yÛ` xÛ`+yÛ`
}2`+{- }2`
ww=
Õ‌ z+1 _ z+1 = zz+(z+z)+1
xÛ`-yÛ` 2xy ® ® ®
이때, aÛ`+bÛ`={ 4_2-2_1+1 7
xÛ`+yÛ` xÛ`+yÛ` = =
2+1+1 4
(xÝ`-2xÛ`yÛ`+yÝ`)+4xÛ`yÛ`
=
(xÛ`+yÛ`)Û`
=
(xÛ`+yÛ`)Û`
=1
302  8
(xÛ`+yÛ`)Û`
zÛ`=4'3+4i이므로 z® Û`=4'3-4i이다.
이 성립한다.
zÛ`_z® Û`‌=(4'3+4i)(4'3-4i)
=48+16=64
∴ zz®=8 (∵ zz®¾0) yy TIP
299   ③, ④
다른 풀이
① a=a+bi, a=
® a-bi (a, b는 실수)에서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a+a®=(a+bi)+(a-bi)=2a=0이므로
zÛ`=aÛ`-bÛ`+2abi=4'3+4i
a=bi이고 aÛ`=-bÛ`É0 (거짓)
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② (반례) a=1+i, b=2-i (거짓)
aÛ`-bÛ`=4'3, ab=2
1 1
③ aa®=1이면 a®= 이므로 a+ =a+a®는 실수이다. (참) (aÛ`+bÛ`)Û`‌=(aÛ`-bÛ`)Û`+4aÛ`bÛ`
a a
=(4'3)Û`+4_2Û`=64
④ a=a+bi, b=c+di (a, b, c, d는 실수)이면
∴ zz=
® aÛ`+bÛ`=8 (∵ a, b는 실수)
ab=(a+bi)(c+di)=(ac-bd)+(ad+bc)i=0
ac-bd=0 yy ㉠ TIP
ad+bc=0 yy ㉡ 복소수 z=a+bi (a, b는 실수)에서 z®=a-bi이므로
bd ® (a+bi)(a-bi)=aÛ`+bÛ`¾0이다.
zz=
Ú c+0이면 ㉠에서 a= 이고, 이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c
즉, 항상 zz®¾0이 성립한다.
b(cÛ`+dÛ`)=0, c+0이므로 b=0

Ⅱ.방정식과 부등식 55
303  ② 306  9

ab
® =4에서 abò
® =ab®=4이므로 z‌=(1+2i)xÛ`-2(1-i)x-3(1+4i)
4 4 =(xÛ`-2x-3)+(2xÛ`+2x-12)i
b= , =a
a® b®
∴ {b+ }2`={ +a}2`=(5i)Û`=-25
=(x-3)(x+1)+2(x+3)(x-2)i
4 4 조건 ㈎에서 z+z이
® 려면 z는 허수이어야 하므로 a+-3, a+2이다.
b® a®
 yy ㉠
조건 ㈏에서 a는 실수이고, z=a, 즉 z가 실수이려면
2(x+3)(x-2)=0에서 x=-3 또는 x=2이므로
304  ④
b=-3 또는 b=2이다.
1 1 1 이때, b=2이면 a=-3이므로 ㉠을 만족시키지 않고, b=-3이면
z+ 이 실수이므로 z+ =Éz+
z z z a=12이므로 두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킨다.
1 1 1 1
Éz+ =z+
® z 이므로 z+
® z =z+ z 에서 ∴ a+b=9
z ® ®
1 1
z®-z+ - =0
z® z
z-z 1 307  ③
z®-z- ® =(z®-z){1- }=0
zz® zz® ㄱ. zÝ`<0이므로 zÛ`이 순허수이다.
z=z® 또는 zz®=1 zÛ`=ki (k+0)라 하면
이때, z=z이
® 면 z는 실수이므로 z® Û`=zÛ`Õ=-ki이므로 z® Û`은 순허수이다. (참)
zz®=1 ㄴ. z=a+bi (a, b는 실수)에 대하여
다른 풀이 zÛ`=(a+bi)Û`=aÛ`-bÛ`+2abi=(a+b)(a-b)+2abi가
z=a+bi`(a, b는 실수, b+0)라 하면 순허수이므로 (a+b)(a-b)=0, 2ab+0이다.
1 1 즉,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z+ =a+bi+
‌
z a+bi a=b 또는 a=-b이어야 한다.
a-bi 그러므로 z=a+ai 또는 z=a-ai이다.
=a+bi+
(a+bi)(a-bi)
z=a+ai인 경우 z의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은 같지만
a-bi
=a+bi+ z=a-ai인 경우 z의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은 같지 않다. (거짓)
aÛ`+bÛ`
ㄷ. ㄴ에서 z=aÑai (a+0)라 하면 z=
® aÐai이므로
}+{b- } i
a b
={a+
aÛ`+bÛ` aÛ`+bÛ` z+z=® 4에서 2a=4, a=2이다.
1 즉, z=2Ñ2i, z=
® 2Ð2i이므로 zz=
® 4+4=8 (참)
이므로 z+ 이 실수이기 위해서는 허수부분이 0이어야 한다.
z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0
b
따라서 b- =0에서 b{1-
aÛ`+bÛ` aÛ`+bÛ`
∴ aÛ`+bÛ`=1 (∵ b+0)
∴ zz=
® (a+bi)(a-bi)=aÛ`+bÛ`=1
308   25

-1+i
z=
'2
}2`=-i
-1+i
305  ① zÛ`={
'2
zÝ`=(zÛ`)Û`=(-i)Û`=-1
z=a+bi (a, b는 실수, b+0)라 하면 z=
® a-bi
z¡`=(zÝ`)Û`=(-1)Û`=1
z a+bi
zz+
® z ‌=(a+bi)(a-bi)+ a-bi 이므로 복소수 z의 거듭제곱은 z, zÛ`, y, z¡`이 반복된다.
®
aÛ`-bÛ`+2abi 따라서 zÇ`=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꼴은
=(aÛ`+bÛ`)+
aÛ`+bÛ` n=8k (k는 자연수)이므로 1ÉnÉ2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aÛ`-bÛ` 2ab
={aÛ`+bÛ`+ }+  i=5 yy ㉠ 8_1, 8_2, y, 8_25로 모두 25개이다.
aÛ`+bÛ` aÛ`+bÛ`
이때,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ab
aÛ`+bÛ`
=0, a=0 (∵ b+0) 309  ②

이를 ㉠에 대입하면 i-3iÛ`+5iÜ`-7iÝ`+y-99iÞ`â`+101iÞ`Ú`
bÛ`-1=5이므로 bÛ`=6 ={i-3_(-1)+5_(-i)-7}
∴ (z-z®)Û`=(2bi)Û`=-4bÛ`=-24  +{9i-11_(-1)+13_(-i)-15}+y+97iÝ`á`-99iÞ`â`+101iÞ`Ú`

56 수학<상>
=(-4i-4)×12+97i+99-101i =(z+zÛ`+zÜ`)+(zÝ`+zÞ`+zß`)+y+(zÜ`à`+zÜ`¡`+zÜ`á`)+zÝ`â`
=-48i-48-4i+99 =(z+zÛ`+zÜ`)+(z+zÛ`+zÜ`)+y+(z+zÛ`+zÜ`)+z (∵ ㉠)
=51-52i -1+'3 i
=z=
2
다른 풀이
310  ①
-1+'3 i
복소수 z= 에서 2z=-1+'3 i이므로
f(1)=i-2iÛ` 2
f(2)=2iÛ`-3iÜ` 2z+1='3 i
f(3)=3iÜ`-4iÝ`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f(4)=4iÝ`-5iÞ` 4zÛ`+4z+1=-3에서 zÛ`+z+1=0
양변에 각각 z-1을 곱하면
y

f(16)=16iÚ`ß`-17iÚ`à` (z-1)(zÛ`+z+1)=0에서 zÜ`=1


∴ ‌f(1)+ f(2)+ f(3)+y+ f(16)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zÇ`=zÇ` ±Ü`이므로 yy ㉠
=(i-2iÛ`)+(2iÛ`-3iÜ`)+(3iÜ`-4iÝ`)+y+(16iÚ`ß`-17iÚ`à`) z+zÛ`+zÜ`+y+zÝ`â`
=i-17iÚ`à` =(z+zÛ`+zÜ`)+(zÝ`+zÞ`+zß`)+y+(zÜ`à`+zÜ`¡`+zÜ`á`)+zÝ`â`
=i-17i (∵ 자연수 n에 대하여 iÇ` =iÇ` ±Ý`) =(z+zÛ`+zÜ`)+(z+zÛ`+zÜ`)+y+(z+zÛ`+zÜ`)+z (∵ ㉠)
=-16i -1+'3 i
=z= 방
2 정


311  ⑤
313  ④ 부


ㄱ. f(2)=iÛ`+iÜ`+iÝ`=-1-i+1=-i (참)
두 실수 a, b (b+0)에 대하여
ㄴ. f(1)=i+iÛ`+iÜ`=i-1-i=-1
z=a+bi라 하면 z®=a-bi이므로
f(2)=iÛ`+iÜ`+iÝ`=-1-i+1=-i
zÛ`=z®에서 (a+bi)Û`=a-bi
f(3)=iÜ`+iÝ`+iÞ`=-i+1+i=1
aÛ`-bÛ`+2abi=a-bi
f(4)=iÝ`+iÞ`+iß`=1+i-1=i
이때,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f(5)=iÞ`+iß`+ià`=i+iÛ`+iÜ`= f(1), y
aÛ`-bÛ`=a yy ㉠
이므로 f(n+4)= f(n) (참)
2ab=-b yy ㉡
ㄷ. f(1)+ f(2)+ f(3)+ f(4)=-1-i+1+i=0이므로
㉡에서 2ab+b=0, b(2a+1)=0
f(1)+ f(2)+ f(3)+y+ f(98)
1
={ f(1)+ f(2)+ f(3)+ f(4)}+y ∴ a=- (∵ b+0)
2
 +{ f(97)+ f(98)+ f(99)+ f(100)}- f(99)- f(100) 3
이를 ㉠에 대입하면 bÛ`=
=- f(99)- f(100)=- f(3)- f(4)=-1-i (참) 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z+z®=2a=-1, zz®=aÛ`+bÛ`=1
한편, zÛ`=z에
® 서 z® Û`=z이므로
참고
zÜ`=zzÛ`=zz®, zÝ`=zzÜ`=zÛ` z®=z® Û`=z
자연수 n에 대하여 iÇ`+iÇ` ±Û`=0이므로
zÞ`=zzÝ`=zÛ`=z®, zß`=zzÞ`=zz®
f(n)=iÇ` ±Ú`이다.
∴ zß‌ `+zÞ`+zÝ`+zÜ`+zÛ`+z+1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이할 수도 있다.
=zz®+z®+z+zz®+z®+z+1
=2(z+z®)+2zz®+1
=2_(-1)+2_1+1
312  ② =1
-1+'3 i
복소수 z= 에 대하여
2

zÛ`={
-1+'3 i
}2`=
-2-2'3 i -1-'3 i
=
314   144
2 4 2
(1+i)Û`=2i
-1+'3 i -1-'3 i 1-(-3)
zÜ`=z_zÛ`= _ = =1 (1+i)Ý`=(2i)Û`=-4
2 2 4
이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zÇ`=zÇ` ±Ü`이다. yy ㉠ (1+i)¡`=(-4)Û`=16=2Ý`
-1+'3 i -1-'3 i (1+i)¡`û`=2Ý`û` (k는 자연수)
이때, z+zÛ`+zÜ`= + +1=0이므로
2 2 따라서 m=8k, n=4k이므로 m=2n yy ㉠
z+zÛ`+zÜ`+y+zÝ`â` mÉ100, nÉ100이므로 m이 최댓값을 가질 때,

Ⅱ.방정식과 부등식 57
m+n이 최댓값을 갖는다. 채점 요소 배점
100보다 작은 8의 배수 중 최댓값은 8_12=96이므로 증명 과정에서 논리적으로 틀린 부분 찾기 30%
m의 최댓값은 96이고, 그때의 n의 값은 48이다. (∵ ㉠)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바르게 증명하기 70%
따라서 m+n의 최댓값은 96+48=144이다.

318  ②
315   75
'x'y=-'¶xy에서 x<0, y<0이고
1 1 1 1 'z z
=-i, =-1, =i, =1이므로 =-®  에서 z>0이다.
i iÛ` iÜ` iÝ` 'y y
1 1 1 1 (-1)Ç` ±Ú` 따라서 x+y<0, z-y>0, x-z<0이므로
- + - +y+
i iÛ` iÜ` iÝ` iÇ` |x+y|+"Ã(z-y)Û`-|x-z|
(-1)Ç` ±Ú` =-(x+y)+(z-y)-{-(x-z)}
=(-i+1+i-1)+(-i+1+i-1)+y+
iÇ`
=-2y
=1-i
에서 n=4k+2 (k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1ÉnÉ300에서 1É4k+2É300 319  ④
1 149
∴ - ÉkÉ
4 2
=74.5 'x'Äx+4=-"ÃxÛ`+4x가 성립하려면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k의 개수가 75이므로 x<0, x+4<0을 동시에 만족시키거나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75이다. x=0 또는 x=-4이므로 x=0, xÉ-4 yy ㉠
'Äx+6 x+6
=-®É 이 성립하려면
'Äx-5 x-5
x+6>0, x-5<0을 동시에 만족시키거나 x=-6이므로
316   24
-6Éx<5 yy ㉡

}2`=
'2 2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x=0, -6ÉxÉ-4
zÛ`={ =i
1-i -2i 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는 -6, -5, -4, 0으로 4개이다.
zÝ`=(zÛ`)Û`=-1
z¡`=(zÝ`)Û`=1이고

}2`=
wÛ`={
-1+'3 i -1-'3 i 320  ③
2 2
'¶ab
®É
ab
-1+'3 i -1-'3 i 1+3 =- 이므로 c<0, ab>0이고,
wÜ`=w_wÛ`= _ = =1 c 'c
2 2 4
'b'c='¶bc에서 c<0이므로 b>0이다.
이때, 등식 zÇ`=wÇ`이 성립하려면
∴ a>0, b>0, c<0
n은 3과 8의 공배수, 즉 24의 배수이어야 한다.
ㄱ. a>0, b>0이므로 |a+b|=a+b=|a|+|b| (참)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24이다.
'a 'a a
ㄴ. a>0, b>0, c<0이므로 = =-®É (참)
'b 'c '¶bc bc
ㄷ. a>0, b>0, c<0이므로
317   풀이 참조 '¶-a '¶-b '¶-c=-"Ã(-a)_(-b)'¶-c=-'Ä-abc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a 'a
⑴ ㉠:'b='¶-b i이므로 = (참)
'b '¶-b i
'a
㉡:‌a>0, -b>0이면
'¶-b
a
=®É- 이므로
b 321  7

'a a 1 두 실수 x, y의 합이 음수이고 곱이 양수이므로


=®É- _ (거짓)
'¶-b i b i
x<0, y<0이다.
1 i i
3y 'x '¶3y
∴ ®É
㉢:‌ = = =-i이므로 x
i iÛ` -1 +®É ‌= +
3y x '¶3y 'x
a 1 a a
-®É- _ =-®É- _(-i)=®É-  i (거짓) 'x'x+'¶3y'¶3y
b i b b =
'¶3y'x
㉣:‌®É-  i=® 이므로 -®É-  i=-® (참)
a a a a
x+3y -21
b b b b = = =7
-'Ä3xy -3
따라서 틀린 부분은 ㉡, ㉢이다.
'a 'a
다른 풀이
a 1 a a
⑵ = =®É- _ =-®É-  i=-®
'b '¶-b i b i b b x+3y=-21 yy ㉠

58 수학<상>

(해045~120)내신고쟁이-ok.indd 58 20. 1. 21. 오후 5:01


xy=3 yy ㉡ 1
이차방정식 xÛ`+(2-3i)x+n=0
이므로 x<0, y<0 i
㉠에서 x=-21-3y이므로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즉, -ixÛ`+(2-3i)x+n=0은 실근을 가지므로
yÛ`+7y+1=0 (-xÛ`-3x)i+(2x+n)=0에서
1 복소수가 같을 조건에 의하여
양변을 y로 나누면 y+ =-7 yy ㉢
y -xÛ`-3x=0 yy ㉠
3 2x+n=0 yy ㉡
한편, ㉡에서 x= 이므로
y ㉠에서 x(x+3)=0이므로 x=0 또는 x=-3
3y 1
®Â +®Â ‌=®Â +"ÅyÛ`
x Ú x=0일 때,
3y x yÛ`
㉡에서 n=0이므로 n이 자연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
=- -y (∵ y<0) Û x=-3일 때, n=6
y
1 ∴ m+n=1+6=7
=-{y+ }=7 (∵ ㉢)
y

322  ④ 325  ③

이차방정식 xÛ`-2(k-a)x+kÛ`-4k+b=0의 x에 대한 방정식 (1-n)xÛ`+2'2x-1=0은



판별식을 D라 하면 중근을 가지므로 Ú n=1인 경우 정
D 1 식
‌=(k-a)Û`-(kÛ`-4k+b) 주어진 방정식은 2'2x-1=0이므로 x= 이다. 과
4 2'2 부
=2k(2-a)+aÛ`-b=0 ∴ f(1)=1 등

위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Û n+1인 경우
2-a=0에서 a=2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b=0에서 4-b=0이므로 b=4 D
=('2)Û`-(-1)_(1-n)=3-n이므로
4
∴ ab=2_4=8
f(0)= f(2)=2, f(3)=1, f(4)=0
Ú, Û에 의하여

323  ② f(0)+ f(1)+ f(2)+ f(3)+ f(4)


=2+1+2+1+0
bÑ"ÃbÛ`+ac
x= 에서 잘못 구한 한 근이 1+i이므로 =6
a
나머지 근은 1-i이다.
b+"ÃbÛ`+ac b-"ÃbÛ`+ac
+ =(1+i)+(1-i)에서
a a 326  ④
2b
=2   ∴ b=a 이차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a
b+"ÃbÛ`+ac b-"ÃbÛ`+ac D=aÛ`-4b<0
_ =(1+i)_(1-i)에서
a a aÛ`
∴ b>  yy ㉠
bÛ`-(bÛ`+ac) 4
=2   ∴ c=-2a
aÛ` ㄱ. 방정식 xÛ`+2bx-aÛ`=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 axÛ`+bx+c‌=axÛ`+ax-2a DÁ aÝ`
=bÛ`+aÛ`> +aÛ` (∵ ㉠)
=a(xÛ`+x-2) 4 16
=a(x-1)(x+2)=0 ∴ DÁ>0
따라서 바르게 구한 두 근은 a=1, b=-2 (∵ a>b)이므로 즉,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b -2 ㄴ. 방정식 xÛ`+ax+3b=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 =-2
a 1 Dª‌=aÛ`-12b<aÛ`-3aÛ` (∵ ㉠)
=-2aÛ`É0
즉, 중근 또는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324  7
ㄷ. 방정식 xÛ`+2(aÛ`-4b)x-4b=0의 판별식을 D£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4x+5m-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4b)Û`+4b>0 (∵ (aÛ`-4b)Û`>0이고 b>0)
4
D 7
=2Û`-(5m-3)¾0, 7-5m¾0에서 mÉ
4 5 즉,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때, m은 자연수이므로 m=1 따라서 항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는 방정식은 ㄱ, ㄷ이다.

Ⅱ.방정식과 부등식 59
327  4 [ 
f(a)=2b=4-2a
f(b)=2a=4-2b
에서

|xÛ`-(2a+1)x+3a+1|=2의 한 근이 a가 되려면 f(a)+2a-4=0, f(b)+2b-4=0이다.


|aÛ`-(2a+1)a+3a+1|=2 즉, 방정식 f(x)+2x-4=0의 두 근이 a, b이고
|aÛ`-2a-1|=2에서 f(x)의 이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aÛ`-2a-1=2 또는 aÛ`-2a-1=-2 f(x)+2x-4=xÛ`-(a+b)x+ab=xÛ`-2x-1
aÛ`-2a-3=0 또는 aÛ`-2a+1=0 ∴ f(x)‌=(xÛ`-2x-1)-2x+4
(a+1)(a-3)=0 또는 (a-1)Û`=0 =xÛ`-4x+3
∴ a=-1 또는 a=3 또는 a=1 따라서 a=-4, b=3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양수 a의 값의 합은 b-a=3-(-4)=7
3+1=4

331  ②

328   60
이차방정식 xÛ`+8x+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Û`-3[x]-10=0에서 ([x]+2)([x]-5)=0 D
=16-9>0이므로 a, b는 서로 다른 실수이고
4
∴ [x]=-2 또는 [x]=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2Éx<-1 또는 5Éx<6이므로
두 근의 합이 음수이고 곱은 양수이므로 a<0, b<0이다.
abcd=-2_(-1)_5_6=60
('a-'§b)Û`‌=('a)Û`+('§b)Û`-2'a'§b=a+b+2'¶ab
=-8+2'9

329  ⑤
이므로 구하는 값은
=-2

x의 값의 범위가 0<x<3이므로 다음과 같은 범위에 따라 방정식 ('a-'§b)ß`={('a-'§b)Û`}Ü`=(-2)Ü`=-8


xÛ`-2[x]+x-2=0의 근을 구할 수 있다.
Ú 0<x<1일 때, [x]=0
xÛ`-2[x]+x-2=0, xÛ`+x-2=0, (x+2)(x-1)=0 332  ④
∴ x=-2 또는 x=1
이차방정식 xÛ`-4x+5=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0<x<1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D
Û 1Éx<2일 때, [x]=1 =4-5<0이므로 허근을 갖는다.
4
xÛ`-2[x]+x-2=0, xÛ`+x-4=0 이때, 두 근이 a, b이므로 a®=b, b®=a이다.
-1Ñ'1Œ7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x=
2
a+b=4, ab=5이므로
따라서 1Éx<2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aÛ`b®+a®bÛ`‌=aÜ`+bÜ`=(a+b)Ü`-3ab(a+b)
-1+'1Œ7
x= =4Ü`-3_5_4
2
=4
Ü 2Éx<3일 때, [x]=2
xÛ`-2[x]+x-2=0, xÛ`+x-6=0, (x+3)(x-2)=0 참고
∴ x=-3 또는 x=2 이차방정식의 한 근 a가 허수가 아닌 실수이면 a®=a이므로
따라서 2Éx<3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a®라 할 수 없다.
x=2 따라서 판별식을 통해 방정식의 근이 허수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Ú∼Ü에서 방정식 xÛ`-2[x]+x-2=0의 근은 있다.
-1+'1Œ7
x= 또는 x=2이므로 모든 근의 곱은
2
-1+'1Œ7
2
×2=-1+'1Œ7
333  ④

이차방정식 xÛ`+px+q=0의 두 근은 a, b이므로

330  7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p yy ㉠
이차방정식 xÛ`-2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b=q yy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Û`+qx+r=0의 두 근은 3a, 3b이므로
a+b=2, ab=-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60 수학<상>
3(a+b)=-q yy ㉢ TIP
9ab=r yy ㉣ a>0, b>0이면 a+b=-2를 만족시킬 수
q 없으므로 a 또는 b가 음수이어야 한다.
㉠을 ㉢에 대입하면 -3p=-q에서 p=
3
만약 a<0, b<0이면 |a|=-a, |b|=-b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9q=r
|a|+|b|=-(a+b)이다.
q
p 3 1 그런데 주어진 조건에서 a+b=-2이고
∴ = =
r 9q 27 |a|+|b|=10+2이므로
a>0, b<0 또는 a<0, b>0이어야 한다.

334   13
337  3

z=p+qi (p, q는 실수)라 하자. 방정식 ('Än+3+'Än+4)xÛ`-x-n=0에서


(2i+z)Û`>0에서 2i+z는 실수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q=-2이므로 z=p-2i이다. 1
aÇ+bÇ= =-'Än+3+'Än+4
한편, z는 이차방정식 xÛ`+6x+a=0의 한 허근이므로 'Än+3+'Än+4
그 켤레복소수인 z=
® p+2i를 나머지 한 근으로 갖는다. ∴ (aÁ+aª+y+aªÁ)+(bÁ+bª+y+bªÁ)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Á+bÁ)+(aª+bª)+y+(aªÁ+bªÁ)

z+z=
® -6에서 2p=-6, p=-3 =(-'4+'5)+(-'5+'6)+y+(-'2Œ4+'2Œ5) 정

따라서 z=-3-2i, z®=-3+2i이므로 =-2+5=3 과

a=zz®=(-3-2i)(-3+2i)=9+4=13
338

 ⑤ 식

(2-i)xÛ`+8(i-1)x+2k=8x+ki에서
335  ④ (2xÛ`-16x+2k)-(xÛ`-8x+k)i=0
이고, x가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Û`-2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방정식 xÛ`-8x+k=0의 두 실근이 a, b이다.
D
=1-3<0이므로 a는 허수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2x+3=0의 두 근은 a, a이 a+b=8, ab=k이고,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a-b=4이므로
® 므로
a+a= a=6, b=2
® 2, aa=
® 3이다.
a a® ∴ k=ab=12
∴ z+z=
®‌ +
2a-1 2a®-1

=
a(2a®-1)+a®(2a-1)
339  ⑤
(2a-1)(2a®-1)
4aa-® (a+a)® |xÛ`-2x-k|=3에서  yy ㉠
=
4aa-® 2(a+a)® +1 xÛ`-2x-k=3 또는 xÛ`-2x-k=-3
12-2 10 xÛ`-2x-k-3=0 또는 xÛ`-2x-k+3=0
= =
12-4+1 9 각각의 판별식을 DÁ, Dª라 하면 ㉠이 네 실근을 갖기 위해서
DÁ¾0, Dª¾0이어야 한다.

=1+k+3¾0이므로 k¾-4
336   24 4

=1+k-3¾0이므로 k¾2
방정식 xÛ`+2x-k=0의 두 근이 a, b이므로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k¾2 yy ㉡
a+b=-2 yy ㉠ ㉠의 네 실근의 곱이 16이므로
이때, ㉠에서 a 또는 b가 음수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0이므로 a와 b의 부호는 서로 다르다. yy ㉡ (-k-3)(-k+3)=16
 yy TIP kÛ`-9=16   ∴ k=5 또는 k=-5
한편, ab=-k이므로 ∴ k=5 (∵ ㉡)
(|a|+|b|)Û`=aÛ`+bÛ`+2|ab|에서
참고
100=(a+b)Û`-2ab-2ab (∵ ㉡)
k=-5일 때에도 방정식 |xÛ`-2x-k|=3의 네 근의 곱은
100=4+2k+2k
16이지만 모두 허근이다.
∴ k=24

Ⅱ.방정식과 부등식 61
340  ① 342  5

1-'2 i 1+'2 i 두 실수 a, b (b+0)에 대하여 a=a+bi라 하면 b=a-bi이다.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은 , 이다.
3 3 2a+bÛ`=1에서 2(a+bi)+(a-bi)Û`=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2a-bÛ`)+2b(1-a)i=1
b 2 2
(두 근의 합)=- = 이므로 b=- a 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 3 3
aÛ`+2a-bÛ`=1, 2b(1-a)=0이어야 한다.
c 1 1
(두 근의 곱)= = 이므로 c= a 2b(1-a)=0에서 a=1 (∵ b+0)이므로
a 3 3
따라서 이차방정식 cxÛ`+bx+a=0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2a-bÛ`=1에서 bÛ`=2
b 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 =2, ab= =3
c c p=-(a+b)=-2a=-2
∴ (a-b)Û`‌=(a+b)Û`-4ab q=ab=aÛ`+bÛ`=1+2=3
=2Û`-4_3 ∴ q-p=3-(-2)=5
=-8
참고
다른 풀이
bÛ`=2에서 b=-'2 또는 b='2이므로
1-'2 i 1+'2 i a=1+'2 i, b=1-'2 i 또는 a=1-'2 i, b=1+'2 i이다.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 이므로
3 3
이차방정식 cxÛ`+bx+a=0의 두 근 a, b는
3 3
1-'2 i
=1+'2 i,
1+'2 i
=1-'2 i이다.
343   풀이 참조
∴ (a-b)Û`=(2'2 i)Û`=-8
⑴ 이차방정식 xÛ`-2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1이다.
bÛ` aÛ`
⑵ +
341  ③ 1+a 1+b
bÛ`(1+b)+aÛ`(1+a)
=
이차방정식 f(x)=0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1+a)(1+b)
일차항의 계수와 상수항이 실수이며 aÜ`+bÜ`+aÛ`+bÛ`
=
1+a+b+ab
한 허근이 a+bi이므로 나머지 한 허근은 a-bi이다.
(a+b)Ü`-3ab(a+b)+(a+b)Û`-2ab
f(x)‌=xÛ`-{(a+bi)+(a-bi)}x+(a+bi)(a-bi) =
1+(a+b)+ab
=xÛ`-2ax+aÛ`+bÛ` 2Ü`-3_(-1)_2+2Û`-2_(-1)
=
이차방정식 g(x)=0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1+2+(-1)
일차항의 계수와 상수항이 실수이며 =10
한 허근이 c+di이므로 나머지 한 허근은 c-di이다. bÛ` aÛ` aÛ`bÛ`
_ ‌=
1+a 1+b (1+a)(1+b)
g(x)‌=xÛ`-{(c+di)+(c-di)}x+(c+di)(c-di)
(ab)Û`
=xÛ`-2cx+cÛ`+dÛ` =
1+(a+b)+ab
따라서
(-1)Û`
f(x)+g(x)‌=(xÛ`-2ax+aÛ`+bÛ`)+(xÛ`-2cx+cÛ`+dÛ`) =
1+2+(-1)
=2xÛ`-2(a+c)x+aÛ`+bÛ`+cÛ`+dÛ` 1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방정식 f(x)+g(x)=0의 두 근의 합은 a+c, bÛ` aÛ`
⑶ , 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합은 10,
1+a 1+b
aÛ`+bÛ`+cÛ`+dÛ`
두 근의 곱은 이다. 1
2 두 근의 곱은 이고, xÛ`의 계수가 2이므로
2
1
2{xÛ`-10x+ }=0에서 2xÛ`-20x+1=0이다.
참고
2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한 허근을 z라 할 때,
a, b, c가 실수이면 근의 공식에 의하여 채점 요소 배점

-bÑ"ÃbÛ`-4ac b "ÃbÛ`-4ac a+b, ab의 값 구하기 20%


두 근은 =- Ñ 이므로
2a 2a 2a bÛ` aÛ` bÛ` aÛ`
1+a
+ ,
1+b 1+a
_
1+b
의 값 구하기 40%
나머지 한 근은 z이
® 다.
bÛ` aÛ`
a, b, c가 실수가 아니면 나머지 한 근을 z®라 할 수 없다. ,
1+a 1+b
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2인 이차방정식 구하기 40%

62 수학<상>
344  ⑤ 347  ③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므로 두 실수 a, b (b+0)에 대하여


0이 아닌 실수 a에 대하여 a=a+bi라 하면 a®=a-bi이고 이차방정식
f(x)=a(x-a)(x-b) yy ㉠ xÛ`+4x+k=0 yy ㉠
라 하자. 의 두 근은 a, a이
® 다.
f(2x-1)+4‌=a(2x-1-a)(2x-1-b)+4 ㄱ.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4xÛ`-2(a+b+2)x+(ab+a+b+1)}+4 ㉠은 허근을 가지므로
=a(4xÛ`-8x+8)+4 D
=2Û`-k<0
=4axÛ`-8ax+8a+4 4
이므로 이차방정식 f(2x-1)+4=0의 두 근의 곱은 ∴ k>4 (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ㄴ.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8a+4 a+a®=(a+bi)+(a-bi)=2a=-4
=1   ∴ a=-1
4a a=-2이므로
㉠에서 a의 실수부분은 -2이다. (거짓)
f(x)‌=a{xÛ`-(a+b)x+ab} ㄷ. ㄱ에서 aa®=k>4이고
=-(xÛ`-2x+5) ㄴ에서 a+a=
® -4이므로

∴ f(2)=-(4-4+5)=-5 (1+a)(1+a®)‌=(a+a®)+aa®+1 정
>-4+4+1=1 (참) 식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부

345   16 등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348  ⑤


f(x)=xÛ`+kx+8 (k는 상수)
xÛ`+px+1=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xÛ`-3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b=-p yy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 yy ㉡
a+b=3, ab=1
ㄱ. ab=1>0이므로 a, b의 부호는 서로 같다.
∴ aÛ`+bÛ`‌=(a+b)Û`-2ab
Ú a>0, b>0인 경우
=3Û`-2=7
|a+b|=a+b, |a|+|b|=a+b이므로
조건 ㈏에서
|a+b|=|a|+|b|이다.
f(a)+ f(b)‌=(aÛ`+ka+8)+(bÛ`+kb+8)
Û a<0, b<0인 경우
=(aÛ`+bÛ`)+k(a+b)+16
|a+b|=-(a+b),
=7+3k+16
|a|+|b|=(-a)+(-b)이므로
=3k+23=2
|a+b|=|a|+|b|이다.
이므로 k=-7이고 f(x)=xÛ`-7x+8
∴ |a+b|=|a|+|b| (참)
∴ f(8)=64-56+8=16
1
ㄴ. ㉡에서 b= 이므로
a
1
>1, 즉 b>1이다. (참)
346  ④ 0<a<1이면
a
ㄷ. 이차방정식 xÛ`+px+1=0은 두 실근을 가지므로
a b
조건 ㈎에서 f { }-3=0, f { }-3=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p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 3
D=pÛ`-4¾0 yy ㉢
이차방정식 f { }-3=0의 두 근이 a, b이다.
x
3 ∴ aÛ`+bÛ`‌=(a+b)Û`-2ab
따라서 f(x)의 이차항의 계수를 a (a+0)라 하면 =pÛ`-2 (∵ ㉠, ㉡)

f { }-3=a{xÛ`-(a+b)x+ab}=a(xÛ`+2x-1)
x =(pÛ`-4)+2¾2 (∵ ㉢)
3 즉, aÛ`+bÛ`의 최솟값은 2이다. (참)
f { }=a(xÛ`+2x-1)+3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
이때, 조건 ㈏에서 f(0)=1이므로
f(0)=a_(-1)+3=1에서 a=2 349  ③
3
∴ f(1)= f { }=2(3Û`+2_3-1)+3=31 a, b를 두 근으로 하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3

Ⅱ.방정식과 부등식 63
xÛ`-(a+b)x+ab=0 A
이고, a+b=2, ab=7이므로 xÛ`-2x+7=0 yy ㉠
2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Û`-7=-6<0 D
4
a 2
이므로 이차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허근 a, b를 갖는다.
이때, 두 허근은 서로 켤레복소수 관계이므로 B C
2
a=b®, a=
® b yy ㉡
조건 ㈏에 의하여 ABÓ=a+2이므로
ㄱ. ㉡에 의하여 aa=
® bb® (참) (a+2):2=2:a, a(a+2)=4, aÛ`+2a-4=0
ㄴ. ㉡에 의하여
∴ a=-1+'5 (∵ a>0)
a+b®=a+a=2a, a®+b=b+b=2b이다.
m=-(ABÓ+BCÓ)=-a-4=-3-'5
이때, a+b이므로 a+b®+a+
® b (거짓) n=ABÓ_BCÓ=2(a+2)=2+2'5
ㄷ. 이차방정식 ㉠의 한 근이 a이므로
∴ m+n=(-3-'5)+(2+2'5)=-1+'5
aÛ`-2a+7=0에서 aÛ`=2a-7=2b®-7 (∵ ㉡)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352  ①

350  ⑤ ABÓ=AEÓ=BCÓ, ∠ABC=∠BAE이므로


두 삼각형 ABC, EAB는 서로 합동이다.
1 xÛ`+1 따라서 ACÓ=x라 하면 BEÓ=x
x+ =-1에서 =-1, xÛ`+x+1=0이다.
x x
A
즉, 방정식 xÛ`+x+1=0의 한 근이 x이고, 나머지 한 근은 x®이므로 1
xÛ`+x+1=0, x® `Û +x+
® 1=0 P
B E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x+x®=-1, xx®=1
이고 (x-1)(xÛ`+x+1)=0, xÜ`-1=0에서
xÜ`=x® `Ü =1이다. C D
x `Ý +1 x®+1 -x® Û` 이때, 두 삼각형 ABC, EAB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f(1)= ® = = =-x®
x® Ý` x® x® ∠PAB=∠PBA
x ¡`+1 x® Û`+1 -x® 1
f(2)‌= ® = = =- 따라서 두 삼각형 ABC와 APB는 닮음비가 x:1인 닮은 도형이므로
x® ¡` x® Û` x® Û` x®
x 1 1
=- =-x PAÓ= 에서 PCÓ=x-
x x
x®_x
이때, ACÓ:PCÓ=PCÓ:PAÓ에서 PCÓÓ Û`=ACÓ_PÕA이
Ó 므로

{x- }2`=x_ , x- =1 (∵ x>1)


x Ú`Û`+1 1+1
f(3)= ® = =2
x® Ú`Û` 1 1 1 1
x Ú`ß`+1 x+ 1 -x® Û` x x x
f(4)= ® = ® = =-x® 1+'5
x® Ú`ß` x® x® xÛ`-x-1=0에서 x= (∵ x>1)
2
y

1+'5
그러므로 자연수 k에 대하여 f(k)= f(k+3)이다. ∴ ACÓ=
2
∴ ‌f(1)+ f(2)+ f(3)+y+ f(101)
® x+2)_33+(-x-
=(-x- ® x)=3_33+1=100

353   102

351  ② z=
3+'2i
'2-3i
=i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삼각형 ABC는 z-2zÛ`+3zÜ`-4zÝ`+y+(-1)Ç` ±Ú`nzÇ`


ABÓ=A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ACB =(i+2-3i-4)+(5i+6-7i-8)+y+(-1)Ç` ±Ú`niÇ`
조건 ㈏에 의하여 삼각형 CBD는 =(-2-2i)+(-2-2i)+y+(-1)Ç` ±Ú`niÇ`
BCÓ=CD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CDB =52+51i에서
따라서 두 삼각형 ABC와 CBD는 서로 닮음이다. 52+51i=25(-2-2i)+(101i+102)
BDÓ=a (a>0)라 하면 ∴ n=102

64 수학<상>
a+b=p, ab=q
354  ⑤
이때, p, q는 서로 다른 5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z=a+bi, w=c+di (a, b, c, d는 실수이고, abcd+0)라 하자. p=2Û`+3Û`=13, q=2Û`_3Û`=36이다.
z-w=a+bi-c-di=(a-c)+(b-d)i가 실수이므로 b=d ∴ p+q=13+36=49
zw=(a+bi)(c+bi)=ac-bÛ`+(ab+bc)i가 실수이므로
b(a+c)=0
따라서 c=-a이므로 w=-a+bi
358  ⑤

ㄱ. z+w=(a+bi)+(-a+bi)=2bi (참) zÛ`


ㄱ. 이 실수이므로 그 켤레복소수인
1-z
ㄴ. zw=(a+bi)(-a+bi)=-aÛ`-bÛ`<0 (참)
Ð{ zÛ` }= z® `  은 실수이다. (참)
Û
ㄷ. zz®-ww®‌
=(a+bi)(a-bi)-(-a+bi)(-a-bi)
1-z 1-z®
=(a+bi)(a-bi)-(a-bi)(a+bi) Û
ㄴ. ㄱ에서 zÛ` = z® ` 이므로
=0 (참) 1-z 1-z®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zÛ`(1-z®)=z® Û`(1-z), zÛ`-z® Û`-zÛ` z®+zz® Û`=0
(z+z®)(z-z®)-zz®(z-z®)=0
(z-z)® (z+z-
® zz)® =0이므로 z=z® 또는 z+z=
® zz®
355   -3 한편, z는 실수가 아니므로 z+z®=zz® (참)
ㄷ. 두 실수 a, b (b+0)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m+n)Û`+1}xÛ`+2(m+n-1)x+2=0이 방
z=a+bi라 하면 z+z=
® (a+bi)+(a-bi)=2a 정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식
zz=
® (a+bi)(a-bi)=aÛ`+bÛ`>0이고
D 과
‌=(m+n-1)Û`-2{(m+n)Û`+1} ㄴ에서 z+z=
4 ® zz이
® 므로 부

=(m+n)Û`-2(m+n)+1-2(m+n)Û`-2 복소수 z의 실수부분은 양수이다. (참) 식
=-(m+n)Û`-2(m+n)-1¾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에서 (m+n)Û`+2(m+n)+1É0
즉, (m+n+1)Û`É0이어야 하므로 359  ②
m+n+1=0 yy ㉠
z=a+bi (a, b는 실수)라 할 때, zÝ`<0을 만족시키려면
이때, mÛ`-nÛ`+4m+2n=(m+2)Û`-(n-1)Û`-3
zÛ`=(a+bi)Û`=aÛ`-bÛ`+2abi가 순허수가 되어야 하므로
이므로 ㉠을 대입하면 구하는 값은
zÛ`의 실수부분은 aÛ`-bÛ`=0이고, 허수부분은 2ab+0이어야 한다.
(m+2)Û`-(n-1)Û`-3=(-n+1)Û`-(n-1)Û`-3=-3
즉, a+b=0 또는 a-b=0이고, yy`Ú
a+0, b+0이어야 한다. yy`Û
356  3 주어진 복소수는
(2+i)xÛ`+(3i-2)x-12+2i
(-1)Û`=1, i Û`=-1, (1+i)Û`=2i이므로
=(2xÛ`-2x-12)+(xÛ`+3x+2)i
aÁ, aª, a£, y, a£¼ 중에서 -1의 개수를 a, i의 개수를 b, 1+i의
=2(x-3)(x+2)+(x+1)(x+2)i이므로
개수를 c라 하면
Ú a+b=0 또는 a-b=0
a+b+c=30 yy ㉠
a+b‌=2(x-3)(x+2)+(x+1)(x+2)
(aÁ)Û`+(aª)Û`+(a£)Û`+y+(a£¼)Û`
=(3x-5)(x+2)=0
=1_a+(-1)_b+2i_c=7+10i
이므로 a-b=7, c=5 yy ㉡ 이므로 x= 5 또는 x=-2
3
㉠, ㉡을 연립하여 풀면 a=16, b=9, c=5 a-b‌=2(x-3)(x+2)-(x+1)(x+2)
따라서 =(x-7)(x+2)=0
aÁ+aª+a£+y+a£¼‌=(-1)_16+i_9+(1+i)_5 이므로 x=7 또는 x=-2
=-11+14i
따라서 x=-2 또는 x= 5 또는 x=7
이므로 구하는 답은 -11+14=3이다. 3
Û a=2xÛ`-2x-12=2(x-3)(x+2)+0과
b=xÛ`+3x+2=(x+1)(x+2)+0에서
357   49 x+-2, x+-1, x+3

a, b는 3개의 양의 약수를 가지므로 소수의 제곱수이고,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은 5 또는


3
5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2Û`, 3Û`, 5Û`, 7Û` 중 하나의 값을 각각 갖는다. 7이다.
이때, 방정식 xÛ`-px+q=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5 +7= 26 이다.
의하여 3 3

Ⅱ.방정식과 부등식 65
360  ③ =i(z-'3z) (∵ zÛ`+1=-'3z)
=z(1-'3)i
}2`=
1-'3 i -2-2'3 i -1-'3 i 1+w+wÛ`+wÜ`+wÝ`+wÞ`+wß`+wà`+w¡`
(zÁ)Û`={ =
2 4 2
=(1+w+wÛ`)+wÜ`(1+w+wÛ`)+wß`(1+w+wÛ`)
-1-'3 i 1-'3 i -1-3
(zÁ)Ü`=(zÁ)Û`zÁ= _ = =-1 =(1+w+wÛ`)+(-i)_(1+w+wÛ`)+(-1)_(1+w+wÛ`)
2 2 4
=-i(w-'3w) (∵ wÛ`+1=-'3w)
(zÁ)ß`={(zÁ)Ü`}Û`=(-1)Û`=1
=-w(1-'3)i
한편, zª=-i, (zª)Û`=(-i)Û`=-1, (zª)Ü`=i, (zª)Ý`=1이므로
한편, xÛ`+'3x+1=0의 두 근이 z, w이므로
(zÁzª)Û`=(zÁ)Û`(zª)Û`=-(zÁ)Û`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zw=1
(zÁzª)Ü`=(zÁ)Ü`(zª)Ü`=-i
∴ (1+z+zÛ
‌ `+y+z¡`)(1+w+wÛ`+y+w¡`)
(zÁzª)Ý`=(zÁ)Ý`(zª)Ý`=(zÁ)Ü`zÁ=-zÁ
={z(1-'3)i}_{-w(1-'3)i}
(zÁzª)Þ`=(zÁ)Þ`(zª)Þ`=(zÁ)Ü`(zÁ)Û`(zª)Ý`zª=(zÁ)Û`i
=-zw(1-'3)Û` i Û`
(zÁzª)ß`=(zÁ)ß`(zª)ß`=(zª)Ý`(zª)Û`=-1
=(-1)_(1-2'3+3)_(-1)
따라서 (zÁzª)ß`, (zÁzª)Ú`Û`, (zÁzª)Ú`¡`, y, (zÁzª)á`ß`이 실수이고,
=4-2'3
100=6×16+4이므로 실수인 것의 개수는 16이다.
다른 풀이

361  ② xÛ`+'3x+1=0의 한 근이 z이므로


zÛ`+'3z+1=0
}2`=i
'2+'2 i '2+'2 i zÛ`+1=-'3z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z= 에서 zÛ`={
2 2

}2`=-i
(zÛ`+1)Û`=(-'3z)Û`, zÝ`+2zÛ`+1=3zÛ`
-'2+'2 i -'2+'2 i
w= 에서 wÛ`={ zÝ`-zÛ`+1=0, (zÛ`+1)(zÝ`-zÛ`+1)=0이므로
2 2
'2+'2 i -'2+'2 i zß`+1=0에서 zß`=-1
zw= _ =-1
2 2 1+z+zÛ`+zÜ`+zÝ`+zÞ`+zß`+zà`+z¡`
이므로 =(1+z+zÛ`)+zÜ`(1+z+zÛ`)+zß`(1+z+zÛ`)
zwÛ`=zw_w=-w =zÜ`(1+z+zÛ`)=zÜ`_(z-'3z) (∵ zÛ`+1=-'3z)
zÛ`w=z_zw=-z =zÝ`(1-'3)
zÛ`wÛ`=1 xÛ`+'3x+1=0의 한 근이 w이므로
zwÜ`=zw_wÛ`=(-1)_(-i)=i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따라서 m=1, n=3일 때, m+n은 최솟값 1+3=4를 갖는다. 1+w+wÛ`+wÜ`+wÝ`+wÞ`+wß`+wà`+w¡`
=wÝ`(1-'3)
참고
한편, xÛ`+'3x+1=0의 두 근이 z, w이므로
'2+'2 i
❶ z=
2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zw=1
zÛ`=i, zÝ`=-1, zß`=-i, z¡`=1 ∴ (1+z+zÛ
‌ `+y+z¡`)(1+w+wÛ`+y+w¡`)
-'2+'2 i ={zÝ`(1-'3)}_{wÝ`(1-'3)}
❷ w= 에서
2 =(zw)Ý`(1-'3)Û`=1Ý`_(1-2'3+3)
wÛ`=-i, wÝ`=-1, wß`=i, w¡`=1 =4-2'3

362  ③ 363  ④

}2`= }2`=
1+i 1+2i-1 '2 2
xÛ`+'3 x+1=0의 두 근은 근의 공식에 의하여 { =i, { =-i이므로
'2 2 1+i 1+2i-1

}2` n`-{ }2` n`=[{ }2`]n`-[{ }2`]n`


-'3+i -'3-i
x= 또는 x= 1+i '2 1+i '2
zÇ‌={
이므로
2 2
'2 1+i '2 1+i
-'3+i -'3-i
z= , w= 라 하면 =iÇ`-(-i)Ç`
2 2
1-'3 i 1+'3 i 따라서 z4k-3=2i, z4k-2=0, z4k-1=-2i, z4k=0 (k는 자연수)
zÛ`= , wÛ`=
2 2 ㄱ. 서로 다른 zÇ의 값은 2i, 0, -2i로 모두 3개이다. (거짓)
zÜ`=i, wÜ`=-i ㄴ. zÁ+zª+z£+y+z4k-3=2i
zß`=-1, wß`=-1 zÁ+zª+z£+y+z4k-2=2i
1+z+zÛ`+zÜ`+zÝ`+zÞ`+zß`+zà`+z¡` zÁ+zª+z£+y+z4k-1=0
=(1+z+zÛ`)+zÜ`(1+z+zÛ`)+zß`(1+z+zÛ`) zÁ+zª+z£+y+z4k=0
=(1+z+zÛ`)+i(1+z+zÛ`)+(-1)_(1+z+zÛ`) ‌즉, zÁ+zª+z£+y+zÇ으로 가능한 서로 다른 값은 2i, 0이고

66 수학<상>
그 총합은 2i이다. (참)
ㄷ. zl_zm<0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2i_2i 또는
365  ②

(-2i)_(-2i)이어야 한다. 주어진 이차식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Ú 2i_2i인 경우 xÛ`+(k-y)x+2yÛ`-3y+2이다.
‌l과 m이 모두 4k-3 꼴이어야 하므로 가능한 10보다 작은 이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k-y)x+2yÛ`-3y+2=0의 근은
자연수는 1, 5, 9이다. -(k-y)Ñ"Ã(k-y)Û`-4(2yÛ`-3y+2)
x=
따라서 순서쌍 (l, m)은 2
(1, 1), (1, 5), (5, 1), (5, 5), (1, 9), (9, 1),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9, 9), (5, 9), (9, 5)의 9개이다. D=(k-y)Û`-4(2yÛ`-3y+2)이므로
Û (-2i)_(-2i)인 경우 xÛ`+(k-y)x+2yÛ`-3y+2
-(k-y)+'¶D -(k-y)-'¶D
‌l과 m이 모두 4k-1 꼴이어야 하므로 가능한 10보다 작은 =[x-  ][x- ]
2 2
자연수는 3, 7이다.
이때,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되기 위해선
따라서 순서쌍 (l, m)은
근호 안의 식 D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3, 3), (3, 7), (7, 3), (7, 7)의 4개이다.
즉, D‌=(k-y)Û`-4(2yÛ`-3y+2)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 (l, m)의 개수는 13이다. (참)
=-7yÛ`+(12-2k)y+kÛ`-8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에서 y에 대한 이차방정식 -7yÛ`+(12-2k)y+kÛ`-8=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0을 만족시켜야 한다. 방

364   -2, 0, 2 DÁ
4
=(6-k)Û`+7(kÛ`-8)=0



aÇ (n=1, 2, y, 100)은 1 또는 -1의 값을 갖고 8kÛ`-12k-20=0, 2kÛ`-3k-5=0 등

aÁaªyaÁ¼¼=1이므로 aÁ, aª, y, aÁ¼¼ 중 -1의 개수는 (2k-5)(k+1)=0
0, 2, 4, 6, y, 100이다. 5
∴ k= (∵ k>0)
Ú -1이 0개 있을 때 2
'§aÁ '§aª '§a£ y '¶aÁ¼¼
='1_'1_'1_y_'1=1
마찬가지로 -1이 4k (k는 자연수)개 있을 때에는
366   -2Éx<-1 또는 -5Éx<-4

i 4k=1이므로 '§aÁ '§aª '§a£ y '¶aÁ¼¼=1 x


정수 n에 대하여 nÉ <n+1이라 하자.
Û -1이 2개 있을 때 3
'§aÁ '§aª '§a£ y '¶aÁ¼¼ Ú 3nÉx<3n+1일 때,

[ ]2`+[x]+1=0에서 nÛ`+3n+1=0을 만족시키는


='¶-1_'¶-1_'1_y_'1 x
3
=i_i_1_y_1=-1
정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1이 4k+2 (k는 자연수)개 있을 때에는
Û 3n+1Éx<3n+2일 때,

[ ]2`+[x]+1=0에서 nÛ`+(3n+1)+1=0
i 4k+2=-1이므로 '§aÁ '§aª '§a£ y '¶aÁ¼¼=-1
x
한편, bÇ`(n=1, 2, y, 100)은 1 또는 -1의 값을 갖고 3
bÁbª`y`bÁ¼¼=-1이므로 bÁ, bª, y, bÁ¼¼ 중 -1의 개수는 nÛ`+3n+2=0, (n+1)(n+2)=0에서
1, 3, 5, 7, y, 99이다. n=-1 또는 n=-2이므로
Ü -1이 1개 있을 때 -2Éx<-1 또는 -5Éx<-4
'§bÁ '§bª '§b£ y '¶bÁ¼¼ Ü 3n+2Éx<3n+3일 때,

[ ]2`+[x]+1=0에서 nÛ`+(3n+2)+1=0
='¶-1_'1_'1_y_'1 x
=i_1_1_y_1=i 3
마찬가지로 -1이 4k+1 (k는 자연수)개 있을 때에는 nÛ`+3n+3=0을 만족시키는 정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i =i이므로 '§bÁ '§bª '§b£ y '¶bÁ¼¼=i
4k+1 Ú∼Ü에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Ý -1이 3개 있을 때 -2Éx<-1 또는 -5Éx<-4
'§bÁ '§bª '§b£ y '¶bÁ¼¼
='¶-1_'¶-1_'¶-1_'1_y_'1
=i_i_i_1_y_1=-i 367   풀이 참조

마찬가지로 -1이 4k+3 (k는 자연수)개 있을 때에는 이차방정식 xÛ`-ax+a=0이 허근 z를 가지므로


i 4k+3=-i이므로 '§bÁ '§bª '§b£ y '¶bÁ¼¼=-i 판별식을 D라 하면
Ú∼Ý에서 p=1 또는 p=-1이고, q=i 또는 D=aÛ`-4a<0이므로 0<a<4 yy ㉠
q=-i이므로 p+qi로 가능한 값은 -2, 0, 2이다. zÛ`-az+a=0에서 zÛ`=az-a이므로

Ⅱ.방정식과 부등식 67
zÜ`‌=zÛ`_z=azÛ`-az=a(az-a)-az 1
따라서 <k<3, k+1이므로
=(aÛ`-a)z-aÛ` 2
a는 실수이고 z는 허수이므로 복소수 zÜ`이 실수이기 위해선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는 2의 1개이다.
aÛ`-a=0이어야 한다.
a(a-1)=0   ∴ a=1 (∵ ㉠) yy 참고
다른 풀이
369  ③

이차방정식 xÛ`-ax+a=0이 허근 z를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ki+1)xÛ`+(i-9)x+14-6i=0의 실근을 a라 하면


판별식을 D라 하면 (ki+1)aÛ`+(i-9)a+14-6i=0
D=aÛ`-4a<0이므로 0<a<4 yy ㉠ (aÛ`-9a+14)+(kaÛ`+a-6)i=0
두 실수 p, q (q+0)에 대하여 z=p+qi라 하면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z= aÛ`-9a+14=0 yy ㉠
® p-qi도 이차방정식 xÛ`-ax+a=0의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aÛ`+a-6=0 yy ㉡
a ㉠에서 (a-2)(a-7)=0이므로
z+z®=a에서 2p=a, p=  yy ㉡
2 a=2 또는 a=7
zz®=a에서 pÛ`+qÛ`=a yy ㉢ a=2를 ㉡에 대입하면 4k+2-6=0
zÜ`‌=(p+qi)Ü`=pÜ`+3pÛ`qi-3pqÛ`-qÜ`i ∴ k=1
=(pÜ`-3pqÛ`)+q(3pÛ`-qÛ`)i a=7을 ㉡에 대입하면 49k+7-6=0
이므로 zÜ`이 실수가 되기 위해선 1
∴ k=-
q(3pÛ`-qÛ`)=0, 즉 3pÛ`-qÛ`=0 (∵ q+0)이어야 한다. 49
㉢을 대입하면 3pÛ`-(a-pÛ`)=0, 4pÛ`-a=0 ∴ a=2, k=1 (∵ k>0)

㉡을 대입하면 4_{ }2`-a=0, aÛ`-a=0


a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2 (i+1)xÛ`+(i-9)x+14-6i=0
a(a-1)=0   ∴ a=1 (∵ ㉠) 이고 허근을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4-6i
참고 (두 근의 곱)=2_b=
i+1
a=0이면 주어진 방정식 xÛ`-ax+a=0은 xÛ`=0이므로 7-3i (7-3i)(1-i) 4-10i
b= = = =2-5i
허근이 아닌 실근 0을 갖는다. i+1 (1+i)(1-i) 2
∴ a-b=2-(2-5i)=5i
채점 요소 배점
zÜ`이 실수가 되기 위하여 aÛ`-a=0이어야 함을 구하기 70%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 구하기 30% 370  ③

1<a<2, 5<b<6 yy ㉠
에서 6<a+b<8, 5<ab<12
이므로 이차방정식 axÛ`-bx+2c=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2c
368  ① 6< <8, 5< <12
a a
이때, a, b, c는 10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a=1, b=7이고,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c=3 또는 c=4 또는 c=5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ab<0이고,
Ú c=3일 때
양수인 근의 절댓값이 음수인 근의 절댓값보다 크므로
xÛ`-7x+6=0이므로
a+b>0을 만족시켜야 한다.
(x-1)(x-6)=0에서 x=1 또는 x=6
2(k-1)Û`xÛ`+3(k-3)x-2k+1=0이 이차방정식이므로
이는 조건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k-1)Û`+0, 즉 k+1
Û c=4일 때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7Ñ'1Œ7
-3(k-3) xÛ`-7x+8=0이므로 x=
a+b= >0 yy ㉠ 2
2(k-1)Û`
이는 조건 ㉠을 만족시킨다.
-2k+1
ab= <0 yy ㉡ Ü c=5일 때
2(k-1)Û`
이때, 2(k-1)Û`>0이므로 xÛ`-7x+10=0이므로 (x-2)(x-5)=0
㉠에서 -3(k-3)>0   ∴ k<3 이는 조건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 Ú∼Ü에서 a=1, b=7, c=4이므로
㉡에서 -2k+1<0   ∴ k>
2 a+b+c=1+7+4=12

68 수학<상>
371   f(x)=-xÛ`+x+2 f(1)=a+b=-1
f(2)=aÛ`+bÛ`=(a+b)Û`-2ab=-1
xÛ`+2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f(3)=aÜ`+bÜ`=1+1=2
aÛ`+2a+4=0, bÛ`+2b+4=0 f(4)=aÝ`+bÝ`=a+b=-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5)=aÞ`+bÞ`=aÛ`+bÛ`=-1
a+b=-2, ab=4 f(6)=aß`+bß`=1+1=2
aÛ` bÛ`

y

=-2-a=b, =-2-b=a이므로
2 2
f(49)=aÝ`á`+bÝ`á`=a+b=-1
aÛ`
f { }=-3a에서 f(b)=-3(-2-b)=6+3b f(50)=aÞ`â`+bÞ`â`=aÛ`+bÛ`=-1
2
이때, 50=3_16+2이므로
f(b)-3b-6=0
f(1)+ f(2)+ f(3)+y+ f(50)
bÛ`
f { }=-3b에서 f(a)=-3(-2-a)=6+3a
2 =16_{(-1)+(-1)+2}+{(-1)+(-1)}
f(a)-3a-6=0 =-2
즉, 이차방정식 f(x)-3x-6=0의 두 근이 a, b이고 다른 풀이
f(x)의 이차항의 계수를 k라 하면
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f(x)-3x-6‌=k{xÛ`-(a+b)x+ab}
aÛ`+a+1=0에서 (a-1)(aÛ`+a+1)=0
=k(xÛ`+2x+4)
aÜ`-1=0   ∴ aÜ`=1 방
f(x)=k(xÛ`+2x+4)+3x+6 정
마찬가지로 bÛ`+b+1=0에서 bÜ`=1 식
이때, f(1)=2이므로 f(1)=7k+9=2   ∴ k=-1 과
f(1)+ f(2)+ f(3)+ f(4)+ f(5)+ f(6)+y+ f(49)+ f(50) 부
∴ f(x)‌=-(xÛ`+2x+4)+3x+6 등
=(a+b)+(aÛ`+bÛ`)+(aÜ`+bÜ`)+(aÝ`+bÝ`)+(aÞ`+bÞ`)+(aß`+bß`)
=-xÛ`+x+2 식
 +y+(aÝ`á`+bÝ`á`)+(aÞ`â`+bÞ`â`)
=(a+aÛ`+aÜ`+aÝ`+aÞ`+aß`+y+aÝ`á`+aÞ`â`)
372   16  +(b+bÛ`+bÜ`+bÝ`+bÞ`+bß`+y+bÝ`á`+bÞ`â`)
={(a+aÛ`+1)+(a+aÛ`+1)+y+a+aÛ`}
이차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b+bÛ`+1)+(b+bÛ`+1)+y+b+bÛ`}
D=(-1)Û`-4<0
=(a+aÛ`)+(b+bÛ`)=(-1)+(-1)=-2
이므로 방정식 xÛ`-x+1=0의 두 허근은 z, z®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z+z=® 1 yy ㉠
zz®=1 yy ㉡
374  ②

∴ zÇ`(1-z)Û`Ç` ±Ú`‌=zÇ`_z® Û`Ç` ±Ú` (∵ ㉠) 이차방정식 xÛ`-(n+1)x+2n+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zz)® Ç`_z® Ç` ±Ú`=z® Ç` ±Ú` (∵ ㉡) yy ㉢ D=(n+1)Û`-4(2n+1)=nÛ`-6n-3=(n-3)Û`-12
이때, z®는 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이므로 D의 부호는 다음과 같다.
z® Û`-z+ ® 1)(z® Û`-z+
® 1=0에서 (z+ ® 1)=0 n y, -2, -1 0, 1, y, 6 7, 8, y
∴ z® Ü`=-1, z® ß`=1 D 양수 음수 양수
따라서 zÇ`(1-z)Û`Ç` ±Ú`의 값이 양의 실수이기 위해서는 ㄱ. |a|=|b|에서
㉢에서 n+1=6k (k는 자연수) Ú a=b인 경우
즉, n=6k-1 꼴이어야 한다. D=(n-3)Û`-12=0을 만족시키는 정수 n은 존재하지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nÉ100이므로 않는다.
이를 만족시키는 k는 1, 2, 3, y, 16이다. Û a=-b인 경우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16이다. a+b=n+1=0에서 n=-1이다.
Ú, Û에서 n=-1이다. (참)
ㄴ. (a-b)Û`<0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a-b가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373  ①
D=(n-3)Û`-12<0이어야 한다. yy TIP
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n은 0, 1, 2, 3, 4, 5, 6이므로
aÛ`+a+1=0에서 (a-1)(aÛ`+a+1)=0 모든 n의 값의 합은 0+1+2+3+4+5+6=21이다. (참)
aÜ`-1=0   ∴ aÜ`=1 ㄷ. a+b<|a+b|<|a|+|b|를 만족시키는 a, b는 부호가
마찬가지로 bÛ`+b+1=0에서 bÜ`=1 다르고 음수의 절댓값이 양수의 절댓값보다 크다.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n+1<0, ab=2n+1<0에서 n<-1이므로
a+b=-1, ab=1 정수 n에 대하여 |n|의 최솟값은 2이다. (거짓)

Ⅱ.방정식과 부등식 69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1 1
㉠, ㉡에서 , 을 두 근으로 하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a b
TIP 이차방정식은
이차방정식의 두 근 a, b가 허근이면 a와 b는 서로 1 1 1
xÛ`-{ + }x+ =0
켤레복소수이므로 a-b는 순허수이다. a b ab
2a 1
∴ xÛ`- x+ =0
bÛ` bÛ`

375  4

정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O, 두 선분 BC, MN의 중점을 각각 Q,


377  ④

R라 하자. (x-a)(x-b)+(x-b)(x-c)+(x-c)(x-a)=0
다음과 같이 삼각형 QMN은 정삼각형 AMN과 합동이므로 세 점 3xÛ`-2(a+b+c)x+ab+bc+ca=0 yy ㉠
A, O, Q는 한 직선 위에 있고 삼각형 BOQ는 직각삼각형이다.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 D
‌=(a+b+c)Û`-3(ab+bc+ca)
4
x N1 P =aÛ`+bÛ`+cÛ`-ab-bc-ca
M
R 1
O = {(a-b)Û`+(b-c)Û`+(c-a)Û`}¾0
2
B Q C ㄱ. ‌임의의 세 양수 a, b, c에 대하여 D¾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이
항상 실근을 갖는다. (거짓)
삼각형 ABC는 한 변의 길이가 2x인 정삼각형이고,
ㄴ. 주어진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면 D=0이므로
점 O는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a=b=c이다. (참)
'3
AQÓ='3x, OQÓ= x이다. ㄷ. ‌정육면체가 아닐 때, D>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3
직각삼각형 BOQ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실근을 갖는다. 이 두 실근을 a, b라 하면 ㉠에서 이차방정식의

OBÓ Û`={ x}2`+xÛ`= xÛ`, OBÓ=OAÓ=


'3 4 2'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2(a+b+c)
3 3 3 ab+bc+ca
a+b= , ab= 이고
x 3 3
이때, NRÓ= 이고,
2 a>0, b>0, c>0이므로 a+b>0, ab>0이다.
2'3 '3 '3 그러므로 두 근은 모두 양수이다. (참)
ORÓ=OAÓ-ARÓ= x- x= x
3 2 6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직각삼각형 OP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PÓ Û`=ORÓ Û`+PRÓ Û`={ x}2`+{ +1}2`


'3 x
6 2

x}2`+{ +1}2`
Û Û Û '3 x
이때, OPÓ `=OBÓ `이므로 OBÓ `={
6 2
4 1 1
xÛ`= xÛ`+ xÛ`+x+1, xÛ`-x-1=0
3 12 4
양변을 x로 나누면
1 1
x-1- =0, x- =1
x x

‌={x- }3`+3{x- }
1 1 1
∴ xÜ`-
xÜ` x x
=1Ü`+3_1=4

376  ③

BEÓ=a, CEÓ=b라 하면 BEÓ+CEÓ=BCÓ이므로


a+b=2a yy ㉠
한편, 직각삼각형 AED에서
DEÓ Û`=ADÓ Û`-AEÓ Û`=aÛ`-bÛ`, DEÓ="ÃaÛ`-bÛ`이므로
BEÓ_CEÓ=(BDÓ+DEÓ)_(CDÓ-DEÓ)
ab‌=(a+"ÃaÛ`-bÛ` )(a-"ÃaÛ`-bÛ` )
=bÛ` yy ㉡

70 수학<상>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381  ⑤

이차함수 y=-xÛ`+(2m-1)x-mÛ`+2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378  ① -xÛ`+(2m-1)x-mÛ`+2=0,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2m-1)x+mÛ`-2=0이 허근을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 xÛ`+ax+b=0의 실근과 같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1, 2이므로 D‌=(2m-1)Û`-4(mÛ`-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mÛ`-4m+1-4mÛ`+8

두 근의 합은 -a=(-1)+2=1이므로 a=-1 =-4m+9<0

두 근의 곱은 b=(-1)_2=-2 9
이므로 m> 이다.
4
∴ a+b=(-1)+(-2)=-3
따라서 구하는 정수 m의 최솟값은 3이다.
다른 풀이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두 점 (-1, 0), (2, 0)을


지나므로 382   20
0=1-a+b, 0=4+2a+b
이차함수 y=2xÛ`+ax+b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므로 방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정
방정식 2xÛ`+ax+b=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 a+b=-3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과

D=aÛ`-8b=0이므로 등
aÛ` 식
y=2xÛ`+ax+b=2xÛ`+ax+
8
379  ③ 이고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8)을 지나므로 대입하면
aÛ`
이차함수 y=2xÛ`-4x-10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 A, B의 8=2+a+ , aÛ`+8a-48=0, (a+12)(a-4)=0
8
x좌표는 방정식 2xÛ`-4x-10=0의 두 실근이므로 방정식 이므로 a=4 (∵ a>0), b=2이다.
2xÛ`-4x-10=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 aÛ`+bÛ`=4Û`+2Û`=20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다른 풀이
a+b=2, ab=-5
이차함수 y=2xÛ`+ax+b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므로
이때,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 0), (b, 0)이므로
우변은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 되어야 한다.
ABÓ=|a-b|
y=2(x-p)Û` (p<0)이라 하면
∴ ABÓ Û`‌=(a-b)Û`=(a+b)Û`-4ab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1, 8)을 지나므로
=2Û`-4_(-5)=24
8=2(1-p)Û`, (1-p)Û`=4, 1-p=Ñ2
∴ p=-1 (∵ p<0)
따라서 y=2(x+1)Û`=2xÛ`+4x+2이므로
a=4, b=2
380   ⑴ k<4  ⑵ k=4  ⑶ k>4
∴ aÛ`+bÛ`=4Û`+2Û`=20
이차함수 y=xÛ`-4x+k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는
이차방정식 xÛ`-4x+k=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으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면 된다. 383  ④
⑴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xÛ`-4x+k=0이
①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이다.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b
D 또한 축이 y축 오른쪽에 존재하므로 - >0
=4-k>0에서 k<4 2a
4
∴ b>0 (참)
⑵ x축과 접하려면 방정식 xÛ`-4x+k=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②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y절편이 양수이므로
D
=4-k=0에서 k=4 f(0)=c>0 (참)
4
③ ‌방정식 axÛ`+bx+c=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서로 다른 두
⑶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방정식 xÛ`-4x+k=0이 허근을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가져야 하므로
D=bÛ`-4ac>0
D
=4-k<0에서 k>4
4 ∴ bÛ`>4ac (참)

Ⅱ.방정식과 부등식 71
1 1 1 f(x)=kx-5에서 f(x)-(kx-5)=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④ a+ b+ c= (4a+2b+c)이고
2 4 4 xÁ, xª이다.
f(2)=4a+2b+c>0이므로 xÛ`-4x+6-(kx-5)=0에서 xÛ`-(k+4)x+11=0이고,
1 1
a+ b+ c>0 (거짓)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4
xÁ+xª=k+4=7
⑤ f(5)=0이므로 25a+5b+c=0
∴ k=3
∴ 25a+c=-5b<0 (∵ b>0) (참)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388  ④

이차함수 y=2xÛ`+x-1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는


384  ②
이차함수와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한 이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이차방정식 xÛ`+ax+4a-3=0의 두 근 사이에 2가 있어야 하므로 개수로 알 수 있다.
f(x)=xÛ`+ax+4a-3이라 할 때,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ㄱ. 이차방정식 2xÛ`+x-1=x-1에서 2xÛ`=0이므로 x=0
다음과 같다. 따라서 두 그래프는 한 점에서 만난다.
y=f{x} ㄴ. ‌이차방정식 2xÛ`+x-1=x-3에서 2xÛ`=-2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두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2 x
ㄷ. 이차방정식 2xÛ`+x-1=-x+1에서 2xÛ`+2x-2=0,
‌xÛ`+x-1=0이고,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x=2에서의 함숫값 f(2)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D=1+4>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1 따라서 두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f(2)=4+2a+4a-3<0에서 a<- 이다.
6
ㄹ. 이차방정식 2xÛ`+x-1=2x-3에서 2xÛ`-x+2=0이고,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16<0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
385  ⑤ 따라서 두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는 직선은 ㄴ, ㄹ이다.
이차함수 y=2xÛ`-5x+3의 그래프와 직선 y=x+11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2xÛ`-5x+3=x+11의 실근과 같다.
2xÛ`-6x-8=0, xÛ`-3x-4=0 yy TIP
389  ③

(x-4)(x+1)=0에서 x=4 또는 x=-1 이차함수 y=-xÛ`+3x+2의 그래프와 직선 y=x+k의 교점의


따라서 구하는 값은 4+(-1)=3이다. 개수는 이차방정식 -xÛ`+3x+2=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다.
TIP
따라서 두 그래프가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3임을
-xÛ`+3x+2=x+k가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방정식
바로 구할 수도 있다.
xÛ`-2x+k-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k-2)¾0
4

386  ④ ∴ kÉ3

이차함수 y=xÛ`-3x+a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390  ⑤

xÛ`-3x+a=2x+1, 즉 xÛ`-5x+a-1=0 곡선 y=xÛ`-2x+2와 직선 y=-x+k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Û`-2x+2=-x+k, xÛ`-x+2-k=0의 서로 다른 두 실근과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같다.
D=5Û`-4(a-1)=-4a+29>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교점의 x좌표를 각각
29 a, b라 하면
이므로 a< 에서 구하는 정수 a의 최댓값은 7이다.
4 a+b=1이고, ab=2-k=-3이므로 k=5이다.
두 교점이 직선 y=-x+5 위의 점이므로
두 교점의 y좌표는 각각 -a+5, -b+5이다.
387  ①
따라서 구하는 값은
이차함수 f(x)=xÛ`-4x+6의 그래프가 직선 y=kx-5와 서로 (-a+5)+(-b+5)‌=-(a+b)+10
다른 두 점 (xÁ, f(xÁ)), (xª, f(xª))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1+10=9

72 수학<상>
391  ③ 395  ③

방정식 axÛ`+(b-m)x+c-n=0은 axÛ`+bx+c=mx+n이므로 이차함수 y=2xÛ`+px+q가 x=3일 때 최솟값 -2를 가지므로


이 방정식의 실근은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3, -2)이다.
직선 y=mx+n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y‌=2xÛ`+px+q=2(x-3)Û`-2
주어진 그림에서 두 그래프의 두 교점의 x좌표는 각각 -3, 4이므로 =2xÛ`-12x+16
구하는 값은 이므로 p=-12, q=16이다.
-3_4=-12 ∴ p+q=(-12)+16=4

396  ①
392  ①
y‌=-xÛ`-4x+3=-(xÛ`+4x)+3
구하는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을 y=2x+k`(k는 실수)라 하면 =-(xÛ`+4x+4)+4+3=-(x+2)Û`+7
이 직선이 곡선 y=xÛ`-3x+4와 접해야 하므로 -3ÉxÉ3에서 함수 y=-(x+2)Û`+7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방정식 xÛ`-3x+4=2x+k, 즉 xÛ`-5x+4-k=0이 중근을 y
가져야 한다. y=-x@-4x+3 7
6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 방
D=25-4(4-k)=0 -3 O x 정

9 -2 과
4k+9=0   ∴ k=-
4 부

9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x- 이다. 식
4
-18

x=-2일 때 최댓값 M=-(-2+2)Û`+7=7을 갖고,


x=3일 때 최솟값 m=-(3+2)Û`+7=-18을 갖는다.
393  6
∴ M+m=7+(-18)=-11
이차함수 y=xÛ`+a의 그래프와 직선 y=bx+1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Û`+a=bx+1, xÛ`-bx+a-1=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며 그 중 한 근이 2+'3이다. 397  ②
이때, a, b가 유리수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2-'3이다. f(x)=xÛ`-2x+k=(xÛ`-2x+1)+k-1=(x-1)Û`+k-1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ÉxÉ3에서 x=1일 때 최솟값 f(1)=k-1을 가지므로
b=(2+'3)+(2-'3)=4, a-1=(2+'3)(2-'3)=1 k-1=3에서 k=4
에서 a=2, b=4이다. g(x)‌=-xÛ`+4x+3=-(xÛ`-4x+4)+7
따라서 구하는 값은 a+b=2+4=6 =-(x-2)Û`+7
이므로 1ÉxÉ5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7 y=g{x}
394  ② 6

y‌=2xÛ`-8x+5=2(xÛ`-4x+4)-8+5 3
=2(x-2)Û`-3
이므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2, -3)이고, 5
O 1 2 x
아래로 볼록하므로 다음과 같다.
-2
y
y=2x@-8x+5
x=2일 때 최댓값 g(2)=7을 갖고,
5 x=5일 때 최솟값 g(5)=-2를 갖는다.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 7+(-2)=5
O x

-3

따라서 x=2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398  5

∴ a+b=2+(-3)=-1 점 (a, b)가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Ⅱ.방정식과 부등식 73
b=aÛ`-2a-3을 만족시킨다. A
2aÛ`-b+3‌=2aÛ`-(aÛ`-2a-3)+3
=aÛ`+2a+6=(a+1)Û`+5 E
F
8
따라서 2aÛ`-b+3은 a=-1일 때 최솟값 5를 갖는다.

B C
D
8
399   15
직사각형 BDEF의 넓이는
xÛ`+2yÛ`+4x-4y+21‌=(xÛ`+4x+4)+2(yÛ`-2y+1)+15 FBÓ_FEÓ=x(8-x)=-(x-4)Û`+16
=(x+2)Û`+2(y-1)Û`+15 yy TIP 이므로 x=4일 때 최댓값 16을 갖는다.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x+2)Û`¾0, (y-1)Û`¾0이다. 따라서 a=4, b=16이므로
따라서 xÛ`+2yÛ`+4x-4y+21은 x=-2, y=1일 때 a+b=4+16=20
최솟값 15를 갖는다.

TIP 403  ④
실수는 제곱하면 항상 0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해서 x,
두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a, b`(a>0, b>0)라 하면
y에 대한 식을 각각 완전제곱식으로 변형하고 최솟값을 구한다.
3a+3b=30, b=10-a
두 정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3 '3 '3
aÛ`+ bÛ`‌= {aÛ`+(10-a)Û`}
4 4 4
'3
400   25 = (2aÛ`-20a+100)
4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꼭짓점의 좌표가 (2, k)인 이차함수는 '3 25'3
= (a-5)Û`+
f(x)=-(x-2)Û`+k이므로 -2ÉxÉ1에서 함수 y= f(x)의 2 2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a=5일 때 두 정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최솟값


25'3
 을 갖는다.
y=f{x} 2

404  ③

-2 1 2 직사각형 모양의 닭장에서 닭장에 포함되는 벽을


따라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솟값을 갖고, 가로로 하여 이 길이를 a(m)라 하고,
x=1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세로의 길이를 b(m)라 하면 두 양수 a, b에 대하여 철망의 길이는
f(-2)=-16+k=-3이므로 k=13 a+2b=20이므로 a=20-2b
m= f(1)=-1+k=12 그러므로 닭장의 바닥의 넓이는
∴ k+m=13+12=25 ab‌=(20-2b)b=-2(bÛ`-10b)
=-2(b-5)Û`+50
이므로 b=5일 때 닭장의 바닥의 넓이가 최댓값 50을 갖는다.
따라서 구하는 닭장에 포함되는 벽의 길이는 a=10(m)이다.
401   78

y=-2tÛ`+24t=-2(t-6)Û`+72
에서 t=6일 때, 공의 높이가 72(m)로 가장 높이 올라가게 된다. 405  ④

따라서 a=6, b=72이므로 입장료를 50원 올릴 때마다 입장객의 수가 10명씩 감소하므로


a+b=6+72=78 이 박물관의 1인당 입장료를 (2000+50x)원이라 하면
하루 입장객의 수는 (500-10x)명이다.
하루 입장료의 총 판매액은
(2000+50x)(500-10x)‌=-500xÛ`+5000x+1000000
402   20
=-500(x-5)Û`+1012500
FBÓ=x (0<x<8)라 하면 두 삼각형 ABC, AFE가 서로 이므로 x=5일 때 최대이다.
닮음이므로 따라서 하루 입장료의 총 판매액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FEÓ=AFÓ=8-FBÓ=8-x이고 다음과 같다. 이 박물관의 1인당 입장료는 2250원이다.

74 수학<상>
406  ③ 따라서 f(1)<0만 만족시키면 되므로
f(1)=4+a<0
이차함수 y=2xÛ`-4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 a<-4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두 점 사이의 거리는 |a-b|와 같으므로
TIP
|a-b|=4이다. yy ㉠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또한 이차방정식 2xÛ`-4x+k=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2
x=-3 x=1
k
a+b=2, ab=  yy ㉡ y=f{x}
2
x
|a-b|Û`=(a+b)Û`-4ab이고, ㉠, ㉡을 대입하면
16=4-2k
∴ k=-6

축과 더 멀리 떨어진 x=1에서의 함숫값이 음수이면


407  ①
x=-3에서의 함숫값도 음수가 되므로 f(1)<0이면
방정식 xÛ`-2(a+2k)x+(aÛ`+4kÛ`+6k)=0이 중근을 가지므로 이 f(-3)<0을 만족시킨다.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정
=(a+2k)Û`-(aÛ`+4kÛ`+6k)=0이어야 한다. 식
4
4ak-6k=0, 2k(2a-3)=0 410  2 과


이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f(x)=xÛ`-2x+k-1이라 하면 f(x)=(x-1)Û`+k-2이므로 식
3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x=1이다.
a=
2
그러므로 이차방정식 xÛ`-2x+k-1=0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크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408  2 교점의 x좌표가 모두 -1보다 커야 한다.


x=1 y=f{x}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를 각각
(a, 0), (b, 0)이라 하자.
a, b는 방정식 f(x)=0의 두 실근이고,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2이므로 -1 x
a+b
=2에서 a+b=4 yy ㉠
2
방정식 f(3x-1)=0의 두 근을 각각 p, q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2x+k-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3p-1)+(3q-1)=a+b이고 ㉠을 대입하면 =1-(k-1)¾0에서 kÉ2 yy ㉠
4
3(p+q)-2=4, 3(p+q)=6
또한 f(-1)>0이므로
∴ p+q=2
f(-1)=1+2+k-1>0에서 k>-2 yy ㉡
㉠, ㉡에서 -2<kÉ2이므로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409  ①
-1+0+1+2=2

이차방정식 xÛ`+3x+a=0의 한 근은 -3보다 작고 다른 한 근은


1보다 크므로 f(x)=xÛ`+3x+a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411  ②
x축과 만나는 두 교점의 x좌표 중 하나는 -3보다 작고 다른 하나는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1이므로
1보다 커야 한다.
f(x)=a(x+1)Û`+b (a, b는 상수)라 하자.
그러므로 f(-3)<0이고, f(1)<0이다.

f(x)=xÛ`+3x+a={x+ }2`+a- 이고 이 이차함수의


방정식 f(x)-3=0이 중근을 가지므로 a(x+1)Û`+b-3=0의
3 9
2 4 좌변이 완전제곱식이어야 한다. 즉, b-3=0이므로
3 b=3 yy TIP
그래프의 축이 직선 x=- 이므로 f(1)<0이면 반드시
2 f(x)=a(x+1)Û`+3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절편이
f(-3)<0이다. yy TIP 1이므로 점 (0, 1)을 지난다. 즉, f(0)=a+3=1이므로
즉, 한 교점의 x좌표가 1보다 크면 다른 한 교점의 x좌표는 반드시 a=-2
-3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f(x)=-2(x+1)Û`+3이고,

Ⅱ.방정식과 부등식 75
-2(x+1)Û`+3=0, 2xÛ`+4x-1=0에서 함수 y= f(x)의 방정식 f(x)=0은 두 실근을 갖는다. (거짓)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의 곱은 이 방정식의 두 근의 곱과 ㄷ. ‌k<3에서 3-k>0이므로 함수 y=-xÛ`+3-k의 그래프는
1 y절편이 0보다 크고, 위로 볼록하므로 x축과 만난다. (거짓)
같으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이다.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TIP 1
방정식 a(x+1)Û`+b-3=0이 중근을 가질 때,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다.
414  ⑤

이를 이용해서 b의 값을 구할 수도 있으나 중근을 가질 때 1


ㄱ. ‌주어진 그래프에서 x= 일 때 함수 y=axÛ`+bx+c의 함숫값이
2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용하면 더 쉽게 b의 값을
음수이므로

a_{ }2``+b_ +c<0에서 + +c<0


구할 수 있다.
1 1 a b

2 2 4 2
TIP 2 ∴ a+2b+4c<0 (참)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1인 것으로부터 꼭짓점의 ㄴ.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x좌표가 -1임을 알 수 있고, 방정식 f(x)=3이 중근을 대칭이므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가진다는 것으로부터 꼭짓점의 y좌표가 3임을 알 수 있다. 각각 -2-k, -2+k (k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f(x)=a(x+1)Û`+3이라 두고 점 (0, 1)을 대입하여 따라서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실근의 합은
a의 값을 구해서 함수 f(x)를 구할 수 있다. (-2-k)+(-2+k)=-4이다. (거짓)
ㄷ. ‌ㄴ에서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의 합이 -4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12  ④
b
- =-4   ∴ b=4a
a
yy ㉠
ㄱ.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한편,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에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 D=bÛ`-4ac>0
D=aÛ`-4b=0에서 b= ¾0을 만족시킨다. (참)
4
이고, ㉠을 대입하면 (4a)Û`-4ac>0이므로
ㄴ. ‌다음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축에
16aÛ`-4ac>0
접할 때 실수 전체에서 함숫값은 항상 0 이상이다.
‌또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y=x@+ax+b
a<0이고, 부등식 16aÛ`-4ac>0의 양변을 4a로 나누면
4a-c<0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x
x=-1일 때 함숫값이 1-a+b¾0이므로 a-bÉ1이다.
415  ①
(반례)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1에서
x축에 접할 때, x=-1에서 함숫값이 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kx-k=0의 두 근이 각각 -1과 1 사이,

1-a+b=0, 즉 a-b=1이다. (거짓) 1과 3 사이에 하나씩 존재하려면 f(x)=xÛ`+2kx-k라 할 때,

ㄷ. x=-2일 때 함숫값이 4-2a+b¾0이므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2a-bÉ4이다. 즉, 2a-b<5를 만족시킨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413  ① -1 3 x

방정식 xÛ`+2x-2+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x=-1, x=3일 때의 함숫값은 양수,
D
=1+2-k>0에서 k<3 x=1일 때의 함숫값은 음수이어야 한다.
4
ㄱ. f(x)=(x+1)Û`+k-3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1, k-3)이고, 1
Ú f(-1)=1-2k-k>0에서 k<
3
k<3에서 k-3<0이므로 꼭짓점은 x축보다 아래에 있다. (참)
9
ㄴ. ‌y= f(x)의 그래프의 y절편은 -2+k이고, k<3에서 Û f(3)=9+6k-k>0에서 k>-
5
-2+k<1이다. Ü f(1)=1+2k-k<0에서 k<-1
‌(반례) -2+k=0일 때, f(x)=xÛ`+2x의 그래프의 y절편은 9
Ú∼Ü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 <k<-1이다.
0이지만 5

76 수학<상>
416  ③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2)Û`-(aÛ`+2)=4a+2=0
이차함수 y=xÛ`-2kx+kÛ`+4k의 그래프와 직선 y=ax+b가 4
접하려면 방정식 xÛ`-2kx+kÛ`+4k=ax+b가 중근을 가져야 한다. 1
이므로 a=- 이다. 이를 ㉠에 대입하면
2

xÛ`-3x+ =0, {x- }2`=0, x=


즉, 방정식 xÛ`-(2k+a)x+kÛ`+4k-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9 3 3
D=(2k+a)Û`-4(kÛ`+4k-b)=0에서 등식 4 2 2
4ak+aÛ`-16k+4b=0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한다. 3
이므로 접점의 x좌표는 p= 이고,
(4a-16)k+aÛ`+4b=0에서 4a-16=0이고, aÛ`+4b=0을 2
만족시켜야 한다. 1 23
이를 직선 y=4x- 에 대입하면 q=
4 4
따라서 a=4, b=-4이므로
1 3
a+b=0 ∴ a+p+4q={- }+ +23=24
2 2

417   aÉ-;2#;
420  ①

이차함수 y=xÛ`+2ax+3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의 두 교점의 두 이차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x좌표가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각각 -3, 1이므로 방정식 f(x)+g(x)=0의 두 실근이 -3, 1이다.
방정식 xÛ`+2ax+3=2x-1, xÛ`+(2a-2)x+4=0의 서로 다른 ∴ f(x)+g(x)=2(x+3)(x-1) yy ㉠ 방
두 실근이 a, b이고 점 (1, 1)이 선분 AB 위에 있어야 하므로 또한 두 이차함수 y= f(x), y=-2g(x)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정

aÉ1Éb를 만족시켜야 한다. yy TIP 11 과
x좌표가 각각 - , 1이므로 방정식 f(x)+2g(x)=0의 두
따라서 f(x)=xÛ`+(2a-2)x+4라 하면 이차함수 y= f(x)의 3 부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이 x=1에서의 함숫값이 0보다 작거나 11 식
실근이 - , 1이다.
3
같아야 한다.
11
y=f{x} ∴ f(x)+2g(x)‌=3{x+ }(x-1)
3
=(3x+11)(x-1) yy ㉡

= > x ㉡에서 ㉠을 빼면 g(x)=(x+5)(x-1)이므로 방정식 g(x)=0의


1
두 근은 x=-5 또는 x=1이다.
즉, f(1)=1+2a-2+4É0에서 따라서 구하는 두 근의 합은 -5+1=-4
3
aÉ-
2

TIP 421  ③

점 (1, 1)이 선분 AB 위에 있으면 점 A 또는 B가 방정식 2xÛ`+kx+6=mx-8


점 (1, 1)이 될 수 있으므로 aÉ1Éb이다. 2xÛ`+(k-m)x+14=0 yy ㉠
의 한 실근이 -1이므로 x=-1을 대입하면
2-(k-m)+14=0, k-m=16

418  ④ 이를 ㉠에 대입하고
h(x)= f(x)-g(x)=2xÛ`+16x+14라고 하자.
방정식 |f(x)|-2=0의 실근은 |f(x)|=2에서 방정식 방정식 h(x)=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f(x)=2의 실근 또는 방정식 f(x)=-2의 실근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a+b=-8, ab=7이다.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y=2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방정식 h(2x-1)=0의 두 근을 p, q라 하면
만나고 직선 y=-2와는 한 점에서 만난다. 2p-1=a, 2q-1=b이고 양변을 각각 더해 주면
따라서 방정식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고, 방정식 2(p+q)-2=a+b, 2(p+q)=-6 (∵ a+b=-8)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이므로 구하는 값은 3이다. ∴ p+q=-3

419   24 422  ⑤

직선 y=4x-aÛ`이 이차함수 y=xÛ`-2ax+2의 그래프와 접하므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1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xÛ`-2ax+2=4x-aÛ` 방정식 f(x)=x+1의 실근과 같다.
xÛ`-(2a+4)x+aÛ`+2=0 yy ㉠ 즉, f(x)-x-1=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1, 2이므로
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f(x)-x-1=(x-1)(x-2)에서 f(x)=xÛ`-2x+3

Ⅱ.방정식과 부등식 77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2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xÛ`-2x+3=x+2의 실근이므로 xÛ`-3x+1=0의 서로
425  ④

다른 두 실근이 a, b이다. ㄱ.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axÛ`+bx+c=0이 허근을 갖는다.
a+b=3, ab=1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 (aÛ
‌ `-4a-1)(bÛ`-2b+3) DÁ=bÛ`-4ac<0이므로 bÛ`<4ac (참)
={(aÛ`-3a+1)-a-2}{(bÛ`-3b+1)+b+2} ㄴ.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직선 y=mx+n이 서로
=-(a+2)(b+2)=-{ab+2(a+b)+4}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11 방정식 axÛ`+bx+c=mx+n,
axÛ`+(b-m)x+(c-n)=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423  ④
Dª=(b-m)Û`-4a(c-n)>0이므로
원점을 지나는 직선 l의 방정식을 y=ax (a<0)라 하면 (b-m)Û`>4a(c-n) (거짓)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ㄷ. ‌ㄴ에서 방정식 axÛ`+(b-m)x+(c-n)=0이 서로 다른 두
방정식 -xÛ`=ax, xÛ`+ax=0의 실근이다. 실근 a, b를 가지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ax=x(x+a)=0에서 x=0 또는 x=-a이므로 b-m m-b c-n
a+b=- = , ab= (참)
a a a
점 A의 좌표는 (-a, -aÛ`)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이때, OAÓ:OBÓ=3:1에서 OBÓ=  OAÓ이다.
3
두 점 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하면 두
삼각형 OAA', OBB'은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3:1이다.
426   12

1 1 이차함수 y=-xÛ`+k (k>0)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을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 a, aÛ`}이고, 이차함수 y=kxÛ`에 대입하면
3 3 A(a, a), B(b, b) (a<b)라 하면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Û`=k_{ a}2`, aÛ`=k_ aÛ`, =


1 1 1 1 k 1 y y=x
3 3 3 9 9 3 k
∴ k=3 B{>,`>}

OB¡ x

424   풀이 참조
A{=,`=}
y=-x@+k
이차함수 y=xÛ`+2(k+4)x+4의 그래프와 x축이 접하므로 방정식
방정식 -xÛ`+k=x, xÛ`+x-k=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xÛ`+2(k+4)x+4=0이 중근을 갖는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 a+b=-1, ab=-k
=(k+4)Û`-4=0 1 1
4 한편, 두 삼각형 AOAÁ, BOBÁ의 넓이는 각각 aÛ`, bÛ`이므로
2 2
kÛ`+8k+12=0, (k+2)(k+6)=0
1 1
∴ k=-2 또는 k=-6 yy ㉠ f(k)‌= (aÛ`+bÛ`)= {(a+b)Û`-2ab}
2 2
이차함수 y=xÛ`+2(k+4)x+4의 그래프와 직선 y=kx+3이
1 1
= (1+2k)=k+
접하므로 방정식 2 2
xÛ`+2(k+4)x+4-kx-3=0 ∴ ‌f(1)+ f(2)+ f(3)+ f(4)
xÛ`+(k+8)x+1=0이 중근을 갖는다. 1 1 1 1
=1+ +2+ +3+ +4+
이때,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2 2 2 2
Dª=(k+8)Û`-4=0 =12
kÛ`+16k+60=0, (k+6)(k+10)=0
∴ k=-6 또는 k=-10 yy ㉡
427   -8
㉠, ㉡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은 -6이다.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0, -2)이므로
채점 요소 배점
f(x)=kxÛ`-2 (k는 0이 아닌 상수)라 하자.
이차함수 y=xÛ`+2(k+4)x+4의 그래프와 x축이 접하도록 하는
30%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a, 2)를 지나므로
실수 k의 값 구하기
4
이차함수 y=xÛ`+2(k+4)x+4의 그래프와 직선 y=kx+3이 접 f(a)=kaÛ`-2=2에서 k=
30% aÛ`
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 구하기
4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 구하기 40% ∴ f(x)= xÛ`-2
aÛ`

78 수학<상>
2
이때, 직선 y=g(x)는 원점과 점 (a, 2)를 지나므로 g(x)= x이다.
a 429  ⑤
4 2 2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가
f(x)-g(x)‌= xÛ`-2- x= (2xÛ`-ax-aÛ`)
aÛ` a aÛ`
2, -3이므로 방정식 f(x)-2=0은 2, -3을 두 실근으로 갖는다.
2
= (2x+a)(x-a)=0 따라서 f(x)-2=a(x-2)(x+3) (a는 0이 아닌 상수)이고,
aÛ`
a f(1)=6이므로 x=1을 대입하면
이므로 x=- 또는 x=a
2 6-2=a_(-1)_4   ∴ a=-1
방정식 f(x)=g(x)의 두 근의 차가 6이므로 따라서 f(x)=-(x-2)(x+3)+2=-xÛ`-x+8이고, 방정식
3 1
a-{- }= a=6 (∵ a>0)에서 a=4, k=
a -xÛ`-x+8=-2x+k, xÛ`-x+k-8=0의 두 실근이
2 2 4
xÁ, xª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1
따라서 f(x)= xÛ`-2이므로 방정식 f(x)=0, xÛ`-2=0,
4 4 xÁ+xª=1, xÁxª=k-8 yy ㉠

xÛ`-8=0의 두 근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ㄱ. k=1일 때 직선은 y=-2x+1이므로

-8이다. yÁ=-2xÁ+1, yª=-2xª+1이고,


yÁ yª‌=(-2xÁ+1)(-2xª+1)=4xÁxª-2(xÁ+xª)+1
=-28-2+1=-29 (거짓)
ㄴ. ㉠에서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xÁ+xª=1이다. (참)
428   :¢4Á:
ㄷ. yÁ=-2xÁ+k, yª=-2xª+k이므로

(x-3)(x+2) (xÉ-2 또는 x¾3) yÁ+yª=-2(xÁ+xª)+2k=-2+2k=2(k-1) 정
함수 f(x)=[  식
-(x-3)(x+2) (-2<x<3) k>1일 때 yÁ+yª=2(k-1)>0이다. (참) 과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부
의 그래프와 직선 y=2x+k의 교점의 개수가 3 이상이 되기 등

위해서는 k의 값이 이차함수 y=-(x-3)(x+2)의 그래프와
접할 때보다는 작거나 같고, 점 (-2, 0)을 지날 때보다는 크거나
같아야 한다. 430  ④
y y=2x+k
y=f{x} 함수 f(x)=-xÛ`+4x-6=-(x-2)Û`-2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2, -2)이고, 그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
O x

-2 O 3 x -2 y=f{x}
Ú ‌이차함수 y=-(x-3)(x+2)의 그래프와 직선 y=2x+k가
접할 때
‌방정식 2x+k=-(x-3)(x+2), xÛ`+x+k-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É2이면 aÉxÉ5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2)=-2이므로
25
D=1-4(k-6)=0에서 k=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a>2
4
Û 직선 y=2x+k가 점 (-2, 0)을 지날 때 이때, aÉxÉ5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a)이므로
y=2x+k에 x=-2, y=0을 대입하면 f(a)=-3이다.
0=-4+k에서 k=4 f(a)=-aÛ`+4a-6=-3에서
25 aÛ`-4a+3=0, (a-1)(a-3)=0
Ú, Û에서 k의 값의 범위는 4ÉkÉ 이므로
4 ∴ a=3 (∵ a>2)
25
M= , m=4
4
41
∴ M+m=
4 431   44

참고 'Äx+4 x+4
=-®É  에서 x+4¾0, x-2<0이므로
'Äx-2 x-2
(x-3)(x+2) (xÉ-2 또는 x¾3)
주어진 함수 f(x)=[  는 -4Éx<2 yy ㉠
-(x-3)(x+2) (-2<x<3)
한편, y=2xÛ`-4x-1=2(x-1)Û`-3이므로 ㉠에서 이차함수가
f(x)=|(x-3)(x+2)|=|xÛ`-x-6|과 같다.
x=1일 때 최솟값 -3을 갖고, x=-4일 때 최댓값 47을 갖는다.
문제에서 절댓값 함수로 주어지더라도 이 문제에서와 같이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그래프를 그려서 풀면 된다.
47+(-3)=44

Ⅱ.방정식과 부등식 79
-3+9
432  ② x=
2
=3이므로 f(x)=xÛ`-6x+a (a는 상수)라 하자.

f(x)=2(x+1)Û`+1-2a에서  yy ㉠
함수 f(x)의 최솟값은 1-2a이므로 ㄱ. f(x)=(x-3)Û`+a-9이므로 x=3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1-2a¾5   ∴ aÉ-2 yy ㉠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3)이다. (참)
g(x)=-(x-3)Û`+3b+7에서 ㄴ. 1ÉxÉ6에서 함수 f(x)는 x=3일 때 최솟값을 갖고,
함수 g(x)의 최댓값은 3b+7이므로 x=6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5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에서
3b+7É2   ∴ bÉ-  yy ㉡
3 f(6)- f(3)=(36-36+a)-(9-18+a)=9 (거짓)
㉠, ㉡에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고, ㄷ.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기 위한 조건은
정수 b의 최댓값도 -2이므로 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구하는 a+b의 최댓값은 -4이다. D
=9-a<0 (∵ ㉠)에서 a>9이다.
4
‌즉, f(0)=a>9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만나지
433   29 않는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g(x)는 일차식이고,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식이므로
g(x)-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식이다.
이때, 함수 y=g(x)- f(x)가 x=3에서 최댓값 4를 가지므로 436  ②
g(x)- f(x)‌=-2(x-3)Û`+4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Û`=(x-2)Û`이므로
=-2xÛ`+12x-14
y=|x-2|Û`-2|x|+4=(x-2)Û`-2|x|+4
한편,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x=a, x=b에서
x의 부호에 따라서 범위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만나므로 방정식 g(x)- f(x)=0의 두 근이 a, b이다.
Ú x<0일 때
따라서 이차방정식 -2xÛ`+12x-14=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y‌=(x-2)Û`-2|x|+4=(x-2)Û`-2_(-x)+4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2x+8=(x-1)Û`+7 yy ㉠
a+b=6, ab=7
Û x¾0일 때
∴ aÛ`+ab+bÛ`=(a+b)Û`-ab=36-7=29
y‌=(x-2)Û`-2|x|+4=(x-2)Û`-2x+4
=xÛ`-6x+8=(x-3)Û`-1 yy ㉡
434  ④ Ú, Û에서 함수 y=|x-2|Û`-2|x|+4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x-2|@-2|x|+4
-1+3
조건 ㈎에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 =1에
2
대하여 대칭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1이다. 8
∴ a=-2
즉, f(x)=xÛ`-2x+b이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1 O 2 4 x

그러므로 주어진 함수는


x=-1일 때 ㉠에서 최댓값 11을 갖고,
x=3일 때 ㉡에서 최솟값 -1을 갖는다.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 1 2 11+(-1)=10
이차함수 f(x)는 -2ÉxÉ2에서 축과 더 멀리 떨어진 점에서
최대가 되므로 x=-2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f(-2)=(-2)Û`-2_(-2)+b=12이므로 b=4이다. 437   풀이 참조
따라서 f(x)=xÛ`-2x+4이므로 구하는 값은 함수 y=(xÛ`-4x+3)Û`-12(xÛ`-4x+3)+30에서
f(3)=3Û`-2_3+4=7 t=xÛ`-4x+3으로 치환하면
t=(x-2)Û`-1에서 -1ÉxÉ3이므로
x=2일 때 t=-1로 최솟값을 갖고,
435  ④
x=-1일 때 t=8로 최댓값을 갖는다.
f(-3)= f(9)에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그러므로 주어진 함수는

80 수학<상>
y‌=(xÛ`-4x+3)Û`-12(xÛ`-4x+3)+30 M= f(1), m= f(a)=aÛ`이므로
=tÛ`-12t+30 M-m=aÛ`-2a+1=2, aÛ`-2a-1=0
이므로 함수 y=tÛ`-12t+30=(t-6)Û`-6은 -1ÉtÉ8에서 ∴ a=1+'2 (∵ 2<aÉ3)
t=6일 때 최솟값 m=-6을 갖고, Ü a>3일 때
t=-1일 때 최댓값 M=43을 갖는다. M= f(1), m= f(3)이므로
5
채점 요소 배점 M-m=4a-8=2   ∴ a=
2
t=xÛ`-4x+3으로 치환하여 t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40%
5
그런데 a= 는 a>3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ÉtÉ8에서 함수 y=tÛ`-12t+30의 최댓값 M과 최솟값 m 2
60%
구하기
Ú∼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3-'2)+(1+'2)=4

438   풀이 참조

방정식 xÛ`-5x-6=0, (x-6)(x+1)=0에서


440  ⑤

x=-1 또는 x=6이므로 B(-1, 0), C(6, 0)이다. 조건 ㈏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f(3)이므로 함수 y= f(x)의
그러므로 점 P가 점 A에서 출발하여 점 C까지 움직일 때,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며 꼭짓점의 x좌표가 3이고, 직선 x=3에
0ÉaÉ6이고, 점 P가 곡선 y=xÛ`-5x-6 위의 점이므로 대하여 대칭이다.

b=aÛ`-5a-6 이때,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1, 0)을 정

따라서 주어진 식은 지나므로 점 (5, 0)도 지나며 그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과
aÛ`+4b-1‌=aÛ`+4(aÛ`-5a-6)-1 y x=3 y=f{x} 부

=5aÛ`-20a-25 식

=5(a-2)Û`-45
이고, 0ÉaÉ6에서 1 2
O 1 5 6 x
a=2일 때 최솟값이 -45이고,
2
a=6일 때 최댓값이 35이다.
ㄱ.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5, 0)을 지나므로 f(5)=0 (참)
채점 요소 배점 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f(6)= f(0)이다.
점 P가 곡선 y=xÛ`-5x-6 위의 점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또한 x<3일 때 x의 값이 클수록 그에 대한 함숫값은 작아지므로
40%
aÛ`+4b-1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1
f(2)< f { }< f(0)이다.
aÛ`+4b-1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40% 2
1
∴ f(2)< f { }< f(6) (참)
2
ㄷ.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두 점 (1, 0), (5, 0)을 지나므로
439  ⑤
방정식 f(x)=0의 두 근이 1, 5이다.
y=xÛ`-2ax+2aÛ`=(x-a)Û`+aÛ`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f(x)=a(x-1)(x-5) (a>0)라 하면
(a, aÛ`)이고 축이 직선 x=a이다. f(0)=k이므로 f(0)=5a=k이다.
따라서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1ÉxÉ3에서 이차함수 방정식 f(x)=kx에 대입하면
y=xÛ`-2ax+2aÛ`의 최댓값 M, 최솟값 m을 각각 구해 보면 다음과 f(x)=5ax, a(x-1)(x-5)-5ax=0
같다. (x-1)(x-5)-5x=0 (∵ a+0), xÛ`-11x+5=0
Ú a<1일 때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실근의
M= f(3)=9-6a+2aÛ`, m= f(1)=1-2a+2aÛ`이므로 합은 11이다. (참)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M-m=8-4a=2   ∴ a=
2
3
그런데 a= 은 a<1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Û 1ÉaÉ3일 때
441  ④

(ⅱ-ㄱ) 1ÉaÉ2일
‌ 때 ㄱ. 방정식 f(x)=(x-a)(x-b)=0의 근은
M= f(3), m= f(a)=aÛ`이므로 x=a 또는 x=b이므로
M-m=aÛ`-6a+9=2, aÛ`-6a+7=0 a+b인 경우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 a=3-'2 (∵ 1ÉaÉ2) a=b인 경우 1개의 중근을 갖는다. (거짓)
(ⅱ-ㄴ) 2<aÉ3일
‌ 때 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가

Ⅱ.방정식과 부등식 81
a+b 이므로 직사각형 DEFG의 넓이는
(a, 0), (b, 0)이므로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다.
2 2a_2(4-a)‌=-4(aÛ`-4a)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4(a-2)Û`+16 (0<a<4)
a+b 따라서 a=2일 때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16이다.
x= 이므로 함수 f(x)의 최솟값은
2

f { }‌={
a+b a+b a+b
-a}{ -b}
2 2 2
444
}2` (참)
 ①
b-a a-b b-a
= _ =-{
2 2 2 사각형 PQRS의 넓이는 직사각형 ABCD의 넓이에서 네 삼각형
ㄷ. 0<a<b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SAP, PBQ, QCR, RDS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y y=f{x} 직사각형 ABCD의 넓이는 15이고,
APÓ=BQÓ=CRÓ=DSÓ=x라 하면
1
두 삼각형 SAP, QCR의 넓이는 각각 x(5-x)이고,
2
1
Oa b x 두 삼각형 PBQ, RDS의 넓이는 각각 x(3-x)이다.
2
따라서 사각형 PQRS의 넓이는
즉, 0ÉxÉb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대이고, 15-{x(5-x)+x(3-x)}‌=2xÛ`-8x+15
최댓값은 f(0)=ab이다. (참) =2(x-2)Û`+7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이므로 x=2일 때 최솟값 7을 갖는다.

442  ⑤ 445  ③

단면인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가 x이므로 가로의 길이는


네 꼭짓점 부분을 잘라내기 전의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a-2x이다.
각각 x, y라 하자.
즉, 단면인 직사각형의 넓이는
종이를 잘라내고 남은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종이를 자르기 전의
aÛ` aÛ`
x(a-2x)‌=-2xÛ`+ax=-2{xÛ`- x+ }+
a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2 16 8

=-2{x- }2`+
2(x+y)=40에서 x+y=20이다. yy ㉠ a aÛ`
남은 종이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에서 4 8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4개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a aÛ`
이므로 x= 일 때, 단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4 8
xy-4_2Û`=xy-16 yy ㉡
a
㉡에 ㉠을 대입하면 이때, =15이므로 a=60이고, 이 단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4
xy-16‌=x(20-x)-16=-xÛ`+20x-16
aÛ` 60Û`
=-(x-10)Û`+84 = =450(cmÛ`)이다.
8 8
따라서 구하는 남은 종이의 넓이의 최댓값은 84이다.

446  ②

443   16
점 A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다음과 같이 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을 A, B, C, AÕMÓ=2'3이다.
직사각형의 꼭짓점을 D, E, F, G, 선분 EF의 중점을 M이라 하자. A

D G
8
B C
P M

B
E M F
C 이때, APÓ Û`+BPÓ Û`이 최소가 되려면 점 P가 선분 BM 위에 존재해야
8 한다. yy 참고
삼각형 ABM과 삼각형 DBE가 서로 닮음이고, PÕM= Ó t (0ÉtÉ2)라 하면
BÕM:
Ó AÕMÓ=1:2이므로 DEÓ=2BEÓ이다. APÓ `+BPÓ Û`‌=PÕMÓ Û`+AÕMÓ Û`+BPÓ Û`
Û
EÕMÓ=a (0<a<4)라 하면 =tÛ`+(2'3)Û`+(2-t)Û`
BEÓ=4-a, DEÓ=2(4-a) =2tÛ`-4t+16=2(tÛ`-2t+8)

82 수학<상>
=2(t-1)Û`+14
이므로 t=1일 때 최솟값 14를 갖는다.
450   14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두 점


참고
a, b (a<b)에서 만나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점 P가 선분 CM 위에 존재할 경우 y=2x-1
APÓ¾AÕM,Ó BPÓ¾BÕM이 Ó 므로
APÓ `+BPÓ `¾AÕMÓ `+BÕMÓ Û`이 되어 점 P가 점 M일 때
Û Û Û
y=f{x}
APÓ Û`+BPÓ Û`의 값이 최소이다.
따라서 APÓ Û`+BPÓ Û`의 값이 최솟값을 갖도록 하는 점 P는 선분
BM 위에 존재해야 한다.
= >
직선 x=m (aÉmÉb)이 곡선과 직선에 의하여 잘리는 선분의

447   50 길이는 f(m)-(2m-1)이다.


이때, f(m)-(2m-1)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고,
판매 금액이 a`% 증가할 때, 판매 대수는 2a 감소하므로 한 달 동안 m=2일 때 최댓값 3을 가지므로
총 판매 금액을 f(a)라 할 때 f(a)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2x-1)‌=-(x-2)Û`+3
f(a)‌=100(1+0.01a)(300-2a) =-xÛ`+4x-1
=(100+a)(300-2a) a, b는 방정식 f(x)-(2x-1)=0의 두 실근이므로


=-2aÛ`+100a+30000 -xÛ`+4x-1=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식

=-2(a-25)Û`+31250 a+b=4, ab=1 부
따라서 노트북의 이번 달의 판매 금액이 지난달의 판매 금액보다 ∴ aÛ`+bÛ`=(a+b)Û`-2ab=16-2=14


25`% 증가할 때, 총 판매 금액이 31250(만 원)으로 최대가 된다.
b 31250
∴ = =50
aÛ` 25Û`
451  ②

점 P에서 y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직선 y=x+1과 만나는 점을


448  ①
R라 하면
네 점 A(a, aÛ`-7), B(a, -2aÛ`+5), C(-a, -2aÛ`+5), PQÓ=PRÓ yy TIP
D(-a, aÛ`-7)에서 P(a, b)일 때
ADÓ=BCÓ=a-(-a)=2a PRÓ‌=(aÛ`+3)-(a+1)
=aÛ`-a+2

={a- }2`+
BAÓ‌=CDÓ=g(a)- f(a)
=(-2aÛ`+5)-(aÛ`-7) 1 7
2 4
=-3aÛ`+12
1 7
이므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를 h(a)라 하면 이므로 a= 일 때, PQÓ는 최솟값 m= 을 갖는다.
2 4
h(a)‌=ADÓ+BCÓ+BAÓ+CDÓ 점 P(a, b)가 함수 y=xÛ`+3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2(ADÓ+BAÓ) 1 13
=2(2a-3aÛ`+12)=-6{a- }2`+
b=aÛ`+3= +3=
1 74 4 4
3 3 1 13 7
∴ a+b+m‌= + +
1 2 4 4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a= 일 때 최대이다.
3 11
=
2

TIP
449  ③
(y의 증가량) PRÓ
직선 RQ의 기울기는 = =1
y=-xÛ`+8x=-(x-4)Û`+16이므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의 증가량) PQÓ
x=4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므로 PQÓ=PRÓ이다.
점 A의 좌표를 (a, -aÛ`+8a) (0<a<4)라 하면
점 D의 x좌표는 8-a이므로 ADÓ=8-2a이다.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2(ABÓ+ADÓ)‌=2(-aÛ`+8a+8-2a)=-2(aÛ`-6a-8) 452  ④

=-2(a-3)Û`+34 이차함수 y=xÛ`+2ax+aÛ`-12의 그래프와 직선 y=2x-n이 서로


이므로 a=3일 때 최댓값 34를 갖는다.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Ⅱ.방정식과 부등식 83
방정식 xÛ`+2ax+aÛ`-12=2x-n,
xÛ`+2(a-1)x+aÛ`+n-12=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454  ②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D‌=(a-1)Û`-(aÛ`+n-12)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b-a=a이고,
=-2a-n+13>0 f(x)=k(x-a)(x-b)`(k+0)이다.
에서 n<13-2a yy ㉠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2와 만나는 두 점 사이의
ㄱ. ‌a=2를 ㉠에 대입하면 n<13-4=9이고, 이 부등식을 거리가 a+4이므로 두 교점의 x좌표는 각각 a-2, b+2이다.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개수는 8이므로 f(2)=8이다. (참) 즉, 방정식 f(x)=2의 두 실근이 a-2, b+2이므로
ㄴ. (반례) xÁ=0.1, xª=0.2이면 ㉠에 대입했을 때, f(b+2)=2k(b-a+2)=2에서 k(a+2)=1 yy ㉠
n<13-0.2=12.8에서 f(0.1)=12이고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6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n<13-0.4=12.6에서 f(0.2)=12이다. 거리가 a+8이므로 두 교점의 x좌표는 각각 a-4, b+4이다.
즉, xÁ<xª이지만 f(xÁ)= f(xª)이다. (거짓) 즉, 방정식 f(x)=6의 두 실근이 a-4, b+4이므로
ㄷ. a=0일 때, n<13에서 f(0)=12 f(b+4)=4k(b-a+4)=6에서 2k(a+4)=3 yy ㉡
a=1일 때, n<13-2=11에서 f(1)=10 ㉠, ㉡의 양변을 각각 나누면
a=2일 때, n<13-4=9에서 f(2)=8 a+2 1
= , 3(a+2)=2(a+4)
a=3일 때, n<13-6=7에서 f(3)=6 2(a+4) 3
∴ a=2
a=4일 때, n<13-8=5에서 f(4)=4
1
a=5일 때, n<13-10=3에서 f(5)=2 이를 ㉠에 대입하면 k=
4
a¾6일 때, n<13-2aÉ1이므로 f(a)=0이다.
1
따라서 f(x)= (x-a)(x-b)이므로
∴ f(0)+ f(1)+ f(2)+y+ f(100)‌=12+10+8+6+4+2 4
=42 (참) a+b 1 b-a a-b
m‌= f { }= _ _  yy TIP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 4 2 2
1 1
=- aÛ`=-
16 4

TIP

453  9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각각
a, b (a<b)이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방정식 3{ f(x)}Û`+10 f(x)-25=0에서 f(x)=t로 치환하면 =+>
x=
2
3tÛ`+10t-25=0, (3t-5)(t+5)=0에서
5
t= 또는 t=-5
3
5
방정식 f(x)= 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
= > x
5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개수와 같고,
3
방정식 f(x)=-5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a+b
즉,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다.
2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5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m은
m=2+1=3
y y=f{x} 455  ③
5
y= 조건 ㈎에 의하여 c=0이므로 f(x)=axÛ`+bx
3
-2 O 6 x 조건 ㈏에 의하여
f(-2)+ f(2)=(4a-2b)+(4a+2b)=8a<0
y=-5 이므로 a<0
이때, 조건 ㈐에 의하여 -2ÉxÉ2에서 x의 값이 커질수록 함숫값
한편, 방정식 f(x)=0의 두 실근이 -2, 6이고, 함수 y= f(x)의 b
f(x)는 작아져야 하고, 축이 직선 x=- 이므로
-2+6 2a
그래프의 축은 직선 x= =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서로
2 b
- É-2
다른 모든 실근의 합 n은 2a
n=(-2-k)+(6+k)+2=6`(k>0) ㄱ. ‌f(0)=0이고, 조건 ㈐에 의하여 f(0)> f(1)이므로
∴ m+n=9 f(1)<0이다. (참)

84 수학<상>
b (3, 2)이고, 점 (1, 0)을 지난다.
ㄴ. ‌- É-2에서 a<0이므로 양변에 -2a를 곱하면
2a 포물선의 방정식을 y=k(x-3)Û`+2`(k+0)라 하고, x=1, y=0을
bÉ4a`(∵ -2a>0)이다. (참) 1
대입하면 k=- 이므로
b b 2
ㄷ. ‌방정식 f(x)=0의 두 근의 합은 - 이고, - É-2에서
a 2a 1
y=- (x-3)Û`+2
b 2
- É-4이다.
a 지면에 비춘 빛이 비닐하우스와 가장 가까우려면 빛이 지나는
즉, 두 근의 합은 -4보다 작거나 같다. (거짓) 경로가 포물선에 접할 때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점 (0, 8)을 지나는 직선을 y=mx+8`(m<0)이라 하면 방정식
1
- (x-3)Û`+2=mx+8, xÛ`+(2m-6)x+21=0의 판별식을
2
456  ④ D라 할 때,
D
조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를 =(m-3)Û`-21=0, mÛ`-6m-12=0
4
(p, kp)라 하면 ∴ m=3-'2Œ1 (∵ m<0)
f(x)=(x-p)Û`+kp yy ㉠ 따라서 직선 y=(3-'2Œ1)x+8이고,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조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x좌표는
1 1
{a+b- }이므로 ㉠에서 8 8('2Œ1+3) 2('2Œ1+3)
2 2 = =
'2Œ1-3 12 3 방

1 1
p= {a+b- } yy ㉡ 식
2 2 과

458
이때,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x+5의 서로 다른 부
 ③ 등
두 교점의 x좌표가 각각 a, b이므로 방정식 f(x)=kx+5의 서로 식

y‌=-2[x]Û`+5[x]+1=-2{[x]- }2`+ 이고,


다른 두 실근이 a, b이다. 5 33
4 8

f(x)=-2{[x]- }2`+ , g(x)=-2{x- }2`+ 이라 하면


f(x)-(kx+5)‌=(x-p)Û`+kp-(kx+5)
5 33 5 33
=xÛ`-(2p+k)x+pÛ`+kp-5
4 8 4 8
방정식 xÛ`-(2p+k)x+pÛ`+kp-5=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0Éx<1일 때, [x]=0이므로 f(x)=g(0),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p+k이므로
1Éx<2일 때, [x]=1이므로 f(x)=g(1),
1 1
a+b=a+b- +k (∵ ㉡)   ∴ k= 2Éx<3일 때, [x]=2이므로 f(x)=g(2),
2 2
y

1 1
따라서 a+b=2p+ , ab=pÛ`+ p-5이고 정수 k에 대하여 kÉx<k+1일 때 [x]=k이므로 f(x)=g(k)이고,
2 2
(a-b)Û`‌=(a+b)Û`-4ab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p+ }2`-4{pÛ`+ p-5}


1 1 y
2 2 4
y=f{x}
3
1 1
={4pÛ`+2p+ }-4{pÛ`+ p-5}
4 2
1
1 81 3 4
= +20=
4 4 O1 2 x
81 9 -2
∴ |a-b|=®Â =
4 2
y=g{x}

함수 g(x)=-2{x- }2`+ 은 x=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5 33 5
4 8 4

이때, f(x)=-2{[x]- }2`+ 에서 [x]의 값이 항상 정수이므로


457  ②
5 33
4 8
다음과 같이 지면을 x축, 가로등을 y축으로 하여 좌표평면 위에
5
놓으면 함수 f(x)는 [x]가 와 가장 가까운 정수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4
y 즉, 함수 f(x)는 [x]=1일 때 최댓값 -2+5+1=4를 가지므로
8
a=1, b=4이다.
∴ a+b=5

O 1 3 5 x 459  ④

가로등 불빛은 점 (0, 8)이고,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조건 ㈎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Ⅱ.방정식과 부등식 85
x=-2이고,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위로 만족시키는 실수 k는 2개 존재한다. (참)
볼록하다. ㄷ. ‌ak=2이려면 x의 범위 kÉxÉk+2에 x=-1이 포함되어야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차함수는 하므로 kÉ-1Ék+2에서 -3ÉkÉ-1
f(x)=a(x+2)Û`+b (a, b는 실수, a<0)이다. 이때, k=-2일 때 bk가 최솟값 3을 갖고,
①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다. (참) k=-3 또는 k=-1일 때 bk가 최댓값 6을 갖는다.
② ‌f(x)=a(x+2)Û`+b (a<0)이므로 x=-2에서 최댓값을 ∴ 3ÉbkÉ6 (참)
갖는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③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으므로
f(-3)> f(0)> f(-5)이다. (참)

461  2

f(x)=xÛ`-2x+k=(x-1)Û`+k-1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k-1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k-1 yy ㉠
f( f(x))=(xÛ`-2x+k)Û`-2(xÛ`-2x+k)+k에서
-5 -3-2 0 f(x)=t로 치환하면 t¾k-1 (∵ ㉠)이고,
④ ‌f(x)=a(x+2)Û`+b=axÛ`+4ax+4a+b에서 방정식 f(t)=(t-1)Û`+k-1이므로 함수 y= f( f(x))의 최솟값과 함수
f(x)=0의 두 근의 합은 -4이다. (거짓) f(x)의 최솟값이 서로 같으려면 t¾k-1을 만족시키는 t의 값에
⑤ -4Éx<2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1이 포함되어야 한다.
k-1É1   ∴ kÉ2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462  9

-4 -2 2 f(x)=axÛ`-2abx+3에서 f(x)=a(x-b)Û`+3-abÛ`이므로
그러므로 함수 f(x)의 최솟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b, 3-abÛ`)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a의 부호에 따라서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Ú a>0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고 b의 값의 범위에

460  ⑤ 따라 최솟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ⅰ-㉠) b<-2인
‌ 경우
함수 y=xÛ`+2x+3=(x+1)Û`+2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x=-2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y=x@+2x+3 y 4a+4ab+3=-5, a(1+b)=-2이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은
(1, -3)으로 1개이다.
3 (ⅰ-㉡) -2ÉbÉ2인
‌ 경우
2
x=b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3-abÛ`=-5, abÛ`=8이다.
-1 O x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은
kÉxÉk+2에서 함수 y=xÛ`+2x+3의 최솟값이 ak이고, 최댓값이 (8, 1), (8, -1), (2, 2), (2, -2)로 4개이다.
bk이다. (ⅰ-㉢) b>2인
‌ 경우
ㄱ. ‌-2ÉxÉ0일 때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가 x=2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최소이다. 4a-4ab+3=-5
이때, 최솟값은 f(-1)=2이고, 최댓값은 a(1-b)=-2, a(b-1)=2이다.
f(-2)= f(0)=3이므로 bk-ak의 최솟값은 3-2=1이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은
(참) (1, 3)으로 1개이다.
ㄴ. ‌ㄱ에 의하여 bk-ak¾1이고, bk-ak=1인 실수 k의 값은 -2로 Û a<0인 경우
오직 하나뿐이고, m>1인 상수 m에 대하여 bk-ak=m을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b의 값의 범위에 따라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개수는 항상 2이므로 bk-ak=5를 최솟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86 수학<상>
(ⅱ-㉠) b<0인
‌ 경우
x=2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463   28

4a-4ab+3=-5 2x+3y=10에서 x, y가 모두 양수이므로


a(1-b)=-2, a(b-1)=2이다. 10
0<x<5, 0<y<
3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은
주어진 식에 3y=10-2x를 대입하면
(-1, -1)로 1개이다.
('Ä3+2x+'Ä1+3y)Û`‌=('Ä3+2x+'Ä11-2x)Û`  
(ⅱ-㉡) b¾0인
‌ 경우
=3+2x+11-2x+2"Ã(3+2x)(11-2x)
x=-2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14+2"Ã-4xÛ`+16x+33
4a+4ab+3=-5, a(1+b)=-2이다.
=14+2"Ã-4(x-2)Û`+49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은
에서 -4(x-2)Û`+49가 x=2일 때 최댓값 49를 가지므로
(-2, 0), (-1, 1)로 2개이다.
('Ä3+2x+'Ä1+3y)Û`은 x=2일 때 최댓값 28을 갖는다.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1+4+1+1+2=9

TIP 464   15

❶ ‌a>0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2ÉbÉ2인 경우 함수 f(x)=xÛ`-2|x|-1은


꼭짓점에서 최솟값을 가지고, b>2인 경우 대칭축과 가장 x¾0일 때 f(x)=xÛ`-2x-1=(x-1)Û`-2이고

가까운 점인 x=2일 때 최솟값을 갖고 b<-2인 경우 x<0일 때 f(x)=xÛ`+2x-1=(x+1)Û`-2이므로 정

대칭축과 가장 가까운 점인 x=-2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과
❷ ‌a<0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대칭축과 가장 멀리 y y=f{x} 부

떨어진 점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b¾0인 경우 x=-2일 때 식
-1 1
최솟값을 갖고, b<0인 경우 x=2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O x
-1

TIP -2

❶ ‌a>0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b의 값의 범위에 따라 함수 f(x)는 x=1 또는 x=-1일 때 최솟값 -2를 가지므로
다음과 같다. f(x)¾-2
(ⅰ-㉠) b<-2일 때 (ⅰ-㉡) -2ÉbÉ2일 때 y=-{ f(x)}Û`+4 f(x)+8에서 f(x)=t라 하면
x=-2 y=-tÛ`+4t+8=-(t-2)Û`+12이고 t¾-2이므로
함수 y=-(t-2)Û`+12는 t=2일 때 최댓값 12를 갖는다.
t=2, 즉 xÛ`-2|x|-1=2이므로

xÛ`-2|x|-3=0, (|x|+1)(|x|-3)=0
이때, |x|=3 (∵ |x|>0)이므로 x=-3 또는 x=3이다.
x=2 x=-2 x=2 따라서 a=-3, b=3, c=12이므로
(ⅰ-㉢) b>2일 때 a+2b+c=-3+6+12=15
x=2

465   243

방정식 xÛ`-4x+2=-2xÛ`+2x+8, 3xÛ`-6x-6=0,
xÛ`-2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x=-2 a+b=2, ab=-2
❷ ‌a<0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b의 값의 범위에 따라 |a-b|Û`=(a+b)Û`-4ab=12, |a-b|=2'3
다음과 같다. (사각형 ADBC의 넓이)
(ⅱ-㉠) b<0일 때 (ⅱ-㉡) b¾0일 때 =(삼각형 ACD의 넓이)+(삼각형 BCD의 넓이)이고,
x=2 x=-2 삼각형 ACD의 밑변이 선분 CD일 때 높이를 hÁ,
삼각형 BCD의 밑변이 선분 CD일 때 높이를 hª라 하면
1 1
(사각형 ADBC의 넓이)‌= _CDÓ_hÁ+ _CDÓ_hª
2 2
1
= _CDÓ_(hÁ+hª)
2
x=-2 x=2
이때, hÁ+hª=|a-b|=2'3으로 일정하므로 CDÓ의 길이가

Ⅱ.방정식과 부등식 87
최대일 때 사각형 ADBC의 넓이가 최대이다.
여러 가지 방정식과 부등식
직선 CD의 방정식이 x=m`(a<m<b)일 때
CDÓ‌=(-2mÛ`+2m+8)-(mÛ`-4m+2)
=-3mÛ`+6m+6=-3(m-1)Û`+9
이므로 CDÓ의 최댓값은 9이고, 이때의 사각형 ADBC의 넓이의 467  ③
최댓값은 xÜ`+8=(x+2)(xÛ`-2x+4)=0에서
1 x=-2 또는 xÛ`-2x+4=0이다.
k= _9_2'3=9'3
2
이때, 방정식 xÛ`-2x+4=0에서 x=1Ñ'3 i
∴ kÛ`=(9'3)Û`=243
ㄱ. 실근은 x=-2이다. (참)
ㄴ. ‌복소수 범위에서 실근 1개와 허근 2개를 가지므로 근의 개수는
466   125 3이다. (참)
ㄷ. 두 허근은 x=1Ñ'3 i이므로 합은 2이다. (거짓)
점 D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두 변 AB, DC 위에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존재하는 직사각형의 꼭짓점을 각각 E, F라 하고, 두 점 E, F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이라 하자.
2
A D

E
5
G F 468  4
b f(x)=xÜ`+5xÛ`+10x+6이라 하면
a
B C f(-1)=-1+5-10+6=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E' A' D' F'
10 인수분해하면
이 사다리꼴의 영역 안에 그린 직사각형 EE'F'F의 가로의 길이를 a, -1 1 5 10 6
세로의 길이를 b라 할 때, 직사각형의 넓이는 ab이다. -1 -4 -6
한편, AÕ'BÓ+DÕ'CÓ=8이고, yy ㉠ 1 4 6 0
두 삼각형 AA'B와 EE'B가 서로 닮음이고, 이므로 f(x)=(x+1)(xÛ`+4x+6) yy ㉠
두 삼각형 DD'C와 FF'C가 서로 닮음이므로 ㉠에서 이차방정식 xÛ`+4x+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ÕA'Ó:AÕ'BÓ=EÕE'Ó:EÕ'BÓ이고 D
=4-6=-2<0이므로 두 허근을 가진다.
DÕD'Ó:DÕ'CÓ=FÕF'Ó:FÕ'CÓ이다. 4
이때, AÕA'Ó=DÕD'Ó, EÕE'Ó=FÕF'Ó이므로 a, b는 방정식 xÛ`+4x+6=0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AÕA'Ó:(AÕ'BÓ+DÕ'CÓ)=EÕE'Ó:(EÕ'BÓ+FÕ'CÓ) yy ㉡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에 의하여 5:8=b:(10-a)이므로 a+b=-4, ab=6
5 ∴ aÛ`+bÛ`=(a+b)Û`-2ab=16-12=4
b= (10-a)
8
다른 풀이
따라서 구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는
5 5 125 f(x)=xÜ`+5xÛ`+10x+6이라 하면
ab= a(10-a)=- (a-5)Û`+
8 8 8 f(-1)=-1+5-10+6=0이므로
125 삼차방정식 xÜ`+5xÛ`+10x+6=0의 세 근은 -1, a, b이다.
이고, a=5일 때 최대이므로 S= 이다.
8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8S=125
-1+a+b=-5, (-1)_a_b=-6에서
a+b=-4, ab=6이다.
∴ aÛ`+bÛ`=(a+b)Û`-2ab=16-12=4

469  ④

사차방정식 xÝ`+2xÜ`-xÛ`-2x-3=0의 네 근이 각각 a, b, c,
d이므로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Ý`+2xÜ`-xÛ`-2x-3=(x-a)(x-b)(x-c)(x-d)
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하므로 x=2를 대입하면
16+16-4-4-3=(2-a)(2-b)(2-c)(2-d)
∴ (2-a)(2-b)(2-c)(2-d)=21

88 수학<상>
470  ① 474   k>;4!;

사차방정식 xÝ`+axÜ`+bxÛ`+cx+d=0의 모든 계수가 유리수이고 xÜ`+2kxÛ`+(kÛ`+2k-1)x+kÛ`=0에 x=-1을 대입하면 등식이


두 근이 1-i, 1+'2이므로 나머지 두 근은 1+i, 1-'2이다.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두 근이 1-i, 1+i인 이차방정식은 두 근의 합이 2이고 곱이 -1 1 2k kÛ`+2k-1 kÛ`
2이므로 xÛ`-2x+2=0이다. -1 -2k+1 -kÛ`
또한 두 근이 1-'2, 1+'2인 이차방정식은 두 근의 합이 2이고 1 2k-1 kÛ` 0
곱이 -1이므로 xÛ`-2x-1=0이다. (x+1){xÛ`+(2k-1)x+kÛ`}=0
∴ xÝ`+axÜ`+bxÛ`+cx+d‌=(xÛ`-2x+2)(xÛ`-2x-1) 이므로 실근 x=-1을 갖는다.
=xÝ`-4xÜ`+5xÛ`-2x-2 따라서 방정식 xÛ`+(2k-1)x+kÛ`=0은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따라서 a=-4, b=5, c=-2, d=-2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cd=-80 D=(2k-1)Û`-4kÛ`<0, -4k+1<0
1
∴ k>
4

471   -3

xÝ`-2xÜ`-x+2=0에서 475  ②

xÜ`(x-2)-(x-2)=0
삼차방정식 xÜ`+kx-2=0이 중근 a와 또 다른 실근 b를 가지므로 정

(x-2)(xÜ`-1)=0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과
(x-2)(x-1)(xÛ`+x+1)=0
2a+b=0 yy ㉠ 부

이고, 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2ab=k yy ㉡ 식
D=1Û`-4=-3<0
aÛ`b=2 yy ㉢
이므로 a, b는 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다.
㉢에 ㉠을 대입하면 aÛ`(-2a)=2, aÜ`=-1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1
a+b=-1, ab=1이므로
위 값을 ㉢에 대입하면 b=2
(a-b)Û`=(a+b)Û`-4ab=(-1)Û`-4=-3
a=-1, b=2를 ㉡에 대입하면 k=-3
∴ k+a+b=-2

472  ①
476   ⑴ -25  ⑵ 28
x(x+1)(x+2)(x+3)-15=0에서
x(x+3)_(x+1)(x+2)-15=0 ⑴ ‌삼차방정식 xÜ`-2xÛ`+4x+3=0에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xÛ`+3x)(xÛ`+3x+2)-15=0 관계에 의하여

이때, xÛ`+3x=t로 치환하면 a+b+c=2, ab+bc+ca=4, abc=-3 yy ㉠

t(t+2)-15=0, tÛ`+2t-15=0 이때, (a+b+c)Û`=aÛ`+bÛ`+cÛ`+2(ab+bc+ca)에서

(t+5)(t-3)=0에서 (xÛ`+3x+5)(xÛ`+3x-3)=0이므로 aÛ`+bÛ`+cÛ`=2Û`-2_4=-4 yy ㉡

xÛ`+3x+5=0 또는 xÛ`+3x-3=0 구하는 값은

이 중에서 허근을 갖는 방정식은 xÛ`+3x+5=0이므로 x는 이 aÜ`+bÜ`+cÜ`=(a+b+c)(aÛ`+bÛ`+cÛ`-ab-bc-ca)+3abc

방정식의 근이다. ∴ aÜ`+bÜ`+cÜ`‌=2_(-4-4)+3_(-3) (∵ ㉠, ㉡)

따라서 xÛ`+3x+5=0이므로 =-16-9=-25

xÛ`+3x=-5 ⑵ ⑴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면


(ab+bc+ca)Û`=aÛ`bÛ`+bÛ`cÛ`+cÛ`aÛ`+2abc(a+b+c)
∴ aÛ`bÛ`+bÛ`cÛ`+cÛ`aÛ`=4Û`-2_(-3)_2=28

473  ④

xÝ`-16xÛ`+36‌=0에서 xÝ`-12xÛ`+36-4xÛ`=0 477  ①

(xÛ`-6)Û`-(2x)Û`=0, (xÛ`+2x-6)(xÛ`-2x-6)=0 xÜ`+yÜ`=(2-'5)+(2+'5)=4 yy TIP


에서 이차방정식 xÛ`+2x-6=0의 근은 x=-1Ñ'7이고, xÜ`yÜ`=(2-'5)(2+'5)=-1이므로 xy=-1
이차방정식 xÛ`-2x-6=0의 근은 x=1Ñ'7이다. xÜ`+yÜ`=(x+y)Ü`-3xy(x+y)에서 x+y=t라 하면
따라서 M=1+'7, m=-1-'7에서 4=tÜ`+3t, tÜ`+3t-4=0, (t-1)(tÛ`+t+4)=0
M-m=2+2'7 이므로 t=1 또는 tÛ`+t+4=0

Ⅱ.방정식과 부등식 89
이때, 방정식 tÛ`+t+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xÞ
‌ `+xÝ`+xÜ`+xÛ`+x
D=1-16=-15<0이므로 허근을 갖는다. =xÜ`(xÛ`+x+1)+(xÛ`+x+1)-1
따라서 두 실수 x, y에 대하여 구하는 값은 =-1
x+y=1

TIP
주어진 xÜ`=2-'5, yÜ`=2+'5의 값이 서로 켤레복소수이므로
481  ②

더하거나 빼거나 혹은 곱했을 때 값이 간단해진다.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고,


이때, 구하는 값이 x+y이므로 xÜ`+yÜ`의 값을 통해서 x+y의 xÜ`-1=0, (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값을 구하는 방향으로 풀이하면 된다. 한 허근이 x이므로 xÛ`+x+1=0이고, 다른 한 근은 x이
® 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x+x= ® -1이므로
xÝ`+2xÜ`-2xÛ`+2x+1
478  ③
=x+2-2xÛ`+2x+1`(∵ xÜ`=1)
두 근이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므로 두 근의 합은 0이고 =3x+3-2(-x-1)`(∵ xÛ`=-x-1)
두 근의 곱은 음수이다. =5(x+1)=-5 x®`(∵ -x®=x+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kÜ`-4kÛ`+k+6=0에서 k=2를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482  ②
2 1 -4 1 6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다.
2 -4 -6
이때, xÜ`+1=0, (x+1)(xÛ`-x+1)=0에서 x는 이차방정식
1 -2 -3 0
xÛ`-x+1=0의 한 근이고 나머지 한 근은 x이
® 므로
(k-2)(kÛ`-2k-3)=0 xÜ`=-1, xÕ `Ü =-1이고,
(k-2)(k-3)(k+1)=0 xÛ`-x+1=0, xÕ Û`-xÕ+1=0
∴ k=2 또는 k=3 또는 k=-1 ∴ xÛ`+xÕ `Ý +xß`+xÕ `¡ +xÚ`â`‌=xÛ`-x+
Õ 1+xÕ Û`-x
이때, 두 근의 곱이 음수이므로 -k<0, 즉 k>0이고 따라서 구하는 =(xÛ`-x+1)+(xÕ Û`-xÕ+1)-1
실수 k의 값의 합은 =-1
2+3=5

479  ② 483  ④

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다. yy ㉠


z+z®=0을 만족시키려면 복소수 z가 순허수이다.
xÜ`+1=0, (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xÜ`-4x)+i(xÜ`-2xÛ`-x+2)가 순허수가 되려면
한 허근이 x이고,
주어진 복소수가
x가 근이면 x도® 근이므로
(실수부분)=0, (허수부분)+0이어야 한다.
xÛ`-x+1=0, x® `Û -x®+1=0 yy ㉡
xÜ`-4x=0에서 x(x+2)(x-2)=0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x=0 또는 x=-2 또는 x=2 yy ㉠
x+x=® 1, xx=
® 1 yy ㉢
xÜ`-2xÛ`-x+2+0에서 xÛ`(x-2)-(x-2)+0
ㄱ. ㉠에서 xá`=(xÜ`)Ü`=(-1)Ü`=-1 (참)
(x-2)(xÛ`-1)+0, (x-2)(x+1)(x-1)+0
ㄴ. ㉡에서 xÛ`-x+1=0, x=xÛ`+1 (참)
∴ x+1, x+-1, x+2 yy ㉡
1 1 x+x®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은 ㄷ. + = =1 (∵ ㉢) (참)
x x® xx®
x=0 또는 x=-2 ㄹ. ㉡에서 x® `Û -x+
® 1=0, x® Û`-x=
® -1 (거짓)
따라서 구하는 합은 -2이다. ㅁ. (1-x)(1-x®)‌=1-(x+x®)+xx®
=1-1+1=1 (∵ ㉢) (참)
1 1 2+x+x®
480  ② ㅂ. + ‌=
1+x 1+x® (1+x)(1+x®)

2+x+x®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고, =
1+(x+x)® +xx®
xÜ`-1=0, (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2+1
= =1 (∵ ㉢) (참)
한 허근이 x이므로 1+1+1
xÛ`+x+1=0 따라서 옳은 것의 개수는 5이다.

90 수학<상>
484  ②
488 
x=2 x=-2 x=-'2 x='2
 [  , [  , [ 
y=2 y=-2 y='2
, [ 
y=-'2
( 2x+z=1 yy ㉠ xÛ`-yÛ`=0 yy ㉠
{ x-2y=4 yy ㉡ [ 
xÛ`+2yÛ`-xy-8=0 yy ㉡
9 y+z=-4 yy ㉢ ㉠에서 xÛ`-yÛ`=(x+y)(x-y)=0이므로
㉠에서 ㉢을 빼면 x=y 또는 x=-y
2x-y=5 yy ㉣ Ú x=y를 ㉡에 대입하면
㉡_2-㉣에서 yÛ`+2yÛ`-yÛ`-8=0, yÛ`-4=0에서
x=2, y=-1 y=2 또는 y=-2이므로
x=2를 ㉠에 대입하면 z=-3 x=2, y=2 또는 x=-2, y=-2
a=2, b=-1, c=-3이므로 Û x=-y를 ㉡에 대입하면
abc=2×(-1)×(-3)=6 yÛ`+2yÛ`+yÛ`-8=0, yÛ`-2=0에서
y='2 또는 y=-'2 이므로
485  ③ x=-'2, y='2 또는 x='2, y=-'2
Ú, Û에서 연립방정식의 해는
( 2x+y-z=-3 yy ㉠
x=2 x=-2 x=-'2 x='2
{ x-y+2z=5 yy ㉡ [  , [  , [  , [ 
y=2 y=-2 y='2 y=-'2
9 x+y-3z=-12 yy ㉢ 방

㉠과 ㉡을 더하면 3x+z=2 yy ㉣ 식

㉡과 ㉢을 더하면 2x-z=-7 yy ㉤ 489  ④ 부

㉣과 ㉤을 더하면 5x=-5, x=-1 식
xÛ`-3xy-4yÛ`=0 yy ㉠
x=-1을 ㉣에 대입하면 z=5 [ 
xÛ`+2yÛ`=18 yy ㉡
x=-1, z=5를 ㉠에 대입하면 y=4
㉠에서 xÛ`-3xy-4yÛ`=(x-4y)(x+y)=0이므로
∴ x+y+z=(-1)+4+5=8
x=4y 또는 x=-y
Ú x=4y를 ㉡에 대입하면
486  ④
(4y)Û`+2yÛ`=18yÛ`=18, yÛ`=1에서 y=1 또는 y=-1이므로
( 3x+4y=4 yy ㉠ x=4, y=1 또는 x=-4, y=-1
{ 4y+2z=2 yy ㉡ 따라서 x+y의 값은 5 또는 -5이다.
9 2z+3x=6 yy ㉢ Û x=-y를 ㉡에 대입하면
㉠, ㉡, ㉢을 모두 더하면 (-y)Û`+2yÛ`=3yÛ`=18, yÛ`=6에서
2(3x+4y+2z)=12, 즉 3x+4y+2z=6 yy ㉣ y='6 또는 y=-'6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z=1 x='6, y=-'6 또는 x=-'6, y='6
4 따라서 x+y의 값은 0이다.
㉡을 ㉣에 대입하면 x=
3 Ú, Û에서 a=4, b=1일 때 a+b의 최댓값은 5이다.
㉢을 ㉣에 대입하면 y=0
4
a= , b=0, c=1이므로
3 490  2
4 7
a+b+c= +0+1= x+y=2 yy ㉠
3 3
[ 
xÛ`+yÛ`=a yy ㉡

487  2 ㉠에서 y=2-x를 ㉡에 대입하면


xÛ`+(2-x)Û`=a, 2xÛ`-4x+4-a=0
x+2y=3 yy ㉠
[  이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xÛ`+xy+yÛ`=3 yy ㉡ D
=4-2(4-a)=2a-4¾0   ∴ a¾2
㉠에서 x=3-2y를 ㉡에 대입하면 4
(3-2y)Û`+(3-2y)y+yÛ`=3 따라서 구하는 양의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yÛ`-3y+2=0, (y-1)(y-2)=0
∴ y=1 또는 y=2
즉, x=1, y=1 또는 x=-1, y=2이므로
491   48

aÛ`+bÛ`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또는 5이다. ABÓ=x, CDÓ=y라 하면


따라서 aÛ`+bÛ`의 최솟값은 2이다. x+y+3+7=30이므로 x+y=20 yy ㉠

Ⅱ.방정식과 부등식 91
두 직각삼각형 BAD, BC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7
㉡에서 b= -a를 ㉠에 대입하면
2

aÛ`+{ -a}2`= , 2aÛ`-7a+6=0, (2a-3)(a-2)=0


xÛ`+7Û`=yÛ`+3Û`, yÛ`-xÛ`=40, (y+x)(y-x)=40
이고 ㉠을 대입하면 7 25
2 4
20(y-x)=40이므로 y-x=2 yy ㉡
3
㉠, ㉡을 연립하여 풀면 x=9, y=11 ∴ a=2, b= (∵ a>b)
2
사각형 ABCD의 넓이는 두 직각삼각형 BAD, BCD의 넓이의 합과 3
∴ a+2b=2+2× =5
같으므로 구하는 값은 2
1 1 96 다른 풀이
_9_7+ _3_11= =48
2 2 2
7
위 풀이의 연립방정식의 ㉡에서 a+b= 이므로
2

2ab=(a+b)Û`-(aÛ`+bÛ`)={ }2`- =6
7 25
492  ③ 2 4
∴ ab=3
정육면체 A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직육면체 B의 밑면의
따라서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a, b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모두 a+2이고 높이는 a-1이다.
7
직육면체 B의 부피가 정육면체 A의 부피의 2배이므로 xÛ`- x+3=0이므로
2
2aÜ`=(a+2)Û` (a-1), 2aÜ`=(aÛ`+4a+4)(a-1) 2xÛ`-7x+6=0, (2x-3)(x-2)=0
aÜ`-3aÛ`+4=0에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3
∴ a=2, b= (∵ a>b)
-1 1 -3 0 4 2
-1 4 -4
1 -4 4 0
aÜ`-3aÛ`+4=(a+1)(aÛ`-4a+4)=(a+1)(a-2)Û`=0 495   (0, 1), (1, 0), (-2, -3), (-3, -2)

∴ a=2 (∵ a>0) ab+a+b-1=0에서 a(b+1)+(b+1)-2=0


(a+1)(b+1)=2 yy TIP
이때, a, b가 정수이면 a+1, b+1도 정수이므로 두 정수를 곱해서
493  ③ 2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a+1=1, b+1=2인 경우 a=0, b=1
철판 네 귀퉁이를 잘라낸 후 가로의 길이는 10-2x, 세로의 길이는
Û a+1=2, b+1=1인 경우 a=1, b=0
6-2x이므로 다음과 같다.
Ü a+1=-1, b+1=-2인 경우 a=-2, b=-3
Ý a+1=-2, b+1=-1인 경우 a=-3, b=-2
6-2x Ú∼Ý에서 순서쌍 (a, b)는
x (0, 1), (1, 0), (-2, -3), (-3, -2)이다.
x
10-2x
TIP
따라서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부피는
부정방정식은 문자의 개수보다 식의 개수가 적다.
(10-2x)(6-2x)x=24, xÜ`-8xÛ`+15x-6=0 그러므로 정수나 자연수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정수끼리 곱해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정수가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정수끼리 곱해서 어떤
2 1 -8 15 -6 정수가 되도록 변형하고 등식을 만족시키는 값을 찾는 방법으로
2 -12 6 풀이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1 -6 3 0
(x-2)(xÛ`-6x+3)=0
∴ x=2 또는 x=3-'6 (∵ x<3)
따라서 가능한 모든 x의 값의 합은 496   (3, 3), (4, 8), (5, 15), (6, 24)
2+(3-'6)=5-'6 xÛ`-2x-y=0에서 xÛ`-2x+1=y+1
(x-1)Û`=y+1 yy TIP
좌변이 완전제곱식이고, y가 자연수이므로 y+1은 1보다 큰
494  5 제곱수가 되어야 한다.
문제의 조건에 의하여 a, b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Ú y+1=2Û`, 즉 y=3인 경우
25 (x-1)Û`=2Û`, x-1=2`(∵ x>0)이므로 x=3
( aÛ`+bÛ`= 4  yy ㉠
{ 
Û y+1=3Û`, 즉 y=8인 경우
9 2{(a+2)+(b+2)}=15 yy ㉡ (x-1)Û`=3Û`, x-1=3`(∵ x>0)이므로 x=4

92 수학<상>
Ü y+1=4Û`, 즉 y=15인 경우
(x-1)Û`=4Û`, x-1=4`(∵ x>0)이므로 x=5
500  ①

Ý y+1=5Û`, 즉 y=24 ㄱ. a<b에서 양변에 각각 c를 더해도 부등식이 성립하므로


(x-1)Û`=5Û`, x-1=5`(∵ x>0)이므로 x=6 a+c<b+c (참)
Ú∼Ý에서 순서쌍 (x, y)는 ㄴ. [반례] a=-1, b=2인 경우
(3, 3), (4, 8), (5, 15), (6, 24)이다. 1 1 1
ab=-2+0이고, a<b이지만 -1< 이므로 < 이다. (거짓)
2 a b
TIP  yy TIP 1
정수나 자연수 조건에서 식을 곱하기 형태로 변형하기 어려운 ㄷ. [반례] a=1, b=-3인 경우
경우에는 이차식으로 완전제곱식을 만들어서 제곱수 중에서 1Û`<(-3)Û`이므로 aÛ`<bÛ`이지만 a>b이다. (거짓) yy TIP 2
등식을 성립시키는 값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TIP 1
1 1
‘a<b이면 > 이다.’가 항상 성립하기 위해서는 두 실수
a b
497  3 a, b의 부호가 서로 같으면 된다.
1 1
|3x-1|<5에서 -5<3x-1<5 즉, ab>0이고, a<b이면 > 이다.
a b
4 방
-4<3x<6   ∴ - <x<2 정
3
TIP 2 식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a, b가 모두 양수일 때 aÛ`<bÛ`이면 a<b이다. 부
-1, 0, 1로 3개이다. 등
a, b가 모두 음수일 때 aÛ`<bÛ`이면 a>b이다. 식

498  ④ 501  9

|ax-b|É3에서 -3Éax-bÉ3 -11<2x-1<9에서 -10<2x<10이므로 -5<x<5


-3+bÉaxÉ3+b -4ÉxÉ6 -4ÉxÉ6
연립부등식 [  , 즉 [  를 동시에
-3+b 3+b -11<2x-1<9 -5<x<5
∴ ÉxÉ (∵ a>0)
a a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4Éx<5이다.
이때, 해가 -1ÉxÉ2이므로
-3+b 3+b x
=-1, =2 -5 -4 5 6
a a
에서 a+b=3, 2a-b=3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4, -3, -2, y, 3, 4로 9개이다.
∴ a-b=1

502  5

-15<2x-3<x+8에서
499  ④ Ú -15<2x-3인 경우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부호에 따라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2x>-12에서 x>-6
Ú x<-1인 경우 Û 2x-3<x+8인 경우
-(x+1)-(x-2)<9, 2x>-8에서 x>-4 x<11
이므로 x의 값의 범위는 -4<x<-1 Ú, Û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6<x<11이다.
Û -1Éx<2인 경우 따라서 p=-6, q=11이므로 p+q=-6+11=5
x+1-(x-2)=3<9이므로
-1Éx<2에서 주어진 부등식을 항상 만족시킨다.
Ü x¾2인 경우
503  ④

x+1+x-2<9, 2x<10에서 x<5 ① ‌xÛ`+4x+5>0에서 (x+2)Û`+1>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므로 x의 값의 범위는 2Éx<5 xÛ`+4x+5>0이 성립한다. (참)
Ú∼Ü에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② ‌xÛ`+2x-8É0에서 (x-2)(x+4)É0이므로
-4<x<5이므로 정수 x는 -3, -2, -1, y, 4의 8개이다. -4ÉxÉ2 (참)

Ⅱ.방정식과 부등식 93
③ xÛ`+6x+10É0에서 (x+3)Û`+1É0 D
‌=(3a)Û`-2(4aÛ`-a)É0, aÛ`+2aÉ0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6x+10>0이므로 해는 없다. 4
 (참) a(a+2)É0
④ -xÛ`+4x-4<0의 양변에 -1을 곱하면 ∴ -2ÉaÉ0
xÛ`-4x+4>0, (x-2)Û`>0 따라서 정수 a는 -2, -1, 0으로 3개이다.
따라서 해는 x+2인 모든 실수이다. (거짓)
⑤ 3xÛ`-x-2>0에서 (x-1)(3x+2)>0이므로 507   -1ÉxÉ5
2
x<- 또는 x>1 (참)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만나는 두 점의
3
따라서 선지 중 해를 잘못 구한 것은 ④이다. y좌표가 각각 -1, 11이므로 y=2x+1에
y=-1을 대입하면 -1=2x+1에서 x=-1
y=11을 대입하면 11=2x+1에서 x=5
504  ③ 즉, 두 교점의 좌표는 (-1, -1), (5, 11)이고,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2x+1
1 7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해가 - <x< 인 이차부등식은
2 3 {5,`11}
1 7 y=f{x}
{x+ }{x- }<0
2 3
주어진 부등식에서 이차항의 계수가 6이므로 양변에 6을 곱하면
1 7
6{x+ }{x- }<0, (2x+1)(3x-7)<0
{-1,`-1}
2 3
∴ 6xÛ`-11x-7<0 부등식 f(x)-2x-1¾0, 즉 f(x)¾2x+1을 만족시키려면 함수
따라서 a=11, b=-7이므로 y= f(x)의 함숫값이 함수 y=2x+1의 함숫값보다 크거나 같도록
a+b=11+(-7)=4 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 되므로 -1ÉxÉ5이다.

505  ② 508  ①

이차부등식 xÛ`+(a+1)x+a¾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의 x절편이 -6, 2이므로 방정식 f(x)=0의
성립하려면 이차함수 y=xÛ`+(a+1)x+a의 그래프가 x축과 한 두 실근이 각각 -6, 2이다.
점에서 만나거나 x축과 만나지 않아야 한다. f(x)=a(x+6)(x-2) (a>0) yy ㉠
방정식 xÛ`+(a+1)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때, 함수 f(x)의 그래프의 y절편이 -12이므로
D‌=(a+1)Û`-4aÉ0, aÛ`-2a+1É0 ㉠에 x=0, y=-12를 대입하면
(a-1)Û`É0 -12=-12a에서 a=1
따라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은 즉, f(x)=(x+6)(x-2)이므로 부등식 f(x)+7¾0에서
a=1 (x+6)(x-2)+7¾0, xÛ`+4x-5¾0
(x+5)(x-1)¾0
다른 풀이
∴ xÉ-5 또는 x¾1
이차부등식 xÛ`+(a+1)x+a¾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이차함수 y=xÛ`+(a+1)x+a의 그래프가 x축과 한
점에서 만나거나 x축과 만나지 않아야 한다. 509   ;7%;ÉkÉ3
함수 y=xÛ`+(a+1)x+a=(x+1)(x+a)에서 이차함수의 -2xÛ`+4kx-k+3>0에서 2xÛ`-4kx+k-3<0이고
그래프가 점 (-1, 0)을 반드시 지나므로 x축과 점 (-1, 0)에서 f(x)=2xÛ`-4kx+k-3이라 하면 0<x<2인 모든 실수 x에
접해야 한다. 대하여 부등식 f(x)<0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은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이므로 f(0)É0,
a=1 f(2)É0이어야 한다.
y=f{x}
y

506  ③
O 2 x
이차함수 y=2xÛ`+6ax+4aÛ`-a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거나 만나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2xÛ`+6ax+4aÛ`-a¾0이
성립해야 한다.
방정식 2xÛ`+6ax+4aÛ`-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94 수학<상>
f(0)=k-3É0에서 kÉ3 yy ㉠
5 -3 -1 3 5 x
f(2)=8-8k+k-3É0, 7k¾5에서 k¾  yy ㉡
7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1<x<3이므로 정수 x는 0, 1, 2로
따라서 ㉠, ㉡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3개이다.
5
ÉkÉ3
7

513   -3Éx<2

510   ⑴ 2<xÉ5  ⑵ 2Éx<3


[ 
[2x+3]É6 yy ㉠
xÛ`-3x-18É0 yy ㉡
2x-3>1 yy ㉠ ㉠에서 2x+3<7이므로 x<2
⑴ [ 
xÛ`-6x+5É0 yy ㉡ ㉡에서 xÛ`-3x-18É0, (x-6)(x+3)É0이므로 -3ÉxÉ6
㉠에서 2x>4이므로 x>2 각각의 범위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에서 (x-1)(x-5)É0이므로 1ÉxÉ5
각각의 범위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2 6 x

따라서 구하는 연립부등식의 해는 -3Éx<2이다.


1 2 5 x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2<xÉ5이다. 방

⑵ [ 
xÛ`+3<4x yy ㉠ 514  ③ 정


2xÛ`-5x+2¾0 yy ㉡
xÛ`-x-12É0 yy ㉠
[ 

㉠에서 xÛ`-4x+3<0, (x-1)(x-3)<0이므로 1<x<3 등
xÛ`+(1-k)x-k<0 yy ㉡ 식
㉡에서 2xÛ`-5x+2¾0, (2x-1)(x-2)¾0이므로
㉠에서 (x-4)(x+3)É0이므로 -3ÉxÉ4
1
xÉ 또는 x¾2 ㉡에서 (x+1)(x-k)<0
2
각각의 범위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연립부등식의 해가 -3Éx<-1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1 2 3 x
2 k-3 -1 4 x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2Éx<3이다.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3

511  4
515  ①
x+2<xÛ` 에서
방정식 xÛ`+(a-2)x+4=0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xÛ`-x-2>0, (x-2)(x+1)>0이므로 x<-1 또는 x>2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y ㉠
D‌=(a-2)Û`-16¾0, aÛ`-4a-12¾0
xÛ`É3x+10에서
(a-6)(a+2)¾0이므로 aÉ-2 또는 a¾6 yy ㉠
xÛ`-3x-10É0, (x-5)(x+2)É0이므로 -2ÉxÉ5 yy ㉡
이때, 이 방정식의 두 근이 모두 양수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 ㉡을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a-2)>0   ∴ a<2 yy ㉡
-2-1 2 5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É-2이다.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2Éx<-1 또는 2<xÉ5이므로
정수 x는 -2, 3, 4, 5로 4개이다.

516   k<-;4!;

512  ③ 이차방정식 xÛ`-4kx-4k-1=0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


D에 대하여 D¾0이어야 한다.
|x-1|É4 yy ㉠ 이때, 두 근을 각각 a, b라 하면 a+b<0, ab>0을 만족시켜야
[ 
xÛ`-2x-3<0 yy ㉡ 한다.
㉠에서 -4Éx-1É4이므로 -3ÉxÉ5 D
Ú =4kÛ`-(-4k-1)=(2k+1)Û`¾0에서
㉡에서 xÛ`-2x-3<0, (x-3)(x+1)<0이므로 -1<x<3 4
각각의 범위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2k+1)Û`¾0이 성립한다. yy TIP

Ⅱ.방정식과 부등식 95
Û a+b=4k<0, ab=-4k-1>0에서 -2 1 -4 m-14 2m-4
1 1 -2 12 -2m+4
k<0, k<- 이므로 k<- 이다.
4 4 1 -6 m-2 0
1
따라서 Ú, Û에 의하여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 이다. (x+2)(xÛ`-6x+m-2)=0이다.
4
이때, 1보다 작거나 같은 근은 오직 한 개이므로 방정식
TIP
xÛ`-6x+m-2=0의 서로 다른 두 근은 모두 1보다 크다.
모든 실수는 제곱하면 항상 0보다 크거나 같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가 실수이면 2k+1도 실수이므로 D
=9-(m-2)>0에서 m<11 yy ㉠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2k+1)Û`¾0이다. 4
함수 y=xÛ`-6x+m-2의 그래프의 축이 x=3이므로
이 함수의 x절편이 모두 1보다 크려면 x=1일 때의 함숫값이 0보다
517  ④ 커야 한다.
1-6+m-2>0에서 m>7 yy ㉡
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할 때
㉠, ㉡에서 m의 값의 범위가 7<m<11이므로 구하는 정수 m의
주어진 조건에서 두 근의 합과 곱이 모두 음수가 되어야 하므로
값의 합은 8+9+10=27
 yy TIP
kÛ`-4k+3=(k-1)(k-3)<0에서
1<k<3
-k+2<0에서 k>2
yy ㉠
yy ㉡
520   풀이 참조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2<k<3 xÜ`-kxÛ`+k-1=0에서 x=1을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TIP
1 1 -k 0 k-1
이 문제에서 판별식 조건을 생각해 줄 필요가 없다. 1 -k+1 -k+1
왜냐하면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의 곱이 음수이면 1 -k+1 -k+1 0
c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 즉 ac<0이다. (x-1){xÛ`-(k-1)x-(k-1)}=0
a
이고,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갖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이때, 주어진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bÛ`-4ac에서
Ú 방정식 xÛ`-(k-1)x-(k-1)=0이 x=1을 근으로 갖는 경우
bÛ`¾0이고 -4ac>0이므로 항상 D>0을 만족시킨다.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두 근의 곱이 음수인
1-(k-1)-(k-1)=0에서 2k=3
것을 보이면 반드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
3
조건을 따로 풀이해 주지 않아도 된다. ∴ k=
2
Û 방정식 xÛ`-(k-1)x-(k-1)=0이 중근을 갖는 경우
방정식 xÛ`-(k-1)x-(k-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518  ②
D=(k-1)Û`+4(k-1)=0
물체를 위쪽으로 던지고 t초 후의 지면으로부터 이 물체의 높이가 (k-1)(k-1+4)=0, (k-1)(k+3)=0
-tÛ`+3t+10(m)이므로 물체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건물의 ∴ k=1 또는 k=-3
높이보다 낮으려면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합은
0É-tÛ`+3t+10<10을 만족시켜야 한다. 3 1
+1-3=-
2 2
Ú 0É-tÛ`+3t+10인 경우
tÛ`-3t-10=(t-5)(t+2)É0 채점 요소 배점

∴ 0ÉtÉ5`(∵ t¾0)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20%
(x-1){xÛ`-(k-1)x-(k-1)}=0으로 인수분해하기
Û -tÛ`+3t+10<10인 경우
방정식 xÛ`-(k-1)x-(k-1)=0이 x=1을 근으로 가질 때의
tÛ`-3t=t(t-3)>0 30%
k의 값 구하기
∴ t>3`(∵ t¾0)
방정식 xÛ`-(k-1)x-(k-1)=0이 중근을 가질 때의 k의 값
Ú, Û에서 이 물체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건물의 높이보다 낮은 30%
구하기
시간은 3<tÉ5에서 2초 동안이다.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합 구하기 20%

519  ③

방정식 xÜ`-4xÛ`+(m-14)x+2m-4=0에 x=-2를 대입하면 521  ⑤

등식이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사차방정식 (xÛ`-4x)Û`+(xÛ`-4x)-20=0에서

96 수학<상>
xÛ`-4x=X라 하면 XÛ`+X-20=0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X+5)(X-4)=0 이차방정식 ㉠이 서로 다른 부호의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Ú X=4일 때  yy TIP
방정식 xÛ`-4x=4, 즉 xÛ`-4x-4=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즉, ㉠의 두 근의 곱은 음수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DÁ 관계에 의하여
=4+4>0이므로 두 실근을 갖는다.
4 10-5a<0   ∴ a>2
‌그러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실근의 ∴ p=2
합은 4이다.
∴ A=4 TIP
Û X=-5일 때 사차방정식 axÝ`+bxÛ`+c=0 (a+0이고 a, b, c는 실수)에서
‌방정식 xÛ`-4x=-5, 즉 xÛ`-4x+5=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xÛ`=X라 할 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양의
Dª 실수 a와 음의 실수 b를 근으로 가지면
=4-5<0이므로 두 허근을 갖는다.
4 xÛ`=a에서 x=Ñ'a (서로 다른 두 실근),
‌그러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허근의 xÛ`=b에서 x=Ñ'¶-bi (서로 다른 두 허근)
곱은 5이다. 이므로 주어진 사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과 서로 다른 두
∴ B=5 허근을 가진다.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A+B=4+5=9 방


524  ④ 과

522 

④ 등
사차방정식 xÝ`+axÛ`+aÝ`-8aÛ`+2bÛ`-4b+18=0에서 xÛ`=X라 하면 식
사차방정식 xÝ`-6xÛ`+a-5=0에서 xÛ`=X라 하면 XÛ`+aX+aÝ`-8aÛ`+2bÛ`-4b+18=0 yy ㉠
XÛ`-6X+a-5=0 yy ㉠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두 허근과 하나의 중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근이 모두 실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이 ㉠이 음의 실근과 0을 근으로 가져야 한다. yy TIP
음이 아닌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yy TIP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0   ∴ a>0 yy ㉡
D aÝ`-8aÛ`+2bÛ`-4b+18=0
=9-(a-5)¾0   ∴ aÉ14 yy ㉡
4 (aÝ`-8aÛ`+16)+2(bÛ`-2b+1)=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이 0보다 크거나 (aÛ`-4)Û`+2(b-1)Û`=0
같으므로 따라서 aÛ`=4에서 a=2 (∵ ㉡)이고, b=1이므로
a-5¾0   ∴ a¾5 yy ㉢ a+b=3
㉡, ㉢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5ÉaÉ14이므로 정수 a는 5, 6, 7,
TIP
y, 14의 10개이다.
방정식 XÛ`+aX+aÝ`-8aÛ`+2bÛ`-4b+18=0의 한 근을 a라
TIP 하면
사차방정식 axÝ`+bxÛ`+c=0 (a+0이고 a, b, c는 실수)에서 ❶ a>0인 경우
xÛ`=X라 할 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음이 ‌X=xÛ`=a에서 x='a 또는 x=-'a 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아닌 두 실근을 가지면 갖는다.
Ú xÛ`=a에서 a+0인 경우 ❷ a<0인 경우
‌x=Ñ'§a`(서로 다른 두 실근)이고, a=0인 경우 x=0을 ‌X=xÛ`=a에서 x='¶-ai 또는 x=-'¶-ai로 서로 다른 두
중근으로 갖는다. 허근을 갖는다.
Û xÛ`=b에서 b+0인 경우 ❸ a=0인 경우
‌x=Ñ'§b`(서로 다른 두 실근)이고, b=0인 경우 x=0을 X=xÛ`=0이면 x=0을 중근으로 갖는다.
중근으로 갖는다.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근이 모두 실수이다.

525   x=;2!;

삼차방정식 2xÜ`-(2k+1)xÛ`+(5k+2)x-2k-1=0에서
523  ④
k(-2xÛ`+5x-2)+(2xÜ`-xÛ`+2x-1)=0
사차방정식 xÝ`+(2-2a)xÛ`+10-5a=0에서 xÛ`=X라 하면 이때,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XÛ`+2(1-a)X+10-5a=0 yy ㉠ -2xÛ`+5x-2=0이고, 2xÜ`-xÛ`+2x-1=0이어야 한다.

Ⅱ.방정식과 부등식 97
-2xÛ`+5x-2=(-2x+1)(x-2)=0
1
528   10
에서 x= 또는 x=2 yy ㉠
2 f(-2)= f(1)= f(3)=k (k는 상수)라 하면 방정식
2xÜ`-xÛ`+2x-1=0, xÛ`(2x-1)+(2x-1)=0 f(x)-k=0의 세 근이 -2, 1, 3이므로
(xÛ`+1)(2x-1)=0 f(x)-k=(x+2)(x-1)(x-3)
1 이때, 방정식 f(x)=0의 한 근이 x=2이므로 f(2)=0이고, 위
에서 x= 또는 x=Ñi yy ㉡
2
식에 대입하면
㉠, ㉡에서 구하는 근은 yy TIP
f(2)-k=4_1_(-1)   ∴ k=4
1
x= ∴ f(x)‌=(x+2)(x-1)(x-3)+4
2
=xÜ`-2xÛ`-5x+10
TIP
=(x-2)(xÛ`-5)
1 =(x-2)(x+'5)(x-'5)
㉠에서 방정식 -2xÛ`+5x-2=0의 해가 x= 또는 x=2라는
2
따라서 방정식 f(x)=0의 나머지 두 근은 x='5 또는
것을 구했으므로 방정식 2xÜ`-xÛ`+2x-1=0에 대입하여 등식을
x=-'5이므로
1
만족시키는 값 x= 을 바로 구할 수도 있다. aÛ`+bÛ`=5+5=10
2

526  ① 529   11

xÝ`+4xÜ`-7xÛ`+4x+1=0에서 삼차방정식 xÜ`+axÛ`+bx+20=0의 모든 항의 계수가 실수이고


4 1 한 근이 2+i이므로 2-i도 근이다.
xÛ`+4x-7+ + =0 (∵ x+0)
x xÛ` 이때,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1 1
{xÛ`+ }+4{x+ }-7=0 의하여
xÛ` x

{x+ }2`+4{x+ }-9=0


(2+i)+(2-i)+a=-a yy ㉠
1 1
x x (2+i)(2-i)+(2-i)a+a(2+i)=b yy ㉡
1 (2+i)(2-i)a=-20 yy ㉢
이때, x+ =k이므로 kÛ`+4k-9=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x ㉢에서 5a=-20   ∴ a=-4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곱은 -9이다. ㉠에서 4-4=-a   ∴ a=0
㉡에서 5-4×4=b   ∴ b=-11
∴ a-b=11

527  ⑤ 다른 풀이

삼차방정식 xÜ`+axÛ`+bx+20=0의 모든 항의 계수가 실수이고


xÝ`-7xÛ`+1=0에서
한 근이 2+i이므로 2-i도 근이다.
(xÝ`+2xÛ`+1)-9xÛ`=0, (xÛ`+1)Û`-(3x)Û`=0
이때,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xÛ`+3x+1)(xÛ`-3x+1)=0
에서 xÛ`+3x+1=0 또는 xÛ`-3x+1=0이므로 xÜ`+axÛ`+bx+20‌=(x-a){x-(2+i)}{x-(2-i)}
=(x-a)(xÛ`-4x+5) yy 참고
aÛ`+3a+1=0 또는 aÛ`-3a+1=0이다.
ㄱ. aÛ`+3a+1=0이므로 aÛ`+3a=-1을 만족시키는 a가 존재한다. =xÜ`+(-a-4)xÛ`+(4a+5)x-5a
위 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참)
ㄴ. ‌xÝ`-7xÛ`+1=0에 x=0을 대입하면 식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20=-5a
∴ a=-4 yy ㉣
a+0이다.
x=-1을 대입하면
aÛ`-3a+1=0에서 양변을 각각 a로 나누면
-1+a-b+20=-1-a-4-4a-5-5a
1 1
a-3+ =0에서 a+ =3
a a ∴ a-b‌=-10a-29
이므로 만족시키는 a가 존재한다. (참) =11 (∵ ㉣)
ㄷ. 방정식 xÛ`+3x+1=0의 판별식 DÁ=9-4=5>0이고
참고
방정식 xÛ`-3x+1=0의 판별식 Dª=9-4=5>0이므로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두 근이 2+i, 2-i인 이차방정식은
두 방정식은 항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두 근의 합)=4, (두 근의 곱)=5임을 이용하여
즉, a는 항상 실수이다. (참)
xÛ`-4x+5=0으로 식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98 수학<상>
530  ① 533   11

a, b, c가 실수이므로 조건 ㈎에서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1 1 1


, , 을 세 근으로 하는 삼차방정식이
한 근이 -1+'2 i이면 -1-'2 i도 근이다. ab bc ca
삼차방정식의 나머지 한 근을 p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xÜ`-xÛ`+3x-1=0이므로
관계에 의하여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1 1 a+b+c -a a
(-1+'2 i)+(-1-'2 i)+p=-a + + = = = =1 yy ㉠
ab bc ca abc -c c
∴ a=2-p yy ㉠
1 1 1 1 1 1 1 1 1 1
이때,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xÛ`+ax-8=0의 한 근이 p가 되어야 _ + _ + _ ‌=  { + + }
ab bc bc ca ca ab abc a b c
하므로 대입하면 1 ab+bc+ca
= _
pÛ`+ap-8=pÛ`+(2-p)p-8=0 (∵ ㉠) abc abc
2p=8   ∴ p=4 ab+bc+ca
=
(abc)Û`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세 근이
b
-1+'2 i, -1-'2 i, 4 = =3 yy㉡
cÛ`
이므로 구하는 값은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1 1 1 1
_ _ = = =1 yy ㉢
c=-(-1+'2 i)_(-1-'2 i)_4=-12 ab bc ca (abc)Û` cÛ`
㉢에서 cÛ`=1이므로 ㉠에서 aÛ`=1

b 정
㉡에서 =b=3이므로 bÛ`=9 식
cÛ`
531 

 A=17, B=-6 ∴ aÛ`+bÛ`+cÛ`=11 부

삼차방정식의 세 근이 각각 a, b, c이므로 식

xÜ`-4x+2=(x-a)(x-b)(x-c)=0
위 식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534  ①

A‌=(3-a)(3-b)(3-c) 방정식 f(3x+1)=0의 세 근을 a, b, c라 하고


=3Ü`-4_3+2=17 a'=3a+1, b'=3b+1, c'=3c+1이라 하면
이때, xÜ`=4x-2이므로 a', b', c'은 방정식 f(x)=0의 근이다.
aÜ`=4a-2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Ü`=4b-2 a'+b'+c'=-3
cÛ`=4c-2 a'b'+b'c'+c'a'=-9
좌변, 우변을 각각 더해주면 a'b'c'=5
B=aÜ`+bÜ`+cÜ`=4(a+b+c)-6 a'-1 b'-1 c'-1
∴ abc‌= _ _
이고 삼차방정식 xÜ`-4x+2=0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3 3
a+b+c=0이므로 a'b'c'-(a'b'+b'c'+c'a')+(a'+b'+c')-1
=
27
B=-6
5+9-3-1
∴ A=17, B=-6 =
27
10
=
27
따라서 p=27, q=10이므로 p+q=27+10=37
532   26
다른 풀이
정우는 c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f(x)=xÜ`+3xÛ`-9x-5 yy ㉠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에서 방정식 f(x)=0의 세 근을 a, b, c라 하면
세 근의 곱은 -c=1×(-1)×3=-3이므로 c=3 f(x)=(x-a)(x-b)(x-c) yy ㉡
미진이는 a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1)=1+3-9-5=-10
세 근의 합은 -a=(1+i)+(1-i)+2=4이므로 a=-4 ㉡에 x=1을 대입하면
태우는 b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f(1)=(1-a)(1-b)(1-c)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1)(b-1)(c-1)=-(-10)=10 yy ㉢
b=(1+'2)+(1-'2)+(1+'2)(1-'2)=1 방정식 f(3x+1)=0에서 3x+1=t라 하면
따라서 a=-4, b=1, c=3이므로 t-1
f(t)=0, x=
aÛ`+bÛ`+cÛ`=26 3

Ⅱ.방정식과 부등식 99
따라서 방정식 f(3x+1)=0의 세 근의 곱은 ∴ ‌f(1)+ f(2)+ f(3)+y+ f(300)
a-1 b-1 r-1 10 1 1 1 1 1 1
_ _ = (∵ ㉢) ={- -x+ }+{- -x+ }+y+{- -x+ }
3 3 3 27 x 2 x 2 x 2
1 1 xÛ`+1 1
-x+ }=100_{- + } 
따라서 p=27, q=10이므로 p+q=27+10=37
=100×{-
x 2 x 2
3
=100× =150
535  ⑤ 2

xÝ`-2xÜ`-x+2=(x-1)(x-2)(xÛ`+x+1)이므로 x는 방정식
xÛ`+x+1=0의 근이다.
즉, xÛ`+x+1=0이고 양변에 x-1을 곱하면 538  ①
(x-1)(xÛ`+x+1)=0에서 xÜ`-1=0
( x-9y+6z=12 yy ㉠
∴ xÜ`=1
{ 2x-3y-8z=4 yy ㉡
∴ 1+x+xÛ
‌ `+xÜ`+xÝ`+xÞ`+y+x100
9 ax+by-6z=48 yy ㉢
=(1+x+xÛ`)+xÜ`(1+x+xÛ`)+xß`(1+x+xÛ`)
㉠과 ㉡을 더하면
+y+xá``ß (1+x+xÛ`)+xá``á (1+x)
3x-12y-2z=16이고 양변에 각각 3을 곱해주면
=xá`á`(1+x)=(xÜ`)Ü`Ü`(1+x)
9x-36y-6z=48 yy ㉣
=1+x
이 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수히 많기 위해서는 ㉢과 ㉣이 같은 식이
되어야 하므로
536   17 a=9, b=-36
∴ a+b=-27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다.
다른 풀이
xÜ`-1=(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Û`+x+1=0이다. ㉠-3×㉡에서
xÜ`+2xÛ`+x+1 n` -5x+30z=0   ∴ x=6z
{ } 에서
xÝ`+xÜ`-x ㉡에 대입하면
분모를 정리하면 4 4
12z-3y-8z=4   ∴ y= z-
xÝ`+xÜ`-x=x+1-x=1 3 3
분자를 정리하면 4 4
㉢에 x=6z, y= z- 를 대입하면
3 3
xÜ`+2xÛ`+x+1‌=1+xÛ`+(xÛ`+x+1)
4 4
=1+xÛ`=-x a(6z)+b{ z- }-6z=48
3 3

xÜ`+2xÛ`+x+1 n`
이므로 4 4
{6a+ b-6}z= b+48이므로
3 3
{ } =(-x)Ç`=(-1)Ç`_xÇ`
xÝ`+xÜ`-x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수히 많기 위해서는
이고 이 값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n은 홀수이면서 3의 배수가 되어야 4
한다. ( 6a+ 3 b-6=0
{  이어야 한다.
9 4 b+48=0
따라서 n은 100 이하의 3의 배수 중에서 6의 배수를
제외해주면 되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3
33-16=17 따라서 a=9, b=-36이므로
a+b=-27

537  ④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이다.


xÜ`-1=(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539  ②

허근이 x이므로 xÛ`+x+1=0이다. (`x+2y+kz=-1 yy ㉠


x x 1 {`2x+ky+z=-1 yy ㉡
f(1)= = =-
1+x -xÛ` x 9`kx+y+2z=-1 yy ㉢
xÛ` xÛ` ㉠, ㉡, ㉢을 모두 더하면
f(2)= = =-x
1+xÛ` -x
(k+3)x+(k+3)y+(k+3)z=-3
xÜ` 1 1
f(3)= = = (k+3)(x+y+z)=-3
1+xÜ` 1+1 2
xÝ` x 이때, 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f(4)= = = f(1)
1+xÝ` 1+x k=-3

100 수학<상>
Û x=y일 때
540  ①
‌㉠에 x=y를 대입하면 0=5가 되므로 주어진 식을 만족시키지
( xy+yz=6 yy ㉠ 못한다.
{ yz+zx=12 yy ㉡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9 zx+xy=10 yy ㉢ 5 2 5 2 10
ab= _ ={- }_{- }=
㉠, ㉡, ㉢을 모두 더하면 2(xy+yz+zx)=28 '3 '3 '3 '3 3
∴ xy+yz+zx=14 yy ㉣ 다른 풀이
㉣에서 ㉠을 빼면 zx=8 xÛ`-xy=5 yy ㉠
㉣에서 ㉡을 빼면 xy=2 [ 
xy-yÛ`=2 yy ㉡
㉣에서 ㉢을 빼면 yz=4 ㉠에서 ㉡을 빼면
따라서 zx×xy×yz=8×2×4, (xyz)Û`=64 xÛ`-2xy+yÛ`=(x-y)Û`=3
xyz=-8 또는 xyz=8 에서 |x-y|='3이므로
Ú xyz=-8일 때 x-y='3 또는 x-y=-'3
-8 -8 -8 ㉠과 ㉡을 더하면
y= =-1, z= =-4, x= =-2이므로
zx xy yz
xÛ`-yÛ`=7 yy ㉢
a+b+c=-7
Ú x-y='3인 경우
Û xyz=8일 때
㉢에 대입하면 xÛ`-(x-'3)Û`=7, 2'3 x=10 방
8 8 8
y= =1, z= =4, x= =2이므로 5 2 정
zx xy yz ∴ x=  이고 y= 식
'3 '3 과
a+b+c=7
Û x-y=-'3인 경우 부
Ú, Û에 의하여 a+b+c의 최솟값은 -7이다. 등
㉢에 대입하면 xÛ`-(x+'3)Û`=7, -2'3 x=10 식

5 2
∴ x=-  이고 y=-
'3 '3
541  6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x+y=4xy에서 양변을 각각 xy로 나누면 10
ab=
1 1 3
+ =4 yy ㉠
y x
y+z=5yz에서 양변을 각각 yz로 나누면
1 1
+ =5
z y
yy ㉡ 543  ③

z+x=6zx에서 양변을 각각 zx로 나누면 x+y=A, xy=B라 하면 yy TIP


1 1 x+y+xy=A+B=-2 yy ㉠
+ =6 yy ㉢
x z xÛ`y+yÛ`x=xy(x+y)=AB=-24 yy ㉡
㉠, ㉡, ㉢을 모두 더하면 ㉠, ㉡을 이용하여 A, B를 두 근으로 하고
1 1 1 1 1 1 15
2 { + + }=15이므로 + + =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 y z x y z 2
tÛ`+2t-24=0, (t+6)(t-4)=0이므로
4ab+4bc+4ca 4 1 1 1 4 15
∴ =  { + + }= _ =6 두 근 A, B는 -6 또는 4이다.
5abc 5 c a b 5 2
따라서 xy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6 또는 4이므로 구하는 합은
-6+4=-2
542  ④
TIP
xÛ`-xy=5 yy ㉠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x, y에 대한 삼차식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 
xy-yÛ`=2 yy ㉡ 풀이가 어렵다.
에서 2_㉠-5_㉡을 하면 따라서 x, y의 합과 곱을 치환해서 주어진 식을 간단하게 변형한
2xÛ`-7xy+5yÛ`=0, (2x-5y)(x-y)=0 다음 x, y의 각각의 값을 구한다.
∴ 2x=5y 또는 x=y
Ú 2x=5y일 때
2
㉠에 y= x를 대입하면
5 544  9
2 3 25
xÛ`- xÛ`=5, xÛ`=5, xÛ`= (x+2)(y+2)=a yy ㉠
5 5 3 [ 
5 2 (x-4)(y-4)=a yy ㉡
∴ x=Ñ , y=Ñ
'3 '3 ㉠에서 ㉡을 빼면

Ⅱ.방정식과 부등식 101


(x+2)(y+2)-(x-4)(y-4)=0 1 2 3
x_ +y_ +z_ =17
xy+2(x+y)+4-{xy-4(x+y)+16}=0 100 100 100
6(x+y)=12에서 x+y=2 yy ㉢ x+2y+3z=1700 yy ㉡
㉠에 ㉢을 대입하면 조건 ㈐에 의하여
(x+2)(4-x)=a, xÛ`-2x+a-8=0 x+y=4z yy ㉢
이고,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가 오직 한 쌍만 존재하기 위해서는 ㉠, ㉢에서 5z=1000이므로 z=200
이차방정식 xÛ`-2x+a-8=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 ㉡에 z=200을 대입해서 연립하여 풀면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500, y=300
D ∴ x=500, y=300, z=200
=1-(a-8)=0
4
∴ a=9
548  ②

갑의 속력을 x`km/시, 을의 속력을 y`km/시,


545   45
갑과 을이 만난 지점을 C라 하자.
(x-y)Û`-(x-y)-2=0에서 x-y=X라 하면 갑과 을이 만날 때까지 걸린 시간을 t시간이라 하면
XÛ`-X-2=0, (X+1)(X-2)=0 A지점에서 C지점까지 거리는 xt`km
에서 X=-1 또는 X=2이므로 B지점에서 C지점까지 거리는 yt`km
x-y=-1 또는 x-y=2 이때, 두 사람이 만나고 난 후 갑이 1시간 후에 B지점, 을이 4시간
Ú x-y=-1인 경우 후에 A지점에 도착하므로 A지점에서 C지점까지 거리는 4y`km,
xÛ`=yÛ`+5에 대입하면 B지점에서 C지점까지 거리는 x`km이다.
4y x
xÛ`=(x+1)Û`+5, 2x+6=0
∴ x=-3, y=-2 A C B

이때, x, y는 양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Û x-y=2인 경우 xt=4y yy ㉠
xÛ`=yÛ`+5에 대입하면 yt=x yy ㉡
xÛ`=(x-2)Û`+5, -4x+9=0 x
㉡에서 t= 이고 ㉠에 대입하면
y
9 1
∴ x= , y=
4 4 xÛ`
=4y, xÛ`=4yÛ`이므로 x=2y (∵ x>0, y>0)
y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이때, C지점까지 갈 때, 갑이 을보다 8`km를 더 걸었다고 했으므로
9 1
80xy=80_ _ =45
4 4 4y-x=8이고 x=2y를 대입하면 2y=8이므로
x=8, y=4
그러므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거리 S는
546   147
S=x+4y=24
세 자리 자연수의 백의 자리의 숫자를 a, 십의 자리의 숫자를 b, 일의 ∴ x+S=8+24=32
자리의 숫자를 c라 하면
( a+b+c=12
{ 2b=a+c
yy ㉠
yy ㉡
549  8

9 (100a+10b+c)+594=100c+10b+a yy ㉢ A, B, C 세 사람이 한 시간 동안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량을 각각


㉢에서 a-c=-6 yy ㉣ a, b, c라 하자.
a+c A, B 두 사람이 하나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에서 b= 를 ㉠에 대입하면
2 15분이므로
yy ㉤
{ + }×15=1   ∴ a+b=4
b=4, a+c=8 a b
yy ㉠
㉣, ㉤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c=7 60 60
따라서 처음 세 자리 자연수는 147이다. B, C 두 사람이 하나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2분이므로

{ + }×12=1   ∴ b+c=5
b c
yy ㉡
547   x=500, y=300, z=200 60 60
C, A 두 사람이 하나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X, Y, Z의 총 무게가 1`kg이므로 10분이므로
x+y+z=1000 yy ㉠
{ + }×10=1   ∴ c+a=6
c a
yy ㉢
조건 ㈎, ㈏에 의하여 60 60

102 수학<상>
㉠, ㉡, ㉢을 모두 더하면
15
552  8
2(a+b+c)=15   ∴ a+b+c=  yy ㉣
2 xÛ`+yÛ`-2x+4y-8=0에서
A, B, C 세 사람이 하나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xÛ`-2x+1)+(yÛ`+4y+4)=13
k분이라 하면 (x-1)Û`+(y+2)Û`=13이고 x, y가 정수이므로
a+b+c Ú (x-1)Û`=2Û`, (y+2)Û`=3Û`인 경우
×k=1
60
x-1=2 또는 x-1=-2이므로
1 15
㉣을 위 식에 대입하면 × ×k=1 x=3 또는 x=-1
60 2
∴ k=8 y+2=3 또는 y+2=-3이므로
따라서 세 사람이 함께 하나의 부품을 조립하면 8분이 걸린다. y=1 또는 y=-5
가능한 x, y의 순서쌍 (x, y)는
(3, 1), (3, -5), (-1, 1), (-1, -5)이다.

550  ⑤ Û (x-1)Û`=3Û`, (y+2)Û`=2Û`인 경우


x-1=3 또는 x-1=-3이므로
이차방정식 xÛ`+(m-1)x+2m+3=0의 두 근을 a, b (aÉb)라 x=4 또는 x=-2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2=2 또는 y+2=-2이므로
a+b=1-m yy ㉠ y=0 또는 y=-4

ab=2m+3 yy ㉡ 가능한 x, y의 순서쌍 (x, y)는 정
㉠×2+㉡을 하면 식
(4, 0), (4, -4), (-2, 0), (-2, -4)이다. 과
2a+2b+ab=5, (a+2)(b+2)=9 Ú, Û에서 x=-2, y=-4일 때 xy는 최댓값 8을 갖는다. 부

두 근 a, b는 모두 정수이므로 식
Ú a+2=1, b+2=9일 때 a=-1, b=7
Û a+2=3, b+2=3일 때 a=1, b=1 553   42
Ü a+2=-3, b+2=-3일 때 a=-5, b=-5
방정식 axÜ`-2bxÛ`+4(a+b)x-16a=0에서 x=2를 대입하면
Ý a+2=-9, b+2=-1일 때 a=-11, b=-3
등식이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Ú~Ý에서 ㉠에 의하여 m=1-(a+b)이므로
2 a -2b 4(a+b) -16a
m=-5 또는 m=-1 또는 m=11 또는 m=15
2a 4a-4b 16a
따라서 구하는 m의 값의 합은
a 2a-2b 8a 0
(-5)+(-1)+11+15=20
(x-2){axÛ`+2(a-b)x+8a}=0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정수를 근으로 가지므로 방정식

551   27 axÛ`+2(a-b)x+8a=0은 x=2를 근으로 갖지 않아야 한다.


이차방정식 axÛ`+2(a-b)x+8a=0이 yy ㉠
m:n=1:2이므로 n=2m 2가 아닌 서로 다른 정수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이차방정식 xÛ`+mx+n=0의 두 근을 a, b`(aÉb)라 하면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b) 2b
두 근의 합은 = -2
a+b=-m yy ㉠ a a
ab=n=2m yy ㉡ 8a
두 근의 곱은 =8
a
㉠×2+㉡을 하면
따라서 방정식 ㉠의 2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정수근은
2a+2b+ab=0, 2a+2b+ab+4=4
1, 8 또는 -1, -8 또는 -2, -4이다.
(a+2)(b+2)=4
Ú 방정식 ㉠의 두 근이 1, 8인 경우
두 근 a, b는 모두 정수이므로
2b 11
Ú a+2=1, b+2=4일 때 두 근의 합은 1+8=
a
-2에서 b= a이므로
2
a=-1, b=2이므로 m+n=-3 가능한 정수 a, b의 순서쌍은
Û a+2=2, b+2=2일 때 (2, 11), (4, 22), (-2, -11), (-4, -22)로 4개이다.
a=0, b=0이므로 m+n=0 Û 방정식 ㉠의 두 근이 -1, -8인 경우
Ü a+2=-2, b+2=-2일 때 2b 7
a=-4, b=-4이므로 m+n=24 두 근의 합은 -1-8= -2에서 b=- a이므로
a 2
Ý a+2=-4, b+2=-1일 때 가능한 정수 a, b의 순서쌍은
a=-6, b=-3이므로 m+n=27 (2, -7), (4, -14), (6, -21), (8, -28),
Ú∼Ý에 의하여 m+n의 최댓값은 27이다. (-2, 7), (-4, 14), (-6, 21), (-8, 28)로 8개이다.

Ⅱ.방정식과 부등식 103


Ü 방정식 ㉠의 두 근이 -2, -4인 경우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2b
두 근의 합은 -2-4= -2에서 b=-2a이므로 즉, 해가 모든 실수가 되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해를 만족시키지
a
못한다.
가능한 정수 a, b의 순서쌍은
(1, -2), (2, -4), (3, -6), y, (15, -30),
(-1, 2), (-2, 4), (-3, 6), y, (-15, 30)으로 30개이다.
Ú~Ü에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4+8+30=42이다. 556  ①

주어진 조건에서

554  ② |x-(-2)|+|x-5|¾9
|x+2|+|x-5|¾9
부등식 |2-3x|+|x-4|¾14에서 이므로 범위를 나누어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2 Ú x<-2인 경우
Ú x< 일 때
3
-(x+2)-(x-5)¾9, -2x¾6
|2-3x|+|x-4|‌=2-3x-(x-4)
이므로 xÉ-3
=-4x+6¾14
Û -2Éx<5인 경우
이므로 xÉ-2
(x+2)-(x-5)¾9, 7¾9
2
Û Éx<4일 때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는다.
3
|2-3x|+|x-4|‌=-(2-3x)-(x-4) Ü x¾5인 경우
=2x+2¾14 (x+2)+(x-5)¾9, 2x¾12
‌이므로 x¾6이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이 존재하지 이므로 x¾6
않는다. Ú∼Ü에서 구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는
Ü x¾4일 때 xÉ-3 또는 x¾6
|2-3x|+|x-4|‌=-(2-3x)+(x-4)
=4x-6¾14
이므로 x¾5 557  ④

Ú∼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1 1 1 1 b-a


ㄱ. ‌a<b이고 < 이면 - <0, <0
xÉ-2 또는 x¾5 a b a b ab
이때, a<b에서 b-a>0이므로 ab<0
∴ a<0, b>0 (참)
555  ⑤ ㄴ. aÛ`+2ab>3bÛ`에서 aÛ`+2ab-3bÛ`=(a+3b)(a-b)이고
이차방정식 axÛ`+b=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주어진 a+3b>0, a-b<0이므로 (a+3b)(a-b)<0이다.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aÛ`+2ab<3bÛ` (거짓)
D=-4ab>0, 즉 ab<0 1 1
ㄷ. a+ >b+ 에서
a b
또한 |ax+4|¾b에서 부등식의 해가
1 1 b-a
x¾6 또는 xÉ-2이므로 a<0이고, b>0이다. yy TIP a-b+ - ‌=a-b+
a b ab
|ax+4|¾b에서 ax+4É-b 또는 ax+4¾b 1
=(a-b){1- }
b 4 b 4 ab
x¾- - 또는 xÉ -
a a a a ab-1
=(a-b)_
( b 4 ab
- - =6 yy ㉠
a a
{  이때, a-b<0, ab>0, ab-1<0이므로
b 4 ab-1
yy ㉡
9 a a
- =-2 (a-b)_ >0 (참)
ab
8 ㄹ. a¾0, b¾0이면 |a|-|b|=a-b이므로
㉠+㉡에서 - =4   ∴ a=-2
a
|a-b|¾|a|-|b|가 항상 성립한다. (참)
b
㉠에 대입하면 =4   ∴ b=8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므로 3개이다.
2
∴ a+b=-2+8=6

TIP 558  ②
절댓값의 성질에 의하여 실수 x의 값에 관계없이
조건 ㈎에서 x-4É0, -3-xÉ0이므로
|ax+4|¾0이므로 만약 bÉ0이면 부등식 |ax+4|¾b는 모든
-3ÉxÉ4 yy ㉠

104 수학<상>
조건 ㈏에서 x+5¾0, x+1<0이므로
-5Éx<-1 yy ㉡
561  3

2
|x+2|+|x- |<6에서
3
-5 -3 -1 4 x
Ú x<-2인 경우
㉠, ㉡에서 x의 값의 범위는 -3Éx<-1이므로
2 4 22
정수 x는 -3, -2로 2개이다. -(x+2)-{x- }<6, -2x- <6, -2x<
3 3 3
11
이므로 x>-
3
11
559  ② 그러므로 x의 값의 범위는 -
3
<x<-2이다.

2
b+1 Û -2Éx< 인 경우
2x-1>b에서 2x>b+1   ∴ x> 3
2
2 8
ax+1<x+aÛ`에서 x+2-{x- }<6, <6
3 3
(a-1)x<aÛ`-1 2
위의 부등식은 -2Éx< 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a-1)x<(a+1)(a-1) 3
Ú a-1=0인 경우 2
Ü x¾ 인 경우
‌(a-1)x<(a+1)(a-1)에 a=1을 대입하면 부등식이 3

2 4 14
성립하지 않으므로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x+2+x- <6, 2x+ <6, 2x< 정
3 3 3 식
Û a-1>0인 경우 과
7
(a-1)x<(a+1)(a-1)의 양변을 a-1로 나누면 이므로 x< 부
3 등
x<a+1 2 7 식
그러므로 x의 값의 범위는 Éx< 이다.
Ü a-1<0인 경우 3 3
(a-1)x<(a+1)(a-1)의 양변을 a-1로 나누면 11 7
Ú∼Ü에서 - <x<
3 3
x>a+1
또한 부등식 |3x-3|Éa에서 -aÉ3x-3Éa
Ú∼Ü에서 연립부등식의 해가 -2<x<5가 되기 위해서는
a a
b+1 ∴ 1- ÉxÉ1+
x> 가 x>-2이고, x<a+1이 x<5이어야 한다. 3 3
2
이때, 연립부등식의 해가 부등식 |3x-3|Éa의 해와 일치하기
b+1
=-2에서 b=-5, a+1=5에서 a=4 위해서는
2
11
( 1- 3 >- 3    yy ㉠
∴ a+b=-1 a
{  이어야 한다.
9 1+ a < 7  yy ㉡
3 3

560   ;2!;<a<;4%; ㉠에서


a 14
3
<    ∴ a<14
3
이차함수 y=xÛ`-x+a의 그래프가 직선 y=2x-1과 서로 다른 두 a 4
㉡에서 <    ∴ a<4
3 3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즉, a<4일 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부등식 |3x-3|Éa의
xÛ`-x+a=2x-1, 즉 xÛ`-3x+a+1=0
해와 일치하므로 구하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3Û`-4(a+1)>0, -4a+5>0
5
∴ a<  yy ㉠
4
이차함수 y=xÛ`-x+a의 그래프가 직선 y=x-a와 만나지 562  5

않으므로 이차방정식 1 1
이차부등식 axÛ`+bx+c>0의 해가 x<- 또는 x> 이므로
xÛ`-x+a=x-a, 즉 xÛ`-2x+2a=0 2 4
이 허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ª라 하면 a>0
Dª axÛ`+bx+c>0의 양변을 각각 a로 나누면
=1Û`-2a<0, -2a<-1
4 b c
xÛ`+ x+ >0
1 a a
∴ a>  yy ㉡
2 b c 1 1
이차방정식 xÛ`+ x+ =0의 두 근이 x=- 또는 x= 이므로
㉠, ㉡에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 a 2 4
1 1
xÛ`+ x+ >0에서 {x+ }{x- }>0
1 5 b c
<a< a a 2 4
2 4

Ⅱ.방정식과 부등식 105


b 1 c 1 ∴ k¾'3 또는 kÉ-'3
∴ = , =-  yy ㉠
a 4 a 8 따라서 a='3, b=-'3이므로
부등식 cxÛ`+bx+a>0에서 양변을 각각 a로 나누면 ab=-3
c b 1 1
xÛ`+ x+1>0에서 - xÛ`+ x+1>0 (∵ ㉠)
a a 8 4
위 식의 양변에 각각 -8을 곱하면
xÛ`-2x-8<0, (x-4)(x+2)<0 565  ③
∴ -2<x<4
(k+1)xÛ`+k-2ÉxÛ`-kx에서
따라서 부등식 cxÛ`+bx+a>0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x의 값의
kxÛ`+kx+k-2É0 yy ㉠
합은
Ú k=0일 때
-1+0+1+2+3=5
㉠에 대입하면 -2É0이므로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Û k>0일 때
563  ③ ‌이차부등식 kxÛ`+kx+k-2É0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이
존재하려면 이차함수 y=kxÛ`+kx+k-2가 x축과 적어도 한
a+b
ㄱ. ‌x= 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 아래쪽에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방정식 kxÛ`+kx+k-2=0의 판별식을
2
있으므로 D라 하면
a+b D=kÛ`-4k(k-2)¾0, 3kÛ`-8kÉ0, k(3k-8)É0
f { }<0
2 8
∴ 0<kÉ
x=c일 때, x축 위쪽에 있으므로 3
f(c)>0 8
Ú, Û에서 k의 값의 범위는 0ÉkÉ 이므로
3
a+b
∴ f(c)> f { } (참) 정수 k는 0, 1, 2로 3개이다.
2
ㄴ. 방정식 f(x){ f(x)-g(x)}=0에서
f(x)=0 또는 f(x)-g(x)=0


방정식 f(x)=0의 해는 x=a 또는 x=b이고,
방정식 f(x)=g(x)의 해는 x=b 또는 x=c이다.
566  ③

‌즉, 방정식 f(x){ f(x)-g(x)}=0은 x=b를 중근으로 갖고 부등식 xÛ`-2yx+(3yÛ`+4ay+2)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x=a 또는 x=c를 근으로 가지므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차방정식 xÛ`-2yx+(3yÛ`+4ay+2)=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3이다. (참) 때, DÁÉ0이어야 한다.
ㄷ. ‌부등식 f(x)<g(x)의 해는 함수 g(x)의 함숫값이 함수 f(x)의 DÁ
=yÛ`-(3yÛ`+4ay+2)É0, 2yÛ`+4ay+2¾0
4
함숫값보다 클 때이므로 y= f(x)의 그래프보다 y=g(x)의
∴ yÛ`+2ay+1¾0
그래프가 더 위쪽에 그려지는 범위이다.
이때, 위 부등식 yÛ`+2ay+1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그러므로 부등식 f(x)<g(x)의 해는 c<x<b이다. (거짓)
yÛ`+2ay+1=0의 판별식을 Dª라 할 때, DªÉ0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aÛ`-1É0, (a-1)(a+1)É0
4

564  ③ ∴ -1ÉaÉ1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정수 a는 -1, 0, 1로
xÛ`-6x+8<0에서 (x-2)(x-4)<0이므로
3개이다.
2<x<4
다른 풀이
f(x)=xÛ`-2x+2kÛ`-6이라 하면
f(x)=xÛ`-2x+2kÛ`-6=(x-1)Û`+2kÛ`-7 xÛ`-2xy+3yÛ`+4ay+2¾0에서 완전제곱식을 이용하면
이므로 x=1일 때 최소이고,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Û`-2xy+yÛ`)+2(yÛ`+2ay+1)¾0
y=f{x} (x-y)Û`+2(yÛ`+2ay+1)¾0
이고, 두 실수 x, y의 값에 관계없이 (x-y)Û`¾0이므로
yÛ`+2ay+1¾0이 성립하면 된다.
이차방정식 yÛ`+2ay+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2 x D
=aÛ`-1É0이므로 (a+1)(a-1)É0
2k@-7 4
2<x<4인 모든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Û`-2x+2kÛ`-6>0, 즉 ∴ -1ÉaÉ1
f(x)>0이 성립하려면 f(2)¾0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정수 a는 -1, 0, 1로
f(2)=2kÛ`-6¾0, kÛ`¾3 3개이다.

106 수학<상>
567  3 ㉠의 범위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 성립해야 하므로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1, 0), (3, 0)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f(x)=0의 두 실근이 x=-1 또는 x=3이다. k@-11 -2 4 k@+1 x
f(x)=k(x+1)(x-3) (k<0)라 하면 즉, kÛ`-11É-2에서 kÛ`-9É0, (k+3)(x-3)É0
f { }‌=k {
x-a x-a x-a ∴ -3ÉkÉ3 yy ㉢
+1}{ -3}
2 2 2
kÛ`+1¾4에서 kÛ`-3¾0, (k+'3)(k-'3)¾0
=k { }{ }
x-a+2 x-a-6
2 2 ∴ kÉ-'3 또는 k¾'3 yy ㉣
k ㉢, ㉣을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x-a+2)(x-a-6)<0
4
이때, 이 부등식의 해가 x<1 또는 x>9이므로 k
-3 -Â3 Â3 3
a-2=1, a+6=9에서 구하는 값은 a=3이다.
따라서 정수 k는 -3, -2, 2, 3의 4개이다.

568   -5Éx<4
571   56
[x+4]=[x+2]+2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에 대입하면 yy TIP
부등식 f(x)Ég(x)의 해가 -2ÉxÉ3이므로
[x+2]Û`-2([x+2]+2)-11É0
f(x)-g(x)=h(x)라 하면 부등식 h(x)É0의 해가 방
[x+2]Û`-2[x+2]-15É0 정
-2ÉxÉ3이므로 함수 h(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식
([x+2]-5)([x+2]+3)É0 과
이차방정식 h(x)=0의 두 실근은 x=-2 또는 x=3이다. 부
이므로 -3É[x+2]É5 등
그러므로 함수 h(x)를 구하면
따라서 -3Éx+2<6에서 x의 값의 범위는 식
h(x)=a(x+2)(x-3) (a>0)
-5Éx<4
이때, f(1)-g(1)=-24이므로
TIP h(1)=a_3_(-2)=-24에서 a=4
정수 n에 대하여 [x+n]=[x]+n이 성립한다. ∴ h(x)=4(x+2)(x-3)
∴ f(5)-g(5)=h(5)=4_7_2=56

569  4
572   52
부등식 xÛ`+2|x-2|¾4에서
f(x)=(x-3)(x+1)이라 하면 f(n)=(n-3)(n+1)이므로
Ú x<2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Û`-2(x-2)¾4, xÛ`-2x¾0
y y=f{x}
x(x-2)¾0에서 xÉ0 또는 x¾2 y=f{n}
∴ xÉ0
Û x¾2인 경우
xÛ`+2(x-2)¾4, xÛ`+2x-8¾0
(x+4)(x-2)¾0에서 xÉ-4 또는 x¾2
-4 -1 O 3 n x
∴ x¾2
Ú, Û에서 부등식 xÛ`+2|x-2|¾4의 해는
부등식 (x-3)(x+1)<(n-3)(n+1)의 해가 -4<x<n이므로
xÉ0 또는 x¾2 yy ㉠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f(n)의 두 교점의 x좌표가 -4,
이때, 부등식 xÛ`+ax+b¾0의 해가 ㉠과 같으므로 방정식
n이다.
xÛ`+ax+b=0의 두 실근은 0, 2이다.
이때, (m-3)(m+1)=(n-3)(n+1)에서 f(n)= f(m)이므로
따라서 xÛ`+ax+b=x(x-2)에서 a=-2, b=0이므로
(-1)+3
aÛ`+bÛ`=4 m=-4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 =1에
2
(-4)+n
대하여 대칭이므로 =1에서 n=6이다.
2
570  ③
∴ mÛ`+nÛ`=(-4)Û`+6Û`=52
이차부등식 xÛ`-2x-8<0에서 (x-4)(x+2)<0
∴ -2<x<4 yy ㉠
이차부등식 (x-kÛ`+11)(x-kÛ`-1)<0에서 573   2Ék<6

kÛ`-11<x<kÛ`+1 yy ㉡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사이에 2가 있으므로

Ⅱ.방정식과 부등식 107


f(2)=4-2(2k+1)+kÛ`-14<0 이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Û`-4k-12<0, (k-6)(k+2)<0
∴ -2<k<6 yy ㉠ -7 -1 3 4 x
2k+1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1ÉxÉ3이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x= 이고, 이 축이 조건
2
1+4 5
㈏에서 직선 x= = 와 같거나 오른쪽에 존재해야 하므로
2 2
2k+1 5
577  ④
¾ , 2k+1¾5
2 2 xÛ`-x-6¾0 yy ㉠
∴ k¾2 yy ㉡ [ 
3xÛ`-(a+6)x+2a<0 yy ㉡
㉠, ㉡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에서 (x-3)(x+2)¾0   ∴ xÉ-2 또는 x¾3
2Ék<6 ㉡에서 (3x-a)(x-2)<0
이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가 3뿐인 경우는

574   118 다음과 같다.

방정식 xÛ`+2kx+2kÛ`-4k-12=0이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2 2 3 a4 x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3

D 그러므로 부등식 (3x-a)(x-2)<0의 해는


=kÛ`-(2kÛ`-4k-12)¾0
4 a a
2<x< 이고, 3< É4이다.
-kÛ`+4k+12¾0, kÛ`-4k-12É0 3 3
(k-6)(k+2)É0 따라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9<aÉ12이다.
∴ -2ÉkÉ6 yy ㉠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k, ab=2kÛ`-4k-12이므로
578  ⑤

aÛ`+bÛ`+ab‌=(a+b)Û`-ab xÛ`-2x-8É0 yy ㉠
[ 
=(-2k)Û`-(2kÛ`-4k-12) |x+1|<k yy ㉡
=2kÛ`+4k+12 ㉠에서 (x-4)(x+2)É0   ∴ -2ÉxÉ4
=2(k+1)Û`+10 ㉡에서 -k<x+1<k   ∴ -1-k<x<-1+k
이므로 ㉠에서 k=-1일 때 최솟값 10을 갖고 이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아야 한다.
k=6일 때 최댓값 2_7Û`+10=108을 갖는다.
∴ 10+108=118 -4 -3 -2 -1 0 1 2 3 4 x yy TIP
-1-k -1+k
즉,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가 -2, -1, 0, 1의 4개로
575  ④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부등식 0É f(x)<g(x)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f(x)의 함숫값이 1<-1+kÉ2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x축 또는 x축보다 위쪽에 있어야 한다. ∴ 2<kÉ3
즉, 부등식 f(x)¾0을 만족시키는 범위는 TIP
xÉa 또는 x¾d yy ㉠
부등식 |x+1|<k가 해를 가지려면 k>0이므로
f(x)의 함숫값보다 g(x)의 함숫값이 더 커야 하므로 함수
-1-k<0이다.
y=g(x)의 그래프가 함수 y= f(x)의 그래프보다 더 위쪽에 있어야
그러므로 -1-k<x<-1+k에 -2, -1, 0, 1을 포함하도록
한다.
해야 한다.
즉, f(x)<g(x)를 만족시키는 범위는
b<x<e yy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범위는 dÉx<e이다.
579   풀이 참조

이차함수 y=xÛ`-kx+k+3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576  ③
이차방정식 xÛ`-kx+k+3=0이 허근을 갖는다.
|x+2|É5 yy ㉠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 
[x]Û`-2[x]-8<0 yy ㉡ DÁ‌=kÛ`-4(k+3)=kÛ`-4k-12
㉠에서 -5Éx+2É5   ∴ -7ÉxÉ3 =(k-6)(k+2)<0
㉡에서 ([x]-4)([x]+2)<0, -2<[x]<4   ∴ -1Éx<4 ∴ -2<k<6 yy ㉠

108 수학<상>
이차함수 y=xÛ`+2x+kÛ`+4의 그래프와 직선 y=-2kx-1이 k-1=-2에서 k=-1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Û k-1=-1 또는 k+3=4인 경우
xÛ`+2(k+1)x+kÛ`+5=0이 실근을 갖는다. k-1=-1, 즉 k=0일 때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연립부등식의 해는 x=-1로 1개이다.

=(k+1)Û`-(kÛ`+5)=2k-4¾0
4 x
-1 3 4
∴ k¾2 yy ㉡
k+3=4, 즉 k=1일 때
㉠, ㉡을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연립부등식의 해는 x=4로 1개이다.

-2 2 6 k
-1 0 4 x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2Ék<6이다.
Ü k+3>4, 즉 k>1인 경우
채점 요소 배점 ‌k>1이고, 연립부등식의 해는 4ÉxÉk+3이므로 수직선에
이차함수 y=xÛ`-kx+k+3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도록 하는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0%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이차함수 y=xÛ`+2x+kÛ`+4의 그래프와 직선 y=-2kx-1이 x
40% -1 k-1 4 k+3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인 x가 2개이려면

k+3=5에서 k=2 정
Ú∼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의 합은 식

580  5 -1+2=1 부


xÛ`+x-12¾0 yy ㉠
[ 
xÛ`-6x+5<0 yy ㉡ 582  2
㉠에서 (x+4)(x-3)¾0   ∴ xÉ-4 또는 x¾3
xÛ`+ax+b¾0
㉡에서 (x-1)(x-5)<0   ∴ 1<x<5 연립부등식 [  의 해가 x=3 또는 1ÉxÉ2이므로
xÛ`+cx+dÉ0
이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부등식이 나타내는 범위가 다음과 같아야 한다.

-4 1 3 5 x
1 2 3 x
그러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3Éx<5이다. 그러므로 부등식 xÛ`+ax+b¾0의 해는
이때, 방정식 [x]Û`+a[x]+b=0의 해가 3Éx<5이려면 xÉ2 또는 x¾3 yy ㉠
[x]=3 또는 [x]=4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부등식 xÛ`+cx+dÉ0의 해는
([x]-3)([x]-4)=0에서 [x]Û`-7[x]+12=0이므로 1ÉxÉ3 yy ㉡
a=-7, b=12 ㉠에서 방정식 xÛ`+ax+b=0의 두 실근이 x=2 또는 x=3이므로
∴ a+b=5 xÛ`+ax+b=(x-2)(x-3)=xÛ`-5x+6
∴ a=-5, b=6

581  ③
㉡에서 방정식 xÛ`+cx+d=0의 두 실근이 x=1 또는 x=3이므로
xÛ`+cx+d=(x-1)(x-3)=xÛ`-4x+3
xÛ`-3x-4¾0 yy ㉠ ∴ c=-4, d=3
[ 
xÛ`-2(k+1)x+(k+3)(k-1)É0 yy ㉡ ∴ (a+b)-(c+d)=(-5+6)-(-4+3)=2
㉠에서 (x-4)(x+1)¾0
∴ x¾4 또는 xÉ-1
㉡에서 xÛ`-2(k+1)x+(k+3)(k-1)É0 583  6
{x-(k+3)}{x-(k-1)}É0 -2xÛ`+4x-3É(a-3)x+bÉ5에서
∴ k-1ÉxÉk+3 f(x)=-2xÛ`+4x-3, g(x)=(a-3)x+b, h(x)=5라 하면
Ú k-1<-1인 경우 y=g(x)는 직선이므로
‌k<0이고, 연립부등식의 해는 k-1ÉxÉ-1이므로 수직선에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g(x)É5를 만족시키려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g(x)는 상수함수이어야 한다.
∴ a=3, bÉ5 yy ㉠
x
k-1 -1 k+3 4 이때, f(x)=-2xÛ`+4x-3=-2(x-1)Û`-1이므로 모든 실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인 x가 2개이려면 x에 대하여 f(x)É-1이다.

Ⅱ.방정식과 부등식 109


그러므로 ㉠에서 a=3, -1ÉbÉ5이므로 점 (a, b)가 나타내는 DÁ
=(2k-a)Û`-(kÛ`+4k-a)¾0
도형은 다음과 같다. 4
b 4kÛ`-4ak+aÛ`-(kÛ`+4k-a)¾0
5 3kÛ`-2(2a+2)k+aÛ`+a¾0
이때,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방정식 3kÛ`-2(2a+2)k+aÛ`+a=0이 허근 또는 중근을 가져야
한다.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O 3 a Dª
=(2a+2)Û`-3(aÛ`+a)É0
-1 4
따라서 구하는 점 (a, b)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4aÛ`+8a+4-3(aÛ`+a)É0
5-(-1)=6 aÛ`+5a+4É0, (a+4)(a+1)É0
이므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다른 풀이
-4ÉaÉ-1
연립부등식을 풀이하면
채점 요소 배점
Ú -2xÛ`+4x-3É(a-3)x+b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판별식 조건으로 부등식 세우기 40%
‌부등식 2xÛ`+(a-7)x+3+b¾0의 해가 모든 실수가 되어야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판별식 조건으로
하므로 40%
부등식 세우기
방정식 2xÛ`+(a-7)x+3+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D=(a-7)Û`-8(3+b)É0 yy ㉠
Û (a-3)x+bÉ5에서
부등식 (a-3)xÉ5-b의 해가 모든 실수가 되어야 하므로
a-3=0, 5-b¾0   ∴ a=3, bÉ5 yy ㉡
586  ⑤

Ú, Û에서 ㉠에 a=3을 대입하면 f(x)=xÛ`+2kx-k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16-8(3+b)É0   ∴ b¾-1 yy ㉢ a, b (a<b)라 할 때, -1<a<b<3이어야 하므로 이차함수
㉡, ㉢에서 a=3, -1ÉbÉ5이므로 점 (a, b)가 나타내는 도형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y y=x@+2kx-k
길이는
5-(-1)=6

584  ①
-1 O 3 x
이차방정식 kxÛ`+4x-5k=0의 두 근을 a, b라 하고,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f(x)=(x+k)Û`-kÛ`-k에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이 두 직선
D x=-1, x=3 사이에 있어야 한다.
=4+5kÛ`>0
4 또한 f(-k)<0이고, f(-1)>0, f(3)>0이어야 한다.
이므로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주어진 방정식이 항상 서로 다른 두 Ú -1<-k<3
실근을 갖는다. -3<k<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Û f(-k)<0
4 -kÛ`-k<0   ∴ k>0 또는 k<-1
a+b=- , ab=-5
k
Ü f(-1)>0, f(3)>0
이고 |a-b|É6이므로
1-2k-k>0, 9+6k-k>0
16
(a-b)Û`=(a+b)Û`-4ab= +20É36 9 1
kÛ` ∴ - <k<
5 3
16 1
É16, É1 Ú∼Ü을 모두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Û` kÛ`
kÛ`-1¾0, (k+1)(k-1)¾0 9 1
- <k<-1 또는 0<k<
5 3
∴ kÉ-1 또는 k¾1

587  5

585   풀이 참조
이차방정식 xÛ`+3x+2=0, (x+1)(x+2)=0에서
주어진 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x=-1 또는 x=-2
DÁ이라 하면 이므로 이차방정식 xÛ`+5x+k=0의 한 근이 -2와 -1 사이에

110 수학<상>
존재해야 한다. 그러므로 방정식 f(x)=0의 적어도 한 근이 -3과 2 사이에

이때, 이차함수 y=xÛ`+5x+k={x+ }2`+k- 에서


5 25 존재하도록 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2 4 1 1
x= 2 y=f{x} x= 2 y=f{x}
5
이 함수의 그래프의 축이 x=- 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
5 y
y=x@+5x+k x=- 2
-3 2 x -3 2 x

1
-2 그러므로 f { }<0이고 f(-3)>0이어야 한다.
2
-1 O x
1 1 1
f { }=k- <0에서 k<  yy ㉠
2 4 4
즉, f(-2)<0이고, f(-1)>0이므로 f(-3)=9+3+k>0에서 k>-12 yy ㉡
f(-2)=4-10+k<0에서 k<6 1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12<k< 이므로 정수 k는 -11,
f(-1)=1-5+k>0에서 k>4 4
따라서 4<k<6에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은 5이다. -10, -9, y, 0으로 12개이다.

588  ;5!;<a<:Á9£: 590



  4 식

이차방정식 xÛ`-2(a+1)x+a-2=0에서 a+1, a+2, a+4는 각각 변의 길이이므로 부

f(x)=xÛ`-2(a+1)x+a-2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a+1>0, a+2>0, a+4>0에서 a>-1 yy ㉠ 식

다음과 같다. 삼각형이 되려면 가장 긴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y=f{x} 작아야 하므로
(a+1)+(a+2)>a+4에서 a>1 yy ㉡
또한 둔각삼각형이 되기 위해서는
-2 0 3 5 x (a+1)Û`+(a+2)Û`<(a+4)Û`
aÛ`-2a-11<0이므로
그러므로 f(-2)>0, f(0)<0이고, f(3)<0, f(5)>0이다. (a-1+2'3)(a-1-2'3)<0
6 ∴ 1-2'3<a<1+2'3 yy ㉢
f(-2)=4+4(a+1)+a-2=5a+6>0에서 a>-
5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f(0)=a-2<0에서 a<2 1<a<1+2'3
1 따라서 p=1, q=1, r=2이므로 p+q+r=4
f(3)=9-6(a+1)+a-2=-5a+1<0에서 a>
5
13
f(5)=25-10(a+1)+a-2=-9a+13>0에서 a<
9
이므로 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범위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591  ⑤

다음과 같다. 이 커피숍의 녹차라떼 가격을 a(원),


녹차라떼를 주문하는 사람의 수를 b(명)이라 하자.

}(원)이고,
x
가격을 x`% 인상하면 a{1+
6 1 13 2 a 100
-
5 5 9
}(명)이다.
x
녹차라떼를 주문하는 사람의 수는 b{1-
1 13 200
따라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 이다.
5 9 녹차라떼의 총 판매액이 12`% 이상 증가해야 하므로
12
}_b{1- }¾ab{1+ }
x x
a{1+
100 200 100
589  ⑤ 100+x 200-x 112
100
_
200
¾
100
f(x)=xÛ`-x+k라 하면 f(x)={x- }2`+k-
1 1 (100+x)(200-x)¾112_200
2 4
xÛ`-100x+2400É0
1 1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x= 이므로 한 근이 과 2 (x-60)(x-40)É0
2 2
1 ∴ 40ÉxÉ60
사이에 존재하면 -3과 사이에 다른 한 근이 반드시 존재한다.
2 따라서 x의 최댓값은 60이다.

Ⅱ.방정식과 부등식 111


592   15 (x-k){xÛ`+(k-2)x+kÛ`-2k+1}=0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방정식
둘레의 길이가 60`m인 직사각형 모양의 화단의 짧은 변의 길이를 xÛ`+(k-2)x+kÛ`-2k+1=0이 x=k를 한 근으로 갖거나 방정식
x(m)라 하면 긴 변의 길이는 (30-x)m이다. xÛ`+(k-2)x+kÛ`-2k+1=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이때, 화단의 넓이가 125`mÛ` 이상 200`mÛ` 이하이므로 Ú ‌방정식 xÛ`+(k-2)x+kÛ`-2k+1=0이 x=k를 한 근으로 갖는
125Éx(30-x)É200 경우
125Éx(30-x)에서 이 방정식에 x=k를 대입하면
xÛ`-30x+125É0, (x-5)(x-25)É0 kÛ`+k(k-2)+kÛ`-2k+1=0
∴ 5ÉxÉ25 yy ㉠ 3kÛ`-4k+1=0, (3k-1)(k-1)=0
x(30-x)É200에서 1
∴ k= 또는 k=1
xÛ`-30x+200¾0, (x-10)(x-20)¾0 3
∴ xÉ10 또는 x¾20 yy ㉡ Û 방정식 xÛ`+(k-2)x+kÛ`-2k+1=0이 중근을 갖는 경우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D‌=(k-2)Û`-4(kÛ`-2k+1)=0
5 10 20 25
-3kÛ`+4k=0, -k(3k-4)=0
㉠, ㉡에서 x의 값의 범위는
4
5ÉxÉ10 또는 20ÉxÉ25 ∴ k=0 또는 k=
3
이때, x가 짧은 변의 길이이므로 5ÉxÉ10이다.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따라서 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0+5=15이다. 1 4 8
+1+0+ =
3 3 3

593  9

x=-1을 대입하면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므로 조립제법을


595  6

이용해서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삼차방정식 xÜ`+axÛ`+bx-2=0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로


-1 1 -k -(k+1) kÛ` kÛ` a=p+qi`(p, q는 실수, q+0)라 할 때, a를 허근으로 가지면
-1 k+1 0 -kÛ` 켤레복소수 a®도 근으로 갖는다.
aÛ` (p+qi)Û`
k 1 -k-1 0 kÛ` 0 =a에
® 서 =p-qi
2 2
k -k -kÛ`
pÛ`-qÛ`+2pqi=2p-2qi
1 -1 -k 0
이때,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1)(x-k)(xÛ`-x-k)=0 2pq=-2q yy ㉠
이 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pÛ`-qÛ`=2p yy ㉡
k+-1 yy ㉠ ㉠에서 q(p+1)=0이므로 p=-1 (∵ q+0)
이고, 방정식 xÛ`-x-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에 p=-1을 대입하면 qÛ`=3에서
방정식 xÛ`-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q='3 또는 q=-'3
1 그러므로 삼차방정식 xÜ`+axÛ`+bx-2=0의 두 허근은
D=1+4k>0에서 k>-  yy ㉡
4
-1+'3 i, -1-'3 i이다.
이때, x=-1이 방정식 xÛ`-x-k=0의 근이 아니어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나머지 한 실근을 k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1+1-k+0에서 k+2 yy ㉢
관계에 의하여
또한, x=k도 방정식 xÛ`-x-k=0의 근이 아니어야 하므로
1
kÛ`-2k=k(k-2)+0에서 k+0, k+2 yy ㉣ k(-1+'3 i)(-1-'3 i)=4k=2에서 k=
2
따라서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10 이하의 정수 k는 두 근이 -1+'3 i, -1-'3 i인 이차방정식은 xÛ`+2x+4=0이고
1, 3, 4, y, 10으로 9개이다. 1
나머지 실근이 x= 이므로 주어진 삼차방정식은
2
1 3
594  ⑤ {x- }(xÛ`+2x+4)=0, xÜ`+ xÛ`+3x-2=0
2 2
방정식 xÜ`-2xÛ`+x=kÜ`-2kÛ`+k에서 3
이므로 a= , b=3
2
xÜ`-2xÛ`+x-kÜ`+2kÛ`-k=0이고, x=k를 대입하면 방정식을
∴ 2a+b=6
만족시키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k 1 -2 1 -kÜ`+2kÛ`-k
k kÛ`-2k kÜ`-2kÛ`+k 596   10

1 k-2 kÛ`-2k+1 0 (x-1)(x-4)Éa(x-k)에서

112 수학<상>
1 1 1 1 1 1 1
+ + }+ { + + }
f(x)=(x-1)(x-4), g(x)=a(x-k)라 하자.
={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a의 x xÛ` xÜ` xÜ` x xÛ` xÜ`
1 1
값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가져야 한다.  +y+ ×
x3(k-1) x
즉, 방정식 f(x)-g(x)=0이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실근을
1 1
=0+1×0+y+1× = (거짓)
가져야 하므로 x x
f(x)-g(x)=xÛ`-5x+4-a(x-k)=0 ㄷ. 자연수 k에 대하여
xÛ`-(a+5)x+ak+4=0 Ú n=3k일 때
이때,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f(3k)=0이므로 { f(n)}Û`+ f(n)=0+0=0
DÁ=(a+5)Û`-4(ak+4)¾0 Û n=3k-1일 때
aÛ`+10a+25-4ak-16¾0 1 1 1 1 1
f(3k-1)‌= + + +y+ 3k-2 + 3k-1
aÛ`-2(2k-5)a+9¾0 x xÛ` xÜ` x x
1 1 1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 ×{ + }
x3(k-1) x xÛ`
방정식 aÛ`-2(2k-5)a+9=0이 허근 또는 중근을 가져야 한다.
x+1 -xÛ`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 `= =-1
xÛ xÛ`
Dª 이므로 { f(n)}Û`+ f(n)=(-1)Û`+(-1)=0
=(2k-5)Û`-9É0, (2k-8)(2k-2)É0
4
Ü n=3k-2일 때
∴ 1ÉkÉ4
1 방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의 합은 ㄴ에서 f(3k-2)= 이므로
x 정

1+2+3+4=10 1 1 과
{ f(n)}Û`+ f(n)=
+ =-1+0
다른 풀이 xÛ` x 부

‌즉, Ú, Û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구하는 값은 식
(x-1)(x-4)Éa(x-k)에서
90-30=60 (∵ 10É3k-2<100, 4Ék<34) (거짓)
f(x)=(x-1)(x-4), g(x)=a(x-k)라 하자.
따라서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a의
값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가져야 한다. 참고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두 점 (1, 0), (4, 0)에서 방정식 xÛ`+x+1=0의 한 근이 x이므로 x도
Õ 이 방정식의
만나고 직선 y=g(x)는 점 (k, 0)을 지나고 기울기가 a이다. 근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xÕ=1에서
그러므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a의 값에 1
xÕ=
관계없이 교점을 가지려면 다음과 같이 직선 y=g(x)의 x절편이 x
1ÉxÉ4에 있어야 한다. 1 1 1 1
그러므로 f(n)= + + +y+ 에 대입하면
x xÛ` xÜ` xÇ`
∴ 1ÉkÉ4
f(n)=xÕ+xÕ Û`+xÕ `Ü +y+xÕ Ç`으로 해석하여 풀이할 수도 있다.

1
k
4 x
598  ⑤

[x]Û`+[x]-6=0에서 ([x]+3)([x]-2)=0
즉, [x]=-3 또는 [x]=2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의 합은 1+2+3+4=10이다.
-3Éx<-2 또는 2Éx<3
x+y=2를 xÛ`+2x+2yÛ`에 대입하면
xÛ`+2x+2(2-x)Û`‌=3xÛ`-6x+8
=3(xÛ`-2x+1)+5
597  ①
=3(x-1)Û`+5
삼차방정식 xÜ`-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f(x)=3(x-1)Û`+5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Ü`=1 y=f{x}

xÜ`-1=(x-1)(xÛ`+x+1)=0에서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이 x이므로
xÛ`+x+1=0
1 1 1 xÛ`+x+1 0
ㄱ. f(3)= + + = = =0 (참)
x xÛ` xÜ` xÜ` 1
-3-2 123
1 1 1 1
ㄴ. f(3k-2)‌= + + +y+ 3k-2
x xÛ` xÜ` x 그러므로 이차함수 f(x)는

Ⅱ.방정식과 부등식 113


x=-3일 때 최댓값 M= f(-3)=48+5=53을 갖고, 즉, f(x)-2x=1 또는 f(x)-2x=3 또는 f(x)-2x=-2에서
x=2일 때 최솟값 m= f(2)=3+5=8을 갖는다. f(x)=2x+1 또는 f(x)=2x+3 또는 f(x)=2x-2이다.
∴ M+m=53+8=61
y=2x+3 y=2x+1
y=f{x} y=2x-2
( 3 y=2x+3
x=-
x=1 5 x=0
599   [  , {  , [  y=2x+1 y=f{x}
y=1 1 y=-1
9
y= y=2x-2
5

방정식 2xÛ`+3xy+yÛ`-3x-y-2=0의 좌변을 x에 대한 [그림1] [그림2]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2xÛ`+3x(y-1)+yÛ`-y-2=0 [그림1]과 같이 아래로 볼록한 경우와
2xÛ`+3x(y-1)+(y-2)(y+1)=0 [그림2]와 같이 위로 볼록한 경우 모두 세 직선
(x+y-2)(2x+y+1)=0 y=2x+1, y=2x+3, y=2x-2와 만나는 점의 개수가 항상
∴ x+y-2=0 또는 2x+y+1=0 yy ㉠ 3이다. yy TIP
방정식 2xÛ`-5xy+2yÛ`+x+y-1=0의 좌변을 x에 대한 따라서 방정식 f(x)=2x+1 또는 f(x)=2x+3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또는 f(x)=2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2xÛ`+x(1-5y)+2yÛ`+y-1=0
TIP
2xÛ`+x(1-5y)+(2y-1)(y+1)=0
[그림1]에서
(x-2y+1)(2x-y-1)=0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한 경우
∴ x-2y+1=0 또는 2x-y-1=0 yy ㉡
직선 y=2x+1과 한 점에서 만나고,
㉠, ㉡에서 다음과 같이 케이스 분류하면
직선 y=2x+3과 두 점에서 만나고,
Ú x+y-2=0이고, x-2y+1=0인 경우
직선 y=2x-2와 만나지 않는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그림2]에서
Û x+y-2=0이고, 2x-y-1=0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한 경우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직선 y=2x+1과 한 점에서 만나고,
Ü 2x+y+1=0이고, x-2y+1=0인 경우
직선 y=2x-2와 두 점에서 만나고,
3 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 , y= 직선 y=2x+3과 만나지 않는다.
5 5
Ý 2x+y+1=0이고, 2x-y-1=0인 경우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0, y=-1
Ú∼Ý에서 구하는 해는 601   153
( 3
x=1
x=-
5 x=0 다음과 같이 선분 AÁAª, BÁBª, CÁCª의 중점을 각각
[  , {  , [  MÁ, Mª, M£이라 하면
y=1 1 y=-1
9
y=
5 AÕÁMÓÁÓ=11, BÕÁMÓªÓ=9, CÕÁMÓ£Ó=5

600  3 C¡

M¡ M£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접하므로 O
M™
방정식 f(x)=2x+1이 중근을 갖는다.
C™
{ f(x)-2x}Ü`-2{ f(x)-2x}Û`-5{ f(x)-2x}+6=0에서
B™
f(x)-2x=t라 하면 A™
tÜ`-2tÛ`-5t+6=0 OÕMÁÓ=a, MòÁMÓªÓ=MòªÓM£Ó=b라 하면 직각삼각형 OMÁAÁ, OMªBÁ,
t=1을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OM£CÁ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인수분해하면 aÛ`+11Û`=rÛ` yy ㉠
1 1 -2 -5 6 (a+b)Û`+9Û`=rÛ` yy ㉡
1 -1 -6 (a+2b)Û`+5Û`=rÛ` yy ㉢
1 -1 -6 0 ㉡에서 ㉠을 빼면
(t-1)(tÛ`-t-6)=0 2ab+bÛ`-40=0 yy ㉣
(t-1)(t-3)(t+2)=0 ㉢에서 ㉡을 빼면
∴ t=1 또는 t=3 또는 t=-2 2ab+3bÛ`-56=0 yy ㉤

114 수학<상>
㉤에서 ㉣을 빼면 xÛ` x
- É0
2bÛ`=16에서 bÛ`=8   ∴ b=2'2 (∵ b>0) 20000 200
㉣에 대입하면 xÛ`-100xÉ0
2a_2'2+8-40=0   ∴ a=4'2 x(x-100)É0이므로 0ÉxÉ100
따라서 ㉠에 대입하면 구하는 값은 따라서 a=0, b=100이므로 a+b=100이다.
rÛ`=(4'2)Û`+11Û`=153

604   10

602  ③
[ 
xÜ`+2yÛ`=a+1 yy ㉠
끝내야 할 일의 양을 1이라 하고, A, B, C가 1시간 동안 하는 일의 2xÛ`+yÜ`=a yy ㉡
양을 각각 a, b, c라 하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에서 ㉡을 빼면
45 (xÜ`-yÜ`)-2(xÛ`-yÛ`)=1
( (a+b+c)× 60 =1
|
(x-y)(xÛ`+xy+yÛ`)-2(x-y)(x+y)=1
{ (a+b)× =1
72 (x-y)(xÛ`+xy+yÛ`-2x-2y)=1
60
| 이때, x, y가 모두 정수이면 x-y, xÛ`+xy+yÛ`-2x-2y도 모두
9 (a+c)× 80 =1 정수이다.
60
이고 정리하면 Ú x-y=1, xÛ`+xy+yÛ`-2x-2y=1인 경우

4 xÛ`+xy+yÛ`-2x-2y=1에 x-y=1을 대입하면
( a+b+c= 3 

yy ㉠ xÛ`+x(x-1)+(x-1)Û`-2x-2(x-1)=1

|

{ a+b= 
5 3xÛ`-7x+3=1, 3xÛ`-7x+2=0, (3x-1)(x-2)=0 부
yy ㉡
6 등
| 이때, x는 정수이므로 x=2, y=1이다. 식
9 a+c= 3  yy ㉢ 그러므로 ㉡에 대입하면
4
a=2_2Û`+1=9
4 5 1
㉠에서 ㉡을 빼면 c= - = Û x-y=-1, xÛ`+xy+yÛ`-2x-2y=-1인 경우
3 6 2
4 3 7 xÛ`+xy+yÛ`-2x-2y=-1에 x-y=-1을 대입하면
㉠에서 ㉢을 빼면 b= - =
3 4 12 xÛ`+x(x+1)+(x+1)Û`-2x-2(x+1)=-1
따라서 B가 혼자 1시간 일하고 남은 일의 양은 3xÛ`-x-1=-1, 3xÛ`-x=0, x(3x-1)=0
7 5 x는 정수이므로 x=0, y=1이다.
1- =
12 12
그러므로 ㉡에 대입하면
이고, C가 x시간 동안 남은 일을 이어서 하면
a=2_0Û`+1Ü`=1
1 5 5
2
x=    ∴ x=
12 6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즉, C가 남은 일을 끝마치는 데 50분이 걸린다. 9+1=10

603  ① 605  ④

처음 판매 가격을 A, 판매량을 B라 하면 방정식 (x-p)(x-q)(x-r)=14의 한 근이 정수 a이므로


(a-p)(a-q)(a-r)=14
}이고
x x
판매 가격을 `% 내린 후의 가격은 A{1-
2 200 p, q, r가 정수이므로 a-p, a-q, a-r도 정수이고,
}이다.
x p<q<r이므로 a-p>a-q>a-r이다. yy ㉠
이때의 판매량은 x`% 증가하였으므로 B{1+
100
이때, 세 정수를 곱해서 14가 되는 경우를 케이스 분류하면 다음과
따라서 판매 가격을 내린 후의 총 판매 가격에서 세금을 뺀 금액은
같다.
1
}×B{1+ }- ×A{1- }×B{1+ }
x x x x
A{1- Ú 1_2_7인 경우
200 100 10 200 100
 yy ㉠ a-p=7, a-q=2, a-r=1 (∵ ㉠)이고, 각 변끼리 더하면
처음 총 판매 금액에서 세금을 뺀 금액은 3a-p-q-r=10, 3a=p+q+r+10
p+q+r+10
1 ∴ a=
AB- AB yy ㉡ 3
10
이때, (㉠의 식) ¾ (㉡의 식)이어야 하므로 Û (-1)_(-2)_7인 경우
9 9 ‌
a-p=7, a-q=-1, a-r=-2 (∵ ㉠)이고, 각 변끼리 더하면
}{1+ }¾ AB
x x
AB{1-
10 200 100 10 3a-p-q-r=4, 3a=p+q+r+4
p+q+r+4
{1- }{1+ }¾1, 1+
x x x x xÛ`
- - ¾1 ∴ a=
200 100 100 200 20000 3

Ⅱ.방정식과 부등식 115


Ü (-1)_2_(-7)인 경우 Ú x=1인 경우
a-p=2, a-q=-1, a-r=-7 (∵ ㉠)이고, 각 변끼리 더하면 x xÛ` xÜ` 1 1 1 3
+ + = + + =
3a-p-q-r=-6, 3a=p+q+r-6 1+xÛ` 1+xÝ` 1+xß` 1+1 1+1 1+1 2
p+q+r-6 Û xß`+xÞ`+xÝ`+xÜ`+xÛ`+x+1=0인 경우
∴ a=
3 x xÛ` xÜ`
+ + 에서 분자는
Ý 1_(-2)_(-7)인 경우 1+xÛ` 1+xÝ` 1+xß`
a-p=1, a-q=-2, a-r=-7 (∵ ㉠)이고, 각 변끼리 더하면 x(1+xÝ`)(1+xß`)+xÛ`(1+xÛ`)(1+xß`)+xÜ`(1+xÛ`)(1+xÝ`)
3a-p-q-r=-8, 3a=p+q+r-8 =x+xÞ`+xà`+xÚ`Ú`+xÛ`+xÝ`+x¡`+xÚ`â`+xÜ`+xÞ`+xà`+xá`
p+q+r-8 =2+2x+2xÛ`+2xÜ`+2xÝ`+2xÞ` (∵ xà`=1)
∴ a=
3 =2(1+x+xÛ`+xÜ`+xÝ`+xÞ`)
Ú∼Ý에서 선지 중 a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④이다. =-2xß``(∵ xß`+xÞ`+xÝ`+xÜ`+xÛ`+x+1=0)
이때, 분모는
(1+xÛ`)(1+xÝ`)(1+xß`)
606   -9 =(1+xÛ`+xÝ`+xß`)(1+xß`)
=1+xÛ`+xÝ`+2xß`+x¡`+xÚ`â`+xÚ`Û`
이차방정식 xÛ`-2(2k+1)x+3kÛ`+4k+9=0에서 근의 공식에
=(1+x+xÛ`+xÜ`+xÝ`+xÞ`+xß`)+xß` (∵ xà`=1)
의하여
=xß``(∵ xß`+xÞ`+xÝ`+xÜ`+xÛ`+x+1=0)
x‌=2k+1Ñ"Ã(2k+1)Û`-(3kÛ`+4k+9)
x xÛ` xÜ` -2xß`
=2k+1Ñ"ÃkÛ`-8 ∴ + + = =-2
1+xÛ` 1+xÝ` 1+xß` xß`
에서 두 근이 모두 정수가 되려면 제곱근 안이 완전제곱수가 되어야 Ú, Û에서 구하는 값의 합은
한다. 3 1
+(-2)=-
kÛ`-8=mÛ` (m은 정수)이라 하면 2 2
kÛ`-mÛ`=8
(k+m)(k-m)=8
Ú k+m=8, k-m=1인 경우
608  ④

9 7 |xÛ`-4x|-x+k=3에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m=
2 2 f(x)=|xÛ`-4x|, g(x)=x-k+3이라 하자.
Û k+m=4, k-m=2인 경우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두 함수 y= f(x),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3, m=1 y=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Ü k+m=2, k-m=4인 경우 함수 f(x)=|xÛ`-4x|에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3, m=-1 xÛ`-4x¾0인 경우, 즉 xÉ0 또는 x¾4일 때 f(x)=xÛ`-4x이고
Ý k+m=1, k-m=8인 경우 xÛ`-4x<0인 경우, 즉 0<x<4일 때 f(x)=-xÛ`+4x이다.
9 7 xÛ`-4x (xÉ0 또는 x¾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m=- 함수 f(x)=[ 
2 2 의 그래프와
-xÛ`+4x (0<x<4)
Þ k+m=-8, k-m=-1인 경우
직선 y=g(x)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9 7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m=- y y=f{x}
2 2
ß k+m=-4, k-m=-2인 경우 y=g{x}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3, m=-1


à k+m=-2, k-m=-4인 경우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3, m=1
¡ k+m=-1, k-m=-8인 경우 O 4 x
9 7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m=
2 2 Ú 직선 y=g(x)가 이차함수 y=-xÛ`+4x의 그래프와 접하는 경우
Ú∼¡에서 정수 k의 값은 3 또는 -3이므로 모든 k의 값의 곱은 x-k+3=-xÛ`+4x, xÛ`-3x-k+3=0에서
-9이다.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3
D=9-4(-k+3)=0, 4k=3에서 k=
4

607  ② Û 직선 y=g(x)가 점 (0, 0)을 지나는 경우


g(0)=-k+3=0에서 k=3
xà`=1에서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합은
xà`-1=(x-1)(xß`+xÞ`+xÝ`+xÜ`+xÛ`+x+1)=0 3 15
+3=
이므로 x=1 또는 xß`+xÞ`+xÝ`+xÜ`+xÛ`+x+1=0이다. 4 4

116 수학<상>
609  ④ f(x)=(x+2)Û`+2, g(x)=-(x+a)Û`+aÛ`-2
에서 2¾aÛ`-2, aÛ`-4É0, (a+2)(a-2)É0
절댓값 안의 부호를 기준으로 케이스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2ÉaÉ2
Ú x<0일 때 따라서 정수 a는 -2, -1, 0, 1, 2의 5개이므로
-2x-(2x-m)<n, 4x>m-n에서 q=5
m-n ∴ p+q=14
x>
4
m TIP
Û 0Éx< 일때
2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부등식 f(xÁ)¾g(xª)가
m 성립하기 위해서는 x에 서로 다른 값을 대입해도 항상 f(x)의
‌2x-(2x-m)<n, m<n이므로 0Éx< 일 때 항상 주어진
2
함숫값이 g(x)의 함숫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그러므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m
Ü x¾ 일때 같아야 한다.
2
2x+2x-m<n, 4x<m+n에서
y=f{x}
m+n
x<
4
Ú∼Ü에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2
a@-2
m-n m+n 방
<x<  yy ㉠ 정
4 4 식
y=g{x} 과
ㄱ. ㉠에 m=5, n=7을 대입하면

1 등
- <x<3이므로 정수 x는 0, 1, 2로 3개이다. 즉, 함수 y= f(x)의 최솟값이 함수 y=g(x)의 최댓값보다
2 식

F(5, 7)=3 (참) 크거나 같아야 한다.


ㄴ. ㉠에 m=2a, n=6a+4를 대입하면
-4a-4 8a+4
‌ <x< , -a-1<x<2a+1이므로 정수 x의
4 4
개수는 2a+1-(-a-1)-1=3a+1이다.
611  ④

F(2a, 6a+4)=3a+1 (거짓) { f(x)}Û`> f(x)g(x)에서 { f(x)}Û`- f(x)g(x)>0이므로


ㄷ. ‌F(2a, 10a)>100을 만족시키려면 ㉠에서 f(x){ f(x)-g(x)}>0
2a+10a 2a-10a 두 이차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 -1>100, 5a>101이므로
4 4 각각 a, b라 하면 -3<a<-2, 1<b<2이고 다음과 같다.
101 y
a> y=f{x}
5
그러므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21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1 2
-3 -2 O > x

610   14 y=g{x}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부등식 f(xÁ)¾g(xÁ)이 성립하기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위해서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g(x)가 성립해야 Ú f(x)>0, f(x)-g(x)>0인 경우
한다. ‌f(x)>0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보다 위쪽에 있어야
xÛ`+4x+6¾-xÛ`-2ax-2, 2xÛ`+2(a+2)x+8¾0 하므로
xÛ`+(a+2)x+4¾0 x<-3 또는 x>1 yy ㉠
이때, 방정식 xÛ`+(a+2)x+4=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f(x)>g(x)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하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래프보다 더 위쪽에 있어야 하므로
D=(a+2)Û`-16É0, aÛ`+4a-12É0, (a+6)(a-2)É0 x<a 또는 x>b yy ㉡
∴ -6ÉaÉ2 ‌이때,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x<-3 또는
즉, 정수 a는 -6, -5, -4, y, 2의 9개이므로 x>b이므로 정수 x는 -5, -4, 2, 3, 4, 5의 6개이다.
p=9 Û f(x)<0, f(x)-g(x)<0인 경우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부등식 f(xÁ)¾g(xª)가 성립하기 ‌f(x)<0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보다 아래쪽에
위해서는 함수 y= f(x)의 최솟값이 함수 y=g(x)의 최댓값보다 있어야 하므로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yy TIP -3<x<1 yy ㉢

Ⅱ.방정식과 부등식 117


‌f(x)<g(x)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3, 4이다. (참)
그래프보다 더 아래쪽에 있어야 하므로 ㄷ.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이 -1, 1만
a<x<b yy ㉣ 존재하도록 하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이때,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a<x<1이므로 정수 x는 -2, -1, 0으로 3개이다. a 1 1 2 x
-
Ú, Û에서 구하는 정수 x의 개수는 9이다. 4 2
즉,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2Éa<-1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612  ③

f(x)=xÛ`-2x-8=(x-4)(x+2)에서 614  ④
x¾4 또는 xÉ-2일 때 f(x)¾0이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두 부등식
g(x)=|f(x)|- f(x)=0
axÛ`+bx+c>0, pxÛ`+qx+r<0이 각각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4일 때 f(x)<0이므로
성립해야 한다.
g(x)‌=|f(x)|- f(x)
axÛ`+bx+c>0에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아래로
=-2 f(x)=-2(x-4)(x+2)
볼록하고 x축과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그러므로 함수 g(x)는
a>0, bÛ`-4ac<0
0 (x¾4 또는 xÉ-2)
g(x)=[  pxÛ`+qx+r<0에서 이차함수 y=pxÛ`+qx+r의 그래프가 위로
-2(x-4)(x+2) (-2<x<4)
볼록하고 x축과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p<0, qÛ`-4pr<0
y
18 ㄱ. a>0, p<0이므로 a>p에서 a-p>0이다. (참)
16
ㄴ. bÛ`-qÛ`>4(ac-pr)에서
bÛ`-4ac>qÛ`-4pr
y=g{x} 이때, bÛ`-4ac<0이고 qÛ`-4pr<0이지만
bÛ`-4ac>qÛ`-4pr인지는 알 수 없다. (거짓) yy TIP
ㄷ. pxÛ`+qx+r<0이므로 양변에 각각 -1을 곱해주면
-2 O 1 4 x ‌-pxÛ`-qx-r>0이고, axÛ`+bx+c>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ㄱ. 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대하여
ㄴ. ‌-2<x<4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가 x축 위쪽에 (a-p)xÛ`+(b-q)x+(c-r)>0이 성립한다.
존재하므로 부등식 g(x)>0의 해는 -2<x<4이다. (참) ‌방정식 (a-p)xÛ`+(b-q)x+(c-r)=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ㄷ. ‌방정식 g(x)-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D=(b-q)Û`-4(a-p)(c-r)<0
y=g(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이므로 (b-q)Û`<4(a-p)(c-r) (참)
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이때, 함수 g(x)는 x=1일 때 최댓값 g(1)=-2 f(1)=18을
TIP
가지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은 1, 2, 3, y, 17의
ㄴ. ‌(반례) a=2, b=1, c=2이고, p=-1, q=1, r=-1인
17개이다. (거짓)
경우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bÛ`-4ac=1-16=-15이고, qÛ`-4pr=1-4=-3이므로
bÛ`-4ac<qÛ`-4pr이다.
613  ③

8xÛ`>2x+1에서 (4x+1)(2x-1)>0

∴ x<-
1
또는 x>
1 615  ④
4 2
a<b라 두고 f(x)=xÛ`-(k+1)x+k-4라 할 때, 경우를 나누어
xÛ`-(2+a)x+2a<0에서 (x-a)(x-2)<0 yy ㉠
보면 다음과 같다.
ㄱ. ‌a=2일 때 ㉠에서 (x-2)Û`<0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Ú -1ÉaÉ2<b인 경우
존재하지 않는다. (참) y=f{x}
ㄴ. 4<aÉ5일 때 ㉠의 해는 2<x<a

= >
1 1 2 a x x
- -1 2
4 2
‌위의 그림에서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은 f(-1)¾0, f(2)É0이 되어야 하므로

118 수학<상>
f(-1)=1+k+1+k-4=2k-2¾0에서 k¾1 1
Ý f(2)=4+4k-2+k-3=5k-1>0에서 k>
f(2)=4-2k-2+k-4=-k-2É0에서 k¾-2 5
1
그러므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¾1 Ú∼Ý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É1이다.
5
Û a<-1ÉbÉ2인 경우
6
y=f{x} ∴ p+q=
5


= >
-1 2 x
617  ④

f(-1)É0, f(2)¾0이 되어야 하므로 조건 ㈎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1에


f(-1)=1+k+1+k-4=2k-2É0에서 kÉ1 대하여 대칭이므로 방정식 f(x)=0의 두 근도 x=1에 대하여
f(2)=4-2k-2+k-4=-k-2¾0에서 kÉ-2 대칭이다.
그러므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É-2 a+b
=1, a+b=2
Ü -1Éa<bÉ2인 경우 2
y=f{x}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q
a+b= =2
p
= >
-1 2 x 이므로 q=2p

∴ f(x)=pxÛ`-2px+r yy ㉠ 정

이차방정식 xÛ`-(k+1)x+k-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조건 ㈏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의 두 가지 과
D=(k+1)Û`-4(k-4)=kÛ`-2k+17=(k-1)Û`+16>0 경우이다. 부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서로 다른 두 x=1 y=f{x} 식
실근을 갖는다. y=f{x}

‌또한 f(-1)¾0, f(2)¾0이고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1 3


축이 두 직선 x=-1, x=2 사이에 존재해야 하므로 x
-1 3 x
f(-1)=1+k+1+k-4=2k-2¾0에서 k¾1
f(2)=4-2k-2+k-4=-k-2¾0에서 kÉ-2
x=1
k+1 k+1
축이 x= 이므로 -1< <2에서 그러므로 f(-1)과 f(1)의 부호가 서로 달라야 하므로
2 2
-3<k<3 f(-1) f(1)<0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에 대입하면
Ú∼Ü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f(-1)=p+2p+r=3p+r, f(1)=p-2p+r=-p+r
kÉ-2 또는 k¾1 이므로
f(-1) f(1)=(3p+r)(-p+r)<0
양변을 각각 pÛ`으로 나누어 주면
(3p+r)(-p+r)
={3+ }{-1+ }<0 (∵ pÛ`>0)
r r
616  ③
r
pÛ` p p

∴ -3< <1
이차방정식 xÛ`+(2k-1)x+k-3=0의 두 근 a, b가 각각 p
[a]=-2, [b]=1을 만족시키므로 -2Éa<-1, 1Éb<2이다.
f(x)=xÛ`+(2k-1)x+k-3이라 하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618  ②
y=f{x}
부등식 xÛ`-2x-8=(x+2)(x-4)<0에서
-2<x<4 yy ㉠
xÛ`-(3k+2)x+2kÛ`+7k-15¾0에서
= >
-2 -1 1 2 x xÛ`-(3k+2)x+(2k-3)(k+5)¾0
{x-(2k-3)}{x-(k+5)}¾0 yy ㉡
그러므로 f(-2)¾0, f(-1)<0, f(1)É0, f(2)>0을 ㉠에서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가 오직 하나 존재하려면
만족시켜야 한다. 정수인 해가 x=-1만 있거나 x=3만 있어야 한다.
Ú f(-2)=4-4k+2+k-3=-3k+3¾0에서 kÉ1 Ú k+5¾2k-3, 즉 kÉ8인 경우
Û f(-1)=1-2k+1+k-3=-k-1<0에서 k>-1 ㉡에서 x¾k+5 또는 xÉ2k-3이다.
Ü f(1)=1+2k-1+k-3=3k-3É0에서 kÉ1 ( `-①) ‌정수인 해가 x=-1만 존재하는 경우를 수직선에

Ⅱ.방정식과 부등식 119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1 0 1 2 3 4 x
2k-3 k+5
3
-1É2k-3<0에서 1Ék< 이고
2
k+5>3에서 k>-2이므로 정수 k의 값은 k=1이다.
( `-②) ‌정수인 해가 x=3만 존재하는 경우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1 0 1 2 3 4 x
2k-3 k+5
2<k+5É3에서 -3<kÉ-2이고
2k-3<-1에서 k<1이므로 정수 k의 값은
k=-2이다.
Û k+5<2k-3, 즉 k>8인 경우
㉡에서 x¾2k-3 또는 xÉk+5이다.
( `-①) ‌정수인 해가 x=-1만 존재하는 경우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1 0 1 2 3 4 x
k+5 2k-3
-1Ék+5<0에서 -6Ék<-5이고,
2k-3>3에서 k>3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②) ‌정수인 해가 x=3만 존재하는 경우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1 0 1 2 3 4 x
k+5 2k-3
5
2<2k-3É3에서 <kÉ3이고
2
k+5<-1에서 k<-6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Ú, Û에서 정수 k는 1, -2이고 구하는 합은 -1이다.

120 수학<상>
ⅠⅠⅠ 도형의 방정식 따라서 P(a, 2a-3)이다.
이때, 점 P에서 두 점 A, B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APÓ=BPÓ이다.
평면좌표 두 점 A(5, -2), B(2, 3)에 대하여
APÓ="Ã(a-5)Û`+{(2a-3)-(-2)}Û`="Ã5aÛ`-14a+26
BPÓ="Ã(a-2)Û`+{(2a-3)-3}Û`="Ã5aÛ`-28a+40
619  3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5aÛ`-14a+26=5aÛ`-28a+40
두 점 A(2, t), B(1-t, 1)에 대하여
14a=14   ∴ a=1, b=-1 (∵ ㉠)
ABÓ="Ã{(1-t)-2}Û`+(1-t)Û`
∴ a+b=0
="Ã(t+1)Û`+(t-1)Û`
="Ã2tÛ`+2='2Œ0
이므로 2tÛ`+2=20
tÛ`=9, t=Ñ3 623  ⑤

∴ t=3 (∵ t>0) 세 점 A(-1, 1), B(1, 4), C(4, 2)에 대하여


ABÓ="Ã{1-(-1)}Û`+(4-1)Û`='1Œ3
620  ② BCÓ="Ã(4-1)Û`+(2-4)Û`='1Œ3
CAÓ="Ã{4-(-1)}Û`+(2-1)Û`='2Œ6
세 점 A(4, -1), B(0, 1), C(1, a)에 대하여
즉, ABÓ Û`+BCÓ Û`=CAÓ Û`이고, ABÓ=BCÓ이다.
ABÓ="Ã(0-4)Û`+{1-(-1)}Û`='2Œ0
BCÓ="Ã(1-0)Û`+(a-1)Û`="ÃaÛ`-2a+2
y
B
ABÓ=2BCÓ에서 ABÓ Û`=4BCÓ Û`이므로 4
20=4(aÛ`-2a+2)
C
aÛ`-2a-3=0, (a-3)(a+1)=0 2
A 1
∴ a=3 또는 a=-1
-1 O 1 4 x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3+(-1)=2 따라서 삼각형 ABC는 ∠B=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621   풀이 참조 의

점 P는 x축 위의 점이므로 P(a, 0)이라 하자.


624  ② 방


이때, 점 P가 두 점 A, B에서 같은 거리에 있으므로 APÓ=BPÓ이다.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ABÓ=BCÓ=CAÓ이다.
두 점 A(2, -1), B(-3, 4)에 대하여 y

APÓ="Ã(a-2)Û`+{0-(-1)}Û`="Ã(a-2)Û`+1Û` q C{p,`q}
BPÓ="Ã{a-(-3)}Û`+(0-4)Û`="Ã(a+3)Û`+4Û` A 1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1
-1 O p x
(a-2)Û`+1Û`=(a+3)Û`+4Û`
-1 B
aÛ`-4a+5=aÛ`+6a+25
10a=-20, a=-2 세 점 A(-1, 1), B(1, -1), C(p, q)에 대하여
∴ OPÓ=|a|=2 ABÓ="Ã{1-(-1)}Û`+(-1-1)Û`='8
채점 요소 배점 BCÓ="Ã(p-1)Û`+{q-(-1)}Û`="Ã(p-1)Û`+(q+1)Û`
점 P의 좌표 놓기 10 % CAÓ="Ã{p-(-1)}Û`+(q-1)Û`="Ã(p+1)Û`+(q-1)Û`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APÓ, BPÓ에 대한 식 세우기 40 % BCÓ Û`=ABÓ Û`에서 (p-1)Û`+(q+1)Û`=8 yy ㉠
점 P의 x좌표 구하기 30 % CAÓ `Û =ABÓ Û`에서 (p+1)Û`+(q-1)Û`=8 yy ㉡
OPÓ의 값 구하기 20 % ㉠-㉡에서 -4p+4q=0   ∴ p=q
이를 ㉠에 대입하면
(p-1)Û`+(p+1)Û`=8
622  ④ (pÛ`-2p+1)+(pÛ`+2p+1)=8

점 P(a, b)가 직선 y=2x-3 위의 점이므로 pÛ`=3, p='3 (∵ p>0), q='3


∴ p+q=2'3
b=2a-3 yy ㉠

Ⅲ. 도형의 방정식 121


625  ④ 626  ⑤

세 점을 각각 A(-4, 2), B(4, 6), C(8, -2), 외심을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P(a, b)라 하면 삼각형의 외심에서 각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A
모두 같으므로 APÓ=BPÓ=CPÓ이다.
APÓ="Ã{a-(-4)}Û`+(b-2)Û`
="Ã(a+4)Û`+(b-2)Û`
BPÓ="Ã(a-4)Û`+(b-6)Û` B C
M H
CPÓ="Ã(a-8)Û`+{b-(-2)}Û` 직각삼각형 ABH에서
="Ã(a-8)Û`+(b+2)Û` ABÓ Û`=
 BHÓ Û`+AHÓ Û`
Ú APÓ Û`=BPÓ Û`에서
=( BMÓ+MHÓ )Û`+AHÓ Û`
(a+4)Û`+(b-2)Û`=(a-4)Û`+(b-6)Û`
=BMÓ Û`+2_BMÓ_MHÓ+MHÓ Û`+AHÓ Û`
16a+8b=32   ∴ 2a+b=4 yy ㉠
=BMÓ Û`+2 BMÓ_MHÓ+( AMÓ )Û` yy ㉠
Û BPÓ Û`=CPÓ Û`에서
(a-4)Û`+(b-6)Û`=(a-8)Û`+(b+2)Û` 직각삼각형 AHC에서
8a-16b=16   ∴ a-2b=2 yy ㉡ ACÓ Û`=CHÓ Û`+AHÓ Û`
Ú, Û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 CMÓ-MHÓ )Û`+AHÓ Û`
a=2, b=0 =CMÓ Û`-2_CMÓ_MHÓ+MHÓ Û`+AHÓ Û`
∴ a+b=2 =CMÓ Û`-2 CMÓ_MHÓ+( AMÓ )Û` yy ㉡
다른 풀이  yy 참고 ㉠, ㉡을 변끼리 더하면
‘유형 03 선분의 내분과 외분’을 학습한 이후 중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ABÓ Û`+ACÓ Û`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BMÓ Û`+CMÓ Û`+2 BMÓ_MHÓ-2 CMÓ_MHÓ+2_AMÓ Û`
A(-4, 2), B(4, 6), C(8, -2)라 할 때, =2_BMÓ Û`+2_AMÓ Û` (∵ BMÓ=CMÓ)
ABÓ="Ã{4-(-4)}Û`+(6-2)Û`=4'5 =2(BMÓ Û`+AMÓ Û`)
BCÓ="Ã(8-4)Û`+(-2-6)Û`=4'5 TIP
CAÓ="Ã(-4-8)Û`+{2-(-2)}Û`=4'1Œ0 <중선정리>
에서 ABÓ Û`+BCÓ Û`=CAÓ Û`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변 BC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삼각형 ABC는 ∠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ABÓ Û`+ACÓ Û`=2(AMÓ Û`+BMÓ Û`)
y 이 성립하고, 이를 중선정리라 한다.
6 B A

A 2
4 8
-4 O x
-2 C B C
M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심은 선분 AC의 중점이므로 yy TIP

점 (a, b)는 {
-4+8 2+(-2)
2
,
2
}, 즉 (2, 0)이다. 627  ③

∴ a+b=2 직선 BC를 x축으로 하고 점 M이 원점이 되도록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BCÓ=4이므로

TIP
B(-2, 0), C(2, 0)
이때, A(a, b)라 하자.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한다.
y
A
A{a,`b}

외심
B C
O
B C
-2 O {=M} 2 x

122 수학 <상>
ABÓ='1Œ0이므로 (a+2)Û`+bÛ`=10 yy ㉠ ∴ PQÓ=|8-(-16)|=24
CAÓ=3'2이므로 (a-2)Û`+bÛ`=18 yy ㉡ 다른 풀이
㉠-㉡에서 8a=-8   ∴ a=-1
네 점 A, B,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를 ㉠에 대입하면 bÛ`=9
3
∴ AMÓ="ÃaÛ`+bÛ`="Ã(-1)Û`+9='1Œ0 Q 2 A P B
다른 풀이 2 3
점 P는 선분 AB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삼각형 ABC는 다음 그림과 같다.
2
A APÓ=  ABÓ
5
3Â2
점 Q는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Â10°
AQÓ=2 ABÓ
이때, ABÓ=|14-4|=10이므로
B C
2 M 2
PQÓ=  ABÓ+2 ABÓ
5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12
ABÓ Û`+ACÓ Û`=2(AMÓ Û`+BMÓ Û`)이 성립하므로 =  ABÓ
5
'1Œ0 Û`+(3'2)Û`=2(AMÓ Û`+2Û`)
12
AMÓ Û`=10 = _10=24
5
∴ AMÓ='1Œ0

630  ③
628  ③
네 점 A, B,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① 선분 AE의 중점은 C이다. (참) 3 1
1 1 Q 1 A P B
2
A B C D E F
② 선분 AF를 3`:`2로 내분하는 점은 D이다. (참) BPÓ=a`(a>0)라 하면
3 2 점 P는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 B C D E F
APÓ=3a, ABÓ=4a 도

점 Q는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의
③ 선분 BC를 3`:`1로 외분하는 점은 선분 CD의 중점이다. (거짓)
AQÓ=ABÓ=4a 방
3 1 정
∴ PQÓ=APÓ+AQÓ=3a+4a=7a 식
A B C D E F
따라서 PQÓ=t ABÓ에서 7a=4at이므로
④ 선분 DF를 1`:`2로 외분하는 점은 B이다. (참)
7a 7
2 t= =
1
4a 4
A B C D E F
⑤ 선분 FD를 5`:`3으로 외분하는 점은 A이다. (참)

3
5
631   (5, -5)
A B C D E F
두 점 A(1, 3), B(4, -3)에 대하여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2_4+1_1 2_(-3)+1_3
{ , }
2+1 2+1
∴ P(3, -1)
629  ③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2_4-1_1 2_(-3)-1_3
두 점 A(4), B(14)에 대하여 { , }
2-1 2-1
선분 AB를 2`:`3으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Q(7, -9)
2_14+3_4
=8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2+3
3+7 -1+(-9)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 , }
2 2
2_14-3_4
=-16 ∴ (5, -5)
2-3

Ⅲ. 도형의 방정식 123


참고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p+5 2+3+1 p+4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선분 AB를 m`:`n으로 { , }, 즉 { , 2}
3 3 3 yy TIP
내분하는 점을 P라 하자.
이 점이 점 (4, q)와 일치하므로
세 점 A, P, B에서
p+4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P', B'이라 하고, =4에서 p=8, q=2
3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P'', B''이라 하면 ∴ p+q=10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PÓ`:`PBÓ=A'P'Ó`:`P'B'Ó=A''P''Ó`:`P''B''Ó TIP
=m`:`n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좌표>
y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xÁ, yÁ), B(xª, yª), C(x£, y£)에 대하여
B" B
n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n
P" m
xÁ+xª+x£ yÁ+yª+y£
m P
   { , }
A" A 3 3
이다.
A' P' B'
O m n x [증명]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세 중선의 길이를 꼭짓점으로부터 각각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선분 AB를 2`:`1로 내분한다.
m`:`n`(m+n)으로 외분하는 점을 Q라 하자. 이때,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xª+x£ yª+y£
세 점 A, B, Q에서 M{ , }이고, 무게중심 G는 선분 AM을 2`:`1로
2 2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Q'이라 하고,
내분하는 점이므로 그 좌표는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Q''이라 하면
xª+x£ yª+y£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2_ 2 +1_xÁ , 2_ 2 +1_yÁ }
AQÓ`:`BQÓ=A'Q'Ó`:`B'Q'Ó=A''Q''Ó`:`B''Q''Ó 2+1 2+1
xÁ+xª+x£ yÁ+yª+y£
=m`:`n ∴{ , }
3 3
y
n A{x¡,`y¡}
n Q" Q
m
m B"
B
2 {x¡+x™+x£
3
,
y¡+y™+y£
3 }
A" A G
1
Q' B{x™,`y™} C{x£,`y£}
A' B'
O
m
n x
M {
x™+x£ y™+y£
2
,
2 }

632  ②
634  5
두 점 A(2, 2), B(10, 4)에 대하여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선분 AB를 1`:`k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선분 AC의 중점과 선분 BD의 중점이 일치한다.
1_10-k_2 1_4-k_2
{ , } D C
1-k 1-k
10-2k 4-2k
∴{ , }
1-k 1-k
이 점이 직선 y=-2x-3 위에 있으므로 A B

4-2k 10-2k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는


=-2_ -3
1-k 1-k 1+3 a+(-2)
{ }, 즉 {2, }
a-2
,
4-2k=-2(10-2k)-3(1-k) 2 2 2
9k=27 선분 BD의 중점의 좌표는
b+5 0+4
{ }, 즉 {
∴ k=3 b+5
, , 2}
2 2 2

점 {2, }와 점 {
a-2 b+5
, 2}가 일치하므로
2 2
633  ⑤
a=6, b=-1
세 점 A(-1, 2), B(p, 3), C(5, 1)에 대하여 ∴ a+b=5

124 수학 <상>
635  ② TIP
<높이가 같은 삼각형의 넓이>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높이가 서로 같은 두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의 비가 m`:`n이면
선분 AM을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도 m`:`n이다.
A{1,`-2}

2
h

1
B C
M{-2,`4}
m n
두 점 A(1, -2), M(-2, 4)에 대하여
1 1
선분 AM을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mh`:` nh=m`:`n
2 2
2_(-2)+1_1 2_4+1_(-2)
{ , }  
2+1 2+1
∴ (-1, 2)
다른 풀이
637  ③

두 점 B, C의 좌표를 각각 B(a, b), C(c, d)라 하면 점 P의 좌표를 a라 하면 APÓ+BPÓÉ7에서


선분 BC의 중점의 좌표가 (-2, 4)이므로 |a+1|+|a-2|É7이다.
Ú a<-1일 때
점{ }는 점 (-2, 4)와 일치한다.
a+c b+d
,
2 2 -(a+1)-(a-2)É7, -2aÉ6, a¾-3이므로
a+c -3Éa<-1
=-2에서
2 Û -1Éa<2일 때
a+c=-4  yy ㉠ (a+1)-(a-2)É7, 3É7이므로
b+d -1Éa<2
=4에서
2
Ü a¾2일 때
b+d=8  yy ㉡
(a+1)+(a-2)É7, 2aÉ8, aÉ4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2ÉaÉ4
1+a+c -2+b+d 1+(-4) -2+8
{ , }, 즉 { , } (∵ ㉠, ㉡) A B
3 3 3 3 도
-3 -1 2 4 x 형
이므로 (-1, 2)이다. 의
Ú〜Ü에 의하여 -3ÉaÉ4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정

4-(-3)=7
636   17

변 BC 위의 점 P에 대하여 삼각형 ACP의 넓이가


삼각형 ABP의 넓이의 2배이기 위해서는 점 P가 선분 BC를 1`:`2로
638  ③

내분하는 점이어야 한다. yy TIP 점 P는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y P(a, a-2)라 하면
APÓ Û`+BPÓ Û`={(a+1)Û`+(a-3)Û`}+{(a-1)Û`+(a-5)Û`}
A{-2,`3}
=4aÛ`-16a+36=4(a-2)Û`+20

O
C{5,`1} 따라서 a=2, 즉 점 P의 좌표가 (2, 0)일 때,
2 x APÓ Û`+BPÓ Û`은 최솟값 20을 갖는다.
P
1
B{-4,`-2}

두 점 B(-4, -2), C(5, 1)에 대하여 639   풀이 참조


선분 BC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_5+2_(-4) 1_1+2_(-2) A(xÁ, yÁ), B(xª, yª), C(x£, y£)이라 하고, P(a, b)라 하면
{ , }, 즉 (-1, -1)이므로
1+2 1+2 APÓ Û`+BPÓ Û`+CPÓ Û`
P(-1, -1)이다. ={(a-xÁ)Û`+(b-yÁ)Û`}+{(a-xª)Û`+(b-yª)Û`}
따라서 두 점 A(-2, 3), P(-1, -1)에 대하여 +{(a-x£)Û`+(b-y£)Û`}
APÓ Û`=
 {-1-(-2)}Û`+(-1-3)Û` =3aÛ`-2(xÁ+xª+x£)a+3bÛ`-2(yÁ+yª+y£)b
=17 +xÁÛ`+xªÛ`+x£Û`+yÁÛ`+yªÛ`+y£Û`

Ⅲ. 도형의 방정식 125


xÁ+xª+x£ Û` yÁ+yª+y£ Û`
=3{a-
3
} +3{b-
3
} 642  ②
(xÁ+xª+x£)Û` (yÁ+yª+y£)Û` 판매점 A를 원점, 판매점 B, 판매점 C를 각각
- -
3 3
점 B(-2, -1), C(1, 3)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고,
+xÁÛ`+xªÛ`+x£Û`+yÁÛ`+yªÛ`+y£Û`
창고의 위치를 점 P(a, b)라 하자.
xÁ+xª+x£ yÁ+yª+y£
이므로 a= , b=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창고에서 세 판매점까지의 거리가 모두 같으므로
3 3
xÁ+xª+x£ yÁ+yª+y£ APÓ=BPÓ=CPÓ이어야 한다.
즉, 점 P의 좌표가 { , }일 때 최솟값을
3 3 APÓ="ÃaÛ`+bÛ` ,  
가지므로 점 P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일 때 APÓ `Û +BPÓ `Û +CPÓ `Û 은 BPÓ="Ã(a+2)Û`+(b+1)Û`,
CPÓ="Ã(a-1)Û`+(b-3)Û` 이므로
최솟값을 갖는다.

채점 요소 배점 APÓ Û`=BPÓ Û`에서 aÛ`+bÛ`=(a+2)Û`+(b+1)Û`
APÓ Û`+BPÓ Û`+CPÓ Û`의 식 세우기 50 % ∴ 4a+2b+5=0 yy ㉠
APÓ `Û +BPÓ Û`+CPÓ Û`이 최솟값을 가질 때 점 P가 삼각형 ABC의
50 % APÓ Û`=CPÓ Û`에서 aÛ`+bÛ`=(a-1)Û`+(b-3)Û`
무게중심임을 설명하기
∴ 2a+6b-10=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5 5
640   { 27 , 0}, (0, -2) a=- , b=
2 2
따라서 판매점에서 창고까지의 거리는
정류장을 설치할 곳을 나타내는 점을 P라 하면
5'2
점 P는 x축 또는 y축 위의 점이므로 APÓ=¿¹aÛ`+bÛ` = 이다.
2
P(a, 0) 또는 P(0, b)라 할 수 있고,
A(4, 1), B(-3, 2)라 하면 APÓ=BPÓ 이어야 한다.
Ú P(a, 0)일 때
643  ④
APÓ Û`=BPÓ Û`에서 (a-4)Û`+1Û`=(a+3)Û`+2Û`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을 G,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자.
2 2
a= 이므로 P{ , 0} A{3,`5}
7 7
Û P(0, b)일 때
APÓ Û`=BPÓ Û`에서 4Û`+(b-1)Û`=3Û`+(b-2)Û`
b=-2이므로 P(0, -2) G{-1,`2}

Ú, Û에 의하여 정류장을 설치할 수 있는 곳의 좌표는


2 B C
{ , 0}, (0, -2)이다. M
7
A(3, 5), G(-1, 2)에 대하여
AGÓ="Ã(-4)Û`+(-3)Û`=5
641   풀이 참조 이때, AGÓ`:`GMÓ=2`:`1이므로 AGÓ`:`AMÓ=2`:`3이다.
3 3 15
두 도로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t분 후 ∴ AMÓ=  AGÓ= _5=
2 2 2
갑의 위치는 점 (0, -720+40t), AMÓ은 정삼각형 ABC의 높이이므로
을의 위치는 점 (960-40t, 0)이다. '3 15 '3
AMÓ=  ABÓ에서 =  ABÓ yy TIP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 2 2

"Ã(960-40t)Û`+(-720+40t)Û` ∴ ABÓ=5'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는
=40"Ã(t-24)Û`+(t-18)Û`
3_5'3=15'3
=40"Ã2tÛ`-84t+900
=40"Ã2(t-21)Û`+18 TIP
이므로 t=21일 때 최솟값 120'2 를 갖는다. <정삼각형의 높이와 넓이>
따라서 a=21, b=120'2이다. A

채점 요소 배점
갑, 을의 위치를 좌표로 놓기 30 % a a
h
갑과 을 사이의 거리에 대한 식 세우기 30 %
갑과 을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 구하기 30 %
B C
답 구하기 10 % a

126 수학 <상>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 ABC의 높이를 h, 넓이를 S라
하면
1 '3 외심
h=¾ÐaÛ`-{ a}Û`= a 외심 외심
2 2
1 '3
S= ah= aÛ`
2 4

645   풀이 참조

644  ②
세 점 A(-1, -1), B(0, -k), C(2, -2)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외심을 P(-1, -1)이라 하면 ABÓ="Ã1Û`+(k-1)Û`="ÃkÛ`-2k+2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BCÓ="Ã2Û`+(k-2)Û`="ÃkÛ`-4k+8
PAÓ="Ã3Û`+2Û`='1Œ3이다. yy TIP 1 CAÓ="Ã3Û`+1Û`='1Œ0
한편, 삼각형 ABC의 외심이 변 BC 위에 있으므로 이므로 삼각형 ABC가 이등변삼각형이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삼각형 ABC는 ∠A=90ù인 직각삼각형이고, Ú ABÓ=BCÓ일 때
선분 BC의 중점이 P이다. yy TIP 2 ABÓ Û`=BCÓ Û`에서
y kÛ`-2k+2=kÛ`-4k+8
2k=6이므로 k=3
B A{2,`1} y
O -1 2
x x
O
P{-1,`-1} A -1

C -2 C

B -3

따라서 PAÓ=PBÓ=PCÓ='1Œ3이고, BCÓ=2 PBÓ=2'1Œ3이므로 Û BCÓ=CAÓ일 때


ABÓ Û`+ACÓ Û`=BCÓ Û` BCÓ Û`=CAÓ Û`에서
=(2'1Œ3)Û`=52 kÛ`-4k+8=10

kÛ`-4k-2=0   ∴ k=2Ñ'6 형
TIP 1 의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삼각형의 외심> 방
Ü CAÓ=ABÓ일 때 정
A 식
CAÓ Û`=ABÓ Û`에서
외심
kÛ`-2k+2=10
kÛ`-2k-8=0, (k-4)(k+2)=0
O ∴ k=4 또는 k=-2
y y
B C
-1 2 2 B
O x
① ‌정의`:`삼각형의 세 꼭짓점이 한 원 위에 있을 때, 이 원을 A -1
-1 2
삼각형의 외접원이라 하고, 외접원의 중심을 -2 C O x
외심(O)이라 한다. A -1
② ‌성질`:`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2 C
-4 B
즉,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AÓ=OBÓ=OCÓ이다.
③ ‌작도`:`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이 Ú〜Ü에서 구하는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삼각형의 외심’이다. 3+4+(-2)=5이다.

채점 요소 배점
TIP 2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세 변의 길이 구하기 20 %
<삼각형의 외심의 위치>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k의 값 구하기 ⑴ 25 %
예각삼각형의 외심은 삼각형 내부에 존재하고,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k의 값 구하기 ⑵ 25 %
둔각삼각형의 외심은 삼각형 외부에 존재한다.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k의 값 구하기 ⑶ 25 %
또한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한다. 답 구하기 5 %

Ⅲ. 도형의 방정식 127


646   28
y
A{p,`q}

직선 AB를 x축으로 하고 점 P£이 원점이 되도록 yy TIP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다음과 같다.
y
B N C
C{a,`b} -r r 2r x
O{=M}
이때,
ABÓ Û`+ACÓ Û`
A P¡ P™ 1 P¢ P∞ B
-3 -1 O{=P£} 3 x ={(-r-p)Û`+(0-q)Û`}+{(2r-p)Û`+(0-q)Û`}
=2pÛ`+2qÛ`+5rÛ`-2pr
이때, ABÓ=6이므로 AMÓ Û`+ANÓ Û`+4 MNÓ Û`
A(-3, 0), Pª(-1, 0), P¢(1, 0), B(3, 0)이고 C(a, b)라 하자. ={(0-p)Û`+(0-q)Û`}+{(r-p)Û`+(0-q)Û`}+4rÛ`
BCÓ=2'7이므로 (a-3)Û`+bÛ`=28 yy ㉠ =2pÛ`+2qÛ`+5rÛ`-2pr
CAÓ=4이므로 (a+3)Û`+bÛ`=16  yy ㉡
∴ ABÓ Û`+ACÓ Û`=AMÓ Û`+ANÓ Û`+4 MNÓ Û`
㉠-㉡에서 -12a=12   ∴ a=-1
이를 ㉡에 대입하면 bÛ`=12
이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 CPªÓ Û`+CP¢Ó Û`={(a+1)Û`+bÛ`}+{(a-1)Û`+bÛ`} A
=2aÛ`+2bÛ`+2 P¡
6 P™
=2_(-1)Û`+2_12+2=28
P£ 4
다른 풀이 P¢
P∞
삼각형 ABC는 다음과 같다.
A B C
P¡ 2Â7
6 P™ 삼각형 ABC에서 변 AB의 삼등분점은 점 Pª, P¢이므로
P£ 4 CAÓ Û`+CBÓ Û`=CPªÓ Û`+CP¢Ó Û`+4 PªP¢Ó Û`이 성립한다.

P∞ 따라서 4Û`+(2'7)Û`=CPªÓ Û`+CP¢Ó Û`+4_2Û`이므로
B C CPªÓ Û`+CP¢Ó Û`=28
2Â7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TIP
CAÓ Û`+CBÓ Û`=2(CP£Ó Û`+AP£Ó Û`)
좌표축을 이용하여 주어진 도형의 성질을 설명할 때,
즉, 4Û`+(2'7)Û`=2(CP£Ó Û`+3Û`)에서 CP£Ó Û`=13
좌표축을 어떻게 설정하여도 도형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다.
이때, 삼각형 CPªP¢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계산이 편리하도록
CPªÓ Û`+CP¢Ó Û`=2(CP£Ó Û`+PªP£Ó Û`)
주어진 도형의 꼭짓점 또는 변의 중점이 원점이 되도록
=2_(13+1Û`)`(∵ PªP£Ó=1)
설정하거나 x축이나 y축을 주어진 도형의 한 변 또는 대칭축이
=28
되도록 설정하자.
참고

임의의 삼각형 ABC에서 변 BC의 삼등분점을 각각 M, N이라


하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ABÓ Û`+ACÓ Û`=AMÓ Û`+ANÓ Û`+4 MNÓ Û`
647  ③

A 좌표평면 위에 점 D를 원점, 선분 BC를 x축이 되도록 놓고


B(-a, 0), C(3a, 0), A(p, q) (a>0, p>0, q>0)라 하면
다음과 같다.
y
A{p,`q}
B C
M N
[증명]
직선 BC를 x축으로 하고, 점 M이 원점이 되도록 B C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고 -a O{=D} 3a x

A(p, q), B(-r, 0), N(r, 0), C(2r, 0)이라 하자. ABÓ=5, ACÓ=3, ADÓ='1Œ5이므로

128 수학 <상>
(p+a)Û`+qÛ`=25 yy ㉠ 3(aÛ`+bÛ`)+(-3c)Û`=k 〔(a+3c)Û`+bÛ`+3{(a-c)Û`+bÛ`}〕
(p-3a)Û`+qÛ`=9 yy ㉡ 3aÛ`+3bÛ`+9cÛ`=k(4aÛ`+4bÛ`+12cÛ`)
pÛ`+qÛ`=15 yy ㉢ 3aÛ`+3bÛ`+9cÛ` 3
∴ k= = (∵ aÛ`+bÛ`+3cÛ`+0)
㉠-㉢을 하면 2ap+aÛ`=10 yy ㉣ 4aÛ`+4bÛ`+12cÛ` 4
㉡-㉢을 하면 -6ap+9aÛ`=-6에서
2ap-3aÛ`=2
㉣-㉤을 하면 4aÛ`=8에서
yy ㉤
649  ④

aÛ`=2   ∴ a='2 (∵ a>0) ① 선분 AB를 1`:`1로 외분할 수 없다. (참)


∴ BCÓ=4a=4'2 ② 선분 AB를 1`:`1로 내분하는 점은 선분 AB의 중점이다. (참)
1 1
참고
A M B
㉣에서 p=2'2이고 이를 ㉢에 대입하면 q='7이므로
③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A는 선분 BM을 2`:`1로
점 A의 좌표는 (2'2, '7)이다.
외분하는 점이다. (참)
2
다른 풀이 1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선분 BM의 중점이 D이므로 A M B
다음과 같다. ④ ACÓ
‌ `:`BCÓ=2`:`1을 만족시키는 직선 AB 위의 점 C는 선분
A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또는 2`:`1로 외분하는 점이다. (거짓)
2 1
5
3 A C B
Â15°
2
1
B C
D M
A B C
AMÓ=m, BMÓ=2a (m>0, a>0)라 하면 ⑤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일 때, 선분 AB를 m`:`n으로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외분하는 점 P에 대하여 PAÓ<PBÓ이다. (참) yy 참고
ABÓ Û`+ACÓ Û`=2(AMÓ Û`+BMÓ Û`) n
5Û`+3Û`=2{mÛ`+(2a)Û`} m
∴ mÛ`+4aÛ`=17 yy ㉠ P A B
삼각형 ABM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참고 도

ABÓ Û`+AMÓ Û`=2(ADÓ Û`+BDÓ Û`)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선분 AB를 m`:`n으로 외분하는 점 의

5Û`+mÛ`=2('1Œ5 `Û +aÛ`) P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방



∴ mÛ`-2aÛ`=5 yy ㉡ Ú m<n일 때, PAÓ<PBÓ이다. 식

㉠, ㉡을 연립하여 풀면 a='2, m=3이다. n


m n
∴ BCÓ=4a=4'2 m
P A B
P A B
Û m>n일 때, PAÓ>PBÓ이다.
m
m n
n
648   34 A
A
B
B
P
P

BDÓ=3 DCÓ에서 BDÓ`:`DCÓ=3`:`1이므로 Ü m=n일 때, 점 P는 존재하지 않는다.


변 BC 위의 점 D는 선분 BC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다.
직선 BC를 x축으로 하고, 점 D가 원점이 되도록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고, 650  ⑤
A(a, b), B(-3c, 0), C(c, 0)이라 하면 다음과 같다.
점 A, B, C, D, E를 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5
A{a,`b}
2
A B 2 E D C
1
3 2 13
B C AEÓ=ABÓ+BEÓ=  BDÓ+  BDÓ=  BDÓ
-3c O`{=D} c x 2 3 6
AEÓ 13
∴ =
3 ADÓ Û`+BDÓ Û`=k(ABÓ Û`+3 ACÓ Û`)에서 BDÓ 6

Ⅲ. 도형의 방정식 129


651  ⑤
m
n
A B D
두 점 A(-5, 1), B(1, -3)에 대하여
선분 AB를 (1-t)`:`t`(0<t<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 1 1 m+n 1 m-n
= , = , = 에서
ABÓ k ACÓ mk ADÓ mk
(1-t)_1+t_(-5) (1-t)_(-3)+t_1
{ , } m+n m-n 2m 2
(1-t)+t (1-t)+t + = = 를 만족시킨다.
mk mk mk k
∴ (-6t+1, 4t-3)
1 1 2
이 점이 제 3 사분면에 있기 위해서는 ∴ + =
ACÓ ADÓ ABÓ
-6t+1<0이고 4t-3<0이어야 한다.
1 3 1 3
따라서 <t< 이므로 a= , b= 이다.
6 4 6 4

∴ a+b=
11 654  ③
12
3ABÓ=2 BCÓ에서 ABÓ`:`BCÓ=2`:`3이고
B지점은 A지점과 C지점 사이에 위치하므로
점 B는 선분 AC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A 2 B X 3 C
652   풀이 참조 -2p 0 x 3p
따라서 직선도로를 수직선으로, 점 B를 원점으로 생각하면
2ABÓ=BCÓ에서 ABÓ`:`BCÓ=1`:`2이므로
A(-2p), B(0), C(3p)로 놓을 수 있다. (p는 상수)
점 C는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 또는
보관 창고의 위치를 X(x)라 하면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이다.
운반 비용은 XAÓ Û`+XBÓ Û`+XCÓ Û`의 값에 비례하므로
1 2
XAÓ Û`+XBÓ Û`+XCÓ Û`=(x+2p)Û`+xÛ`+(x-3p)Û`
C A B 2 C =3xÛ`-2px+13pÛ`
3
p 38
두 점 A(-1, 3), B(2, 6)에 대하여 =3{x- }Û`+ pÛ`
3 3
Ú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p
에서 운반 비용은 x= 일 때 최소이다.
1_2-2_(-1) 1_6-2_3 3
{ , }   ∴ (-4, 0)
1-2 1-2 A BX C
Û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p 0 p 3p
3
3_2-2_(-1) 3_6-2_3
{ , }   ∴ (8, 12)
3-2 3-2 따라서 ABÓ=6 BXÓ에서 AXÓ`:`BXÓ=7`:`1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점 C의 좌표는 (-4, 0)과 (8, 12)이다. 보관 창고의 위치는 선분 AB를 7`:`1로 외분하는 점이다.

채점 요소 배점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C의 조건 Ú 찾기 20 %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C의 조건 Û 찾기 20 % 655   171
조건 Ú을 만족시키는 점 C의 좌표 구하기 30 %
삼각형 ABC의 내부의 점 D에 대하여
조건 Û를 만족시키는 점 C의 좌표 구하기 30 %
세 삼각형 ABD, BCD, CAD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점 D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다. yy TIP
세 점 A(2, -1), B(a, 2), C(b, -4)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2+a+b -1+2-4 2+a+b
{ }   ∴ {
653  ④ 3
,
3 3
, -1}

이 점이 (5, ab)와 일치하므로 a+b=13, ab=-1


ABÓ=k (k>0)라 하면
∴ aÛ`+bÛ`=(a+b)Û`-2ab=13Û`-2_(-1)=171
점 C가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m TIP
ACÓ= k
m+n
❶ ‌삼각형 ABC에 대하여 세 변 AB, BC, CA의 중점을 각각 
m n
P, Q, R라 하고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을 G라 하면
A C B
6개의 삼각형 APG, BPG, BQG, CQG, CRG, ARG의 
점 D가 선분 AB를 m`:`n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넓이는 모두 같으므로 세 삼각형 ABG, BCG, CAG의 넓이
m
ADÓ= k 는 서로 같다.
m-n

130 수학 <상>
A 다른 풀이

세 변 AB, BC, CA를 각각 1`:`2로 내분하는 점 D, E, F에 대하여


P R 삼각형 DEF의 무게중심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한다.
G
 yy TIP
B
Q
C 따라서 삼각형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2+5 1+5+(-3)
[증명] { , }, 즉 (2, 1)이다.
3 3
삼각형 ABQ에서 AGÓ`:`GQÓ=2`:`1이므로
두 삼각형 ABG, BQG의 넓이의 비가 2`:`1이다. TIP
삼각형 ABG에서 APÓ=BPÓ이므로 두 삼각형 APG, BPG의 A
넓이가 서로 같다. m
n
따라서 세 삼각형 APG, BPG, BQG의 넓이가 서로 같다. P
R
마찬가지 방법으로 세 삼각형 ARG, CRG, CQG의 넓이가 n G m
서로 같다.
또한 BQÓ=CQÓ에서 두 삼각형 ABQ, ACQ의 넓이가 서로 B C
m Q n
같으므로 6개의 삼각형 APG, BPG, BQG, CQG, CRG,
세 변 AB, BC, CA를 각각 m`:`n`(m>0, n>0)으로 내분하는
ARG의 넓이는 서로 같다. 세 점 또는 m`:`n`(m>0, n>0, m+n)으로 외분하는 세 점을
❷ ‌삼각형 ABC 내부의 점 G에 대하여 세 삼각형 ABG, BCG,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무게중심과 삼각형 ABC의
CAG의 넓이가 서로 같으면 점 G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무게중심은 일치한다.
이다.
[증명]
[증명]
A(xÁ, yÁ), B(xª, yª), C(x£, y£)이라 하면
직선 AG가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Q, 직선 BG가 선분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는
AC와 만나는 점을 R, 직선 CG가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xÁ+xª+x£ yÁ+yª+y£
P라 하자. G{ , }
이다.
3 3
두 삼각형 ABG, BQG의 넓이의 비와 두 삼각형 ACG, 이때, 세 변 AB, BC, CA를 m`:`n`(m>0, n>0)으로
CQG의 넓이의 비는 AGÓ`:`GQÓ와 같고, 이때 두 삼각형 내분하는 점을 각각 P, Q, R라 하면
ABG, ACG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두 삼각형 BQG, mxª+nxÁ myª+nyÁ
P{ , }
CQG의 넓이가 서로 같다. m+n m+n

mx£+nxª my£+nyª
따라서 삼각형 GBC에서 BQÓ=CQÓ이므로 점 Q는 선분 BC의 Q{ , } 형
m+n m+n 의
중점이다.
mxÁ+nx£ myÁ+ny£ 방
마찬가지 방법으로 선분 AB의 중점이 P이고, 선분 AC의 R{ , } 정
m+n m+n 식
중점이 R이다. 삼각형 ABC의 세 중선의 교점이 G이므로 이므로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 G'도
점 G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다. xÁ+xª+x£ yÁ+yª+y£
G'{ , }이다.
3 3
마찬가지로 세 변 AB, BC, CA를
m`:`n (m>0, n>0, m+n)으로 외분하는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무게중심도 G와 일치한다.

656  ⑤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은

D{
1_2+2_(-1) 1_5+2_1
1+2
,
1+2
7
}   ∴ D{0, }
3
657  ⑤

선분 BC를 1`:`2로 내분하는 점은 세 점 P, Q, R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 Q ', R '이라


1_5+2_2 1_(-3)+2_5 7
}   ∴ E{3, }
하면
E{ ,
1+2 1+2 3 y
선분 CA를 1`:`2로 내분하는 점은 P{3,`7}
1_(-1)+2_5 1_1+2_(-3) 5
}   ∴ F{3, - }
R' l
F{ , B
1+2 1+2 3
Q' A P'
따라서 삼각형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R{9,`3}
5
{ 0+3+3 , 3 + 3 +{- 3 } }, 즉 (2, 1)이다.
7 7 C
Q{1,`1}
O x
3 3

Ⅲ. 도형의 방정식 131


두 삼각형 PP'A, QQ'A가 합동이고, 두 삼각형 PP'B, RR'B가 C
각각 합동이므로 두 점 A와 B는 각각 선분 PQ, 선분 PR의
중점이다.
따라서 세 점 A, B, C는 각각 세 선분 PQ, PR, QR의 중점이므로
두 삼각형 PQR와 ABC의 무게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이때, 세 점 P(3, 7), Q(1, 1), R(9, 3)에 대하여
A Q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P B
4 3
3+1+9 7+1+3 13 11
{ , }, 즉 { , }이므로 그러므로 직선 AB 위에 있지 않은 점 C에 대하여
3 3 3 3
두 삼각형 ABC와 PQC의 넓이의 비는 4`:`3이다. (참)
13 11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 ,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 3
13 11
∴ x+y=
3
+ =8
3 660   16

참고 삼각형 ABC와 세 점 D, E, F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F
세 점 P(3, 7), Q(1, 1), R(9, 3)에 대하여
세 선분 PQ, PR, QR의 중점의 좌표는 각각 2 A
A(2, 4), B(6, 5), C(5, 2)이다.
3
E C
2 B D
3 1

658  ③ (삼각형 ABC의 넓이)=S라 하자.


점 D는 선분 B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두 점 B, C의 좌표를 각각 (pÁ, qÁ), (pª, qª)라 하면 1
(삼각형 ABD의 넓이)= S yy ㉠
3+pÁ -1+qÁ 4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 (xÁ, yÁ)은 { , }이고,
2 2 점 E는 선분 BC를 2`:`3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3+pª -1+qª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 (xª, yª)는 { , }이다. (삼각형 AEB의 넓이)=2S
2 2
점 F는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3+pÁ 3+pª 6+pÁ+pª
xÁ+xª= + 에서 6= 이므로 (삼각형 FEB의 넓이)=4S yy ㉡
2 2 2
pÁ+pª=6 (삼각형 FEB의 넓이)=k_(삼각형 ABD의 넓이)에서
-1+qÁ -1+qª -2+qÁ+qª 1
yÁ+yª= + 에서 -1= 이므로 ㉠, ㉡에 의하여 4S=k_ S   ∴ k=16
2 2 2 4
qÁ+qª=0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661  ②

3+pÁ+pª -1+qÁ+qª 3+6 -1+0 각 B의 이등분선이 변 AC와 만나는 점을 P라 하면


{ , }이므로 { , },
3 3 3 3 ABÓ`:`BCÓ=APÓ`:`CPÓ이다. yy TIP
1
즉 {3, - }이다. 세 점 A(-4, 1), B(-1, 5), C(4, -7)에 대하여
3
ABÓ="Ã3Û`+4Û` =5, BCÓ="Ã5Û`+(-12)Û` =13
1
∴ a=3, b=- 이므로 APÓ`:`CPÓ=ABÓ`:`BCÓ=5`:`13이다.
3
8 따라서 점 P는 선분 AC를 5`:`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a+b=
3 5_4+13_(-4) 5_(-7)+13_1
점 (a, b)는 { , }, 즉
5+13 5+13
16 11
{- , - }이다.
659  ⑤ 9 9
16 11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 P와 외분하는 점 Q를 직선 AB ∴ a=- , b=-    ∴ a+b=-3
9 9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IP
3 1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A P B Q A
3 1
ㄱ. APÓ=3 PBÓ=PQÓ이므로 점 P는 선분 AQ의 중점이다. (참)
ㄴ. ABÓ
‌ =4 PBÓ, AQÓ=6 PBÓ이므로 ABÓ`:`AQÓ=4`:`6=2`:`3이다.
그러므로 점 A는 선분 BQ를 2`:`3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참)
B C
M
ㄷ. ABÓ=4 PBÓ이고 PQÓ=3 PBÓ이므로 ABÓ`:`PQÓ=4`:`3이다.

132 수학 <상>
삼각형 ABC에서 선분 AM이 각 A의 이등분선일 때, y

ABÓ`:`ACÓ=BMÓ`:`CMÓ이다. B

1 A
1
1 P
O 3 x

662   13
조건 ㈎에 의하여 점 P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선분 OA의
삼각형 ABC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 중점이다.
삼각형 ABC의 내심 I이므로 0+6 0+2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 }, 즉 (3, 1)이다.
직선 AI는 삼각형 ABC의 내각 BAC를 이등분한다. 2 2
y 조건 ㈐에서 OQÓ`:`OBÓ=3`:`2이므로
직선 OB 위의 점 Q는 선분 OB를 3`:`1로 외분하는 점 또는 3`:`5로
B{4,`7}
1 외분하는 점이다.
10 y
{p,`q} 2
I Q
A{-4,`1} 1
C{16,`1} B
O 20 x
3 A
5
세 점 A(-4, 1), B(4, 7), C(16, 1)에 대하여
O x
ABÓ="Ã8Û`+6Û`=10, ACÓ=|16-(-4)|=20
3
이므로 ABÓ`:`ACÓ=1`:`2이다.
따라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두 직선 AI와 BC가
만나는 점 (p, q)는 선분 BC를 1`:`2로 내분하는 점과 같다.
1_16+2_4 1_1+2_7 조건 ㈎에 의하여 점 Q는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선분 OB를
따라서 점 (p, q)는 { , },
1+2 1+2 3`:`1로 외분하는 점이다.
즉 (8, 5)이므로 p+q=13 3_(-2)-1_0 3_4-1_0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 , },
3-1 3-1
TIP
즉 (-3, 6)이다.
<삼각형의 내심> 두 점 P(3, 1), Q(-3, 6)에 대하여 직선 PQ의 방정식은 도
A 형
6-1 의
y= (x-3)+1
-3-3 방
내심 따라서 5x+6y=21이므로 m=5, n=6 정
c b 식
∴ m+n=11
I

B C
a
① ‌정의`:`삼각형의 세 변에 접하는 원을 삼각형의 내접원이라 664  ①
하고, 내접원의 중심을 내심(I)이라 한다.
좌표평면 위에 지점 O를 원점, 동서 방향을 x축, 남북 방향을
② ‌성질`:`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내접원의
y축이라 하고 두 학생 A, B의 위치를 각각 두 점 A, B라 하자.
반지름의 길이 r로 같다.
y
1
(삼각형 ABC의 넓이)= r(a+b+c) B 10
2
③ ‌작도`:`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이
‘삼각형의 내심’이다.
A
O x

학생 A는 원점에서 출발하여 직선 y=x를 따라 움직이므로


t시간 후 A의 위치를 P(a, a)라 하면
663  ①
OPÓ=a'2=2'2_t에서 a=2t
조건 ㈏에서 OPÓ`:`OAÓ=1`:`2이므로 즉, P(2t, 2t)이다.
직선 OA 위의 점 P는 선분 OA를 1`:`1로 내분하는 점, 즉 중점 한편, 학생 B는 점 (0, 10)에서 출발하여
또는 1`:`3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t시간마다 x축 방향으로 -t만큼, y축 방향으로 -2t만큼

Ⅲ. 도형의 방정식 133


움직이므로 t시간 후 B의 위치를 Q라 하면 8 12
즉, n`:`m=AQÓ`:`CQÓ= `:` =2`:`3이므로
Q(-t, 10-2t)이다. 5 5
t시간 후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점 R는 선분 AC를 2`:`3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 ARÓ=2 ACÓ=2_4=8
PQÓ="Ã(3t)Û`+(4t-10)Û` ="Ã25tÛ`-80t+100

=¾Ð25{t- }Û`+36
8
5

이므로
8
5
시간 후 두 사람 사이의 거리가 6`km로 최소이다. 667  ③

8 점 P가 선분 AC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x= _60=96, y=6이다.
5 mc+na
p=  yy ㉠
∴ x+y=96+6=102 m+n
또한 점 P가 선분 BC를 m`:`n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mc-nb
p=  yy ㉡
665  ③ m-n
즉, ㉠, ㉡에 의하여
수직선 위에 처음 두 사람 A, B의 위치를 각각 점 A, B로 나타내면 mc+na mc-nb
=  yy ㉢
다음과 같다. m+n m-n
270 ㄱ. ‌a=1, b=5, m=1, n=2이면 ㉢에서
c+2 c-10
B 30 A 180 P Q =
3 -1
B의 속력은 A의 속력의 1.5배이므로 B가 결승점까지 270`m를 -c-2=3c-30
달리는 동안 A는 180`m를 달린다. ∴ c=7 (참)
따라서 B에서 Q까지의 거리가 270`m, A에서 P까지의 거리가 ㄴ. (반례)
‌ a=0, c=3, m=2, n=1이면 ㉢에서
180`m이다. 6+0 6-b
=
APÓ=180, AQÓ=240, PQÓ=60이므로 3 1
점 A는 선분 PQ를 180`:`240=3`:`4로 외분한다. 즉, p=2, b=4이므로
∴ m-n=3-4=-1 a<p<c<b (거짓)
ㄷ. ‌㉠에서 (m+n)p=mc+na yy ㉣
㉡에서 (m-n)p=mc-nb  yy ㉤

666  ② ㉣에서 ㉤을 빼면
2np=na+nb
다음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에서 a+b
∴ p= (참)
ACÓ`:`ABÓ=2`:`'3이므로 ACÓ=4이다. 2
C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30±
A
2Â3
B
668  ⑤

선분 AC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이 P이고, 세 점 A(0, 3), B(-5, -9), C(4, 0)에서
n`:`m으로 내분하는 점이 Q이고, n`:`m으로 외분하는 점이 ABÓ="Ã(-5)Û`+(-12)Û`=13, ACÓ="Ã4Û`+(-3)Û`=5이다.
R이므로 다음과 같다. ADÓ=ACÓ=5이고, 두 직선 DC와 AP는 서로 평행하므로
C BPÓ`:`CPÓ=BAÓ`:`DAÓ=13`:`5
m
n
m Q P 즉, 점 P는 선분 BC를 13`:`5로 외분하는 점이다.
n
m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B
13_4-5_(-5) 13_0-5_(-9)
n A { , }
13-5 13-5
77 45
∴{ , }
R 8 8
ACÓ`:`AQÓ=(m+n)`:`n, ACÓ`:`CPÓ=(m+n)`:`n에서 TIP
AQÓ=CPÓ
<삼각형에서 평행선과 선분의 길이의 비>
따라서 ACÓ=PQÓ+2 AQÓ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두 변 AB, AC 또는 그 연장선 위에 각각 두
4 8
4= +2 AQÓ   ∴ AQÓ= 점 D, E가 있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5 5

134 수학 <상>
A A pÛ`-4p+40=45
E D
pÛ`-4p-5=0, (p-5)(p+1)=0
A 즉, p=5 (∵ p>0)이므로 P(5, 0)이다.
D E B C BPÓ`:`PCÓ=5`:`1이므로
m=5, n=1   ∴ m+2n=7 (참)
B C D E B C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❶ BCÓDEÓ이면 ABÓ`:`ADÓ=ACÓ`:`AEÓ=BCÓ`:`DEÓ이다.
❷ BCÓDEÓ이면 ADÓ`:`DBÓ=AEÓ`:`ECÓ이다.
❸ ABÓ`:`ADÓ=ACÓ`:`AEÓ이면 BCÓDEÓ이다.
❹ ADÓ`:`DBÓ=AEÓ`:`ECÓ이면 BCÓDEÓ이다. 670  ②

직선 AG가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선분 BC의 중점이 M이고,
AGÓ`:`GMÓ=2`:`1이므로 GMÓ=2'2이다.

669  ③ A

두 점 B, C의 좌표가 각각 (0, 0), (6, 0), 점 A가 제1사분면 위에 4Â2


오도록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자.
y
G
A{a,`b}
2Â3
2Â5
B C
M
삼각형 BCG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C BGÓ Û`+CGÓ Û`=2(GMÓ Û`+BMÓ Û`)
O {=B} 6 x (2'3 )Û`+(2'5 )Û`=2{(2'2 )Û`+BMÓ Û`}
점 A의 좌표를 (a, b)라 하면 (a>0, b>0) 32=2(8+BMÓ Û`)   ∴ BMÓ=2'2
ABÓ="ÃaÛ`+bÛ`=2'1Œ0이므로 이때, 삼각형 BCG에서 GMÓ=BMÓ=CMÓ이므로
aÛ`+bÛ`=40 yy ㉠ 삼각형 BCG는 ∠BGC=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ACÓ="Ã(a-6)Û`+bÛ`=2'1Œ3이므로 1
∴ (삼각형 BCG의 넓이)= _2'3_2'5=2'1Œ5 도
2 형
(a-6)Û`+bÛ`=52 yy ㉡ 의
∴ (삼각형 ABC의 넓이)=3_(삼각형 BCG의 넓이)
㉠에서 ㉡을 빼면 12a-36=-12이므로 a=2이고, 방
=3_2'1Œ5 정
이를 ㉠에 대입하면 b=6 (∵ b>0) 식
=6'1Œ5
∴ A(2, 6)
ㄱ. m=n일
‌ 때, 점 P는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P(3, 0)
∴ APÓ="Ã(3-2)Û`+(0-6)Û`='3Œ7 (참) 671  ⑤
ㄴ. ABÓ
‌ =APÓ일 때,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세 점 A, E, D에서 직선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E',
하면 H(2, 0)이다.
D'이라 하고, 점 A를 지나고 직선 AA'에 수직인 직선이 두 선분
y
EE', DD'과 만나는 점을 각각 F, G라 하자.
A{2,`6}
D
E
A G
F

H C B C
O {=B} P 6 x A' E' D'

이때, 삼각형 ABP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와 삼각형 DBC의 넓이의 비가 2`:`3이므로
BHÓ=HPÓ에서 P(4, 0)이다.  AA'Ó`:`DD'Ó=2`:`3이다.
즉, BPÓ`:`PCÓ=4`:`2=2`:`1이므로  AA'Ó=GD'Ó이므로 GD'Ó`:`DD'Ó=2`:`3에서 DGÓ`:`GD'Ó=1`:`2이다.
m=2, n=1   ∴ m-n=1 (거짓) 즉, DGÓ`:`AA'Ó=1`:`2 yy ㉠
ㄷ. ‌점 P의 좌표를 (p, 0) (p>0)이라 하면 한편, 선분 AD를 3`:`1로 내분하는 점이 E이므로
APÓ="Ã(p-2)Û`+(0-6)Û`=3'5에서 AEÓ`:`ADÓ=3`:`4에서 EFÓ`:`DGÓ=3`:`4 yy ㉡

Ⅲ. 도형의 방정식 135


3 3 1 3 y
㉠, ㉡에 의하여 EFÓ=  DGÓ= _ _AA'Ó=  AA'Ó이므로
4 4 2 8
Q'
3 11
EE'Ó=EFÓ+FE'Ó=  AA'Ó+AA'Ó=  AA'Ó
8 8
11 A
∴ (삼각형 EBC의 넓이)= _(삼각형 ABC의 넓이)
8
11 11 Q
B
= _2=
8 4
O x

다른 풀이 y축 위의 점 Q에 대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직선 AD와 BC의 교점을 O라 하고 Ú 점 Q가 점 Q'에 위치하지 않을 때
세 점 A, E, D에서 선분 BC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E', 삼각형 ABQ에 대하여
D'이라 하자. AQÓ<ABÓ+BQÓ에서 AQÓ-BQÓ<ABÓ이고
D AQÓ+ABÓ>BQÓ에서 AQÓ-BQÓ>-ABÓ이므로
E
A -ABÓ<AQÓ-BQÓ<ABÓ에서
|AQÓ-BQÓ|<ABÓ
Û 점 Q가 점 Q'에 위치할 때
B |AQÓ-BQÓ|=|AQ'Ó-BQ'Ó|=|-ABÓ|=ABÓ
C
O A' E' D'
Ú, Û에 의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는 2이고 삼각형 DBC의 넓이는 3이므로
|AQÓ-BQÓ|ÉABÓ
OA'Ó`:`OD'Ó=AA'Ó`:`DD'Ó=2`:`3이고 따라서 점 Q가 점 Q'에 위치할 때 |AQÓ-BQÓ|는 최댓값 ABÓ를
점 E는 선분 AD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갖는다.
A'E'Ó`:`E'D'Ó=AEÓ`:`EDÓ=3`:`1이다. 두 점 A(1, 4), B(2, 1)을 지나는 직선 AB의 방정식은
O A' E' D'
1-4
0 2 p 3 x y-4= (x-1)   ∴ y=-3x+7
2-1
수직선 위에 네 점 O, A', E', D'을 즉, 점 Q'의 y좌표는 7이므로 a=7이다.
O(0), A'(2), E'(p), D'(3)이라 놓으면 또한 ABÓ="Ã1Û`+(-3)Û`='1Œ0이므로
3_3+1_2 11 b='1Œ0
p= =
3+1 4
∴ aÛ`+bÛ`=7Û`+('1Œ0)Û`=59
11
∴ AA'Ó`:`EE'Ó=OA'Ó`:`OE'Ó=2`:`
4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EBC의 넓이는
11 11
2_ =
8 4

TIP
<밑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의 넓이>
밑변의 길이가 서로 같은 삼각형의 높이의 비가 m`:`n이면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도 m`:`n이다.

n
m

a
1 1
am`:` an=m`:`n
2 2

672   59

직선 AB와 y축의 교점을 Q'이라 하자.

136 수학 <상>
TIP
직선의 방정식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x절편이 a이고, y절편이 b인 직선의 방정식은
x y
673   풀이 참조 a
+ =1이다.
b

⑴ 두 점 (5, -4), (5,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5이다. [증명]


y 두 점 (a, 0), (0,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4
0-b b b
y= x+b=- x+b에서 x+y=b
a-0 a a
x y
양변을 각각 b로 나누면 + =1이다.
O 5 x a b

-4

⑵ y축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k (k는 상수)이다.


따라서 점 (3, -2)를 지나고 y축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675  ③

y=-2이다. y
직선 x+ =1이 x축과 만나는 점은 A(1, 0),
y 2
3 x y
직선 - =1이 y축과 만나는 점은 B(0, -4)이므로
O x 3 4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x y
+ =1, 즉 4x-y-4=0이다.
1 -4
⑶ ‌기울기가 4이고, 점 (-2,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1)=4{x-(-2)}에서 y=4x+7이다.
⑷ ‌두 점 (3, -2), (1, 8)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8-(-2)
=-5이다. 676   10
1-3
따라서 기울기가 -5이고, 점 (3, -2)를 지나는 직선의 (k+1)x+(2k+1)y+(k+2)=0에서

방정식은 y-(-2)=-5(x-3)에서 y=-5x+13이다. (x+2y+1)k+(x+y+2)=0 yy ㉠



⑸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이므로 직선의 이 직선이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는 형

기울기는 tan`60ù='3이다. k에 대한 항등식 ㉠을 만족시키므로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1,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2y+1=0, x+y+2=0 정

y-4='3(x-1)에서 y='3 x+4-'3 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1
y 즉, 점 (a, b)는 점 (-3, 1)
∴ aÛ`+bÛ`=(-3)Û`+1Û`=10
4
참고

직선 (x+2y+1)k+(x+y+2)=0은 두 직선 x+2y+1=0,
60± x+y+2=0의 교점 (-3, 1)을 지나는 직선이다.
O 1 x y

1
-1
-3 -2 O x
1
-
674  ③ x+y+2=0
2
x+2y+1=0
-2
① y=3x-6
② y-6=3(x-4)   ∴ y=3x-6
x y
③ + =1   ∴ y=-3x-6 yy TIP
-2 -6

④ y-(-3)=
-3-(-9)
1-(-1)
(x-1)   ∴ y=3x-6 677  ①

⑤ 3x-y-6=0에서 y=3x-6 2x+3y-4=0, 3x-2y+7=0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③이다. x=-1, y=2이므로

Ⅲ. 도형의 방정식 137


두 직선 2x+3y-4=0, 3x-2y+7=0의 교점의 좌표는 다른 풀이
(-1, 2)이다. 두 점 (-2, -4), (a-2,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두 점 (-1, 2), (3,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4)
y+4= (x+2)  
0-2 1 a-2-(-2)
y= (x-3), y=- (x-3)
3-(-1) 2 6
∴ y+4= (x+2)
∴ x+2y-3=0 a
다른 풀이 이때, 이 직선이 점 (a-1, 2a+1)을 지나므로
6
두 직선 2x+3y-4=0, 3x-2y+7=0의 교점을 지나는 2a+5= (a+1)
a
직선의 방정식을 양변에 각각 a를 곱하면
2x+3y-4+k(3x-2y+7)=0`(k+0)이라 하자. yy ㉠ 2aÛ`+5a=6a+6, 2aÛ`-a-6=0
이 직선이 점 (3, 0)을 지나므로 (a-2)(2a+3)=0
1 ∴ a=2 (∵ a>0)
6-4+k(9+7)=0, 2+16k=0   ∴ k=-
8
1
k=-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8
1
2x+3y-4- (3x-2y+7)=0
8
13x+26y-39=0 679  ④

∴ x+2y-3=0 점 A를 지나는 직선 중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선분 BC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TIP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두 직선 ax+by+c=0, a'x+b'y+c'=0의 교점을 지나는
{ }, 즉 (1, 2)이다.
-4+6 1+3
직선의 방정식은 ax+by+c+k(a'x+b'y+c')=0 (k는 실수)로 ,
2 2
나타낼 수 있다. y
이때, k=0이면 직선 ax+by+c=0을 나타내고, 위의 직선의 A
방정식으로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 중 직선
C
a'x+b'y+c'=0만 나타낼 수 없다.
B M

O x

따라서 직선 AM의 방정식은


2-5
y-2= (x-1), y=3x-1
1-2
678  ②
∴ 3x-y-1=0
세 점 (-2, -4), (a-2, 2), (a-1, 2a+1)이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두 점 (-2, -4), (a-2,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두 점 (a-2, 2), (a-1, 2a+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서로
같다.
{a-1,`2a+1}
680  ⑤

직선 2x-y+7=0, 즉 y=2x+7에 평행한 직선은


{a-2,`2} 이 직선과 기울기가 같으므로 기울기가 2이다.
점 (-1, 3)을 지나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2(x+1)
∴ y=2x+5
{-2,`-4}
다른 풀이
2-(-4) 2a+1-2
즉, = 에서 직선 2x-y+7=0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a-2-(-2) a-1-(a-2)
6 2x-y+k=0이라 하면 (k는 실수, k+7) yy TIP
=2a-1
a 이 직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양변에 각각 a를 곱하면 -2-3+k=0  
6=a(2a-1) ∴ k=5
2aÛ`-a-6=0, (a-2)(2a+3)=0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a=2 (∵ a>0) 2x-y+5=0에서 y=2x+5이다.

138 수학 <상>
TIP 682  ②
직선 ax+by+c=0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삼각형 ABC가 ∠A=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ax+by+k=0 (k는 실수, k+c)로 놓을 수 있다. 두 직선 AB와 AC가 서로 수직이다.
[증명] 두 직선 AB, AC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직선 ax+by+c=0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1-4 2-4
_ =-1, 6=-(t-4)
a' b' c' 5-4 t-4
a'x+b'y+c'=0이라 하면 = + 이다.
a b c ∴ t=-2
a' b'
이때, = =m (m+0)이라 하면 다른 풀이
a b
a'=am, b'=bm, c'+cm이므로 삼각형 ABC가 ∠A=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직선 a'x+b'y+c'=0은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mx+bmy+km=0 (k는 실수, k+c)에서 ABÓ Û`+ACÓ Û`=BCÓ Û`
ax+by+k=0이다. {1Û`+(-3)Û`}+{(t-4)Û`+(-2)Û`}=(t-5)Û`+1Û`
tÛ`-8t+30=tÛ`-10t+26, 2t=-4
∴ t=-2

681  ① 683  ③

직선 3x-y+2=0, 즉 y=3x+2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직선 y=ax+2에서 직선 ax-y+2=0 yy ㉠


1 직선 ㉠이 직선 bx-3y-3=0과 수직이므로
- 이다.
3 yy TIP 1
a_b+(-1)_(-3)=0   ∴ ab=-3
점 (2, 1)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또한 직선 ㉠이 직선 (b-2)x+y-4=0과 평행하므로
1 1 5
y-1=- (x-2)   ∴ y=- x+ a -1 2
3 3 3 = + 에서 a=-(b-2), 즉 a+b=2
b-2 1 -4
5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이다. ∴ aÛ`+bÛ`=(a+b)Û`-2ab=2Û`-2_(-3)=10
3
다른 풀이
다른 풀이
b b
직선 3x-y+2=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직선 bx-3y-3=0은 y= x-1이므로 기울기가 이다. 도
3 3

x+3y+k=0이라 하면 (k는 실수) yy TIP 2 따라서 직선 y=ax+2가 이 직선과 수직일 때 의
점 (2, 1)을 지나므로 방
b
2+3+k=0   ∴ k=-5 a_ =-1에서 ab=-3이다. 정
3 식
5 직선 (b-2)x+y-4=0은 y=(2-b)x+4이므로
따라서 직선 x+3y-5=0에서 구하는 y절편은 이다.
3
기울기가 2-b이다.
TIP 1 따라서 직선 y=ax+2가 이 직선과 평행할 때
수직인 두 직선의 기울기를 m, m'이라 하면 a=2-b에서 a+b=2이다.
1 ∴ aÛ`+bÛ`=(a+b)Û`-2ab=2Û`-2_(-3)=10
mm'=-1이므로 m'=- 이다.
m

TIP 2 684   풀이 참조
직선 ax+by+c=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은 직선 AB와 수직이고, 선분 AB의
bx-ay+k=0 (k는 실수)로 놓을 수 있다.
중점을 지나므로 다음과 같다.
[증명]
y
직선 ax+by+c=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a'x+b'y+c'=0이라 하면 aa'+bb'=0이다. B{3,`3}

a' -b'
aa'=-bb'에서 = =m (m+0)이라 하면
b a
a'=bm, b'=-am이므로 직선 a'x+b'y+c'=0은 A{-1,`1}
c' O x
bmx-amy+c'=0에서 bx-ay+ =0이다.
m
3-1 1
c'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므로
은 실수이므로 k라 하면 bx-ay+k=0이다. 3-(-1) 2
m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39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y
A{-1,`3}
{ }, 즉 (1, 2)이므로
-1+3 1+3
,
2 2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O P{x,`y}
y-2=-2(x-1)에서 y=-2x+4이다. x

채점 요소 배점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 구하기 30 % B{2,`-3}
선분 AB의 중점 구하기 30 % 두 점 A(-1, 3), B(2, -3)의 중점의 좌표는

{ }, 즉 { , 0}이고,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1+2 3+(-3) 1
,
2 2 2
-3-3
직선 AB의 기울기는 =-2이므로
2-(-1)
685  ① 1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2
점 A(0, 4)에서 직선 2x-3y-1=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y= {x- }, y= x-
1 1 1 1
A 4 2 2 2 4
2x-3y-1=0
∴ 2x-4y-1=0
다른 풀이

H 두 점 A(-1, 3), B(2, -3)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은 점을


O
x P(x, y)라 하자.
y
A{-1,`3}
점 H는 점 A를 지나고 직선 2x-3y-1=0과 수직인 직선과 직선
2x-3y-1=0의 교점이다.
2 O
P{x,`y}
직선 2x-3y-1=0의 기울기가 이므로
3 x
3
이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2
3 B{2,`-3}
따라서 점 A(0, 4)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2 PAÓ=PBÓ이므로 PAÓ Û`=PBÓ Û`에서
3 (x+1)Û`+(y-3)Û`=(x-2)Û`+(y+3)Û`
y=- x+4에서 3x+2y-8=0이다.
2
2x-6y+10=-4x+6y+13, 6x-12y-3=0
이때, 점 H(a, b)는 두 직선 2x-3y-1=0, 3x+2y-8=0의
∴ 2x-4y-1=0
교점이므로
2a-3b-1=0, 3a+2b-8=0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이므로 H(2, 1)이다.
∴ a+b=3 687  ②
다른 풀이 점 (-1, 2)와 직선 3x-4y+1=0 사이의 거리는
점 A를 지나고 직선 2x-3y-1=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3_(-1)-4_2+1| 10
= =2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Ã3Û`+(-4)Û` 5

직선 2x-3y-1=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3x+2y+k=0 (k는 실수)라 하면
직선 3x+2y+k=0이 점 (0, 4)를 지나므로
k+8=0   ∴ k=-8
688  ②

∴ 3x+2y-8=0 x+ky-2(k-1)=0에서 k(y-2)+x+2=0 yy ㉠


이 직선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는 k에 대한
항등식 ㉠을 만족시키므로 y-2=0, x+2=0에서

686  ③ x=-2, y=2, 즉 P(-2, 2)이다.


점 P(-2, 2)와 직선 x-3y+a=0 사이의 거리는
두 점 A(-1, 3), B(2, -3)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은 점의 |-2-3_2+a|
='1Œ0이므로
자취는 두 점 A(-1, 3), B(2, -3)의 중점을 지나고 직선 AB와 "Ã1Û`+(-3)Û`
수직인 직선이다. |a-8|=10에서 a-8=Ñ10

140 수학 <상>
∴ a=18 또는 a=-2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36이다.
692  ③

a c
직선 ax+by+c=0, 즉 y=- x- 의 그래프에서
b b
이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이 모두 양수이므로
689  ④
-
a
b
a
>0에서 <0 
b
yy ㉠
직선 x-3y+1=0 위의 임의의 점과 직선 x-3y+5=0 사이의 c c
- >0에서 <0  yy ㉡
거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yy TIP b b
y b a b a
x-3y+5=0 ㉡에서 <0이므로 _ = >0 yy ㉢
c b c c
x-3y+1=0 b c
이때, 직선 bx-ay+c=0, 즉 y= x+ 에서
a a
b c
<0, >0이므로 (∵ ㉠, ㉢)
-1 O x a a
직선 bx-ay+c=0은 다음과 같다.
직선 x-3y+1=0이 점 (-1, 0)을 지나므로 y
점 (-1, 0)과 직선 x-3y+5=0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1-3_0+5| 4 2'1Œ0
= = 이다.
'1Œ
bx-ay+c=0
"Ã1Û`+(-3)Û` 0 5

TIP x
O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두 직선 중 한 직선 위의 임의의
점과 다른 직선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직선 bx-ay+c=0이 지나지 않는 사분면은
그러므로 한 직선 위의 점 중 구하기 쉬운 점을 적당히 하나 제 3 사분면이다.
정해서 그 점과 다른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693  ①

직선 x+y-4=0이 x축, y축과 각각 만나는 점을 A, B라 하면


A(4, 0), B(0, 4)이고 직선 x+y-4=0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
690  ④
삼각형 OAB는 다음과 같다.


y 방
두 점 (-3, -2), (1, 6)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정
B {k+1}x+ky-4k-2=0
6-(-2) 4

y-6= (x-1)에서 2x-y+4=0이다.
1-(-3)
직선 2x-y+4=0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OPÓ의 최솟값은 {2,`2}
점 O(0, 0)과 직선 2x-y+4=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A
구하는 값은 O 4 x
|2_0-0+4| 4 4'5 x+y-4=0
= =
"Ã2Û`+(-1)Û` '5 5 (k+1)x+ky-4k-2=0에서 k(x+y-4)+x-2=0
이 직선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는
x+y-4=0, x-2=0에서 x=2, y=2이므로 (2, 2)이다.

691   3x-4y+13=0, 3x-4y-17=0 이때, 점 (2, 2)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직선 (k+1)x+ky-4k-2=0이 삼각형 OAB의 넓이를
직선 3x-4y+1=0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이등분하기 위해서는 원점 O를 지나야 한다.
3x-4y+a=0 (a는 실수)이라 하자. 즉, -4k-2=0
점 (2, 1)과 직선 3x-4y+a=0 사이의 거리는 1
∴ k=-
|3_2-4_1+a| |a+2| 2
=
"Ã3Û`+(-4)Û` 5
|a+2|
=3에서 |a+2|=15, a+2=Ñ15
5
∴ a=13 또는 a=-17 694  ③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3x+2y-6=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은
3x-4y+13=0, 3x-4y-17=0이다. 각각 P(2, 0), Q(0, 3)이므로 다음과 같다.

Ⅲ. 도형의 방정식 141


y y mx-y-3m+2=0
3x+2y-6=0 y=ax

3Q A P{3,`2}

R -3 O x

2x+y+6=0

O P B -6
2 x

2 P(3, 2)라 하면 두 직선 2x+y+6=0, mx-y-3m+2=0이


삼각형 OPR의 넓이가 삼각형 OPQ의 넓이의 배이므로
3 제 3 사분면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2 직선 mx-y-3m+2=0의 기울기 m이 직선 AP의
PRÓ=  PQÓ에서 PRÓ`:`RQÓ=2`:`1이다.
3
기울기보다는 크고 직선 BP의 기울기보다는 작아야 한다.
즉, 점 R는 선분 PQ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0 1
2 직선 AP의 기울기는 =
R{ , 2}이다. 3-(-3) 3
3
2-(-6) 8
2 직선 BP의 기울기는 =
따라서 직선 OR의 방정식은 y= x=3x이다. 3-0 3
;3@; 1 8 1 8
즉, <m< 에서 a= , b=
3 3 3 3
∴ a=3
b
∴ =8
a

695  ⑤ 697   41

직선 l`:`kx+3y-5k=0이라 하자. 점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점 D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k(x-5)+3y=0에서 이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발을 D'이라 하면 세 삼각형 AOB, BC'C, DD'A는 서로 합동이다.
점 (5, 0)을 지난다. y
y D' 4 D
3
4 A A
C
4
3
-2 3 P x
O 3 B 4 C'
O 5 x
-1
B
따라서 두 점 C, D의 좌표는 각각 (7, 3), (4, 7)이다.
P(5, 0)이라 하면 직선 l이 선분 AB와 만나기 위해서는 구하는 직선 CD의 방정식은
직선 l의 기울기가 직선 AP의 기울기보다 크거나 같고, 7-3
y-3= (x-7), 즉 4x+3y-37=0이므로
직선 BP의 기울기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4-7
0-4 a=4, b=-37
직선 AP의 기울기는 =-2
5-3 ∴ a-b=41
0-(-1) 1
직선 BP의 기울기는 = 다른 풀이
5-(-2) 7
k 두 점 C, D 중 한 점의 좌표만 구해서 직선 CD의 방정식을 다음과
직선 l의 기울기는 - 이므로
3 같이 구할 수 있다.
k 1 두 직선 AB, CD는 서로 평행하다.
-2É- É
3 7
4 4
3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CD의 기울기도 - 이고
∴ - ÉkÉ6 3 3
7
직선 CD는 점 C(7, 3)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4
y-3=- (x-7)   ∴ 4x+3y-37=0
3
따라서 a=4, b=-37이므로
696  8 a-b=41
직선 2x+y+6=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3, 0), B(0, -6)이다.
mx-y-3m+2=0에서 (x-3)m+(2-y)=0 698   y= 11
3
9
x, y= x
7

이 직선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3, 2)를 지난다. A(-1, 3)이므로 점 C가 제 1 사분면 위에 있도록 정사각형

142 수학 <상>
OABC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PAÓ+PBÓ+PCÓ+PDÓ는 점 P가 점 Q에 위치할 때,
y 최솟값을 갖는다.
3 B1 직선 AC의 방정식은
1
A 3 1-5 4 7
y-1= (x-1)   ∴ y=- x+  yy ㉠
3 1-(-2) 3 3
3 직선 BD의 방정식은
C
1 9-1 4
y-1= (x+3)   ∴ y= x+5 yy ㉡
-1 1 O 3 x 3-(-3) 3
11
이때, 두 점 A, C를 각각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 및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
3
점 B를 지나고 y축에 수직인 직선을 그렸을 때, 세 직선과 x축으로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1, }이다.
11
둘러싸인 정사각형과 정사각형 OABC에 의해 만들어지는 색칠한 3
네 삼각형이 서로 합동임을 이용하여 두 점 B, C의 좌표를 구하면
B(2, 4), C(3, 1)이다.
y

D
B{2,`4} 700  ②

A{-1,`3} E l`:`(k-1)x+(2k+1)y-6k=0 yy ㉠
ㄱ. ‌k=1일 때, ㉠에서 3y-6=0, 즉 y=2이다.
C{3,`1} 그러므로 직선 l은 x축에 평행하다. (참)
ㄴ. ‌㉠에서 (x+2y-6)k-x+y=0 yy ㉡
O x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는
점 O를 지나면서 정사각형 OABC의 넓이를 3등분하는 x+2y-6=0, -x+y=0을 연립하여 풀면
두 직선이 선분 AB, BC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라 하자. x=2, y=2이므로 (2, 2)이다.
OAÓ='1Œ0이므로 정사각형 OABC의 넓이는 10이다. 그러므로 직선 l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2, 2)를 지난다.
ADÓ=k라 하면 삼각형 OAD의 넓이는 정사각형 OABC의 (참)
1 ㄷ. ‌㉡에서 직선 x+2y-6=0을 만드는 실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넓이의 이므로
3
그러므로 직선 l은 두 직선 x+2y-6=0, x-y=0의 교점을 
1 1 2'1Œ0
_'1Œ0_k= _10   ∴ k= 지나는 직선 중 직선 x+2y-6=0을 제외한 직선을 나타낸다. 
2 3 3
그러므로 점 D는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고,  (거짓) 도

마찬가지로 점 E는 선분 BC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의
4+(-1) 8+3 방
점 D의 좌표는 { }   ∴ D{1, }
11
, 정
3 3 3 식

점 E의 좌표는 { }   ∴ E{ , 3}
3+4 1+8 7
3
,
3 3 701   2'2
11 9
직선 OD의 방정식은 y= x, 직선 OE의 방정식은 y= x이다. 직선 lÁ의 기울기를 a (a>0)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직선 lª의 기
3 7
11 9 울기는 4a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직선의 방정식은 y= x, y= x이다.
3 7 이때, 직선 x=1이 x축 및 두 직선 lÁ, lª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699  ⑤ y
C
l™

선분 AC와 선분 BD의 교점을 Q라 하자.


PAÓ+PCÓ¾ACÓ, PBÓ+PDÓ¾BDÓ 이고, l¡
B
ACÓ=QAÓ+QCÓ, BDÓ=QBÓ+QDÓ 이므로
PAÓ+PBÓ+PCÓ+PDÓ¾QAÓ+QBÓ+QCÓ+QDÓ이다. A
O x
y x=1
B{3,`9}
ABÓ=a, ACÓ=4a이므로 ABÓ`:`BCÓ=1`:`3이다.
조건 ㈏에 의하여 각 AOC의 이등분선이 직선 lÁ이므로
C{-2,`5}
Q P OAÓ`:`OCÓ=ABÓ`:`BCÓ=1`:`3
∴ OCÓ=3 (∵ OAÓ=1)
D{-3,`1} A{1,`1}
따라서 직각삼각형 OA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 x
OAÓ Û`+ACÓ Û`=OCÓ Û`이므로 1+(4a)Û`=9

Ⅲ. 도형의 방정식 143


1 '2 ADÓ=ABÓ에서 APÓ`:`ABÓ=1`:`3이므로 점 P는 선분 AB를 1`:`2로
aÛ`=    ∴ a= (∵ a>0)
2 2 내분하는 점이다.
∴ (직선 lª의 기울기)=4a=2'2
즉, 점 P의 좌표는 { , }이다.
1 4
3 3
점 Q는 선분 DP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Q의 좌표는

{ }   ∴ Q{ , }
1+2 4+3 3 7
702  ③ 4
,
4 4 4
5
직선 l의 기울기를 k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 m+n=
2
y-2=k(x-4)에서 y=k(x-4)+2이므로
D(0, -4k+2), E(6, 2k+2)이다.
사다리꼴 DOAE의 넓이는
1 1
_(ODÓ+AEÓ)_OAÓ= {(-4k+2)+(2k+2)}_6
704  ④
2 2
점 (a, b)가 직선 3x+4y-2=0 위를 움직이므로
=6(-k+2)
3 1
한편, 직사각형 OABC의 넓이가 6_3=18이므로 3a+4b-2=0에서 b=- a+ 이다.
4 2
3 54
사다리꼴 DOAE의 넓이는 18_ = 이다. 점 (a+b, a-b)는 점 { a+ , a- }이므로
1 1 7 1
5 5 4 2 4 2
54 1 1
즉, 6(-k+2)= 이므로

[
5 a+ =X                    yy ㉠
4 2
1  
k= 7 1
5 a- =Y yy ㉡
4 2
라 하자.
4 2
㉠에서 a=4X-2, ㉡에서 a= Y+ 이므로
7 7
703  ①
4 2
4X-2= Y+    ∴ 7X-Y-4=0
7 7
네 점 A(0, 2), B(1, 0), C(3, 1), D(2, 3)을 꼭짓점으로 하는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방정식은 7x-y-4=0이다.
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다른 풀이 1
x y
직선 AB의 방정식은 + =1에서 y=-2x+2이므로 점 P의
1 2 점 (a, b)가 직선 3x+4y-2=0 위를 움직이므로
좌표를 (a, -2a+2) (a는 실수)라 하자. 3a+4b-2=0 yy ㉠
선분 DP를 3`:`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점 (a+b, a-b)에서 a+b=X, a-b=Y라 하면
3a+2 3(-2a+2)+3
{ }   ∴ Q{ }
3a+2 -6a+9 X+Y X-Y
, , a= , b= 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4 4 4 4 2 2
1-2 1 3(X+Y) 4(X-Y)
이때, 직선 AC의 방정식은 y= x+2에서 y=- x+2이고, + -2=0
3-0 3 2 2
점 Q가 직선 AC 위의 점이므로 3(X+Y)+4(X-Y)-4=0
-6a+9 1 3a+2 ∴ 7X-Y-4=0
=- _ +2 
4 3 4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방정식은 7x-y-4=0이다.
-3a+22
=
12 다른 풀이 2
1 점 (a, b)가 직선 3x+4y-2=0 위의 임의의 점이므로
-3a+22=-18a+27, 15a=5   ∴ a=
3
이 직선 위의 두 점 {0, }, { , 0}에 대하여
1 2
따라서 Q{ , }이므로
3 7 2 3
4 4
점 (a+b, a-b)의 자취는
5
m+n=
두 점 {0+ , 0- }과 { +0, -0},
2 1 1 2 2
2 2 3 3
다른 풀이
즉 두 점 { , - }과 { , }를 지난다.
1 1 2 2
네 점 A(0, 2), B(1, 0), C(3, 1), D(2, 3)을 꼭짓점으로 하는 2 2 3 3
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방정식은

-{- }
대각선 AC는 각 A를 이등분하므로 삼각형 APD에서 2 1
{x- 1 }, y+ 1 =7{x- 1 }
1 3 2
APÓ`:`ADÓ=PQÓ`:`QDÓ y+ =
2 2 1 2 2 2
-
이때, 점 Q가 선분 DP를 3`:`1로 내분하므로 3 2
APÓ`:`ADÓ=PQÓ`:`QDÓ=1`:`3이다. ∴ 7x-y-4=0

144 수학 <상>
705  ④ (a-8)Û`=35   ∴ a=8-'3Œ5 (∵ 1<a<8)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8-'3Œ5이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y+1=-(x-2)에서 y=-x+1 다른 풀이
점 P가 직선 AB 위의 점이므로 P(a, -a+1)이라 하고, 점 Q의
직선 PQ의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좌표를 (X, Y)라 하면 점 Q가 두 점 (a, -a+1), (4, 3)을 이은
y x=a
선분을 2`:`1로 내분한다.
y A 1 D P B
C Q
-2 O 1 8 x
2 1
{4,`3} 직선 x=1이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두 삼각형
P Q
BPQ, BDC는 닮음이다.
O x
1 7
삼각형 BDC의 넓이는 _7_1= 이므로
y=-x+1 2 2
5 7
즉, 점 (X, Y)는 { }이므로 { }
8+a 6+(-a+1) 8+a -a+7 두 삼각형 BPQ, BDC의 넓이의 비는 `:` =5`:`7
, , 2 2
3 3 3 3
8+a 즉, 두 삼각형 BPQ, BDC의 닮음비는 '5`:`'7이다.
X= 에서 a=3X-8이고,
3 BPÓ`:`BDÓ='5`:`'7에서
-a+7 '5 '5
Y= 에서 a=-3Y+7이므로 BPÓ=   BDÓ= _7='3Œ5
3 '7 '7
3X-8=-3Y+7   ∴ X+Y-5=0 따라서 a=8-'3Œ5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자취의 방정식은 x+y-5=0이다.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8-'3Œ5이다.

TIP

706   x=8-'3Œ5 직선 x=1이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D라 할 때,


두 삼각형 ADC, BDC의 넓이의 비는 ADÓ`:`DBÓ=3`:`7이다.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직선 x=a가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직선
y x=a
x=1일 때보다 점 B에 더 가까워야 하므로 1<a<8이어야 한다.
A 1 P B
C Q

-2 O 1 8 x 형

삼각형 ABC의 밑변을 AB라 하면 707  ③ 방

ABÓ=8-(-2)=10이고, 높이는 1이므로 식
두 직선 y=ax+b, y=cx+d가 서로 수직이므로
1
삼각형 ABC의 넓이는 _10_1=5이다. 직선 y=ax+b와 평행한 직선 y=ax, 직선 y=cx+d와 평행한
2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직선 y=cx도 서로 수직 이다.
x=a라 하자. y
y=cx
1<a<8이므로 yy TIP
y=ax
직선 x=a가 두 선분 AB, BC와 만나는 점을 각각 P, Q라 하면 삼
5 P{1,`a}
각형 BPQ의 넓이가 이어야 한다. x
2 O
1-0 1
직선 BC의 방정식은 y= (x-1)에서 y= (x-1)이므로
8-1 7
Q{1,`c}
점 Q의 좌표는 {a,
1
(a-1)}이고, 점 P의 좌표는 (a, 1)이다.
7 이때, 직선 x=1과 두 직선 y=ax, y=cx의 교점을 각각 P, Q라
1 8-a 하면 P(1, a), Q(1, c)이다.
PQÓ=1- (a-1)= 이고 BPÓ=8-a이므로
7 7
원점 O에 대하여 삼각형 POQ는 직각삼각형이므로
1
(삼각형 BPQ의 넓이)= _BPÓ_PQÓ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
1 8-a OPÓ Û`+OQÓ Û`=PQÓ Û`
= _(8-a)_ 
2 7 OPÓ Û`=1+aÛ`, OQÓ Û`=1+cÛ`, PQÓ Û`=(a-c)Û`이므로
(8-a)Û` (1+aÛ`)+(1+cÛ`)= (a-c)Û`
=
14
aÛ`+cÛ`+2=aÛ`-2ac+cÛ`, 2=-2ac
(8-a)Û` 5
즉, = 이므로 ∴ ac=-1
14 2

Ⅲ. 도형의 방정식 145


(k+3)(k-1)
708   15
14

-(k+3)
,
k-4
-(k-1)
이므로

두 직선 kx+y-1=0, 5x+(2k-3)y+5=0이 서로 평행하려면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려면


k 1 -1 (k+3)(k-1) k-4
= + 에서 yy ㉠ _ =-1에서
5 2k-3 5 -(k+3) -(k-1)
k(2k-3)=5 k-4=-1   ∴ k=3
2kÛ`-3k-5=0, (k+1)(2k-5)=0 Û k+3=0 또는 k-1=0일 때
5 k=-3인 경우, (k+3)(k-1)x+(k+3)y=2는
∴ k=-1 또는 k=
2 직선의 방정식이 아니다.
k 1 -1 1 1
Ú k=-1이면
‌ = = 이므로 ㉠ 을 만족시키지 않고, k=1인 경우, 두 직선은 각각 y= , x= 이므로
5 2k-3 5 2 3
이때 두 직선은 일치한다. 서로 수직이다.
5
Û k= 이면 ㉠을 만족시키므로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Ú, Û에서 두 직선이 수직이 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2
3+1=4이다.
5
Ú, Û에 의하여 a=
2
두 직선 kx+y-1=0, 5x+(2k-3)y+5=0이 서로 수직이려면
k_5+1_(2k-3)=0에서 7k-3=0이므로 710   50

3 마름모 ABCD에서 두 대각선 AC, BD는 서로를 수직이등분한다.


b=
7
A
5 3 15
∴ ab= _ =
2 7 14
B D
다른 풀이

직선 kx+y-1=0은 기울기가 -k이고,


C
-5
직선 5x+(2k-3)y+5=0은 기울기가 이다. 두 선분 AC, BD의 중점이 서로 같으므로
2k-3
-2+q 1+8 p+1 4+r
Ú ‌두 직선이 평행할 때 점{ , }과 { , }가 일치한다.
2 2 2 2
-5
-k= 에서 2kÛ`-3k-5=(2k-5)(k+1)=0 -2+q=p+1에서 q=p+3 yy ㉠
2k-3
5 9=4+r에서 r=5
∴ k= 또는 k=-1
2 두 직선 AC, BD는 서로 수직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5 5 -1이다.
k= 일 때 두 직선은 각각 x+y-1=0,
2 2
8-1 r-4
5x+2y+5=0이므로 서로 평행하고, k=-1일 때 두 직선은 _ =-1에서 (q+2)(p-1)=7 (∵ r=5)
q-(-2) 1-p
각각 -x+y-1=0, 5x-5y+5=0이므로 일치한다. ㉠을 대입하면 (p+5)(p-1)=7
5 pÛ`+4p-12=0, (p+6)(p-2)=0
∴ a=
2
∴ p=2 (∵ p>0), q=5
Û ‌두 직선이 수직일 때
∴ pqr=2_5_5=50
-5 3
-k_ =-1에서 5k=-2k+3, k= 
2k-3 7
3
∴ b= 
7 711  ③
5 3 15
Ú, Û에서 ab= _ = ㄱ. a=0일
‌ 때 l`:`y=2, m`:`x=-2이므로 두 직선 l과 m은 서로
2 7 14
수직이다. (참)
ㄴ. l`:`ax-y+a+2=0에서
‌ a(x+1)-y+2=0이므로
직선 l은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2)를 지난다. (거짓)
709  ④ ㄷ. a=0일
‌ 때, ㄱ에서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4
직선 (kÛ`+2k-3)x+(k+3)y=2에서 a+0일 때, 두 직선 l, m의 기울기는 각각 a, - 이므로 두
a
(k+3)(k-1)x+(k+3)y=2 yy ㉠ 4
직선이 서로 평행하기 위해서는 a=- 를 만족시켜야 한다. 
직선 ㉠과 직선 (k-4)x+(k-1)y=-1이 수직이 되는 경우는 a
다음과 같다. aÛ`=-4를 만족시키는 실수 a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두 직선이
Ú k+3+0, k-1+0일 때 서로 평행하기 위한 실수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
두 직선의 기울기는 각각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46 수학 <상>
712  ⑤
B
y y=2x+1

P
두 직선 (k+4)x+2(k+2)y+1=0,
(4-k)x+4(k+2)y+2=0이 서로 평행하려면 A{5,`1}
k+4 2(k+2) 1
Ú k+-2일 때, = + 이어야 한다.
4-k 4(k+2) 2 O x
2(k+2) 1
이때,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직선 AP와 직선 y=2x+1이 수직이므로
4(k+2) 2
Û k=4일 때, 두 직선은 각각 8x+12y+1=0, 24y+2=0에서 직선 AP의 방정식은
1 1
8x+12y+1=0, y=- 이므로 서로 평행하지 않다. y-1=- (x-5)  
12 2
Ü k=-2일 때, 두 직선은 각각 2x+1=0, 6x+2=0에서 ∴ x+2y-7=0
1 1 두 직선 x+2y-7=0, y=2x+1의 교점이 P이므로
x=- , x=- 이므로 서로 평행하다.
2 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3에서 P(1, 3)이다.
Ú ~ Ü에서 k=-2이고, 이때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APÓ`:`BPÓ=2`:`1이고, 점 P가 선분 AB 위에 존재하므로
m=|- -{- }|= 이다.
1 1 1 점 B는 선분 AP를 3`:`1로 외분하는 점이다.
3 2 6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 }, 즉 (-1, 4)이므로
3-5 9-1
1 11 ,
∴ k+m=-2+ =- 2 2
6 6
a=-1, b=4   ∴ a+b=3

713  ④
715  ③

A(0, 1), l`:`2x+(k-1)y+6=0이라 하고,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점 A를 지나는 직선과 직선 l이 x축 위에서 만나는 점을 B라 하자. 직선 BD는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 y
l D
A{3,`1}
A
1 O x

B O x 형
C{5,`-3}
B 의

2x+(k-1)y+6=0에 y=0을 대입하면 x=-3이므로 정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가 { }, 즉 (4, -1)이고,
3+5 1+(-3) 식
,
B(-3, 0)이다. 2 2
즉, 직선 AB와 직선 l은 점 (-3, 0)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3-1
직선 AC의 기울기가 =-2이므로
5-3
1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므로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3
직선 l의 기울기는 -3이다. 1
y+1= (x-4)  
2
2 6
l`:`2x+(k-1)y+6=0에서 y=- x- 이므로 1
k-1 k-1 ∴ y= x-3
2
2 2
- =-3, k-1= 즉, 두 점 B, D를 지나는 직선 위의 임의의 점 (x, y)는
k-1 3
5 x=2y+6을 만족시킨다.
∴ k=
3 이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참고 등식 axÛ`+yÛ`+bx+cy+3=0이 성립해야 하므로
위의 풀이에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 l의 방정식은 a(2y+6)Û`+yÛ`+b(2y+6)+cy+3=0
3x+y+9=0이고, 직선 AB의 방정식은 x-3y+3=0이다. 즉, (4a+1)yÛ`+(24a+2b+c)y+36a+6b+3=0에서
이 식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a+1=0, 24a+2b+c=0, 36a+6b+3=0
1
4a+1=0에서 a=-
714  ③
4
36a+6b+3=0에서 b=1
선분 AB와 직선 y=2x+1이 수직으로 만나는 점이 P이므로 점 24a+2b+c=0에서 c=4
A에서 직선 y=2x+1에 내린 수선의 발이 P이다. ∴ abc=-1

Ⅲ. 도형의 방정식 147


점 B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이 점 B(b, 0)을 지나므로
716  ②
c
그 방정식은 y= (x-b)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수직일 때 세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a
직각삼각형이 된다. a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이므로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b
두 직선 2x-y=0과 x+y-1=0은 서로 수직이 아니므로
b
직선 ax-y+3=0이 직선 2x-y=0 또는 직선 x+y-1=0과 기울기는 이다.
a
수직일 때 세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직각삼각형이 된다.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이 점 C(c, 0)을 지나므로
Ú 직선 ax-y+3=0이 직선 2x-y=0과 수직일 때 b
그 방정식은 y= (x-c)
두 직선의 기울기가 각각 a, 2이므로 a
1 c b
2a=-1   ∴ a=- 두 직선 y= (x-b), y= (x-c)의 교점의 x좌표는
2 a a
Û 직선 ax-y+3=0이 직선 x+y-1=0과 수직일 때 c b
(x-b)= (x-c)에서
a a
두 직선의 기울기가 각각 a, -1이므로
cx=bx   ∴ x=0 (∵ b+c)
-a=-1   ∴ a=1
즉, 교점의 좌표는 {0, - }이다.
bc
Ú, Û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a
1 1 이 점이 직선 x=0 위에 있으므로 세 수선이 한 점에서
- +1=
2 2
만난다.

채점 요소 배점
717  ④
점 A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방정식 구하기 10 %

삼각형 OAB의 넓이를 이등분하고 선분 AB와 평행한 직선이 선분 점 B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

OA, OB와 만나는 점을 각각 C, D라 하면 두 삼각형 OCD, 점 C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

OAB는 닮음이다. 세 수선이 한 점에서 만남을 설명하기 30 %


y
A{-1,`5}
참고

임의의 삼각형 ABC에 대하여 점 A가 y축 위, 변 BC가 x축


C B{5,`3}
위에 오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을 수 있으므로 위 문제의 결과에
D
의하여 임의의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서 각 대변 또는
x 대변의 연장선에 내린 세 수선은 항상 한 점에서 만난다.
O

이때,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가 1`:`2이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1`:`'2이어야 한다.
따라서 선분 OA를 1`:`('2-1)로 내분하는 점이 C이므로
점 C의 좌표는
719   { 73 , 73 }

1_(-1)+('2-1)_0 1_5+('2-1)_0 세 꼭짓점 O, A, B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 }
1+('2-1) 1+('2-1) O', A', B'이라 하자.
'2 5'2
∴ {- }
y
, A{2,`4}
2 2
3-5 1 O'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므로 B'
5-(-1) 3
직선 AB와 평행한 직선 CD의 방정식은
5'2 '2 B{5,`1}
=- {x+ }
1
y-
2 3 2 A'
'2 5'2 7'2
O x
따라서 이 직선의 y절편은 - + = 이다.
6 2 3 1-4
직선 AB의 기울기가 =-1이므로
5-2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 OO'의 방정식은 y=x
718   풀이 참조
직선 OA의 기울기가
4
=2이므로
2
점 A에서 직선 BC에 내린 수선의 방정식은 x=0이다.
직선 OA와 수직인 직선 BB'의 방정식은
a
직선 AC의 기울기가 - 이므로 점 B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1 1 7
c y-1=- (x-5)   ∴ y=- x+
2 2 2
c
기울기는 이다. 두 직선 OO', BB'의 교점의 x좌표는
a

148 수학 <상>
직선 n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 , 0}을 지나고, 두 직선 l,
1 7 7 4
x=- x+ 에서 x=
2 2 3 3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 }이다.


7 7 m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3 yy TIP
y
m:x-y=4
TIP
2
718번의 참고  에 의하여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은 한 점에서 만나므로 삼각형의 세 꼭짓점 중 두 O 2 4 x


꼭짓점에서 대변에 내린 두 수선의 교점을 구하면 된다.
한편, 직선 AA'의 방정식은 y=-5x+14이고, -4
l:x+y=2
점 { , }은 직선 AA' 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7 7
3 3 4
k=0일 때, 직선 n`:`x=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세 직선
3
l, m, n은 삼각형을 이룬다.
y n
720  ④ m

1
두 직선 x+2y=0, 2x-y=0은 각각 y=- x, y=2x이므로
2
O x
서로 수직이고, 모두 원점을 지난다.
직선 kx-y+6k+3=0에서 k(x+6)-(y-3)=0이므로
이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6, 3)을 지나고,
l
기울기가 양수 k인 직선이다.
3
따라서 주어진 세 직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k+0일 때, 세 직선 l, m, n의 기울기는 각각 -1, 1, 이고,
k
y y=2x 두 직선 l, m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세 직선 l, m, n이
kx-y+6k+3=0
B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yy TIP
1
y=- x A Ú 직선 n이 직선 l 또는 직선 m에 평행한 경우
2 3
y y
m n m
-6 O x



O x   O x
B 방

1 식
A(-6, 3)이라 하면 점 A는 직선 y=- x 위의 점이다.
2 l l
두 직선 y=2x, kx-y+6k+3=0이 만나는 점을 n

B(a, 2a)라 하면 3
직선 n이 직선 l에 평행할 때, =-1에서 k=-3
k
OAÓ="Ã(-6)Û`+3Û`=3'5
3
OBÓ="ÃaÛ`+(2a)Û`='5|a| 직선 n이 직선 m에 평행할 때,
k
=1에서 k=3
삼각형 AOB의 넓이는 30이므로 Û 직선 n이 두 직선 l, m의 교점을 지나는 경우
1 1 y
_OAÓ_OBÓ= _3'5_'5|a|=30
2 2 m
∴ |a|=4
점 B가 직선 kx-y+6k+3=0 위의 점이므로
1 O x
점 B가 (4, 8)일 때, k=
2
11 n
점 B가 (-4, -8)일 때, k=-   
2 l
1 x+y=2, x-y=4를 연립하여 풀면 x=3, y=-1이므로 두
∴ k= (∵ k>0)
2
직선 l, m의 교점의 좌표는 (3, -1)이다.
직선 3x-ky=4가 점 (3, -1)을 지나므로

721   풀이 참조
9+k=4   ∴ k=-5
Ú, Û에서 가능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세 직선을 각각 l`:`x+y=2, m`:`x-y=4, n`:`3x-ky=4라 하자. (-3)×3×(-5)=45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49


채점 요소 배점 점 (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m(x-1)에서
k=0일 때에 대하여 확인하기 10 % mx-y-m+3=0 yy ㉠
세 직선으로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의 k의 값 구하기 원점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40 %
|-m+3|
⑴ 어느 두 직선이 평행한 경우 =1이므로 |-m+3|="ÃmÛ`+1
세 직선으로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의 k의 값 구하기 "ÃmÛ`+(-1)Û`
40 %
⑵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답 구하기 10 % 4
mÛ`-6m+9=mÛ`+1   ∴ m=
3
㉠에 대입하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4x-3y+5=0
TIP
Û 직선이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경우
서로 다른 세 직선에 의하여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는
점 (1, 3)을 지나는 직선 x=1은 원점에서의 거리가 1이다.
다음과 같다.
y 4x-3y+5=0
Ú 세 직선이 모두 서로 평행한 경우
Û 세 직선 중 두 직선만 서로 평행한 경우 {1,`3}
Ü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Ú     Û     Ü
1
O 1 x

x=1
Ú, Û에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4x-3y+5=0, x=1
722   풀이 참조
다른 풀이
Ú a+0,
‌ b+0일 때, 직선 l`:`ax+by+c=0의 기울기는 두 상수 a, b (aÛ`+bÛ`+0)에 대하여 점 (1, 3)을 지나는
-;bA; 이고, 점 P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직선의 방정식은
a(x-1)+b(y-3)=0 yy ㉠
H(xª, yª)라 하면 직선 PH와 직선 l이 수직이므로 ∴ ax+by-a-3b=0
yª-yÁ
-;bA; _ 원점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xª-xÁ =-1이다.
|-a-3b|
=1이므로 |-a-3b|="ÃaÛ`+bÛ`
xª-xÁ yª-yÁ "ÃaÛ`+bÛ`
이 식을 정리하여 = =k (k는 상수) yy ㉠
a b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Û`+6ab+9bÛ`=aÛ`+bÛ`
라 하면 3
b(3a+4b)=0에서 b=0 또는 b=- a
PHÓ="Ã(xª-xÁ)Û`+(yª-yÁ)Û`="Ã(ak)Û`+(bk)Û` 4
=|k|_ "ÃaÛ`+bÛ`  yy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b=0일 때, a(x-1)=0에서 x=1 (∵ a+0)
한편, 점 H가 직선 l 위의 점이므로 axª+byª+c=0이다.
3 3
㉠에 의하여 a(xÁ+ak)+b(yÁ+bk)+c=0이므로 b=- a일 때, a(x-1)- a(y-3)=0에서
4 4
axÁ+byÁ+c 4x-3y+5=0 (∵ a+0)
k= - 이다.
aÛ`+bÛ`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4x-3y+5=0, x=1
|axÁ+byÁ+c|
PHÓ= 이다. yy ㉢ TIP
"ÃaÛ`+bÛ`
기울기 m을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나타낼 때, y축에 평행한
Û a=0,
‌ b+0 또는 a+0, b=0일 때, 직선 ax+by+c=0은 x축
직선은 나타낼 수 없다.
또는 y축에 평행하고 이때에도 ㉢이 성립한다.
a axÁ+byÁ+c
따라서 ㈎`:`- , ㈏`:`"ÃaÛ`+bÛ`, ㈐`:`- ,
b aÛ`+bÛ`
|axÁ+byÁ+c|
㈑`:` 이다.
"ÃaÛ`+bÛ`
724   95

(x+y-2)(2x-y+3)=0은 직선 x+y-2=0 또는 직선
723   4x-3y+5=0, x=1
2x-y+3=0을 나타낸다.
Ú ‌직선이 x축 또는 y축에 평행하지 않은 경우 이때, xÛ`+yÛ`은 직선 위의 점 (x, y)와 원점 사이의 거리의 제곱과
직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yy TIP 같다.

150 수학 <상>
y y y=x-2
x+y-2=0 2x-y+3=0

3 O x
2 P{1,`-1}
3
- 2
2
O x

P(1, -1)이라 하고, 점 P를 지나는 직선을 l이라 하면


원점과 직선 x+y-2=0 사이의 거리는
직선 l이 직선 OP와 수직일 때,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2|
='2 최대이고 이때의 최댓값은 OPÓ='2 이므로 b='2이다.
"Ã1Û`+1Û`
직선 OP의 기울기가 -1이므로 직선 OP와 수직일 때 직선 l의
원점과 직선 2x-y+3=0 사이의 거리는
방정식은 y+1=x-1, 즉 x-y-2=0이다.
|3| 3
=
"Ã2Û`+(-1)Û` '5 두 직선 (k-1)x+(k+3)y+4=0과 x-y-2=0이 일치해야
9 k-1 k+3 4
따라서 xÛ`+yÛ`의 최솟값은 이다. 하므로 = = 에서
5 1 -1 -2
다른 풀이
k=-1   ∴ a=-1
∴ aÛ`+bÛ`=(-1)Û`+'2  Û`=3
(x+y-2)(2x-y+3)=0에서
x+y-2=0 또는 2x-y+3=0
Ú x+y-2=0일 때
xÛ`+yÛ`=xÛ`+(-x+2)Û`=2xÛ`-4x+4 726  ③
=2(x-1)Û`+2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므로 x=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1-1 1
=-
Û 2x-y+3=0일 때 5-(-1) 3
xÛ`+yÛ`=xÛ`+(2x+3)Û`=5xÛ`+12x+9 1
직선 x+3y-6=0의 기울기도 - 이므로
3
6 9
=5{x+ }Û`+ 직선 AB와 직선 x+3y-6=0은 서로 평행하다.
5 5
6 9 y
이므로 x=- 일 때 최솟값 를 갖는다.
5 5
x+3y-6=0
9 도
Ú, Û에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형
5 P 의
A

O x 정

B

725  3 따라서 직선 x+3y-6=0 위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삼각형 ABP의 넓이는 일정하다.
직선 k(x+y)-x+3y+4=0에서
이때, ABÓ="Ã6Û`+(-2)Û`=2'1Œ0이고,
(k-1)x+(k+3)y+4=0
점 A(-1, 1)과 직선 x+3y-6=0 사이의 거리가
원점 (0, 0)과 직선 (k-1)x+(k+3)y+4=0 사이의 거리는
|-1+3_1-6| 4
= 이므로 삼각형 ABP의 넓이는
4
 yy ㉠ "Ã1Û`+3Û` '1Œ0
"Ã(k-1)Û`+(k+3)Û` 1 4
_2'1Œ0_ =4
이 값이 최대가 되려면 분모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2 '1Œ0
즉, (k-1)Û`+(k+3)Û`=2kÛ`+4k+10=2(k+1)Û`+8에서
4
k=-1일 때 ㉠의 최댓값은 ='2이다.
'8
따라서 a=-1, b='2이므로 727   풀이 참조

aÛ`+bÛ`=3 ⑴ ‌두 점 A(xÁ, yÁ), B(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다른 풀이 yª-yÁ
y-yÁ= (x-xÁ)
xª-xÁ
직선 k(x+y)-x+3y+4=0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yª-yÁ
성립하려면 ⑵ ‌직선 AB의 방정식 y-yÁ= (x-xÁ)에서
xª-xÁ
x+y=0, -x+3y+4=0 (xª-xÁ)(y-yÁ)=(yª-yÁ)(x-xÁ)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yª-yÁ)x-(xª-xÁ)y-xÁ(yª-yÁ)+yÁ(xª-xÁ)=0
즉, 주어진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1)을 지난다. ∴ (yª-yÁ)x-(xª-xÁ)y-xÁ yª+xª yÁ=0

Ⅲ. 도형의 방정식 151


따라서 점 O(0, 0)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9
=36-9- -9
|-xÁ yª+xª yÁ| 2
"Ã(yª-yÁ)Û`+(xª-xÁ)Û` =
27
2
⑶ ‌삼각형 OAB의 밑변을 ABÓ라 하면
ABÓ="Ã(xª-xÁ)Û`+(yª-yÁ)Û` 이고, 
다른 풀이 2

높이는 점 O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므로 세 점 A(-1, 5), B(5, 2), C(2, -1)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
1 -1  5 
= | |
1 |-xÁ yª+xª yÁ| 2  -1
_"Ã(xª-xÁ)Û`+(yª-yÁ)Û` _  yy TIP
2 "Ã(yª-yÁ)Û`+(xª-xÁ)Û` 2 5  2  -1  5
1 1
= |xÁ yª-xª yÁ| = |(-2-5+10)-(25+4+1)|
2 2
27
채점 요소 배점 =
2
직선 AB의 방정식 구하기 20 %
원점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 구하기
TIP
40 %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식 설명하기 40 % 세 점 A(xÁ, yÁ), B(xª, yª), C(x£, y£)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참고 1
|(xÁ yª+xª y£+x£ yÁ)-(xª yÁ+x£ yª+xÁ y£)|이다.
2
삼각형 OAB의 넓이를 구할 때, 밑변을 OAÓ로 잡고, 점 B와
[증명]
직선 OA 사이의 거리를 높이로 하여 구해도 된다. 또는
삼각형 ABC의 밑변을 AB라 하면
밑변을 OBÓ로 잡고, 점 A와 직선 OB 사이의 거리를 높이로
ABÓ="Ã(xª-xÁ)Û`+(yª-yÁ)Û` 이고,
하여 구해도 된다.
두 점 A(xÁ, yÁ), B(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yª-yÁ
y-yÁ= (x-xÁ)에서
xª-xÁ
(yª-yÁ)x-(xª-xÁ)y-xÁ yª+xª yÁ=0이므로
728  ②
점 C(x£, y£)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삼각형 ABC에서 밑변을 ABÓ로 두면 |(yª-yÁ)x£-(xª-xÁ)y£-xÁ yª+xª yÁ|
ABÓ="Ã6Û`+(-3)Û`=3'5이고, "Ã(yª-yÁ)Û`+(xª-xÁ)Û`
삼각형 ABC의 높이는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다. |x£ yª+xÁ y£+xª yÁ-x£ yÁ-xª y£-xÁ yª|
=
두 점 A(-1, 5), B(5,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Ã(yª-yÁ)Û`+(xª-xÁ)Û`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5
y-2= (x-5)   1 |x£ yª+xÁ y£+xª yÁ-x£ yÁ-xª y£-xÁ yª|
5-(-1) _ABÓ_
∴ x+2y-9=0 2 "Ã(yª-yÁ)Û`+(xª-xÁ)Û`
점 C(2, -1)과 직선 x+2y-9=0 사이의 거리는 1
= |(xÁ yª+xª y£+x£ yÁ)-(xª yÁ+x£ yª+xÁ y£)|
2
|2-2-9| 9
=
'5
이다.
"Ã1Û`+2Û`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이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1 9 27
_3'5_ =
'5 1 |xÁ  xª  x£  xÁ |
2 2 ↘ 방향의 두 수의 곱을 모두 더한 것에서

2  yÁ  yª  y£  yÁ ↙ 방향의 두 수의 곱을 모두 더한 것을 뺀다.
다른 풀이 1
1
⇨ |(xÁ yª+xª y£+x£ yÁ)-(xª yÁ+x£ yª+xÁ y£)|
P(5, 5), Q(5, -1), R(-1, -1)이라 하면 2
y

A 5 P

2 B 729  ⑤

-1 2 5 점 A(1, -3)과 직선 2x-3y+2=0 사이의 거리는


O x
R Q |2+9+2| 13
= ='1Œ3이고
"Ã2Û`+(-3)Û` '1Œ3
-1 C

(삼각형 ABC의 넓이)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사각형 ARQP의 넓이)-(삼각형 APB의 넓이)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고, CMÓ=k라 하면
-(삼각형 BQC의 넓이)-(삼각형 ARC의 넓이) 삼각형 ABC는 다음과 같다.

152 수학 <상>
A 다른 풀이

l`:`2x+y-5=0 yy ㉠
이라 하면 두 직선 AB, OC는 직선 l과 서로 수직이다.
Â13°
1
따라서 두 직선 AB, OC의 기울기는 이므로
2
B 60æ C
M k 1
직선 AB의 방정식은 y= (x+5)에서
2
∠C=60ù이고, 삼각형 AMC가 직각삼각형이므로
x-2y+5=0 yy ㉡
'1Œ3 '3Œ9
k`:`'1Œ3=1`:`'3에서 k= = 1
'3 3 직선 OC의 방정식은 y= x에서 x-2y=0 yy ㉢
2
1 '3Œ9
∴ (삼각형 ABC의 넓이)= _2_ _'1Œ3 y
2 3 2x+y-5=0
13'3 x-2y+5=0
=
3 B
x-2y=0
참고 C
y A
2x-3y+2=0 -5 O x
C

M ㉠, ㉡을 연립하여 풀면 점 B의 좌표는 (1, 3)이고,


O x
B ㉠, ㉢을 연립하여 풀면 점 C의 좌표는 (2, 1)이므로
ABÓ="Ã(1+5)Û`+(3-0)Û`=3'5

A{1,`-3}
OCÓ="Ã(2-0)Û`+(1-0)Û`='5
BCÓ="Ã(2-1)Û`+(1-3)Û`='5
직선 AM은 직선 BC와 수직이고 점 A(1, -3)을 지나므로
1
직선 AM의 방정식은 ∴ (사각형 OABC의 넓이)= _(ABÓ+OCÓ)_BCÓ
2
3(x-1)+2(y+3)=0, 즉 3x+2y+3=0이다. 1
= _(3'5+'5)_'5
점 M은 두 직선 AM, BC의 교점이므로 2
3x+2y+3=0과 2x-3y+2=0을 연립하여 풀면 =10
x=-1, y=0에서 M(-1, 0)이다.


731   x+3y-4=0, 3x-y-2=0 의

730  ④ 두 직선 2x+y-3=0, x-2y+1=0이 이루는 각을 정

이등분하는 직선 위의 점을 P(a, b)라 하면
점 A(-5, 0)과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는
점 P와 두 직선 2x+y-3=0, x-2y+1=0 사이의 거리가 서로
|-10-5|
=3'5이므로 ABÓ=3'5이다.
"Ã2Û`+1Û` 같다.
점 O(0, 0)과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는 y
2x+y-3=0
|-5| P
='5이므로 OCÓ='5이다. x-2y+1=0
"Ã2Û`+1Û`
한편, 두 직선 AB, OC가 서로 평행하므로 P
BCÓ는 두 직선 AB, OC 사이의 거리와 같다. x
O
직선 2x+y-5=0의 기울기가 -2이므로
1 |2a+b-3| |a-2b+1|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 OC의 기울기는 즉, =  에서
"Ã2Û`+1Û` "Ã1Û`+(-2)Û`
이다.
2
1 |2a+b-3|=|a-2b+1|
즉, 직선 OC의 방정식은 y= x이다.
2 Ú 2a+b-3=a-2b+1인 경우
점 A(-5, 0)과 직선 x-2y=0 사이의 거리는 a+3b-4=0이므로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은
|-5|
='5 이므로 BCÓ='5 이다. x+3y-4=0
"Ã1Û`+(-2)Û` Û 2a+b-3=-(a-2b+1)인 경우
1
∴ (사각형 OABC의 넓이)= _(ABÓ+OCÓ)_BCÓ 3a-b-2=0이므로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은
2
1 3x-y-2=0
= _(3'5 +'5)_'5
2 Ú, Û에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0 x+3y-4=0, 3x-y-2=0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53


참고 1
(삼각형 COD의 넓이)= _OCÓ_ODÓ
2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직선으로부터
1
떨어진 거리가 같은 점들의 자취이다. = _3a_d
2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은 2개이고, 그 두 3ad
=  yy ㉡
직선은 항상 서로 수직이다. 2
3ad
㉠=㉡에서 6aÛ`= 이므로 d=4a
2
∴ D(0, 4a)
따라서 직선 lª의 기울기는
0-4a 4
732   3x-4y-9=0, 3x-4y+31=0 3a-0
=-
3

A(-1, 2), B(3, 5)에서 ABÓ="Ã4Û`+3Û` =5


이때, 삼각형 ABP의 넓이가 10이므로
1
10= _5_4에서 선분 AB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ABP의
734   16
5
2
1
높이는 4이어야 한다. 두 직선 y=3x, y=- x는 원점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3
즉,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이 두 직선이 직선 y=mx+2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도형은 직선 AB와 평행하고 직선 AB와의 거리가 4인 직선이다. 삼각형 AOB가 이등변삼각형일 때 삼각형 AOB는 AOÓ=BOÓ인
5-2 3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이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3-(-1) 4
y y=3x
직선의 방정식을 3x-4y+k=0 (k는 상수)이라 하면 점 A와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4이어야 하므로 A y=mx+2
1 2
|-3-8+k| y=- x
3
=4, |k-11|=20
"Ã3Û`+(-4)Û` B
∴ k=-9 또는 k=31 A'
B' O x
y
3x-4y+31=0
4
두 점 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하면
3x-4y-9=0
P B 4 두 삼각형 OA'A, BB'O가 합동이므로
A 점 A의 좌표를 (a, 3a)`(a>0)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3a, a)이다.
P
x 3a-a 1 1
O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이므로 m=
a-(-3a) 2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1
점 A(a, 3a)가 직선 y= x+2 위의 점이므로
3x-4y-9=0, 3x-4y+31=0이다. 2
1 5 4
3a= a+2, a=2   ∴ a=
2 2 5
4'1Œ0
따라서 OAÓ="ÃaÛ`+(3a)Û`='1Œ0a= 이므로
5
구하는 삼각형 AOB의 넓이는
733  ④
1 1
 OAÓ Û`= _{
4'1Œ0 Û` 16
} = 이다.
2 2 5 5
OAÓ=2 ACÓ에서 OAÓ`:`ACÓ=2`:`1이므로
두 점 A, C를 A(2a, 0), C(3a, 0) (a>0)이라 하자.
이때, 직선 lÁ의 기울기가 -3이므로 점 B(0, b)라 하면
0-b
=-3   ∴ b=6a
735  ①
2a-0
직사각형 ABCD의 네 꼭짓점을 좌표평면 위의 네 점
∴ B(0, 6a)
A(0, 8), B(0, 0), C(16, 0), D(16, 8)로 나타내고
한편, 두 삼각형 ACP와 BDP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두 삼각형 AOB, COD의 넓이가 서로 같다.
점 P가 직사각형 내부 및 둘레 위의 점이므로
1
(삼각형 AOB의 넓이)= _OAÓ_OBÓ 0ÉxÉ16, 0ÉyÉ8이다. yy ㉠
2
1 APÓ Û`-CPÓ Û`=16이므로
= _2a_6a
2 xÛ`+(y-8)Û`-{(x-16)Û`+yÛ`}=16
=6aÛ`  yy ㉠ -16y+64+32x-256=16
점 D(0, d)라 하면 ∴ y=2x-13

154 수학 <상>
이때, ㉠에 의하여 점 P의 자취는 두 점 { , 0}, { , 8}을 잇는
13 21 ㈏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2 2 10
두 직선 x+ay-12=0, 3x-ay+4=0의 교점 {2, }이
선분이므로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y 직선 x+y=0 위의 점이어야 하므로

{ 212, 8} 2+
10
a
=0에서 a=-5
y
x x+y=0
O
{ 13 ,
2 }
0

O x-5y-12=0
-13 x

따라서 점 P의 자취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3x+5y+4=0

"Ã4Û`+8Û`=4'5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은 0, 1, -3, -5이다.

TIP
736   0, 1, -3, -5 한 평면 위에 있는 서로 다른 세 직선의 위치 관계에 따라 평면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Ú a=0일
‌ 때,
Ú 세 직선이 모두 서로 평행한 경우
두 직선 x+ay-12=0, 3x-ay+4=0은 각각
평면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개수는 4이다.
4
x=12, x=- 로 서로 평행하다.  Û 세 직선 중 두 직선만 서로 평행한 경우
3
4 평면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개수는 6이다.
이때, 세 직선 x+y=0, x=12, x=- 에 의하여 좌표평면은
3 Ü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6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평면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개수는 6이다.
y x=12 Ý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각각 서로 다른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평면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개수는 7이다.
x+y=0 Ú Û Ü Ý
O
4 12 x
-
3



4 방
x=-
3
737  ⑤ 정

Û a+0일
‌ 때, 
삼각형 ABC에서 두 변 AB, BC의 중점 L, M에 대하여
세 직선 x+y=0, x+ay-12=0, 3x-ay+4=0에 의하여
직선 LM과 직선 AC가 서로 평행하므로  yy TIP 1
좌표평면이 6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직선 BN과 직선 LM이 서로 수직일 때,
 yy TIP
직선 BN과 직선 AC가 서로 수직이다.
㈎ ‌세 직선 중 두 직선만 서로 평행한 경우 B
세 직선 x+y=0, x+ay-12=0, 3x-ay+4=0의
1 3 1 3
기울기는 각각 -1, - , 이고, - + 이므로
a a a a
L{2,`1} H M{4,`-1}
1
-1=- 일 때 a=1, G
a
3
-1= 일 때 a=-3 A C
a N
y 3x-y+4=0 y
즉, 점 B가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므로
x+y-12=0 3x+3y+4=0
x+y=0 삼각형 ABC는 AB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고,
삼각형 LBM은 LBÓ=BM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x-3y-12=0
O 따라서 점 N은 선분 LM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다.
x
O 직선 BN과 LM의 교점을 H라 하면
x
점 H는 선분 LM의 중점이므로 점 H의 좌표는
x+y=0
2+4 1+(-1)
{ , }   ∴ H(3, 0)
[ a=1인 경우] [ a=-3인 경우] 2 2

Ⅲ. 도형의 방정식 155


-1-1
직선 LM의 기울기가
4-2
=-1이므로 738  ②
선분 LM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y=x-3이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점 N(a, b)가 이 직선 위의 점이므로 b=a-3에서 4-1 1
y-1= (x+4)   ∴ y= x+3
N(a, a-3) 2-(-4) 2
한편, GHÓ=4'2이므로 HNÓ=3_GHÓ=12'2 이다. 직선 BC의 방정식은
HNÓ="Ã(a-3)Û`+(a-3)Û`='2|a-3|=12'2 에서 y-1=
-2-1 1
(x+4)   ∴ y=- x-
1
5-(-4) 3 3
|a-3|=12이므로 a=15 또는 a=-9
직선 CA의 방정식은
점 G가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15, b=12 yy TIP 2
-2-4
∴ ab=180 y-4= (x-2)   ∴ y=-2x+8
5-2
TIP 1 따라서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중점연결 정리> y A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다음 성질을
만족시킨다.
B
❶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나머지 한 변과
O
1 x
평행하고, 그 길이는 나머지 한 변의 길이의 과 같다.
2
C
A

삼각형 내부의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를 세어 보면


M N 2+4+7+4+2=19

B C
1
⇨ MNÓBCÓ, MNÓ= BCÓ
2
❷ ‌삼각형의 한 변의 중점을 지나고 다른 한 변에 평행한 직선은
나머지 한 변의 중점을 지난다. 739  ①
A
직선 lÁ이 제 1 사분면 위의 점 (1, 2)를 지나고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직선 lÁ의 x절편과 y절편이 모두 양수이다.
M N
l¡y

B
B C
⇨A
‌ NÓ=NCÓ {1,`2}

O A x
TIP 2
a=15일 때, N(15, 12)이므로 점 G의 좌표는
직선 lÁ의 방정식을 y=m(x-1)+2 (m<0)이라 하면
2+4+15 1+(-1)+12
{ , }   ∴ (7, 4) 2
3 3 x절편이 1- , y절편이 2-m
m
a=-9일 때, N(-9, -12)이므로 점 G의 좌표는
1 2
2+4+(-9) 1+(-1)+(-12) (삼각형 OAB의 넓이)= _{1- }_(2-m)
{ , }   ∴ (-1, -4) 2 m
3 3
-(m-2)Û`
y {15,`12} = =4
2m
이므로
{7,`4} -(m-2)Û`=8m
L{2,`1}
mÛ`+4m+4=(m+2)Û`=0
O M{4,`-1} x
{-1,`-4} ∴ m=-2
따라서 직선 lÁ의 방정식은 y=-2x+4이다.

{-9,`-12}
두 직선 lÁ, lª의 교점을 P, 직선 lª가 y축과 만나는 점을
Q(0, k)라 하면 직선 lª가 삼각형 AOB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따라서 점 G가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어야 하므로
0<k<4이다. yy TIP
N(15, 12)이다.
이때, 삼각형 BPQ의 넓이는 2가 되어야 한다.

156 수학 <상>
y 1
_a_2a=aÛ`=1이므로
B
2
4 l™ a=1 (∵ a>0) yy ㉠
P
Q 따라서 AQÓ=2이므로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2이다.
3 4
A 직선 AB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는 - 이다.
2 x 4 3
O
4
l¡ l`:`y=- x+k, 즉 4x+3y-3k=0이라 하면
3
두 삼각형 AOB, QPB가 닮음이므로
|-8-3k|
점 A(-2, 0)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2에서
QPÓ`:`BPÓ=AOÓ`:`BOÓ=1`:`2이다. "Ã4Û`+3Û`
PQÓ=p라 하면 BPÓ=2p이므로 |3k+8|=10
1 2
(삼각형 BPQ의 넓이)= _p_2p=2에서 p='2 (∵ p>0)이다. ∴ k= (∵ k>0)
2 3
직각삼각형 QPB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BQÓ=¿¹'2  Û`+(2'2)Û`='1Œ0이므로 4
y=- x+
2 yy TIP
3 3
OQÓ=4-'1Œ0
따라서 구하는 직선 lª의 y절편은 4-'1Œ0이다. 다른 풀이

㉠ 이후의 풀이를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TIP
AQÓ=2이고, ABÓ=¿¹(2'5)Û`+'5  Û`=5이므로 BQÓ=3이다.
y
즉, 점 Q는 선분 AB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B 4+(-6) 6+0 2 6
점 Q의 좌표는 { , }   ∴ Q{- , }
2+3 2+3 5 5
P 3-0 3
한편,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이므로
2-(-2) 4
O A x 4
직선 l의 기울기는 - 이다.
3
만약 lª가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면 삼각형 OBP의 넓이는 삼각형 6 4 2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y- =- [x-{- }]
1 5 3 5
AOB의 넓이의 보다 크다.
2 4 2
∴ y=- x+
따라서 직선 lª가 삼각형 AOB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3 3

직선 lª가 점 B에 더 가까워져야 하므로 직선 lª의 y절편 k가 TIP


0<k<4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y 방
4 4 2 정
y=- x-6 y=- x+ C
3 3 3 식

740   y=- 43 x+ 23 A
-2
2
O x
ACÓ="Ã2Û`+4Û`=2'5, BCÓ="Ã(-2)Û`+1Û`='5에서 2
1
삼각형 ABC의 넓이는 _2'5_'5=5이므로
2 4
기울기가 - 이고 점 (-2, 0)에서 거리가 10인 직선은 위와
1 3
삼각형 APQ의 넓이는 _5=1이다.
5 같이 두 개가 존재하며 이 중 삼각형 ABC와 만나는
y 4 2
l 직선 l의 방정식은 y=- x+ 이다.
C{0,`4} 3 3
B{2,`3}

A{-2,`0} O x 741  2

두 삼각형 ABC, APQ가 닮음이므로 삼각형의 내심은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고, 세
AQÓ`:`PQÓ=ACÓ`:`BCÓ=2`:`1이다. 내각의 이등분선은 항상 한 점에서 만나므로 세 내각 중 두 내각의
PQÓ=a, AQÓ=2a라 하면 삼각형 APQ의 넓이는 이등분선을 각각 구해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된다.

Ⅲ. 도형의 방정식 157


y 두 직선 3x-4y+6=0, 4x+3y-12=0의 교점의 좌표는
4x+3y-12=0 3x-4y+6=0
6 12
{ , }이고, 두 직선 3x-4y+6=0, 4x+3y-12=0의
5 5
{ii} x절편은 각각 -2, 3이므로
{a,`b}
{i}
6 12
A{ , }, B(-2, 0), C(3, 0)이라 하면
5 5
16 Û` 12 9 12
O x ABÓ=¾Ð{ } +{ }Û` =4, ACÓ=¾Ð{ }Û`+{ }Û`=3,
5 5 5 5
Ú ‌두 직선 y=0, 3x-4y+6=0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 BCÓ=5이다.
(x, y)의 자취의 방정식은 즉, 삼각형 ABC의 넓이는
|3x-4y+6| 1 1
|y|= yy TIP _ABÓ_ACÓ= _4_3=6
"Ã3Û`+(-4)Û` 2 2
∴ x-3y+2=0 또는 3x+y+6=0 한편, 내심 (a, b)에서 변 BC에 이르는 거리가 |b|이므로 내접원의
이 중 내심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양수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b|이다.
x-3y+2=0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Û ‌두 직선 y=0, 4x+3y-12=0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 1 1
_|b|_(ABÓ+BCÓ+CAÓ)= _|b|_(4+5+3)=6|b|
2 2
(x, y)의 자취의 방정식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이므로 6|b|=6에서 b=1 (∵ b>0)
|4x+3y-12|
|y|=
"Ã4Û`+3Û` 내심을 I라 하고, 점 I에서 세 선분 AB, BC, CA에 내린 수선의 발
∴ x+2y-3=0 또는 2x-y-6=0 을 각각 D, E, F라 하면 IDÓ=IEÓ=IFÓ=1이다.
이 중 내심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y
4x+3y-12=0
x+2y-3=0 A { 65 , 125}
Ú, Û에서 두 내각의 이등분선 x-3y+2=0과 x+2y-3=0의 3x-4y+6=0
1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D 1
F I{a,`1}
따라서 내심의 좌표는 (1, 1)이다. 3
2
∴ a+b=2 B O C y=0
-2 3 E 2 3 x
TIP
사각형 ADIF가 정사각형이므로 ADÓ=1에서
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와 두 직선
BEÓ=BDÓ=3이므로 a=-2+3=1
y=0, 3x-4y+6=0 사이의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 a+b=1+1=2
|3x-4y+6|
|y|= 이다.
"Ã3Û`+(-4)Û`

참고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742  5


점 (a, b)와 세 직선 사이의 거리를 각각 같다고 하면 직선 y=mx+p (m, p는 실수)와 수직인 직선을
|3a-4b+6| |4a+3b-12| 1
|b|= = 이고, 이는 결국 y=- x+q (q는 실수)라 하면 수직인
5 5 m
본 풀이와 동일한 과정으로 풀 수 있다. 두 직선 mx-y+p=0, x+my-mq=0에 대하여
x, y에 대한 이차방정식
다른 풀이 (mx-y+p)(x+my-mq)=0은 이 두 직선을 나타낸다.
두 직선 3x-4y+6=0, 4x+3y-12=0이 서로 수직이므로 주어진 (mx-y+p)(x+my-mq)
세 직선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고, 이를 좌표평면 =mxÛ`+(mÛ`-1)xy-myÛ`+(p-mÛ`q)x+(mp+mq)y-mpq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고, 이 식이 axÛ`+8xy-3yÛ`+5x+5y+b와 같아야 한다.
y -m=-3에서 m=3
4x+3y-12=0 3x-4y+6=0 m=a에서 a=3
p-mÛ`q=5, mp+mq=5에서
A { 65 , 125} p-9q=5, 3p+3q=5이므로 연립하여 풀면
1
p=2, q=-
{a,`b} 3
B C y=0
x
-mpq=b에서 b=2
-2 O 3
∴ a+b=3+2=5

158 수학 <상>
다른 풀이
원의 방정식
직선 kx+my+n=0 (k, m, n은 실수)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mx-ky+l=0 (l은 실수)이고,
x, y에 대한 이차방정식
(kx+my+n)(mx-ky+l)=0은 이 두 직선을 나타낸다.
743  ③

이때, xÛ`의 계수는 km이고, yÛ`의 계수는 -km이므로 합이 0이다. 원 xÛ`+yÛ`+6x-2y+6=0에서


따라서 방정식 axÛ`+8xy-3yÛ`+5x+5y+b=0이 (xÛ`+6x+9)+(yÛ`-2y+1)=10-6
수직인 두 직선을 나타낼 때, a+(-3)=0에서 a=3이다. ∴ (x+3)Û`+(y-1)Û`=4
또한 방정식 3xÛ`+8xy-3yÛ`+5x+5y+b=0에서 이 원의 중심은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좌변이 x, y에 대한 일차식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하므로 m=-3, n=1, r=2
3xÛ`+8xy-3yÛ`+5x+5y+b=0에서 ∴ m+n+r=0
x에 대한 이차방정식 3xÛ`+(8y+5)x-3yÛ`+5y+b=0의 판별식
(8y+5)Û`-12(-3yÛ`+5y+b)=100yÛ`+20y+25-12b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y에 대한 이차방정식 100yÛ`+20y+25-12b=0의
744  ③

판별식을 D라 할 때, D=0을 만족시켜야 한다. ㄱ. ‌좌표평면 위의 한 점 (2, -3)으로부터 거리가 2인 모든 점으로


D 이루어진 도형은 중심이 (2,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100-100(25-12b)=0에서
4 원이다.
25-12b=1   ∴ b=2 y
∴ a+b=3+2=5 2
O x


-3

즉, 도형의 방정식은 (x-2)Û`+(y+3)Û`=4이다. (참)


ㄴ. ‌중심이 원점인 원의 방정식을 xÛ`+yÛ`=a`(a>0)라 하면
점 ('3, 3)을 지나므로 3+9=a에서 a=12이다. 도

y 의
2Â3 {Â3,`3} 방


-2Â3 O 2Â3 x

-2Â3

즉, 원의 방정식은 xÛ`+yÛ`=12이다. (참)


ㄷ. ‌원 xÛ`+yÛ`+4x-4y=0에서
(x+2)Û`+(y-2)Û`=8
즉, 구하는 원의 중심은 (-2, 2)이다.
y
{-1,`3}

-2 O x

‌중심이 (-2, 2)이고, 점 (-1, 3)을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2, 2)와 (-1, 3)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Ã1Û`+1Û`='2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59


745  ②
y
A{1,`3}
3
xÛ`+yÛ`+4ax-4y+5aÛ`-2a-11=0에서
C{-2,`2} 2
(xÛ`+4ax+4aÛ`)+(yÛ`-4y+4)=-aÛ`+2a+15
∴ (x+2a)Û`+(y-2)Û`=-(a-5)(a+3)
이 방정식이 좌표평면 위의 원을 나타내려면 -2 O 1 B{2,`0} x
-(a-5)(a+3)>0을 만족시켜야 한다.
1
즉, (a-5)(a+3)<0에서 -3<a<5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3이고, 직선 AC의 기울기는 이다.
3
자연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1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3)× =-1이므로
3
두 직선 AB, AC는 서로 수직이다.
746  ①
따라서 선분 BC가 세 점 A, B, C를 지나는
두 점 A(-3, 4), B(-1, -2)가 지름의 양 끝점이면 원의 지름이므로  yy TIP
원의 중심은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이 원의 중심은 선분 BC의 중점과 같다.
2+(-2) 0+2
{
-3+(-1) 4+(-2)
, }, 즉 (-2, 1)이다. { , }, 즉 (0, 1)에서 a=0, b=1
2 2 2 2
y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0, 1)과 (2, 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3,`4}
r="Ã2Û`+(-1)Û`='5에서 rÛ`=5
∴ a+b+rÛ`=0+1+5=6

{-2,`1} TIP

O x 다음 그림과 같이 원의 지름을 현으로 하는 원주각의 크기는


항상 90ù이다.
{-1,`-2}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2, 1)과


원 위의 점 (-3, 4)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Ã1Û`+(-3)Û`='1Œ0이다.
따라서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Œ0인
원의 방정식은
(x+2)Û`+(y-1)Û`=10
∴ xÛ`+yÛ`+4x-2y-5=0
즉, a=4, b=-2, c=-5이므로 748  ⑤
a+b+c=-3
중심이 (-3, -2)이고, y축에 접하는 원은 다음과 같다.
y

747  ② -3 O
x
원의 방정식을 xÛ`+yÛ`+Ax+By+C=0`(A, B, C는 상수)이라
-2
하면
이 원이 세 점 (1, 3), (2, 0), (-2, 2)를 지나므로
x=1, y=3을 대입하면 A+3B+C+10=0
x=2, y=0을 대입하면 2A+C+4=0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과 같으므로
x=-2, y=2를 대입하면 -2A+2B+C+8=0 3이다.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A=0, B=-2, C=-4 (x+3)Û`+(y+2)Û`=9
즉, xÛ`+yÛ`-2y-4=0에서 xÛ`+(y-1)Û`=5
이 원의 중심은 (0,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 a+b+rÛ`=6 749  ④
다른 풀이 원의 둘레의 길이가 6p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A(1, 3), B(2, 0), C(-2, 2)라 하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제 4 사분면 위에 있으며 반지름의
이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길이가 3인 원은 다음과 같으므로 중심은 (3, -3)이다.yy TIP

160 수학<상>
y y
x@+y@-10x-6y+9=0
3
O x

x@+y@+2x-9=0
-3

O x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4,`-1}


(x-3)Û`+(y+3)Û`=9에서 xÛ`+yÛ`-6x+6y+9=0이므로
a=-6, b=6, c=9 이 원이 점 (4, -1)을 지나므로
∴ 2a+b+c=3 x=4, y=-1을 ㉠에 대입하면
16-8k=0에서 k=2
TIP k=2를 ㉠에 대입하면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을 (a, b)라 할 때, xÛ`+yÛ`+2x-9+2(xÛ`+yÛ`-10x-6y+9)=0
원이 x축에 접하므로 |b|=(반지름의 길이)=3, xÛ`+yÛ`-6x-4y+3=0   ∴ (x-3)Û`+(y-2)Û`=10
원이 y축에 접하므로 |a|=(반지름의 길이)=3이다. 따라서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Œ0이므로
이때, 원의 중심이 제 4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a>0, b<0에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10p이다.
a=3, b=-3이다.
TIP
따라서 원의 중심은 (3, -3)이다.
두 원 xÛ`+yÛ`+ax+by+c=0, xÛ`+yÛ`+a'x+b'y+c'=0이
교점을 가질 때,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xÛ`+yÛ`+ax+by+c+k(xÛ`+yÛ`+a'x+b'y+c')=0`(k+-1)

750  ③ 이다.
이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 y는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원 (x+1)Û`+(y-3)Û`=25는 중심이 (-1, 3)이고, 두 원의 방정식을 모두 만족시키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5이다.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나타낸다.
원 (x-1)Û`+(y+1)Û`=25는 중심이 (1, -1)이고, 이때, k=0이면 원 xÛ`+yÛ`+ax+by+c=0을 나타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5이다.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 중 원 xÛ`+yÛ`+a'x+b'y+c'=0을
두 원의 중심을 각각 CÁ(-1, 3), Cª(1, -1)이라 하고, 제외한 모든 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두 선분 CÁCª, PQ의 교점을 R라 하면 다음과 같다. 형

y 방

752 

②
C¡{-1,`3}
Q
원 (x-2)Û`+(y+1)Û`=2의 중심을 C라 하면
R C(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O x
P y
C™{1,`-1} A{4,`1}

2
O x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사각형 CÁPCªQ는 마름모이다. -1
C
따라서 두 선분 CÁCª, PQ는 서로 수직이등분한다.
CÕÁCªÓ="Ã2Û`+(-4)Û`=2'5에서 CÕÁRÓ='5
직각삼각형 CÁRP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RÓ=¿¹5Û`-'5 Û`=2'5 점 A(4, 1)과 원 위의 점 P에 대하여 선분 AP의 길이는
∴ PQÓ=2 PRÓ=4'5 ACÓ의 길이에서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을
최솟값으로 갖고,
ACÓ의 길이에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을
yy TIP
751 
최댓값으로 갖는다.
⑤
이때, ACÓ="Ã2Û`+2Û`=2'2이므로 APÓ의
두 원 xÛ`+yÛ`+2x-9=0, xÛ`+yÛ`-10x-6y+9=0의 최댓값은 2'2+'2=3'2이고,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yy TIP 최솟값은 2'2-'2='2이다.
xÛ`+yÛ`+2x-9+k(xÛ`+yÛ`-10x-6y+9)=0`(k+-1) yy ㉠ 따라서 구하는 값은 3'2_'2=6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61


0 -1+7
TIP
{ , }, 즉 (0, 3)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 2
원 밖의 점 A와 원 위의 점 P에 대하여 APÓ의
두 점 (0, 3), (0, -1)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4이다.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A xÛ`+(y-3)Û`=16이다.

P¡ TIP
C
P™ 두 점 A, B에 대하여 PAÓ`:`PBÓ=m`:`n을 만족시키는
점 P의 자취는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는 점과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C와 점 A를 이은 직선이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원과 만나는 두 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을 PÁ, 이를 만족시키는 원을 아폴로니오스의 원이라 한다.
먼 점을 Pª라 하면 P=PÁ일 때 APÓ는 최소이고,
P=Pª일 때 APÓ는 최대이다.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PÓ의 754   풀이 참조
최솟값은 AÕPÁÓ=ACÓ-CÕPÁÓ=ACÓ-r이고,
원 xÛ`+yÛ`=3의 중심 (0, 0)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를
최댓값은 AÕPªÓ=ACÓ+CÕPªÓ=ACÓ+r이다.
|k| |k|
d라 하면 d= = 이다.
따라서 APÓ는 점 A와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서
"Ã1Û`+(-1)Û` '2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을 최솟값으로 갖고, ⑴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을 최댓값으로 갖는다.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d가 반지름의 길이 '3보다 작아야
한다.
y=x+k

753  ②
Â3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d {0,`0}
APÓ`:`BPÓ=1`:`2에서 2 APÓ=BPÓ이므로
2"ÃxÛ`+(y-1)Û`="ÃxÛ`+(y+5)Û`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k|
d= <'3에서 |k|<'6
4(xÛ`+yÛ`-2y+1)=xÛ`+yÛ`+10y+25 '2
xÛ`+yÛ`-6y-7=0 ∴ -'6<k<'6
∴ xÛ`+(y-3)Û`=16 ⑵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과
다른 풀이 직선 사이의 거리 d가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아야 한다.
y=x+k
두 점 A(0, 1), B(0, -5)에 대하여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을 C, 외분하는 점을 D라 할 때,
APÓ`:`BPÓ=1`:`2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자취는
d=Â3
선분 CD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yy TIP
{0,`0}
y
D

|k|
d= ='3에서 |k|='6
'2
∴ k=-'6 또는 k='6
O x
A{0,`1} C ⑶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만나지 않으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d가 반지름의 길이 '3보다 커야 한다.
B{0,`-5} y=x+k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C의 좌표는


0 -5+2
{ , }   ∴ C(0, -1)
3 3
Â3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 D의 좌표는 d
{0,`0}
0 -5-2
{ , }   ∴ D(0, 7)
-1 -1
구하는 원의 중심은 선분 CD의 중점이므로

162 수학<상>
d=
|k|
'2
>'3에서 |k|>'6 756  ③
∴ k<-'6 또는 k>'6 원 xÛ`+yÛ`-4x+6y+8=0에서
다른 풀이 (x-2)Û`+(y+3)Û`=5
직선의 방정식 y=x+k를 원의 방정식 xÛ`+yÛ`=3에 대입한 즉, 주어진 원의 중심은 (2, -3)이다.
이차방정식 xÛ`+(x+k)Û`=3, 즉 2xÛ`+2kx+kÛ`-3=0의 판별식을 직선 4x+3y+k=0이 원과 만나는 두 점 A, B에 대하여
D라 하면 현 AB의 길이는 현 AB가 지름이 될 때 최대이다.
4x+3y+k=0
D
‌=kÛ`-2(kÛ`-3)
4 A
=-kÛ`+6
⑴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2,`-3}
방정식 xÛ`+(x+k)Û`=3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D B
=-kÛ`+6>0에서 kÛ`<6
4
따라서 선분 AB가 지름이 되려면 직선 4x+3y+k=0이
∴ -'6<k<'6
원의 중심 (2, -3)을 지나야 하므로
⑵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한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8-9+k=0
xÛ`+(x+k)Û`=3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 k=1
D
=-kÛ`+6=0에서 kÛ`=6
4
∴ k=-'6 또는 k='6
⑶ ‌원 xÛ`+yÛ`=3과 직선 y=x+k가 만나지 않으려면 방정식
xÛ`+(x+k)Û`=3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D
757  ④
=-kÛ`+6<0에서 kÛ`>6
4 원 (x+1)Û`+(y-3)Û`=9는 중심이 (-1,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k<-'6 또는 k>'6 3이다.
참고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다음과 같이 삼각형 ABC는 빗변의 길이가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묻는 문제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ACÓ인 직각삼각형이다.
y
방법으로 풀 수 있다.

⑴ ‌직선의 방정식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한 이차방정식의 B


3
판별식을 이용하는 방법 방
C{-1,`3} 정
⑵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식
대소를 비교하는 방법
O x
어느 방법으로 풀어도 결과는 같으므로 더 편리한 방법으로 풀면 A{6,`-1}
된다. 이후 해설에서는 방법 ⑵를 이용한 풀이만 수록하였다.
ACÓ="Ã7Û`+(-4)Û`='6Œ5, BCÓ=3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BÓ=¿¹'6Œ5 Û`-3Û`='5Œ6=2'1Œ4

755  ② TIP
원 밖의 점과 원 밖의 점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두 접점까지의
원 (x-2)Û`+(y+1)Û`=10은 중심이 (2, -1)이고, 거리는 서로 같다. 그러므로 원 밖의 점 A에서 그은 두 접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1Œ0이다. 접점 중 어느 것을 점 B로 잡아도 선분 AB의 길이는 같다.
이 원이 직선 y=3x+k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2, -1)과 직선 3x-y+k=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1Œ0과 같으므로
|7+k|
='1Œ0
"Ã3Û`+(-1)Û`
|k+7|=10
758  ⑤

k+7=Ñ10 원 xÛ`+yÛ`=10 위의 점 (3,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k=-17 또는 k=3 3x+y=10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14이다. ∴ y=-3x+10

Ⅲ. 도형의 방정식 163


759  ②
y

직선 2x-y+3=0, 즉 y=2x+3은 기울기가 2인 직선이므로


1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2 {x¡,`y¡}
원 xÛ`+yÛ`=20의 반지름의 길이는 '2Œ0=2'5이므로 O x
{3,`-1}
1
원 xÛ`+yÛ`=20에 접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x¡,`y¡}
2
1 1 1 이 접선이 점 (3, -1)을 지나므로
y=- xÑ2'5_®É +1   ∴ y=- xÑ5
2 4 2
3xÁ-yÁ=5 yy ㉢
1
이 직선이 점 (1, k)를 지나므로 k=- Ñ5 또한 점 (xÁ, yÁ)이 원 위의 점이므로
2
9 (xÁ)Û`+(yÁ)Û`=5 yy ㉣
∴ k= (∵ k>0)
2 ㉢에서 yÁ=3xÁ-5를 ㉣에 대입하면
다른 풀이 (xÁ)Û`+(3xÁ-5)Û`=5, 10(xÁ)Û`-30xÁ+20=0
(xÁ)Û`-3xÁ+2=0, (xÁ-1)(xÁ-2)=0
직선 2x-y+3=0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 xÁ=1, yÁ=-2 또는 xÁ=2, yÁ=1
x+2y+a=0 (a는 상수)라 하자.
이 값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원 xÛ`+yÛ`=2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0, 0)과
x-2y=5, 2x+y=5이다.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5와 같다.
|a| 채점 요소 배점
즉, =2'5에서 |a|=10   ∴ a=Ñ10
"Ã1Û`+2Û` 접점을 미지수로 둔 접선의 방정식 세우기 20 %
따라서 직선 x+2yÑ10=0이 점 (1, k)를 지나므로 접점의 좌표 구하기 60 %
1+2kÑ10=0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
9
∴ k= (∵ k>0)
2

761  ④

760   풀이 참조 점 (2, 0)에서 원 (x-2)Û`+(y-3)Û`=1에 그은 접선의


점 (3, -1)에서 원 xÛ`+yÛ`=5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방정식을 y=m(x-2) (m은 상수)라 하면
y=m(x-3)-1`(m은 상수) yy ㉠ 원의 중심 (2, 3)과 직선 mx-y-2m=0 사이의 거리가
라 하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3m-1=0 사이의 원의 반지름의 길이 1과 같으므로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5와 같으므로 |2m-3-2m|
=1, "ÃmÛ`+1=3
"Ãm`Û +(-1)Û`
|-3m-1|
='5에서
"Ãm`Û +(-1)Û` mÛ`=8   ∴ m=Ñ2'2
|-3m-1|="Ã5(mÛ`+1)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2'2_(-2'2)=-8
(3m+1)Û`=5(mÛ`+1), 2mÛ`+3m-2=0
(2m-1)(m+2)=0
1
762  ⑤
∴ m= 또는 m=-2
2 점 A(3, 0)과 원 xÛ`+yÛ`=1 위의 점 B에 대하여 두 점을 연결한
이 값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의 기울기가 최대일 때는 다음과 같이 직선 AB가
1 5 제 4 사분면에서 원 xÛ`+yÛ`=1과 접할 때이다.
y= x- , y=-2x+5이다.
2 2 y
채점 요소 배점
점 (3,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세우기 20%
접선의 방정식에서 미지수 구하기 60% A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O 1 3 x

다른 풀이
B
점 (3, -1)에서 원 xÛ`+yÛ`=5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원과 제 4 사분면에서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m (m>0)이라
xÁ x+yÁ y=5 yy ㉡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3)이다.

164 수학<상>
따라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3m=0 사이의 거리가 "Ã3Û`+(-4)Û`="Ãa+5+2, 3="Ãa+5
원의 반지름의 길이 1과 같으므로 ∴ a=4
|-3m|
=1에서 |3m|="ÃmÛ`+1
"ÃmÛ`+(-1)Û`
1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9mÛ`=mÛ`+1, mÛ`=
8

∴ m=
1
=
'2
(∵ m>0)
765   풀이 참조
2'2 4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하고,
참고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점 A가 x축 위의 점이고 원 xÛ`+yÛ`=1이 x축에 대하여 교점을 지나야 한다.
대칭이므로 점 A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도 x축에 대하여 y

대칭이다. 7

이때, 점 A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 중 접점이


'2
제 4 사분면에 있는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접점이
4 3
'2
제 1 사분면에 있는 접선의 기울기는 - 이다. -1 O 5 x
4
따라서 직선 AB의 기울기를 k라 하면 k의 값의 범위는
{1,`-3}
'2 '2
- ÉkÉ 이다.
4 4
원 xÛ`+yÛ`-2x+6y+6=0에서
(x-1)Û`+(y+3)Û`=4
즉, 주어진 원의 중심이 (1, -3)이다.
763  ③
네 직선 x=-1, x=5, y=3, y=7로 둘러싸인
원 xÛ`+yÛ`=5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1+5 3+7
2x+y=5이다. { , }, 즉 (2, 5)이다.
2 2
이 직선이 원 xÛ`+yÛ`=15와 만나는 두 점의 x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직선은 두 점 (1, -3), (2, 5)를 지나는
y=-2x+5, xÛ`+yÛ`=15를 연립한 이차방정식
직선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xÛ`+(-2x+5)Û`=15의 해와 같다.
5-(-3) 도
정리하면 5xÛ`-20x+10=0   ∴ xÛ`-4x+2=0 y+3= (x-1) 형
2-1 의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 y=8x-11 방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식
채점 요소 배점
a+b=4, ab=2
주어진 원의 중심 구하기 30 %
∴ aÛ`+bÛ`=(a+b)Û`-2ab=12
주어진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 구하기 30 %
원과 직사각형의 넓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764  ⑤

원 xÛ`+yÛ`+2x-6y+6=0에서 (x+1)Û`+(y-3)Û`=4이므로
중심이 (-1,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원 xÛ`+yÛ`-4x+2y-a=0에서 (x-2)Û`+(y+1)Û`=a+5이므로 766  ①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Äa+5이다. 원 xÛ`+yÛ`-2kx+4ky-20k-25=0에서
y
(x-k)Û`+(y+2k)Û`=5kÛ`+20k+25
즉, 원의 중심이 (k, -2k)이고
3 반지름의 길이가 "Ã5kÛ`+20k+25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최소일 때 원의 넓이가 최소이다.
-1 O
2
x "Ã5kÛ`+20k+25="Ã5(k+2)Û`+5에서
-1 k=-2일 때 반지름의 길이의 최솟값이 '5이므로
원의 넓이의 최솟값은 5p이다.
이때, 원의 중심은 (k, -2k), 즉 (-2, 4)이므로
두 원이 서로 외접하면 두 원의 중심 (-1, 3)과 (2, -1) a=-2, b=4
사이의 거리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 a+b=2

Ⅲ. 도형의 방정식 165


다른 풀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을 때 원의 중심이 그리는 도형은 다음과 같다.
y
원 xÛ`+yÛ`-2kx+4ky-20k-25=0에서
7
xÛ`+yÛ`-25+k(-2x+4y-20)=0 3
즉, 이 원은 원 xÛ`+yÛ`=25와 직선 -x+2y-10=0의 교점을
지나는 원이다. -7 O x
두 교점을 각각 A, B라 하면 두 점 A, B를 지나는 원은
따라서 원의 중심이 그리는 도형의 길이는

®É7Û`+{ }2`=
선분 AB가 지름일 때 그 넓이가 최소이다.
7 7'1Œ0
이때, 원의 중심은 선분 AB의 중점이고, 3 3
이 점은 원 xÛ`+yÛ`=25의 중심 (0, 0)에서 직선 -x+2y-10=0에
내린 수선의 발 H와 같다.
y -x+2y-10=0
768  ①

H B 두 직선 2x-y-6=0, y=2의 교점의 좌표는 (4, 2)


A x@+y@=25 두 직선 x+2y+2=0, y=2의 교점의 좌표는 (-6, 2)
두 직선 2x-y-6=0, x+2y+2=0의 교점의 좌표는
O x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 y=-2이므로 (2, -2)이다.
이때, A(4, 2), B(-6, 2), C(2, -2)라 하면 다음과 같다.
y
2x-y-6=0
x+2y+2=0
직선 AB와 직선 OH는 수직이고 직선 AB, 즉 직선 B{-6,`2} A{4,`2}
y=2
1
-x+2y-10=0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OH의 방정식은
2 O x
y=-2x C{2,`-2}

직선 y=-2x와 직선 -x+2y-10=0의 교점이 구하는 원의


중심이므로 이때, 두 직선 2x-y-6=0, x+2y+2=0은 서로 수직이므로
-x+2(-2x)-10=0에서 x=-2, y=4 삼각형 ACB는 ∠AC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즉, 점 (a, b)는 점 (-2, 4)이므로 a+b=2 따라서 외접원의 중심은 선분 AB의 중점인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1, 2), (4, 2)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5이다.
767  ③ 따라서 외접원의 방정식은 (x+1)Û`+(y-2)Û`=25이므로
a=-1, b=2, r=25
A(-2, 5), B(0, -1)이라 하자.
∴ a+b+r=26
원이 두 점 A(-2, 5), B(0, -1)을 지날 때,
원의 중심에서 두 점 A, B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원의 중심이 그리는 도형은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769  ②
일부이다.
a
방정식 xÛ`+yÛ`-4x+6y+b=0이 원을 나타내므로
y 2
A{-2,`5}
xÛ`의 계수와 yÛ`의 계수가 같아야 한다.
a
즉, =1에서 a=2
2
원 xÛ`+yÛ`-4x+6y+b=0에서
(x-2)Û`+(y+3)Û`=13-b yy ㉠
O x
B{0,`-1} 이므로 중심이 (2, -3)이다.
원의 중심을 O'(2, -3)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점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2+0 5+(-1)
{ , }   ∴ (-1, 2) y
2 2
-1-5 O 2
직선 AB의 기울기가 =-3이므로 선분 AB의 x
0-(-2) A D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1 -3 O'
y-2= (x+1)   ∴ x-3y+7=0 H
3
7
이 직선의 x절편이 -7, y절편이 이므로 원의 중심이 B C
3

166 수학<상>
정사각형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TIP
네 삼각형 ABO', BCO', CDO', DAO'이 서로 합동이다.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이
따라서 ∠O'AH=45ù이므로 삼각형 O'AH는 제 1 사분면 또는 제 3 사분면 위에 있을 때
직각이등변삼각형이고, OÕ'HÓ=2이므로 원의 중심은 (a, a)이고,
AÕO'Ó='2_OÕ'HÓ=2'2 제 2 사분면 또는 제 4 사분면 위에 있을 때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2이므로 ㉠에서 원의 중심은 (a, -a)이다.
13-b=(2'2)Û`   ∴ b=5 y y=x
∴ a+b=2+5=7

O x
770   4'2

점 (-1, 2)를 지나면서 x축과 y축에 모두 접하는 원의 중심은


y=-x
다음과 같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다.
y
따라서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직선 y=x 또는 직선 y=-x 위에 존재한다.
이 문제에서 원의 중심이 직선 x+2y-6=0 위에 있으므로
직선 x+2y-6=0과 직선 y=x의 교점 또는
직선 x+2y-6=0과 직선 y=-x의 교점이
{-1,`2}
구하는 원의 중심이다.
O x y=-x y
x+2y-6=0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중심이 (-r, r)이므로 y=x
원의 방정식은
(x+r)Û`+(y-r)Û`=rÛ`
이 원이 점 (-1, 2)를 지나므로
(-1+r)Û`+(2-r)Û`=rÛ` x
O
rÛ`-6r+5=0, (r-5)(r-1)=0   ∴ r=1 또는 r=5

따라서 구하는 두 원의 중심은 각각 (-1, 1), (-5, 5)이므로 형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Ã(-4)Û`+4Û`=4'2이다. 의

772

 ③ 식

771  ⑤ 원 xÛ`+yÛ`-4x-2y=a-3에서
(x-2)Û`+(y-1)Û`=a+2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즉, 주어진 원의 중심이 (2, 1)이고
(a, a) 또는 (a, -a)이다.  yy TIP 반지름의 길이가 'Äa+2이다.
또한 중심이 직선 x+2y-6=0 위에 있어야 하므로 y
중심이 (a, a)일 때, a+2a-6=0에서 a=2
중심이 (a, -a)일 때, a-2a-6=0에서 a=-6
1
y
x+2y-6=0 O 2 x

{-6,`6}
이때, 이 원이 x축과 만나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2,`2}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Äa+2¾1
O x
이 원이 y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a=2일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보다 작아야 하므로
원의 넓이는 4p이고, 'Äa+2<2
a=-6일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6이므로 즉, 1É'Äa+2<2에서
원의 넓이는 36p이다. 1Éa+2<4
따라서 구하는 두 원의 넓이의 합은 40p이다. ∴ -1Éa<2

Ⅲ. 도형의 방정식 167


773  ④
y
y=Â3x

B
원의 중심이 직선 y=x+2 위에 있으므로 중심을
(a, a+2)라 하자.
O
y x
y=x+2 A{4,`0}

직선 OB의 기울기가 '3이므로 ∠AOB=60ù이고,


삼각형 OAB가 OAÓ=A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4,`3}
∠ABO=60ù, ∠OAB=60ù
O x
즉, 원이 직선 y='3x에 의하여 잘리는 두 호의 길이 중
x축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의 60ù 4
짧은 것의 길이는 8p_ = p이고,
절댓값과 같으므로 |a+2|이다. 360ù 3
또한 이 원이 점 (4, 3)을 지나므로 중심 (a, a+2)와 4 20
긴 것의 길이는 8p- p= p이다.
3 3
점 (4, 3)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두 호의 길이의 차는
즉, "Ã(a-4)Û`+(a-1)Û`=|a+2|에서
20 4 16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p- p= p이다.
3 3 3
2aÛ`-10a+17=aÛ`+4a+4
다른 풀이
aÛ`-14a+13=0, (a-1)(a-13)=0
두 점 A(-4, 0), B(2, 0)이라 하면 두 점 A, B로부터
∴ a=1 또는 a=13  yy 참고
거리의 비가 2`:`1인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1+2|=3,
구할 수 있다.
|13+2|=15이므로 구하는 합은 3+15=18이다.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참고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 (0, 0)과
a=1일 때, 원의 중심은 (1, 3), 반지름의 길이는 3이므로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8, 0)을
원 (x-1)Û`+(y-3)Û`=9이고,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a=13일 때, 원의 중심은 (13, 15), 반지름의 길이는 15이므로 따라서 중심이 (4,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므로
원 (x-13)Û`+(y-15)Û`=225이다. (x-4)Û`+yÛ`=16이다.
y 이후 풀이는 본풀이와 같다.
y=x+2

{1,`3}
{13,`15}
775   xÛ`+yÛ`=4

{4,`3} B(xÁ, yÁ)이라 하면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O x 2xÁ-6 2yÁ
{ , }
3 3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2xÁ-6 2yÁ
x= , y=
3 3

774  ② ∴ xÁ=
3x+6
2
3
, yÁ= y
2
yy ㉠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이때, 점 B(xÁ, yÁ)이 원 xÛ`+yÛ`-6x=0 위의 점이므로


(xÁ)Û`+(yÁ)Û`-6xÁ=0

}2`+{ y}2`-6_
두 점 (-4, 0), (2, 0)으로부터 거리의 비가 2`:`1이므로
"Ã(x+4)Û`+yÛ`=2"Ã(x-2)Û`+yÛ` {
3x+6 3 3x+6
=0 (∵ ㉠)
2 2 2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2)Û`+yÛ`-4(x+2)=0   ∴ xÛ`+yÛ`=4
(x+4)Û`+yÛ`=4(x-2)Û`+4yÛ`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xÛ`+yÛ`=4이다.
xÛ`+yÛ`-8x=0   ∴ (x-4)Û`+yÛ`=16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4, 0)이고 다른 풀이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원 CÁ`:`xÛ`+yÛ`-6x=0이라 하면


원의 중심을 A라 하고, 원이 직선 y='3x와 만나는 두 점 중 CÁ`:`(x-3)Û`+yÛ`=9
원점 O가 아닌 점을 B라 하자. 이 원은 중심이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이다.

168 수학<상>
점 A(-6, 0)과 원 CÁ 위의 점 B에 대하여 점 (3, -4)와 원 xÛ`+yÛ`=1 위의 점 (a, b)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 나타내는 도형을 Cª라 하면 원의 중심 (0, 0)과 점 (3, -4) 사이의 거리에 반지름의 길이 1을
두 도형 CÁ, Cª는 닮음비가 3`:`2인 닮은 도형이다. 더한 값이므로
y "Ã3Û`+(-4)Û`+1=6
C™ C¡ 따라서 (a-3)Û`+(b+4)Û`의 최댓값은
6Û`=36이다.
A{-6,`0} C
O 3 x
2
1
778   20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원의 중심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Cª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고,
H라 하자.
원 CÁ의 중심을 C(3, 0)이라 하면
y
원 Cª의 중심은 선분 AC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0, 0)이다.
따라서 구하는 원 Cª의 방정식은 xÛ`+yÛ`=4이다.

776  ⑤
O A{4,`0} B{10,`0} x
H
점 P의 좌표를 (xÁ, yÁ), 점 G의 좌표를 (x, y)라 하면
5+(-2)+xÁ -2+(-4)+yÁ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x= , y= 이므로
3 3 점 H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점 H의 좌표는
xÁ=3x-3, yÁ=3y+6 yy ㉠ 4+10
{ , 0}   ∴ (7, 0)
이때, 점 P가 원 xÛ`+yÛ`=4 위의 점이므로 2
(xÁ)Û`+(yÁ)Û`=4 AHÓ=3, ACÓ=5이므로 직각삼각형 A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즉, (3x-3)Û`+(3y+6)Û`=4 (∵ ㉠)이므로 의하여 CHÓ="Ã5Û`-3Û`=4이다.
4 ∴ C(7, 4)
(x-1)Û`+(y+2)Û`=
9 이때, 점 O(0, 0)과 원의 중심 C(7, 4) 사이의 거리는
2
따라서 점 G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Ã7Û`+4Û`='6Œ5이므로
3
점 O(0, 0)과 원 위의 점 P 사이의 거리를 k라 할 때, 도
4
'6Œ5-5ÉkÉ'6Œ5+5

그 길이는 p이다. 의
3
따라서 자연수 k의 값은 4, 5, 6, y, 13이고, 방

각 값에 대하여 점 P가 2개씩 존재하므로 식

구하는 점 P의 개수는 10_2=20이다.


777   36

두 점 A(-1, 0), B(1, 0)에 대하여 점 P(a, b)가


PAÓ Û`+PBÓ Û`=4를 만족시키므로 779  ③

(a+1)Û`+bÛ`+(a-1)Û`+bÛ`=4, 2aÛ`+2bÛ`=2 두 지점 A, B를 각각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0, 0), B(8, 0)으로


∴ aÛ`+bÛ`=1 놓고, 지점 P를 점 P(a, b)라 하자.
따라서 점 P의 자취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지점 A에서 출발하는 배의 속력이 지점 B에서 출발하는 배의
1인 원이다. 속력보다 3배 빠르므로 APÓ=3 BPÓ이다.
이때, (a-3)Û`+(b+4)Û`은 두 점 (a, b), (3, -4) 사이의 즉, "ÃaÛ`+bÛ`=3"Ã(a-8)Û`+bÛ`이므로
거리의 제곱과 같다.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Û`+bÛ`=9(aÛ`-16a+64+bÛ`)
y aÛ`-18a+bÛ`+72=0   ∴ (a-9)Û`+bÛ`=9
x@+y@=1 따라서 점 P의 자취는 원 (x-9)Û`+yÛ`=9이다.
y
O x
P
{x-9}@+y@=9

O {=A} B{8,`0} x

{3,`-4}

Ⅲ. 도형의 방정식 169


이때, 삼각형 ABP에서 선분 AB를 밑변으로 놓으면
B
높이가 최대일 때 넓이도 최대가 된다.
H 4
삼각형 ABP의 높이는 점 P의 y좌표의 절댓값과 같으므로
A
점 P의 좌표가 (9, 3) 또는 (9, -3)일 때 최댓값 3을 갖는다. 3 O'{3,`2}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댓값은
1
_8_3=12(kmÛ`)이다.
2
ABÓ=4이므로 AHÓ=2,
다른 풀이
AÕO'Ó=3이므로 직각삼각형 AHO'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PÓ=3 BPÓ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을 다음과 같이 구할 OÕ'HÓ="Ã3Û`-2Û`='5
수 있다. 이때, OÕ'HÓ는 점 O'(3, 2)와 직선 y=2x+k, 즉 2x-y+k=0
APÓ=3 BPÓ에서 APÓ`:`BPÓ=3`:`1을 만족시키는 점 P의 자취는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 (6, 0)과 |6-2+k| |k+4|
OÕ'HÓ= =
선분 AB를 3`:`1로 외분하는 점 (12, 0)을 "Ã2Û`+(-1)Û` '5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따라서 '5=
|k+4|
에서 |k+4|=5이므로
따라서 중심이 (9,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5
(x-9)Û`+yÛ`=9를 나타낸다. k=1 또는 k=-9
이후 풀이는 본풀이와 같다.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8이다.

782  ②
780  ⑤
점 A(1, k)라 하고, 원 (x-3)Û`+(y+1)Û`=9의 중심을
평행한 두 직선 2x-y+1=0, px-y+q=0은 기울기가 같으므로 B(3, -1), 점 A(1, k)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이 원과 만나는
p=2이다. 두 점을 각각 C, D라 하자.
다음과 같이 평행한 두 직선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는 y

두 직선 사이의 거리와 같다. A


D

O
C x
B{3,`-1}

이때, 사각형 ACBD의 네 각이 모두 직각이고, BCÓ=BDÓ=3이므로


사각형 ACBD는 정사각형이다.
원의 넓이가 5p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5이고
따라서 ABÓ=3'2이므로 "Ã(-2)Û`+(k+1)Û`=3'2
지름의 길이는 2'5이다.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2)Û`+(k+1)Û`=18
직선 2x-y+1=0 위의 점 (0, 1)과 직선 2x-y+q=0
(k+1)Û`=14, k+1='1Œ4 (∵ k>0)
사이의 거리는
|-1+q| |q-1| ∴ k='1Œ4-1
=
"Ã2Û`+(-1)Û` '5
|q-1|
'5
=2'5, |q-1|=10 783  ②

∴ q=11 (∵ q>0) 원 xÛ`+yÛ`-6x-2y+6=0에서 (x-3)Û`+(y-1)Û`=4이므로


∴ p+q=2+11=13 중심이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중심을 C(3, 1)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직선 CP와 선분 AB의
교점을 H라 하자.

781  ① A
2 P{-1,`3}
원 xÛ`+yÛ`-6x-4y+4=0에서 (x-3)Û`+(y-2)Û`=9이므로 H
중심이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이다.
원의 중심을 O'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원과 직선 y=2x+k가 C{3,`1}
B
만나는 두 점을 A, B, 원 O'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CPÓ="Ã4Û`+(-2)Û`=2'5, ACÓ=2이므로 직각삼각형 CAP에서

170 수학<상>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CÓ=4이므로 직각삼각형 AMC에서
APÓ="Ã(2'5)Û`-2Û`=4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두 삼각형 CAP, AHP가 닮음이므로 Ó "Ã4Û`-2Û`=2'3   ∴ ABÓ=2AÕMÓ=4'3
AÕM=
CPÓ`:`APÓ=2'5`:`4, 즉 CPÓ`:`APÓ='5`:`2 따라서 사각형 ACBD의 넓이는
따라서 넓이비는 5`:`4이다. 1 1
_ABÓ_CDÓ= _4'3_5=10'3
이때, 삼각형 CAP의 넓이가 2 2
1 TIP
_4_2=4이므로
2
다음의 두 원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삼각형 PAB의 넓이는
xÛ`+yÛ`+ax+by+c=0 yy ㉠
16 32
2_ = xÛ`+yÛ`+a'x+b'y+c'=0 yy ㉡
5 5
㉠에서 ㉡을 빼면
xÛ`+yÛ`+ax+by+c-(xÛ`+yÛ`+a'x+b'y+c')=0
784  ② 이때, 두 원의 교점의 좌표는 모두 위의 식을 만족시키고,
두 원의 교점을 모두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뿐이므로 두 원의
원 xÛ`+yÛ`=20은 중심이 O(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5이다.
교점을 지나는 직선은 위의 직선과 일치한다.

A
2Â5
O
P{2,`6}
786  ①

B CÁ`:`xÛ`+yÛ`+4ax-2ay-3=0,
Cª`:`xÛ`+yÛ`-6x+2y+3=0이라 하자.
원 CÁ이 원 Cª의 둘레를 이등분할 때 두 원의 교점을 이은 선분이
점 P(2, 6)에 대하여 OPÓ="Ã2Û`+6Û`=2'1Œ0이고, OAÓ=2'5이므로
원 Cª의 지름이므로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 원 Cª의
직각삼각형 OAP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중심을 지난다.
APÓ="Ã(2'1Œ0)Û`-(2'5)Û`=2'5
즉, OAÓ=APÓ=BPÓ=OBÓ이고, ∠OAP=∠OBP=90ù이므로 C™

사각형 APBO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는 도

1 의
_(2'5)Û`=10
2 방

원 Cª`:`xÛ`+yÛ`-6x+2y+3=0에서 식

785  ② (x-3)Û`+(y+1)Û`=7이므로 중심이 (3, -1)이다.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원 xÛ`+yÛ`-8y=0에서 xÛ`+(y-4)Û`=16 (xÛ`+yÛ`+4ax-2ay-3)-(xÛ`+yÛ`-6x+2y+3)=0
원 xÛ`+yÛ`-6x-12=0에서 (x-3)Û`+yÛ`=21 (4a+6)x-(2a+2)y-6=0
즉, 각각 C(0, 4), D(3, 0)이므로 ∴ (2a+3)x-(a+1)y-3=0
CDÓ="Ã(-3)Û`+4Û`=5 이 직선이 점 (3, -1)을 지나므로
두 원의 교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2a+3)+(a+1)-3=0, 7a+7=0
xÛ`+yÛ`-8y-(xÛ`+yÛ`-6x-12)=0 yy TIP ∴ a=-1
∴ 3x-4y+6=0
x@+{y-4}@=16 A {x-3}@+y@=21
787   풀이 참조

C D 두 점 A, B에 대하여 ∠APB=∠AQB=90ù이므로
M
두 점 P, Q는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있다.
B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C라 하면
3x-4y+6=0 원 C의 중심은 선분 AB의 중점과 같으므로
두 선분 AB와 CD의 교점을 M이라 하면 CÕM은
Ó -'5+'5 -1+3
{ , }, 즉 (0, 1)이고,
점 C(0, 4)와 직선 3x-4y+6=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 2
|-16+6|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점 (0, 1)과 ('5, 3) 사이의 거리와
CÕMÓ= =2
"Ã3Û`+(-4)Û` 같으므로 ¿¹'5 Û`+2Û`=3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71


따라서 원 C의 방정식은 xÛ`+(y-1)Û`=9이다. 원 위의 점 A와 직선 4x-3y-13=0 사이의 거리는
y 원의 중심 (-8, 5)와 직선 4x-3y-13=0 사이의 거리에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을 최댓값으로 갖고,
y=x-2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을 최솟값으로 갖는다.  yy TIP
Q 원의 중심 (-8, 5)와 직선 4x-3y-13=0 사이의 거리는
1
|-32-15-13| 60
x = =12이므로
"Ã4Û`+(-3)Û`
O 5
P
-2 구하는 최댓값은 12+9=21이고, 최솟값은 12-9=3이다.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직선 y=x-2와 원 xÛ`+(y-1)Û`=9의 교점의 x좌표는 21+3=24이다.
xÛ`+(x-3)Û`=9에서 xÛ`-3x=0, x(x-3)=0
TIP
∴ x=0 또는 x=3
원 C와 만나지 않는 직선 l에 대하여
즉, 두 점 P, Q의 좌표는 (0, -2), (3, 1)이다.
원 위의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 lÛ`=PQÓ Û`=3Û`+3Û`=18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다른 풀이
C
A™ l
원 C의 방정식을 구한 후 lÛ`의 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원 C의 중심을 C(0, 1)이라 하고, 점 C에서 선분 PQ에 내린
B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y H

y=x-2
원의 중심을 B라 하고, 점 B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H라 할 때, 직선 BH가 원과 만나는 점 중
C 1
점 H에 가까운 점을 AÁ, 먼 점을 Aª라 하면
O x
H 원 위의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P
-2 A가 AÁ일 때 최솟값을 갖고, A가 Aª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CHÓ는 점 C와 직선 y=x-2, 즉 x-y-2=0 사이의 거리와 최솟값은 AÕÁHÓ=BHÓ-BÕAÁÓ=BHÓ-r이고,
|-1-2| 3'2 최댓값은 AÕªHÓ=BHÓ+BÕAªÓ=BHÓ+r이다.
같으므로 CHÓ= =
"Ã1Û`+(-1)Û` 2
따라서 원 위의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CPÓ=3이므로 직각삼각형 P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
원의 중심 B와 직선 l 사이의 거리에서
3'2 3'2
PHÓ=¾Ð3Û`-{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을 최솟값으로 갖고,
2 2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을 최댓값으로 갖는다.
∴ PQÓ=2_PHÓ=3'2
∴ lÛ`=PQÓ Û`=18

채점 요소 배점 789   풀이 참조
∠APB=∠AQB=90ù의 의미 추론하기 20 %
삼각형 PAB의 밑변을 선분 AB라 하면
ABÓ="Ã2Û`+(-4)Û`=2'5로 일정하다.
두 점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 구하기 40 %
lÛ`의 값 구하기 40 %
삼각형 PAB의 높이는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때
삼각형 PAB의 넓이가 최소이다.
788  ③
y

원 xÛ`+yÛ`+16x-10y+8=0에서 (x+8)Û`+(y-5)Û`=81이므로 A{0,`8}


중심이 (-8,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9이다.
y

4x-3y-13=0 B{2,`4}

x@+y@=4
{-8,`5}
O
x O x

y=-2x+8

172 수학<상>
직선 AB의 방정식은 y=2x@
y
4-8 y=x-1
y= x+8   ∴ y=-2x+8
2-0
원 위의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원의 중심 (0, 0)과 직선 2x+y-8=0 사이의 거리에서
y=1
반지름의 길이 2를 뺀 값이므로
|-8| 8 O x
-2= -2
'5
x=2 y=-x+3
"Ã2Û`+1Û`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솟값은 따라서 곡선 y=2xÛ`과 직선 y=x-1 또는 y=-x+3의
1 8 교점이 구하는 원의 중심이다.
_2'5_{ -2}=8-2'5
2 '5 Ú 방정식 2xÛ`=x-1, 즉 2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채점 요소 배점 D=(-1)Û`-8<0
선분 AB를 밑변으로 할 때, ABÓ의 값 구하기 20 %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삼각형 PAB의 높이의 최솟값 구하기 50 % Û 방정식 2xÛ`=-x+3에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솟값 구하기 30 %
2xÛ`+x-3=0, (2x+3)(x-1)=0
3
∴ x=- 또는 x=1
2
3 9
Ú, Û에서 원의 중심은 {- , } 또는 (1, 2)이다.
2 2
790  ③
3 9 3 7
원의 중심이 {- , }일 때, 반지름의 길이는 |- -2|= 이고,
원 xÛ`+yÛ`-10x=0에서 (x-5)Û`+yÛ`=25이므로 2 2 2 2
중심이 (5,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이다. 원의 중심이 (1, 2)일 때,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을 C(5, 0)이라 하고, 직선 AC와 수직이면서 |1-2|=1이다.  yy TIP
점 A(1, 0)을 지나는 직선이 원과 만나는 두 교점을 각각 따라서 모든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7p+2p=9p
다른 풀이
P, Q라 하자.
y 두 직선 x=2, y=1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에서
두 직선 x=2, y=1까지의 거리는 서로 같다.
P 원의 중심이 곡선 y=2xÛ`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좌표를
A{1,`0} (a, 2aÛ`)이라 하면 |a-2|=|2aÛ`-1|
O x 도
C{5,`0} 형
y=2x@
y 의
Q



점 A(1, 0)을 지나는 현 중에서 가장 짧은 것은 PQÓ이고,
가장 긴 것은 지름이며 그 길이는 10이다.
y=1
CPÓ=5, ACÓ=4이므로
O x
직각삼각형 PA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x=2
APÓ="Ã5Û`-4Û`=3   ∴ PQÓ=2 APÓ=6
Ú a-2=2aÛ`-1일 때
따라서 점 A(1, 0)을 지나는 현의 길이를 k라 하면
방정식 2aÛ`-a+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6ÉkÉ10이고, 이 중 자연수 k는 6, 7, 8, 9, 10이다.
D=(-1)Û`-8<0
이때, 길이가 7, 8, 9인 현은 각각 2개씩 존재하고,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길이가 6, 10인 현은 각각 1개씩 존재하므로
Û a-2=-(2aÛ`-1)일 때
구하는 현의 개수는
2aÛ`+a-3=0에서 (2a+3)(a-1)=0
3_2+2_1=8
3
∴ a=- 또는 a=1
2
3 9
Ú, Û에서 원의 중심은 {- , }, (1, 2)이다.
791   9p
3 9
2 2
3 7
원의 중심이 {- , }일 때, 반지름의 길이는 |- -2|=
두 직선 x=2, y=1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에서 2 2 2 2
두 직선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원의 중심이 (1, 2)일 때,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은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1 또는 -1인 직선 위에 |1-2|=1이다.  yy TIP
있다. 따라서 모든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즉, 직선 y=x-1 또는 y=-x+3 위에 있다. 7p+2p=9p

Ⅲ. 도형의 방정식 173


TIP 두 삼각형 OAC, AHC가 닮음이므로
두 직선 x=2, y=1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CÓ`:`ACÓ=ACÓ`:`HCÓ
원의 중심에서 직선 x=2 또는 직선 y=1까지의 거리와 같다. 이때, OCÓ="Ã3Û`+4Û`=5, ACÓ=1이므로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가 (p, q)일 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
5`:`1=1`:`HCÓ에서 HCÓ=
5
|p-2|=|q-1|과 같다.
1
즉, 원의 중심 C에서 직선 AB에 이르는 거리가 이다.
5
점 C(3, 4)와 직선 3x+4y-4n=0 사이의 거리는
|9+16-4n| 1
=
792   y=;4!;x+;2!;, y=-4x-8 "Ã3Û`+4Û` 5
|25-4n|=1, 25-4n=Ñ1
다음과 같이 점 (-2, 0)에서 원 (x-2)Û`+(y-1)Û`=4에 그은
13
즉, n=6 또는 n= 에서 n=6  yy TIP
두 접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두 직선 중 한 직선은 2
원의 중심을 지난다. 3
∴ 4(m+n)=4{- +6}=21
y 4

TIP
3
점 C(3, 4)와 직선 y=- x+n 사이의 거리가
1 4
O 2 x 1
인 직선은 다음과 같이 2개이다.
-2 5
y
즉, 이 직선은 점 (-2, 0)과 원의 중심 (2, 1)을 지나므로
A
직선의 방정식은
1-0 1 1
y= (x+2)   ∴ y= x+ B
2-(-2) 4 2
두 접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다른 한 직선은
1 1
직선 y= x+ 과 수직이면서 점 (-2, 0)을 지나므로
4 2
O x
직선의 방정식은
y=-4(x+2)   ∴ y=-4x-8 두 직선 중 구하는 직선 AB는 y절편 n의 값이 더 작은 쪽이므로
13
따라서 구하는 두 직선의 방정식은 n=6, n= 중에서 직선 AB를 나타내는 것은 n=6이다.
2
1 1
y= x+ , y=-4x-8
4 2

794   26
793   21
삼각형 ABP의 밑변을 선분 AB라 할 때,
다음과 같이 원 (x-3)Û`+(y-4)Û`=1의 중심을 C(3, 4), ABÓ="Ã5Û`+(-1)Û`='2Œ6
직선 OC와 직선 AB의 교점을 H라 하자. 으로 일정하므로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y 삼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직선 AB와 평행한 원의 접선 중
A
C 제 1 사분면에서 원과 접하는 접선의 접점이 P가 될 때
H
B 삼각형 ABP의 넓이가 최대이다.
점 P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선 PH는
점 P에서의 접선과 수직이므로 원의 중심인 원점을 지난다.
y
O x P
4
직선 OC의 기울기가 이고, 직선 OC와 직선 AB가 수직이므로
3
3 O x
m=-
4 A
3 H B
즉, 직선 AB의 방정식은 y=- x+n이다.
4

174 수학<상>
이때, 이등변삼각형 OAB에서 점 H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TIP
점 H의 좌표는 1
원 xÛ`+yÛ`=13에 접하는 기울기가 - 인 직선은 다음과 같이
-3+2 -2+(-3) 5
{ , }
2 2 두 개가 존재한다.
1 5
∴ {- , - } y
2 2

OHÓ=¾Ð{- }2`+{- }2`=


1 5 '2Œ6
이고
2 2 2
PHÓ=OPÓ+OHÓ이므로 x
O
'2Œ6
PHÓ='1Œ3+
2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댓값은
1 1 '2Œ6
_ABÓ_PHÓ‌= _'2Œ6_{'1Œ3+ }  이 중 제 1 사분면에서 원과 접하는 접선은 y절편이 양수이므로
2 2 2
1 13'2 1 13'2
13 두 접선 y=- xÑ 중 y=- x+ 이다.
= (1+'2 ) 5 5 5 5
2
이므로 p=2, q=13
∴ pq=26

다른 풀이
795  ④

A(1, 3)이라 하고, 원의 중심을 B(a, b)`(a>0, b>0)라 하자.


삼각형 ABP의 밑변을 선분 AB라 할 때,
원이 x축에 접하므로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ABÓ="Ã5Û`+(-1)Û`='2Œ6
원이 x축과 접하는 접점이 C이다.
으로 일정하므로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y y=3x
삼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직선 AB와 평행한 원의 접선 중 제 1 사분면에서
원과 접하는 접선의 접점이 P가 될 때 삼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다.
A{1,`3}
y
B
P

x 도
O C 형

O x
원점 O에서 원에 그은 접선의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방

OCÓ=OAÓ="Ã1Û`+3Û`='1Œ0에서

A 식
H B
a='1Œ0   ∴ B('1Œ0, b)
두 점 A(-3, -2), B(2, -3)을 지나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ABÓ=BCÓ에서
-3-(-2) "Ã('1Œ0-1)Û`+(b-3)Û`=b
1
=-
2-(-3) 5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1 (10-2'1Œ0+1)+(bÛ`-6b+9)=bÛ`
기울기가 - 인 원 xÛ`+yÛ`=13의 접선의 방정식은
5 10-'1Œ0
y=- xÑ'1Œ3_¾Ð{- }2`+1에서
6b=20-2'1Œ0   ∴ b=
1 1 3
5 5 10-'1Œ0 10+2'1Œ0
13'2 ∴ a+b='1Œ0+ =
1 3 3
y=- x+  yy TIP
5 5
정리하면 x+5y-13'2=0
점 A(-3, -2)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8'7
|-3-10-13'2| 13+13'2
= 796   - 21
"Ã1Û`+5Û` '2Œ6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댓값은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은
1 1 13+13'2 원의 중심이 선분 AB의 중점인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_ABÓ_PHÓ‌= _'2Œ6_
2 2 '2Œ6 원 xÛ`+yÛ`=1의 일부이고,
13 선분 BC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은
= (1+'2 )
2 1+7
원의 중심이 선분 BC의 중점인 { , 0}, 즉 (4, 0)이고
이므로 p=2, q=13 2
∴ pq=26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x-4)Û`+yÛ`=9의 일부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75


y 15 15
=k (k는 실수)라 하면 두 접선의 y절편이 각각 - , 이고, x절편은 5이므로
x-8 4 4
y=k(x-8) (∵ x+8) 접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밑변의 길이가
15 15 15
-{- }= 이고 높이가 5인 삼각형이다.
y
4 4 2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A B C 1 15 75
-1 O 1 x _ _5= 이다.
7 8 2 2 4
다른 풀이
직선 y=k(x-8)은 점 (8, 0)을 지나고 기울기가 k인 직선이므로
점 P(5, 0)이라 하고, 점 P에서 원 xÛ`+yÛ`=9에 그은 한 접선이
원 xÛ`+yÛ`=1과 제 4 사분면에서 접할 때 k의 값이 최대이고,
y축과 만나는 점을 A, 원과 만나는 접점을 Q라 하자.
원 (x-4)Û`+yÛ`=9와 제 1 사분면에서 접할 때 k의 값이 최소이다.
y
직선 kx-y-8k=0이 원 xÛ`+yÛ`=1에 접할 때,
A
원의 중심 (0, 0)에서 직선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1과
x@+y@=9 Q
같으므로
P
|-8k| x
=1 O 5
"ÃkÛ`+(-1)Û`
1
64kÛ`=kÛ`+1   ∴ k=(∵ k>0)
3'7
직선 kx-y-8k=0이 원 (x-4)Û`+yÛ`=9에 접할 때,
OPÓ=5, OQÓ=3이므로 직각삼각형 OQP에서
원의 중심 (4, 0)에서 직선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3과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같으므로
PQÓ="Ã5Û`-3Û`=4
|4k-8k|
=3 두 삼각형 AOP, OQP가 닮음이므로
"ÃkÛ`+(-1)Û`
3 OPÓ`:`PQÓ=OAÓ`:`OQÓ에서
16kÛ`=9kÛ`+9   ∴ k=-(∵ k<0)
'7 5`:`4=OAÓ`:`3   ∴ OAÓ=
15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4
1 3 8'7 1 15 75
+{- }=- 이다. 삼각형 AOP의 넓이는
2
_5_ = 이므로
4 8
3'7 '7 21
75 75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2_ = 이다.
8 4
75
797   4

점 (5, 0)에서 원 xÛ`+yÛ`=9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y=a(x-5) (a는 상수)라 하면 yy ㉠
798  ④

원의 중심 (0, 0)과 직선 ax-y-5a=0 사이의 거리가 원의 원 xÛ`+yÛ`=16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ax+by=16이다.
|-5a| 이 접선이 원 (x-8)Û`+yÛ`=1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즉, =3에서
"ÃaÛ`+(-1)Û` 중심 (8, 0)과 직선 ax+by-16=0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5a|=3"ÃaÛ`+1 1보다 작아야 한다.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25aÛ`=9(aÛ`+1) |8a-16|
즉, <1 yy ㉠
9 3 "ÃaÛ`+bÛ`
16aÛ`=9, aÛ`= 이므로 a=Ñ
16 4 이때, 점 P(a, b)가 원 xÛ`+yÛ`=16 위의 점이므로
이 값을 ㉠에 대입하면 두 접선의 방정식은 각각 aÛ`+bÛ`=16
3 3 이를 ㉠에 대입하면
y= (x-5), y=- (x-5)이다.
4 4 3 5
|8a-16|<4, -4<8a-16<4, <a<
따라서 두 접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2 2
y 3 5
이므로 m= , n=
15 2 2
4
x@+y@=9 ∴ m+n=4

O 5 x

15
799  ⑤
-
4
점 (0, 5)에서 원 xÛ`+yÛ`=5에 그은 기울기가 음수인 접선 l의

176 수학<상>
방정식을 y=mx+5 (m<0)이라 하면 두 점 A, B가 모두 원 xÛ`+yÛ`=9 위의 점이므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5=0 사이의 거리가 원의 점 (0,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3y=9에서 y=3 yy ㉠
12 9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5|
='5에서 5="Ã5(mÛ`+1)
"ÃmÛ`+(-1)Û` 5 5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mÛ`+1=5   ∴ m=-2 (∵ m<0) 12 9
x- y=9에서 4x-3y=15 yy ㉡
따라서 직선 l`:`y=-2x+5이다. 5 5
x축, y축 및 직선 l에 동시에 접하면서 중심이 제 1 사분면 위에 ㉠, ㉡을 연립하여 풀면 x=6, y=3이므로 두 접선의 교점의 좌표는
있는 두 원은 다음과 같다. (6, 3)이다.
y ∴ a+b=6+3=9

801  ④

작은 원의 중심을 CÁ, 큰 원의 중심을 Cª라 하고,


O x 두 원이 만나는 점을 P라 하면
y=-2x+5
두 원이 모두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점 O에 대하여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을 (r, r)라 하면
네 점 O, CÁ, Cª, P는 모두 직선 y=x 위에 존재한다.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이다.
y
또한 직선 l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r, r)와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r와 같다.
|2r+r-5|
즉, =r에서 |3r-5|='5r
"Ã2Û`+1Û` C™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C¡ P
9rÛ`-30r+25=5rÛ`   ∴ 4rÛ`-30r+25=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실근의 합은 O x
30 15
=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4 2
15 OÕCÁÓ=3'2, CÕÁPÓ=3
따라서 구하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이다. 도
2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형
OÕCªÓ='2 r, CÕªPÓ=r 의

OÕCªÓ=OÕCÁÓ+CÕÁPÓ+CÕªPÓ이므로 정
800  ② '2 r=3'2+3+r, ('2-1)r=3('2+1)

3('2+1)
두 원 xÛ`+yÛ`=9, (x-4)Û`+(y-2)Û`=17의 교점 A, B를 지나는 즉, r= =3('2+1)Û`=9+6'2이므로
'2-1
직선의 방정식은 a=9, b=6
(x-4)Û`+(y-2)Û`-17-(xÛ`+yÛ`-9)=0 ∴ a+b=15
-8x-4y+12=0   ∴ 2x+y-3=0
다른 풀이
2x+y-3=0, xÛ`+yÛ`=9를 연립하여 풀면
xÛ`+(-2x+3)Û`=9, 5xÛ`-12x=0, x(5x-12)=0 작은 원의 중심을 CÁ, 큰 원의 중심을 Cª라 하고,
12 두 원이 만나는 점을 P라 하자.
∴ x=0 또는 x=
5 y
9
2x+y-3=0에 각각 대입하면 y=3, y=- 이므로
5
12 9
두 점 A, B의 좌표는 (0, 3), { , - }이다.
5 5 C™
y
C¡ P

A {a,`b} O x
x@+y@=9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O x 두 원의 중심이 제 1 사분면에 있으면서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B {x-4}@+{y-2}@=17 CÁ(3, 3), Cª(r, r)이다.
두 원이 서로 외접하므로 CÕÁCªÓ=CÕÁPÓ+CÕªPÓ에서

Ⅲ. 도형의 방정식 177


"Ã(r-3)Û`+(r-3)Û`=3+r 직선 l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C, D라 하자.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y
l
2(r-3)Û`=(r+3)Û` D
A
rÛ`-18r+9=0   ∴ r=9+6'2 (∵ r>3)
B
따라서 a=9, b=6이므로
a+b=15 C O™ O¡ O x

802  ⑤

두 원 (x-a)Û`+(y+1)Û`=4, (x-2)Û`+(y-b)Û`=4가 두 삼각형 CBOª, CAOÁ은 닮음이고,


서로 외접하면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OÕªBÓ=1, OÕÁAÓ=2이므로
합과 같으므로 두 삼각형 CBOª, CAOÁ의 닮음비는 1`:`2이다.
"Ã(2-a)Û`+(b+1)Û`=2+2 ∴ CÕOªÓ=OÕªOÁÓ=3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 COÓ‌=CÕOªÓ+OÕªOÁÓ+OÕÁOÓ
(a-2)Û`+(b+1)Û`=16 =3+3+2=8
따라서 점 (a, b)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이 (2, -1)이고, 직각삼각형 CBOª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CBÓ="Ã3Û`-1Û`=2'2
ㄱ.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p라 하면 원에 내접하는 두 삼각형 CBOª, COD가 닮음이므로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가 원의 지름의 길이와 같다. CBÓ`:`COÓ=OÕªBÓ`:`DOÓ에서
2'2`:`8=1`:`DOÓ
8
∴ DOÓ= =2'2
8 2'2
p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COD의 넓이는
1 1
_COÓ_DOÓ‌= _8_2'2
2 2
'2p=8에서 p=4'2이다. (거짓) =8'2
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q라 하면 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무게중심이 원의 중심과 같다.

q 4 804  ③

다음과 같이 두 원 Cª, C£의 중심을 각각 Oª, O£이라 하고
두 점 Oª, O£에서 직선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라 하자.

'3
l
2
q_ =4에서 q=4'3 B
2 3
즉, 정삼각형의 넓이는 R O£
A
'3
_(4'3)Û`=12'3이다. (참) Q O™ C£
4
ㄷ. ‌직선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이 직선 위의 C™
점이어야 한다. P

즉, 직선 y=x-3이 원의 중심 (2, -1)을 지나므로 원의 넓이를
이등분한다. (참)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모두 2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PÕO£Ó=10, PÕOªÓ=6, BÕO£Ó=2


삼각형 PO£B와 삼각형 POªA가 닮음이므로
PÕO£Ó`:`PÕOªÓ=BÕO£Ó`:`AÕOªÓ
803  ①
10`:`6=2`:`AÕOªÓ
원 xÛ`+yÛ`+4x=0에서 (x+2)Û`+yÛ`=4이므로 6
∴ AÕOªÓ=
5
중심이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직각삼각형 QAOª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QÓ=¾Ð2Û`-{ }2`=
원 xÛ`+yÛ`+10x+24=0에서 (x+5)Û`+yÛ`=1이므로
6 8
중심이 (-5,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5 5
두 원의 중심을 각각 OÁ(-2, 0), Oª(-5, 0)이라 하고, 16
∴ QRÓ=2 AQÓ=
두 원이 직선 l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 5

178 수학<상>
805  ⑤ 따라서 ㉠의 최댓값은 2_6Û`+4=76이고,
최솟값은 2_4Û`+4=36이다.
주어진 두 원의 한 공통외접선을 다음과 같이 직선 l이라 하자. 따라서 구하는 APÓ Û`+BPÓ Û`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은
y 36+76=112이다.
P
A
B
l

O
O™
x 807  ⑤

원 xÛ`+yÛ`-6x-2y=0에서 yy ㉠
두 접선의 교점을 P(a, b)라 하고, 두 원 (x-3)Û`+(y-1)Û`=10
(x+2)Û`+(y-3)Û`=9, (x-3)Û`+(y-1)Û`=16의 즉, 주어진 원은 중심이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Œ0이다.
중심을 각각 OÁ(-2, 3), Oª(3, 1), ㉠에 y=0을 대입하면 xÛ`-6x=0에서
직선 l이 두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x=0 또는 x=6
AÕOÁÓ=3, BÕOªÓ=4이다. A(0, 0), B(6, 0)이라 하면 다음과 같다.
y
두 삼각형 POÁA, POªB가 닮음이고,
닮음비는 AÕOÁÓ`:`BÕOªÓ=3`:`4이다. 1+Â10° P
k
따라서 PÕOÁÓ`:`PÕOªÓ=3`:`4이므로
2
점 P는 선분 OÁOª를 3`:`4로 외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점 (a, b)는 1
B
3_3-4_(-2) 3_1-4_3 O {=A} 3 6 x
{ , }
3-4 3-4
∴ (-17, 9)
∴ a+b=-17+9=-8 ABÓ=6이고, 점 P의 y좌표를 k라 하면
1
(삼각형 ABP의 넓이)= _6_k=3k
2
806  ⑤
따라서 3k가 자연수이어야 한다.
점 P의 좌표를 (a, b)라 할 때, 한편, 제 1 사분면 위의 점 P에 대하여 점 P의 y좌표의 범위는
APÓ Û`+BPÓ Û` 0<kÉ1+'1Œ0 도

=aÛ`+(b-5)Û`+(a-2)Û`+(b-3)Û` 이때, ㉠에 x=0을 대입하면 yÛ`-2y=0에서 의
y=0 또는 y=2 방
=2aÛ`+2bÛ`-4a-16b+38 정
=2{(a-1)Û`+(b-4)Û`}+4 yy ㉠ 즉, y좌표가 k인 점 P의 개수는 식

이때, (a-1)Û`+(b-4)Û`은 0<kÉ2일 때 1개,


두 점 (a, b), (1, 4) 사이의 거리의 제곱과 같으므로 2<k<1+'1Œ0일 때 2개이다.
원 xÛ`+yÛ`+4x+3=0 위의 점과 점 (1, 4) 사이의 거리가 Ú 0<3kÉ6일 때
최대일 때 ㉠은 최댓값을 갖고, 가능한 자연수 3k의 값은
최소일 때 ㉠은 최솟값을 갖는다. 1, 2, y, 6
원 xÛ`+yÛ`+4x+3=0에서 (x+2)Û`+yÛ`=1이므로 이때, 점 P는 각각 1개씩이므로 총 6개이다.
중심이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Û 2<k<1+'1Œ0, 즉 6<3k<3+3'1Œ0일 때
y 가능한 자연수 3k의 값은
{1,`4}
7, 8, y, 12
이때, 점 P는 각각 2개씩이므로 총 2_6=12(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개수는
6+12=18이다.
{x+2}@+y@=1

-2
O x
808  ④

원의 중심 (-2, 0)과 점 (1, 4) 사이의 거리는 "Ã3Û`+4Û`=5 점 (n, 0)에서 원 xÛ`+yÛ`=1에 그은 접선 중 제 1 사분면에서 원과
즉, 원 위의 점과 점 (1, 4) 사이의 거리의 접하는 접선의 접점의 좌표가 (xÇ, yÇ)이므로
최댓값은 5+1=6이고, 최솟값은 5-1=4이다. 이 접선의 방정식을 xÇ x+yÇ y=1이라 하자.

Ⅲ. 도형의 방정식 179


y TIP
제곱근 안에서 분자와 분모가 규칙적으로 소거되므로 다음과
{xˆ,`yˆ}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_3 2_4 3_5 8_10
®É _®É _®É _y_®É
2Û` 3Û` 4Û` 9Û`
O n x
1_3 2_4 3_5 8_10
=®É _ _ _y_
2_2 3_3 4_4 9_9
1 10 5 '5
=®É _ =® =
2 9 9 3
직선 xÇ x+yÇ y=1이 점 (n, 0)을 지나므로
xÇn=1 9'7
3
∴ xÇ=
1 809   B{ 8 , 8 }
n
원점에서 점 S까지의 거리가 3+1=4이므로 점 S는
또한 점 (xÇ, yÇ)이 원 xÛ`+yÛ`=1 위의 점이므로
원 xÛ`+yÛ`=16 위에 있다.
(xÇ)Û`+(yÇ)Û`=1
원 xÛ`+yÛ`=9 위의 점 (3,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yÇ‌="Ã1-(xÇ)Û``(∵ yÇ>0)

=¾Ð1-{ }2`=¾Ð
x=3이므로 xÛ`+yÛ`=16에 x=3을 대입하면
1 nÛ`-1 yÛ`=7에서 y=Ñ'7

n nÛ`
∴ S(3, '7) (∵ S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
(n-1)(n+1)
=¾Ð 점 B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점 B는 원 xÛ`+yÛ`=9 위의
nÛ`
∴ yª_y£_y¢_y_y»
‌ 점이므로
1_3 2_4 3_5 8_10 (xÁ)Û`+(yÁ)Û`=9 yy ㉠
=®É _®É _®É _y_®É
2Û` 3Û` 4Û` 9Û` 점 B(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 10 '5 xÁ x+yÁ y=9
=®É _ =  yy TIP
2 9 3
이 접선이 점 S(3, '7)을 지나므로
3xÁ+'7yÁ=9 yy ㉡
9-3xÁ
다른 풀이 ㉡에서 yÁ=  을 ㉠에 대입하면
'7
}2`=9
점 A(n, 0)이라 하고, 점 A에서 원에 그은 접선 중 원과 9-3xÁ
(xÁ)Û`+{
제 1 사분면에서 접하는 접선의 접점을 BÇ(xÇ, yÇ), 점 BÇ에서 '7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8(xÁ)Û`-27xÁ+9=0, (xÁ-3)(8xÁ-3)=0
y 3
∴ xÁ=3 또는 xÁ=
8
Bˆ 이때, 점 B(xÁ, yÁ)은 점 (3, 0)이 아닌 다른 접점이므로
3 9'7
xÁ= , yÁ=
A 8 8
O H n x 3 9'7
∴ B{ , }
8 8

810   22
OÕAÓ=n, OÕBÇÓ=1이므로 직각삼각형 ABÇO에서
C(0, -2)라 하면 다음과 같이 호 ACB를 포함하는 원은
AÕBÇÓ="ÃnÛ`-1이다.
원 xÛ`+(y+3)Û`=16과 직선 AB에 대하여 대칭이다.
두 직각삼각형 OBÇA, OHBÇ이 닮음이므로
y
OAÓ`:`AÕBÇÓ=OÕBÇÓ`:`BÕÇHÓ
A
즉, n`:`"ÃnÛ`-1=1`:`yÇ이므로
O x
"ÃnÛ`-1 nÛ`-1 C{0,`-2}
yÇ‌= =¾Ð
n nÛ`
(n-1)(n+1)
=¾Ð
nÛ` B
x@+{y+3}@=16
∴ yª_y£_y¢_y_y»
‌
1_3 2_4 3_5 8_10 호 ACB를 포함하는 원은 점 C(0, -2)에서 y축에 접하므로
=®É _®É _®É _y_®É
2Û` 3Û` 4Û` 9Û`
중심의 y좌표는 -2이다.
1 10 '5
=®É _  = 또한 이 원은 원 xÛ`+(y+3)Û`=16과 직선 AB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9 3

180 수학<상>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원과 곡선 y=xÛ`이 두 점 (1, 1), (-1, 1)에서 접하므로 각각
원이 y축에 접할 때,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이 반지름의 길이와 두 점 (1, 1), (-1, 1)에서의 원의 접선과 곡선의 접선이
같으므로 중심의 x좌표는 -4이다. 서로 같다.
따라서 호 ACB를 포함하는 원은 중심이 (-4, -2)이고 반지름의 곡선 y=xÛ`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길이가 4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y=m(x-1)+1`(m+0)이라 하면
(x+4)Û`+(y+2)Û`=16 방정식 xÛ`=m(x-1)+1, 즉 xÛ`-mx+m-1=0이 중근을
직선 AB는 두 원 xÛ`+(y+3)Û`=16, (x+4)Û`+(y+2)Û`=16의 가진다. 판별식을 D라 하면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D=mÛ`-4m+4=0에서 m=2이다.
{xÛ`+(y+3)Û`-16}-{(x+4)Û`+(y+2)Û`-16}=0 즉,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1이다.
11 점 (1, 1)을 지나면서 직선 y=2x-1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8x+2y-11=0   ∴ y=4x+
2 1
y=- (x-1)+1
11 2
따라서 m=4, n= 이므로
2 3
이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은 {0, }이고
mn=22 2
이 점이 구하는 원의 중심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3
{0, }과 원 위의 점 (1, 1) 사이의 거리와 같다.
811   200 2

즉, ¾Ð1Û`+{- }2`=®  이다.


1 5
원의 중심이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 4
원의 중심의 좌표를 (k, kÛ`)이라 하자. 이 원이 y축에 접하므로 5
따라서 원의 넓이는 p이다.
반지름의 길이는 |k|이다. 4
이 원이 직선 y='3x-2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k, kÛ`)에서
직선 '3x-y-2=0까지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813   -;7^;
길이와 같다. 점 P와 원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PAÓ=PBÓ=3'2이므로 두 점
|'3k-kÛ`-2| A, B는 중심이 점 P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2인 원 위의 점이다.
즉, =|k|에서
¿¹'3 Û`+(-1)Û` 즉, 두 점 A, B는 원 (x-3)Û`+yÛ`=10과
|'3 k-kÛ`-2|=2|k| (x+3)Û`+(y-2)Û`=18의 교점이다.
Ú '3 k-kÛ`-2=2k인 경우 두 원 (x-3)Û`+yÛ`=10과 (x+3)Û`+(y-2)Û`=18의 교점을 지나는
방정식 kÛ`+(2-'3)k+2=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직선의 방정식은 도

DÁ=(2-'3)Û`-8<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가 (x-3)Û`+yÛ`-10-{(x+3)Û`+(y-2)Û`-18}=0 의
존재하지 않는다. -12x+4y+4=0   ∴ y=3x-1 방

Û '3k-kÛ`-2=-2k인 경우 y=3x-1과 (x-3)Û`+yÛ`=10을 연립하여 풀면 식
방정식 kÛ`+(-2-'3)k+2=0의 판별식을 Dª라 할 때, (x-3)Û`+(3x-1)Û`=10, 10xÛ`-12x=0
Dª=(-2-'3)Û`-8>0이므로 두 실근이 존재하고 6
x(5x-6)=0이므로 x=0 또는 x=
두 실근의 곱은 2이다. 5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 a, b의 곱은 13
y=3x-1에 각각 대입하면 y=-1, y=
ab=2이다. 5
6 13
∴ 100ab=200 따라서 A{ , }, B(0, -1)이다.
5 5
13 3
-2
5 5 1
812  ① 직선 PA의 기울기는
6
5
-(-3)
=
21
5
= 이고
7

중심이 y축 위에 있고, 곡선 y=xÛ`과 두 점 (1, 1), (-1, 1)에서 -1-2


직선 PB의 기울기는 =-1이므로
접하는 원은 다음과 같다. 0-(-3)
y y=x@
두 직선의 기울기의 합은
1 6
+(-1)=-
7 7

1
814  ④

CÁ`:`(x+1)Û`+(y-2)Û`=10
Cª`:`(x-2)Û`+(y+1)Û`=k yy ㉠
-1 O 1 x
라 하고, 두 원의 중심을 각각 OÁ(-1, 2), Oª(2, -1)이라 하자.

Ⅲ. 도형의 방정식 181


두 원이 만나는 두 점 A, B에 대하여 ABÓ의 중점을 M이라 하면 (2b-10)Û`+bÛ`=40
점 M은 직선 OÁOª 위에 존재하므로 5bÛ`-40b+60=0, bÛ`-8b+12=0, (b-2)(b-6)=0
원 CÁ 위에 ABÓ=2'2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면 ∴ b=2, a=-6 또는 b=6, a=2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생긴다. 그런데 점 A를 제 1 사분면 위의 점으로 잡았으므로
y a=2, b=6 (∵ a>0)
B 따라서 B(2, -2)이므로
C¡:{x+1}@+{y-2}@=10
O¡{-1,`2} Û
OBÓ `=2Û `+(-2)Û`=8
M
A ∴ 3lÛ`=3_8=24
{ii} B
M
O x

{i}A
O™{2,`-1}
816   75

ABÓ=2'2에서 AÕMÓ='2 각 OPA의 크기가 일정하도록 점 P가 움직이므로 점 P는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는 OÕÁAÓ='1Œ0 선분 OA를 현으로 하면서 각 OPA가 원주각이 되는 원 위를
직각삼각형 AMOÁ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움직인다.
OÕÁMÓ=¿¹'1Œ0 Û`-'2 Û`=2'2 y

또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OÕÁOªÓ="Ã3Û`+(-3)Û`=3'2
B{7,`7}

한편, ㉠에서 k의 값은 원 Cª의 반지름의 길이의 제곱과 같으므로 C


직각삼각형 AMOª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k=AÕOªÓ Û`=AÕMÓ Û`+MòOªÓ Û`=2+MòOªÓ Û` M
O A{6,`0} x
Ú MòOªÓ=OÕÁOªÓ-OÕÁMÓ=3'2-2'2='2이므로
k=2+2=4 이때, 원의 중심을 C, 점 C에서 선분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Û MòOªÓ=OÕÁOÓª+OÕÁMÓ=3'2+2'2=5'2이므로 M이라 하자.
k=2+50=52 직선 CM이 선분 OA를 수직이등분하므로 점 C의 x좌표는 3이다.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C(3, a) (a는 상수)라 하면 OCÓ="Ã9+aÛ` 이므로
4+52=56이다. 원의 방정식은
(x-3)Û`+(y-a)Û`=9+aÛ` yy㉠
점 B(7, 7)이 원 위의 점이므로

815   24 16+(7-a)Û`=9+aÛ`   ∴ a=4


㉠에 대입하면 원의 방정식은
주어진 원의 중심이 원점, 직선 AB가 y축과 평행하면서 (x-3)Û`+(y-4)Û`=25
점 A가 제 1 사분면 위에 오도록 주어진 도형을 좌표평면 위에 y
놓으면 다음과 같고, 이때 원의 방정식은 xÛ`+yÛ`=40이다.
y B{7,`7}
A{a,`b}
C{3,`4}

O x x
O A{6,`0}
C{a+4,`b-8}

직선 AC의 기울기는
B{a,`b-8} 0-4 4
=-
점 A의 좌표를 (a, b) (a>0, b>0)라 하면 6-3 3
점 A는 원 위의 점이므로 직선 BC의 기울기는
aÛ`+bÛ`=40 yy ㉠ 7-4 3
=
7-3 4
이때, ABÓ=8이므로 점 B의 좌표는 (a, b-8)
즉, 두 직선 AC, BC는 서로 수직이므로
BCÓ=4이므로 점 C의 좌표는 (a+4, b-8)
∠ACB=90ù
점 C가 원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점 P가 점 A에서 점 B까지 원을 따라 움직인 거리는
(a+4)Û`+(b-8)Û`=40, 8a-16b+80=0 (∵ ㉠)
90ù 5 5
∴ a=2b-10 10p_ = p이므로 k=
360ù 2 2
이를 ㉠에 대입하면 ∴ 30k=75

182 수학<상>
다른 풀이 P 지점으로부터 서쪽으로 40만큼 떨어진 지점이 배가 서 있던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지점이고, 이 지점을 점 Q라 하자.
원의 방정식을 xÛ`+yÛ`+ax+by+c=0이라 하면 배의 진행 방향은 동쪽 방향과 60ù를 이루므로 배가 이동하는 경로를
세 점 O(0, 0), A(6, 0), B(7, 7)이 원 위의 점이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0, y=0을 대입하면 c=0
B
x=6, y=0을 대입하면 36+6a=0에서 a=-6 H 60æ
x=7, y=7을 대입하면 49+49-42+7b=0에서 b=-8 A
Q P
즉, xÛ`+yÛ`-6x-8y=0에서 40
(x-3)Û`+(y-4)Û`=25
따라서 이 원의 중심이 (3,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이다.
이후 풀이는 본풀이와 같다. 배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직선이 원과 만나는 두 점을 A, B라
하고, 점 P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PHQ에서 ∠PQH=60ù이므로 PHÓ=20'3이고,
PAÓ=10'1Œ3이므로
817  ③
직각삼각형 PHA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 지점을 좌표평면 위의 원점, 동쪽 방향, 북쪽 방향을 각각 AHÓ‌="Ã(10'1Œ3)Û`-(20'3)Û`=10
x축, y축의 양의 방향으로 놓으면 레이더 화면은 ∴ ABÓ=2 AHÓ=20
원 xÛ`+yÛ`=1300의 내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배가 레이더 화면에 나타나며 이동한 거리가 20`km이고,
배가 서 있던 지점, 즉 P 지점에서 서쪽으로 40`km 떨어진 지점을 배의 속력은 시속 4`km이므로
점 (-40, 0)이라 하면 배가 레이더 화면에 보였다가 사라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배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직선의 기울기는 20
=5(시간)이다.
4
tan`60ù='3이다.
따라서 배는 직선 y='3(x+40), 즉 직선 '3 x-y+40'3=0을
따라 움직인다.
다음과 같이 원 xÛ`+yÛ`=1300과 직선 '3 x-y+40'3=0이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라 하면 배가 레이더 화면에 나타나면서
818   풀이 참조

이동한 거리는 ABÓ이다. x축, y축에 모두 접하는 원의 중심은 (a, a) 또는 (a, -a)이고,

원의 중심 O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이다. (단, a는 실수) 형
Â3x-y+40Â3=0
y Ú 중심이 (a, a)인 경우 의

이 원이 직선 3x-4y+6=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a, a)와 정
B 직선 3x-4y+6=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식
H
A 같다.
-40 O x |3a-4a+6|
10Â13° 즉, =|a|에서
"Ã3Û`+(-4)Û`
|-a+6|=5|a|
-a+6=5a일 때, a=1이므로 중심은 (1, 1)이다.
AOÓ=10'1Œ3이고,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3 3 3
-a+6=-5a일 때, a=- 이므로 중심은 {- , - }이다.
|40'3| 2 2 2
OHÓ= =20'3이므로
¿¹'3 Û`+(-1)Û` Û 중심이 (a, -a)인 경우
직각삼각형 AHO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이 원이 직선 3x-4y+6=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a, -a)와
AHÓ‌="Ã(10'1Œ3)Û`-(20'3)Û`='Ä1300-1200=10 직선 3x-4y+6=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 ABÓ=2 AHÓ=20 같다.
따라서 배가 레이더 화면에 나타나며 이동한 거리가 20`km이고, |3a+4a+6|
즉, =|a|에서
배의 속력은 시속 4`km이므로 "Ã3Û`+(-4)Û`
배가 레이더 화면에 보였다가 사라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7a+6|=5|a|
20 7a+6=5a일 때, a=-3이므로 중심은 (-3, 3)이다.
=5(시간)이다.
4 1 1 1
7a+6=-5a일 때, a=- 이므로 중심은 {- , }이다.
2 2 2
다른 풀이
Ú, Û에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레이더가 나타내는 화면은 P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 3 1 1
(1, 1), {- , - }, (-3, 3), {- , }이다.
10'1Œ3인 원의 내부이다. 2 2 2 2

Ⅲ. 도형의 방정식 183


채점 요소 배점 점 I(12, 4)와 직선 EF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x축, y축에 모두 접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 놓기 20 % |24-4-12| 8
IHò= =
"Ã2Û`+(-1)Û` '5
중심이 (a, a)인 경우, 중심 구하기 40 %
PIò=4이므로 직각삼각형 PHI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
중심이 (a, -a)인 경우, 중심 구하기 40 %
8 4
PHÓ=¾Ð4Û`-{
'5 '5
참고
8
∴ k=PQÓ=2 PHÓ=
조건을 만족시키는 네 원은 다음과 같다. '5
y ∴ 5kÛ`=64
3x-4y+6=0

820   49

O x 원점에서 직선 l`:`ax+by+1=0까지의 거리가 1이므로


|1|
=1   ∴ aÛ`+bÛ`=1 yy ㉠
"ÃaÛ`+bÛ`
y l¡
P¡{x¡,`y¡}
C™ l
819   64 C¡
l™
O x
다음과 같이 점 A와 점 C가 만나도록 접었을 때 접은 선이 선분
AD와 만나는 점을 E,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F라 하고, 점 B가 P™{x™,`y™}

옮겨지는 점을 G라 하면
AEÓ=CEÓ, BFÓ=GFÓ, ABÓ=CGÓ이고, 점 PÁ(xÁ, yÁ)에서 직선 l까지의 거리는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두 삼각형 CGF, CDE는 합동이다.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E x |axÁ+byÁ+1|
A D =2'2+1
"ÃaÛ`+bÛ`
16-x
8 ∴ |axÁ+byÁ+1|=2'2+1 (∵ ㉠) yy ㉡
B C
점 Pª(xª, yª)에서 직선 l까지의 거리는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F
길이의 차와 같으므로
G |axª+byª+1|
=2'2-1
"ÃaÛ`+bÛ`
DEÓ=x라 하면 AEÓ=16-x이고, CDÓ=8이므로
∴ |axª+byª+1|=2'2-1 (∵ ㉠) yy ㉢
직각삼각형 CDE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에서
xÛ`+8Û`=(16-x)Û`
|axÁ+byÁ+1|_|axª+byª+1|‌=(2'2+1)(2'2-1)
64=-32x+256   ∴ x=6
=7
∴ AEÓ=10, BFÓ=GFÓ=DEÓ=6
∴ (axÁ+byÁ+1)Û`(axª+byª+1)Û`=7Û`=49
점 B가 원점, A(0, 8), C(16, 0), D(16, 8)이 되도록
사각형 ABCD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 {x+;4!;}2`+yÛ`=;1Á6; (x<0, y>0)


E(10, 8), F(6, 0)이므로 직선 EF의 방정식은

y=
8-0
(x-6)
821 
10-6
점 P(-2, a)에서 원 xÛ`+yÛ`=1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 Q, R와
∴ 2x-y-12=0
선분 QR의 중점 M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y
P{-2,`a}
A E{10,`8}
8 D
P

Q H
I{12,`4} Q
C
O {=B} F{6,`0} 16 x M
-2 O x
한편, 변 BC, CD, DA에 접하는 원은 반지름의 길이가 4이고, R

중심이 (16-4, 4), 즉 (12, 4)이다.


원의 중심을 I(12, 4)라 하고, OPÓ="Ã(-2)Û`+aÛ`="ÃaÛ`+4, OQÓ=1이고,
점 I에서 선분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두 삼각형 OPQ, OQM이 닮음이므로

184 수학<상>
OPÓ`:`OQÓ=OQÓ`:`OÕMÓ
도형의 이동
즉, "ÃaÛ`+4`:`1=1`:`OÕMÓ에서
1
OÕMÓ=  yy ㉠
"ÃaÛ`+4
∴ PÕMÓ‌=OPÓ-OÕM Ó 822  ④

평행이동 (x, y) Ú (x+a, y+b)에 의하여


1 aÛ`+3
="ÃaÛ`+4- =  yy ㉡
"ÃaÛ`+4 "ÃaÛ`+4
점 (1, 3)은 점 (1+a, 3+b)로 옮겨진다.
㉠, ㉡에서
점 (1+a, 3+b)가 점 (4, 1)과 일치하므로
1 aÛ`+3
OÕMÓ`:`PÕMÓ= `:` =1`:`(aÛ`+3)
"ÃaÛ`+4 "ÃaÛ`+4 a=3, b=-2
이므로 점 M은 선분 OP를 1`:`(aÛ`+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 a+b=1
따라서 두 점 O(0, 0), P(-2, a)에 대하여 점 M의 좌표는

{
-2
,
aÛ`+4 aÛ`+4
a
} 823  ③

-2 a 점 (2, 3)이 점 (-1, 5)로 옮겨지므로


x= , y= 라 두면 yy ㉢
aÛ`+4 aÛ`+4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양의 실수 a에 대하여 x<0, y>0이므로
것이다.
점 M은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다.

}2`+{ }2`=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2, 4)로 옮겨지는 점의 좌표를
-2 1
이때, {
a
이므로 (a, b)라 하면 점 (a-3, b+2)가 점 (2, 4)와 일치하므로
aÛ`+4 aÛ`+4 aÛ`+4
x a=5, b=2
xÛ`+yÛ`=- (∵ ㉢)
2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5, 2)이다.
1 1
{xÛ`+ + }+yÛ`=
x 다른 풀이
2 16 16

∴ {x+ }2`+yÛ`=
1 1 점 (2, 3)이 점 (-1, 5)로 옮겨지므로
4 16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따라서 점 M이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것이다.

{x+ }2`+yÛ`=
1 1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2, 4)로 옮겨지는 점은
(x<0, y>0)이다.
4 16 점 (2, 4)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참고 평행이동한 점과 같다.  yy TIP 도

점 M이 나타내는 도형 {x+ }2`+yÛ`=



1 1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3, 4-2), 즉 (5, 2)이다. 의
(x<0, y>0)을
4 16 방
TIP 정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식
y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A가 점 B로 옮겨질 때,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B가 점 A로
x 옮겨진다.
1 O
-
2

824  ④

점 (1, a)는 점 (-1, 1)로 옮겨지고


점 (5, -4)는 점 (b, 2)로 옮겨지므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6=1, 5-2=b에서 a=-5, b=3
∴ a+b=-2

825   10

평행이동 (x, y) Ú (x-1, y+4)는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85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y=2x-1은 원 xÛ`+yÛ`+6x-2y-1=0에서
y-4=2{x-(-1)}-1, 즉 y=2x+5로 옮겨진다. yy 참고 (x+3)Û`+(y-1)Û`=11 yy ㉡
따라서 a=2, b=5이므로 ㉠을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ab=10 원의 방정식은
(x-p-1)Û`+(y-q+2)Û`=11
참고
이는 ㉡과 일치하므로 -p-1=3, -q+2=-1에서
직선 y=mx+n을
p=-4, q=3   ∴ pq=-4_3=-12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y-b=m(x-a)+n이다. TIP
따라서 직선을 평행이동하여도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원 xÛ`+yÛ`=rÛ`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원 (x-a)Û`+(y-b)Û`=rÛ`이다.
따라서 원을 평행이동하여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826  ①
원이 평행이동한 방향과 원의 중심이 평행이동한 방향이
점 (1, 4)가 점 (3, 3)으로 옮겨지므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서로 같다.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원의 중심의 평행이동만으로 원의 평행이동을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y=mx+n을 평행이동하면 알 수 있다.
y+1=m(x-2)+n   ∴ y=mx-2m+n-1 이 문제에서 원의 중심이 (1, -2)에서 (-3, 1)로 옮겨진
1 것으로부터 원이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이 직선이 직선 y=3x-6과 수직이므로 m=-
3 평행이동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선 y=3x-6이 x축과 만나는 점 (2, 0)을 지나므로
0=2m-2m+n-1   ∴ n=1
1 2
∴ m+n=- +1=
3 3 828  ③

다른 풀이 포물선 y=xÛ`-4x+1=(x-2)Û`-3을
직선 y=3x-6이 x축과 점 (2, 0)에서 만나므로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y=3x-6과 x축 위의 한 점 (2, 0)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y=(x-p-2)Û`-3+q
1 이 포물선이 y=xÛ`+1과 같다고 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y=- (x-2) yy`㉠
3 -p-2=0, -3+q=1에서 p=-2, q=4이다.
점 (1, 4)가 점 (3, 3)으로 옮겨질 때,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즉,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것이다.
직선 ㉠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l`:`x-y-2=0을 평행이동하면
평행이동한 직선이 y=mx+n이다. yy TIP (x+2)-(y-4)-2=0이므로
1 1 l'`:`x-y+4=0이다.
y=- {(x+2)-2}+1, 즉 y=- x+1에서
3 3
직선 l 위의 점 (0, -2)와 직선 l'`:`x-y+4=0 사이의 거리를
1
m=- , n=1 구하면 평행한 두 직선 l과 l' 사이의 거리는
3
|0-(-2)+4|
2 =3'2이다.
∴ m+n=
3 '2

TIP TIP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키는 포물선 y=a(x-b)Û`+c를


평행이동에 의하여 도형 A가 도형 A'으로 옮겨질 때,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포물선 y=a(x-m-b)Û`+c+n이다.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도형 A'이 도형 A로 따라서 포물선을 평행이동하여도 ‘이차항의 계수’는 변하지 않고
옮겨진다. 포물선이 평행이동한 방향과 꼭짓점이 평행이동한 방향이 서로
같다.
이를 이용하면 포물선의 꼭짓점의 평행이동만으로 포물선의
평행이동을 알 수 있다.
827   -12 이 문제에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가 (2, -3)에서
(0, 1)로 옮겨진 것으로부터 포물선이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원 xÛ`+yÛ`-2x+4y-6=0에서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1)Û`+(y+2)Û`=11 yy ㉠

186 수학<상>
829  ②
y
3
2
점 A(3,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B(3, -1)
1
점 B(3, -1)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C(-1, 3)
-3-2-1 O 1 2 3 x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
-2
3+3-1 1-1+3
{ , } -3
3 3
5
∴ { , 1} ⑶ 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 f(x+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830  6
3
2
1
점 P(a, b)가 제 1 사분면에 있는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b=a+2에서 P(a, a+2)`(a>0)이다. -3-2-1 O 1 2 3 x
-1
y -2
-3
P' P
⑷ y=- f(1-x)에서 y=- f(-(x-1))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O x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 f(-(x-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P" y
3
점 P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P'(-a, a+2), 2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P"(-a, -a-2)이므로 1
삼각형 PP'P"은 ∠PP'P"=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3-2-1 O 1 2 3 x
-1
따라서 삼각형 PP'P"의 넓이는
-2
1 1 -3
_PÕP'Ó_PÕ'P"Ó‌= _2a_2(a+2)
2 2 도

=2a(a+2)=16 다른 풀이 의
aÛ`+2a-8=0, (a+4)(a-2)=0 방
참고1 , 참고2  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정
∴ a=2`(∵ a>0), b=4 식
⑵ 함수 y= f(2-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직선
∴ a+b=6
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3
2
831   풀이 참조

1

-3-2-1 O 1 2 3 x
⑴ 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1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2
y= f(x+2)-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y
⑷ y=- f(1-x)에서 0-y= f(1-x)이다.
3
2 즉, 함수 y=- f(1-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1
그래프를 점 { , 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1
-1 2
-3-2 O 1 2 3 x
-1 y
-2 3
-3 2
1
⑵ y= f(2-x)에서 y= f(-(x-2))이다.
-3-2-1 O 1 2 3 x
함수 y= 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3
y= f(-(x-2))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Ⅲ. 도형의 방정식 187


참고1 이때, 원 xÛ`+yÛ`-2ax+4y+aÛ`=0은 (x-a)Û`+(y+2)Û`=4에서
<직선 x=a 또는 직선 y=b에 대한 대칭이동> 중심이 (a, -2)이므로
⑴ 점 (x, y)를 직선 x=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a-2_(-2)-7=0
(2a-x, y)이다. ∴ a=3
⑵ 점 (x, y)를 직선 y=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x, 2b-y)이다.
⑶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x=a에 대하여 833  ③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2a-x, y)=0이다.
원 CÁ`:`xÛ`+yÛ`-4x+2y+3=0은
⑷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b에 대하여
(x-2)Û`+(y+1)Û`=2이므로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x, 2b-y)=0이다.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증명]
⑶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의 점 (x, y)를 원 CÁ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x=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x', y')이라 하면 원 Cª의 중심은 (-1, 2)이고

x+x'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yy 참고


=a, y=y' yy ㉠
2 C¡ C™
즉, x=2a-x', y=y'이므로 f(2a-x', y')=0이다. 3Â2
P Q
따라서 점 (x', y')은 방정식 f(2a-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에 있다.
⑴ ㉠에서 x'=2a-x, y'=y이므로 점 (x, y)를 직선 x=a에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Ã3Û`+(-3)Û`=3'2이고,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a-x, y)이다. 두 원 위를 각각 움직이는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참고2 3'2+'2+'2=5'2이다.
<점 (a, b)에 대한 대칭이동> 참고
⑴ 점 (x, y)를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원 CÁ`:`(x-2)Û`+(y+1)Û`=2를 직선 y=x에 대하여
(2a-x, 2b-y)이다.
대칭이동한 원 Cª의 방정식은
⑵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점 (a, b)에 대하여
(y-2)Û`+(x+1)Û`=2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2a-x, 2b-y)=0이다.
∴ (x+1)Û`+(y-2)Û`=2
[증명]
⑵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의 점 (x, y)를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x', y')이라 하면


x+x'
2
=a,
y+y'
2
=b yy ㉡ 834   풀이 참조

즉, x=2a-x', y=2b-y'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f(2a-x', 2b-y')=0이다. 점 (1, -3)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점 (x', y')은 방정식 f(2a-x, 2b-y)=0이 y=m(x-1)-3   ∴ y=mx-m-3
나타내는 도형 위에 있다. 이 직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⑴ ㉡에서 x'=2a-x, y'=2b-y이므로 점 (x, y)를 -y=mx-m-3   ∴ y=-mx+m+3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a-x, 2b-y)이다.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
y=-m(x+4)+m+3   ∴ y=-mx-3m+3
이 직선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mx-3m+3
832  ③ 이 직선이 처음 직선 y=mx-m-3과 일치하므로
-3m+3=-m-3
직선 2x-y+1=0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 m=3
2(x+3)-y+1=0
∴ 2x-y+7=0 채점 요소 배점

이 직선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지나는 한 점의 좌표가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세우기 20 %

2y-x+7=0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

∴ x-2y-7=0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

이 직선이 원 xÛ`+yÛ`-2ax+4y+aÛ`=0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

이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 두 직선이 일치할 조건을 이용하여 답 구하기 20 %

188 수학<상>
835  ② TIP
점을 직선 y=mx+n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구할 때,
곡선 y=xÛ`-4x+10=(x-2)Û`+6을
m=Ñ1인 경우는 다른 풀이  와 같이 풀 수 있다.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과 직선을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여
-y=(-x-2)Û`+6   ∴ y=-(x+2)Û`-6
직선 y=Ñx에 대한 대칭이동을 이용한 후 다시 y축의 방향으로
이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n만큼 평행이동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구할 수 있다.
y=-(x+2)Û`-6+k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그림과 같이
-6+k<0을 만족시켜야 한다.
y 837  ③
-2
O x 점 A에서 y축 위의 점 P를 거쳐 점 B까지 가는 거리는
-6+k APÓ+PBÓ이다.
점 B(-1, -2)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B'(1, -2)이고, BPÓ=BÕ'PÓ이다.
y
y=-{x+2}@-6+k A{-3,`2}
따라서 k<6이므로 자연수 k는 1, 2, 3, 4, 5로 5개이다.

O x

836  ④ P

A(3, 4), B(p, q)라 하면 두 점 A, B가 직선 y=-x+2에 대하여 B{-1,`-2} B'{1,`-2}

대칭이므로 직선 y=-x+2는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APÓ+PBÓ=APÓ+PÕB'Ó이고, 세 점 A, P, B'이 일직선 위에


y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A APÓ+PÕB'Ó‌¾AÕB'Ó
="Ã4Û`+(-4)Û`=4'2  yy TIP
따라서 구하는 최단거리는 4'2이다.

O x TIP 도

B 의
점 P가 선분 AB' 위에 있지 않을 때, 삼각형 APB'에서

직선 AB가 직선 y=-x+2와 수직이므로 APÓ+PÕB'Ó>AÕB'Ó이고, 정

q-4 점 P가 선분 AB' 위에 있을 때,
직선 AB의 기울기는 =1에서
p-3 APÓ+PÕB'Ó=AÕB'Ó이다.
q-4=p-3   ∴ p-q=-1 yy ㉠ y
p+3 q+4
또한 직선 y=-x+2가 선분 AB의 중점 { , }를 A
2 2
P
지나므로
q+4 p+3 O x
=- +2, q+4=-(p+3)+4
2 2
∴ p+q=-3 yy ㉡ B'
㉠, ㉡ 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APÓ+PÕB'Ó¾AÕB'Ó이고,
p=-2, q=-1
세 점 A, P,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 pÛ`+qÛ`=5
APÓ+PÕB'Ó이 AÕB'Ó으로 최솟값을 갖는다.
다른 풀이

점 (3, 4)와 직선 y=-x+2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각각 점 (3, 2)와 직선 y=-x이다.
점 (3,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838  ②

(-2, -3)이고, 점 (-2, -3)을 다시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점 A(4, 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평행이동하면 구하는 점이고 그 좌표는 (-2, -1)이다. A'(4, -3)
∴ p=-2, q=-1 점 B(2, 5)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 pÛ`+qÛ`=5 B'(-2, 5)

Ⅲ. 도형의 방정식 189


y A(3, 8) 1Ú (6, 8) 1Ú (9, 8) 1Ú (9, 10)
B'{-2,`5} B{2,`5} ㈎ ㈎ ㈏
A{4,`3} 1Ú (12, 10) 1Ú B(12, 12)
㈎ ㈏
Q
따라서 점 B의 x좌표와 y좌표는 모두 12이므로
O P x 구하는 합은 12+12=24이다.

APÓ=AÕ'PÓ, QBÓ=QÕB'Ó이므로
A'{4,`-3}
841  ②

APÓ+PQÓ+QBÓ=AÕ'PÓ+PQÓ+QÕB'Ó이고, 원 xÛ`+yÛ`+2x-6y-6=0에서
네 점 A', P, Q,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x+1)Û`+(y-3)Û`=16
즉, 원의 중심이 (-1,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이다.
AÕ'PÓ+PQÓ+QÕB'Ó‌¾AÕ'B'Ó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Ã6Û`+(-8)Û`=10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은 (k-1,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따라서 APÓ+PQÓ+QBÓ의 최솟값은 10이다.
 yy 참고
이 원이 직선 3x+4y+10=0과 접하므로 원의 중심에서 직선까지의

839   풀이 참조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⑴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k-1,`1}


A'(1, 2) 4
y
y=x
3x+4y+10=0
P B{6,`4}
A'{1,`2}
|3×(k-1)+4×1+10|
즉, =4에서
A{2,`1} "Ã3Û`+4Û`
O x |3k+11|=20
31
APÓ=AÕ'PÓ이므로 APÓ+BPÓ=AÕ'PÓ+BPÓ이고, ∴ k=3 또는 k=-
3
세 점 A', P, B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yy ㉠ 따라서 구하는 모든 상수 k의 값의 곱은
31
}=-31
이 값이 최소이므로
3_{-
AÕ'PÓ+BPÓ‌¾AÕ'BÓ 3
="Ã5Û`+2Û`='2Œ9 참고
따라서 APÓ+BPÓ의 최솟값은 '2Œ9이다. 원 (x+1)Û`+(y-3)Û`=16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⑵ ㉠에서 점 P가 직선 A'B 위에 있을 때 APÓ+BPÓ가 최소이므로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점 P는 직선 A'B와 직선 y=x의 교점이다. (x-k+1)Û`+(y-1)Û`=16이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4-2 2 8
y= (x-1)+2   ∴ y= x+
6-1 5 5
직선 A'B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842  ②
2 8 8
x+ =x에서 x= 원 xÛ`+yÛ`-2x+6y+6=0에서
5 5 3
(x-1)Û`+(y+3)Û`=4
8 8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 , }이다.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3 3
평행이동하면 C`:`(x+1)Û`+(y-2)Û`=4
채점 요소 배점
원 C와 직선 x+y-3=0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최단거리 구하기 50 %
y
최단거리일 때 점 P의 좌표 구하기 50 %
C 4

840  ② 2
x+y-3=0

점 P를 점 A(3, 8)에서 시작하여 주어진 규칙에 따라


-1 O 1 x
이동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190 수학<상>
따라서 두 부분의 넓이의 차는 다음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1+b|
따라서 =1에서 |b-1|='2
반원의 넓이와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가 2'2인 "Ã1Û`+1Û`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 b='2+1 (∵ b>0)
y ∴ a+b=-4+('2+1)=-3+'2
C 4
참고

원 (x-3)Û`+yÛ`=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b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y-3=0 (x-a-3)Û`+(y-b)Û`=1이다.

-1 O 1 x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차는


1 1
_4p+ _(2'2)Û`=2p+4
2 2 845   풀이 참조

포물선 y=xÛ`+2ax+2aÛ`=(x+a)Û`+aÛ`을
포물선 y=xÛ`+aÛ`-a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843  ④
꼭짓점이 점 (-a, aÛ`)에서 점 (0, aÛ`-a)로 옮겨진다.
원 xÛ`+yÛ`=2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은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y=mxÑ'2"ÃmÛ`+1이다.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두 직선 중 한 직선을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원 CÁ`:`xÛ`+(y-5)Û`=9는 중심이 (0,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직선이 다른 한 직선이 되므로 3이다.
직선 y=mx-"Ã2(mÛ`+1)을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직선 y=mx+"Ã2(mÛ`+1)과 같아야 한다. 원의 중심은 (a, 5-a)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yy 참고
즉, y=mx-"Ã2(mÛ`+1)+6이 y=mx+"Ã2(mÛ`+1)과 같으므로 두 원 CÁ, Cª의 중심을 각각 OÁ, Oª라 하고, 두 선분 OÁOª, AB가
만나는 점을 H라 하자.
-"Ã2(mÛ`+1)+6="Ã2(mÛ`+1)에서
C¡ C™
"Ã2(mÛ`+1)=3, 2(mÛ`+1)=9 A
H
7
∴ mÛ`= O¡ O™
2 도
B 형

사각형 AOÁBOª가 마름모이므로 두 선분 OÁOª와 AB는 서로 방



844  ① 수직이등분한다. 식

ABÓ=2에서 AHÓ=1이고, AÕOÁÓ=3이므로 직각삼각형 AHOÁ에서


원 xÛ`+yÛ`-6x+8=0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x-3)Û`+yÛ`=1
OÕÁHÓ="Ã3Û`-1Û`=2'2
이 원은 중심이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즉, OÕÁOªÓ=2 OÁHÓ=4'2이다.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한편, OÁ(0, 5), Oª(a, 5-a)에서
원을 C라 하면 원 C의 중심은 (a+3, b)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1이다.  yy 참고 OÕÁOªÓ="ÃaÛ`+(-a)Û`='2a (∵ a>0)
y 이므로 '2a=4'2
y=-x
C ∴ a=4

채점 요소 배점
{x-3}@+y@=1 포물선의 평행이동 구하기 25 %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25 %
O 3 x
선분 AB의 길이를 이용하여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답 구하기 20 %
원 C가 y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이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이때, 중심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참고
a+3=-1   ∴ a=-4
원 CÁ`:`xÛ`+(y-5)Û`=9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또한 원 C가 직선 y=-x에 접하므로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1, b)와
Cª`:`(x-a)Û`+(y+a-5)Û`=9이다.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1


846   ;1$3(; 점 (2, 1)이거나 그보다 위쪽에 있어야 한다.
즉, -3+k¾1에서 k¾4이다.
직선 2x+3y-1=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은 4이다.
b만큼 평행이동하면
2(x-a)+3(y-b)-1=0
∴ 2x+3y-2a-3b-1=0 848  ③

이 직선이 직선 2x+3y+3=0과 같으므로 점 (1, -2)를 f Ú g Ú f Ú g Ú f Ú y와 같은 순서로
-2a-3b-1=3   ∴ 2a+3b+4=0 이동시키면 다음과 같다.
즉, 점 (a, b)는 직선 2x+3y+4=0 위의 점이다. (1, -2) 1Ú (-1, 2) 1Ú (-1, -2) 1Ú (1, 2)
한편, aÛ`+(b-1)Û`은 두 점 (a, b), (0, 1) 사이의 거리의 제곱과 f g f
같다. 1Ú (1, -2) 1Ú y
g f
y
따라서 점 (1, -2)는 네 점 (-1, 2), (-1, -2), (1, 2),
{0,`1} (1, -2)의 순서로 반복하여 이동한다.
O x 이때, 50=4_12+2이므로 점 (1, -2)를 50번 이동시킨 점의
좌표는 (-1, -2)이다.
2x+3y+4=0

따라서 구하는 aÛ`+(b-1)Û`의 최솟값은 점 (0, 1)과 직선 849  ④


2x+3y+4=0 사이의 거리의 제곱과 같으므로

}2`={ }2`= 이다.


ㄱ. 직선 x=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x=2이므로
7 49
{
|0+3+4|
"Ã2Û`+3Û` '1Œ 3 13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다른 풀이 ㄴ. |x|+|y|=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x|+|-y|=4   ∴ |x|+|y|=4
직선 2x+3y-1=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b만큼 평행이동하면
ㄷ. y=xÛ`+2|x|-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x-a)+3(y-b)-1=0   ∴ 2x+3y-2a-3b-1=0
-y=xÛ`+2|x|-3   ∴ y=-xÛ`-2|x|+3
이 직선이 직선 2x+3y+3=0과 같으므로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다.
-2a-3b-1=3에서 2a+3b+4=0이다.
ㄹ. xÛ`+yÛ`-3x+1=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a-4
b=  를 aÛ`+(b-1)Û`에 대입하면 xÛ`+(-y)Û`-3x+1=0   ∴ xÛ`+yÛ`-3x+1=0
3

}2`= {a+ }2`+


-2a-7 13 14 49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aÛ`+(b-1)Û`‌=aÛ`+{
3 9 13 13 따라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켰을 때 자기 자신과 일치하는
14 49 도형의 방정식은 ㄱ, ㄴ, ㄹ이다.
이므로 a=- 일 때 최솟값 를 갖는다.
13 13

850   풀이 참조
847  ③
직선 2x+y-3=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두 함수 f(x)=x-[x], g(x)=xÛ`-4x+1=(x-2)Û`-3의 2y+x-3=0   ∴ x+2y-3=0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y (x-k)+2y-3=0에서 x+2y-k-3=0이다.
y=g{x}
이 직선이 원 (x-2)Û`+yÛ`=5와 만나므로 원의 중심 (2, 0)과
직선 x+2y-k-3=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5보다
1 y=f{x} 작거나 같아야 한다.
-2-1 O 1 2 3 4 5 x |2-k-3|
즉, É'5이므로
"Ã1Û`+2Û`
|k+1|É5, -5Ék+1É5
-3
∴ -6ÉkÉ4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2, -3)이므로
채점 요소 배점
함수 y=g(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5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2, -3+k)이다.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5 %
이때, 평행이동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이 원과 만날 조건을 이용하여 답 구하기 50 %
만나지 않으려면 평행이동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192 수학<상>
851  ④ 852  ②

점 P(a, b)가 직선 y=-2x+3 위의 점이므로 곡선 y=xÛ`+3x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하면


b=-2a+3`(a<0)이고, yy ㉠ y=(x-a)Û`+3(x-a)이다.
Q(b, a), R(-a, -b)이다. 두 점 P, Q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y 점 P의 좌표를 (k, -k) (k<0)라 하면
P
이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Q(-k, k)이다.
(x-a)Û`+3(x-a)=-x에서
방정식 xÛ`+(4-2a)x+aÛ`-3a=0의 두 근이 k, -k이므로
O x
Q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k+(-k)=2a-4에서 a=2
두 근의 곱은 k_(-k)=aÛ`-3a=-2
R
따라서 두 점 P, Q의 x좌표의 곱은 -2이다.
PQÓ="Ã(b-a)Û`+(a-b)Û`='2|a-b|
QRÓ="Ã(b+a)Û`+(a+b)Û`='2|a+b|
PRÓ="Ã(-2a)Û`+(-2b)Û`=2"ÃaÛ`+bÛ`
Û
에서 PRÓ `=PQÓ Û `+QRÓ Û `이므로 삼각형 PQR는 853  ④

∠PQR=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yy 참고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여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직선 y=2x가 되는 직선은 직선 y=2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1 1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직선과 같으므로
_PQÓ_QRÓ‌= _'2|a-b|_'2|a+b|
2 2 y=2(x-1)-3   ∴ y=2x-5
=|aÛ`-bÛ`| 또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직선 y=2x-5가 되는 직선은
=|aÛ`-(-2a+3)Û`| (∵ ㉠) 직선 y=2x-5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과 같으므로
=|3aÛ`-12a+9|=45 -y=2x-5   ∴ y=-2x+5
즉, |aÛ`-4a+3|=15에서 aÛ`-4a+3=Ñ15 따라서 두 원의 넓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직선이 y=-2x+5이고,
Ú aÛ`-4a+3=-15일 때 이 직선이 두 원의 중심 (2, a)와 (b, -1)을 모두 지나므로
aÛ`-4a+18=0의 실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a=-4+5=1, -1=-2b+5에서 b=3
Û aÛ`-4a+3=15일 때 ∴ a+b=4
aÛ`-4a-12=0, (a-6)(a+2)=0이므로 도
다른 풀이 형
a=-2 (∵ a<0) 의

Ú, Û에서 a=-2이므로 ㉠에서 b=7 두 원의 넓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원의 중심 방



∴ a+b=5 (2, a), (b, -1)을 모두 지나는 직선이므로 식
-1-a
y= (x-2)+a
b-2
참고
이 직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은
x축 또는 y축 또는 직선 y=Ñx 위에 있지 않은 점 A에 대하여 a+1
y= (x-2)-a
점 A를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B, C, b-2
D라 하고,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E,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F라 하면 그림과 같이 평행이동하면
사각형 ABDC, AEDF는 모두 직사각형이다. a+1
y= (x-1)-a+3
y b-2
C A 이 직선이 y=2x와 같으므로
a+1 a+1
E =2, - -a+3=0
b-2 b-2

O x 두 식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a+3=2에서 a=1, b=3


F ∴ a+b=4

B
D

두 직선 AB, CD는 x축에 수직이고, 두 직선 AC, BD는 y축에 854  ④


수직이므로 사각형 ABDC는 직사각형이다.
서로 다른 두 점 A, B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직선 AE, FD는 직선 y=x에 수직이고, 두 직선 AF, ED는
A(p, q), B(q, p) (p+q)라 하자.
직선 y=-x에 수직이므로 사각형 AEDF는 직사각형이다.
두 점 A, B가 포물선 y=xÛ`-2x-2 위에 있으므로

Ⅲ. 도형의 방정식 193


q=pÛ`-2p-2 yy ㉠ y
f{x,`y}=0
p=qÛ`-2q-2 yy ㉡ 2
A
㉠에서 ㉡을 변끼리 빼면 f{-x,`-y+1}=0 1
q-p=(pÛ`-qÛ`)-2(p-q) -3 -2
O 2 3 x
(p+q)(p-q)-(p-q)=0
-1
즉, (p+q-1)(p-q)=0이므로
-2
p=q 또는 p+q=1 f{-x,`-y}=0
이때, p=q이면 두 점 A, B가 서로 같으므로 p+q 그러므로 도형 f(-x, -y+1)=0은 도형 B와 같지 않다.
따라서 p+q=1이다. ㄹ. 도형 f(y+4, x+3)=0은
q=1-p를 ㉠에 대입하면 1-p=pÛ`-2p-2에서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pÛ`-p-3=0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마찬가지로 p=1-q를 ㉡에 대입하면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qÛ`-q-3=0 y
f{y,`x}=0
따라서 p, q가 방정식 xÛ`-x-3=0의 두 근이므로 3
f{x,`y}=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A
p+q=1, pq=-3 1

∴ ABÓ‌="Ã(q-p)Û`+(p-q)Û`="Ã2(p-q)Û` -2 -1
O 1 2 3 x
='2_"Ã(p+q)Û`-4pq
-1
='2_'1Œ3='2Œ6
-2
f{y+4,`x+3}=0

855   ㄱ, ㄹ 그러므로 도형 f(y+4, x+3)=0은 도형 B와 같다.


따라서 도형 B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ㄱ. 도형 f(x+4, y+3)=0은 도형 f(x, y)=0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856  ③
f{x,`y}=0
2 도형 f(4-x, y)=0에서 f(-(x-4), y)=0이므로
A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1
-2 -1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O 2 3 x 도형 f(4-x, -y)=0은 도형 f(4-x, y)=0을 x축에 대하여
-1
대칭이동한 것이다.
-2 도형 f(y, x)=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f{x+4,`y+3}=0
대칭이동한 것이다.  yy TIP
그러므로 도형 f(x+4, y+3)=0은 도형 B와 같다.
즉, 세 도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ㄴ. ‌도형 f(-x+2, y+3)=0에서
y
f(-(x-2), y+3)=0 f{y,`x}=0
2 f{4-x,`-y}=0
즉, 이 도형은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O 2 6 8 x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2 f{4-x,`y}=0
f{-x,`y}=0 2 f{x,`y}=0
-4
1 A

-1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사각형과 밑변의


-3 -2 O 2 3 x
길이가 4이고 높이가 2인 삼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1
1
4_4+ _4_2=20이다.
f{-x+2,`y+3}=0
-2 2
다른 풀이
그러므로 도형 f(-x+2, y+3)=0은 도형 B와 같지 않다.
ㄷ. 도형 f(-x, -y+1)=0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f(-x, -(y-1))=0 도형 f(4-x, y)=0은 도형 f(x, y)=0을 직선 x=2에 대하여
‌즉, 이 도형은 도형 f(x, y)=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대칭이동한 것이다.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도형 f(4-x, -y)=0은 도형 f(x, y)=0을 점 (2, 0)에 대하여

194 수학<상>
대칭이동한 것이다.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TIP
y
주어진 도형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을 그릴 때, 3
도형 위의 특정한 점을 대칭이동한 점을 먼저 구한 후 그래프를 f{y+1,`-x-3}=0

그리면 좀 더 편리하다. 1
예를 들어, 도형 f(x, y)=0 위의 두 점 (-4, 0), (-2, 2)를 -1 2 4
-3 O x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0, -4), (2, -2)를 -1
먼저 찾고 두 점을 지나는 도형 f(y, x)=0을 그린다. -2
f{x,`y}=0

d-b
857  ⑤ c-a
는 두 점 (a, b), (c,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점 (a, b)가 점 (0, -2), 점 (c, d)가 점 (-1, 3)일 때 최소이고,


도형 f(x, y)=0에서 xÛ`+yÛ`-4x+2y+1=0
점 (a, b)가 점 (2, 0), 점 (c, d)가 점 (-1, -1)일 때 최대이다.
∴ (x-2)Û`+(y+1)Û`=4 yy ㉠
3-(-2) -1-0 1
즉, 도형 f(x, y)=0은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따라서 최솟값은 =-5, 최댓값은 = 이므로
-1-0 -1-2 3
원이다. 구하는 합은
ㄱ. ‌도형 f(-x, y)=0은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1 14
-5+ =-
대칭이동한 것이고, 도형 f(y, x)=0은 도형 f(x, y)=0을 3 3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두 원은 대칭이동 또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겹쳐질 수 있으므로 도형 f(-x, y)=0을 평행이동하면 859  ①

도형 f(y, x)=0이 될 수 있다. (참) 도형 f(x, y)=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ㄴ. ㉠에서 x 대신에 2x, y 대신에 2y를 대입하면 f(-x, -y)=0
도형 f(2x, 2y)=0은 즉, g(x, y)=0은 f(-x, -y)=0과 같다. yy ㉠
(2x-2)Û`+(2y+1)Û`=4   ∴ (x-1)Û`+{y+ }2`=1
1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f(y, x)=0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므로 이 도형의 넓이는
즉, h(x, y)=0은 f(y, x)=0과 같다. yy ㉡
p이다. (참)
ㄱ. ㉠에서 x 대신 -x를 대입하면 도형 g(-x, y)=0이 도
ㄷ. 도형 f(x-a, y-b)=0은 도형 f(x, y)=0을 형
f(x, -y)=0과 같다. 의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방
즉, 도형 f(x, y)=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과 정
것이다.
같다. (참) 식
‌원을 평행이동하여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ㄴ. ㉡에서 x 대신 -y, y 대신 -x를 대입하면
두 도형 f(x, y)=0과 f(x-a, y-b)=0은 모두 반지름의
도형 h(-y, -x)=0은 f(-x, -y)=0과 같으므로
길이가 2인 원이다.
㉠에 의하여 도형 g(x, y)=0과 같다. (참)
2Â2
ㄷ. 도형 f(y+4, x-3)=0은 도형 f(y, x)=0, 즉
2 2
도형 h(x, y)=0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거짓)
2 2
ㄹ. 도형 f(-y+2, -x-1)=0은 도형 f(-x, -y)=0, 즉
도형 g(x, y)=0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두 원의 두 교점 사이의 거리가 2'2일 때,
-1만큼 평행이동한 f(-x+2, -y-1)=0을 직선 y=x에
두 교점과 두 원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은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거짓)
정사각형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2'2이다.
즉, "ÃaÛ`+bÛ`=2'2이므로 aÛ`+bÛ`=(2'2 )Û`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점 (a, b)의 자취가 반지름의 길이가 2'2인 원이므로


자취의 길이는 4'2p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860   10

직선을 어떤 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였을 때

858  ④ 직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직선 y=-3x-3을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l의
yy TIP

도형 f(y+1, -x-3)=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방정식 y=ax+b에서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x축의 a=-3

Ⅲ. 도형의 방정식 195


∴ l`:`y=-3x+b yy ㉠ y
y y=x@+1

y=-3x-3 {p,`q}
A
O {2,`-1} x
{1,`2}
B
{-1,`0} O x

y=-3x+b

직선 y=-3x-3 위의 한 점 (-1, 0)을 점 (1, 2)에 대하여 선분 AB의 중점이 (2, -1)이므로
대칭이동한 점이 직선 l 위의 점이므로 이 점을 (p, q)라 하면 p q+1
점{ , }이 점 (2, -1)과 일치한다.
두 점 (-1, 0)과 (p, q)를 이은 선분의 중점이 점 (1, 2)이다. 2 2
p-1 q
점{ , }가 점 (1, 2)와 일치하므로
∴ p=4, q=-3
2 2 또한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점 (2, -1)에 대하여
p=3, q=4 대칭이동한 그래프를 갖는 이차함수의 이차항의 계수는 -1이다.
따라서 직선 l이 점 (3, 4)를 지나므로 x=3, y=4를  yy TIP
㉠에 대입하면 따라서 대칭인 이차함수는 y=-(x-4)Û`-3이다.
4=-9+b   ∴ b=13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 a+b=10 y=-xÛ`-1
다른 풀이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도형 f(x, y)=0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평행이동하면 y=-(x-4)Û`-3이 되므로
f(2a-x, 2b-y)=0이다. a=4, b=-2
즉, 직선 y=-3x-3을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 a+b=2
방정식은 4-y=-3(2-x)-3 다른 풀이
따라서 y=-3x+13이므로
도형 f(x, y)=0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a=-3, b=13
f(2a-x, 2b-y)=0이다.
∴ a+b=10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TIP -2-y=(4-x)Û`+1   ∴ y=-(x-4)Û`-3
직선 l을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을 l'이라 하자.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p, q)를 원점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두 직선 l, l'을 y=-xÛ`-1이고,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평행이동하여도 두 직선 l, l'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x-4)Û`-3이
이때, 두 직선 l, l'을 평행이동한 두 직선은 원점에 대하여 되므로 a=4, b=-2
대칭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는 같다. ∴ a+b=2
따라서 두 직선 l, l'의 기울기는 서로 같다.
l l'
TIP
y
이차함수 y=p(x+q)Û`+r의 그래프를 점 (m, n)에 대하여
{p,`q}
대칭이동한 그래프를 갖는 이차함수를
y=p'(x+q')Û`+r '이라 하자.
점 (m, n)을 원점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O x
두 곡선 y=p(x+q)Û`+r, y=p'(x+q')Û`+r '은 각각
y=p(x+m+q)Û`+r-n, y=p'(x+m+q')Û`+r '-n으로
옮겨지고, 이 두 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곡선 y=p(x+m+q)Û`+r-n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p(-x+m+q)Û`+r-n
∴ y=-p(x-m-q)Û`-r+n
이 곡선이 y=p'(x+m+q')Û`+r '-n과 같으므로
861  ① p'=-p이다.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의 꼭짓점을 A(0, 1)이라 하고, 즉, 두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어떤 점에 대하여 대칭일 때,
이 그래프와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인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두 이차함수의 이차항의 계수는 서로 절댓값이 같으면서
꼭짓점을 B(p, q)라 하자. 부호가 반대인 수이다.

196 수학<상>
두 점 A, B가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m이 선분 AB를
862   풀이 참조
수직이등분한다.
원 xÛ`+yÛ`+6x+4y+4=0에서 직선 AB가 직선 m`:`x-2y+6=0과 수직이므로 직선 AB의
(x+3)Û`+(y+2)Û`=9 b+2
기울기는 =-2
원 xÛ`+yÛ`+2x-12y+k=0에서 a
(x+1)Û`+(y-6)Û`=37-k ∴ 2a+b=-2 yy ㉠

또한 직선 m`:`x-2y+6=0이 선분 AB의 중점 { , }를
이때, 두 원이 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두 원의 반지름의 a b-2
2 2
길이는 서로 같다.
지나므로
따라서 9=37-k에서 k=28이다.
a b-2
두 원의 중심을 각각 OÁ(-3, -2), Oª(-1, 6)이라 하면 -2_ +6=0
2 2
두 점이 직선 y=mx+n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a-2b=-16 yy ㉡
직선 y=mx+n은 선분 OÁOª의 수직이등분선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6이므로
y=mx+n B(-4, 6)
O¡ 따라서 직선 n은 두 점 (2, 4), (-4, 6)을 지나므로 직선 n의
방정식은
4-6
y= (x-2)+4
O™ 2-(-4)
∴ x+3y-14=0

-3+(-1) -2+6 다른 풀이
선분 OÁOª의 중점이 { , }, 즉 (-2, 2)이고,
2 2 직선 3x-y-2=0 위의 점을 직선 x-2y+6=0에 대하여
6-(-2)
직선 OÁOª의 기울기가 =4이므로 대칭이동한 점의 자취의 방정식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이다.
-1-(-3)
직선 3x-y-2=0 위의 점을 A(xÁ, yÁ)이라 하고,
선분 OÁOª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이 점을 직선 x-2y+6=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x, y)라
1 1 3
y-2=- (x+2)   ∴ y=- x+ 하면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 직선 x-2y+6=0이다.
4 4 2
1 3 1
따라서 m=- , n= 이므로 직선 x-2y+6=0의 기울기가 이므로
4 2 2
1 3 21 y-yÁ
kmn=28_{- }_ =- 직선 AB의 기울기는
x-xÁ
=-2
4 2 2 도
∴ 2x+y-2xÁ-yÁ=0 yy ㉢ 형

채점 요소 배점
x+xÁ y+yÁ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k의 값 구 직선 x-2y+6=0이 선분 AB의 중점 { , }을 방
30 % 2 2 정
하기 식
지나므로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분을 수직이등분하는
60 % x+xÁ y+yÁ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_ +6=0
2 2
답 구하기 10 %
∴ x-2y+xÁ-2yÁ+12=0 yy ㉣
㉢, ㉣을 연립하여 xÁ항을 소거하면

863   x+3y-14=0 4x-3y-5yÁ+24=0   ∴ yÁ=


4x-3y+24
5
l`:`3x-y-2=0, m`:`x-2y+6=0이라 하고, ㉢, ㉣을 연립하여 yÁ항을 소거하면
직선 l을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을 n이라 하자. 3x+4y-12
3x+4y-5xÁ-12=0   ∴ xÁ=
y 5
l:3x-y-2=0
이때, 점 (xÁ, yÁ)이 직선 3x-y-2=0 위의 점이므로
B{a,`b} m:x-2y+6=0
3x+4y-12 4x-3y+24
3_ - -2=0
5 5
{2,`4} n ∴ x+3y-14=0

O x
A{0,`-2}

두 직선 l, m의 교점이 (2, 4)이므로 직선 n도 점 (2, 4)를 지난다. 864   18

또한 직선 l 위의 한 점 A(0, -2)를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A(2, -1), B(0, 5)라 하고, 두 점이 겹치도록 모눈종이를
점을 B(a, b)라 하면 직선 n이 점 B를 지난다. 접었을 때 접은 선이 되는 직선을 l이라 하면 두 점 A, B는 직선 l에
점 B의 좌표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7


C{-7,`6}
y

B{0,`5}
866  ②

l 직사각형 ABCD를 A(0, 90), B(0, 0), C(180, 0), D(180, 90)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고 당구공이 변 BC, CD, DA와
O x
A{2,`-1} 부딪힌 점을 각각 Q, R, S라 하자.
y

D{a,`b}
따라서 직선 l은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다. S
A D
0+2 5+(-1)
선분 AB의 중점이 { , }, 즉 (1, 2)이고, R
2 2
P
Q C
직선 AB의 기울기가 -3이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O{=B} x
1 P' P"
y= (x-1)+2   ∴ l`:`x-3y+5=0
3
당구공의 처음 위치를 점 P라 하면 P(60, 20)이다.
C(-7, 6)이라 하면 모눈종이를 접을 때 점 C와 겹치는 점은
점 P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인 점이다.
P'(60, -20)
이 점을 D(a, b)라 하면 직선 l이 선분 CD를 수직이등분한다.
점 P'을 직선 x=18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1
직선 l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CD의 기울기는 P"(300, -20)
3
점 P"을 직선 y=9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b-6
=-3 P"'(300, 200)
a-(-7)
b-6=-3(a+7)   ∴ 3a+b=-15 yy ㉠ 따라서 당구공이 움직인 거리는
PQÓ+QRÓ+RSÓ+SBÓ‌=PÕ'QÓ+QRÓ+RSÓ+SBÓ
직선 l`:`x-3y+5=0이 선분 CD의 중점 { }을
a-7 b+6
,
2 2 =PÕ"RÓ+RSÓ+SBÓ
지나므로 =PÕ"'SÓ+SBÓ
a-7 b+6 =PÕ"'BÓ
-3_ +5=0   ∴ a-3b=15 yy ㉡
2 2
=OÕP"'Ó
㉠, ㉡을 연립하여 풀면
="Ã300Û`+200Û`=100'1Œ3(cm)
a=-3, b=-6
∴ ab=18

867  ②

865  ④ "ÃxÛ`+9+"ÃxÛ`-4x+13에서
"ÃxÛ`+9="Ã(x-0)Û`+(0-3)Û` 은
점 P(6, 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두 점 (0, 3), (x, 0) 사이의 거리와 같고
P'(6, -4)이고, 원점 O(0, 0)을 직선 y=6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ÃxÛ`-4x+13="Ã(x-2)Û`+(0-3)Û`은
점을 O'이라 하면 O'(0, 12)이다.
두 점 (2, 3), (x, 0) 사이의 거리와 같다.
y
12 O' A(0, 3), B(x, 0), C(2, 3)이라 하면
"ÃxÛ`+9+"ÃxÛ`-4x+13=ABÓ+BCÓ이다.
y
B
6 A{0,`3} C{2,`3}
4 P

6
O A x O B x

-4 P'
위와 같이 빛이 반사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C'{2,`-3}

PAÓ=PÕ'AÓ, BOÓ=BÕO'Ó이고,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서로 점 C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면 C'(2, -3)이고,
같으므로 네 점 P', A, B, O'은 일직선 위에 있다. ABÓ+BCÓ=ABÓ+BÕC'Ó이다.
따라서 빛이 움직인 거리는 세 점 A, B, C'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PAÓ+ABÓ+BOÓ‌=PÕ'AÓ+ABÓ+BÕO'Ó ABÓ+BÕC'Ó¾AÕC'Ó="Ã2Û`+(-6)Û`=2'1Œ0
=PÕ'O'Ó="Ã(-6)Û`+16Û`=2'7Œ3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1Œ0이다.

198 수학<상>
다른 풀이 y
y=x
"ÃxÛ`+9+"ÃxÛ`-4x+13
="Ã(x-0)Û`+{0-(-3)}Û`+"Ã(x-2)Û`+(0-3)Û` A'{-1,`3} C
B{6,`3}
즉, D(x, 0), E(0, -3), F(2, 3)이라 하면
"ÃxÛ`+9+"ÃxÛ`-4x+13=DEÓ+DFÓ이다.
5
y
O x
F{2,`3}
A{3,`-1}
삼각형 ABC에서 ABÓ="Ã3Û`+4Û`=5로 일정하므로

O x BCÓ+CAÓ가 최소일 때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이다.


D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3)
E{0,`-3} BCÓ+CAÓ=BCÓ+CÕA'Ó이고 세 점 A', C, B가 일직선 위에
세 점 D, E, F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DEÓ+DFÓ가 최소이므로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DEÓ+DFÓ¾EFÓ="Ã2Û`+6Û`=2'1Œ0 이때,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y=3이므로 삼각형 ABC의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1Œ0이다. 둘레의 길이가 최소일 때 C(3, 3)이고,
이때 ∠BCA=90ù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1
_BCÓ_ACÓ= _3_4=6이다.
2 2
868   풀이 참조

점 A(0, 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0, -4) 870  ②

점 B(5, 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점 A(5, 1)을 직선 y=2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3, 5) A'(p, q)라 하면 직선 y=2x+1이 선분 AA'을
y y=x 수직이등분한다.
B'{3,`5}
직선 AA'이 직선 y=2x+1과 수직이므로
A{0,`4}
B{5,`3} q-1 1
직선 AA'의 기울기는 =-
Q p-5 2
O p-5=-2(q-1)   ∴ p+2q=7 yy ㉠

P x 형
p+5 q+1 의
또한 직선 y=2x+1이 선분 AA'의 중점 { , }을
2 2 방

A'{0,`-4}
지나므로 식

APÓ=AÕ'PÓ, QBÓ=QÕB'Ó이므로 q+1 p+5


=2_ +1, q+1=2p+12
APÓ+PQÓ+QBÓ=AÕ'PÓ+PQÓ+QÕB'Ó이고, 네 점 A', P, Q, B'이 2 2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 2p-q=-11 yy ㉡

따라서 APÓ+PQÓ+QBÓ가 최솟값을 가질 때 직선 PQ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여 풀면

직선 A'B'의 방정식과 같으므로 p=-3, q=5


5-(-4) 따라서 A'(-3, 5)이다.
y= x-4, y=3x-4 한편, 점 A(5, 1)을 직선 y=-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3-0
따라서 -3x+y+4=0에서 하면 A"(5, -3)이다.
a=-3, b=4 y
A'{-3,`5} y=2x+1
∴ a+b=1

채점 요소 배점
B A{5,`1}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 구하기 30 %
최단거리가 될 조건 구하기 30 % O x
C y=-1
최단거리일 때의 두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A"{5,`-3}

ABÓ+BCÓ+CAÓ=AÕ'BÓ+BCÓ+CÕA"Ó이고, 네 점 A', B, C, A"이

869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②
AÕ'BÓ+BCÓ+CÕA"Ó¾AÕ'A"Ó="Ã8Û`+(-8)Û`=8'2
점 C(p, p)는 직선 y=x 위의 점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8'2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9


정류소 A의 좌표는 A(3, 1)이다.
871  ②
y
Q{1,`3} y=x
네 점 A, B, C, D를 각각 A(0, 80), B(0, 0), C(50, 0),
D(50, 80)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자.
y
C A{3,`1}
D
A A'
O B x
P{3,`-1}
R
P 점 A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라 하면
O{=B} Q C x P(3, -1)
P'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라 하면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0, 20)이고, Q(1, 3)
점 P(0, 2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ABÓ=PBÓ, CAÓ=CQÓ이므로 만들려는 도로의 길이는
P'(0, -20), ABÓ+BCÓ+CAÓ=PBÓ+BCÓ+CQÓ이고, 네 점 P, B, C, Q가
점 A(0, 80)을 직선 x=5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A'(100, 80) 따라서 PBÓ+BCÓ+CQÓ가 최솟값을 가질 때 직선 BC의 방정식은
이때, PQÓ=PÕ'QÓ이고 RAÓ=RÕA'Ó이므로 직선 PQ의 방정식과 같으므로
PQÓ+QRÓ+RAÓ=PÕ'QÓ+QRÓ+RÕA'Ó이고, 네 점 P', Q, R, A'이 3-(-1)
y= (x-3)-1   ∴ y=-2x+5
1-3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5
∴ PÕ'QÓ+QRÓ+RÕA'Ó‌¾PÕ'A'Ó 따라서 직선 y=-2x+5와 x축이 만나는 점은 B{ , 0},
2
="Ã100Û`+100Û`=100'2 5 5
직선 y=-2x+5와 직선 y=x의 교점은 C{ ,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00'2이다. 3 3
도로의 길이가 최소일 때 두 정류소 B와 C 사이의 거리는

BCÓ=®É{ - }2`+{ -0}2`=


5 5 5 5'5
872   45 3 2 3 6

점 A(-1, 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0)이다. 874  ③
y
건물 A의 위치가 점 A(0, 0), 도로의 위, 아래 경계선이
B{-3,`8} 각각 직선 y=10, y=20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고, 건물 B의
위치를 점 B라 하면 점 B의 y좌표는 10+10+5=25이므로
Q B(b, 25)`(b>0)이라 하자.
ABÓ=5'4Œ1이므로 "ÃbÛ`+25Û`=5'4Œ1에서
P bÛ`+25Û`=25_41, bÛ`=25_16=20Û`
A A' ∴ b=20 (∵ b>0)
-1 O 1 x y
B{20,`25}
APÓ+PQÓ=AÕ'PÓ+PQÓ이고, 세 점 A', P, Q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20 C
이 값이 최소이므로
B'{20,`15}
AÕ'PÓ+PQÓ¾AÕ'QÓ 10
이때, 점 Q가 원의 중심과 점 A'을 이은 선분 위에 있을 때 D

AÕ'QÓ가 최소이다.
O{=A} x
원의 중심을 B(-3, 8)이라 하면 구하는 최솟값은 AÕ'BÓ에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횡단보도가 도로의 경계선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C, D라 하면
k="Ã4Û`+(-8)Û`-'5=3'5 횡단보도는 도로와 수직이므로 CDÓ=10이다.
∴ kÛ`=45 이때, 건물 A에서 이 횡단보도를 거쳐 건물 B로 이동하는 거리는
ADÓ+DCÓ+BCÓ=ADÓ+10+BCÓ yy ㉠
이므로 ADÓ+BCÓ가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873  ⑤
선분 BC를 점 C가 점 D로 옮겨지도록 평행이동할 때, 즉 y축의
지점 O가 원점, 직선도로 l이 x축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방향으로 -10만큼 평행이동할 때, 점 B(20, 25)가 이동되는 점을
직선도로 m은 직선 y=x를 나타내고, B'이라 하면

200 수학<상>
B'(20, 15) 즉, 점 A(a, a)에 대하여 B(a+2, a+2)이다.
이때, BCÓ=BÕ'DÓ이므로 또한 사각형 ACDB에서 ABÓ=2'2, CDÓ="Ã6Û`+2Û`=2'1Œ0으로
ADÓ+BCÓ=ADÓ+BÕ'DÓ 각각 일정하므로 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ACÓ+BDÓ가
세 점 A, D,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ADÓ+BÕ'DÓ‌¾AÕB'Ó y y=x
="Ã20Û`+15Û`=25 B
따라서 ㉠에서 구하는 최솟값은 C"

25+10=35(m) A
D
C'
O x

C
875  ④
선분 AC를 점 A(a, a)가 점 B(a+2, a+2)로 옮겨지도록
다음과 같이 점 P를 직선 O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평행이동하면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직선 O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자. 평행이동하는 것과 같으므로 점 C(1, -1)이 이동되는 점을
P' C'이라 하면 C'(3, 1)이다.
B 또한 점 C'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면
R
P
C"(1, 3)이다.
O 60± ACÓ+BDÓ=BÕC'Ó+BDÓ=BÕC"Ó+BDÓ이고, 세 점 B, C", D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Q
A BÕC"Ó+BDÓ¾CÕ"DÓ="Ã6Û`+(-2)Û`=2'1Œ0
따라서 사각형 ACDB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P" 2'2+2'1Œ0+2'1Œ0=2'2+4'1Œ0이다.
PRÓ=PÕ'RÓ, PQÓ=PÕ"QÓ이므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는
PQÓ+QRÓ+RPÓ=PÕ"QÓ+QRÓ+RÕP'Ó이다.
네 점 P', R, Q, P"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PÕ"QÓ+QRÓ+RÕP'Ó¾PÕ'P"Ó
이때, ∠P'OB=∠POB, ∠POA=∠P"OA이므로 877  ②

∠P'OP"=2(∠POB+∠POA)=120ù 형
도형 f(y, x)=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의
P'
대칭이동한 것이다. 방

4 세 점 (-2, 6), (2, 1), (2, 6)을 직선 y=x에 대하여 식
대칭이동하면 각각 (6, -2), (1, 2), (6, 2)이므로
O 60±
H 도형 f(y, x)=0은 이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다.
즉, 다음과 같다.
y

f{y,`x}=0
P" {1,`2}
{6,`2}
점 O에서 선분 P'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P'OH=60ù, OÕP'Ó=4이므로 PÕ'HÓ=2'3 x
O
∴ PÕ'P"Ó=2_PÕ'HÓ=4'3 -1 {6,`-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3이다.
3(b+1)
=m`(m은 실수)라 하면
a
m
3(b+1)=ma   ∴ b= a-1
3
876  ③
따라서 점 P(a, b)는 직선 y=
m
x-1 위에 있고, 이 직선은
3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a), (b, b)`(b>a)라 하면
항상 점 (0, -1)을 지난다.
ABÓ‌="Ã(b-a)Û`+(b-a)Û`
m
='2|b-a|=2'2 직선 y= x-1이 점 (1, 2)를 지날 때 직선의 기울기는 최대이고
3
에서 b-a=2 (∵ b>a)이므로
m 2-(-1)
b=a+2 이때, = 에서 m=9이다.
3 1-0

Ⅲ. 도형의 방정식 201


직선 y=
m
3
x-1이 점 (6, -2)를 지날 때 직선의 기울기는 최소이고 879   333
m -2-(-1) 1 점 P는 점 (1,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이때, = 에서 m=- 이다.
3 6-0 2
이 점을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1
∴ - ÉmÉ9 이 점을 다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므로
2
따라서 정수 m은 0, 1, 2, y, 9이고, 세 점 (1, -2), (-1, -2), (1, 2)를 차례로 반복해서 이동한다.
m=0, 1, 2, y, 8일 때 직선이 도형 f(y, x)=0과 만나는 점이 y
[점 P의 이동] {1,`2}
각각 2개이고, m=9일 때 직선이 도형 f(y, x)=0과 만나는 점이
1개이므로 구하는 점 P의 개수는
O
2_9+1=19 x

{1,`-2}
{-1,`-2}

878  ② 점 Q는 점 (1,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1)이고,


이 점을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1)이고,
점 A(5-2a,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 점을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점 (2a-5, a)이다. 이 점을 다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므로
이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네 점 (2, 1), (-2, 1), (1, -2), (1, 2)를 차례로 반복해서
점 B(a, 2a-5)이다. 이동한다.
이때, OAÓ=OBÓ="ÃaÛ`+(2a-5)Û`이고,
y
(직선 OA의 기울기)_(직선 OB의 기울기) [점 Q의 이동]
{1,`2}
a 2a-5 {-2,`1}
= _ =-1
5-2a a {2,`1}
이므로 삼각형 AOB는 ∠AOB=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O x
y
{2a-5,`a} A{5-2a,`a} {1,`-2}

O x 따라서 두 점 P, Q는 점 (1, 2) 또는 (1, -2)에서 일치한다.


P
Ú 점 (1, 2)에서 일치하는 경우
B{a,`2a-5} 점 P는 3, 6, 9,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고,
따라서 삼각형 OAB의 외심 P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점 Q는 4, 8, 12,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므로
1 자연수 k에 대하여 12k번째마다 두 점 P, Q가 일치한다.
(삼각형 OBP의 넓이)‌= _(삼각형 OAB의 넓이)
2 이때, 2000=12_166+8이므로
1 1 2000번 중 166번은 점 (1, 2)에서 일치한다.
= _ _OBÓ Û`
2 2 Û 점 (1, -2)에서 일치하는 경우
1
=  OBÓ Û` yy ㉠ 점 P는 1, 4, 7, 10,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고,
4
점 Q는 3, 7, 11,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므로
따라서 OBÓ가 최소일 때 삼각형 OBP의 넓이가 최솟값을 갖는다.
두 점이 각각 7번 이동했을 때 점 (1, -2)로 일치하고,
점 B(a, 2a-5)는 직선 y=2x-5 위의 점이고,
이후 12번째마다 일치한다.
점 O(0, 0)에서 직선 2x-y-5=0까지의 거리는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12k-5번째마다 두 점 P, Q가
|0-0-5|
='5
"Ã2Û`+(-1)Û`
일치하므로 2000번 중 167번 일치한다.

따라서 OBÓ의 최솟값은 '5이므로 삼각형 OBP의 넓이의 최솟값은 Ú, Û에 의하여 두 점이 일치하는 횟수는

1 5 166+167=333
_OBÓ Û= 이다.
4 4
다른 풀이

B(a, 2a-5)이므로 ㉠에서 삼각형 OBP의 넓이는 880  ③


1 1
 OBÓ Û`‌= {aÛ`+(2a-5)Û`}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두 점이
4 4
5 5 이차함수 y=xÛ`-2x+2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a-2)Û`+
4 4 A(a, aÛ`-2a+2), B(b, bÛ`-2b+2)이다. (단, a+b)
5 1
이므로 a=2일 때 최솟값  를 갖는다. 두 점 A, B가 직선 y=- x+1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2

202 수학<상>
1 사각형 ABCD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직선 y=- x+12가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2 E(2, 6), F(6, 2)
1 y
직선 AB가 직선 y=- x+12와 수직이므로 y=x
2
E
A6
직선 AB의 기울기는 D
(bÛ`-2b+2)-(aÛ`-2a+2) (bÛ`-aÛ`)-2(b-a) A'
‌= C'
b-a b-a
=a+b-2=2 (∵ a+b)
∴ a+b=4 yy ㉠ F

1 6
또한 직선 y=- x+12가 선분 AB의 중점
2 O{=B} C x
a+b aÛ`+bÛ`-2a-2b+4
{ , }를 지나므로 직선 BE의 방정식은 y=3x이고, 점 A'은 점 A를 직선 BE에
2 2
aÛ`+bÛ`-2a-2b+4 1 a+b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므로 직선 BE는 선분 AA'을
=- _ +12
2 2 2 수직이등분한다.
2{aÛ`+bÛ`-2(a+b)+4}=-(a+b)+48 A'(a, b)라 하면 직선 AA'이 직선 y=3x와 수직이므로
이 식에 ㉠을 대입하면 2(aÛ`+bÛ`-4)=44 직선 AA'의 기울기는
∴ aÛ`+bÛ`=26 yy ㉡ b-6 1
=-
㉠, ㉡ 을 연립하여 풀면 a 3
a=5, b=-1 또는 a=-1, b=5 ∴ a+3b=18 yy ㉠

또한 직선 y=3x가 선분 AA'의 중점 { , }을 지나므로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1, 5), (5, 17)이므로 a b+6
2 2
ABÓ="Ã6Û`+12Û`=6'5
b+6 a
=3_
다른 풀이 2 2
1 ∴ 3a-b=6 yy ㉡
두 점 A, B가 직선 y=- x+1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18 24
㉠,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이므로
1 5 5
직선 y=- x+12가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2 18 24
A'{ , }
1 5 5
직선 y=- x+12와 수직인 직선 AB의 방정식을
2 한편, 직선 BD의 방정식은 y=x이고, 두 점 A'과 C'은
y=2x+k (k는 상수)라 하면 두 점 A, B는 포물선 y=xÛ`-2x+2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도

직선 y=2x+k의 교점이다. 24 18
C'{ , } 의
5 5

따라서 AÕ'C'Ó=®É{ }2`+{- }2`=  '2이므로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방
방정식 xÛ`-2x+2=2x+k, 즉 xÛ`-4x+2-k=0 yy ㉢ 6 6 6 정

5 5 5
의 두 근이 a, b이다.
p=5, q=6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p+q=11
a+b=4 yy ㉣
1
한편, 두 직선 y=- x+12, y=2x+k의 교점의 x좌표는
2
1 2
- x+12=2x+k에서 x= (12-k)
2 5 882   ;3@;
이때, 두 직선의 교점은 선분 AB의 중점과 같으므로
점 B가 원점이고, A(0, 1), C(2, 0), D(2, 1)이 되도록 좌표평면
2 a+b
(12-k)= =2 (∵ ㉣)에서 k=7 위에 직사각형 ABCD를 놓고, 점 E의 좌표를 (2, a)라 하자.
5 2
이를 ㉢에 대입하면 y

xÛ`-4x-5=0, (x-5)(x+1)=0 1
A H
D
∴ a=5, b=-1 또는 a=-1, b=5
E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1, 5), (5, 17)이므로
ABÓ="Ã6Û`+12Û`=6'5 C
O{=B} G 2 x
F
점 A가 점 E와 직선 GH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GH는

881   11 선분 AE의 수직이등분선이다.


a-1
직선 AE의 기울기가 이고, 선분 AE의 중점이
다음과 같이 A(0, 6), B(0, 0), C(6, 0), D(6, 6)이 되도록 2

Ⅲ. 도형의 방정식 203


그림과 같이 직선 OP가 원 (x-4-k)Û`+yÛ`=9와 만나는 경우,
{1, }이므로 직선 GH의 방정식은
a+1
2 직선 OP의 기울기가 직선 OQ의 기울기와 같게 되는 점 Q가
-2 a+1 b d
y= (x-1)+ 이다. =  를 만족시키는 점 (c, d)가 존재한다.
a-1 2 존재하므로
a c+k
직선 GH 위의 점 G의 y좌표가 0이므로 b d
따라서 +  를 항상 만족시키는 점 P에 대해서는 직선 OP가
-2 a+1 a c+k
0= (x-1)+ 에서
a-1 2 원 (x-4-k)Û`+yÛ`=9와 만나지 않아야만 한다.
a+1 a-1 aÛ`+3 다음 그림과 같이 점 O에서 원 (x-4-k)Û`+yÛ`=9에 그은
x=- _ +1=
2 -2 4
두 접선이 원 xÛ`+yÛ`=16과 만나는 네 점을 각각 A, B, C, D라
aÛ`+3
∴ BGÓ= 하면 구하는 점 P의 자취는 x축과 만나지 않는 호 AB와 호 CD이다.
4
직선 GH 위의 점 H의 y좌표가 1이므로 y

-2 a+1 A B {x-4-k}@+y@=9
1= (x-1)+ 에서
a-1 2
1-a a-1 (a-1)Û` x
x= _ +1= +1 O
2 -2 4
aÛ`-2a+5 C D
∴ AHÓ= x@+y@=16
4
이때, 사다리꼴 EFGH의 넓이는 사다리꼴 ABGH의 넓이와
이때, 원 xÛ`+yÛ`=16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원의 둘레의
같으므로
16
1 1 aÛ`+3 aÛ`-2a+5 길이는 8p이고, 이 중 점 P의 자취의 길이는 p이므로
_(BGÓ+AHÓ)_ABÓ= _{ + }_1 3
2 2 4 4
16
}= p
∠AOB ∠COD
aÛ`-a+4 17 8p_{ +
= = 360ù 360ù 3
4 18
이때, ∠AOB=∠COD이므로
즉, 18(aÛ`-a+4)=4_17에서 9aÛ`-9a+2=0
∠AOB 2
(3a-2)(3a-1)=0 2_ =
360ù 3
2 1 1
∴ a= 또는 a= ∴ ∠AOB=∠COD= _360ù=120ù
3 3 3
2 1
∴ CEÓ=a= {∵ CEÓ> } 따라서 x축의 양의 방향과 만나는 호 BD의 중심각의 크기는
3 2
60ù이다.
y

A E {x-4-k}@+y@=9
B
883  2
60±
120±
30±
30± x
O'
a=0일 때, aÛ`+bÛ`=16에서 b=Ñ4이고, O 120±
C D
c+k+0이므로  yy TIP x@+y@=16
항상 b(c+k)+ad를 만족시킨다.
a+0일 때, b(c+k)+ad에서 원 (x-4-k)Û`+yÛ`=9의 중심을 O'(k+4, 0)이라 하고
b d 원 (x-4-k)Û`+yÛ`=9와 직선 OB의 한 접점을 E라 하면
+ (∵ c+k+0)
a c+k 직각삼각형 OEO'에서 ∠EOO'=30ù이고, EÕO'Ó=3이므로
b OÕO'Ó=6이다.
이때, 원점 O와 점 P(a, b)에 대하여  는 직선 OP의 기울기이다.
a
따라서 k+4=6이므로 k=2
d
또한 Q(c+k, d)라 하면  는 직선 OQ의 기울기이다.
c+k TIP
이때, 점 (c, d)가 원 (x-4)Û`+yÛ`=9 위의 점이고, 원 (x-4)Û`+yÛ`=9는 다음과 같으므로 원 위의 점 (c, d)에
점 (c+k, d)는 점 (c, d)를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대하여 항상 c>0이다.
점이므로 점 (c+k, d)는 원 (x-k-4)Û`+yÛ`=9 위의 점이다. y
 yy ㉠
y
x@+y@=16 {x-4-k}@+y@=9
Q O 4 x

O 4+k x
P

따라서 k>0에서 c+k>0이므로 c+k+0이다.

204 수학<상>
MEMO
MEMO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