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명절이 공포스러운 이유’라는 제목의 글은 직장인들에게 명절이라는 연휴가 주는

기대감이 아닌 공포감을 다룬다. 가족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명절이 오히려 피로와 공포를
가져온다는 아이러니를 주제로 하는 것이다. 해당 글은 이런 아이러니를 시각적 장치들을
통해 전달한다. 적절한 이미지, 수치, 그리고 유머와 패러디 기법의 사용을 통해 직관적이고
재치있게 글의 주제를 전달한다. 글은 여러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명절이 조성하는
공포감들을 드러낸다.

본 글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피로와 공포를 가져오는 부정적인 명절 문화를


전달한다. 특히 어두운 분위기를 조성함으로 명절과 대비되는 시각 이미지와 내용을
부각하여 이를 이루어낸다. 우선 글의 필체를 확인해보면, 제목과 말풍선 모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말풍선의 모양 역시
공포스럽게 표현하며 얼핏 일상적으로 들릴 수 있는 질문들 속에 담긴 직장인들이 느낄
부담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이 뿐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배경을 이루는 사진 역시
공포감을 효과적으로 조성한다. 보름달과 기와를 삽입하며 추석과 같은 명절을 떠 올릴 수
있도록 하며 색채를 전체적으로 어둡게 하여 공포감과 명절을 어우러지게 표현한 것이다.
색과 이미지 등의 시각적 특징을 사용하여 해당 글은 가족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명절이 줄
수 있는 피로감과 공포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 뿐만 아니라 해당 글은 수치의 활용을 통해 객관적으로 주제를 전달한다. 여러


설문조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직장인들이 명절에 공포심을 느낀다는 이유와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처음으로 39.8%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명절포비아를 느끼는
사람들의 수를 강조한다. 공포감을 느끼는 직장인의 수가 적지 않음을 보여주며 주장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설문 조사의 결과를 제시하는데, 왜 명절이
공포스러운지에 대해서 기혼과 미혼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사람들이 느끼는 공포감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혼과 미혼으로 나누며 더욱 디테일한 설명과
근거가 제공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로 얻은 명절 때 가장 듣기 싫은 말 역시
포함하며 독자들의 공감까지 자아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며 글의 객관성과
공감을 높여 효과적으로 주제를 전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글쓴이는 유머와 패러디 기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전달한다. 흔히 즐겁게


묘사되는 명절은 공포감과는 멀다고 판단 할 수 있다. 하지만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어둡고 무서운 폰트와 색상, 그리고 배경 등으로 글을 제시한 것은 패러디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텍스트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직장인의 39.8%가 명절포비아를
느낀다고 하는 글쓴이의 주장에서 그의 유머를 엿볼 수 있다. 명절포비아란 명절과 흔히
공포감을 느끼는 증세의 뒤에 붙는 언어인 포비아를 합쳐서 만들어낸 합성어이다. 신조어의
사용으로 그저 자신의 생각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실제 사용하는 언어를
써서 주장의 힘을 주며 이를 위트 있게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패러디 기법은 통계 자료를
공포스러운 방식으로 제시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데에 있어서 끝나지 않는다. 명절
갈등이라는 주제를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통해 전달하는 것 자체가 현재 자주 노출되는
미디어에 대한 패러디라 볼 수 있다. 막장 드라마나 싱글족을 중심으로 다루는 관찰
예능에서 흔히 명절 때와 같이 가족 간에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을 과장시키고 꾸며 재미있게
표현하려는 성향이 목격된다. 해당 글에서 역시 폐가 흉가의 공포물의 분위기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미디어들을 인용한 것이다. 막장 드라마에서 흔히 쓰이는 대사들이나 관찰
예능에 수시로 등장하는 부모님들의 말을 빌려 독자 층인 직장인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해 줄
수 있는 패러디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해당 글은 명절이 직장인에게 주는 공포감을 시각적 특징과 수치의 사용, 그리고


유머와 패러디 기법을 통하여 전달한다. 직장인 독자들을 겨냥하여 그들이 느낄 공포감과
부담감에 대하여 공감뿐만 아니라 위로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객관성, 정확성,
신속성을 갖춘 인포그래픽 뉴스의 형태로 진행하며 그 주제를 강조하여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