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세법 개정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붙임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개요

○ 조세특례제한법 제 조「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30

개요 청년 등이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경우


- ( ) ,

취업일로부터 년 년 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발생한


3 (5 )

소득에 대한 소득세의 일정율을 감면하는 제도


○ 감면대상자 나이요건
청년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세 세 이하인 자 년 이전 소득분
- ( ) 15 ~29 (’17 )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세 세 이하인 자 년 이후 소득분 15 ~34 (’18 )

* 군복무기간(최대6년)은 나이를 계산할 때 빼고 계산함


고령자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세 이상인 자
- ( ) 60

○ 감면대상자의 취업시기별 감면율 등


감면 대상자 취업연도 감면기간 감면율

100%(한도없음)
‘12~’13년 3년(5년)*
단, ‘18년 이후 소득은 90%(150만원 한도)
50%(한도없음)
‘14~’15년 3년(5년)*
단, ‘18년 이후 소득은 90%(150만 원한도)
청년
70%(150만 원한도)
‘16~’17년 3년(5년)*
단, ‘18년 이후 소득은 90%(150만 원한도)

‘18~’21년 5년 90%(150만 원한도)

‘14~’15년 3년 50%(한도없음)
60세 이상자
장애인
‘16~’18년 3년 70%(150만 원한도)

경력단절여성 ‘17~’18년 3년 70%(150만 원한도)

* ’18년 세법개정으로 감면기간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되었으나, 개정효과는


’18년 이후 소득분부터 적용 ⇒ 아래 사례 참조
[사례1] 2014년 취업자, 취업당시 29세이하

(해설) 14.6.1일 최초취업시: 취업당시 감면율(50%)을 적용하여 3년간 감면받음


18년 세법개정으로 인한 효과는 18년이후 발생한 소득에 대해 적용되므로
기존감면기간(3년) +18.1.1~19.6.30일(90%,150만원한도)를 적용받을수 있는 것임
단, 18년 이후분에 대해 감면을 추가로 받기위해서는 근로자는 회사에 감면신청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하고 회사는 세무서에 감면명세서를 제출해야 함

[사례2] 2014년 취업자, 취업당시 30~34세

(해설) 14.6.1일 취업당시 세법에 의하면, 30~34세인 경우 청년요건을 충족하여 감면을 적용받지 못함
그러나, 2018년 세법개정으로 인해 취업당시 청년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더라도 3년→5년으
로 연장된 감면기간중 18년이후 발생한 소득분부터는 감면을 적용받을수 있음
따라서, 2014년 취업자인 경우, 5년으로 연장된 감면기간중 18.1.1일이후 발생한 소득에 대해
감면을 적용받을수 있으므로 18.1.1~19.6.30일까지 발생한 소득에 대해 90%(150만원한도)로
감면받을수 있음
단, 18년 이후분에 대해 감면을 추가로 받기위해서는 근로자는 회사에 감면신청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하고 회사는 세무서에 감면명세서를 제출하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