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들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미술

한국 민족의 미술활동은 신석기시대 후기 무렵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불교가


전래된 4 세기 말경부터이다.
한국 미술은 전통적으로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묘사가 나타나는 작품이 많았다. 특히
조선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절제된 느낌의 수묵화가 유행하였다. 근대에는 서양에서 여러
미술이 들어온 후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하였고, 현대에 들어서 정보기술의 발전과 세계화가
일어나면서 계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음악

한국 전통 음악 (韓國傳統音樂)은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민요, 음악 등을


말한다. 최근에 만들어졌더라도 전통 음악의 기본적인 틀만 벗어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한국 전통 음악의 범주에 포함한다. 한국에서는 '나라의 음악'이라는 뜻에서 국악(國樂)
이라고도 부른다. 한국 전통 음악의 역사적 분류법은 악곡의 유래와 형식에 의한
구분법이다. 이 구분법 상에서 국악은 크게 아악, 당악, 향악으로 나뉜다. 아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유래한 정악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려 예종 11 년 (1116 년)에 수입된 '대성아악
(大晟雅樂)'을 지칭한다.

의복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으로, 북한은 조선옷이라고 부른다. 한복의 역사는 우선 삼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에는 대체로 유(저고리), 고(바지), 상(치마), 포(두루마기)
를 중심으로 관모(모자), 대(허리띠), 화(신발)가 더해졌다 저고리가 등 보다 좀 더 길게
내려올 만큼 길고, 바지의 통도 넓었으며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입는 남녀 공용이었다. 
남북국 시대에는 한국 고유의 포는 서민들이 주로 입었으며, 귀족들은 평상복으로만
입었다. 여성들의 새로운 옷으로는 반비(半臂)가 있었는데,주로 귀족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었다. 고려 시대에는 복식 구조가 크게 변했다. 특히 귀족층이나 지배층에서는 중국
옷을 그대로 받아들여 입고, 서민층에서는 우리 고유의 복식을 계승하여 입어 복식의 이중
구조가 나타났다. 조선 시대에는 우리 고유의 복식이 서민복으로 뿌리 깊게 이어졌다.
중기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한층 단순해지고 띠 대신 고름을 매기 시작하였으며,
두루마기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말기에는 양반과 서민의 옷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졌다.
특히 여자 저고리는 후기로 가면서 길이가 짧아져 오늘날과 거의 같은 모양이 되었다.
마고자를 입기 시작하였고 서양 문물의 영향으로 조끼를 입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여자들의 저고리가 짧아져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한복을 명절이나 특수한 날에만 입게 되었으며,사람들이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생활 한복이
보급되기도 하였다. 청학동에서는 아직도 한복을 일상복으로 입고 있고, 국악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 교복으로 입고 있다. 택견 무술에는 하얀 한복을 입는 것이
통례이며, 첫돌, 환갑, 칠순, 팔순 등의 일부 생일에는 생일을 맞은 사람이 입기도 한다.

한옥

한옥(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예전부터내려오는 방식의 집을 말한다.


조선집이라고도 하며, 양옥의 대칭어이다.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하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온돌이 있어 집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대청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은 다양한 왕조를 거치며 변해왔으나
현재 가장 많이 선호되는 양식은 조선왕조의 양식을 주로 따르며, 부분적으로 남북국
시대의 양식을 따르기도 한다. 한옥의 반대 개념으로 양옥을 말하기도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한옥은 초가집, 너와집, 기와집 등 한국의 전통 건축물들을 포괄하여야 하나
한국에서도 대중적 의미의 한옥은 기와집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놀이
민속놀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한다.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다. 각각의 놀이의 유래는 민속놀이는 남녀노소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가 있는가 하면, 어른들만이 하는 놀이, 소년, 소녀들끼리 하는 놀이, 여자들 간에 혹은
남자들 간에만 하는 놀이가 있다. 놀이의 성격을 벗어나 힘과 기술을 겨루는 스포츠로 발전한
것으로는 씨름을 꼽을 수 있다.
바둑은 두 명이 흑과 백의 돌을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이다.
가로와 세로가 19 줄이 그어진 바둑판 위의 각 교차점(모두 361 개)에 돌을 두며, 공격과
수비를 하는 전략 게임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대중적으로 행해지며,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규칙을 채용하고 있다. 바둑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였지만, 그 기원이 언제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한국에서는 20 세기
초까지 고유의 규칙을 사용하는 순장(巡將)바둑이 성행하였으나 해방 후 일본으로부터 현대
바둑이 유입되어 현대에 들어 순장바둑을 두는 사람들은 크게 줄어들었다.
장기 (將棋)란 청과 홍(또는 초와 한) 두 편으로 나뉘어 각 16 개의 기물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의 입장에서 작전을 구상, 수행하여 상대편의 왕을 잡는 추상 전략 보드
게임이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특히 연변 조선족 자치주), 일본 등
각국에서 주로 한민족들이 즐긴다. 중국 장기가 한국의 삼국 시대 초기인 한사군(漢四郡)
시절에 수많은 한인(漢人)이 이주해 오면서 장기를 퍼뜨렸다는 설이 가장 지배적이다.
한국인의 취향에 맞춰 개량하여 지금의 장기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장기에 관한 문헌으로는
고사서(古史書)인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장기에 대한 기록이 최초로 등장한다.
요리
한국 요리 (韓國料理)는 한국의 전통 음식을 뜻한다. 복잡한 궁중 요리에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다. 전통적인 한국
정식은 밥, 국, 김치와 함께 나오는 많은 반찬들로 이루어진다. 한국 음식은 보통 참기름, 된장,
 간장, 소금, 마늘, 생강, 그리고 고추장 등으로 맛을 낸다. 식단은 계절별로 다양한데,
전통적으로 겨울 동안에는 장독에 저장된 김치와 그 밖에 절인 채소들에 많이 의존했다.
한국은 기후와 풍토가 농사에 적합하여 일찍이 신석기시대 후에 잡곡 농사로 농업이
시작되었고, 그 후 벼농사가 전파되었다. 이후 곡물은 한국 음식문화의 중심이 되었고, 
삼국시대 후기부터 밥과 반찬으로 주식, 부식을 분리한 한국 고유의 일상식 형태가
형성되었다. 밥, 죽, 떡, 국수, 만두, 수제비, 술 등의 곡물 음식이 발달하였고 콩으로 메주를
쑤어 장을 담그는 발효 음식도 발달하였다. 재배 채소뿐 아니라, 산야에 자생하는 산나물,
들나물 등 채소의 종류가 다양하여 생채, 쌈, 나물, 김치로 만들어 식탁을 계절에 따라
변화있게 차릴 수 있었다. 예로부터 약식동원(藥食同原, 약과 음식은 그 근본이 같다)의
식관념 속에 약으로 쓰이는 재료가 음식의 조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인의 일상식은 밥을 주식으로 하고, 여러 가지 반찬을 곁들여 먹는 식사 형태이다.
주식은 쌀만으로 지은 쌀밥과 조, 보리, 콩, 팥 등의 잡곡을 섞어 지은 잡곡밥을 기본으로
한다. 부식은 국이나 찌개, 김치와 장류를 기본으로 하고, 육류, 어패류, 채소류, 해조류 등을
이용해서 반찬을 만들었다. 이렇게 밥과 반찬을 같이 먹는 식사 형태는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함으로써 영양의 균형을 상호 보완시켜주는 합리적인 식사 형식이다.
주식으로는 밥, 죽, 국수, 만두, 떡국, 수제비 등이 있고, 부식으로는 국, 찌개, 구이, 전, 조림,
볶음, 편육, 나물, 생채, 젓갈, 포, 장아찌, 찜, 전골, 김치 등 가지수가 많다. 이러한 음식 외에
떡, 한과, 엿, 화채, 차, 술 등의 음식도 다양하다. 또 저장 발효 식품인 장류, 젓갈, 김치 등이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언어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에서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소통과 느낌, 감정을 더욱
중요시하는 언어로 구분했다. 날씨나 고통을 표현하는 단어도 그 정도나 느낌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시원하다"는 적당한 온도로 기온이 낮은 것이며, "쌀쌀하다"는 아주 춥지는 않고
몸이 떨릴 정도로 추운 것이다. 고통 역시 '쓰리다', '아리다', '쑤시다', '저리다', '따갑다' 등으로
상황이나 느낌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