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53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제 85회 박사학위논문
지도교수 김 성 근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정보시스템 전공
황 순 삼
2009년 8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이 논문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9년 8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정보시스템 전공

황 순 삼
황순삼의 박사학위논문으로 인정함

심사위원장 김 진 수 (인)

심사위원 이 주 헌 (인)

심사위원 이 국 희 (인)

심사위원 김 성 근 (인)

심사위원 최 명 길 (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년 8월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 목적 ................................................................................................................6
제 3 절 연구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10
제 1 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이론적 동기부여 모델.................................................10
제 2 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선행 연구.......................................16
제 3 절 애자일 개발방법론 및 실천방법 소개.............................................................18
제 4 절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선행 연구.......................................................................35
제 3 장 연구 모형 ..................................................................................................................39
제 1 절 연구모형 ................................................................................................................39
제 2 절 연구가설 ................................................................................................................43
제 1 편 개발방법론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43
제 2 편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49
제 3 절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52
제 4 절 표본 집단과 설문 구성 ......................................................................................59
제 4 장 실증 분석 ..................................................................................................................62
제 1 절 기초통계분석 ........................................................................................................62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64
제 3 절 신뢰성 분석 ..........................................................................................................66
제 4 절 타당성 분석 ..........................................................................................................67
제 5 절 연구가설의 검증 ..................................................................................................71
제 1 편 개발방법론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가설검증 .................71
제 2 편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가설검증 .......90
제 6 절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104
제 5 장 결 론 ........................................................................................................................ 117
제 1 절 연구의 시사점 .................................................................................................... 117
제 2 절 연구의 요약 ........................................................................................................122

i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125
<참 고 문 헌>........................................................................................................................126
부록 (설문지)..........................................................................................................................131
국 문 초 록 ............................................................................................................................140
ABSTRACT .............................................................................................................................142

ii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의 구성 체계.............................................................................................................9


[그림 2] 5단계 욕구단계설............................................................................................................11
[그림 3] 이중요인이론...................................................................................................................12
[그림 4] 직무특성모형(JCM) ........................................................................................................13
[그림 5]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 ...............................................................15
[그림 6] XP 개발방법론 프로세스...............................................................................................22
[그림 7] 스크럼 개발방법론 프로세스.......................................................................................23
[그림 8] 제품 백로그.....................................................................................................................25
[그림 9] 스프린트 백로그.............................................................................................................25
[그림 10] 정보방열기(information radiator) ..................................................................................26
[그림 11] XP@Scrum 개발방법론 프로세스...............................................................................28
[그림 12] 기능주도개발 개발방법론 프로세스 .........................................................................29
[그림 13]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의 개발 프로세스 .................................................................30
[그림 14] 개발방법론과 직무 및 업무성과에 대한 연구모형(1단계)...................................41
[그림 15] 애자일 실천방안과 직무 및 업무성과에 대한 연구모형(2단계).........................42
[그림 16]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106
[그림 17] 구조방정식 연구모형.................................................................................................110
[그림 18] 수정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111
[그림 19] 애자일 실천수준 분포도...........................................................................................114

iii
표 목 차

[표 1]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주요 특징과 제약사항 ...............................................................31


[표 2] 개발방법론의 개발직무특성 비교...................................................................................44
[표 3] 설문변수의 조작적 정의...................................................................................................54
[표 4] 설문항목의 구성.................................................................................................................60
[표 5] 표본의 기술적 특성...........................................................................................................63
[표 6]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64
[표 7] 신뢰성 분석 결과...............................................................................................................66
[표 8] 핵심직무특성 변수의 요인분석.......................................................................................67
[표 9]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69
[표 10]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69
[표 11] 개발직무의 MPS 분산분석 평균 ...................................................................................71
[표 12] 개발직무의 MPS 분산분석 검증 결과 .........................................................................72
[표 13]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73
[표 14]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73
[표 15]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74
[표 16]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74
[표 17]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74
[표 18]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75
[표 19]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76
[표 20]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76
[표 21]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77
[표 22]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78
[표 23]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애자일).....................................79
[표 24]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79
[표 25]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애자일).........................79
[표 26]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80
[표 27]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애자일)...........80
[표 28]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81
[표 29]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81
[표 30]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82
[표 31]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82
[표 32]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 .............................................................................................................................................83
[표 33]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 .............................................................................................................................................83
[표 34]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84
[표 35]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84
[표 36]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85
[표 37]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85
[표 38]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86

iv
[표 39]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86
[표 40] 개발생산성의 분산분석 평균.........................................................................................87
[표 41] 개발생산성의 분산분석 검증 결과 ...............................................................................87
[표 42] 시스템 품질 수준의 분산분석 평균 .............................................................................88
[표 43] 시스템 품질 수준의 분산분석 검증 결과 ...................................................................88
[표 44] 개발방법론에 따른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순위 .................................................89
[표 45]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검정통계량 .........................................................................89
[표 46]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0
[표 47]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1
[표 48]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1
[표 49]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2
[표 50] 관리 및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2
[표 51] 관리 및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3
[표 52]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3
[표 53]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4
[표 54] 관리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5
[표 55] 관리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5
[표 56] 관리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6
[표 57] 관리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7
[표 58]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7
[표 59]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8
[표 60] 개발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98
[표 61] 개발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99
[표 62] 개발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100
[표 63] 개발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100
[표 64] 연구 가설검증의 결과 요약.........................................................................................101
[표 65] 애자일 실천수준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104
[표 66] 확인적 요인분석의 부합지수.......................................................................................106
[표 67]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109
[표 68] 수정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와 t 검정치 및 표준오차 ....................112

v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IT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The Standish


Group(2007)은 2006년도 전세계 IT 프로젝트 중에서 평균 35%만이 계획된
기간과 예산 안에 요구기능을 만족시키면서 완료되는 실정이라고 보고하였다.
Anselmo & Ledgard(2003)도 프로젝트 규모가 클수록 계획된 일정과 비용을
초과할 위험은 더욱 커진다고 지적하였다. 이는 정보시스템 규모가 커질수록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소요 일정 및 비용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대규모 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서는 개발방법론의 활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개발방법론은 수행되어야 할 절차, 만들어내야 할
산출물, 활용할 기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Sasa, 1992). 이런 목적으로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왔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론으로는 구조적
방법론(structured methodology)이 꼽히고 있다. 단계별로 수행할 내용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앞 단계가 완전히 끝나지 않으면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원칙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폭포수(waterfall) 방법론 또는
전통적 방법론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전통적인 개발방법론에서는 전반적인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통제한다. 전체 계획에 따라 정해진 절차와 순서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적용하기가 명확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본질적

1
한계점도 따른다. 가장 큰 문제점은 개발 과정에서 변경되기 쉬운 고객의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고객 입장에서는
개발이 다 완료된 이후에야 비로소 요구사항과 구현된 기능과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중요한 한계점이다. 이러한 한계점은
폭포수 생명주기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 즉, 앞 단계를
완료해야만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어렵고 고객과의 피드백 과정도 느려진다(Deemer & Benefield, 2007).

Schwaber(1996)은 IT 프로젝트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대안으로
“민첩하다(agile)”라는 의미의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1990년대부터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전통적인 개발방법론이 가능한 모든 경우에 대비한 계획을 세워 이를


실천하는데 집중하는 것이라면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현재 진행하는 것에만
집중하며 최선의 대안을 계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을 통하여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용해 나간다. 또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팀원에게 많은
자율성과 빠른 피드백을 제공한다(Schwaber, 1996; Beck, 2000)

Cockburn(2001)은 빠른 변화를 수용하며 유연성을 강조하는 가벼운 개발


프로세스(Light weight methodology)를 통칭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이라 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 중에서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신속한
개발을 강조하는 XP(Extreme Programming), 프로젝트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스크럼(Scrum), 기능 주도 개발(Feature Driven Development),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Agile Unified Process)을 들 수 있다(Cohn, 2003).

최근 들어 외국과 국내에서 기업들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하는 사례가

2
증가하고 있다. Forrester Research는 2007년에 미국과 유럽 기업의 25%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하였다고 언급하였다. 기업들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하는 속도도 가속화되어 2006년의 2~3배에 달할 정도로
빨라졌다고 한다(Schwaber et al., 2008). 국내에서는 게임 업계와
임베디드(embedded) 업계, SI 업계 등에서 애자일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이창준, 2008).

많은 기업들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함에 따라 애자일 방법론이


업무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문제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Ambler(2007)는 4,232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애자일 도입효과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업무만족도가 크게 증가하였다고 제시하였다.
Mannaro et al.(2004)는 XP 개발방법론 사용자 55명과 폭포수 개발방법론
사용자 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XP 개발방법론 사용자는
폭포수 개발방법론 사용자보다 업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향후에도 XP
개발방법론을 계속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Mann & Maurer(2005)는
애자일 개발방법론 도입하여 활용하는 노력을 2년 동안 관찰한 결과,
개발자의 업무만족도는 증가하였고 초과 근무(overtime)가 줄어들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통해 프로젝트 진척도가 보다
투명해지고 시스템 품질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Ilieva et al.(2004)은 XP
기반의 eXPERT라는 신규 개발방법론과 폭포수 방식의 기존 개발방법론을
선택하여 개발생산성(productivity), 투입공수 절감율(effort reduction),
결함제거율(defects reduction)을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파일럿
프로젝트 결과를 비교한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폭포수 개발방법론보다
개발생산성은 42%, 투입공수 절감율은 12%, 결함 제거율은 14%가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도입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어떤 요인에 의하여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3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업무성과에 대한 연구는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한 고려
없이 주로 인적 요인 그 자체에 중점을 두어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왔다.
Carmel(1995)은 업무성과 요인으로 크게 기술적 요인과 비기술적
요인(non-technology)으로 구분하였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적 요인보다는
비기술적 요인이 업무 성과에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비기술적 요인의 중요성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많이 제시되어
왔다(Hall & Wilson, 1997; Wilson & Hall, 1998; Weinberg, 1998, Wilson et al., 2000).
즉, 개발직무와 업무환경, 개발자간의 상호작용과 같은 인적 요인들(human
factors)이 개발자의 동기부여를 높이고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고 하였다.

여러 인적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동기부여 요인으로 직무 그 자체를


꼽아왔다 (Eby & Freeman, 1999; Beecham et al., 2007).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발자에게 동기부여는 직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정의하였다. Beecham et al.(2007)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기부여였다고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는 개발 과정에 활용되는


방법론의 고려도 이루어져야 한다(Beck, 2000; Baddoo, 2006). 적용되는
개발방법론의 활용이 어떤 형태로든 개발직무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고,
이는 다시 업무성과에도 일정한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일부
선행연구에서도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나 동기부여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Beck(2000)은 인간지향적(human oriented)이지 못한
개발방법론은 개발자의 업무성과를 낮추고 이직률을 높여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Baddoo(2006)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인적 요인을 이해함으로써 개발방법론과 도구들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일부

4
선행연구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활용하는 경우, 개발자의 동기부여
향상을 통해 업무성과가 향상된다고 추정하였다(Beck, 2000; Law & Charron,
2005; Mannaro et al., 2004). 그러나 아직까지 이런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힌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규명하고


개발업무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국내에도
점차 확산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떤 요인이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전통적인
개발방법론과는 개발방식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다.

5
제 2 절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활용하는 경우 무엇이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목적을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1 단계는 포괄적으로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2 단계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대상으로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2단계로 구분하는 것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주제를 명확하게
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보다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모형관점에서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Hackman & Oldham(1975)은
직무특성은 작업자의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업무성과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개발방법론이 적용되면서 개발직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개발방법론이 실제 개발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쳐
개발업무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사용하는 실천방법이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한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애자일 개발자를 위한 실무지침이자 개발기법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하는 경우, 선택한 개발방법론에 국한되지 않고 프로젝트 상황에 맞는
다양한 실천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에게는 개발방법론 자체보다는 실천방법이 개발직무에 보다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애자일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실천방법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천방법을 수행하는 수준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6
제 3 절 연구 구성

본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성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연구가설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웹 포털 기업,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 업체, 대형 IT 서비스
업체에 근무하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관련된 연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는 AMOS 7.0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에는 SPSS
15.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크게 다섯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본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 그리고 본 연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 동기부여와 업무성과에 대한
선행 연구와 동기부여 모형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등장 배경과 주요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실천방법을 소개하였다. 최근 들어 제시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 도입에 대한 실증 사례들을 검토하고 실증 연구 결과의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제 3장의 연구모형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살펴본 동기부여 모델들과
애자일 실증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동기부여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으로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표본의

7
설정과 실증 연구를 위한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문 항목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 4장은 실증 분석으로 측정 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가설들을 검증하고 결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동기부여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제 5장은 결론으로 도출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 결과를 요약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 체계는 [그림 1]에
제시되어있다.

8
[그림 1] 연구의 구성 체계

9
제 2 장 이론적 배경

본 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선행 연구와 애자일


개발방법론 및 애자일 실천방법을 이해하고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제시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실증 사례들을 분석하여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수립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제 1 절과 제 2 절에서는 개발방법론이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성과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제 3 절에서는 각각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실천방법,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1 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이론적 동기부여 모델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많은 연구 중에서 이론적 모델로써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Brenda L. & Hy S., 2001). 첫째,
Maslow의 5단계 욕구단계설(Five level hierarchy of needs), 둘째, Herzberg의
이중요인이론(Dual factor theory), 셋째, Hackman & Oldham의 핵심직무모델(Job
Characteristic Model)이다.
Maslow의 5단계 욕구단계설은 개인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욕구가
계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림 2]와 같이 인간의 욕구를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1단계는 생리적 요구, 2단계는 안전 욕구, 3단계는
소속감과 애정 욕구, 4단계는 존경 욕구, 5단계는 자아 실현의 욕구로 나누고
있다.

10
[그림 2] 5단계 욕구단계설

개인의 5가지 욕구는 크게 상위와 하위 수준으로 구분하여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요구를 하위 욕구로 구분하고 사회적, 존경, 자아 실현의 욕구는 상위
욕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둘의 차이는 하위 욕구는 주로 외부로부터
충족되나 상위 욕구는 내면적으로 충족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Maslow의
5단계 욕구단계설은 인간은 개인마다 욕구수준이 다양하며, 개인의 행동은
하나의 욕구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보다 여러 가지의 욕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Maslow의
욕구단계설 모델은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김석회,
1980).
Herzberg의 이중요인이론은 동기부여를 유발하는 동기요인(motivation
factor)과 충족되더라도 동기유발을 시키지 못하는 위생요인(hygiene factor)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동기요인은 조직구성원에게 만족을 주고 동기를
유발시키는 반면 위생요인은 충족이 되지 않을 경우 불만족을 초래하지만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하더라도 직무수행 동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는 두 요인은 상호 독립되어 있으며 조직 관점에서 동기요인을 증가시키고
위생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개인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의 이론은 관리자에게 조직구성원의 동기부여는 급여나 직무환경과 같은
위생요인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무와 경력 성장과 같은 동기요인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Herzberg의 이중요인이론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Herzberg가 제시한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공통적 요소를 포함한 대립되는

11
개념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1960년과 1962년 두
차례에 걸쳐 1,021명의 보험회사 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1960년의 경우 급여가 불만족요인으로 작용했으나 2년 후 급여는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을 동시에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Ewen, 1974). 또한 House
& Wigdor(1967)은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Herzberg가 제시한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의 구분이 모순임을
주장하였다.

[그림 3] 이중요인이론

Hackman & Oldham의 직무특성모형은 5개의 핵심직무특성(Job


Characteristics)이 작업자의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동기부여와
업무만족도,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Hackman & Oldham, 1975;
1976; 1980). 특히 직무특성모형은 1980년부터 2006년 동안 이루어진 개발자의
동기부여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Beecham et al., 2007). 아울러
직무특성모형에 대한 실증 연구와 관련된 연구들은 200여 개에 달하고
있다(이수화, 2006).

직무특성모형에서 직무로부터 의미와, 책임의식, 결과인식을 느끼게


만들어주는 요인들을 핵심직무특성이라 하며 [그림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2
핵심직무특성은 기술다양성, 업무정체성, 업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직무특성모형에서는 작업자가 업무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심리 상태를 경험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첫째로
작업자는 수행하는 업무에 대하여 의미를 느껴야 하며 둘째, 수행하는
업무에 대하여 책임의식을 경험해야 하고 셋째로 수행한 일에 대하여 결과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작업자가 세 가지 심리상태를
경험하지 못하면 동기부여와 업무 성과가 낮아진다고 하였다(Hackman &
Oldham, 1975; 1976; 1980).

[그림 4] 직무특성모형(JCM)

핵심직무특성 심리상태 결과물

기술다양성
업무정체성 의미
업무중요성

동기부여 향상

자율성 책임의식 업무만족도 향상


 
업무성과 향상

피드백 결과인식

핵심직무특성 중에서 기술다양성은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자의 능력을 얼마나 잘 발휘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개발자가 얼마나 개발방법론의 다양한 기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개발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업무정체성은 전체
업무 중에서 처음부터 결과까지의 영역 중에서 차지하고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체시스템을 개발하는 일은 작은 하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 업무정체성이 넓다고 할 수 있다. 업무중요성은 업무가

13
타인이나 자신의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을 의미하는 것이다. 개발하는
시스템이 조직에서 핵심적일 경우 업무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자율성은 업무를 수행할 때 개발자에게 부여된 권한, 책임, 자유, 독립성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의된 명세서에 따라 개발을 해야 하는
개발자보다는 전체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자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피드백은 개발자가 수행한 직무의 결과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직접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예를 들면,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자동화된 단위테스트를 통하여
작성된 기능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Hackman & Oldham(1975)은 특정 직무가 가지고 있는 5가지 핵심직무특성의


보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직무진단조사지(Job Diagnostic Survey, JDS)와
직무특성이 작업자의 동기를 얼마나 유발하는지 측정하기 위한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 MPS)를 정의하였다. Kulik & Oldham(1987)은
핵심직무특성 자체로는 작업자가 직무로부터 느끼는 전반적인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업무에 대하여 느끼는 심리상태를 측정하는 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를 활용하는 것이 직무특성모형의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하였다.
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는 작업자가 직무로 느끼는 심리상태를
측정하여 잠재적인 동기부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점수로 계산해준다.
[그림 5]에는 직무의 MPS를 나타내는 공식을 표현하였다. 직무의 MPS는
작업자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느끼는 업무의 의미,
업무에 대한 책임 의식 그리고 업무의 결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이는
직무특성모형의 심리상태에 따른 것이다. 업무의 의미는 (기술다양성 +
업무정체성 + 업무중요성) / 3, 업무의 책임 의식은 자율성, 업무의 결과는
피드백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세 가지 심리 상태를 곱하여 잠재적 동기지수를
구한다.
Fried and Ferris (1987)는 작업자의 업무성과와 직무의 MPS 간에는 직접적인

14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직무의 MPS가 높아지면 작업자가
직무로부터 얻는 내부적 동기부여(internal motivation)와 업무만족도가
증가하여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의
MPS가 높더라도 성장에 대한 욕구(needs for growth)가 낮은 경우 직무의
MPS와 업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적어진다고 하였다.

[그림 5]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

(기술다양성+업무정체성+업무중요성)
3 업무의 의미

잠재적 동기지수 = 자율성 자율성


(MPS)
X

피드백 피드백

15
제 2 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선행 연구

기존의 소프트웨어 선행연구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가장 큰


동기부여 요인은 수행하는 직무 자체라고 지적하였다(Eby & Freeman, 1999;
Beecham et al., 2007). Beecham et al.(2007)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해 개발자는 성장과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높은 반면
사교성이 적고 내성적인 면이 많아 다른 요인보다는 수행하는 업무
자체로부터 가장 큰 동기부여를 얻는다고 하였다. Eby & Freeman(1999)도
개발자는 수행하는 직무를 통해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며 관리 감독의
필요성을 줄여주고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율성(autonomy),
기술다양성(skill variety), 업무중요성(task significance), 업무정체성(task identify),
피드백(feedback), 관리감독 만족도(supervisory satisfaction), 임금만족도(pay
satisfaction)를 제시하였는데 이들 요인들은 Hackman & Oldham의
핵심직무모델과 Herzberg의 이중요인이론으로부터 도출한 것들이다.

또한 기존의 실증적 연구에서도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업무만족도와


업무성과의 향상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Melnik & Maurer, 2006;
Jason B. et al., 2006; Blankerz & Robinson, 1996; Baddoo et al., 2006; Beecham et al.,
2007). Melnik & Maurer(2006)는 개발자 459명을 대상으로 개발자의
업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개발자는 임금과 같은 금전적 요인이나 대인 관계와 같은
사회적 요인보다 수행하는 직무요인이 업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Jason B. et al.(2006)은 개발자 260명을 대상으로
핵심직무특성이 동기부여와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율성과 기술다양성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변수이며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업무만족도에 직접적인 관련이

16
있다고 하였다. Blankerz & Robinson(1996)은 높은 동기부여를 갖고 있는
개발자일수록 높은 업무만족도를 보였으며 업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선행
요인으로써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Baddoo et al.(2006)는 동기부여
수준이 높은 조직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성과를 인정해 주는 것이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업무성과를 향상시켜줌으로써 전체 조직의 생산성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개인과 조직의 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핵심적
요인이라고 하였다. Yan et al.(2006)는 오픈 소스 개발자 1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은 프로젝트의 관리자의 관리 방식에 큰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그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개발자들에게 동기부여를 시켜
업무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Procaccino et
al.(2005)는 개발자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것이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개발생산성에 대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개발자의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나 개인적 능력들은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Kym & Park, 1992; Darcy & Ma, 2005). Kym & Park(1992)는
정보시스템 개발자는 동료와의 사회적 상호관계에서 불만족을 느끼는 경우,
개발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Darcy & Ma(2005)는
개발자의 개인적 능력 차이와 개발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인적 능력 차이를 개인적 특성, 업무 영역, 인구통계, 학문적 능력,
프로그래밍 경험으로 나누어 29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발자들은 주어진 프로젝트를 완성한 그룹과
완성하지 못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개인적 특성과 학문적 능력에 따라
개발생산성에 차이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17
제 3 절 애자일 개발방법론 및 실천방법 소개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2001년 유타(Utah) 지역의 스키 리조트에서 가벼운


개발방법론(light weight methodology) 전문가 17명이 모여 애자일 헌장(The
Agile Manifesto)을 발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전체
계획에 따라 작업과 산출물을 개발하는 무거운 개발방법론(heavy weight
methodology)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민첩하다’는 의미로써
‘애자일’이라 지칭하고 이러한 특징을 갖는 개발방법론의 공통분모로써
애자일 헌장을 정의하였다(Schwaber, 2004). 애자일 헌장은 다음과 같이
4가지를 선언하고 있다. (1) 개인과 상호 작용이 공정과 도구보다 중요하다.
(2)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가 포괄적인 문서화보다 중요하다. (3) 고객과의
협력이 계약 협상보다 중요하다. (4) 변화에 응대하는 것이 수립된 계획을
준수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애자일 헌장에 참여했던 전문가들은 오랜 실무 경험과 수준 높은 개발


지식을 바탕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소프트웨어를 빨리 개발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노하우(know-how)가 녹아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잘 알려진 것들로는 대표적인 애자일 개발방법론이자 개발
실천방법 위주의 XP(Extreme Programming), 프로젝트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스크럼(Scrum), 기능 주도 개발(Feature Driven Development),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Agile Unified Process) 등이 있다(Cohn, 2003). 아래에서는 각각의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하여 핵심적 특징과 프로세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XP(Extreme Programming)는 1996년도에 Kent Beck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주로


엔지니어링 개발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개발방법을
적용하여 개발일정을 단축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XP는 소프트웨어

18
개발에 유용한 실천방법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XP 개발방법론이 추구하는 4가지의
핵심가치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단순성(simplicity), 피드백(feedback),
용기(courage)이다. 개발자는 XP의 4가지 핵심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14개의
실천방법을 제공한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구체적인 개발방법으로 효과가
검증된 최상의 실천방법(best practices)이다. 대부분의 애자일 실천방법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개발방법론에 있던 기법과 방법들로부터 가져온
것들이다(Beck, 1999). 가령, 고객이 비즈니스 가치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개발자가 기술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Alexander(1979)가 제시하였던
방법이다. 또한 빠른 반복적 개발은 스크럼과 Cunningham(1996)의 패턴
언어(pattern language)로부터 기원된 것이며 점진적 배포(evolutionary delivery)는
Gilb(2004)와 나선형 모델(spiral model)에 기반으로 두고 있다.
프로젝트에서 애자일 실천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XP를
개발한 Beck도 도입 초기에는 이를 부분적으로 적용할 것들을 권장하고 있다.
Grenning(2001)과 Schuh(2001)은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에 익숙하였던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 XP를 도입함에 있어서 XP의 전체 실천방법 중에서
부분적인 도입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고 언급하였다.
동일한 실천방법이라도 조직에 따라 실천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짝
프로그래밍이라는 실천방법은 적용하는 팀의 상황에 따라 매일 짝을 바꾸어
수행할 수 있고 매 시간 단위로 짝을 바뀌어 프로그래밍을 할 수도 있다.
XP의 실천방법은 XP 개발방법론의 핵심을 이루며 팀이 프로젝트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XP의 14개의 실천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본 연구모형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1) 계획 게임(planning game): 프로젝트 전체 계획과 개발주기 계획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계획은 비즈니스적인 측면,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만들어진다. 계획 게임은 고객과 개발자가 참여하여 고객은 기능 요구사항과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개발자는 구현에 필요한 기간을 산정하는 과정을 통해

19
개발주기 동안 만들어질 개발 계획을 수립한다. 계획 게임은 개발주기 동안
반복되며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 변경할 수 있다.
(2) 작은 배포(small release): 고객이 제품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짧은 주기로 기능을 개발한다. 또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자주 배포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반영하도록 한다.
(3) 단순한 설계(simple design): 복잡한 설계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표현한다.
결정되지 않은 요구사항보다는 현재까지 정해진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향후 추가적으로 변경되는 설계 과정은 리팩토링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4)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동료와 함께 짝을 이루어 개발을 하고
짝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한 사람이 개발을 하는 동안 동료는 개발
코드를 실시간으로 검증해주고 조언을 주고 받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좋은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팀 내부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5) 지속적 테스트(continuous test): 개발자들이 자동화된 단위테스트를
작성하고 수행한다.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테스트를 작성함으로써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파악해 나가도록 한다. 개발이 완료되면
자동화된 단위테스트를 통하여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졌는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6)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의 중복과 복잡성을 제거하면서 시스템의
유연성, 간결성,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코드의 내부구조와 변수,
호출관계 등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개선한다.
(7)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시스템 컴포넌트 혹은 모듈 단위로
개발된 소스 코드들은 작업이 끝날 때마다 지속적으로 통합되도록
테스트한다. 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코드를 정기적으로 통합하기 때문에
새로운 코드가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즉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들도 통합을 염두에 두고 개발을 하기 때문에 모듈 단위의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계하여 변화에 유연한 개발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8) 코드 공동 소유(collective code ownership): 프로젝트에 참여한 모든

20
개발자들이 코드에 접근할 수 있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코드는 팀 공동의 노력의 성과라는 것을 인식시키며 많은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반영하고 개선할 수 있다.
(9) 코딩 표준(coding standards): 팀에서 코드 표준을 만들어 코드를 관리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코딩 표준은 팀 내부의 코드 일관성과
가독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코드 품질을 향상시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10) 은유(metaphor): 고객과 개발자 혹은 개발자 간에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공통의 언어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도록 은유나 비유
등을 사용하거나 그림을 활용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11) 고객 참여(on-site customer): 고객을 포함한 전체 팀이 한 장소에서 함께
일하도록 한다. 개발 현장에 고객을 상주시켜 개발 과정 동안 고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고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한다.
(12) 주 40시간 근무(40-hour work): 팀의 성과를 측정하여 언제나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팀을 운영한다. 충분한 휴식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모든 팀이 최고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
전체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얻도록 만들어 준다.

XP 개발 프로세스는 고객과 함께 2~4주 정도의 짧은 반복 개발주기를 통해


테스트 주도 개발을 수행한다. 전형적인 XP 개발방법론의 개발 프로세스를
[그림 6]에서 설명하였다.

21
[그림 6] XP 개발방법론 프로세스

XP 개발 프로세스는 고객이 요구사항에 대한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를


작성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개발자들은 고객이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간을 산정한다. 만약 추정이 불분명하여 어려울
경우에는 스파이크(Spike)라는 일종의 간단한 실험이나 파일럿을 통하여
검증을 해 보도록 한다. 개발자들이 산정한 작업 기간을 바탕으로 고객은
해당 사용자 스토리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반복(iteration)을 통하여 진행된다.
반복 중에는 매일 기립회의(standup meeting)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설계와 짝 프로그래밍, 사용자 스토리의 진척 정도 등을 점검한다.
개발은 테스트 주도 개발을 적용하여 해당 모듈에 대해 결과를 체크하는
단위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 후에 메인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테스트 주도 개발은 단위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래밍과 리팩토링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XP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스크럼(Scrum)이다. 스크럼은 4주 이내의 스프린트(Sprint) 개발주기에 따라

22
동작 가능한 제품을 점진적으로 개발해나가는 프로젝트 관리 중심의
방법론이다. 스크럼이란 용어는 럭비 경기에서 반칙이나 중단 이후 경기를
다시 시작할 때 양팀 선수들이 대형을 짜는 것을 의미한다. Takeuchi and
Nonaka(1986)는 제품의 개발주기를 단축시켰던 제품 개발 프로젝트에서 작은
규모의 협업팀(cross functional team)을 럭비의 스크럼과 같은 팀 구성에
비유하였다. 스크럼의 주요한 특징은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을 먼저 개발하며
짧은 반복주기(이를 스프린트라고 하며 2~4주 이내)를 통해 고객의 피드백을
자주 반영한다는 점이다. 스프린트의 최종 결과물은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이를 사용자와 함께 검토하고 나온 피드백은 다음 스프린트
계획에 반영한다. 이러한 반복과정은 최종 요구사항이 충족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스크럼 개발방법론 프로세스는 [그림 7]에
묘사되어있다.

[그림 7] 스크럼 개발방법론 프로세스

스크럼의 개발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먼저 제품 책임자는 요구사항 목록에


우선순위를 매겨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작성한다. 스프린트
미팅(Sprint meeting)에서는 이 제품 백로그로부터 수행할 개발 항목을
결정하고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를 작성한다. 스프린트 백로그는

23
개발자들이 수행할 구체적 작업과 예상 시간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린트
개발주기 동안 스크럼 팀은 일일 스크럼 회의(Daily scrum meeting)을 갖는다.
이를 통해 스크럼 마스터는 개별 팀원에 대한 진척 상태를 확인하고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에 진척도와 남은 작업, 진행속도를 업데이트 한다.
스프린트가 종료 되면 전체 팀원들과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및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를 통해 결과물을 확인하고 문제점과
개선사항 등을 점검한다. 이러한 짧은 반복 개발주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변경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고 프로젝트의 유연성을 높인다.

스크럼에서도 다양한 실천방법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스크럼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천방법은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제품/스프린트
백로그(Product/Sprint backlog), 일일 스크럼 회의(Daily scrum meeting),
정보방열기(Information radiator), 스프린트 계획(Sprint planning), 스프린트
개발주기(Sprint development cycle),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가 있다.
아래에서 각각의 스크럼 실천방법은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1) 스크럼 마스터: 스크럼 마스터는 팀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반복적인 개발 과정에서 얻게 되는 피드백을 최대한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스크럼 마스터는 팀원들이
스크럼을 잘 수행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제거하고 팀 협업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준다.
(2) 제품 백로그: 사용자 요구기능을 우선순위와 대략적인 작업산정을 담고
있는 요구사항 문서이다. [그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요구사항의
내역과 대략적 작업 규모 등이 포함된다.

24
[그림 8] 제품 백로그

우선순위 요구사항 요구사항 내역 작성일 작성자 작업크기 비고


예약시간은
사용자가 예약한
HH:MM
1 예약전송 시간에 메시지 10/21 황순삼 2일
체계로 표현
자동 전송 수행
(예: 15:30)

스프린트 백로그는 [그림 9]와 같이 스프린트에서 구현할 기능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작업항목, 작업자, 작업산정시간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정과 자원, 진행상황을 파악하여 스프린트 개발주기 동안 진척관리를 위해
활용된다.
[그림 9] 스프린트 백로그
작업산정
요구기능 작업항목 작업자
(시간)
1. 예약 시간 입력 화면 개발 홍길동 0.5 시간

예약 전송 2. 예약 시간 완료 메시지 창 개발 홍길동 0.5 시간


3. 예약 시간 입력 error checking
홍길동 1 시간
로직 개발

(3) 일일 스크럼 회의: 매일 팀원들과 같은 시간에 일일 스크럼 미팅을


통해 어제 한 일과 오늘 할 일 그리고 장애가 되는 일 세 가지를 서로
공유하는 업무 미팅이다. 일일 스크럼 회의는 30분 이내로 진행하며
프로젝트의 진척 현황을 파악하고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4) 정보방열기: 작업진척 현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데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팀원들간에 공유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의미한다. [그림 10]은
정보방열기의 실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당 스프린트에서
작업할 목록과 수행중인 작업, 완료된 작업목록을 구분하여 등록하고 번다운
차트를 통해 진척 현황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또한 작업 현황뿐 아니라

25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공유하여 팀 내에서 정보가 투명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림 10] 정보방열기(information radiator)

제품 번다운 완료된
수행할
백로그 차트 작업내역
작업내역

(5) 스프린트 계획: 스프린트 미팅을 통하여 개발주기 동안 개발할 작업


목록과 작업자, 예상작업시간을 수립한다. 개발자는 자율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선택하고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정하며 제품 책임자는
스프린트 주기 동안 최대한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6) 스프린트 개발주기: 최대한 한달 이내에 출시한 가능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스프린트 개발주기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2~4주 이내의 짧은
스프린트 개발주기를 사용하며 개발주기 동안에는 요구사항을 변경하지

26
않도록 한다.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더라도 개발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다음
스프린트 계획에 이를 반영하도록 한다.
(7) 스프린트 회고: 스프린트가 완료되면 개발된 제품을 고객에게 데모하고
고객의 의견을 수렴한다. 스프린트 회고에서는 팀원들과 함께 스프린트
개발주기 동안 발생한 일과 느낀 점, 방해가 되었던 사항, 향후 개선할 사항
등을 토론하고 결과를 다음 스프린트에서 반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팀
내부의 그룹회의이다. 회고를 통해 모든 팀원이 함께 수행한 스프린트로부터
경험을 공유하고 의견을 모을 수 있도록 한다.

스크럼은 개발보다는 프로젝트 관리 위주로 실천방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에 관련된 실천방법은 어떤 것이든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팀원의 역할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스크럼 마스터는 팀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팀 스스로 조직을 운영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자기 조직화된 팀이라 하는데 스크럼 마스터는
프로젝트 관리자라기보다는 코치로써 활동하는 것이다(Schwaber & Beedle,
2001). Rising & Janof(2000)은 스크럼은 팀원 간의 직접적인 대화와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요구하므로 대규모의 복잡한 프로젝트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팀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증가시키고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고 하였다.
XP 개발방법론은 주로 개발에 관련된 실천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스크럼
개발방법론은 프로젝트 관리 위주의 실천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은 제품을 개발해 나가는 공학적인 과정과 프로젝트를
관리해 나가는 관리적인 과정이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XP나 스크럼
개발방법론 하나만 가지고는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Schwaber(1996)는 XP와
스크럼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XP@Scrum을 정의하여 [그림 11]과 같이
제시하였다. XP는 제품을 개발하고 통합하는 공학적 프로세스로, 스크럼은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관리 프레임워크이다. XP@Scrum은 XP와
스크럼의 실천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스크럼에서의 관리적 측면과

27
XP에서의 개발적 측면을 갖추기 있기 때문에 개발방법론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XP 개발방법론과 스크럼 개발방법론은 반복적
개발주기, 점진적 개발, 고객 가치, 협업과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공통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XP의 개발 실천방법을 스크럼을
통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그림 11] XP@Scrum 개발방법론 프로세스

앞서 소개한 XP, 스크럼 개발방법론에 비하여 많이 사용되진 않으나 기능


주도개발(Feature Driven Development)과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Agile Unified
Process)들도 애자일 개발방법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기능주도개발은 계획에
드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개발 시간을 최대화하는 특징을 지닌 단순하고
적용하기 쉬운 애자일 개발방법론이다. 기능주도개발에서 기능은 XP
개발방법론에서 사용자 스토리와 비슷하다. 기능주도개발에서는 대부분의
시간을 기능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사용한다. [그림 12]는 기능주도개발
개발방법론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28
[그림 12] 기능주도개발 개발방법론 프로세스

기능주도개발은 1990년대 말에 대규모의 복잡한 금융 개발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적용된 것으로 알려져있다(Coad et al., 2000). Palmer & Felsing(2002)는
기능주도개발이 새로운 프로젝트나 기존 코드가 있는 제품의 업그레이드와
같은 2차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조직에서 이를 새롭게 도입하는 경우 전체 프로젝트보다는 작은 부문에
적용하면서 전체 영역으로 넓혀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Ambler에 의하여 제시된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레임워크(framework)에 기반으로 활동과 산출물을
줄여서 만든 가벼운 개발 프로세스이다. 통합 프로세스는 초기 단계(Inception),
상세단계(Elaboration), 개발단계(Construction), 이행단계(Transition)라는
생명주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테스트 주도 개발, 애자일 모델링, 리팩토링과
같은 애자일 실천방법을 적용하여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그림 13]에서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의 개발 프로세스를 볼 수 있다.
Martin(1998)은 Rational United Process를 축소하여 애자일 개발에 적합하도록
dX라는 개발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dX는 XP의 원칙을 지키되 Rational

29
United Process의 활동을 줄여서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다만 무거운 방법론으로 알려진 통합 프로세스를 어떻게
테일러링(tailoring)하여 사용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는 제시하지 못했다.

[그림 13]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의 개발 프로세스

위에서 살펴본 애자일 개발방법론들의 주요 특징과 제약사항들을 [표 1]에


정리하였다(Award, 2005).

30
[표 1]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주요 특징과 제약사항
애자일
개발방법론 주요 특징 제약사항

- 고객 주도 개발 - 개별 개발자를 위한 다양한
- 작은 개발 팀 개발 실천방법을 제시하고 있
XP
- 개발 위주의 실천방법 으나 관리 실천방법이
- 대표적 애자일 개발방법론 부족하고 전체적인 통합
관점이 제시 되지 못함
- 독립적인 소규모의 - 스프린트 개발주기는 명확
자기조직화 (self-organizing) 하지만 기능을 통합하고 승인
개발 팀 테스트를 어떻게 가져갈 것
스크럼
- 30일 이내의 스프린트 인지에 대해서는 모호함
개발주기 - 시스템 품질과 개발을 위한
- 관리 위주의 실천방법 개발 가이드가 부족함
- 적용하기 용이하며 변화에
유연 하게 대응하기 위한 팀
관리

- 5단계 프로세스로 구성 - 개발 전체 과정을 다루지


- 객체지향적 컴포넌트 기반 못하고 설계와 개발에만
개발 초점을 두어 다른 개발
기능주도개발
- 매우 짧은 개발주기 방법을 통하여 요구사항,
채용(2시간 에서 2주 단위) 테스트와 같은 활동을
- 기능과 객체 모델링을 보완해야 함
통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

31
- United process에 기반한 - 통합 프로세스를 어떻게
전체 개발 프로세스를 제공 테일러링(tailoring) 할지에
- 주로 XP 기반의 애자일 대한 가이드 가 없기 때문에
애자일 통합
실천 방법을 United process에 무거운 프로세스가 될 수
프로세스
따라 적용하는 방식 있음
- 대규모 프로젝트에도 적용 - 변화에 대한 대응이나
가능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 가 부족함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오랫동안 사용한 2명의 전문가와 5명의 애자일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직접적인 대화와
전화를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들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ƒ 본인이 사용하거나 관찰해 본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무엇인가?
ƒ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ƒ 사용하였던 애자일 실천방법은 무엇인가?
ƒ 추천하고 싶은 애자일 실천방법이 있는가?

인터뷰 대상자들은 국내에서 사용해보거나 관찰해 본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XP 개발방법론, 스크럼 개발방법론과 XP + 스크럼 복합 개발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XP와 스크럼을 제외한 애자일
개발방법론들은 구체적 실천방법과 프로세스가 명확하지 않고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부족하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장점으로는 협업성 향상, 투명한


정보 공유, 조기 위험 발견, 지속적인 개발 속도 유지, 프로젝트의 생산성 및
시스템 품질 향상 등이 지적되었다. 반면 단점으로는 투명한 정보 공유로
개발자의 부담감 증가, 테스트 및 출시(release) 관리 어려움, 의사소통에 많은

32
시간이 소모되며 명확한 가이드가 부족하여 도입 초기에 시행착오가 많다고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수행이 어려워 과거로 복귀하거나 생략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들이 지적되었다.

사용하였던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해서는 고객 참여, 정보방열기, 동일 근무


장소,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일일 스크럼 미팅, 짝 프로그래밍, 테스트
주도 개발, 리팩토링, 코드 공유, 지속적 통합, 짧은 반복 개발주기, 회고,
자동화된 승인/단위 테스트 등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추가적으로 코드
검토, 코드 주석, 코딩 표준화 등도 사용하였던 실천방법으로 응답되었다.

추천하고 싶은 애자일 실천방법 중에서 가장 많은 의견이 나온 것은 테스트


주도 개발과 회고였다. 아울러 정보방열기, 지속적 통합, 자동화된 단위/승인
테스트, 일일 스크럼 미팅, 짝 프로그래밍, 동일 근무 장소도 추천하는
애자일 실천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아울러 이슈와 요구사항을 관리하기 위한
Trac이나 Bugzilla, Source Code Management(소스 코드 관리) 도구인
Subversion이나 CVS(Concurrent Versions System), 지속적 통합 빌드 도구인
Maven, Hudson, 그리고 자료와 문서 공유를 위한 Wiki 등과 같은 개발 관리
도구들도 실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써 추천되었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14가지의 실천방법에 대하여


실천방법의 목적과 특성을 기준으로 개발에 관련된 7개의 항목과 관리에
관련된 7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 2]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XP는 개발 실천방법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스크럼은 관리
실천방법 위주로 구성되어있다. 두 개발방법론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실천방법은 4개가 있다.

33
[표 2]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실천방법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 (7개) 개발 실천수준 (7개)
개발방법론
-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 코드 공유
- 고객참여
XP - 짝 프로그래밍
-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 테스트 주도 개발
- 회고 - 리팩토링
스크럼 - 정보방열기
- 일일 스크럼 미팅

- 게임 계획/스프린트 - 지속적 통합
계획
공통
- 동일 장소 근무
- 짧은 반복 개발주기

34
제 4 절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선행 연구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소개하거나 개발방법론 자체의 유용성을 보여주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Schwaber(1995)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은 정해진 프로세스를 따라서
개발하기보다는 경험적 프로세스(empirical process)를 통해 짧은 반복 주기로
개발 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는 스크럼과 같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경험적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정확하게 개발 일정을 산정하고
위험을 줄여나갈 수 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Cockburn(2001)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있어서 인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애자일 개발 환경에서 개인의 역량이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적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개인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 환경을
가져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인적 요인 외에도 애자일 도입을 위하여 조직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 연구도 있었다. Cohn(2003)은 계획 중심의 방법론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으로의 전환은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관련 개발 조직과
상위관리자에게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도입을 위하여
다른 조직과의 협업 방식, 상위관리자 보고, 프로젝트 관리,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점과 대안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Subramaniam &
Hunt(2005)은 기존의 개발방법론들이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자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 그들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팀원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소개와 함께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한계점을


제시한 연구들도 이루어졌다. Awad(2005)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무거운 기존

35
방법론에 비해 대규모 조직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투입되는 자원의 능력에
지나치게 의존적이며 화면 설계와 같은 사용자 측면의 고려가 부족하다고
제시하였다. Gilb(2004)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한계점을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품질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 속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요즘과 같이 경쟁이 치열한 환경 속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성능과 품질에 대한 정량적 측정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Marçal et al.(2008)은 세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개발방법론을
비교하였다. 그는 무거운 프로세스 개선 모델로 잘 알려진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품질개선 프레임워크와 스크럼을 일대일로 비교
평가하여 스크럼 개발방법론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CMMI의 한 영역인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보면 스크럼 개발방법론은 프로젝트 산정과 비용
예측, 위험관리, 비용 수립과 통제, 프로젝트 데이터 관리, 프로젝트 통합
관리 등에 대한 실천방법의 부족으로 인하여 Level 3 이상의 프로세스
성숙도를 충족시키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한계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미흡하였다. 예를 들면,
애자일 개발방법론 측정이 약하다는 주장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관점과
기준에서 부족한지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CMMI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무거운 개발방법론의 관점에서 비교 평가하였기 때문에 애자일 개발방법론
고유의 특성과 가능성이 간과되기도 하였다(황순삼 등, 2008).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함에 따라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실증연구들도 제시되고 있다.
실증연구에 따르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함에 따라,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만족도가 증가하고 업무성과가 향상된다고 하였다(Mannaro et
al., 2004; Mann & Maurer, 2005; Ilieva et al., 2004; Succi et al., 2002; Law & Charron,
2005). Mannaro et al.(2004)은 애자일 개발방법론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애자일 사용자가 다른 개발방법론 사용자보다 업무만족도,

36
생산성, 동기부여가 향상되었다고 제시하였다. Melnik and Maurer(2006)은
459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다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를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가 다른 개발방법론 사용자보다 높은
업무만족도를 보였으며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오래 사용할수록 업무만족도가
증가하였다고 제시하였다. Mann & Maurer(2005)는 한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스크럼을 도입한 이후 2년 간의 프로젝트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개발자의
초과근무(over-time)가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개발 속도와 패턴이 안정화되어
프로젝트 진행이 수월해지고 고객만족도가 증가하였다고 언급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투입공수 절감과 같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도 제시되었다. Maurer &
Martel(2002)과 Muller & Padberg(2002)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사용하는 것이
개발생산성 향상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Ilieva et al.(2004)은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 XP 개발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는 eXPERT라는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폭포수 방식의 기존 개발방법론 간의 개발생산성(productivity),
투입 공수 절감율(effort reduction), 결함 제거율(defects reduction)을 비교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eXPERT라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기존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프로젝트보다 개발생산성은 42%,
투입 공수 절감율은 12%, 결함 제거율은 14%가 향상되었다고 제시하였다.
Erdogmus & Williams(2003)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사용이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언급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기업의 성과차원에서 분석하려는 연구도 있다.


David(2006)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고객 참여, 반복적 개발, 자율적 조직
관리, 유연성을 독립변수로 정의하여 이들 변수들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켜
기업의 성과와 기업의 크기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다만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개념적 연구모형만 제시하여 이를

37
실제로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Succi et al.(2002)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구체적 실천방법과 업무만족도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그는 XP 개발방법론의 짝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108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짝 프로그래밍이
개발자의 업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XP의
여러 가지 실천방법 중에서 짝 프로그래밍만을 분석하였으며
개발업무성과들은 고려하지 못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팀워크와 협력성과 같은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Law & Charron(2005)은 TransCanada라는
운송회사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현장 적용사례(case study)를 통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팀원 간의 협력성과 팀워크를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개발자들이 학습과 자율성, 협업성을 통해 동기부여가
높아진다고 제시하였다. 다만 현장 적용사례 연구로써 연구자의 관측
결과만을 제시한 것이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개발자의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은 검증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면, 개발자에게 동기부여는


업무만족도와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금전적
보상이나 동료와의 관계보다는 업무 자체가 가장 중요한 동기부여 요인임을
파악하였다. 직무특성모형은 직무특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잘
설명해주고 있어 많은 실증 연구에서도 사용되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도입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들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업무만족도, 개발업무성과, 조직의 협업성을 향상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기여한다고 제시하였다.

38
제 3 장 연구 모형

앞 장에서는 직무특성모형을 기반으로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개발업무성과


향상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개발자는 수행하는 직무로부터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실천방법을 이해하고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실증 사례를 통하여 개발업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제 1 절에서는 연구모형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연구 목적에
따라 2단계로 나누어 수립한다. 1단계에서는 개발방법론이 개발자의 동기부여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2 단계에서는 애자일
실천방법을 사용하는 수준이 개발자의 동기부여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것이다. 제 2 절에서는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가설을 도출한다. 제 3 절에서는 실증 연구에 필요한 연구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를 내린다. 제 4 절에서는 가설을 실증하기 위해
표본의 설정과 설문항목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절 연구모형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1단계 연구모형은 [그림 14]와 같이 수립하였다. 1단계
연구모형은 개발직무특성이 직무의 동기부여 수준과 업무성과에 관련이
있다는 직무특성모형에 바탕을 두고 있다. 개발 프로세스와 개발 방법은
개발방법론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발직무에 영향을 주어 개발업무성과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개발자의 직무특성에 대한 전반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로는
개발업무성과로써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설정하였다. 개발자의 직무특성에 개발방법론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개발방법론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개발방법론의

39
유형은 개발접근방식에 따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 애자일 개발방법론으로 구분하였다.

개발직무특성은 직무특성모형에 따라 기술다양성, 업무중요성, 업무정체성,


자율성,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이들 개발직무특성은 개발자의 심리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Fried and Ferris, 1987). 본 연구에서는 개발직무특성 자체로는 작업자가
업무에 대하여 느끼는 전반적인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직무의 MPS를
활용하고자 한다(Kulik & Oldman, 1987).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자가
개발직무로부터 느끼게 되는 잠재적인 동기부여 수준으로 개발직무특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종속변수는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이다. 이는 프로젝트의 보편적인 성과변수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Linberg, 1999) 기존의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실증 연구에서도
성과변수로 사용되었다(Mannaro et al., 2004; Ilieva et al., 2004; Mann & Maurer,
2005). 본 연구모형에서 기존의 실증연구와 동일한 연구변수를 사용하는 것은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40
[그림 14] 개발방법론과 직무 및 업무성과에 대한 연구모형(1단계)

개발업무성과

개발생산성
H1 H2
개발직무의
개발방법론 유형
잠재적 동기지수
(Motivating
Potential Score)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2단계 연구모형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애자일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및 개발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애자일 실천방법의 실행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개발자를 위한 구체적인 지침이자 효과가 검증된 최상의
개발기법이다(Beck, 1999).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실천방법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천방법은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일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더라도 실천방법을
모두 적용하는 것이 아니며 프로젝트에 따라 이를 수행하는 수준에도 차이가
있다(Grenning, 2001; Schuh, 2001). 아울러 애자일 실천방법은 수행하는 목적과
대상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관리 실천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 실천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서 개발자들이 어떤 애자일
실천방법을 사용하는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개발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쳐 개발업무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41
위하여 [그림 15]와 같이 2단계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15] 애자일 실천방안과 직무 및 업무성과에 대한 연구모형(2단계)

H5

개발업무성과

개발생산성
H3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
(Motivating
Potential Score) 시스템 품질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 수준
H4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H6

42
제 2 절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개발방법론이 영향을 주어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애자일 실천방법의 수준이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줄 수 있는 독립 변수로써의 역할을 밝히고
개발업무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기위해 가설들을 설정한다.

제 1 편 개발방법론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개발방법론은 개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작업 수행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자들이 정해진 단계, 절차에
표준화된 산출물을 개발해 나간다(Sasa, 1992).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 수행
방식이나 제공하는 산출물은 달라진다. 가령, 폭포수 개발방법론은 앞의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설계 과정이
완벽하게 이루어져야만 개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는 짧은 주기를 반복하며 시스템을 점증적으로 개발하기
때문에 핵심이 되는 일부분을 먼저 설계하고 개발을 통해 설계를 보완하는
과정을 반복해 나간다.

개발방법론은 업무 방식뿐만 아니라 팀의 협업과 관리 방식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경우 자율성, 피드백, 팀 협업을
강조하고 있다(Schwaber, 1996; Siakas & Siakas, 2006; Law & Charron, 2005;
Baddoo et al., 2006).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자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책임감과 자율성을 부여한다. 또한 문서보다는 직접적인 대면을 통하여
피드백을 빠르고 신속하게 주고 받는다. 그러나 구조적 개발방법론에서는
문서를 통한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각 단계 말에 산출물을 검사하여 피드백

43
주기가 느리다. 또한 정해진 단계와 계획된 작업 순서에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자율성이 줄어들거나 작업 결과에 대한 책임감이 낮아질 수
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 개발방법론을 개발직무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는 [표 2]에 정리되었다(Award, 2005).

[표 2] 개발방법론의 개발직무특성 비교

개발직무특성 구조적 개발방법론 애자일 개발방법론

기술다양성 -정해진 작업과 순서에 따라 -학습을 강조하고 지식과


요구 되는 산출물을 만들기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상호
위해 필요한 기술과 지식이 작용 기회를 자주 마련(ex. 일일
요구됨 회의, 사용자 데모, 스프린트
-역할에 따라 직무수행에 회고 등)
필요한 기술과 도구가 -활용 도구와 프로세스에
정해져 있음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시도를 허용하여 끊임없는
개선할 수 있도록 권장함
-짝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동료간의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업무정체성 -각 단계가 완료되어야 -짧은 개발 반복주기를 통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계획, 설계, 개발, 테스트라는
있기 때문에 전체 전체 주기를 한번에 수행할 수
생명주기보다는 단계별로 있으며 개발 주기 동안에는
필요한 작업자가 요구사항의 수정이나 변경을
투입됨(가령, 설계 단계는 허용하지 않아 일관된
시스템 분석가, 개발단계는 업무수행이 가능
개발자, 테스트에는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로

44
테스터가 투입) 처음부터 완료시점까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업무중요성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투명하고 개방된 정보 공유와
시스템 분석가가 설계를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작성하면 개발자 는 이에 개별 작업이 타인과 팀에
따라 정확하게 프로그램을 미치는 영향을 쉽게 인지할 수
개발해야 하는 역할 관계가 있도록 협업 환경을 제공함
명확 하게 구분됨 -고객의 가치를 우선시하며
-정해진 절차와 작업에 따라 개방되고 공유된 업무 환경을
역할별로 업무를 수행하며 통하여 개인의 성과보다는 팀
상위 작업(분석/설계)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중요시
하위 작업(개발/ 테스트)에 함
큰 영향을 미치며 중요
하게 다루어짐
자율성 -작업자가 업무를 -자기 조직화(self-organizing)를
선택하거나 결정을 내릴 수 통하여 일정 산정과 개발 작업
있는 범위가 적으며 주어진 및 방법에 있어 담당자의
작업을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의사결정을 존중하고 책임감을
수행함 높이도록 함
-각 작업의 산출물과 -스크럼 마스터는 지시나
문서화에 대한 부담이 크며 통제보다는 팀원의 참여와
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제가 강함 배려함

피드백 -개발이 완료되어야 고객이 -짧은 개발주기를 통하여


개발된 제품을 확인할 수 제품을 점진적으로 통합하며
있어 프로젝트 후반에 가서 개발주기마다 고객 피드백을
변경 등의 고객 피드백이 반영할 수 있도록 함

45
이루어짐 -일일 회의를 통하여 매일
-각 단계 종료시점에 진행사항을 확인하고
산출물과 문서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진척사항을 공유
검수를 통하여 이해 -개발주기마다 회고를 통하여
관계자의 피드백을 받음 업무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개발자는 시스템 테스트를 고찰을 통해 프로세스를
통해 구현된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감
통합하고 고객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음

[표 2]는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 개발방법론을 비교하여


개발직무특성에서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개발직무특성은 개발자의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무의 MPS를 향상시킬 수 있다(Hackman
& Oldham, 1975). 또한 개발직무특성에서 자율서와 피드백은 다른
개발직무특성에 비하여 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Fried and Ferris, 1987). 이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살펴볼 때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개발방법론보다 개발직무의 MPS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개발자에 대한 자율성과 짧은 반복적 개발은 피드백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특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1: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핵심직무특성을 많이 보유하는 직무를 가지고 있는 작업자는 동기부여와


업무성과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ackman & Oldham, 1975; Fried and Ferris,
1987; 이수화, 2006). Fried and Ferris(1987)는 직무의 MPS와 업무성과에는

46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 개발직무의 MPS가 높아지면 업무성과가
향상된다고 하였다. Eby & Freeman(1999)는 개발자가 직무에서 동기부여를
느끼게 되면 업무만족도가 증가하고 관리 감독이 덜 요구된다고 하였다.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업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Wilson & Hall, 1998; Wilson et al., 2000).
Cockburn(2001)은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개인의 역량이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적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 환경을 가져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Kerstin & Errikos(2006)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구사항을 수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만족도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Baddoo et al.(2006)은 개발자의
높은 동기부여는 개발자의 생산성이나 시스템 품질 수준과 같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직무의 MPS가 높아질수록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수립하였다.

H 2: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2: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3: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방방법론을 적용하는 경우 개발업무성과가 향상되었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어있다(Mannaro et al., 2004; Mann & Maurer, 2005; Ilieva et
al., 2004; Succi et al., 2002; Law & Charron, 20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이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업무만족도,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과 같은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특히

47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기존의 개발방법론과 비교하여 업무만족도와
개발업무성과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기존 개발방법론과 비교하여 개발업무성과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발방법론의 특성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5~15명 정도의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wad, 2005; Gilb, 2004). 따라서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계획과 문서 기반의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이 개인과의 상호 작용과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방법론의 특성에 따라 애자일 개발방법론,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으로 구분하여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2-4: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5: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6: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7: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8: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9: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48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0: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1: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2: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 2 편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실천방법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실천방법이 개발직무의 MPS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애자일 개발자를 위한 구체적인
실무지침으로 개발자가 애자일 실천방법을 수행하는 것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전문가들의 오랜
경험이 반영되어 효과가 검증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애자일 실천방법의
실행수준이 높을수록 개발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실천방법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관리와 개발 실천방법으로
구분하였다. 관리 실천방법은 주로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하여 의사소통을
높이고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수행하는 실천방법으로 구성된다. 개발
실천방법은 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점검하여 이를 통제하여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실천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개발직무는 관리보다는 개발
실천방법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개발 실천수준이 관리
실천수준보다 개발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H 3: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49
H 4: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더라도 애자일


실천방법은 전부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적용하게
된다(Grenning, 2001; Schuh, 2001). 또한 애자일 실천방법은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주도 실천방법을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테스트 코드를 추가로 개발하기 때문에 오히려 개발생산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개발자에게 테스트를 먼저 계획하고 개발하는 방식은 익숙한
개발방식이 아니므로 개발자의 업무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개발 실천방법과 관리 실천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발 실천방법은 주로 테스트와 개발에 관련된 활동으로 이루어진 반면 관리
실천방법은 주로 의사소통과 관리에 관련된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발
혹은 관리와 같은 실천방법의 목적에 따라 개발업무성과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테스트와 개발에 관련된 개발 실천방법들은
시스템 품질 변수에 보다 큰 관련이 있는 반면 의사소통과 관리에 관련된
관리 실천방법들은 개발생산성에 보다 많은 관련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Succi et al.(2002)는 짝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108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짝
프로그래밍이 개발자의 업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Maurer& Martel(2006)은 XP 개발방법론에서 짝 프로그래밍, 테스트 주도 개발,
자동화된 단위테스트를 애자일 파일럿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새롭게
추가된 코드는 66%가 증가하였으며 신규 메소드(method)는 302%가 증가하고
신규 클래스(class)는 282%가 추가되어 프로젝트의 개발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프로젝트 일정 관리가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들(Maurer &

50
Martel, 2002; Muller & Padberg, 2002; Ilieva et al., 2004; Erdogmus & Williams,
2003; Mann & Maurer, 2005)은 애자일 실천방법들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 5: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1: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2: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3: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1: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2: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3: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51
제 3 절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본 절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에서 사용된 연구변수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기술하고자 한다. 개발자의 직무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가지 핵심직무특성을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정의하였다. 잠재적 동기지수는
개발직무의 전반적 직무특성을 평가하고 직무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동기부여 수준을 측정한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관리 실천방법과
개발실천방법에 따라 각각 7가지의 실천방법으로 구성되며 이를 사용하는
실천수준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변수로써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변수의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개발직무특성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부여 수준(MPS)을 측정하기 위하여 핵심직무특성의
5가지 변수를 사용하였다. 직무특성모형에서 제시된 직무진단조사(JDS: Job
Diagnostic Survey)를 바탕으로 이수화(2006)가 사용한 항목에서 설문
대상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각 핵심직무특성 당 4문항씩
모두 20문항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척도는 리커트(likert)의 5점 척도( 1 =
전혀 아니다, 5 = 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1) 기술다양성
기술다양성은 개발자가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과 지식 그리고
기술의 다양한 수준을 의미한다. 아울러 프로젝트 방법론 사용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 및 기술의 다양한 요구 수준으로 정의하였다.
(2) 업무정체성
업무정체성은 개발자가 담당하는 업무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업무가 전체 작업 중에서 차지하고 있는 범위의
정도를 의미한다.
(3) 업무중요성

52
개발자의 업무가 조직 내부의 다른 구성원이나 조직 전체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직무에 대한 중요성이라고 정의하였다.
(4) 자율성
업무를 수행할 때 개발자에게 부여된 권한, 책임, 자유, 독립성으로
개발자가 업무 수행 과정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재량권의 정도를
의미한다.
(5) 피드백
개발자가 수행한 직무의 결과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직접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2.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


잠재적 동기지수(MPS)는 개발자가 직무로부터 느끼는 잠재적 동기부여
수준을 의미한다. 개발직무특성인 기술다양성, 업무정체성, 업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MPS =
[(기술다양성 + 업무정체성 + 업무중요성)/3 X 자율성 X 피드백]. MPS 공식에
따라 나올 수 있는 최소 MPS는 1이고 최대 MPS는 125이다. 일반적으로
양자의 중간 값인 62.5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직무 자체에서 느끼는
잠재적 동기부여가 높다고 볼 수 있다(이윤영, 2003).

3. 애자일 실천방법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방법이다. 본 설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인 스크럼과 XP의 실천방법에서
전문가 및 개발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로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공통적인
것을 정리하여 14가지의 실천방법을 선택하였다. 14가지 실천방법은 크게
관리와 개발 실천방법으로 구분된다. 애자일 관리 실천방법에는 고객참여,
회고, 정보방열기, 일일 스크럼 미팅, 게임 계획/스프린트 계획, 동일 장소
근무, 짧은 반복 개발주기가 속하며 애자일 개발 실천방법에는 코드 공유,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짝 프로그래밍, 리팩토링,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53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이 포함된다. 각각의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하여 5점
척도로 프로젝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각 실천방법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4. 개발업무성과
개발업무성과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얻게 되는
결과물로써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사용하였다. 개발생산성은 개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투입된 노력대비
얻는 산출물(코드 량, 업무 효율)의 수준으로 정의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은
개발된 제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느끼는 품질 수준(안정성, 신뢰성, 정확성,
반응속도)을 의미한다. 프로젝트 기간은 개발자가 제품을 사용자에게
인도까지 걸리는 기간으로 승인된 계획을 기준으로 하여 지연이나 단축과
같은 수준을 측정하였다. 유지보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제외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업무성과 측정으로
일정기간 동안 생성하는 소스코드 라인 수나 코드 라인당 오류율, 개발 등이
사용되었다(Cusumano, 1990). 그러나 Cottel(1994)는 이러한 측정지표는
복잡도나 난이도 차이가 심한 프로젝트 특성이나 개발 내용의 혁신성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제기하였다. Rasch & Tosi(1992)는
객관적 측정도구보다는 개발자가 스스로 업무성과 수준을 측정하는 주관적
측정도구가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설문자가 이전에 수행하였던
프로젝트와 비교하여 주관적인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표 3] 설문변수의 조작적 정의

변수 조작적 정의 선행 연구

- 프로젝트 팀에서 현재 Cohn(2003),


사용하고 있는 개발방법론을 Deemer&
선택하였으며 개발방법론은 Benefield(2007),

애자일 개발방법론 중에서 심화일(2007),

54
개발방법론 유형 스크럼, XP, 스크럼 + XP (복합), 기우일(1995),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객체지향 개발방법론, 컴포넌트
개발방법론으로 구분
- 측정방법: 위의 개발방법론
중에서 사용하는 개발방법론
하나를 선택
- 업무의 복잡성 및 기술 다양성, Eby &

사용하는 기술과 지식 수준, Freeman(1999),


개발 Hackman &
프로세스와 요구하는 능력 수준,
기술다양성 Oldham (1975;
직무 업무의 단순 반복 정도, 신기술과
1976; 1980),
특성 지식을 습득하는 정도
Fried and Ferris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1987)
- 전체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본인의 책임과 전체
업무정체성
과정에서 담당하는 범위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 업무를 통하여 주위(회사,


업무중요성 동료)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 업무에 대해 자신이 판단 및
수행이 가능한 정도와 의사결정에
자율성
본인이 미치는 반영 수준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55
- 동료 혹은 본인이 업무 결과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피드백
판단하는 수준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에 대한 모든 잠재적
영향력을 통합하여 지수로 표현된
잠재적
점수
동기지수
-측정방법: (기술다양성 +
업무정체성 + 업무중요성)/3 x
자율성 x 피드백

고객참여 Schwaber(2004),
Beck (2000)
정보방열기

동일 장소
근무
- XP와 스크럼 개발방법론의
애자일
회고 관리 실천방법 중에서
관리
짧은 반복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천
개발주기 실천방법의 활용 수준을 평가
방법
일일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스크럼 미팅
계획 게임/
스프린트
계획
자동화된 - XP와 스크럼 개발방법론의
승인테스트 개발 실천방법 중에서

코드 공유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56
애자일 짝 실천방법의 활용 수준을 평가
개발 프로그래밍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실천 자동화된
방법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

- 개발생산성은 개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투입된 노력대비 얻는 Cottel(1994),
Rasi &
개발생산성 산출물(코드 량, 업무 효율)의
Tosi(1992),
수준을 측정
Linberg (1999),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Mannaro et al.
- 시스템 품질 수준은 개발된 (2004), Ilieva et

제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느끼는 al. (2004),


개발 시스템 Mann & Maurer
품질 수준(안정성, 신뢰성, 정확성,
업무 (2005)
품질 수준 반응속도)
성과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57
- 프로젝트 개발 기간은
개발자가 사용자에게 인도 혹은
출시까지 걸리는 기간으로 승인된
프로젝트
계획을 기준으로 하여 지연이나
기간
단축과 같은 수준을 측정
단축 수준
(유지보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제외)
- 측정방법: 리커트식 5점 척도

58
제 4 절 표본 집단과 설문 구성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IT 기업들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국내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 도입이 빠르고 실험적 의지가
강한 웹 포탈 업계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웹 포탈 기업 두 곳과
개발방법론을 적용을 중요하게 여기는 대형 IT 서비스 기업과 기업용 패키지
개발 업체를 각각 설문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표본
집단은 웹 포탈 업체 중에서 야후코리아, 네이버 그리고 대형 IT 서비스
업체인 삼성 SDS와 기업용 패키지 개발 업체인 핸디소프트이다.
야후코리아의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 특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기존 개발방법론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네이버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있었으며 삼성
SDS와 핸디소프트는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객체지향과 컴포넌트
개발방법론들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였으며 설문 대상자에게 사전에


설문 조사에 대한 양해를 얻어 설문을 전달하였다. 주로 야후코리아의
개발자들과 방문이 가능한 개발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고 방문이 어렵고 멀리 떨어져 있는 개발자들은 온라인을 통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먼저 해당 설문 조직의 관리자에게 설문 취지를 설명한 뒤
적합한 개발자를 추천 받아 추천 대상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여 설문
조사를 의뢰하였다. 설문을 배포하기 전에 야후코리아 개발자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파일럿 설문을 수행하여 작성된 설문의 이해도와 적합성을 확인하고
보완하였다. 설문은 100부를 배포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50개를 회수하였으며

59
데이터가 불완전한 5개를 제외하였다. 온라인 상에서는 38개를 회수하여
데이터를 검증한 뒤에 32개를 통계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총 설문은 총 77개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이용된 설문항목은 총 44문항이다. 설문항목은


프로젝트에서 현재 사용하는 개발방법론과 개발방법론 사용기간과 수행한
프로젝트의 전체기간에 대하여 3문항, 애자일 사용자에게 애자일 실천방법의
사용수준에 대하여 총 14문항, 핵심직무특성에 각 4문항씩 할당하여 총
20문항, 개발업무성과에 대하여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설문자의
인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속 회사와 성별, 연령 및 IT 근무 경력에
대하여 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4]에 설문항목의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표 4] 설문항목의 구성

구 분 연구변수 설문구성항목 설문방식 설문문항

사용하는
I-1 선택형 1
개발방법론 개발방법론

사용 기간 I-2 기입형 1

수행한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I-3 선택형 1
전체기간
전체기간
고객참여 II. 1-14 5점 척도 14

정보방열기

동일 장소 근무
애자일 관리
회고
실천수준
짧은 반복
개발주기

60
일일 스크럼 미팅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짝 프로그래밍
애자일 개발
자동화된
실천수준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

기술다양성
업무정체성
핵심직무특성 업무중요성 III. 1-20 5점 척도 20
자율성
피드백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개발업무성과 IV. 1-3 5점 척도 3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소속 회사 기입형
성별 선택형
인적 정보 V. 1-4 4
연령 기입형
IT 근무 경력 선택형

61
제 4 장 실증 분석

본 장에서는 개발직무특성과 업무성과,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방법인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자 한다. 측정 척도의 신뢰도는 크롬바 알파(Cronbach's α)의 결과로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할
것이다. 성과변수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검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실천방법과 연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절 기초통계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표본의 기술적 특성을 [표 5]에 제시하였다. 총


응답자 중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50%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 중에서는
스크럼이 2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XP가 13%, 스크럼과 XP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8%이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는 43%이며 객체지향과 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각각 5%와 2%에
불과하였다. 일반적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객체지향적 개발을 하기
때문에 개발방법론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별도로 구분하여 하나만 선택하도록 하였다.

성별은 대부분 남성으로 전체의 81%를 구성하고 있다. 소속회사는 웹 포탈


기업 종사자가 76%로 가장 많았으며 SI업체가 14%, SW 패키지 개발 업체가
10%이다. 연령은 30대가 71%로 가장 많고 20대가 26%, 40대는 3%에
불과하였다. IT 근무경력은 4년 이상 ~ 7년 미만이 36%로 가장 많았으며 1년
이상 ~ 4년 미만이 29%, 7년 이상 ~ 10년 미만이 22%를 이루고 있다. 1년
미만은 8%이고 10년 이상은 5%에 불과하여 전체 응답자들의 87%는 1년
이상 ~ 10년 미만의 IT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2
[표 5] 표본의 기술적 특성

항목 빈도 퍼센트(%)

스크럼 개발방법론 (애자일) 22 29%

XP 개발방법론 (애자일) 10 13%

스크럼 + XP 개발방법론
개발 6 8%
(애자일)
방법론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33 43%
객체지향 개발방법론 4 5%
컴포넌트 개발방법론 2 2%
남자 62 81%
성별
여자 15 19%
야후코리아 46 60%
소속 네이버 12 16%
회사 삼성SDS 11 14%
핸디소프트 8 10%

20대 20 26%
연령 30대 55 71%
40대 2 3%
1년 미만 6 8%

IT 1년 이상 ~ 4년 미만 22 29%
근무 4년 이상 ~ 7년 미만 28 36%
경력 7년 이상 ~ 10년 미만 17 22%
10년 이상 4 5%

63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은 연구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법이다. 즉,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할 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고객참여 1

.636
2. 정보방열기 **
1

3. 동일 장소
.295 .174 1
근무
4. 회고 .607 .428 .327 1
** ** *
5. 짧은 반복 .512 .458 .035 .505 1
** ** **
개발주기
6. 일일 스크럼 .557 .503 .457 .574 .463 1
** ** ** ** **
미팅
7. 계획 게임/ .724 .553 .317 .685 .565 .719 1
** ** ** ** **
스프린트 계획
8. 자동화된 .086 -.047 .160 .389 .195 .228 .188 1
*
승인테스트
9. 코드 공유 .014 .052 .009 .430 .379 .169 .220 .514 1
** * **
10. 짝 .039 -.027 .229 .389 .208 .263 .170 .267 .537 1
* **
프로그래밍
11. 자동화된 .181 .138 .047 .605 .386 .342 .465 .449 .661 .267 1
** * * ** ** **
단위테스트
12. 테스트 .231 .269 .142 .477 .361 .486 .401 .369 .312 .261 .524 1
** * ** * * **
주도 개발
13. 지속적 .200 .140 .046 .596 .228 .273 .459 .325 .448 .333 .795 .617 1
** ** * ** * ** **
통합
14. 리팩토링 .313 .291 .214 .556 .235 .458 .408 .164 .232 .396 .395 .279 .516 1
** ** * * * **
15. MPS .102 .217 .214 .522 .392 .399 .327 .553 .723 .586 .551 .400 .464 .442 1
** * * * ** ** ** ** * ** **
16. 개발생산성 .150 .370 -.032 .517 .333 .429 .368 .323 .258 .023 .530 .522 .456 .497 .689 1
* ** * ** * * ** ** ** ** **
17. 시스템 .200 .139 .199 .540 .307 .411 .291 .587 .486 .319 .618 .549 .440 .516 .631 .667 1.
** * ** ** ** ** ** ** ** **
품질 수준
18. 프로젝트 .297 .202 .191 .375 .351 .359 .331 .058 .139 .076 .369 .283 .218 .416 .488 .677 .516 1
* * * * * ** ** ** **
기간 단축 수준

64
*p < .05, **p < .01

[표 6]의 결과 p < 0.01 이하의 각 변수간의 유의한 상관계수는 0.416 에서


0.795 수준이다. 특히 고객참여와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일일 스크럼
미팅과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자동화된 단위테스트와 지속적 통합, 코드
공유와 MPS간의 상관계수가 0.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요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 모든
상관계수 값이 0.80 이하이므로 측정변인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나타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강경숙, 2005).

65
제 3 절 신뢰성 분석

신뢰성(reliability)은 동일한 개념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측정했을 때 나타나는


측정값들의 분산을 의미한다. 신뢰성에는 측정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
가능성, 정확성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있다. 신뢰성 분석(reliability analysis)은
하나의 변수를 여러 문항으로 측정한 경우 측정도구가 일관성을 가지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크롬바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 분석방법(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을 실시하였다. 크롬바 알파 계수는 하나의 개념에 대해
여러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할 경우 해당 문항을 가지고 구성할 수
있는 모든 반분신뢰도를 구하고 이것의 평균치를 산출한 것이다. [표 7]의
결과 본 연구의 크롬바 알파 계수는 0.831사이에서 0.924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신뢰도 수준인 0.6 이상이므로 설문에 사용한 문항들은 충분히
신뢰가 있다고 판단된다.

[표 7] 신뢰성 분석 결과

연구변수 문항수 Cronbach’s α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 7 .868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 7 .833

MPS 20 .924
개발업무성과 3 .831

66
제 4 절 타당성 분석

타당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즉, 특정한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측정도구가 그 속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타당성은 크게
내용 타당성(content validity), 기준에 의한 타당성(criterion-related), 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타당성을 검증한다는 것은
개념 타당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요인 수로 최대한
정보손실을 막고 측정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변수들을 제거하는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요인분류를 보다 명확하게
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아이겐값(Eigen value)이 1.0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는 분석과정을 따라서 진행되었다.

핵심직무특성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과정에서 기술다양성에 속하는 2번


문항의 경우 다른 요인으로 판단되어 제외하였다. 업무정체성에 속하는 7번
문항의 경우에는 수치가 0.347로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제외하고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핵심직무특성 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는 [표
8]과 같다. 요인은 기술다양성, 업무정체성, 업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으로
분류되었으며 총 분산의 54% 수준이다.

[표 8] 핵심직무특성 변수의 요인분석

변수 1 2 3 4 5

1 .812
기술다양성 3 .783
4 .781
5 .730

67
업무정체성 6 .898

8 .819

9 .621

10 .775
업무중요성 11 .575

12 .828

13 .835

14 .868
자율성 15 .722

16 .678

17 .792

18 .636
피드백
19 .521

20 .614

아이겐값(Eigen value) 3.859 2.747 2.219 1.892 1.683

총 누적분산(Cum. Pct) 54.332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같은 요인으로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중요도가 낮은 변수(factor loading < 0.5)를 파악하였다. 또한
불필요한 변수를 제거하고 관련성을 갖고 묶인 요인들의 상호 독립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실천방법을 관리와 개발에 대한
실천수준으로 구분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표 9]와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68
[표 9]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변수 1(관리)
고객참여 26 .857
정보방열기 27 .803
동일장소근무 28 .701
회고 29 .872
짧은 반복 개발주기 30 .855
일일 스크럼 미팅 31 .864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32 .553
아이겐값(Eigen value) 4.415
총 누적분산(Cum.Pet) 63.066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에서는 고객참여, 정보방열기, 동일 장소 근무, 회고,


짧은 반복 개발주기, 일일 스크럼 미팅,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이라는
변수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에서도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짝 프로그래밍,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이 모두 유의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표 10]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변수 2(개발)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33 .698
코드 공유 34 .681
짝 프로그래밍 35 .731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36 .746
테스트 주도 개발 37 .789
지속적 통합 38 .774
리팩토링 39 .564
아이겐값(Eigen value) 3.582
총 누적분산(Cum.Pet) 51.167

69
각각의 애자일 실천방법을 살펴보면,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은 총 설명력의
63% 수준이며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총 설명력의 51%수준으로 나타났다.

70
제 5 절 연구가설의 검증

본 절에서는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애자일 실천방법을 사용하는 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개별 애자일
실천방법들이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관련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제 1 편 개발방법론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가설검증

[H 1]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H 1]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개발방법론을 애자일


개발방법론,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구분된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Levene의
통계량 유의확률이 0.377로 나타남에 따라 집단간의 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표 11]과 [표 12]에 분산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 11] 개발직무의 MPS 분산분석 평균

95% 평균
신뢰구간
표준오차 표준오차 하한
구분 N 평균 편차 오류 상한 최소값 최대값
1 38 61.824 16.634 2.698 56.357 67.291 30.48 116.77
2 33 29.813 17.406 3.030 23.641 35.985 6.89 69.00
3 6 38.857 14.736 6.016 23.392 54.321 17.08 51.56
Total 77 46.315 22.792 2.597 41.142 51.488 6.89 116.77
1. 애자일, 2. 구조적/폭포수, 3. 객체지향/컴포넌트

71
[표 12] 개발직무의 MPS 분산분석 검증 결과

구분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18460.203 2 9230.102 32.497 .000
집단-내 21018.108 74 284.028
Total 39478.312 76

[표 11]을 통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가 다른 개발방법론을


사용한 개발자들의 MPS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2]의 결과
검정통계량의 근사 유의확률이 0.01이하로 나타남에 따라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H 1]이
채택된다.

[H 1]의 검증 결과를 통해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다른 개발방법론에
비해 개발직무의 MPS가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다른 개발방법론보다 개발직무특성을 잘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율성과 피드백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했을 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과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 평균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표 11]의 결과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이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보다 다소 높은 MPS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에서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보다 좋은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 2]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72
[H 2-1]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13]과
[표 14]에 기술하였다.

[표 13]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89(a) .475 .468 .674 .475 67.736 .000

[표 13]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47.5%를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발직무의 MPS에 따라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1]이 채택된다.

[표 14]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모형 표준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031 .175 11.611 .000
MPS .028 .003 .689 8.230 .000

[H 2-2]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2]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 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 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15]와 [표 16]에 기술하였다.

73
[표 15]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31(a) .399 .391 .641 .399 49.708 .000

[표 15]의 회귀 계수는 시스템 품질 수준의 총 변동의 39.9%를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발 직무의 MPS에 따라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2]가 채택된다.

[표 16]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모형 표준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167 .166 13.030 .000
MPS .023 .003 .631 7.050 .000

[H 2-3]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3]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직무의
MPS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17]과 [표 18]에 기술하였다.

[표 17]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488(a) .238 .228 .694 .238 23.419 .000

[표 17]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23.8%를

74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발직무의 MPS에 따라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3]이
채택된다.

[표 18]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모형 표준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074 .180 11.515 .000
MPS .017 .003 .488 4.839 .000

[H 2] 검증 결과는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발직무의 MPS의 표준화된 베타 계수를 통해,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과 개발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지만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개발자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향상에는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추측된다. 즉, 프로젝트 기간 단축은 개발자보다는 개발범위 및 출시시점을
결정하는 관리자의 영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발자의 MPS가
증가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판단된다. [H 2]의 검증 결과는 프로젝트에서 개발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발직무의 MPS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직무특성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직무환경을 갖추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에서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개발방법론을 애자일 개발방법론,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75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으로 구분하고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과의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여
[표 19], [표 20], [표 21]에 각각 기술하였다.

[표 19]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변 수 1 2 3 4
MPS 1

개발생산성 .390* 1

시스템 품질 수준 .575** .555** 1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235 .568** .481** 1

*p < .05, **p < .01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는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20]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변 수 1 2 3 4

MPS 1

개발생산성 .645** 1

시스템 품질 수준 .623** .635** 1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309 .655** .427* 1

*p < .05, **p < .01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는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76
[표 21]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상관관계
변 수 1 2 3 4
MPS 1

개발생산성 .465 1

시스템 품질 수준 -.597 .000 1

프로젝트 기간 단축수준 .891* .158 -.447 1

*p < .05, **p < .01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 간의 상관계수가


0.575이고 개발생산성 간의 상관계수는 0.390이다. 그러므로 개발직무의
MPS가 증가할수록 시스템 품질 수준과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 각각 0.645와 0.623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직무의
MPS가 증가할수록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은 유의한 상관계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결과에서도 베타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다른 개발업무성과에 비하여 개발자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되었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의 상관계수가 0.891로 상당히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의 설문 표본 수가 6명으로 다른 개발방법론에

77
비하여 매우 적어 통계분석에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통해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 간에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뿐만 아니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도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주는 것은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H 2-4]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4]을 검증하기 위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22]와 [표 23]에
기술하였다.

[표 22]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390(a) .152 .129 .681 .152 6.463 .015

[표 22]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15.2%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4]가
채택된다.

78
[표 23]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애자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757 .431 6.402 .000
MPS .017 .007 .390 2.542 .015

[H 2-5]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5]를 검증하기 위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24]와
[표 25]에 기술하였다.

[표 24]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575(a) .331 .312 .536 .331 17.811 .000

[표 24]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33.1%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5]가 채택된다.

[표 25]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애자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79
상수 2.143 .339 6.323 .000
MPS .022 .005 .575 4.220 .000

[H 2-6]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6]을 검증하기 위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26]과 [표 27]에 기술하였다.

[표 26]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애자일)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235(a) .055 .029 .585 .055 2.111 .155

[표 26]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5.5%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6]은 기각된다.

[표 27]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 계수 (애자일)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638 .370 7.131 .000
MPS .008 .006 .235 1.453 .155

80
[H 2-7]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7]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28]과
[표 29]에 기술하였다.

[표 28]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45(a) .417 .398 .673 .417 22.135 .000

[표 28]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41.7%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7]이 채택된다.

[표 29]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799 .235 7.655 .000
MPS .032 .007 .645 4.705 .000

[H 2-8]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81
[H 2-8]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30]과 [표 31]에 기술하였다.

[표 30]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23(a) .389 .369 .701 .389 19.696 .000

[표 30]의 회귀계수는 시스템 품질 수준의 총 변동의 38.9%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8]이 채택된다.

[표 31]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876 .245 7.664 .000
MPS .032 .007 .623 4.438 .000

[H 2-9]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9]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간 단축

82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32]과 [표 33]에 기술하였다.

[표 32]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구조적/ 폭포수)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309(a) .095 .066 .765 .095 3.267 .080

[표 32]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9.5%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9]는 기각된다.

[표 33]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구조적/ 폭포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005 .267 7.505 .000
MPS .014 .008 .309 1.808 .080

[H 2-10]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0]을 검증하기 위하여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34]과
[표 35]에 기술하였다.

83
[표 34]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465(a) .216 .020 .511 .216 1.101 .353

[표 34]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21.6%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10]은 기각된다.

[표 35]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의 회귀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701 .638 4.233 .013
MPS .016 .016 .465 1.049 .353

[H 2-11]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1]을 검증하기 위하여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36]과 [표 37]에 기술하였다.

84
[표 36]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

R
R 수정된 추정값의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597(a) .356 .195 .491 .356 2.215 .211

[표 36]의 회귀계수는 시스템 품질 수준의 총 변동의 35.6%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11]은 기각된다.

[표 37]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의 회귀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4.362 .613 7.115 .002
MPS -.022 .015 -.597 -1.488 .211

[H 2-12]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12]를 검증하기 위하여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직무의 MPS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38]과 [표 39]에 기술하였다.

85
[표 38]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기간 단축 수준의 회귀식 검증
(객체지향/컴포넌트)
R
R 수정된 추정값의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891(a) .794 .742 .415 .794 15.399 .017

[표 38]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79.4%을


설명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2–11]은 채택된다.

[표 39]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결정계수


(객체지향/컴포넌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된 계수
모형
베타 표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415 .517 2.736 .052
MPS .049 .013 .891 3.924 .017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해 본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는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모두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의 경우,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86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모두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 1]의 검증 결과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생산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Levene의 통계량 유의확률이 0.260으로
나타남에 따라 집단간의 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표 40]과 [표 41]에 분산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 40] 개발생산성의 분산분석 평균

95% 평균
신뢰구간
표준오차 표준오차 하한
구분 N 평균 편차 오류 상한 최소값 최대값
1 38 3.82 .730 .118 3.58 4.06 3 5
2 33 2.76 .867 .151 2.45 3.07 1 4
3 6 3.33 .516 .211 2.79 3.88 3 4
Total 77 3.32 .924 .105 3.11 3.53 1 5
1.애자일, 2.구조적/폭포수, 3.객체지향/컴포넌트

[표 41] 개발생산성의 분산분석 검증 결과

구분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19.779 2 9.889 16.225 .000
집단-내 45.104 74 .610
Total 64.883 76

[표 41]의 결과 개발방법론 사용자간의 개발생산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0]의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한
개발자들의 개발생산성이 다른 개발방법론을 사용한 경우보다 개발생산성이

87
높다고 파악된다. 따라서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뿐
아니라 개발생산성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시스템 품질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Levene의 통계량 유의확률이 0.291으로
나타남에 따라 집단간의 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표 42]와 [표 43]에 분산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 42] 시스템 품질 수준의 분산분석 평균

95% 평균
신뢰구간
표준오차 표준오차 하한
구분 N 평균 편차 오류 상한 최소값 최대값
1 38 3.53 .647 .105 3.31 3.74 3 5
2 33 2.82 .882 .154 2.51 3.13 1 5
3 6 3.50 .548 .224 2.93 4.07 3 4
Total 77 3.22 .821 .094 3.03 3.41 1 5
1.애자일, 2.구조적/폭포수, 3.객체지향/컴포넌트

[표 43] 시스템 품질 수준의 분산분석 검증 결과

구분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9.364 2 4.682 8.272 .001
집단-내 41.883 74 .566
Total 51.247 76

[표 43]의 결과 개발방법론 사용자간의 시스템 품질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2]의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개발방법론보다 시스템 품질 수준이 높다고 파악된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Levene의 통계량 유의확률이
0.034로 나타남에 따라 집단간의 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다.

88
따라서 비모수통계방법인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44] 개발방법론에 따른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순위

개발방법론 N 평균 순위
프로젝트 기간 1 38 46.68
단축 수준 2 33 27.89
3 6 51.42
total 77
1. 애자일, 2.구조적/폭포수, 3.객체지향/컴포넌트

[표 45]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검정통계량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카이제곱 17.226
자유도 2
근사 유의확률 .000

[표 45]를 통하여 사용방법론에 따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4]의 결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은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이 가장 높으며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방법론간에 개발업무성과에서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개발직무의 MPS가
높을수록 개발업무성과도 향상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H 2]
검증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의 경우,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동일하였지만 개발업무성과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89
제 2 편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의 가설검증

[H 3]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 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3]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관리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개발직무의


MPS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직무의
MPS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46]과 [표 47]에 기술하였다.

[표 46]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70(a) .449 .321 13.70780 .449 3.497 .007

[표 46]의 회귀계수는 MPS의 총 변동의 44.9%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 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3]이 채택된다. 개별 관리
실천수준 중에서 개발 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객참여와 회고로 파악되었다. [표 47]에서 고객참여는 음(-)의 베타 값으로
고객참여 수준이 늘어날수록 개발직무의 MPS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90
[표 47]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8.117 15.938 1.137 .265
고객참여 -9.791 3.914 -.556 -2.502 .018
정보방열기 2.150 3.387 .116 .635 .530
동일장소근무 1.748 3.082 .091 .567 .575
회고 9.465 3.342 .559 2.832 .008
짧은 반복
5.284 3.468 .271 1.524 .138
개발주기
일일 스크럼
2.911 3.330 .188 .874 .389
미팅
계획
게임/스프린트 -.687 4.849 -.036 -.142 .888
계획

[H 4]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4]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개발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개발직무의


MPS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직무의
MPS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48]과 [표 49]에 기술하였다.

[표 48]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819(a) .671 .594 10.59852 .671 8.734 .000

[표 48]의 회귀계수는 MPS의 총 변동의 67.1%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 직무의 MPS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4]이 채택된다. 개별 개발

91
실천수준 중에서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코드
공유로 파악되었다.

[표 49]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8.836 6.267 4.601 .000
자동화된
2.747 1.640 .213 1.675 .104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6.318 2.589 .438 2.440 .021
짝 프로그래밍 2.918 2.124 .194 1.374 .180
자동화된
.292 2.875 .023 .102 .920
단위테스트
테스트
1.320 1.870 .097 .705 .486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775 2.685 -.060 -.289 .775
리팩토링 3.595 2.090 .223 1.720 .096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과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애자일 관리와 개발 실천방법에 대한 평균값을
독립변수로, 개발직무의 MPS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직무의 MPS에 영향을 미치는 애자일 관리와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50]과 [표
51]에 기술하였다.

[표 50] 관리 및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881(a) .776 .763 8.10682 .776 60.511 .000

[표 50]의 회귀계수는 MPS의 총 변동의 77.6%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표 51]에서 애자일 관리와 개발 실천수준의 표준화된

92
베타 계수 값을 비교하여 보면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의 베타 값이 0.521로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의 베타 값인 0.443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발직무의 MPS에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1] 관리 및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모형
베타 표준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713 7.425 -.096 .924
애자일 관리
10.679 2.592 .443 4.120 .000
실천수준
애자일 개발
10.918 2.250 .521 4.852 .000
실천수준

[H 5]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1]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1]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관리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52]과 [표 53]에 기술하였다.

[표 52]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711(a) .505 .390 .570 .505 4.377 .002

93
[표 52]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50.5%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5-1]이 채택된다. 개별 관리
실천수준 중에서 개발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참여와
회고이다. [표 53]에서 고객참여는 음(-)의 베타 값으로 고객참여 수준이
늘어날수록 개발생산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객과의 의사소통과 피드백이 증가하면 요구사항의 변경이 늘어난다.
따라서 고객참여는 관련 회의 증가와 같은 업무 이외의 활동이 증가하여
개발생산성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53] 관리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700 .663 4.074 .000
고객참여 -.410 .163 -.530 -2.517 .017
정보방열기 .264 .141 .326 1.873 .071
동일장소근무 -.240 .128 -.284 -1.874 .071
회고 .434 .139 .585 3.125 .004
짧은 반복
.003 .144 .003 .019 .985
개발주기
일일 스크럼
.234 .139 .345 1.691 .101
미팅
계획
게임/스프린트 .009 .202 .011 .046 .964
계획

94
[H 5-2]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2]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관리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54]과 [표 55]에 기술하였다.

[표 54] 관리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16(a) .380 .235 .566 .380 2.622 .031

[표 54]의 회귀계수는 시스템 품질 수준의 총 변동의 38.0%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5-2]이 채택된다. 개별
관리 실천수준 중에서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고이다. 따라서 회고의 실천수준이 높아질수록 시스템 품질 수준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5] 관리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340 .658 3.557 .001
고객참여 -.114 .162 -.167 -.708 .484
정보방열기 -.067 .140 -.093 -.480 .634
동일장소근무 -.009 .127 -.011 -.067 .947
회고 .400 .138 .608 2.903 .007
짧은 반복
.090 .143 .118 .627 .536
개발주기

95
일일 스크럼 미팅 .204 .137 .340 1.487 .148
계획
-.194 .200 -.261 -.970 .340
게임/스프린트계획

[H 5-3]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3]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관리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관리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56]과 [표 57]에 기술하였다.

[표 56] 관리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448(a) .201 .014 .590 .201 1.076 .403

[표 56]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20.1%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5-3]이 기각된다. 개별 관리 실천수준 중에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리
실천수준은 주로 팀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프로젝트 위험을 줄이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96
[표 57] 관리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782 .686 2.599 .014
고객참여 .027 .168 .044 .163 .872
정보방열기 -.048 .146 -.072 -.327 .746
동일장소근무 .041 .133 .059 .307 .761
회고 .115 .144 .190 .801 .430
짧은 반복 개발주기 .150 .149 .215 1.004 .324
일일 스크럼 미팅 .098 .143 .177 .681 .501
계획게임/스프린트계획 -.040 .209 -.058 -.192 .849

[H 6]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1]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1]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개발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개발생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58]과 [표 59]에 기술하였다.

[표 58]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743(a) .552 .447 .543 .552 5.271 .001

[표 58]의 회귀계수는 개발생산성의 총 변동의 55.2%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6-1]이 채택된다. 개별 개발
실천수준 중에서 개발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테스트 주도

97
개발과 리팩토링이다. 따라서 개발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테스트 주도
개발과 리팩토링 실천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표 59] 개발 실천수준과 개발생산성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285 .321 7.118 .000
자동화된
.051 .084 .091 .611 .546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010 .133 .015 .073 .942
짝 프로그래밍 -.208 .109 -.315 -1.908 .066
자동화된
.213 .147 .381 1.449 .158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238 .096 .400 2.488 .019
개발
지속적 통합 .156 .137 .274 1.132 .267
리팩토링 .341 .107 .482 3.189 .003

[H 6-2]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2]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개발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시스템 품질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60]과 [표 61]에 기술하였다.

[표 60] 개발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839(a) .703 .634 .391 .703 10.151 .000

[표 60]의 회귀계수는 시스템 품질 수준의 총 변동의 70.3%를 설명하고

98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6-2]가 채택된다. 개별
개발 실천수준 중에서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이다. 자동화된 승인테스트와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은 테스트 관련 활동으로 애자일 프로젝트에서는 테스트 주도 개발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리팩토링과 단위 및 승인 테스트의
자동화를 통하여 오류를 즉시 발견하여 제거함으로써 시스템 품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 61] 개발 실천수준과 시스템 품질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1.927 .231 8.326 .000
자동화된
.159 .061 .316 2.619 .014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017 .096 -.029 -.173 .864
짝 프로그래밍 .013 .078 .022 .161 .874
자동화된
.284 .106 .573 2.678 .012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189 .069 .357 2.730 .010
개발
지속적 통합 .276 .099 .549 2.788 .009
리팩토링 .263 .077 .420 3.411 .002

[H 6-3]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3]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 개발 실천수준을 독립변수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개발 실천수준에 대한

99
회귀식의 유의성과 회귀식의 결정계수를 [표 62]과 [표 63]에 기술하였다.

[표 62] 개발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식 검증

R 수정된 추정값의 R 제곱 F
모형 R 제곱 R 제곱 표준오차 변화량 변화량 유의확률
1
.605(a) .366 .218 .525 .366 2.475 .039

[표 62]의 회귀계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총 변동의 36.6%를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 6-3]이
채택된다. 개별 개발 실천수준 중에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으로
파악된다.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은 빠른 피드백을
통해 코드의 오류를 즉시 발견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디버깅에 걸리는
시간과 오류를 수정하는데 복잡해지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표 63] 개발 실천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관계에서 회귀 결정계수

표준화된
비표준화 계수 계수
표준
모형 베타 오차 베타 T 유의확률
상수 2.173 .311 6.998 .000
자동화된
-.071 .081 -.154 -.870 .391
승인테스트
코드 공유 -.078 .128 -.151 -.606 .549
짝 프로그래밍 -.020 .105 -.037 -.189 .852
자동화된
.333 .142 .731 2.338 .026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137 .093 .283 1.480 .149
개발
지속적 통합 .297 .133 .642 2.232 .033
리팩토링 .261 .104 .454 2.523 .017

100
[표 64]는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가설 2-6, 2-9,
2-10, 2-11, 5-3은 기각되었으며 나머지 가설들은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H 1과
H 2는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과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결과이며 가설 H 3에서 H 6은 애자일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이다.

[표 64] 연구 가설검증의 결과 요약
가설기호 가 설 내 용 결과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에는 차이가 있을
H1 채택
것이다.
개발직무의 MPS는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일부
H2
것이다. 기각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H2-1 채택
것이다.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H2-2 채택
미칠 것이다.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H2-3 채택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에


H2-4 채택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품질
H2-5 채택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H2-6 기각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구조적/ 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H2-7 채택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101
구조적/ 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시스템
H2-8 채택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구조적/ 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H2-9 기각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H2-10 기각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H2-11 기각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H2-12 채택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H3 채택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


H4 채택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일부
H5
미칠 것이다. 기각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H5-1 채택
미칠 것이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H5-2 채택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H5-3 기각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H6 채택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H6-1 채택
미칠 것이다.

H6-2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시스템 품질 수준에 긍정적 채택

102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H6-3 채택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103
제 6 절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앞 절에서는 애자일 실천수준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러나 다중
회귀분석으로는 변수 간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분석하고 전체 변수간의
인과관계(causality)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제 6절에서는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모형을 수립하여 애자일 실천방법에
따라 개별 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변수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은 AMOS 7.0을 사용한다. 우선 14개의
애자일 실천방법 변수가 관리와 개발이라는 잠재변인에 대하여 단일
차원성을 형성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표 65] 애자일 실천수준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표준오차


(요인부하량)
고객참여 <- 관리
1.000 .783*** - -
정보방열기 <- 관리
.770 .632*** 3.950 .195
동일장소근무 <- 관리
.429 .367* 2.190 .196
회고 <- 관리
1.034 .778*** 5.057 .204
짧은반복개발주기 <- 관리
.728 .631*** 3.943 .185
일일스크럼미팅 <- 관리
1.123 .772*** 5.012 .224
계획게임/스프린트계획<-관리
1.066 .907*** 6.072 .176
자동화된승인테스트 <- 개발
1.000 .483*** - -

104
코드공유 <- 개발
1.202 .649** 2.677 .449
짝프로그래밍 <- 개발
.713 .401* 1.984 .359
자동화된단위테스트 <- 개발
1.885 .902** 3.057 .617
테스트주도개발 <- 개발
1.244 .633** 2.642 .471
지속적통합 <- 개발
1.777 .863** 3.021 .588
리팩토링 <- 개발
.839 .507* 2.327 .360
*p < .05, **p < .01, ***p < .001

[표 65]의 결과를 살펴보면, 관측변수 항목들이 잠재변수들에 대해


요인부하량(λ )이 대부분 0.3이상을 보인다. 또한 모든 경로에서의 t값이
유의수준 95%에서 1.965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에 대하여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관측변수로는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고객참여, 회고, 일일 스크럼
미팅으로 나타났다. 반면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에 대하여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관측변수로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지속적 통합이 있다.
관측변수와 잠재변수의 관계는 [그림 16]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애자일 실천방법의 적합도 측정결과는 [표 66]에


제시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카이 제곱/자유도(x²/df)가 5이하이면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이순묵, 1990).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의 카이 제곱
검정은 1.432으로 모형과 자료간의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요인
별로 측정모형을 도출할 수 있는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105
[표 66] 확인적 요인분석의 부합지수

x² Df P x²/ GFI AGFI RMR CFI RMSEA


df
108.865 76 .008 1.432 .740 .640 .130 .863 .108

위와 같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검증된 애자일 실천방법 변수들을


토대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애자일 실천방법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림 16] 애자일 실천방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106
구조방정식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구조모델의 수용도와 적합도를
확인 해야 한다.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검정에는 카이 제곱 검정을
사용하며 x² 값이 작을수록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적합하다고 본다.
노형진(2002)에 따르면 검정이란 연구모델로의 올바르지 않음을 판단해주는
위험성을 확률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모델을 판별할 경우 카이
제곱 검정뿐 아니라 몇 가지 다른 복합지수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기초부합지수(GFI:


Goodness of Fit Index)와 조정부합지수(AGFI: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모집단 원소간 평균차이(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비교부합지수(CFI: Comparative Fit Index), 원소간 평균차이(RMR: Root Mean
square Resident)등을 이용한다. GFI, AGFI, CFI는 0.9 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로
간주되며, RMR는 0.05 이하일수록 좋은 적합지수를 나타낸다. 연구모델의
복잡성을 조절하는 RMSEA는 0.5 이하면 좋은 적합도, 0.10 이상이면 나쁜
적합도이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 검정과 적합도를 판별하기 위한 적합도 지수는 [표
67]과 같다. 우선 x²(카이 제곱 값): 250.373, df(자유도): 134, x² 에 대한
유의수준은 99%에서 1.868로 높은 적합도를 보여준다. 다만 카이 제곱의
유의확률이 유의수준인 0.05에 이르지 못하지만 이는 90%이상의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보편적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67]의
결과 그 밖의 적합도 지수는 GFI: 0.599, AGFI: 0.489, RMSEA: 0.153, RMR:
1.366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기준으로 삼고 있는
적합도지표에 따르면 GFI와 ACFI는 0.90 보다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값은 모두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CFI도 0.90
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로 판정하는데 제시된 모형의 수치는 0.671로써
적합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초기 연구 모형의 적합도가 좋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 모델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본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정하고자 한다.

107
연구모형의 수정은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를 이용한다. 수정지수란
공분산경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나의 경로계수를 증가시켜 자유도와 카이
제곱 값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AMOS 7.0에서는 수정지수의 한계값을
‘4’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4’이상의 값을 보이는 오차항들을 연결하여
공분산을 자유롭게 만들고 모델의 적합도를 높인다(김계수, 2004; 홍세희,
2000). 따라서 본 연구 모형에서도 오차항 간의 수정지수가 ‘4’를 초과하는
것들을 대상으로 높은 상관관계와 내용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오차항을
연결하였다. 그 결과 코드 공유와 지속적 통합, 짝 프로그래밍과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자동화된 단위테스트와 지속적 통합, 그리고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 시스템 품질 수준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개발생산성과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오차항을 연결하였다. [그림 18]은
설정된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표 67]에 따르면 x²(카이 제곱 값): 158.840, df(자유도): 120, x²/df = 1.324라는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보이며 그 밖의 적합도 지수는 GFI: 0.740, AGFI: 0.630,
RMR: 0.388로 일반적인 적합도 기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강력하게 추천 받고 있는
지수인 CFI와 RMSEA를 살펴보면(홍세희, 2000), CFI: 0.890과 RMSEA:
0.94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RMSEA가 0.10이상이면 적합도가 나쁘다고
판단하는데 수정된 연구 모형은 RMSEA가 0.10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부
적합도의 지수가 기준치보다 낮게 나타났더라도 본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분석에 있어서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108
[표 67]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부합 지수 요구수준 연구모형 수정모형

절대부합지수(Absolute Fit
Measures) 2~3이하 1.868 1.324
- x²/ df(카이 자승 통계량) 0.05이상 .000 .010
-카이 자승검정의 유의확률(P) 0.9 이상 .599 .740
-기초부합지수(GFI) 0 근사치 1.366 .388
-원소간 평균차이(RMR) 0.1 이하 .153 .094
-모집단 원소간 평균차이(RMSEA)
증분부합지수(Incremental Fit
Measures) 0.9 이상 .671 .890
-비교부합지수(CFI)
간명부합지수(Parsimonious Fit
Measures) 0.9 이상 .489 .630
-조정부합지수(AGFI)

109
[그림 17]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경로 계수는 표준화된 계수)

110
[그림 18] 수정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경로 계수는 표준화된 계수)

111
[표 68] 수정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와 t 검정치 및 표준오차

경로 비표준화 표준화계수 t 표준오차


계수 (요인부하량)
고객참여 <- 관리
1.000 .803*** - -
정보방열기 <- 관리
.769 .648*** 4.140 .186
동일장소근무 <- 관리
.417 .366* 2.191 .190
회고 <- 관리
.976 .753*** 4.981 .196
짧은반복개발주기 <- 관리
.718 .639*** 4.070 .176
일일스크럼미팅 <- 관리
1.098 .774*** 5.169 .212
계획 게임/스프린트계획 <- 관리
1.032 .901*** 6.265 .165
자동화된승인테스트 <- 개발
1.000 .542*** - -
코드공유 <- 개발
1.223 .741** 3.210 .381
짝프로그래밍 <-개발
1.022 .630** 2.942 .347

자동화된단위테스트 <- 개발
1.537 .832*** 3.373 .456

테스트주도개발 <- 개발
.993 .575** 2.754 .361

지속적통합 <- 개발
1.405 .756** 3.178 .442

리팩토링 <- 개발
.800 .543** 2.643 .303

MPS <- 관리
1.913 .087 .669 2.857
MPS <- 개발
16.707 .702** 2.981 5.604
업무성과 <- MPS
.018 1.000** 2.829 .006

개발생산성 <- 업무성과


1.000 .419*** - -

112
시스템 품질 수준 <- 업무성과
1.247 .576** 2.943 .424
프로젝트 기간 단축수준<- 업무성과
.468 .236 1.724 .272
*p < .05, **p < .01, ***p < .001

[표 68]에서의 수정된 구조방정식의 경로계수 결과에서는 관리


실천수준에서 7개의 실천수준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높은
표준화 계수를 갖고 있는 변수들은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과 고객 참여
실천수준이다. 반면 동일 장소 근무 실천수준은 가장 낮은 표준화 계수를
보였다. 이는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과 고객 참여 실천수준은 관리
실천수준에 대하여 설명력이 높고 동일 장소 근무 실천수준은 관리
실천수준에 대하여 낮은 설명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력이 높다는
것은 관리 실천수준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발 실천수준에서도 7개의 실천수준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가장 높은 표준화 계수를 갖고 있는 변수들은 자동화된 단위테스트와 지속적
통합 실천수준이었으며 자동화된 승인테스트가 가장 낮은 표준화 계수를
나타냈다. 개발 실천수준에 대하여 자동화된 단위테스트와 지속적 통합
실천수준은 설명력이 높고 자동화된 승인테스트는 설명력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된 단위테스트와 지속적 통합이 개발 실천수준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애자일 관리와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미치는 영향을 [표


68]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로
가는 경로계수와 t값은 각각 0.088과 0.673으로 나타났다. t값이 유의수준
95%에서 1.965이하로 나타남에 따라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로 가는 경로계수와 t값은 각각 0.695과
2.949으로 나타났다. 즉, t값이 유의수준 95%에서 1.965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113
판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제 5절의 가설 H 3 검증 결과와 차이가
있다. 가설 H 3의 경우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은 관리와 개발 실천수준이라는 잠재변수에 대하여
14가지의 애자일 실천수준을 관측변수로 사용하였다. 반면 가설 H 3에서는
개발과 관리 실천수준으로 나누어 개발직무의 MPS와의 관계만을 파악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에서도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개발직무의 MPS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발 실천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개발 실천방법이
개발직무의 MPS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개발자들은
개발 실천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직무의 동기부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19] 애자일 실천수준 분포도

[그림 19] 애자일 실천수준의 평균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관리 실천수준이

114
개발 실천수준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관리 실천방법이 개발
실천방법보다는 수행하기 용이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관리 위주의
스크럼 개발방법론은 적용하기 쉬운 애자일 개발방법론으로 최근 들어 XP
개발방법론보다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도 하다.
애자일 관리 실천방법에서는 정보방열기가 높은 실천수준을 나타냈으며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과 일일 스크럼 미팅이 낮은 실천수준을 보여주었다.
정보방열기는 개발 진척 사항을 관리하고 정보를 공유하는데 사용되며
포스트 잇(post-it)과 같은 메모지에서 자동화된 도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반면에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은 팀에서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작업을 산정하는데 익숙해지기까지 시행착오와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일일 스크럼 미팅은 매일 같은 시간에 모든 팀원이
참석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어려운 점들은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과 일일 스크럼 미팅의 실행수준이 낮아지는 원인으로
보인다.

애자일 개발 실천방법에서는 리팩토링이 가장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으며


코드 공유가 가장 낮은 실천수준을 보여주었다. 리팩토링은 프로그램에서
해당 기능 간의 호출 관계를 유지하면서 코드구조를 재조정하여 유지보수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방법이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이 되어가고 있다.
반면 코드 공유는 본인이 만든 코드를 다른 개발자와 공유하는데 거부감이
많다. 또한 코드 변경의 책임이 불분명해지기 때문에 심리적이고 관리적
측면에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 실천수준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다. 반면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개발 실천방법들이
개발직무특성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관리 실천방법은 관련이 없다는

115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 실천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개발직무의
MPS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68]에 따르면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로 가는 경로계수와 t값은


각각 1.000과 2.829로 나타났다. 즉, 유의수준 95%에서 t값이 1.965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개발업무성과라는 잠재변수에 대하여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의 경로계수와 t값이 각각 0.236과 1.724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개발직무의 MPS가 향상될수록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은 향상되겠지만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 실천방법들은 지속적인 테스트
활동을 통하여 코드에서 발견되는 결함을 발견하는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개발 실천방법들은 시스템 품질 수준 향상과 결함 제거
시간을 줄여 개발생산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개발 실천방법을 잘 수행하더라도 프로젝트 개발 기간 단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 사용자들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수립하여 연구변수 간의 인과관계와 경로간의 유의성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애자일 실천방법과 개발직무의 MPS와의 관계,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개발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애자일
실천방법을 알아보았다.

116
제 5 장 결 론

본 장에서는 실증 결과에 따라 현업에서 개발방법론을 활용하고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요약에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할 것이다.

제 1 절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애자일
개발방법론 사용자를 대상으로 애자일 실천방법에 따라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개발방법론의 궁극적인 활용 목적은 업무성과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발방법론이 개발 과정을 이끌어주어 개발직무에
영향을 미치고 개발업무성과에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 직무의 MPS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다른 개발방법론에 비하여 개발직무의 MPS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XP + 스크럼 복합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는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보다 개발직무의 MPS 평균이 3배 정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개발직무특성 중에서 자율성과 피드백은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구조적/폭포수

117
개발방법론보다 피드백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높기 때문에 진행과정에서 변화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짧은
개발주기를 반복하여 점진적으로 개발을 수행하는 애자일 방법론의 경험적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Schwaber, 1995). 특히 개발 초기에는 사용자도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어렵고 분석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서를
만들어 개발시간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개발자의 동기부여를 저하시킬 수
있다. 짧은 반복 개발주기를 통하여 피드백을 높이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은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개발업무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와 개발업무성과와의 관련성을


실증하였다. 개발직무의 MPS가 높을수록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조직에서 개발방법론을 활용하는데
개발방법론의 기술적인 부문뿐만 아니라 인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생산성 베타계수는 0.689, 시스템 품질
수준 베타계수는 0.631,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 베타계수는 0.488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직무의 MPS가 향상될수록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결과,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반면 개발직무의
MPS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줌으로써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118
수준에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지적 노동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개발자 역량에 따라


업무성과에는 큰 차이가 난다. Curtis(1981)은 개발자에 따라 개발생산성에서
10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고 제시하였다. Demarco & Lister(1999)은 IT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이 주로 개인과 조직의 관리적인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므로 IT 프로젝트에서 인력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제
조직에서는 개발자의 동기부여와 같은 인적 요인에 대한 고려보다 기술적인
요인들에 관심을 가져왔다(McDermit & Bennett, 1999). Demarco & Lister(1999)은
개발자와 같은 지식근로자에게 개발 언어나 도구와 같은 기술적인
영역보다는 개발직무특성을 높여줄 수 있는 개발 업무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개발 일정에 쫓겨 의욕이 떨어진 개발자는 품질을 포기하게 된다고
하였다. 본 실증 연구에서도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주는 것이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국내의 애자일 실천방법의 사용수준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애자일 개발방법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애자일 실천방법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XP, 스크럼
그리고 XP + 스크럼 복합 개발방법론이었다. 이들 이외에도 다양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있지만 아직까지 XP와 스크럼을 제외한 애자일
개발방법론들은 구체적 실천방법과 프로세스가 명확하지 않아 프로젝트에
적용하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활용과 관련하여 구체적 실천방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애자일 개발자의 실천수준을 조사한 결과, 애자일 관리 실천방법의


사용수준이 개발 실천방법의 사용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
들어, 스크럼 개발방법론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관리 위주의 스크럼

119
개발방법론이 XP 개발방법론보다 적용하기 쉽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애자일 관리 실천방법에서는 정보방열기가 가장 높은 실천수준을 보였으며
계획 게임/스프린트 계획 수립과 일일 스크럼 미팅은 가장 낮은 실천수준을
나타내었다. 애자일 개발 실천방법에서는 리팩토링이 가장 높은 실천수준을
보였으며 코드 공유가 가장 낮은 실천수준을 보여주었다. 실행 수준이 낮은
애자일 실천방법은 실행 수준이 높은 애자일 실천방법보다 시간과 실행
노력을 많이 투자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애자일 실천수준과 개발직무의 MPS와의 관련성이다. 애자일


실천방법은 수행 목적과 실천방법의 성격에 따라 관리 실천방법과 개발
실천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리 실천수준이 개발 실천수준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MPS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는 개발직무특성에 개발 실천방법이 보다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애자일 실천방법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가 보다는 어떤
실천방법을 선택하는가가 개발직무의 MPS 향상에 관련이 있었다.

다섯째, 애자일 실천방법의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와의 관련성이다. 애자일


실천수준은 개발업무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관리 실천수준에서는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실천수준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애자일 실천수준을 살펴보면


개발생산성에서 고객참여, 회고, 테스트 주도 개발, 리팩토링이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고객참여는 음(-)의 영향으로 개발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과의 의사소통과 피드백의

120
증가는 요구사항의 변경과 업무 외적 활동을 증가시켜 개발생산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는 회고,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서는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이 유의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애자일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업무성과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애자일 실천방법을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웹 포탈 기업이나 게임업체와 같이 애자일 개발


환경에 적합한 일부 기업을 넘어 일반적인 개발이나 서비스 업체들도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하거나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어 향후 보다 많은 기업들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한 연구와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애자일 개발방법론의 이론적 혹은
실무적 활용과 실증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121
제 2 절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자일 실천방법의 사용 수준에 따라 개발직무의 동기지수와
업무성과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국내의 웹 포탈
기업들과 대형 IT 서비스 업체,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체들의 개발자 77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것이다. 또한 애자일 실천방법이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조모형을 수립하고 연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동기부여 수준(MPS)에 미치는


영향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 개발자는 다른 개발방법론 개발자에 비해 높은
MPS 값을 나타냈다. 특히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와는
2배 이상 높은 차이를 보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에서 개발직무의 MPS를
살펴보면, XP + 스크럼 복합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경우 개발직무의 MPS가
가장 높았으며 XP 개발방법론, 스크럼 개발방법론 순서로 파악되었다. XP
개발방법론이 스크럼 개발방법론보다 개발직무의 MPS가 높은 것은 XP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을 보다 잘 지원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와 개발업무성과와의 관계이다.


개발직무의 MPS는 개발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프로젝트에서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의 경우,
개발직무의 MPS와 시스템 품질 수준과 개발생산성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122
반면,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의 경우, 개발직무의 MPS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강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먼저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단 단축 수준에는 유의하지 못하였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반면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표본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검증 결과의
신뢰에는 무리가 있다.

셋째,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다른 개발방법론에
비교하여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특히 XP와 스크럼 개발방법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높은 업무성과를 나타냈으며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은 가장 낮은 업무성과를 나타내었다.
객체지향/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은 개발업무성과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보다는
낮은 반면에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보다는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줄 수 있는
개발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에
영향을 미쳐 업무성과 향상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직무의 MPS를 높여 개발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애자일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에 미치는


영향이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과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개발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123
MPS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개발 실천방법이
개발직무의 MPS를 결정하는 개발직무특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애자일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관계이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리 실천수준은 고객 참여, 회고였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리 실천수준은 회고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리
실천수준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발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발 실천수준은
테스트 주도 개발, 리팩토링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품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 실천수준은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자동화된 단위테스트, 테스트
주도 개발,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 실천수준은 자동화된 승인테스트, 지속적 통합,
리팩토링이다.

124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첫째, 본 연구에서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동기부여 수준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사용된 설문자가
77명으로 충분하지 못하였다. 특히 애자일 개발방법론 사용자는 38명에
불과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한 편이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기업이 적어 충분한 설문 표본
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설문 표본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개발업무성과를 측정하는데 개인의 주관적 설문에 의존하여 객관성과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개인마다 성과에 대한 인식이나 기준이 다르므로
업무성과 측정의 객관성이 결여되기 때문이다. 다만 기존 연구 결과는
객관적 측정 도구나 지표 보다는 개발자가 주관적으로 업무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업무성과 측정에 대하여 개인의
주관적 측정뿐만 아니라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측정 도구를 병행하여
업무성과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셋째,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가지는 중요한 특성 중에 하나는 팀의 협업성과


팀원 간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직무의
동기부여와 업무성과는 모두 개인 차원의 미시적 행동(micro behavior)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팀 차원의 거시적 행동(macro
behavior) 관점에서 애자일 개방방법론이 팀의 협업성과 팀워크(team work)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의 변수로써 추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모형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125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강경숙, “장애학생의 일반초등학교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기우일,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4.
김석회, 경영조직관리론, 무역경영사, 1980.
노형진,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형설출판사, 2002.
심화일, “XP를 도입한 소규모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이수화, “직무특성모형에서 자아효능감과 공정성민감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이순묵, 공변량 구조분석, 성원사, 1990.
이윤영,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이창준, “애자일 이야기” 블로그, http://agile.egloos.com, 2008.
황순삼, 김성근, “Scrum 방법론에서의 측정 지표 분석 및 사례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 pp. 32-41.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0, pp. 161-177.

<국외문헌>
Ambler, Scott W., “Dr Dobb’s 2007 Agile Adoption Survey”,
www.amsbysoft.com/surveys, 2007.
Anselmo, Donald and Ledgard, Henry, “Measuring Productivity in the Software
Industry”,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6, No. 11, 2003, pp. 121-125.
Awad, M.A. “A Comparison between Agile and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ies”,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2005.
Baddoo, Nathan, Hall, Tracy and Jagielska, Dorota, “Software Developer Motivation in
a High Maturity Company: A Case Study”,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Practice,
Vol. 11, No. 3, 2006, pp. 219-228.

126
Beck, Kent and Andres Cynthia., Extreme Programming Explained, Addison-Wesley,
2000.
Beecham, Sarah, Sharp, Helen, Baddoo, Nathan, Hall, Tracy, and Robinson, Hugh,
“Does the XP Environment Meet the Motivational Needs of the Software Developer? An
Empirical Study”, AGILE 2007, pp. 37-49.
Brenda L. Mak and Hy Sock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IS Employee
Motivation and Reten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38, 2001, pp. 256-276.
Carmel, E., “Time to completion factors in packaged softwar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Vol. 27, No. 9, 1995, pp. 515-520.
Coad, P., Lefebvre, E. and De Luca, J., Java Modeling in Color with UML : Enterprise
Components and Process, Prentice Hall, 2000.
Cockburn, Alistir and Jim Highsmith, “Agile Software Development : The People
Factor”, IEEE Software Vol. 34, No. 11, 2001, pp. 131-133.
Cohn, Mike and Ford, Doris, “Introducing an Agile Process to an Organization”, IEEE
Computer, 2003.
Curtis, B., “Substantiating Programmer Variability”, Proc IEEE 69, 846, 1981.
Cusumano, M. A. and C. F. Kermerer, “A Quantitative Analysis of US and Japanese
Practice and Performance in Software Development, Management Science”, Vol. 36, No.
11, 1990, pp. 1384-1406.
David P. Darcy and Meng Ma, “Explo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ogramming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Programmer Selec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314-314, 2005.
Demarco Tom and Lister Timothy, “Peopleware: Productive Projects and Teams”,
Dorset House, 1999.
Deemer, Pete and Benefield, Gabrielle, “The Scrum Primer: An Introduction to Agile
Project Management with Scrum”, Good Agile, Scrum training in India and Asia,
www.goodagile.com, 2007.
Eby, L.T. and Freeman, D.M., “Motivational Base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tial Test of a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2, 1999, pp. 463-483.
Ewen, R.B, “Som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 A Study of the Generality of
Herzberg’s The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1974, pp. 145-15.
Erdogmus, H., and Williams, L., “The Economics of Software Development by Pair
Programmers”, The Engineering Economist, Vol. 48, No. 4, 2003, pp. 283-319.
Fried, Y and Ferris, G., “The Critical Psychological States: An Under-represented
Component in Job Characteristics Model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Vol. 21,
1987, pp. 279-303.
Gilb, T., “Software Project Management : Adding Stakeholder Metrics to Agile
Projects”,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Vo1. 17, No. 7, 2004,

127
pp. 31-35.
Grenning, J., “Launching XP at a Process-Intensive Company”, IEEE Software 18, 2001,
pp. 3-9.
Hackman, J.R. and Oldham, G.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0, No. 2, 1975, pp. 159-170.
Hackman, J.R. and Oldham, G.R.,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16, 1976, pp. 250-279.
Hackman, J.R. and Oldham, G.R., Work Redesign, New York: Addison-Wesley, 1980.
Hall T, Wilson D., “Views of Software Quality : A Field Report”, IEEE Proceedings-
Software, Vol. 144, No. 2 , 1997, pp. 111-118.
House, R.J. and Wigdor, L.W., “Herzberg’s Dual-factor Theory of Job Satisfaction and
Motivation :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a Critic”, Personnel Psychology, Vol. 20,
No. 4, 1967, pp. 369-389.
H.Kym, and W.Park, “Effect of Cultural Fit/Misfit on the Productivity and Turnover of
is Personnel”, Proceedings of the 1992 ACM SIGCPR conference on Computer
personnel research, pp. 184-190, 1992.
Ilieva, S., Ivanov, P., Stefanova, E., “Analyses of an Agile Methodology
Implementation”, Proceedings 30th Euromicro Conference IEEE Computer Society Press,
2004, pp. 326-333.
Jason B, Yongmei Liu, Lee P., Joseph M., Darren C., “IT Worker Turnover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The Data Base for Advances in
Information Systems-Spring-Summer 2006.
J.Drew Procaccino, June M. Verner, Katherine M. Shelfer, David Gefen, “What do
Software Practitioners Really Think about Project Succes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Vol. 78, No. 2, pp. 194-203, 2005.
Law, Amy and Charron, Raylene, “Effects of Agile Practices on Social Factors”,
Proceedings of the 2005 workshop on Human and social factors of software engineering,
2005, pp. 1-5.
L.E. Blankertz, S.E. Robinson, “Who i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Worker?”,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 19, No. 4, 1996, pp. 3-13.
Linberg, K.R., “Software Developer Perceptions about Software Project Failure : A Case
Stud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49, Vol. 49, No. 2-3, 1999, pp. 177-192.
Mann, Chris and Maurer, Frank, “A Case Study on the Impact of Scrum on Overtime
and Customer Satisfaction”, Proceedings of the Agile Development Conference, 2005,
pp. 70-79.
Mannaro, Katiuscia, Melis, Marco and Marchesi, Michele, “Empirical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IT Employees Comparing XP Practices with Other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ie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Springer Berlin /
Heidelberg, 2004, pp. 166-174.

128
Marçal, Ana, Freitas, Bruno, Soares, Felipe, Furtado, Maria, Maciel, Teresa and Belchoir,
Arnaldo “Blending Scrum Practices and CMMI Project Management Process Areas”,
Innovations in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 Vol 4, No. 1, 2008.
Martin, R.C., The Process. Object Oriented Analysis and Design with Applications,
Addison Wesley, 1998, pp. 93-108.
Maurer, F. and Martel, S., “Extreme Programming: Rapid development for Web-based
Applications”, Internet Computing, Vol. 6, No. 1, 2002, pp. 86-90.
McDermit JA, Bennett KH, “Software Engineering Research : A Critical Appraisal”,
IEEE Process on Software Engineering Vol. 146, No. 4, 1999, pp. 179-186.
Melnik, G. and Maurer, F.,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in Agile and
Non-Agile Software Development Teams”, XP 2006, LNCS 4044, 2006, pp. 32-42.
Muller, M. M. and Padberg, F., “Extreme programming from an engineering Economics
Viewpoint”, International Workshop on Economics-Driven Software Engineering
Research(EDSER), Orlando, Florida, USA, 2002.
Oldham, Greg R. Kulik, Carol T. Stepina, Lee P, “Strategies for Intrafirm Transfers and
Outside”, Sourc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8, No. 4, 1985.
Palmer, S. R. and Felsing, J.M., A Practical Guide to Feature-Driven Develop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002.
Rasch, R.H. and H. L. Tosi, “Factors Affecting Software Developers’ Performance An
Integrated Approach”, MIS Quarterly, 1992, pp. 395-413.
David F. Rico, “Agile Methods and Links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Firm
Performance”, 2006.
Rising, Linda and Janoff, Norman S., “The Scrum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for
Small Teams”, IEEE Software, Vol. 17, No. 4, 2000, pp. 26-32.
Sasa, M.D.,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Approach on
Maintenance”, MIS Quarterly, 1992.
Schuh, P., “Recovery, Redemption, and Extreme Programming”, IEEE Software, Vol.
18, No. 6, 2001, pp. 34-41.
Schwaber, Ken, “SCRUM Development Process”, Proceeding of the 10th Annual ACM
Conference on OOPSLA, 1995.
Schwaber, Ken, “Controlled Chaos: Living on the Edge”, American Programmer, 1996.
Schwaber, Ken, Agile Project Management with Scrum, Microsoft Press, 2004.
Schwaber, Carey, and Fichera, Richard, “Enterprise Agile Adaption in 2007”, Forrester
Research (http://www.forrester.com/Research/Workbook/0,9126,45015,00.html), 2008.
Schwaber, Ken, Beedle, Mike and Martin, Robert, Agile Software Development with
SCRUM, Prentice Hall, 2001.
Siakas, Kerstin V. and Siakas, Errikos, “The Human Factor Deployment for Improved
Agile Quality”, Europea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Innovation(EuroSPI 2006),

129
International Proceedings Series 6, 11-13 October, Joensuu, Finland, 2006, pp. 4.11-23.
Succi, Giancarlo, Pedrycz, Witold, Marchesi, Michele and Williams, Lauri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ir Programming on Job Satisfaction”,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xtreme Programming and Agile Processes in Software
Engineering, Genova, Italy, 2002.
Subramaniam and Hunt, Practices of an Agile Developer: Working in the Real World
(Pragmatic Programmers), Oreilly and Associates Inc, 2005.
Takeuchi H. and Nonaka I., “The New Product Development Game”, Harvard Business
Review, 1986.
The Standish Group International, Chaos Report 2007: The 10 Laws of Chaos, 2007
Weinberg, M, Gerald, The Psychology of Computer Programming, Dorset House, 1998
Wilson D, Hall T, “Perception of Software Quality : A Pilot Study”, Software Quality
Journal Vol. 7, No. 1, 1998, pp. 67-75.
Wilson D, Hall T, Baddoo N, “Th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Paradox”,
Approaches to Quality Management : Software Quality Management VIII, 2000, pp.
97-101.
Yan Li, Chuan-Hoo Tan, Hock-Hai Teo, A.Talib Matter, “Motivating Open Source
Software Developers :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s”,
SIGMIS-CPR, 2006.

130
부록 (설문지)

ID

개발방법론 및 업무성과에 대한 설문지

바쁘신 일정 중에 본 조사에 귀중한 시간을 할애해 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본 설문은 개발방법론이 동기부여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설문 결과는 본 연구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는 절대로 사용되지 않으며 모든


설문은 익명으로 처리됩니다.

연구 결과가 필요하시면 아래 이메일로 연락주시면 요약 결과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소중한 의견을 듣고자 하오니 번거로우시더라도 각 항목마다 빠짐없이


성심껏 응답해주신다면 진심으로 감사하겠습니다.

담당자: 황순삼

본 설문은 아래 온라인 상에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readsheets.google.com/viewform?formkey=cko1QS1KcEMybjlGYXgtRFQ1M
2EtQWc6MA..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국 문 초 록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특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정보시스템전공
황 순 삼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개발직무특성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웹 포탈
업체인 야후코리아, 네이버, 삼성SDS와 핸디소프트의 개발자 7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개발방법론과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비교하여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과 개발업무성과인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애자일 실천방법의 실행수준이 개발직무와 개발업무성과에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자료의 기초 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및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5.0를 이용하였으며,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애자일 실천방법에 따라 개발직무의 MPS와 개발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조방정식은 AMOS 7.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자일 개발방법론이 개발직무의 동기부여 수준(MPS)에 미치는


영향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 개발자는 다른 개발방법론 개발자에 비해 높은
MPS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구조적/폭포수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와는

140
2배 이상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와 개발업무성과와의 관계이다.
개발직무의 MPS가 높아질수록 개발업무성과인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는 개발자의 MPS는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발방법론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다.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개발 기간 단축에서
다른 개발방법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애자일 실천수준이 개발직무의 잠재적 동기지수(MPS)에 미치는
영향이다. 애자일 실천수준은 애자일 실천방법을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수준을 의미하며, 애자일 실천방법은 실행목적과 성격에 따라 개발과 점검을
위주로 하는 개발 실천방법과 프로젝트 관리와 수행을 위주로 하는 관리
실천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과 관리 실천수준은
모두 개발직무의 MPS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며, 개발
실천수준은 관리 실천수준보다 개발직무의 MPS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애자일 실천수준이 개발업무성과에 미치는 관계이다. 동일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하더라도 애자일 실천수준에 따라 개발업무성과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애자일 관리 실천수준은 개발생산성, 시스템 품질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자일 개발 실천수준은 개발생산성과
시스템 품질 수준, 프로젝트 기간 단축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41
ABSTRA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Agile methodology


on Job Characteristics of Software Development and
Work Performances

Hwang Soon-Sam
Major in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This study is the influence on development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performance
by Agile methodology. For the empirical analyzing,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77
developers of domestic web portal enterprises - Yahoo Korea, Naver, Samsung SDS,
Handysoft using online and offlin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isting methodologies and
Agile methodology and look into the influence of Motivating Potential Score(MPS) of
job and work performance –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project duration
and analysis the relation among the usage level of Agile practices and development job
characteristic, work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with variable and model of stud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V.15.0 was
used. And AMOS V.7.0 was used for analy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that the influence on MPS of job and work performance by Agile practice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the influence on MPS of job by Agile methodology. A developer using
Agile methodology has a high level of MPS, especially there is a difference to be high
more than 2 times with structural/waterfall methodology.
Second, it is about the relation with MPS of job and work performance. As MPS of job
is higher,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performance -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project duration. And MPS of a developer using Agile methodology has a

142
significant impact on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but it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project duration.
Third, it is about the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by development methodology.
Agile methodolog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to be high comparing with other
development methodologies in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project
duration.
Fourth, it is about the influence on MPS of job by the usage level of Agile practices.
The usage level of Agile practices represent a level to carry out Agile practices at
projects, Agile practices can classify in development practices to focus on development
and check, management practices to focus on management and accomplishment of
project according to objective execution and character. Both of Agi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act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PS of job, development practices
have more impact on MPS of job than management practices.
Fifth, it is about the relation with the usage level of Agile practices and work
performance. There can be a difference to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usage
level of Agile practice even if applying the same Agile methodology. Agile management
pract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but it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project duration. And Agile development
pract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velopment productivity, system quality, project
duration.

143
<감사의 글>

이 자리를 빌어 한없이 부족한 저를 이끌어주시고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제가 이 글을 쓸 수 있었던 것은 모두가 베풀어주신
사랑과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특히 지도 교수님이신 김성근
교수님께서 하나부터 열까지 다 챙겨주셨기에 논문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석사 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교수님의 가르침에 부응하지 못하는 제자를
보듬어 살펴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머리 숙여 감사의 글을 올립니다. 이
글을 쓰는데 수고를 같이 해준 야후코리아 인턴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표하고 싶습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사랑스런 지이, 지우에게 공부하는 동안 함께 하지 못했던


많은 시간을 참아주고 힘이 들 때마다 기운을 북돋아 주어 정말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아들 걱정에 밤 잠을 설치시는 어머니께 이제서야
작은 짐을 하나 내려드린 것 같아 저에게는 작은 위안을 삼고 있습니다.
언제쯤 어머니의 은혜를 조금이라도 갚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저를
위해 항상 기도를 해주시는 외삼촌과 외숙모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두 분의
기도가 저의 길을 비춰주어 흔들림 없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누님
가족에게도 많은 빚을 지고 있습니다. 제가 해야 할 많은 일들을 언제나 기쁜
마음으로 도와주셨습니다. 멀리 떨어져 계셔 언제나 그리운 장인어른과
장모님, 할머님께도 고맙습니다. 공부를 핑계로 인사도 제때 드리지 못하는
사위지만 넘치시는 사랑으로 이해하여 주셨습니다.

끝이 있어야 또 다른 시작이 있음을 알기에 부족함을 잘 알면서도 논문을


마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늘에 계신 저의 아버지에게 이 논문을
바칩니다.

1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