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IT: Mindmap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UN 점수와 직결되는 실전국어 신영균

IT 01 현대시 EBS 분석의 신 시리즈

수능특강 323쪽
★★★
해제:이 작품은 배추 모종을 키우는 과정에서 얻게 되
빌려줄 몸 한 채

E
김선우  는 깨달음을 그린 시이다. 화자는 배추가 원래 속부터
단단하게 자란다고 생각하다가, 배추가 나비와 벌레에
속이 꽉 찬 배추가 본디 속부터 게 자신의 몸을 주며 속이 차오르고 생명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화자는 인간의 삶에서도 나
단단하게 옹이지며 자라는 줄 알았는데
눔과 희생이 있어야 삶이 완성된다는 깨달음을 얻는다.
겉잎 속잎이랄 것 없이 이처럼 화자는 인간과 자연물을 동일시하여 바람직한
저 벌어지고 싶은 마음대로 벌어져 자라다가 인간의 삶이 무엇인지를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희생나눔
그중 땅에 가까운 잎 몇 장이 스스로 겉잎 되어
주제:나눔과 희생으로부터 얻는 생명력
L1벌레에게도 몸을 주고/ 대구
V

나비에게도 몸을 주고
즐거이 자기 몸을 빌려주는 사이 희인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결구(結球)*가 생기기 시작하는 거라
L 화자가 깨달음을 얻는 대상이며 자신을
배추
알불*을 달듯 속이 차 오는 거라1종에만 -
희생하는 존재
적유
마음이 이미 길 떠나 있어 공양간 나눔과 희생
몸도 곧 길 위에 있게 될 늦은 계절에/ 나눔과 희생을 통해 얻는 생명력 또는 진정
등불
채마밭
X 조금 빌려 무심코 배추 모종 심어 본 후에 체험 한삶
_

t
알게 된 것이다伊一厓 . 깨달음
표현상의 특징
빌려줄 몸 없이는 저녁이 없다는 걸 도치
•대상의 성장 과정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一世
*
내 몸으로 짓는 공양간 없이는 통구반 •대구적 표현을 통해 시적 상황을 제시함
등불 하나 오지 않는다는 걸
-

처음 자리에 길은 없는 거였다. 작품 한 눈에 보기
大曰悴 ' 삶
처음부터 완성되는 것이 아님 .
유추 1~2행 3~9행 10~13행 14~17행
* 결구:호배추나 배추 따위의 채소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둥글게 속이 드는 일.
배추를
* 알불:무엇에 싸이거나 담기지 않은 불등걸. 배추의 배추에서 배추에
통해
* 공양간:절의 부엌을 이르는 말. 성장에 결구가 대한
깨달은
대해 품었 생기기 깨달음을
나눔과
던 이전의 까지의 얻었던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희생의
생각 과정 시간
중요성

① 배추를 보고 깨달은 人 ② i) 자신을 희생하는 배추


t cf.> 시행의 상징적 의미
ii) 희생을 통한  ‘내 몸으로 짓는 공양간’은 ‘빌려줄 몸’과 연결되
생명력회복
t
어 타인에게 자신이 지닌 것을 나누어 주거나 희
iii) 이런 배추를 통해 깨달음
생하는 삶의 모습을 보여 준다. 또, ‘등불’은 나눔
과 희생을 통해 얻게 된 생명력 또는 진정한 삶을
빌려줄
의미한다. 따라서 ‘내 몸으로 짓는 공양간 없이는 /
몸한채
등불 하나 오지 않는다’는 것은 나눔과 희생이 있
어야 비로소 진정한 삶을 살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또한 ‘처음 자리에 길은 없는 거였다’는
③ 체험을 통한 깨달음 ④ 의인대구.직유종에반 .
1~2행과 연결되어 진정한 생명, 참된 삶은 희생
도차통구반유추 과 나눔을 통해 완성된다는 화자의 깨달음을 다시
+⑤ 배추의 깨달음을 한 번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는 존재

52 [신의 한수]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PART 01 _ 운문

http://cafe.naver.com/HONEDU

수능특강 323쪽
★★★★
해제:이 작품은 슬프고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맨발 문태준  의 삶에 대한 성찰을 부르튼 맨발을 지니고 살아가는
개조개의 모습을 통해 그려낸 시이다. 화자는 맨발로
의인
어물전 개조개 한 마리가'움막 같은 몸 바깥으로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살아온 개조개를 사랑을 잃고 슬픔을 견디는 사람, 가
- on
직무, 난한 가장으로서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거리
죽은 부처가 슬피 우는 제자를 위해 관 밖으로 잠깐 발을 내밀어 보이듯이/
로 나선 사람 등에 빗대며 이들의 삶에 대한 연민을 드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러내고 있다. 동시에 개조개의 느린 움직임은 인간의
펄과 물속에 오래 담겨 있어 부르튼 맨발 힘겨운 삶도 이처럼 천천히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

11-6-16행간질침
시련고난 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내가 조문하듯 그 맨발을 건드리자 개조개는
최초의 궁리인 듯 가장 오래 하는 궁리인 듯 천천히 발을 거두어 갔다,
L-인생로취이픕
,
주제:고단한 삶을 사는 사람들에 대한 연민
저 속도로 시간도 길도 흘러왔을 것이다
누군가를 만나러 가고/또 헤어져서는 저렇게 천천히 돌아왔을 것이다H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늘 맨발이었을 것이다 단복 개조개 사람들의 삶을 빗대는 대상


2

사랑을 잃고서는 새가 부리를 가슴에 묻고 밤을 견디듯이In


맨발을 가슴에 길 개조개의 고단한 삶
묻고 슬픔을 견디었으리라/ 고된 삶 움막 가족의 가난함
가난-
아 - 하고 집이 울때
청각 이상적
부르튼 맨발로 양식을 탁발*하러 거리로 나왔을 것이다1 표현상의 특징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적 상황을 표현함
맨발로 하루 종일 길거리에 나섰다가
•비유적 표현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조함
가난의 냄새가 벌벌벌벌 풍기는 움막 같은 집으로 돌아오면1
음상
아 - 하고 울던 것들이 배를 채워
nnn
작품 한 눈에 보기
자식들
저렇게 캄캄하게 울음도 멎었으리라" 1~3행 4, 5행 6~15행
개조개의 삶
어물전 개조개
*탁발:도를 닦는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동냥하는 일. 개조개의 을 통해 고단
한 마리가
느린 움직임을 한 삶을 사는
내민 맨발을
포착함 사람들의 인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응시함
생을 생각함

① 개폐를 연민하는 人 ② " 개조개의 맨발을 응시함


t cf.> ‘죽은 부처의 발’의 의미
ii) 개조개의 삶을 생각함  화자는 어물전에서 개조개가 내민 맨발을 보며
t ‘죽은 부처가 슬피 우는 제자를 위해 관 밖으로 맨
iii)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발을 내밀어 보’인 일화를 떠올리고 있다. 석가모
사람들을 떠올림 니는 맨발로 인도 전역을 돌며 가르침을 전파했던
인물이다. 따라서 그의 맨발은 곧 그의 삶을 의미
맨발
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개조개의
부르튼 맨발 또한 개조개가 살아온 시간과 길, 즉
개조개의 삶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화
③ 개조개에 대한 연민 ④ 직유의인행간질침 추측형 .
자는 유사한 상황인 ‘맨발’이라는 공통된 소재로
(사람들 ) 이미반복청각음상 인해 개조개를 보며 부처의 일화를 떠올린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개조개의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존재

PART 01 _ 운문 53
UN
02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PART 01 _ 운문

IT 고전 시가 http://cafe.naver.com/HONEDU

수능특강 12쪽
★★★★★
해제:이 작품은 가슴이 답답할 때 환기를 할 수 있도
창 내고자 창을 내고자 ~1 작자 미상 록 가슴에 창을 내었으면 하는 발상을 담은 사설시조이

반복 .불가능한 상황설정 다. 화자는 답답한 일을 겪은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창 내고자1 창을 내고자1이내 가슴에1창 내고자/⇒ AA13A문을 않고 있으나 ‘창 내고자’라는 구절의 반복을 통해 마음
에 창을 내는 행위를 통해서라도 답답한 심정을 해소하
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l암톨쩌귀* 수톨쩌귀 배목걸쇠 크나큰 ⇒ 해학
열거 고자 하는 화자의 현실 극복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장도리로 뚝딱 박아'이내 가슴에' 창 내고자' -
一跆 답답함해소
이따금 T urn
하 답답할 제면 여닫아 볼까 하노라 ⇒ 사설시조
주제:가슴에 창을 내어 답답함을 해소하고 싶은 소망
너무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 장지:방과 방 사이, 또는 방과 마루 사이에 칸을 막아 끼우는 문.
* 돌쩌귀:문짝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쓰는 두 개의 쇠붙이. 창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는 통로

고모장지,
세살장지,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일상 언어로 정서를 표현함
들장지,
열장지 등
① 답답한 人 ② i) 창을 내고자 함
t 표현상의 특징
ii) 창을 내는 이유 •특정 구절을 반복하여 화자의 극복 의지를 강조함
•대상을 열거하여 정서를 드러내고 운율을 형성함

작품 한 눈에 보기
참내고자
초장 중장 종장

답답할 때
가슴에 창을 가슴에 창을
가슴에 낸
③ 답답함을 해소하고 싶은 ④ 반복AA13A은울 열지음상 내고 싶은 내는 장면을
.
창을 열고
소망 묘사
닫고 싶음

+⑤ 창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
cf.> 사설시조의 율격
 사설시조는 평시조에 비해 자유로운 운율 구조
를 가지고 있다. 평시조는 화자의 심정이나 대상
을 엄격하게 제한된 글자 수에 맞추어 시를 압축
적으로 짧게 표현한다. 반면 사설시조는 기본적으
로 평시조의 3장 형식을 이어받고 종장의 첫 음보
는 3음절로 고정하지만, 중장이 크게 길어지는 경
향을 보인다. 즉 사설 시조는 평시조의 정형성을
탈피하여 말을 늘어놓듯이 장황하고 구체적으로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담고 있는 것이다.

PART 01 _ 운문 57
UN 점수와 직결되는 실전국어 신영균

IT 02 고전 시가 EBS 분석의 신 시리즈

수능특강 12쪽
★★★
해제:이 작품은 기다리던 임이 올 때의 마음가짐을 노
바람도 쉬어 넘는 ~ 작자 미상 래한 사설시조이다. 시에 나오는 ‘장성령 고개’는 모두
가 쉬어 넘을 정도로 높지만 임이 온다고 하면 쉬지 않
의인 험한곳 과장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구름이라도 쉬어 넘는 고개 대구 고 넘어갈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화자
의 임을 만나고 싶은 마음을 과장하여 표현한 것으로
산지니
기 수지니
기 해동청
가 보라매
-1쉬어 넘는 고봉(高峰) 장성령 고개
下珤 一蕪리 볼 수 있다.
Innocent
그 너머 임이 왔다 하면 나는 아니 한 번도 쉬어 넘어가리라
이별
秦 주제:임을 만나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임과의 만남에 대한 화자의 간절함을


장성령
① 입과 이별한 人 ② " 바람 구름도 잘못넘는고개
.
상징함

바람, 구름,
ii) 장성령고개의 높음 산지니, 고개를 한 번에 넘지 못하는 자연물로,

수지니, 쉬지 않고 고개를 넘어가려는 화자의
iii) 임을 만나고자하는 의지
해동청, 의지를 강조함
보라매
바람도
~

표현상의 특징
•과장을 통해 화자의 간절함 마음을 강조함
③ 입을 만나고 싶은 ④ 의인과장대구.점층 •반복, 의인화, 열거 등을 통해 시상을 전개함

간절함
작품 한 눈에 보기
+⑤ 장성령의화자의 의지를 보여줌
초장 중장 종장

넘어가기 어 장성령 고개 임과의


려운 장성령 의 험준함을 재회에 대한
고개 거듭 강조 의지

cf.> 작품의 시상 전개 방식
 초장에서 화자는 바람도 쉬어 넘고 구름도 쉬어
넘는 고개를 언급한다. 이 구절은 너무 높고 험한
고개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이어서 중장에서는 그
고개의 이름을 장성령 고개라고 명시하면서 이 고
개가 여러 매들도 쉬어 넘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높고 험준하다는 점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그러나
종장에서는 임이 온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그 고개
를 한 번도 쉬지 않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
낸다. 이를 통해 임과의 재회에 대한 화자의 염원
이 그만큼 간절함을 드러낸다.

58 [신의 한수]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PART 01 _ 운문

http://cafe.naver.com/HONEDU

수능특강 44쪽
★★★★★
예찬t기파탐t 노래 해제:이 작품은 충담사가 죽은 ‘기파랑’을 추모하며
찬기파랑가
1 1 1 충담사 지은 향가이다. 화자는 기파랑을 그리워하며 그의 고고
한 인품을 예찬한다. 여러 자연물을 시어로 활용하여
애삼적
흐느끼며 바라보매 늣겨곰 라매 기파랑의 모습과 인품을 형상화하며 그의 고결함을 표
e r ro r

현하고 있으며, 애상적인 정서와 더불어 그를 예찬하고


이슬 밝힌 달이 이슬 갼 라리
< 광명L 따르겠다는 화자의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모습도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구룸 조초 간 언저레 ⇒ 향가 볼 수 있다.
이상
모래 가른 물가에 몰이 가 믈서리여
주제:기파랑에 대한 추모와 예찬
죽음 ⇐ 기랑의 모습이올시
< 수풀이여.1 기랑(耆郞) 즈 올시 수프리야.
71파랑
nn

일오내
기 자갈 벌에서
~
맑고 깨끗함 일오(逸烏)나릿 긔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냇가
낭이 지니시던 낭(郞)이여 디니더시온
높이 우러러보는 존재이며 기파랑의 높

화자의 지향 ⇐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1 좃 라져. 은 인품을 상징함
끝 -

영탄 아아,1 잣나무 가지가 높아 아야 자싯가지 노포 7*10구체향기의 특징


_
신 달이 따르는 대상, 숭고한 이념이나 이상
지조절개 흰 구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누니 모 두폴 곳가리여. 날구에 감탄사 세계를 상징함
화랑의 우두머리기파랑 "
시련고난
          <현대어 역> <김완진 역> 내 기파랑의 맑고 깨끗한 인품을 상징함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상징함. 화자가


마음의 갓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추구하는 지향점

아아 시적 정서를 집약하며 시 구조를 완성함

잣가지 기파랑의 고결한 절개를 상징함


① 기파랑을 예찬하는 人 ② i) 자연에서 발견한 기파랑의 모습
과 눈 시련과 역경을 상징함
" 기파랑의 마음을 따르고 싶다 고깔 화랑의 우두머리

iii) n
지프절개 예찬
표현상의 특징
찬기파람가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여 대상의 속성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함
•대립적인 이미지를 지닌 시어를 사용함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③ 기파랑취러예찬 ④ 영탄은유
작품 한 눈에 보기

+⑤ 잣나무의 지도절개 1~5행 6~8행 9~10행


기파랑의 고 기파랑의 기파랑의
결한 모습을 빼어난 인품 인품과 높은
떠올리며 그 을 본받고 절개를
를 그리워함 싶음 예찬함

cf.> <찬기파랑가>의 작가 충담사


 작가인 충담사는 한자로 忠談師와 같이 쓴다.
이를 그대로 해석하면 ‘나라를 위한 이야기를 하
는 스승’이 된다. 이에 따라 작가를 충담사란 이름
을 지닌 특정 인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충담사’의
역할을 맡은 사람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찬기파랑가>는 단순히 기파랑을
예찬하기 위한 개인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기파랑
과 같은 위인을 통해 사회의 질서를 바로잡고자하
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PART 01 _ 운문 59
UN 점수와 직결되는 실전국어 신영균

IT 02 고전 시가 EBS 분석의 신 시리즈

수능특강 44쪽
★★★★★
제사t죽은누에노래 해제:이 작품은 죽은 누이에 대한 월명사의 안타까움
제망매가
1 I
Resource not
월명사 이 담긴 시이다. 화자는 누이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서
삶의 무상함을 느낀다. 시 전체적으로 애상적인 분위기
생사 길은 생사(生死) 길흔 를 띠지만 화자는 누이의 죽음을 수용하며 슬픔을 종교
적으로 승화시켜 극복하고자 하며, 누이와 미타찰(극락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이 이샤매 머믓그리고,
'

여기
Inner
세계)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한다.
죽은누이 ※
"
나는 간다는 말도 나 가 다 말ㅅ도
갑자기 ⇐못다 이르고1 어찌 갑니까./ 몯다 니르고 가 닛고. 주제: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와 재회를 기약
죽음 '
죽음의원인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어느 이른 매
일찍죽음 ⇐ 요절 ' 시어・시구의 상징적 의미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이 뎌 러딜 닙 ,
같은부모 ⇐ 한
다락음락유
가지에 나고 가지라 나고
이른 바람 누이의 때 이른 죽음
.e e

떨어질 잎 누이의 죽음을 상징함


가는 곳 모르온저. 가논 곧 모 론뎌.
계속 한 가지 같은 부모를 비유함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영탄nm1 아야 미타찰(彌 刹)아 맛보올 나
AT재희윤회사상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Tournament
도(道) 닷가 기드리고다. 미타찰 재회를 기약하는 장소로 극복의 공간
의지
구도적
         <현대어 역> <김완진 역>
'
표현상의 특징
語浩고적승화
•설의법을 통해 슬픔과 안타까운 정서를 표현함
작/품/분/석 마인드맵 MINDMAP •누이의 죽음을 자연물에 비유하며 감각적으로 표현함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시적 정서를 집약함

① 죽은 누이를 그리워하는 人 ② i) 누이의 죽음 작품 한 눈에 보기


t
1~4행 5~8행 9~10행
ii) 누이와 재회소망
슬픔을 종교
적으로 극복
죽은 누이의 죽음
하려함과
누이에 대한 에서 느끼는
제망매가 동시에 누이
안타까움 무상감
와의 재회를
기약함

③ 죽은 누이에 대한 ④ 직유영탄
그리움 재회 소망
.
cf.> <제망매가>의 창작배경과 가치
+⑤ 미타찰의 재회할 장소  월명사가 일찍 죽은 누이를 위해 재를 올리며
지은 노래가 <제망매가>이다. 죽음을 추모하며 이
노래를 부르자 문득 광풍이 불어 종이가 서쪽으
로 날아갔다고 한다. 배경 설화에는 이러한 주술
적 요소가 있지만 이 노래의 근본적 지향은 혈육
의 죽음으로 인한 정서의 표출이므로 순수 서정시
의 단계에 이른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
는 단순히 죽음을 감상적으로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를 깊이 성찰하고, 탁월한
비유를 활용하여 향가 가운데서도 특히 뛰어난 문
학성과 고도의 서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
고 있다.

60 [신의 한수] EBS 분석의 神 수능특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