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KISEP Speci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4, No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및 구리병원 신경정신과


김 대 호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aeh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Hanyang University, Seoul and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Guri, Korea

This article reviews existing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literature concerning its effecti-
veness, theory, mechanism, and procedural aspects in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Evidence from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meta-analyses indicates that EMDR is as effective as well established treatments such as exposure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moreover, EMDR may be more efficient in terms of unnecessary homework assignment
and fewer treatment sessions. The current status of EMDR occupies one of legitimate and standard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in adult PTSD treatment. Mechanism for treatment efficacy is poorly understood at present and putative at most, however,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neurobiological change after successful EMDR treatmen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2):147-151)
KEY WORDS: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Post-traumatic stress disorder·Trauma·Psy-
chotherapy.

서 론 longed Exposure, 이하 PE), 스트레스접종치료(Stress


Inoculation Therapy, 이하 SIT)과 함께 효과가 실증적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ye Movement De- 으로 입증된 PTSD의 4대 심리치료로 자리를 잡게 되었
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이하 EMDR)은 Fran- 다.2-4)
cine Shapiro에 의해 개발되어 1989년에 첫 임상 연구가 아동 PTSD에 대한 두 개의 대조 연구,5,6) 공황장애,7)
발간되었으며 초기에는 EMD(Eye movement Desensi- 공포증8)에 대한 대조 연구가 있으나 아직 성인 PTSD외의
tization)라는 행동치료적인 용어로 사용되다가 1990년 영역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현재까지 EMDR
인지적 재구조화를 반영하는 EMDR로 개명되고 그 프로 의 효과는 성인 PTSD에 국한되며 EMDR관련 대부분의
1)
토콜이 완성되어 지금까지 변화 없이 사용되고 있다. 문헌이 사실상 PTSD를 주제로 연구된 것이다.
기존의 정신치료 파라다임과는 사뭇 다른 형태(안구운동 EMDR은 PTSD의 정신치료 중 한 가지지만 자극방법,
같은 자극방법)로 인해 그간 많은 논쟁과 비판이 있었지 효과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빠른 효과 및 기전에 대한 해
만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현재 EMDR은 인지행동치료 답을 얻기 위한 부수적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최
(Cognitive Behavior Therapy, 이하 CBT), 장기노출(Pro- 근에는 오히려 EMDR 연구를 통해 외상과 PTSD의 병
태생리를 이해하게 되는 상황이 되었다.9) 국내에서도 최
접수일자:2005년 2월 1일 / 심사완료:2005년 3월 2일
Address for correspondence 근 도입되어 종설과 증례, 임상연구가 발간되었다.10-14)
Daeh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Hanyang University Guri 이 종설에서는 성인 PTSD와 관련된 EMDR 문헌을 고
Hospital, 249-1 Gyomun, Guri 471- 701, Korea
Tel:+82.31-560-2277, Fax:+82.31-554-2599 찰하여 그 배경, 방법, 효과, 기전, 향후 과제를 기술하겠으
E-mail:dkim9289@ihanyang.ac.kr 며 문헌 검색 방법은 Pubmed와 PsycInfo에 EMDR, eye
이 논문의 일부는 2005년 1월 19일 서울보훈병원의‘PTSD의 치료’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음. movement desensitization의 검색어로 시행하였으며 그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4, No 2 / March, 2005 147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D.H. Kim

외 해당 논문의 참고문헌 등을 조사하였다. 검색 기간은 첫 가 높은 정신치료가 되었고, 취약하고 치료에 전문성이


연구 논문이 발표된 1989년에서 현 2005년 2월까지였다. 요하는 외상 환자들을 다루는데 필수 교육과정이 되었다.
EMDR 수련 워크샵 및 수련 후의 자문 체계는 타 분야
본 론 의 정신치료 수련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초기 비판의 문제가 잠잠해 지자 이 후의 비판
배 경 은 몇몇 초창기 EMDR 연구의 방법론적인 문제,16,17) 안
1987년 경 임상심리학자는 Francine Shapiro는 우연 구운동이 필요 없다는 주장,18) 노출치료와 다를 게 없다
한 기회에 수평적이고 급속적인 안구 운동이 불편한 기 는 비판19)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비판에 대한 역반응
억을 완화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흥미로운 발견에 주 으로 반증 가능한 연구들 축적되었고 많은 대조 연구가
목한 Shapiro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이 효과를 실험하 진행되었다. 그 결과 EMDR은 PTSD의 정신치료 중 가
면서 진행기법을 수정해오다가,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대 장 많이 연구된 치료가 되었다. 예를 들어 1999년 Spec-
표되는 질환인 PTSD 환자에게 효과 있을 것으로 가정 tor와 Read20)에 의하면 당시 EMDR의 10년간 대조연
하고 한 명의 베트남 참전 용사에게 시도한 결과 성공적 구가 15개 있었는데, 1980년 PTSD의 진단이 도입된
으로 치료되어 이 방법의 효과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되었 이후, PTSD에 대한 다른 정신치료 연구를 다 합쳐도 대
다. 이를 통해 첫 임상 연구가 1989년에 발표되는데 22 조연구가 6개밖에 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축적을 바
명의 성폭행 및 베트남 참전용사를 대상으로 EMD 치료 탕으로 현재 EMDR은 미국정신의학회,4) 미국심리학회,3)
와 외상적 기억을 서술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 미국보훈청과 국방부21) 등에서 PTSD의 표준 치료로 공
고 EMD 군의 불안 감소 및 긍정적 인지 변화를 보고하 식 인정 받고 있다.
1,11)
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표준화된 증상 평가 도구나 독립적 평 방 법
가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후‘한 세션의 치료(one- EMDR의 절차상 가장 특징적인 것은 안구 운동과 같
session cure)’
라는 것과 함께 EMDR연구가 방법론적인 은‘이중 주의 자극(dual attention stimuli)’
이다. 대표
오류가 많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첫 연구의 발표 다 적인 자극이 안구 운동이고 촉각이나 청각의 좌우 양측
음 해인 1990년에 Shapiro는 EMD라는 명칭을 EMDR 성 자극도 동일한 효과를 낸다고 알려졌다. 환자는 안구
로 바꾸는데, 이는 그 자신의 이론적 편향이 초기의 불안 운동과 같은 외부 자극과 동시에 외상적 기억(내부자극)
의 탈감작화로 나타나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보다 통합 에 집중하게 된다(이중 주의). 빠르고 반복적인 안구운동
적인 정보처리 모델로 변화한 것을 나타낸다. 즉, 빠른 을 시켜서 인지적 변화와 불안 감소의 효과를 얻는다. 환
치료 효과, 탈감작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인지적 재구조화 자는 외상과 관련된 부정적 감정, 기억, 인지 등을 상기
와 자기 효능감의 증가 등의 치료반응을‘적응적 정보처 한 후, 안구 운동 중 경험한 이미지나 감정을 보고하게
리 가설(adaptive information-processing model)’
로 된다. 이 과정은 외상적 기억과 감정이 최소화 될 때까지
1)
이해했다. 진행된다. 1회 당 소요시간은 90분이며 3회에서 12회까
1995년 첫 저서가 발간되는데 이 시점으로 계기로 많은 지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신치료자들이 EMDR 수련을 받았고 EMDR은 가장 PTSD의 표준 프로토콜은 8단계로 되어 있으며(Table
인기 있는 정신치료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EMDR에 비 1),1) 이중 1, 2단계는 첫 세션에서만 시행하며 지난 번
판 또한 만만치 않았는데, 초기 비판은 주로 3가지 정도
Table 1. EMDR*의 표준 8단계
로 요약될 수 있다.15) 첫째, 이 치료의 이론적인 근거가
1. 환자 과거력 및 치료 계획
빈약하다는 점이고 둘째, 초기에 효과를 과장되게 소개했 2. 준 비
다, 셋째는 강도 높고 값비싼 수련을 받아야 EMDR을 3. 평 가
할 수 있다 등이었다. 그러나 EMDR의 기전에 대한 연 4. 탈감작 및 재처리
5. 긍정적 인지 주입
구들 특히 신경인지나 신경영상학 분야에서 그 이론적 토
6. 신체 검색
대가 마련되고, 다른 치료보다 빠르고 필요한 치료 시간
7. 종 결
이 적다는 결과도 알려졌다. 엄격한 수련을 통한 치료자 8. 재평가
질 관리로 인해 EMDR은 치료 충실도(treatment fidelity)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148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4, No 2 / March, 2005


D.H. Kim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세션의 재평가인 8단계는 매 세션 시작할 때 시행한다. 따 그러나 이 연구는 EMDR가 행동치료보다 효율적임을 시
라서 EMDR의 특징적인 단계는 3~7단계까지이다. 사하는데, 같은 결과를 EMDR은 1/3의 시간에 달성했기
때문이다.
효 과
대조 연구
주요 기관의 진료지침 현재까지 15개 정도의 무작위 대조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
EMDR의 PTSD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한 주요 학술단 중 한 연구26)를 제외하곤 EMDR은 치료 대기군이나 위
체의 가이드라인이나 발표 내용을 보면 우선 1998년에 미 치료군(지지적 정신치료나 이완요법)보다 효과적이었으
국심리학회의 임상심리 분과에서 작업한‘실험적으로 증 며, PTSD의 표준 치료와 비교했을 때 동등하거나 더 나
명된 치료’프로젝트에서 민간인 PTSD 치료에 기존의 노 았다. 유일하게 Taylor 등26)의 연구에서 노출치료가 EMDR
출치료와 스트레스 접종 훈련과 함께‘효과적으로 생각되 보다 유의하게 효과적이었고, EMDR은 근육 이완과 차이
3)
는 치료(probably efficacious treatment)’분류되었다. 가 없었다.
2000년에는 국제 외상성 스트레스 연구 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의 진료 가이드 기 전
라인에 EMDR이‘PTSD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에 포함
되었다.23) 2004년에는 미 보훈처와 국방성에서 발간된‘외 정보 처리의 촉진 모델
상후 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한 임상진료지침’
에 CBT, PE, Shapiro는 정보처리의 촉진(Accelerated Information
SIT등과 함께 효과가 입증되고 추천되는 치료로 나와 있다. Processing, 이하 AIP) 모델로 EMDR의 효과를 설명하
같은 해 미국정신의학회의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및 PTSD 였다.1,27) AIP란 생리적인 정보 처리계로 새로운 정보가
진료지침4)에 따르면 급성 및 만성 PTSD의 주 증상 치 대개 적응적인 상태로 처리되는 것을 말한다. 적응적인
료에 CBT와 EMDR을 최우선적으로 거론하며 이 두 치 처리란 과거의 저장된 자료와 연결이 되어 학습되고, 정
료가 모두 효과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서적 고통이 완화되며, 자료가 미래에 이용될 수 있게 되
이와 같이 PTSD의 치료와 관련된 주요 기관에서 강도 는 것을 말한다. 정보란 기억 네트워크에 저장이 되는데
높은 문헌 조사 결과를 통해 발표된 진료지침에 EMDR 여기엔 관련된 사고, 이미지, 정서, 감각 등이 포함되어
은 CBT, PE등과 함께 표준 치료로 명시되어 있다. 있으며, 연결된 기억 네트워크 사이 고리가 있다. 이 네
트워크들은 가장 초기의 관련된 사고를 중심으로 구성되
메타분석 어 있어서, 최근의 사건에 대한 기억들도 과거 경험과 연
현재까지 PTSD에 대한 EMDR의 효과여부에 대한 3 결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편의 메타 분석 연구가 알려졌다. 최근 Bradley 등 은 정신 고통스럽거나 외상적인 경험과 관련된 정보가 충분히
의학과 심리학 분야의 치료 효과 연구를 게재하는 유명 저널 처리되지 않으면, 처음의 지각이 들어오는 그대로 저장되
19개를 1980~2003년까지 조사하여 26개의 PTSD의 는데, 사고 당시 경험했던 왜곡된 사고나 지각도 같이 저
정신치료 논문을 찾아냈고 이를 메타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된다. 이 모델의 핵심은 고통스런 기억이 처리가 안 된
는 EMDR, 노출치료, CBT, 노출치료+인지치료 등 4가 상태로 남아 있으면, 결국 현재의 비기능적인 반응의 기
지의 정신치료가 모두 치료 전후의 유의한 증상 호전을 초가 된다는 점이다. 이런 상태에서 안구 운동이나 기타
가져왔으나, 4가지 치료를 비교하면 PTSD 증상 변화의 이중 집중 자극은 정보처리를 활성화 한다. 이 모델의 가
effect size, 진단 변화(더 이상 PTSD로 진단 안 될 정 정은 기억의 이미지가 덜 두드러지면, 환자는 더 적응적
도로 호전), 의미 있는 임상 호전 등에서 치료간의 차이가 인 정보에 접근하고 집중할 수 있으며 기억 네트워크에
24)
없었다고 보고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Davison과 Parker 서 새로운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EMDR이 노출치료와 기타 CBT와 효과가 동등하다고
결론지었다. van Etten과 Taylor의 메타분석25)은 약물치 정위 반응
료까지 포함했는데, 전반적으로 약물치료보다는 정신치 Stickgold의 가설28)에 의하면 번갈아 가며 양측으로
료가 증상 감소 효과가 낫고 심리치료 중에서는 행동치 자극하는 것이 대뇌의 중심선을 교차하며 끊임없이 주의
료(주로 노출치료)와 EMDR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했다. (attention)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이 정위 반응(定位 反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4, No 2 / March, 2005 149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D.H. Kim

應, orienting response)의 증가가 REM과 비슷한 상태 가 적고, 치료 충실도가 높다는 점 등의 치료 타당도 측


를 야기해서 대뇌피질이 외상성 기억을 통합하게 도와 준 면의 장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 외상 치료 효과
다는 가설이다. 즉, 삽화기억으로 남아있는 외상적 기억 및 그 기전과 관련된 연구에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을 대뇌피질에서 어의기억으로 변환한다는 것이다. 외상 또 EMDR은 여러 이론적 형태의 치료 기법이 혼합되어
기억은 처리되고 개인의 인생 경험과 통합되는 것이다. 있는 통합적 치료이다, 이들 어떤 치료 요소가 효과를 불
EMDR 후 SPECT를 시행한 결과 전대상 피질(anterior 러오는 것인지, 불필요한 치료 요소는 없는지에 대한 검
cingulate cortex)과 좌측 전두 피질(left frontal cortex) 증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노출치료나
29)
이 활성화한다는 연구가 있는데 이중 전대상피질은 정위 CBT에 대한 EMDR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타 정신치료
반응의 주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지기도 했다. 와의 비교연구도 계속 필요하겠다. 또한 약물치료와도 비
교연구도 PTSD의 치료에 무엇이 주요 접근방식이 되야
양측 활성화 가설 하는지 통찰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과제라 생각한다.
Welch와 Beere30)는 양측 활성화 가설(Bilateral Acti- 현재까지의 정신치료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
vation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이는 PTSD의 증상 어졌다. 그러나 외상에 대한 심리적 치료는 언어적 접근
이 비대칭적이며 외측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양 대 의 한계가 있는데, Shin 등35)의 뇌영상 연구에서 나타나
뇌반구사이의 전달 결함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PTSD는 듯 외상 환자가 외상적 이미지를 떠올린다던지 외상적
상반된 증상인 정서적 마비/회피와 침습적 사고/이미지 자극에 접하면 뇌의 운동언어 중추(Broca’
s area)가 폐
사이에서 왔다갔다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것은 대뇌 반구 쇄된다. 따라서 외상적 기억을 이야기(narration)하는 것에
사이에 중재의 결함이 있고 대뇌 활성 패턴이 붕괴된 소 장애가 생긴다. 따라서 언어적 상호교환이라는 정신치료의
견이다. 그렇다면 EMDR은 양 반구를 자극하여 반구 기 정의상 이런 환자를 치료할 수가 없다. 그러나 EMDR은
능을 통합하고 대뇌 활성 패턴을 정상화 한다는 가설이 언어에 의존성이 매우 적은 치료이며, 환자의 연상에 대
다. EMDR 후 실시한 qEEG에서 양측 대뇌 반구가 더 동 한 언어적 설명이 없어도 진행될 수 있다.
31)
조(synchronization)화 되고 뇌파가 느려진다는 보고, 다른 말로 얘기한다면 EMDR이 현재로서는 환자의 극
EMDR 후 실시한 SPECT에서 좌측 반구 기능이 과도하 심한 감정 반응이나 신체 반응 없이 변연계에 접근할 수
게 증가된다는 보고29) 등도 이 가설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이다. 이 치료가 외상 기억의 정서적, 감
있겠다. 각적(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 인지적 측면을 모두 접근
할 수 있는 점 등은 앞으로 PTSD의 병태생리나 기전, 치
기타 가설 료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안구 운동의 이완 효과32)와 탈각성화(de-arousal) 효
과33)에 대한 정신생리 보고들이 있으며, 이들은 MacCull- 결 론
34)
och와 Feldman 이 주장한 것 같이 안구운동이 정위 반
응을 일으킨 후 조사 반사(investigatory reflex) 중 긍정 PTSD에 관련된 EMDR 문헌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
적 내장 반응(positive visceral reaction)을 일으켜 불안 은 결론을 얻었다.
하지 않게 된다는 이론을 지지했다. EMDR후 탈각성화나 1) EMDR은 PTSD의 표준 치료방법으로 자리 잡았으
변연계의 하향조절 및 전두엽 피질의 활성화를 시사하는 며 기존의 CBT나 노출치료에 비교할 만한 효과, 과제 부
14,29)
신경영상 연구도 있다. 안구운동에 의한 시각 이미지 여가 없고, 치료기간이 짧은 점 등은 이 치료의 장점으로
35)
변화를 작업 기억과 연관하여 보고한 연구도 있다. 지적될 수 있다.
2) 다른 치료도 마찬가지지만 아직 추적조사 연구가 불
향후 과제 충분하고, 다발적 외상을 오랜 기간 경험한 만성 PTSD
EMDR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그 효과를 보이고 때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다.
치료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연구에 적합한 장점 3) EMDR은 연구에 적합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
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치료자체가 매우 규격화 되어 있고 서 치료방법으로 뿐 만 아니라, 외상이 인간의 심리에 미
매뉴얼화 되어 있는 점, 비교적 치료자의 기술의 의존도 치는 영향과 그 회복 기전을 이해할 단서를 제공할 중요

150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4, No 2 / March, 2005


D.H. Kim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sitization and reprocessing: Implications for behavior therapy. Behav


한 매개체로 남을 것이다.
Ther 1998;29:123-156.
19) Lohr JM, Lilienfeld SO, Tolin DF, Herbert JD. Eye Movement De-
중심 단어:EMDR・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외상・정신 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an analysis of specific versus nonspe-
cific treatment factors. J Anxiety Disord 1999;13:185-207.
치료. 20) Spector J, Read J. The current status of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Clin Psyhol Psychother 1999;6:165-174.
REFERENCES 21)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 Department of Defense. VA/Do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ost-Traumatic
1) Shapiro F.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Stress. Washington, DC,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 Department
Basic Pricinples, Protocols, and Procedures. New York: Guildford; of Defense;2004.
1995. 22) Shapiro F. Alternative stimuli in the use of EMD (R). J Behav Ther
2) Bradley R, Greene J, Russ E, Dutra L, Westen D. A multidimensional Exp Psychaitry 1994;25:89.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for PTSD. Am J Psychiatry 2005;162: 23) Chemtob CM, Tolin DF, van der Kolk BA, Pitman RK. Eye movement
214-227.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In: Foa EA, Keane TM, Friedman
3) Chambless DL, Baker MJ, Baucom DH, Beutler LE, Calhoun KS, MJ, editors. Effective treatments for PTSD: Practice guidelines from
Crits-Christoph P, et al. Update on empirically validated therapies.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New York: Gu-
Clin Psychol 1998;51:3-16. ilford Press;2000. p.139-155,333-335.
4) Ursano RJ, Bell C, Eth S, Friedman M, Norwood A, Pfefferbaum B, 24) Davison PR, Parker KCH.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
et al. Work Group on ASD and PTSD; Steering Committee on Prac- cessing (EMDR): a meta-analysis. J Consult Clin Psychol 2001;69:
tice Guidelines.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305-316.
acute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 J Psychia- 25) van Etten ML, Taylor S. Comparative efficacy of treatment for post-
try 2004;161(11 Suppl):3-31. traumatic stress disorder: a meta analysis. Clin Psychol Psychother
5) Chemtob CM, Nakashima J, Carlson JG. Brief-treatment for elemen- 1998;5:126-144.
tary school children with disaster-related PTSD: A field study. J Clin 26) Taylor S, Thordarson DS, Maxfield L, Fedoroff IC, Lovell K, Og-
Psychol 2002;58:99-112. rodniczuk J. Comparative efficacy, speed, and adverse effects of three
6) Jaberghaderi N, Greenwald R, Rubin A, Zand SO, Dolatabadi S. A PTSD treatments: Exposure therapy, EMDR, and relaxation training.
comparison of CBT and EMDR for sexually-abused Iranian girls. J Consult a Clin Psychol 2003;71:330-338.
Clin Psychol Psychother 2004;11:358-368. 27) Shapiro F, Maxfield L.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
7) Goldstein AJ, de Beurs E, Chambless DL, Wilson KA. EMDR for ssing (EMDR):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treatment of trauma. J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comparison with waiting list and Clin Psychol 2002;58:933-946.
credible attention-placebo control conditions. J Consult Clin Psychol 28) Stickgold R. EMDR: a putativ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action.
2000;68:947-956. J Clin Psychol 2002;58:61-75.
8) Muris P, Merckelbach H, Van Haaften H, Mayer B. Eye movement 29) Levin P, Lazrove S, van der Kolk B. What psychological testing and
desensitisation and reprocessing versus exposure in vivo. A single- neuroimaging tells us about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
session crossover study of spider-phobic children. Br J Psychiatry sorder by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J Anxiety
1997;171:82-86. Disord 1999;13:159-172.
9) Smith S.The effect of EMDR on the pathophysiology of PTSD. Int J 30) Welch KL, Beere DB.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
Emerg Ment Health 2003;5:85-91. ssing: a treatment efficacy model. Clin Psychol Psychother 2002;9:
10) 김대호, 최준호, 김석현.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165-176.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정신건강연구 2002;21:155-166. 31) Nicosia G.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is not
11) 김선욱.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여성정신의학 2004; hypnosis. Dissociation 1994;8:69.
5:34-41. 32) Wilson DL, Silver SM, Covi WG, Foster. Eye movement desensiti-
12) 김대호. 김광일. 안구운동 탈감작 및 재처리 요법의 30명의 정 zation and reprocessing: effectiveness and autonomic correlates. J Be-
신과 환자에 대한 연속 증례: 한국 경험. 신경정신의학 2004;43: hav Ther Exp Psychiatry 1996;27:219-229.
113-118. 33) Barrowcliff AL, Gray NS, MacCulloch S, Freeman TC, MacCulloch
13) 김대호, 최준호. 극단적 스트레스 장애의 안구운동 민감소실 MJ. Horizontal rhythmical eye movements consistently diminish
및 재처리 요법: 증례 보고.신경정신의학 2004;43:760-764. the arousal provoked by auditory stimuli. Br J Clin Psychol 2003;42:
14) 오동훈, 최준호. EMDR 치료후 국소 뇌 혈류변화: 두 증례의 289-302.
SPECT연구. 생물정신의학 2004;11:173-180. 34) MacCulloch MJ, Feldman P. Eye movement desensitisation treatment
15) Solomon SD. Psychosocial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utilises the positive visceral element of the investigatory reflex to
In Session: Psychother Prac 1997;3:27-41. inhibit the memori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theoretical
16) Herbert JD, Lilienfeld SO, Lohr JM, Montgomery RW, O’Donohue analysis. Br J Psychiatry 1996;169:571-579.
WT, Rosen GM, et al.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the development 35) Andrade J, Kavanagh D, Baddeley A. Eye-movements and visual
of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implications for imagery: a working memory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post-trau-
clinical psychology. Clin Psychol Rev 2000;20:945-971. matic stress disorder. Br J Clin Psychol 1997;36:209-223.
17) Muris P, Merckelbach H. Traumatic memories, eye movements, pho- 36) Shin LM, Kosslyn SM, McNally RJ, Alpert NM, Thompson WL,
bia, and panic: a critical note on the proliferation of EMDR. J Anxiety Rauch SL, et al. Visual imagery and percep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 1999;13:209-223. disorder.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investigation. Arch Gen
18) Lohr JM, Tolin DF, Lilienfeld SO. Efficacy of eye movement desen- Psychiatry 1997;54:233-24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4, No 2 / March, 2005 15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