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

@ daejangjang-i

Ⅱ 기권과 날씨
01. 기권과 지구의 날씨
A. 기권의 층상 구조
대기 :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 (공기)

기권(대기권) : 지구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대기


1. 대기는 지표에서 높이 약 1000km까지 분포
=> 대부분 지표 부근에 존재하며, 높이 올라갈 수록 희박 (중력 때문)
2. 대기는 여러 기체로 이루어짐
0.93% 아르곤
0.03% 이산화탄소

r
산소 0.04% 기타
질소 21%
78%

기권의 층상 구조
1. 구분 기준 :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
2. 구분 : 지표에서 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4개의 층으로 구분
높이
(km) 열권
- 기온 상승 (높을수록 더 많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직접 가열 되어서)
- 공기 희박, 낮 VS 밤 기온차 큼, 오로라 출현, 인공위성의 궤도로 이용
80 중간권 계면 중간권
- 기온 하강 (높을수록 지구 에너지 도달량이 적어져서)
- 대류 활발, 기상 현상 X (수증기가 거의 없어서), 유성 관측

50 성층권 계면 성층권
- 기온 상승 (높을수록 오존층에서 흡수한 태양 에너지에 덜 가열 되어서)
- 안정적인 층 (장거리 비행 항로로 이용)
오존층 [오존층 : 높이 약 20km ~ 30km에 존재, 자외선을 흡수함]

11
대류권 계면 대류권
- 기온 하강 (높이 올라갈 수록 지구 복사 에너지를 적게 받아서)
- 대류 활발, 구름 및 기상현상 발생 (대류가 일어나고 수증기가 존재해서)
-80 -60 -40 -20 0 20
기온 (°C)

B. 지구의 복사 평형과 지구 온난화


지구의 복사 평형
1. 복사에너지 : 물체의 표면에서 복사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
2. 복사 평형 : 물체가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가 같아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되는 상태
3. 지구의 복사 평형 :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과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양 동일
=> 지구의 평균 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

KYUNG_
@ daejangjang-i

온실 효과 : 지표에서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일부를 대기가 흡수 했다가 지표로 다시 방출하여 지구의 평균 기온이 높게 유지
되는 현상
=> 지구와 달은 태양으로 부터의 거리가 거의 같지만, 지구에는 대기가 있어서 온실 효과가 일어나 높은 온도에서 복사 평형이
일어나므로 달에 비해 평균 온도가 높음

i ,

, ,
이 때 돌아온 에너지가 온실 효과를 만듦
-

달 지구

지구 온난화 : 대기 중 온실 기체의 양이 증가하면서 온실 효과가 강화되어 지구 평균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1.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온실 기체 : 이산화탄소
2.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평균 기온의 관계 :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
=> (이상화탄소 농도) ∝ (지구 평균 기온)
3. 지구 온난화의 영향 : 빙하 면적 감소, 해수면 상승으로 육지 면적 감소, 폭우, 폭염, 폭설등의 기상 이변 증가, 농작물 생산량 감소,
생태계 변화 등

02. 구름과 강수
A. 대기중의 수증기
증발과 응결
1. 증발 : 물 표면에서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 현상
2. 응결 :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

공기의 불포화 상태와 포화상태


1. 불포화 상태 : 어떤 공기가 수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상태
2. 포화 상태 : 어떤 공기가 수증기를 최대로 포함하고 있는 상태

포화 수증기량 : 포화 상태의 공기 1kg에 들어있는 수증기의 양 (g)


1. 포화 수증기량의 변화 요인 : 기온 (기온 ∝ 포화 수증기량)
2. 공기의 포화 상태 판단 : 포화 수증기량과 현재 공기 중의 실제 수증기량으로 판단 ([현재 공기 중의 실제 수증기량 = 포화 수증기량]
=> 그 공기는 포화 상태)
수증기량
(k/kg) 불포화 곡선 공기 A B C
수증기량
포화 수증기량 10.6 20.0 20.0
30 (g/kg)
실제 수증기량 10.6 20.0 10.6

20 B •
포화 상태 포화 수증기량 곡선 상에 있는 공기
(A, B) (실제 수증기량 = 포화 수증기량)
A 불포화 상태 포화 수증기량 곡석 아래에 있는 공기
10 B
C
(C)
m

(실제 수증기량 < 포화 수증기량)


불포화 상태 공기 - 기온을 낮춤 (C -> A)


포화상태로
5 10 15 20 25 30 만드는 방법 - 수증기를 공급함 (C -> B)
기온 (°C)

KYUNG_
@ daejangjang-i

이슬점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 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1. 이슬점 변화 요인 : 실제 수증기량 => 실제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아짐
2. 이슬점 판단 : 불포화 공기가 냉각되어 이슬점보다 더 낮은 온도가 될 때의 온도
= 수증기의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 냉각될 때 포화 수증기량 곡선과 만나는 점의 온도
3. 이슬점에서는 [포화 수증기량 = 실제 수증기량]
4. 응결량 : 공기가 냉각 되어 이슬점보다 더 낮은 온도가 될 때 응결되는 물의 양
=> (응결량) = (실제 수증기량) - (냉각된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cf) 실제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은 이유

oaeoass.oeoaas.rs?..
<실제 수증기량 적음> <실제 수증기량 많음>
실제 수증기량 이슬점에 도달하려면 이슬점에 도달하려면 => 실제 수증기량이 많으면 이슬점에
이 만큼 온도가 이 만큼 온도가 도달할 때 까지 낮아져야 하는 온도
낮아져야함 낮아져야함 가 적기 때문

포화 수증기량

cf2) 응결량 구하는 법


포화 수증기량 곡선

응결량

포 포
냉각 화 냉각 화
상 상


0 20°C 이 공기의 이슬점

B. 상대 습도
습도(상대 습도) : 공기의 건조하고 습한 정도, 일반적으로 습도 = 상대 습도 임

현재 공기 중에 포함된 실제 수증기량 (g/kg)


상대 습도 (%) = x 100
현재 기온에서의 포화 수증기량 (g/kg)

상대 습도의 변화 : 공기중의 수증기량의 기온의 영향을 받음


=> 실제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기온이 낮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적을수록) 상대 습도가 높아짐

기온이 같을때 수증기량이 같을 때


=>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상대 습도가 높다 => 기온이 낮을수록 상대 습도가 높다

KYUNG_
@ daejangjang-i

맑은 날 하루 동안의 기온, 상대 습도, 이슬점 변화


1. 기온 : 14시 ~ 15시 경에 가장 높고, 5시 ~ 6시 경에 가장 낮음
2. 상대 습도 : 기온과 반대로 나타남 (실제 수증기량은 거의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기온(포화 수증기량)의 영향을 많이 받음)
3. 이슬점 : 거의 일정 => 맑은 날은 공기중 수증기량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
기온 상대
30 100 습도
(°C)
25 80 (%)

20

15

10

5
一也 60

40

20

0
0 6 12 18 24
시간 (시)

C. 구름
구름 :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하늘에 떠 있는 것

구름의 생성 과정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서 단열 팽창하여 생성


공기 상승 => 단열 팽창 => 기온 하강 => 이슬점 도달 => 수증기 응결 => 구름 생성

* 단열 팽창 : 열의 출입 없이 일어나는 팽창 (압력 차이로 일어나는 팽창)


특; 단열 팽창을 하면 팽창한 기체의 온도가 낮아진다.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


- 지표면의 일부가 강하게 가열될 때
- 이동하는 공기가 산을 만날 때
-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날 때 (이 때 따뜻한 공기가 상승)
- 주변보다 기압이 낮아 공기가 모여들 때

구름의 모양
적운형 구름 구분 층운형 구름
위로 솟은 모양 모습 옆으로 퍼지는 모양
강할 때 생성 공기의 상승 약할 때 생성

소나기성 비 강수 지속적인 비

D. 강수
강수 : 구름에서 지표로 떨어지는 눈

병합설 (열대, 저위도 지방) : 물방물 + 물방울 => 비

빙정설 (중위도, 고위도 지방) : 얼음 알갱이 + 수증기 => 눈 (녹으면 비)


병합설 빙정설

饑口 rmorrit mirmsamio
+

wmsrm.oasraioasara.at
AA.it +ftp.i

KYUNG_
@ daejangjang-i

03. 기압과 바람
A. 기압
기압 (대기압) : 공기가 단위 넓이 (1m2)에 작용하는 힘 (충돌 횟수) => 힘(무게)/넓이
cf) 기압의 작용 방향 : 기압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작용

기압의 측정 : 토리첼리가 수은을 이용해 최초로 측정


동일
실험 과정 : 수은을 가득 채운 길이 1m의 유리관을 수은이 담긴 그릅에 거꾸로 세움
실험 결과 : 유리관 속의 수은이 내려오다가 수은면으로 부터 76cm 높이에서 멈춤
=> 수은 기둥이 누르는 압력 = 수은면에 작용하는 기압
수은 기둥의 높이 : (기압이 일정한 경우) 유리관의 두께나 기울기에 상관없이 동일 E-tE
기압의 크기
1. 기압의 단위 : 기압(atm), hPa, cmHg
2. 1기압 = 수은 기둥 높이 76cm에 해당하는 압력
1기압 = 76cmHg ≒ 1013 hPa ≒ 물기둥 약 10m의 압력 ≒ 공기 기둥 약 1000km의 압력

기압의 변화
1. 높이에 따른 변화 : 높을 수록 공기의 양이 줄어 기압이 급격히 줄어들음
2. 측정 장소와 시간에 따른 변화 : 공기가 끝없이 움직이므로 시간과 장소에 따라 기압이 달라짐

B. 바람
바람 : 공기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수평 이동 하는 것
1. 바람이 부는 원인 : 두 기압 차이 => 지표면의 기온 차이 때문에 기압 차이 발생
지표면이 냉각된 곳 지표면이 가열된 곳
공기 하강
모습 공기 상승
=> 기압 상승
=> 기압 하강

공기의 밀도 공기가 수축하면서 밀도 상승 공기가 팽창해 밀도 감소


공기의 상승과 하강 공기가 하강 공기가 상승
지표면의 기압 주변보다 상승 주변보다 하강
바람의 방향 기압이 높은곳 -> 기압이 낮은 곳
2. 바람의 세기 : 기압차이가 클수록 강함

지표면의 가열과 냉각에 의한 기압 차이로 부는 바람


1. 해륙풍 : 해안에서 하루 주기로 충향이 바뀌는 바람 => 비열 차이로 인해 낮에는 육지가 온도가 높고, 밤에는 바다가 더 높음
해풍 육풍
" 3

모습 .
.

낮 부는 때 밤
육지 > 바다 기온 육지 < 바다
육지 < 바다 지표면의 기압 육지 > 바다
바다 -> 육지 바람의 방향 육지 -> 바다

KYUNG_
@ daejangjang-i

계절풍 : 대륙과 해양의 사이에서 1년을 주기로 풍향이 바뀌는 바람 => 비열 차이로 인해 여름철에는 대륙이 더 온도가 높고,
겨울철에는 해양이 더 높음
남동 계절풍 북서 계절풍


'

도 모습
.

여름철 부는 때 겨울철
대륙 > 해양 기온 대륙 < 해양
대륙 < 해양 지표면의 기압 대륙 > 해양
해양 -> 대륙 바람의 방향 대륙 -> 해양

04. 날씨의 변화
A. 기단과 날씨
기단 : 넓은 장소 (대륙, 해양 등)에 오래 머물러 성질이 지표와 비슷해진 공기 덩어리
1. 기단의 성질은 발생지의 성질 (기온, 습도 등)에 따라 결정
2. 기단은 세력이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지역의 날씨에 영향을 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우리나라 주변 기단 기단 발생지 성질 계절 날씨
시베리아 고위도 한랭
시베리아 오호츠크해 겨울 춥고 건조
기단 대륙 건조
기단 기단
양쯔강 저위도 온난 봄 따뜻하고
기단 대륙 건조 가을 건조
오호츠크해 고위도 한랭 동해안 지역에
초여름
양쯔강 기단 해양 다습 저온 현상
북태평양
기단 기단 북태평양 저위도 고온 무덥고
여름
기단 해양 다습 습함

B. 전선과 날씨
전선면과 전선 b.
전선면

1. 전선면 :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나서 생긴 경계면 따뜻한


공기

2. 전선 :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 => 전선을 경계로 기온, 습고, 바람 등 날씨가 달라짐 찬공기

전선
지표면

전선의 종류
- 한랭 전성 : 찬공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를 파고들 때 생성 溫峴 增

- 온난 전선 : 따뜻함 공기가 찬공기를 타고 오를 때 생성 • • •

- 페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만나 겹쳐서 생성 溫騷增 •

- 정체 전선 :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오랫동안 머물러 있음 썔




KYUNG_
@ daejangjang-i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의 특징
한랭 전선 온난 전선

모습
ieaareesoeeeaseooeeoorsttttortessese ns.arees.seeeeoeooeeoor_ttttshsesso-e
급함 전선면의 기울기 완만함
적운형 구름 구름의 종류 측운형 구름
좁은 지역, 소나기성 비 강수 구역&형태 넓은 지역, 지속적인 비
빠름 이동 속도 느림
낮아짐 통과 후 기온 높아짐
북서풍 cf) 풍향 남동풍

C. 기압과 날씨
고기압과 저기압
고기압 저기압
고 저
정의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
바람 (북반구) 시계방향으로 불어옴 시계방향으로 불어나감
중심 기류 하강 기류 상승 기류
oshypssssttoeeeoe.se
날씨 구름 소멸 => 날씨 맑음 구름 생성 => 흐리고 눈이나 비

온대 저기압 : 중위도 지방에서 복쪽의 찬 기단과 남쪽의 따뜻한 기단이 만나 생성


1. 구조 : 저기압의 중심 남서쪽 -> 한랭 전선, 남동쪽 -> 온난 전선
2. 이동방향 : 서쪽 -> 동쪽 (온대 저기압이 지나갈 때 항상 온난 전선이 먼저 지나감


굻 따뜻한
麴 혷 찬공기


공기 찬공기

지표면

비오는 구역

KYUNG_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