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

4TH 2023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Land Urbanism” is a city that connects land, water and wind.


When Seoul was founded 600 years ago, it embodied an ideal urban landscape that LAND
ARCHITECTUR
followed
the natural flows of mountain ranges, waterways, and wind breezes.
Seoul has always been an ecologically planned city: It is shielded from the cold
winter winds by Bugaksan and Bukhansan mountains in the north; it faces an open

E LAND
space towards the south; and is traversed by a river that facilitates the flow of cool
breezes during the summers.
Future cities must be designed with these topographic features in mind, paying
respec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vegetated areas of mountains,

URBANISM
valley streams, rivers and creeks, wetlands and waterfronts, and seasonally
changing wind corridors.
These features will create a healthier and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The painting depicts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내사산 가운데 동쪽에 위치한 낙산에 올라 도성의 북서쪽 전
capital city viewed from Mt. Naksan in the east. 경을 묘사한 그림이다. 화폭의 윗부분은 도성 북쪽에 우뚝 솟
The city is comfortably nestled in a basin with 은 산악 지형을, 아랫부분은 도성 내의 아늑한 전경을 표현
mountains rising high in the north. 하였다.
Hanyang (Gyeong seong do) 한양 전경 傳金秀哲筆京城圖 (경성도)
Joseon Dynasty l 57.6 x 133.9 cm 조선시대 l 57.6 x 133.9 cm 국립중
National Museum of Korea 앙박물관
4th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제 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that followed the natural flows of mountain ranges, 북으로는 북악산과 북한산을 두어 겨울의 찬바람을 막고,
rivers, and winds. Seoul has always been a n 남으로는 강이 흐르는 ‘ 넓 게 트인 공간(Open space)’을

Land Architecture 땅의 도시, ecologically planned city: It is shielded from the


cold winter winds by Bugaksan and Bukhansan
두어 여름의 시원한 바람을 맞는 구조의 친환경적 도시였다.
미래의 도시는 이렇게 산의 녹지와 계곡물, 강과 샛강, 그 사

Land Urbanism 땅의 건축 mountains in the north; it faces an open space


towards the south; and is traversed by a river that
이 사이의 습지와 수변 공간, 나아가 계절에 따라 다르게 흐
르는 바람길을 적절히 활용하는 더욱 쾌적하고 건강한 도시

City of mountain ranges, waterways, 산길, 물길,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facilitates the flow of cool breezes during the 가 되어야 할 것이다.

and wind breezes: drawing of the 후를 그리다. summers. Future cities must be designed with these

Seoul’s Next 100 years. topographic features in mind, paying respect to 도시는 고밀화 될수록 효율이 높아지고 그만큼 이동과 에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vegetated 너지, 시간 등을 절약하여 친환경적 도시가 될수 있다. 친환

Byoung Soo Cho, General director areas of mountains, valley streams, rivers and 경 고밀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첨단 기술과 데이터

조병수, 총감독 creeks, wetlands and waterfronts, and seasonally 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산, 물, 바람이 잘 흐르는 건강한
changing wind corridors. These features will create 환경을 제공하는 도시가 내가 말하는 ‘ 땅 의 도시’이다
a healthier and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

In some ways, high-density cities h ave an 서울은 전통 도시 구조와 현대 도시 구조의 충돌로 인


environmental advantage Because efficiency 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고 풍수와 자연 환경의 존중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the level of urban 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지난 100년간의 개발로 서울
density, the movement of people and freight 의 진정한 정체성인 산길, 물길, 바람길의 자연적 환경이
takes less time and consumes less energy. “Land 많이 훼손되었다. 각 건물의 스카이라인은 연속성 없이 들
Urbanism” is a high-density city that harnesses 쑥날쑥하고 자연과 도시의 연계는 지구단위계획 등에 의해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data to ensure the 파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이로 인해 주변 자연과
optimal flow of natural features without destroying 도시적 연속성에 입각한 합리적 대지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
them. 으며, 어떠한 공동적 가치의 기준조차 확고히 설정되어 있지
않아 혼란스럽다.
“Architecture of the land” refers to an architecture
that enables this unobstructed flow of mountain 이에 대해 ‘ 1 0 0 년 후의 서울은 어떠한 모습이었으면
ranges, waterways, and wind breezes to integrate 하 는 가 ’ 하는 이상향을 제안하여 도시계획, 지역 지구
into the overall design of a city ultimately. Seoul 지정과 지구단위계획 수립 등에 확고한 좌표를 제시하고져
is a city that grapples with the severe tension 한다. 나아가 이러한 친환경적 고밀 도시에 대한 해법이 서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urban structures. 울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 모든 도시
Although Seoul was initially shaped by the respect 의 개선과 새로운 도시 건설의 훌륭한 좌표 역할을 하기를
for nature and the principles of feng-shui, the 기대한다.
development over the past 100 years disrupted
Great Map of the Capital (Doseong dae jido) is a giant precise 도성대지도는 조선시대 한양의 옛 모습을 담은 고지도 중 가장 규모가 크
old map that contains the past image of Hanyang during the 고 정밀하다. 18세기 후기 한양의 산길, 물길, 바람길의 자연지세와 북, 남의 Seoul’s natural features. Buildings of uneven heights ‘ 땅 의 건 축 ’ 은 이를 작은 스케일에서 적용하여 앞서 말한
Joseon Dynasty. It describes the natural topography of the 도심부와 동, 서 지명이 상세히 표기되었다.
have fragmented Seoul’s skyline. This modern, 산길, 물길, 바람길의 흐름을 제공하고 이들이 관통할 수 있
mountain, water, and wind paths in Hanyang, the northern and
southern city centres, and the eastern and western names of the artificial environment can interrupt and negatively 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큰 도시 관점에서 흐름을 이어주는 건
late 18th century.
impact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different 축을 말한다. ‘ 땅 의 건 축 ’ 은 랜드스케이프 건축이나 그
Great Map of the Capital (Doseong dae jido)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Late 18th century l 180.0 x 213.6cm 18세기 후기 l 180.0 x 213.6cm zones are often planned separately, the land use 라운드 스케이프의 건축과는 구분되는 것이며, 경치 즉, 스
Seoul Museum of History 서울역사박물관
lacks unity and is devoid of consideration of the 케이프(-scape) 너머의 큰 개념의 것으로 그 땅을 통해 부는
Theme 주제글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its surrounding 바람이나 빛, 식생 등의 모든 환경적, 생태적 조건과 컨텍스
natural environment. Confusion reigns supreme in 트를 다루는 참된 건축인 것이다. 또 좀 더 넓게는 이러한 환
“Land Urbanism” is a city that connects land, 땅의 도시는 땅과 물과 바람의 흐름을 잇는 도시를 말한다.
the absence of consistent and cohesive planning 경적 컨텍스트 너머 존재하는 문화적, 역사적, 혹은 시대적
water and wind. When Seoul was founded 600 우리 선조가 600년 전 꿈꾸었던 산과 강과 바람의 흐름을 따
principles. 특성까지를 잘 이해하고 아우르는 것이다.
years ago, it embodied an ideal urban landscape 라 그 틀을 마련한 옛 서울(한양)이 바로 그런 곳이였다.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7


Therefore, we propose to imagine Seoul “100 이렇게 ‘ 땅 의 건 축 ’ 은 그 땅의 환경과 문화를 존중하여 Currently, Seoul’s a r ch i tec tu r e a n d urban 상황에 따른 유형별로 검토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years from now” and develop an ideal future 그를 체험케하고 물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지속가능한 dev el opm en t projects are carried out in a
vision for the city by providing guidelines for urban 건축이 되어 궁극적으로는 우리 모두를 육체적, 정신적으로 fragmentary fashion, based on short-term plans, 특히 지역지구(zoning)에 따른 용적률의 급격한 차이 등으로
planning, zoning, and zone-level planning for the 건강하게 살아가고 이들이 모여 좀 더 넓어질 때 함께 행 and dictated by zoning regulations. Such practices 발생하는 도시의 연속성 단절과 충돌을 완화하고, 자연과 인
4th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복하게 살아갈 ‘ 땅 의 도 시 ’ 를 열어주는 건축이다. are not con du ci ve to a healthy, harmonious 공의 도시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크게는 산세의 흐름
Ecofriendly smart-city solutions that will emerge balance, resulting in haphazard changes, only 을 따라 도시 건축물들의 높이와 형태가 자연스럽게 이어질
from this process will not just be valid for Seoul but 내용 adding clutter and chaos. Additionally, the big 방법들을 찾아볼 것이다. 그리하여 서울이 주변 산세와
applicable to all Korean cities, including Busan, data revolution is now at our doorstep and set to 물길을 따라 친환경, 고 밀 · 고 효 율 도시로서 시민들에
Gwangju, and Daegu. Furthermore, it may even ‘ 산 길 , 물길,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후를 그 리 다 ’ dramatically transform the DNA of our cities, with 게 양질의 주거와 삶을 제공하고 건축물들은 도시적 큰
serve as excellent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라는 부제로 진행하는 제4회 2023 서울도시 건축 비엔날레 new vehicle transportation and parking systems 흐름의 틀 속에서 주변과 단절되지 않고 바람길, 물길, 산길
an d construction of existing an d new cities 에서는 서울의 100년 후를 상상하며 마스터플랜의 틀을 and the new ways in which we will manage our 로 관통되고 연결되게 하고자 한다.
worldwide. 제시하고자 한다. 그 틀은 유기적인 것으로, 전통과 현 shared public spaces. These changes require a
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서울 특유의 지리학적·물리적 상 shift in the ways we urban-plan, and they need 방법과 방식
Objectives 황인 산길, 계곡길, 물길, 바람길 등의 끊어진 맥을 다시 이음 a transition to becoming sustainable and high-
으로써 장기적으로는 100년 후 하나의 흐름을 가지는 ‘ 친 환 efficiency cities. A high-efficiency city is, at its core, 그 마스터플랜은 고정된 하나의 완성적 계획이기보다는
The 4th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 n d 경 고밀도시 서 울 ’ 을 위한 것이다. about enhanc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n 앞으로의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에 유연히
Urbanism with the theme of “Land Urbanism, Land this sense, requires every one of us to change the 대 처 하 고 보 완 되 어 갈 수 있 는 부 드 러운 구조( s o ft
Architecture: Seoul 100-year Masterplan”, will 현재 서울은 단순한 지역지구(zoning) 규제와 지구단위계획 way we live. structure)여야 할 것이다.
propos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Seoul 또는 비교적 단기의 도시계획 등에 의해 건축되고 만들
over the next century. This framework will be an 어지고 있어 이대로는 도시의 전체적 균형과 조화를 기대 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exploring 이번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열리기까지 2년이 채 남지
organic means by which we connect tradition with 하기 어려우며 단기적 변화에 함몰되어 혼란이 가중되 solutions that reduce the discontinuities a n d 않은 시점에서 서울의 모든 부분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만
contemporary times and the future and reconnect 고 있다. 한편,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체계와 주차장, clashes that result from differences in the floor area 들기란 불가능하다. 더욱이 그러한 계획은 앞으로의 도시 환
severed mountain ranges, waterways, and wind 공용공간 등의 급격한 변화는 새로운 도시운용 시스템과 ratio (FAR) cap between zones. The plan will create 경 변화에 유연히 대처하기도 힘들다. 때문에 우리가 고민
breezes. These features, which are geographical 고효율 도시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동시에 삶 an organic interface between the natural and built 하고자 하는 마스터플랜은 서울(도시)의 100년을 내다
and physical conditions specific to Seoul, will allow 의 질 개선과 궁극적으로 자연과 자원을 보다 잘 활용하 environment and solutions to design buildings that 보고 추구해야 할 공동적 가치를 찾고 서서히 변화해갈 수 있
for the continued restoration of transforming Seoul 는 방향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이번 비엔날레를 follow the flow of mountain ranges. The masterplan 는 ‘ 부 드 러 운 구조(soft st ru ct u r e)’ 의 유기적 마스터
into an eco-friendly, high-density smart city. 통해 도시의 발전과 계획 등의 좌표가 될 수 있도록 서울의 will consider more minor details such as heights 플랜이 되어야 한다.
100년 후를 그리는 마스터플랜의 가치를 and appearances of buildings, ensuring that they

Gwanghwamun Yukjo Street 광화문 육조거리 전경 Gwanghwamun Square 광화문 광장 Biennale Space: Song Hyun-dong 비엔날레 장소: 송현동
around 1900 1900년경 around 1970 1970년경 BCHO Partners 조병수건축연구소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9


blend harmoniously with the surrounding settings.
The 2023 Biennale will be an opportunity, albeit
belated, to reflect up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framework through a 100-year masterplan Type A 유형 A
Hangang Riverside parks along Olympic-daero &
for the city of Seoul. The proposal may serve as a
Gangbyeonbuk-ro
guideline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덮는 한강변 공원

Method and approach

The master plan should not be an overly definite


Type B 유형 B
plan that is fixed once and for all. Instead, it will
0.5~2km wide footbridge architecture of a new city: connecting
be a plan with a “soft” structure that could flexibly Olympic-daero and Gangbyeonbuk-ro
폭 0.1~2km 한강 상부의 새로운 브릿지 도시 건축: 올림픽대로와 강변북
adjust according to changes in Seoul’s economic,
로의 연결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Due to the time constraint of fewer than two years


remaining before the 2023 biennale, it would be
impossible for the masterplan to cover all areas
of Seoul. Additionally, a plan covering every
Type C 유형 C
part of Seoul would be much too rigid to allow Multiple layered green hill city/architecture
다층화 녹화 언덕 도시건축
for the necessary flexibility needed for the future
requirements of the city and its constantly evolving
environment. We, therefore, intend to create a
broad framework with a horizon of the next 100
years that has a soft structure - pliable enough to
permit gradual adjustments.
concrete ways in which we can maximize the 이를 위해 도시 환경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충돌들의 유
Type D 유형 D
The unified urban landscape, considering nature and skyline potential of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형별 예시를 추려내고 각 지역의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This broad framework will include a selection of 자연 합일적 스카이라인과 도시경관/ 정체성 찾기
modern structures, places, and buildings. These 있는 구체적 샘플안들을 제시하여 서울의 100년 후 마스
examples of currently discordant urban elements,
solutions and case studies will be the foundation for 터플랜의 좌표가 될만한 밑그림을 그려 나갈 것이다. 우선
organized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framework
the 100-year plan. The direction of this master plan 도심 근교의 산의 흐름, 한강과 그 지류의 흐름들을 축으로
will provide practical and feasible solutions to
will not negate nor replace existing frameworks, 하여 4대문안과 외곽의 각 지역별 충돌 및 문제들을 유형별
restore (or create) harmony in the city’s future. The
studies or strategies that have been published 로 정리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한 도시적 관점에서의 훌륭한
solutions for individual zones and neighbourhoods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Korea Planning 해법 뿐 아니라 건축적으로도 땅의 흐름을 스마트하게
of the city shall come together to form a blueprint Type E 유형 E
Association and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활용하는 창의적인 제안을 통해 구체적 해결 가능성을 들여
Connecting to the ecological green space axis towards
for the masterplan of Seoul. Using the Seochon
city(regenerating of existing buildings in central commercial Instead, these new plans will push existing ideas 다보고자 한다. 이는 실제의 장소, 구조물, 건물 등을 정하
mountain ran ge a n d Han River (plus their areas)
further while adding new perspectives. 여 문제점과 잠재력을 따져보고 창의적 방안들을 찾아가
도심 속 생태 녹지 축으로 연결 (중심상업지의 기존건축물 일부 존치 및 재
surrounding features) as the principal axes, we will
생방안) 는 구체적인 제안들이 될 것이다.
be able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different
The Seoul 100-year masterplan will reflect the
types of incongruous elements and problematic
perspectives of the 2023 Biennale’s participating 그 구체적 제안들과 case study들은 전체 서울 100년 마
aspects in each neighbourhood of Seoul (including
architects and urban planners. Their thoughts 스터플랜의 큰 틀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all areas within and outside the city’s four gates).
and ideas will be essential building blocks of this 이는 또한 건축가와 도시설계자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창의적
organic framework. The 4th Biennale will also draw 이고 구체적인 제안으로 ‘ 땅 의 도시, 땅의 건 축 ’ 서울을
Con crete solutions will then be explored for Type F 유형 F
on research condu cted by the previous three 완성해가는 장기적 접근방식과 유기적 마스터플랜의 밑거
Studies on housing types: new high-rise green open housing
different urban design issues through case studies
주거 유형 연구: 새로운 고밀 녹색 열린 주거 biennales - “Shared City”, “Collective City”, and 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서울 뿐 아니라 전 세계
and research. The solutions will be innovative and
Masterplan (6 Types) 마스터플랜전 (6가지 유형)
“Crossroads: Building the Resilient City”. Each new 여러 도시들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데에도 유용한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11


event may build upon the accomplishments of 제안들이 되기를 희망한다. 4th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제 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these past events. Research and exhibition topics
will be a continual exploration of the previous 또한 이번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서는 지난 제1회 ‘ Land Architecture 땅의 건축
years’ biennales. 공 유 도 시 ’ , 제2회 ‘ 집 합 도 시 ’ , 제3회 ‘크로스로드,
어떤 도시에 살 것 인 가 ’ 라는 주제로 나누었던 여러 논 An essay by Byoung Soo Cho (General director) 조병수 (총감독) 에세이
Given that the theme of the 4th Biennale is an eco- 의에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전시할 계획이다. 이번
friendly masterplan for Seoul, exhibitions will be 비엔날레의 주제가 ‘ 땅 의 도시, 땅의 건축 : 산길, 물길, Architecture towards the earth is the story of
designed to provide visitors with a direct, first-hand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후를 그 리 다 ’ 인만큼 서울의 my belief in the earth, and how that belief has
experi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Guests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산길, 물길, 바람길을 관객이 직 influenced my practice in sustainable architecture.
will be invited to explore, observe, and learn 접 체험하고 학습하여 새로이 경험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 I would like to tell this story by looking at the
about mountain ranges, waterways, and wind 고자 한다. 그리하여 서울이 친환경과 유기성(pro- structures I have built: the Earth House, the In-Earth
breezes that run along the central axis of Seoul environmental sustainability)을 기반으로 계획된 독특한 meditation House, the Concrete Box House and
House in the Earth, House towards the Earth/ Byoung Soo Cho, Page 8-28
via Songhyeon-dong. The exhibitions will enable 미래의 도시임을 알리고, 이런 특성을 이어가는 것이 중 the Tilted Roof House. Additionally, I would also like 땅속의 집, 땅으로의 집/ 조병수, 8-28쪽

Koreans and international visitors to discover 요함을 한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방문객들도 체험하고 깨 to explore my architectural practice in more depth
that Seoul is a unique city, being planned with 달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by looking at more experimental pieces, such as
specific attention given to sustainability. The 4th the installation piece entitled Reply (2015) which
Biennale hopes to inspire visitors and spectators was exhibited in the Seoul Museum, The Kim Swoo
to be ecologically aware, sustainably minded Geun Culture Award Winner (2011), my graduate
and planning for cities while also reflecting on the thesis and skull drawings, which dealt with the idea
legacy of Seoul and Korea’s ancestors. of the earth as embryonic, and which are closer to
the original essence of my work in their substance.

My vision of a house that is of the earth begins


Jipyoung-zip 지평집, 2018
with the idea of the earth as a silent and enduring BCHO Partners 조병수건축연구소

existence. While never having been born itself, it


gives birth to many other lives. Created without
life it is eternal and silently witnesses the deaths of
those to which it gives birth. Any explanation or
understanding of the earth must be reached by
connecting it to the infinite number of other stories
about the earth.

The story of the earth is the story of the sky that


we gaze up at from the earth, it is the story of the Temppeliaukio Church 템펠리아우키오 교회
Timo & Tuomo Suomalainen 티모 & 투오모 수오말라이넨
breeze that plays over the earth, the story of the
could that passes over terrain leaving the earth
in its wake, the story of rain, the susurrations of
people’s chatter, the birth of creatures, great
and small, and it is the story of all of this and the
architecture that it sustains.

These stories cannot be told in isolation separate


from the earth, as they speak of us and our
history, of ourselves, those who live intertwined
Ho Chi Minh FPT University 호치민 FPT 대학교
and enmeshed with one another. This story is as Vo Trong Nghia Architects 보 트롱 니야 아키텍츠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13


땅으로의 건축 이야기는 땅에 대한 나의 신념과 그로부터 출
발하는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한 나의 함축적인 이야기다. 나
는 이 이야기를 내가 그간 만든 땅집, 땅속 명상집, ㅁ자
집, 꺾인 지붕집 등과 함께 들여다보고자 한다. 그리고 서울
미술관에서 전시한 작품 ‘ 응 ’ ( 2 0 1 5 ) , 김수근 문화상 수상
작 전시작(2011), 태어나지 않은 땅에 대한 생각을 담은 졸
업논문과 해골 그림처럼 나의 건축을 만들고 지탱하는데 더
욱 본질적인 요소가 되는 실험적 작업들을 통해 좀 더 깊
이 있게 이야기하려고 한다.
Villa Vals 빌라 발스 Igualada Cemetery 이구알라다 묘지
Bjarne Mastenbroek & Christian Müller 비야른 마스텐브로크 & 크리스티안 뮐러 Enric Miralles & Estudio Carme Pinos 엔릭 미랄레스 이스튜디오 카르메 피노스
땅으로부터 출발하는 집에 대한 나의 생각은 땅의 태어나지
않음, 즉 땅의 묵묵한 존재감에서 시작한다. 비록 하나의 생
명으로 탄생하지는 못했지만 다른 생명을 잉태하는 땅, 생
명으로 탄생하지 않아 영원히 존재하며 잉태한 생명의 삶
과 죽음을 묵묵히 지켜보는 땅, 이러한 땅의 본질은 무수
히 많은 땅 이외의 것들과 연계되어 이야기될 때 설명될
수 있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땅 이야기는 땅에서 올려다본 하늘의 이야기이고,


땅을 스치며 일어난 바람의 이야기이며, 땅을 배경으로 빠
르게 흘러가는 구름의 이야기이며, 빗물의 이야기이고, 사
Yokohama International Port Terminal 요코하마 터미널 람들이 떠들어대는 소리의 이야기이며, 만물이 소생하는 잉 Rock-Hewn Churches 땅속교회
Foreign Office Architects King Lalibela 랄리벨라 왕
태의 이야기이면서,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한 이야기인 것
이다.

그 이야기들은 땅에서 떼어놓을 수 없고, 떼어놓을 수 없는


서로를 부둥켜안고 뒤엉켜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그 이야기들은 넓고 넓은 우주만큼 방대해서 내가 어떻게 관
찰하고 설명하려 해도 부족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시
간에 따라, 시대에 따라, 장소에 따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
람들의 문화마다 제각각 다르게 이해되고 이야기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내가 지은 건물 몇 개와 그 외

Bruder Klaus Field Chapel 브루더 클라우스 필드 채플


작업들을 들여다보며 땅에 대한 나의 신념과 지속가능한
Peter Zumthor 페터 춤토르
건축에 대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짚어보았다. Cyber-Urban Metaverse City 사이버 메타버스도시
Zaha Hadid Architects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wide as the universe, however many methods of
exploration I employ, I will always fall short. It is a
story that differs depending on the time, the ear,
the place, on the natives and their culture, and so
here I hope to look specifically at some examples
of buildings I have built and at some of my other
work in order to talk about my commitment
to the earth about my practice of sustainable
architecture.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15


BIENNALE SPACE : 비엔날레 장소:
SONG HYUN-DONG 송현동 Gyeongbokgung Palace

Suitability of Land 땅의 적합성 경복궁

Songhyeon-dong is located in the centre of Korean 송현동은 경복궁과 북악산, 인왕산 등을 잇는 대한민국
Song Hyun-Dong(Biennale Main Site)
history and culture, connecting Gyeongbokgung 역사문화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 어 , 서울 100
Pal ace, Bukaksan Mountain, and Inwangsan 년 마스터플랜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는 제4회 비엔날레 송현동

Mountain. It makes the 4th Biennale suitable 의 장소로 적합합니다. 이 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은 서울의
to present the framework of Seoul 100-year 원풍경을 바라보며, 비엔날레 주제와 연관하여 도시를 더욱
masterplan. Citizens visiting this place will be able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to see the original scenery of Seoul and understand
the city better in connection with the theme of the
Biennale.

Inwang Mountain
Bukak Mountain
Gyeongbokgung Palace
인왕산
북악산
경복궁

Song Hyun-Dong(Biennale Main Site)

송현동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17


EARTH PROJECT 땅 소(所)
Expreience Earth Project 천연고도 땅의 체험
A low exhibition space toward Bukak Mountain 북악산을 향해 낮게 내려앉은 전시공간
The panoramic view of Bukaksan Mountain, which 높은 담벼락을 지나 송현동 대지에 진입하며 바라보이는
passes through the high wall and enters the land 북악산 전경은 서울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of Songhyeon-dong, symbolises the history of 이 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은 낮게 내려앉은 대지를 오르 내
Seoul. Citizens visiting this place will continuously 리며, 서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속적으로 경험하게 될
experience Seoul's past, present, and future as 것입니다.
they go up and down the low-lying land. Visitors will 경사를 따라 3M 아래로 내려가 조선시대의 지반층을 경
experience the Joseon Dynasty's ground layer, the 험할 수 있습니다. 즉, 땅의 기운을 느끼고 지표면 너머로 보
3M downslope. In other words, they can feel the 이는 서울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land's energy and appreciate Seoul's view beyond
the surface.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21


SKY PROJECT 하늘 소(所)
EXPERIENCE SKY PROJECT 축의 계단
As an exhibition of the city's relationship a n d 도시의 관계성과 흐름을 보여주는 전시로써 지상 12M 높
flow, visitors can enjoy the nature of Seoul and its 이에 이르는 동안 주변 서울의 경관과 어우러진 자연을 감상
surrounding by reaching 12M in height. 할 수 있습니다.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SCAFFOLDING STRUCTURE 비계구조
Scaffolding structure, which is easy to assemble, 비계구조는 조립, 해체, 확장, 축소가 용이하기 때문에 비
dismantle, expand, and reduce in scale, is a 엔날레 공간을 임시로 건축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또한, 해
suitable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ily 체된 구조는 다른 지역이나 부지에서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
building biennale spaces. It is expected to b e 문에 경제적 활용이 기대된다.
economically utilized during dismantling, such as
recycling in other or rural areas.
If the Songhyeon-dong site, which has been closed 오랫동안 사유지로 닫혀있던 높은 담장 안의 송현동 부지가
for a long as it was private property, is opened to 비엔날레를 계기로 시민들에게 개방되면, 여러가지 행위를
citizens because of the biennale, it will act as a 유발하고 도시에 활력을 부여하는 삶의 배경으로서의 공
public domain, the life background that provokes 공영역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various activities and vitalises the city.
THEMATIC 주제전
Theme Part 2 by Cho Byoung Soo 두 번째 주제 - 조병수
‘Land Architecture’ ‘땅의 건축’

EXHIBITION Th e the me o f ‘ La n d Urb a n ism’ a n d ‘ La n d Part Two는 ‘ 땅 의 도시, 땅의 건 축 ’ 이 란 주제 자체를 깊


이있게 설명하며 ‘ 땅 의 건 축 ’ 의 국내외 사례 전시이다.
‘Land Architecture, ‘ 땅 의 도시, Architecture’ will be explained and exhibited
in-depth wi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한국인의 자연관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진
Land Urbanism’ 땅의 건 축 ’ precedents in Part 2 Exhibition. 화되어 왔는지 들여다보며, 진정한 자연도시 ‘ 땅 의
It examines how Koreans’ perspectives of nature 도시, 땅의 건축’으로써의 미래도시에 대한 당위성과 절
have been changed and evolved, and it specifies 박함을 짚어본다. 그리고 또한 서양사회의 자연관(Neo
Theme Part 1 by Cheon Eui-young 첫 번째 주제 - 천의영
the legitimacy and urgency of Future city as a valid Romanticism)과 도시 발전, 건축의 방향, 미래도시에 대한
‘Land Urbanism’ ‘땅의 도시’
natural city ‘Land Urbanism, Land Architecture’. 비전 등을 살펴보고 ‘ 미 래 100년 서울 도시계획’에서 제
Furthermore, it compares, reviews, and reveals the 시하고자 하는 땅의 건축 방향과 비교, 검토, 발표한다. 글과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cedents of the ‘ 땅 의 도시, 땅의 건 축 ’ 이란 주제에 맞는(주제글 참조)
architectural direction of Land presented in Seoul 더불어 컨셉 드로잉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작가 및 학
past 20 years are curated according to the theme 지난 20년간의 국내외 사례 위주로 큐레이팅하여 전시한다.
100 years masterplan, exploring Neo-Romanticism 자 등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대의 한국 자연관을 들여
of ‘Land Urbanism, Land Architecture’. 각각의 사례들은 도시설계적 차원의 프로젝트들로 주제의
of Western society, urban development, the trend 다볼 기회를 만들고 동영상 등으로 제작하여 전시한다. 또,
Each precedent will be an urban design project, 큰 틀에 부합하여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보여주는 전시가 되
of architecture and the vision of future cities. 역사 속의 건축뿐 아니라 시조, 음악, 미술 등의 구체적 예
showing its possibilities and be exhibited with six 도록 하며, ‘ 미 래 1 0 0 년 서울 마스터플랜’전의 여섯 개
Not only writings and concept drawings but also 시를 통해 일반인들도 쉽고,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types of Seoul 100 years Masterplan Exhibition. 의 소주제들과 비교하여 적합하게 전시·기획한다.
interviews with artists and experts of various fields 다.
Through Theme Part 1, it will help understand 본 전시(Part One)을 통해 주제의 방향에 입각하여 국내 실
will be conducted to create opportunities for the
the theme of ‘Land Urbanism’ and be used as 정에 맞는 실례를 보여주고, 분석함으로써 ‘ 땅 의 도
contemporary Koreans’ perspectives of nature.
a reference in completing the master plan by 시 ’ 라 는 주제의 이해를 돕고 마스터플랜을 완성해 가는
These will be produced in videos and played in the
demonstrating and analysing the suitable domestic 데 있어서도 참고 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 이렇게 Part
exhibition.
examples. In Part 1 Exhibition, urban designers, One 전시에서는 도시설계자, 건축가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
Moreover, visitors can easily understand the history
architects, a n d even general visitors c ou l d 도 전시를 통해 주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기준성을 실질적으
of architecture, Sijo (Korean traditional poetic
understand the theme and experience the theme 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form), music and art through the suggested
directly.
examples.

Korean Movie: Seooyeonje 한국 영화: 서편제 Cross-sectional view of Soswaewon Garden 소쇄원 단면도
Im Kwon Taek, 1993 임권택, 1993 Damyang, Jeollanamdo 담양, 전라남도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29


Seoul 100-year 서울 100년
MASTERPLAN 마스터플랜전
EXHIBITION
What is the identity of Seoul? Seoul was designed ‘서울’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 서 울 ’ 은 산과 강,
initially with careful attention to surrounding 바람의 흐름을 고려한 도시구조로 이루어졌으나 점차
mountain ranges, waterways, and wind breezes. 경제성과 물질가치와 효율성 위주의 도시개발로 인해
However, after nearly a half-century of urban 자연의 활용보다는 차단으로 그리고 자연경관 또한 훼
development, dictated mainly by ec on omi c 손되고 가려지게 되면서 서울의 고유한 장소적 특성이 사
considerations, materialistic values, and efficiency, 라지게 되었다. 오히려 들쑥날쑥한 건물들은 인근의 자연
much of Seoul’s original characteristics as a place 경관을 해치고 있으며 ‘ 도 시 경 관 ’ 이 라 는 단어가 무색
Jongmyo, Korea’s Ancient Architecture Case 종묘, 한국의 고대 건축 사례 have been lost. Nature is kept at bay rather than 할 정도로 전체적 경관의 일관성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를
being made use of, and the natural landscape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Platform을 계획하여 자연과 어우러
has been degraded and blocked out of view. 질 수 있도록 도시경관을 계획함과 동시에 단절되어 있는 도
Buildings of uneven heights disrupt the surrounding 심의 자연 요소들을 연결하여 그린네트워크를 연결 및 확장
landscape. The city sorely lacks visual unity and 한다면 ‘ 서 울 ’ 만 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도
cohesion, with no real “cityscape” to speak of. 시로 재탄생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앞으로
What Seoul need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is 의 AI기반 자동차와 UIM 기반의 교통 시스템을 살려 나감과
a whole new design platform. By restoring harmony 동시에 산과 강을 잇는 보행자 중심의 녹지축을 만들어 나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building and 갈 수 있을 것이다.
expanding a green network by reconnecting
isolated natural elements across the urban centre,
Seoul c a n recover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be the ecological capital it used to be.
Furthermore, such a new design platform c a n
help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AI-enabled cars
and a UIM-based transportation system while also
contributing to creating pedestrian-friendly green
corridors connecting mountains and rivers.

Top - Mong Yu Do Won Do/ Angyeon 위 - 몽유도원도 ( 夢 遊 桃 園 圖 )/ 안견


Bottom – Dongkwoldo, depicting the two royal palaces, Changdeokgung and 아래 - 동궐도, 조선시대의 창덕궁과 창경궁을 묘사 (19세기 초기 한국화)
Changgyeonggung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painting of the early 19th
century)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31


SEOUL 100-YEAR MASTERPLAN EXHIBITION
서울 100년 마스터플랜전 Type A 유형 A
Hangang Riverside parks along Olympic-daero &
Gangbyeonbuk-ro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덮는 한강변 공원

Type B 유형 B
0.5~2km wide footbridge architecture of a new city: connecting
Olympic-daero and Gangbyeonbuk-ro
폭 0.1~2km 한강 상부의 새로운 브릿지 도시 건축: 올림픽대로와 강변북
로의 연결

Type C 유형 C
Multiple layered green hill city/architecture
다층화 녹화 언덕 도시건축

Type D 유형 D
The unified urban landscape, considering nature and skyline
자연 합일적 스카이라인과 도시경관/ 정체성 찾기

Type E 유형 E
Connecting to the ecological green space axis towards
city(regenerating of existing buildings in central commercial
areas)
도심 속 생태 녹지 축으로 연결 (중심상업지의 기존건축물 일부 존치 및 재
생방안)

Type F 유형 F
Studies on housing types: new high-rise green open housing
주거 유형 연구: 새로운 고밀 녹색 열린 주거
유형 A.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를 덮는 한강변 공원 유형 B . 폭 0.5~2km 한강 상부의 새로운 브릿지 도시건축: 올림픽대로와
Type A. H a n g a n g Riverside Parks a l o n g O l y m p i c - d a e r o / 강변북로의 연결
Gangbyeonbuk-ro Type B: 0.5~2Km wide Footbridge Architecture of a New City:
connecting Olympic-daero and Gangbyeonbuk-ro

한강변에 인접한 주거 및 상업지역과 연계하여 강변도로를 덮어 도심과 한강변 공원의 연결을 제안한다. 공원녹지 확충을 우리는 한강을 새로운 지형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한강 위에 제안하는 Bridge 건축은 보행교이자 그 자체로 거주하는

통해 단절된 한강변 녹지 네트워크를 개선할 수 있으며, 한강 주변으로 조성된 서울의 주요 숲길, 한양 도성길 등과 한강 물길 새로운 도시이다. 이러한 브릿지 도시건축은 보행과 자전거를 위한 도로와 광장, 주거와 상업, 문화가 복합된 열린 도시로 계

의 단절 구간을 녹음길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공원의 다층화를 통한 유기적 연결은 문화, 공공. 업무. 상업 등의 활 획될 것이다. 한강 위의 부유하는 새로운 지형은 거대한 한강에 스케일감을 부여하고, 서울의 남과 북, 북악산과 관악산의

동을 극대화 하며. 도시의 공공 장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녹지축을 연결하여 공공성을 확대하는 인프라 스트럭쳐로 작동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oposal is a riverside park covering Olympic-daero or Ganbyeonbuk-ro near the residential and We consider Hangang as new terrain. The bridge architecture proposed on the Hangang is not only a pedestrian
bridge but also a new city itself. This new city-footbridge architecture will be planned as an open city with a
commercial areas adjacent to Hangang. The Hangang Greenery Network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ublic, commercial, residential, and cultural areas. The floating new terrain is expected to deliver
expansion of the park greenery, and the disconnection of the Hangang waterway can be connected
a sense of scale over the Hangang and to operate as infrastructure that can expand the public realm by connecting
to the main forest roads of Seoul and Hanyang Doseong-gil. The organic connection through the multi-
the green axis from Seoul’s South to North, from Bukaksan to Gwanaksan.
layered covered park will maximize public, commer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s well as being used as a
public place in the city.

Seattle Art Museum: Olympic Sculpture Park 시애틀 아트 뮤지엄: 올림픽 조각 공원 11th Street Bridge Park 11th 스트리트 브릿지 공원
Weiss/ Manfredi 와이스 앤 맨프레디 OMA +OLIN 오엠에이 + 올린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35


유형 C . 다층화 녹화 언덕 도시/건축 유형 D. 자연 합일적 스카이라인과 도시경관/ 정체성 찾기
Type C. Multiple Layered Green Hill City/Architecture Type D. The Unified Urban Landscape, considering Nature and Skyline

서울의 구릉 주거지는 도시의 골격과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도시 취락구조가 어우러져 서울 고유의 주거지 경관을 접할 용도/ 지역지구의 건폐율 및 용적률에 의해 규모나 건물의 높낮이가 급격하게 변함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 개선한
수 있는 지역이다. 자생적으로 형성된 주거지의 특성상 열악한 기반시설과 주택 여건, 과도한 지형 훼손 등의 문제와 전면 철 다. 한강 강변의 건물들과 서울의 자연환경이 자연 합일적으로 발전되어 더 나은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며 훼손된 시각회랑을
거에 따른 기존 도시구조 및 커뮤니티 파괴 등의 문제로 새로운 정비방식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구릉 주거 확보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지를 위한 다층화 녹화 언덕도시/건축은 서울의 산과 도시의 녹지를 연결하는 새로운 제안이다. 기존의 부지 레벨보다 살짝 Current building coverage ratio and floor area ratio codes result in dramatic and discordant changes in building
들어 올려진 플랫폼 하부로는 차로와 주차 공간이 주를 이루고, 상부의 새로운 완충 녹지공간은 주거, 상업, 오피스와 같은 서 heights and volumes, and the proposal is to fix the issues in these zoning districts along the Hangang. The buildings on

로 다른 프로그램을 담은 건축물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스케일로 결합한다. 이로써 서울의 원지형인 산지와 난개발된 the Hanga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Seoul will be developed together, forming a more harmonious skyline

도시 사이의 불연속성의 보완을 기대한다. and securing damaged visual corridors.

The hilly residential area in Seoul is an area where you can see the unique residential landscape of Seoul. As these
residential areas are naturally formed, they face problems: poor infrastructure and housing conditions, excessive
topography damage, and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community destruction. To solve these, the need for new city
maintenance methods is growing. The multi-layered greening hill city/architecture for this residential area is a new
proposal that connects the mountains of Seoul with the green networks of the city. The lower part of the platform,
which is slightly lifted up from the existing site level, is mainly made up of vehicular roads and parking spaces. The
new buffer green space in the upper part combines buildings with different programs such as housing, commerce,
and offic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is is expected to resolve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mountainous areas of Seoul and the underdeveloped neighborhoods.

Marcel Sembat High School 마르셀 셈바트 고등학교 San Francisco Skyline 샌프란시스코 스카이라인
Archi5 아키파이브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37


유형 E. 도심 속 생태 녹지 축으로 연결 (중심상업지의 기존건축물 일부 존치 및 유형 F . 주거 유형 연구: 새로운 고밀 녹색 열린 주거
재생방안) Type F. Studies on Housing Types: New High-Rise Green Open Housing
Type E. Connecting to the Ecological Green Space Axis towards City

(Regeneration of Existing Buildings in Central Commercial Areas)

과거 부득이하게 지어진 건물의 활용도가 점차 감소하고 노후화되면서 인근 지역에 슬럼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 서울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에 고층아파트를 이용한 고밀도 개발을 추진해왔다. 이로 인해, 서울의 고층아파트 대
기 위해 중심상업지역의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주변지역을 녹지 축으로 연결하고 동선을 분리하여 보다 안전하고 활기찬 도 부분은 주변과의 연계보다는 독립된 단지로 계획되어 주거지 간의 단절과 함께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녹지의 다층
시로 변모할 가능성을 기대한다. 화를 통해, 도로/주차공간 등의 공공시설 및 상업 시설을 확대하고 사적, 공적 공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고려하며 새로운
As buildings in a historic neighborhood inevitably decay and become dilapidated, the character and 유형의 고밀 녹색 주거를 제시한다.
quality of the neighborhood declines as well. Using the existing buildings in central commercial areas, we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in Seoul, high-density development has been promoted in the
hope to connect the surroundings to the multilayered ecological green space axis and to organically city center. As a result, most of the high-rise apartments in Seoul are planned as independent
operate the green space platform through the city. complexes rather than connecting with the surroundings, causing many problems along with the
disconnec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Through multilayered green spaces, public and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roads/parking spaces are expanded, and new types of high-rise green open housing
are presented that express an organic linkage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Seun District #4 Urban Redevelopmet Housing 세운지구 #4 도시 재개발 공모 Qianhai Huaqiang Group Headquarter & Housing Complex
BCHO Partners 조병수건축연구소 JKP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39


게스트시티전 현장프로젝트
GUEST CITIES EXHIBITION ON-SITE PROJECT
게스트시티 전시는 ‘ M A N - M A D E ’ 와 ‘ L A N D - M A D E ’ 를 주제로 자연을 바라보는 세계 도시의 인식의 차이와 이를 현장프로젝트는 2023 서울도시비엔날레의 개최지 송현동 부지가 야외 전시장으로서 갖는 전시 방식의 특수성과 환경적인
통해 만들어낸 도시의 작동 원리를 살펴본다. 날씨 변화에 따른 주변과의 상호 작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도시의 환경은 자연이 만들어낸 지형과 땅의 형상, 인공 자연과 구축된 인공 환경을 모두 아우른다. 여기서 땅을 바라보는 인 현장프로젝트는 송현동 부지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엮으며 동선을 안내하고, 동시에 독립적인 체험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
식과 태도의 차이는 각기 다른 도시의 작동 원리를 만들고,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각기 다른 제도와 우선순위, 법규를 는 건축적 장치를 배치할 계획이다. 건축적 장치를 통해 땅과 하늘, 물, 바람 등을 직.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하
만든다. 자연은 극복해야 할 위협의 대상인가, 공존의 대상인가? 땅의 영역은 인식을 통한 구분인가, 물리적 구분인가? 자 고, 야외 부지의 특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연계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하고자 한다.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본은 욕망의 발현을 넘어 분배의 방식이 될 수 있을까? 재난은 도시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023 서울도시건축비 활용하는 장소가 도시나 건축의 스케일이 아닌, 사람의 신체와 밀접한 디멘션(dimension)의 공간으로 촉각적 경험을 유
엔날레 게스트시티 전시는 땅에 대한 이해를 도시의 건조 환경에 대한 관점과 태도로 확장하여, 지형, 자원, 자본, 밀도, 법규, 도할 것이다.
재난 등 도시에 우선하여 작동하는 원리를 탐색하고 각 도시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지를 살펴보는 가이드가 될 것 The on-site project proposes a program that can actively reflect and experience the interaction with its
이다. surroundings by the specialty of the exhibition method and environmental weather change in Song Hyun-
The guest cities exhibition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ld city looking at nature dong site; an outdoor exhibition.
with the theme of 'MAN-MADE' and 'LAND-MADE' an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ity created through The on-site project plans to arrange the entire Songhyun-dong site into a single space, guide the
it. circulation, and at the same time arrange an architectural device that can serve as an independent
The environment of the city encompasses the terrain created by nature, the shape of the land and the experience space. Through the architectural devi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round, sky, water,
artificial nature, the built environment.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s the wind, etc., we will provide an indirect experience and develop a linkage program so that visitor can
land creates different principles of operation for different cities, and thus different systems, priorities, and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ites more actively. The place where citizens interface with
laws that solve urban problems. Is nature a threat to overcome or a neighbor with which to coexist? Is the project directly will induce tactile experience as a space of dimension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the realm of land the distinction through recognition or physical distinction? Can capital be a way of body, not the scale of the city or architecture.
distribution beyond the expression of desire? How does disaster affect the survival of the city? The 2023
Seoul Biennale: Guest Cities Exhibition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andscap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built environment and be a guide to the exploration of the principles that underpin all cities:
topography, resources, capital, density, laws and disasters, and each city’s problem-solving strategies.

글로벌스튜디오전
GLOBAL STUDIOS
세계 각국의 언론을 통해 매일같이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전해오는 이 시대에 건축적 문제는 학생들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
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나누는 플랫폼으로 역할 할 수 있다.
2023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글로벌 스튜디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전 세계의 학생들과 ‘ 친 환 경 한강 브릿지 설
계 ’ 를 진행하여, 지속 가능하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미래의 메가시티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세가지 타입의 '친환
경' 다리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글로벌 스튜디오는 서울의 발전을 위한 잠재적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 world with conflicts daily presented in medias worldwide, it is important that architectural issues
can be a meeting point for young students to formulate positive ideas for a future sustainable global
development.
Global Studio Exhibition will invite young students worldwide with all thei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meet in a forum to discuss and come up with new proposals of how to develop future mega-cities in a
sustainable and human way - exemplified in inventive green bridge designs. Student will come up with
interesting future designs of three sustainable ‘green’ bridges, that complements the potential overall
future green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eoul city.
Korean Movie: Seooyeonje 한국 영화: 서편제
Im Kwon Taek, 1993 임권택, 1993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