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1

고융점 왁스를 이용하여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방법으로

형성된 마이크로에멀젼에 관한 연구
김경민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The Study of Microemulsion prepared with high melting point waxes by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method
Kyung Min Kim

R&D Center, Hanbul Cosmetics Co. Ltd, 547-62, Daesung-ro, Samsung-myun, Umsung-kun,
Chungbuk 369-834, Korea

요 약: 마이크로에멀젼은 전형적으로 지름이 20~500㎚ 범위의 매우 작은 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투명하거나 거의 반투명하게 보인다.
이러한 마이크로 에멀젼은 작은 입자 크기와 낮은 분산성 덕분에, 장기적으로 입자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전상온도(PIT)는 에멀젼계에서
친수-친유 성질이 평형을 이루는 온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온도 부근에서는 오일-계면활성제-물과의 계면장력이 극히 낮아지므로 적은
힘만 가하여도 오일과 물이 쉽게 혼합되며, W/O 에서 O/W 형으로의 상전이를 통하여 계면활성제의 친화도 변화에 의해 미세하고
입도가 고르게 분포된 O/W 형 에멀젼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번째로, 비이온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 60 과 Sorbitan stearate
을 이용하여, 융점이 다른 왁스를 이용하여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방법으로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두번째로, 최적의
HLB 값을 가지는 유화제의 비율과 오일의 함량을 변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상온도(PIT)와 왁스의
융점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보다 미세하고 입자의 크기도 균일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균일하고 미세한 O/W 에멀젼은 W/O
에멀젼상에서 투명한 액정형 에멀젼상을 거치고, 현탁한 겔 에멀젼상을 거쳐야 형성될 수 있었다. 이는 왁스의 융점이 전상온도(PIT)
보다 낮을 경우에 잘 형성이 되었으며, 오일의 함량이 작은 것 보다는 35~45% 일 때, 미세하고 균일한 W/O 에멀젼의 전상 때문에 더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의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HLB 값은 유상의 조성비에 따라 요구되는 HLB 값과 비슷하거나 더
클수록 미세하고 균일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는 마이크로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할수록
안정도가 우수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 Microemulsions ar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because it formed a class of emulsions with droplets of extremely small
diameter; typically in the range 20-500nm. Due to their initial small droplet size and low polydispersity, the microemulsions are excellent in
a long kinetic stability. Phase inversion temperature(PIT) is the point that the hydrophilic and the hydrophobic are in balance. In this
temperature, oil and water were easily mixed out of low interfacial tension of oil-surfactant-water, the fine and evenly distributed O/W
emulsion should be formed by affinity change of surfactant through W/O to O/W phase transfer. In this research, we prepared
microemulsions using nonionic surfactants, Polysorbate 60 and Sorbitan stearate, and a wax with a difference melting point. And
microemulsions were produced through the condition change of surfactant ratio and mineral oil content for the optimal HLB value. Lastly,
using the correlation of PIT and the melting point of wax, we prepared fine and evenly distributed microemulsions. The fine and evenly
distributed O/W emulsion could be formed through transparent liquid crystal type emulsion phase in W/O emulsion and suspension gel
emulsion phase. If melting point of wax was more low than PIT and mineral oil content was about 35~45%, we prepared good
microemulsions because of phase inversion of evenly distributed W/O emulsion. The fine and evenly distributed microemulsion could be
obtained in the condition of higher or similar to HLB value which was required by composition ratio of oil phase. Also, we observed to
excellent stability as fine and evenly distributed microemulsions.

keywords : Phase inversion temperature(PIT), microemulsion, Polysorbate 60, Sorbitan stearate, melting point, wax

1. 서 론
화장품, 위약품, 도료, 식품 등의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O/W 에멀젼은 제조 방법, 유화제의 종류,
원료의 조성 등에 따라 상태 및 물성이 다양하게 변화된다고 알려져 있음, 특히 에멀젼 제조시 2 종류 혹은 그
이상의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안정한 에멀젼이 얻어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에멀젼을 사용하거나 응용하고 있는 분야에서는 각각의 응용에 적절한 제조방법,
유화제의 조성 및 혼합비율 등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멀젼의 제조 방법에는 유화제의
계면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방법과 호모믹서, 콜로이드 밀(Colloid mill)등의 기계력에 의하여 유화하는
물리적인 방법이 있으며,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기계적인 방법은 연속제조가 가능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1㎛이하의 미세한 에멀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계면화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cher 는 유화제의 첨가방법에 따라 1) 유중 유화제법(agent in
oil), 2) 수중 유화제법(agent in water), 3) 비누 생성법, 4) 교호 첨가법(alternate addition method)등으로
분류하였다. 유중 유화제법(agent in oil)으로 O/W 에멀젼을 제조하는 경우 유화제를 기름 중에 용해시킨 후,
서서히 물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연속상을 기름에서 물로 역전시키는 반전유화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O/W 에멀젼을 안정화하는 유화제의 HLB 는 친수성이므로 유화제를 물에 용해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었으나, 실제는 유중 유화제법(agent in oil)이 더 미세한 에멀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Lin
등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에멀젼은 하나의 액상에 섞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액상이 분산되어 있는 액-
액 분산계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0.1mm 에서 수십 mm 의 크기 분포를 가진다. 이와 같은 매크로에멀젼
(Macroemulsion)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며 응집(flocculation), 침강(Sedimentation), 크리밍
(Creaming), 입자성장(Ostwald ripening) 및 유착(Coalescence)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서로 성질이 다른
상이 분리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때 분산상의 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나노 크기로 작아지면 입자간의
브라운 운동에 의해 동적 측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내상의 함량이 높은 저점도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감을 가진 화장품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 크기가 작아
피부에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분산상의 입자 평균 직경이 20-500nm 인 액-액 분산계를 마이크로에멀젼이라고 하는데, 이는 보통
고압유화법이나 전상온도 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전상온도(PIT, 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은 물, 오일과 비이온계면활성제의 3 성분계로 구성되는
조성물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친수기인 에틸렌옥사이드와 물과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친수성 성질이
줄어들게 되는 계면활성제의 원리를 이용하는 유화법이다. 이 때, 상기 3 성분계로 구성되는 제형은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O/W 형 에멀젼을,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W/O 형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이 온도를
전상온도(PIT : Phase Inversion Temperature)라 부른다. 즉, 전상온도는 에멀젼계에서 친수-친유 성질이
평형을 이루는 온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온도 부근에서는 오일-계면활성제-물과의 계면장력이 극히
낮아지므로 적은 힘만 가하여도 오일과 물이 쉽게 혼합되며 또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도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W/O 에서 O/W 형으로의 상전환을 통하여 분산상의 부피변화(Catastrophic Inversion)나 오일상과
수상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친화도 변화에 의해 미세하고 입도가 고르게 분포된 O/W 형 에멀젼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여 입자크기 및 분포를 관찰하여 최적의
오일을 많이 함유할 수 있으며,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의 크림 타입이 아닌 반투명한 제형의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2. 실험 재료 및 실험방법

2.1. 재료 및 장치
본 실험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Polysorbate 60(TWEEN 60V, 유니케마, 미국, HLB 14.9)과 Sorbitan
stearate(SPAN60, KAO, 일본, HLB 4.7), 오일은 Mineral oil(L.P, 극동유화)를 사용하였다. Table 1 과 같이
융점이 다른 7 가지 왁스를 Synthetic wax/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SMART WAX 7743S, JAPAN NATURAL PRODUCTS (일본)),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CARNAUBA WAX, PVP), Ozokerite(OZOKERITE 180, COSTER KEUNEN, 네덜란드),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CANDELILLA WAX, STRAHL&PITSCH, 미국), Ceresin(CERESIN WAX 075,
CRODA, 일본), Paraffin(PARAFFIN WAX, 일본석유, 일본), Beeswax(BEES WAX(GOLD), MIKI, 일본)를
사용하였고, 수상은 프로필렌글라이콜과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에멀젼의 안정화제로는 Cetearyl
Alcohol(KALCOL 6850P, PILIPINAS-KAO)과 Steearic Acid(EMERSOL 7036, COGNIS, 독일)를 적량
사용하였다. 에멀젼 제조는 호모믹서(ROBOMICS, Tokushu Kika Kogyo Co.)를 이용하였고. 전상온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전기전도도(Advanced Conductivity Meters, Orion)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광산란입도분석기(Mastersize 2000, Malvern)를 사용하였다.

Table 1. The melting point of various waxes in oil phase


SMART
Material CARNAUB OZOKERIT CANDELILL CERESIN PARAFFIN
WAX BEES WAX
Sample A WAX E 180 A WAX WAX 075 WAX
7743S

Melting
78~83 84~85 80~85 68.5~72.5 70 50~70 62.4
point(℃)

2.2. 마이크로에멀젼 제조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유상과 수상을 85℃까지 가열하여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10 분에 걸쳐
투입하면서 교반시킨다. 1700rpm 으로 10 분간 교반 후, 상온까지 냉각시킨다. 냉각시키면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전상온도(PIT)를 측정한다. 냉각이 완료된 후 물성을 측정하고 항온 조건에 시료를 보관하면서
유화 입자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3. 결 과

3.1. 왁스의 종류에 따른 영향


왁스의 융점에 따른 에멀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olysorbate 60 과 Sorbitan stearate 2:1 비율의 유화제
12%, 클렌징 크림과 같이 오일을 많이 함유하는 제형의 비율과 유사한 44.8% Mineral oil, 그리고 Table 1 과
같이 융점이 다른 7 가지 왁스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에멀젼에 사용되는 안정화제를 동량으로 처방하고,
융점이 다른 7 가지 왁스를 2%씩 동량 처방하여, 생성된 마이크로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비교하였다(Table 2).
10 분간 유화시킨 후 바로 서서히 상온에서 냉각하면서 전기전도도를 변화를 통해 전상온도(PIT)를 측정하여
Table 3 에 나타내었다. 전상시점에는 유백색의 성상에서 푸르스름한 현탁 타입의 성상으로 변하고
전기전도도가 증가하기 시작된다. PIT 방법으로 제조되는 에멀젼의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모든 실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3 번씩 제조된 에멀젼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모두 60℃이상의 온도에서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 sample A, B, C


는 왁스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상온도(PIT)를 나타내었으며, sample D, E, F, G 는 왁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전상온도(PIT)를 나타내었다. 또한, W/O 에멀젼상에서 투명한 액정형 에멀젼상을 거치고, 그
다음 현탁한 겔 에멀젼상을 거쳐야 균일하고 미세한 O/W 에멀젼이 형성될 수 있었다.

Table 2. The formulations of PIT emulsions with the kind of waxes in oil phase
phase material sample A B C D E F G H
Polysorbate 60 8.0
Sorbitan Stearate 4.0

Mineral Oil 44.8 46.8

Cetearyl Alcohol 1.0

Steearic Acid 2.0

SMART WAX 2.0 - - - - - - -


Oil
7743S
CARNAUBA - 2.0 - - - - - -
phase
WAX
OZOKERITE 180 - - 2.0 - - - - -

CANDELILLA - - - 2.0 - - - -
WAX
CERESIN WAX - - - - 2.0 - - -
075
PARAFFIN WAX - - - - - 2.0 - -

BEES WAX - - - - - - 2.0 -

Preservative 0.4

Water QS to 100
Water
Propylene Glycol 1.0
phase
Sodium EDTA 0.01

Table 3. Phase inversion temperature(PIT) for the kind of waxes in oil phase

Material
A B C D E F G H
Sample

PIT(℃) 78 65 78 76 75 75 63 75

Melting
78~83 84~85 80~85 68.5~72.5 70 50~70 62.4 -
point(℃)
Sample A 는 85℃에서 유화직후 불투명한 W/O 형태를 보이다가 냉각시키면서 78℃에서 푸르스름한
투명한 입자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온도의 저하에 따라
현탁한 에멀젼으로 상전이가 일어났으며, 62℃까지는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0.2 ~ 5.4㎲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62℃이하에서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완전한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왁스의 융점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생각이 되며, 일정한 크기의 균일한 입자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이 되었다. 생성된 에멀젼은 24 시간 숙성한 후, 입도 분석을 통하여 입자 크기와 그 분포도를
확인하였다(Figure 1). 에멀젼의 입자를 관찰한 결과, 직경이 0.1㎛ 내외의 미세한 에멀젼이 형성되는 반면,
10~20㎛정도의 입자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Material
A B C D E F G H
Sample

Droplet
14.796 0.960 0.156 0.155 0.177 0.123 0.176 295.773
size(㎛)

Fig. 1. The droplet size for various waxes in oil phase

융점이 높은 왁스를 사용하여 실험한 sample A, B, C 에멀젼에서 투명하게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와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완전한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와 20℃ 정도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에멀젼 입자의 형성 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고르지 않고 그 분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융점이 낮은 왁스를 사용하여 실험한 sample D, E, F, G 에멀젼에서 5℃ 내외의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에멀젼 입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왁스의 영향으로
온도의 저하에 따라 에멀젼의 점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에서 전상온도(PIT)보다 낮은 융점의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에멀젼은 직경이 0.1㎛ 내외의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으며, 왁스를 사용하지 않은 sample H 와 비교하였을 때 1000 배 정도
작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실험에서는 입자의 크기와 분포도를 고려하여, 2 가지의 CERESIN
WAX 075 과 PARAFFIN WAX 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3.2. 오일 함량에 따른 영향
위 실험에서 입자의 크기와 분포도를 고려하여 2 가지의 CERESIN WAX 075 과 PARAFFIN WAX 을
선택하였다. 이 두 가지 왁스를 각각 2.0%씩 사용하고 미네랄오일의 함량에 따른 에멀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14.8%, 24.8%, 34.8%, 44.8%씩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유화제는 Polysorbate 60
과 Sorbitan stearate 를 2:1 의 비율로 전체 12%를 사용하였다 (Table 4). 10 분간 유화시킨 후 바로 서서히
상온에서 냉각하면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Table 5 와 같이 전상온도(PIT)를 측정하였다.

Table 4. The formulations of PIT microemulsion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il


phase material sample A B C D E F G H
Polysorbate 60 8.0
Sorbitan Stearate 4.0

Cetearyl Alcohol 1.0

Steearic Acid 2.0

44.8 - - - - - - -

- 34.8 - - - - - -

- - 24.8 - - - - -
Oil
- - - 14.8 - - - -
phase Mineral Oil
- - - - 44.8 - - -

- - - - - 34.8 - -

- - - - - - 24.8 -

- - - - - - - 14.8

CERESIN WAX 2.0 -


075
PARAFFIN WAX - 2.0
Preservative 0.4

Water QS to 100
Water
Propylene Glycol 1.0
phase
Sodium EDTA 0.01

Table 5. Phase inversion temperature(PI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il

Material A B C D E F G H
Sample

PIT(℃) 75 64 54 44 75 65 50 43

Melting
70 50~70
point(℃)

전반적으로 유상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전상온도(PIT)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일함량이


24.8%와 14.8%일 때는 전상되는 시점의 에멀젼이 푸르스름한 빛을 띠지만 투명하지 않고 현탁한 현상을
보였다.

생성된 에멀젼은 24 시간 숙성한 후, 입도 분석을 통하여 입자 크기와 그 분포도를 확인하였다(Figure 2).


오일함량이 24.8%와 14.8%인 sample C, D 와 G, H 의 경우, 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서, 입자의 분포도
역시 균일하지 않은 현상을 보였다. 이는 오일의 함량이 줄어들면서 수상의 함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고온에서 W/O 에멀젼을 형성할 때, 입자가 크게 형성이 되었기 때문에, 전상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투명한
현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전상온도(PIT)도 역시 왁스의 융점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O/W 에멀젼
형성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2 와 같이, 왁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전상이 일어나는 에멀젼이 미세하고 균일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온도에서의 W/O 에멀젼의 입자 크기와
성상도 전상되는 O/W 에멀젼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실험에서는 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온도에서의 W/O 에멀젼의 입자 크기와 성상을 고려하여 CERESIN WAX 075 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Material
A B C D E F G H
Sample

Droplet
0.148 0.137 167.790 186.196 0.128 0.133 12.950 19.125
size(㎛)
Fig. 2. The droplet siz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il

3.3. 유화제 함량 비율에 따른 영향


유화제의 함량 비율에 따른 에멀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able 6 과 같이 유화제인 Polysorbate 60 와
Sorbitan Stearate 를 비율을 변화시켰다. 모든 에멀젼은 유상의 오일들의 구성에 따라 요구되는 HLB 값이
있으며, 유화제가 가지는 HLB 값과 비슷할 경우,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Table 7 과 같이
HLB 값의 변화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을 비교하였다.

Table 6. The formulations of PIT emulsions with various ratio of surfactants


Phase material sample A B C D
Polysorbate 60 8.0 6.0 4.0 6.7
Sorbitan Stearate 4.0 6.0 8.0 5.3

Mineral Oil 34.8


Oil phase Cetearyl Alcohol 1.0

Steearic Acid 2.0

CERESIN WAX 075 2.0


Preservative 0.4

Water QS to 100
Water
Propylene Glycol 1.0
phase
Sodium EDTA 0.01
미네랄오일은 34.8% 사용하였으며, Table 7 에 이러한 유상의 조건일 때, 요구되는 HLB 값을 계산하였다.
왁스는 CERESIN WAX 075 를 2% 사용하였고, 오일은 Mineral oil 을 34.8% 사용하였으며, Table 7 에 이러한
유상의 조건일 때, 요구되는 HLB 값을 계산하였다. 10 분간 유화시킨 후 바로 서서히 상온에서 냉각하면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Table 8 와 같이 전상온도를 측정하였다.
Table 7. The HLB value of the surfactant mixture and the required HLB value for oil

Material
A B C D
Sample

HLB value 11.500 9.800 8.100 10.395

required HLB
10.289
value

Table 8. Phase inversion temperature(PIT) with various ratio of surfactants

Material
A B C D
Sample

PIT(℃) 64 41 - 44

Sample A, B, D 와 같이 오일상의 요구되는 HLB 값보다 높거나 유사한 HLB 값을 갖는 유화제의 비율에서
전상이 일어났으며, 유화제의 HLB 값이 가장 낮은 sample C 의 경우에 전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조 후
분리되었다. 생성된 에멀젼은 24 시간 숙성한 후, 입도 분석을 통하여 입자 크기와 그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Figure 3). 낮은 온도에서 전상이 일어났던 sample B 와 sample D 의 경우, 상대적으로 sample A 보다 큰
에멀젼 입자를 형성하였으며, 유화제의 HLB 값이 낮은 sample B 에서 온도가 냉각되면서 점도가
상승하였다. 형성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와 분포도도 HLB 값이 가장 큰 sample A 가 0.137㎛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형성하였으며, 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온도도 왁스의 융점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유화제의
HLB 값이 높을수록 W/O 에멀젼상에서 투명한 액정형 에멀젼상을 거치고, 현탁한 겔 에멀젼상을 거쳐,
균일하고 미세한 O/W 에멀젼이 형성될 수 있었다.

Material
A B C D
Sample

Droplet
0.137 13.702 - 11.191
size(㎛)
Fig. 3. The droplet size for various ratio of surfactants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 60 과 Sorbitan stearate 를 이용하여, 융점이 다른 왁스를
이용하여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방법으로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모든 에멀젼은 유상의
오일들의 구성에 따라 요구되는 HLB 값이 있으며, 유화제가 가지는 HLB 값과 비슷할 경우,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최적의 HLB 값을 가지는 유화제의 비율과 오일의 함량을 변화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전상온도(PIT)와 왁스의 융점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같은 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일반적인 O/W 에멀젼과 비교하여 보다 미세하고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는 왁스의 융점이 전상온도(PIT)보다 낮을 경우에 잘 형성이 되었으며,
오일의 함량이 작은 것 보다는 35~45% 일 때, 요구되는 HLB 값보다 높은 HLB 값을 갖는 유화체계에서 더욱
미세하고 균일한 W/O 현탁한 겔 에멀젼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전상되었을 때, 더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의
O/W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입자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한 마이크로에멀젼이 생성되면
안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였다.

5. 참고 문헌
1. P. Sherman, “Emulsion Science”, 131, Academic Press, New York (1965)
2. J. Weiss, J. Am. Oil Chem. Soc., 49 457 (1972)
3. P. Becher, “Emulsion: Theory and Practice”, 267, Reinhold Publishing, New York(1965)
4. H. Sagitani, J. Am. Oil Chem. Soc., 58, 738 (1981)
5. H. J. Yang, The stability of emulsions formed by phase inversion with variation of HLB of surfactant, Korean
Oil Chemists' Soc., 2, 26 (2009).
6. M. J. Choi, Studies on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 and the stability in W/O emulsion systems using
beeswax and silicone surfactant, J. of the Korean Oil Chemist' Soc. 21(4), 279 (2004)
7. K.H. Diec, PIT Microemulsions with Low Surfactant, C& T, 116(7) (2001)
8. B. W. Brooks and H. N. Richmond, Dynamics of Liquid-liquid phase inversion Using nonionic surfactants.
Colloids and Surfaces, 58, 131 (199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