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계통 풍력발전 PSSE 동적 모델링에 대한 연구 (최종) PDF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제주계통 풍력발전 PSS/E 동적 모델링에 대한 연구

윤영진*
전력거래소*

PSS/E dynamic models for Wind Power Plants in Jeju Island

Yeong-Jin Yun*
Korea Power Exchange*

Abstract – As renewable energy plants increase in Jeju 전에서 POI까지 Rc, Xc값 반영 및 REECAU1의 ICONs M+1
power system, the importance of the simulation model for (PFflag), M+2(VFlag), M+3(Qflag)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
stability analysis is increasing as well. In Jeju Island, power
system analysis is currently conducted by using WECC
(Western Electricity Coordinating Council)'s generic model. In
this paper, WECC block diagram and applied parameters for
Jeju system are reviewed, and additional simulation is
performed after changing some parameters in each module.
1. 서 론

제주계통 신재생설비는 2020년 연간발전량의 16.2%(풍력:


10.2%, 태양광:5.8%, 기타:0.2%)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계통 신재
생설비의 발전기여도가 증가하면서 계통해석모델에 대한 중요성
도 높아지고 있다. WECC(Western Electricity Coordinating
Council)에서는 계통 안정도 해석을 위해 신재생설비의 표준모
델(Generic) 및 범용 parameter를 제공한다 [3-5]. 제주도에서도 <그림 1> REPCAU1 모델 및 적용 Value
현재 WECC의 Generic model을 이용하여 계통검토가 이루어지 그림2의 REECAU1에서는 REGCAU1에 대한 Ipcmd(유효전류)
고 있으나, 이는 발전사업자의 설비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관계 와 Iqcmd(무효전류) command 값을 산출한다. ICONs M+1은
로 정확한 계통해석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계통에 일정 PF 또는 전압·무효전력에 대한 제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서 사용되는 풍력설비의 표준모델 block diagram 및 적용 준다. 현재 제주계통에서는 ICONs M+1=1(PF제어모드), ICONs
Parameter를 검토하고, 각 Parameter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M+3=0가 적용되어 REPCAU의 결과값인 Qref가 REECAU1의
결과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input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Kqv가 0으로 적용되어
2. 본 론
voltage dip에 따른 Iqinj가 Iqcmd에 feedforward 되지 않는다.
2.1 제주계통 풍력발전 구성현황
풍력설비는 Type1~Type4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제
주계통에는 DFIG방식의 Type3과 Full converter 방식의 Type4
가 존재한다. DFIG는 초기 기동 시 계통으로부터 무효전력을
흡수해서 DC-Capacitor를 충전 및 회전자에 자계를 형성하고
LSC(Line side converter) 및 MSC(Machine Side converter)를
통해서 Setting 값까지 전압을 높인다. 발전기가 정격전압에 도
달하면 계통과 coupling 되고 slip(s)값에 따라서 synchronous,
sub-synchronous, over-synchronous 모드로 운전한다 [2]. Full
converter type의 경우 MSC를 이용하여 유효전력·무효전력을
제어하고 LSC는 계통과의 전압 차에 따른 지상무효전력을 공급
및 소비한다.
2.2 제주계통 풍력발전 PSS/E 동적모델링
제주계통의 풍력발전모델 (REPCAU1, REECAU1, REPCAU1)
및 주요 parameter는 그림1~3과 같다 [3-5]. 풍력발전에만 사용
되는 Wind Mechanical 모델은 본 논문의 검토대상에서 제외한
다. 그림1의 REPCAU1에서는 주파수 및 전압·무효전력의 PV
(Process value)를 set value와 비교하고 PI제어를 통해 Pref(유
효전력)과 Qref(무효전력)의 기준값을 만들어낸다. 현재 제주계
통해석에 사용되는 REPCAU1 모델은 ICONs M+6이 0으로 적 <그림 2> REECAU1 모델 및 적용 Value
용되어 droop 및 PI Gain을 반영한 주파수 응답특성이 구현될
수 없다. ICONs M+5 및 ICONs M+4은 1이 적용되어 전압제어 REGCAU1의 구성은 그림3과 같으며 Con M+을 1로 set 하여
모드가 선택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전압제어를 위해서는 풍력발 저전압 시 Ipcmd의 크기를 제한하고 Iqcmd를 높일 수 있다. 제
주계통에서는 단자전압(Vt)가 0.8PU 이하로 떨어지면 Ipcmd의
max limit 적용 및 Ipcmd에 gain값을 적용하여 Ipcmd를 낮추고
Iqcmd는 추가적인 값을 feedforward 해서 높이도록 구성한다.

<그림 6> REECAU1값에 따른 무효전력 변화

무효전력 공급량이 늘어날수록 Ipcmd가 줄어들고 유효출력이


감소하는 것을 그림7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REGCAU1 모델 및 적용 Value

2.3 제주계통 풍력발전 PSS/E Dynamic 시뮬레이션


제주계통해석모델의 parameter 값은 default 조건에서 주파수
및 전압 변동에 대한 응동이 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REPCAU1 및 REECAU1의 일부 parameter 값을 조정하고 상정
고장에 따른 풍력발전의 응답특성을 PSS/E로 검토한다.
REPCAU1의 Fflag(M+6)=1 적용 시 주파수 변화에 응동하여 풍
력발전의 유효출력이 변하는 것을 그림5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무효전력 출력에 따른 유효전력 변화
같은 크기의 발전력 탈락 조건에서 각 모델의 parameter값에 따
라 그림4와 같이 최저주파수가 변화한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제주계통에서 사용하는 풍력발전 계통해석


모델을 검토했다. WECC GENERIC 모델인 REPC, REEC,
REGC의 block diagram 및 제주계통에 적용된 주요 parameter
를 확인했다. REPCAU1의 Fflag=1을 적용하면 주파수운전이 가
능하다. 또한 REPCAU1의 Ddn, Dup (J+25,26) 및 PI
gain(J+15,16) 값을 조정하여 유효출력의 변화를 검토했다.
REECAU1는 PFflag, VFflag, Qflag를 조정하여 무효전력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Qflag=1이면 VFflag 값에 따라서 전압
또는 무효전력제어를 할 수 있고, PFflag=0이면 REPCAU1의
<그림 4> WP 주파수응답특성에 따른 주파수 변화 Qref를 REECAU1의 input으로 사용함을 확인했다.
전력시장운영규칙 및 송배전 전기설비이용규정에는 최대 16개
또한 Droop(J+25, J+26) 및 PI제어의 gain(J+15, J+16)을 조정하 의 신재생설비에 대한 기술요구사항이 있다 [6,7]. 풍력(>1MW)
여 그림5와 같이 유효출력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및 태양광(>90kW) 발전사업자는 2020년 10월부터 계통해석모델
을 포함한 발전설비 특성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6]. 신재생설비
의 기술성능은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서 검증될 수 있고, 검증된
결과는 수치화를 통해 계통해석모델 parameter로 도출될 수 있
겠다. 본 논문에서 검토된 내용은 향후 발전사업자가 계통해석
모델 준비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겠다.
[참 고 문 헌]

[1] EPRI, “Generic Models and Model validation for wind


turbine Generators and Photovoltaic Generation”, 2013
[2] GE, “WoodWard Convert Training manual”, 2020
<그림 5> REPCAU1값에 따른 유효전력 변화

전압은 REECAU1 및 REPCAU1의 parameter 값을 바꿔가면서 [3] E.Muljadi, “Validation of Wind Power Plant Models”, IEEE
상정고장(모선고장(5s) & 고장제거(5.1s))에 대한 응답특성을 검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1769–1782, 2010.12
토하였다. REECAU1의 ICONs M+1을 0으로 적용하여 PF 제어 [4] A. Ellis , “Description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for
모드에서 Q,V제어모드로 변환하였다. 그림6에서는 Q,V제어모드 generic WTG models—A status report”, IEEE/PES Power
를 적용했을 때 저전압에 따른 무효전력 공급량이 늘어나는 것 Systems Conference and Exposition, 2011
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Qflag=1, Vflag=1의 조건에서는 [5] Pouyan Pourbeik, “Generic Dynamic Models for Modeling
REPCAU1의 Qref가 Qelec과의 error에 대한 PI제어 및 lag된 Wind Power Plants and other Renewable Technologies in
단자전압 Vt와의 error에 대한 추가적인 PI제어를 통해 Iqcmd가 Large Scale Power System Studies”, 2018 IEEE Power &
나가면서 지상무효전력의 크기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GM), 2018
[6] 전력거래소, “전력시장운영규칙”. 2021
[7] 한전,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 20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