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9

거시경제원론 정리

진짜정리니까 책 따로 보기 !
23

국내총생산 ( GDP)
-

경제의 모든 구성원의 소득의합계


그경제에서 생산되는 모든재마와서비스에 대한 지출의합계
-

경제전체로 볼때 소득매출
-

한나리에서일정기간동안생산된또든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계


tor rentz.no t o r re n t chinensis

국적관계 값ET 그해에 생산법과 節州 시장가격기준

* GDP의 구성항목

A신축구입
GDRFGITC.it NX
홍먼지다

* 명덕GP : 재회의서비스생산의 가치를 현재가격으로 계산한것


실질GPP 재화와서비스생산의 가치를 불변가격으로 계산한것
:

GDP다플레이탸
t.im 인플레이션을 =지魯鷄爬斷唯t X100

# 완벽한후생지표X

여가시장밖환경
-

소득분배고려X
24

소비자물가지수 ( CPI)
-

대표적인 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전반적 비용을 나타내는 지표


-

시간경과에 따른 생계비의 변동
-

인플레이션율측정에 사용
2018
o f 2018
에 핫도그 3$ × 4계 t 햄버거 4$ X2개
× 100
250
=

핫도그MX4개t햄배지inH4
E E
2016 2016

2018C마 2017 I
인플레이션윤 =

100
201T ×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전반적인 비용을 나타내는 지표

생산자물가지수 -

기업들이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 묶음의 비용을 나타내는 지표

* 생계비를 측정하는 완벽한 지표X

대체효과에 따른 왜곡 새로운상품의 등장 품질 변화 반영 X
-

, ,

*GDP 디플레이터 :
국내에서 소비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반영 올해 생산된 재미와 서비스의 가치를 기준년도에 구입했을 때의 비용과 비교
,

CPI : 소비자가 구입하는 재화의 서비스의 가격만 포함 ,


고정된 동일한 재화볶음을 현재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과 기준 연도에 구입할 때의 비용을 비교

* 실질이자율 ( H :
명목이자율 (i ) -

인플레이션의ㆌ
25

실질GDP 한 나라의 총소득인 동시에 그 나라에서 생산된 재와와 서비스에 대한총지출


:

⇒ 실질 GDP: 경제적 풍요의 유용한 지표 실질 GDP성장률 경제성장의 종은 지표


,

* 1인당 실질 GP :
E = 노동의 생산성

*
생산해 결정변수
냐 AFCLK.HN )
崔杓
*
경제성장과 정부정책 투자가 공장설립 珙洲
p ,

① 저축과 퉤의 장려 : ST ⇒ IT ⇒ K사 ⇒ ⇒ f N생산성T )
凸 But 수학체갆 다 장기적으로 저축률 T 하면 생산성과 소득 T 그러나 성장률 싿 아닌
② 해외투자 : S< I ⇒ 해외투자 외국인 직접투자 다 허쉬초콜릿
<
.

외국인 포트폴리오투자 ex
.
주식채권

③ 교육 :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
긍정적 외부효과창출
④ 건강과 영양
⑤ 재산권과 정치적 안정

⑥ 자유무역 대내지향적정책
,
대외지향적정책
⑦ 연구개발 (AT )

인구성장 자연자원제얘심화 :
1인당 자본량山斗 노동생산성t ⇒ 1인당 GBP6

瀏執
26
금융시장 채권시장 타인자본조달 채권매각을 통한 자금조달

[
-
:

금융기관
금융중개기관들은행 자기자본조달 : 주식의 매각을 통한자금조달
주식시장 -

다른금융중개기관들과 구분기능통화창출

뮤추얼펀드

국내총생산 (GDP)
-

총소득총지출
ㅋ 폐쇄는 EG다G
Y-GI-IG.ee

국민저축 Y-EG.IS ( Y FC) 北下 -

민간저축 정부저축 투자

* 대부자금시장

대부자금의자땨실질이자율

이자율 玘綢
< 저축과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정책7

泄一 .
- -
D저축에 대한 유인책임공급곡선 오른쪽 이자율 거래량T
i

: 20투자에 대한 유인책 : 수요곡선오른쪽의 이자율T거래량


i 수의투자) ③ 재정적자로 S감소 : 공급곡선왼쪽다이자율 거래량t
!

대부자급 재정흑자로 망가8공급곡선 오른쪽 이자율 거래량 T


27
* 재무이론의 기초

현재가치 : 현재 이지도에서 미래에 주어진 금액을 얻기 위해 지금 필요한 금액


미래가치 : 현재 이자율에서 오늘 주어진 금액으로 미래에 얻을 수 있는 금액

* 위험의 관리
① 위험회피 : 위험회피적
② 보험시장 ; 역선택 , 도덕적 해이
③ 특정 기업위험의 분산 : 분산투자
④ 위험과 수익의 상충관계

* 자산가치평가

① 기초가치 분석

② 효율적 시장 가설 -

자산가격이 그 자산의 가치에 관한 모든 공개된 정보를 반영한다는 이론


-
모든 회사가 많은 시람의 분석 대상 ⇒ 주식가격 랜덤위크 ⇒ 최선의 선택은 포트폴리오

시장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따라 결정

인덱스펀드 : 주가지수에 포함된 모든 주식에 투자하는 뮤추얼펀드


[ 뮤추얼펀드 :
가장 훌륭한 주식에딴 투자

③ 시장의 불합리성
28
( 실업 )
t 학생주부은퇴자

성인인근경제활동인구t비경제활동인구
E취업자수t실업자민일자리가없는사람다시취업하기를 기다리는사람
실업률 실업자수
지하
경제활T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와
.at X100

임금
*자연실업률 -

실제실업률이 상승또는 하락하는 기준이되는 정상적인 실업률


-

경기적
노동시장이 균형인 상태의 실업률 또는 완전고용상태의 실업률
- -
- -
- - -
-

• .
. . .
지면
K경먹실업 -

자연실업률을 벗어난실업
CD
-
노동시장의 초과공급으로 인한실업

노동

마찰적실업 : 단기간 -

공공정책과 직업탐색1일자리정보제공 )
-
실업보험

구조적실업 : 장판 -

초고성급상태5일금 > 越眠

① 최저임금제지실업
② 노동조합과 단체교섭의 임금인상다공급량T수요량ID실업 내부자이외부자
③ 雉眼
29

文由州 M : 현금 요구불예금

기능 교환의 매개수단
② 회계의 단위
③ 가치의 저장수단

연방준비제도 ( 중앙은행 )의 직무 D 은행은 규제 t 은행제도의 건전성 보장


② 은행들에게 자금대출
공통와정책담당기구 ③ 통화량조절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융통화위원회) 통화량을 늘리기로 결정 데 국채매입


쿩 때는
-

통화량을 줄이기로 결정 국채 매각

100% 지급준비제도

( 부분지급준비제도
.

. 지급준비율
tt
(R)

* 예금통화 승수 =

i ; 지급준비율 CRT 대출되는 금액 ) 예금통화尨山

* 은행자본과 레버리지
-

은행자본 : 은행 주주들이 은행에 출자한 자금


-

레버리지 :
기존의 자본에 차입한 자금을 더하여 투자재원을 마련하는 것
레버리지비율 =
은행의 자산
재IT
-

자본금규제
* 중앙은행의 통화량조절
지급준비금쪘 : 지급준비라 ⇒ 대췌 ⇒ 통화旿山 ( 화폐공급량)

공개시장조작 국채 사고 팔고 국채 매입 ㅋ 통화량 증가
[
(
- -

국채 매각 ⇒ 통화량감소

시중은행에 대한 대출 : 재할인율 재할인율 인하 ⇒ 더 많이 빌린 ㅋ 지급준비금 증가 ㅋ 대출 증가 ⇒ 통화량 증가


( 중앙은행 시중은행)
-
[ 재할인율 인상 ⇒ 더 적게 빌린 ⇒ 지급준비금 감소 ㅋ 대출 감소 ⇒ 통화량감소

지급준비율 조절
법정 지급준비율 통화승수 T

記慂 火箚 쿸 통화량감소
법정 지급준비율 인하 ⇒ 통화량 증가
[ 법정지급준비율 인상
-

(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지급 이자율 인하


⇒ 지급준비금 감소 대출 증가 ⇒ 통화량 증가
[ 이자율 인상 ⇒ 지급준비금증가 ! 대출 감소 ㅋ 통화량 감소

B내 정확히 통제X
.
-

가계들이 예금형태로 보유하려는 화폐의 양통제 불가 외 . 10만 현금 90만예금 아 50만 현금 50만 예금

은행들이 대출하려는 금액 통제 불가 ㅄ 잃을가능성% 수익별로

* 연방기금금리 ( 기준금리 ) fr
: 은행들 사이 하루짜리 대출에 적용되는 이자율

연방기금 금리 목표치 인하 ㅋ 통화량증가


[ 연방기금 금리 목표치 인상 ㅋ 통화량 감소

중앙은행 국채 매입 ⇒ 통화량 증가 ⇒ 누가예금해서 지급준비라 ⇒ 자금에 대한수요 t.tt 인하


30

고전학파의 인플레이션이론 ( 회폐수량쒸장대

l. 물가수준과 화폐의 위치 : 물가수준PT # 지갑속지폐로 살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t # 화폐가치하락


2 . 화폐시장의 균형
a. 화폐수요 :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재산을 유동성형태로 보유하고 싶어하는지 반영 -

결정변수 : 신용카드에 현금인출기3 이자율


, 둘다수준 E우하향
b. 화폐공급 : 중앙은행과 은행권전체가 통화량결정 ← 수직선

c. 화폐수요와 공급의 균형

# 회페께 뚶가수는 P
( 낮음)

. . .
. . . . . _ . .
• Das ⇒ 물가수준상승해야

균형화폐가치 - • -

균형물가수준
. . .
- - - - - -
- - - - - - -
DS ⇒ 물가수준하락해야
D

(높음)
중앙은행이 통화량
결정한 통화량

3. 통화량종다의 효과 : 중앙은행에 의한 통화량증가 于珉玧 오른쪽 # 화폐의 다치하락돌다수준상승


외 S2 포가수는 P
# 화폐기지 ( 낮음)

t.
.


.

Deep 통화량녚음 >


)

통화량증가국회폐의토파공급발생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하돌다상해회폐수요량증가 ⇒ 새로운 균형


( 5만큼 남음) ( 사탕더살) (사탕값T)

* 화폐수량섥한경제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돌다수준을 결정하며 통화량의 증가율이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한다는 이론


4. 고전학파의 이분법

# 화폐기지 포가수준P
명목변수 : 화폐단위로 측정된변수의명목이지웨이
[
( 낮음)

실질변수 : 실물단위로 측정된 변수 외실질데기개) 실질이지율실질임금


,

⇒ 화폐의 중립성 : 통화량의 변화다실질변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이론 D

(페이단지에서 완벽성립이 玭醉

E2냥
5. 화폐의 유통속도와 화폐수량설
tienne

↳ 화폐가한사람에게서 다른사람에게로 이동하는빈도

냐 t ⇒
물자수준X실질GPP

.tt
화폐수량방정식 M샤ㅯY
s 통화량이 증가하면 묽사아 산출량Tor화폐유통속도t

화폐수량센장대에 따르면 MEPT ( U와 Y다상수여야 비례한 )

MT다PT 4생산함수통해 결정 YAFCL.k.HN )


① 화폐유통속도항이 안정적 ⇒ M21개 ( 통화량 산출량의 명목가치 )
② 재화와 서비스의 산출량은 생산요소의 공급량과생산기술에 따라결정 ⇒ 회페의 중립성으로 통화량은 산출량에 영향X ⇒ M2매XP
③ 중앙은행이 회폐공급T ⇒ 인플레이션율T

G인플레이션조세
A정부다 통화증발을 통해 조달하는 수입
b. 화폐를 보유한쁘든사람들에게 부자

⇒ 인플레이션떱투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지출 줄여야!


* 피셔효과
( 기대 )
명목이자율 (i) =
실질이자율 때 인플레이션율에
⇒ 인플레이션율이 변하면 명복이자율도 같은 폭으로 변하는 현상
장기성립 ( 11대 인플레이션율 =
실제 인플레이션을 )

인플레이션 비용

1 . 논두창비용 : 현금보유를 들이는 피정에서 낭비되는 자원 ( 뚤다 T ⇒ 현금의 실질폐t )


2. 메뉴비용 : 가격을 변동시키는 데 드는 비용
3 .
상대가격의 변화와 자원배분의 왜곡 ; 인플레이션이 상대가격 왜곡 ⇒ 의사결정 왜곡
4. 인플레이션에 따른 조세 왜곡 : 저축저해 于咫山 성장t ( 해결위해 실질변수로 세금 부과)

5. 혼란과 불편 ( 화폐 회계의 단위

예상 X -
6 부의 자의적인 재분배 .
( 채무자 이득 )

디플레이션 비용 ; 전반적 지시 문제로 인해 발생 (통화량답며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감소의 돌다하락)

1 .

메뉴비용
2 .

상대가격 변동성
3 . 갑작스러운 것이 대부분 ( 채무자 ㅠㅠ) E 해로울

* 프리드먼 준칙 : 완만한 디플레이션처방


디플레이션 于酷이자율 하락다 화폐보유비용 담소 ) 명목이자율이 0에 접근하여 실질이자율 디플레이션윤일 때 후두창비용 최소화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t ㅠ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t ㅠ
t. ⑦ (2% )
0 2%
31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1 재화의 이동 : 순수출
.
=
수출 -

수입 ( N사 KM) =
무역수지 ( 수출액 수입액) -

수출 수입 순수출 영향 요인들
,
: 소비자 취향 재회의 옥내가격 국외가격 환율 자 외국소비자소득 수송비용 정부정책
, , , , ,

2 . 자본의 이동 : 순자본유출 ( N C0) =

내국인의 해외자산구입액 -

외국인의 국내 자산 구입액
9. 순자본유출 영향 요인들 : 해외 국내 자산에 대한실질이자율 해외 자산 보유에 따른 경제적 정치적 위험에 대한 인식
, , ,

외국인의 국내 자산 소유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정책


b. 자본거래의 유형 해외직접투자
〔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
3. 순수출 ( N N 순자본유출 ( NO) :

A. 무역수지투자 ( NPO)
T. 외국인에게 파는 재화와 서비스 금액이 클
L. 순수출을 통해 취득한 외화로 외국자산 구입
ㄷ .

자본유출 ( No > 이
b. 무역수지투자 ( MK0)
T. 외국인에게 파는 재화와 서비스 금액이 작은

L. 순수입에 필요한 외화 조달 위해 외국에서 파산 매각

E. 자본유입 ( N ( 00)

4. 저축 투자 국가간거래 ,
.

Y = Et I + G + N X # (Y FG) t ( FG)
- =
Il NX ⇒ s =
If N X ( 순수출 )
민간저축 정부저축 ⇒ s : I+ N0 (순자본유출 )
국제거래의 가격

l. 뗭똑환율 : 한나라의 화폐와 다른 나라 화폐의 교환비율


a. 맨큐 @ =

ti 옿 ; 국내와 1단위 → 외화몇단의

b. 한국 E.tt i =
; 외화1안위 → 국내화 몇단위

C. 평가절상 : 외국화폐에 대한 자국 화폐가치의 상승 Et ET


d. 평가절상 : 외국화폐에 대한 자국 화폐가치의 하락 Et et

2 . 실질환율 : 한나라의 재화 서비스가 다른 나라의 재화서비스와 교환되는 비율 ( 수출과 수입의 규모결정변수)


,

t
a. 맨큐 E =
의 자국의 물가지수
=

외국의-T
*

E EX 외국의 물가지수
b. 한국 RE i =

旿颱
c.
실질환율 평가절상 REt ET ; 자국재화의 가격 T ⇒ 수입 怜烈 ⇒ 순수출 )

d. 실질환율 평가절하 RET Et ; 타국재미의 가격T ⇒ 수입 수출 T ⇒ 순수퇘


환율결정 이론 ; 구매력 평가설
: 한 나라의 화폐는 모든 나라에서 동일한 수량의 재화를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론
1달러 네째아
( 한국재와
e.
D 동일한가치 다 구매력 동등

1 .
기본논리

a. 일몰일자의 법칙 : 어떤 물건의 가격이 어디에서나 같아야 !

b. 좌익거래 :
시장잔 간격 차이를 이용하여 이윤을 올리는 거래

2. 시사점 : 두 화폐의 명목환율이 두 나라의 물가수준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

a. 媤 B =

Y ⇒ 陝 e P ⇒ e 艇=

b. 한국
Ext =
技 ⇒ E 門一 P ⇒ E 喊

ex e =
쑘 에서 e t ( 평가절하) 하려면 P 7 > P * T

3 .
한계
a. 현실적 성립X ( 모든 재화교역재X , 동일한 재화 < 완전한 CH체제 >X)
b. 환율결정을 이해하는 첫 단계로 유용
32

내부자금시장과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


'
L한경제의 저축과투자 ,
-

자국회페가 외국와폐와교황
대부자금의 해외유출입조정
(순자본유출)

1. 개방경제의 대부자금시장 : S -
파NO 聳訃 대부자금공급
(공급 ) ( 수요 ) (S )

諸泮 - -
- - - -
-
- -

A . 수요와 공급은 실질이자율에 따라 결정 1


' 대부지급수요
b. 실질이자율T ⇒ 저축증가우공급증자 ⇒ 공급곡선우상향 ! ( 파이0 )

⇒ 투자위축9 수요감소다수요곡선우하향 균형대북자금 대부자금

외환시장
;尙뿶 .MX
2 .

실질환율 외환수요에이
ㅷ 외화공급에
'
외국화폐
수요, 공급)

A.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은 실질환율에 의해 결정

b. 실질환율 REM 순수출T ⇒ 외국화폐공급T 咐一 . . .

다외국회폐공급곡선우상향 균형실질환율
실질환율R테 施倦山 ㅋ 의국회페공라 ,

C. 순자본유출은 실질환율과 부관 F1외화)


외국화폐의 수요곡선은 수직선 -
외환균형량

N0 : 한국의 뮤추얼펀드가 미국국채를 사려면


(수요)
원을 달러로 바꿔야 !
NX 미국의 보잉사가 한국의 항공사에서
(공화 비행기를 구입하려면 달러를 원으로 바꿔야!
실질 '

개방경제의 균형 이자율
:

i
1.순자본유출 : 대부자금시장과 외환시장연결 , 실질이자율과
S 工州 대부시장균형 : No

NO :
NX 외환시장균형 0 순자본유출NO

2.두시장의동시균형
U. 대부자금시장에서 균형이자율결정
b. 실질이자율이 순자본유출을 결정
( . 외환시장에서 실질환율결정

실질 공급 실질
이자율 이자율

r.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i

!
수요 '
NO
i
대부자금 i 순자본유출
세부자로시랑> 任礁蹉>
i.
실질환율 수요에 공급 ( ND
'

RE

RE - -
- - - - - -

외화F
< 외환시장>
정부정책과 사건들이 개방경제에 미치는 효과 ( FF CH ( FG ) =
It NX

妃晤 정부저축

l. 재정적자 ( TG )

정부저축 ⇒ 펜저축 감소 ⇒ 대부자극공급 ㅋ 이자율 ⇒ 국내투자

⇒ 순자본熺山 ⇒ 외국화폐수요t ⇒ 실질환율하락 E 실질환율의 평가절상) ⇒ 순수돌셔 무역수지적자 ( 시점을 NX0으로 볼 때 )


RE
e
RE ) 의 수입 怜珌 ⇒ 必山

공급2 ( 磅刈
실질 공급 실질
이자율 이자율

b. . .
. . . ... . _ . . . . .
- - - - - -
-
- -
b - -
- - - - - - -

r, • h
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수요 .
I
NO
i
대부자금 이익.it '

순자본유출
세부자로시랑> 任礁蹉> '
i
'

"
실질환율 수요2 공급 ( ND
'
수요( N
Go)
RE

R
t RE2*
- -
- - - - - -

.EE
- - - -
-

외화 F
<T환시장>
그 무역정책
A. 관세 : 수입에 부과되는 세금

b. 수입쿼터 : 외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국내 판매량을 제한

C. 무역정책의 효과
수입부터 도입 # 수입잖소 . 순수출 증가 ( NA ) ⇒ 외국화폐 공급증자 ⇒ 실질환율 RE하락 ( =
실질환율의 평가절상 ) N N ; NX 불변
⇒ 이자율 불변 ⇒ 순자본유출 불변 ⇒ 순수출 불변

d. 무역정책은 무역수지에 영향X


T. 이자율 순자본유포순수돌 불변 ,

L. 특정 기업 산업 교역상대국에 영향 ,

ㄷ 미시적 효과 叭仁 NC아 5I ⇒ NX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S와 I에 영향주어 먱


무역정책은 SI에 영향X ⇒ NX에 영향X
실질 공급 실질
이자율 이자율

r -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
i

!
수요 1
N
i.
대부자금 i 순자본유출
<대부자로시랑> 任礁蹉>
i

( ND
실질환율 수요 ( N 공급

RE
공급과NX)

R - -
- - - - - -

RE※ - -
-
- - - -
-

외화 F
< 외환시장>
3.정치불안과 자본도피
A자본도피 : 한나라의 자산에대한수요가 갑위에 대폭적으로 감소하는 현상 - 해외자산매입에 필요한지타가련
D. 전세계의 투자자가 정치상황에 불안을 느껴멕시코자산매각 # 순자본유출증가 # 대부자금수요C퍼N0층다

⇒ 실질이자율쳐순자본유출T ⇒ 외화수요의 증가로 외화가치상승E실질환율의 평가절하) Et , RET

N0 NC02D순자본은폐
실질 공급 실질
이자율 이자율

尙一一
.iq .
- - -
e
- -

ir
- - -
-
- - - - - - - - - - - - - -
- - -
- - -
- -

班吼雉
-

i - - - - - - - - - - - - - - - - - - - - - -
- - h - - -
- - - -

l l

수요쐄대부진루수와
,
i
i i
i i
I ,

대부자금 i i 순자본유출
<대부자금시장 任礁踵>
i i
'
,

실질환율 수요 공급 ( ND
'

RE

3-10외화기체
TREE
- -
-
-

210외화수요100개
. - - - -

상승 毗一 -
- - - - - -

외화F
< 외환시장>

화폐가치절하 # 수출품 級口 수입품이싸림⇒ 무역수지개선 ,

동시에이자율상승의 국내투자감소다자본추적경제성장위축
mi
생산량
경기변동 또는 경기순환 장기 33
-

경기침체실질소득 # 실업T세
-

불황 신한경기침체 :

시간

경기변동의 세가지특징
1.경기변동은 불규칙적예측어려움
2.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함께 ( 경기친체기에 GDPt일때 개인소득기업이윤 소비지출 투자지출등되 ) , ,

3.생산이 감소하면 실업

단기경기변동에관한설명

l. 고전학파경제학의 가정뒤장기이론 )
A. 고전학피의 이분법 (실질변수vs뗭똑변수)

D. 화폐의 중립성 : 화폐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2.
단기경기변태현실
A고전학파의 이론은 장기설명가능대1경기변동설명불가
b. 단기적으로는 실질변수와 명독변수델접연결

C. 단기적으로는 화폐의 중립성다정 부적절


彬却
동공급 PTT
3 . 총수요총공급모형 -

장기추세중심으로 발생하는 단기경기변동을 설명하는 모형 諸別咆 -


- -
-
-


-

A .
단기경기변동모형의 두가지변수 : 실질GPP1Y) CPI아 GDP다플레이터 !
총수요
,

PF Yt
'

i
b. 총수요곡선8작돌가수준에서 다계기업정부가 구입하려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나타내는곡선 !
翹褪 산출량Y
C. 총공급곡선8각 물가수준에서 기업들이 생산판매하려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나타내는 곡선
총수요곡선
T T T ( 1깄 )
1 .
GDP의 네 가지 구성요소 Y C + I + G +N X
=

공급 수요

2 .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彬却
a. 물가수준과 소비 : 자산효과 (C ) : 소비자들의 부가 증가하여 소비재에 대한 수요 증가
물가수준 山斗 자산의 실질기체 다 소비지출 T
'

b. 물가수준과 투자 : 이자율 효과 (I ) ; 이자율이 하락하여 투자재에 대한 수요 ( I) 가 증가


총수요 민 YT
,

Pt ⇒ 화폐수요 山于 이자율 ) (다예금하려해서 ) ⇒ 투자 T

C. 물가수준과 순수출 :
환율 효과 ( N N ; 환율이 절하되어 순수출이 증가 산출량Y

미 ⇒
. 이자율 t ⇒ 다른 나라의 국채 셰위해 외환수요 T ⇒ 외환가격 T 원화가격 ) (평가절하 RE% ED
,
⇒ NXT

d. 胞 정부지출은 : 정책에 의해 고정 (G)

3 .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는 이유

물가수준 외에도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있으며 이런 요인들이 변하면 이동
,

a. 소비지출의 변동 ( C) ; 세금 인하 , 주식시장호황 등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소비지출 증가 ㅋ 총수요곡선 오른쪽


b. 투지지출의 변동 (I) 의 장래 경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 통화량 증가에 따른 이자율 하락 등 주어진 돌기에서 기업의 투자지출 증가 ⇒
총수요곡선 오른쪽
,

C. 정부구입의 변동 (G) 우 국방비 증가 고속도로 건설 등 정부의 재화와 서비스구입의 증가 ⇒ 총수요곡선 오른쪽


,

d. 순수출의 변동 CNN 5경기 호황 자국의 ,


화폐 가치 하락 등 주어진 물가에서 순수출 증가 ) 총수요곡선 오른쪽
총공급곡선
(RAS 장기총공급곡선
彬邵
1 .
장기 총공급곡선 : 수직 Y-Y ( P와 관련
G 장기적으로 실질 GDP는 그경제가 보유한 노동과자본의 양 ,
.

그리고 이를 재화와 서비스로 변환하는 생산기술에 따라 좌우

D. 물가수준은 장기실질GP에 영향X


산출량Y
2 .
자연산출량
A. 실업률이 정상수준에 있을때 경제가 장기적으로 달성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산출량
b. 잠재산출량 완전고용산출량
,

3 .
장기총공급곡선이 이동하는 이유 : 자연 산출량이 변하면 )삐 총공급곡선이 이동

a. 노동부널의 변동 ; 인구TC내다 ET

b 자본부문의 변동
.
; 인적자본 물적자본 T.TT
,

C. 자연자원의 변동 ; 갑자기 원유발견 ITT

d. 기술지식의 변동

(RAS 미술진보로 총공급곡선이동


물가수준P
4. 장기성장과 인플레이션
a. 현실적으로 기술진보와 통화정책이 가장 중요한 변수
T

④ 臥小
B 기술진보로 인해 장기총공급곡선오른쪽

통화량증가로 총수요곡선이동
.

통화량페로인해 총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AD

⇒ 산출량D돌가T ③羸 산출량Y
彬却 단기
5단기총공급곡선 : 우상향 동공급마다
a. 물가수준이 상승자재화의 서비스의 공급량증가
b. 물가수준이 하락다제회의서비스의 공급량감소

6. 물가수준의 변동이 단기적으로 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산출량Y

A임금의 경직성이론 ( 노동시장) : 물가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실질임금상승 , 고용감축의 생산량t

노사협상 Pi 幽二 매 다생산자이윤셔생산량)

卜脯二 1000t
=
'

쁞 =

8개 ⇒ 생산지이윤 珌毬

b. 가격경쟁이론 (재화시장) : 물가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일부기업의 가격이 바람직한 수준보다 높아 판매t의 생산량 )

t.PT
미국메뉴비용 비싸서 그대로다 상대적으로 비썌만팮⇒ 생산량
ㅋ 메뉴비용 비싸서 그대로다 상대적으로 싸서 잘팔린 ㅋ 생산량

C. 착각이론 : 물가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일부 공급자들은 자신의 가격이 하락했다고 생각의 생산량t

Pt 사과의 값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졌다고 착각다생산량


t.PT

착각다생산량T
⇒ 사과의 값이 상대적으로 더 올랐떳 REP ⇒ 5

f
=
y

d. 위의 3가지다 실제물가가 사람들이 예상한 수준과 다르면 단기 산출량다자연살람 DEP다 y > 5 9 임금이 덜 올라서 생산GT

산출물의 공급량자연산출량 .
AC실제돌가수준 -

예상물가수준) REP다 y <


5

% 단기총공급곡선이 이동하는 이유
彬却 단기
A. 장기총공급곡선을이테칸변수 ( 노동자본자연자원기술지식변동) 喜玘

b. 물가수준에 관한 사람들의 예상
T.TT ⇒ 생산비용T의 곡선왼쪽 V

L. 邨山 ⇒ 생산비용 .tt 곡선오른쪽


(물가가떨어진다고 생각) ( 임레)
산출량Y
彬却 RAS 단기 SRS
8. 경기변동의 두가지원인 동공급
A단기경기변동분석 : 분석의 단순화를 위한 가정 -

경제가장기균형에서 출발
b. 장기균형 :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만나균형물가수준과 균형 산출량결정
c. 단기균형 : 단기총공급곡선도 장기균형전통과 AD

d. 총수요곡선이동의 효과 산출량Y
T.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단기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산출량이 변함
L. 장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의 이동은 물기에는 영향을 주지만 , 산출량에는 영향X
E. 정책당국은 총수요에 영향을 줄수있기 때문에 경기변동의 심각성을 완화가능 ( 동수요곡선다시AD되

물가수준P RAS

AS
AS230시간이제면 (새로운 현실에 대한 기대가 적응하여 卦咆 "
단기총공급곡선이동
D1930 세계 대공황 : 재화와 서비스 산출량대폭감소 ( 왼쪽)

t
水姙識 .

201940제2화세계대전 : 총생산 급격히증가 ( 오른쪽)

AD2 ADD총수요감소
④ 산출량Y
④ 산출량복귀

e. 총공급곡선이동효과
T. 총공급곡선의 이동은 경기침체HD와인플레이션 이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초래가능성
L. 총수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정책당국은 산출량에 미치는 부정적효과완화가하이를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악화대가 치뤄야함
(성에
T) 彬却 RAS
MD단기동공급곡선이동 ④ 彬却 RAS
As
D단기총공급이 감소할때
책 CHI !
AS AS

弼咆小
상승


쪮쏪흏덯 f •

AD2 20정부가 총수요를 증가시켜


AD
AD 총공급의 감소에 대응하면

채무불이행 Es
"
스태그플레이션
"
②소감릻소 산출량Y 姙謎
鬱謎 산출량Y
34
G)
통화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 유동성 선호이론
.

9 . 단기이자율 결정 이론 (단기에는 병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b. 화폐시장에서 이자율이 결정된다는 케인즈의 이론

C. 유동성 선호이론의 세 가지 구성요소

T. 화폐 공급

①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직접 통제한다고 가정 T

② 다른 경제 변수 , 특히 이자율에 좌우X

③ 화폐 공급은 이자율에 대해 수직선으로 표시

L. 회폐수요

① 화폐 수요를 결정하는 여러 변수 중 이자율 강조

② 이자율 상승 兆倒수요량 감소 ( 화폐 보유 기회비용 며 화폐수요t )


③ 화폐 수요곡선은 이자율에 대해 우히향

E . 화폐 시장의 균형
① 화폐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도록 이자율이 변동

② 이자율이 균형이자율과 다르면 사람들은 보유자산 구성을 조절 . 이에 따라 이자율은 균형이자율에 접근

이자율
화폐공급곡선 화폐의 초과공급의 화폐의 초과보유액을 예금아 채권

- - - - - - - - - - - - - -

초과공급 ( ㅯ ㅋ 은행에서는 낮은이자율이 이득 H ⇒ 화폐 보유 기회비용 t 화폐수와



균형이자율 ⇒ 이자율이 균형이자율에 도달할때까지 내랪균형)
. . . -
- - - -

Th.IE - -
- - -
- - - - - - - 초과수요 ( s D)

화폐수요곡선 화폐의 초과수요 ⇒ 사람들은 채권이나 다른 이자가 붙는 자산 보유액을 줄이고 화폐 보유액을 늘리려함

중앙은행에 의해
고정된 통화량
통화량 다 차면 보유액을 줄이면 채권 발행기관은 T ⇒ 화폐 보유 기회비용 T 회폐수요
⇒ 이자율이 균형이자율에 도달할 때까지 오름 (균형 )
34

2 . 총수요곡선의 기울기
a. 케인즈의 이자율효과에대한3단계분석요약
T.
물가수준이 높아지면 거래에 필요한 회폐수요증가
L. 회폐수요가 증가하면 화폐공급과 같아질때까지 이자율상승
ㄷ 이자율이 상승하면 재화와서비스의 수요량은 감소
이자율F다투자사신규주택수메기업들의 투자수요t ) #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량 ) 다 .
이자율이 상승하면 대출을 받아 새집을 구입하려는사람이 줄고

화폐공급곡선 집을 구입하려는 사람들도 더 작은 집 (투자수요D


이자율 물가수준

f. - -
- -
- - - -

R - - - - - -

一傳
③균형이자율T
) iㅡ
0회폐수와 모일때 먤객갈伴 i

r. - - -
- - - - - 화폐수요MD2 R - -
... . . .
.
-
- -

P일때 호쎄수요 MD .

! ! 총수요곡선

통화량 다-4 . 산출량


④ 재화와 서비스
수요량t

<회폐시장> < 총수요곡선>

3. 통화량의 변동 화폐공급곡선
N2

A 주어진 이자율 물가수준


물가수준에서 재화와서비스의 수요량이 변하면 총수요곡선은이동
en →
① 중앙은행
b. 통화정책의 영향 화폐공레
r, - - - -
-
F - - - - - -
. ro
- - - -

중앙은행에 의해 통화량증가 ( 화폐공급TH균형이자율하락 ( 회폐수요가) 施朗剛 ! i

k - - - - -
- - - -

! ! AD2
⇒ 재화와 서비스수요량증가 # 고정된 물가수준에서 총수요곡선오른쪽 P일대화폐수요 : i 총수요곡선
: i

통화량 Y-Y .
산출량
③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재와와서비스수요량이
MT의 AD가 오른쪽 ,
NHAD가 왼쪽
<회폐시장> < 총수요곡선>
34
4 중앙은행의 금리 목표치의 역할
.
( 3)

A. 통화정책의 중간목표치로서 통화량 또는 이자율 사용


D. 왜 연방기금금리를 중간목표로 잡을까 ?
T. 통화량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운
L. 화폐 수요가 시간에 따라 변동한 ( 통화량이 주어졌을 때 화폐수요가 증가하면 이자율 총수요 산출량변동) ,

ㄷ 연방기금금리를 곌ㆅ쎤 그에 따라 통회장을 조절함으로써 매일 화폐수요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음

C. 총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한 통화정책의 변동


T. 통화량 증가
L. 이자율 하락

d. 총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통화정책의 변동


7. 통화량감소
L. 이자율 상승

MT ⇒ 이자율 山斗 투자 T ⇒ y

T
이자율 목표치 하한
A
5. 0%

유동성함정 상태에서 통화정책


.
유효X
T . 이자율이 이미 거의 0으로 하락한 상태라면 ( 이자율이 더 떨어질수 없으므로) 통화정책은 효과 X일 것
↳ 총수요와 총공급은 낮은수준 탈출 불가
b. 유동성 함정 상태에서 통화정책 유효
T. 중앙은행이 상당기간 이자율 낮은 상태 유지하겠다고 약속 다 투자지출 T
L. 공개시장조작에 더 다양한 자산 활용
① ( 정상적 통화정책수대 단기국채매입
② 모기지 채권이나 회사채 매입 ⇒ 은행들의 지급준비라 ( 이자율과 관련

③ MT ⇒ 언젠가 PT : 뗨뜩이자율 0%이면 실질이자율 ⇒ 돈을 빌렸을 때 사탕을 더 적게 돌려주므로 기업들이 투자 T


34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4)

1 .
재정정책 ( GT변화 )
A정부지출과 조세에관한정부의 결정
b. 장기적으로 저축과 투자경제성장에 영향

C. 단기적으로 주로재화와 서비스의 총수요에 영향

(승수효과넬어내기효과 )

20승수효과
A. 확대재정정책GM에 따른 소득증가로 소비지출이 증가하여 총수요가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
b. 정부의 재정지출증가 # 총수요곡선오른쪽의 소비지출이 추가로증가 ⇒ 최초의 총수요 증가폭확대

물가수준
' 30승수효과로 최초의

Age
'
, 총수요 증가폭확대
'
200억
- - - 一一 . .mn
GT
延孤 GTFCT.IT

胚雇
\

산출량

이 200억증가하면
총수요가 200억증가

C. 한계소비성향 ( NPC)
7. 추가소득중에서 저축되지 않고 소비되는 금액의 비율
L. MP에 5승수T
E. 許一一
it
34

3. 띨어내기효과 ( 琇細
a.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이자율의 상승으로 투자가 담소하여 총수요의 증가가 일부 상쇄되는 현상
b. 정부의 재정지출증가 # 총수요곡선오른쪽 ⇒ 화폐수요 ⇒ 균형이자율 化悟沇 .

화폐S
-

이자율 물가수준
' 총수요의 증가분

一一
.fr
- 일부 상쇄

ps
• 訃臣 증가로 <
,

30균형이자와
i 輧蛾 一入

3D
est

회폐D MD ) 총수요곡선AD
중앙은행 통화량 산출량
고정 D정부구입증가로
총수요증가

4.세례변동
A. 세금인하 ⇒ 소비지출 ⇒ 총수요곡선오른쪽
D. 세금인상다소비지출t ⇒ 총수요곡선왼쪽
C. 세금변동에 따른 총수요곡선의 변동폭
T.
승수효과t띶에시기효과영향
L. 세금변동을 영구적인 폐아 일시적인 조치 인식하는가에 따라 다른

* MT

兵允 }倨완쮀
(>
AST (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기업들이 수송많이 # 민간기업생산성
AST ( 오버타임으로 일할인센티브생김디생산성T
34
경제안정화 정책 C이

장기 A5
단계5
P
1 .
적극적인 안정화 정책 찬성 ( 케인즈학파) ← 주로 단기
-

G . 래가 약한 낙관론과 비관론의 파동 때문에 총수요가 변동 -

-
b 이 경우 정부가 통화정책과
.
재정정책을 사용하여 대처하면 총수요 안정가능 -
- AD
총수요가 완전 고용을 달성할수 있는 생산수준에 못미칠 경우 적극개입 필요
'
c
AD2 GTA 통해 원래 AD로
.

Y
2. 적극적인 안정화 정책 반대
9. 정부정책은 경제성장촉진과 물가안정 등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함
b. 단기 경기변동은 자체적으로 해결되도록 내 뼈 두어야함

c. 정책들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 걸리는 시차 때문에 미세조정불가

3 .
자동안정화장치
a. 경기침체가 발생할 때 정부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총수요가 증가하도록 만드는 재정정책의 변동
b. 조세제도 : 경기침체 ⇒ 소득 .

인근이윤이 모두 하락하므로 조세수입 ) 다 총수요가 늘어나 경기변동폭 줄어든다


C. 일부 정부지출 : 경기침체다 근로자들이 해고되면 실업급여 빈민층에 대한 공직부조 등 소득 보조 ㅋ 총수요 T
,

d. 많은 경제학자둬 재정수지 균형을 (EG) 달성하도록 요구하는 헌법수정안에 반대


: 경기침체다 조세수입 山井 재정수지 t ⇒ 적자 : 만약 균형수지를 유지해야 된다면 다 또는 Gt 해야 ㅋ 경기침체악화
( FG )
35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단기상충관계

"
인플레이션과 실업 ; 경제지표C주목
a. 고통지수 :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합한수치
b. 장기자연실업률은 노동시장의 속성 ( 최저임금제 노동조합의 시장지배력효율임금히에 의해 결정
,

인플레이션율은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통화량에 의해 결정


⇒ 요인이 다르므로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은 관계X
C .
단기 : 인플레이션과 실업은 상충관계

2 -

필립스곡선 :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ㅠ

6% •

A .
필립스가 실업률명목임금 변화율사이 3관계임을 입증
cnn.tt#생산비용식상품가격A 2% •

D . 나중에 새뛛슨플로우가 인플레이션실업률 관계임 입증 ⇒ 필립스곡선 명명


C. 정책담당자들 : 재정정책 통화정책 적절히사용
,
4% 7% 실업률

d. 총수요곡선총공급곡선 필립스곡선 .

T. 필립스곡선은 총수요곡선이 이동하여 경제가단기총공급곡선을 떄 움직일때 나타나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조합


L. ( RY)
총수요와 총공급곡선의 산출량과 물가수준기준
ㄷ 필립스곡선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기준 ( UR)
.
P T

단기AS
6이...
e. 총수요증가 ... . . . . . .
...
...
...
...
一邸
;
B
낮은실업률
,

7. 총산출장증가 → ' 02 - - -

i
높은경우
i
A
수 '
2%
. - -
- - - - - -
nr
.

높은 인플레이션윰
'

L. 물가수준상승
i


.
, .

: : AD 낮은경우 ! !
! !
-

f. 총수요감소
.

15000 16000 4% 7%
Y 실업를니
(7% ) ( 4이이

7. 총산촌량감소가 높은 실업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은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므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변하면


L. 물가수준감소 → 낮은 인플레이션을 따라 움직인
경제는 필립스곡선을
7512)
醜漑
3 .
필립스곡선의 이동 9예상인플레이션역할 ㅠ

높은 - - -
- -
-
- -

B
A 장위필립스곡선 D중앙은행이 통화량 ^

/
.

증가속도를 늘리면
7. 수직 -
고전학파 화폐의 중립성을 달리표현 인플레이션율상승
낮은 - -
- - - . . . ... .lt
L.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실업률관련X

I. 통화량이 인플레이션결정 자연실업률 실업률


20장기적으로 실업률은
2 실업률은 인플레이션율과 무관하게 자연실업률로수렴
자연실업률에 머무른다
.

E. 통화량증가다 총수요곡선오른쪽 浩格 ㅋ 인플레이션율T의 산출량실업률불변

장기총공급 장기 필립스
P ㅠ

③똊嶇
IR

許娥淃 •

② 물가상승

P, 8-7
fr p •
AD2
총수요곡선AM
자연소년량 Y 자연실업률 실업률U

< 총수요동공급 > 산출량실업률재로 < 필립스>

b. 자연실업률 ( 완전고용상태)
T. 경제가 장기적으로 수렴하는 실업률
L. 반드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실업률은 X

ㄷ 장기적으로 고정된것X

* 통화정책은 자연실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노동시장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책은 자연실업률에 영향0
ex -

실업자) 취업자빨리가능정책
35
( 3)
C예상인플레이션율
T. 전반적인 물가상승에대한 사람들의 기대치
L. 단기 :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늘려 예상치 못한인플레이션을 일으킬수 있음 ( 大戈兀 )
ㄷ 장기 :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율을 몇%로 설정하든 사람들이 예상할수있음 ( 大二玩 )

d. 떼필립스곡선
7. 안정적인 단기필립스곡선은 존재하지 않을수도
L각단기 필립스곡선은 특정한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반영

I.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변하면 떼필립스곡선은이동

으 실업률자연실업률 -

에실제인플레이션을 예상인플레이션위해대4A데 .at


毬必 i
.

f. 자연실업률가설 : 인플레이션이 얼마가되든 장기적으로 실업률은


"
in "

쨴실업률로 되돌아간다는 주장 ( T테일때냐내앤도)

장기필립스

a -3rad
D확대금융정책도입국회폐공급량TF단기필립스곡선따라 이동
1

B (
<
D " 테가 높은 30장기에는 예상인플레이션을 ⇒ 단기필립스곡선이동
경우안기필립스
테가 낮은경우
단기 필립스

9. 1970년대초 필립스곡선소멸
:
장기적으로 두변수사이상총관계X
35
4필립스곡선의미동의공급충격의 역할 (4)

G. 공급충격 : 기업들의 비용과가격에 직접적영향을 미쳐 총공급곡선과 필립스곡선을 이동시키는 사진


b. 공급충격의 예 : 세계원유가격의 상승
7. 총공급곡선왼쪽 # YPT (스태그플레이션) # UTV 필립스곡선오른쪽 # 공급충격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상충관계악화
" ② ③
C공급충격펜
T. 일시적 : 예상인플레이션변호사 필립스곡선원대위치로 ,

L.
영구적 : 예상인플레이션상승 ,
필립스곡선은 덜 바람직한 위치에

AS
p
TIE
set AS
i

I E

AD
필립스곡선
'
ㅋ Y u

d. 1970년다의공급충격
7.중앙은행이 화폐공급량을 증가시켜 공급충격을 수용했기 때문에
1970년대GB예상인플레이션율이 상당한폭으로상승

AS
p ㅠ 물가는더올라가지만 생산량감소는 퐤듦
p
• AS
iT 에
필립스곡선도 덜움직임

AD
필립스곡선
<
一← Y U
35
5.인플레이션저감정책의 비용 (5)

a. 인플레이션 저감정책 兀山 ( 디플레이션과 부분 )


b. 긴축금융정책
T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금융정책CMD단행 ⇒ 총수요잖소 인플레이션하락 실업률증가
,

⇒ 인플레이션율하락으로 테 ㅋ 시간이 흐르면 필립스곡선왼쪽 조사지연실업률

장기A5 장1필란
P ㅠ
단기AS

③ 예상물가상승률이

.tt※쯋
학자해서 오른쪽

R A
-
.
• A
一炎
-
-
- . . •

: AD . 단기 필립스
, ,

! !

내 나 U
y. y
y
.

et

쎄⇒ ftp.t 필립스곡선PC Mbit니 T 인플레이션율하락으로 拉山


35C
c. 회생비율 ( SR ) : 인플레이션율을 1% 포인트 낮추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연간 GDP의 % 포인트 팥소분

SR = et

y d
. 합리적 기대 : 사람들은 정부정책을 포함한 사용 가능한 모든정보를 적정하게 이용하여 전시를 예측한다는 이론
e. 고통없는 인플레이션 저감정책
T. 사람들은 경제정책이 변하면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조정
L. 희생비율의 추정치는 미덥지 못함 ( 국민들이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바로 예상인플레이션 조정)

t.35.IO 그림에서 MC로 바로 이동 가능 ( 정부의 정책이 믿을만할때 )



36
거시경제에 대한 여섯가지 쟁점

1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사용하여 경기변동을 완화해야 하는가 ?


A 찬성 정부는 경제 안정화 정책을 사용해야 한다 .

T 호황과 불황을 거듭하는 경기변동으로 고통겪을 이유 X


L. 재정 1통화정책을 통해 총수요 안정 ⇒ 생산과 고용을 안정
총수요부족 ⇒ 지출증대 세금인하 화폐 공급 T
, ,

총수요라도 ⇒ 지출 삭감 세금인상 화폐공급


,

b. 반대 : 정부는 경제 안정화 정책을 사용하면 안된다 .

T
정책 효과 즉각 X
L. 효과 발휘 시점 예측 어려움
ㄷ 오히려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수도

2 .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감세보다 재정지출증가를 택해야 ?
A 찬성 : 정부는 지출증대로 경기침체에 대처해야 한다 .

T
3해침체의 근본적인 문제는 총수요 부족
L.
통화정책 : 통화량 증가 ㅋ 이자율 다 투자지출 T ㅋ 총수와
세금 인하는 CT를 통한 총수요 증가이지만
정부지출은 총수요 직접적인 총수요 증가 ¥4 工慽 NX 승수효과로 추가적
小巳
ㄷ ,

재정정책은 통화정책수단이 효력상실 서 효과적 ( 금리 0% )


b. 반대.
정부는 감세를 통해 경기침체에 대처해야한다
:

가처분소득 증가 卨趣嶇 총수요 증가


.

7. 세금인하는 총수요와 총공급 양쪽에 중요한 영향


〔 근로의 생산의욕 증가로 총공급증가
,

L. 세금인하는 분권화 !
E. 경기침체가 정부지출 확대시 발생하는 문제 : 정부지출 승수는 생각보다 작음 정부가 현명하고 신속한 姬鄕 .
.

정부지출 증가에 따른 총수요 증가의 단기 편익이 장기비용에 미치지 못할수도 ( 후대 납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