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dge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4

등록특허 10-1945159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19년04월18일


(11) 등록번호 10-1945159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19년01월2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E01D 11/02 (2006.01) E01C 15/00 (2006.01) 신상훈
E01D 19/00 (2006.01) E01D 19/16 (2006.0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84 1202동 1901호
E01D 21/00 (2006.01) (화정동,옥빛마을12단지아파트)
(52) CPC특허분류 (72) 발명자
E01D 11/02 (2013.01) 신상훈
E01C 15/00 (2013.0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84 1202동 1901호
(21) 출원번호 10-2018-0119546 (화정동,옥빛마을12단지아파트)
(22) 출원일자 2018년10월08일 (74) 대리인
심사청구일자 2018년10월08일 김준영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502484 B1*
(뒷면에 계속)
전체 청구항 수 : 총 26 항 심사관 : 안경수
(54) 발명의 명칭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57) 요 약
본 발명은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너고자 하는 양측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 사이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교량을 형성하는 세그먼트 교량체가 케이블에 지지되게 구성하여, 교량에 작용
하는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을 모두 포함함)을 상측 케이블과, 주케이블과, 하측 케이블과, 중간 케이블과, 세
그먼트 교량체와,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풍하중에도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현격히 줄어든 친환경적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5a

-1-
등록특허 10-1945159

(52) CPC특허분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E01D 19/005 (2013.01) KR101556968 B1*
E01D 19/16 (2013.01) KR101676749 B1*
E01D 21/00 (2013.01) KR101821356 B1*
KR1020160004804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2-
등록특허 10-1945159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케이블과;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주케이블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케이블과;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발판이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의 메인 통행로


를 형성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가 구비되며, 상기 주케이블을 따
라 다수 배치되되, 상기 메인 발판의 둘레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
되 교폭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측 케이블에 연결 지지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세그
먼트 교량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2

제 1항에 따른 케이블 보도 현수교에 사용되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로서,

상기 메인 발판에 의해 메인 통행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발판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발판에 의해 보조 통행


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서 복층의 통행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기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케이블 슈가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발판의 둘레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교폭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측 케이블에 연결 지지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청구항 3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케이블과;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발판이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의 메인 통행로


를 형성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가 구비되며, 상기 주케이블을 따
라 다수 배치되는 세그먼트 교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케이블 슈와, 상기 주케이블에 대


하여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케이블 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블 슈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축 방향으로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케이블 슈

-3-
등록특허 10-1945159

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축 방향으로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케이블 슈와 상기 슬라이드 케이블 슈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주케이블에 대해 양단지


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케이블 슈에서 상기 주케이블과 마주하는 표면의 재료는 테프론, MC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으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6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케이블과;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발판이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의 메인 통행로


를 형성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가 구비되며, 상기 주케이블을 따
라 다수 배치되는 세그먼트 교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에 상기 상측 케이블을 관통하는 홀더가 구비되고,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
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된 홀더들 중에 하나는 상기 상측 케이블이 슬라이딩 이동하
는 것을 허용하지 않게 상기 상측 케이블을 고정하고, 상기 홀더들 중에 나머지는 상기 상측 케이블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상기 상측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7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케이블과;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발판이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의 메인 통행로


를 형성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가 구비되며, 상기 주케이블을 따
라 다수 배치되는 세그먼트 교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케이블은,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근접한 내측 주케이블과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외측 주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양측에 각각 2열씩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슈는, 상기 내측 주케이블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내측 케이블 슈와, 상기 외측 주케이블을 감


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외측 케이블 슈와, 상기 내측 케이블 슈와 상기 외측 케이블 슈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압축되는 고무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
도 현수교.

청구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의 횡단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된 제1블록과, 상기 주케이블의
횡단면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주케이블이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에 의해 일부 이상 감싸지는 형태로 관통하는

-4-
등록특허 10-194515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블 슈는 상기 내측 주케이블을 상측에서 감싸는 제2내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케이블 슈는


상기 외측 주케이블을 상측에서 감싸는 제2외측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내측블록과 상기 제2외측블록을 연결
하는 연결판이 상기 고무 댐퍼의 상면과 접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강재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된 지지대 몸체와;

상기 상측 케이블과 상기 주케이블을 서로 다른 높이에서 완만한 곡률을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측 케이블과 상기 주케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 몸체를 가로질러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2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상기 메인 발판은 하측으로 투시되는 격자 형태의 그레이팅(grating) 발판을 일부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3

제 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상기 메인 발판은 정보나 색깔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을 일부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발판은 교폭 방향으로의 중앙부에 교축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고, 상기 그레이팅 발판의 양측


에는 상기 중앙부에 배치된 것과 다른 형태의 발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5

-5-
등록특허 10-194515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발판은 교폭 중앙부에 불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그레이팅 발판의 교축 방향의 사잇 공간에는


다른 형태의 발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발판은 투명 발판과, 불투시 발판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발판은 투명 발판과, 불투시 발판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의 하단부에 U자형 고리부재가 상기 하측 케이블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연장 부재가


상기 하측 케이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축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고;

1열의 하측 케이블에 대하여,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연장 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된 U자
형 고리부재들 중에 하나는 상기 하측 케이블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게 상기 하측 케이블을 고
정하고, 상기 U자형 고리부재들 중에 나머지는 상기 하측 케이블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상기 하측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블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발판의 보조 통행로를 형성하되, 상기 메인 발판에 비하여 더 좁은 폭


으로 형성된 하측 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청구항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블과 상기 주케이블의 사이에 중간 케이블이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


장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6-
등록특허 10-1945159

청구항 22

연결하고자 하는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지지대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주케이블을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상측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상측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상측 케이블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하측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하측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하측 케이블 설치단계와;

메인 발판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연장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난간 기둥과, 상기 난간 기둥의 교폭 바깥에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하는 케이블 슈가 조립된 세그먼
트 교량체를 준비하는 세그먼트 교량체 준비단계와;

상기 케이블 슈가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고, 상기 난간 기둥이 상기 상측 케이블에 지지되는 형태로, 상기 세


그먼트 교량체를 교축 방향으로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세그먼트 교량체 이동단계와;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케이블 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세그먼트 교량체 위치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청구항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블에 지지되는 형태로 하측 발판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청구항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 준비단계에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미리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청구항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 위치고정단계가 행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고정 설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청구항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일단부에 위치한 고정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타단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7-
등록특허 10-1945159

청구항 27

제 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중간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중간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과 상기


하측 케이블의 사이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중간 케이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위치고정단계에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중간 케이블이 관통


하는 형태로 상기 중간 케이블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보도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상층과
하층에 통행로가 형성되며, 온도 변화에도 소음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한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보도 현수교는 구름다리라는 명칭으로 널리 불리고 있다.

[0003] 일반적으로 산이나 계곡(8)의 양측을 통행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보도 현수교(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행하고자 하는 양측에 콘크리트 블록(10)으로 교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 블록(10)에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
을 지지하기 위한 주탑(20)을 세우고, 콘크리트 블록(10)이나 지반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주케이블(30)을 주탑
(20)에 걸쳐지게 설치한 후, 주케이블(20)로부터 행어 케이블(50)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사용자가 통행하는 바닥
판(40)을 지지하게 설치된다.

[0004] 그리고 나서, 바닥판(40)에 난간 기둥(60)을 설치하고 난간 기둥(60)의 사이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펜
스(65)를 설치하여, 보도 현수교가 시공된다.

[0005]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보도 현수교(1)는, 산이나 계곡에 하중을 지지하는 주탑(20)
이 높은 높이로 설치됨에 따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해치는 원인이 되어, 친환경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0006] 이 뿐만 아니라, 산이나 계곡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바람이 세게 불어 풍하중(Fw)이 크게 작용하는데, 행어 케이


블(50)이 강재 거더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압축 변위를 지지하지 못하여) 휨 변위가 자유로운 케이블로 형성
됨에 따라, 바닥판(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0)에 대하여 행어 케이블(50)이 힌지(70a) 형태로 작용하게 될 뿐
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바닥판(40)에 설치되는 난간 기둥(60)도 역시 바닥판(40)에 대하여 회전 변위(60r)가
허용하게 설치되므로, 풍하중(W)에 따라 보도 현수교(1)가 흔들리는 정도에 따라 바닥판(40)과 사용자가 붙잡고
있는 난간 사이에 각도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불안한 상태로 교량을 통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도 있었다.

[0007] 또한,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보도 현수교는 바닥판(40)이 행어 케이블(50)에 의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므로, 주케
이블(30)로부터 행어 케이블(50)을 연결하는 공정과, 행어 케이블(50)에 지지되게 바닥판(40)을 설치하는 시공
이 공중에서 행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
다.

[0008] 한편, 최근에는 무주탑 보도현수교가 제안되고 있다. 이는, 교량의 바닥판 및 프레임이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활하중 및 온도하중, 풍하중에 의해 케이블에 변형이 발생할 때 이와 결합된 프레임에도 응력이 전달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고강도강을 사용하는 케이블과 달리 일반강재를 사용하는 프레임의 경우 케이블의 변형
에 의해 하중이 전달될 경우 높은 응력상태에 놓이게 된다.

[0009]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적절한 유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계획과 부재에 대한 보강계획이 필요하다. 그
러나, 최근에 보다 장지간의 보도현수교의 설치가 필요해짐에 따라, 기존의 연결방식으로는 과다한 응력에 저항
하기 어려우며, 보도현수교의 특성상 잦은 교번응력으로 인한 피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0010]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하고 장수명을 유도할 수 있는 케이블과 바닥프레임의 연결구조를 개선한 케이블 보도 현
수교의 필요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8-
등록특허 10-1945159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경관에 이질적인 느낌을 주는 윈드케이블을 사용
하지 않고도 풍하중 및 외부하중에 안정된 구조로 진동의 저감효과도 탁월한 친 환경적인 보도현수교를 제공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2] 본 발명은 활하중 및 풍하중에도 요동이 적어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정감을 보장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3]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계절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에 의해 케이블과 발판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줄이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4]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통행로와 그 하측의 보조 통행로를 구비한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5] 본 발명은 교량을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교량 아래를 투시할 수 있게 하여 개방감과 생동감을 더 느끼면서 보행
하게 하는 발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6] 본 발명은 발판에서 다양한 색감이나 정보를 표시하여 보행자에게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7]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현장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연
결하되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케이블과; 상기 상측 케이블과 연결되는 난간 기둥이 일체로 형성
되고, 메인 발판이 고정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로를 형성하고, 상기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상기 주케이블에 지
지되는 케이블 슈가 구비되며, 상기 주케이블을 따라 다수 배치되는 세그먼트 교량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0019] 이는, 주케이블과 상측 케이블에 의해 세그먼트 케이블 슈가 연속으로 배치되게 지지되면서, 세그먼트 교량체의
난간 기둥의 바깥에 위치한 케이블 슈가 주케이블에 지지되도록 하여, 풍하중 등에도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폭
방향으로의 흔들림 변위를 최소화하여 보행자의 안정감있는 보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0020] 무엇보다도, 상기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케이블 슈와; 상기 주케이블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케이블 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온도 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신축 변형량에 따라 세그먼트 교량체 간에 부딪히거나 세그먼트 교량체와 케이블 사이의 고정 부
위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21]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케이블 슈에서 상기 주케이블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표면의 재료는 테프론, MC 나일
론과 같이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변형이 강재에 과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주케이블
에 대해 미끄럼 이동이 보다 수월하게 행해지게 구성될 수 있다.

[0022] 여기서, 상기 고정 케이블 슈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축 방향으로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케


이블 슈는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교축 방향으로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케이블 슈와 상기 슬라이드
케이블 슈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주케이블에 대해 양단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0023] 한편, 상기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의 횡단면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된 제1블록과; 상기 주케
이블의 횡단면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을 결합하
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주케이블이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에 의해 일부 이상 감싸지는 형태로
관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0024] 이에 따라, 제1블록과 제2블록의 체결 강도에 따라, 주케이블과 케이블 슈가 서로 위치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주케이블이 케이블 슈의 수용부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운동되게 할 수도 있다.

[0025] 여기서, 상기 주케이블은,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근접한 내측 주케이블과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로부터 보다

-9-
등록특허 10-1945159

멀리 이격된 외측 주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양측에 각각 2열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 교량체는 교축 방향의 양측에 각각 2열씩 케이블 슈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교축 방향을 중심으
로 세그먼트 교량체가 회전하는 변위가 억제되어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0026] 그리고, 상기 케이블 슈는, 2열의 주케이블을 지지하는 내측 케이블 슈와 외측 케이블 슈를 포함하고, 내측 케
이블 슈와 외측 케이블 슈의 사이에서 세그먼트 교량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압축량이 변동하도록 설치된 고
무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세그먼트 교량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진동 변위를 교폭 양측에
위치한 고무 댐퍼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제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0027] 이를 위하여, 상기 내측 케이블 슈는 상기 내측 주케이블을 상측에서 감싸는 제1 내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외


측 케이블 슈는 상기 외측 주케이블을 상측에서 감싸는 제1 외측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측블록과 상기 제2
외측블록을 연결하는 연결판의 저면이 상기 고무 댐퍼의 상면과 접촉하게 구성될 수 있다.

[0028] 한편,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메인 발판은 하측으로 투시되는 격자 형태의 그레이팅(grating) 발판을 일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량을 통행하는 보행자가 그레이팅 발판을 관통하여 교량 아래를 투시할 수 있어
서 아찔한 느낌이나 생동감을 느끼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교량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
해 교량을 들어올리는 양력이 발생되더라도,교량 바닥판에 양력을 유발하는 유동이 그레이팅 발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므로, 양력의 크기를 크게 줄여 풍하중에 의해 교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29] 그리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상기 메인 발판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을 일부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발판에서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
여 특히 야간에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아름다운 미감을 선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30] 여기서, 상기 그레이팅 발판은 교폭 방향으로의 중앙부에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시각적인 미감을 얻을 수
있으면서, 양력을 유발하는 유동이 교량 전체 길이(Lo)에 걸쳐 배치된 그레이팅 발판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0031] 그레이팅 발판이 교폭 중앙부에 연속 배열되고, 그레이팅 발판의 양측에는 다른 형태의 발판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형태의 발판은 평탄한 발판일 수도 있고, 유리 발판일 수도 있으며, 미끄럼 방지용 표면으로 형성
된 발판일 수도 있고, 정보나 색깔을 다양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일 수도 있다.

[0032] 한편, 상기 그레이팅 발판은 교폭 중앙부에 불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그레이팅 발판의 교축 방향의 사잇 공
간에는 다른 형태의 발판이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형태의 발판은 투명 발판이거나 불투시 발판 또는 정
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0033]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도 현수교는,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주케이블의 하


측에 배치되는 하측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는, 상기 메인 발판의 둘레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교폭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측
케이블에 연결 지지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0034] 이와 같이, 주케이블의 하측에 하측 케이블이 더 구비되고, 메인 발판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
부재가 연장 형성됨에 따라, 세그먼트 교량체의 무게중심을 보다 하측으로 유도하여 메인 발판에서의 흔들림 진
폭을 줄이고, 교량의 측면 바람에 의한 풍하중을 하측 케이블이 저항하면서 감쇠시킴으로써 풍하중을 분산시키
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35] 여기서,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경사 부재가 경사지게 연결되어, 연장 부재의 강성이 보
강되어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0036] 그리고, 연장 부재와 연결된 하측 케이블에 하측 발판이 설치되어, 메인 발판의 메인 통행로의 하측에 보조 통
행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보조 통행로는 하측 케이블에 지지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이 메인 통행로에
비하여 보다 더 크게 발생되므로,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더 큰 개방감으로 공중에 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통행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0037] 이 때, 상기 하측 케이블과 상기 주케이블의 사이에 중간 케이블이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장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간 케이블은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저

- 10 -
등록특허 10-1945159

항하고 풍하중에 의해 발생된 진동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조 통행로를 통행하는 사람


들의 손잡이 또는 안전 로프를 걸어두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0038]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지
지대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주케이블을 연결 설치하는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서
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상측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상측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상측 케이블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하측 케
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하측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하측 케이블
설치단계와; 메인 발판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연장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난간 기둥과, 상기 난간 기둥의 교폭 바깥에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하는 케이블 슈가 조립
된 세그먼트 교량체를 준비하는 세그먼트 교량체 준비단계와; 상기 케이블 슈가 상기 주케이블에 지지되고, 상
기 난간 기둥이 상기 상측 케이블에 지지되고, 상기 연장 부재가 상기 하측 케이블에 지지되는 형태로, 상기 세
그먼트 교량체를 교축 방향으로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세그먼트 교량체 이동단계와; 상기 세그먼트 교량
체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케이블 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세그먼트 교량체 위치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
블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0039] 이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를 미리 지상에서 제작한 후에 주케이블, 상측케이블, 하측 케이블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 장소로 이동한 후에, 세그먼트 교량체를 주케이블에 고정시킴으로써 시공 공정이 단순해지고 공중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40] 여기서, 상기 하측 케이블에 지지되는 형태로 하측 발판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메인 발판에 의
해 형성되는 메인 통행로와, 하측 발판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 통행로로 이루어진 복층 통행로가 구비된 케이블
보도 현수교가 시공된다.

[0041]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 준비단계에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미리 고
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 위치고정단계가 행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0042]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일단부에 위치한 고정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타단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케이블 슈는 상기 주케이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계절 변화
등 온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신축량과 세그먼트 교량체의 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세그먼트 교량체 사이 또는
세그먼트 교량체와 케이블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량을 줄일 수 있다.

[0043] 그리고,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중간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중간 케이블이 상기 주케이블


과 상기 하측 케이블의 사이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중간 케이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위치고정단계에서,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의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중간 케이블이 관통하는 형태로 상
기 중간 케이블에 연결 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0044]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케이블'이라는 용어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0045]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세그먼트 교량체'는 다수의 분절형태의 교량 상부구조가 교
축 방향(종방향)으로 연속한 형태로 배열되어 케이블에 지지된 형태로 교량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세그먼트 교량체'라는 용어에 의하여 주케이블에 지지되어 거치되는 세그먼트 교량체의 길이
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세그먼트 교량체'은 강재를 주재료로 이루어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면에 철재나 목재 등으로 포장면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0046]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지지대는 교대로서 설치된 형태 뿐만 아니라 교대 상에 별도로 설치


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철근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재를 주재료로 하여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0047]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하중과 같은 횡방향의 외력에 저항하여 변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교
량의 하면에 다층의 케이블을 분산배치하고 이를 결합하여, 별도의 하부공간을 형성하여 보조 통행로 또는 유지
관리 공간으로 활용하게 할 수 있는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 11 -
등록특허 10-1945159

[0048]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윈드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기초설치로 인한 자연훼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교량
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윈드케이블과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인한 시야 차단 및 인공적인 경관을 배제하여 자연
에 거슬리지 않는 자연스런 경관을 가지는 보도현수교를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49] 본 발명은 교량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윈드케이블과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주기적인 장력조정을 위해 수반되는
측량, 계측, 구조계산 등의 전문적인 검토과정과 이를 조정하기 위한 숙련공에 의한 작업과정을 모두 원천적으
로 제거하여, 보도현수교의 유지관리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0050]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난간 기둥의 바깥에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를 배치하고, 세그먼트 교량체의 무
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하고, 그레이팅 발판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유동을 관통시켜 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
며, 하측 케이블과 중간 케이블에 의해 풍하중에 저항하면서 발생된 진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에 의해, 풍하
중에도 요동이 적어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정감을 보장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1] 또한, 본 발명은 난간 기둥의 바깥에서 주케이블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에 고무 댐퍼를 배치하되, 세그먼트 교량
체의 자중과 활하중에 의한 중력 방향 성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켜 안
정된 보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2] 특히,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교량체의 일단부는 주케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주케이블에 슬라이딩 이동 가
능하게 설치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주케이블의 신축량 변화에도 세그먼트 교량체와의 마찰이 국부적으로 커지
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삐그덕 거리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의 풀림이나 부재의 피로
발생 등을 억제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3] 또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교량체에 하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 부재가 구비되고, 연장 부재 또는 이
에 연결된 하측 케이블에 하측 발판에 의해 형성된 보조 통행로가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가 일반적으로 통행하
는 메인 통행로와 그 하측의 보조 통행로를 구비한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0054] 특히, 보조 통행로가 하측 케이블에 지지되는 형태로 형성되면, 통행하는 통행자의 활하중에 따라 하측 발판의
상하 방향으로의 미세한 요동이 생기면서 흥미있는 보행을 통해 익스트림 스포츠로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0055] 그리고,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발판에 그레이팅 발판을 포함하여, 통행자가 교량 아래를 투시하여 바라
볼 수 있도록 하여 개방감을 느끼면서 통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6] 또한, 본 발명은, 풍하중에 의하여 교량이 수평방향으로 변형될 때에, 메인 통행로를 형성하는 메인 발판으로부
터 일정거리를 두고 배열된 하부의 여러단의 하부 케이블과 중간 케이블에 의해 변위를 구속시킬 수 있을 뿐 아
니라, 하부 케이블과 중간 케이블의 복원력을 증가시켜, 장지간의 보도현수교에서도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줄
여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통행시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7]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발판에 디스플레이 발판을 포함하여, 통행자에게 주변 환경이나 교량에 관한 정
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색깔을 표시하여 보행자에게 아름다운 미감을 느끼면서 통행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야간에는 교량의 외관을 다양하게 표출하여 멀리서 바라보는 외관에서 심미감을 느낄 수 있
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0058] 본 발명은, 지상에서 세그먼트 교량체를 미리 제작하여 윈치 등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교량체를 케이블을 따라
정해진 장소로 이동여 시공하여, 공중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 안전성을 확보하고 현장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9] 즉, 본 발명은 교량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윈드케이블과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설치시 감수해야 하는 시공의
곤란함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위험한 작업여건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60] 도1a는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종래의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1b는 도1a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 12 -
등록특허 10-1945159

도3은 도2의 'A'부분의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4는 도2의 'B'부분의 확대도,

도5a는 도4의 세그먼트 교량체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5b는 도4의 세그먼트 교량체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은 난간 기둥과 메인 발판이 제거된 상태의 세그먼트 교량체의 사시도,

도7은 도4의 세그먼트 교량체의 정면도,

도8은 도7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횡단면도,

도9a 및 도9b는 도5a의 세그먼트 교량체에 적용된 메인 발판의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5a의 'C'부분의 케이블 슈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5a의 'C'부분의 케이블 슈의 측면도,

도12는 완성된 교량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61]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
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0062]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1)는 계곡 등을 가로질러 연결


하고자 하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100)와, 서로 이격된 지지대(100)를 연결 설치된 케이블
들(200)과, 케이블(200)에 지지되게 설치된 다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들과,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상측에
서 메인 통행로를 형성하는 메인 발판(410)과 하측에서 보조 통행로를 형성하는 하측 발판(420)으로 이루어진
발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0063] 상기 지지대(100)는 교대의 교좌 장치 상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자체로 교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100)는 주로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강재
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거나, 강재 프레임과 콘크리트 구조물이 결합된 형태로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0064]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지지대 몸체(110)와, 케이블(200)들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0)와, 지지 몸체(110)를 지지대의 설치 지면(88)에 고정하는 앵커 볼트(130)로 구성된
다.

[0065] 여기서, 지지 몸체(1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앵커 볼트(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면(88)에 고
정 설치된다. 여기서, 앵커 볼트(130)는 강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0066] 가이드 부재(1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지지대(1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200)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
며,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케이블(200)이 완만한 곡률을 갖고 지지대(1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보조한다.
즉, 제1가이드부재(121)는 주케이블(210)을 안내하며, 제2가이드 부재(122)는 상측 케이블(220)을 안내한다. 도
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측 케이블(230)과 중간 케이블(240)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0067] 지지 몸체(110)에는 각각의 케이블(20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20h)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 볼트(130)는 각각의 고정구(20h)를 관통하여 지지 몸체(110)를 가로질러 설치 지면(88)에 박혀 고정된다.
이를 통해, 고정구(20h)가 지지 몸체(110)로부터 벗어나 이탈하는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68] 상기 케이블(20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지지하도록 지지대(100)를 연결하는 주케이블(210)과, 주케이블


(2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대(100)를 연결하는 상측 케이블(220)과, 주케이블(210)로부터 하측
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대(100)를 연결하는 하측 케이블(230)과, 주케이블(210)과 하측 케이블(230)의 사잇
높이에서 지지대(100)를 연결하는 중간 케이블(240)로 이루어진다.

[0069] 여기서, 주케이블(21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메인 발판(410)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배치되고, 세그먼트 교


량체(300)의 난간 기둥(320)을 기준으로 교폭 바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주케이블(210)은 교량 양측에

- 13 -
등록특허 10-1945159

각각 1열씩으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보다 안정적으
로 지지하고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변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교량 양측에 각각 2열씩 배
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70] 주케이블(21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난간 기둥의 교폭 방향으로 바깥에 위치한 케이블 슈(330, 330')의 수
용부(331oa, 332oa, 331ia, 332oa)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지지한다.

[0071] 주케이블(210)의 단면이 다른 케이블(220, 230, 240)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케이블
(220, 230, 240)과 분담하여 하중을 지지하므로 동일하거나 더 작은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0072] 상측 케이블(220)는 대략 난간 기둥(320)의 높이만큼 주케이블(210)로부터 상측에 배치된다. 도5a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측 케이블(220)은 난간 기둥(320)의 상단부에 위치한 홀더(322, 324)의 수용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난간 기둥(320)을 매개로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0073] 상측 케이블(220)은 난간 기둥(320)의 홀더(322, 324)의 수용부에 끼인 상태로 관통할 수도 있지만, 난간 기둥


(320)이 상측 케이블(220)에 대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약간의 틈새를 갖고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 따라, 상측 케이블(22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자중을 지지하면서도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난간 기둥
(320)이 상측 케이블(2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행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0074]

[0075] 하측 케이블(230)은 대략 연장 부재(340)의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만큼 주케이블(210)로부터 하측에 배치된다.


하측 케이블(23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관통된다.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340)의 하단에 설치된 U자형 고리부재(346)를 관통하는 형태로 하측 케이
블(230)이 연장 부재(340)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0076] 이에 의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340)의 하단에 연결된 하측 케이블(230)은 교량이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변위를 제한하여 안정감있는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측면에서 불어오는 풍하중
(Fw)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저항(R)하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횡방향 흔들림과 비틀림 변위를 최소화하고, 풍하중
(Fw)에 의해 발생된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횡방향 진동을 감쇠시켜 원래의 자세로 금방 복귀하도록 한다.

[0077] 중간 케이블(240)은 주케이블(210)과 하측 케이블(2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대략 보행자의 허리 높이나 가슴 높


이 만큼 하측 케이블(23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배치된다. 중간 케이블(24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
의 연장 부재(34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관통된다.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
(340)의 중간부에 설치된 U자형 고리부재(344)를 관통하는 형태로 중간 케이블(240)이 연장 부재(340) 중간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0078] 이에 의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340)의 하단에 연결된 중간 케이블(240)은 교량이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변위를 중간 케이블(240)의 횡방향 탄성 복원력으로 제한하여 안정감있는 보행을 가
능하게 한다. 하측 케이블(230)과 마찬가지로, 측면에서 불어오는 풍하중(Fw)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저항(R)하
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흔들림 변위와 비틀림 변위를 최소화하고, 풍하중(Fw)에 의해 발생된 세그먼트 교량체
(300)의 횡방향 진동을 감쇠시켜 짧은 시간 내에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는 것을 보조한다.

[0079] 이 원리는 요트와 같이 돛에 바람이 불어 요트를 전복시키는 외력에 대해 선저에 설치된 용골(Keel)이 반대방향
으로 회전하면서 물에 저항하는 원리로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풍하중이 적용할 때 긴 경
간장의 보도현수교는 상대적으로 높은 풍하중에 직면하게 되는 데, 이때 교량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회전하려고 하는 거동이 발생한다.

[0080] 이때, 교량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있는 중간 케이블(240)과 하측 케이블(230)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


으로 복원력을 증가시켜 교량의 변형을 제어하고 구조적 안정상태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또한 이 구조는 교량
의 하면에 연장 부재(340), 하측 케이블(230) 및 중간 케이블(240), 하부 발판(420) 등에 의해 전체적인 무게중
심을 교량의 통행공간보다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단면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부의 메인
통행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하측에 상당한 무게의 구조물이 지지하게 되어 균형추와 같은 역할을 하여,
바람, 보행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다양한 거동에 대해 빠르게 복원시키고 제진하는 기역할을 한다.
따라서, 통행하중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변위가 발생할 경우 하부난간케이블과 하부바닥판케이블이 빠르게 제
진시켜 보행자가 편안하게 장지간의 보도현수교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 14 -
등록특허 10-1945159

[0081] 상기 세그먼트 교량체(300)는 주로 강재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목재 등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


다. 난간 기둥(320)이 결합되기 이전 상태인 도6을 참조하면, 세그먼트 교량체(300)는 메인 발판(410)을 둘러싸
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발판(410)의 둘레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310)과, 메인 발판(410)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메인 프레임(310) 내부를 격자 형태로 연결하여 형성된 지지 부재(314)와, 메인 프레임(310)의 교폭
방향의 바깥에 돌출 형성되어 주케이블(210)에 지지되게 하는 케이블 슈(330, 330')와, 메인 프레임(310)의 종
방향 단부에서 교폭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교폭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연장 부
재(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300)는 교축 방향으로 뻗은
메인 프레임(3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난간 기둥(320)을 포함한다.

[0082] 여기서, 메인 프레임(310)은 높은 강성을 갖는 강재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ㅁ', 'H', 'ㄱ'자 형태 등 다양하
게 정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 메인 발판(410)을 거치하는 지지 부재(314)는 도면에 도
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밖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0083] 난간 기둥(320)은 중공 사각 단면의 구조 부재로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310)의 교폭 방향으로의 양측단에 고정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310)과 일체로 거동한다. 이와 같이, 난간 기둥(320)이 세그먼트 교량체(300)와 일체로
고정되고 쉽게 휘지 않는 구조 부재로 작용함에 따라, 교량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사용자의 발이
딛고 있는 메인 발판(410)과 난간 기둥(320) 사이의 변위가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교량을 횡단하고 있는
사용자의 발과 난간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과의 위치 및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통행하는
보행자의 상체와 하체가 따로 움직이면서 무게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교량
에서의 안락한 보행을 보장할 수 있다.

[0084] 난간 기둥(320)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 펜스(325)가 고정 설치된다.

[0085] 난간 기둥(320)의 상단에는 반원 단면의 수용부가 형성된 하측 블록(322)이 고정되고, 반원 단면의 수용부가 형
성된 상측 블록(324)이 하측 블록(322)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측 블록(324)과 하측 블록(322)의 수용
부가 이루는 원형 단면에는 상측 케이블(220)이 관통하며, 상측 케이블(220)이 상,하측 블록(322, 324) 사이의
수용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자중에 의해 보행자가 보행하는
동안에 보행자가 의식할 정도로 슬라이딩 이동하지는 않으며, 계절 변화나 일교차 등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상측 케이블(220)이 신축되는 양과 메인 프레임(310)의 신축되는 양의 편차를 수용할 정도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0086]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320)들 중에 일부의
상,하측 블록(322, 324)에서는 상측 케이블(220)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하측 블록(322, 324)의 수용부 단면
이 정해질 수 있다.

[0087] 난간 기둥(320)은 지상에서 미리 메인 프레임(310)에 일체 결합되고, 하측 블록(322)과 상측 블록(324)의 볼트


체결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측 케이블(220)을 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로,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케이블
(2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난간 기둥(320)의 사이의 안전 펜스(325)는 지상에서 미리 조립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시공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난간 기둥(320)을 메인 프레임(310)에 고정
시키지 않고,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난간 기둥(320)을 메인 프레임(310)에 일
체 결합시킬 수도 있다.

[0088] 상기 연장 부재(340)는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하측 내향된 형태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풍하중이나 활하중 등에


의한 교량의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340)는 세그
먼트 교량체(300)의 종방향의 양끝단에만 각각 형성되어도 되지만,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종방향 중앙부에도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0089] 연장 부재(340)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348)가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310)과 연장 부재(340) 및 연


결 부재(348)가 폐단면을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갖는다. 연장 부재(340)의 하단에 연결 관통하는
하측 케이블(230)에 하측 발판(420)이 고정되어, 하측 발판(420)으로 형성된 보조 통행로의 폭이 메인 발판
(410)으로 형성된 메인 통행로의 폭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측 발판(420)는 U자형 고리부재
(423)를 이용하여 하측 케이블(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U자형 고리부재(423)의 너트 체결력은 매우 높
게 설정되어, 하측 발판(420)이 하측 케이블(2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0090] 연장 부재(340)의 중앙부에는 중간 케이블(240)이 연결 관통하여, 하측 발판(420)을 밟고 보조 통행로를 통행하


는 보행자에게 중간 케이블(240)이 손잡이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보조 통행로는 양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 15 -
등록특허 10-1945159

스펙터클한 보행이 가능하여 익스트림 스포츠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하측의 보조 통행로는 일반적인 통행로가
아니라, 전문적인 안내원과 간단한 교육을 먼저 시행하고 나서, 고공체험을 위한 체험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0091] 이를 위하여, 하측 발판(420)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띄엄띄
엄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전을 보다 더 확보하기 위하여 하측 발판
(420)을 빈 공간 없이 조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간 케이블(240)은 보조 통행로를 따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로프를 고정시키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0092] 그 밖에, 보조 통행로는 보행자들이 메인 통행로를 따라 보행하는 동안에 유지 관리자가 통행하는 통로로도 활
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통행인원이 빈번히 통행하는 경우에, 상단과 하단을 분리하여 일방통행하
도록 하는 2층 보도현수교로 계획하여 통행자의 방향이 섞여 체증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0093] 한편, 연장 부재(240)의 중간부로부터 경사지게 메인 프레임(310)과 연결되는 경사 부재(345)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보조 통행로를 따라 이동하는 보행자의 무게와 풍하중에 의해 연장 부재(240)와 메인 프레임(310)이 만나
는 위치에서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의 힘과 모멘트를 경사 부재(345)로 저항하고 상쇄시켜 안정된 구조계를
형성한다.

[0094] 상기 케이블 슈(330, 330')는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대하여 교폭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310)의 바깥에 돌출되
게 배치된다. 즉, 난간 기둥(320)에 비하여 교폭 방향으로 바깥에 배치되어, 주케이블(210)이 관통되게 하여 주
케이블(210)에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지지하도록 한다.

[009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케이블(210)은 세그먼트 교량체의 양측에 각각 1열씩만 배치될 수도 있지
만, 도8 및 도11,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케이블(21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양측에 각각 2열 이상으로 수평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세그먼트 교량체(300)는 양측에 각각 2열
씩 수평 배치됨에 따라, 케이블(200)에 지지된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변위를 억제하
는 데 기여한다.

[0096]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양측에 2열씩 수평 배열된 주케이블(2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슈(330, 330')는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된 내측 주케이블을 지지하는 내측
케이블 슈(330i)와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보다 멀리 배치된 외측 주케이블을 지지하는 외측 케이블 슈(330o)
로 이루어진다.

[0097] 내,외측 케이블 슈(330i, 330o)는, 주케이블(210)의 횡단면 일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331ia, 331oa)가 구비된
제1블록(331i, 331o)과, 주케이블(210)의 횡단면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332ia, 332oa)가 구비된 제
2블록(332i, 332o)과, 제1블록(331i, 330o)과 제2블록(332i, 332o)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 부재는 제2블록(332i, 332o)에 형성된 관통공(30z)을 관통하여 제1블록(331i, 331o)의 나사공(30
x)에 체결되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0098] 여기서, 제1블록(331i, 330o)과 제2블록(332i, 332o)의 수용부(331ia, 331oa, 332ia, 332oa)의 단면 크기를 주
케이블(210)의 단면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수용부(331ia, 331oa, 332ia, 332oa)의 단면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주케이블(210)이 수용부(331ia, 331oa, 332ia, 332oa)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수용
부(331ia, 331oa, 332ia, 332oa)의 단면 크기를 작게하거나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여 주케이블(210)의 외표면을
압박하여 주케이블(210)이 수용부(331ia, 331oa, 332ia, 332oa)에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 상태로 조정할 수도 있
다.

[0099] 이에 따라, 도7을 참조하면,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대하여 교축 방향(y)으로 양단부에 케이블 슈(330,
330')가 구비되어, 주케이블(210)에 대해서는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양단 지지된다. 즉, 세그먼트 교량체
(300)의 교축 방향으로의 일단부에 고정 케이블 슈(330)가 배치되고,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교축 방향으로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가 배치된다.

[0100]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고정 케이블 슈(330)는 제1블록(331o, 331i)과 제2블록(332o, 332i)이 서로 맞닿기 이
전에 주케이블(210)을 압박하는 형태로 제1수용부(331oa, 331ia) 및 제2수용부(332oa, 332ia)의 형상과 크기가
정해진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로 제1블록(331o, 331i)과 제2블록(332o, 332i)을 세게 죄어 체결하여 결합하면,
제1블록(331o, 331i)과 제2블록(332o, 332i) 사이의 주케이블(210)은 케이블 슈(330)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0101]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는 고정 케이블 슈(330)와 외형상 유사한 형상(편의상 도10을

- 16 -
등록특허 10-1945159

참조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로 제1블록, 제2블록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으로 형성되지만, 제1블록(331o, 331i)과
제2블록(332o, 332i)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제1수용부(331oa, 331ia) 및 제2수용부(332oa, 332ia)는 주케이블
(210)의 단면을 수용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에서 주케이블
(210)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제1수용부(331oa, 331ia) 및 제2수용부(332oa, 332ia)의 표면의 재료는 테프론, MC
나일론과 같이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주케이블(210)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고정 케이블 슈(330)의 수용부의 표면재료는
강재로 형성되고, 보다 높은 마찰력을 얻기 위하여 표면 거칠기를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0102] 이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고정 케이블 슈(330)에서는 주케이블(210)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위치 고정


되고,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에서는 주케이블(210)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관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나 일교차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주케이블
(210)의 신축 변형량이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교축 방향으로의 신축 변형량과 차이가 생기더라도, 주케이블
(210)은 신축 변형량의 편차(88)만큼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주케이블
(210)과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신축 변형량의 편차로 인해 주케이블(210)과 케이블 슈(330, 330') 사이에 과
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0103] 본 발명은, 케이블 슈와 주케이블(210)의 사이에서 발생하였던 소음과, 인접한 세그먼트 교량체(300)들 사이에
서 발생하였던 소음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 부분에서 볼트의 풀림이나 부재의 피로 발생 등을 억제하여, 구
조적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활하중
이나 풍하중에 의해 케이블 보도 현수교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주케이블의 일부 구간에서 인장 응력이 국부적
으로 집중됨에 따라 진동이 증폭되었던 종래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0104] 즉, 출렁다리 형태인 보도 현수교에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 진동과 이에 수반되는 소음 및 마찰을 저감
하고, 케이블의 변형에 따라 연결된 바닥프레임에 전달되는 과다한 응력을 차단하여 바닥프레임의 구조안전성을
배가시키고 피로 및 진동에 대해 탁월하도록 유지관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0105] 도7에는 고정 케이블 슈(330)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일단에 위치하고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가 타단에
위치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은, 주케이블(210)을 기준으로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케이블 슈들 중에 어느 하나가 고정 케이블 슈(330)이고, 나머지가 슬라이드 케이블 슈
(330')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양단부의 케이블 슈(330,
33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성으로 국한되지 아니하며, 세그먼트 교량체가 2개 이상의 케이블 슈에 의해 주케
이블(210)에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에서 주케이블(210)을 관
통시키는 다수의 케이블 슈들 중에 일부가 고정 케이블 슈로 작용하고 나머지가 슬라이드 케이블 슈로 작용하도
록 구성될 수 있다.

[0106] 한편, 홀더(322, 324)를 관통하는 상측 케이블(220)과, U자형 고리부재(346, 344)를 관통하는 하측 케이블(230)
및 중간 케이블(2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5a를 기준으로,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서 상측 케이블(220)을 관통하는 4개의 홀더(322, 324)들 중에, 어느 하나의 홀더는 상측 케이블
(220)이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측 케이블(220)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고, 나머지 홀더들은 상측 케이
블(22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수용부의 단면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서 하
측 케이블(230)을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에 연결한 상태로 각각 관통시키는 2개의 U자형 고리부재(346)들 중
에, 어느 하나의 U자형 고리부재는 하측 케이블(230)을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U자형 고리부재는 하측 케이블(230)이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게 U자형 고리부재의 체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서 중간 케이블(240)을 연장 부재(340)의 중간부에 연결한
상태로 각각 관통시키는 2개의 U자형 고리부재(344)들 중에, 어느 하나의 U자형 고리부재는 중간 케이블(240)을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U자형 고리부재는 중간 케이블(240)이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게 U자형 고리부재의 체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측 케이블(220)과 하측 케이블
(230)과 중간 케이블(240)에 대해서도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연결된 부분에서 온도 차이에 따른 열팽창 신축
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07]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케이블(210)을 지지하는 케이블 슈(330, 330')에서만 주케이블
(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 케이블 슈가 구비되고, 상측 케이블(220)과 하측 케이블(230)과 중간
케이블(240)은 모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측 케이블(220)과 하측 케이블(230)
과 중간 케이블(240)은 중력 방향으로의 하중을 주로 지지하고, 그 밖의 방향 성분에 대한 하중을 주케이블

- 17 -
등록특허 10-1945159

(210)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케이블(200)과 세그먼트 교량체(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0108]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케이블(210)을 지지하는 케이블 슈(330, 330')와, 하측 발판
(420)을 고정하는 하측 케이블(230)에서만, 주케이블(210)과 하측 케이블(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억제하는 고
정 케이블 슈 및 U자형 고리부재가 구비되고, 상측 케이블(220)과 중간 케이블(240)은 모두 슬라이딩 이동이 가
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0109]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케이블(210) 이외에 상측 케이블(220)과 하측 케이블(230)을


지지하는 홀더(322, 324)와 U자형 고리부재(346)에서만 슬라이딩 이동을 억제하는 홀더와 U자형 고리부재가 구
비되고, 주케이블(210)과 중간 케이블(240)은 모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0110] 상기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200)들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대해,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과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허용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세그먼트 교량체(300)와 케이블(200)들 사이에서 열팽창 차이에 따른 신축 량 차이로 인
해 발생되는 삐걱거리는 소음을 크게 줄여 정숙한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보행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국부적인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켜 케이블의 수명을 장시간 동안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11] 한편,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331i)과 제2블록(332i)는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근접하게 배열된 내
측 주케이블(210i)을 관통시키는 내측 케이블 슈(330i)를 형성하고, 제1블록(331o)과 제2블록(332o)는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보다 이격되게 배열된 외측 주케이블(210e)을 관통시키는 외측 케이블 슈(330o)를 형성한다.

[0112] 여기서, 내측 케이블 슈(330i)의 제2내측블록(332i)과 외측 케이블 슈(330o)의 제2외측블록(332o)을 연결하는


연결판(334)이 구비되고, 고무 댐퍼(333)는 내측 케이블 슈(330i)와 외측 케이블 슈(330o)의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블록(331i, 332i)과 제2블록(332i, 332o)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는 연결 판(334)의 관통
공과 제2블록(332i, 332o)를 관통하여 제1블록(331i, 331o)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연결판(334)이 내측 케이블
슈(330i)와 외측 케이블 슈(330o)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34)의 저면이 고무
댐퍼(333)의 상면을 누른 상태로 설치되어, 압축 변형된 고무 댐퍼(333)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333R)이
작용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고무 댐퍼(333)는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0113]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무게 등의 활하중에 의해 세그먼트 교량체(300)는 하방으로 변동 하


중(WL)이 작용하고, 제2블록(332i, 332o)은 주케이블(210)에 매달린 상태이므로, 변동 하중(WL)에 따른 상하 방
향의 진동 성분과 소음은 고무 댐퍼(333)에 의해 감쇠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따른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상하
진동을 저감시키고 정숙한 보행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메인 프레임 등의 부재와 주케이블(210)에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고 피로를 저감하여, 메인 프레임(310)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0114] 상기 발판(400)은 일반 보행자가 편안하게 통행하도록 메인 통행로를 형성하는 메인 발판(410)과, 유지보수 또


는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고자 개방감있는 보조 통행로를 형성하는 하측 발판(420)으로 이루어져, 복층 구조의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형성한다.

[0115] 여기서, 메인 발판(410)은 메인 프레임(310)의 지지 부재(314)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메인 프레임(310)과 지지


부재(31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00)은 교폭 방향(x)
으로의 중앙부에 교축 방향(y)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그레이팅 발판(411)이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중앙부에 배
치된 그레이팅 발판(411)과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배열된다.

[0116] 여기서, 다른 형태의 발판(412)은 하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 발판일 수도 있고, 보행자의 안정감을 위해 하부
를 투시할 수 없는 불투시 발판일 수도 있으며, 정보나 색깔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발판일 수도 있고, 그레이
팅 발판(411)과 다른 형태의 무늬를 갖는 그레이팅 발판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발판(412)의 표면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보행자가 통행하는 도중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0117] 특히,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발판으로 형성되면, 보행자에게 교축 방향을 따라 이
동한 통행 거리나, 교량 및 주변 환경의 정보를 표시하여, 보행자의 통행이 지루하지 않고 흥미를 갖게 해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발판에서 다양한 색깔을 표시함에 따라, 보행자가 통행하는 동안에 아
름다운 미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으며, 야간에 다양한 색감으로 표현되는 조명 역할을 하여 교량의 미감을 더욱

- 18 -
등록특허 10-1945159

더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0118] 이 뿐만 아니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풍하중(Fw)에 의해 교량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양력에 대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유동(Wu)을 그레이팅 발판(41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배출시키므
로, 풍하중에 의해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상측으로 들리는 진동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19]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발판(410')은 교폭 중앙부에만 설치
되는 것이 아니라, 난간 기둥(320)의 사이(w)를 채우는 폭(w')으로, 교축 방향(y)을 따라 그레이팅 발판(411')
과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그레이팅 발판이 교폭 중앙부에 불연속적으로 배열되
고, 그레이팅 발판의 교축 방향의 사잇 공간에는 다른 형태의 발판이 배열될 수 있다.

[0120] 예를 들어,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교축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하나
의 그레이팅 발판(411')이 배치되고 그 전후에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교축 방향(y)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배치
되고 그 전후에 그레이팅 발판(411")이 배치된 형태로 메인 발판(410")이 형성될 수 있다.

[0121]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레이팅 발판(411)과 다른 형태의 발판(412)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메인 프레임(310)의 지지 부재(314)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0122] 한편,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발판(420)은 연장 부재(340)에 연결된 형태로 교축 방향으로 연
장된 하부 케이블(230)에 고정된다. 하측 발판(420)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 통행로는 그 상측의 메인 통행로에
비하여 폭이 더 좁게 형성되며, 중간 케이블(240)을 붙잡고 한발 한발 이동하는 레저 스포츠로 활용될 수 있다.

[0123]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1)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상술한다.

[0124] 단계 1: 먼저, 강이나 계곡(8)을 사이에 두고 시공하고자 하는 이격된 2군데의 교량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
(100)를 설치한다. 이 때, 상측 케이블(220)과 주케이블(210) 사이의 높이를 유지하는 가이드 부재(120)도 미리
지지대(100)에 고정 설치한다.

[0125]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대(100)는 철재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가이드 부재(120)은 지지대(100)에 함께 고정된다.

[0126] 이와 동시에, 지지대(100)의 지지 몸체(110)에 각각의 케이블(20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20h)를


앵커 볼트(13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0127] 단계 2: 그리고 나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100)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대(100)로 주케이블(210)과 상측 케이블


(220)과 하측 케이블(230)과 중간 케이블(240)로 이루어진 케이블(200)들을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대
(100) 중 어느 한쪽에 케이블(200)을 감아놓고, 케이블(200)의 끝단을 작업자나 미리 설치해놓은 와이어를 따라
강이나 계곡을 너머로 옮기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헬기 등을 이용하여 공중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손쉽게 행해질 수 있다.

[0128] 이 때, 가이드 부재(120)의 상,하측 높이 차이만큼 케이블(200)들 사이의 높이 편차가 있는 상태로 설치되며,
시공중 및 설치 완료후에 케이블(200)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은 가이드 부재(120)를 통해 지지대(100)에서 지
탱하게 된다. 한편 케이블(200)은 수평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자연 경관과 어울릴 수 있게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29]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지지대(100)를 4열로 연결한 주케이블(210)을 기준으로, 상측 케이블(220)이 주케이블
(210)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되게 2열로 설치되고, 하측 케이블(230)이 주케이블(210)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 배열되게 2열로 설치되며, 중간 케이블(240)이 주케이블(210)과 하측 케이블(230)의 사이에 배열되게 2
열로 설치된다.

[0130] 경우에 따라서는, 하측 케이블(230)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하측 발판(4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이격
된 지지대(100) 사이에 하측 케이블(2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0131]

[0132] 단계 3: 한편, 단계 1 및 단계 2를 행하는 동안에,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 현장


으로 운반된다.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메인 발판(410)과, 난간 기둥(320)과 안전 펜스(325)가 일체로 결합된

- 19 -
등록특허 10-1945159

상태로 운반될 수도 있고, 메인 프레임(310) 등으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메인 발판(410)과, 난간


기둥(320)과 안전 펜스(325)를 현장에서 조립할 수도 있다. 메인 발판(410)은, 경우에 따라 세그먼트 교량체
(300)의 상면에는 통행인의 미끄럼을 방지하거나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데코면이 다른 형태의 발판(411)으로 형
성될 수 있다.

[0133] 이 때, 난간 기둥(320)은 케이블로 형성되는 대신에 축력에 대한 강성과 휨 강성이 높은 강재 부재로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바닥면에 대하여 강결 설치됨에 따라, 난간 기둥(32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과 외력에 대하여
함께 거동하게 된다.

[0134] 그리고, 안전 펜스(325)는 테두리 부재 내에 와이어 메쉬가 설치되게 형성되어, 테두리 부재를 난간 기둥(320)
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안전 펜스(325)를 세그먼트 교량체(300)에 설치하는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0135] 이와 같이, 메인 발판(410)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310)과, 메인 프레임(310)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연장 부재


(340)와, 메인 프레임(310)과 연결된 난간 기둥(320)과, 난간 기둥(320)의 교폭 바깥에 주케이블(310)에 지지되
게 하는 케이블 슈(330, 330')와, 메인 발판(410)이 조립된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준비하게 된다.

[0136]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케이블 슈(330, 330')의 제1블록
(331i, 331o)과 제2블록(332i, 332o)을 결합 부재로 체결해두되, 체결 상태를 헐겁게 하여 주케이블(210)을 따
라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난간 기둥(320)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더(322, 324)에 상측 케이
블(220)을 헐겁게 관통시키고,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의 U자형 고리부재(344)에 하측 케이블(230)을 헐겁게
관통시킨다.

[0137] 이 때, 중간 케이블(240)은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연장 부재(34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하여, 세그먼트 교량


체(300)가 케이블(20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0138] 이와 같이, 케이블 슈(330, 330')가 주케이블(210)에 지지되고, 난간 기둥(320)이 상측 케이블(220)에 지지된
상태로,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교축 방향으로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0139]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이동은 미리 준비한 윈치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교량체(300)의 고리(미도시)에 윈치를
걸어두고, 일측 지지대에 위치한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타측 지지대에 위치한 윈치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0140] 한편, 하측 케이블(230)에 하측 발판(420)을 미리 고정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에 미


리 설치된 U자형 고리부재(344)에 하측 케이블(230)을 관통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만, 하측 케이블
(230)에 하측 발판(420)을 미리 고정한 경우에는, 하측 케이블(230)과 U자형 고리부재(344)의 연결은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정해진 위치에 이동한 이후에 행해진다.

[0141] 단계 5: 그리고 나서,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케이블(200) 상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케이블 슈(330,
330') 중 미리 정해진 고정 케이블 슈(330)로 주케이블(210)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하여, 세그먼트 교량체(300)
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0142] 필요에 따라, 난간 기둥(320)의 홀더(322, 324)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측 케이블(220)을 견고하게 고정시
켜 위치 고정할 수도 있다.

[0143] 이와 함께, 슬라이드 케이블 슈(330')도 예정된 강도로 결합 부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난간 기둥(320)의 다
른 홀더들도 상측 케이블(220)에 지지되도록 정해진 강도만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0144] 그 다음, 하측 케이블(230)에 하측 발판(420)을 미리 고정시킨 경우에는,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에 위치한 U


자형 고리부재(344)를 이용하여 하측 케이블(230)과 연장 부재(340)를 연결시킨다. 이 공정은 일단 지지대(10
0)로부터 타단 지지대(100)로 진행하면서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중간 케이블(230)
을 연장 부재(340)의 중간부에 위치한 U자형 고리부재(346)를 이용하여 연장 부재(340)에 연결한다.

[0145] 한편, 하측 케이블(230)에 하측 발판(420)을 미리 고정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연장 부재(340)의 하단부의 U자형


고리부재(344)를 이용하여 하측 케이블(230)을 정해진 만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측 케이블(230)에 하측 발판
(420)을 지지대(100)로부터 순차적으로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중간 케이블(230)을 연장 부재(340)의 중
간부에 위치한 U자형 고리부재(346)를 이용하여 연장 부재(340)에 연결한다.

[0146]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케이블(200) 상에 거
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이 완료되어, 세그먼트 교량체(300)가 연결되면서 보행자의 메인 통행로와 보조 통

- 20 -
등록특허 10-1945159

행로가 상하측에 각각 복층 형태로 마련된다.

[014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1)는,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지상


에서 미리 제작하여 케이블 시공 이후에 설치 장소로 옮기고, 세그먼트 교량체(300)를 위치 고정하여 시공을 완
료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공중에서의 작업이 최소화되어 시공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0148]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너고자 하는 양측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 사이에 케이블을 연
결하여 교량을 형성하는 세그먼트 교량체가 케이블에 지지되게 구성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고정하중과 활
하중을 모두 포함함)을 상측 케이블과, 주케이블과, 세그먼트 교량체와,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
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주탑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0149] 또한, 본 발명은, 난간 기둥(320)의 바깥에 주케이블(210)에 지지되는 케이블 슈(330, 330')를 배치하고, 연장
부재(340)와 하측 발판(420)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통행로에 의해 세그먼트 교량체의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
하여 자세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50]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바닥판에 그레이팅 발판을 포함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유동을 상방으로
소산시킴으로써, 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진동을 줄일 수 ㅇ있으며, 하측 케이블과 중간 케이블에 의해 풍하
중에 저항하면서 발생된 진동 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어서, 풍하중에도 요동을 억제하여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
정감을 보장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51]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세그먼트 교량체의 일단부는 주케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주케이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주케이블의 신축량 변화에도 세그먼트 교량체와의 마찰이 국부적으
로 커지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삐그덕 거리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하중이나 풍하중 등
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15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
케이블을 하측에만 배치하고 상측에는 핸드로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케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0153] 1: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100: 지지대

200: 케이블 210: 주케이블

220: 상측 케이블 230: 하측 케이블

240: 중간 케이블 300: 세그먼트 교량체

310: 메인 프레임 314: 지지 부재

320: 난간 기둥 322, 324: 홀더

330, 330': 케이블 슈 333: 고무 댐퍼

340: 연장 부재

- 21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

도면1a

도면1b

- 22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2

도면3

- 23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4

- 24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5a

- 25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5b

- 26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6

- 27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7

- 28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8

- 29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9a

- 30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9b

- 31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10

- 32 -
등록특허 10-1945159

도면11

도면12

【심사관 직권보정사항】
【직권보정 1】
【보정항목】청구범위
【보정세부항목】[청구항 8]의 6번째 줄

- 33 -
등록특허 10-1945159

【변경전】
관통하고;
【변경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도 현수교.

- 3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