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4

저작자표시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11006-200000174109

석사학위논문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

지도교수 김 중 섭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최예진
2019년 2월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
지도교수 김 중 섭

이 논문을 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최예진
2019년 2월
최예진의 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 주심교수 조 현 용 (인)
* 부심교수 이 정 희 (인)
* 부심교수 김 중 섭 (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년 2월
<국문초록>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최예진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분석하여 각


자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국적의 화자들 사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적 교류에 필수적인 문화적 배경, 공손함, 속어 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
러한 다양한 요소 중에서 한국어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어법은 외국인 학
습자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범주이다. 대부분의 서양 언어권 국가들은 경어법
이 문법 범주에 나타나지 않지만,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을 위한 공손 표현 활용은
적용이 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영어, 불어, 일본
어, 중국어 등의 공손 표현과 관련된 연구는 많았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언어를 선택하여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
다.
본 연구는 우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을 형태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으로 나
누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의 공손 표현과의 대조 분석을 실행할 때
주목해야 할 문법적 요소들을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공손의 개념과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특성을 제시하
였다. 한국어의 공손 표현은 규범적인 성향이 강한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은 전략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대조 분석은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를 토대로 삼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어휘 층위와 화용 층위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활용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의 공손 표
현과의 비교를 통해 서로의 공통점 혹은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목차>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 방법 ·········································································································· 3
1.3. 선행 연구 ·········································································································· 4
2.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특징 ······································································· 12
2.1. 형태적 구조 ···································································································· 12
2.1.1 명사 ·················································································································12
2.1.1.1 분류 ············································································································12
2.1.2.1 굴절 ··············································································································13
2.1.2 형용사 ·············································································································14
2.1.2.1 용법 ············································································································14
2.1.2.2 급 ················································································································14
2.1.3 관사 ·················································································································16
2.1.4 대명사 ·············································································································17
2.1.4.1 형태 ············································································································17
2.1.4.2 용법 ············································································································18
2.1.5 동사 ·················································································································21
2.1.5.1 형태 ············································································································21
2.1.5.2 직설법 ········································································································25
2.1.5.3 접속법 ········································································································29
2.1.5.4 명령법 ········································································································31
2.2. 통사적 구조 ······································································································32
3.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특성 ························ 34
3.1. 공손의 개념 ······································································································ 34
3.1.1 체면의 개념 ·····································································································37
3.2. 한국어 공손 표현의 특성 ·········································································· 38
3.2.1. 한국어 경어법 ···························································································· 38
3.3.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특성 ···················································· 40
3.3.1 소극적 공손 ····································································································43
3.3.1.1 대체 전략 ····································································································44
3.3.1.2 동반 전략 ··································································································46
3.3.2 적극적 공손 ···································································································48
3.3.3 격식 존대 대명사 ‘senhor’의 용법 ·····························································49
3.3.4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50
4.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 52
4.1. 문법 층위 ········································································································ 52
4.1.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53
4.2. 어휘 층위 ········································································································ 54
4.2.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55
4.3. 화용 층위 ··········································································································62
4.3.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64
5. 결론 ··························································································································71
<참고문헌> ··················································································································· 73
<표 차례>
<표 1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명사> ····························································································13
<표 2 굴절> ····································································································································13
<표 3 비교급> ································································································································15
<표 4 상대 최상급> ······················································································································15
<표 5 절대 최상급> ······················································································································16
<표 6 관사> ····································································································································17
<표 7 대명사> ································································································································18
<표 8 존대 대명사> ······················································································································20
<표 9 격식 존대 대명사> ············································································································20
<표 10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규칙동사 - 현재> ···································································22
<표 11 인칭> ··································································································································23
<표 12 시제 1> ······························································································································23
<표 13 시제 2> ······························································································································25
<표 14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현재> ·············································································26
<표 15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불완전과거> ·································································26
<표 16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단순 과거미래> ···························································27
<표 17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단순 현재미래> ···························································28
<표 18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현재> ·············································································29
<표 19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불완전과거> ·································································30
<표 20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단순미래> ·····································································30
<표 21 ‘Falar’ 동사 변형 - 명령법 접속법 현재> ································································31
<표 22 ‘Falar’ 동사 변형 - 명령법 직설법 현재> ···························································31,32
<표 23 격식체와 비격식체 높임 등급> ····················································································40
<표 24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소극적 공손 전략> ······················································· 43,44
<표 25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 50
<표 26 문법 층위> ············································································································· 52
<표 27 어휘 층위> ············································································································· 54
<표 28 화용 층위> ············································································································· 62
<그림 차례>
<그림 1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정도의 따른 순서> ······················································41
<그림 2 한국어 페이스북> ··········································································································55
<그림 3 브라질 포르투갈어 페이스북> ····················································································56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브라질은 아직 한국에서 많이 알려진 국가는 아니지만, 앞으로 한국과의 교역이
확대되고 양국 간의 관계가 밀접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2015년 8월
30일에 세계한인교류협력기구는 한국과 브라질 우호와 친선을 위한 국회환영모임을
개최하였다. 이 행사는 앞으로 브라질과 한국의 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양국의 상호
발전이 있기를 기원하는 자리였다고 밝혔다.1) 또한, 지난 8월 3일에는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가 후원하는 브라질리아 세종학당이 개원식을 진행하였다.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는 한국어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보급 사업을 후원하며, 세종학당은 현
지인들에게 맞춤형 한국어 교육을 이미 제공하고 있다. 이는 한국과 브라질 간의
우호증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해 온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가 양국 교류 증
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2)
2013년을 시작으로 현재 브라질에서 가장 큰 공립대학이자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인 쿼콰렐리 시몬즈(Quacquarelli Symonds)에서 평가한 세계 대학교 순위에서 중남
미 지역 중 3위3)를 차지한 상파울루 대학에는 한국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불과 7년
전만 해도 한국어는 선수과목이었다. 그러나 삼성이나 현대와 같은 한국 대기업들
이 브라질에 진출하고 한류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한국에 대한 브라질인들의 관
심이 더욱 증가하였다. 특히 한국의 케이팝과 드라마의 영향력 덕분에 한국어 교육
이 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은 지난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16개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상으로 해외한류실태에 대해 조사
하였는데, 브라질은 한국 대중문화 경험 이후 한국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는 응답률이 70% 이상으로 조사되었다.4)
이러한 다양한 원인은 브라질에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발전에 더욱 기여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언어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1) http://www.newspower.co.kr/sub_read.html?uid=27912
2)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806000130
3)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world-university-rankings/2019
4) http://kofice.or.kr/b20industry/b20_industry_01_view.asp?seq=978&page=1&find=&search=

- 1 -
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석하며 인간 상
호 간에 의미를 타협하게 해 주는 능력이라고 하였다.5) 또한, Halliday(1973)는 언어
기능을 7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사람들 간에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켜 주는 상호 작용적 기능이다. 성공적인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사회적 교류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 즉 문화적 풍습, 공손함, 속어, 은어 등을 알아
야 한다.
한 나라의 언어를 배울 때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은 필수적이다. 언어에 그
나라의 문화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과 특히 서양 나라들의
문화적 차이는 크다. 그래서 서양 학습자들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그것이 한국어 학습에서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서양에는 개인주의가 뿌리 깊게 박혀있다. 집단은 개인의 이익을 위
해 존재하는 것이며, 개인이 모여 집단을 이룬다고 본다. 이에 비해 한국은 집단주
의적 성향이 지배적이다. 개인의 정체성은 집단에 의해 결정되며, 개인은 주변 사람
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서양 나라
들에 비해 타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을 중요히 여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의 경어법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
한국어의 경어법은 나이, 사회적 지위, 친밀도, 격식, 계층적 서열 등과 같은 담화
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는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어휘는 평어와 경어로
구분되어 있다. 예컨대 ‘나이/연세’, ‘밥/진지’, ‘집/댁’ 등의 표현이 있다. 이런 요소들
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또한, 경어법을 올바르지 않게 사용할
경우, 오해가 빚어져 의사소통 상의 갈등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황에 알맞
은 적절한 경어법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서양 언어에 속하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경어법이 문법적 형태소에 의해 적극
적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발화 형식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가 존재하며, 공손한
표현과 공손하지 않는 표현이 포함되어 있을 뿐, 문법적인 범주로 나타나지는 않는
다. 즉,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경어법보다는 공손 표현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므
로 본고는 공손 표현을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공손 표현에 해당하는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
에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양국의 문화 이해와 의
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5) Hymes, D.(1972)

- 2 -
1.2 연구 방법
본고는 다음의 순서를 통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과 선행 연구를 제시한다. 한국에 대
한 브라질의 관심이 증가함으로 인해 한국어 교육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문화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공손 표현의 중요성을 내세운다.
또한, 공손 원리를 다루는 연구, 기존의 한국어 공손 표현의 관한 연구, 타언어와
한국어 공손 표현의 대조 혹은 비교 연구 그리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성에 대
한 연구를 검토한다.
2장에서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아직 브라질 포르투갈어
가 한국에서 많이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언어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 구조와
통사적 구조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형태적 특징에서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명사, 형용사, 관사, 대명사, 동사에 대하
여 살펴볼 것이며, 마지막으로 통사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정보들을 간략하게 제시하여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를
가지도록 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특성을 제시한다. 본격적
으로 두 언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각각 지니고 있는 공손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공손의 개념과 사회언어학적 측면을 제시한 후, 공손을 이해하기 위해 고려
해야 하는 체면의 개념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본다. 체면의 대한 설명
은 Goffman(1959)와 Brown & Levinson(1987)의 이론을 토대로 표시한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공손 표현의 특성을 먼저 살펴본다. 한국어의 공손에는 규범
적 용법이 적용됨을 밝히며 그에 해당하는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한국어의
경어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제시하여 규범적 성향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증
한다.
이어서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브라질 포르투
갈어와 같은 서양권 언어가 해당하는 전략적 공손 표현은 화자가 구체적인 발화 목
적이나 의도에 따라서 유표적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Brown & Levinson(1987)
의 공손 전략과 같은 맥락이다. 그리하여 Brown & Levinson(1987)의 공손 전략을
소극적 공손과 적극적 공손으로 분류하여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다양한 공손 표현을
예문과 함께 살펴본다. 또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 3 -
있는 격식 존대 대명사 ‘senhor’의 용법과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감사,
요청, 사과, 기원으로 분류하여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본격적인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대조 분석을 문금현(2017)이
제시한 한국어 공손 표현의 형식 체계를 기준으로 삼을 것이다. 필자는 문금현
(2017)이 진행한 설문조사의 실제 사용빈도 결과에 의의를 두어 그가 설정한 공손
표현의 생성 유형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가 제시한 한국어 공
손 표현의 형식 체계를 음운 층위를 제외한6)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로 분
류하여 특징을 살펴보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각 층위에 적용하여 실
현이 가능한지 검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양국 언어의 공손 표현과 더
불어 문화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이들 간에 효율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
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3 선행연구
먼저, 공손의 개념에 관한 연구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공손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으로 알려진 Brown & Levinson(1987)은 대인 관계에
서 체면을 살리는 것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인간
의 체면을 적극적 체면과 소극적 체면으로 구분하였다. 적극적 체면은 화자 자신의
바람이 상호작용 대상자들 중 적어도 몇 사람에게는 수용되는 바람이길 원하는 것
인 반면에 소극적 체면은 화자 자신의 욕구가 다른 사람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또한, 언어적 예의를 위한 전략, 즉 볼드 온 레코드, 적극적 예의,
소극적 체면, 오프 레코드, 전략 불이행의 다섯 가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Goffman(1959)는 최초로 서양의 체면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는 체면이 인상관리
에 기반한 요인으로 바람직한 사회 이미지를 창조하는데 사용되는 행위적 전략이
며, 타인에게 자기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 자아와 일치되는 공적 자아를 형성하기
위한 도구로써 인상을 통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체면 개념은 Brown &
Levinson의 공손 이론에 도입하였다.
Kasper(1990)는 공손 표현을 전략적 용법과 사회 규범적 용법으로 분류하여 제시
하였다. 전자는 Brown & Levinson의 공손 이론과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언
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한다고 주장하였고, 후자는 그 반대의 개념인 의사소통 의도
6) 다른 언어 층위에 비해 항목이 소략하다고 판단하여 음운 분야는 배제하였다.

- 4 -
와는 무관한 측면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번에는 한국어 공손성에 대한 연구 목록이다.
강길호(1994)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공손현상을 순수한 한국적 시각으로 조
사하여 한국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적 공손전략의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
다. 그는 공손개념에 등장하는 두 가지 체면욕구인 규범욕구와 과시욕구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들을 충족시켜주는 규범적 전략과 과시적 전략도 함께 제시하였다. 또
한, 공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바탕으로 공손전략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고 공손
책략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을 사용할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살
펴보았다.
이정복(1999)은 국어 경어법의 규범적 용법과 전략적 용법 중 전략적 용법의 개
념과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고 세부적인 하위 유형들을 실제 대화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국어 경어법의 전략적 용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황기동(2000)은 공손에 대한 네 가지 이론, 즉 사회규범론, 담화적율론, 체면유지
론, 담화계약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그는 ‘공손’에 대한 정의가 아직 불명
확하다는 점을 중시하였고 공손에 대한 이론들이 근본적인 개념은 유지하면서 유연
성 있는 구분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전혜영(2004)은 한국어 공손 표현의 장치를 어휘, 통사, 화용 측면으로 나누어 제
시하였다. 그는 공손이 대화자가 서로 협력하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면 요청되는 도구가 되므로 어른뿐만 아니라 아랫사람에게도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또한, 공손표현은 고정된 형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공손의 정도
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담의 정도, 힘, 친밀도, 격식성, 성별, 세대 등이
있다고 덧붙였다.
허상희(2009)는 ‘공손’과 ‘공손표현’의 개념을 정의하고 높임과 공손의 관계를 설
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공손표현의 체계에 관여하는 힘 요인, 거리 요인, 상
황 요인의 작용을 살펴보았으며 상황 요인이 힘과 거리 요인보다 먼저 작용하고 힘
과 거리 요인은 화자의 발화 의도나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
였다.
김서형(2013)은 공손 표현이 화자가 상대방을 예우하는 표현을 일컫는다는 까닭
으로 높임 표현과는 다소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공손의 개
념과 범위를 제시하고 공손 표현 발화의 실현 양상을 유형별로 고찰한 후, 담화 화
행에서 공손성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논하였다. 그는 언어 표현에 집중하여 화자에

- 5 -
게 나타나는 공손화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김진무(2013)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기술하는 공손성 원칙에 대하여
특히 Brown & Levinson의 이론과 Kerbrat-Orecchioni7)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한, 공손성의 원칙에 내제되어있는 보편성 및 특수성에 관한 논의도 함께 진행하였
다. 그는 공손성 이론의 토대가 되는 체면의 개념은 보편적이기보다는 문화 상대적
이라고 주장하며 문화권마다 다양한 공손성 체계가 건설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엄진숙(2014)은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언어 자료를 통해 의문문 형식의 관습성,
유형, 기능에 따라 공손성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는 한국어 학습자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상대방의 소극적 체면을 보상하고자 의문문의 언어적 형식을
다양한 화용적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승연·김은호(2014)는 공식적 요청을 위해 작성된 이메일의 담화 구조와 공손전
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희망 표현’과 ‘수행 술어문’의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의례적 간접 표현’이 공손전략으로서 가장 선호되
는 유형이라고 제시하였던 점과 상이하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박소연(2017)은 한국어 공손성에 관한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어 공
손성 연구의 현주소를 가늠해보았고 거기에서 비롯되는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그는
공손성 연구 중 공손표현 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음을 밝혔고 한국어 공손성 개
념과 범주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공손, 공
손성, 공손표현에 대한 명확한 범주 구분과 개념 정의를 제시하고자 하였고 한국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임수진(2017)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의 카카오톡 모바일 메신저
대화 6편을 추출하여 거기에 나타나는 인접쌍 반영 양상을 공손성을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체면 지키기 전략, 대화 협력원리 등의 대화 이론과 공손성 이론을 중심으
로 대화 시 시작과 종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청자에게 체면 위협적 행
위가 될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 공손 표현의 비교 분석 기준이 되는 문금현(2017)은 공손성의 개념을
높임을 포함하여 더욱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유형을
음운 층위,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로 나누어 공손성 표현의 전체적인 체
계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성 유형별로 공손성의 강도와 사용 빈도를 설문조
7) 김진무(2013)는 Kerbrat-Orecchioni가 화행의 범주를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와 체면을 이롭게 하는
행위로 구분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아울러 적극적 공손은 체면을 이롭게 하는 행위와 관계되어 있고
소극적 공손은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와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 6 -
사로 인하여 파악하고 한국어 화자들이 공손성 표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며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정혜인·이상철(2017)은 공손성을 인간의 의사소통 양상을 인지적으로 접근하여 설
명하는 관련성 이론에 비추어 제시하였다. 그들은 공손성이 발화에 직접적 의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외축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나타냈고 관련성 이론의
관점으로 보았을 시 공손성이 상위 외축으로 분석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번에는 한국어 교육과 공손에 대한 연구 목록이다.
전혜영(2005)은 공손표현의 교육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공
손표현이 갖는 문화적 특성의 이해와 다양한 공손표현의 장치들에 대한 인식을 중
요히 여기고 형태 중심보다는 표현 중심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
다. 또한, 공손표현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3단계로 나누어 그 방안을 제시하
였다. 1단계에는 사회적인 규범과 관련되는 부분을 먼저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고, 2단계에서는 다양한 공손표현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어떻게 공손을 의미하
는지 설명한다고 하였으며 마지막 단계는 배운 공손표현의 이해도를 점검하고 실제
화용적인 차이를 파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해영(2006)은 한국어의 대우 표현에 관한 교육을 어휘적, 형태적, 통사적 층위
뿐만 아니라 화용적 층위에서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한국어 학
습자의 대우 표현 사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고 교육 측면에서 어떻게 제시되는지
살펴보았는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결과는 화용적 장치의 습득이 완전하지 못
하다는 점이었다. 아울러 한국어 교재에는 문법적 및 어휘적 대우 표현이 충분히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공손 표현의 제시가 다양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하였다.
오미정(2007)은 담화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 존대법 교육에 대해 제시하였
다. 그는 존대 표현의 문법적 및 어휘적 요소들을 학습자들이 존대 호응의 규칙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는 발화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학습자 본인도 한국어
존대 표현으로 인하여 발화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전략과 학습 전략의 교육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였다.
신정애(2008)는 청자의 체면 손상을 줄이기 위한 ‘허락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표
현 목록을 구축하고 공손성의 정도를 위계화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박지순(2014)는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교육과 내용 항목 구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실질적인 교육을 중요시하고 화행을 포함하는

- 7 -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용법과 규칙을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문화 교육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
다.
윤상석(2016)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공손성 교육
에 대해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논하였다. 그는 학생들이 화용론적 관용구, 모국어에
서 사용하는 구문의 전이 사용, 2인칭 대명사, 호칭, 지칭의 사용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고, 한국어의 공손성 교육의 목적이 화용론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
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어의 공손성 교육은 단순히 존대법을 배우
는 것이 아닌 한국의 문화 상황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금현(2018)은 한국어 화용교육에서 공손성을 바탕으로 삼아 이에 해당하는 교
육 내용을 학습 단계별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학습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한국어 교
재 분석과 교사 설문조사, 학습자의 인지도 조사 및 오류 분석, 시범수업 결과를 근
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화용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교육에도 도
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 부분에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다음은 한국어와 타언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혹은 비교 분석한 연구 목록이다.
류관수(2004)는 한국과 미국의 언어문화와 공손표현을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였
다. 결과적으로 한국어의 공손 표현은 구분적8) 언어 사용으로서 적합한 높임법의
사용이 일차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며, 전략적인 의도적 언어 사용으로 완성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영어의 공손 표현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나타나는 능동적인 전략
적 사용 측면이 두드러지며, 구분적 언어 사용으로서 적합한 문체의 선정과 정형화
된 일상적 상투어에 대한 지식도 포함한다고 하였다.
권미정(2009)은 한국어와 영어의 공손 표현을 비교 대조하였고 특히 영어권 학습
자에게 한국어의 공손 표현을 교육할 때 강조해야 하는 부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는 한국어의 공손 표현의 대우법, 간접 화행, 호칭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영어에서 실현되지 않거나 한국어와 차이점을 나타내는 경우를 선정하여 비교 연구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간접 화행, 호칭어, 청자 대우법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한국어와 영어의 공손 표현 대조 및 비교 연구는 대학생들의 칭찬과 칭
찬 반응 화행을 중심으로 분석한 곽지영(2013),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나타난 영어와
한국어의 공손전략을 비교한 곽면선(2014), 한국인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비교 연구를 실시한 윤은미(2004) 등이 있었다.
8) 류관수(2004)는 대화 상황에서 상대방의 관계, 대화의 주제 등에 따라 화자가 각기 다른 언어 형태
를 사용하는 것이 언어의 구분적 언어사용이라고 설명하였다.

- 8 -
와와메인(2011)은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공손표현 대조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공손 표현이 어휘적인 측면, 문법적인 측면, 간접화행에서 비
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주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화용론적 측면보다 대우법
에서 발생하는 공손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
다.
김은아(2013)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공손 표현 비교 연구를 요청과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그는 한국어 화자가 요청 화행과 거절 화행 시 표현과 전략
을 독일어 화자보다 더 높은 사용 빈도수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일어 화
자와 한국어 화자 집단이 각기 자기 언어와 문화에서 관습화된 방식으로 공손을 드
러내며 표현 방법의 차이는 두 나라의 사회 문화적 가치에 기인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효숙·김영주(2013)는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분석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모어 화자의 요청화행에서
사용되는 공손표현을 대조하였다. 이어서 브라질 내 학습자와 한국 내 학습자가 요
청 상황에서 실제로 어떠한 공손표현을 사용하는지 알아보고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
자의 화행 전략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브라질인 학습자가 한국어로 의사소
통을 할 시, 사회적 및 문화적 맥락에 맞는 적절한 공손표현을 구사하였는지 조사
하였다. 그러나 요청 상황에만 집중하였기 때문에 공손성을 요구하는 다른 경우들
을 제시하지 못한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왕경(2015)은 한국어와 중국어 공손 표현의 대조 연구를 의미적 및 통사적 관점
을 바탕으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제시하였다. 그는 중국인 학
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공손 표현을 사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
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가장 부족하다고 나타난 점이 ‘-겠’의 활용, ‘-ㄹ까’와 ‘-ㄹ
래’의 혼동, 부정 의문문의 활용, 직접 높임과 간접 높임의 구분과 주어와 어미의
불일치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법과 어휘에 초점을 맞추고 화용 측면을 거의 다루
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곽옥(2016)도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를 실행하였지만 화용론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인사화행, 요청화행, 거절화행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손 표현 사용을 대조하고 실생활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한·중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손 표현 대조 및 비교 연구는 요청표현을 중심으
로 분석한 고동(2014), 완곡을 바탕으로 분석한 소우(2012), 상투표현을 중심으로 분

- 9 -
석한 정수봉(2018), 요청 대화에서의 공손 표현 사용 연구를 진행한 채영주(2010),
거절 화행에서의 공손성 인식 및 전략 실현 양상에 대하여 연구한 왕사혜(2016),
한·중 요청발화에서의 공손표현을 연구한 이사묘(2013) 등이 있었다.
아예샤 디야랃너(2016)은 한국어와 스리랑카어의 공손 표현을 명시적인 측면과
비명시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어에는 명시적과
비명시적 공손 표현 모두의 사용이 활발하다고 설명하였고 싱할라어에는 명시적 공
손 표현보다 비명시적 공손 표현이 더 활성화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끝으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성에 대한 연구 목록이다. 국내에서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을 다루는 연구가 없었으므로 브라질에서 진행된 자료를 살펴보
았다. 그러나 공손에 대한 연구의 양이 많은 편은 아니었다.
Marques(2008)은 디지털 교육 포럼에서 나타나는 공손 현상을 파악하고 참여자
들이 어떤 적극적 공손의 요인들을 활용하였는지, 그리고 체면 유지를 어떤 방식으
로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의견을 일관성
있고 교양 있게 표현하였고 의견 충돌이 생겼을 경우에도 서로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하였다.
Unterbaumen·Vigata·Fernandez(2010)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 공손 표
현의 대조 연구를 브라질 교수 두 명과 스페인 교수 두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네 명의 인원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지만, 본 연구를
통해 결과적으로 스페인이 브라질보다 적극적 공손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고,
브라질에서는 칭찬 전략이 스페인에 비해 수용적이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 조사로
인해 두 나라 간의 공손에 대한 문화적 차이점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Appa(2012)는 의사소통이 에티켓 매뉴얼에 포함된 언어적 상호작용 및 공손에 의
존하는 요인이라는 점을 브라질의 유명한 세 작가의 자기 계발 도서에 비추어 논하
였다. 적극적 및 소극적 체면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대 사회에서 나타
나는 상호작용이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손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Azuma(2013)는 브라질 꾸리찌바라는 도시에 3년 미만 거주하는 일본인들과 브라
질인들이 구사하는 공손 표현을 대상으로 대조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브
라질인들은 전반적으로 적극적 체면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일본인들은
소극적 체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언어에 따라 공손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일반적으로 브라질에 비해 일본의 공손 표현이 더 격식을 요구하였으
며 간접성의 사용 빈도가 높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10 -
Gallardo(2014)는 스페인과 브라질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공손 표현을 대상으로 삼
아 대조 분석하였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로 구성된 전자 메일을 분석하
여 각 언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및 문화적 차이점과 유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손의 정도가 브라질 포르투갈어보다 스페인어가 더 높았고, 두 언어
가 구조적인 관점에서는 유사하지만 환경에 따라 실용적인 차이점이 나타난다는 점
이 드러났다.
Favero·Andrade(2015)는 구어체와 문어체에서 사용되는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을 텔레비전 방송이나 인터뷰와 같은 자료를 기반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학습
자가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담론적 실천이 무엇인지 공손
표현의 교육 방안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Pereira·Souza(2016)는 브라질의 한 공립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을
분석하였다.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담론적 상황을 그들의 발화를 분석
하여 살펴보고 공손 혹은 불손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학교뿐
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공손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며 이것이 사회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Albuquerque(2017)는 도미니카인 학생이 브라질 교사와 친구들을 상대로 요청화
행을 어떻게 실현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은 ‘제발’, ‘가능할까요?’와 같
은 공손 표현을 위주로 사용하였다고 밝혔으며, 이러한 현상은 브라질 포르투갈어
화자와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 11 -
2.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특징
포르투갈어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로, 약 2억
3천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9) 포르투갈과 브라질뿐만 아니라 앙골라, 모잠비크 등 아
프리카와 아시아의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나라들에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 살고 있는 이주민들도 포르투갈어를 사용한다. 그 중 브라질의 포
르투갈어는 기존의 유럽식 포르투갈어와 비교하여 볼 때, 브라질 원주민 언어인 뚜
삐어, 흑인 노예 수입으로 들어온 아프리카어 및 독일, 이탈리아, 아시아 등지에서
온 무수한 이민자들의 언어적 영향으로 발음, 문법, 어휘 등에서 광범위하게 다양한
변화를 거쳐 새롭고 풍성하게 형성된 언어이다.
로망스어에 속하는 포르투갈어는 서쪽 이베리아 반도의 통속 라틴어에서 기원하
여 현재는 크게 유럽 포르투갈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분류한다. 브라질 포르투
갈어와 유럽 포르투갈어는 발음과 어휘, 그리고 통사구조에 차이가 있으나, 의사소
통을 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다.
본 장에서는 현기홍(1998)을 바탕으로 공손 표현에 있어서 이해가 필요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 체계를 형태적 구조와 통사적 구조로 분류하여 간략하게 제시하
겠다.
2.1 형태적 구조
2.1.1 명사
2.1.1.1 분류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명사는 우선 공통명사와 고유명사로 구분된다.
고유명사는 단 하나의 유일한 개체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칭적
(específico)이라고 하며, 수에 있어 굴절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람의 이름, 도시
의 이름, 나라의 이름 등이 고유명사에 속한다.
반면에 공통명사는 수많은 개체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거기에 속하는 모든
개체를 전칭적(universal)이라고 하며, 수에 있어 굴절한다.
공통명사는 다시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로 구분된다. 전자는 헤아릴 수 있는 불
9) https://www.ethnologue.com/statistics/size

- 12 -
연속적(descontínuo)인 개체들의 집합으로, 단수나 복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에
있어 굴절한다. 그러나 불가산명사는 헤아릴 수 없는 연속적(contínuo)인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에 있어 굴절하지 않는다.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는 다시 의미상 개체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개체명사
(individual)와 개체의 집합을 가리키는 집합명사(coletivo)로 구분된다.
다음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기본적인 명사와 그에 해당하는 예시를 몇 가지 제
시한 것이다.
<표 1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명사>

고유 Paulo, Maria, Ana, Pedro, ...


Brasil, Coreia do Sul, Rio de Janeiro, Seul, ...
가산 개체 estudante, professor, pessoa, carro, ...
공통 집합 turma, banda, rebanho, ...
불가산 개체 madeira, água, queijo, ...
집합 gente, humanidade, ...
2.1.1.2 굴절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명사는 성이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형태가 바뀌며 수가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서도 형태가 바뀐다. 즉, 브라질 포르투갈어 명사에서의 성은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형식을 나타내고, 수도 하나인 단수와 두 개 이상인 복수의
두 가지 형식을 드러낸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어미는 ‘-o’, 여성의 어미는 ‘-a’이며
복수를 나타날 경우에는 주로 어미에 ‘-s’가 추가된다.
<표 2 굴절10)>
남성 여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menino meninos menina meninas
aluno alunos aluna alunas
10)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99p.

- 13 -
2.1.2 형용사
2.1.2.1 용법
형용사는 명사를 성상화하거나 서술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1) ㄱ. Aluno brasileiro (브라질인 남학생)
ㄴ. Menina coreana (한국인 소녀)
ㄷ. O aluno brasileiro é alto . (브라질인 남학생은 키가 크다.)
ㄹ. A menina coreana é bonita. (한국인 소녀는 예쁘다.)
위 예시처럼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명사처럼 성과 수에 따라 변화하고 형용사가
명사 뒤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명사+형용사’의 순서를 정순(ordem
direta)라 칭하며, 반대의 경우인 ‘형용사+명사’는 역순(ordem inversa)이라 한다. 형
용사가 명사의 성질이나 속성을 부가하여 정해주는 성상사의 기능을 실행할 경우,
정순이 의무적이지 않기 때문에 역순이 일어날 수 있다. 위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
자면, ‘aluno brasileiro’와 ‘menina coreana’는 ‘명사+형용사’의 순서를 따르고 있고,
역순으로 사용될 수 없다. 어떤 개체를 지시하는데 있어 형용사가 명사의 일부분으
로 그 개체를 분별하는 기능을 맡았을 때에는 오직 정순만이 문법적으로 올바르기
때문이다.
(2) ㄱ. Moço educado Educado moço (친절한 젋은이)
ㄴ. Escola pequena Pequena escola (작은 학교)
위 예시는 정순과 역순이 모두 가능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위 예시의 형용
사는 명사의 성질을 추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품질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두 순
서가 모두 용이하다.
2.1.2.2 급
형용사에는 의미상으로 원급, 비교급, 최상급의 세 가지 급이 있다.
원급은 단순한 속성을 의미한다.

- 14 -
(3) Paulo é inteligente. (파울로는 똑똑하다.)
위 예시는 표준적으로나 평균적으로 봤을 때, 파울로가 높은 등급의 똑똑하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비교급은 하나의 개체가 서로 다른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것을 비교하였
을 때, 그 중 한 가지가 등급에 있어서 다른 속성보다 같은지, 더한지 혹은 덜한지
를 서술한다. 비교급에는 ‘A는 α한 만큼 β하다’의 의미를 가지는 동등 비교급, ‘A
는 α한 것보다는 더 β하다’의 의미를 가지는 우등 비교급, 그리고 ‘A는 α한 것보다
는 덜 β하다’의 열등 비교급이 있는데, 여기에서 활용된 α와 β는 A와 B로 칭함을
받은 개체들의 속성을 나타낸다.
<표 3 비교급11)>
동등 비교급 A tão α como B
우등 비교급 B mais α do que B
열등 비교급 A menos α do que B
끝으로 최상급은 셋 이상의 개체가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속성을 기준
으로 삼아 셋 이상의 개체를 비교하였을 때, 그 중 하나의 개체가 셋 이상의 개체
중에서 속성의 등급에 있어 상대적으로 가장 더 한지 혹은 가장 덜한지를 서술한
다.
최상급에는 상대 최상급과 절대 최상급이 있다.
먼저, 상대 최상급에는 우등 상대 최상급과, 열등 상대 최상급이 있는데, 이들은
우등 비교급과 열등 비교급 앞에 정관사를 첨가한 형태이다. 위에서 설정한 형식을
따르면, 우등 상대 최상급은 ‘A, B, C, ... 중에서 A가 가장 더 α하다’로 서술되고,
열등 상대 최상급은 ‘A, B, C, ... 중에서 A가 가장 덜 α하다’로 서술된다.
<표 4 상대 최상급12)>
상대 최상급 우등 상대 최상급 o mais ~ de
열등 상대 최상급 o menos ~ de

11)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127p.


12)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129p.

- 15 -
(4) ㄱ. Paulo é o aluno mais alto da classe. (파울로는 반에서 제일 큰 학생
이다.)
ㄴ. Pedro é o aluno menos alto da classe. (베드로는 반에서 제일 작은
학생이다.)
끝으로 절대 최상급은 하나의 개체가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 속성의 등급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평균적 불특정 다수보다 절대적으로 더 하다는 것을 서술할
때 사용된다. 개체를 A로 설정하고 속성을 α로 설정하였을 경우, ‘A는 아주 α하다’
로 서술되는 것이다. 절대 최상급은 비교대상이 없는 상황에서 구성된 분석 절대
최상급과 형용사 앞에 ‘매우’, ‘지나치게’, ‘아주’ 등의 부사를 붙인 종합 절대 최상급
이 있다.
<표 5 절대 최상급13)>

절대 최상급 분석 절대 최상급 muito ~


종합 절대 최상급 ~íssimo
(5) ㄱ. Homem fortíssimo (매우 강한 남자)
ㄴ. Mulher lindíssima (매우 아름다운 여자)
ㄷ. Filme muito legal (매우 흥미로운 영화)
분석 절대 최상급에 사용되는 부사는 ‘muito’를 비롯하여 ‘extremamente’,
‘excessivamente’, ‘grandemente’, ‘exageradamente’ 등이 있다.
(6) ㄱ. Muito famoso (매우 유명한)
ㄴ. Extremamente quente (매우 뜨거운)
ㄷ. Exageradamente cansado (매우 피곤한)
2.1.3 관사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관사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있다.
13)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130p.

- 16 -
<표 6 관사14)>
남성 여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부정관사 um uns uma umas
정관사 o os a as
먼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부정관사의 단수형 ‘um’, ‘uma’는 ‘하나’라는 단위를 나
타낼 뿐만 아니라 비한정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복수형 ‘uns’, ‘umas’는 ‘얼마간의,
다소의, 몇몇의, 약간의’라는 부분 상대 양화의 기능에 비한정의 의미를 제시한다.
이어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정관사는 ‘문맥상 앞에서 한번 얘기된 적이 있는 바
로 그 것이나 정황으로 봐서 어느 것을 얘기하는 것인지 알 수 있는 바로 그 것이
어서 화자나 청자 모두가 그 것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고 따라서 어느 것인지 분
별할 수 있는 것’을 지시하는 제한된 한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7) ㄱ. o menino (소년) os meninos (소년들)
ㄴ. a menina (소녀) as meninas (소녀들)
ㄷ. um menino (한/어떤 소년) uns meninos (어떤 소년들)
ㄹ. uma menina (한/어떤 소녀) umas meninas (어떤 소녀들)
2.1.4 대명사
2.1.4.1 형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인칭대명사는 수, 인칭, 성, 격의 문법범주에 대하여 굴절한
다.

14)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182p.

- 17 -
<표 7 대명사15)>

수 인칭 성 목적격
주격 동사 전치사
목적격 목적격
1인칭 남성 eu me mim
여성
단수 2인칭 남성 tu te ti
여성
3인칭 남성 ele o ele
여성 ela a ela
1인칭 남성 nós nos nós
여성
복수 2인칭 남성 vós vos vós
여성
3인칭 남성 eles os eles
여성 elas as elas
2.1.4.2 용법
본고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격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제시하
겠다.
우선, 주격 인칭대명사는 주어로서 동사의 앞에 위치하여 동사의 인칭과 수를 통
제한다. 즉, 자신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도록 동사를 굴절시킨다는 것이다. 아울러
주격 인칭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붙지 않으며 단어 자체가 스스로 독립된 강세군
을 이룬다.
① 1인칭
1인칭은 화자 본인을 가리키고, 단수는 ‘eu’, 복수는 ‘nós’이다.
(8) ㄱ. Eu sou coreana. (나는 한국인이다.)
15)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376p.

- 18 -
ㄴ. Nós somos brasileiros. (우리는 브라질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어에서 복수 ‘nós’ 보다는 집합명사인 ‘a gente’를 대신 사용하
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동사는 3인칭 단수로 활용된다.
(9) A gente é coreano. (우리는 한국인이다.)
② 2인칭
2인칭은 청자, 즉 화자의 대화 상대를 의미한다. 청자는 2인칭 대명사 또는 존대
대명사, 극존대대명사로 나타난다. 본고에서 앞으로 다룰 공손 표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극존대대명사는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빈도가
매우 낮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 2인칭 대명사
2인칭의 단수는 ‘tu’이고 복수는 ‘vós’이다. 우선, ‘tu’는 브라질보다는 포르투갈어
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명사이다. 브라질에서는 ‘tu’ 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
며, 대신 ‘você’를 사용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복수인 ‘vós’는 포르투갈 고어
및 고전어에서 상대방에 대한 격식을 갖춘 존칭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에
는 포르투갈의 북부지역을 제외한 포르투갈어의 포르투갈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서 더 사용되지 않는다.
㉡ 존대 대명사
존대 대명사는 대화를 나누는 사람과의 친근감 정도 또는 대화를 나누는 사람의
환경 등의 객관적인 요소를 따른다. 청자에 대해 사용되기 때문에 의미상으로 2인
칭이지만, 형태상으로는 2인칭 대명사가 아닌 3인칭이며 동사도 3인칭으로 활용된
다.

- 19 -
<표 8 존대 대명사16)>
단수 남성 você
여성
복수 남성 vocês
여성
위에 이미 제시한 바와 같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tu’가 일부 지역에서만 극
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você’를 친근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에 사용된다. 또한
나이, 사회적 지위, 직급에 있어 대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나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아랫자리에 있는 사람을 대할 때에도 사용된다.
다음은 격식을 요구하는 존대 대명사이다.
<표 9 격식 존대 대명사17)>
남성 o senhor
단수 여성 a senhora
a senhorita
남성 os senhores
복수 여성 as senhoras
as senhoritas
격식 존대 대명사는 대화 중 상대방에게 존경과 예의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10) ㄱ. O senhor é brasileiro? (브라질 분이세요?)
ㄴ. A senhora fala bem inglês. (영어를 참 잘하시네요.)
또한, 흔한 상황은 아니지만 대명사 대신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관계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11) ㄱ. O papai está ocupado? (아빠, 지금 바쁘세요?)
16)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380p.
17)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381p.

- 20 -
ㄴ. A professora pode ajudar? (선생님, 혹시 도와주실 수 있나요?)
③ 3인칭
3인칭은 화자나 청자가 아닌 그 외 제3의 사람 또는 사물이다. 화자는 항상 1인
칭 대명사로 나타나고 청자는 항상 2인칭 대명사로 나타나기 때문에 3인칭은 명사
구로 나타날 수도 있고 3인칭 대명사에 의하여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문맥상
앞에서 이미 한번 언급된 적이 있거나 정황으로 봐서 어떤 것을 가리키는 것인지
파악 가능한 명사구인 경우에 3인칭 대명사로 대신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12) ㄱ. Os meninos estão cansados. Eles precisam dormir. (아이들이 지금 피
곤해해요. 휴식이 필요해요.)
ㄴ. Ana é professora de português. Ela ensina gramática. (안나는 포르투
갈어 교사이다. 그녀는 문법을 가르친다.)
2.1.5 동사
2.1.5.1 형태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굴절어이다. 굴절이란 단어 간의 문법적인 관계를 드러내기
위해 그 관계를 표현하는 수단이 된 문법적 범주에 따라 단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굴절에 의하여 단어 사이의 문법 관계를 표시하는 언어를 굴절어라고 한
다.
그러나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모든 단어가 전부 굴절하는 것은 아니다. 단어의 굴
절은 단어가 속하는 어휘 범주에 따라 결정되는데,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는 이
에 속한다.
굴절에는 곡용과 활용이라는 두 유형이 있다. 여기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
는 활용의 유형을 따른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 시제에 따라 활용되는데 보편적
인 규칙에 따라 어미가 변하는 동사는 규칙동사, 그렇지 않은 동사는 불규칙동사이
다.
규칙동사는 ‘-ar’ 형태의 제1규칙동사, ‘-er’ 형태의 제2규칙동사, ‘-ir’ 형태의 제3

- 21 -
규칙동사가 있다. 각 형태의 동사 변형은 다음과 같다.
<표 10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규칙동사 - 현재>
주어 Falar (말하다) Comer (먹다) Partir (떠나다)
Eu falo como parto
Tu falas comes partes
Ele/Ela/Você fala come parte
Nós falamos comemos partimos
Vós falais comeis partis
Eles/Elas/Vocês falam comem partem
이어서 주어의 수, 인칭, 시제에 따른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 활용을 제시하겠
다.
①수
수에는 하나를 의미하는 단수와 그 이상을 가리키는 복수가 있다.
(13) ㄱ. Eu amo outono. (나는 가을을 매우 좋아한다.)
ㄴ. Eles amam futebol. (그들은 축구를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는 주어의 단수 또는 복수의 수에 따라 굴절한
다. 그러므로 수는 활용의 유형에서 문법범주에 속한다.
② 인칭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1인칭, 2인칭, 3인칭이 있다.

- 22 -
<표 11 인칭18)>
수 인칭
1인칭 amo
단수 2인칭 amas
3인칭 ama
1인칭 amamos
복수 2인칭 amais
3인칭 amam
위와 같이 단수와 복수의 경우 주어가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변화됨에 따라 형
태도 바뀐다. 따라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는 수와 마찬가지로 주어의 인칭에
따라 굴절하며, 이도 문법범주에 속한다.
③ 시제
시제에는 기본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있다.
<표 12 시제 119)>
현재 과거 미래
Eu amo Eu amei Eu amarei
Tu amas Tu amaste Tu amarás
Ele/Ela/Você ama Ele/Ela/Você amou Ele/Ela/Você amará
Nós amamos Nós amamos Nós amaremos
Vós amais Vós amastes Vós amareis
Eles/Elas/Vocês amam Eles/Elas/Vocês amaram Eles/Elas/Vocês amarão
왼쪽 계열은 ‘사랑하다’의 현재를 나타내고, 중간 계열은 ‘사랑하다’의 과거를 표시
하며 오른쪽 계열은 ‘사랑하다’의 미래를 나타낸다. 따라서 동사는 현재, 과거, 미래
로 바뀜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
는 현재, 과거, 미래의 시제에 따라 굴절하며 시제도 문법범주이다.
또한, 과거와 미래는 전시적, 동시적, 후시적으로 분류된다. 즉, 과거는 과거에서
의 과거(완전과거), 일반 과거, 과거에서의 미래(불완전과거)로 나뉘고, 미래는 미래
18)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219p.
19)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219p.

- 23 -
에서의 과거(단순미래), 일반 미래, 미래에서의 미래(과거미래)로 분류된다.
④법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법에는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이 있다.
우선, 명령법은 직설법과 접속법이 혼합된 형식으로 나타난다.
직설법은 주어의 사실 또는 확실한 태도를 반영하여 굴절하는 종속절 동사의 굴
절이다.
(14) ㄱ. Ele sabe que eu amo ... (그는 내가 (무엇을/누구를) 사랑하는지 안
다.)
ㄴ. Ele sabe que você/ele/ela ama ... (그는 당신/그/그녀가 (무엇을/누구
를) 사랑하는지 안다.)
ㄷ. Ele sabe que nós amamos ... (그는 우리가 (무엇을/누구를) 사랑하는
지 안다.)
ㄹ. Ele sabe que vocês/eles/elas amam ... (그는 당신들이/그들이/그녀들
이 (무엇을/누구를) 사랑하는지 안다.)
접속법은 주어의 사실 또는 확실하지 않은 태도를 반영하여 굴절하는 종속절 동
사의 굴절을 의미한다.
(15) ㄱ. Ele espera que eu ame ... (그는 내가 (무언가를/누군가를) 사랑하길
바란다.)
ㄴ. Ele espera que você/ele/ela ame ... (그는 당신/그/그녀가 (무언가를/
누군가를) 사랑하길 바란다.)
ㄷ. Ele espera que nós amemos ... (그는 우리가 (무언가를/누군가를) 사
랑하길 바란다.)
ㄹ. Ele espera que vocês/eles/elas amem ... (그는 당신들/그들/그녀들이
(무언가를/누군가를) 사랑하길 바란다.)
따라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는 직설법 및 접속법의 법에 따라 굴절하며 문
법범주이다.

- 24 -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시제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표 13 시제 220)>
법 시제
현재 (단순)
불완전 (단순)
완전 단순
과거 복합
직설법 대 단순
복합
현재 단순
미래 복합
과거 단순
복합
현재 (단순)
불완전 (단순)
접속법 과거 완전 복합
대 복합
미래 단순
복합
명령법 현재 (단순) 긍정
부정
다음에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에 적용되는 동사 시제를 중심으로 제시
할 것이다. 공손 표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동사 시제는 직설법의 현재, 불완전
과거, 단순 과거미래, 단순 현재미래와 접속법의 현재, 불완전과거, 단순미래, 그리
고 명령법이다.
2.1.5.2 직설법
① 현재
직설법 현재의 활용어미는 ‘-er’ 형태의 제2규칙동사에 해당하는 ‘poder’ 동사로
20)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224p.

- 25 -
제시하겠다.
<표 14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현재21)>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osso
Tu podes
Ele/Ela/Você pode
Nós podemos
Vós podeis
Eles/Elas/Vocês podem
직설법 현재 동사가 명령법 대신 사용될 경우, 상대방에 대한 친근감을 드러내고
명령을 부드럽게 서술한다.
(16) ㄱ. Vem cá. (이리 오세요.)
ㄴ. Fala para mim o que aconteceu.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씀해주세
요.)
(16ㄱ)과 (16ㄴ)은 명령법 대신 직설법 현재를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더 공손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만약 두 상황에서 명령법을 적용했더라면 각각 ‘Venha’
와 ‘Fale’로 나타나는데, 이는 상대방에 대한 화자의 우월감을 과시할 수 있으므로
자제하여 부드럽게 표현한 것이다.
② 불완전과거
직설법 불완전과거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표 15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불완전과거>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odia
Tu podias
Ele/Ela/Você podia
Nós podíamos
21) 포르투갈어 문법 -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현기홍 저 279p

- 26 -
Vós podíeis
Eles/Elas/Vocês podiam
직설법 불완전과거는 의지 또는 명령을 부드럽고 겸손하게 서술하는 역할을 맡으
며 주로 ‘poder’(가능하다)와 ‘querer’(원하다, 바라다) 동사에 주로 활용된다.
㉠ 의지
(17) ㄱ. Queria muito sair com você hoje. (오늘 너랑 나가고 싶어.)
ㄴ. Ele podia ser mais gentil. (조금 더 친절하셨으면 좋았을 텐데.)
㉡ 명령
(18) ㄱ. Você podia trazer o livro para mim, por favor? (혹시 나한테 책 좀
가져다 줄 수 있어?)
ㄴ. Você podia vir mais cedo? (혹시 더 일찍 와주실래요?)
③ 단순 과거미래
직설법 단순 과거미래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표 16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단순 과거미래>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oderia
Tu poderias
Ele/Ela/Você poderia
Nós poderíamos
Vós poderíeis
Eles/Elas/Vocês poderiam
직설법 단순 과거미래는 직설법 불완전과거와 같은 용법으로 활용된다. 즉, 의지
나 명령을 겸손하고 부드럽게 서술하여 상대방에게 요청하듯이 사용되는 것이다.
단, 직설법 불완전과거에서 ‘querer’ 동사가 주로 활용되었다면, 직설법 단순 과거미

- 27 -
래에서는 ‘gostar’(좋아하다, 바라다) 동사가 활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 의지
(19) ㄱ. Gostaria de fazer uma proposta. (한 가지 제안을 하고 싶습니다.)
ㄴ. Ela gostaria de ficar mais aqui. (그녀는 여기에 더 있고 싶어 해요.)
㉡ 명령
(20) ㄱ. Poderia andar mais rápido? (좀 빨리 가주실래요?)
ㄴ. Daria para fazer silêncio? (좀 조용히 해주실 수 있나요?)
④ 단순 현재미래
직설법 단순 현재미래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표 17 ‘Poder’ 동사 변형 - 직설법 단순 현재미래>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oderei
Tu poderás
Ele/Ela/Você poderá
Nós poderemos
Vós podereis
Eles/Elas/Vocês poderão
직설법 단순 현재미래는 소망 혹은 명령을 공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된다.
㉠ 소망
(21) ㄱ. Só você poderá nos ajudar. (당신만이 우리를 도울 수 있어요.)
ㄴ. Eles chegarão na hora. (그들은 제 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 거예요.)

- 28 -
㉡ 명령
(22) ㄱ. Ninguém sairá daqui antes da minha permissão. (제 허락 없이는 아
무도 나가실 수 없습니다.)
ㄴ. Não furtarás. (도둑질하지 마십시오.)
2.1.5.3 접속법
① 현재
접속법 현재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표 18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현재>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ossa
Tu possas
Ele/Ela/Você possa
Nós possamos
Vós possais
Eles/Elas/Vocês possam
접속법 현재는 기원을 공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3) ㄱ. Espero que todos nós possamos ter bom resultado. (우리 모두가 좋
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ㄴ. Espero que seu pai melhore logo. (아버님께서 어서 쾌차하시길 바
랍니다.)
② 불완전과거
접속법 불완전과거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 29 -
<표 19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불완전과거>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udesse
Tu pudesses
Ele/Ela/Você pudesse
Nós pudéssemos
Vós pudésseis
Eles/Elas/Vocês pudessem
접속법 불완전과거는 상대방에게 부탁이나 요청을 공손하게 실행하고자 할 때 사
용되며, 직설법 단순 과거미래와 함께 연결되어 나타난다.
(24) ㄱ. Gostaria que você chegasse mais cedo amanhã. (내일은 조금 더 일
찍 와주었으면 좋겠어요.)
ㄴ. Queria que você entendesse a nossa situação. (당신이 우리의 상황
을 이해해주길 바라요.)
③ 단순 미래
접속법 단순 미래의 활용어미는 다음과 같다.
<표 20 ‘Poder’ 동사 변형 - 접속법 단순 미래>
주어 Poder (가능하다)
Eu puder
Tu puderes
Ele/Ela/Você puder
Nós pudermos
Vós puderdes
Eles/Elas/Vocês puderem
접속법 단순 미래는 공손하게 부탁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25) ㄱ. Se puder, venha mais cedo amanhã. (혹시 가능하시면 내일 더 일찍
와주세요.)

- 30 -
ㄴ. Se for possível, traga seus amigos. (혹시 가능하시면 동료분들도
모시고 오세요.)
2.1.5.4 명령법
명령법은 접속법 현재 혹은 직설법 현재를 활용하여 제시된다.
① 접속법 현재
접속법 현재를 활용한 명령법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
<표 21 ‘Falar’ 동사 변형 - 명령법 접속법 현재>
주어 Falar (말하다)
Eu ---
Tu fala
Ele/Ela/Você fale
Nós falemos
Vós faleis
Eles/Elas/Vocês falem
접속법 현재를 활용한 명령법은 직설법 현재보다 더 공손하다.
(26) ㄱ. Fale mais baixo, por favor. (더 작게 얘기해주실래요?)
ㄴ. Trabalhem com mais disposição. (더 열심히 일해주세요.)
② 직설법 현재
직설법 현재를 활용한 명령법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표 22 ‘Falar’ 동사 변형 - 명령법 직설법 현재>
주어 Falar (말하다)
Eu ---
Tu falas

- 31 -
Ele/Ela/Você fala
Nós falamos
Vós falais
Eles/Elas/Vocês falam
직설법 현재를 활용한 명령법은 공손함을 추구하는 상황보다는 청자와 친한 사이
나 아랫사람을 상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7) ㄱ. Fala mais devagar. (천천히 좀 말해라.)
ㄴ. Repete comigo. (날 따라해 봐.)
2.3 통사적 구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주어가 원칙적으로 동사 앞에 위치하고 목적어는 동사의
뒤에 위치한다. 목적어는 앞에 전치사가 붙지 않는 직접목적어와 앞에 전치사가 붙
는 간접목적어가 있는데, 두 종류 모두 동사 뒤에 위치한다. 즉, 브라질 포르투갈어
의 어순은 ‘S+V+O’ 형식을 따른다.
(28) ㄱ. Eu sou estudante. (나는 학생이다.)
S V O
ㄴ. Paulo come banana. (파울로는 바나나를 먹는다.)
S V O
동사 뒤에 목적어가 두 개가 오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직접목적어가 간접목적어
의 앞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어+동사+직접목적어+간접목적어’의 형태를 나타낸다.
(29) O aluno estuda gramática com a professora. (학생은 선생님과 문법을
공부한다.)
지금까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음운적 특징, 형태적 특징, 통사적 특징을 간략하
게 살펴보았다. 이는 본고에서 분석할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
조를 위하여 기초가 되는 특징을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브라질 포르투갈어 문법 체계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부분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

- 32 -
다.
1. 한국어의 평서문 어순이 ‘주어+목적어/보어+동사’인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보어’이다.
2. 교착어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한국어에 비해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굴절어로서
의 특성을 가진다. 즉,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형태소 단위로 분리되지 않는다.
3.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모두 10개의 품사가 있으며, 그 중 명사, 형용사, 관사,
대명사, 수사, 동사는 성과 수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부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는 형태 변화가 없다.
4. 동사는 활용되는 특징에 따라 제1규칙, 제2규칙, 제3규칙 변화 동사와 불규칙
동사로 분류된다.

- 33 -
3.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특성
3.1 공손의 개념
공손의 개념은 화용·사회문화적 능력을 논할 때 주목해야 할 중요한 측면이다. 언
어 연구에서 대화를 지배하는 원리를 밝히려는 시도로 Grice(1975)가 협력의 원리를
제안한 이 후 그 불합리성이 비판 및 보완되면서 공손의 원리는 더욱 관심의 대상
이 되었다. 그리하여 공손의 개념을 살펴보기에 앞서 Grice(1975)의 협력 원리에 대
하여 간략하게 제시하겠다.
각 대화 참여자들은 대화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몇 가지 기대를 하게 된
다는 점에서 대화자들 모두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대화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데, 이
것이 바로 협력 원리이다. 대화의 시도가 상대방과의 소통을 원한다는 기본 전제가
공유되지 않는다면 원활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Grice(1975)는 대화자들이 서로 연관이 없는 말을 계속 교환하지 않고 어떤 공동
의 목적을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 서로 협력하여 서로가 원하는 방향으로 대화를
하고 또 그렇게 해야만 원만한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러한 대화상의 원리
를 협력원리로 규정하였다. 그는 대화가 일종의 협동 작업이라는 일반 원리에서 대
화자들이 대화를 정상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 어떤 격률을 지닌다는 사실에 주목
하였고, 협력 원리를 양의 격률, 질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 방법의 격률 총 네 가지
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양의 격률은 상대가 요구하는 양의 정보, 즉 필요한 만큼의 정보만 제공하는 것
이다. 질의 격률은 자신이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을 말하고 적당한 증거가 없는
것은 말하지 말라는 것이다. 관련성의 격률은 말하는 것이 대화의 내용과 직접 관
련이 되도록 하며 적합성 있는 말을 하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방법의 격률은 불
분명한 표현은 하지 말고 표현의 모호성을 피하며 순서에 따라 간단명료하게 말하
는 것이다.
Lakoff(1973)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개념인 ‘공손’을 모든 인간
의 교류와 상호작용 과정에 존재하는 갈등과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개인 간의 교
류와 상호작용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대인 관계상의 체계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담
화를 정보 공유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과 대인관계의 유지 및 강화를 주목적으로 하
는 것으로 분류하고, 담화가 보다 상호작용적일수록 예의 규칙의 이행이 중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 34 -
아울러 Lakoff는 하나의 발화가 화용적 측면에서 적절한지 아닌지, 그리고 적절하
지 않다면 어느 정도로 비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일련의 화용적 규칙들이 필요
하다며 공손 이론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화용적 언어 사용 능력으로 ‘(1) 명료하라,
(2) 공손하라’를 주장하였다. 즉 대화 참여자의 말하는 주된 목적이 정보를 전달하
는 것이라면 예의를 지키기보다 명확하게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말
하는 목적이 대인 관계를 유지, 강화시키는 것이라면 명확하게 자신의 의견을 밝히
기보다 공손을 나타내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Lakoff는 대부분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대인관계의 유지 및 강화가 정보의
전달보다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공손이 명료함보다 우선적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래서 Lakoff는 세부적 언어선택의 기저가 되는 공손의 규칙으로 ‘첫째, 강요하지
마라’, ‘둘째, 선택의 여지를 주라’, ‘셋째, 청자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라’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상대방의 일에 개입하지 않고 참여자들 간의 여러 차이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격식을 갖춘 규칙에 해당하며 사회적 거리감을 유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청자에게 선택권을 줌으로써 배려 혹은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마지막은 상대방의 기분을 좋게 함으로써 화자와 청자 간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Leech(1983)는 Grice의 협력 원리와 Lakoff의 공손 이론을 수용하면서 보다 발전
시킨 공손성의 원리를 총 여섯 가지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I. 재치 격률: a) 상대방에게 비용을 최소화하라
b) 상대방의 이익을 최대화하라
II. 관용 격률: a) 자신의 이익을 최소화하라
b) 자신의 비용을 최대화하라
III. 칭찬 격률: a) 상대방에 대한 비난을 최소화하라
b) 상대방에 대한 칭찬을 최대화하라
IV. 겸손 격률: a) 자신에 대한 칭찬을 최소화하라
b) 자신에 대한 비난을 최대화하라
V. 동의 격률: a) 자신과 상대방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라
b) 자신과 상대방 사이의 동질감을 최대화하라
VI. 호의 격률: a) 자신과 상대방 사이의 반감을 최소화하라
b) 자신과 상대방 사이의 호감을 최대화하라22)
22) 김진무(2013:127)

- 35 -
먼저, 재치 격률은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상대방의 이익을
극대화 시키라는 것이다. 이 격률은 말의 내용에 관한 것과 말하는 방법에 관한 것
으로 나누어지는데 대화 시 공손성의 크기는 말의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상대방이
듣기 싫어하는 말을 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이 듣기 좋은 말을 하는 것이 더욱 예의
를 갖춘 것이 된다. 상대방에게 수고로움이나 손해를 끼치는 말을 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에게 도움이나 이익이 되는 말을 하는 편이 훨씬 더 공손성을 높이는 방법이
된다.
관용 격률은 재치 격률을 화자의 관점에서 말한 것으로 화자 자신에게 향한 혜
택의 표현은 최소화하고 자신에게 부담을 주는 표현을 최대화하라는 것이다. 즉, 이
격률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대방을 배려하여 그의 부담을 줄여 줌과 동시에 혜택
을 주는 것이다.
칭찬 격률은 다른 사람에 대한 비방을 최소화하고 칭찬을 극대화하라는 것이다.
이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겸손 격률은 자신에 대한 칭찬은 최소화하고 자신에 대한 비방을 극대화하라는
것으로, 칭찬 격률을 화자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이다.
동의 격률은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의 의견 사이의 다른 점을 최소화하고 자
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의 의견 사이의 일치점을 극대화하라는 것이다.
끝으로 호의 격률은 대화 중에 부적절한 끼어들기로 남의 말을 갑자기 단절시
키는 행위나 부적절한 침묵으로 대화의 맥을 끊어 놓는 행위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
다.
Leech의 공손성 원리는 자기중심적인 생각을 상대방의 관점에서 표현하려는 의도
를 가지고 자신의 말이 상대방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김명운(2009)은 공손에 대한 개념의 핵심적인 내용을 Crystal(1997)의 언어학 사전
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사회언어학과 화용론에서 배려, 교감, 경외심, 거리감 같은 개념과 관
련하여 사회적 행동 규범을 매개하는 언어적 자질을 규정한다. 이러한
자질들은 특정 담화표지, 적당한 목소리, 적절한 호칭의 선택 등을 포
함한다.23)
위의 핵심적인 내용은 배려와 교감, 경외심과 거리감이라는 서로 충돌할 수 있는
23) 원문은 Dabid Crystal(1997:297). 김명운(2009)에서 재인용 함.

- 36 -
두 개념을 아우르고 그에 수반되는 수많은 사회적 행동 중 언어적 자질에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언어적 자질은 어휘적 문체적인 특성이 담화표지로, 문법적인 특성
이 적절한 호칭의 선택으로 드러나는 것을 이른다.
또한, 김선희(2001)에 따르면, 공손성은 화자와 청자 간의 신분, 언행, 친소관계를
인식한 의사소통의 행위로서 공손믿음의 ‘정도’에 따른 다양한 체계를 나타내는 화
용론 범주이다.
언어 사용에서 공손성은 개인이 처해있는 사회적 규범과 문화적 기대에서 어긋나
지 않고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드러난다. 이러한 욕구
는 체면을 유지하기 위한 욕구로, 체면 유지를 위한 발화책략으로 공손성이 드러나
는 것이다. 체면을 지키기 위한 언어 사용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드러나는 특징이며,
공손성의 주요한 동인으로 작동한다.
그리하여 각 언어의 공손 표현의 특성을 제시하기에 앞서 체면의 개념에 대하여
먼저 간략하게 제시하겠다.
3.1.1 체면의 개념
강길호(1994)는 공손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면의 개념을 알아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체면이 공손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어떠한 체면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공손과 관련된 언어적 행위가 변화된다. 그러므로 공손 현상은
한 사회에서 중요히 인식되고 있는 체면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할 경우에만 이해할
수 있다.
Goffman(1959)에 따르면, 체면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위하여 주장하는 개인의 이
미지로, 해당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대방과
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조정되는 성질이 부각된다고 하였다. Brown &
Levinson(1987)은 Goffman의 체면 개념을 바탕으로 체면이 개인이 사회적으로 승
인받고자 하는 긍정적인 공적 자기 이미지라 정의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누구나
체면을 유지 및 증진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체면을 지키고
높이고자 하는 욕구에 대한 집착은 모든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하였
다.
이어서 Goffman은 담화 상황에서 화자와 청자는 두 가지 체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그 중 하나는 소극적 체면으로 영토에 대한 권리, 행동의 자
유, 강요로부터의 자유, 본질적으로 타자의 의해서 침해받지 않으려는 바람을 의미

- 37 -
한다. 다른 하나는 적극적 체면으로 다른 사람들이 높이 평가하기를 바라는 긍정적
인 자기 이미지를 가리킨다. 소극적 체면은 존경 정중어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상대에게 복종심을 보이고 상대방이 가진 시간에 관심을 드러내거나, 부담주거나
방해했을 때 사과하는 행위 등으로 상대의 체면을 세워줄 수 있다. 적극적 체면은
결속정중 어법이라고 하며, 협동심을 나타내고, 동일한 공동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체면을 세워준다.
3.2 한국어 공손 표현의 특성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한국어 공손 표현은 규범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정복(1999)은 규범적 용법에 대하여 상대방에게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경어법 형
식을 사용함으로써 상하 관계, 친소 관계 등의 대인 관계를 언어적으로 표현하고
인정하는 경어법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규범적 용법은 사회적 관념,
대화 참여자 사이의 힘과 거리 관계나 대화 상황에 비추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방
식에 따라 정해진 언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국어에는 이러한 규범적 공손 용법이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청자와 화자의 연
령이나 친분 관계에 따라 적절한 경어법의 사용이 공손성 실현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문법 체계로서의 한국어 경어법은 주체, 객체, 청자대우법으로 구성되며,
이 때 대우법은 사회 규범적인 성격을 가지므로 화자는 상대방에 따라 구별적인 대
우법의 화계를 사용해야 한다. 즉, 상대방의 사회적 지위, 나이, 직업 등에 알맞은
화계를 선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경어법은 수직적 상하 관계, 나이의 높고 낮음을 기본적인 틀로 삼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높임을 표시하는 어휘를 사용하거나 공손함을 드러내는 품사
들을 사용하면 예의 바른 표현이 되므로 규범적 용법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3.2.1 한국어 경어법
한국어 경어법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24)
가. 경어법은 다른 사람을 높이거나 높이지 않으면서 대우하기 위한 언어 형식들
의 사용 방식과 그 체계이다.
24)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 소통 출판부, 이정복 저 24p.

- 38 -
나. 경어법은 기본적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실제 관계에서의 지위 차이를
높임 형식을 통해 언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다. 경어법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절대적 지위를 고려하여 높임 형식을 쓰
거나 상대적 지위를 고려하여 안높임 형식을 쓰는 경우도 포함된다.
라. 경어법 사용은 화자와 청자의 거리 관계나 전략적 동기에 따라 대우 정도를
세부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익섭(1999)의 관점에 따르면 한국어 경어법은 높임의 대상에 따라 주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주체 경어법의 높임 대상 인물인 ‘주체’는 ‘행동의 주체’와 함께 주어 자리에
나오는 ‘상태 서술의 대상’이 포함되고25) 서술어에 선어말어미 ‘-(으)시-’가 붙어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주체 경어법이 ‘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 ‘편찮다’, ‘돌아가시다’와 같은
특수 어휘에 의해 실현될 때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수 어휘 대신에 ‘-(으)시-’
를 붙이는 것만으로는 경어법이 실현되지 않는다. 특수 어휘를 써서 주어를 직접
높이는 경우를 직접 높임이라 한다. 주어를 직접 높이지 않고 주어와 관련된 대상
을 높이는 간접 높임의 경우에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지 않고 ‘-(으)시-’를 결합시킨
다.
이어서 객체 경어법은 한 문장 주어의 행위가 영향을 미치는 대상인 객체를 언어
적으로 높여 표현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문장에서 목적어나 부사어로 나타나는 행
동의 대상을 높여 대우하며, ‘드리다’, ‘여쭙다’와 같은 특수한 어휘를 통해 실현된다.
끝으로 상대 경어법은 청자를 높임의 대상으로 삼고, 어미 형태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분류된다. 격식체에는 어말어미 높임의 정도에 따라 ‘하십시오체’, ‘하오
체’, ‘하게체’, ‘해라체’ 네 가지가 있으며, 비격식체에는 ‘해요체’와 ‘해체’ 두 가지가
있다.

25)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 소통 출판부, 이정복 저 73p.

- 39 -
<표 23 격식체와 비격식체 높임 등급>26)
높임 등급 격식체 비격식체 높임 등급
높임 아주 높임 하십시오체 해요체 두루 높임
예사 높임 하오체
안 높임 예사 낮춤 하게체 해체 두루 낮춤
아주 낮춤 해라체
각 형식의 높임 기능은 다음과 같다.27)
가. 하십시오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가장 강하다.
나. 해요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하십시오체’보다 약하다.
다. 하오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해요체’보다 약하다.
라. 하게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하오체’보다 약하다.
마. 해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가장 약하다.
바. 해라체: 상대를 높이는 기능이 없다.
3.3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특성
한국어 공손 표현이 규범적인 성향이 강하였다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
현은 전략적인 성향이 부각된다고 볼 수 있다. 이정복(1999)은 전략적 용법에 대하
여 화자가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언어공동체의 규범과 다르거나 그것으로부터
예측되지 않는 방향에서 경어법 사용 방식을 의도적으로 조정하는 유표적이고 보다
의식적인 경어법 사용이라 하였다.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화자의 의도에 따라 언어 사용이 자유로우므로 대화 상대와
의 공감대 형성, 바른 사회생활, 원활한 상호관계를 위해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자신이 화계의 중심이 된다. 그러나 한국어와 같이 윗사람에게 존
댓말을 해야 한다는 사회 규범이 없고 이를 나타내는 체계적인 문법이 없지만, 브
라질 포르투갈어에도 발화 형식에 따른 격식체와 비격식체, 공손한 표현과 무례한
표현이 있다.
Fraser & Nolen(1981, Koike, 1992:80 재인용)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동사가 달
26) 국립국어원 편저, 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22.
27)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 소통 출판부, 이정복 저 60-61p.

- 40 -
라짐에 따른 공손의 정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그림 1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정도의 따른 순서>
Less Polite
a. Faz/Faça isso. ‘Do that.’
b. Você tem que fazer isso. ‘You have to do that.’
c. Você precisa fazer isso. ‘You need to do that.’
d. Você não tem que fazer isso? ‘Don't you have to do that?’
e. Eu devo pedir que você faça isso. ‘I must ask that you do that.’
f. Por que você não faz isso? ‘Why don't you do that?'
g. Você pode fazer isso. ‘I suggest that you do that.'
h. Eu sugiro que você faça isso. ‘I suggest that you do that.'
i. Você não devia(deveria) fazer isso? ‘Shouldn't you do that?'
j. Você poderia fazer isso? ‘Could you do that?'
k. Gostaria que você fizesse isso. ‘I would like you to do that.'
l. Você se importaria de fazer isso? ‘Would you mind doing that?'
m. Que tal você fazer isso? ‘What about you doing that?'
n. Eu agradeceria se você fizesse isso. ‘I would be grateful if you did that.'
More Polite
이효숙·김영주(2013)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여 직접적
으로 지시하는 형식보다는 청유표현 또는 청자에게 가능성 여부를 묻는 것이 더욱
공손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요청 표현에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poder’ 동사를 사
용하거나 시제에 따라서도 공손의 정도가 달라지는데 미래표현 혹은 조건문 형식이
될수록 공손한 표현이 된다고 덧붙였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중 대표적인 특징은 앞서 언급한 상대방의 체면
손상을 막아주는 여러 가지 전략적인 언어 사용을 들 수 있다. 이는 Brown &
Levinson의 다섯 가지 공손 표현 전략으로 인해 모습을 드러낸다.
첫째, 볼드 온 레코드(Bald on record) 전략은 화자가 청자의 체면을 유지하기 보
다는 위협함으로써 의사 전달 과정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이루고자 할 때 사용된다.
즉, 화자가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가장 직접적으로 명확히 표현할 때 사용하는
전략이다. 둘째, 적극적 예의는 화자 자신의 바람이 상대방에게 긍정적으로 수용되
어 적극적 체면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다. 셋째, 소극적 예의는 자신의 의도와 행
동의 자유로움이 방해받지 않기를 바라는 것으로 소극적 체면을 유지하기 위한 전

- 41 -
략이다. 적극적 예의와 소극적 예의는 각각 청자의 적극적 체면과 소극적 체면을
보상하려는 방식으로, 언어 교정이 일어나는 전략이다. 넷째, 오프 레코드(Off
record) 전략은 첫째 전략과 달리 화자가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청자의
추론에 의존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략 불이행은 체면 위협 행위를 하
지 않는 전략이다.
뿐만 아니라, Brown & Levinson은 공손 표현이 상대방에게 끼칠 체면 손상의
위험도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인의 의도가 상대방에게 얼마나 위협적인
지를 평가해야 그에 따른 공손 방식을 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요인은 거리(Distance), 힘(Power), 부담의 정도(Ranking of
imposition)이다. 이에 따라 화자는 완화 전략을 선정할 수 있다.
체면손상 위협 수준28)
Wx = D(S,H) + P(S,H) + Rx
Wx는 체면위협 행위의 무게를, D는 담화자 간의 친소관계를 가리키고 P는 청자
에 대한 화자의 상대적인 힘으로 사회적 신분에서 파생되는 권력의 정도를 의미하
며 R은 담화 내용의 상황적 차이에 따른 부담의 정도를 뜻한다. 즉, 어떤 화행이
특정한 문화 안에서 얼마나 위협적으로 자각되는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검토한 결과,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는 힘보다
거리의 변인에 따라 결정되는 확률이 높고 한국어 공손 표현에는 거리보다 힘을 가
장 주된 변인으로 인식한다. 다시 말하면, 한국어의 공손 표현을 드러내기 위해 가
장 배려해야 할 부분은 발화 문장의 주체나 객체, 또는 상대방과의 관계, 나이, 신
분, 사회적인 친밀도에 따른 적합한 경어법의 사용인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특징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전략들을 Brown & Levinson의 소극적 공
손과 적극적 공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겠다. 뿐만 아니라,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격
식 존대 대명사인 ‘senhor’의 용법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할 것이다.

28) S(Speaker)
H(Hearer)
x(action)

- 42 -
3.3.1 소극적 공손
다음은 Brown & Levinson의 소극적 공손 표현의 전략을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구성한 것이다.
<표 24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소극적 공손 전략29)>
Ato de fala indireto :
Ordem substituída um pedido: Você pode
fechar a porta?;
Pergunta que equivale a uma
reprovação: Você colocou todo esse sal na
sopa?.
Condicional: Você poderia fechar a porta?;
Passado de polidez: Eu queria te pedir
que … ;
Substitutivos Apagamento da referência direta aos
interlocutores:  O problema não foi resolvido
(대체 전략)
corretamente. Não se fuma aqui.
Suavizadores

 
ou eufemismo:
Litotes  
Não é muito inteligente o que você acaba de
fazer.
(fórmula
Enunciado preliminar  
especializada): por favor; se for
possível;  Você tem um momento?; Posso te
Acompanhantes
dar uma opinião?;
(동반 전략) eu penso/creio/acho/tenho a impressão
que… ; talvez/possivelmente/provavelmente
29) https://nilviapantaleoni.wordpress.com/category/polidez/

- 43 -
Minimizadores  : Você pode me dar uma
ajudinha?

Desarmadores  : Tenho um grande favor.;


Não queria incomodar, mas… ; Perdão

3.3.1.1 대체 전략30)
대체 전략이란 화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행동을 다른 표현으로 대체하
는 방식이다.
① 간접성 사용
간접성 사용은 문법적 형태와 담화의 기능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발화의 기능이 관습적으로 이해되고 수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관한 다양한
상황을 표의 예문을 사용하여 제시하겠다.
첫째는 상대방에게 공손하게 지시를 하는 경우이다. 즉, 명령법을 사용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요청하듯이 발화하여 공손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30) Você pode fechar a porta? (문 좀 닫아주실래요?)
둘째는 책망이나 질책을 질문을 통하여 공손하게 사용한 것이다. 화자가 상대방
에게 직접적으로 불만을 호소하지 않고 질문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근하는 방식
이다.
(31) Você colocou todo esse sal na sopa? (혹시 이 소금을 국에 다 넣은 거예
요?)
셋째는 조건법을 사용한 질문이다. 이 경우는 상대방이 화자의 요청 수락 여부를
30) 본 명칭은 필자가 직접 본연의 의미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 44 -
고려하기 때문에 공손의 정도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32) Você poderia fechar a porta? (혹시 문 좀 닫아줄 수 있어요?)
넷째는 과거형을 사용한 유형이며, 한국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3) Eu queria te pedir um favor. (저 부탁 하나만 하고 싶은데...)
위 예문에서 과거형 동사는 ‘-고 싶다’를 의미하는 ‘queria’이다. 만약 본 동사가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이었다면 문장의 전체적인 흐름이 바뀌었을 것이다.
(34) Eu quero te pedir um favor. (저 부탁 하나 하고 싶어요.)
현재형 동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요청보다는 명령 또는 지시에 더 가까운 느낌
을 전달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공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지 않는다.
다섯째는 화자와 청자의 비인칭화이다. 이 경우는 공손성보다는 격식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35) ㄱ. O problema não foi resolvido corretamente. (이 문제는 바르게 해결
되지 않았어요.)
ㄴ. Não se fuma aqui. (여기는 금연구역입니다.)
② 완곡어법 사용
이 전략은 직설적인 표현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해치거나 부정적인 인상을 주
는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부드러운 표현으로 바꾸어 활용하는 경우이다.
(36) ㄱ. Não foi muito gentil o que você fez agora. (당신이 방금 한 행동은
친절하지 못했어요.)
ㄴ. Vamos resolver a situação rapidamente. (이 상황을 빨리 수습하겠습
니다.)

- 45 -
(36ㄱ)은 ‘muito gentil’라는 표현으로 인하여 완곡어법을 적용한 경우이다.
‘Gentil’는 ‘친절한’, ‘부드러운’, ‘공손한’을 의미하는데, 예문에서 화자가 본 형용사와
부정을 표시하는 ‘não’을 사용하여 문장의 소극적인 흐름을 최소화 시키고자 한 의
도가 나타난다. 즉, ‘불친절한’, ‘교양없는’, 등 부정적인 의미가 확연히 드러나는 표
현을 대체한 형식인 것이다.
(36ㄴ)은 ‘상황’을 뜻하는 단어인 ‘situação’을 활용하여 완곡어법을 적용한 경우이
다. 부정의 정도를 낮추기 위해 ‘문제’를 의미하는 단어인 ‘problema’ 대신으로 ‘상
황’을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3.3.1.2 동반 전략31)
동반 전략이란 이름 그대로 체면 위협 행위의 공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언어적 표
현을 추가하는 것이다.
① 완충표현 사용
체면 위협 행위의 공격을 완화하기 위한 언어적 표현들을 가리킨다. 주로 발화 내
용의 힘을 약화시켜 상대방의 체면을 배려해서 삼가고 주저하는 표현을 사용한다.
(37) ㄱ. Por favor. (제발 부탁이에요.)
ㄴ. Se for possível... (혹시 괜찮으면...)
ㄷ. Você tem um momento? (잠깐 시간 내주실 수 있어요?)
ㄹ. Posso te dar uma opinião? (제 생각을 말씀드려도 될까요?)
ㅁ. Eu penso que tenho muito a aprender. (나는 아직 배워야할 점이 많
다고 생각한다.)
ㅂ. Eu creio que tudo vai dar certo. (모든 것이 잘 되리라 믿는다.)
ㅅ. Eu acho que amanhã vai chover. (내일은 비가 올 것 같다.)
ㅇ. Eu tenho a impressão que o inverno chegará logo. (겨울이 금방 올
것 같은 느낌이다.)
ㅈ. Provavelmente o professor chegará em quinze minutos. (교수님께서
아마 15분 안에 오실 거예요.)
31) 본 명칭은 필자가 직접 본연의 의미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 46 -
② 지소사 사용
한국어에는 지소사가 없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영어나 불어처럼 지소사를
사용한다. 지소사의 정의는 작거나, 혹은 일반적으로 감정의 함축을 수반하는 대상
에 대하여 쓰는 말을 의미하는데, 이는 공손을 나타낼 경우에도 주로 사용된다.
(38) ㄱ. Você pode me dar uma ajudinha? (저 좀 도와주실 수 있나요?)
ㄴ. Espere só um pouquinho.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위 예문에서 ‘ajudinha’와 ‘pouquinho’는 지소사가 적용된 경우이며, 원래는 ‘ajuda’
와 ‘pouco’가 정확한 표현이다. 지소사를 사용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한
다면 의미적으로는 차이가 없지만 전자는 공손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반면 후
자는 공손의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사과하기
사과 행위는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상대방에게 단순히 용서를 구하는 것이
다. 둘째, 화자가 스스로 행하는 침해에 대하여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화
자가 본인 때문에 상대방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원치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마지
막으로 체면 위협 행위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언급하는 것이다.
(39) ㄱ. Desculpe, mas tenho um grande favor. (죄송한데 중요한 부탁이 있어
요.)
ㄴ. Não queria incomodar, mas o senhor tem reunião agora. (죄송하지
만 지금 회의에 참석하셔야 합니다.)
ㄷ. Perdão, o ônibus chegou atrasado. (죄송해요, 버스가 늦었어요.)
(39ㄱ)은 두 번째 요인에 해당된다. 화자가 청자에게 본인의 의도를 미리 예고하
여 양해를 구함으로 공손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39ㄴ)은 화자가 청자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원치 않지만 청자에게 반드시 고해야 하는 상황을 최대한 공손하게 발화
를 하고 있는 형식이다. 마지막으로 (39ㄷ)은 화자가 본인의 의지로 인해 벌어진 일
이 아니라 그가 피할 수 없었던 어떤 상황이 원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공손하게 밝

- 47 -
히는 경우이다.
3.3.2 적극적 공손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적극적 공손의 실현은 소극적 공손보다 비교적 간단하다
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칭찬이나 감사를 표시할 때 많이 활용되며 애칭 표현,
축약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히 나타난다.
① 칭찬 및 감사하기
상대방의 소유물이나 외양, 능력 등에 초점을 맞추어 장점을 언급하는 것이다. 때
로는 과한 칭찬을 행할 수도 있다.
(40) O jantar estava maravilhoso. (정말 완벽한 저녁 식사였어요.)
상대방에게 감사를 표시할 때에도 적용된다.
(41) Muitíssimo obrigado pela ajuda! (도와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41)에서는 절대 최상급을 활용하여 감사 인사를 하였다. 이는 상대방에게 지나치
게 공손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② 소속감 표지 사용하기
이 전략은 사용자 간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고 동질감을 선언하는 구실을 한다.
애칭 표현, 동질집단 언어, 생략, 축약 등 여러 표지를 사용하여 적극적 공손을 드
러낸다.
(42) ㄱ. Oi, linda! Tudo bem? (안녕, 예쁜이! 잘 있었어?)
ㄴ. Vamos orar, irmãos. (형제들이여, 다 같이 기도합시다.)
ㄷ. Vem cá, Su. (수, 이리와.)

- 48 -
(42ㄱ)에서 화자는 ‘linda’라는 애칭 표현을 사용하여 청자를 친근하게 대하는 모
습을 그리고 있다. 이어서 (42ㄴ)의 ‘irmãos’는 교회라는 단체에 속해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표현임과 동시에 ‘형제’라는 의미를 담아 공손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42ㄷ)은 상대방의 본명을 축약하여 친밀감을 드러내는 경우이다. 청자의 본명은
‘Suzy’이지만 ‘Su’라고만 하여 화자와 가까운 관계임을 표시하고 있다.
3.3.3 격식 존대 대명사 ‘senhor’의 용법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공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격식 존
대 대명사 ‘senhor’는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 보편적으로는 사회적 지위가 높
거나 화자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에 사용되지만, 조금 더 주체적으로 구분하여 다섯
가지 용법을 살펴보겠다.
① 경제적 및 사회적 차이
현대사회의 상류층과 하류층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류층에
속해있는 화자가 상류층에 속해있는 청자에게 격식 존대 대명사를 사용한다. 보통
청자가 화자 본인보다 높은 사회 계층에 속해있다고 판단하여 격식을 갖추어 발화
를 한다고 볼 수 있다.
(43) O senhor pode me dar um trocado? (혹시 저에게 잔돈이라도 주실 수 있
습니까?)
② 전문적 차이
이 경우는 주로 직장생활에서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
다. 부하직원은 격식 존대 대명사를 사용하여 직장상사에게 발화한다.
(44) O senhor autoriza o meu pedido? (사장님, 제 요청을 승인하시겠습니까?)

- 49 -
③ 학문적 차이
교수와 제자의 관계에서도 격식 존대 대명사가 활발하게 사용된다.
(45) Professor, o senhor recebeu meu e-mail? (교수님, 혹시 제 이메일을 받
으셨나요?)
④ 친밀감 차이
화자와 청자와의 친밀감 정도에 따라서도 공손성이 달라진다. 두 사람의 친밀감
이 낮을수록 공손의 정도는 높아진다.
(46) Tudo bem com o senhor? (잘 지내세요?)
⑤ 아이러니적 의미
아이러니적 혹은 반어적 의미를 포함한 경우도 있다. 주로 화자보다 나이가 어린
청자를 대할 때 사용하는데, 이는 화자가 청자의 허세나 만용에 대해 주의를 하기
위함이다.
(47) O senhor fez sua tarefa? (숙제는 하셨나요?)
3.3.4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다음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공손 표현들이다. 이는 감사, 요청,
사과, 기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25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32)
감사 요청 사과 기원
Obrigado(a)! Com licença Desculpe(a)! Boa sorte!
32) http://academiadeportugues.blogspot.com/2014/04/expressoes-de-cortesia.html

- 50 -
Por favor Perdão! Tudo de bom!
Agradeço muito! Por obséquio Mil desculpas! Deus te abençoe!
Por gentileza Sinto muito! Se cuida!
우선 감사를 표현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Obrigado’와 상대방에 대한 감사
를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내고자 활용하는 ‘Agradeço muito’, 즉 ‘대단히 감사합니다’
가 있다.
이어서 요청에 관한 공손 표현들이다. ‘Com licença’는 영어의 ‘Excuse me’와 같
은 의미로, 상대방에게 조심성 있게 접근할 때 사용되는 표현이다. 보통 어떤 발화
를 시작하기 전 혹은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하고자 할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Por
favor’는 영어의 ‘Please’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대방에게 부탁을
할 때 첨가되는 표현이지만, 타인을 공손하게 부를 때 활용되기도 한다. ‘Por
obséquio’는 ‘Por favor’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공손의 정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Por gentileza’도 ‘Por favor’와 의미적으
로는 같지만 공손의 정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본 표현도 ‘Por favor’에 비하여 대
중적이지는 않지만 ‘Por obséquio’ 보다는 활용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사과와 관련된 공손 표현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영어의 ‘Sorry’와 같은 빈도로
사용되는 ‘Desculpe’이다. ‘Perdão’은 ‘용서’를 뜻하는데 상대방에게 사과를 할 때에
도 활용되는 표현이다. 가장 대중적인 ‘Desculpe’ 보다 더 공손성을 요구한다. 이어
서 ‘Mil desculpas’는 공손의 정도가 높다기보다는 상대방에게 용서를 구하고자 하
는 의도가 ‘Desculpe’에 비해 극대화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숫자 ‘천’을 가리키
는 ‘Mil’를 첨가함으로 상대방에게 적극적인 사과 행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마
지막으로 ‘Sinto muito’는 사과의 의미도 가지고 있지만 어떤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
을 나타내는 것에 더 가깝다. 예컨대 상대방에게 안 좋은 일이 벌어졌을 때 위로를
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기원과 연관된 공손 표현이다. ‘Boa sorte’는 영어의 ‘Good luck’과 같
은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상대방에게 행운을 비는 표현이다. ‘Tudo de bom’은 ‘모
든’을 의미하는 ‘Tudo’와 ‘좋은’을 가리키는 ‘bom’이 합쳐진 말인데, 이는 상대방에게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고 오직 좋은 일만 가득하길 바라는 심정으로 사용하는 표현
이다. 앞서 언급된 ‘Boa sorte’ 보다 비교적 공손성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Deus te abençoe’는 영어의 ‘God bless you’와 같은 의미로, 종교인이 아니어
도 일상적인 상황에서 많이 활용되는 표현이다.

- 51 -
4.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문금현(2017)은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유형을 생성 단위별로 나누어 전체적인 체
계를 정리하였다. 그는 공손성을 생성하는 장치와 요인을 형식적인 차원과 내용적
인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형식적인 차원은 공손성을 나타내는 언
어적인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에 의하여 공손성을 드러내는 내용적인 차원보
다 더 합리적이다. 즉, 문금현(2017)에 따르면 공손성의 표현은 형식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가능한 것이다.
문금현(2017)은 공손성의 생성 유형을 음운적, 문법적, 어휘적, 화용적으로 분류하
여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문법적, 어휘적, 화용적 표지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하고자 한다.
4.1 문법 층위
문금현(2017)이 제시한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문법 층위는 다음과 같다.
<표 26 문법 층위>

문법 층위에는 조사에 의한 공손 표현과 어미에 의한 공손 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사에 의한 공손 표현은 주격조사 ‘-가’를 ‘-께서’로 바꾸어 사용하거나 여격조사
‘-에게’를 ‘-께’로 변경함으로 인해 공손을 의미할 수 있다.
어미에 의한 공손 표현은 선어말어미 ‘-시-’ 혹은 ‘-겠-’에 의해서 높임이나 추측
을 드러냄으로써 공손성을 표시하는 경우, 연결어미 ‘-니까’와 ‘-어서’를 사용하여

- 52 -
공손성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종결어미 ‘-합니다체/-해요체’를 통해 가장 보편적
으로 공손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4.1.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이처럼 한국어의 공손 표현에는 문법 층위가 매우 발달되어 있는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손 표현이 문법적인 범주에 속하지 않는
다. 규범적인 성향이 강한 한국어와는 달리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전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금혜(2017)에서 분류된 한국어 문법 층위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대부분 해당
하지 않는다. 특히 보조사 ‘-요’, 높임을 의미하는 선어말어미 ‘-시-’와 공손법 등급
에 포함되어 있는 종결어미 ‘해요체’와 ‘합니다체’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존재하
지 않는 문법들이다.
그러나 한 가지 실현이 가능한 경우는 격조사 ‘-께서’와 ‘-께’이다. 브라질 포르투
갈어에는 격조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격조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여 공손
성이 불가능하다고는 볼 수 없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48) “할머니께서 직접 다 만드셨어요?” (Foi a vovó/senhora que fez tudo?)
2장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격식 존대 대명사를 제시하였을 때와 같은 맥락이
다. 격식을 갖추어 상대방에게 발화를 할 경우에는 격식 존대 대명사 혹은 상대방
이 가지고 있는 관계 명칭을 사용하면 된다. 한국어에서 공손을 드러내기 위해 격
조사 ‘-께서’를 사용했다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격식 존대 대명사나 상대방의
관계 명칭을 활용함으로써 공손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어의 격조사 ‘-께’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격식을
의미하는 조사가 없지만 공손성을 나타내는 대명사나 명칭이 있으므로 격식을 충분
히 갖출 수 있다.
(49) “할머니께서 아버지께 드리라고 하셨어요.” (A vovó disse para entregar
ao senhor.)
(49)는 두 격조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화자의 입장으로는 자신이 발화한 문장

- 53 -
에서 두 대상이 모두 격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께서’와 ‘-께’를 함께 사용한 것이
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공손을 드러내기 위해 할머니는 관계 명칭으로, 아버
지는 격식 존대 대명사인 ‘senhor’를 적용한 것이다.
4.2 어휘 층위
이어서 문금현(2017)의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어휘 층위이다.
<표 27 어휘 층위>

우선 어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손을 의미하는 접사를 덧붙여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방식이 있다. 대표적으로 공손성을 드러내주는 접미사로서 ‘-님’은 다양
한 공손 어휘를 생성한다. ‘교수님’, ‘부모님’, ‘형수님’ 등이 이러한 경우이다.
이어서 호칭어에 의한 공손 표현이다. 친족 호칭어, 직위 호칭어, 일상 호칭어를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여 공손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매장 주인
아주머니께 ‘아줌마’ 혹은 ‘아주머니’라 하지 않고 ‘이모’ 혹은 ‘어머니’라고 부르는
경우이다. 또한, 남자 어른에게 ‘아저씨’라고 칭하기보다 ‘사장님’ 혹은 ‘선생님’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할머니’나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것보다 ‘어르신’이라
하고 어린 학생에게는 ‘야’ 대신 ‘학생’이라 부르는 것이 공손성을 드러낸다.
겸양어휘 혹은 높임어휘를 사용하여 공손성을 나타내는 경우는 명사류와 동사류

- 54 -
도 구분할 수 있다. 명사류는 ‘나’ 대신 ‘저’, ‘나이’ 대신 ‘연세’, ‘말’ 대신 ‘말씀’, ‘밥’
대신 ‘진지’ 등이 있고 동사류는 ‘먹다’ 대신 ‘잡수시다’, ‘묻다’ 대신 ‘여쭙다’, ‘있다’
대신 ‘계시다’, ‘주다’ 대신 ‘드리다’ 등이 있다.
끝으로 보조용언을 덧붙여서 공손성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의미를 강조하여 공손
성을 드러내기 위해 ‘-어 보다’ 혹은 ‘-어 주다’를 사용하는 경우, 희망을 표시하여
공손성을 나타내기 위해 ‘-고 싶다’, ‘-으면 좋겠다’, ‘-기 바란다’를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추측의 의미를 더하여 공손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일 것 같아요’, ‘-일걸요’,
‘-일 텐데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4.2.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먼저, 접미사 ‘-님’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사용되는 빈도수가 낮은 편이다. 한
국어에는 공손을 표현하기 위해 상대방의 이름에 접미사 ‘-님’을 더하는 경우가 두
드러지게 나타나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그 확률이 낮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접미사 ‘-님’이 따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격식 존대 대
명사를 대신 사용한다.
현재 접미사 ‘-님’은 인터넷 매체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 칭함을 받는 다양한 매체들의 모든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름이나 별명 뒤에 접미사 ‘-님’이 더하여진다. 그러나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공
손 표현 없이 이름이나 별명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한국어 페이스북에서 ‘OOO님,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라고 표시된다면, 브라질의 페이스북에는 ‘No que você
está pensando, OOO?’라고 공손의 표지 없이 나타난다.
<그림 2 한국어 페이스북>

- 55 -
<그림 3 브라질 포르투갈어 페이스북>

이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공손 표현의 사용이 한국에 비하여 월등히 자유롭다


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
이번에는 접미사 ‘-님’이 실현되는 경우를 살펴보겠다. 두 언어에 모두 실현이 가
능하지만 그 방식에서 차이점이 드러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한국어 화자들은 ‘고객님’을 많이 사용한다. 단수인 경우에는 그저 ‘고객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지만, 복수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고객님들’ 보다는 ‘고객 여러분’을
사용한다. ‘고객님들’의 위치가 3인칭이었다면 얼마든지 실현이 되었겠지만, 청자의
입장으로 생각을 한다면 ‘고객님들’ 보다는 ‘고객 여러분’이라고 하는 것이 비교적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결론지을 수 있는 것은 한국어에서 상대방
에게 직접적으로 접미사 ‘-님’을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복수형보다 단수형의 실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50) ㄱ.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고객님?”
ㄴ. “고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고객님들, 안녕하십니까?)
(50)을 보면, 한 명의 청자에게 발화를 할 때에는 접미사 ‘-님’을 붙이는 것이 일
반적이지만, 두 번째 예문에는 접미사 ‘-님’을 사용했을 때 매우 부자연스러운 경향
을 보인다. 그리하여 한국어에는 접미사 ‘-님’ 대신 다른 명사를 붙여 복수형을 드
러내는 것이 더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 한국어에는 접미사 ‘-님’의
단수 사용의 빈도수가 높은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단수보다 복수에서 실현
되는 경우가 많다. 위 예문을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51) ㄱ. Precisa de ajuda, senhor? (*Precisa de ajuda, senhor cliente?)

- 56 -
ㄴ. Bom dia, senhores clientes.
(51ㄱ)은 단수형이기 때문에 격식 존대 대명사인 ‘senhor’만을 사용하고 ‘고객’을
의미하는 ‘cliente’는 배제하였다. 그러나 (51ㄴ)에서는 복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
로 격식 존대 대명사만을 사용하지 않고 ‘senhores’도 함께 동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친족호칭어이다. 한국에서는 가족이나 친척 관계가 아니더라도 친족호
칭어를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매장 주인이 여자 손님에게 ‘언니’라고 부르거나
식당 주인 아주머니께 ‘어머니’ 혹은 ‘이모’라고 부르는 경우이다. 이는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나타냄으로써 공손성도 함께 겸비한다고 볼 수 있다. 김서형(2013)은 최근
에 높임 표현을 크게 축소하는 대신에 친근감을 드러내는 말투를 사용하는 것이 공
손성의 정도를 매우 높이는 현상이라고 밝혔다.
(52) ㄱ. “언니, 피부가 너무 좋네! 이거 신제품인데 언니한테 딱일 것 같아!”
ㄴ. “이모, 여기 우동 두 그릇이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공손성을 나타내기 위해 친족호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친족호칭어가 한국어에 비해 다양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국어에는 ‘언니’, ‘오빠’, ‘누나’, ‘형’이라는 호칭의 사
용 빈도수가 매우 높은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상대방
의 이름 혹은 관계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친족호칭어의 사용 빈도
수가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질에서 유일하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친족호칭어가 있다. 바로 한국
어의 이모나 고모를 의미하는 ‘tia’와 그의 남성형인 ‘tio’이다. 이 두 호칭은 가족 관
계가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많이 활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성인이 아닌 어린이가
사용한다. 상대방이 화자보다 어른이라면 공손함을 표시하기 위해 친족호칭어를 사
용하는 것이다.
(53) ㄱ. Tia, quanto custa essa boneca? (아줌마/이모, 이 인형 얼마예요?)
ㄴ. Passa na estação de metrô, tio? (아저씨, 지하철 역 지나가시나요?)
하지만 (53ㄴ) 친족호칭어의 남성형을 비격식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영

- 57 -
어의 ‘brother’ 혹은 ‘man’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상대방과
친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면 나이와 상관없이 ‘tio’라고 부른다.
(54) Tudo bem, tio? (어이, 잘 있었어?)
이번에는 일반호칭어이다. 한국어에는 공손성을 나타내기 위해 연세가 있는 분에
게는 ‘어르신’, ‘어머님’ 등을 사용하고 상대방이 화자와 비슷한 연령층이라면 ‘-씨’
를 주로 사용하며 젊은 화자에게도 ‘학생’이나 어린이에게도 ‘얘’라는 호칭으로 공손
한 태도를 보일 수 있다.
(55) ㄱ. “어르신, 여기 앉으세요.”
ㄴ. “제일 싱싱한 걸로 골라주세요, 어머님.”
ㄷ. “유진씨, 잠깐 나 좀 봐요.”
ㄹ. “얘, 너 몇 살이니?”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세가 있는 분들에게는 격식 존대 대명사
를 사용한다.
(56) ㄱ. Senhor, sente aqui. (어르신, 여기 앉으세요.)
ㄴ. Quer sentar aqui, senhora? (여기 앉으실래요?)
(5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에 많이 등장하는 ‘어르신’, ‘어머님’ 등의 호칭어
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격식 존대 대명사에 해당한다.
이어서 호칭어 ‘-씨’는 공손의 정도가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국에서도 ‘-씨’는 보통 청자가 화자보다 나이가 적거나 같을 때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자 간의 관계가 친밀하지 않을 때에도 ‘-씨’를 많이 활용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호칭어 ‘-씨’가 존재하지 않는다. 보편적으로 상대방의 이
름만을 부르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있어서 호칭어 ‘-씨’는 대
수롭지 않게 여기어진다. 그러나 본 호칭어의 역할을 맡아 주관할 수 있는 요소는
격식 존대 대명사인 ‘senhor’보다 격식의 정도가 낮은 ‘seu’라고 할 수 있다.
‘Seu’는 한국어와 다른 두 가지 용법이 있다. 하나는 청자가 화자보다 나이가 많
은 경우에 사용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자와 청자가 서로 친밀한 관계를 이

- 58 -
룰 때에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사항은 한국어와 반대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57) ㄱ. Pode vir me buscar, seu Manuel? (혹시 저를 데리러 와주실 수 있나
요, 마누엘씨?)
ㄴ. Hoje tem uva verde, seu Joel? (조엘씨, 오늘은 청포도 있어요?)
청자가 여성인 경우에도 사용되는 ‘dona’라는 대명사가 있다. 그러나 모든 여성에
게 해당되지는 않고 오직 기혼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다.
(58) ㄱ. Quer ir à feira junto, dona Silvia? (실비아씨, 같이 시장 갈래요?)
ㄴ. Esse bolo está uma delícia, dona Ana! (이 케이크 정말 맛있네요, 안
나씨.)
이어서 직위호칭어는 청자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친밀감이 더해지면 ‘성+직위+님’의 형태로 활용되기도 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직위호칭어나 격식 존대 대명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드물
지만 직함이나 직책 앞에 존대 대명사를 붙여 공손성을 더욱 극대화하는 경우도 있
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정부 고위 직책 혹은 학문 직위에서 활용된다.
(59) ㄱ. Senhor presidente (대통령님)
ㄴ. Senhor ministro (총리님)
ㄷ. Senhor professor (교수님)
다음으로는 높임 어휘이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격식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
로 구성된 표현은 없지만, 격식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현들은 존
재한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죽다’를 의미하는 동사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morrer’라고 하며 ‘끝나다’, ‘생명이 끊어지다’, ‘멸망하다’, ‘병 혹은 사고로 죽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동사이지만 정확한 의미를 고려했을
때 부정적인 측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falecer’라는 동사인데, 이는 주로 윗사람을 대상으로 사용된다. 본

- 59 -
동사는 ‘별세하다’, ‘영원히 잠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격식을 갖춘 표
현이라고 할 수 있다.
(60) ㄱ. Ele morreu de câncer. (그는 암으로 죽었다.)
ㄴ. Ele faleceu ontem. (그 분은 어제 돌아가셨다.)
마지막으로 보조용언이다. 보조용언은 공손을 표시하기 위해 한국어와 브라질 포
르투갈어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문금현(2017)은 보조용언을 강조, 희
망, 추측으로 구분하여 각 항목에 해당하는 공손 표현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에서 강조를 의미하는 ‘보다’와 ‘주다’이다. 문금현(2017)이 실시한 설
문조사 15문항은 이를 ‘이거 먹어 봐’, ‘이걸로 보내 줘’, ‘정리해 줘’로 표시하였다.
‘이거 먹어 봐’에서 사용된 ‘보다’는 상대방에게 어떤 것을 시도해보라는 의미로
다가가고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선택을 존중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를 생
략할 경우, ‘이거 먹어’로 바뀌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대방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
하지 않으며, 오히려 명령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61) ㄱ. “방 정리 좀 해.”
ㄴ. “방 정리 좀 해 줘.”
(61ㄱ)은 ‘줘’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명령의 의미가 강한 반면, (61ㄴ)은 ‘줘’
를 첨가하여 명령이 아닌 부탁이나 요청의 의미가 두드러진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보조용언 ‘보다’의 의미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시도하다’를 가리키는 ‘Experimentar’라는 동사이고 다른 하나는 ‘노력하다’
를 뜻하는 ‘Tentar’라는 동사이다. 두 동사 모두 타동사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조
동사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도하다’의 의미를 가진 경우
는 다음과 같다.
(62) ㄱ. Experimenta colocar mais vinagre no molho. (소스에 식초를 더 넣어
봐.)
ㄴ. Experimenta ler esse livro. (이 책 읽어 봐.)
이번에는 ‘노력하다’의 의미를 가진 예문이다.

- 60 -
(63) ㄱ. Tenta correr mais rápido. (조금 더 빨리 달려 봐.)
ㄴ. Tenta acabar até amanhã. (내일까지 끝내 봐.)
보조용언 ‘주다’는 주로 요청이나 부탁과 관련되어 있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본 보조용언이 없지만 요청표현에 해당하는 ‘해주실래요?’를 사용하거나 질문 유형
을 통해 상대방에게 접근하는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질문 유형이란 요청표현을
사용할 필요 없이 의문문으로 상대방에게 공손하게 부탁을 하는 형식이다. 다음의
예를 보겠다.
(64) ㄱ. Você arruma? (이거 정리해 줘. / 이거 정리해줄 수 있어?)
ㄴ. Você manda isso para ele? (이거 그 분한테 보내 줘. / 이거 그 분한
테 보내줄 수 있어?)
만약 (64)가 의문문이 아니라 평서문이었다면 요청이 아닌 명령이 되었을 것이다.
화자는 상대방에게 의문문을 사용하여 자신의 요청에 대한 답변을 기다림으로써 공
손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희망을 가리키는 보조용언이다. 한국어에서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희망
사항을 드러냄으로 인해 공손을 나타낸다.
(65) ㄱ. 저도 한 입 먹어보고 싶어요.
ㄴ. 커피 좀 사 왔으면 좋겠어요.
ㄷ. 끝까지 초심 잃지 않길 바랍니다.
‘-고 싶다’, ‘-면 좋겠다’, ‘-기 바란다’ 등 희망을 의미하는 표현들은 모두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실현되며, 각각 ‘Querer’, ‘Gostar’, ‘Esperar’ 동사들로 표시된다.
(66) ㄱ. Quero participar também. (저도 참여하고 싶어요.)
ㄴ. Gostaria que você ficasse aqui. (당신이 여기에 남았으면 좋겠어요.)
ㄷ. Espero que venha o mais rápido possível. (최대한 빨리 오길 바랍니
다.)
세 번째는 추측을 의미하는 보조용언이다. 화자가 어떤 상황에 대하여 단정하지

- 61 -
않고 추측 표현을 통해 상대방에게 공손을 드러내는 것이다.
(67) ㄱ. 지금쯤 오고 있을 것 같아요.
ㄴ. 벌써 다 끝났을걸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이러한 경우들이 자주 등장한다. 추측을 의미하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으로는 ‘Acho que’와 ‘Deve’가 있다.
(68) ㄱ. Acho que ele não sabe direito. (그는 정확히 모르는 것 같아요.)
ㄴ. Ela deve estar aqui. (아마도 여기에 와 있을걸요.)
4.3 화용 층위
마지막으로 문금현(2017)의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화용 층위이다.
<표 28 화용 층위>

- 62 -
화용 층위에서 공손성이 생성되는 첫 번째 경우로 간접 표현을 꼽을 수 있다. 이
는 요청표현과 거절표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발화 의미의 내용이 공손할 수가
없는 상황에서 더욱 효율적이라고 본다. 문금현(2017)에 따르면 각 상황에 해당되는
표현들이 단계별로 나열되어 있다. 먼저 요청표현의 가장 난이도가 낮은 ‘좀’에서부
터 5단계의 ‘죄송합니다만, ~좀 해주실 수 있으신지요?’까지의 표현들과 거절표현에
해당하는 1단계의 ‘이유 설명’에서 4단계의 ‘미안합니다만+이유 설명+죄송합니다’까
지의 여러 표현들을 사용하여 공손성을 드러낼 수 있다.
다음은 상대방의 의중을 물어보는 ‘-해도 괜찮을까요?/될까요?’와 상대방의 의사
를 묻고 권유의 의미도 포함된 부정의문문 ‘-안 하실래요?/하시지 않을래요?’가 있
다. 부정의문문의 경우에는 명제를 부정하는 것으로 공손을 이루는 방법이다. 이는
화자가 단언한 내용을 부정하여 지움으로써 명제 내용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의문형 어미로 문장이 끝남에 따라 청자에게 선택권을 남겨주었다는 부분에서 평서
형보다는 공손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겸손 표현도 공손성을 생성한다. 빈말 인사표현과 양보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는
데, 전자는 ‘누추하지만 들어오세요’와 같은 방식으로 공손성을 나타내고 후자도 ‘ㅇ
ㅇ 덕분에 잘 마무리 했어요’처럼 겸손과 공손을 동시에 표시한다.
이어서 울타리어33)를 사용할 때에도 공손성이 나타난다. 울타리어는 어휘적인 면
에서 보았을 때 공손성을 가지지 않지만 화용적으로 문장의 시작에 사용할 경우에
는 공손성을 생성한다. 모호, 사과, 주저 등을 의미하는 표현들은 화자의 진술에 담
겨있는 주장에 대해 타당성에 대한 확신이 부족함을 외연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겸양
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할 경우에 내용에 대한 도전을
받을 경우 화자가 내용을 수정하거나 취소하기 쉽다는 점에서 체면 유지와도 상관
이 있다.
끝으로 때로는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여 발화함으로 인해 공손성을 드러내
기도 하고, 생략의 의미로 말줄임표를 활용하여 공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33) Brown & Levinson(1987:145)에서는 울타리어(Hedge)를 “a particle, word or phrase that


modifies the degree of membership of a predicate of noun phrase in a set; it says of that
membership that it is partial, or true only in certain respects, or that it is more true and
complete than perhaps might be expected(note that this latter sense is an extension of the
colloquial sense of ‘hedge'"라고 정의하였다.

- 63 -
4.3.1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에 적용
우선 간접표현에 해당하는 요청표현을 살펴보겠다.
요청표현 1단계에 속하는 ‘좀’은 한국어에 흔히 나타난다. 문금현(2017)이 진행한
설문조사의 18문항은 ‘그렇게 해 주세요’와 ‘그렇게 좀 해 주세요’ 중 두 번째 문장
이 더 공손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즉, ‘좀’을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하는 요청이
더욱 간절해진다는 것이다.
(69) 꼭 좀 부탁드립니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좀’은 ‘um pouco’에 해당한다. 본래 양을 가리키는 ‘조금’
혹은 ‘적은’을 뜻하지만, 상대방에게 공손함을 보이기 위하여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70) ㄱ. Me ajuda um pouco? (나 좀 도와줄래요?)
ㄴ. Vem aqui um pouco. (여기 좀 와 봐.)
이번에는 2단계의 ‘해줄래요?’와 3단계의 ‘해주실래요?’이다.
(71) 이것 좀 봐줄래요? / 이것 좀 봐주실래요?
이 경우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두 가지로 실현될 수 있다. 첫째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poder’ 동사를 사용하여 공손을 나타내는 것이다.
(72) ㄱ. Pode trazer mais arroz? (밥 좀 더 주실래요?)
ㄴ. Pode me levar até o metrô? (저 지하철역까지 데려다주실래요?)
둘째는 ‘poder’ 동사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의문문을 통해 공손을 나타내는 경우
이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해줄래요?’와 ‘해주실래요?’가 오직 의문문으로만 실현이
가능하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의문문뿐만 아니라 명령문으로도 사용이 가능
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공손하게 요청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문문을
사용하여야 한다.

- 64 -
(73) ㄱ. Traz mais arroz? (밥 더 줄래요?)
ㄴ. Me leva até o metrô? (저 지하철역까지 데려다줄래요?)
4단계의 ‘죄송하지만’과 5단계의 ‘죄송합니다만, ~좀 해주실 수 있으신지요?’는 브
라질 포르투갈어의 대표적인 사과 표현인 ‘Desculpe’를 통해 실현된다. 그러나
‘Desculpe’라고만 하지 않고 ‘방해해서’를 뜻하는 ‘incomodar’를 추가하여 발화하는
경우가 더 많다.
먼저, 한국어의 예문이다.
(74) ㄱ. 죄송하지만, 지금 몇 시예요?
ㄴ. 죄송하지만, 좀 빨리 가주실 수 있으신가요?
이어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예문이다.
(75) ㄱ. Desculpe incomodar, mas tem algum ponto de ônibus por aqui? (방
해해서 죄송하지만, 근처에 버스 정류장이 있나요?)
ㄴ. Desculpe incomodar, mas onde fica o shopping? (방해해서 죄송하지
만, 백화점이 어디에 있나요?)
5단계에는 2단계와 3단계에 등장했던 ‘poder’ 동사를 추가하여 실현된다.
(76) ㄱ. Desculpe incomodar, mas pode me ajudar a levar as bagagens? (방
해해서 죄송하지만, 이 짐들 같이 좀 들어주실 수 있으신가요?)
ㄴ. Desculpe incomodar, mas pode abaixar o som? (방해해서 죄송하지
만, 볼륨 좀 낮춰주실 수 있으신가요?)
5단계에서 공손의 정도를 더욱 높이고자 할 때에는 요청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표
현인 ‘Por favor’를 추가할 수도 있다.
(77) ㄱ. Desculpe incomodar, mas pode me falar que horas são, por favor?
(방해해서 죄송하지만, 혹시 몇 시인지 얘기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65 -
이번에는 거절 표현이다. 문금현(2017)은 설문지에서 1단계의 ‘이유 설명’을 23문
항의 ‘(선약이 있어서) 같이 못 가요’와 24문항의 ‘(다음에는 꼭) 같이 가줄게요’로
표시하였다.
(78) ㄱ. 오늘은 저희 할머니께서 와 계셔서 일찍 가봐야 돼요.
ㄴ. 내년 봄에는 꼭 방문할게요.
구체적인 이유를 추가하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위한 공손을 나타내는 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도 실현이 가능하다.
(79) ㄱ. Não posso ir junto, porque tenho compromisso. (선약이 있어서 같이
못 가요.)
ㄴ. Na próxima vez, eu vou sem falta. (다음에는 꼭 같이 가줄게요.)
2단계, 3단계, 4단계는 사과 표현을 추가하여 공손의 정도를 더욱 높인 상황을 제
시한다.
(80) ㄱ. Desculpe, mas hoje não posso. (죄송하지만 오늘은 안돼요.)
ㄴ. Desculpe, amanhã vou sair com meu amigo. (죄송하지만 내일은 친
구와 약속이 있어요.)
ㄷ. Desculpe, tenho prova na sexta-feira. Tenho que estudar. Desculpe.
(죄송하지만 금요일에 시험이 있어요. 공부해야 돼요. 죄송해요.)
의사타진을 의미하는 ‘-해도 될까요?’는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Será que posso...?’
라고 표현되고 ‘-해도 괜찮을까요?’는 ‘Será que tudo bem...?’이라고 표시된다.
‘Posso’는 브라질 포르투갈어 ‘가능하다’ 혹은 ‘되다’를 뜻하는 ‘Poder’ 동사의 1인칭
단수형이고 ‘tudo bem’은 ‘모든’을 의미하는 ‘tudo’와 ‘잘’ 혹은 ‘좋은’을 의미하는
‘bem’을 결합하여 ‘괜찮다’를 뜻하는 표현이다. 또한, ‘Será que’는 다양한 용법을 가
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공손하게 상대방의 의견을 타진하는 것이다. 아래에는
‘Será que’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의미를 예문과 함께 제시하였다.
(81) ㄱ. Será que vai chover hoje? (혹시 오늘 비올까요? - 의문)

- 66 -
ㄴ. Será que ele está bem? (그 분 괜찮으실까요? - 걱정, 염려)
ㄷ. Será que posso entrar agora? (혹시 지금 들어가도 될까요? - 의사타
진)
ㄹ. Será que tudo bem entregar o trabalho mais tarde? (혹시 과제를 더
늦게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 의사타진)
이어서 부정의문이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부정의문은 많이 활용된다. 문금
현(2017)은 ‘안 가실래요?/가시지 않을래요?’를 제시하였는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서 부정을 나타내는 ‘não’과 ‘원하다’를 가리키는 ‘quer’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문금현(2017)에서는 ‘가다’ 동사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여러 동사를 대신하여
활용할 수 있다.
(82) ㄱ. Não quer ir comigo no shopping? (나랑 같이 백화점에 가지 않을래?)
ㄴ. Não quer jantar com a gente? (저희랑 같이 저녁식사 안 하실래요?)
(83) ㄱ. 잠깐 들어오실래요?
ㄴ. 과일 더 드시지 않을래요?
이번에는 겸손표현이다. 먼저 문금혜(2017)에서 제시한 빈말 인사표현부터 살펴보
겠다. 이에 관하여 문금혜(2009)는 일상생활에서 한국어 빈말 인사표현이 사용되는
경우를 상황별로 분류하였으며, 일상적인 경우는 만났을 때와 헤어질 때, 특정한 경
우는 집에 손님을 초대했을 때와 집들이 선물을 받았을 때, 음식 초대를 했을 때와
상점에서 나올 때로 한정하여 논하였다. 이제 문금혜(2009)에서 제시한 상황들을 브
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우선, 한국인들은 누군가를 만났을 때에 빈말 인사표현으로 상대방에게 식사 여
부를 묻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브라질인들은 이런 인사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문금
혜(2009)에서도 조사했듯이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에 식사 여부를 묻는 경우는
없으며 이는 한국어만의 특징적인 인사표현이라고 하였다.
(84) ㄱ. 밥 먹었어요?
ㄴ. 우리 같이 식사 한 번 해야 하는데.

- 67 -
헤어질 때에 한국인들은 상대방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주로 식사 약속을 인사치
레로 하는데, 브라질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경우이다.
(85) Vamos combinar de sair/almoçar/jantar/tomar café. (우리 언제 같이 만
나요/점심 먹어요/저녁 먹어요/커피 마셔요.)
이번에는 특정한 경우에 속하는 집에 손님을 초대했을 때이다. 한국에서는 빈말
로 ‘누추한 곳까지 와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사용하는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권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표현이다. 그러나 한 가지 빈말로 인사하는 표현이 있는데
그것은 ‘내 집처럼 편하게 계세요’로 한국인들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86) Fique à vontade. (편하게 계세요.)
집들이 선물을 받았을 때에 한국에서는 ‘그냥 오시지 뭘 이런 걸 사오셨어요’ 유
형의 인사표현이 많이 사용된다. 브라질에서도 빈말로 이런 인사법이 많이 등장한
다.
(87) Não precisava trazer isso. (이런 거 가져올 필요 없었는데.)
음식 초대를 했을 때에 한국에서는 ‘음식이 입에 맞을지 모르겠네요.’, ‘차린 건 없
지만 많이 드세요.’와 같은 표현들을 많이 사용한다. 브라질에서는 첫 번째 인사표
현이 실현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88) Não sei se você gosta de peru. (칠면조 고기를 좋아하시는지 모르겠네
요.)
마지막으로 물건을 구입하지 않고 상점을 나설 때에는 ‘다음에 올게요’ 혹은 ‘한
바퀴 돌아보고 올게요’의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브라질에서도 해당된다.
(89) ㄱ. Volto na outra vez. (다음에 또 올게요.)
ㄴ. Vou dar uma volta. (한 바퀴 돌아볼게요.)

- 68 -
이번에는 양보표현이다. 문금혜(2017)은 양보표현을 ‘덕분에요’, ‘제가 뭐 한 게 있
다고’, ‘제가 오히려 더 고맙죠’, ‘아니에요’, ‘제가 한 일을 한 거 뿐이에요’로 제시하
였으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실현이 가능하다.
(90) ㄱ. Obrigado eu. (제가 더 감사하죠.)
ㄴ. Foi graças a OOO. (OOO 덕분이었어요.)
ㄷ. Só fiz a minha parte. (제 할 일을 했을 뿐이에요.)
ㄹ. Eu não fiz nada. (저는 한 게 없어요.)
ㅁ. Que nada. (아니에요.)
<표 2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Obrigado’는 감사를 나타낸다. 이 표현에 인칭대
명사 ‘나’를 의미하는 ‘eu’를 추가하여 상대방에 대한 감사를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
낸 것이다. ‘Graças a’는 ‘덕분에’를 뜻하며 공로의 대상을 뒤이어 밝혀주는 표현이
다.
이번에는 울타리어이다. 먼저, 문금혜(2017)에 따르면 모호를 표시하는 표현으로
‘글쎄’가 대표적이다.
(91) 글쎄, 시간에 맞춰서 도착할까?
‘글쎄’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한 가지는 상대방에게
본인이 전하고자 하는 말을 설명하기 전에 덧붙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는 화자
가 어떻게 발화를 해야 상대방이 어려워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지 고려하는
행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공손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92) Como posso dizer/explicar?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요? / 어떻게 설명해
야 할까요?)
다른 의미는 상대방에게서 질문을 받았지만 잘 모르겠다고 솔직하게 고백을 하는
경우이다. 이 표현은 그저 모르겠다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과 함께 고민하고
자 하는 배려를 보여준다.
(93) Não sei. / Não faço ideia. (잘 모르겠어요.)

- 69 -
사과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문금혜(2017)는 ‘실례합니다만/미안합니다만/죄송합니
다만’을 제시하였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이러한 표현들을 많이 사용한다. ‘실
례합니다’는 ‘Com licença’, 그리고 ‘죄송합니다’는 ‘Desculpe’로 표시된다.
(94) ㄱ. Com licença, posso entrar? (실례합니다만, 들어가도 될까요?)
ㄴ. Desculpe, posso fazer uma ligação? (죄송합니다만, 전화 통화 한번만
해도 될까요?)
주저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표현은 ‘저기요’ 혹은 ‘있잖아요’이다. ‘저기요’는 일반적
으로 낯선 사람을 부를 때 사용되는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요청 표현에 해당
하는 ‘Por favor’ 혹은 ‘Com licença’를 주로 활용한다.
(95) ㄱ. Por favor, pode me ajudar? (저기요, 좀 도와주실 수 있나요?)
ㄴ. Com licença, pode me dar mais uma folha de gabarito? (저기요, 답
안지 한 장 더 주실 수 있나요?)
‘있잖아요’는 ‘알다’를 의미하는 동사 ‘saber’를 활용하여 실현된다.
(96) Sabe... eu tenho algo a dizer. (있잖아... 나 할말이 있어.)
끝으로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는 행위이다.
(97) ㄱ. Ah, você está na estação Paraíso? (아, 지금 파라이조역에 계세요?)
ㄴ. Entendi... Sua irmã ficou doente e você precisou cuidar dela... (그렇
군요... 여동생분이 아프셔서 돌봐주셔야 했군요...)
(97)은 상대방이 발화한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
대방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했다는 점을 확인시키기 위해 혹은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에 집중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 70 -
5. 결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언어 교육의 가장 주된 목적이다. 언
어 사용자들이 맥락에 적절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상대방이 의도한 의미를 이
해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어야 하는 것이다.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맞게
언어를 구사할 줄 알고 목표 언어 사용과 관련된 문화 혹은 관습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손성의 역할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모든 언어에는
공손성이 포함되어 있고, 이는 타문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이루기 위
해 반드시 고려해야할 요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Halliday(1973)의 7가지 언어
기능에 해당하는 상호 작용적 기능에서 공손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고는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브라질 포
르투갈어는 한국어와 다른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경어법이 매우 발
달되어 있는 한국어와는 달리 문법적 범주에 속해있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발화
형식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가 존재하며 다양한 표현들을 통해 공손성을 충분히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문금현(2017)이 설정한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생성 유형을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 체계를 현기홍(1998)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제시
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부분은 한국어의 평서문 어순이 ‘주어+목적어/보
어+동사’인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보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과 언어가 형태소 단위로 분리되는 교착성을 가진 한국어와 달리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굴절어이므로 형태소 단위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어서 공손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Grice(1975), Lakoff(1973), Leech(1983)가
제시한 이론들과 Goffman(1959)와 Brown & Levinson(1987)의 체면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본 이론들은 공손성의 원리에 대한 지식과 상식을 제공하는 데에 매우
비중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한국어 공손 표현의 특징이 규범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은 전략적인 성향이 강하게 드러난다고 보았다. 이 부분은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가장 대표적인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전략들을 Brown & Levinson의 소극적 공손
과 적극적 공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대표적인 격식 존대
대명사인 ‘senhor’의 용법과 상황에 따른 다양한 공손 표현을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분석을 문

- 71 -
금현(2017)이 분류한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를 기준으로 삼고 진행하였다.
각 층위에서 제시한 표현들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이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문법 층위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는 공손 표현이 문
법적인 범주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의 격조사 ‘-께서’와 ‘-께’를 제외하고는
실현되지 않았다. ‘-께서’와 ‘-께’의 경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격식 존대 대명
사로 대체했을 때 공손함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어휘 층위에서는 호칭어, 특정 높임어휘와 보조용언에서 공손성이 가장 많이 나
타났다. 호칭어에는 격식 존대 대명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높임어휘로는 대
표적인 예가 ‘별세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였다. 보조용언에서는 강조, 희망, 추측 중
에서 희망과 관련된 표현들이 가장 높은 빈도의 공손성을 나타냈다.
화용 층위에서는 가장 많이 등장한 동사가 가능성을 뜻하는 ‘Poder’였다. 일반적
으로 요청, 허락 등 공손 표현의 사용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또한, 앞서 제시하였던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사용 빈
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 체계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공손 표현을 통
해 한국어와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서로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 공손 표현에 대한 연
구를 실시한 것이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브라질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방안까지 제시를 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고 브라질 포
르투갈어와 공손 표현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매우 적어 정보가 부족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지만 앞으로 한국과 브라질의 관계가 더욱 활발해져서 두 나라에 대한
연구도 함께 활발하게 진행되길 바란다.

- 72 -
<참고문헌>
강길호(1994),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손전략』. 한국언론학보, (32),
9-35.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명운(2009), 『현대국어의 공손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서형(2013), 『한국어 화행에서 공손성의 실현 양상』. 한국어학, 61, 123-143.
김선희(2001), 『우리 사회 속의 우리말』. 한국문화사.
김진무(2013), 『언어적 공손성 이론에 대한 소고』. 프랑스문화연구, Vol.26 No.-.,
121-150.
류관수(2004), 『비교문화 관점에서 본 한미의 언어문화와 공손표현에 대한 탐색』.
비평문학, (18), 117-140.
문금현(2009), 『한국어 빈말 인사 표현의 사용 양상과 특징』. 언어와 문화, 5(1),
65-84.
문금현(2017),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생성 유형 분류』. 한국어와문화, Vol.21,
51-75.
변광수(2003), 『세계 주요 언어』. 한국 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종합센터 亦樂.
이익섭·채완(1999),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이정복(1999), 『국어 경어법의 전략적 용법에 대하여』. 語學硏究, Vol.35 No.1,
91-121.
이효숙·김영주(2013),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
구』. 한국어교육, 24권 4호, 263-288.
전혜영(2004), 『한국어 공손표현의 의미』. 한국어 의미학, 15, 71-91.
현기홍(1998), 『포르투갈어 문법』. 부산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Brown, P. & S. Levinson(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nha, Celso(2014), 『Gramática Essencial』. Lexicon.
Goffman, E.(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
Anchor books.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Syntax and Semantics, 3.eds. P.
Cole and J. Morgan., New York: Academic Press, Inc., 41-58.
Halliday(1973), Explorations in the functions of language. London: Edward

- 73 -
Arnold.
Hymes, D.(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J. Pride & J. Holmes (Eds.),
Sociolinguistics. Harmondsworth, UK: Penguin Books.
Kasper, G.(1990), "Linguistic Politeness: Current research issues", Journal of
Pragmatics, 14, 193-218.
Kerbrat-Orecchioni(1996), C., La conversation, Paris : Seuil.
Koike, D. A.(1992). Language and social relationship in Brazilian Portuguese:
The pragmatics of politeness, University of Texas Press.

- 74 -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Choi, Yejin
Dep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by comparing them.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peak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y must have knowledge of the cultural background, politeness, etc. for social
interaction. Among these various elements, the politeness in Korean, which is a
high percentage of the language, is a category tha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access. The study is very important as the usage of polite
expression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does not appear in the grammar
category of most part of Western countries. Als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cerning polite expressions in English, French, Japanese, and Chinese, but no
studies on polite expressions in Brazilian Portuguese were found; so it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arget of this paper.
First of all, the grammar of the Portuguese in Brazil was simplified by dividing
it into form and syntactic aspects.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factors that should be noted when performing a contrast analysis with the
Korean language's polite expressions.
Then,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polit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While Korean politeness
was more prescriptive,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more strategic.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to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rammar hierarchy, vocabulary and chemistry levels. As
a result, the vocabulary and chemistry layers showed a high frequency of using
Brazilian Portuguese polite expressions, and a comparison with Korean polite
expressions was made to identif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them.

- 7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