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4

이해하기 쉬운 인체생리학 Chapter 3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말초신경계와 신경세포의 작용

Mi-Na Park, Ph.D.


219505@inha.ac.kr
신경계의 구성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v체성신경계 (somatic nervous system)
• 감각신경: 수용기의 자극을 중추에 보냄
• 운동신경: 중추의 명령을 효과기에 보냄
• 뇌신경: 뇌에서 나와 얼굴에 분포하는 신경, 좌우 12쌍
• 척수신경 : 척수에서 나와 신체 각 부위에 분포하는 신경, 좌우 31쌍

※ 척수신경(31쌍)

§ 경신경(cervical nerves) 8쌍
§ 흉신경(thoracic nerves) 12쌍
§ 요신경(lumbar nerves) 5쌍
§ 천골신경(sacral nerves) 5쌍
§ 미골신경(coccygeal nerves) 1쌍
v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 장기의 운동 및 분비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신경계


§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 : 흉수와 요수로부터 시작됨
§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e): 뇌간(동안, 안면, 설인 및 미주신경)과 천수로부터 시작

§ 장내 신경계 (enteric nervous system) : 소화관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함께 분포
§ 미주신경과 천골신경을 제외한 다른 신경은 신경중추와 표적기관 사이에 신경절(ganglion)
을 가짐
§ 이중 신경지배 (dual innervation): 심장 및 여러 분비선, 평활근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음
§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부교감신경은 불활성화되고,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교감신경은
불활성화됨 (길항작용)
v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자율신경계의 효과

v 교감신경의 효과
• 긴장, 흥분, 운동 시 활성 증가
• 알림반응 (fight-or-flight) : 스트레스에 대응 반응
• 심박수와 심박출량 증가, 혈관 수축과 혈압상승,
골격근, 심장, 뇌로 혈류량 증가, 소화 및 배뇨 작
용 억제, 동공확대
• 에너지 소모(혈당 및 지방분해 증가), 각성상태 유
지, 땀샘 분비 촉진 등

v 부교감신경의 효과
• 안정 상태에서 활동하며 국소적으로 작용
• 심장기능 억제, 타액분비 촉진, 소화기능 및 배뇨
촉진, 방광과 결장 수축, 동공수축
• 부교감신경은 혈관이나 피부에는 거의 영향을 미
치지 않음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의 비교
Motor neuron

v 아세틸콜린(Ach) R

§ N-AChR : 니코틴성 수용체


§ M-AChR : 무스카린성 수용체

Postganglionic NE R 또는 E R
v neuron
§ α-Adrenergic R :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
§ β-Adrenergic R : 에피네프린 수용체

§ 체성신경 : 중추신경계와 골격근 세포 사이에 하나의 뉴런으로 구성, 골격근에 신경섬유를 내고 있음, 근육
을 흥분으로만 유도할 수 있음
§ 자율신경 : 중추신경계와 효과기 장기 사이에 시냅스로 연결된 2개의 뉴런 사슬(신경절)을 가짐, 평활근,
심장근, 분비선, 소화기 뉴런에 신경섬유를 내고 있음, 흥분성이나 억제성이 될 수 있음
신경세포
§ 뉴런 (neuron) : 신경계의 기본 최소 단위 세포,
전기적 자극으로 정보전달
§ 신경교세포 (glial cells): 뉴런의 지지와 기능보조
§ 뉴런의 기능
§ 자극을 전기 신호화
§ 신경전달물질 분비
§ 정보 전달
§ 뉴런의 모양
§ 신경세포체 (cell body)
§ 수상돌기(dendrites), 축삭돌기(axon), 신경
종말(axon terminal)

§수초 (myelin) : 슈반세포 or 희돌기교세포에 의해 생성되


는 여러 겹의 세포막
§랑비에 결절 (node of Ranvier) : 수초의 마디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 신경세포체 (cell body)
§ 뉴런의 성장과 대사 관여 부위
§ 세포막, 핵,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닛슬소체 (리보솜), 신경원
섬유 등
§ 수상돌기 (dendrites)
§ 신경세포체 막에서 뻗어 나온 여러 개의 짧은 돌기
§ 인접뉴런의 수상돌기나 축삭돌기와 접촉
§ 기능: 정보 수용
§ 축삭돌기 (axon)
§ 신경세포체 막에서 뻗어 나온 하나의 긴 돌기
§ 기능: 신경전도, 신경세포체에서 합성된 물질 운반
§ 유수신경 : 미엘린(수초)에 싸여 있는 축삭돌기
§ 무수신경 : 미엘린에 싸여 있지 않은 축삭돌기
§ 신경종말 (axon terminal)
§ 축삭돌기 말단
§ 수많은 소포 (신경전달물질 함유) 존재
뉴런의 분류
§ 구심성 뉴런(afferent neuron) : 감각뉴런(sensory neuron)
§ 원심성 뉴런(efferent neuron) : 운동뉴런(motor neuron)
§ 연합뉴런(interneuron) : 감각뉴런과 운동뉴런 연결(전체 뉴런의 약 99%)
§ 구심성 뉴런 : 원심성뉴런 : 연합뉴런=1 : 10 : 200,000
신경교세포(neuroglial cell)의 종류와 기능
§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 중추신경의 미엘린형성
§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뇌척수액 생성과 흐름 조절
§ 소교세포(microglia)- 면역기능(대식세포기능)
§ 성상세포(astrocyte)-중추신경계 세포외액의 조성조절 및 BBB형성, 뉴런의 대사 조절(영양공
급과 성장인자 생성)
§ 슈반세포(Schwann cell)-말초신경의 미엘린 형성과 신경재생
신경세포의 작용 기전
§ 신경세포의 흥분과 전도
§ 뉴런은 자극에 반응해 세포막에서 활동전위 발생
§ 안정막(휴지막) 전위:
§ 휴식상태 뉴런의 세포막 내외 전압: -70 mV
§ 세포막 내외의 분극: 이온 농도 차이로 인한 막 전위차
§ 세포막 안쪽: 음 전하
§ 세포막 바깥쪽: 양 전하
§ 차등전위 :세포막의 작은 부위에 국한되는 막 전위의 변화
§ 활동전위: 뉴런과 근육막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위변화
§ 뉴런에 자극이 가해지면 Na+ 및 K+ 투과성 변화
§ Na+ 채널이 열림
§ 안정막 전위의 변화: 탈분극(depolarization)
§ 활동전위(action potential)가 발생: +30 mV
§ K+ 채널이 열리고 다시 안정막 전위로 복귀 : 재분극
(repolarization)
차등전위 (Graded potential)
§ 세포막의 일부 부위에 국한하는 막 전위의 변화(탈분극 또는 과분극)
§ 세포 환경의 일부 특정한 변화가 막의 특별한 부위에 작용했을 때 생성됨
§ 차등전위의 종류 :수용기전위, 시냅스전위, 박동원전위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
§ 막전위변화(-70mV ∼+30/+100mV)
§ 빠르게 발생 (1-4ms)
§ 뉴런, 근육세포, 내분비세포, 면역세포, 생식세포
§ 흥분성 막
§ 전압-개폐형 Na+과 K+채널 관여
활동전위의 발생 과정

§ 역치 : 안정막 전위를 활
동전위로 변화시키는 자극,
-50mV
신경세포의 흥분과 전도과정

§ 축삭돌기를 따라 흥분 (활동전위) 전달:


§ 활동전위 발생시 세포 내로 유입된 Na+이 축삭을 따라 확산되면서 주변 세포막의 Na+ 채
널을 열리게 함
§ 인접 부위의 탈분극으로 새로운 활동전위 연속 발생
§ 전방전도의 법칙:
§ 단일 뉴런에서 한 부위에 자극이 발생하면 이 부위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전도가 일어남
§ 그러나 실제 신경섬유의 중간부위에서 자극이 발생하는 일은 없음
§ 대부분의 뉴런이 시냅스를 이루고 있기 때문
§ 전방전도 : 신경세포체 ⇒ ⇒ 축삭종말로 신경전달
신경세포의 흥분의 특징
§ 불응기 (refractory period)
• 활동전위 발생 후 새 자극에 대해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않
는 기간
• Na+ 채널이 다시 열리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 절대불응기 : 자극이 아무리 크도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않음
• 상대불응기 : 절대불응기 뒤 일반자극보다 훨씬 큰 경우에
만 발생
§ 전도 속도
• 신경섬유의 직경: 굵을수록 빠름
• 유수신경 > 무수신경 :도약전도가 더 빠름
• 랑비에 결절 사이의 길이: 길수록 빠름

§ 역치 (threshold) 자극 : 신경이 흥분하기 위한 최소한의 강도의


자극
§ 실무율 (all or none) : 역치 이하 자극에서는 전혀 반응하지 않고
역치 이상 자극에서 흥분함
무수신경에서 활동전위 전도
유수신경에서 활동전위 전도 : 도약전도
§ 유수신경의 미엘린(수초)은 절연체
§ 활동전위는 미엘린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랑비에결절에서만 활동전위가 발생
§ 활동전위가 하나의 결절에서 다음 결절로 점프하는 것처럼 보임 : 도약전도(saltatory conduction)
§ 무수신경 전도보다 빠르고 대사적으로도 효율적임
§ 발가락에서 뇌까지 도달시간 : 무수신경 4s / 유수신경 0.02s
§ 활동전위는 감각뉴런의 탈분극에 의한 차등전위, 시냅스전위 혹은 박동원 전위에 의해 발생
시냅스(synapse)
§ 시냅스 : 2개의 뉴런 사이에서 하나의 뉴런이 다른 뉴런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변화시키는 해부학적 연접부위
§ 시냅스에서 전달 신호는 신경전달물질이 관여
§ 하나의 뉴런으로부터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은 이를 받아들이는 뉴런의
막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 수용체에 결합하여 뉴런을 변화시킴
§ 시냅스 전 뉴런(presynaptic neuron)
§ 시냅스 후 뉴런(postsynaptic neuron)

수렴 발산
시냅스 전달 방식
§ 전기적 시냅스
§ 간극접합(gap junction)을 이루고 있는 경우
§ 채널 (코넥신)을 통해 이온, 펩티드 분자 등 직접 전달
§ 양 방향으로 빠르게 흥분 전달
§ 동시 흥분과 수축
§ 예: 심근

§ 화학적 시냅스
§ 세포와 세포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 축삭말단에 활동전위가 발생하면 Ca+ 채널 열림
§ 시냅스 틈새로부터 Ca+ 이 들어오면 신경전달물질 방출
§ 시냅스 후 뉴런 세포막의 수용체와 신경전달물질 결합
§ 시냅스 후 뉴런 세포막 탈분극
§ 이후 신경전달물질은 효소 (acetylcholinesterase)에 의해
분해되거나 재흡수로 제거됨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
v 아세틸콜린(Ach)
•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시냅스에서 모두 분비
• 콜린성 뉴런에서 방출되어 시냅스 후 막 수용체를 활성화
시킨 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에 의해 분해됨
• 2개의 수용체 : 니코틴성 & 무스카린성 수용체
• 알츠하이머병 : 콜린성 뉴런의 퇴화

모노아민류
• 카테콜아민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 수용체 활성화 후 모노아민산화효소(MAO)에 의해 분해됨
• MAO억제제 : NE와 DA분해 지연시킴으로써 항우울증 치
료 효과
• 세로토닌, 히스타민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 : 글루탐산, GABA, 글리신

폴리펩타이드 신경전달물질 : 콜레시스토키닌(CCK),


물질 P(substance P), β-엔도르핀(β-endorphin)
신경전달물질 작용

흥분성, 인지기능
아세틸콜린
중추신경계: 흥분성; 부교감신경계: 억제성

도파민
의식, 정서, 동기유발, 주의집중 조절
노르에피네프린 운동, 혈압조절, 호르몬 분비 조절
α-adrenoceptor: 억제성; β-adrenoceptor: 흥분성
에피네프린

운동, 수면, 음식섭취, 생식행위, 정서


세로토닌
근육: 흥분성; 감각: 억제성

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불안감 해소, 발작 예방, 수면 유도


β-Endorphine 진통, 운동 후 만족감, 음식섭취, 음주, 감정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 방출 기전

1. 신경세포체에서 발생한 활동전위


가 축삭말단으로 전달
2. 축삭말단 막의 칼슘채널이 열림
3. 축삭말단으로 칼슘 유입
4. 시냅스 말단으로 이동한 신경전달
물질이 시냅스 틈새로 방출됨
5. 시냅스 후 세포막의 수용체에 신경
전달물질이 결합
6. 신경전달물질은 효소에 의해 분해
되어 다시 축삭말단으로 재흡수되
거나 제거됨

§ SNARE protein의 작용방해하는 물질


파상풍 독 (Clostridium tetani )
보툴리즘 독(Clostridium botulinum)
보톡스 (Botox)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