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undrisse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마르크스주의 문학

1. 마르크스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문학론


가. 마르크스주의: 생산양식에 관한 일반이론

--> 생산양식(특히,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형성, 전개, 변모, 위기 몇 역할을 공구

나. 사회이론인 마르크스주의는 체계적 문학이론을 남기지 않았으나, 마르크스주의적

논의구조를 문학에 적용한 것이 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이 된다.

--> 사회구조 및 구조변동의 입장에서 문학을 조망하게 된다.

* 마크르스 및 엥겔스가 남긴 문학론도 귀중한 자산으로 활용


1) base/superstrucutre: determination

--> The superstructure rests upon the base.

superstructure = 이데올로기, 법, 국가; the base = 경제관계


1. 특정 사회의 경제적 질서를 지배하는 지배/종속관계가 그 사회의 문화적

삶을 결정.

2. 동시에 상부구조의 상대적 자율성도 인정(1890년의 Engels의 편지)


2) 문학의 위상: 상부구조에 속하지만, 그러나 경제관계의 직접적 지배에서

상대성 자율성을 지녀.

* Marx, Grundrisse: 경제단계의 발전과 문화적 발전 사이의 불균등 있다


(고전 비극의 예)

3) ideology

1. 정의는 여러 가지이나, 대개 다음 세 가지

- a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ideas and experience (against the

material reality)

- the value system that the ruling class holds, to establish


consensus in society

- false consciousness(Engles, not Marx)

2.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및 문학관


(1) 이데올로기 vs 객관적 지식

* fetishism of commodity가 유명한 예이다.

--> 물건의 순환으로 보이지만, 진실은 잉여가치의 착취가 발생하는


지배-피지배관계를 말한다.

(2) 이데올로기는 다음 두 가지 용어와 다시 연결

- reification: 인간관계가 사물관계로 변모되는 과정


- alienation: 노동이 자신이 스스로 생산한 결과로부터 유리되는 과정

2. Lukacs의 반영모델

가. reflection의 개념: 복사와 모사는 기계적 반영에 불과하고, 현실의 참모습을


반영해야
--> a truer, dynamic reflection of reality.
--> give us a form of "intensive Totality“

나. 총체성을 보여주는 형식이란?


1) 전제: 내용이 형식을 결정하고, 내용의 핵심은 Weltanschauung이다
2) 방식: 총체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려면 전형(Type)을 창조해야 한다.
1. average와 typical의 차이
- type = the fusion of the particular + the general
in character/situation
- Waverly is more typical than Bloom
2. the hierarchy of significance(=perspective)
3. 문제는 전형이 담지하려는 총체성의 내용:
--> 부르주와의 몰락 + 사회주의의 승리를 담아야 한다.

다. 예술(=소설)의 위상
1. 완결성: 사회의 파편성에 대항하는 방식
--> 훼손된 세계에서 진정한 가치 추구
2. 루카치의 역사관의 반영: 그리스 시대는 통일된 시대 --> epic
자본주의 시대는 분열/파편화 --> 서사시 대신 소설!
* 문제적 개인 vs 세계사적 개인
라. 루카치의 文學史 비판: 구획 시기의 특성
1) 리얼리즘(Balzac): 지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가장 제대로 반영하는 형식
2) 자연주의(Flaubert, Zola):
- a wealth of details but unsorted individual facts
- ideological deformations of reality: a form of reification
3) 모더니즘(Joyce): an abstract universals

마. 이론적 문제점
1) 작가의 위상
- 리얼리즘의 승리 이론: 형식의 힘과 세계관의 충돌이 불가피
* 루카치의 모더니즘 비판의 역사적 원인: 당대의 파시즘/비이성에 대한
루카치의 혐오로 인해 19세기의 이성적 질서를 희원 --> 1848년 경계 설정
--> Balzac이 위대한 것은 그가 1848년 전에 탄생한 덕분이라면, 작가의
개념설정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2) the legitimacy of his socialist ideal
3) the true picture of reality: contradictory or unified?
--> 이 부분은 아도르노와의 논쟁의 핵심이 된다.
4) 주로 소설론에 치중.

3. 프랑크푸르트 학파: 부정의 부정(Adorno)


가. 사회이론과 문학의 지위

1) The social system is a totality in which all the aspects reflected the

same.
2) 문학/예술은 예외: 전체주의적 지배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이다.

나. 예술 = 실재의 세계에 대한 부정적 지식


1) 예술과 현실의 관계 재론(루카치 비판)

1. Lukacs confused artistic reflection with reality itself.

2. Art does not deal with reality but with consciousness of it.
- Art and reality stan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 This distance gives art a vantage-point from which it can

criticizes reality.

2) <거리잡기>: 예술이 가진 고유의 형식 때문dp 가능해진다.

--> 모든 것은 예술의 형식 속에 녹아들어야 하고, 이 결과 원래의 것과


모양이 달라진다:

* Artist absorbs what he perceives in reality, turns it into an artistic

image.

3) 그 결과 예술은 모순된 현실을 부정할 수 있게 해 준다

1. Art does not give us a knowledge of reality, but it acts within


reality to expose its contradictions.

--> give us a knowledge that negate a reified reality.

* 새로운 생각들이 기존의 범주에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2. Art is ‘essential image of reality than its photographic

reproduction.
--> 주체와 객체의 융합이 일어난다: 그 결과,

--> 현실에 존재하는 모순을 노정한다!

4) 모더니즘에 대한 긍정적 평가
1. Lukacs recognizes only symptoms of decay, but not its power to

reveal.

2. 아도르노는 현실의 재생산이자 동시에 노정이라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마르크스주의 내에 모더니즘 문학을 수용하는 길을 개척.

4. 생산모델 Macherey
가. the idea of Author as Producer, not Creator

1) 작가는 이미 있는 재료를 최종생산물로 변형하는 생산자이다.

- 재료: genre, conventions, language, ideology


- 산물: literary text

2) 그러나, 이 생산과정은 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 그 결과, he is written by language in the act of writing it.

나. 사회적 생산과정으로서의 작품

1) 텍스트의 불완전성
2) 텍스트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지닌다,

* Macherey on Jules Vernes, The Mysterious Island (faulty text)

- 작가는 통일된 텍스트를 생산하려 했지만


- 텍스트 자체 내의 결함으로 작가의 의도는 실패로 귀결되며, 독자는 이

텍스트의 결함을 볼 수 있다.

* Macherey on Balzac, Les Paysans (disparate text)

다. 문학의 이데올로기 효과와 이에 대한 “징후적 독서”

1) 문학은 현실을 그대로 옮길 수 없고, 자신이 생각하는 현실을 옮길 뿐이다


--> 이데올로기!

* ideology = the system of illusory social belief

2) 이데올로기는 문학의 한 구성요소인데, 이때 다른 요소와 결합하면서 변형:


--> 작가는 완결되지 않는 현실을 완결되게 보이려고 노력한다.
--> 이 과정에서 텍스트는 은폐, 과장, 왜곡 등을 하게 된다: 텍스트의 간극!

3) 징후적 독서
1. 정통한 독자는 과학적 지식에 의해 텍스트가 은닉한 것을 투시할 수 있다.

--> 독자는 텍스트가 지니지 못한 ‘이론적 문제틀’(과학적 지식)을 텍스트

분석에 가져와야 한다
--> 이 틀이 바로 맑스주의 이론

2. 문학은 이데올로기를 형상화시키면서 이데올로기임을 노출시킬 수 있다.

--> literature as a midway b/w ideology and theory!

라. 마셔레이의 의의

1) ‘비평 = 일관된 해석’이라는 등식을 거부


- 일반적 비평은 작품을 완결된 것으로 보고 해석을 통해 통일을 입증하려 해

- 마셔레이는 현실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지식을 가지고 텍스트에 접근하여,

이를 통해, 텍스트가 현실의 부분적 재현이라는 점을 노정하려 함.


2) 문학을 이데올로기와 지식의 중간지점으로 파악

--> 문학은 이데올로기도 진리도 아니며, 단지 텍스트 내에 있는 간극을 드러

내는 작용을 통해, 문학이 양자의 중간에 있음을 보여준다.


3) 언어에 중요성을 부여: 언어는 현실과 일치하지 않기에 모순을 드러낸다.

4) 마르크스주의 비평을 평가와 관계없이 설명적 이론으로 만들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