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00168 김주언 01 통한개 12주차보고서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

21800168_김주언_01_통한개_12 주차보고서

동북아 국제질서에서 바라본 한반도 통일

마민호 교수

북한의 김정은, 중국의 시진핑, 우리나라의 박근혜, 미국의 오바마, 러시아의 푸틴, 일본의 아베
총리가 집권했다. 즉, 국제정세의 중요한 전환점이 2012 년이다.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등 다양한 정세 변화가 있었다. 일본과 중국, 한국과 일본 등 다양한 국제사회의 역사적
대립이 있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패권 전쟁은 나토와 러시아의 대립구도로 볼 수도 있는
굉장히 심각한 부분이다. 인간은 피투성(被投性)의 존재로, 신이 이 땅으로 보낸 것이다. 다시 말해,
목적성을 갖고 이 세상을 살고 있으며, 세상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 국가, 통일, 평화,
국제관계 등 국가적인 문제를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 명의 크리스찬으로써, 우리는 세계에
일어나는 이슈들을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재 해석이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분단된 이후 개화, 광복, 건국의 시기를 거치고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이
이루어졌고, 민주화, 복지화가 진행되었다. 그렇다면 그 이후에 우리가 해결해야할 임무는 무엇인가.
우리 세대에서 이뤄야 할 것은 ‘선진화’일 것이다. 경제나 과학기술은 발전했을 지 몰라도, 시민의식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우리는 북한의 핵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야 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통일이 필요하다. 통일은 중요한 문제이다. 통일에 있어서 국제 관계가 완비되어야 한다. 총 4 가지의
국제 관계이다: 남한 차원, 북한 차원, 남북 차원, 국제적 차원.

남한 차원은 남한 내의 좌와 우의 정치, 경제, 사회적 기반의 통일이 필요하기도 하다. 북한 차원에선


북한 주민들과 정권의 변화가 필요하다. 남북 차원에선 상호간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교류와 협력의
채널이 필요하다. 국제적 차원에서는 미국과 중국 같은 주변 강대국의 설득과 동의, 협력이 필요하다.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선 역으로 한반도의 분단과정을 돌아봐야 한다. 한반도의 분단은 미국과 소련이
절반씩 점령하여 강제로 분담되었다. 휴전의 경우도, 미국과 중국의 휴전이지 남북간의 휴전은
아니다. 독일의 통일 사례를 봐도 주변나라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독일 또한 통일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한반도 주위의 국가의 입장에서 지정학적 중요성은 중국의 입장과 일본의 입장에서 볼 수
있다.

한반도의 통일은 주변 국가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대륙세력인 중국과
해양세력인 일본의 비중이 가장 클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는 과거 세계의 중심이자 동북아의
패권국이었지만, 아편전쟁과 청일전쟁으로 인해 중화사상이 무너지고, 패권국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에게 통일은 임해성 반도국으로 중국과 순망치한(脣亡齒寒)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섬나라 일본의 경우에는 오랫동안 대륙 진출을 노리고 있으며 근대화 성공과 대동아 공영권을
확립했지만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경력이 있다. 이러한 일본에게 통일은 대륙과 연결하는 반도국으로
일본의 대륙 진출의 통로를 제공한다.

북한의 정세 변화는 통일을 할 때 직접적으로 맞닥뜨리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12 년에 북한에 등장한 새로운 지도자인 김정은은 중요한 변수이다. 그는 체제 안전을 위해
선군 정치를 하고, 핵개발의 급속한 진전을 주도했다. 2016 년의 4 차 수소탄 실험, 5 차 핵실험과 1
년간 21 차례의 핵, 탄도발사 실험등이 그의 행동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핵개발 완성으로 북한의
태도는 변화하였고, 남북미 정상회담과 같은 자리를 마련함으로 북한이 경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2010 년 전후로 탈북자로 의해 북한 사회 내부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들 속에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 우리는 전략적 투 트랙 전략을 활용해야한다. 우선 서로를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평화적 방법을 모색하는 평화와 통일을 위한 이상주의적
접근이 그 첫번째이고, 핵전쟁을 대비한 시설과 민방위 훈련을 준비하며 북핵에 대응하여 자주
국방과 주권 수호를 위해 노력하는 최악의 상황에 대한 현실주의적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두번째
임무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