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3

04차시.

사회복지법의 권리성과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


습 1.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목 2.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


습 1. 학습자는 사회복지법의 권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목 2. 학습자는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을 파악할 수 있다.

1
04차시. 사회복지법의 권리성과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
1강.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1

2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2

많은 법들과 사회복지법의 사이에서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3

이러한
권리가
모든
이에게
주어질 수
있을까??

3
사회복지법의 권리성 4

권리의 개념과 인권 1

 법의 적용을 받는 대상자들을 권리의 주체로서 인정하고,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에 대한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힘을 법이 부여해 준 것
 권리는 개별 법에서 대상자의 수급권으로 드러나지만 근본적인
권리의 근거는 인권에서 시작됨

4
권리의 개념과 인권 2

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사람이 본질적으로 갖는 권리

 인간이라는 사실만으로 자신의 존엄성과 인격을 존중 받아야 함

 인권을 획득하고자 노력하는 실천 과정 속에서 개념 등장


 인권을 침해당한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대가로 이루어짐

 ‘정치적 민주주의’와 복지사회'의 두 축이 필수.

권리의 개념과 인권 3

 권리 주체나 의무자가 보편적


 헌법상의 기본권
 자연권 권리인 인권이 헌법에 규정됨으로써 실정법적인
기본권이 됨

5
권리의 개념과 인권 4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제34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제31조 근로의 권리,


제35조 건강권 등

권리의 개념과 인권 5

 헌법의 사회적 기본권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개별 법에 따른


사회복지수급권임: 전통적으로 사회복지는 인권을 실천해 옴

 인권 → 헌법상 사회적 기본권


→ 개별 사회복지수급권을 통해
직접적 실현

6
사회복지(보장)수급권 1

 사회복지법을 통해 국가는 개인들에게 급여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때 국가와 국민은 서비스를 매개로
법률관계가 형성됨

 국민은 급여나 서비스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국가는


이에 대한 의무를 지게 됨

사회복지(보장)수급권 2

 개인이 개별 법률에 근거하여 갖는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청구권

 인권이나 기본권에 비해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권리

7
사회복지수급권의 규범적 구조 1

 사회복지대상자들이 해당 사회복지법에 근거하여 실체적인


사회복지급여를 청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

 수급요건, 수급권자, 급여 수준, 수급기준, 급여의 종류,


재정조달, 전달체계, 수급권의 보호와 제한 등

 사회보험 청구권, 공공부조 청구권, 사회서비스 청구권

사회복지수급권의 규범적 구조 2

 사회복지급여를 받기 위해 절차에 참여하는 권리,


불평등하게 취급 당하지 않을 권리, 하자 없는
재량행사를 청구하는 권리

각종 정보 요구 권리, 상담과 조언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각종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

신청·조사·결정·실시 등의 단계에서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진행될 것을 요구하는 권리

8
사회복지수급권의 규범적 구조 3

사회복지급여 실체적 권리인 사회복지급여 청구권이 침해당했을


쟁송권(爭訟) 때 구제를 신청하는 권리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행정과정에서 사회복지대상자나 국민이
참여권 참여할 권리
생존권 보장을 위해 사회복지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입법 구체적 법률이 제정되지 않았거나 불충분한 경우
청구권 사회복지입법을 추진하거나 개정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사회복지수급권의 규범적 구조 4

실체적 권리 사회보험 청구권


(사회복지급 공공부조 청구권
여 청구 권리) 사회서비스 청구권
홍보 및 정보 제공 요구권
수속 전
사회 단계
상담 및 조언 제공 요구권
수속적 사회복지기관의 이용 요구권
복지 권리
수급권 수속 수속과정(신청, 조사, 수급권 유무, 수급 내용 결정, 급여 실시
단계 등)에서 권리실현의 적절한 진행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사회복지급여 쟁송권
절차적
사회복지행정 참여권
권리
사회복지입법 청구권

9
사회복지수급권자의 의무 1

 수급권의 기초가 되는 사항을 사용자나 관리운영주체에 신고해야 함

 거주지역, 세대 구성의 변동, 임대차 계약 내용, 급여 결정 및


실시와 관련된 사항 변동 시 신고의무 부과

 급여의 결정 및 실시를 위한 조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하거나


검진 지시에 따르지 않았을 때는 급여 신청을 각하할 수 있음

사회복지수급권자의 의무 2

 관리운영주체의 요구에 따라 조사 및 검진 등에 따라야 함

 급여의 결정 및 실시를 위한 조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하거나


검진 지시에 따르지 않았을 때는 급여신청을 각하할 수 있음

10
사회복지수급권자의 의무 3

 한정된 자원으로 보다 많은 사람과 긴급한 욕구를 지닌 사람에게


급여를 제공해야함에 따라 급여 남용을 하지 않을 의무가 있음

 구상권(求償權), 부정수급자에 대한 비용 징수, 과잉지급에 대한


반환명령, 낮은 지급 사유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급여를
지급받는 행위의 금지

사회복지수급권의 보호 1

 수급자권자의 개인적·사회적 보호를 통해 인간다운 생활 유지를 위함

 사회복지수급권의 양도, 담보제공, 압류 금지


국민건강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

11
사회복지수급권의 보호 2

 사회복지급여는 일종의 기득권적 성격을 지님으로 정당한 이유


없이 불이익 하게 변경되는 것은 기득권을 침해하는 행위이기에
이를 금지하는 것

 수급자에 대한 급여는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불리하게 변경할


수 없다.

사회복지수급권의 보호 3

 사회복지급여는 대상자에게 최소한의 삶을 영위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조세나 기타 공과금 부과는 바람직하지 않다.

 이 법에 따른 급여로 지급된 금액에 대해서는


‘조세특례제한법’이나 그 밖의 법률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 그 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과금을 감면한다

12
사회복지수급권의 제한 1

과잉사회복지 급여의 제한 및 금지

 사회복지급여 수준과 내용은 수급권자의 자립 조장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함

 사회복지급여의 내용이 너무 적지도 많지도 않아야 함


 급여 중복을 지양해야 함

사회복지수급권의 제한 2

사회복지 급여 남용 제한
 사회복지수급 조건에 따른 의무를 성실히 이행
 인위적으로 사회복지수급사유 및 조건을 직접·간접으로
방해하거나 연기시키는 행위 등에 대해서는 마땅히
사회복지수급권을 제한·금지함

사회복지 급여 악용 제한
 사회복지급여의 지급을 목적으로 고의로 지급사유를 발생시킬
경우에 사회복지수급권을 제한

13
권리구제의 의미 1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을 받거나 필요한 처분을 받지 못함으로써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경우 권리구제를 할 수 있음

사회복지수급자가 사회복지 처분행위에 대해 이의가 있거나


불복하는 경우 개별 사회복지법들이 규정하는 심사위원회, 심판청구,
행정법소송 등의 법적 절차를 통하여 사회복지수급권자의 침해당한
권리를 회복하는 것

권리구제의 의미 2

전심절차로 간주됨
 사회복지법상 권리구제는 사법적 심판이 이루어지기 전에
거치는 전심절차로 간주됨(사전심리과정)
 관할 운영 주체와 주무부처에서 관할하고 있음

 사회복지급여 등의 다툼을 신속히 처리함으로써 적용대상자의


생존권보장과 행정적 전문성과 편의를 함께 도모하려는 것임

14
권리구제의 유형 1

이의신청과 심사청구

 이의신청
국가기관 행정의 위법, 부당성에 대해 취소나 변경을 신청하는 것

 심사청구
행정기관의 위법, 부당한 처분에 대해 심사를 구하는 것

권리구제의 유형 2

권리구제 절차는 어렵거나 복잡해서는 효율성을 달성할


수 없음

 현재는 그렇지 않음. 향후 권리구제 절차를 간소화하고


그 내용을 쉽게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함

15
권리구제의 유형 3

이중으로 만들어짐
이의신청과 심판청구 국민건강보험법
심사청구와 재심사청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민연금법, 고용보험법
두 번에 걸친 이의신청 국민기초생활보장법
 2단계일 경우 앞의 것은 심사청구로, 뒤의 것은 재심사청구로 봄
심사청구 처분을 한 기관에 신청 시정 요구

재심사청구 상급기관에 제기하여 처분의 시정 요구

 재심사 청구로도 승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행정소송을 통해


결정지어야 함

법적 쟁송 1
행정소송
사회복지 관련법상 규정되고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심사위원회 혹은
재심사위원회의 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결과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경우 제기할 수 있음
민사소송
 일반적으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말함
 피보험자의 사회복지급여의 발생 원인이 제3자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보험자는 즉시 피보험자의 생활안전과 복지를 위하여
사회복지급여를 제공하고 피보험자를 대신해 불법적으로 급여를
발생시킨 제3자에게 손해배상청구를 제기하는 것

16
법적 쟁송 2

헌법소원(a Constitutional Appeal, 憲法訴願 )


 국민의 헌법상의 권리가 국가 권력에 의해 침해된 경우
헌법재판소에 제소하여 구제를 청구하는 제도

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음

학습내용 1강 되짚어보기 ※ [학습내용 1강]이 끝났습니다.


잠시 휴식 후 [학습내용 2강]을 시작하겠습니다.

#권리 #인권
권리는 개별법에서 대상자의 수급권으로 드러나지만 근본적인 권리의
근거는 인권에서 시작된다.

인권은 헌법상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개별 사회복지수급권을 통해


직접적으로 실현된다.

#사회복지수급권
사회복지수급권이란 개인이 개별 법률에 근거하여 갖는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청구권이다.

17
04차시. 사회복지법의 권리성과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
2강.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

1960년대 이전 1

 일제 시대의 기본법과 제도를 계속 활용.

조선구호령(1944년) : 근대적인 공공부조 제도의 기원


 식민지 통치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

 65세 이상의 노쇠자, 13세 이하의 아동, 임산부, 불구, 폐질, 질병,
상병 기타 정신 또는 신체의 장애로 노동에 지장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생활부조, 의료부조, 조산부조, 생업부조 실시

18
1960년대 이전 2

미군정
 조선구호령 그대로 사용. 기타 이재민과 피난민 구호를 위한
후생국보 3A호, 3C호 등을 발하여 실시

대한민국 건국 헌법 제19조에 법률이 정하도록 규정 명시

 법률제정 이전인 1950년에 전쟁이 일어나 조선구호령 바탕으로


구호사업

1960년대 이전 3

전쟁과 국가질서 유지가 중요

 군사원호법(1950), 경찰원호법(1951),

 후생시설설치기준령(1950),

 사회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설립 허가신청에 관한 규칙(1952)


19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1

배경
 1961년 박정희의 5.16 군사 쿠데타로 만들어진 군사정부는
민심을 수습하고 쿠데타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받으려고 함

 가난으로부터 국민을 구제하겠다는 혁명 공약을 걸고 많은 입법을


추진

 산업화와 경제정책을 위한 법들이 중요하게 준비되었고 그 와중에


관련된 사회복지 입법도 추진됨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2

공무원연금법

갱생보호법, 윤락행위 등 방지법


생활보호법, 아동복리법

선원보험법, 재해구호법,
국가유공자특별원호법

군인연금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 의료보험법

20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3

쿠데타 이후의 사회기강 규율 세우기 위함 : 갱생보호법, 윤락행위 등 방지법

권력의 지지기반을 다지기 위함: 국가유공자특별원호법, 군인연금법

산업화에 대비하여 나머지 사회복지법들이 제정됨.

 조선구호령의 내용과 별 차이가 없음.


 1999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만들어지고 2000년 시행될 때까지
약 40년간 대표적인 공공부조 법률로서 기능함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4

 사회보장에 대해 매우 소극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정도의 법률

 산업화를 위해 필수적인 법이므로 곧바로 실시됨

21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5

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기본적 성격.


 민간사회사업에 대한 규정의 중심
 1972년 유신헌법 통과

 사립학교교원연금법(1973): 공무원과 군인에 이어 교원에게도


공적연금을 제공. 사립학교 교원들의 권력기반으로 인정됨

제3, 4 공화국 : 1960년대 6

 국민복지연금법(1973) : 외국의 무상원조가 1970년대에 차관으로


바뀌면서 경제개발을 위한 내수자본 동원을 위한 전략으로
제정되었으나 시행되지 못함
 의료보험법 개정(1976)하여 1977년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의료보험 실시

 1977년 : 의료보호법,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법

22
제5공화국 1 : 배경

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학살을 통해 집권

 공포정치를 단행하면서도 유화적인 조치를 취해야 했음.

 국정목표 : 정의로운 복지사회 구현

 복지 대상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법이 마련되고


최저임금제도 마련, 국민연금법 제정, 의료보험 대상자 확대

 기본적인 복지제도의 틀이 갖추어짐

제5공화국 2

1981년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 심신장애자복지법 및 노인복지법
제정

국민연금법: 1986년 제정, 노태우 정부 때인 1988년 시행


→ 국민들의 기본적 노후 생활을 위한 토대 마련

1987년 의료보험법 개정 : 농어촌 지역 주민의 의료보험 가입

23
제5공화국 3

최저임금법 : 1986년 제정, 1988년 시행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동자의 최저임금 수준을 보장
1982년 생활보호법 개정 : 자활보호가 교육보호 추가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전부개정


: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도입

제6공화국 1

 전두환의 제5공화국과 본질적으로 비슷한 성격을 지님

 제5공화국에서 공포된 시행

 : 저소득 모자가정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 영위를 도움

 심신장애자복지법이 :
1988년 올림픽의 영향

24
제6공화국 2

 1989년 전국민의료보험 실시

 노인복지법 1989년 전부개정 : 재가복지 강조

 영유아보육법 1991년 제정 : 저소득 맞벌이 가정의 탁아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

 1991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가 법적으로 규정. 이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명칭 변경

김영삼 정부 1

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도입. 복지정책의 강화

 고용보험법(1993년 제정) : 1995년 시행. 경제의


구조조정과 노동의 유연화 정책 실시에 대비.
4대 보험체계를 구축.

25
김영삼 정부 2

국민연금법 개정 : 농어촌 자영업자에게까지 대상


확대

사회보장기본법 제정: 국가의 사회보장제도를


체계화하고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는 법적 근거 마련.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김영삼 정부 3

정신보건법 제정 :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신질환자의 인권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함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

26
김영삼 정부 4

사회복지사업법 전부 개정 :
책임성을 위해 시설의 평가제 도입하는 등 공공성 확보,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등 자격제도 정비, 사회복지의
신고제 도입으로 복지다원주의적 경향을 보임

 생활보호법 개정 : 저소득 빈민층의 자활공동체 지원


 국민의료보험법 제정: 의료보험 통합이 시작됨

노무현 정부 1

 사회복지사업법 전부 개정(2003) : 지역사회복지체계 구축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설치 :
민·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복지를 강화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 : 욕구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 농어촌 주민의 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2004)

 영유아보육법 전부개정(2004)

27
노무현 정부 2

 건강가정기본법 제정(2004)

 기초노령연금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2007) : 노령화 대비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2007) 제정

 모·부자복지법이 한부모가족지원법으로 개정(2007) :


조손가족 및 다문화 가족에 대한 지원 가능

노무현 정부 3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
부양의무자 규정 1촌의 직계혈족 및 배우자로 축소,
최저생계비 계측 기간을 3년으로 단축, 외국인
특례 적용

자활의 지원 및 중앙자활센터 도입

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정(2003) : 2005년 1월 1일 시행. 보험관리와 운영의 효율화
도모

28
이명박 정부 1

 복지를 위한 뚜렷한 목표나 지표가 없이 정치적 관계에 의한


입법을 보임

 아동청소년복지법 추진의 중단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2008)
한부모가족지원법 개정(2011) : 한부모가족의 청소년의 지원을 강화
장애인연금법 제정(2010) : 저소득 중증 장애인 소득 보장

장애인복지법 개정(2011) : 장애인복지시설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체계 구축

이명박 정부 2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아동복지 지원법 제정(2011)


장애아동복지법 개정(2011)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 제정(2011) :
사회복지사의 신분보장과 처우개선을 위한 기틀 마련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011) :
노숙인과 부랑인들의 인간다운 삶 보장, 자립 지원

29
이명박 정부 3

국민건강보험법 개정(2009) : 4대 사회보험료 통합 징수, 2011년


1월 시행
사회복지사업법 개정(2012) : 시설이용자의 인권보호와
사회복지법인과 시설운영의 투명성 강화

사회보장기본법 전부개정(2012) : 국민의 보편적, 생애주기적


특성에 맞게 소득과 사회서비스를 함께 보장하는 방향으로
사회보장제도 정립

박근혜 정부 1

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부분에 대한 개선으로 입법의 기대를


모았으나 실제 공포된 내용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그 이전
보다 더 나빠짐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아동학대범죄가 발생한


경우 긴급한 대처와 예방을 목적으로 함
기초연금법 제정(2014) : 기초노령연금법 대체

30
박근혜 정부 2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014) :


발달장애인 권리 보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2014): 맞춤형 급여체계 전환, 중위소득
기준, 그러나 문제였던 부양의무 조항은 삭제되지 않음

주거급여법 제정(2014): 맞춤형 급여체계의 일환으로 제정


사회보장급여의 이용 ∙ 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정(2014) :
사회보장급여의 신청 및 조사와 발굴 등 복지대상자 선정과 지원에
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도적으로 마련하기 위함

문재인 정부

전반적인 복지규모가 크게 확대. 사회보장관련 내용들이 강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부양의무자 규정이 주거급여 등 단계적 폐지.

주거급여법에서는 2018년 1월 개정으로 삭제.

아동수당법이 2018년 3월 제정. 9월부터 시행 : 아동의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 증진에 기여하게 되었음

31
보편적 복지국가에 주목하는 이유 : 법으로 실현

학습내용 2강 되짚어보기 ※ [학습내용 2강]이 끝났습니다.


이번 시간도 수고하셨습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법
우리나라는 일제 시대의 기본 법과 제도를 계속 활용하였고, 그 이유로
조선구호령(1944년)이 근대적인 공공부조 제도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대표적인 공공부조에 해당된다.

32
학습정리
•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대표적인 공공부조에 해당된다.
• 인권은 헌법상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개별 사회복지수급권을 통해 직접적으로 실현된다.
• 사회복지수급권이란 개인이 개별 법률에 근거하여 갖는 사회복지 급여 및 서비스 청구권이다.


고 • 대한민국 국회 : www.assembly.go.kr

헌 • 법제처 : www.moleg.go.kr

다음차시예고

이번 시간에는 사회복지법의 권리성과 한국


사회복지법의 발달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