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Phase Power Flow - Ver2.0 - Korean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docx, pdf, or txt
Download as doc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

Three phase Two bus network 으로 구성함, 라인 임피던스 Zl 과 부하 임피던스 Z abc 로 설정.

Eabc 는 Slack bus 이며 각 상의 크기는 1.0 P.U. 위상각 차는 +120 도 차이임.

This study based on [1] formula.

[1] An Approach to Determine a Pair of Power-Flow Solutions Related to the Voltage Stability of Unbalanced Three-Phase Networks

Eq. (1) ~ (7)까지는 [1]과 동일함. (3)의 세 전류의 합을 0 이 아닌 중성 전류로 가정해야 할 것 같으나, 우선 [1]의 전개
방식대로 적음.

Eabc =I abc Z ABC +V N (1) Where V N is neutral Voltage.

Z ABC =Z abc + Z l (2)

I a + I b + I c =0 (3)

Eq. (1)을 Eq. (3)에 대입.

Ea−V N E b−V N E c −V N
+ + =0(4)
ZA ZB ZC

V N 0= ( aσ +a 2 μ+σμ
σ + μ +σμ ) ZB
ZA
ZC
ZA
2
∗E a ( 5 ) where μ= , σ = , E b=a E a , Ec =a E a a=1.0 ∠120

Eq.(5)의 V N 0를 대입하여 Eq.(1)을 I abc 0로 다시 정리.

Eabc −V N 0
I abc 0= (6)
Z ABC

V abc 0=Eabc −I abc 0 Z L (7)

Rewrite Eq. (6), (7) in each phase.

Ea−V N 0 Eb−V N 0 E c −V N 0
I a 0= , V a 0 =Ea−I a 0 Z L // I b 0= , V b 0 =Eb−I b 0 Z L // I c0 = , V c 0=E cb n−I c 0 Z L
ZA ZB ZC

하단부터 새로 추가한 전개 방식임.

Eq. (6)~(7)의 전압, 전류를 초기값으로 설정함. 이때 I abc 0 ,V abc 0 에서 0 의 의미는 ESS 를 설치하기 전인 값들을 뜻함.
불평형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ESS 를 설치한다면 초기값 대비 값들의 변화가 생기게 됨.

S¿ a bc 0 =S l 0+ S a bc0 (8) Where Sl 0=Z l I 2a bc 0 , Sabc 0=Z ABC I 2a bc 0 , S¿ bc0=E a bc I a bc 0¿


a

현재 ESS 설치 전, 한 상에 걸린 전체 전력을 S¿ a bc 0 으로 표현함.

S¿ a bc 1 =S¿ a bc 0 + Sess =E abc I abc 1¿ (9)


abc
Eq (9)는 ESS 를 설치한다면 S¿ a bc0 초기 전력에 ESS 전력인 Sess abc 를 추가하여 해당 값을 S¿ a bc 1로 정리함.,
이때 바뀐 전력을 I abc 1으로 표현함.

figure 2 (a) before installation ESS figure 2 (b) after installation ESS(each phase)

Eq. (9)를 각도를 고려해 phasor 도로 수식을 각 상 별로 재정리함.

S¿ =E a I a 1¿ =S ¿ +S ess=|S A 0|∠ϑ a 0 +|S essA|∠ α a( 10)


a1 a0

where S A 0=S l 0 +S a 0 , ϑ a 0 is S A 0 angle∧α a is SessA angle ,

Eq.(10)을 전류에 대해 다시 표현한다면

Ea I a 1¿=|S A 0|∠ϑ a 0 +|S essA|∠α a where Ea =1.0 ∠ 0 P . U . 전압은 1.0pu 로 ESS 전과 후가 같다고 고정시켰음

I a 1 =|S A 0|∠ ϑ a 0 +|S essA|∠ α a 0


¿

I a 1=|S A 0|∠−ϑ a 0+|S essA|∠−α a=S A 0 +S essA


¿ ¿
켤레복소수 항을 풀어서 각도 마이너스로 됨.

2 ¿ 2 ¿
I a 1=( Z A|I a 0| ) +S essA¿ =( R A 0|I a 0| + j X A 0|I a 0| ) +S essA¿ =R A 0 I 2a 0− j X A 0 I 2a 0 + SessA ¿ (11)
2

where Z A =R A 0 + j X A 0 , I a 0=I a 0 ∠θ a 0
2
I a bc 0 는 위상각 없는 변수이며 켤레복소수 제거를 위해 임피던스를 실수부 허수부로 나누어 풀었음.

Use Eq.(11), I b 1, I c1 is Similar Eq.(11)

Eb I b 1 =|S B|∠ ϑ b +|S essB|∠ α b


¿

I b 1¿=|S B|∠(ϑ B −120)+|S essB|∠(α b−120) where Eb =1.0 ∠120 P . U .

2 ¿ 2 ¿
I b 1=|S B|∠ ( −ϑ B+ 120 ) +|SessB|∠ (−α b +120 ) =a ( Z B|I b 0| ) +a S essB =a ( RB 0|I a 0| + j X B 0|I b 0| ) + a S essA
¿ 2 ¿

¿ a R B 0 I b 0− j a X B 0 I b 0+ a S ess B (12) where Z B=R B 0 + j X B 0 I b 0=I b 0 ∠θ b 0


2 2 ¿

I c1 =|S C|∠ (−ϑ C −120 ) +|SessC|∠ (−α C −120 ) =a 2 RC 0 I 2c 0− j a2 X C 0 I 2c 0 +a2 S ess C ¿ (13)
where ZC =RC 0 + j X C 0 I c0 =I c0 ∠ θc 0

ESS 설치 후 전류 I a bc 1를 모두 더한 I total을 표현함. Eq.(11~13)을 대입한다면 해당 전류의 합을 ESS 전력이 들어간


수식으로 표현 가능함.

I total=I a 1+ I b 1 + I c1

¿ R A 0 I 2a 0− j X A 0 I 2a 0 + SessA ¿ +a R B 0 I 2b 0− j a X B 0 I 2b 0+ a S ess B¿ + a2 R C 0 I 2c 0− ja 2 X C 0 I 2c0 + a2 S essC ¿

¿ R A 0 I a 0 +a RB 0 I b 0 +a RC 0 I c 0− j ( X A 0 I a 0+ a X B 0 I b 0 +a X C 0 I c0 ) + S essA + a S essB +a S essC


2 2 2 2 2 2 2 2 ¿ ¿ 2 ¿

(14) where α =R A 0 I a 0 +a R B 0 I b 0 +a RC 0 I c 0− j ( X A 0 I a 0 +a X B 0 I b 0 +a X C 0 I c 0)
2 2 2 2 2 2 2 2
¿ α +S essA¿ + a S essB¿ +a 2 SessC ¿
α 로 치환한 값은 모두 입력 데이터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값이기 때문에 입력데이터가 변하지 않는 한 고정 상수임.

Assume Max ( I abc −I avg ⁡) is I b−I avg ⁡

2 2 ¿ ¿ ¿ 2 ¿
Max( I abc−I avg ⁡) 3 I b−I total 3(a RB 0 I b 0− j a X B 0 I b 0 −a S essB )−α + SessA +a S essB + a S essC
CUF= = = ¿ ¿ 2 ¿
=¿
I avg I total α+ S essA + a S essB +a S essC
¿ ¿ 2 ¿
β+2 a SessB −SessA −a SessC 2 2
¿ ¿ ¿ 2 ¿
(15)where β=3 a R B 0 I b 0 − j 3 a X B 0 I b 0−α
α + S essA + a S essB +a S essC

β 로 치환한 값은 모두 입력 데이터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값이기 때문에 입력데이터가 변하지 않는 한 고정 상수임.

우리는 ESS 를 각 상의 변전단에 설치한다고 가정하며, 해당 ESS 의 용량 값을 설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해당 값들을 전부 하나의 값 혹은 임의의 값으로 변경 가능함.

β +2 a S essB¿ −S essA¿ −a2 S essC ¿ β ¿ ¿ 2 ¿


EX ¿CUF= ¿ ¿ 2 ¿
= ¿ where S essA =a SessB =a SessC
α + SessA +a SessB + a S essC
α +3 a S essB

β + S'control ' ¿ ¿ 2 ¿ ¿ ¿ 2 ¿
EX ¿CUF= where S control =2 a S essB −S essA −a S essC , S control =S essA + a S essB + a SessC
α +S control

해당 수식은 CUF 의 분자 값이 언제나 Max (I abc −I avg ⁡) is I b−I avg ⁡ 라고 가정한 값이기 때문에 최대값은 matlab
조건을 통해 적용시켜 계산 가능하나 해당 수식 만족을 위해선 추가 조건들이 들어가야함.
Ex) 분모가 무한히 커지면 CUF=0 이 되나 ESS 전력이 너무 커져 다른 문제 발생함.
하단부터는 변수 설정 오류로 못 쓰는 수식

ESS 설치 후 전류인 I ab c1 를 모두 합한 I total을 Eq.(11~13)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Eq.(11~13)을 사용하는 이유는 ESS
설치 후 전력을 설치 전의 전류와 ESS 전력의 합으로 표현하기 위함.

I total =I a 1+ I b 1 + I c1
2 2 ¿ 2 2 ¿ 2 2 2 2 2 ¿
¿ R A 0 I a 0− j X A 0 I a 0 + SessA +a R B 0 I b 0− j a X B 0 I b 0+ a S ess B + a R C 0 I c 0− j a X C 0 I c0 + a S essC

¿ R A 0 I a 0 +a RB 0 I b 0 +a RC 0 I c 0− j ( X A 0 I a 0+ a X B 0 I b 0 +a X C 0 I c0 ) + S es s
2 2 2 2 2 2 2 2 '
total

'
I total S ess
2
=R A 0+ a RB 0 M + a R C 0 N − j ( X A 0+ a X B 0 M +a X C 0 N ) +
2 2 2 2 2 2
2
total
(14)
I a0 I a0
2 2
2 Ib0 2 Ic0 ¿ ¿ 2 ¿ '
Where M = 2
,N = 2 , SessA +a S essB + a S essC =Ses stotal
I a0 I a0

M 혹은 N 값을 둘 중 하나로 대체한다면(ex N 대신 M 에 대한 수식으로 치환) Eq. (14)는 M 에 대한 2 차방정식으로


정리된다. 우선 N 을 M 에 대해서 정리하기 위해 아래의 전개 방식을 이용한다.

Use I a 0 + I b 0 + I c 0=I n 0 ,

I c0 =I n 0−( I a 0+ I b 0 ) =I n 0 ∠θn 0 −( I a 0 ∠ θ a 0 + I b 0 ∠ θb 0 )

I c0 =I n0 ∠(θ n 0−θ c0 )−(I a 0 ∠(θ a 0−θ c0 )+ I b 0 ∠(θ b 0−θ c0 ))\

I c 0 I n0 I
N= = ∠ ( θ n 0−θc 0 ) −1∠ ( θ a 0−θ c0 ) − b 0 ∠ ( θ b 0−θ c0 )
I a0 I a0 Ia0

I n0
¿ ∠ ( θ n 0−θ c0 ) −1∠ ( θ a 0−θ c0 ) −M ∠ ( θ b 0−θ c0 )
I a0

I n0
¿
I a0
( cos ( θ n 0−θc 0 ) + jsin ( θn 0−θ c0 ) )−cos ( θa 0−θ c 0 )− jsin ( θ a 0−θ c0 ) −M (cos ( θ b 0−θ c0 ) + j sin ( θ b 0−θ c0 ) )

In0 In0
N= cos ( θ n 0−θ c0 ) −cos ( θ a 0−θc 0 ) −M cos ( θ b 0−θ c0 ) + j( sin ( θn 0−θ c0 ) −sin ( θa 0 −θc 0 )−M sin ( θb 0 −θc 0 ) )
Ia0 Ia0

위의 복잡한 N 값을 제곱하여 ( N ) Eq.(14)에 대입하면 M 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정리 가능하나, 해당 수식이


2

2 2
복잡하여 Real part 와 Imag Part 로 나누어 정리한다. N 의 실수부만 (14)에 대입 후 정리한다면, ( N 은 부록으로 유첨)

I total 2 2 2 2 2 Pesstotal 2
2
=R A 0 +a R B 0 M +a RC 0 N Real +a X c0 N Imag + 2
=α M + βM + γ (15)
I a 0 real I a0

2 2
α =R A 0+ a RB 0+ a R C 0 cos ( 2θ b 0−2 θc 0 ) +a X c 0 sin ( 2θ b 0−2 θc 0 )
β=a RC 0 (2 ρ sin ( θb 0−θ c 0) −2 ρ cos ( θb 0 −θc 0 ) )−a X c 0 2 ( ρ cos ( θb 0−θ c0 ) + ρ sin ( θ b 0−θ c0 ) )
2 ' 2 '
Pesstotal
γ=a R C 0 ( ρ −ρ ) + a X c 0 2 ρ ρ +
2 2 '2 2 '
2
I a0

I total 2 2 2 2 2 Q esstotal ' 2 ' '


2
= j(a RC 0 N Imag− X A 0 −a X B 0 M −a X C 0 N Real− 2
)=α M + β M + γ (16)
I a 0 Imag I a0

' 2 2
α =−a X B 0 +a RC 0 sin ( 2θ b 0−2 θc 0 )−a X C 0 cos ( 2θ b 0−2 θc 0 )
β ' =−2 a2 R C 0 ( ρ' cos ( θb 0−θ c 0 ) + ρ sin ( θb 0−θ c 0 ) )−a2 X C 0 ( 2 ρ' sin ( θ b 0−θc 0 ) −2 ρ cos ( θ b 0−θ c0 ) )
' 2 ' 2 2 '2 Q esstotal
γ =− X A 0 +2 a R C 0 ρ ρ −a X C 0 ( ρ −ρ )− 2
I a0
where
N 2real =M 2 cos ( 2θ b 0−2 θc 0 ) + M ( 2 ρ' sin ( θb 0 −θc 0 )−2 ρ cos ( θ b 0−θ c0 ) ) +( ρ2−ρ' 2)
N Imag=M sin ( 2 θb 0 −2θ c0 ) −2 M ( ρ cos ( θ b 0−θ c0 ) + ρsin ( θ b 0−θ c0 ) ) +2 ρ ρ
2 2 ' '

I total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Eq. (15), (16)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식은 2 차방정식으로 정리되어
최소값을 구한다면 I total의 최소값이기 때문에 각 전류의 불평형률 최소화를 의미한다.
또한 해당 수식의 상수항인 γ 와 γ ' 에만 각각 ESS 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항이 들어가 있어서 ESS 값에 따라
최소값의 조절이 가능하다.

I total
2
=Y =α M 2 + βM +γ
IA0

−β ± √ β −4 αγ
2
M=

Max ( I abc )−Min ( I abc ) Max (I abc −I avg ⁡)


%CUF1= %CUF2=
I avg I avg

Max (I abc −I avg ⁡)


Use %CUF2=
I avg

3 I a1
−Y
Max (I abc −I avg ⁡) 3 I a1 −I total ⁡ I 2A 0 3( Z A I 2A 0 +S essA¿ ) 1
CUF 2= = = = −1
I avg I total Y 2
IA0 Y
¿
S essA 3
¿( Z A + ) −1
I
2
A0
Y

Or

3 I b1
−Y
Max (I abc −I avg ⁡) 3 I b 1 −I total ⁡ I 2A 0 3(Z A I 2A 0 +S essA¿ ) 1
CUF 2= = = = −1
I avg I total Y 2
IA0 Y
검증 방법

1. Matlab 코드로 입력데이터를 받아 본 연구의 3 상 조류해석 수행


2. Opendss 코드로 입력 데이터를 받아 3 상 조류해석 수행
3. 1 과 2 의 값을 비교함
4. 맞다면 ESS 를 고려함(일단 단순히 전력의 ± 로 표현, S¿ a1=S ¿a 0+ S ess)
5. ESS 를 고려한 Matlab 코드로 본 연구의 3 상 조류해석 수행
6. ESS 를 고려한 Opendss 로 3 상 조류해석 수행
7. 5 와 6 의 값을 비교함
8. 맞다면 ESS 추가 전과 후로 나누어 ‘수식’에 대입하여 그래프 출력
9. 그래프의 값이 무의미할 경우 다시 수식을 세워 대입, 반복.
10. 그래프의 값이 유의미할 경우 ESS 스케줄링과 제약 조건 고려하여 최소값 산정

부록

I n0 I n0
N= cos ( θ n 0−θ c0 ) −cos ( θ a 0−θc 0 ) −M cos ( θ b 0−θ c0 ) + j( sin ( θn 0−θ c0 ) −sin ( θa 0 −θc 0 )−M sin ( θb 0 −θc 0 ) )
I a0 I a0

¿ ρ− M cos ( θ b 0−θ c0 ) + j (ρ' −M sin ( θb 0−θ c 0 ))


I n0 ' In 0
Where ρ= cos ( θn 0−θ c0 ) −cos ( θ a 0−θ c0 ) , ρ = sin ( θn 0−θ c0 ) −sin ( θ a 0−θc 0 )
I a0 Ia 0
2
N =( ρ−M cos ( θ b 0−θc 0 ) ) −( ρ −M sin ( θb 0 −θc 0 ) ) + j2((ρ−M cos ( θ b 0−θ c0 ) )( ρ −M sin ( θb 0 −θc 0 ) ))
2 2 ' '

2
¿ ( ρ−M cos ( θb 0−θ c 0 ) ) −( ρ −M sin ( θb 0−θ c 0 ) ) + j 2(( ρ−M cos ( θb 0 −θc 0 ) )( ρ −M sin ( θb 0−θ c0 ) ))
2 ' '

2
N 2real =( ρ−M cos ( θb 0−θ c 0 ) ) −( ρ' −M sin ( θb 0−θ c 0 ) )
2

N real =M cos ( 2θ b 0−2 θc 0 ) + M ( 2 ρ sin ( θb 0 −θc 0 )−2 ρ cos ( θ b 0−θ c0 ) ) +( ρ −ρ )


2 2 ' 2 '2

N Imag=M sin ( 2 θb 0 −2θ c0 ) −2 M ( ρ cos ( θ b 0−θ c0 ) + ρsin ( θ b 0−θ c0 ) ) +2 ρ ρ


2 2 ' '

You might also like