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7

열린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4, Vol. 15, No. 2, pp.273-299.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노 영 희**

본 연구는 Anthony Browne 그림책의 특징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Anthony Browne이 글․그림의 저자로 저작한 그림
책 30권이다. 연구결과, Anthony Browne 그림책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요소들을
다분히 포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특성인 탈정격화, 상호
텍스트성, 아이러니, 메타픽션의 요건을 충족시키며, 궁극적으로는 다원주의를 지향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그림책이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다
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은 첫째, 인식의 차원에서, 유아들
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사조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자 통로를 제공한다. 둘
째, 시각적 문해의 차원에서, 그림책의 그림 읽기가 단순한 직관과 지각의 대상이 아
니라 지적, 심미적 대상으로서 다루어지도록 확장시킨다. 셋째, 소통의 차원에서, 유
아를 작가와 동등한 위치의 독자로 격상시킴으로써 다중의 목소리를 중시여기고 상호
이해와 존중이 중시되는 문화를 창조하는 통로를 마련한다. 넷째, 자기 삶을 이야기
하는 것이 상상력과 창의성의 주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Key words)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


어린이 그림책(children's picture book)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논문 접수 : 2010. 1. 28 / 수정본 접수 : 2010. 3. 28 / 게재 승인 : 2010. 4. 10


* 이 연구는 한국교원대학교 2009학년도 연구년 교수로 선정되어 연구한 논문임.
** 한국교원대학교 제 1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교신저자, yhnoh@knue.ac.kr

www.dbpia.co.kr
27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Ⅰ. 서 론

영국의 아동문학 계관 작가인 Anthony Browne(1946- )은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현시대의 어린이 그림책 작가이다(이후 Browne으로 기술함). 그의 어린이 그림책은
어린이는 물론 부모와 교사에게 격찬 받고 있으며, 많은 아동문학 및 그림책 관련단체가
국제적으로 상을 수여할 만큼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Browne이 이처럼 어린이 그림책
저자로서 영향력 있는 위상을 가지게 된 것은 시대정신을 아우르는 작가정신으로 새로운
창작 모델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그림책을 문학과 예술의 차원에서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게 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문학과 예술 요소를 함께 어우르는 그림책의 저자는 시대적 사조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또한 그림책은 저자가 추구하는 문학적, 예술적 정신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사조에 의해 움직인다. 이 포스
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접두어인 포스트(Post)가 의미하듯 모더니즘의 계승과 논리적 발
전인 동시에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고(분리, 단절) 비판하는 정신이다. 모더니즘의 특징이 전
통적인 것에 대한 거부와 도전이라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더욱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도전하
며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비판하는 자세를 취한다. 이에 따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종래
와는 다른 특징을 부각시킨다. 그 특징은 첫째, 메타내러티브(거대 담론)를 파괴하며 정격
(canon)은 없다는 관점을 취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장르의 혼용, 플
롯의 해체, 허구와 사실의 경계선 파괴 등을 사용하면서 종래와는 매우 다른 새로운 창조
를 끊임없이 추구한다. 특히 아동문학에서는 종래에 전통적이거나 금기시 되었던 주제의
장벽을 허무는 것도 서슴치 않는다. 둘째, 문학에서의 관객 참여를 본질로 삼는다. 즉 모든
문학은 선행하는 텍스트와 분리해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하며, 이
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패러디, 패스티쉬 등의 문학 창조 기법을 사용한다(김준오, 2003;
김진석, 2004; Arizpe & Styles, 2003; Lewis, 2001; Nikolajeva & Scott, 2000; Wilkie, 1999).
또한 20세기 후반부터 거대 주류를 만들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텍스트는 말과 글
만이 아니라 사물, 음향 등, 세상의 모든 기호로 묶여서 구성된다고 본다. 의미는 문장단위
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로 해석되며, 텍스트는 수용자의 머릿속에 비축된 경험과
사전 지식과의 상호관련 속에서 이해되고 관찰된다고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광고
에 ‘최고 성능’ 또는 ‘자동차’라는 문구가 한마디도 없더라도 보는 사람은 ‘성능 좋은 신차’
의 의미가 머릿속에서 구성된다.
따라서 말과 글, 그림과 이미지, 그리고 수많은 기호들로 이루어지는 그림책, 특히
Browne의 그림책이 포스트모더니즘을 반영한 작품으로서 학자들의 관심을 끈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Nodelman(1988)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Arizpe &
Styles, 2003; Hunt, 1994; Lewis, 2001; McCallum, 1999;, Nikolajeva, 2005; Nikolajeva & Scott,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75

2000, 2006)은 20세기 중반 이후에 그림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변화가 나타났음을 인식하
고 현대의 시대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 그림책으로서 Browne의 작품
들을 사례로 들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성인들은 다음 세대에게 그 세대의 가치와 규준을 전수하는 한 가지 방법
으로써 그림책을 활용한다. 그러므로 그림책은 후 세대의 사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문자언어 활용에 한계가 있는 유아기에 그림책은 강력한 학습의 도
구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아교육에 가지는 비중은 매우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유아교
육 분야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 그림책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려는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Arizpe & Styles(2003)에 의하면, 그림책을 포함한 아동문학에서 삽화를 연구
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며, Hurlimann(1968), Alderson(1973), MavCann & Richard
(1973), 그리고 Bader(1976)는 이 삽화 연구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책에서 각
장면을 독립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일련의 상징적 의사소통 체계로서 다루기
시작한 것은 Schwarcz(1982) 연구가 처음이다(Nikolajeva & Scott, 2000). 더 나아가 그림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학문적 위상이 강화되기 시작한 것은 Nodelman(1988)의 'Words about
pictures'로서 그는 전체적인 글과 그림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그림책 텍스트를 비평한 최초의
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림책은 그 시초가 문학적 동기에서 출발한 것은 아니었다. Comenius(1658)가 처음으로
그림을 삽입하여 세계도회(Orbis Pictus)를 만든 동기는 문학작품을 만들고자 한 것이 아니라
효율적 학습매체를 만들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후 17-19세기동안에도 책에 그림을
그려 넣는 일은 책의 장식을 위해서나 글을 보완하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삽화를 포함하는
정도에 그쳤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작가와 삽화가를 따로 분리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으
며, 그림이 문학작품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영국의 Beatrix Potter(1902)가 글·그림 작가로서 The Tale of Peter Rabbit을
창작한 후 어린이를 위한 문학은 그림의 가치를 점점 더 크게 인식하는 방향으로 흘렀다.
1920-30년대, 소위 그림책의 황금기(The Golden Age of Picture Book) 동안에 어린이를 위한
책에서 그림은 글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어 20세기 중반에는 그동안
아동문학에 소홀했던 많은 성인들이 그림책 창작에 관심을 쏟았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
서는 그림책이 어린이를 위한 매우 중요한 창작물로 인식되는 데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문학이 문자언어를 주 매개체로 하여 성립해 온 반면, 그림책은 문자 언어의
한계를 넘어 언어적, 시각적 텍스트로 구성한 독특한 문학 장르로 자리매김 해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자들은 끊임없이 그림책의 문학적, 예술적 요소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해왔다(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Horning, 1997; Hunt, 1999;
Nodelman, 1999, 2003). 이는 Hillman(1995)이나 Lukens(1999, 2003)가 아동문학은 종류가 다른
것이 아니라 정도에 있어서 성인 문학과 다르다고 말한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즉 유아의

www.dbpia.co.kr
27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경험과 이해의 폭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언어와 형식면에서 더 간결하게 표현해야 하는 점


이 다를 뿐, 본질적으로 그 질을 담보해야할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에는 차이가 없어야한
다는 것이다. 문학이 영아,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을 위해 그 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처럼 어린이 그림책의 질도 문학적, 예술적으로 그 질이 보장되어야 하
는 것은 그림책을 제작하는 사람은 물론 어린이와 관련을 가지는 모든 사람들이 풀어가야
할 하나의 커다란 과제이다.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으로 조명하고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고자 하는 이유는 그림책이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함은 물론 역동적 변화
를 주도하는 민감한 장르로서 어린이의 사고 양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라고 보기
때문이다. 유아기는 세계에 대한 감각을 만들어가는 기초 시기이고, 그 과정에서 만나는 어
린이 그림책의 세계는 앞으로 형성할 개인의 정신에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큰 영향력을 미
칠 것이기 때문에 유아와 중요한 관계성을 가진 사람들은 어린이 그림책의 시대사조적 본
질에 대해서 깊은 이해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여러 학자들(Arizpe &
Styles, 2003; Lewis, 2001; Liggett, Benfield, & Burton, 1994; Nikolajeva, 2003, 2005; Nikolajeva &
Scott, 2006; Nodelman, 1988; Winkel & Kimmel, 1990)이 Browne을 이 시대의 그림책 선두주자
로 지목하고 그의 그림책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최근의 맥락에 따라 Browne 그림책의 전
반적인 특징을 현 시대의 시대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에 비추어 논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여겨진다.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에 대한 국외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전체적 특징보다는 특정 그림책의 구체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
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그의 그림책에 대해 어린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질적으
로 분석한 연구(Arizpe & Styles, 2003)도 수행되었지만 역시 전체적인 특징을 밝힌 연구는 아
니었다.
한편 국내 연구는 지극히 제한적이며, 아직 출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직은 우리나
라에서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지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있는
현실에서, 김태영(2008)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분석’과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발표된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의 이미지차용 연구’(차은단, 2009)는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전자는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을 분석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며, 후자는 이미지차용
에 국한 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처럼 국내, 국외 연구를 살펴볼 때, Browne의 그림책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몇몇 대표
작품에 국한되어 있거나 부분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는 경향이며, 전반적인 특징을 현 시대
의 시대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에 비추어 본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thony Browne의 그림책 특징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이 특징이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77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Anthony Browne의 삶과 작품 간의 관계성 유추를 위하여 개인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자 한다.
둘째, Anthony Browne의 그림책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관점에서 그 특징을 조명해 보
고자 한다.
셋째, Anthony Browne 그림책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징이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의미를 논
의해 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의 텍스트를 Nikolajeva & Scott(2006)의 주장처럼 “언어적 정보와 시


각적 정보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되는 특별한 텍스트”(p.4)로 보고, Browne의 그림책을 포
스트모더니즘 문학의 관점에서 그 특징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으로 Browne의 그림책 30권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Browne이 1976
년 처녀작 Through the Magic Mirror를 발표한 이후부터 2008년까지 글․그림 저자로 저작한
작품 대부분이 포함된 것이다. 이외에도 그가 그림 저자로서 저작한 작품은 Hansel and
Gretel(1981)을 비롯하여 10여권이 있으나 이 그림책들은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Browne 그림책은 Anthony Browne관련 인터넷 웹사이트(http://biography.jrank.org, http://www.
amazon.co.uk, http://www.amazon.com/Anthony-Browne)를 통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그림책 원본을
수집하였다. 그림책의 목록은 참고문헌에 제시하였다.

2. 연구 도구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으로 조명하고자 하기 때문에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학적


관점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술과 문화 비평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또는 post-modernism)은 모더니즘을
계승하거나 또는 그 반동으로 나타난 것으로서, 1960년대부터 건축, 회화, 문학작품 등의
문화적 예술작품에서 꽃피우게 된 문화적이고 지적인 현상을 일컫는다(김진석, 2004; 김혜
숙, 김혜련, 2001; 남경태, 2002; 브리태니커, 1996; Lewis, 2001; Usher & Edward, 1996). 1960
년대의 이러한 시대사조를 나타내는 데는 포스트모던, 포스트모더니티, 포스트모더니즘 등
의 용어들이 사용되는데, 이 용어들은 구분되어야할 개념이다. 그다지 섬세하지는 않지만

www.dbpia.co.kr
278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포스트모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 무정형성을 강조하는 개방적 태도를 의미하며, 포


스트모더니티는 사회적인 면을 강조할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화적인 면을 강조할 때 사
용된다(남경태, 2002; 브리태니커, 1996; Lewis, 2001; Prince, 2003; Usher & Edward, 1996).
포스트모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티는 맥락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
부분의 저자는 그 핵심적인 특징을 반영하여 용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분에 따른다면,
책, 건축물, 이론과 같은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결과물이며,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삶의
경험인 포스트모더니티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문헌들(김준오, 2003; 김진석, 2004; 김혜숙, 김혜련,2001; 남경태, 2002; 브리태니커,
1996; Lewis, 2001; Usher & Edward, 1996)을 종합해 보면, 포스트모더니티의 주요 특징은 탈
정격화(decanonization), 분절(fragmentation), 불확실성(indeterminacy), 수행(performance)과 참여
(participation), 아이러니(irony), 장르혼합(hybridization) 등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포스트모
더니티는 1960년대 이후의 문학작품에 형식, 기법 등을 통해 반영되어오고 있으며, 탈정격
화,(decanonization) 메타픽션(metafiction), 패러디와 패스티쉬(parody & pastische) 등의 상호텍스
트성(intertexuality), 아이러니(irony) 등이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작품의 특징으로 구체화되었다
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준에 따라 Browne의 그림책에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작품의 특징이 어
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조명해보기로 하겠다. 용어들은 적절히 우리말로 번역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아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용어를 아쉽지만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3. 연구 절차

그림책을 문학적 관점으로 보느냐, 아니면 미술적 관점으로 보느냐 하는 것은 그림책의


개념을 글과 그림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스펙트럼으로 정의해왔던 것과 일맥상통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최근에는 글 보다는 그림에 더 큰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하나의 독자적인 영역으로 독립시켜나가는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책의 속성에서 문학적 본질을 무시하거나 배제할 수는 결코 없는 일이다. 말하자면, 그림책
이 실체적으로는 그림이 강조되는 대상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서사성(narrativity)을 본질로 하
는 문학의 영역에서 비껴나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Browne의 작품
경향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학적 관점에 더 비중을 두고 접
근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인 30권의 그림책 원본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우선, 포스트모더니즘 문
학 작품의 특성에 해당하는 사례들을 발췌하였다. 다음으로는 각 사례들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작품의 특성을 기준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 범주에 따라 Browne 그림책
의 해당 사례를 제시하고 비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79

Ⅲ. Anthony Browne 은 누구인가

1. 인물 소개

Anthony Browne은 1946년 영국 Yorkshire의 중심도시인 Sheffield에서 태어났다. 가족으로는


부모와 형이 있었으며, 작은 주점을 운영했던 아버지를 중심으로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단
란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7세 때에 아버지의 돌연한 죽음으로 정서적인 타격을 받았다.
Leeds College of Art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고, 1967년에 졸업하여 화가의 길을 걷고
싶었지만, 경제적으로 사정이 어려워 의사들이 수술하는 상황에서 인체의 모습을 매우 사
실적으로 그려내는 의학 삽화가(medical illustrator) 직업을 가졌다. 그는 3년 간 이 일을 하면
서 점차 지루함을 느꼈으며, 창의성이 고갈되어가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Gordon Fraser 회
사의 카드 디자이너로 일하게 되었으며, 그 후 15년간 카드 디자인 작업을 하였다. 이 시기
에 그는 영화 King Kong(1976, A John Guillerman Film)에 매료되었고, 카드에도 고릴라, 침팬
지를 그려 넣었다.
그가 처음으로 자신의 그림책을 창작한 것은 1976년 Through the Magic Mirror 이다. 이 작
품은 삽화가로서가 아니라 글과 그림을 모두 쓰고 그린 그림책 저자로서 첫 번째이다. 이
작품을 발표한 이후 지금까지 40여 권의 그림책을 발표했다.
그가 창작한 많은 작품은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아동문학분야의 수
상작품으로 선정되었으며, 2009-2011년 영국 아동문학의 최고 명예와 권위를 상징하는 어린
이 계관 작가(Children's Laureate)로 지명되어 활동하고 있다.

2. 작품 활동

Browne은 1983년 Gorilla로 Kate Greenaway Medal을 받기 전까지 7권의 책을 이미 출간한바


있었으나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영국의 어린이 그림책 삽화가로
서 아웃사이더인 것처럼 느껴왔었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영국의 전통적 그림책 삽화가인
Cruickshank, Ardizzone, 또는 Shirly Hughes 등이 선과 투명한 물감으로 작업한 것과는 달리,
자신은 수채물감과 불투명한 수채물감(구아쉬)로 작업하는데, 이것은 분명히 영국의 위대한
전통으로 여겨지는 삽화 풍과는 다르기 때문이라고 했다(Eccleshare, 2000). 그는 초현실주의
에 영향을 받은 예술가로서, 영국의 전통적인 그림책에서와는 달리 주도면밀한 사실주의적
인 기법으로 상식에 도전하는 환각적인 장면을 창조하고, 논리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그가 만든 그림책은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도 함께 보고 깊이 공감하는 작품들이 많다.
Browne 자신도 그림책은 어릴 때만 필요한 책이 아니라, 모든 연령의 사람들을 위한 책이

www.dbpia.co.kr
28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라고 역설한 바 있다(Flood, 2009). 모든 연령층이 독자가 될 수 있는 것은 그림 구석구석에


상징적 장치들을 숨겨놓거나 유명한 명작을 활용하는 등 전통적인 그림책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새로운 기법들을 사용하여 독자의 수준에 따라 스스로 해석하고 스토리텔링의 경험을
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주목하여 이전의 계관 시인이었던 Andrew Motion은
Browne을 ‘절대적으로 뛰어나며, 최고의 기술을 가진 예술가’이며, 어린이의 세계로 이끌고,
모든 삽화가에게도 영향을 준 예술가라고 격찬하였다(Flood, 2009). 따라서 Browne은 그림책
의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그림책 작가에게 주는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2000)
수상자이다. 이 외에도 그가 수상한 아동 문학 및 그림책 관련 상은 매우 많다. IBBYP 삽
화가상, Kurt Maschuler/ “Emile” Award, New York Times 올해의 최우수 어린이 그림책 인증,
Boston Globe-Horn Book 삽화가 상, Child Study Association of America Children's Books 올해의
도서 인증, Horn Book 우수도서 선정, 네덜란드 Silver Pencil Award 수여, German Youth
Literature Prize 수상, National Council for Social Studies/Children's Book Studies 우수도서 인증,
Parent's Choice Award 수상, Society of Illustrators의 silver medal 수여, Publisher's Weekly 우수
도서 선정, School Library Journal 우수도서 선정, 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주목할 만
한 어린이도서 등의 수많은 아동문학관련 상을 수상하고 우수도서로 지목되었다(http://
biography.jrank.org).
우리나라에도 이미 30여 권이 넘는 책이 출간되었으며, 거의 모든 책들이 베스트셀러이
자 스테디셀러이다. 그의 독특하고 뛰어난 작품은 국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미술관에
간 윌리(2000)(원제: Willy's Pictures, 2000)와 돼지 책(2001)(원제: Piggybook, 1986)은 각각 2001년
과 2002년에 외국 번역 그림책으로는 드물게 2년 연속으로 문화관광부 추천 도서로 선정되
었다.

3. 자전적 경험과 그림책

Browne의 그림책은 많은 부분 자전적 요소가 배어있다.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Eccleshare, 2000; Flood, 2009)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자전적 특성이 그림책에 반
영된 것을 알 수 있다.
고릴라는 아버지의 이미지이며, 윌리는 자신의 이미지라고 Browne이 토로한 것처럼 어린
시절의 경험과 가족과의 관계는 그림책의 주요 주제와 소재로 활용되었다.
그는 195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시절의 작은 주점(pup)은 가족이 생계를 꾸려가
는 장이었으며, 그는 사람들이 모여 다투는 상황이 빤히 내려다보이는 방에서 지내야 했다.
아버지는 매일 카드놀이를 하는 사람들과 재미있게 이야기를 나누었고, 술 마시기를 좋아
했으며, 밤이 되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형과 자신을 데리고 집에 돌아왔다. 아버지는 자신과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81

함께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고, 형제가 럭비팀에서 운동하는 것을 매우 흐뭇해했다. 그러


나 그가 17세 되던 해에 아버지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타계한 것은 그에게 큰 아픔이 되었
다. 그는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를 ‘커다란 산이었으며, 또한 부드러운 곰 인형 테디’로 회상
한다. 이러한 가족과 아버지에 대한 정서적 의미는 Browne의 그림책 Piggybook(1986), Zoo
(1997), My Dad(2000), My Mom(2006), My Brother(2007) 등에서 고스란히 묻어난다.
The Tunnel은 어린 시절 형과 함께 성장했던 과정을 보여준다. 그들은 Bronte country 라는
황량한 마을에서 성장하였는데, 그 곳에는 으스스할 정도로 오래되고 낡은 시설물들이 많
이 있었다. 특히 오래된 우물, 컴컴하고 좁은 터널은 그들에게 모험적인 놀이장소로 좋았
다. Browne은 낮고 좁은 터널을 지나면서 느꼈던 정서적 느낌을 아직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다고 말한다. 그 경험은 The Tunnel(1990)에 반영되었다. 18개월 위인 형과의 경쟁적 관
계는 끊임없이 지속되었으며, 최근에 이르러서야 “이제는 경쟁하기를 포기했다”고 할 만큼
역설적으로 형에 대한 정서적 유대가 크다.
또한 그는 학교 다닐 적에 친구들과 싸우는 것을 매우 싫어했다. 소심하고 걱정이 많았
던 그 시절의 정서는 Willy 시리즈(1985, 1985, 1991, 1995, 1997, 2000)와, Silly Billy(2006),
Look What I've Got!(1980)등 많은 작품에 드러나 있다.

Ⅳ. 포스트모더니즘과 Anthony Browne 그림책의 특성

1. 탈정격화(decanonization)

Browne의 그림책은 전통적인 그림책이 유지해 왔던 틀을 깨고 새로운 형식의 구성을 보


여준다. 내러티브 경계의 해체, 환상과 현실의 혼재(초현실), 그리고 파격적 플롯 구성 등으
로 그림책의 탈정격화를 시도하여 우리의 삶에서 정격(canon)이란 없다고 여기는 포스트모
더니티를 문학적, 예술적으로 보여 준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작품은 전통적으로 작가와 독자 간에 공유해왔던 구조와 관례의 틀
을 해체한다. 종래에는 시작, 중간, 마무리로 잘 구조화되고, 잘 구성된 이야기를 기대해왔
다. 그리고 좋은 이야기란 상상 세계에서 등장인물들이 갈등해결을 위해 상호작용하는 플
롯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어느 정도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비록 이야기 종류
에 따라서 그 규칙이 다소 다르기는 했지만, 이야기는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여겼으며, 그
규칙들이 파괴되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작품에서는 구조와 관례의
틀을 해체하는 일이 으레 일어나는 일이 되었다(Lewis, 2001).
예를 들면, Browne의 초기 작품(공식적으로 세 번째 작품)인 Bear Hunt(1979)는 이야기 도
중 파격적으로 작가의 목소리가 끼어든다. Bear Hunt(1979)의 내용은 흰색 곰이 사냥꾼으로

www.dbpia.co.kr
282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부터 도망친 기지를 보여주는데, 그는 마술 연필을 가지고 그림을 그리며 그것은 곧 현실


이 된다.

(# 1)어느 날 곰이 산책을 나갔습니다. (# 2)사냥꾼 두 명이 사냥을 하고 있었습니다.


(# 3)그들이 곰을 보았습니다. (# 1)이봐, 이봐, 곰아! (# 4)곰은 재빨리 그림을 그리기 시
작했습니다. (# 5)잘 했어, 곰아! (# 6)그러나 또 다른 사냥꾼이 있었습니다. (# 7)도망쳐,
곰아, 도망쳐! (# 8)곰은 연필을 꺼냈습니다. (# 9-10)(사냥꾼이 잡은 것은 큰 흰 색 코뿔
소) 그리고 곰은 계속 걸어갔습니다. (# 11)멈춰! 사냥꾼이 돌아와... (# 12)곰은 부드럽게
그렸습니다. (# 13)(사냥꾼의 총 끝이 구부러진 우산 손잡이처럼 사냥꾼 자신을 향하게 됨)
(# 14)잘 봐, 곰아! (# 15).....

Bear Hunt는 이와 같이 화자(narrator)의 목소리가 아닌 작가 자신의 목소리가 끼어듦으로


써 전통적인 이야기 규칙의 틀을 깼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작품은 실제 세계의 거울이 아
니고 독자로 하여금 실제 사람이 실제 사건을 겪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착각하게 한다. 더
나아가 이런 이야기들은 자주 일상의 세계가 확신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처럼 모
든 우리의 삶은 혼돈과 우연이며 이야기 속의 신념처럼 느끼고 의미화 할 뿐이다. 말하자
면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인 불확실성은 그림책의 이야기 중간에 작가의 목소리가 불쑥
끼어드는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양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Browne이 전통적인 이야기의 틀을 깨고 탈정격화를 시도한 또 다른 패턴은 파격적인 플
롯 구성이다. 이러한 예는 Voices in the Park(1998)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그의 두 번
째 작품인 A Walk in the Park(1977)을 재구성 하여 출간한 것이며, 최근 들어 비상한 주목을
받고 있다.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이 그림책의 구성이 파격적이라는 데 있다. 즉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서 경험한 사건을 네 사람의 조망과 목소리로 구성하였다는 점이다.
Voices in the Park(1998)의 첫 번째 목소리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 1)빅토리아, 우리의 충직한 라브라도와 내 아들, 찰스를 데리고 산책 나갈 시간이었


다. (# 2)공원에 도착해서 나는 빅토리아의 목줄을 풀어주었다. 금방 어떤 지저분한 잡종
개가 한 마리 나타나서는 그녀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내가 그것을 쫒아버렸지만, 그 끔찍
한 것은 온 공원 안에서 그녀 뒤만 쫒아 다녔다. (# 3)나는 그것에게 가버리라고 명령했지
만, 그것은 내가 뭐라고 하건 개의치 않았다. “앉아,” 나는 찰스에게 말했다. “여기.” (# 5)
나는 저녁에 무엇을 먹을지 계획하고 있었는데, 찰스가 없어진 것을 알았다. 아 이런! 그
애가 어디로 가버렸지? (# 6)요즘의 공원에서 이렇게 놀라운 일이 벌어질 수가! 나는 한
살 박이처럼 그의 이름을 불렀다. (# 7)그 때 나는 그가 매우 거칠게 보이는 여자아이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찰스, 이리와라. 당장!” 나는 말했다. “그리고 제발 이리로
오렴, 빅토리아.” (한 줄 공백) 우리는 말없이 집으로 걸었다.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83

이처럼 첫 번째 이야기는 공원으로 산책나간 한 도도한 중년 여성의 목소리를 통해 전개


된다. 이어 두 번째로 공원 벤치에 앉아 구직 신문을 보고 있던 중년 남자의 목소리가, 세
번째로 도도한 엄마(첫 번째 목소리)에게 억눌린 남자 아이의 목소리가, 그리고 네 번째로
무직자 아빠(두 번째 목소리)를 둔 여자 아이의 자유로운 목소리가 이어진다. 하나의 목소
리가 끝나면 또 다른 목소리가 시작으로 되돌아가 순환된다. 이러한 구성은 세계에 대한
우리 각자의 인식이 하나로 통일된 연속적 전체가 아니라, 단절되고 분절된 것으로서 조합
된다는 포스트모더니티를 반영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상호이해와 상호존중의
필연성을 부각시킨다. 이와 같은 그림책 작품 구성은 이전의 어떤 그림책에서도 찾을 수
없다. 즉 이러한 내러티브 구성 방식은 전통적인 그림책 정격을 파괴한 것으로, Browne은
탈정격화와 같은 포스트모던 방식을 사용하여 그림책을 제작하였다.
또한 현실과 환상이 혼재되어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은 Browne 그림책의 전반
적인 특징이며,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Gorilla(1983), The Tunnel(1990),
Zoo(1990), Into the Forest(2004) 등 대부분의 작품은 등장인물들이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사
고하고 행동하고 말하고 반응한다.
하나의 사건에도 다양한 주체가 존재하고 해석이 가능하다는 논리가 반영된 Browne의 그
림책은 이 세상의 모든 현상에 정격(canon)은 없다는 포스트모더니티의 형상화이다. 정격은
그동안 전통적으로 축적해왔던 현상에 대한 패러다임으로 존재해왔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
은 문학과 예술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창작의 기본 틀을 제공하고 그 틀을 벗어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패러다임과 정격을 거부한다. 따
라서 문학에서 장르의 혼합(아이러니의 적극 활용), 허구와 사실의 혼동 등을 사용하면서
종래와는 매우 다른 새로운 창조를 끊임없이 추구한다.

2. 상호텍스트성(intertexuality)

Browne의 그림책은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활용한다. 즉 그의 그림책들은 민담이나 고전과


같은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미술, 영화와 같은 다른 예술 분야의 유명한 작품들과 상호텍
스트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신이 제작한 그림책들 간에도 상호텍스트성이 내
재해 있다. 이는 인간의 삶 속에서 순수한 창조란 없으며 모든 것은 서로 얽혀 있고 상호
모방되고 변용되고 인용된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티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이란 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를 인용하고, 흡수하고, 확산하거나, 또는 변
형시킴으로서 맺게 되는 관계성을 말한다. 즉 기호화의 과정에서 텍스트와 모든 지식 간에
는 상호 관계성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Bakhtin의 영향을 받아 Kristeva가 형성하고
Barthes가 발전시킨 개념이다(Prince, 2003).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모든 텍스트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상호텍스트성의 논리

www.dbpia.co.kr
28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위에 성립한다. 따라서 문학에서의 언어는 다른 언어와의 상호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


며, 모든 문학은 선행하는 텍스트의 언어와 분리해서 존재하지 않는 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보면, 모든 작품은 다른 작품에 대한 부정, 부활, 변형이며, 각각의 작품은 유일한
실체인 동시에 그것의 비유에 해당하는 다른 작품에 대한 해석이다(김준오, 2003).
Browne의 그림책은 주목할 만한 두 가지 기교를 통해 상호텍스트성이 구체화된다. 그것
은 패러디와 패스티쉬이다. 김준오(2003)에 의하면, 패러디는 원전과 다르게 모방하는 기교
인 한편, 패스티쉬는 원전과 유사하게 모방하는 것을 일컫는다. 패러디와 패스티쉬는 문학
의 사유화를 부정하는 관점의 소산이다.

1) 패러디(parody)
Browne의 그림책은 패러디를 포함한다. 그 한 예로서 Willy's Pictures(2000)에는 16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의 16개 명화가 패러디되어있다. 또한 명화들을 조합한 것까지 합치면 무
려 24개가 사용되었다. 명화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침팬지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화자인
윌리를 비롯하여 친구 밀리, 악당 벌렁코와 그 외 여러 침팬지들이다. 독자는 패러디된 명
화의 원작을 모르면 이 그림책을 원작과 관련하여 해석할 수 없다. 그저 침팬지가 등장하
는 하나의 코믹한 독자적 작품으로 보일 뿐이다. 그러나 원작을 아는 독자라면 이 그림책
은 철저히 패러디된 그림책이라는 것을 안다. 즉 주어진 텍스트는 독자의 사전 지식과 결
합하여 해석되고 확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그림책의 본질이 여러 명화를 알기 쉽게 소
개하는 하나의 지식을 나열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원작을 다르게 인용
하고 모방하여 사회의 이데올로기나 현상을 비평하고, 비유하며, 풍자한다는 것을 깨닫는
다.
패러디는 문학의 역사만큼 오래되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패러디의 의미, 형태,
그리고 기능은 긴 문학의 역사 속에서 다양하게 변화되어왔으며, 다양한 과정을 거쳐 현재
에 이르렀다. 그리고 1990년 전후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패러디를 핵심 요소로 채용하
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으로 인식한다(김준오, 2003).
첫째, 패러디는 모방적 인유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이든 허구적이든 인물과 사건
그리고 어떤 작품의 구절을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인용하는 것이며, ‘참조’의 또 다른 말
이다.
둘째, 패러디는 원전을 다르게 모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패러디(parody)는 ’paradio'와
‘paradia'의 두 상반된 어원을 가지고 있는데, 전자는 ‘모방하는 것, 모방하는 가수’의 의미를
지녔으며, 후자는 ‘다른 것에 대한 반대의 입장에서 불려 진 노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두 상반된 어원적 의미로 인해 패러디는 ‘모방과 반대’ 또는 ‘친밀감과 적대감‘ 이라는
상호 모순의 양면적 의미를 지닌다.
셋째, 패러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풍자이다. 그러므로 패러디는 전통적으로 골계적인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85

것, 즉 희극적인(comic) 것이 강조된다. 패러디는 풍자를 위한 전략이며, 해석의 형식이며,


비평의 형식이다. 따라서 패러디한 작품은 패러디된 원전의 의도와는 다르게 해석하고 비
평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로 많은 패러디는 과거보다는 당대의 관습, 당대의 정치와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 진지한, 때로는 신성한 원전을 왜곡한다.
간단히 말하면, 패러디의 3대 요소는 모방, 변용, 골계이며 일반적으로 ‘원전의 풍자적 모
방‘ 또는 ‘원전의 희극적 개작‘으로 정의된다. 또한 모방의 형식이면서 해석의 형식이고 또
비평의 형식이다. 패러디는 패러디 된 작품과 패러디 한 작품의 이중 구조로 성립되며, 이
이중구조가 다름 아닌 상호텍스트성이다.
Browne의 Willy's Pictures(2000)가 명화의 원전을 풍자하기위한 것인지 아니면 오늘날의 사
회 현실을 명화를 인용해 비판한 것인지는 불명확하다. 아니, 확실히 말할 수 없다. 왜냐하
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의미와 주제의 개방성을 지향하는 사조이므로, 편향적이고 단편적인
해석은 그 정신에 정면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즉, 저자는 하나의 그림책이 다양한 독자층
에 의해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작품의 해석을 온전히
독자의 몫으로 남기고, 이에 따라 독자와 저자, 각각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어느 자료를
찾아보아도 Browne 자신이 이 패러디된 그림책을 통하여 무엇을 풍자하려했다는 말은 없다.
단지 확실한 것은 이 작품이 패러디라는 것일 뿐이다. 이처럼 문학작품의 해석을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지향하는 바이다.

2) 패스티쉬(pastiche)
Browne의 그림책에는 유명한 민담, 미술, 영화의 문학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들을 차용하
고 조립하는 패스티쉬(여러 작품의 모방) 기법이 사용되어있다. 또한 그 자신이 제작한 그
림책들 간에도 여러 요소들이 서로 차용되고 조립되어 있다.
차용이란 공동의 유산으로 인정된 조형적 요소를 예술로서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
한다. 즉 단순한 모방이 아닌 의도적인 전용, 즉 차용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오늘날,
차용이 예술에 있어서 필수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매체(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장르의 해
체와 혼용에 따른 결과이다. 말하자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사조에서 차용의 미는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미지의 차용은 현대 예술의 중요한 창작 기법 중 하
나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차은단, 2009).
Browne의 그림책에 민담의 요소들을 패스티쉬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Into the Forest(2004)의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주인공인 ‘나’(남자 아이)는 어느 날 밤에 무서운 천둥소리에 잠을 깼다. 아침에 일어나


보니 아빠가 없었다. 엄마에게 아빠가 언제 돌아오실지 물어도 모른다고 하셨다. 다음날
엄마는 내게 가난한 할머니께 케익을 가져다주라는 심부름을 시키셨다. 할머니는 항

www.dbpia.co.kr
28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상 내게 환상이야기를 들려주시던 사랑하는 분이었다. 할머니 댁으로 가려면 두 개의


길이 있다. 하나는 멀리 돌아가는 오래된 길이고, 다른 하나는 숲 속을 지나가는 지름
길이다. 엄마는 내게 숲 속으로 들어가지 말고 멀리 돌아가라고 하셨지만, 나는 처음
으로 엄마 말을 어기고 지름길을 택했다. 아빠가 집에 오실 경우, 나는 집에 있고 싶
었기 때문이다. 나는 숲 속 길을 지나면서 여러 전래동화(텍스트 안에 이름을 거론하
지는 않았지만, 그것은 ‘바보 한스’, ‘골디락’, ‘헨젤과 그레텔’이다.)의 인물들을 차례대
로 만나 그들과 이야기했다(이 상황들은 전래동화의 연속이거나 확장된 사건으로 묘
사되어있다.) 마지막으로 나뭇가지에 걸려있는 빨간 코트를 입게 된 나는 할머니가 들
려주시던 ‘빨간모자’를 연상하고 갑자기 두려운 생각이 들어 숲 속에서 뛰다 길을 잃
어버렸다. 그러나 숲 속을 헤매던 아이 앞에 결국 할머니 집이 나타났다. 할머니 집을
노크하니, 할머니가 아닌 것 같은 목소리가 대답했다. 할머니께 케익을 가져다 드리려
고 왔다하니, 문이 조금 열리고 이상한 목소리는 들어오라고 했다. 아이는 너무 무서
워서 천천히 들어갔는데.... 할머니의 침대에는 할머니가 계셨다. 그리고 뒤에서 어떤
소리가 들려 돌아다보니.... 아빠였다! 둘은 훨씬 나으신 할머니 집을 뒤로하고 집으로 돌
아왔다. “누구세요?” “오직 우리 뿐 이예요.” 우리가 대답했다. 그리고 엄마가 나오셔서,
환하게 웃으셨다.

이처럼 Into the Forest는 전래 동화 ‘바보 한스’, ‘골디락’, ‘헨젤과 그레텔’ ‘빨간모자’의 문
학적 요소가 차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he Tunnel(1990)에서는 터널을 통과한 오빠가 소
금 기둥이 된다는 구약 성서의 신화적 요소가, My Dad(2000)에는 ‘아기 돼지 삼형제’가 차
용되어 있다.
미술의 요소는 Through the Magic Mirror(1976), Gorilla(1983), Changes(1990), Willy the Dreamer
(1997), Voices in the park(1998), Willy's Pictures(2000)를 포함한 여러 작품들에 공동의 유산으로
인정된 조형적 요소들이 차용되어있다. 예를 들면, 그의 처녀작인 Through the Magic Mirror의
장면 #3은 초현실주의 미술의 거장 르네 마그리트의 ‘재현되지 않다’(1937)를 차용한 것이
며, 장면 #8, 장면 #11 역시 마그리트의 작품을 차용한 것이다. 또한 Changes의 장면 #4 는
빈센트 반 고흐의 ‘고흐의 방’를 모방한 것이며, 벽에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이 걸려 있
다. Voices in the park에는 ‘모나리자’, 렘브란트의 ’자화상‘(장면 #9), 뭉크의 ‘절규’ 등이 차용
되어 있다. 이외에도 차용된 작품들을 열거하기 어려울 만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영화의 요소는 대표적으로 ‘킹콩’에서 차용한 고릴라의 이미지들이며, 그의 대표작인
Gorilla(1983), Changes(1990), Voices in the Park(1998), Little Beauty(2008) 등에 포함되었다. 특히
Changes 장면 #23에서 창문으로 보이는 킹콩의 커다란 눈동자는 영화 ‘킹콩’의 한 장면을
연상하기에 부족하지 않다. 그리고 Gorilla의 장면 #20은 영화 ‘슈퍼맨’을 차용하였다. Voices
in the park에도 ‘메리 포핀스’(장면 #10), ‘킹콩’(장면 #13)의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 외에도 그의 그림책은 많은 유명한 인물과 이미지들이 차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히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87

틀러(Look what I've got! 장면 #11), D. H. 로렌스와 뮤지컬 캣츠의 등장인물(Zoo 장면 #18),
ET(Changes 장면 #4), 파바로티와 플라시도 도밍고(My Dad 장면 #17), 찰리 채플린(Gorilla 장
면 #19), 체 게바라(Gorilla 장면 #23) 등 수 많은 까메오가 등장하거나 또는 액자나 포스터
의 인물로 그려져 있다.
Browne의 그림책은 위에서 제시한 것처럼 공동의 유산으로 인정된 수많은 이미지들을 차
용함으로써 상호텍스트성을 구체화 시켰다.
또한 Browne은 자신의 작품들 간에도 상호텍스트성을 포함시켰다. 침팬지 윌리, 고릴라는
여러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Willy 시리즈, Silly Billy(2006), My Brother(2007)의 주인공이
입은 스웨터의 문양은 항상 줄무늬이다. Gorilla(1983), My Dad(2000) 등에서 아빠의 체크무늬
잠옷, Willy the Champ(1985)와 Into the Forest(2004)의 꽃무늬 안락의자와 My Mom(2006)의 꽃무늬
잠옷 등은 그의 여러 작품에 상호텍스트적으로 그려진다. 김준오(2003)에 의하면, 작가가 다
른 작가의 작품이 아니라 자신의 과거 작품의 부분을 모방하는 것은 혼성모방의 특이한 변
형이라고 할 수 있다.
패스티쉬는 여러 원전들을 발췌해서 조립하지만 풍자적 의도가 없다는 점이 패러디와 다
르다. 즉 풍자적 의도가 없다는 점에서는 중성모방, 여러 원전들을 발췌해서 조립한다는 점
에서는 혼성 모방의 기법이다. 그러므로 패스티쉬를 사용한 작품은 표절의 혐의를 피할 수
없다(김준오,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스티쉬는 현대 문학과 예술의 새로운 기법으로 사
용된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 예술이 패스티쉬를 사용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새로운 세계와 스타일이 모두 소진되어 더 이상 독창적인 것, 스타일상의 개혁이
불가능해졌다는 고갈의식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언어적 규범이 상실되고 언어의 다양성만
남게 된 상황에서 더 이상의 패러디는 불가능하다는 의식 때문이다.

3. 아이러니(irony)

Browne의 그림책은 기본적으로 대조(counterpoint)적 관계로 구성되어 아이러니하다. 예를


들면 Voices in the park(1998)의 장면 #2에서 “공원에 도착해서 나는 빅토리아의 목줄을 풀어
주었다. 금방 어떤 지저분한 잡종개가 한 마리 나타나서는 그녀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내가
그것을 좇아버렸지만, 그 끔찍한 것은 온 공원 안에서 그녀 뒤만 쫒아 다녔다.” 글은 이렇
게 쓰여 있으나, 다음 장면 #3, #12, #15, #16, #23, #25에서 그림은 반대로 그려져 있다.
즉 그 잡종 개가 빅토리아를 좇아 다니는 것이 아니라 빅토리아가 그 잡종 개를 좇는 것으
로 표현되어 있다. 이 글과 그림의 대조적 표현으로 인해 첫 번째 목소리의 주인공인 도도
한 중년 여성의 속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이런 아이러니를 왜 어린이 그림책에 사용했
을까?
그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인 Zoo(1993)에도 많은 대조를 발견할 수 있다. 이 그림책의 내

www.dbpia.co.kr
288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용은 가족이 동물원에 가서 우리에 갇힌 동물들을 관람하는 내용으로 얼핏 보면 매우 평범


한 가족 나들이를 이야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이러니 기법을 활용한 대표적인 작품
으로, 장르 측면에서 사실과 환상, 스타일 면에서 서로 다른 예술적 양식, 관점 면에서 이
데올로기 간의 대조, 그리고 타이틀과 표지의 준텍스트적 관점의 대조가 발견된다. 특히,
동물원에 갇힌 호랑이는 우리 밖 잔디밭의 자유로운 호랑나비와 대조를 이루고, 장면 #12
에서 아빠가 눈물까지 흘리며 파안대소하는 모습은 오히려 슬픔을 자아낸다. 그의 그림책
에서 대부분 글과 그림은 1:1로 화답하는 형식이 아니라 대조적 관계로 아이러니를 함축한
다. 이러한 아이러니 기법은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아이러니란 사전적인 의미로 풍자, 비꼼, 반어 또는 예상외의 전개를 뜻하며, 문학에서는
반어적 대조 형식을 의미한다. 상충과 대조를 본질로 하는 문학적 장치로서의 아이러니는
‘변장’(dissimulation)의 뜻을 가리키는 희랍어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서 유래했다. 어원적 의
미로 보면 아이러니는 변장의 기술이다. 따라서 아이러니는 진술된 것과 이면에 숨은 참뜻
사이에 존재하는 상충과 대조라는 이중성을 요구한다. 궁극적으로 작가가 아이러니기법을
사용하는 목적은 ‘속임수에 의한 비판’을 하려는 것이다. 문학에서의 아이러니는 우리가 읽
고 있는 것 이상의 다른 어떤 것이 있음을 발견할 때 존재한다(김준오, 2003).
Nodelman(1988, 1999, 2003), Nikolajeva(2005)는 그림책이란 본질적으로 아이러니를 내재하
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그림책의 글과 그림은 그 질이 서로 다르며, 서로 다른 정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므로 각기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불완전한 두 기
호 간의 차이는 필연적으로 아이러니를 발생시키는데, 그 관계가 상호 보완적인 것을 넘어
상호 파괴적인 경우가 될 때 그림책의 즐거움과 경이로움은 더욱 커진다. 그러므로 결국
그림이 글과 매치되지 않을 때 아이러니는 더 모호한 종류의 것이 되고, 이러한 아이러니
는 그림책이 우리에게 큰 흥미와 경이로움을 느끼게 하는 원천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Kummerling-Meibauer(1999)는 아이러니를 인식하는 것은 독자의 역할임을 강조한다. 같은
맥락에서 Arizpe & Styles(2003)는 독자는 아이러니를 해석해야하며, 글 보다는 그림을 통해서
도덕적 생각을 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보면, 그림책의 아이러니
는 글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림을 통해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즉 그림책의 아이러니는
준텍스트적 단서와 다른 시각적 힌트를 통해 글에 나타난 바를 전복시키거나 또는 모순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독자는 다른 가능한 의미에 열려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메
타언어적 기술을 발달시키게 되는 것임을 Arizpe & Styles와 같은 학자들은 강조한다. 그러나
모든 그림책이 이와 같은 지적인 아이러니를 포함한다고 결코 말할 수 없다. 본시 그림책
이 말과 이미지의 대조적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어떤
그림책이나 이처럼 지적인 작업이 필요한 아이러니 기법을 적용하여 제작되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Nodelman(1988)은 작가와 삽화가가 서로 들여다보지 않고 복사하지 않을 때 최고의 효력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89

을 발생한다고 하였지만, Browne은 작가․삽화가 역할을 동시에 하면서도 마치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낸 것처럼 글과 그림의 멋진 아이러니를 창출해냈다. Browne의 그림책에서
그림은 글의 분명한 의미를 파괴한다. 또한 글은 그림이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을 파괴한다.
더 나아가 그림이 글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해주며, 그림이 글을 완전히 불완전하게 만듦으
로써 이야기를 코믹하게 만든다. Browne의 그림책은 이처럼 각 기호의 표현이 서로의 파괴
에 의해 불완전함을 드러내고 아이러니 관계를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Browne의 그림책 특
징은 그림책의 글과 그림 간의 관계가 기본적으로 5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한
Golden(1990)의 견해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Golden(1990)은 그림책의 글과 그림 간의 관계를 5가지 양상으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글
과 그림이 동일한 방식, 둘째, 글이 그림을 통해 더 명료해지는 방식, 셋째, 그림이 글을 확
장시키고 정교하게 하는 방식, 넷째, 글을 통해 내러티브가 진행되고 그림은 선택적으로 부
연되는 방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림을 통해 내러티브가 진행되고 글이 선택적으로 부연
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Browne의 그림책은 Golden(1990)이 제시한 5가지 양상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측
면이 있다. 즉 글과 그림은 서로 간에 상응하기 보다는 오히려 상반되는 측면, 즉 대조관계
를 자주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러면서도 글과 그림은 묘하게도 강한 통일성을 가진다. 이야
기가 불일치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는 자기만의 발견에 의해 자기만의 내러티브를 만
들 수 있는 수많은 공간을 찾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야기를 자기가 완성하는 것이 아니
라 독자가 완성하도록 명백한 의도를 함축해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Browne의 그림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Golden(1990)의 견해 보다는
Nodelman(1988)의 견해가 더 도움이 된다. Browne의 그림책은 Nodelman의 견해처럼 각 기호
의 표현이 서로의 파괴에 의해 불완전함을 드러내고 아이러니 관계를 만들어내는 매우 훌
륭한 사례들을 보여준다. 그림과 글은 단순히 결합되는 것을 넘어서 텍스트를 훨씬 더 복
잡하고 상징적인 관계로 만든다. 따라서 이야기가 훨씬 더 애매모호하게 된다. 단순히 글이
그림에 덧붙여지거나 그림이 글에 덧붙여지는 것의 관계를 넘어서서 텍스트의 전체적 톤과
목적 등을 복잡하고 상징적인 관계로 만드는 것이다.
Browne은 그림책에 이와 같은 아이러니를 포함시키고 필연적으로 독자의 지적인 참여가
일어날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Nikolajeva & Scott,(2000)가 대조적 기호체계는 역동적으로 긴
장감을 발생시킨다고 언급한 것처럼 Browne의 그림책은 두 기호 간에 일치되지 않은 부분
들이 함정처럼 도사리고 있고, 그 함정을 발견하고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는 일이 독자에게
는 커다란 즐거움으로 다가선다. 소위 ‘숨은 그림 찾기’는 그의 그림책 특징이라고 대중적
으로 회자되는데, 단순히 시지각적 식별의 즐거움을 충족시키는 숨은 그림으로만 폄하하기
에는 너무나 손실이 많다. 숨은 그림이 가지는 본질적 의미는 아이러니며, 한 걸음 더 나아
가 말과 이미지의 대조적 관계에 의해 무한한 상호 작용 가능성을 내포하는 지적인 아이러

www.dbpia.co.kr
29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니이다.

4. 메타픽션(metafiction)

Browne의 그림책은 본질적으로 메타픽션이다. 저자의 입장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


지 않으며, 반대로 너무 적은 정보를 제공하지도 않는다. 말하자면 불확실성을 반영한 메타
픽션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특성은 Browne의 그림책이 메타픽션으로
구성되는 요건을 충족시켰다.
메타픽션이란 독자 스스로 스토리텔링의 경험을 하도록 하고, 대안적인 결말을 맺도록
한 문학작품을 말한다(Lewis, 2001; Nikolajeva & Scott, 2006). 메타픽션은 역사적으로 있어왔
던 것이지만, 196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 의해 필수적인 요소로 포함되었다. 포스
트모더니스트들은 메타픽티브 장치(metafictive devices)를 사용하여 독자가 별 생각 없이 느슨
하게 이야기를 읽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것이 문학적 경험의 본질이며, 스토리텔링의
과정 그 자체가 작품 창조의 본질이라고 믿는 것이다. McCallum(1999)에 의하면 메타픽션은
일반 작품들과는 달리 청자가 참여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내러티브의 범위를 넓히고 산만
하게 만드는 기법들이 사용된다. 이 기법들로는 패러디를 포함하는 상호텍스트성, 화자와
작가의 경계 해체, 환상․현실․게임․독자 등의 내러티브 형태 해체, 불연속적이고 자기
반영적인 장치, 다중적 목소리 등이다. McCallum은 Browne이 여러 가지 흥미로운 상징이나
기호, 개방성 등의 메타픽티브 장치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그림책 저자라고
하였다.
Browne은 그림 속에 다양한 기호와 상징을 포함시켜 주제의 일원화나 작가-독자의 일방
적 소통 관계를 지양하는 한편, 상징의 의미적 개방성을 통해 독자 스스로 스토리텔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그의 그림책에서 주제는 불확실하고 모호하며, 열려있
다.
그의 그림책 모두 메타픽션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한 예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Gorilla(1983)를 들어 설명해보기로 하자.

외로운 한나가 아빠와 동물원에 가서 고릴라를 보고 싶어 하지만, 일에 바쁜 아빠는 함


께 동물원에 가는 것을 미루기만 한다. 한나의 생일날, 아빠는 고릴라 인형을 선물하고,
그 인형은 밤에 한나를 찾아와 아빠 옷을 입고 한나와 함께 동물원에 간다. 둘은 동물원
에서 오랑우탄, 침팬지들을 보고,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보고, 잔디밭에서 춤을 추고, 집에
돌아와 잔다. 아침에 일어나보니 아빠가 준 고릴라 인형이 옆 있었다. 그리고 아빠는 한나
에게 “생일 축하한다, 우리 귀염둥이. 동물원에 가고 싶었지?” 라고 말한다. 한나는 무척
행복했다.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91

이처럼 Gorilla(1983)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글은 한나와 아빠, 그리고 고릴라의 행위들로


엮어진 일련의 사건을 말해주어 글만으로도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러나 Gorilla(1983)는 보는
책이며, 동시에 보이는 책이다(Arizpe & Styles, 2003). 즉 그림에는 글에 없는 수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글과 이미지의 무한한 상호 작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독자의 참여적 내러
티브 구성을 유도한다. 그림은 아빠가 책상에 일하고 일하다 나가고, 한나가 위층으로 올라
가고, 다음날 아침에 내려오고, 고릴라가 나무사이에서 그네를 타고, 동물원의 벽을 기어오
르는 행위의 장면들이 있으나 이것들은 이야기의 진행에 의미적으로 큰 역할을 하진 않는
다. 문장속의 문법적 단어처럼 기능할 뿐이다. 즉, 이야기의 부분들을 함께 엮어주는 일종
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한편, 반응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 장면들은 의미상 매우 중
요하다. 예를 들면, 생일날 아침, 아빠가 한나에게 이야기하는 마지막 부분에서 아빠의 뒷
주머니에는 바나나가 꼽혀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아빠가 곧 고릴라인가? 글의 내
용에서 아빠와 고릴라 인형은 분리되어있다. 그러나 독자는 이 마지막 부분의 그림을 통해
아빠와 고릴라와의 관계를 암시받는다. 아빠의 뒷주머니에 꼽힌 바나나는 결정적인 메타픽
티브 장치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그림 속에 포함된 메타픽티브 장치는 독자 스스로 이야
기하고 나름대로 상상하여 이야기의 결말을 맺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는 Kate Greenaway Medal을 두 번씩이나 받았는데, 두 번째 수상작인 Zoo(1993)에도 동물
들을 구경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부분적으로 동물의 머리, 뿔, 새의 부리, 악어의 발 등의
모습을 하고 있거나, 하늘의 구름이 아빠의 뿔난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 등, 많은 메타픽티
브 장치들이 숨겨져 있어서 많은 분석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Look What I've Got!(1980) 역
시 많은 메타픽티브 장치들로 인해 독자는 각 장면마다 글이 나타내는 사건 이외의 여러
가지 상상을 할 수 있으며,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뿐 아니라, Browne의 수많은 소위 ‘숨은 그림’들은 독자로 하여금 이야기의 의미를 나
름대로 해석하게 만들고, 스스로 스토리텔링하게 한다. Browne은 2009년 6월에 영국의 어린
이 계관작가로 지명된 후 The Guardian과의 대담을 통해 글과 그림 간의 차이는 독자의 상
상력으로 책을 읽는 흥분을 더하면서 메워나가야 할 독자의 몫이라고 하면서 가장 좋은 그
림책은 글과 그림 간의 차이를 남겨두는 책임을 역설하였다. 그러므로 자신이 만든 그림책
의 독자층은 정해진 것이 아니며, 아주 어린 아이들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
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결국, Browne은 메타픽티브 장치의 장면 배치를 통해 독자가 한 장면의 그림도 소홀히
하지 않고, 끝까지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림책의 내용은 상호작용
적, 참여적으로 읽히고 해석된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지향하는 탈중심주의(다원주의)를
반영한다. 즉, Eco(1985/2004)가 텍스트는 빈 공간들과 채워야할 빈 칸들의 직물이며, 텍스트
를 방출한 사람은 그 빈 공간이 채워질 것이라는 것을 내다본다... 그리고 텍스트를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그 누군가에게 방출된다... 작가는 충분한 여백과 더불어 해석되기를 갈망하

www.dbpia.co.kr
292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면서 독자에게 해석의 주도권을 넘겨주려고 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Browne의 그림책은 이


러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 말하자면 닫힌 텍스트로서가 아니라 열린
텍스트로서 작가 자신에게나 독자, 누구에게든지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Ⅳ. 논의 및 결론

Browne의 그림책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조명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본 결과, 그의 그


림책이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제반 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스트모더니
즘 작품으로서,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이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인식의 차원에서, Browne의 그림책은 유아들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사조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자 적절한 통로로서 기여할 것이다. 우선, 중요한 대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여러 학자들(Arizpe & Styles, 2003; Lewis, 2001; McCallum, 1999;
Wilkie, 1999)의 견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의 그림책이 현 시대의 어느 그림책보다도 포
스트모더니즘과 맞닿아 있다는데서 찾을 수 있다. Browne 또한 Style(1996)이 자신의 그림책
을 포스트모던 그림책으로 구분한데 대하여 비록 부분적인 측면이고 그에 대해 많은 시간
동안 생각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인 언급이라고 인정한 바 있다(Browne & Evans, 1998). 현대
사회에서 그림책은 늘 유아 주변에 가까이 있으며, 유아와 함께 있는 친숙한 대상이다. 이
그림책을 통해 유아들이 경험하는 것은 그림책이 지닌 성질, 즉 객관적 요소들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또한 유아들이 반복적으로 경험할 때 그림책의 이미지는 기억과 연상
작용으로 인하여 이데올로기적, 미적, 문화적, 가치관으로 시나브로 스며들게 마련이다. 포
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Browne의 그림책은 유아의 정신세계를 지성적
인 측면만이 아니라 감성적인 면으로도 다룸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통로가 될 수 있다함은 유아의 발달에 적
합하게 그림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시대적 가치와 문화를 경험하게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치나 문화는 직접적인 설명으로도 가능하겠지만, Browne의 그림책은 그 보다는 수많은
메타픽티브 장치들을 사용하여 유아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가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가치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유아들에게 즐겁
고 쉽게 흡수될 것이다. 그리고 결국은 유아의 현시점에서만이 아니라 그 유아의 정신세계
로 이어지고 사회의 문화와 가치로 이어질 것이므로 그의 그림책은 현대 사회에서 유아의
사회화에 알게 모르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로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둘째, 시각적 문해의 차원에서, 그림책의 그림 읽기가 단순한 직관과 지각의 대상이 아니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93

라 지적, 심미적 대상으로서 다루어지도록 확장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유아들은 시청각적


다중 매체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그림책의 문자적 텍스트를 넘어 그림의 이미지를
읽어내야 한다(Arizpe, & Styles, 2003a, 2003b; Doonan, 1993; Nikolajeva, & Scott, 2000, 2006;
Nodelman, 1988, 1999).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소통은 이제 단순한 음성과 문자의 영역을 넘
어 시청각의 매체들을 통하지 않고서는 안될 만큼 시청각 매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에 Browne의 그림책은 유아들과 유아교육자들로
하여금 전통적인 그림책 읽기 방식에 도전하게 한다. 말하자면 그림은 직관과 우연의 영역
이 아니라 보다 지적인 영역의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는 새로운 인식(차은단, 2009)을 만들
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의 한 예로써, Arizpe & Styles(2003a)은 4-10세 아동
들에게 소집단으로 Browne의 대표적인 그림책 Zoo를 반복적으로 읽고, 토론하고, 그림 그리
게 하였는데, 횟수가 더 해감에 따라 어느 연령의 아동들이나 자신의 수준에서 해석하며
의미 부여하였고, 이 그림책이 흥미본위가 아니라 심각한 책이라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Browne은 Evans와의 대담(Browne & Evans, 1998)에서, 그림책을 만들 때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열어두는 일에 심사숙고한다고 하였으며, “저작을 끝내면 나는 그것을
떠나보낸다, 아이를 그렇게 하듯이. 그 다음에 일어나는 일은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일이
다.”(p. 195)라고 말하였다. 이는 그의 그림책이 다중의미(polysemic)를 지닌 그림책이라는 것
을 말해준다. 결국 Browne의 그림책은 단순한 흥미와 지각의 수준의 대상이 아니며, 독자인
유아 각자가 심오한 지적 작업을 수행해서 글과 그림이 조화롭게 만들어내는 특별한 텍스
트를 해석하고 자기의 내러티브로 만들어야 할 대상으로서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소통의 차원에서, Browne의 그림책은 유아를 작가와 동등한 위치의 독자로 격상시
킴으로써 상호이해와 존중이 중시되는 문화를 창조하는 통로를 마련할 것이다. 영상과 감
성이 중시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그림책의 이미지와 상징을 통한 의사소통은 필연적
일 수밖에 없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는 특정한 사람이 만들어 놓은 지식과 가치를 무
조건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개인이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직접 만들어가야 한다. 그
러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수적이다(김규수, 2001). 이러한 시대에 그의
그림책은 새로운 소통매체로서의 장을 열고 있다. Barthes가 현대문화 속에서 민담은 ‘잃어
버린 코드(lost codes)’이며 포스트모던 사회 속에서 변형된 모습으로 재창조된다고 말했던
것처럼, Browne의 그림책은 관례의 변형을 통해 ‘잃어버린 코드(민담)’을 인식하고, 실현하는
것(Wilkie, 1999)을 여실히 보여준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민담, 우화, 또는 이야기 그
림책에서 그림은 상황묘사라는 일차적 기능에 머물며, 글의 하위개념에 지나지 않았던 경
향이 있었다. 그러나 Browne은 그림에 다양한 상징기법을 활용하여 내러티브를 확장하도록
하며, 이로써 글과 그림이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처럼 Browne의 그림책은 작가-텍스트-독자의 상호소통적 여지를 본질적으로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유아의 위치를 능동적․반응적 독자로 격상시킨다. 성인만이 아니라 유아도

www.dbpia.co.kr
29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의견개진이 자유롭고, 그 자유 속에서 1:1적 수평관계인 토론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다. 생각의 자유는 과거 당연시 해왔던 일방적 소통의 체계를 일소하고, 상호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토론 문화를 창조해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은 자기 삶을 이야기하는 것이 상상력과 창의성의 주요 통
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문학작품의 근원에는 작가의 개인적 체험이 놓여있으며, 허구
이되 허구가 아니라고 말할 수 없는 것(손정수, 2002)이 곧 문학작품이듯이, 그의 그림책은
자기 경험을 이야기하는 내러티브의 전형을 보여준다. 그는 그림책이라는 형상을 통하여
자신의 삶에서 얻은 경험의 의미들을 소통하고 있으며, 대부분 가족관계와 어린 시절의 성
장과정에서 경험한 정서를 소재로 삼는다. 과거의 문학은 작가의 의도대로 보편적 정서를
공유하고자 하는 보편적 내러티브의 소산이었다고 한다면, 그의 그림책은 개인의 경험과
정서도 문학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그림책은 그 자신의 개인적 내러티브의 구성이면서 동시에 그 책을 읽는 독자의 개
인적 내러티브 구성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는 자전적 이야기의 표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전형적인 특성(Perrot, 2003)이 반영된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Browne의 그림책은 메타픽션의 특성인 수많은 상징이나 기호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중적
상징의 모호성을 함축하고 있으므로 독자의 해석에 따라 또 다른 내러티브로 구성이 가능
하며, 나름의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는 것이다. 독자의 개인적 내러티브를 가
능하게 한다는 것은 유아로 하여금 독자이자 작가의 지위를 동시에 부여하는 것이며, 이것
은 곧 상상력과 창의성의 주요 통로로 연결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아동문학비평가 또는 그림책을 연구하는 학자들(Arizpe & Styles, 2003; Lewis,
2001; McCallum, 1999; Wilkie, 1999)이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을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으로
분류하고, 21세기 그림책의 고전(classic)이며 아동문학과 그림책 역사 발전의 한 분기점이라
고 주장한 것과 같이, 그의 그림책은 오늘날의 시대정신인 다원주의를 적극적으로 반영하
고 다중의 목소리(polyphonic)를 인정해야 할 당위성을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 그림책의 선도적 위치를 점한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와 유아교육자에게 사회화의 통로로서, 시각적 문해의 대상으로서, 소통의 수
단으로서, 그리고 상상력과 창의성의 주요 통로로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남긴다.

참고문헌

김규수 (2001). 포스트모더니즘적 유아교육관 고찰. 유아교육연구, 21(1). 161-176.


김준오 (2003). 시론. 서울: 삼지원.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95

김진석 (2004). 에피모더니즘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김인환․김성엽․정과리 엮음. 문학


의 새로운 이해 - 그 문턱을 넘어서(pp. 396-415). 서울: 문학과 지성사.
김태영 (2008).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성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혜숙, 김혜련 (2001). 예술과 사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남경태 (2002). 한 눈에 읽는 현대 철학. 서울: 광개토.
브리태니커 (1996).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서울: 브리태니커, 동아일보.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양서원.
손정수 (2002). 미와 이데올로기: 손정수 평론집. 서울: 문학동네.
차은단 (2009).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의 차용이미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Alderson, B. (1973). Looking at picture books. London: The National Book League and Bocardo Press.
Arizpe, E., & Styles, M. (2003a). Children reading pictures: Interpreting visual text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almer.
Arizpe, E., & Styles, M. (2003b). Picturebooks and metaliteracy: How children describe the process of
creation and reception. In M. Stlyes & E. Bearne (Eds.), Art, narrative and childhood(pp.
115-126). Trent, UK: Trentham books.
Bader, B. (1976). American picture books: From Noa's ark to the beast within. New York: Macmillan.
Browne, A., & Evans, J. (1998). The role of the author/artist: An interview with Anthony Browne.
In J. Evans (Ed.). What's in the picture?: Responding to illustrations in picture books(pp.192-204).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Doonan, J. (1993). Looking at pictures in picturebooks. Glos, UK: The Timble Press.
Eccleshare, J. (2000). Portrait of the artist as a gorilla: Anthony Browne explains his surrealist
children's style to Julia Eccleshare, The Guardian, guardian.co.uk
Eco, U. (2004). 글쓰기와 글읽기 (김성도 역). 김인환․김성엽․정과리 엮음. 문학의 새로운
이해 - 그 문턱을 넘어서(pp.74-89).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본 발간일 1985년)
Flood, A. (2009). Gorilla artist Anthony Browne becomes children's laureate: Illustrator much-loved
for his stories of gentle gorillas succeeds Michael Rosen as national champion of children's
literature, guardian.co.uk
Horning, K. (1997). From cover to cover: Evaluating and reviewing children's books.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Hunt, P. (1994). An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unt, P. (1999). Introduction: the world of children's literature studies. In P. Hunt (Ed.),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pp.1-14). New York: Routledge.

www.dbpia.co.kr
29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Hurlimann, B. (1968). Picture-book wor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ummerling-Meibauer, B. (1999). Metalingustic awareness and the child's developing concept of
irony. The Lion and the Unicorn, 23, 168-176.
Lewis, D. (2001). Reading contemporary picturebooks: Picturing text. London and New York: Routeledge
Palmer.
Liggett, T. C, Benfield, C. M., & Burton, L. (1994). Guide to children's books. New York: A Citadel
Press Book.
Lukens, R. (2003). A critical handbook of children's literature (7th ed.). New York: Allyn and Bacon.
McCallum, R. (1999). Very advanced texts: Metafictions and experimental work. In P. Hunt (Ed.),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 (pp. 138-150). New York: Routledge.
MacCann, D., & Richard, O. (1973). The child's first books. A critical study of pictures and texts. New
York: H. W. Wilson.
Nikolajeva, M. (2003). Picturebook characterisation: Word/image interaction. In M. Stlyes & E.
Bearne (Eds.), Art, narrative and childhood(pp.37-50). Trent, UK: Trentham books.
Nikolajeva, M. (2005).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Oxford: The Scarecrow
Press, Inc.
Nikolajeva, M., & Scott, C. (2000). The dynamics of picturebook communication.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1. 225-239.
Nikolajeva, M., & Scott, C. (2006), How picturebooks work. New York: Routledge.
Nodelman, P. (1988).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Athens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Nodelman, P. (1999). Decoding the images: Illustration and picture books. In P. Hunt (Ed.),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pp.69-80). New York: Routledge.
Nodelman, P., & Reimer, M. (2003).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Boston, MA: Allyn and
Bacon.
Perrot, J. (2003). Post-modern picto-genesis in France: The artist's sketchbook―a wonderland to
discover. In M. Styles & E. Bearne (Eds.), Art, narrative and childhood(pp.51-64). Trent, UK:
Trentham books.
Prince, G. (2003). A dictionary of narrotology. Lincoln & Lond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Schwarcz, J. H. (1982). The way of the illustrator: Visu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Usher, R. & Edward, R. (1996). Postmodernism and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Wilkie, C. (1999). Relating texts: Intertextuality. In P. Hunt (Ed.),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pp.130-137). New York: Routledge.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97

Winkel, L., & Kimmel, S. (1990). Mother Goose game first: an annotated guide to the best books and
recordings for your preschool child.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연구대상 그림책 목록: Anthony Browne이 글․그림 저자로서 발표한 그림책의 목록


Through the Magic Mirror,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76
A Walk in the Park,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77
Bear Hunt,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79
Look What I've Got!, Julia MacRae Books, 1980
Bear Goes to Town,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82
Gorilla, Julia MacRae/Walker Books, 1983
Willy the Wimp, Julia MacRae/Walker Books, 1985
Willy the Champ, Julia MacRae/Walker Books, 1985
Piggybook, Julia MacRae/Walker Books, 1986
Little Bear Book,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88
I Like Books, Julia MacRae Books, 1988
Things I Like, Walker Books, 1989
A Bear-y Tale,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89
The Tunnel, Julia MacRae/Walker Books, 1990
Changes, Julia MacRae Books, 1990
Willy and Hugh, Julia MacRae/Random House Children's Books, 1991
Zoo, Julia MacRae Books, 1993
The Big Baby, Julia MacRae Books, 1993
Willy the Wizard, Julia MacRae Books, 1995
Willy the Dreamer, Walker Books, 1997
Voices in the Park, Doubleday, 1998
My Dad, Doubleday, 2000
Willy's Pictures, Walker Books, 2000
The Animal Fair, Walker Books, 2002
The Shape Game, Doubleday, 2003
Into the Forest, Walker Books, 2004
My Mum, Doubleday, 2006
Silly Billy, Walker Books, 2006
My Brother, Doubleday, 2007
Little Beauty, Walker Books, 2008

www.dbpia.co.kr
298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Anthony Browne이 그림 저자로서 발표한 그림책의 목록


Hansel and Gretel, Julia MacRae Books, 1981
The Visitors Who Came to Stay, written by Annalena McAfee,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84
Knock, Knock, Who's There, written by Sally Grindley, Hamish Hamilton Children's Books, 1985
Trail of Stones, written by Gwen Strauss, Random House Children's Books, 1990
Kirsty Knows Best, written by Annalena McAfee, Julia MacRae Books, 1988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written by Lewis Carroll, Julia MacRae/Walker Books, 1988
The Night Shimmy, written by Gwen Strauss, Julia MacRae/Random House Children's Books, 1991
The Topiary Garden, written by Janni Howker, Julia MacRae Books, 1993
The Daydreamer, written by Ian McEwan, Jonathan Cape, 1994
King Kong, from the story conceived by Edgar Wallace and Merian Cooper, Julia MacRae Books,
1994

www.dbpia.co.kr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299

Abstract

A Study on the Postmodernism perspective


of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Noh, Young-H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eature out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from a

postmodernism persp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o investigate his artworks and personal
history, to comment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n his picture books from the Postmodernism
perspectiv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 of it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se purpose

and questions, Anthony Browne's 3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which were almost all of the books
he both wrote and illustrated from 1976 to 200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definitely,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include enough

features to be evaluated as Postmodernism artworks. He used many noticeable devices of the


Postmodernism artworks such as decanonization, intertexuality(parody, pastiche), irony, and metafiction.
Ultimately, he aimed the pluralism. So,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have some implication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follows: First, his picture books contribute as objects and channels that
children could experience the trend of the time. Second, his picture books contribute as intellectual
and esthetical artworks for visual literacy. Third, his picture books contribute to create the

child-adult discussion culture of reading through reciprocal, and respectful communication. Fourth,
showing a way of narrating his own life, his picture books encourage young children tell their own
stories creatively.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