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ulp Volume Concentration in Fibrillation of Organosolv Pulp by Kneading Process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

Journal of Korea TAPPI

Vol. 52. No. 1, 2020, 31-37p


ISSN (Print): 0253-3200
Printed in Korea http://dx.doi.org/10.7584/JKTAPPI.2020.02.52.1.31

니딩 처리 시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따른 미세섬유화 특성


최사랑1, 서은지1, 류지애1, 엄태진2, 이중명2†
접수일(2020년 1월 28일), 수정일(2020년 2월 11일), 채택일(2020년 2월 13일)

Effect of Pulp Volume Concentration in Fibrillation of Organosolv Pulp


by Kneading Process

Sa Rang Choi1, Eun Ji Seo1, Ji-Ae Ryu1, Tae-Jin Eom2, Jung Myoung Lee2†
Received January 28, 2020; Received in revised form February 11, 2020; Accepted February 13, 2020

ABSTRACT
In this study, we prepared and analyzed fibrillated fibers based on the volume occupied
by the organosolv pulp suspension inside the knea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ulp
volume concentration (PVC) during the knead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micronization
of the organosolv pulp. The optical-microscopy Kajaani fiber analysis, freeness, and water
retention value proved that the fibrillation and refinement of the fibers can be attributed
to the alkali kneading treatment.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micronization of
the organosolv pulp improved with the increasing volume of the pulp suspension during
kneading. The cellulose thin film fabricated using this fibrillated fiber that can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PVC during the kneading process exhibited a considerably improved tensile
index. This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fibrillation of the organosolv fibers can be easi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VC during the kneading process.

Keywords: Ligno-cellulose, organosolv pulp, kneading, micro fiber, water retention value,
freeness, pulp volume concentration

1 경북대학교 임산공학과(Dept.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l. Univ.), 학생


2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임산공학전공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Major i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Dept.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 of Forestry,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l. Univ.), 교수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jmylee@knu.ac.kr (Address: Major i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Dept.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 of Forestry,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l. Univ., Daegu,
41566, Republic of Korea)

J. of Korea TAPPI Vol.52 No.1 Jan.-Feb. 2020 31


니딩 처리 시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따른 미세섬유화 특성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의 다양한 계층 2.1 공시재료


구조로 이루어진 목질 바이오매스는 구성성분 비율에 따 본 연구에 사용된 5.7% 함수율의 러시아산 라디에타
라 물성이 다르지만, 석유화학 폴리올레핀계 재료보다 소나무(Pinus radiata D. Don) 목재 칩은 알칼리 추출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 원천소재로 성분 함량은 6.3%이고, 클라손 리그닌 함량은 28.7%
1)
각광받고 있다. 이며 회분 함량은 0.1%이다. 칩의 크기는 높이 35(±3)
최근에는 목질 바이오매스를 top-down 방식의 추출 ×폭 8(±3)×두께 7(±2) mm이다.
혹은 변환공정을 통해 피브릴의 크기에 따라 셀룰로오스 Organosolv 펄프화법에 사용된 반응 시약은 이전 연구11)
나노피브릴(cellulose nanofibrils, CNF) 혹은 마이크로 에서 사용된 용매인 글리콜 에테르(Pure grade, Sigma
피브릴 셀룰로오스(microfibrillated cellulose, MFC) Aldrich Co.)이다. 촉매제로는 순도 95%의 황산(Extra
등과 같은 미세섬유를 제조한다. 이러한 미세 섬유(fibrils) pure grade, Daejung Chemicals & Metals, Korea)을
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다양한 화학적 처리 가능성, 사용하였다.
열적 안정성 및 생분해성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으므로
종이, 필름 및 복합물질 등의 첨가제나 보강제로써 적용 2.2 Organosolv 펄프의 제조
2-5)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목재 칩과 글리콜 에테르-황산 혼합 용제(glycol ether
이러한 미세섬유들은 다양한 기계적, 화학적 및 생화 : H2SO4=97:3, vol/vol)를 1:2(wt/vol)의 액비로 고압
학적 방법으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목재 유래의 표백 증기 처리 장치(autoclave, HST 506-6, Hanbaek ST,
크라프트 펄프(BKP)와 같이 순도 높은 셀룰로오스를 Korea)에 투입하여 120℃에서 1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균질분쇄기(homogenizer), 맷돌형 분쇄기(super 후 리그닌 및 증해액의 세척을 위해 증류수를 사용하여
masscolloider-type grinder) 혹은 밀(mill) 등을 이용 여과하였다. 제조된 organosolv 펄프의 수율은 약 60%
하여 저농도로 처리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이다.
들은 제조 수율이 낮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에너지 소비
량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6) 2.3 Organosolv 펄프의 알칼리 니딩 처리
니딩(kneading)은 펄프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입도 제조된 organosolv 펄프를 0.25 N 수산화나트륨 용액
를 조절하는 공정으로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을 사용하여 7.5% 농도로 희석시켰다. 희석된 펄프 지료
고농도 혹은 고점도에서의 처리가 용이하고, 공정 중 마 는 최대용량이 4,500 mL인 실험실용 호바트 믹서기
찰과 분산을 발생시켜 물질을 더욱 미세화시킨다. 그리 (N50, Hobart Corporation, USA)에 투입하여 상온에
고 니딩 공정에서 교반봉의 회전속도, 처리시간 및 내부 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조건(지료 적재량 및 지료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니딩 따른 미세섬유화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펄프 지료의 부
7-9) 10)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Ahn 등 은 MFC 제조 시 피를 각각 11.1%(500 mL)와 22.2%(1000 mL)로 조절하
팽윤제 전처리를 통해 고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대적 였다. 니딩 처리 후 리그닌의 분리를 위해 0.5 N 수산화
으로 적은 동력비로 미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고 보고 나트륨 용액으로 여과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한 바 있다. 세척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rganosolv 펄프를 알칼리 니딩
(kneading) 처리하여 미세섬유(fibrillated fiber)를 2.4 필름의 제조
제조하고 니딩 처리 유무 및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따른 제조된 organosolv 펄프와 니딩 처리된 미세섬유의 물
미세섬유화(fibrillation)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평량 60 g/m2의 필름
을 제조하였다. 미세화 섬유를 0.2 wt%로 희석시킨 후
여과지(Advantec No. 2, Japan)로 감압 여과하여 지필
을 형성시키고, 80°C의 겔 건조기(SE1160, Hoefer Inc.,

32 펄프·종이기술 52(1) 2020


최사랑, 서은지, 류지애, 엄태진, 이중명

USA)에서 필름을 제작하였다.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의 기계적 특성으로는 인장


강도와 신장률을 ASTM D 822/D 822M-13에 따라 인장
2.5 미세섬유의 특성 분석 시험기(OTT-005, Oriental TM, Korea)로 측정하였
60배율의 광학현미경(BX 50, Olympus Optical Co. 으며 시편의 크기는 5×1 cm이고 측정기의 로드셀 하중은
Ltd., Japan)으로 organosolv 펄프와 니딩 처리된 미세 50 N, 인장속도는 10 mm/min이며, 측정기 사이의 간
섬유의 형태를 관찰하여 섬유장, 섬유폭 및 장폭비를 측 격은 3 cm로 고정하였다.
정하였다. 또한,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섬유장, 섬유폭)
와의 비교 분석을 위해 섬유분석기(Kajaani FS300,
Metso Automation, Finland)로 각 섬유의 평균 섬유 3. 결과 및 고찰
장, 평균 섬유폭, 미세분 함량(<0.2 mm) 및 섬유 조도
(coarseness)를 측정하였다. 니딩 처리 전후의 건조 중 3.1 니딩처리된 미세섬유의 특성
량을 측정하여 미세섬유화 시료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펄프 섬유는 고해 혹은 니딩과 같은 기계적
잔존 리그닌(Klason lignin) 함량은 TAPPI T 222 처리로 인해 섬유 외층의 제거, 피브릴화, 섬유의 절단
om-1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Organosolv 펄프와 미 및 미세분(fines) 생성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13,14) 또한
세섬유의 여수도는 TAPPI T 227 om-09에 따라 측정하 알칼리 니딩 과정에서 NaOH의 작용으로 인해 섬유가
였다. 또한, 시료의 보수도(water retention value, 팽윤하면서 섬유 내부의 피브릴화가 촉진된다.15)
WRV)는 TAPPI UM 256에 따라 Botková 등의 연구12) Fig. 1은 현미경 관찰로부터 얻어진 니딩 처리된 미세
와 같이 분석하였다. 5% 농도의 펄프 슬러리 10 mL를 섬유의 현미경 사진과 이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섬유장,
정량한 후 50 mL의 코니칼 튜브에 glass filter(1G4)를 섬유폭, 및 장폭비을 나타낸 것이다. 대조구로 사용된
장착하여 원심분리기(1580, Gyrozen, Korea)에서 organosolv 펄프의 경우, 평균 섬유장은 1065.7 μm,
1800 G로 20분간 처리하고 105℃의 건조기에서 12시간 평균 섬유폭은 32.0 μm이며, 평균 장폭비는 35.5로 측
동안 건조시켰다. 마이크로 파이버 전건중량을 측정하여 정되었다. 알칼리 니딩 처리된 11.1% PVC와 22.2% PVC
다음의 식에 따라 WRV를 계산하였다. 섬유는 평균 섬유장이 각각 526.0 μm와 496.2 μm이고
섬유폭은 28.6 μm 및 28.0 μ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Wwet WDry 장폭비가 각각 18.4, 18.1로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확
WRV (%)  100 연히 감소하였다. 이는 Kajaani 섬유분석기로 측정한
WDry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Table 1).
WWet: wet weight of fibrillated fiber(g), 니딩 처리된 11.1% PVC과 22.2% PVC 섬유장 및 섬유
WDry: dry weight of fibrillated fiber(g) 폭이 감소하고 미세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조도는 감소
하였다. 이는 알칼리 니딩 처리에 의하여 섬유의 변형이
2
평균 평량 60 g/m 으로 제작된 필름의 물리적 특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Fig. 1(d)에서
두께와 겉보기 밀도를 TAPPI T 411 및 T 220 sp-10에 도 확인할 수 있다. 알칼리 니딩 처리로 인해 섬유의 피

Table 1.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organosolv pulp fiber and kneading-treated fibers used in
the experiment
Pulp Volume Arithmetic length Length Weighted Fiber width Fines Coarseness
Concentration (PVC) (mm) length (mm)* (μm) (< 0.2 mm) (%) (mg/m)
Organosolv pulp (feed) 0.44 1.38 34.13 49.3 0.307
11.1% 0.27 0.99 30.40 66.5 0.205
22.2% 0.24 0.86 28.97 68.3 0.181
*
Average length weighted fiber length

J. of Korea TAPPI Vol.52 No.1 Jan.-Feb. 2020 33


니딩 처리 시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따른 미세섬유화 특성

Fig. 1. Dimension and morphology of samples (a: control, b: 11.1%PVC, c: 22.2%PVC, d: Micro-
scopic images).

브릴화 및 미세화가 발생하였으며 11.1% PVC과 22.2% 3.2 PVC에 따른 미세섬유의 총수율 및 잔존
PVC을 비교하였을 때 22.2% PVC 섬유가 더욱 미세화 리그닌 함량의 비교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처리 시 니더 내 시 Table 2는 니딩 처리 유무 및 펄프의 적재량에 따른 미
료가 차지하는 용적률이 증가할 때 니딩 효율이 향상된 세섬유의 총수율과 잔존 리그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
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8,9) 다. 니딩 처리 시 펄프의 총수율은 각각 90.6% 및 88.6%
로 감소하였다. 이는 니딩 처리로 인해 미세분이 발생하
였고, 세척 단계에서 다량의 미세분이 빠져나가면서 총

34 펄프·종이기술 52(1) 2020


최사랑, 서은지, 류지애, 엄태진, 이중명

Table 2. Yield and residual lignin (KL) content 나기 때문에 여수도가 낮아지고 WRV가 상승되는 등 탈
of samples 수 저항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16,17) 또한, 미세섬
PVC Total yield, % KL content, % 유화 및 미세분 발생으로 인해 섬유의 비표면적이 증가
Organosolv pulp 하였고, 알칼리 처리의 영향으로 잔존 리그닌이 감소(약
- 21.4 ± 0.2
(feed)
7%)하게 되어 미세섬유가 물에 수화될 수 있는 영역이
11.1% 90.6 ± 2.1 17.6 ± 0.1
증가하기 때문에 섬유의 팽윤이 촉진된 것으로 보인다.
22.2% 88.6 ± 2.8 17.3 ± 0.1
결론적으로, 고농도에서의 알칼리 니딩 처리가 저농도의
고해 처리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수율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알칼리 처리의 영
향으로 인해 리그닌이 용출되면서 잔존 리그닌 함량이 3.4 미세섬유의 물리 및 기계적 특성 비교
21.4%에서 각각 17.6%와 17.3%로 저하되었고, 이것이 Fig. 3은 미세섬유 필름의 물리적 특성(두께, 겉보기
총수율 감소에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22.2% PVC는 밀도)과 기계적 특성(인장지수, 신장률)을 측정한 결과이
11.1% PVC보다 총수율 및 잔존 리그닌 함량이 소폭 낮게 다. 22.2% PVC로 제조된 필름의 겉보기 밀도가 722 kg/m2
나타났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으로 578 kg/m2인 11.1% PVC 필름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1.1% PVC와 22.2% PVC의 인장지
3.3 미세섬유의 여수도 및 WRV에 대한 영향 수와 신장률은 각각 40.7 N·m/g, 56.2 N·m/g 및 1.5%,
Fig. 2는 니딩 처리 유무 및 처리 시 펄프 지료의 적재 2.1%로 나타났다. 22.2% PVC은 11.1% PVC에 비해 더
량에 따른 미세화 시료의 여수도 및 WRV를 측정한 결과 높은 인장지수 및 신장률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11.1%
이다. 알칼리 니딩 처리로 인해 여수도 670 mL인 대조 PVC에 비해 섬유의 피브릴화 및 미세화가 더욱 현저한
구가 각각 117 mL 및 57 mL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22.2% PVC 섬유가 비표면적이 넓고 섬유 간 결합을 할
22.2% PVC가 11.1% PVC보다 더 낮은 여수도를 보였다. 수 있는 수산기의 양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편, 128.9%의 WRV를 보이는 대조구는 알칼리 니딩 22.2% PVC 섬유의 밀도가 11.1% PVC 섬유의 밀도보다
처리로 인해 각각 297.8%, 549.9%로 급격히 증가하였 더욱 조밀해지므로 인장지수와 신장률이 모두 증가한 것
다. 이는 PVC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력이 상승하게 되고, 으로 판단된다.18,19)
이로 인해 섬유의 내·외부 피브릴화가 더욱 활발히 일어

Fig. 2. Freeness and WRV of kneading-treated fiber at various pulp volume concentration (PVC).

J. of Korea TAPPI Vol.52 No.1 Jan.-Feb. 2020 35


니딩 처리 시 펄프 지료의 적재량에 따른 미세섬유화 특성

Fig. 3.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lms fabricated from kneading-treated fibers.

Literature Cited
4. 결 론
1. Mohan, D., Pittman Jr, C. U., and Steele, P.
본 연구에서는 organosolv 펄프를 알칼리 니딩 처리하 H., Pyrolysis of wood/biomass for bio-oil: a
여 미세섬유를 제조하고, 니딩 처리 시 적재량에 따른 섬 critical review, Energy & Fuels 20(3):848-889
유의 형태, 물리 및 기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알 (2006).
칼리 니딩 처리는 섬유의 피브릴화 및 미세화를 유발시 2. Zhang, Y., Nypelö, T., Salas, C., Arboleda, J.,
켰고, 펄프 지료의 적재량이 클수록 섬유의 소섬유화와 Hoeger, I. C., and Rojas, O. J., Cellulose
미세분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니딩 처리된 마이크로 파이 nanofibrils, Journal of Renewable Materials
버의 미세화 정도가 클수록 여수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1(3):195-211 (2013).
WRV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미세섬유로 제조한 필름은 3. Khalil, H. A., Davoudpour, Y., Islam, M. N.,
섬유의 미세화 정도가 클수록 겉보기 밀도가 감소하고, Mustapha, A., Sudesh, K., Dungani, R., and
높은 인장지수와 신장률을 보였다. Jawaid, M., P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nanofibrillated cellulose using various me-
chanical processes: a review. Carbohydrate
사사 Polymers 99:649-665 (2014).
4. Nechyporchuk, O., Belgacem, M. N., and Bras,
본 연구는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융복합기반 임산 J., Production of cellulose nanofibrils: A re-
업의 신산업화 기술개발 사업 (FTIS-2019127A00- view of recent advances, Industrial Crops and
1920-0001)’ 및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FTIS- Products 93:2-25 (2016).
2019149C10-1923-03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5. Siró, I. and Plackett, D., Microfibrillated cel-
lulose and new nanocomposite materials: a
review, Cellulose 17(3):459-494 (2010).
6. Ruiz-Palomero, C., Soriano, M. L., and Val-
cárcel, M., Nanocellulose as analyte and ana-

36 펄프·종이기술 52(1) 2020


최사랑, 서은지, 류지애, 엄태진, 이중명

lytical too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13. Page, D. H., The beating of chemical pulps–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87:1-18 (2017). the action and the effects, Fundamentals of
7. Parker, G., Encyclopedia of Materials: Science Papermaking 1:1-38 (1989).
and Technology (2001). 14. Seth, R. S., Beating and refining response of
8. Kim, A. R., Choi, K. H., and Cho, B. U., Ef- some reinforcement pulps, Tappi Journal
fects of kneading treatment on the properties 82(3):147-155 (1999).
of various pulp fibers, Journal of Korea TAPPI 15. Ehrhardt, A., Groner, S., and Bechtold, T.,
47(3):47-54 (2015). Swelling behaviour of cellulose fibres-Part 1:
9. Seo, J. H., Choi, K. H., and Cho, B. U., Ef-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Fibers & Tex-
fects of kneading concentration on character- tiles in Eastern Europe 64:46-48 (2007).
istics of HwBKP fibers, Journal of Korea 16. Htun, M. and De Ruvo, A., The implication of
TAPPI 47(4):54-59 (2015). the fines fraction for the properties of bleached
10. Ahn, E. B., Jung, J. D., Jung. S. E., Kim, K. kraft sheet, Svensk Papperstidning 81(16):
J., and Eom, T. J., Beating properties with 507-510 (1978).
swelling agent and concentration for prepara- 17. Hubbe, M. A. and Heitmann, J. A., Review of
tion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MFC), Journal factors affecting the release of water from
of Korea TAPPI 47(3):3-10 (2015). cellulosic fibres during paper manufacture,
11. Lee, J. M., Ahn, E. B., Choi, H. S., Ryu, J. A., BioResources 2(3):500-533 (2007).
and Eom, T. J., Study on improvement of 18. Jang, H. S. and Park, J. M., Physical proper-
preparation efficiency of lignin rich micro- ties of paper depending on two-step refining,
cellulosic fines, Journal of Korea TAPPI Journal of Korea TAPPI 36(2):1-9 (2004).
50(5):114-122 (2018). 19. Casey, J. P., Pulp and Paper Chemistry and
12. Botková, M., Šutý, Š., Jablonský, M., Chemical Technology, 3rd ed., Wiley-Inter-
Kucerkova, L., and Vrška, M., Monitoring of science Publication, New York, pp. 1787-1880
kraft pulps swelling in water, Cellulose Chem- (1981).
istry and Technology 47(1-2):95-102 (2013).

J. of Korea TAPPI Vol.52 No.1 Jan.-Feb. 2020 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